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8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 박 찬 길(이화여자대학교)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 Upload
    others

  • View
    3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

박 찬 길(이화여자대학교)

Page 2: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이 보고서는 『경제 ‧ 인문사회연구회 2012년도 인문정책연구사업』의 일환으로 수행된

연구과제 중 하나입니다.이 보고서에 수록된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인 견해이며 경제 ‧ 인문사회연구회의 공식적인 입장이 아님을 밝힙니다.

Page 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 i -

목 차

제1장. 서론 ······················································································· 1제2장. 독일의 인문학 지원 정책 ······················································32.1. 독일 대학의 전통과 인문학의 위상····················································3

2.2. 독일 대학의 개혁과 인문학의 위기····················································7

2.3 독일 정부의 인문학 지원 정책··························································16

2.3.1. 연방교육연구부의 인문학 진흥 정책: “인문학 연구의 자유”계획

(Freedom for Research in the Humanities Initiative) ········16

2.3.1.1. 배경과 취지 ············································································16

2.3.1.2. 재정지원의 목적 ···································································18

2.3.1.3. 재정지원 프로그램의 범위 ··················································19

2.3.2. 독일연구협회(Deutsche Forschungsgemeinschaft, DFG) ···20

2.3.2.1. 독일연구협회의 역사 ···························································20

2.3.2.2. 주요임무 ·················································································21

2.3.2.3. 독일연구협회의 조직 ···························································21

2.3.2.4. 독일연구협회의 특징 ···························································23

2.3.2.5. 독일연구협회의 인문학 지원현황 ·····································23

2.3.2.6. 독일연구협회의 다양한 지원프로그램 ·····························25

2.3.3. 독일의 인문학 지원 성공사례분석 ··········································27

2.3.3.1. “유럽인은 누구인가?” ·························································27

2.3.3.2. “인류에게 미치는 진화의 효과: 인류의 특징과 인지의

객관성” ·················································································· 27

2.3.3.3. “동방으로 향한 유럽의 이동”의 맥락에서 본 유럽의 다

문화 지형도 ··········································································28

2.3.4. 인문학의 국제적 연구집단 ························································29

2.3.4.1. 문화기술과 미디어철학 연구를 위한 국제연구소 ·········29

2.3.4.2. 아시아와 유럽의 종교사의 상호작용 ·······························29

2.3.4.3. 연극문화의 연계 ···································································30

Page 4: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 ii -

2.3.5. 독일의 인문학 지원기관 책임자 및 관계자 인터뷰 ············30

2.3.5.1. 에리카 피셔-리히트 ····························································30

2.3.5.2. 사이빌 크뢰머 ·······································································32

제3장. 미국의 인문학 지원 정책 ····················································373.1. 미국 대학의 전통과 인문학의 위상··················································37

3.1.1. 식민지 시대의 미국 대학 ···························································37

3.1.2. 제퍼슨(Jefferson)의 개혁적 교육이념과 모릴토지법안(the

Morril Land Act) ······································································38

3.1.3. 독일식 연구중심 대학의 등장과 정착 ····································40

3.1.4. GI 법안과 미국 고등교육의 황금기(1945-1975) ·················42

3.2. 미국 대학의 변화와 인문학의 위기··················································43

3.3. 미국 대학의 인문학 지원 정책························································46

3.3.1. 미국의 인문학 지원의 역사: “가난한 자들의 짧고, 단순한 일지” ··· 46

3.3.2. 국립인문기금(NEH, National Endowment for Humanities) ···51

3.3.2.1. NEH의 기원과 임무 ·····························································51

3.3.2.2. NEH의 조직과 구조 ····························································52

3.3.2.3. NEH 프로그램의 목적 ························································53

3.3.2.4. NEH의 재정지원 통계 ························································54

3.3.2.4.1. NEH의 예산규모와 변화 동향 ····································54

3.3.2.4.2. NEH 예산의 용도(2006년) ··········································55

3.3.2.4.3. NEH 예산의 비중 ··························································56

3.3.2.5. NEH의 현황(2011년) ···························································56

3.3.2.6. NEH의 프로그램 ··································································57

3.3.2.6.1. 교육프로그램 ···································································57

3.3.2.6.2. 연방-주 정부 프로그램 ················································58

3.3.2.6.3. 보존과 접근 ·····································································58

3.3.2.6.4. 공공프로그램 ···································································58

3.3.2.6.5. 연구프로그램 ···································································59

3.3.2.6.6. 디지털인문학 ···································································59

3.3.2.7. NEH 특별프로젝트 “문화의 연결” ·································· 60

3.3.3. 미국의 인문학 지원기관 관계자 인터뷰 ·································61

Page 5: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 iii -

제4장. 특별세미나 및 서면인터뷰:세계 인문학의 재조명, 독일, 미국,

그리고 한국 ········································································664.1. 특별세미나:세계의 인문학, 어디로 가고 있는가?····························66

4.1.1. 특별세미나의 배경 ·······································································66

4.1.2. 특별세미나 발표자 ······································································66

4.1.3. 특별세미나의 주제와 진행방식 ·················································67

4.1.4. 발표내용 ························································································68

4.1.4.1. 롤프 타락, “오늘의 대학과 인문학의 역할” ·················· 68

4.1.4.2. 데이비드 베어드, “인문학과 미래위험의 조절” ············ 69

4.1.4.3. 스티브 휘틀리, “인문학은 사치품인가?” ························ 70

4.1.4.4. 볼프강 클루스, “인문학의 과거, 현재, 미래 : 약간의 관

찰과 의견” ············································································· 71

4.1.4.5. 파리테 쿠히 카말리, “인문학이라는 넓은 거미줄 속의 출판” ··· 72

4.1.4.6. 선희 김 거츠, “그 당시의 인문학” ··································72

4.1.4.7. 박찬길, “점령된 대학 : 기업문화와 한국 인문학의 운명”

···································································································73

4.1.5. 토론내용과 잠정적 결론 ·····························································74

4.1.5.1. 문제의 제기 ············································································74

4.1.5.2. 요구사항 ·················································································74

4.1.5.3. 인문학의 특징 ·······································································75

4.1.5.4. 가능한 행동계획 ···································································75

4.2. 서면인터뷰:한국의 인문학 정책,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 764.2.1. 서면인터뷰의 취지 ·······································································76

4.2.2. 서면인터뷰의 대상 ······································································76

4.2.3. 서면인터뷰의 질문 ······································································76

4.2.3.1. 유용성 ·····················································································76

4.2.3.2. 수행평가 ·················································································77

4.2.3.3. 학문적 자유 ···········································································77

4.2.3.4. 세계화 ·····················································································77

4.2.3.5. 경쟁 ·························································································78

Page 6: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 iv -

4.2.3.6. 학제간 연구 ···········································································78

4.2.3.7. 기술 ·························································································79

4.2.3.8. 고용 ·························································································79

4.2.3.9. 책임성 ·····················································································79

4.2.3.10. 배분의 원칙 ·········································································79

4.2.4. 만프레드 니쓴 ··············································································79

4.2.5. 죄르그 드뢰거 ···············································································81

4.2.6. 우베 거츠 ······················································································83

4.2.7. 선희 김 거츠 ················································································86

제5장. 결론: 한국의 바람직한 인문학 지원정책을 위하여 ··············89제6장. 참고문헌 ·············································································92제7장. 첨부자료 ·············································································967.1. 특별세미나 발표요약문 영어원문······················································96

7.2. 서면인터뷰 질문 영어원문······························································110

7.3. 서면인터뷰 답변 영어원문······························································114

Page 7: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 v -

요 약

1. 연구의 목적 :이 보고서는 한국의 인문학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인문학에 대한 오랜 전통을 가진 독일과 미국의 경우를 벤치마킹하기 위해 입안되었다. 주지하다시피 독일은 1810년 빌헬름 폰 훔볼트(Wilhelm von Humboldt)가 베를린대학을 창설하면서 근대적 대학의 모델을 제시했을 뿐만 아니라 괴테와 쉴러, 니체와 프로이트를 낳은 심오한 인문학적 전통을 가진 나라이다. 미국은 그러한 독일의 모델에 따라 대학을 발전시켜, 현재에는 하버드와 예일 등 명실상부하게 세계 최고의 대학들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러한 월등한 대학들을 통해 세계의 인재들을 끌어들이는 교육대국이다. 이 보고서는 서구의 선진국을 대표하는 두 나라에서는 어떤 기관을 통해 어떠한 원칙으로 인문학을 지원하고 있는지 연구지원기관인 독일연구협회(Deutsche Forschungsgemeinschaft, DFG)와 인문학을 위한 국립연구기금(National Endowment for the Humanities, NEH)을 중심으로 알아보며, 이 두 나라의 인문학 지원방식이 우리나라의 그것과 어떻게 다르며, 어떤 면에서 배울 점이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2. 연구보고서의 주요내용:독일의 경우, 독일대학의 전통과 그 안에서 인문학이 차지하는 위상을 서술한 다음, 독일 연방교육 연구부의 인문학 진흥정책인 “인문학 연구의 자유” 프로그램의 내용을 검토한다. 그 다음으로는 독일연구협회(DFG)의 역사과 주요조직, 그리고 이 조직의 인문학 지원현황을 분석한다. 연구의 구체성을 높이기 위하여 독일연구협회의 인문학 지원의 성공사례를 몇 가지 소개하고, 독일의 인문학 지원기관의 책임자들과의 인터뷰로 독일의 사례가 마무리된다. 미국의 경우, 식민지 시대에 설립된 9개의 대학으로부터 시작하여 세계적 대학으로 성장한 현대의 미국대학에 이르기까지 미국대학의 발전과정 속에서 미국대학의 전통을 역사적으로 서술하면서 그 안에서 인문학의 위상이 어떻게 부침을 거듭했는지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미국의 인문학 지원은 1965년에 설립된 국립 인문학 연구기금(NEH)에 의해 가장 포괄적으로 이루어지는 바, 본 보고서는 연구기금의 조직과 예산, 지원프로그램의 성격과 내용을 상세하게 검토한다. 이러한 분석은 연구기금의 특별프로젝트 “문화의 연결”에 대한 설명에 의해 구체화되며, 연구기금의

Page 8: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 vi -

고위관계자와의 인터뷰로 마무리된다. 본 보고서의 마지막 부분은 위기에 빠진 인문학을 미국과 독일을 포함한 세계의 맥락에서 검토하는 특별 세미나의 내용으로 이루어진다. 이 보고서에는 한국과 미국, 독일과 룩셈부르크의 학자들이 모여 발표하고 토론한 내용이 요약되어 실려 있다. 이러한 연구의 마지막 부분은 바람직한 한국의 인문학 정책의 수립을 위하여 독일과 미국의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의 결과를 반영하여 작성되었다.

3. 결론:독일은 2007년을 인문학의 해로 선포하고 대대적인 인문학 캠페인을 벌였다. 물론 이러한 움직임은 과학기술을 중심으로 한 “우월한 대학”(Excellent Universities) 캠페인에서 소외된 인문부문을 달래주기 위한 정책적 배려이기도 한 것 같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1세기 초반에 범정부적으로 펼치는 그들의 인문학 진흥책은 의미가 깊어 보인다. 인문학에 대한 그들의 재정지원이 인상적인 이유는 그들이 재정지원으로 궁극적으로 하고자 했던 바가 학자들에게 돈을 주고, 그들로부터 미리 정해진 분야의 연구 성과를 일정한 시간 내에 이끌어 내는 것이 아니라 연구자들에게 시간을 확보해주는 것이라는 점 때문이다. 이것은 학문을 가능하게 하는 기본 조건을 “고독과 자유”로 규정했던 훔볼트적 이상을 어느 만큼은 여전히 견지하고 있다는 뜻이다. 연구비를 지급한 후에 연구자 개개인을 이잡듯이 뒤지면서 “투자”에 대한 학문적 보답을 단시간 내에 강요하는 것이 아니라 개별 연구자에 대한 기본적인 신뢰를 바탕으로 그들에게 “시간”을 벌어주는 것을 연구비 지급의 기본적인 취지임을 분명히 하고 있는 것이다. 이들에게는 연구의 내용이나 과정과 방법론, 연구의 속도는 연구자에게 맡겨놓는 것이 너무나 당연하며, 그러한 학문적 자유를 헌법에다가 명기할 정도로 학문적 활동에 관한 한 철저하게 개별 학자들의 선택을 존중한다.

학자들의 선택을 존중한다는 것은 연구비 배분과정에서도 분명히 드러난다. 현재 DFG의 인문사회부문을 책임지고 있는 니슨 교수에 따르면 연구비의 배분은 대학의 경영진이나 연구비 지원기관의 책임자가 미리 지침을 정해서 하달하는 것이 아니라 개별연구자들의 수요와 요구에 따라 정하는 것이다. 학문의 세계를 어떤 추상적인 원칙에 따라 정부의 정책결정자나 대학의 행정책임자가 마음대로 요리하는 것이 아니라 학자들 자신이 자율적인 선택에 의해 정하도록 한다. 이것은 학자들의 학문적 양심과 학술적 판단력이 학술적 공동체 안에서는 물론 밖에서도 신뢰받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상호간의 신뢰에서 학문적 자유가 생겨나는 것이다.

Page 9: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 iv -

이러한 신뢰는 학문적 업적이나 연구프로포절을 평가하는 과정에서도 분명히 표현된다. 독일에서의 모든 학문적 평가의 기본은 동료평가(Peer-Review)이다. 동료평가는 학자들 상호 간에, 그리고 학문적 공동체와 사회 간에 깊은 신뢰가 없이는 가동되기 어려운 제도이다. 신뢰가 있기 때문에, 동료평가가 가능하고, 동료평가가 원활히 이루어지는 한, 사람이 아니라 특정한 학술지 리스트에 평가의 기준을 두는 일은 하지 않아도 되는 것이다. 이것은 또 인문학이 하나의 학문분야로서 독특하게 가지고 있는 특징을 존중해주는 일과도 통한다. 독일은 형식적으로는 인문학을 되도록 다른 학문들과 분리하지 않고 함께 하나의 과학으로 취급하는 경향이 있다. 그렇기 때문에 독일에는 인문학만 따로 지원하는 기관이나 재단이 없다. 그러나 바로 그렇기 때문에 인문학은 소외되지 않고, 다른 인접분야의 연구와 건강하게 공존하면서 자기 목소리를 낼 수 있는 것이다.

미국의 경우는 인문학에 대한 옹호가 다소 다른 방향에서 이루어지는 것 같다. 미국은 벤자민 플랭크린이나 토마스 제퍼슨 시절부터 학술활동을 포함한 모든 사회활동의 경제적 가치에 대단히 민감하게 반응했었다. 실용성의 추구는 미국 문화의 근간이며 미국적 대학의 설립이념이기도 했다. 미국은 19세기에 훔볼트적 이상에 근거한 독일 연구중심대학의 모델을 수입했으면서도 연구를 위한 연구를 추구하는 순수한 훔볼트적 아카데미즘을 받아들이기 보다는 독일적인 과학성을 미국적 실용주의의 전통과 결합시키는 쪽을 택했다. 그런 측면에서는 미국의 인문학도 미국의 대학의 발전방향과 비슷한 노선을 걸었다고도 볼 수 있다. 왜냐하면 리차드 닉슨이 인문학을 “국가적 발전”의 핵심적 요소로 파악한 것이나, 인문학의 기본적 임무를 국민들에게 “지혜와 전망”을 주는 것으로 규정한 NEH 설립법안에서 분명하게 드러나는 것처럼 미국의 인문학은 미국의 국가적 이념, 즉 민주주의의 이상을 생산 및 재생산하는 “실용적” 임무를 띠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의 인문학, 적어도 국가의 지원을 받는 인문학은 자유롭고 창의적인 개인의 연구보다는 민주주의적 가치의 교육을 통한 국민적 통합이라는 사회적 목표에 더 기울어져 있다고 할 수 있는데, 이것은 NEH의 예산이 인문학자들의 개인 연구비보다는 문화유산의 보존과 박물관의 교육프로그램 등의 용도에 더 많이 쓰이고 있다는 사실에서도 확인된다. 미국의 인문학은 경제적 논리에 입각한 효용성 논의로부터는 비교적 자유로운 대신 반대로 미국적 민주주의라는 국가적 이데올로기 재생산구조에 깊이 개입되어 사회적 현실로부터 소외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인문학 본연의 비판적 사유로부터 고립되는 측면이 있다고도 볼 수 있다. 대학에 근무하는 수많은 인문학 교수들은 대학 내에서 점점 좁아지는 그들의 학문적 입지 때문에 좌절감을 맛보고

Page 10: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 vii -

있지만, 인문학 자체는 대학 밖에서 일종의 국가적 사업으로 호황을 누리는 이율배반적인 상황이 현재 미국의 인문학을 둘러싼 환경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Page 11: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Page 12: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제1장 서론 1

한국의 인문학이 어려움에 직면해 있다는 것은 새삼스러운 일은 아니다. 지난 10여

년간 그 원인과 대책들이 다양하게 모색되었지만 누구도 뚜렷한 해결책을 내놓을 수

없었다. 정부에서는 그 나름대로 위기에 처한 인문학을 구하기 위해 여러 가지 정책

적 처방들(Brain Korea 21 프로젝트, Humanities Korea 프로젝트 등)을 제시하고,

실천에 옮겼지만 날로 그 위세를 더해가는 신자유주의적 대학개혁은 인문학의 입지를

더욱 더 궁색하게 만들고 있음은 누구나 실감하고 있는 바이다. 동서를 막론하고 인

문학은 대학의 중심에서 학부교육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면서 한 사회의 중추세력을

양성해왔지만, 고도화된 자본주의사회의 논리가 사회의 모든 영역에서 관철되면서 인

문학의 가치 또한 생산성과 경쟁력의 담론 안에서 재단될 수밖에 없었다. 인문학에

대한 어떠한 온정주의적 논설에도 불구하고, 인문학은 이러한 자본주의적 패러다임

안에 있는 한 스스로 융성하거나 자립적으로 지속가능한 존재방식을 찾아내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봐야 한다. 인문학에 대한 국가의 지속적이고 효율적인 지원이 반드시

필요한 것은 바로 그 때문이다. 그동안 정부는 BK 21 사업과 HK (Humanities

Korea) 사업 등을 통해 인문학 분야에 상당한 수준의 재정지원을 해왔지만, 그것들이

인문학을 제대로 부흥시켰는지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많다. 본질적으로 선의에서

시작된 일이었지만, 그 사업들을 입안, 운영, 사후 관리하는 데 있어서 자연과학 분야

에 합당한 기준을 적용했기 때문에, 이 사업들은 일정한 수의 젊은 인문학연구자들에

게 일자리를 제공하고, 인문학 전공 대학원생들의 장학금의 혜택을 주는 데 머물렀을

뿐, 전체적으로 보면 인문학 연구 자체를 활성화하기 보다는 인문학 연구의 관심과

연구방식을 왜곡, 변형시키는 부작용을 가져오기도 했다. 따라서 이러한 인문학 지원

은 인문학을 돕는 것이 아니라 그 본질에 대한 심각한 위협이 되었다고 평가받기도

했다. 그렇다면, 인문학을 제대로 살리는 길은 무엇인가? 이 보고서는 한국의 인문학

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인문학에

대한 오랜 전통을 가진 독일과 미국의 경우를 벤치마킹하기 위해 입안되었다. 주지하

다시피 독일은 1810년 빌헬름 폰 훔볼트(Wilhelm von Humboldt)가 베를린대학을 창

설하면서 근대적 대학의 모델을 제시했을 뿐만 아니라 괴테와 쉴러, 니체와 프로이트

를 낳은 심오한 인문학적 전통을 가진 나라이다. 미국은 그러한 독일의 모델에 따라

제1장 서론

Page 1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2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

대학을 발전시켜, 현재에는 하버드와 예일 등 명실상부하게 세계 최고의 대학들을 보

유하고 있으며, 이러한 월등한 대학들을 통해 세계의 인재들을 끌어들이는 교육대

국이다. 이 보고서는 서구의 선진국을 대표하는 두 나라에서는 어떤 기관을 통해

어떠한 원칙으로 인문학을 지원하고 있는지 연구지원기관인 독일연구협회(Deutsche

Forschungsgemeinschaft, DFG)와 인문학을 위한 국립연구기금(National Endowment

for the Humanities, NEH)을 중심으로 알아보며, 이 두 나라의 인문학 지원방식이 우

리나라의 그것과 어떻게 다르며, 어떤 면에서 배울 점이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Page 14: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제2장 독일의 인문학 지원 정책 3

2.1 독일 대학의 전통과 인문학의 위상

독일은 근대 대학제도를 만들어 낸 나라이며, 그것은 빌헬름 폰 훔볼트라는 한 인

물로부터 시작되었다. 훔볼트는 1810년부터 6월부터 1809년 2월까지 16개월간 프러

시아(Prussia)의 문화교육장관이었고, 그는 그 기간 동안 칸트(Kant), 슐라이어마허

(Schleiermacher), 슐레겔(Schlegel), 셸링(Schelling), 쉴러(Schiller), 피히테(Fichte)

등 당대의 뛰어난 인문적 지식인들과 긴밀하게 협력하면서 베를린에 새로운 대학의

창설을 제안했다. 당시의 프러시아는 나폴레옹에게 패하여 영토의 절반을 상실한 상

태에서 봉건적 사회질서가 근본적으로 위협받는 상황이었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근대화를 위한 과감한 개혁을 필요로 했으며 훔볼트의 제안은 이러한 맥락에서 이루

어진 것이었다. 당시의 독일어 사용지역에는 이미 42개의 대학이 존재했지만 그 학문

적 수준과 재정적 상태가 매우 열악한 상태였고, 훔볼트는 이러한 기관들과는 전혀

다른 이념과 구조를 가진 고등교육기관을 창안한 것이다. 이러한 훔볼트의 대학관은

이후 베를린대학을 통해 실현되며, 이것은 곧 “독일 대학”의 전형으로서 향후 모든

나라의 근대적 대학의 기본모델이 된다. 이러한 독일 대학의 체계는 다음과 같이 세

가지 특징을 갖는다.

첫째, 교수와 학생은 동일체이다. 독일대학은 교수와 학생을 지식탐구라는 활동에

있어 동등한 존재로 간주한다. 지식은 단순히 나눠주거나 전달할 수 있는 고정된 실

체가 아니라 하나의 과정, 하나의 탐구, 혹은 사유의 한 형식이다. 이러한 지식을 탐

구하는 자들은 배움 자체에 대한 사랑으로 한 데 뭉친 유기적 동일체이다. 이 공동체

는 진정한 의미에서 민주적이다. 왜냐하면 교수나 학생 누구도 지식을 독점하고 있다

고 말할 수 없기 때문이다(Humboldt, 1809/1956, pp.377-378). 강의하는 자는 강의

실 밖에서도 학생들을 지원하고 도와야 할 의무가 있으며, 학생들과의 적극적인 관계

속에서 지속적인 만남을 통해 지식을 전달해야 한다(Schleiermacher, 1808/1956,

pp. 253)(Pritchard 510).

둘째, 연구와 교육은 동일체이다. 연구와 교육은 긴밀한 연관 속에서 함께 이루어

져야 한다. 최고의 교육은 교수의 연구와 이와 연관된 학생의 연구의 결과로서 이루

어진다(Schleiermacher, 1808/1956, p. 253)(Pritchard 510).

제2장 독일의 인문학 지원 정책

Page 15: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4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

셋째, 모든 지식은 동일체이다. 지식의 모든 분야들은 이성에 의해 결합되는 오직

하나의 통일된 정신으로 수렴된다. 전체는 부분에서 발견되고, 또 부분은 전체 속에

존재한다(Fichte, 1807/1956, p.141). 이러한 개념은 자연과 역사, 경험과 사유를 하

나로 포괄하는 최고의 통합적 철학이며, 유기적 전체를 이루는 하나의 거대한 지식체

계를 전제로 하는 것이다(Schleiermacher, 1808/1956, p. 260)(Pritchard 510).

이러한 기본원칙을 가지고 출발한 훔볼트의 베를린대학에서는 교육을 통한 “인격형

성(Bildung)”이 매우 중요한 목표였다. 이러한 인격형성은 기본적으로 개인주의적이고,

자발적이며, 반공리주의적이다. 훔볼트적 대학이 상정하는 교육은 문화적이고 교육적인

환경 속에서 한 개인의 내적 자아를 성장시키는 것과 관련되며 그것은 매우 다채롭고

다양한 상황 속에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정신은 “모든 사람은 다른 사람들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헌법적 질서 혹은 도덕법에 위배되지 않는 한 자신의 인격을 자유롭게 표

현할 권리를 갖는다”는 현재의 독일 기본법 제 2항에도 그대로 반영되어 있다.

대학에 관한 훔볼트의 가치의 핵심은 두 가지의 자유이다. 하나는 교육의 자유

(Lehrfreiheit)이고 다른 하나는 배움, 즉 연구의 자유(Lernfreiheit)이다. 교수들은 자

신이 알고 있는 그대로 진리와 지식을 가르칠 수 있는 자유를 가져야 하고, 또 학생

들은 이것을 독립적으로 배우고, 또 간섭받거나 시험받지 않으면서 스스로 성장할 수

있는 자유를 보장받아야 한다. 베를린대학에서는 대학이 일정하게 정한 때가 아니라

언제라도 학생들이 원할 때 시험을 볼 수 있게 하고, 일정한 길이와 순서, 미리 정해

진 내용을 학생들에게 제시하지 않는 관행이 있었는데 이것은 모두 훔볼트적 자유의

개념에 충실했기 때문에 생겨난 것이었다. 훔볼트의 대학에서 보내는 학문적 생활에

는 “고독과 자유”(Einsamkeit und Freiheit)가 필수였다. 그래야만 젊은 학생들이 부

모나 고용인에게 의존하지 않고 자유롭게 독립적인 존재로서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학자들의 공동체도 그에 못지않게 중요했는데, 학자

는 누구나 하나의 자유인으로서 자신의 독특한 생각을 표현할 수 있는 자유를 가지고

다양한 배경을 가진 다른 자유인들과 자유로운 공동체를 형성할 수 있어야 했다. 이

러한 공동체에서는 사회적 관계가 물론 중요했지만, 그것은 어디까지나 한 개인의 내

면적 삶의 가치를 침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작용하는 것이어야 했다. 훔볼트는 관료주

의와 이데올로기적 간섭의 위험 때문에 국가권력이 대학에 관여하는 것에 근본적인

반대의 입장을 가지고 있었다. 훔볼트는 국가가 선의를 가지고 대학을 돕는 것조차

반대했는데, 그는 “국가의 효율성의 한계를 정의하는 노력에 관한 생각”이라는 논문

을 통해 대학정책에 있어서 자유주의자로서의 면모를 명확하게 드러내고 있다.

이러한 학문의 절대적 자유라는 개념은 훔볼트 이전에도 1694년 할레(Halle)대학

Page 16: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제2장 독일의 인문학 지원 정책 5

이 창설되면서 보편적으로 통용되고 있었다. 가령 라이프찌히대학으로부터 그 자유로

운 학풍 때문에 추방되었던 볼프(Ch. Wolff)는 “철학의 자유”(libertas philosophan)를

주창해서 할레대학을 “자유로운 사상의 보루”로 만들었지만, 그러한 자유는 대학 스스

로 만들어낸 것이 아니라 프리드리히 1세라는 뛰어난 계몽군주에 의해서 특별하게 주

어진 것이었다. 따라서 이러한 “철학의 자유”는 실제로는 매우 역설적이게도 “자유로

운” 대학의 국가예속적, 권력지향적 성격을 강화하는 것이었다(블로이엘 11-12). 실제

로 훔볼트 당대의 기존 대학들은 그 자유주의적 이념적 지향성에도 불구하고 대학사상

가장 침체된 상태였다. 블로이엘은 17-18세기의 대학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한다.

이 시대에 있어 대학의 중심은 절대주의 국가의 기둥이 되는 충직한

관료계층을 배출하는데 그 최대의 목적을 둔 법학부가 되었으며 법률

학과 국가학이 가장 중요시되었다. 이제 성직자나 학자를 기르는 교육

에 대신하여 행정학, 경제학 등의 “전문학”(Geschäftswissenshaft)이

등장하고 많은 단과대학이 새로이 세워졌다. 대학은 이제 순수한 학문

적인 관심이나 인식에의 의지를 목적으로 구성된 학도들의 자주적인

단체가 아니라 국가 혹은 사회에 대한 유용성을 최고의 목적으로 하는

지식의 단순한 전수소가 되었다. 그리하여 18세기의 계몽주의적-목적

지향적 교육관은 대학 본래의 교양이념의 후퇴를 초래하였으며 행정당

국에 의한 대학의 관방학적 관리를 통해 유럽 대학사항 일찍이 없었던

국가권력에 의한 대학지배의 시대를 나타내었다(블로이엘 12).

이러한 당대 대학의 현실을 직시하고, 새로운 대학의 창건을 통해 대학 본연의 인

문학적 전통을 일거에 복원시켰다는 점이 훔볼트를 근대적 대학의 아버지로 만든 가

장 큰 요인이다. 사실상 인문교육의 전통은 플라톤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로마시

대에 이르면 인문학의 일곱 개 과목 즉 문법, 수사학, 논리학으로 이루어진 3과목

(Trivium), 산술, 음악, 기하학, 천문학으로 이루어진 4과목(Quadrivium)의 개념이 확

립되며 인문학을 중심으로 한 이 일곱 개의 과목이 중세의 대학의 주된 커리큘럼이

된다. 이러한 기본과목을 다 이수한 연후에 신학, 법, 의학 등 보다 전문적 과목을 공

부할 수 있는 자격을 얻게 되었는데, 바로 이 때문에 기본학문인 인문학의 연구와 교

육이 보다 전문적이고 등급이 높은 전문적 과목의 연구와 교육에 비해 수준이 낮은

것으로 치부되는 경향이 있었다. 훔볼트는 인문학과 보다 실용적이고 직업지향적인

타 학문들과의 위계질서를 인정하지 않았고, 오히려 이것을 거꾸로 뒤집었다는 데 큰

의의가 있다. 뤼베(Lübbe)는 “19세기 초반에 일어난 대학개혁의 가장 중요한 측면은

Page 17: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6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

기초학문인 문리학부(Arts and Sciences)를 더 높은 학부 특히 신학부와 법학부의 제

도적 지배로부터 완전히 해방시킨 것”이라고 주장한 바 있다(Pritchard 509-528).

이렇듯 훔볼트의 독일대학에서 인문학이 차지하는 위상은 처음부터 막중했다. 인문

학은 어떤 의미에서는 새로운 대학에서 이루어지는 연구와 교육의 핵심적 내용이었고,

근대적 대학의 커리큘럼 그 자체였다. 훔볼트적 이상의 가장 중추적 내용인 연구와

교육의 자유, 그것에 입각한 내적 자아의 확립이라는 교육의 목표는 19세기 초반 낭

만주의적 문인과 철학자들이 가졌던 그들의 문학적, 철학적 목적과 일치하는 것이었

다. 교수들은 국가권력으로부터 독립하여(때로는 국가권력과 대립하면서) 연구와 교육

에 관한 한 절대적인 권한을 가지고 태산같은 자유를 누리면서 스스로 설정한 목표와

일정에 따라 연구와 교육을 진행하는 것이 19세기에 확립되어 전세계에 새로운 고등

교육기관의 모델이 되었던 독일대학의 모습이었다. 이 점에 관해 팰론(Daniel Fallon)

은 다음과 같이 말한다.

19세기 말에 볼 수 있었던 학문적 자유에 대한 독일적인 표현법은

미국에서 학문의 자유라는 개념이 확립되고 발전하는데 결정적인 역

할을 했다. 동시에 대학 내부의 그리 자유롭지 않은 권위적 구조 역

시 학문적인 문제에 있어서는 몇몇의 정교수들에게 거의 절대적인 권

한을 집중시켜주면서 매우 독특한 학문적 수월성을 만들어내는 데 기

여했고, 그것이야말로 19세기 후반의 독일학계가 가지고 있었던 세계

적 경쟁력의 기반이었다. 한편으로는 자유주의와 낭만주의, 그리고 다

른 한편으로는 반동과 권위주의가 서로 대립하면서 만들어내는 긴장

구조가 19세기의 독일을 특징지었다면, 그것이 훔볼트와 슐라이어마

허가 만들어낸 대학이라는 계몽주의적 기관이 갖는 특징이기도 했으

며, 그러한 긴장구조야말로 독일의 대학에 강렬한 지적 에너지로 활

력을 불어넣는 요인이었다. 독일 대학의 영웅적인 낭만적 이상은 대

담하고, 파격적이며, 하늘로 향하는 상상력의 도약을 권장하면서 동시

에 권위적인 교수사회의 문화가 갖는 오만함과 안정성을 허락함으로

써 길이가 길고, 공이 많이 들어가며, 방법론적이고, 정교하게 짜여진

경험적 연구의 기념비적 학풍이 독일에서 확립되는 것을 가능하게 했

다. 20세기 후반의 시점에서 볼 때, 어떤 분야든 19세기 후분 독일

학자 한 두 사람의 뛰어난 업적에 빚지지 않은 분야를 찾아보기 어려

운 것이 사실이고, 이것은 훔볼트의 대학이 남긴 가장 자랑스러운 업

적이라고 할 수 있다(Fallon 50-51).

Page 18: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제2장 독일의 인문학 지원 정책 7

2.2 독일 대학의 개혁과 인문학의 위기

훔볼트가 1810년에 베를린대학을 창설하면서 독일의 고등교육을 국가와 교회로부

터 독립시키려고 했고, 고등교육을 봉건체제의 혈통과 신분의 제한으로부터 자유롭게

일반 시민에게 개방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여 2차 세계대전에 이르기까지 독일대학

은 양적으로 큰 성장을 이룩하지는 못했다. 대학생의 수는 19세기 말 약 5만 명에서

1차 세계대전까지 약 8만명에 도달했지만 이는 당시 19-23세의 해당 학령인구의 1%

도 되지 못하는 숫자였고, 1930년대의 바이마르 공화국 때도 2% 정도에 머물렀다.

이는 20세기 중반까지도 독일의 대학교육은 기본적으로 엘리뜨 교육의 성격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런데 2차 세계대전이 끝나면서 독일대학에는 개

방입학제가 도입되어 대학의 급격한 양적 성장이 이루어진다. 이는 전후복구와 경제

성장의 필요성 때문에 고등교육을 받은 고급인력자원을 대량으로 공급해야할 사회적

요구를 반영한 것이었다. 1937년 현재 독일제국의 대학은 38개(종합대학 24, 공과대

학 14)에 불과했지만 1960년에 이르면 구 서독지역에만 118개의 대학(종합대학 19,

신학대학 19, 공과대학 8, 전문대학 6, 교육대학 41, 예술학교 25)이 존재했다. 2차

세계대전의 결과로 진행된 동서독의 분단은 양적으로 팽창된 대학들이 사회적 제도로

정착되는 데도 영향을 끼쳤다. 동독에서는 사회주의이념에 따라 계급에 관계없이 노

동자, 농민의 자녀들에게까지 무상으로 대학교육을 제공했고, 동독과 체제경쟁을 벌이

고 있었던 서독의 경우에도 개방입학제와 함께 대학운영비, 등록금, 학생들의 생활비

등을 국가에서 부담하는 것을 당연하게 받아들여서 대학의 공교육적 성격을 분명하게

정착시켰다.

독일의 대학은 1968년 학생운동기에 다시 한번 큰 변화를 경험한다. 대학의 대중

화는 훔볼트적 이상에 입각한 독일대학의 관행들을 다른 각도에서 느끼도록 만들었다.

가령 학생운동기 직전의 독일대학에 대한 다음과 같은 묘사는 당시의 분위기를 짐작

할 수 있게 한다.

학과장은 그 학과에서 유일하게 테뉴어받은 정교수인 경우가 많았

다. 그는 종신고용 되어 학위논문과 그 승인권을 가진 1인 위원회를

혼자서 구성하여 운영한다...독일의 박사(Doctor of Philosophy)는 그

교수의 조수로 약 6년 간 일해야 한다. 이 기간이 끝나면, 그는 또

다른 논문을 쓰는데, 이것은 교수자격취득논문”(Habilitationsschrift)

으로서, 이것 역시 통과를 위해서는 위원회의 승인, 즉 지도교수의 승

인이 또 다시 필요하다...박사과정학생은 최초에 주제나 방법론을 정

Page 19: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8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

하는 데 있어서도 지도교수의 지침에 따라야 한다. 위원회 위원장, 즉

지도교수의 권한은 그의 다양한 외부 학술활동, 특히 학술지 편집활

동 같은 것들을 통해 학과의 경계를 훨씬 벗어나서도 행사된다. 이렇

게 광범위하게 권위주의적인 지도교수의 역할은 많은 젊은 연구자들

을 숨막히게 하고, 그들로 하여금 새로운 영역과 새로운 방법론을 개

척하는데 분명히 방해가 된다. 지도교수의 보고서나 그의 승인을 받

은 문서들은 다른 검토의 과정이나 스타일이나 길이의 제한 없이 그

대로 출판되는 것이 보통이다. 이런 조건은 명징한 문장을 만들어내

는데 반드시 도움이 되는 것은 아니다. 이후 어떤 선발의 과정에서

이러한 문서들이 검토될 때 그것을 누가 썼는지를 감추기 위해 문서

작성자의 이름이 지워지는 경우는 결코 없고, 오히려 그것은 선발의

중요한 기준이 된다. 한 사람의 결정은 위원회, 출판과정 등에 의해

야기되는 시간의 지체를 없애는 장점이 있지만, 그 결정에 있어서 특

정한 편향의 영향을 받고 전문화된 영역 안에서의 상호비판을 방해하

는 경향이 있다(Fallon 58).

대중화된 대학이 가지게 된 이러한 비판적 시각으로 인해 결국 훔볼트적 대학의 특

징들 중 하나였던 정교수의 절대적인 권한과 권위주의적 의사결정구조는 심각하게 도

전받았으며, 결국 학생운동의 민주화열기 속에서 대학행정과 학사운영에 관한 정교수

의 전통적 권한이 대폭 축소되고, 행정의 전문화와 학과교수회의의 권한강화가 그 공

백을 메우게 된다. 이제 대학에서도 1919년에 발효된 바이마르공화국 헌법 165조에

규정된 “공동결정제”의 의사결정방식이 도입되어 정교수 이외의 교수요원들과 학생들

까지도 학사운영에 참여할 수 있게 된다. 이후 학생들은 1968년의 민주화열기 속에서

학사과정 개편논의에까지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대학의 민주화는

독일대학의 엘리뜨주의적 전통의 퇴조를 촉발하게 되고, 대학이 특별한 자격을 가진

고급인력의 양성소가 아니라 모든 시민들에게 명실상부하게 개방된 대중교육기관으로

새로이 자리 잡게 된다. 이러한 대학의 대중화로 인해 대학입학자격인 아비투어를 가

진 김나지움(Gymnasium) 학생 수가 1965년에는 95만 8천명이었던 것이 10년 후인

1975년에는 186만 3천명으로 늘어났고, 대학생 수도 약 30만 명에서 70만 명으로

증가했다.

팰론이 옳게 지적하듯이 훔볼트와 슐라이어마허가 창시한 새로운 대학의 이념은 매

우 훌륭한 것이었지만, 기본적으로 엘리뜨 교육을 위한 것이었다. 독일의 대학은

1810년 이해 다양한 정치경제적 여건 속에서 각각의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면서 새로

Page 20: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제2장 독일의 인문학 지원 정책 9

운 방향으로 발전해왔지만, 훔볼트의 이상적 이념에서 완전히 벗어난 적은 없었다.

