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
과공, 1Set Theory and the Foundation of Mathematics, Part 1 정주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March 20, 2011

집합론과 수학의 기반, 제1부 - Set Theory and the Foundation of … · 2019-09-28 · 집합의기본개념 집합론의역설과공리적집합론 집합론 용어 집합,

  • Upload
    others

  • View
    1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집합론과 수학의 기반, 제1부 - Set Theory and the Foundation of … · 2019-09-28 · 집합의기본개념 집합론의역설과공리적집합론 집합론 용어 집합,

집합의 기본 개념 집합론의 역설과 공리적 집합론

집합론과 수학의 기반, 제1부Set Theory and the Foundation of Mathematics, Part 1

정 주 희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March 20, 2011

Page 2: 집합론과 수학의 기반, 제1부 - Set Theory and the Foundation of … · 2019-09-28 · 집합의기본개념 집합론의역설과공리적집합론 집합론 용어 집합,

집합의 기본 개념 집합론의 역설과 공리적 집합론

목차

1 집합의 기본 개념

집합론 용어

집합의 성질

2 집합론의 역설과 공리적 집합론

집합론의 역설

역설의 해결을 위한 공리계

Page 3: 집합론과 수학의 기반, 제1부 - Set Theory and the Foundation of … · 2019-09-28 · 집합의기본개념 집합론의역설과공리적집합론 집합론 용어 집합,

집합의 기본 개념 집합론의 역설과 공리적 집합론

집합론 용어

집합, 원소

명확히 구별이 가능한 사물의 모임을 하̇나̇의̇ 대̇상̇으로 본

것을 집합(set)이라 한다. Georg Cantor (1845–1918)

a ∈ X는

“a가 X에 속한다(belongs to)”, 혹은“a는 X의 원소(element)이다”

라고 읽는다.

Page 4: 집합론과 수학의 기반, 제1부 - Set Theory and the Foundation of … · 2019-09-28 · 집합의기본개념 집합론의역설과공리적집합론 집합론 용어 집합,

집합의 기본 개념 집합론의 역설과 공리적 집합론

집합론 용어

부분집합

A와 B를 집합이라 하자. A의 모든 원소가 B의 원소일 때,그리고 이때만 A는 B의 부분집합(subset)이라고 하고기호로는 A ⊆ B로 나타낸다.

“A의 모든 원소가 B의 원소”라는 것은 곧

“모든 x에 대해서 x ∈ A이면 x ∈ B”

라는 말이다. 이를 기호논리식으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다.

∀x(x ∈ A → x ∈ B) (1)

Page 5: 집합론과 수학의 기반, 제1부 - Set Theory and the Foundation of … · 2019-09-28 · 집합의기본개념 집합론의역설과공리적집합론 집합론 용어 집합,

집합의 기본 개념 집합론의 역설과 공리적 집합론

집합론 용어

집합을 기술하는 두 가지 방법

① 원소나열법 : A = {1, 3, 5, 7, 9}

② 조건제시법 :A = {x

∣∣∣ 1 ≤ x ≤ 10, (∃n ∈ N)(x = 2n − 1)}

조건제시법은 집합을 {x∣∣∣ P(x)} 형태로 나타내는 것이다.

여기서 P(x)는 x에 대한 명제이며 P를 술어(predicate)라고한다.

Exercise. {2, 4, 6, 8, 10} = {x∣∣∣ P(x)}일 때 P(x)를 써

보시오.

Page 6: 집합론과 수학의 기반, 제1부 - Set Theory and the Foundation of … · 2019-09-28 · 집합의기본개념 집합론의역설과공리적집합론 집합론 용어 집합,

집합의 기본 개념 집합론의 역설과 공리적 집합론

집합론 용어

교집합, 합집합, 차집합

교집합(intersection)을 A ∩ B = {x∣∣∣ P(x)}로 나타낸다면

이때 P(x)는

P(x) def= (x ∈ A) ∧ (x ∈ B) (2)

라고 쓸 수 있다. 합집합(union)과 차집합(difference)을조건제시법으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다.

