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
한국사회 제151(2014): pp.55-85 환경과 사회연구의 동향과 전망 1) 박 재 묵 * 이 논문의 주된 목적은 한국 환경사회학 분야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이러한 고찰 을 토대로 향후 한국 환경사회학의 전개 방향을 예측해 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한 기 초 작업으로서 먼저 한국 환경사회학의 제도적 확립 과정을 고찰하였다. 여기에서 는 연구자 단체의 조직화와 환경사회학 및 그 관련 과목의 정규 교육과정 진입을 주로 다루었다. 다음으로 한국 환경사회학자들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그 특징을 도출해 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단행본과 함께 한국환경사회학회의 학술지 환경사 회학연구(ECO)에 게재된 논문의 주제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 환경사회학 자들이 자주 다룬 주제는 원자력․위험․재난’, ‘대규모 개발사업’, ‘환경의식․환 경행동’, ‘환경문제․기후변화’, ‘환경운동․환경갈등’, ‘환경정치등이었다. 또한 한국 환경사회학의 특징으로는 환경문제의 중시, 질적 자료의 활용, 자유주의적 환 경개혁론, 다양한 전공의 관점 교류, 연구자와 운동가의 소통 등이 지적되고 있다. 마지막으로 한국 환경사회학의 과제로서 학제적 연구의 정착과 현장 중심의 연구 강화를 제시하고 있다. 주제어: 환경사회학, 한국 환경사회학, 환경사회학의 제도화, 한국환경사회학회, ECO Ⅰ. 들어가는 말 환경과 사회 간의 상호작용을 연구하는 환경사회학은 사회학의 여러 분야 중에서 비교적 늦게 제도화된 분야이다. 인간 사회와 물리적·생물적 환경 간의 관련에 일찍이 관심을 가졌던 선구적 업적은 뒤르켐, 베버, * 충남대학교 사회학과 교수([email protected])

환경과 사회 연구의 동향과 전망isrku.org/adm/data/1351080157_fEMV3OxI_02-EBB095EC9... · 2014-07-06 ·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 pp.55-85 ‘환경과 사회’

  • Upload
    others

  • View
    4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환경과 사회 연구의 동향과 전망isrku.org/adm/data/1351080157_fEMV3OxI_02-EBB095EC9... · 2014-07-06 ·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 pp.55-85 ‘환경과 사회’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 pp55-85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1)

박 재 묵

요 약

이 논문의 주된 목 은 한국 환경사회학 분야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이러한 고찰

을 토 로 향후 한국 환경사회학의 개 방향을 측해 보는 데 있다 이를 한 기 작업으로서 먼 한국 환경사회학의 제도 확립 과정을 고찰하 다 여기에서는 연구자 단체의 조직화와 환경사회학 그 련 과목의 정규 교육과정 진입을

주로 다루었다 다음으로 한국 환경사회학자들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그 특징을 도출해 보고자 했다 이를 해 단행본과 함께 한국환경사회학회의 학술지 「환경사회학연구」(ECO)에 게재된 논문의 주제를 분석하 다 분석 결과 한국 환경사회학자들이 자주 다룬 주제는 lsquo원자력 험재난rsquo lsquo 규모 개발사업rsquo lsquo환경의식환경행동rsquo lsquo환경문제기후변화rsquo lsquo환경운동환경갈등rsquo lsquo환경정치rsquo 등이었다 한

한국 환경사회학의 특징으로는 환경문제의 시 질 자료의 활용 자유주의 환

경개 론 다양한 공의 교류 연구자와 운동가의 소통 등이 지 되고 있다 마지막으로 한국 환경사회학의 과제로서 학제 연구의 정착과 장 심의 연구

강화를 제시하고 있다

주제어 환경사회학 한국 환경사회학 환경사회학의 제도화 한국환경사회학회

ECO

Ⅰ 들어가는 말

환경과 사회 간의 상호작용을 연구하는 환경사회학은 사회학의 여러

분야 중에서 비교적 늦게 제도화된 분야이다 인간 사회와 물리적middot생물적

환경 간의 관련에 일찍이 관심을 가졌던 선구적 업적은 뒤르켐 베버 마

충남대학교 사회학과 교수(jmparkcnuackr)

56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르크스 등의 고전사회학이나 1920-30년대의 시카고학파의 인간생태학에

서 찾을 수 있지만 환경사회학이 하나의 독립된 연구 분야로 확립된 것

은 이 분야 연구가 가장 일찍 시작된 미국에서조차도 1960년대 후반 이후

의 일이기 때문이다 1960년대 후반 미국 농촌사회학회(Rural Sociological

Society) 안에서 결성된 자연자원 연구 집단(Natural Resources Research

Group)이 환경사회학 분야에서 가장 먼저 출현한 연구자 조직이었고

1973년에 결성된 사회문제연구학회(Society for the Study of Social

Problems) 내의 환경문제분과(Environmental Problems Division)가 바로 그

뒤를 이었다(Catton and Dunlap 1978 41) 비슷한 시기에 환경사회학

(environmental sociology)이라는 용어도 사용되기 시작했다1) 이러한 과정

을 거쳐 1976년에 이르러 비로소 미국사회학회 내에 환경사회학 분과2)가

조직되었다

미국에서 1960년대 후반부터 약 10년간에 걸쳐 환경사회학이 형성되기

시작한 데는 다양한 요인들이 영향을 미쳤지만 가장 직접적인 요인으로

두 가지를 들 수 있다 그 하나는 이 시기에 집중적으로 출판된 환경위기

의 심각성을 경고한 환경 저술들이다 당시 사회학자들에게 영향을 준 대

표적인 과학적 저술로 카슨(Carson 1962) 코모너(Commoner 1971) 얼리

히 부부(Ehrlich and Ehrlich 1970) 하딘(Hardin 1968) 등이다(Catton and

Dunlap 1979 468) 다른 하나의 요인은 위의 환경 저술과 주요 환경 사고

의 영향을 받아 새롭게 출현한 lsquo근대적rsquo 환경운동이다 종래의 자연보전운

동과는 달리 산업적middot화학적 오염을 주된 쟁점으로 하여 1960년대 이후 등

장한 lsquo근대적rsquo 환경운동의 급속한 확산은 환경문제는 물론 환경운동 자체

에 대한 사회학자들의 관심을 촉발시켰다 말할 필요도 없이 이러한 지

1) 해니건(John Hannigan)에 따르면 환경사회학(environmental sociology)이라는

용어를 처음으로 명시적으로 사용한 사회학자는 사뮤엘 클라우스너(Samuel Klausner)이다 그는 자신의 1971년 저술 On Man in his Environment에서 이

용어를 사용했다(Hannigan 2006 10)2) 현재는 환경과 기술 분과(environment and technology section)라는 명칭을 사

용하고 있다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57

적middot사회적 분위기의 형성에는 산업적middot화학적 오염을 비롯한 환경문제 자

체가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결국 환경 위기와 그에 따른 사회 전반에 걸

친 환경주의의 확산이 환경사회학 등장의 배경이 되었다

오늘날 환경문제는 지구인 전체의 가장 중요한 관심사가 되었다 이러

한 관심의 확산에는 개별 국가가 당면하고 있는 국지적 환경문제와 함께

기후변화와 같은 지구환경문제가 크게 기여해 왔다 이에 따라 이제 환경

사회학은 많은 나라에서 사회학의 주요 연구 분야로 확립되어 있고 국제

학회의 주요 연구 주제가 되었다 국제사회학회(ISA)에서는 1971년 이래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위원회가 전체 55개 연구위원회 중의 하나(RC24)로 자

리 잡고 있다 개별 국가 중에서 환경사회학이 발전된 국가로 국제적으로

알려진 나라로는 북미의 미국 및 캐나다 유럽의 독일 및 네덜란드 호주

일본 등이 있다

한국에서 환경사회학의 교육과 연구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시기는 1990

년대이다 환경사회학의 제도화 과정과 현황에 대해서는 뒤에서 논의하겠

지만 대체로 1990년 이후 약 20년 동안에 교육과 연구를 위한 제도적 기

반이 갖추어졌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한국 환경사회학은

국제 사회에서 비교적 잘 알려져 있는 편이다3) 한국의 환경사회학이 국

제적으로 알려지게 된 계기로는 1993년 한국사회학회가 개최한 lsquo환경과

발전rsquo에 관한 국제학술대회 개최 2004년 국제사회학회 RC24의 국내 개

최 일본 중국 대만 등 인근 학자들과의 교류 및 동아시아 국제 환경사회

학 학술회의 참가 및 개최 등을 들 수 있다

이 논문은 한국 환경사회학 분야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이러한 고찰

을 토대로 향후의 전개 방향을 예측해 보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

해 제2장에서는 그 기초 작업으로서 한국 환경사회학의 제도적 확립 과정

을 고찰하고자 한다 여기에서는 연구자 단체의 조직화와 환경사회학 및

3) 해니건은 그의 Environmental Sociology A Constructionist Perspective에서 미

국 바깥에서의 환경사회학의 제도화를 논하면서 유럽 일본 및 한국의 사례

를 든 바 있다(Hannigan 2006 11-12)

58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그 관련 과목의 정규 교육과정 진입을 주로 다루게 된다 제3장에서는 한

국 환경사회학자들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그 특징을 도출해 보고자 한

다 이를 위해 단행본과 함께 한국환경사회학회의 학술지 「환경사회학연

구」(ECO)에 게재된 논문의 주제를 분석하게 된다 제4장에서는 제3장의

분석을 토대로 한국 환경사회학의 미래 전개 방향을 전망하고 그 과제를

도출해 보고자 한다

Ⅱ 환경사회학의 제도화 과정과 현황

1960년대 이후 급속하게 추진된 공업화로 인해 이미 1970년대부터 여

천 울산 등 공단지역에서 대기오염 피해가 나타나기 시작했고 1982년에

는 우리나라 최초의 공해병으로 기록된 lsquo온산병rsquo이 발생하였다 급속한 도

시화에 따라 악화된 하천 수질 또한 환경 우려를 자아내기에 충분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1980년대 초부터 lsquo반공해rsquo 운동단체들이 조직되기 시작

했고 1989년에는 우리나라 최초의 대중적 환경운동단체라 할 수 있는 공

해추방운동연합이 출현했다 이처럼 lsquo공해문제rsquo로 표현된 당시의 환경 악

화 및 파괴 그리고 그에 따른 환경문제에 대한 우려의 확산이 환경사회학

의 출현의 배경이 되었다

1 환경사회학의 정규 교과목 편입

사회학자들이 환경사회학을 정규 교과목으로 가르치기 시작한 것은

1990년부터이다 지금까지 알려진 우리나라 최초의 환경사회학 강의는

1990년 2학기에 서강대 대학원에서 최재현에 의해 가르쳐졌다 서강대

서울대 연세대 이화여대 대학원생 15명 정도가 참여한 이 강의의 명칭은

lsquo환경의 사회학rsquo이었고 강의의 내용은 환경이론서 읽기와 공해현장 답사

및 실태조사로 구성되어 있었다4) 학부과정에서는 이시재가 1993년 1학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59

대학 학과명 학부 교과목

가톨릭대학교 사회학전공 환경사회학

강원대학교 사회학과 -경남대학교 사회학과 환경사회학

경북대학교 사회학과 환경사회학실습

경상대학교 사회학과 환경사회학1)경희대학교 사회학과 환경사회학

계명대학교 사회학과 환경사회학

고려대학교(서울) 사회학과 환경사회학

고려대학교(세종) 사회학과 환경사회학

국민대학교 사회학과 -대구가톨릭대학교 사회학과 환경과 지역사회

대구대학교 사회학과 환경사회학

덕성여대학교 사회학전공 환경사회학

동국대학교 사회학전공 -동아대학교 사회학과 환경사회학

부산대학교 사회학과 환경과 생태의 사회학

서강대학교 사회학전공 환경사회학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환경과 생태의 사회학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사회학과 환경과 도시

성공회대학교 사회과학부 -성균관대학교 사회학과 -아주대학교 사회학전공 환경사회학

기부터 성심여자대학교(현 가톨릭대학교) 사회학과에서 환경사회학을 강

의하기 시작했는데 이것이 학부에서 이루어진 최초의 강의였다(이시재

1994 164)5)

lt표 1gt 환경사회학 및 관련 과목의 개설 현황(2013년)

4) 1990년 9월 21일자 한겨레신문 기사를 참조하였다5) 이시재는 최근에 발표한 ldquo나의 환경사회학 회고rdquo에서 환경사회학 과목을

1992년에 개설하였다고 밝히고 있다 (이시재 2013 50) 따라서 과목의 개설

시기는 1992년이고 실제로 강의한 해는 1993년인 것으로 해석된다

60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대학 학과명 학부 교과목

연세대학교 사회학과 환경과 사회

영남대학교 사회학과 환경과 사회

울산대학교 사회middot복지학전공 에너지와 생태사회

이화여자대학교 사회학전공 환경사회학

전남대학교 사회학과 환경사회학

전북대학교 사회학과 환경과 발전

제주대학교 사회학과 환경사회학

중앙대학교 사회학과 환경사회학

창원대학교 사회학과 환경사회학

청주대학교 사회학과 환경사회학

충남대학교 사회학과 환경사회학

충북대학교 사회학과 환경사회학

한림대학교 사회학과 인구와 환경

한신대학교 사회학과 -한양대학교(서울) 사회학전공 -한양대학교(안산) 정보사회학과 환경사회학

한일장신대학교 사회경제학전공 -주 1)예비과목으로 설강되고 있음

이때부터 환경사회학 강의가 다른 대학에서도 개설되기 시작했으나

1994년까지만 해도 전국에서 환경사회학을 개설하는 대학은 소수였다 학

부에서 개설하고 있었던 대학은 성심여대(현 가톨릭대학교 성심교정)와

충북대뿐이었고 대학원에서 환경사회학 및 관련 과목을 개설한 학교로는

성균관대 성심여대 충남대 등이 있었다 반면에 학부 과정과 대학원 과

정에 인간생태학(론) 또는 사회생태학이라는 명칭의 교과목을 개설한 학

교가 7개교 있었는데(이시재 1994 164-5) 이들 교과목은 그 내용의 측면

에서 볼 때 오늘날의 환경사회학과는 다소 거리가 있다

그 후 환경사회학 강의는 점차 확대되어 2013년 현재 전국의 39개 대학

사회학과 및 연관학과의 약 80인 31개 학과에서 환경사회학 관련 과목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61

을 개설하고 있다(lt표 1gt 참조) 강좌의 명칭으로는 대체로 lsquo환경사회학rsquo

을 사용하고 있지만 지역사회 도시 발전 인구 등을 환경과 연관시키고

있는 강좌들이 일부 있고 부산대 서울대 울산대 등에서는 lsquo생태rsquo를 강조

하는 강좌 명칭을 사용하고 있는 점이 눈에 띈다

환경사회학의 정규 교과목 진입으로 교재의 개발이 뒤따랐다 우리말

로 쓰여진 최초의 교재는 학부에서 강의가 처음 이루어진 때로부터 2년

뒤에 출판되었다 최초의 우리말 교재는 양종회와 이시재가 험프리(Craig

Humphrey)와 버텔(Frederick R Buttel)의 Environment Energy and Society

(1982)를 번역한 「환경사회학」(1995)이었다 국내 학자가 쓴 교재들은

2000년대에 들어 와서 비로소 출판되기 시작했다 대표적인 교재로는 노

진철의 「환경과 사회」(2001) 정대연의 「환경사회학」(2002) 한국환경사회

학회 소속 연구자 11인이 공동으로 집필한 「우리 눈으로 보는 환경사회학

」(2005) 등이 있다 다수 환경사회학회 회원이 참여한 교재 공동 집필은

환경사회학의 범위와 주요 내용을 표준화하는 데 기여했다는 의미를 갖

는다

2 연구 영역 확립과 독립 학회의 조직

lsquo환경rsquo이 사회학계에서 하나의 연구영역으로 확립되기 시작한 시기는

1990년대 초반이다 사회학대회에서 lsquo환경rsquo이 분과로 처음 등장한 시기는

사회학회가 분과확장기에 들어가기 시작한 1991년이다 1991년 6월 28일

충남대학교에서 개최된 전기 사회학대회는 12개의 분과로 조직되었는데

그 중 제11분과의 명칭이 lsquo집중토론2-자연과 환경문제rsquo였다(한국사회학

회 2007 204) 여기에서는 4명의 발표가 있었고 주요 주제는 안면도방사

성폐기물처분장 입지 결정을 둘러싼 갈등이었다 1991년 12월 12-13일 중

앙대학교에서 열린 후기 사회학대회에서는 공식적으로 lsquo환경과 공해 분

과rsquo가 조직되었다 이 분과에서는 생활쓰레기 처리가 공동 주제였다

사회학대회의 환경사회학 분과는 1990년대 초반까지는 환경사회학 연

62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구자들의 유일한 발표의 장이었고 그 후 환경사회학자들이 독자적 연구

회 및 학회를 조직한 후에도 이 분야 학자들에게 중요한 소통의 장이었다

1991년부터 2006년까지 환경사회학 분과가 조직된 사회학대회는 1991년

전기 및 후기 1994년 전기 1995년 후기 1996년 전기 1998년 전기 1998

년 후기 1999년 전기 2000년 전기와 후기 2003년 후기 2004년 전기

2006년 전기 및 후기 등이다 그리고 이들 분과에서 발표된 논문의 수는

55개에 이른다(한국사회학회 2007 207-208)

환경문제의 사회적 관련에 관심을 가진 연구자들이 점차 늘어나면서

독자적 연구자 모임이 만들어지기 시작했는데 최초의 환경사회학 연구자

모임은 1995년 6월 23일에 결성된 한국환경사회학연구회(회장 권태환)였

다 이 연구회는 규모가 작고 규약조차 없는 느슨한 조직이었지만 회원들

의 참여 의욕이 높아 그 활동은 매우 활발했다 주요 활동으로는 한국사

회학회가 개최한 춘middot추계사회학대회에서의 환경사회학 분과 조직 및 논

문 발표 춘middot추계의 정기적 워크샵 개최 및 환경현장 답사6) 등을 들 수 있

다(한국환경사회학회 2005 40)

이 연구회 모임을 기반으로 하여 한국환경사회학회(초대 회장 이시재)

가 2000년 6월 3일에 창립되었다 창립 기념 세미나의 주제는 당시 주요

사회적 쟁점 중의 하나였던 동강댐(영월댐)이었고 4편의 논문이 발표되

었다 현재 환경사회학회에는 약 150명의 연구자들이 회원으로 참여하고

있다 회원의 대다수는 사회학자들이지만 정치학자 경제학자 인류학자

등 다양한 사회과학분야 연구자들도 참여하고 있고 소수이기는 하지만

자연과학 및 공학을 전공한 연구자들도 참여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환경

사회학회는 학제적 성격을 지닌 학회라고 할 수 있고 사회학회의 lsquo분과

6) 환경현장 답사는 환경사회학연구회의 특징적인 활동이었다 연구회 창립 이

후 2000년 한국환경사회학회로 재창립되기까지 방문한 현장은 광주광역시

광산구 음식물사료화연구시설(1996년 6월) 대구 금호강유역 오염 현장(1997년 6월) 울산 온산공단(1997년 10월) 서산 천수만간척지 및 태안 안면도

(1998년 5월) 창녕 우포늪 및 주남저수지(1998년 11월) 영월 동강(1999년 4월) 부안 새만금간척지구(2000년 3월) 등이었다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63

학회rsquo의 성격보다는 lsquo연관 학회rsquo의 성격을 더 강하게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환경사회학회는 과거 연구회 시절에 수행했던 활동 즉 춘middot추계사회학

대회에서의 분과 활동 춘middot추계의 독자적 학술회의 개최 환경현장 답사

등을 대체로 유지하면서 이에 추가하여 공동 저술 사업 국제학술회의 개

최 학술잡지 「환경사회학연구」(ECO) 발행 등의 활동을 전개해 왔다 환

경사회학회가 기획하여 펴낸 공동 저술로는 교재 성격을 갖는 「우리 눈으

로 보는 환경사회학」(2005)과 lsquo한국 환경사회학 시리즈rsquo의 1 2권으로 펴

낸 「환경사회학 이론과 환경문제」(2013) 및 「환경운동과 생활세계」(2013)

가 있다 환경사회학회가 개최한 주요 국제학술회의로는 2004년 국제사회

학회(ISA) RC24회의와 2011년 제3차 동아시아 환경사회학 국제학술회의

(The 3rd International Symposium on Environmental Sociology in East

Asia)가 있다 반년간(半年刊) 학술지 「환경사회학연구」(ECO)의 발행

(2001년 이후)은 환경사회학회의 가장 중요한 사업이다

Ⅲ 한국 환경사회학의 연구 동향

1 연구 주제

환경사회학의 연구 주제를 파악하기 위해 한국사회학회의 「한국사회학」

및 환경사회학회의 ECO에 게재된 논문7) 환경사회학회의의 학술대회 주

7) 환경사회학 분야의 논문들은 「한국사회학」 및 ECO지 외에 「농촌사회」 「경제와 사회」 등의 다른 학술지에도 게재되고 있지만 이들 학술지에 실린 환

경사회학 관련 논문의 편수가 많지 않음을 고려하여 이들 논문들은 분석 대

상에 포함되지 않았다 분석 대상을 「한국사회학」 및 ECO에 수록된 논문으

로 한정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은 환경농업middot식량middot식품을 다룬 환

경사회학자들의 논문이 체계적으로 배제될 수 있다는 점이다 이 주제를 다

룬 논문의 상당수가 「농촌사회」에 투고되기 때문이다

64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제 사회학자들의 환경사회학적 저서 주제 등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 중에

서 가장 중요한 분석 대상은 「한국사회학」 및 ECO지에 게재된 논문이다

「한국사회학」에 게재된 환경사회학 분야 논문의 편수는 9편에 지나지 않

으나 ECO 창간 이전의 연구 동향을 보여준다는 점을 고려하여 분석 대상

에 포함하였다 ECO는 환경사회학 분야의 대표적 전문 학술지라는 점을

고려하여 창간호(2001년)에서부터 제17권 1호(2013년 상반기)까지에 수록

된 167개의 논문(lsquo포럼rsquo으로 분류된 것까지 포함)의 주제를 분석하였다

연구 주제는 lt표 2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타를 포함해서 총 19개로 구분

하였다

1) 「한국사회학」 및 ECO 게재 논문의 주제

「한국사회학」에 게재된 논문은 총 9편으로 소수이고8) 그 주제 또한

lt표 2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양하지 않다 ECO 창간(2001년) 이전 즉

2000년 이전에는 환경사회학 분야 논문이 주로 「한국사회학」에 게재되었

기 때문에 이 시기에 발표된 논문의 주제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 시기

에 발표된 논문의 주제는 lsquo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rsquo lsquo환경의식middot환경행동rsquo lsquo환

경정책middot환경행정rsquo 및 lsquo지속가능한 발전rsquo이다 lt표 2gt에서 알 수 있는 것은

환경사회학 분야 연구가 시작되던 1990년대 초반에는 lsquo환경의식middot환경행

동rsquo 및 lsquo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rsquo이 주요 주제였다는 사실이다 「한국사회학」에

개재된 최초의 환경사회학 분야 논문은 양종회의 ldquo우리나라 국민들의 환

경문제에 대한 의식의 변화 및 사회적 기반rdquo(1993)이었다9) 그 뒤를 이어

8) 「한국사회학」에 게재된 논문의 주제별 분석 자료에 따르면 환경을 주제로

한 논문은 1964년부터 2006년 사이에 게재된 전체 논문의 14 수준이다

(한국사회학회 2007 110) 이처럼 「한국사회학」에 실린 환경사회학 분야

논문이 적은 이유는 이 분야 연구자들이 보다 전문화된 ECO지 게재를 선

호하기 때문이다 9) 「한국사회학」에 게재되지는 않았지만 이보다 먼저 발표된 논문으로는 필자

의 ldquo환경문제에 대한 사회학적 이해rdquo(1991)가 있다 이 논문은 1991년 5월

한국사회학회가 주최한 특별심포지움에서 발표되었다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65

서 환경의식에 관한 김두식의 논문(1995)과 환경운동을 다룬 구도완

(1995)의 논문이 발표되었다

lt표 2gt 「한국사회학」 게재 논문의 주제(1991-2013)

주 제10)논문 편수

rsquo91-rsquo95 rsquo96-rsquo00 rsquo01-rsquo05 rsquo06-rsquo10 rsquo11이후 계

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 1 1

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 1 1

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 1 1

환경의식middot환경행동 2 2

환경정책middot환경행정 2 2

지속가능한 발전 1 1

환경middot위험거버넌스 1 1

계 3 3 1 1 1 9

다음으로 ECO에 게재된 총 167편의 주제를 살펴보겠다 19개로 분류

된 전체 주제 중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빈도로 다루어지고 있는 주제는 6

개이다 가장 높은 빈도로 다루어진 주제는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rsquo이다 이 주

제를 다룬 논문은 21편으로 전체 167편의 126를 차지한다11) 이 주제

를 다룬 논문이 가장 많았던 것은 lt표 3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2007년에

발생한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 유출사고에 대한 연구가 두 차례에 걸쳐

특집의 형태로 수록되었기 때문이다 그 다음으로 환경사회학자들이 자주

다룬 주제는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으로 총 19편의 논문이 이 주제를 다루고

10) 주제의 분류 체계는 lt표 3gt과 같았으나 한 편의 논문도 발견되지 않는 주

제는 표에서 제외했다 11) ECO 게재 논문들의 주제어를 분석한 윤순진의 논문에서도 위험위해재난

으로 분류될 수 있는 주제어들이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나고 있고 여기에

원자력 관련 주제어를 포함할 경우에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rsquo과 관련된 주제어

의 빈도는 더욱 높게 나타난다(윤순진 2013 79-80)

66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주 제논문 수

rsquo01 rsquo02 rsquo03 rsquo04 rsquo05 rsquo06 rsquo07 rsquo08 rsquo09 rsquo10 rsquo11 rsquo12 rsquo13 계

환경사회학 이론 2 1 1 1 1 6

환경사회학 방법론 1 1

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 2 1 2 2 1 1 1 1 1 12

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 2 7 6 2 4 21

에너지middot자원 1 1 2 4

환경사상 1 1

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 1 1 2 2 2 1 3 12

있다 동강댐 새만금간척사업 4대강사업 등 정부가 추진했던 대규모 개

발사업에 환경사회학자들이 큰 관심을 기울인 결과이다 이밖에 환경사회

학자들이 많은 관심을 보인 주제로는 lsquo환경의식middot환경행동rsquo(14편) lsquo환경문

제middot기후변화rsquo(12편) lsquo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rsquo(12편) lsquo환경정치rsquo(12편) 등이었

다 이 6개의 주제를 다룬 논문은 총 90편으로서 전체 167편의 539를

차지하고 있다

위의 6개 주제 다음으로 환경사회학자들이 관심을 보인 주제로는 lsquo환경

정책rsquo(8편) lsquo사회영향평가rsquo(8편) lsquo환경middot위험거버넌스rsquo(8편) lsquo환경불평등middot

환경정의rsquo(7편) lsquo환경농업middot식량middot식품rsquo(7편) lsquo환경사회학이론rsquo(6편) lsquo지속

가능한 발전rsquo(5편) lsquo환경복원rsquo(5편) 등이다 lsquo환경농업middot식량middot식품rsquo을 다룬

상당수의 논문들이 「농촌사회」에 수록됨으로써 이 분석에서 제외되고 있

음을 감안할 필요가 있다

lsquo에너지middot자원rsquo(4편) lsquo생태공동체rsquo(2편) lsquo환경사회학방법론rsquo(1편) lsquo환경

사상rsquo(1편) 등의 주제를 다룬 논문은 매우 적었다 lsquo인구rsquo는 당초 주제 분

류 시 별도의 주제로 설정하였으나 관련 논문이 전혀 발견되지 않아 주

제 목록에서 제외했다 이것은 환경사회학적 관점에서 인구를 다루는 연

구자가 없음을 의미한다

lt표 3gt ECO 게재 논문의 주제(2001-2013년)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67

주 제논문 수

rsquo01 rsquo02 rsquo03 rsquo04 rsquo05 rsquo06 rsquo07 rsquo08 rsquo09 rsquo10 rsquo11 rsquo12 rsquo13 계

환경의식middot환경행동 1 2 1 1 2 3 2 2 14

환경정책 1 1 1 4 1 8

대규모 개발사업 3 4 4 1 1 1 1 2 2 19

사회영향평가 4 1 1 1 1 8

지속가능발전 1 3 1 5

환경정치 1 2 1 1 1 1 1 3 1 12

환경middot위험거버넌스 2 1 1 1 2 1 8

환경불평등middot환경정의 1 1 2 2 1 7

환경복원 4 1 5

환경농업middot식량middot식품 1 1 4 1 7

생태공동체 1 1 2

기타 2 2 1 2 3 2 1 1 1 15

계 9 19 16 15 11 12 13 16 13 11 13 14 5 167

위의 주제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1990년대

이래 한국 환경사회학 분야의 논문 주제는 점차 다양해져 왔다 1990년대

에는 lsquo환경의식middot환경행동rsquo lsquo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rsquo 등 몇 가지 주제에 관한

소수의 논문이 발표되었으나 2000년대에 들어와서는 편수의 증가와 함께

주제가 매우 다양해졌다 현재는 환경사회학의 주요 주제들의 대부분이

다루어지고 있다 둘째 특정의 1-2개 주제에 대한 쏠림 현상이 두드러지

지는 않지만 주제별로 논문의 편수는 큰 차이를 보인다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

난rsquo과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은 연구자의 관심을 가장 많이 끈 주제인 반면에

lsquo환경사상rsquo lsquo생태공동체rsquo lsquo에너지middot자원rsquo 등에 대한 관심은 매우 낮다 셋

째 특정 연구 주제의 상승이나 하락이 뚜렷이 나타나지는 않는다 비교적

많은 관심을 끈 6개의 주제를 다룬 논문들은 전 기간에 걸쳐 고르게 발표

되었다 다만 lsquo환경사회학 이론rsquo lsquo환경사회학 방법론rsquo lsquo환경사상rsquo lsquo환경

68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연도 춘middot추계 학술대회 주제 주제 유형

2001 창립기념동강댐 건설 문제의 사회문화적 조사연구

보고대규모 개발사업

추계 새만금 대규모 개발사업

복원rsquo 등을 다룬 논문이 최근에는 발표되지 않고 있고 반대로 lsquo에너지middot자

원rsquo에 관한 논문들은 최근에 와서 주로 발표되고 있기는 하지만 이들 주

제를 다룬 사례 수가 많지 않아 뚜렷한 경향을 발견하기는 어렵다

2) 정기학술대회의 주제

환경사회학회는 연 2회 춘middot추계 정기학술대회를 개최한다 학회 창립

이후 개최된 총 26회의 정기학술대회 중 주제가 확인되지 않은 2회를 제

외한 나머지 24회 학술대회의 주제는 lt표 4gt와 같다 정기학술대회에서

가장 자주 등장했던 주제는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5회)이었다 동강댐(2001년

창립기념세미나) 새만금간척사업(2001년 추계 2003년 추계) 4대강사업

(2010년 춘계) 등의 특정 개발 사례와 대규모개발사업 일반(2006년 춘계)

이 주제로 등장했다 두 번째로 자주 등장한 주제는 lsquo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rsquo

으로 2004년 추계 2005년 춘계 및 추계 2007년 춘계 등 4회였다 그 다

음으로 자주 등장한 주제는 lsquo환경정책rsquo(2006년 추계 2009년 추계 2012년

추계)과 lsquo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rsquo(2007년 추계 2010년 추계 2011년 춘계)로

각각 3회 나타났다 lsquo환경정책rsquo으로는 노무현 정부의 lsquo살기 좋은 지역 만

들기rsquo 정책과 이명박 정부의 환경정책 일반과 녹색성장정책이 다루어졌

다 이 밖에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rsquo(2008년 춘계 2009년 춘계) lsquo지속가능한

발전rsquo(2011년 추계 2012년 춘계) lsquo환경사상rsquo(2005년 추계 2013년 춘계)

등이 각각 2회씩 그리고 lsquo생태공동체rsquo(2002년 추계) lsquo환경불평등middot환경정

의rsquo(2004년 추계) lsquo환경정치rsquo(2006년 추계) lsquo환경농업middot식량middot식품rsquo(2008년

추계) 등이 각각 1회씩 등장했다

lt표 4gt 한국환경사회학회 정기학술대회의 주제(2001-2013년)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69

연도 춘middot추계 학술대회 주제 주제 유형

2002춘계 지역과 환경 기타

추계환경친화적 지역사회 개발과 새로운 공동체 운동

생태공동체

2003춘계 미확인 기타

추계 새만금 간척사업 대규모 개발사업

2004춘계 미확인 기타

추계 환경갈등과 환경정의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환경불평등middot환경정의

2005춘계

사회갈등과 주민참여 지역 및 환경갈등을 중심으로

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

추계 환경철학과 환경운동환경사상

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

2006춘계 대규모 개발사업과 환경정치

대규모 개발사업환경정치

추계 살기 좋은 지역 만들기의 이론과 전략 환경정책

2007춘계

대규모 개발사업을 둘러싼 환경갈등과 생태민주주의의 전망

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

추계 기후변화와 한국사회의 선택 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

2008춘계

환경재난의 지역사회 영향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를 중심으로

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

추계 먹을거리의 환경사회학 환경농업middot식량middot식품

2009춘계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의 사회적middot심리적 영향과 공동체 복원

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

추계환경사회학의 관점에서 본 lsquo저탄소 녹색성장rsquo 환경정책

2010춘계 4대강사업에 대한 환경사회학적 성찰 대규모 개발사업

추계 기후변화의 사회학 일상에서 지구촌까지 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

2011춘계

구제역을 통해서 본 지본주의시대의 환경과 생명

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

추계 환경적으로 지속가능한 동아시아를 위하여

지속가능한 발전

2012춘계 지속가능한 발전과 경상남도의 과제 지속가능한 발전

추계 이명박 정부의 환경정책 평가와 대안 환경정책

2013춘계 한국의 생태주의 사상과 역사 환경사상

추계한국 환경사회학의 보편성과 특수성 그리고 미래의 과제

환경사회학 이론

70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연도 주 제

2001 동강댐의 환경사회학(통권 1호)

2002 새만금간척사업의 환경사회학(통권 2호) 사회영향평가연구(통권 3호)

2003 청계천 복원의 사회학(통권 4호) 노무현정부의 환경정책 평가(통권 5호)

2004 부안핵폐기물처리장 문제의 환경사회학(통권 6호) 새만금간척사업의

환경사회학Ⅱ(통권 7호)

2005 한국 국가의 녹색화 연구(통권 8호) 환경정의 경험적 연구(통권 9호)

3) ECO 특집의 주제

ECO지는 매호 하나의 주제를 정하고 관련 논문을 특집으로 묶어 수록

하고 있다 ECO지의 특집 주제의 목록은 lt표 5gt 참조에 제시되어 있다

특집 주제로 가장 자주 설정된 것은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rsquo으로 그 횟수는 6

회이다 세부적으로 보면 방사성폐기물 원자력발전 등 원자력 문제(통권

6호 제10권 1호 제17권 1호)와 재난(제12권 1호 제13권 1호 제15권 1

호)이 각각 3회씩 다루어졌다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 유출사고는 두 번

이나 특집으로 다루어졌다 두 번째로 자주 다루어진 주제는 lsquo환경정책rsquo이었다 환경정책은 5회(통권 5호 통권 8호 제11권 1호 제13권 2호 제16

권 2호) 등장했는데 구체적으로는 노무현 정부의 환경정책 녹색국가 기

후변화 정책 이명박 정부의 녹색성장정책과 일반 환경정책이 다루어졌

다 세 번째로 자주 다루어진 주제는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으로 그 횟수는 4

회(통권 1호 통권 2호 통권 7호 제14권 1호)였다 동강댐 및 4대강 사업

이 1회씩 그리고 새만금간척사업이 2회 다루어졌다 이 밖에 lsquo사회적 영

향평가rsquo(통권 3호 제 10권 2호)와 lsquo환경의식middot환경행동rsquo(제14권 2호 제15

권 2호)이 각각 2회씩 다루어졌고 lsquo환경정의rsquo(통권 9호) lsquo환경복원rsquo(통권

4호) lsquo환경농업middot식량middot식품rsquo(제12권 2호) lsquo환경middot위험거버넌스rsquo(제16권 1

호) lsquo환경문제rsquo(제15권 2호) lsquo지속가능발전(제11권 2호)rsquo 등이 각각 1회씩

다루어졌다

lt표 5gt ECO 각호의 특집 주제(2001-2013년)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71

연도 주 제

2006 방사성폐기물 처분장과 민주주의(제10권 1호) 도시개발의 사회적 영향 은평뉴타운 사례(제10권 2호)

2007 기후변화정책의 국가간 비교연구(제11권 1호) 대안적 발전의 해외사례

연구(제11권 2호)

2008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 연구(제12권 1호) 지구화시대 세계

농식품체계의 환경사회학(제12권 2호)

2009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 연구Ⅱ(제13권 1호) 환경사회학적

관점에서 본 녹색성장(제13권 2호)

2010 4대강사업에 대한 환경사회학적 성찰(제14권 1호) 한국인의 환경 가치

지형(제14권 2호)

2011 환경사회학과 재난관리(제15권 1호) 환경문제와 환경의식(제15권 2호)

2012 위험 사회의 거버넌스(제16권 1호) 이명박 정부의 환경정책과

대안(제16권 2호)

2013 원자력발전과 시민사회 비교연구(제17권 1호)

4) 주요 단행본의 주제

환경사회학자들12)이 저술한 단행본13)은 비교적 다양한 주제를 다루고

있다 2000년대에 들어와서는 저술의 크게 수가 늘어나면서 1990년대에

비하여 주제의 다양성도 크게 증가하고 있다 1990년대에는 lsquo환경사회학

이론rsquo lsquo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rsquo lsquo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rsquo lsquo환경불평등middot환경정의rsquo

등 4개의 주제 영역에 국한되어 있었으나 2000년대에 들어와서는 lsquo대규

모 개발사업rsquo 등 6개 주제에 대한 저술들이 새로 출판되었다 lsquo원자력middot위

험middot재난rsquo에 관한 저술이 최근에 와서 늘어나고 있음이 주목된다

1990년대 이후의 전체 기간에서 가장 많은 단행본이 출판된 주제 영역

은 lsquo환경사회학 이론rsquo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rsquo lsquo환경운동middot

12) 사회학을 전공하지 않은 학자로서 한국환경사회학회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

는 사람은 환경사회학자에 포함시켰다 단행본 필자로는 구자건 문순홍 조명래 최병두 등이 이 경우에 속한다

13) 번역서는 여기에서 제외하였다 또한 다양한 분야의 학자들이 공동으로 저

술한 책 중에서 환경사회학자들의 기여가 크지 않은 저술도 제외하였다

72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환경갈등rsquo lsquo환경정치rsquo 등 5개이다 이들 5개 주제에 관한 저술은 총 25권

으로 전체 저술(46권)의 절반을 넘고 있다 이들 5개 주제 영역 다음으로

lsquo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rsquo(4권) lsquo지속가능한 발전rsquo(4권) lsquo환경불평등middot환경정

의rsquo(3권) 등의 주제 영역에 관한 저술이 많은 편이다

lt표 6gt 단행본의 주제(1990-2013년)

주 제 1990년대 2000-2009년 2010년 이후

환경사회학 이론문순홍(1992) 문순홍(1999) 조명래(2001) 한국환경사회학회(2013)

조명래(2013a)

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최병두(1993b)최병두(1995)

최병두(2003a)최병두(2003b)

대규모 개발사업

문순홍(2006c)박순열(2009)조명래(2006)

홍성태(2010)조명래(2013b)

사회영향평가 구자건(2008)

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 홍성태(2000)

노진철(2010)노진철 등(2010)김도균(2011)홍성태(2012)

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구도완(1996)이득연(1998)

문순홍(2001)구도완(2009) 한국환경사회학회(2013)

지속가능한 발전정대연(2004)문태훈 등(2008)

이시재 등(2010)정대연(2010)

환경불평등middot환경정의 최병두(1999a) 한상진(2006) 최병두(2010)

환경정치

문순홍(2006a)문순홍(2006b)이상헌(2003)

구도완 등(2013)서영표 등(2010)

환경사상 이상헌(2007)

교과서

노진철(2001)정대연(2002)한국환경사회학회(2005)

복합 주제 및 기타최병두(1993a)최병두(1999b)

양종회 등(2002)최병두(2002)홍성태(2006)조명래(2009)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73

2 연구 방법

ECO지의 창간호부터 2003년 6월에 발행한 제17권 1호까지에 게재된

167편의 논문(포럼 포함)에서 사용되고 있는 연구 방법을 9개의 유형으로

구분해 보면 lt표 7gt과 같다 연구 방법을 명시적으로 서술하지 않은 논문

이 적지 않고 복수의 연구 방법을 사용하는 논문이 많아 유형 구분이 쉽

지 않았으나 필자의 주관적 판단에 따라 모든 논문의 연구 방법을 9개의

범주에 배속시켰다

lt표 7gt ECO 게재 논문의 자료수집 방법

주 제논문 수

rsquo01 rsquo02 rsquo03 rsquo04 rsquo05 rsquo06 rsquo07 rsquo08 rsquo09 rsquo10 rsquo11 rsquo12 rsquo13 계

이론 연구 2 9 6 4 3 3 1 4 3 1 1 37(222)

설문조사 2 1 1 2 2 1 3 4 4 2 3 25(150)

문헌middot문서자료 3 3 1 7 4 6 1 5 2 3 3 2 40(240)

기존 자료 3 1 2 1 1 2 10(73)

면접middot심층면접 1 5 1 1 1 1 1 2 2 2 2 19(114)

내용middot담론분석 1 1 1 2 1 1 7(42)

사례 조사 1 2 2 4 1 3 2 4 1 20(120)

비교 연구 1 3 1 1 2 8(48)

시뮬레이션 1 1(06)

계 9 19 16 15 11 12 13 16 13 11 13 14 5 167(1000)

먼저 논문의 발표 시기에 따른 연구 방법의 차이는 드러나지 않는다

다만 이론 연구가 후기로 올수록 줄어드는 경향이 눈에 띌 따름이다

다음으로 연구 방법 간의 빈도 차이는 비교적 뚜렷하게 드러난다 문

헌middot문서자료(40편) 이론 연구(37편) 설문조사(25편) 사례 조사(20편) 면

접middot심층면접(19편) 등이 자주 사용되고 있는 반면에 기존 자료(10편) 비

교연구(8편) 내용middot담론분석(7편) 시뮬레이션(1편) 등은 상대적으로 적게

74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사용되고 있다 문헌middot문서자료 및 이론 연구가 1 2위를 차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환경사회학자들의 독자적인 자료 생산 노력이 활발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마지막으로 ECO 게재 논문과 「한국사회학」 게재 논문의 연구 방법을

비교해 보면 환경사회학의 연구 방법과 사회학 일반의 연구 방법 간에

상당한 차이가 있음이 발견된다 ECO 게재 논문에서는 문헌middot문서자료 이

론 연구 설문조사 등의 순서로 자주 사용된 반면에 「한국사회학」 게재

논문14)들에서는 설문조사(323) 기존 자료(228) 이론(186) 등이 각

각 1 2 3위를 차지하고 있어 중시하고 있는 연구 방법이 서로 다를 뿐만

아니라 ECO 게재 논문들에서 비교적 중시된 문헌middot문서자료(240) 사례

조사(120) 면접middot심층면접(114) 등은 「한국사회학」 게재 논문에서는

훨씬 낮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차이는 결국 환경사회

학자들이 일반 사회학자들과 비교했을 때 양적 자료를 덜 사용하고 질적

자료를 더 많이 사용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Ⅳ 한국 환경사회학의 특징

한국 환경사회학의 특징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환경사회학자 및 그들의

연구 활동의 다양한 측면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여기에서는 연구 주제

연구 방법 이론적 지향 학제적 연구 사회적 실천 등의 다섯 가지 측면에

서 한국 환경사회학의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14) 1964년부터 2006년까지 「한국사회학」에 게재된 논문의 연구 방법을 분석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형 이론설문

조사집계자료 문서자료 기존자료 인터뷰

기타 질적

자료전체

빈도 123 214 67 62 151 31 14 662 186 323 101 94 228 47 21 1000

출처 한국사회학회 2007 120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75

1 환경문제의 사회학

흔히 일본 환경사회학자들은 미국의 환경사회학을 lsquo환경에 대한 사회

학rsquo(sociology of the environment)이라고 특징지으면서 자신들의 환경사회

학을 lsquo환경문제의 사회학rsquo(sociology of environmental problems)이라고 말

한다 이것은 일본의 환경사회학은 구체적인 환경문제가 지역사회 주민

및 피해자의 생활과 지역사회에 미친 영향에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음

을 지적하는 말이다 이러한 일본 환경사회학의 특징은 한국 환경사회학

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이시재는 최근 발표한 ldquo한국 환경사회학의 회고와

전망rdquo에서 lsquo한국에서 환경사회학은 환경문제의 사회학으로 출발했다rsquo고

말하고 한국 환경사회학의 특징 중의 하나로 문제해결을 위한 연구를 들

고 있다(이시재 2013 34-35)

앞에서 우리는 한국 환경사회학의 연구 주제가 논문 특집 학술대회

단행본 등에 있어서 어떻게 나타나는가를 살펴보았다 다양한 연구 활동

중에서 환경사회학자들의 연구 주제 선택의 경향을 잘 보여주는 것은 사

례 수가 가장 많은 논문 발표일 것이다 ECO지 게재 논문을 기준으로 할

때 환경사회학자들은 기후변화를 포함한 환경문제보다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

난rsquo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 lsquo환경의식middot환경행동rsquo을 더 중요하게 다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lt표 3gt 참조) 그러나 가장 빈도가 높은 lsquo원자력middot위

험middot재난rsquo과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은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과 밀접하게 연관

되어 있다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rsquo은 독립적인 주제 영역으로 설정되기는 했

지만 결국 특수한 유형의 환경문제라고 할 수 있고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에

대한 관심은 개발 사업으로 인한 환경문제에 대한 우려에서 비롯되기 때

문이다 따라서 겉으로 드러난 주제 영역보다 주제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의식에 주목한다면 한국의 환경사회학은 lsquo환경문제의 사회학rsquo의 성

격을 강하게 지니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76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2 질적 자료의 활용

환경사회학이 미국에서 처음 형성되던 시기에 농촌사회학의 영향을 강

하게 받았다 농촌사회학의 영향 가운데 대표적인 것으로 경험적 조사 자

료를 중시하는 경향이다 이러한 환경사회학의 전통은 한국의 환경사회학

에서도 이어지고 있다 lt표 7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환경사회학 연구에서

이론 연구의 비중이 222로서 결코 낮다고 할 수는 없지만 다양한 유형

의 경험적 자료를 활용하는 연구의 비중이 이론 연구에 비해 훨씬 크다

경험적 연구 방법 중에서 환경사회학자들이 일반 사회학자들에 비하여

중시하는 자료는 사례 조사 면접 조사 등을 통해 얻는 질적 자료이다 일

반 사회학자들에 비하여 설문 조사 기존 자료 활용 집계 자료 등의 양적

자료의 활용은 떨어지는 데 반하여 사례조사나 면접을 통해 얻는 질적

자료는 더 많이 활용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연구 방법과 관련된 한국

환경사회학의 특징은 상대적으로 질적 자료를 많이 활동하고 있다는 데

있다

질적 자료의 활용이 활발한 것은 기본적으로 한국 환경사회학자들이

연구하는 대상의 특성 때문이다 동강댐 건설사업 새만금간척사업 4대강

사업 등의 대규모 개발사업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 사고 및 각종

개발사업과 관련된 지역 환경운동 및 환경갈등이 하나의 사례로 다루어

지고 또 이러한 사례 연구에서 심층면접이 자료 수집 방법으로 활용되는

경향이 있다

3 자유주의적 환경개혁론

환경사회학에는 생태학적 설명(ecological explanation) 대 정치경제학적

설명(political economy explanation) 성찰적 근대화론(reflexive modernization)

대 생태학적 근대화론(ecological modernization) 실재론(realism) 대 구성

주의(constructionism) 등의 주요 이론적 쟁점이 있지만(Hannigan 2006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77

16-52) 한국 환경사회학에서는 이러한 쟁점을 둘러싼 논쟁을 찾아보기

어렵다 또한 독자적인 이론을 구성하기 위한 노력도 찾아보기 어렵다 윤

순진이 지적한 바 있듯이 ldquo많은 연구들은 다른 학문분과에서 구축한 이

론을 환경 관련 쟁점과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동원하는 양상을rdquo 띠거나

(윤순진 2013 85) 해외 환경사회학계에서 확립된 이론을 연구의 자원으

로 활용하는 데 머무르고 있다

그러나 다른 학문분과나 해외 환경사회학에서 확립된 이론을 수용하여

자원으로 활용하는 경우에도 이론의 선택에는 연구자 자신의 이론적 지

향이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대부분의 연구에는 명시적이든 묵시적

이든 연구자 자신의 이론적 지향이 깔려 있다 그렇다면 한국 환경사회

학에서는 어떤 이론적 지향이 우세하고 그 변화의 방향은 어느 쪽인가

말할 필요도 없이 한국의 환경사회학에는 다양한 이론적 지향 즉 험프리

와 버텔이 말하는 보수적 자유주의적 및 급진적 패러다임(Humphrey and

Buttel 1982 19-21)이 공존하고 있다 보수적 패러다임은 환경의식 및 환

경행동 연구에서 가끔 나타나고 있지만 그 영향력은 미미하다 급진적 패

러다임은 원자력발전 위험 환경정의 대규모 개발사업(국책사업) 대안

적 공동체 생태민주주의 등에 관한 연구에서 중요한 관점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보수적 패러다임에 비해서는 그 영향력이 훨씬 크다 이 두 패러

다임에 비해 훨씬 큰 세력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 바로 국가 개혁과 정책

의 전환을 통해 환경 위기 극복의 길을 모색하는 자유주의적 환경개혁론

이다 자유주의적 환경개혁론은 녹색국가 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 환경정책

환경정치 환경middot위험거버넌스 지속가능한 발전 대규모 개발사업 등의 연

구에서 주로 나타나고 있다

4 다양한 전공의 관점 교류

ECO지 기고를 통해 환경사회학 연구에 참여하고 있는 연구자의 전공

은 매우 다양하다 아마도 사회학 내의 다른 어떤 세부분야에 비해서도

78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다양할 것이다 윤순진의 ECO지 게재 글15)의 저자 분석에 따르면 총 24

개 분야의 학문적 배경을 가진 연구자들이 참여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보

면 사회학 인류학 행정학 경제학 정치학 사회복지학 심리학 지리학

지리교육학 도시 및 지역 관련학과 환경middot에너지정책학과 정치생태학 등

의 사회과학 전공자 철학 한국학 등 인문학 전공자 생태학middot생태곤충학

생물학 지질학 환경보건학 과학기술사학 과학관리학 생명공학 등의 자

연과학 전공자 토목공학 등 공학 전공자 등이 ECO에 글을 싣고 있다 물

론 전공별로 참여 저자의 수는 크게 다르다 사회학 전공자가 37명으로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도시 및 지역 관련 분야 전공자(18명) 인류학 전

공자(8명) 행정학 전공자(6명) 등의 순서로 많다(윤순진 2013 80-81)

ECO지 게재 논문 중 공저 논문의 경우 전공이 서로 다른 연구자가 공

동 저자로 참여한 경우는 많지 않으며 ldquo거의 대부분이 동일학과 소속 교

수와 학생 간의 공저이거나 동일 전공 동료 및 선후배 간 공저로 나타났

다(윤순진 2013 83)rdquo 이런 점에서 볼 때 환경사회학 연구가 실질적인 학

제적 연구의 형태가 띠는 것은 아니라고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적어도 학

회 활동과 학회지를 통해서 다양한 전공 간의 관점 공유와 교류는 활발하

게 이루어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5 연구자와 운동가의 소통

한국 환경사회학의 두드러진 특징 중의 하나는 환경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연구자들이 많다는 점이다 환경사회학자 중에는 연구자이면서

환경단체 전국 조직의 대표(이시재 이상헌 윤순진 이필렬 조명래) 지

역 환경단체의 대표(박재묵 노진철 최병두) 환경단체의 임원(구도완) 등

을 현재 맡고 있거나 과거에 역임한 사람들이 많다 위에서 거론된 연구

자보다 훨씬 더 많은 환경사회학자들이 지역 환경단체 등에 임원으로 참

15) 논문 이외의 서평 등의 글도 포함하고 있다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79

여하고 있다 이와는 반대로 환경단체의 상근 운동가로서 환경사회학회

회원으로 참여하고 논문을 발표하는 경우(이승민 안병옥 최예용 김정

수)도 있다

환경사회학자 연구자의 환경운동 참여와 운동가의 연구 참여가 활발하

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은 환경사회학의 특성과 연관되어 있는 현상이다

환경사회학은 기본적으로 환경문제의 근원 환경문제의 영향 및 환경문제

의 해결16)에 관심을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한국의 환경사회학은 특히

lsquo환경문제의 사회학rsquo의 성격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Ⅴ 환경사회학의 전망과 과제

지난 20년 동안 한국 환경사회학은 제도화의 과정을 거쳐 왔다 이 기

간 동안에 환경사회학은 많은 학과에서 정규 교과목으로 받아들여졌고

독립된 연구 영역으로 인정받게 되었다 또한 이 분야 연구자들이 독자적

인 학회를 조직하고 학회가 학술지를 발간함에 따라 연구 활동의 기반이

갖추어졌다 이로써 한국 환경사회학의 제도화가 대체로 완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지난 20년의 기간은 환경사회학의 기반 구축기인 동시에 성장기였다

성장의 속도는 느렸지만 연구자의 수도 증가해 왔고 이에 따라 학문적

성과도 축적되어 왔다 특히 환경사회학자들이 관심을 집중시켰던 원자

력middot위험middot재난 대규모 개발사업 환경운동 등의 영역에서는 의미 있는 성

과가 있었다 최근에 와서 환경사회학은 안정기에 들어가고 있다 ldquo젊은

층의 충원이 지지부진rdquo하고 대학원에서 환경사회학을 전공하려고 하는

학생도 줄어들고 있다(이시재 2013 37) 사회학계 전반에 걸친 침체 분위

16) Riley E Dunlap과 Brent K Marshall은 환경사회학의 최근 연구 초점으로

환경문제의 근원 환경문제의 영향 환경문제의 해결 방안 등 세 가지를 들

었다(Dunlap and Marshall 2007 335-339)

80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기가 일정 부분 환경사회학에도 미치고 있다 미국에서 환경사회학이

1980년대 초에 겪었던 퇴조 분위기가 한국에서도 나타나고 있는 것 같다

그러나 이러한 환경사회학의 침체 분위기가 장기적으로 지속되지는 않

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렇게 전망하는 근거는 두 가지이다 그 하나는 환

경사회학의 태동을 가져왔던 환경문제가 상존하기 때문이다 또한 기후변

화와 같은 환경문제는 향후에도 장기간 지속될 것이 분명하고 유독성 화

학물질과 같은 새로운 환경문제도 부상하고 있다 한 마디로 환경문제가

근본적으로 해결되지 않는 한 환경사회학은 존속하게 될 것이다 둘째로

현재의 침체 분위기는 일정기간의 성장 뒤에 오는 바닥 다지기의 의미가

크다 따라서 장기적으로 보면 환경사회학은 향후에도 안정적 성장을 지

속할 가능성이 크다

어떤 점에서 환경사회학의 미래는 일정 부분 환경사회학자들이 그들에

게 주어진 사명을 어떻게 수행하느냐에 달려 있기도 하다 2005년 필자가

환경사회학회가 펴낸 「우리 눈으로 보는 환경사회학」의 제1장을 쓰면서

환경사회학자의 사명으로 사회의 녹색화와 사회학의 녹색화를 설정한 바

있다 전자는 인간면제주의 패러다임의 지배를 받고 있는 주류 사회학에

인간 생존의 물리적middot생물적 기반을 고려하는 관점을 제공하는 것이고 후

자는 환경오염과 파괴의 원인 그 영향 및 해결 방안을 사회학적으로 설

명하고 제시하는 것이다 특히 후자의 사명을 환경사회학자들이 얼마나

그리고 어떻게 성취하느냐가 환경사회학의 미래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

다 학제적 연구의 정착과 현장 중심의 연구 강화는 환경사회학이 후자의

사명을 수행하기 위해 해결해야 할 당면 과제이다

2014년 6월 16일 접수

2014년 6월 27일 수정 완료

2014년 6월 29일 게재 확정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81

참고문헌

구도완 1995 ldquo한국의 새로운 환경운동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29(2) 347-371

1996 985172한국 환경운동의 사회학985173 문학과지성사

2009 985172마을에서 세상을 바꾸는 사람들 생태적 대안운동을 찾아

서985173 창비사

구도완 등 2013 985172녹색당과 녹색정치985173 아르케

구자건 2008 985172환경갈등과 사회영향평가 방법985173 연세대출판부

김도균 2011 985172환경재난과 지역사회의 변화 허베이스피리트호 기름유출

사고의 사회재난985173 한울아카데미

김두식 1995 ldquo환경문제와 환경보호에 대한 시민들의 태도 조사연구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29(1) 33-67

노진철 2001 985172환경과 사회985173 한울

2010 985172불확실성 시대의 위험사회학985173 한울아카데미

노진철 등 2010 985172태안은 살아 있다 기름 유출 사고 이후 3년 다시 쓰

는 태안 리포트985173 동녘

문순홍 1992 985172생태위기와 녹색의 대안985173 나라사랑

1999 985172생태학의 담론985173 아르케

2001 985172한국의 여성환경운동985173 아르케

2006a 985172정치생태학과 녹색국가985173 아르케

2006b 985172녹색국가의 탐색985173 아르케

2006c 985172개발국가의 녹색성찰985173 아르케

문태훈 등 2008 985172지속가능한 사회 이야기985173 법문사

박순열 2009 985172불만의 새만금985173 한국학술정보

박재묵 1991 ldquo환경문제에 대한 사회학적 이해rdquo pp 71-83 한국사회학회

(편) 985172현대 한국 사회문제의 진단과 처방985173(특별심포지움 논문집)

서영표영국적록연구그룹 2010 985172사회주의 녹색을 만나다985173 한울아카데미

양종회 1993 ldquo우리나라 국민들의 환경문제에 대한 의식의 변화 및 사회

82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적 기반rdquo 985172한국사회학회985173 26(4) 89-120

양종회 등 2002 985172아시아 태평양지역의 환경문제 환경운동 및 환경정책985173 서울대출판부

윤순진 2013 ldquo《ECO》분석을 통해 본 한국 환경사회학 연구의 흐름rdquo

pp 67-98 한국환경사회학회(편) 985172환경사회학 이론과 환경문제985173 한울아카데미

이득연 1998 985172환경운동의 사회학985173 민영사

이상헌 2003 985172물 세상을 움직이는 물의 정치와 정치 생태학985173 이매진

2011 985172생태주의985173 책세상

이시재 1994 ldquo환경사회학rdquo 한국사회학회(편) 98517221세기의 한국 사회학985173 문학과지성사

2013 ldquo한국 환경사회학의 회고와 전망rdquo pp 67-98 한국환경사회

학회(편) 985172환경사회학 이론과 환경문제985173 한울아카데미

이시재 등 2010 985172생태사회적 발전의 현장과 이론985173 아르케

정대연 2002 985172환경사회학985173 아카넷

2004 985172환경주의와 지속가능한 발전985173 집문당

2010 985172한국 지속가능발전의 구조와 변동985173 집문당

조명래 2001 985172녹색사회의 탐색985173 한울

2006 985172개발정치와 녹색진보985173 환경과 생명

2009 985172지구화 되돌아보기와 넘어서기 공간환경의 모순과 극복985173 환경과 생명

2013a 985172공간으로 사회읽기 개념 쟁점과 대안985173 한울아카데미

2013b 985172녹색토건주의와 환경위기985173 한울아카데미

조명래 등 2005 985172신개발주의를 멈춰라985173 환경과 생명

최병두 1993a 985172한국의 공간과 환경985173 한길사

1993b 985172현대 환경문제의 재인식985173 한울

1995 985172환경사회이론과 국제환경문제985173 한울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83

1999a 985172환경갈등과 불평등985173 한울

1999b 985172녹색사회를 위한 비평985173 한울

2002 985172녹색전망985173 도요새

2003a 985172도시속의 환경 열두 달(봄 여름)985173 한울

2003b 985172도시속의 환경 열두 달(가을 겨울)985173 한울

2010 985172비판적 생태학과 환경정의985173 한울아카데미

한국사회학회 2007 985172한국사회학회 50년사 1957-2007985173 한학문학

한국환경사회학회 2005 985172우리 눈으로 보는 환경사회학985173 창비사

2013a 985172환경사회학이론과 환경문제985173 한울

2013b 985172환경운동과 생활세계985173 한울

한상진 2006 985172환경정의의 사회학985173 UUP

험프리버틀(Craig Humphrey and Frederick R Buttel) 1995 985172환경사회학985173 양종회이시재 역 사회비평사

홍성태 2000 985172대한민국 위험사회985173 당대

2006 985172한국의 근대화와 물985173 한울아카데미

2010 985172생명의 강을 위하여 생태사회학자 홍성태 교수의 4대강

지키기 제안985173 중원문화

2012 985172개발과 파괴의 사회학 위험 사회를 넘어서985173 중원문화

Buttel Frederick H and Craig R Humphrey 2002 Sociological Theory

and the Natural Environment pp 33ndash69 in Riley E Dunlap and

William Michelson(eds) Handbook of Environmental Sociology

Westport CT Greenwood Press

Catton William R Jr and Riley Dunlap 1978 Environmental Sociology

A New Paradigm The American Sociologist 13 41-49

Dunlap Riley E and Brent K Marshall 2007 Environmental Sociology

pp 329-340 in Clifton D Bryant and Dennis L Peck(eds) 21st

Century Sociology A Reference Handbook Thousand Oaks CA

84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Sage Publications

Hannigan John 2006 Environmental Sociology(second edition)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Harper Charles 2004 Environment and Society Human Perspectives on

Environmental Issues Upper Saddle River New Jersey Pearson

Education Inc

Humphrey Craig R and Frederick H Buttel 1982 Environment Energy

and Society Belmont California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International Sociological Association(RC24) Korean Sociological

Association and Korean Association for Environmental Sociology

2004 Globalization Localization and Environment (Proceedings for

2004 ISA RC24 Conference in Seoul)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85

The Research Trend and Prospect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Park Jae-mookProf Dept of Sociology Chungnam Univ

Abstract

The aims of this paper are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and to anticipate its future developments As a groundwork for these works we briefly examined the institutionalization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Here we considered the organizing process of environmental sociologists association and the incorporation of the course of environmental sociology into the regular curricula Nextly we examined research trends of environmental sociology and tried to draw common characteristics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The most frequently dealt subjects in ECO a representative journal in this field have been nuclear power risk and disaster large-scale development projects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nd behaviour environmental problems and climate changes And distinguished characteristics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have been found to be focus on environmental problems dependence on qualitative methodology emphasis on environmental reforms of liberal tradition exchange of perspectives among researchers from various fields communications between researchers and activists Lastly it was suggested that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ist should develop interdisciplinary research and field research

Key Words Environmental Sociology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Institutionalization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Korean Association for Environmental Sociology ECO

Page 2: 환경과 사회 연구의 동향과 전망isrku.org/adm/data/1351080157_fEMV3OxI_02-EBB095EC9... · 2014-07-06 ·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 pp.55-85 ‘환경과 사회’

56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르크스 등의 고전사회학이나 1920-30년대의 시카고학파의 인간생태학에

서 찾을 수 있지만 환경사회학이 하나의 독립된 연구 분야로 확립된 것

은 이 분야 연구가 가장 일찍 시작된 미국에서조차도 1960년대 후반 이후

의 일이기 때문이다 1960년대 후반 미국 농촌사회학회(Rural Sociological

Society) 안에서 결성된 자연자원 연구 집단(Natural Resources Research

Group)이 환경사회학 분야에서 가장 먼저 출현한 연구자 조직이었고

1973년에 결성된 사회문제연구학회(Society for the Study of Social

Problems) 내의 환경문제분과(Environmental Problems Division)가 바로 그

뒤를 이었다(Catton and Dunlap 1978 41) 비슷한 시기에 환경사회학

(environmental sociology)이라는 용어도 사용되기 시작했다1) 이러한 과정

을 거쳐 1976년에 이르러 비로소 미국사회학회 내에 환경사회학 분과2)가

조직되었다

미국에서 1960년대 후반부터 약 10년간에 걸쳐 환경사회학이 형성되기

시작한 데는 다양한 요인들이 영향을 미쳤지만 가장 직접적인 요인으로

두 가지를 들 수 있다 그 하나는 이 시기에 집중적으로 출판된 환경위기

의 심각성을 경고한 환경 저술들이다 당시 사회학자들에게 영향을 준 대

표적인 과학적 저술로 카슨(Carson 1962) 코모너(Commoner 1971) 얼리

히 부부(Ehrlich and Ehrlich 1970) 하딘(Hardin 1968) 등이다(Catton and

Dunlap 1979 468) 다른 하나의 요인은 위의 환경 저술과 주요 환경 사고

의 영향을 받아 새롭게 출현한 lsquo근대적rsquo 환경운동이다 종래의 자연보전운

동과는 달리 산업적middot화학적 오염을 주된 쟁점으로 하여 1960년대 이후 등

장한 lsquo근대적rsquo 환경운동의 급속한 확산은 환경문제는 물론 환경운동 자체

에 대한 사회학자들의 관심을 촉발시켰다 말할 필요도 없이 이러한 지

1) 해니건(John Hannigan)에 따르면 환경사회학(environmental sociology)이라는

용어를 처음으로 명시적으로 사용한 사회학자는 사뮤엘 클라우스너(Samuel Klausner)이다 그는 자신의 1971년 저술 On Man in his Environment에서 이

용어를 사용했다(Hannigan 2006 10)2) 현재는 환경과 기술 분과(environment and technology section)라는 명칭을 사

용하고 있다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57

적middot사회적 분위기의 형성에는 산업적middot화학적 오염을 비롯한 환경문제 자

체가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결국 환경 위기와 그에 따른 사회 전반에 걸

친 환경주의의 확산이 환경사회학 등장의 배경이 되었다

오늘날 환경문제는 지구인 전체의 가장 중요한 관심사가 되었다 이러

한 관심의 확산에는 개별 국가가 당면하고 있는 국지적 환경문제와 함께

기후변화와 같은 지구환경문제가 크게 기여해 왔다 이에 따라 이제 환경

사회학은 많은 나라에서 사회학의 주요 연구 분야로 확립되어 있고 국제

학회의 주요 연구 주제가 되었다 국제사회학회(ISA)에서는 1971년 이래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위원회가 전체 55개 연구위원회 중의 하나(RC24)로 자

리 잡고 있다 개별 국가 중에서 환경사회학이 발전된 국가로 국제적으로

알려진 나라로는 북미의 미국 및 캐나다 유럽의 독일 및 네덜란드 호주

일본 등이 있다

한국에서 환경사회학의 교육과 연구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시기는 1990

년대이다 환경사회학의 제도화 과정과 현황에 대해서는 뒤에서 논의하겠

지만 대체로 1990년 이후 약 20년 동안에 교육과 연구를 위한 제도적 기

반이 갖추어졌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한국 환경사회학은

국제 사회에서 비교적 잘 알려져 있는 편이다3) 한국의 환경사회학이 국

제적으로 알려지게 된 계기로는 1993년 한국사회학회가 개최한 lsquo환경과

발전rsquo에 관한 국제학술대회 개최 2004년 국제사회학회 RC24의 국내 개

최 일본 중국 대만 등 인근 학자들과의 교류 및 동아시아 국제 환경사회

학 학술회의 참가 및 개최 등을 들 수 있다

이 논문은 한국 환경사회학 분야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이러한 고찰

을 토대로 향후의 전개 방향을 예측해 보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

해 제2장에서는 그 기초 작업으로서 한국 환경사회학의 제도적 확립 과정

을 고찰하고자 한다 여기에서는 연구자 단체의 조직화와 환경사회학 및

3) 해니건은 그의 Environmental Sociology A Constructionist Perspective에서 미

국 바깥에서의 환경사회학의 제도화를 논하면서 유럽 일본 및 한국의 사례

를 든 바 있다(Hannigan 2006 11-12)

58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그 관련 과목의 정규 교육과정 진입을 주로 다루게 된다 제3장에서는 한

국 환경사회학자들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그 특징을 도출해 보고자 한

다 이를 위해 단행본과 함께 한국환경사회학회의 학술지 「환경사회학연

구」(ECO)에 게재된 논문의 주제를 분석하게 된다 제4장에서는 제3장의

분석을 토대로 한국 환경사회학의 미래 전개 방향을 전망하고 그 과제를

도출해 보고자 한다

Ⅱ 환경사회학의 제도화 과정과 현황

1960년대 이후 급속하게 추진된 공업화로 인해 이미 1970년대부터 여

천 울산 등 공단지역에서 대기오염 피해가 나타나기 시작했고 1982년에

는 우리나라 최초의 공해병으로 기록된 lsquo온산병rsquo이 발생하였다 급속한 도

시화에 따라 악화된 하천 수질 또한 환경 우려를 자아내기에 충분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1980년대 초부터 lsquo반공해rsquo 운동단체들이 조직되기 시작

했고 1989년에는 우리나라 최초의 대중적 환경운동단체라 할 수 있는 공

해추방운동연합이 출현했다 이처럼 lsquo공해문제rsquo로 표현된 당시의 환경 악

화 및 파괴 그리고 그에 따른 환경문제에 대한 우려의 확산이 환경사회학

의 출현의 배경이 되었다

1 환경사회학의 정규 교과목 편입

사회학자들이 환경사회학을 정규 교과목으로 가르치기 시작한 것은

1990년부터이다 지금까지 알려진 우리나라 최초의 환경사회학 강의는

1990년 2학기에 서강대 대학원에서 최재현에 의해 가르쳐졌다 서강대

서울대 연세대 이화여대 대학원생 15명 정도가 참여한 이 강의의 명칭은

lsquo환경의 사회학rsquo이었고 강의의 내용은 환경이론서 읽기와 공해현장 답사

및 실태조사로 구성되어 있었다4) 학부과정에서는 이시재가 1993년 1학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59

대학 학과명 학부 교과목

가톨릭대학교 사회학전공 환경사회학

강원대학교 사회학과 -경남대학교 사회학과 환경사회학

경북대학교 사회학과 환경사회학실습

경상대학교 사회학과 환경사회학1)경희대학교 사회학과 환경사회학

계명대학교 사회학과 환경사회학

고려대학교(서울) 사회학과 환경사회학

고려대학교(세종) 사회학과 환경사회학

국민대학교 사회학과 -대구가톨릭대학교 사회학과 환경과 지역사회

대구대학교 사회학과 환경사회학

덕성여대학교 사회학전공 환경사회학

동국대학교 사회학전공 -동아대학교 사회학과 환경사회학

부산대학교 사회학과 환경과 생태의 사회학

서강대학교 사회학전공 환경사회학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환경과 생태의 사회학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사회학과 환경과 도시

성공회대학교 사회과학부 -성균관대학교 사회학과 -아주대학교 사회학전공 환경사회학

기부터 성심여자대학교(현 가톨릭대학교) 사회학과에서 환경사회학을 강

의하기 시작했는데 이것이 학부에서 이루어진 최초의 강의였다(이시재

1994 164)5)

lt표 1gt 환경사회학 및 관련 과목의 개설 현황(2013년)

4) 1990년 9월 21일자 한겨레신문 기사를 참조하였다5) 이시재는 최근에 발표한 ldquo나의 환경사회학 회고rdquo에서 환경사회학 과목을

1992년에 개설하였다고 밝히고 있다 (이시재 2013 50) 따라서 과목의 개설

시기는 1992년이고 실제로 강의한 해는 1993년인 것으로 해석된다

60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대학 학과명 학부 교과목

연세대학교 사회학과 환경과 사회

영남대학교 사회학과 환경과 사회

울산대학교 사회middot복지학전공 에너지와 생태사회

이화여자대학교 사회학전공 환경사회학

전남대학교 사회학과 환경사회학

전북대학교 사회학과 환경과 발전

제주대학교 사회학과 환경사회학

중앙대학교 사회학과 환경사회학

창원대학교 사회학과 환경사회학

청주대학교 사회학과 환경사회학

충남대학교 사회학과 환경사회학

충북대학교 사회학과 환경사회학

한림대학교 사회학과 인구와 환경

한신대학교 사회학과 -한양대학교(서울) 사회학전공 -한양대학교(안산) 정보사회학과 환경사회학

한일장신대학교 사회경제학전공 -주 1)예비과목으로 설강되고 있음

이때부터 환경사회학 강의가 다른 대학에서도 개설되기 시작했으나

1994년까지만 해도 전국에서 환경사회학을 개설하는 대학은 소수였다 학

부에서 개설하고 있었던 대학은 성심여대(현 가톨릭대학교 성심교정)와

충북대뿐이었고 대학원에서 환경사회학 및 관련 과목을 개설한 학교로는

성균관대 성심여대 충남대 등이 있었다 반면에 학부 과정과 대학원 과

정에 인간생태학(론) 또는 사회생태학이라는 명칭의 교과목을 개설한 학

교가 7개교 있었는데(이시재 1994 164-5) 이들 교과목은 그 내용의 측면

에서 볼 때 오늘날의 환경사회학과는 다소 거리가 있다

그 후 환경사회학 강의는 점차 확대되어 2013년 현재 전국의 39개 대학

사회학과 및 연관학과의 약 80인 31개 학과에서 환경사회학 관련 과목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61

을 개설하고 있다(lt표 1gt 참조) 강좌의 명칭으로는 대체로 lsquo환경사회학rsquo

을 사용하고 있지만 지역사회 도시 발전 인구 등을 환경과 연관시키고

있는 강좌들이 일부 있고 부산대 서울대 울산대 등에서는 lsquo생태rsquo를 강조

하는 강좌 명칭을 사용하고 있는 점이 눈에 띈다

환경사회학의 정규 교과목 진입으로 교재의 개발이 뒤따랐다 우리말

로 쓰여진 최초의 교재는 학부에서 강의가 처음 이루어진 때로부터 2년

뒤에 출판되었다 최초의 우리말 교재는 양종회와 이시재가 험프리(Craig

Humphrey)와 버텔(Frederick R Buttel)의 Environment Energy and Society

(1982)를 번역한 「환경사회학」(1995)이었다 국내 학자가 쓴 교재들은

2000년대에 들어 와서 비로소 출판되기 시작했다 대표적인 교재로는 노

진철의 「환경과 사회」(2001) 정대연의 「환경사회학」(2002) 한국환경사회

학회 소속 연구자 11인이 공동으로 집필한 「우리 눈으로 보는 환경사회학

」(2005) 등이 있다 다수 환경사회학회 회원이 참여한 교재 공동 집필은

환경사회학의 범위와 주요 내용을 표준화하는 데 기여했다는 의미를 갖

는다

2 연구 영역 확립과 독립 학회의 조직

lsquo환경rsquo이 사회학계에서 하나의 연구영역으로 확립되기 시작한 시기는

1990년대 초반이다 사회학대회에서 lsquo환경rsquo이 분과로 처음 등장한 시기는

사회학회가 분과확장기에 들어가기 시작한 1991년이다 1991년 6월 28일

충남대학교에서 개최된 전기 사회학대회는 12개의 분과로 조직되었는데

그 중 제11분과의 명칭이 lsquo집중토론2-자연과 환경문제rsquo였다(한국사회학

회 2007 204) 여기에서는 4명의 발표가 있었고 주요 주제는 안면도방사

성폐기물처분장 입지 결정을 둘러싼 갈등이었다 1991년 12월 12-13일 중

앙대학교에서 열린 후기 사회학대회에서는 공식적으로 lsquo환경과 공해 분

과rsquo가 조직되었다 이 분과에서는 생활쓰레기 처리가 공동 주제였다

사회학대회의 환경사회학 분과는 1990년대 초반까지는 환경사회학 연

62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구자들의 유일한 발표의 장이었고 그 후 환경사회학자들이 독자적 연구

회 및 학회를 조직한 후에도 이 분야 학자들에게 중요한 소통의 장이었다

1991년부터 2006년까지 환경사회학 분과가 조직된 사회학대회는 1991년

전기 및 후기 1994년 전기 1995년 후기 1996년 전기 1998년 전기 1998

년 후기 1999년 전기 2000년 전기와 후기 2003년 후기 2004년 전기

2006년 전기 및 후기 등이다 그리고 이들 분과에서 발표된 논문의 수는

55개에 이른다(한국사회학회 2007 207-208)

환경문제의 사회적 관련에 관심을 가진 연구자들이 점차 늘어나면서

독자적 연구자 모임이 만들어지기 시작했는데 최초의 환경사회학 연구자

모임은 1995년 6월 23일에 결성된 한국환경사회학연구회(회장 권태환)였

다 이 연구회는 규모가 작고 규약조차 없는 느슨한 조직이었지만 회원들

의 참여 의욕이 높아 그 활동은 매우 활발했다 주요 활동으로는 한국사

회학회가 개최한 춘middot추계사회학대회에서의 환경사회학 분과 조직 및 논

문 발표 춘middot추계의 정기적 워크샵 개최 및 환경현장 답사6) 등을 들 수 있

다(한국환경사회학회 2005 40)

이 연구회 모임을 기반으로 하여 한국환경사회학회(초대 회장 이시재)

가 2000년 6월 3일에 창립되었다 창립 기념 세미나의 주제는 당시 주요

사회적 쟁점 중의 하나였던 동강댐(영월댐)이었고 4편의 논문이 발표되

었다 현재 환경사회학회에는 약 150명의 연구자들이 회원으로 참여하고

있다 회원의 대다수는 사회학자들이지만 정치학자 경제학자 인류학자

등 다양한 사회과학분야 연구자들도 참여하고 있고 소수이기는 하지만

자연과학 및 공학을 전공한 연구자들도 참여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환경

사회학회는 학제적 성격을 지닌 학회라고 할 수 있고 사회학회의 lsquo분과

6) 환경현장 답사는 환경사회학연구회의 특징적인 활동이었다 연구회 창립 이

후 2000년 한국환경사회학회로 재창립되기까지 방문한 현장은 광주광역시

광산구 음식물사료화연구시설(1996년 6월) 대구 금호강유역 오염 현장(1997년 6월) 울산 온산공단(1997년 10월) 서산 천수만간척지 및 태안 안면도

(1998년 5월) 창녕 우포늪 및 주남저수지(1998년 11월) 영월 동강(1999년 4월) 부안 새만금간척지구(2000년 3월) 등이었다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63

학회rsquo의 성격보다는 lsquo연관 학회rsquo의 성격을 더 강하게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환경사회학회는 과거 연구회 시절에 수행했던 활동 즉 춘middot추계사회학

대회에서의 분과 활동 춘middot추계의 독자적 학술회의 개최 환경현장 답사

등을 대체로 유지하면서 이에 추가하여 공동 저술 사업 국제학술회의 개

최 학술잡지 「환경사회학연구」(ECO) 발행 등의 활동을 전개해 왔다 환

경사회학회가 기획하여 펴낸 공동 저술로는 교재 성격을 갖는 「우리 눈으

로 보는 환경사회학」(2005)과 lsquo한국 환경사회학 시리즈rsquo의 1 2권으로 펴

낸 「환경사회학 이론과 환경문제」(2013) 및 「환경운동과 생활세계」(2013)

가 있다 환경사회학회가 개최한 주요 국제학술회의로는 2004년 국제사회

학회(ISA) RC24회의와 2011년 제3차 동아시아 환경사회학 국제학술회의

(The 3rd International Symposium on Environmental Sociology in East

Asia)가 있다 반년간(半年刊) 학술지 「환경사회학연구」(ECO)의 발행

(2001년 이후)은 환경사회학회의 가장 중요한 사업이다

Ⅲ 한국 환경사회학의 연구 동향

1 연구 주제

환경사회학의 연구 주제를 파악하기 위해 한국사회학회의 「한국사회학」

및 환경사회학회의 ECO에 게재된 논문7) 환경사회학회의의 학술대회 주

7) 환경사회학 분야의 논문들은 「한국사회학」 및 ECO지 외에 「농촌사회」 「경제와 사회」 등의 다른 학술지에도 게재되고 있지만 이들 학술지에 실린 환

경사회학 관련 논문의 편수가 많지 않음을 고려하여 이들 논문들은 분석 대

상에 포함되지 않았다 분석 대상을 「한국사회학」 및 ECO에 수록된 논문으

로 한정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은 환경농업middot식량middot식품을 다룬 환

경사회학자들의 논문이 체계적으로 배제될 수 있다는 점이다 이 주제를 다

룬 논문의 상당수가 「농촌사회」에 투고되기 때문이다

64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제 사회학자들의 환경사회학적 저서 주제 등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 중에

서 가장 중요한 분석 대상은 「한국사회학」 및 ECO지에 게재된 논문이다

「한국사회학」에 게재된 환경사회학 분야 논문의 편수는 9편에 지나지 않

으나 ECO 창간 이전의 연구 동향을 보여준다는 점을 고려하여 분석 대상

에 포함하였다 ECO는 환경사회학 분야의 대표적 전문 학술지라는 점을

고려하여 창간호(2001년)에서부터 제17권 1호(2013년 상반기)까지에 수록

된 167개의 논문(lsquo포럼rsquo으로 분류된 것까지 포함)의 주제를 분석하였다

연구 주제는 lt표 2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타를 포함해서 총 19개로 구분

하였다

1) 「한국사회학」 및 ECO 게재 논문의 주제

「한국사회학」에 게재된 논문은 총 9편으로 소수이고8) 그 주제 또한

lt표 2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양하지 않다 ECO 창간(2001년) 이전 즉

2000년 이전에는 환경사회학 분야 논문이 주로 「한국사회학」에 게재되었

기 때문에 이 시기에 발표된 논문의 주제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 시기

에 발표된 논문의 주제는 lsquo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rsquo lsquo환경의식middot환경행동rsquo lsquo환

경정책middot환경행정rsquo 및 lsquo지속가능한 발전rsquo이다 lt표 2gt에서 알 수 있는 것은

환경사회학 분야 연구가 시작되던 1990년대 초반에는 lsquo환경의식middot환경행

동rsquo 및 lsquo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rsquo이 주요 주제였다는 사실이다 「한국사회학」에

개재된 최초의 환경사회학 분야 논문은 양종회의 ldquo우리나라 국민들의 환

경문제에 대한 의식의 변화 및 사회적 기반rdquo(1993)이었다9) 그 뒤를 이어

8) 「한국사회학」에 게재된 논문의 주제별 분석 자료에 따르면 환경을 주제로

한 논문은 1964년부터 2006년 사이에 게재된 전체 논문의 14 수준이다

(한국사회학회 2007 110) 이처럼 「한국사회학」에 실린 환경사회학 분야

논문이 적은 이유는 이 분야 연구자들이 보다 전문화된 ECO지 게재를 선

호하기 때문이다 9) 「한국사회학」에 게재되지는 않았지만 이보다 먼저 발표된 논문으로는 필자

의 ldquo환경문제에 대한 사회학적 이해rdquo(1991)가 있다 이 논문은 1991년 5월

한국사회학회가 주최한 특별심포지움에서 발표되었다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65

서 환경의식에 관한 김두식의 논문(1995)과 환경운동을 다룬 구도완

(1995)의 논문이 발표되었다

lt표 2gt 「한국사회학」 게재 논문의 주제(1991-2013)

주 제10)논문 편수

rsquo91-rsquo95 rsquo96-rsquo00 rsquo01-rsquo05 rsquo06-rsquo10 rsquo11이후 계

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 1 1

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 1 1

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 1 1

환경의식middot환경행동 2 2

환경정책middot환경행정 2 2

지속가능한 발전 1 1

환경middot위험거버넌스 1 1

계 3 3 1 1 1 9

다음으로 ECO에 게재된 총 167편의 주제를 살펴보겠다 19개로 분류

된 전체 주제 중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빈도로 다루어지고 있는 주제는 6

개이다 가장 높은 빈도로 다루어진 주제는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rsquo이다 이 주

제를 다룬 논문은 21편으로 전체 167편의 126를 차지한다11) 이 주제

를 다룬 논문이 가장 많았던 것은 lt표 3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2007년에

발생한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 유출사고에 대한 연구가 두 차례에 걸쳐

특집의 형태로 수록되었기 때문이다 그 다음으로 환경사회학자들이 자주

다룬 주제는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으로 총 19편의 논문이 이 주제를 다루고

10) 주제의 분류 체계는 lt표 3gt과 같았으나 한 편의 논문도 발견되지 않는 주

제는 표에서 제외했다 11) ECO 게재 논문들의 주제어를 분석한 윤순진의 논문에서도 위험위해재난

으로 분류될 수 있는 주제어들이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나고 있고 여기에

원자력 관련 주제어를 포함할 경우에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rsquo과 관련된 주제어

의 빈도는 더욱 높게 나타난다(윤순진 2013 79-80)

66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주 제논문 수

rsquo01 rsquo02 rsquo03 rsquo04 rsquo05 rsquo06 rsquo07 rsquo08 rsquo09 rsquo10 rsquo11 rsquo12 rsquo13 계

환경사회학 이론 2 1 1 1 1 6

환경사회학 방법론 1 1

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 2 1 2 2 1 1 1 1 1 12

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 2 7 6 2 4 21

에너지middot자원 1 1 2 4

환경사상 1 1

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 1 1 2 2 2 1 3 12

있다 동강댐 새만금간척사업 4대강사업 등 정부가 추진했던 대규모 개

발사업에 환경사회학자들이 큰 관심을 기울인 결과이다 이밖에 환경사회

학자들이 많은 관심을 보인 주제로는 lsquo환경의식middot환경행동rsquo(14편) lsquo환경문

제middot기후변화rsquo(12편) lsquo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rsquo(12편) lsquo환경정치rsquo(12편) 등이었

다 이 6개의 주제를 다룬 논문은 총 90편으로서 전체 167편의 539를

차지하고 있다

위의 6개 주제 다음으로 환경사회학자들이 관심을 보인 주제로는 lsquo환경

정책rsquo(8편) lsquo사회영향평가rsquo(8편) lsquo환경middot위험거버넌스rsquo(8편) lsquo환경불평등middot

환경정의rsquo(7편) lsquo환경농업middot식량middot식품rsquo(7편) lsquo환경사회학이론rsquo(6편) lsquo지속

가능한 발전rsquo(5편) lsquo환경복원rsquo(5편) 등이다 lsquo환경농업middot식량middot식품rsquo을 다룬

상당수의 논문들이 「농촌사회」에 수록됨으로써 이 분석에서 제외되고 있

음을 감안할 필요가 있다

lsquo에너지middot자원rsquo(4편) lsquo생태공동체rsquo(2편) lsquo환경사회학방법론rsquo(1편) lsquo환경

사상rsquo(1편) 등의 주제를 다룬 논문은 매우 적었다 lsquo인구rsquo는 당초 주제 분

류 시 별도의 주제로 설정하였으나 관련 논문이 전혀 발견되지 않아 주

제 목록에서 제외했다 이것은 환경사회학적 관점에서 인구를 다루는 연

구자가 없음을 의미한다

lt표 3gt ECO 게재 논문의 주제(2001-2013년)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67

주 제논문 수

rsquo01 rsquo02 rsquo03 rsquo04 rsquo05 rsquo06 rsquo07 rsquo08 rsquo09 rsquo10 rsquo11 rsquo12 rsquo13 계

환경의식middot환경행동 1 2 1 1 2 3 2 2 14

환경정책 1 1 1 4 1 8

대규모 개발사업 3 4 4 1 1 1 1 2 2 19

사회영향평가 4 1 1 1 1 8

지속가능발전 1 3 1 5

환경정치 1 2 1 1 1 1 1 3 1 12

환경middot위험거버넌스 2 1 1 1 2 1 8

환경불평등middot환경정의 1 1 2 2 1 7

환경복원 4 1 5

환경농업middot식량middot식품 1 1 4 1 7

생태공동체 1 1 2

기타 2 2 1 2 3 2 1 1 1 15

계 9 19 16 15 11 12 13 16 13 11 13 14 5 167

위의 주제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1990년대

이래 한국 환경사회학 분야의 논문 주제는 점차 다양해져 왔다 1990년대

에는 lsquo환경의식middot환경행동rsquo lsquo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rsquo 등 몇 가지 주제에 관한

소수의 논문이 발표되었으나 2000년대에 들어와서는 편수의 증가와 함께

주제가 매우 다양해졌다 현재는 환경사회학의 주요 주제들의 대부분이

다루어지고 있다 둘째 특정의 1-2개 주제에 대한 쏠림 현상이 두드러지

지는 않지만 주제별로 논문의 편수는 큰 차이를 보인다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

난rsquo과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은 연구자의 관심을 가장 많이 끈 주제인 반면에

lsquo환경사상rsquo lsquo생태공동체rsquo lsquo에너지middot자원rsquo 등에 대한 관심은 매우 낮다 셋

째 특정 연구 주제의 상승이나 하락이 뚜렷이 나타나지는 않는다 비교적

많은 관심을 끈 6개의 주제를 다룬 논문들은 전 기간에 걸쳐 고르게 발표

되었다 다만 lsquo환경사회학 이론rsquo lsquo환경사회학 방법론rsquo lsquo환경사상rsquo lsquo환경

68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연도 춘middot추계 학술대회 주제 주제 유형

2001 창립기념동강댐 건설 문제의 사회문화적 조사연구

보고대규모 개발사업

추계 새만금 대규모 개발사업

복원rsquo 등을 다룬 논문이 최근에는 발표되지 않고 있고 반대로 lsquo에너지middot자

원rsquo에 관한 논문들은 최근에 와서 주로 발표되고 있기는 하지만 이들 주

제를 다룬 사례 수가 많지 않아 뚜렷한 경향을 발견하기는 어렵다

2) 정기학술대회의 주제

환경사회학회는 연 2회 춘middot추계 정기학술대회를 개최한다 학회 창립

이후 개최된 총 26회의 정기학술대회 중 주제가 확인되지 않은 2회를 제

외한 나머지 24회 학술대회의 주제는 lt표 4gt와 같다 정기학술대회에서

가장 자주 등장했던 주제는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5회)이었다 동강댐(2001년

창립기념세미나) 새만금간척사업(2001년 추계 2003년 추계) 4대강사업

(2010년 춘계) 등의 특정 개발 사례와 대규모개발사업 일반(2006년 춘계)

이 주제로 등장했다 두 번째로 자주 등장한 주제는 lsquo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rsquo

으로 2004년 추계 2005년 춘계 및 추계 2007년 춘계 등 4회였다 그 다

음으로 자주 등장한 주제는 lsquo환경정책rsquo(2006년 추계 2009년 추계 2012년

추계)과 lsquo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rsquo(2007년 추계 2010년 추계 2011년 춘계)로

각각 3회 나타났다 lsquo환경정책rsquo으로는 노무현 정부의 lsquo살기 좋은 지역 만

들기rsquo 정책과 이명박 정부의 환경정책 일반과 녹색성장정책이 다루어졌

다 이 밖에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rsquo(2008년 춘계 2009년 춘계) lsquo지속가능한

발전rsquo(2011년 추계 2012년 춘계) lsquo환경사상rsquo(2005년 추계 2013년 춘계)

등이 각각 2회씩 그리고 lsquo생태공동체rsquo(2002년 추계) lsquo환경불평등middot환경정

의rsquo(2004년 추계) lsquo환경정치rsquo(2006년 추계) lsquo환경농업middot식량middot식품rsquo(2008년

추계) 등이 각각 1회씩 등장했다

lt표 4gt 한국환경사회학회 정기학술대회의 주제(2001-2013년)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69

연도 춘middot추계 학술대회 주제 주제 유형

2002춘계 지역과 환경 기타

추계환경친화적 지역사회 개발과 새로운 공동체 운동

생태공동체

2003춘계 미확인 기타

추계 새만금 간척사업 대규모 개발사업

2004춘계 미확인 기타

추계 환경갈등과 환경정의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환경불평등middot환경정의

2005춘계

사회갈등과 주민참여 지역 및 환경갈등을 중심으로

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

추계 환경철학과 환경운동환경사상

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

2006춘계 대규모 개발사업과 환경정치

대규모 개발사업환경정치

추계 살기 좋은 지역 만들기의 이론과 전략 환경정책

2007춘계

대규모 개발사업을 둘러싼 환경갈등과 생태민주주의의 전망

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

추계 기후변화와 한국사회의 선택 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

2008춘계

환경재난의 지역사회 영향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를 중심으로

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

추계 먹을거리의 환경사회학 환경농업middot식량middot식품

2009춘계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의 사회적middot심리적 영향과 공동체 복원

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

추계환경사회학의 관점에서 본 lsquo저탄소 녹색성장rsquo 환경정책

2010춘계 4대강사업에 대한 환경사회학적 성찰 대규모 개발사업

추계 기후변화의 사회학 일상에서 지구촌까지 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

2011춘계

구제역을 통해서 본 지본주의시대의 환경과 생명

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

추계 환경적으로 지속가능한 동아시아를 위하여

지속가능한 발전

2012춘계 지속가능한 발전과 경상남도의 과제 지속가능한 발전

추계 이명박 정부의 환경정책 평가와 대안 환경정책

2013춘계 한국의 생태주의 사상과 역사 환경사상

추계한국 환경사회학의 보편성과 특수성 그리고 미래의 과제

환경사회학 이론

70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연도 주 제

2001 동강댐의 환경사회학(통권 1호)

2002 새만금간척사업의 환경사회학(통권 2호) 사회영향평가연구(통권 3호)

2003 청계천 복원의 사회학(통권 4호) 노무현정부의 환경정책 평가(통권 5호)

2004 부안핵폐기물처리장 문제의 환경사회학(통권 6호) 새만금간척사업의

환경사회학Ⅱ(통권 7호)

2005 한국 국가의 녹색화 연구(통권 8호) 환경정의 경험적 연구(통권 9호)

3) ECO 특집의 주제

ECO지는 매호 하나의 주제를 정하고 관련 논문을 특집으로 묶어 수록

하고 있다 ECO지의 특집 주제의 목록은 lt표 5gt 참조에 제시되어 있다

특집 주제로 가장 자주 설정된 것은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rsquo으로 그 횟수는 6

회이다 세부적으로 보면 방사성폐기물 원자력발전 등 원자력 문제(통권

6호 제10권 1호 제17권 1호)와 재난(제12권 1호 제13권 1호 제15권 1

호)이 각각 3회씩 다루어졌다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 유출사고는 두 번

이나 특집으로 다루어졌다 두 번째로 자주 다루어진 주제는 lsquo환경정책rsquo이었다 환경정책은 5회(통권 5호 통권 8호 제11권 1호 제13권 2호 제16

권 2호) 등장했는데 구체적으로는 노무현 정부의 환경정책 녹색국가 기

후변화 정책 이명박 정부의 녹색성장정책과 일반 환경정책이 다루어졌

다 세 번째로 자주 다루어진 주제는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으로 그 횟수는 4

회(통권 1호 통권 2호 통권 7호 제14권 1호)였다 동강댐 및 4대강 사업

이 1회씩 그리고 새만금간척사업이 2회 다루어졌다 이 밖에 lsquo사회적 영

향평가rsquo(통권 3호 제 10권 2호)와 lsquo환경의식middot환경행동rsquo(제14권 2호 제15

권 2호)이 각각 2회씩 다루어졌고 lsquo환경정의rsquo(통권 9호) lsquo환경복원rsquo(통권

4호) lsquo환경농업middot식량middot식품rsquo(제12권 2호) lsquo환경middot위험거버넌스rsquo(제16권 1

호) lsquo환경문제rsquo(제15권 2호) lsquo지속가능발전(제11권 2호)rsquo 등이 각각 1회씩

다루어졌다

lt표 5gt ECO 각호의 특집 주제(2001-2013년)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71

연도 주 제

2006 방사성폐기물 처분장과 민주주의(제10권 1호) 도시개발의 사회적 영향 은평뉴타운 사례(제10권 2호)

2007 기후변화정책의 국가간 비교연구(제11권 1호) 대안적 발전의 해외사례

연구(제11권 2호)

2008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 연구(제12권 1호) 지구화시대 세계

농식품체계의 환경사회학(제12권 2호)

2009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 연구Ⅱ(제13권 1호) 환경사회학적

관점에서 본 녹색성장(제13권 2호)

2010 4대강사업에 대한 환경사회학적 성찰(제14권 1호) 한국인의 환경 가치

지형(제14권 2호)

2011 환경사회학과 재난관리(제15권 1호) 환경문제와 환경의식(제15권 2호)

2012 위험 사회의 거버넌스(제16권 1호) 이명박 정부의 환경정책과

대안(제16권 2호)

2013 원자력발전과 시민사회 비교연구(제17권 1호)

4) 주요 단행본의 주제

환경사회학자들12)이 저술한 단행본13)은 비교적 다양한 주제를 다루고

있다 2000년대에 들어와서는 저술의 크게 수가 늘어나면서 1990년대에

비하여 주제의 다양성도 크게 증가하고 있다 1990년대에는 lsquo환경사회학

이론rsquo lsquo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rsquo lsquo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rsquo lsquo환경불평등middot환경정의rsquo

등 4개의 주제 영역에 국한되어 있었으나 2000년대에 들어와서는 lsquo대규

모 개발사업rsquo 등 6개 주제에 대한 저술들이 새로 출판되었다 lsquo원자력middot위

험middot재난rsquo에 관한 저술이 최근에 와서 늘어나고 있음이 주목된다

1990년대 이후의 전체 기간에서 가장 많은 단행본이 출판된 주제 영역

은 lsquo환경사회학 이론rsquo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rsquo lsquo환경운동middot

12) 사회학을 전공하지 않은 학자로서 한국환경사회학회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

는 사람은 환경사회학자에 포함시켰다 단행본 필자로는 구자건 문순홍 조명래 최병두 등이 이 경우에 속한다

13) 번역서는 여기에서 제외하였다 또한 다양한 분야의 학자들이 공동으로 저

술한 책 중에서 환경사회학자들의 기여가 크지 않은 저술도 제외하였다

72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환경갈등rsquo lsquo환경정치rsquo 등 5개이다 이들 5개 주제에 관한 저술은 총 25권

으로 전체 저술(46권)의 절반을 넘고 있다 이들 5개 주제 영역 다음으로

lsquo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rsquo(4권) lsquo지속가능한 발전rsquo(4권) lsquo환경불평등middot환경정

의rsquo(3권) 등의 주제 영역에 관한 저술이 많은 편이다

lt표 6gt 단행본의 주제(1990-2013년)

주 제 1990년대 2000-2009년 2010년 이후

환경사회학 이론문순홍(1992) 문순홍(1999) 조명래(2001) 한국환경사회학회(2013)

조명래(2013a)

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최병두(1993b)최병두(1995)

최병두(2003a)최병두(2003b)

대규모 개발사업

문순홍(2006c)박순열(2009)조명래(2006)

홍성태(2010)조명래(2013b)

사회영향평가 구자건(2008)

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 홍성태(2000)

노진철(2010)노진철 등(2010)김도균(2011)홍성태(2012)

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구도완(1996)이득연(1998)

문순홍(2001)구도완(2009) 한국환경사회학회(2013)

지속가능한 발전정대연(2004)문태훈 등(2008)

이시재 등(2010)정대연(2010)

환경불평등middot환경정의 최병두(1999a) 한상진(2006) 최병두(2010)

환경정치

문순홍(2006a)문순홍(2006b)이상헌(2003)

구도완 등(2013)서영표 등(2010)

환경사상 이상헌(2007)

교과서

노진철(2001)정대연(2002)한국환경사회학회(2005)

복합 주제 및 기타최병두(1993a)최병두(1999b)

양종회 등(2002)최병두(2002)홍성태(2006)조명래(2009)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73

2 연구 방법

ECO지의 창간호부터 2003년 6월에 발행한 제17권 1호까지에 게재된

167편의 논문(포럼 포함)에서 사용되고 있는 연구 방법을 9개의 유형으로

구분해 보면 lt표 7gt과 같다 연구 방법을 명시적으로 서술하지 않은 논문

이 적지 않고 복수의 연구 방법을 사용하는 논문이 많아 유형 구분이 쉽

지 않았으나 필자의 주관적 판단에 따라 모든 논문의 연구 방법을 9개의

범주에 배속시켰다

lt표 7gt ECO 게재 논문의 자료수집 방법

주 제논문 수

rsquo01 rsquo02 rsquo03 rsquo04 rsquo05 rsquo06 rsquo07 rsquo08 rsquo09 rsquo10 rsquo11 rsquo12 rsquo13 계

이론 연구 2 9 6 4 3 3 1 4 3 1 1 37(222)

설문조사 2 1 1 2 2 1 3 4 4 2 3 25(150)

문헌middot문서자료 3 3 1 7 4 6 1 5 2 3 3 2 40(240)

기존 자료 3 1 2 1 1 2 10(73)

면접middot심층면접 1 5 1 1 1 1 1 2 2 2 2 19(114)

내용middot담론분석 1 1 1 2 1 1 7(42)

사례 조사 1 2 2 4 1 3 2 4 1 20(120)

비교 연구 1 3 1 1 2 8(48)

시뮬레이션 1 1(06)

계 9 19 16 15 11 12 13 16 13 11 13 14 5 167(1000)

먼저 논문의 발표 시기에 따른 연구 방법의 차이는 드러나지 않는다

다만 이론 연구가 후기로 올수록 줄어드는 경향이 눈에 띌 따름이다

다음으로 연구 방법 간의 빈도 차이는 비교적 뚜렷하게 드러난다 문

헌middot문서자료(40편) 이론 연구(37편) 설문조사(25편) 사례 조사(20편) 면

접middot심층면접(19편) 등이 자주 사용되고 있는 반면에 기존 자료(10편) 비

교연구(8편) 내용middot담론분석(7편) 시뮬레이션(1편) 등은 상대적으로 적게

74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사용되고 있다 문헌middot문서자료 및 이론 연구가 1 2위를 차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환경사회학자들의 독자적인 자료 생산 노력이 활발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마지막으로 ECO 게재 논문과 「한국사회학」 게재 논문의 연구 방법을

비교해 보면 환경사회학의 연구 방법과 사회학 일반의 연구 방법 간에

상당한 차이가 있음이 발견된다 ECO 게재 논문에서는 문헌middot문서자료 이

론 연구 설문조사 등의 순서로 자주 사용된 반면에 「한국사회학」 게재

논문14)들에서는 설문조사(323) 기존 자료(228) 이론(186) 등이 각

각 1 2 3위를 차지하고 있어 중시하고 있는 연구 방법이 서로 다를 뿐만

아니라 ECO 게재 논문들에서 비교적 중시된 문헌middot문서자료(240) 사례

조사(120) 면접middot심층면접(114) 등은 「한국사회학」 게재 논문에서는

훨씬 낮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차이는 결국 환경사회

학자들이 일반 사회학자들과 비교했을 때 양적 자료를 덜 사용하고 질적

자료를 더 많이 사용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Ⅳ 한국 환경사회학의 특징

한국 환경사회학의 특징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환경사회학자 및 그들의

연구 활동의 다양한 측면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여기에서는 연구 주제

연구 방법 이론적 지향 학제적 연구 사회적 실천 등의 다섯 가지 측면에

서 한국 환경사회학의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14) 1964년부터 2006년까지 「한국사회학」에 게재된 논문의 연구 방법을 분석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형 이론설문

조사집계자료 문서자료 기존자료 인터뷰

기타 질적

자료전체

빈도 123 214 67 62 151 31 14 662 186 323 101 94 228 47 21 1000

출처 한국사회학회 2007 120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75

1 환경문제의 사회학

흔히 일본 환경사회학자들은 미국의 환경사회학을 lsquo환경에 대한 사회

학rsquo(sociology of the environment)이라고 특징지으면서 자신들의 환경사회

학을 lsquo환경문제의 사회학rsquo(sociology of environmental problems)이라고 말

한다 이것은 일본의 환경사회학은 구체적인 환경문제가 지역사회 주민

및 피해자의 생활과 지역사회에 미친 영향에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음

을 지적하는 말이다 이러한 일본 환경사회학의 특징은 한국 환경사회학

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이시재는 최근 발표한 ldquo한국 환경사회학의 회고와

전망rdquo에서 lsquo한국에서 환경사회학은 환경문제의 사회학으로 출발했다rsquo고

말하고 한국 환경사회학의 특징 중의 하나로 문제해결을 위한 연구를 들

고 있다(이시재 2013 34-35)

앞에서 우리는 한국 환경사회학의 연구 주제가 논문 특집 학술대회

단행본 등에 있어서 어떻게 나타나는가를 살펴보았다 다양한 연구 활동

중에서 환경사회학자들의 연구 주제 선택의 경향을 잘 보여주는 것은 사

례 수가 가장 많은 논문 발표일 것이다 ECO지 게재 논문을 기준으로 할

때 환경사회학자들은 기후변화를 포함한 환경문제보다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

난rsquo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 lsquo환경의식middot환경행동rsquo을 더 중요하게 다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lt표 3gt 참조) 그러나 가장 빈도가 높은 lsquo원자력middot위

험middot재난rsquo과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은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과 밀접하게 연관

되어 있다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rsquo은 독립적인 주제 영역으로 설정되기는 했

지만 결국 특수한 유형의 환경문제라고 할 수 있고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에

대한 관심은 개발 사업으로 인한 환경문제에 대한 우려에서 비롯되기 때

문이다 따라서 겉으로 드러난 주제 영역보다 주제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의식에 주목한다면 한국의 환경사회학은 lsquo환경문제의 사회학rsquo의 성

격을 강하게 지니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76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2 질적 자료의 활용

환경사회학이 미국에서 처음 형성되던 시기에 농촌사회학의 영향을 강

하게 받았다 농촌사회학의 영향 가운데 대표적인 것으로 경험적 조사 자

료를 중시하는 경향이다 이러한 환경사회학의 전통은 한국의 환경사회학

에서도 이어지고 있다 lt표 7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환경사회학 연구에서

이론 연구의 비중이 222로서 결코 낮다고 할 수는 없지만 다양한 유형

의 경험적 자료를 활용하는 연구의 비중이 이론 연구에 비해 훨씬 크다

경험적 연구 방법 중에서 환경사회학자들이 일반 사회학자들에 비하여

중시하는 자료는 사례 조사 면접 조사 등을 통해 얻는 질적 자료이다 일

반 사회학자들에 비하여 설문 조사 기존 자료 활용 집계 자료 등의 양적

자료의 활용은 떨어지는 데 반하여 사례조사나 면접을 통해 얻는 질적

자료는 더 많이 활용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연구 방법과 관련된 한국

환경사회학의 특징은 상대적으로 질적 자료를 많이 활동하고 있다는 데

있다

질적 자료의 활용이 활발한 것은 기본적으로 한국 환경사회학자들이

연구하는 대상의 특성 때문이다 동강댐 건설사업 새만금간척사업 4대강

사업 등의 대규모 개발사업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 사고 및 각종

개발사업과 관련된 지역 환경운동 및 환경갈등이 하나의 사례로 다루어

지고 또 이러한 사례 연구에서 심층면접이 자료 수집 방법으로 활용되는

경향이 있다

3 자유주의적 환경개혁론

환경사회학에는 생태학적 설명(ecological explanation) 대 정치경제학적

설명(political economy explanation) 성찰적 근대화론(reflexive modernization)

대 생태학적 근대화론(ecological modernization) 실재론(realism) 대 구성

주의(constructionism) 등의 주요 이론적 쟁점이 있지만(Hannigan 2006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77

16-52) 한국 환경사회학에서는 이러한 쟁점을 둘러싼 논쟁을 찾아보기

어렵다 또한 독자적인 이론을 구성하기 위한 노력도 찾아보기 어렵다 윤

순진이 지적한 바 있듯이 ldquo많은 연구들은 다른 학문분과에서 구축한 이

론을 환경 관련 쟁점과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동원하는 양상을rdquo 띠거나

(윤순진 2013 85) 해외 환경사회학계에서 확립된 이론을 연구의 자원으

로 활용하는 데 머무르고 있다

그러나 다른 학문분과나 해외 환경사회학에서 확립된 이론을 수용하여

자원으로 활용하는 경우에도 이론의 선택에는 연구자 자신의 이론적 지

향이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대부분의 연구에는 명시적이든 묵시적

이든 연구자 자신의 이론적 지향이 깔려 있다 그렇다면 한국 환경사회

학에서는 어떤 이론적 지향이 우세하고 그 변화의 방향은 어느 쪽인가

말할 필요도 없이 한국의 환경사회학에는 다양한 이론적 지향 즉 험프리

와 버텔이 말하는 보수적 자유주의적 및 급진적 패러다임(Humphrey and

Buttel 1982 19-21)이 공존하고 있다 보수적 패러다임은 환경의식 및 환

경행동 연구에서 가끔 나타나고 있지만 그 영향력은 미미하다 급진적 패

러다임은 원자력발전 위험 환경정의 대규모 개발사업(국책사업) 대안

적 공동체 생태민주주의 등에 관한 연구에서 중요한 관점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보수적 패러다임에 비해서는 그 영향력이 훨씬 크다 이 두 패러

다임에 비해 훨씬 큰 세력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 바로 국가 개혁과 정책

의 전환을 통해 환경 위기 극복의 길을 모색하는 자유주의적 환경개혁론

이다 자유주의적 환경개혁론은 녹색국가 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 환경정책

환경정치 환경middot위험거버넌스 지속가능한 발전 대규모 개발사업 등의 연

구에서 주로 나타나고 있다

4 다양한 전공의 관점 교류

ECO지 기고를 통해 환경사회학 연구에 참여하고 있는 연구자의 전공

은 매우 다양하다 아마도 사회학 내의 다른 어떤 세부분야에 비해서도

78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다양할 것이다 윤순진의 ECO지 게재 글15)의 저자 분석에 따르면 총 24

개 분야의 학문적 배경을 가진 연구자들이 참여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보

면 사회학 인류학 행정학 경제학 정치학 사회복지학 심리학 지리학

지리교육학 도시 및 지역 관련학과 환경middot에너지정책학과 정치생태학 등

의 사회과학 전공자 철학 한국학 등 인문학 전공자 생태학middot생태곤충학

생물학 지질학 환경보건학 과학기술사학 과학관리학 생명공학 등의 자

연과학 전공자 토목공학 등 공학 전공자 등이 ECO에 글을 싣고 있다 물

론 전공별로 참여 저자의 수는 크게 다르다 사회학 전공자가 37명으로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도시 및 지역 관련 분야 전공자(18명) 인류학 전

공자(8명) 행정학 전공자(6명) 등의 순서로 많다(윤순진 2013 80-81)

ECO지 게재 논문 중 공저 논문의 경우 전공이 서로 다른 연구자가 공

동 저자로 참여한 경우는 많지 않으며 ldquo거의 대부분이 동일학과 소속 교

수와 학생 간의 공저이거나 동일 전공 동료 및 선후배 간 공저로 나타났

다(윤순진 2013 83)rdquo 이런 점에서 볼 때 환경사회학 연구가 실질적인 학

제적 연구의 형태가 띠는 것은 아니라고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적어도 학

회 활동과 학회지를 통해서 다양한 전공 간의 관점 공유와 교류는 활발하

게 이루어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5 연구자와 운동가의 소통

한국 환경사회학의 두드러진 특징 중의 하나는 환경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연구자들이 많다는 점이다 환경사회학자 중에는 연구자이면서

환경단체 전국 조직의 대표(이시재 이상헌 윤순진 이필렬 조명래) 지

역 환경단체의 대표(박재묵 노진철 최병두) 환경단체의 임원(구도완) 등

을 현재 맡고 있거나 과거에 역임한 사람들이 많다 위에서 거론된 연구

자보다 훨씬 더 많은 환경사회학자들이 지역 환경단체 등에 임원으로 참

15) 논문 이외의 서평 등의 글도 포함하고 있다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79

여하고 있다 이와는 반대로 환경단체의 상근 운동가로서 환경사회학회

회원으로 참여하고 논문을 발표하는 경우(이승민 안병옥 최예용 김정

수)도 있다

환경사회학자 연구자의 환경운동 참여와 운동가의 연구 참여가 활발하

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은 환경사회학의 특성과 연관되어 있는 현상이다

환경사회학은 기본적으로 환경문제의 근원 환경문제의 영향 및 환경문제

의 해결16)에 관심을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한국의 환경사회학은 특히

lsquo환경문제의 사회학rsquo의 성격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Ⅴ 환경사회학의 전망과 과제

지난 20년 동안 한국 환경사회학은 제도화의 과정을 거쳐 왔다 이 기

간 동안에 환경사회학은 많은 학과에서 정규 교과목으로 받아들여졌고

독립된 연구 영역으로 인정받게 되었다 또한 이 분야 연구자들이 독자적

인 학회를 조직하고 학회가 학술지를 발간함에 따라 연구 활동의 기반이

갖추어졌다 이로써 한국 환경사회학의 제도화가 대체로 완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지난 20년의 기간은 환경사회학의 기반 구축기인 동시에 성장기였다

성장의 속도는 느렸지만 연구자의 수도 증가해 왔고 이에 따라 학문적

성과도 축적되어 왔다 특히 환경사회학자들이 관심을 집중시켰던 원자

력middot위험middot재난 대규모 개발사업 환경운동 등의 영역에서는 의미 있는 성

과가 있었다 최근에 와서 환경사회학은 안정기에 들어가고 있다 ldquo젊은

층의 충원이 지지부진rdquo하고 대학원에서 환경사회학을 전공하려고 하는

학생도 줄어들고 있다(이시재 2013 37) 사회학계 전반에 걸친 침체 분위

16) Riley E Dunlap과 Brent K Marshall은 환경사회학의 최근 연구 초점으로

환경문제의 근원 환경문제의 영향 환경문제의 해결 방안 등 세 가지를 들

었다(Dunlap and Marshall 2007 335-339)

80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기가 일정 부분 환경사회학에도 미치고 있다 미국에서 환경사회학이

1980년대 초에 겪었던 퇴조 분위기가 한국에서도 나타나고 있는 것 같다

그러나 이러한 환경사회학의 침체 분위기가 장기적으로 지속되지는 않

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렇게 전망하는 근거는 두 가지이다 그 하나는 환

경사회학의 태동을 가져왔던 환경문제가 상존하기 때문이다 또한 기후변

화와 같은 환경문제는 향후에도 장기간 지속될 것이 분명하고 유독성 화

학물질과 같은 새로운 환경문제도 부상하고 있다 한 마디로 환경문제가

근본적으로 해결되지 않는 한 환경사회학은 존속하게 될 것이다 둘째로

현재의 침체 분위기는 일정기간의 성장 뒤에 오는 바닥 다지기의 의미가

크다 따라서 장기적으로 보면 환경사회학은 향후에도 안정적 성장을 지

속할 가능성이 크다

어떤 점에서 환경사회학의 미래는 일정 부분 환경사회학자들이 그들에

게 주어진 사명을 어떻게 수행하느냐에 달려 있기도 하다 2005년 필자가

환경사회학회가 펴낸 「우리 눈으로 보는 환경사회학」의 제1장을 쓰면서

환경사회학자의 사명으로 사회의 녹색화와 사회학의 녹색화를 설정한 바

있다 전자는 인간면제주의 패러다임의 지배를 받고 있는 주류 사회학에

인간 생존의 물리적middot생물적 기반을 고려하는 관점을 제공하는 것이고 후

자는 환경오염과 파괴의 원인 그 영향 및 해결 방안을 사회학적으로 설

명하고 제시하는 것이다 특히 후자의 사명을 환경사회학자들이 얼마나

그리고 어떻게 성취하느냐가 환경사회학의 미래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

다 학제적 연구의 정착과 현장 중심의 연구 강화는 환경사회학이 후자의

사명을 수행하기 위해 해결해야 할 당면 과제이다

2014년 6월 16일 접수

2014년 6월 27일 수정 완료

2014년 6월 29일 게재 확정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81

참고문헌

구도완 1995 ldquo한국의 새로운 환경운동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29(2) 347-371

