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
2015. 1. 30 물류산업 국제경쟁력 강화방안 인천대학교 양창호 교수

물류산업 국제경쟁력 - ifsifs.or.kr/upload/board/research201522818420k82h789.pdf · 2016. 3. 7. · 4 1. 글로벌 물류환경 물류산업 규모 급성장, 최근 성장세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 2015. 1. 30

    물류산업 국제경쟁력 강화방안

    인천대학교 양창호 교수

  • 2

    세미나 취지

    우리나라 물류산업이 국내외 물류 환경변화에 대응하여, 국제경쟁력을 강화하기 위

    해서는 여러 과제를 안고 있습니다. 중소 물류기업이 영세하고 생산성이 낮은 문제점, 그리고 물류산업체계의 비효율성, 2자 물류기업 중심으로 성장하면서 전문 3자 물류 전문시장의 성장이 한계에 부딪혀 있는 상황 등이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입니다.

    우리 물류산업은 세계은행 평가에서도 나타나듯이 무역규모에 비해 낮은 국가 물류경쟁력을 보이고 있습니다. 글로벌 물류기업 대비 열세, 물류기업의 해외진출 미흡, 글로벌 리더 물류기업 부재 등의 문제점도 개선되어야 할 과제입니다.

    정부에서는 물류산업을 7대 서비스 유망산업으로 지정하면서 육성의지를 보이고 있습니다. 국내물류산업의 고도화, 전문화, 경쟁촉진을 위한 정책, 그리고 물류산업의 글로벌화를 위한 여러 정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물류산업이 성장동력을 갖고, 국제물류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보다 체감할 수 있는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합니다. 그 중에서도 시급히 개선되고, 역점을 두어야 할 정책방향을 제시하고, 함께 토론해보고자 합니다.

  • 3

    1. 글로벌 물류환경

    2. 국내물류산업 현황

    3. 물류산업의 문제점

    4. 물류정책동향

    5. 정책 개선방향

    차 례

  • 4

    1. 글로벌 물류환경

    물류산업 규모 급성장, 최근 성장세 둔화

    1) 글로벌 물류시장 변화

    • 2013년 세계 물류시장 규모 약 3.3조 달러, 세계 반도체시장의 10배 규모, 2020년에는 8.1조 달러까지 성장 전망

    • 세계경제 성장은 물류수요를 증대시키고 물류기업의 실적호조로 연결 - 성장의 활력소로 중국 등 신흥국 경제가 많이 기여 했으나, 최근 성장 세가 기대에 미치지 못함. • 2015년 세계 경제도 미국의 주도 속에 유럽, 아시아 등 다른 지역의 성

    장은 더딜 것으로 전망 • 무역회복 속도 지연으로 운송 및 물류시장 회복속도도 완만 예상 • 특히 미국의 출구전략으로 인한 금리 상승 등으로 신흥국에서의 투자 축

    소 등 성장동력이 약화 - 러시아 루블화의 가치 하락으로 초래된 경영위기 - 중국의 24년만의 최저 경제성장율 7% - 인도의 소비침체 등

  • 5

    GDP 대비 교역량 탄성치 변화

    1) 글로벌 물류시장 변화

    • 세계 무역증가율= GDP 2배 공식 붕괴 - 1980∼2011년 세계 무역증가율은 연간 평균 7%, 세계 경제성장률 은 3.4% 성장해, 무역증가율이 경제성장률의 두 배 수준을 유지 - 2011년에는 그 비율이 1.5배로 줄어들다가, 2012년 세계 무역 증 가율은 2%로 세계 GDP 성장률 3.1%를 크게 하회, 2013년 교역 증가율 2.5%에 불과해 세계 GDP 성장률 2.9%을 하회 • 2009년 금융위기와 함께 선진국은 물론, 개발도상국까지 무역침체가 야기

    된 것을 들고 있음. • 특히 중국이 경기 부양을 위해 내수 성장정책을 추진하면서 세계 교역증

    가에 마이너스 요인이 생겼다고 보고 있음.