A ∪ B = {x∣∣∣ (x ∈ A) ∨ (x ∈ B)},

A − B = {x∣∣∣ (x ∈ A) ∧ ¬(x ∈ B)}

Page 7: 집합론과 수학의 기반, 제1부 - Set Theory and the Foundation of … · 2019-09-28 · 집합의기본개념 집합론의역설과공리적집합론 집합론 용어 집합,

집합의 기본 개념 집합론의 역설과 공리적 집합론

집합론 용어

첫 증명

A ∩ B ⊆ A는 다음과 같이 증명할 수 있다. (1)에 의하여

∀x(x ∈ A ∩ B → x ∈ A)

를 보이면 될 것이다. 그런데 x ∈ A ∩ B라면 (2)에 의하여(x ∈ A) ∧ (x ∈ B)이고

(x ∈ A) ∧ (x ∈ B) → (x ∈ A)

는 토톨로지이므로 항상 참이다. 그러므로 원하던 대로x ∈ A가 성립한다. QED

Page 8: 집합론과 수학의 기반, 제1부 - Set Theory and the Foundation of … · 2019-09-28 · 집합의기본개념 집합론의역설과공리적집합론 집합론 용어 집합,

집합의 기본 개념 집합론의 역설과 공리적 집합론

집합론 용어

외연공리

A와 B가 집합일 때 A = B임을 어떻게 증명하는가?역으로 A = B일 때 이를 이용하여 무엇을 할 수 있는가?

Axiom of Extension(외연공리):

A = B ⇔ (A ⊆ B) ∧ (B ⊆ A) (3)

Page 9: 집합론과 수학의 기반, 제1부 - Set Theory and the Foundation of … · 2019-09-28 · 집합의기본개념 집합론의역설과공리적집합론 집합론 용어 집합,

집합의 기본 개념 집합론의 역설과 공리적 집합론

집합론 용어

연습문제

다음을 증명하시오.

① A ⊆ A ∪ B.

② A ∩ B = A이면 A ⊆ B.

③ A ⊆ B이면 A ∩ B = A.

④ A ∪ B = A이면 B ⊆ A.

⑤ B ⊆ A이면 A ∪ B = A.

Page 10: 집합론과 수학의 기반, 제1부 - Set Theory and the Foundation of … · 2019-09-28 · 집합의기본개념 집합론의역설과공리적집합론 집합론 용어 집합,

집합의 기본 개념 집합론의 역설과 공리적 집합론

집합론 용어

공집합

원소를 하나도 가지고 있지 않은 집합을 공집합(empty set)이라고 하고 ∅로 표기한다.

Fact. 공집합은 모든 집합의 부분집합이다. 즉 X를임의의 집합이라 할 때

∅ ⊆ X (4)

가 성립한다. (4)는 (1)에 의하여

(∀x)(x ∈ ∅ → x ∈ X)

Page 11: 집합론과 수학의 기반, 제1부 - Set Theory and the Foundation of … · 2019-09-28 · 집합의기본개념 집합론의역설과공리적집합론 집합론 용어 집합,

집합의 기본 개념 집합론의 역설과 공리적 집합론

집합론 용어

허무조건

와 동등한데, 이것은 임의의 x가 주어졌을 때 x ∈ ∅는거짓이므로 x ∈ ∅ → x ∈ X는 참이 되기에 성립한다.

전건(antecedent)이 거짓이므로 함의명제(implicationstatement)가 참이 되는 경우 우리는 이를 허무조건에의하여 성립한다(vacuously hold)고 말한다.

Page 12: 집합론과 수학의 기반, 제1부 - Set Theory and the Foundation of … · 2019-09-28 · 집합의기본개념 집합론의역설과공리적집합론 집합론 용어 집합,

집합의 기본 개념 집합론의 역설과 공리적 집합론

집합론 용어

집합론 용어와 기호 추가 1

A ⊆ B일 때 B는 A의 초집합(superset)이다.

A ⊆ B and A ̸= B일 때 A는 B의 진부분집합(propersubset)이고 A $ B로 표기한다. 이때 B는 A의진초집합(proper superset)이다.전체집합(universal set) U의 존재를 가정한 상태에서A ⊆ U의 여집합(complementary set)은 Ac = U − A을뜻한다.

Page 13: 집합론과 수학의 기반, 제1부 - Set Theory and the Foundation of … · 2019-09-28 · 집합의기본개념 집합론의역설과공리적집합론 집합론 용어 집합,

집합의 기본 개념 집합론의 역설과 공리적 집합론

집합론 용어

집합론 용어와 기호 추가 2

집합 A의 멱집합(power set)

P(A) def= {X∣∣∣ X ⊆ A}

A와 B가 집합일 때 (A − B) ∪ (B − A)를 A와 B의대칭적 차집합(symmetric difference)이라고 하고기호로는 A ⊕ B로 나타낸다. (이 표기법은 널리표준화된 표기법이 아니다.)

p와 q가 명제일 때 (p ∧ ¬q) ∨ (¬p ∧ q)를 p와 q의배타적 논리합(exclusive or)라고 하고 기호로는 p xor q로 나타낸다.

