12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http://dx.doi.org/10.14774/JKIID.2019.28.2.012 Vol.28 No.2 Serial No.133 _ 2019. 04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28권 2호 통권133호 _ 2019.04 12 1. 서론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962년에 도입된 “학교시설 표준설계도”는 사용자 특 성을 고려하지 않은 획일적인 교육 시설을 양산하였다. 천편일률적인 교육 공간 구조에 대한 회의감이 지적되자 1990년대에는 현대화 시범학교 계획을 통해 다양한 학교 건축물 변화 정책을 시행하였다. 이를 통해 표준설계도가 폐지되고 교과교실, 열린교실, 복합화교실, 정보화교실 및 일선 학교에서 BTL 사업 등이 추진되었으나 1990년에 신설된 “표준건축비”는 배움의 공간을 혁신하는데 한계 * 교신저자(Corresponding Author); [email protected] ** 이 논문은 2017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RF-2017S1A5A8021541) 점을 보였다. 이는 창의적인 설계와 복잡한 시공과정을 과정을 담보하는 재정을 확충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1) 최근 학교시설의 노후 연한의 도래와 저출산으로 인한 학령인구의 감소로 사회구조의 변화에 따른 교과과정과 교육의 형태 변화가 촉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사 회적 변화에 따라 학교는 더 이상 일방적인 지식 전달의 장이 아닌 아동의 사회성을 증진하고 인격발달을 함양하 는 중요한 기능을 수반하는 공간으로 바뀌고 있으며, 급 격한 인식변화와 가치관의 재설정으로 인한 교육시설의 공간적 다변화가 불가피한 상황이다. 2)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아동발달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1) 함영기, 교육혁신의 시대, 배움의 공간을 생각하다, 서울시 교육청 정책연구, 서울, 2017, p.2 2) 계보경, 미래 학교 공간의 설계 방향, 한국교육시설학회지. 23권4 호, 2016, pp.18-22 창의력과 감성 증진을 위한 교육공간 리노베이션에 관한 연구 ** - 서울시 교육청의 “꿈을 담은 교실”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novation of Educational Space for Promoting Creativity and Sensibility - Focused on Case Study of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s “Dreaming Classroom” - Author 배지윤 Bae, Jiyoon / 정회원, 건국대학교 디자인대학 실내디자인전공 겸임교수, 건축학석사 김우종 Kim, Woojong / 정회원, 한국교통대 건축학전공 조교수, 건축학 석사 이경선 Lee, Kyung Sun / 정회원, 홍익대학교 건축대학 건축학전공 부교수, 건축학박사 ** Abstract Recently, the aging of school facilities is rapidly progressing with the low birth rate, change of the educational curriculum based on revolution of social structure should be accompanied. School should no longer be a place for one-sided knowledge transfer, but should promote the Sociability for children. In addition, recent diversification of educational facilities is inevitable for school's values. Therefore, this study included the theoretical research of space design which positively plays a role in child development. Furthermore, the research has explored a new direction of the educational space that supports the creative environment of the child's emotional development focused on case study of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s “Dreaming Classroom”. The research method is as follows: First, the influence of emotion, the importance of creative education space and emotional space on children’s development will be analyz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the form with space design elements that promote emotion and creativity will be identified.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interior design expressed case study of “Dreaming Classroom” are analyzed. Finally,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the program and educational space are examined for a new spatial model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children and education. In conclusion, this research suggests the direction for a spatial model of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supports stimulation environment of children's emotional development according to future educational environment change. Keywords 교육제도의 변화, 감성교육공간, 아동발달환경, 창의적 공간 디자인, 교실 리노베이션 Changes in Education System, Emotional Education Space, Child Development Environment, Creative Education Space Design, Classroom Renovation

창의력과 감성 증진을 위한 교육공간 리노베이션에 관한 연구**학교공간혁신.kr/research/data_download.php?file=1576651970... · 창의력과 감성 증진을

  • Upload
    others

  • View
    7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http://dx.doi.org/10.14774/JKIID.2019.28.2.012Vol.28 No.2 Serial No.133 _ 2019. 04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28권 2호 통권133호 _ 2019.0412

    1. 서론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962년에 도입된 “학교시설 표준설계도”는 사용자 특

    성을 고려하지 않은 획일적인 교육 시설을 양산하였다.

    천편일률적인 교육 공간 구조에 대한 회의감이 지적되자

    1990년대에는 현대화 시범학교 계획을 통해 다양한 학교

    건축물 변화 정책을 시행하였다. 이를 통해 표준설계도가

    폐지되고 교과교실, 열린교실, 복합화교실, 정보화교실 및

    일선 학교에서 BTL 사업 등이 추진되었으나 1990년에

    신설된 “표준건축비”는 배움의 공간을 혁신하는데 한계

    * 교신저자(Corresponding Author); [email protected]** 이 논문은 2017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RF-2017S1A5A8021541)

    점을 보였다. 이는 창의적인 설계와 복잡한 시공과정을

    과정을 담보하는 재정을 확충하지 못했기 때문이다.1)

    최근 학교시설의 노후 연한의 도래와 저출산으로 인한

    학령인구의 감소로 사회구조의 변화에 따른 교과과정과

    교육의 형태 변화가 촉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사

    회적 변화에 따라 학교는 더 이상 일방적인 지식 전달의

    장이 아닌 아동의 사회성을 증진하고 인격발달을 함양하

    는 중요한 기능을 수반하는 공간으로 바뀌고 있으며, 급

    격한 인식변화와 가치관의 재설정으로 인한 교육시설의

    공간적 다변화가 불가피한 상황이다.2)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아동발달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1) 함영기, 교육혁신의 시대, 배움의 공간을 생각하다, 서울시 교육청

    정책연구, 서울, 2017, p.2

    2) 계보경, 미래 학교 공간의 설계 방향, 한국교육시설학회지. 23권4

    호, 2016, pp.18-22

    창의력과 감성 증진을 위한 교 육 공간 리노베이 션에 관한 연구**

    - 서울시 교육청의 “꿈을 담은 교실” 사례를 중심으로 -

    A S t u d y o n t h e R e n o va t i o n o f Ed u c a t i o n a l S p a c e fo r Pr o m o t i n g C r e a t i vi t y a n d S e n s i bi l i t y- Focused on Case Study of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s “Dreaming Classroom” -

    A u t h o r 배지윤 Bae, Jiyoon / 정회원, 건국대학교 디자인대학 실내디자인전공 겸임교수, 건축학석사

    김우종 Kim, Woojong / 정회원, 한국교통대 건축학전공 조교수, 건축학 석사

    이경선 Lee, Kyung Sun / 정회원, 홍익대학교 건축대학 건축학전공 부교수, 건축학박사**

    A bs t r a c t Recently, the aging of school facilities is rapidly progressing with the low birth rate, change of the educational curriculum

    based on revolution of social structure should be accompanied. School should no longer be a place for one-sided

    knowledge transfer, but should promote the Sociability for children. In addition, recent diversification of educational facilities is

    inevitable for school's values. Therefore, this study included the theoretical research of space design which positively plays a

    role in child development. Furthermore, the research has explored a new direction of the educational space that supports

    the creative environment of the child's emotional development focused on case study of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s “Dreaming Classroom”. The research method is as follows: First, the influence of emotion, the importance of

    creative education space and emotional space on children’s development will be analyz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the

    form with space design elements that promote emotion and creativity will be identified.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interior

    design expressed case study of “Dreaming Classroom” are analyzed. Finally,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the program and

    educational space are examined for a new spatial model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children and education. In

    conclusion, this research suggests the direction for a spatial model of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supports stimulation

    environment of children's emotional development according to future educational environment change.

    K e yw o r d s 교육제도의 변화, 감성교육공간, 아동발달환경, 창의적 공간 디자인, 교실 리노베이션

    Changes in Education System, Emotional Education Space, Child Development Environment, Creative Education

    Space Design, Classroom Renovation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28권 2호 통권133호 _ 2019.04 13

    공간 디자인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꿈을 담은 교실” 리

    노베이션 사례비교분석을 통해 창의력과 감성 증진을 위

    한 교육 공간 리노베이션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궁

    극적으로는 미래교육환경 변화에 따른 공간디자인 방향

    과 아동의 감성발달 자극환경을 지원하는 교육 환경의

    공간 모델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1.2 . 연구 방법 및 범위

    연구방법으로는 첫째, 문헌고찰을 통해 감성, 창의적

    교육 공간의 중요성 및 창의적 공간이 아동 발달에 미치

    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고 감성과 창의를 증진시키는 형

    태 및 공간 디자인 요소를 추출한다. 둘째, 2017년 서울

    시교육청에서 주관한 미래 교육을 담당하는 학교 공간

    혁신 프로젝트의 시범 사업인 “꿈을 담은 교실” 프로젝

    트의 디자인 특성을 앞서 추출된 디자인 요소를 중심으

    로 분석한다. 셋째, 분석범위대상으로는 2017년 완공된

    꿈을 담은 교실 프로젝트 중 서울시교육청 공식 블로그

    에 게시된 대표사례3)로 제시된 6개 초등학교를 선정하

    였다.4) 대상의 분류는 복도 및 공용공간에 대한 활용사

    례, 교실공간의 재 개념화를 통한 활용사례, 전이공간의

    활용사례로 창의력과 감성 증진을 위한 디자인이 적극적

    으로 표현된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적용 가능한 디자인

    타입으로 구분하였다. 마지막으로 아동발달과 교육의 미

    래교육에 대한 새로운 공간모델을 위하여 교실 및 연계

    공간의 디자인 특성을 분석하였다.

