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3
10개년 종합계획 환경보건 관계부처 합동 2011~2020 수정계획 2015. 12. 22 발 간 등 록 번 호 11-1480000-001424-01

환경보건 10개년 종합계획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6/5606653.pdf · 건강피해 예방 및 관리 - 실내공기질 관리영역 확대 및 정책강화,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 10개년 종합계획10개년 종합계획환경보건

    환경보건

    관계부처 합동

    관계부처 합동

    2011~2020 수정계획

    2011~2020 수정계획

    2015. 12. 22

    관계부처

    합동

    2011

    2020 수정계획

    ~

    2015.

    12.

    22

    발 간 등 록 번 호

    11-1480000-001424-01

    20160127-환경부_표지_환경보건 10개년 종합계획.indd 1 2016-02-02 오후 2:38:56

  • Contents

    Ⅰ. 계획의 개요 ······························································· 1

    Ⅱ. 대내외 여건 ····························································· 11

    Ⅲ. 비전과 추진전략 ······················································ 23

    Ⅳ. 전략별 추진과제 ······················································ 27

    전략1 환경성질환 예방ㆍ관리 내실화 ··································· 29

    전략2 국민의 환경유해인자 노출 최소화 ····························· 67

    전략3 환경보건 기반 개선 ··················································· 114

    Ⅴ. 추진기반 ································································ 135

  • ⁂요 약

    - i -

    요 약

    ❚ 추진배경 현행 종합계획(2011~2020)에 대한 수정 시기 도래

    ❚ 지난 5년간 성과 및 한계 - (성과) 유해물질 안전관리체계, 환경오염피해자에 대한 구제시스템, 생활주변 환경유해인자 관리체계

    마련 등

    - (한계) 환경보건분야 제도화에도 불구, 내실화가 부족하고, 정부서비스의 사각지대 상존, 환경성질환자

    증가 및 생체내 유해물질은 선진국보다 높은 수준

    ❚ 정책여건 - 대기, 실내공기 등을 통해 환경오염물질에 지속 노출

    - 유해화학물질 유통량은 계속 증가할 것으로 전망

    - 항생제내성균, 나노물질, 곰팡이 등 신규유해인자가 새롭게 대두

    ❚ 비전과 추진전략

  • 환경보건 10개년 종합계획(2011~2020 수정계획)

    - ii -

    ❚ 2020년 성과목표

    ❚ 정책방향① 꼼꼼한 환경보건 조사ㆍ감시체계 마련

    ❘체계도❘

    ❘추진계획❘ - (기초조사ㆍ건강영향조사 개선) 유해물질 인체노출기준 마련, 환경유해인자와 건강영향간 상관성

    분석 등 정밀조사 강화

    - 환경보건지표를 마련하여 환경보건의 바로미터로 활용

    - 통합위해성평가에 기반을 둔 환경기준 설정ㆍ재검토ㆍ토대 마련

  • ⁂요 약

    - iii -

    ② 환경피해 구제(救濟) 확대

    ❘체계도❘

    ❘추진계획❘ - (피해자 규명 및 판정 절차 개선) 조사방법ㆍ절차 개선하여 증거력 향상, 판정기준의 객관화

    - (사각지대 해소) 석면, 가습기살균제에서 시설물, 생활화학제품 등으로 피해구제 확대

    - (제도개선) 환경보건법 및 석면피해구제법, 환경오염피해구제법, 환경분쟁조정법 등에 산재된 유사제도

    통합ㆍ재정비

    ③ 환경유해인자 저감

    ❘체계도❘

    ❘추진계획❘ - (환경유해인자) 환경오염, 화학물질 등의 인자 외에도 유해파장, 실내곰팡이 등의 유해미생물에 대한

    대책 마련

    - (노출) 노출 감시대상을 공기, 물, 토양 등 환경매체 외에도 제품과 식품 등으로 확대(부처 협업),

    실내공기질 관리대상 확대(17,000 → 34,000여개소), 건축용페인트 내 중금속 함유 규제

    - (시설진단 및 개선) 어린이 활동공간 통합관리(시설물, 석면, 라돈, 가구ㆍ자재 통합, 실내공기질 관리 등),

    환경유해인자 진단ㆍ저감 강화

    ④ 기후변화/미래 대비

    - (지자체 역량) 지자체별 환경보건계획 수립 및 현장관리 지원

    - (기후변화) 폭염 등 극한기후 대비, 각종 예ㆍ경보제 정비

    - (신규유해인자 관리) 항생제내성균, 나노물질 등 관리 강화

    - (정책추진 인프라 구축) 전문인력 확충, 환경보건ㆍ화학사고 대응 연구개발(~’21, 2,672억원), 생체시료

    은행(Biobank) 등 구축

  • 환경보건 10개년 종합계획(2011~2020 수정계획)

    - iv -

    ⑤ 국민참여와 알권리 보호

    - (쌍방향 정보시스템 구축) 환경보건 종합정보시스템을 구축하여 정보수집 공유체계 마련, 쌍방향적인

    소통체계로 개선 추진

    - (민간협력) 환경보건분야 학술단체, 시민단체 지원 및 협력 확대

    ❚ 정책추진기반 마련① (재원조달) 향후 5년간(’16~’20) 1조 819억원 투자

    ② (조직강화) 화학물질 안전관리인력 확보, 국립환경과학원 연구 기능 및 생체시료은행 등 인프라

    강화, 환경피해구제 조직 정비 등

    ③ (제도정비) 환경보건법 개정 및 피해구제 관련법령 정비

    - 역학조사ㆍ피해구제 조사ㆍ판정 개선 및 제품 위해성평가 강화

    - 기후변화 및 新환경유해인자 관리강화 등

    ④ (소통강화) 환경보건 종합정보시스템 구축, 현장중심 소통채널 마련

  • - 1 -

    계획의 개요

  • Ⅰ계획의 개요

    - 3 -

    수립배경 및 경과01

    ❚ 수립배경 현행 종합계획(2011~2020)에 대한 수정 시기 도래 • 기존 종합계획이 수립된 이후 5년이 경과되어 환경보건법*에 따라 계획 수정 추진 * 환경보건법 제6조제3항 : 환경부장관은 종합계획을 세운 날부터 5년이 지나거나 관계 중앙행정기관장의

    요청 등에 따라 종합계획을 변경할 필요가 있다고 인정하는 경우 환경보건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종합계획

    변경

    • 그간의 성과와 문제점을 평가하고, 새로운 발전방안과 전략 모색 - 지난 5년간 유해화학물질 안전관리체계 구축, 환경성질환 피해구제 등 이미 달성한 과제에 대해서는

    새로운 보완ㆍ발전 방안 반영

    - 현행 종합계획에 반영되지 못한 가습기살균제사고(’11.4), 구미불산 누출사고(’12.9) 등 새로운 환경보건

    정책 변화여건 반영

    ❚ 수립경과 환경보건분야 학회, 전문가와 공동 연구 • 환경보건 종합계획의 수정계획(안) 마련 착수(’14.11) • 환경보건분야 학회, 전문가와 함께 공동으로 연구 추진(’15.1~9) • 관계기관에서 제출한 추진과제를 종합하여 계획 초안 마련(~’15.10) • 관계부처, 시민단체, 전문가 대상 의견수렴(’15.10~11), 공청회 개최(’15.11.11) • 부총리 주재 사회관계장관회의 상정 논의(’15.12.2) • 계획 최종안을 마련하여 환경보건위원회 심의 안건으로 상정(’15.12.22)

  • 환경보건 10개년 종합계획(2011~2020 수정계획)

    - 4 -

    참고 종합계획의 위상과 역할❙ 환경보건법에 따른 법정 종합계획 - 환경보건법 제6조제1항에 따라 10년마다 수립하는 법정 계획으로 관계 중앙행정기관장과의 협의 및 환경보건위원

    회의 심의를 거쳐 수립

    ❙ 환경보건정책 추진을 위한 국가기본계획 - 환경보건에 관한 기본적 시책과 목표, 이를 달성하기 위한 환경보건정책의 기본방향 및 세부실천과제를

    제시하는 국가기본계획

    - 관계 행정기관의 장은 이 계획의 시행을 위해 필요한 조치를 하여야 하며, 지자체장은 이 계획에 따라 관할구역의

    환경보건에 관한 계획을 지역환경계획에 포함하여야 함

    ❙ 매체별 환경계획의 견인차 역할 - 대기, 수질, 토양, 폐기물, 등 다양한 환경매체별 계획의 정책 우선순위와 정책 방향, 환경기준 설정의 가이드라인

    제시

    - 대기, 물, 토양, 폐기물 등 다양한 환경매체 계획을 통합하고 조정ㆍ선도

    ❙ ‘국가환경종합계획’과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의 사각지대 해소 - 환경유해인자로 인한 국민건강상 위해의 조사ㆍ예방 및 관리를 위한 정책수단을 제시함으로써 환경정책과

    보건정책의 최상위 계획인 국가환경종합계획과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사이의 사각지대 해소

  • Ⅰ계획의 개요

    - 5 -

    지난 5년간 성과와 한계02

    ❚ 성과-① 유해물질 안전관리 체계 확립 •「석면안전관리법」 제정(’11.4), ‘석면관리 기본계획(2013~2017)’을 수립하여 자연발생석면,

    건축물 석면에 대한 안전관리 추진

    •「화학물질등록평가법」을 제정(’13.5)하여 유통 중인 기존 화학물질의 독성정보를 확보하고, 발암물질, 생활화학제품의 안전관리 체계 마련

    •「유해화학물질관리법」을 전면 개정(’13.6)하여 선진제도인 장외영향평가ㆍ위해관리계획 제도를 도입하고, 화학사고 예방ㆍ대응체계 개선

    • 수은관리 종합대책(’11~’15), ‘수은에 관한 미나마타 협약’(’14.9 서명)에 참여하여 수은 배출원 파악, 배출량 저감, 제품의 단계적 폐지 등 추진

    • ‘잔류성유기오염물질관리 기본계획(2012~2016)’ 시행, 스톡홀름협약 신규등재물질 규제법제화 등 잔류성유기오염물질 관리 강화

    • 범부처 ‘나노 안전관리 종합계획(2012~2016)’을 수립하여 나노물질의 위해성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한 연구 착수

    ❚ 성과-② 환경오염 피해자에 대한 구제(救濟) 시스템 마련 •「석면피해구제법」을 제정(’11.1 시행)하여 석면피해자 및 특별유족에게 의료비, 장의비 등

    구제급여 지급, 가습기살균제 피해자 지원

    •「환경오염피해구제법」을 제정(’14.12)하여 시설의 설치ㆍ운영 과정에서 발생된 환경오염에 의한 피해 보상ㆍ배상의 법적 근거 마련

  • 환경보건 10개년 종합계획(2011~2020 수정계획)

    - 6 -

    ❚ 성과-③ 생활주변 환경유해인자 관리 체계 마련 •「빛공해방지법」 제정(’12.2), ‘빛공해 종합계획(2014~2018)’을 수립하여 조명환경관리구역

    지정(1곳), 좋은빛 환경조성사업 추진(47개 지자체)

