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1994; 31( 1) : 49 - 53 99 % 99 % 0.2 cc Alpha Inter feron 15.3 46 % 8.8 99 % ‘- 99% - 49 99% 0.2cc Opti ray 0 320( Mallinckrodt Medical , 30% 0.2-0.5cc 10

면역요법의 병행치료효과I · 2017. 4. 6. · metastatic renal cancer. J Uro/1975; 114: 692-695 7. Canon PJ‘ Wajsman Z, Baumgartner G, et al. Non hormonal chemotheray lor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면역요법의 병행치료효과I · 2017. 4. 6. · metastatic renal cancer. J Uro/1975; 114: 692-695 7. Canon PJ‘ Wajsman Z, Baumgartner G, et al. Non hormonal chemotheray lor

대한방사선의학회지 1994; 31( 1) : 49- 53

제 4기 신세포암에서의 신동맥 색전술 및 면역요법의 병행치료효과I

오주형·윤 엽 ·정유미 ·고영태 ·장성구2

목 적 :제 4기 신세포암 환자들에 대해 99% 무수에탄올을 이용한 신돔맥색전술과 면역요법을 병

행하여 치료를 시행하였으며, 어떤 치료도 받지않은 환자들과 생존기간 및 생존율등을 비교하여, 면역

요법과 병행한 신돔맥 색전술의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대상 및 방법 :최근 3년간 본원에서 제4기 신세포암으로 진단된 2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중 신

동맥 색전술 및 면역요법으로 치료했던 1 3예와 치료받지 않았던 12예의 생존기간 및 생존율을 비교 분

석하였다.

색전은 폐쇄성 발룬 카테터를 사용하여 99% 무수에단올을 KG당 0.2 cc 씩을 주입하고 Alpha Inter

feron 300만 unit를 총 6주간에 걸쳐 1주일어15차례 근육주사를 시행하였다.

결 과:전체 25예중 여러장기에 전이된 경우가 10여|였으며, 전이된 장키는 골 12예, 폐 11 예, 간 8예 ,

노11 예 등이었다.

색전술 및 면역요법을 시행한 환자들의 평균 생존기간은 15.3 개월, 중앙값은 1 3개월 . 1 년 생존율을

46% 였으며, 치료받지않은 환자들의 평균 생존기간은 8.8 개월, 중앙값은 4개월이고. 1 년 생존율은

16%의 결과를 나타내서 앙자간에 차이를 보였다(P(0.05) .

결 론 :제 4기 신세포암 환자들의 치료로써, 면역요법과 병행하여 99 % 무수에탄올을 사용한 동맥

색전술은 환자의 생존기간 및 생존율을 높일 수 있으리라 생각되며, 환자들에게 보다나은 치료기회를

제공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서 료응 ‘-

신세포암 환자의 치료에 있어서 신동맥 색전술은 수술전

처치 방법으로 시행되고 있다( 1 -3 ). 그러나 신세포암은 진

단초기에 이미 다른 장기에 전이가 되어있는 경우가 흔하

여 수술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4).

이러한 제 4기 신세포암의 치료에 있어서 신동맥 색전술

의 역할은 단지 증상완화를 위한 보조적 요법으로 인식되

어 왔으며 이러한 색전술이 환자의 생존기간 연장에는 회

의적안 보고가 일부있다(1, 2).

이어l 저자는 제 4기 신세포암 환자들에 대해 99% 무수

에타놀을 이용한신통맥 색전술과면역요법을병행하여 치

료를 시행하였으며, 이러한 치료를 받지않은 환자들과 생

존기간 및 생존율을비교분석하여서 면역요법과병행한신

동맥 색전술의 유용성을평가하였다.

1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교실 2경희대학교 의과대학 비뇨기과학교실 이 논문은 1 994년 2월 22일 접수하여 1994년 5월 6일에 채택되었음

- 49

대상및방법

최근 3년간 본원에서 초음파 및 전산화단층촬영, 혈관조

영술등의 방사선학적 검사와 임상적 소견 및 경피적 생검

등으로 제 4기 신세포암으로 진단된 환자들 중에서 신동맥

색전술 빛 면역요법으로 병행치료 했던 13예와 치료를 받

지 않았던 12예의 생존기간 및 생존율등을 비교분석하였

다.

이들의 연령분포는 50대가 가장 많았으며, 성별은 남자

비 율이 67%로 높았다.