1960년대 이래 진행되어 온 독일대학의 위기는 기본적으로 그것이 엘리뜨 교육기관

에서 대중 교육기관으로 변화했기 때문이고, 그 위기의 본질은 한 마디로 학생 수가

너무 많다는 사실에서 비롯된 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훔볼트의 이념에 입각한 대학

의 제도와 그 운영은 근본적으로 재검토되어야했고, 근본적으로는 대중적 대학의 특

성에 맞는 제도로 개편되어야 했다.

독일대학을 둘러싼 개혁논쟁은 기본적으로 첫째, 학생 수의 증가문제, 둘째 그로

인한 재정적 문제, 셋째 대학의 효율성저하의 문제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학생 수의 증가와 재학기간의 장기화 문제는 개방입학제로 대중화된 독일대

학이 가진 가장 심각한 문제였다. 독일 대학생의 숫자는 1960년에 37만명 수준에서

20년이 지난 1980년에는 약 103만명으로 거의 세 배로 증가했고, 그로부터 30년이

지난 2010년에는 그 두 배가 넘는 약 220만명으로 늘어났다. 대학생 인구의 급격한

증가는 무엇보다 대학의 문턱을 낮게 한 개방입학제도에 기인한다. 독일의 개방입학

제도는 소수 엘리뜨보다는 대중을 상대로 한 고등교육을 표방하는 개방성과 기회균등

의 원칙을 기반으로 하는 공교육의 원칙에 의해 만들어진 제도였다. 원하는 사람은

누구나 재정적 조건과 상관없이 대학에 가서 고등교육을 받을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인

데, 이렇게 하다가 보니 대학입학 자격(abitur)을 가진 학생들의 숫자가 꾸준히 증가

해서 1992년에는 약 29만명에서 2002년에는 약 36만명으로 약 24% 증가했다. 또한

대학생들에 대한 양호한 사회복지와 대학캠퍼스의 자유로움은 많은 젊은이들이 학생

신분을 오래 유지하도록 유도했고, 그 결과 신입생 대비 재학생들의 숫자가 점점 더

늘어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독일정부는 개방입학제 자체는 여전히 고수하고 있으며, 너무

많은 수의 대학진학 희망자들에 보다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1973년부터 대학입

학 중앙심사처(ZVS, Zentrale Vergabestelle für Studienplätze)를 설치하여 입학생

들이 진학을 원하는 사람들이 대학 선택에 있어서 가지는 절대적인 권한에 약간의 제

한을 두게 된다. 대학에 대한 학생들의 선호도가 각각 달라서 1991년에는 특정한 분

야에 너무 많은 인원들이 몰리는 일이 발생하여 대규모로 입학제한조치를 내리게 되

었고, 그 이후 그러한 일이 자주 발생하지만 개방입학제의 근간은 흔들리지 않았고,

대학생 수의 꾸준한 증가세는 지금까지 계속 되고 있다.

둘째, 이러한 학생 수의 증가는 독일대학의 재정을 악화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했다.

독일대학의 수입원은 정부지원금(Grundmittel)과 연구촉진을 위해 제공하는 연구지

원금(Grittmittel), 그리고 대학병원 등 대학의 운영수입(Verwaltungseinnahmen)으로

Page 21: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10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

구성되어 있는데, 정부의 지원금이 꾸준히 늘어난다고 해도, 그것이 학생 수의 급격한

증가에 상응할 만큼 현격하게 증가할 수 없었고, 그것은 교육재정의 심각한 악화와

고등교육의 질 하락을 의미한다.

셋째, 독일대학의 재정구조를 압박하는 주된 요인은 높은 인건비 비중과 지나치게

경직된 인적 구성으로 지적되고 있는데, 이는 독일대학교육의 효율성에 대한 논쟁으

로 연결된다. 독일의 대학들은 여전히 훔볼트적 이상주의에 물들어서 공무원으로 신

분이 보장된 교수들이 대학의 인적 구조조정을 불가능하게 하고 있다는 비판적 시각

이 대학외부, 특히 정부쪽에서 나오고 있다(이종래 107-132).

독일 대학이 지난 50-60년간 직면했던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독일 정부

는 1990년 중반부터 본격적인 대학개혁에 착수했는데 대학기본법에 대한 개정작업을

꾸준하게 진행하여 다음과 같이 대학개혁을 법제화했다.

- 제 4차 개정 대학기본법 발효(1998.8.25)

- ‘21세기 대학직무제도 개혁 전략’(2000.9.21)

- 고용원발명법 개정안 발효(2002.2.7.)

- 제 5차 개정 대학기본법 및 교수급여 개혁법 발효(2002.2.23.)

- 제 6차 개정 대학기본법 발효(2002.8.15)

그 개혁작업의 핵심은 교직원 직제 개편과 교수 급여체계의 개혁인데, 이는 기본적

으로 훔볼트적 대학이념에 기본을 둔 독일대학의 여러 제도와 전통적인 교수의 지위

를 오늘날의 대중화된 고등교육의 현실에 맞게 개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독

일의 연방교육연구부(BMBF)는 대학 기본법과 교수급여 개혁법 등을 개정했고, 학업

구조의 재편성, 성과 위주의 대학 지원, 대학의 연구 및 교육의 평가, 대학경영의 현

대화, 국제적인 학위제도 도입 등 독일의 대학제도를 훔볼트적 전통에서 탈피시켜

1999년 볼로냐 프로세스에서 천명한 국제적 표준에 맞게 개편하는 노력을 꾸준하게

전개하고 있다. 독일대학의 이러한 구조적 개혁은 다음과 같은 내용을 갖는다.

1) 주니어교수제(Juniorprofessoren) :이것은 교수자격과정 이수 및 교수자격청구논문

(Habilitation)을 교수 임용조건으로 규정한 전통적인 조항을 폐지하고 이를 대신하

는 제도로 도입되었다. 즉 교수자격청구논문이 없어도 교수로 임용될 수 있게 한

것이다. 박사과정 이상의 자격을 가진 신진 학자들이 오랜 시간의 도제생활을 거치

지 않고도 바로 대학에서 독자적으로 연구하고 가르칠 수 있게 됨으로써 교수 임

Page 22: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제2장 독일의 인문학 지원 정책 11

용 평균연령을 약 40세에서 10년 정도 낮추었다. 이는 독일 교수사회의 세대교체

와 인적 혁신을 앞당기는 조치로서 독일대학의 가장 독일적인 전통을 폐기하는 매

우 혁신적인 조치이다. 주니어교수는 원칙적으로 6년간 임용되고, 최초 3년 이후

평가를 통해 3년의 계약연장이 가능하고, 대개 이 기간 중에 종신교수직에 지원할

수 있다.

2) 교수자격과정의 폐지와 교수 임용자격의 개혁:그동안 교수임용자격의 전제조건으

로 요구되었던 교수자격청구논문(Habilitation)이 2010년에 폐지되었다. 이것은 박

사학위 취득 후 상당기간 학문적 성과를 축적하고 종신교수직에 지원할 수 있도록

한 일종의 박사후과정이었는데, 이 과정이 너무 장기간이어서 최근에는 젊은 학자

들의 독립적인 연구활동을 가로막는 장애물로 인식되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종

신교수직이 주니어교수들 뿐 아니라 대학과 공공연구기관, 기업 및 기타 사회부문

의 연구원들에게 개방되었는데, 이들은 교수자격과정과 상관없이 자신의 연구분야

의 업적만 가지고 직접 종신교수로 지원할 수 있게 되었다. 이것은 훔볼트로부터

시작된 독일의 전통적인 교수직의 근본적인 변화를 의미하는 것이다.

3) 자체 임용금지 규정의 완화:지금까지는 자교 출신 교수자격 취득자를 종신교수

임용대상에서 제외했지만, 새 제도에서는 박사학위 취득 후 다른 연구기관에서 2

년 이상의 경력을 쌓은 연구자는 자교의 종신교수직에 임용할 수 있도록 했다. 주

니어교수의 경우 심사에서 뛰어난 성과가 인정되면 곧바로 종신교수로 임용될 수

있는 길을 열어놓았다.

4) 대학교수 및 연구원 직제의 개편:C2, C3, C4로 나뉘어져 있던 종신교수직을 W2,

W3로 단순화하고, 그 외에 대학에서 다양한 신분으로 연구에 종사하던 연구자들을

연구원(Wissenshaftliche Mitarbeiter)으로 단일화했다. 지금까지 종신교수 밑에서 연

구에 종사했던 강사(Privatdozent), 선임조교(Oberassistent, Oberingenieur), 조교

(Wissenshaftliche Assistente) 등의 직제는 폐지되었다. 또 종신교수가 무조건 국가

공무원이었던 종전의 제도를 지방정부에서 독자적으로 교수들의 신분을 정할 수 있도

록 했다.

5) 성과급 급여체계의 도입:새롭게 도입된 교수급여 개혁법이 발효되면서 호봉제에

입각했던 교수들의 급여가 강의와 연구, 학생지도 등에 대한 평가와 연계되는 성

과급과 기본급으로 구성되게 되었다. 제 4차 개정 대학기본법은 대학의 자율성 강

화와 성과위주의 예산배정 원칙을 명문화함으로써 대학으로 하여금 국가의 보호에

서 벗어나 경쟁원리를 도입하여 그 구성원들이 성과에 기반한 급여를 받을 수 있

는 기반을 마련했다.

Page 2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12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

6) 새로운 학위제도의 도입:1999년의 볼로냐 프로세스의 결의에 따라 독일의 학위제

도도 국제적 표준에 맞게 개편할 필요성이 제기되었고, 이를 위해 대학기본법 6차

개정에서 독일 대학에도 전통적인 마기스터(Magister)와 디플롬(Diplom) 이외에

영미식의 학사(BA)와 석사(MA) 학위를 공식적으로 도입했다. 이것은 독일 제도를

국제적 표준에 맞추어서 독일교육의 국제적 경쟁력을 강화하고, 또 독일대학의 고

질적인 문제인 장기간에 걸친 재학기간을 4-5년으로 단축하기 위한 조치이다(이은

정; 신동민).

독일의 대학이 대중화되면서 직면했던 여러 가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엘리

뜨적 교육과정을 전제로 했던 훔볼트적 대학이념으로부터 점점 더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도 개혁을 추진할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개혁의 핵심은 시간의 제한이나 제도상의

제약 없이 종결되지 않는 학문탐구에 종사했던 독일 교수집단을 해체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전통적인 교수제도를 대신한 것은 성과중심으로 평가받고, 그에 기반해서 연

봉을 받는 미국식의 교수제도였고, 독일의 대학제도는 100년 전에 스스로 그 모델이

되었던 미국대학의 시스템을 매우 빠른 속도로 역수입하고 있다고 봐야 한다. 1999년

의 볼로냐 프로세스(Bologna Abkommen)은 유럽의 학위/학점 제도를 국제적 기준에

맞춰 표준화한다는 것이 그 핵심인데, 그 실제적 내용은 독일식 학위제도를 미국식

제도로 개편하는 것이었다. 또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세계의 경제위기는 훔볼트식의

진리탐구와 자아의 완성보다는 대학교육의 경제적 가치를 좀더 중요한 목표로 설정하

는 정책을 선택하도록 유도했고, 독일의 대학개혁 역시 그러한 방향으로 진행되었다

고 봐야 한다. 우리나라의 대학개혁과 미국적 시스템의 도입이 그러했듯, 독일의 경우

에도 이러한 움직임은 인문학 부문에는 그 존립근거가 위협받을 만큼 근본적인 위기

로 인식되는 것은 매우 예측가능한 일이다. 왜냐하면 훔볼트적 대학에서는 대학교육

의 핵심이 문학과 철학의 탐구를 통한 인성의 배양이 가장 중요한 목표였고, 이것은

모든 직업적 효용보다 앞서는 대학의 핵심기능이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최

근 독일의 대학에서 수학했던 한국의 인문학 연구자들이 전해오는 소식은 이러한 우

려를 매우 잘 확인시켜준다. 만하임대학에서 박사과정을 이수하는 한 연구자는 2007

년 4월에 기고한 글에서 독일대학의 개혁드라이브가 인문학계에 가져온 변화와 그에

대한 인문학 종사자들의 우려를 다음과 같이 전해주고 있다.

최근 독일의 대학교수들 사이에서는 1990년대 중반 이후 정부에

의해 주도되고 있는 일련의 대학 개혁 정책들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

가 높아지고 있다. 그 대표적인 예가 1천5백여개의 대학 교수직을 축

Page 24: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제2장 독일의 인문학 지원 정책 13

소시키고 2004년 말부터 도입된 ‘강의 전담 교수제’(Lehr-Professur)

이다. 교수들이 보통 일주일에 8~9시간의 강의를 하고 나머지 시간

을 자신의 연구 활동에 투자한다면, ‘강의 전담 교수’는 일주일에 12

시간의 강의를 하고 연구 활동에 대한 평가를 면제받게 된다. 이 제

도는 ‘연구와 강의의 통일성’이라는 훔볼트의 대학 이념 전통을 정면

으로 부정한 것으로, 교수들은 연구 활동을 통해 갱신되지 않은 강의

는 교육의 질적 저하를 초래한다고 지적한다. 한 시사 일간지가 ‘강의

전담 교수들’을 ‘강의 노예들’로 표현한데서 알 수 있듯이, 강의보다

는 연구 활동에 중요성을 부여해온 교수 사회 내에서 이들의 존재는

자칫 교수들 간의 반목과 갈등을 초래할 소지가 있다. 올해 3월 브레멘에서

열린 ‘독일 교수 협회’(Deutscher Hochschulverband, DHV) 연례 회의에서

회장직을 맡고 있는 베른하르트 켐펜 교수는 이러한 교육 정책이 지속될 경

우 독일의 대학은 곧 파산선고를 하게 될 것이라며 현 정부의 교육 정책

을 강도 높게 성토했다. 독일의 대학들은 국제적인 경쟁력을 갖춘 대

학을 만들기 위해서 정부에만 의존해왔던 대학의 재정을 다원화하고,

각 대학별로 특정 분야를 중점 육성하는 정책을 취해왔다. 그러나 이

러한 일련의 정책들은 독일 대학들의 전통적 풍경들을 심하게 바꾸어

놓고 있다. 강의와 연구 내용의 질에 의해서만 평가되던 대학은 ‘슈피

겔지’나 ‘포커스지’에 수시로 발표되는 대학의 랭킹, 외부 지원금의

양, 졸업생 수 등에 따라 서열화 되고 있다. 연구와 교육을 목적으로

하는 ‘자치 행정 기구’로서 대학은 보다 엄격하게 조직화되고 외부 사

정 기관에 의해 통제되는 일종의 ‘기업체’로 변화되는 경향마저 보여

주고 있다. 2005년에 발생한 괴팅엔 대학 사태는 외부 지원금에 의

해 대학의 자율성이 어떻게 왜곡되고 잠식되고 있는 지를 여실히 보

여준 사례라 할 수 있다. 2005년 괴팅엔 대학의 총장인 쿠어트 폰

피구라 교수는 ‘발전 가능성이 없는’ 정치학과를 축소시키고 사회학과

중심의 대학을 육성하겠다고 공표했다. 그는 능력도 없으면서 방송매

체에나 빈번하게 출현하는 괴팅엔 대학의 정치학과 교수들은 ‘신문

문예란 수준의 글이나 쓰는 정치학자들’에 불과하다며 나치의 은어까

지 사용하며 원색적인 비난을 퍼부었다. 이 문제는 곧 사회적 스캔들

로까지 비화되고 말았다. 총장의 발언은 사회적 금기를 위반했을 뿐

만 아니라 소위 ‘괴팅엔 학파’로 불리고 있는 정치학과의 학문적 능력

을 곡해하고 있기 때문이었다. 괴팅엔의 정치학과는 독일의 정당연구

분야에서 이미 탁월한 연구 성과를 거두고 있었고, 2004년 3월에 시

행된 니더작센주 학술 위원회의 평가에서도 국제적 경쟁력을 갖춘 것

으로 평가된 바 있었다. 나중에 밝혀진 바에 따르면 니더작센주의 주

Page 25: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14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

지사인 크리스티안 불프가 자신의 정치노선과 대립관계에 있던 ‘괴팅

엔 학파’를 무력화시키는 것을 조건으로 총장에게 막대한 지원금을

약속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대학의 약점은 축소시키고 장점은 강화시

키자는 이와 같은 정책은 다른 강점들을 집단적으로 약화시키는 결과

를 초래하고 있다는 점에서 또 다른 우려를 낳고 있다. 최근 만하임

대학에서는 총장의 주도로 영문과, 독문과, 슬라브어과, 로만어과, 철

학과 등이 속한 철학부를 희생하는 대신 경제학과 사회학 중심의 대

학 운영 계획이 발표된 바 있다. 그러나 대학의 국제적 경쟁력이 학

부들 간의 치열한 경쟁과 논쟁을 통해서도 발전할 수 있다는 사실을

망각한 이와 같은 결정에 대해 수많은 교수들은 의문과 우려를 표명

하며, 일면화된 교육 내용만을 가지고는 결코 세계를 선도하는 인재

를 육성할 수 없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프랑크푸르트 대학의 철학

과 교수인 마틴 젤은 “뛰어날 정도로 외부 지원금을 잘 마련하는 교

수가 생산적인 연구자인 경우는 드물다”며 외부 지원금이라는 물신만

쫓고 있는 세태를 비난한다. 그는 또한 연구 지원금을 타기 위해 공

동연구나 학제적 연구를 강요하는 경향에 대해서도 “조직화된 창조성

은 창조성이 아니다”며 단호한 입장을 취하고 있다. 프랑프푸르터 알

게마이네 차이퉁의 편집장인 위르겐 카우베 역시 ‘인문과학의 현상황’

을 점검하는 글에서 자본의 논리가 바람직한 연구 태도마저 왜곡시키

고 있다고 지적한다. 그에 따르면 최근의 인문학은 특정한 현상을 문

제로 지각하고 이를 연구하기 위해 연구비를 지원받는 대신 돈이 될

만한 테마들만을 찾고 있다고 비판한다. 대학 문화의 파괴 현상을 위

기로 진단하고 대안을 찾기 위한 시도들 역시 꾸준히 계속되고 있

다. 만하임대 독문과 교수인 요헨 회리쉬는 현재의 독일 대학들이 ‘형

식화’, ‘규율화’, ‘탈에로스화’ 되었기 때문에 ‘사랑받지 못하는 대학’

이 되었다고 진단한다.(‘사랑받지 못하는 대학, 2006) 수많은 교수들

이 현재 독일 대학의 위기가 부족한 재정에서 비롯되었다고 보는 반

면에, 그는 학자들의 진리 탐구에 대한 열정 부족과 학생들에 대한

관심 부족에서 그 원인을 찾고 있다. 빈 대학의 철학과 교수인 콘라

드 파울 리스만 역시 ‘진리 탐구에 대한 근원적인 호기심과 즐거움’을

되찾게 될 때 대학의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탈출구를 발견하게 된다

고 보고 있다.(무교양의 이론, 2006)(이영범, 교수신문, 2007년

4월 7일).

Page 26: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제2장 독일의 인문학 지원 정책 15

훔볼트대학의 문화학과에서 수학하는 또 다른 한국의 연구자도 2008년 11월에 기

고한 한 기사에서 이러한 대학개혁이 결과가 독일인문학의 빛나는 사상적 전통을 어

떻게 훼손하고 있는지를 생생하게 증언하고 있다.

여전히 많은 철학·문학잡지들이 발행되고, 인문학 서적들도 계속

집필·번역되고 있지만 독일의 인문학계는 긴 침묵상태에 빠져 있다.

1960년대의 실증주의 논쟁, 1970년대의 해석학 논쟁만큼의 철학사적

의미를 갖는 건 아닐지라도 1986~7년 홀로코스트에 대한 해석을 둘

러싸고 위르겐 하버마스와 에른스트 놀테 사이에서 벌어졌던 ‘역사가

논쟁’, 1999년 유전자 복제기술과 관련해 페터 슬로터다이크가 휴머

니즘 전통을 도발적으로 비판하고 나섬으로써 촉발된 ‘슬로터다이크

논쟁’ 이후로는 현실 문제나 시대적 진단을 둘러싸고 벌어지는 내세

울 만한 인문학적 논쟁이나 쟁점을 거의 찾아보기 힘들기 때문이다.

올해 6월 15일 만하임대학의 요헨 회리시 교수가 SWR2 라디오 인

터뷰에서 지적한 것처럼 현재 독일의 인문학자들은 자기 분야의 전문

적·서지적 문제들에만 매달리면서 현실 문제에 어떤 테제를 제기할

만한 자신감은 잃어버린 듯하다. 왜 그럴까? 여기엔 무엇보다도 독일

사회 개혁의 일환으로 추진되고 있는 대학, 특히 인문학과들의 거센

구조조정이 작용하고 있다. 지난 정권 때부터 시작된 독일사회의 신

자유주의적 개혁은 얼마 전부터 대학에도 변화를 요구하며 본격화됐

다. 그중 인문학이 가장 큰 개혁 대상이었다는 것은 1995~2005년

사이에만 총 663개의 인문학 교수 자리가 통폐합으로 없어졌다는 사

실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특히(프리드리히 슐라이어마허, 프리드리히

니체 등의) 독일 인문학적 전통을 이어가던 문헌학과ㆍ교육학과는 이

기간 동안 35%의 교수자리를 삭감당해야 했고, 지금도 많은 인문학

과들은 퇴직 교수의 후임을 선출하지 않는 방식으로 교수정원을 줄여

가고 있다. 이로 인해 1999년 1인당 75.3명이었던 인문학과 교수

대 학생 비율은 2003년에 93.7명으로 늘어났다. 이는 인문학 교수들

이 더 많은 수업과 행정 부담을 맡아야 한다는 걸 의미한다. 나아가

지금까지 정부 예산으로 이뤄지던 대학운영을 등록금 도입과 기업스

폰서를 얻는 방식으로 자율화하려는 방침에 따라 인문학자들에게도

개별 연구와 저술 활동보다는 기업 등으로부터 재정후원을 얻기 쉬운

공동연구 프로젝트가 권고되고 있다. ‘인문학의 경제화’와 ‘국제화’라

는 모토로 진행되고 있는 이와 같은 대학의 실용주의적 전환은 학생

들에게도 예외가 아니다. 1999년부터 독일 대학들은 연구 중심의 전

Page 27: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16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

통적인 마스터 과정(우리나라의 학사와 석사가 통합되어 있는 과정)

대신 졸업 후 취업준비에 더 역점을 두는 바첼러 과정을 중심으로 운

영되고 있다. 이에 대해 프랑크푸르트대학 철학과 교수 마르틴 젤은

인문학자들에게 강요되고 있는 공동연구, 연구평가, 기업스폰싱 등이

창의적이고 독창적인 연구를 구조적으로 가로막고 오히려 큰 시간낭

비를 초래하고 있다며 비판하기도 했다. 또한 독일 인문학계의 침체

는 독일에서 진보적 지식인들의 입지가 협소해지고 있는 상황과도 관

련되어 있다. 1990년대 초까지만 해도 독일 인문학계를 지배하던 비

판이론의 토포스는 더 나은 사회에 대한 유토피아적 전망에 기초하고

있었다. 그러나 그 어느 나라보다 선진적인 노동조건과 사회보장을

갖추고 있던 사회민주주의 국가 독일이 세계화된 자본주의 경제의 압

력에 밀려 이를 후퇴시키고 사람들에겐 열악한 조건의 일자리나마 감

사히 받아들이게 하는 현재의 상황은 현실 비판의 토대를 위태롭게

만들었다(김남시, 대학원신문, 중앙대학교, 2008년 10월 26일).

2.3. 독일 정부의 인문학 지원정책

2.3.1 연방교육연구부의 인문학 진흥정책: “인문학 연구의 자유” 계획

(Freedom for Research in the Humanities Initiative)

2.3.1.1. 배경과 취지

대학개혁이 가져온 인문학에 대한 이러한 위협은 일선 연구자들에 의해서만 느껴지

는 현상은 아니었다. 독일 연방정부는 대학개혁의 결과로 말미암은 인문학의 위축과

침체를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이를 타개하기 위해 2007년을 “인문학의 해”로 선정하

고 인문학부흥을 위한 연방 차원의 지원을 공식적으로 천명했다. 연방정부 교육연구

부(BMBF)는 독일의 인문학이 새로운 대학의 환경에 잘 적응하면서 과거의 영광을 이

어가기 위해서는 정부차원의 보다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재정지원계획이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계획을 “인문학 연구의 자유”라고 명명했다. 이것은 대

학의 연구와 개발을 경제적 가치와 밀접하게 결부시키는 최근의 대학개혁의 소용돌이

속에서 인문학이 본연의 자리를 지키고 과거의 영광스러운 학문적 업적을 미래에도

계속 이어나갈 수 있게 하기 위한 연방정부 차원의 대응이었다. 그동안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공적 영역과 사적 영역에서 각각 분산적으로 재정지원을 받던 인문학이 보

다 경쟁적인 원칙으로 빠르게 재편되고 있는 독일의 대학사회에서 주변화되거나 도태

Page 28: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제2장 독일의 인문학 지원 정책 17

되지 않으려면 확립된 원칙과 체계적인 구조 속에서 지속적인 방식으로 재정지원을

받아야 한다는 연방정부의 정책적 판단이 있었던 것이다. 연방정부는 “인문학 연구

의 자유” 계획을 시작하면서 그 의의를 다음과 같이 천명한다.

독일정부의 연구에 관한 정책은 우리나라의 미래를 위해 요구되는

기본적인 조건들을 확보하고 발전시키는 것을 목표로 입안되었다. 이

것은 기술개발과 혁신 그리고 기본적인 문화적 연구의 진흥에도 똑같

이 해당된다. 기본적인 문화적 연구도 지원신청이 가능하지만 그 중

요성이 유용성이 확보되는 특정한 분야에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

다. 인문학은 문화적 기억에 기여하며, 여러 문화 간의 매개자로 기능

한다. 인문학은 사회의 가치와 발전의 방향성을 반영하고 제시하며,

우리의 미래에 형태를 부여한다. 인문학은 또한 여러 분야의 과학, 경

제와 사회의 국제화에 주된 역할을 담당하며, 그 특화된 지식으로 그

과정에 핵심적으로 작용한다. 특히 인문학은 자연과학 및 기술과학

뿐만 아니라 다른 종류의 과학과도 협력하여 사회가 미래에 직면할 문

제들의 맥락과 방향성을 명확히 밝히는데 필요한 기반을 제공한다....

연방교육연구부는 “인문학 연구의 자유” 계획을 인문학 프로젝트를 위

한 재정지원을 재편성하는 계기로 삼았다. 연방교육연구부의 생각은

인문학이 미래에 형태를 부여하는데 기여한다는 것을 밝히고, 또 인문

학이 대학 안에서 그런 일을 해나가는 데 필요한 자유를 보장함으로써

인문학을 진흥한다는 것이다. 여기에는 대학개혁의 과정과 인문학의 특

정한 방법론과 요구사항들이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Freedom for

Research in the Humanities 3).

여기에는 독일연방정부가 인문학에 대해서 가지는 기본입장이 요약적으로 잘 표현

되어 있다. 우선 독일에서는 연구개발의 투자에 있어서 인문학을 중요한 대상으로 인

정한다는 점을 분명하게 밝히고 있다. 특히 인문학이 자연과학이나 공학 등과 달리

당장의 유용성을 인정받기 어렵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문학은 우리의 사회의 기

본적인 가치를 생산하고 사회발전의 방향을 설정함으로써 “미래에 형태를 부여하는”

중요한 역할 때문에 다른 분야 못지않은 중요성을 인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어느 나

라에서나 현대사회에서는 자연과학과 공학의 발전이 경제를 발전시키고 부를 증진시

킴으로써 사회발전을 선도하는 것이 사실임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발전이 진정으로 인

류의 미래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인문학에 의해 올바르게 그 방향이 설정되는 것이 꼭

필요하고, 그런 면에서 인문학의 유용성이 있으며, 그에 합당한 재정지원의 대상이 되

Page 29: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18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

어야 한다는 것이 독일연방정부의 입장이다. 이것은 독일처럼 인문학의 찬란한 전통

을 자랑하는 나라에서는 너무나 당연한 얘기이지만 앞에서 서술한 것처럼 최근 10년

동안 급속도로 진행된 대학개혁의 과정에서 훔볼트적 이상이 상당부분 퇴조했고 그와

연관된 인문학의 핵심적 가치가 근본적으로 위협받을 위기에 처했음을 독일 정부 스

스로 첨예하게 인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또 인문학에 대한 재정지원을 함에 있어서 인문학이 가진 “특정한 방법론과 요구사

항”들을 함께 고려한다는 것은 인문학의 연구에 있어서 타 학문과는 다른 자유가 필

요함으로 인정하는 것이다. 19세기의 훔볼트적 대학에서는 대학의 정교수가 무한한

자유를 누리면서 시간의 제약 없이 자기 스스로 설정한 주제를 자유롭게 연구할 수

있었다. 그런데 최근 10년간 이루어진 독일 대학개혁의 핵심이 이러한 훔볼트적 교수

집단을 해체하는 것과 대학의 학사운영과 연구활동에 표준화된 시간표를 보다 긴밀하

게 적용하는 것이라면, 이것은 훔볼트가 말하는 학문적 활동의 기본적 요건, 즉 “고독

과 자유”를 근본적으로 훼손하는 것이며, 적어도 인문학에 관한 한 “학문의 자유”를

심각하게 저해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독일정부는 인문학을 지원함에 있어서

인문학의 특별한 성격을 고려하여 타분야 와는 다른 조건에서 지원하겠다는 뜻이며,

이러한 의지는 이 인문학 진흥책을 “인문학 연구의 자유”라고 명명한 것에서도 분명

히 드러난다.

2.3.1.2. 재정지원의 목적: “인문학 연구의 자유” 계획은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 새로운 형식의 지원으로 연구자들에게 연구에 더 많은 시간을 확보해 주는 것.

- 학문적이고 사회적인 대화를 위해 인문학 연구가 가지는 중요성을 정확히 보여

주는 것.

- 인문학의 연구방법론을 발전시키고 자연과학 및 공학과의 연관관계를 강화하는 것.

- 인문학 연구의 국제화를 증진시키는 것.

- 매개자 및 번역자로서 인문학이 갖는 역할과 기능을 강화하는 것.

재정지원의 가장 중요한 목적이 연구자들에게 “연구결과”를 요구하기 위해서가 아

니라 연구자들에게 자유롭게 쓸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해주는 것이라고 명시한 것은

매우 인상적이다. 연구자들에게 재정지원의 대가로 일정한 시간 안에 “연구결과”의

Page 30: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제2장 독일의 인문학 지원 정책 19

제출을 의무화 하고, 그 “유용성”을 매번 설명하라고 요구하는 것이 아니라, 연구자들

의 능력과 창의적 연구에 대한 의지를 신뢰하면서 그들에게 “돈”이 아니라 “시간”을

준다는 것이다. 이것은 사소한 차이 같지만 매우 근본적인 차이이며, 우리나라 정부에

서도 인문학 정책을 입안하는 데 있어서 꼭 되새겨봐야 할 점이다. “학문적이고 사

회적인 대화”에 인문학이 기여할 것이라는 점은 타 분야가 그 전문성에 갇혀서 그 분

야 내부에서 지식을 축적한다면 인문학은 유일하게 분야를 넘나들면서 여러 분야에

걸쳐 “매개자” 혹은 “번역자”로 기능할 수 있다는 기대를 보여주는 것이다. 인문학은

그 본질에 있어 “학제간”적 성격을 가지고 있어서 각 분야의 학문적 성과를 통합적으

로 활용하게 할 수 있다는 것인데, 이것 역시 훔볼트가 천명했던 “지식의 동일체” 이

론을 상기시키는 대목이다. 날이 갈수록 각 분야의 연구들이 세분화되고 전문화되어

그 연구의 결과물이 훔볼트적 지식체계에서 멀어지는 것이 현실이라면, 인문학은 그

자체가 훔볼트적 지식의 본질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현대적 학문분야의 분절성

을 극복할 수 있는 독특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이다. 여기까지가 전통적인

인문학 연구에 우호적인 측면이었다면, 자연과학 및 공학과의 강화를 명시한 대목이

나 국제화를 강조한 부분은 인문학의 내부적 변화를 추동하려는 의도가 있는 것 같다.

인문학의 고유성을 인정하되 자연과학이나 공학의 발달된 방법론을 보다 적극적으로

받아들여 활용함으로써 새로운 영역을 개척하라는 것이다. 가령, 인문학이 발달된 정

보통신기술을 받아들여 활용하는 디지털인문학 같은 분야가 그 예가 될 수 있겠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인문학에 자연과학적 패러다임을 덧씌우는 것이 아니라 인문학의

범위를 넓히고 그 활용성을 높이는 데 더 초점이 가 있다. 인문학의 국제화는 특정한

문화적, 역사적, 언어적 맥락이 중요한 인문학의 경우에는 다소 생소한 목표이긴 하지

만, 자연과학이 수식과 영어라는 세계어를 기반으로 전세계가 거의 하나의 학문적 공

동체로 발전해나가는 것에 비해 인문학은 여전히 문화적, 역사적, 언어적 고유성에 기

반을 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것을 극복하고 그 학문적인 성과의 보편성을 확보할

것을 요구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2.3.1.3. 재정지원 프로그램의 범위:

독일정부는 2007년 한 해에 인문학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재정지원을 시행했다.

- 연방교육연구부(BMBF)가 주도하여 인문학에 투자한 예산총액은 약 2억1000만

유로 (3171억원)이다. 이 총액은 독일연구협회(DFG) 같은 연구지원조직을 통한

Page 31: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20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

간접지원금, 기관기원금, 프로젝트별 직접지원금을 모두 포함한 금액이다.

- 매년 연방교육연구부의 예산중 약 7100만유로(1072억원)가 인문학으로 지원되

었고 이는 독일 내의 인문학 지원예산 전체의 58%에 해당된다.

- 2165만유로(약327억원)가 각종 인문학 연구조직들의 프로그램에 지원되었고, 이

는 관련 예산 전체의 50%를 차지한다.

- 연방교육연구부는 인문학을 위한 기관지원금 명목으로

막스플랑크협회(The Max Planck Society)에 4700만유로(약709억원),

라이프니쯔협회(The Leibniz Association)에 4000만유로(약604억원), 독일인문학

국제재단(The Foundation of German Humanities Institutes Abroad)에 2594만유로

(약391억원)을 각각 배정했다.

- 연방교육연구부가 인문학 프로젝트를 직접 지원하는 금액은 매우 적은 편으로

500만유로(약75억원)에 불과하다.

- 인문학에 대한 국가적 지원 이외에도 크고 작은 민간재단에서 약 7000만유로

(약1057억원)을 인문학 분야에 지원했는데, 폭스바겐재단(Volkswagen

Foundation)이 제일 규모가 크다.

Federal Ministry of Education and Research, Freedom for Research in the

Humanities, 2007.

2.3.2. 독일연구협회(Deutsche Forschungsgemeinschaft, DFG)

2.3.2.1. 독일연구협의의 역사

독일연구협회는 독일의 대학과 공공연구기관의 연구를 지원하는 자치행정조직이다.

이 협회는 약 90년 전인 1920년에 독일긴급학술협회(Notgemeinschaft der Deutschen

Wissenschaft)라는 이름으로 출발하여 1951년에 연구평의회와 독일긴급학술협회가

통합되면서 현재의 독일연구협회(Deutsche Forschungsgemeinschaft, DFG)로 출범

되었다. 최기에는 국가의 지원금을 연구기관에 분배하는 단순한 일에 종사하다가, 현

재에는 연방과 주 정부로부터 재정지원을 받아 독일 전역의 연구기관에 연구비를 제

공하는 독일에서 가장 큰 연구지원기관이다.

Page 32: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제2장 독일의 인문학 지원 정책 21

2.3.2.2. 주요임무

독일연구협회는 인문학을 포함한 모든 분야의 연구 과제를 지원하며, 특히 신진과

학자들의 연구를 중점적으로 지원한다. 대학이 주된 지원대상이며 연방정부 및 주정

부와 협의하여 개별연구자 및 연구기관을 지원한다. 그 주된 임무는 다음과 같다.

- 협회는 대학, 연구기관, 개별학자들의 연구를 재정적으로 지원하고, 경쟁을 통해

질높은 연구를 장려한다. 독일의 학술진흥을 위한 자치행정조직으로서 모든 분야

의 학문을 지원한다.

- 협회는 개인이나 기관의 지원신청서를 받아 엄정한 평가를 거쳐 우수한 연구를

지원함으로써 학문 연구의 수월성을 확보한다.

- 협회는 의회와 행정부에 학술적 자문을 제공한다. 정치적, 사회적 의제에 대해

학술적 소견을 가지고 의견을 제시함으로써 정책적 결정을 지원한다.

- 협회는 국제적인 학술협력을 장려한다. 특히 유럽 내의 학술적 협력을 진흥하는데

노력을 기울인다.

- 협회는 소장학자들의 초기연구를 중점지원하며, 모든 단계의 학자들의 경력개발

을 지원한다.

2.3.2.3. 독일연구협의의 조직

- 집행위원회(The Executive Committee) : 상근직 회장과 명예직 부회장 8명으로

구성되어있다. 독일학술후원자협회 회장도 상임고문의 자격으로 참여한다.

- 평의회(Senate) : 평의회는 학문과 연구의 정책을 책임진다. 평의회는 과학적, 학

문적 연구의 관심사와 우려사항을 표현하며 연구의 협력을 진흥하고, 과학적인

근거를 가진 견해를 제시함으로써 정부와 국회 및 기타 공공기관을 자문한다.

- 공동위원회(Joint Committee) : 공동위원회는 협회의 주된 의사결정기관이다. 공

동위원회는 평의회의 의결에 따라 연구와 관련하여 최종적 의사결정을 내린다.

특히 협회의 예산과 재정지원 정책의 일반적인 형성과정과 관련된 결정들을 내

린다. 공동위원회는 새로운 지원프로그램의 집행과 기존의 지원프로그램의 변경

에 대한 결정권을 가지고 있다.

Page 3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22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

- 회원총회(General Assembly) : 협회의 회원은 연구중심대학, 주요 연구소, 과학

과 인문학 관련 연구회, 과학협회 등으로 이루어진다. 회원 기관은 한 명의 대표

자를 총회에 보내서 기관을 대표하게 하며, 1년에 한번 총회를 연다. 총회는 협

회의 활동의 지침과 정책을 정하며 연차보고서와 회계보고를 접수하여 심의하며,

집행위원회를 승인하고, 회장을 비롯한 집행위원회 위원 및 평의회의 위원을 선

발하며, 협회의 신입회원의 가입을 승인한다.

- 검토위원회(Review Boards) :검토위원회는 명예직으로 위원회의 선정절차의 공

정성을 보장하기 위해 심의한다.

- 연구자 옴부즈만(Research Ombudsman) :협회는 양질의 학문적 실천과 학문적

부정행위와 관련된 문제를 다루는데 있어서 모든 연구자들에게 도움을 주고자

만들어진 독립적인 위원회다. 1999년에 총회의 결의에 의해 처음 창설되었다.

- 선정위원(Reviewers) : 선정위원들은 연구지원 신청서를 학문적으로 검토함으로

써 협회의 재정지원과정에 핵심적으로 관여한다. 선정위원은 협회의 사무국이 그

들의 전문성에 입각하여 선정하는데 이들은 지원서의 학문적 수월성과 연관성,

독창성에 따라 선정여부를 결정한다.