    1. 글로벌 물류환경

  • 6

    2) 글로벌 물류 이슈

    • 글로벌 선사 - 4개 alliance로 재편 : 2M, O3, G6, CKYHE • 글로벌 터미널 운영사 : 상위 5개

    사 세계시장 대부분 점유(PSA, HPH, APMT, DPW, Cosco

    • 글로벌 제3자 물류서비스 제공자 : DHL, Kuehne+Nagel, DB Schenker 3대 기업

    • 글로벌 포워더 : DHL, Kuehne+Nagel, DB Schenker 3대 기업

    1. 글로벌 물류환경

    물류산업 경쟁 심화로 물류시스템 고도화

    물류시스템 고도화 서비스 종합화, 4PL단계 경영의 대형화, M&A 서비스 영역 글로벌화 친환경/보안 규제 가속화

  • 7

    자료 : Armstrong & Associates, 2005~2013

    2) 글로벌 물류 이슈

    • 2000년 560억 달러에서 2013년 7,038억 달러 시장규모로 성장(Amstrong & Associate)

    • 이중 아태지역의 시장규모 2,556억 달러로 36% 최대 시장으로 성장

    - 2012년 기준 우리나라의 제3자 물류시장 규모는 119억 달러로 중국의 1,189억 달러의 1/10임. • SCM이 기업의 핵심 경쟁력이 되

    면서 3PL 시장이 점차 확대

    글로벌 3자 물류시장 규모 추이(십억 달러)

    1. 글로벌 물류환경

    제3자 물류시장 성장

  • 8

    글로벌 물류기업, 인수합병으로 대형화

    자료 : Armstrong & Associates, 2005~2013

    3) 글로벌 물류기업 대형화 생존 전략

    • 2013년 기준 세계 10대 글로벌 물류 전문기업(3PL 및 포워더)은 DHL, Kuehne+Nagel, DB Schenker가 세계 3대 기업임.

    - 이들 3대 기업 성장전략 공통점은 인수합병 • 세계 50대 물류기업 중 상위 10

    대 기업이 50대 매출 전체의 60% 차지

    • 이들 10대 기업의 업체당 평균 매출액은 136억 달러에 달함. 국내 8대 업체의 평균 매출액 25억 달러의 약 5.4배에 달하는 규모

    세계 10대 글로벌 물류기업(백만 달러)

    순위 업체명 2013년 매출

    1 DHL Supply Chain&Global

    Forwarding 31,432

    2 Kuehne + Nagel 22,587

    3 DB Schenker Logistics 19,732

    4 Panalpina World Transport Ltd. 7,293

    5 Sinotrans Ltd. 7,738

    6 Nippon Express Co.,Ltd 17,317

    7 Expeditors Int'l of washington 6,080

    8 SDV/Bollore Logistics 7,263

    9 CEVA Logistics 8,517

    10 DSV A/S 8,140

    1. 글로벌 물류환경

  • 9

    2. 국내물류산업 현황

    ① 총 부가가치(운수 및 보관업 기준) : 2013년 기준 47조 4,300억원, 3.43% 차지 물류산업 차지 비중 2011년 이후 지속 감소 : 3.52% -> 3.43%

    ② 고용(운수업 기준, 창고 및 운송관련 서비스 포함) : 2013년 기준 141만 3천명, 전체의 5.64% 차지 2011년의 고용 133만명, 비중 5.49%에 비해 증가

    1) 국민경제 차지 비중

  • 10

    2. 국내물류산업 현황

    국가 및 기업 경쟁력 기반

    • 국가산업의 경쟁력 핵심요소 - 국가경제의 90% 이상을 무역에 의존, 수출주도 통상국가인 우리나라는 물류가 국가산업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요소 - 140만명 규모의 일자리 창출 및 유지에 중요한 산업 - 해상, 항공 등 운송업은 서비스 무역에서 흑자 유지 부문으로 서비스 부문 적자 폭을 줄이는 역할 • 글로벌 기업경쟁력 강화 요인 - 기업활동의 글로벌화에 따라 물류경쟁력이 곧 기업의 국제경쟁력 여부를 결정 - 기업의 글로벌 공급사슬관리(SCM)가 기업경쟁력을 좌우

    2) 국내물류산업의 중요성

  • 11

    2. 국내물류산업 현황

    ① 물류산업은 운송업과 창고 및 운송관련 서비스업으로 구분 - 이중 운송업 차지 비중이 압도적 - 업체수 94.9%, 종업원수 89.4% 차지

    ② 운송업은 육상, 수상, 항공으로 구분 - 육상운송업이 운송업에서 차지하는 업체 수, 종업원수는 99%, 94%로 압도적이지만 매출액 기준으로는 49% 자치 - 해상운송 및 항공운송이 전체 물류산업 매출액의 44%를 차지 - 업체당 매출액, 육상운송업 1억 7,200만원으로 항공운송 및 수상운송의 6,350억, 665억에 비해 크게 영세