신동맥 색전술은 먼저 통상적 혈관 조영카테타를 이용

하여 혈관 조영술을 시행한 후 폐쇄성 발룬카테타를 색전

을 시행할 주신동맥에 위치 시켰다. 색전물질은 99% 무

수에타놀을 kg당 0.2cc 용량으로 사용하였으며 조영제

Opti ray0 320( Mallinckrodt Medical, Canada)를 30% 혼

합한 식 염수를 주입 하여 발룬을 부풀린후에 무수에타놀을

초당 0.2-0.5cc 속도로 신동맥안에 주입하였다. 에타놀 주

업후 2분이 경과될때까지 발룬을팽창된 상태로유지시킨

후에 서서히 감압시켰으며 , 약 10 분이 경과된후에 통상적

인 혈관 조영술을 다시 시행하여 색전 정도를 평가하였

Page 2: 면역요법의 병행치료효과I · 2017. 4. 6. · metastatic renal cancer. J Uro/1975; 114: 692-695 7. Canon PJ‘ Wajsman Z, Baumgartner G, et al. Non hormonal chemotheray lor

대한방사선의학회지 1994 ; 31( 1) : 49-53

다. 신동맥색전솔 후 1주이내에 면역요법을 시작하였다 25 -57% 가 다른장기에 전이된 제 4기 단계에 있기 때문

면역요법은 Interferon Alpha(Schering, Germany)를 사 에 수술이 어렵고, 만일 수술을 시행할지라도 수술사망율

용하였으며 Interferon Alpha 300만 단위를 1주일에 5차

례씩, 총 6주간에 걸쳐 근육주사로시행하였다. 이러한 In

terferon Alpha 의 투여는 첫 1주간은 입원기간중에, 나머

지 5주간은 외래에서 시행 되었으며 전이된 병변이 안정되

고 환자의 임상증상이 호전된것으로 판단 되였을때까지

치료한 후, 만일 치료 반응이 불충분한 것으로 판단되면 추

가적 인 투여가 이루어졌다.

환자의 생존여부는 병록조사와 환자에 대한 탐문을 병

행하여 사망여부 및 사망일시를 확인하였으며 같은 기간

동안 제 4기 신세포암으로 진단되었으나 적극적인 치료를

포기하였던 환자들의 생존율을 구해 대조군으로 하였다.

평균 생존기간 및 생존율은 Kaplan - Meier 방법에 의해

계산 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성 유무는 Mantel-Cox 방법으

로 95% 유의수준내에서 평가 하였다.

결 과

전체 환자 25명중 한장기에 전이된 경우가 11예 이였으

며, 여러장기에 전이된 경우는 10 예 였다. 그외에 언접장

기에 직접침범한 경우가 4예 있었다. 전이된 장기는 골전

이 12 예, 폐전이 11예 , 간전이가 8 예 등이었으며 뇌전이

도 l예 있였다.

무수에타놀을 이용한 색전과정에서 심각한 합병증은 없

었으며, 단지 색전후증후군으로 불리는 통증, 열, 오심 등

이 많은예에서 있었으나 대부분 2-3일 이내에 증세가 소

설되었다.

신동맥 색전숨 및 면역요법을 병행치료후 시행한 초음

a

파 검사 및 컴퓨터 단층촬영 검사상 전예에서 신세포암을 b

포함한 신장전체가 괴사되어 전체적 크기가 현저히 감소

된것을볼수있었으며,다른장기에 전이된 병변도일정기

간커지지 않거나,크기가감소되는양상을관찰할수있었

다(Fig. 1, 2).

치료받은 환자들과 치료받지 않았던 대조군과의 생존기

간 및 생존율을 비교하였을때 평균생존기간(mean sur­

vival time)은 치료군이 15.3 개월, 치료 받지않은 군은 8.8

개월 이였으며, 이들의 중앙값(median survival time)은

각각 13개 월, 4개월로써 P - valve가 0.05 이하로 양자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였다. 또한 1년 생존율은 치료군은 46%

이였으며 치료받지 않은 군 은 16% 로써 차이를 보였다

(Table 3, Fig 3) .