    • 어린이활동공간의 환경안전관리기준 확인검사 제도, 어린이용품 내 사용제한ㆍ금지물질 지정 및 유해인자표시제도 도입

    • 영화관, 학원, PC방 등을 「실내공기질관리법」에 따른 실내공기질 관리영역으로 확대하고, 건축자재에 대한 사전관리체계 마련

    • ‘라돈관리 종합대책(’07~’12)’ 수립, 「실내공기질관리법」을 개정하여 라돈 실태조사, 라돈 고노출지역에 대한 저감사업 추진

    • 층간소음기준 제정(’14.6), ‘층간소음 이웃사이서비스’를 전국으로 확대하여 공동주택 층간소음 관리를 강화하고,

    - 가전제품 소음등급제, 개인음향기기 최대 허용 볼륨 기준 등 마련

    ❚ 성과-④ 환경보건 관련 조직, 연구ㆍ개발 체계 구축 • 환경성질환에 대한 모니터링, 환경보건 연구, 교육ㆍ홍보 등을 담당하는 ‘환경보건센터’를

    환경성질환 분야별로 지정ㆍ운영(’07.6~, 14개소)

    • 화학물질안전원, 화학안전관리단, 합동방재센터를 신설하여 화학물질 유출사고 예방ㆍ대응 기능 강화

    • ‘생활공감 환경보건기술개발 사업(’12~’21, 1,792억원)’, ‘화학사고 예방ㆍ대응기술개발 사업(’12~’21, 880억원)’ 착수

    • 환경유해인자와 질환과의 인과관계 규명을 위하여 어린이 환경보건 출생코호트 착수(’15~)

  • Ⅰ계획의 개요

    - 7 -

    ❚ 한계-① 환경보건분야 제도 마련에도 불구, 정책의 내실화 부족 • 환경보건지표 未개발로 환경보건 상태 측정ㆍ평가 및 정책 활용도 미흡 • 환경오염과 질환간 상관성 규명 미흡으로 관련대책 수립 어려움 • 역학조사 등 환경보건 조사결과에 대한 공신력 제고가 필요하고, 환경유해인자로 인한 건강영향

    조사 결과에 대한 사후조치ㆍ관리 부족

    • 통합위해성평가 결과와 환경기준을 연계하려는 노력이 부족하였고, 지자체의 참여를 통한 환경보건대책 마련과 대국민 서비스 부족

    • 환경보건 관련 산업 육성 및 인력 양성 노력이 부족하였고, 환경보건 정보의 통합ㆍ제공, 국제사회와 교류ㆍ협력 노력 부족

    ❚ 한계-② 환경유해인자 관리 사각지대 해소 노력 부족 • 소규모 어린이집 등의 비법정시설 내 환경유해인자 관리와 현장에서의 환경보건 분야 법령

    이행ㆍ관리 부족

    • 공기, 물, 토양, 음식물, 생활제품 등의 다양한 노출원에서 기인하는 환경유해인자 관리에 있어 관계기관간 협업ㆍ융합 노력 부족

    • 환경유해인자 조사ㆍ진단→저감ㆍ시설개선→피해구제 전과정에 걸친 환경보건 서비스 제공 체계 미구축

    ❚ 한계-③ 새로운 유해 환경인자에 대한 관리체계 미흡 • 기후변화에 따른 취약 인구집단의 건강대책, 자외선 등 환경유해인자 대응방안, 대기ㆍ물환경

    변화에 따른 건강영향평가 필요

    • 전자파, 항생제내성균, 나노물질 등 과학기술 발전에 따른 신규 환경유해인자 출현에 대비한 상시모니터링 등의 대책 필요

  • 환경보건 10개년 종합계획(2011~2020 수정계획)

    - 8 -

    추진과제 이행결과 평가

    1. 환경성질환 조사 및 감시체계 구축

    - 제1기ㆍ제2기 국민환경보건 기초조사 실시- 환경성질환 조사체계 구축, 환경성질환 원인규명 미흡- 환경성질환부담 未산정, 국내외 협력체계 未구축- 환경보건지표 未개발, 국내 환경보건 진단ㆍ평가 未추진

    2. 환경성질환 피해 구제 체계 마련

    - 광산, 산단 등 환경오염 우려지역에 대한 건강피해 조사 - 시멘트, 제련소 등 환경오염우려지역 모니터링 추진- 환경오염피해구제법 제정(’14), 법령 시행 기반 마련

    3. 환경성질환 예방ㆍ관리대책 추진

    - 알레르기질환 환경보건센터 지정 등 추적감시시스템 구축- 8개 환경성질환 예방관리센터 건립지원- 환경유해인자와 호흡기질환 연관성 연구 추진- 석면피해구제법 시행(’11), 피해우려지역 건강영향 조사- 소아선천성 기형, 발달장애 등 건강영향 연구 추진

    4. 매체별 환경유해인자의 건강피해 예방 및 관리

    - 실내공기질 관리영역 확대 및 정책강화, 취약시설 관리지원- 먹는물 고도정수처리, 방사성물질(라돈, 우라늄) 기준 마련- 소음등급제, 개인음향기기 관리 강화, 소음지도 작성ㆍ활용- 초미세먼지 등 대기오염물질의 건강영향 연구 미흡

    5. 생활주변 환경유해 인자의 예방ㆍ관리

    - 석면안전관리법 제정(’11), 석면 분포조사 및 슬레이트 철거- 라돈지도 작성, 고노출지역에 대한 위해도 저감대책 추진- 범정부 나노안전 대책 마련, 나노물질 안전성 정보 확보 추진- 빛공해방지법 제정(’13), 빛공해 저감사업 추진- 전자파 건강영향 모니터링 및 위해소통시스템 구축 미흡

    6. 유해화학물질 관리 강화

    - 스톡홀름협약 이행, 측정망 운영 및 관리 강화- 내분비계 장애추정물질의 환경모니터링 및 공동연구 추진- 화학물질 유해성 정보 생산 추진- 유통량조사 실시(’10), 매년 배출량조사 및 배출저감 추진- 10개 물질에 대한 통합위해성평가 실시, 사후조치 미흡

    7. 유해중금속 관리대책- 미나마타 협약 채택(’13.10), 수은 전 과정 관리 추진- 납 및 카드뮴 관리대책 未수립, 모니터링 및 기준마련 미흡- 비소 인체노출 평가방법 未정립, 주민노출수준 평가 미흡

    8. 환경오염 민감계층 환경보건 대책

    - 어린이활동공간 환경안전 및 어린이용품 유해물질 관리강화- 어린이 환경보건 출생코호트 착수, 민감집단 생활지침 마련- 민감계층에 대한 유해물질 노출 권고기준 未마련- 노령인구 환경보건 수준, 노인성질환 관련 환경요인 조사 미흡- 학교 내 석면제거 재원확보 등 대책 미흡

    참고 지난 5년간 종합계획 추진과제별 이행결과 평가

  • Ⅰ계획의 개요

    - 9 -

    추진과제 이행결과 평가

    9. 환경오염취약지역 특별대책

    - 건강영향조사 청원 수시접수 및 처리, 제도 기반 마련- 가축매몰구역 환경유해인자 조사, 사후관리 대책 마련 추진- 산업단지 및 폐광지역 건강영향조사 추진- 환경보건 취약지역 목록화 및 우선관리 순위 未도출

    10. 기후ㆍ생태변화 적응 역량 강화 및 알레르기 대책

    - 기후변화 관련 환경보건 기반 未구축, 교육ㆍ홍보 부족- 기후변화에 따른 알레르기 유발인자 관리 대책 未 마련- 생태계 변화에 따른 인수공통감염병 대응체계 未 마련- 한파 등 이상저온으로 인한 건강영향 평가 未실시

    11. 대기ㆍ물환경 및 화학물질 거동변화에 따른 환경보건대책

    - 대기환경 변화에 따른 건강영향평가 미흡, 저감대책 未마련- 물환경 변화에 따른 건강영향평가 미흡, 저감대책 未마련- 화학물질 거동변화에 따른 인체ㆍ생태 영향평가 미흡

    12. 환경보건 법령 및 조직 정비

    - 환경성질환자 피해구제를 위한 환경오염피해구제법 제정(’14)- 화학물질 규제 추세에 걸맞게 화학물질등록평가법 제정(’13)- 석면에 관한 매체통합법인 석면안전관리법 제정(’11)- 목질판상제품 방출 오염물질 사전관리 체계 마련(’15)- 인공조명에 의한 빛공해방지법 제정(’12)- 환경부 화학안전과, 환경청 화학안전관리단, 화학물질안전원 설치 등 환경보건

    행정조직ㆍ연구조직 역량 강화

    13. 위해성 평가 및 관리 체계 구축

    - 개발사업에 대한 건강영향평가 운영기반 확립, 지속 평가- 매체통합 위해성평가 고시 제정, 평가 이행기반 마련- 지역단위 위해성평가 기반 未구축, 위해저감 대책 미흡

    14. 환경보건 연구개발 기반 강화

    - 생활공감 환경보건 연구개발 사업 추진(’12~’21)- 생체시료 중 유해물질 분석방법 마련, 생체시료은행 未미축- 환경보건정보 표준화지침 및 통합관리시스템 未구축

    15. 위해소통 및 환경보건 협력 강화

    - 소식지 발간, 어린이건강포털 운영 등 위해정보 지속제공- 아시아 지역 환경보건 정책선도 및 WHO와의 협력 추진- 환경보건분야 학술단체 지원 및 전문가 DB 구축

    16. 환경보건 전문인력 및산업기반 육성

    - 환경보건분야 전문인력 양성 대책 미흡- 석면, 라돈 서비스업 등 환경보건산업 육성기반 마련 미흡

  • - 11 -

    대내외 여건

  • Ⅱ대내외 여건

    - 13 -

    환경오염ㆍ기후변화 현황 및 전망01

    ❚ 대기질 수준*은 계속 개선되다가, 최근 정체 * 제6차 전력수급계획상 석탄화력발전소 건설시 초미세먼지로 연간 1,144명 조기사망(KEI, ’15.11),

    초미세먼지는 폐 외에도 심장질환 등 여타 건강문제도 함께 유발

    년도 ’05년 ’06년 ’07년 ’08년 ’09년 ’10년 ’11년 ’12년 ’13년 ’14년

    SO2(ppm)

    0.006(0.020)

    0.006(0.020)

    0.006(0.020)

    0.006(0.020)

    0.006(0.020)

    0.005(0.020)

    0.005(0.020)

    0.005(0.020)

    0.006(0.020)

    0.005(0.020)

    NO2(ppm)

    0.022(0.050)

    0.023(0.050)

    0.026(0.030)

    0.026(0.030)

    0.025(0.030)

    0.025(0.030)

    0.024(0.030)

    0.023(0.030)

    0.024(0.030)

    0.024(0.030)

    O3(ppm)

    0.022 0.022 0.022 0.023 0.024 0.023 0.024 0.025 0.026 0.027

    CO(ppm)

    0.6 0.6 0.6 0.6 0.5 0.5 0.5 0.5 0.5 0.5

    PM-10(㎍/m3)

    57(70)

    59(70)

    58(50)

    54(50)

    53(50)

    51(50)

    50(50)

    45(50)

    49(50)

    49(50)

    Pb(㎍/m3)

    0.0517(0.5)

    0.0556(0.5)

    0.0598(0.5)

    0.0577(0.5)

    0.0464(0.5)

    0.0408(0.5)

    0.0443(0.5)

    0.0467(0.5)

    0.0391(0.5)

    0.0304(0.5)

    벤젠(㎍/m3)

    - -1.9(5.0)

    1.8(5.0)

    0.9(5.0)

    1.1(5.0)

    0.9(5.0)

    1.4(5.0)

    1.2(5.0)

    1.5(5.0)