    3) 국내물류산업 구조

    기업체수 종사자수 (명)

    매출액 (백만원)

    업체당매출액(백만원)

    총계 359,587 1,094,319 140,267,564 390

    육상 및 파이

    프라인 운송업 340,654 918,769 58,620,690 172

    수상 운송업 613 27,538 40,786,631 66,536

    항공 운송업 33 32,488 20,966,290 635,342

    창고 및 운송

    관련서비스업 18,287 115,525 19,893,954 1,088

    국내물류산업 구조(2013)

  • 12

    2. 국내물류산업 현황

    국가물류비 추계

    • 2010년 기준 우리나라 국가물류비는 GDP대비 국내물류비는 11.1%, 국제물류비는 14.8%대로 추계

    • 절대 규모의 물류비는 커지고 있으나, 이 비중은 2002년 이후 큰 변동이 없음.

    • 우리나라의 국내물류비 11%대는 일본과 미국의 8%대에 비해 높은 수준임

    • 국내물류비 중 수송비가 전체 물류비의 73%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재고유지관리비가 22%를 차지함.

    국가물류비 추이

    자료 : 국토교통부 정책자료, 2013.12

    4) 물류비 현황

  • 13

    2. 국내물류산업 현황

    기업물류비 • 기업매출에서 물류비가 차지하는 비중인 기업

    기업물류비는 2001년 11.1%에서 2013년 8%까지 지속적 하락

    • 2013년 기준 대기업 물류비는 6.8%인 데 비해 중소기업 물류비는 8.3%로 중소기업 물류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음

    • 기능별 기업물류비를 보면 운송비와 보관비가 전체의 58.4%와 28.8%로 양 기능의 합이 87.2%로 대부분을 차지

    - 기업물류비 중 위탁물류비가 48%로 2001년의 34%, 2009년의 40%에 비해 꾸준히 증가

    기업물류비 (2013)

    자료 : 통계청, 기업물류비, 2014.6

    4) 물류비 현황

    구분 매출액 대비

    물류비(%)

    전체 8.03

    종업원 규모 대기업 6.79

    중소기업 8.34

    년도별 비교

    2009년 8.37

    2007년 9.10

    2005년 9.70

    2003년 9.90

    2001년 11.1

  • 14

    2. 국내물류산업 현황

    상위 20대 물류기업 중

    자료 : 물류신문사, 물류신문 Vol.16, No. 569

    5) 물류전문 서비스 기업

    • 2012년 기준 국내 물류기업 순위를 보면 20대 기업 중 12개는 해운, 항공회사이며, 물류전문기업은 8개사임.

    • 현대글로비스, CJ대한통운, 롯데로지스틱스, 범한판토스, 삼성전자로지텍, 현대로지스틱스, 세방, 동부익스프레스

    • 물류전문기업 8개사의 매출액은 총 22조원으로 업체당 평균 매출액은 2조 7,567억원.

    20대 국내 물류기업 (2012, 억원)

  • 15

    3. 우리나라 물류산업의 문제점

    1) 중소 물류기업 영세성, 낮은 생산성

    • 300인 미만의 중소기업 업체수가 전체의 99.9% (500인 이상 대기업은 0.1%인 100여 개에 불과)

    • 중소기업 노동생산성 크게 낮음. - 매출은 평균 7,500만원(대기업 평균 5,310억원 규모) - 중소기업 전체 절반 이상의 인력 (58.3%)으로 17% 매출에 그침 (대기업 34% 인원으로 71% 매출) • 고용 산업이라지만 질적으로 우수하지 못함. - 높은 중장년층 비중(70%), 낮은 관리 직종 비중(11.5%)

    0

    10

    20

    30

    40

    50

    60

    70

    80

    중소기업 중견기업

    대기업

    종사자수 매출액

  • 16

    3. 우리나라 물류산업의 문제점

    1) 중소 물류기업 영세성, 낮은 생산성

    • 중소 물류기업은 규모가 영세할 뿐 아니라, 주로 운송부문의 단순위탁서비스에 그치고 있는 현실

    • 보관 및 재고관리 부문의 경우 외국에서는 제3자 물류업의 주요 사업대상이 되고 있으나 우리 중소 물류기업들은 단순 임대만 수행하고 있는 실정.