1996 985172한국 환경운동의 사회학985173 문학과지성사

2009 985172마을에서 세상을 바꾸는 사람들 생태적 대안운동을 찾아

서985173 창비사

구도완 등 2013 985172녹색당과 녹색정치985173 아르케

구자건 2008 985172환경갈등과 사회영향평가 방법985173 연세대출판부

김도균 2011 985172환경재난과 지역사회의 변화 허베이스피리트호 기름유출

사고의 사회재난985173 한울아카데미

김두식 1995 ldquo환경문제와 환경보호에 대한 시민들의 태도 조사연구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29(1) 33-67

노진철 2001 985172환경과 사회985173 한울

2010 985172불확실성 시대의 위험사회학985173 한울아카데미

노진철 등 2010 985172태안은 살아 있다 기름 유출 사고 이후 3년 다시 쓰

는 태안 리포트985173 동녘

문순홍 1992 985172생태위기와 녹색의 대안985173 나라사랑

1999 985172생태학의 담론985173 아르케

2001 985172한국의 여성환경운동985173 아르케

2006a 985172정치생태학과 녹색국가985173 아르케

2006b 985172녹색국가의 탐색985173 아르케

2006c 985172개발국가의 녹색성찰985173 아르케

문태훈 등 2008 985172지속가능한 사회 이야기985173 법문사

박순열 2009 985172불만의 새만금985173 한국학술정보

박재묵 1991 ldquo환경문제에 대한 사회학적 이해rdquo pp 71-83 한국사회학회

(편) 985172현대 한국 사회문제의 진단과 처방985173(특별심포지움 논문집)

서영표영국적록연구그룹 2010 985172사회주의 녹색을 만나다985173 한울아카데미

양종회 1993 ldquo우리나라 국민들의 환경문제에 대한 의식의 변화 및 사회

82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적 기반rdquo 985172한국사회학회985173 26(4) 89-120

양종회 등 2002 985172아시아 태평양지역의 환경문제 환경운동 및 환경정책985173 서울대출판부

윤순진 2013 ldquo《ECO》분석을 통해 본 한국 환경사회학 연구의 흐름rdquo

pp 67-98 한국환경사회학회(편) 985172환경사회학 이론과 환경문제985173 한울아카데미

이득연 1998 985172환경운동의 사회학985173 민영사

이상헌 2003 985172물 세상을 움직이는 물의 정치와 정치 생태학985173 이매진

2011 985172생태주의985173 책세상

이시재 1994 ldquo환경사회학rdquo 한국사회학회(편) 98517221세기의 한국 사회학985173 문학과지성사

2013 ldquo한국 환경사회학의 회고와 전망rdquo pp 67-98 한국환경사회

학회(편) 985172환경사회학 이론과 환경문제985173 한울아카데미

이시재 등 2010 985172생태사회적 발전의 현장과 이론985173 아르케

정대연 2002 985172환경사회학985173 아카넷

2004 985172환경주의와 지속가능한 발전985173 집문당

2010 985172한국 지속가능발전의 구조와 변동985173 집문당

조명래 2001 985172녹색사회의 탐색985173 한울

2006 985172개발정치와 녹색진보985173 환경과 생명

2009 985172지구화 되돌아보기와 넘어서기 공간환경의 모순과 극복985173 환경과 생명

2013a 985172공간으로 사회읽기 개념 쟁점과 대안985173 한울아카데미

2013b 985172녹색토건주의와 환경위기985173 한울아카데미

조명래 등 2005 985172신개발주의를 멈춰라985173 환경과 생명

최병두 1993a 985172한국의 공간과 환경985173 한길사

1993b 985172현대 환경문제의 재인식985173 한울

1995 985172환경사회이론과 국제환경문제985173 한울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83

1999a 985172환경갈등과 불평등985173 한울

1999b 985172녹색사회를 위한 비평985173 한울

2002 985172녹색전망985173 도요새

2003a 985172도시속의 환경 열두 달(봄 여름)985173 한울

2003b 985172도시속의 환경 열두 달(가을 겨울)985173 한울

2010 985172비판적 생태학과 환경정의985173 한울아카데미

한국사회학회 2007 985172한국사회학회 50년사 1957-2007985173 한학문학

한국환경사회학회 2005 985172우리 눈으로 보는 환경사회학985173 창비사

2013a 985172환경사회학이론과 환경문제985173 한울

2013b 985172환경운동과 생활세계985173 한울

한상진 2006 985172환경정의의 사회학985173 UUP

험프리버틀(Craig Humphrey and Frederick R Buttel) 1995 985172환경사회학985173 양종회이시재 역 사회비평사

홍성태 2000 985172대한민국 위험사회985173 당대

2006 985172한국의 근대화와 물985173 한울아카데미

2010 985172생명의 강을 위하여 생태사회학자 홍성태 교수의 4대강

지키기 제안985173 중원문화

2012 985172개발과 파괴의 사회학 위험 사회를 넘어서985173 중원문화

Buttel Frederick H and Craig R Humphrey 2002 Sociological Theory

and the Natural Environment pp 33ndash69 in Riley E Dunlap and

William Michelson(eds) Handbook of Environmental Sociology

Westport CT Greenwood Press

Catton William R Jr and Riley Dunlap 1978 Environmental Sociology

A New Paradigm The American Sociologist 13 41-49

Dunlap Riley E and Brent K Marshall 2007 Environmental Sociology

pp 329-340 in Clifton D Bryant and Dennis L Peck(eds) 21st

Century Sociology A Reference Handbook Thousand Oaks CA

84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Sage Publications

Hannigan John 2006 Environmental Sociology(second edition)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Harper Charles 2004 Environment and Society Human Perspectives on

Environmental Issues Upper Saddle River New Jersey Pearson

Education Inc

Humphrey Craig R and Frederick H Buttel 1982 Environment Energy

and Society Belmont California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International Sociological Association(RC24) Korean Sociological

Association and Korean Association for Environmental Sociology

2004 Globalization Localization and Environment (Proceedings for

2004 ISA RC24 Conference in Seoul)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85

The Research Trend and Prospect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Park Jae-mookProf Dept of Sociology Chungnam Univ

Abstract

The aims of this paper are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and to anticipate its future developments As a groundwork for these works we briefly examined the institutionalization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Here we considered the organizing process of environmental sociologists association and the incorporation of the course of environmental sociology into the regular curricula Nextly we examined research trends of environmental sociology and tried to draw common characteristics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The most frequently dealt subjects in ECO a representative journal in this field have been nuclear power risk and disaster large-scale development projects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nd behaviour environmental problems and climate changes And distinguished characteristics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have been found to be focus on environmental problems dependence on qualitative methodology emphasis on environmental reforms of liberal tradition exchange of perspectives among researchers from various fields communications between researchers and activists Lastly it was suggested that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ist should develop interdisciplinary research and field research

Key Words Environmental Sociology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Institutionalization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Korean Association for Environmental Sociology ECO

Page 3: 환경과 사회 연구의 동향과 전망isrku.org/adm/data/1351080157_fEMV3OxI_02-EBB095EC9... · 2014-07-06 ·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 pp.55-85 ‘환경과 사회’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57

적middot사회적 분위기의 형성에는 산업적middot화학적 오염을 비롯한 환경문제 자

체가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결국 환경 위기와 그에 따른 사회 전반에 걸

친 환경주의의 확산이 환경사회학 등장의 배경이 되었다

오늘날 환경문제는 지구인 전체의 가장 중요한 관심사가 되었다 이러

한 관심의 확산에는 개별 국가가 당면하고 있는 국지적 환경문제와 함께

기후변화와 같은 지구환경문제가 크게 기여해 왔다 이에 따라 이제 환경

사회학은 많은 나라에서 사회학의 주요 연구 분야로 확립되어 있고 국제

학회의 주요 연구 주제가 되었다 국제사회학회(ISA)에서는 1971년 이래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위원회가 전체 55개 연구위원회 중의 하나(RC24)로 자

리 잡고 있다 개별 국가 중에서 환경사회학이 발전된 국가로 국제적으로

알려진 나라로는 북미의 미국 및 캐나다 유럽의 독일 및 네덜란드 호주

일본 등이 있다

한국에서 환경사회학의 교육과 연구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시기는 1990

년대이다 환경사회학의 제도화 과정과 현황에 대해서는 뒤에서 논의하겠

지만 대체로 1990년 이후 약 20년 동안에 교육과 연구를 위한 제도적 기

반이 갖추어졌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한국 환경사회학은

국제 사회에서 비교적 잘 알려져 있는 편이다3) 한국의 환경사회학이 국

제적으로 알려지게 된 계기로는 1993년 한국사회학회가 개최한 lsquo환경과

발전rsquo에 관한 국제학술대회 개최 2004년 국제사회학회 RC24의 국내 개

최 일본 중국 대만 등 인근 학자들과의 교류 및 동아시아 국제 환경사회

학 학술회의 참가 및 개최 등을 들 수 있다

이 논문은 한국 환경사회학 분야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이러한 고찰

을 토대로 향후의 전개 방향을 예측해 보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

해 제2장에서는 그 기초 작업으로서 한국 환경사회학의 제도적 확립 과정

을 고찰하고자 한다 여기에서는 연구자 단체의 조직화와 환경사회학 및

3) 해니건은 그의 Environmental Sociology A Constructionist Perspective에서 미

국 바깥에서의 환경사회학의 제도화를 논하면서 유럽 일본 및 한국의 사례

를 든 바 있다(Hannigan 2006 11-12)

58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그 관련 과목의 정규 교육과정 진입을 주로 다루게 된다 제3장에서는 한

국 환경사회학자들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그 특징을 도출해 보고자 한

다 이를 위해 단행본과 함께 한국환경사회학회의 학술지 「환경사회학연

구」(ECO)에 게재된 논문의 주제를 분석하게 된다 제4장에서는 제3장의

분석을 토대로 한국 환경사회학의 미래 전개 방향을 전망하고 그 과제를

도출해 보고자 한다

Ⅱ 환경사회학의 제도화 과정과 현황

1960년대 이후 급속하게 추진된 공업화로 인해 이미 1970년대부터 여

천 울산 등 공단지역에서 대기오염 피해가 나타나기 시작했고 1982년에

는 우리나라 최초의 공해병으로 기록된 lsquo온산병rsquo이 발생하였다 급속한 도

시화에 따라 악화된 하천 수질 또한 환경 우려를 자아내기에 충분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1980년대 초부터 lsquo반공해rsquo 운동단체들이 조직되기 시작

했고 1989년에는 우리나라 최초의 대중적 환경운동단체라 할 수 있는 공

해추방운동연합이 출현했다 이처럼 lsquo공해문제rsquo로 표현된 당시의 환경 악

화 및 파괴 그리고 그에 따른 환경문제에 대한 우려의 확산이 환경사회학

의 출현의 배경이 되었다

1 환경사회학의 정규 교과목 편입

사회학자들이 환경사회학을 정규 교과목으로 가르치기 시작한 것은

1990년부터이다 지금까지 알려진 우리나라 최초의 환경사회학 강의는

1990년 2학기에 서강대 대학원에서 최재현에 의해 가르쳐졌다 서강대

서울대 연세대 이화여대 대학원생 15명 정도가 참여한 이 강의의 명칭은

lsquo환경의 사회학rsquo이었고 강의의 내용은 환경이론서 읽기와 공해현장 답사

및 실태조사로 구성되어 있었다4) 학부과정에서는 이시재가 1993년 1학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59

대학 학과명 학부 교과목

가톨릭대학교 사회학전공 환경사회학

강원대학교 사회학과 -경남대학교 사회학과 환경사회학

경북대학교 사회학과 환경사회학실습

경상대학교 사회학과 환경사회학1)경희대학교 사회학과 환경사회학

계명대학교 사회학과 환경사회학

고려대학교(서울) 사회학과 환경사회학

고려대학교(세종) 사회학과 환경사회학

국민대학교 사회학과 -대구가톨릭대학교 사회학과 환경과 지역사회

대구대학교 사회학과 환경사회학

덕성여대학교 사회학전공 환경사회학

동국대학교 사회학전공 -동아대학교 사회학과 환경사회학

부산대학교 사회학과 환경과 생태의 사회학

서강대학교 사회학전공 환경사회학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환경과 생태의 사회학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사회학과 환경과 도시

성공회대학교 사회과학부 -성균관대학교 사회학과 -아주대학교 사회학전공 환경사회학

기부터 성심여자대학교(현 가톨릭대학교) 사회학과에서 환경사회학을 강

의하기 시작했는데 이것이 학부에서 이루어진 최초의 강의였다(이시재

1994 164)5)

lt표 1gt 환경사회학 및 관련 과목의 개설 현황(2013년)

4) 1990년 9월 21일자 한겨레신문 기사를 참조하였다5) 이시재는 최근에 발표한 ldquo나의 환경사회학 회고rdquo에서 환경사회학 과목을

1992년에 개설하였다고 밝히고 있다 (이시재 2013 50) 따라서 과목의 개설

시기는 1992년이고 실제로 강의한 해는 1993년인 것으로 해석된다

60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대학 학과명 학부 교과목

연세대학교 사회학과 환경과 사회

영남대학교 사회학과 환경과 사회

울산대학교 사회middot복지학전공 에너지와 생태사회

이화여자대학교 사회학전공 환경사회학

전남대학교 사회학과 환경사회학

전북대학교 사회학과 환경과 발전

제주대학교 사회학과 환경사회학

중앙대학교 사회학과 환경사회학

창원대학교 사회학과 환경사회학

청주대학교 사회학과 환경사회학

충남대학교 사회학과 환경사회학

충북대학교 사회학과 환경사회학

한림대학교 사회학과 인구와 환경

한신대학교 사회학과 -한양대학교(서울) 사회학전공 -한양대학교(안산) 정보사회학과 환경사회학

한일장신대학교 사회경제학전공 -주 1)예비과목으로 설강되고 있음

이때부터 환경사회학 강의가 다른 대학에서도 개설되기 시작했으나

1994년까지만 해도 전국에서 환경사회학을 개설하는 대학은 소수였다 학

부에서 개설하고 있었던 대학은 성심여대(현 가톨릭대학교 성심교정)와

충북대뿐이었고 대학원에서 환경사회학 및 관련 과목을 개설한 학교로는

성균관대 성심여대 충남대 등이 있었다 반면에 학부 과정과 대학원 과

정에 인간생태학(론) 또는 사회생태학이라는 명칭의 교과목을 개설한 학

교가 7개교 있었는데(이시재 1994 164-5) 이들 교과목은 그 내용의 측면

에서 볼 때 오늘날의 환경사회학과는 다소 거리가 있다

그 후 환경사회학 강의는 점차 확대되어 2013년 현재 전국의 39개 대학

사회학과 및 연관학과의 약 80인 31개 학과에서 환경사회학 관련 과목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61

을 개설하고 있다(lt표 1gt 참조) 강좌의 명칭으로는 대체로 lsquo환경사회학rsquo

을 사용하고 있지만 지역사회 도시 발전 인구 등을 환경과 연관시키고

있는 강좌들이 일부 있고 부산대 서울대 울산대 등에서는 lsquo생태rsquo를 강조

하는 강좌 명칭을 사용하고 있는 점이 눈에 띈다

환경사회학의 정규 교과목 진입으로 교재의 개발이 뒤따랐다 우리말

로 쓰여진 최초의 교재는 학부에서 강의가 처음 이루어진 때로부터 2년

뒤에 출판되었다 최초의 우리말 교재는 양종회와 이시재가 험프리(Craig

Humphrey)와 버텔(Frederick R Buttel)의 Environment Energy and Society

(1982)를 번역한 「환경사회학」(1995)이었다 국내 학자가 쓴 교재들은

2000년대에 들어 와서 비로소 출판되기 시작했다 대표적인 교재로는 노

진철의 「환경과 사회」(2001) 정대연의 「환경사회학」(2002) 한국환경사회

학회 소속 연구자 11인이 공동으로 집필한 「우리 눈으로 보는 환경사회학

」(2005) 등이 있다 다수 환경사회학회 회원이 참여한 교재 공동 집필은

환경사회학의 범위와 주요 내용을 표준화하는 데 기여했다는 의미를 갖

는다

2 연구 영역 확립과 독립 학회의 조직

lsquo환경rsquo이 사회학계에서 하나의 연구영역으로 확립되기 시작한 시기는

1990년대 초반이다 사회학대회에서 lsquo환경rsquo이 분과로 처음 등장한 시기는

사회학회가 분과확장기에 들어가기 시작한 1991년이다 1991년 6월 28일

충남대학교에서 개최된 전기 사회학대회는 12개의 분과로 조직되었는데

그 중 제11분과의 명칭이 lsquo집중토론2-자연과 환경문제rsquo였다(한국사회학

회 2007 204) 여기에서는 4명의 발표가 있었고 주요 주제는 안면도방사

성폐기물처분장 입지 결정을 둘러싼 갈등이었다 1991년 12월 12-13일 중

앙대학교에서 열린 후기 사회학대회에서는 공식적으로 lsquo환경과 공해 분

과rsquo가 조직되었다 이 분과에서는 생활쓰레기 처리가 공동 주제였다

사회학대회의 환경사회학 분과는 1990년대 초반까지는 환경사회학 연

62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구자들의 유일한 발표의 장이었고 그 후 환경사회학자들이 독자적 연구

회 및 학회를 조직한 후에도 이 분야 학자들에게 중요한 소통의 장이었다

1991년부터 2006년까지 환경사회학 분과가 조직된 사회학대회는 1991년

전기 및 후기 1994년 전기 1995년 후기 1996년 전기 1998년 전기 1998

년 후기 1999년 전기 2000년 전기와 후기 2003년 후기 2004년 전기

2006년 전기 및 후기 등이다 그리고 이들 분과에서 발표된 논문의 수는

55개에 이른다(한국사회학회 2007 207-208)

환경문제의 사회적 관련에 관심을 가진 연구자들이 점차 늘어나면서

독자적 연구자 모임이 만들어지기 시작했는데 최초의 환경사회학 연구자

모임은 1995년 6월 23일에 결성된 한국환경사회학연구회(회장 권태환)였

다 이 연구회는 규모가 작고 규약조차 없는 느슨한 조직이었지만 회원들

의 참여 의욕이 높아 그 활동은 매우 활발했다 주요 활동으로는 한국사

회학회가 개최한 춘middot추계사회학대회에서의 환경사회학 분과 조직 및 논

문 발표 춘middot추계의 정기적 워크샵 개최 및 환경현장 답사6) 등을 들 수 있

다(한국환경사회학회 2005 40)

이 연구회 모임을 기반으로 하여 한국환경사회학회(초대 회장 이시재)

가 2000년 6월 3일에 창립되었다 창립 기념 세미나의 주제는 당시 주요

사회적 쟁점 중의 하나였던 동강댐(영월댐)이었고 4편의 논문이 발표되

었다 현재 환경사회학회에는 약 150명의 연구자들이 회원으로 참여하고

있다 회원의 대다수는 사회학자들이지만 정치학자 경제학자 인류학자

등 다양한 사회과학분야 연구자들도 참여하고 있고 소수이기는 하지만

자연과학 및 공학을 전공한 연구자들도 참여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환경

사회학회는 학제적 성격을 지닌 학회라고 할 수 있고 사회학회의 lsquo분과

6) 환경현장 답사는 환경사회학연구회의 특징적인 활동이었다 연구회 창립 이

후 2000년 한국환경사회학회로 재창립되기까지 방문한 현장은 광주광역시

광산구 음식물사료화연구시설(1996년 6월) 대구 금호강유역 오염 현장(1997년 6월) 울산 온산공단(1997년 10월) 서산 천수만간척지 및 태안 안면도

(1998년 5월) 창녕 우포늪 및 주남저수지(1998년 11월) 영월 동강(1999년 4월) 부안 새만금간척지구(2000년 3월) 등이었다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63

학회rsquo의 성격보다는 lsquo연관 학회rsquo의 성격을 더 강하게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환경사회학회는 과거 연구회 시절에 수행했던 활동 즉 춘middot추계사회학

대회에서의 분과 활동 춘middot추계의 독자적 학술회의 개최 환경현장 답사

등을 대체로 유지하면서 이에 추가하여 공동 저술 사업 국제학술회의 개

최 학술잡지 「환경사회학연구」(ECO) 발행 등의 활동을 전개해 왔다 환

경사회학회가 기획하여 펴낸 공동 저술로는 교재 성격을 갖는 「우리 눈으

로 보는 환경사회학」(2005)과 lsquo한국 환경사회학 시리즈rsquo의 1 2권으로 펴

낸 「환경사회학 이론과 환경문제」(2013) 및 「환경운동과 생활세계」(2013)

가 있다 환경사회학회가 개최한 주요 국제학술회의로는 2004년 국제사회

학회(ISA) RC24회의와 2011년 제3차 동아시아 환경사회학 국제학술회의

(The 3rd International Symposium on Environmental Sociology in East

Asia)가 있다 반년간(半年刊) 학술지 「환경사회학연구」(ECO)의 발행

(2001년 이후)은 환경사회학회의 가장 중요한 사업이다

Ⅲ 한국 환경사회학의 연구 동향

1 연구 주제

환경사회학의 연구 주제를 파악하기 위해 한국사회학회의 「한국사회학」

및 환경사회학회의 ECO에 게재된 논문7) 환경사회학회의의 학술대회 주

7) 환경사회학 분야의 논문들은 「한국사회학」 및 ECO지 외에 「농촌사회」 「경제와 사회」 등의 다른 학술지에도 게재되고 있지만 이들 학술지에 실린 환

경사회학 관련 논문의 편수가 많지 않음을 고려하여 이들 논문들은 분석 대

상에 포함되지 않았다 분석 대상을 「한국사회학」 및 ECO에 수록된 논문으

로 한정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은 환경농업middot식량middot식품을 다룬 환

경사회학자들의 논문이 체계적으로 배제될 수 있다는 점이다 이 주제를 다

룬 논문의 상당수가 「농촌사회」에 투고되기 때문이다

64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제 사회학자들의 환경사회학적 저서 주제 등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 중에

서 가장 중요한 분석 대상은 「한국사회학」 및 ECO지에 게재된 논문이다

「한국사회학」에 게재된 환경사회학 분야 논문의 편수는 9편에 지나지 않

으나 ECO 창간 이전의 연구 동향을 보여준다는 점을 고려하여 분석 대상

에 포함하였다 ECO는 환경사회학 분야의 대표적 전문 학술지라는 점을

고려하여 창간호(2001년)에서부터 제17권 1호(2013년 상반기)까지에 수록

된 167개의 논문(lsquo포럼rsquo으로 분류된 것까지 포함)의 주제를 분석하였다

연구 주제는 lt표 2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타를 포함해서 총 19개로 구분

하였다

1) 「한국사회학」 및 ECO 게재 논문의 주제

「한국사회학」에 게재된 논문은 총 9편으로 소수이고8) 그 주제 또한

lt표 2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양하지 않다 ECO 창간(2001년) 이전 즉

2000년 이전에는 환경사회학 분야 논문이 주로 「한국사회학」에 게재되었

기 때문에 이 시기에 발표된 논문의 주제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 시기

에 발표된 논문의 주제는 lsquo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rsquo lsquo환경의식middot환경행동rsquo lsquo환

경정책middot환경행정rsquo 및 lsquo지속가능한 발전rsquo이다 lt표 2gt에서 알 수 있는 것은

환경사회학 분야 연구가 시작되던 1990년대 초반에는 lsquo환경의식middot환경행

동rsquo 및 lsquo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rsquo이 주요 주제였다는 사실이다 「한국사회학」에

개재된 최초의 환경사회학 분야 논문은 양종회의 ldquo우리나라 국민들의 환

경문제에 대한 의식의 변화 및 사회적 기반rdquo(1993)이었다9) 그 뒤를 이어

8) 「한국사회학」에 게재된 논문의 주제별 분석 자료에 따르면 환경을 주제로

한 논문은 1964년부터 2006년 사이에 게재된 전체 논문의 14 수준이다

(한국사회학회 2007 110) 이처럼 「한국사회학」에 실린 환경사회학 분야

논문이 적은 이유는 이 분야 연구자들이 보다 전문화된 ECO지 게재를 선

호하기 때문이다 9) 「한국사회학」에 게재되지는 않았지만 이보다 먼저 발표된 논문으로는 필자

의 ldquo환경문제에 대한 사회학적 이해rdquo(1991)가 있다 이 논문은 1991년 5월

한국사회학회가 주최한 특별심포지움에서 발표되었다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65

서 환경의식에 관한 김두식의 논문(1995)과 환경운동을 다룬 구도완

(1995)의 논문이 발표되었다

lt표 2gt 「한국사회학」 게재 논문의 주제(1991-2013)

주 제10)논문 편수

rsquo91-rsquo95 rsquo96-rsquo00 rsquo01-rsquo05 rsquo06-rsquo10 rsquo11이후 계

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 1 1

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 1 1

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 1 1

환경의식middot환경행동 2 2

환경정책middot환경행정 2 2

지속가능한 발전 1 1

환경middot위험거버넌스 1 1

계 3 3 1 1 1 9

다음으로 ECO에 게재된 총 167편의 주제를 살펴보겠다 19개로 분류

된 전체 주제 중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빈도로 다루어지고 있는 주제는 6

개이다 가장 높은 빈도로 다루어진 주제는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rsquo이다 이 주

제를 다룬 논문은 21편으로 전체 167편의 126를 차지한다11) 이 주제

를 다룬 논문이 가장 많았던 것은 lt표 3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2007년에

발생한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 유출사고에 대한 연구가 두 차례에 걸쳐

특집의 형태로 수록되었기 때문이다 그 다음으로 환경사회학자들이 자주

다룬 주제는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으로 총 19편의 논문이 이 주제를 다루고

10) 주제의 분류 체계는 lt표 3gt과 같았으나 한 편의 논문도 발견되지 않는 주

제는 표에서 제외했다 11) ECO 게재 논문들의 주제어를 분석한 윤순진의 논문에서도 위험위해재난

으로 분류될 수 있는 주제어들이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나고 있고 여기에

원자력 관련 주제어를 포함할 경우에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rsquo과 관련된 주제어

의 빈도는 더욱 높게 나타난다(윤순진 2013 79-80)

66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주 제논문 수

rsquo01 rsquo02 rsquo03 rsquo04 rsquo05 rsquo06 rsquo07 rsquo08 rsquo09 rsquo10 rsquo11 rsquo12 rsquo13 계

환경사회학 이론 2 1 1 1 1 6

환경사회학 방법론 1 1

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 2 1 2 2 1 1 1 1 1 12

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 2 7 6 2 4 21

에너지middot자원 1 1 2 4

환경사상 1 1

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 1 1 2 2 2 1 3 12

있다 동강댐 새만금간척사업 4대강사업 등 정부가 추진했던 대규모 개

발사업에 환경사회학자들이 큰 관심을 기울인 결과이다 이밖에 환경사회

학자들이 많은 관심을 보인 주제로는 lsquo환경의식middot환경행동rsquo(14편) lsquo환경문

제middot기후변화rsquo(12편) lsquo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rsquo(12편) lsquo환경정치rsquo(12편) 등이었

다 이 6개의 주제를 다룬 논문은 총 90편으로서 전체 167편의 539를

차지하고 있다

위의 6개 주제 다음으로 환경사회학자들이 관심을 보인 주제로는 lsquo환경

정책rsquo(8편) lsquo사회영향평가rsquo(8편) lsquo환경middot위험거버넌스rsquo(8편) lsquo환경불평등middot

환경정의rsquo(7편) lsquo환경농업middot식량middot식품rsquo(7편) lsquo환경사회학이론rsquo(6편) lsquo지속

가능한 발전rsquo(5편) lsquo환경복원rsquo(5편) 등이다 lsquo환경농업middot식량middot식품rsquo을 다룬

상당수의 논문들이 「농촌사회」에 수록됨으로써 이 분석에서 제외되고 있

음을 감안할 필요가 있다

lsquo에너지middot자원rsquo(4편) lsquo생태공동체rsquo(2편) lsquo환경사회학방법론rsquo(1편) lsquo환경

사상rsquo(1편) 등의 주제를 다룬 논문은 매우 적었다 lsquo인구rsquo는 당초 주제 분

류 시 별도의 주제로 설정하였으나 관련 논문이 전혀 발견되지 않아 주

제 목록에서 제외했다 이것은 환경사회학적 관점에서 인구를 다루는 연

구자가 없음을 의미한다

lt표 3gt ECO 게재 논문의 주제(2001-2013년)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67

주 제논문 수

rsquo01 rsquo02 rsquo03 rsquo04 rsquo05 rsquo06 rsquo07 rsquo08 rsquo09 rsquo10 rsquo11 rsquo12 rsquo13 계

환경의식middot환경행동 1 2 1 1 2 3 2 2 14

환경정책 1 1 1 4 1 8

대규모 개발사업 3 4 4 1 1 1 1 2 2 19

사회영향평가 4 1 1 1 1 8

지속가능발전 1 3 1 5

환경정치 1 2 1 1 1 1 1 3 1 12

환경middot위험거버넌스 2 1 1 1 2 1 8

환경불평등middot환경정의 1 1 2 2 1 7

환경복원 4 1 5

환경농업middot식량middot식품 1 1 4 1 7

생태공동체 1 1 2

기타 2 2 1 2 3 2 1 1 1 15

계 9 19 16 15 11 12 13 16 13 11 13 14 5 167

위의 주제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1990년대

이래 한국 환경사회학 분야의 논문 주제는 점차 다양해져 왔다 1990년대

에는 lsquo환경의식middot환경행동rsquo lsquo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rsquo 등 몇 가지 주제에 관한

소수의 논문이 발표되었으나 2000년대에 들어와서는 편수의 증가와 함께

주제가 매우 다양해졌다 현재는 환경사회학의 주요 주제들의 대부분이

다루어지고 있다 둘째 특정의 1-2개 주제에 대한 쏠림 현상이 두드러지

지는 않지만 주제별로 논문의 편수는 큰 차이를 보인다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

난rsquo과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은 연구자의 관심을 가장 많이 끈 주제인 반면에

lsquo환경사상rsquo lsquo생태공동체rsquo lsquo에너지middot자원rsquo 등에 대한 관심은 매우 낮다 셋

째 특정 연구 주제의 상승이나 하락이 뚜렷이 나타나지는 않는다 비교적

많은 관심을 끈 6개의 주제를 다룬 논문들은 전 기간에 걸쳐 고르게 발표

되었다 다만 lsquo환경사회학 이론rsquo lsquo환경사회학 방법론rsquo lsquo환경사상rsquo lsquo환경

68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연도 춘middot추계 학술대회 주제 주제 유형

2001 창립기념동강댐 건설 문제의 사회문화적 조사연구

보고대규모 개발사업

추계 새만금 대규모 개발사업

복원rsquo 등을 다룬 논문이 최근에는 발표되지 않고 있고 반대로 lsquo에너지middot자

원rsquo에 관한 논문들은 최근에 와서 주로 발표되고 있기는 하지만 이들 주

제를 다룬 사례 수가 많지 않아 뚜렷한 경향을 발견하기는 어렵다

2) 정기학술대회의 주제

환경사회학회는 연 2회 춘middot추계 정기학술대회를 개최한다 학회 창립

이후 개최된 총 26회의 정기학술대회 중 주제가 확인되지 않은 2회를 제

외한 나머지 24회 학술대회의 주제는 lt표 4gt와 같다 정기학술대회에서

가장 자주 등장했던 주제는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5회)이었다 동강댐(2001년

창립기념세미나) 새만금간척사업(2001년 추계 2003년 추계) 4대강사업

(2010년 춘계) 등의 특정 개발 사례와 대규모개발사업 일반(2006년 춘계)

이 주제로 등장했다 두 번째로 자주 등장한 주제는 lsquo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rsquo

으로 2004년 추계 2005년 춘계 및 추계 2007년 춘계 등 4회였다 그 다

음으로 자주 등장한 주제는 lsquo환경정책rsquo(2006년 추계 2009년 추계 2012년

추계)과 lsquo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rsquo(2007년 추계 2010년 추계 2011년 춘계)로

각각 3회 나타났다 lsquo환경정책rsquo으로는 노무현 정부의 lsquo살기 좋은 지역 만

들기rsquo 정책과 이명박 정부의 환경정책 일반과 녹색성장정책이 다루어졌

다 이 밖에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rsquo(2008년 춘계 2009년 춘계) lsquo지속가능한

발전rsquo(2011년 추계 2012년 춘계) lsquo환경사상rsquo(2005년 추계 2013년 춘계)

등이 각각 2회씩 그리고 lsquo생태공동체rsquo(2002년 추계) lsquo환경불평등middot환경정

의rsquo(2004년 추계) lsquo환경정치rsquo(2006년 추계) lsquo환경농업middot식량middot식품rsquo(2008년

추계) 등이 각각 1회씩 등장했다

lt표 4gt 한국환경사회학회 정기학술대회의 주제(2001-2013년)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69

연도 춘middot추계 학술대회 주제 주제 유형

2002춘계 지역과 환경 기타

추계환경친화적 지역사회 개발과 새로운 공동체 운동

생태공동체

2003춘계 미확인 기타

추계 새만금 간척사업 대규모 개발사업

2004춘계 미확인 기타

추계 환경갈등과 환경정의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환경불평등middot환경정의

2005춘계

사회갈등과 주민참여 지역 및 환경갈등을 중심으로

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

추계 환경철학과 환경운동환경사상

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

2006춘계 대규모 개발사업과 환경정치

대규모 개발사업환경정치

추계 살기 좋은 지역 만들기의 이론과 전략 환경정책

2007춘계

대규모 개발사업을 둘러싼 환경갈등과 생태민주주의의 전망

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

추계 기후변화와 한국사회의 선택 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

2008춘계

환경재난의 지역사회 영향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를 중심으로

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

추계 먹을거리의 환경사회학 환경농업middot식량middot식품

2009춘계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의 사회적middot심리적 영향과 공동체 복원

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

추계환경사회학의 관점에서 본 lsquo저탄소 녹색성장rsquo 환경정책

2010춘계 4대강사업에 대한 환경사회학적 성찰 대규모 개발사업

추계 기후변화의 사회학 일상에서 지구촌까지 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

2011춘계

구제역을 통해서 본 지본주의시대의 환경과 생명

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

추계 환경적으로 지속가능한 동아시아를 위하여

지속가능한 발전

2012춘계 지속가능한 발전과 경상남도의 과제 지속가능한 발전

추계 이명박 정부의 환경정책 평가와 대안 환경정책

2013춘계 한국의 생태주의 사상과 역사 환경사상

추계한국 환경사회학의 보편성과 특수성 그리고 미래의 과제

환경사회학 이론

70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연도 주 제

2001 동강댐의 환경사회학(통권 1호)

2002 새만금간척사업의 환경사회학(통권 2호) 사회영향평가연구(통권 3호)

2003 청계천 복원의 사회학(통권 4호) 노무현정부의 환경정책 평가(통권 5호)

2004 부안핵폐기물처리장 문제의 환경사회학(통권 6호) 새만금간척사업의

환경사회학Ⅱ(통권 7호)

2005 한국 국가의 녹색화 연구(통권 8호) 환경정의 경험적 연구(통권 9호)

3) ECO 특집의 주제

ECO지는 매호 하나의 주제를 정하고 관련 논문을 특집으로 묶어 수록

하고 있다 ECO지의 특집 주제의 목록은 lt표 5gt 참조에 제시되어 있다

특집 주제로 가장 자주 설정된 것은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rsquo으로 그 횟수는 6

회이다 세부적으로 보면 방사성폐기물 원자력발전 등 원자력 문제(통권

6호 제10권 1호 제17권 1호)와 재난(제12권 1호 제13권 1호 제15권 1

호)이 각각 3회씩 다루어졌다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 유출사고는 두 번

이나 특집으로 다루어졌다 두 번째로 자주 다루어진 주제는 lsquo환경정책rsquo이었다 환경정책은 5회(통권 5호 통권 8호 제11권 1호 제13권 2호 제16

권 2호) 등장했는데 구체적으로는 노무현 정부의 환경정책 녹색국가 기

후변화 정책 이명박 정부의 녹색성장정책과 일반 환경정책이 다루어졌

다 세 번째로 자주 다루어진 주제는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으로 그 횟수는 4

회(통권 1호 통권 2호 통권 7호 제14권 1호)였다 동강댐 및 4대강 사업

이 1회씩 그리고 새만금간척사업이 2회 다루어졌다 이 밖에 lsquo사회적 영

향평가rsquo(통권 3호 제 10권 2호)와 lsquo환경의식middot환경행동rsquo(제14권 2호 제15

권 2호)이 각각 2회씩 다루어졌고 lsquo환경정의rsquo(통권 9호) lsquo환경복원rsquo(통권

4호) lsquo환경농업middot식량middot식품rsquo(제12권 2호) lsquo환경middot위험거버넌스rsquo(제16권 1

호) lsquo환경문제rsquo(제15권 2호) lsquo지속가능발전(제11권 2호)rsquo 등이 각각 1회씩

다루어졌다

lt표 5gt ECO 각호의 특집 주제(2001-2013년)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71

연도 주 제

2006 방사성폐기물 처분장과 민주주의(제10권 1호) 도시개발의 사회적 영향 은평뉴타운 사례(제10권 2호)

2007 기후변화정책의 국가간 비교연구(제11권 1호) 대안적 발전의 해외사례

연구(제11권 2호)

2008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 연구(제12권 1호) 지구화시대 세계

농식품체계의 환경사회학(제12권 2호)

2009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 연구Ⅱ(제13권 1호) 환경사회학적

관점에서 본 녹색성장(제13권 2호)

2010 4대강사업에 대한 환경사회학적 성찰(제14권 1호) 한국인의 환경 가치

지형(제14권 2호)

2011 환경사회학과 재난관리(제15권 1호) 환경문제와 환경의식(제15권 2호)

2012 위험 사회의 거버넌스(제16권 1호) 이명박 정부의 환경정책과

대안(제16권 2호)

2013 원자력발전과 시민사회 비교연구(제17권 1호)

4) 주요 단행본의 주제

환경사회학자들12)이 저술한 단행본13)은 비교적 다양한 주제를 다루고

있다 2000년대에 들어와서는 저술의 크게 수가 늘어나면서 1990년대에

비하여 주제의 다양성도 크게 증가하고 있다 1990년대에는 lsquo환경사회학

이론rsquo lsquo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rsquo lsquo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rsquo lsquo환경불평등middot환경정의rsquo

등 4개의 주제 영역에 국한되어 있었으나 2000년대에 들어와서는 lsquo대규

모 개발사업rsquo 등 6개 주제에 대한 저술들이 새로 출판되었다 lsquo원자력middot위

험middot재난rsquo에 관한 저술이 최근에 와서 늘어나고 있음이 주목된다

1990년대 이후의 전체 기간에서 가장 많은 단행본이 출판된 주제 영역

은 lsquo환경사회학 이론rsquo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rsquo lsquo환경운동middot

12) 사회학을 전공하지 않은 학자로서 한국환경사회학회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

는 사람은 환경사회학자에 포함시켰다 단행본 필자로는 구자건 문순홍 조명래 최병두 등이 이 경우에 속한다

13) 번역서는 여기에서 제외하였다 또한 다양한 분야의 학자들이 공동으로 저

술한 책 중에서 환경사회학자들의 기여가 크지 않은 저술도 제외하였다

72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환경갈등rsquo lsquo환경정치rsquo 등 5개이다 이들 5개 주제에 관한 저술은 총 25권

으로 전체 저술(46권)의 절반을 넘고 있다 이들 5개 주제 영역 다음으로

lsquo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rsquo(4권) lsquo지속가능한 발전rsquo(4권) lsquo환경불평등middot환경정

의rsquo(3권) 등의 주제 영역에 관한 저술이 많은 편이다

lt표 6gt 단행본의 주제(1990-2013년)

주 제 1990년대 2000-2009년 2010년 이후

환경사회학 이론문순홍(1992) 문순홍(1999) 조명래(2001) 한국환경사회학회(2013)

조명래(2013a)

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최병두(1993b)최병두(1995)

최병두(2003a)최병두(2003b)

대규모 개발사업

문순홍(2006c)박순열(2009)조명래(2006)

홍성태(2010)조명래(2013b)

사회영향평가 구자건(2008)

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 홍성태(2000)

노진철(2010)노진철 등(2010)김도균(2011)홍성태(2012)

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구도완(1996)이득연(1998)

문순홍(2001)구도완(2009) 한국환경사회학회(2013)

지속가능한 발전정대연(2004)문태훈 등(2008)

이시재 등(2010)정대연(2010)

환경불평등middot환경정의 최병두(1999a) 한상진(2006) 최병두(2010)

환경정치

문순홍(2006a)문순홍(2006b)이상헌(2003)

구도완 등(2013)서영표 등(2010)

환경사상 이상헌(2007)

교과서

노진철(2001)정대연(2002)한국환경사회학회(2005)

복합 주제 및 기타최병두(1993a)최병두(1999b)

양종회 등(2002)최병두(2002)홍성태(2006)조명래(2009)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73

2 연구 방법

ECO지의 창간호부터 2003년 6월에 발행한 제17권 1호까지에 게재된

167편의 논문(포럼 포함)에서 사용되고 있는 연구 방법을 9개의 유형으로

구분해 보면 lt표 7gt과 같다 연구 방법을 명시적으로 서술하지 않은 논문

이 적지 않고 복수의 연구 방법을 사용하는 논문이 많아 유형 구분이 쉽

지 않았으나 필자의 주관적 판단에 따라 모든 논문의 연구 방법을 9개의

범주에 배속시켰다

lt표 7gt ECO 게재 논문의 자료수집 방법

주 제논문 수

rsquo01 rsquo02 rsquo03 rsquo04 rsquo05 rsquo06 rsquo07 rsquo08 rsquo09 rsquo10 rsquo11 rsquo12 rsquo13 계

이론 연구 2 9 6 4 3 3 1 4 3 1 1 37(222)

설문조사 2 1 1 2 2 1 3 4 4 2 3 25(150)

문헌middot문서자료 3 3 1 7 4 6 1 5 2 3 3 2 40(240)

기존 자료 3 1 2 1 1 2 10(73)

면접middot심층면접 1 5 1 1 1 1 1 2 2 2 2 19(114)

내용middot담론분석 1 1 1 2 1 1 7(42)

사례 조사 1 2 2 4 1 3 2 4 1 20(120)

비교 연구 1 3 1 1 2 8(48)

시뮬레이션 1 1(06)

계 9 19 16 15 11 12 13 16 13 11 13 14 5 167(1000)

먼저 논문의 발표 시기에 따른 연구 방법의 차이는 드러나지 않는다

다만 이론 연구가 후기로 올수록 줄어드는 경향이 눈에 띌 따름이다

다음으로 연구 방법 간의 빈도 차이는 비교적 뚜렷하게 드러난다 문

헌middot문서자료(40편) 이론 연구(37편) 설문조사(25편) 사례 조사(20편) 면

접middot심층면접(19편) 등이 자주 사용되고 있는 반면에 기존 자료(10편) 비

교연구(8편) 내용middot담론분석(7편) 시뮬레이션(1편) 등은 상대적으로 적게

74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사용되고 있다 문헌middot문서자료 및 이론 연구가 1 2위를 차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환경사회학자들의 독자적인 자료 생산 노력이 활발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마지막으로 ECO 게재 논문과 「한국사회학」 게재 논문의 연구 방법을

비교해 보면 환경사회학의 연구 방법과 사회학 일반의 연구 방법 간에

상당한 차이가 있음이 발견된다 ECO 게재 논문에서는 문헌middot문서자료 이

론 연구 설문조사 등의 순서로 자주 사용된 반면에 「한국사회학」 게재

논문14)들에서는 설문조사(323) 기존 자료(228) 이론(186) 등이 각

각 1 2 3위를 차지하고 있어 중시하고 있는 연구 방법이 서로 다를 뿐만

아니라 ECO 게재 논문들에서 비교적 중시된 문헌middot문서자료(240) 사례

조사(120) 면접middot심층면접(114) 등은 「한국사회학」 게재 논문에서는

훨씬 낮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차이는 결국 환경사회

학자들이 일반 사회학자들과 비교했을 때 양적 자료를 덜 사용하고 질적

자료를 더 많이 사용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Ⅳ 한국 환경사회학의 특징

한국 환경사회학의 특징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환경사회학자 및 그들의

연구 활동의 다양한 측면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여기에서는 연구 주제

연구 방법 이론적 지향 학제적 연구 사회적 실천 등의 다섯 가지 측면에

서 한국 환경사회학의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14) 1964년부터 2006년까지 「한국사회학」에 게재된 논문의 연구 방법을 분석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형 이론설문

조사집계자료 문서자료 기존자료 인터뷰

기타 질적

자료전체

빈도 123 214 67 62 151 31 14 662 186 323 101 94 228 47 21 1000

출처 한국사회학회 2007 120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75

1 환경문제의 사회학

흔히 일본 환경사회학자들은 미국의 환경사회학을 lsquo환경에 대한 사회

학rsquo(sociology of the environment)이라고 특징지으면서 자신들의 환경사회

학을 lsquo환경문제의 사회학rsquo(sociology of environmental problems)이라고 말

한다 이것은 일본의 환경사회학은 구체적인 환경문제가 지역사회 주민

및 피해자의 생활과 지역사회에 미친 영향에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음

을 지적하는 말이다 이러한 일본 환경사회학의 특징은 한국 환경사회학

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이시재는 최근 발표한 ldquo한국 환경사회학의 회고와

전망rdquo에서 lsquo한국에서 환경사회학은 환경문제의 사회학으로 출발했다rsquo고

말하고 한국 환경사회학의 특징 중의 하나로 문제해결을 위한 연구를 들

고 있다(이시재 2013 34-35)

앞에서 우리는 한국 환경사회학의 연구 주제가 논문 특집 학술대회

단행본 등에 있어서 어떻게 나타나는가를 살펴보았다 다양한 연구 활동

중에서 환경사회학자들의 연구 주제 선택의 경향을 잘 보여주는 것은 사

례 수가 가장 많은 논문 발표일 것이다 ECO지 게재 논문을 기준으로 할

때 환경사회학자들은 기후변화를 포함한 환경문제보다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

난rsquo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 lsquo환경의식middot환경행동rsquo을 더 중요하게 다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lt표 3gt 참조) 그러나 가장 빈도가 높은 lsquo원자력middot위

험middot재난rsquo과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은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과 밀접하게 연관

되어 있다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rsquo은 독립적인 주제 영역으로 설정되기는 했

지만 결국 특수한 유형의 환경문제라고 할 수 있고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에

대한 관심은 개발 사업으로 인한 환경문제에 대한 우려에서 비롯되기 때

문이다 따라서 겉으로 드러난 주제 영역보다 주제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의식에 주목한다면 한국의 환경사회학은 lsquo환경문제의 사회학rsquo의 성

격을 강하게 지니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76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2 질적 자료의 활용

환경사회학이 미국에서 처음 형성되던 시기에 농촌사회학의 영향을 강

하게 받았다 농촌사회학의 영향 가운데 대표적인 것으로 경험적 조사 자

료를 중시하는 경향이다 이러한 환경사회학의 전통은 한국의 환경사회학

에서도 이어지고 있다 lt표 7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환경사회학 연구에서

이론 연구의 비중이 222로서 결코 낮다고 할 수는 없지만 다양한 유형

의 경험적 자료를 활용하는 연구의 비중이 이론 연구에 비해 훨씬 크다

경험적 연구 방법 중에서 환경사회학자들이 일반 사회학자들에 비하여

중시하는 자료는 사례 조사 면접 조사 등을 통해 얻는 질적 자료이다 일

반 사회학자들에 비하여 설문 조사 기존 자료 활용 집계 자료 등의 양적

자료의 활용은 떨어지는 데 반하여 사례조사나 면접을 통해 얻는 질적

자료는 더 많이 활용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연구 방법과 관련된 한국

환경사회학의 특징은 상대적으로 질적 자료를 많이 활동하고 있다는 데

있다

질적 자료의 활용이 활발한 것은 기본적으로 한국 환경사회학자들이

연구하는 대상의 특성 때문이다 동강댐 건설사업 새만금간척사업 4대강

사업 등의 대규모 개발사업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 사고 및 각종

개발사업과 관련된 지역 환경운동 및 환경갈등이 하나의 사례로 다루어

지고 또 이러한 사례 연구에서 심층면접이 자료 수집 방법으로 활용되는

경향이 있다

3 자유주의적 환경개혁론

환경사회학에는 생태학적 설명(ecological explanation) 대 정치경제학적

설명(political economy explanation) 성찰적 근대화론(reflexive modernization)

대 생태학적 근대화론(ecological modernization) 실재론(realism) 대 구성

주의(constructionism) 등의 주요 이론적 쟁점이 있지만(Hannigan 2006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77

16-52) 한국 환경사회학에서는 이러한 쟁점을 둘러싼 논쟁을 찾아보기

어렵다 또한 독자적인 이론을 구성하기 위한 노력도 찾아보기 어렵다 윤

순진이 지적한 바 있듯이 ldquo많은 연구들은 다른 학문분과에서 구축한 이

론을 환경 관련 쟁점과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동원하는 양상을rdquo 띠거나

(윤순진 2013 85) 해외 환경사회학계에서 확립된 이론을 연구의 자원으

로 활용하는 데 머무르고 있다

그러나 다른 학문분과나 해외 환경사회학에서 확립된 이론을 수용하여

자원으로 활용하는 경우에도 이론의 선택에는 연구자 자신의 이론적 지

향이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대부분의 연구에는 명시적이든 묵시적

이든 연구자 자신의 이론적 지향이 깔려 있다 그렇다면 한국 환경사회

학에서는 어떤 이론적 지향이 우세하고 그 변화의 방향은 어느 쪽인가

말할 필요도 없이 한국의 환경사회학에는 다양한 이론적 지향 즉 험프리

와 버텔이 말하는 보수적 자유주의적 및 급진적 패러다임(Humphrey and

Buttel 1982 19-21)이 공존하고 있다 보수적 패러다임은 환경의식 및 환

경행동 연구에서 가끔 나타나고 있지만 그 영향력은 미미하다 급진적 패

러다임은 원자력발전 위험 환경정의 대규모 개발사업(국책사업) 대안

적 공동체 생태민주주의 등에 관한 연구에서 중요한 관점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보수적 패러다임에 비해서는 그 영향력이 훨씬 크다 이 두 패러

다임에 비해 훨씬 큰 세력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 바로 국가 개혁과 정책

의 전환을 통해 환경 위기 극복의 길을 모색하는 자유주의적 환경개혁론

이다 자유주의적 환경개혁론은 녹색국가 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 환경정책

환경정치 환경middot위험거버넌스 지속가능한 발전 대규모 개발사업 등의 연

구에서 주로 나타나고 있다

4 다양한 전공의 관점 교류

ECO지 기고를 통해 환경사회학 연구에 참여하고 있는 연구자의 전공

은 매우 다양하다 아마도 사회학 내의 다른 어떤 세부분야에 비해서도

78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다양할 것이다 윤순진의 ECO지 게재 글15)의 저자 분석에 따르면 총 24

개 분야의 학문적 배경을 가진 연구자들이 참여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보

면 사회학 인류학 행정학 경제학 정치학 사회복지학 심리학 지리학

지리교육학 도시 및 지역 관련학과 환경middot에너지정책학과 정치생태학 등

의 사회과학 전공자 철학 한국학 등 인문학 전공자 생태학middot생태곤충학

생물학 지질학 환경보건학 과학기술사학 과학관리학 생명공학 등의 자

연과학 전공자 토목공학 등 공학 전공자 등이 ECO에 글을 싣고 있다 물

론 전공별로 참여 저자의 수는 크게 다르다 사회학 전공자가 37명으로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도시 및 지역 관련 분야 전공자(18명) 인류학 전

공자(8명) 행정학 전공자(6명) 등의 순서로 많다(윤순진 2013 80-81)

ECO지 게재 논문 중 공저 논문의 경우 전공이 서로 다른 연구자가 공

동 저자로 참여한 경우는 많지 않으며 ldquo거의 대부분이 동일학과 소속 교

수와 학생 간의 공저이거나 동일 전공 동료 및 선후배 간 공저로 나타났

다(윤순진 2013 83)rdquo 이런 점에서 볼 때 환경사회학 연구가 실질적인 학

제적 연구의 형태가 띠는 것은 아니라고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적어도 학

회 활동과 학회지를 통해서 다양한 전공 간의 관점 공유와 교류는 활발하

게 이루어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5 연구자와 운동가의 소통

한국 환경사회학의 두드러진 특징 중의 하나는 환경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연구자들이 많다는 점이다 환경사회학자 중에는 연구자이면서

환경단체 전국 조직의 대표(이시재 이상헌 윤순진 이필렬 조명래) 지

역 환경단체의 대표(박재묵 노진철 최병두) 환경단체의 임원(구도완) 등

을 현재 맡고 있거나 과거에 역임한 사람들이 많다 위에서 거론된 연구

자보다 훨씬 더 많은 환경사회학자들이 지역 환경단체 등에 임원으로 참

15) 논문 이외의 서평 등의 글도 포함하고 있다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79

여하고 있다 이와는 반대로 환경단체의 상근 운동가로서 환경사회학회

회원으로 참여하고 논문을 발표하는 경우(이승민 안병옥 최예용 김정

수)도 있다

환경사회학자 연구자의 환경운동 참여와 운동가의 연구 참여가 활발하

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은 환경사회학의 특성과 연관되어 있는 현상이다

환경사회학은 기본적으로 환경문제의 근원 환경문제의 영향 및 환경문제

의 해결16)에 관심을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한국의 환경사회학은 특히

lsquo환경문제의 사회학rsquo의 성격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Ⅴ 환경사회학의 전망과 과제

지난 20년 동안 한국 환경사회학은 제도화의 과정을 거쳐 왔다 이 기

간 동안에 환경사회학은 많은 학과에서 정규 교과목으로 받아들여졌고

독립된 연구 영역으로 인정받게 되었다 또한 이 분야 연구자들이 독자적

인 학회를 조직하고 학회가 학술지를 발간함에 따라 연구 활동의 기반이

갖추어졌다 이로써 한국 환경사회학의 제도화가 대체로 완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지난 20년의 기간은 환경사회학의 기반 구축기인 동시에 성장기였다

성장의 속도는 느렸지만 연구자의 수도 증가해 왔고 이에 따라 학문적

성과도 축적되어 왔다 특히 환경사회학자들이 관심을 집중시켰던 원자

력middot위험middot재난 대규모 개발사업 환경운동 등의 영역에서는 의미 있는 성

과가 있었다 최근에 와서 환경사회학은 안정기에 들어가고 있다 ldquo젊은

층의 충원이 지지부진rdquo하고 대학원에서 환경사회학을 전공하려고 하는

학생도 줄어들고 있다(이시재 2013 37) 사회학계 전반에 걸친 침체 분위

16) Riley E Dunlap과 Brent K Marshall은 환경사회학의 최근 연구 초점으로

환경문제의 근원 환경문제의 영향 환경문제의 해결 방안 등 세 가지를 들

었다(Dunlap and Marshall 2007 335-339)

80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기가 일정 부분 환경사회학에도 미치고 있다 미국에서 환경사회학이

1980년대 초에 겪었던 퇴조 분위기가 한국에서도 나타나고 있는 것 같다

그러나 이러한 환경사회학의 침체 분위기가 장기적으로 지속되지는 않

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렇게 전망하는 근거는 두 가지이다 그 하나는 환

경사회학의 태동을 가져왔던 환경문제가 상존하기 때문이다 또한 기후변

화와 같은 환경문제는 향후에도 장기간 지속될 것이 분명하고 유독성 화

학물질과 같은 새로운 환경문제도 부상하고 있다 한 마디로 환경문제가

근본적으로 해결되지 않는 한 환경사회학은 존속하게 될 것이다 둘째로

현재의 침체 분위기는 일정기간의 성장 뒤에 오는 바닥 다지기의 의미가

크다 따라서 장기적으로 보면 환경사회학은 향후에도 안정적 성장을 지

속할 가능성이 크다

어떤 점에서 환경사회학의 미래는 일정 부분 환경사회학자들이 그들에

게 주어진 사명을 어떻게 수행하느냐에 달려 있기도 하다 2005년 필자가

환경사회학회가 펴낸 「우리 눈으로 보는 환경사회학」의 제1장을 쓰면서

환경사회학자의 사명으로 사회의 녹색화와 사회학의 녹색화를 설정한 바

있다 전자는 인간면제주의 패러다임의 지배를 받고 있는 주류 사회학에

인간 생존의 물리적middot생물적 기반을 고려하는 관점을 제공하는 것이고 후

자는 환경오염과 파괴의 원인 그 영향 및 해결 방안을 사회학적으로 설

명하고 제시하는 것이다 특히 후자의 사명을 환경사회학자들이 얼마나

그리고 어떻게 성취하느냐가 환경사회학의 미래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

다 학제적 연구의 정착과 현장 중심의 연구 강화는 환경사회학이 후자의

사명을 수행하기 위해 해결해야 할 당면 과제이다

2014년 6월 16일 접수

2014년 6월 27일 수정 완료

2014년 6월 29일 게재 확정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81

참고문헌

구도완 1995 ldquo한국의 새로운 환경운동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29(2) 347-371

1996 985172한국 환경운동의 사회학985173 문학과지성사

2009 985172마을에서 세상을 바꾸는 사람들 생태적 대안운동을 찾아

서985173 창비사

구도완 등 2013 985172녹색당과 녹색정치985173 아르케

구자건 2008 985172환경갈등과 사회영향평가 방법985173 연세대출판부

김도균 2011 985172환경재난과 지역사회의 변화 허베이스피리트호 기름유출

사고의 사회재난985173 한울아카데미

김두식 1995 ldquo환경문제와 환경보호에 대한 시민들의 태도 조사연구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29(1) 33-67

노진철 2001 985172환경과 사회985173 한울

2010 985172불확실성 시대의 위험사회학985173 한울아카데미

노진철 등 2010 985172태안은 살아 있다 기름 유출 사고 이후 3년 다시 쓰

는 태안 리포트985173 동녘

문순홍 1992 985172생태위기와 녹색의 대안985173 나라사랑

1999 985172생태학의 담론985173 아르케

2001 985172한국의 여성환경운동985173 아르케

2006a 985172정치생태학과 녹색국가985173 아르케

2006b 985172녹색국가의 탐색985173 아르케

2006c 985172개발국가의 녹색성찰985173 아르케

문태훈 등 2008 985172지속가능한 사회 이야기985173 법문사

박순열 2009 985172불만의 새만금985173 한국학술정보

박재묵 1991 ldquo환경문제에 대한 사회학적 이해rdquo pp 71-83 한국사회학회

(편) 985172현대 한국 사회문제의 진단과 처방985173(특별심포지움 논문집)

서영표영국적록연구그룹 2010 985172사회주의 녹색을 만나다985173 한울아카데미

양종회 1993 ldquo우리나라 국민들의 환경문제에 대한 의식의 변화 및 사회

82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적 기반rdquo 985172한국사회학회985173 26(4) 89-120

양종회 등 2002 985172아시아 태평양지역의 환경문제 환경운동 및 환경정책985173 서울대출판부

윤순진 2013 ldquo《ECO》분석을 통해 본 한국 환경사회학 연구의 흐름rdquo

pp 67-98 한국환경사회학회(편) 985172환경사회학 이론과 환경문제985173 한울아카데미

이득연 1998 985172환경운동의 사회학985173 민영사

이상헌 2003 985172물 세상을 움직이는 물의 정치와 정치 생태학985173 이매진

2011 985172생태주의985173 책세상

이시재 1994 ldquo환경사회학rdquo 한국사회학회(편) 98517221세기의 한국 사회학985173 문학과지성사

2013 ldquo한국 환경사회학의 회고와 전망rdquo pp 67-98 한국환경사회

학회(편) 985172환경사회학 이론과 환경문제985173 한울아카데미

이시재 등 2010 985172생태사회적 발전의 현장과 이론985173 아르케

정대연 2002 985172환경사회학985173 아카넷

2004 985172환경주의와 지속가능한 발전985173 집문당

2010 985172한국 지속가능발전의 구조와 변동985173 집문당

조명래 2001 985172녹색사회의 탐색985173 한울

2006 985172개발정치와 녹색진보985173 환경과 생명

2009 985172지구화 되돌아보기와 넘어서기 공간환경의 모순과 극복985173 환경과 생명

2013a 985172공간으로 사회읽기 개념 쟁점과 대안985173 한울아카데미

2013b 985172녹색토건주의와 환경위기985173 한울아카데미

조명래 등 2005 985172신개발주의를 멈춰라985173 환경과 생명

최병두 1993a 985172한국의 공간과 환경985173 한길사

1993b 985172현대 환경문제의 재인식985173 한울

1995 985172환경사회이론과 국제환경문제985173 한울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83

1999a 985172환경갈등과 불평등985173 한울

1999b 985172녹색사회를 위한 비평985173 한울

2002 985172녹색전망985173 도요새

2003a 985172도시속의 환경 열두 달(봄 여름)985173 한울

2003b 985172도시속의 환경 열두 달(가을 겨울)985173 한울

2010 985172비판적 생태학과 환경정의985173 한울아카데미

한국사회학회 2007 985172한국사회학회 50년사 1957-2007985173 한학문학

한국환경사회학회 2005 985172우리 눈으로 보는 환경사회학985173 창비사

2013a 985172환경사회학이론과 환경문제985173 한울

2013b 985172환경운동과 생활세계985173 한울

한상진 2006 985172환경정의의 사회학985173 UUP

험프리버틀(Craig Humphrey and Frederick R Buttel) 1995 985172환경사회학985173 양종회이시재 역 사회비평사

홍성태 2000 985172대한민국 위험사회985173 당대

2006 985172한국의 근대화와 물985173 한울아카데미

2010 985172생명의 강을 위하여 생태사회학자 홍성태 교수의 4대강

지키기 제안985173 중원문화

2012 985172개발과 파괴의 사회학 위험 사회를 넘어서985173 중원문화

Buttel Frederick H and Craig R Humphrey 2002 Sociological Theory

and the Natural Environment pp 33ndash69 in Riley E Dunlap and

William Michelson(eds) Handbook of Environmental Sociology

Westport CT Greenwood Press

Catton William R Jr and Riley Dunlap 1978 Environmental Sociology

A New Paradigm The American Sociologist 13 41-49

Dunlap Riley E and Brent K Marshall 2007 Environmental Sociology

pp 329-340 in Clifton D Bryant and Dennis L Peck(eds) 21st

Century Sociology A Reference Handbook Thousand Oaks CA

84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Sage Publications

Hannigan John 2006 Environmental Sociology(second edition)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Harper Charles 2004 Environment and Society Human Perspectives on

Environmental Issues Upper Saddle River New Jersey Pearson

Education Inc

Humphrey Craig R and Frederick H Buttel 1982 Environment Energy

and Society Belmont California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International Sociological Association(RC24) Korean Sociological

Association and Korean Association for Environmental Sociology

2004 Globalization Localization and Environment (Proceedings for

2004 ISA RC24 Conference in Seoul)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85

The Research Trend and Prospect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Park Jae-mookProf Dept of Sociology Chungnam Univ

Abstract

The aims of this paper are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and to anticipate its future developments As a groundwork for these works we briefly examined the institutionalization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Here we considered the organizing process of environmental sociologists association and the incorporation of the course of environmental sociology into the regular curricula Nextly we examined research trends of environmental sociology and tried to draw common characteristics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The most frequently dealt subjects in ECO a representative journal in this field have been nuclear power risk and disaster large-scale development projects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nd behaviour environmental problems and climate changes And distinguished characteristics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have been found to be focus on environmental problems dependence on qualitative methodology emphasis on environmental reforms of liberal tradition exchange of perspectives among researchers from various fields communications between researchers and activists Lastly it was suggested that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ist should develop interdisciplinary research and field research

Key Words Environmental Sociology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Institutionalization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Korean Association for Environmental Sociology ECO

Page 4: 환경과 사회 연구의 동향과 전망isrku.org/adm/data/1351080157_fEMV3OxI_02-EBB095EC9... · 2014-07-06 ·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 pp.55-85 ‘환경과 사회’

58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그 관련 과목의 정규 교육과정 진입을 주로 다루게 된다 제3장에서는 한

국 환경사회학자들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그 특징을 도출해 보고자 한

다 이를 위해 단행본과 함께 한국환경사회학회의 학술지 「환경사회학연

구」(ECO)에 게재된 논문의 주제를 분석하게 된다 제4장에서는 제3장의

분석을 토대로 한국 환경사회학의 미래 전개 방향을 전망하고 그 과제를

도출해 보고자 한다

Ⅱ 환경사회학의 제도화 과정과 현황

1960년대 이후 급속하게 추진된 공업화로 인해 이미 1970년대부터 여

천 울산 등 공단지역에서 대기오염 피해가 나타나기 시작했고 1982년에

는 우리나라 최초의 공해병으로 기록된 lsquo온산병rsquo이 발생하였다 급속한 도

시화에 따라 악화된 하천 수질 또한 환경 우려를 자아내기에 충분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1980년대 초부터 lsquo반공해rsquo 운동단체들이 조직되기 시작

했고 1989년에는 우리나라 최초의 대중적 환경운동단체라 할 수 있는 공

해추방운동연합이 출현했다 이처럼 lsquo공해문제rsquo로 표현된 당시의 환경 악

화 및 파괴 그리고 그에 따른 환경문제에 대한 우려의 확산이 환경사회학

의 출현의 배경이 되었다

1 환경사회학의 정규 교과목 편입

사회학자들이 환경사회학을 정규 교과목으로 가르치기 시작한 것은

1990년부터이다 지금까지 알려진 우리나라 최초의 환경사회학 강의는

1990년 2학기에 서강대 대학원에서 최재현에 의해 가르쳐졌다 서강대

서울대 연세대 이화여대 대학원생 15명 정도가 참여한 이 강의의 명칭은

lsquo환경의 사회학rsquo이었고 강의의 내용은 환경이론서 읽기와 공해현장 답사

및 실태조사로 구성되어 있었다4) 학부과정에서는 이시재가 1993년 1학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59

대학 학과명 학부 교과목

가톨릭대학교 사회학전공 환경사회학

강원대학교 사회학과 -경남대학교 사회학과 환경사회학

경북대학교 사회학과 환경사회학실습

경상대학교 사회학과 환경사회학1)경희대학교 사회학과 환경사회학

계명대학교 사회학과 환경사회학

고려대학교(서울) 사회학과 환경사회학

고려대학교(세종) 사회학과 환경사회학

국민대학교 사회학과 -대구가톨릭대학교 사회학과 환경과 지역사회

대구대학교 사회학과 환경사회학

덕성여대학교 사회학전공 환경사회학

동국대학교 사회학전공 -동아대학교 사회학과 환경사회학

부산대학교 사회학과 환경과 생태의 사회학

서강대학교 사회학전공 환경사회학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환경과 생태의 사회학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사회학과 환경과 도시

성공회대학교 사회과학부 -성균관대학교 사회학과 -아주대학교 사회학전공 환경사회학

기부터 성심여자대학교(현 가톨릭대학교) 사회학과에서 환경사회학을 강

의하기 시작했는데 이것이 학부에서 이루어진 최초의 강의였다(이시재

1994 164)5)

lt표 1gt 환경사회학 및 관련 과목의 개설 현황(2013년)

4) 1990년 9월 21일자 한겨레신문 기사를 참조하였다5) 이시재는 최근에 발표한 ldquo나의 환경사회학 회고rdquo에서 환경사회학 과목을

1992년에 개설하였다고 밝히고 있다 (이시재 2013 50) 따라서 과목의 개설

시기는 1992년이고 실제로 강의한 해는 1993년인 것으로 해석된다

60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대학 학과명 학부 교과목

연세대학교 사회학과 환경과 사회

영남대학교 사회학과 환경과 사회

울산대학교 사회middot복지학전공 에너지와 생태사회

이화여자대학교 사회학전공 환경사회학

전남대학교 사회학과 환경사회학

전북대학교 사회학과 환경과 발전

제주대학교 사회학과 환경사회학

중앙대학교 사회학과 환경사회학

창원대학교 사회학과 환경사회학

청주대학교 사회학과 환경사회학

충남대학교 사회학과 환경사회학

충북대학교 사회학과 환경사회학

한림대학교 사회학과 인구와 환경

한신대학교 사회학과 -한양대학교(서울) 사회학전공 -한양대학교(안산) 정보사회학과 환경사회학

한일장신대학교 사회경제학전공 -주 1)예비과목으로 설강되고 있음

이때부터 환경사회학 강의가 다른 대학에서도 개설되기 시작했으나

1994년까지만 해도 전국에서 환경사회학을 개설하는 대학은 소수였다 학

부에서 개설하고 있었던 대학은 성심여대(현 가톨릭대학교 성심교정)와

충북대뿐이었고 대학원에서 환경사회학 및 관련 과목을 개설한 학교로는

성균관대 성심여대 충남대 등이 있었다 반면에 학부 과정과 대학원 과

정에 인간생태학(론) 또는 사회생태학이라는 명칭의 교과목을 개설한 학

교가 7개교 있었는데(이시재 1994 164-5) 이들 교과목은 그 내용의 측면

에서 볼 때 오늘날의 환경사회학과는 다소 거리가 있다

그 후 환경사회학 강의는 점차 확대되어 2013년 현재 전국의 39개 대학

사회학과 및 연관학과의 약 80인 31개 학과에서 환경사회학 관련 과목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61

을 개설하고 있다(lt표 1gt 참조) 강좌의 명칭으로는 대체로 lsquo환경사회학rsquo

을 사용하고 있지만 지역사회 도시 발전 인구 등을 환경과 연관시키고

있는 강좌들이 일부 있고 부산대 서울대 울산대 등에서는 lsquo생태rsquo를 강조

하는 강좌 명칭을 사용하고 있는 점이 눈에 띈다

환경사회학의 정규 교과목 진입으로 교재의 개발이 뒤따랐다 우리말

로 쓰여진 최초의 교재는 학부에서 강의가 처음 이루어진 때로부터 2년

뒤에 출판되었다 최초의 우리말 교재는 양종회와 이시재가 험프리(Craig

Humphrey)와 버텔(Frederick R Buttel)의 Environment Energy and Society

(1982)를 번역한 「환경사회학」(1995)이었다 국내 학자가 쓴 교재들은

2000년대에 들어 와서 비로소 출판되기 시작했다 대표적인 교재로는 노

진철의 「환경과 사회」(2001) 정대연의 「환경사회학」(2002) 한국환경사회

학회 소속 연구자 11인이 공동으로 집필한 「우리 눈으로 보는 환경사회학

」(2005) 등이 있다 다수 환경사회학회 회원이 참여한 교재 공동 집필은

환경사회학의 범위와 주요 내용을 표준화하는 데 기여했다는 의미를 갖

는다

2 연구 영역 확립과 독립 학회의 조직

lsquo환경rsquo이 사회학계에서 하나의 연구영역으로 확립되기 시작한 시기는

1990년대 초반이다 사회학대회에서 lsquo환경rsquo이 분과로 처음 등장한 시기는

사회학회가 분과확장기에 들어가기 시작한 1991년이다 1991년 6월 28일

충남대학교에서 개최된 전기 사회학대회는 12개의 분과로 조직되었는데

그 중 제11분과의 명칭이 lsquo집중토론2-자연과 환경문제rsquo였다(한국사회학

회 2007 204) 여기에서는 4명의 발표가 있었고 주요 주제는 안면도방사

성폐기물처분장 입지 결정을 둘러싼 갈등이었다 1991년 12월 12-13일 중

앙대학교에서 열린 후기 사회학대회에서는 공식적으로 lsquo환경과 공해 분

과rsquo가 조직되었다 이 분과에서는 생활쓰레기 처리가 공동 주제였다

사회학대회의 환경사회학 분과는 1990년대 초반까지는 환경사회학 연

62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구자들의 유일한 발표의 장이었고 그 후 환경사회학자들이 독자적 연구

회 및 학회를 조직한 후에도 이 분야 학자들에게 중요한 소통의 장이었다

1991년부터 2006년까지 환경사회학 분과가 조직된 사회학대회는 1991년

전기 및 후기 1994년 전기 1995년 후기 1996년 전기 1998년 전기 1998

년 후기 1999년 전기 2000년 전기와 후기 2003년 후기 2004년 전기

2006년 전기 및 후기 등이다 그리고 이들 분과에서 발표된 논문의 수는

55개에 이른다(한국사회학회 2007 207-208)

환경문제의 사회적 관련에 관심을 가진 연구자들이 점차 늘어나면서

독자적 연구자 모임이 만들어지기 시작했는데 최초의 환경사회학 연구자

모임은 1995년 6월 23일에 결성된 한국환경사회학연구회(회장 권태환)였

다 이 연구회는 규모가 작고 규약조차 없는 느슨한 조직이었지만 회원들

의 참여 의욕이 높아 그 활동은 매우 활발했다 주요 활동으로는 한국사

회학회가 개최한 춘middot추계사회학대회에서의 환경사회학 분과 조직 및 논

문 발표 춘middot추계의 정기적 워크샵 개최 및 환경현장 답사6) 등을 들 수 있

다(한국환경사회학회 2005 40)

이 연구회 모임을 기반으로 하여 한국환경사회학회(초대 회장 이시재)

가 2000년 6월 3일에 창립되었다 창립 기념 세미나의 주제는 당시 주요

사회적 쟁점 중의 하나였던 동강댐(영월댐)이었고 4편의 논문이 발표되

었다 현재 환경사회학회에는 약 150명의 연구자들이 회원으로 참여하고

있다 회원의 대다수는 사회학자들이지만 정치학자 경제학자 인류학자

등 다양한 사회과학분야 연구자들도 참여하고 있고 소수이기는 하지만

자연과학 및 공학을 전공한 연구자들도 참여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환경

사회학회는 학제적 성격을 지닌 학회라고 할 수 있고 사회학회의 lsquo분과

6) 환경현장 답사는 환경사회학연구회의 특징적인 활동이었다 연구회 창립 이

후 2000년 한국환경사회학회로 재창립되기까지 방문한 현장은 광주광역시

광산구 음식물사료화연구시설(1996년 6월) 대구 금호강유역 오염 현장(1997년 6월) 울산 온산공단(1997년 10월) 서산 천수만간척지 및 태안 안면도

(1998년 5월) 창녕 우포늪 및 주남저수지(1998년 11월) 영월 동강(1999년 4월) 부안 새만금간척지구(2000년 3월) 등이었다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63

학회rsquo의 성격보다는 lsquo연관 학회rsquo의 성격을 더 강하게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환경사회학회는 과거 연구회 시절에 수행했던 활동 즉 춘middot추계사회학

대회에서의 분과 활동 춘middot추계의 독자적 학술회의 개최 환경현장 답사

등을 대체로 유지하면서 이에 추가하여 공동 저술 사업 국제학술회의 개

최 학술잡지 「환경사회학연구」(ECO) 발행 등의 활동을 전개해 왔다 환

경사회학회가 기획하여 펴낸 공동 저술로는 교재 성격을 갖는 「우리 눈으

로 보는 환경사회학」(2005)과 lsquo한국 환경사회학 시리즈rsquo의 1 2권으로 펴

낸 「환경사회학 이론과 환경문제」(2013) 및 「환경운동과 생활세계」(2013)

가 있다 환경사회학회가 개최한 주요 국제학술회의로는 2004년 국제사회

학회(ISA) RC24회의와 2011년 제3차 동아시아 환경사회학 국제학술회의

(The 3rd International Symposium on Environmental Sociology in East

Asia)가 있다 반년간(半年刊) 학술지 「환경사회학연구」(ECO)의 발행

(2001년 이후)은 환경사회학회의 가장 중요한 사업이다

Ⅲ 한국 환경사회학의 연구 동향

1 연구 주제

환경사회학의 연구 주제를 파악하기 위해 한국사회학회의 「한국사회학」

및 환경사회학회의 ECO에 게재된 논문7) 환경사회학회의의 학술대회 주

7) 환경사회학 분야의 논문들은 「한국사회학」 및 ECO지 외에 「농촌사회」 「경제와 사회」 등의 다른 학술지에도 게재되고 있지만 이들 학술지에 실린 환

경사회학 관련 논문의 편수가 많지 않음을 고려하여 이들 논문들은 분석 대

상에 포함되지 않았다 분석 대상을 「한국사회학」 및 ECO에 수록된 논문으

로 한정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은 환경농업middot식량middot식품을 다룬 환

경사회학자들의 논문이 체계적으로 배제될 수 있다는 점이다 이 주제를 다

룬 논문의 상당수가 「농촌사회」에 투고되기 때문이다

64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제 사회학자들의 환경사회학적 저서 주제 등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 중에

서 가장 중요한 분석 대상은 「한국사회학」 및 ECO지에 게재된 논문이다

「한국사회학」에 게재된 환경사회학 분야 논문의 편수는 9편에 지나지 않

으나 ECO 창간 이전의 연구 동향을 보여준다는 점을 고려하여 분석 대상

에 포함하였다 ECO는 환경사회학 분야의 대표적 전문 학술지라는 점을

고려하여 창간호(2001년)에서부터 제17권 1호(2013년 상반기)까지에 수록

된 167개의 논문(lsquo포럼rsquo으로 분류된 것까지 포함)의 주제를 분석하였다

연구 주제는 lt표 2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타를 포함해서 총 19개로 구분

하였다

1) 「한국사회학」 및 ECO 게재 논문의 주제

「한국사회학」에 게재된 논문은 총 9편으로 소수이고8) 그 주제 또한

lt표 2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양하지 않다 ECO 창간(2001년) 이전 즉

2000년 이전에는 환경사회학 분야 논문이 주로 「한국사회학」에 게재되었

기 때문에 이 시기에 발표된 논문의 주제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 시기

에 발표된 논문의 주제는 lsquo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rsquo lsquo환경의식middot환경행동rsquo lsquo환

경정책middot환경행정rsquo 및 lsquo지속가능한 발전rsquo이다 lt표 2gt에서 알 수 있는 것은

환경사회학 분야 연구가 시작되던 1990년대 초반에는 lsquo환경의식middot환경행

동rsquo 및 lsquo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rsquo이 주요 주제였다는 사실이다 「한국사회학」에

개재된 최초의 환경사회학 분야 논문은 양종회의 ldquo우리나라 국민들의 환

경문제에 대한 의식의 변화 및 사회적 기반rdquo(1993)이었다9) 그 뒤를 이어

8) 「한국사회학」에 게재된 논문의 주제별 분석 자료에 따르면 환경을 주제로

한 논문은 1964년부터 2006년 사이에 게재된 전체 논문의 14 수준이다

(한국사회학회 2007 110) 이처럼 「한국사회학」에 실린 환경사회학 분야

논문이 적은 이유는 이 분야 연구자들이 보다 전문화된 ECO지 게재를 선

호하기 때문이다 9) 「한국사회학」에 게재되지는 않았지만 이보다 먼저 발표된 논문으로는 필자

의 ldquo환경문제에 대한 사회학적 이해rdquo(1991)가 있다 이 논문은 1991년 5월

한국사회학회가 주최한 특별심포지움에서 발표되었다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65

서 환경의식에 관한 김두식의 논문(1995)과 환경운동을 다룬 구도완

(1995)의 논문이 발표되었다

lt표 2gt 「한국사회학」 게재 논문의 주제(1991-2013)

주 제10)논문 편수

rsquo91-rsquo95 rsquo96-rsquo00 rsquo01-rsquo05 rsquo06-rsquo10 rsquo11이후 계

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 1 1

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 1 1

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 1 1

환경의식middot환경행동 2 2

환경정책middot환경행정 2 2

지속가능한 발전 1 1

환경middot위험거버넌스 1 1

계 3 3 1 1 1 9

다음으로 ECO에 게재된 총 167편의 주제를 살펴보겠다 19개로 분류

된 전체 주제 중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빈도로 다루어지고 있는 주제는 6

개이다 가장 높은 빈도로 다루어진 주제는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rsquo이다 이 주

제를 다룬 논문은 21편으로 전체 167편의 126를 차지한다11) 이 주제

를 다룬 논문이 가장 많았던 것은 lt표 3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2007년에

발생한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 유출사고에 대한 연구가 두 차례에 걸쳐

특집의 형태로 수록되었기 때문이다 그 다음으로 환경사회학자들이 자주

다룬 주제는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으로 총 19편의 논문이 이 주제를 다루고

10) 주제의 분류 체계는 lt표 3gt과 같았으나 한 편의 논문도 발견되지 않는 주

제는 표에서 제외했다 11) ECO 게재 논문들의 주제어를 분석한 윤순진의 논문에서도 위험위해재난

으로 분류될 수 있는 주제어들이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나고 있고 여기에

원자력 관련 주제어를 포함할 경우에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rsquo과 관련된 주제어

의 빈도는 더욱 높게 나타난다(윤순진 2013 79-80)

66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주 제논문 수

rsquo01 rsquo02 rsquo03 rsquo04 rsquo05 rsquo06 rsquo07 rsquo08 rsquo09 rsquo10 rsquo11 rsquo12 rsquo13 계

환경사회학 이론 2 1 1 1 1 6

환경사회학 방법론 1 1

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 2 1 2 2 1 1 1 1 1 12

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 2 7 6 2 4 21

에너지middot자원 1 1 2 4

환경사상 1 1

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 1 1 2 2 2 1 3 12

있다 동강댐 새만금간척사업 4대강사업 등 정부가 추진했던 대규모 개

발사업에 환경사회학자들이 큰 관심을 기울인 결과이다 이밖에 환경사회

학자들이 많은 관심을 보인 주제로는 lsquo환경의식middot환경행동rsquo(14편) lsquo환경문

제middot기후변화rsquo(12편) lsquo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rsquo(12편) lsquo환경정치rsquo(12편) 등이었

다 이 6개의 주제를 다룬 논문은 총 90편으로서 전체 167편의 539를

차지하고 있다

위의 6개 주제 다음으로 환경사회학자들이 관심을 보인 주제로는 lsquo환경

정책rsquo(8편) lsquo사회영향평가rsquo(8편) lsquo환경middot위험거버넌스rsquo(8편) lsquo환경불평등middot

환경정의rsquo(7편) lsquo환경농업middot식량middot식품rsquo(7편) lsquo환경사회학이론rsquo(6편) lsquo지속

가능한 발전rsquo(5편) lsquo환경복원rsquo(5편) 등이다 lsquo환경농업middot식량middot식품rsquo을 다룬

상당수의 논문들이 「농촌사회」에 수록됨으로써 이 분석에서 제외되고 있

음을 감안할 필요가 있다

lsquo에너지middot자원rsquo(4편) lsquo생태공동체rsquo(2편) lsquo환경사회학방법론rsquo(1편) lsquo환경

사상rsquo(1편) 등의 주제를 다룬 논문은 매우 적었다 lsquo인구rsquo는 당초 주제 분

류 시 별도의 주제로 설정하였으나 관련 논문이 전혀 발견되지 않아 주

제 목록에서 제외했다 이것은 환경사회학적 관점에서 인구를 다루는 연

구자가 없음을 의미한다

lt표 3gt ECO 게재 논문의 주제(2001-2013년)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67

주 제논문 수

rsquo01 rsquo02 rsquo03 rsquo04 rsquo05 rsquo06 rsquo07 rsquo08 rsquo09 rsquo10 rsquo11 rsquo12 rsquo13 계

환경의식middot환경행동 1 2 1 1 2 3 2 2 14

환경정책 1 1 1 4 1 8

대규모 개발사업 3 4 4 1 1 1 1 2 2 19

사회영향평가 4 1 1 1 1 8

지속가능발전 1 3 1 5

환경정치 1 2 1 1 1 1 1 3 1 12

환경middot위험거버넌스 2 1 1 1 2 1 8

환경불평등middot환경정의 1 1 2 2 1 7

환경복원 4 1 5

환경농업middot식량middot식품 1 1 4 1 7

생태공동체 1 1 2

기타 2 2 1 2 3 2 1 1 1 15

계 9 19 16 15 11 12 13 16 13 11 13 14 5 167

위의 주제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1990년대

이래 한국 환경사회학 분야의 논문 주제는 점차 다양해져 왔다 1990년대

에는 lsquo환경의식middot환경행동rsquo lsquo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rsquo 등 몇 가지 주제에 관한

소수의 논문이 발표되었으나 2000년대에 들어와서는 편수의 증가와 함께

주제가 매우 다양해졌다 현재는 환경사회학의 주요 주제들의 대부분이

다루어지고 있다 둘째 특정의 1-2개 주제에 대한 쏠림 현상이 두드러지

지는 않지만 주제별로 논문의 편수는 큰 차이를 보인다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

난rsquo과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은 연구자의 관심을 가장 많이 끈 주제인 반면에

lsquo환경사상rsquo lsquo생태공동체rsquo lsquo에너지middot자원rsquo 등에 대한 관심은 매우 낮다 셋

째 특정 연구 주제의 상승이나 하락이 뚜렷이 나타나지는 않는다 비교적

많은 관심을 끈 6개의 주제를 다룬 논문들은 전 기간에 걸쳐 고르게 발표

되었다 다만 lsquo환경사회학 이론rsquo lsquo환경사회학 방법론rsquo lsquo환경사상rsquo lsquo환경

68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연도 춘middot추계 학술대회 주제 주제 유형

2001 창립기념동강댐 건설 문제의 사회문화적 조사연구

보고대규모 개발사업

추계 새만금 대규모 개발사업

복원rsquo 등을 다룬 논문이 최근에는 발표되지 않고 있고 반대로 lsquo에너지middot자

원rsquo에 관한 논문들은 최근에 와서 주로 발표되고 있기는 하지만 이들 주

제를 다룬 사례 수가 많지 않아 뚜렷한 경향을 발견하기는 어렵다

2) 정기학술대회의 주제

환경사회학회는 연 2회 춘middot추계 정기학술대회를 개최한다 학회 창립

이후 개최된 총 26회의 정기학술대회 중 주제가 확인되지 않은 2회를 제

외한 나머지 24회 학술대회의 주제는 lt표 4gt와 같다 정기학술대회에서

가장 자주 등장했던 주제는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5회)이었다 동강댐(2001년

창립기념세미나) 새만금간척사업(2001년 추계 2003년 추계) 4대강사업

(2010년 춘계) 등의 특정 개발 사례와 대규모개발사업 일반(2006년 춘계)

이 주제로 등장했다 두 번째로 자주 등장한 주제는 lsquo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rsquo

으로 2004년 추계 2005년 춘계 및 추계 2007년 춘계 등 4회였다 그 다

음으로 자주 등장한 주제는 lsquo환경정책rsquo(2006년 추계 2009년 추계 2012년

추계)과 lsquo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rsquo(2007년 추계 2010년 추계 2011년 춘계)로

각각 3회 나타났다 lsquo환경정책rsquo으로는 노무현 정부의 lsquo살기 좋은 지역 만

들기rsquo 정책과 이명박 정부의 환경정책 일반과 녹색성장정책이 다루어졌

다 이 밖에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rsquo(2008년 춘계 2009년 춘계) lsquo지속가능한

발전rsquo(2011년 추계 2012년 춘계) lsquo환경사상rsquo(2005년 추계 2013년 춘계)

등이 각각 2회씩 그리고 lsquo생태공동체rsquo(2002년 추계) lsquo환경불평등middot환경정

의rsquo(2004년 추계) lsquo환경정치rsquo(2006년 추계) lsquo환경농업middot식량middot식품rsquo(2008년

추계) 등이 각각 1회씩 등장했다

lt표 4gt 한국환경사회학회 정기학술대회의 주제(2001-2013년)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69

연도 춘middot추계 학술대회 주제 주제 유형

2002춘계 지역과 환경 기타

추계환경친화적 지역사회 개발과 새로운 공동체 운동

생태공동체

2003춘계 미확인 기타

추계 새만금 간척사업 대규모 개발사업

2004춘계 미확인 기타

추계 환경갈등과 환경정의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환경불평등middot환경정의

2005춘계

사회갈등과 주민참여 지역 및 환경갈등을 중심으로

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

추계 환경철학과 환경운동환경사상

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

2006춘계 대규모 개발사업과 환경정치

대규모 개발사업환경정치

추계 살기 좋은 지역 만들기의 이론과 전략 환경정책

2007춘계

대규모 개발사업을 둘러싼 환경갈등과 생태민주주의의 전망

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

추계 기후변화와 한국사회의 선택 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

2008춘계

환경재난의 지역사회 영향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를 중심으로

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

추계 먹을거리의 환경사회학 환경농업middot식량middot식품

2009춘계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의 사회적middot심리적 영향과 공동체 복원

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

추계환경사회학의 관점에서 본 lsquo저탄소 녹색성장rsquo 환경정책

2010춘계 4대강사업에 대한 환경사회학적 성찰 대규모 개발사업

추계 기후변화의 사회학 일상에서 지구촌까지 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

2011춘계

구제역을 통해서 본 지본주의시대의 환경과 생명

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

추계 환경적으로 지속가능한 동아시아를 위하여

지속가능한 발전

2012춘계 지속가능한 발전과 경상남도의 과제 지속가능한 발전

추계 이명박 정부의 환경정책 평가와 대안 환경정책

2013춘계 한국의 생태주의 사상과 역사 환경사상

추계한국 환경사회학의 보편성과 특수성 그리고 미래의 과제

환경사회학 이론

70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연도 주 제

2001 동강댐의 환경사회학(통권 1호)

2002 새만금간척사업의 환경사회학(통권 2호) 사회영향평가연구(통권 3호)

2003 청계천 복원의 사회학(통권 4호) 노무현정부의 환경정책 평가(통권 5호)

2004 부안핵폐기물처리장 문제의 환경사회학(통권 6호) 새만금간척사업의

환경사회학Ⅱ(통권 7호)

2005 한국 국가의 녹색화 연구(통권 8호) 환경정의 경험적 연구(통권 9호)

3) ECO 특집의 주제

ECO지는 매호 하나의 주제를 정하고 관련 논문을 특집으로 묶어 수록

하고 있다 ECO지의 특집 주제의 목록은 lt표 5gt 참조에 제시되어 있다

특집 주제로 가장 자주 설정된 것은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rsquo으로 그 횟수는 6

회이다 세부적으로 보면 방사성폐기물 원자력발전 등 원자력 문제(통권

6호 제10권 1호 제17권 1호)와 재난(제12권 1호 제13권 1호 제15권 1

호)이 각각 3회씩 다루어졌다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 유출사고는 두 번

이나 특집으로 다루어졌다 두 번째로 자주 다루어진 주제는 lsquo환경정책rsquo이었다 환경정책은 5회(통권 5호 통권 8호 제11권 1호 제13권 2호 제16

권 2호) 등장했는데 구체적으로는 노무현 정부의 환경정책 녹색국가 기

후변화 정책 이명박 정부의 녹색성장정책과 일반 환경정책이 다루어졌

다 세 번째로 자주 다루어진 주제는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으로 그 횟수는 4

회(통권 1호 통권 2호 통권 7호 제14권 1호)였다 동강댐 및 4대강 사업

이 1회씩 그리고 새만금간척사업이 2회 다루어졌다 이 밖에 lsquo사회적 영

향평가rsquo(통권 3호 제 10권 2호)와 lsquo환경의식middot환경행동rsquo(제14권 2호 제15

권 2호)이 각각 2회씩 다루어졌고 lsquo환경정의rsquo(통권 9호) lsquo환경복원rsquo(통권

4호) lsquo환경농업middot식량middot식품rsquo(제12권 2호) lsquo환경middot위험거버넌스rsquo(제16권 1

호) lsquo환경문제rsquo(제15권 2호) lsquo지속가능발전(제11권 2호)rsquo 등이 각각 1회씩

다루어졌다

lt표 5gt ECO 각호의 특집 주제(2001-2013년)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71

연도 주 제

2006 방사성폐기물 처분장과 민주주의(제10권 1호) 도시개발의 사회적 영향 은평뉴타운 사례(제10권 2호)

2007 기후변화정책의 국가간 비교연구(제11권 1호) 대안적 발전의 해외사례

연구(제11권 2호)

2008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 연구(제12권 1호) 지구화시대 세계

농식품체계의 환경사회학(제12권 2호)

2009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 연구Ⅱ(제13권 1호) 환경사회학적

관점에서 본 녹색성장(제13권 2호)

2010 4대강사업에 대한 환경사회학적 성찰(제14권 1호) 한국인의 환경 가치

지형(제14권 2호)

2011 환경사회학과 재난관리(제15권 1호) 환경문제와 환경의식(제15권 2호)

2012 위험 사회의 거버넌스(제16권 1호) 이명박 정부의 환경정책과

대안(제16권 2호)

2013 원자력발전과 시민사회 비교연구(제17권 1호)

4) 주요 단행본의 주제

환경사회학자들12)이 저술한 단행본13)은 비교적 다양한 주제를 다루고

있다 2000년대에 들어와서는 저술의 크게 수가 늘어나면서 1990년대에

비하여 주제의 다양성도 크게 증가하고 있다 1990년대에는 lsquo환경사회학

이론rsquo lsquo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rsquo lsquo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rsquo lsquo환경불평등middot환경정의rsquo

등 4개의 주제 영역에 국한되어 있었으나 2000년대에 들어와서는 lsquo대규

모 개발사업rsquo 등 6개 주제에 대한 저술들이 새로 출판되었다 lsquo원자력middot위

험middot재난rsquo에 관한 저술이 최근에 와서 늘어나고 있음이 주목된다

1990년대 이후의 전체 기간에서 가장 많은 단행본이 출판된 주제 영역

은 lsquo환경사회학 이론rsquo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rsquo lsquo환경운동middot

12) 사회학을 전공하지 않은 학자로서 한국환경사회학회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

는 사람은 환경사회학자에 포함시켰다 단행본 필자로는 구자건 문순홍 조명래 최병두 등이 이 경우에 속한다

13) 번역서는 여기에서 제외하였다 또한 다양한 분야의 학자들이 공동으로 저

술한 책 중에서 환경사회학자들의 기여가 크지 않은 저술도 제외하였다

72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환경갈등rsquo lsquo환경정치rsquo 등 5개이다 이들 5개 주제에 관한 저술은 총 25권

으로 전체 저술(46권)의 절반을 넘고 있다 이들 5개 주제 영역 다음으로

lsquo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rsquo(4권) lsquo지속가능한 발전rsquo(4권) lsquo환경불평등middot환경정

의rsquo(3권) 등의 주제 영역에 관한 저술이 많은 편이다

lt표 6gt 단행본의 주제(1990-2013년)

주 제 1990년대 2000-2009년 2010년 이후

환경사회학 이론문순홍(1992) 문순홍(1999) 조명래(2001) 한국환경사회학회(2013)

조명래(2013a)

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최병두(1993b)최병두(1995)

최병두(2003a)최병두(2003b)

대규모 개발사업

문순홍(2006c)박순열(2009)조명래(2006)

홍성태(2010)조명래(2013b)

사회영향평가 구자건(2008)

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 홍성태(2000)

노진철(2010)노진철 등(2010)김도균(2011)홍성태(2012)

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구도완(1996)이득연(1998)

문순홍(2001)구도완(2009) 한국환경사회학회(2013)

지속가능한 발전정대연(2004)문태훈 등(2008)

이시재 등(2010)정대연(2010)

환경불평등middot환경정의 최병두(1999a) 한상진(2006) 최병두(2010)

환경정치

문순홍(2006a)문순홍(2006b)이상헌(2003)

구도완 등(2013)서영표 등(2010)

환경사상 이상헌(2007)

교과서

노진철(2001)정대연(2002)한국환경사회학회(2005)

복합 주제 및 기타최병두(1993a)최병두(1999b)

양종회 등(2002)최병두(2002)홍성태(2006)조명래(2009)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73

2 연구 방법

ECO지의 창간호부터 2003년 6월에 발행한 제17권 1호까지에 게재된

167편의 논문(포럼 포함)에서 사용되고 있는 연구 방법을 9개의 유형으로

구분해 보면 lt표 7gt과 같다 연구 방법을 명시적으로 서술하지 않은 논문

이 적지 않고 복수의 연구 방법을 사용하는 논문이 많아 유형 구분이 쉽

지 않았으나 필자의 주관적 판단에 따라 모든 논문의 연구 방법을 9개의

범주에 배속시켰다

lt표 7gt ECO 게재 논문의 자료수집 방법

주 제논문 수

rsquo01 rsquo02 rsquo03 rsquo04 rsquo05 rsquo06 rsquo07 rsquo08 rsquo09 rsquo10 rsquo11 rsquo12 rsquo13 계

이론 연구 2 9 6 4 3 3 1 4 3 1 1 37(222)

설문조사 2 1 1 2 2 1 3 4 4 2 3 25(150)

문헌middot문서자료 3 3 1 7 4 6 1 5 2 3 3 2 40(240)

기존 자료 3 1 2 1 1 2 10(73)

면접middot심층면접 1 5 1 1 1 1 1 2 2 2 2 19(114)

내용middot담론분석 1 1 1 2 1 1 7(42)

사례 조사 1 2 2 4 1 3 2 4 1 20(120)

비교 연구 1 3 1 1 2 8(48)

시뮬레이션 1 1(06)

계 9 19 16 15 11 12 13 16 13 11 13 14 5 167(1000)

먼저 논문의 발표 시기에 따른 연구 방법의 차이는 드러나지 않는다

다만 이론 연구가 후기로 올수록 줄어드는 경향이 눈에 띌 따름이다

다음으로 연구 방법 간의 빈도 차이는 비교적 뚜렷하게 드러난다 문

헌middot문서자료(40편) 이론 연구(37편) 설문조사(25편) 사례 조사(20편) 면

접middot심층면접(19편) 등이 자주 사용되고 있는 반면에 기존 자료(10편) 비

교연구(8편) 내용middot담론분석(7편) 시뮬레이션(1편) 등은 상대적으로 적게

74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사용되고 있다 문헌middot문서자료 및 이론 연구가 1 2위를 차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환경사회학자들의 독자적인 자료 생산 노력이 활발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마지막으로 ECO 게재 논문과 「한국사회학」 게재 논문의 연구 방법을

비교해 보면 환경사회학의 연구 방법과 사회학 일반의 연구 방법 간에

상당한 차이가 있음이 발견된다 ECO 게재 논문에서는 문헌middot문서자료 이

론 연구 설문조사 등의 순서로 자주 사용된 반면에 「한국사회학」 게재

논문14)들에서는 설문조사(323) 기존 자료(228) 이론(186) 등이 각

각 1 2 3위를 차지하고 있어 중시하고 있는 연구 방법이 서로 다를 뿐만

아니라 ECO 게재 논문들에서 비교적 중시된 문헌middot문서자료(240) 사례

조사(120) 면접middot심층면접(114) 등은 「한국사회학」 게재 논문에서는

훨씬 낮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차이는 결국 환경사회

학자들이 일반 사회학자들과 비교했을 때 양적 자료를 덜 사용하고 질적

자료를 더 많이 사용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Ⅳ 한국 환경사회학의 특징

한국 환경사회학의 특징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환경사회학자 및 그들의

연구 활동의 다양한 측면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여기에서는 연구 주제

연구 방법 이론적 지향 학제적 연구 사회적 실천 등의 다섯 가지 측면에

서 한국 환경사회학의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14) 1964년부터 2006년까지 「한국사회학」에 게재된 논문의 연구 방법을 분석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형 이론설문

조사집계자료 문서자료 기존자료 인터뷰

기타 질적

자료전체

빈도 123 214 67 62 151 31 14 662 186 323 101 94 228 47 21 1000

출처 한국사회학회 2007 120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75

1 환경문제의 사회학

흔히 일본 환경사회학자들은 미국의 환경사회학을 lsquo환경에 대한 사회

학rsquo(sociology of the environment)이라고 특징지으면서 자신들의 환경사회

학을 lsquo환경문제의 사회학rsquo(sociology of environmental problems)이라고 말

한다 이것은 일본의 환경사회학은 구체적인 환경문제가 지역사회 주민

및 피해자의 생활과 지역사회에 미친 영향에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음

을 지적하는 말이다 이러한 일본 환경사회학의 특징은 한국 환경사회학

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이시재는 최근 발표한 ldquo한국 환경사회학의 회고와

전망rdquo에서 lsquo한국에서 환경사회학은 환경문제의 사회학으로 출발했다rsquo고

말하고 한국 환경사회학의 특징 중의 하나로 문제해결을 위한 연구를 들

고 있다(이시재 2013 34-35)

앞에서 우리는 한국 환경사회학의 연구 주제가 논문 특집 학술대회

단행본 등에 있어서 어떻게 나타나는가를 살펴보았다 다양한 연구 활동

중에서 환경사회학자들의 연구 주제 선택의 경향을 잘 보여주는 것은 사

례 수가 가장 많은 논문 발표일 것이다 ECO지 게재 논문을 기준으로 할

때 환경사회학자들은 기후변화를 포함한 환경문제보다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

난rsquo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 lsquo환경의식middot환경행동rsquo을 더 중요하게 다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lt표 3gt 참조) 그러나 가장 빈도가 높은 lsquo원자력middot위

험middot재난rsquo과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은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과 밀접하게 연관

되어 있다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rsquo은 독립적인 주제 영역으로 설정되기는 했

지만 결국 특수한 유형의 환경문제라고 할 수 있고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에

대한 관심은 개발 사업으로 인한 환경문제에 대한 우려에서 비롯되기 때

문이다 따라서 겉으로 드러난 주제 영역보다 주제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의식에 주목한다면 한국의 환경사회학은 lsquo환경문제의 사회학rsquo의 성

격을 강하게 지니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76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2 질적 자료의 활용

환경사회학이 미국에서 처음 형성되던 시기에 농촌사회학의 영향을 강

하게 받았다 농촌사회학의 영향 가운데 대표적인 것으로 경험적 조사 자

료를 중시하는 경향이다 이러한 환경사회학의 전통은 한국의 환경사회학

에서도 이어지고 있다 lt표 7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환경사회학 연구에서

이론 연구의 비중이 222로서 결코 낮다고 할 수는 없지만 다양한 유형

의 경험적 자료를 활용하는 연구의 비중이 이론 연구에 비해 훨씬 크다

경험적 연구 방법 중에서 환경사회학자들이 일반 사회학자들에 비하여

중시하는 자료는 사례 조사 면접 조사 등을 통해 얻는 질적 자료이다 일

반 사회학자들에 비하여 설문 조사 기존 자료 활용 집계 자료 등의 양적

자료의 활용은 떨어지는 데 반하여 사례조사나 면접을 통해 얻는 질적

자료는 더 많이 활용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연구 방법과 관련된 한국

환경사회학의 특징은 상대적으로 질적 자료를 많이 활동하고 있다는 데

있다

질적 자료의 활용이 활발한 것은 기본적으로 한국 환경사회학자들이

연구하는 대상의 특성 때문이다 동강댐 건설사업 새만금간척사업 4대강

사업 등의 대규모 개발사업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 사고 및 각종

개발사업과 관련된 지역 환경운동 및 환경갈등이 하나의 사례로 다루어

지고 또 이러한 사례 연구에서 심층면접이 자료 수집 방법으로 활용되는

경향이 있다

3 자유주의적 환경개혁론

환경사회학에는 생태학적 설명(ecological explanation) 대 정치경제학적

설명(political economy explanation) 성찰적 근대화론(reflexive modernization)

대 생태학적 근대화론(ecological modernization) 실재론(realism) 대 구성

주의(constructionism) 등의 주요 이론적 쟁점이 있지만(Hannigan 2006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77

16-52) 한국 환경사회학에서는 이러한 쟁점을 둘러싼 논쟁을 찾아보기

어렵다 또한 독자적인 이론을 구성하기 위한 노력도 찾아보기 어렵다 윤

순진이 지적한 바 있듯이 ldquo많은 연구들은 다른 학문분과에서 구축한 이

론을 환경 관련 쟁점과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동원하는 양상을rdquo 띠거나

(윤순진 2013 85) 해외 환경사회학계에서 확립된 이론을 연구의 자원으

로 활용하는 데 머무르고 있다

그러나 다른 학문분과나 해외 환경사회학에서 확립된 이론을 수용하여

자원으로 활용하는 경우에도 이론의 선택에는 연구자 자신의 이론적 지

향이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대부분의 연구에는 명시적이든 묵시적

이든 연구자 자신의 이론적 지향이 깔려 있다 그렇다면 한국 환경사회

학에서는 어떤 이론적 지향이 우세하고 그 변화의 방향은 어느 쪽인가

말할 필요도 없이 한국의 환경사회학에는 다양한 이론적 지향 즉 험프리

와 버텔이 말하는 보수적 자유주의적 및 급진적 패러다임(Humphrey and

Buttel 1982 19-21)이 공존하고 있다 보수적 패러다임은 환경의식 및 환

경행동 연구에서 가끔 나타나고 있지만 그 영향력은 미미하다 급진적 패

러다임은 원자력발전 위험 환경정의 대규모 개발사업(국책사업) 대안

적 공동체 생태민주주의 등에 관한 연구에서 중요한 관점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보수적 패러다임에 비해서는 그 영향력이 훨씬 크다 이 두 패러

다임에 비해 훨씬 큰 세력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 바로 국가 개혁과 정책

의 전환을 통해 환경 위기 극복의 길을 모색하는 자유주의적 환경개혁론

이다 자유주의적 환경개혁론은 녹색국가 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 환경정책

환경정치 환경middot위험거버넌스 지속가능한 발전 대규모 개발사업 등의 연

구에서 주로 나타나고 있다

4 다양한 전공의 관점 교류

ECO지 기고를 통해 환경사회학 연구에 참여하고 있는 연구자의 전공

은 매우 다양하다 아마도 사회학 내의 다른 어떤 세부분야에 비해서도

78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다양할 것이다 윤순진의 ECO지 게재 글15)의 저자 분석에 따르면 총 24

개 분야의 학문적 배경을 가진 연구자들이 참여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보

면 사회학 인류학 행정학 경제학 정치학 사회복지학 심리학 지리학

지리교육학 도시 및 지역 관련학과 환경middot에너지정책학과 정치생태학 등

의 사회과학 전공자 철학 한국학 등 인문학 전공자 생태학middot생태곤충학

생물학 지질학 환경보건학 과학기술사학 과학관리학 생명공학 등의 자

연과학 전공자 토목공학 등 공학 전공자 등이 ECO에 글을 싣고 있다 물

론 전공별로 참여 저자의 수는 크게 다르다 사회학 전공자가 37명으로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도시 및 지역 관련 분야 전공자(18명) 인류학 전

공자(8명) 행정학 전공자(6명) 등의 순서로 많다(윤순진 2013 80-81)

ECO지 게재 논문 중 공저 논문의 경우 전공이 서로 다른 연구자가 공

동 저자로 참여한 경우는 많지 않으며 ldquo거의 대부분이 동일학과 소속 교

수와 학생 간의 공저이거나 동일 전공 동료 및 선후배 간 공저로 나타났

다(윤순진 2013 83)rdquo 이런 점에서 볼 때 환경사회학 연구가 실질적인 학

제적 연구의 형태가 띠는 것은 아니라고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적어도 학

회 활동과 학회지를 통해서 다양한 전공 간의 관점 공유와 교류는 활발하

게 이루어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5 연구자와 운동가의 소통

한국 환경사회학의 두드러진 특징 중의 하나는 환경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연구자들이 많다는 점이다 환경사회학자 중에는 연구자이면서

환경단체 전국 조직의 대표(이시재 이상헌 윤순진 이필렬 조명래) 지

역 환경단체의 대표(박재묵 노진철 최병두) 환경단체의 임원(구도완) 등

을 현재 맡고 있거나 과거에 역임한 사람들이 많다 위에서 거론된 연구

자보다 훨씬 더 많은 환경사회학자들이 지역 환경단체 등에 임원으로 참

15) 논문 이외의 서평 등의 글도 포함하고 있다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79

여하고 있다 이와는 반대로 환경단체의 상근 운동가로서 환경사회학회

회원으로 참여하고 논문을 발표하는 경우(이승민 안병옥 최예용 김정

수)도 있다

환경사회학자 연구자의 환경운동 참여와 운동가의 연구 참여가 활발하

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은 환경사회학의 특성과 연관되어 있는 현상이다

환경사회학은 기본적으로 환경문제의 근원 환경문제의 영향 및 환경문제

의 해결16)에 관심을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한국의 환경사회학은 특히

lsquo환경문제의 사회학rsquo의 성격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Ⅴ 환경사회학의 전망과 과제

지난 20년 동안 한국 환경사회학은 제도화의 과정을 거쳐 왔다 이 기

간 동안에 환경사회학은 많은 학과에서 정규 교과목으로 받아들여졌고

독립된 연구 영역으로 인정받게 되었다 또한 이 분야 연구자들이 독자적

인 학회를 조직하고 학회가 학술지를 발간함에 따라 연구 활동의 기반이

갖추어졌다 이로써 한국 환경사회학의 제도화가 대체로 완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지난 20년의 기간은 환경사회학의 기반 구축기인 동시에 성장기였다

성장의 속도는 느렸지만 연구자의 수도 증가해 왔고 이에 따라 학문적

성과도 축적되어 왔다 특히 환경사회학자들이 관심을 집중시켰던 원자

력middot위험middot재난 대규모 개발사업 환경운동 등의 영역에서는 의미 있는 성

과가 있었다 최근에 와서 환경사회학은 안정기에 들어가고 있다 ldquo젊은

층의 충원이 지지부진rdquo하고 대학원에서 환경사회학을 전공하려고 하는

학생도 줄어들고 있다(이시재 2013 37) 사회학계 전반에 걸친 침체 분위

16) Riley E Dunlap과 Brent K Marshall은 환경사회학의 최근 연구 초점으로

환경문제의 근원 환경문제의 영향 환경문제의 해결 방안 등 세 가지를 들

었다(Dunlap and Marshall 2007 335-339)

80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기가 일정 부분 환경사회학에도 미치고 있다 미국에서 환경사회학이

1980년대 초에 겪었던 퇴조 분위기가 한국에서도 나타나고 있는 것 같다

그러나 이러한 환경사회학의 침체 분위기가 장기적으로 지속되지는 않

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렇게 전망하는 근거는 두 가지이다 그 하나는 환

경사회학의 태동을 가져왔던 환경문제가 상존하기 때문이다 또한 기후변

화와 같은 환경문제는 향후에도 장기간 지속될 것이 분명하고 유독성 화

학물질과 같은 새로운 환경문제도 부상하고 있다 한 마디로 환경문제가

근본적으로 해결되지 않는 한 환경사회학은 존속하게 될 것이다 둘째로

현재의 침체 분위기는 일정기간의 성장 뒤에 오는 바닥 다지기의 의미가

크다 따라서 장기적으로 보면 환경사회학은 향후에도 안정적 성장을 지

속할 가능성이 크다

어떤 점에서 환경사회학의 미래는 일정 부분 환경사회학자들이 그들에

게 주어진 사명을 어떻게 수행하느냐에 달려 있기도 하다 2005년 필자가

환경사회학회가 펴낸 「우리 눈으로 보는 환경사회학」의 제1장을 쓰면서

환경사회학자의 사명으로 사회의 녹색화와 사회학의 녹색화를 설정한 바

있다 전자는 인간면제주의 패러다임의 지배를 받고 있는 주류 사회학에

인간 생존의 물리적middot생물적 기반을 고려하는 관점을 제공하는 것이고 후

자는 환경오염과 파괴의 원인 그 영향 및 해결 방안을 사회학적으로 설

명하고 제시하는 것이다 특히 후자의 사명을 환경사회학자들이 얼마나

그리고 어떻게 성취하느냐가 환경사회학의 미래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

다 학제적 연구의 정착과 현장 중심의 연구 강화는 환경사회학이 후자의

사명을 수행하기 위해 해결해야 할 당면 과제이다

2014년 6월 16일 접수

2014년 6월 27일 수정 완료

2014년 6월 29일 게재 확정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81

참고문헌

구도완 1995 ldquo한국의 새로운 환경운동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29(2) 347-371

1996 985172한국 환경운동의 사회학985173 문학과지성사

2009 985172마을에서 세상을 바꾸는 사람들 생태적 대안운동을 찾아

서985173 창비사

구도완 등 2013 985172녹색당과 녹색정치985173 아르케

구자건 2008 985172환경갈등과 사회영향평가 방법985173 연세대출판부

김도균 2011 985172환경재난과 지역사회의 변화 허베이스피리트호 기름유출

사고의 사회재난985173 한울아카데미

김두식 1995 ldquo환경문제와 환경보호에 대한 시민들의 태도 조사연구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29(1) 33-67

노진철 2001 985172환경과 사회985173 한울

2010 985172불확실성 시대의 위험사회학985173 한울아카데미

노진철 등 2010 985172태안은 살아 있다 기름 유출 사고 이후 3년 다시 쓰

는 태안 리포트985173 동녘

문순홍 1992 985172생태위기와 녹색의 대안985173 나라사랑

1999 985172생태학의 담론985173 아르케

2001 985172한국의 여성환경운동985173 아르케

2006a 985172정치생태학과 녹색국가985173 아르케

2006b 985172녹색국가의 탐색985173 아르케

2006c 985172개발국가의 녹색성찰985173 아르케

문태훈 등 2008 985172지속가능한 사회 이야기985173 법문사

박순열 2009 985172불만의 새만금985173 한국학술정보

박재묵 1991 ldquo환경문제에 대한 사회학적 이해rdquo pp 71-83 한국사회학회

(편) 985172현대 한국 사회문제의 진단과 처방985173(특별심포지움 논문집)

서영표영국적록연구그룹 2010 985172사회주의 녹색을 만나다985173 한울아카데미

양종회 1993 ldquo우리나라 국민들의 환경문제에 대한 의식의 변화 및 사회

82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적 기반rdquo 985172한국사회학회985173 26(4) 89-120

양종회 등 2002 985172아시아 태평양지역의 환경문제 환경운동 및 환경정책985173 서울대출판부

윤순진 2013 ldquo《ECO》분석을 통해 본 한국 환경사회학 연구의 흐름rdquo

pp 67-98 한국환경사회학회(편) 985172환경사회학 이론과 환경문제985173 한울아카데미

이득연 1998 985172환경운동의 사회학985173 민영사

이상헌 2003 985172물 세상을 움직이는 물의 정치와 정치 생태학985173 이매진

2011 985172생태주의985173 책세상

이시재 1994 ldquo환경사회학rdquo 한국사회학회(편) 98517221세기의 한국 사회학985173 문학과지성사

2013 ldquo한국 환경사회학의 회고와 전망rdquo pp 67-98 한국환경사회

학회(편) 985172환경사회학 이론과 환경문제985173 한울아카데미

이시재 등 2010 985172생태사회적 발전의 현장과 이론985173 아르케

정대연 2002 985172환경사회학985173 아카넷

2004 985172환경주의와 지속가능한 발전985173 집문당

2010 985172한국 지속가능발전의 구조와 변동985173 집문당

조명래 2001 985172녹색사회의 탐색985173 한울

2006 985172개발정치와 녹색진보985173 환경과 생명

2009 985172지구화 되돌아보기와 넘어서기 공간환경의 모순과 극복985173 환경과 생명

2013a 985172공간으로 사회읽기 개념 쟁점과 대안985173 한울아카데미

2013b 985172녹색토건주의와 환경위기985173 한울아카데미

조명래 등 2005 985172신개발주의를 멈춰라985173 환경과 생명

최병두 1993a 985172한국의 공간과 환경985173 한길사

1993b 985172현대 환경문제의 재인식985173 한울

1995 985172환경사회이론과 국제환경문제985173 한울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83

1999a 985172환경갈등과 불평등985173 한울

1999b 985172녹색사회를 위한 비평985173 한울

2002 985172녹색전망985173 도요새

2003a 985172도시속의 환경 열두 달(봄 여름)985173 한울

2003b 985172도시속의 환경 열두 달(가을 겨울)985173 한울

2010 985172비판적 생태학과 환경정의985173 한울아카데미

한국사회학회 2007 985172한국사회학회 50년사 1957-2007985173 한학문학

한국환경사회학회 2005 985172우리 눈으로 보는 환경사회학985173 창비사

2013a 985172환경사회학이론과 환경문제985173 한울

2013b 985172환경운동과 생활세계985173 한울

한상진 2006 985172환경정의의 사회학985173 UUP

험프리버틀(Craig Humphrey and Frederick R Buttel) 1995 985172환경사회학985173 양종회이시재 역 사회비평사

