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
* 본 연구는 한국장애인개발원에서 수행한 보건복지부 연구용역 연구인 “고수요 장애인보조기구 산업육성 전략 연구”에 기반하고 있음 5 장애인보조기구산업 실태조사 연구* 권성진 경기도재활공학서비스연구지원센터 부장 박지연 한국장애인개발원 정책연구실 연구원 본 연구는 급변하고 있는 장애인보조기구 산업의 기초자료 확보 및 분석을 통해 산업 의 효율적 육성전략 수립을 하고자 실시되었다. 장애인보조기구를 주력으로 제조하고 있 는 업체를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378개소 중 250개소의 설문을 회수하 여 결과분석을 시도하였다. 실태조사 결과, 전체 응답업체의 64%가 개인 기업 형태이며, 자본금 5천만원 이하의 업체가 42.7%로 조사되었으며, 개인 직판형태가 주류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응답업체의 58.2%가 제품 개발에 필요한 투자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규모 및 방식이 체계적이지 못했으며 보조기구관련제도, 운영 자금 조달, 기술개발자금 조달, 내 수시장 확보, 해외시장 개척 등에 어려움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응답 업체의 3년간 상위 5개 주력 품목 매출은 정보통신신호기기 산업군이 126,598백 만원, 의지·보조기 산업군이 113,037백만원, 이동기기 산업군이 84,224백만원으로 조사 되었다. 산업 실태조사 결과에 근거하여 장애인보조기구 산업육성을 위해 다음과 정책적 시사 점을 제시할 수 있다. ·장애인보조기구 산업 분야의 선도기업 육성 ·산업특성에 맞는 맞춤형 R&D 지원제도 수립 ·R&D 지원 및 공공 부분의 수요 창출 ·수요 집중 품목 발굴 및 해당 품목 중심의 육성 전략 수립 주요어 : 산업실태조사, 산업육성 전략, 장애인보조기구 Disability & Employment|2012. 11. 제22권 제4호(통권 77호) pp. 5~31

장애인보조기구산업 실태조사 연구* - KEAD · 장애인보조기구산업 실태조사 연구 선행문헌 고찰 2. 연구의 목적 국내 장애인보조기구

  • Upload
    others

  • View
    8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 본 연구는 한국장애인개발원에서 수행한 보건복지부 연구용역 연구인 “고수요 장애인보조기구 산업육성 전략 연구”에기반하고 있음

5

장애인보조기구산업 실태조사 연구*

권성진 경기도재활공학서비스연구지원센터 부장박지연 한국장애인개발원 정책연구실 연구원

본 연구는 급변하고 있는 장애인보조기구 산업의 기초자료 확보 및 분석을 통해 산업의 효율적 육성전략 수립을 하고자 실시되었다. 장애인보조기구를 주력으로 제조하고 있는 업체를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378개소 중 250개소의 설문을 회수하여 결과분석을 시도하였다. 실태조사 결과, 전체 응답업체의 64%가 개인 기업 형태이며, 자본금 5천만원 이하의

업체가 42.7%로 조사되었으며, 개인 직판형태가 주류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응답업체의 58.2%가 제품 개발에 필요한 투자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규모 및방식이 체계적이지 못했으며 보조기구관련제도, 운영 자금 조달, 기술개발자금 조달, 내수시장 확보, 해외시장 개척 등에 어려움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응답 업체의 3년간 상위 5개 주력 품목 매출은 정보통신신호기기 산업군이 126,598백

만원, 의지·보조기 산업군이 113,037백만원, 이동기기 산업군이 84,224백만원으로 조사되었다. 산업 실태조사 결과에 근거하여 장애인보조기구 산업육성을 위해 다음과 정책적 시사

점을 제시할 수 있다.