    ※ ( )는 연평균 환경기준치, 출처 : 대기환경연보

    ❚ 다중이용시설 공기질은 초반 개선 추세에서, 최근 정체년도 ’05년 ’06년 ’07년 ’08년 ’09년 ’10년 ’11년 ’12년 ’13년 ’14년

    PM-10(㎍/m3)

    71.3(100~200)

    64.1(100~200)

    64.0(100~200)

    60.6(100~200)

    55.3(100~200)

    48.6(100~200)

    48.5(100~200)

    49.3(100~200)

    48.1(100~200)

    50.7(100~200)

    CO2(ppm)

    540(1,000)

    542.3(1,000)

    544.8(1,000)

    547.5(1,000)

    536.4(1,000)

    505.1(1,000)

    500.0(1,000)

    585.9(1,000)

    563.9(1,000)

    582.4(1,000)

    CO(ppm)

    2.8(10~25)

    2.3(10~25)

    1.9(10~25)

    1.4(10~25)

    1.2(10~25)

    1.0(10~25)

    1.8(10~25)

    1.0(10~25)

    1.0(10~25)

    2.8(10~25)

    폼알데히드(㎍/m3)

    20.1(100)

    24.7(100)

    21.6(100)

    29.6(100)

    24.9(100)

    29.2(100)

    31.2(100)

    22.5(100)

    25.9(100)

    30.2(100)

    총부유세균(CFU/m3)

    344(800)

    361.8(800)

    323.8(800)

    380.1(800)

    405.0(800)

    390.5(800)

    398.5(800)

    531.5(800)

    456.0(800)

    401.3(800)

    ※ ( )는 법적기준치로 시설군별 차등 기준, 출처 : 지방자치단체 지도ㆍ점검 결과

  • 환경보건 10개년 종합계획(2011~2020 수정계획)

    - 14 -

    ❚ 소음 민원은 지속적으로 증가년도 ’05년 ’06년 ’07년 ’08년 ’09년 ’10년 ’11년 ’12년 ’13년 ’14년

    민원건수 28,940 32,800 38,159 44,784 42,400 53,718 56,244 59,148 74,008 89,827

    ※ 출처 : 소음진동관리시책

    ❚ 산단 등 오염우려지역의 토양오염도는 지점별 편차가 큰 수준지점수 구분 Cd Cu As Hg Pb Cr6+ Zn Ni F 유기인 PCB

    2,472

    최소(mg/kg)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최고(mg/kg) 24.894 3309.658 1227.000 13.080 9084.467 10.472 7980.000 481.062 790.900 0.165 0.020

    평균(mg/kg) 0.678 32.230 7.394 0.073 37.405 0.096 124.045 18.564 165.191 0.000 0.000

    ※ ( )는 연평균 환경기준치, 출처 : 환경통계연감

    ❚ 지하수 수질기준 초과율은 예년 수준 지속년도 ’05년 ’06년 ’07년 ’08년 ’09년 ’10년 ’11년 ’12년 ’13년

    조사지점 1,460 1,440 1,459 1,450 1,461 1,478 1,471 1,471 1,458

    초과지점 82 136 113 140 154 113 133 113 93

    초과율(%) 5.6 9.4 7.7 9.7 10.5 7.6 9.0 7.7 6.4

    ※ 출처 : 환경통계연감

    ❚ 21세기에는 지구온난화로 인해 기후변화* 가속화 전망 * 감염병 매개체 분포변화, 꽃가루 및 계절적 분포의 변화에 따른 알레르기 질환 증가, 오존과 관련된 심혈관계

    질병의 유병률과 사망률 증가 등(IPCC, 2014)

    구분현재 기후값(1981~2010)

    21세기 전반기(2011~2040)

    21세기 중반기(2041~2070)

    21세기 후반기(2071~2100)

    평균기온(℃) 11.0 12.4 (12.5) 13.4 (14.4) 14.0 (16.7)

    일최고기온(℃) 16.6 17.9 (18.1) 18.9 (19.9) 19.4 (22.2)

    일최저기온(℃) 6.2 7.7 (7.7) 8.6 (9.7) 9.3 (12.0)

    강수량(㎜) 1,162.2 1,234.3 (1,201.1) 1,283.7 (1,342.1) 1,348.1 (1,366.9)

    폭염일수(일/년) 7.3 8.8 (10.2) 11.1 (15.2) 13.1 (30.2)

    열대야일수(일/년) 2.8 4.1 (5.7) 9.0 (16.6) 13.6 (37.2)

    호우일수(일/년) 2.0 2.3 (2.1) 2.6 (2.8) 2.7 (2.8)

    ※ 저농도시나리오(RCP 4.5)에 따른 전망으로 괄호안은 고농도시나리오(RCP 8.5)에 따른 변화, 출처 : 기상청

  • Ⅱ대내외 여건

    - 15 -

    유해화학물질 현황 및 전망02

    ❚ 유해성 자료가 없는 화학물질의 시장 유통은 지속 전망 • 국내 유통되는 기존 화학물질 44,858종 중에서 8,347종만이 유해성 심사를 거쳤으며, 대다수

    물질은 안전 정보없이 사용 중(’14.12 기준)

    • 화학물질등록평가법이 시행되더라도 모든 화학물질이 등록(’18년까지는 510종 등록)되는 것이 아니므로 유해성 자료 확보에는 오랜 기간 소요

    ❚ 화학물질 유통량은 계속 증가할 것으로 전망 • 화학물질 유통량은 432.5백만톤으로 ’06년 대비 3.5%(14.6백만톤) 증가(’10) • 저유가 추세전망, 경제성장(잠재성장률 1~3%), 화학기업의 성장 등으로 화학물질 유통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

    ❚ 화학물질 배출량은 배출율 감소에도 절대량은 비슷한 수준 유지 전망

  • 환경보건 10개년 종합계획(2011~2020 수정계획)

    - 16 -

    주요 환경성질환 발생현황 및 전망03

    ❚ 환경성질환 발생 지속 증가 추세

    ※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주요통계자료’를 인용, 환경성질환은 아토피피부염, 알레르기비염, 천식에 한함

  • Ⅱ대내외 여건

    - 17 -

    ❚ 생체 내 유해물질 농도는 선진국보다 다소 높은 수준 • 대표적인 중금속인 납은 신경계와 신장손상, 학습장애, ADHD, 지적 능력저하, 언어장애 등의

    원인물질로서 선진국의 약 1.5배 수준

    항목  단위 검출률평 균 농 도

    한국(’12~’14) 미국(’09~’10) 캐나다(’09~’10) 독일(’03~’06)

    연령구분 year %어린이(6~11)

    청소년(12~18)

    성 인(19~)

    6~11 12~19 6~11 12~19 6~8 9~11 12~14

    중금속

    혈액

    납 ㎍/dL 100 1.26 1.11 1.94 0.84 0.68 0.79 0.71 1.73 1.56 1.45

    수은 ㎍/L 100 1.93 1.90 3.11 - 0.53 0.28 0.27

  • 환경보건 10개년 종합계획(2011~2020 수정계획)

    - 18 -

    일반국민ㆍ전문가 인식04

    ※ 일반국민 1,003명, 전문가 8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실시(’15.9.9~10.30)

    ❚ 인지도 일반국민 35%가 ‘환경보건’에 대해 잘 모르거나 처음 듣는다고 답변하여 환경보건분야에 대한 인지도가 여전히 낮았음

    ❚ 정책만족도 정부 대처수준에 대한 만족도는 일반국민이 전문가들에 비해 매우 낮았음 • 일반국민 4%는 정부가 잘 대처해 나가고 있다고 생각하였으며, 24%는 보통, 72%는 미흡하게

    대처하고 있다고 답변

    • 이에 반해, 전문가 13%는 정부가 잘 대처해 나가고 있다고 생각하였으며, 51%는 보통, 36%는 미흡하게 대처하고 있다고 답변

  • Ⅱ대내외 여건

    - 19 -

    ❚ 관심이슈 일반국민은 ‘석면, 중금속, 환경호르몬’을 가장 중요한 이슈로 꼽았으며, ‘실내외 공기오염’을 두 번째로 중요한 환경보건 이슈로 선정

    • 이에 반해, 전문가는 ‘실내외 공기오염’을 가장 중요한 이슈로 꼽았으며, ‘석면, 중금속, 환경호르몬 및 어린이 건강ㆍ보건’을 두 번째로 선정

    일반국민

    석면, 중금속, 환경호르몬 → 실내외 공기오염 → 환경오염 사고, 화학사고 → 소음ㆍ진동, 층간소음 → 수질 위생 → 환경방사능, 전자파, 빛공해 → 아토피 등 환경성질환 → 기후변화에 따른 건강

    전문가실내외 공기오염 → 석면, 중금속, 환경호르몬, 어린이 건강ㆍ보건 → 환경오염 사고, 화학사고 → 위해 우려 제품 → 아토피 등 환경성질환 → 기후변화에 따른 건강 → 소음ㆍ진동, 층간소음

    ❚ 정책우선순위 일반국민은 정책 최우선 순위로 ‘환경성질환 예방 대책 마련’을, 2순위로 ‘환경성질환 조사ㆍ감시 대책 마련’을 선정

    • 이에 반해, 전문가는 최우선 순위로 ‘환경성질환 피해구제 시스템 마련’을, 2순위로 ‘환경성질환 조사ㆍ감시 대책 마련’을 선정

    일반국민

    환경성질환 예방 대책 마련 → 환경성질환 조사ㆍ감시 대책 마련 → 환경오염 건강피해 저감대책 마련 → 민감계층ㆍ취약지역 건강 보호대책 마련 → 유해화학물질 건강피해 저감대책마련

    전문가환경성질환 피해구제 시스템 마련 → 환경성질환 조사ㆍ감시 대책 마련 → 민감계층ㆍ취약지역건강 보호대책 마련 → 유해화학물질 건강피해 저감대책 마련 → 환경성질환 예방 대책 마련

  • 환경보건 10개년 종합계획(2011~2020 수정계획)

    - 20 -

    국제 동향05

    ❚ 국제연합(UN)은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채택(’15.9) • 국제사회는 2030년까지의 국제 개발협력 지침으로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에 합의하고,

    169개 세부목표 중 하나로 환경보건 이슈 채택*

    * By 2030, substantially reduce the number of deaths and illnesses from hazardous chemicals

    and air, water and soil pollution and contamination

    ※ 새천년개발목표(MDGs)가 각국의 자발적인 이행 보고를 권고한데 반해 새 지속가능발전목표는 각국이 의무적으로

    이행과정과 성과를 보고ㆍ평가토록 함

    ❚ IPCC*는 기후변화로 인한 온도, 강수량 및 기타 요인변화가 적응력이 낮은 인구집단의 건강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13)

    * International Panel on Climate Change

    ❚ 전 세계 환경보건분야 정책개발을 주도하는 세계보건기구(WHO)는 15개 주요 환경적 위험요소*에 대해 증거중심의 기준과 지침 마련

    * 실내공기오염, 대기오염, 화학물질안전, 어린이 환경보건, 전자장, 재난응급상황에서의 환경보건, 환경건강영향평가,

    기후변화와 건강, 건강과 환경연계계획, 건강한 생활공간, 전리방사선, 직업보건, 질병의 환경부담 정량화,

    자외선, 수질과 위생

    • 또한, 유엔환경계획(UNEP)과 공동으로 환경보건분야 장관급 회의를 지역별로 진행하는 등 환경보건 이슈를 선도

    ❚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환경전망보고서 2050 발간(’12) • 실내외 공기오염, 유해화학물질 노출에 따른 질병부담을 가장 시급한 문제로 평가, 4개의