홍성태 2000 985172대한민국 위험사회985173 당대

2006 985172한국의 근대화와 물985173 한울아카데미

2010 985172생명의 강을 위하여 생태사회학자 홍성태 교수의 4대강

지키기 제안985173 중원문화

2012 985172개발과 파괴의 사회학 위험 사회를 넘어서985173 중원문화

Buttel Frederick H and Craig R Humphrey 2002 Sociological Theory

and the Natural Environment pp 33ndash69 in Riley E Dunlap and

William Michelson(eds) Handbook of Environmental Sociology

Westport CT Greenwood Press

Catton William R Jr and Riley Dunlap 1978 Environmental Sociology

A New Paradigm The American Sociologist 13 41-49

Dunlap Riley E and Brent K Marshall 2007 Environmental Sociology

pp 329-340 in Clifton D Bryant and Dennis L Peck(eds) 21st

Century Sociology A Reference Handbook Thousand Oaks CA

84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Sage Publications

Hannigan John 2006 Environmental Sociology(second edition)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Harper Charles 2004 Environment and Society Human Perspectives on

Environmental Issues Upper Saddle River New Jersey Pearson

Education Inc

Humphrey Craig R and Frederick H Buttel 1982 Environment Energy

and Society Belmont California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International Sociological Association(RC24) Korean Sociological

Association and Korean Association for Environmental Sociology

2004 Globalization Localization and Environment (Proceedings for

2004 ISA RC24 Conference in Seoul)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85

The Research Trend and Prospect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Park Jae-mookProf Dept of Sociology Chungnam Univ

Abstract

The aims of this paper are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and to anticipate its future developments As a groundwork for these works we briefly examined the institutionalization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Here we considered the organizing process of environmental sociologists association and the incorporation of the course of environmental sociology into the regular curricula Nextly we examined research trends of environmental sociology and tried to draw common characteristics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The most frequently dealt subjects in ECO a representative journal in this field have been nuclear power risk and disaster large-scale development projects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nd behaviour environmental problems and climate changes And distinguished characteristics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have been found to be focus on environmental problems dependence on qualitative methodology emphasis on environmental reforms of liberal tradition exchange of perspectives among researchers from various fields communications between researchers and activists Lastly it was suggested that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ist should develop interdisciplinary research and field research

Key Words Environmental Sociology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Institutionalization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Korean Association for Environmental Sociology ECO

Page 5: 환경과 사회 연구의 동향과 전망isrku.org/adm/data/1351080157_fEMV3OxI_02-EBB095EC9... · 2014-07-06 ·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 pp.55-85 ‘환경과 사회’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59

대학 학과명 학부 교과목

가톨릭대학교 사회학전공 환경사회학

강원대학교 사회학과 -경남대학교 사회학과 환경사회학

경북대학교 사회학과 환경사회학실습

경상대학교 사회학과 환경사회학1)경희대학교 사회학과 환경사회학

계명대학교 사회학과 환경사회학

고려대학교(서울) 사회학과 환경사회학

고려대학교(세종) 사회학과 환경사회학

국민대학교 사회학과 -대구가톨릭대학교 사회학과 환경과 지역사회

대구대학교 사회학과 환경사회학

덕성여대학교 사회학전공 환경사회학

동국대학교 사회학전공 -동아대학교 사회학과 환경사회학

부산대학교 사회학과 환경과 생태의 사회학

서강대학교 사회학전공 환경사회학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환경과 생태의 사회학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사회학과 환경과 도시

성공회대학교 사회과학부 -성균관대학교 사회학과 -아주대학교 사회학전공 환경사회학

기부터 성심여자대학교(현 가톨릭대학교) 사회학과에서 환경사회학을 강

의하기 시작했는데 이것이 학부에서 이루어진 최초의 강의였다(이시재

1994 164)5)

lt표 1gt 환경사회학 및 관련 과목의 개설 현황(2013년)

4) 1990년 9월 21일자 한겨레신문 기사를 참조하였다5) 이시재는 최근에 발표한 ldquo나의 환경사회학 회고rdquo에서 환경사회학 과목을

1992년에 개설하였다고 밝히고 있다 (이시재 2013 50) 따라서 과목의 개설

시기는 1992년이고 실제로 강의한 해는 1993년인 것으로 해석된다

60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대학 학과명 학부 교과목

연세대학교 사회학과 환경과 사회

영남대학교 사회학과 환경과 사회

울산대학교 사회middot복지학전공 에너지와 생태사회

이화여자대학교 사회학전공 환경사회학

전남대학교 사회학과 환경사회학

전북대학교 사회학과 환경과 발전

제주대학교 사회학과 환경사회학

중앙대학교 사회학과 환경사회학

창원대학교 사회학과 환경사회학

청주대학교 사회학과 환경사회학

충남대학교 사회학과 환경사회학

충북대학교 사회학과 환경사회학

한림대학교 사회학과 인구와 환경

한신대학교 사회학과 -한양대학교(서울) 사회학전공 -한양대학교(안산) 정보사회학과 환경사회학

한일장신대학교 사회경제학전공 -주 1)예비과목으로 설강되고 있음

이때부터 환경사회학 강의가 다른 대학에서도 개설되기 시작했으나

1994년까지만 해도 전국에서 환경사회학을 개설하는 대학은 소수였다 학

부에서 개설하고 있었던 대학은 성심여대(현 가톨릭대학교 성심교정)와

충북대뿐이었고 대학원에서 환경사회학 및 관련 과목을 개설한 학교로는

성균관대 성심여대 충남대 등이 있었다 반면에 학부 과정과 대학원 과

정에 인간생태학(론) 또는 사회생태학이라는 명칭의 교과목을 개설한 학

교가 7개교 있었는데(이시재 1994 164-5) 이들 교과목은 그 내용의 측면

에서 볼 때 오늘날의 환경사회학과는 다소 거리가 있다

그 후 환경사회학 강의는 점차 확대되어 2013년 현재 전국의 39개 대학

사회학과 및 연관학과의 약 80인 31개 학과에서 환경사회학 관련 과목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61

을 개설하고 있다(lt표 1gt 참조) 강좌의 명칭으로는 대체로 lsquo환경사회학rsquo

을 사용하고 있지만 지역사회 도시 발전 인구 등을 환경과 연관시키고

있는 강좌들이 일부 있고 부산대 서울대 울산대 등에서는 lsquo생태rsquo를 강조

하는 강좌 명칭을 사용하고 있는 점이 눈에 띈다

환경사회학의 정규 교과목 진입으로 교재의 개발이 뒤따랐다 우리말

로 쓰여진 최초의 교재는 학부에서 강의가 처음 이루어진 때로부터 2년

뒤에 출판되었다 최초의 우리말 교재는 양종회와 이시재가 험프리(Craig

Humphrey)와 버텔(Frederick R Buttel)의 Environment Energy and Society

(1982)를 번역한 「환경사회학」(1995)이었다 국내 학자가 쓴 교재들은

2000년대에 들어 와서 비로소 출판되기 시작했다 대표적인 교재로는 노

진철의 「환경과 사회」(2001) 정대연의 「환경사회학」(2002) 한국환경사회

학회 소속 연구자 11인이 공동으로 집필한 「우리 눈으로 보는 환경사회학

」(2005) 등이 있다 다수 환경사회학회 회원이 참여한 교재 공동 집필은

환경사회학의 범위와 주요 내용을 표준화하는 데 기여했다는 의미를 갖

는다

2 연구 영역 확립과 독립 학회의 조직

lsquo환경rsquo이 사회학계에서 하나의 연구영역으로 확립되기 시작한 시기는

1990년대 초반이다 사회학대회에서 lsquo환경rsquo이 분과로 처음 등장한 시기는

사회학회가 분과확장기에 들어가기 시작한 1991년이다 1991년 6월 28일

충남대학교에서 개최된 전기 사회학대회는 12개의 분과로 조직되었는데

그 중 제11분과의 명칭이 lsquo집중토론2-자연과 환경문제rsquo였다(한국사회학

회 2007 204) 여기에서는 4명의 발표가 있었고 주요 주제는 안면도방사

성폐기물처분장 입지 결정을 둘러싼 갈등이었다 1991년 12월 12-13일 중

앙대학교에서 열린 후기 사회학대회에서는 공식적으로 lsquo환경과 공해 분

과rsquo가 조직되었다 이 분과에서는 생활쓰레기 처리가 공동 주제였다

사회학대회의 환경사회학 분과는 1990년대 초반까지는 환경사회학 연

62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구자들의 유일한 발표의 장이었고 그 후 환경사회학자들이 독자적 연구

회 및 학회를 조직한 후에도 이 분야 학자들에게 중요한 소통의 장이었다

1991년부터 2006년까지 환경사회학 분과가 조직된 사회학대회는 1991년

전기 및 후기 1994년 전기 1995년 후기 1996년 전기 1998년 전기 1998

년 후기 1999년 전기 2000년 전기와 후기 2003년 후기 2004년 전기

2006년 전기 및 후기 등이다 그리고 이들 분과에서 발표된 논문의 수는

55개에 이른다(한국사회학회 2007 207-208)

환경문제의 사회적 관련에 관심을 가진 연구자들이 점차 늘어나면서

독자적 연구자 모임이 만들어지기 시작했는데 최초의 환경사회학 연구자

모임은 1995년 6월 23일에 결성된 한국환경사회학연구회(회장 권태환)였

다 이 연구회는 규모가 작고 규약조차 없는 느슨한 조직이었지만 회원들

의 참여 의욕이 높아 그 활동은 매우 활발했다 주요 활동으로는 한국사

회학회가 개최한 춘middot추계사회학대회에서의 환경사회학 분과 조직 및 논

문 발표 춘middot추계의 정기적 워크샵 개최 및 환경현장 답사6) 등을 들 수 있

다(한국환경사회학회 2005 40)

이 연구회 모임을 기반으로 하여 한국환경사회학회(초대 회장 이시재)

가 2000년 6월 3일에 창립되었다 창립 기념 세미나의 주제는 당시 주요

사회적 쟁점 중의 하나였던 동강댐(영월댐)이었고 4편의 논문이 발표되

었다 현재 환경사회학회에는 약 150명의 연구자들이 회원으로 참여하고

있다 회원의 대다수는 사회학자들이지만 정치학자 경제학자 인류학자

등 다양한 사회과학분야 연구자들도 참여하고 있고 소수이기는 하지만

자연과학 및 공학을 전공한 연구자들도 참여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환경

사회학회는 학제적 성격을 지닌 학회라고 할 수 있고 사회학회의 lsquo분과

6) 환경현장 답사는 환경사회학연구회의 특징적인 활동이었다 연구회 창립 이

후 2000년 한국환경사회학회로 재창립되기까지 방문한 현장은 광주광역시

광산구 음식물사료화연구시설(1996년 6월) 대구 금호강유역 오염 현장(1997년 6월) 울산 온산공단(1997년 10월) 서산 천수만간척지 및 태안 안면도

(1998년 5월) 창녕 우포늪 및 주남저수지(1998년 11월) 영월 동강(1999년 4월) 부안 새만금간척지구(2000년 3월) 등이었다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63

학회rsquo의 성격보다는 lsquo연관 학회rsquo의 성격을 더 강하게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환경사회학회는 과거 연구회 시절에 수행했던 활동 즉 춘middot추계사회학

대회에서의 분과 활동 춘middot추계의 독자적 학술회의 개최 환경현장 답사

등을 대체로 유지하면서 이에 추가하여 공동 저술 사업 국제학술회의 개

최 학술잡지 「환경사회학연구」(ECO) 발행 등의 활동을 전개해 왔다 환

경사회학회가 기획하여 펴낸 공동 저술로는 교재 성격을 갖는 「우리 눈으

로 보는 환경사회학」(2005)과 lsquo한국 환경사회학 시리즈rsquo의 1 2권으로 펴

낸 「환경사회학 이론과 환경문제」(2013) 및 「환경운동과 생활세계」(2013)

가 있다 환경사회학회가 개최한 주요 국제학술회의로는 2004년 국제사회

학회(ISA) RC24회의와 2011년 제3차 동아시아 환경사회학 국제학술회의

(The 3rd International Symposium on Environmental Sociology in East

Asia)가 있다 반년간(半年刊) 학술지 「환경사회학연구」(ECO)의 발행

(2001년 이후)은 환경사회학회의 가장 중요한 사업이다

Ⅲ 한국 환경사회학의 연구 동향

1 연구 주제

환경사회학의 연구 주제를 파악하기 위해 한국사회학회의 「한국사회학」

및 환경사회학회의 ECO에 게재된 논문7) 환경사회학회의의 학술대회 주

7) 환경사회학 분야의 논문들은 「한국사회학」 및 ECO지 외에 「농촌사회」 「경제와 사회」 등의 다른 학술지에도 게재되고 있지만 이들 학술지에 실린 환

경사회학 관련 논문의 편수가 많지 않음을 고려하여 이들 논문들은 분석 대

상에 포함되지 않았다 분석 대상을 「한국사회학」 및 ECO에 수록된 논문으

로 한정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은 환경농업middot식량middot식품을 다룬 환

경사회학자들의 논문이 체계적으로 배제될 수 있다는 점이다 이 주제를 다

룬 논문의 상당수가 「농촌사회」에 투고되기 때문이다

64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제 사회학자들의 환경사회학적 저서 주제 등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 중에

서 가장 중요한 분석 대상은 「한국사회학」 및 ECO지에 게재된 논문이다

「한국사회학」에 게재된 환경사회학 분야 논문의 편수는 9편에 지나지 않

으나 ECO 창간 이전의 연구 동향을 보여준다는 점을 고려하여 분석 대상

에 포함하였다 ECO는 환경사회학 분야의 대표적 전문 학술지라는 점을

고려하여 창간호(2001년)에서부터 제17권 1호(2013년 상반기)까지에 수록

된 167개의 논문(lsquo포럼rsquo으로 분류된 것까지 포함)의 주제를 분석하였다

연구 주제는 lt표 2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타를 포함해서 총 19개로 구분

하였다

1) 「한국사회학」 및 ECO 게재 논문의 주제

「한국사회학」에 게재된 논문은 총 9편으로 소수이고8) 그 주제 또한

lt표 2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양하지 않다 ECO 창간(2001년) 이전 즉

2000년 이전에는 환경사회학 분야 논문이 주로 「한국사회학」에 게재되었

기 때문에 이 시기에 발표된 논문의 주제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 시기

에 발표된 논문의 주제는 lsquo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rsquo lsquo환경의식middot환경행동rsquo lsquo환

경정책middot환경행정rsquo 및 lsquo지속가능한 발전rsquo이다 lt표 2gt에서 알 수 있는 것은

환경사회학 분야 연구가 시작되던 1990년대 초반에는 lsquo환경의식middot환경행

동rsquo 및 lsquo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rsquo이 주요 주제였다는 사실이다 「한국사회학」에

개재된 최초의 환경사회학 분야 논문은 양종회의 ldquo우리나라 국민들의 환

경문제에 대한 의식의 변화 및 사회적 기반rdquo(1993)이었다9) 그 뒤를 이어

8) 「한국사회학」에 게재된 논문의 주제별 분석 자료에 따르면 환경을 주제로

한 논문은 1964년부터 2006년 사이에 게재된 전체 논문의 14 수준이다

(한국사회학회 2007 110) 이처럼 「한국사회학」에 실린 환경사회학 분야

논문이 적은 이유는 이 분야 연구자들이 보다 전문화된 ECO지 게재를 선

호하기 때문이다 9) 「한국사회학」에 게재되지는 않았지만 이보다 먼저 발표된 논문으로는 필자

의 ldquo환경문제에 대한 사회학적 이해rdquo(1991)가 있다 이 논문은 1991년 5월

한국사회학회가 주최한 특별심포지움에서 발표되었다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65

서 환경의식에 관한 김두식의 논문(1995)과 환경운동을 다룬 구도완

(1995)의 논문이 발표되었다

lt표 2gt 「한국사회학」 게재 논문의 주제(1991-2013)

주 제10)논문 편수

rsquo91-rsquo95 rsquo96-rsquo00 rsquo01-rsquo05 rsquo06-rsquo10 rsquo11이후 계

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 1 1

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 1 1

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 1 1

환경의식middot환경행동 2 2

환경정책middot환경행정 2 2

지속가능한 발전 1 1

환경middot위험거버넌스 1 1

계 3 3 1 1 1 9

다음으로 ECO에 게재된 총 167편의 주제를 살펴보겠다 19개로 분류

된 전체 주제 중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빈도로 다루어지고 있는 주제는 6

개이다 가장 높은 빈도로 다루어진 주제는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rsquo이다 이 주

제를 다룬 논문은 21편으로 전체 167편의 126를 차지한다11) 이 주제

를 다룬 논문이 가장 많았던 것은 lt표 3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2007년에

발생한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 유출사고에 대한 연구가 두 차례에 걸쳐

특집의 형태로 수록되었기 때문이다 그 다음으로 환경사회학자들이 자주

다룬 주제는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으로 총 19편의 논문이 이 주제를 다루고

10) 주제의 분류 체계는 lt표 3gt과 같았으나 한 편의 논문도 발견되지 않는 주

제는 표에서 제외했다 11) ECO 게재 논문들의 주제어를 분석한 윤순진의 논문에서도 위험위해재난

으로 분류될 수 있는 주제어들이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나고 있고 여기에

원자력 관련 주제어를 포함할 경우에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rsquo과 관련된 주제어

의 빈도는 더욱 높게 나타난다(윤순진 2013 79-80)

66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주 제논문 수

rsquo01 rsquo02 rsquo03 rsquo04 rsquo05 rsquo06 rsquo07 rsquo08 rsquo09 rsquo10 rsquo11 rsquo12 rsquo13 계

환경사회학 이론 2 1 1 1 1 6

환경사회학 방법론 1 1

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 2 1 2 2 1 1 1 1 1 12

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 2 7 6 2 4 21

에너지middot자원 1 1 2 4

환경사상 1 1

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 1 1 2 2 2 1 3 12

있다 동강댐 새만금간척사업 4대강사업 등 정부가 추진했던 대규모 개

발사업에 환경사회학자들이 큰 관심을 기울인 결과이다 이밖에 환경사회

학자들이 많은 관심을 보인 주제로는 lsquo환경의식middot환경행동rsquo(14편) lsquo환경문

제middot기후변화rsquo(12편) lsquo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rsquo(12편) lsquo환경정치rsquo(12편) 등이었

다 이 6개의 주제를 다룬 논문은 총 90편으로서 전체 167편의 539를

차지하고 있다

위의 6개 주제 다음으로 환경사회학자들이 관심을 보인 주제로는 lsquo환경

정책rsquo(8편) lsquo사회영향평가rsquo(8편) lsquo환경middot위험거버넌스rsquo(8편) lsquo환경불평등middot

환경정의rsquo(7편) lsquo환경농업middot식량middot식품rsquo(7편) lsquo환경사회학이론rsquo(6편) lsquo지속

가능한 발전rsquo(5편) lsquo환경복원rsquo(5편) 등이다 lsquo환경농업middot식량middot식품rsquo을 다룬

상당수의 논문들이 「농촌사회」에 수록됨으로써 이 분석에서 제외되고 있

음을 감안할 필요가 있다

lsquo에너지middot자원rsquo(4편) lsquo생태공동체rsquo(2편) lsquo환경사회학방법론rsquo(1편) lsquo환경

사상rsquo(1편) 등의 주제를 다룬 논문은 매우 적었다 lsquo인구rsquo는 당초 주제 분

류 시 별도의 주제로 설정하였으나 관련 논문이 전혀 발견되지 않아 주

제 목록에서 제외했다 이것은 환경사회학적 관점에서 인구를 다루는 연

구자가 없음을 의미한다

lt표 3gt ECO 게재 논문의 주제(2001-2013년)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67

주 제논문 수

rsquo01 rsquo02 rsquo03 rsquo04 rsquo05 rsquo06 rsquo07 rsquo08 rsquo09 rsquo10 rsquo11 rsquo12 rsquo13 계

환경의식middot환경행동 1 2 1 1 2 3 2 2 14

환경정책 1 1 1 4 1 8

대규모 개발사업 3 4 4 1 1 1 1 2 2 19

사회영향평가 4 1 1 1 1 8

지속가능발전 1 3 1 5

환경정치 1 2 1 1 1 1 1 3 1 12

환경middot위험거버넌스 2 1 1 1 2 1 8

환경불평등middot환경정의 1 1 2 2 1 7

환경복원 4 1 5

환경농업middot식량middot식품 1 1 4 1 7

생태공동체 1 1 2

기타 2 2 1 2 3 2 1 1 1 15

계 9 19 16 15 11 12 13 16 13 11 13 14 5 167

위의 주제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1990년대

이래 한국 환경사회학 분야의 논문 주제는 점차 다양해져 왔다 1990년대

에는 lsquo환경의식middot환경행동rsquo lsquo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rsquo 등 몇 가지 주제에 관한

소수의 논문이 발표되었으나 2000년대에 들어와서는 편수의 증가와 함께

주제가 매우 다양해졌다 현재는 환경사회학의 주요 주제들의 대부분이

다루어지고 있다 둘째 특정의 1-2개 주제에 대한 쏠림 현상이 두드러지

지는 않지만 주제별로 논문의 편수는 큰 차이를 보인다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

난rsquo과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은 연구자의 관심을 가장 많이 끈 주제인 반면에

lsquo환경사상rsquo lsquo생태공동체rsquo lsquo에너지middot자원rsquo 등에 대한 관심은 매우 낮다 셋

째 특정 연구 주제의 상승이나 하락이 뚜렷이 나타나지는 않는다 비교적

많은 관심을 끈 6개의 주제를 다룬 논문들은 전 기간에 걸쳐 고르게 발표

되었다 다만 lsquo환경사회학 이론rsquo lsquo환경사회학 방법론rsquo lsquo환경사상rsquo lsquo환경

68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연도 춘middot추계 학술대회 주제 주제 유형

2001 창립기념동강댐 건설 문제의 사회문화적 조사연구

보고대규모 개발사업

추계 새만금 대규모 개발사업

복원rsquo 등을 다룬 논문이 최근에는 발표되지 않고 있고 반대로 lsquo에너지middot자

원rsquo에 관한 논문들은 최근에 와서 주로 발표되고 있기는 하지만 이들 주

제를 다룬 사례 수가 많지 않아 뚜렷한 경향을 발견하기는 어렵다

2) 정기학술대회의 주제

환경사회학회는 연 2회 춘middot추계 정기학술대회를 개최한다 학회 창립

이후 개최된 총 26회의 정기학술대회 중 주제가 확인되지 않은 2회를 제

외한 나머지 24회 학술대회의 주제는 lt표 4gt와 같다 정기학술대회에서

가장 자주 등장했던 주제는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5회)이었다 동강댐(2001년

창립기념세미나) 새만금간척사업(2001년 추계 2003년 추계) 4대강사업

(2010년 춘계) 등의 특정 개발 사례와 대규모개발사업 일반(2006년 춘계)

이 주제로 등장했다 두 번째로 자주 등장한 주제는 lsquo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rsquo

으로 2004년 추계 2005년 춘계 및 추계 2007년 춘계 등 4회였다 그 다

음으로 자주 등장한 주제는 lsquo환경정책rsquo(2006년 추계 2009년 추계 2012년

추계)과 lsquo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rsquo(2007년 추계 2010년 추계 2011년 춘계)로

각각 3회 나타났다 lsquo환경정책rsquo으로는 노무현 정부의 lsquo살기 좋은 지역 만

들기rsquo 정책과 이명박 정부의 환경정책 일반과 녹색성장정책이 다루어졌

다 이 밖에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rsquo(2008년 춘계 2009년 춘계) lsquo지속가능한

발전rsquo(2011년 추계 2012년 춘계) lsquo환경사상rsquo(2005년 추계 2013년 춘계)

등이 각각 2회씩 그리고 lsquo생태공동체rsquo(2002년 추계) lsquo환경불평등middot환경정

의rsquo(2004년 추계) lsquo환경정치rsquo(2006년 추계) lsquo환경농업middot식량middot식품rsquo(2008년

추계) 등이 각각 1회씩 등장했다

lt표 4gt 한국환경사회학회 정기학술대회의 주제(2001-2013년)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69

연도 춘middot추계 학술대회 주제 주제 유형

2002춘계 지역과 환경 기타

추계환경친화적 지역사회 개발과 새로운 공동체 운동

생태공동체

2003춘계 미확인 기타

추계 새만금 간척사업 대규모 개발사업

2004춘계 미확인 기타

추계 환경갈등과 환경정의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환경불평등middot환경정의

2005춘계

사회갈등과 주민참여 지역 및 환경갈등을 중심으로

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

추계 환경철학과 환경운동환경사상

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

2006춘계 대규모 개발사업과 환경정치

대규모 개발사업환경정치

추계 살기 좋은 지역 만들기의 이론과 전략 환경정책

2007춘계

대규모 개발사업을 둘러싼 환경갈등과 생태민주주의의 전망

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

추계 기후변화와 한국사회의 선택 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

2008춘계

환경재난의 지역사회 영향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를 중심으로

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

추계 먹을거리의 환경사회학 환경농업middot식량middot식품

2009춘계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의 사회적middot심리적 영향과 공동체 복원

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

추계환경사회학의 관점에서 본 lsquo저탄소 녹색성장rsquo 환경정책

2010춘계 4대강사업에 대한 환경사회학적 성찰 대규모 개발사업

추계 기후변화의 사회학 일상에서 지구촌까지 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

2011춘계

구제역을 통해서 본 지본주의시대의 환경과 생명

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

추계 환경적으로 지속가능한 동아시아를 위하여

지속가능한 발전

2012춘계 지속가능한 발전과 경상남도의 과제 지속가능한 발전

추계 이명박 정부의 환경정책 평가와 대안 환경정책

2013춘계 한국의 생태주의 사상과 역사 환경사상

추계한국 환경사회학의 보편성과 특수성 그리고 미래의 과제

환경사회학 이론

70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연도 주 제

2001 동강댐의 환경사회학(통권 1호)

2002 새만금간척사업의 환경사회학(통권 2호) 사회영향평가연구(통권 3호)

2003 청계천 복원의 사회학(통권 4호) 노무현정부의 환경정책 평가(통권 5호)

2004 부안핵폐기물처리장 문제의 환경사회학(통권 6호) 새만금간척사업의

환경사회학Ⅱ(통권 7호)

2005 한국 국가의 녹색화 연구(통권 8호) 환경정의 경험적 연구(통권 9호)

3) ECO 특집의 주제

ECO지는 매호 하나의 주제를 정하고 관련 논문을 특집으로 묶어 수록

하고 있다 ECO지의 특집 주제의 목록은 lt표 5gt 참조에 제시되어 있다

특집 주제로 가장 자주 설정된 것은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rsquo으로 그 횟수는 6

회이다 세부적으로 보면 방사성폐기물 원자력발전 등 원자력 문제(통권

6호 제10권 1호 제17권 1호)와 재난(제12권 1호 제13권 1호 제15권 1

호)이 각각 3회씩 다루어졌다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 유출사고는 두 번

이나 특집으로 다루어졌다 두 번째로 자주 다루어진 주제는 lsquo환경정책rsquo이었다 환경정책은 5회(통권 5호 통권 8호 제11권 1호 제13권 2호 제16

권 2호) 등장했는데 구체적으로는 노무현 정부의 환경정책 녹색국가 기

후변화 정책 이명박 정부의 녹색성장정책과 일반 환경정책이 다루어졌

다 세 번째로 자주 다루어진 주제는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으로 그 횟수는 4

회(통권 1호 통권 2호 통권 7호 제14권 1호)였다 동강댐 및 4대강 사업

이 1회씩 그리고 새만금간척사업이 2회 다루어졌다 이 밖에 lsquo사회적 영

향평가rsquo(통권 3호 제 10권 2호)와 lsquo환경의식middot환경행동rsquo(제14권 2호 제15

권 2호)이 각각 2회씩 다루어졌고 lsquo환경정의rsquo(통권 9호) lsquo환경복원rsquo(통권

4호) lsquo환경농업middot식량middot식품rsquo(제12권 2호) lsquo환경middot위험거버넌스rsquo(제16권 1

호) lsquo환경문제rsquo(제15권 2호) lsquo지속가능발전(제11권 2호)rsquo 등이 각각 1회씩

다루어졌다

lt표 5gt ECO 각호의 특집 주제(2001-2013년)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71

연도 주 제

2006 방사성폐기물 처분장과 민주주의(제10권 1호) 도시개발의 사회적 영향 은평뉴타운 사례(제10권 2호)

2007 기후변화정책의 국가간 비교연구(제11권 1호) 대안적 발전의 해외사례

연구(제11권 2호)

2008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 연구(제12권 1호) 지구화시대 세계

농식품체계의 환경사회학(제12권 2호)

2009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 연구Ⅱ(제13권 1호) 환경사회학적

관점에서 본 녹색성장(제13권 2호)

2010 4대강사업에 대한 환경사회학적 성찰(제14권 1호) 한국인의 환경 가치

지형(제14권 2호)

2011 환경사회학과 재난관리(제15권 1호) 환경문제와 환경의식(제15권 2호)

2012 위험 사회의 거버넌스(제16권 1호) 이명박 정부의 환경정책과

대안(제16권 2호)

2013 원자력발전과 시민사회 비교연구(제17권 1호)

4) 주요 단행본의 주제

환경사회학자들12)이 저술한 단행본13)은 비교적 다양한 주제를 다루고

있다 2000년대에 들어와서는 저술의 크게 수가 늘어나면서 1990년대에

비하여 주제의 다양성도 크게 증가하고 있다 1990년대에는 lsquo환경사회학

이론rsquo lsquo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rsquo lsquo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rsquo lsquo환경불평등middot환경정의rsquo

등 4개의 주제 영역에 국한되어 있었으나 2000년대에 들어와서는 lsquo대규

모 개발사업rsquo 등 6개 주제에 대한 저술들이 새로 출판되었다 lsquo원자력middot위

험middot재난rsquo에 관한 저술이 최근에 와서 늘어나고 있음이 주목된다

1990년대 이후의 전체 기간에서 가장 많은 단행본이 출판된 주제 영역

은 lsquo환경사회학 이론rsquo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rsquo lsquo환경운동middot

12) 사회학을 전공하지 않은 학자로서 한국환경사회학회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

는 사람은 환경사회학자에 포함시켰다 단행본 필자로는 구자건 문순홍 조명래 최병두 등이 이 경우에 속한다

13) 번역서는 여기에서 제외하였다 또한 다양한 분야의 학자들이 공동으로 저

술한 책 중에서 환경사회학자들의 기여가 크지 않은 저술도 제외하였다

72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환경갈등rsquo lsquo환경정치rsquo 등 5개이다 이들 5개 주제에 관한 저술은 총 25권

으로 전체 저술(46권)의 절반을 넘고 있다 이들 5개 주제 영역 다음으로

lsquo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rsquo(4권) lsquo지속가능한 발전rsquo(4권) lsquo환경불평등middot환경정

의rsquo(3권) 등의 주제 영역에 관한 저술이 많은 편이다

lt표 6gt 단행본의 주제(1990-2013년)

주 제 1990년대 2000-2009년 2010년 이후

환경사회학 이론문순홍(1992) 문순홍(1999) 조명래(2001) 한국환경사회학회(2013)

조명래(2013a)

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최병두(1993b)최병두(1995)

최병두(2003a)최병두(2003b)

대규모 개발사업

문순홍(2006c)박순열(2009)조명래(2006)

홍성태(2010)조명래(2013b)

사회영향평가 구자건(2008)

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 홍성태(2000)

노진철(2010)노진철 등(2010)김도균(2011)홍성태(2012)

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구도완(1996)이득연(1998)

문순홍(2001)구도완(2009) 한국환경사회학회(2013)

지속가능한 발전정대연(2004)문태훈 등(2008)

이시재 등(2010)정대연(2010)

환경불평등middot환경정의 최병두(1999a) 한상진(2006) 최병두(2010)

환경정치

문순홍(2006a)문순홍(2006b)이상헌(2003)

구도완 등(2013)서영표 등(2010)

환경사상 이상헌(2007)

교과서

노진철(2001)정대연(2002)한국환경사회학회(2005)

복합 주제 및 기타최병두(1993a)최병두(1999b)

양종회 등(2002)최병두(2002)홍성태(2006)조명래(2009)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73

2 연구 방법

ECO지의 창간호부터 2003년 6월에 발행한 제17권 1호까지에 게재된

167편의 논문(포럼 포함)에서 사용되고 있는 연구 방법을 9개의 유형으로

구분해 보면 lt표 7gt과 같다 연구 방법을 명시적으로 서술하지 않은 논문

이 적지 않고 복수의 연구 방법을 사용하는 논문이 많아 유형 구분이 쉽

지 않았으나 필자의 주관적 판단에 따라 모든 논문의 연구 방법을 9개의

범주에 배속시켰다

lt표 7gt ECO 게재 논문의 자료수집 방법

주 제논문 수

rsquo01 rsquo02 rsquo03 rsquo04 rsquo05 rsquo06 rsquo07 rsquo08 rsquo09 rsquo10 rsquo11 rsquo12 rsquo13 계

이론 연구 2 9 6 4 3 3 1 4 3 1 1 37(222)

설문조사 2 1 1 2 2 1 3 4 4 2 3 25(150)

문헌middot문서자료 3 3 1 7 4 6 1 5 2 3 3 2 40(240)

기존 자료 3 1 2 1 1 2 10(73)

면접middot심층면접 1 5 1 1 1 1 1 2 2 2 2 19(114)

내용middot담론분석 1 1 1 2 1 1 7(42)

사례 조사 1 2 2 4 1 3 2 4 1 20(120)

비교 연구 1 3 1 1 2 8(48)

시뮬레이션 1 1(06)

계 9 19 16 15 11 12 13 16 13 11 13 14 5 167(1000)

먼저 논문의 발표 시기에 따른 연구 방법의 차이는 드러나지 않는다

다만 이론 연구가 후기로 올수록 줄어드는 경향이 눈에 띌 따름이다

다음으로 연구 방법 간의 빈도 차이는 비교적 뚜렷하게 드러난다 문

헌middot문서자료(40편) 이론 연구(37편) 설문조사(25편) 사례 조사(20편) 면

접middot심층면접(19편) 등이 자주 사용되고 있는 반면에 기존 자료(10편) 비

교연구(8편) 내용middot담론분석(7편) 시뮬레이션(1편) 등은 상대적으로 적게

74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사용되고 있다 문헌middot문서자료 및 이론 연구가 1 2위를 차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환경사회학자들의 독자적인 자료 생산 노력이 활발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마지막으로 ECO 게재 논문과 「한국사회학」 게재 논문의 연구 방법을

비교해 보면 환경사회학의 연구 방법과 사회학 일반의 연구 방법 간에

상당한 차이가 있음이 발견된다 ECO 게재 논문에서는 문헌middot문서자료 이

론 연구 설문조사 등의 순서로 자주 사용된 반면에 「한국사회학」 게재

논문14)들에서는 설문조사(323) 기존 자료(228) 이론(186) 등이 각

각 1 2 3위를 차지하고 있어 중시하고 있는 연구 방법이 서로 다를 뿐만

아니라 ECO 게재 논문들에서 비교적 중시된 문헌middot문서자료(240) 사례

조사(120) 면접middot심층면접(114) 등은 「한국사회학」 게재 논문에서는

훨씬 낮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차이는 결국 환경사회

학자들이 일반 사회학자들과 비교했을 때 양적 자료를 덜 사용하고 질적

자료를 더 많이 사용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Ⅳ 한국 환경사회학의 특징

한국 환경사회학의 특징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환경사회학자 및 그들의

연구 활동의 다양한 측면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여기에서는 연구 주제

연구 방법 이론적 지향 학제적 연구 사회적 실천 등의 다섯 가지 측면에

서 한국 환경사회학의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14) 1964년부터 2006년까지 「한국사회학」에 게재된 논문의 연구 방법을 분석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형 이론설문

조사집계자료 문서자료 기존자료 인터뷰

기타 질적

자료전체

빈도 123 214 67 62 151 31 14 662 186 323 101 94 228 47 21 1000

출처 한국사회학회 2007 120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75

1 환경문제의 사회학

흔히 일본 환경사회학자들은 미국의 환경사회학을 lsquo환경에 대한 사회

학rsquo(sociology of the environment)이라고 특징지으면서 자신들의 환경사회

학을 lsquo환경문제의 사회학rsquo(sociology of environmental problems)이라고 말

한다 이것은 일본의 환경사회학은 구체적인 환경문제가 지역사회 주민

및 피해자의 생활과 지역사회에 미친 영향에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음

을 지적하는 말이다 이러한 일본 환경사회학의 특징은 한국 환경사회학

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이시재는 최근 발표한 ldquo한국 환경사회학의 회고와

전망rdquo에서 lsquo한국에서 환경사회학은 환경문제의 사회학으로 출발했다rsquo고

말하고 한국 환경사회학의 특징 중의 하나로 문제해결을 위한 연구를 들

고 있다(이시재 2013 34-35)

앞에서 우리는 한국 환경사회학의 연구 주제가 논문 특집 학술대회

단행본 등에 있어서 어떻게 나타나는가를 살펴보았다 다양한 연구 활동

중에서 환경사회학자들의 연구 주제 선택의 경향을 잘 보여주는 것은 사

례 수가 가장 많은 논문 발표일 것이다 ECO지 게재 논문을 기준으로 할

때 환경사회학자들은 기후변화를 포함한 환경문제보다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

난rsquo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 lsquo환경의식middot환경행동rsquo을 더 중요하게 다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lt표 3gt 참조) 그러나 가장 빈도가 높은 lsquo원자력middot위

험middot재난rsquo과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은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과 밀접하게 연관

되어 있다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rsquo은 독립적인 주제 영역으로 설정되기는 했

지만 결국 특수한 유형의 환경문제라고 할 수 있고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에

대한 관심은 개발 사업으로 인한 환경문제에 대한 우려에서 비롯되기 때

문이다 따라서 겉으로 드러난 주제 영역보다 주제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의식에 주목한다면 한국의 환경사회학은 lsquo환경문제의 사회학rsquo의 성

격을 강하게 지니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76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2 질적 자료의 활용

환경사회학이 미국에서 처음 형성되던 시기에 농촌사회학의 영향을 강

하게 받았다 농촌사회학의 영향 가운데 대표적인 것으로 경험적 조사 자

료를 중시하는 경향이다 이러한 환경사회학의 전통은 한국의 환경사회학

에서도 이어지고 있다 lt표 7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환경사회학 연구에서

이론 연구의 비중이 222로서 결코 낮다고 할 수는 없지만 다양한 유형

의 경험적 자료를 활용하는 연구의 비중이 이론 연구에 비해 훨씬 크다

경험적 연구 방법 중에서 환경사회학자들이 일반 사회학자들에 비하여

중시하는 자료는 사례 조사 면접 조사 등을 통해 얻는 질적 자료이다 일

반 사회학자들에 비하여 설문 조사 기존 자료 활용 집계 자료 등의 양적

자료의 활용은 떨어지는 데 반하여 사례조사나 면접을 통해 얻는 질적

자료는 더 많이 활용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연구 방법과 관련된 한국

환경사회학의 특징은 상대적으로 질적 자료를 많이 활동하고 있다는 데

있다

질적 자료의 활용이 활발한 것은 기본적으로 한국 환경사회학자들이

연구하는 대상의 특성 때문이다 동강댐 건설사업 새만금간척사업 4대강

사업 등의 대규모 개발사업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 사고 및 각종

개발사업과 관련된 지역 환경운동 및 환경갈등이 하나의 사례로 다루어

지고 또 이러한 사례 연구에서 심층면접이 자료 수집 방법으로 활용되는

경향이 있다

3 자유주의적 환경개혁론

환경사회학에는 생태학적 설명(ecological explanation) 대 정치경제학적

설명(political economy explanation) 성찰적 근대화론(reflexive modernization)

대 생태학적 근대화론(ecological modernization) 실재론(realism) 대 구성

주의(constructionism) 등의 주요 이론적 쟁점이 있지만(Hannigan 2006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77

16-52) 한국 환경사회학에서는 이러한 쟁점을 둘러싼 논쟁을 찾아보기

어렵다 또한 독자적인 이론을 구성하기 위한 노력도 찾아보기 어렵다 윤

순진이 지적한 바 있듯이 ldquo많은 연구들은 다른 학문분과에서 구축한 이

론을 환경 관련 쟁점과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동원하는 양상을rdquo 띠거나

(윤순진 2013 85) 해외 환경사회학계에서 확립된 이론을 연구의 자원으

로 활용하는 데 머무르고 있다

그러나 다른 학문분과나 해외 환경사회학에서 확립된 이론을 수용하여

자원으로 활용하는 경우에도 이론의 선택에는 연구자 자신의 이론적 지

향이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대부분의 연구에는 명시적이든 묵시적

이든 연구자 자신의 이론적 지향이 깔려 있다 그렇다면 한국 환경사회

학에서는 어떤 이론적 지향이 우세하고 그 변화의 방향은 어느 쪽인가

말할 필요도 없이 한국의 환경사회학에는 다양한 이론적 지향 즉 험프리

와 버텔이 말하는 보수적 자유주의적 및 급진적 패러다임(Humphrey and

Buttel 1982 19-21)이 공존하고 있다 보수적 패러다임은 환경의식 및 환

경행동 연구에서 가끔 나타나고 있지만 그 영향력은 미미하다 급진적 패

러다임은 원자력발전 위험 환경정의 대규모 개발사업(국책사업) 대안

적 공동체 생태민주주의 등에 관한 연구에서 중요한 관점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보수적 패러다임에 비해서는 그 영향력이 훨씬 크다 이 두 패러

다임에 비해 훨씬 큰 세력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 바로 국가 개혁과 정책

의 전환을 통해 환경 위기 극복의 길을 모색하는 자유주의적 환경개혁론

이다 자유주의적 환경개혁론은 녹색국가 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 환경정책

환경정치 환경middot위험거버넌스 지속가능한 발전 대규모 개발사업 등의 연

구에서 주로 나타나고 있다

4 다양한 전공의 관점 교류

ECO지 기고를 통해 환경사회학 연구에 참여하고 있는 연구자의 전공

은 매우 다양하다 아마도 사회학 내의 다른 어떤 세부분야에 비해서도

78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다양할 것이다 윤순진의 ECO지 게재 글15)의 저자 분석에 따르면 총 24

개 분야의 학문적 배경을 가진 연구자들이 참여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보

면 사회학 인류학 행정학 경제학 정치학 사회복지학 심리학 지리학

지리교육학 도시 및 지역 관련학과 환경middot에너지정책학과 정치생태학 등

의 사회과학 전공자 철학 한국학 등 인문학 전공자 생태학middot생태곤충학

생물학 지질학 환경보건학 과학기술사학 과학관리학 생명공학 등의 자

연과학 전공자 토목공학 등 공학 전공자 등이 ECO에 글을 싣고 있다 물

론 전공별로 참여 저자의 수는 크게 다르다 사회학 전공자가 37명으로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도시 및 지역 관련 분야 전공자(18명) 인류학 전

공자(8명) 행정학 전공자(6명) 등의 순서로 많다(윤순진 2013 80-81)

ECO지 게재 논문 중 공저 논문의 경우 전공이 서로 다른 연구자가 공

동 저자로 참여한 경우는 많지 않으며 ldquo거의 대부분이 동일학과 소속 교

수와 학생 간의 공저이거나 동일 전공 동료 및 선후배 간 공저로 나타났

다(윤순진 2013 83)rdquo 이런 점에서 볼 때 환경사회학 연구가 실질적인 학

제적 연구의 형태가 띠는 것은 아니라고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적어도 학

회 활동과 학회지를 통해서 다양한 전공 간의 관점 공유와 교류는 활발하

게 이루어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5 연구자와 운동가의 소통

한국 환경사회학의 두드러진 특징 중의 하나는 환경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연구자들이 많다는 점이다 환경사회학자 중에는 연구자이면서

환경단체 전국 조직의 대표(이시재 이상헌 윤순진 이필렬 조명래) 지

역 환경단체의 대표(박재묵 노진철 최병두) 환경단체의 임원(구도완) 등

을 현재 맡고 있거나 과거에 역임한 사람들이 많다 위에서 거론된 연구

자보다 훨씬 더 많은 환경사회학자들이 지역 환경단체 등에 임원으로 참

15) 논문 이외의 서평 등의 글도 포함하고 있다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79

여하고 있다 이와는 반대로 환경단체의 상근 운동가로서 환경사회학회

회원으로 참여하고 논문을 발표하는 경우(이승민 안병옥 최예용 김정

수)도 있다

환경사회학자 연구자의 환경운동 참여와 운동가의 연구 참여가 활발하

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은 환경사회학의 특성과 연관되어 있는 현상이다

환경사회학은 기본적으로 환경문제의 근원 환경문제의 영향 및 환경문제

의 해결16)에 관심을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한국의 환경사회학은 특히

lsquo환경문제의 사회학rsquo의 성격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Ⅴ 환경사회학의 전망과 과제

지난 20년 동안 한국 환경사회학은 제도화의 과정을 거쳐 왔다 이 기

간 동안에 환경사회학은 많은 학과에서 정규 교과목으로 받아들여졌고

독립된 연구 영역으로 인정받게 되었다 또한 이 분야 연구자들이 독자적

인 학회를 조직하고 학회가 학술지를 발간함에 따라 연구 활동의 기반이

갖추어졌다 이로써 한국 환경사회학의 제도화가 대체로 완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지난 20년의 기간은 환경사회학의 기반 구축기인 동시에 성장기였다

성장의 속도는 느렸지만 연구자의 수도 증가해 왔고 이에 따라 학문적

성과도 축적되어 왔다 특히 환경사회학자들이 관심을 집중시켰던 원자

력middot위험middot재난 대규모 개발사업 환경운동 등의 영역에서는 의미 있는 성

과가 있었다 최근에 와서 환경사회학은 안정기에 들어가고 있다 ldquo젊은

층의 충원이 지지부진rdquo하고 대학원에서 환경사회학을 전공하려고 하는

학생도 줄어들고 있다(이시재 2013 37) 사회학계 전반에 걸친 침체 분위

16) Riley E Dunlap과 Brent K Marshall은 환경사회학의 최근 연구 초점으로

환경문제의 근원 환경문제의 영향 환경문제의 해결 방안 등 세 가지를 들

었다(Dunlap and Marshall 2007 335-339)

80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기가 일정 부분 환경사회학에도 미치고 있다 미국에서 환경사회학이

1980년대 초에 겪었던 퇴조 분위기가 한국에서도 나타나고 있는 것 같다

그러나 이러한 환경사회학의 침체 분위기가 장기적으로 지속되지는 않

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렇게 전망하는 근거는 두 가지이다 그 하나는 환

경사회학의 태동을 가져왔던 환경문제가 상존하기 때문이다 또한 기후변

화와 같은 환경문제는 향후에도 장기간 지속될 것이 분명하고 유독성 화

학물질과 같은 새로운 환경문제도 부상하고 있다 한 마디로 환경문제가

근본적으로 해결되지 않는 한 환경사회학은 존속하게 될 것이다 둘째로

현재의 침체 분위기는 일정기간의 성장 뒤에 오는 바닥 다지기의 의미가

크다 따라서 장기적으로 보면 환경사회학은 향후에도 안정적 성장을 지

속할 가능성이 크다

어떤 점에서 환경사회학의 미래는 일정 부분 환경사회학자들이 그들에

게 주어진 사명을 어떻게 수행하느냐에 달려 있기도 하다 2005년 필자가

환경사회학회가 펴낸 「우리 눈으로 보는 환경사회학」의 제1장을 쓰면서

환경사회학자의 사명으로 사회의 녹색화와 사회학의 녹색화를 설정한 바

있다 전자는 인간면제주의 패러다임의 지배를 받고 있는 주류 사회학에

인간 생존의 물리적middot생물적 기반을 고려하는 관점을 제공하는 것이고 후

자는 환경오염과 파괴의 원인 그 영향 및 해결 방안을 사회학적으로 설

명하고 제시하는 것이다 특히 후자의 사명을 환경사회학자들이 얼마나

그리고 어떻게 성취하느냐가 환경사회학의 미래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

다 학제적 연구의 정착과 현장 중심의 연구 강화는 환경사회학이 후자의

사명을 수행하기 위해 해결해야 할 당면 과제이다

2014년 6월 16일 접수

2014년 6월 27일 수정 완료

2014년 6월 29일 게재 확정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81

참고문헌

구도완 1995 ldquo한국의 새로운 환경운동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29(2) 347-371

1996 985172한국 환경운동의 사회학985173 문학과지성사

2009 985172마을에서 세상을 바꾸는 사람들 생태적 대안운동을 찾아

서985173 창비사

구도완 등 2013 985172녹색당과 녹색정치985173 아르케

구자건 2008 985172환경갈등과 사회영향평가 방법985173 연세대출판부

김도균 2011 985172환경재난과 지역사회의 변화 허베이스피리트호 기름유출

사고의 사회재난985173 한울아카데미

김두식 1995 ldquo환경문제와 환경보호에 대한 시민들의 태도 조사연구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29(1) 33-67

노진철 2001 985172환경과 사회985173 한울

2010 985172불확실성 시대의 위험사회학985173 한울아카데미

노진철 등 2010 985172태안은 살아 있다 기름 유출 사고 이후 3년 다시 쓰

는 태안 리포트985173 동녘

문순홍 1992 985172생태위기와 녹색의 대안985173 나라사랑

1999 985172생태학의 담론985173 아르케

2001 985172한국의 여성환경운동985173 아르케

2006a 985172정치생태학과 녹색국가985173 아르케

2006b 985172녹색국가의 탐색985173 아르케

2006c 985172개발국가의 녹색성찰985173 아르케

문태훈 등 2008 985172지속가능한 사회 이야기985173 법문사

박순열 2009 985172불만의 새만금985173 한국학술정보

박재묵 1991 ldquo환경문제에 대한 사회학적 이해rdquo pp 71-83 한국사회학회

(편) 985172현대 한국 사회문제의 진단과 처방985173(특별심포지움 논문집)

서영표영국적록연구그룹 2010 985172사회주의 녹색을 만나다985173 한울아카데미

양종회 1993 ldquo우리나라 국민들의 환경문제에 대한 의식의 변화 및 사회

82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적 기반rdquo 985172한국사회학회985173 26(4) 89-120

양종회 등 2002 985172아시아 태평양지역의 환경문제 환경운동 및 환경정책985173 서울대출판부

윤순진 2013 ldquo《ECO》분석을 통해 본 한국 환경사회학 연구의 흐름rdquo

pp 67-98 한국환경사회학회(편) 985172환경사회학 이론과 환경문제985173 한울아카데미

이득연 1998 985172환경운동의 사회학985173 민영사

이상헌 2003 985172물 세상을 움직이는 물의 정치와 정치 생태학985173 이매진

2011 985172생태주의985173 책세상

이시재 1994 ldquo환경사회학rdquo 한국사회학회(편) 98517221세기의 한국 사회학985173 문학과지성사

2013 ldquo한국 환경사회학의 회고와 전망rdquo pp 67-98 한국환경사회

학회(편) 985172환경사회학 이론과 환경문제985173 한울아카데미

이시재 등 2010 985172생태사회적 발전의 현장과 이론985173 아르케

정대연 2002 985172환경사회학985173 아카넷

2004 985172환경주의와 지속가능한 발전985173 집문당

2010 985172한국 지속가능발전의 구조와 변동985173 집문당

조명래 2001 985172녹색사회의 탐색985173 한울

2006 985172개발정치와 녹색진보985173 환경과 생명

2009 985172지구화 되돌아보기와 넘어서기 공간환경의 모순과 극복985173 환경과 생명

2013a 985172공간으로 사회읽기 개념 쟁점과 대안985173 한울아카데미

2013b 985172녹색토건주의와 환경위기985173 한울아카데미

조명래 등 2005 985172신개발주의를 멈춰라985173 환경과 생명

최병두 1993a 985172한국의 공간과 환경985173 한길사

1993b 985172현대 환경문제의 재인식985173 한울

1995 985172환경사회이론과 국제환경문제985173 한울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83

1999a 985172환경갈등과 불평등985173 한울

1999b 985172녹색사회를 위한 비평985173 한울

2002 985172녹색전망985173 도요새

2003a 985172도시속의 환경 열두 달(봄 여름)985173 한울

2003b 985172도시속의 환경 열두 달(가을 겨울)985173 한울

2010 985172비판적 생태학과 환경정의985173 한울아카데미

한국사회학회 2007 985172한국사회학회 50년사 1957-2007985173 한학문학

한국환경사회학회 2005 985172우리 눈으로 보는 환경사회학985173 창비사

2013a 985172환경사회학이론과 환경문제985173 한울

2013b 985172환경운동과 생활세계985173 한울

한상진 2006 985172환경정의의 사회학985173 UUP

험프리버틀(Craig Humphrey and Frederick R Buttel) 1995 985172환경사회학985173 양종회이시재 역 사회비평사

홍성태 2000 985172대한민국 위험사회985173 당대

2006 985172한국의 근대화와 물985173 한울아카데미

2010 985172생명의 강을 위하여 생태사회학자 홍성태 교수의 4대강

지키기 제안985173 중원문화

2012 985172개발과 파괴의 사회학 위험 사회를 넘어서985173 중원문화

Buttel Frederick H and Craig R Humphrey 2002 Sociological Theory

and the Natural Environment pp 33ndash69 in Riley E Dunlap and

William Michelson(eds) Handbook of Environmental Sociology

Westport CT Greenwood Press

Catton William R Jr and Riley Dunlap 1978 Environmental Sociology

A New Paradigm The American Sociologist 13 41-49

Dunlap Riley E and Brent K Marshall 2007 Environmental Sociology

pp 329-340 in Clifton D Bryant and Dennis L Peck(eds) 21st

Century Sociology A Reference Handbook Thousand Oaks CA

84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Sage Publications

Hannigan John 2006 Environmental Sociology(second edition)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Harper Charles 2004 Environment and Society Human Perspectives on

Environmental Issues Upper Saddle River New Jersey Pearson

Education Inc

Humphrey Craig R and Frederick H Buttel 1982 Environment Energy

and Society Belmont California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International Sociological Association(RC24) Korean Sociological

Association and Korean Association for Environmental Sociology

2004 Globalization Localization and Environment (Proceedings for

2004 ISA RC24 Conference in Seoul)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85

The Research Trend and Prospect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Park Jae-mookProf Dept of Sociology Chungnam Univ

Abstract

The aims of this paper are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and to anticipate its future developments As a groundwork for these works we briefly examined the institutionalization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Here we considered the organizing process of environmental sociologists association and the incorporation of the course of environmental sociology into the regular curricula Nextly we examined research trends of environmental sociology and tried to draw common characteristics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The most frequently dealt subjects in ECO a representative journal in this field have been nuclear power risk and disaster large-scale development projects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nd behaviour environmental problems and climate changes And distinguished characteristics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have been found to be focus on environmental problems dependence on qualitative methodology emphasis on environmental reforms of liberal tradition exchange of perspectives among researchers from various fields communications between researchers and activists Lastly it was suggested that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ist should develop interdisciplinary research and field research

Key Words Environmental Sociology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Institutionalization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Korean Association for Environmental Sociology ECO

Page 6: 환경과 사회 연구의 동향과 전망isrku.org/adm/data/1351080157_fEMV3OxI_02-EBB095EC9... · 2014-07-06 ·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 pp.55-85 ‘환경과 사회’

60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대학 학과명 학부 교과목

연세대학교 사회학과 환경과 사회

영남대학교 사회학과 환경과 사회

울산대학교 사회middot복지학전공 에너지와 생태사회

이화여자대학교 사회학전공 환경사회학

전남대학교 사회학과 환경사회학

전북대학교 사회학과 환경과 발전

제주대학교 사회학과 환경사회학

중앙대학교 사회학과 환경사회학

창원대학교 사회학과 환경사회학

청주대학교 사회학과 환경사회학

충남대학교 사회학과 환경사회학

충북대학교 사회학과 환경사회학

한림대학교 사회학과 인구와 환경

한신대학교 사회학과 -한양대학교(서울) 사회학전공 -한양대학교(안산) 정보사회학과 환경사회학

한일장신대학교 사회경제학전공 -주 1)예비과목으로 설강되고 있음

이때부터 환경사회학 강의가 다른 대학에서도 개설되기 시작했으나

1994년까지만 해도 전국에서 환경사회학을 개설하는 대학은 소수였다 학

부에서 개설하고 있었던 대학은 성심여대(현 가톨릭대학교 성심교정)와

충북대뿐이었고 대학원에서 환경사회학 및 관련 과목을 개설한 학교로는

성균관대 성심여대 충남대 등이 있었다 반면에 학부 과정과 대학원 과

정에 인간생태학(론) 또는 사회생태학이라는 명칭의 교과목을 개설한 학

교가 7개교 있었는데(이시재 1994 164-5) 이들 교과목은 그 내용의 측면

에서 볼 때 오늘날의 환경사회학과는 다소 거리가 있다

그 후 환경사회학 강의는 점차 확대되어 2013년 현재 전국의 39개 대학

사회학과 및 연관학과의 약 80인 31개 학과에서 환경사회학 관련 과목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61

을 개설하고 있다(lt표 1gt 참조) 강좌의 명칭으로는 대체로 lsquo환경사회학rsquo

을 사용하고 있지만 지역사회 도시 발전 인구 등을 환경과 연관시키고

있는 강좌들이 일부 있고 부산대 서울대 울산대 등에서는 lsquo생태rsquo를 강조

하는 강좌 명칭을 사용하고 있는 점이 눈에 띈다

환경사회학의 정규 교과목 진입으로 교재의 개발이 뒤따랐다 우리말

로 쓰여진 최초의 교재는 학부에서 강의가 처음 이루어진 때로부터 2년

뒤에 출판되었다 최초의 우리말 교재는 양종회와 이시재가 험프리(Craig

Humphrey)와 버텔(Frederick R Buttel)의 Environment Energy and Society

(1982)를 번역한 「환경사회학」(1995)이었다 국내 학자가 쓴 교재들은

2000년대에 들어 와서 비로소 출판되기 시작했다 대표적인 교재로는 노

진철의 「환경과 사회」(2001) 정대연의 「환경사회학」(2002) 한국환경사회

학회 소속 연구자 11인이 공동으로 집필한 「우리 눈으로 보는 환경사회학

」(2005) 등이 있다 다수 환경사회학회 회원이 참여한 교재 공동 집필은

환경사회학의 범위와 주요 내용을 표준화하는 데 기여했다는 의미를 갖

는다

2 연구 영역 확립과 독립 학회의 조직

lsquo환경rsquo이 사회학계에서 하나의 연구영역으로 확립되기 시작한 시기는

1990년대 초반이다 사회학대회에서 lsquo환경rsquo이 분과로 처음 등장한 시기는

사회학회가 분과확장기에 들어가기 시작한 1991년이다 1991년 6월 28일

충남대학교에서 개최된 전기 사회학대회는 12개의 분과로 조직되었는데

그 중 제11분과의 명칭이 lsquo집중토론2-자연과 환경문제rsquo였다(한국사회학

회 2007 204) 여기에서는 4명의 발표가 있었고 주요 주제는 안면도방사

성폐기물처분장 입지 결정을 둘러싼 갈등이었다 1991년 12월 12-13일 중

앙대학교에서 열린 후기 사회학대회에서는 공식적으로 lsquo환경과 공해 분

과rsquo가 조직되었다 이 분과에서는 생활쓰레기 처리가 공동 주제였다

사회학대회의 환경사회학 분과는 1990년대 초반까지는 환경사회학 연

62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구자들의 유일한 발표의 장이었고 그 후 환경사회학자들이 독자적 연구

회 및 학회를 조직한 후에도 이 분야 학자들에게 중요한 소통의 장이었다

1991년부터 2006년까지 환경사회학 분과가 조직된 사회학대회는 1991년

전기 및 후기 1994년 전기 1995년 후기 1996년 전기 1998년 전기 1998

년 후기 1999년 전기 2000년 전기와 후기 2003년 후기 2004년 전기

2006년 전기 및 후기 등이다 그리고 이들 분과에서 발표된 논문의 수는

55개에 이른다(한국사회학회 2007 207-208)

환경문제의 사회적 관련에 관심을 가진 연구자들이 점차 늘어나면서

독자적 연구자 모임이 만들어지기 시작했는데 최초의 환경사회학 연구자

모임은 1995년 6월 23일에 결성된 한국환경사회학연구회(회장 권태환)였

다 이 연구회는 규모가 작고 규약조차 없는 느슨한 조직이었지만 회원들

의 참여 의욕이 높아 그 활동은 매우 활발했다 주요 활동으로는 한국사

회학회가 개최한 춘middot추계사회학대회에서의 환경사회학 분과 조직 및 논

문 발표 춘middot추계의 정기적 워크샵 개최 및 환경현장 답사6) 등을 들 수 있

다(한국환경사회학회 2005 40)

이 연구회 모임을 기반으로 하여 한국환경사회학회(초대 회장 이시재)

가 2000년 6월 3일에 창립되었다 창립 기념 세미나의 주제는 당시 주요

사회적 쟁점 중의 하나였던 동강댐(영월댐)이었고 4편의 논문이 발표되

었다 현재 환경사회학회에는 약 150명의 연구자들이 회원으로 참여하고

있다 회원의 대다수는 사회학자들이지만 정치학자 경제학자 인류학자

등 다양한 사회과학분야 연구자들도 참여하고 있고 소수이기는 하지만

자연과학 및 공학을 전공한 연구자들도 참여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환경

사회학회는 학제적 성격을 지닌 학회라고 할 수 있고 사회학회의 lsquo분과

6) 환경현장 답사는 환경사회학연구회의 특징적인 활동이었다 연구회 창립 이

후 2000년 한국환경사회학회로 재창립되기까지 방문한 현장은 광주광역시

광산구 음식물사료화연구시설(1996년 6월) 대구 금호강유역 오염 현장(1997년 6월) 울산 온산공단(1997년 10월) 서산 천수만간척지 및 태안 안면도

(1998년 5월) 창녕 우포늪 및 주남저수지(1998년 11월) 영월 동강(1999년 4월) 부안 새만금간척지구(2000년 3월) 등이었다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63

학회rsquo의 성격보다는 lsquo연관 학회rsquo의 성격을 더 강하게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환경사회학회는 과거 연구회 시절에 수행했던 활동 즉 춘middot추계사회학

대회에서의 분과 활동 춘middot추계의 독자적 학술회의 개최 환경현장 답사

등을 대체로 유지하면서 이에 추가하여 공동 저술 사업 국제학술회의 개

최 학술잡지 「환경사회학연구」(ECO) 발행 등의 활동을 전개해 왔다 환

경사회학회가 기획하여 펴낸 공동 저술로는 교재 성격을 갖는 「우리 눈으

로 보는 환경사회학」(2005)과 lsquo한국 환경사회학 시리즈rsquo의 1 2권으로 펴

낸 「환경사회학 이론과 환경문제」(2013) 및 「환경운동과 생활세계」(2013)

가 있다 환경사회학회가 개최한 주요 국제학술회의로는 2004년 국제사회

학회(ISA) RC24회의와 2011년 제3차 동아시아 환경사회학 국제학술회의

(The 3rd International Symposium on Environmental Sociology in East

Asia)가 있다 반년간(半年刊) 학술지 「환경사회학연구」(ECO)의 발행

(2001년 이후)은 환경사회학회의 가장 중요한 사업이다

Ⅲ 한국 환경사회학의 연구 동향

1 연구 주제

환경사회학의 연구 주제를 파악하기 위해 한국사회학회의 「한국사회학」

및 환경사회학회의 ECO에 게재된 논문7) 환경사회학회의의 학술대회 주

7) 환경사회학 분야의 논문들은 「한국사회학」 및 ECO지 외에 「농촌사회」 「경제와 사회」 등의 다른 학술지에도 게재되고 있지만 이들 학술지에 실린 환

경사회학 관련 논문의 편수가 많지 않음을 고려하여 이들 논문들은 분석 대

상에 포함되지 않았다 분석 대상을 「한국사회학」 및 ECO에 수록된 논문으

로 한정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은 환경농업middot식량middot식품을 다룬 환

경사회학자들의 논문이 체계적으로 배제될 수 있다는 점이다 이 주제를 다

룬 논문의 상당수가 「농촌사회」에 투고되기 때문이다

64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제 사회학자들의 환경사회학적 저서 주제 등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 중에

서 가장 중요한 분석 대상은 「한국사회학」 및 ECO지에 게재된 논문이다

「한국사회학」에 게재된 환경사회학 분야 논문의 편수는 9편에 지나지 않

으나 ECO 창간 이전의 연구 동향을 보여준다는 점을 고려하여 분석 대상

에 포함하였다 ECO는 환경사회학 분야의 대표적 전문 학술지라는 점을

고려하여 창간호(2001년)에서부터 제17권 1호(2013년 상반기)까지에 수록

된 167개의 논문(lsquo포럼rsquo으로 분류된 것까지 포함)의 주제를 분석하였다

연구 주제는 lt표 2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타를 포함해서 총 19개로 구분

하였다

1) 「한국사회학」 및 ECO 게재 논문의 주제

「한국사회학」에 게재된 논문은 총 9편으로 소수이고8) 그 주제 또한

lt표 2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양하지 않다 ECO 창간(2001년) 이전 즉

2000년 이전에는 환경사회학 분야 논문이 주로 「한국사회학」에 게재되었

기 때문에 이 시기에 발표된 논문의 주제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 시기

에 발표된 논문의 주제는 lsquo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rsquo lsquo환경의식middot환경행동rsquo lsquo환

경정책middot환경행정rsquo 및 lsquo지속가능한 발전rsquo이다 lt표 2gt에서 알 수 있는 것은

환경사회학 분야 연구가 시작되던 1990년대 초반에는 lsquo환경의식middot환경행

동rsquo 및 lsquo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rsquo이 주요 주제였다는 사실이다 「한국사회학」에

개재된 최초의 환경사회학 분야 논문은 양종회의 ldquo우리나라 국민들의 환

경문제에 대한 의식의 변화 및 사회적 기반rdquo(1993)이었다9) 그 뒤를 이어

8) 「한국사회학」에 게재된 논문의 주제별 분석 자료에 따르면 환경을 주제로

한 논문은 1964년부터 2006년 사이에 게재된 전체 논문의 14 수준이다

(한국사회학회 2007 110) 이처럼 「한국사회학」에 실린 환경사회학 분야

논문이 적은 이유는 이 분야 연구자들이 보다 전문화된 ECO지 게재를 선

호하기 때문이다 9) 「한국사회학」에 게재되지는 않았지만 이보다 먼저 발표된 논문으로는 필자

의 ldquo환경문제에 대한 사회학적 이해rdquo(1991)가 있다 이 논문은 1991년 5월

한국사회학회가 주최한 특별심포지움에서 발표되었다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65

서 환경의식에 관한 김두식의 논문(1995)과 환경운동을 다룬 구도완

(1995)의 논문이 발표되었다

lt표 2gt 「한국사회학」 게재 논문의 주제(1991-2013)

주 제10)논문 편수

rsquo91-rsquo95 rsquo96-rsquo00 rsquo01-rsquo05 rsquo06-rsquo10 rsquo11이후 계

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 1 1

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 1 1

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 1 1

환경의식middot환경행동 2 2

환경정책middot환경행정 2 2

지속가능한 발전 1 1

환경middot위험거버넌스 1 1

계 3 3 1 1 1 9

다음으로 ECO에 게재된 총 167편의 주제를 살펴보겠다 19개로 분류

된 전체 주제 중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빈도로 다루어지고 있는 주제는 6

개이다 가장 높은 빈도로 다루어진 주제는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rsquo이다 이 주

제를 다룬 논문은 21편으로 전체 167편의 126를 차지한다11) 이 주제

를 다룬 논문이 가장 많았던 것은 lt표 3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2007년에

발생한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 유출사고에 대한 연구가 두 차례에 걸쳐

특집의 형태로 수록되었기 때문이다 그 다음으로 환경사회학자들이 자주

다룬 주제는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으로 총 19편의 논문이 이 주제를 다루고

10) 주제의 분류 체계는 lt표 3gt과 같았으나 한 편의 논문도 발견되지 않는 주

제는 표에서 제외했다 11) ECO 게재 논문들의 주제어를 분석한 윤순진의 논문에서도 위험위해재난

으로 분류될 수 있는 주제어들이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나고 있고 여기에

원자력 관련 주제어를 포함할 경우에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rsquo과 관련된 주제어

의 빈도는 더욱 높게 나타난다(윤순진 2013 79-80)

66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주 제논문 수

rsquo01 rsquo02 rsquo03 rsquo04 rsquo05 rsquo06 rsquo07 rsquo08 rsquo09 rsquo10 rsquo11 rsquo12 rsquo13 계

환경사회학 이론 2 1 1 1 1 6

환경사회학 방법론 1 1

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 2 1 2 2 1 1 1 1 1 12

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 2 7 6 2 4 21

에너지middot자원 1 1 2 4

환경사상 1 1

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 1 1 2 2 2 1 3 12

있다 동강댐 새만금간척사업 4대강사업 등 정부가 추진했던 대규모 개

발사업에 환경사회학자들이 큰 관심을 기울인 결과이다 이밖에 환경사회

학자들이 많은 관심을 보인 주제로는 lsquo환경의식middot환경행동rsquo(14편) lsquo환경문

제middot기후변화rsquo(12편) lsquo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rsquo(12편) lsquo환경정치rsquo(12편) 등이었

다 이 6개의 주제를 다룬 논문은 총 90편으로서 전체 167편의 539를

차지하고 있다

위의 6개 주제 다음으로 환경사회학자들이 관심을 보인 주제로는 lsquo환경

정책rsquo(8편) lsquo사회영향평가rsquo(8편) lsquo환경middot위험거버넌스rsquo(8편) lsquo환경불평등middot

환경정의rsquo(7편) lsquo환경농업middot식량middot식품rsquo(7편) lsquo환경사회학이론rsquo(6편) lsquo지속

가능한 발전rsquo(5편) lsquo환경복원rsquo(5편) 등이다 lsquo환경농업middot식량middot식품rsquo을 다룬

상당수의 논문들이 「농촌사회」에 수록됨으로써 이 분석에서 제외되고 있

음을 감안할 필요가 있다

lsquo에너지middot자원rsquo(4편) lsquo생태공동체rsquo(2편) lsquo환경사회학방법론rsquo(1편) lsquo환경

사상rsquo(1편) 등의 주제를 다룬 논문은 매우 적었다 lsquo인구rsquo는 당초 주제 분

류 시 별도의 주제로 설정하였으나 관련 논문이 전혀 발견되지 않아 주

제 목록에서 제외했다 이것은 환경사회학적 관점에서 인구를 다루는 연

구자가 없음을 의미한다

lt표 3gt ECO 게재 논문의 주제(2001-2013년)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67

주 제논문 수

rsquo01 rsquo02 rsquo03 rsquo04 rsquo05 rsquo06 rsquo07 rsquo08 rsquo09 rsquo10 rsquo11 rsquo12 rsquo13 계

환경의식middot환경행동 1 2 1 1 2 3 2 2 14

환경정책 1 1 1 4 1 8

대규모 개발사업 3 4 4 1 1 1 1 2 2 19

사회영향평가 4 1 1 1 1 8

지속가능발전 1 3 1 5

환경정치 1 2 1 1 1 1 1 3 1 12

환경middot위험거버넌스 2 1 1 1 2 1 8

환경불평등middot환경정의 1 1 2 2 1 7

환경복원 4 1 5

환경농업middot식량middot식품 1 1 4 1 7

생태공동체 1 1 2

기타 2 2 1 2 3 2 1 1 1 15

계 9 19 16 15 11 12 13 16 13 11 13 14 5 167

위의 주제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1990년대

이래 한국 환경사회학 분야의 논문 주제는 점차 다양해져 왔다 1990년대

에는 lsquo환경의식middot환경행동rsquo lsquo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rsquo 등 몇 가지 주제에 관한

소수의 논문이 발표되었으나 2000년대에 들어와서는 편수의 증가와 함께

주제가 매우 다양해졌다 현재는 환경사회학의 주요 주제들의 대부분이

다루어지고 있다 둘째 특정의 1-2개 주제에 대한 쏠림 현상이 두드러지

지는 않지만 주제별로 논문의 편수는 큰 차이를 보인다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

난rsquo과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은 연구자의 관심을 가장 많이 끈 주제인 반면에

lsquo환경사상rsquo lsquo생태공동체rsquo lsquo에너지middot자원rsquo 등에 대한 관심은 매우 낮다 셋

째 특정 연구 주제의 상승이나 하락이 뚜렷이 나타나지는 않는다 비교적

많은 관심을 끈 6개의 주제를 다룬 논문들은 전 기간에 걸쳐 고르게 발표

되었다 다만 lsquo환경사회학 이론rsquo lsquo환경사회학 방법론rsquo lsquo환경사상rsquo lsquo환경

68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연도 춘middot추계 학술대회 주제 주제 유형

2001 창립기념동강댐 건설 문제의 사회문화적 조사연구

보고대규모 개발사업

추계 새만금 대규모 개발사업

복원rsquo 등을 다룬 논문이 최근에는 발표되지 않고 있고 반대로 lsquo에너지middot자

원rsquo에 관한 논문들은 최근에 와서 주로 발표되고 있기는 하지만 이들 주

제를 다룬 사례 수가 많지 않아 뚜렷한 경향을 발견하기는 어렵다

2) 정기학술대회의 주제

환경사회학회는 연 2회 춘middot추계 정기학술대회를 개최한다 학회 창립

이후 개최된 총 26회의 정기학술대회 중 주제가 확인되지 않은 2회를 제

외한 나머지 24회 학술대회의 주제는 lt표 4gt와 같다 정기학술대회에서

가장 자주 등장했던 주제는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5회)이었다 동강댐(2001년

창립기념세미나) 새만금간척사업(2001년 추계 2003년 추계) 4대강사업

(2010년 춘계) 등의 특정 개발 사례와 대규모개발사업 일반(2006년 춘계)

이 주제로 등장했다 두 번째로 자주 등장한 주제는 lsquo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rsquo

으로 2004년 추계 2005년 춘계 및 추계 2007년 춘계 등 4회였다 그 다

음으로 자주 등장한 주제는 lsquo환경정책rsquo(2006년 추계 2009년 추계 2012년

추계)과 lsquo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rsquo(2007년 추계 2010년 추계 2011년 춘계)로

각각 3회 나타났다 lsquo환경정책rsquo으로는 노무현 정부의 lsquo살기 좋은 지역 만

들기rsquo 정책과 이명박 정부의 환경정책 일반과 녹색성장정책이 다루어졌

다 이 밖에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rsquo(2008년 춘계 2009년 춘계) lsquo지속가능한

발전rsquo(2011년 추계 2012년 춘계) lsquo환경사상rsquo(2005년 추계 2013년 춘계)

등이 각각 2회씩 그리고 lsquo생태공동체rsquo(2002년 추계) lsquo환경불평등middot환경정

의rsquo(2004년 추계) lsquo환경정치rsquo(2006년 추계) lsquo환경농업middot식량middot식품rsquo(2008년

추계) 등이 각각 1회씩 등장했다

lt표 4gt 한국환경사회학회 정기학술대회의 주제(2001-2013년)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69

연도 춘middot추계 학술대회 주제 주제 유형

2002춘계 지역과 환경 기타

추계환경친화적 지역사회 개발과 새로운 공동체 운동

생태공동체

2003춘계 미확인 기타

추계 새만금 간척사업 대규모 개발사업

2004춘계 미확인 기타

추계 환경갈등과 환경정의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환경불평등middot환경정의

2005춘계

사회갈등과 주민참여 지역 및 환경갈등을 중심으로

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

추계 환경철학과 환경운동환경사상

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

2006춘계 대규모 개발사업과 환경정치

대규모 개발사업환경정치

추계 살기 좋은 지역 만들기의 이론과 전략 환경정책

2007춘계

대규모 개발사업을 둘러싼 환경갈등과 생태민주주의의 전망

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

추계 기후변화와 한국사회의 선택 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

2008춘계

환경재난의 지역사회 영향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를 중심으로

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

추계 먹을거리의 환경사회학 환경농업middot식량middot식품

2009춘계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의 사회적middot심리적 영향과 공동체 복원

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

추계환경사회학의 관점에서 본 lsquo저탄소 녹색성장rsquo 환경정책

2010춘계 4대강사업에 대한 환경사회학적 성찰 대규모 개발사업

추계 기후변화의 사회학 일상에서 지구촌까지 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

2011춘계

구제역을 통해서 본 지본주의시대의 환경과 생명

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

추계 환경적으로 지속가능한 동아시아를 위하여

지속가능한 발전

2012춘계 지속가능한 발전과 경상남도의 과제 지속가능한 발전

추계 이명박 정부의 환경정책 평가와 대안 환경정책

2013춘계 한국의 생태주의 사상과 역사 환경사상

추계한국 환경사회학의 보편성과 특수성 그리고 미래의 과제

환경사회학 이론

70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연도 주 제

2001 동강댐의 환경사회학(통권 1호)

2002 새만금간척사업의 환경사회학(통권 2호) 사회영향평가연구(통권 3호)

2003 청계천 복원의 사회학(통권 4호) 노무현정부의 환경정책 평가(통권 5호)

2004 부안핵폐기물처리장 문제의 환경사회학(통권 6호) 새만금간척사업의

환경사회학Ⅱ(통권 7호)

2005 한국 국가의 녹색화 연구(통권 8호) 환경정의 경험적 연구(통권 9호)

3) ECO 특집의 주제

ECO지는 매호 하나의 주제를 정하고 관련 논문을 특집으로 묶어 수록

하고 있다 ECO지의 특집 주제의 목록은 lt표 5gt 참조에 제시되어 있다

특집 주제로 가장 자주 설정된 것은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rsquo으로 그 횟수는 6

회이다 세부적으로 보면 방사성폐기물 원자력발전 등 원자력 문제(통권

6호 제10권 1호 제17권 1호)와 재난(제12권 1호 제13권 1호 제15권 1

호)이 각각 3회씩 다루어졌다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 유출사고는 두 번

이나 특집으로 다루어졌다 두 번째로 자주 다루어진 주제는 lsquo환경정책rsquo이었다 환경정책은 5회(통권 5호 통권 8호 제11권 1호 제13권 2호 제16

권 2호) 등장했는데 구체적으로는 노무현 정부의 환경정책 녹색국가 기

후변화 정책 이명박 정부의 녹색성장정책과 일반 환경정책이 다루어졌

다 세 번째로 자주 다루어진 주제는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으로 그 횟수는 4

회(통권 1호 통권 2호 통권 7호 제14권 1호)였다 동강댐 및 4대강 사업

이 1회씩 그리고 새만금간척사업이 2회 다루어졌다 이 밖에 lsquo사회적 영

향평가rsquo(통권 3호 제 10권 2호)와 lsquo환경의식middot환경행동rsquo(제14권 2호 제15

권 2호)이 각각 2회씩 다루어졌고 lsquo환경정의rsquo(통권 9호) lsquo환경복원rsquo(통권

4호) lsquo환경농업middot식량middot식품rsquo(제12권 2호) lsquo환경middot위험거버넌스rsquo(제16권 1

호) lsquo환경문제rsquo(제15권 2호) lsquo지속가능발전(제11권 2호)rsquo 등이 각각 1회씩

다루어졌다

lt표 5gt ECO 각호의 특집 주제(2001-2013년)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71

연도 주 제

2006 방사성폐기물 처분장과 민주주의(제10권 1호) 도시개발의 사회적 영향 은평뉴타운 사례(제10권 2호)

2007 기후변화정책의 국가간 비교연구(제11권 1호) 대안적 발전의 해외사례

연구(제11권 2호)

2008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 연구(제12권 1호) 지구화시대 세계

농식품체계의 환경사회학(제12권 2호)

2009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 연구Ⅱ(제13권 1호) 환경사회학적

관점에서 본 녹색성장(제13권 2호)

2010 4대강사업에 대한 환경사회학적 성찰(제14권 1호) 한국인의 환경 가치

지형(제14권 2호)

2011 환경사회학과 재난관리(제15권 1호) 환경문제와 환경의식(제15권 2호)

2012 위험 사회의 거버넌스(제16권 1호) 이명박 정부의 환경정책과

대안(제16권 2호)

2013 원자력발전과 시민사회 비교연구(제17권 1호)

4) 주요 단행본의 주제

환경사회학자들12)이 저술한 단행본13)은 비교적 다양한 주제를 다루고

있다 2000년대에 들어와서는 저술의 크게 수가 늘어나면서 1990년대에

비하여 주제의 다양성도 크게 증가하고 있다 1990년대에는 lsquo환경사회학

이론rsquo lsquo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rsquo lsquo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rsquo lsquo환경불평등middot환경정의rsquo

등 4개의 주제 영역에 국한되어 있었으나 2000년대에 들어와서는 lsquo대규

모 개발사업rsquo 등 6개 주제에 대한 저술들이 새로 출판되었다 lsquo원자력middot위

험middot재난rsquo에 관한 저술이 최근에 와서 늘어나고 있음이 주목된다

1990년대 이후의 전체 기간에서 가장 많은 단행본이 출판된 주제 영역

은 lsquo환경사회학 이론rsquo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rsquo lsquo환경운동middot

12) 사회학을 전공하지 않은 학자로서 한국환경사회학회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

는 사람은 환경사회학자에 포함시켰다 단행본 필자로는 구자건 문순홍 조명래 최병두 등이 이 경우에 속한다

13) 번역서는 여기에서 제외하였다 또한 다양한 분야의 학자들이 공동으로 저

술한 책 중에서 환경사회학자들의 기여가 크지 않은 저술도 제외하였다

72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환경갈등rsquo lsquo환경정치rsquo 등 5개이다 이들 5개 주제에 관한 저술은 총 25권

으로 전체 저술(46권)의 절반을 넘고 있다 이들 5개 주제 영역 다음으로

lsquo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rsquo(4권) lsquo지속가능한 발전rsquo(4권) lsquo환경불평등middot환경정

의rsquo(3권) 등의 주제 영역에 관한 저술이 많은 편이다

lt표 6gt 단행본의 주제(1990-2013년)

주 제 1990년대 2000-2009년 2010년 이후

환경사회학 이론문순홍(1992) 문순홍(1999) 조명래(2001) 한국환경사회학회(2013)

조명래(2013a)

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최병두(1993b)최병두(1995)

최병두(2003a)최병두(2003b)

대규모 개발사업

문순홍(2006c)박순열(2009)조명래(2006)

홍성태(2010)조명래(2013b)

사회영향평가 구자건(2008)

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 홍성태(2000)

노진철(2010)노진철 등(2010)김도균(2011)홍성태(2012)

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구도완(1996)이득연(1998)

문순홍(2001)구도완(2009) 한국환경사회학회(2013)

지속가능한 발전정대연(2004)문태훈 등(2008)

이시재 등(2010)정대연(2010)

환경불평등middot환경정의 최병두(1999a) 한상진(2006) 최병두(2010)

환경정치

문순홍(2006a)문순홍(2006b)이상헌(2003)

구도완 등(2013)서영표 등(2010)

환경사상 이상헌(2007)

교과서

노진철(2001)정대연(2002)한국환경사회학회(2005)

복합 주제 및 기타최병두(1993a)최병두(1999b)

양종회 등(2002)최병두(2002)홍성태(2006)조명래(2009)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73

2 연구 방법

ECO지의 창간호부터 2003년 6월에 발행한 제17권 1호까지에 게재된

167편의 논문(포럼 포함)에서 사용되고 있는 연구 방법을 9개의 유형으로

구분해 보면 lt표 7gt과 같다 연구 방법을 명시적으로 서술하지 않은 논문

이 적지 않고 복수의 연구 방법을 사용하는 논문이 많아 유형 구분이 쉽

지 않았으나 필자의 주관적 판단에 따라 모든 논문의 연구 방법을 9개의

범주에 배속시켰다

lt표 7gt ECO 게재 논문의 자료수집 방법

주 제논문 수

rsquo01 rsquo02 rsquo03 rsquo04 rsquo05 rsquo06 rsquo07 rsquo08 rsquo09 rsquo10 rsquo11 rsquo12 rsquo13 계

이론 연구 2 9 6 4 3 3 1 4 3 1 1 37(222)

설문조사 2 1 1 2 2 1 3 4 4 2 3 25(150)

문헌middot문서자료 3 3 1 7 4 6 1 5 2 3 3 2 40(240)

기존 자료 3 1 2 1 1 2 10(73)

면접middot심층면접 1 5 1 1 1 1 1 2 2 2 2 19(114)

내용middot담론분석 1 1 1 2 1 1 7(42)

사례 조사 1 2 2 4 1 3 2 4 1 20(120)

비교 연구 1 3 1 1 2 8(48)

시뮬레이션 1 1(06)

계 9 19 16 15 11 12 13 16 13 11 13 14 5 167(1000)

먼저 논문의 발표 시기에 따른 연구 방법의 차이는 드러나지 않는다

다만 이론 연구가 후기로 올수록 줄어드는 경향이 눈에 띌 따름이다

다음으로 연구 방법 간의 빈도 차이는 비교적 뚜렷하게 드러난다 문

헌middot문서자료(40편) 이론 연구(37편) 설문조사(25편) 사례 조사(20편) 면

접middot심층면접(19편) 등이 자주 사용되고 있는 반면에 기존 자료(10편) 비

교연구(8편) 내용middot담론분석(7편) 시뮬레이션(1편) 등은 상대적으로 적게

74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사용되고 있다 문헌middot문서자료 및 이론 연구가 1 2위를 차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환경사회학자들의 독자적인 자료 생산 노력이 활발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마지막으로 ECO 게재 논문과 「한국사회학」 게재 논문의 연구 방법을

비교해 보면 환경사회학의 연구 방법과 사회학 일반의 연구 방법 간에

상당한 차이가 있음이 발견된다 ECO 게재 논문에서는 문헌middot문서자료 이

론 연구 설문조사 등의 순서로 자주 사용된 반면에 「한국사회학」 게재

논문14)들에서는 설문조사(323) 기존 자료(228) 이론(186) 등이 각

각 1 2 3위를 차지하고 있어 중시하고 있는 연구 방법이 서로 다를 뿐만

아니라 ECO 게재 논문들에서 비교적 중시된 문헌middot문서자료(240) 사례

조사(120) 면접middot심층면접(114) 등은 「한국사회학」 게재 논문에서는

훨씬 낮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차이는 결국 환경사회

학자들이 일반 사회학자들과 비교했을 때 양적 자료를 덜 사용하고 질적

자료를 더 많이 사용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Ⅳ 한국 환경사회학의 특징

한국 환경사회학의 특징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환경사회학자 및 그들의

연구 활동의 다양한 측면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여기에서는 연구 주제

연구 방법 이론적 지향 학제적 연구 사회적 실천 등의 다섯 가지 측면에

서 한국 환경사회학의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14) 1964년부터 2006년까지 「한국사회학」에 게재된 논문의 연구 방법을 분석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형 이론설문

조사집계자료 문서자료 기존자료 인터뷰

기타 질적

자료전체

빈도 123 214 67 62 151 31 14 662 186 323 101 94 228 47 21 1000

출처 한국사회학회 2007 120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75

1 환경문제의 사회학

흔히 일본 환경사회학자들은 미국의 환경사회학을 lsquo환경에 대한 사회

학rsquo(sociology of the environment)이라고 특징지으면서 자신들의 환경사회

학을 lsquo환경문제의 사회학rsquo(sociology of environmental problems)이라고 말

한다 이것은 일본의 환경사회학은 구체적인 환경문제가 지역사회 주민

및 피해자의 생활과 지역사회에 미친 영향에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음

을 지적하는 말이다 이러한 일본 환경사회학의 특징은 한국 환경사회학

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이시재는 최근 발표한 ldquo한국 환경사회학의 회고와

전망rdquo에서 lsquo한국에서 환경사회학은 환경문제의 사회학으로 출발했다rsquo고

말하고 한국 환경사회학의 특징 중의 하나로 문제해결을 위한 연구를 들

고 있다(이시재 2013 34-35)

앞에서 우리는 한국 환경사회학의 연구 주제가 논문 특집 학술대회

단행본 등에 있어서 어떻게 나타나는가를 살펴보았다 다양한 연구 활동

중에서 환경사회학자들의 연구 주제 선택의 경향을 잘 보여주는 것은 사

례 수가 가장 많은 논문 발표일 것이다 ECO지 게재 논문을 기준으로 할

때 환경사회학자들은 기후변화를 포함한 환경문제보다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

난rsquo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 lsquo환경의식middot환경행동rsquo을 더 중요하게 다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lt표 3gt 참조) 그러나 가장 빈도가 높은 lsquo원자력middot위

험middot재난rsquo과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은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과 밀접하게 연관

되어 있다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rsquo은 독립적인 주제 영역으로 설정되기는 했

지만 결국 특수한 유형의 환경문제라고 할 수 있고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에

대한 관심은 개발 사업으로 인한 환경문제에 대한 우려에서 비롯되기 때

문이다 따라서 겉으로 드러난 주제 영역보다 주제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의식에 주목한다면 한국의 환경사회학은 lsquo환경문제의 사회학rsquo의 성

격을 강하게 지니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76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2 질적 자료의 활용

환경사회학이 미국에서 처음 형성되던 시기에 농촌사회학의 영향을 강

하게 받았다 농촌사회학의 영향 가운데 대표적인 것으로 경험적 조사 자

료를 중시하는 경향이다 이러한 환경사회학의 전통은 한국의 환경사회학

에서도 이어지고 있다 lt표 7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환경사회학 연구에서

이론 연구의 비중이 222로서 결코 낮다고 할 수는 없지만 다양한 유형

의 경험적 자료를 활용하는 연구의 비중이 이론 연구에 비해 훨씬 크다

경험적 연구 방법 중에서 환경사회학자들이 일반 사회학자들에 비하여

중시하는 자료는 사례 조사 면접 조사 등을 통해 얻는 질적 자료이다 일

반 사회학자들에 비하여 설문 조사 기존 자료 활용 집계 자료 등의 양적

자료의 활용은 떨어지는 데 반하여 사례조사나 면접을 통해 얻는 질적

자료는 더 많이 활용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연구 방법과 관련된 한국

환경사회학의 특징은 상대적으로 질적 자료를 많이 활동하고 있다는 데

있다

질적 자료의 활용이 활발한 것은 기본적으로 한국 환경사회학자들이

연구하는 대상의 특성 때문이다 동강댐 건설사업 새만금간척사업 4대강

사업 등의 대규모 개발사업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 사고 및 각종

개발사업과 관련된 지역 환경운동 및 환경갈등이 하나의 사례로 다루어

지고 또 이러한 사례 연구에서 심층면접이 자료 수집 방법으로 활용되는

경향이 있다

3 자유주의적 환경개혁론

환경사회학에는 생태학적 설명(ecological explanation) 대 정치경제학적

설명(political economy explanation) 성찰적 근대화론(reflexive modernization)

대 생태학적 근대화론(ecological modernization) 실재론(realism) 대 구성

주의(constructionism) 등의 주요 이론적 쟁점이 있지만(Hannigan 2006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77

16-52) 한국 환경사회학에서는 이러한 쟁점을 둘러싼 논쟁을 찾아보기

어렵다 또한 독자적인 이론을 구성하기 위한 노력도 찾아보기 어렵다 윤

순진이 지적한 바 있듯이 ldquo많은 연구들은 다른 학문분과에서 구축한 이

론을 환경 관련 쟁점과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동원하는 양상을rdquo 띠거나

(윤순진 2013 85) 해외 환경사회학계에서 확립된 이론을 연구의 자원으

로 활용하는 데 머무르고 있다

그러나 다른 학문분과나 해외 환경사회학에서 확립된 이론을 수용하여

자원으로 활용하는 경우에도 이론의 선택에는 연구자 자신의 이론적 지

향이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대부분의 연구에는 명시적이든 묵시적

이든 연구자 자신의 이론적 지향이 깔려 있다 그렇다면 한국 환경사회

학에서는 어떤 이론적 지향이 우세하고 그 변화의 방향은 어느 쪽인가

말할 필요도 없이 한국의 환경사회학에는 다양한 이론적 지향 즉 험프리

와 버텔이 말하는 보수적 자유주의적 및 급진적 패러다임(Humphrey and

Buttel 1982 19-21)이 공존하고 있다 보수적 패러다임은 환경의식 및 환

경행동 연구에서 가끔 나타나고 있지만 그 영향력은 미미하다 급진적 패

러다임은 원자력발전 위험 환경정의 대규모 개발사업(국책사업) 대안

적 공동체 생태민주주의 등에 관한 연구에서 중요한 관점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보수적 패러다임에 비해서는 그 영향력이 훨씬 크다 이 두 패러

다임에 비해 훨씬 큰 세력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 바로 국가 개혁과 정책

의 전환을 통해 환경 위기 극복의 길을 모색하는 자유주의적 환경개혁론

이다 자유주의적 환경개혁론은 녹색국가 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 환경정책

환경정치 환경middot위험거버넌스 지속가능한 발전 대규모 개발사업 등의 연

구에서 주로 나타나고 있다

4 다양한 전공의 관점 교류

ECO지 기고를 통해 환경사회학 연구에 참여하고 있는 연구자의 전공

은 매우 다양하다 아마도 사회학 내의 다른 어떤 세부분야에 비해서도

78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다양할 것이다 윤순진의 ECO지 게재 글15)의 저자 분석에 따르면 총 24

개 분야의 학문적 배경을 가진 연구자들이 참여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보

면 사회학 인류학 행정학 경제학 정치학 사회복지학 심리학 지리학

지리교육학 도시 및 지역 관련학과 환경middot에너지정책학과 정치생태학 등

의 사회과학 전공자 철학 한국학 등 인문학 전공자 생태학middot생태곤충학

생물학 지질학 환경보건학 과학기술사학 과학관리학 생명공학 등의 자

연과학 전공자 토목공학 등 공학 전공자 등이 ECO에 글을 싣고 있다 물

론 전공별로 참여 저자의 수는 크게 다르다 사회학 전공자가 37명으로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도시 및 지역 관련 분야 전공자(18명) 인류학 전

공자(8명) 행정학 전공자(6명) 등의 순서로 많다(윤순진 2013 80-81)

ECO지 게재 논문 중 공저 논문의 경우 전공이 서로 다른 연구자가 공

동 저자로 참여한 경우는 많지 않으며 ldquo거의 대부분이 동일학과 소속 교

수와 학생 간의 공저이거나 동일 전공 동료 및 선후배 간 공저로 나타났

다(윤순진 2013 83)rdquo 이런 점에서 볼 때 환경사회학 연구가 실질적인 학

제적 연구의 형태가 띠는 것은 아니라고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적어도 학

회 활동과 학회지를 통해서 다양한 전공 간의 관점 공유와 교류는 활발하

게 이루어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5 연구자와 운동가의 소통

한국 환경사회학의 두드러진 특징 중의 하나는 환경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연구자들이 많다는 점이다 환경사회학자 중에는 연구자이면서

환경단체 전국 조직의 대표(이시재 이상헌 윤순진 이필렬 조명래) 지

역 환경단체의 대표(박재묵 노진철 최병두) 환경단체의 임원(구도완) 등

을 현재 맡고 있거나 과거에 역임한 사람들이 많다 위에서 거론된 연구

자보다 훨씬 더 많은 환경사회학자들이 지역 환경단체 등에 임원으로 참

15) 논문 이외의 서평 등의 글도 포함하고 있다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79

여하고 있다 이와는 반대로 환경단체의 상근 운동가로서 환경사회학회

회원으로 참여하고 논문을 발표하는 경우(이승민 안병옥 최예용 김정

수)도 있다

환경사회학자 연구자의 환경운동 참여와 운동가의 연구 참여가 활발하

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은 환경사회학의 특성과 연관되어 있는 현상이다

환경사회학은 기본적으로 환경문제의 근원 환경문제의 영향 및 환경문제

의 해결16)에 관심을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한국의 환경사회학은 특히

lsquo환경문제의 사회학rsquo의 성격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Ⅴ 환경사회학의 전망과 과제

지난 20년 동안 한국 환경사회학은 제도화의 과정을 거쳐 왔다 이 기

간 동안에 환경사회학은 많은 학과에서 정규 교과목으로 받아들여졌고

독립된 연구 영역으로 인정받게 되었다 또한 이 분야 연구자들이 독자적

인 학회를 조직하고 학회가 학술지를 발간함에 따라 연구 활동의 기반이

갖추어졌다 이로써 한국 환경사회학의 제도화가 대체로 완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지난 20년의 기간은 환경사회학의 기반 구축기인 동시에 성장기였다

성장의 속도는 느렸지만 연구자의 수도 증가해 왔고 이에 따라 학문적

성과도 축적되어 왔다 특히 환경사회학자들이 관심을 집중시켰던 원자

력middot위험middot재난 대규모 개발사업 환경운동 등의 영역에서는 의미 있는 성

과가 있었다 최근에 와서 환경사회학은 안정기에 들어가고 있다 ldquo젊은

층의 충원이 지지부진rdquo하고 대학원에서 환경사회학을 전공하려고 하는

학생도 줄어들고 있다(이시재 2013 37) 사회학계 전반에 걸친 침체 분위

16) Riley E Dunlap과 Brent K Marshall은 환경사회학의 최근 연구 초점으로

환경문제의 근원 환경문제의 영향 환경문제의 해결 방안 등 세 가지를 들

었다(Dunlap and Marshall 2007 335-339)

80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기가 일정 부분 환경사회학에도 미치고 있다 미국에서 환경사회학이

1980년대 초에 겪었던 퇴조 분위기가 한국에서도 나타나고 있는 것 같다

그러나 이러한 환경사회학의 침체 분위기가 장기적으로 지속되지는 않

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렇게 전망하는 근거는 두 가지이다 그 하나는 환

경사회학의 태동을 가져왔던 환경문제가 상존하기 때문이다 또한 기후변

화와 같은 환경문제는 향후에도 장기간 지속될 것이 분명하고 유독성 화

학물질과 같은 새로운 환경문제도 부상하고 있다 한 마디로 환경문제가

근본적으로 해결되지 않는 한 환경사회학은 존속하게 될 것이다 둘째로

현재의 침체 분위기는 일정기간의 성장 뒤에 오는 바닥 다지기의 의미가

크다 따라서 장기적으로 보면 환경사회학은 향후에도 안정적 성장을 지

속할 가능성이 크다

어떤 점에서 환경사회학의 미래는 일정 부분 환경사회학자들이 그들에

게 주어진 사명을 어떻게 수행하느냐에 달려 있기도 하다 2005년 필자가

환경사회학회가 펴낸 「우리 눈으로 보는 환경사회학」의 제1장을 쓰면서

환경사회학자의 사명으로 사회의 녹색화와 사회학의 녹색화를 설정한 바

있다 전자는 인간면제주의 패러다임의 지배를 받고 있는 주류 사회학에

인간 생존의 물리적middot생물적 기반을 고려하는 관점을 제공하는 것이고 후

자는 환경오염과 파괴의 원인 그 영향 및 해결 방안을 사회학적으로 설

명하고 제시하는 것이다 특히 후자의 사명을 환경사회학자들이 얼마나

그리고 어떻게 성취하느냐가 환경사회학의 미래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

다 학제적 연구의 정착과 현장 중심의 연구 강화는 환경사회학이 후자의

사명을 수행하기 위해 해결해야 할 당면 과제이다

2014년 6월 16일 접수

2014년 6월 27일 수정 완료

2014년 6월 29일 게재 확정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81

참고문헌

구도완 1995 ldquo한국의 새로운 환경운동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29(2) 347-371

1996 985172한국 환경운동의 사회학985173 문학과지성사

2009 985172마을에서 세상을 바꾸는 사람들 생태적 대안운동을 찾아

서985173 창비사

구도완 등 2013 985172녹색당과 녹색정치985173 아르케

구자건 2008 985172환경갈등과 사회영향평가 방법985173 연세대출판부

김도균 2011 985172환경재난과 지역사회의 변화 허베이스피리트호 기름유출

사고의 사회재난985173 한울아카데미

김두식 1995 ldquo환경문제와 환경보호에 대한 시민들의 태도 조사연구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29(1) 33-67

노진철 2001 985172환경과 사회985173 한울

2010 985172불확실성 시대의 위험사회학985173 한울아카데미

노진철 등 2010 985172태안은 살아 있다 기름 유출 사고 이후 3년 다시 쓰

는 태안 리포트985173 동녘

문순홍 1992 985172생태위기와 녹색의 대안985173 나라사랑

1999 985172생태학의 담론985173 아르케

2001 985172한국의 여성환경운동985173 아르케

2006a 985172정치생태학과 녹색국가985173 아르케

2006b 985172녹색국가의 탐색985173 아르케

2006c 985172개발국가의 녹색성찰985173 아르케

문태훈 등 2008 985172지속가능한 사회 이야기985173 법문사

박순열 2009 985172불만의 새만금985173 한국학술정보

박재묵 1991 ldquo환경문제에 대한 사회학적 이해rdquo pp 71-83 한국사회학회

(편) 985172현대 한국 사회문제의 진단과 처방985173(특별심포지움 논문집)

서영표영국적록연구그룹 2010 985172사회주의 녹색을 만나다985173 한울아카데미

양종회 1993 ldquo우리나라 국민들의 환경문제에 대한 의식의 변화 및 사회

82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적 기반rdquo 985172한국사회학회985173 26(4) 89-120

양종회 등 2002 985172아시아 태평양지역의 환경문제 환경운동 및 환경정책985173 서울대출판부

윤순진 2013 ldquo《ECO》분석을 통해 본 한국 환경사회학 연구의 흐름rdquo

pp 67-98 한국환경사회학회(편) 985172환경사회학 이론과 환경문제985173 한울아카데미

이득연 1998 985172환경운동의 사회학985173 민영사

이상헌 2003 985172물 세상을 움직이는 물의 정치와 정치 생태학985173 이매진

2011 985172생태주의985173 책세상

이시재 1994 ldquo환경사회학rdquo 한국사회학회(편) 98517221세기의 한국 사회학985173 문학과지성사

2013 ldquo한국 환경사회학의 회고와 전망rdquo pp 67-98 한국환경사회

학회(편) 985172환경사회학 이론과 환경문제985173 한울아카데미

이시재 등 2010 985172생태사회적 발전의 현장과 이론985173 아르케

정대연 2002 985172환경사회학985173 아카넷

2004 985172환경주의와 지속가능한 발전985173 집문당

2010 985172한국 지속가능발전의 구조와 변동985173 집문당

조명래 2001 985172녹색사회의 탐색985173 한울

2006 985172개발정치와 녹색진보985173 환경과 생명

2009 985172지구화 되돌아보기와 넘어서기 공간환경의 모순과 극복985173 환경과 생명

2013a 985172공간으로 사회읽기 개념 쟁점과 대안985173 한울아카데미

2013b 985172녹색토건주의와 환경위기985173 한울아카데미

조명래 등 2005 985172신개발주의를 멈춰라985173 환경과 생명

최병두 1993a 985172한국의 공간과 환경985173 한길사

1993b 985172현대 환경문제의 재인식985173 한울

1995 985172환경사회이론과 국제환경문제985173 한울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83

1999a 985172환경갈등과 불평등985173 한울

1999b 985172녹색사회를 위한 비평985173 한울

2002 985172녹색전망985173 도요새

2003a 985172도시속의 환경 열두 달(봄 여름)985173 한울

2003b 985172도시속의 환경 열두 달(가을 겨울)985173 한울

2010 985172비판적 생태학과 환경정의985173 한울아카데미

한국사회학회 2007 985172한국사회학회 50년사 1957-2007985173 한학문학

한국환경사회학회 2005 985172우리 눈으로 보는 환경사회학985173 창비사

2013a 985172환경사회학이론과 환경문제985173 한울

2013b 985172환경운동과 생활세계985173 한울

한상진 2006 985172환경정의의 사회학985173 UUP

험프리버틀(Craig Humphrey and Frederick R Buttel) 1995 985172환경사회학985173 양종회이시재 역 사회비평사

홍성태 2000 985172대한민국 위험사회985173 당대

2006 985172한국의 근대화와 물985173 한울아카데미

2010 985172생명의 강을 위하여 생태사회학자 홍성태 교수의 4대강

지키기 제안985173 중원문화

2012 985172개발과 파괴의 사회학 위험 사회를 넘어서985173 중원문화

Buttel Frederick H and Craig R Humphrey 2002 Sociological Theory

and the Natural Environment pp 33ndash69 in Riley E Dunlap and

William Michelson(eds) Handbook of Environmental Sociology

Westport CT Greenwood Press

Catton William R Jr and Riley Dunlap 1978 Environmental Sociology

A New Paradigm The American Sociologist 13 41-49

Dunlap Riley E and Brent K Marshall 2007 Environmental Sociology

pp 329-340 in Clifton D Bryant and Dennis L Peck(eds) 21st

Century Sociology A Reference Handbook Thousand Oaks CA

84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Sage Publications

Hannigan John 2006 Environmental Sociology(second edition)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Harper Charles 2004 Environment and Society Human Perspectives on

Environmental Issues Upper Saddle River New Jersey Pearson

Education Inc

Humphrey Craig R and Frederick H Buttel 1982 Environment Energy

and Society Belmont California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International Sociological Association(RC24) Korean Sociological

Association and Korean Association for Environmental Sociology

2004 Globalization Localization and Environment (Proceedings for

2004 ISA RC24 Conference in Seoul)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85

The Research Trend and Prospect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Park Jae-mookProf Dept of Sociology Chungnam Univ

Abstract

The aims of this paper are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and to anticipate its future developments As a groundwork for these works we briefly examined the institutionalization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Here we considered the organizing process of environmental sociologists association and the incorporation of the course of environmental sociology into the regular curricula Nextly we examined research trends of environmental sociology and tried to draw common characteristics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The most frequently dealt subjects in ECO a representative journal in this field have been nuclear power risk and disaster large-scale development projects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nd behaviour environmental problems and climate changes And distinguished characteristics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have been found to be focus on environmental problems dependence on qualitative methodology emphasis on environmental reforms of liberal tradition exchange of perspectives among researchers from various fields communications between researchers and activists Lastly it was suggested that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ist should develop interdisciplinary research and field research

Key Words Environmental Sociology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Institutionalization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Korean Association for Environmental Sociology ECO

Page 7: 환경과 사회 연구의 동향과 전망isrku.org/adm/data/1351080157_fEMV3OxI_02-EBB095EC9... · 2014-07-06 ·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 pp.55-85 ‘환경과 사회’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61

을 개설하고 있다(lt표 1gt 참조) 강좌의 명칭으로는 대체로 lsquo환경사회학rsquo

을 사용하고 있지만 지역사회 도시 발전 인구 등을 환경과 연관시키고

있는 강좌들이 일부 있고 부산대 서울대 울산대 등에서는 lsquo생태rsquo를 강조

하는 강좌 명칭을 사용하고 있는 점이 눈에 띈다

환경사회학의 정규 교과목 진입으로 교재의 개발이 뒤따랐다 우리말

로 쓰여진 최초의 교재는 학부에서 강의가 처음 이루어진 때로부터 2년

뒤에 출판되었다 최초의 우리말 교재는 양종회와 이시재가 험프리(Craig

Humphrey)와 버텔(Frederick R Buttel)의 Environment Energy and Society

(1982)를 번역한 「환경사회학」(1995)이었다 국내 학자가 쓴 교재들은

2000년대에 들어 와서 비로소 출판되기 시작했다 대표적인 교재로는 노

진철의 「환경과 사회」(2001) 정대연의 「환경사회학」(2002) 한국환경사회

학회 소속 연구자 11인이 공동으로 집필한 「우리 눈으로 보는 환경사회학

」(2005) 등이 있다 다수 환경사회학회 회원이 참여한 교재 공동 집필은

환경사회학의 범위와 주요 내용을 표준화하는 데 기여했다는 의미를 갖

는다

2 연구 영역 확립과 독립 학회의 조직

lsquo환경rsquo이 사회학계에서 하나의 연구영역으로 확립되기 시작한 시기는

1990년대 초반이다 사회학대회에서 lsquo환경rsquo이 분과로 처음 등장한 시기는

사회학회가 분과확장기에 들어가기 시작한 1991년이다 1991년 6월 28일

충남대학교에서 개최된 전기 사회학대회는 12개의 분과로 조직되었는데

그 중 제11분과의 명칭이 lsquo집중토론2-자연과 환경문제rsquo였다(한국사회학

회 2007 204) 여기에서는 4명의 발표가 있었고 주요 주제는 안면도방사

성폐기물처분장 입지 결정을 둘러싼 갈등이었다 1991년 12월 12-13일 중

앙대학교에서 열린 후기 사회학대회에서는 공식적으로 lsquo환경과 공해 분

과rsquo가 조직되었다 이 분과에서는 생활쓰레기 처리가 공동 주제였다

사회학대회의 환경사회학 분과는 1990년대 초반까지는 환경사회학 연

62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구자들의 유일한 발표의 장이었고 그 후 환경사회학자들이 독자적 연구

회 및 학회를 조직한 후에도 이 분야 학자들에게 중요한 소통의 장이었다

1991년부터 2006년까지 환경사회학 분과가 조직된 사회학대회는 1991년

전기 및 후기 1994년 전기 1995년 후기 1996년 전기 1998년 전기 1998

년 후기 1999년 전기 2000년 전기와 후기 2003년 후기 2004년 전기

2006년 전기 및 후기 등이다 그리고 이들 분과에서 발표된 논문의 수는

55개에 이른다(한국사회학회 2007 207-208)

환경문제의 사회적 관련에 관심을 가진 연구자들이 점차 늘어나면서

독자적 연구자 모임이 만들어지기 시작했는데 최초의 환경사회학 연구자

모임은 1995년 6월 23일에 결성된 한국환경사회학연구회(회장 권태환)였

다 이 연구회는 규모가 작고 규약조차 없는 느슨한 조직이었지만 회원들

의 참여 의욕이 높아 그 활동은 매우 활발했다 주요 활동으로는 한국사

회학회가 개최한 춘middot추계사회학대회에서의 환경사회학 분과 조직 및 논

문 발표 춘middot추계의 정기적 워크샵 개최 및 환경현장 답사6) 등을 들 수 있

다(한국환경사회학회 2005 40)

이 연구회 모임을 기반으로 하여 한국환경사회학회(초대 회장 이시재)

가 2000년 6월 3일에 창립되었다 창립 기념 세미나의 주제는 당시 주요

사회적 쟁점 중의 하나였던 동강댐(영월댐)이었고 4편의 논문이 발표되

었다 현재 환경사회학회에는 약 150명의 연구자들이 회원으로 참여하고

있다 회원의 대다수는 사회학자들이지만 정치학자 경제학자 인류학자

등 다양한 사회과학분야 연구자들도 참여하고 있고 소수이기는 하지만

자연과학 및 공학을 전공한 연구자들도 참여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환경

사회학회는 학제적 성격을 지닌 학회라고 할 수 있고 사회학회의 lsquo분과

6) 환경현장 답사는 환경사회학연구회의 특징적인 활동이었다 연구회 창립 이

후 2000년 한국환경사회학회로 재창립되기까지 방문한 현장은 광주광역시

광산구 음식물사료화연구시설(1996년 6월) 대구 금호강유역 오염 현장(1997년 6월) 울산 온산공단(1997년 10월) 서산 천수만간척지 및 태안 안면도

(1998년 5월) 창녕 우포늪 및 주남저수지(1998년 11월) 영월 동강(1999년 4월) 부안 새만금간척지구(2000년 3월) 등이었다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63

학회rsquo의 성격보다는 lsquo연관 학회rsquo의 성격을 더 강하게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환경사회학회는 과거 연구회 시절에 수행했던 활동 즉 춘middot추계사회학

대회에서의 분과 활동 춘middot추계의 독자적 학술회의 개최 환경현장 답사

등을 대체로 유지하면서 이에 추가하여 공동 저술 사업 국제학술회의 개

최 학술잡지 「환경사회학연구」(ECO) 발행 등의 활동을 전개해 왔다 환

경사회학회가 기획하여 펴낸 공동 저술로는 교재 성격을 갖는 「우리 눈으

로 보는 환경사회학」(2005)과 lsquo한국 환경사회학 시리즈rsquo의 1 2권으로 펴

낸 「환경사회학 이론과 환경문제」(2013) 및 「환경운동과 생활세계」(2013)

가 있다 환경사회학회가 개최한 주요 국제학술회의로는 2004년 국제사회

학회(ISA) RC24회의와 2011년 제3차 동아시아 환경사회학 국제학술회의

(The 3rd International Symposium on Environmental Sociology in East

Asia)가 있다 반년간(半年刊) 학술지 「환경사회학연구」(ECO)의 발행

(2001년 이후)은 환경사회학회의 가장 중요한 사업이다

Ⅲ 한국 환경사회학의 연구 동향

1 연구 주제

환경사회학의 연구 주제를 파악하기 위해 한국사회학회의 「한국사회학」

및 환경사회학회의 ECO에 게재된 논문7) 환경사회학회의의 학술대회 주

7) 환경사회학 분야의 논문들은 「한국사회학」 및 ECO지 외에 「농촌사회」 「경제와 사회」 등의 다른 학술지에도 게재되고 있지만 이들 학술지에 실린 환

경사회학 관련 논문의 편수가 많지 않음을 고려하여 이들 논문들은 분석 대

상에 포함되지 않았다 분석 대상을 「한국사회학」 및 ECO에 수록된 논문으

로 한정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은 환경농업middot식량middot식품을 다룬 환

경사회학자들의 논문이 체계적으로 배제될 수 있다는 점이다 이 주제를 다

룬 논문의 상당수가 「농촌사회」에 투고되기 때문이다

64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제 사회학자들의 환경사회학적 저서 주제 등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 중에

서 가장 중요한 분석 대상은 「한국사회학」 및 ECO지에 게재된 논문이다

「한국사회학」에 게재된 환경사회학 분야 논문의 편수는 9편에 지나지 않

으나 ECO 창간 이전의 연구 동향을 보여준다는 점을 고려하여 분석 대상

에 포함하였다 ECO는 환경사회학 분야의 대표적 전문 학술지라는 점을

고려하여 창간호(2001년)에서부터 제17권 1호(2013년 상반기)까지에 수록

된 167개의 논문(lsquo포럼rsquo으로 분류된 것까지 포함)의 주제를 분석하였다

연구 주제는 lt표 2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타를 포함해서 총 19개로 구분

하였다

1) 「한국사회학」 및 ECO 게재 논문의 주제

「한국사회학」에 게재된 논문은 총 9편으로 소수이고8) 그 주제 또한

lt표 2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양하지 않다 ECO 창간(2001년) 이전 즉

2000년 이전에는 환경사회학 분야 논문이 주로 「한국사회학」에 게재되었

기 때문에 이 시기에 발표된 논문의 주제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 시기

에 발표된 논문의 주제는 lsquo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rsquo lsquo환경의식middot환경행동rsquo lsquo환

경정책middot환경행정rsquo 및 lsquo지속가능한 발전rsquo이다 lt표 2gt에서 알 수 있는 것은

환경사회학 분야 연구가 시작되던 1990년대 초반에는 lsquo환경의식middot환경행

동rsquo 및 lsquo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rsquo이 주요 주제였다는 사실이다 「한국사회학」에

개재된 최초의 환경사회학 분야 논문은 양종회의 ldquo우리나라 국민들의 환

경문제에 대한 의식의 변화 및 사회적 기반rdquo(1993)이었다9) 그 뒤를 이어

8) 「한국사회학」에 게재된 논문의 주제별 분석 자료에 따르면 환경을 주제로

한 논문은 1964년부터 2006년 사이에 게재된 전체 논문의 14 수준이다

(한국사회학회 2007 110) 이처럼 「한국사회학」에 실린 환경사회학 분야

논문이 적은 이유는 이 분야 연구자들이 보다 전문화된 ECO지 게재를 선

호하기 때문이다 9) 「한국사회학」에 게재되지는 않았지만 이보다 먼저 발표된 논문으로는 필자

의 ldquo환경문제에 대한 사회학적 이해rdquo(1991)가 있다 이 논문은 1991년 5월

한국사회학회가 주최한 특별심포지움에서 발표되었다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65