*DFG 조직의 구조도

Page 34: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제2장 독일의 인문학 지원 정책 23

2.3.2.4. 독일연구협회의 특징

- 협회는 운영과 연구지원에 있어서 상당한 수준의 자율성을 가지고 있고, 지원사

업의 선정은 대부분 관련 전문가로 구성된 선정위원회의 결정을 따른다.

- 연구지원을 신청하는 연구자들은 연구주제를 자율적으로 결정할 수 있고, 지원금

액도 자율적으로 정한다. 선정위원은 미리 정해진 기준에 의해 심사하는 것이 아

니라 신청자의 신청서를 기준으로 심사한다. 선정위원의 심사에 있어서도 일반적

인 가이드라인이 있을 뿐 대부분 선정위원의 자율적 심사에 맡긴다.

- 선정위원은 연구의 내용뿐만 아니라 신청예산에 관해서도 심의할 수 있으며, 대

부분 상당한 연구경력을 가진 전문가가 선정위원으로 선임된다.

- 선정은 동료평가방식에 의존하고 있어서 새로운 연구방식이나 혁신적인 프로젝

트에 다소 소극적으로 반응한다는 비판이 있을 수 있다.

2.3.2.5. 독일연구협회의 인문학 지원현황

*2007년부터 2010년 사이의 DFG의 영역별 지원 현황

Page 35: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24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

협회의 인문사회분야의 지원예산은 2007년에는 2억1970만유로(약 1096억원)으로

전체예산 대비 14%정도에 해당된다. 이것은 자연과학(25.3%)이나 공학(22.0%)에 대

한 지원예산의 절반을 넘는 수치이고, 생명과학(38.7%)의 36%에 해당되는 액수이다.

2010년에는 인문사회분야의 지원이 2억8670만유로(약 1197억원)으로 0.6% 증가했

다. 우리나라의 인문사회분야의 연구비투자가 전체대비 3-4%에 불과한 것과 비교하

면 독일의 인문사회관련 연구비 비중은 엄청나게 높은 편이다.

*2007년부터 2010년까지 지속되고 있는 연구프로젝트의 영역별 지원액 현황.

Page 36: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제2장 독일의 인문학 지원 정책 25

인문학에는 2007년에 1억 3200만유로(약 1993억원), 2008년에 1억 4000만유로

(약 2114억원), 2009년에는 1억 5190만유로(약 2294억원), 2010년에는 1억 7240만

유로(약 2603억원)을 각각 지원하였고 꾸준한 증가세를 보여주고 있다. 다른 영역과

비교해보면, 화학이나 기계공학보다는 조금 큰 규모이고, 물리와 비슷한 지원규모를

보여주고 있어서 독일의 경우에는 이공분야에 비해 인문학에 대한 지원이 약하다고

말할 수 없음을 분명하게 보여준다.

*2007년에서 2010년까지 연구교수에 대한 영역별 지원현황

이 도표는 학문후속세대인 연구교수에 대한 투자를 보여주는데, 인문학관련 학문후

속세대에 대한 투자가 2007년에 1억 6400만유로(약 2476억원)에서 2010년에 9400

만유로(약 1419억원)으로 눈에 뜨이게 감소했음을 보여준다. 이는 독일도 인문학에

대한 사회적 투자의 감소추세에 있어서는 예외가 아님을 보여주는 지표라고 할 수 있다.

2.3.2.6. 독일연구협회의 다양한 지원프로그램

- 우수영역 집중 프로그램(Clusters of Excellence): 대학과 연구기관의 특성을 고

려하여 상대적으로 탁월한 업적을 내는 영역을 집중적으로 지원하는 프로그램.

각 대학의 특성에 맞는 연구분야를 선정하여 집중적으로 지원하여 세계적 경쟁

력을 갖도록 하는 프로그램이다.

Page 37: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26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

- 대학원 육성 프로그램: 국제적으로 경쟁력이 있는 대학원을 집중적으로 지원하는

프로그램으로 우리나라의 BK프로젝트와 비슷한 성격의 지원프로그램. 지원대상이

되는 대학원은 그 학문적 수월성을 공인받아 지속적인 발전을 도모할 수 있다.

- 독일연구협회 연구소 육성프로그램

이 프로그램의 1차적인 목적은 국제적인 명성과 인지도를 가진 제한된 수의 연구소

를 독일대학 내에 설립하여 육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소들은 해당 대학의 전략적

발전계획의 핵심적 요소가 되며 이후에도 대학 자체로부터 우선적인 지원을 받는다.

- 협동연구소 육성프로그램

이 프로그램은 최장 12년까지 지원할 수 있는 장기지원 프로그램으로 학문 영역별,

기관별, 학과별 영역을 뛰어넘어 수월성 있는 연구계획을 장기적으로 추진할 수 있도

록 하기 위한 것이다. 대학에서 가용한 자원을 효과적으로 특정한 영역에 집중시킴으

로써 야심적이고, 복합적이며 장기간의 연구를 필요로 하는 영역을 육성하는 것을 목

적으로 한다.

- 연구훈련 그룹육성 프로그램

이것은 각 대학의 젊은 연구자들을 최장 9년까지 지원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선

택된 영역에서 연구에 종사하는 박사급 연구원들을 지원하는 것을 1차적인 목적으로

삼는다.

- 우선지원 프로그램

이것은 특정한 영역에 대한 지원이 특별한 의의를 갖는 결과를 가져온다고 판단되

었을 때 독일연구협회가 특별히 지정하여 최장 6년까지 지원할 수 있는 지원프로그램

이다. 평의회는 이를 위해 따로 공모한다.

Page 38: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제2장 독일의 인문학 지원 정책 27

- 연구단 지원프로그램

연구단은 연구영역의 주제적 연관성과 지속기간, 재정 상황에 따라 공동으로 연구

에 종사하는 연구자들로 이루어진다. 이것은 개별 연구비 혹은 우선지원 프로그램의

연구비지원 범위를 넘어서는 연구의 연구진의 공동연구를 지원하기 위한 것이다.

2.3.3. 독일의 인문학 지원 성공사례분석

2.3.3.1. “유럽인은 누구인가?”(Imagine Europeans": The Scientific

Construction of Homo Europeaus)

이 연구는 유럽인의 정체성은 본래 주어진 것이 아니라 역사적으로 형성된 것임을

전제로 하고, 어떠한 사회역사적 요인들이 유럽인을 일정한 방향으로 형상화했는가를

다양한 연구분야의 실증적 연구를 통해 밝히는 프로젝트이다. 이것은 훔볼트대학의

역사학과와 유럽민족학과에서 주도한 연구이지만 다양한 분야와의 공동연구를 포함하

고 있다. 가령 평균적인 유럽인에 대한 생태학적 통계가 유럽인들을 주고객으로 하는

자동차의 개발에 어떻게 쓰이고 있는지를 연구한다든지, 보건학에서는 심혈관계 질환

의 위험군에 드는 유럽인의 평균적인 허리둘레를 아시아인들과는 다르게 설정함으로

써 유럽의 독특한 보건시스템을 고안해낸다든지 유럽에 대한 자기정체성의 인식이 현

대 유럽인의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삶을 어떻게 다르게 규정하고 있는지를 밝힌다. 이

것은 특정한 “인종” 혹은 “민족”에 대한 정체성에 대한 인류학적인 탐구에서 출발하

여 경영학, 공학, 보건학, 의학 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탐구한다는 면에

서 인간에 대한 본질을 탐구하는 인문학의 탐구가 가지는 사회적 파급효과 혹은 현실

연관성을 보여주는 연구이다. 인문학의 구체적 효용을 문제삼는 최근의 맥락에서 인

문학적 탐구의 사회적 가치를 실증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좋은 사례라 할 수 있다.

또 인문학의 기본적인 전제(인간은 무엇인가?)에서 출발하면서도 타 학문분야와 적극

적으로 협력하여 흥미로운 연구결과를 도출한다는 면에서 인문학연구의 외연을 넓히

는 좋은 계기가 되기도 한다.

2.3.3.2. “인류에게 미치는 진화의 효과: 인류의 특성과 인지의 객관성”이것은 학제간적 인류학을 표방하는 연구그룹의 연구로서 인류와 동물간의 진화론

적 연속성을 전제로 하면서 인류란 무엇인가에 대한 복합적인 연구이다. 최근의 과학

적 발견에 의하면 종전에는 인류에게 고유하다고 믿어졌던 특성들이 동물에게도 나타

Page 39: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28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

난다고 한다. 가령, 침팬지도 도구를 사용할 줄 알며, 이타적인 행동을 할 줄 안다. 앵

무새도 일정한 정도의 언어적 능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보노보 역시 생식을 목적으로

하지 않은 성적 접촉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렇게 인간과 동물 간의 경계가 불분

명해지는 상황은 인간에 대한 새로운 정의를 요구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

서 연구자들은 진화론적 생물학에서 뇌연구, 인지심리학과 인지신경과학에 이르기까

지 폭넓은 분야에서 철학적이면서도 자연과학적인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연

구는 진화론적 발전은 인간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이러한 연구에 비추어

인간의 고유한 특성은 어떻게 새롭게 정의될 수 있는지에 대한 새로운 답변을 찾고자

한다. 고전적인 인류학의 전제와는 매우 다르게 이 그룹의 연구자들은 인간을 육체에

갇혀있는 영혼이라는 이원론적 인간론을 받아들이지 않고 인간의 특성 역시 진화의

결과를 해석한다. 인간을 진화의 결과로 인정하면서도 인간이 이룩한 독특한 문명과

그 위대한 성과가 어떻게 가능했는지를 새롭게 묻는 것도 이 그룹의 연구내용이다.

이 연구는 가장 기본적인 인문학의 물음, 즉 인간이란 무엇인가, 무엇이 인간을 인간

으로 만드는가에 대한 질문에 대하여 다양한 자연과학적 탐구방식을 동원하여 답변을

찾는 형식으로 되어 있다. 이것 역시 인문학의 고전적인 질문이 인문학 너머의 다양

한 연구방법론과 결합된 학제간적 연구의 사례라고 할 수 있다.

2.3.3.3. “동방으로 향한 유럽의 이동”의 맥락에서 본 유럽의 다문화 지형도

유럽은 문화, 정치, 역사적 배경에서 본질적으로 다문화적이다. 이것은 EU가 하나

의 공동체를 지향하는데 있어서 넘어야 할 본질적인 고민이다. 이 연구는 이러한 맥

락에서 “유럽화”의 기본적인 패러다임을 설정하기 위해 유럽과 아시아란 무엇인가를

새롭게 묻는다. 서양과 동양, 서구문화와 동양문화는 어떻게, 왜 구분되는가? 이 그룹

의 연구자들은 서양과 동양의 기술적, 정치적, 문화적 발전에는 근본적으로 비동시성

이 존재한다고 믿는다. 가령, 우크라이나의 오데싸라는 도시에서는 유태인의 민족문학

이 19세기에 형성되었는데, 이것은 타 지역의 유태문학보다 훨씬 늦게 형성된 것이다.

연구자들은 이러한 예를 통해 동양이나 서양의 “선진성” 혹은 “후진성” 등과 같은 개

념이 보편타당하지 않고, 비판적으로 검토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또한 이 그룹의 연구

자들은 유럽을 하나의 유산이나 표준으로 간주하지 않고, 계속적 과정으로 파악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비교문화적 연구의 방법론을 유럽의 고정된 관점에서가 아니라 이

질적인 종교적 문화의 관습에서 찾아내는 것이다. 가령, 레바논의 수도 베이루트는 유

럽 외부에서 유럽화가 어떻게 진행되는지를 보여주는 예로서 연구의 대상이 된다. 이

스탐불의 역사는 무슬림과 비무슬림 공동체가 각기 유럽화와 오토만제국의 세속화에

Page 40: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제2장 독일의 인문학 지원 정책 29

어떻게 작용했는지를 보여주는 사례가 된다. 또 베를린은 과거 바르샤바조약국의 중

심지로서 “독일문화,” “유럽,” “현대성”과 같은 범주가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를 보여

주는 실증적 예이다. 이것은 유럽 내의 다양한 지역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를 통해

“유럽”과 “유럽문화”에 대한 서구중심적 전제들을 인문학적 통찰을 통해 해체하고자

하는 연구라고 할 수 있다. 인문학적 비판정신이 진정한 유럽공동체의 형성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를 보여줌으로써 인문학이 현실에 어떻게 기여하는지를 생생하게 보

여주는 실증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2.3.4. 인문학의 국제적 연구집단(International Research Collegia

in the Humanities) 프로그램

인문학에서 국제적 명성을 가진 세 개의 국제적 연구집단이 선정되어 2008년부터

연구의 가장 소중한 자원, 즉 연구를 위한 시간을 부여받는다. 이 프로그램이 진행되

는 6년간 이 집단에 소속된 학자들은 다른 모든 업무로부터 자유롭게 그들이 선택한

주제에 대해 독일 내외에서 연구할 수 있는 자유를 부여받는다. 다른 분야의 학자들

과 상호교류하면서 이 학자들은 그들 연구에 새로운 방법론과 새로운 연구결과를 가

져올 수 있다.

2.3.4.1. 문화기술과 미디어철학 연구를 위한 국제연구소(International institute

for research of cultural techniques and media philosophy)

바이마르에 위치한 이 연구소는 기술지향적 미디어 문화를 가진 20세기와 21세기

의 사람들과 대상들 사이의 관계를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계적 장치들이

우리의 문화적 행동과 우리의 인지적 행동, 우리의 사유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유

럽의 사유의 전통은 단순한 대상과 대조되는 자기결정적이고 능력있는 존재에 기반하

고 있다. 그러나 실제에 있어서는 개인들과 도구, 그리고 미디어의 내용들과 서로 섞

이고, 상호네트워킹을 한다. 이 연구소의 연구자들은 철학적인 관점에서 인류는 그들

이 만든 문화적 생산물에 의존한다는 가설을 제시한다.

2.3.4.2. 아시아와 유럽의 종교사의 상호작용(Dynamics of religious history

between Asia and Europe)

보쿰에 위치한 이 연구소에서는 종교적 전통의 상호영향에 대해 연구한다. “동양

Page 41: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30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

(the Orient)” 혹은 “기독교적 동양(the Christian Occident)”에 대해 말할 때, 해당

지역은 서로를 구분해서 지칭하기를 원한다. 그러나 유럽과 아시아는 과거에도 그랬

고 현재에도 동질적이지 않다. 그들은 상호영향 속에서 성장했고 앞으로도 그럴 것이

다. 학제간 연구를 진행하는 이 연구그룹에서는 이질적인 종교 간에 서로에게 배우고

서로를 구별짓는 상호접촉의 유형을 확립하고자 한다. 이러한 바탕위에서 종교적 전

파의 이론이 개발되고, 이러한 이론은 문화적 전파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2.3.4.3. 연극문화의 연계(Linkage of theatre cultures)

베를린을 기반으로 한 이 연구소는 연극문화가 19세기부터 세계화의 기미를 보였

음에 주목한다. 다국적을 가진 배우들의 극단들이 세계를 무대로 한 국제적 연극제에

서 공연했고,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청중들에게 다른 문화의 맥락으로 각색된

작품을 선보였다. “연극문화의 연계” 연구소는 이러한 현상의 정치적, 문화적 배경을

연구한다. 이 연구소가 제시하는 기본적인 가설은 문화적으로 다양화된 사회에서 상

호공존할 수 있는 여러 가지 관행들이 이러한 국제화된 연극무대를 통해 그 기초가

닦이고, 시험되고 있다는 것이다.

2.3.5. 독일의 인문학 지원기관 책임자 및 지원을 받은 인문학 관련연구

관계자들과의 인터뷰1)

2.3.5.1. 에리카 피셔-리히트(Erika Fischer-Lichte, “연극과 축제” 프로젝

트 책임자, 자유베를린대학 연극학과 교수)

- 유럽의 연극사는 비교적 기존의 연구가 많다. 이 연구의 새로운 점은 무엇인가?

개별적 시대의 연극에 관해서는 비교적 연구가 많다. 그러나 연극과 축제의 연관성

에 관해서 천착된 바는 적다. 우리는 연극과 축제라는 조합이 갖는 의미를 새롭게 탐

구한다.

1) 여기에 실은 인터뷰는 직접 실시한 것이 아니라 그 자료적인 가치를 고려하여 “Freedom for Research in the Humanities”에 실린 것을 번역하여 전재한 것임.

Page 42: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제2장 독일의 인문학 지원 정책 31

- 연극과 축제의 문화적 임무가 시대적으로 어떻게 달라졌으며, 그 현대적 의미는

무엇인가?

우리는 연극과 축제가 공동체의 새로운 집단적 정체성을 형성하거나 기존의 정체성

을 새로운 역사적 맥락에서 확인하는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고 믿는다. 예를 들어 17

세기 후반과 18세기 초반의 궁중연극축제는 정치적 권력의 표상으로 기능했었다. 또

비엔나의 궁정에서는 황제가 직접 아폴로를 연기했고, 그의 신하들이 반신으로 출연

했다. 물론 우리는 현대의 연극이 어떻게 집단적 정체성을 형성했는지도 연구한다. 우

리는 이러한 현대적 연구에 국제화, 지구화가 어떻게 기능하고 있는지 중요하게 고려

하고 있다.

- 이 프로젝트는 특정하게 유럽적 재현문화를 다루고 있다. 유럽에 공동의 문화유

산이 있다고 믿는가?

유럽인은 누구인지를 정의하는 문제에 우리는 역사적인 접근법을 택한다. 중세때

의 유럽은 라틴문화의 영향을 받는 서구의 교회문화와 동일시되었다. 그러나 19세기

에 들어오면 유럽에 대한 정의는 국민국가의 형성에 의해 결정되었다. 유럽의 연극문

화는 국민국가간의 긴밀한 상호연관 속에서 발전되었다. 예를 들어, 중세의 젊은 사제

를 다루는 연극의 소재는 스코틀랜드에서 스페인, 심지어 폴란드에 이르기까지 유럽

의 다양한 지역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된다. 프랑스의 연극그룹은 18세기에 러시아 뻬

떼르스부르그까지 가서 공연했다. 이러한 것을 보면 유럽의 공통된 연극문화를 말할

수 있다고 본다.

- BMBF는 학제간 공동연구를 지원한다. 이러한 지원책이 인문학에 어떤 도움을

준다고 보는가?

나는 공동연구 프로젝트나 협동연구센터를 지지하는 사람이다. 우리는 동료들과의

토론을 통해 많은 것들을 배운다. 그러나 어떤 인문학 연구자들은 그들의 고유의 아

이디어를 자기만의 것으로 지킬 수 없다는 사실을 받아들이고 그러한 환경에 익숙해

져야만 한다. 한 학자가 아이디어를 내고 그 다음 사람이 그것을 발전시킨다. 거기에

는 저작권이 적용되지 않는다. 그렇지만 결국 그 결과는 생산적인 것이 될 수밖에 없다.

Page 4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32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

- 연극학은 작은 주제를 다루는 분야지만 매우 인기가 높다. 이러한 성공을 어떻게

설명할 수 있나?

연극학에는 역설이 존재하는데, 이것은 다른 작은 주제들에도 적용될 수 있다. 사

실상 알고보면 우리는 하나의 거대한 주제를 다루고 있다. 그것은 모든 문화의 모든

연극이다. 그러나 그러한 연구를 위해서 우리가 가지고 있는 교수직은 매우 적다. 그

러나 다른 분야와 비교해봤을 때 우리는 학생들이 많다. 언제나 학생들이 초과상태이

다. 연극은 뉴미디어와 함께 성장한 세대들에게는 색다른 예술이다. 어떤 의미에서 연

극은 문화의 모델이다. 배우들과 관중들이 만나 서로간의 관계를 정해나간다. 이러한

일은 실시간으로, 실제의 공간에서, 실제의 몸들이 실제의 사람들과의 사이에서 일어

난다. 바로 그 점이 연극을 매력적인 주제로 만드는 것이다.

2.3.5.2. 사이빌 크뢰머(Sybille Krä mer, 베를린 자유대학 철학과 교수)

“인문학 연구의 전망”

-독일 인문학 연구가 결핍하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가장 표준적인 답은 “돈”일 것이다. 그러나 사실상 독일의 연구환경에서 가장 부족

한 자원은 연구를 위한 시간이다. 왜냐하면 대학에서 연구에 집중하고자 하는 강사들

은 모순적인 상황에 직면한다. 모든 분야에서 그렇다. 말하자면 연구에서 성공적이면

성공적일수록 그들이 연구에 할애할 수 있는 시간은 줄어든다. 우리가 처해있는 환경

은 말하자면 다모클레스의 칼(Damocles's Sword)2)과 같은 것이다.

2) 로마의 철학자 키케로가 전해준 일화인데, 시라큐즈의 독재자 디오니수스 2세에 관한 이야기이다. 디오니수스 2세는 그의 신하 다모클레스가 자신의 행복한 치세와 행운에 대해 찬양하자, 그에게 직접 체험해보라며 온갖 호화와 사치를 다한 의자에 그를 앉게 한 후 그의 머리 위에 가느다란 털로 칼을 매달아 그의 목을 겨누도록 했다. 그러자 다모클레스는 온갖 호사가 다 소용없음을 깨닫고 그 자리에서 물러나겠다고 간청했다는 고사로서, 부와 명성이 가져오는 행복이 늘 큰 위험을 동반한 것임을 말해주는 에피소드임.

Page 44: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제2장 독일의 인문학 지원 정책 33

- 이러한 비유가 학자들의 일상생활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

우리는 엄청나게 증가하는 감사(Auditing) 업무, 많은 강의부담, 젊은 연구자들을

지원하고 관리하는 업무 등 엄청난 사무에 시달리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우리 연구

의 질에 계속해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 어느 정도까지 그러한가?

글쎄, 인문학자들은 대체로 개인적인 연구에 의존하고, 그 질은 언제나 특정한 사

람과 그들의 경험과 관련된다. 그러므로 인문학의 연구의 깊이와 범위는 연구자의 나

이와 함께 깊어지고 넓어진다. 수학이나 다른 자연과학에서는 아주 젊을 때 절정의

창의성을 보여주기도 하는데 인문학은 그렇지 않다. 대학에 적을 두고 성공적인 연구

생활을 하는 학자가 세월에 따라 점점 늘어나는 스트레스를 감당해야되는 상황이 된

다면, 이러한 상황은 인문학의 영역에서는 매우 곤란한 결과를 가져온다. 왜냐하면 그

들은 그들의 일생의 가장 생산적인 시기에 연구와 상관없는 많은 일들에 시달리게 되

기 때문이다.

- 연구집단(Research Collegia) 프로그램이 이런 상황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되는가?

그렇다. 연구집단 프로그램은 학자들에게 (연구할 수 있는) 자유를 어느 정도 돌려

준다. 하지만 관료적인 구조에 연관되지 않았을 경우에만 그렇다는 얘기다. 어떤 방식

이든 관료적 구조가 작동되면 그들은 여전히 과도한 사무적 업무에서 벗어나기 어렵다.

- 연구집단 프로그램을 시행함에 있어서 시간의 확보라는 요인와 관련되지 않은

다른 요소들도 있는가?

그렇다. 거칠게 얘기하면, 그것들은 대학이 피흘리며 죽어가는 상황을 막아준다.

- 무슨 뜻인가?

Page 45: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34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

자연과학에서는 가장 성공적인 연구가 대학이 아니라 그 밖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경우를 많이 목격할 수 있다. 많은 사람들이 권유하기를, 인문학 분야의 최고 연구자

들은 대학을 떠나야한다고 말한다. 그 이유는 오늘날의 대학이 더 이상 연구를 수행

하는 일자리를 제공하거나 제공할 위치에 있지 않다는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얘기

들이 언젠가 우리나라의 문화와 정치, 경제와 법의 운명을 결정하게될 모든 사람들을

위한 교육기관으로서의 대학을 얼마나 폄훼하는 것인가? 만일 대학에서 연구기능이

떨어져 나간다면 차세대의 학자들을 지원하는 기능과 대학의 국제적 수월성을 확보하

는 것은 영원히 불가능해진다. 따라서 교육정책가들은 이러한 연구소를 반드시 대학

안에 우선적으로 위치시켜야 하고, 여기에 국제적으로 저명한 학자들을 초빙하고, 대

학의 교육에 최고수준의 연구가 투여되도록 해야 한다. 이것이야말로 2006년에 “과학

과 인문학 위원회”가 발표한 “독일의 인문학을 개발하고 진흥하기 위한 대책”이라는

글에서 특별히 강조하고 있는 부분이다.

- 베를린, 보쿰, 그리고 바이마르. 이러한 곳의 대학들이 뽑힌 것이 놀라운 일인가?

그렇지 않다. 나는 이 일로 하나도 놀라지 않았다. 결국 이 도시들이 뽑힌 것이 아

니고, 그 안의 대학들이 뽑혔다는 것이 중요하다. 말하자면 연구자들이 중요한 것이

다. 인문학이 “현실감각을 잃은 쓸모없는 자들의 놀이터”를 절대로 떠나지 않는다는

식의 편견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이번에 선발된 연구과제들이 인문학은 현대사회에서

우리가 직면한 과제들을 해결하는데 주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보여줄 수 있어야 한다.

- 좀 더 자세히 말해 줄 수 있나?

보쿰의 예를 들어보자. “아시아와 유럽의 종교사의 상호작용”이 거기에서 연구될

내용이다. 종교는 문화적 접촉을 통해 언제나 상호적으로 영향을 미쳐왔다. 그러나 그

것들 사이엔 언제나 마찰과 갈등이 있었던 것도 사실이다. 이러한 생산적이고도 파괴

적인 문화간의 접촉들의 역사는 최근 우리가 목도하고 있는 종교적 문화 간의 충돌을

새롭게 조명하게 하고, 그렇게 함으로써 그 안에 고착된 사유체계와 사고방식을 재고

할 수 있도록 만든다.

Page 46: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제2장 독일의 인문학 지원 정책 35

- 바이마르는 어떤가?

나는 바이마르의 바우하우스 대학이 선정된 것이 특별히 기쁘다. 왜냐하면 과거 동

독의 주들에 속한 연구자들이 이러한 연구집단에서 새로운 문화적 기술과 미디어를

연구하고자 하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는 문화를 이해하는 데 있어서 텍스트와 이미지

로 재현되는 상징계와 기계와 기구들로 대표되는 기술을 너무 오랫동안 분리해왔다.

문화의 역동성은 점차적으로 더욱 이러한 갈래길을 넘어서는 문화적 기술현상에 기반

하게 될 것이다. 예를 들어 컴퓨터에 기반한 시각화기술을 보라. 여기에서 이루어지는

기술과 상징의 공존은 세계와 우리 자신을 보는 우리의 시각을 영원히 바꾸어놓고 있다.

- 베를린에 대한 생각은 어떤가?

“연극문화의 연계” 연구소에 대해 언급하는 것은 나 자신과 관련이 되어 좀 거북하

지만, 베를린, 꼭 베를린 자유대학이 아니라 베를린 자체는 인문학의 국제적 연구가

가장 활발히 진행되는 곳이다. 베를린의 인문학 연구자들은 언제나 개별적인 분야를

넘어서는 학제간적 영역에서 인문학의 방법론과 주제를 다시 정의하려는 가장 기본적

은 충동을 뿜어내고 있다. 연극문화의 국제적 연계는 어떤 사람들이 의심하듯 결코

연극문화의 표준화를 가져오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다양성을 도출한다는 그들의 가설

은 특별히 흥미로운 것이다. 그것은 단지 연극학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더 넓은 의

미에서 큰 의미를 갖는 가설이다. 연극적 전통의 다변화에 대한 분석은 하나의 모델

로서 세계화와 국제적 연계가 경제 영역에서 그렇듯 다양성의 파괴와 동일화를 초래

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다양성의 원천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우연하게도

연극은 언제나 “단지 연극” 이상이었다. 연극은 과거에도 그렇고 현재에도 우리가 세

상과 맺고 있는 관계의 모델이다.

- 연구집단 프로그램의 운영에 대하여 특별하게 느끼는 점이 있다면?

고등학문을 위한 베를린 연구소에 관해 특별한 점이 있다면 “고정된 주제 없는 연

구”가 어떻게 학문적 자유를 창조하는가를 경험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연구소는 사

전에 고정되지 않은 연구라는 새로운 경향을 추구한다. 그리고 어떤 특정한 연구의

Page 47: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36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

경향을 옹호하는 일도 없다. 심지어 “실패위험이 높은 연구”를 위한 영역도 있어서

여기에서 일반적으로 공인된 방법과 문제들을 넘어서는 실험을 한다. 연구원들을 선

발하는데 있어서도 중요한 것은 그 사람이 다른 모든 제한이 없는 상태에서(가끔 점

심을 같이 먹는 것을 제외하고) 그 분야의 연구의 한계를 넘어설 수 있겠다고 믿게

만드는 그 사람의 특출한 천재성과 과거 연구성과, 그리고 그 연구에 대한 비전이다.

특히 고등학문을 위한 베를린 연구소에서는 인문학자들과 자연과학자들 간의 “등급”

을 분류되는 일이 없다는 사실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화요콜로퀴엄 같은 자리에서

들은 같이 모여 토론하는데, 이것은 매우 독특한 경험이다. 동시에 이 연구소에서는

변화하지 않는 연구는 어떤 연구도 살아남지 못한다. 마치 기숙학교와 같은 공생의

분위기는 개인적이고 학문적인 접촉과 토론의 긴밀성과 결합하여 상당기간 지속되면

서 그러한 분위기를 경험하고 그 안에서 성장하는 사람들을 누구나 변화시킨다.

Page 48: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제3장 미국의 인문학 지원 정책 37

3.1. 미국 대학의 전통과 인문학의 위상

3.1.1. 식민지 시대의 미국대학

미국의 대학은 1636년 하버드(Harvard)대학의 설립으로 시작하여 독립전쟁이 발발

하기 까지 모두 “9개의 식민지 대학”(The Nine Colonial Colleges)가 차례로 세워지

면서 시작되었다. 이 대학들은 대체로 영국의 옥스퍼드대학이나 캐임브릿지대학을 모

델로 하여 세워졌으며 기독교의 특정한 교파와 연계되어 있었다. 그 현황은 다음과

같다.

■ Harvard College(now Harvard University), 1636, Puritan.

■ College of William and Mary(still the same), 1693, Anglican.

■ Yale College(now Yale University), 1701, Congregationalist.

■ College of Philadelphia, 1740, Nonsectarian.

■ College of New Jersey(now Princeton University), 1746, Presbyterian.

■ King's College(now Columbia University), 1754, Anglican.

■ College of Rhode Island(now Brown University), 1765, Baptist.

■ Queen's College(now Rutgers, th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1766,

Dutch Reform

■ Dartmouth College(still the same), 1769, Congregationalist.

초기 미국의 대학을 둘러싼 사회적 환경에는 세 가지 특징이 있었다. 하나는 그들

이 떠나온 영국의 구제도와는 다른 제도를 만들어야 한다는 것, 두 번째는 광활한 땅

을 개척해야 한다는 것, 세 번째는 청교도적 정신에 맞는 삶을 산다는 것이다. 새로

운 대학의 교육목표나 교육의 내용도 당연히 이러한 사회적 현실이 요구하는 방향으

제3장 미국의 인문학 지원 정책

Page 49: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38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

로 확립되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청교도 사회에 맞는 교육을 실시할 수 있어야 한다

는 것이었고, 청교도적 종교의 가르침이 대학의 교육내용 전체를 꿰뚫고 있었다. 미국

대학의 역사를 쓴 코헨(Arthur M. Cohen)은 당시의 교과과정을 다음과 같이 요약한

다. “교육은 권위의 문제였다. 진실은 전지적인 능력으로부터 오는 것이었으며 개별성

과 창의성은 애당초 관심 밖이었다. 식민지시대 전체에 걸쳐 고전(classics)과 성서

및 성서관련문헌이 교과과정을 지배했는데, 그것은 그 텍스트들이 가장 권위있는 지

식들에 바탕을 두고 있었기 때문이다.”(Cohen 35) 그에 따르면 (그리스, 로마) 고전

들은 어떤 직업을 위해서도 필요한 실용적 훈련으로서 옹호되었고, 특히 법, 의학, 신

학과 관련된 직업을 지망하는 학생들에게 매우 유용한 것으로 간주되었다. 이런 점에

서 보면 초기 미국 식민지 대학의 교과과정은 대체적으로 인문학적 내용으로 구성되

었다고 할 수 있다. 다만 모든 종류의 인문적 텍스트들은 특정한 종교적 정신에 맞게

재구성되어 교육되었다. 이 당시의 교육비는 매우 비싼 편이었기 때문에 대학교육은

상층부에 국한될 수밖에 없었고, 졸업생들은 대개 성직자가 되거나 공직으로 진출했

다. 초창기에는 하버드와 예일 졸업생의 절반이상은 성직자가 되었고, 그 비율은 점차

떨어졌지만 식민지 말기까지도 3분의 1정도가 여전히 성직으로 진출했다. 다른 대학

의 경우에는 공직으로 진출하여 유명한 지도자가 되는 경우가 많았다. 가령 9개의 대

학에서 독립전쟁까지 5000명 미만의 졸업생을 배출했는데, 56명의 독립선언서명자

중 25명이 대학졸업자였고, 제헌의회 55명의 의원 중 31명이 대학졸업자였다. 초대

상원위원 29명 중 10명, 초대 하원의원 65명 중 17명이 대학졸업자였다(Cohen 52).

이것은 모두 식민지 시기의 대학교육이 종교적인 편향을 가지고 있긴 했지만 기본적

으로 인문교양의 기본 7과목(문법, 수사학, 논리, 천문학, 수학, 기하학, 음악)을 중심

으로한 교과목으로 당대의 성직자와 당시의 청교도사회를 이끌어가는 지도자와 공직

자들을 양성했다고 할 수 있다.

3.1.2. 제퍼슨(Jefferson)의 개혁적 교육이념과 모릴토지법안(the Morrill

Land Act)

토마스 제퍼스는 미국의 독립선언을 기초한 사람이기도 하지만 독립된 미국에 새로

운 대학교육을 창시한 장본인이기도 하다. 제퍼슨은 교회가 중심이 되는 학교가 아니

라 정부가 주도하는 공교육의 필요성을 제창한 최초의 인물이다. 그는 1818년 8월 4

일에 쓴 편지에서 다음과 같이 주장했다.

Page 50: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제3장 미국의 인문학 지원 정책 39

대학교육의 목표들은 그 특징과 범위가 분명히 정해져 있다. 그 목표들은 모든

시민들에게 그가 자신의 사업을 처리해나가는 데 필요한 정보를 주는 것. 스스

로 계산할 수 있는 능력을 주는 것, 자신의 생각을 글로 써서 표현하고 보존하며

자신과 관련된 계약서와 계산서 등을 스스로 작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 독서를

통해 도덕성과 정신적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 이웃과 나라에 대한 의무를 이해

하도록 하는 것. 이웃과 나라가 그에게 바라는 기능들을 잘 수행할 수 있는 능력

을 부여하는 것. 자신의 권리를 알도록 하는 것. 그가 가진 권리를 질서와 정의

에 맞게 행사할 줄 알게 하는 것. 그가 자신을 대신해서 파견할 대리인을 사려

깊게 고를 수 있게 하는 것. 그렇게 골라 파견한 대리인들이 성실하고, 정직하며

분별있게 행동하는지 감시할 수 있게 하는 것. 그리고 일반적으로 자신을 둘러싼

모든 사회적 관계들을 지성과 충실성을 가지고 관찰할 수 있게 하는 것. 다른 다

수의 시민들에게 그들이 인간으로서 그리고 시민으로서 가진 권리와 이해관계,

의무를 가르칠 수 있도록 하는 것. 이 모든 것들이 사립이든 공립이든 모든 대학

의 교육목표가 되어야 한다. 여기에는 읽기와 쓰기, 산수, 약간의 계측방식, 지리

학과 역사의 기초가 포함되어야 한다.

제퍼슨은 이 모든 교육이 종교적 교육이나 교조적 가르침이 아니라 과학적 탐구정

신에 입각해야 한다고 믿었다. 이러한 믿음이 미국 대학에서 실현된 것은 남북전쟁

이후이지만 제퍼슨의 이러한 교육철학은 18세기부터 이미 미국에 영향을 미치기 시작

한 계몽주의의 보급과 함께 미국의 교육을 세속주의와 인권을 중심으로 개혁하는 최

초의 계기가 되었다. 제퍼슨은 또한 미국의 서부개척과 함께 생겨난 새로운 대학에서

는 기독교 교단과의 직접적인 연결없이 이러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믿었고, 이

것을 위해 자유로운 강의와 학생들이 자유로운 강좌선택을 허용하는 선택과목제도의

도입을 주창하기도 했다. 이것은 앞의 인용의 후반부에 분명히 드러나는 것처럼 이제

는 대학교육의 목표가 성직자나 종교적 교리에 입각한 사회의 지도자를 키우는 것이

아니라 시민들에게 그들의 권리와 의무를 가르치고 그들을 공화주의자로 교육하는 것

이었기 때문이다.

제퍼슨은 이러한 공화주의적 신념에 따라 출신성분에 의한 귀족주의 대신 재능에

입각한 자연스러운 엘리뜨주의를 신봉했으며, 이를 실천할 수 있는 중등교육과 대학

교육을 체계적으로 연관시키는 공교육 시스템의 확립을 주장했다. 이러한 제퍼슨의

생각은 그가 발의한 “보다 일반적인 지식의 확산을 위한 법안”(1779)에서 발의되었

고, 이것은 미국 고등교육의 발전의 기본 패러다임이 되었다. 1825년의 버지니아대학

창립은 그의 교육이념을 최초로 현실화하는 계기였다. 그는 버지니아 대학을 건립하

Page 51: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40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

면서 새 캠퍼스의 가장 중심적인 위치에 교회대신 도서관을 지었고, 거기에 스스로

7000여권의 도서를 모아 기증했다. 이것은 미국 고등교육의 세속화에 대한 그의 신념

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행동이었고, 이것을 개인적으로 매우 자랑스럽게 생각했다. 제

퍼슨이 꿈꿨던 이러한 세속적이고 정부주도적 공교육 시스템은 1862년에 버몬트의

상원위원 모릴(Justin Morrill)이 정부가 새로 개척된 주의 땅을 기증하고, 이를 토대

로 주립대학을 건설하는 것을 내용으로 하는 “모릴토지법안”(Morrill Land Act)을 발

의하는 것으로 현실화되기 시작했고, 그 결과 69개의 대학이 신설되었다. 이 법안으

로 인해 미국의 고등교육에 협력과 기업가의 정신이 수혈되었고, 이것은 미국이 빠르

게 성장하는 발판이 되었다. 이러한 새로운 분위기에서 기존의 대학들도 교육과정을

개편하여 자연과학과 공학을 포함시켰고, 이를 위한 캠퍼스의 확장도 이루어졌다. 대

학을 위한 공적 투자도 늘어나고, 이는 대학에 대한 기업인들의 투자도 촉진했는데,

성공한 기업인 에즈라 코넬(Ezra Cornell)은 가장 모범적인 주립대학과 사립대학의

설립을 위해 많은 기부를 하기도 했다.