·장애인보조기구 산업 분야의 선도기업 육성 ·산업특성에 맞는 맞춤형 R&D 지원제도 수립·R&D 지원 및 공공 부분의 수요 창출·수요 집중 품목 발굴 및 해당 품목 중심의 육성 전략 수립

주요어 : 산업실태조사, 산업육성 전략, 장애인보조기구

Disability & Employment|2012. 11. 제22권 제4호(통권 77호) pp. 5~31

요약

Disability & Employment|2012. 11. 제22권 제4호(통권 77호)

Ⅰ. 서론

1. 연구 필요성

장애인복지법 제65조의 정의에 따르면 ‘장애인보조기구’ 란 장애인이 장애의 예방·보완과 기능 향

상을 위하여 사용하는 의지·보조기 및 그 밖에 보건복지부장관이 정하는 보장구와 일상생활의 편의

증진을 위하여 사용하는 생활용품을 말한다. 최근 우리나라는 장애범주의 확대와 후천적 원인에 의한

장애 발생률 증가하고 초고령화 사회로의 진입함에 따라 장애인보조기구 수요자가 지속적으로 증가

하고 있다. 또한 재활패러다임 전환에 따른 장애인의 사회참여 욕구 다변화를 통해 국내 보조기구 수

요가 전체 장애인구의 45.8%1)와 노인인구의 27.9%2)로 추정되고 있다. 장애인보조기구 수요자 증가에

따라 국가의 보조기구 공적급여 예산도 가파른 증가 추세에 있다. 특히 건강보험에 의한 장애인 보장

구의 경우 제도 도입 초기인 1999년 21억원에서 2008년 약 440억원으로 10년 동안 21배 증가하였으며,

그 외 공적급여 지원 총액이 연 1,400억원을 넘어섰다3)(김인순 외, 2011). 그러나 이와 같은 양적·질

적 팽창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장애인보조기구 산업은 여러 측면에서 영세성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

을 뿐만 아니라 수입 중심의 유통구조로 산업의 자생력과 경쟁력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 그동안 수

요자인 장애인의 욕구에 부응하는 합리적 가격의 고품질 장애인보조기구를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

하여 장애인보조기구를 제조·유통하는 관련 산업의 전략적인 육성 정책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왔으

나 현재까지 이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물론이고, 관련 업체의 생산 및 판매현황, 운영 및 경영 실태

등에 대한 자료도 전무해 산업의 현황파악 조차 어려운 상황이었다. 물론 과거 보조기구 산업 활성화

방안과 관련된 선행연구 사례가 있었으나 대부분 소규모의 산업실태조사를 통해 도출된 자료 및 문헌

조사를 근거로 한 육성 방안을 제시한 수준으로 국내 장애인보조기구 산업이 직면하고 있는 현황 및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전략적 방안 수립에 한계가 있었다.

6

1) 2005년 장애인실태조사(보건복지부) 1개 이상 장애인보조기구 소지인원2) 2004 전국 노인복지실태 및 복지욕구 조사중 재활보조기구 대여 이용 희망률3) 고수요장애인보조기구산업육성전략(한국장애인개발원, 2010)에 따르면 2009 건강보험공단 보장금 지원 실적 34,268백만원,

의료급여 보장구 지원 16,218백만원, 국가보훈처 보철구 지원 6,820백만원, 산재장애인 재활보조기구지원 6,245백만원, 복지부의 장애인보조기구 교부사업 1,027백만원,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복지용구 지원67,317백만원, 행정안전부의 정보통신보조기기 지원사업 2,626백만원, 고용노동부의 직업보조기기 지원 5,810백만원으로 보조기구 공적급여 지원이 총 141,402백만원으로 집계되었다.

장애인보조기구산업 실태조사 연구

<표 1> 선행문헌 고찰

2. 연구의 목적

국내 장애인보조기구 산업이 처한 영세성, 수입중심의 유통 구조, 자생력 및 경쟁력의 미확보 등의

상황을 개선하고 전략적인 산업 육성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먼저 장애인보조기구 산업의 전반적

인 실태파악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전에 수행된 연구들은 조사의 규모 및 분석대상 개체수가 적어 정

확한 산업 특성 도출이 불가능하였거나, 명확한 근거 없이 이론적 수준에서의 산업적 특성을 기술하고

있어 연구결과에 대한 신뢰성이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장애인보조기구 분야의 전략적 산업 육성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고자 제조

기반의 장애인보조기구 업체를 중심으로 산업 실태조사를 실시하여 장애인보조기구 산업의 현황을

파악하고 품목군별로 산업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Ⅱ. 실태조사 개요

1. 조사기간 및 조사절차

7

연구명연구주관기관

(연도)특징

재활보조기구 산업 활성화방안 연구

보건산업진흥원(2001)