서 환경의식에 관한 김두식의 논문(1995)과 환경운동을 다룬 구도완

(1995)의 논문이 발표되었다

lt표 2gt 「한국사회학」 게재 논문의 주제(1991-2013)

주 제10)논문 편수

rsquo91-rsquo95 rsquo96-rsquo00 rsquo01-rsquo05 rsquo06-rsquo10 rsquo11이후 계

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 1 1

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 1 1

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 1 1

환경의식middot환경행동 2 2

환경정책middot환경행정 2 2

지속가능한 발전 1 1

환경middot위험거버넌스 1 1

계 3 3 1 1 1 9

다음으로 ECO에 게재된 총 167편의 주제를 살펴보겠다 19개로 분류

된 전체 주제 중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빈도로 다루어지고 있는 주제는 6

개이다 가장 높은 빈도로 다루어진 주제는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rsquo이다 이 주

제를 다룬 논문은 21편으로 전체 167편의 126를 차지한다11) 이 주제

를 다룬 논문이 가장 많았던 것은 lt표 3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2007년에

발생한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 유출사고에 대한 연구가 두 차례에 걸쳐

특집의 형태로 수록되었기 때문이다 그 다음으로 환경사회학자들이 자주

다룬 주제는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으로 총 19편의 논문이 이 주제를 다루고

10) 주제의 분류 체계는 lt표 3gt과 같았으나 한 편의 논문도 발견되지 않는 주

제는 표에서 제외했다 11) ECO 게재 논문들의 주제어를 분석한 윤순진의 논문에서도 위험위해재난

으로 분류될 수 있는 주제어들이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나고 있고 여기에

원자력 관련 주제어를 포함할 경우에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rsquo과 관련된 주제어

의 빈도는 더욱 높게 나타난다(윤순진 2013 79-80)

66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주 제논문 수

rsquo01 rsquo02 rsquo03 rsquo04 rsquo05 rsquo06 rsquo07 rsquo08 rsquo09 rsquo10 rsquo11 rsquo12 rsquo13 계

환경사회학 이론 2 1 1 1 1 6

환경사회학 방법론 1 1

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 2 1 2 2 1 1 1 1 1 12

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 2 7 6 2 4 21

에너지middot자원 1 1 2 4

환경사상 1 1

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 1 1 2 2 2 1 3 12

있다 동강댐 새만금간척사업 4대강사업 등 정부가 추진했던 대규모 개

발사업에 환경사회학자들이 큰 관심을 기울인 결과이다 이밖에 환경사회

학자들이 많은 관심을 보인 주제로는 lsquo환경의식middot환경행동rsquo(14편) lsquo환경문

제middot기후변화rsquo(12편) lsquo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rsquo(12편) lsquo환경정치rsquo(12편) 등이었

다 이 6개의 주제를 다룬 논문은 총 90편으로서 전체 167편의 539를

차지하고 있다

위의 6개 주제 다음으로 환경사회학자들이 관심을 보인 주제로는 lsquo환경

정책rsquo(8편) lsquo사회영향평가rsquo(8편) lsquo환경middot위험거버넌스rsquo(8편) lsquo환경불평등middot

환경정의rsquo(7편) lsquo환경농업middot식량middot식품rsquo(7편) lsquo환경사회학이론rsquo(6편) lsquo지속

가능한 발전rsquo(5편) lsquo환경복원rsquo(5편) 등이다 lsquo환경농업middot식량middot식품rsquo을 다룬

상당수의 논문들이 「농촌사회」에 수록됨으로써 이 분석에서 제외되고 있

음을 감안할 필요가 있다

lsquo에너지middot자원rsquo(4편) lsquo생태공동체rsquo(2편) lsquo환경사회학방법론rsquo(1편) lsquo환경

사상rsquo(1편) 등의 주제를 다룬 논문은 매우 적었다 lsquo인구rsquo는 당초 주제 분

류 시 별도의 주제로 설정하였으나 관련 논문이 전혀 발견되지 않아 주

제 목록에서 제외했다 이것은 환경사회학적 관점에서 인구를 다루는 연

구자가 없음을 의미한다

lt표 3gt ECO 게재 논문의 주제(2001-2013년)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67

주 제논문 수

rsquo01 rsquo02 rsquo03 rsquo04 rsquo05 rsquo06 rsquo07 rsquo08 rsquo09 rsquo10 rsquo11 rsquo12 rsquo13 계

환경의식middot환경행동 1 2 1 1 2 3 2 2 14

환경정책 1 1 1 4 1 8

대규모 개발사업 3 4 4 1 1 1 1 2 2 19

사회영향평가 4 1 1 1 1 8

지속가능발전 1 3 1 5

환경정치 1 2 1 1 1 1 1 3 1 12

환경middot위험거버넌스 2 1 1 1 2 1 8

환경불평등middot환경정의 1 1 2 2 1 7

환경복원 4 1 5

환경농업middot식량middot식품 1 1 4 1 7

생태공동체 1 1 2

기타 2 2 1 2 3 2 1 1 1 15

계 9 19 16 15 11 12 13 16 13 11 13 14 5 167

위의 주제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1990년대

이래 한국 환경사회학 분야의 논문 주제는 점차 다양해져 왔다 1990년대

에는 lsquo환경의식middot환경행동rsquo lsquo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rsquo 등 몇 가지 주제에 관한

소수의 논문이 발표되었으나 2000년대에 들어와서는 편수의 증가와 함께

주제가 매우 다양해졌다 현재는 환경사회학의 주요 주제들의 대부분이

다루어지고 있다 둘째 특정의 1-2개 주제에 대한 쏠림 현상이 두드러지

지는 않지만 주제별로 논문의 편수는 큰 차이를 보인다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

난rsquo과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은 연구자의 관심을 가장 많이 끈 주제인 반면에

lsquo환경사상rsquo lsquo생태공동체rsquo lsquo에너지middot자원rsquo 등에 대한 관심은 매우 낮다 셋

째 특정 연구 주제의 상승이나 하락이 뚜렷이 나타나지는 않는다 비교적

많은 관심을 끈 6개의 주제를 다룬 논문들은 전 기간에 걸쳐 고르게 발표

되었다 다만 lsquo환경사회학 이론rsquo lsquo환경사회학 방법론rsquo lsquo환경사상rsquo lsquo환경

68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연도 춘middot추계 학술대회 주제 주제 유형

2001 창립기념동강댐 건설 문제의 사회문화적 조사연구

보고대규모 개발사업

추계 새만금 대규모 개발사업

복원rsquo 등을 다룬 논문이 최근에는 발표되지 않고 있고 반대로 lsquo에너지middot자

원rsquo에 관한 논문들은 최근에 와서 주로 발표되고 있기는 하지만 이들 주

제를 다룬 사례 수가 많지 않아 뚜렷한 경향을 발견하기는 어렵다

2) 정기학술대회의 주제

환경사회학회는 연 2회 춘middot추계 정기학술대회를 개최한다 학회 창립

이후 개최된 총 26회의 정기학술대회 중 주제가 확인되지 않은 2회를 제

외한 나머지 24회 학술대회의 주제는 lt표 4gt와 같다 정기학술대회에서

가장 자주 등장했던 주제는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5회)이었다 동강댐(2001년

창립기념세미나) 새만금간척사업(2001년 추계 2003년 추계) 4대강사업

(2010년 춘계) 등의 특정 개발 사례와 대규모개발사업 일반(2006년 춘계)

이 주제로 등장했다 두 번째로 자주 등장한 주제는 lsquo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rsquo

으로 2004년 추계 2005년 춘계 및 추계 2007년 춘계 등 4회였다 그 다

음으로 자주 등장한 주제는 lsquo환경정책rsquo(2006년 추계 2009년 추계 2012년

추계)과 lsquo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rsquo(2007년 추계 2010년 추계 2011년 춘계)로

각각 3회 나타났다 lsquo환경정책rsquo으로는 노무현 정부의 lsquo살기 좋은 지역 만

들기rsquo 정책과 이명박 정부의 환경정책 일반과 녹색성장정책이 다루어졌

다 이 밖에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rsquo(2008년 춘계 2009년 춘계) lsquo지속가능한

발전rsquo(2011년 추계 2012년 춘계) lsquo환경사상rsquo(2005년 추계 2013년 춘계)

등이 각각 2회씩 그리고 lsquo생태공동체rsquo(2002년 추계) lsquo환경불평등middot환경정

의rsquo(2004년 추계) lsquo환경정치rsquo(2006년 추계) lsquo환경농업middot식량middot식품rsquo(2008년

추계) 등이 각각 1회씩 등장했다

lt표 4gt 한국환경사회학회 정기학술대회의 주제(2001-2013년)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69

연도 춘middot추계 학술대회 주제 주제 유형

2002춘계 지역과 환경 기타

추계환경친화적 지역사회 개발과 새로운 공동체 운동

생태공동체

2003춘계 미확인 기타

추계 새만금 간척사업 대규모 개발사업

2004춘계 미확인 기타

추계 환경갈등과 환경정의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환경불평등middot환경정의

2005춘계

사회갈등과 주민참여 지역 및 환경갈등을 중심으로

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

추계 환경철학과 환경운동환경사상

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

2006춘계 대규모 개발사업과 환경정치

대규모 개발사업환경정치

추계 살기 좋은 지역 만들기의 이론과 전략 환경정책

2007춘계

대규모 개발사업을 둘러싼 환경갈등과 생태민주주의의 전망

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

추계 기후변화와 한국사회의 선택 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

2008춘계

환경재난의 지역사회 영향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를 중심으로

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

추계 먹을거리의 환경사회학 환경농업middot식량middot식품

2009춘계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의 사회적middot심리적 영향과 공동체 복원

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

추계환경사회학의 관점에서 본 lsquo저탄소 녹색성장rsquo 환경정책

2010춘계 4대강사업에 대한 환경사회학적 성찰 대규모 개발사업

추계 기후변화의 사회학 일상에서 지구촌까지 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

2011춘계

구제역을 통해서 본 지본주의시대의 환경과 생명

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

추계 환경적으로 지속가능한 동아시아를 위하여

지속가능한 발전

2012춘계 지속가능한 발전과 경상남도의 과제 지속가능한 발전

추계 이명박 정부의 환경정책 평가와 대안 환경정책

2013춘계 한국의 생태주의 사상과 역사 환경사상

추계한국 환경사회학의 보편성과 특수성 그리고 미래의 과제

환경사회학 이론

70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연도 주 제

2001 동강댐의 환경사회학(통권 1호)

2002 새만금간척사업의 환경사회학(통권 2호) 사회영향평가연구(통권 3호)

2003 청계천 복원의 사회학(통권 4호) 노무현정부의 환경정책 평가(통권 5호)

2004 부안핵폐기물처리장 문제의 환경사회학(통권 6호) 새만금간척사업의

환경사회학Ⅱ(통권 7호)

2005 한국 국가의 녹색화 연구(통권 8호) 환경정의 경험적 연구(통권 9호)

3) ECO 특집의 주제

ECO지는 매호 하나의 주제를 정하고 관련 논문을 특집으로 묶어 수록

하고 있다 ECO지의 특집 주제의 목록은 lt표 5gt 참조에 제시되어 있다

특집 주제로 가장 자주 설정된 것은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rsquo으로 그 횟수는 6

회이다 세부적으로 보면 방사성폐기물 원자력발전 등 원자력 문제(통권

6호 제10권 1호 제17권 1호)와 재난(제12권 1호 제13권 1호 제15권 1

호)이 각각 3회씩 다루어졌다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 유출사고는 두 번

이나 특집으로 다루어졌다 두 번째로 자주 다루어진 주제는 lsquo환경정책rsquo이었다 환경정책은 5회(통권 5호 통권 8호 제11권 1호 제13권 2호 제16

권 2호) 등장했는데 구체적으로는 노무현 정부의 환경정책 녹색국가 기

후변화 정책 이명박 정부의 녹색성장정책과 일반 환경정책이 다루어졌

다 세 번째로 자주 다루어진 주제는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으로 그 횟수는 4

회(통권 1호 통권 2호 통권 7호 제14권 1호)였다 동강댐 및 4대강 사업

이 1회씩 그리고 새만금간척사업이 2회 다루어졌다 이 밖에 lsquo사회적 영

향평가rsquo(통권 3호 제 10권 2호)와 lsquo환경의식middot환경행동rsquo(제14권 2호 제15

권 2호)이 각각 2회씩 다루어졌고 lsquo환경정의rsquo(통권 9호) lsquo환경복원rsquo(통권

4호) lsquo환경농업middot식량middot식품rsquo(제12권 2호) lsquo환경middot위험거버넌스rsquo(제16권 1

호) lsquo환경문제rsquo(제15권 2호) lsquo지속가능발전(제11권 2호)rsquo 등이 각각 1회씩

다루어졌다

lt표 5gt ECO 각호의 특집 주제(2001-2013년)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71

연도 주 제

2006 방사성폐기물 처분장과 민주주의(제10권 1호) 도시개발의 사회적 영향 은평뉴타운 사례(제10권 2호)

2007 기후변화정책의 국가간 비교연구(제11권 1호) 대안적 발전의 해외사례

연구(제11권 2호)

2008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 연구(제12권 1호) 지구화시대 세계

농식품체계의 환경사회학(제12권 2호)

2009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 연구Ⅱ(제13권 1호) 환경사회학적

관점에서 본 녹색성장(제13권 2호)

2010 4대강사업에 대한 환경사회학적 성찰(제14권 1호) 한국인의 환경 가치

지형(제14권 2호)

2011 환경사회학과 재난관리(제15권 1호) 환경문제와 환경의식(제15권 2호)

2012 위험 사회의 거버넌스(제16권 1호) 이명박 정부의 환경정책과

대안(제16권 2호)

2013 원자력발전과 시민사회 비교연구(제17권 1호)

4) 주요 단행본의 주제

환경사회학자들12)이 저술한 단행본13)은 비교적 다양한 주제를 다루고

있다 2000년대에 들어와서는 저술의 크게 수가 늘어나면서 1990년대에

비하여 주제의 다양성도 크게 증가하고 있다 1990년대에는 lsquo환경사회학

이론rsquo lsquo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rsquo lsquo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rsquo lsquo환경불평등middot환경정의rsquo

등 4개의 주제 영역에 국한되어 있었으나 2000년대에 들어와서는 lsquo대규

모 개발사업rsquo 등 6개 주제에 대한 저술들이 새로 출판되었다 lsquo원자력middot위

험middot재난rsquo에 관한 저술이 최근에 와서 늘어나고 있음이 주목된다

1990년대 이후의 전체 기간에서 가장 많은 단행본이 출판된 주제 영역

은 lsquo환경사회학 이론rsquo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rsquo lsquo환경운동middot

12) 사회학을 전공하지 않은 학자로서 한국환경사회학회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

는 사람은 환경사회학자에 포함시켰다 단행본 필자로는 구자건 문순홍 조명래 최병두 등이 이 경우에 속한다

13) 번역서는 여기에서 제외하였다 또한 다양한 분야의 학자들이 공동으로 저

술한 책 중에서 환경사회학자들의 기여가 크지 않은 저술도 제외하였다

72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환경갈등rsquo lsquo환경정치rsquo 등 5개이다 이들 5개 주제에 관한 저술은 총 25권

으로 전체 저술(46권)의 절반을 넘고 있다 이들 5개 주제 영역 다음으로

lsquo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rsquo(4권) lsquo지속가능한 발전rsquo(4권) lsquo환경불평등middot환경정

의rsquo(3권) 등의 주제 영역에 관한 저술이 많은 편이다

lt표 6gt 단행본의 주제(1990-2013년)

주 제 1990년대 2000-2009년 2010년 이후

환경사회학 이론문순홍(1992) 문순홍(1999) 조명래(2001) 한국환경사회학회(2013)

조명래(2013a)

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최병두(1993b)최병두(1995)

최병두(2003a)최병두(2003b)

대규모 개발사업

문순홍(2006c)박순열(2009)조명래(2006)

홍성태(2010)조명래(2013b)

사회영향평가 구자건(2008)

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 홍성태(2000)

노진철(2010)노진철 등(2010)김도균(2011)홍성태(2012)

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구도완(1996)이득연(1998)

문순홍(2001)구도완(2009) 한국환경사회학회(2013)

지속가능한 발전정대연(2004)문태훈 등(2008)

이시재 등(2010)정대연(2010)

환경불평등middot환경정의 최병두(1999a) 한상진(2006) 최병두(2010)

환경정치

문순홍(2006a)문순홍(2006b)이상헌(2003)

구도완 등(2013)서영표 등(2010)

환경사상 이상헌(2007)

교과서

노진철(2001)정대연(2002)한국환경사회학회(2005)

복합 주제 및 기타최병두(1993a)최병두(1999b)

양종회 등(2002)최병두(2002)홍성태(2006)조명래(2009)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73

2 연구 방법

ECO지의 창간호부터 2003년 6월에 발행한 제17권 1호까지에 게재된

167편의 논문(포럼 포함)에서 사용되고 있는 연구 방법을 9개의 유형으로

구분해 보면 lt표 7gt과 같다 연구 방법을 명시적으로 서술하지 않은 논문

이 적지 않고 복수의 연구 방법을 사용하는 논문이 많아 유형 구분이 쉽

지 않았으나 필자의 주관적 판단에 따라 모든 논문의 연구 방법을 9개의

범주에 배속시켰다

lt표 7gt ECO 게재 논문의 자료수집 방법

주 제논문 수

rsquo01 rsquo02 rsquo03 rsquo04 rsquo05 rsquo06 rsquo07 rsquo08 rsquo09 rsquo10 rsquo11 rsquo12 rsquo13 계

이론 연구 2 9 6 4 3 3 1 4 3 1 1 37(222)

설문조사 2 1 1 2 2 1 3 4 4 2 3 25(150)

문헌middot문서자료 3 3 1 7 4 6 1 5 2 3 3 2 40(240)

기존 자료 3 1 2 1 1 2 10(73)

면접middot심층면접 1 5 1 1 1 1 1 2 2 2 2 19(114)

내용middot담론분석 1 1 1 2 1 1 7(42)

사례 조사 1 2 2 4 1 3 2 4 1 20(120)

비교 연구 1 3 1 1 2 8(48)

시뮬레이션 1 1(06)

계 9 19 16 15 11 12 13 16 13 11 13 14 5 167(1000)

먼저 논문의 발표 시기에 따른 연구 방법의 차이는 드러나지 않는다

다만 이론 연구가 후기로 올수록 줄어드는 경향이 눈에 띌 따름이다

다음으로 연구 방법 간의 빈도 차이는 비교적 뚜렷하게 드러난다 문

헌middot문서자료(40편) 이론 연구(37편) 설문조사(25편) 사례 조사(20편) 면

접middot심층면접(19편) 등이 자주 사용되고 있는 반면에 기존 자료(10편) 비

교연구(8편) 내용middot담론분석(7편) 시뮬레이션(1편) 등은 상대적으로 적게

74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사용되고 있다 문헌middot문서자료 및 이론 연구가 1 2위를 차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환경사회학자들의 독자적인 자료 생산 노력이 활발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마지막으로 ECO 게재 논문과 「한국사회학」 게재 논문의 연구 방법을

비교해 보면 환경사회학의 연구 방법과 사회학 일반의 연구 방법 간에

상당한 차이가 있음이 발견된다 ECO 게재 논문에서는 문헌middot문서자료 이

론 연구 설문조사 등의 순서로 자주 사용된 반면에 「한국사회학」 게재

논문14)들에서는 설문조사(323) 기존 자료(228) 이론(186) 등이 각

각 1 2 3위를 차지하고 있어 중시하고 있는 연구 방법이 서로 다를 뿐만

아니라 ECO 게재 논문들에서 비교적 중시된 문헌middot문서자료(240) 사례

조사(120) 면접middot심층면접(114) 등은 「한국사회학」 게재 논문에서는

훨씬 낮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차이는 결국 환경사회

학자들이 일반 사회학자들과 비교했을 때 양적 자료를 덜 사용하고 질적

자료를 더 많이 사용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Ⅳ 한국 환경사회학의 특징

한국 환경사회학의 특징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환경사회학자 및 그들의

연구 활동의 다양한 측면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여기에서는 연구 주제

연구 방법 이론적 지향 학제적 연구 사회적 실천 등의 다섯 가지 측면에

서 한국 환경사회학의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14) 1964년부터 2006년까지 「한국사회학」에 게재된 논문의 연구 방법을 분석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형 이론설문

조사집계자료 문서자료 기존자료 인터뷰

기타 질적

자료전체

빈도 123 214 67 62 151 31 14 662 186 323 101 94 228 47 21 1000

출처 한국사회학회 2007 120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75

1 환경문제의 사회학

흔히 일본 환경사회학자들은 미국의 환경사회학을 lsquo환경에 대한 사회

학rsquo(sociology of the environment)이라고 특징지으면서 자신들의 환경사회

학을 lsquo환경문제의 사회학rsquo(sociology of environmental problems)이라고 말

한다 이것은 일본의 환경사회학은 구체적인 환경문제가 지역사회 주민

및 피해자의 생활과 지역사회에 미친 영향에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음

을 지적하는 말이다 이러한 일본 환경사회학의 특징은 한국 환경사회학

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이시재는 최근 발표한 ldquo한국 환경사회학의 회고와

전망rdquo에서 lsquo한국에서 환경사회학은 환경문제의 사회학으로 출발했다rsquo고

말하고 한국 환경사회학의 특징 중의 하나로 문제해결을 위한 연구를 들

고 있다(이시재 2013 34-35)

앞에서 우리는 한국 환경사회학의 연구 주제가 논문 특집 학술대회

단행본 등에 있어서 어떻게 나타나는가를 살펴보았다 다양한 연구 활동

중에서 환경사회학자들의 연구 주제 선택의 경향을 잘 보여주는 것은 사

례 수가 가장 많은 논문 발표일 것이다 ECO지 게재 논문을 기준으로 할

때 환경사회학자들은 기후변화를 포함한 환경문제보다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

난rsquo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 lsquo환경의식middot환경행동rsquo을 더 중요하게 다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lt표 3gt 참조) 그러나 가장 빈도가 높은 lsquo원자력middot위

험middot재난rsquo과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은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과 밀접하게 연관

되어 있다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rsquo은 독립적인 주제 영역으로 설정되기는 했

지만 결국 특수한 유형의 환경문제라고 할 수 있고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에

대한 관심은 개발 사업으로 인한 환경문제에 대한 우려에서 비롯되기 때

문이다 따라서 겉으로 드러난 주제 영역보다 주제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의식에 주목한다면 한국의 환경사회학은 lsquo환경문제의 사회학rsquo의 성

격을 강하게 지니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76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2 질적 자료의 활용

환경사회학이 미국에서 처음 형성되던 시기에 농촌사회학의 영향을 강

하게 받았다 농촌사회학의 영향 가운데 대표적인 것으로 경험적 조사 자

료를 중시하는 경향이다 이러한 환경사회학의 전통은 한국의 환경사회학

에서도 이어지고 있다 lt표 7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환경사회학 연구에서

이론 연구의 비중이 222로서 결코 낮다고 할 수는 없지만 다양한 유형

의 경험적 자료를 활용하는 연구의 비중이 이론 연구에 비해 훨씬 크다

경험적 연구 방법 중에서 환경사회학자들이 일반 사회학자들에 비하여

중시하는 자료는 사례 조사 면접 조사 등을 통해 얻는 질적 자료이다 일

반 사회학자들에 비하여 설문 조사 기존 자료 활용 집계 자료 등의 양적

자료의 활용은 떨어지는 데 반하여 사례조사나 면접을 통해 얻는 질적

자료는 더 많이 활용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연구 방법과 관련된 한국

환경사회학의 특징은 상대적으로 질적 자료를 많이 활동하고 있다는 데

있다

질적 자료의 활용이 활발한 것은 기본적으로 한국 환경사회학자들이

연구하는 대상의 특성 때문이다 동강댐 건설사업 새만금간척사업 4대강

사업 등의 대규모 개발사업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 사고 및 각종

개발사업과 관련된 지역 환경운동 및 환경갈등이 하나의 사례로 다루어

지고 또 이러한 사례 연구에서 심층면접이 자료 수집 방법으로 활용되는

경향이 있다

3 자유주의적 환경개혁론

환경사회학에는 생태학적 설명(ecological explanation) 대 정치경제학적

설명(political economy explanation) 성찰적 근대화론(reflexive modernization)

대 생태학적 근대화론(ecological modernization) 실재론(realism) 대 구성

주의(constructionism) 등의 주요 이론적 쟁점이 있지만(Hannigan 2006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77

16-52) 한국 환경사회학에서는 이러한 쟁점을 둘러싼 논쟁을 찾아보기

어렵다 또한 독자적인 이론을 구성하기 위한 노력도 찾아보기 어렵다 윤

순진이 지적한 바 있듯이 ldquo많은 연구들은 다른 학문분과에서 구축한 이

론을 환경 관련 쟁점과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동원하는 양상을rdquo 띠거나

(윤순진 2013 85) 해외 환경사회학계에서 확립된 이론을 연구의 자원으

로 활용하는 데 머무르고 있다

그러나 다른 학문분과나 해외 환경사회학에서 확립된 이론을 수용하여

자원으로 활용하는 경우에도 이론의 선택에는 연구자 자신의 이론적 지

향이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대부분의 연구에는 명시적이든 묵시적

이든 연구자 자신의 이론적 지향이 깔려 있다 그렇다면 한국 환경사회

학에서는 어떤 이론적 지향이 우세하고 그 변화의 방향은 어느 쪽인가

말할 필요도 없이 한국의 환경사회학에는 다양한 이론적 지향 즉 험프리

와 버텔이 말하는 보수적 자유주의적 및 급진적 패러다임(Humphrey and

Buttel 1982 19-21)이 공존하고 있다 보수적 패러다임은 환경의식 및 환

경행동 연구에서 가끔 나타나고 있지만 그 영향력은 미미하다 급진적 패

러다임은 원자력발전 위험 환경정의 대규모 개발사업(국책사업) 대안

적 공동체 생태민주주의 등에 관한 연구에서 중요한 관점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보수적 패러다임에 비해서는 그 영향력이 훨씬 크다 이 두 패러

다임에 비해 훨씬 큰 세력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 바로 국가 개혁과 정책

의 전환을 통해 환경 위기 극복의 길을 모색하는 자유주의적 환경개혁론

이다 자유주의적 환경개혁론은 녹색국가 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 환경정책

환경정치 환경middot위험거버넌스 지속가능한 발전 대규모 개발사업 등의 연

구에서 주로 나타나고 있다

4 다양한 전공의 관점 교류

ECO지 기고를 통해 환경사회학 연구에 참여하고 있는 연구자의 전공

은 매우 다양하다 아마도 사회학 내의 다른 어떤 세부분야에 비해서도

78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다양할 것이다 윤순진의 ECO지 게재 글15)의 저자 분석에 따르면 총 24

개 분야의 학문적 배경을 가진 연구자들이 참여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보

면 사회학 인류학 행정학 경제학 정치학 사회복지학 심리학 지리학

지리교육학 도시 및 지역 관련학과 환경middot에너지정책학과 정치생태학 등

의 사회과학 전공자 철학 한국학 등 인문학 전공자 생태학middot생태곤충학

생물학 지질학 환경보건학 과학기술사학 과학관리학 생명공학 등의 자

연과학 전공자 토목공학 등 공학 전공자 등이 ECO에 글을 싣고 있다 물

론 전공별로 참여 저자의 수는 크게 다르다 사회학 전공자가 37명으로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도시 및 지역 관련 분야 전공자(18명) 인류학 전

공자(8명) 행정학 전공자(6명) 등의 순서로 많다(윤순진 2013 80-81)

ECO지 게재 논문 중 공저 논문의 경우 전공이 서로 다른 연구자가 공

동 저자로 참여한 경우는 많지 않으며 ldquo거의 대부분이 동일학과 소속 교

수와 학생 간의 공저이거나 동일 전공 동료 및 선후배 간 공저로 나타났

다(윤순진 2013 83)rdquo 이런 점에서 볼 때 환경사회학 연구가 실질적인 학

제적 연구의 형태가 띠는 것은 아니라고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적어도 학

회 활동과 학회지를 통해서 다양한 전공 간의 관점 공유와 교류는 활발하

게 이루어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5 연구자와 운동가의 소통

한국 환경사회학의 두드러진 특징 중의 하나는 환경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연구자들이 많다는 점이다 환경사회학자 중에는 연구자이면서

환경단체 전국 조직의 대표(이시재 이상헌 윤순진 이필렬 조명래) 지

역 환경단체의 대표(박재묵 노진철 최병두) 환경단체의 임원(구도완) 등

을 현재 맡고 있거나 과거에 역임한 사람들이 많다 위에서 거론된 연구

자보다 훨씬 더 많은 환경사회학자들이 지역 환경단체 등에 임원으로 참

15) 논문 이외의 서평 등의 글도 포함하고 있다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79

여하고 있다 이와는 반대로 환경단체의 상근 운동가로서 환경사회학회

회원으로 참여하고 논문을 발표하는 경우(이승민 안병옥 최예용 김정

수)도 있다

환경사회학자 연구자의 환경운동 참여와 운동가의 연구 참여가 활발하

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은 환경사회학의 특성과 연관되어 있는 현상이다

환경사회학은 기본적으로 환경문제의 근원 환경문제의 영향 및 환경문제

의 해결16)에 관심을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한국의 환경사회학은 특히

lsquo환경문제의 사회학rsquo의 성격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Ⅴ 환경사회학의 전망과 과제

지난 20년 동안 한국 환경사회학은 제도화의 과정을 거쳐 왔다 이 기

간 동안에 환경사회학은 많은 학과에서 정규 교과목으로 받아들여졌고

독립된 연구 영역으로 인정받게 되었다 또한 이 분야 연구자들이 독자적

인 학회를 조직하고 학회가 학술지를 발간함에 따라 연구 활동의 기반이

갖추어졌다 이로써 한국 환경사회학의 제도화가 대체로 완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지난 20년의 기간은 환경사회학의 기반 구축기인 동시에 성장기였다

성장의 속도는 느렸지만 연구자의 수도 증가해 왔고 이에 따라 학문적

성과도 축적되어 왔다 특히 환경사회학자들이 관심을 집중시켰던 원자

력middot위험middot재난 대규모 개발사업 환경운동 등의 영역에서는 의미 있는 성

과가 있었다 최근에 와서 환경사회학은 안정기에 들어가고 있다 ldquo젊은

층의 충원이 지지부진rdquo하고 대학원에서 환경사회학을 전공하려고 하는

학생도 줄어들고 있다(이시재 2013 37) 사회학계 전반에 걸친 침체 분위

16) Riley E Dunlap과 Brent K Marshall은 환경사회학의 최근 연구 초점으로

환경문제의 근원 환경문제의 영향 환경문제의 해결 방안 등 세 가지를 들

었다(Dunlap and Marshall 2007 335-339)

80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기가 일정 부분 환경사회학에도 미치고 있다 미국에서 환경사회학이

1980년대 초에 겪었던 퇴조 분위기가 한국에서도 나타나고 있는 것 같다

그러나 이러한 환경사회학의 침체 분위기가 장기적으로 지속되지는 않

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렇게 전망하는 근거는 두 가지이다 그 하나는 환

경사회학의 태동을 가져왔던 환경문제가 상존하기 때문이다 또한 기후변

화와 같은 환경문제는 향후에도 장기간 지속될 것이 분명하고 유독성 화

학물질과 같은 새로운 환경문제도 부상하고 있다 한 마디로 환경문제가

근본적으로 해결되지 않는 한 환경사회학은 존속하게 될 것이다 둘째로

현재의 침체 분위기는 일정기간의 성장 뒤에 오는 바닥 다지기의 의미가

크다 따라서 장기적으로 보면 환경사회학은 향후에도 안정적 성장을 지

속할 가능성이 크다

어떤 점에서 환경사회학의 미래는 일정 부분 환경사회학자들이 그들에

게 주어진 사명을 어떻게 수행하느냐에 달려 있기도 하다 2005년 필자가

환경사회학회가 펴낸 「우리 눈으로 보는 환경사회학」의 제1장을 쓰면서

환경사회학자의 사명으로 사회의 녹색화와 사회학의 녹색화를 설정한 바

있다 전자는 인간면제주의 패러다임의 지배를 받고 있는 주류 사회학에

인간 생존의 물리적middot생물적 기반을 고려하는 관점을 제공하는 것이고 후

자는 환경오염과 파괴의 원인 그 영향 및 해결 방안을 사회학적으로 설

명하고 제시하는 것이다 특히 후자의 사명을 환경사회학자들이 얼마나

그리고 어떻게 성취하느냐가 환경사회학의 미래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

다 학제적 연구의 정착과 현장 중심의 연구 강화는 환경사회학이 후자의

사명을 수행하기 위해 해결해야 할 당면 과제이다

2014년 6월 16일 접수

2014년 6월 27일 수정 완료

2014년 6월 29일 게재 확정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81

참고문헌

구도완 1995 ldquo한국의 새로운 환경운동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29(2) 347-371

1996 985172한국 환경운동의 사회학985173 문학과지성사

2009 985172마을에서 세상을 바꾸는 사람들 생태적 대안운동을 찾아

서985173 창비사

구도완 등 2013 985172녹색당과 녹색정치985173 아르케

구자건 2008 985172환경갈등과 사회영향평가 방법985173 연세대출판부

김도균 2011 985172환경재난과 지역사회의 변화 허베이스피리트호 기름유출

사고의 사회재난985173 한울아카데미

김두식 1995 ldquo환경문제와 환경보호에 대한 시민들의 태도 조사연구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29(1) 33-67

노진철 2001 985172환경과 사회985173 한울

2010 985172불확실성 시대의 위험사회학985173 한울아카데미

노진철 등 2010 985172태안은 살아 있다 기름 유출 사고 이후 3년 다시 쓰

는 태안 리포트985173 동녘

문순홍 1992 985172생태위기와 녹색의 대안985173 나라사랑

1999 985172생태학의 담론985173 아르케

2001 985172한국의 여성환경운동985173 아르케

2006a 985172정치생태학과 녹색국가985173 아르케

2006b 985172녹색국가의 탐색985173 아르케

2006c 985172개발국가의 녹색성찰985173 아르케

문태훈 등 2008 985172지속가능한 사회 이야기985173 법문사

박순열 2009 985172불만의 새만금985173 한국학술정보

박재묵 1991 ldquo환경문제에 대한 사회학적 이해rdquo pp 71-83 한국사회학회

(편) 985172현대 한국 사회문제의 진단과 처방985173(특별심포지움 논문집)

서영표영국적록연구그룹 2010 985172사회주의 녹색을 만나다985173 한울아카데미

양종회 1993 ldquo우리나라 국민들의 환경문제에 대한 의식의 변화 및 사회

82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적 기반rdquo 985172한국사회학회985173 26(4) 89-120

양종회 등 2002 985172아시아 태평양지역의 환경문제 환경운동 및 환경정책985173 서울대출판부

윤순진 2013 ldquo《ECO》분석을 통해 본 한국 환경사회학 연구의 흐름rdquo

pp 67-98 한국환경사회학회(편) 985172환경사회학 이론과 환경문제985173 한울아카데미

이득연 1998 985172환경운동의 사회학985173 민영사

이상헌 2003 985172물 세상을 움직이는 물의 정치와 정치 생태학985173 이매진

2011 985172생태주의985173 책세상

이시재 1994 ldquo환경사회학rdquo 한국사회학회(편) 98517221세기의 한국 사회학985173 문학과지성사

2013 ldquo한국 환경사회학의 회고와 전망rdquo pp 67-98 한국환경사회

학회(편) 985172환경사회학 이론과 환경문제985173 한울아카데미

이시재 등 2010 985172생태사회적 발전의 현장과 이론985173 아르케

정대연 2002 985172환경사회학985173 아카넷

2004 985172환경주의와 지속가능한 발전985173 집문당

2010 985172한국 지속가능발전의 구조와 변동985173 집문당

조명래 2001 985172녹색사회의 탐색985173 한울

2006 985172개발정치와 녹색진보985173 환경과 생명

2009 985172지구화 되돌아보기와 넘어서기 공간환경의 모순과 극복985173 환경과 생명

2013a 985172공간으로 사회읽기 개념 쟁점과 대안985173 한울아카데미

2013b 985172녹색토건주의와 환경위기985173 한울아카데미

조명래 등 2005 985172신개발주의를 멈춰라985173 환경과 생명

최병두 1993a 985172한국의 공간과 환경985173 한길사

1993b 985172현대 환경문제의 재인식985173 한울

1995 985172환경사회이론과 국제환경문제985173 한울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83

1999a 985172환경갈등과 불평등985173 한울

1999b 985172녹색사회를 위한 비평985173 한울

2002 985172녹색전망985173 도요새

2003a 985172도시속의 환경 열두 달(봄 여름)985173 한울

2003b 985172도시속의 환경 열두 달(가을 겨울)985173 한울

2010 985172비판적 생태학과 환경정의985173 한울아카데미

한국사회학회 2007 985172한국사회학회 50년사 1957-2007985173 한학문학

한국환경사회학회 2005 985172우리 눈으로 보는 환경사회학985173 창비사

2013a 985172환경사회학이론과 환경문제985173 한울

2013b 985172환경운동과 생활세계985173 한울

한상진 2006 985172환경정의의 사회학985173 UUP

험프리버틀(Craig Humphrey and Frederick R Buttel) 1995 985172환경사회학985173 양종회이시재 역 사회비평사

홍성태 2000 985172대한민국 위험사회985173 당대

2006 985172한국의 근대화와 물985173 한울아카데미

2010 985172생명의 강을 위하여 생태사회학자 홍성태 교수의 4대강

지키기 제안985173 중원문화

2012 985172개발과 파괴의 사회학 위험 사회를 넘어서985173 중원문화

Buttel Frederick H and Craig R Humphrey 2002 Sociological Theory

and the Natural Environment pp 33ndash69 in Riley E Dunlap and

William Michelson(eds) Handbook of Environmental Sociology

Westport CT Greenwood Press

Catton William R Jr and Riley Dunlap 1978 Environmental Sociology

A New Paradigm The American Sociologist 13 41-49

Dunlap Riley E and Brent K Marshall 2007 Environmental Sociology

pp 329-340 in Clifton D Bryant and Dennis L Peck(eds) 21st

Century Sociology A Reference Handbook Thousand Oaks CA

84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Sage Publications

Hannigan John 2006 Environmental Sociology(second edition)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Harper Charles 2004 Environment and Society Human Perspectives on

Environmental Issues Upper Saddle River New Jersey Pearson

Education Inc

Humphrey Craig R and Frederick H Buttel 1982 Environment Energy

and Society Belmont California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International Sociological Association(RC24) Korean Sociological

Association and Korean Association for Environmental Sociology

2004 Globalization Localization and Environment (Proceedings for

2004 ISA RC24 Conference in Seoul)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85

The Research Trend and Prospect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Park Jae-mookProf Dept of Sociology Chungnam Univ

Abstract

The aims of this paper are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and to anticipate its future developments As a groundwork for these works we briefly examined the institutionalization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Here we considered the organizing process of environmental sociologists association and the incorporation of the course of environmental sociology into the regular curricula Nextly we examined research trends of environmental sociology and tried to draw common characteristics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The most frequently dealt subjects in ECO a representative journal in this field have been nuclear power risk and disaster large-scale development projects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nd behaviour environmental problems and climate changes And distinguished characteristics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have been found to be focus on environmental problems dependence on qualitative methodology emphasis on environmental reforms of liberal tradition exchange of perspectives among researchers from various fields communications between researchers and activists Lastly it was suggested that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ist should develop interdisciplinary research and field research

Key Words Environmental Sociology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Institutionalization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Korean Association for Environmental Sociology ECO

Page 8: 환경과 사회 연구의 동향과 전망isrku.org/adm/data/1351080157_fEMV3OxI_02-EBB095EC9... · 2014-07-06 ·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 pp.55-85 ‘환경과 사회’

62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구자들의 유일한 발표의 장이었고 그 후 환경사회학자들이 독자적 연구

회 및 학회를 조직한 후에도 이 분야 학자들에게 중요한 소통의 장이었다

1991년부터 2006년까지 환경사회학 분과가 조직된 사회학대회는 1991년

전기 및 후기 1994년 전기 1995년 후기 1996년 전기 1998년 전기 1998

년 후기 1999년 전기 2000년 전기와 후기 2003년 후기 2004년 전기

2006년 전기 및 후기 등이다 그리고 이들 분과에서 발표된 논문의 수는

55개에 이른다(한국사회학회 2007 207-208)

환경문제의 사회적 관련에 관심을 가진 연구자들이 점차 늘어나면서

독자적 연구자 모임이 만들어지기 시작했는데 최초의 환경사회학 연구자

모임은 1995년 6월 23일에 결성된 한국환경사회학연구회(회장 권태환)였

다 이 연구회는 규모가 작고 규약조차 없는 느슨한 조직이었지만 회원들

의 참여 의욕이 높아 그 활동은 매우 활발했다 주요 활동으로는 한국사

회학회가 개최한 춘middot추계사회학대회에서의 환경사회학 분과 조직 및 논

문 발표 춘middot추계의 정기적 워크샵 개최 및 환경현장 답사6) 등을 들 수 있

다(한국환경사회학회 2005 40)

이 연구회 모임을 기반으로 하여 한국환경사회학회(초대 회장 이시재)

가 2000년 6월 3일에 창립되었다 창립 기념 세미나의 주제는 당시 주요

사회적 쟁점 중의 하나였던 동강댐(영월댐)이었고 4편의 논문이 발표되

었다 현재 환경사회학회에는 약 150명의 연구자들이 회원으로 참여하고

있다 회원의 대다수는 사회학자들이지만 정치학자 경제학자 인류학자

등 다양한 사회과학분야 연구자들도 참여하고 있고 소수이기는 하지만

자연과학 및 공학을 전공한 연구자들도 참여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환경

사회학회는 학제적 성격을 지닌 학회라고 할 수 있고 사회학회의 lsquo분과

6) 환경현장 답사는 환경사회학연구회의 특징적인 활동이었다 연구회 창립 이

후 2000년 한국환경사회학회로 재창립되기까지 방문한 현장은 광주광역시

광산구 음식물사료화연구시설(1996년 6월) 대구 금호강유역 오염 현장(1997년 6월) 울산 온산공단(1997년 10월) 서산 천수만간척지 및 태안 안면도

(1998년 5월) 창녕 우포늪 및 주남저수지(1998년 11월) 영월 동강(1999년 4월) 부안 새만금간척지구(2000년 3월) 등이었다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63

학회rsquo의 성격보다는 lsquo연관 학회rsquo의 성격을 더 강하게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환경사회학회는 과거 연구회 시절에 수행했던 활동 즉 춘middot추계사회학

대회에서의 분과 활동 춘middot추계의 독자적 학술회의 개최 환경현장 답사

등을 대체로 유지하면서 이에 추가하여 공동 저술 사업 국제학술회의 개

최 학술잡지 「환경사회학연구」(ECO) 발행 등의 활동을 전개해 왔다 환

경사회학회가 기획하여 펴낸 공동 저술로는 교재 성격을 갖는 「우리 눈으

로 보는 환경사회학」(2005)과 lsquo한국 환경사회학 시리즈rsquo의 1 2권으로 펴

낸 「환경사회학 이론과 환경문제」(2013) 및 「환경운동과 생활세계」(2013)

가 있다 환경사회학회가 개최한 주요 국제학술회의로는 2004년 국제사회

학회(ISA) RC24회의와 2011년 제3차 동아시아 환경사회학 국제학술회의

(The 3rd International Symposium on Environmental Sociology in East

Asia)가 있다 반년간(半年刊) 학술지 「환경사회학연구」(ECO)의 발행

(2001년 이후)은 환경사회학회의 가장 중요한 사업이다

Ⅲ 한국 환경사회학의 연구 동향

1 연구 주제

환경사회학의 연구 주제를 파악하기 위해 한국사회학회의 「한국사회학」

및 환경사회학회의 ECO에 게재된 논문7) 환경사회학회의의 학술대회 주

7) 환경사회학 분야의 논문들은 「한국사회학」 및 ECO지 외에 「농촌사회」 「경제와 사회」 등의 다른 학술지에도 게재되고 있지만 이들 학술지에 실린 환

경사회학 관련 논문의 편수가 많지 않음을 고려하여 이들 논문들은 분석 대

상에 포함되지 않았다 분석 대상을 「한국사회학」 및 ECO에 수록된 논문으

로 한정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은 환경농업middot식량middot식품을 다룬 환

경사회학자들의 논문이 체계적으로 배제될 수 있다는 점이다 이 주제를 다

룬 논문의 상당수가 「농촌사회」에 투고되기 때문이다

64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제 사회학자들의 환경사회학적 저서 주제 등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 중에

서 가장 중요한 분석 대상은 「한국사회학」 및 ECO지에 게재된 논문이다

「한국사회학」에 게재된 환경사회학 분야 논문의 편수는 9편에 지나지 않

으나 ECO 창간 이전의 연구 동향을 보여준다는 점을 고려하여 분석 대상

에 포함하였다 ECO는 환경사회학 분야의 대표적 전문 학술지라는 점을

고려하여 창간호(2001년)에서부터 제17권 1호(2013년 상반기)까지에 수록

된 167개의 논문(lsquo포럼rsquo으로 분류된 것까지 포함)의 주제를 분석하였다

연구 주제는 lt표 2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타를 포함해서 총 19개로 구분

하였다

1) 「한국사회학」 및 ECO 게재 논문의 주제

「한국사회학」에 게재된 논문은 총 9편으로 소수이고8) 그 주제 또한

lt표 2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양하지 않다 ECO 창간(2001년) 이전 즉

2000년 이전에는 환경사회학 분야 논문이 주로 「한국사회학」에 게재되었

기 때문에 이 시기에 발표된 논문의 주제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 시기

에 발표된 논문의 주제는 lsquo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rsquo lsquo환경의식middot환경행동rsquo lsquo환

경정책middot환경행정rsquo 및 lsquo지속가능한 발전rsquo이다 lt표 2gt에서 알 수 있는 것은

환경사회학 분야 연구가 시작되던 1990년대 초반에는 lsquo환경의식middot환경행

동rsquo 및 lsquo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rsquo이 주요 주제였다는 사실이다 「한국사회학」에

개재된 최초의 환경사회학 분야 논문은 양종회의 ldquo우리나라 국민들의 환

경문제에 대한 의식의 변화 및 사회적 기반rdquo(1993)이었다9) 그 뒤를 이어

8) 「한국사회학」에 게재된 논문의 주제별 분석 자료에 따르면 환경을 주제로

한 논문은 1964년부터 2006년 사이에 게재된 전체 논문의 14 수준이다

(한국사회학회 2007 110) 이처럼 「한국사회학」에 실린 환경사회학 분야

논문이 적은 이유는 이 분야 연구자들이 보다 전문화된 ECO지 게재를 선

호하기 때문이다 9) 「한국사회학」에 게재되지는 않았지만 이보다 먼저 발표된 논문으로는 필자

의 ldquo환경문제에 대한 사회학적 이해rdquo(1991)가 있다 이 논문은 1991년 5월

한국사회학회가 주최한 특별심포지움에서 발표되었다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65

서 환경의식에 관한 김두식의 논문(1995)과 환경운동을 다룬 구도완

(1995)의 논문이 발표되었다

lt표 2gt 「한국사회학」 게재 논문의 주제(1991-2013)

주 제10)논문 편수

rsquo91-rsquo95 rsquo96-rsquo00 rsquo01-rsquo05 rsquo06-rsquo10 rsquo11이후 계

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 1 1

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 1 1

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 1 1

환경의식middot환경행동 2 2

환경정책middot환경행정 2 2

지속가능한 발전 1 1

환경middot위험거버넌스 1 1

계 3 3 1 1 1 9

다음으로 ECO에 게재된 총 167편의 주제를 살펴보겠다 19개로 분류

된 전체 주제 중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빈도로 다루어지고 있는 주제는 6

개이다 가장 높은 빈도로 다루어진 주제는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rsquo이다 이 주

제를 다룬 논문은 21편으로 전체 167편의 126를 차지한다11) 이 주제

를 다룬 논문이 가장 많았던 것은 lt표 3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2007년에

발생한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 유출사고에 대한 연구가 두 차례에 걸쳐

특집의 형태로 수록되었기 때문이다 그 다음으로 환경사회학자들이 자주

다룬 주제는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으로 총 19편의 논문이 이 주제를 다루고

10) 주제의 분류 체계는 lt표 3gt과 같았으나 한 편의 논문도 발견되지 않는 주

제는 표에서 제외했다 11) ECO 게재 논문들의 주제어를 분석한 윤순진의 논문에서도 위험위해재난

으로 분류될 수 있는 주제어들이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나고 있고 여기에

원자력 관련 주제어를 포함할 경우에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rsquo과 관련된 주제어

의 빈도는 더욱 높게 나타난다(윤순진 2013 79-80)

66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주 제논문 수

rsquo01 rsquo02 rsquo03 rsquo04 rsquo05 rsquo06 rsquo07 rsquo08 rsquo09 rsquo10 rsquo11 rsquo12 rsquo13 계

환경사회학 이론 2 1 1 1 1 6

환경사회학 방법론 1 1

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 2 1 2 2 1 1 1 1 1 12

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 2 7 6 2 4 21

에너지middot자원 1 1 2 4

환경사상 1 1

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 1 1 2 2 2 1 3 12

있다 동강댐 새만금간척사업 4대강사업 등 정부가 추진했던 대규모 개

발사업에 환경사회학자들이 큰 관심을 기울인 결과이다 이밖에 환경사회

학자들이 많은 관심을 보인 주제로는 lsquo환경의식middot환경행동rsquo(14편) lsquo환경문

제middot기후변화rsquo(12편) lsquo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rsquo(12편) lsquo환경정치rsquo(12편) 등이었

다 이 6개의 주제를 다룬 논문은 총 90편으로서 전체 167편의 539를

차지하고 있다

위의 6개 주제 다음으로 환경사회학자들이 관심을 보인 주제로는 lsquo환경

정책rsquo(8편) lsquo사회영향평가rsquo(8편) lsquo환경middot위험거버넌스rsquo(8편) lsquo환경불평등middot

환경정의rsquo(7편) lsquo환경농업middot식량middot식품rsquo(7편) lsquo환경사회학이론rsquo(6편) lsquo지속

가능한 발전rsquo(5편) lsquo환경복원rsquo(5편) 등이다 lsquo환경농업middot식량middot식품rsquo을 다룬

상당수의 논문들이 「농촌사회」에 수록됨으로써 이 분석에서 제외되고 있

음을 감안할 필요가 있다

lsquo에너지middot자원rsquo(4편) lsquo생태공동체rsquo(2편) lsquo환경사회학방법론rsquo(1편) lsquo환경

사상rsquo(1편) 등의 주제를 다룬 논문은 매우 적었다 lsquo인구rsquo는 당초 주제 분

류 시 별도의 주제로 설정하였으나 관련 논문이 전혀 발견되지 않아 주

제 목록에서 제외했다 이것은 환경사회학적 관점에서 인구를 다루는 연

구자가 없음을 의미한다

lt표 3gt ECO 게재 논문의 주제(2001-2013년)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67

주 제논문 수

rsquo01 rsquo02 rsquo03 rsquo04 rsquo05 rsquo06 rsquo07 rsquo08 rsquo09 rsquo10 rsquo11 rsquo12 rsquo13 계

환경의식middot환경행동 1 2 1 1 2 3 2 2 14

환경정책 1 1 1 4 1 8

대규모 개발사업 3 4 4 1 1 1 1 2 2 19

사회영향평가 4 1 1 1 1 8

지속가능발전 1 3 1 5

환경정치 1 2 1 1 1 1 1 3 1 12

환경middot위험거버넌스 2 1 1 1 2 1 8

환경불평등middot환경정의 1 1 2 2 1 7

환경복원 4 1 5

환경농업middot식량middot식품 1 1 4 1 7

생태공동체 1 1 2

기타 2 2 1 2 3 2 1 1 1 15

계 9 19 16 15 11 12 13 16 13 11 13 14 5 167

위의 주제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1990년대

이래 한국 환경사회학 분야의 논문 주제는 점차 다양해져 왔다 1990년대

에는 lsquo환경의식middot환경행동rsquo lsquo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rsquo 등 몇 가지 주제에 관한

소수의 논문이 발표되었으나 2000년대에 들어와서는 편수의 증가와 함께

주제가 매우 다양해졌다 현재는 환경사회학의 주요 주제들의 대부분이

다루어지고 있다 둘째 특정의 1-2개 주제에 대한 쏠림 현상이 두드러지

지는 않지만 주제별로 논문의 편수는 큰 차이를 보인다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

난rsquo과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은 연구자의 관심을 가장 많이 끈 주제인 반면에

lsquo환경사상rsquo lsquo생태공동체rsquo lsquo에너지middot자원rsquo 등에 대한 관심은 매우 낮다 셋

째 특정 연구 주제의 상승이나 하락이 뚜렷이 나타나지는 않는다 비교적

많은 관심을 끈 6개의 주제를 다룬 논문들은 전 기간에 걸쳐 고르게 발표

되었다 다만 lsquo환경사회학 이론rsquo lsquo환경사회학 방법론rsquo lsquo환경사상rsquo lsquo환경

68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연도 춘middot추계 학술대회 주제 주제 유형

2001 창립기념동강댐 건설 문제의 사회문화적 조사연구

보고대규모 개발사업

추계 새만금 대규모 개발사업

복원rsquo 등을 다룬 논문이 최근에는 발표되지 않고 있고 반대로 lsquo에너지middot자

원rsquo에 관한 논문들은 최근에 와서 주로 발표되고 있기는 하지만 이들 주

제를 다룬 사례 수가 많지 않아 뚜렷한 경향을 발견하기는 어렵다

2) 정기학술대회의 주제

환경사회학회는 연 2회 춘middot추계 정기학술대회를 개최한다 학회 창립

이후 개최된 총 26회의 정기학술대회 중 주제가 확인되지 않은 2회를 제

외한 나머지 24회 학술대회의 주제는 lt표 4gt와 같다 정기학술대회에서

가장 자주 등장했던 주제는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5회)이었다 동강댐(2001년

창립기념세미나) 새만금간척사업(2001년 추계 2003년 추계) 4대강사업

(2010년 춘계) 등의 특정 개발 사례와 대규모개발사업 일반(2006년 춘계)

이 주제로 등장했다 두 번째로 자주 등장한 주제는 lsquo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rsquo

으로 2004년 추계 2005년 춘계 및 추계 2007년 춘계 등 4회였다 그 다

음으로 자주 등장한 주제는 lsquo환경정책rsquo(2006년 추계 2009년 추계 2012년

추계)과 lsquo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rsquo(2007년 추계 2010년 추계 2011년 춘계)로

각각 3회 나타났다 lsquo환경정책rsquo으로는 노무현 정부의 lsquo살기 좋은 지역 만

들기rsquo 정책과 이명박 정부의 환경정책 일반과 녹색성장정책이 다루어졌

다 이 밖에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rsquo(2008년 춘계 2009년 춘계) lsquo지속가능한

발전rsquo(2011년 추계 2012년 춘계) lsquo환경사상rsquo(2005년 추계 2013년 춘계)

등이 각각 2회씩 그리고 lsquo생태공동체rsquo(2002년 추계) lsquo환경불평등middot환경정

의rsquo(2004년 추계) lsquo환경정치rsquo(2006년 추계) lsquo환경농업middot식량middot식품rsquo(2008년

추계) 등이 각각 1회씩 등장했다

lt표 4gt 한국환경사회학회 정기학술대회의 주제(2001-2013년)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69

연도 춘middot추계 학술대회 주제 주제 유형

2002춘계 지역과 환경 기타

추계환경친화적 지역사회 개발과 새로운 공동체 운동

생태공동체

2003춘계 미확인 기타

추계 새만금 간척사업 대규모 개발사업

2004춘계 미확인 기타

추계 환경갈등과 환경정의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환경불평등middot환경정의

2005춘계

사회갈등과 주민참여 지역 및 환경갈등을 중심으로

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

추계 환경철학과 환경운동환경사상

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

2006춘계 대규모 개발사업과 환경정치

대규모 개발사업환경정치

추계 살기 좋은 지역 만들기의 이론과 전략 환경정책

2007춘계

대규모 개발사업을 둘러싼 환경갈등과 생태민주주의의 전망

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

추계 기후변화와 한국사회의 선택 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

2008춘계

환경재난의 지역사회 영향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를 중심으로

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

추계 먹을거리의 환경사회학 환경농업middot식량middot식품

2009춘계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의 사회적middot심리적 영향과 공동체 복원

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

추계환경사회학의 관점에서 본 lsquo저탄소 녹색성장rsquo 환경정책

2010춘계 4대강사업에 대한 환경사회학적 성찰 대규모 개발사업

추계 기후변화의 사회학 일상에서 지구촌까지 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

2011춘계

구제역을 통해서 본 지본주의시대의 환경과 생명

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

추계 환경적으로 지속가능한 동아시아를 위하여

지속가능한 발전

2012춘계 지속가능한 발전과 경상남도의 과제 지속가능한 발전

추계 이명박 정부의 환경정책 평가와 대안 환경정책

2013춘계 한국의 생태주의 사상과 역사 환경사상

추계한국 환경사회학의 보편성과 특수성 그리고 미래의 과제

환경사회학 이론

70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연도 주 제

2001 동강댐의 환경사회학(통권 1호)

2002 새만금간척사업의 환경사회학(통권 2호) 사회영향평가연구(통권 3호)

2003 청계천 복원의 사회학(통권 4호) 노무현정부의 환경정책 평가(통권 5호)

2004 부안핵폐기물처리장 문제의 환경사회학(통권 6호) 새만금간척사업의

환경사회학Ⅱ(통권 7호)

2005 한국 국가의 녹색화 연구(통권 8호) 환경정의 경험적 연구(통권 9호)

3) ECO 특집의 주제

ECO지는 매호 하나의 주제를 정하고 관련 논문을 특집으로 묶어 수록

하고 있다 ECO지의 특집 주제의 목록은 lt표 5gt 참조에 제시되어 있다

특집 주제로 가장 자주 설정된 것은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rsquo으로 그 횟수는 6

회이다 세부적으로 보면 방사성폐기물 원자력발전 등 원자력 문제(통권

6호 제10권 1호 제17권 1호)와 재난(제12권 1호 제13권 1호 제15권 1

호)이 각각 3회씩 다루어졌다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 유출사고는 두 번

이나 특집으로 다루어졌다 두 번째로 자주 다루어진 주제는 lsquo환경정책rsquo이었다 환경정책은 5회(통권 5호 통권 8호 제11권 1호 제13권 2호 제16

권 2호) 등장했는데 구체적으로는 노무현 정부의 환경정책 녹색국가 기

후변화 정책 이명박 정부의 녹색성장정책과 일반 환경정책이 다루어졌

다 세 번째로 자주 다루어진 주제는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으로 그 횟수는 4

회(통권 1호 통권 2호 통권 7호 제14권 1호)였다 동강댐 및 4대강 사업

이 1회씩 그리고 새만금간척사업이 2회 다루어졌다 이 밖에 lsquo사회적 영

향평가rsquo(통권 3호 제 10권 2호)와 lsquo환경의식middot환경행동rsquo(제14권 2호 제15

권 2호)이 각각 2회씩 다루어졌고 lsquo환경정의rsquo(통권 9호) lsquo환경복원rsquo(통권

4호) lsquo환경농업middot식량middot식품rsquo(제12권 2호) lsquo환경middot위험거버넌스rsquo(제16권 1

호) lsquo환경문제rsquo(제15권 2호) lsquo지속가능발전(제11권 2호)rsquo 등이 각각 1회씩

다루어졌다

lt표 5gt ECO 각호의 특집 주제(2001-2013년)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71

연도 주 제

2006 방사성폐기물 처분장과 민주주의(제10권 1호) 도시개발의 사회적 영향 은평뉴타운 사례(제10권 2호)

2007 기후변화정책의 국가간 비교연구(제11권 1호) 대안적 발전의 해외사례

연구(제11권 2호)

2008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 연구(제12권 1호) 지구화시대 세계

농식품체계의 환경사회학(제12권 2호)

2009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 연구Ⅱ(제13권 1호) 환경사회학적

관점에서 본 녹색성장(제13권 2호)

2010 4대강사업에 대한 환경사회학적 성찰(제14권 1호) 한국인의 환경 가치

지형(제14권 2호)

2011 환경사회학과 재난관리(제15권 1호) 환경문제와 환경의식(제15권 2호)

2012 위험 사회의 거버넌스(제16권 1호) 이명박 정부의 환경정책과

대안(제16권 2호)

2013 원자력발전과 시민사회 비교연구(제17권 1호)

4) 주요 단행본의 주제

환경사회학자들12)이 저술한 단행본13)은 비교적 다양한 주제를 다루고

있다 2000년대에 들어와서는 저술의 크게 수가 늘어나면서 1990년대에

비하여 주제의 다양성도 크게 증가하고 있다 1990년대에는 lsquo환경사회학

이론rsquo lsquo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rsquo lsquo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rsquo lsquo환경불평등middot환경정의rsquo

등 4개의 주제 영역에 국한되어 있었으나 2000년대에 들어와서는 lsquo대규

모 개발사업rsquo 등 6개 주제에 대한 저술들이 새로 출판되었다 lsquo원자력middot위

험middot재난rsquo에 관한 저술이 최근에 와서 늘어나고 있음이 주목된다

1990년대 이후의 전체 기간에서 가장 많은 단행본이 출판된 주제 영역

은 lsquo환경사회학 이론rsquo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rsquo lsquo환경운동middot

12) 사회학을 전공하지 않은 학자로서 한국환경사회학회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

는 사람은 환경사회학자에 포함시켰다 단행본 필자로는 구자건 문순홍 조명래 최병두 등이 이 경우에 속한다

13) 번역서는 여기에서 제외하였다 또한 다양한 분야의 학자들이 공동으로 저

술한 책 중에서 환경사회학자들의 기여가 크지 않은 저술도 제외하였다

72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환경갈등rsquo lsquo환경정치rsquo 등 5개이다 이들 5개 주제에 관한 저술은 총 25권

으로 전체 저술(46권)의 절반을 넘고 있다 이들 5개 주제 영역 다음으로

lsquo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rsquo(4권) lsquo지속가능한 발전rsquo(4권) lsquo환경불평등middot환경정

의rsquo(3권) 등의 주제 영역에 관한 저술이 많은 편이다

lt표 6gt 단행본의 주제(1990-2013년)

주 제 1990년대 2000-2009년 2010년 이후

환경사회학 이론문순홍(1992) 문순홍(1999) 조명래(2001) 한국환경사회학회(2013)

조명래(2013a)

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최병두(1993b)최병두(1995)

최병두(2003a)최병두(2003b)

대규모 개발사업

문순홍(2006c)박순열(2009)조명래(2006)

홍성태(2010)조명래(2013b)

사회영향평가 구자건(2008)

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 홍성태(2000)

노진철(2010)노진철 등(2010)김도균(2011)홍성태(2012)

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구도완(1996)이득연(1998)

문순홍(2001)구도완(2009) 한국환경사회학회(2013)

지속가능한 발전정대연(2004)문태훈 등(2008)

이시재 등(2010)정대연(2010)

환경불평등middot환경정의 최병두(1999a) 한상진(2006) 최병두(2010)

환경정치

문순홍(2006a)문순홍(2006b)이상헌(2003)

구도완 등(2013)서영표 등(2010)

환경사상 이상헌(2007)

교과서

노진철(2001)정대연(2002)한국환경사회학회(2005)

복합 주제 및 기타최병두(1993a)최병두(1999b)

양종회 등(2002)최병두(2002)홍성태(2006)조명래(2009)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73

2 연구 방법

ECO지의 창간호부터 2003년 6월에 발행한 제17권 1호까지에 게재된

167편의 논문(포럼 포함)에서 사용되고 있는 연구 방법을 9개의 유형으로

구분해 보면 lt표 7gt과 같다 연구 방법을 명시적으로 서술하지 않은 논문

이 적지 않고 복수의 연구 방법을 사용하는 논문이 많아 유형 구분이 쉽

지 않았으나 필자의 주관적 판단에 따라 모든 논문의 연구 방법을 9개의

범주에 배속시켰다

lt표 7gt ECO 게재 논문의 자료수집 방법

주 제논문 수

rsquo01 rsquo02 rsquo03 rsquo04 rsquo05 rsquo06 rsquo07 rsquo08 rsquo09 rsquo10 rsquo11 rsquo12 rsquo13 계

이론 연구 2 9 6 4 3 3 1 4 3 1 1 37(222)

설문조사 2 1 1 2 2 1 3 4 4 2 3 25(150)

문헌middot문서자료 3 3 1 7 4 6 1 5 2 3 3 2 40(240)

기존 자료 3 1 2 1 1 2 10(73)

면접middot심층면접 1 5 1 1 1 1 1 2 2 2 2 19(114)

내용middot담론분석 1 1 1 2 1 1 7(42)

사례 조사 1 2 2 4 1 3 2 4 1 20(120)

비교 연구 1 3 1 1 2 8(48)

시뮬레이션 1 1(06)

계 9 19 16 15 11 12 13 16 13 11 13 14 5 167(1000)

먼저 논문의 발표 시기에 따른 연구 방법의 차이는 드러나지 않는다

다만 이론 연구가 후기로 올수록 줄어드는 경향이 눈에 띌 따름이다

다음으로 연구 방법 간의 빈도 차이는 비교적 뚜렷하게 드러난다 문

헌middot문서자료(40편) 이론 연구(37편) 설문조사(25편) 사례 조사(20편) 면

접middot심층면접(19편) 등이 자주 사용되고 있는 반면에 기존 자료(10편) 비

교연구(8편) 내용middot담론분석(7편) 시뮬레이션(1편) 등은 상대적으로 적게

74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사용되고 있다 문헌middot문서자료 및 이론 연구가 1 2위를 차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환경사회학자들의 독자적인 자료 생산 노력이 활발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마지막으로 ECO 게재 논문과 「한국사회학」 게재 논문의 연구 방법을

비교해 보면 환경사회학의 연구 방법과 사회학 일반의 연구 방법 간에

상당한 차이가 있음이 발견된다 ECO 게재 논문에서는 문헌middot문서자료 이

론 연구 설문조사 등의 순서로 자주 사용된 반면에 「한국사회학」 게재

논문14)들에서는 설문조사(323) 기존 자료(228) 이론(186) 등이 각

각 1 2 3위를 차지하고 있어 중시하고 있는 연구 방법이 서로 다를 뿐만

아니라 ECO 게재 논문들에서 비교적 중시된 문헌middot문서자료(240) 사례

조사(120) 면접middot심층면접(114) 등은 「한국사회학」 게재 논문에서는

훨씬 낮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차이는 결국 환경사회

학자들이 일반 사회학자들과 비교했을 때 양적 자료를 덜 사용하고 질적

자료를 더 많이 사용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Ⅳ 한국 환경사회학의 특징

한국 환경사회학의 특징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환경사회학자 및 그들의

연구 활동의 다양한 측면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여기에서는 연구 주제

연구 방법 이론적 지향 학제적 연구 사회적 실천 등의 다섯 가지 측면에

서 한국 환경사회학의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14) 1964년부터 2006년까지 「한국사회학」에 게재된 논문의 연구 방법을 분석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형 이론설문

조사집계자료 문서자료 기존자료 인터뷰

기타 질적

자료전체

빈도 123 214 67 62 151 31 14 662 186 323 101 94 228 47 21 1000

출처 한국사회학회 2007 120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75

1 환경문제의 사회학

흔히 일본 환경사회학자들은 미국의 환경사회학을 lsquo환경에 대한 사회

학rsquo(sociology of the environment)이라고 특징지으면서 자신들의 환경사회

학을 lsquo환경문제의 사회학rsquo(sociology of environmental problems)이라고 말

한다 이것은 일본의 환경사회학은 구체적인 환경문제가 지역사회 주민

및 피해자의 생활과 지역사회에 미친 영향에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음

을 지적하는 말이다 이러한 일본 환경사회학의 특징은 한국 환경사회학

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이시재는 최근 발표한 ldquo한국 환경사회학의 회고와

전망rdquo에서 lsquo한국에서 환경사회학은 환경문제의 사회학으로 출발했다rsquo고

말하고 한국 환경사회학의 특징 중의 하나로 문제해결을 위한 연구를 들

고 있다(이시재 2013 34-35)

앞에서 우리는 한국 환경사회학의 연구 주제가 논문 특집 학술대회

단행본 등에 있어서 어떻게 나타나는가를 살펴보았다 다양한 연구 활동

중에서 환경사회학자들의 연구 주제 선택의 경향을 잘 보여주는 것은 사

례 수가 가장 많은 논문 발표일 것이다 ECO지 게재 논문을 기준으로 할

때 환경사회학자들은 기후변화를 포함한 환경문제보다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

난rsquo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 lsquo환경의식middot환경행동rsquo을 더 중요하게 다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lt표 3gt 참조) 그러나 가장 빈도가 높은 lsquo원자력middot위

험middot재난rsquo과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은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과 밀접하게 연관

되어 있다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rsquo은 독립적인 주제 영역으로 설정되기는 했

지만 결국 특수한 유형의 환경문제라고 할 수 있고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에

대한 관심은 개발 사업으로 인한 환경문제에 대한 우려에서 비롯되기 때

문이다 따라서 겉으로 드러난 주제 영역보다 주제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의식에 주목한다면 한국의 환경사회학은 lsquo환경문제의 사회학rsquo의 성

격을 강하게 지니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76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2 질적 자료의 활용

환경사회학이 미국에서 처음 형성되던 시기에 농촌사회학의 영향을 강

하게 받았다 농촌사회학의 영향 가운데 대표적인 것으로 경험적 조사 자

료를 중시하는 경향이다 이러한 환경사회학의 전통은 한국의 환경사회학

에서도 이어지고 있다 lt표 7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환경사회학 연구에서

이론 연구의 비중이 222로서 결코 낮다고 할 수는 없지만 다양한 유형

의 경험적 자료를 활용하는 연구의 비중이 이론 연구에 비해 훨씬 크다

경험적 연구 방법 중에서 환경사회학자들이 일반 사회학자들에 비하여

중시하는 자료는 사례 조사 면접 조사 등을 통해 얻는 질적 자료이다 일

반 사회학자들에 비하여 설문 조사 기존 자료 활용 집계 자료 등의 양적

자료의 활용은 떨어지는 데 반하여 사례조사나 면접을 통해 얻는 질적

자료는 더 많이 활용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연구 방법과 관련된 한국

환경사회학의 특징은 상대적으로 질적 자료를 많이 활동하고 있다는 데

있다

질적 자료의 활용이 활발한 것은 기본적으로 한국 환경사회학자들이

연구하는 대상의 특성 때문이다 동강댐 건설사업 새만금간척사업 4대강

사업 등의 대규모 개발사업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 사고 및 각종

개발사업과 관련된 지역 환경운동 및 환경갈등이 하나의 사례로 다루어

지고 또 이러한 사례 연구에서 심층면접이 자료 수집 방법으로 활용되는

경향이 있다

3 자유주의적 환경개혁론

환경사회학에는 생태학적 설명(ecological explanation) 대 정치경제학적

설명(political economy explanation) 성찰적 근대화론(reflexive modernization)

대 생태학적 근대화론(ecological modernization) 실재론(realism) 대 구성

주의(constructionism) 등의 주요 이론적 쟁점이 있지만(Hannigan 2006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77

16-52) 한국 환경사회학에서는 이러한 쟁점을 둘러싼 논쟁을 찾아보기

어렵다 또한 독자적인 이론을 구성하기 위한 노력도 찾아보기 어렵다 윤

순진이 지적한 바 있듯이 ldquo많은 연구들은 다른 학문분과에서 구축한 이

론을 환경 관련 쟁점과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동원하는 양상을rdquo 띠거나

(윤순진 2013 85) 해외 환경사회학계에서 확립된 이론을 연구의 자원으

로 활용하는 데 머무르고 있다

그러나 다른 학문분과나 해외 환경사회학에서 확립된 이론을 수용하여

자원으로 활용하는 경우에도 이론의 선택에는 연구자 자신의 이론적 지

향이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대부분의 연구에는 명시적이든 묵시적

이든 연구자 자신의 이론적 지향이 깔려 있다 그렇다면 한국 환경사회

학에서는 어떤 이론적 지향이 우세하고 그 변화의 방향은 어느 쪽인가

말할 필요도 없이 한국의 환경사회학에는 다양한 이론적 지향 즉 험프리

와 버텔이 말하는 보수적 자유주의적 및 급진적 패러다임(Humphrey and

Buttel 1982 19-21)이 공존하고 있다 보수적 패러다임은 환경의식 및 환

경행동 연구에서 가끔 나타나고 있지만 그 영향력은 미미하다 급진적 패

러다임은 원자력발전 위험 환경정의 대규모 개발사업(국책사업) 대안

적 공동체 생태민주주의 등에 관한 연구에서 중요한 관점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보수적 패러다임에 비해서는 그 영향력이 훨씬 크다 이 두 패러

다임에 비해 훨씬 큰 세력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 바로 국가 개혁과 정책

의 전환을 통해 환경 위기 극복의 길을 모색하는 자유주의적 환경개혁론

이다 자유주의적 환경개혁론은 녹색국가 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 환경정책

환경정치 환경middot위험거버넌스 지속가능한 발전 대규모 개발사업 등의 연

구에서 주로 나타나고 있다

4 다양한 전공의 관점 교류

ECO지 기고를 통해 환경사회학 연구에 참여하고 있는 연구자의 전공

은 매우 다양하다 아마도 사회학 내의 다른 어떤 세부분야에 비해서도

78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다양할 것이다 윤순진의 ECO지 게재 글15)의 저자 분석에 따르면 총 24

개 분야의 학문적 배경을 가진 연구자들이 참여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보

면 사회학 인류학 행정학 경제학 정치학 사회복지학 심리학 지리학

지리교육학 도시 및 지역 관련학과 환경middot에너지정책학과 정치생태학 등

의 사회과학 전공자 철학 한국학 등 인문학 전공자 생태학middot생태곤충학

생물학 지질학 환경보건학 과학기술사학 과학관리학 생명공학 등의 자

연과학 전공자 토목공학 등 공학 전공자 등이 ECO에 글을 싣고 있다 물

론 전공별로 참여 저자의 수는 크게 다르다 사회학 전공자가 37명으로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도시 및 지역 관련 분야 전공자(18명) 인류학 전

공자(8명) 행정학 전공자(6명) 등의 순서로 많다(윤순진 2013 80-81)

ECO지 게재 논문 중 공저 논문의 경우 전공이 서로 다른 연구자가 공

동 저자로 참여한 경우는 많지 않으며 ldquo거의 대부분이 동일학과 소속 교

수와 학생 간의 공저이거나 동일 전공 동료 및 선후배 간 공저로 나타났

다(윤순진 2013 83)rdquo 이런 점에서 볼 때 환경사회학 연구가 실질적인 학

제적 연구의 형태가 띠는 것은 아니라고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적어도 학

회 활동과 학회지를 통해서 다양한 전공 간의 관점 공유와 교류는 활발하

게 이루어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5 연구자와 운동가의 소통

한국 환경사회학의 두드러진 특징 중의 하나는 환경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연구자들이 많다는 점이다 환경사회학자 중에는 연구자이면서

환경단체 전국 조직의 대표(이시재 이상헌 윤순진 이필렬 조명래) 지

역 환경단체의 대표(박재묵 노진철 최병두) 환경단체의 임원(구도완) 등

을 현재 맡고 있거나 과거에 역임한 사람들이 많다 위에서 거론된 연구

자보다 훨씬 더 많은 환경사회학자들이 지역 환경단체 등에 임원으로 참

15) 논문 이외의 서평 등의 글도 포함하고 있다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79

여하고 있다 이와는 반대로 환경단체의 상근 운동가로서 환경사회학회

회원으로 참여하고 논문을 발표하는 경우(이승민 안병옥 최예용 김정

수)도 있다

환경사회학자 연구자의 환경운동 참여와 운동가의 연구 참여가 활발하

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은 환경사회학의 특성과 연관되어 있는 현상이다

환경사회학은 기본적으로 환경문제의 근원 환경문제의 영향 및 환경문제

의 해결16)에 관심을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한국의 환경사회학은 특히

lsquo환경문제의 사회학rsquo의 성격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Ⅴ 환경사회학의 전망과 과제

지난 20년 동안 한국 환경사회학은 제도화의 과정을 거쳐 왔다 이 기

간 동안에 환경사회학은 많은 학과에서 정규 교과목으로 받아들여졌고

독립된 연구 영역으로 인정받게 되었다 또한 이 분야 연구자들이 독자적

인 학회를 조직하고 학회가 학술지를 발간함에 따라 연구 활동의 기반이

갖추어졌다 이로써 한국 환경사회학의 제도화가 대체로 완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지난 20년의 기간은 환경사회학의 기반 구축기인 동시에 성장기였다

성장의 속도는 느렸지만 연구자의 수도 증가해 왔고 이에 따라 학문적

성과도 축적되어 왔다 특히 환경사회학자들이 관심을 집중시켰던 원자

력middot위험middot재난 대규모 개발사업 환경운동 등의 영역에서는 의미 있는 성

과가 있었다 최근에 와서 환경사회학은 안정기에 들어가고 있다 ldquo젊은

층의 충원이 지지부진rdquo하고 대학원에서 환경사회학을 전공하려고 하는

학생도 줄어들고 있다(이시재 2013 37) 사회학계 전반에 걸친 침체 분위

16) Riley E Dunlap과 Brent K Marshall은 환경사회학의 최근 연구 초점으로

환경문제의 근원 환경문제의 영향 환경문제의 해결 방안 등 세 가지를 들

었다(Dunlap and Marshall 2007 335-339)

80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기가 일정 부분 환경사회학에도 미치고 있다 미국에서 환경사회학이

1980년대 초에 겪었던 퇴조 분위기가 한국에서도 나타나고 있는 것 같다

그러나 이러한 환경사회학의 침체 분위기가 장기적으로 지속되지는 않

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렇게 전망하는 근거는 두 가지이다 그 하나는 환

경사회학의 태동을 가져왔던 환경문제가 상존하기 때문이다 또한 기후변

화와 같은 환경문제는 향후에도 장기간 지속될 것이 분명하고 유독성 화

학물질과 같은 새로운 환경문제도 부상하고 있다 한 마디로 환경문제가

근본적으로 해결되지 않는 한 환경사회학은 존속하게 될 것이다 둘째로

현재의 침체 분위기는 일정기간의 성장 뒤에 오는 바닥 다지기의 의미가

크다 따라서 장기적으로 보면 환경사회학은 향후에도 안정적 성장을 지

속할 가능성이 크다

어떤 점에서 환경사회학의 미래는 일정 부분 환경사회학자들이 그들에

게 주어진 사명을 어떻게 수행하느냐에 달려 있기도 하다 2005년 필자가

환경사회학회가 펴낸 「우리 눈으로 보는 환경사회학」의 제1장을 쓰면서

환경사회학자의 사명으로 사회의 녹색화와 사회학의 녹색화를 설정한 바

있다 전자는 인간면제주의 패러다임의 지배를 받고 있는 주류 사회학에

인간 생존의 물리적middot생물적 기반을 고려하는 관점을 제공하는 것이고 후

자는 환경오염과 파괴의 원인 그 영향 및 해결 방안을 사회학적으로 설

명하고 제시하는 것이다 특히 후자의 사명을 환경사회학자들이 얼마나

그리고 어떻게 성취하느냐가 환경사회학의 미래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

다 학제적 연구의 정착과 현장 중심의 연구 강화는 환경사회학이 후자의

사명을 수행하기 위해 해결해야 할 당면 과제이다

2014년 6월 16일 접수

2014년 6월 27일 수정 완료

2014년 6월 29일 게재 확정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81

참고문헌

구도완 1995 ldquo한국의 새로운 환경운동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29(2) 347-371

1996 985172한국 환경운동의 사회학985173 문학과지성사

2009 985172마을에서 세상을 바꾸는 사람들 생태적 대안운동을 찾아

서985173 창비사

구도완 등 2013 985172녹색당과 녹색정치985173 아르케

구자건 2008 985172환경갈등과 사회영향평가 방법985173 연세대출판부

김도균 2011 985172환경재난과 지역사회의 변화 허베이스피리트호 기름유출

사고의 사회재난985173 한울아카데미

김두식 1995 ldquo환경문제와 환경보호에 대한 시민들의 태도 조사연구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29(1) 33-67

노진철 2001 985172환경과 사회985173 한울

2010 985172불확실성 시대의 위험사회학985173 한울아카데미

노진철 등 2010 985172태안은 살아 있다 기름 유출 사고 이후 3년 다시 쓰

는 태안 리포트985173 동녘

문순홍 1992 985172생태위기와 녹색의 대안985173 나라사랑

1999 985172생태학의 담론985173 아르케

2001 985172한국의 여성환경운동985173 아르케

2006a 985172정치생태학과 녹색국가985173 아르케

2006b 985172녹색국가의 탐색985173 아르케

2006c 985172개발국가의 녹색성찰985173 아르케

문태훈 등 2008 985172지속가능한 사회 이야기985173 법문사

박순열 2009 985172불만의 새만금985173 한국학술정보

박재묵 1991 ldquo환경문제에 대한 사회학적 이해rdquo pp 71-83 한국사회학회

(편) 985172현대 한국 사회문제의 진단과 처방985173(특별심포지움 논문집)

서영표영국적록연구그룹 2010 985172사회주의 녹색을 만나다985173 한울아카데미

양종회 1993 ldquo우리나라 국민들의 환경문제에 대한 의식의 변화 및 사회

82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적 기반rdquo 985172한국사회학회985173 26(4) 89-120

양종회 등 2002 985172아시아 태평양지역의 환경문제 환경운동 및 환경정책985173 서울대출판부

윤순진 2013 ldquo《ECO》분석을 통해 본 한국 환경사회학 연구의 흐름rdquo

pp 67-98 한국환경사회학회(편) 985172환경사회학 이론과 환경문제985173 한울아카데미

이득연 1998 985172환경운동의 사회학985173 민영사

이상헌 2003 985172물 세상을 움직이는 물의 정치와 정치 생태학985173 이매진

2011 985172생태주의985173 책세상

이시재 1994 ldquo환경사회학rdquo 한국사회학회(편) 98517221세기의 한국 사회학985173 문학과지성사

2013 ldquo한국 환경사회학의 회고와 전망rdquo pp 67-98 한국환경사회

학회(편) 985172환경사회학 이론과 환경문제985173 한울아카데미

이시재 등 2010 985172생태사회적 발전의 현장과 이론985173 아르케

정대연 2002 985172환경사회학985173 아카넷

2004 985172환경주의와 지속가능한 발전985173 집문당

2010 985172한국 지속가능발전의 구조와 변동985173 집문당

조명래 2001 985172녹색사회의 탐색985173 한울

2006 985172개발정치와 녹색진보985173 환경과 생명

2009 985172지구화 되돌아보기와 넘어서기 공간환경의 모순과 극복985173 환경과 생명

2013a 985172공간으로 사회읽기 개념 쟁점과 대안985173 한울아카데미

2013b 985172녹색토건주의와 환경위기985173 한울아카데미

조명래 등 2005 985172신개발주의를 멈춰라985173 환경과 생명

최병두 1993a 985172한국의 공간과 환경985173 한길사

1993b 985172현대 환경문제의 재인식985173 한울

1995 985172환경사회이론과 국제환경문제985173 한울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83

1999a 985172환경갈등과 불평등985173 한울

1999b 985172녹색사회를 위한 비평985173 한울

2002 985172녹색전망985173 도요새

2003a 985172도시속의 환경 열두 달(봄 여름)985173 한울

2003b 985172도시속의 환경 열두 달(가을 겨울)985173 한울

2010 985172비판적 생태학과 환경정의985173 한울아카데미

한국사회학회 2007 985172한국사회학회 50년사 1957-2007985173 한학문학

한국환경사회학회 2005 985172우리 눈으로 보는 환경사회학985173 창비사

2013a 985172환경사회학이론과 환경문제985173 한울

2013b 985172환경운동과 생활세계985173 한울

한상진 2006 985172환경정의의 사회학985173 UUP

험프리버틀(Craig Humphrey and Frederick R Buttel) 1995 985172환경사회학985173 양종회이시재 역 사회비평사

홍성태 2000 985172대한민국 위험사회985173 당대

2006 985172한국의 근대화와 물985173 한울아카데미

2010 985172생명의 강을 위하여 생태사회학자 홍성태 교수의 4대강

지키기 제안985173 중원문화

2012 985172개발과 파괴의 사회학 위험 사회를 넘어서985173 중원문화

Buttel Frederick H and Craig R Humphrey 2002 Sociological Theory

and the Natural Environment pp 33ndash69 in Riley E Dunlap and

William Michelson(eds) Handbook of Environmental Sociology

Westport CT Greenwood Press

Catton William R Jr and Riley Dunlap 1978 Environmental Sociology

A New Paradigm The American Sociologist 13 41-49

Dunlap Riley E and Brent K Marshall 2007 Environmental Sociology

pp 329-340 in Clifton D Bryant and Dennis L Peck(eds) 21st

Century Sociology A Reference Handbook Thousand Oaks CA

84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Sage Publications

Hannigan John 2006 Environmental Sociology(second edition)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Harper Charles 2004 Environment and Society Human Perspectives on

Environmental Issues Upper Saddle River New Jersey Pearson

Education Inc

Humphrey Craig R and Frederick H Buttel 1982 Environment Energy

and Society Belmont California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International Sociological Association(RC24) Korean Sociological

Association and Korean Association for Environmental Sociology

2004 Globalization Localization and Environment (Proceedings for

2004 ISA RC24 Conference in Seoul)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85

The Research Trend and Prospect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Park Jae-mookProf Dept of Sociology Chungnam Univ

Abstract

The aims of this paper are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and to anticipate its future developments As a groundwork for these works we briefly examined the institutionalization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Here we considered the organizing process of environmental sociologists association and the incorporation of the course of environmental sociology into the regular curricula Nextly we examined research trends of environmental sociology and tried to draw common characteristics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The most frequently dealt subjects in ECO a representative journal in this field have been nuclear power risk and disaster large-scale development projects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nd behaviour environmental problems and climate changes And distinguished characteristics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have been found to be focus on environmental problems dependence on qualitative methodology emphasis on environmental reforms of liberal tradition exchange of perspectives among researchers from various fields communications between researchers and activists Lastly it was suggested that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ist should develop interdisciplinary research and field research

Key Words Environmental Sociology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Institutionalization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Korean Association for Environmental Sociology ECO

Page 9: 환경과 사회 연구의 동향과 전망isrku.org/adm/data/1351080157_fEMV3OxI_02-EBB095EC9... · 2014-07-06 ·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 pp.55-85 ‘환경과 사회’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63

학회rsquo의 성격보다는 lsquo연관 학회rsquo의 성격을 더 강하게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환경사회학회는 과거 연구회 시절에 수행했던 활동 즉 춘middot추계사회학

대회에서의 분과 활동 춘middot추계의 독자적 학술회의 개최 환경현장 답사

등을 대체로 유지하면서 이에 추가하여 공동 저술 사업 국제학술회의 개

최 학술잡지 「환경사회학연구」(ECO) 발행 등의 활동을 전개해 왔다 환

경사회학회가 기획하여 펴낸 공동 저술로는 교재 성격을 갖는 「우리 눈으

로 보는 환경사회학」(2005)과 lsquo한국 환경사회학 시리즈rsquo의 1 2권으로 펴

낸 「환경사회학 이론과 환경문제」(2013) 및 「환경운동과 생활세계」(2013)

가 있다 환경사회학회가 개최한 주요 국제학술회의로는 2004년 국제사회

학회(ISA) RC24회의와 2011년 제3차 동아시아 환경사회학 국제학술회의

(The 3rd International Symposium on Environmental Sociology in East

Asia)가 있다 반년간(半年刊) 학술지 「환경사회학연구」(ECO)의 발행

(2001년 이후)은 환경사회학회의 가장 중요한 사업이다

Ⅲ 한국 환경사회학의 연구 동향

1 연구 주제

환경사회학의 연구 주제를 파악하기 위해 한국사회학회의 「한국사회학」

및 환경사회학회의 ECO에 게재된 논문7) 환경사회학회의의 학술대회 주

7) 환경사회학 분야의 논문들은 「한국사회학」 및 ECO지 외에 「농촌사회」 「경제와 사회」 등의 다른 학술지에도 게재되고 있지만 이들 학술지에 실린 환

경사회학 관련 논문의 편수가 많지 않음을 고려하여 이들 논문들은 분석 대

상에 포함되지 않았다 분석 대상을 「한국사회학」 및 ECO에 수록된 논문으

로 한정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은 환경농업middot식량middot식품을 다룬 환

경사회학자들의 논문이 체계적으로 배제될 수 있다는 점이다 이 주제를 다

룬 논문의 상당수가 「농촌사회」에 투고되기 때문이다

64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제 사회학자들의 환경사회학적 저서 주제 등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 중에

서 가장 중요한 분석 대상은 「한국사회학」 및 ECO지에 게재된 논문이다

「한국사회학」에 게재된 환경사회학 분야 논문의 편수는 9편에 지나지 않

으나 ECO 창간 이전의 연구 동향을 보여준다는 점을 고려하여 분석 대상

에 포함하였다 ECO는 환경사회학 분야의 대표적 전문 학술지라는 점을

고려하여 창간호(2001년)에서부터 제17권 1호(2013년 상반기)까지에 수록

된 167개의 논문(lsquo포럼rsquo으로 분류된 것까지 포함)의 주제를 분석하였다

연구 주제는 lt표 2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타를 포함해서 총 19개로 구분

하였다

1) 「한국사회학」 및 ECO 게재 논문의 주제

「한국사회학」에 게재된 논문은 총 9편으로 소수이고8) 그 주제 또한

lt표 2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양하지 않다 ECO 창간(2001년) 이전 즉

2000년 이전에는 환경사회학 분야 논문이 주로 「한국사회학」에 게재되었

기 때문에 이 시기에 발표된 논문의 주제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 시기

에 발표된 논문의 주제는 lsquo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rsquo lsquo환경의식middot환경행동rsquo lsquo환

경정책middot환경행정rsquo 및 lsquo지속가능한 발전rsquo이다 lt표 2gt에서 알 수 있는 것은

환경사회학 분야 연구가 시작되던 1990년대 초반에는 lsquo환경의식middot환경행

동rsquo 및 lsquo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rsquo이 주요 주제였다는 사실이다 「한국사회학」에

개재된 최초의 환경사회학 분야 논문은 양종회의 ldquo우리나라 국민들의 환

경문제에 대한 의식의 변화 및 사회적 기반rdquo(1993)이었다9) 그 뒤를 이어

8) 「한국사회학」에 게재된 논문의 주제별 분석 자료에 따르면 환경을 주제로

한 논문은 1964년부터 2006년 사이에 게재된 전체 논문의 14 수준이다

(한국사회학회 2007 110) 이처럼 「한국사회학」에 실린 환경사회학 분야

논문이 적은 이유는 이 분야 연구자들이 보다 전문화된 ECO지 게재를 선

호하기 때문이다 9) 「한국사회학」에 게재되지는 않았지만 이보다 먼저 발표된 논문으로는 필자

의 ldquo환경문제에 대한 사회학적 이해rdquo(1991)가 있다 이 논문은 1991년 5월

한국사회학회가 주최한 특별심포지움에서 발표되었다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65

서 환경의식에 관한 김두식의 논문(1995)과 환경운동을 다룬 구도완

(1995)의 논문이 발표되었다

lt표 2gt 「한국사회학」 게재 논문의 주제(1991-2013)

주 제10)논문 편수

rsquo91-rsquo95 rsquo96-rsquo00 rsquo01-rsquo05 rsquo06-rsquo10 rsquo11이후 계

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 1 1

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 1 1

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 1 1

환경의식middot환경행동 2 2

환경정책middot환경행정 2 2

지속가능한 발전 1 1

환경middot위험거버넌스 1 1

계 3 3 1 1 1 9

다음으로 ECO에 게재된 총 167편의 주제를 살펴보겠다 19개로 분류

된 전체 주제 중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빈도로 다루어지고 있는 주제는 6

개이다 가장 높은 빈도로 다루어진 주제는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rsquo이다 이 주

제를 다룬 논문은 21편으로 전체 167편의 126를 차지한다11) 이 주제

를 다룬 논문이 가장 많았던 것은 lt표 3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2007년에

발생한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 유출사고에 대한 연구가 두 차례에 걸쳐

특집의 형태로 수록되었기 때문이다 그 다음으로 환경사회학자들이 자주

다룬 주제는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으로 총 19편의 논문이 이 주제를 다루고

10) 주제의 분류 체계는 lt표 3gt과 같았으나 한 편의 논문도 발견되지 않는 주

제는 표에서 제외했다 11) ECO 게재 논문들의 주제어를 분석한 윤순진의 논문에서도 위험위해재난

으로 분류될 수 있는 주제어들이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나고 있고 여기에

원자력 관련 주제어를 포함할 경우에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rsquo과 관련된 주제어

의 빈도는 더욱 높게 나타난다(윤순진 2013 79-80)

66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주 제논문 수

rsquo01 rsquo02 rsquo03 rsquo04 rsquo05 rsquo06 rsquo07 rsquo08 rsquo09 rsquo10 rsquo11 rsquo12 rsquo13 계

환경사회학 이론 2 1 1 1 1 6

환경사회학 방법론 1 1

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 2 1 2 2 1 1 1 1 1 12

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 2 7 6 2 4 21

에너지middot자원 1 1 2 4

환경사상 1 1

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 1 1 2 2 2 1 3 12

있다 동강댐 새만금간척사업 4대강사업 등 정부가 추진했던 대규모 개

발사업에 환경사회학자들이 큰 관심을 기울인 결과이다 이밖에 환경사회

학자들이 많은 관심을 보인 주제로는 lsquo환경의식middot환경행동rsquo(14편) lsquo환경문

제middot기후변화rsquo(12편) lsquo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rsquo(12편) lsquo환경정치rsquo(12편) 등이었

다 이 6개의 주제를 다룬 논문은 총 90편으로서 전체 167편의 539를

차지하고 있다

위의 6개 주제 다음으로 환경사회학자들이 관심을 보인 주제로는 lsquo환경

정책rsquo(8편) lsquo사회영향평가rsquo(8편) lsquo환경middot위험거버넌스rsquo(8편) lsquo환경불평등middot

환경정의rsquo(7편) lsquo환경농업middot식량middot식품rsquo(7편) lsquo환경사회학이론rsquo(6편) lsquo지속

가능한 발전rsquo(5편) lsquo환경복원rsquo(5편) 등이다 lsquo환경농업middot식량middot식품rsquo을 다룬

상당수의 논문들이 「농촌사회」에 수록됨으로써 이 분석에서 제외되고 있

음을 감안할 필요가 있다

lsquo에너지middot자원rsquo(4편) lsquo생태공동체rsquo(2편) lsquo환경사회학방법론rsquo(1편) lsquo환경

사상rsquo(1편) 등의 주제를 다룬 논문은 매우 적었다 lsquo인구rsquo는 당초 주제 분

류 시 별도의 주제로 설정하였으나 관련 논문이 전혀 발견되지 않아 주

제 목록에서 제외했다 이것은 환경사회학적 관점에서 인구를 다루는 연

구자가 없음을 의미한다

lt표 3gt ECO 게재 논문의 주제(2001-2013년)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67

주 제논문 수

rsquo01 rsquo02 rsquo03 rsquo04 rsquo05 rsquo06 rsquo07 rsquo08 rsquo09 rsquo10 rsquo11 rsquo12 rsquo13 계

환경의식middot환경행동 1 2 1 1 2 3 2 2 14

환경정책 1 1 1 4 1 8

대규모 개발사업 3 4 4 1 1 1 1 2 2 19

사회영향평가 4 1 1 1 1 8

지속가능발전 1 3 1 5

환경정치 1 2 1 1 1 1 1 3 1 12

환경middot위험거버넌스 2 1 1 1 2 1 8

환경불평등middot환경정의 1 1 2 2 1 7

환경복원 4 1 5

환경농업middot식량middot식품 1 1 4 1 7

생태공동체 1 1 2

기타 2 2 1 2 3 2 1 1 1 15

계 9 19 16 15 11 12 13 16 13 11 13 14 5 167

위의 주제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1990년대

이래 한국 환경사회학 분야의 논문 주제는 점차 다양해져 왔다 1990년대

에는 lsquo환경의식middot환경행동rsquo lsquo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rsquo 등 몇 가지 주제에 관한

소수의 논문이 발표되었으나 2000년대에 들어와서는 편수의 증가와 함께

주제가 매우 다양해졌다 현재는 환경사회학의 주요 주제들의 대부분이

다루어지고 있다 둘째 특정의 1-2개 주제에 대한 쏠림 현상이 두드러지

지는 않지만 주제별로 논문의 편수는 큰 차이를 보인다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

난rsquo과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은 연구자의 관심을 가장 많이 끈 주제인 반면에

lsquo환경사상rsquo lsquo생태공동체rsquo lsquo에너지middot자원rsquo 등에 대한 관심은 매우 낮다 셋

째 특정 연구 주제의 상승이나 하락이 뚜렷이 나타나지는 않는다 비교적

많은 관심을 끈 6개의 주제를 다룬 논문들은 전 기간에 걸쳐 고르게 발표

되었다 다만 lsquo환경사회학 이론rsquo lsquo환경사회학 방법론rsquo lsquo환경사상rsquo lsquo환경

68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연도 춘middot추계 학술대회 주제 주제 유형

2001 창립기념동강댐 건설 문제의 사회문화적 조사연구

보고대규모 개발사업

추계 새만금 대규모 개발사업

복원rsquo 등을 다룬 논문이 최근에는 발표되지 않고 있고 반대로 lsquo에너지middot자

원rsquo에 관한 논문들은 최근에 와서 주로 발표되고 있기는 하지만 이들 주

제를 다룬 사례 수가 많지 않아 뚜렷한 경향을 발견하기는 어렵다

2) 정기학술대회의 주제

환경사회학회는 연 2회 춘middot추계 정기학술대회를 개최한다 학회 창립

이후 개최된 총 26회의 정기학술대회 중 주제가 확인되지 않은 2회를 제

외한 나머지 24회 학술대회의 주제는 lt표 4gt와 같다 정기학술대회에서

가장 자주 등장했던 주제는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5회)이었다 동강댐(2001년

창립기념세미나) 새만금간척사업(2001년 추계 2003년 추계) 4대강사업

(2010년 춘계) 등의 특정 개발 사례와 대규모개발사업 일반(2006년 춘계)

이 주제로 등장했다 두 번째로 자주 등장한 주제는 lsquo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rsquo

으로 2004년 추계 2005년 춘계 및 추계 2007년 춘계 등 4회였다 그 다

음으로 자주 등장한 주제는 lsquo환경정책rsquo(2006년 추계 2009년 추계 2012년

추계)과 lsquo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rsquo(2007년 추계 2010년 추계 2011년 춘계)로

각각 3회 나타났다 lsquo환경정책rsquo으로는 노무현 정부의 lsquo살기 좋은 지역 만

들기rsquo 정책과 이명박 정부의 환경정책 일반과 녹색성장정책이 다루어졌

다 이 밖에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rsquo(2008년 춘계 2009년 춘계) lsquo지속가능한

발전rsquo(2011년 추계 2012년 춘계) lsquo환경사상rsquo(2005년 추계 2013년 춘계)

등이 각각 2회씩 그리고 lsquo생태공동체rsquo(2002년 추계) lsquo환경불평등middot환경정

의rsquo(2004년 추계) lsquo환경정치rsquo(2006년 추계) lsquo환경농업middot식량middot식품rsquo(2008년

추계) 등이 각각 1회씩 등장했다

lt표 4gt 한국환경사회학회 정기학술대회의 주제(2001-2013년)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69

연도 춘middot추계 학술대회 주제 주제 유형

2002춘계 지역과 환경 기타

추계환경친화적 지역사회 개발과 새로운 공동체 운동

생태공동체

2003춘계 미확인 기타

추계 새만금 간척사업 대규모 개발사업

2004춘계 미확인 기타

추계 환경갈등과 환경정의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환경불평등middot환경정의

2005춘계

사회갈등과 주민참여 지역 및 환경갈등을 중심으로

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

추계 환경철학과 환경운동환경사상

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

2006춘계 대규모 개발사업과 환경정치

대규모 개발사업환경정치

추계 살기 좋은 지역 만들기의 이론과 전략 환경정책

2007춘계

대규모 개발사업을 둘러싼 환경갈등과 생태민주주의의 전망

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

추계 기후변화와 한국사회의 선택 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

2008춘계

환경재난의 지역사회 영향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를 중심으로

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

추계 먹을거리의 환경사회학 환경농업middot식량middot식품

2009춘계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의 사회적middot심리적 영향과 공동체 복원

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

추계환경사회학의 관점에서 본 lsquo저탄소 녹색성장rsquo 환경정책

2010춘계 4대강사업에 대한 환경사회학적 성찰 대규모 개발사업

추계 기후변화의 사회학 일상에서 지구촌까지 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

2011춘계

구제역을 통해서 본 지본주의시대의 환경과 생명

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

추계 환경적으로 지속가능한 동아시아를 위하여

지속가능한 발전

2012춘계 지속가능한 발전과 경상남도의 과제 지속가능한 발전

추계 이명박 정부의 환경정책 평가와 대안 환경정책

2013춘계 한국의 생태주의 사상과 역사 환경사상

추계한국 환경사회학의 보편성과 특수성 그리고 미래의 과제

환경사회학 이론

70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연도 주 제

2001 동강댐의 환경사회학(통권 1호)

2002 새만금간척사업의 환경사회학(통권 2호) 사회영향평가연구(통권 3호)

2003 청계천 복원의 사회학(통권 4호) 노무현정부의 환경정책 평가(통권 5호)

2004 부안핵폐기물처리장 문제의 환경사회학(통권 6호) 새만금간척사업의

환경사회학Ⅱ(통권 7호)

2005 한국 국가의 녹색화 연구(통권 8호) 환경정의 경험적 연구(통권 9호)

3) ECO 특집의 주제

ECO지는 매호 하나의 주제를 정하고 관련 논문을 특집으로 묶어 수록

하고 있다 ECO지의 특집 주제의 목록은 lt표 5gt 참조에 제시되어 있다

특집 주제로 가장 자주 설정된 것은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rsquo으로 그 횟수는 6

회이다 세부적으로 보면 방사성폐기물 원자력발전 등 원자력 문제(통권

6호 제10권 1호 제17권 1호)와 재난(제12권 1호 제13권 1호 제15권 1

호)이 각각 3회씩 다루어졌다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 유출사고는 두 번

이나 특집으로 다루어졌다 두 번째로 자주 다루어진 주제는 lsquo환경정책rsquo이었다 환경정책은 5회(통권 5호 통권 8호 제11권 1호 제13권 2호 제16

권 2호) 등장했는데 구체적으로는 노무현 정부의 환경정책 녹색국가 기

후변화 정책 이명박 정부의 녹색성장정책과 일반 환경정책이 다루어졌

다 세 번째로 자주 다루어진 주제는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으로 그 횟수는 4

회(통권 1호 통권 2호 통권 7호 제14권 1호)였다 동강댐 및 4대강 사업

이 1회씩 그리고 새만금간척사업이 2회 다루어졌다 이 밖에 lsquo사회적 영

향평가rsquo(통권 3호 제 10권 2호)와 lsquo환경의식middot환경행동rsquo(제14권 2호 제15

권 2호)이 각각 2회씩 다루어졌고 lsquo환경정의rsquo(통권 9호) lsquo환경복원rsquo(통권

4호) lsquo환경농업middot식량middot식품rsquo(제12권 2호) lsquo환경middot위험거버넌스rsquo(제16권 1

호) lsquo환경문제rsquo(제15권 2호) lsquo지속가능발전(제11권 2호)rsquo 등이 각각 1회씩

다루어졌다

lt표 5gt ECO 각호의 특집 주제(2001-2013년)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71

연도 주 제

2006 방사성폐기물 처분장과 민주주의(제10권 1호) 도시개발의 사회적 영향 은평뉴타운 사례(제10권 2호)

2007 기후변화정책의 국가간 비교연구(제11권 1호) 대안적 발전의 해외사례

연구(제11권 2호)

2008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 연구(제12권 1호) 지구화시대 세계

농식품체계의 환경사회학(제12권 2호)

2009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 연구Ⅱ(제13권 1호) 환경사회학적

관점에서 본 녹색성장(제13권 2호)

2010 4대강사업에 대한 환경사회학적 성찰(제14권 1호) 한국인의 환경 가치

지형(제14권 2호)

2011 환경사회학과 재난관리(제15권 1호) 환경문제와 환경의식(제15권 2호)

2012 위험 사회의 거버넌스(제16권 1호) 이명박 정부의 환경정책과

대안(제16권 2호)

2013 원자력발전과 시민사회 비교연구(제17권 1호)

4) 주요 단행본의 주제

환경사회학자들12)이 저술한 단행본13)은 비교적 다양한 주제를 다루고

있다 2000년대에 들어와서는 저술의 크게 수가 늘어나면서 1990년대에

비하여 주제의 다양성도 크게 증가하고 있다 1990년대에는 lsquo환경사회학

이론rsquo lsquo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rsquo lsquo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rsquo lsquo환경불평등middot환경정의rsquo

등 4개의 주제 영역에 국한되어 있었으나 2000년대에 들어와서는 lsquo대규

모 개발사업rsquo 등 6개 주제에 대한 저술들이 새로 출판되었다 lsquo원자력middot위

험middot재난rsquo에 관한 저술이 최근에 와서 늘어나고 있음이 주목된다

1990년대 이후의 전체 기간에서 가장 많은 단행본이 출판된 주제 영역

은 lsquo환경사회학 이론rsquo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rsquo lsquo환경운동middot

12) 사회학을 전공하지 않은 학자로서 한국환경사회학회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

는 사람은 환경사회학자에 포함시켰다 단행본 필자로는 구자건 문순홍 조명래 최병두 등이 이 경우에 속한다

13) 번역서는 여기에서 제외하였다 또한 다양한 분야의 학자들이 공동으로 저

술한 책 중에서 환경사회학자들의 기여가 크지 않은 저술도 제외하였다

72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환경갈등rsquo lsquo환경정치rsquo 등 5개이다 이들 5개 주제에 관한 저술은 총 25권

으로 전체 저술(46권)의 절반을 넘고 있다 이들 5개 주제 영역 다음으로

lsquo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rsquo(4권) lsquo지속가능한 발전rsquo(4권) lsquo환경불평등middot환경정

의rsquo(3권) 등의 주제 영역에 관한 저술이 많은 편이다

lt표 6gt 단행본의 주제(1990-2013년)

주 제 1990년대 2000-2009년 2010년 이후

환경사회학 이론문순홍(1992) 문순홍(1999) 조명래(2001) 한국환경사회학회(2013)

조명래(2013a)

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최병두(1993b)최병두(1995)

최병두(2003a)최병두(2003b)

대규모 개발사업

문순홍(2006c)박순열(2009)조명래(2006)

홍성태(2010)조명래(2013b)

사회영향평가 구자건(2008)

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 홍성태(2000)

노진철(2010)노진철 등(2010)김도균(2011)홍성태(2012)

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구도완(1996)이득연(1998)

문순홍(2001)구도완(2009) 한국환경사회학회(2013)

지속가능한 발전정대연(2004)문태훈 등(2008)

이시재 등(2010)정대연(2010)

환경불평등middot환경정의 최병두(1999a) 한상진(2006) 최병두(2010)

환경정치

문순홍(2006a)문순홍(2006b)이상헌(2003)

구도완 등(2013)서영표 등(2010)

환경사상 이상헌(2007)

교과서

노진철(2001)정대연(2002)한국환경사회학회(2005)

복합 주제 및 기타최병두(1993a)최병두(1999b)

양종회 등(2002)최병두(2002)홍성태(2006)조명래(2009)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73

2 연구 방법

ECO지의 창간호부터 2003년 6월에 발행한 제17권 1호까지에 게재된

167편의 논문(포럼 포함)에서 사용되고 있는 연구 방법을 9개의 유형으로

구분해 보면 lt표 7gt과 같다 연구 방법을 명시적으로 서술하지 않은 논문

이 적지 않고 복수의 연구 방법을 사용하는 논문이 많아 유형 구분이 쉽

지 않았으나 필자의 주관적 판단에 따라 모든 논문의 연구 방법을 9개의

범주에 배속시켰다

lt표 7gt ECO 게재 논문의 자료수집 방법

주 제논문 수

rsquo01 rsquo02 rsquo03 rsquo04 rsquo05 rsquo06 rsquo07 rsquo08 rsquo09 rsquo10 rsquo11 rsquo12 rsquo13 계

이론 연구 2 9 6 4 3 3 1 4 3 1 1 37(222)

설문조사 2 1 1 2 2 1 3 4 4 2 3 25(150)

문헌middot문서자료 3 3 1 7 4 6 1 5 2 3 3 2 40(240)

기존 자료 3 1 2 1 1 2 10(73)

면접middot심층면접 1 5 1 1 1 1 1 2 2 2 2 19(114)

내용middot담론분석 1 1 1 2 1 1 7(42)

사례 조사 1 2 2 4 1 3 2 4 1 20(120)

비교 연구 1 3 1 1 2 8(48)

시뮬레이션 1 1(06)

계 9 19 16 15 11 12 13 16 13 11 13 14 5 167(1000)

먼저 논문의 발표 시기에 따른 연구 방법의 차이는 드러나지 않는다

다만 이론 연구가 후기로 올수록 줄어드는 경향이 눈에 띌 따름이다

다음으로 연구 방법 간의 빈도 차이는 비교적 뚜렷하게 드러난다 문

헌middot문서자료(40편) 이론 연구(37편) 설문조사(25편) 사례 조사(20편) 면

접middot심층면접(19편) 등이 자주 사용되고 있는 반면에 기존 자료(10편) 비

교연구(8편) 내용middot담론분석(7편) 시뮬레이션(1편) 등은 상대적으로 적게

74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사용되고 있다 문헌middot문서자료 및 이론 연구가 1 2위를 차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환경사회학자들의 독자적인 자료 생산 노력이 활발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마지막으로 ECO 게재 논문과 「한국사회학」 게재 논문의 연구 방법을

비교해 보면 환경사회학의 연구 방법과 사회학 일반의 연구 방법 간에

상당한 차이가 있음이 발견된다 ECO 게재 논문에서는 문헌middot문서자료 이

론 연구 설문조사 등의 순서로 자주 사용된 반면에 「한국사회학」 게재

논문14)들에서는 설문조사(323) 기존 자료(228) 이론(186) 등이 각

각 1 2 3위를 차지하고 있어 중시하고 있는 연구 방법이 서로 다를 뿐만

아니라 ECO 게재 논문들에서 비교적 중시된 문헌middot문서자료(240) 사례

조사(120) 면접middot심층면접(114) 등은 「한국사회학」 게재 논문에서는

훨씬 낮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차이는 결국 환경사회

학자들이 일반 사회학자들과 비교했을 때 양적 자료를 덜 사용하고 질적

자료를 더 많이 사용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Ⅳ 한국 환경사회학의 특징

한국 환경사회학의 특징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환경사회학자 및 그들의

연구 활동의 다양한 측면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여기에서는 연구 주제

연구 방법 이론적 지향 학제적 연구 사회적 실천 등의 다섯 가지 측면에

서 한국 환경사회학의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14) 1964년부터 2006년까지 「한국사회학」에 게재된 논문의 연구 방법을 분석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형 이론설문

조사집계자료 문서자료 기존자료 인터뷰

기타 질적

자료전체

빈도 123 214 67 62 151 31 14 662 186 323 101 94 228 47 21 1000

출처 한국사회학회 2007 120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75

1 환경문제의 사회학

흔히 일본 환경사회학자들은 미국의 환경사회학을 lsquo환경에 대한 사회

학rsquo(sociology of the environment)이라고 특징지으면서 자신들의 환경사회

학을 lsquo환경문제의 사회학rsquo(sociology of environmental problems)이라고 말

한다 이것은 일본의 환경사회학은 구체적인 환경문제가 지역사회 주민

및 피해자의 생활과 지역사회에 미친 영향에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음

을 지적하는 말이다 이러한 일본 환경사회학의 특징은 한국 환경사회학

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이시재는 최근 발표한 ldquo한국 환경사회학의 회고와

전망rdquo에서 lsquo한국에서 환경사회학은 환경문제의 사회학으로 출발했다rsquo고

말하고 한국 환경사회학의 특징 중의 하나로 문제해결을 위한 연구를 들

고 있다(이시재 2013 34-35)

앞에서 우리는 한국 환경사회학의 연구 주제가 논문 특집 학술대회

단행본 등에 있어서 어떻게 나타나는가를 살펴보았다 다양한 연구 활동

중에서 환경사회학자들의 연구 주제 선택의 경향을 잘 보여주는 것은 사

례 수가 가장 많은 논문 발표일 것이다 ECO지 게재 논문을 기준으로 할

때 환경사회학자들은 기후변화를 포함한 환경문제보다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

난rsquo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 lsquo환경의식middot환경행동rsquo을 더 중요하게 다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lt표 3gt 참조) 그러나 가장 빈도가 높은 lsquo원자력middot위

험middot재난rsquo과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은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과 밀접하게 연관

되어 있다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rsquo은 독립적인 주제 영역으로 설정되기는 했

지만 결국 특수한 유형의 환경문제라고 할 수 있고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에

대한 관심은 개발 사업으로 인한 환경문제에 대한 우려에서 비롯되기 때

문이다 따라서 겉으로 드러난 주제 영역보다 주제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의식에 주목한다면 한국의 환경사회학은 lsquo환경문제의 사회학rsquo의 성

격을 강하게 지니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76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2 질적 자료의 활용

환경사회학이 미국에서 처음 형성되던 시기에 농촌사회학의 영향을 강

하게 받았다 농촌사회학의 영향 가운데 대표적인 것으로 경험적 조사 자

료를 중시하는 경향이다 이러한 환경사회학의 전통은 한국의 환경사회학

에서도 이어지고 있다 lt표 7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환경사회학 연구에서

이론 연구의 비중이 222로서 결코 낮다고 할 수는 없지만 다양한 유형

의 경험적 자료를 활용하는 연구의 비중이 이론 연구에 비해 훨씬 크다

경험적 연구 방법 중에서 환경사회학자들이 일반 사회학자들에 비하여

중시하는 자료는 사례 조사 면접 조사 등을 통해 얻는 질적 자료이다 일

반 사회학자들에 비하여 설문 조사 기존 자료 활용 집계 자료 등의 양적

자료의 활용은 떨어지는 데 반하여 사례조사나 면접을 통해 얻는 질적

자료는 더 많이 활용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연구 방법과 관련된 한국

환경사회학의 특징은 상대적으로 질적 자료를 많이 활동하고 있다는 데

있다

질적 자료의 활용이 활발한 것은 기본적으로 한국 환경사회학자들이

연구하는 대상의 특성 때문이다 동강댐 건설사업 새만금간척사업 4대강

사업 등의 대규모 개발사업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 사고 및 각종

개발사업과 관련된 지역 환경운동 및 환경갈등이 하나의 사례로 다루어

지고 또 이러한 사례 연구에서 심층면접이 자료 수집 방법으로 활용되는

경향이 있다

3 자유주의적 환경개혁론

환경사회학에는 생태학적 설명(ecological explanation) 대 정치경제학적

설명(political economy explanation) 성찰적 근대화론(reflexive modernization)

대 생태학적 근대화론(ecological modernization) 실재론(realism) 대 구성

주의(constructionism) 등의 주요 이론적 쟁점이 있지만(Hannigan 2006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77

16-52) 한국 환경사회학에서는 이러한 쟁점을 둘러싼 논쟁을 찾아보기

어렵다 또한 독자적인 이론을 구성하기 위한 노력도 찾아보기 어렵다 윤

순진이 지적한 바 있듯이 ldquo많은 연구들은 다른 학문분과에서 구축한 이

론을 환경 관련 쟁점과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동원하는 양상을rdquo 띠거나