    I. 감성 · 창의 교육의 중요성

    II. 창의적 공간이 아동발달에 미치는영향

    III. 감성과 창의를 증진시키는 행태 및공간의 요소

    연구의 목표 감성 · 창의적 공간의이론적 고찰

    창의력과 감성 증진을 위한 교육공간 리노베이션에 관한 연구

    I. 연구의 배경 및목적

    II. 연구방법 및범위

    사례연구

    미래학교를 준비하는 서울교육공간 디자인혁신 사업인 꿈을 담은교실 프로젝트 중2017년 완공된 6개 학교 선정

    사례종합분석

    결론

    연구의 흐름도

    2 . 감성⋅창의적 공간의 이 론적 고찰

    2 .1. 감성⋅창의 교 육 의 중 요성

    3) 꿈을 담은교실 기획취재(1), 서울특별시교육청 블로그, 2017년 12월

    6일 수정, 2019년 1월 30일 접속, https://blog.naver.com/seouledu

    2012/221156987977

    4) 이병호 외, 꿈을담은교실가이드북, 서울특별시 교육청, 서울, 2018, pp.5-8

    (1) 창의적 인재육성에 대한 사회적 요구의 변화

    1)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사회구조 변화

    급격한 사회변화에 대응하고 능동적인 인재를 육성하

    기 위해서 다음 세대에게 어떠한 역량을 키워줘야 하는

    지가 미래교육의 가장 중요한 화두이다. 최근 회자되는

    미래학자인 토마스 프레이(Thomas Frey)는 4차 산업혁

    명이 기존 직업의 거의 절반을 사라지게 할 것이라는 우

    울한 전망을 제시하고 있는데, 이는 지금 초등학생이 성

    인이 되었을 때에 현재 직업의 절반이 사라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4차 산업혁명 시대가 필요로 하는 역

    량은 단순한 지식 암기가 아니라, 새로운 변화에 끊임없

    이 적응해 나갈 수 있도록 배우는 것을 의미하며, 자기

    주도 학습이 절대적으로 중요하다. 또한 여러 사람과 팀

    을 이뤄 새로운 방법을 고안해 낼 수 있는 소통을 통한

    협력과 창의적인 문제해결 능력이 필요하다.5)

    2) 감성지능에 대한 중요성의 대두

    최근까지 많은 사람들은 지능지수를 의미하는 IQ

    (Intelligence quotient)를 통해 자신의 삶의 방향과 향보

    를 미리 예측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즉, IQ를 사회적인

    역량은 물론이고 개개인의 삶의 성공을 예측하는 지표로

    써 인식했다. 그러나 1995년 감성지능을 최초로 언급한

    미국의 대표적 사회심리학자 다니엘 골먼(Goleman,

    2013)은 지능지수 보다 감성지수의 중요성을 더욱 강조

    하였다.6)

    감성지능의 사전적 의미는 자신의 감정을 제대로 인지

    및 표현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조절하여 삶의 목표를 세

    우고 성취하기 위해 자신의 정서를 활용할 수 있는 능력

    이라고 표현된다. 현대사회는 많은 부분이 디지털화, 다

    기능화 되어 있어 이들을 개발하고 활용할 수 있는 다차

    원적인 능력이 요구된다. 따라서 개인의 한정된 능력보

    다는 많은 사람의 아이디어를 모으고 협력을 통해 종합

    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이 더욱 필요하다.7)

    따라서 현대 사회에서는 감성지능의 발달이 중요한 키

    워드가 될 수밖에 없다. 골먼에 따르면 많은 정보가 요

    구되는 상황에서 감성지능이 높은 아이들은 다른 구성원

    들의 정보를 얻기 위해 자신의 정보를 주는 것에 익숙하

    다고 하였다. 또한 신경과학자인 안토니오 다마시오

    (Antonio Damasio)는 이성과 감정은 서로 분리될 수 없

    고 의사 결정이나 논리적 선택을 해야 할 경우에도 감정

    이 개입되며 결국 이 둘은 생존과도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고 하였다. 따라서 교육 공간에서도 감성지능을 발

    달시킬 수 있는 계획이 필요하다.

    5) 이경선, 미래교육공간의 혁신과 변화, 건축, 62권1호, 2018, pp.15-18

    6) 제프 리벨, 구승준. EQ 감성지능: 감성지능은 왜 IQ보다 더 중요할

    까_다니엘 골먼 Daniel Goleman. 브레인, 43권, 2013, pp.22-25

    7) 이승은, 유아기 감성지능 발달 경향성 연구. 아동학회지, 26권6호,

    2005, pp.29-43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28권 2호 통권133호 _ 2019.0414

    (2) 창의적 인재육성에 대한 교육의 변화

    1) 교육제도의 변화

    프랑스의 철학자 미셀푸코는 학교와 감옥이 서로 비슷

    한 건축 평면구조를 가지고 있다고 언급했고, 통제와 감

    시가 쉬운 건물 구조라고 명명했다. 푸코는 이를 파노티

    시즘의 기본 속성으로 관리, 감시, 교정을 규율 권력의

    세 측면으로 언급하였다. 근대부터 이어져온 우리나라

    학교는 건물 구조 자체가 수동적 인간을 양성하는 훈련

    소 역할을 해왔다.8) 그러나 현재 창의적 인재를 육성하

    기 위한 학교 교육의 사회적인 요구가 급증하고 있고 4

    차 산업혁명에 따른 산업구조의 변화 등 사회전반에서의

    교육 변화와 학교공간의 구조적 변화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근본적인 구조 변

    화 없이 책걸상 교체, 멀티미디어 교육 장비 구비 등 시

    설물 현대화 정도의 파편적인 방편으로는 미래 교육 공

    간이 요구하는 변화를 충족시킬 수 없는 것이다.9)

    2017년 초등학교 1, 2학년을 대상으로 도입된 2015년

    개정 교육과정과 2009년 개정 교육과정의 변화된 양상은

    ‘핵심역량'으로의 정책적 개념 변화라고 할 수 있다.

    2015년에 개정된 교육과정은 “6가지 핵심역량” 강화에

    방점을 두고 있고 “창의 융합형 인재”를 선별하기 위해

    이러한 6가지 역량을 교육과 학습 목표의 최우선으로 설

    정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6가지 핵심 역량에는 자기관리

    역량, 의사소통역량, 창의적 고역량, 심미적 감성역량, 지

    식정보 처리역량, 공동체역량 등이 있다.10) 이와 같이 초

    등교육의 제도적 방향은 이미 창의적 인재양성을 지향하

    고 있지만 교육의 현장인 학교 교실공간의 현실적인 지

    원은 미비한 상황이다.

    서울시 교육청은 2017년부터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

    을 대상으로 입학 후 빠르게 변화한 교육 환경으로 인한

    학생들의 불안감을 해소하고 유치원 활동 및 초등학교

    교과 학습의 연계 교육으로 행복하고 안전한 학교생활

    적응을 위해 맞춤형 교육과정의 일환인 “안성(안정과 성

    장)맞춤 교육과정”을 적극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안성맞

    춤 교육과정은 선행학습이 필요 없는 수학과 한글 교육

    활동을 돕고, 학습 부담을 감소시켜 자기 주도적 학습을

    돕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학생들의 지속적인 관심과 흥

    미가 이어질 수 있는 참여형 놀이와 교육 활동 등이 이

    러한 정책 방향의 주요 사항이라고 할 수 있다.11)

    8) 정규영, 미셸 푸코의 ‘규율 권력’과 근대 교육, 교육사학연구, 23권2

    호, 2013, pp.157-201

    9) 이경선, op. cit., p.15-18

    10) 초등학교에서 변화하는 교육, 2015 개정교육과정, 교육부 공식 블

    로그, 2018년 1월 30일 수정, 2019년 1월 6일 접속, http://if-blog.

    tistory.com/7855

    11) 학생 중심의 놀이를 통한 배움, 서울특별시교육청 홈페이지, 2017년

    7월 13일 수정, 2019년 1월 21일 접속, http://nowseouledu.com/

    2017/07/13.php

    2) 교실 공간개념의 변화

    건축과 디자인 분야에서도 20세기 전반에 걸쳐 영향을

    미친 이성적 사고에 기초한 기능주의적 디자인에서 벗어

    나 인간의 감성적 측면을 중요시하는 경향이 강하게 나

    타나고 있다12). 이러한 감성적 공간의 구현이 인간 본연

    의 상태를 이해하고 수용할 수 있는 디자인의 접근 방법

    이자 새로운 가능성이라는 인식과 함께 그 필요성이 증

    대되고 있는 것이다. 특히 건축 분야에서는 “사회성 및

    정서적 교류”와 관련하여 인간 중심의 생태학적 측면인

    감성 디자인에 대한 이해가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13)

    이를 통해 감성 능력 발달에 미치는 영향과 청소년 성장

    기에 따른 감성 특성을 고려한 교육 공간의 조성 노력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 패러다임의 변화에

    발맞추어 교육부는 지난 2019년 1월 10일, 미래교육 변

    화에 발맞추어 보다 안전하고 쾌적한 학교 공간 마련을

    위한 “학교시설 환경 개선 5개년 계획”을 발표하였고 그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14)

    미래의 학교 공간

    창의성과 융합적 사고를 키워주는다양한 공간 설계 및 배치

    어울림, 쉼과 교류가 가능한휴게공간이 있는 학교 공간

    학생이 참여한 수요자맞춤형 공간 설계

    복합화를 통한 지역사회연계 및 개방

    기존의 학교시설

    효율성에 초점을 맞춘획일적인 학교 설계

    휴식·놀이·교류가 부족한학습 위주의 학교 공간

    공급자(교육청·학교) 위주의학교 건축

    지역사회와 분리된 학교 공간

    미래형 학교 공간 혁신, 교육부, 2019

    교육부는 학교 공간의 변화를 전국 시·도교육청으로

    확대하기 위해 올해부터 2023년까지 교실단위 공간 혁신

    (1,250개교)과 학교단위의 공간 혁신(500개교) 사업을 지

    원한다. 이러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 “학교 시설 환경

    개선 5개년 계획”은 국정 과제인 “학교 노후시설 개선

    및 수업 환경 개선”의 효율적인 추진을 위한 중장기 계

    획으로서 노후 환경 개선을 통한 쾌적한 학교, 위험·위해

    요소 없는 안전한 학교, 미래 교육에 대응하는 학교 공

    간 혁신이라는 3가지 목표를 담고 있다.

    이러한 요구 사항은 첫째, 노후 환경 개선을 통한 쾌

    적한 학교와 이를 통한 주요사업은 냉난방기 교체, 노후

    화장실 개선, 창호 교체, LED등 교체 사업으로 집과 같

    은 아늑하고 쾌적한 학교 환경을 구축하고자 한다. 둘째,

    위험·위해요소 없는 안전한 학교의 주요사업은 내진보강,

    12) 이경아, 나건, 국내 감성 관련 연구 리뷰를 통한 감성 관계도 도출

    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7권1호, 2011, pp.361-373

    13) 이경선, op. cit., p.15-18

    14) 유은혜, 행복한 교육, 교육부, 439호, 2019, pp.16-17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28권 2호 통권133호 _ 2019.04 15

    석면제거, 스프링클러 설치 사업으로 학생들이 안심하고

    다닐 수 있도록 위험·위해 요소를 해소하고자 한다. 마지

    막으로 미래 교육에 대응하는 학교 공간 혁신사업은 교

    실 단위 공간, 학교 단위 공간의 개선 사업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미래 교육 과정 변화에 대응하는 학교 공

    간을 위한 디자인 사업이 바로 본 연구에서 분석하고자

    하는 꿈을 담은 교실의 핵심 계획이다.