고 찰

신세포암은많은치료방법이 개발되고있음에도불구하

고 효과적인 치료가 되지 않으며, 1년이내에 80%가 사망

하는 악성종양의 하나이다(5). 이러한 신세포암의 치료는

c Fig. 1. A 63-year-old lemale patient with stage IV renal cell carclnoma a. Initial CT scan shows cystic mass in right kidney b. 2 months after angioinlarction CT scan shows extensive in­larcti on 01 ri 9 ht k i dn ey c. 6 months after angioinlarction CT scan shows marked atro

1차적으로 신절제술이 시행되고 있지만, 진단당시에 이미 phy 01 right kidney

- 50-

Page 3: 면역요법의 병행치료효과I · 2017. 4. 6. · metastatic renal cancer. J Uro/1975; 114: 692-695 7. Canon PJ‘ Wajsman Z, Baumgartner G, et al. Non hormonal chemotheray lor

오주형 외 저14기 신세포암에서의 신동맥 색전술 및 면역요법의 병행치료

이 10%에 달해 예후가 안좋은것으로 알려져 있다(4, 5).

이러한 제 4기 신세포암에 대한 치료는 화학요법, 호르

몬요법, 방사선치료등이 단독, 혹은 병행하여 시행되어 왔

지만그결과는실망스럽게도호르몬요법의 경우치료반응

율이 5% 미만으로, 화학요법의 경우도 낮게 보고되고 있 다(6-8). 최근들어 이러한 제 4기 신세포암 환자에게 변역

요법으로 치료하는 연구들이 활발히 이루어 지고 있으며,

다양한 형태의 Interferon 제재를 이용한 치료가 종래의

화학요법이나 호르몬 요법보다 효과적이란 보고들이 있다

(9 - 11). In terferon Alpha 의 경우 각종 세포 표면에 조직

적 합성항원 (Major Histocompatibility Antigen)의 발현

을 증대 하거나 촉진하며 다른 lymphokine와 협동작용을

하여 결과적으로증식억제 또는항암작용을하는것으로알

려져 있다(12). 이러한 면역요법도 단독치료시에는 그 치

a b

c d

료반응율이 10-20% 로 보고되고 있어서 다른 치료방법 과 병행하여 그 치료효과를 높이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

지고 있다(1 1). 저자들도 이러한 관점에서 제 4기 신세포

암 환자에게 면역요법을 병행하여 신동맥색전술을 시행하

였다. 신동맥 색전술은 1969년 Lalli등에 의해 처음고안 되

었으며 (13) , 그후 Wallace등은 신장에 국한된 경우나, 제

Table 1 . Survival of Stage IV Renal Cell Carcinoma

Tx. group Non-Tx. group

Duration 2-24 mos 2-16 mos

Mean survival time 15.3 mos 8.8 mos

Median survival time 13.0 mos 4.0 mos

1-year survival rate 46 % 16 %

Tx: Trealmenl (p(o. 05)

mos: Monlhs

Fig. 2 . A 41-year-old male palienl wilh slage IV renal cell carcinoma

a. Selective angiography shows hypervasc비 ar mass in left kidney.

b. Aorlography oblained 15 minutes after angioinfarclion shows complete occlusion of Ihe left renal artery and loss of tumor

vessel

c. Initial CT scan shows pulmonary melaslatic nodule wilh pleural changes in righl lower lobe.

d. 6 months after angioinfarclion with immunotherapy CT scan shows stable slate of metastatic lesion wilh slightly diminution in

slze

• 51 -

Page 4: 면역요법의 병행치료효과I · 2017. 4. 6. · metastatic renal cancer. J Uro/1975; 114: 692-695 7. Canon PJ‘ Wajsman Z, Baumgartner G, et al. Non hormonal chemotheray lor

대한방사선의학회지 1994; 31( 1) ; 49-53

Cumulative Percent Survi va l

1. 0

# Tx group 80 * Non Tx group

.60

.40

20

0.0

0 Survi val in months

Fig . 3 . Percentage survival 01 patients with stage IV renal

cell carcinoma

한된 전이를 보인경우 신동맥 색전술 후 신절제술을 시행

하여 평균 생존기간이 연장 되 였다고 보고 하고있다(1).