(윤순진 2013 85) 해외 환경사회학계에서 확립된 이론을 연구의 자원으

로 활용하는 데 머무르고 있다

그러나 다른 학문분과나 해외 환경사회학에서 확립된 이론을 수용하여

자원으로 활용하는 경우에도 이론의 선택에는 연구자 자신의 이론적 지

향이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대부분의 연구에는 명시적이든 묵시적

이든 연구자 자신의 이론적 지향이 깔려 있다 그렇다면 한국 환경사회

학에서는 어떤 이론적 지향이 우세하고 그 변화의 방향은 어느 쪽인가

말할 필요도 없이 한국의 환경사회학에는 다양한 이론적 지향 즉 험프리

와 버텔이 말하는 보수적 자유주의적 및 급진적 패러다임(Humphrey and

Buttel 1982 19-21)이 공존하고 있다 보수적 패러다임은 환경의식 및 환

경행동 연구에서 가끔 나타나고 있지만 그 영향력은 미미하다 급진적 패

러다임은 원자력발전 위험 환경정의 대규모 개발사업(국책사업) 대안

적 공동체 생태민주주의 등에 관한 연구에서 중요한 관점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보수적 패러다임에 비해서는 그 영향력이 훨씬 크다 이 두 패러

다임에 비해 훨씬 큰 세력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 바로 국가 개혁과 정책

의 전환을 통해 환경 위기 극복의 길을 모색하는 자유주의적 환경개혁론

이다 자유주의적 환경개혁론은 녹색국가 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 환경정책

환경정치 환경middot위험거버넌스 지속가능한 발전 대규모 개발사업 등의 연

구에서 주로 나타나고 있다

4 다양한 전공의 관점 교류

ECO지 기고를 통해 환경사회학 연구에 참여하고 있는 연구자의 전공

은 매우 다양하다 아마도 사회학 내의 다른 어떤 세부분야에 비해서도

78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다양할 것이다 윤순진의 ECO지 게재 글15)의 저자 분석에 따르면 총 24

개 분야의 학문적 배경을 가진 연구자들이 참여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보

면 사회학 인류학 행정학 경제학 정치학 사회복지학 심리학 지리학

지리교육학 도시 및 지역 관련학과 환경middot에너지정책학과 정치생태학 등

의 사회과학 전공자 철학 한국학 등 인문학 전공자 생태학middot생태곤충학

생물학 지질학 환경보건학 과학기술사학 과학관리학 생명공학 등의 자

연과학 전공자 토목공학 등 공학 전공자 등이 ECO에 글을 싣고 있다 물

론 전공별로 참여 저자의 수는 크게 다르다 사회학 전공자가 37명으로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도시 및 지역 관련 분야 전공자(18명) 인류학 전

공자(8명) 행정학 전공자(6명) 등의 순서로 많다(윤순진 2013 80-81)

ECO지 게재 논문 중 공저 논문의 경우 전공이 서로 다른 연구자가 공

동 저자로 참여한 경우는 많지 않으며 ldquo거의 대부분이 동일학과 소속 교

수와 학생 간의 공저이거나 동일 전공 동료 및 선후배 간 공저로 나타났

다(윤순진 2013 83)rdquo 이런 점에서 볼 때 환경사회학 연구가 실질적인 학

제적 연구의 형태가 띠는 것은 아니라고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적어도 학

회 활동과 학회지를 통해서 다양한 전공 간의 관점 공유와 교류는 활발하

게 이루어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5 연구자와 운동가의 소통

한국 환경사회학의 두드러진 특징 중의 하나는 환경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연구자들이 많다는 점이다 환경사회학자 중에는 연구자이면서

환경단체 전국 조직의 대표(이시재 이상헌 윤순진 이필렬 조명래) 지

역 환경단체의 대표(박재묵 노진철 최병두) 환경단체의 임원(구도완) 등

을 현재 맡고 있거나 과거에 역임한 사람들이 많다 위에서 거론된 연구

자보다 훨씬 더 많은 환경사회학자들이 지역 환경단체 등에 임원으로 참

15) 논문 이외의 서평 등의 글도 포함하고 있다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79

여하고 있다 이와는 반대로 환경단체의 상근 운동가로서 환경사회학회

회원으로 참여하고 논문을 발표하는 경우(이승민 안병옥 최예용 김정

수)도 있다

환경사회학자 연구자의 환경운동 참여와 운동가의 연구 참여가 활발하

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은 환경사회학의 특성과 연관되어 있는 현상이다

환경사회학은 기본적으로 환경문제의 근원 환경문제의 영향 및 환경문제

의 해결16)에 관심을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한국의 환경사회학은 특히

lsquo환경문제의 사회학rsquo의 성격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Ⅴ 환경사회학의 전망과 과제

지난 20년 동안 한국 환경사회학은 제도화의 과정을 거쳐 왔다 이 기

간 동안에 환경사회학은 많은 학과에서 정규 교과목으로 받아들여졌고

독립된 연구 영역으로 인정받게 되었다 또한 이 분야 연구자들이 독자적

인 학회를 조직하고 학회가 학술지를 발간함에 따라 연구 활동의 기반이

갖추어졌다 이로써 한국 환경사회학의 제도화가 대체로 완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지난 20년의 기간은 환경사회학의 기반 구축기인 동시에 성장기였다

성장의 속도는 느렸지만 연구자의 수도 증가해 왔고 이에 따라 학문적

성과도 축적되어 왔다 특히 환경사회학자들이 관심을 집중시켰던 원자

력middot위험middot재난 대규모 개발사업 환경운동 등의 영역에서는 의미 있는 성

과가 있었다 최근에 와서 환경사회학은 안정기에 들어가고 있다 ldquo젊은

층의 충원이 지지부진rdquo하고 대학원에서 환경사회학을 전공하려고 하는

학생도 줄어들고 있다(이시재 2013 37) 사회학계 전반에 걸친 침체 분위

16) Riley E Dunlap과 Brent K Marshall은 환경사회학의 최근 연구 초점으로

환경문제의 근원 환경문제의 영향 환경문제의 해결 방안 등 세 가지를 들

었다(Dunlap and Marshall 2007 335-339)

80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기가 일정 부분 환경사회학에도 미치고 있다 미국에서 환경사회학이

1980년대 초에 겪었던 퇴조 분위기가 한국에서도 나타나고 있는 것 같다

그러나 이러한 환경사회학의 침체 분위기가 장기적으로 지속되지는 않

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렇게 전망하는 근거는 두 가지이다 그 하나는 환

경사회학의 태동을 가져왔던 환경문제가 상존하기 때문이다 또한 기후변

화와 같은 환경문제는 향후에도 장기간 지속될 것이 분명하고 유독성 화

학물질과 같은 새로운 환경문제도 부상하고 있다 한 마디로 환경문제가

근본적으로 해결되지 않는 한 환경사회학은 존속하게 될 것이다 둘째로

현재의 침체 분위기는 일정기간의 성장 뒤에 오는 바닥 다지기의 의미가

크다 따라서 장기적으로 보면 환경사회학은 향후에도 안정적 성장을 지

속할 가능성이 크다

어떤 점에서 환경사회학의 미래는 일정 부분 환경사회학자들이 그들에

게 주어진 사명을 어떻게 수행하느냐에 달려 있기도 하다 2005년 필자가

환경사회학회가 펴낸 「우리 눈으로 보는 환경사회학」의 제1장을 쓰면서

환경사회학자의 사명으로 사회의 녹색화와 사회학의 녹색화를 설정한 바

있다 전자는 인간면제주의 패러다임의 지배를 받고 있는 주류 사회학에

인간 생존의 물리적middot생물적 기반을 고려하는 관점을 제공하는 것이고 후

자는 환경오염과 파괴의 원인 그 영향 및 해결 방안을 사회학적으로 설

명하고 제시하는 것이다 특히 후자의 사명을 환경사회학자들이 얼마나

그리고 어떻게 성취하느냐가 환경사회학의 미래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

다 학제적 연구의 정착과 현장 중심의 연구 강화는 환경사회학이 후자의

사명을 수행하기 위해 해결해야 할 당면 과제이다

2014년 6월 16일 접수

2014년 6월 27일 수정 완료

2014년 6월 29일 게재 확정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81

참고문헌

구도완 1995 ldquo한국의 새로운 환경운동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29(2) 347-371

1996 985172한국 환경운동의 사회학985173 문학과지성사

2009 985172마을에서 세상을 바꾸는 사람들 생태적 대안운동을 찾아

서985173 창비사

구도완 등 2013 985172녹색당과 녹색정치985173 아르케

구자건 2008 985172환경갈등과 사회영향평가 방법985173 연세대출판부

김도균 2011 985172환경재난과 지역사회의 변화 허베이스피리트호 기름유출

사고의 사회재난985173 한울아카데미

김두식 1995 ldquo환경문제와 환경보호에 대한 시민들의 태도 조사연구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29(1) 33-67

노진철 2001 985172환경과 사회985173 한울

2010 985172불확실성 시대의 위험사회학985173 한울아카데미

노진철 등 2010 985172태안은 살아 있다 기름 유출 사고 이후 3년 다시 쓰

는 태안 리포트985173 동녘

문순홍 1992 985172생태위기와 녹색의 대안985173 나라사랑

1999 985172생태학의 담론985173 아르케

2001 985172한국의 여성환경운동985173 아르케

2006a 985172정치생태학과 녹색국가985173 아르케

2006b 985172녹색국가의 탐색985173 아르케

2006c 985172개발국가의 녹색성찰985173 아르케

문태훈 등 2008 985172지속가능한 사회 이야기985173 법문사

박순열 2009 985172불만의 새만금985173 한국학술정보

박재묵 1991 ldquo환경문제에 대한 사회학적 이해rdquo pp 71-83 한국사회학회

(편) 985172현대 한국 사회문제의 진단과 처방985173(특별심포지움 논문집)

서영표영국적록연구그룹 2010 985172사회주의 녹색을 만나다985173 한울아카데미

양종회 1993 ldquo우리나라 국민들의 환경문제에 대한 의식의 변화 및 사회

82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적 기반rdquo 985172한국사회학회985173 26(4) 89-120

양종회 등 2002 985172아시아 태평양지역의 환경문제 환경운동 및 환경정책985173 서울대출판부

윤순진 2013 ldquo《ECO》분석을 통해 본 한국 환경사회학 연구의 흐름rdquo

pp 67-98 한국환경사회학회(편) 985172환경사회학 이론과 환경문제985173 한울아카데미

이득연 1998 985172환경운동의 사회학985173 민영사

이상헌 2003 985172물 세상을 움직이는 물의 정치와 정치 생태학985173 이매진

2011 985172생태주의985173 책세상

이시재 1994 ldquo환경사회학rdquo 한국사회학회(편) 98517221세기의 한국 사회학985173 문학과지성사

2013 ldquo한국 환경사회학의 회고와 전망rdquo pp 67-98 한국환경사회

학회(편) 985172환경사회학 이론과 환경문제985173 한울아카데미

이시재 등 2010 985172생태사회적 발전의 현장과 이론985173 아르케

정대연 2002 985172환경사회학985173 아카넷

2004 985172환경주의와 지속가능한 발전985173 집문당

2010 985172한국 지속가능발전의 구조와 변동985173 집문당

조명래 2001 985172녹색사회의 탐색985173 한울

2006 985172개발정치와 녹색진보985173 환경과 생명

2009 985172지구화 되돌아보기와 넘어서기 공간환경의 모순과 극복985173 환경과 생명

2013a 985172공간으로 사회읽기 개념 쟁점과 대안985173 한울아카데미

2013b 985172녹색토건주의와 환경위기985173 한울아카데미

조명래 등 2005 985172신개발주의를 멈춰라985173 환경과 생명

최병두 1993a 985172한국의 공간과 환경985173 한길사

1993b 985172현대 환경문제의 재인식985173 한울

1995 985172환경사회이론과 국제환경문제985173 한울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83

1999a 985172환경갈등과 불평등985173 한울

1999b 985172녹색사회를 위한 비평985173 한울

2002 985172녹색전망985173 도요새

2003a 985172도시속의 환경 열두 달(봄 여름)985173 한울

2003b 985172도시속의 환경 열두 달(가을 겨울)985173 한울

2010 985172비판적 생태학과 환경정의985173 한울아카데미

한국사회학회 2007 985172한국사회학회 50년사 1957-2007985173 한학문학

한국환경사회학회 2005 985172우리 눈으로 보는 환경사회학985173 창비사

2013a 985172환경사회학이론과 환경문제985173 한울

2013b 985172환경운동과 생활세계985173 한울

한상진 2006 985172환경정의의 사회학985173 UUP

험프리버틀(Craig Humphrey and Frederick R Buttel) 1995 985172환경사회학985173 양종회이시재 역 사회비평사

홍성태 2000 985172대한민국 위험사회985173 당대

2006 985172한국의 근대화와 물985173 한울아카데미

2010 985172생명의 강을 위하여 생태사회학자 홍성태 교수의 4대강

지키기 제안985173 중원문화

2012 985172개발과 파괴의 사회학 위험 사회를 넘어서985173 중원문화

Buttel Frederick H and Craig R Humphrey 2002 Sociological Theory

and the Natural Environment pp 33ndash69 in Riley E Dunlap and

William Michelson(eds) Handbook of Environmental Sociology

Westport CT Greenwood Press

Catton William R Jr and Riley Dunlap 1978 Environmental Sociology

A New Paradigm The American Sociologist 13 41-49

Dunlap Riley E and Brent K Marshall 2007 Environmental Sociology

pp 329-340 in Clifton D Bryant and Dennis L Peck(eds) 21st

Century Sociology A Reference Handbook Thousand Oaks CA

84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Sage Publications

Hannigan John 2006 Environmental Sociology(second edition)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Harper Charles 2004 Environment and Society Human Perspectives on

Environmental Issues Upper Saddle River New Jersey Pearson

Education Inc

Humphrey Craig R and Frederick H Buttel 1982 Environment Energy

and Society Belmont California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International Sociological Association(RC24) Korean Sociological

Association and Korean Association for Environmental Sociology

2004 Globalization Localization and Environment (Proceedings for

2004 ISA RC24 Conference in Seoul)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85

The Research Trend and Prospect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Park Jae-mookProf Dept of Sociology Chungnam Univ

Abstract

The aims of this paper are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and to anticipate its future developments As a groundwork for these works we briefly examined the institutionalization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Here we considered the organizing process of environmental sociologists association and the incorporation of the course of environmental sociology into the regular curricula Nextly we examined research trends of environmental sociology and tried to draw common characteristics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The most frequently dealt subjects in ECO a representative journal in this field have been nuclear power risk and disaster large-scale development projects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nd behaviour environmental problems and climate changes And distinguished characteristics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have been found to be focus on environmental problems dependence on qualitative methodology emphasis on environmental reforms of liberal tradition exchange of perspectives among researchers from various fields communications between researchers and activists Lastly it was suggested that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ist should develop interdisciplinary research and field research

Key Words Environmental Sociology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Institutionalization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Korean Association for Environmental Sociology ECO

Page 10: 환경과 사회 연구의 동향과 전망isrku.org/adm/data/1351080157_fEMV3OxI_02-EBB095EC9... · 2014-07-06 ·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 pp.55-85 ‘환경과 사회’

64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제 사회학자들의 환경사회학적 저서 주제 등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 중에

서 가장 중요한 분석 대상은 「한국사회학」 및 ECO지에 게재된 논문이다

「한국사회학」에 게재된 환경사회학 분야 논문의 편수는 9편에 지나지 않

으나 ECO 창간 이전의 연구 동향을 보여준다는 점을 고려하여 분석 대상

에 포함하였다 ECO는 환경사회학 분야의 대표적 전문 학술지라는 점을

고려하여 창간호(2001년)에서부터 제17권 1호(2013년 상반기)까지에 수록

된 167개의 논문(lsquo포럼rsquo으로 분류된 것까지 포함)의 주제를 분석하였다

연구 주제는 lt표 2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타를 포함해서 총 19개로 구분

하였다

1) 「한국사회학」 및 ECO 게재 논문의 주제

「한국사회학」에 게재된 논문은 총 9편으로 소수이고8) 그 주제 또한

lt표 2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양하지 않다 ECO 창간(2001년) 이전 즉

2000년 이전에는 환경사회학 분야 논문이 주로 「한국사회학」에 게재되었

기 때문에 이 시기에 발표된 논문의 주제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 시기

에 발표된 논문의 주제는 lsquo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rsquo lsquo환경의식middot환경행동rsquo lsquo환

경정책middot환경행정rsquo 및 lsquo지속가능한 발전rsquo이다 lt표 2gt에서 알 수 있는 것은

환경사회학 분야 연구가 시작되던 1990년대 초반에는 lsquo환경의식middot환경행

동rsquo 및 lsquo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rsquo이 주요 주제였다는 사실이다 「한국사회학」에

개재된 최초의 환경사회학 분야 논문은 양종회의 ldquo우리나라 국민들의 환

경문제에 대한 의식의 변화 및 사회적 기반rdquo(1993)이었다9) 그 뒤를 이어

8) 「한국사회학」에 게재된 논문의 주제별 분석 자료에 따르면 환경을 주제로

한 논문은 1964년부터 2006년 사이에 게재된 전체 논문의 14 수준이다

(한국사회학회 2007 110) 이처럼 「한국사회학」에 실린 환경사회학 분야

논문이 적은 이유는 이 분야 연구자들이 보다 전문화된 ECO지 게재를 선

호하기 때문이다 9) 「한국사회학」에 게재되지는 않았지만 이보다 먼저 발표된 논문으로는 필자

의 ldquo환경문제에 대한 사회학적 이해rdquo(1991)가 있다 이 논문은 1991년 5월

한국사회학회가 주최한 특별심포지움에서 발표되었다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65

서 환경의식에 관한 김두식의 논문(1995)과 환경운동을 다룬 구도완

(1995)의 논문이 발표되었다

lt표 2gt 「한국사회학」 게재 논문의 주제(1991-2013)

주 제10)논문 편수

rsquo91-rsquo95 rsquo96-rsquo00 rsquo01-rsquo05 rsquo06-rsquo10 rsquo11이후 계

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 1 1

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 1 1

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 1 1

환경의식middot환경행동 2 2

환경정책middot환경행정 2 2

지속가능한 발전 1 1

환경middot위험거버넌스 1 1

계 3 3 1 1 1 9

다음으로 ECO에 게재된 총 167편의 주제를 살펴보겠다 19개로 분류

된 전체 주제 중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빈도로 다루어지고 있는 주제는 6

개이다 가장 높은 빈도로 다루어진 주제는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rsquo이다 이 주

제를 다룬 논문은 21편으로 전체 167편의 126를 차지한다11) 이 주제

를 다룬 논문이 가장 많았던 것은 lt표 3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2007년에

발생한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 유출사고에 대한 연구가 두 차례에 걸쳐

특집의 형태로 수록되었기 때문이다 그 다음으로 환경사회학자들이 자주

다룬 주제는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으로 총 19편의 논문이 이 주제를 다루고

10) 주제의 분류 체계는 lt표 3gt과 같았으나 한 편의 논문도 발견되지 않는 주

제는 표에서 제외했다 11) ECO 게재 논문들의 주제어를 분석한 윤순진의 논문에서도 위험위해재난

으로 분류될 수 있는 주제어들이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나고 있고 여기에

원자력 관련 주제어를 포함할 경우에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rsquo과 관련된 주제어

의 빈도는 더욱 높게 나타난다(윤순진 2013 79-80)

66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주 제논문 수

rsquo01 rsquo02 rsquo03 rsquo04 rsquo05 rsquo06 rsquo07 rsquo08 rsquo09 rsquo10 rsquo11 rsquo12 rsquo13 계

환경사회학 이론 2 1 1 1 1 6

환경사회학 방법론 1 1

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 2 1 2 2 1 1 1 1 1 12

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 2 7 6 2 4 21

에너지middot자원 1 1 2 4

환경사상 1 1

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 1 1 2 2 2 1 3 12

있다 동강댐 새만금간척사업 4대강사업 등 정부가 추진했던 대규모 개

발사업에 환경사회학자들이 큰 관심을 기울인 결과이다 이밖에 환경사회

학자들이 많은 관심을 보인 주제로는 lsquo환경의식middot환경행동rsquo(14편) lsquo환경문

제middot기후변화rsquo(12편) lsquo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rsquo(12편) lsquo환경정치rsquo(12편) 등이었

다 이 6개의 주제를 다룬 논문은 총 90편으로서 전체 167편의 539를

차지하고 있다

위의 6개 주제 다음으로 환경사회학자들이 관심을 보인 주제로는 lsquo환경

정책rsquo(8편) lsquo사회영향평가rsquo(8편) lsquo환경middot위험거버넌스rsquo(8편) lsquo환경불평등middot

환경정의rsquo(7편) lsquo환경농업middot식량middot식품rsquo(7편) lsquo환경사회학이론rsquo(6편) lsquo지속

가능한 발전rsquo(5편) lsquo환경복원rsquo(5편) 등이다 lsquo환경농업middot식량middot식품rsquo을 다룬

상당수의 논문들이 「농촌사회」에 수록됨으로써 이 분석에서 제외되고 있

음을 감안할 필요가 있다

lsquo에너지middot자원rsquo(4편) lsquo생태공동체rsquo(2편) lsquo환경사회학방법론rsquo(1편) lsquo환경

사상rsquo(1편) 등의 주제를 다룬 논문은 매우 적었다 lsquo인구rsquo는 당초 주제 분

류 시 별도의 주제로 설정하였으나 관련 논문이 전혀 발견되지 않아 주

제 목록에서 제외했다 이것은 환경사회학적 관점에서 인구를 다루는 연

구자가 없음을 의미한다

lt표 3gt ECO 게재 논문의 주제(2001-2013년)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67

주 제논문 수

rsquo01 rsquo02 rsquo03 rsquo04 rsquo05 rsquo06 rsquo07 rsquo08 rsquo09 rsquo10 rsquo11 rsquo12 rsquo13 계

환경의식middot환경행동 1 2 1 1 2 3 2 2 14

환경정책 1 1 1 4 1 8

대규모 개발사업 3 4 4 1 1 1 1 2 2 19

사회영향평가 4 1 1 1 1 8

지속가능발전 1 3 1 5

환경정치 1 2 1 1 1 1 1 3 1 12

환경middot위험거버넌스 2 1 1 1 2 1 8

환경불평등middot환경정의 1 1 2 2 1 7

환경복원 4 1 5

환경농업middot식량middot식품 1 1 4 1 7

생태공동체 1 1 2

기타 2 2 1 2 3 2 1 1 1 15

계 9 19 16 15 11 12 13 16 13 11 13 14 5 167

위의 주제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1990년대

이래 한국 환경사회학 분야의 논문 주제는 점차 다양해져 왔다 1990년대

에는 lsquo환경의식middot환경행동rsquo lsquo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rsquo 등 몇 가지 주제에 관한

소수의 논문이 발표되었으나 2000년대에 들어와서는 편수의 증가와 함께

주제가 매우 다양해졌다 현재는 환경사회학의 주요 주제들의 대부분이

다루어지고 있다 둘째 특정의 1-2개 주제에 대한 쏠림 현상이 두드러지

지는 않지만 주제별로 논문의 편수는 큰 차이를 보인다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

난rsquo과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은 연구자의 관심을 가장 많이 끈 주제인 반면에

lsquo환경사상rsquo lsquo생태공동체rsquo lsquo에너지middot자원rsquo 등에 대한 관심은 매우 낮다 셋

째 특정 연구 주제의 상승이나 하락이 뚜렷이 나타나지는 않는다 비교적

많은 관심을 끈 6개의 주제를 다룬 논문들은 전 기간에 걸쳐 고르게 발표

되었다 다만 lsquo환경사회학 이론rsquo lsquo환경사회학 방법론rsquo lsquo환경사상rsquo lsquo환경

68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연도 춘middot추계 학술대회 주제 주제 유형

2001 창립기념동강댐 건설 문제의 사회문화적 조사연구

보고대규모 개발사업

추계 새만금 대규모 개발사업

복원rsquo 등을 다룬 논문이 최근에는 발표되지 않고 있고 반대로 lsquo에너지middot자

원rsquo에 관한 논문들은 최근에 와서 주로 발표되고 있기는 하지만 이들 주

제를 다룬 사례 수가 많지 않아 뚜렷한 경향을 발견하기는 어렵다

2) 정기학술대회의 주제

환경사회학회는 연 2회 춘middot추계 정기학술대회를 개최한다 학회 창립

이후 개최된 총 26회의 정기학술대회 중 주제가 확인되지 않은 2회를 제

외한 나머지 24회 학술대회의 주제는 lt표 4gt와 같다 정기학술대회에서

가장 자주 등장했던 주제는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5회)이었다 동강댐(2001년

창립기념세미나) 새만금간척사업(2001년 추계 2003년 추계) 4대강사업

(2010년 춘계) 등의 특정 개발 사례와 대규모개발사업 일반(2006년 춘계)

이 주제로 등장했다 두 번째로 자주 등장한 주제는 lsquo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rsquo

으로 2004년 추계 2005년 춘계 및 추계 2007년 춘계 등 4회였다 그 다

음으로 자주 등장한 주제는 lsquo환경정책rsquo(2006년 추계 2009년 추계 2012년

추계)과 lsquo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rsquo(2007년 추계 2010년 추계 2011년 춘계)로

각각 3회 나타났다 lsquo환경정책rsquo으로는 노무현 정부의 lsquo살기 좋은 지역 만

들기rsquo 정책과 이명박 정부의 환경정책 일반과 녹색성장정책이 다루어졌

다 이 밖에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rsquo(2008년 춘계 2009년 춘계) lsquo지속가능한

발전rsquo(2011년 추계 2012년 춘계) lsquo환경사상rsquo(2005년 추계 2013년 춘계)

등이 각각 2회씩 그리고 lsquo생태공동체rsquo(2002년 추계) lsquo환경불평등middot환경정

의rsquo(2004년 추계) lsquo환경정치rsquo(2006년 추계) lsquo환경농업middot식량middot식품rsquo(2008년

추계) 등이 각각 1회씩 등장했다

lt표 4gt 한국환경사회학회 정기학술대회의 주제(2001-2013년)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69

연도 춘middot추계 학술대회 주제 주제 유형

2002춘계 지역과 환경 기타

추계환경친화적 지역사회 개발과 새로운 공동체 운동

생태공동체

2003춘계 미확인 기타

추계 새만금 간척사업 대규모 개발사업

2004춘계 미확인 기타

추계 환경갈등과 환경정의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환경불평등middot환경정의

2005춘계

사회갈등과 주민참여 지역 및 환경갈등을 중심으로

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

추계 환경철학과 환경운동환경사상

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

2006춘계 대규모 개발사업과 환경정치

대규모 개발사업환경정치

추계 살기 좋은 지역 만들기의 이론과 전략 환경정책

2007춘계

대규모 개발사업을 둘러싼 환경갈등과 생태민주주의의 전망

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

추계 기후변화와 한국사회의 선택 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

2008춘계

환경재난의 지역사회 영향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를 중심으로

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

추계 먹을거리의 환경사회학 환경농업middot식량middot식품

2009춘계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의 사회적middot심리적 영향과 공동체 복원

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

추계환경사회학의 관점에서 본 lsquo저탄소 녹색성장rsquo 환경정책

2010춘계 4대강사업에 대한 환경사회학적 성찰 대규모 개발사업

추계 기후변화의 사회학 일상에서 지구촌까지 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

2011춘계

구제역을 통해서 본 지본주의시대의 환경과 생명

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

추계 환경적으로 지속가능한 동아시아를 위하여

지속가능한 발전

2012춘계 지속가능한 발전과 경상남도의 과제 지속가능한 발전

추계 이명박 정부의 환경정책 평가와 대안 환경정책

2013춘계 한국의 생태주의 사상과 역사 환경사상

추계한국 환경사회학의 보편성과 특수성 그리고 미래의 과제

환경사회학 이론

70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연도 주 제

2001 동강댐의 환경사회학(통권 1호)

2002 새만금간척사업의 환경사회학(통권 2호) 사회영향평가연구(통권 3호)

2003 청계천 복원의 사회학(통권 4호) 노무현정부의 환경정책 평가(통권 5호)

2004 부안핵폐기물처리장 문제의 환경사회학(통권 6호) 새만금간척사업의

환경사회학Ⅱ(통권 7호)

2005 한국 국가의 녹색화 연구(통권 8호) 환경정의 경험적 연구(통권 9호)

3) ECO 특집의 주제

ECO지는 매호 하나의 주제를 정하고 관련 논문을 특집으로 묶어 수록

하고 있다 ECO지의 특집 주제의 목록은 lt표 5gt 참조에 제시되어 있다

특집 주제로 가장 자주 설정된 것은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rsquo으로 그 횟수는 6

회이다 세부적으로 보면 방사성폐기물 원자력발전 등 원자력 문제(통권

6호 제10권 1호 제17권 1호)와 재난(제12권 1호 제13권 1호 제15권 1

호)이 각각 3회씩 다루어졌다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 유출사고는 두 번

이나 특집으로 다루어졌다 두 번째로 자주 다루어진 주제는 lsquo환경정책rsquo이었다 환경정책은 5회(통권 5호 통권 8호 제11권 1호 제13권 2호 제16

권 2호) 등장했는데 구체적으로는 노무현 정부의 환경정책 녹색국가 기

후변화 정책 이명박 정부의 녹색성장정책과 일반 환경정책이 다루어졌

다 세 번째로 자주 다루어진 주제는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으로 그 횟수는 4

회(통권 1호 통권 2호 통권 7호 제14권 1호)였다 동강댐 및 4대강 사업

이 1회씩 그리고 새만금간척사업이 2회 다루어졌다 이 밖에 lsquo사회적 영

향평가rsquo(통권 3호 제 10권 2호)와 lsquo환경의식middot환경행동rsquo(제14권 2호 제15

권 2호)이 각각 2회씩 다루어졌고 lsquo환경정의rsquo(통권 9호) lsquo환경복원rsquo(통권

4호) lsquo환경농업middot식량middot식품rsquo(제12권 2호) lsquo환경middot위험거버넌스rsquo(제16권 1

호) lsquo환경문제rsquo(제15권 2호) lsquo지속가능발전(제11권 2호)rsquo 등이 각각 1회씩

다루어졌다

lt표 5gt ECO 각호의 특집 주제(2001-2013년)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71

연도 주 제

2006 방사성폐기물 처분장과 민주주의(제10권 1호) 도시개발의 사회적 영향 은평뉴타운 사례(제10권 2호)

2007 기후변화정책의 국가간 비교연구(제11권 1호) 대안적 발전의 해외사례

연구(제11권 2호)

2008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 연구(제12권 1호) 지구화시대 세계

농식품체계의 환경사회학(제12권 2호)

2009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 연구Ⅱ(제13권 1호) 환경사회학적

관점에서 본 녹색성장(제13권 2호)

2010 4대강사업에 대한 환경사회학적 성찰(제14권 1호) 한국인의 환경 가치

지형(제14권 2호)

2011 환경사회학과 재난관리(제15권 1호) 환경문제와 환경의식(제15권 2호)

2012 위험 사회의 거버넌스(제16권 1호) 이명박 정부의 환경정책과

대안(제16권 2호)

2013 원자력발전과 시민사회 비교연구(제17권 1호)

4) 주요 단행본의 주제

환경사회학자들12)이 저술한 단행본13)은 비교적 다양한 주제를 다루고

있다 2000년대에 들어와서는 저술의 크게 수가 늘어나면서 1990년대에

비하여 주제의 다양성도 크게 증가하고 있다 1990년대에는 lsquo환경사회학

이론rsquo lsquo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rsquo lsquo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rsquo lsquo환경불평등middot환경정의rsquo

등 4개의 주제 영역에 국한되어 있었으나 2000년대에 들어와서는 lsquo대규

모 개발사업rsquo 등 6개 주제에 대한 저술들이 새로 출판되었다 lsquo원자력middot위

험middot재난rsquo에 관한 저술이 최근에 와서 늘어나고 있음이 주목된다

1990년대 이후의 전체 기간에서 가장 많은 단행본이 출판된 주제 영역

은 lsquo환경사회학 이론rsquo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rsquo lsquo환경운동middot

12) 사회학을 전공하지 않은 학자로서 한국환경사회학회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

는 사람은 환경사회학자에 포함시켰다 단행본 필자로는 구자건 문순홍 조명래 최병두 등이 이 경우에 속한다

13) 번역서는 여기에서 제외하였다 또한 다양한 분야의 학자들이 공동으로 저

술한 책 중에서 환경사회학자들의 기여가 크지 않은 저술도 제외하였다

72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환경갈등rsquo lsquo환경정치rsquo 등 5개이다 이들 5개 주제에 관한 저술은 총 25권

으로 전체 저술(46권)의 절반을 넘고 있다 이들 5개 주제 영역 다음으로

lsquo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rsquo(4권) lsquo지속가능한 발전rsquo(4권) lsquo환경불평등middot환경정

의rsquo(3권) 등의 주제 영역에 관한 저술이 많은 편이다

lt표 6gt 단행본의 주제(1990-2013년)

주 제 1990년대 2000-2009년 2010년 이후

환경사회학 이론문순홍(1992) 문순홍(1999) 조명래(2001) 한국환경사회학회(2013)

조명래(2013a)

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최병두(1993b)최병두(1995)

최병두(2003a)최병두(2003b)

대규모 개발사업

문순홍(2006c)박순열(2009)조명래(2006)

홍성태(2010)조명래(2013b)

사회영향평가 구자건(2008)

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 홍성태(2000)

노진철(2010)노진철 등(2010)김도균(2011)홍성태(2012)

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구도완(1996)이득연(1998)

문순홍(2001)구도완(2009) 한국환경사회학회(2013)

지속가능한 발전정대연(2004)문태훈 등(2008)

이시재 등(2010)정대연(2010)

환경불평등middot환경정의 최병두(1999a) 한상진(2006) 최병두(2010)

환경정치

문순홍(2006a)문순홍(2006b)이상헌(2003)

구도완 등(2013)서영표 등(2010)

환경사상 이상헌(2007)

교과서

노진철(2001)정대연(2002)한국환경사회학회(2005)

복합 주제 및 기타최병두(1993a)최병두(1999b)

양종회 등(2002)최병두(2002)홍성태(2006)조명래(2009)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73

2 연구 방법

ECO지의 창간호부터 2003년 6월에 발행한 제17권 1호까지에 게재된

167편의 논문(포럼 포함)에서 사용되고 있는 연구 방법을 9개의 유형으로

구분해 보면 lt표 7gt과 같다 연구 방법을 명시적으로 서술하지 않은 논문

이 적지 않고 복수의 연구 방법을 사용하는 논문이 많아 유형 구분이 쉽

지 않았으나 필자의 주관적 판단에 따라 모든 논문의 연구 방법을 9개의

범주에 배속시켰다

lt표 7gt ECO 게재 논문의 자료수집 방법

주 제논문 수

rsquo01 rsquo02 rsquo03 rsquo04 rsquo05 rsquo06 rsquo07 rsquo08 rsquo09 rsquo10 rsquo11 rsquo12 rsquo13 계

이론 연구 2 9 6 4 3 3 1 4 3 1 1 37(222)

설문조사 2 1 1 2 2 1 3 4 4 2 3 25(150)

문헌middot문서자료 3 3 1 7 4 6 1 5 2 3 3 2 40(240)

기존 자료 3 1 2 1 1 2 10(73)

면접middot심층면접 1 5 1 1 1 1 1 2 2 2 2 19(114)

내용middot담론분석 1 1 1 2 1 1 7(42)

사례 조사 1 2 2 4 1 3 2 4 1 20(120)

비교 연구 1 3 1 1 2 8(48)

시뮬레이션 1 1(06)

계 9 19 16 15 11 12 13 16 13 11 13 14 5 167(1000)

먼저 논문의 발표 시기에 따른 연구 방법의 차이는 드러나지 않는다

다만 이론 연구가 후기로 올수록 줄어드는 경향이 눈에 띌 따름이다

다음으로 연구 방법 간의 빈도 차이는 비교적 뚜렷하게 드러난다 문

헌middot문서자료(40편) 이론 연구(37편) 설문조사(25편) 사례 조사(20편) 면

접middot심층면접(19편) 등이 자주 사용되고 있는 반면에 기존 자료(10편) 비

교연구(8편) 내용middot담론분석(7편) 시뮬레이션(1편) 등은 상대적으로 적게

74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사용되고 있다 문헌middot문서자료 및 이론 연구가 1 2위를 차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환경사회학자들의 독자적인 자료 생산 노력이 활발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마지막으로 ECO 게재 논문과 「한국사회학」 게재 논문의 연구 방법을

비교해 보면 환경사회학의 연구 방법과 사회학 일반의 연구 방법 간에

상당한 차이가 있음이 발견된다 ECO 게재 논문에서는 문헌middot문서자료 이

론 연구 설문조사 등의 순서로 자주 사용된 반면에 「한국사회학」 게재

논문14)들에서는 설문조사(323) 기존 자료(228) 이론(186) 등이 각

각 1 2 3위를 차지하고 있어 중시하고 있는 연구 방법이 서로 다를 뿐만

아니라 ECO 게재 논문들에서 비교적 중시된 문헌middot문서자료(240) 사례

조사(120) 면접middot심층면접(114) 등은 「한국사회학」 게재 논문에서는

훨씬 낮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차이는 결국 환경사회

학자들이 일반 사회학자들과 비교했을 때 양적 자료를 덜 사용하고 질적

자료를 더 많이 사용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Ⅳ 한국 환경사회학의 특징

한국 환경사회학의 특징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환경사회학자 및 그들의

연구 활동의 다양한 측면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여기에서는 연구 주제

연구 방법 이론적 지향 학제적 연구 사회적 실천 등의 다섯 가지 측면에

서 한국 환경사회학의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14) 1964년부터 2006년까지 「한국사회학」에 게재된 논문의 연구 방법을 분석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형 이론설문

조사집계자료 문서자료 기존자료 인터뷰

기타 질적

자료전체

빈도 123 214 67 62 151 31 14 662 186 323 101 94 228 47 21 1000

출처 한국사회학회 2007 120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75

1 환경문제의 사회학

흔히 일본 환경사회학자들은 미국의 환경사회학을 lsquo환경에 대한 사회

학rsquo(sociology of the environment)이라고 특징지으면서 자신들의 환경사회

학을 lsquo환경문제의 사회학rsquo(sociology of environmental problems)이라고 말

한다 이것은 일본의 환경사회학은 구체적인 환경문제가 지역사회 주민

및 피해자의 생활과 지역사회에 미친 영향에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음

을 지적하는 말이다 이러한 일본 환경사회학의 특징은 한국 환경사회학

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이시재는 최근 발표한 ldquo한국 환경사회학의 회고와

전망rdquo에서 lsquo한국에서 환경사회학은 환경문제의 사회학으로 출발했다rsquo고

말하고 한국 환경사회학의 특징 중의 하나로 문제해결을 위한 연구를 들

고 있다(이시재 2013 34-35)

앞에서 우리는 한국 환경사회학의 연구 주제가 논문 특집 학술대회

단행본 등에 있어서 어떻게 나타나는가를 살펴보았다 다양한 연구 활동

중에서 환경사회학자들의 연구 주제 선택의 경향을 잘 보여주는 것은 사

례 수가 가장 많은 논문 발표일 것이다 ECO지 게재 논문을 기준으로 할

때 환경사회학자들은 기후변화를 포함한 환경문제보다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

난rsquo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 lsquo환경의식middot환경행동rsquo을 더 중요하게 다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lt표 3gt 참조) 그러나 가장 빈도가 높은 lsquo원자력middot위

험middot재난rsquo과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은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과 밀접하게 연관

되어 있다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rsquo은 독립적인 주제 영역으로 설정되기는 했

지만 결국 특수한 유형의 환경문제라고 할 수 있고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에

대한 관심은 개발 사업으로 인한 환경문제에 대한 우려에서 비롯되기 때

문이다 따라서 겉으로 드러난 주제 영역보다 주제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의식에 주목한다면 한국의 환경사회학은 lsquo환경문제의 사회학rsquo의 성

격을 강하게 지니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76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2 질적 자료의 활용

환경사회학이 미국에서 처음 형성되던 시기에 농촌사회학의 영향을 강

하게 받았다 농촌사회학의 영향 가운데 대표적인 것으로 경험적 조사 자

료를 중시하는 경향이다 이러한 환경사회학의 전통은 한국의 환경사회학

에서도 이어지고 있다 lt표 7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환경사회학 연구에서

이론 연구의 비중이 222로서 결코 낮다고 할 수는 없지만 다양한 유형

의 경험적 자료를 활용하는 연구의 비중이 이론 연구에 비해 훨씬 크다

경험적 연구 방법 중에서 환경사회학자들이 일반 사회학자들에 비하여

중시하는 자료는 사례 조사 면접 조사 등을 통해 얻는 질적 자료이다 일

반 사회학자들에 비하여 설문 조사 기존 자료 활용 집계 자료 등의 양적

자료의 활용은 떨어지는 데 반하여 사례조사나 면접을 통해 얻는 질적

자료는 더 많이 활용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연구 방법과 관련된 한국

환경사회학의 특징은 상대적으로 질적 자료를 많이 활동하고 있다는 데

있다

질적 자료의 활용이 활발한 것은 기본적으로 한국 환경사회학자들이

연구하는 대상의 특성 때문이다 동강댐 건설사업 새만금간척사업 4대강

사업 등의 대규모 개발사업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 사고 및 각종

개발사업과 관련된 지역 환경운동 및 환경갈등이 하나의 사례로 다루어

지고 또 이러한 사례 연구에서 심층면접이 자료 수집 방법으로 활용되는

경향이 있다

3 자유주의적 환경개혁론

환경사회학에는 생태학적 설명(ecological explanation) 대 정치경제학적

설명(political economy explanation) 성찰적 근대화론(reflexive modernization)

대 생태학적 근대화론(ecological modernization) 실재론(realism) 대 구성

주의(constructionism) 등의 주요 이론적 쟁점이 있지만(Hannigan 2006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77

16-52) 한국 환경사회학에서는 이러한 쟁점을 둘러싼 논쟁을 찾아보기

어렵다 또한 독자적인 이론을 구성하기 위한 노력도 찾아보기 어렵다 윤

순진이 지적한 바 있듯이 ldquo많은 연구들은 다른 학문분과에서 구축한 이

론을 환경 관련 쟁점과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동원하는 양상을rdquo 띠거나

(윤순진 2013 85) 해외 환경사회학계에서 확립된 이론을 연구의 자원으

로 활용하는 데 머무르고 있다

그러나 다른 학문분과나 해외 환경사회학에서 확립된 이론을 수용하여

자원으로 활용하는 경우에도 이론의 선택에는 연구자 자신의 이론적 지

향이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대부분의 연구에는 명시적이든 묵시적

이든 연구자 자신의 이론적 지향이 깔려 있다 그렇다면 한국 환경사회

학에서는 어떤 이론적 지향이 우세하고 그 변화의 방향은 어느 쪽인가

말할 필요도 없이 한국의 환경사회학에는 다양한 이론적 지향 즉 험프리

와 버텔이 말하는 보수적 자유주의적 및 급진적 패러다임(Humphrey and

Buttel 1982 19-21)이 공존하고 있다 보수적 패러다임은 환경의식 및 환

경행동 연구에서 가끔 나타나고 있지만 그 영향력은 미미하다 급진적 패

러다임은 원자력발전 위험 환경정의 대규모 개발사업(국책사업) 대안

적 공동체 생태민주주의 등에 관한 연구에서 중요한 관점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보수적 패러다임에 비해서는 그 영향력이 훨씬 크다 이 두 패러

다임에 비해 훨씬 큰 세력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 바로 국가 개혁과 정책

의 전환을 통해 환경 위기 극복의 길을 모색하는 자유주의적 환경개혁론

이다 자유주의적 환경개혁론은 녹색국가 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 환경정책

환경정치 환경middot위험거버넌스 지속가능한 발전 대규모 개발사업 등의 연

구에서 주로 나타나고 있다

4 다양한 전공의 관점 교류

ECO지 기고를 통해 환경사회학 연구에 참여하고 있는 연구자의 전공

은 매우 다양하다 아마도 사회학 내의 다른 어떤 세부분야에 비해서도

78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다양할 것이다 윤순진의 ECO지 게재 글15)의 저자 분석에 따르면 총 24

개 분야의 학문적 배경을 가진 연구자들이 참여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보

면 사회학 인류학 행정학 경제학 정치학 사회복지학 심리학 지리학

지리교육학 도시 및 지역 관련학과 환경middot에너지정책학과 정치생태학 등

의 사회과학 전공자 철학 한국학 등 인문학 전공자 생태학middot생태곤충학

생물학 지질학 환경보건학 과학기술사학 과학관리학 생명공학 등의 자

연과학 전공자 토목공학 등 공학 전공자 등이 ECO에 글을 싣고 있다 물

론 전공별로 참여 저자의 수는 크게 다르다 사회학 전공자가 37명으로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도시 및 지역 관련 분야 전공자(18명) 인류학 전

공자(8명) 행정학 전공자(6명) 등의 순서로 많다(윤순진 2013 80-81)

ECO지 게재 논문 중 공저 논문의 경우 전공이 서로 다른 연구자가 공

동 저자로 참여한 경우는 많지 않으며 ldquo거의 대부분이 동일학과 소속 교

수와 학생 간의 공저이거나 동일 전공 동료 및 선후배 간 공저로 나타났

다(윤순진 2013 83)rdquo 이런 점에서 볼 때 환경사회학 연구가 실질적인 학

제적 연구의 형태가 띠는 것은 아니라고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적어도 학

회 활동과 학회지를 통해서 다양한 전공 간의 관점 공유와 교류는 활발하

게 이루어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5 연구자와 운동가의 소통

한국 환경사회학의 두드러진 특징 중의 하나는 환경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연구자들이 많다는 점이다 환경사회학자 중에는 연구자이면서

환경단체 전국 조직의 대표(이시재 이상헌 윤순진 이필렬 조명래) 지

역 환경단체의 대표(박재묵 노진철 최병두) 환경단체의 임원(구도완) 등

을 현재 맡고 있거나 과거에 역임한 사람들이 많다 위에서 거론된 연구

자보다 훨씬 더 많은 환경사회학자들이 지역 환경단체 등에 임원으로 참

15) 논문 이외의 서평 등의 글도 포함하고 있다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79

여하고 있다 이와는 반대로 환경단체의 상근 운동가로서 환경사회학회

회원으로 참여하고 논문을 발표하는 경우(이승민 안병옥 최예용 김정

수)도 있다

환경사회학자 연구자의 환경운동 참여와 운동가의 연구 참여가 활발하

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은 환경사회학의 특성과 연관되어 있는 현상이다

환경사회학은 기본적으로 환경문제의 근원 환경문제의 영향 및 환경문제

의 해결16)에 관심을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한국의 환경사회학은 특히

lsquo환경문제의 사회학rsquo의 성격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Ⅴ 환경사회학의 전망과 과제

지난 20년 동안 한국 환경사회학은 제도화의 과정을 거쳐 왔다 이 기

간 동안에 환경사회학은 많은 학과에서 정규 교과목으로 받아들여졌고

독립된 연구 영역으로 인정받게 되었다 또한 이 분야 연구자들이 독자적

인 학회를 조직하고 학회가 학술지를 발간함에 따라 연구 활동의 기반이

갖추어졌다 이로써 한국 환경사회학의 제도화가 대체로 완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지난 20년의 기간은 환경사회학의 기반 구축기인 동시에 성장기였다

성장의 속도는 느렸지만 연구자의 수도 증가해 왔고 이에 따라 학문적

성과도 축적되어 왔다 특히 환경사회학자들이 관심을 집중시켰던 원자

력middot위험middot재난 대규모 개발사업 환경운동 등의 영역에서는 의미 있는 성

과가 있었다 최근에 와서 환경사회학은 안정기에 들어가고 있다 ldquo젊은

층의 충원이 지지부진rdquo하고 대학원에서 환경사회학을 전공하려고 하는

학생도 줄어들고 있다(이시재 2013 37) 사회학계 전반에 걸친 침체 분위

16) Riley E Dunlap과 Brent K Marshall은 환경사회학의 최근 연구 초점으로

환경문제의 근원 환경문제의 영향 환경문제의 해결 방안 등 세 가지를 들

었다(Dunlap and Marshall 2007 335-339)

80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기가 일정 부분 환경사회학에도 미치고 있다 미국에서 환경사회학이

1980년대 초에 겪었던 퇴조 분위기가 한국에서도 나타나고 있는 것 같다

그러나 이러한 환경사회학의 침체 분위기가 장기적으로 지속되지는 않

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렇게 전망하는 근거는 두 가지이다 그 하나는 환

경사회학의 태동을 가져왔던 환경문제가 상존하기 때문이다 또한 기후변

화와 같은 환경문제는 향후에도 장기간 지속될 것이 분명하고 유독성 화

학물질과 같은 새로운 환경문제도 부상하고 있다 한 마디로 환경문제가

근본적으로 해결되지 않는 한 환경사회학은 존속하게 될 것이다 둘째로

현재의 침체 분위기는 일정기간의 성장 뒤에 오는 바닥 다지기의 의미가

크다 따라서 장기적으로 보면 환경사회학은 향후에도 안정적 성장을 지

속할 가능성이 크다

어떤 점에서 환경사회학의 미래는 일정 부분 환경사회학자들이 그들에

게 주어진 사명을 어떻게 수행하느냐에 달려 있기도 하다 2005년 필자가

환경사회학회가 펴낸 「우리 눈으로 보는 환경사회학」의 제1장을 쓰면서

환경사회학자의 사명으로 사회의 녹색화와 사회학의 녹색화를 설정한 바

있다 전자는 인간면제주의 패러다임의 지배를 받고 있는 주류 사회학에

인간 생존의 물리적middot생물적 기반을 고려하는 관점을 제공하는 것이고 후

자는 환경오염과 파괴의 원인 그 영향 및 해결 방안을 사회학적으로 설

명하고 제시하는 것이다 특히 후자의 사명을 환경사회학자들이 얼마나

그리고 어떻게 성취하느냐가 환경사회학의 미래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

다 학제적 연구의 정착과 현장 중심의 연구 강화는 환경사회학이 후자의

사명을 수행하기 위해 해결해야 할 당면 과제이다

2014년 6월 16일 접수

2014년 6월 27일 수정 완료

2014년 6월 29일 게재 확정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81

참고문헌

구도완 1995 ldquo한국의 새로운 환경운동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29(2) 347-371

1996 985172한국 환경운동의 사회학985173 문학과지성사

2009 985172마을에서 세상을 바꾸는 사람들 생태적 대안운동을 찾아

서985173 창비사

구도완 등 2013 985172녹색당과 녹색정치985173 아르케

구자건 2008 985172환경갈등과 사회영향평가 방법985173 연세대출판부

김도균 2011 985172환경재난과 지역사회의 변화 허베이스피리트호 기름유출

사고의 사회재난985173 한울아카데미

김두식 1995 ldquo환경문제와 환경보호에 대한 시민들의 태도 조사연구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29(1) 33-67

노진철 2001 985172환경과 사회985173 한울

2010 985172불확실성 시대의 위험사회학985173 한울아카데미

노진철 등 2010 985172태안은 살아 있다 기름 유출 사고 이후 3년 다시 쓰

는 태안 리포트985173 동녘

문순홍 1992 985172생태위기와 녹색의 대안985173 나라사랑

1999 985172생태학의 담론985173 아르케

2001 985172한국의 여성환경운동985173 아르케

2006a 985172정치생태학과 녹색국가985173 아르케

2006b 985172녹색국가의 탐색985173 아르케

2006c 985172개발국가의 녹색성찰985173 아르케

문태훈 등 2008 985172지속가능한 사회 이야기985173 법문사

박순열 2009 985172불만의 새만금985173 한국학술정보

박재묵 1991 ldquo환경문제에 대한 사회학적 이해rdquo pp 71-83 한국사회학회

(편) 985172현대 한국 사회문제의 진단과 처방985173(특별심포지움 논문집)

서영표영국적록연구그룹 2010 985172사회주의 녹색을 만나다985173 한울아카데미

양종회 1993 ldquo우리나라 국민들의 환경문제에 대한 의식의 변화 및 사회

82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적 기반rdquo 985172한국사회학회985173 26(4) 89-120

양종회 등 2002 985172아시아 태평양지역의 환경문제 환경운동 및 환경정책985173 서울대출판부

윤순진 2013 ldquo《ECO》분석을 통해 본 한국 환경사회학 연구의 흐름rdquo

pp 67-98 한국환경사회학회(편) 985172환경사회학 이론과 환경문제985173 한울아카데미

이득연 1998 985172환경운동의 사회학985173 민영사

이상헌 2003 985172물 세상을 움직이는 물의 정치와 정치 생태학985173 이매진

2011 985172생태주의985173 책세상

이시재 1994 ldquo환경사회학rdquo 한국사회학회(편) 98517221세기의 한국 사회학985173 문학과지성사

2013 ldquo한국 환경사회학의 회고와 전망rdquo pp 67-98 한국환경사회

학회(편) 985172환경사회학 이론과 환경문제985173 한울아카데미

이시재 등 2010 985172생태사회적 발전의 현장과 이론985173 아르케

정대연 2002 985172환경사회학985173 아카넷

2004 985172환경주의와 지속가능한 발전985173 집문당

2010 985172한국 지속가능발전의 구조와 변동985173 집문당

조명래 2001 985172녹색사회의 탐색985173 한울

2006 985172개발정치와 녹색진보985173 환경과 생명

2009 985172지구화 되돌아보기와 넘어서기 공간환경의 모순과 극복985173 환경과 생명

2013a 985172공간으로 사회읽기 개념 쟁점과 대안985173 한울아카데미

2013b 985172녹색토건주의와 환경위기985173 한울아카데미

조명래 등 2005 985172신개발주의를 멈춰라985173 환경과 생명

최병두 1993a 985172한국의 공간과 환경985173 한길사

1993b 985172현대 환경문제의 재인식985173 한울

1995 985172환경사회이론과 국제환경문제985173 한울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83

1999a 985172환경갈등과 불평등985173 한울

1999b 985172녹색사회를 위한 비평985173 한울

2002 985172녹색전망985173 도요새

2003a 985172도시속의 환경 열두 달(봄 여름)985173 한울

2003b 985172도시속의 환경 열두 달(가을 겨울)985173 한울

2010 985172비판적 생태학과 환경정의985173 한울아카데미

한국사회학회 2007 985172한국사회학회 50년사 1957-2007985173 한학문학

한국환경사회학회 2005 985172우리 눈으로 보는 환경사회학985173 창비사

2013a 985172환경사회학이론과 환경문제985173 한울

2013b 985172환경운동과 생활세계985173 한울

한상진 2006 985172환경정의의 사회학985173 UUP

험프리버틀(Craig Humphrey and Frederick R Buttel) 1995 985172환경사회학985173 양종회이시재 역 사회비평사

홍성태 2000 985172대한민국 위험사회985173 당대

2006 985172한국의 근대화와 물985173 한울아카데미

2010 985172생명의 강을 위하여 생태사회학자 홍성태 교수의 4대강

지키기 제안985173 중원문화

2012 985172개발과 파괴의 사회학 위험 사회를 넘어서985173 중원문화

Buttel Frederick H and Craig R Humphrey 2002 Sociological Theory

and the Natural Environment pp 33ndash69 in Riley E Dunlap and

William Michelson(eds) Handbook of Environmental Sociology

Westport CT Greenwood Press

Catton William R Jr and Riley Dunlap 1978 Environmental Sociology

A New Paradigm The American Sociologist 13 41-49

Dunlap Riley E and Brent K Marshall 2007 Environmental Sociology

pp 329-340 in Clifton D Bryant and Dennis L Peck(eds) 21st

Century Sociology A Reference Handbook Thousand Oaks CA

84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Sage Publications

Hannigan John 2006 Environmental Sociology(second edition)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Harper Charles 2004 Environment and Society Human Perspectives on

Environmental Issues Upper Saddle River New Jersey Pearson

Education Inc

Humphrey Craig R and Frederick H Buttel 1982 Environment Energy

and Society Belmont California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International Sociological Association(RC24) Korean Sociological

Association and Korean Association for Environmental Sociology

2004 Globalization Localization and Environment (Proceedings for

2004 ISA RC24 Conference in Seoul)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85

The Research Trend and Prospect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Park Jae-mookProf Dept of Sociology Chungnam Univ

Abstract

The aims of this paper are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and to anticipate its future developments As a groundwork for these works we briefly examined the institutionalization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Here we considered the organizing process of environmental sociologists association and the incorporation of the course of environmental sociology into the regular curricula Nextly we examined research trends of environmental sociology and tried to draw common characteristics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The most frequently dealt subjects in ECO a representative journal in this field have been nuclear power risk and disaster large-scale development projects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nd behaviour environmental problems and climate changes And distinguished characteristics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have been found to be focus on environmental problems dependence on qualitative methodology emphasis on environmental reforms of liberal tradition exchange of perspectives among researchers from various fields communications between researchers and activists Lastly it was suggested that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ist should develop interdisciplinary research and field research

Key Words Environmental Sociology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Institutionalization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Korean Association for Environmental Sociology ECO

Page 11: 환경과 사회 연구의 동향과 전망isrku.org/adm/data/1351080157_fEMV3OxI_02-EBB095EC9... · 2014-07-06 ·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 pp.55-85 ‘환경과 사회’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65

서 환경의식에 관한 김두식의 논문(1995)과 환경운동을 다룬 구도완

(1995)의 논문이 발표되었다

lt표 2gt 「한국사회학」 게재 논문의 주제(1991-2013)

주 제10)논문 편수

rsquo91-rsquo95 rsquo96-rsquo00 rsquo01-rsquo05 rsquo06-rsquo10 rsquo11이후 계

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 1 1

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 1 1

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 1 1

환경의식middot환경행동 2 2

환경정책middot환경행정 2 2

지속가능한 발전 1 1

환경middot위험거버넌스 1 1

계 3 3 1 1 1 9

다음으로 ECO에 게재된 총 167편의 주제를 살펴보겠다 19개로 분류

된 전체 주제 중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빈도로 다루어지고 있는 주제는 6

개이다 가장 높은 빈도로 다루어진 주제는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rsquo이다 이 주

제를 다룬 논문은 21편으로 전체 167편의 126를 차지한다11) 이 주제

를 다룬 논문이 가장 많았던 것은 lt표 3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2007년에

발생한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 유출사고에 대한 연구가 두 차례에 걸쳐

특집의 형태로 수록되었기 때문이다 그 다음으로 환경사회학자들이 자주

다룬 주제는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으로 총 19편의 논문이 이 주제를 다루고

10) 주제의 분류 체계는 lt표 3gt과 같았으나 한 편의 논문도 발견되지 않는 주

제는 표에서 제외했다 11) ECO 게재 논문들의 주제어를 분석한 윤순진의 논문에서도 위험위해재난

으로 분류될 수 있는 주제어들이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나고 있고 여기에

원자력 관련 주제어를 포함할 경우에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rsquo과 관련된 주제어

의 빈도는 더욱 높게 나타난다(윤순진 2013 79-80)

66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주 제논문 수

rsquo01 rsquo02 rsquo03 rsquo04 rsquo05 rsquo06 rsquo07 rsquo08 rsquo09 rsquo10 rsquo11 rsquo12 rsquo13 계

환경사회학 이론 2 1 1 1 1 6

환경사회학 방법론 1 1

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 2 1 2 2 1 1 1 1 1 12

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 2 7 6 2 4 21

에너지middot자원 1 1 2 4

환경사상 1 1

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 1 1 2 2 2 1 3 12

있다 동강댐 새만금간척사업 4대강사업 등 정부가 추진했던 대규모 개

발사업에 환경사회학자들이 큰 관심을 기울인 결과이다 이밖에 환경사회

학자들이 많은 관심을 보인 주제로는 lsquo환경의식middot환경행동rsquo(14편) lsquo환경문

제middot기후변화rsquo(12편) lsquo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rsquo(12편) lsquo환경정치rsquo(12편) 등이었

다 이 6개의 주제를 다룬 논문은 총 90편으로서 전체 167편의 539를

차지하고 있다

위의 6개 주제 다음으로 환경사회학자들이 관심을 보인 주제로는 lsquo환경

정책rsquo(8편) lsquo사회영향평가rsquo(8편) lsquo환경middot위험거버넌스rsquo(8편) lsquo환경불평등middot

환경정의rsquo(7편) lsquo환경농업middot식량middot식품rsquo(7편) lsquo환경사회학이론rsquo(6편) lsquo지속

가능한 발전rsquo(5편) lsquo환경복원rsquo(5편) 등이다 lsquo환경농업middot식량middot식품rsquo을 다룬

상당수의 논문들이 「농촌사회」에 수록됨으로써 이 분석에서 제외되고 있

음을 감안할 필요가 있다

lsquo에너지middot자원rsquo(4편) lsquo생태공동체rsquo(2편) lsquo환경사회학방법론rsquo(1편) lsquo환경

사상rsquo(1편) 등의 주제를 다룬 논문은 매우 적었다 lsquo인구rsquo는 당초 주제 분

류 시 별도의 주제로 설정하였으나 관련 논문이 전혀 발견되지 않아 주

제 목록에서 제외했다 이것은 환경사회학적 관점에서 인구를 다루는 연

구자가 없음을 의미한다

lt표 3gt ECO 게재 논문의 주제(2001-2013년)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67

주 제논문 수

rsquo01 rsquo02 rsquo03 rsquo04 rsquo05 rsquo06 rsquo07 rsquo08 rsquo09 rsquo10 rsquo11 rsquo12 rsquo13 계

환경의식middot환경행동 1 2 1 1 2 3 2 2 14

환경정책 1 1 1 4 1 8

대규모 개발사업 3 4 4 1 1 1 1 2 2 19

사회영향평가 4 1 1 1 1 8

지속가능발전 1 3 1 5

환경정치 1 2 1 1 1 1 1 3 1 12

환경middot위험거버넌스 2 1 1 1 2 1 8

환경불평등middot환경정의 1 1 2 2 1 7

환경복원 4 1 5

환경농업middot식량middot식품 1 1 4 1 7

생태공동체 1 1 2

기타 2 2 1 2 3 2 1 1 1 15

계 9 19 16 15 11 12 13 16 13 11 13 14 5 167

위의 주제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1990년대

이래 한국 환경사회학 분야의 논문 주제는 점차 다양해져 왔다 1990년대

에는 lsquo환경의식middot환경행동rsquo lsquo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rsquo 등 몇 가지 주제에 관한

소수의 논문이 발표되었으나 2000년대에 들어와서는 편수의 증가와 함께

주제가 매우 다양해졌다 현재는 환경사회학의 주요 주제들의 대부분이

다루어지고 있다 둘째 특정의 1-2개 주제에 대한 쏠림 현상이 두드러지

지는 않지만 주제별로 논문의 편수는 큰 차이를 보인다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

난rsquo과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은 연구자의 관심을 가장 많이 끈 주제인 반면에

lsquo환경사상rsquo lsquo생태공동체rsquo lsquo에너지middot자원rsquo 등에 대한 관심은 매우 낮다 셋

째 특정 연구 주제의 상승이나 하락이 뚜렷이 나타나지는 않는다 비교적

많은 관심을 끈 6개의 주제를 다룬 논문들은 전 기간에 걸쳐 고르게 발표

되었다 다만 lsquo환경사회학 이론rsquo lsquo환경사회학 방법론rsquo lsquo환경사상rsquo lsquo환경

68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연도 춘middot추계 학술대회 주제 주제 유형

2001 창립기념동강댐 건설 문제의 사회문화적 조사연구

보고대규모 개발사업

추계 새만금 대규모 개발사업

복원rsquo 등을 다룬 논문이 최근에는 발표되지 않고 있고 반대로 lsquo에너지middot자

원rsquo에 관한 논문들은 최근에 와서 주로 발표되고 있기는 하지만 이들 주

제를 다룬 사례 수가 많지 않아 뚜렷한 경향을 발견하기는 어렵다

2) 정기학술대회의 주제

환경사회학회는 연 2회 춘middot추계 정기학술대회를 개최한다 학회 창립

이후 개최된 총 26회의 정기학술대회 중 주제가 확인되지 않은 2회를 제

외한 나머지 24회 학술대회의 주제는 lt표 4gt와 같다 정기학술대회에서

가장 자주 등장했던 주제는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5회)이었다 동강댐(2001년

창립기념세미나) 새만금간척사업(2001년 추계 2003년 추계) 4대강사업

(2010년 춘계) 등의 특정 개발 사례와 대규모개발사업 일반(2006년 춘계)

이 주제로 등장했다 두 번째로 자주 등장한 주제는 lsquo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rsquo

으로 2004년 추계 2005년 춘계 및 추계 2007년 춘계 등 4회였다 그 다

음으로 자주 등장한 주제는 lsquo환경정책rsquo(2006년 추계 2009년 추계 2012년

추계)과 lsquo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rsquo(2007년 추계 2010년 추계 2011년 춘계)로

각각 3회 나타났다 lsquo환경정책rsquo으로는 노무현 정부의 lsquo살기 좋은 지역 만

들기rsquo 정책과 이명박 정부의 환경정책 일반과 녹색성장정책이 다루어졌

다 이 밖에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rsquo(2008년 춘계 2009년 춘계) lsquo지속가능한

발전rsquo(2011년 추계 2012년 춘계) lsquo환경사상rsquo(2005년 추계 2013년 춘계)

등이 각각 2회씩 그리고 lsquo생태공동체rsquo(2002년 추계) lsquo환경불평등middot환경정

의rsquo(2004년 추계) lsquo환경정치rsquo(2006년 추계) lsquo환경농업middot식량middot식품rsquo(2008년

추계) 등이 각각 1회씩 등장했다

lt표 4gt 한국환경사회학회 정기학술대회의 주제(2001-2013년)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69

연도 춘middot추계 학술대회 주제 주제 유형

2002춘계 지역과 환경 기타

추계환경친화적 지역사회 개발과 새로운 공동체 운동

생태공동체

2003춘계 미확인 기타

추계 새만금 간척사업 대규모 개발사업

2004춘계 미확인 기타

추계 환경갈등과 환경정의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환경불평등middot환경정의

2005춘계

사회갈등과 주민참여 지역 및 환경갈등을 중심으로

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

추계 환경철학과 환경운동환경사상

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

2006춘계 대규모 개발사업과 환경정치

대규모 개발사업환경정치

추계 살기 좋은 지역 만들기의 이론과 전략 환경정책

2007춘계

대규모 개발사업을 둘러싼 환경갈등과 생태민주주의의 전망

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

추계 기후변화와 한국사회의 선택 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

2008춘계

환경재난의 지역사회 영향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를 중심으로

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

추계 먹을거리의 환경사회학 환경농업middot식량middot식품

2009춘계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의 사회적middot심리적 영향과 공동체 복원

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

추계환경사회학의 관점에서 본 lsquo저탄소 녹색성장rsquo 환경정책

2010춘계 4대강사업에 대한 환경사회학적 성찰 대규모 개발사업

추계 기후변화의 사회학 일상에서 지구촌까지 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

2011춘계

구제역을 통해서 본 지본주의시대의 환경과 생명

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

추계 환경적으로 지속가능한 동아시아를 위하여

지속가능한 발전

2012춘계 지속가능한 발전과 경상남도의 과제 지속가능한 발전

추계 이명박 정부의 환경정책 평가와 대안 환경정책

2013춘계 한국의 생태주의 사상과 역사 환경사상

추계한국 환경사회학의 보편성과 특수성 그리고 미래의 과제

환경사회학 이론

70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연도 주 제

2001 동강댐의 환경사회학(통권 1호)

2002 새만금간척사업의 환경사회학(통권 2호) 사회영향평가연구(통권 3호)

2003 청계천 복원의 사회학(통권 4호) 노무현정부의 환경정책 평가(통권 5호)

2004 부안핵폐기물처리장 문제의 환경사회학(통권 6호) 새만금간척사업의

환경사회학Ⅱ(통권 7호)

2005 한국 국가의 녹색화 연구(통권 8호) 환경정의 경험적 연구(통권 9호)

3) ECO 특집의 주제

ECO지는 매호 하나의 주제를 정하고 관련 논문을 특집으로 묶어 수록

하고 있다 ECO지의 특집 주제의 목록은 lt표 5gt 참조에 제시되어 있다

특집 주제로 가장 자주 설정된 것은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rsquo으로 그 횟수는 6

회이다 세부적으로 보면 방사성폐기물 원자력발전 등 원자력 문제(통권

6호 제10권 1호 제17권 1호)와 재난(제12권 1호 제13권 1호 제15권 1

호)이 각각 3회씩 다루어졌다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 유출사고는 두 번

이나 특집으로 다루어졌다 두 번째로 자주 다루어진 주제는 lsquo환경정책rsquo이었다 환경정책은 5회(통권 5호 통권 8호 제11권 1호 제13권 2호 제16

권 2호) 등장했는데 구체적으로는 노무현 정부의 환경정책 녹색국가 기

후변화 정책 이명박 정부의 녹색성장정책과 일반 환경정책이 다루어졌

다 세 번째로 자주 다루어진 주제는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으로 그 횟수는 4

회(통권 1호 통권 2호 통권 7호 제14권 1호)였다 동강댐 및 4대강 사업

이 1회씩 그리고 새만금간척사업이 2회 다루어졌다 이 밖에 lsquo사회적 영

향평가rsquo(통권 3호 제 10권 2호)와 lsquo환경의식middot환경행동rsquo(제14권 2호 제15

권 2호)이 각각 2회씩 다루어졌고 lsquo환경정의rsquo(통권 9호) lsquo환경복원rsquo(통권

4호) lsquo환경농업middot식량middot식품rsquo(제12권 2호) lsquo환경middot위험거버넌스rsquo(제16권 1

호) lsquo환경문제rsquo(제15권 2호) lsquo지속가능발전(제11권 2호)rsquo 등이 각각 1회씩

다루어졌다

lt표 5gt ECO 각호의 특집 주제(2001-2013년)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71

연도 주 제

2006 방사성폐기물 처분장과 민주주의(제10권 1호) 도시개발의 사회적 영향 은평뉴타운 사례(제10권 2호)

2007 기후변화정책의 국가간 비교연구(제11권 1호) 대안적 발전의 해외사례

연구(제11권 2호)

2008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 연구(제12권 1호) 지구화시대 세계

농식품체계의 환경사회학(제12권 2호)

2009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 연구Ⅱ(제13권 1호) 환경사회학적

관점에서 본 녹색성장(제13권 2호)

2010 4대강사업에 대한 환경사회학적 성찰(제14권 1호) 한국인의 환경 가치

지형(제14권 2호)

2011 환경사회학과 재난관리(제15권 1호) 환경문제와 환경의식(제15권 2호)

2012 위험 사회의 거버넌스(제16권 1호) 이명박 정부의 환경정책과

대안(제16권 2호)

2013 원자력발전과 시민사회 비교연구(제17권 1호)

4) 주요 단행본의 주제

환경사회학자들12)이 저술한 단행본13)은 비교적 다양한 주제를 다루고

있다 2000년대에 들어와서는 저술의 크게 수가 늘어나면서 1990년대에

비하여 주제의 다양성도 크게 증가하고 있다 1990년대에는 lsquo환경사회학

이론rsquo lsquo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rsquo lsquo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rsquo lsquo환경불평등middot환경정의rsquo

등 4개의 주제 영역에 국한되어 있었으나 2000년대에 들어와서는 lsquo대규

모 개발사업rsquo 등 6개 주제에 대한 저술들이 새로 출판되었다 lsquo원자력middot위

험middot재난rsquo에 관한 저술이 최근에 와서 늘어나고 있음이 주목된다

1990년대 이후의 전체 기간에서 가장 많은 단행본이 출판된 주제 영역

은 lsquo환경사회학 이론rsquo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rsquo lsquo환경운동middot

12) 사회학을 전공하지 않은 학자로서 한국환경사회학회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

는 사람은 환경사회학자에 포함시켰다 단행본 필자로는 구자건 문순홍 조명래 최병두 등이 이 경우에 속한다

13) 번역서는 여기에서 제외하였다 또한 다양한 분야의 학자들이 공동으로 저

술한 책 중에서 환경사회학자들의 기여가 크지 않은 저술도 제외하였다

72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환경갈등rsquo lsquo환경정치rsquo 등 5개이다 이들 5개 주제에 관한 저술은 총 25권

으로 전체 저술(46권)의 절반을 넘고 있다 이들 5개 주제 영역 다음으로

lsquo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rsquo(4권) lsquo지속가능한 발전rsquo(4권) lsquo환경불평등middot환경정

의rsquo(3권) 등의 주제 영역에 관한 저술이 많은 편이다

lt표 6gt 단행본의 주제(1990-2013년)

주 제 1990년대 2000-2009년 2010년 이후

환경사회학 이론문순홍(1992) 문순홍(1999) 조명래(2001) 한국환경사회학회(2013)

조명래(2013a)

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최병두(1993b)최병두(1995)

최병두(2003a)최병두(2003b)

대규모 개발사업

문순홍(2006c)박순열(2009)조명래(2006)

홍성태(2010)조명래(2013b)

사회영향평가 구자건(2008)

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 홍성태(2000)

노진철(2010)노진철 등(2010)김도균(2011)홍성태(2012)

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구도완(1996)이득연(1998)

문순홍(2001)구도완(2009) 한국환경사회학회(2013)

지속가능한 발전정대연(2004)문태훈 등(2008)

이시재 등(2010)정대연(2010)

환경불평등middot환경정의 최병두(1999a) 한상진(2006) 최병두(2010)

환경정치

문순홍(2006a)문순홍(2006b)이상헌(2003)

구도완 등(2013)서영표 등(2010)

환경사상 이상헌(2007)

교과서

노진철(2001)정대연(2002)한국환경사회학회(2005)

복합 주제 및 기타최병두(1993a)최병두(1999b)

양종회 등(2002)최병두(2002)홍성태(2006)조명래(2009)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73

2 연구 방법

ECO지의 창간호부터 2003년 6월에 발행한 제17권 1호까지에 게재된

167편의 논문(포럼 포함)에서 사용되고 있는 연구 방법을 9개의 유형으로

구분해 보면 lt표 7gt과 같다 연구 방법을 명시적으로 서술하지 않은 논문

이 적지 않고 복수의 연구 방법을 사용하는 논문이 많아 유형 구분이 쉽

지 않았으나 필자의 주관적 판단에 따라 모든 논문의 연구 방법을 9개의

범주에 배속시켰다

lt표 7gt ECO 게재 논문의 자료수집 방법

주 제논문 수

rsquo01 rsquo02 rsquo03 rsquo04 rsquo05 rsquo06 rsquo07 rsquo08 rsquo09 rsquo10 rsquo11 rsquo12 rsquo13 계

이론 연구 2 9 6 4 3 3 1 4 3 1 1 37(222)

설문조사 2 1 1 2 2 1 3 4 4 2 3 25(150)

문헌middot문서자료 3 3 1 7 4 6 1 5 2 3 3 2 40(240)

기존 자료 3 1 2 1 1 2 10(73)

면접middot심층면접 1 5 1 1 1 1 1 2 2 2 2 19(114)

내용middot담론분석 1 1 1 2 1 1 7(42)

사례 조사 1 2 2 4 1 3 2 4 1 20(120)

비교 연구 1 3 1 1 2 8(48)

시뮬레이션 1 1(06)

계 9 19 16 15 11 12 13 16 13 11 13 14 5 167(1000)

먼저 논문의 발표 시기에 따른 연구 방법의 차이는 드러나지 않는다

다만 이론 연구가 후기로 올수록 줄어드는 경향이 눈에 띌 따름이다

다음으로 연구 방법 간의 빈도 차이는 비교적 뚜렷하게 드러난다 문

헌middot문서자료(40편) 이론 연구(37편) 설문조사(25편) 사례 조사(20편) 면

접middot심층면접(19편) 등이 자주 사용되고 있는 반면에 기존 자료(10편) 비

교연구(8편) 내용middot담론분석(7편) 시뮬레이션(1편) 등은 상대적으로 적게

74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사용되고 있다 문헌middot문서자료 및 이론 연구가 1 2위를 차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환경사회학자들의 독자적인 자료 생산 노력이 활발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마지막으로 ECO 게재 논문과 「한국사회학」 게재 논문의 연구 방법을

비교해 보면 환경사회학의 연구 방법과 사회학 일반의 연구 방법 간에

상당한 차이가 있음이 발견된다 ECO 게재 논문에서는 문헌middot문서자료 이

론 연구 설문조사 등의 순서로 자주 사용된 반면에 「한국사회학」 게재

논문14)들에서는 설문조사(323) 기존 자료(228) 이론(186) 등이 각

각 1 2 3위를 차지하고 있어 중시하고 있는 연구 방법이 서로 다를 뿐만

아니라 ECO 게재 논문들에서 비교적 중시된 문헌middot문서자료(240) 사례

조사(120) 면접middot심층면접(114) 등은 「한국사회학」 게재 논문에서는

훨씬 낮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차이는 결국 환경사회

학자들이 일반 사회학자들과 비교했을 때 양적 자료를 덜 사용하고 질적

자료를 더 많이 사용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Ⅳ 한국 환경사회학의 특징

한국 환경사회학의 특징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환경사회학자 및 그들의

연구 활동의 다양한 측면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여기에서는 연구 주제

연구 방법 이론적 지향 학제적 연구 사회적 실천 등의 다섯 가지 측면에

서 한국 환경사회학의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14) 1964년부터 2006년까지 「한국사회학」에 게재된 논문의 연구 방법을 분석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형 이론설문

조사집계자료 문서자료 기존자료 인터뷰

기타 질적

자료전체

빈도 123 214 67 62 151 31 14 662 186 323 101 94 228 47 21 1000

출처 한국사회학회 2007 120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75

1 환경문제의 사회학

흔히 일본 환경사회학자들은 미국의 환경사회학을 lsquo환경에 대한 사회

학rsquo(sociology of the environment)이라고 특징지으면서 자신들의 환경사회

학을 lsquo환경문제의 사회학rsquo(sociology of environmental problems)이라고 말

한다 이것은 일본의 환경사회학은 구체적인 환경문제가 지역사회 주민

및 피해자의 생활과 지역사회에 미친 영향에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음

을 지적하는 말이다 이러한 일본 환경사회학의 특징은 한국 환경사회학

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이시재는 최근 발표한 ldquo한국 환경사회학의 회고와

전망rdquo에서 lsquo한국에서 환경사회학은 환경문제의 사회학으로 출발했다rsquo고

말하고 한국 환경사회학의 특징 중의 하나로 문제해결을 위한 연구를 들

고 있다(이시재 2013 34-35)

앞에서 우리는 한국 환경사회학의 연구 주제가 논문 특집 학술대회

단행본 등에 있어서 어떻게 나타나는가를 살펴보았다 다양한 연구 활동

중에서 환경사회학자들의 연구 주제 선택의 경향을 잘 보여주는 것은 사

례 수가 가장 많은 논문 발표일 것이다 ECO지 게재 논문을 기준으로 할

때 환경사회학자들은 기후변화를 포함한 환경문제보다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

난rsquo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 lsquo환경의식middot환경행동rsquo을 더 중요하게 다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lt표 3gt 참조) 그러나 가장 빈도가 높은 lsquo원자력middot위

험middot재난rsquo과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은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과 밀접하게 연관

되어 있다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rsquo은 독립적인 주제 영역으로 설정되기는 했

지만 결국 특수한 유형의 환경문제라고 할 수 있고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에

대한 관심은 개발 사업으로 인한 환경문제에 대한 우려에서 비롯되기 때

문이다 따라서 겉으로 드러난 주제 영역보다 주제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의식에 주목한다면 한국의 환경사회학은 lsquo환경문제의 사회학rsquo의 성

격을 강하게 지니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76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2 질적 자료의 활용

환경사회학이 미국에서 처음 형성되던 시기에 농촌사회학의 영향을 강

하게 받았다 농촌사회학의 영향 가운데 대표적인 것으로 경험적 조사 자

료를 중시하는 경향이다 이러한 환경사회학의 전통은 한국의 환경사회학

에서도 이어지고 있다 lt표 7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환경사회학 연구에서

이론 연구의 비중이 222로서 결코 낮다고 할 수는 없지만 다양한 유형

의 경험적 자료를 활용하는 연구의 비중이 이론 연구에 비해 훨씬 크다

경험적 연구 방법 중에서 환경사회학자들이 일반 사회학자들에 비하여

중시하는 자료는 사례 조사 면접 조사 등을 통해 얻는 질적 자료이다 일

반 사회학자들에 비하여 설문 조사 기존 자료 활용 집계 자료 등의 양적

자료의 활용은 떨어지는 데 반하여 사례조사나 면접을 통해 얻는 질적

자료는 더 많이 활용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연구 방법과 관련된 한국

환경사회학의 특징은 상대적으로 질적 자료를 많이 활동하고 있다는 데

있다

질적 자료의 활용이 활발한 것은 기본적으로 한국 환경사회학자들이

연구하는 대상의 특성 때문이다 동강댐 건설사업 새만금간척사업 4대강

사업 등의 대규모 개발사업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 사고 및 각종

개발사업과 관련된 지역 환경운동 및 환경갈등이 하나의 사례로 다루어

지고 또 이러한 사례 연구에서 심층면접이 자료 수집 방법으로 활용되는

경향이 있다

3 자유주의적 환경개혁론

환경사회학에는 생태학적 설명(ecological explanation) 대 정치경제학적

설명(political economy explanation) 성찰적 근대화론(reflexive modernization)

대 생태학적 근대화론(ecological modernization) 실재론(realism) 대 구성

주의(constructionism) 등의 주요 이론적 쟁점이 있지만(Hannigan 2006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77

16-52) 한국 환경사회학에서는 이러한 쟁점을 둘러싼 논쟁을 찾아보기

어렵다 또한 독자적인 이론을 구성하기 위한 노력도 찾아보기 어렵다 윤

순진이 지적한 바 있듯이 ldquo많은 연구들은 다른 학문분과에서 구축한 이

론을 환경 관련 쟁점과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동원하는 양상을rdquo 띠거나

(윤순진 2013 85) 해외 환경사회학계에서 확립된 이론을 연구의 자원으

로 활용하는 데 머무르고 있다

그러나 다른 학문분과나 해외 환경사회학에서 확립된 이론을 수용하여

자원으로 활용하는 경우에도 이론의 선택에는 연구자 자신의 이론적 지

향이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대부분의 연구에는 명시적이든 묵시적

이든 연구자 자신의 이론적 지향이 깔려 있다 그렇다면 한국 환경사회

학에서는 어떤 이론적 지향이 우세하고 그 변화의 방향은 어느 쪽인가

말할 필요도 없이 한국의 환경사회학에는 다양한 이론적 지향 즉 험프리

와 버텔이 말하는 보수적 자유주의적 및 급진적 패러다임(Humphrey and

Buttel 1982 19-21)이 공존하고 있다 보수적 패러다임은 환경의식 및 환

경행동 연구에서 가끔 나타나고 있지만 그 영향력은 미미하다 급진적 패

러다임은 원자력발전 위험 환경정의 대규모 개발사업(국책사업) 대안

적 공동체 생태민주주의 등에 관한 연구에서 중요한 관점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보수적 패러다임에 비해서는 그 영향력이 훨씬 크다 이 두 패러

다임에 비해 훨씬 큰 세력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 바로 국가 개혁과 정책

의 전환을 통해 환경 위기 극복의 길을 모색하는 자유주의적 환경개혁론

이다 자유주의적 환경개혁론은 녹색국가 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 환경정책

환경정치 환경middot위험거버넌스 지속가능한 발전 대규모 개발사업 등의 연

구에서 주로 나타나고 있다

4 다양한 전공의 관점 교류

ECO지 기고를 통해 환경사회학 연구에 참여하고 있는 연구자의 전공

은 매우 다양하다 아마도 사회학 내의 다른 어떤 세부분야에 비해서도

78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다양할 것이다 윤순진의 ECO지 게재 글15)의 저자 분석에 따르면 총 24

개 분야의 학문적 배경을 가진 연구자들이 참여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보

면 사회학 인류학 행정학 경제학 정치학 사회복지학 심리학 지리학

지리교육학 도시 및 지역 관련학과 환경middot에너지정책학과 정치생태학 등

의 사회과학 전공자 철학 한국학 등 인문학 전공자 생태학middot생태곤충학

생물학 지질학 환경보건학 과학기술사학 과학관리학 생명공학 등의 자

연과학 전공자 토목공학 등 공학 전공자 등이 ECO에 글을 싣고 있다 물

론 전공별로 참여 저자의 수는 크게 다르다 사회학 전공자가 37명으로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도시 및 지역 관련 분야 전공자(18명) 인류학 전

공자(8명) 행정학 전공자(6명) 등의 순서로 많다(윤순진 2013 80-81)

ECO지 게재 논문 중 공저 논문의 경우 전공이 서로 다른 연구자가 공

동 저자로 참여한 경우는 많지 않으며 ldquo거의 대부분이 동일학과 소속 교

수와 학생 간의 공저이거나 동일 전공 동료 및 선후배 간 공저로 나타났

다(윤순진 2013 83)rdquo 이런 점에서 볼 때 환경사회학 연구가 실질적인 학

제적 연구의 형태가 띠는 것은 아니라고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적어도 학

회 활동과 학회지를 통해서 다양한 전공 간의 관점 공유와 교류는 활발하

게 이루어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5 연구자와 운동가의 소통

한국 환경사회학의 두드러진 특징 중의 하나는 환경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연구자들이 많다는 점이다 환경사회학자 중에는 연구자이면서

환경단체 전국 조직의 대표(이시재 이상헌 윤순진 이필렬 조명래) 지

역 환경단체의 대표(박재묵 노진철 최병두) 환경단체의 임원(구도완) 등

을 현재 맡고 있거나 과거에 역임한 사람들이 많다 위에서 거론된 연구

자보다 훨씬 더 많은 환경사회학자들이 지역 환경단체 등에 임원으로 참

15) 논문 이외의 서평 등의 글도 포함하고 있다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79

여하고 있다 이와는 반대로 환경단체의 상근 운동가로서 환경사회학회

회원으로 참여하고 논문을 발표하는 경우(이승민 안병옥 최예용 김정

수)도 있다

환경사회학자 연구자의 환경운동 참여와 운동가의 연구 참여가 활발하

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은 환경사회학의 특성과 연관되어 있는 현상이다

환경사회학은 기본적으로 환경문제의 근원 환경문제의 영향 및 환경문제

의 해결16)에 관심을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한국의 환경사회학은 특히

lsquo환경문제의 사회학rsquo의 성격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Ⅴ 환경사회학의 전망과 과제

지난 20년 동안 한국 환경사회학은 제도화의 과정을 거쳐 왔다 이 기

간 동안에 환경사회학은 많은 학과에서 정규 교과목으로 받아들여졌고

독립된 연구 영역으로 인정받게 되었다 또한 이 분야 연구자들이 독자적

인 학회를 조직하고 학회가 학술지를 발간함에 따라 연구 활동의 기반이

갖추어졌다 이로써 한국 환경사회학의 제도화가 대체로 완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지난 20년의 기간은 환경사회학의 기반 구축기인 동시에 성장기였다

성장의 속도는 느렸지만 연구자의 수도 증가해 왔고 이에 따라 학문적

성과도 축적되어 왔다 특히 환경사회학자들이 관심을 집중시켰던 원자

력middot위험middot재난 대규모 개발사업 환경운동 등의 영역에서는 의미 있는 성

과가 있었다 최근에 와서 환경사회학은 안정기에 들어가고 있다 ldquo젊은

층의 충원이 지지부진rdquo하고 대학원에서 환경사회학을 전공하려고 하는

학생도 줄어들고 있다(이시재 2013 37) 사회학계 전반에 걸친 침체 분위

16) Riley E Dunlap과 Brent K Marshall은 환경사회학의 최근 연구 초점으로

환경문제의 근원 환경문제의 영향 환경문제의 해결 방안 등 세 가지를 들

었다(Dunlap and Marshall 2007 335-339)

80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기가 일정 부분 환경사회학에도 미치고 있다 미국에서 환경사회학이

1980년대 초에 겪었던 퇴조 분위기가 한국에서도 나타나고 있는 것 같다

그러나 이러한 환경사회학의 침체 분위기가 장기적으로 지속되지는 않

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렇게 전망하는 근거는 두 가지이다 그 하나는 환

경사회학의 태동을 가져왔던 환경문제가 상존하기 때문이다 또한 기후변

화와 같은 환경문제는 향후에도 장기간 지속될 것이 분명하고 유독성 화

학물질과 같은 새로운 환경문제도 부상하고 있다 한 마디로 환경문제가

근본적으로 해결되지 않는 한 환경사회학은 존속하게 될 것이다 둘째로

현재의 침체 분위기는 일정기간의 성장 뒤에 오는 바닥 다지기의 의미가

크다 따라서 장기적으로 보면 환경사회학은 향후에도 안정적 성장을 지

속할 가능성이 크다

어떤 점에서 환경사회학의 미래는 일정 부분 환경사회학자들이 그들에

게 주어진 사명을 어떻게 수행하느냐에 달려 있기도 하다 2005년 필자가

환경사회학회가 펴낸 「우리 눈으로 보는 환경사회학」의 제1장을 쓰면서

환경사회학자의 사명으로 사회의 녹색화와 사회학의 녹색화를 설정한 바

있다 전자는 인간면제주의 패러다임의 지배를 받고 있는 주류 사회학에

인간 생존의 물리적middot생물적 기반을 고려하는 관점을 제공하는 것이고 후

자는 환경오염과 파괴의 원인 그 영향 및 해결 방안을 사회학적으로 설

명하고 제시하는 것이다 특히 후자의 사명을 환경사회학자들이 얼마나

그리고 어떻게 성취하느냐가 환경사회학의 미래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

다 학제적 연구의 정착과 현장 중심의 연구 강화는 환경사회학이 후자의

사명을 수행하기 위해 해결해야 할 당면 과제이다

2014년 6월 16일 접수

2014년 6월 27일 수정 완료

2014년 6월 29일 게재 확정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81

참고문헌

구도완 1995 ldquo한국의 새로운 환경운동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29(2) 347-371

1996 985172한국 환경운동의 사회학985173 문학과지성사

2009 985172마을에서 세상을 바꾸는 사람들 생태적 대안운동을 찾아

서985173 창비사

구도완 등 2013 985172녹색당과 녹색정치985173 아르케

구자건 2008 985172환경갈등과 사회영향평가 방법985173 연세대출판부

김도균 2011 985172환경재난과 지역사회의 변화 허베이스피리트호 기름유출

사고의 사회재난985173 한울아카데미

김두식 1995 ldquo환경문제와 환경보호에 대한 시민들의 태도 조사연구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29(1) 33-67

노진철 2001 985172환경과 사회985173 한울

2010 985172불확실성 시대의 위험사회학985173 한울아카데미

노진철 등 2010 985172태안은 살아 있다 기름 유출 사고 이후 3년 다시 쓰

는 태안 리포트985173 동녘

문순홍 1992 985172생태위기와 녹색의 대안985173 나라사랑

1999 985172생태학의 담론985173 아르케

2001 985172한국의 여성환경운동985173 아르케

2006a 985172정치생태학과 녹색국가985173 아르케

2006b 985172녹색국가의 탐색985173 아르케

2006c 985172개발국가의 녹색성찰985173 아르케

문태훈 등 2008 985172지속가능한 사회 이야기985173 법문사

박순열 2009 985172불만의 새만금985173 한국학술정보

박재묵 1991 ldquo환경문제에 대한 사회학적 이해rdquo pp 71-83 한국사회학회

(편) 985172현대 한국 사회문제의 진단과 처방985173(특별심포지움 논문집)

서영표영국적록연구그룹 2010 985172사회주의 녹색을 만나다985173 한울아카데미

양종회 1993 ldquo우리나라 국민들의 환경문제에 대한 의식의 변화 및 사회

82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적 기반rdquo 985172한국사회학회985173 26(4) 89-120

양종회 등 2002 985172아시아 태평양지역의 환경문제 환경운동 및 환경정책985173 서울대출판부

윤순진 2013 ldquo《ECO》분석을 통해 본 한국 환경사회학 연구의 흐름rdquo

pp 67-98 한국환경사회학회(편) 985172환경사회학 이론과 환경문제985173 한울아카데미

이득연 1998 985172환경운동의 사회학985173 민영사

이상헌 2003 985172물 세상을 움직이는 물의 정치와 정치 생태학985173 이매진

2011 985172생태주의985173 책세상

이시재 1994 ldquo환경사회학rdquo 한국사회학회(편) 98517221세기의 한국 사회학985173 문학과지성사

2013 ldquo한국 환경사회학의 회고와 전망rdquo pp 67-98 한국환경사회

학회(편) 985172환경사회학 이론과 환경문제985173 한울아카데미

이시재 등 2010 985172생태사회적 발전의 현장과 이론985173 아르케

정대연 2002 985172환경사회학985173 아카넷

2004 985172환경주의와 지속가능한 발전985173 집문당

2010 985172한국 지속가능발전의 구조와 변동985173 집문당

조명래 2001 985172녹색사회의 탐색985173 한울

2006 985172개발정치와 녹색진보985173 환경과 생명

2009 985172지구화 되돌아보기와 넘어서기 공간환경의 모순과 극복985173 환경과 생명

2013a 985172공간으로 사회읽기 개념 쟁점과 대안985173 한울아카데미

2013b 985172녹색토건주의와 환경위기985173 한울아카데미

조명래 등 2005 985172신개발주의를 멈춰라985173 환경과 생명

최병두 1993a 985172한국의 공간과 환경985173 한길사

1993b 985172현대 환경문제의 재인식985173 한울

1995 985172환경사회이론과 국제환경문제985173 한울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83

1999a 985172환경갈등과 불평등985173 한울

1999b 985172녹색사회를 위한 비평985173 한울

2002 985172녹색전망985173 도요새

2003a 985172도시속의 환경 열두 달(봄 여름)985173 한울

2003b 985172도시속의 환경 열두 달(가을 겨울)985173 한울

2010 985172비판적 생태학과 환경정의985173 한울아카데미

한국사회학회 2007 985172한국사회학회 50년사 1957-2007985173 한학문학

한국환경사회학회 2005 985172우리 눈으로 보는 환경사회학985173 창비사

2013a 985172환경사회학이론과 환경문제985173 한울

2013b 985172환경운동과 생활세계985173 한울

한상진 2006 985172환경정의의 사회학985173 UUP

험프리버틀(Craig Humphrey and Frederick R Buttel) 1995 985172환경사회학985173 양종회이시재 역 사회비평사

홍성태 2000 985172대한민국 위험사회985173 당대

2006 985172한국의 근대화와 물985173 한울아카데미

2010 985172생명의 강을 위하여 생태사회학자 홍성태 교수의 4대강

지키기 제안985173 중원문화

2012 985172개발과 파괴의 사회학 위험 사회를 넘어서985173 중원문화

Buttel Frederick H and Craig R Humphrey 2002 Sociological Theory

and the Natural Environment pp 33ndash69 in Riley E Dunlap and

William Michelson(eds) Handbook of Environmental Sociology

Westport CT Greenwood Press

Catton William R Jr and Riley Dunlap 1978 Environmental Sociology

A New Paradigm The American Sociologist 13 41-49

Dunlap Riley E and Brent K Marshall 2007 Environmental Sociology

pp 329-340 in Clifton D Bryant and Dennis L Peck(eds) 21st

Century Sociology A Reference Handbook Thousand Oaks CA

84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Sage Publications

Hannigan John 2006 Environmental Sociology(second edition)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Harper Charles 2004 Environment and Society Human Perspectives on

Environmental Issues Upper Saddle River New Jersey Pearson

Education Inc

Humphrey Craig R and Frederick H Buttel 1982 Environment Energy

and Society Belmont California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International Sociological Association(RC24) Korean Sociological

Association and Korean Association for Environmental Sociology

2004 Globalization Localization and Environment (Proceedings for

2004 ISA RC24 Conference in Seoul)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85

The Research Trend and Prospect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Park Jae-mookProf Dept of Sociology Chungnam Univ

Abstract

The aims of this paper are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and to anticipate its future developments As a groundwork for these works we briefly examined the institutionalization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Here we considered the organizing process of environmental sociologists association and the incorporation of the course of environmental sociology into the regular curricula Nextly we examined research trends of environmental sociology and tried to draw common characteristics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The most frequently dealt subjects in ECO a representative journal in this field have been nuclear power risk and disaster large-scale development projects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nd behaviour environmental problems and climate changes And distinguished characteristics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have been found to be focus on environmental problems dependence on qualitative methodology emphasis on environmental reforms of liberal tradition exchange of perspectives among researchers from various fields communications between researchers and activists Lastly it was suggested that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ist should develop interdisciplinary research and field research

Key Words Environmental Sociology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Institutionalization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Korean Association for Environmental Sociology ECO

Page 12: 환경과 사회 연구의 동향과 전망isrku.org/adm/data/1351080157_fEMV3OxI_02-EBB095EC9... · 2014-07-06 ·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 pp.55-85 ‘환경과 사회’

66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주 제논문 수

rsquo01 rsquo02 rsquo03 rsquo04 rsquo05 rsquo06 rsquo07 rsquo08 rsquo09 rsquo10 rsquo11 rsquo12 rsquo13 계

환경사회학 이론 2 1 1 1 1 6

환경사회학 방법론 1 1

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 2 1 2 2 1 1 1 1 1 12

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 2 7 6 2 4 21

에너지middot자원 1 1 2 4

환경사상 1 1

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 1 1 2 2 2 1 3 12

있다 동강댐 새만금간척사업 4대강사업 등 정부가 추진했던 대규모 개

발사업에 환경사회학자들이 큰 관심을 기울인 결과이다 이밖에 환경사회

학자들이 많은 관심을 보인 주제로는 lsquo환경의식middot환경행동rsquo(14편) lsquo환경문

제middot기후변화rsquo(12편) lsquo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rsquo(12편) lsquo환경정치rsquo(12편) 등이었

다 이 6개의 주제를 다룬 논문은 총 90편으로서 전체 167편의 539를

차지하고 있다

위의 6개 주제 다음으로 환경사회학자들이 관심을 보인 주제로는 lsquo환경

정책rsquo(8편) lsquo사회영향평가rsquo(8편) lsquo환경middot위험거버넌스rsquo(8편) lsquo환경불평등middot

환경정의rsquo(7편) lsquo환경농업middot식량middot식품rsquo(7편) lsquo환경사회학이론rsquo(6편) lsquo지속

가능한 발전rsquo(5편) lsquo환경복원rsquo(5편) 등이다 lsquo환경농업middot식량middot식품rsquo을 다룬

상당수의 논문들이 「농촌사회」에 수록됨으로써 이 분석에서 제외되고 있

음을 감안할 필요가 있다

lsquo에너지middot자원rsquo(4편) lsquo생태공동체rsquo(2편) lsquo환경사회학방법론rsquo(1편) lsquo환경

사상rsquo(1편) 등의 주제를 다룬 논문은 매우 적었다 lsquo인구rsquo는 당초 주제 분

류 시 별도의 주제로 설정하였으나 관련 논문이 전혀 발견되지 않아 주

제 목록에서 제외했다 이것은 환경사회학적 관점에서 인구를 다루는 연

구자가 없음을 의미한다

lt표 3gt ECO 게재 논문의 주제(2001-2013년)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67

주 제논문 수

rsquo01 rsquo02 rsquo03 rsquo04 rsquo05 rsquo06 rsquo07 rsquo08 rsquo09 rsquo10 rsquo11 rsquo12 rsquo13 계

환경의식middot환경행동 1 2 1 1 2 3 2 2 14

환경정책 1 1 1 4 1 8

대규모 개발사업 3 4 4 1 1 1 1 2 2 19

사회영향평가 4 1 1 1 1 8

지속가능발전 1 3 1 5

환경정치 1 2 1 1 1 1 1 3 1 12

환경middot위험거버넌스 2 1 1 1 2 1 8

환경불평등middot환경정의 1 1 2 2 1 7

환경복원 4 1 5

환경농업middot식량middot식품 1 1 4 1 7

생태공동체 1 1 2

기타 2 2 1 2 3 2 1 1 1 15

계 9 19 16 15 11 12 13 16 13 11 13 14 5 167

위의 주제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1990년대

이래 한국 환경사회학 분야의 논문 주제는 점차 다양해져 왔다 1990년대

에는 lsquo환경의식middot환경행동rsquo lsquo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rsquo 등 몇 가지 주제에 관한

소수의 논문이 발표되었으나 2000년대에 들어와서는 편수의 증가와 함께

주제가 매우 다양해졌다 현재는 환경사회학의 주요 주제들의 대부분이

다루어지고 있다 둘째 특정의 1-2개 주제에 대한 쏠림 현상이 두드러지

지는 않지만 주제별로 논문의 편수는 큰 차이를 보인다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

난rsquo과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은 연구자의 관심을 가장 많이 끈 주제인 반면에

lsquo환경사상rsquo lsquo생태공동체rsquo lsquo에너지middot자원rsquo 등에 대한 관심은 매우 낮다 셋

째 특정 연구 주제의 상승이나 하락이 뚜렷이 나타나지는 않는다 비교적

많은 관심을 끈 6개의 주제를 다룬 논문들은 전 기간에 걸쳐 고르게 발표

되었다 다만 lsquo환경사회학 이론rsquo lsquo환경사회학 방법론rsquo lsquo환경사상rsquo lsquo환경

68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연도 춘middot추계 학술대회 주제 주제 유형

2001 창립기념동강댐 건설 문제의 사회문화적 조사연구

보고대규모 개발사업

추계 새만금 대규모 개발사업

복원rsquo 등을 다룬 논문이 최근에는 발표되지 않고 있고 반대로 lsquo에너지middot자

원rsquo에 관한 논문들은 최근에 와서 주로 발표되고 있기는 하지만 이들 주

제를 다룬 사례 수가 많지 않아 뚜렷한 경향을 발견하기는 어렵다

2) 정기학술대회의 주제

환경사회학회는 연 2회 춘middot추계 정기학술대회를 개최한다 학회 창립

이후 개최된 총 26회의 정기학술대회 중 주제가 확인되지 않은 2회를 제

외한 나머지 24회 학술대회의 주제는 lt표 4gt와 같다 정기학술대회에서

가장 자주 등장했던 주제는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5회)이었다 동강댐(2001년

창립기념세미나) 새만금간척사업(2001년 추계 2003년 추계) 4대강사업

(2010년 춘계) 등의 특정 개발 사례와 대규모개발사업 일반(2006년 춘계)

이 주제로 등장했다 두 번째로 자주 등장한 주제는 lsquo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rsquo

으로 2004년 추계 2005년 춘계 및 추계 2007년 춘계 등 4회였다 그 다

음으로 자주 등장한 주제는 lsquo환경정책rsquo(2006년 추계 2009년 추계 2012년

추계)과 lsquo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rsquo(2007년 추계 2010년 추계 2011년 춘계)로

각각 3회 나타났다 lsquo환경정책rsquo으로는 노무현 정부의 lsquo살기 좋은 지역 만

들기rsquo 정책과 이명박 정부의 환경정책 일반과 녹색성장정책이 다루어졌

다 이 밖에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rsquo(2008년 춘계 2009년 춘계) lsquo지속가능한

발전rsquo(2011년 추계 2012년 춘계) lsquo환경사상rsquo(2005년 추계 2013년 춘계)

등이 각각 2회씩 그리고 lsquo생태공동체rsquo(2002년 추계) lsquo환경불평등middot환경정

의rsquo(2004년 추계) lsquo환경정치rsquo(2006년 추계) lsquo환경농업middot식량middot식품rsquo(2008년

추계) 등이 각각 1회씩 등장했다

lt표 4gt 한국환경사회학회 정기학술대회의 주제(2001-2013년)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69

연도 춘middot추계 학술대회 주제 주제 유형

2002춘계 지역과 환경 기타

추계환경친화적 지역사회 개발과 새로운 공동체 운동

생태공동체

2003춘계 미확인 기타

추계 새만금 간척사업 대규모 개발사업

2004춘계 미확인 기타

추계 환경갈등과 환경정의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환경불평등middot환경정의

2005춘계

사회갈등과 주민참여 지역 및 환경갈등을 중심으로

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

추계 환경철학과 환경운동환경사상

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

2006춘계 대규모 개발사업과 환경정치

대규모 개발사업환경정치

추계 살기 좋은 지역 만들기의 이론과 전략 환경정책

2007춘계

대규모 개발사업을 둘러싼 환경갈등과 생태민주주의의 전망

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

추계 기후변화와 한국사회의 선택 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

2008춘계

환경재난의 지역사회 영향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를 중심으로

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

추계 먹을거리의 환경사회학 환경농업middot식량middot식품

2009춘계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의 사회적middot심리적 영향과 공동체 복원

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

추계환경사회학의 관점에서 본 lsquo저탄소 녹색성장rsquo 환경정책

2010춘계 4대강사업에 대한 환경사회학적 성찰 대규모 개발사업

추계 기후변화의 사회학 일상에서 지구촌까지 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

2011춘계

구제역을 통해서 본 지본주의시대의 환경과 생명

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

추계 환경적으로 지속가능한 동아시아를 위하여

지속가능한 발전

2012춘계 지속가능한 발전과 경상남도의 과제 지속가능한 발전

추계 이명박 정부의 환경정책 평가와 대안 환경정책

2013춘계 한국의 생태주의 사상과 역사 환경사상

추계한국 환경사회학의 보편성과 특수성 그리고 미래의 과제

환경사회학 이론

70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연도 주 제

2001 동강댐의 환경사회학(통권 1호)

2002 새만금간척사업의 환경사회학(통권 2호) 사회영향평가연구(통권 3호)

2003 청계천 복원의 사회학(통권 4호) 노무현정부의 환경정책 평가(통권 5호)

2004 부안핵폐기물처리장 문제의 환경사회학(통권 6호) 새만금간척사업의

환경사회학Ⅱ(통권 7호)

2005 한국 국가의 녹색화 연구(통권 8호) 환경정의 경험적 연구(통권 9호)

3) ECO 특집의 주제

ECO지는 매호 하나의 주제를 정하고 관련 논문을 특집으로 묶어 수록

하고 있다 ECO지의 특집 주제의 목록은 lt표 5gt 참조에 제시되어 있다

특집 주제로 가장 자주 설정된 것은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rsquo으로 그 횟수는 6

회이다 세부적으로 보면 방사성폐기물 원자력발전 등 원자력 문제(통권

6호 제10권 1호 제17권 1호)와 재난(제12권 1호 제13권 1호 제15권 1

호)이 각각 3회씩 다루어졌다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 유출사고는 두 번

이나 특집으로 다루어졌다 두 번째로 자주 다루어진 주제는 lsquo환경정책rsquo이었다 환경정책은 5회(통권 5호 통권 8호 제11권 1호 제13권 2호 제16

권 2호) 등장했는데 구체적으로는 노무현 정부의 환경정책 녹색국가 기

후변화 정책 이명박 정부의 녹색성장정책과 일반 환경정책이 다루어졌

다 세 번째로 자주 다루어진 주제는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으로 그 횟수는 4

회(통권 1호 통권 2호 통권 7호 제14권 1호)였다 동강댐 및 4대강 사업

이 1회씩 그리고 새만금간척사업이 2회 다루어졌다 이 밖에 lsquo사회적 영

향평가rsquo(통권 3호 제 10권 2호)와 lsquo환경의식middot환경행동rsquo(제14권 2호 제15

권 2호)이 각각 2회씩 다루어졌고 lsquo환경정의rsquo(통권 9호) lsquo환경복원rsquo(통권

4호) lsquo환경농업middot식량middot식품rsquo(제12권 2호) lsquo환경middot위험거버넌스rsquo(제16권 1

호) lsquo환경문제rsquo(제15권 2호) lsquo지속가능발전(제11권 2호)rsquo 등이 각각 1회씩

다루어졌다

lt표 5gt ECO 각호의 특집 주제(2001-2013년)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71

연도 주 제

2006 방사성폐기물 처분장과 민주주의(제10권 1호) 도시개발의 사회적 영향 은평뉴타운 사례(제10권 2호)

2007 기후변화정책의 국가간 비교연구(제11권 1호) 대안적 발전의 해외사례

연구(제11권 2호)

2008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 연구(제12권 1호) 지구화시대 세계

농식품체계의 환경사회학(제12권 2호)

2009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 연구Ⅱ(제13권 1호) 환경사회학적

관점에서 본 녹색성장(제13권 2호)

2010 4대강사업에 대한 환경사회학적 성찰(제14권 1호) 한국인의 환경 가치

지형(제14권 2호)

2011 환경사회학과 재난관리(제15권 1호) 환경문제와 환경의식(제15권 2호)

2012 위험 사회의 거버넌스(제16권 1호) 이명박 정부의 환경정책과

대안(제16권 2호)

2013 원자력발전과 시민사회 비교연구(제17권 1호)

4) 주요 단행본의 주제

환경사회학자들12)이 저술한 단행본13)은 비교적 다양한 주제를 다루고

있다 2000년대에 들어와서는 저술의 크게 수가 늘어나면서 1990년대에

비하여 주제의 다양성도 크게 증가하고 있다 1990년대에는 lsquo환경사회학

이론rsquo lsquo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rsquo lsquo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rsquo lsquo환경불평등middot환경정의rsquo

등 4개의 주제 영역에 국한되어 있었으나 2000년대에 들어와서는 lsquo대규

모 개발사업rsquo 등 6개 주제에 대한 저술들이 새로 출판되었다 lsquo원자력middot위

험middot재난rsquo에 관한 저술이 최근에 와서 늘어나고 있음이 주목된다

1990년대 이후의 전체 기간에서 가장 많은 단행본이 출판된 주제 영역

은 lsquo환경사회학 이론rsquo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rsquo lsquo환경운동middot

12) 사회학을 전공하지 않은 학자로서 한국환경사회학회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

는 사람은 환경사회학자에 포함시켰다 단행본 필자로는 구자건 문순홍 조명래 최병두 등이 이 경우에 속한다

13) 번역서는 여기에서 제외하였다 또한 다양한 분야의 학자들이 공동으로 저

술한 책 중에서 환경사회학자들의 기여가 크지 않은 저술도 제외하였다

72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환경갈등rsquo lsquo환경정치rsquo 등 5개이다 이들 5개 주제에 관한 저술은 총 25권

으로 전체 저술(46권)의 절반을 넘고 있다 이들 5개 주제 영역 다음으로

lsquo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rsquo(4권) lsquo지속가능한 발전rsquo(4권) lsquo환경불평등middot환경정

의rsquo(3권) 등의 주제 영역에 관한 저술이 많은 편이다

lt표 6gt 단행본의 주제(1990-2013년)

주 제 1990년대 2000-2009년 2010년 이후

환경사회학 이론문순홍(1992) 문순홍(1999) 조명래(2001) 한국환경사회학회(2013)

조명래(2013a)

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최병두(1993b)최병두(1995)

최병두(2003a)최병두(2003b)

대규모 개발사업

문순홍(2006c)박순열(2009)조명래(2006)

홍성태(2010)조명래(2013b)

사회영향평가 구자건(2008)

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 홍성태(2000)

노진철(2010)노진철 등(2010)김도균(2011)홍성태(2012)

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구도완(1996)이득연(1998)

문순홍(2001)구도완(2009) 한국환경사회학회(2013)

지속가능한 발전정대연(2004)문태훈 등(2008)

이시재 등(2010)정대연(2010)

환경불평등middot환경정의 최병두(1999a) 한상진(2006) 최병두(2010)

환경정치

문순홍(2006a)문순홍(2006b)이상헌(2003)

구도완 등(2013)서영표 등(2010)

환경사상 이상헌(2007)

교과서

노진철(2001)정대연(2002)한국환경사회학회(2005)

복합 주제 및 기타최병두(1993a)최병두(1999b)

양종회 등(2002)최병두(2002)홍성태(2006)조명래(2009)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73

2 연구 방법

ECO지의 창간호부터 2003년 6월에 발행한 제17권 1호까지에 게재된

167편의 논문(포럼 포함)에서 사용되고 있는 연구 방법을 9개의 유형으로

구분해 보면 lt표 7gt과 같다 연구 방법을 명시적으로 서술하지 않은 논문

이 적지 않고 복수의 연구 방법을 사용하는 논문이 많아 유형 구분이 쉽

지 않았으나 필자의 주관적 판단에 따라 모든 논문의 연구 방법을 9개의

범주에 배속시켰다

lt표 7gt ECO 게재 논문의 자료수집 방법

주 제논문 수

rsquo01 rsquo02 rsquo03 rsquo04 rsquo05 rsquo06 rsquo07 rsquo08 rsquo09 rsquo10 rsquo11 rsquo12 rsquo13 계

이론 연구 2 9 6 4 3 3 1 4 3 1 1 37(222)

설문조사 2 1 1 2 2 1 3 4 4 2 3 25(150)

문헌middot문서자료 3 3 1 7 4 6 1 5 2 3 3 2 40(240)

기존 자료 3 1 2 1 1 2 10(73)

면접middot심층면접 1 5 1 1 1 1 1 2 2 2 2 19(114)

내용middot담론분석 1 1 1 2 1 1 7(42)

사례 조사 1 2 2 4 1 3 2 4 1 20(120)

비교 연구 1 3 1 1 2 8(48)

시뮬레이션 1 1(06)

계 9 19 16 15 11 12 13 16 13 11 13 14 5 167(1000)

먼저 논문의 발표 시기에 따른 연구 방법의 차이는 드러나지 않는다

다만 이론 연구가 후기로 올수록 줄어드는 경향이 눈에 띌 따름이다

다음으로 연구 방법 간의 빈도 차이는 비교적 뚜렷하게 드러난다 문

헌middot문서자료(40편) 이론 연구(37편) 설문조사(25편) 사례 조사(20편) 면

접middot심층면접(19편) 등이 자주 사용되고 있는 반면에 기존 자료(10편) 비

교연구(8편) 내용middot담론분석(7편) 시뮬레이션(1편) 등은 상대적으로 적게

74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사용되고 있다 문헌middot문서자료 및 이론 연구가 1 2위를 차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환경사회학자들의 독자적인 자료 생산 노력이 활발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마지막으로 ECO 게재 논문과 「한국사회학」 게재 논문의 연구 방법을

비교해 보면 환경사회학의 연구 방법과 사회학 일반의 연구 방법 간에

상당한 차이가 있음이 발견된다 ECO 게재 논문에서는 문헌middot문서자료 이

론 연구 설문조사 등의 순서로 자주 사용된 반면에 「한국사회학」 게재

논문14)들에서는 설문조사(323) 기존 자료(228) 이론(186) 등이 각

각 1 2 3위를 차지하고 있어 중시하고 있는 연구 방법이 서로 다를 뿐만

아니라 ECO 게재 논문들에서 비교적 중시된 문헌middot문서자료(240) 사례

조사(120) 면접middot심층면접(114) 등은 「한국사회학」 게재 논문에서는

훨씬 낮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차이는 결국 환경사회

학자들이 일반 사회학자들과 비교했을 때 양적 자료를 덜 사용하고 질적

자료를 더 많이 사용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Ⅳ 한국 환경사회학의 특징

한국 환경사회학의 특징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환경사회학자 및 그들의

연구 활동의 다양한 측면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여기에서는 연구 주제

연구 방법 이론적 지향 학제적 연구 사회적 실천 등의 다섯 가지 측면에

서 한국 환경사회학의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14) 1964년부터 2006년까지 「한국사회학」에 게재된 논문의 연구 방법을 분석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형 이론설문

조사집계자료 문서자료 기존자료 인터뷰

기타 질적

자료전체

빈도 123 214 67 62 151 31 14 662 186 323 101 94 228 47 21 1000

출처 한국사회학회 2007 120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75

1 환경문제의 사회학

흔히 일본 환경사회학자들은 미국의 환경사회학을 lsquo환경에 대한 사회

학rsquo(sociology of the environment)이라고 특징지으면서 자신들의 환경사회

학을 lsquo환경문제의 사회학rsquo(sociology of environmental problems)이라고 말

한다 이것은 일본의 환경사회학은 구체적인 환경문제가 지역사회 주민

및 피해자의 생활과 지역사회에 미친 영향에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음

을 지적하는 말이다 이러한 일본 환경사회학의 특징은 한국 환경사회학

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이시재는 최근 발표한 ldquo한국 환경사회학의 회고와

전망rdquo에서 lsquo한국에서 환경사회학은 환경문제의 사회학으로 출발했다rsquo고

말하고 한국 환경사회학의 특징 중의 하나로 문제해결을 위한 연구를 들

고 있다(이시재 2013 34-35)