Page 14: 집합론과 수학의 기반, 제1부 - Set Theory and the Foundation of … · 2019-09-28 · 집합의기본개념 집합론의역설과공리적집합론 집합론 용어 집합,

집합의 기본 개념 집합론의 역설과 공리적 집합론

집합론 용어

연습문제

아래의 명제들을 증명하시오.

x ∈ A ⊕ B ⇔ x ∈ A xor x ∈ B

A ⊕ B = (A ∪ B) − (A ∩ B)

A ⊕ B = ∅ ⇔ A = B

A ⊕ ∅ = A

A ⊕ A = ∅

(A ⊕ B) ⊕ B = A

Page 15: 집합론과 수학의 기반, 제1부 - Set Theory and the Foundation of … · 2019-09-28 · 집합의기본개념 집합론의역설과공리적집합론 집합론 용어 집합,

집합의 기본 개념 집합론의 역설과 공리적 집합론

집합의 성질

중요한 성질 1

X , Y , Z를 집합이라 할 때 아래의 등호가 성립한다.진리표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모두 증명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X ∪ Y = Y ∪ X (교환법칙)

(X ∪ Y ) ∪ Z = X ∪ (Y ∪ Z ) (결합법칙)

X ∩ Y = Y ∩ X (교환법칙)

(X ∩ Y ) ∩ Z = X ∩ (Y ∩ Z ) (결합법칙)

X ⊕ Y = Y ⊕ X (교환법칙)

Page 16: 집합론과 수학의 기반, 제1부 - Set Theory and the Foundation of … · 2019-09-28 · 집합의기본개념 집합론의역설과공리적집합론 집합론 용어 집합,

집합의 기본 개념 집합론의 역설과 공리적 집합론

집합의 성질

중요한 성질 2

앞에 이어서 아래의 등호들을 잘 알고 있어야 한다.

(X ⊕ Y ) ⊕ Z = X ⊕ (Y ⊕ Z ) (결합법칙)

(X c)c = X

X − Y = X ∩ Y c

(X ∪ Y )c = X c ∩ Y c (드모르간의 법칙)

(X ∩ Y )c = X c ∪ Y c (드모르간의 법칙)

X ∪ (Y ∩ Z ) = (X ∪ Y ) ∩ (X ∪ Z ) (분배법칙)

X ∩ (Y ∪ Z ) = (X ∩ Y ) ∪ (X ∩ Z ) (분배법칙)

Page 17: 집합론과 수학의 기반, 제1부 - Set Theory and the Foundation of … · 2019-09-28 · 집합의기본개념 집합론의역설과공리적집합론 집합론 용어 집합,

집합의 기본 개념 집합론의 역설과 공리적 집합론

집합의 성질

연습문제 1

(i) (X ⊆ Y ) ∧ (Y ⊆ Z ) ⇒ X ⊆ Z .

(ii) X ⊆ Y ⇔ X − Y = ∅ ⇔ X c ⊇ Y c.

(iii) X − (X − Y ) = X ∩ Y .

(iv) X ∩ (Y − Z ) = X ∩ Y − X ∩ Z .

(v) X ∩ Y ⊆ (X ∩ Z ) ∪ (Y ∩ Z c).

(vi) (X ∪ Z ) ∩ (Y ∪ Z c) ⊆ X ∪ Y .

(vii) (X ∩ Y ) ∪ Z ⊇ X ∩ (Y ∪ Z ).

(viii) (X ∩ Y ) ∪ Z = X ∩ (Y ∪ Z ) ⇔ Z ⊆ X .

Page 18: 집합론과 수학의 기반, 제1부 - Set Theory and the Foundation of … · 2019-09-28 · 집합의기본개념 집합론의역설과공리적집합론 집합론 용어 집합,

집합의 기본 개념 집합론의 역설과 공리적 집합론

집합의 성질

연습문제 2

집합 A, B, C에 대해서 아래의 명제들에 대해서 맞다고생각하면 증명하고 틀리다고 생각하면 반례를 드시오.