    따라서 이러한 계획은 기존 효율성에 초점을 맞춘 학

    교 공간을 변화시켜 보다 다양한 교수·학습이 가능한 공

    간으로 조성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놀이학습교실, 융합

    교육교실, 소규모 협력학습실 등 상상력을 자극하는 다

    양한 수업이 가능한 교실과 개방형 창의·감성 휴게학습

    공간으로 조성된다. 이를 위해 시·도교육청별 공간 혁신

    관련 사업을 우선 지원하고, 현장 의견수렴을 통해 공간

    별 다양한 모델을 마련, 향후 5년간 5천억 원을 투자하

    여 2019년 150개 학교에 적용 후 향후 2023년 까지 총

    1,250교를 목표로 전국적인 확산을 추진 중이다.15)

    2 .2 . 창의적 공간이 아 동 발 달 에 미 치는 영향

    앞서 감성적 교육의 중요성과 관련하여 창의성이란 새

    로운 생각을 통해 개념을 찾고 기존에 존재하는 사상이

    나 개념을 대체할 새로운 조합을 만들어내는 사회 정신

    적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16) 다시 말해 새로운 무엇을

    창조하는 사회적 활동을 의미하며, 창의성은 지식 기반

    의 지적 능력과 사고, 성격의 유형 및 환경 등 다양한

    요인으로부터 영향을 받지만 본 연구에서는 환경적 요인

    인 교육공간의 실내 환경이 아동의 감성 및 창의력 발달

    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피아제(Piage, 1953)는 영유아가 단순히 환경에 반응하

    는 수동적인 존재가 아니며, 주변 환경을 적극적으로 탐

    색하고 조작하는 능동적인 존재로 간주하였으며 이 시기

    의 주변 환경은 매우 중요하다고 언급하였다. 인간의 발

    달에 있어 이 시기 주변 환경의 중요성에 대한 많은 연

    구가 진행 되어 왔고 인간의 발달을 유전적인 요인보다

    는 주위 환경에 의해 이루어진다는 환경 결정론이 이를

    뒷받침한다. 피아제를 포함한 프로이드(Freud), 비고스키

    (Vygotsky), 에릭슨(Erikson) 등 수많은 학자들은 아동

    의 사회적, 인지적, 신체적 발달이 이들을 둘러싼 환경의

    변화에 따라 큰 영향을 받는다고 말한다(Marjorie, 2013).

    이를 통해 피아제는 지적 성장을 아동과 환경의 상호

    작용에 의한 발달적 과정이라고 보았다. 이러한 지적성

    장은 적응의 과정을 통해 발달되는데 적응은 곧 조절

    (Accommodation)과 동화(Assimilation)의 상호작용으로

    15) 유은혜, op. cit., p.18-19

    16) 김현정, 창의성의 개념적 검토, 교육과정평가연구, 6권2호, 2003,

    pp.155 -170

    이 두 가지의 과정이 지속적인 균형을 이룬 상태를 평형

    (Equilibrium)이라고 언급했으며, 이러한 평형상태가 지

    속되는 과정에서 아동의 지적 성장이 더욱 활발하게 이

    루어진다고 하였다.17)

    또한 피아제는 아동의 발달 단계를 감각운동기

    (Sensori-motor Stage. 0∼2세), 전조작기(Pre-operation

    Stage. 2∼7세), 구체적 조작기(Concrete Operation

    Stage. 7∼11세), 형식적 조작기(Formal Operation

    Stage. 11∼성인)로 분류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분석하

    고자 하는 감성발달환경의 주체인 아동은 피아제의 발달

    단계 중 구체적 조작기(Concrete Operation Stage. 7∼11

    세)의 단계로 볼 수 있다.18) 따라서 이러한 발달 단계

    아동의 행태 및 특성을 이해하고 적절한 교육 환경을 제

    공하는 것이 아동의 사회화 과정과 감성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2.3. 감성과 창의를 증진시키는 행태 및 공간

    (1) 아동의 행태 발달과 학습 환경

    인간의 행태는 문제를 인지하는 인식단계를 거쳐 사고

    와 경험을 통해 문제를 이해하고 지식 습득을 위한 행동

    과 과정을 거친다. 이러한 인간의 행태는 심리적 변화에

    의한 행동 변화와 맥락을 같이 하며, 심리학자 깁슨

    (Gibson, 1986)은 지원성(Affordance)의 개념으로 이를

    설명한다. 즉, 생태적 특질이 내재된 물리적 환경이 지각

    과 상호의존적 관계를 형성해 인간행태와 이를 에워싼

    환경이 자질을 형성한다는 것이다.19) 그는 물리적 환경

    이 곧 인간 지각행위에 미적 경험과 다양한 정보를 전달

    하며, 이러한 정보는 곧 지각자에게 행동을 촉구한다.

    또한 존 랭(Lang, 1996)은 인간의 행동이 환경에 대한

    지각과 인지반응의 과정에서 경험하게 되는 정서적인 영

    향에 기인한다고 하였다. 또한 행동 및 경험을 통한 인

    간 욕구 해소와 가치 추구를 위한 지속적인 행동 패턴은

    환경의 지원성에 영향을 받는다고 말한다. 즉 인간은 생

    태학적으로 환경적 자극을 이미 내재된 의미로 받아들이

    고 있다고 말하는 것이다.20)

    마찬가지로 심리학자 에릭슨(Erikson, 1983)은 아동의

    인격형성과 관련하여 놀이를 중요한 개념으로 언급하며

    아동기, 청년기, 성인기를 거치면서 형성되는 의식화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아동에게 있어서 놀이는

    17) Piaget, The Origins of Intelligence in Children, Routledge and

    Kegan Paul, London. 1953

    18) 구체적 조작기(Concrete Operation Stage. 7∼11세)는 사물들의 관

    계를 탐구하고 이를 순서화하는 능력을 배양하며 자아 중심적 사

    고에서 벗어나 상대방의 관점을 먼저 이해하기 시작하는 시기이

    다. 따라서 탈 중심화를 통한 복합적인 관점에서 사물을 지각하는

    상호작용이 형성되는 시기라 설명한다.

    19) James, The Ecological Approach to Visual Perception,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New Jersey, 1986

    20) Jon, 건축이론의 창조, 도서출판 국제, 서울, 1996. p.55-95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28권 2호 통권133호 _ 2019.0416

    본능적인 학습활동으로 이해해야 한다고 하였으며, 이는

    아동의 자기 존중감을 증진시키는 신체적, 사회적 역량

    의 형성과정이라 설명하였다.

    따라서 학습 환경은 디자인 단계의 연결적 특성을 반

    영하여 몰입과 참여과정 및 협력 학습이 가능하도록 해

    야 한다. 즉 개인 영역을 형성하고 학생들의 협력과 참

    여를 지원하는 집단 영역을 구축하며, 학습 결과의 피드

    백을 구성하는 공유 영역을 제공해야 한다. 이를 통해

    개인 및 집단, 그리고 공유 영역의 디자인은 결국 교육

    과 놀이의 단계별 학습 행태 유형과도 연계되어야 하며,

    이러한 학습 환경은 물리적 유연성을 추구한다.

    (2) 감성발달환경의 공간적 특성

    공간 행동 심리학자 커스티(Kursty, 2013)는 인간은 정

    신적, 정서적, 신체적 자극으로 성장한다고 설명하며 창의성

    을 지원하는 4가지 유형의 공간에 대해 언급하였다. 첫 번째

    로 “자극과 영감을 주는 공간(Stimulate: Space for Inspiration)”은

    비언어적인 방법을 통해 메시지를 전달하고 가치를 향상시

    켜 동기를 유발하는 자극제의 역할을 한다. 두 번째, “생각

    할 수 있는 공간(Reflect: Space to Think)”은 반복적인 활

    동을 잠시 중단하고 명상과 휴식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재충전을 통해 다시 학업에 몰입할 수 있도록 하여 창의성

    의 증진을 지원한다. 세 번째, “공유할 수 있는 공간은

    (Collaborate: Space to Share)” 수평적인 방식으로 내재

    적 정보를 공유하는 것을 촉진하고 지식의 교류와 소통

    을 활성화하여 창의적인 사고를 배양한다. 네 번째, “연결

    하고 탐험할 수 있는 공간(Play: Space to Connect and

    Explore)”은 무 계 획 과 비 형 식 을 바 탕 으 로 편 안 한 관 계

    를 유 도 함 으 로 써 실 험 적 사 고 와 자 율 성 을 촉 진 하 여

    창 의 력 향 상 에 중 요 한 역 할 을 한 다 고 하 였 다 .21)

    Kursty Groves의 창의성을 증진시키는 공간 유형의 특성

    구분 공간유형의 특성

    자극과 영감을 주는 공간

    Stimulate: Space for Inspiration

    자극으로부터 정신적 에너지를 유도하여 아동이 그 세계에 몰입 할 수 있게 함.

    아동이 수행하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도록 아이디어를 제공하는 공간.

    생각할 수 있는 공간

    Reflect: Space to Think

    긴장을 완화하고 시간을 단축시켜 문제 해결을 위한 창의적인 두뇌 사용이 가능

    하게 함.

    올바른 조건을 설정하여 집중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방해받지 않는 공간.

    공유할 수 있는 공간

    Collaborate: Space to Share

    훌륭한 협업 공간을 마련하고 문제를 해결하고자 아이디어를 공유하는 공간.

    비공식 대화를 장려하고 소통할 수 있는 문화적으로 열린 공간.

    연결하고 탐험할 수 있는 공간

    Play: Space to Connect and

    Explore

    놀이를 통한 사회화 과정을 학습하고 편안한 분위기를 조성함.

    위계질서를 벗어나 학습능력을 증대시키고 창의력 향상을 도모 하는 공간.

    또한 조연순 외(2011)는 창의력 증진을 지원하는 학습

    21) Kursty, Oliver, Spaces for Innovation: The Design and Science

    of Inspiring Environments, Frame Publishers, Amsterdam, 2016

    방법의 공통적인 사항으로 다음과 같은 내용을 언급하였

    다. 첫째, 아동에게 익숙한 자료를 다양한 형태로 재구성

    하여 이들이 학습에 흥미를 느끼도록 동기를 부여하면서

    동시에 문제를 확장하고 비판적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한

    다. 둘째, 지식과 다양한 탐색의 기회를 주고 이를 통해

    새로운 지식을 발견함과 동시에 습득한 내용을 한 번 더

    설명함으로써 탐구한 내용을 학생들에게 내면화될 수 있

    도록 한다. 셋째, 학습 개념을 실제 상황에 적극적으로 활

    용하도록 독려하여 반추의 시간과 함께 새로운 과제를 제

    공하고 이들 스스로 과제를 정리하고 적용할 기회를 제공

    하여야 한다고 하였다.22)

    2.4. 소결

    앞서 언급한 아동발달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공간

    디자인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감성 및 창의 교육의

    중요성과 이를 통한 교실 공간 개념의 변화가 빠르게 일

    어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인간은 외

    부 환경과 끊임없는 관계를 가지면서 성장과 발달을 이

    룬다. 특히 인지 언어와 사회성을 기반으로 한 성격발달

    등은 인간 변화 과정의 한 가운데 있으며 이러한 역동적

    변화를 겪는 아동기는 무엇보다도 환경 및 공간 변화에

    큰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이러한 학생들의 특징을 고려

    한 디자인적 공간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이에 더불어

    다양한 체험을 통한 신체 발달은 자기 조절 능력을 배양

    하고 발달과 협력을 기반으로 한 사회성을 촉진한다. 이

    는 곧 공동의 목표의식을 통한 문제 해결 능력을 향상시

    키며 아동에게 소속감 및 정서적 안정감을 제공한다.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도출된 창의력 증진과 감성발달

    을 위한 공간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이 신체

    를 적극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공간의 크기와 높낮이

    를 다양화하고 장소를 자유롭게 탐험할 수 있는 공간 구

    성이 요구된다. 둘째, 학교 공간이 정신적 발달을 위해

    아동 스스로가 생각하고 자아 성찰을 통해 정서적 안정

    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며, 집중력과 지구력을 향상시켜

    문제 해결 능력을 배양하는 공간으로 계획되어야 한다.