3.1.3. 독일식 연구중심 대학의 등장과 정착

남북전쟁 중에 통과된 “모릴토지법”은 많은 지역대학을 탄생시켰고, 미국의 대학은

이 시기에 엄청난 양적 팽창을 경험했다. 1870에서 1945년 사이에 등록학생 수는

63,000명에서 1,677.000명 무려 27배 증가했고, 교수 수는 5,553명에서 150,000명

으로 거의 3배 가까이 늘어났으며 대학의 숫자도 250개에서 1,768개로 7배 이상 증

가했다. 대학의 양적 팽창은 질적인 변화도 요구했는데, 교수들은 스스로 직업적인 집

단으로 발전했으며, 과학적 연구도 광범위하게 진행되었다. 대학(college)를 좀 더 근

대적인 의미의 대학교(university)로 전환시켜야 된다는 사회적 요구가 꾸준히 제기되

었다. 당대에는 그러한 근대적인 대학교의 모델은 단연 독일의 대학교였다. 그 당시

많은 미국학자들은 독일로 건너가 독일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미국으로 돌아가는 일이

많았다. 독일의 훔볼트적 연구중심 대학교를 경험한 미국인 학자들은 자기들도 미국

땅에서 그런 대학을 갖고 싶었다. 그러기 위해서는 교회를 중심으로 한 식민지 대학

들의 잔재를 없애야 했다. 이런 맥락에서 당시 미국의 대학들이 스스로 설정해야 했

던 과제들의 목록은 대체로 다음과 같다.

- 종교(특히 특정교파)와의 연관성을 줄이기

Page 52: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제3장 미국의 인문학 지원 정책 41

- 새로 생겨난 전문적 직업군과의 효과적인 연대

- 공동체에 대한 서비스 강화하기

- 전문적인 연구자집단의 형성을 장려하기

- 특정한 목적을 갖지 않는 연구와 지식의 전파를 장려하기

- 농업, 공업 등의 산업과 관련된 연구를 장려하기

- 인문학보다 자연과학 장려하기

- 전통을 지속하고 권위에 의한 교육을 지양하고 지식은 끊임없이 진화한다는 입

장을 수용하기

- 4년간의 고정된 커리큘럼을 확장하여 대학원을 창립하고 상위학위를 부여하기

- 정부와 개인으로부터 상당한 크기의 지원금 확보하기

남북전쟁 이후의 미국대학은 독일의 훔볼트적인 연구중심대학을 발전의 모델로 삼

았고 위와 같은 목표들은 모두 그와 같은 맥락에서 설정된 것이었다. 1869년에 설립

된 코넬(Cornell)대학, 1876년에 설립된 존스홉킨즈(Johns Hopkins)대학 등은 처음부

터 독일대학의 모델에 따라 대학원과정의 연구를 중심으로 대학을 구성했고, 다른 기

존의 대학들도 위와 같은 방향으로 그들의 교과과정과 교수진을 변화시켰다. 특히 대

학에서 홀대받던 자연과학과 공학도 이러한 추세에 맞춰 점점 대학교육의 핵심적인

부분으로 자리잡았는데 하버드와 예일에서도 19세기중반까지는 그러한 과목들을 교과과

정에 포함시켰고, 1865년에 설립된 MIT(The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는 오로지 자연과학 연구만을 목표로 창립되었다는 사실이 미국대학의 이러한 변화를

가장 극적으로 보여주는 대목이다. 미국대학의 이러한 진화는 자연과학과 기술에 대

한 연구의 수준을 급속하게 올려놓았는데 1920년대에는 유럽의 수준에 접근했고,

1940년대에는 세계최고의 수준으로 올라섰다. 여기에는 두차례에 걸친 세계대전에서

미국이 주도적인 역할을 했고, 그 이면에는 이를 뒷받침하는 전쟁관련 산업의 연구가

있었고, 이를 통해 대학이 정부와 산업체의 획기적인 지원을 받았다는 사실도 특기할

만한 사항이다.

대학교육의 내용도 이러한 맥락에서 큰 변화를 보였는데, 교육내용의 전문화와 다

양화, 그리고 자연과학과 공학에 대한 교육의 강화로 그 변화의 양상을 특징지을 수

있다. 이제는 7개의 전통적인 기본교양과목을 중심으로 한 교과목들이 중심이 아니라

전문화된 직업군을 염두에 둔 특정한 지식과 기술습득의 과정으로서 교과목들이 정당

Page 5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42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

화되었다. 예를 들어 역사와 철학은 전통적인 과목들이지만 그 자체로 정당화되는 것

이 아니라, 정치나 사회사업과 관련된 직업을 지망하는 학생들에게 유용하다는 이유

로 정당화되는 식이다. 존즈홉킨즈는 처음부터 연구와 학문, 첨단지식의 추구를 가장

핵심적인 교육목표로 삼았다. 학생이나 교수들 모두 특정한 분야의 학문을 더 전문적

으로 연구하고 가르친다는 개념이 도입되었고 석사와 박사 같은 상위학위의 개념과

더불어 특정한 분야를 전문적으로 연구하는 “전공”의 개념이 생겨났다. 예일과 같은

전통적인 대학에서도 기초교양교육에 과학과목을 포함시켰고 특히 예일대학의 셰필드

과학 대학(Sheffield Scientific School)에서는 직업준비교육을 정규교과과정에 넣었

고, 특히 의과대학을 준비하는 과정을 개설했다. 하버드에서도 한 가지로 고정된 기초

교양과목 대신 제퍼슨이 주장했던 대로 다양한 과목으로 구성된 일련의 선택과목들을

편성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자유롭게 선택하도록 허용했다. 이러한 추세는 미국대학

전체에 퍼져나가서 20세기로 들어오는 시점에는 전체적으로 모든 대학교육의 절반 정

도가 선택과목으로 편성되기에 이르렀다. 직업 지향적 과목들은 갈수록 큰 위세를 발

휘했는데 교사를 양성하는 프로그램이 대학에 생겨났고, 저널리즘과 경영학도 도입되

었다. 사회복지와 행정학 같은 영역도 직업 지향적 과목으로 대학에 자리잡았다. 그러

나 라디오 수리, 자동차공학, 상업적 예술, 실용적인 간호학 등은 대학에 들어오지 못

하고 2년과정의 전문대학(junior college)에 자리를 잡았다.

남북전쟁이후 20세기 중반까지 연구분야의 전문화와 더불어 대학의 교유과정에 포

함되는 과목이 다변화되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인문학은 물론 전통적인 교과과정에서

차지했던 독점적인 지위는 상실했다고 하더라도 아직까지 그 중심적인 위치를 잃었다

고는 할 수 없다. 오히려 특정 종파와의 연관을 청산한 이후 철학은 독자적인 연구분

야 로서 새로운 활력을 찾았다고 할 수 있으며 고전문학으로부터 독립한 영문학은

“현대언어"(modern language)의 하나로서 작가별, 시기별로 나누어 연구되기 시작하

면서 그 세를 넓혀간 측면도 있다.

3.1.4. GI 법안과 미국 고등교육의 황금기(1945-1975)

제 2차 세계대전이 끝날 무렵인 1944년에는 퇴역군인들이 국가의 장학금으로 대학

에 진학할 수 있는 길을 열어 놓은 GI 법안(GI Bill, Servicemen's Readjustment

Act)가 통과 되었다. 이 법안의 혜택으로 총 1500만명의 퇴역군인들 중 440만명 정

도가 대학에 진학했고 이것은 미국의 대학을 대중화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이

기간 동안 대학생 수는 1945년의 1,677,000명에서 1975년에는 11,185,000명으로

Page 54: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제3장 미국의 인문학 지원 정책 43

약 6.7배 증가했고, 교수 수도 150,000명에서 628,000명으로 약 4.2배 증가했다. 같

은 기간에 대학 수도 1,768개에서 3,004개로 약 1.7배 증가했다. 제 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경제가 세계경제를 주도하면서 미국의 경제력이 막강해졌고, 이를 바탕으로

공적이고 사적인 영역에서 이루어진 고등교육에 대한 투자는 미국의 고등교육을 전후

미국에서 가장 성공적인 산업으로 만들었다. 캘리포니아 버클리 캠퍼스의 성공이 보

여주듯 많은 주립대학의 성공을 비롯하여 미국의 대학은 전세계의 교수와 학생들을

불러 모으며 번창했다. 여기에는 제퍼슨이 주창한 바대로 교육의 기회를 집안과 혈통

에 기반한 특정 엘리뜨에게 제공하지 않고 모든 사람에게 동등한 기회를 제공하지만

(Equal Opportunity) 재능과 노력에 의한 경쟁을 유도하는, 이른바 재능에 기반한 민

주주의(Meritocracy)의 원칙이 이러한 성공의 원동력이었다. 동시에 19세기 중반 이

후 미국적 대학을 건립하면서 강조되기 시작한 직업을 위한 전문적 교육

(Vocationalism)이 미국의 고등교육에 매우 깊게 뿌리를 내렸다는 점도 특이하다. 이

러한 대학의 융성이 인문학에도 불리하게 작용하기만 한 것은 아니었다. 사립과 공립

대학을 막론하고 인문학 프로그램은 여전히 대학의 기본적인 과목으로 건재했고 미국

고등교육의 풍성한 투자의 수혜자였다. 그러나 과거의 식민지시대의 인문교양교육 중

심의 대학의 전통을 이어왔던 인문교양대학(Liberal Arts Colleges)의 운명은 매우 달

랐다. 1970년에는 719개였던 이 그룹의 대학 수가 1976년에는 586개로 불과 6년 만

에 거의 20년 가까이 감소했다. 여기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미국 대학에서

인문학이 차지하는 위상이 전반적으로 추락하는 추세를 보여주는 하나의 지표임에는

틀림이 없다.

3.2. 미국 대학의 변화와 인문학의 위기

미국의 대학은 제 2차 세계대전이후 1975년까지 급속한 양적 팽창과 함께 황금기

를 구가했다. 그러나 그 이후 현재까지의 미국 대학은 민영화, 기업화, 상업화로 그

변화의 본질을 규정할 수 있다. 여기에는 미국의 주도하는 세계경제의 부침, 그리고

그 이면에 있는 미국 경제정책의 변화가 그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1995년에 의

회를 장악한 공화당은 감세와 복지제도의 개혁을 내용으로 하는 경제개혁을 주도했고,

자유시장이 모든 사회적 해악에 대처하는 열쇠가 될 것으로 믿었다. 신자유주의 경제

의 시작이었다. 그 결과 1997년에는 흑자였던 연방정부의 재정이 2009년 중반에는 1

Page 55: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44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

조 7500억불 적자로 돌아섰고, 연방정부의 부채가 10조불로 늘어나게 되었다. 민영화

정책기조는 모든 부문에 적용되었는데, 가령 2005년에 있었던 뉴올리안즈의 카트리나

태풍복구사업도 민간부문이 운용을 했고, 대테러전쟁의 핵심이었던 이라크에서도 미

군보다는 미군에 고용된 민간회사 직원들이 더 많이 참여했다. 금융부분에 대한 자율

화정책은 2008년에 결국 부동산가격의 폭락과 함께 미국경제에 전대미문의 금융위기

를 가져왔다. 미국사회의 이러한 변화와 위기는 미국의 대학에도 엄청난 영향을 미쳤

다. 2005년 기준으로, 미국에는 4300개의 비영리 고등교육기관이 학위를 주고 있고,

2000개 이상의 영리기관이 특정 직업과 관련된 다양한 형태의 학위증을 수여하고 있

다. 이러한 신자유주의 경제가 미국대학에 가져온 변화와 그 의미를 다음과 같이 설

명하고 있다.

지금은 대학과 대학교들에게 많은 것들이 요구되는 흥미로우면서도

위험한 시기이다. 고등교육은 갑작스럽게 변화의 격랑 속에 놓이기 되

었다. 여기에는 여러 가지 원인이 있지만...변화의 가장 주된 원인은 고

등교육기관의 시장중심주의와 그에 따르는 경쟁의 정도가 새로운 단계

로 접어들었다는 사실이다. 그들은 학생, 교수, 연구비, 우수한 체육특

기자, 수입원, 순위와 명성을 가지고 경쟁한다. 경쟁은 교육의 질을 향

상할 수 있는 기회를 보장하고, 교육의 기회를 확대하며,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고 믿는다...이러한 맥락에서 정치지도

자들은 고등교육을 구조조정하고 경쟁의 효과를 극대화하고자 하는데

시장의 힘을 기꺼이 이용하고자 한다...그 결과 고등교육부문은 더욱 더

시장의 논리대로 움직이게 되는데, 대학교와 대학들은 원칙적으로 정부

의 규정에 따라 움직이는 공적인 영역으로서의 고등교육기관이 아니라

더 나은 교육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경쟁하는 회사처럼 되어가는 것이

다(Newman, 2-3)

우리에게도 이제 익숙해진 대학의 이러한 상황은 미국의 인문학에도 대단히 심각한

위협으로 다가왔다. 예를 들어 2003년에 미국에서는 새로운 지식의 창출을 위해

1000억불 정도의 투자가 이루어졌는데 그중에 인문학에 배당된 금액은 1% 미만이었

다. Robert Frodeman은 8-90년대의 미국정부의 인문학 정책을 다음과 같이 요약하

고 있다.

연방예산이 예산 우선순위를 정확하게 반영하고 있다면, 이 당시의

Page 56: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제3장 미국의 인문학 지원 정책 45

정책결정자들은 인문학을 우리나라의 문제들을 해결하는데 기껏해야 주

변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고 생각했음이 틀림없다. 반면에 많은 정

책결정자들은 부시대통령의 말대로 “과학과 기술은 미국경제의 경쟁력

을 유지하고 우리가 의료, 국방, 에너지 생산과 사용, 환경 등과 관련하

여 직면한 도전들을 해결하는데 결정적으로 중요하다”고 믿는다. 바로

이것이 각 분야에 대한 재정지원의 전반적인 경향을 말해준다. 최근 6

년간 연방정부는 국립보건연구원(NIH)의 예산을 갑절로 늘렸고, 국립과

학재단(NSF)도 마찬가지였다. 반면에 국립인문기금(NEH)와 국립예술기

금(NEA)를 위한 예산지원은 1994년 이래 거의 절반으로 줄었다. 국립

인문학기금의 제임스 허버트(James Herbert)에 따르면 지난 20년간

국립과학재단과 국립인문기금의 예산을 비율로 따졌을 때, 1979년에는

5 : 1정도였던 것이 1997년에는 33:1이 되었다는 것이다(Frodeman

29-32)

미국사회에서 인문학에 대한 비판은 새롭게 생긴 것은 전혀 아니다. 그러나 신자유

주의경제와 그에 따르는 경제위기에서 인문학이 갖게 된 위기의식은 전례없는 것이었

다. 연구중심대학과 인문학의 미래를 전망하는 논문에서, 하헨달(Hahendhal)은 다음

과 같이 인문학의 상황을 진단하고 있다.

인문학에 대한 비판은 두 가지 형태로 이루어진다. 첫째, 우리는 연

구중심대학에서 과학과 기술을 강조하는 것에 의해 인문학이 매우 실제

적인 의미에서 주변화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대학이 외부의 재정지

원을 필요로 하고, 이런 경우 재정지원하는 쪽은 인문학보다는 과학을

선호한다는 사실 때문에 이러한 경향은 더 심해진다. 대학의 경영진은

외부의 재정지원에 의해 전공들의 실적을 평가하고, 이런 경우 인문학

은 낮은 성적을 받을 수밖에 없는 것이다. 게다가 인문학의 비판적 이

론 경향들이 실증주의적 자기이해로서 자기정당화를 하는 과학들과 연

구중심대학 안에서 점점 더 공존하기 어려워진다. 그런 과학들은 실용

주의적 논법을 가진데 반해 인문학은 자신의 사회적 유용성을 입증하기

란 점점 더 어려워지는 것이다. 어쨌든 80년대까지 인문학의 위치가 점

점 더 주변화되었다는 것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고 그 이후에도 그 상황

은 전혀 역전되지 않았다(Hahendhal 6).

Page 57: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46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

3.3. 미국의 인문학 지원정책

3.3.1. 미국의 인문학 지원의 역사: “가난한 자들의 짧고, 단순한 일지”미국의 대학은 식민지시절에 인문교육을 기본으로 하는 9개의 대학으로 시작했지

만, 19세기에 들어와 버지니아 대학이나 존스홉킨즈 대학처럼 가장 미국적인 대학이

설립되면서부터 인문학은 자연과학이나 공학과의 경쟁에서 우세한 위치를 점한 적은

한번도 없었다. 새로운 나라의 건설이라는 국가적인 프로젝트에 인문학의 유용성은

매우 제한적일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향은 미국의 대학이 연구를 위한

연구를 강조하던 독일대학을 모델로 하는 연구중심대학으로 개편되는 와중에도 마찬

가지였다. 미국의 학문과 고등교육의 중요한 후원자 중 한 명인 카네기(Andrew

Carnegie)는 1891년 경영과 속기를 교육하는 필라델피아 피어스 대학(Pierce College

of Business and Shorthand of Philadelphia)의 졸업연설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삶의 소용돌이 속에서 그들이(전통적인 대학의 졸업생들이) 히브리어

나 그리스의 야만인들을 모델로 하는 것이 그들을 강화하고 지지해서

그들로 하여금 자신들의 직분을 더 잘 감담하고, 직업적 의무를 더 잘

수행하게 하는가?...셰익스피어나 호머가 과연 그들이 의지할 수 있는

선례를 제공할 수 있는가?...그러므로 나는 여러분들의 시간이 죽은 언

어들을 배우는데 낭비되지 않고 속기와 타이핑에 대한 지식을 얻는데

완전히 바쳐졌다는 것이 매우 즐겁다. 여러분들은 이제 소용돌이를 헤

쳐나갈 수 있는 도구를 완비했고, 그것을 바탕으로 여러분들의 생업에

종사할 수 있게 되었기 때문이다(Donohue 4).

미국에서 1965년에 국립인문기금(National Endowment for the Humanities)이 창

립되기 전까지는 인문학에 대한 지원은 기본적으로 카아네기와 같은 입장을 가진 개

인기부자들에 의해 이루어졌다. 따라서 그 규모와 내용은 매우 제한적이고, 일회적인

것일수 밖에 없었다. 이들이 보기에 당시의 대학에서 이루어지던 인문학은 계량화할

수 없는 방법론을 가진데다가 당대의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국가적 정책을 마

련하는데 아무런 도움을 주지 못했었다. 거기에 더욱 나쁜 것은 인문학은 대부분 고

독한 연구자들의 단독작업에 의존했고, 엘리뜨주의의 성향도 짙게 띠고 있었다. 간헐

적으로 이루어지는 인문학 지원사업도 사회적 비판의 대상이 되기 십상이었다. 매카

시즘의 시대인 1950년대에는 공산주의를 언급하는 랭스턴 휴즈(Langston Hughes)의

시구절이 인문학에 대한 잘못된 투자의 예로 제시되기도 했고, 1960년대 초반에는 텍

Page 58: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제3장 미국의 인문학 지원 정책 47

사스의 하원의원 패트만(Wright Patman)이 중세의 비문에 대한 장식에 대한 연구를

지원하는 한 재단의 프로젝트를 일컬어 “사소한 것을 말도 안되는 것으로 발전시키

는” 프로그램이라고 비웃은 것은 인문학에 대한 학계 외부의 적대적인 시각을 단적으

로 보여주는 예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시각은 카네기재단(Carnegie Institution)

이나 로커펠러재단(Rockerfeller Foundation) 같은 대표적인 고등교육 지원기관들에

게 대체로 공유되어 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문학에

대한 대학 외부의 재정지원은 간헐적으로나마 이들에 의해서 이뤄져 왔다. 가령 1913

년에 로마에 있는 미국학회(the American Academy in Rome)를 지원하면서 시작된

로커펠러재단은 1930년경까지 예술사, 고전, 고고학 등과 같은 인문학의 고전적 분야

를 지원하다가 1930년대 중반부터는 보다 현실지향적인 부문에 관심을 기울이게 된

다. 가령 세계평화의 유지를 위해서는 이질적인 문화 간의 상호이해가 매우 필요한

일임을 인식하고, 외국어와 번역, 지역연구 등에 투자를 시작했다. 인문학에 대한 이

러한 실용적인 접근법은 2차 세계대전 이후에 더 확대되는데, 그것은 전쟁을 수행하

면서 외국의 사정을 전문적으로 분석할 만한 분석관들이 없었던 것이 전쟁수행과정에

서 큰 문제로 부각되었기 때문이다. 전쟁이후 미국은 세계의 다른 나라에 미국의 기

술과 자본만이 아니라 미국의 문화를 보급해야 하는 사회적 필요성이 인식되면서 지

역학을 중심으로 하는 인문학 연구에 대한 집중적인 투자가 이루어졌다. 이러한 필요

성은 민간과 정부 부문에서 모두 느끼고 있었고, 이러한 프로젝트에는 민관이 합동으

로 투자하는 경우도 많았다. 가령 1930년대 후반에 세워진 미국무부의 문화협력부

(Division of Cultural Relations)와 국제관계협력관실(Office of the Coordinator of

Inter-American Affairs)은 민간기관인 구겐하임재단(Guggenheim Foundaton)의 전

문가들에게 10만달러의 연구비를 지원하면서 미국의 국제관계를 연구하도록 했다든

가, 시카고대학의 인류학교수를 중국에 파견하여 중국의 사회과학의 발전수준을 관찰

하도록 하는데 로커펠러재단과 미국무부가 합동으로 재정지원을 했다든가 하는 것이

좋은 예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외교적 필요에 따라 1940년대에 미국에서 라틴아메리

카 지역학이 활성화되었던 것도 같은 맥락이라고 할 수 있다. 2차 세계대전 이후 미

국의 인문학이 정부와 민간재단의 지원순위에서 과거보다 상승된 위치를 차지할 수

있었던 것은 전후 미국의 세계전략에 있어서 외국의 문화에 대한 체계적이고 전문적

인 이해가 필수적이라는 자각 때문이었는데, 1949년에 포드재단(Ford Foundation)에

서 작성된 가이더보고서(The Gaither Report)에서 “평화를 향한 우리의 염원은 견고

하게 구축한 마지노선에서가 아니라그러한 지식에 대한 깊은 이해에서 온다”고 주장

한 것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포드재단에서는 1950년대에는 지역학,

Page 59: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48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

언어학, 문화보존 등과 같은 분야에 많은 지원이 이루어진다. 1965년에 이루어진 국

립인문학기금(NEH)의 창설은 미국의 인문학 지원의 경향과 폭에 큰 영향을 미치는데

정부의 직접 출연에 의한 인문학 기금은 인문학 지원의 액수와 그 범위를 결정적으로

확대했다. 가령 1969년에 창설된 멜론재단(Andrew W. Mellon Foundation)은 기존

의 카아네기, 로커펠러, 포드 재단과 함께 인문학을 지원하는 민간 부분의 주요한 후

원자로 자리잡는데, 다른 재단과는 달리 미국대학의 출판사, 교수, 도서관, 연구소 등

특정한 정치외교적 목적을 전제로 하는 연구가 아니라 인문학 연구의 기본 인프라에

폭넓게 투자를 하기 시작했다. 그러한 이러한 발전적인 경향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인

문학 지원은 타분야와 비교해 볼 때 매우 제한적이었다고 볼 수밖에 없다. 포드재단

의 가이더보고서는 미국의 인문학지원의 역사를 “가난한 자들의 짧고, 단순한 일지”

로 요약하고 있는데, 그만큼 미국 개인재단들의 인문학 투자는 상대적으로 초라한 것

이었다고 볼 수 있다. 1980년대까지 22000개로 추산되는 재단들 중에서 정기적으로

인문학에 대한 투자를 실시하는 재단은 극소수에 불과하고, 그것도 매우 특정한 목적

을 가진 투자가 대부분이었다. 가령 1982년을 기준으로 하여 예술과 인문분야에 이루

어진 투자를 추산하면 약 50억달러 수준이었는데, 이것은 전체 투자의 8.2%에 불과

한 것이었고, 그것도 인문학보다는 공연예술 쪽의 투자가 대부분이었다. 1977년부터

1979년 사이에 214개의 주요 민간재단에서 이루어진 인문학 관련 재정지원 통계를

보면, 이것 역시 8%를 약간 상회하는 수준의 지원이 인문학 부문에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난다. 민간부분의 인문학 투자는 그나마 TV같은 대중매체나 공연 및 전시와 같

이 대중의 관심을 끌 만한 부문에 더 집중되기 때문에 인문학 연구 자체의 발전에 기

여하는 바는 더 적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민간재단들은 인문학에 대한 미국사회의 분

위기를 반영하여 대 인문학 투자를 점차 줄이는 방향으로 움직여왔다. 가령 주된 기

부자 중 하나인 포드재단은 1962년 이전에는 인문사회분야에 전체 예산의 거의 20%

수준을 인문학에 투자했으나 인문학과 사회과학을 분리한 이후에는 인문학 예산이

8%정도로 축소되었고, 1974년이 되면 6%로 더 떨어진다(McCarthy 3-8).

Page 60: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제3장 미국의 인문학 지원 정책 49

* 1992년부터 2002년 사이에 민간재단의 전체 기부액 대비 인문학에 대한 기부액 비중을 보여주는 도표.

미국 대학이 꾸준히 성장하고, 미국의 경제가 부흥하면서 미국의 대 인문학 투자액

도늘어났지만, 지식산업에 대한 미국 전체의 투자라는 맥락에서 보면 그 상대적인 중

요성이 꾸준히 축소되어왔다고 해도 무방하다. 1992년에서 2002년 사이에 민간재단

에서 이루어진 대 인문학 재정지원을 분석한 최근의 보고서를 봐도 이러한 경향은 그

대로 확인된다. 민간재단들은 1992년에 전체예산 대비 2.5% 정도를 인문학에 투자하

다가 1997년에는 2.3%, 2002년에는 2.1% 정도록 계속적인 하향세를 보여주고 있다.

이 보고서가 요약하고 있는 민간재단의 인문학 지원경향은 다음과 같다.

인문학을 위한 민간재단의 지원액은 1992년과 2002년 사이에 상당히 증가했지만

전체 지원액 대비 인문학 지원액 증가율을 훨씬 저조하다. 1992년부터 1997년까지

지원액 총액은 50% 증가했지만, 인문학 지원액은 37%정도 증가에 그쳤다. 1997년에

서 2002년 사이에도 전체 증가율은 100% 정도이지만 인문학만 놓고 보면 83%에 그

쳤다. 이러한 증가율의 격차는 민간재단의 지원액에서 인문학 지원액이 차지하는 비

율이 2.5%에서 2.1%로 감소하는 것에서 비롯된 것이다.

Page 61: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50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

*1992년부터 2002년 사이 민간재단의 전체기부액 증가율과 인문학에 대한 기부액 증가율을 비교하는 도표.

- 인문학에 대한 재정 지원의 대부분은 비교적 소수의 재단에 의존하고 있다. 이

기간에 이루어진 인문학 재정지원의 25% 정도는 5개의 재단을 통해 이루어졌고,

25개의 재단이 전체 지원액의 50% 정도를 책임져왔다. 그러나 해당기간에 약

600여개 이상의 재단이 인문학관련 프로젝트를 후원한 것으로 나와 있지만 전

기간에 걸쳐 지속적인 지원을 한 재단은 극소수에 그친다.

- 인문학에 대한 재정 지원은 인문학 연구자들의 연구에 대한 직접적인 투자보다

는 인문학 분야에서 이루어지는 공공사업을 지원하는 쪽으로 점차 옮아가고 있

다. 즉 인문학 연구에 직접 투자되는 액수는 점차적으로 줄어들고 있다.

인문학 연구를 위한 민간재단을 총괄적으로 관리하는 재단센터(The Foundation

Center)의 추산에 따르면 2002년의 민간재단의 대 인문학 투자금은 3억 3500만불이

었다(사회과학중 인문학관련 활동 포함). 이중 거의 절반 정도의 예산이 역사 혹은 박

물관 및 미술관 관련 예산이었다. 또 다른 1/3정도의 예산은 우리가 보통 사회과학이

라고 지칭하는 과목들을 지원하는데 쓰였다. 전통적인 인문학 연구를 위한 예산은 합

쳐봐야 30%가 채 되지 않는다.

Page 62: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제3장 미국의 인문학 지원 정책 51

- 인문학 내부에서도 개별 분야에 따라 재정지원이 매우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는

경향이 있다. 가령 1920-30년대에는 고전과 외국어 분야가 인문학 지원액의 대

부분을 가져갔다면, 최근에는 이러한 지원이 급격하게 줄었다. 철학에 대한 지원

은 상당한 수준이지만, 대부분의 지원은 “윤리학”(ethics)부분으로 집중되었고,

역사분야도 풍성한 지원의 대상으로 각광을 받은 것으로 나와 있으나 내용을 보

면 그것은 역사학 연구 자체가 아니라 역사박물관에 대한 투자가 대부분이었다

(Renz).

20세기 초반 이래 지속되어온 민간부문의 이러한 대인문학 투자경향은 결국 인문

학을 좀 더 체계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국가기관에 의해 보완될 수밖에 없었고, 그

역할은 1965년에 세워진 국립인문기금에 의해 이루어져 왔다고 볼 수 있다.

3.3.2. 국립인문기금(NEH, National Endowment for Humanities)

3.3.2.1. NEH의 기원과 임무

1957년 소련의 스푸트니크(Sputnik) 발사는 미국인들을 충격에 빠뜨렸다. 정부는

서둘러 과학기술분야의 투자를 확대했고, 연방정부의 이러한 대규모 연구개발 투자는

인문학에도 영향을 미쳤다. 존슨(Lyndon Johnson) 대통령은 “인문학을 지원하기 위

한 연방정부의 종합대책”에 따라 1965년 9월에 “예술과 인문학을 위한 국가재단

법”(Public Law 89-209)에 서명했고, 이에 의거해서 국립인문기금이 발족되었다. 정

부는 이 법안에서 “선진적인 문명은 과학과 기술만을 위해 노력하기보다는 다른 훌륭

한 분야의 학술적, 문화적 행위가 갖는 가치를 충분히 인정하고 그것에 대한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 그것은 과거를 더 잘 이해하고, 현재를 더 잘 분석하며, 미래를

더 잘 예측하기 위한 것”이라고 규정하면서 인문학이 가지는 본질적인 가치에 대해

규정하고 있다. 또 다른 항목에서는 인문학에 대한 소양을 민주시민의 기본적인 자질

로 규정하고, 이러한 자질의 함양을 국가의 기본적인 임무로 규정하고 있기도 하다.

또한 인문학이 공적자금의 지원을 받는 만큼, 공동체에 대한 일정한 공적 의무를 지

고 있다는 점을 규정하고 있기도 하다. 또한 미국을 선진국으로 만드는 것은 막강한

군사력이나 경제력 같은 물질적 권력이 아니라 예술과 문화에 대한 이해에서 비롯되

는 심미적 훈련이나 정신적 역량에 달려있는 것이라는 점을 강조하기도 한다. 인문학

은 단지 인간에 대한 학문이기만 한 것이 아니라 시민들로 하여금 민주주의를 이해하

게 하고 국가적 통합을 도모하게 하는 국가통합의 원동력이라는 점도 명확히 하고 있

Page 6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52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

다. 독일의 인문학은 훔볼트의 영향을 받아 국가권력으로부터의 해방과 학문적 자유

를 그 기본으로 하는 것에 반해, 미국의 인문학은 시민적 역량의 강화와 국민적 통합

을 이룩하는 것 같은 국가적인 이념을 생산, 유지, 유포하는 데 인문학이 일정한 역할

을 해 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이렇게 창설된 국립 인문학 연구기금은 역사와 사상,

문화에 관한 지식을 함양하는 각종 프로젝트와 프로그램을 재정적으로 지원함으로써

미국 국민이 “지혜와 전망”을 가질 수 있도록 돕는다. 또한 이 기금은 국립 박물관,

문고, 도서관, 대학 및 대학교, TV와 라디오를 비롯한 기타 교육적이고 문화적인 기

관들을 지원하기 위한 재원을 제공하며, 개인들에게도 인문학에 관한 선진적인 연구

와 학문적 탐구를 위한 연구비를 제공한다.

3.3.2.2. NEH의 조직과 구조

- 의장(Chairman) : 4년 임기로 대통령이 상원의 인준을 거쳐 임명한다.

- 부의장(Deputy Chairman)

- 상임고문(Senior Advisor to the Chairman)

- 감사(Inspector General)

- 정보관리관(Chief Information Officer)

- 정무담당국장(Director of White House and Congressional Affairs)

- 홍보국장(Director of Communications)

- 총회(General Counsel)

- 인문학 국가위원회(National Council on the Humanities) : 26명의 개인을 대통

령이 상원의 인준을 거쳐 6년 임기로 위원으로 임명하며 이들은 의장에 대한 자

문을 담당한다.

- 기획조정처장(Assistant Chairman for Planning and Operations) :회계, 행정,

연구비관리, 인사, 정보자원관리, 도서, 기획 및 예산을 책임진다.

- 연구관리처장(Assistant Chairman for Programs): Challenge 연구비, 디지털인

문학, 연구프로그램, 보존과 접근 프로그램, 공공프로그램, 연구프로그램, 연방

및 주정부 협력프로그램의 운영을 총괄한다.

Page 64: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제3장 미국의 인문학 지원 정책 53

- Challenge 연구비 사무소(The Office of Challenge Grants) : 인문학 연구소들의

장기적 발전을 위한 기금모금에 매칭펀드를 제공하는 사업을 담당함.

- 디지털인문학 사무소(The Office of Digital Humanities)는 새로운 미디어와 정보

기술을 전통적인 인문학 연구에 접목시키는 프로젝트를 지원하는 사업을 담당함.

- 연방 및 주정부 협력 사무소(The Office of Federal/State Partnership) : 56개

의 주 정부산하의 인문학 연구소를 지원하고 주단위의 지역프로그램을 지원하는

사업을 담당함.

- 교육 분소(The Division of Education): 인문학의 교육과 관련된 사업을 담당함.

- 보존과 접근 분소(The Division of Preservation and Access) : 문화적이고 역

사적인 사적과 물품을 유지하고 보존하는 사업을 담당함.

- 공공프로그램 분소(The Division of Public Programs) : 인문학의 연구성과를 미

디어나 전시 등을 통해 대중들에게 널리 보급하는 프로그램을 담당함.

- 연구 분소(The Division of Research) : 인문학의 전 분야에 걸쳐 개인과 기관에

게 창의적인 연구의 연구비를 제공하는 업무를 담당함.

- NEH 특별프로그램

- “우리는 미국 국민” (We the People) :미국의 역사와 문화를 가르치고 연구하는

프로젝트를 장려하고 지원하기 위한 특별한 프로그램.

- “문화의 연결”(Bridging Cultures) :미국 안팎으로 존재하는 다양한 문화와 하위

문화들에 걸친 인간적 경험들의 연관관계와 공통점을 조명하는 프로젝트를 지원

하기 위한 특별한 프로그램으로 2010년부터 시작되었다. 현재에는 두 가지 주제

를 가지고 진행되고 있는데, 하나는 “예절과 민주주의”(Civility and Democracy)

이고, 다른 하나는 “이슬람세계와 인류”(The Muslim World and the Humanities)

이다.

3.3.2.3. NEH 프로그램의 목적

- 인문학 분야에서 기본적인 연구와 창의적인 학문을 배양한다.

- 미국의 중고등학교와 대학에서 인문학의 교육을 강화한다.

- 미국 국민들에게 소중한 문화적, 지적 자원들을 보존하고, 접근성을 높인다.

Page 65: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54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

- 미국 국민들에게 인문학과 관련된 평생교육의 기회를 제공한다.

- 인문학의 제도적 기초를 강화한다.

- 주정부 산하의 인문학 위원회를 강화하고, 서로간의 연대를 장려한다.

- 미국의 역사, 문화, 미국적 원칙들에 대한 교육과 연구를 강화한다.

- 인문학을 위한 개인과 기관간의 공동연구와 협력을 개발한다.

- 인문학의 프로젝트와 프로그램들을 지원하는 제 3의 재원을 개발한다.

3.3.2.4 NEH의 재정지원 통계

3.3.2.4.1. NEH의 예산규모와 그 변화의 동향

*이 도표는 NEH 창립부터 2007년까지 NEH가 연방정부에 요청한 예산과 승인된 예산을 인플레이션을 감안하여 보정된 값으로 비교하여 표시해놓은 것.

이 도표에서 특이할 만한 현상은 NEH의 예산이 1979년까지는 상당한 비율로 계

속해서 증가했으며, 약 2700만불로부터 시작해서 4억불까지 약 1500% 증가했다는

사실이다. 그러나 1980년대에 들어오면서 서서히 감소하기 시작했고, 최고점 이후

Page 66: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제3장 미국의 인문학 지원 정책 55

3년간 승인예산이 32% 감소했으며, 그러한 추세를 이어오다가 1996년에 또 다시 현

격한 예산삭감을 경험했다. 이때 또 다시 2.3억불이 1.4억불 수준으로 약 38%의 감

소가 일어나 2007년까지 비슷한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 이것은 1980년대에 레이건

행정부가 들어오면서 인문학 예산을 대폭 감소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고, 신자유주

의 경제가 시작되던 1990년대 중반 이후부터 인문학 예산은 내내 제자리 걸음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또 하나 재미있는 사실은 레이건 행정부에서는 인문학 부분에 정부가

요구한 예산보다 의회에서 더 많은 예산을 허락했다는 것이고, 1996년 이후에는 정부

의 예산요구를 의회가 상당부분 삭감했다는 것이다. 미국의 공화당 정부나 신자유주

의 경제정책은 인문학에 매우 적대적임이 여기에서 분명하게 표현되고 있다.

3.3.2.4.2. NEH 예산의 용도(2006년)

*2006년 NEH 예산의 사용용도를 표시한 도표.

Page 67: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56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

NEH가 의회로부터 확보한 예산은 인문학 관련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주와 지방자

치단체, 그리고 개인들에게 분배된다. 이 예산의 일부는 NEH와 각 지방자치단체 단

위간의 협약에 따라 규칙대로 분배가 되며, 남은 금액이 NEH의 자체 재량으로 각 카

테고리 안에서 나눠져 집행된다. 이렇게 개인과 학술조직에 분배되는 대부분의 자금

은 동료간 평가의 의한 경쟁을 통해 지급된다. 용도별 사용내역을 보면, 협약에 따라

각 주에 배분되는 금액이 거의 1/3에 육박하며, 박물관이나 미술관 등과 관련된 보존

과 접근성 항목이 그 다음으로 많은 20.5%의 예산을 사용하고 있는데 반해 순수하게

개인과 기관의 창의적 연구에 쓰여지는 연구비는 13.3%에 불과하다. 이것은 인문학의

연구비가 인문학 자체를 위한 연구보다는 국가적 사업에 더 많이 쓰여지고 있다는 것

을 뜻하며, 이것은 미국 정부가 인문학 관련 예산을 보다 실용적인 용도로 쓰고 싶어

한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3.3.2.4.3. NEH 예산의 비중

자연과학과 공학, 사회과학의 일부에 대한 지원액과 인문학에 대한 지원액 사이에

현격한 차이가 있다는 것은 더 이상 뉴스가 아니다. 더 우울한 소식은 그 격차가 시

간이 갈수록 더 늘어난다는 사실이다. 인문학에 대한 최고의 지원기관인 NEH의 경우

를 보면 잘 알 수 있다. NEH가 가장 호황을 누리고 있었을 때조차도 NEH와 국립보

건원 NIH(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국립과학재단 NSF(National Science

Foundation) 사이의 차이는 엄청난 것이었다. 2007년의 NIH 예산은 다른 해에 비해

소박한 편이었는데 약 300억불이고, 같은 해 NSF 예산은 50억불을 훨씬 상회하는

것이었는데 반해, 2007년 NEH의 예산은 약 1억 3830만불로서, NIH의 0.3%, NSF의

3% 정도에 불과했다. 인문학에 대한 투자가 의학이나 다른 자연과학, 심지어 사회과

학과 비슷해야 한다고 믿는 사람은 거의 없지만, 그래도 인플레이션을 감안하면 오늘

날의 NEH의 예산은 30년 전과 비교했을 때 약 1/3 정도에 해당하는 금액에 불과하

다. 여기에는 박물관, 미술관 및 전시회 등 예술분야의 지원금을 지급하는 NEA가 인

문학의 몫을 잠식한 측면이 있었지만, 최근의 연방예산 삭감과 세금 인하 등의 외부

적인 요인도 중요하게 작용했다.