    주요 환경적 위험에 대해 2050년 위해도 평가*

    * 미세먼지ㆍ오존 노출, 실내공기오염으로 인한 조기사망, 유해화학물질 노출로 인한 질병부담 증가, 기후변화에

    따른 말라리아 발생 등을 부정적으로 평가

  • Ⅱ대내외 여건

    - 21 -

    ❚ 유럽연합(EU)은 제7차 환경이행계획(2012~2020)에 따라 환경보건을 위한 6개 목표*, 5개 이행방안** 제시

    * 대기질 개선, 소음공해 감소, 음용수와 생활수의 수질고급화, 내분비계장애물질과 생활용품 내 유해물질에

    대한 환경보건위험평가와 최소화, 나노물질 안전문제를 다른 입법과 연계하여 해결, 기후변화 적응

    ** 최신 과학지식을 활용하여 발생원에서 대기오염물질을 제거하고, 소음을 저감하는 기술 반영, 음용수법과

    생활용수법 적용 강화, 화학물질 노출ㆍ독성에 관한 종합적인 지식과 지속가능한 물질 개발, 기후변화

    적응과 재난 위험관리 통합

    • EU 국가간 환경보건 연구 협력을 증진하기 위한 네트워크 설치ㆍ운영 • 환경보건 연구기술개발계획(’07~’13, 약 4천억원)에 따라 기후변화 적응, 전자파 노출, 알레르겐

    건강영향, 나노물질 독성 등의 연구에 투자

    ❚ 미국 환경청(EPA)은 어린이ㆍ노인 건강, 공기질ㆍ수질관리, 유해화학물질ㆍ기후변화에 의한 건강영향 등에 관한 정책과 연구 추진

    • 질병관리본부(CDC)는 환경오염물질에 취약한 민감군에 대한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환경보건 관련 자료를 수집하여 관련 정보 제공

    ❚ 일본은 지역주민 건강상태 모니터링, EU REACH와 유사한 화학물질 관리제도 도입, 출생코호트 추적조사(10만명) 등의 대책을 추진 중이며,

    •「석면에 의한 건강피해 규제 법률」, 「공해건강피해보상법」에 따라 악성중피종 등 석면질환자와 환경성질환 피해자에 대한 보상제도 운영

    • 지역주민 건강상태, 대기오염 모니터링 등의 환경성질환 감시체계 구축

  • 환경보건 10개년 종합계획(2011~2020 수정계획)

    - 22 -

  • - 23 -

    비전과 추진전략

  • Ⅲ비전과 추진전략

    - 25 -

  • - 27 -

    전략별 추진과제

  • Ⅳ전략별 추진과제

    - 29 -

    환경관련 건강피해 조사ㆍ감시 및 환경성질환 예방, 민감ㆍ취약

    계층 건강보호 대책을 마련하고, 피해구제시스템을 정비한다.

    1 환경성질환 예방ㆍ관리 내실화전략

    어린이의 혈중 납농도 환경보건센터 개소수

    1.26㎍/dL 1.11㎍/dL 14개 20개

    2014 2020 2014 2020

    ※ 국민환경보건 기초조사 기준

    환경관련 기준 설정ㆍ검토 물질수 어린이 아토피피부염 환자수

    0개 5개 42만명 35만명

    2014 2020 2014 2020

    ※ 매체통합위해성평가를 거친 물질 기준(’11~’14, 10개 물질)

    ※ 9세 이하 환자수 기준, 건강보험 진료실적 기준

    출생코호트 산모 모집수 환경피해 구제시스템

    기획 10만명 도입 정착

    2014 2020 2014 2020

    ※ 누적인원 기준

  • 환경보건 10개년 종합계획(2011~2020 수정계획)

    - 30 -

    과제1 꼼꼼한 환경보건 조사ㆍ감시 체계 마련

    과제1-1 국민환경보건 기초조사 개선

    - 국민 체내 유해물질농도 조사 위주에서 환경유해인자와 환경성질환간

    상관성 분석 중심의 원인탐색 기능을 보완토록 개선

    과제1-2 환경 관련 역학조사ㆍ건강영향조사 개선

    - 조사결과가 사법부, 피해구제 등의 판단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조사 방법ㆍ절차 개선, 관련 규정 마련

    과제1-3 화학ㆍ환경오염사고 후 영향조사 체계화

    - 영향조사 방법ㆍ절차 등을 규정한 지침을 마련ㆍ운영하고,

    건강영향조사 거점병원 지정, 조사기법ㆍ판단기준 등 개발

    과제1-4 환경보건지표 개발ㆍ활용

    - 환경보건지표를 도입하여 국가 환경보건정책 및 우선 순위를 도출하고

    환경보건의 바로미터로 활용

    과제1-5 환경보건센터 기능 강화

    - 새로운 질환과 환경유해인자 노출을 연구하는 환경보건센터를 추가 지정하고,

    환경보건센터간 연계 연구 강화

  • Ⅳ전략별 추진과제

    - 31 -

    국민환경보건 기초조사 개선01

    ❚ 현황 및 문제점 • 환경보건법에 따라 환경유해인자의 생체 내 농도, 환경유해인자로 인한 건강피해, 환경성질환

    발생현황 등 국민환경보건에 관한 실태조사 추진 중

    - 제1기(’09~’11), 제2기(’12~’14) 조사 완료, 제3기 조사 시작(’15~’17)

    ※ 기초조사는 국가승인통계 조사(제10627호)로 국가 대표값으로 공표 中

    • 그간 조사는 국민 체내 환경유해인자 노출 수준 확인에 치중하여 환경유해인자로 인한 건강피해 현황, 환경성질환의 발생현황 조사 등 부족

    ❚ 세부 추진계획 • 제3기 국민환경보건 기초조사 추진(’15~’17)

    (조사대상) 우리나라에 거주하는 만3세 이상 국민

    (조사인원) 약 5,500명(성인 : 3,500명, 어린이ㆍ청소년 : 2,000명)

    (조사내용)

    - 실내외 생활환경, 생활습관요인 등 노출요인 설문조사

    - 신체계측, 임상검사, 혈액 및 소변 중 환경유해인자 분포 수준 파악

    (수행기간) ’15.1.1 ~ ’17.12.31

    - (기획) 주요 조사도구(설문 등) 개발 및 표본설계ㆍ추출

    - (현지조사) 시ㆍ공간적 분포 및 변화를 고려하여 층화 및 사계절 포함

    - (자료분석) 생체시료 환경유해인자 분석, 설문조사와 노출수준과의 상관성 등

    (소요예산) 총 4,000백만원

  • 환경보건 10개년 종합계획(2011~2020 수정계획)

    - 32 -

    • 국민환경보건 기초조사 개선방안 마련(’16~’17) - 기초조사는 생체 내 유해물질 농도, 설문조사 이외에도 환경유해인자 현황 및 노출실태, 환경성질환

    발생현황 등도 병행 조사*

    * 인체내 유해물질 농도 조사 위주에서 환경유해인자와 환경성질환간 상관성 분석 중심의 원인규명 탐색

    기능을 보완토록 개선

    - 관계기관 보유자료*를 공동 활용하여 기초조사의 충실성 제고

    * (복지부) 요양급여, 건강검진, 의료급여, 암정보 자료, (교육부) 건강검사기록, (고용부) 산업재해보상보험급여,

    (통계청) 직업, 질병, 사인 자료 등

    - 웹기반 조사ㆍ관리시스템을 구축하고, 조사내용에 환경유해인자ㆍ환경성질환 등에 대한 전반적인

    실태를 파악토록 지침서 마련

    ※ 환경부가 직접 주관하고, 환경과학원 등 관계기관에서 지원토록 체계 개선

    • 기초조사에 따른 정밀조사 실시 기준 마련(~’17) - 생체 시료 중 유해물질 농도*가 환경보건위원회에서 심의한 기준 이상인 경우 노출원, 노출경로

    등을 파악하기 위한 정밀조사 실시 의무화

    * (외국사례) 혈액 내 수은 농도가 2㎍/dL 이상(WHO 노출기준), 소변 내 카드뮴 농도가 5㎍/dL 이상(독일

    인체모니터링위원회 노출기준)

    - 정밀조사 결과에 따라 필요시 의학적 조치 등을 강구토록 규정화

    • 조사결과의 다양한 공개방법 마련을 통한 활용성 제고 - 조사 결과는 언론보도ㆍ국가 대표값 공표(국민중심), 원시자료(학계중심), 국가 보고서(정부ㆍ부처중심)

    형태 등 수용자 맞춤형 공개전략 마련

    • 전문가 협력 네트워크 구축 및 포럼 운영(’16~’20) - 국제적 수준의 환경보건 기초조사 사업으로 발전시키기 위해 각계 전문가로 구성된 ‘국민환경보건

    기초조사 포럼’ 구성ㆍ운영

  • Ⅳ전략별 추진과제

    - 33 -

    그룹 유해물질명 약어 검체 제1기 제2기 제3기

    유해금속류

    납 Pb혈액

    ○ ○ ◎

    망간 Mn ○ × ×

    수은 Hg 혈액/소변 ○ ○ ◎

    카드뮴 Cd소변

    ○ ○ ○

    비소 As ○ × ×

    PAHs 대사체

    1-하이드록시피렌 1-OHP

    소변

    ○ ○ ○

    2-나프톨 2-NAP ○ ○ ○

    1-하이드록시페난트렌 1-OHPhe × ○ ○

    2-하이드록시플루오렌 2-OHFlu × ○ ○

    환경성 담배연기 코티닌 COT 소변 ○ ○ ○

    환경성 페놀류

    비스페놀 A BPA

    소변

    ○ ○ ○

    비스페놀 F BPF × × ●

    비스페놀 S BPS × × ●

    메틸-파라벤 MP × × ●

    에틸-파라벤 EP × × ●

    프로필-파라벤 PP × × ●

    트리클로산 TCS × ○ ○

    참고 제1~3기 국민 환경보건 기초조사 개요구분 제1기(’09~’11) 제2기(’12~’14) 제3기(’15~’17)

    수행체계 한국환경보건학회 국립환경과학원 국립환경과학원

    조사대상자 만19세 이상 만19세 이상 만3세 이상

    조사구 350개 조사구(6,311명) 400개 조사구(6,478명) 416개 조사구ㆍ기관(5,523명)

    표본추출단위 인구주택총조사 인구주택총조사(어린이ㆍ청소년)보육ㆍ교육기관조사

    (성인)인구주택총조사

    고려사항 지역분포 고려 지역분포, 계절 고려 지역분포, 계절 고려

    현지조사기간 ’09.08~’11.06 ’12.06~’14.05 ’15.08~’17.07

    설문조사 노출관련설문 노출관련설문노출관련설문

    환경보건 인식도조사

    임상검사 - 19종 16종

    유해물질 분석 16종 21종 26종

  • 환경보건 10개년 종합계획(2011~2020 수정계획)