    • 1984년 복합운송주선업이 등록제로 전환된 이후 국제물류주선업체 수는 크게 증가, 업체 간 과당경쟁 심화, 수익감소, 국제물류주선업의 발전 장애요인

    - 중소물류업체들 인력 및 자본과 기술 수준 화주기업의 기대에 미치지 못함. - 화주기업은 최근 물류네트워크의 효율적 관리를 위해 수,배송 관리시스템, 창고 관리시스템 등 최신 물류 기술을 도입하고 있으나, 대다수의 중소 물류업체들은 이 같은 물류 환경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처하지 못하고 있음. • 인력측면에서도 중소 물류기업, 단순 현장 노동 인력만 확보했을 뿐 물류서비스

    의 기획 및 설계, 분석 등을 할 수 있는 물류전문인력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

  • 17

    3. 우리나라 물류산업의 문제점

    국내 대기업들, 물류전문회사 대신 2자물류회사 선호

    2) 전문 물류시장 성장 한계

    • 물류활동이 전문화되고 특성화되어 제3자물류의 영역이 날로 커지고 있음. • 그러나 대량화주인 재벌, 대기업들은 국내 물류서비스 제공자(Logistics Service

    Providers, LSPs)의 전문성 불인정, 정보공유, 파트너 계약 회피. • 대신 물류기능을 자회사에 넘겨 관리하는 2자물류 체제 선호 - 글로비스, CJ대한통운, 삼성전자로지텍, (주)한진, 현대로지엠, 한솔CSN, 범한판토스(LG 상사) 등이 Khune+Nagel과 같은 3PL사업자가 된다는 것 • 두 가지의 위험 ① 화주의 국제경쟁력을 떨어뜨리는 결과 초래 우려 ② 독립적 제3자 물류서비스 시장 성장기반을 무너뜨리는 결과 초래 우려 • 이는 물류기업의 역량 부족으로 나타나며, 글로벌 영역의 서비스와 토털물류서비스를 요구하는 화주의 니즈에 부합하지 못하는 악순환을 만들고 있음.

    http://www.google.co.kr/url?sa=i&rct=j&q=&esrc=s&source=images&cd=&cad=rja&uact=8&ved=0CAcQjRw&url=http%3A%2F%2Fwww.mpspartners.com%2Fevents-resources%2Fblogs%2Fpage%2F2%2F&ei=IdjCVK_iH4b88AXdyIHQCw&bvm=bv.84349003,d.dGc&psig=AFQjCNHEJqHYoPxBGEMfCnj3tKqSgS7YPg&ust=1422141806362936

  • 18

    3. 우리나라 물류산업의 문제점

    2) 전문 물류시장 성장 한계

    3PL 활용 비중 미흡

    자료 : 한국무역협회, 제3자 물류 및 물류공동화 활용실태 조사, 2012.12 자료 : 한국무역협회, 3자물류 활용실태 및 시사점, 2009.11

    • 기업들의 물류활동을 제3자 물류서비스 제공자(3PL)에게 아웃소싱한 비율이 계속 증가 : 2006년 38.8%-> 2012년 59.6%

    • 그러나 미국, 유럽, 일본 등의 70-80% 대의 3PL활용비중에 비하면 아직 우리나라 기업들의 자가물류 의존도가 높음.

  • 19

    3. 우리나라 물류산업의 문제점

    표준화, 공동화, 솔루션 미흡

    3) 물류산업체계의 비효율성

    • 일관 파렛트화가 제조업체인 화주에게만 부담이 크다는 점

    • 물류공동화 사업 정책추진에도 실적 미흡 - 기업간의 과다경쟁을 방지하고, 물류시 설투자에 따른 위험부담을 감소, 운송 공동화에 따른 운송비 절감 • 기업특성에 적합한 SCM솔루션 무장 미흡 - 초기 SCM의 역할이 구매비용과 재고감 축, 유통망의 확보에 초점 - 지금은 공급과 수요예측을 넘어 글로벌 시장에서의 효율적인 자원배분과 이를 통한 부가가치 창출로 확대

    생산공장 배송센터 매장

    7~8회 이상의 하역작업이 발생

  • 20

    3. 우리나라 물류산업의 문제점

    세계은행(WB)의 국가별 물류경쟁력 • 우리나라 글로벌 물류경쟁력(Logistics

    Performance Index, LPI) 2014년 21위에 그침.