- 전국단위의 산업실태조사 실시: 조사대상 202개 업체 중 41개 업체의 응답을 근거로 분석함(회수율 : 20.3%)

- 업체 분류는 ① 의지·보조기 업체 ② 휠체어 ③ 보청기 ④기타로 나누어 분석함

한국·미국·일본의 정보통신 보조공학의 산업동향연구

한국정보화진흥원(2006)

- 정보통신 보조공학에 초점을 맞춘 산업동향 연구: 조사대상 38개 업체 중 16개 응답을 근거로 분석함- 이용자의 실태 및 욕구 조사를 병행함

재활보조기구 품질관리, 서비스 전달체계, 산업 활성화에 대한 연구

재활공학연구소(2008)

- 재활보조기구의 산업활성화 연구뿐만 아니라 품질관리 및서비스전달체계와 함께 전체적인 관점으로 연구를 진행함

- 산업실태조사는 실시되지 않음- 활성화 방안은 R&D지원을 중점적으로 기술함

장애인보조기구 인프라 구축 사업 보조기구·서비스기초실태 및 수요추계 연구

한국장애인개발원(2010)

- 보조기구와 관련하여 전국단위의 이용자의 실태 및 욕구 조사를 실시하여 소비자의 수요를 반영함

- 국가차원의 지원이 필요한 유망품목 선정

Disability & Employment|2012. 11. 제22권 제4호(통권 77호)

조사는 2010년 10월 25일부터 11월 30일까지 35일에 걸쳐 진행되었다. 우편조사의 방식으로 설문지

를 발송하였으며 우편, 팩스를 통해 조사결과를 회수하였다. 보건복지부의 협조를 얻어 설문조사의

목적 설명을 담은 공문을 함께 조사지를 발송하였고 조사원들의 산업실태조사 및 참여요청 안내 전화

를 통해 조사대상 업체의 참여를 독려하였다. 회수된 조사결과는 본 연구의 연구원들이 검토하였으며

그 과정에서 미흡한 데이터나 논리적 오류를 보인 데이터가 있을 시 해당업체에 전화 및 방문을 통해

보완하는 과정을 거쳤다.

2. 조사대상

전술하였듯이 그동안 장애인보조기구업체에 대한 실태조사를 수행한 경우가 몇 차례 있으나, 특정

품목군에 한정된 조사이거나 조사 참여 업체수가 소수에 불과하여 국내 장애인보조기구업체의 전체

개소수와 같은 기본적인 현황마저 파악이 되어 있지 않은 상태였다. 따라서 본 실태조사에서는 장애

인보조기구 기존 연구와 차별화하여 전체 산업의 동향 파악을 시도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

에서는 국내에서 확보할 수 있는 보조기구 관련 산업의 리스트를 최대한 파악하고 이를 확보하는데

주력하였다. 이에 ① 온·오프라인을 통한 자체 조사, ② 전국 지방자치단체에 등록된 의지·보조기

사업소 조사, ③ 의료기기산업협회에 등록된 의료기기 제조 및 수입업체 중 장애인보조기구 관련 업

체, ④ 한국보조기기산업협회 회원사, ⑤ 고령친화용품산업협회 회원사, ⑥ 국민건강보험공단 장애

인보장구 등록 업체 리스트 등 위의 6가지의 방식을 통해 총 640개의 업체 데이터를 확보하였다. 국내

장애인보조기구 산업의 공적급여 의존성을 고려할 때 파악된 보조기구 업체수는 전수 개념으로 간주

할 수 있을 만큼 국내에서 확보할 수 있는 모든 리스트를 집약하였다고 할 수 있다4). 이 중 보건복지부

고시 제2009-244호 「장애인보조기구품목고시」에서 규정된 품목을 취급하지 않거나, 취급 비율이 극

히 미약하여 보조기구 관련 산업으로 간주하기 어려운 업체를 제외하여 최종적으로 제조업체 378개

소, 유통업체 124개소를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수행하였다. 국내의 법에서 장애인보조기구 산업분야

에 대해 명시된 법률은 장애인복지법이 있으며 본법 제67조 ①항에 따르면 “ 장애인보조기구업체” 를

장애인보조기구를 생산하는 업체로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장애인보조기구 산업

분야의 실태 중에서도 장애인보조기구 제조업체(OEM, ODM 포함)인 378개 업체에 대해 수행한 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분석을 시도하였다. 총 378개 업체 중 260건의 설문지가 회수되어 68.7%의 회수율