그러나 이때까지 사용된 색전물질은 Gelfoam, coil, 자가

혈전등으로 큰 혈관만을 차단함에 따라 완전한 조직괴사

를 기대하긴 어려웠다(3). 이런 점에서 Ellman등이 처음

보고한 무수에타놀을 이용한 신동맥 색전술은 말초혈관까

지 색전을 일으켜서 효과적인 조직괴사를 기대할 수 있게

되어 이른바 내과적 신절제술(medical nephrectomy)을

시도할 수 있게됐다( 14) . 최근 들어서는 폐쇄성 발룬카테

터의 사용이 보편화 되어 무수에타놀 주입시 대동맥으로

역류되는것을 손쉽게 방지할 수 있어 더욱 안전한 중재적

시술로발전하고 있다.

제 4기 신세포암에 대한신동맥 색전술을시행함으로기

대할 수 있는 효과는 먼저 큰 종괴의 크기를 줄여 면역요

법의 효과를 증대시킬수 있으며, 환자 자신의 면역기능향

상을 유발시킬수 있다(1, 15, 16). 또한 신세포암으로 인한

증세 (혈뇨, 통증, 열, 혈액이상, 빈혈 등) 를 완화시켜 전신

적 상태를 호전시킬수 있다(16). Mebst 등은 제 4기 신세

포암 환자에 게 gelfoam과 coil 을 이 용한 신동맥 색 전술 후

신절제술과 면역요법을 병행치료하여 평균 생존기간이

13 .5 7~ 윌로 연장 된것으로 보고하고 있다(2) . 그러나 저자

들의 경우와 같이 신절제술 없이 무수에타놀을 이용한 신

동맥 색전술과 면역요법을 병행치료한 결과인 평균생존기

간 15.37~ 월(중앙값 13개 월)과 큰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저자들의 생각에는제 4기 신세포암의 치료방침이 완치보

다는 생존기간의 연장과 증세완화에 목적이 있는 만큼 환

자에게 큰부담이 되는신절제술시행이나,화학요법 및 면

역요법의 단독치료보다는, 무수에타놀을 이용한 신동맥색

전솔로 내과적 신절제술을 시행한 후 변역요법을 병행하

는것이 효과적인 치료방법으로 이용될수 있을것으로 생각

되며 앞으로이에대한 장기적인 연구가기대된다.

결론적으로 무수에타놀을 이용한 신동맥색전술 및 면역

요법의 병행치료가 제 4기 신세포암 환자의 생존기간 및

생존율을 높이는데 도움을 줄수있는 치료방법으로 생각된

다.