    • 2007년 27위에서 개선되었지만, 아직 싱가폴, 홍콩, 일본 등 경쟁국에 비해 뒤지는 상황

    • 부문별로 보면 국제운송, 정시성 통관 등에서 순위가 크게

    글로벌 물류경쟁력

    자료 : 세계은행(World Bank), LPI 2014년 보고서

    4) 낮은 국가 물류경쟁력

  • 21

    3. 우리나라 물류산업의 문제점

    5) 글로벌 물류기업 대비 열세

    • 글로벌 물류기업 대비 매출, 시설및 인프라 투자 경쟁력 부족

    • 평균 매출 기준 글로벌 기업 평균 대비 9.3% 수준

    • 시설 및 장비투자 규모도 글로벌 기업에 비해 5.8% 수준

    물류기업 매출(십억 원) 유형자산(십억 원)

    DB Schenker 22,289 54,345

    DHL 35,639 9,882

    K&N 24,940 1,395

    Nippon Express 22,890 5,690

    CH Robinson 12,795 176

    CEVA 10,465 2,397

    DSV 8,740 1,343

    UPS SCS 10,303 19,366

    해외 8대사 평균 18,508 11.820

    국내 상위8개사 평균 1,726(9.3%) 690(5.8%)

    최대치 11,075(31.1%) 1,816(18.4%)

  • 22

    3. 우리나라 물류산업의 문제점

    네트워크 경쟁에서 글로벌 기업과 격차

    6) 물류기업의 해외진출 미흡

    • 우리나라 전세계 무역량의 9% 차지, 물류기업 시장 점유율은 2.5%내외로 추정 • 글로비스, 범한판토스, CJ대한통운을 제외한 대부분의 물류기업 해외진출 저조 • 해외진출 상위 3대 기업의 경우도 해외 글로벌 물류기업에 비해 네트워크 크게 부족 - DHL(220개국), UPS(120개국) : 범한판토스(39개국), CJ대한통운(16개국), 글로 비스(12개국) • 우리나라 기업들이 본격적으로 해외진출을 시도한 2000년대 중,후반에는 이미 글로벌

    물류기업들은 M&A를 통해 네트워크를 확대한 이후 - 네트워크의 차이가 곧 기업 경쟁력으로 연결되는 물류업계에서 국내 물류기업들이 글 로벌 물류기업과의 네트워크 경쟁에서 격차를 해소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 • 제조업과 물류기업의 해외 동반진출 미흡 - 삼성전자 52개국 진출, LG전자 47개국, 현대자동차 26개국 등 진출

  • 23

    3. 우리나라 물류산업의 문제점

    7) 글로벌 리더 물류기업 부재

    정부소유 외국 물류기업

    • 2005년 영국의 엑셀(Excel) 사를 인수

    •매출액 기준으로 일본통운을 제치고 세계 1위의 물류기업

    • DHL, 도이치포스트 등의 회사로 구성된 그룹

    •정부소유 은행이 대주주로 있는 실질적인 국영회사

    •물류기업 •독일의 국영철도 물류기업인 도이치반(Deutsche Bahn)이 소유주임.

    •아랍에미레이트의 디피월드

    •정부 소유기업

    •중국의 COSCO •정부 소유기업

  • 24

    4. 물류정책동향

    7대 서비스 유망산업에 포함

    • 2014년 8월 물류산업을 7대 서비스 유망산업에 포함 - 보건의료, 관광, 콘텐츠, 교육, 금융, 물류, 소프트웨어 - 물류도 중점 서비스산업으로 육성해야 하는 중요한 분야로 인식 - 정부의 중점 추진정책에 물류산업 포함이 처음, 물류기업에게 긍정적인 기회 • 물류산업을 산업경쟁력 강화, 국부창출에 기여하는 신성장동력산업으로 발전시키고, 지속가능한 산업의 기반을 만들어 글로벌 물류강국 달성이 현 정부의 방침 - 2013년 92조원 -> 2017년 135조원으로 연평균 10% 매출 성장을 목표 • 물류서비스산업 육성 위해 물류단지 공급확대,인천공항 물류허브 기능 강화, 전문물류기업 육성, 그리고 택배산업 선진화 등을 포함 - FTZ내 부가세 영세율 적용, 3자물류 세액공제 확대, 물류업 유사인증 통폐합, 인증 절차 간소화 법률개정 추진

    1) 정부의 물류정책 기조

  • 25

    4. 물류정책동향

    유망서비스 산업 육성 투자활성화 대책 [물류분야] (기획재정부, 2014.8)