    셋째, 협력을 통한 문제해결과 사회성 증진과 소속감 형

    성을 위하여 교실 내 다양한 교육활동이 가능하도록 가

    변적인 공간 구성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창의적 공간이 아동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할 때 이를 증진시키는 감성발달환경의 제공이 아동의

    창의력 증진에 매우 중요하며 기존의 학교 시설이 가지고

    있는 획일적이고 효율성에 초점을 맞춘 공간에서 벗어나 보

    다 융합적 사고를 이끌어 낼 수 있는 맞춤형 공간 디자인이

    변화하는 학교 교육에 대응하도록 요구된다.

    22) 조연순 외, 교실수업 상황에서 학생 창의성을 촉진하는 교수 학습

    특성 및 교육 방법 연구, 23권3호, 2011, pp609-634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28권 2호 통권133호 _ 2019.04 17

    3. 사 례 연구

    3.1. 평가 요소 추출

    본 연구에서는 창의적 사고를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촉

    진할 수 있는 학교 공간 구성을 탐구한다. 이를 위해

    에서와 같이 커스티가 언급한 아동의 발달 요

    소 16가지를 8개의 공간적 특성으로 연결하여 분석한 후

    다시 창의성을 증진하는 4가지의 공간 유형으로 압축하

    여 평가요소를 추출하고 사례분석의 틀을 구축하고자 하

    였다. 이를 통해 창의성을 증진시키는 공간과 아동의 감

    성발달 요소의 연계성에 관한 공간의 특성을 세부적으로

    분석하면 아래와 같다.

    아동 발달 요소와 창의성을 증진시키는 공간의 특성은

    유희성, 다양성, 융통성, 협력성, 안락함, 복합성, 연결성,

    개방성을 포함한다. 첫째, 유희성이란 상상력을 자극하고

    호기심과 흥미를 유발하며 모험적인 놀이 요소가 많아 보

    다 유 희 적 인 경 험 을 제 공 하 는 공 간 의 특 성 을 의 미 한 다 .

    둘째, 다양성이란 크기와 형태, 색상과 마감 등 서로 다

    른 요소가 사용자의 특성에 따라 자유로운 선택이 가능한

    공간을 의미한다. 셋째, 융통성이란 공간의 구조나 형태를

    변형하는데 있어 조절이 자유롭고, 이를 바탕으로 교육

    내용과 학습 방법 및 사용자의 요구 등에 대한 유연성을

    가진 공간의 특성을 말한다. 넷째, 협력성이란 학생들의

    공동 작업과 원활한 협력을 증진시키는 공간의 특성을 의

    미한다. 다섯째, 안락함이란 정서적인 안정감을 주며 자

    연 친화적이면서 동시에 마음의 평온함을 느끼게 하는

    공간의 특성을 의미한다. 여섯째, 복합성이란 여러 가지

    공간적인 요소들이 모여 새로운 조합이나 연결을 통해 복

    합적이고 조화로운 분위기를 갖는 공간의 특성을 말한다.

    일곱째, 연결성이란 장소와 시간에 구애 없이 자유롭게

    정보를 습득하고 소통할 수 있는 공간이며 교류, 이동성

    중심의 활동이 가능한 학습형태가 이루어지는 공간을 의

    미한다. 마지막으로 개방성은 건물의 안과 밖, 혹은 공간

    사이의 시각적 개방감을 지향하며 자원의 상호 교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23)

    결론적으로 아동발달요소와 이를 지원하는 공간의 특

    성을 추출하여 커스티가 언급한 창의력을 증진시키는 공

    간의 유형학을 분류하면 과 같다. 또한 분석결

    과 도출된 8가지 창의적 공간속성에 대한 대표적인 조성

    사례를 제시하면 다음 와 같다.

    창의성을 촉진하는 공간 속성별 사례

    유희성 (면동초등학교) 다양성 (방화초등학교)

    놀이적 요소가 풍부

    한 공간 조성은 학생

    들의 흥미와 모험심

    을 자극하여 창의적

    인 활동을 촉진함.

    사회 및 개인적 공간

    을 제공하여 학생들

    의 성향과 활동 목적

    에 따른 공간 선택이

    가능하도록 함.

    융통성 (문성초등학교) 협력성 (송정초등학교)

    공간의 가변적 요소

    에 의한 개별 공간

    또는 통합된 공간

    등 공간의 다양한

    활용을 촉진함.

    공간의 형태와 분위

    기, 가구 배치 등에

    따라 원활한 협업을

    지원하고 융합적 사

    고를 촉진함.

    안락함 (신가초등학교) 복합성 (금호초등학교)

    개인적 활동을 위한

    안락한 공간조성을

    통해 내면화를 촉진

    하고 창의성 신장에

    긍정적 역할을 함.

    복합적인 공간은 학

    생들의 관찰과 시각

    화 능력 등을 활성

    화하고 창의적 활동

    을 유발하도록 함.

    연결성 (한서초등학교) 개방성 (방화초등학교)

    부대 공간과의 유기

    적인 연계성을 극대

    화하여 다채로운 활

    동을 유도함.

    시각적 개방감과 투

    명성을 제공하여 자

    연 조망 및 상호 소

    통과 교류를 촉진

    함.

    3.2 . 사 례 분 석 대 상

    사례는 2017년 서울특별시 교육청에서 주관한 “꿈을

    담은 교실 만들기” 사업의 일환으로 2017년에 완공된 6

    개 학교의 교실 및 공용 공간의 환경 개선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고찰하였다.24) 이러한 대상의 선정 이유는 현

    재 학교 연한의 도래 및 학령인구의 감소로 인한 유휴

    교실과 공용 공간 활용 등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시

    점임25)과 동시에 서울시 교육청에서 주관한 공공 프로젝

    트로 기타 지방 도시의 학교 환경 개선 사업의 선례로써

    23) 최형주, 창의성을 촉진하는 초등학교 공간속성에 관한 연구, 한국

    교육, 43권4호, 2016, pp.33-62

    24) 이병호, op. cit., p.5-8

    25) 맹준호, 학교시설 유지관리 실태조사 및 제도 개선방안 연구용역,

    한국교육환경연구원, 2013, pp.1-3

    융통성Flexibility

    협력성Cooperativeness

    안락함Sense of comfort

    복합성Complexity

    연결성Connectivity

    개방성Openness

    아동의 발달 요소

    Stimulate

    유희성Playfulness

    동기부여 및 유발

    호기심 자극

    상상력 증진

    문제해결능력 배양

    사회성 증진

    협업의 기회제공

    소속감 제공

    공동의 목표의식함량

    집중력 향상

    지구력 항상

    정서적 안정감

    자아성찰기회제공

    신체적 발달 지원

    다양한 체험의기회제공

    자기조절능력 배양

    자율성의 보장

    다양성Diversity

    Reflect

    Collaborate

    Play

    공간의 특성 창의성을증진시키는

    4가지 공간 유형

    창의성을 증진시키는 공간의 특성 추출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28권 2호 통권133호 _ 2019.0418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26) 따라서 유

    형별로 사례를 분류하고 디자인 요소를 분석함으로써 추

    후 지속적으로 진행될 사업의 기초적인 방향을 제시함에

    그 의의가 있다.

    이에 현재 전국 학교의 시설 현황과 건축 환경이 다양

    한 가운데 공간적 활용 가능성에 따라 디자인 적용이 이

    루어 질 수 있도록 공용 공간의 활용, 교실 공간 내부의

    놀이 공간 활용, 복도와 교실의 연계 공간 활용의 3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이에 따른 사례 분석 대상으로 공

    간적 특성이 대표적으로 반영된 6가지 사례를 선정하였

    으며 그 대상은 과 같다.

    공용공간활용 교실내부공간활용 연계공간활용

    공간 활용별 타입분류기준

    유휴교실 및공용공간활용을 통한놀이요소가 극대화된

    디자인

    공간 활용제한적일 경우, 교실내부공간의 적극적인

    활용된 디자인

    공간의 가변적 요소에의한 개별, 통합으로공간이 용통적으로

    활용된 디자인

    공간 활용별 타입 분류 기준

    3.3. 사 례 분 석

    면동초등학교27)

    현황

    현황사진 문제점

    공간

    계획

    평면계획 완공사진

    1990년대 학교 공간에 실험적으로 이루어진 열린교실로 교실과 복도 사이의 중간벽을 허

    물어 학생들이 열린 분위기 속에서 소통에

    기반한 개별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하려는 새

    로운 의도로 마련되었지만 현재는 특별한 기

    능이 없는 유휴 공간으로 방치되고 있음.

    요소별 분석내용

    자극과

    영감을

    주는

    공간

    키워드 유희성 ‘인사이드 아웃’의 숨바꼭질 놀이가 열린 교실의 주요한 컨셉으로 작용하고 있음.

    숨은 색을 찾고 칠하는 여행이라는 테마는 색이 있는 놀이 공간과 교육 공간이 유희와

    교육의 교차를 통해 공간의 특성을 뚜렷하게

    드러냄.공유

    할 수

    있는

    공간

    키워드 안락함 밝은 분위기, 안전한 기자재, 어린이 스스로 조작할 수 있는 코너가 마련되어 있음.

    교육 활동에 적합한 공간 재구성과 책걸상 이동을 용이하게 하여 안락한 분위기를 조성하고 있으며 이동

    식 수납공간을 활용하여 복합적인 공간으로 사용가능

    하게 함.숨바꼭질

    놀이와

    다양한

    컬러의

    사용

    친환경

    소재를

    활용한

    복합교육

    공간마련

    다양성 학생들의 주된 생활공간인 교실과 열린 교실 리모델링을 통해 놀이에 기반을 둔 감성적, 창의적 소통

    공간을 조성하고 있음

    색이 있는 놀이 공간에서의 감성 및 소통을 키워드로 하여 미래 교육 환경에 적합한 새로운 교실 공

    간 모델 제시를 통해 다양성을 극대화시킴.

    복합성 다양한 색깔과 재질로 이루어진 재료의 사용으로 포근하고 따뜻하지만 자유로움이 허용되는 교실로 개선

    함.

    2층은 정적인 공간, 3층은 동적인 신체활동 공간, 4층은 다양한 발표 및 공연, 수업 등으로 활용되는 무대

    공간을 마련하여 복합적인 교육의 장으로 활용.

    생각

    할 수

    있는

    공간

    키워드 융통성 아이들 눈높이에 맞는 책장을 마련하고 낙서할 수 있는 아이들 용 벽 칠판을 설치함.

    벽의 전체 백페인트 글라스와 메탈 타공판을 이용한 판서 및 전시공간을 제공하여 키높이에 상관없이 선

    생님뿐 아니라 아이들도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융통

    성 있는 교육 공간을 조성하고 있음.

    연결

    하고

    탐험

    할 수

    있는

    공간

    키워드 연결성 방치된 공간을 교육공간의 연장으로 활성화시키고 차

    별화 될 수 있는 넓은 빈 공간을 적극적으로 활용하

    고 있음.

    교실 뒤편에 위치하였던 수납공간을 교실 복도 벽 쪽으로 재배치하여 이동과 교육의 연결성을 다변화함.