    - 34 -

    그룹 유해물질명 약어 검체 제1기 제2기 제3기

    프탈레이트 대사체

    모노(2-에틸-5-하이드록시헥실)프탈레이트 MEHHP

    소변

    ○ ○ ○

    모노(2-에틸-5옥소헥실)프탈레이트 MEOHP ○ ○ ○

    모노(2-에틸-5-카르복시펜틸)프탈레이트 MECPP × ○ ○

    모노부틸프탈레이트 MnBP ○ ○ ○

    모노벤질프탈레이트 MBzP × ○ ○

    모노(카르복시옥틸)프탈레이트 MCOP × × ●

    모노(3-카르복시프로필)프탈레이트 MCPP × × ●

    모노(카르복시노닐)프탈레이트 MCNP × × ●

    피레스로이드 농약류

    3-페녹시벤조익산 3-PBA 소변 ○ ○ ○

    휘발성 유기화합물 대사체

    뮤콘산 t,t-MA

    소변

    ○ ○ ○

    히퓨릭산 HA ○ ○ ×

    만델산 MA ○ ○ ×

    메틸히퓨릭산 MHA ○ ○ ×

    페닐글리옥실산 PGA ○ ○ ×

    N-Acetyl-S-(benzyl)-L-cystein SBNAC × × ●

    ● : 제3기 신규 관찰물질(8종)◎ : 어린이(영ㆍ유아, 초등학생)의 경우 혈액 미채취에 따라 분석불가

  • Ⅳ전략별 추진과제

    - 35 -

    환경 관련 역학조사ㆍ건강영향조사 강화02

    ❚ 현황 및 문제점 • 환경유해인자와 환경성질환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고 개인에 대한 피해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역학조사ㆍ건강영향조사 근거 마련(’08.3)

    • 역학조사ㆍ건강영향조사 결과는 피해구제와 연계되어 사법부 판단의 중심자료로 작용함에도 실질적 활용에 한계

    ❚ 세부 추진계획 • 빅데이터를 구축하여 역학조사ㆍ건강영향조사 자료 확보 - 국민건강보험 요양급여ㆍ건강검진 자료와 같이 관계기관이 보유한 자료 중 조사에 필요한 자료를

    찾아 연계ㆍ공유ㆍ활용

    • 선택비뚤림 개입방지 등 역학조사의 과학성, 신뢰성 제고를 위하여 조사ㆍ대조지역 선정방법 등 개선(~’18)

    - 오염원과 건강피해의 역학적 조건* 충족여부를 우선적으로 검토

    * 시간적 선후관계, 용량-반응 관계, 가역성, 생물학적 개연성

    - 표본조사를 위해 지역주민 개인정보 확보, 보호가 가능토록 규정 마련

    • 환경보건 법령 개정 및 세부지침 마련(~’18) - 조사에 포함되는 내용, 방법, 절차 등을 환경보건법 하위법령에 반영

    - 조사반의 구성ㆍ운영, 전문위원회 구성ㆍ운영, 조사절차, 조사방법ㆍ항목, 결과보고ㆍ평가 등을

    구체화한 세부지침 제정

  • 환경보건 10개년 종합계획(2011~2020 수정계획)

    - 36 -

    화학ㆍ환경오염사고 후 영향조사 체계화03

    ❚ 현황 및 문제점 • 화학사고 발생시 유역(지방)환경청은 ‘화학사고 조사단’을 현장에 파견하여 주민건강 및 환경에

    대한 영향조사를 실시할 수 있는 체계 도입

    • 환경오염사고 후 영향을 체계적으로 조사할 수 있는 체계는 미구축 • 그러나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조사체계, 조사기법과 절차, 판정 기준 마련 등은 미비한 실정

    ❚ 세부 추진계획 • 화학사고 후 영향조사에 관한 지침 마련 - ‘화학사고 조사단 구성ㆍ운영 및 영향조사에 관한 지침’ 제정(~’16)

    ※ 영향조사 실시기준, 조사단 구성ㆍ운영, 영향조사 계획 수립, 피해 산정 등을 구체화

    • 화학사고 외의 대형 환경오염사고에 따른 영향조사 체계 구축 • 체계적인 영향조사를 실시하기 위한 조사체계 구축, 기법개발, 판정기준 마련 - 유역(지방)환경청별로 사고유형별 건강영향조사 거점병원, 전문가 명단을 확보하여 사고 발생시

    신속히 대비

    - 생태계, 대기, 토양 등 환경에 미치는 영향평가*와 농작물 등 재산 피해규모를 산정하는데 필요한

    기술을 개발하여 사고 발생시 적용

    * 화학사고는 장외영향평가, 위해관리계획과 연계ㆍ환류할 수 있는 체계 마련

  • Ⅳ전략별 추진과제

    - 37 -

    환경보건지표 개발ㆍ활용04

    ❚ 현황 및 문제점 • 국민의 환경보건 상태를 측정ㆍ평가하고, 환경보건 정책에 활용하기 위한 환경보건지표 개발

    필요

    • 국제보건기구(WHO)는 환경위험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저감하기 위한 정책 및 우선순위 도출을 위해 환경성질환부담*(EBD) 도입

    * 환경성 위험요인으로 기인한 질병의 부담을 측정하는 것으로 환경성 위해 결과로 발병한 질병으로 인해

    손실된 연수를 구하고자 하는 것

    ❚ 세부 추진계획 • 환경보건지표 개발 및 산출(~’17) ※ 환경보건지표 개발 연구사업 자료 검토ㆍ보완하여 활용(’13~’15, 국립환경과학원)

    - WHO에서 개발된 EBD 평가 방법론과 국내 환경성질병 특성 등을 고려하여 우리나라 현실에 적합한

    환경보건지표 도입방안 마련

    - 전국, 지역 단위별로 국민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유해인자의 노출실태, 관리 현황 등이 지수화되도록

    세부지표 개발

    • 환경보건지표 활용(’18~) - 환경보건지표를 주기적으로 산정하여 환경요인별 기여위험도를 확인하고, 국가 환경보건 정책목표

    달성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으로 활용

    - 환경보건지표의 평가주기, 공표 등 운영절차를 마련하고, 지표의 사후관리 강화를 위한 지표별

    환류시스템 구축

  • 환경보건 10개년 종합계획(2011~2020 수정계획)

    - 38 -

    참고 환경보건지표 개발 각국 동향❙ 유럽연합(EU) - 환경보건전략 실행계획(European Environment and Health Action Plan, 2004~10년) 내 사업으로서

    DPSEEA(Driving Force-Pressure-State-Exposure-Effect-Action) 모델을 적용한 환경보건지표 개발 포함

    - 자료의 가용성, 데이터 질, 비교가능성, 정책연관성 등을 평가하여 즉각적인 실행을 위해 추천되는 지표

    17개를 유럽공동체 핵심환경보건지표로 선정하여 활용 추진

    • 대기 : ① 대기오염물질 노출인구 ② 담배연기 노출 저감을 위한 정책 존재유무 • 주거 : ③ 주거밀집도 ④ 실내의 습기 및 곰팡이 번식 ⑤ 주거위생

    ⑥ 주거지역 범죄발생과 인식 ⑦ 극단적 기온에 의한 사망

    • 소음 : ⑧ 다양한 수준의 소음 노출 인구 ⑨ 소음노출 저감을 위한 정책 존재유무 • 교통 : ⑩ 도로 교통사고에 의한 사망 ⑪ 도로교통에 의한 상해 • 폐기물ㆍ상하수도 : ⑫ 안전한 식수를 공급받는 인구 • 화학물질 안전 : ⑬ 토지이용계획에 관한 규제조건 존재유무 ⑭ 화학물질 사고 등록

    ⑮ 화학물질 사고에 대한 정부의 준비상태

    • 방사선 : ⑯ 악성흑색종의 발병률 ⑰ 효과적인 방사능 모니터링 체계의 존재

    ❙ 미국 - 국립환경보건센터(NCEH)를 중심으로 환경공중보건지표를 개발하여 환경과 관련된 건강상태나 건강위험성을

    평가하는데 활용

    - 환경보건지표 개발은 PSR(Pressure-State-Response) 모델 기반으로 4가지 범주(유해성지표, 노출지표,

    건강영향지표, 중재지표)에 해당하는 지표 발굴ㆍ개발

    • 유해성지표 : 오염물질이나 해로운 상황에 노출될 가능성이 확인된 상태 또는 행동 (예: 자동차 연소물질, 담배연기)

    • 노출지표 : 개인에게 건강피해를 줄 수 있는 물질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는 생체 내 생물학적 표지 (예: 생체내 유해물질 농도)

    • 건강영향지표 : 알려져 있는 환경유해인자의 노출로 인해 해로운 영향을 입증할 수 있는 질병 또는 상태(예: 납중독)

    • 중재지표 : 유해성, 노출, 건강영향을 최소화하는 프로그램 또는 정책

  • Ⅳ전략별 추진과제

    - 39 -

    환경보건센터 기능 강화05

    ❚ 현황 및 문제점 • 현재 14개의 환경보건센터 및 환경보건센터연합회 운영 中 • 하지만, 기존 센터만으로는 늘어나는 환경보건 수요에 대응하기 어렵고, 개별적인 연구로는

    체계적인 연구에 한계

    ❚ 세부 추진계획 • 환경보건센터 지정 확대(’16~), 지정제도 개선 - 노인성질환 등 새로운 질환과 환경유해인자 노출을 연구할 수 있도록 환경보건센터를 신규로 지정

    - 센터별 지정기간 부여(5년 이내), 재지정을 받지 못하면 당연 취소

    • 환경보건센터간 연계 연구 강화(’16~) - 센터별 연구과제, 중장기 연구과제 등을 총괄ㆍ조정하여 환경보건센터간 연계하여 대표성 있는

    연구 추진

    • 환경보건분야 학술, 정책자료 및 연구 통합 관리(’16~) - 환경보건센터연합회, 국립환경과학원, 한국환경산업기술원간 연구업무 총괄ㆍ조정 강화

    - 환경보건센터 생산정보 및 환경보건 R&D 과제결과 등을 취합ㆍ통합 관리할 수 있는 체계 마련

    - 각종 환경보건분야 자료를 통합 분석하여 ‘국가 환경보건 자료집’ 형태로 정기적으로 발간

  • 환경보건 10개년 종합계획(2011~2020 수정계획)

    - 40 -

    참고 환경보건센터 지정현황(’15.8월 현재)분 야

    (지정일자)주관기관(소재지)

    주요사업 내용

    소아발달장애(2007.6.25)

    단국대 의료원(천안)

    - 환경요인에 의한 소아발달장애 등 정신질환 예방ㆍ관리- 생체시료은행 구축 및 질환특성에 따른 부모교육

    아토피피부염(2007.6.25)

    삼성서울병원(서울)

    - 아토피피부염의 특성 연구, 아토피유발 검사실 운영- 환자의 영양, 신체, 심리평가ㆍ분석

    천 식(2007.6.25)

    고려대 안암병원(서울)

    - 전국 대상 천식 유발 환경 요인 연구 및 천식 예방- 특이성 분석 및 홈페이지를 통한 질환관련 정보 제공

    선천성기형(2008.6.19)

    서울대 의과대학(서울)

    - 출산 전ㆍ후 육체적 질환 예방ㆍ관리 연구- 선천성기형 발생과 주변 환경인자와의 상관관계 규명

    알레르기질환(2008.6.19)

    인하대 병원(인천)

    - 알레르기질환 발생현황과 환경요인 연구 및 예방- 알레르기질환 예방 및 교육홍보 가이드 개발

    소아암(2008.6.19)

    화순전남대 병원(화순)

    - 환경요인에 의한 백혈병 등 소아암 예방 연구- 발암물질 유전자에 대한 기능이상 및 유전변이 분석

    아토피피부염/비염(2008.6.19)

    제주대 의학전문대학원(제주)

    - 도서지역 알레르기질환 발생현황과 환경요인 연구 및 예방- 아토피피부염, 알레르기 비염 예방 교육ㆍ홍보

    유류유출오염(2008.7.1)