    2) 주요 추진 정책

    성과 구체화 프로젝트

    물류단지 공급확대 지역수요를 반영한 물류단지 공급 확대

    고속도로 휴게소를 활용한 물류시설 구축

    인천공항 물류허브 기능 강화

    인천공항 자유무역지역 내 글로벌 배송센터 유치

    인천공항 직행화물 KTX 도입

    인천공항 배후단지 용도지역 변경

    항만의 효율적 활용기반 구축 항만배후단지 활성화

    민자유치를 통한 항만 활용도 제고

    제도개선 및 기반 조성과제

    전문물류기업 육성 및 해외진출 확대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전문기업 육성

    중소기업 정책자금 지원 강화

    유라시아 물류진출 확대

    택배산업 선진화 택배차량 증차 및 서비스 품질 개선

    물류 인프라 및 수송분야 효율성 제고

    4.5톤 이상 화물차 하이패스 이용 확대

    내륙물류기지 운영 정상화

    물류ICT 기반 확충

    철도 장대화 등을 통한 수송 효율화

    물류시장 공정거래 질서 확립 화주 및 대형물류기업의 지배력 남용 방지

    지입제 관련 화물차주 권리 보호

    물류분야 규제 개선 통관취급업인 직접운송 요건 강화

    물류기업 인증제도 개편

  • 26

    4. 물류정책동향

    해외시장 개척 지원

    • 해외 진출 타당성 조사 지원 : 글로벌 물류네트워크 확대를 위한 해외법인 설립, 물류시설 확보, 현지기업 M&A등 해외진출 사업에 대한 타당성 조사 지원(조사비용의 30-70% 지원)

    - 2011년 이후 2014년까지 20개국 26건의 해외진출 사업 타당성 조사 지원 • 해외시장 컨설팅, 현지시장 공동조사 지원 : 한국해양수산개발원 등(연 5건 내외)

    • 국제물류투자분석센터 운영 : 해외 물류정보 요청 시 적시 지원시스템 구축

    • 해외사업 투자설명회 : 2011년 이후 매년 2회씩 총 21개국 물류사업 투자정보 제공

    3) 글로벌 물류 지원정책

  • 27

    4. 물류정책동향

    화주물류기업 동반진출지원

    • 물류정책협의체(국토부, 해수부, 화주 물류기업 CEO로 구성)의 주도하에 물류기업 해외진출 지원센터(한국무역협회)가 동반진출 지원 사업 추진

    - 해외진출 초기의 위험을 경감하고 해외네트워크 를 확대하는 시너지 효과가 기대

    • 2011년 이후 2014년까지 13개사 선정, 지원 - 수출입은행 금리 초대 0.5%P 인하 - 타당성조사 지원 - 해외물류인턴(국토부) 지원

    3) 글로벌 물류 지원정책

  • 28

    물류정책의 시각 변화 필요

    • 국토부, 해수부의 물류정책은 물류인프라 확충개선을 통한 물류비 절감을 목표로 추진 그러나 물류산업을 화주기업에 대한 물류전문서비스 제공산업으로 보는 시각 변화 필요 1) 물류산업의 효율성제고를 통한 물류산업의 경쟁력 강화, 화주기업의 국제경쟁력 강화정책 2) 물류산업 자체를 미래 글로벌 성장동략산업으로 육성하는 정책 • 물류산업의 효율성 제고 정책 ① 전문 물류시장 규모 확대 : 자가물류, 2자물류의 3자물류전환 인센티브 정책, 상생정책 ② 시장기능 회복, 규제완화 : 중소물류기업 육성, 시장 구조조정 추진, 물류 규제완화 ③ 물류산업 전문화 지원 : 대형물류기업의 물류서비스 고도화, 영세 중소물류기업기능별 물 류활동 전문화 지원, 전문인력 양성지원, 물류산업과 콘텐츠 IT산업과의 융합 • 미래 글로벌 성장동력산업 육성 정책 ④ 글로벌 리더 물류기업 육성 ⑤ 글로벌 물류인프라 투자 확대 ⑥ 미래 신기술 접목 물류 R&D 확대

    5. 정책 개선방향

  • 29

    5. 정책 개선방향

    1) 전문 물류시장 규모 확대

    물류기업과 상생 대기업에 대한 정부지원 필요

    • 물류기업의 전문성 확보를 통해 물류기업은 화주기업에게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이는 화주기업의 물류서비스 질 향상으로 국제경쟁력 확보