(i) (A − B) ∪ B = A

(ii) (A ∪ B) − B = A

(iii) A ∪ ∅ = A

(iv) A ∩ ∅ = ∅

(v) A ∩ B = A ∩ C ⇒ B = C

(vi) A ∪ B = C ∪ B ⇒ A = C

(vii) A ⊕ B = A ⊕ C ⇒ B = C

Page 19: 집합론과 수학의 기반, 제1부 - Set Theory and the Foundation of … · 2019-09-28 · 집합의기본개념 집합론의역설과공리적집합론 집합론 용어 집합,

집합의 기본 개념 집합론의 역설과 공리적 집합론

집합론의 역설

집합의 기수

집합의 기수(cardinality)란 그 집합의 원소의 개수를말한다.

Question. 진부분집합의 기수는 원래의 집합의 기수보다작은가?

유한집합의 진부분집합의 기수는 원래 집합의 기수보다

더 작은 것이 당연하다.

Page 20: 집합론과 수학의 기반, 제1부 - Set Theory and the Foundation of … · 2019-09-28 · 집합의기본개념 집합론의역설과공리적집합론 집합론 용어 집합,

집합의 기본 개념 집합론의 역설과 공리적 집합론

집합론의 역설

무한집합의 기수

무한집합 N = {0, 1, 2, 3, . . .}와 이것의 부분집합N+ = {1, 2, 3, . . .}를 생각해 보자. 우리는 N과 N+의

기수가 같다고 생각한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함수f : N → N+을

f (n) = n + 1

로 정의한다.

Page 21: 집합론과 수학의 기반, 제1부 - Set Theory and the Foundation of … · 2019-09-28 · 집합의기본개념 집합론의역설과공리적집합론 집합론 용어 집합,

집합의 기본 개념 집합론의 역설과 공리적 집합론

집합론의 역설

1대1 대응되는 집합의 기수는 같다

이제 N의 임의의 원소 n은 그것에 대응하는 원소 n + 1을N+ 안에 유일하게 가지며, 역으로 N+의 임의의 원소 n은그것에 대응하는 원소 n − 1을 N 안에 유일하게 가진다.즉 함수 f에 의하여 N의 원소들은 N+의 원소들과

1대1 대응(1 to 1 correspondence)이 된다. 두 집합의 원소들사이에 1대1 대응이 이루어질 때 이 두 집합의 기수는같다고 정의하자.

Page 22: 집합론과 수학의 기반, 제1부 - Set Theory and the Foundation of … · 2019-09-28 · 집합의기본개념 집합론의역설과공리적집합론 집합론 용어 집합,

집합의 기본 개념 집합론의 역설과 공리적 집합론

집합론의 역설

무한집합의 정의

Exercise. N의 진부분집합 {0, 4, 6, 8, . . .}은 N과 기수가같음을 보이시오. 홀수의 집합도 마찬가지이고,제곱수들의 집합 {0, 1, 4, 9, 16, . . .}도 마찬가지임을보이시오.

Definition. 어떤 집합이 그것의 진부분집합과 같은기수를 가질 때 이 집합을 무한집합이라고 정의한다.

Richard Dedekind (1831–1916)

Page 23: 집합론과 수학의 기반, 제1부 - Set Theory and the Foundation of … · 2019-09-28 · 집합의기본개념 집합론의역설과공리적집합론 집합론 용어 집합,

집합의 기본 개념 집합론의 역설과 공리적 집합론

집합론의 역설

무한집합은 모두 같은 기수를 가지는가?

자연수의 제곱수들의 집합은 자연수의 극히 일부인 것

같지만 N과 동일한 기수를 가짐을 알았다.

유리수 전체의 집합 Q = { nm

∣∣∣ n, m 정수, m ̸= 0}의 기수도N과 같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다. 증명의 이해를 돕는그림을 다음 쪽에 실었다.

혹시 모든 무한집합의 기수가 같은 것은 아닐까?

Page 24: 집합론과 수학의 기반, 제1부 - Set Theory and the Foundation of … · 2019-09-28 · 집합의기본개념 집합론의역설과공리적집합론 집합론 용어 집합,

아래 그림은 양의 정수와 양의 유리수가 1대1 대응됨을보여준다. 붉은 색깔로 표시된 유리수는 이전에 한 번이상 나왔던 것이다.