앞에서 우리는 한국 환경사회학의 연구 주제가 논문 특집 학술대회

단행본 등에 있어서 어떻게 나타나는가를 살펴보았다 다양한 연구 활동

중에서 환경사회학자들의 연구 주제 선택의 경향을 잘 보여주는 것은 사

례 수가 가장 많은 논문 발표일 것이다 ECO지 게재 논문을 기준으로 할

때 환경사회학자들은 기후변화를 포함한 환경문제보다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

난rsquo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 lsquo환경의식middot환경행동rsquo을 더 중요하게 다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lt표 3gt 참조) 그러나 가장 빈도가 높은 lsquo원자력middot위

험middot재난rsquo과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은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과 밀접하게 연관

되어 있다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rsquo은 독립적인 주제 영역으로 설정되기는 했

지만 결국 특수한 유형의 환경문제라고 할 수 있고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에

대한 관심은 개발 사업으로 인한 환경문제에 대한 우려에서 비롯되기 때

문이다 따라서 겉으로 드러난 주제 영역보다 주제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의식에 주목한다면 한국의 환경사회학은 lsquo환경문제의 사회학rsquo의 성

격을 강하게 지니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76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2 질적 자료의 활용

환경사회학이 미국에서 처음 형성되던 시기에 농촌사회학의 영향을 강

하게 받았다 농촌사회학의 영향 가운데 대표적인 것으로 경험적 조사 자

료를 중시하는 경향이다 이러한 환경사회학의 전통은 한국의 환경사회학

에서도 이어지고 있다 lt표 7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환경사회학 연구에서

이론 연구의 비중이 222로서 결코 낮다고 할 수는 없지만 다양한 유형

의 경험적 자료를 활용하는 연구의 비중이 이론 연구에 비해 훨씬 크다

경험적 연구 방법 중에서 환경사회학자들이 일반 사회학자들에 비하여

중시하는 자료는 사례 조사 면접 조사 등을 통해 얻는 질적 자료이다 일

반 사회학자들에 비하여 설문 조사 기존 자료 활용 집계 자료 등의 양적

자료의 활용은 떨어지는 데 반하여 사례조사나 면접을 통해 얻는 질적

자료는 더 많이 활용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연구 방법과 관련된 한국

환경사회학의 특징은 상대적으로 질적 자료를 많이 활동하고 있다는 데

있다

질적 자료의 활용이 활발한 것은 기본적으로 한국 환경사회학자들이

연구하는 대상의 특성 때문이다 동강댐 건설사업 새만금간척사업 4대강

사업 등의 대규모 개발사업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 사고 및 각종

개발사업과 관련된 지역 환경운동 및 환경갈등이 하나의 사례로 다루어

지고 또 이러한 사례 연구에서 심층면접이 자료 수집 방법으로 활용되는

경향이 있다

3 자유주의적 환경개혁론

환경사회학에는 생태학적 설명(ecological explanation) 대 정치경제학적

설명(political economy explanation) 성찰적 근대화론(reflexive modernization)

대 생태학적 근대화론(ecological modernization) 실재론(realism) 대 구성

주의(constructionism) 등의 주요 이론적 쟁점이 있지만(Hannigan 2006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77

16-52) 한국 환경사회학에서는 이러한 쟁점을 둘러싼 논쟁을 찾아보기

어렵다 또한 독자적인 이론을 구성하기 위한 노력도 찾아보기 어렵다 윤

순진이 지적한 바 있듯이 ldquo많은 연구들은 다른 학문분과에서 구축한 이

론을 환경 관련 쟁점과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동원하는 양상을rdquo 띠거나

(윤순진 2013 85) 해외 환경사회학계에서 확립된 이론을 연구의 자원으

로 활용하는 데 머무르고 있다

그러나 다른 학문분과나 해외 환경사회학에서 확립된 이론을 수용하여

자원으로 활용하는 경우에도 이론의 선택에는 연구자 자신의 이론적 지

향이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대부분의 연구에는 명시적이든 묵시적

이든 연구자 자신의 이론적 지향이 깔려 있다 그렇다면 한국 환경사회

학에서는 어떤 이론적 지향이 우세하고 그 변화의 방향은 어느 쪽인가

말할 필요도 없이 한국의 환경사회학에는 다양한 이론적 지향 즉 험프리

와 버텔이 말하는 보수적 자유주의적 및 급진적 패러다임(Humphrey and

Buttel 1982 19-21)이 공존하고 있다 보수적 패러다임은 환경의식 및 환

경행동 연구에서 가끔 나타나고 있지만 그 영향력은 미미하다 급진적 패

러다임은 원자력발전 위험 환경정의 대규모 개발사업(국책사업) 대안

적 공동체 생태민주주의 등에 관한 연구에서 중요한 관점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보수적 패러다임에 비해서는 그 영향력이 훨씬 크다 이 두 패러

다임에 비해 훨씬 큰 세력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 바로 국가 개혁과 정책

의 전환을 통해 환경 위기 극복의 길을 모색하는 자유주의적 환경개혁론

이다 자유주의적 환경개혁론은 녹색국가 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 환경정책

환경정치 환경middot위험거버넌스 지속가능한 발전 대규모 개발사업 등의 연

구에서 주로 나타나고 있다

4 다양한 전공의 관점 교류

ECO지 기고를 통해 환경사회학 연구에 참여하고 있는 연구자의 전공

은 매우 다양하다 아마도 사회학 내의 다른 어떤 세부분야에 비해서도

78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다양할 것이다 윤순진의 ECO지 게재 글15)의 저자 분석에 따르면 총 24

개 분야의 학문적 배경을 가진 연구자들이 참여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보

면 사회학 인류학 행정학 경제학 정치학 사회복지학 심리학 지리학

지리교육학 도시 및 지역 관련학과 환경middot에너지정책학과 정치생태학 등

의 사회과학 전공자 철학 한국학 등 인문학 전공자 생태학middot생태곤충학

생물학 지질학 환경보건학 과학기술사학 과학관리학 생명공학 등의 자

연과학 전공자 토목공학 등 공학 전공자 등이 ECO에 글을 싣고 있다 물

론 전공별로 참여 저자의 수는 크게 다르다 사회학 전공자가 37명으로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도시 및 지역 관련 분야 전공자(18명) 인류학 전

공자(8명) 행정학 전공자(6명) 등의 순서로 많다(윤순진 2013 80-81)

ECO지 게재 논문 중 공저 논문의 경우 전공이 서로 다른 연구자가 공

동 저자로 참여한 경우는 많지 않으며 ldquo거의 대부분이 동일학과 소속 교

수와 학생 간의 공저이거나 동일 전공 동료 및 선후배 간 공저로 나타났

다(윤순진 2013 83)rdquo 이런 점에서 볼 때 환경사회학 연구가 실질적인 학

제적 연구의 형태가 띠는 것은 아니라고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적어도 학

회 활동과 학회지를 통해서 다양한 전공 간의 관점 공유와 교류는 활발하

게 이루어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5 연구자와 운동가의 소통

한국 환경사회학의 두드러진 특징 중의 하나는 환경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연구자들이 많다는 점이다 환경사회학자 중에는 연구자이면서

환경단체 전국 조직의 대표(이시재 이상헌 윤순진 이필렬 조명래) 지

역 환경단체의 대표(박재묵 노진철 최병두) 환경단체의 임원(구도완) 등

을 현재 맡고 있거나 과거에 역임한 사람들이 많다 위에서 거론된 연구

자보다 훨씬 더 많은 환경사회학자들이 지역 환경단체 등에 임원으로 참

15) 논문 이외의 서평 등의 글도 포함하고 있다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79

여하고 있다 이와는 반대로 환경단체의 상근 운동가로서 환경사회학회

회원으로 참여하고 논문을 발표하는 경우(이승민 안병옥 최예용 김정

수)도 있다

환경사회학자 연구자의 환경운동 참여와 운동가의 연구 참여가 활발하

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은 환경사회학의 특성과 연관되어 있는 현상이다

환경사회학은 기본적으로 환경문제의 근원 환경문제의 영향 및 환경문제

의 해결16)에 관심을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한국의 환경사회학은 특히

lsquo환경문제의 사회학rsquo의 성격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Ⅴ 환경사회학의 전망과 과제

지난 20년 동안 한국 환경사회학은 제도화의 과정을 거쳐 왔다 이 기

간 동안에 환경사회학은 많은 학과에서 정규 교과목으로 받아들여졌고

독립된 연구 영역으로 인정받게 되었다 또한 이 분야 연구자들이 독자적

인 학회를 조직하고 학회가 학술지를 발간함에 따라 연구 활동의 기반이

갖추어졌다 이로써 한국 환경사회학의 제도화가 대체로 완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지난 20년의 기간은 환경사회학의 기반 구축기인 동시에 성장기였다

성장의 속도는 느렸지만 연구자의 수도 증가해 왔고 이에 따라 학문적

성과도 축적되어 왔다 특히 환경사회학자들이 관심을 집중시켰던 원자

력middot위험middot재난 대규모 개발사업 환경운동 등의 영역에서는 의미 있는 성

과가 있었다 최근에 와서 환경사회학은 안정기에 들어가고 있다 ldquo젊은

층의 충원이 지지부진rdquo하고 대학원에서 환경사회학을 전공하려고 하는

학생도 줄어들고 있다(이시재 2013 37) 사회학계 전반에 걸친 침체 분위

16) Riley E Dunlap과 Brent K Marshall은 환경사회학의 최근 연구 초점으로

환경문제의 근원 환경문제의 영향 환경문제의 해결 방안 등 세 가지를 들

었다(Dunlap and Marshall 2007 335-339)

80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기가 일정 부분 환경사회학에도 미치고 있다 미국에서 환경사회학이

1980년대 초에 겪었던 퇴조 분위기가 한국에서도 나타나고 있는 것 같다

그러나 이러한 환경사회학의 침체 분위기가 장기적으로 지속되지는 않

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렇게 전망하는 근거는 두 가지이다 그 하나는 환

경사회학의 태동을 가져왔던 환경문제가 상존하기 때문이다 또한 기후변

화와 같은 환경문제는 향후에도 장기간 지속될 것이 분명하고 유독성 화

학물질과 같은 새로운 환경문제도 부상하고 있다 한 마디로 환경문제가

근본적으로 해결되지 않는 한 환경사회학은 존속하게 될 것이다 둘째로

현재의 침체 분위기는 일정기간의 성장 뒤에 오는 바닥 다지기의 의미가

크다 따라서 장기적으로 보면 환경사회학은 향후에도 안정적 성장을 지

속할 가능성이 크다

어떤 점에서 환경사회학의 미래는 일정 부분 환경사회학자들이 그들에

게 주어진 사명을 어떻게 수행하느냐에 달려 있기도 하다 2005년 필자가

환경사회학회가 펴낸 「우리 눈으로 보는 환경사회학」의 제1장을 쓰면서

환경사회학자의 사명으로 사회의 녹색화와 사회학의 녹색화를 설정한 바

있다 전자는 인간면제주의 패러다임의 지배를 받고 있는 주류 사회학에

인간 생존의 물리적middot생물적 기반을 고려하는 관점을 제공하는 것이고 후

자는 환경오염과 파괴의 원인 그 영향 및 해결 방안을 사회학적으로 설

명하고 제시하는 것이다 특히 후자의 사명을 환경사회학자들이 얼마나

그리고 어떻게 성취하느냐가 환경사회학의 미래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

다 학제적 연구의 정착과 현장 중심의 연구 강화는 환경사회학이 후자의

사명을 수행하기 위해 해결해야 할 당면 과제이다

2014년 6월 16일 접수

2014년 6월 27일 수정 완료

2014년 6월 29일 게재 확정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81

참고문헌

구도완 1995 ldquo한국의 새로운 환경운동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29(2) 347-371

1996 985172한국 환경운동의 사회학985173 문학과지성사

2009 985172마을에서 세상을 바꾸는 사람들 생태적 대안운동을 찾아

서985173 창비사

구도완 등 2013 985172녹색당과 녹색정치985173 아르케

구자건 2008 985172환경갈등과 사회영향평가 방법985173 연세대출판부

김도균 2011 985172환경재난과 지역사회의 변화 허베이스피리트호 기름유출

사고의 사회재난985173 한울아카데미

김두식 1995 ldquo환경문제와 환경보호에 대한 시민들의 태도 조사연구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29(1) 33-67

노진철 2001 985172환경과 사회985173 한울

2010 985172불확실성 시대의 위험사회학985173 한울아카데미

노진철 등 2010 985172태안은 살아 있다 기름 유출 사고 이후 3년 다시 쓰

는 태안 리포트985173 동녘

문순홍 1992 985172생태위기와 녹색의 대안985173 나라사랑

1999 985172생태학의 담론985173 아르케

2001 985172한국의 여성환경운동985173 아르케

2006a 985172정치생태학과 녹색국가985173 아르케

2006b 985172녹색국가의 탐색985173 아르케

2006c 985172개발국가의 녹색성찰985173 아르케

문태훈 등 2008 985172지속가능한 사회 이야기985173 법문사

박순열 2009 985172불만의 새만금985173 한국학술정보

박재묵 1991 ldquo환경문제에 대한 사회학적 이해rdquo pp 71-83 한국사회학회

(편) 985172현대 한국 사회문제의 진단과 처방985173(특별심포지움 논문집)

서영표영국적록연구그룹 2010 985172사회주의 녹색을 만나다985173 한울아카데미

양종회 1993 ldquo우리나라 국민들의 환경문제에 대한 의식의 변화 및 사회

82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적 기반rdquo 985172한국사회학회985173 26(4) 89-120

양종회 등 2002 985172아시아 태평양지역의 환경문제 환경운동 및 환경정책985173 서울대출판부

윤순진 2013 ldquo《ECO》분석을 통해 본 한국 환경사회학 연구의 흐름rdquo

pp 67-98 한국환경사회학회(편) 985172환경사회학 이론과 환경문제985173 한울아카데미

이득연 1998 985172환경운동의 사회학985173 민영사

이상헌 2003 985172물 세상을 움직이는 물의 정치와 정치 생태학985173 이매진

2011 985172생태주의985173 책세상

이시재 1994 ldquo환경사회학rdquo 한국사회학회(편) 98517221세기의 한국 사회학985173 문학과지성사

2013 ldquo한국 환경사회학의 회고와 전망rdquo pp 67-98 한국환경사회

학회(편) 985172환경사회학 이론과 환경문제985173 한울아카데미

이시재 등 2010 985172생태사회적 발전의 현장과 이론985173 아르케

정대연 2002 985172환경사회학985173 아카넷

2004 985172환경주의와 지속가능한 발전985173 집문당

2010 985172한국 지속가능발전의 구조와 변동985173 집문당

조명래 2001 985172녹색사회의 탐색985173 한울

2006 985172개발정치와 녹색진보985173 환경과 생명

2009 985172지구화 되돌아보기와 넘어서기 공간환경의 모순과 극복985173 환경과 생명

2013a 985172공간으로 사회읽기 개념 쟁점과 대안985173 한울아카데미

2013b 985172녹색토건주의와 환경위기985173 한울아카데미

조명래 등 2005 985172신개발주의를 멈춰라985173 환경과 생명

최병두 1993a 985172한국의 공간과 환경985173 한길사

1993b 985172현대 환경문제의 재인식985173 한울

1995 985172환경사회이론과 국제환경문제985173 한울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83

1999a 985172환경갈등과 불평등985173 한울

1999b 985172녹색사회를 위한 비평985173 한울

2002 985172녹색전망985173 도요새

2003a 985172도시속의 환경 열두 달(봄 여름)985173 한울

2003b 985172도시속의 환경 열두 달(가을 겨울)985173 한울

2010 985172비판적 생태학과 환경정의985173 한울아카데미

한국사회학회 2007 985172한국사회학회 50년사 1957-2007985173 한학문학

한국환경사회학회 2005 985172우리 눈으로 보는 환경사회학985173 창비사

2013a 985172환경사회학이론과 환경문제985173 한울

2013b 985172환경운동과 생활세계985173 한울

한상진 2006 985172환경정의의 사회학985173 UUP

험프리버틀(Craig Humphrey and Frederick R Buttel) 1995 985172환경사회학985173 양종회이시재 역 사회비평사

홍성태 2000 985172대한민국 위험사회985173 당대

2006 985172한국의 근대화와 물985173 한울아카데미

2010 985172생명의 강을 위하여 생태사회학자 홍성태 교수의 4대강

지키기 제안985173 중원문화

2012 985172개발과 파괴의 사회학 위험 사회를 넘어서985173 중원문화

Buttel Frederick H and Craig R Humphrey 2002 Sociological Theory

and the Natural Environment pp 33ndash69 in Riley E Dunlap and

William Michelson(eds) Handbook of Environmental Sociology

Westport CT Greenwood Press

Catton William R Jr and Riley Dunlap 1978 Environmental Sociology

A New Paradigm The American Sociologist 13 41-49

Dunlap Riley E and Brent K Marshall 2007 Environmental Sociology

pp 329-340 in Clifton D Bryant and Dennis L Peck(eds) 21st

Century Sociology A Reference Handbook Thousand Oaks CA

84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Sage Publications

Hannigan John 2006 Environmental Sociology(second edition)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Harper Charles 2004 Environment and Society Human Perspectives on

Environmental Issues Upper Saddle River New Jersey Pearson

Education Inc

Humphrey Craig R and Frederick H Buttel 1982 Environment Energy

and Society Belmont California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International Sociological Association(RC24) Korean Sociological

Association and Korean Association for Environmental Sociology

2004 Globalization Localization and Environment (Proceedings for

2004 ISA RC24 Conference in Seoul)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85

The Research Trend and Prospect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Park Jae-mookProf Dept of Sociology Chungnam Univ

Abstract

The aims of this paper are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and to anticipate its future developments As a groundwork for these works we briefly examined the institutionalization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Here we considered the organizing process of environmental sociologists association and the incorporation of the course of environmental sociology into the regular curricula Nextly we examined research trends of environmental sociology and tried to draw common characteristics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The most frequently dealt subjects in ECO a representative journal in this field have been nuclear power risk and disaster large-scale development projects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nd behaviour environmental problems and climate changes And distinguished characteristics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have been found to be focus on environmental problems dependence on qualitative methodology emphasis on environmental reforms of liberal tradition exchange of perspectives among researchers from various fields communications between researchers and activists Lastly it was suggested that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ist should develop interdisciplinary research and field research

Key Words Environmental Sociology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Institutionalization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Korean Association for Environmental Sociology ECO

Page 13: 환경과 사회 연구의 동향과 전망isrku.org/adm/data/1351080157_fEMV3OxI_02-EBB095EC9... · 2014-07-06 ·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 pp.55-85 ‘환경과 사회’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67

주 제논문 수

rsquo01 rsquo02 rsquo03 rsquo04 rsquo05 rsquo06 rsquo07 rsquo08 rsquo09 rsquo10 rsquo11 rsquo12 rsquo13 계

환경의식middot환경행동 1 2 1 1 2 3 2 2 14

환경정책 1 1 1 4 1 8

대규모 개발사업 3 4 4 1 1 1 1 2 2 19

사회영향평가 4 1 1 1 1 8

지속가능발전 1 3 1 5

환경정치 1 2 1 1 1 1 1 3 1 12

환경middot위험거버넌스 2 1 1 1 2 1 8

환경불평등middot환경정의 1 1 2 2 1 7

환경복원 4 1 5

환경농업middot식량middot식품 1 1 4 1 7

생태공동체 1 1 2

기타 2 2 1 2 3 2 1 1 1 15

계 9 19 16 15 11 12 13 16 13 11 13 14 5 167

위의 주제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1990년대

이래 한국 환경사회학 분야의 논문 주제는 점차 다양해져 왔다 1990년대

에는 lsquo환경의식middot환경행동rsquo lsquo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rsquo 등 몇 가지 주제에 관한

소수의 논문이 발표되었으나 2000년대에 들어와서는 편수의 증가와 함께

주제가 매우 다양해졌다 현재는 환경사회학의 주요 주제들의 대부분이

다루어지고 있다 둘째 특정의 1-2개 주제에 대한 쏠림 현상이 두드러지

지는 않지만 주제별로 논문의 편수는 큰 차이를 보인다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

난rsquo과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은 연구자의 관심을 가장 많이 끈 주제인 반면에

lsquo환경사상rsquo lsquo생태공동체rsquo lsquo에너지middot자원rsquo 등에 대한 관심은 매우 낮다 셋

째 특정 연구 주제의 상승이나 하락이 뚜렷이 나타나지는 않는다 비교적

많은 관심을 끈 6개의 주제를 다룬 논문들은 전 기간에 걸쳐 고르게 발표

되었다 다만 lsquo환경사회학 이론rsquo lsquo환경사회학 방법론rsquo lsquo환경사상rsquo lsquo환경

68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연도 춘middot추계 학술대회 주제 주제 유형

2001 창립기념동강댐 건설 문제의 사회문화적 조사연구

보고대규모 개발사업

추계 새만금 대규모 개발사업

복원rsquo 등을 다룬 논문이 최근에는 발표되지 않고 있고 반대로 lsquo에너지middot자

원rsquo에 관한 논문들은 최근에 와서 주로 발표되고 있기는 하지만 이들 주

제를 다룬 사례 수가 많지 않아 뚜렷한 경향을 발견하기는 어렵다

2) 정기학술대회의 주제

환경사회학회는 연 2회 춘middot추계 정기학술대회를 개최한다 학회 창립

이후 개최된 총 26회의 정기학술대회 중 주제가 확인되지 않은 2회를 제

외한 나머지 24회 학술대회의 주제는 lt표 4gt와 같다 정기학술대회에서

가장 자주 등장했던 주제는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5회)이었다 동강댐(2001년

창립기념세미나) 새만금간척사업(2001년 추계 2003년 추계) 4대강사업

(2010년 춘계) 등의 특정 개발 사례와 대규모개발사업 일반(2006년 춘계)

이 주제로 등장했다 두 번째로 자주 등장한 주제는 lsquo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rsquo

으로 2004년 추계 2005년 춘계 및 추계 2007년 춘계 등 4회였다 그 다

음으로 자주 등장한 주제는 lsquo환경정책rsquo(2006년 추계 2009년 추계 2012년

추계)과 lsquo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rsquo(2007년 추계 2010년 추계 2011년 춘계)로

각각 3회 나타났다 lsquo환경정책rsquo으로는 노무현 정부의 lsquo살기 좋은 지역 만

들기rsquo 정책과 이명박 정부의 환경정책 일반과 녹색성장정책이 다루어졌

다 이 밖에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rsquo(2008년 춘계 2009년 춘계) lsquo지속가능한

발전rsquo(2011년 추계 2012년 춘계) lsquo환경사상rsquo(2005년 추계 2013년 춘계)

등이 각각 2회씩 그리고 lsquo생태공동체rsquo(2002년 추계) lsquo환경불평등middot환경정

의rsquo(2004년 추계) lsquo환경정치rsquo(2006년 추계) lsquo환경농업middot식량middot식품rsquo(2008년

추계) 등이 각각 1회씩 등장했다

lt표 4gt 한국환경사회학회 정기학술대회의 주제(2001-2013년)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69

연도 춘middot추계 학술대회 주제 주제 유형

2002춘계 지역과 환경 기타

추계환경친화적 지역사회 개발과 새로운 공동체 운동

생태공동체

2003춘계 미확인 기타

추계 새만금 간척사업 대규모 개발사업

2004춘계 미확인 기타

추계 환경갈등과 환경정의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환경불평등middot환경정의

2005춘계

사회갈등과 주민참여 지역 및 환경갈등을 중심으로

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

추계 환경철학과 환경운동환경사상

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

2006춘계 대규모 개발사업과 환경정치

대규모 개발사업환경정치

추계 살기 좋은 지역 만들기의 이론과 전략 환경정책

2007춘계

대규모 개발사업을 둘러싼 환경갈등과 생태민주주의의 전망

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

추계 기후변화와 한국사회의 선택 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

2008춘계

환경재난의 지역사회 영향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를 중심으로

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

추계 먹을거리의 환경사회학 환경농업middot식량middot식품

2009춘계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의 사회적middot심리적 영향과 공동체 복원

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

추계환경사회학의 관점에서 본 lsquo저탄소 녹색성장rsquo 환경정책

2010춘계 4대강사업에 대한 환경사회학적 성찰 대규모 개발사업

추계 기후변화의 사회학 일상에서 지구촌까지 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

2011춘계

구제역을 통해서 본 지본주의시대의 환경과 생명

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

추계 환경적으로 지속가능한 동아시아를 위하여

지속가능한 발전

2012춘계 지속가능한 발전과 경상남도의 과제 지속가능한 발전

추계 이명박 정부의 환경정책 평가와 대안 환경정책

2013춘계 한국의 생태주의 사상과 역사 환경사상

추계한국 환경사회학의 보편성과 특수성 그리고 미래의 과제

환경사회학 이론

70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연도 주 제

2001 동강댐의 환경사회학(통권 1호)

2002 새만금간척사업의 환경사회학(통권 2호) 사회영향평가연구(통권 3호)

2003 청계천 복원의 사회학(통권 4호) 노무현정부의 환경정책 평가(통권 5호)

2004 부안핵폐기물처리장 문제의 환경사회학(통권 6호) 새만금간척사업의

환경사회학Ⅱ(통권 7호)

2005 한국 국가의 녹색화 연구(통권 8호) 환경정의 경험적 연구(통권 9호)

3) ECO 특집의 주제

ECO지는 매호 하나의 주제를 정하고 관련 논문을 특집으로 묶어 수록

하고 있다 ECO지의 특집 주제의 목록은 lt표 5gt 참조에 제시되어 있다

특집 주제로 가장 자주 설정된 것은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rsquo으로 그 횟수는 6

회이다 세부적으로 보면 방사성폐기물 원자력발전 등 원자력 문제(통권

6호 제10권 1호 제17권 1호)와 재난(제12권 1호 제13권 1호 제15권 1

호)이 각각 3회씩 다루어졌다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 유출사고는 두 번

이나 특집으로 다루어졌다 두 번째로 자주 다루어진 주제는 lsquo환경정책rsquo이었다 환경정책은 5회(통권 5호 통권 8호 제11권 1호 제13권 2호 제16

권 2호) 등장했는데 구체적으로는 노무현 정부의 환경정책 녹색국가 기

후변화 정책 이명박 정부의 녹색성장정책과 일반 환경정책이 다루어졌

다 세 번째로 자주 다루어진 주제는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으로 그 횟수는 4

회(통권 1호 통권 2호 통권 7호 제14권 1호)였다 동강댐 및 4대강 사업

이 1회씩 그리고 새만금간척사업이 2회 다루어졌다 이 밖에 lsquo사회적 영

향평가rsquo(통권 3호 제 10권 2호)와 lsquo환경의식middot환경행동rsquo(제14권 2호 제15

권 2호)이 각각 2회씩 다루어졌고 lsquo환경정의rsquo(통권 9호) lsquo환경복원rsquo(통권

4호) lsquo환경농업middot식량middot식품rsquo(제12권 2호) lsquo환경middot위험거버넌스rsquo(제16권 1

호) lsquo환경문제rsquo(제15권 2호) lsquo지속가능발전(제11권 2호)rsquo 등이 각각 1회씩

다루어졌다

lt표 5gt ECO 각호의 특집 주제(2001-2013년)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71

연도 주 제

2006 방사성폐기물 처분장과 민주주의(제10권 1호) 도시개발의 사회적 영향 은평뉴타운 사례(제10권 2호)

2007 기후변화정책의 국가간 비교연구(제11권 1호) 대안적 발전의 해외사례

연구(제11권 2호)

2008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 연구(제12권 1호) 지구화시대 세계

농식품체계의 환경사회학(제12권 2호)

2009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 연구Ⅱ(제13권 1호) 환경사회학적

관점에서 본 녹색성장(제13권 2호)

2010 4대강사업에 대한 환경사회학적 성찰(제14권 1호) 한국인의 환경 가치

지형(제14권 2호)

2011 환경사회학과 재난관리(제15권 1호) 환경문제와 환경의식(제15권 2호)

2012 위험 사회의 거버넌스(제16권 1호) 이명박 정부의 환경정책과

대안(제16권 2호)

2013 원자력발전과 시민사회 비교연구(제17권 1호)

4) 주요 단행본의 주제

환경사회학자들12)이 저술한 단행본13)은 비교적 다양한 주제를 다루고

있다 2000년대에 들어와서는 저술의 크게 수가 늘어나면서 1990년대에

비하여 주제의 다양성도 크게 증가하고 있다 1990년대에는 lsquo환경사회학

이론rsquo lsquo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rsquo lsquo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rsquo lsquo환경불평등middot환경정의rsquo

등 4개의 주제 영역에 국한되어 있었으나 2000년대에 들어와서는 lsquo대규

모 개발사업rsquo 등 6개 주제에 대한 저술들이 새로 출판되었다 lsquo원자력middot위

험middot재난rsquo에 관한 저술이 최근에 와서 늘어나고 있음이 주목된다

1990년대 이후의 전체 기간에서 가장 많은 단행본이 출판된 주제 영역

은 lsquo환경사회학 이론rsquo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rsquo lsquo환경운동middot

12) 사회학을 전공하지 않은 학자로서 한국환경사회학회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

는 사람은 환경사회학자에 포함시켰다 단행본 필자로는 구자건 문순홍 조명래 최병두 등이 이 경우에 속한다

13) 번역서는 여기에서 제외하였다 또한 다양한 분야의 학자들이 공동으로 저

술한 책 중에서 환경사회학자들의 기여가 크지 않은 저술도 제외하였다

72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환경갈등rsquo lsquo환경정치rsquo 등 5개이다 이들 5개 주제에 관한 저술은 총 25권

으로 전체 저술(46권)의 절반을 넘고 있다 이들 5개 주제 영역 다음으로

lsquo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rsquo(4권) lsquo지속가능한 발전rsquo(4권) lsquo환경불평등middot환경정

의rsquo(3권) 등의 주제 영역에 관한 저술이 많은 편이다

lt표 6gt 단행본의 주제(1990-2013년)

주 제 1990년대 2000-2009년 2010년 이후

환경사회학 이론문순홍(1992) 문순홍(1999) 조명래(2001) 한국환경사회학회(2013)

조명래(2013a)

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최병두(1993b)최병두(1995)

최병두(2003a)최병두(2003b)

대규모 개발사업

문순홍(2006c)박순열(2009)조명래(2006)

홍성태(2010)조명래(2013b)

사회영향평가 구자건(2008)

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 홍성태(2000)

노진철(2010)노진철 등(2010)김도균(2011)홍성태(2012)

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구도완(1996)이득연(1998)

문순홍(2001)구도완(2009) 한국환경사회학회(2013)

지속가능한 발전정대연(2004)문태훈 등(2008)

이시재 등(2010)정대연(2010)

환경불평등middot환경정의 최병두(1999a) 한상진(2006) 최병두(2010)

환경정치

문순홍(2006a)문순홍(2006b)이상헌(2003)

구도완 등(2013)서영표 등(2010)

환경사상 이상헌(2007)

교과서

노진철(2001)정대연(2002)한국환경사회학회(2005)

복합 주제 및 기타최병두(1993a)최병두(1999b)

양종회 등(2002)최병두(2002)홍성태(2006)조명래(2009)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73

2 연구 방법

ECO지의 창간호부터 2003년 6월에 발행한 제17권 1호까지에 게재된

167편의 논문(포럼 포함)에서 사용되고 있는 연구 방법을 9개의 유형으로

구분해 보면 lt표 7gt과 같다 연구 방법을 명시적으로 서술하지 않은 논문

이 적지 않고 복수의 연구 방법을 사용하는 논문이 많아 유형 구분이 쉽

지 않았으나 필자의 주관적 판단에 따라 모든 논문의 연구 방법을 9개의

범주에 배속시켰다

lt표 7gt ECO 게재 논문의 자료수집 방법

주 제논문 수

rsquo01 rsquo02 rsquo03 rsquo04 rsquo05 rsquo06 rsquo07 rsquo08 rsquo09 rsquo10 rsquo11 rsquo12 rsquo13 계

이론 연구 2 9 6 4 3 3 1 4 3 1 1 37(222)

설문조사 2 1 1 2 2 1 3 4 4 2 3 25(150)

문헌middot문서자료 3 3 1 7 4 6 1 5 2 3 3 2 40(240)

기존 자료 3 1 2 1 1 2 10(73)

면접middot심층면접 1 5 1 1 1 1 1 2 2 2 2 19(114)

내용middot담론분석 1 1 1 2 1 1 7(42)

사례 조사 1 2 2 4 1 3 2 4 1 20(120)

비교 연구 1 3 1 1 2 8(48)

시뮬레이션 1 1(06)

계 9 19 16 15 11 12 13 16 13 11 13 14 5 167(1000)

먼저 논문의 발표 시기에 따른 연구 방법의 차이는 드러나지 않는다

다만 이론 연구가 후기로 올수록 줄어드는 경향이 눈에 띌 따름이다

다음으로 연구 방법 간의 빈도 차이는 비교적 뚜렷하게 드러난다 문

헌middot문서자료(40편) 이론 연구(37편) 설문조사(25편) 사례 조사(20편) 면

접middot심층면접(19편) 등이 자주 사용되고 있는 반면에 기존 자료(10편) 비

교연구(8편) 내용middot담론분석(7편) 시뮬레이션(1편) 등은 상대적으로 적게

74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사용되고 있다 문헌middot문서자료 및 이론 연구가 1 2위를 차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환경사회학자들의 독자적인 자료 생산 노력이 활발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마지막으로 ECO 게재 논문과 「한국사회학」 게재 논문의 연구 방법을

비교해 보면 환경사회학의 연구 방법과 사회학 일반의 연구 방법 간에

상당한 차이가 있음이 발견된다 ECO 게재 논문에서는 문헌middot문서자료 이

론 연구 설문조사 등의 순서로 자주 사용된 반면에 「한국사회학」 게재

논문14)들에서는 설문조사(323) 기존 자료(228) 이론(186) 등이 각

각 1 2 3위를 차지하고 있어 중시하고 있는 연구 방법이 서로 다를 뿐만

아니라 ECO 게재 논문들에서 비교적 중시된 문헌middot문서자료(240) 사례

조사(120) 면접middot심층면접(114) 등은 「한국사회학」 게재 논문에서는

훨씬 낮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차이는 결국 환경사회

학자들이 일반 사회학자들과 비교했을 때 양적 자료를 덜 사용하고 질적

자료를 더 많이 사용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Ⅳ 한국 환경사회학의 특징

한국 환경사회학의 특징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환경사회학자 및 그들의

연구 활동의 다양한 측면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여기에서는 연구 주제

연구 방법 이론적 지향 학제적 연구 사회적 실천 등의 다섯 가지 측면에

서 한국 환경사회학의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14) 1964년부터 2006년까지 「한국사회학」에 게재된 논문의 연구 방법을 분석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형 이론설문

조사집계자료 문서자료 기존자료 인터뷰

기타 질적

자료전체

빈도 123 214 67 62 151 31 14 662 186 323 101 94 228 47 21 1000

출처 한국사회학회 2007 120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75

1 환경문제의 사회학

흔히 일본 환경사회학자들은 미국의 환경사회학을 lsquo환경에 대한 사회

학rsquo(sociology of the environment)이라고 특징지으면서 자신들의 환경사회

학을 lsquo환경문제의 사회학rsquo(sociology of environmental problems)이라고 말

한다 이것은 일본의 환경사회학은 구체적인 환경문제가 지역사회 주민

및 피해자의 생활과 지역사회에 미친 영향에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음

을 지적하는 말이다 이러한 일본 환경사회학의 특징은 한국 환경사회학

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이시재는 최근 발표한 ldquo한국 환경사회학의 회고와

전망rdquo에서 lsquo한국에서 환경사회학은 환경문제의 사회학으로 출발했다rsquo고

말하고 한국 환경사회학의 특징 중의 하나로 문제해결을 위한 연구를 들

고 있다(이시재 2013 34-35)

앞에서 우리는 한국 환경사회학의 연구 주제가 논문 특집 학술대회

단행본 등에 있어서 어떻게 나타나는가를 살펴보았다 다양한 연구 활동

중에서 환경사회학자들의 연구 주제 선택의 경향을 잘 보여주는 것은 사

례 수가 가장 많은 논문 발표일 것이다 ECO지 게재 논문을 기준으로 할

때 환경사회학자들은 기후변화를 포함한 환경문제보다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

난rsquo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 lsquo환경의식middot환경행동rsquo을 더 중요하게 다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lt표 3gt 참조) 그러나 가장 빈도가 높은 lsquo원자력middot위

험middot재난rsquo과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은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과 밀접하게 연관

되어 있다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rsquo은 독립적인 주제 영역으로 설정되기는 했

지만 결국 특수한 유형의 환경문제라고 할 수 있고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에

대한 관심은 개발 사업으로 인한 환경문제에 대한 우려에서 비롯되기 때

문이다 따라서 겉으로 드러난 주제 영역보다 주제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의식에 주목한다면 한국의 환경사회학은 lsquo환경문제의 사회학rsquo의 성

격을 강하게 지니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76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2 질적 자료의 활용

환경사회학이 미국에서 처음 형성되던 시기에 농촌사회학의 영향을 강

하게 받았다 농촌사회학의 영향 가운데 대표적인 것으로 경험적 조사 자

료를 중시하는 경향이다 이러한 환경사회학의 전통은 한국의 환경사회학

에서도 이어지고 있다 lt표 7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환경사회학 연구에서

이론 연구의 비중이 222로서 결코 낮다고 할 수는 없지만 다양한 유형

의 경험적 자료를 활용하는 연구의 비중이 이론 연구에 비해 훨씬 크다

경험적 연구 방법 중에서 환경사회학자들이 일반 사회학자들에 비하여

중시하는 자료는 사례 조사 면접 조사 등을 통해 얻는 질적 자료이다 일

반 사회학자들에 비하여 설문 조사 기존 자료 활용 집계 자료 등의 양적

자료의 활용은 떨어지는 데 반하여 사례조사나 면접을 통해 얻는 질적

자료는 더 많이 활용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연구 방법과 관련된 한국

환경사회학의 특징은 상대적으로 질적 자료를 많이 활동하고 있다는 데

있다

질적 자료의 활용이 활발한 것은 기본적으로 한국 환경사회학자들이

연구하는 대상의 특성 때문이다 동강댐 건설사업 새만금간척사업 4대강

사업 등의 대규모 개발사업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 사고 및 각종

개발사업과 관련된 지역 환경운동 및 환경갈등이 하나의 사례로 다루어

지고 또 이러한 사례 연구에서 심층면접이 자료 수집 방법으로 활용되는

경향이 있다

3 자유주의적 환경개혁론

환경사회학에는 생태학적 설명(ecological explanation) 대 정치경제학적

설명(political economy explanation) 성찰적 근대화론(reflexive modernization)

대 생태학적 근대화론(ecological modernization) 실재론(realism) 대 구성

주의(constructionism) 등의 주요 이론적 쟁점이 있지만(Hannigan 2006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77

16-52) 한국 환경사회학에서는 이러한 쟁점을 둘러싼 논쟁을 찾아보기

어렵다 또한 독자적인 이론을 구성하기 위한 노력도 찾아보기 어렵다 윤

순진이 지적한 바 있듯이 ldquo많은 연구들은 다른 학문분과에서 구축한 이

론을 환경 관련 쟁점과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동원하는 양상을rdquo 띠거나

(윤순진 2013 85) 해외 환경사회학계에서 확립된 이론을 연구의 자원으

로 활용하는 데 머무르고 있다

그러나 다른 학문분과나 해외 환경사회학에서 확립된 이론을 수용하여

자원으로 활용하는 경우에도 이론의 선택에는 연구자 자신의 이론적 지

향이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대부분의 연구에는 명시적이든 묵시적

이든 연구자 자신의 이론적 지향이 깔려 있다 그렇다면 한국 환경사회

학에서는 어떤 이론적 지향이 우세하고 그 변화의 방향은 어느 쪽인가

말할 필요도 없이 한국의 환경사회학에는 다양한 이론적 지향 즉 험프리

와 버텔이 말하는 보수적 자유주의적 및 급진적 패러다임(Humphrey and

Buttel 1982 19-21)이 공존하고 있다 보수적 패러다임은 환경의식 및 환

경행동 연구에서 가끔 나타나고 있지만 그 영향력은 미미하다 급진적 패

러다임은 원자력발전 위험 환경정의 대규모 개발사업(국책사업) 대안

적 공동체 생태민주주의 등에 관한 연구에서 중요한 관점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보수적 패러다임에 비해서는 그 영향력이 훨씬 크다 이 두 패러

다임에 비해 훨씬 큰 세력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 바로 국가 개혁과 정책

의 전환을 통해 환경 위기 극복의 길을 모색하는 자유주의적 환경개혁론

이다 자유주의적 환경개혁론은 녹색국가 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 환경정책

환경정치 환경middot위험거버넌스 지속가능한 발전 대규모 개발사업 등의 연

구에서 주로 나타나고 있다

4 다양한 전공의 관점 교류

ECO지 기고를 통해 환경사회학 연구에 참여하고 있는 연구자의 전공

은 매우 다양하다 아마도 사회학 내의 다른 어떤 세부분야에 비해서도

78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다양할 것이다 윤순진의 ECO지 게재 글15)의 저자 분석에 따르면 총 24

개 분야의 학문적 배경을 가진 연구자들이 참여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보

면 사회학 인류학 행정학 경제학 정치학 사회복지학 심리학 지리학

지리교육학 도시 및 지역 관련학과 환경middot에너지정책학과 정치생태학 등

의 사회과학 전공자 철학 한국학 등 인문학 전공자 생태학middot생태곤충학

생물학 지질학 환경보건학 과학기술사학 과학관리학 생명공학 등의 자

연과학 전공자 토목공학 등 공학 전공자 등이 ECO에 글을 싣고 있다 물

론 전공별로 참여 저자의 수는 크게 다르다 사회학 전공자가 37명으로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도시 및 지역 관련 분야 전공자(18명) 인류학 전

공자(8명) 행정학 전공자(6명) 등의 순서로 많다(윤순진 2013 80-81)

ECO지 게재 논문 중 공저 논문의 경우 전공이 서로 다른 연구자가 공

동 저자로 참여한 경우는 많지 않으며 ldquo거의 대부분이 동일학과 소속 교

수와 학생 간의 공저이거나 동일 전공 동료 및 선후배 간 공저로 나타났

다(윤순진 2013 83)rdquo 이런 점에서 볼 때 환경사회학 연구가 실질적인 학

제적 연구의 형태가 띠는 것은 아니라고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적어도 학

회 활동과 학회지를 통해서 다양한 전공 간의 관점 공유와 교류는 활발하

게 이루어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5 연구자와 운동가의 소통

한국 환경사회학의 두드러진 특징 중의 하나는 환경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연구자들이 많다는 점이다 환경사회학자 중에는 연구자이면서

환경단체 전국 조직의 대표(이시재 이상헌 윤순진 이필렬 조명래) 지

역 환경단체의 대표(박재묵 노진철 최병두) 환경단체의 임원(구도완) 등

을 현재 맡고 있거나 과거에 역임한 사람들이 많다 위에서 거론된 연구

자보다 훨씬 더 많은 환경사회학자들이 지역 환경단체 등에 임원으로 참

15) 논문 이외의 서평 등의 글도 포함하고 있다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79

여하고 있다 이와는 반대로 환경단체의 상근 운동가로서 환경사회학회

회원으로 참여하고 논문을 발표하는 경우(이승민 안병옥 최예용 김정

수)도 있다

환경사회학자 연구자의 환경운동 참여와 운동가의 연구 참여가 활발하

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은 환경사회학의 특성과 연관되어 있는 현상이다

환경사회학은 기본적으로 환경문제의 근원 환경문제의 영향 및 환경문제

의 해결16)에 관심을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한국의 환경사회학은 특히

lsquo환경문제의 사회학rsquo의 성격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Ⅴ 환경사회학의 전망과 과제

지난 20년 동안 한국 환경사회학은 제도화의 과정을 거쳐 왔다 이 기

간 동안에 환경사회학은 많은 학과에서 정규 교과목으로 받아들여졌고

독립된 연구 영역으로 인정받게 되었다 또한 이 분야 연구자들이 독자적

인 학회를 조직하고 학회가 학술지를 발간함에 따라 연구 활동의 기반이

갖추어졌다 이로써 한국 환경사회학의 제도화가 대체로 완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지난 20년의 기간은 환경사회학의 기반 구축기인 동시에 성장기였다

성장의 속도는 느렸지만 연구자의 수도 증가해 왔고 이에 따라 학문적

성과도 축적되어 왔다 특히 환경사회학자들이 관심을 집중시켰던 원자

력middot위험middot재난 대규모 개발사업 환경운동 등의 영역에서는 의미 있는 성

과가 있었다 최근에 와서 환경사회학은 안정기에 들어가고 있다 ldquo젊은

층의 충원이 지지부진rdquo하고 대학원에서 환경사회학을 전공하려고 하는

학생도 줄어들고 있다(이시재 2013 37) 사회학계 전반에 걸친 침체 분위

16) Riley E Dunlap과 Brent K Marshall은 환경사회학의 최근 연구 초점으로

환경문제의 근원 환경문제의 영향 환경문제의 해결 방안 등 세 가지를 들

었다(Dunlap and Marshall 2007 335-339)

80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기가 일정 부분 환경사회학에도 미치고 있다 미국에서 환경사회학이

1980년대 초에 겪었던 퇴조 분위기가 한국에서도 나타나고 있는 것 같다

그러나 이러한 환경사회학의 침체 분위기가 장기적으로 지속되지는 않

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렇게 전망하는 근거는 두 가지이다 그 하나는 환

경사회학의 태동을 가져왔던 환경문제가 상존하기 때문이다 또한 기후변

화와 같은 환경문제는 향후에도 장기간 지속될 것이 분명하고 유독성 화

학물질과 같은 새로운 환경문제도 부상하고 있다 한 마디로 환경문제가

근본적으로 해결되지 않는 한 환경사회학은 존속하게 될 것이다 둘째로

현재의 침체 분위기는 일정기간의 성장 뒤에 오는 바닥 다지기의 의미가

크다 따라서 장기적으로 보면 환경사회학은 향후에도 안정적 성장을 지

속할 가능성이 크다

어떤 점에서 환경사회학의 미래는 일정 부분 환경사회학자들이 그들에

게 주어진 사명을 어떻게 수행하느냐에 달려 있기도 하다 2005년 필자가

환경사회학회가 펴낸 「우리 눈으로 보는 환경사회학」의 제1장을 쓰면서

환경사회학자의 사명으로 사회의 녹색화와 사회학의 녹색화를 설정한 바

있다 전자는 인간면제주의 패러다임의 지배를 받고 있는 주류 사회학에

인간 생존의 물리적middot생물적 기반을 고려하는 관점을 제공하는 것이고 후

자는 환경오염과 파괴의 원인 그 영향 및 해결 방안을 사회학적으로 설

명하고 제시하는 것이다 특히 후자의 사명을 환경사회학자들이 얼마나

그리고 어떻게 성취하느냐가 환경사회학의 미래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

다 학제적 연구의 정착과 현장 중심의 연구 강화는 환경사회학이 후자의

사명을 수행하기 위해 해결해야 할 당면 과제이다

2014년 6월 16일 접수

2014년 6월 27일 수정 완료

2014년 6월 29일 게재 확정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81

참고문헌

구도완 1995 ldquo한국의 새로운 환경운동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29(2) 347-371

1996 985172한국 환경운동의 사회학985173 문학과지성사

2009 985172마을에서 세상을 바꾸는 사람들 생태적 대안운동을 찾아

서985173 창비사

구도완 등 2013 985172녹색당과 녹색정치985173 아르케

구자건 2008 985172환경갈등과 사회영향평가 방법985173 연세대출판부

김도균 2011 985172환경재난과 지역사회의 변화 허베이스피리트호 기름유출

사고의 사회재난985173 한울아카데미

김두식 1995 ldquo환경문제와 환경보호에 대한 시민들의 태도 조사연구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29(1) 33-67

노진철 2001 985172환경과 사회985173 한울

2010 985172불확실성 시대의 위험사회학985173 한울아카데미

노진철 등 2010 985172태안은 살아 있다 기름 유출 사고 이후 3년 다시 쓰

는 태안 리포트985173 동녘

문순홍 1992 985172생태위기와 녹색의 대안985173 나라사랑

1999 985172생태학의 담론985173 아르케

2001 985172한국의 여성환경운동985173 아르케

2006a 985172정치생태학과 녹색국가985173 아르케

2006b 985172녹색국가의 탐색985173 아르케

2006c 985172개발국가의 녹색성찰985173 아르케

문태훈 등 2008 985172지속가능한 사회 이야기985173 법문사

박순열 2009 985172불만의 새만금985173 한국학술정보

박재묵 1991 ldquo환경문제에 대한 사회학적 이해rdquo pp 71-83 한국사회학회

(편) 985172현대 한국 사회문제의 진단과 처방985173(특별심포지움 논문집)

서영표영국적록연구그룹 2010 985172사회주의 녹색을 만나다985173 한울아카데미

양종회 1993 ldquo우리나라 국민들의 환경문제에 대한 의식의 변화 및 사회

82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적 기반rdquo 985172한국사회학회985173 26(4) 89-120

양종회 등 2002 985172아시아 태평양지역의 환경문제 환경운동 및 환경정책985173 서울대출판부

윤순진 2013 ldquo《ECO》분석을 통해 본 한국 환경사회학 연구의 흐름rdquo

pp 67-98 한국환경사회학회(편) 985172환경사회학 이론과 환경문제985173 한울아카데미

이득연 1998 985172환경운동의 사회학985173 민영사

이상헌 2003 985172물 세상을 움직이는 물의 정치와 정치 생태학985173 이매진

2011 985172생태주의985173 책세상

이시재 1994 ldquo환경사회학rdquo 한국사회학회(편) 98517221세기의 한국 사회학985173 문학과지성사

2013 ldquo한국 환경사회학의 회고와 전망rdquo pp 67-98 한국환경사회

학회(편) 985172환경사회학 이론과 환경문제985173 한울아카데미

이시재 등 2010 985172생태사회적 발전의 현장과 이론985173 아르케

정대연 2002 985172환경사회학985173 아카넷

2004 985172환경주의와 지속가능한 발전985173 집문당

2010 985172한국 지속가능발전의 구조와 변동985173 집문당

조명래 2001 985172녹색사회의 탐색985173 한울

2006 985172개발정치와 녹색진보985173 환경과 생명

2009 985172지구화 되돌아보기와 넘어서기 공간환경의 모순과 극복985173 환경과 생명

2013a 985172공간으로 사회읽기 개념 쟁점과 대안985173 한울아카데미

2013b 985172녹색토건주의와 환경위기985173 한울아카데미

조명래 등 2005 985172신개발주의를 멈춰라985173 환경과 생명

최병두 1993a 985172한국의 공간과 환경985173 한길사

1993b 985172현대 환경문제의 재인식985173 한울

1995 985172환경사회이론과 국제환경문제985173 한울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83

1999a 985172환경갈등과 불평등985173 한울

1999b 985172녹색사회를 위한 비평985173 한울

2002 985172녹색전망985173 도요새

2003a 985172도시속의 환경 열두 달(봄 여름)985173 한울

2003b 985172도시속의 환경 열두 달(가을 겨울)985173 한울

2010 985172비판적 생태학과 환경정의985173 한울아카데미

한국사회학회 2007 985172한국사회학회 50년사 1957-2007985173 한학문학

한국환경사회학회 2005 985172우리 눈으로 보는 환경사회학985173 창비사

2013a 985172환경사회학이론과 환경문제985173 한울

2013b 985172환경운동과 생활세계985173 한울

한상진 2006 985172환경정의의 사회학985173 UUP

험프리버틀(Craig Humphrey and Frederick R Buttel) 1995 985172환경사회학985173 양종회이시재 역 사회비평사

홍성태 2000 985172대한민국 위험사회985173 당대

2006 985172한국의 근대화와 물985173 한울아카데미

2010 985172생명의 강을 위하여 생태사회학자 홍성태 교수의 4대강

지키기 제안985173 중원문화

2012 985172개발과 파괴의 사회학 위험 사회를 넘어서985173 중원문화

Buttel Frederick H and Craig R Humphrey 2002 Sociological Theory

and the Natural Environment pp 33ndash69 in Riley E Dunlap and

William Michelson(eds) Handbook of Environmental Sociology

Westport CT Greenwood Press

Catton William R Jr and Riley Dunlap 1978 Environmental Sociology

A New Paradigm The American Sociologist 13 41-49

Dunlap Riley E and Brent K Marshall 2007 Environmental Sociology

pp 329-340 in Clifton D Bryant and Dennis L Peck(eds) 21st

Century Sociology A Reference Handbook Thousand Oaks CA

84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Sage Publications

Hannigan John 2006 Environmental Sociology(second edition)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Harper Charles 2004 Environment and Society Human Perspectives on

Environmental Issues Upper Saddle River New Jersey Pearson

Education Inc

Humphrey Craig R and Frederick H Buttel 1982 Environment Energy

and Society Belmont California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International Sociological Association(RC24) Korean Sociological

Association and Korean Association for Environmental Sociology

2004 Globalization Localization and Environment (Proceedings for

2004 ISA RC24 Conference in Seoul)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85

The Research Trend and Prospect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Park Jae-mookProf Dept of Sociology Chungnam Univ

Abstract

The aims of this paper are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and to anticipate its future developments As a groundwork for these works we briefly examined the institutionalization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Here we considered the organizing process of environmental sociologists association and the incorporation of the course of environmental sociology into the regular curricula Nextly we examined research trends of environmental sociology and tried to draw common characteristics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The most frequently dealt subjects in ECO a representative journal in this field have been nuclear power risk and disaster large-scale development projects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nd behaviour environmental problems and climate changes And distinguished characteristics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have been found to be focus on environmental problems dependence on qualitative methodology emphasis on environmental reforms of liberal tradition exchange of perspectives among researchers from various fields communications between researchers and activists Lastly it was suggested that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ist should develop interdisciplinary research and field research

Key Words Environmental Sociology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Institutionalization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Korean Association for Environmental Sociology ECO

Page 14: 환경과 사회 연구의 동향과 전망isrku.org/adm/data/1351080157_fEMV3OxI_02-EBB095EC9... · 2014-07-06 ·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 pp.55-85 ‘환경과 사회’

68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연도 춘middot추계 학술대회 주제 주제 유형

2001 창립기념동강댐 건설 문제의 사회문화적 조사연구

보고대규모 개발사업

추계 새만금 대규모 개발사업

복원rsquo 등을 다룬 논문이 최근에는 발표되지 않고 있고 반대로 lsquo에너지middot자

원rsquo에 관한 논문들은 최근에 와서 주로 발표되고 있기는 하지만 이들 주

제를 다룬 사례 수가 많지 않아 뚜렷한 경향을 발견하기는 어렵다

2) 정기학술대회의 주제

환경사회학회는 연 2회 춘middot추계 정기학술대회를 개최한다 학회 창립

이후 개최된 총 26회의 정기학술대회 중 주제가 확인되지 않은 2회를 제

외한 나머지 24회 학술대회의 주제는 lt표 4gt와 같다 정기학술대회에서

가장 자주 등장했던 주제는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5회)이었다 동강댐(2001년

창립기념세미나) 새만금간척사업(2001년 추계 2003년 추계) 4대강사업

(2010년 춘계) 등의 특정 개발 사례와 대규모개발사업 일반(2006년 춘계)

이 주제로 등장했다 두 번째로 자주 등장한 주제는 lsquo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rsquo

으로 2004년 추계 2005년 춘계 및 추계 2007년 춘계 등 4회였다 그 다

음으로 자주 등장한 주제는 lsquo환경정책rsquo(2006년 추계 2009년 추계 2012년

추계)과 lsquo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rsquo(2007년 추계 2010년 추계 2011년 춘계)로

각각 3회 나타났다 lsquo환경정책rsquo으로는 노무현 정부의 lsquo살기 좋은 지역 만

들기rsquo 정책과 이명박 정부의 환경정책 일반과 녹색성장정책이 다루어졌

다 이 밖에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rsquo(2008년 춘계 2009년 춘계) lsquo지속가능한

발전rsquo(2011년 추계 2012년 춘계) lsquo환경사상rsquo(2005년 추계 2013년 춘계)

등이 각각 2회씩 그리고 lsquo생태공동체rsquo(2002년 추계) lsquo환경불평등middot환경정

의rsquo(2004년 추계) lsquo환경정치rsquo(2006년 추계) lsquo환경농업middot식량middot식품rsquo(2008년

추계) 등이 각각 1회씩 등장했다

lt표 4gt 한국환경사회학회 정기학술대회의 주제(2001-2013년)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69

연도 춘middot추계 학술대회 주제 주제 유형

2002춘계 지역과 환경 기타

추계환경친화적 지역사회 개발과 새로운 공동체 운동

생태공동체

2003춘계 미확인 기타

추계 새만금 간척사업 대규모 개발사업

2004춘계 미확인 기타

추계 환경갈등과 환경정의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환경불평등middot환경정의

2005춘계

사회갈등과 주민참여 지역 및 환경갈등을 중심으로

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

추계 환경철학과 환경운동환경사상

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

2006춘계 대규모 개발사업과 환경정치

대규모 개발사업환경정치

추계 살기 좋은 지역 만들기의 이론과 전략 환경정책

2007춘계

대규모 개발사업을 둘러싼 환경갈등과 생태민주주의의 전망

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

추계 기후변화와 한국사회의 선택 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

2008춘계

환경재난의 지역사회 영향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를 중심으로

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

추계 먹을거리의 환경사회학 환경농업middot식량middot식품

2009춘계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의 사회적middot심리적 영향과 공동체 복원

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

추계환경사회학의 관점에서 본 lsquo저탄소 녹색성장rsquo 환경정책

2010춘계 4대강사업에 대한 환경사회학적 성찰 대규모 개발사업

추계 기후변화의 사회학 일상에서 지구촌까지 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

2011춘계

구제역을 통해서 본 지본주의시대의 환경과 생명

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

추계 환경적으로 지속가능한 동아시아를 위하여

지속가능한 발전

2012춘계 지속가능한 발전과 경상남도의 과제 지속가능한 발전

추계 이명박 정부의 환경정책 평가와 대안 환경정책

2013춘계 한국의 생태주의 사상과 역사 환경사상

추계한국 환경사회학의 보편성과 특수성 그리고 미래의 과제

환경사회학 이론

70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연도 주 제

2001 동강댐의 환경사회학(통권 1호)

2002 새만금간척사업의 환경사회학(통권 2호) 사회영향평가연구(통권 3호)

2003 청계천 복원의 사회학(통권 4호) 노무현정부의 환경정책 평가(통권 5호)

2004 부안핵폐기물처리장 문제의 환경사회학(통권 6호) 새만금간척사업의

환경사회학Ⅱ(통권 7호)

2005 한국 국가의 녹색화 연구(통권 8호) 환경정의 경험적 연구(통권 9호)

3) ECO 특집의 주제

ECO지는 매호 하나의 주제를 정하고 관련 논문을 특집으로 묶어 수록

하고 있다 ECO지의 특집 주제의 목록은 lt표 5gt 참조에 제시되어 있다

특집 주제로 가장 자주 설정된 것은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rsquo으로 그 횟수는 6

회이다 세부적으로 보면 방사성폐기물 원자력발전 등 원자력 문제(통권

6호 제10권 1호 제17권 1호)와 재난(제12권 1호 제13권 1호 제15권 1

호)이 각각 3회씩 다루어졌다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 유출사고는 두 번

이나 특집으로 다루어졌다 두 번째로 자주 다루어진 주제는 lsquo환경정책rsquo이었다 환경정책은 5회(통권 5호 통권 8호 제11권 1호 제13권 2호 제16

권 2호) 등장했는데 구체적으로는 노무현 정부의 환경정책 녹색국가 기

후변화 정책 이명박 정부의 녹색성장정책과 일반 환경정책이 다루어졌

다 세 번째로 자주 다루어진 주제는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으로 그 횟수는 4

회(통권 1호 통권 2호 통권 7호 제14권 1호)였다 동강댐 및 4대강 사업

이 1회씩 그리고 새만금간척사업이 2회 다루어졌다 이 밖에 lsquo사회적 영

향평가rsquo(통권 3호 제 10권 2호)와 lsquo환경의식middot환경행동rsquo(제14권 2호 제15

권 2호)이 각각 2회씩 다루어졌고 lsquo환경정의rsquo(통권 9호) lsquo환경복원rsquo(통권

4호) lsquo환경농업middot식량middot식품rsquo(제12권 2호) lsquo환경middot위험거버넌스rsquo(제16권 1

호) lsquo환경문제rsquo(제15권 2호) lsquo지속가능발전(제11권 2호)rsquo 등이 각각 1회씩

다루어졌다

lt표 5gt ECO 각호의 특집 주제(2001-2013년)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71

연도 주 제

2006 방사성폐기물 처분장과 민주주의(제10권 1호) 도시개발의 사회적 영향 은평뉴타운 사례(제10권 2호)

2007 기후변화정책의 국가간 비교연구(제11권 1호) 대안적 발전의 해외사례

연구(제11권 2호)

2008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 연구(제12권 1호) 지구화시대 세계

농식품체계의 환경사회학(제12권 2호)

2009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 연구Ⅱ(제13권 1호) 환경사회학적

관점에서 본 녹색성장(제13권 2호)

2010 4대강사업에 대한 환경사회학적 성찰(제14권 1호) 한국인의 환경 가치

지형(제14권 2호)

2011 환경사회학과 재난관리(제15권 1호) 환경문제와 환경의식(제15권 2호)

2012 위험 사회의 거버넌스(제16권 1호) 이명박 정부의 환경정책과

대안(제16권 2호)

2013 원자력발전과 시민사회 비교연구(제17권 1호)

4) 주요 단행본의 주제

환경사회학자들12)이 저술한 단행본13)은 비교적 다양한 주제를 다루고

있다 2000년대에 들어와서는 저술의 크게 수가 늘어나면서 1990년대에

비하여 주제의 다양성도 크게 증가하고 있다 1990년대에는 lsquo환경사회학

이론rsquo lsquo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rsquo lsquo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rsquo lsquo환경불평등middot환경정의rsquo

등 4개의 주제 영역에 국한되어 있었으나 2000년대에 들어와서는 lsquo대규

모 개발사업rsquo 등 6개 주제에 대한 저술들이 새로 출판되었다 lsquo원자력middot위

험middot재난rsquo에 관한 저술이 최근에 와서 늘어나고 있음이 주목된다

1990년대 이후의 전체 기간에서 가장 많은 단행본이 출판된 주제 영역

은 lsquo환경사회학 이론rsquo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rsquo lsquo환경운동middot

12) 사회학을 전공하지 않은 학자로서 한국환경사회학회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

는 사람은 환경사회학자에 포함시켰다 단행본 필자로는 구자건 문순홍 조명래 최병두 등이 이 경우에 속한다

13) 번역서는 여기에서 제외하였다 또한 다양한 분야의 학자들이 공동으로 저

술한 책 중에서 환경사회학자들의 기여가 크지 않은 저술도 제외하였다

72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환경갈등rsquo lsquo환경정치rsquo 등 5개이다 이들 5개 주제에 관한 저술은 총 25권

으로 전체 저술(46권)의 절반을 넘고 있다 이들 5개 주제 영역 다음으로

lsquo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rsquo(4권) lsquo지속가능한 발전rsquo(4권) lsquo환경불평등middot환경정

의rsquo(3권) 등의 주제 영역에 관한 저술이 많은 편이다

lt표 6gt 단행본의 주제(1990-2013년)

주 제 1990년대 2000-2009년 2010년 이후

환경사회학 이론문순홍(1992) 문순홍(1999) 조명래(2001) 한국환경사회학회(2013)

조명래(2013a)

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최병두(1993b)최병두(1995)

최병두(2003a)최병두(2003b)

대규모 개발사업

문순홍(2006c)박순열(2009)조명래(2006)

홍성태(2010)조명래(2013b)

사회영향평가 구자건(2008)

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 홍성태(2000)

노진철(2010)노진철 등(2010)김도균(2011)홍성태(2012)

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구도완(1996)이득연(1998)

문순홍(2001)구도완(2009) 한국환경사회학회(2013)

지속가능한 발전정대연(2004)문태훈 등(2008)

이시재 등(2010)정대연(2010)

환경불평등middot환경정의 최병두(1999a) 한상진(2006) 최병두(2010)

환경정치

문순홍(2006a)문순홍(2006b)이상헌(2003)

구도완 등(2013)서영표 등(2010)

환경사상 이상헌(2007)

교과서

노진철(2001)정대연(2002)한국환경사회학회(2005)

복합 주제 및 기타최병두(1993a)최병두(1999b)

양종회 등(2002)최병두(2002)홍성태(2006)조명래(2009)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73

2 연구 방법

ECO지의 창간호부터 2003년 6월에 발행한 제17권 1호까지에 게재된

167편의 논문(포럼 포함)에서 사용되고 있는 연구 방법을 9개의 유형으로

구분해 보면 lt표 7gt과 같다 연구 방법을 명시적으로 서술하지 않은 논문

이 적지 않고 복수의 연구 방법을 사용하는 논문이 많아 유형 구분이 쉽

지 않았으나 필자의 주관적 판단에 따라 모든 논문의 연구 방법을 9개의

범주에 배속시켰다

lt표 7gt ECO 게재 논문의 자료수집 방법

주 제논문 수

rsquo01 rsquo02 rsquo03 rsquo04 rsquo05 rsquo06 rsquo07 rsquo08 rsquo09 rsquo10 rsquo11 rsquo12 rsquo13 계

이론 연구 2 9 6 4 3 3 1 4 3 1 1 37(222)

설문조사 2 1 1 2 2 1 3 4 4 2 3 25(150)

문헌middot문서자료 3 3 1 7 4 6 1 5 2 3 3 2 40(240)

기존 자료 3 1 2 1 1 2 10(73)

면접middot심층면접 1 5 1 1 1 1 1 2 2 2 2 19(114)

내용middot담론분석 1 1 1 2 1 1 7(42)

사례 조사 1 2 2 4 1 3 2 4 1 20(120)

비교 연구 1 3 1 1 2 8(48)

시뮬레이션 1 1(06)

계 9 19 16 15 11 12 13 16 13 11 13 14 5 167(1000)

먼저 논문의 발표 시기에 따른 연구 방법의 차이는 드러나지 않는다

다만 이론 연구가 후기로 올수록 줄어드는 경향이 눈에 띌 따름이다

다음으로 연구 방법 간의 빈도 차이는 비교적 뚜렷하게 드러난다 문

헌middot문서자료(40편) 이론 연구(37편) 설문조사(25편) 사례 조사(20편) 면

접middot심층면접(19편) 등이 자주 사용되고 있는 반면에 기존 자료(10편) 비

교연구(8편) 내용middot담론분석(7편) 시뮬레이션(1편) 등은 상대적으로 적게

74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사용되고 있다 문헌middot문서자료 및 이론 연구가 1 2위를 차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환경사회학자들의 독자적인 자료 생산 노력이 활발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마지막으로 ECO 게재 논문과 「한국사회학」 게재 논문의 연구 방법을

비교해 보면 환경사회학의 연구 방법과 사회학 일반의 연구 방법 간에

상당한 차이가 있음이 발견된다 ECO 게재 논문에서는 문헌middot문서자료 이

론 연구 설문조사 등의 순서로 자주 사용된 반면에 「한국사회학」 게재

논문14)들에서는 설문조사(323) 기존 자료(228) 이론(186) 등이 각

각 1 2 3위를 차지하고 있어 중시하고 있는 연구 방법이 서로 다를 뿐만

아니라 ECO 게재 논문들에서 비교적 중시된 문헌middot문서자료(240) 사례

조사(120) 면접middot심층면접(114) 등은 「한국사회학」 게재 논문에서는

훨씬 낮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차이는 결국 환경사회

학자들이 일반 사회학자들과 비교했을 때 양적 자료를 덜 사용하고 질적

자료를 더 많이 사용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Ⅳ 한국 환경사회학의 특징

한국 환경사회학의 특징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환경사회학자 및 그들의

연구 활동의 다양한 측면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여기에서는 연구 주제

연구 방법 이론적 지향 학제적 연구 사회적 실천 등의 다섯 가지 측면에

서 한국 환경사회학의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14) 1964년부터 2006년까지 「한국사회학」에 게재된 논문의 연구 방법을 분석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형 이론설문

조사집계자료 문서자료 기존자료 인터뷰

기타 질적

자료전체

빈도 123 214 67 62 151 31 14 662 186 323 101 94 228 47 21 1000

출처 한국사회학회 2007 120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75

1 환경문제의 사회학

흔히 일본 환경사회학자들은 미국의 환경사회학을 lsquo환경에 대한 사회

학rsquo(sociology of the environment)이라고 특징지으면서 자신들의 환경사회

학을 lsquo환경문제의 사회학rsquo(sociology of environmental problems)이라고 말

한다 이것은 일본의 환경사회학은 구체적인 환경문제가 지역사회 주민

및 피해자의 생활과 지역사회에 미친 영향에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음

을 지적하는 말이다 이러한 일본 환경사회학의 특징은 한국 환경사회학

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이시재는 최근 발표한 ldquo한국 환경사회학의 회고와

전망rdquo에서 lsquo한국에서 환경사회학은 환경문제의 사회학으로 출발했다rsquo고

말하고 한국 환경사회학의 특징 중의 하나로 문제해결을 위한 연구를 들

고 있다(이시재 2013 34-35)

앞에서 우리는 한국 환경사회학의 연구 주제가 논문 특집 학술대회

단행본 등에 있어서 어떻게 나타나는가를 살펴보았다 다양한 연구 활동

중에서 환경사회학자들의 연구 주제 선택의 경향을 잘 보여주는 것은 사

례 수가 가장 많은 논문 발표일 것이다 ECO지 게재 논문을 기준으로 할

때 환경사회학자들은 기후변화를 포함한 환경문제보다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

난rsquo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 lsquo환경의식middot환경행동rsquo을 더 중요하게 다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lt표 3gt 참조) 그러나 가장 빈도가 높은 lsquo원자력middot위

험middot재난rsquo과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은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과 밀접하게 연관

되어 있다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rsquo은 독립적인 주제 영역으로 설정되기는 했

지만 결국 특수한 유형의 환경문제라고 할 수 있고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에

대한 관심은 개발 사업으로 인한 환경문제에 대한 우려에서 비롯되기 때

문이다 따라서 겉으로 드러난 주제 영역보다 주제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의식에 주목한다면 한국의 환경사회학은 lsquo환경문제의 사회학rsquo의 성

격을 강하게 지니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76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2 질적 자료의 활용

환경사회학이 미국에서 처음 형성되던 시기에 농촌사회학의 영향을 강

하게 받았다 농촌사회학의 영향 가운데 대표적인 것으로 경험적 조사 자

료를 중시하는 경향이다 이러한 환경사회학의 전통은 한국의 환경사회학

에서도 이어지고 있다 lt표 7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환경사회학 연구에서

이론 연구의 비중이 222로서 결코 낮다고 할 수는 없지만 다양한 유형

의 경험적 자료를 활용하는 연구의 비중이 이론 연구에 비해 훨씬 크다

경험적 연구 방법 중에서 환경사회학자들이 일반 사회학자들에 비하여

중시하는 자료는 사례 조사 면접 조사 등을 통해 얻는 질적 자료이다 일

반 사회학자들에 비하여 설문 조사 기존 자료 활용 집계 자료 등의 양적

자료의 활용은 떨어지는 데 반하여 사례조사나 면접을 통해 얻는 질적

자료는 더 많이 활용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연구 방법과 관련된 한국

환경사회학의 특징은 상대적으로 질적 자료를 많이 활동하고 있다는 데

있다

질적 자료의 활용이 활발한 것은 기본적으로 한국 환경사회학자들이

연구하는 대상의 특성 때문이다 동강댐 건설사업 새만금간척사업 4대강

사업 등의 대규모 개발사업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 사고 및 각종

개발사업과 관련된 지역 환경운동 및 환경갈등이 하나의 사례로 다루어

지고 또 이러한 사례 연구에서 심층면접이 자료 수집 방법으로 활용되는

경향이 있다

3 자유주의적 환경개혁론

환경사회학에는 생태학적 설명(ecological explanation) 대 정치경제학적

설명(political economy explanation) 성찰적 근대화론(reflexive modernization)

대 생태학적 근대화론(ecological modernization) 실재론(realism) 대 구성

주의(constructionism) 등의 주요 이론적 쟁점이 있지만(Hannigan 2006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77

16-52) 한국 환경사회학에서는 이러한 쟁점을 둘러싼 논쟁을 찾아보기

어렵다 또한 독자적인 이론을 구성하기 위한 노력도 찾아보기 어렵다 윤

순진이 지적한 바 있듯이 ldquo많은 연구들은 다른 학문분과에서 구축한 이

론을 환경 관련 쟁점과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동원하는 양상을rdquo 띠거나

(윤순진 2013 85) 해외 환경사회학계에서 확립된 이론을 연구의 자원으

로 활용하는 데 머무르고 있다

그러나 다른 학문분과나 해외 환경사회학에서 확립된 이론을 수용하여

자원으로 활용하는 경우에도 이론의 선택에는 연구자 자신의 이론적 지

향이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대부분의 연구에는 명시적이든 묵시적

이든 연구자 자신의 이론적 지향이 깔려 있다 그렇다면 한국 환경사회

학에서는 어떤 이론적 지향이 우세하고 그 변화의 방향은 어느 쪽인가

말할 필요도 없이 한국의 환경사회학에는 다양한 이론적 지향 즉 험프리

와 버텔이 말하는 보수적 자유주의적 및 급진적 패러다임(Humphrey and

Buttel 1982 19-21)이 공존하고 있다 보수적 패러다임은 환경의식 및 환

경행동 연구에서 가끔 나타나고 있지만 그 영향력은 미미하다 급진적 패

러다임은 원자력발전 위험 환경정의 대규모 개발사업(국책사업) 대안

적 공동체 생태민주주의 등에 관한 연구에서 중요한 관점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보수적 패러다임에 비해서는 그 영향력이 훨씬 크다 이 두 패러

다임에 비해 훨씬 큰 세력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 바로 국가 개혁과 정책

의 전환을 통해 환경 위기 극복의 길을 모색하는 자유주의적 환경개혁론

이다 자유주의적 환경개혁론은 녹색국가 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 환경정책

환경정치 환경middot위험거버넌스 지속가능한 발전 대규모 개발사업 등의 연

구에서 주로 나타나고 있다

4 다양한 전공의 관점 교류

ECO지 기고를 통해 환경사회학 연구에 참여하고 있는 연구자의 전공

은 매우 다양하다 아마도 사회학 내의 다른 어떤 세부분야에 비해서도

78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다양할 것이다 윤순진의 ECO지 게재 글15)의 저자 분석에 따르면 총 24

개 분야의 학문적 배경을 가진 연구자들이 참여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보

면 사회학 인류학 행정학 경제학 정치학 사회복지학 심리학 지리학

지리교육학 도시 및 지역 관련학과 환경middot에너지정책학과 정치생태학 등

의 사회과학 전공자 철학 한국학 등 인문학 전공자 생태학middot생태곤충학

생물학 지질학 환경보건학 과학기술사학 과학관리학 생명공학 등의 자

연과학 전공자 토목공학 등 공학 전공자 등이 ECO에 글을 싣고 있다 물

론 전공별로 참여 저자의 수는 크게 다르다 사회학 전공자가 37명으로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도시 및 지역 관련 분야 전공자(18명) 인류학 전

공자(8명) 행정학 전공자(6명) 등의 순서로 많다(윤순진 2013 80-81)

ECO지 게재 논문 중 공저 논문의 경우 전공이 서로 다른 연구자가 공

동 저자로 참여한 경우는 많지 않으며 ldquo거의 대부분이 동일학과 소속 교

수와 학생 간의 공저이거나 동일 전공 동료 및 선후배 간 공저로 나타났

다(윤순진 2013 83)rdquo 이런 점에서 볼 때 환경사회학 연구가 실질적인 학

제적 연구의 형태가 띠는 것은 아니라고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적어도 학

회 활동과 학회지를 통해서 다양한 전공 간의 관점 공유와 교류는 활발하

게 이루어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5 연구자와 운동가의 소통

한국 환경사회학의 두드러진 특징 중의 하나는 환경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연구자들이 많다는 점이다 환경사회학자 중에는 연구자이면서

환경단체 전국 조직의 대표(이시재 이상헌 윤순진 이필렬 조명래) 지

역 환경단체의 대표(박재묵 노진철 최병두) 환경단체의 임원(구도완) 등

을 현재 맡고 있거나 과거에 역임한 사람들이 많다 위에서 거론된 연구

자보다 훨씬 더 많은 환경사회학자들이 지역 환경단체 등에 임원으로 참

15) 논문 이외의 서평 등의 글도 포함하고 있다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79

여하고 있다 이와는 반대로 환경단체의 상근 운동가로서 환경사회학회

회원으로 참여하고 논문을 발표하는 경우(이승민 안병옥 최예용 김정

수)도 있다

환경사회학자 연구자의 환경운동 참여와 운동가의 연구 참여가 활발하

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은 환경사회학의 특성과 연관되어 있는 현상이다

환경사회학은 기본적으로 환경문제의 근원 환경문제의 영향 및 환경문제

의 해결16)에 관심을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한국의 환경사회학은 특히

lsquo환경문제의 사회학rsquo의 성격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Ⅴ 환경사회학의 전망과 과제

지난 20년 동안 한국 환경사회학은 제도화의 과정을 거쳐 왔다 이 기

간 동안에 환경사회학은 많은 학과에서 정규 교과목으로 받아들여졌고

독립된 연구 영역으로 인정받게 되었다 또한 이 분야 연구자들이 독자적

인 학회를 조직하고 학회가 학술지를 발간함에 따라 연구 활동의 기반이

갖추어졌다 이로써 한국 환경사회학의 제도화가 대체로 완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지난 20년의 기간은 환경사회학의 기반 구축기인 동시에 성장기였다

성장의 속도는 느렸지만 연구자의 수도 증가해 왔고 이에 따라 학문적

성과도 축적되어 왔다 특히 환경사회학자들이 관심을 집중시켰던 원자

력middot위험middot재난 대규모 개발사업 환경운동 등의 영역에서는 의미 있는 성

과가 있었다 최근에 와서 환경사회학은 안정기에 들어가고 있다 ldquo젊은

층의 충원이 지지부진rdquo하고 대학원에서 환경사회학을 전공하려고 하는

학생도 줄어들고 있다(이시재 2013 37) 사회학계 전반에 걸친 침체 분위

16) Riley E Dunlap과 Brent K Marshall은 환경사회학의 최근 연구 초점으로

환경문제의 근원 환경문제의 영향 환경문제의 해결 방안 등 세 가지를 들

었다(Dunlap and Marshall 2007 335-339)

80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기가 일정 부분 환경사회학에도 미치고 있다 미국에서 환경사회학이

1980년대 초에 겪었던 퇴조 분위기가 한국에서도 나타나고 있는 것 같다

그러나 이러한 환경사회학의 침체 분위기가 장기적으로 지속되지는 않

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렇게 전망하는 근거는 두 가지이다 그 하나는 환

경사회학의 태동을 가져왔던 환경문제가 상존하기 때문이다 또한 기후변

화와 같은 환경문제는 향후에도 장기간 지속될 것이 분명하고 유독성 화

학물질과 같은 새로운 환경문제도 부상하고 있다 한 마디로 환경문제가

근본적으로 해결되지 않는 한 환경사회학은 존속하게 될 것이다 둘째로

현재의 침체 분위기는 일정기간의 성장 뒤에 오는 바닥 다지기의 의미가

크다 따라서 장기적으로 보면 환경사회학은 향후에도 안정적 성장을 지

속할 가능성이 크다

어떤 점에서 환경사회학의 미래는 일정 부분 환경사회학자들이 그들에

게 주어진 사명을 어떻게 수행하느냐에 달려 있기도 하다 2005년 필자가

환경사회학회가 펴낸 「우리 눈으로 보는 환경사회학」의 제1장을 쓰면서

환경사회학자의 사명으로 사회의 녹색화와 사회학의 녹색화를 설정한 바

있다 전자는 인간면제주의 패러다임의 지배를 받고 있는 주류 사회학에

인간 생존의 물리적middot생물적 기반을 고려하는 관점을 제공하는 것이고 후

자는 환경오염과 파괴의 원인 그 영향 및 해결 방안을 사회학적으로 설

명하고 제시하는 것이다 특히 후자의 사명을 환경사회학자들이 얼마나

그리고 어떻게 성취하느냐가 환경사회학의 미래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

다 학제적 연구의 정착과 현장 중심의 연구 강화는 환경사회학이 후자의

사명을 수행하기 위해 해결해야 할 당면 과제이다

2014년 6월 16일 접수

2014년 6월 27일 수정 완료

2014년 6월 29일 게재 확정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81

참고문헌

구도완 1995 ldquo한국의 새로운 환경운동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29(2) 347-371

1996 985172한국 환경운동의 사회학985173 문학과지성사

2009 985172마을에서 세상을 바꾸는 사람들 생태적 대안운동을 찾아

서985173 창비사

구도완 등 2013 985172녹색당과 녹색정치985173 아르케

구자건 2008 985172환경갈등과 사회영향평가 방법985173 연세대출판부

김도균 2011 985172환경재난과 지역사회의 변화 허베이스피리트호 기름유출

사고의 사회재난985173 한울아카데미

김두식 1995 ldquo환경문제와 환경보호에 대한 시민들의 태도 조사연구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29(1) 33-67

노진철 2001 985172환경과 사회985173 한울

2010 985172불확실성 시대의 위험사회학985173 한울아카데미

노진철 등 2010 985172태안은 살아 있다 기름 유출 사고 이후 3년 다시 쓰

는 태안 리포트985173 동녘

문순홍 1992 985172생태위기와 녹색의 대안985173 나라사랑

1999 985172생태학의 담론985173 아르케

2001 985172한국의 여성환경운동985173 아르케

2006a 985172정치생태학과 녹색국가985173 아르케

2006b 985172녹색국가의 탐색985173 아르케

2006c 985172개발국가의 녹색성찰985173 아르케

문태훈 등 2008 985172지속가능한 사회 이야기985173 법문사

박순열 2009 985172불만의 새만금985173 한국학술정보

박재묵 1991 ldquo환경문제에 대한 사회학적 이해rdquo pp 71-83 한국사회학회

(편) 985172현대 한국 사회문제의 진단과 처방985173(특별심포지움 논문집)

서영표영국적록연구그룹 2010 985172사회주의 녹색을 만나다985173 한울아카데미

양종회 1993 ldquo우리나라 국민들의 환경문제에 대한 의식의 변화 및 사회

82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적 기반rdquo 985172한국사회학회985173 26(4) 89-120

양종회 등 2002 985172아시아 태평양지역의 환경문제 환경운동 및 환경정책985173 서울대출판부

윤순진 2013 ldquo《ECO》분석을 통해 본 한국 환경사회학 연구의 흐름rdquo

pp 67-98 한국환경사회학회(편) 985172환경사회학 이론과 환경문제985173 한울아카데미

이득연 1998 985172환경운동의 사회학985173 민영사

이상헌 2003 985172물 세상을 움직이는 물의 정치와 정치 생태학985173 이매진

2011 985172생태주의985173 책세상

이시재 1994 ldquo환경사회학rdquo 한국사회학회(편) 98517221세기의 한국 사회학985173 문학과지성사

2013 ldquo한국 환경사회학의 회고와 전망rdquo pp 67-98 한국환경사회

학회(편) 985172환경사회학 이론과 환경문제985173 한울아카데미

이시재 등 2010 985172생태사회적 발전의 현장과 이론985173 아르케

정대연 2002 985172환경사회학985173 아카넷

2004 985172환경주의와 지속가능한 발전985173 집문당

2010 985172한국 지속가능발전의 구조와 변동985173 집문당

조명래 2001 985172녹색사회의 탐색985173 한울

2006 985172개발정치와 녹색진보985173 환경과 생명

2009 985172지구화 되돌아보기와 넘어서기 공간환경의 모순과 극복985173 환경과 생명

2013a 985172공간으로 사회읽기 개념 쟁점과 대안985173 한울아카데미

2013b 985172녹색토건주의와 환경위기985173 한울아카데미

조명래 등 2005 985172신개발주의를 멈춰라985173 환경과 생명

최병두 1993a 985172한국의 공간과 환경985173 한길사

1993b 985172현대 환경문제의 재인식985173 한울

1995 985172환경사회이론과 국제환경문제985173 한울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83

1999a 985172환경갈등과 불평등985173 한울

1999b 985172녹색사회를 위한 비평985173 한울

2002 985172녹색전망985173 도요새

2003a 985172도시속의 환경 열두 달(봄 여름)985173 한울

2003b 985172도시속의 환경 열두 달(가을 겨울)985173 한울

2010 985172비판적 생태학과 환경정의985173 한울아카데미

한국사회학회 2007 985172한국사회학회 50년사 1957-2007985173 한학문학

한국환경사회학회 2005 985172우리 눈으로 보는 환경사회학985173 창비사

2013a 985172환경사회학이론과 환경문제985173 한울

2013b 985172환경운동과 생활세계985173 한울

한상진 2006 985172환경정의의 사회학985173 UUP

험프리버틀(Craig Humphrey and Frederick R Buttel) 1995 985172환경사회학985173 양종회이시재 역 사회비평사

홍성태 2000 985172대한민국 위험사회985173 당대

2006 985172한국의 근대화와 물985173 한울아카데미

2010 985172생명의 강을 위하여 생태사회학자 홍성태 교수의 4대강

지키기 제안985173 중원문화

2012 985172개발과 파괴의 사회학 위험 사회를 넘어서985173 중원문화

Buttel Frederick H and Craig R Humphrey 2002 Sociological Theory

and the Natural Environment pp 33ndash69 in Riley E Dunlap and

William Michelson(eds) Handbook of Environmental Sociology

Westport CT Greenwood Press

Catton William R Jr and Riley Dunlap 1978 Environmental Sociology

A New Paradigm The American Sociologist 13 41-49

Dunlap Riley E and Brent K Marshall 2007 Environmental Sociology

pp 329-340 in Clifton D Bryant and Dennis L Peck(eds) 21st

Century Sociology A Reference Handbook Thousand Oaks CA

84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Sage Publications

Hannigan John 2006 Environmental Sociology(second edition)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Harper Charles 2004 Environment and Society Human Perspectives on

Environmental Issues Upper Saddle River New Jersey Pearson

Education Inc

Humphrey Craig R and Frederick H Buttel 1982 Environment Energy

and Society Belmont California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International Sociological Association(RC24) Korean Sociological

Association and Korean Association for Environmental Sociology

2004 Globalization Localization and Environment (Proceedings for

2004 ISA RC24 Conference in Seoul)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85

The Research Trend and Prospect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Park Jae-mookProf Dept of Sociology Chungnam Univ

Abstract

The aims of this paper are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and to anticipate its future developments As a groundwork for these works we briefly examined the institutionalization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Here we considered the organizing process of environmental sociologists association and the incorporation of the course of environmental sociology into the regular curricula Nextly we examined research trends of environmental sociology and tried to draw common characteristics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The most frequently dealt subjects in ECO a representative journal in this field have been nuclear power risk and disaster large-scale development projects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nd behaviour environmental problems and climate changes And distinguished characteristics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have been found to be focus on environmental problems dependence on qualitative methodology emphasis on environmental reforms of liberal tradition exchange of perspectives among researchers from various fields communications between researchers and activists Lastly it was suggested that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ist should develop interdisciplinary research and field research

Key Words Environmental Sociology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Institutionalization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Korean Association for Environmental Sociology ECO

Page 15: 환경과 사회 연구의 동향과 전망isrku.org/adm/data/1351080157_fEMV3OxI_02-EBB095EC9... · 2014-07-06 ·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 pp.55-85 ‘환경과 사회’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69

연도 춘middot추계 학술대회 주제 주제 유형

2002춘계 지역과 환경 기타

추계환경친화적 지역사회 개발과 새로운 공동체 운동

생태공동체

2003춘계 미확인 기타

추계 새만금 간척사업 대규모 개발사업

2004춘계 미확인 기타

추계 환경갈등과 환경정의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환경불평등middot환경정의

2005춘계

사회갈등과 주민참여 지역 및 환경갈등을 중심으로

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

추계 환경철학과 환경운동환경사상

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

2006춘계 대규모 개발사업과 환경정치

대규모 개발사업환경정치

추계 살기 좋은 지역 만들기의 이론과 전략 환경정책

2007춘계

대규모 개발사업을 둘러싼 환경갈등과 생태민주주의의 전망

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

추계 기후변화와 한국사회의 선택 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

2008춘계

환경재난의 지역사회 영향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를 중심으로

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

추계 먹을거리의 환경사회학 환경농업middot식량middot식품

2009춘계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의 사회적middot심리적 영향과 공동체 복원

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

추계환경사회학의 관점에서 본 lsquo저탄소 녹색성장rsquo 환경정책

2010춘계 4대강사업에 대한 환경사회학적 성찰 대규모 개발사업

추계 기후변화의 사회학 일상에서 지구촌까지 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

2011춘계

구제역을 통해서 본 지본주의시대의 환경과 생명

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

추계 환경적으로 지속가능한 동아시아를 위하여

지속가능한 발전

2012춘계 지속가능한 발전과 경상남도의 과제 지속가능한 발전

추계 이명박 정부의 환경정책 평가와 대안 환경정책

2013춘계 한국의 생태주의 사상과 역사 환경사상

추계한국 환경사회학의 보편성과 특수성 그리고 미래의 과제

환경사회학 이론

70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연도 주 제

2001 동강댐의 환경사회학(통권 1호)

2002 새만금간척사업의 환경사회학(통권 2호) 사회영향평가연구(통권 3호)

2003 청계천 복원의 사회학(통권 4호) 노무현정부의 환경정책 평가(통권 5호)

2004 부안핵폐기물처리장 문제의 환경사회학(통권 6호) 새만금간척사업의

환경사회학Ⅱ(통권 7호)

2005 한국 국가의 녹색화 연구(통권 8호) 환경정의 경험적 연구(통권 9호)

3) ECO 특집의 주제

ECO지는 매호 하나의 주제를 정하고 관련 논문을 특집으로 묶어 수록

하고 있다 ECO지의 특집 주제의 목록은 lt표 5gt 참조에 제시되어 있다

특집 주제로 가장 자주 설정된 것은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rsquo으로 그 횟수는 6

회이다 세부적으로 보면 방사성폐기물 원자력발전 등 원자력 문제(통권

6호 제10권 1호 제17권 1호)와 재난(제12권 1호 제13권 1호 제15권 1

호)이 각각 3회씩 다루어졌다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 유출사고는 두 번

이나 특집으로 다루어졌다 두 번째로 자주 다루어진 주제는 lsquo환경정책rsquo이었다 환경정책은 5회(통권 5호 통권 8호 제11권 1호 제13권 2호 제16

권 2호) 등장했는데 구체적으로는 노무현 정부의 환경정책 녹색국가 기

후변화 정책 이명박 정부의 녹색성장정책과 일반 환경정책이 다루어졌

다 세 번째로 자주 다루어진 주제는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으로 그 횟수는 4

회(통권 1호 통권 2호 통권 7호 제14권 1호)였다 동강댐 및 4대강 사업

이 1회씩 그리고 새만금간척사업이 2회 다루어졌다 이 밖에 lsquo사회적 영

향평가rsquo(통권 3호 제 10권 2호)와 lsquo환경의식middot환경행동rsquo(제14권 2호 제15

권 2호)이 각각 2회씩 다루어졌고 lsquo환경정의rsquo(통권 9호) lsquo환경복원rsquo(통권

4호) lsquo환경농업middot식량middot식품rsquo(제12권 2호) lsquo환경middot위험거버넌스rsquo(제16권 1

호) lsquo환경문제rsquo(제15권 2호) lsquo지속가능발전(제11권 2호)rsquo 등이 각각 1회씩

다루어졌다

lt표 5gt ECO 각호의 특집 주제(2001-2013년)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71

연도 주 제

2006 방사성폐기물 처분장과 민주주의(제10권 1호) 도시개발의 사회적 영향 은평뉴타운 사례(제10권 2호)

2007 기후변화정책의 국가간 비교연구(제11권 1호) 대안적 발전의 해외사례

연구(제11권 2호)

2008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 연구(제12권 1호) 지구화시대 세계

농식품체계의 환경사회학(제12권 2호)

2009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 연구Ⅱ(제13권 1호) 환경사회학적

관점에서 본 녹색성장(제13권 2호)

2010 4대강사업에 대한 환경사회학적 성찰(제14권 1호) 한국인의 환경 가치

지형(제14권 2호)

2011 환경사회학과 재난관리(제15권 1호) 환경문제와 환경의식(제15권 2호)

2012 위험 사회의 거버넌스(제16권 1호) 이명박 정부의 환경정책과

대안(제16권 2호)

2013 원자력발전과 시민사회 비교연구(제17권 1호)

4) 주요 단행본의 주제

환경사회학자들12)이 저술한 단행본13)은 비교적 다양한 주제를 다루고

있다 2000년대에 들어와서는 저술의 크게 수가 늘어나면서 1990년대에

비하여 주제의 다양성도 크게 증가하고 있다 1990년대에는 lsquo환경사회학

이론rsquo lsquo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rsquo lsquo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rsquo lsquo환경불평등middot환경정의rsquo

등 4개의 주제 영역에 국한되어 있었으나 2000년대에 들어와서는 lsquo대규

모 개발사업rsquo 등 6개 주제에 대한 저술들이 새로 출판되었다 lsquo원자력middot위

험middot재난rsquo에 관한 저술이 최근에 와서 늘어나고 있음이 주목된다

1990년대 이후의 전체 기간에서 가장 많은 단행본이 출판된 주제 영역

은 lsquo환경사회학 이론rsquo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rsquo lsquo환경운동middot

12) 사회학을 전공하지 않은 학자로서 한국환경사회학회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

는 사람은 환경사회학자에 포함시켰다 단행본 필자로는 구자건 문순홍 조명래 최병두 등이 이 경우에 속한다

13) 번역서는 여기에서 제외하였다 또한 다양한 분야의 학자들이 공동으로 저

술한 책 중에서 환경사회학자들의 기여가 크지 않은 저술도 제외하였다

72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환경갈등rsquo lsquo환경정치rsquo 등 5개이다 이들 5개 주제에 관한 저술은 총 25권

으로 전체 저술(46권)의 절반을 넘고 있다 이들 5개 주제 영역 다음으로

lsquo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rsquo(4권) lsquo지속가능한 발전rsquo(4권) lsquo환경불평등middot환경정

의rsquo(3권) 등의 주제 영역에 관한 저술이 많은 편이다

lt표 6gt 단행본의 주제(1990-2013년)

주 제 1990년대 2000-2009년 2010년 이후

환경사회학 이론문순홍(1992) 문순홍(1999) 조명래(2001) 한국환경사회학회(2013)

조명래(2013a)

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최병두(1993b)최병두(1995)

최병두(2003a)최병두(2003b)

대규모 개발사업

문순홍(2006c)박순열(2009)조명래(2006)

홍성태(2010)조명래(2013b)

사회영향평가 구자건(2008)

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 홍성태(2000)

노진철(2010)노진철 등(2010)김도균(2011)홍성태(2012)

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구도완(1996)이득연(1998)

문순홍(2001)구도완(2009) 한국환경사회학회(2013)

지속가능한 발전정대연(2004)문태훈 등(2008)

이시재 등(2010)정대연(2010)

환경불평등middot환경정의 최병두(1999a) 한상진(2006) 최병두(2010)

환경정치

문순홍(2006a)문순홍(2006b)이상헌(2003)

구도완 등(2013)서영표 등(2010)

환경사상 이상헌(2007)

교과서

노진철(2001)정대연(2002)한국환경사회학회(2005)

복합 주제 및 기타최병두(1993a)최병두(1999b)

양종회 등(2002)최병두(2002)홍성태(2006)조명래(2009)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73

2 연구 방법

ECO지의 창간호부터 2003년 6월에 발행한 제17권 1호까지에 게재된

167편의 논문(포럼 포함)에서 사용되고 있는 연구 방법을 9개의 유형으로

구분해 보면 lt표 7gt과 같다 연구 방법을 명시적으로 서술하지 않은 논문

이 적지 않고 복수의 연구 방법을 사용하는 논문이 많아 유형 구분이 쉽

지 않았으나 필자의 주관적 판단에 따라 모든 논문의 연구 방법을 9개의

범주에 배속시켰다

lt표 7gt ECO 게재 논문의 자료수집 방법

주 제논문 수

rsquo01 rsquo02 rsquo03 rsquo04 rsquo05 rsquo06 rsquo07 rsquo08 rsquo09 rsquo10 rsquo11 rsquo12 rsquo13 계

이론 연구 2 9 6 4 3 3 1 4 3 1 1 37(222)

설문조사 2 1 1 2 2 1 3 4 4 2 3 25(150)

문헌middot문서자료 3 3 1 7 4 6 1 5 2 3 3 2 40(240)

기존 자료 3 1 2 1 1 2 10(73)

면접middot심층면접 1 5 1 1 1 1 1 2 2 2 2 19(114)

내용middot담론분석 1 1 1 2 1 1 7(42)

사례 조사 1 2 2 4 1 3 2 4 1 20(120)

비교 연구 1 3 1 1 2 8(48)

시뮬레이션 1 1(06)

계 9 19 16 15 11 12 13 16 13 11 13 14 5 167(1000)

먼저 논문의 발표 시기에 따른 연구 방법의 차이는 드러나지 않는다

다만 이론 연구가 후기로 올수록 줄어드는 경향이 눈에 띌 따름이다

다음으로 연구 방법 간의 빈도 차이는 비교적 뚜렷하게 드러난다 문

헌middot문서자료(40편) 이론 연구(37편) 설문조사(25편) 사례 조사(20편) 면

접middot심층면접(19편) 등이 자주 사용되고 있는 반면에 기존 자료(10편) 비

교연구(8편) 내용middot담론분석(7편) 시뮬레이션(1편) 등은 상대적으로 적게

74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사용되고 있다 문헌middot문서자료 및 이론 연구가 1 2위를 차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환경사회학자들의 독자적인 자료 생산 노력이 활발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마지막으로 ECO 게재 논문과 「한국사회학」 게재 논문의 연구 방법을

비교해 보면 환경사회학의 연구 방법과 사회학 일반의 연구 방법 간에

상당한 차이가 있음이 발견된다 ECO 게재 논문에서는 문헌middot문서자료 이

론 연구 설문조사 등의 순서로 자주 사용된 반면에 「한국사회학」 게재

논문14)들에서는 설문조사(323) 기존 자료(228) 이론(186) 등이 각

각 1 2 3위를 차지하고 있어 중시하고 있는 연구 방법이 서로 다를 뿐만

아니라 ECO 게재 논문들에서 비교적 중시된 문헌middot문서자료(240) 사례

조사(120) 면접middot심층면접(114) 등은 「한국사회학」 게재 논문에서는

훨씬 낮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차이는 결국 환경사회

학자들이 일반 사회학자들과 비교했을 때 양적 자료를 덜 사용하고 질적

자료를 더 많이 사용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Ⅳ 한국 환경사회학의 특징

한국 환경사회학의 특징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환경사회학자 및 그들의

연구 활동의 다양한 측면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여기에서는 연구 주제

연구 방법 이론적 지향 학제적 연구 사회적 실천 등의 다섯 가지 측면에

서 한국 환경사회학의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14) 1964년부터 2006년까지 「한국사회학」에 게재된 논문의 연구 방법을 분석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형 이론설문

조사집계자료 문서자료 기존자료 인터뷰

기타 질적

자료전체

빈도 123 214 67 62 151 31 14 662 186 323 101 94 228 47 21 1000

출처 한국사회학회 2007 120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75

1 환경문제의 사회학

흔히 일본 환경사회학자들은 미국의 환경사회학을 lsquo환경에 대한 사회

학rsquo(sociology of the environment)이라고 특징지으면서 자신들의 환경사회

학을 lsquo환경문제의 사회학rsquo(sociology of environmental problems)이라고 말

한다 이것은 일본의 환경사회학은 구체적인 환경문제가 지역사회 주민

및 피해자의 생활과 지역사회에 미친 영향에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음

을 지적하는 말이다 이러한 일본 환경사회학의 특징은 한국 환경사회학

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이시재는 최근 발표한 ldquo한국 환경사회학의 회고와

전망rdquo에서 lsquo한국에서 환경사회학은 환경문제의 사회학으로 출발했다rsquo고

말하고 한국 환경사회학의 특징 중의 하나로 문제해결을 위한 연구를 들

고 있다(이시재 2013 34-35)

앞에서 우리는 한국 환경사회학의 연구 주제가 논문 특집 학술대회

단행본 등에 있어서 어떻게 나타나는가를 살펴보았다 다양한 연구 활동

중에서 환경사회학자들의 연구 주제 선택의 경향을 잘 보여주는 것은 사

례 수가 가장 많은 논문 발표일 것이다 ECO지 게재 논문을 기준으로 할

때 환경사회학자들은 기후변화를 포함한 환경문제보다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

난rsquo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 lsquo환경의식middot환경행동rsquo을 더 중요하게 다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lt표 3gt 참조) 그러나 가장 빈도가 높은 lsquo원자력middot위

험middot재난rsquo과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은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과 밀접하게 연관

되어 있다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rsquo은 독립적인 주제 영역으로 설정되기는 했

지만 결국 특수한 유형의 환경문제라고 할 수 있고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에

대한 관심은 개발 사업으로 인한 환경문제에 대한 우려에서 비롯되기 때

문이다 따라서 겉으로 드러난 주제 영역보다 주제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의식에 주목한다면 한국의 환경사회학은 lsquo환경문제의 사회학rsquo의 성

격을 강하게 지니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76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2 질적 자료의 활용

환경사회학이 미국에서 처음 형성되던 시기에 농촌사회학의 영향을 강

하게 받았다 농촌사회학의 영향 가운데 대표적인 것으로 경험적 조사 자

료를 중시하는 경향이다 이러한 환경사회학의 전통은 한국의 환경사회학

에서도 이어지고 있다 lt표 7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환경사회학 연구에서

이론 연구의 비중이 222로서 결코 낮다고 할 수는 없지만 다양한 유형

의 경험적 자료를 활용하는 연구의 비중이 이론 연구에 비해 훨씬 크다

경험적 연구 방법 중에서 환경사회학자들이 일반 사회학자들에 비하여

중시하는 자료는 사례 조사 면접 조사 등을 통해 얻는 질적 자료이다 일

반 사회학자들에 비하여 설문 조사 기존 자료 활용 집계 자료 등의 양적

자료의 활용은 떨어지는 데 반하여 사례조사나 면접을 통해 얻는 질적

자료는 더 많이 활용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연구 방법과 관련된 한국

환경사회학의 특징은 상대적으로 질적 자료를 많이 활동하고 있다는 데

있다

질적 자료의 활용이 활발한 것은 기본적으로 한국 환경사회학자들이

연구하는 대상의 특성 때문이다 동강댐 건설사업 새만금간척사업 4대강

사업 등의 대규모 개발사업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 사고 및 각종

개발사업과 관련된 지역 환경운동 및 환경갈등이 하나의 사례로 다루어

지고 또 이러한 사례 연구에서 심층면접이 자료 수집 방법으로 활용되는

경향이 있다

3 자유주의적 환경개혁론

환경사회학에는 생태학적 설명(ecological explanation) 대 정치경제학적

설명(political economy explanation) 성찰적 근대화론(reflexive modernization)

대 생태학적 근대화론(ecological modernization) 실재론(realism) 대 구성

주의(constructionism) 등의 주요 이론적 쟁점이 있지만(Hannigan 2006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77

16-52) 한국 환경사회학에서는 이러한 쟁점을 둘러싼 논쟁을 찾아보기

어렵다 또한 독자적인 이론을 구성하기 위한 노력도 찾아보기 어렵다 윤

순진이 지적한 바 있듯이 ldquo많은 연구들은 다른 학문분과에서 구축한 이

론을 환경 관련 쟁점과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동원하는 양상을rdquo 띠거나

(윤순진 2013 85) 해외 환경사회학계에서 확립된 이론을 연구의 자원으

로 활용하는 데 머무르고 있다

그러나 다른 학문분과나 해외 환경사회학에서 확립된 이론을 수용하여

자원으로 활용하는 경우에도 이론의 선택에는 연구자 자신의 이론적 지

향이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대부분의 연구에는 명시적이든 묵시적

이든 연구자 자신의 이론적 지향이 깔려 있다 그렇다면 한국 환경사회

학에서는 어떤 이론적 지향이 우세하고 그 변화의 방향은 어느 쪽인가

말할 필요도 없이 한국의 환경사회학에는 다양한 이론적 지향 즉 험프리

와 버텔이 말하는 보수적 자유주의적 및 급진적 패러다임(Humphrey and

Buttel 1982 19-21)이 공존하고 있다 보수적 패러다임은 환경의식 및 환

경행동 연구에서 가끔 나타나고 있지만 그 영향력은 미미하다 급진적 패

러다임은 원자력발전 위험 환경정의 대규모 개발사업(국책사업) 대안

적 공동체 생태민주주의 등에 관한 연구에서 중요한 관점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보수적 패러다임에 비해서는 그 영향력이 훨씬 크다 이 두 패러

다임에 비해 훨씬 큰 세력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 바로 국가 개혁과 정책

의 전환을 통해 환경 위기 극복의 길을 모색하는 자유주의적 환경개혁론

이다 자유주의적 환경개혁론은 녹색국가 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 환경정책

환경정치 환경middot위험거버넌스 지속가능한 발전 대규모 개발사업 등의 연

구에서 주로 나타나고 있다

4 다양한 전공의 관점 교류

ECO지 기고를 통해 환경사회학 연구에 참여하고 있는 연구자의 전공

은 매우 다양하다 아마도 사회학 내의 다른 어떤 세부분야에 비해서도

78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다양할 것이다 윤순진의 ECO지 게재 글15)의 저자 분석에 따르면 총 24

개 분야의 학문적 배경을 가진 연구자들이 참여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보

면 사회학 인류학 행정학 경제학 정치학 사회복지학 심리학 지리학

지리교육학 도시 및 지역 관련학과 환경middot에너지정책학과 정치생태학 등

의 사회과학 전공자 철학 한국학 등 인문학 전공자 생태학middot생태곤충학

생물학 지질학 환경보건학 과학기술사학 과학관리학 생명공학 등의 자

연과학 전공자 토목공학 등 공학 전공자 등이 ECO에 글을 싣고 있다 물

론 전공별로 참여 저자의 수는 크게 다르다 사회학 전공자가 37명으로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도시 및 지역 관련 분야 전공자(18명) 인류학 전

공자(8명) 행정학 전공자(6명) 등의 순서로 많다(윤순진 2013 80-81)

ECO지 게재 논문 중 공저 논문의 경우 전공이 서로 다른 연구자가 공

동 저자로 참여한 경우는 많지 않으며 ldquo거의 대부분이 동일학과 소속 교

수와 학생 간의 공저이거나 동일 전공 동료 및 선후배 간 공저로 나타났

다(윤순진 2013 83)rdquo 이런 점에서 볼 때 환경사회학 연구가 실질적인 학

제적 연구의 형태가 띠는 것은 아니라고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적어도 학

회 활동과 학회지를 통해서 다양한 전공 간의 관점 공유와 교류는 활발하

게 이루어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5 연구자와 운동가의 소통

한국 환경사회학의 두드러진 특징 중의 하나는 환경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연구자들이 많다는 점이다 환경사회학자 중에는 연구자이면서

환경단체 전국 조직의 대표(이시재 이상헌 윤순진 이필렬 조명래) 지

역 환경단체의 대표(박재묵 노진철 최병두) 환경단체의 임원(구도완) 등

을 현재 맡고 있거나 과거에 역임한 사람들이 많다 위에서 거론된 연구

자보다 훨씬 더 많은 환경사회학자들이 지역 환경단체 등에 임원으로 참

15) 논문 이외의 서평 등의 글도 포함하고 있다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79

여하고 있다 이와는 반대로 환경단체의 상근 운동가로서 환경사회학회

회원으로 참여하고 논문을 발표하는 경우(이승민 안병옥 최예용 김정

수)도 있다

환경사회학자 연구자의 환경운동 참여와 운동가의 연구 참여가 활발하

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은 환경사회학의 특성과 연관되어 있는 현상이다

환경사회학은 기본적으로 환경문제의 근원 환경문제의 영향 및 환경문제

의 해결16)에 관심을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한국의 환경사회학은 특히

lsquo환경문제의 사회학rsquo의 성격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Ⅴ 환경사회학의 전망과 과제

지난 20년 동안 한국 환경사회학은 제도화의 과정을 거쳐 왔다 이 기

간 동안에 환경사회학은 많은 학과에서 정규 교과목으로 받아들여졌고

독립된 연구 영역으로 인정받게 되었다 또한 이 분야 연구자들이 독자적

인 학회를 조직하고 학회가 학술지를 발간함에 따라 연구 활동의 기반이

갖추어졌다 이로써 한국 환경사회학의 제도화가 대체로 완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지난 20년의 기간은 환경사회학의 기반 구축기인 동시에 성장기였다

성장의 속도는 느렸지만 연구자의 수도 증가해 왔고 이에 따라 학문적

성과도 축적되어 왔다 특히 환경사회학자들이 관심을 집중시켰던 원자

력middot위험middot재난 대규모 개발사업 환경운동 등의 영역에서는 의미 있는 성

과가 있었다 최근에 와서 환경사회학은 안정기에 들어가고 있다 ldquo젊은

층의 충원이 지지부진rdquo하고 대학원에서 환경사회학을 전공하려고 하는

학생도 줄어들고 있다(이시재 2013 37) 사회학계 전반에 걸친 침체 분위

16) Riley E Dunlap과 Brent K Marshall은 환경사회학의 최근 연구 초점으로

환경문제의 근원 환경문제의 영향 환경문제의 해결 방안 등 세 가지를 들

었다(Dunlap and Marshall 2007 335-339)

80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기가 일정 부분 환경사회학에도 미치고 있다 미국에서 환경사회학이

1980년대 초에 겪었던 퇴조 분위기가 한국에서도 나타나고 있는 것 같다

그러나 이러한 환경사회학의 침체 분위기가 장기적으로 지속되지는 않

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렇게 전망하는 근거는 두 가지이다 그 하나는 환

경사회학의 태동을 가져왔던 환경문제가 상존하기 때문이다 또한 기후변

화와 같은 환경문제는 향후에도 장기간 지속될 것이 분명하고 유독성 화

학물질과 같은 새로운 환경문제도 부상하고 있다 한 마디로 환경문제가

근본적으로 해결되지 않는 한 환경사회학은 존속하게 될 것이다 둘째로

현재의 침체 분위기는 일정기간의 성장 뒤에 오는 바닥 다지기의 의미가

크다 따라서 장기적으로 보면 환경사회학은 향후에도 안정적 성장을 지

속할 가능성이 크다

어떤 점에서 환경사회학의 미래는 일정 부분 환경사회학자들이 그들에

게 주어진 사명을 어떻게 수행하느냐에 달려 있기도 하다 2005년 필자가

환경사회학회가 펴낸 「우리 눈으로 보는 환경사회학」의 제1장을 쓰면서

환경사회학자의 사명으로 사회의 녹색화와 사회학의 녹색화를 설정한 바

있다 전자는 인간면제주의 패러다임의 지배를 받고 있는 주류 사회학에

인간 생존의 물리적middot생물적 기반을 고려하는 관점을 제공하는 것이고 후

자는 환경오염과 파괴의 원인 그 영향 및 해결 방안을 사회학적으로 설

명하고 제시하는 것이다 특히 후자의 사명을 환경사회학자들이 얼마나

그리고 어떻게 성취하느냐가 환경사회학의 미래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

다 학제적 연구의 정착과 현장 중심의 연구 강화는 환경사회학이 후자의

사명을 수행하기 위해 해결해야 할 당면 과제이다

2014년 6월 16일 접수

2014년 6월 27일 수정 완료

2014년 6월 29일 게재 확정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81

참고문헌

구도완 1995 ldquo한국의 새로운 환경운동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29(2) 347-371

1996 985172한국 환경운동의 사회학985173 문학과지성사

2009 985172마을에서 세상을 바꾸는 사람들 생태적 대안운동을 찾아

서985173 창비사

구도완 등 2013 985172녹색당과 녹색정치985173 아르케

구자건 2008 985172환경갈등과 사회영향평가 방법985173 연세대출판부

김도균 2011 985172환경재난과 지역사회의 변화 허베이스피리트호 기름유출

사고의 사회재난985173 한울아카데미

김두식 1995 ldquo환경문제와 환경보호에 대한 시민들의 태도 조사연구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29(1) 33-67

노진철 2001 985172환경과 사회985173 한울

2010 985172불확실성 시대의 위험사회학985173 한울아카데미

노진철 등 2010 985172태안은 살아 있다 기름 유출 사고 이후 3년 다시 쓰

는 태안 리포트985173 동녘

문순홍 1992 985172생태위기와 녹색의 대안985173 나라사랑

1999 985172생태학의 담론985173 아르케

2001 985172한국의 여성환경운동985173 아르케

2006a 985172정치생태학과 녹색국가985173 아르케

2006b 985172녹색국가의 탐색985173 아르케

2006c 985172개발국가의 녹색성찰985173 아르케

문태훈 등 2008 985172지속가능한 사회 이야기985173 법문사

박순열 2009 985172불만의 새만금985173 한국학술정보

박재묵 1991 ldquo환경문제에 대한 사회학적 이해rdquo pp 71-83 한국사회학회

(편) 985172현대 한국 사회문제의 진단과 처방985173(특별심포지움 논문집)

서영표영국적록연구그룹 2010 985172사회주의 녹색을 만나다985173 한울아카데미

양종회 1993 ldquo우리나라 국민들의 환경문제에 대한 의식의 변화 및 사회

82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적 기반rdquo 985172한국사회학회985173 26(4) 89-120

양종회 등 2002 985172아시아 태평양지역의 환경문제 환경운동 및 환경정책985173 서울대출판부

윤순진 2013 ldquo《ECO》분석을 통해 본 한국 환경사회학 연구의 흐름rdquo

pp 67-98 한국환경사회학회(편) 985172환경사회학 이론과 환경문제985173 한울아카데미

이득연 1998 985172환경운동의 사회학985173 민영사

이상헌 2003 985172물 세상을 움직이는 물의 정치와 정치 생태학985173 이매진

2011 985172생태주의985173 책세상

이시재 1994 ldquo환경사회학rdquo 한국사회학회(편) 98517221세기의 한국 사회학985173 문학과지성사

2013 ldquo한국 환경사회학의 회고와 전망rdquo pp 67-98 한국환경사회

학회(편) 985172환경사회학 이론과 환경문제985173 한울아카데미

이시재 등 2010 985172생태사회적 발전의 현장과 이론985173 아르케

정대연 2002 985172환경사회학985173 아카넷

2004 985172환경주의와 지속가능한 발전985173 집문당

2010 985172한국 지속가능발전의 구조와 변동985173 집문당

조명래 2001 985172녹색사회의 탐색985173 한울

2006 985172개발정치와 녹색진보985173 환경과 생명

2009 985172지구화 되돌아보기와 넘어서기 공간환경의 모순과 극복985173 환경과 생명

2013a 985172공간으로 사회읽기 개념 쟁점과 대안985173 한울아카데미

2013b 985172녹색토건주의와 환경위기985173 한울아카데미

조명래 등 2005 985172신개발주의를 멈춰라985173 환경과 생명

최병두 1993a 985172한국의 공간과 환경985173 한길사

1993b 985172현대 환경문제의 재인식985173 한울

1995 985172환경사회이론과 국제환경문제985173 한울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83