    - 대기업의 경우 높은 자가물류, 2자물류사 이용률은 전문 물류기업에 대한 전문성과 역량개발을 힘들게 만들고 있음. • 물류기업과의 상생 대기업에 대한 정부지원이 필요 - 상생협력 시 업체에 대한 조세(법인세)등 지원 - 화주기업이 자가 물류시설 또는 물류 자회사 처분 시 이에 대한 세액공제 확대 및 행정 간소화 지원 - 상생협력 우수기업에 대한 포상 등의 정책도 필요 • 상생은 기업 서로가 상호 이익을 주고받는 “상리공생(相利共生)”을 의미 - 3PL사업자에게 맡기는 편이 화주기업 자신이 행하는 것보다 명백하게 뛰어난 물류운영이 가능하다는 보증이 있어야 하기 때문에, 물류산업도 업그레이드 노력필요. - 물류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지원

  • 30

    5. 정책 개선방향

    2) 시장기능 회복, 규제완화

    • 대한상공회의소, 2014년 말 기업 물류담당 임원, 학계·연구소 전문가 등 100명을 대상으로 실시 ‘2015년 물류시장 전망 조사’결과

    • 물류시장 성장을 위해 정부정책이 필요한 부문 중 1,2위로 중소, 중견물류기업 경쟁력 강화와 물류산업 규제 완화를 꼽고 있음.

    • 단순 운송위탁서비스 창고 단순 임대 수행에서 벗어나 화주들의 다양한 물류서비스 요구 충족 위해 인력, 자본, 물류솔루션, IT기술 향상 지원 필요

    • 대형화 유도 등 시장 구조조정도 함께 추진 필요

    중소, 중견 물류기업 경쟁력 강화

  • 31

    5. 정책 개선방향

    2) 시장기능 회복, 규제완화

    수도권 자유무역지역 지정 확대로 물류산업 활성화

    • 물류산업 활성화를 위한 수도권 규제완화 시급 - 공항, 항만에 30Km 이내 인접도시 싱가포르, 홍콩, 상하이, 인천 중 인천을 제외한

    모든 도시가 도시전체를 자유무역지역으로 운영, 물류허브도시로 성장 중 - 우리만 규제(수도권정비법 상 인구집중유발시설, 대규모 개발 규제 대상 지역)하고 있어

    동북아 최대 수출입, 소비시장의 하나인 서울 등 수도권의 물류산업 활성화에 걸림돌 - 특히 한중FTA로 인천항, 인천공항이 중국화물 수출입의 물류거점의 잠재력 감안시 물

    류산업 활성화를 위한 수도권 규제완화가 시급

    • 특히 고부가가치 물류중심지역인 공항과 항만 배후단지 자유무역지역 지정 확대 - 주요 항만 부두시설만 자유무역지역으로 지정 상태 - 공항, 항만 배후단지 자유무역지역 지정 확대 시급 (해양특구 조차도 지정 어려움, 덩어리 규제) - 일본도 국가전략특구 제도 입법화, 고베, 오사카 두 도시를 국가전략특구로 지정추진

  • 32

    5. 정책 개선방향

    3) 물류산업 전문화 지원

    물류산업 업종 전문화와 고용창출 정책 심화 필요

    • 물류산업 업종, 단순 ‘운수 및 보관업’으로 분류되고 있어 하드웨어 중심 업종 - 제3자 물류서비스 제공업, 물류서비스제공업 등 화주기업의 물류 아웃소싱 서비스업 분류 - 택배업, 컨테이너운송업, 종합물류서비스업, 물류컨설팅업 등 서비스형태 별 업종 구분 - 하이테크 엔지니어링, 컨설팅 등 업종 특성에 적합한 물류산업 정책 수립 필요 • 물류인프라 고용중심적 정책으로 평가 - 첨단산업화로 고용 없는 성장에서 물류산업 고용창출의 마지막 보루 - 매출액 10억원 당 취업유발계수, 산업평균 13.9명에 비해 15.8명~19.2명에 달함 - 그러나 선진국 물류단지 우리보다 더 많은 고용을 창출, 고용을 많이 유발하는 고 부가가 치 물류활동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 - 고용중심적 정책으로 전환 : 항만, 공항, 물류단지 등 물류인프라 성과 평가시 고용창출 실적을 최고 평가 기준화하는 정책 의지 필요