3.3.2.5. NEH의 현황(2011년 현재)

NEH의 임무는 인문학 영역에 속하는 모든 연구활동을 활성화하는 것이다. NEH는

현재까지 7000여권의 책을 출판하였고, 그 중에서 16권의 퓰리처상(Pulitzer Prize),

Page 68: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제3장 미국의 인문학 지원 정책 57

20권의 밴크로프트상(Bancroft)을 수상작을 배출했다. NEH는 매년 미국의 역사적인

문서를 디지털화하는 프로젝트를 지원하고 있고, 수천명의 교사와 교수들에게 교재를

제공해왔을 뿐만 아니라, 각종 학교에는 고품질의 교육용 다큐멘터리, 박물관과 도서

관에는 읽기와 토론 프로그램을 공급했다. NEH는 2010년 한 해에만 미국의 크고 작

은 행정단위의 인문학 관련 기관에 17,700가지의 읽기와 토론 프로그램을 제공했고,

5,700개의 문맹퇴치용 교육프로그램을 공급했다. 미국의 4,400개의 고등교육기관은

수백만에 달하는 학생들을 가르치는 인문학 관련교수 약 125,000명이 근무하고 있다.

127,000개의 중고등학교에는 약 370만명의 교사들이 수백만의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

다. 또한 미국에는 17,000개의 박물관과 역사협회가 존재하며 매년 230만명의 방문

자를 맞이하고 있다. 56개에 달하는 주정부 산하의 인문학위원회에서는 주별로 도시

와 마을의 문화적 인프라를 만들어 유지하고 있다. 이 모든 기관들은 NEH의 지원을

받아서 미국의 민주주의를 떠받치고, 공동체 정신을 함양하며, 미국 경제의 핵심적인

부분을 형성하고 있다. NEH는 미국의 지도적 위치를 가능하게 하는 지식과 사상의

하부구조를 유지하는데 결정적으로 중요한 인문학의 기초연구를 발전시키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NEH는 2012년에 총 1억 4625만 5천불의 예산을 미국

의회에 요청한 상태이다. 1억 270만불은 연구비지급에, 400만불은 NEH의 새 프로젝

트인 “문화의 연결” 프로그램에, 1억 1500만불은 다른 연구비에 대한 매칭펀드로,

2805만 5천불은 NEH의 운영을 위한 경비로 사용할 예정이다.

3.3.2.6. NEH의 프로그램

3.3.2.6.1. 교육프로그램(Educational Program)

미국에서의 모든 인문학적 자산과 그에 대한 연구의 결과를 초중고교 학생들에 대

한 교육으로 연결시켜 확산시키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여기에는 교사들에 대

한 훈련과 커리큘럼개발, 교재개발 등의 작업이 포함되어있다. 2011년 현재 진행 중

이거나 계획된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다.

- 교사를 위한 하계세미나(Summer Seminars and Institutes for School Teachers)

- 대학교원을 위한 하계세미나(Summer Seminars and Institutes for College and

University Teachers)

- 미국역사와 문화의 이정표(Landmarks of American History and Culture)

Page 69: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58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

- 미국적 학교 상상하기 공동프로젝트(Picturing America School Collaboration

Projects)

- 역사적으로 많은 흑인과 많은 히스패닉 학생으로 인종적 배경이 강한 대학과 대

학교의 인문학 프로젝트(Humanities Initiatives for Faculty at Historically

Black, High Hispanic Enrollment, and Tribal Colleges and Universities)

- 지속적 문제에 관한 강의지원 연구비(Enduring Questions Course Grants)

- 교수능력개발 장학금(Teaching Development Fellowships)

3.3.2.6.2. 연방-주 정부 협력관계(Federal/State Partnership)

이것은 인문학과 관련하여 연방정부와 주정부의 협력을 통해 인문학을 지역적 맥락

에서 강화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여기에는 인문학의 지식과 이해를 함양하고, 미국

안의 여러 지역에서 인문학에 대한 대중의 인식과 대중의 접근을 증진하고, 지역적

맥락에서 인문학을 진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3.3.2.6.3. 보존과 접근(Preservation and Access)

인문학 연구와 교육의 바탕이 되는 미국의 문화적 유산을 보존하고 이에 대한 접근

성을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현재 여기에는 다음과 같은 프로그램-연구비 범주가

있다.

- 인문학 문고 및 참고문헌(Humanities Collections and Reference Resources)

- 위협받는 언어의 기록(Documenting Endangered Languages)

- 국가디지털신문프로그램(National Digital Newspaper Program)

- 보존과 접근 교육훈련(Preservation and Access Education and Training)

- 소형기관의 보존 보조(Preservation Assistance Grants for Smaller Institution)

- 문화유산 유지(Sustaining Cultural Heritage Collections)

- 보존과 접근 연구개발(Preservation and Access Research and Development)

3.3.2.6.4. 공공프로그램(Public Programs)

인문학적 연구와 문화적 자원에 대한 대중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Page 70: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제3장 미국의 인문학 지원 정책 59

현재 다음과 같은 범주가 있다.

- 미국의 역사적, 문화적 조직(America's Historical and Cultural Organizations)

- 미국의 미디어제작자(America's Media Makers)

- 영화를 통한 문화의 연결 : 국제적 주제(Bridging Cultures through Film :

International Topics)

- 도서관을 위한 소규모 연구비(Small Grants to Library)

- 대중 속의 NEH(NEH on the Road)

3.3.2.6.5. 연구프로그램(Research Programs)

인문학에 대한 창의적인 연구를 위해 개인에게 연구비를 지급하는 프로그램으로 크

게 개인연구와 공동연구로 나뉘며 현재 다음과 같은 범주들이 있다.

- 개인연구

• 연구비

• 여름생활보조비

• 위협받는 언어 기록하기

• 역사적으로 많은 흑인과 많은 히스패닉 학생으로 인종적 배경이 강한 대학과 대

학교의 교수를 위한 상

- 공동연구

• 학술적 가치가 있는 판본과 번역

• 공동연구

• 독립적 연구기관에서의 연수

3.3.2.6.6. 디지털인문학(Digital Humanities)

정보통신기술을 인문학적 연구와 교육에 활용하고자 하는 연구와 실험. NEH는 디

지털인문학을 위한 별도의 사무소를 설치하고 디지털인문학의 연구개발에 상당한 비

Page 71: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60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

중의 투자를 하고 있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 데이터 탐구하기(Digging Into Data Challenge)

- 디지털인문학 착수연구비(Digital Humanities Start-Up Grants)

- 디지털인문학 고급단계연구비(Digital Humanities Advanced Implementation Grants)

- 디지털인문학 고급주제를 위한 연구소(Institutes for Advanced Topics in the

Digital Humanities)

- NEH와 DFG의 2중언어 디지털인문학 프로그램(NEH/German Research Foundation

Bilateral Digital Humanities Program)

3.3.2.7. NEH 특별프로젝트 “문화의 연결”(Bridging Cultures)세계화로 인한 급속한 사회변화와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의 심화로 특징지을 수 있

는 시대에 21세기 민주주의의 활력은 세계의 다양한 사람들의 삶을 구성하는 역사적

이고 문화적인 힘을 올바로 이해하고자 하는 노력의 성패에 달려있다고 할 수 있다.

NEH가 새롭게 시도하는 특별프로젝트인 “문화의 연결”은 미국적인 삶을 조직하는 이

질적인 문화들과 관점들을 서로 연결하는 작업들을 새롭게 시도하고 강화하려고 하는

의도를 가지고 시작되었다. 상호적 존중에 입각한 이러한 문화의 연결은 예의(civility)

이라고 하는 미국적 전통에 뿌리를 내린 것이며, 우리의 민주주의의 “분파”들이 갖는

파괴적인 힘들에 대하여 우리 청교도 조상들이 가졌던 우려로부터 출발된 것이라고도

볼 수 있다. “문화의 연결”은 오늘날의 세계화의 맥락에서 이루어지는 사람들 간의

경제적, 정치적, 문화적 상호작용들을 미국적 관점에서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하기 위

하여 입안되었다.

이 특별프로젝트는 각종 문화조직, 고등교육기관, 주정부의 인문학위원회 등과 관

련된 NEH의 폭넓은 경험을 활용하여 미국 내의 다양한 부문의 대중들에게 다가가려

고 한다. NEH는 최근에 8개의 시범 프로젝트를 선정하여 연구비를 지원하였는데, 그

주제는 민주주의에서의 예의의 역할(the role of civility)과 이슬람세계에 대한 심층

적 이해(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Muslim world)이다. 2011년 봄에 시작된

이 프로젝트는 연구진행자가 이러한 주제를 가장 잘 연구한 당사자를 모아 지역적으

로 토론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이 프로젝트의 참여자는 주정부 인문학위원회 및 교수

들과 협력하여 이 주제에 관한 책, 동영상, 전시 등을 기획하여 해당지역의 대중들에

Page 72: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제3장 미국의 인문학 지원 정책 61

게 보급할 것이다.

“문화의 연결”은 다년간 프로젝트이다. 예를 들어 NEH는 최근에 미국의 미디어제

작자 프로그램 안에 “영화를 통한 문화의 연결”이라는 카테고리를 신설하여 인종, 종

교, 정치와 관련된 주요 주제들을 국제적 시각으로 다루는 다큐멘터리 영화의 제작을

지원한다. 또 기존의 챌린지 연구비 프로그램에서는 미국의 2년제 대학에서의 다문화

적 상호작용을 인문학적 견지에서 연구하는 작업에 투자를 계획하고 있다. 이처럼

“문화의 연결”이라는 주제는 앞으로도 NEH의 기존의 프로그램과 새 프로그램에서 적

용되어 연결될 경우 우선 지원의 대상이 될 것이다.

3.3.3. 미국의 인문학 지원기관 책임자 및 관계자 인터뷰

(다음의 내용은 2012년 2월 22일 NEH 본부에서 진행되었던 인터뷰의 일부를 요

약한 것임)

3.3.3.1 크리스틴 컬크(Christine Kalke, NEH 국제문제 담당국장)

- 인문학의 실용적 가치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우리는 인문학적 교육이 가져오는 가치가 분명히 있고, 그것을 정당화할 수 있다고

본다. 각국마다 사정이 다 다를 것이다. 가령 영국의 경우에는 현재 건강의 문제와 인

문학의 문제를 연결시켜서 다루는 프로젝트가 진행 중이다. 인간의 건강에는 단지 의

학적인 문제만 결부되는 것이 아니라 인문학도 매우 중요한 기여를 할 수 있다는 것

이다. 미국에서는 가령 디지털기술의 발전에도 인문학이 매우 중요하다는 인식이 확

산되고 있다. 현재 인문기금에서는 디지털인문학을 위한 별도의 부서를 신설하고, 이

부서를 중심으로 2-30명의 직원들과 연구자들이 인문학이 디지털기술의 발전에 기여

하는 부분, 혹은 그 반대의 경우를 연구하고 있다. 재미있는 것은 우리와 함께 일하는

디지털기술 전문가들이 인문학의 영역에서 일하는 것을 매우 흥미롭게 생각한다는 것

이다. 왜냐하면 우리는 단도직입적인 질문을 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 우리가 다루는

자료의 성격, 즉 문서 아카이브나 이미지 컬렉션 등등이 단순하지 않고 논리적으로

분류하기가 난감하기 때문에 이것을 흥미로운 도전으로 생각하는 것 같다. 이러한 도

전을 극복하는 것에서 창의적인 기술개발도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고, 이것은 인문학

만이 촉발할 수 있는 창의성이며, 이는 인문학의 실용성의 근거가 될 수 있다.

Page 7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62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

- 인문학의 실용적 가치를 인문학 편에서 설명한다면?

나는 “사고의 유연성(flexibility of mind)”을 얘기하고 싶다. 인문학만이 배양할 수

있는 “사고의 유연성”은 새로운 도전에 대응할 수 있고, 자연과학적 연구가 다룰 수

없는 문제에 답을 줄 수 있다. 세상에 존재하는 많은 문제들은 실상 그렇게 단순하고

분명한 답을 허락하지 않는다. 인문학이 기를 수 있는 “사고의 유연성”은 그래서 세

상에 도움이 되는 것이다. 미국의 헌법에는 민주주의가 이루어지려면 지혜가 필요하

다고 되어있다. 인문학은 이러한 지혜를 구성하는데 핵심적이다. 인문학은 미국의 시

민을 더 유식하고 지혜롭게 만든다.

- 인문학의 경제적 효과는 무엇인가?

나는 박물관과 도서관이 그 주변의 지역에 일정한 경제적 효과를 갖는다고 생각한

다. 도서관과 박물관에 가기위하여 사람들이 모여들고, 그 주변에는 상권을 형성하고,

그 안에 생기는 가게들과 식당들에 사람들이 고용된다. 또 박물관과 도서관 자체에서

도 그 고유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전문 인력들을 고용한다. 가령 도서관 자료의 디

지털화를 위해서는 디지털전문가를 고용해야 하고, 그 자료의 보급을 위해서는 웹페

이지 전문가를 써야 하는 것이다.

- 인문기금의 사회적 임무는 무엇인가?

우리는 국회에서 법제화되어 만들어졌는데, 인문학 연구자들이나 큐레이터, 사서들

이 만들어내는 전문적인 자료들에 접근하는 것뿐만 아니라 이것들을 일반대중들에게

보급하는 것에 큰 관심이 있다. 우리는 일반 대중들이 인문학적 자료들에 더 많은 관

심을 기울이길 원한다. 한때 미국의 재정위기로 인문기금의 존재가 위협받고, 가혹한

예산삭감이 단행되었을 때 국회의원들은 인문기금의 수혜자였던 일반 대중들로부터

엄청난 저항을 받았다. 예산담당자들에게 있어서 인문기금은 전체 예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에 있어 무시할 만큼 작은 것이었지만, 일반 대중에게 갖는 영향력은 훨씬 큰 것

이었기 때문이다. 인문기금은 인문학에 대한 이러한 대중들의 기대와 바람을 충족시

키는 것을 가장 중요한 사회적 임무로 받아들인다.

Page 74: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제3장 미국의 인문학 지원 정책 63

- 인문기금 수혜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는?

인문기금은 인문학 연구자들이 연구지원금을 신청했을 경우, 동료평가(peer review)

에 의해 지원대상자들 선정한다. 그러나 우리는 연구지원금에 의해 이루어진 연구의

질을 평가하기 위해 동료평가를 활용하지는 않는다. 즉 우리는 연구결과물을 평가하

지 않는다. 연구지원금은 제출된 연구비신청서가 적절한지, 신청자의 과거 연구업적이

어떠한지, 젊은 연구자라면 이들의 학문적 잠재력이 어떠한지를 보아 지원여부를 결

정한다. 과거에 인문기금에서 나의 동료로 일했던 데이브 월리스(Dave Wallace)는 연

구지원은 신뢰에 입각한 행위라고 말한 적이 있다. 그것은 계약이 아니다. 따라서 연

구지원을 결정할 때, 인문기금은 그 결과를 확실하게 보장할 수는 없다. 어느 정도는

연구를 수행하는 연구자를 믿어야 하는 것이다. 가령 작년에 인문기금이 연구비를 지

원했던 일리노이 대학의 컴퓨터 연구자는 예술작품을 연구 대사으로 삼아서 역사적으

로 여러 예술가들이 어떤 다른 색깔을 사용하고, 어떤 다른 스타일을 사용했는지 그

경향성을 확립하는 연구를 진행했다. 모든 예술에는 인간적 요소들이 개입되기 때문

에 매우 어려운 연구가 될 것으로 모두들 예상했다. 그러나 결과는 컴퓨터와 인문학

의 멋진 협업이 이루어졌고, 인문기금은 그러한 결과물에 만족했다.

- 인문기금은 다른 곳과는 달리 대중교육에 다른 나라보다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이

는 것 같다. 정말 그런가?

인문기금의 지원이 대중에 미치는 영향은 정말 큰 것 같다. 가령 미국에는 독립영

화나 다큐멘터리가 대중들의 관심을 많이 끄는데, 인문기금은 그동안 독립영화와 다

큐멘터리 제작에 많은 지원을 해왔고, 그 결과를 텔레비전의 공공채널을 통해 무료로

보급해왔다. 그 결과로 미국 대중들에게는 이러한 종류의 고급정보에 대한 일정한 취

향이 생겼고, 그 때문에 인문기금은 이러한 지원을 계속해나가고 있다. 인문학은 꼭

인문학 전문가들만을 위한 것이 아니다. 대중들 속에서 호기심과 흥미를 불러일으키

고, 그 결과 그들이 도서관과 박물관에 더 많이 갈 수 있다면, 그것이 인문학 진흥이

아니고 무엇이겠는가? 대중들이 그러한 매체들을 통해 역사에 대해 더 깊은 관심을

갖게 되면 세상이 바뀌는 것이고, 그것이 바로 인문학이 가질 수 있는 영향력이다. 인

문기금은 이런 식으로 인문학적 사고가 가져올 변화와 가능성에 관심을 가지고 여러

가지 프로그램을 지원한다. 인문기금은 물론 개별 인문학 연구자들의 연구를 지원한

Page 75: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64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

다. 그 결과 논문과 책들이 출판되고, 그것이 대중들에게 읽히며, 연구자들의 경우 연

구자로서의 평가나 정년보장심사에 활용된다. 인문기금은 이처럼 인문학이 대중들과

함께 호흡해야 한다고 믿고 있으며, 그것을 재정지원의 큰 목표로 삼고 있다.

- 한국에서는 정부의 연구비지원이 정치적으로 악용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 논

의가 분분하다. 학문적 자유는 학문연구에 절대적인 조건이자 목표인데, 미국의

경우는 어떤가?

인문기금의 운영을 규정한 법은 연구지원을 결정하기 위한 평가절차를 규정하고 있

다. 물론 최종적인 결정은 인문기금의 이사장이 내리도록 되어있지만 그러한 결정은

인문기금의 직원들을 지원하는 일련의 학자들의 조언을 받는다. 그러한 학자들의 위

원회는 신청된 연구지원서의 내용에 따라 달리 구성된다. 그 위원회는 명시적으로 규

정된 규칙과 단계에 따라 연구지원서를 심사한다. 여기에는 인문학 발전에 미치는 영

향, 지원자의 학문적 수준, 연구계획 등 여러 가지 요소들이 고려되지만 어떠한 경우

에도 이러한 요소들이 연구자의 정치적 견해와 연관되는 경우는 없다. 만일 심사위원

중 누구라도 정치적인 배경을 고려하려고 한다면, 위원자이 이렇게 말할 것이다. “심

사위원의 의견를 제시할 때는 미리 규정된 범주에 입각해서 제시해야 합니다.” 인문

기금의 매뉴얼에는 어떤 특정한 정치적 행동이나 어떤 정치적 관점으로 사람들을 유

도하는 연구는 지원하지 않도록 되어있다. 따라서 인문기금의 연구비를 심사하는 과

정에는 어떠한 정치적 입장도 작용할 수 없다. 인문기금의 심사는 제출된 연구계획서

에 국한되고, 이를 위해 대통력이 임명하고 국회가 인준한 위원회에 속한 26명의 위

원들이 담당한다. 우리는 새로운 지원자들의 연구비지원의 심사에만 동료평가를 사용

한다. 사후적으로는 사회적으로 이루어지는 평가, 즉 좋은 학술지, 좋은 출판사에 의

해 출판되고 좋은 평가를 받은 경우 이를 신뢰하고 받아들인다. 이러한 사회적 평가

들 속에서 자연스럽게 연구의 수준과 질이 확보된다고 믿는다.

- 인문기금의 연구지원이 이루어 진 연구에 대하여 어떠한 결과물을 요구하는가?

우리도 연구결과보고서를 요구한다. 연구수행자에게 연구중간보고와 재정보고를 요

구한다. 그러나 그러한 결과보고서가 반드시 출판된 논문일 필요는 없다. 그 결과물이

꼭 연구기간 내에 출판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우리는 단지 우리가 지원한 연

Page 76: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제3장 미국의 인문학 지원 정책 65

구가 계획대로 진척되었는가만 확인한다. 또 지원금이 계획대로 제대로 사용되었는지

를 확인한다. 그러나 출판물은 사회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고, 대중이 평가한다. 그것

은 연구비와 관계가 없다.

Page 77: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66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

4.1. 특별세미나:세계의 인문학, 어디로 가고 있는가?

4.1.1. 특별세미나의 배경

본인과 미국 클라크(Clark)대 영문과 선희 거츠(SunHee Kim Gertz)교수는 레이어

룩셈부르크 프로그램(Leir Luxembourg Program)의 재정지원을 받아 세계적으로 침

체된 인문학계의 현황과 그 타개책을 모색하기 위하여 2011년 7월 22-25일에 룩셈

부르크 몽도르프레벵(Mondorf-les-Bains, Luxembourg)에서 “세계의 관점으로 재조

명한 세계의 인문학”(“Global Humanities, Globally Re-Envisioned")이라는 제목으로

세미나를 개최함.

4.1.2. 특별세미나 발표자

- 롤프 타락(Rolf Tarrach) : 이론물리학자, 룩셈부르크대학 총장(현직), 스페인 학

술진흥원 원장, 유럽연합 연구재단 의장 역임

- 데이비드 베어드(David Baird) :과학철학, 미국 클라크대 학사부총장(Provost, 현직)

- 스티브 휘틀리(Steve Wheatley) :역사학, 미국 미국학술단체협의회(ACLS, American

Council of Learned Society) 부회장(현직)

- 볼프강 클루스(Wolfgang Klooss) : 비교문학, 독일 트리어(Trier)대학 영문과 교

수(현직), 국제담당 부총장 역임

- 파리데 쿠히 칼라미(Farideh Koohi-Kamali) :정치학, 미국 팔그레이브 맥밀란

(Palgrave Macmillan) 출판사 학술담당 편집국장(현직), 옥스퍼드대 정치학 박사.

- 선희 김 거츠(SunHee Kim Gertz), 영문학, 미국 클라크대 영문과 교수, 공동

주최자

- 박찬길(Chankil Park), 영문학, 이화여대 영문과 교수, 국제교류처장, 공동주최자

제4장 특별세미나 및 서면인터뷰: 세계 인문학의 재조명: 독일, 미국, 그리고 한국.

Page 78: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제4장 특별세미나 및 서면인터뷰:세계 인문학의 재조명, 독일, 미국, 그리고 한국 67

4.1.3 특별세미나의 주제와 진행방식

미국의 고등교육 전문신문 고등교육연대기 The Chronicle of Higher Education

에 나오는 기사들을 보면 오늘날의 인문학은 재조명이 절실히 필요하다. 인문학을 가

르치는 누구라도 쉽게 동의할 것이다. 교수자리가 하나씩 줄어들고, 예산이 매년 삭감

되는 것을 보면서 인문학 교수들은 적들에게 포위되어있음을 느낀다. 인문학이 점점

주변화되는 것에 대한 이유는 다양하게 제시되어왔다. 인문학의 업적을 계량화하기

어렵다는 점에서부터 상업주의가 지배하는 오늘날의 기업친화적 환경에서 필요한 전

문성이 없다는 점 등 다양한 설명이 있었다. 동료들은 인문학 교수들에게 기본으로

돌아갈 것을 촉구하거나 아니면 전통적 텍스트보다 위키피디아나 유튜브, 페이스북과

트위터 같은 데서 정보를 얻는 세대의 학생들을 위해 인문학을 업그레이드 해보라고

권한다. 그러나 우리가 보기에는 단순히 기본으로 돌아간다거나 어떤 단일한 종류의

해결책을 따르는 것 보다는 전세계적으로 교육적, 문화적, 직업적 세계에서 인문학이

어떤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지, 그리고 잠재적으로 어떤 위치를 차지할 수 있는지를

이해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국제적이고 국제문화적 일들이 더 많은 비중을 차지하게

되는 요즘의 세계에서는 문학, 역사, 철학과 같이 전통적으로 인문학과 연관되면서,

사려깊고, 맥락을 의식하며 의미지향적 초점을 가진 학문들이 더 중심적인 위치를 차

지하게 되는 것 같다. 어쨌든 우리는 사고, 역사, 그리고 우리가 의미있다고 생각하는

이야기들을 통해서 현재의 우리로 만들어졌다. 그렇다면 왜 인문학이 중심적인 위치

에 놓여야 하는가? 어떤 의미에서 이것은, 인문학이 무엇이고, 다양한 개념적 문화적

관점들에서 볼 때 어디에 있을 수 있는가를 이해하려는 우리의 목적의 이면에 놓여있

는 질문이다.

특별세미나는 룩셈부르크, 독일, 한국, 미국에서 온 참가자들을 한데 모으고자 한

다. 이들은 장학금, 대학, 재단, 출판 등 인문학에 불리한 조건을 제공하는 여러 기관

들을 대표하는 사람들이다. 더 중요하게는 여러 나라에서 온 발표자들은 다언어적 문

화 속에서 다양한 관점을 가지고 교육받고 일했던 경험이 있는 사람들이라서 이 세미

나에 다양한 문화적 관점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발표자들은 발표원고를 미리 공유하여 세미나 이전에 읽어보고, 세미나의 세션 중

에는 자신의 원고를 약 15분으로 줄여서 발표하고 더 많은 시간을 토론에 할애할 것

이다. 세미나의 세션 주제는 다음과 같다. “인문학의 역사,” “인문학과 과학,” “인문학

을 제약하는 조건,” “인문학의 미래.” 각 세션들은 각각 서론으로 시작하여 합동토론

으로 마무리될 것이다.

Page 79: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68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

4.1.4. 발표내용

4.1.4.1. 롤프 타락(룩셈부르크대 총장, 이론물리학), “오늘의 대학에서의 인문학의

역할”현대에는 많은 문제들이 있다. 대학은 사회의 외면을 받지 않으려면 그 문제들을

외면할 수 없다. 그중에는 쉬운 문제들도 있다. 그런 문제들을 풀기 위해서는 일차원

적이고, 분석적이며, 계량적 방식으로 충분하다. 과학과 기술만 있으면 된다. 그런데

대부분의 문제들은 그보다 어렵다. 그것들을 위해서는 다타원적이고 종합적이며, 체계

적이고, 질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정말로 어려운 것은 그것들이 인간과 관련된다는 사

실이다. 그것도 가장 복잡한 맥락 속에서의 인간, 즉 인류와 사회라는 맥락 속에서 인

간이 등장한다. 과학과 기술로는 그런 문제를 풀 수 없다.

인간은 복잡한 동물이기 때문에, 그것을 단순화하는 모델을 활용하는 것이 합리적

으로 보인다. 가령 인간을 이윤을 좇는 로봇으로 개념화하는 것 말이다. 그렇게 하면

인간의 문제라 하더라도 계량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어떤 문제들은 그런 식으

로 풀릴 수도 있다. 그러나 그것은 기아와 고통의 문제를 풀지 못했다. 과학과 기술이

쉽게 할 수 있었는데도 말이다. 오히려 그것은 지역적 불평등을 증가시키는 문제를

피해가지 못했고, 그 결과로 우리가 사는 여기는 더 안전한 곳이 되지 못했다. 우리는

“우리”라고 하는 부분을 더 심각하게 고려해야 한다. 우리는 경영학의 귀재들이 책이

아니라 도스토예프스키를 읽어야 한다. 우리는 다른 사람들을 더 잘 이해해야하고, 그

들의 삶의 철학을 더 잘 이해해야 하는데, 그것은 그들의 언어를 모르고는 결코 일어

날 수 없는 일이다. 우리는 다른 가치체계를 더 잘 이해해야 하는데, 우리가 우리 의

견이기 때문에 무조건 더 옳다고 믿고 있는 한 그러한 이해가 이루어질 수 없다. 이

것은 갈릴레오 갈리레이와 지오다노 브루노(Giordano Bruno)로부터 비롯된 오래된

이야기의 내용과 같다. 우리 자신과 다른 사람들, 그리고 사회를 잘 이해하지 않고 과

학기술을 배우는 것은 오늘날의 세계에서는 매우 무책임한 일이다. 그러나 현대의 물

리학, 생물학, 신경과학, 응용 수학과 같은 과학의 기초를 닦지 않고 인문학을 배우는

것은 인문학을 아무런 의미있는 연관성이 없는 학문으로 만든다. 뇌를 예로 들어보자.

신경과학이 우리에게 많은 것을 가르쳐준다. 하지만 그것들은 우리가 이해할 수없는

것도 많이 가르쳐 준다.

우리는 여기에 왜 존재하는가? 아마도 별 목적이 없을지 모른다. 그러나 상황을 최

대한 이용하자. 행복해지자, 그리고 다른 사람도 행복하게 만들자. 행복이 객관적으로

과학적으로 제대로 이해될 수 있는가? 분명히 아니다. 이런 문제라면 인문학과 예술

Page 80: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제4장 특별세미나 및 서면인터뷰:세계 인문학의 재조명, 독일, 미국, 그리고 한국 69

이 더 효율적으로 접근할 수 있을지 모른다. 어느 대학총장이 감히 학생들이 더 행복

해질 수 있도록 가르치는 것은 그 교육기관의 최고의 목적 중의 일부라는 점을 부인

할 수 있겠는가? 그런 목적으로, 새 통합적인 교과과정이 필요하고, 인문학은 그러한

교과과정의 중심에 서있다. 나는 내 발표문에서 이러한 아이디어를 실천할 때 예상되

는 어려움에 관해서 토론할 것이다.

4.1.4.2. 데이비드 베어드(미국 클라크대 학사부총장, 과학철학), “인문학과 미래

위험의 조절”미래의 기술이 가져올 위험을 어떻게 조절할 것인가? 이 질문을 더 매력적으로 만

들기 위해 커즈웨일(Ray Kurzweil)과 그로스만(Terry Grossman)의 환상적인 여행:

영원히 살기 위해서 충분히 오래 살기(Fantastic Voyage: Live Long Enough to

Live Forever(2004))에 나오는 주장, 즉 영생이 가능하다는 주장에 대해 생각해보자.

영원히 생명을 연장할 수 있는 기술이 지금은 없지만 지금 55-60세 쯤 된 사람은 건

강관리만 잘 하면 죽기 전에 그러한 기술이 생겨날 것이고, 그로 인해 영원히 사는

것이 가능해진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사회보장에 대해 다시 생각해야 한다. 적어도 지

금 준비해야한다는 말은 좀 성급해 보인다. 이러한 기술은 존재하지도 않고, 그것이

존재하게 될 것이라는 말도 확실하지 않다.

그러나 할 일이 있다. 적어도 무제한의 혹은 극단적인 생명연장을 추구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인지를 생각할 필요가 있다는 말이다. 우리가 이러한 연구 그 자체에 연

구비를 대지 않는다 하더라도 우리는 여러 가지 종류의 질병들에 대한 치료법을 연구

할 것이고, 이러한 연구의 성공이 생명을 연장할 것이다. 그렇다면 그것이 의도되었건

아니건간에 우리는 생명연장을 향해 한 걸음씩 진보하는 것이다. 우리는 생명연장이

가져오는 위험을 조절하는 것을 어떻게 준비해야 하는가?

현재의 기술로는 가령 새로운 암치료법을 개발하는 것이 비용 대비 효과를 따져 보

면 더 합리적이다. 틀림없이 우리가 비용이라고 생각하는 것과 우리가 효과라고 생각

하는 것이 그렇게 단순하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위험을 조절하는 방식으로서 이

런 문제에 좀더 정확하게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해 보인다. 우리가 가진 기술로 무엇

을 할 것인지에 대해 형식적으로 완성된 결론을 향해 가도록 노력해야 한다. 존재하

지 않는 기술을 위해 그런 고민을 한다면, 그런 일은 분명히 낭비다. 그러나 형식적으

로 완성된 작업은 앞으로 이루어질 것이기 때문에, 우리는 비용대비 효과의 분석보다

더 생산적인 접근법이 필요하다.

Page 81: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70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

이러한 종류의 위험조절을 다루는 접근법으로 내가 제안하고 싶은 것은 인문학에

매우 접근하는 것이다. 내 주장은 우리의 사회적 상상력을 확장하기 위해서 노력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우리는 앞으로 다가올 기술의 의미와 함축에 대해 생각한다.

부분적으로 이것은 그것들이 의미할 수 있는 것에 대해 창의적으로 생각해보는 것이

다. 그러나 그것은 동시에 이러한 문제들과 관련이 되면서도 보통은 서로 대화를 나

누지 않는 사람들 사이의 대화를 증진하는 것이다. 즉 과학과 인문학의 만남이다.

4.1.4.3. 스티브 휘틀리(미국 학술단체협의회 ACLS 부회장, 역사학)“인문학은

사치품인가?” 인간의 창조성의 수많은 형태들을 연구하고 번역하고 이해하는 것이 지식의 근간이

아니라 지식이라는 집의 기초가 아니라 단지 장식품에 불과하다는 말인가? 인문학의

분야들과 해석적인 사회과학분야는 “난초같은 학문”으로서 매우 제한적인 기후대 밖

에서는 견디지 못하는 이국적이지만 허약한 식물이라는 말인가? 그들은 진정 오늘날

의 세계와 같은 차갑고 험악한 기후에서는 생존할 수 없는가?

미국에서 정책결정자들이나 여론주도층들이 이런 질문들을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

음은 인문학을 옹호하는 사람들이 너무 적거나 있다 하더라도 인문학의 연구와 교육

에 내재된 가치를 제대로 납득시키지 못한다는 증거이다. 나는 미국에서 지난 100년

간 이루어져 온 인문학의 옹호를 위한 수사학의 역사를 간단하게 제시하려고 한다.

1930년에 유명한 교육개혁가 에이브라함 플렉스너(Abraham Flexner)는 다음과

같이 썼다. “과학이 빠르게 진보하면서, 철학과 휴머니즘에는 구름이 끼었다. 그들이

스스로를 주장할 때에도, 변명조인 경우가 많았다.” 발견과 즉각적인 효용을 강조하는

연구중심대학의 과학적 패러다임 안에서 인문학자가 인문학자로서의 고유한 자질과

관점을 확립한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었다.

그러나 인문학자들은 매우 실용적이다. 사전을 사용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인문학

연구의 수혜자이다. 그러나 인문학의 일상적인 유용성에 대한 주장은 많기는 하지만

다음과 같은 주장만큼 그 중요성을 제대로 전달하지 못한다. “인문학의 모든 성취는

국가가 발전을 위해 내딛는 핵심적인 발걸음이다.” 이러한 단순한 명제는 1970년에

닉슨대통령이 워싱톤에서 학술단체협의회의 대표들을 환영하면서 제시했던 것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서 닉슨이 그렇게 강경한 인문학 옹호자가 되었는가? 닉슨은 인

문학을 과학과 비교하는 것이 아니라, 민주주의의 핵심적 요소로서, 전체주의와 비교

했던 것이다. 닉슨에게 인문학은 민주적 가치를 담고 있는 지성의 그릇이었다. 인문학

Page 82: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제4장 특별세미나 및 서면인터뷰:세계 인문학의 재조명, 독일, 미국, 그리고 한국 71

을 중심으로 하는 교양교육은 학생들에게 “비판적 사고력”을 심어주고, 그렇게 함으

로써 그들을 건전한 시민으로 양성한다는 것이다. 미국 대학에 인문학이 확고하게 자

리잡고 있음을 보임으로써 미국 문화를 싸구려 물질주의라고 규정하는 문화적 편견에

당당하게 맞설 수 있다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1965년에 NEH의 창설의 근거가 된

법률에서 말하는 “민주주의는 지혜를 요구한다”라는 문구가 뜻하는 바이다.

그렇다면 닉슨의 주장이 오늘날 이상하게 들이는 이유는 무엇인가? 우리는 닉슨이

라는 인물이 그 이후에 겪은 명예롭지 못한 일을 알고 있기 때문이다. 또 우리는 인

문학 연구가 정치적인 논쟁의 주제가 되었던 이른바 “문화적 전쟁”에 관해서도 알고

있다. 많은 인문학자들 자신들도 인문학을 닉슨처럼 “국가적 발전”과 같은 개념과 연

관시키는 것을 꺼린다. 1970년대 이후 인문학의 옹호자들은 인문학을 다른 맥락에서

옹호하고자 했지만 쉽지 않았다. 오늘날은 인문학을 그러한 정치적 맥락에서 다루기

보다는 “경쟁력”과 같은 경제학적 관점에서 논의하는 경우가 많다. 인문학을 제대로

옹호하기 위해서는 그러한 수사학의 정치, 경제적 맥락을 제대로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4.1.4.4. 볼프강 클루스(독일 트리어대학 영문과교수, 비교문학, 국제담당 부총장),

“인문학의 과거, 현재, 미래: 약간의 관찰과 의견”흔히 생각하는 바와는 달리, 인문학은 학문의 분야로서 비교적 젊은 편이다. 자연

과학이 17세기에 학문적 분야로서 등장했다면 인문학이 학문적 분야로서 확립된 것은

18세기, 심지어 19세기에 들어와서이다. 학문분야의 발전은 매우 불규칙적이다. 1840

년대 이후에야 인문학은 “인문학”이라는 간판을 걸고 학문으로 행세했다. 인문학은

서로 다른 영역의 학문들과 그 주제들에 바탕을 둔 물질세계에 접근하는 새로운 방법

론을 제시했고, 사회적 현상의 역사성을 인식하는 데도 공헌했다. 자연과학이 자연세

계를 이해하는 새로운 지식과 방법을 제공했지만 인문학 역시 경험적인 데이터와 기

술적인 변화로 복잡해진 사회환경을 이해하는 새로운 방법으로 각광을 받았다.

인문학은 언어와 문학 등을 통하여 언제나 일반 대중의 교육과 깊숙하게 관련되어

있었고, 인문학의 부상은 교육기관의 발달과 깊은 관련이 있다. 그런 면에서 인문학은

근대화의 과정에 깊이 개입했다고도 할 수 있다. 민족주의와 제국주의의 발전도 모두

인문학이 이질적인 문화의 존재와 그 개별성을 대중들의 마음속에 인식시킬 수 있었

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이러한 의미에서 인문학은 19세기 서양의 근대화와 세계

인식에 깊은 관련이 있다고 할 수 있다.

Page 8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72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

4.1.4.5. 파리데 쿠히 카말리(팔그레이브 맥밀런 학술출판국장, 정치학) “인문학

이라는 넓은 거미줄 속의 출판”출판사는 다양한 학자들이 만나는 장소이다. 그들은 거기에서 만나 의견을 교환하

고 토론하며 그들의 아이디어를 글로 만들어 다른 사람에게 읽히고, 과학적이고 지적

인 지평을 넓힌다. 출판은 정치적 분석, 혹은 새로운 과학적 발견, 혹은 경제적 예측

들이 철학과 윤리, 문학 등의 영역으로 초대되어 새로운 맥락에서 토론되고 판정받는

다. 출판인들은 늘 발전하는 세계의 일부이다. 정치적 죄수에 대한 따뜻한 기억이 세

계를 바꾸는 촉매가 되기도 한다. AIDS나 심장질환을 위한 새로운 약의 개발은 게이

문화에 대한 새로운 대화를 촉발한다. 후손이나 장수에 대한 우리의 욕망이 과학적

실험실에서 검증받을 때, 우리는 출판사가 인문학의 미래에 대해 할 수 있는 중요한

역할이 무엇인지 깨닫는다.