    태안보건의료원(태안)

    - 유류에 의한 환경역학 조사ㆍ연구, 통계ㆍ자료관리- 건강검진, 의료서비스 및 사회심리 연구

    아토피질환(2009.3.22)

    울산대학교 병원(울산)

    - 도시내 공단인근, 내륙주거, 연안주거별 아토피질환 특성 연구 및 예방

    자연방사능(라돈)(2010.7.29)

    연세대 원주캠퍼스(원주)

    - 라돈에 따른 폐암 등 환경성질환 예방ㆍ관리 강화- 폐질환과 환경요인과의 상관성 조사연구

    호흡기질환(2012.4.6)

    강원대학교병원(춘천)

    - 호흡기질환과 환경요인과의 상관성 조사연구- 관련정보 제공 및 교육ㆍ홍보 등

    중금속 노출(2012.10.26)

    동아대학교(부산)

    - 중금속 노출과 건강영향과의 상관성 조사연구- 관련정보 제공 및 교육ㆍ홍보 등

    유해가스 (2013. 5.20)

    순천향대 구미병원(구미)

    - 유해가스 노출과 건강영향과의 상관성 조사연구- 관련정보 제공 및 교육ㆍ홍보 등

    유해화학물질 노출(2015.5.12)

    서울아산병원(서울)

    - 가습기살균제로 인한 건강피해 체계적으로 조사ㆍ연구- 피해자에 대한 건강 모니터링, 인과관계 조사ㆍ연구

  • Ⅳ전략별 추진과제

    - 41 -

    과제2 환경성질환 예방 대책 강화

    과제2-1 환경성질환 분류체계 확립

    - 질환별 환경기여도를 평가하여 환경기여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질환부터

    환경성질환으로 재분류하고 대응대책 마련

    과제2-2 통합위해성평가 및 환경기준 설정

    - 통합위해성평가 수행 물질에 대한 환경기준 설정 시범사업을 추진하고,

    통합위해성평가를 활용한 환경기준 설정 플랫폼 구축

    과제2-3 지역사회 환경보건 기반 마련

    - 환경보건 이슈 해결능력이 미흡한 지자체에 대해 환경보건 대책 수립을

    지원하고, 국비ㆍ지방비 매칭 환경성질환 예방사업 추진

    과제2-4 음식물에서 기인하는 위해요소 관리

    - 어패류 내 유해물질을 모니터링하고, 오염지역에서 생산된 농산물 등에

    대해 위해수준 평가, 필요시 관리대책 마련

    과제2-5 제품에서 기인하는 위해요소 관리

    - 제품에서 기인하는 집먼지, 배출공기, 전이물질, 생태계교란물질 등의

    위해요소를 확인하고, 실태 파악 및 관리제도 마련

  • 환경보건 10개년 종합계획(2011~2020 수정계획)

    - 42 -

    환경성질환 분류체계 확립01

    ❚ 현황 및 문제점 • 환경성질환은 환경유해인자와 상관성이 있다고 인정되는 질환으로서 환경보건위원회 심의를

    거쳐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질환

    ※ 수질오염물질 기인 질환, 화학물질 기인 중독증ㆍ신경계/생식계질환, 석면폐질환, 환경오염사고로 인한

    건강장해, 대기ㆍ실내공기질 기인 호흡기/알레르기 질환, 가습기살균제로 인한 폐질환

    • 그간 아토피, 천식, 알레르기비염 중심으로 환경보건정책이 추진되어 왔으며, 환경성질환에 대한 전체적인 예방ㆍ관리 대책 부족

    ❚ 세부 추진계획 • 환경성질환 분류체계 확립(’16~’18) - 질환의 환경기인 여부 및 환경기여도를 평가하여 목록화하고, 환경기여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질환은

    환경성질환으로 재분류

    ※ 성장발육/내분비계장애, 사회성/정서발달 장애 등 폐질환 이외의 질병 고려

    - 관계기관 자료, 자체조사를 통해 환경에서 기인한 모든 질환에 대해 위험노출인구, 질환자수, 지역분포

    등을 분석, 정책자료로 활용

    • 환경성질환별 예방ㆍ관리 대책 마련(~’19) - 질환별 유발, 악화에 영향을 주는 환경유해인자 조사 및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질환특성에 맞는

    환경유해인자 저감 등 예방관리사업 추진

    - 환경성질환별로 예방ㆍ관리 가이드라인을 개발ㆍ보급하고, 예방ㆍ치유ㆍ체험 프로그램*과 저소득층

    지원방안 마련

    * 환경성질환예방관리센터 교육 프로그램, 국립공원과 연계한 자연치유 프로그램, 환경보건콘서트, 환경보건

    이동학교 등

  • Ⅳ전략별 추진과제

    - 43 -

    참고 질환별 환경기여도(출처 : WHO)

  • 환경보건 10개년 종합계획(2011~2020 수정계획)

    - 44 -

    통합위해성평가 및 환경기준 설정 02

    ❚ 현황 및 문제점 • 현행 환경법상 환경기준, 배출허용기준은 매체별 환경영향, 위해도에 근거하여 설정됨에 따라

    상대적으로 매체통합적 접근 부족*

    * 타 매체로부터의 영향을 고려하지 않아 과잉 노출수준을 ‘기준’으로 설정할 우려가 있는 바, 위해도를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기준 설정 필요

    • 그간 위해성평가 근거규정* 마련, 물질별** 통합위해성평가 등을 추진하였으나, 환경기준 설정 등의 매체관리 정책 환류에는 한계

    * 환경유해인자의 위해성평가를 위한 절차와 방법 등에 관한 지침(환경부 예규)

    ** (’11년) 벤젠, 톨루엔 (’12년) 폼알데하이드, 프탈레이트, 테트라클로로에틸렌, (’13년) 비스페놀-A, PBDEs,

    (’14년) 납, 비소, 카드뮴

    ❚ 세부 추진계획 • 시범사업 실시(’15~’18) - 통합위해성평가를 수행한 旣 물질에 대해 현행 환경법상 환경 관리기준의 적정성을 검토하고, 환경기준,

    배출허용기준 제시

    ※ 환경농도, 배출허용기준 설정시 배출저감기술 수준, 경제적 편익 동시 검토

    • 통합위해성평가를 활용한 환경기준 설정 플랫폼 구축(~’18) - 환경정책기본법상 환경기준*, 대기환경보전법ㆍ수생태법ㆍ토양환경보전법상 배출허용기준 설정절차,

    방법 등을 체계화

    * 환경정책기본법에 절차 등 마련

    • 특정 오염도가 높은 지역에 대해 지역기준 설정 등 방안 마련

  • Ⅳ전략별 추진과제

    - 45 -

    참고 매체통합적 환경기준 설정체계(안)❙ 환경기준 검토과정

    ❙ 매체별 최대허용농도 산정과정

  • 환경보건 10개년 종합계획(2011~2020 수정계획)

    - 46 -

    지역사회 환경보건 기반 마련03

    ❚ 현황 및 문제점 • 지역별로 지리적, 환경적, 사회ㆍ경제적, 인구학적 특성이 달라 환경보건 이슈와 환경성질환

    발생 양태가 상이

    • 지역사회는 환경보건 이슈에 대한 해결능력이 매우 미흡한 수준 ※ 미국은 지역사회 특성에 기반을 둔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CARE(Community Action for a Renewed

    Environment) 프로그램을 2005년부터 운영 중

    ❚ 세부 추진계획 • 지자체별 환경보건대책 수립 지원(’16~’19) - 지역별 환경보건 이슈를 검토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책 도출

    - 환경보건법을 개정, 광역지자체에 대해 환경보건대책 수립 의무화

    • 지역 환경보건 문제 해결을 위한 거버넌스 구축(’16~’19) - 정부, 지자체, 사업자, 대학, 시민사회, 주민이 참여하는 협의체 구성

    - 지역별로 지정된 환경보건센터를 활용하여 지역사회 서비스 강화

    - 환경보건센터, 환경성질환예방관리센터, 지역보건소, 국립환경과학원, 보건환경연구원간 실질적 연계ㆍ

    협력방안 마련

    • 국비ㆍ지방비 매칭 환경보건 개선사업 발굴 - 환경보건 기준에 미달한 장소, 시설에 대한 개선사업을 지자체에서 추진하고, 환경부는 사업이

    효과적으로 되었는지 평가ㆍ환류

  • Ⅳ전략별 추진과제

    - 47 -

    음식물에서 기인하는 위해요소 관리04

    ❚ 현황 및 문제점 • 중금속, 유해화학물질 등의 환경유해인자는 대기, 물, 토양 등 환경매체뿐만 아니라, 농산물,

    어패류* 등의 음식물 형태로도 인체에 유입

    * 혈중수은농도(3.11㎍/L, ’12~’14)는 선진국에 비해 4~5배 높은 수준이고, 어패류 섭취가 주요원인으로

    추정됨, 전통적으로 상어고기를 섭취하는 특정지역이 높은 수준을 보임

    • 또한, 오염지역에서 생산된 음식물을 섭취하는 과정에서 유입될 수 있기 때문에 위해요소로서 철저한 관리 필요

    ❚ 세부 추진계획 • 어패류 내 유해물질 모니터링 - 어패류 체내 유해물질(수은, 내분비계교란물질 등) 농도를 주기적으로 조사

    - 하천 등 생태계 내 존재하는 중금속으로 인한 건강영향 저감을 위해 환경 중 관리기준 마련 및

    필요시 어패류 섭취 권고기준(안) 마련

    - 유해물질의 고노출, 생물농축으로 인한 영향이 큰 지역을 대상으로 배출원 관리, 건강영향조사

    등 관리대책 수립

    • 오염우려 농산물 위해수준 평가 및 모니터링 - 오염지역에서 생산된 농산물 등에 대해 위해수준을 평가하고, 필요시 관리대책 마련

    • 건강영향조사 결과, 위해성이 높은 지역에 대해서는 해당 지역에서 생산된 식품 등에 포함된 유해물질의 노출경로 평가 및 대책 마련

  • 환경보건 10개년 종합계획(2011~2020 수정계획)

    - 48 -

    제품에서 기인하는 위해요소 관리05

    ❚ 현황 및 문제점 • 진공청소기 등에서 배출되는 공기, 신체접촉이 높은 제품의 유해물질 피부전이, 전자제품에서

    발생하는 집먼지에 대한 건강 우려 증대

    • 제품에 포함된 물질*이 환경으로 배출되어 생태계를 교란하고 먹이사슬을 통해 인간에게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우려 목소리 상존

    * (사례) ’08년 美 워싱턴에서 개최한 마이크로플라스틱의 영향력에 관한 국제연구 워크샵에서 마이크로비드가

    해양환경에 문제를 초래하고 있다고 지적

    ❚ 세부 추진계획(관계부처와 협업ㆍ협력) • 제품별 위해요소 확인(’16~’19) - 진공청소기, 공기청정기의 경우 성능, 환경질 개선효과 등을 비교 분석하고, 환경보건 측면에서

    국민건강 위해요소가 없는지 확인

    - 피부를 통한 유해물질 노출량 확인을 위해 유해물질 전이량 분석기법을 확립하고, 장판, 의류 등

    제품에 대한 전이량 분석 실시

    - 전자제품에서 발생하는 집먼지가 건강에 미치는 위해 수준 파악

    - 화장품 등에 들어있는 스크럽제(미세플라스틱구슬)의 환경 위해수준 파악

    • 제품 판매ㆍ사용 실태 파악 및 관리제도 마련(~’20) - 건강상, 환경상 위해 가능성이 높은 제품의 분류체계를 마련하고, 관련 제품의 판매ㆍ사용 현황