Page 25: 집합론과 수학의 기반, 제1부 - Set Theory and the Foundation of … · 2019-09-28 · 집합의기본개념 집합론의역설과공리적집합론 집합론 용어 집합,

집합의 기본 개념 집합론의 역설과 공리적 집합론

집합론의 역설

칸토르의 대각정리

Theorem [Cantor’s Diagonal Lemma]. 집합 A의 기수는 (A가 유한집합이든 무한집합이든 상관없이) 그것의 멱집합P(A)의 기수보다 작다.

Proof. 임의의 함수 f : A → P(A)가 주어졌을 때 공역 P(A)의 원소 중 f의 값이 되지 못하는 것이 존재함을 보이면된다. B ∈ P(A)를 아래와 같이 정의한다.

B = {x∣∣∣ x ∈ A and x ̸∈ f (x)}

f (a) = B인 a ∈ A가 존재한다고 가정하고 모순을유도하겠다.

Page 26: 집합론과 수학의 기반, 제1부 - Set Theory and the Foundation of … · 2019-09-28 · 집합의기본개념 집합론의역설과공리적집합론 집합론 용어 집합,

집합의 기본 개념 집합론의 역설과 공리적 집합론

집합론의 역설

칸토르의 대각정리 continued, 1

a ∈ B = f (a)와 a ̸∈ B의 두 경우를 나누어 생각한다.

만일 a ∈ B라면 B의 원소로서의 조건인 a ̸∈ f (a)가성립해야 하는데 이건 불가능하다. 반대로 a ̸∈ B라면 이는곧 a ̸∈ f (a), 즉 a가 B의 원소일 조건이 만족된 것이므로a ∈ B가 성립해야 하는데 이것 역시 불가능하다.

이 모순은 f (a) = B인 a ∈ A가 존재한다는 가정으로부터나온 것이므로 결국 이러한 a는 존재하지 않으며, 따라서f는 1대1 대응함수가 아니라는 결론을 얻는다.

Page 27: 집합론과 수학의 기반, 제1부 - Set Theory and the Foundation of … · 2019-09-28 · 집합의기본개념 집합론의역설과공리적집합론 집합론 용어 집합,

집합의 기본 개념 집합론의 역설과 공리적 집합론

집합론의 역설

칸토르의 대각정리 continued, 2

Note. 엄격하게 말하자면 아직 우리는 집합의 기수가무엇인지를 정의하지 않았으며 단지 “두 집합의 기수가같음”의 개념만을 정의하였을 뿐이다. 이런 경우 우리는두 집합이 대등(equipollent, equinumorous)하다고 말한다.

이 부분의 명확한 이해는 단사함수, 전사함수, 반순서집합등을 공부한 이후에 가능하다.

Page 28: 집합론과 수학의 기반, 제1부 - Set Theory and the Foundation of … · 2019-09-28 · 집합의기본개념 집합론의역설과공리적집합론 집합론 용어 집합,

집합의 기본 개념 집합론의 역설과 공리적 집합론

집합론의 역설

칸토르의 역설

칸토르의 대각정리의 결과 우리는 어떤 무한보다도 더 큰

무한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어떤 집합이 아무리크다 해도 그것보다 더 큰 집합(그것의 멱집합)이존재한다는 것이다.

칸토르의 역설을 쉽게 말하면 다음과 같다:모든 집합의 집합 {x

∣∣∣ x는 집합}을 생각해 보자.이 집합은 가장 큰 집합이어야 한다. 그러나 이집합의 멱집합은 이 집합보다 더 크다.

Page 29: 집합론과 수학의 기반, 제1부 - Set Theory and the Foundation of … · 2019-09-28 · 집합의기본개념 집합론의역설과공리적집합론 집합론 용어 집합,

집합의 기본 개념 집합론의 역설과 공리적 집합론

집합론의 역설

러셀의 역설

다음의 집합을 생각해 보자.

S = {x∣∣∣ x ̸∈ x}

이제 S ∈ S가 성립하는지 생각해 보자.

만일 이것이 참이라면 S는 S의 원소로서의 조건, 즉 S ̸∈ S를 만족해야 한다. 이것은 모순이므로 이번에는 S ̸∈ S를가정해 보자. 그렇다면 S는 S의 원소로서의 조건을만족하므로 S의 원소이어야만 한다.