1999a 985172환경갈등과 불평등985173 한울

1999b 985172녹색사회를 위한 비평985173 한울

2002 985172녹색전망985173 도요새

2003a 985172도시속의 환경 열두 달(봄 여름)985173 한울

2003b 985172도시속의 환경 열두 달(가을 겨울)985173 한울

2010 985172비판적 생태학과 환경정의985173 한울아카데미

한국사회학회 2007 985172한국사회학회 50년사 1957-2007985173 한학문학

한국환경사회학회 2005 985172우리 눈으로 보는 환경사회학985173 창비사

2013a 985172환경사회학이론과 환경문제985173 한울

2013b 985172환경운동과 생활세계985173 한울

한상진 2006 985172환경정의의 사회학985173 UUP

험프리버틀(Craig Humphrey and Frederick R Buttel) 1995 985172환경사회학985173 양종회이시재 역 사회비평사

홍성태 2000 985172대한민국 위험사회985173 당대

2006 985172한국의 근대화와 물985173 한울아카데미

2010 985172생명의 강을 위하여 생태사회학자 홍성태 교수의 4대강

지키기 제안985173 중원문화

2012 985172개발과 파괴의 사회학 위험 사회를 넘어서985173 중원문화

Buttel Frederick H and Craig R Humphrey 2002 Sociological Theory

and the Natural Environment pp 33ndash69 in Riley E Dunlap and

William Michelson(eds) Handbook of Environmental Sociology

Westport CT Greenwood Press

Catton William R Jr and Riley Dunlap 1978 Environmental Sociology

A New Paradigm The American Sociologist 13 41-49

Dunlap Riley E and Brent K Marshall 2007 Environmental Sociology

pp 329-340 in Clifton D Bryant and Dennis L Peck(eds) 21st

Century Sociology A Reference Handbook Thousand Oaks CA

84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Sage Publications

Hannigan John 2006 Environmental Sociology(second edition)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Harper Charles 2004 Environment and Society Human Perspectives on

Environmental Issues Upper Saddle River New Jersey Pearson

Education Inc

Humphrey Craig R and Frederick H Buttel 1982 Environment Energy

and Society Belmont California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International Sociological Association(RC24) Korean Sociological

Association and Korean Association for Environmental Sociology

2004 Globalization Localization and Environment (Proceedings for

2004 ISA RC24 Conference in Seoul)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85

The Research Trend and Prospect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Park Jae-mookProf Dept of Sociology Chungnam Univ

Abstract

The aims of this paper are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and to anticipate its future developments As a groundwork for these works we briefly examined the institutionalization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Here we considered the organizing process of environmental sociologists association and the incorporation of the course of environmental sociology into the regular curricula Nextly we examined research trends of environmental sociology and tried to draw common characteristics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The most frequently dealt subjects in ECO a representative journal in this field have been nuclear power risk and disaster large-scale development projects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nd behaviour environmental problems and climate changes And distinguished characteristics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have been found to be focus on environmental problems dependence on qualitative methodology emphasis on environmental reforms of liberal tradition exchange of perspectives among researchers from various fields communications between researchers and activists Lastly it was suggested that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ist should develop interdisciplinary research and field research

Key Words Environmental Sociology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Institutionalization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Korean Association for Environmental Sociology ECO

Page 16: 환경과 사회 연구의 동향과 전망isrku.org/adm/data/1351080157_fEMV3OxI_02-EBB095EC9... · 2014-07-06 ·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 pp.55-85 ‘환경과 사회’

70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연도 주 제

2001 동강댐의 환경사회학(통권 1호)

2002 새만금간척사업의 환경사회학(통권 2호) 사회영향평가연구(통권 3호)

2003 청계천 복원의 사회학(통권 4호) 노무현정부의 환경정책 평가(통권 5호)

2004 부안핵폐기물처리장 문제의 환경사회학(통권 6호) 새만금간척사업의

환경사회학Ⅱ(통권 7호)

2005 한국 국가의 녹색화 연구(통권 8호) 환경정의 경험적 연구(통권 9호)

3) ECO 특집의 주제

ECO지는 매호 하나의 주제를 정하고 관련 논문을 특집으로 묶어 수록

하고 있다 ECO지의 특집 주제의 목록은 lt표 5gt 참조에 제시되어 있다

특집 주제로 가장 자주 설정된 것은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rsquo으로 그 횟수는 6

회이다 세부적으로 보면 방사성폐기물 원자력발전 등 원자력 문제(통권

6호 제10권 1호 제17권 1호)와 재난(제12권 1호 제13권 1호 제15권 1

호)이 각각 3회씩 다루어졌다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 유출사고는 두 번

이나 특집으로 다루어졌다 두 번째로 자주 다루어진 주제는 lsquo환경정책rsquo이었다 환경정책은 5회(통권 5호 통권 8호 제11권 1호 제13권 2호 제16

권 2호) 등장했는데 구체적으로는 노무현 정부의 환경정책 녹색국가 기

후변화 정책 이명박 정부의 녹색성장정책과 일반 환경정책이 다루어졌

다 세 번째로 자주 다루어진 주제는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으로 그 횟수는 4

회(통권 1호 통권 2호 통권 7호 제14권 1호)였다 동강댐 및 4대강 사업

이 1회씩 그리고 새만금간척사업이 2회 다루어졌다 이 밖에 lsquo사회적 영

향평가rsquo(통권 3호 제 10권 2호)와 lsquo환경의식middot환경행동rsquo(제14권 2호 제15

권 2호)이 각각 2회씩 다루어졌고 lsquo환경정의rsquo(통권 9호) lsquo환경복원rsquo(통권

4호) lsquo환경농업middot식량middot식품rsquo(제12권 2호) lsquo환경middot위험거버넌스rsquo(제16권 1

호) lsquo환경문제rsquo(제15권 2호) lsquo지속가능발전(제11권 2호)rsquo 등이 각각 1회씩

다루어졌다

lt표 5gt ECO 각호의 특집 주제(2001-2013년)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71

연도 주 제

2006 방사성폐기물 처분장과 민주주의(제10권 1호) 도시개발의 사회적 영향 은평뉴타운 사례(제10권 2호)

2007 기후변화정책의 국가간 비교연구(제11권 1호) 대안적 발전의 해외사례

연구(제11권 2호)

2008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 연구(제12권 1호) 지구화시대 세계

농식품체계의 환경사회학(제12권 2호)

2009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 연구Ⅱ(제13권 1호) 환경사회학적

관점에서 본 녹색성장(제13권 2호)

2010 4대강사업에 대한 환경사회학적 성찰(제14권 1호) 한국인의 환경 가치

지형(제14권 2호)

2011 환경사회학과 재난관리(제15권 1호) 환경문제와 환경의식(제15권 2호)

2012 위험 사회의 거버넌스(제16권 1호) 이명박 정부의 환경정책과

대안(제16권 2호)

2013 원자력발전과 시민사회 비교연구(제17권 1호)

4) 주요 단행본의 주제

환경사회학자들12)이 저술한 단행본13)은 비교적 다양한 주제를 다루고

있다 2000년대에 들어와서는 저술의 크게 수가 늘어나면서 1990년대에

비하여 주제의 다양성도 크게 증가하고 있다 1990년대에는 lsquo환경사회학

이론rsquo lsquo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rsquo lsquo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rsquo lsquo환경불평등middot환경정의rsquo

등 4개의 주제 영역에 국한되어 있었으나 2000년대에 들어와서는 lsquo대규

모 개발사업rsquo 등 6개 주제에 대한 저술들이 새로 출판되었다 lsquo원자력middot위

험middot재난rsquo에 관한 저술이 최근에 와서 늘어나고 있음이 주목된다

1990년대 이후의 전체 기간에서 가장 많은 단행본이 출판된 주제 영역

은 lsquo환경사회학 이론rsquo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rsquo lsquo환경운동middot

12) 사회학을 전공하지 않은 학자로서 한국환경사회학회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

는 사람은 환경사회학자에 포함시켰다 단행본 필자로는 구자건 문순홍 조명래 최병두 등이 이 경우에 속한다

13) 번역서는 여기에서 제외하였다 또한 다양한 분야의 학자들이 공동으로 저

술한 책 중에서 환경사회학자들의 기여가 크지 않은 저술도 제외하였다

72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환경갈등rsquo lsquo환경정치rsquo 등 5개이다 이들 5개 주제에 관한 저술은 총 25권

으로 전체 저술(46권)의 절반을 넘고 있다 이들 5개 주제 영역 다음으로

lsquo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rsquo(4권) lsquo지속가능한 발전rsquo(4권) lsquo환경불평등middot환경정

의rsquo(3권) 등의 주제 영역에 관한 저술이 많은 편이다

lt표 6gt 단행본의 주제(1990-2013년)

주 제 1990년대 2000-2009년 2010년 이후

환경사회학 이론문순홍(1992) 문순홍(1999) 조명래(2001) 한국환경사회학회(2013)

조명래(2013a)

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최병두(1993b)최병두(1995)

최병두(2003a)최병두(2003b)

대규모 개발사업

문순홍(2006c)박순열(2009)조명래(2006)

홍성태(2010)조명래(2013b)

사회영향평가 구자건(2008)

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 홍성태(2000)

노진철(2010)노진철 등(2010)김도균(2011)홍성태(2012)

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구도완(1996)이득연(1998)

문순홍(2001)구도완(2009) 한국환경사회학회(2013)

지속가능한 발전정대연(2004)문태훈 등(2008)

이시재 등(2010)정대연(2010)

환경불평등middot환경정의 최병두(1999a) 한상진(2006) 최병두(2010)

환경정치

문순홍(2006a)문순홍(2006b)이상헌(2003)

구도완 등(2013)서영표 등(2010)

환경사상 이상헌(2007)

교과서

노진철(2001)정대연(2002)한국환경사회학회(2005)

복합 주제 및 기타최병두(1993a)최병두(1999b)

양종회 등(2002)최병두(2002)홍성태(2006)조명래(2009)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73

2 연구 방법

ECO지의 창간호부터 2003년 6월에 발행한 제17권 1호까지에 게재된

167편의 논문(포럼 포함)에서 사용되고 있는 연구 방법을 9개의 유형으로

구분해 보면 lt표 7gt과 같다 연구 방법을 명시적으로 서술하지 않은 논문

이 적지 않고 복수의 연구 방법을 사용하는 논문이 많아 유형 구분이 쉽

지 않았으나 필자의 주관적 판단에 따라 모든 논문의 연구 방법을 9개의

범주에 배속시켰다

lt표 7gt ECO 게재 논문의 자료수집 방법

주 제논문 수

rsquo01 rsquo02 rsquo03 rsquo04 rsquo05 rsquo06 rsquo07 rsquo08 rsquo09 rsquo10 rsquo11 rsquo12 rsquo13 계

이론 연구 2 9 6 4 3 3 1 4 3 1 1 37(222)

설문조사 2 1 1 2 2 1 3 4 4 2 3 25(150)

문헌middot문서자료 3 3 1 7 4 6 1 5 2 3 3 2 40(240)

기존 자료 3 1 2 1 1 2 10(73)

면접middot심층면접 1 5 1 1 1 1 1 2 2 2 2 19(114)

내용middot담론분석 1 1 1 2 1 1 7(42)

사례 조사 1 2 2 4 1 3 2 4 1 20(120)

비교 연구 1 3 1 1 2 8(48)

시뮬레이션 1 1(06)

계 9 19 16 15 11 12 13 16 13 11 13 14 5 167(1000)

먼저 논문의 발표 시기에 따른 연구 방법의 차이는 드러나지 않는다

다만 이론 연구가 후기로 올수록 줄어드는 경향이 눈에 띌 따름이다

다음으로 연구 방법 간의 빈도 차이는 비교적 뚜렷하게 드러난다 문

헌middot문서자료(40편) 이론 연구(37편) 설문조사(25편) 사례 조사(20편) 면

접middot심층면접(19편) 등이 자주 사용되고 있는 반면에 기존 자료(10편) 비

교연구(8편) 내용middot담론분석(7편) 시뮬레이션(1편) 등은 상대적으로 적게

74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사용되고 있다 문헌middot문서자료 및 이론 연구가 1 2위를 차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환경사회학자들의 독자적인 자료 생산 노력이 활발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마지막으로 ECO 게재 논문과 「한국사회학」 게재 논문의 연구 방법을

비교해 보면 환경사회학의 연구 방법과 사회학 일반의 연구 방법 간에

상당한 차이가 있음이 발견된다 ECO 게재 논문에서는 문헌middot문서자료 이

론 연구 설문조사 등의 순서로 자주 사용된 반면에 「한국사회학」 게재

논문14)들에서는 설문조사(323) 기존 자료(228) 이론(186) 등이 각

각 1 2 3위를 차지하고 있어 중시하고 있는 연구 방법이 서로 다를 뿐만

아니라 ECO 게재 논문들에서 비교적 중시된 문헌middot문서자료(240) 사례

조사(120) 면접middot심층면접(114) 등은 「한국사회학」 게재 논문에서는

훨씬 낮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차이는 결국 환경사회

학자들이 일반 사회학자들과 비교했을 때 양적 자료를 덜 사용하고 질적

자료를 더 많이 사용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Ⅳ 한국 환경사회학의 특징

한국 환경사회학의 특징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환경사회학자 및 그들의

연구 활동의 다양한 측면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여기에서는 연구 주제

연구 방법 이론적 지향 학제적 연구 사회적 실천 등의 다섯 가지 측면에

서 한국 환경사회학의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14) 1964년부터 2006년까지 「한국사회학」에 게재된 논문의 연구 방법을 분석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형 이론설문

조사집계자료 문서자료 기존자료 인터뷰

기타 질적

자료전체

빈도 123 214 67 62 151 31 14 662 186 323 101 94 228 47 21 1000

출처 한국사회학회 2007 120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75

1 환경문제의 사회학

흔히 일본 환경사회학자들은 미국의 환경사회학을 lsquo환경에 대한 사회

학rsquo(sociology of the environment)이라고 특징지으면서 자신들의 환경사회

학을 lsquo환경문제의 사회학rsquo(sociology of environmental problems)이라고 말

한다 이것은 일본의 환경사회학은 구체적인 환경문제가 지역사회 주민

및 피해자의 생활과 지역사회에 미친 영향에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음

을 지적하는 말이다 이러한 일본 환경사회학의 특징은 한국 환경사회학

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이시재는 최근 발표한 ldquo한국 환경사회학의 회고와

전망rdquo에서 lsquo한국에서 환경사회학은 환경문제의 사회학으로 출발했다rsquo고

말하고 한국 환경사회학의 특징 중의 하나로 문제해결을 위한 연구를 들

고 있다(이시재 2013 34-35)

앞에서 우리는 한국 환경사회학의 연구 주제가 논문 특집 학술대회

단행본 등에 있어서 어떻게 나타나는가를 살펴보았다 다양한 연구 활동

중에서 환경사회학자들의 연구 주제 선택의 경향을 잘 보여주는 것은 사

례 수가 가장 많은 논문 발표일 것이다 ECO지 게재 논문을 기준으로 할

때 환경사회학자들은 기후변화를 포함한 환경문제보다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

난rsquo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 lsquo환경의식middot환경행동rsquo을 더 중요하게 다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lt표 3gt 참조) 그러나 가장 빈도가 높은 lsquo원자력middot위

험middot재난rsquo과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은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과 밀접하게 연관

되어 있다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rsquo은 독립적인 주제 영역으로 설정되기는 했

지만 결국 특수한 유형의 환경문제라고 할 수 있고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에

대한 관심은 개발 사업으로 인한 환경문제에 대한 우려에서 비롯되기 때

문이다 따라서 겉으로 드러난 주제 영역보다 주제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의식에 주목한다면 한국의 환경사회학은 lsquo환경문제의 사회학rsquo의 성

격을 강하게 지니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76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2 질적 자료의 활용

환경사회학이 미국에서 처음 형성되던 시기에 농촌사회학의 영향을 강

하게 받았다 농촌사회학의 영향 가운데 대표적인 것으로 경험적 조사 자

료를 중시하는 경향이다 이러한 환경사회학의 전통은 한국의 환경사회학

에서도 이어지고 있다 lt표 7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환경사회학 연구에서

이론 연구의 비중이 222로서 결코 낮다고 할 수는 없지만 다양한 유형

의 경험적 자료를 활용하는 연구의 비중이 이론 연구에 비해 훨씬 크다

경험적 연구 방법 중에서 환경사회학자들이 일반 사회학자들에 비하여

중시하는 자료는 사례 조사 면접 조사 등을 통해 얻는 질적 자료이다 일

반 사회학자들에 비하여 설문 조사 기존 자료 활용 집계 자료 등의 양적

자료의 활용은 떨어지는 데 반하여 사례조사나 면접을 통해 얻는 질적

자료는 더 많이 활용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연구 방법과 관련된 한국

환경사회학의 특징은 상대적으로 질적 자료를 많이 활동하고 있다는 데

있다

질적 자료의 활용이 활발한 것은 기본적으로 한국 환경사회학자들이

연구하는 대상의 특성 때문이다 동강댐 건설사업 새만금간척사업 4대강

사업 등의 대규모 개발사업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 사고 및 각종

개발사업과 관련된 지역 환경운동 및 환경갈등이 하나의 사례로 다루어

지고 또 이러한 사례 연구에서 심층면접이 자료 수집 방법으로 활용되는

경향이 있다

3 자유주의적 환경개혁론

환경사회학에는 생태학적 설명(ecological explanation) 대 정치경제학적

설명(political economy explanation) 성찰적 근대화론(reflexive modernization)

대 생태학적 근대화론(ecological modernization) 실재론(realism) 대 구성

주의(constructionism) 등의 주요 이론적 쟁점이 있지만(Hannigan 2006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77

16-52) 한국 환경사회학에서는 이러한 쟁점을 둘러싼 논쟁을 찾아보기

어렵다 또한 독자적인 이론을 구성하기 위한 노력도 찾아보기 어렵다 윤

순진이 지적한 바 있듯이 ldquo많은 연구들은 다른 학문분과에서 구축한 이

론을 환경 관련 쟁점과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동원하는 양상을rdquo 띠거나

(윤순진 2013 85) 해외 환경사회학계에서 확립된 이론을 연구의 자원으

로 활용하는 데 머무르고 있다

그러나 다른 학문분과나 해외 환경사회학에서 확립된 이론을 수용하여

자원으로 활용하는 경우에도 이론의 선택에는 연구자 자신의 이론적 지

향이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대부분의 연구에는 명시적이든 묵시적

이든 연구자 자신의 이론적 지향이 깔려 있다 그렇다면 한국 환경사회

학에서는 어떤 이론적 지향이 우세하고 그 변화의 방향은 어느 쪽인가

말할 필요도 없이 한국의 환경사회학에는 다양한 이론적 지향 즉 험프리

와 버텔이 말하는 보수적 자유주의적 및 급진적 패러다임(Humphrey and

Buttel 1982 19-21)이 공존하고 있다 보수적 패러다임은 환경의식 및 환

경행동 연구에서 가끔 나타나고 있지만 그 영향력은 미미하다 급진적 패

러다임은 원자력발전 위험 환경정의 대규모 개발사업(국책사업) 대안

적 공동체 생태민주주의 등에 관한 연구에서 중요한 관점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보수적 패러다임에 비해서는 그 영향력이 훨씬 크다 이 두 패러

다임에 비해 훨씬 큰 세력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 바로 국가 개혁과 정책

의 전환을 통해 환경 위기 극복의 길을 모색하는 자유주의적 환경개혁론

이다 자유주의적 환경개혁론은 녹색국가 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 환경정책

환경정치 환경middot위험거버넌스 지속가능한 발전 대규모 개발사업 등의 연

구에서 주로 나타나고 있다

4 다양한 전공의 관점 교류

ECO지 기고를 통해 환경사회학 연구에 참여하고 있는 연구자의 전공

은 매우 다양하다 아마도 사회학 내의 다른 어떤 세부분야에 비해서도

78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다양할 것이다 윤순진의 ECO지 게재 글15)의 저자 분석에 따르면 총 24

개 분야의 학문적 배경을 가진 연구자들이 참여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보

면 사회학 인류학 행정학 경제학 정치학 사회복지학 심리학 지리학

지리교육학 도시 및 지역 관련학과 환경middot에너지정책학과 정치생태학 등

의 사회과학 전공자 철학 한국학 등 인문학 전공자 생태학middot생태곤충학

생물학 지질학 환경보건학 과학기술사학 과학관리학 생명공학 등의 자

연과학 전공자 토목공학 등 공학 전공자 등이 ECO에 글을 싣고 있다 물

론 전공별로 참여 저자의 수는 크게 다르다 사회학 전공자가 37명으로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도시 및 지역 관련 분야 전공자(18명) 인류학 전

공자(8명) 행정학 전공자(6명) 등의 순서로 많다(윤순진 2013 80-81)

ECO지 게재 논문 중 공저 논문의 경우 전공이 서로 다른 연구자가 공

동 저자로 참여한 경우는 많지 않으며 ldquo거의 대부분이 동일학과 소속 교

수와 학생 간의 공저이거나 동일 전공 동료 및 선후배 간 공저로 나타났

다(윤순진 2013 83)rdquo 이런 점에서 볼 때 환경사회학 연구가 실질적인 학

제적 연구의 형태가 띠는 것은 아니라고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적어도 학

회 활동과 학회지를 통해서 다양한 전공 간의 관점 공유와 교류는 활발하

게 이루어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5 연구자와 운동가의 소통

한국 환경사회학의 두드러진 특징 중의 하나는 환경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연구자들이 많다는 점이다 환경사회학자 중에는 연구자이면서

환경단체 전국 조직의 대표(이시재 이상헌 윤순진 이필렬 조명래) 지

역 환경단체의 대표(박재묵 노진철 최병두) 환경단체의 임원(구도완) 등

을 현재 맡고 있거나 과거에 역임한 사람들이 많다 위에서 거론된 연구

자보다 훨씬 더 많은 환경사회학자들이 지역 환경단체 등에 임원으로 참

15) 논문 이외의 서평 등의 글도 포함하고 있다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79

여하고 있다 이와는 반대로 환경단체의 상근 운동가로서 환경사회학회

회원으로 참여하고 논문을 발표하는 경우(이승민 안병옥 최예용 김정

수)도 있다

환경사회학자 연구자의 환경운동 참여와 운동가의 연구 참여가 활발하

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은 환경사회학의 특성과 연관되어 있는 현상이다

환경사회학은 기본적으로 환경문제의 근원 환경문제의 영향 및 환경문제

의 해결16)에 관심을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한국의 환경사회학은 특히

lsquo환경문제의 사회학rsquo의 성격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Ⅴ 환경사회학의 전망과 과제

지난 20년 동안 한국 환경사회학은 제도화의 과정을 거쳐 왔다 이 기

간 동안에 환경사회학은 많은 학과에서 정규 교과목으로 받아들여졌고

독립된 연구 영역으로 인정받게 되었다 또한 이 분야 연구자들이 독자적

인 학회를 조직하고 학회가 학술지를 발간함에 따라 연구 활동의 기반이

갖추어졌다 이로써 한국 환경사회학의 제도화가 대체로 완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지난 20년의 기간은 환경사회학의 기반 구축기인 동시에 성장기였다

성장의 속도는 느렸지만 연구자의 수도 증가해 왔고 이에 따라 학문적

성과도 축적되어 왔다 특히 환경사회학자들이 관심을 집중시켰던 원자

력middot위험middot재난 대규모 개발사업 환경운동 등의 영역에서는 의미 있는 성

과가 있었다 최근에 와서 환경사회학은 안정기에 들어가고 있다 ldquo젊은

층의 충원이 지지부진rdquo하고 대학원에서 환경사회학을 전공하려고 하는

학생도 줄어들고 있다(이시재 2013 37) 사회학계 전반에 걸친 침체 분위

16) Riley E Dunlap과 Brent K Marshall은 환경사회학의 최근 연구 초점으로

환경문제의 근원 환경문제의 영향 환경문제의 해결 방안 등 세 가지를 들

었다(Dunlap and Marshall 2007 335-339)

80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기가 일정 부분 환경사회학에도 미치고 있다 미국에서 환경사회학이

1980년대 초에 겪었던 퇴조 분위기가 한국에서도 나타나고 있는 것 같다

그러나 이러한 환경사회학의 침체 분위기가 장기적으로 지속되지는 않

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렇게 전망하는 근거는 두 가지이다 그 하나는 환

경사회학의 태동을 가져왔던 환경문제가 상존하기 때문이다 또한 기후변

화와 같은 환경문제는 향후에도 장기간 지속될 것이 분명하고 유독성 화

학물질과 같은 새로운 환경문제도 부상하고 있다 한 마디로 환경문제가

근본적으로 해결되지 않는 한 환경사회학은 존속하게 될 것이다 둘째로

현재의 침체 분위기는 일정기간의 성장 뒤에 오는 바닥 다지기의 의미가

크다 따라서 장기적으로 보면 환경사회학은 향후에도 안정적 성장을 지

속할 가능성이 크다

어떤 점에서 환경사회학의 미래는 일정 부분 환경사회학자들이 그들에

게 주어진 사명을 어떻게 수행하느냐에 달려 있기도 하다 2005년 필자가

환경사회학회가 펴낸 「우리 눈으로 보는 환경사회학」의 제1장을 쓰면서

환경사회학자의 사명으로 사회의 녹색화와 사회학의 녹색화를 설정한 바

있다 전자는 인간면제주의 패러다임의 지배를 받고 있는 주류 사회학에

인간 생존의 물리적middot생물적 기반을 고려하는 관점을 제공하는 것이고 후

자는 환경오염과 파괴의 원인 그 영향 및 해결 방안을 사회학적으로 설

명하고 제시하는 것이다 특히 후자의 사명을 환경사회학자들이 얼마나

그리고 어떻게 성취하느냐가 환경사회학의 미래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

다 학제적 연구의 정착과 현장 중심의 연구 강화는 환경사회학이 후자의

사명을 수행하기 위해 해결해야 할 당면 과제이다

2014년 6월 16일 접수

2014년 6월 27일 수정 완료

2014년 6월 29일 게재 확정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81

참고문헌

구도완 1995 ldquo한국의 새로운 환경운동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29(2) 347-371

1996 985172한국 환경운동의 사회학985173 문학과지성사

2009 985172마을에서 세상을 바꾸는 사람들 생태적 대안운동을 찾아

서985173 창비사

구도완 등 2013 985172녹색당과 녹색정치985173 아르케

구자건 2008 985172환경갈등과 사회영향평가 방법985173 연세대출판부

김도균 2011 985172환경재난과 지역사회의 변화 허베이스피리트호 기름유출

사고의 사회재난985173 한울아카데미

김두식 1995 ldquo환경문제와 환경보호에 대한 시민들의 태도 조사연구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29(1) 33-67

노진철 2001 985172환경과 사회985173 한울

2010 985172불확실성 시대의 위험사회학985173 한울아카데미

노진철 등 2010 985172태안은 살아 있다 기름 유출 사고 이후 3년 다시 쓰

는 태안 리포트985173 동녘

문순홍 1992 985172생태위기와 녹색의 대안985173 나라사랑

1999 985172생태학의 담론985173 아르케

2001 985172한국의 여성환경운동985173 아르케

2006a 985172정치생태학과 녹색국가985173 아르케

2006b 985172녹색국가의 탐색985173 아르케

2006c 985172개발국가의 녹색성찰985173 아르케

문태훈 등 2008 985172지속가능한 사회 이야기985173 법문사

박순열 2009 985172불만의 새만금985173 한국학술정보

박재묵 1991 ldquo환경문제에 대한 사회학적 이해rdquo pp 71-83 한국사회학회

(편) 985172현대 한국 사회문제의 진단과 처방985173(특별심포지움 논문집)

서영표영국적록연구그룹 2010 985172사회주의 녹색을 만나다985173 한울아카데미

양종회 1993 ldquo우리나라 국민들의 환경문제에 대한 의식의 변화 및 사회

82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적 기반rdquo 985172한국사회학회985173 26(4) 89-120

양종회 등 2002 985172아시아 태평양지역의 환경문제 환경운동 및 환경정책985173 서울대출판부

윤순진 2013 ldquo《ECO》분석을 통해 본 한국 환경사회학 연구의 흐름rdquo

pp 67-98 한국환경사회학회(편) 985172환경사회학 이론과 환경문제985173 한울아카데미

이득연 1998 985172환경운동의 사회학985173 민영사

이상헌 2003 985172물 세상을 움직이는 물의 정치와 정치 생태학985173 이매진

2011 985172생태주의985173 책세상

이시재 1994 ldquo환경사회학rdquo 한국사회학회(편) 98517221세기의 한국 사회학985173 문학과지성사

2013 ldquo한국 환경사회학의 회고와 전망rdquo pp 67-98 한국환경사회

학회(편) 985172환경사회학 이론과 환경문제985173 한울아카데미

이시재 등 2010 985172생태사회적 발전의 현장과 이론985173 아르케

정대연 2002 985172환경사회학985173 아카넷

2004 985172환경주의와 지속가능한 발전985173 집문당

2010 985172한국 지속가능발전의 구조와 변동985173 집문당

조명래 2001 985172녹색사회의 탐색985173 한울

2006 985172개발정치와 녹색진보985173 환경과 생명

2009 985172지구화 되돌아보기와 넘어서기 공간환경의 모순과 극복985173 환경과 생명

2013a 985172공간으로 사회읽기 개념 쟁점과 대안985173 한울아카데미

2013b 985172녹색토건주의와 환경위기985173 한울아카데미

조명래 등 2005 985172신개발주의를 멈춰라985173 환경과 생명

최병두 1993a 985172한국의 공간과 환경985173 한길사

1993b 985172현대 환경문제의 재인식985173 한울

1995 985172환경사회이론과 국제환경문제985173 한울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83

1999a 985172환경갈등과 불평등985173 한울

1999b 985172녹색사회를 위한 비평985173 한울

2002 985172녹색전망985173 도요새

2003a 985172도시속의 환경 열두 달(봄 여름)985173 한울

2003b 985172도시속의 환경 열두 달(가을 겨울)985173 한울

2010 985172비판적 생태학과 환경정의985173 한울아카데미

한국사회학회 2007 985172한국사회학회 50년사 1957-2007985173 한학문학

한국환경사회학회 2005 985172우리 눈으로 보는 환경사회학985173 창비사

2013a 985172환경사회학이론과 환경문제985173 한울

2013b 985172환경운동과 생활세계985173 한울

한상진 2006 985172환경정의의 사회학985173 UUP

험프리버틀(Craig Humphrey and Frederick R Buttel) 1995 985172환경사회학985173 양종회이시재 역 사회비평사

홍성태 2000 985172대한민국 위험사회985173 당대

2006 985172한국의 근대화와 물985173 한울아카데미

2010 985172생명의 강을 위하여 생태사회학자 홍성태 교수의 4대강

지키기 제안985173 중원문화

2012 985172개발과 파괴의 사회학 위험 사회를 넘어서985173 중원문화

Buttel Frederick H and Craig R Humphrey 2002 Sociological Theory

and the Natural Environment pp 33ndash69 in Riley E Dunlap and

William Michelson(eds) Handbook of Environmental Sociology

Westport CT Greenwood Press

Catton William R Jr and Riley Dunlap 1978 Environmental Sociology

A New Paradigm The American Sociologist 13 41-49

Dunlap Riley E and Brent K Marshall 2007 Environmental Sociology

pp 329-340 in Clifton D Bryant and Dennis L Peck(eds) 21st

Century Sociology A Reference Handbook Thousand Oaks CA

84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Sage Publications

Hannigan John 2006 Environmental Sociology(second edition)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Harper Charles 2004 Environment and Society Human Perspectives on

Environmental Issues Upper Saddle River New Jersey Pearson

Education Inc

Humphrey Craig R and Frederick H Buttel 1982 Environment Energy

and Society Belmont California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International Sociological Association(RC24) Korean Sociological

Association and Korean Association for Environmental Sociology

2004 Globalization Localization and Environment (Proceedings for

2004 ISA RC24 Conference in Seoul)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85

The Research Trend and Prospect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Park Jae-mookProf Dept of Sociology Chungnam Univ

Abstract

The aims of this paper are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and to anticipate its future developments As a groundwork for these works we briefly examined the institutionalization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Here we considered the organizing process of environmental sociologists association and the incorporation of the course of environmental sociology into the regular curricula Nextly we examined research trends of environmental sociology and tried to draw common characteristics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The most frequently dealt subjects in ECO a representative journal in this field have been nuclear power risk and disaster large-scale development projects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nd behaviour environmental problems and climate changes And distinguished characteristics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have been found to be focus on environmental problems dependence on qualitative methodology emphasis on environmental reforms of liberal tradition exchange of perspectives among researchers from various fields communications between researchers and activists Lastly it was suggested that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ist should develop interdisciplinary research and field research

Key Words Environmental Sociology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Institutionalization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Korean Association for Environmental Sociology ECO

Page 17: 환경과 사회 연구의 동향과 전망isrku.org/adm/data/1351080157_fEMV3OxI_02-EBB095EC9... · 2014-07-06 ·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 pp.55-85 ‘환경과 사회’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71

연도 주 제

2006 방사성폐기물 처분장과 민주주의(제10권 1호) 도시개발의 사회적 영향 은평뉴타운 사례(제10권 2호)

2007 기후변화정책의 국가간 비교연구(제11권 1호) 대안적 발전의 해외사례

연구(제11권 2호)

2008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 연구(제12권 1호) 지구화시대 세계

농식품체계의 환경사회학(제12권 2호)

2009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 연구Ⅱ(제13권 1호) 환경사회학적

관점에서 본 녹색성장(제13권 2호)

2010 4대강사업에 대한 환경사회학적 성찰(제14권 1호) 한국인의 환경 가치

지형(제14권 2호)

2011 환경사회학과 재난관리(제15권 1호) 환경문제와 환경의식(제15권 2호)

2012 위험 사회의 거버넌스(제16권 1호) 이명박 정부의 환경정책과

대안(제16권 2호)

2013 원자력발전과 시민사회 비교연구(제17권 1호)

4) 주요 단행본의 주제

환경사회학자들12)이 저술한 단행본13)은 비교적 다양한 주제를 다루고

있다 2000년대에 들어와서는 저술의 크게 수가 늘어나면서 1990년대에

비하여 주제의 다양성도 크게 증가하고 있다 1990년대에는 lsquo환경사회학

이론rsquo lsquo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rsquo lsquo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rsquo lsquo환경불평등middot환경정의rsquo

등 4개의 주제 영역에 국한되어 있었으나 2000년대에 들어와서는 lsquo대규

모 개발사업rsquo 등 6개 주제에 대한 저술들이 새로 출판되었다 lsquo원자력middot위

험middot재난rsquo에 관한 저술이 최근에 와서 늘어나고 있음이 주목된다

1990년대 이후의 전체 기간에서 가장 많은 단행본이 출판된 주제 영역

은 lsquo환경사회학 이론rsquo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rsquo lsquo환경운동middot

12) 사회학을 전공하지 않은 학자로서 한국환경사회학회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

는 사람은 환경사회학자에 포함시켰다 단행본 필자로는 구자건 문순홍 조명래 최병두 등이 이 경우에 속한다

13) 번역서는 여기에서 제외하였다 또한 다양한 분야의 학자들이 공동으로 저

술한 책 중에서 환경사회학자들의 기여가 크지 않은 저술도 제외하였다

72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환경갈등rsquo lsquo환경정치rsquo 등 5개이다 이들 5개 주제에 관한 저술은 총 25권

으로 전체 저술(46권)의 절반을 넘고 있다 이들 5개 주제 영역 다음으로

lsquo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rsquo(4권) lsquo지속가능한 발전rsquo(4권) lsquo환경불평등middot환경정

의rsquo(3권) 등의 주제 영역에 관한 저술이 많은 편이다

lt표 6gt 단행본의 주제(1990-2013년)

주 제 1990년대 2000-2009년 2010년 이후

환경사회학 이론문순홍(1992) 문순홍(1999) 조명래(2001) 한국환경사회학회(2013)

조명래(2013a)

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최병두(1993b)최병두(1995)

최병두(2003a)최병두(2003b)

대규모 개발사업

문순홍(2006c)박순열(2009)조명래(2006)

홍성태(2010)조명래(2013b)

사회영향평가 구자건(2008)

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 홍성태(2000)

노진철(2010)노진철 등(2010)김도균(2011)홍성태(2012)

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구도완(1996)이득연(1998)

문순홍(2001)구도완(2009) 한국환경사회학회(2013)

지속가능한 발전정대연(2004)문태훈 등(2008)

이시재 등(2010)정대연(2010)

환경불평등middot환경정의 최병두(1999a) 한상진(2006) 최병두(2010)

환경정치

문순홍(2006a)문순홍(2006b)이상헌(2003)

구도완 등(2013)서영표 등(2010)

환경사상 이상헌(2007)

교과서

노진철(2001)정대연(2002)한국환경사회학회(2005)

복합 주제 및 기타최병두(1993a)최병두(1999b)

양종회 등(2002)최병두(2002)홍성태(2006)조명래(2009)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73

2 연구 방법

ECO지의 창간호부터 2003년 6월에 발행한 제17권 1호까지에 게재된

167편의 논문(포럼 포함)에서 사용되고 있는 연구 방법을 9개의 유형으로

구분해 보면 lt표 7gt과 같다 연구 방법을 명시적으로 서술하지 않은 논문

이 적지 않고 복수의 연구 방법을 사용하는 논문이 많아 유형 구분이 쉽

지 않았으나 필자의 주관적 판단에 따라 모든 논문의 연구 방법을 9개의

범주에 배속시켰다

lt표 7gt ECO 게재 논문의 자료수집 방법

주 제논문 수

rsquo01 rsquo02 rsquo03 rsquo04 rsquo05 rsquo06 rsquo07 rsquo08 rsquo09 rsquo10 rsquo11 rsquo12 rsquo13 계

이론 연구 2 9 6 4 3 3 1 4 3 1 1 37(222)

설문조사 2 1 1 2 2 1 3 4 4 2 3 25(150)

문헌middot문서자료 3 3 1 7 4 6 1 5 2 3 3 2 40(240)

기존 자료 3 1 2 1 1 2 10(73)

면접middot심층면접 1 5 1 1 1 1 1 2 2 2 2 19(114)

내용middot담론분석 1 1 1 2 1 1 7(42)

사례 조사 1 2 2 4 1 3 2 4 1 20(120)

비교 연구 1 3 1 1 2 8(48)

시뮬레이션 1 1(06)

계 9 19 16 15 11 12 13 16 13 11 13 14 5 167(1000)

먼저 논문의 발표 시기에 따른 연구 방법의 차이는 드러나지 않는다

다만 이론 연구가 후기로 올수록 줄어드는 경향이 눈에 띌 따름이다

다음으로 연구 방법 간의 빈도 차이는 비교적 뚜렷하게 드러난다 문

헌middot문서자료(40편) 이론 연구(37편) 설문조사(25편) 사례 조사(20편) 면

접middot심층면접(19편) 등이 자주 사용되고 있는 반면에 기존 자료(10편) 비

교연구(8편) 내용middot담론분석(7편) 시뮬레이션(1편) 등은 상대적으로 적게

74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사용되고 있다 문헌middot문서자료 및 이론 연구가 1 2위를 차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환경사회학자들의 독자적인 자료 생산 노력이 활발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마지막으로 ECO 게재 논문과 「한국사회학」 게재 논문의 연구 방법을

비교해 보면 환경사회학의 연구 방법과 사회학 일반의 연구 방법 간에

상당한 차이가 있음이 발견된다 ECO 게재 논문에서는 문헌middot문서자료 이

론 연구 설문조사 등의 순서로 자주 사용된 반면에 「한국사회학」 게재

논문14)들에서는 설문조사(323) 기존 자료(228) 이론(186) 등이 각

각 1 2 3위를 차지하고 있어 중시하고 있는 연구 방법이 서로 다를 뿐만

아니라 ECO 게재 논문들에서 비교적 중시된 문헌middot문서자료(240) 사례

조사(120) 면접middot심층면접(114) 등은 「한국사회학」 게재 논문에서는

훨씬 낮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차이는 결국 환경사회

학자들이 일반 사회학자들과 비교했을 때 양적 자료를 덜 사용하고 질적

자료를 더 많이 사용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Ⅳ 한국 환경사회학의 특징

한국 환경사회학의 특징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환경사회학자 및 그들의

연구 활동의 다양한 측면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여기에서는 연구 주제

연구 방법 이론적 지향 학제적 연구 사회적 실천 등의 다섯 가지 측면에

서 한국 환경사회학의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14) 1964년부터 2006년까지 「한국사회학」에 게재된 논문의 연구 방법을 분석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형 이론설문

조사집계자료 문서자료 기존자료 인터뷰

기타 질적

자료전체

빈도 123 214 67 62 151 31 14 662 186 323 101 94 228 47 21 1000

출처 한국사회학회 2007 120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75

1 환경문제의 사회학

흔히 일본 환경사회학자들은 미국의 환경사회학을 lsquo환경에 대한 사회

학rsquo(sociology of the environment)이라고 특징지으면서 자신들의 환경사회

학을 lsquo환경문제의 사회학rsquo(sociology of environmental problems)이라고 말

한다 이것은 일본의 환경사회학은 구체적인 환경문제가 지역사회 주민

및 피해자의 생활과 지역사회에 미친 영향에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음

을 지적하는 말이다 이러한 일본 환경사회학의 특징은 한국 환경사회학

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이시재는 최근 발표한 ldquo한국 환경사회학의 회고와

전망rdquo에서 lsquo한국에서 환경사회학은 환경문제의 사회학으로 출발했다rsquo고

말하고 한국 환경사회학의 특징 중의 하나로 문제해결을 위한 연구를 들

고 있다(이시재 2013 34-35)

앞에서 우리는 한국 환경사회학의 연구 주제가 논문 특집 학술대회

단행본 등에 있어서 어떻게 나타나는가를 살펴보았다 다양한 연구 활동

중에서 환경사회학자들의 연구 주제 선택의 경향을 잘 보여주는 것은 사

례 수가 가장 많은 논문 발표일 것이다 ECO지 게재 논문을 기준으로 할

때 환경사회학자들은 기후변화를 포함한 환경문제보다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

난rsquo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 lsquo환경의식middot환경행동rsquo을 더 중요하게 다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lt표 3gt 참조) 그러나 가장 빈도가 높은 lsquo원자력middot위

험middot재난rsquo과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은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과 밀접하게 연관

되어 있다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rsquo은 독립적인 주제 영역으로 설정되기는 했

지만 결국 특수한 유형의 환경문제라고 할 수 있고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에

대한 관심은 개발 사업으로 인한 환경문제에 대한 우려에서 비롯되기 때

문이다 따라서 겉으로 드러난 주제 영역보다 주제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의식에 주목한다면 한국의 환경사회학은 lsquo환경문제의 사회학rsquo의 성

격을 강하게 지니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76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2 질적 자료의 활용

환경사회학이 미국에서 처음 형성되던 시기에 농촌사회학의 영향을 강

하게 받았다 농촌사회학의 영향 가운데 대표적인 것으로 경험적 조사 자

료를 중시하는 경향이다 이러한 환경사회학의 전통은 한국의 환경사회학

에서도 이어지고 있다 lt표 7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환경사회학 연구에서

이론 연구의 비중이 222로서 결코 낮다고 할 수는 없지만 다양한 유형

의 경험적 자료를 활용하는 연구의 비중이 이론 연구에 비해 훨씬 크다

경험적 연구 방법 중에서 환경사회학자들이 일반 사회학자들에 비하여

중시하는 자료는 사례 조사 면접 조사 등을 통해 얻는 질적 자료이다 일

반 사회학자들에 비하여 설문 조사 기존 자료 활용 집계 자료 등의 양적

자료의 활용은 떨어지는 데 반하여 사례조사나 면접을 통해 얻는 질적

자료는 더 많이 활용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연구 방법과 관련된 한국

환경사회학의 특징은 상대적으로 질적 자료를 많이 활동하고 있다는 데

있다

질적 자료의 활용이 활발한 것은 기본적으로 한국 환경사회학자들이

연구하는 대상의 특성 때문이다 동강댐 건설사업 새만금간척사업 4대강

사업 등의 대규모 개발사업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 사고 및 각종

개발사업과 관련된 지역 환경운동 및 환경갈등이 하나의 사례로 다루어

지고 또 이러한 사례 연구에서 심층면접이 자료 수집 방법으로 활용되는

경향이 있다

3 자유주의적 환경개혁론

환경사회학에는 생태학적 설명(ecological explanation) 대 정치경제학적

설명(political economy explanation) 성찰적 근대화론(reflexive modernization)

대 생태학적 근대화론(ecological modernization) 실재론(realism) 대 구성

주의(constructionism) 등의 주요 이론적 쟁점이 있지만(Hannigan 2006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77

16-52) 한국 환경사회학에서는 이러한 쟁점을 둘러싼 논쟁을 찾아보기

어렵다 또한 독자적인 이론을 구성하기 위한 노력도 찾아보기 어렵다 윤

순진이 지적한 바 있듯이 ldquo많은 연구들은 다른 학문분과에서 구축한 이

론을 환경 관련 쟁점과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동원하는 양상을rdquo 띠거나

(윤순진 2013 85) 해외 환경사회학계에서 확립된 이론을 연구의 자원으

로 활용하는 데 머무르고 있다

그러나 다른 학문분과나 해외 환경사회학에서 확립된 이론을 수용하여

자원으로 활용하는 경우에도 이론의 선택에는 연구자 자신의 이론적 지

향이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대부분의 연구에는 명시적이든 묵시적

이든 연구자 자신의 이론적 지향이 깔려 있다 그렇다면 한국 환경사회

학에서는 어떤 이론적 지향이 우세하고 그 변화의 방향은 어느 쪽인가

말할 필요도 없이 한국의 환경사회학에는 다양한 이론적 지향 즉 험프리

와 버텔이 말하는 보수적 자유주의적 및 급진적 패러다임(Humphrey and

Buttel 1982 19-21)이 공존하고 있다 보수적 패러다임은 환경의식 및 환

경행동 연구에서 가끔 나타나고 있지만 그 영향력은 미미하다 급진적 패

러다임은 원자력발전 위험 환경정의 대규모 개발사업(국책사업) 대안

적 공동체 생태민주주의 등에 관한 연구에서 중요한 관점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보수적 패러다임에 비해서는 그 영향력이 훨씬 크다 이 두 패러

다임에 비해 훨씬 큰 세력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 바로 국가 개혁과 정책

의 전환을 통해 환경 위기 극복의 길을 모색하는 자유주의적 환경개혁론

이다 자유주의적 환경개혁론은 녹색국가 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 환경정책

환경정치 환경middot위험거버넌스 지속가능한 발전 대규모 개발사업 등의 연

구에서 주로 나타나고 있다

4 다양한 전공의 관점 교류

ECO지 기고를 통해 환경사회학 연구에 참여하고 있는 연구자의 전공

은 매우 다양하다 아마도 사회학 내의 다른 어떤 세부분야에 비해서도

78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다양할 것이다 윤순진의 ECO지 게재 글15)의 저자 분석에 따르면 총 24

개 분야의 학문적 배경을 가진 연구자들이 참여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보

면 사회학 인류학 행정학 경제학 정치학 사회복지학 심리학 지리학

지리교육학 도시 및 지역 관련학과 환경middot에너지정책학과 정치생태학 등

의 사회과학 전공자 철학 한국학 등 인문학 전공자 생태학middot생태곤충학

생물학 지질학 환경보건학 과학기술사학 과학관리학 생명공학 등의 자

연과학 전공자 토목공학 등 공학 전공자 등이 ECO에 글을 싣고 있다 물

론 전공별로 참여 저자의 수는 크게 다르다 사회학 전공자가 37명으로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도시 및 지역 관련 분야 전공자(18명) 인류학 전

공자(8명) 행정학 전공자(6명) 등의 순서로 많다(윤순진 2013 80-81)

ECO지 게재 논문 중 공저 논문의 경우 전공이 서로 다른 연구자가 공

동 저자로 참여한 경우는 많지 않으며 ldquo거의 대부분이 동일학과 소속 교

수와 학생 간의 공저이거나 동일 전공 동료 및 선후배 간 공저로 나타났

다(윤순진 2013 83)rdquo 이런 점에서 볼 때 환경사회학 연구가 실질적인 학

제적 연구의 형태가 띠는 것은 아니라고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적어도 학

회 활동과 학회지를 통해서 다양한 전공 간의 관점 공유와 교류는 활발하

게 이루어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5 연구자와 운동가의 소통

한국 환경사회학의 두드러진 특징 중의 하나는 환경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연구자들이 많다는 점이다 환경사회학자 중에는 연구자이면서

환경단체 전국 조직의 대표(이시재 이상헌 윤순진 이필렬 조명래) 지

역 환경단체의 대표(박재묵 노진철 최병두) 환경단체의 임원(구도완) 등

을 현재 맡고 있거나 과거에 역임한 사람들이 많다 위에서 거론된 연구

자보다 훨씬 더 많은 환경사회학자들이 지역 환경단체 등에 임원으로 참

15) 논문 이외의 서평 등의 글도 포함하고 있다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79

여하고 있다 이와는 반대로 환경단체의 상근 운동가로서 환경사회학회

회원으로 참여하고 논문을 발표하는 경우(이승민 안병옥 최예용 김정

수)도 있다

환경사회학자 연구자의 환경운동 참여와 운동가의 연구 참여가 활발하

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은 환경사회학의 특성과 연관되어 있는 현상이다

환경사회학은 기본적으로 환경문제의 근원 환경문제의 영향 및 환경문제

의 해결16)에 관심을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한국의 환경사회학은 특히

lsquo환경문제의 사회학rsquo의 성격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Ⅴ 환경사회학의 전망과 과제

지난 20년 동안 한국 환경사회학은 제도화의 과정을 거쳐 왔다 이 기

간 동안에 환경사회학은 많은 학과에서 정규 교과목으로 받아들여졌고

독립된 연구 영역으로 인정받게 되었다 또한 이 분야 연구자들이 독자적

인 학회를 조직하고 학회가 학술지를 발간함에 따라 연구 활동의 기반이

갖추어졌다 이로써 한국 환경사회학의 제도화가 대체로 완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지난 20년의 기간은 환경사회학의 기반 구축기인 동시에 성장기였다

성장의 속도는 느렸지만 연구자의 수도 증가해 왔고 이에 따라 학문적

성과도 축적되어 왔다 특히 환경사회학자들이 관심을 집중시켰던 원자

력middot위험middot재난 대규모 개발사업 환경운동 등의 영역에서는 의미 있는 성

과가 있었다 최근에 와서 환경사회학은 안정기에 들어가고 있다 ldquo젊은

층의 충원이 지지부진rdquo하고 대학원에서 환경사회학을 전공하려고 하는

학생도 줄어들고 있다(이시재 2013 37) 사회학계 전반에 걸친 침체 분위

16) Riley E Dunlap과 Brent K Marshall은 환경사회학의 최근 연구 초점으로

환경문제의 근원 환경문제의 영향 환경문제의 해결 방안 등 세 가지를 들

었다(Dunlap and Marshall 2007 335-339)

80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기가 일정 부분 환경사회학에도 미치고 있다 미국에서 환경사회학이

1980년대 초에 겪었던 퇴조 분위기가 한국에서도 나타나고 있는 것 같다

그러나 이러한 환경사회학의 침체 분위기가 장기적으로 지속되지는 않

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렇게 전망하는 근거는 두 가지이다 그 하나는 환

경사회학의 태동을 가져왔던 환경문제가 상존하기 때문이다 또한 기후변

화와 같은 환경문제는 향후에도 장기간 지속될 것이 분명하고 유독성 화

학물질과 같은 새로운 환경문제도 부상하고 있다 한 마디로 환경문제가

근본적으로 해결되지 않는 한 환경사회학은 존속하게 될 것이다 둘째로

현재의 침체 분위기는 일정기간의 성장 뒤에 오는 바닥 다지기의 의미가

크다 따라서 장기적으로 보면 환경사회학은 향후에도 안정적 성장을 지

속할 가능성이 크다

어떤 점에서 환경사회학의 미래는 일정 부분 환경사회학자들이 그들에

게 주어진 사명을 어떻게 수행하느냐에 달려 있기도 하다 2005년 필자가

환경사회학회가 펴낸 「우리 눈으로 보는 환경사회학」의 제1장을 쓰면서

환경사회학자의 사명으로 사회의 녹색화와 사회학의 녹색화를 설정한 바

있다 전자는 인간면제주의 패러다임의 지배를 받고 있는 주류 사회학에

인간 생존의 물리적middot생물적 기반을 고려하는 관점을 제공하는 것이고 후

자는 환경오염과 파괴의 원인 그 영향 및 해결 방안을 사회학적으로 설

명하고 제시하는 것이다 특히 후자의 사명을 환경사회학자들이 얼마나

그리고 어떻게 성취하느냐가 환경사회학의 미래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

다 학제적 연구의 정착과 현장 중심의 연구 강화는 환경사회학이 후자의

사명을 수행하기 위해 해결해야 할 당면 과제이다

2014년 6월 16일 접수

2014년 6월 27일 수정 완료

2014년 6월 29일 게재 확정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81

참고문헌

구도완 1995 ldquo한국의 새로운 환경운동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29(2) 347-371

1996 985172한국 환경운동의 사회학985173 문학과지성사

2009 985172마을에서 세상을 바꾸는 사람들 생태적 대안운동을 찾아

서985173 창비사

구도완 등 2013 985172녹색당과 녹색정치985173 아르케

구자건 2008 985172환경갈등과 사회영향평가 방법985173 연세대출판부

김도균 2011 985172환경재난과 지역사회의 변화 허베이스피리트호 기름유출

사고의 사회재난985173 한울아카데미

김두식 1995 ldquo환경문제와 환경보호에 대한 시민들의 태도 조사연구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29(1) 33-67

노진철 2001 985172환경과 사회985173 한울

2010 985172불확실성 시대의 위험사회학985173 한울아카데미

노진철 등 2010 985172태안은 살아 있다 기름 유출 사고 이후 3년 다시 쓰

는 태안 리포트985173 동녘

문순홍 1992 985172생태위기와 녹색의 대안985173 나라사랑

1999 985172생태학의 담론985173 아르케

2001 985172한국의 여성환경운동985173 아르케

2006a 985172정치생태학과 녹색국가985173 아르케

2006b 985172녹색국가의 탐색985173 아르케

2006c 985172개발국가의 녹색성찰985173 아르케

문태훈 등 2008 985172지속가능한 사회 이야기985173 법문사

박순열 2009 985172불만의 새만금985173 한국학술정보

박재묵 1991 ldquo환경문제에 대한 사회학적 이해rdquo pp 71-83 한국사회학회

(편) 985172현대 한국 사회문제의 진단과 처방985173(특별심포지움 논문집)

서영표영국적록연구그룹 2010 985172사회주의 녹색을 만나다985173 한울아카데미

양종회 1993 ldquo우리나라 국민들의 환경문제에 대한 의식의 변화 및 사회

82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적 기반rdquo 985172한국사회학회985173 26(4) 89-120

양종회 등 2002 985172아시아 태평양지역의 환경문제 환경운동 및 환경정책985173 서울대출판부

윤순진 2013 ldquo《ECO》분석을 통해 본 한국 환경사회학 연구의 흐름rdquo

pp 67-98 한국환경사회학회(편) 985172환경사회학 이론과 환경문제985173 한울아카데미

이득연 1998 985172환경운동의 사회학985173 민영사

이상헌 2003 985172물 세상을 움직이는 물의 정치와 정치 생태학985173 이매진

2011 985172생태주의985173 책세상

이시재 1994 ldquo환경사회학rdquo 한국사회학회(편) 98517221세기의 한국 사회학985173 문학과지성사

2013 ldquo한국 환경사회학의 회고와 전망rdquo pp 67-98 한국환경사회

학회(편) 985172환경사회학 이론과 환경문제985173 한울아카데미

이시재 등 2010 985172생태사회적 발전의 현장과 이론985173 아르케

정대연 2002 985172환경사회학985173 아카넷

2004 985172환경주의와 지속가능한 발전985173 집문당

2010 985172한국 지속가능발전의 구조와 변동985173 집문당

조명래 2001 985172녹색사회의 탐색985173 한울

2006 985172개발정치와 녹색진보985173 환경과 생명

2009 985172지구화 되돌아보기와 넘어서기 공간환경의 모순과 극복985173 환경과 생명

2013a 985172공간으로 사회읽기 개념 쟁점과 대안985173 한울아카데미

2013b 985172녹색토건주의와 환경위기985173 한울아카데미

조명래 등 2005 985172신개발주의를 멈춰라985173 환경과 생명

최병두 1993a 985172한국의 공간과 환경985173 한길사

1993b 985172현대 환경문제의 재인식985173 한울

1995 985172환경사회이론과 국제환경문제985173 한울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83

1999a 985172환경갈등과 불평등985173 한울

1999b 985172녹색사회를 위한 비평985173 한울

2002 985172녹색전망985173 도요새

2003a 985172도시속의 환경 열두 달(봄 여름)985173 한울

2003b 985172도시속의 환경 열두 달(가을 겨울)985173 한울

2010 985172비판적 생태학과 환경정의985173 한울아카데미

한국사회학회 2007 985172한국사회학회 50년사 1957-2007985173 한학문학

한국환경사회학회 2005 985172우리 눈으로 보는 환경사회학985173 창비사

2013a 985172환경사회학이론과 환경문제985173 한울

2013b 985172환경운동과 생활세계985173 한울

한상진 2006 985172환경정의의 사회학985173 UUP

험프리버틀(Craig Humphrey and Frederick R Buttel) 1995 985172환경사회학985173 양종회이시재 역 사회비평사

홍성태 2000 985172대한민국 위험사회985173 당대

2006 985172한국의 근대화와 물985173 한울아카데미

2010 985172생명의 강을 위하여 생태사회학자 홍성태 교수의 4대강

지키기 제안985173 중원문화

2012 985172개발과 파괴의 사회학 위험 사회를 넘어서985173 중원문화

Buttel Frederick H and Craig R Humphrey 2002 Sociological Theory

and the Natural Environment pp 33ndash69 in Riley E Dunlap and

William Michelson(eds) Handbook of Environmental Sociology

Westport CT Greenwood Press

Catton William R Jr and Riley Dunlap 1978 Environmental Sociology

A New Paradigm The American Sociologist 13 41-49

Dunlap Riley E and Brent K Marshall 2007 Environmental Sociology

pp 329-340 in Clifton D Bryant and Dennis L Peck(eds) 21st

Century Sociology A Reference Handbook Thousand Oaks CA

84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Sage Publications

Hannigan John 2006 Environmental Sociology(second edition)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Harper Charles 2004 Environment and Society Human Perspectives on

Environmental Issues Upper Saddle River New Jersey Pearson

Education Inc

Humphrey Craig R and Frederick H Buttel 1982 Environment Energy

and Society Belmont California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International Sociological Association(RC24) Korean Sociological

Association and Korean Association for Environmental Sociology

2004 Globalization Localization and Environment (Proceedings for

2004 ISA RC24 Conference in Seoul)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85

The Research Trend and Prospect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Park Jae-mookProf Dept of Sociology Chungnam Univ

Abstract

The aims of this paper are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and to anticipate its future developments As a groundwork for these works we briefly examined the institutionalization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Here we considered the organizing process of environmental sociologists association and the incorporation of the course of environmental sociology into the regular curricula Nextly we examined research trends of environmental sociology and tried to draw common characteristics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The most frequently dealt subjects in ECO a representative journal in this field have been nuclear power risk and disaster large-scale development projects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nd behaviour environmental problems and climate changes And distinguished characteristics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have been found to be focus on environmental problems dependence on qualitative methodology emphasis on environmental reforms of liberal tradition exchange of perspectives among researchers from various fields communications between researchers and activists Lastly it was suggested that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ist should develop interdisciplinary research and field research

Key Words Environmental Sociology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Institutionalization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Korean Association for Environmental Sociology ECO

Page 18: 환경과 사회 연구의 동향과 전망isrku.org/adm/data/1351080157_fEMV3OxI_02-EBB095EC9... · 2014-07-06 ·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 pp.55-85 ‘환경과 사회’

72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환경갈등rsquo lsquo환경정치rsquo 등 5개이다 이들 5개 주제에 관한 저술은 총 25권

으로 전체 저술(46권)의 절반을 넘고 있다 이들 5개 주제 영역 다음으로

lsquo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rsquo(4권) lsquo지속가능한 발전rsquo(4권) lsquo환경불평등middot환경정

의rsquo(3권) 등의 주제 영역에 관한 저술이 많은 편이다

lt표 6gt 단행본의 주제(1990-2013년)

주 제 1990년대 2000-2009년 2010년 이후

환경사회학 이론문순홍(1992) 문순홍(1999) 조명래(2001) 한국환경사회학회(2013)

조명래(2013a)

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최병두(1993b)최병두(1995)

최병두(2003a)최병두(2003b)

대규모 개발사업

문순홍(2006c)박순열(2009)조명래(2006)

홍성태(2010)조명래(2013b)

사회영향평가 구자건(2008)

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 홍성태(2000)

노진철(2010)노진철 등(2010)김도균(2011)홍성태(2012)

환경운동middot환경갈등구도완(1996)이득연(1998)

문순홍(2001)구도완(2009) 한국환경사회학회(2013)

지속가능한 발전정대연(2004)문태훈 등(2008)

이시재 등(2010)정대연(2010)

환경불평등middot환경정의 최병두(1999a) 한상진(2006) 최병두(2010)

환경정치

문순홍(2006a)문순홍(2006b)이상헌(2003)

구도완 등(2013)서영표 등(2010)

환경사상 이상헌(2007)

교과서

노진철(2001)정대연(2002)한국환경사회학회(2005)

복합 주제 및 기타최병두(1993a)최병두(1999b)

양종회 등(2002)최병두(2002)홍성태(2006)조명래(2009)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73

2 연구 방법

ECO지의 창간호부터 2003년 6월에 발행한 제17권 1호까지에 게재된

167편의 논문(포럼 포함)에서 사용되고 있는 연구 방법을 9개의 유형으로

구분해 보면 lt표 7gt과 같다 연구 방법을 명시적으로 서술하지 않은 논문

이 적지 않고 복수의 연구 방법을 사용하는 논문이 많아 유형 구분이 쉽

지 않았으나 필자의 주관적 판단에 따라 모든 논문의 연구 방법을 9개의

범주에 배속시켰다

lt표 7gt ECO 게재 논문의 자료수집 방법

주 제논문 수

rsquo01 rsquo02 rsquo03 rsquo04 rsquo05 rsquo06 rsquo07 rsquo08 rsquo09 rsquo10 rsquo11 rsquo12 rsquo13 계

이론 연구 2 9 6 4 3 3 1 4 3 1 1 37(222)

설문조사 2 1 1 2 2 1 3 4 4 2 3 25(150)

문헌middot문서자료 3 3 1 7 4 6 1 5 2 3 3 2 40(240)

기존 자료 3 1 2 1 1 2 10(73)

면접middot심층면접 1 5 1 1 1 1 1 2 2 2 2 19(114)

내용middot담론분석 1 1 1 2 1 1 7(42)

사례 조사 1 2 2 4 1 3 2 4 1 20(120)

비교 연구 1 3 1 1 2 8(48)

시뮬레이션 1 1(06)

계 9 19 16 15 11 12 13 16 13 11 13 14 5 167(1000)

먼저 논문의 발표 시기에 따른 연구 방법의 차이는 드러나지 않는다

다만 이론 연구가 후기로 올수록 줄어드는 경향이 눈에 띌 따름이다

다음으로 연구 방법 간의 빈도 차이는 비교적 뚜렷하게 드러난다 문

헌middot문서자료(40편) 이론 연구(37편) 설문조사(25편) 사례 조사(20편) 면

접middot심층면접(19편) 등이 자주 사용되고 있는 반면에 기존 자료(10편) 비

교연구(8편) 내용middot담론분석(7편) 시뮬레이션(1편) 등은 상대적으로 적게

74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사용되고 있다 문헌middot문서자료 및 이론 연구가 1 2위를 차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환경사회학자들의 독자적인 자료 생산 노력이 활발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마지막으로 ECO 게재 논문과 「한국사회학」 게재 논문의 연구 방법을

비교해 보면 환경사회학의 연구 방법과 사회학 일반의 연구 방법 간에

상당한 차이가 있음이 발견된다 ECO 게재 논문에서는 문헌middot문서자료 이

론 연구 설문조사 등의 순서로 자주 사용된 반면에 「한국사회학」 게재

논문14)들에서는 설문조사(323) 기존 자료(228) 이론(186) 등이 각

각 1 2 3위를 차지하고 있어 중시하고 있는 연구 방법이 서로 다를 뿐만

아니라 ECO 게재 논문들에서 비교적 중시된 문헌middot문서자료(240) 사례

조사(120) 면접middot심층면접(114) 등은 「한국사회학」 게재 논문에서는

훨씬 낮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차이는 결국 환경사회

학자들이 일반 사회학자들과 비교했을 때 양적 자료를 덜 사용하고 질적

자료를 더 많이 사용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Ⅳ 한국 환경사회학의 특징

한국 환경사회학의 특징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환경사회학자 및 그들의

연구 활동의 다양한 측면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여기에서는 연구 주제

연구 방법 이론적 지향 학제적 연구 사회적 실천 등의 다섯 가지 측면에

서 한국 환경사회학의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14) 1964년부터 2006년까지 「한국사회학」에 게재된 논문의 연구 방법을 분석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형 이론설문

조사집계자료 문서자료 기존자료 인터뷰

기타 질적

자료전체

빈도 123 214 67 62 151 31 14 662 186 323 101 94 228 47 21 1000

출처 한국사회학회 2007 120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75

1 환경문제의 사회학

흔히 일본 환경사회학자들은 미국의 환경사회학을 lsquo환경에 대한 사회

학rsquo(sociology of the environment)이라고 특징지으면서 자신들의 환경사회

학을 lsquo환경문제의 사회학rsquo(sociology of environmental problems)이라고 말

한다 이것은 일본의 환경사회학은 구체적인 환경문제가 지역사회 주민

및 피해자의 생활과 지역사회에 미친 영향에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음

을 지적하는 말이다 이러한 일본 환경사회학의 특징은 한국 환경사회학

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이시재는 최근 발표한 ldquo한국 환경사회학의 회고와

전망rdquo에서 lsquo한국에서 환경사회학은 환경문제의 사회학으로 출발했다rsquo고

말하고 한국 환경사회학의 특징 중의 하나로 문제해결을 위한 연구를 들

고 있다(이시재 2013 34-35)

앞에서 우리는 한국 환경사회학의 연구 주제가 논문 특집 학술대회

단행본 등에 있어서 어떻게 나타나는가를 살펴보았다 다양한 연구 활동

중에서 환경사회학자들의 연구 주제 선택의 경향을 잘 보여주는 것은 사

례 수가 가장 많은 논문 발표일 것이다 ECO지 게재 논문을 기준으로 할

때 환경사회학자들은 기후변화를 포함한 환경문제보다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

난rsquo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 lsquo환경의식middot환경행동rsquo을 더 중요하게 다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lt표 3gt 참조) 그러나 가장 빈도가 높은 lsquo원자력middot위

험middot재난rsquo과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은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과 밀접하게 연관

되어 있다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rsquo은 독립적인 주제 영역으로 설정되기는 했

지만 결국 특수한 유형의 환경문제라고 할 수 있고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에

대한 관심은 개발 사업으로 인한 환경문제에 대한 우려에서 비롯되기 때

문이다 따라서 겉으로 드러난 주제 영역보다 주제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의식에 주목한다면 한국의 환경사회학은 lsquo환경문제의 사회학rsquo의 성

격을 강하게 지니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76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2 질적 자료의 활용

환경사회학이 미국에서 처음 형성되던 시기에 농촌사회학의 영향을 강

하게 받았다 농촌사회학의 영향 가운데 대표적인 것으로 경험적 조사 자

료를 중시하는 경향이다 이러한 환경사회학의 전통은 한국의 환경사회학

에서도 이어지고 있다 lt표 7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환경사회학 연구에서

이론 연구의 비중이 222로서 결코 낮다고 할 수는 없지만 다양한 유형

의 경험적 자료를 활용하는 연구의 비중이 이론 연구에 비해 훨씬 크다

경험적 연구 방법 중에서 환경사회학자들이 일반 사회학자들에 비하여

중시하는 자료는 사례 조사 면접 조사 등을 통해 얻는 질적 자료이다 일

반 사회학자들에 비하여 설문 조사 기존 자료 활용 집계 자료 등의 양적

자료의 활용은 떨어지는 데 반하여 사례조사나 면접을 통해 얻는 질적

자료는 더 많이 활용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연구 방법과 관련된 한국

환경사회학의 특징은 상대적으로 질적 자료를 많이 활동하고 있다는 데

있다

질적 자료의 활용이 활발한 것은 기본적으로 한국 환경사회학자들이

연구하는 대상의 특성 때문이다 동강댐 건설사업 새만금간척사업 4대강

사업 등의 대규모 개발사업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 사고 및 각종

개발사업과 관련된 지역 환경운동 및 환경갈등이 하나의 사례로 다루어

지고 또 이러한 사례 연구에서 심층면접이 자료 수집 방법으로 활용되는

경향이 있다

3 자유주의적 환경개혁론

환경사회학에는 생태학적 설명(ecological explanation) 대 정치경제학적

설명(political economy explanation) 성찰적 근대화론(reflexive modernization)

대 생태학적 근대화론(ecological modernization) 실재론(realism) 대 구성

주의(constructionism) 등의 주요 이론적 쟁점이 있지만(Hannigan 2006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77

16-52) 한국 환경사회학에서는 이러한 쟁점을 둘러싼 논쟁을 찾아보기

어렵다 또한 독자적인 이론을 구성하기 위한 노력도 찾아보기 어렵다 윤

순진이 지적한 바 있듯이 ldquo많은 연구들은 다른 학문분과에서 구축한 이

론을 환경 관련 쟁점과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동원하는 양상을rdquo 띠거나

(윤순진 2013 85) 해외 환경사회학계에서 확립된 이론을 연구의 자원으

로 활용하는 데 머무르고 있다

그러나 다른 학문분과나 해외 환경사회학에서 확립된 이론을 수용하여

자원으로 활용하는 경우에도 이론의 선택에는 연구자 자신의 이론적 지

향이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대부분의 연구에는 명시적이든 묵시적

이든 연구자 자신의 이론적 지향이 깔려 있다 그렇다면 한국 환경사회

학에서는 어떤 이론적 지향이 우세하고 그 변화의 방향은 어느 쪽인가

말할 필요도 없이 한국의 환경사회학에는 다양한 이론적 지향 즉 험프리

와 버텔이 말하는 보수적 자유주의적 및 급진적 패러다임(Humphrey and

Buttel 1982 19-21)이 공존하고 있다 보수적 패러다임은 환경의식 및 환

경행동 연구에서 가끔 나타나고 있지만 그 영향력은 미미하다 급진적 패

러다임은 원자력발전 위험 환경정의 대규모 개발사업(국책사업) 대안

적 공동체 생태민주주의 등에 관한 연구에서 중요한 관점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보수적 패러다임에 비해서는 그 영향력이 훨씬 크다 이 두 패러

다임에 비해 훨씬 큰 세력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 바로 국가 개혁과 정책

의 전환을 통해 환경 위기 극복의 길을 모색하는 자유주의적 환경개혁론

이다 자유주의적 환경개혁론은 녹색국가 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 환경정책

환경정치 환경middot위험거버넌스 지속가능한 발전 대규모 개발사업 등의 연

구에서 주로 나타나고 있다

4 다양한 전공의 관점 교류

ECO지 기고를 통해 환경사회학 연구에 참여하고 있는 연구자의 전공

은 매우 다양하다 아마도 사회학 내의 다른 어떤 세부분야에 비해서도

78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다양할 것이다 윤순진의 ECO지 게재 글15)의 저자 분석에 따르면 총 24

개 분야의 학문적 배경을 가진 연구자들이 참여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보

면 사회학 인류학 행정학 경제학 정치학 사회복지학 심리학 지리학

지리교육학 도시 및 지역 관련학과 환경middot에너지정책학과 정치생태학 등

의 사회과학 전공자 철학 한국학 등 인문학 전공자 생태학middot생태곤충학

생물학 지질학 환경보건학 과학기술사학 과학관리학 생명공학 등의 자

연과학 전공자 토목공학 등 공학 전공자 등이 ECO에 글을 싣고 있다 물

론 전공별로 참여 저자의 수는 크게 다르다 사회학 전공자가 37명으로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도시 및 지역 관련 분야 전공자(18명) 인류학 전

공자(8명) 행정학 전공자(6명) 등의 순서로 많다(윤순진 2013 80-81)

ECO지 게재 논문 중 공저 논문의 경우 전공이 서로 다른 연구자가 공

동 저자로 참여한 경우는 많지 않으며 ldquo거의 대부분이 동일학과 소속 교

수와 학생 간의 공저이거나 동일 전공 동료 및 선후배 간 공저로 나타났

다(윤순진 2013 83)rdquo 이런 점에서 볼 때 환경사회학 연구가 실질적인 학

제적 연구의 형태가 띠는 것은 아니라고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적어도 학

회 활동과 학회지를 통해서 다양한 전공 간의 관점 공유와 교류는 활발하

게 이루어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5 연구자와 운동가의 소통

한국 환경사회학의 두드러진 특징 중의 하나는 환경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연구자들이 많다는 점이다 환경사회학자 중에는 연구자이면서

환경단체 전국 조직의 대표(이시재 이상헌 윤순진 이필렬 조명래) 지

역 환경단체의 대표(박재묵 노진철 최병두) 환경단체의 임원(구도완) 등

을 현재 맡고 있거나 과거에 역임한 사람들이 많다 위에서 거론된 연구

자보다 훨씬 더 많은 환경사회학자들이 지역 환경단체 등에 임원으로 참

15) 논문 이외의 서평 등의 글도 포함하고 있다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79

여하고 있다 이와는 반대로 환경단체의 상근 운동가로서 환경사회학회

회원으로 참여하고 논문을 발표하는 경우(이승민 안병옥 최예용 김정

수)도 있다

환경사회학자 연구자의 환경운동 참여와 운동가의 연구 참여가 활발하

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은 환경사회학의 특성과 연관되어 있는 현상이다

환경사회학은 기본적으로 환경문제의 근원 환경문제의 영향 및 환경문제

의 해결16)에 관심을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한국의 환경사회학은 특히

lsquo환경문제의 사회학rsquo의 성격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Ⅴ 환경사회학의 전망과 과제

지난 20년 동안 한국 환경사회학은 제도화의 과정을 거쳐 왔다 이 기

간 동안에 환경사회학은 많은 학과에서 정규 교과목으로 받아들여졌고

독립된 연구 영역으로 인정받게 되었다 또한 이 분야 연구자들이 독자적

인 학회를 조직하고 학회가 학술지를 발간함에 따라 연구 활동의 기반이

갖추어졌다 이로써 한국 환경사회학의 제도화가 대체로 완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지난 20년의 기간은 환경사회학의 기반 구축기인 동시에 성장기였다

성장의 속도는 느렸지만 연구자의 수도 증가해 왔고 이에 따라 학문적

성과도 축적되어 왔다 특히 환경사회학자들이 관심을 집중시켰던 원자

력middot위험middot재난 대규모 개발사업 환경운동 등의 영역에서는 의미 있는 성

과가 있었다 최근에 와서 환경사회학은 안정기에 들어가고 있다 ldquo젊은

층의 충원이 지지부진rdquo하고 대학원에서 환경사회학을 전공하려고 하는

학생도 줄어들고 있다(이시재 2013 37) 사회학계 전반에 걸친 침체 분위

16) Riley E Dunlap과 Brent K Marshall은 환경사회학의 최근 연구 초점으로

환경문제의 근원 환경문제의 영향 환경문제의 해결 방안 등 세 가지를 들

었다(Dunlap and Marshall 2007 335-339)

80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기가 일정 부분 환경사회학에도 미치고 있다 미국에서 환경사회학이

1980년대 초에 겪었던 퇴조 분위기가 한국에서도 나타나고 있는 것 같다

그러나 이러한 환경사회학의 침체 분위기가 장기적으로 지속되지는 않

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렇게 전망하는 근거는 두 가지이다 그 하나는 환

경사회학의 태동을 가져왔던 환경문제가 상존하기 때문이다 또한 기후변

화와 같은 환경문제는 향후에도 장기간 지속될 것이 분명하고 유독성 화

학물질과 같은 새로운 환경문제도 부상하고 있다 한 마디로 환경문제가

근본적으로 해결되지 않는 한 환경사회학은 존속하게 될 것이다 둘째로

현재의 침체 분위기는 일정기간의 성장 뒤에 오는 바닥 다지기의 의미가

크다 따라서 장기적으로 보면 환경사회학은 향후에도 안정적 성장을 지

속할 가능성이 크다

어떤 점에서 환경사회학의 미래는 일정 부분 환경사회학자들이 그들에

게 주어진 사명을 어떻게 수행하느냐에 달려 있기도 하다 2005년 필자가

환경사회학회가 펴낸 「우리 눈으로 보는 환경사회학」의 제1장을 쓰면서

환경사회학자의 사명으로 사회의 녹색화와 사회학의 녹색화를 설정한 바

있다 전자는 인간면제주의 패러다임의 지배를 받고 있는 주류 사회학에

인간 생존의 물리적middot생물적 기반을 고려하는 관점을 제공하는 것이고 후

자는 환경오염과 파괴의 원인 그 영향 및 해결 방안을 사회학적으로 설

명하고 제시하는 것이다 특히 후자의 사명을 환경사회학자들이 얼마나

그리고 어떻게 성취하느냐가 환경사회학의 미래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

다 학제적 연구의 정착과 현장 중심의 연구 강화는 환경사회학이 후자의

사명을 수행하기 위해 해결해야 할 당면 과제이다

2014년 6월 16일 접수

2014년 6월 27일 수정 완료

2014년 6월 29일 게재 확정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81

참고문헌

구도완 1995 ldquo한국의 새로운 환경운동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29(2) 347-371

1996 985172한국 환경운동의 사회학985173 문학과지성사

2009 985172마을에서 세상을 바꾸는 사람들 생태적 대안운동을 찾아

서985173 창비사

구도완 등 2013 985172녹색당과 녹색정치985173 아르케

구자건 2008 985172환경갈등과 사회영향평가 방법985173 연세대출판부

김도균 2011 985172환경재난과 지역사회의 변화 허베이스피리트호 기름유출

사고의 사회재난985173 한울아카데미

김두식 1995 ldquo환경문제와 환경보호에 대한 시민들의 태도 조사연구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29(1) 33-67

노진철 2001 985172환경과 사회985173 한울

2010 985172불확실성 시대의 위험사회학985173 한울아카데미

노진철 등 2010 985172태안은 살아 있다 기름 유출 사고 이후 3년 다시 쓰

는 태안 리포트985173 동녘

문순홍 1992 985172생태위기와 녹색의 대안985173 나라사랑

1999 985172생태학의 담론985173 아르케

2001 985172한국의 여성환경운동985173 아르케

2006a 985172정치생태학과 녹색국가985173 아르케

2006b 985172녹색국가의 탐색985173 아르케

2006c 985172개발국가의 녹색성찰985173 아르케

문태훈 등 2008 985172지속가능한 사회 이야기985173 법문사

박순열 2009 985172불만의 새만금985173 한국학술정보

박재묵 1991 ldquo환경문제에 대한 사회학적 이해rdquo pp 71-83 한국사회학회

(편) 985172현대 한국 사회문제의 진단과 처방985173(특별심포지움 논문집)

서영표영국적록연구그룹 2010 985172사회주의 녹색을 만나다985173 한울아카데미

양종회 1993 ldquo우리나라 국민들의 환경문제에 대한 의식의 변화 및 사회

82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적 기반rdquo 985172한국사회학회985173 26(4) 89-120

양종회 등 2002 985172아시아 태평양지역의 환경문제 환경운동 및 환경정책985173 서울대출판부

윤순진 2013 ldquo《ECO》분석을 통해 본 한국 환경사회학 연구의 흐름rdquo

pp 67-98 한국환경사회학회(편) 985172환경사회학 이론과 환경문제985173 한울아카데미

이득연 1998 985172환경운동의 사회학985173 민영사

이상헌 2003 985172물 세상을 움직이는 물의 정치와 정치 생태학985173 이매진

2011 985172생태주의985173 책세상

이시재 1994 ldquo환경사회학rdquo 한국사회학회(편) 98517221세기의 한국 사회학985173 문학과지성사

2013 ldquo한국 환경사회학의 회고와 전망rdquo pp 67-98 한국환경사회

학회(편) 985172환경사회학 이론과 환경문제985173 한울아카데미

이시재 등 2010 985172생태사회적 발전의 현장과 이론985173 아르케

정대연 2002 985172환경사회학985173 아카넷

2004 985172환경주의와 지속가능한 발전985173 집문당

2010 985172한국 지속가능발전의 구조와 변동985173 집문당

조명래 2001 985172녹색사회의 탐색985173 한울

2006 985172개발정치와 녹색진보985173 환경과 생명

2009 985172지구화 되돌아보기와 넘어서기 공간환경의 모순과 극복985173 환경과 생명

2013a 985172공간으로 사회읽기 개념 쟁점과 대안985173 한울아카데미

2013b 985172녹색토건주의와 환경위기985173 한울아카데미

조명래 등 2005 985172신개발주의를 멈춰라985173 환경과 생명

최병두 1993a 985172한국의 공간과 환경985173 한길사

1993b 985172현대 환경문제의 재인식985173 한울

1995 985172환경사회이론과 국제환경문제985173 한울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83

1999a 985172환경갈등과 불평등985173 한울

1999b 985172녹색사회를 위한 비평985173 한울

2002 985172녹색전망985173 도요새

2003a 985172도시속의 환경 열두 달(봄 여름)985173 한울

2003b 985172도시속의 환경 열두 달(가을 겨울)985173 한울

2010 985172비판적 생태학과 환경정의985173 한울아카데미

한국사회학회 2007 985172한국사회학회 50년사 1957-2007985173 한학문학

한국환경사회학회 2005 985172우리 눈으로 보는 환경사회학985173 창비사

2013a 985172환경사회학이론과 환경문제985173 한울

2013b 985172환경운동과 생활세계985173 한울

한상진 2006 985172환경정의의 사회학985173 UUP

험프리버틀(Craig Humphrey and Frederick R Buttel) 1995 985172환경사회학985173 양종회이시재 역 사회비평사

홍성태 2000 985172대한민국 위험사회985173 당대

2006 985172한국의 근대화와 물985173 한울아카데미

2010 985172생명의 강을 위하여 생태사회학자 홍성태 교수의 4대강

지키기 제안985173 중원문화

2012 985172개발과 파괴의 사회학 위험 사회를 넘어서985173 중원문화

Buttel Frederick H and Craig R Humphrey 2002 Sociological Theory

and the Natural Environment pp 33ndash69 in Riley E Dunlap and

William Michelson(eds) Handbook of Environmental Sociology

Westport CT Greenwood Press

Catton William R Jr and Riley Dunlap 1978 Environmental Sociology

A New Paradigm The American Sociologist 13 41-49

Dunlap Riley E and Brent K Marshall 2007 Environmental Sociology

pp 329-340 in Clifton D Bryant and Dennis L Peck(eds) 21st

Century Sociology A Reference Handbook Thousand Oaks CA

84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Sage Publications

Hannigan John 2006 Environmental Sociology(second edition)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Harper Charles 2004 Environment and Society Human Perspectives on

Environmental Issues Upper Saddle River New Jersey Pearson

Education Inc

Humphrey Craig R and Frederick H Buttel 1982 Environment Energy

and Society Belmont California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International Sociological Association(RC24) Korean Sociological

Association and Korean Association for Environmental Sociology

2004 Globalization Localization and Environment (Proceedings for

2004 ISA RC24 Conference in Seoul)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85

The Research Trend and Prospect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Park Jae-mookProf Dept of Sociology Chungnam Univ

Abstract

The aims of this paper are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and to anticipate its future developments As a groundwork for these works we briefly examined the institutionalization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Here we considered the organizing process of environmental sociologists association and the incorporation of the course of environmental sociology into the regular curricula Nextly we examined research trends of environmental sociology and tried to draw common characteristics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The most frequently dealt subjects in ECO a representative journal in this field have been nuclear power risk and disaster large-scale development projects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nd behaviour environmental problems and climate changes And distinguished characteristics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have been found to be focus on environmental problems dependence on qualitative methodology emphasis on environmental reforms of liberal tradition exchange of perspectives among researchers from various fields communications between researchers and activists Lastly it was suggested that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ist should develop interdisciplinary research and field research

Key Words Environmental Sociology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Institutionalization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Korean Association for Environmental Sociology ECO

Page 19: 환경과 사회 연구의 동향과 전망isrku.org/adm/data/1351080157_fEMV3OxI_02-EBB095EC9... · 2014-07-06 ·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 pp.55-85 ‘환경과 사회’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73

2 연구 방법

ECO지의 창간호부터 2003년 6월에 발행한 제17권 1호까지에 게재된

167편의 논문(포럼 포함)에서 사용되고 있는 연구 방법을 9개의 유형으로

구분해 보면 lt표 7gt과 같다 연구 방법을 명시적으로 서술하지 않은 논문

이 적지 않고 복수의 연구 방법을 사용하는 논문이 많아 유형 구분이 쉽

지 않았으나 필자의 주관적 판단에 따라 모든 논문의 연구 방법을 9개의

범주에 배속시켰다

lt표 7gt ECO 게재 논문의 자료수집 방법

주 제논문 수

rsquo01 rsquo02 rsquo03 rsquo04 rsquo05 rsquo06 rsquo07 rsquo08 rsquo09 rsquo10 rsquo11 rsquo12 rsquo13 계

이론 연구 2 9 6 4 3 3 1 4 3 1 1 37(222)

설문조사 2 1 1 2 2 1 3 4 4 2 3 25(150)

문헌middot문서자료 3 3 1 7 4 6 1 5 2 3 3 2 40(240)

기존 자료 3 1 2 1 1 2 10(73)

면접middot심층면접 1 5 1 1 1 1 1 2 2 2 2 19(114)

내용middot담론분석 1 1 1 2 1 1 7(42)

사례 조사 1 2 2 4 1 3 2 4 1 20(120)

비교 연구 1 3 1 1 2 8(48)

시뮬레이션 1 1(06)

계 9 19 16 15 11 12 13 16 13 11 13 14 5 167(1000)

먼저 논문의 발표 시기에 따른 연구 방법의 차이는 드러나지 않는다

다만 이론 연구가 후기로 올수록 줄어드는 경향이 눈에 띌 따름이다

다음으로 연구 방법 간의 빈도 차이는 비교적 뚜렷하게 드러난다 문

헌middot문서자료(40편) 이론 연구(37편) 설문조사(25편) 사례 조사(20편) 면

접middot심층면접(19편) 등이 자주 사용되고 있는 반면에 기존 자료(10편) 비

교연구(8편) 내용middot담론분석(7편) 시뮬레이션(1편) 등은 상대적으로 적게

74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사용되고 있다 문헌middot문서자료 및 이론 연구가 1 2위를 차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환경사회학자들의 독자적인 자료 생산 노력이 활발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마지막으로 ECO 게재 논문과 「한국사회학」 게재 논문의 연구 방법을

비교해 보면 환경사회학의 연구 방법과 사회학 일반의 연구 방법 간에

상당한 차이가 있음이 발견된다 ECO 게재 논문에서는 문헌middot문서자료 이

론 연구 설문조사 등의 순서로 자주 사용된 반면에 「한국사회학」 게재

논문14)들에서는 설문조사(323) 기존 자료(228) 이론(186) 등이 각

각 1 2 3위를 차지하고 있어 중시하고 있는 연구 방법이 서로 다를 뿐만

아니라 ECO 게재 논문들에서 비교적 중시된 문헌middot문서자료(240) 사례

조사(120) 면접middot심층면접(114) 등은 「한국사회학」 게재 논문에서는

훨씬 낮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차이는 결국 환경사회

학자들이 일반 사회학자들과 비교했을 때 양적 자료를 덜 사용하고 질적

자료를 더 많이 사용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Ⅳ 한국 환경사회학의 특징

한국 환경사회학의 특징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환경사회학자 및 그들의

연구 활동의 다양한 측면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여기에서는 연구 주제

연구 방법 이론적 지향 학제적 연구 사회적 실천 등의 다섯 가지 측면에

서 한국 환경사회학의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14) 1964년부터 2006년까지 「한국사회학」에 게재된 논문의 연구 방법을 분석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형 이론설문

조사집계자료 문서자료 기존자료 인터뷰

기타 질적

자료전체

빈도 123 214 67 62 151 31 14 662 186 323 101 94 228 47 21 1000

출처 한국사회학회 2007 120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75

1 환경문제의 사회학

흔히 일본 환경사회학자들은 미국의 환경사회학을 lsquo환경에 대한 사회

학rsquo(sociology of the environment)이라고 특징지으면서 자신들의 환경사회

학을 lsquo환경문제의 사회학rsquo(sociology of environmental problems)이라고 말

한다 이것은 일본의 환경사회학은 구체적인 환경문제가 지역사회 주민

및 피해자의 생활과 지역사회에 미친 영향에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음

을 지적하는 말이다 이러한 일본 환경사회학의 특징은 한국 환경사회학

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이시재는 최근 발표한 ldquo한국 환경사회학의 회고와

전망rdquo에서 lsquo한국에서 환경사회학은 환경문제의 사회학으로 출발했다rsquo고

말하고 한국 환경사회학의 특징 중의 하나로 문제해결을 위한 연구를 들

고 있다(이시재 2013 34-35)

앞에서 우리는 한국 환경사회학의 연구 주제가 논문 특집 학술대회

단행본 등에 있어서 어떻게 나타나는가를 살펴보았다 다양한 연구 활동

중에서 환경사회학자들의 연구 주제 선택의 경향을 잘 보여주는 것은 사

례 수가 가장 많은 논문 발표일 것이다 ECO지 게재 논문을 기준으로 할

때 환경사회학자들은 기후변화를 포함한 환경문제보다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

난rsquo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 lsquo환경의식middot환경행동rsquo을 더 중요하게 다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lt표 3gt 참조) 그러나 가장 빈도가 높은 lsquo원자력middot위

험middot재난rsquo과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은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과 밀접하게 연관

되어 있다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rsquo은 독립적인 주제 영역으로 설정되기는 했

지만 결국 특수한 유형의 환경문제라고 할 수 있고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에

대한 관심은 개발 사업으로 인한 환경문제에 대한 우려에서 비롯되기 때

문이다 따라서 겉으로 드러난 주제 영역보다 주제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의식에 주목한다면 한국의 환경사회학은 lsquo환경문제의 사회학rsquo의 성

격을 강하게 지니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76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2 질적 자료의 활용

환경사회학이 미국에서 처음 형성되던 시기에 농촌사회학의 영향을 강

하게 받았다 농촌사회학의 영향 가운데 대표적인 것으로 경험적 조사 자

료를 중시하는 경향이다 이러한 환경사회학의 전통은 한국의 환경사회학

에서도 이어지고 있다 lt표 7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환경사회학 연구에서

이론 연구의 비중이 222로서 결코 낮다고 할 수는 없지만 다양한 유형

의 경험적 자료를 활용하는 연구의 비중이 이론 연구에 비해 훨씬 크다

경험적 연구 방법 중에서 환경사회학자들이 일반 사회학자들에 비하여

중시하는 자료는 사례 조사 면접 조사 등을 통해 얻는 질적 자료이다 일

반 사회학자들에 비하여 설문 조사 기존 자료 활용 집계 자료 등의 양적

자료의 활용은 떨어지는 데 반하여 사례조사나 면접을 통해 얻는 질적

자료는 더 많이 활용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연구 방법과 관련된 한국

환경사회학의 특징은 상대적으로 질적 자료를 많이 활동하고 있다는 데

있다

질적 자료의 활용이 활발한 것은 기본적으로 한국 환경사회학자들이

연구하는 대상의 특성 때문이다 동강댐 건설사업 새만금간척사업 4대강

사업 등의 대규모 개발사업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 사고 및 각종

개발사업과 관련된 지역 환경운동 및 환경갈등이 하나의 사례로 다루어

지고 또 이러한 사례 연구에서 심층면접이 자료 수집 방법으로 활용되는

경향이 있다

3 자유주의적 환경개혁론

환경사회학에는 생태학적 설명(ecological explanation) 대 정치경제학적

설명(political economy explanation) 성찰적 근대화론(reflexive modernization)

대 생태학적 근대화론(ecological modernization) 실재론(realism) 대 구성

주의(constructionism) 등의 주요 이론적 쟁점이 있지만(Hannigan 2006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77

16-52) 한국 환경사회학에서는 이러한 쟁점을 둘러싼 논쟁을 찾아보기

어렵다 또한 독자적인 이론을 구성하기 위한 노력도 찾아보기 어렵다 윤

순진이 지적한 바 있듯이 ldquo많은 연구들은 다른 학문분과에서 구축한 이

론을 환경 관련 쟁점과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동원하는 양상을rdquo 띠거나

(윤순진 2013 85) 해외 환경사회학계에서 확립된 이론을 연구의 자원으

로 활용하는 데 머무르고 있다

그러나 다른 학문분과나 해외 환경사회학에서 확립된 이론을 수용하여

자원으로 활용하는 경우에도 이론의 선택에는 연구자 자신의 이론적 지

향이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대부분의 연구에는 명시적이든 묵시적

이든 연구자 자신의 이론적 지향이 깔려 있다 그렇다면 한국 환경사회

학에서는 어떤 이론적 지향이 우세하고 그 변화의 방향은 어느 쪽인가

말할 필요도 없이 한국의 환경사회학에는 다양한 이론적 지향 즉 험프리

와 버텔이 말하는 보수적 자유주의적 및 급진적 패러다임(Humphrey and

Buttel 1982 19-21)이 공존하고 있다 보수적 패러다임은 환경의식 및 환

경행동 연구에서 가끔 나타나고 있지만 그 영향력은 미미하다 급진적 패

러다임은 원자력발전 위험 환경정의 대규모 개발사업(국책사업) 대안

적 공동체 생태민주주의 등에 관한 연구에서 중요한 관점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보수적 패러다임에 비해서는 그 영향력이 훨씬 크다 이 두 패러

다임에 비해 훨씬 큰 세력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 바로 국가 개혁과 정책

의 전환을 통해 환경 위기 극복의 길을 모색하는 자유주의적 환경개혁론

이다 자유주의적 환경개혁론은 녹색국가 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 환경정책

환경정치 환경middot위험거버넌스 지속가능한 발전 대규모 개발사업 등의 연

구에서 주로 나타나고 있다

4 다양한 전공의 관점 교류

ECO지 기고를 통해 환경사회학 연구에 참여하고 있는 연구자의 전공

은 매우 다양하다 아마도 사회학 내의 다른 어떤 세부분야에 비해서도

78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다양할 것이다 윤순진의 ECO지 게재 글15)의 저자 분석에 따르면 총 24

개 분야의 학문적 배경을 가진 연구자들이 참여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보

면 사회학 인류학 행정학 경제학 정치학 사회복지학 심리학 지리학

지리교육학 도시 및 지역 관련학과 환경middot에너지정책학과 정치생태학 등

의 사회과학 전공자 철학 한국학 등 인문학 전공자 생태학middot생태곤충학

생물학 지질학 환경보건학 과학기술사학 과학관리학 생명공학 등의 자

연과학 전공자 토목공학 등 공학 전공자 등이 ECO에 글을 싣고 있다 물

론 전공별로 참여 저자의 수는 크게 다르다 사회학 전공자가 37명으로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도시 및 지역 관련 분야 전공자(18명) 인류학 전

공자(8명) 행정학 전공자(6명) 등의 순서로 많다(윤순진 2013 80-81)

ECO지 게재 논문 중 공저 논문의 경우 전공이 서로 다른 연구자가 공

동 저자로 참여한 경우는 많지 않으며 ldquo거의 대부분이 동일학과 소속 교

수와 학생 간의 공저이거나 동일 전공 동료 및 선후배 간 공저로 나타났

다(윤순진 2013 83)rdquo 이런 점에서 볼 때 환경사회학 연구가 실질적인 학

제적 연구의 형태가 띠는 것은 아니라고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적어도 학

회 활동과 학회지를 통해서 다양한 전공 간의 관점 공유와 교류는 활발하

게 이루어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5 연구자와 운동가의 소통

한국 환경사회학의 두드러진 특징 중의 하나는 환경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연구자들이 많다는 점이다 환경사회학자 중에는 연구자이면서

환경단체 전국 조직의 대표(이시재 이상헌 윤순진 이필렬 조명래) 지

역 환경단체의 대표(박재묵 노진철 최병두) 환경단체의 임원(구도완) 등

을 현재 맡고 있거나 과거에 역임한 사람들이 많다 위에서 거론된 연구

자보다 훨씬 더 많은 환경사회학자들이 지역 환경단체 등에 임원으로 참

15) 논문 이외의 서평 등의 글도 포함하고 있다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79

여하고 있다 이와는 반대로 환경단체의 상근 운동가로서 환경사회학회

회원으로 참여하고 논문을 발표하는 경우(이승민 안병옥 최예용 김정

수)도 있다

환경사회학자 연구자의 환경운동 참여와 운동가의 연구 참여가 활발하

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은 환경사회학의 특성과 연관되어 있는 현상이다

환경사회학은 기본적으로 환경문제의 근원 환경문제의 영향 및 환경문제

의 해결16)에 관심을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한국의 환경사회학은 특히

lsquo환경문제의 사회학rsquo의 성격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Ⅴ 환경사회학의 전망과 과제

지난 20년 동안 한국 환경사회학은 제도화의 과정을 거쳐 왔다 이 기

간 동안에 환경사회학은 많은 학과에서 정규 교과목으로 받아들여졌고

독립된 연구 영역으로 인정받게 되었다 또한 이 분야 연구자들이 독자적

인 학회를 조직하고 학회가 학술지를 발간함에 따라 연구 활동의 기반이

갖추어졌다 이로써 한국 환경사회학의 제도화가 대체로 완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지난 20년의 기간은 환경사회학의 기반 구축기인 동시에 성장기였다

성장의 속도는 느렸지만 연구자의 수도 증가해 왔고 이에 따라 학문적

성과도 축적되어 왔다 특히 환경사회학자들이 관심을 집중시켰던 원자

력middot위험middot재난 대규모 개발사업 환경운동 등의 영역에서는 의미 있는 성

과가 있었다 최근에 와서 환경사회학은 안정기에 들어가고 있다 ldquo젊은

층의 충원이 지지부진rdquo하고 대학원에서 환경사회학을 전공하려고 하는

학생도 줄어들고 있다(이시재 2013 37) 사회학계 전반에 걸친 침체 분위

16) Riley E Dunlap과 Brent K Marshall은 환경사회학의 최근 연구 초점으로

환경문제의 근원 환경문제의 영향 환경문제의 해결 방안 등 세 가지를 들

었다(Dunlap and Marshall 2007 335-339)

80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기가 일정 부분 환경사회학에도 미치고 있다 미국에서 환경사회학이

1980년대 초에 겪었던 퇴조 분위기가 한국에서도 나타나고 있는 것 같다

그러나 이러한 환경사회학의 침체 분위기가 장기적으로 지속되지는 않

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렇게 전망하는 근거는 두 가지이다 그 하나는 환

경사회학의 태동을 가져왔던 환경문제가 상존하기 때문이다 또한 기후변

화와 같은 환경문제는 향후에도 장기간 지속될 것이 분명하고 유독성 화

학물질과 같은 새로운 환경문제도 부상하고 있다 한 마디로 환경문제가

근본적으로 해결되지 않는 한 환경사회학은 존속하게 될 것이다 둘째로

현재의 침체 분위기는 일정기간의 성장 뒤에 오는 바닥 다지기의 의미가

크다 따라서 장기적으로 보면 환경사회학은 향후에도 안정적 성장을 지

속할 가능성이 크다

어떤 점에서 환경사회학의 미래는 일정 부분 환경사회학자들이 그들에

게 주어진 사명을 어떻게 수행하느냐에 달려 있기도 하다 2005년 필자가

환경사회학회가 펴낸 「우리 눈으로 보는 환경사회학」의 제1장을 쓰면서

환경사회학자의 사명으로 사회의 녹색화와 사회학의 녹색화를 설정한 바

있다 전자는 인간면제주의 패러다임의 지배를 받고 있는 주류 사회학에

인간 생존의 물리적middot생물적 기반을 고려하는 관점을 제공하는 것이고 후

자는 환경오염과 파괴의 원인 그 영향 및 해결 방안을 사회학적으로 설

명하고 제시하는 것이다 특히 후자의 사명을 환경사회학자들이 얼마나

그리고 어떻게 성취하느냐가 환경사회학의 미래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

다 학제적 연구의 정착과 현장 중심의 연구 강화는 환경사회학이 후자의

사명을 수행하기 위해 해결해야 할 당면 과제이다

2014년 6월 16일 접수

2014년 6월 27일 수정 완료

2014년 6월 29일 게재 확정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81

참고문헌

구도완 1995 ldquo한국의 새로운 환경운동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29(2) 347-371

1996 985172한국 환경운동의 사회학985173 문학과지성사

2009 985172마을에서 세상을 바꾸는 사람들 생태적 대안운동을 찾아

서985173 창비사

구도완 등 2013 985172녹색당과 녹색정치985173 아르케

구자건 2008 985172환경갈등과 사회영향평가 방법985173 연세대출판부

김도균 2011 985172환경재난과 지역사회의 변화 허베이스피리트호 기름유출

사고의 사회재난985173 한울아카데미

김두식 1995 ldquo환경문제와 환경보호에 대한 시민들의 태도 조사연구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29(1) 33-67

노진철 2001 985172환경과 사회985173 한울

2010 985172불확실성 시대의 위험사회학985173 한울아카데미

노진철 등 2010 985172태안은 살아 있다 기름 유출 사고 이후 3년 다시 쓰

는 태안 리포트985173 동녘

문순홍 1992 985172생태위기와 녹색의 대안985173 나라사랑

1999 985172생태학의 담론985173 아르케

2001 985172한국의 여성환경운동985173 아르케

2006a 985172정치생태학과 녹색국가985173 아르케

2006b 985172녹색국가의 탐색985173 아르케

2006c 985172개발국가의 녹색성찰985173 아르케

문태훈 등 2008 985172지속가능한 사회 이야기985173 법문사

박순열 2009 985172불만의 새만금985173 한국학술정보

박재묵 1991 ldquo환경문제에 대한 사회학적 이해rdquo pp 71-83 한국사회학회

(편) 985172현대 한국 사회문제의 진단과 처방985173(특별심포지움 논문집)

서영표영국적록연구그룹 2010 985172사회주의 녹색을 만나다985173 한울아카데미

양종회 1993 ldquo우리나라 국민들의 환경문제에 대한 의식의 변화 및 사회

82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적 기반rdquo 985172한국사회학회985173 26(4) 89-120

양종회 등 2002 985172아시아 태평양지역의 환경문제 환경운동 및 환경정책985173 서울대출판부

윤순진 2013 ldquo《ECO》분석을 통해 본 한국 환경사회학 연구의 흐름rdquo

pp 67-98 한국환경사회학회(편) 985172환경사회학 이론과 환경문제985173 한울아카데미

이득연 1998 985172환경운동의 사회학985173 민영사

이상헌 2003 985172물 세상을 움직이는 물의 정치와 정치 생태학985173 이매진

2011 985172생태주의985173 책세상

이시재 1994 ldquo환경사회학rdquo 한국사회학회(편) 98517221세기의 한국 사회학985173 문학과지성사

2013 ldquo한국 환경사회학의 회고와 전망rdquo pp 67-98 한국환경사회

학회(편) 985172환경사회학 이론과 환경문제985173 한울아카데미

이시재 등 2010 985172생태사회적 발전의 현장과 이론985173 아르케

정대연 2002 985172환경사회학985173 아카넷

2004 985172환경주의와 지속가능한 발전985173 집문당

2010 985172한국 지속가능발전의 구조와 변동985173 집문당

조명래 2001 985172녹색사회의 탐색985173 한울

2006 985172개발정치와 녹색진보985173 환경과 생명

2009 985172지구화 되돌아보기와 넘어서기 공간환경의 모순과 극복985173 환경과 생명

2013a 985172공간으로 사회읽기 개념 쟁점과 대안985173 한울아카데미

2013b 985172녹색토건주의와 환경위기985173 한울아카데미

조명래 등 2005 985172신개발주의를 멈춰라985173 환경과 생명

최병두 1993a 985172한국의 공간과 환경985173 한길사

1993b 985172현대 환경문제의 재인식985173 한울

1995 985172환경사회이론과 국제환경문제985173 한울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83

1999a 985172환경갈등과 불평등985173 한울

1999b 985172녹색사회를 위한 비평985173 한울

2002 985172녹색전망985173 도요새

2003a 985172도시속의 환경 열두 달(봄 여름)985173 한울

2003b 985172도시속의 환경 열두 달(가을 겨울)985173 한울

2010 985172비판적 생태학과 환경정의985173 한울아카데미

한국사회학회 2007 985172한국사회학회 50년사 1957-2007985173 한학문학

한국환경사회학회 2005 985172우리 눈으로 보는 환경사회학985173 창비사

2013a 985172환경사회학이론과 환경문제985173 한울

2013b 985172환경운동과 생활세계985173 한울

한상진 2006 985172환경정의의 사회학985173 UUP

험프리버틀(Craig Humphrey and Frederick R Buttel) 1995 985172환경사회학985173 양종회이시재 역 사회비평사

홍성태 2000 985172대한민국 위험사회985173 당대

2006 985172한국의 근대화와 물985173 한울아카데미

2010 985172생명의 강을 위하여 생태사회학자 홍성태 교수의 4대강

지키기 제안985173 중원문화

2012 985172개발과 파괴의 사회학 위험 사회를 넘어서985173 중원문화

Buttel Frederick H and Craig R Humphrey 2002 Sociological Theory

and the Natural Environment pp 33ndash69 in Riley E Dunlap and

William Michelson(eds) Handbook of Environmental Sociology

Westport CT Greenwood Press

Catton William R Jr and Riley Dunlap 1978 Environmental Sociology

A New Paradigm The American Sociologist 13 41-49

Dunlap Riley E and Brent K Marshall 2007 Environmental Sociology

pp 329-340 in Clifton D Bryant and Dennis L Peck(eds) 21st

Century Sociology A Reference Handbook Thousand Oaks CA

84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Sage Publications

Hannigan John 2006 Environmental Sociology(second edition)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Harper Charles 2004 Environment and Society Human Perspectives on

Environmental Issues Upper Saddle River New Jersey Pearson

Education Inc

Humphrey Craig R and Frederick H Buttel 1982 Environment Energy

and Society Belmont California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International Sociological Association(RC24) Korean Sociological

Association and Korean Association for Environmental Sociology

2004 Globalization Localization and Environment (Proceedings for

2004 ISA RC24 Conference in Seoul)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85

The Research Trend and Prospect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Park Jae-mookProf Dept of Sociology Chungnam Univ

Abstract

The aims of this paper are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and to anticipate its future developments As a groundwork for these works we briefly examined the institutionalization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Here we considered the organizing process of environmental sociologists association and the incorporation of the course of environmental sociology into the regular curricula Nextly we examined research trends of environmental sociology and tried to draw common characteristics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The most frequently dealt subjects in ECO a representative journal in this field have been nuclear power risk and disaster large-scale development projects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nd behaviour environmental problems and climate changes And distinguished characteristics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have been found to be focus on environmental problems dependence on qualitative methodology emphasis on environmental reforms of liberal tradition exchange of perspectives among researchers from various fields communications between researchers and activists Lastly it was suggested that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ist should develop interdisciplinary research and field research

Key Words Environmental Sociology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Institutionalization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Korean Association for Environmental Sociology ECO

Page 20: 환경과 사회 연구의 동향과 전망isrku.org/adm/data/1351080157_fEMV3OxI_02-EBB095EC9... · 2014-07-06 ·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 pp.55-85 ‘환경과 사회’

74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사용되고 있다 문헌middot문서자료 및 이론 연구가 1 2위를 차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환경사회학자들의 독자적인 자료 생산 노력이 활발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마지막으로 ECO 게재 논문과 「한국사회학」 게재 논문의 연구 방법을

비교해 보면 환경사회학의 연구 방법과 사회학 일반의 연구 방법 간에

상당한 차이가 있음이 발견된다 ECO 게재 논문에서는 문헌middot문서자료 이

론 연구 설문조사 등의 순서로 자주 사용된 반면에 「한국사회학」 게재

논문14)들에서는 설문조사(323) 기존 자료(228) 이론(186) 등이 각

각 1 2 3위를 차지하고 있어 중시하고 있는 연구 방법이 서로 다를 뿐만

아니라 ECO 게재 논문들에서 비교적 중시된 문헌middot문서자료(240) 사례

조사(120) 면접middot심층면접(114) 등은 「한국사회학」 게재 논문에서는

훨씬 낮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차이는 결국 환경사회

학자들이 일반 사회학자들과 비교했을 때 양적 자료를 덜 사용하고 질적

자료를 더 많이 사용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Ⅳ 한국 환경사회학의 특징

한국 환경사회학의 특징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환경사회학자 및 그들의

연구 활동의 다양한 측면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여기에서는 연구 주제

연구 방법 이론적 지향 학제적 연구 사회적 실천 등의 다섯 가지 측면에

서 한국 환경사회학의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14) 1964년부터 2006년까지 「한국사회학」에 게재된 논문의 연구 방법을 분석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형 이론설문

조사집계자료 문서자료 기존자료 인터뷰

기타 질적

자료전체

빈도 123 214 67 62 151 31 14 662 186 323 101 94 228 47 21 1000

출처 한국사회학회 2007 120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75

1 환경문제의 사회학

흔히 일본 환경사회학자들은 미국의 환경사회학을 lsquo환경에 대한 사회

학rsquo(sociology of the environment)이라고 특징지으면서 자신들의 환경사회

학을 lsquo환경문제의 사회학rsquo(sociology of environmental problems)이라고 말

한다 이것은 일본의 환경사회학은 구체적인 환경문제가 지역사회 주민

및 피해자의 생활과 지역사회에 미친 영향에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음

을 지적하는 말이다 이러한 일본 환경사회학의 특징은 한국 환경사회학

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이시재는 최근 발표한 ldquo한국 환경사회학의 회고와

전망rdquo에서 lsquo한국에서 환경사회학은 환경문제의 사회학으로 출발했다rsquo고

말하고 한국 환경사회학의 특징 중의 하나로 문제해결을 위한 연구를 들

고 있다(이시재 2013 34-35)

앞에서 우리는 한국 환경사회학의 연구 주제가 논문 특집 학술대회

단행본 등에 있어서 어떻게 나타나는가를 살펴보았다 다양한 연구 활동

중에서 환경사회학자들의 연구 주제 선택의 경향을 잘 보여주는 것은 사

례 수가 가장 많은 논문 발표일 것이다 ECO지 게재 논문을 기준으로 할

때 환경사회학자들은 기후변화를 포함한 환경문제보다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

난rsquo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 lsquo환경의식middot환경행동rsquo을 더 중요하게 다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lt표 3gt 참조) 그러나 가장 빈도가 높은 lsquo원자력middot위

험middot재난rsquo과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은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과 밀접하게 연관

되어 있다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rsquo은 독립적인 주제 영역으로 설정되기는 했

지만 결국 특수한 유형의 환경문제라고 할 수 있고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에

대한 관심은 개발 사업으로 인한 환경문제에 대한 우려에서 비롯되기 때

문이다 따라서 겉으로 드러난 주제 영역보다 주제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의식에 주목한다면 한국의 환경사회학은 lsquo환경문제의 사회학rsquo의 성

격을 강하게 지니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76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2 질적 자료의 활용

환경사회학이 미국에서 처음 형성되던 시기에 농촌사회학의 영향을 강

하게 받았다 농촌사회학의 영향 가운데 대표적인 것으로 경험적 조사 자

료를 중시하는 경향이다 이러한 환경사회학의 전통은 한국의 환경사회학

에서도 이어지고 있다 lt표 7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환경사회학 연구에서

이론 연구의 비중이 222로서 결코 낮다고 할 수는 없지만 다양한 유형

의 경험적 자료를 활용하는 연구의 비중이 이론 연구에 비해 훨씬 크다

경험적 연구 방법 중에서 환경사회학자들이 일반 사회학자들에 비하여

중시하는 자료는 사례 조사 면접 조사 등을 통해 얻는 질적 자료이다 일

반 사회학자들에 비하여 설문 조사 기존 자료 활용 집계 자료 등의 양적

자료의 활용은 떨어지는 데 반하여 사례조사나 면접을 통해 얻는 질적

자료는 더 많이 활용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연구 방법과 관련된 한국

환경사회학의 특징은 상대적으로 질적 자료를 많이 활동하고 있다는 데

있다

질적 자료의 활용이 활발한 것은 기본적으로 한국 환경사회학자들이

연구하는 대상의 특성 때문이다 동강댐 건설사업 새만금간척사업 4대강

사업 등의 대규모 개발사업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 사고 및 각종

개발사업과 관련된 지역 환경운동 및 환경갈등이 하나의 사례로 다루어

지고 또 이러한 사례 연구에서 심층면접이 자료 수집 방법으로 활용되는

경향이 있다

3 자유주의적 환경개혁론

환경사회학에는 생태학적 설명(ecological explanation) 대 정치경제학적

설명(political economy explanation) 성찰적 근대화론(reflexive modernization)

대 생태학적 근대화론(ecological modernization) 실재론(realism) 대 구성

주의(constructionism) 등의 주요 이론적 쟁점이 있지만(Hannigan 2006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77

16-52) 한국 환경사회학에서는 이러한 쟁점을 둘러싼 논쟁을 찾아보기

어렵다 또한 독자적인 이론을 구성하기 위한 노력도 찾아보기 어렵다 윤

순진이 지적한 바 있듯이 ldquo많은 연구들은 다른 학문분과에서 구축한 이

론을 환경 관련 쟁점과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동원하는 양상을rdquo 띠거나

(윤순진 2013 85) 해외 환경사회학계에서 확립된 이론을 연구의 자원으

로 활용하는 데 머무르고 있다

그러나 다른 학문분과나 해외 환경사회학에서 확립된 이론을 수용하여

자원으로 활용하는 경우에도 이론의 선택에는 연구자 자신의 이론적 지

향이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대부분의 연구에는 명시적이든 묵시적

이든 연구자 자신의 이론적 지향이 깔려 있다 그렇다면 한국 환경사회

학에서는 어떤 이론적 지향이 우세하고 그 변화의 방향은 어느 쪽인가

말할 필요도 없이 한국의 환경사회학에는 다양한 이론적 지향 즉 험프리

와 버텔이 말하는 보수적 자유주의적 및 급진적 패러다임(Humphrey and

Buttel 1982 19-21)이 공존하고 있다 보수적 패러다임은 환경의식 및 환

경행동 연구에서 가끔 나타나고 있지만 그 영향력은 미미하다 급진적 패

러다임은 원자력발전 위험 환경정의 대규모 개발사업(국책사업) 대안

적 공동체 생태민주주의 등에 관한 연구에서 중요한 관점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보수적 패러다임에 비해서는 그 영향력이 훨씬 크다 이 두 패러

다임에 비해 훨씬 큰 세력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 바로 국가 개혁과 정책

의 전환을 통해 환경 위기 극복의 길을 모색하는 자유주의적 환경개혁론

이다 자유주의적 환경개혁론은 녹색국가 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 환경정책

환경정치 환경middot위험거버넌스 지속가능한 발전 대규모 개발사업 등의 연

구에서 주로 나타나고 있다

4 다양한 전공의 관점 교류

ECO지 기고를 통해 환경사회학 연구에 참여하고 있는 연구자의 전공

은 매우 다양하다 아마도 사회학 내의 다른 어떤 세부분야에 비해서도

78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다양할 것이다 윤순진의 ECO지 게재 글15)의 저자 분석에 따르면 총 24

개 분야의 학문적 배경을 가진 연구자들이 참여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보

면 사회학 인류학 행정학 경제학 정치학 사회복지학 심리학 지리학

지리교육학 도시 및 지역 관련학과 환경middot에너지정책학과 정치생태학 등

의 사회과학 전공자 철학 한국학 등 인문학 전공자 생태학middot생태곤충학

생물학 지질학 환경보건학 과학기술사학 과학관리학 생명공학 등의 자

연과학 전공자 토목공학 등 공학 전공자 등이 ECO에 글을 싣고 있다 물

론 전공별로 참여 저자의 수는 크게 다르다 사회학 전공자가 37명으로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도시 및 지역 관련 분야 전공자(18명) 인류학 전