    이동식

    가구와

    무대

    공간을

    통한

    영상수업

    수납공간

    재배치를

    통한

    공간의

    개방성

    극대화

    협력성 4층은 무대 공간으로 디자인하여 보행 동선의 흐름

    을 느리게하고 수업공간으로 활용하고 있음.

    열린 교실 디자인을 통해 소통과 창의력을 향상시키는 공간으로 협력적인 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함.

    개방성 교실 안과 밖의 복도 공간의 시각적 개방성을 가지고 학생들이 열린 분위기 속에서 자유로운 개별학습을 진행할

    수 있도록 설계됨.

    생각을 자유롭게 표현하고 꾸미는 작품 게시를 위한 칠판 및 게시 공간을 확보하여 교류를 극대화시킴.

    26) 학생 중심의 놀이를 통한 배움, 서울특별시교육청 홈페이지, 2017년

    7월 13일 수정, 2019년 1월 21일 접속, http://nowseouledu.com/

    2017/07/13.php

    27) 서울특별시교육청 디자인 백서, 학교, 고운 꿈을 담다, 2017, p.40-47

    사례분석대상

    구분 프로젝트 이미지 사업범위 주소 설립년도

    공용공간

    활용사레

    면동

    초등학교

    1학년

    7개 교실,

    열린 교실

    중랑구 면목로

    57길 321979년

    한서

    초등락교

    2/5학년

    각 2개 교실,

    놀이교실

    마포구 대흥로

    24바길 271945년

    교실내부

    공간활용

    사례

    금호

    초등학교

    1학년

    5개 교실

    성동구

    무수막길 691957년

    상월

    초등학교

    1/2학년

    각 2개 교실

    노원구 동일로

    221길 271990년

    연계공간

    활용사례

    동답

    초등학교

    1학년

    4개 교실

    동대문구

    답십리로 60길

    12

    1983년

    청덕

    초등학교

    1,2학년

    6개 교실

    성북구 정릉로

    9라길 111967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28권 2호 통권133호 _ 2019.04 19

    한서초등학교28)

    현황

    현황사진 문제점

    공간

    계획

    평면계획 완공사진

    서울한서초등학교는 염리동 재개발 구역에 위치해 있어 위험한 환경에 노출되어 있음.

    아이들의 안전한 교육을 위해 학교 내부 변화가 필요하였고, 아이들 활동 영역의 폭을

    넓히고 맘껏 뛰어놀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함.

    요소별 분석내용

    자극과

    영감을

    주는

    공간

    키워드 유희성 육각의 모듈을 통해 질서와 변화를 구현하는 다중적인 디자인은 교실 벽이 시각적으로 수직적 확장을

    이루고 있음

    꿈 키움터는 공간이 수평적으로 확장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유희적인 교육 공간을 디자인 하는데 초

    점을 맞추고 있음.

    공유

    있는

    공간

    키워드 안락함 자연적 모티브를 구현한 꿀벌들의 공간인 비하이브(Beehive)

    는 벌집과 숲, 자연과의 연계를 통해 보다 편안하고 안락한 교육 및 놀이공간을 구성하고 있음

    교실에 아이들이 쉽게 이야기를 연상하고 전개 시킬 수 있는 형태적 단서를 제공함으로써 집과 같은 편안함을 제공함.

    자연을

    닮은

    육각모

    듈을

    통한

    창의적

    교육공간

    놀이와

    교육이

    연결되는

    키움터

    다양성 2학년 2교실, 5학년 2교실 및 놀이교실 위주의 공간 변화를 통해 아이들 활동 영역의 폭을 넓히고 맘껏 뛰어

    놀 수 있도록 변화된 공간 디자인을 적용하고 있음. 꿈을 찾는 꿀벌들의 자연적 공간이라는 모토를 통해 놀이

    와 교육의 접점에서 교육의 질적 다양성을 추구하고 있음.

    복합성 교실 공간은 아이들의 또 다른 집으로써 학습과 생활이 이루어지는 곳으로 작용하며 놀이 공간은 꿈 키움터로써

    자율성과 다양성이 중요시 되는 공간으로 활용됨.

    복도 공간은 교실과의 영역을 허물고 다양한 생각들의 교류가 일어날 수 있는 복합적인 공간을 추구함.

    생각

    있는

    공간

    키워드 융통성 선생님들의 물건으로 가득 차 있는 교실 벽에 수납공간을 확보하여 아이들의 개인별 사물함과 교사 책장 등을

    배치하여 활용도를 높임.

    교실과 복도에는 각종 교구와 아이들 작품을 전시할 수 있도록 디자인하여 공간의 융통성을 극대화시킴.

    연결

    하고

    탐험

    있는

    공간

    키워드 연결성 다소 활용도가 떨어지던 교사연구실을 아이들의 모둠 놀이방으로 변화시킴.

    교실 뒷면을 아이들이 자유롭게 모임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육각의 책상과 의자로 구성함으로써 학교생활을 더욱

    즐기고 탐험할 수 있는 공간으로 구성함.

    수납함

    재배치

    자연을

    연상시

    키는

    유기적

    공간

    모둠

    놀이방과

    다채로운

    형태의

    가구

    협력성 아이들의 하루 일과 중 대부분을 보내는 교실 공간을 또 다른 집과 같은 곳으로 디자인해 협력적 사

    고를 증진시킴

    숲을 연상시키는 자작나무 스크린을 세워 모둠 수업이나 소통 증진 활동이 가능하도록 디자인함.

    개방성 육각의 모듈을 통해 질서와 변화를 구현하는 다중적인 디자인을 추구함으로써 교실과 복도, 놀이 공간의 경계를 없앰.

    복도와 연계되도록 천장의 텍스를 제거하여 천장을 노출시키고 펜던트 조명 등을 달아 아이들이 다른 높이의 공간을

    느낄 수 있도록 디자인하여 개방감을 극대화시킴.

    금호초등학교29)

    현황

    현황사진 문제점

    공간

    계획

    평면계획 완공사진

    교실 문, 사물함 등 외관상 노후 및 가구 손상이 심각하였고, 딱딱하고 획일적인 교육 환

    경을 형성. 과거 중학교 건물을 리모델링해서

    사용하였기 때문에 기존 초등학교보다 좀 더

    큰 모듈로서 모둠 활동과 책걸상 이동이 잦

    은 저학년 교실에 적합하지 않음.

    요소별 분석내용

    자극과

    영감을

    주는

    공간

    키워드 유희성 교실 내부 미끄럼틀은 단순히 놀이 시설로 이용되는 것이 아니라 보다 창의적인 교육을 진행할 수 있는 플랫폼

    으로 작용함.

    교실 뒷면에 노랑색 패널 바닥을 구성하여 놀이터에서 앉아 노는 것처럼 교육을 놀이의 장으로 치환하는 디자

    인 방법을 구사함.

    공유

    있는

    공간

    키워드 안락함 교실 공간 디자인은 기본적으로 딱딱하고 획일적인 교육 환경을 벗어나 7-9세 아이들을 위한 독립된 공간을 디자인 하

    도록 계획됨.

    아이들 스스로 만드는 창의적인 공간을 뜻하는 아기 새를 위한 공간이라는 컨셉은 언제 어디서든 편하게 뒹굴고 책을

    볼 수도 있는 둥지와 같은 교육 공간을 모토로 함. 미끄럼

    틀과

    노랑색

    패널을

    통한

    창의적

    공간

    자연을

    모티브

    로 한

    놀이와

    교육의

    융합

    다양성 1학년들을 위해 다양한 형태의 동물 또는 사람이 만들어낸 공간의 연관성을 소개해주며 아기 새를 위한

    공간인 ‘둥지’를 전면에 배치함. 놀이와 학습 공간의 구분을 통해 교실이 삶의 배움을

    위한 공간임을 인식하게 함.

    복합성 꿀벌의 집과 같은 형태를 가진 의자와 마루는 편하게 누워 뒹굴기도 하고, 책을 보기도 하며, 다양한 공간을 오르고 내

    리고 건너다니기도 할 수 있는 곳으로 디자인 됨.

    교실과 창을 벽으로 구분하지 않고 밖에서는 별자리를 볼 수 있도록 설계하여 교육 공간의 복합적인 면모를 극대화함.

    생각

    있는

    공간

    키워드 융통성 교실과 복도, 놀이공간은 열려있고 내부에서는 별자

    리가 창이 되기도 하며, 루버 사이로 서로를 볼 수 있고 그림을 그리고 걸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함.

    아이들 의자는 동시에 수납공간이 되며 좁은 공간을 유용하며 융통성 있게 활용할 수 있음.

    연결

    하고

    탐험

    있는

    공간

    키워드 연결성 ‘교실 공간은 ‘놀이 공간’의 연장선으로 교실 뒤편을 바깥

    놀이 공간에서부터 이어지는 공간으로 구성함. 기존의 높은 창들을 바닥까지 내려오는 대형 강화유리문으

    로 대체하여 안과 밖 모두의 놀이 공간을 이어주면서 선생

    님들의 시야도 확보할 수 있도록 함. 숨어있는 공간을 극대화

    시킨

    다목적

    토론공간

    벽이

    없는

    열린

    교실과

    입체적인

    공간

    협력성 다목적 영역은 아이들의 소통과 협력을 증진시키기 위해 발표 수업을 하고 아이들의 끼를 발산할 수 있는 무대

    공간으로 이용됨. 화이트 자석보드 벽은 토론과 작품 전시 및 쉬는 시간

    아이들의 놀이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계획됨.

    개방성 기존에 활용성이 없던 교실-복도 간 무빙월은 철거 후 수납 등 기존 교실에 필요했던 기능이 응집된 멀티벽체로

    디자인함.

    불필요한 수납함 제거 후 교실 공간을 최대한 비워내 아이들이 넓게 활용하여 개방감 있는 교육 공간이 되도록 구성함.

    28) 서울특별시교육청, ibid. p.168-173

    29) 서울특별시교육청, ibid. p.16-23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28권 2호 통권133호 _ 2019.0420

    상월초등학교30)

    현황

    현황사진 문제점

    공간

    계획

    평면계획 완공사진

    언덕의 북사면에 위치하고 있어 교실은 언제나 어둡고 습한 환경에 대한 개선이 시급함.

    획일적인 교실공간으로 다양한 교육활동이 어렵고 어둡고 습한 공간과 턱없이 부족한

    수납공간에 대한 개선이 필요함.

    요소별 분석내용

    자극과

    영감을

    주는

    공간

    키워드 유희성 교육에 대한 흥미 유발을 위해 유희성을 모토로 한 다

    락 공간은 공간 활용도를 높이고 아이들에게 흥미를

    주는 비밀 공간을 제공함.

    비정형으로 구성된 창틀은 외부의 경치를 바라보고 친구들과 소통할 수 있는 공간으로 계획됨.

    공유

    있는

    공간

    키워드 안락함 처음 만나는 아이들이 교류하고 함께 어울릴 수 있는 공

    간을 위해 낙서용 칠판, 자석페인트 게시판 등을 설치함.