우리는 출판사로서 지식인들과 새로운 지식이 만나는 중요한 접점일 수 있고 그렇

게 되어야 한다. 우리는 자연과학과, 사회과학, 그리고 인문학이 그들의 아이디어를

우리들이 펴주는 우산 아래에서 토론하고 책의 형태로 만들어내어 세상에 유통시키도

록 만든다. 그렇게 함으로써, 우리는 더 긴밀한 협력의 장이 되고, 우리가 협력함으로

써 얼마나 더 완전해지고 광범위해질 수 있는지를 깨닫는다.

출판사들은 많은 것을 할 수 있다. 우리는 우리 일 하면서 때로는 감성적이 되지만,

우리의 핵심은 역시 사업가이다. 그것은 좋은 일이다. 왜냐하면 그렇게 해서 우리는

세상의 현실을 알게 되고 시장과 고객들, 또 새로운 아이디어의 구매자들 사이에서

새롭게 형성되는 경향이 무엇인지를 알게 된다. 세미나에서는 출판시장에서 볼 수 있

는 인문학과 과학 사이의 문제가 많은 관계를 개선하기 위해 출판사가 할 수 있는 일

이 무엇인가에 대한 내 몇 가지 의견을 제시하게 될 것이다.

4.1.4.6. 선희 김 커츠(SunHee Kim Gertz, 미국 클라크대 교수, 영문학, 공동

주최자), “그 당시의 인문학”나는 내 발표문에서 인문학에 대한 오늘날의 도전이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중세 후

반기의 대학에서 비롯되었음을 보이고자 한다. 12-3세기의 초기 대학들이 성당의 인

문교육 프로그램으로부터 발전하는 과정을 설명하면서 당대의 대학들이 대학별로 특

수한 분야를 전문으로 하여 발전되었음을 강조하려고 한다. 살레르모(Salermo)에서는

의학이, 볼로냐(Bologna)에서는 법이, 빠리(Paris)와 옥스퍼드(Oxford)에서는 신학이

그 중심적 과목이었다. 그러한 전문분야를 통하여 대학은 교회 및 세속권력과 특별한

Page 84: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제4장 특별세미나 및 서면인터뷰:세계 인문학의 재조명, 독일, 미국, 그리고 한국 73

관계를 형성해나갔지만, 이러한 대학의 학자들도 그들만의 독립적인 영역과 학문 자

체를 위한 지적 탐구를 추구했다. 이러한 조건은 궁극적으로 위치와 조건에 따라 다

양하게 발전해 나가는 대학의 구조를 만들어내는 데 기여했다.

수세기동안 인문학은 이러한 기본적인 대학의 구조 안에서 그 중심적 위치를 계속

해서 잠식당해왔다. 12세기에도 인문학은 의학의 새로운 치료법이나 대체 에너지원이

나, 아니면 정치적인 분석과는 달리 실용적인 가치가 없는 것으로 규정되었었다. 인문

학과 관련된 작업이 의사결정에 영향을 주고, 새로운 방향에 대한 영감을 주거나 관

심을 불러 일으키고, 심지어 학교 밖에서 상당한 재정적인 이득을 가져오기도 하지만,

대학 내에서는 언제나 제한된 예산을 확보하기 위한 투쟁을 그 “실용성”이라는 것을

근거로 전개해야 한다.

이러한 “실용적” 접근은 인문학의 내재적 가치와 그 진정한 영향을 주변화하는 것

은 물론 중세 후기의 대학이 가졌던 약점과 강점에서 우리가 배울 수 있는 교훈도 무

시해버린다. 즉, 오늘날의 대학에서의 인문학은 전통적인 접근법으로 많은 학문분야에

내재된 파편화의 양상을 더 잘 탐구할 수 있다. 그러한 파편화는 다른 학문들을 사회

일반으로부터 고립시키는데 반해, 인문학은 그러한 파편화 자체에 대한 인식을 통해

사회가 오늘날의 대학을 위해서 해줄 수 있는 일들이 무엇인지를 분명하게 보여준다.

4.1.4.7. 박찬길(이화여대, 영문학, 국제교류처장, 공동주최자), “점령된 대학:

기업문화와 한국 인문학의 운명”한국의 인문학은 커다란 위협에 직면했다. 그 위협의 핵심은 1995년 이래 한국정

부가 진행해 온 대학개혁과 그 결과로 만연된 기업화된 대학문화이다. 발표문에서는

90년대까지 한국 사회의 민주화에 적극적인 역할을 해오던 한국의 대학이 점차 그 활

력을 잃고 신자유주의적 경제체제의 일부로서 기업화하고 있음을 보여줄 것이다. 한

국의 대학이 민주화 운동의 중심에서 사회적 정의의 구현에 적극적으로 기여하고 있

을 때는 저항적 지식인의 산실로서 인문학은 대학 안에서 중추적인 위치를 점하고 있

었다. 그러나 자본의 논리로 무장된 최근의 대학에서는 설 자리를 잃고 있다는 것이

대학에서 일하는 많은 교수들의 실감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인문학이 살아남기 위해

서는 생산성과 경쟁력이 논리 안에서 이길 수 없는 경쟁에 빠지기 보다는 그러한 경

쟁의 프레임웍 전체를 커다란 사회적 맥락 안에서 조망하는 비판정신을 발휘하고, 대

학 본연의 독립성과 저항정신을 회복하는 것이 절실하게 필요하다.

Page 85: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74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

4.1.5. 토론내용 및 잠정적 결론

4.1.5.1. 문제의 제기

- 연관성(relevance) :인문학이 실용성을 근거로 비난받지만, 실제 사회에서 그

“연관성”을 인정받을 필요가 있다.

- 순위(rankings) :인문학에 순위는 무의미하다고 흔히 말하지만, 긴 역사적 안목

에서 보면 분야별 경쟁은 언제나 있었고, 경쟁은 항상 대학의 학문적 생활의 일

부였다는 사실도 인정해야 한다.

- 소통(communication) : 최근 대학에서 일어나는 학문적 활동이 사회적으로 원활

하게 소통되는 일이 드물어졌다. 대학도 사회적 기관의 하나인 이상 그들의 활동

과 그 결과를 사회와 좀 더 적극적으로 공유할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해 인문학도

일정한 역할을 해야 한다.

- 위험회피(risk aversion) : 보다 광범위한 의미에서 위험회피를 논의함. 대학의 각

종 제도들이 위험회피에 긍정적으로, 혹은 부정적으로 작용하는 경우를 이해해야

한다.

- 행동의 필요성(the need for action) : 인문학이 그 고유의 특성을 버릴 필요는

없으나, 세계적으로 일어나는 문화적 변화의 본질은 정확하게 이해하고, 그것들

이 각기 다른 인문학의 전통에 미치는 같거나 다른 영향들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공동으로 대처할 필요는 있다.

4.1.5.2. 요구사항

- 문화 간의 차이: 정치경제적 문제에 있어 문화의 차이가 존재하며, 이를 가장 이

해할 수 있는 사람들이 인문학자이다. 다문화적, 상호문화적 프로젝트들을 통해

이러한 인식을 심화하고 서로 공유할 필요가 있다. 출판에서도 타문화의 다른 목

소리를 반영할 필요가 있고, 번역을 통해 타 문화권의 목소리를 교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학제간 연구:인문학의 사회적 연관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학제간의 연구가 바람

직하다. 인문학은 본연의 정체성을 잃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학제간적 접근을 적극

수용해야 한다.

- 재정적 문제:인문학을 지원하는 예산은 계속 줄어들 것이다. 과학도 예산의 문

제를 겪기는 마찬가지이다. 역사적으로 인문학은 다양한 영역에서 지원을 받아왔

Page 86: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제4장 특별세미나 및 서면인터뷰:세계 인문학의 재조명, 독일, 미국, 그리고 한국 75

고, 그런 의미에서 재정적 위기는 언제나 있었다. 인문학은 언제나 실용성을 의

심받았고, 그런 의미에서 재정의 확보는 어려운 일이었다. 이러한 문제는 간단한

해결책을 허락하지 않지만 인문학도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고민을 좀더 적극적

으로 해야 한다.

4.1.5.3. 인문학의 특징

- 기본적인 사항: 고등교육은 공적인 가치이고, 교육기관은 다양해야 하고, 지역중

심적이어야 하며, 학자는 대학의 중심적 요소이다.

- 가치:인문학은 가치와 의미와 방법론을 제공한다. 가령 윤리학은 가치와 위험요

인의 변화의 의미를 파악하게 하는 형식적인 틀을 제공한다. 이런 것이야말로 인

문학자들이 공적인 영역에서 공적인 지식인으로서 할 수 있는 역할이다.

- 불확실성:인문학자들은 질문을 하는 자들이다. 단순하고 명백한 결론으로 나가

서 사유를 종결하는 것이 아니라 끊임없이 회의한다. 이것은 인문학의 본질이고,

장점이다. 그러나 바로 이러한 점 때문에 인문학자는 명확한 결론이나 행동에 나

서지 못하게 하는 사회적 무능의 혐의를 받기도 한다. 또한 이러한 회의와 질문

은 보수성으로 드러나고, 때로는 사회적 진보를 가로막는 요인으로 비난받기도

하지만, 인문학자는 가치있는 연구를 내러티브의 형태로 만들어낸다. 이러한 내

러티브는 지식을 심화시키고 사람들의 가치관을 변화시킨다.

4.1.5.4. 가능한 행동계획

- 인문학자는 우리의 문제를 보다 명확히 표현해야 한다. 가령 사회에 실제로 지대

한 영향을 준 예를 발굴하여 대중들과 공유한다든지, 2025년의 인류의 모습에

대해 적극적으로 상상한다든지 하는 것들이다. 사회에 대한 직접적인 영향이 아

니더라도, 인문적 교육을 통해 항상적으로 사회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스스로

환기할 필요가 있다.

- 인문학의 사회적 영향과 유용성을 토론하고 공유할 수 있는 매체가 필요하다. 가

령 자연과학계의 Nature와 같이 매우 고차원적인 인문학 논의이면서도 비전공자도

공유할 수 있는 그러한 매체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아마 Press Forward

(George Mason University) 같은 잡지가 현존하는 예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인문학에 재정지원을 하는 사람들을 위한 명예의 전당이 필요하다.

Page 87: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76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

- 순위 시스템을 좀더 정밀하게 연구할 필요가 있다. 인문학에 적합한 카테고리와

순위 생성방법을 연구하여 적극적으로 발표해야 한다.

- “문화적 유전체”(cultural genome): 인문학의 성과는 본질적으로 집어내기 어렵

다. 인문학이 현저하게 기여한 학제간 연구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또 개발하여

인문학의 기여를 확실하게 표현할 필요가 있다.

4.2. 서면인터뷰:한국의 인문학 정책,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4.2.1. 서면인터뷰의 취지:

독일과 미국의 대학과 인문학 지원기관의 종사자들에게 한국의 인문학계의 문제들을

설명하고 그들의 맥락에서 이해한 그 문제의 본질과 해결가능성을 청취하고자 했다.

4.2.2. 서면인터뷰의 대상:

- Dr Manfred Niessen(독일 DFG 인문사회분과 국장)

- Dr Jörg Dräger(독일 Bertelsmann 재단 교육담당 총괄이사, 고등교육센터 이사장

[Center for Higher Education], 전 함부르크시 과학교육장관, 전 Northern

Institute of Technology 총장)

- Uwe Gertz(미국 Clark대 해외교류담당, The Henry J. Leir Luxembourg Program -

Clark University 운영책임자)

- SunHee Kim Gertz(미국 Clark대 영문과교수, Fulbright재단 운영위원)

4.2.3. 서면인터뷰의 질문

4.2.3.1. 유용성(Utility):

인문학자들은 갈수록 자신의 사회적 유용성을 입증하라는 압력에 시달리고 있다.

세계적인 맥락에서 인문학의 장래를 토론하는 한 국제세미나에서 한 참가자는 인문학

자도 유용성의 문제를 좀더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즉 인문학자도 이

론물리학자의 학문적 발견이 GPS를 개발하는 데 결정적인 도움이 된 것처럼 사회적

으로 유용한 어떤 것을 제공했는지를 보여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인문학에서 유용성

Page 88: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제4장 특별세미나 및 서면인터뷰:세계 인문학의 재조명, 독일, 미국, 그리고 한국 77

의 문제에 대한 귀하의 입장은 무엇인가? 특히 경제적 위기라는 사회적 조건을 염두

에 두고 말 해 달라. 인문학에 대한 예측가능하고, 익숙하며, 관습적인 옹호와는 다르

게, 더 솔직하고, 더 현실지향적인 답변을 해주면 좋겠다.

4.2.3.2. 수행평가(Performance Evaluation):

인문학의 연구는 개인적이고 고유하며 인문학에만 있는 관습에 의해 수행된다. 따

라서 이러한 작업의 본질은 매우 주관적이고 내용지향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작업이

라도 객관적인 평가의 저울에 올려놓는 것이 불가피할 때가 있다. 인문학의 오랜 전

통을 가진 나라에서는 동료평가가 가장 보편적인 방식이라고 알고 있다. 한국연구재

단은 최근에 개별적인 학술논문을 그 논문을 출판한 잡지의 수준에 따라 평가하는 제

도를 도입했다. SCI, SSCI, 혹은 A&HCI와 같은 데이터베이스 목록에 포함되면 가장

높은 점수를 맏는다. 한국에서는 이러한 계량적 평가가 더 일반적이다. 인문학도 평가

에 포함되는 것이 불가피하다면, 인문학적 업적을 위해서 어떤 평가가 가장 이상적이

라고 보는가?

4.2.3.3. 학문적 자유(Academic Freedom):

고등교육기관에 대한 정부의 재정지원은 세계적으로 당연하게 받아들여진다. 그러

나 정부의 지원은 보기와는 달리 그렇게 정치적으로 중립적이지 않다. 얼마 전 한국

에서는 정부의 정책에 비판적이었던 학자의 재정지원 신청이 부당하게 거절되었다는

주장이 있어서 문제가 된 적이 있었다. 한국의 교육부가 대학이 그들의 정책들을 더

쉽게 수용하도록 재정지원의 카드를 사용한다는 것은 비밀이 아니다. 그런 맥락에서

는 고등교육기관에 대한 정부의 관여는 지나칠 경우 학문적 자유에 대한 위협이 된다.

이 문제에 대한 귀하의 의견은 어떤가? 학문적 자유를 침해하지 않으면서 고등교육기

관을 지원하는 방법은 없는가?

4.2.3.4. 세계화(Globalization):

세계화는 어디에서나 고등교육기관에서 큰 이슈가 된다. 가령 영어는 관광에서 뿐

만 아니라 학계에서도 세계어가 되었다. 학문적 연구의 결과는 세계에 더 잘 알려지

기 위해서는 영어로 출판되어야 한다. 그러나 인문학의 어떤 분야는 문화적 특성이

강하고 그들의 학문적 행위의 다양성과 창의성은 세계화에 대한 압력으로 인해 일정

하게 제약을 받는다. 이런 면에 있어서 세계화에 대한 귀하의 견해는 무엇인가? 고등

Page 89: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78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

교육의 문화적 다양성과 건전한 생태계를 희생하지 않고 국제적 학술행위를 장려할

수 있는 방법은 없는가? 개별 학자들이 자신들의 업적을 세계적으로 더 인정받기 위

해 영어로 출판해야만 한다는 의견에 동의하는가? 만일 그렇다면, 그러한 노력이 학

문어로서의 독일어의 미래에 어떤 영향을 준다고 믿는가?

4.2.3.5. 경쟁(Competition):

이제는 학계에서도 경쟁이 불가피해 보인다. 문제는 모든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공정한 경쟁의 규칙을 어떻게 설정할 것이냐 하는 것이다. 각각의 분야는 고유한 연

구의 문화가 있어서, 그것들은 각가 다른 종류의 학문적 수행을 요구한다. 많은 인문

학자들은 자연과학이나 공학을 위해 개발된 평가의 방식이 자신의 작업을 평가하는

데 적용된다는 사실을 받아들이기 어려워한다. 가령 책이 아니라 논문을 공저하는 것

은 인문학자들에게는 매우 낯선 개념이다. 또 자연과학 연구에 필요한 연구기간보다

인문학 연구는 좀 더 긴 시간을 필요로 한다. 지나친 경쟁은 신속성보다 창의성을 더

요구하는 분야에서는 비생산적으로 작용하는데, 틀림없이 인문학도 그중의 하나이다.

학문적 세계에서의 경쟁, 특히 인문학 분야의 경쟁에 대한 귀하의 견해는 무엇인가?

학문의 본질을 해치지 않고 건강한 경쟁을 가능하게 하는 조건은 무엇인가? 가령 경

쟁에 의해 연구비를 배정할 때 귀하는 각 학문의 그러한 고유한 특성을 얼마나 고려

하는가?

4.2.3.6. 학제간 연구(Interdisciplinarity):

융합은 학문적 세계에서도 유행이 되었다. 학제간적 성격은 모든 분야에서 별다른

근거도 없이 무차별적으로 권장되고 있다. 자연과학이나 기술분야에서는 그러한 공동

작업이 분명한 장점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인문학 분야는 반드시 그렇지는 않다. 어

떤 경우 인문학자는 융합이나 협업의 대상이 되는 분야의 내부사정에 따라 그 내용에

맞추도록 압력을 받는 경우도 있다. 가령, 경영자를 위한 셰익스피어, 경영전략으로서

의 손자병법 같은 것들이 그렇다. 그러한 움직임은 각 분야의 본래의 가치를 잠식하

고 있다고 생각한다. 이 문제에 대한 귀하의 견해는 무엇인가? 귀하는 학제간 연구에

그것이 학제간이라는 사실 때문에 더 많은 연구비를 배당하는가? 긍정적인 융합과 그

렇지 못한 융합의 차이는 무엇인가?

Page 90: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제4장 특별세미나 및 서면인터뷰:세계 인문학의 재조명, 독일, 미국, 그리고 한국 79

4.2.3.7. 기술(Technology):

디지털인문학이라는 새로운 분야가 인문학과 기술간의 융합의 한 예로서 등장했다.

인문학에 대한 미국이 주된 재정지원자인 NEH는 디지털인문학을 위한 사무소를 따로

두고, 별도의 예산을 투입하고 있다. 귀하의 대학(기관)에서는 디지털인문학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는가? 이 분야에 지원을 한다면 어느 정도의 비중을 두는가?

4.2.3.8. 고용(Employability):

한국의 교육과학부는 취업률을 대학평가의 주요지표로 제시하고 있다. 이에 대한

귀하의 의견은 무엇인가? 귀하는 연구비 지급대상을 결정할 때 그러한 실용적 가치를

고려하는가? 만일 그렇다면 얼마나, 무슨 근거로 하고 있나?

4.2.3.9. 책임성(Accountability):

학자들은 돈의 관리에 약한 경우가 많다. 그러나 그런 학자라도 한국에서는 연구비

를 받은 경우, 한 푼이라도 원래 계획과는 달리 쓰이지 않았다는 것을 명백하게 입증

할 책임이 있다. 연구비 집행에는 매우 자세한 지침들이 있고, 학자들은 제대로 쓰였

다는 것을 입증할 영수증 등 신뢰할 만한 문제를 제출해야 할 의무가 있다. 그러나

그 과정이 너무 복잡하여 그 자체가 교수들에게 부당한 행정부담으로 느껴지는 경우가

많다. 이 점에 대한 귀하의 견해는 무엇인가? 학자들의 도덕적 해이를 방지하면서도

그들을 행정부담으로부터 해방시킬 방안은 무엇인가? 귀하의 나라에서는 연구비 수주

후 그들의 작업은 어떻게 평가되며, 연구비 수혜자는 대학에 어떤 책임을 지는가?

4.2.3.10. 배분의 원칙(Principle of Allocation):

한국에서 정부가 하는 인문학에 대한 투자는 1%도 안되는데 반해 자연과학과 기술

은 97%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비율에 관한 귀하의 의견은 무엇인가? 귀하의

국가나 기관에서 연구비를 배정할 때, 어떤 원칙을 가지고 하는가?

4.2.4. Dr Manfred Niessen(독일 DFG 인문사회분과 국장)

- 유용성: 유용성은 어떤 분야든 DFG가 연구를 평가할 때 고려하는 1차적인 범주

는 아니다. 물론 연구자가 스스로 자신의 연구가 당장 유용한 결과를 가져온다고

주장하는 연구분야에서는 그러한 주장이 감안된다. 그러나 그런 경우라도 그것이

Page 91: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80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

단지 그들의 주장일 뿐인지의 여부를 비판적으로 평가한다. 인문학에 관해서 유

용성을 논할 때, 우리는 단기적 관점과 장기적 관점을 구별한다. 인문학에서 단

기적 관점은 학문을 오도하며,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인문학 역시 사회와 인류를

위해 의미있는 연관성을 주장할 수 있다고 본다.

- 수행평가: 정성적 평가가 반드시 주관적인 평가를 의미하지는 않는다. 오히려 간

주관적(inter-subjective) 방법과 절차가 적용된다고 할 수 있다. 동료평가가 우

리의 방법이다. 그것은 동료들이 해당분야의 적절한 범주를 따라 평가하는 것이

다. 물론 인문학과 자연과학은 이러한 범주들이 다르고, 우리는 그러한 차이를

존중한다. 우리는 학문적인 판단이 일정하게 분류된 학술지에 실린 논문 수를 세

는 것으로 “퇴행”(devolution)하는 것을 믿지도 않고, 받아들이지도 않는다. 우리

는 제대로 된 연구계획(research proposal), 그리고 과거의 출판물을 평가하는

정책을 고수한다.

- 학문적 자유: 독일에서 우리는 매우 운이 좋은 상황에 있다고 할 수 있다. 학문

적 자유는 헌법에 명시되어 있다. 그 결과, 국가적인 재정지원 조직으로서 DFG

는 정부의 일부가 아니라 독립적인 조직이다. 의장(President), 이사회(Board),

그리고 평의회(Senate)는 매년 개최되는 회원총회, 즉 대학들에 의해 선출된다.

검토위원회(the review boards)들도 학문적 공동체에 의해 전국적으로 선출된

다. (현재 우리는 향후 4년간 활동할 위원들을 선출하는 과정 속에 있다.)

- 세계화: 우리는 이러한 점을 매우 잘 의식하고 있고, 귀하의 견해에 공감한다.

물론, 모든 분야에서 영어로 소통하는 것은 필요한 일이다. 예를 들어 자연과학

에서는 영어로 출판하는 것이 일반적인 관행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인문학

은 경우가 다른데, 우리는 연구계획서(proposals)가 독어로 작성되고, 독어로 토

론될 것을 주장한다. 작은 것이긴 하지만 특별한 프로그램도 가동중인데, 그것은

독어/불어, 독어/이태리어의 2중언어적 상황에서 진행되는 국제적인 협력 프로

젝트를 장려하고 지원하는 것이다. 그것은 귀하가 열거한 그러한 체계적인 이유

때문이다.

- 경쟁: 앞서 언급한 것처럼 우리는 어떤 통일된 하나의 모델을 적용하지 않는다.

우리는 다양한 영역들의 특정한 요구들을 존중하고 그에 따라 행동한다. 물론 인

문학에도 경쟁이 존재할 것이다. 그러나 인문학에서의 경쟁은 생명과학에서의 경

쟁과는 분명히 종류가 다른 경쟁이다. 예를 들면 생명과학에서는 조금이라도 늦

게 오는 사람들은 다 소용이 없고, 하나의 발견을 누가 가장 먼저 하는가 하는

경주, 그런 경주와 같은 경쟁을 하는데 그건 아니라는 것이다. 인문학에서의 경

Page 92: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제4장 특별세미나 및 서면인터뷰:세계 인문학의 재조명, 독일, 미국, 그리고 한국 81

쟁은 그 성격이 다르다. 인문학에서 어떤 프로젝트가 경쟁학교와 관련이 되거나

하면, 오히려 그 경쟁의 성격을 때때로 중화해야 할 필요가 있다.

- 학제간 연구(Interdisciplinarity) :우리는 분명히 귀하가 제시한 예에서처럼 학제간

연구를 그 자체로서 장려하지는 않는다. 우리는 연구의 주제들이 학제간적 접근

을 요구하는 분야에서는 어디에서나 학제간적 연구를 장려한다. 우리는 경계를

넘어서는 프로젝트들을 제대로 평가하기 위한 기제를 개발하려고 매우 열심히

노력한다. 그러나 이 문제에 있어서 우리 나름으로 공인받은 그런 해결책이 있

는 것은 아니다.

- 기술: 우리는 새로운 분야을 믿지 않는다. 우리의 생각에 디지털화는 일련의 새

로운 도구들을 제공하고, 그것들은 때때로 새로운 문제들에 접근할 수 있게 한

다. 그러나 그것은 어디까지나 기존의 학문종류 및 분야 안에 있는 도구일 뿐이

다. 하지만 우리는 새롭게 개발되는 모든 것들에 대해 개방되어 있고, 호기심을

가지고 있으며, 이 분야에서 NEH와 공동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협력하고 있다.

- 고용: 우리는 기관이 아니라 연구비 프로젝트, 연구 프로그램, 그리고 연구비를

통한 개인들을 평가한다. 이것은 완전히 동료평가에 의해 학문적 질만을 평가하

는 것이다. 고용은 우리 평가의 대상이 아니다.

- 책임성: 연구비는 대학들이 집행한다. 즉 대학의 행정부서가 연구자들에게 서비

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서류작업이 이루어지는 곳은 행정부서이지 개인이 아니

다. 우리도 최종보고서를 요구하고, 그것은 최초의 심사자 중 한 사람에게 보내

진다. 그렇지만 관련 출판물이 있을 경우에는 그 최종보고서는 극도로 짧게 작성

될 수 있다.

- 배분의 원칙: 인문학과 사회과학이 함께 DFG 예산의 15-16%를 받고, 그 속에

서는 인문학의 비중이 더 크다. 배분은 위에서 정해서 내려 보내는 것이 아니라

연구비의 수요와 프로포절의 질에 따라 정해진다. 모든 분야(고고학, 의학, 공학

에 이르기까지)가 해당년도에 배분받는 몫은 그 이전 해에 접수되었던 연구프로

포절의 비중에 따라 정해진다.

4.2.5. Dr Jö rg Drä ger(독일 Bertelsmann 재단 교육담당 총괄이사,

고등교육센터 이사장[Center for Higher Education], 전 함부르

크시 과학교육장관, 전 Northern Institute of Technology 총장)

Page 9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82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

- 유용성: 나는 인문학자들의 적극적인 태도를 주문했던 그 참가자와 의견이 같다.

모든 학문분야는 사회의 지원이 필요하고, 사회는 기여한 바가 있다고 느낄 때만

그 분야를 지속적으로 지원한다. 대학은, 특히 인문학 분야는 중요한 질문에 답

하는 우리 사회의 지성적 중심이 되어야 한다. 이러한 점은 순전히 경제적인 의

미에서의 유용성을 훨씬 뛰어넘는 것이다.

- 수행평가: 동료평가와 인용지수측정은 평가방법으로서 받아들일 만하다. 그러나

분야별로 이루어지는 랭킹도 평가의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 독일에 있는 고등

교육센터(Center for Higher Education)이 해당분야의 변수를 고려하여 개발한

지표들이 바로 그러한 예이다. 지표들은 특정 분야(가령 인문학)의 변수들의 맥

락 안에서 확립되어야 하고, 또 유사한 분야들 만이 비교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

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 학문적 자유:국제적으로 연구비를 지원받는 것이 대학의 재정을 확충하는데 매

우 유용하다는 점이 밝혀졌다. 하지만 해당 정부가 그 나라에서 어떤 연구가 이

루어지고 어떤 결과가 도출되어야 하는지를 정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동시에

학문적 작업의 방식이나 결과에 있어서 정부의 영향으로부터 자유로와야 한다는

것도 그러한 정부의 권리 못지않게 중요하다.

- 세계화: 나는 연구의 다양성과 지역에 근거한 연구를 중시한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이것이 해당 지역의 언어로 연구결과를 출판해야 한다는 것을 뜻하는 것은

아니다. 영어로 출판하는 것은 학문적 발견이 자유롭게 유통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그것이야말로 지식이 성장할 수 있는 기본이다.

- 경쟁: 일반적으로 경쟁은 연구의 현실관련성이나 질을 높이는 데 건강하게 작용

하는 요소이다. 그러나 언제나 특정분야에 고유한 문제들이 있음을 알아야 하고,

사과는 사과끼리만 비교해야 함을 명심해야한다. 가령 어떤 분야에서는 단독 저

자가 몇 편의 긴 논문을 출판하지만, 다른 분야에서는 공동 저자들이 수많은 짧

은 논문들을 출판한다. 또 어떤 분야에서는 제 3자가 재정지원을 하는데, 어떤

분야는 그런 개념이 없다. 하지만 어떤 분야 내부에서 경쟁이 발생한다면, 그 결

과를 봐야 하고, 그것을 평가에 활용하는 것이 당연하다.

-학제간 연구(Interdisciplinarity) :나는 일반적으로 학제간 연구를 선호한다.

- 기술:나는 이 부분에 충분한 경험이나 자료가 없다.

- 고용: 연구와 교육을 구분할 필요가 있다. 연구중심대학들은 긴 안목을 갖고 그

들이 배출한 졸업생들의 고용에 책임의식을 느껴야한다. 물론 기계공학과의 취업

Page 94: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제4장 특별세미나 및 서면인터뷰:세계 인문학의 재조명, 독일, 미국, 그리고 한국 83

률과 인문학 관련학과의 취업률을 비교하는 것은 의미가 없지만, 모든 분야에서

취업률에 관심을 기울이는 것은 필요한 일이다. 독일에서 오랫동안 인문학은 학

자가 될 사람들만을 교육한다는 생각이 있었다. 그러나 사실상 수많은 인문학 졸

업생들은 결국 학계 밖에서 직업을 찾게 되었던 것이 현실이었다. 따라서 인문학

과정에서도 대학이 학생들에게 가지는 전반적인 책임성이라는 측면에서 취업률

을 올릴 수 있는 요소들을 포함하는 것이 필요하다.

- 책임성: 간단한 생각 하나만 얘기하겠다. 나는 언제나 학자들에게 총액의 20%

이내에서는 원래 승인된 용도와 다르게 사용하는 것을 허용한다.

- 배분의 원칙:독일에서는 자연과학에 다소 편중된 것 같긴 하지만, 구체적인 데

이터가 없다.

4.2.6. Uwe Gertz(미국 Clark대 해외교류담당, The Henry J. Leir

Luxembourg Program-Clark University 운영책임자)

- 유용성:아마도 유용성을 다른 방식으로 정의하는 것이 필요할 것 같다. GPS가

유용한 것은 분명히 사실이지만 과학연구의 부산물로 생겨난 것들이 반드시 유

용한 것만은 아니다. 한국에는 아이들의 “컴퓨터중독”을 치료하기 위한 여름캠프가

있다는 신문보도를 본 적이 있다. 어떤 상황에는 언제나 여러 가지 측면이 있기

마련이다. 독일과 미국의 대학행정 분야에서 내가 가진 경험에 비추어 말해보자

면, 독일과 미국의 대학들도 인문학은 (경제적 논리에) 점령당했다. 한국보다는

좀 덜할지는 모르지만. 독일과 미국 모두에서 문화적 가독력(cultural literacy)의

중요성이 일반적으로 인정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양국 모두에서 가장 먼저

구조조정 될 것은 인문학교수들의 자리이다. 독일에서는 그러한 자리를 부정적으

로 묘사하는 용어가 있는데, 그것은 “난초학문”이라는 말이고, 아름답지만 필요

하거나 유용하지는 않다는 뜻이다. 경제적 위기는 오로지 이윤이외의 다른 파급

효과는 고려하지 않은 채 순전히 기술적인 지식을 적용하는 것(가령, 은행은 숙

련된 수학자를 고용하여 은행의 경영진도 이해하지 못할 금융파생상품들을 만들

어냈다)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다. 정치인들의 탐욕과 잘못된 정책도 경제적 위기

를 자초한 원인이다. 인문학은 보편적으로 합의된 인권에 기초해서 공감, 타인에

대한 존중, 정직성 등과 같은 인간적 가치를 표현하고, 정의하고, 강화해야 한다.

나는 단지 일반적인 의미에서의 정치적 행동주의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자기 나

라든 아니든 어디엔가 사람이 살 만한 가치가 있는 세상을 만드는데 참여해야

Page 95: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84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

한다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인문학은 이러한 모든 문제와 조건들에 대해 비판적

으로 사유한다. 인문학은 역사가 사회 혹은 개인과 연관되는 방식을 제시한다.

인문학은 정의로운 사회를 만들어내고 정의로운 관점을 창조한다.

- 수행평가: 미국와 독일 모두에서 수량적 평가가 득세하고 있다. 나는 이런 식의

평가가 자연과학을 위해서도 좋지 않다고 생각한다. 더구나 인문학은 측정하기

어렵다. 왜냐하면 그것은 개인과 관련되고, 그만큼 고유한 특징이 있다. 심지어

셰익스피어도 인기가 없었던 시기가 있었다. 그만큼 평판은 시대에 따라 달라지

는 법이다. 한국정부가 미국의 NEH같은 기관을 만들어 인문학을 평가한다면 좋

은 일일 것이다. 단, 그 평가의 주체는 인문학자들이어야 한다. 실용적인 견지에

서 평가과정을 범주화하는 것은 효율면에서 유리하긴 하지만, 인문학은 인문학자

전반적인 업적을 개인별로 평가하는 것이 훨씬 더 낫다고 생각한다. 가령 교수가

자신의 목표를 스스로 적어내고, 일정한 시간 후에 대학 측에서 그러한 목표가

달성되었는지를 평가하는 것이다. 이것은 시간이 많이 필요한 작업이지만 이렇게

함으로써 학문적 업적의 정의를 넓힐 수 있고 개별 연구자들의 능력을 잘 평가

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평가의 과정에 피평가자의 목소리를 낼 수 있다는 점

에서 평가의 대상이 되는 학자들의 사기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가령 개인

에 따라 연구보다 교육에 더 강점이 있는 경우는 그쪽에 비중을 두어 평가하면

더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평가가 될 수 있다고 본다.

- 학문적 자유: 나는 한국에서 그런 식으로 학문적 자유가 희생되는 일이 발생했다

면 그 전모를 잘 기록해놓을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독일과 미국 모두에서 학

문적 자유는 학문적 활동의 핵심적인 기초이다. 학문적 지원은 정부가 직접 하지

않고 독일의 DFG나 미국의 NEH처럼 독립적인 기구를 통해 이루어진다면 인문

학에게도 좀더 공정하게 자원이 분배될 수 있을 것이다. 미국에는 전미대학교수

협의회(the American Association of University Professors)와 같은 감시기관

이 있어서 어떤 대학이 학문적 자유를 제한하는 사건이 발생하면 당사자에게 도

움을 준다. 그들은 회비를 내는 회원들을 개별적으로 지원한다. 주정부나 연방정

부는 재정적 권한을 가지고 있는 한 연구자들에게 영향을 미치려고 할 것이다.

학문적 자유의 중요성에 대해 계속 토론하고 그 중요성을 부각시키는 것 말고는

그것을 방지할 수 있는 특별한 방법은 없다고 본다.

- 세계화: 영어는 세계어(lingua franca)로서 대학에서조차 지배적인 위치를 차지했

다. 독일의 대학에서 어떤 분야는, 특히 기술적인 분야에서는 점점 더 많은 강의

들이 영어로 진행된다. 외국학생들을 더 많이 받아들이려는 의지가 이러한 결과

Page 96: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제4장 특별세미나 및 서면인터뷰:세계 인문학의 재조명, 독일, 미국, 그리고 한국 85

를 낳았다. 독일어가 모국어인 나라들 중 동구권의 나라들은 이런 경향이 덜했었

는데 이제는 그쪽도 마찬가지가 되었다. 내 생각에 독일어는 이미 강력한 학문적

언어로서의 지위를 상실했다. 문화적 다양성을 유지하는 데 인문학이 중요하다는

데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왜냐하면 그것에는 단지 언어공부만이 아니라 사상과

문화가 관련되기 때문이다. 출판사와 학자들은 계속해서 모국어로 출판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왜냐하면 그래야만 그 나라에서 세계어로서의 영어와 그 이외의

언어, 즉 모국어가 존속할 수 있기 때문이다. 자신의 역사적 문헌을 자국어로 계

속 읽을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번역이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그것이 모국어에 의한 이해를 대신하진 못한다. 독일에서는 최근 20년간 영어가

일상생활이 많이 파고들었는데, 동시에 지역의 방언들이 부활하여 그 지역 미디

어나 출판물에 더 많이 등장하는 현상이 있다. 나는 한국의 많은 언어관련 교수

들이 해당국가에 가서 최종학위를 획득하는 것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 미국의 경

우는 외국언어를 전공해도 그 나라에 가서 학위를 따는 경우는 드물다. 그런 식

으로 어떻게 그 나라의 문화를 제대로 이해하는지 잘 모르겠다.

- 경쟁:경쟁은 언제나 존재할 것이다. 재정지원이 별로 없을 경우에도 그렇다. 학문

분야 간의 경쟁뿐만 아니라 일정하게 주어진 분야 내에서 학자들끼리의 경쟁이

항상 존재한다는 뜻이다. 인문학에 관해서 대학본부나 정부에 알려야 하는 사실

은 뛰어난 인문학자를 지원하는 것이 뛰어난 과학자를 지원하는 것보다 훨씬 싸

다는 것이다. 또 인문학자들이 인간적인 문제들에 관한 그들의 기여를 더 적극적

으로 알린다면, 정부는 훨씬 더 적극적으로 그들을 지원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 학제간 연구(Interdisciplinarity) : 인문학이 대학 밖에서 영향력을 가져야 한다면

그에 맞춰서 인문학적 내용을 변형하는 것이 불가피하다고 본다. 셰익스피어를

회사 사장들에게 잘 가르칠 수 있다면, 그들이 인문학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게

될 것 아니겠는가? 그러나 그러한 융통성에는 한계가 있고, 그러한 한계는 인문

학자들 자신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일반화하기는 매우 어려우나, 나는 개인적

으로 손자병법을 경영에 적용한다는 아이디어는 끔찍하다고 생각한다. 그것이 손

자가 아니라 독일의 폰클라우세비쯔(von Clausewitz) 장군이라도 마찬가지이다.

- 기술: 이미 수년 전에 독일의 어떤 교수들은 디지털프로젝트로 연구비를 받기 시

작했고 그동안 많은 진전이 있었다. 2010년 7월에는 독일의 DFG가 NEH와 공

동으로 디지털프로젝트를 시작했다.

- 고용: 대학도 사회 안에 자리 잡고 있다. 그러나 사회의 경제적 논리에 휘둘려서

는 곤란하다. 그 경계를 정하는 것이 쉬운 일은 물론 아니다. 등록금이 없는 독

Page 97: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86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

일같은 사회에서도 대학이 졸업생의 취업문제에 대해 완전히 무관심할 수는 없

다. 그러나 그렇다고 대학이 직업적 훈련장이 되어서는 곤란하다. 대학교육의 질

적 수준을 유지하려면 취업률이 대학평가의 주된 범주가 되어서는 안된다. 독일

에서 이러한 문제를 접근하는 방식은 (대학을 취업훈련소로 만들기 보다는) 취업

과 관련된 고등교육기관(Fachhochschulen)의 체계를 만드는 것이었다. 이러한

취지에서 사회복지, 건축, 컴퓨터 등의 분야에서 이러한 학교들이 생겨났다. 순수

한 연구중심대학은 산업계의 요구에 휘둘려서는 안된다. 대학은 일반적인 기능을

가르치는 곳이지, 한가지 직업에 국한된 기능을 전수하는 학원이 아니다. 스티브

잡스가 맥의 디자인이 자신의 서예강좌에 힘입은 것이었다고 말한 것을 흘려들

어서는 안된다.