공자(8명) 행정학 전공자(6명) 등의 순서로 많다(윤순진 2013 80-81)

ECO지 게재 논문 중 공저 논문의 경우 전공이 서로 다른 연구자가 공

동 저자로 참여한 경우는 많지 않으며 ldquo거의 대부분이 동일학과 소속 교

수와 학생 간의 공저이거나 동일 전공 동료 및 선후배 간 공저로 나타났

다(윤순진 2013 83)rdquo 이런 점에서 볼 때 환경사회학 연구가 실질적인 학

제적 연구의 형태가 띠는 것은 아니라고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적어도 학

회 활동과 학회지를 통해서 다양한 전공 간의 관점 공유와 교류는 활발하

게 이루어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5 연구자와 운동가의 소통

한국 환경사회학의 두드러진 특징 중의 하나는 환경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연구자들이 많다는 점이다 환경사회학자 중에는 연구자이면서

환경단체 전국 조직의 대표(이시재 이상헌 윤순진 이필렬 조명래) 지

역 환경단체의 대표(박재묵 노진철 최병두) 환경단체의 임원(구도완) 등

을 현재 맡고 있거나 과거에 역임한 사람들이 많다 위에서 거론된 연구

자보다 훨씬 더 많은 환경사회학자들이 지역 환경단체 등에 임원으로 참

15) 논문 이외의 서평 등의 글도 포함하고 있다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79

여하고 있다 이와는 반대로 환경단체의 상근 운동가로서 환경사회학회

회원으로 참여하고 논문을 발표하는 경우(이승민 안병옥 최예용 김정

수)도 있다

환경사회학자 연구자의 환경운동 참여와 운동가의 연구 참여가 활발하

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은 환경사회학의 특성과 연관되어 있는 현상이다

환경사회학은 기본적으로 환경문제의 근원 환경문제의 영향 및 환경문제

의 해결16)에 관심을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한국의 환경사회학은 특히

lsquo환경문제의 사회학rsquo의 성격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Ⅴ 환경사회학의 전망과 과제

지난 20년 동안 한국 환경사회학은 제도화의 과정을 거쳐 왔다 이 기

간 동안에 환경사회학은 많은 학과에서 정규 교과목으로 받아들여졌고

독립된 연구 영역으로 인정받게 되었다 또한 이 분야 연구자들이 독자적

인 학회를 조직하고 학회가 학술지를 발간함에 따라 연구 활동의 기반이

갖추어졌다 이로써 한국 환경사회학의 제도화가 대체로 완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지난 20년의 기간은 환경사회학의 기반 구축기인 동시에 성장기였다

성장의 속도는 느렸지만 연구자의 수도 증가해 왔고 이에 따라 학문적

성과도 축적되어 왔다 특히 환경사회학자들이 관심을 집중시켰던 원자

력middot위험middot재난 대규모 개발사업 환경운동 등의 영역에서는 의미 있는 성

과가 있었다 최근에 와서 환경사회학은 안정기에 들어가고 있다 ldquo젊은

층의 충원이 지지부진rdquo하고 대학원에서 환경사회학을 전공하려고 하는

학생도 줄어들고 있다(이시재 2013 37) 사회학계 전반에 걸친 침체 분위

16) Riley E Dunlap과 Brent K Marshall은 환경사회학의 최근 연구 초점으로

환경문제의 근원 환경문제의 영향 환경문제의 해결 방안 등 세 가지를 들

었다(Dunlap and Marshall 2007 335-339)

80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기가 일정 부분 환경사회학에도 미치고 있다 미국에서 환경사회학이

1980년대 초에 겪었던 퇴조 분위기가 한국에서도 나타나고 있는 것 같다

그러나 이러한 환경사회학의 침체 분위기가 장기적으로 지속되지는 않

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렇게 전망하는 근거는 두 가지이다 그 하나는 환

경사회학의 태동을 가져왔던 환경문제가 상존하기 때문이다 또한 기후변

화와 같은 환경문제는 향후에도 장기간 지속될 것이 분명하고 유독성 화

학물질과 같은 새로운 환경문제도 부상하고 있다 한 마디로 환경문제가

근본적으로 해결되지 않는 한 환경사회학은 존속하게 될 것이다 둘째로

현재의 침체 분위기는 일정기간의 성장 뒤에 오는 바닥 다지기의 의미가

크다 따라서 장기적으로 보면 환경사회학은 향후에도 안정적 성장을 지

속할 가능성이 크다

어떤 점에서 환경사회학의 미래는 일정 부분 환경사회학자들이 그들에

게 주어진 사명을 어떻게 수행하느냐에 달려 있기도 하다 2005년 필자가

환경사회학회가 펴낸 「우리 눈으로 보는 환경사회학」의 제1장을 쓰면서

환경사회학자의 사명으로 사회의 녹색화와 사회학의 녹색화를 설정한 바

있다 전자는 인간면제주의 패러다임의 지배를 받고 있는 주류 사회학에

인간 생존의 물리적middot생물적 기반을 고려하는 관점을 제공하는 것이고 후

자는 환경오염과 파괴의 원인 그 영향 및 해결 방안을 사회학적으로 설

명하고 제시하는 것이다 특히 후자의 사명을 환경사회학자들이 얼마나

그리고 어떻게 성취하느냐가 환경사회학의 미래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

다 학제적 연구의 정착과 현장 중심의 연구 강화는 환경사회학이 후자의

사명을 수행하기 위해 해결해야 할 당면 과제이다

2014년 6월 16일 접수

2014년 6월 27일 수정 완료

2014년 6월 29일 게재 확정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81

참고문헌

구도완 1995 ldquo한국의 새로운 환경운동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29(2) 347-371

1996 985172한국 환경운동의 사회학985173 문학과지성사

2009 985172마을에서 세상을 바꾸는 사람들 생태적 대안운동을 찾아

서985173 창비사

구도완 등 2013 985172녹색당과 녹색정치985173 아르케

구자건 2008 985172환경갈등과 사회영향평가 방법985173 연세대출판부

김도균 2011 985172환경재난과 지역사회의 변화 허베이스피리트호 기름유출

사고의 사회재난985173 한울아카데미

김두식 1995 ldquo환경문제와 환경보호에 대한 시민들의 태도 조사연구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29(1) 33-67

노진철 2001 985172환경과 사회985173 한울

2010 985172불확실성 시대의 위험사회학985173 한울아카데미

노진철 등 2010 985172태안은 살아 있다 기름 유출 사고 이후 3년 다시 쓰

는 태안 리포트985173 동녘

문순홍 1992 985172생태위기와 녹색의 대안985173 나라사랑

1999 985172생태학의 담론985173 아르케

2001 985172한국의 여성환경운동985173 아르케

2006a 985172정치생태학과 녹색국가985173 아르케

2006b 985172녹색국가의 탐색985173 아르케

2006c 985172개발국가의 녹색성찰985173 아르케

문태훈 등 2008 985172지속가능한 사회 이야기985173 법문사

박순열 2009 985172불만의 새만금985173 한국학술정보

박재묵 1991 ldquo환경문제에 대한 사회학적 이해rdquo pp 71-83 한국사회학회

(편) 985172현대 한국 사회문제의 진단과 처방985173(특별심포지움 논문집)

서영표영국적록연구그룹 2010 985172사회주의 녹색을 만나다985173 한울아카데미

양종회 1993 ldquo우리나라 국민들의 환경문제에 대한 의식의 변화 및 사회

82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적 기반rdquo 985172한국사회학회985173 26(4) 89-120

양종회 등 2002 985172아시아 태평양지역의 환경문제 환경운동 및 환경정책985173 서울대출판부

윤순진 2013 ldquo《ECO》분석을 통해 본 한국 환경사회학 연구의 흐름rdquo

pp 67-98 한국환경사회학회(편) 985172환경사회학 이론과 환경문제985173 한울아카데미

이득연 1998 985172환경운동의 사회학985173 민영사

이상헌 2003 985172물 세상을 움직이는 물의 정치와 정치 생태학985173 이매진

2011 985172생태주의985173 책세상

이시재 1994 ldquo환경사회학rdquo 한국사회학회(편) 98517221세기의 한국 사회학985173 문학과지성사

2013 ldquo한국 환경사회학의 회고와 전망rdquo pp 67-98 한국환경사회

학회(편) 985172환경사회학 이론과 환경문제985173 한울아카데미

이시재 등 2010 985172생태사회적 발전의 현장과 이론985173 아르케

정대연 2002 985172환경사회학985173 아카넷

2004 985172환경주의와 지속가능한 발전985173 집문당

2010 985172한국 지속가능발전의 구조와 변동985173 집문당

조명래 2001 985172녹색사회의 탐색985173 한울

2006 985172개발정치와 녹색진보985173 환경과 생명

2009 985172지구화 되돌아보기와 넘어서기 공간환경의 모순과 극복985173 환경과 생명

2013a 985172공간으로 사회읽기 개념 쟁점과 대안985173 한울아카데미

2013b 985172녹색토건주의와 환경위기985173 한울아카데미

조명래 등 2005 985172신개발주의를 멈춰라985173 환경과 생명

최병두 1993a 985172한국의 공간과 환경985173 한길사

1993b 985172현대 환경문제의 재인식985173 한울

1995 985172환경사회이론과 국제환경문제985173 한울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83

1999a 985172환경갈등과 불평등985173 한울

1999b 985172녹색사회를 위한 비평985173 한울

2002 985172녹색전망985173 도요새

2003a 985172도시속의 환경 열두 달(봄 여름)985173 한울

2003b 985172도시속의 환경 열두 달(가을 겨울)985173 한울

2010 985172비판적 생태학과 환경정의985173 한울아카데미

한국사회학회 2007 985172한국사회학회 50년사 1957-2007985173 한학문학

한국환경사회학회 2005 985172우리 눈으로 보는 환경사회학985173 창비사

2013a 985172환경사회학이론과 환경문제985173 한울

2013b 985172환경운동과 생활세계985173 한울

한상진 2006 985172환경정의의 사회학985173 UUP

험프리버틀(Craig Humphrey and Frederick R Buttel) 1995 985172환경사회학985173 양종회이시재 역 사회비평사

홍성태 2000 985172대한민국 위험사회985173 당대

2006 985172한국의 근대화와 물985173 한울아카데미

2010 985172생명의 강을 위하여 생태사회학자 홍성태 교수의 4대강

지키기 제안985173 중원문화

2012 985172개발과 파괴의 사회학 위험 사회를 넘어서985173 중원문화

Buttel Frederick H and Craig R Humphrey 2002 Sociological Theory

and the Natural Environment pp 33ndash69 in Riley E Dunlap and

William Michelson(eds) Handbook of Environmental Sociology

Westport CT Greenwood Press

Catton William R Jr and Riley Dunlap 1978 Environmental Sociology

A New Paradigm The American Sociologist 13 41-49

Dunlap Riley E and Brent K Marshall 2007 Environmental Sociology

pp 329-340 in Clifton D Bryant and Dennis L Peck(eds) 21st

Century Sociology A Reference Handbook Thousand Oaks CA

84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Sage Publications

Hannigan John 2006 Environmental Sociology(second edition)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Harper Charles 2004 Environment and Society Human Perspectives on

Environmental Issues Upper Saddle River New Jersey Pearson

Education Inc

Humphrey Craig R and Frederick H Buttel 1982 Environment Energy

and Society Belmont California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International Sociological Association(RC24) Korean Sociological

Association and Korean Association for Environmental Sociology

2004 Globalization Localization and Environment (Proceedings for

2004 ISA RC24 Conference in Seoul)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85

The Research Trend and Prospect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Park Jae-mookProf Dept of Sociology Chungnam Univ

Abstract

The aims of this paper are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and to anticipate its future developments As a groundwork for these works we briefly examined the institutionalization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Here we considered the organizing process of environmental sociologists association and the incorporation of the course of environmental sociology into the regular curricula Nextly we examined research trends of environmental sociology and tried to draw common characteristics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The most frequently dealt subjects in ECO a representative journal in this field have been nuclear power risk and disaster large-scale development projects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nd behaviour environmental problems and climate changes And distinguished characteristics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have been found to be focus on environmental problems dependence on qualitative methodology emphasis on environmental reforms of liberal tradition exchange of perspectives among researchers from various fields communications between researchers and activists Lastly it was suggested that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ist should develop interdisciplinary research and field research

Key Words Environmental Sociology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Institutionalization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Korean Association for Environmental Sociology ECO

Page 21: 환경과 사회 연구의 동향과 전망isrku.org/adm/data/1351080157_fEMV3OxI_02-EBB095EC9... · 2014-07-06 ·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 pp.55-85 ‘환경과 사회’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75

1 환경문제의 사회학

흔히 일본 환경사회학자들은 미국의 환경사회학을 lsquo환경에 대한 사회

학rsquo(sociology of the environment)이라고 특징지으면서 자신들의 환경사회

학을 lsquo환경문제의 사회학rsquo(sociology of environmental problems)이라고 말

한다 이것은 일본의 환경사회학은 구체적인 환경문제가 지역사회 주민

및 피해자의 생활과 지역사회에 미친 영향에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음

을 지적하는 말이다 이러한 일본 환경사회학의 특징은 한국 환경사회학

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이시재는 최근 발표한 ldquo한국 환경사회학의 회고와

전망rdquo에서 lsquo한국에서 환경사회학은 환경문제의 사회학으로 출발했다rsquo고

말하고 한국 환경사회학의 특징 중의 하나로 문제해결을 위한 연구를 들

고 있다(이시재 2013 34-35)

앞에서 우리는 한국 환경사회학의 연구 주제가 논문 특집 학술대회

단행본 등에 있어서 어떻게 나타나는가를 살펴보았다 다양한 연구 활동

중에서 환경사회학자들의 연구 주제 선택의 경향을 잘 보여주는 것은 사

례 수가 가장 많은 논문 발표일 것이다 ECO지 게재 논문을 기준으로 할

때 환경사회학자들은 기후변화를 포함한 환경문제보다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

난rsquo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 lsquo환경의식middot환경행동rsquo을 더 중요하게 다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lt표 3gt 참조) 그러나 가장 빈도가 높은 lsquo원자력middot위

험middot재난rsquo과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은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과 밀접하게 연관

되어 있다 lsquo원자력middot위험middot재난rsquo은 독립적인 주제 영역으로 설정되기는 했

지만 결국 특수한 유형의 환경문제라고 할 수 있고 lsquo대규모 개발사업rsquo에

대한 관심은 개발 사업으로 인한 환경문제에 대한 우려에서 비롯되기 때

문이다 따라서 겉으로 드러난 주제 영역보다 주제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의식에 주목한다면 한국의 환경사회학은 lsquo환경문제의 사회학rsquo의 성

격을 강하게 지니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76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2 질적 자료의 활용

환경사회학이 미국에서 처음 형성되던 시기에 농촌사회학의 영향을 강

하게 받았다 농촌사회학의 영향 가운데 대표적인 것으로 경험적 조사 자

료를 중시하는 경향이다 이러한 환경사회학의 전통은 한국의 환경사회학

에서도 이어지고 있다 lt표 7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환경사회학 연구에서

이론 연구의 비중이 222로서 결코 낮다고 할 수는 없지만 다양한 유형

의 경험적 자료를 활용하는 연구의 비중이 이론 연구에 비해 훨씬 크다

경험적 연구 방법 중에서 환경사회학자들이 일반 사회학자들에 비하여

중시하는 자료는 사례 조사 면접 조사 등을 통해 얻는 질적 자료이다 일

반 사회학자들에 비하여 설문 조사 기존 자료 활용 집계 자료 등의 양적

자료의 활용은 떨어지는 데 반하여 사례조사나 면접을 통해 얻는 질적

자료는 더 많이 활용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연구 방법과 관련된 한국

환경사회학의 특징은 상대적으로 질적 자료를 많이 활동하고 있다는 데

있다

질적 자료의 활용이 활발한 것은 기본적으로 한국 환경사회학자들이

연구하는 대상의 특성 때문이다 동강댐 건설사업 새만금간척사업 4대강

사업 등의 대규모 개발사업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 사고 및 각종

개발사업과 관련된 지역 환경운동 및 환경갈등이 하나의 사례로 다루어

지고 또 이러한 사례 연구에서 심층면접이 자료 수집 방법으로 활용되는

경향이 있다

3 자유주의적 환경개혁론

환경사회학에는 생태학적 설명(ecological explanation) 대 정치경제학적

설명(political economy explanation) 성찰적 근대화론(reflexive modernization)

대 생태학적 근대화론(ecological modernization) 실재론(realism) 대 구성

주의(constructionism) 등의 주요 이론적 쟁점이 있지만(Hannigan 2006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77

16-52) 한국 환경사회학에서는 이러한 쟁점을 둘러싼 논쟁을 찾아보기

어렵다 또한 독자적인 이론을 구성하기 위한 노력도 찾아보기 어렵다 윤

순진이 지적한 바 있듯이 ldquo많은 연구들은 다른 학문분과에서 구축한 이

론을 환경 관련 쟁점과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동원하는 양상을rdquo 띠거나

(윤순진 2013 85) 해외 환경사회학계에서 확립된 이론을 연구의 자원으

로 활용하는 데 머무르고 있다

그러나 다른 학문분과나 해외 환경사회학에서 확립된 이론을 수용하여

자원으로 활용하는 경우에도 이론의 선택에는 연구자 자신의 이론적 지

향이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대부분의 연구에는 명시적이든 묵시적

이든 연구자 자신의 이론적 지향이 깔려 있다 그렇다면 한국 환경사회

학에서는 어떤 이론적 지향이 우세하고 그 변화의 방향은 어느 쪽인가

말할 필요도 없이 한국의 환경사회학에는 다양한 이론적 지향 즉 험프리

와 버텔이 말하는 보수적 자유주의적 및 급진적 패러다임(Humphrey and

Buttel 1982 19-21)이 공존하고 있다 보수적 패러다임은 환경의식 및 환

경행동 연구에서 가끔 나타나고 있지만 그 영향력은 미미하다 급진적 패

러다임은 원자력발전 위험 환경정의 대규모 개발사업(국책사업) 대안

적 공동체 생태민주주의 등에 관한 연구에서 중요한 관점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보수적 패러다임에 비해서는 그 영향력이 훨씬 크다 이 두 패러

다임에 비해 훨씬 큰 세력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 바로 국가 개혁과 정책

의 전환을 통해 환경 위기 극복의 길을 모색하는 자유주의적 환경개혁론

이다 자유주의적 환경개혁론은 녹색국가 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 환경정책

환경정치 환경middot위험거버넌스 지속가능한 발전 대규모 개발사업 등의 연

구에서 주로 나타나고 있다

4 다양한 전공의 관점 교류

ECO지 기고를 통해 환경사회학 연구에 참여하고 있는 연구자의 전공

은 매우 다양하다 아마도 사회학 내의 다른 어떤 세부분야에 비해서도

78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다양할 것이다 윤순진의 ECO지 게재 글15)의 저자 분석에 따르면 총 24

개 분야의 학문적 배경을 가진 연구자들이 참여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보

면 사회학 인류학 행정학 경제학 정치학 사회복지학 심리학 지리학

지리교육학 도시 및 지역 관련학과 환경middot에너지정책학과 정치생태학 등

의 사회과학 전공자 철학 한국학 등 인문학 전공자 생태학middot생태곤충학

생물학 지질학 환경보건학 과학기술사학 과학관리학 생명공학 등의 자

연과학 전공자 토목공학 등 공학 전공자 등이 ECO에 글을 싣고 있다 물

론 전공별로 참여 저자의 수는 크게 다르다 사회학 전공자가 37명으로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도시 및 지역 관련 분야 전공자(18명) 인류학 전

공자(8명) 행정학 전공자(6명) 등의 순서로 많다(윤순진 2013 80-81)

ECO지 게재 논문 중 공저 논문의 경우 전공이 서로 다른 연구자가 공

동 저자로 참여한 경우는 많지 않으며 ldquo거의 대부분이 동일학과 소속 교

수와 학생 간의 공저이거나 동일 전공 동료 및 선후배 간 공저로 나타났

다(윤순진 2013 83)rdquo 이런 점에서 볼 때 환경사회학 연구가 실질적인 학

제적 연구의 형태가 띠는 것은 아니라고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적어도 학

회 활동과 학회지를 통해서 다양한 전공 간의 관점 공유와 교류는 활발하

게 이루어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5 연구자와 운동가의 소통

한국 환경사회학의 두드러진 특징 중의 하나는 환경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연구자들이 많다는 점이다 환경사회학자 중에는 연구자이면서

환경단체 전국 조직의 대표(이시재 이상헌 윤순진 이필렬 조명래) 지

역 환경단체의 대표(박재묵 노진철 최병두) 환경단체의 임원(구도완) 등

을 현재 맡고 있거나 과거에 역임한 사람들이 많다 위에서 거론된 연구

자보다 훨씬 더 많은 환경사회학자들이 지역 환경단체 등에 임원으로 참

15) 논문 이외의 서평 등의 글도 포함하고 있다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79

여하고 있다 이와는 반대로 환경단체의 상근 운동가로서 환경사회학회

회원으로 참여하고 논문을 발표하는 경우(이승민 안병옥 최예용 김정

수)도 있다

환경사회학자 연구자의 환경운동 참여와 운동가의 연구 참여가 활발하

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은 환경사회학의 특성과 연관되어 있는 현상이다

환경사회학은 기본적으로 환경문제의 근원 환경문제의 영향 및 환경문제

의 해결16)에 관심을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한국의 환경사회학은 특히

lsquo환경문제의 사회학rsquo의 성격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Ⅴ 환경사회학의 전망과 과제

지난 20년 동안 한국 환경사회학은 제도화의 과정을 거쳐 왔다 이 기

간 동안에 환경사회학은 많은 학과에서 정규 교과목으로 받아들여졌고

독립된 연구 영역으로 인정받게 되었다 또한 이 분야 연구자들이 독자적

인 학회를 조직하고 학회가 학술지를 발간함에 따라 연구 활동의 기반이

갖추어졌다 이로써 한국 환경사회학의 제도화가 대체로 완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지난 20년의 기간은 환경사회학의 기반 구축기인 동시에 성장기였다

성장의 속도는 느렸지만 연구자의 수도 증가해 왔고 이에 따라 학문적

성과도 축적되어 왔다 특히 환경사회학자들이 관심을 집중시켰던 원자

력middot위험middot재난 대규모 개발사업 환경운동 등의 영역에서는 의미 있는 성

과가 있었다 최근에 와서 환경사회학은 안정기에 들어가고 있다 ldquo젊은

층의 충원이 지지부진rdquo하고 대학원에서 환경사회학을 전공하려고 하는

학생도 줄어들고 있다(이시재 2013 37) 사회학계 전반에 걸친 침체 분위

16) Riley E Dunlap과 Brent K Marshall은 환경사회학의 최근 연구 초점으로

환경문제의 근원 환경문제의 영향 환경문제의 해결 방안 등 세 가지를 들

었다(Dunlap and Marshall 2007 335-339)

80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기가 일정 부분 환경사회학에도 미치고 있다 미국에서 환경사회학이

1980년대 초에 겪었던 퇴조 분위기가 한국에서도 나타나고 있는 것 같다

그러나 이러한 환경사회학의 침체 분위기가 장기적으로 지속되지는 않

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렇게 전망하는 근거는 두 가지이다 그 하나는 환

경사회학의 태동을 가져왔던 환경문제가 상존하기 때문이다 또한 기후변

화와 같은 환경문제는 향후에도 장기간 지속될 것이 분명하고 유독성 화

학물질과 같은 새로운 환경문제도 부상하고 있다 한 마디로 환경문제가

근본적으로 해결되지 않는 한 환경사회학은 존속하게 될 것이다 둘째로

현재의 침체 분위기는 일정기간의 성장 뒤에 오는 바닥 다지기의 의미가

크다 따라서 장기적으로 보면 환경사회학은 향후에도 안정적 성장을 지

속할 가능성이 크다

어떤 점에서 환경사회학의 미래는 일정 부분 환경사회학자들이 그들에

게 주어진 사명을 어떻게 수행하느냐에 달려 있기도 하다 2005년 필자가

환경사회학회가 펴낸 「우리 눈으로 보는 환경사회학」의 제1장을 쓰면서

환경사회학자의 사명으로 사회의 녹색화와 사회학의 녹색화를 설정한 바

있다 전자는 인간면제주의 패러다임의 지배를 받고 있는 주류 사회학에

인간 생존의 물리적middot생물적 기반을 고려하는 관점을 제공하는 것이고 후

자는 환경오염과 파괴의 원인 그 영향 및 해결 방안을 사회학적으로 설

명하고 제시하는 것이다 특히 후자의 사명을 환경사회학자들이 얼마나

그리고 어떻게 성취하느냐가 환경사회학의 미래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

다 학제적 연구의 정착과 현장 중심의 연구 강화는 환경사회학이 후자의

사명을 수행하기 위해 해결해야 할 당면 과제이다

2014년 6월 16일 접수

2014년 6월 27일 수정 완료

2014년 6월 29일 게재 확정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81

참고문헌

구도완 1995 ldquo한국의 새로운 환경운동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29(2) 347-371

1996 985172한국 환경운동의 사회학985173 문학과지성사

2009 985172마을에서 세상을 바꾸는 사람들 생태적 대안운동을 찾아

서985173 창비사

구도완 등 2013 985172녹색당과 녹색정치985173 아르케

구자건 2008 985172환경갈등과 사회영향평가 방법985173 연세대출판부

김도균 2011 985172환경재난과 지역사회의 변화 허베이스피리트호 기름유출

사고의 사회재난985173 한울아카데미

김두식 1995 ldquo환경문제와 환경보호에 대한 시민들의 태도 조사연구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29(1) 33-67

노진철 2001 985172환경과 사회985173 한울

2010 985172불확실성 시대의 위험사회학985173 한울아카데미

노진철 등 2010 985172태안은 살아 있다 기름 유출 사고 이후 3년 다시 쓰

는 태안 리포트985173 동녘

문순홍 1992 985172생태위기와 녹색의 대안985173 나라사랑

1999 985172생태학의 담론985173 아르케

2001 985172한국의 여성환경운동985173 아르케

2006a 985172정치생태학과 녹색국가985173 아르케

2006b 985172녹색국가의 탐색985173 아르케

2006c 985172개발국가의 녹색성찰985173 아르케

문태훈 등 2008 985172지속가능한 사회 이야기985173 법문사

박순열 2009 985172불만의 새만금985173 한국학술정보

박재묵 1991 ldquo환경문제에 대한 사회학적 이해rdquo pp 71-83 한국사회학회

(편) 985172현대 한국 사회문제의 진단과 처방985173(특별심포지움 논문집)

서영표영국적록연구그룹 2010 985172사회주의 녹색을 만나다985173 한울아카데미

양종회 1993 ldquo우리나라 국민들의 환경문제에 대한 의식의 변화 및 사회

82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적 기반rdquo 985172한국사회학회985173 26(4) 89-120

양종회 등 2002 985172아시아 태평양지역의 환경문제 환경운동 및 환경정책985173 서울대출판부

윤순진 2013 ldquo《ECO》분석을 통해 본 한국 환경사회학 연구의 흐름rdquo

pp 67-98 한국환경사회학회(편) 985172환경사회학 이론과 환경문제985173 한울아카데미

이득연 1998 985172환경운동의 사회학985173 민영사

이상헌 2003 985172물 세상을 움직이는 물의 정치와 정치 생태학985173 이매진

2011 985172생태주의985173 책세상

이시재 1994 ldquo환경사회학rdquo 한국사회학회(편) 98517221세기의 한국 사회학985173 문학과지성사

2013 ldquo한국 환경사회학의 회고와 전망rdquo pp 67-98 한국환경사회

학회(편) 985172환경사회학 이론과 환경문제985173 한울아카데미

이시재 등 2010 985172생태사회적 발전의 현장과 이론985173 아르케

정대연 2002 985172환경사회학985173 아카넷

2004 985172환경주의와 지속가능한 발전985173 집문당

2010 985172한국 지속가능발전의 구조와 변동985173 집문당

조명래 2001 985172녹색사회의 탐색985173 한울

2006 985172개발정치와 녹색진보985173 환경과 생명

2009 985172지구화 되돌아보기와 넘어서기 공간환경의 모순과 극복985173 환경과 생명

2013a 985172공간으로 사회읽기 개념 쟁점과 대안985173 한울아카데미

2013b 985172녹색토건주의와 환경위기985173 한울아카데미

조명래 등 2005 985172신개발주의를 멈춰라985173 환경과 생명

최병두 1993a 985172한국의 공간과 환경985173 한길사

1993b 985172현대 환경문제의 재인식985173 한울

1995 985172환경사회이론과 국제환경문제985173 한울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83

1999a 985172환경갈등과 불평등985173 한울

1999b 985172녹색사회를 위한 비평985173 한울

2002 985172녹색전망985173 도요새

2003a 985172도시속의 환경 열두 달(봄 여름)985173 한울

2003b 985172도시속의 환경 열두 달(가을 겨울)985173 한울

2010 985172비판적 생태학과 환경정의985173 한울아카데미

한국사회학회 2007 985172한국사회학회 50년사 1957-2007985173 한학문학

한국환경사회학회 2005 985172우리 눈으로 보는 환경사회학985173 창비사

2013a 985172환경사회학이론과 환경문제985173 한울

2013b 985172환경운동과 생활세계985173 한울

한상진 2006 985172환경정의의 사회학985173 UUP

험프리버틀(Craig Humphrey and Frederick R Buttel) 1995 985172환경사회학985173 양종회이시재 역 사회비평사

홍성태 2000 985172대한민국 위험사회985173 당대

2006 985172한국의 근대화와 물985173 한울아카데미

2010 985172생명의 강을 위하여 생태사회학자 홍성태 교수의 4대강

지키기 제안985173 중원문화

2012 985172개발과 파괴의 사회학 위험 사회를 넘어서985173 중원문화

Buttel Frederick H and Craig R Humphrey 2002 Sociological Theory

and the Natural Environment pp 33ndash69 in Riley E Dunlap and

William Michelson(eds) Handbook of Environmental Sociology

Westport CT Greenwood Press

Catton William R Jr and Riley Dunlap 1978 Environmental Sociology

A New Paradigm The American Sociologist 13 41-49

Dunlap Riley E and Brent K Marshall 2007 Environmental Sociology

pp 329-340 in Clifton D Bryant and Dennis L Peck(eds) 21st

Century Sociology A Reference Handbook Thousand Oaks CA

84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Sage Publications

Hannigan John 2006 Environmental Sociology(second edition)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Harper Charles 2004 Environment and Society Human Perspectives on

Environmental Issues Upper Saddle River New Jersey Pearson

Education Inc

Humphrey Craig R and Frederick H Buttel 1982 Environment Energy

and Society Belmont California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International Sociological Association(RC24) Korean Sociological

Association and Korean Association for Environmental Sociology

2004 Globalization Localization and Environment (Proceedings for

2004 ISA RC24 Conference in Seoul)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85

The Research Trend and Prospect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Park Jae-mookProf Dept of Sociology Chungnam Univ

Abstract

The aims of this paper are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and to anticipate its future developments As a groundwork for these works we briefly examined the institutionalization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Here we considered the organizing process of environmental sociologists association and the incorporation of the course of environmental sociology into the regular curricula Nextly we examined research trends of environmental sociology and tried to draw common characteristics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The most frequently dealt subjects in ECO a representative journal in this field have been nuclear power risk and disaster large-scale development projects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nd behaviour environmental problems and climate changes And distinguished characteristics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have been found to be focus on environmental problems dependence on qualitative methodology emphasis on environmental reforms of liberal tradition exchange of perspectives among researchers from various fields communications between researchers and activists Lastly it was suggested that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ist should develop interdisciplinary research and field research

Key Words Environmental Sociology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Institutionalization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Korean Association for Environmental Sociology ECO

Page 22: 환경과 사회 연구의 동향과 전망isrku.org/adm/data/1351080157_fEMV3OxI_02-EBB095EC9... · 2014-07-06 ·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 pp.55-85 ‘환경과 사회’

76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2 질적 자료의 활용

환경사회학이 미국에서 처음 형성되던 시기에 농촌사회학의 영향을 강

하게 받았다 농촌사회학의 영향 가운데 대표적인 것으로 경험적 조사 자

료를 중시하는 경향이다 이러한 환경사회학의 전통은 한국의 환경사회학

에서도 이어지고 있다 lt표 7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환경사회학 연구에서

이론 연구의 비중이 222로서 결코 낮다고 할 수는 없지만 다양한 유형

의 경험적 자료를 활용하는 연구의 비중이 이론 연구에 비해 훨씬 크다

경험적 연구 방법 중에서 환경사회학자들이 일반 사회학자들에 비하여

중시하는 자료는 사례 조사 면접 조사 등을 통해 얻는 질적 자료이다 일

반 사회학자들에 비하여 설문 조사 기존 자료 활용 집계 자료 등의 양적

자료의 활용은 떨어지는 데 반하여 사례조사나 면접을 통해 얻는 질적

자료는 더 많이 활용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연구 방법과 관련된 한국

환경사회학의 특징은 상대적으로 질적 자료를 많이 활동하고 있다는 데

있다

질적 자료의 활용이 활발한 것은 기본적으로 한국 환경사회학자들이

연구하는 대상의 특성 때문이다 동강댐 건설사업 새만금간척사업 4대강

사업 등의 대규모 개발사업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 사고 및 각종

개발사업과 관련된 지역 환경운동 및 환경갈등이 하나의 사례로 다루어

지고 또 이러한 사례 연구에서 심층면접이 자료 수집 방법으로 활용되는

경향이 있다

3 자유주의적 환경개혁론

환경사회학에는 생태학적 설명(ecological explanation) 대 정치경제학적

설명(political economy explanation) 성찰적 근대화론(reflexive modernization)

대 생태학적 근대화론(ecological modernization) 실재론(realism) 대 구성

주의(constructionism) 등의 주요 이론적 쟁점이 있지만(Hannigan 2006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77

16-52) 한국 환경사회학에서는 이러한 쟁점을 둘러싼 논쟁을 찾아보기

어렵다 또한 독자적인 이론을 구성하기 위한 노력도 찾아보기 어렵다 윤

순진이 지적한 바 있듯이 ldquo많은 연구들은 다른 학문분과에서 구축한 이

론을 환경 관련 쟁점과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동원하는 양상을rdquo 띠거나

(윤순진 2013 85) 해외 환경사회학계에서 확립된 이론을 연구의 자원으

로 활용하는 데 머무르고 있다

그러나 다른 학문분과나 해외 환경사회학에서 확립된 이론을 수용하여

자원으로 활용하는 경우에도 이론의 선택에는 연구자 자신의 이론적 지

향이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대부분의 연구에는 명시적이든 묵시적

이든 연구자 자신의 이론적 지향이 깔려 있다 그렇다면 한국 환경사회

학에서는 어떤 이론적 지향이 우세하고 그 변화의 방향은 어느 쪽인가

말할 필요도 없이 한국의 환경사회학에는 다양한 이론적 지향 즉 험프리

와 버텔이 말하는 보수적 자유주의적 및 급진적 패러다임(Humphrey and

Buttel 1982 19-21)이 공존하고 있다 보수적 패러다임은 환경의식 및 환

경행동 연구에서 가끔 나타나고 있지만 그 영향력은 미미하다 급진적 패

러다임은 원자력발전 위험 환경정의 대규모 개발사업(국책사업) 대안

적 공동체 생태민주주의 등에 관한 연구에서 중요한 관점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보수적 패러다임에 비해서는 그 영향력이 훨씬 크다 이 두 패러

다임에 비해 훨씬 큰 세력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 바로 국가 개혁과 정책

의 전환을 통해 환경 위기 극복의 길을 모색하는 자유주의적 환경개혁론

이다 자유주의적 환경개혁론은 녹색국가 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 환경정책

환경정치 환경middot위험거버넌스 지속가능한 발전 대규모 개발사업 등의 연

구에서 주로 나타나고 있다

4 다양한 전공의 관점 교류

ECO지 기고를 통해 환경사회학 연구에 참여하고 있는 연구자의 전공

은 매우 다양하다 아마도 사회학 내의 다른 어떤 세부분야에 비해서도

78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다양할 것이다 윤순진의 ECO지 게재 글15)의 저자 분석에 따르면 총 24

개 분야의 학문적 배경을 가진 연구자들이 참여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보

면 사회학 인류학 행정학 경제학 정치학 사회복지학 심리학 지리학

지리교육학 도시 및 지역 관련학과 환경middot에너지정책학과 정치생태학 등

의 사회과학 전공자 철학 한국학 등 인문학 전공자 생태학middot생태곤충학

생물학 지질학 환경보건학 과학기술사학 과학관리학 생명공학 등의 자

연과학 전공자 토목공학 등 공학 전공자 등이 ECO에 글을 싣고 있다 물

론 전공별로 참여 저자의 수는 크게 다르다 사회학 전공자가 37명으로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도시 및 지역 관련 분야 전공자(18명) 인류학 전

공자(8명) 행정학 전공자(6명) 등의 순서로 많다(윤순진 2013 80-81)

ECO지 게재 논문 중 공저 논문의 경우 전공이 서로 다른 연구자가 공

동 저자로 참여한 경우는 많지 않으며 ldquo거의 대부분이 동일학과 소속 교

수와 학생 간의 공저이거나 동일 전공 동료 및 선후배 간 공저로 나타났

다(윤순진 2013 83)rdquo 이런 점에서 볼 때 환경사회학 연구가 실질적인 학

제적 연구의 형태가 띠는 것은 아니라고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적어도 학

회 활동과 학회지를 통해서 다양한 전공 간의 관점 공유와 교류는 활발하

게 이루어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5 연구자와 운동가의 소통

한국 환경사회학의 두드러진 특징 중의 하나는 환경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연구자들이 많다는 점이다 환경사회학자 중에는 연구자이면서

환경단체 전국 조직의 대표(이시재 이상헌 윤순진 이필렬 조명래) 지

역 환경단체의 대표(박재묵 노진철 최병두) 환경단체의 임원(구도완) 등

을 현재 맡고 있거나 과거에 역임한 사람들이 많다 위에서 거론된 연구

자보다 훨씬 더 많은 환경사회학자들이 지역 환경단체 등에 임원으로 참

15) 논문 이외의 서평 등의 글도 포함하고 있다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79

여하고 있다 이와는 반대로 환경단체의 상근 운동가로서 환경사회학회

회원으로 참여하고 논문을 발표하는 경우(이승민 안병옥 최예용 김정

수)도 있다

환경사회학자 연구자의 환경운동 참여와 운동가의 연구 참여가 활발하

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은 환경사회학의 특성과 연관되어 있는 현상이다

환경사회학은 기본적으로 환경문제의 근원 환경문제의 영향 및 환경문제

의 해결16)에 관심을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한국의 환경사회학은 특히

lsquo환경문제의 사회학rsquo의 성격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Ⅴ 환경사회학의 전망과 과제

지난 20년 동안 한국 환경사회학은 제도화의 과정을 거쳐 왔다 이 기

간 동안에 환경사회학은 많은 학과에서 정규 교과목으로 받아들여졌고

독립된 연구 영역으로 인정받게 되었다 또한 이 분야 연구자들이 독자적

인 학회를 조직하고 학회가 학술지를 발간함에 따라 연구 활동의 기반이

갖추어졌다 이로써 한국 환경사회학의 제도화가 대체로 완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지난 20년의 기간은 환경사회학의 기반 구축기인 동시에 성장기였다

성장의 속도는 느렸지만 연구자의 수도 증가해 왔고 이에 따라 학문적

성과도 축적되어 왔다 특히 환경사회학자들이 관심을 집중시켰던 원자

력middot위험middot재난 대규모 개발사업 환경운동 등의 영역에서는 의미 있는 성

과가 있었다 최근에 와서 환경사회학은 안정기에 들어가고 있다 ldquo젊은

층의 충원이 지지부진rdquo하고 대학원에서 환경사회학을 전공하려고 하는

학생도 줄어들고 있다(이시재 2013 37) 사회학계 전반에 걸친 침체 분위

16) Riley E Dunlap과 Brent K Marshall은 환경사회학의 최근 연구 초점으로

환경문제의 근원 환경문제의 영향 환경문제의 해결 방안 등 세 가지를 들

었다(Dunlap and Marshall 2007 335-339)

80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기가 일정 부분 환경사회학에도 미치고 있다 미국에서 환경사회학이

1980년대 초에 겪었던 퇴조 분위기가 한국에서도 나타나고 있는 것 같다

그러나 이러한 환경사회학의 침체 분위기가 장기적으로 지속되지는 않

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렇게 전망하는 근거는 두 가지이다 그 하나는 환

경사회학의 태동을 가져왔던 환경문제가 상존하기 때문이다 또한 기후변

화와 같은 환경문제는 향후에도 장기간 지속될 것이 분명하고 유독성 화

학물질과 같은 새로운 환경문제도 부상하고 있다 한 마디로 환경문제가

근본적으로 해결되지 않는 한 환경사회학은 존속하게 될 것이다 둘째로

현재의 침체 분위기는 일정기간의 성장 뒤에 오는 바닥 다지기의 의미가

크다 따라서 장기적으로 보면 환경사회학은 향후에도 안정적 성장을 지

속할 가능성이 크다

어떤 점에서 환경사회학의 미래는 일정 부분 환경사회학자들이 그들에

게 주어진 사명을 어떻게 수행하느냐에 달려 있기도 하다 2005년 필자가

환경사회학회가 펴낸 「우리 눈으로 보는 환경사회학」의 제1장을 쓰면서

환경사회학자의 사명으로 사회의 녹색화와 사회학의 녹색화를 설정한 바

있다 전자는 인간면제주의 패러다임의 지배를 받고 있는 주류 사회학에

인간 생존의 물리적middot생물적 기반을 고려하는 관점을 제공하는 것이고 후

자는 환경오염과 파괴의 원인 그 영향 및 해결 방안을 사회학적으로 설

명하고 제시하는 것이다 특히 후자의 사명을 환경사회학자들이 얼마나

그리고 어떻게 성취하느냐가 환경사회학의 미래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

다 학제적 연구의 정착과 현장 중심의 연구 강화는 환경사회학이 후자의

사명을 수행하기 위해 해결해야 할 당면 과제이다

2014년 6월 16일 접수

2014년 6월 27일 수정 완료

2014년 6월 29일 게재 확정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81

참고문헌

구도완 1995 ldquo한국의 새로운 환경운동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29(2) 347-371

1996 985172한국 환경운동의 사회학985173 문학과지성사

2009 985172마을에서 세상을 바꾸는 사람들 생태적 대안운동을 찾아

서985173 창비사

구도완 등 2013 985172녹색당과 녹색정치985173 아르케

구자건 2008 985172환경갈등과 사회영향평가 방법985173 연세대출판부

김도균 2011 985172환경재난과 지역사회의 변화 허베이스피리트호 기름유출

사고의 사회재난985173 한울아카데미

김두식 1995 ldquo환경문제와 환경보호에 대한 시민들의 태도 조사연구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29(1) 33-67

노진철 2001 985172환경과 사회985173 한울

2010 985172불확실성 시대의 위험사회학985173 한울아카데미

노진철 등 2010 985172태안은 살아 있다 기름 유출 사고 이후 3년 다시 쓰

는 태안 리포트985173 동녘

문순홍 1992 985172생태위기와 녹색의 대안985173 나라사랑

1999 985172생태학의 담론985173 아르케

2001 985172한국의 여성환경운동985173 아르케

2006a 985172정치생태학과 녹색국가985173 아르케

2006b 985172녹색국가의 탐색985173 아르케

2006c 985172개발국가의 녹색성찰985173 아르케

문태훈 등 2008 985172지속가능한 사회 이야기985173 법문사

박순열 2009 985172불만의 새만금985173 한국학술정보

박재묵 1991 ldquo환경문제에 대한 사회학적 이해rdquo pp 71-83 한국사회학회

(편) 985172현대 한국 사회문제의 진단과 처방985173(특별심포지움 논문집)

서영표영국적록연구그룹 2010 985172사회주의 녹색을 만나다985173 한울아카데미

양종회 1993 ldquo우리나라 국민들의 환경문제에 대한 의식의 변화 및 사회

82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적 기반rdquo 985172한국사회학회985173 26(4) 89-120

양종회 등 2002 985172아시아 태평양지역의 환경문제 환경운동 및 환경정책985173 서울대출판부

윤순진 2013 ldquo《ECO》분석을 통해 본 한국 환경사회학 연구의 흐름rdquo

pp 67-98 한국환경사회학회(편) 985172환경사회학 이론과 환경문제985173 한울아카데미

이득연 1998 985172환경운동의 사회학985173 민영사

이상헌 2003 985172물 세상을 움직이는 물의 정치와 정치 생태학985173 이매진

2011 985172생태주의985173 책세상

이시재 1994 ldquo환경사회학rdquo 한국사회학회(편) 98517221세기의 한국 사회학985173 문학과지성사

2013 ldquo한국 환경사회학의 회고와 전망rdquo pp 67-98 한국환경사회

학회(편) 985172환경사회학 이론과 환경문제985173 한울아카데미

이시재 등 2010 985172생태사회적 발전의 현장과 이론985173 아르케

정대연 2002 985172환경사회학985173 아카넷

2004 985172환경주의와 지속가능한 발전985173 집문당

2010 985172한국 지속가능발전의 구조와 변동985173 집문당

조명래 2001 985172녹색사회의 탐색985173 한울

2006 985172개발정치와 녹색진보985173 환경과 생명

2009 985172지구화 되돌아보기와 넘어서기 공간환경의 모순과 극복985173 환경과 생명

2013a 985172공간으로 사회읽기 개념 쟁점과 대안985173 한울아카데미

2013b 985172녹색토건주의와 환경위기985173 한울아카데미

조명래 등 2005 985172신개발주의를 멈춰라985173 환경과 생명

최병두 1993a 985172한국의 공간과 환경985173 한길사

1993b 985172현대 환경문제의 재인식985173 한울

1995 985172환경사회이론과 국제환경문제985173 한울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83

1999a 985172환경갈등과 불평등985173 한울

1999b 985172녹색사회를 위한 비평985173 한울

2002 985172녹색전망985173 도요새

2003a 985172도시속의 환경 열두 달(봄 여름)985173 한울

2003b 985172도시속의 환경 열두 달(가을 겨울)985173 한울

2010 985172비판적 생태학과 환경정의985173 한울아카데미

한국사회학회 2007 985172한국사회학회 50년사 1957-2007985173 한학문학

한국환경사회학회 2005 985172우리 눈으로 보는 환경사회학985173 창비사

2013a 985172환경사회학이론과 환경문제985173 한울

2013b 985172환경운동과 생활세계985173 한울

한상진 2006 985172환경정의의 사회학985173 UUP

험프리버틀(Craig Humphrey and Frederick R Buttel) 1995 985172환경사회학985173 양종회이시재 역 사회비평사

홍성태 2000 985172대한민국 위험사회985173 당대

2006 985172한국의 근대화와 물985173 한울아카데미

2010 985172생명의 강을 위하여 생태사회학자 홍성태 교수의 4대강

지키기 제안985173 중원문화

2012 985172개발과 파괴의 사회학 위험 사회를 넘어서985173 중원문화

Buttel Frederick H and Craig R Humphrey 2002 Sociological Theory

and the Natural Environment pp 33ndash69 in Riley E Dunlap and

William Michelson(eds) Handbook of Environmental Sociology

Westport CT Greenwood Press

Catton William R Jr and Riley Dunlap 1978 Environmental Sociology

A New Paradigm The American Sociologist 13 41-49

Dunlap Riley E and Brent K Marshall 2007 Environmental Sociology

pp 329-340 in Clifton D Bryant and Dennis L Peck(eds) 21st

Century Sociology A Reference Handbook Thousand Oaks CA

84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Sage Publications

Hannigan John 2006 Environmental Sociology(second edition)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Harper Charles 2004 Environment and Society Human Perspectives on

Environmental Issues Upper Saddle River New Jersey Pearson

Education Inc

Humphrey Craig R and Frederick H Buttel 1982 Environment Energy

and Society Belmont California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International Sociological Association(RC24) Korean Sociological

Association and Korean Association for Environmental Sociology

2004 Globalization Localization and Environment (Proceedings for

2004 ISA RC24 Conference in Seoul)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85

The Research Trend and Prospect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Park Jae-mookProf Dept of Sociology Chungnam Univ

Abstract

The aims of this paper are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and to anticipate its future developments As a groundwork for these works we briefly examined the institutionalization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Here we considered the organizing process of environmental sociologists association and the incorporation of the course of environmental sociology into the regular curricula Nextly we examined research trends of environmental sociology and tried to draw common characteristics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The most frequently dealt subjects in ECO a representative journal in this field have been nuclear power risk and disaster large-scale development projects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nd behaviour environmental problems and climate changes And distinguished characteristics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have been found to be focus on environmental problems dependence on qualitative methodology emphasis on environmental reforms of liberal tradition exchange of perspectives among researchers from various fields communications between researchers and activists Lastly it was suggested that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ist should develop interdisciplinary research and field research

Key Words Environmental Sociology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Institutionalization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Korean Association for Environmental Sociology ECO

Page 23: 환경과 사회 연구의 동향과 전망isrku.org/adm/data/1351080157_fEMV3OxI_02-EBB095EC9... · 2014-07-06 ·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 pp.55-85 ‘환경과 사회’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77

16-52) 한국 환경사회학에서는 이러한 쟁점을 둘러싼 논쟁을 찾아보기

어렵다 또한 독자적인 이론을 구성하기 위한 노력도 찾아보기 어렵다 윤

순진이 지적한 바 있듯이 ldquo많은 연구들은 다른 학문분과에서 구축한 이

론을 환경 관련 쟁점과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동원하는 양상을rdquo 띠거나

(윤순진 2013 85) 해외 환경사회학계에서 확립된 이론을 연구의 자원으

로 활용하는 데 머무르고 있다

그러나 다른 학문분과나 해외 환경사회학에서 확립된 이론을 수용하여

자원으로 활용하는 경우에도 이론의 선택에는 연구자 자신의 이론적 지

향이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대부분의 연구에는 명시적이든 묵시적

이든 연구자 자신의 이론적 지향이 깔려 있다 그렇다면 한국 환경사회

학에서는 어떤 이론적 지향이 우세하고 그 변화의 방향은 어느 쪽인가

말할 필요도 없이 한국의 환경사회학에는 다양한 이론적 지향 즉 험프리

와 버텔이 말하는 보수적 자유주의적 및 급진적 패러다임(Humphrey and

Buttel 1982 19-21)이 공존하고 있다 보수적 패러다임은 환경의식 및 환

경행동 연구에서 가끔 나타나고 있지만 그 영향력은 미미하다 급진적 패

러다임은 원자력발전 위험 환경정의 대규모 개발사업(국책사업) 대안

적 공동체 생태민주주의 등에 관한 연구에서 중요한 관점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보수적 패러다임에 비해서는 그 영향력이 훨씬 크다 이 두 패러

다임에 비해 훨씬 큰 세력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 바로 국가 개혁과 정책

의 전환을 통해 환경 위기 극복의 길을 모색하는 자유주의적 환경개혁론

이다 자유주의적 환경개혁론은 녹색국가 환경문제middot기후변화 환경정책

환경정치 환경middot위험거버넌스 지속가능한 발전 대규모 개발사업 등의 연

구에서 주로 나타나고 있다

4 다양한 전공의 관점 교류

ECO지 기고를 통해 환경사회학 연구에 참여하고 있는 연구자의 전공

은 매우 다양하다 아마도 사회학 내의 다른 어떤 세부분야에 비해서도

78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다양할 것이다 윤순진의 ECO지 게재 글15)의 저자 분석에 따르면 총 24

개 분야의 학문적 배경을 가진 연구자들이 참여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보

면 사회학 인류학 행정학 경제학 정치학 사회복지학 심리학 지리학

지리교육학 도시 및 지역 관련학과 환경middot에너지정책학과 정치생태학 등

의 사회과학 전공자 철학 한국학 등 인문학 전공자 생태학middot생태곤충학

생물학 지질학 환경보건학 과학기술사학 과학관리학 생명공학 등의 자

연과학 전공자 토목공학 등 공학 전공자 등이 ECO에 글을 싣고 있다 물

론 전공별로 참여 저자의 수는 크게 다르다 사회학 전공자가 37명으로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도시 및 지역 관련 분야 전공자(18명) 인류학 전

공자(8명) 행정학 전공자(6명) 등의 순서로 많다(윤순진 2013 80-81)

ECO지 게재 논문 중 공저 논문의 경우 전공이 서로 다른 연구자가 공

동 저자로 참여한 경우는 많지 않으며 ldquo거의 대부분이 동일학과 소속 교

수와 학생 간의 공저이거나 동일 전공 동료 및 선후배 간 공저로 나타났

다(윤순진 2013 83)rdquo 이런 점에서 볼 때 환경사회학 연구가 실질적인 학

제적 연구의 형태가 띠는 것은 아니라고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적어도 학

회 활동과 학회지를 통해서 다양한 전공 간의 관점 공유와 교류는 활발하

게 이루어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5 연구자와 운동가의 소통

한국 환경사회학의 두드러진 특징 중의 하나는 환경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연구자들이 많다는 점이다 환경사회학자 중에는 연구자이면서

환경단체 전국 조직의 대표(이시재 이상헌 윤순진 이필렬 조명래) 지

역 환경단체의 대표(박재묵 노진철 최병두) 환경단체의 임원(구도완) 등

을 현재 맡고 있거나 과거에 역임한 사람들이 많다 위에서 거론된 연구

자보다 훨씬 더 많은 환경사회학자들이 지역 환경단체 등에 임원으로 참

15) 논문 이외의 서평 등의 글도 포함하고 있다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79

여하고 있다 이와는 반대로 환경단체의 상근 운동가로서 환경사회학회

회원으로 참여하고 논문을 발표하는 경우(이승민 안병옥 최예용 김정

수)도 있다

환경사회학자 연구자의 환경운동 참여와 운동가의 연구 참여가 활발하

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은 환경사회학의 특성과 연관되어 있는 현상이다

환경사회학은 기본적으로 환경문제의 근원 환경문제의 영향 및 환경문제

의 해결16)에 관심을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한국의 환경사회학은 특히

lsquo환경문제의 사회학rsquo의 성격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Ⅴ 환경사회학의 전망과 과제

지난 20년 동안 한국 환경사회학은 제도화의 과정을 거쳐 왔다 이 기

간 동안에 환경사회학은 많은 학과에서 정규 교과목으로 받아들여졌고

독립된 연구 영역으로 인정받게 되었다 또한 이 분야 연구자들이 독자적

인 학회를 조직하고 학회가 학술지를 발간함에 따라 연구 활동의 기반이

갖추어졌다 이로써 한국 환경사회학의 제도화가 대체로 완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지난 20년의 기간은 환경사회학의 기반 구축기인 동시에 성장기였다

성장의 속도는 느렸지만 연구자의 수도 증가해 왔고 이에 따라 학문적

성과도 축적되어 왔다 특히 환경사회학자들이 관심을 집중시켰던 원자

력middot위험middot재난 대규모 개발사업 환경운동 등의 영역에서는 의미 있는 성

과가 있었다 최근에 와서 환경사회학은 안정기에 들어가고 있다 ldquo젊은

층의 충원이 지지부진rdquo하고 대학원에서 환경사회학을 전공하려고 하는

학생도 줄어들고 있다(이시재 2013 37) 사회학계 전반에 걸친 침체 분위

16) Riley E Dunlap과 Brent K Marshall은 환경사회학의 최근 연구 초점으로

환경문제의 근원 환경문제의 영향 환경문제의 해결 방안 등 세 가지를 들

었다(Dunlap and Marshall 2007 335-339)

80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기가 일정 부분 환경사회학에도 미치고 있다 미국에서 환경사회학이

1980년대 초에 겪었던 퇴조 분위기가 한국에서도 나타나고 있는 것 같다

그러나 이러한 환경사회학의 침체 분위기가 장기적으로 지속되지는 않

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렇게 전망하는 근거는 두 가지이다 그 하나는 환

경사회학의 태동을 가져왔던 환경문제가 상존하기 때문이다 또한 기후변

화와 같은 환경문제는 향후에도 장기간 지속될 것이 분명하고 유독성 화

학물질과 같은 새로운 환경문제도 부상하고 있다 한 마디로 환경문제가

근본적으로 해결되지 않는 한 환경사회학은 존속하게 될 것이다 둘째로

현재의 침체 분위기는 일정기간의 성장 뒤에 오는 바닥 다지기의 의미가

크다 따라서 장기적으로 보면 환경사회학은 향후에도 안정적 성장을 지

속할 가능성이 크다

어떤 점에서 환경사회학의 미래는 일정 부분 환경사회학자들이 그들에

게 주어진 사명을 어떻게 수행하느냐에 달려 있기도 하다 2005년 필자가

환경사회학회가 펴낸 「우리 눈으로 보는 환경사회학」의 제1장을 쓰면서

환경사회학자의 사명으로 사회의 녹색화와 사회학의 녹색화를 설정한 바

있다 전자는 인간면제주의 패러다임의 지배를 받고 있는 주류 사회학에

인간 생존의 물리적middot생물적 기반을 고려하는 관점을 제공하는 것이고 후

자는 환경오염과 파괴의 원인 그 영향 및 해결 방안을 사회학적으로 설

명하고 제시하는 것이다 특히 후자의 사명을 환경사회학자들이 얼마나

그리고 어떻게 성취하느냐가 환경사회학의 미래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

다 학제적 연구의 정착과 현장 중심의 연구 강화는 환경사회학이 후자의

사명을 수행하기 위해 해결해야 할 당면 과제이다

2014년 6월 16일 접수

2014년 6월 27일 수정 완료

2014년 6월 29일 게재 확정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81

참고문헌

구도완 1995 ldquo한국의 새로운 환경운동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29(2) 347-371

1996 985172한국 환경운동의 사회학985173 문학과지성사

2009 985172마을에서 세상을 바꾸는 사람들 생태적 대안운동을 찾아

서985173 창비사

구도완 등 2013 985172녹색당과 녹색정치985173 아르케

구자건 2008 985172환경갈등과 사회영향평가 방법985173 연세대출판부

김도균 2011 985172환경재난과 지역사회의 변화 허베이스피리트호 기름유출

사고의 사회재난985173 한울아카데미

김두식 1995 ldquo환경문제와 환경보호에 대한 시민들의 태도 조사연구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29(1) 33-67

노진철 2001 985172환경과 사회985173 한울

2010 985172불확실성 시대의 위험사회학985173 한울아카데미

노진철 등 2010 985172태안은 살아 있다 기름 유출 사고 이후 3년 다시 쓰

는 태안 리포트985173 동녘

문순홍 1992 985172생태위기와 녹색의 대안985173 나라사랑

1999 985172생태학의 담론985173 아르케

2001 985172한국의 여성환경운동985173 아르케

2006a 985172정치생태학과 녹색국가985173 아르케

2006b 985172녹색국가의 탐색985173 아르케

2006c 985172개발국가의 녹색성찰985173 아르케

문태훈 등 2008 985172지속가능한 사회 이야기985173 법문사

박순열 2009 985172불만의 새만금985173 한국학술정보

박재묵 1991 ldquo환경문제에 대한 사회학적 이해rdquo pp 71-83 한국사회학회

(편) 985172현대 한국 사회문제의 진단과 처방985173(특별심포지움 논문집)

서영표영국적록연구그룹 2010 985172사회주의 녹색을 만나다985173 한울아카데미

양종회 1993 ldquo우리나라 국민들의 환경문제에 대한 의식의 변화 및 사회

82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적 기반rdquo 985172한국사회학회985173 26(4) 89-120

양종회 등 2002 985172아시아 태평양지역의 환경문제 환경운동 및 환경정책985173 서울대출판부

윤순진 2013 ldquo《ECO》분석을 통해 본 한국 환경사회학 연구의 흐름rdquo

pp 67-98 한국환경사회학회(편) 985172환경사회학 이론과 환경문제985173 한울아카데미

이득연 1998 985172환경운동의 사회학985173 민영사

이상헌 2003 985172물 세상을 움직이는 물의 정치와 정치 생태학985173 이매진

2011 985172생태주의985173 책세상

이시재 1994 ldquo환경사회학rdquo 한국사회학회(편) 98517221세기의 한국 사회학985173 문학과지성사

2013 ldquo한국 환경사회학의 회고와 전망rdquo pp 67-98 한국환경사회

학회(편) 985172환경사회학 이론과 환경문제985173 한울아카데미

이시재 등 2010 985172생태사회적 발전의 현장과 이론985173 아르케

정대연 2002 985172환경사회학985173 아카넷

2004 985172환경주의와 지속가능한 발전985173 집문당

2010 985172한국 지속가능발전의 구조와 변동985173 집문당

조명래 2001 985172녹색사회의 탐색985173 한울

2006 985172개발정치와 녹색진보985173 환경과 생명

2009 985172지구화 되돌아보기와 넘어서기 공간환경의 모순과 극복985173 환경과 생명

2013a 985172공간으로 사회읽기 개념 쟁점과 대안985173 한울아카데미

2013b 985172녹색토건주의와 환경위기985173 한울아카데미

조명래 등 2005 985172신개발주의를 멈춰라985173 환경과 생명

최병두 1993a 985172한국의 공간과 환경985173 한길사

1993b 985172현대 환경문제의 재인식985173 한울

1995 985172환경사회이론과 국제환경문제985173 한울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83

1999a 985172환경갈등과 불평등985173 한울

1999b 985172녹색사회를 위한 비평985173 한울

2002 985172녹색전망985173 도요새

2003a 985172도시속의 환경 열두 달(봄 여름)985173 한울

2003b 985172도시속의 환경 열두 달(가을 겨울)985173 한울

2010 985172비판적 생태학과 환경정의985173 한울아카데미

한국사회학회 2007 985172한국사회학회 50년사 1957-2007985173 한학문학

한국환경사회학회 2005 985172우리 눈으로 보는 환경사회학985173 창비사

2013a 985172환경사회학이론과 환경문제985173 한울

2013b 985172환경운동과 생활세계985173 한울

한상진 2006 985172환경정의의 사회학985173 UUP

험프리버틀(Craig Humphrey and Frederick R Buttel) 1995 985172환경사회학985173 양종회이시재 역 사회비평사

홍성태 2000 985172대한민국 위험사회985173 당대

2006 985172한국의 근대화와 물985173 한울아카데미

2010 985172생명의 강을 위하여 생태사회학자 홍성태 교수의 4대강

지키기 제안985173 중원문화

2012 985172개발과 파괴의 사회학 위험 사회를 넘어서985173 중원문화

Buttel Frederick H and Craig R Humphrey 2002 Sociological Theory

and the Natural Environment pp 33ndash69 in Riley E Dunlap and

William Michelson(eds) Handbook of Environmental Sociology

Westport CT Greenwood Press

Catton William R Jr and Riley Dunlap 1978 Environmental Sociology

A New Paradigm The American Sociologist 13 41-49

Dunlap Riley E and Brent K Marshall 2007 Environmental Sociology

pp 329-340 in Clifton D Bryant and Dennis L Peck(eds) 21st

Century Sociology A Reference Handbook Thousand Oaks CA

84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Sage Publications

Hannigan John 2006 Environmental Sociology(second edition)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Harper Charles 2004 Environment and Society Human Perspectives on

Environmental Issues Upper Saddle River New Jersey Pearson

Education Inc

Humphrey Craig R and Frederick H Buttel 1982 Environment Energy

and Society Belmont California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International Sociological Association(RC24) Korean Sociological

Association and Korean Association for Environmental Sociology

2004 Globalization Localization and Environment (Proceedings for

2004 ISA RC24 Conference in Seoul)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85

The Research Trend and Prospect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Park Jae-mookProf Dept of Sociology Chungnam Univ

Abstract

The aims of this paper are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and to anticipate its future developments As a groundwork for these works we briefly examined the institutionalization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Here we considered the organizing process of environmental sociologists association and the incorporation of the course of environmental sociology into the regular curricula Nextly we examined research trends of environmental sociology and tried to draw common characteristics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The most frequently dealt subjects in ECO a representative journal in this field have been nuclear power risk and disaster large-scale development projects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nd behaviour environmental problems and climate changes And distinguished characteristics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have been found to be focus on environmental problems dependence on qualitative methodology emphasis on environmental reforms of liberal tradition exchange of perspectives among researchers from various fields communications between researchers and activists Lastly it was suggested that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ist should develop interdisciplinary research and field research

Key Words Environmental Sociology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Institutionalization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Korean Association for Environmental Sociology ECO

Page 24: 환경과 사회 연구의 동향과 전망isrku.org/adm/data/1351080157_fEMV3OxI_02-EBB095EC9... · 2014-07-06 ·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 pp.55-85 ‘환경과 사회’

78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다양할 것이다 윤순진의 ECO지 게재 글15)의 저자 분석에 따르면 총 24

개 분야의 학문적 배경을 가진 연구자들이 참여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보

면 사회학 인류학 행정학 경제학 정치학 사회복지학 심리학 지리학

지리교육학 도시 및 지역 관련학과 환경middot에너지정책학과 정치생태학 등

의 사회과학 전공자 철학 한국학 등 인문학 전공자 생태학middot생태곤충학

생물학 지질학 환경보건학 과학기술사학 과학관리학 생명공학 등의 자

연과학 전공자 토목공학 등 공학 전공자 등이 ECO에 글을 싣고 있다 물

론 전공별로 참여 저자의 수는 크게 다르다 사회학 전공자가 37명으로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도시 및 지역 관련 분야 전공자(18명) 인류학 전

공자(8명) 행정학 전공자(6명) 등의 순서로 많다(윤순진 2013 80-81)

ECO지 게재 논문 중 공저 논문의 경우 전공이 서로 다른 연구자가 공

동 저자로 참여한 경우는 많지 않으며 ldquo거의 대부분이 동일학과 소속 교

수와 학생 간의 공저이거나 동일 전공 동료 및 선후배 간 공저로 나타났

다(윤순진 2013 83)rdquo 이런 점에서 볼 때 환경사회학 연구가 실질적인 학

제적 연구의 형태가 띠는 것은 아니라고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적어도 학

회 활동과 학회지를 통해서 다양한 전공 간의 관점 공유와 교류는 활발하

게 이루어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5 연구자와 운동가의 소통

한국 환경사회학의 두드러진 특징 중의 하나는 환경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연구자들이 많다는 점이다 환경사회학자 중에는 연구자이면서

환경단체 전국 조직의 대표(이시재 이상헌 윤순진 이필렬 조명래) 지

역 환경단체의 대표(박재묵 노진철 최병두) 환경단체의 임원(구도완) 등

을 현재 맡고 있거나 과거에 역임한 사람들이 많다 위에서 거론된 연구

자보다 훨씬 더 많은 환경사회학자들이 지역 환경단체 등에 임원으로 참

15) 논문 이외의 서평 등의 글도 포함하고 있다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79

여하고 있다 이와는 반대로 환경단체의 상근 운동가로서 환경사회학회

회원으로 참여하고 논문을 발표하는 경우(이승민 안병옥 최예용 김정

수)도 있다

환경사회학자 연구자의 환경운동 참여와 운동가의 연구 참여가 활발하

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은 환경사회학의 특성과 연관되어 있는 현상이다

환경사회학은 기본적으로 환경문제의 근원 환경문제의 영향 및 환경문제

의 해결16)에 관심을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한국의 환경사회학은 특히

lsquo환경문제의 사회학rsquo의 성격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Ⅴ 환경사회학의 전망과 과제

지난 20년 동안 한국 환경사회학은 제도화의 과정을 거쳐 왔다 이 기

간 동안에 환경사회학은 많은 학과에서 정규 교과목으로 받아들여졌고

독립된 연구 영역으로 인정받게 되었다 또한 이 분야 연구자들이 독자적

인 학회를 조직하고 학회가 학술지를 발간함에 따라 연구 활동의 기반이

갖추어졌다 이로써 한국 환경사회학의 제도화가 대체로 완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지난 20년의 기간은 환경사회학의 기반 구축기인 동시에 성장기였다

성장의 속도는 느렸지만 연구자의 수도 증가해 왔고 이에 따라 학문적

성과도 축적되어 왔다 특히 환경사회학자들이 관심을 집중시켰던 원자

력middot위험middot재난 대규모 개발사업 환경운동 등의 영역에서는 의미 있는 성

과가 있었다 최근에 와서 환경사회학은 안정기에 들어가고 있다 ldquo젊은

층의 충원이 지지부진rdquo하고 대학원에서 환경사회학을 전공하려고 하는

학생도 줄어들고 있다(이시재 2013 37) 사회학계 전반에 걸친 침체 분위

16) Riley E Dunlap과 Brent K Marshall은 환경사회학의 최근 연구 초점으로

환경문제의 근원 환경문제의 영향 환경문제의 해결 방안 등 세 가지를 들

었다(Dunlap and Marshall 2007 335-339)

80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기가 일정 부분 환경사회학에도 미치고 있다 미국에서 환경사회학이

1980년대 초에 겪었던 퇴조 분위기가 한국에서도 나타나고 있는 것 같다

그러나 이러한 환경사회학의 침체 분위기가 장기적으로 지속되지는 않

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렇게 전망하는 근거는 두 가지이다 그 하나는 환

경사회학의 태동을 가져왔던 환경문제가 상존하기 때문이다 또한 기후변

화와 같은 환경문제는 향후에도 장기간 지속될 것이 분명하고 유독성 화

학물질과 같은 새로운 환경문제도 부상하고 있다 한 마디로 환경문제가

근본적으로 해결되지 않는 한 환경사회학은 존속하게 될 것이다 둘째로

현재의 침체 분위기는 일정기간의 성장 뒤에 오는 바닥 다지기의 의미가

크다 따라서 장기적으로 보면 환경사회학은 향후에도 안정적 성장을 지

속할 가능성이 크다

어떤 점에서 환경사회학의 미래는 일정 부분 환경사회학자들이 그들에

게 주어진 사명을 어떻게 수행하느냐에 달려 있기도 하다 2005년 필자가

환경사회학회가 펴낸 「우리 눈으로 보는 환경사회학」의 제1장을 쓰면서

환경사회학자의 사명으로 사회의 녹색화와 사회학의 녹색화를 설정한 바

있다 전자는 인간면제주의 패러다임의 지배를 받고 있는 주류 사회학에

인간 생존의 물리적middot생물적 기반을 고려하는 관점을 제공하는 것이고 후

자는 환경오염과 파괴의 원인 그 영향 및 해결 방안을 사회학적으로 설

명하고 제시하는 것이다 특히 후자의 사명을 환경사회학자들이 얼마나

그리고 어떻게 성취하느냐가 환경사회학의 미래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

다 학제적 연구의 정착과 현장 중심의 연구 강화는 환경사회학이 후자의

사명을 수행하기 위해 해결해야 할 당면 과제이다

2014년 6월 16일 접수

2014년 6월 27일 수정 완료

2014년 6월 29일 게재 확정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81

참고문헌

구도완 1995 ldquo한국의 새로운 환경운동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29(2) 347-371

1996 985172한국 환경운동의 사회학985173 문학과지성사

2009 985172마을에서 세상을 바꾸는 사람들 생태적 대안운동을 찾아

서985173 창비사

구도완 등 2013 985172녹색당과 녹색정치985173 아르케

구자건 2008 985172환경갈등과 사회영향평가 방법985173 연세대출판부

김도균 2011 985172환경재난과 지역사회의 변화 허베이스피리트호 기름유출

사고의 사회재난985173 한울아카데미

김두식 1995 ldquo환경문제와 환경보호에 대한 시민들의 태도 조사연구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29(1) 33-67

노진철 2001 985172환경과 사회985173 한울

2010 985172불확실성 시대의 위험사회학985173 한울아카데미

노진철 등 2010 985172태안은 살아 있다 기름 유출 사고 이후 3년 다시 쓰

는 태안 리포트985173 동녘

문순홍 1992 985172생태위기와 녹색의 대안985173 나라사랑

1999 985172생태학의 담론985173 아르케

2001 985172한국의 여성환경운동985173 아르케

2006a 985172정치생태학과 녹색국가985173 아르케

2006b 985172녹색국가의 탐색985173 아르케

2006c 985172개발국가의 녹색성찰985173 아르케

문태훈 등 2008 985172지속가능한 사회 이야기985173 법문사

박순열 2009 985172불만의 새만금985173 한국학술정보

박재묵 1991 ldquo환경문제에 대한 사회학적 이해rdquo pp 71-83 한국사회학회

(편) 985172현대 한국 사회문제의 진단과 처방985173(특별심포지움 논문집)

서영표영국적록연구그룹 2010 985172사회주의 녹색을 만나다985173 한울아카데미

양종회 1993 ldquo우리나라 국민들의 환경문제에 대한 의식의 변화 및 사회

82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적 기반rdquo 985172한국사회학회985173 26(4) 89-120

양종회 등 2002 985172아시아 태평양지역의 환경문제 환경운동 및 환경정책985173 서울대출판부

윤순진 2013 ldquo《ECO》분석을 통해 본 한국 환경사회학 연구의 흐름rdquo

pp 67-98 한국환경사회학회(편) 985172환경사회학 이론과 환경문제985173 한울아카데미

이득연 1998 985172환경운동의 사회학985173 민영사

이상헌 2003 985172물 세상을 움직이는 물의 정치와 정치 생태학985173 이매진

2011 985172생태주의985173 책세상

이시재 1994 ldquo환경사회학rdquo 한국사회학회(편) 98517221세기의 한국 사회학985173 문학과지성사

2013 ldquo한국 환경사회학의 회고와 전망rdquo pp 67-98 한국환경사회

학회(편) 985172환경사회학 이론과 환경문제985173 한울아카데미

이시재 등 2010 985172생태사회적 발전의 현장과 이론985173 아르케

정대연 2002 985172환경사회학985173 아카넷

2004 985172환경주의와 지속가능한 발전985173 집문당

2010 985172한국 지속가능발전의 구조와 변동985173 집문당

조명래 2001 985172녹색사회의 탐색985173 한울

2006 985172개발정치와 녹색진보985173 환경과 생명

2009 985172지구화 되돌아보기와 넘어서기 공간환경의 모순과 극복985173 환경과 생명

2013a 985172공간으로 사회읽기 개념 쟁점과 대안985173 한울아카데미

2013b 985172녹색토건주의와 환경위기985173 한울아카데미

조명래 등 2005 985172신개발주의를 멈춰라985173 환경과 생명

최병두 1993a 985172한국의 공간과 환경985173 한길사

1993b 985172현대 환경문제의 재인식985173 한울

1995 985172환경사회이론과 국제환경문제985173 한울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83

1999a 985172환경갈등과 불평등985173 한울

1999b 985172녹색사회를 위한 비평985173 한울

2002 985172녹색전망985173 도요새

2003a 985172도시속의 환경 열두 달(봄 여름)985173 한울

2003b 985172도시속의 환경 열두 달(가을 겨울)985173 한울

2010 985172비판적 생태학과 환경정의985173 한울아카데미

한국사회학회 2007 985172한국사회학회 50년사 1957-2007985173 한학문학

한국환경사회학회 2005 985172우리 눈으로 보는 환경사회학985173 창비사

2013a 985172환경사회학이론과 환경문제985173 한울

2013b 985172환경운동과 생활세계985173 한울

한상진 2006 985172환경정의의 사회학985173 UUP

험프리버틀(Craig Humphrey and Frederick R Buttel) 1995 985172환경사회학985173 양종회이시재 역 사회비평사

홍성태 2000 985172대한민국 위험사회985173 당대

2006 985172한국의 근대화와 물985173 한울아카데미

2010 985172생명의 강을 위하여 생태사회학자 홍성태 교수의 4대강

지키기 제안985173 중원문화

2012 985172개발과 파괴의 사회학 위험 사회를 넘어서985173 중원문화

Buttel Frederick H and Craig R Humphrey 2002 Sociological Theory

and the Natural Environment pp 33ndash69 in Riley E Dunlap and

William Michelson(eds) Handbook of Environmental Sociology

Westport CT Greenwood Press

Catton William R Jr and Riley Dunlap 1978 Environmental Sociology

A New Paradigm The American Sociologist 13 41-49

Dunlap Riley E and Brent K Marshall 2007 Environmental Sociology

pp 329-340 in Clifton D Bryant and Dennis L Peck(eds) 21st

Century Sociology A Reference Handbook Thousand Oaks CA

84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Sage Publications

Hannigan John 2006 Environmental Sociology(second edition)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Harper Charles 2004 Environment and Society Human Perspectives on

Environmental Issues Upper Saddle River New Jersey Pearson

Education Inc

Humphrey Craig R and Frederick H Buttel 1982 Environment Energy

and Society Belmont California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International Sociological Association(RC24) Korean Sociological

Association and Korean Association for Environmental Sociology

2004 Globalization Localization and Environment (Proceedings for

2004 ISA RC24 Conference in Seoul)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85

The Research Trend and Prospect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Park Jae-mookProf Dept of Sociology Chungnam Univ

Abstract

The aims of this paper are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and to anticipate its future developments As a groundwork for these works we briefly examined the institutionalization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Here we considered the organizing process of environmental sociologists association and the incorporation of the course of environmental sociology into the regular curricula Nextly we examined research trends of environmental sociology and tried to draw common characteristics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The most frequently dealt subjects in ECO a representative journal in this field have been nuclear power risk and disaster large-scale development projects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nd behaviour environmental problems and climate changes And distinguished characteristics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have been found to be focus on environmental problems dependence on qualitative methodology emphasis on environmental reforms of liberal tradition exchange of perspectives among researchers from various fields communications between researchers and activists Lastly it was suggested that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ist should develop interdisciplinary research and field research

Key Words Environmental Sociology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Institutionalization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Korean Association for Environmental Sociology ECO

Page 25: 환경과 사회 연구의 동향과 전망isrku.org/adm/data/1351080157_fEMV3OxI_02-EBB095EC9... · 2014-07-06 ·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 pp.55-85 ‘환경과 사회’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79

여하고 있다 이와는 반대로 환경단체의 상근 운동가로서 환경사회학회

회원으로 참여하고 논문을 발표하는 경우(이승민 안병옥 최예용 김정

수)도 있다

환경사회학자 연구자의 환경운동 참여와 운동가의 연구 참여가 활발하

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은 환경사회학의 특성과 연관되어 있는 현상이다

환경사회학은 기본적으로 환경문제의 근원 환경문제의 영향 및 환경문제

의 해결16)에 관심을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한국의 환경사회학은 특히

lsquo환경문제의 사회학rsquo의 성격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Ⅴ 환경사회학의 전망과 과제

지난 20년 동안 한국 환경사회학은 제도화의 과정을 거쳐 왔다 이 기

간 동안에 환경사회학은 많은 학과에서 정규 교과목으로 받아들여졌고

독립된 연구 영역으로 인정받게 되었다 또한 이 분야 연구자들이 독자적

인 학회를 조직하고 학회가 학술지를 발간함에 따라 연구 활동의 기반이

갖추어졌다 이로써 한국 환경사회학의 제도화가 대체로 완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지난 20년의 기간은 환경사회학의 기반 구축기인 동시에 성장기였다

성장의 속도는 느렸지만 연구자의 수도 증가해 왔고 이에 따라 학문적

성과도 축적되어 왔다 특히 환경사회학자들이 관심을 집중시켰던 원자

력middot위험middot재난 대규모 개발사업 환경운동 등의 영역에서는 의미 있는 성

과가 있었다 최근에 와서 환경사회학은 안정기에 들어가고 있다 ldquo젊은

층의 충원이 지지부진rdquo하고 대학원에서 환경사회학을 전공하려고 하는

학생도 줄어들고 있다(이시재 2013 37) 사회학계 전반에 걸친 침체 분위

16) Riley E Dunlap과 Brent K Marshall은 환경사회학의 최근 연구 초점으로

환경문제의 근원 환경문제의 영향 환경문제의 해결 방안 등 세 가지를 들

었다(Dunlap and Marshall 2007 335-339)

80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기가 일정 부분 환경사회학에도 미치고 있다 미국에서 환경사회학이

1980년대 초에 겪었던 퇴조 분위기가 한국에서도 나타나고 있는 것 같다

그러나 이러한 환경사회학의 침체 분위기가 장기적으로 지속되지는 않

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렇게 전망하는 근거는 두 가지이다 그 하나는 환

경사회학의 태동을 가져왔던 환경문제가 상존하기 때문이다 또한 기후변

화와 같은 환경문제는 향후에도 장기간 지속될 것이 분명하고 유독성 화

학물질과 같은 새로운 환경문제도 부상하고 있다 한 마디로 환경문제가

근본적으로 해결되지 않는 한 환경사회학은 존속하게 될 것이다 둘째로

현재의 침체 분위기는 일정기간의 성장 뒤에 오는 바닥 다지기의 의미가

크다 따라서 장기적으로 보면 환경사회학은 향후에도 안정적 성장을 지

속할 가능성이 크다

어떤 점에서 환경사회학의 미래는 일정 부분 환경사회학자들이 그들에

게 주어진 사명을 어떻게 수행하느냐에 달려 있기도 하다 2005년 필자가

환경사회학회가 펴낸 「우리 눈으로 보는 환경사회학」의 제1장을 쓰면서

환경사회학자의 사명으로 사회의 녹색화와 사회학의 녹색화를 설정한 바

있다 전자는 인간면제주의 패러다임의 지배를 받고 있는 주류 사회학에

인간 생존의 물리적middot생물적 기반을 고려하는 관점을 제공하는 것이고 후

자는 환경오염과 파괴의 원인 그 영향 및 해결 방안을 사회학적으로 설

명하고 제시하는 것이다 특히 후자의 사명을 환경사회학자들이 얼마나

그리고 어떻게 성취하느냐가 환경사회학의 미래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

다 학제적 연구의 정착과 현장 중심의 연구 강화는 환경사회학이 후자의

사명을 수행하기 위해 해결해야 할 당면 과제이다

2014년 6월 16일 접수

2014년 6월 27일 수정 완료

2014년 6월 29일 게재 확정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81

참고문헌

구도완 1995 ldquo한국의 새로운 환경운동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29(2) 347-371

1996 985172한국 환경운동의 사회학985173 문학과지성사

2009 985172마을에서 세상을 바꾸는 사람들 생태적 대안운동을 찾아

서985173 창비사

구도완 등 2013 985172녹색당과 녹색정치985173 아르케

구자건 2008 985172환경갈등과 사회영향평가 방법985173 연세대출판부

김도균 2011 985172환경재난과 지역사회의 변화 허베이스피리트호 기름유출

사고의 사회재난985173 한울아카데미

김두식 1995 ldquo환경문제와 환경보호에 대한 시민들의 태도 조사연구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29(1) 33-67

노진철 2001 985172환경과 사회985173 한울

2010 985172불확실성 시대의 위험사회학985173 한울아카데미

노진철 등 2010 985172태안은 살아 있다 기름 유출 사고 이후 3년 다시 쓰

는 태안 리포트985173 동녘

문순홍 1992 985172생태위기와 녹색의 대안985173 나라사랑

1999 985172생태학의 담론985173 아르케

2001 985172한국의 여성환경운동985173 아르케

2006a 985172정치생태학과 녹색국가985173 아르케

2006b 985172녹색국가의 탐색985173 아르케

2006c 985172개발국가의 녹색성찰985173 아르케

문태훈 등 2008 985172지속가능한 사회 이야기985173 법문사

박순열 2009 985172불만의 새만금985173 한국학술정보

박재묵 1991 ldquo환경문제에 대한 사회학적 이해rdquo pp 71-83 한국사회학회

(편) 985172현대 한국 사회문제의 진단과 처방985173(특별심포지움 논문집)

서영표영국적록연구그룹 2010 985172사회주의 녹색을 만나다985173 한울아카데미

양종회 1993 ldquo우리나라 국민들의 환경문제에 대한 의식의 변화 및 사회

82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적 기반rdquo 985172한국사회학회985173 26(4) 89-120

양종회 등 2002 985172아시아 태평양지역의 환경문제 환경운동 및 환경정책985173 서울대출판부

윤순진 2013 ldquo《ECO》분석을 통해 본 한국 환경사회학 연구의 흐름rdquo

pp 67-98 한국환경사회학회(편) 985172환경사회학 이론과 환경문제985173 한울아카데미

이득연 1998 985172환경운동의 사회학985173 민영사

이상헌 2003 985172물 세상을 움직이는 물의 정치와 정치 생태학985173 이매진

2011 985172생태주의985173 책세상

이시재 1994 ldquo환경사회학rdquo 한국사회학회(편) 98517221세기의 한국 사회학985173 문학과지성사

2013 ldquo한국 환경사회학의 회고와 전망rdquo pp 67-98 한국환경사회

학회(편) 985172환경사회학 이론과 환경문제985173 한울아카데미

이시재 등 2010 985172생태사회적 발전의 현장과 이론985173 아르케

정대연 2002 985172환경사회학985173 아카넷

2004 985172환경주의와 지속가능한 발전985173 집문당

2010 985172한국 지속가능발전의 구조와 변동985173 집문당

조명래 2001 985172녹색사회의 탐색985173 한울

2006 985172개발정치와 녹색진보985173 환경과 생명

2009 985172지구화 되돌아보기와 넘어서기 공간환경의 모순과 극복985173 환경과 생명

2013a 985172공간으로 사회읽기 개념 쟁점과 대안985173 한울아카데미

2013b 985172녹색토건주의와 환경위기985173 한울아카데미

조명래 등 2005 985172신개발주의를 멈춰라985173 환경과 생명

최병두 1993a 985172한국의 공간과 환경985173 한길사

1993b 985172현대 환경문제의 재인식985173 한울

1995 985172환경사회이론과 국제환경문제985173 한울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83

1999a 985172환경갈등과 불평등985173 한울

1999b 985172녹색사회를 위한 비평985173 한울

2002 985172녹색전망985173 도요새

2003a 985172도시속의 환경 열두 달(봄 여름)985173 한울

2003b 985172도시속의 환경 열두 달(가을 겨울)985173 한울

2010 985172비판적 생태학과 환경정의985173 한울아카데미

한국사회학회 2007 985172한국사회학회 50년사 1957-2007985173 한학문학

한국환경사회학회 2005 985172우리 눈으로 보는 환경사회학985173 창비사

2013a 985172환경사회학이론과 환경문제985173 한울

2013b 985172환경운동과 생활세계985173 한울

한상진 2006 985172환경정의의 사회학985173 UUP

험프리버틀(Craig Humphrey and Frederick R Buttel) 1995 985172환경사회학985173 양종회이시재 역 사회비평사

홍성태 2000 985172대한민국 위험사회985173 당대

2006 985172한국의 근대화와 물985173 한울아카데미

2010 985172생명의 강을 위하여 생태사회학자 홍성태 교수의 4대강

지키기 제안985173 중원문화

2012 985172개발과 파괴의 사회학 위험 사회를 넘어서985173 중원문화

Buttel Frederick H and Craig R Humphrey 2002 Sociological Theory

and the Natural Environment pp 33ndash69 in Riley E Dunlap and

William Michelson(eds) Handbook of Environmental Sociology

Westport CT Greenwood Press

Catton William R Jr and Riley Dunlap 1978 Environmental Sociology

A New Paradigm The American Sociologist 13 41-49

Dunlap Riley E and Brent K Marshall 2007 Environmental Sociology

pp 329-340 in Clifton D Bryant and Dennis L Peck(eds) 21st

Century Sociology A Reference Handbook Thousand Oaks CA

84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Sage Publications

Hannigan John 2006 Environmental Sociology(second edition)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Harper Charles 2004 Environment and Society Human Perspectives on

Environmental Issues Upper Saddle River New Jersey Pearson

Education Inc

Humphrey Craig R and Frederick H Buttel 1982 Environment Energy

and Society Belmont California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International Sociological Association(RC24) Korean Sociological

Association and Korean Association for Environmental Sociology

2004 Globalization Localization and Environment (Proceedings for

2004 ISA RC24 Conference in Seoul)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85

The Research Trend and Prospect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Park Jae-mookProf Dept of Sociology Chungnam Univ

Abstract

The aims of this paper are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and to anticipate its future developments As a groundwork for these works we briefly examined the institutionalization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Here we considered the organizing process of environmental sociologists association and the incorporation of the course of environmental sociology into the regular curricula Nextly we examined research trends of environmental sociology and tried to draw common characteristics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The most frequently dealt subjects in ECO a representative journal in this field have been nuclear power risk and disaster large-scale development projects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nd behaviour environmental problems and climate changes And distinguished characteristics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have been found to be focus on environmental problems dependence on qualitative methodology emphasis on environmental reforms of liberal tradition exchange of perspectives among researchers from various fields communications between researchers and activists Lastly it was suggested that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ist should develop interdisciplinary research and field research

Key Words Environmental Sociology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Institutionalization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Korean Association for Environmental Sociology ECO

Page 26: 환경과 사회 연구의 동향과 전망isrku.org/adm/data/1351080157_fEMV3OxI_02-EBB095EC9... · 2014-07-06 ·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 pp.55-85 ‘환경과 사회’

80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기가 일정 부분 환경사회학에도 미치고 있다 미국에서 환경사회학이

1980년대 초에 겪었던 퇴조 분위기가 한국에서도 나타나고 있는 것 같다

그러나 이러한 환경사회학의 침체 분위기가 장기적으로 지속되지는 않

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렇게 전망하는 근거는 두 가지이다 그 하나는 환

경사회학의 태동을 가져왔던 환경문제가 상존하기 때문이다 또한 기후변

화와 같은 환경문제는 향후에도 장기간 지속될 것이 분명하고 유독성 화

학물질과 같은 새로운 환경문제도 부상하고 있다 한 마디로 환경문제가

근본적으로 해결되지 않는 한 환경사회학은 존속하게 될 것이다 둘째로

현재의 침체 분위기는 일정기간의 성장 뒤에 오는 바닥 다지기의 의미가

크다 따라서 장기적으로 보면 환경사회학은 향후에도 안정적 성장을 지

속할 가능성이 크다

어떤 점에서 환경사회학의 미래는 일정 부분 환경사회학자들이 그들에

게 주어진 사명을 어떻게 수행하느냐에 달려 있기도 하다 2005년 필자가

환경사회학회가 펴낸 「우리 눈으로 보는 환경사회학」의 제1장을 쓰면서

환경사회학자의 사명으로 사회의 녹색화와 사회학의 녹색화를 설정한 바

있다 전자는 인간면제주의 패러다임의 지배를 받고 있는 주류 사회학에

인간 생존의 물리적middot생물적 기반을 고려하는 관점을 제공하는 것이고 후

자는 환경오염과 파괴의 원인 그 영향 및 해결 방안을 사회학적으로 설

명하고 제시하는 것이다 특히 후자의 사명을 환경사회학자들이 얼마나

그리고 어떻게 성취하느냐가 환경사회학의 미래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

다 학제적 연구의 정착과 현장 중심의 연구 강화는 환경사회학이 후자의

사명을 수행하기 위해 해결해야 할 당면 과제이다

2014년 6월 16일 접수

2014년 6월 27일 수정 완료

2014년 6월 29일 게재 확정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81

참고문헌

구도완 1995 ldquo한국의 새로운 환경운동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29(2) 347-371

1996 985172한국 환경운동의 사회학985173 문학과지성사

2009 985172마을에서 세상을 바꾸는 사람들 생태적 대안운동을 찾아

서985173 창비사

구도완 등 2013 985172녹색당과 녹색정치985173 아르케

구자건 2008 985172환경갈등과 사회영향평가 방법985173 연세대출판부

김도균 2011 985172환경재난과 지역사회의 변화 허베이스피리트호 기름유출

사고의 사회재난985173 한울아카데미

김두식 1995 ldquo환경문제와 환경보호에 대한 시민들의 태도 조사연구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29(1) 33-67

노진철 2001 985172환경과 사회985173 한울

2010 985172불확실성 시대의 위험사회학985173 한울아카데미

노진철 등 2010 985172태안은 살아 있다 기름 유출 사고 이후 3년 다시 쓰

는 태안 리포트985173 동녘

문순홍 1992 985172생태위기와 녹색의 대안985173 나라사랑

1999 985172생태학의 담론985173 아르케

2001 985172한국의 여성환경운동985173 아르케

2006a 985172정치생태학과 녹색국가985173 아르케

2006b 985172녹색국가의 탐색985173 아르케

2006c 985172개발국가의 녹색성찰985173 아르케

문태훈 등 2008 985172지속가능한 사회 이야기985173 법문사

박순열 2009 985172불만의 새만금985173 한국학술정보

박재묵 1991 ldquo환경문제에 대한 사회학적 이해rdquo pp 71-83 한국사회학회

(편) 985172현대 한국 사회문제의 진단과 처방985173(특별심포지움 논문집)

서영표영국적록연구그룹 2010 985172사회주의 녹색을 만나다985173 한울아카데미

양종회 1993 ldquo우리나라 국민들의 환경문제에 대한 의식의 변화 및 사회

82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적 기반rdquo 985172한국사회학회985173 26(4) 89-120

양종회 등 2002 985172아시아 태평양지역의 환경문제 환경운동 및 환경정책985173 서울대출판부

윤순진 2013 ldquo《ECO》분석을 통해 본 한국 환경사회학 연구의 흐름rdquo

pp 67-98 한국환경사회학회(편) 985172환경사회학 이론과 환경문제985173 한울아카데미

이득연 1998 985172환경운동의 사회학985173 민영사

이상헌 2003 985172물 세상을 움직이는 물의 정치와 정치 생태학985173 이매진

2011 985172생태주의985173 책세상

이시재 1994 ldquo환경사회학rdquo 한국사회학회(편) 98517221세기의 한국 사회학985173 문학과지성사

2013 ldquo한국 환경사회학의 회고와 전망rdquo pp 67-98 한국환경사회

학회(편) 985172환경사회학 이론과 환경문제985173 한울아카데미

이시재 등 2010 985172생태사회적 발전의 현장과 이론985173 아르케

정대연 2002 985172환경사회학985173 아카넷

2004 985172환경주의와 지속가능한 발전985173 집문당

2010 985172한국 지속가능발전의 구조와 변동985173 집문당

조명래 2001 985172녹색사회의 탐색985173 한울

2006 985172개발정치와 녹색진보985173 환경과 생명

2009 985172지구화 되돌아보기와 넘어서기 공간환경의 모순과 극복985173 환경과 생명

2013a 985172공간으로 사회읽기 개념 쟁점과 대안985173 한울아카데미

2013b 985172녹색토건주의와 환경위기985173 한울아카데미

조명래 등 2005 985172신개발주의를 멈춰라985173 환경과 생명

최병두 1993a 985172한국의 공간과 환경985173 한길사

1993b 985172현대 환경문제의 재인식985173 한울

1995 985172환경사회이론과 국제환경문제985173 한울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83

1999a 985172환경갈등과 불평등985173 한울

1999b 985172녹색사회를 위한 비평985173 한울

2002 985172녹색전망985173 도요새

2003a 985172도시속의 환경 열두 달(봄 여름)985173 한울

2003b 985172도시속의 환경 열두 달(가을 겨울)985173 한울

2010 985172비판적 생태학과 환경정의985173 한울아카데미

한국사회학회 2007 985172한국사회학회 50년사 1957-2007985173 한학문학

한국환경사회학회 2005 985172우리 눈으로 보는 환경사회학985173 창비사

2013a 985172환경사회학이론과 환경문제985173 한울

2013b 985172환경운동과 생활세계985173 한울

한상진 2006 985172환경정의의 사회학985173 UUP

험프리버틀(Craig Humphrey and Frederick R Buttel) 1995 985172환경사회학985173 양종회이시재 역 사회비평사

홍성태 2000 985172대한민국 위험사회985173 당대

2006 985172한국의 근대화와 물985173 한울아카데미

2010 985172생명의 강을 위하여 생태사회학자 홍성태 교수의 4대강

지키기 제안985173 중원문화

2012 985172개발과 파괴의 사회학 위험 사회를 넘어서985173 중원문화

Buttel Frederick H and Craig R Humphrey 2002 Sociological Theory

and the Natural Environment pp 33ndash69 in Riley E Dunlap and

William Michelson(eds) Handbook of Environmental Sociology

Westport CT Greenwood Press

Catton William R Jr and Riley Dunlap 1978 Environmental Sociology

A New Paradigm The American Sociologist 13 41-49

Dunlap Riley E and Brent K Marshall 2007 Environmental Sociology

pp 329-340 in Clifton D Bryant and Dennis L Peck(eds) 21st

Century Sociology A Reference Handbook Thousand Oaks CA

84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Sage Publications

Hannigan John 2006 Environmental Sociology(second edition)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Harper Charles 2004 Environment and Society Human Perspectives on

Environmental Issues Upper Saddle River New Jersey Pearson

Education Inc

Humphrey Craig R and Frederick H Buttel 1982 Environment Energy

and Society Belmont California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International Sociological Association(RC24) Korean Sociological

Association and Korean Association for Environmental Sociology

2004 Globalization Localization and Environment (Proceedings for

2004 ISA RC24 Conference in Seoul)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85

The Research Trend and Prospect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Park Jae-mookProf Dept of Sociology Chungnam Univ

Abstract

The aims of this paper are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and to anticipate its future developments As a groundwork for these works we briefly examined the institutionalization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Here we considered the organizing process of environmental sociologists association and the incorporation of the course of environmental sociology into the regular curricula Nextly we examined research trends of environmental sociology and tried to draw common characteristics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The most frequently dealt subjects in ECO a representative journal in this field have been nuclear power risk and disaster large-scale development projects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nd behaviour environmental problems and climate changes And distinguished characteristics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have been found to be focus on environmental problems dependence on qualitative methodology emphasis on environmental reforms of liberal tradition exchange of perspectives among researchers from various fields communications between researchers and activists Lastly it was suggested that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ist should develop interdisciplinary research and field research

Key Words Environmental Sociology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Institutionalization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Korean Association for Environmental Sociology ECO

Page 27: 환경과 사회 연구의 동향과 전망isrku.org/adm/data/1351080157_fEMV3OxI_02-EBB095EC9... · 2014-07-06 ·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 pp.55-85 ‘환경과 사회’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81

참고문헌

구도완 1995 ldquo한국의 새로운 환경운동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29(2) 347-371

1996 985172한국 환경운동의 사회학985173 문학과지성사

2009 985172마을에서 세상을 바꾸는 사람들 생태적 대안운동을 찾아

서985173 창비사

구도완 등 2013 985172녹색당과 녹색정치985173 아르케

구자건 2008 985172환경갈등과 사회영향평가 방법985173 연세대출판부

김도균 2011 985172환경재난과 지역사회의 변화 허베이스피리트호 기름유출

사고의 사회재난985173 한울아카데미

김두식 1995 ldquo환경문제와 환경보호에 대한 시민들의 태도 조사연구rdquo 985172한국사회학985173 29(1) 33-67

노진철 2001 985172환경과 사회985173 한울

2010 985172불확실성 시대의 위험사회학985173 한울아카데미

노진철 등 2010 985172태안은 살아 있다 기름 유출 사고 이후 3년 다시 쓰

는 태안 리포트985173 동녘

문순홍 1992 985172생태위기와 녹색의 대안985173 나라사랑

1999 985172생태학의 담론985173 아르케

2001 985172한국의 여성환경운동985173 아르케

2006a 985172정치생태학과 녹색국가985173 아르케

2006b 985172녹색국가의 탐색985173 아르케

2006c 985172개발국가의 녹색성찰985173 아르케

문태훈 등 2008 985172지속가능한 사회 이야기985173 법문사

박순열 2009 985172불만의 새만금985173 한국학술정보

박재묵 1991 ldquo환경문제에 대한 사회학적 이해rdquo pp 71-83 한국사회학회

(편) 985172현대 한국 사회문제의 진단과 처방985173(특별심포지움 논문집)

서영표영국적록연구그룹 2010 985172사회주의 녹색을 만나다985173 한울아카데미

양종회 1993 ldquo우리나라 국민들의 환경문제에 대한 의식의 변화 및 사회

82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적 기반rdquo 985172한국사회학회985173 26(4) 89-120

양종회 등 2002 985172아시아 태평양지역의 환경문제 환경운동 및 환경정책985173 서울대출판부

윤순진 2013 ldquo《ECO》분석을 통해 본 한국 환경사회학 연구의 흐름rdquo

pp 67-98 한국환경사회학회(편) 985172환경사회학 이론과 환경문제985173 한울아카데미

이득연 1998 985172환경운동의 사회학985173 민영사

이상헌 2003 985172물 세상을 움직이는 물의 정치와 정치 생태학985173 이매진

2011 985172생태주의985173 책세상

이시재 1994 ldquo환경사회학rdquo 한국사회학회(편) 98517221세기의 한국 사회학985173 문학과지성사

2013 ldquo한국 환경사회학의 회고와 전망rdquo pp 67-98 한국환경사회

학회(편) 985172환경사회학 이론과 환경문제985173 한울아카데미

이시재 등 2010 985172생태사회적 발전의 현장과 이론985173 아르케

정대연 2002 985172환경사회학985173 아카넷

2004 985172환경주의와 지속가능한 발전985173 집문당

2010 985172한국 지속가능발전의 구조와 변동985173 집문당

조명래 2001 985172녹색사회의 탐색985173 한울

2006 985172개발정치와 녹색진보985173 환경과 생명

2009 985172지구화 되돌아보기와 넘어서기 공간환경의 모순과 극복985173 환경과 생명

2013a 985172공간으로 사회읽기 개념 쟁점과 대안985173 한울아카데미

2013b 985172녹색토건주의와 환경위기985173 한울아카데미

조명래 등 2005 985172신개발주의를 멈춰라985173 환경과 생명

최병두 1993a 985172한국의 공간과 환경985173 한길사

1993b 985172현대 환경문제의 재인식985173 한울

1995 985172환경사회이론과 국제환경문제985173 한울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83

1999a 985172환경갈등과 불평등985173 한울

1999b 985172녹색사회를 위한 비평985173 한울

2002 985172녹색전망985173 도요새

2003a 985172도시속의 환경 열두 달(봄 여름)985173 한울

2003b 985172도시속의 환경 열두 달(가을 겨울)985173 한울

2010 985172비판적 생태학과 환경정의985173 한울아카데미

한국사회학회 2007 985172한국사회학회 50년사 1957-2007985173 한학문학

한국환경사회학회 2005 985172우리 눈으로 보는 환경사회학985173 창비사

2013a 985172환경사회학이론과 환경문제985173 한울

2013b 985172환경운동과 생활세계985173 한울

한상진 2006 985172환경정의의 사회학985173 UUP

험프리버틀(Craig Humphrey and Frederick R Buttel) 1995 985172환경사회학985173 양종회이시재 역 사회비평사

홍성태 2000 985172대한민국 위험사회985173 당대

2006 985172한국의 근대화와 물985173 한울아카데미

2010 985172생명의 강을 위하여 생태사회학자 홍성태 교수의 4대강

지키기 제안985173 중원문화

2012 985172개발과 파괴의 사회학 위험 사회를 넘어서985173 중원문화

Buttel Frederick H and Craig R Humphrey 2002 Sociological Theory

and the Natural Environment pp 33ndash69 in Riley E Dunlap and

William Michelson(eds) Handbook of Environmental Sociology

Westport CT Greenwood Press

Catton William R Jr and Riley Dunlap 1978 Environmental Sociology

A New Paradigm The American Sociologist 13 41-49

Dunlap Riley E and Brent K Marshall 2007 Environmental Sociology

pp 329-340 in Clifton D Bryant and Dennis L Peck(eds) 21st

Century Sociology A Reference Handbook Thousand Oaks CA

84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Sage Publications

Hannigan John 2006 Environmental Sociology(second edition)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Harper Charles 2004 Environment and Society Human Perspectives on

Environmental Issues Upper Saddle River New Jersey Pearson

Education Inc

Humphrey Craig R and Frederick H Buttel 1982 Environment Energy

and Society Belmont California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International Sociological Association(RC24) Korean Sociological

Association and Korean Association for Environmental Sociology

2004 Globalization Localization and Environment (Proceedings for

2004 ISA RC24 Conference in Seoul)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85

The Research Trend and Prospect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Park Jae-mookProf Dept of Sociology Chungnam Univ

Abstract

The aims of this paper are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and to anticipate its future developments As a groundwork for these works we briefly examined the institutionalization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Here we considered the organizing process of environmental sociologists association and the incorporation of the course of environmental sociology into the regular curricula Nextly we examined research trends of environmental sociology and tried to draw common characteristics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The most frequently dealt subjects in ECO a representative journal in this field have been nuclear power risk and disaster large-scale development projects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nd behaviour environmental problems and climate changes And distinguished characteristics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have been found to be focus on environmental problems dependence on qualitative methodology emphasis on environmental reforms of liberal tradition exchange of perspectives among researchers from various fields communications between researchers and activists Lastly it was suggested that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ist should develop interdisciplinary research and field research

Key Words Environmental Sociology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Institutionalization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Korean Association for Environmental Sociology ECO

Page 28: 환경과 사회 연구의 동향과 전망isrku.org/adm/data/1351080157_fEMV3OxI_02-EBB095EC9... · 2014-07-06 ·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 pp.55-85 ‘환경과 사회’

82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적 기반rdquo 985172한국사회학회985173 26(4) 89-120

양종회 등 2002 985172아시아 태평양지역의 환경문제 환경운동 및 환경정책985173 서울대출판부

윤순진 2013 ldquo《ECO》분석을 통해 본 한국 환경사회학 연구의 흐름rdquo

pp 67-98 한국환경사회학회(편) 985172환경사회학 이론과 환경문제985173 한울아카데미

이득연 1998 985172환경운동의 사회학985173 민영사

이상헌 2003 985172물 세상을 움직이는 물의 정치와 정치 생태학985173 이매진

2011 985172생태주의985173 책세상

이시재 1994 ldquo환경사회학rdquo 한국사회학회(편) 98517221세기의 한국 사회학985173 문학과지성사

2013 ldquo한국 환경사회학의 회고와 전망rdquo pp 67-98 한국환경사회

학회(편) 985172환경사회학 이론과 환경문제985173 한울아카데미

이시재 등 2010 985172생태사회적 발전의 현장과 이론985173 아르케

정대연 2002 985172환경사회학985173 아카넷

2004 985172환경주의와 지속가능한 발전985173 집문당

2010 985172한국 지속가능발전의 구조와 변동985173 집문당

조명래 2001 985172녹색사회의 탐색985173 한울

2006 985172개발정치와 녹색진보985173 환경과 생명

2009 985172지구화 되돌아보기와 넘어서기 공간환경의 모순과 극복985173 환경과 생명

2013a 985172공간으로 사회읽기 개념 쟁점과 대안985173 한울아카데미

2013b 985172녹색토건주의와 환경위기985173 한울아카데미

조명래 등 2005 985172신개발주의를 멈춰라985173 환경과 생명

최병두 1993a 985172한국의 공간과 환경985173 한길사

1993b 985172현대 환경문제의 재인식985173 한울

1995 985172환경사회이론과 국제환경문제985173 한울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83

1999a 985172환경갈등과 불평등985173 한울

1999b 985172녹색사회를 위한 비평985173 한울

2002 985172녹색전망985173 도요새

2003a 985172도시속의 환경 열두 달(봄 여름)985173 한울

2003b 985172도시속의 환경 열두 달(가을 겨울)985173 한울

2010 985172비판적 생태학과 환경정의985173 한울아카데미

한국사회학회 2007 985172한국사회학회 50년사 1957-2007985173 한학문학

한국환경사회학회 2005 985172우리 눈으로 보는 환경사회학985173 창비사

2013a 985172환경사회학이론과 환경문제985173 한울

2013b 985172환경운동과 생활세계985173 한울

한상진 2006 985172환경정의의 사회학985173 UUP

험프리버틀(Craig Humphrey and Frederick R Buttel) 1995 985172환경사회학985173 양종회이시재 역 사회비평사

홍성태 2000 985172대한민국 위험사회985173 당대

2006 985172한국의 근대화와 물985173 한울아카데미

2010 985172생명의 강을 위하여 생태사회학자 홍성태 교수의 4대강

지키기 제안985173 중원문화

2012 985172개발과 파괴의 사회학 위험 사회를 넘어서985173 중원문화

Buttel Frederick H and Craig R Humphrey 2002 Sociological Theory

and the Natural Environment pp 33ndash69 in Riley E Dunlap and

William Michelson(eds) Handbook of Environmental Sociology

Westport CT Greenwood Press

Catton William R Jr and Riley Dunlap 1978 Environmental Sociology

A New Paradigm The American Sociologist 13 41-49

Dunlap Riley E and Brent K Marshall 2007 Environmental Sociology

pp 329-340 in Clifton D Bryant and Dennis L Peck(eds) 21st

Century Sociology A Reference Handbook Thousand Oaks CA

84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Sage Publications

Hannigan John 2006 Environmental Sociology(second edition)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Harper Charles 2004 Environment and Society Human Perspectives on

Environmental Issues Upper Saddle River New Jersey Pearson

Education Inc

Humphrey Craig R and Frederick H Buttel 1982 Environment Energy

and Society Belmont California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International Sociological Association(RC24) Korean Sociological

Association and Korean Association for Environmental Sociology

2004 Globalization Localization and Environment (Proceedings for

2004 ISA RC24 Conference in Seoul)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85

The Research Trend and Prospect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Park Jae-mookProf Dept of Sociology Chungnam Univ

Abstract

The aims of this paper are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and to anticipate its future developments As a groundwork for these works we briefly examined the institutionalization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Here we considered the organizing process of environmental sociologists association and the incorporation of the course of environmental sociology into the regular curricula Nextly we examined research trends of environmental sociology and tried to draw common characteristics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The most frequently dealt subjects in ECO a representative journal in this field have been nuclear power risk and disaster large-scale development projects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nd behaviour environmental problems and climate changes And distinguished characteristics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have been found to be focus on environmental problems dependence on qualitative methodology emphasis on environmental reforms of liberal tradition exchange of perspectives among researchers from various fields communications between researchers and activists Lastly it was suggested that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ist should develop interdisciplinary research and field research

Key Words Environmental Sociology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Institutionalization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Korean Association for Environmental Sociology ECO

Page 29: 환경과 사회 연구의 동향과 전망isrku.org/adm/data/1351080157_fEMV3OxI_02-EBB095EC9... · 2014-07-06 ·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 pp.55-85 ‘환경과 사회’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83

1999a 985172환경갈등과 불평등985173 한울

1999b 985172녹색사회를 위한 비평985173 한울

2002 985172녹색전망985173 도요새

2003a 985172도시속의 환경 열두 달(봄 여름)985173 한울

2003b 985172도시속의 환경 열두 달(가을 겨울)985173 한울

2010 985172비판적 생태학과 환경정의985173 한울아카데미

한국사회학회 2007 985172한국사회학회 50년사 1957-2007985173 한학문학

한국환경사회학회 2005 985172우리 눈으로 보는 환경사회학985173 창비사

2013a 985172환경사회학이론과 환경문제985173 한울

2013b 985172환경운동과 생활세계985173 한울

한상진 2006 985172환경정의의 사회학985173 UUP

험프리버틀(Craig Humphrey and Frederick R Buttel) 1995 985172환경사회학985173 양종회이시재 역 사회비평사

홍성태 2000 985172대한민국 위험사회985173 당대

2006 985172한국의 근대화와 물985173 한울아카데미

2010 985172생명의 강을 위하여 생태사회학자 홍성태 교수의 4대강

지키기 제안985173 중원문화

2012 985172개발과 파괴의 사회학 위험 사회를 넘어서985173 중원문화

Buttel Frederick H and Craig R Humphrey 2002 Sociological Theory

and the Natural Environment pp 33ndash69 in Riley E Dunlap and

William Michelson(eds) Handbook of Environmental Sociology

Westport CT Greenwood Press

Catton William R Jr and Riley Dunlap 1978 Environmental Sociology

A New Paradigm The American Sociologist 13 41-49

Dunlap Riley E and Brent K Marshall 2007 Environmental Sociology

pp 329-340 in Clifton D Bryant and Dennis L Peck(eds) 21st

Century Sociology A Reference Handbook Thousand Oaks CA

84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Sage Publications

Hannigan John 2006 Environmental Sociology(second edition)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Harper Charles 2004 Environment and Society Human Perspectives on

Environmental Issues Upper Saddle River New Jersey Pearson

Education Inc

Humphrey Craig R and Frederick H Buttel 1982 Environment Energy

and Society Belmont California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International Sociological Association(RC24) Korean Sociological

Association and Korean Association for Environmental Sociology

2004 Globalization Localization and Environment (Proceedings for

2004 ISA RC24 Conference in Seoul)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85

The Research Trend and Prospect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Park Jae-mookProf Dept of Sociology Chungnam Univ

Abstract

The aims of this paper are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and to anticipate its future developments As a groundwork for these works we briefly examined the institutionalization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Here we considered the organizing process of environmental sociologists association and the incorporation of the course of environmental sociology into the regular curricula Nextly we examined research trends of environmental sociology and tried to draw common characteristics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The most frequently dealt subjects in ECO a representative journal in this field have been nuclear power risk and disaster large-scale development projects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nd behaviour environmental problems and climate changes And distinguished characteristics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have been found to be focus on environmental problems dependence on qualitative methodology emphasis on environmental reforms of liberal tradition exchange of perspectives among researchers from various fields communications between researchers and activists Lastly it was suggested that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ist should develop interdisciplinary research and field research

Key Words Environmental Sociology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Institutionalization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Korean Association for Environmental Sociology ECO

Page 30: 환경과 사회 연구의 동향과 전망isrku.org/adm/data/1351080157_fEMV3OxI_02-EBB095EC9... · 2014-07-06 ·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 pp.55-85 ‘환경과 사회’

84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년)

Sage Publications

Hannigan John 2006 Environmental Sociology(second edition)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Harper Charles 2004 Environment and Society Human Perspectives on

Environmental Issues Upper Saddle River New Jersey Pearson

Education Inc

Humphrey Craig R and Frederick H Buttel 1982 Environment Energy

and Society Belmont California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International Sociological Association(RC24) Korean Sociological

Association and Korean Association for Environmental Sociology

2004 Globalization Localization and Environment (Proceedings for

2004 ISA RC24 Conference in Seoul)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85

The Research Trend and Prospect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Park Jae-mookProf Dept of Sociology Chungnam Univ

Abstract

The aims of this paper are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and to anticipate its future developments As a groundwork for these works we briefly examined the institutionalization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Here we considered the organizing process of environmental sociologists association and the incorporation of the course of environmental sociology into the regular curricula Nextly we examined research trends of environmental sociology and tried to draw common characteristics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The most frequently dealt subjects in ECO a representative journal in this field have been nuclear power risk and disaster large-scale development projects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nd behaviour environmental problems and climate changes And distinguished characteristics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have been found to be focus on environmental problems dependence on qualitative methodology emphasis on environmental reforms of liberal tradition exchange of perspectives among researchers from various fields communications between researchers and activists Lastly it was suggested that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ist should develop interdisciplinary research and field research

Key Words Environmental Sociology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Institutionalization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Korean Association for Environmental Sociology ECO

Page 31: 환경과 사회 연구의 동향과 전망isrku.org/adm/data/1351080157_fEMV3OxI_02-EBB095EC9... · 2014-07-06 · 한국사회 제15집 1호(2014): pp.55-85 ‘환경과 사회’

lsquo환경과 사회rsquo 연구의 동향과 전망 85

The Research Trend and Prospect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Park Jae-mookProf Dept of Sociology Chungnam Univ

Abstract

The aims of this paper are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and to anticipate its future developments As a groundwork for these works we briefly examined the institutionalization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Here we considered the organizing process of environmental sociologists association and the incorporation of the course of environmental sociology into the regular curricula Nextly we examined research trends of environmental sociology and tried to draw common characteristics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The most frequently dealt subjects in ECO a representative journal in this field have been nuclear power risk and disaster large-scale development projects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nd behaviour environmental problems and climate changes And distinguished characteristics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have been found to be focus on environmental problems dependence on qualitative methodology emphasis on environmental reforms of liberal tradition exchange of perspectives among researchers from various fields communications between researchers and activists Lastly it was suggested that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ist should develop interdisciplinary research and field research

Key Words Environmental Sociology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Institutionalization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Korean Association for Environmental Sociology EC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