    복도와 교실을 관통하는 작품 전시장, 창문 등을 아이들의 눈높이에 맞도록 낮추어 배치하여 교실과 복도 사이에 안

    락한 공간을 마련함.비정형의

    비밀공

    간으로

    구성된

    창의적

    교실

    다양한

    놀이와

    공부방을

    체계적

    으로

    구성함

    다양성 학생들이 원했던 다락 공간을 만들고 누울 수 있는 바닥 공간 및 옷장, 아이들 용 칠판을 디자인함.

    선생님들의 책 읽는 공간, 추운 날을 위한 따뜻한 바닥 공간, 수업과 수납공간의 분리, 독립된 선생님 공

    간을 만들어 다양한 공간 마련에 중점을 둠.

    복합성 교실 공간은 책상, 의자에만 앉아 있지 않도록 다양하게 분리된 소규모 공간을 마련함.

    작은 교실이지만 수업 공간, 학생 방, 선생님 방, 난방이 되는 놀이방, 공부방, 독서벤치 공간으로 나누어 복합적인

    행위가 일어날 수 있도록 디자인 됨.

    생각

    있는

    공간

    키워드 융통성 복도 공간은 사회관계를 체험하는 공간으로서 여러 반의 아이들이 쉬고, 놀고 책을 읽으며 교류하는 배움 마

    을의 골목길로 사용되도록 디자인함.

    복도에는 마루를 설치하여 교실의 연장 공간으로 사용되도록 하여 융통성을 위한 통합적인 디자인을 계획함.

    연결

    하고

    탐험

    있는

    공간

    키워드 연결성 각 공간들이 서로 다른 바닥 높이와 천정 높이를 갖도록 함으로써 저마다 특색 있는 장소성을 갖도록 유도함.

    바닥 공간은 이웃한 공간이 서로 뚫리고 연결되게 함으로써 각각의 공간의 장소성을 유지하면서도 넓고 편하게 사

    용할 수 있는 교실을 추구하고 있음.교실과

    연계된

    복도를

    배움의

    장으로

    재구성

    유기적

    으로

    연결되어

    있는

    가구와

    교육공간

    협력성 교실에 놀이와 배움의 사이를 자유롭게 넘나들 수 있는 창의적, 감성적인 공간 플랫폼을 적용함.

    협력을 증진하고 교실의 벽을 복도와 이웃한 교실로 확장하여 수업과 놀이 활동이 타 학급에 방해받

    지 않도록 개별적으로 디자인 함.

    개방성 책걸상을 자유로이 이동하고 바닥을 사용하는 등 다양한 교육 방식이 가능하고 공간 활용이 유연한 교실로 디자인함.

    TV를 가운데 둔 칠판장 및 자신의 물건을 정리정돈 하는 습관을 길러주기 위해 수납장에 내부 칸막이를 설치하는 등

    개방적인 공간을 연출하고 있음.

    동답초등학교31)

    현황

    현황사진 문제점

    공간

    계획

    평면계획 완공사진

    교실에서 급식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바퀴가 달린 급식대가 항상 복도에 놓여있어 점심시

    간에는 교실로 이동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음.

    30년이 지난 교실은 바닥재 등 마감재가 노후되어 바닥을 이용한 놀이 수업을 할 수 없

    었고 가벼운 가구로의 교체가 필요함.

    요소별 분석내용

    자극과

    영감을

    주는

    공간

    키워드 유희성 집속의 집이라는 컨셉을 가진 다기능 월은 계단을 포함하

    고 있으며 휴식을 취함과 동시에 작은 공간 속에 숨어서

    숨바꼭질과 혼자만의 상상을 할 수 있는 공간으로 기능함.

    다기능 칠판을 활용하여 교실이 단순히 교육을 위한 공간이 아니라 놀이와 연계된 긍정적인 공간으로 변화함.

    공유

    있는

    공간

    키워드 안락함 30년이 지난 교실의 노후화된 바닥재와 마감재를 교체

    하여 바닥을 이용한 놀이 수업을 가능하게 하여 보다

    안락한 공간에서 학생들의 교육 활동을 돕고 있음.

    책걸상 역시 모둠활동과 이동이 잦은 저학년 과정에 적합하도록 컴팩트하고 가벼운 가구를 사용함.

    집속의

    집과

    숲을

    모티브

    로 한

    교실

    입체적인

    공간구

    성을

    위한

    바닥과

    다양성 1학년 4학급을 위한 교실 공간 디자인은 교실과 복도의 경계에 깊이와 기능을 갖는 입체적 구조물을 형성함

    박공 형태의 집을 만들어 숲 속에서 창밖을 바라보는 것과 같은 영감을 주는 공간을 형성하고 있음. 이를 통해

    학생들의 다양한 활동을 지원하고 창의적인 생각을 도모

    하는 공간을 형성함.

    복합성 교실과 복도 경계에 위치한 작은 집은 두 개의 레벨과 폴딩 창으로 구성되어 독서 코너, 다락방, 점심식사 배

    식대로 기능하면서 모든 방향에서 입체적 사용이 가능

    함.

    교실 후면부에는 게시판과 무대를 설치하여 자기 주도적 놀이와 학습의 공간으로 이용되도록 계획함.

    생각

    있는

    공간

    키워드 융통성 기존 복도가 단순한 통로가 아닌 교육 공간이 될 수 있도록 기능을 갖춘 ‘숲속의 집’으로써 디자인함.

    교실과 복도를 통합적으로 사용하도록 계획하여 2학년 1반 교실을 기존 1학년 3반 교실 위치로 이동 후 1학년 2

    개소씩의 융통성 있는 디자인을 제시하고 있음.

    연결

    하고

    탐험

    있는

    공간

    키워드 연결성 교실 측면 다목적 벽은 서측 창과 마주하고 있으며 교실과의 연결을 통해 아이들이 서로 놀이와 교육을 통해

    소통하고 협력할 수 있는 공간으로 이용되고 있음.

    환기를 위해 천장에 전열 교환기를 설치, 미세먼지 걱정 없이 다양한 실내 활동을 지원함.복도의

    통합과

    발표를

    위한

    무대공간

    박공형

    구조물을

    통한

    유연한

    공간형성

    협력성 교실 벽 사물함을 교실 밖에 배치하여 복도에 편안하게 앉아서 수업을 듣고 놀이를 할 수 있는 공간으로 디자인함.

    내부공간은 발표 수업을 하고 아이들의 끼를 발산하는 협력적 무대 공간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생각을 공

    유할 수 있는 공간으로 기능함.

    개방성 마감재와 가구, 기능 공간을 보다 쾌적하게 바꾸는 동시에 작지만 입체적인 구조물을 경계 공간에 계획함.

    박공형 입체 구조물 디자인을 통해 새롭고 개방된 공간 사용을 가능하게 하며 아이들이 보다 유연하고 창의적

    인 사고를 길러나갈 수 있도록 디자인함.

    30) 서울특별시교육청, ibid. p.72-79

    31) 서울특별시교육청, ibid. p.24-31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28권 2호 통권133호 _ 2019.04 21

    청덕초등학교32)

    현황

    현황사진 문제점

    공간

    계획

    평면계획 완공사진

    비교적 최근에 완공된 학교로 시설은 비교적 양호하나 전면 칠판중심의 구성으로 변화된

    학습 형태를 담아내기 어려운 구조임.

    무거운 책걸상과 마찰이 심한 마루바닥은 다양한 놀이수업을 하는데 어려움이 있음.

    요소별 분석내용

    자극과

    영감을

    주는

    공간

    키워드 유희성 교실 공간의 각 면을 학습 및 놀이 공간으로 활

    용할 수 있게 무빙월을 설치함.

    칠판장 설치를 통해 그림을 그리고 낙서를 하는 등 학습 목적의 교육 공간에서 벗어나 보다 창의적이

    고 유희적인 행위가 일어날 수 있도록 디자인 됨.

    공유

    있는

    공간

    키워드 안락함 무거운 책걸상과 마찰이 심한 마루바닥은 다양한 놀이수업과 안락한 공간 조성을 연출 하는데 어려움이

    교체함.

    푹신한 매트 소재의 바닥과 벽을 디자인하여 교실을 뒹굴고 누워서 놀 수 있는 집과 같은 안락한 공간으로 인

    식하게 함.

    무빙월과

    포드

    스페이

    스를

    통한

    창의적

    공간

    소통을

    위한

    다양한

    높이의

    창과

    바닥

    다양성 교실과 복도의 경계에 설치한 ‘Pod Space’는 숨을 곳을 좋아하는 아이들의 행태를 반영한 공간을 적용함.

    교실 창가에는 식물을 키우고 작품을 올려놓을 수 있는 선반을 설치하여 교실에서 삶과 관련된 다양한 활

    동을 촉진하도록 디자인함.

    복합성 유연한 수업 방향 설정을 위해 어린이들의 일상생활 분석을 통한 표정이 있는 놀이 공간을 창출함.

    창신동 지역 풍경과 쉼을 담은 다채로운 복도 공간을 주요 공간 디자인 컨셉으로 구현하여 복잡하고 다양

    한 학교생활의 일상을 학교 공간에 담고자 계획함.

    생각

    있는

    공간

    키워드 융통성 교실 곳곳에 산재해 있던 수납공간들을 전면부로 한데 모아 정리함으로써 자주 사용하는 교실의 공간 활용도를 높임.

    칠판은 아이들 눈높이에 맞도록 자유롭게 쓰고, 활용할 수 있는 높이로 낮추어 설치함으로써 공간의 효율

    과 융통성을 극대화시킴.

    연결

    하고

    탐험

    있는

    공간

    키워드 연결성 책상은 수업 방식에 따라 다양하게 조합이 가능하며 책상 주변의 공간 활용도가 유연하도록 디자인하여 다층적

    인 교육과 놀이의 연결을 가능하게 함.

    책상과 걸상, 좌식 의자 및 벤치형 신발장은 교실 공간을 보다 입체적인 공간으로 변화시키고 있음. 빌트인

    칠판과

    학습을

    위한

    수납함

    입체적

    가구와

    전시공

    간을

    통한

    소통교육

    협력성 다양한 형태의 가구 배치를 통해 아이들이 교실 공간에서 스스로 학습 및 놀이 활동을 할 수 있도록 계획함.

    교실 후면의 사물함을 전면 칠판 밑으로 빌트인하고 그 자리에 아이들이 직접 놀이에 참여할 수 있는 벽을 만들어 생각

    을 공유하고 협력을 증진할 수 있는 사이 공간을 디자인 함.

    개방성 교실 벽을 전시 공간으로, 교실 바닥을 놀이 공간으로, 또

    한 교실 복도는 만남의 장으로 디자인 함.

    학생들과 교사들의 쓰임새에 따라 교실의 개념, 형태, 용도 등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변화를 디자인에 적용함.