    조사

    - 위해요소가 확인된 제품에 대해서는 관리제도 마련, 정보 공개

  • Ⅳ전략별 추진과제

    - 49 -

    과제3 민감계층ㆍ취약지역 건강 보호

    과제3-1 어린이 환경안전 관리 강화

    - 어린이활동공간 내 환경유해인자에 대한 환경안전관리기준을 개선하고,

    어린이용품 내 관리대상 환경유해인자 지정 확대

    과제3-2 어린이 환경보건 출생코호트 추진

    - 장기간에 걸친 추적조사(’15~’36)로 환경유해인자 노출과 질환과의

    관련성 입증, 성장단계별 환경보건 예방ㆍ관리방안 마련

    과제3-3 노령 인구 환경보건 대책 마련

    - 지역ㆍ계층별 노령인구의 환경보건 수준, 노인성질환 관련 환경요인을

    조사하고, 노인성 질환 환경보건 대책 마련

    과제3-4 환경보건 취약지역 관리 개선

    - 환경보건 취약지역을 전수 조사하여 관리대상으로 목록화하고,

    청원에 따른 건강영향조사 後 조치 강화

    과제3-5 학교 환경보건 대책

    - 학교 석면건축물 개선대책에 따라 단계적으로 석면을 해체ㆍ제거하고,

    교실 내 공기질 및 음용수 수질검사 강화

    과제3-6 개발사업에 대한 건강영향평가(HIA) 개선

    - 전략환경평가 대상 포함, 스코핑강화 등 건강영향평가 절차를 개선하고,

    배경농도 초과지역 사후관리 강화

  • 환경보건 10개년 종합계획(2011~2020 수정계획)

    - 50 -

    어린이 환경안전 관리 강화01

    ❚ 현황 및 문제점 • 어린이활동공간* 환경안전관리기준 설정(’09.3~) 및 환경안전관리기준 확인검사 제도 도입

    (’14.9.25 시행)

    * 전체 126,057개소 : 어린이놀이시설(62,054개소), 어린이집(58,515개소), 유치원(8,572개소), 초등학교

    (6,247개소), 특수학교(157개소), 초등학교 도서관(5,488개소)

    • 어린이용품 환경유해인자 사용 제한ㆍ금지(’13.9~) 및 어린이용품 유해인자 표시제도 도입(’15.1.1 시행)

    • 어린이활동공간 지도점검 실효성 미흡 - 지자체ㆍ교육청에서 ’10~’14년간 28천개소를 점검하였으나, 장비ㆍ인력 부족으로 위반사항 적발건수는

    240건(0.86%)에 불과

    ※ 현장 측정장비 미비, 시료채취 등에 전문적ㆍ기술적인 지식이 필요하여 행정공무원이 직접 수행하기

    어려움

    ❚ 세부 추진계획 • 어린이활동공간 환경안심인증제도 도입 및 활성화(’15~) - 시범사업(’15), 인센티브 부여로 확대 시행

    - 안심환경 인증제도 도입을 위한 법적 근거와 인증을 받은 어린이활동공간에 대한 기술ㆍ행정적

    지원 방안 마련

    • 법적용 유예시설, 비법정 어린이활동공간에 대해 환경안전관리기준 준수 유도 - 무료 환경안전진단 사업으로 기준 준수 여부를 확인하고 개선 독려

    ※ ’18년 적용시설에 대한 진단 완료(’16년 14,000개소,’17년 14,000개소)

  • Ⅳ전략별 추진과제

    - 51 -

    • 어린이활동공간 환경안전관리기준 개선(’16~) - 어린이활동공간의 적용범위를 학원, 놀이방 등으로 확대를 검토하고, 스쿨존 등 관리 사각지대

    해소

    - 어린이활동공간 내에서 석면, 실내공기, 라돈, 소음, 먹는물, 곰팡이, 미생물 등에 대한 관리규정을

    환경안전관리기준으로 통합

    - 어린이활동공간 외부에서 유입되는 소음, 유해물질 등 환경유해인자의 노출저감을 위한 기준*을

    환경안전관리기준에 포함

    * 오염원과의 이격거리, 창문위치, 방음벽설치방법, 환기시설설치기준 등

    • 어린이활동공간 지도ㆍ점검 강화, 기준준수 여부 정보제공 ※ 2020년까지 2년 1회 이상 지도ㆍ점검이 이루어지도록 효율성 제고

    - 지자체, 교육청에 전문 검사기관을 활용한 인력ㆍ장비 지원 확대(현행 5,000개소 → 10,000개소)

    - 중복점검 방지 및 시설소유자 부담완화를 위하여 유관부서 협업으로 어린이 관련법령 사항* 통합

    점검

    * 학교보건법, 영유아보육법(어린이집), 환경보건법, 실내공기질관리법, 석면안전관리법

    - 정보공시제도 등을 활용하여 기준준수 여부에 관한 정보 제공

    • 어린이용품 내 환경유해인자 관리 강화 - 시중에 유통 중인 어린이용품별 환경유해인자 실태를 조사하고, 기준을 초과한 용품은 판매차단

    및 리콜, 정보공개 조치

    - 국제적 이슈물질, 유독물질을 우선 검토하여 현행 4종(노닐페놀 등 4종)인 어린이용품 내 사용

    제한 물질 지정 확대*

    * 위해성평가 결과, 기준초과 환경유해인자 중심으로 확대(’20년까지 15종 이상)

    - 시장조사를 거쳐 추가 관리대상 어린이용품을 발굴하고, 어린이용품 판단 지침 마련 등 규정 정비

    추진

    ※ 현재 환경보건법에 따른 유해성평가 및 표시 대상 어린이제품군은 93개

    - EU 등 선진국의 규제 실태, 알레르기 등 신규 환경성질환 원인 물질 조사 등을 거쳐 135종의

    현행 위해성평가 대상 물질 확대 검토ㆍ추진

    ※ 규제 강화로 사용금지(제한)되고 있는 물질은 대상에서 제외

  • 환경보건 10개년 종합계획(2011~2020 수정계획)

    - 52 -

    • 어린이용품 출시 前 사전 위해관리 체계 마련 - 기업이 제품 위해성을 사전에 예측하여 제품설계, 품질관리를 하도록 사전 위해성평가 제도를 도입하고,

    평가도구 개발ㆍ보급

    - 어린이용품 유해물질 사용저감 유도를 위해 자가관리계획 수립을 지원하고, 어린이용품 유해물질

    관리 우수기업지정제도 운영

    • 어린이 환경보건 교육ㆍ홍보 강화 - 환경보건센터, 보건소 등과 연계하여 어린이 주요 환경성질환에 대한 공개강좌, 무료진료 상담,

    공모전, 국제심포지엄 등 추진

    - 교육청, 학부모, 시민단체와 연계하여 어린이 환경보건 교육 추진

    • 소비자의 유해제품 구매 회피를 위한 정보제공 강화 - 어린이활동공간내 사용 제품 측정결과, 어린이용품 유해성평가 결과를 DB화하여 공개

    - 어린이용품 구매가이드라인*을 확대 보급하고, 동영상, 스마트폰앱 등 수요자 중심의 홍보 방안

    마련

    * 현재 6개 제품에 대하여 보급(노트, 지우개, 필통, 책가방, 클립, 파일)

  • Ⅳ전략별 추진과제

    - 53 -

    어린이 환경보건 출생코호트 추진02

    ❚ 현황 및 문제점 • 환경보건 대책을 수립을 위해서는 환경유해인자 노출과 환경성질환과의 선후관계 및 인과관계

    규명 필요

    - 이에 산모ㆍ영유아의 환경노출에 의한 건강영향조사 추진(’06~’14년)

    • 하지만, 기존 조사방식은 조사규모가 적고 추적관찰 기간이 짧아서 환경유해인자 노출과 질환과의 관련성 입증에 한계 노정

    - 대규모 출생코호트 추진으로 환경노출과 질환 발생간의 인과성 분석 및 과학적 근거가 뒷받침되는

    환경보건정책 추진 필요

    ❚ 세부 추진계획(관계부처와 협업ㆍ협력) • 환경보건 출생코호트 사업 추진(’15~’36)

    (조사기간) 2015~2036년(22년간, 산모ㆍ영유아~18세 청소년)

    (표본규모) 10만명

    - 대규모코호트(9.5만명) : 산모 채혈ㆍ설문조사(1회) 후 건강보험공단 빅데이터 연계 추적

    - 상세코호트(5천명) : 영ㆍ유아기~청소년기, 정기적 채혈ㆍ설문조사, 환경측정 등 구체적인 조사

    (조사분야) 유해환경인자 노출이 5개 영역(임신ㆍ출산, 알레르기, 신경인지발달, 성장발육ㆍ내분비계,

    사회성 및 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

    (소요예산) 총 445억원(연간 20~25억)

    • 관계기관 협력을 통해 기존 자료 공유ㆍ활용 확대(’15~)

  • 환경보건 10개년 종합계획(2011~2020 수정계획)

    - 54 -

    • 대규모코호트, 상세코호트로 구분하여 추진(’15~’18) - (대규모코호트) 산모 생체시료ㆍ설문조사 후 건보공단 빅데이터 연계 건강영향 추적(6.5만명), 건강보험

    공단 자료만으로 연계 추적(3만명)

    - (상세코호트) 성장단계별 생체시료ㆍ설문조사, 환경측정 등을 통해 구체적인 건강영향 추적(5천명)

    구 분 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대규모코호트 65,000 5,000 20,000 20,000 20,000

    상세코호트 5,000 1,000 2,000 2,000 -

    ※ ’18년까지 10만명 산모모집 완료, 3만명은 건강보험공단 빅데이터 연계 활용

    • 성장발달 단계별 건강영향 추적조사(’15~) - 영유아기(3회), 학동기 이전(4회), 학동기(2회), 청소년기(2회) 구분 추적조사

    - 유해물질 관련 환경성질환* 중심으로 5개 분야ㆍ39개 중점가설** 입증

    * 조산, 저체중아, 기형, 자궁 내 발육지연/태아사망, 유산, 조산저체중아, 인지발달 등

    ** (5개 분야) 임신ㆍ출산, 알레르기질환, 성장발육 및 내분비계, 신경인지발달, 사회성 및 정서발달

    (39개 가설) 대기오염, 흡연, 농약, 내분비계 장애물질, 잔류성 유기물질, 중금속, 전자파, 휘발성유기화합물 등

    • 환경보건센터를 통해 출생코호트 추진 - 전국 지역사회에서 환경보건의 중추적 역할을 수행하는 환경보건센터를 활용, 지역보건소 및 지역병원과

    협력체계 구축

    - 출생코호트 추진사항을 매년 보고서로 발간하여 관리 감독 철저

  • Ⅳ전략별 추진과제

    - 55 -

    노령 인구 환경보건 대책 마련03

    ❚ 현황 및 문제점 • 인구 고령화로 노령인구에 대한 환경보건 현안을 점검하고 취약지역 내 거주 노인에 대한

    건강보호 대책 마련 필요

    ※ 자료 : 통계청, 「전국장래인구추계(2006)」, 「2007 고령자 통계」

    ❚ 세부 추진계획(관계부처와 협업ㆍ협력) • 환경보건센터를 지정하여 노인성질환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 추진 • 노인성질환 관련 환경보건 수준 조사(’17~’20) - 노령인구의 지역ㆍ계층ㆍ연령별 환경유해인자의 노출실태와 사회ㆍ경제적 요인을 고려한 생활양상,