- 책임성:교수들이 이제는 연구비 관련 회계처리에 어느 정도 익숙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연구비를 지원하는 기관에 보고서를 제출하는 것은 당연해 보인다. 그

러나 그 결과를 반드시 출판해야한다는 규정은 좀 심하다. 교수들이 출판사를 못

찾으면 어떻게 할 것인가?

- 배분의 원칙:한국에서의 수치는 공평하게 보이지 않는다. 인문학이 돈이 덜 든

다는 일반적인 사실을 감안해도 그렇다. 한국에서도 모든 분야의 연구자들을 대

표하는 국립연구위원회 같은 조직이 생겨서 각 분야가 공평하게 자신의 목소리

를 낼 수 있다면 좋겠다는 생각을 한다.

4.2.7. SunHee Kim Gertz(미국 Clark대 영문과교수, Fulbright재단

운영위원)

- 유용성: 사실상 인문학에 대한 깊은 연구는 예술과 문학, 철학 등에 대한 우리의

지식을 함양하고, 그런 면에서 매우 “유용하다.” 소설과 그림과 영화는 우리의

삶을 고양하니까. 그런 것들이 없는 우리의 삶을 상상해보라. 마찬가지로 철학은,

특히 윤리학 분야는, 우리의 법적 기관들에 엄청난 영향을 미치고, 그렇게 함으

로써 우리 사회에서 개선될 수 있는 부분에 대한 우리의 관심을 높여준다. 다른

유용성과의 차이점은 우리가 만들어내는 “유용한 상품들”은 사용하는 데 생각과

시간을 요구한다는 것 뿐이다.

- 수행평가: 과학 분야에서도 학술지는 오류를 범한다. 따라서 그것들을 한 학자의

경력을 좌지우지 하는 요인으로 삼는다는 것은 잘못이다. 내가 보기엔, 한국은

이미 확립되어있는 랭킹제도를 따라가고 있는데, 세계랭킹에서 상승하고자 하는

Page 98: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제4장 특별세미나 및 서면인터뷰:세계 인문학의 재조명, 독일, 미국, 그리고 한국 87

욕망 때문에 그러한 범주를 받아들이는 것이다. 내 개인적인 견해로는 그러한 움

직임이 논리적이긴 하지만, 옳은 길은 아니다. 한국에는 한국에 맞는 제도가 필

요하다. 한국의 인문학자들은 적극적인 자세로 나서서 좋은 평가범주가 어떤 것

인지를 결정해야 한다. 평가가 없어지지는 않을테니까. 평가의 범주를 바꾸는 한

가지 방식은, 각 분야에서 한국이 어떤 위치에 있는지를 정직하게 평가해보는 것

이다. 가령 영문학을 보자. 만일 한국의 인문학자가 이 분야에서 뛰어나게 인정

받고 싶다면, 세계문학의 번역이 이러한 평가를 위한 중요한 “생산품”이 되어야

한다. 만일 이 분야에 학생들을 끌어모으고 싶다면(학생들은 언제나 그 분야의

힘을 뒷받침하는데) 그들이 마음 편하게 이쪽 공부를 할 수 있도록 해줘야 한다.

평가의 방식도, 가령 졸업생들에게 각각 졸업 5년, 10년, 15년 후에 대학시절 무

엇을 배웠는지를 물을 수 있을 것이다. 내 자신을 경험으로는 우리가 배출한 졸

업생이야말로 인문학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가장 좋은 증거가 된다. 그들은 그들

이 더 이상 인문학 분야에 있지 않은데도 그들이 인문학부 시절에 배웠던 기술

에 대해 얘기하는 경우가 많다. 더 중요한 것은 그들이 느끼기에 인문학공부를

통하여 그들의 삶이 더 “의미있게” 되었다는 것이다. 아마도 “의미있는”이 “유용

한” 보다 더 좋은 범주인 것 같다.

- 학문적 자유: 학문적 자유가 없으면 대학은 주 정부나 큰 사업체의 기관에 불과

하다. 사실상 미국의 큰 사업체들은 학문적 자유를 제한하는 것에 접근하는 방식

으로 과학적 실험을 직접 수행한다. 인문학에서 그와 유사한 경우는 출판 산업에

서 발견되는데, 오늘날 출판사들은 주로 팔리는 책만 출판하고, 그렇지 않은 경

우는 출판을 기피한다. 출판은 학문적 자유의 사각지대이다.

- 세계화:국제화를 위해서는 세계어(lingua franca) -그 말이 말이 되는 안되든-

가 있어야 한다.유럽의 중세에서는 라틴어가 세계어였는데, 그것은 학자들의 언

어였다. 일본과 한국에서는 한자가 학자들의 언어였듯이. 룩셈부르크대학의 경우

가 재미있는 예가 된다. 학부학생은 졸업을 위해 영어, 불어, 독어, 이렇게 3개의

언어에 숙달해야 한다. 이 경우는 물론 그 나라에서 3개 언어가 일상적으로 사

용되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다. 한국에서는 영어와 한국어로 출판하는 것이 똑같

이 중요하게 받아들여질 수도 있겠다. 일정 비율을 영어로 출판하기만 한다면.

일단 학문적 명성이 확립이 된다면, 그 다음에는 한국어로 출판을 해도 좋을 것

같다.

- 경쟁: 내 생각에 공동작업이 과학연구의 진행에는 중요한 것 같다. 그렇지만 인

문학에는 그렇지 않다. 그러나 프린스턴이나 노스캐롤라이나, 심지어 클라크 대

Page 99: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88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

학에도 좋은 의미의 공동작업을 수행하는 인문학 연구소들이 있다. NEH의 여

름학교에서도 전국의 학자들이 모여 협력작업을 수행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협력작업은 인문학자들 간의 경쟁을 완화할 수 있다.

- 학제간 연구(Interdisciplinarity) : 나 자신이 학제간 연구(역사, 철학, 문학, 시각

예술)에 참여하고 있다. 나는 비록 경영학에 내 기술을 적용하지는 않겠지만, 사

회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영역에 전문성을 발휘할 용의가 있다. 예를 들어, 내가

학과장일 때, 나는 학생들이 문맹인 사람들에게 글자를 가르치는 일을 권장하는

것이 좋은 생각이라고 느꼈다. 비록 그것이 시간의 부족으로 현실화되지는 못했

지만, 나는 여전히 기회만 주어진다면 그렇게 하고 싶다. 나는 학제간 연구에 참

여한다고 해서 내 연구의 밀도가 낮아지는 것은 아니라고 본다. 학제간 연구를

한다고 해서 내가 연구주제라고 생각하는 것에 영향을 받지는 않는다. 나는 학제

간 연구와 본래의 연구가 공존할 수 있다고 본다.

- 책임성:책임성의 문제는 대학교육을 위해 학생들이 엄청난 돈을 지불하는 미국

시스템에서 주로 비롯된 문제라고 생각한다. 부모들이 그렇게 지불한 다음 자녀

들이 좋은 교육을 받기를 바라는 것은 당연하다. 이런 배경에서 “책임성”을 측정

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장치들이 고안되었다. 그러나 서류작업은 프로젝트의 “일”

에 해당하는 것이고 프로젝트 자체는 “즐거움”이 되어야 한다.

- 배분의 원칙: 한국에서 그토록 잘 관리되고 있는 박물관이나 기타 문화적 기관들

을 위해 누가 지불하고 있나? 인문학자들은 이러한 기관들과 연대하여 더 많은

재정지원을 요구해야 한다. 한국정부는 분명히 과학과 기술이 미래의 학문이며,

국가의 번영을 가져온다고 믿을 것이다. 단순하게 말해서 과학과 기술만이 그런

것이 아니라 다른 분야도 그만큼 중요성을 갖는다는 사실을 분명하게 알려야 한

다. 가령 한국문화와 관련된 인문학은 다른 사람들이 한국을 더 좋아하도록 만든

다. 한국 밖의 문화와 관련된 인문학은 진정으로 세계적이고 국제적인 교류의 문

을 열도록 만든다. 문화의 영원한 요소들, 전통, 예술, 윤리, 그리고 그 문화에

속한 사람들 모두가 중요한 것이다. 월스트리트의 사장들이 인문학적 가치를 가

지고 있었다면, 금융위기라는 것은 애당초 없었을 것이다.

Page 100: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제5장 결론:한국의 바람직한 인문학 지원정책을 위하여 89

독일과 미국은 근대의 대학제도를 창안하여 발전시킨 나라이며, 인문학에 대한 깊

은 전통을 가진 나라이다. 바로 그렇기 때문에 애당초 우리의 벤치마킹의 대상국으로

선정되었었다. 그러나 그들도 똑같이 세계화된 자본주의 경제의 일부이고, 그런 맥락

에서 그들의 인문학도 협소한 경제적 논리에 의해 위협을 받기는 마찬가지인 측면이

있었다. 그들의 경우에도 인문학에 대한 투자비중은 상대적으로 감소추세에 있는 것

이 사실이고, 대학 내에서 연구자들이 스스로 선택한 연구주제를 자유롭게 연구할 수

있는 기회도 갈수록 줄어들고 있는 것이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 나라는 인문학에 대하여 여전히 배울 만한 정책적 방향을 가지고 있는

것도 또한 사실이다.

앞서 살펴보았듯이, 독일은 2007년을 인문학의 해로 선포하고 대대적인 인문학 캠페

인을 벌였다. 물론 이러한 움직임은 과학기술을 중심으로 한 “우월한 대학”(Excellent

Universities) 캠페인에서 소외된 인문부문을 달래주기 위한 정책적 배려이기도 한 것

같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1세기 초반에 범정부적으로 펼치는 그들의 인문학 진흥책

은 의미가 깊어 보인다. 인문학에 대한 그들의 재정지원이 인상적인 이유는 그들이

재정지원으로 궁극적으로 하고자 했던 바가 학자들에게 돈을 주고, 그들로부터 미리

정해진 분야의 연구 성과를 일정한 시간 내에 이끌어 내는 것이 아니라 연구자들에게

시간을 확보해주는 것이라는 점 때문이다. 이것은 학문을 가능하게 하는 기본 조건을

“고독과 자유”로 규정했던 훔볼트적 이상을 어느 만큼은 여전히 견지하고 있다는 뜻

이다. 연구비를 지급한 후에 연구자 개개인을 이잡듯이 뒤지면서 “투자”에 대한 학문

적 보답을 단시간 내에 강요하는 것이 아니라 개별 연구자에 대한 기본적인 신뢰를

바탕으로 그들에게 “시간”을 벌어주는 것을 연구비 지급의 기본적인 취지임을 분명히

하고 있는 것이다. 이들에게는 연구의 내용이나 과정과 방법론, 연구의 속도는 연구자

에게 맡겨놓는 것이 너무나 당연하며, 그러한 학문적 자유를 헌법에다가 명기할 정도

로 학문적 활동에 관한 한 철저하게 개별 학자들의 선택을 존중한다.

학자들의 선택을 존중한다는 것은 연구비 배분과정에서도 분명히 드러난다. 현재

DFG의 인문사회부문을 책임지고 있는 니슨 교수에 따르면 연구비의 배분은 대학의

경영진이나 연구비 지원기관의 책임자가 미리 지침을 정해서 하달하는 것이 아니라

제5장 결론 : 한국의 바람직한 인문학 지원정책을 위하여

Page 101: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90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

개별연구자들의 수요와 요구에 따라 정하는 것이다. 학문의 세계를 어떤 추상적인 원

칙에 따라 정부의 정책결정자나 대학의 행정책임자가 마음대로 요리하는 것이 아니라

학자들 자신이 자율적인 선택에 의해 정하도록 한다. 이것은 학자들의 학문적 양심과

학술적 판단력이 학술적 공동체 안에서는 물론 밖에서도 신뢰받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상호간의 신뢰에서 학문적 자유가 생겨나는 것이다.

이러한 신뢰는 학문적 업적이나 연구프로포절을 평가하는 과정에서도 분명히 표현

된다. 독일에서의 모든 학문적 평가의 기본은 동료평가(Peer-Review)이다. 동료평가

는 학자들 상호 간에, 그리고 학문적 공동체와 사회 간에 깊은 신뢰가 없이는 가동되

기 어려운 제도이다. 신뢰가 있기 때문에, 동료평가가 가능하고, 동료평가가 원활히

이루어지는 한, 사람이 아니라 특정한 학술지 리스트에 평가의 기준을 두는 일은 하

지 않아도 되는 것이다. 이것은 또 인문학이 하나의 학문분야로서 독특하게 가지고

있는 특징을 존중해주는 일과도 통한다. 독일은 형식적으로는 인문학을 되도록 다른

학문들과 분리하지 않고 함께 하나의 과학으로 취급하는 경향이 있다. 그렇기 때문에

독일에는 인문학만 따로 지원하는 기관이나 재단이 없다. 그러나 바로 그렇기 때문에

인문학은 소외되지 않고, 다른 인접분야의 연구와 건강하게 공존하면서 자기 목소리

를 낼 수 있는 것이다.

미국의 경우는 인문학에 대한 옹호가 다소 다른 방향에서 이루어지는 것 같다. 미

국은 벤자민 플랭크린이나 토마스 제퍼슨 시절부터 학술활동을 포함한 모든 사회활동

의 경제적 가치에 대단히 민감하게 반응했었다. 실용성의 추구는 미국 문화의 근간이

며 미국적 대학의 설립이념이기도 했다. 미국은 19세기에 훔볼트적 이상에 근거한 독

일 연구중심대학의 모델을 수입했으면서도 연구를 위한 연구를 추구하는 순수한 훔볼

트적 아카데미즘을 받아들이기 보다는 독일적인 과학성을 미국적 실용주의의 전통과

결합시키는 쪽을 택했다. 그런 측면에서는 미국의 인문학도 미국의 대학의 발전방향

과 비슷한 노선을 걸었다고도 볼 수 있다. 왜냐하면 리차드 닉슨이 인문학을 “국가적

발전”의 핵심적 요소로 파악한 것이나, 인문학의 기본적 임무를 국민들에게 “지혜와

전망”을 주는 것으로 규정한 NEH 설립법안에서 분명하게 드러나는 것처럼 미국의 인

문학은 미국의 국가적 이념, 즉 민주주의의 이상을 생산 및 재생산하는 “실용적” 임

무를 띠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의 인문학, 적어도 국가의 지원을 받는 인문학은 자유

롭고 창의적인 개인의 연구보다는 민주주의적 가치의 교육을 통한 국민적 통합이라는

사회적 목표에 더 기울어져 있다고 할 수 있는데, 이것은 NEH의 예산이 인문학자들

의 개인 연구비보다는 문화유산의 보존과 박물관의 교육프로그램 등의 용도에 더 많

이 쓰이고 있다는 사실에서도 확인된다. 미국의 인문학은 경제적 논리에 입각한 효용

Page 102: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제5장 결론:한국의 바람직한 인문학 지원정책을 위하여 91

성 논의로부터는 비교적 자유로운 대신 반대로 미국적 민주주의라는 국가적 이데올로

기 재생산구조에 깊이 개입되어 사회적 현실로부터 소외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인

문학 본연의 비판적 사유로부터 고립되는 측면이 있다고도 볼 수 있다. 대학에 근무

하는 수많은 인문학 교수들은 대학 내에서 점점 좁아지는 그들의 학문적 입지 때문에

좌절감을 맛보고 있지만, 인문학 자체는 대학 밖에서 일종의 국가적 사업으로 호황을

누리는 이율배반적인 상황이 현재 미국의 인문학을 둘러싼 환경이라고 할 수 있을 것

이다.

Page 1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92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

참고문헌

■ 「‘개혁열풍’ 휩싸인 독일대학가」. 세계일보 인터넷판. 2008년 6월 9일.

■ 권용혁. 「독일 통일 후 인문학의 위상 정립에 관한 연구-베를린 지역에서의 철학과

와 독어학과의 개편을 중심으로」. 국제・지역연구 8-1(1999 봄): 107-132.

■ 김남시, 「침체된 독일의 인문학계」. 대학원신문. 중앙대학교. 2008년 10월 26일.

■ 박덕규 외 2인. 국내외 인문학 지원 체제 비교연구. 인문사회연구회, 2002.

■ 박해육. 「독일 연구지원시스템: 독일연구협회(DFG)의 심사평가제도를 중심으로」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03-11, 2003:185-205.

■ ---- 「독일 연구지원체계의 구조적 특성 : 독일연구협회(DFG)를 중심으로」. 한국

유럽행정학회보, 2005: 88-121.

■ 블로이엘, H.P. 이광주 역. 지성의 몰락: 독일대학의 정치사회사, 한길사, 1980.

■ 손승남. 「독일 대학교육의 현황과 개혁정책: 전망과 시사점」. 비교교육연구 15-1,

2005: 49-71.

■ 송재준. 주요 선진국의 인문학 연구지원사업에 관한 조사 연구 학술진흥재단,

2007.

■ 신동민. 「독일의 대학개혁과 연구개발체제의 혁신」 211.62.87.100/inc/filedown.asp?type

=pub2&seq=8170.

■ 이영범, 「외부 지원금 좇다 궁지에 내몰린 인문학」. 교수신문. 2007년 4월 7일.

■ 이은정. 「독일대학 제도개혁에 대한 논의」. http://www.fes.or.kr/index_kor/kpub/

FES-IS/Hochschule.htm

■ 이종래. 「독일대학제도의 변천과 의미-공교육 중심의 독일대학교육」. 국제・지역연

구 8-1(1999 봄): 107-132.

■ 전영평 외 5인. 선진국 인문학 진흥체계와 한국 인문정책 연구기관 운영방안. 인문사회연구회, 2004.

■ Adams, Robert McC. Ed. Trends in American & German Higher Education.

American Academy of Arts & Sciences, 2002.

■ Bok, Derek. Universities in the Marketplace: The Commercialization of

Higher Education. Princeton and Oxford: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3.

Page 104: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제6장 참고문헌 93

■ Brinkley, Alan. "The Landscape of Humanities Research and Funding."

http://www.humanitiesindicators.org/essays/brinkley.pdf.

■ Burrows, Millar. "The Origin of Neh." The American Journal of Semitic

Languages and Literatures 52-4(July 1936): 235-244.

■ Cohen, Arthur M. and Carrie B Kisker. The Shaping of American Higher

Education: Emergence and Growth of the Contemporary System. Second

Edition. San Francisco: Jossey-Bass, 2010.

■ Donohue, Frank. The Last Professors: The Corporate University and the

Fate of the Humanities, New York: Fordham University Press, 2008.

■ Eckel, Peter D. and Jacqueline E. King. An Overview of Higher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Diversity, Access, and the Role of the Marketplace.

American Council on Education. http://www.acenet.edu/bookstore/pdf/2004

_higher_ed_overview.pdf.

■ Fallon, Daniel. The German University: A Heroic Ideal in Conflict with the

Modern World, Boulder, Colorado: Colorado Associated University Press,

1980: 50-51.

■ Franke, Richard J. "The Power of the Humanities & a Challenge to

Humanities." Daedalus 138-1(Winter 2009): 13-24.

■ Frodeman, Robert. Micham and Carl Roger Pielke, Jr. "Humanities for

Policy--and a Policy for the Humanities." Perspectives Fall 2003: 29-32.

■ Hahendhal, Peter Uwe. "The Future of the Research University and the Fate

of the Humanities." Cultural Critique 61(Autumn, 2005).

■ Harpham, Geoffrey Galt. The Humanities and the Dream of America.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1.

■ Hüfner, Klaus. "Governance and Funding of Higher Education in Germany."

Higher Education in Europe 28-2(July 2003).

■ Keeney, Barnaby C. "The Humanities in American Society." Proceedings of

the American Philological Society 112-2(Feb. 15. 1968): 1-4.

■ McCarthy, Kathleen D. "The Short and Simple Annals of the Poor : Foundation

Funding for the Humanities, 1900-1983." Proceedings of the American

Philosophical Society 129-1(March, 1985).

■ McClelland, Charles. "Modern German Universities and Their Historians since the Fall of the Wall." The Journal of Modern History 77-1(March 2005): 138-159.

Page 105: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94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

■ Menand, Louis. The Marketplace of Ideas: Reform and Resistance in the

American University. New York: W.W. Norton & Company, 2010.

■ Miller, Judith. "How Fares the NEH?" Change 6-3(April 1974): 49-64.

■ Morris, Meaghan. "Humanities for Taxpayers: Some Problems." New Literary

History 36-1(Winter 2005): 111-129.

■ Newman, Frank. Couturier, Lara and Jamie Scurry. The Future of Higher

Education: Rhetoric, Reality, and the Risks of the Market, San Francisco:

Jossey-Bass, 2004.

■ Orr, Dominic. Jaeger, Michael and Astrid Schwarzenberger. "Performance

-based funding as an instrument of competition in German higher education."

Journal of Higher Education Policy and Management 29-1(March 2007):

3-23.

■ Pritchard, Rosalind. "Humboldtian Values in a Changing World: Staff and

Students in German Universities." Oxford Review of Education 30-4

(December 2004): 509-528.

■ Renz, Loren. Lawrence, Steven and James Allen Smith. Foundation Funding

for the Humanities: An Overview of Current and Historical Trends. The

Foundation Center in cooperation with The American Academy of Arts &

Science, June 2004. http://www.amacad.org/projects/funding.aspx.

■ Richardson, Malcolm. Ed. Tracking Changes in the Humanities: Essays in

Finance and Education. American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2005.

■ Topf, Mel A. "The NEH and the Crisis in the Humanities." College English

37-3(Nov. 1975): 229-242.

■ Trow, Martin. "American Higher Education: Past, Present, and Future."

Educational Researcher 17-3(April 1988): 13-23.

■ Veninga, James F. Ed. The Humanities and The Civic Imagination: Collected

Addresses and Essays, 1978-1998. Denton, Texas: University of North

Texas Press, 1999.

■ Watson, Bradley C. S. The Idea of the American University. Lanham:

Lexington Books, 2011.

■ Zuckerman, Harriet and Ronald G Ehrenberg. "Recent trends in funding for

the academic humanities & their implications." Daedalus 138-1: 124-147.

Page 106: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제6장 참고문헌 95

독일정부 공식문서

■ Bildungsausgaben: Budget für Bildung, Forschung und Wissenschaft 2008/2009.

Statistisches Bundesamt, http://www.destatis.de/jetspeed/portal/cms/Sites/destatis/

Internet/DE/Content/Publikationen/Fachveroeffentlichungen/BildungForschungK

ultur/BildungKulturFinanzen/Bildungsausgaben5217108097004,property=file.pdf,

2011.

■ Deutsche Forschungsgemeinschaft Jahresberight 2010: Aufgaben und Ergebnisse,

DFG, 2011.

■ Freedom for Research in the Humanities. Federal Ministry of Education and

Research, Germany. http://www.bmbf.de/en/10567.php, 2007.

■ Education in Germany 2007: An indicator-based report including an analysis

of education and migration. Federal Ministry of Education and Research,

Germany, 2008.

■ Education in Germany 2008: An indicator-based report including an analysis

of transitions subsequent to lower secondary education. Federal Ministry of

Education and Research, Germany, 2009.

■ The Year of the Humanities-An Overview. Federal Ministry of Education and

Research, Germany. http://www.bmbf.de/en/7189.php, 2007.

미국 NEH 공식문서

■ National Endowment for the Humanities Performance & Accountability

Report, Fiscal Year 2010. NEH, 2011.

■ National Endowment for the Humanities Appropriations Request, Fiscal Year

2012. NEH 2011.

Page 107: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96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

참고문헌

7.1. 특별세미나 발표요약문 영어원문

4.1.4.1. Rolf Tarrach,“A new role for the humanities in today's universities”

There is a wealth of problems to be dealt with in our present time.

Universities cannot claim that that is not their business, unless they want to

become irrelevant. There are some easy problems : one-dimensional, analytic,

quantitative approaches will suffice to solve them. Science and technology are

all one needs. But most problems are difficult: multidimensional, synthetic and

systemic, qualitative approaches will be needed beyond quantitative analysis.

What makes them really tough is that they involve human beings in all their

complexity, i.e. humanity and society. Science and technology alone will never

solve them.

Since human beings are so complex, it would seem reasonable to use a

simplifying model for them: the profit searching robot. It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more easily be dealt with by quantitative analysis and it is certainly

a model good enough for solving some of humankind's problems. But it has not

solved starvation and misery, although science and technology could easily do

so, it has not avoided increasing local inequalities, which will make our world

an insecure place to live in and it seems that it probably will be lousy in

dealing with the global future problems its defining activity of searching

present wealth will generate.

We will need to take us into account more seriously. We will have to read

Dostoyevsky, and not only management gurus. We will have to understand the

others better, their philosophy of life better, and that cannot be done without

knowing their languages. We will have to understand better other systems of

values, and that will be difficult to do if we are limited by this strange feature

of human beings of being convinced that their own believes are better, just

because they happen to be their own. This is in fact nothing but the same old

story which started with Galileo Galilei and Giordano Bruno and which goes on

unabated.

Page 108: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제7장 첨부자료 97

Learning science and technology without understanding ourselves, the others

and society is rather irresponsible in modern times. But learning humanities

and arts without understanding the fundamentals of modern physics, biology,

neurosciences and applied mathematics will make that learning quite irrelevant.

Take the brain: neurosciences will teach us a lot, but they will also teach us a

lot about all what they do not understand. The complementary approaches of

psychology and what literature tells us about us will be needed.

What are we here for? Probably for nothing, but let us make the best out of

it: let us be happy and make others happy. Can happiness be properly

understood objectively, scientifically? Certainly not, the humanities, and the

arts, might even be more efficient for this purpose. And which President of a

University would dare to say that educating her students so that they are

happier is not part of the highest purposes of her institution? For that, new

holistic curricula are needed, and humanities are a central piece of them. We

will focus in our presentation on the difficulties in implementing these ideas.

4.1.4.2. David Baird,“The Humanities and the Management of Future Risks”

How should we manage the risks of yet to be invented technologies? To give

this question some bite, consider the claim in Ray Kurzweil's and Terry

Grossman's Fantastic Voyage: Live Long Enough to Live Forever (2004) that

immortality is within our grasp. They are clear that we do not now have the

technologies necessary to allow for indefinite life extension, but they argue

that those currently in mid-life (55-60) who take care of themselves can

expect these technologies to be available before death, and hence to live

forever. There are some obvious risks to indefinite life extension. Social

security, for one, would certainly have to be rethought. But it seems

premature, to say the least, to prepare now. These technologies do not exist,

nor is it a certainty that they will ever exist.

Yet there is work to be done. At the very least, we need now to consider

whether the pursuit of indefiniteor even radical extension oflifespan is

desirable. Should we fund such research? Even if we don't fund this research

as such, it is almost a certainty that we will seek cures for various

diseasescancers, heart disease, etc.and success in these endeavors is likely to

extend lifespan. So we are likely to make progress toward extending lifespan,

whether it is an intentional goal or a sideeffect of other medical research.

How should we prepare formanagethe risks that lifespan extension entials?

With existing technologiesa new cancer therapy for examplethere is value in

Page 109: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98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

cost/benefit analysis. To be sure, what we count as costs and what we count

as benefits cannot be simply answered. Nonetheless, it makes sense to work

towards some precision about these matters as a way to manage risks. We

should strive towards normative closure about what to do with technologies

we have to hand.

With technologies that do not exist, such work is a waste, garbage in/garbage

out. We simply do not know enough. Yet, since normative work remains to be

done, we need some approach that is more productive than irrelevant

cost/benefit analysis.

The approach I propose to handle this kind of risk management leans heavily

on the humanities. I argue that we need to take steps to expand what I call

our social imagination. We think about the meanings and implications that

yet-to-be-instantiated technologies present. In part, this is a matter of

thinking creatively about what they could mean. But it also is a matter of

increasing the dialog on these issues among parties typically not engaged with

each other. Articulating these meanings and implications requires conversation

between those who are engaged with associated technological and scientific

developments and those who can imagine the human and social possibilities.

4.1.4.3. Steve Wheatley,“Making the Case for the Humanities”

Are the humanities a luxury good? Are the study, interpreta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myriad forms of human creativity mere ornaments to the house of

knowledge, but not part of its foundation? Are the fields of the humanities

and interpretive social sciences, orchid disciplines exotic but fragile growths

that cannot be sustained outside of a narrow climatic band? Can they survive

in the cold and arid fiscal climate we are in today?

That questions such as these are taken seriously by policy makers and some

opinion leaders in the U.S. is evidence that the advocates for the humanities

are either too few, unable to make their case for the value embedded in

humanities research and education, or both. I hope to explore the rhetorical

history of advocacy for the humanities in the US over the last century.

Two quotations mark the substantive (but not chronological) boundaries of this

history. In 1930, Abraham Flexner, a prominent educational reformer, wrote

that with the quick march of science, philosophy and humanism have gone

under a cloud; when they assert themselves, they are prone to do so apologetically.

It has indeed been a great challenge for the academic humanities to fit their

Page 110: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제7장 첨부자료 99

distinctive qualities and perspectives into the scientistic paradigm of the

research university that, in the popular mind, emphasizes discovery and

immediate utility.

The humanities indeed are practical. Anyone who has used a dictionary is the

beneficiary of centuries of humanities scholarship. But arguments for everyday

usefulness of the humanities, numerous as they are, do not carry the case for

their importance as far as the following full-throated assertion: Every achievement

in the humanities is a vital step in the national progress. That simple equation

was made by President Nixon in 1970, welcoming the delegates of the American

Council of Societies to a meeting in Washington.

How is it that Richard Milhous Nixon could now seem one of the staunchest

advocates for the humanities? He was the heir to decades of efforts to shift

the argument for the humanities. Between 1930 and 1970, philanthropists,

scholars, and university leaders worked to craft a brief for study and research

in humanities that turned away from comparing the humanities to science and

instead drew the contrast between totalitarianism and democracy, with the

humanities highlighted as the intellectual vessel of democratic values. A liberal

arts education centered on the humanities developed critical thinking in

students and prepared them to be vigorous citizens. The visible presence of

the humanities in US universities, it was argued, would destroy the stereotype

of American culture as crassly materialistic. This elite project of vindicating

the humanities culminated in the creation by Congress in 1965 of the National

Endowment for the Humanities on the principle enunciated in the authorizing

legislation that democracy demands wisdom.

Why then does Nixon's argument seem so strange today? As good humanists

we know that any reader receives any text, including Nixon's stirring credo,

not as a direct, unmediated abstraction but understands it in complicated

personal, cultural, and historical contexts. For us, that context includes

knowledge of Nixon's subsequent disgrace. It also includes knowledge of the

culture wars, when humanities scholarship, so long eager to be noticed,

became the subject of political debate. As Jane Smiley put in the comic novel

Moo, politicians were convinced that [d]econstruction was just another name

for communism gone underground and waiting to reemerge at an opportune

moment, and that supporting a university through state funds was about as

wise as raising a next of vipers in your own bed. On the other hand, to be

sure, a not insignificant number of humanities scholars would be uncomfortable

raising a banner including either words of the phrase national progress.

Since the 1970s, it has been difficult for advocates of the humanities to

Page 111: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100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

reform their arguments into the broadest possible frame, although there have

been concerted and interesting efforts to do so. Today, the policy discourse

concerning university-based research and education has moved away from

geo-political concerns and is centered on concepts of economic competitiveness.

Analyzing the past and present rhetoric of humanities advocacy can help those

of us committed to sustain those fields of study advance our position in

current debates.

4.1.4.4. Wolfgang Klooss,“The Humanities: Past, Present, Future Some

Observations and Considerations”

Across the globe academic education is under constraint. The Humboldtian

ideal of a university independent of social pressures is seriously challenged by

concepts based on market models. Such concepts foster an understanding of

teaching and research where the relevance of disciplines and subjects

dependends on demand and where scholarly output is susceptible to quantitative

measurement.

It goes without saying that higher education, like any kind of public undertaking,

has to cope with the financial restrictions which are being experienced in all

industrialized countries. However, this does not imply that some of the basic

principles, such as freedom of research and teaching, definition and control of

academic standards, or autonomy in staff recruiting have become obsolete.

Therefore it needs to be scrutinized how crucial principles can be preserved

within a changing social, economic and technological environment.

What needs to be investigated is the place of the humanities in a

transcontinentally medialized situation where everything is declared to be at

random. How do the humanities fare in relation to the other sciences? Does all

this build up to the repeatedly conjured crisis of the humanities or does it open

new possibilities and tasks that make the humanities inevitable as Odo Marquardt

has already argued more than two decades ago? (über die Unvermeidlichkeit der

Geisteswissenschaften, 1985)

In contrast to what has become a common misunderstanding the humanities

belong to a relatively young branch of scientific and scholarly engagement.

Whereas the 17th century saw the rise of the natural sciences it were only

the 18th and even more so the 19th century when the humanities became

established as academic disciplines, some of which were entirely new

creations. To name only a few obvious examples: the study of antiquity,

linguistics, history, oriental studies, Romance, English or German philology, art

Page 112: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제7장 첨부자료 101

history, the study of music, anthropology, pedagogy and so forth. This

evolution of disciplines was by no means the consequence of a systematic

development, it was rather the case that the establishment of one field

nourished the growth of other areas of research and teaching. Therefore, from

their very beginning, the new disciplines were not isolated from each other,

but were considered individual parts of a wider academic context, which from

the 1840s onward carried the label "humanities". Subsequently knowledge

became revolutionized, since the humanities provided a new approach to the

material world which was based on the interrelatedness of the different

disciplines and their subject matters as well as on the acknowledgement of the

historicity of social phenomena.

While the natural sciences provided an immense amount of new insights into

the making of the world, the humanities began to serve as a guide for

orientation in an increasingly puzzling environment, dominated by empirical

data and technological changes. Although scientific research has always

remained at the core of the humanities, it should also be remembered that

from their very start disciplines like language and literature studies, for

instance, have aimed at the education of the general public. The rise of the

humanities is therefore immediately linked to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institutions. At the same time, it must be noted that the humanities themselves

proved instrumental 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Likewise, the economic,

ideological and political appropriation of overseas territories can only be

adequately assessed, if the specific function of the humanities in this process

is recognized. It is primarily due to them that the world beyond local, regional

and national boundaries became mentally available to the public, just like the

birth of nationalism and national movements is closely connected with the

general impact of the humanities. In this sense, the humanities have had a

major share in both the shaping and the perception of the modern world.

Among the most obvious tasks was the discovery and affirmation of cultural

identities on the national as well as international level, whereby politically

defined states gained the status of cultural entities. Consequently, the

humanities fostered a nation building process that emphazised the importance

of cultural heritage. In this way, particularity, i.e. the uniqueness of cultural

forms of expression, as well as the comparison of cultural achievements

became major concerns for scholars engaged in a broad variety of fields. It is

largely due to their work that German culture, for instance, became a synonym

for an intellectual, philosophical, artistic and aesthetic space, which could

easily host such different, but unique movements like classicism, romanticism

Page 11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102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

and idealism. And yet, once it comes to the comparison of cultures, the

humanities are not least responsible for the Eurocentric and hegemonial

self-understanding that has not only accompanied the study of the Other, but

which in many cases also fostered an implicit misunderstanding of and

chauvinistic attitude towards foreign cultures. Orientalism is only one point in

case. It should therefore be one of the prime objectives now and in the future

and here globalization appears to function as a particularly suitable framework

to deconstruct prejudices emerging out of selective traditions (Raymond

Williams) and hegemonial discourses (Michel Foucault) and to counter them

with narratives that challenge established notions by employing alternative

perspectives.

This can, however, not mean that the humanities provide immediate answers

or even solutions. Measurable efficiency is by and large alien to the

humanities. Even positivism, regardless of its merits in certain areas, has not

succeeded in subjecting the humanities to clear-cut rules and in turning their

objects of investigation into mathematically controllable and predictable items.

The gap between the natural sciences and the humanities which emerged,

when the two were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the 19th century, has

therefore probably widened over the past 150 years. And yet, the humanities

are still inevitably linked to the natural sciences, since they are often

expected to give answers to problems originating from empirical research and

scientific findings. When medical and chemical research, for instance, made

birth control available, this had in the immediate situation of scientific

discovery still unforeseeable consequences for traditional family structure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tions as well as between males and

females, for the social institution of marriage. In the following, it meant a

serious deregulation of systemic structures, just like many other scientific

discoveries beforehand. It can hardly be expected from the humanities to come

up with the solution for a post festum-regulation although they seem to be in

a position where post festum-explanations are the norm and not the exception.

On the other hand, what they can provide is insight into some of the historical

and social consequences that derive from such discoveries, whereby it

becomes evident, how fruitful it might be, if interdisciplinarity would not solely

be exercised either within the humanities or the natural sciences, but across

their boundaries. This was already the case in the past. With the rapidly

increasing fragmentization and distribution of social functions that have

accompanied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it has certainly not lost its

justification, and it will also be an objective in the future.

Page 114: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제7장 첨부자료 103

So far, the humanities are conceived as a branch of the sciences that is

foremost concerned with the education, refinement and promotion of those

faculties, which enable us to recognize and decipher value systems in a given

social and historical context. In as much as the latter are instructed by

ideological or political forces, the same holds true for the humanities

themselves. It is therefore mandatory, that self-reflexivity is regarded an

imminent part of the humanities and a serious agenda for those, who are

actively committed to the study and teaching of them. Subsequently, in their

essence, the humanities are never static, but always exposed to dynamic

processes as well as they are and will remain subject to permanent

methodological shifts and changes. From here follows that a singular truth, if

not even hermeneutically founded dogmatism, can neither be at the core of the

humanities nor the ultimate goal of investigation, instead one has to accept the

plurality of meaning as a major characteristic of basically all disciplines

involved. This appears particularly difficult to be grasped at a time, when the

public seems to long for clearcut statements and unequivocal explanations.

Therefore, it cannot come as a surprise that the word of the crisis of the

humanities has been quickly spread.

Moreover, the most recurrent of the charges against the humanities strike at

what is most vital and precarious in the humanities, name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subject matters and the rest of life. These charges focus on the

interchanges where art and reality, literature and life, play and work, academic

commitment and civic obligation merge and at the same moment diverge. The

charges are phrased in an endless variety of the question: What do the

humanities have to do and what should they have to do with the day-to-day

business of living in our present and future world.

Still another issue that might be taken into consideration, if one subscribes to

the notion of the so-called crisis of the humanities, is the overcharge of

knowledge made available through new technologies. The mass media, together

with radically improved storage systems, have intensified the sense of an

active synchronic present by keeping afloat in the public consciousness vast

stores of information concerning past, present and future, previously available

only to a few and only after years of study. The media as well as the storage

and retrieval systems have, of course, not supplied the reflection that converts

mere information into understanding and makes it truely serviceable. It takes

an adequately trained person to distinguish between what is worthwhile to be

accessed and what remain obscure data. On the other hand, this is not as

recent a problem as some might want to have it. One just needs to recall the

Page 115: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104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

enormous impact which the invention of the print originally had on the

accessibility of knowledge. Diderot's and D'Alembert's Encyclopdie gives a

prime example. And it is noteworthy in this context that already their attempt

at information retrieval stirred up strong subconscious fears and

counter-movements. The age preceding the Enlightenment saw the first

stirrings of hostility toward the printed book. (Cf. Walter J. Ong, "Crisis and

Understanding in the Humanities", 1969).

Perhaps the current overload of organized knowledge may also serve as a

partial explanation for the desire for the irrational that seems to be a sign of

contemporary mentality. Moreover, the concept of culture is no longer

restricted to an elaborate system of knowledge based on long standing traditions

and well established conventions, but also comprises rather popular forms of

artistic expression which makes choices equally inevitable and difficult.