    3.4 . 사 례 종 합 분 석

    이상 사례를 종합해보면 “꿈을 담은 교실 만들기” 사

    업으로 완공된 6개의 프로젝트는 창의성과 감성 발달 촉

    진을 위해 기존의 획일화된 학교 교육 공간에서 벗어나

    보다 유연한 사고를 촉진하는 교육 및 놀이 공간 디자인

    을 마련하고 있다. 이는 공용 공간을 활용하고 교실 내

    부 공간을 놀이 공간으로 치환하고 있으며, 교실과 복도

    와의 연계 공간 마련을 통해 학생들의 창의성을 촉진하

    는 학교 환경과 관련된 종합적인 디자인 방안에 대해 모

    색하고 있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면동초등학교는 “인사이드 아웃”의 숨바꼭

    질 놀이를 통해 자극과 영감을 주는 공간을 마련하면서

    동시에 색이 있는 놀이 공간, 목재와 컬러패널 등의 사

    용, 교실과 복도사이의 중간 벽에 창호를 개방적으로 확

    대하는 등 유희와 교육 공간의 접점을 모색하고 있다.

    또한 한서초등학교는 육각의 모듈 벽과 수납 의자 등

    을 통해 질서와 변화를 구현하는 다중적인 디자인을 추

    구하고 있으며 숲을 연상시키는 자작나무 스크린을 세워

    모둠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교실과 복도에

    아이들의 작품을 전시할 수 있도록 디자인하여 자유로운

    소통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금호초등학교는 교실 한쪽 면에 마련된 미끄럼틀을 통

    32) 서울특별시교육청, ibid. p.152-159

    해 창의적인 교육을 진행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 활용 하고

    있으며, 꿀벌의 집을 통해 둥지와 같은 공간을 모토로 한 다

    목적 영역은 아이들의 소통과 협력을 증진시키기 위해 발표

    수업을 하고 아이들의 끼를 발산할 수 있는 무대 공간으로 활

    용하고 있다.

    한편 상월초등학교는 교육에 대한 흥미 유발을 위해

    유희성을 모토로 한 다락 공간을 마련하고 복도에는 마

    루를 설치하여 교실의 연장 공간으로 사용되도록 하며,

    복도와 교실을 관통하는 작품 전시장, 창문 등을 아이들

    의 눈높이에 맞도록 낮추어 배치하고 있다.

    동답초등학교는 집속의 집이라는 컨셉을 가진 수납형

    벽체가 오르내릴 수 있는 놀이형 계단을 포함하고 있으

    며, 불필요한 교실 벽 사물함을 외부에 배치하고 교실과

    복도 경계에 위치한 작은 집을 통해 독서 코너, 다락방,

    점심식사 배식대의 통합적인 기능으로 활용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청덕초등학교는 무빙 월을 설치해 교실 공

    간의 각 면을 학습 및 놀이 공간으로 활용하고 푹신한

    매트 소재의 바닥과 벽을 통해 집과 같은 안락한 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창신동 지역 풍경과 쉼을 담은 다채로운

    복도 공간에는 식물을 키우고 작품을 올려놓을 수 있는

    선반을 설치하여 자유로운 취미 활동도 가능하게 한다.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28권 2호 통권133호 _ 2019.0422

    사례종합 비교분석

    구분 유휴 공간의 활용 교실내부의 놀이 공간 활용 복도와 교실의 연계 공간의 활용

    학교

    분류면동초등학교 한서초등학교 금호초등학교 상월초등학교 동답초등학교 청덕초등학교

    이미지

    공간유형기호: S-Stimulate, R-Reflect, C-Collaborate, P-Play 연관성 기호: ●높음(50%이상), ◐보통(50%미만) ○없음, - 해당없음

    아동

    발달

    환경

    공간 공용 교 실 복 도 공용 교 실 복 도 공용 교 실 복 도 공용 교 실 복 도 공용 교 실 복 도 공용 교 실 복 도

    S ● ◐ - ● ◐ - - ● - - ● - - ◐ ● - ◐ ●

    R ◐ ◐ - ◐ ○ - - ● - - ● - - ● ● - ● ●

    C ◐ ◐ - ● ◐ - - ◐ - - ◐ - - ◐ ● - ◐ ◐

    P ● ○ - ● ◐ - - ◐ - - ● - - ● ◐ - ◐ ●

    분석

    내용

    S-P 지향형: 감각적인

    컬러와 아이들이 뛰놀

    수 있는 공간의 제공으

    로 신체발달을 도모함.

    S-C-P 지향형: 자연을

    연상케 하는 디자인과

    가구사용으로 협력과 놀

    이를 통한 신체적 정서

    적 발달자극.

    S-R 지향형: 아동의 신

    체사이즈에 맞추어 안락

    함을 제공하는 공간을

    구성하여 정서적 안정감

    도모

    S-R-P 지향형: 공간의

    다양성을 제공하여 복합

    적 활동이 가능하게 함

    으로써 신체적 정서적

    발달자극.

    S-R-C 지향형: 복도와

    교실의 연계를 통하여

    연결성을 확보하였고 아

    동 활동의 자율성을 추

    구함

    S-R-P 지향형: 교실과

    복도의 경계에 적용된

    포드공간을 통해 아동의

    휴식과 놀이를 통한 학

    습을 도움.

    유형 특성 공용 교 실 복 도 공용 교 실 복 도 공용 교 실 복 도 공용 교 실 복 도 공용 교 실 복 도 공용 교 실 복 도

    자극

    영감

    주는

    공간

    유희성

    ● ◐ ○ ◐ ● - ○ ● ◐ ◐ ● ○ ○ ◐ ● ○ ◐ ◐

    숨바꼭질 놀이와 여행이

    라는 테마 공간 설정

    육각모듈과 블록놀이를

    통한 교육과 놀이

    창의적 교육 플랫폼으로

    서의 미끄럼틀

    비정형으로 구성된 창틀

    과 다락 공간

    계단을 포함한 다기능

    월과 수납공간

    학습과 놀이 공간으로

    활용 가능한 도화지벽

    다양성

    ● ◐ - ● ◐ ◐ - ● ◐ ○ ◐ ● ◐ ● ○ ○ ◐ ○

    놀이, 감성, 소통의 키워

    드의 열린 교실 공간

    꿈을 찾는 꿀벌의 교육

    테마를 통한 교육 공간

    아기 새 ‘둥지’를 모토로

    한 교실 및 복도 공간

    다락과 따뜻하게 누울

    수 있는 책 읽는 공간

    창의성을 위한 입체적

    구조물 박공 형태의 집

    작품 활동과 다락과 같

    이 숨을 수 있는 공간

    생각

    할 수

    있는

    공간

    융통성

    ○ ● ◐ ○ ◐ ◐ ◐ ○ ● - ◐ ◐ - ○ ● - ◐ ●

    아이들 낙서용 및 수업

    용 벽전면 칠판 공간

    교실과 복도에 교구와

    작품을 전시

    공유 공간 및 교실과 복

    도를 통합적으로 계획

    복도를 배움 마을의 골

    목길로 디자인

    교실의 숲속의 집과 복

    도를 통합적으로 계획

    수납공간 전면배치와 공

    유 공간 극대화

    협력성

    ● ◐ ◐ ◐ ○ - ● ○ - ○ ◐ - ○ ● ◐ - ● ○

    열린교실을 독서, 놀이,

    무대 공간으로 활용

    자작나무 스크린으로 모

    둠 수업을 통한 소통

    사물함을 교실 밖, 복도

    에 배치 공간 극대화

    교실 벽을 복도로 확장

    놀이 활동 플랫폼 조성

    발표 수업과 끼를 발산

    하는 협력적 무대 공간

    빌트인 칠판과 이동식

    벽으로 참여 공간 마련

    공유

    할 수

    있는

    공간

    안락함

    ○ ◐ - ◐ ● ◐ ◐ ● - - ◐ ● ◐ ● ◐ ● ◐ ○

    이동식 수납공간을 마련

    해 안락한 분위기

    꿀벌들의 공간인 비하이

    브 쉼터 공간 조성

    편하게 뒹구는 공유의

    공간 아기 새를 위한 집

    교실과 복도 사이에 교

    류실을 마련 소통 가능

    바닥을 이용한 놀이 수

    업과 모둠활동 연계

    푹신한 매트 소재의 바

    닥과 벽으로 교체

    복합성

    ● ● ○ ● ○ - ◐ ● ◐ ○ ● ◐ ○ ● ◐ ◐ ● ○

    발표 및 공연에 활용되

    는 복합무대공간을 마련

    일과 학습이 이루어지는

    꿈 키움터

    꿀벌의 집인 마루는 편

    하게 누워 독서 가능

    놀이방, 공부방, 독서벤

    치 등 복합적으로 분리

    독서 코너, 다락방, 무대

    공간 등 생각 쉼터 마련

    창신동 일상생활을 담은

    풍경과 휴식의 공간

    연결

    하고

    탐험

    할 수

    있는

    공간

    연결성

    ● ◐ - ● ◐ - ● ◐ ◐ - ● ◐ - ◐ ◐ ◐ ◐ ○

    방치된 열린 교실을 교

    육공간으로 연장

    육각의 책상과 의자로

    구성된 모둠 놀이방

    발표 수업과 끼를 발산

    하는 협력적 무대 공간

    각 공간이 서로 다른 바

    닥과 천정 높이를 가짐

    벽과 창, 작은 공간이

    교실과 연결된 놀이마당

    벤치형 신발장으로 교실

    을 입체적으로 설계

    개방성

    ● ◐ ◐ ◐ ● ○ ○ ◐ - ◐ ◐ ○ ○ ● ◐ ○ ● ○

    교실과 복도 중간 벽이 없는 열린 학습 공간

    천장의 텍스 제거 펜던트 설치로 공간 극대화

    수납멀티벽체 설치로 교실 공간을 넓게 활용

    책걸상의 자유로운 이동과 내부 칸막이 다변화

    마감재와 가구, 기능 공간을 입체적으로 계획

    학생-교사의 용도에 따라 교실 형태 변화

    사례별

    종합분석

    안과 밖이 서로 다른 형

    태로 디자인 된 교실에

    서 숨바꼭질 놀이를 통

    해 교육 활동에 적합한

    공간 재구성을 추구함.

    가변적인 형태의 육각의

    모듈을 이용한 꿈 키움

    터를 통해 자율성과 다

    양성이 중요시 되는 공

    간을 디자인 함.

    교실 한쪽 공간에 마련

    된 미끄럼틀과 꿀벌의

    집을 통해 둥지와 같은

    아늑하고 따뜻한 교육

    공간을 추구하고 있음.

    유희성을 컨셉으로 한

    다락 공간과 비정형의

    배움 마을인 골목길 복

    도를 통해 새로운 유형

    의 교육을 시도함.

    집속의 집이라는 모토를

    가진 다기능 월과 가변

    적인 놀이 공간은 상상

    교육을 할 수 있는 대안

    적 학습 공간을 제시함.

    교실과 복도의 경계에

    설치한 포드 스페이스를

    통해 교실 각 면을 학습

    및 놀이 공간으로 마련

    하고 있음.

    공간

    활용사례에

    따른

    공간디자인

    적용방향

    유휴 공간의 활용방안 교실내부의 놀이 공간 활용방안 복도와 교실의 연계 공간의 활용방안

    현황: 학교 교실과 복도 공간 등 학습과 놀이를 위한 공간을 제외한 나머지 유휴 공간이

    차지하고 있는 면적이 큼.