Page 30: 집합론과 수학의 기반, 제1부 - Set Theory and the Foundation of … · 2019-09-28 · 집합의기본개념 집합론의역설과공리적집합론 집합론 용어 집합,

집합의 기본 개념 집합론의 역설과 공리적 집합론

역설의 해결을 위한 공리계

ZFC

칸토르와 러셀의 역설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의 결과

모순이 없는(없음직한) 집합론의 공리계들이 여러연구자들에 의하여 제안되었다.

그중 가장 유명한 것이 Zermelo-Fraenkel의 공리계 ZF,혹은 여기에 선택공리(Axiom of Choice)를 더한 공리계ZFC이다. (20세기 초, 1908~1922)

Page 31: 집합론과 수학의 기반, 제1부 - Set Theory and the Foundation of … · 2019-09-28 · 집합의기본개념 집합론의역설과공리적집합론 집합론 용어 집합,

집합의 기본 개념 집합론의 역설과 공리적 집합론

역설의 해결을 위한 공리계

역설의 발생 원인

역설의 발생 원인은 우리가 나이브(naive)하게도

{x∣∣∣ P(x)}

가 집합이라고 믿어 버린 데 있다.

러셀의 역설에서 문제가 되는 집합 S = {x∣∣∣ x ̸∈ x}는

사실상 집합이 아니다. 마찬가지로 칸토르의 집합{x

∣∣∣ x는 집합}은 집합이 아니다.

Page 32: 집합론과 수학의 기반, 제1부 - Set Theory and the Foundation of … · 2019-09-28 · 집합의기본개념 집합론의역설과공리적집합론 집합론 용어 집합,

집합의 기본 개념 집합론의 역설과 공리적 집합론

역설의 해결을 위한 공리계

집합 생성의 공리들

우리는 집합의 생성에 조금 엄격한 규칙을 두고 이

규칙들을 공리로 정하였다. 예를 들어 A가 집합이고 P(x)가 술어이면

{x ∈ A∣∣∣ P(x)}

는 집합이라고 인정하는 것이 바로 분리공리(Axiom ofSeperation)이다. (A의 원소들 중에 P를 만족하는 것들만분리해서 집합을 이루었다고 보는 것임.)

Page 33: 집합론과 수학의 기반, 제1부 - Set Theory and the Foundation of … · 2019-09-28 · 집합의기본개념 집합론의역설과공리적집합론 집합론 용어 집합,

집합의 기본 개념 집합론의 역설과 공리적 집합론

역설의 해결을 위한 공리계

집합 생성의 공리들 continued

A가 집합이라 하자.

f가 함수일 때{f (x)

∣∣∣ x ∈ A}

가 집합이라고 인정하는 것이 대체공리(Axiom ofReplacement)이고,

{X∣∣∣ X ⊆ A}

가 집합이라고 인정하는 것이 멱집합공리(Axiom ofPowerset)이다.

Page 34: 집합론과 수학의 기반, 제1부 - Set Theory and the Foundation of … · 2019-09-28 · 집합의기본개념 집합론의역설과공리적집합론 집합론 용어 집합,

집합의 기본 개념 집합론의 역설과 공리적 집합론

역설의 해결을 위한 공리계

ZFC와 수학의 기반

우리는 집합 생성을 위하여 앞서 말한 3개의 공리 외에2점집합공리(Axiom of Pairing), 합집합 공리(Axiom ofUnion) 및 무한집합공리(Axiom of Infinity) 등 3개의공리를 더한다.

여기에 외연공리 (3)와 정규공리(Axiom of Regularity)를더하면 ZF를 얻는다.

여기에 다시 선택공리(Axiom of Choice, AC)를 더하면ZFC(Zermelo-Fraenkel with AC)가 된다.

Page 35: 집합론과 수학의 기반, 제1부 - Set Theory and the Foundation of … · 2019-09-28 · 집합의기본개념 집합론의역설과공리적집합론 집합론 용어 집합,

집합의 기본 개념 집합론의 역설과 공리적 집합론

역설의 해결을 위한 공리계

ZFC와 수학의 기반 continued

현대의 수학은 ZFC를 이용한 토대 위에 건설되어 있다고말할 수 있으며 이 체계에 심각한 모순이나 역설은 없는

것으로 널리 인정되고 있다.

ZFC를 명확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모든 수학적 명제를기호로 표현하여 분석하는 수리논리학을 이용하는

공리적 집합론(axiomatic set theory)을 공부해야 한다.

- 제1부, 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