Today's world is so full of humanistic material on the one hand, and seemingly

trivial material on the other, that it can easily become frightening even for

those, or perhaps specifically for those, who professionally deal with it.

One way to counter this enormous challenge is the introduction of new

conceptual approaches in the humanities. Among these are cross-disciplinary

university curricula which are particularly designed to bridge the gap between

different academic cultures without ignoring disciplinary specificities and

conventions. Research and teaching in the humanities, like all research and

teaching, aim at the acquisition and dissemination of knowledge. They supply

methods and tools to acquire such knowledge without, however, always

immediately serving a particular profession or trade, i.e. the humanities

prepare for occupations which are not always clearly defined and which ask

for flexible solutions and problem solving strategies. In this sense, the

humanities are oriented towards the future and it should still be considered

one of their major tasks to provide cognitive patterns that help to accept

difference as a necessary prerequisite for the recognition of human dignity in

a world that has gone global.

4.1.4.5. Farideh Koohi-Kamali,“Publishers in the wide web of Humanities”

Publishing houses are among the key meeting spaces for the various academic

disciplines to come together. They are places to exchange opinions, debate

ideas, and put those ideas in writing, offering them to others to read and

expand their scientific and intellectual horizons. Publishing is one of those

junctures where we see a political analysis, or a new scientific discovery

Page 116: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제7장 첨부자료 105

about human embryos, or a prophecy of the economic changes get invited to

interact with the spheres of philosophy, ethics, or literature to be debated and

judged. Publishers are part of the ever evolving world around us. When a

tender memoir of a political prisoner becomes the catalyst for change in world

order for us and others; when the discovery of a new medicine for AIDS or

heart disease triggers the new conversation about the cultures of gender bias;

and when our longing for offspring or a passion for longevity is tested in

science laboratories that we see what an important role publishers can play in

the future of Humanities.

We, the publisher, can be, and should be, an important link between

intellectuals with new ideas, whether in the form of a scientific finding or a

piece of creative writing. We could encourage sciences, social sciences, and

humanities to debate their ideas in our turf and shape them in the book form

so the ideas can be distributed widely, studied, debated over and improved. In

doing so we become a forum for closer collaborations and deeper understanding

of how much we need each other to be complete and comprehensive in our

dealing with science and humanities.

As publishers we can do a lot. As emotional as we might be in our endeavor,

we are also a business in our core. And that is a good thing, because it

forces us to see the realities and catch the emerging trends in the market and

among our customers, the buyers of new ideas. The following are a few

practical examples of things we can do to improve the troubled relationship

between Humanities and Sciences:

Quality publishing: we need to produce good books that can be respected and

can open further debate and research on the topic. NMA example.

Clear process: to guarantee the quality, we take our peer-review and selection

process seriously.

Interdisciplinary studies: Humanities is a web of ideas and innovations that are

all connected. Within this web, we go to debate the values of our science and

technology. This is what we call publishing 'interdisciplinary' projects.

Catching the new trends: Interdisciplinary projects have become more prominent

that ever before. This is certainly a reflection of the reality of the world we

live inone can not fully understand a phenomenon without studying it from all

aspects and from different angels. Fighting AIDS in laboratories only would not

be successful if we don't study the culture of the community affected by it.

Other similar examples can be found in areas such as medical humanities (the

history of medicine, e.g.), digital humanities, and environmental humanities.

Page 117: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106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

Publishing in areas of mutual interests: It is a great idea to bring up the

cross-pollination of hard sciences and humanities (i.e. Cognitive Studies and

Lit/Performance) or fields like Digital Humanities, in which the reciprocal

relationships between new types of media and various disciplines are analyzed.

Both fields have resulted in some interesting advances.

Bring in global scholarship: By translating scholars' works from other parts of

the world into English (i.e. Spivak series, plus many more examples),

publishers can foster a better, more global dialogue and this is very important

to the field.

Reading and writing contributes to thought in general: It is a very true point;

for example, philosophy teaches us to think about problems and issues which

don't have definitive answers (like ethics) and make informed decisions based

on reasoned arguments and debates - in the same way literature does just

this.

4.1.4.6. SunHee Kim Gertz, “Humanities Then”

In this essay, I hope to point to how today's challenges to the humanities

emerged, at least in part, from late medieval universities. Sketching how the

first universities developed in the twelfth to thirteenth centuries from the

cathedral schools' program of the liberal arts, I intend to underscore that the

first universities specialized: Salerno, in medicine; Bologna, in canon law; and

Paris along with Oxford, in theology. Early on, through their specializations,

Bologna, Paris, and Oxford not only forged strong relationships with the

church and secular powers dominating late medieval western European society,

but these universities' scholars also pressed boundaries and intellectual

inquiries for the sake of scientia per se. These conditions ultimately

contributed to a university structure that is inherently fragmented and pulled in

various directions by the different constituencies it serves.

Over the centuries, the humanities have occupied ever-diminishing space in

this basic university structure. Since at least the twentieth century, they have

often been characterized as non-pragmatic (thereby not resulting in medical

cures, alternative energy solutions, or political analyses), which, in today's

academic parlance, has come to mean something akin to 'useless.' Despite the

fact that work belonging to the humanities can influence decisions, inspire new

directions, command attention, and yield substantial financial gains outside

universities (as witnessed in influential essays, novels, historical studies, films,

and art exhibits), the struggle for limited budget lines within universities is

Page 118: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제7장 첨부자료 107

fought on speciously 'pragmatic' grounds.

Besides marginalizing the intrinsic value of the humanities and their real

influence, this approach ignores potential lessons suggested by weaknesses

and strengths found in late medieval universities. That is, relying upon

traditional approaches, perhaps the humanities in today's universities could also

explore the fragmentation inherent in multiply disciplinary institutions that

concomitantly seek and cut off relationships with society-at-large and,

additionally, study, and shape, what societies cherish in order to contribute

more fully to this century's universities.

4.1.4.7. Chankil Park, “The University under Siege:The Corporate Ethos and

the Fate of the Humanities in Korea”

The Humanities in Korea :What is the Problem?

The humanities in Korean universities are under great threat. The threat is so

direct and straightforward that the humanities in the Korean academy need an

emergent survival strategy. The arch-enemy of the humanities is the corporate

ethos, the driving force behind the educational reform pursued by the Korean

government ever since 1995. Educational reform of this kind is parallel to the

transformation of Korean society into a more advanced capitalist economy that

opens all aspects of Korea to the world market. Competition and productivity

have replaced academic freedom and truth-seeking as the guiding principles of

higher education. The most direct victims of educational reform have been a

few disciplines of the humanities that seemed least related to the productivity

of the university such as philosophy, theology, and literature.

Democratization Leads to Neo-liberalism

Up until 1987, the most urgent socio-political agenda in Korea was

democratization by which we meant most of all government by direct election.

The military government had to be stopped, and a new, more democratically

formed government came into being as a consequence of a few decades of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in Korea. Kim Young Sam, a famous politician of

the opposition party, a long-time freedom fighter who became the first

president of the civilian government, declared a new era for Korea in 1995,

the catchword of which was globalization. He opened up Korea to the world

economy, accepting Reagan style neo-liberalism as the guiding principle of his

socio-political campaign for a new Korea. The new education policy based on

Page 119: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108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

his campaign was most clearly articulated in the May 31 declaration of

educational reform. Competition and Productivity were its most important

keywords. And that was the very beginning of all the evils made apparent in

the subsequent reformation of Korean universities.

The Corporate Ethos in the Educational Reform of Korea

Educational reform in Korea is driven by a corporate ethos. All the

constituents of higher education--professors, departments, research institutes,

and university administrations--are now asked to compete with each other,

and their performances are evaluated every year mainly on a quantitative

basis. The humanities are no exception and have to demonstrate their own

productivity and competitiveness in objective terms, often using statistics.

Otherwise, they are simply eliminated. The college of humanities in

Kwang-Woon University in Seoul, for example, was disintegrated shortly after

the new president, former CEO of Korea Telecom, took office. Likewise, Sung

Kyun Kwan University, the university which claims to have inherited the long

Confucian tradition of higher education of the Chosen dynasty, created a new

department called the Department of Mobile Phones in the engineering school

after it was bought by the Sam Sung Group, the biggest conglomerate in

Korea that produces mobile phones for the world market. They have no

qualms at all in admitting that they are producing human resources for the

company that sponsors them. Competition is in full swing at all levels of

higher education: professors compete for more research papers and more

research funds, and departments and universities compete for higher rankings

in the university evaluations carried out in both private and public sectors.

Good Old Days for Korean Universities

Universities in Korea used to play a significant role in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ever since 1945: from the revolution of April 19, 1960 which

brought down the government by the first president Lee Seung Man to the

uprising of June 10, 1987 which put an end to the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universities have always been at the very center of political protest,

being the safe haven for conscientious intellectuals who committed themselves

to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Students and professors alike were proud of

themselves as the national elite that kept alive social justice and political

Page 120: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제7장 첨부자료 109

freedom. Intellectuals with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backgrounds, many of

whom were university professors, were generally respected as the national

leaders who guided the nation in the right direction. But the new national

leaders in the age of neo-liberalism are no more found in the universities but

in Samsung or LG, companies which have proved themselves in the world

market. What is strong in the market is strong in academia too. The prospect

for the humanities in this new environment is grim indeed. The university was

completely neutralized and disarmed in national politics, and all the

constituents of intellectual communities volunteered to serve the best interests

of the big companies that, in their opinion, are not at all different from the

national interest itself.

The Humanities, the First, and Most Helpless, Prey to the Corporatization of

the Korean Academy.

What is unique in the corporatization of Korean universities is that it is being

done very quickly and comprehensively. The subjects that seem least

connected to the market are dying quickly: philosophy, literature, pure natural

science like physics and chemistry, to name a few. What seems to be more

practical or profitable such as business, law, and medicine are booming like

bamboo shoots after rain, which is honestly speaking, nothing new because the

humanities have never been preferred by students ever since the 17th century

science revolution in the West. But the recent phenomenon is unprecedented

in its speed and extent even in the history of the declining humanities.

Survival Strategy for the Humanities?

It seems very important now to admit honestly that the universities have no

way of going back to the good old days of being cushioned from the dreary

reality of the market economy any more. We may need a good idea to adapt

the humanities better to the new climate of the universities. But it is equally

important to note that the humanities cannot survive from one-time generous

subsidies from the government nor by the loser's logic that the humanities, as

a matter of fact, are very helpful to the market economy because they make

certain CEOs more imaginative and more creative. The humanities should be

justified on their own terms. They let us know what human beings used to be,

what human beings are, and what human beings could be. And that is why we

still need them in our academy.

Page 121: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110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

7.2. 서면인터뷰 질문 영어원문

Questionnaire for the Special Report of National Research Council for Econimics,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Chankil Park

1. Utility

Humanist scholars have increasingly been pressured to prove their utility in

society. In an international workshop about the future of the humanities in a

Global context, one participant argued that the humanities scholar now had to

take more seriously the question of utility. That is, they have to prove their

utility by showing that they could produce something useful just in the same

way the theoretical physicists did when they provided the society with a

theoretical finding indispensable for the GPS system. What is your position on

the question of utility in humanities scholarship, particularly in the context of

the recent European economic crisis? I expect an answer more honest and

more down to earth than a predictable, familiar and conventional defence of

the humanities.

2. Performance Evaluation

Humanities scholarships are individual and unique and discipline specific. So

the nature of evaluation cannot but be very subjective and quality-based. But

it is very often inevitable to put academic works by the humanities scholars

on the scale of an objective evaluation if such a scale is available. I

understand that peer-reviews are the most common method of evaluation in

the countries that have a long established scholarly system of the humanities.

Korea Research Foundation recently introduced a system of evaluation where

an individual academic work is evaluated according to the quality of journal

containing it. The journals included in SCI, SSCI and A&HCI (indices of

academic journals) are given full credit whereas journals published in Korea

are not given such credit. A quantitative evaluation based on such lists of

journals is more widely used when evaluating an individual scholar's academic

performance both in the universities and the grand awarding body like KRF.

What do you think is the best method of evaluating the academic performance

particularly in the humanities scholarship?

Page 122: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제7장 첨부자료 111

3. Academic Freedom

Government's financial support to higher education is taken for granted

anywhere in the world. But it might not be as politically innocent as it claims

to be. There has been a suspicion in Korea that university professors who

were critical of government's policies have been categorically excluded from

the financial supports from the government. It is no secret at all in Korea that

the Ministry of Education "uses" its financial support to enforce their policy of

higher education upon the universities. Academic freedom tends to be

threatened by too much involvement of Government with higher education.

What is your view on that? Can you figure out a method to support higher

education without impinging upon academic freedom?

4. Globalization

Globalization is a big issue in higher education anywhere. English, for example,

has become lingua franca not only in tourism but also in academia. The results

of academic researches should be published in English to get recognized in the

world. But some disciplines, particularly in the humanities, are very much

culture specific and the diversity and creativity of their academic activities are

damaged by the pressure into globalization. What is your position on the issue

of globalization in this respect? How do you promote international academic

activities without sacrificing the cultural diversity and the healthy ecology of

higher education? Do you encourage researchers to publish more in English to

get more recognition internationally? If so, what effect do you think it would

have on the future of German as an academic language?

5. Competition

Competition seems inevitable these days in academia. The question is how to

set the rule of fair competition applicable to all disciplines. Each discipline has

its own culture of research that requires different type of practice. Many

humanities scholars find it very difficult to accept that their academic works

are evaluated by the rules of evaluation developed for the natural science and

the technology. Co-authoring an article, not a book, for example, is a very

strange idea to most humanities scholars whereas co-authoring is a common

practice in natural science. The time span required by the humanities projects

tends to be longer than those of natural science. Too much competition can be

counter-productive in some disciplines that require more creativity than

Page 12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112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

promptness in the research results, and the humanities are surely one of them.

What is your position on the question of competition in academia, particularly

in regards to the humanities scholarship. How would you bring in a healthy

competition in the humanities scholarship without distorting the nature of its

scholarship? How much do you consider such unique nature of each discipline

when you distribute research funds on a competitive basis?

6. Interdisciplinarity

Convergence has become a trendy keyword in academia too. Interdisciplinarity

is generally (indiscriminately) appreciated in all fields of academic research

sometimes without a reasonable ground. It is obvious that most fields of

natural science and technology will be benefited from their collaboration with

other fields, which, however, is not always the case with many subjects of

humanities scholarship. Sometimes humanities scholars are pressured to adapt

their researches to meet the demands from the other more practical fields. For

example, Shakespeare for CEOs or Sun Tzu War Strategy for Management

Skills, to name a few. Such a move is understood by some people to

undermine the value of the scholarship in its original context. What is your

view on that? Do you encourage interdisciplinary research by allocating more

money on that? If so, how do you distinguish a desirable type of convergence

and undesirable one?

7. Technology

A new discipline called Digital Humanities has emerged as a promising

example of a convergence taking place between the humanities and technology.

NEH, the main grant awarding body of US humanities scholars, allocated a lot

of money to the digital projects related to the humanities. They have even a

separate office responsible for Digital Humanities projects. How much

importance do you give to Digital Humanities in Germany? If so, what

percentage does it occupy in the grant allocated to the subjects of the

humanities.

8. Employability

Drew Faust, president of Harvard University rightfully argued in her inaugural

address, "the essence of a university is that it is uniquely accountable to the

past and to the future not simply or even primarily to the present. A

Page 124: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제7장 첨부자료 113

university is not about results in the next quarter; it is not even about who a

student has become by graduation. It is about learning that molds a lifetime,

learning that transmits the heritage of millennia; learning that shapes the

future. A university looks both backwards and forwards in ways that must

that even ought to conflict with a public's immediate concerns or demands."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however, uses the rate of

employment as one of the scales used for the evaluation of university

performance. What is your view on that? Do you take that kind of practical

value into account in evaluating an institution or an individual in the decision

making process of your funding? If so, how and on what ground? Give your

answer mainly in regards to the humanities scholarship in Germany.

9. Accountability

Academics are not particularly good in the management of money, but they

are obligated to show clearly that every penny of a research fund was spent

properly as was planned in the application. There are very detailed regulations

for them to follow in spending money and all the written proofs should be

attached to the financial report of the project they have to hand in after it is

completed. Sometimes it involves a very complicated bureaucratic procedure to

maintain a high level of transparency, which can be a big burden for the

researchers. What policy do you have on this matter? Do you have a good

idea to release such burden of paperwork from researchers who received fund

from you and to prevent their possible moral hazards? In Korea, recipients of

the fund are required to publish an article in academic journals, apart from

submitting the final report of the research at the end of the research period.

What kind of reports do you require from the recipients of fund in your

institution and how do you estimate them?

10. Principle of Allocation

Government support for the humanities in Korea is less than 1% whereas more

than 97% goes to Natural Science and Technology. Do you think that this is a

fair distribution? What principle or policy do you have in allocating the fund to

each discipline, and if any, on what ground?

Page 125: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114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

7.3. 서면인터뷰 답변 영어원문

7.3.1. Dr Manfred Niessen

1. Utility

Utility is not a primary category in DFG's evaluation of research in any

domain. Of course, in domains where the researchers by their own definition

claim to provide immediate useful results this is taken into account - and

critically evaluated, however, only if it is the own claim of the researchers. As

for humanities we of course have to distinguish between a short-term

perspective of utility, which is misleading in scholarship and a long-term

perspective - where also humanities claim to be of relevance to society and

humankind.

2. Performance Evaluation

Quality-based does not necessarily mean subjective. Rather, methods and

procedures for inter-subjectivity are applied. Peer-review is our method -

with peers evaluating according to the appropriate criteria of their respective

field. These, of course, vary between e.g. humanities and natural sciences -

and we do respect the difference.

We do not believe and do not accept "devolution"†of scholarly judgment to

counting publications in classified journals. We insist in assessing the research

proposal proper and past publications as such.

3. Academic Freedom

In Germany we are in a very lucky situation: Academic Freedom is written

into the constitution. As a consequence, DFG as the national funding

organization is not part of the government but an independent organization.

The president, the board, the senate are elected by the annual membership

convention, i.e. the universities. And the review boards are elected nationwide

by the scientific community. (We are in the middle of the election for the next

4-year-period. cf. www.dfg.de/fk-wahl2011)

4. Globalization

We are very aware of this point and share your view. Of course, in all

Page 126: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제7장 첨부자료 115

disciplines communication in English is a necessity. And for the natural

sciences e.g.it is meanwhile common practice to publish in English. For the

Humanities, however, we make a case that proposals can be presented and

discussed in German. And we have special programs in place if also small

ones to encourage and support international collaborative projects in a

bilingual setting German/French or German/Italian. Because of the systematic

reasons you formulated.

5. Competition

As said above: we do not apply any unified models. We respect and act

according to the specific needs of the various domains (cf. examples above).

Of course, also in Humanities there will be competition. But it is certainly not

of the kind which in the life sciences is described in a racing metaphor: of

who is the first one to come up with a discovery? and all those coming later

are discarded †Rather, competition in the humanities has sometimes to be

neutralized when it comes to rivalling schools etc.

6. Interdisciplinarity

We certainly do not encourage interdisciplinarity for its own sake and with

such examples as given by you. We encourage interdisciplinarity in all those

cases where the research questions ask for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And

we try hard to develop mechanisms to properly evaluate those projects which

cross borders. There is no patent solution.

7. Technology

We do not believe in a new discipline. We think, digitalization provides a

whole range of new tools which sometimes even give access to new questions.

But it is about tools within the existing fields and disciplines. Therefore, we

are open and curious for all new developments and also cooperate with NEH

in a joint programme. But again: it depends on the research question and the

proper instrumentation and methodology not on digital as such. Digital tools

become more and more implemented inside the projects. We do not count and

do not know what amount of money could be attributed to this sub-part.

Page 127: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116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

8. Employability

We do not evaluate institutions but fund projects, research programmes and

individuals via fellowships. This is done exclusively by peer-reviewing the

scientific quality. Not employability.

9. Accountability

Funds are administered by the university, i.e. the university administration

provides a service to the researchers. There the paperwork is done.

We require a final report which is sent to one of the initial reviewers. It can

be extremely short if there is a relevant publication.

10. Principle of Allocatio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together (!!) receive between 15-16 % of DFG

funds (between them the Humanities share is higher). Allocation is not decided

top-down but on the basis of demand and quality: The annual share of all

disciplines from archaeology to medicine and engineering is distributed

according to the share these disciplines had in the incoming proposals of the

previous years.

7.3.2. Dr Jö rg Drä ger

1. Utility

I agree with Tarrach. All academic disciplines need the support of society and

will only get it permanently when society feels that it is getting back

something. Universities and especially the humanities need to become again

the intellectual centers of our society where the relevant questions are

answered. This goes far beyond the idea of utility in a pure economic sense.

2. Performance Evaluation

Peer review and a citation measurement are acceptable methods of evaluation.

But field-specific rankings such as the one carried out by the German based

Center for Higher Education (CHE) give a variety of further contextual

Page 128: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제7장 첨부자료 117

indicators that can be used for evaluation as well.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indicators have to be defined within the context of the field (i.e. the

humanities) and that only similar fields are compared.

3. Academic Freedom

Global budgeting has proven to be a useful way of financing the universities.

This nevertheless implies that the government can define the fields in which

research activities should be undertaken and set (outcome oriented) goals. It is

just important to ensure that both method and result of the academic work

remain free of governmental influence.

4. Globalization

I do value diversity and the local roots of research. But this does not imply in

most cases that the publications should be available in the local languages.

English publications ensure the free flow of academic findings which is the

basis of the growth of knowledge.

5. Competition

Competition in general is a healthy element to strengthen both the relevance

and quality of research. But one has to understand the field specific issues

and ensure that apples are only compared with apples: in some disciplines

only a few long articles are published by single authors, in others many short

articles by a group of scientists, in some fields third-party funding is common

while in others it is not. But as long as competition takes place within the

disciplines, then one should look at the results and use them for evaluation.

6. Interdisciplinarity

I generally favour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7. Technology

I do not have enough experience and data here.

Page 129: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118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

8. Employability

One has to distinguish here between research and teaching. While I agree that

in research universities should look at a longer scope they do have a

responsibility for the employability of their students. Even if there is little

sense in comparing the employment rate of the engineering department with

that of the humanities department, one should pay attention to employment in

all disciplines. In Germany the humanities for a long time claimed to educate

mostly for the academic careers while the vast majority of their graduates

were in the end looking for employment outside of academia. It is therefore

important to incorporate elements of employability in the humanities courses as

part of the university's responsibility toward the students.

9. Accountability

Just one thought: I would always give academics some freedom to spend a

certain portion of the money (i.e. 20%) in different ways that originally applied

for.

10. Principle of Allocation

Even if that relationship seems very biased toward the sciences, I do not have

the German numbers at hand.

7.3.3. Uwe Gertz

1. Utility :

Perhaps it is necessary to define ‘utility’in different ways. Certainly, the GPS

is a useful instrument, but other by-products of scientific research have mixed

reviews. We saw a report in Germany about South Korean summer camps, for

example, that tried to wean children from ‘computer addiction’. We always

have to be prepared to address all aspects of a situation.

Both in German and US academic administrations, as far as my experience

allows me to judge, humanities seem to be undersiege, perhaps less so than in

South Korea. While there is general recognition in both countries of the

importance of having cultural literacy, however, humanities positions are most

likely to be cut first. In Germany, they have a derogatory term for such

positions; some fields in the humanities are called "Orchideenfächer," or

Page 130: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제7장 첨부자료 119

"Orchid Disciplines," meaning they may be beautiful, but not necessary/useful.

The economic crisis was made possible through emphasis on applying purely

technical knowledge without consideration of its impact beyond making profit

(banks hire skilled mathematicians to create complicated financial instruments

not even the leadership of abank understands), greed (politicians allowed the

financial sector to become deregulated, enticing banks to be involved in

extremely risky enterprises), misleading fellow EU countries (there appears to

be no doubt that Greece provided manipulated data when applying to the

Eurozone), etc. The Humanities have to articulate, define and reinforce human

values like empathy, respect for others, honesty etc., partly based on

commonly agreed upon human rights. And, actually, those basic rights have

been formulated by the UN, by the European Union and many individual

nations.

This doesn't just apply for the European economic crisis. The areas are

countless, reaching from the North-South Hemisphere conflict to establishing

wages that enablea working person to live. It includes situations happening on

a university's campus and in its direct neighborhood. This is not simply

political activism but involvement in creating a human world worth living in at

home and elsewhere. The Humanities can reflect critically on all of these

questions/conditions. The Humanities can bring into the mix historical aspects

inrespect to individuals as well as to societies as a whole. The Humanities can

contribute to developing just societies and create perspectives in general and

in reference to concrete themes. The Humanities are an integral part of any

society and can contribute in concrete ways if they are willing to get their

students and fellow professors engaged.

2. Performance Evaluation :

Numerical evaluation is making headway in Germany as well as in the US. I

don’t think this form of evaluation is even good for the sciences. The

humanities, however, are difficult to assess, since, as you state, they are

individual and unique. Even Shakespeare had times when he was not popular

or respected, so that over time opinion fluctuates. Perhaps, it would be best

if South Korea created a national office similar to the American National

Endowment of the Humanities, but with one important function being

assessment, and most importantly, with its members being also members of

the Humanities.

On the practical level, categorization of the evaluation process has the

Page 131: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120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

advantage of efficiency, but, in my opinion, it is clearly to be preferred to

evaluate an individual based on his/her accomplishments overall. In Germany,

there have been attempts whereby a professor presents the senior administration

with his/her goals. In a consequent meeting, it is discussed to what extent

those goals have been fulfilled.This is a time-consuming process, but it can

broaden the definition of academic achievement and detect all strengths of the

candidate. It can improve moral as people have a voice in a dialogue. A

professor might not be strong in the area of publications, but given his/her

accomplishments in teaching, serving the university community and/or

successful grant writing, s/he might very well earn an overall positive

evaluation.

3. Academic Freedom:

I think it's worthwhile to documentthose cases in South Korea where academic

freedom has been sacrificed. In Germany and the US, academic freedom is a

critical foundation for academic work. If a government financially supports

independent bodies (like the Deutsche Forschungsgemeinschaft—German

Research Foundation—in Germany or the National Endowment for the

Humanities in the US), funding for humanities scholarship could be distributed

and encouraged more equitably.(By the way, the Bertelsmann Stiftung has been

criticized for favoring tuition payments at the currently tuition free public

universities in Germany. This is of importance as graduates in the humanities

often are paid much lower salaries than in other fields and therefore would

have a more difficult time paying back tuition loans). In the US, there is a

watchdog organization, the American Association of University Professors,

which provides support for instances when a university has curtailed academic

freedom. They are supported privately by individuals who pay dues.

I am afraid that state and federal governments will often try to influence,

since they do grant the funding. I don't know of an effective approach to

eliminate that except for holding ongoing discussions in order to underline the

importance and benefits of academic freedom.

4. Globalization :

English has indeed taken over as the lingua francaeven in universities. In some

fields at German universities, particularly technical fields, courses are increasingly

taught in English. In fact, the wish of attracting large numbers of international

Page 132: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제7장 첨부자료 121

students also led to increased courses held in English in other fields and even

to International Degrees (taught entirely in English). The last stronghold

outside of German speaking countries were the Eastern European countries

and English has taken over there as well. I think German has already lost its

standing as a strong academic language.

There is no question that the humanities are important in maintaining cultural

diversity, for it is not only languages, but also ideas and cultures that they

study. Publishers and scholars need to publish in their native languages, as

this will maintain at least two languages in each country, the native language

and the lingua franca. It will also enable people to read important historical

works in the original language. Translations are important but can't fully

replace the original. By the way, despite or perhaps because of the entrance

of English into everyday life in Germany, there has been a revival of local

dialects throughout Germany over the last 20 years or so in popular

publications and the local media.

I might also add that I found it impressive to learn that a good number of

professors of Foreign Languages at Korean universities received their

advanced degree in a country of that language. I have come across a good

number of foreign language professors in the US who have had only one or

two short stays in the country of their language. I always wondered how

much of the culture do they actually comprehend.

5. Competition :

There will always be competition, even with unlimited funding. It is not only

competition between disciplines, but also between scholars in a given

discipline. For the humanities, I think the case could be made to university

administrations and the government, that funding excellent humanities costs

less than funding excellent sciences, which often requires a lot of equipment.

At the same time, if the humanities are able to articulate their contributions to

human issues (see above), there may be morewillingness by governments to

fund them. 6. InterdisciplinarityI think that if the humanities are going to have an

effect outside university circles, then adaptations areinevitable. If Shakespeare

is taught well to CEOs, then perhaps they will appreciate the humanities more.

There are limits to that flexibility though and these limits should be

determined by the goals and values that humanists themselves set. It's

probably difficult, however, to set categories, and pro/con decisions have to be

made on a situational basis. For example, I personally find it appalling to use

Page 13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122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

any "Art of War" writings for management training, no matter if by Sun Tzu or

the German General von Clausewitz.

6. Globalization :

A positive aspect of English as lingua franca is the possibility of effective and

also interdisciplinary cooperation of researchers across borders. Discussing

current international and interdisciplinary issues like, for example, the

dynamics of religion in today's world can lead to substantial contributions by

the humanities.

7. Technology :

Already a number of years ago, some German professors were able to gain

financial support for digitalizing and thereby using a Digital Humanities project

to make literary works more accessible. In July 2010, Germany’s major funding

body, the DFG (Deutsche Forschungsgemeinschaft—German Research Foundation),

joined forces with the NEH to establish the Bilateral Digital Humanities Program(see

: /www.dfg.de/en/research_funding/programmes/infrastructure/l is/

international/dfg_neh_humanities_program/index.html). I don't know how much of

the grants to the humanities was allocated to digital projects.

8. Employability :

I think that a university should beembedded in a society, but not be subject to

whims, economic or otherwise. It is sometimes difficult to determine where the

border is, because in fact no country’s universities can cover all knowledge. In

Germany, although the humanities have experienced cuts, the Exzellenzinitiativen

(Excellence Initiatives), itself a controversial program, granted funding not only

to technological and natural scientific fields, but also to the Humanities. Of the

19 universities awarded Graduiertenkollegen (groups whose purpose is to

further scholarship of junior scholars), the report written by the DFG and the

Wissenschaftsrat available on this website (HYPERLINK "http://www.bmbf.de/1321.php"

www.bmbf.de/1321.php) lists awardees, which can be grouped as follows:

Humanities : 6Social Sciences : 1Medicine : 3Business : 1

"Pure" Sciences: 4Technology and Informatics: 2Agrarian Science: 1Engineering:1

I think the fields in the second column could be loosely associated with

Page 134: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제7장 첨부자료 123

science; medicine and business are classified as professional fields in the US;

and the social sciences are a distinct discipline, somewhat in between the

sciences and the humanities.

Even in a society like Germany, where students do not have to pay tuition to

gain a university degree, a university can't entirely ignore the need for its

graduates to be able to find employment. But this doesn't mean it should

become a vocational training ground. Also, it should not translate into a main

evaluation criteria for the quality of the education received at the university.

In Germany, an attempt to address this issue (strongly driven by the industry)

was to create a system ofinstitutions of (applied) higher learning

(Fachhochschulen). These Fachhochschulen grant advanced degrees in applied

fields like social work, architecture, computer science, etc.

The pure research university, in my opinion, should not be chained to

fluctuating industrial demands. Which though does not mean that it should

exist in a vacuum. It should address human, societal and technical aspects

with creativity and space for being inventive. It should provide its graduates

with universal skills, like the ability to express oneself effectively in various

forms, to be able to analyze, to carry an argument--all (language) skills not

simply limited to one profession or field.

Steve Jobs didn't state for nothing that without hishaving taken a course in

Calligraphy (a course some Germans would label as "Orchideekurs") the MAC

wouldn't be what it is.

9. Accountability :

I think that professors have to become familiar with the proper accounting

procedure if there are no possibilities to delegate. And even then, the person

who received the grant has to carry the final responsibility. It is not

unreasonable at all to hand in a report to the funding organization, but it is

carrying a bit far to request publication of the results. What happens if a

professor cannot find a publisher for her/his work?

10. Principle of Allocation :

Those numbers certainly do not sound fair. And they probably are not even if

one considers that the humanities do have less costs than those in natural

sciences and technology. I think a National Research Council could be

Page 135: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124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

established, which has equal representation from various disciplines, and then

they need to carve out what percentages each discipline should have and

under what conditions.

7.3.4. SunHee Kim Gertz

1. Utility :

Importantly, it seems to me, if the point is that scientific research leads to

useful by-products not necessarily part of the original research, then

analogously, with deep research in the humanities that furthers our knowledge

of the arts, literature, and philosophy as academics, our ‘by-products’ are

actually very ‘useful.’Novels, paintings, and films enhance our lives. Try to

imagine our lives without them. Likewise, philosophy, especially in the area of

ethics, has enormous effect on our legal institutions and furthermore direct our

attention to what can be improved in society. The difference is that our

‘useful products’ require thought and time to ‘use.’

2. Performance Evaluation :

I think that even in the sciences, journals make mistakes, so making them the

major arbiter of a person’s career is flawed. What is happening, I think, is

that South Korea is catering to the ranking instruments already popular (e.g.

the Times), and in its desire to enter global rankings, South Korea accepts the

criteria. In my own personal opinion, this is a logical, but nonetheless

mistaken, way to go. If someone follows another’s criteria, then s/he is likely

to remain a follower. I think South Korean humanists have to take charge and

decide what good evaluation criteria are, because evaluation is not going to go

away. One way of changing the criteria, for example, is the honest assessment

of where South Korea is in each field. Let’s take English literature. If one of

South Korea’s humanist goals is to become world renown in this field, then

translations of world literature could be made an important ‘product’ for

assessment. Because if you are going to attract students to the field, a

necessary condition of a field’s strength, then I think one has to ease them

into the field. Also, a mode of assessment that is probably critical to the

humanities could be to ask alumni/-ae 5, 10, and 15 years upon graduation

what they got from their education. In our own case, our alumni/-ae are our

best argument for the importance of the humanities. They typically talk about

the skills they learned in the humanities even if they aren’t in the field any

Page 136: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제7장 첨부자료 125

more, and more importantly, they feel prepared to try to make their lives

meaningful. Perhaps, ‘meaningful’is a better criteria than ‘useful.’

3. Academic Freedom :

Without academic freedom, universities are simple organs of the state or big

business. In fact, big business does direct scientific research in the US in a

manner that borders on limiting academic freedom. The parallel in the

humanities is the publishing industry, which nowadays will mostly publish

popular studies and not studies that won’t sell as many copies. It’s a grey

area with respect to academic freedom. More clearly, the AAUP (the American

Association of University Professors that Uwe mentioned) fights those cases in

which violations of a person’s right to express his/her views have been

threatened in some manner. When upon investigation, the AAUP finds that a

university has been guilty of abusing academic freedom, it is put on sanction.

The sanctions have effect, since the AAUP publishes that list, and so

universities frequently work to remove the sanction. I think this is the kind of

abuse to academic freedom that you’re addressing. In addition, most reputable

US universities have judiciary boards to hear cases. That is, they do not give

up academic freedom to any larger regional or national body. When an

individual is not satisfied with a university decision, then s/he can notify the

AAUP and/or take the case to civil court. Although not perfect (the process

can be long and expensive), I think these are effective ways of protecting academic

freedom. Perhaps, communicating with the AAUP could prove usefulfor South

Korean academics.

4. Globalization:

I think that with internationalization, there has to be a lingua franca, whether it

makes sense or not. In the European Middle Ages, there was a lingua franca,

Latin, which was the scholars’ language. In Japan and Korea, I believe Chinese

was the scholars’ language. Luxembourg’s model is an interesting one. BA

students who graduate have to demonstrate proficiency in 3 languages :

French, German, and English before completing their degrees. However, those

3 languages are also widely spoken in the country. Perhaps, publishing in

English and Korean could be equally weighted in South Korean universities, as

long as a certain percentage is published in English, so that wide distribution

of a scholar’s work would be internationally recognized. Once s/he is

internationally recognized, perhaps s/he can publish mostly in Korean to make

Page 137: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126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

a political statement about the language’s importance.

5. Competition :

I think that teamwork is something that is part of how the sciences function,

but not so much forthe humanities, as you point out. However, humanities

institutes, like those at Princeton and North Carolina, and even ours at Clark,

do have a way of generating camaraderie and furthering ideas. The National

Endowment of the Humanities offers a series of summer workshops in various

humanities topics, which differ each year, and that allow scholars from all over

the nation to convene at the lead scholar’s institution. This enables competition

among humanists to diminish. Clark's Higgins School of The Humanities was

also successful in this respect. Further, the Higgins School is supported by

Clark's administration and in grant writing, because it is able to develop

themes like "Difficult Dialogues :Creating a Culture of Dialogue On

Campus",themes considered to be of relevance. Quote from Clark's website:

"The Difficult Dialogues program at Clark is a campus-wide initiative aimed at

developing skills and awareness of dialogue – encouraging engagement across

differences in both our classroomsand community. Clark was one of 27

institutions selected by the Ford Foundation from 730 colleges and universities

nation-wide to participate in this initiative..."

6. Interdisciplinarity :

I myself participate in interdisciplinary research (history, philosophy, literature,

and the visual arts). While I wouldn’t apply my skills to business, I would, if I

had the opportunity, apply them to areas where I thought I could help society.

For example, when I was chair, I thought it would be a good idea to

encourage students to participate in teaching literacy to those who are

illiterate. It didn’t work, primarily because there was too little time to establish

the network that would be necessary to launch such a program. But I would

support such efforts strongly.

I don’t think it’s a dilution of scholarship to participate in interdisciplinary

efforts, just a different use of scholarship. Interdisciplinary efforts don’t affect,

for example, what research topics I undertake. Now, if in South Korea, it

does affect what research topics an individual undertakes, you have a case of

abusing academic freedom.

I also think that there should be many different approaches to scholarship, and

Page 138: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연구¯¸국과 독일의 인문학...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2011- 03 미국과 독일의 인문학 지원정책

제7장 첨부자료 127

I’m not sure that convergence would be a result of allowing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to co-exist with disciplinary approaches. Naturally, one has to

have disciplines to allow for interdisciplinarity.

7. Technology:No Response

8. Employability : No Response

9. Accountability :

I think accountability emerges mainly from the US system, where students pay

enormous amounts of money to attend college, and parents, understandably,

want to see that their children received a good education. From that

background many types of accountability measures have emerged (some

acceptable and others not so clear), but on the whole, I think the paperwork is

the ‘work’part of the project; the project itself should be one’s joy. If,

however,funding agencies are requiring publication BEFORE the researcher

receives funds, that may actually contribute to South Korean journals being

PERCEIVED as less scholarly, IF these journals accept work because they

understand that the scholar’s livelihood requires it.

10. Principle of Allocation :

Who pays for museums and other cultural institutions that seem so wellcared

for in South Korea? Perhaps humanities scholars should ally themselves with

these institutions and demand more funding. Clearly, the South Korean

government believes science and technology are the wave of the future and of

the country’s economic well-being. Quite simply, the case needs to be made

that while science and technology are part of the wave of the future, other

components are just as critical. The humanities as focused on Korean culture

will allow others to appreciate Korea. The humanities focused on cultures

outside of Korea open the gates to truly global and international exchange, as

the enduring elements of a culture—its traditions, its arts, its ethics, and its

people—are what make the difference. Imagine if Wall Street CEOs had

humanistic values, perhaps we wouldn’t be in a financial crisis, because money

wouldn’t be the be all and end 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