    적용방안: 수업과 놀이의 경계가 사라져 지속적인 교육이 가능한 융합된 형태의 무대 공간,

    모둠 놀이방 등 실내 공간에서 아동의 신체

    활동을 적극적으로 지원 가능하고 배움과 놀

    이를 지속할 수 있는 공간 디자인이 적용 가

    능함. 또한 특별 활동 지원을 위한 대안적 부

    속공간으로의 전용이 가능함.

    현황: 미세먼지와 안전사고 등의 위험 요소로 인해 야외 활동에 대한 우려가 큰 오늘날 교

    실 내부에 놀이 공간을 만들어 활용함으로써

    수업 후 쉬는 시간이나 점심시간 등 아이들이

    마음껏 뛰어놀 수 있는 공간이 요구됨.

    적용방안: 실내 미끄럼틀과 독서 벤치, 비정형의 다락 공간과 수납 멀티 벽체 등은 학습의

    효율성을 돕는 것뿐만 아니라 놀이를 통한 창

    의성 증진을 지원하는 공간 디자인으로 적용

    이 가능함.

    현황: 현행 학교 시설에서 복도와 교실은 완전히 분리되어 학습과 놀이 활동이 연계되지 않

    고 교실이 닫힌 공간으로서 단절된 단점을 가

    지고 있음.

    적용방안: 교실과 복도의 벽을 허물고 가로로 긴 창을 만들어 시각적 확장을 통한 공간의

    다양성 및 공공성을 증대시킴. 집속의 집, 다

    기능 월, 포드 스페이스 등 수납과 놀이가 동

    시에 가능한 빌트인 가구 등 복합 디자인의

    요소를 적용함,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28권 2호 통권133호 _ 2019.04 23

    4 . 결 론

    본 연구를 통해 창의력과 감성 증진을 위한 교육 공간

    에 대한 문헌고찰과 이를 통한 학습 공간이 아동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마찬가지로 창의성과

    감성을 촉발하는 형태 및 공간 디자인 요소를 규명하고

    미래 학교를 준비하는 서울시 교육청의 “꿈을 담은 교

    실” 프로젝트에 실현된 공간 디자인에 대해 분석한 결과

    는 다음과 같은 4가지 특징적인 요소로 정의할 수 있다.

    첫째, 자극과 영감을 주는 교육 공간은 다양한 교과

    과정과 활동의 장을 포함해야 하며 모둠 활동, 개별 학

    습, 놀이 활동, 방과 후 학습 등 교육의 다양한 목표가

    이루어질 수 있는 복합적 사고가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이러한 공간은 창의성과 호기심을 유발하고 토론과 발표

    가 끊임없이 이어질 수 있도록 열려 있는 공간 디자인을

    추구해야 하며, 이를 통해 학습과 놀이 공간은 보다 안

    락하고 상상력을 자극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둘째, 생각할 수 있는 교육 공간은 학생들로 하여금

    창의적 사고를 증진시키며, 열린 학습 공간을 위해 새로

    운 재료와 컬러 사용 등 보다 감성적인 환경 디자인이

    요구된다. 이러한 공간은 아이들의 호기심을 자극하고

    교육자의 목표가 놀이 및 학습을 통해 원활하게 전달되

    며, 많은 사람들의 아이디어를 모으고 소통과 협력을 통

    해 종합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다변적인 공간이다.

    셋째, 공유할 수 있는 교육 공간은 쌍방향의 소통이

    일어날 수 있는 공간 디자인을 요구하며 앉아서, 누워서,

    모여서, 혹은 혼자서 배우고 익힐 수 있도록 해야 하며

    그림을 그리고, 책을 읽고, 모여서 토론하고 혹은 함께

    식사할 수 있는 즐거운 교실 공간을 형성해야 한다.

    넷째, 연결하고 탐험할 수 있는 교육 공간은 자율성을

    기반으로 사회성을 증진시키는 교육 환경으로 대변되며,

    소속감을 제공하고 협업과 공동의 목표 의식을 함양할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해야 한다. 따라서 시각적·경험적 다

    양성을 증진하고 지속 가능한 교육의 목표를 구체화시키

    기 위해 자연스러운 소통과 사회성을 촉발시킬 수 있는

    교육 공간 디자인이 마련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미래 교육을 위한 창의력과 감성 증진을 촉

    발하는 학교 공간은 새로운 형태의 교실 공간 마련을 통

    해 아동 발달에 긍정적 역할을 도모해야 한다. 마찬가지

    로 일반 교실 공간의 재 개념화를 구축한 “꿈을 담은 교

    실” 리노베이션 사례는 다양한 유형의 배움 공간과 미래

    의 감성적 공간 디자인의 방향을 제시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미래 학교가 그리는 융합형 학교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바탕으로 향후 끊임없이 변화하

    는 혁신적인 교육 프로그램과 가변적 학습 공간 디자인

    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참고문헌 1. 계보경 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미래학교 체제 도입을 위한

    Future School 2030모델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서울, 2011

    2. 김경인, 공간이 아이를 바꾼다, 중앙books, 서울, 2011

    3. 김승회, ‘서울교육 공간플랜’을 위한 제안 자료, 서울특별시교육청, 서울, 2015

    4. 김태완, 미래학교 도입을 위한 기본설계 구상(현안보고 CP 2015-01-8),

    한국교육개발원, 서울, 2015

    5. 서울특별시교육청, 디자인 백서, 학교, 고운 꿈을 담다, 서울, 2017

    6. 이병호 외, 꿈을 담은 교실 가이드북, 서울특별시 교육청, 서울, 2018

    7. 조진일 외, 창의·인성 교육을 고려한 공간조성 가이드라인 개

    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서울, 2011

    8. 존랭, 건축이론의 창조, 도서출판 국제, 서울, 1996.

    9. 한국교육사학회, 역사 속의 교육공간, 그 철학적 조망, 학지사, 서울, 2011

    10. 함영기, 교육혁신의 시대, 배움의 공간을 생각하다, 서울시 교

    육청 정책연구, 서울, 2017

    11. 홍선주 외, 지능정보사회 대비 학교 교육의 방향 탐색(연구자

    료 ORM 2016-26-9),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서울, 2016

    12. Doorley, Witthoft, Make space: How to set the stage for

    creative collaboration, John Wiley & Sons, New Jersey, 2012

    13. James, The Ecological Approach to Visual Perception,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New Jersey, 1986

    14. Kursty, Oliver, Spaces for Innovation: The Design and Science

    of Inspiring Environments, Frame Publishers, Amsterdam, 2016

    15. Marjorie, Constructive Guidance and Discipline: Birth to Age

    Eight, Pearson, United States, 2013

    16. Piaget, The Origins of Intelligence in Children, Routledge

    and Kegan Paul, London, 1953

    17. 공순구, 정아영, 아동발달심리와 감성디자인요소를 적용한 아동전용

    시설 계획에 관한 연구, 청소년시설환경, 9권2호, 2011, pp. 47-60

    18. 계보경, 미래 학교 공간의 설계 방향, 한국교육시설학회지, 23

    권4호, 2016, pp.18-22

    19. 김현정, 창의성의 개념적 검토, 교육과정평가연구, 6권2호,

    2003, pp.155-170

    20. 오영근, 공간디자인에서의 감성적 경향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

    디자인학회 논문집, 13권2호, 2004, pp.192-199

    21. 이경아, 나건, 국내 감성 관련 연구 리뷰를 통한 감성 관계도 도출

    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7권1호, 2011, pp.361-373

    22. 이경선, 미래학교의 디자인 방향, 한국교육시설학회지, 23권4호,

    2016, pp.12-17

    23. 이승은, 유아기 감성지능 발달 경향성 연구, 아동학회지, 26권6

    호, 2005, pp.29-43

    24. 이연수, 미래형 생활패턴에 대응하는 학교건축, 건축, 53권7호,

    2009, pp.15-18

    25. 이용환, 정보화시대의 교수·학습 변화에 대응하는 고등학교 건축계획

    방향에 관한 연구, 디지털디자인학연구, 11권4호, 2011 pp.459-468

    26. 정규영, 미셸 푸코의 ‘규율 권력’과 근대 교육, 교육사학연구,

    23권2호, 2013, pp.157-201

    27. 제프 리벨, 구승준. EQ 감성지능 : 감성지능은 왜 IQ보다 더 중요

    할까_다니엘 골먼 Daniel Goleman. 브레인, 43권, 2013, pp.22-25

    28. 조연순 외, 교실수업 상황에서 학생 창의성을 촉진하는 교수.학

    습 특성 탐색. 교육방법연구, 23권3호, 2011, pp.609-634

    29. 최형주, 창의성을 촉진하는 초등학교 공간속성에 관한 연구, 한

    국교육, 43권4호, 2016, pp.33-62

    30. Thomas, Making a space: Transliteracy and creativity. Digital

    Creativity, Vol.24, No.3, 2013, pp.182-190

    31. https://blog.naver.com/seouledu2012/221156987977

    32. http://if-blog.tistory.com/7855

    33. http://nowseouledu.com/2017/07/13.php[논문접수 : 2019. 02. 07]

    [1차 심사 : 2019. 03. 19]

    [2차 심사 : 2019. 03. 31]

    [3차 심사 : 2019. 04. 06]

    [게재확정 : 2019. 04. 11]

    /ColorImageDict > /JPEG2000ColorACSImageDict > /JPEG2000ColorImageDict > /AntiAliasGrayImages false /CropGrayImages true /GrayImageMinResolution 300 /GrayImageMinResolutionPolicy /OK /DownsampleGrayImages true /GrayImageDownsampleType /Bicubic /GrayImageResolution 300 /GrayImageDepth -1 /GrayImageMinDownsampleDepth 2 /GrayImageDownsampleThreshold 1.50000 /EncodeGrayImages true /GrayImageFilter /DCTEncode /AutoFilterGrayImages true /GrayImageAutoFilterStrategy /JPEG /GrayACSImageDict > /GrayImageDict > /JPEG2000GrayACSImageDict > /JPEG2000GrayImageDict > /AntiAliasMonoImages false /CropMonoImages true /MonoImageMinResolution 1200 /MonoImageMinResolutionPolicy /OK /DownsampleMonoImages true /MonoImageDownsampleType /Bicubic /MonoImageResolution 1200 /MonoImageDepth -1 /MonoImageDownsampleThreshold 1.50000 /EncodeMonoImages true /MonoImageFilter /CCITTFaxEncode /MonoImageDict > /AllowPSXObjects false /CheckCompliance [ /None ] /PDFX1aCheck false /PDFX3Check false /PDFXCompliantPDFOnly false /PDFXNoTrimBoxError true /PDFXTrimBoxToMediaBoxOffset [ 0.00000 0.00000 0.00000 0.00000 ] /PDFXSetBleedBoxToMediaBox true /PDFXBleedBoxToTrimBoxOffset [ 0.00000 0.00000 0.00000 0.00000 ] /PDFXOutputIntentProfile () /PDFXOutputConditionIdentifier () /PDFXOutputCondition () /PDFXRegistryName () /PDFXTrapped /False

    /CreateJDFFile fals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