    유해인자 노출패턴 조사

    - 노인성질환에 영향을 주는 환경유해인자 조사 및 목록화

    ※ 노령인구의 환경노출에 의한 건강영향조사사업(’07∼’14)에 대한 종합평가(’15)결과를 토대로 향후 연구조사

    방향 설정

    • 노인성질환 환경보건 대책 마련 - 노출인자별 환경요인 노출회피 및 예방을 위한 안전진단, 열악한 환경 개선지원 확대 등의 대책

    수립ㆍ추진

  • 환경보건 10개년 종합계획(2011~2020 수정계획)

    - 56 -

    환경보건 취약지역 관리 개선04

    ❚ 현황 및 문제점 • 산업단지, 폐광산 등 환경보건 취약지역에 대한 환경 관련 건강피해 역학조사와 건강영향조사

    청원제도 등이 실시되고 있으나,

    - 전국적인 실태 파악 및 관리 체계가 여전히 미정립된 상황

    ❚ 세부 추진계획 • 환경보건 취약지역 목록화(’17~’18) - 산업단지, 발전소, 폐광, 가축매몰지역, 상습침수지 등 환경보건 취약지역을 전수 조사하여 잠재적

    관리대상으로 목록화

    ※ 旣 조사가 완료된 산업단지, 폐기물처리시설 등은 조사결과 자료 활용

    • 환경보건 문제 조사ㆍ해결에 대한 지자체 역할 강화(~’19) - 주민이 민원을 통해 제기한 모든 건강영향 조사 요구에 즉각 대응하고 대책을 마련할 수 있도록

    지자체*에 역학조사, 건강영향조사 권한 부여

    * 대규모 건강피해는 환경과학원이, 기타 소규모 조사는 지자체에서 담당

    • 건강영향조사, 역학조사 및 조사 後 조치사항 제도화(~’19) - 조사에 필요한 자료 요청, 출입ㆍ보고 절차, 기피행위시 처벌 등 규정 마련

    - 일정요건을 갖춘 주민에 대해 ‘건강관리수첩(온/오프라인)’ 발급 규정 마련

    - 조사결과 건강피해를 제공한 원인자에 대해서는 복구명령, 조치명령 등의 절차와 미이행에 따른

    벌칙 규정 마련

  • Ⅳ전략별 추진과제

    - 57 -

    학교 환경보건 대책 (과제3-1, 과제6-8 연계 추진)05

    ❚ 현황 및 문제점 • 학생과 교직원의 건강 보호ㆍ증진을 위해 「학교보건법」 시행 중 • 전국 학교(20,749개교)에 대한 건축물 석면조사(’14.1~’15.5) 결과, 71%(14,661개교)에서

    석면건축자재 사용 확인

    ❚ 세부 추진계획(관계부처와 협업ㆍ협력) • 학교 석면건축물 개선대책 추진 - 시설현황 등을 고려하여 우선순위를 정하고 단계적으로 석면 해체ㆍ제거

    ※ (단기) ’17년까지 위해성 “중간 등급” 이상 365개교 개선(1,981억원)

    (중장기) 위해성 “낮은 등급” 학교(14,296개교)에 대하여는 시ㆍ도 교육청별로 연차별 계획 수립ㆍ추진(’18년

    이후 5조원)

    - 학교 구성원(학생, 교직원, 학부모, 안전관리인)에 대한 교육ㆍ홍보 강화 및 석면 관련 정보공개

    확대

    • 교실 내 공기질 관리 강화 - 교실 내 공기질에 대한 유지관리항목 기준, 점검 등을 지속 개선하고, 환경위생 유지ㆍ관리 공무원

    대상 전문교육을 정기적으로 실시

    • 학교 내 지하수 수질검사 및 정수기 관리 강화 - 지하수 수질 기준치 초과 학교는 정수장치 등을 설치하고, 지하수 내 자연방사성물질(우라늄, 라돈 등)

    함유 실태조사 추진

    - 수질검사 결과 부적합 정수기는 교체, 수선 조치

  • 환경보건 10개년 종합계획(2011~2020 수정계획)

    - 58 -

    개발사업에 대한 건강영향평가(HIA) 개선05

    ❚ 현황 및 문제점 • 환경영향평가 대상 개발사업 중 건강영향평가* 대상사업이 한정**되어 있어 제도의 실효성

    의문 제기(’15.10월 현재, 총 239건 평가)

    * 대규모 개발사업으로 인한 환경유해인자가 국민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및 예측하여 저감조치를 취함으로써

    건강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평가제도

    ** 산업입지ㆍ산업단지 조성(15만㎡ 이상), 화력발전소(1만㎾ 이상), 소각장(100톤/일 이상), 매립장(일반

    30만㎡, 지정5만㎡ 이상), 분뇨ㆍ축산폐수처리시설(100㎘/일 이상)

    • 건강영향평가 고려가 필요한 전략단계 평가 누락, 평가대상ㆍ범위의 한정으로 인한 실효성 문제, 배출계수 우선순위 및 예측농도 기준 등 제도 운영과정에서 문제점 대두

    ❚ 세부 추진계획 • 건강영향평가 대상 확대(~’19) - 전략단계 산단지역 주변 도시개발사업 등 건강상 위해의 우려가 큰 개발사업 포함

    - 스코핑 단계에서 건강영향평가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개발사업 포함

    • 건강영향평가 항목확대 및 평가기법 개발 - 대기분야 외에도 소음, 전자파 등 다양한 항목에 대한 평가 기법 개발

    • 예측농도(현황+기여) 조사방법 개선(~’17) - 조사물질, 조사횟수에 대한 합리적인 기준 설정

    - 사업특성을 반영하여 배출계수 적용 우선순위 마련

    - 화력발전소 연료별 평가물질 세분화 및 평가대상물질 확대

  • Ⅳ전략별 추진과제

    - 59 -

    • 배경농도 초과지역 사후관리 강화(~’17) - 개발시설이 입지하여 배경농도 초과할 경우 입지 자체를 불허하거나, BAT*를 적용하여 오염물질

    발생 최소화 대책 수립 후 입지 허용

    * BAT(Best Available Techniques) : 배출시설의 설계, 설치, 운영, 관리에 있어 기술적ㆍ경제적으로

    오염물질 등의 배출을 가장 효과적으로 저감ㆍ적용할 수 있는 기법

    - 예측농도가 매우 높은 경우 현황농도 조사 외에 연돌에서 직접 측정하여 위해도를 평가하고 추가적인

    저감대책 수립

    • 건강영향평가 전문성 강화(~’17) - 환경영향평가 대행자, 유역(지방)환경청 담당자에 대해 건강영향 평가 관련 교육 강화

    - 환경영향평가 대행자의 기술인력 기준에 환경보건분야 전문가가 포함되도록 개선 추진

    • 건강영향평가 내실화를 위한 이해관계자 포럼 운영(~’20) - 환경보건법, 환경영향평가법 개정안, 건강영향평가 매뉴얼 개선안 도출

  • 환경보건 10개년 종합계획(2011~2020 수정계획)

    - 60 -

    과제4 환경피해 구제시스템 정비

    과제4-1 환경피해자 진단체계 마련

    - 환경 관련 건강피해 발생시 신속한 규명과 피해구제를 위한 진단 및

    판정시스템 구축

    과제4-2 석면피해 구제서비스 강화

    - 석면 피해자 찾기 활성화, 旣 석면 건강영향조사 대상자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를 추진하고, 석면피해구제기금 지출 확대

    과제4-3 가습기살균제 피해자 구제

    - 가습기살균제 추가 피해자에 대한 판정 및 의료비ㆍ장례비를 지원하고,

    환경보건센터를 활용하여 피해자 건강추적 관리 추진

    과제4-4 환경오염피해구제법 안착

    - 환경오염피해 발생시 신속한 피해구제를 시행하고, 피해구제에 필요한

    환경책임보험, 환경오염피해구제계정 등의 제도를 정비

    과제4-5 환경피해 구제 제도 개선방안 마련

    - 환경오염피해구제법에 따른 피해구제 사각지대 해소와

    환경오염피해구제계정, 석면피해구제기금의 통합을 검토

  • Ⅳ전략별 추진과제

    - 61 -

    환경피해자 진단체계 마련01

    ❚ 현황 및 문제점 • 국민 스스로 환경유해인자 노출상황과 위험수준을 이해하고, 대처방안을 모색하는 시스템

    미비

    ❚ 세부 추진계획 • 환경보건 문제 발생시 수요자별 문제접근 방식에 대한 실태조사* * 환경보건 문제가 발생하거나 지역사회 언론을 통해 환경보건 문제가 이슈화되었을 때에 나타나는 개인별

    문제해결 접근양태 파악

    • 의료 집단과의 소통 및 자가진단시스템 구축 - 혈액 또는 요(尿) 중 유해물질 농도 검사, 환경성질환을 판정ㆍ진단*할 수 있는 인프라 마련

    * 각종 환경성질환 별 진단방법, 조기발견 지표 개발 및 표준화

    - 환경보건 문제 발생시 상담ㆍ검사가 가능한 환경보건 전문의를 확보하여 연계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전국민 대상으로 적극 홍보

    • 노출원인 조사 및 피해구제 전문가와의 소통시스템 구축 - 공공기관에 환경보건 수요자와 소통할 수 있는 전문가*를 배치하고 매뉴얼에 따라 적절한 권한과

    책임을 부여

    * 노출원인 조사방법ㆍ절차, 피해구제 절차 등을 안내하고, 필요한 제반사항 조치

  • 환경보건 10개년 종합계획(2011~2020 수정계획)

    - 62 -

    석면피해 구제서비스 강화02

    ❚ 현황 및 문제점 • 석면으로 인한 피해자 구제를 위해 「석면피해구제법」 시행(’11.1) - ’14년말까지 1,531명을 석면피해자 및 특별유족으로 인정하였으며, 총 278억원을 구제급여로 지급

    ※ (’11년) 459명 22억원 → (’12년) 456명 72억원 → (’13년) 346명 86억원 → (’14년) 270명 98억원

    • 특별유족 사망자, 악성종피종ㆍ폐암 환자 감소 등으로 석면피해구제기금 지출 하향 안정화 전망

    ❚ 세부 추진계획 • 석면 피해자 찾기 강화(’15~) - 지자체, 보건소, 지역의료기관을 활용해 지역기반 제도 홍보 강화

    - 석면광산, 석면공장, 수리조선소 등 주변 거주자, 노후 석면건축물 거주자에 대한 건강영향조사

    추진

    • 旣 석면 건강영향조사를 받은 대상자에 대한 체계적 관리(’15~) - 정기 건강검진으로 석면피해 의심자를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건강검진 결과(DB)를 석면피해구제와

    연계하여 피해자 발굴 확대

    • 석면피해자 사후관리 서비스 확대, 석면피해 예방사업 등 석면피해구제기금 목적에 맞는 범위에서 기금지출* 확대(’15~)

    * 어린이집 석면안전진단사업 등 예방사업/암환자 돌봄서비스, 힐링 프로그램 운영 등 사후관리사업/치료비ㆍ장의비

    지급요건 합리화 등

  • Ⅳ전략별 추진과제

    - 63 -

    가습기살균제 피해자 구제03

    ❚ 현황 및 문제점 • 가습기살균제 사고(’11.4)로 인한 피해자*에 대하여 위급한 경제적 어려움 경감을 위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