  • 33

    5. 정책 개선방향

    4) 글로벌 물류기업 육성

    정부의 물류산업 육성 정책의 핵심이 되어야 할 부분

    • 과감한 해외물류사업 투자 자금 조성 지원 - 해외 유수기업 M&A에 대규모 자금 소요 - 연금 등 공공자금, 조세혜택 부여에 의한 민간 자금 (독일 1990년 이후 500억 마르크 이상 펀드 조성, 1,200척 이상 선박투자) - 물류기업의 해외진출 및 세계유수기업 M&A에 장기투자 • 국내 재벌 대기업, 2자물류회사 대신 공동투자 물류대기업 창설 제안 - 현대자동차, 삼성, LG 등의 2자물류기업 보유 재벌 대기업, 포항제철, 농협 등 물류에 관심이 있는 대량화주 대기업들이 공동 지분투자, 물류전문 대기업 창설 유도, 인센티브 제공 • 투자 유인책과 함께, 글로벌 물류기업 육성과 투자재원 조성에 정부 및 정부투자기관 등이 직접 나서야 할 것

    퀴네나겔(Kuehne+Nagel) - 최근 5년간 11건 기업인수

    일본통운(Nippon Express) - 2005-2014 기간 중

    11개 기업인수

  • 34

    5. 정책 개선방향

    4) 글로벌 물류기업 육성

    외국의 사례

    • 미국의 경우 UPS·FedEx 등 전문기업이 소량 및 개인 화물중심에서 통합운송관리, 물류시스템 설계, M&A, 지점 설립, 제휴 등 서비스와 물류네트워크를 확장.

    • 독일은 전 체신청인 DPWN가 포워딩업체인 단자스(Danzas), 운송업체 DHL, 3PL업체 엑슬(Excel)등을 인수해 글로벌 통합운송서비스 기반을 마련함으로써 글로벌 1위 업체로 도약할 수 있었음.

    • 싱가폴은 물류기업 이용에 따른 인센티브 제공, 물류전문기업 인증제 등 물류 인프라 확충 및 물류수요 촉진 정책을 추진.

    • 일본도 시장에서 요구되는 물류전문기업 육성을 위해 정부 차원의 지원이 이뤄짐으로써 물류선진화가 가능.

  • 35

    5. 정책 개선방향

    5) 글로벌 물류 인프라 투자 확대

    막대한 자본이 소요되는 인프라 투자 정부가 관여해야

    • 글로벌 물류산업 육성의 기반은 글로벌 물류 인프라 투자와 직결 - 세계적인 세계적인 물류기업의 경쟁력은 철도, 도로, 항만, 항만배후지 등과 같 은 물류관련 사회간접자본을 얼마큼 활용할 수 있고, 통제 할 수 있는가 하는 능력과 깊은 관련. • 세계적인 물류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해 해외 물류SOC등 막대한 네트워크 투자

    가 이루어져야 하는데, 민간기업의 투자로는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음. 민간기업의 활동영역으로 치부하기 어려운 이유

    • 또한 현재 국내물류에 국한되어 있는 국가물류계획도 해외물류투자를 포함한 국가국제물류계획으로 확대해야 할 것이다.

    • 멕시코 항만, 파나마 운하나 중국, 베트남 등의 항만 및 항만 배후단지, 브라질 아르헨티나, 칠레의 항만, 철도, 도로, 그리고 아프리카의 항만 및 도로, 러시아, 중앙아시아 등의 물류시설에 장기적 안목을 갖고 투자해야 할 것

  • 36

    5. 정책 개선방향

    6) 미래 신기술 접목 물류 R&D 확대

    IT기술 등 신기술 접목, 첨단산업화 정책

    • 화주업체나 물류산업에서 사용되는 대부분의 IT솔루션들은 해외제품에 의존하고 있어 국내 물류환경에 적합한 최적화 및 시뮬레이션 엔진에 대한 차별화된 기술개발 지원이 필요

    • 물류표준화 및 공동물류 촉진을 위한 IT 기반의 기술개발 지원도 시급 • 전체 공급사슬의 프로세스, 조직, 시스템을 재구축하는 혁신과 최적화, 리엔지니어링

    기술개발 • 글로벌 경쟁에서 지속적인 경쟁력 확보를 위해 물류인프라 및 연계체제에 대한 지속

    적인 연구개발과 인프라 투자가 필요 • 환경부하 저감을 위한 Modal Shift, 친환경기술개발, 자원순환 등을 핵심으로 한 물

    류기술 개발 지원이 필요 • 물류산업에 신기술을 적용하는 노력 미흡. 사물인터넷, 드론, 로봇, 3D프린터, 빅 데

    이터 등 5대 신기술의 물류산업에 접목이 과제 • 물류산업의 국제경쟁력 향상을 위한 기업전략측면에서나, 물류성장 동력을 키우는 국

    가 R&D 측면에서 매우 시급한 과제

  • 감사합니다 Q&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