*~ C그 고 = L!:" 헌

1. Wallace S, Chuang VP, Swanson 0 , et a l. Embolization 01 re

nal carcinoam; Experience with 100 patients. Radiology 1981

; 138 : 563-570

2. Mebust WK , We igel JW, Lee KR , et al. Renal cell

carcinoma-Ang ioinlarction . J Urol 1983 ; 131 : 231-235

3 한준구, 이영석, 최병인, 박재형, 한만청 무수에타놀을 이용한 신동

맥 색전법에 관한 실험적 연구 에타놀 주입 속도에 관하여 대한

방사선의 학회 지 1984 ; 20 : 361-365

4. Skinner DG , Colvin RB , Vermillion CD , et a l. Diagnosis and

management 01 renal ce ll carcinoma. Cancer 1971 ; 28

1165-11 77

5. Montie JE, Stewart BH , Straffon RA , et al. The role 01 adjunc­

tive nephrectomy in patient with metastatic renal cell carc i­

noma. J Uro/1977 ; 177 : 272-275

6. Morales A , Kiruluta G, Lott S. Hormones in the treatment 01

metastatic renal cancer. J Uro/1975 ; 114 : 692-695

7. Canon PJ ‘ Wajsman Z, Baumgartner G, et al. Non hormonal

chemotheray lor disseminated renal cell carcinoma. Urology

1976 ; 7 : 18-22

8. Hrushesky WJ , Murphy GP. Current status 01 the therapy 01

advanced renal carcinoma. J Surg Onco/1977 ; 9 : 277-288

9. deKernion JB , Sarna G, Figlin R, et al. The treatment 01 renal

cell carcinoma with human leukocyte Alpha-Interleron. J Urol

1983 ; 130: 1 063-1066

10. Fuj ita T, Asano H, Naide Y, et al. Antitumor effects 01 human

Iymphoblastoid interleron on advanced renal cell carcinoma

J Uro/1988 ; 139 : 256-258

11 . Fossa SD , Nesland JM, Melvik JE, et al. Prediction olobjec­

tive response to recombinant interleron-alpha with or without

vinblastine in metastatic renal ce ll carcinoma. Acta Oncol

1990 ; 29 : 303-306

12. Balk will FR. Interferon , their impact in biology and medicine

1 st ed. London: oxlord medical publ ications , 1985 : 61-80

13. Lalli AF, Peterson N , Bookstein JJ . Roentgenguided

infarction of kidneys and lungs ; A potential therapeutic

technic. Radiology 1969 ; 93: 434-435

14. Ellman BA, Parkhill BJ, Curry 111 Ts, et al. Ablation 01 renal

tumors with absolute ethanol ; A new technique. Radiology

1981 ; 141 :619-626

15. Carmignani G, Begrano E, Puppo P, et al. T and B Iympho­

cyte leve ls in venal cancer patients : inlluence 01 preoperative

transcatheter embolization and radical nephrectomy. J Urol

1977 ; 118 : 941 -943

16. Johnson DE, Kaesler KE , Samuels ML. Is nephrectomy just i

lied in patients with metastatic renal carcinoma? J Urol 1975

; 114 : 27-29

- 52 -

Page 5: 면역요법의 병행치료효과I · 2017. 4. 6. · metastatic renal cancer. J Uro/1975; 114: 692-695 7. Canon PJ‘ Wajsman Z, Baumgartner G, et al. Non hormonal chemotheray lor

오주형 외 저14기 신세포암에서의 신동맥 색전술 및 면역요법의 병행치료

Journal of the Korean Radiological Society, 1994 : 31 (1) : 49 - 53

Combined Effect of Angioinfarction with Immunotherapy in Patients with Stage IV Renal Cell Carcinoma

Joo Hyeong Oh, M.D. , Yup Yoon, M.D. , Yu Mee Jeong , M.D .,

Young Tae Ko, M.D. , Sung-Goo Chang, M.D.1

Department of Diagnostic Radiology , Kyung Hee University Hospital

l Department of Urology , Kyung Hee University Hospital

Purpose: To assess the combined effectiveness of angioinfarction and immunotherapy for improving survival

in patients with stage IV renal cell carcinoma

Materials and Methods: During the past 3 years , 13 patients of stage IV renal cell carcinoma were treated

with angioinfarction and immunotherapy. Angioinfarction was performed on these 13 patients using absolute

ethanol and occlusive baloon catheter. After angioinfarction , Interferon alpha was used for immunotherapy. For

。ur analysis , 12 control patients of stage IV renal cell carcinoma without treatment were included in the study.

Survival has been calculated according to the Kaplan and Meier method.

Results: The 1 year survival rate and median survival time in patients treated with angioinfarction and

immunotherapy, were 46 % and.13 months and in patients without treatment , 16 % and 4 months, respectively.

Conclusion : The combined treatment of angioinfarction and immunotherapy is of considerable value for im­

proving survival in patients with stage IV renal cell carcinoma

Index Words: Kidney neoplasms , angiography

Embolism , renal

Arteries , therapeutic blockade

Address reprint requests to: Joo Hyeong Oh, M.D., Department of Diagnosti c Radiology K yung Hee University Hospital 1 Hoekidong Dongdaemun-ku Seoul, 130-702 Korea. Tel. 82-2-966-5191( 2530) Fax. 82-2-968 -D787

- 53 -

Page 6: 면역요법의 병행치료효과I · 2017. 4. 6. · metastatic renal cancer. J Uro/1975; 114: 692-695 7. Canon PJ‘ Wajsman Z, Baumgartner G, et al. Non hormonal chemotheray lor

1994년도 월 례 Subspecialty Imaging Conference

7월 버뇨, 생식기계방사선과학

일 시 : 1994년 7월 13일 (수)

장 소 : 서울대학교소아병원 엄상제2강의실

9윌 신경방사선과학

일 시 : 1994년 9월 14일 (수)

장 소 : 서울대학교소아병원 엄상제2강의실

10월 흉부방사선과학

일 시 : 1994년 10월 12일(수)

장 소 : 서울대학교소아병원 임상제2강의실

11월 복부방사선과학

일 시 : 1994년 11월 9일 (수)

장 소 : 서울대학교소아병원 임상제2강의실

12월 Pannel 토의 일 시 : 1 994년 12월 14일 (수)

장 소:서울대학교소아병원입상제2강의설

M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