8

4) 국내 장애인보조기구 산업의 공적급여 의존도는 소비자의 장애인보조기구 구입 경로를 통해 역으로 추정할 수 있다. 2011 장애인실태조사에 따르면 사용 중인 장애인보조기구의 구입 경로 중 국민건강보험, 보건복지부, 지방자치단체, 국가보훈처, 한국장애인고용공단, 한국정보문화진흥원 등을 통한 지원 비율이 82.7%이며 복지관, 인, 친목단체 등 개인적인 지원 비율은17.3%에 불과하다.

장애인보조기구산업 실태조사 연구

을 보였으며, 이 중 분석에 사용할 수 없는 10개 업체의 데이터를 제외한 총 250건의 설문 결과에 대해

분석을 시도하였다.

3. 조사항목

본 연구에서는 국내 장애인보조기구 산업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일반 사항, 판매현황, 기술개발 현

황, 정책수요, 사업현황 등 질문 내용을 5개 영역으로 범주화 하였으며 세부 문항 구성은 다음과 같다.

<표 2> 장애인보조기구 산업 실태 조사 항목의 구성

4. 자료 분석

장애인보조기구 산업은 우리나라 표준산업 분류체계에 포함되어 있지 않고 광범위한 산업적 특성

을 나타내기 때문에 실태조사 분석 전 장애인보조기구 산업의 산업적 분류체계를 정의할 필요가 있

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보조기구 산업 분류체계를 보건복지부 고시 제2009-244호 「장애인보

조기구품목고시」 품목분류의 대(大)·중(中)분류체계를 기본으로 하되 장애인보조기구의 산업적 특

성을 고려해 보건복지부 분류체계를 보완한 산업군 분류표를 개발하여 본 연구에서 활용하였으며 분

류체계는 <표2>와 같다.

9

주요 항목 구성

1. 일반사항 4. 정책수요

1. 기업형태2. 자본금 현황

1. 관련제도2. 운영자금 조달3. 기술개발 자금 조달4. 내수시장 확보5. 해외시장 개척6. R&D 관련 희망 지원 유형7. 산업육성에 필요한 정부 지원 유형

2. 판매현황

1. 판매처별 판매비율2. 판매방식3. 판매확대 전략4. 제품 수출 여부

3. 기술개발 현황 5. 사업현황

1. 기술개발 투자 여부2. 기술개발 연구전담조직 보유 여부3. 기술 확보 방법4. 정부 R&D 참여 경험5. (정부 R&D참여기업) 자금지원 수혜 유형

1. 최근 3년간 상위 5개 주력 품목 매출액2. 제품 생산 방식 3. 생산제품 외 다른 품목 수입 여부4. 수입 병행 이유

Disability & Employment|2012. 11. 제22권 제4호(통권 77호)

<표 3> 장애인보조기구 산업분류체계

산업군별 규모를 파악하고자, 응답 참여 업체로부터 장애인보조기구 중 자사의 주력 5개 품목에 대

한 3개년 매출 실적을 응답토록 하였으며, 개방 형태로 기입된 주력 품목명은 “장애인보조기구 품목고

시”의 중(中)분류 체계에 따른 명칭으로 통일화 과정을 거쳐 각 산업군의 산업규모를 분석하였다. 설

문에 대한 응답처리는 개별 문항에 대해 응답하지 않거나 응답을 거부한 문항에 대해서는 결측값으로

처리하여 분석에서는 제외하고, 실 응답을 기준으로 유효 값 및 유효 비율(%)을 분석하였다.

[그림 1] 자료처리 방법 및 활용

Ⅲ. 연구 결과

1. 일반사항

1) 기업형태

장애인보조기구 제조 업체의 형태 비율은 총 250개 기업 중 개인기업 형태가 160개소(64%), 법인형

태의 업체는 90개소(36%)로 개인기업 형태로 운영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10

대분류 산업군 중분류 산업군

개인치료용구 자극장치, 욕창예방용구, 운동·근력·균형·훈련기구, 의사전달을 위한치료 및 훈련용구

의지·보조기 의지, 보조기, 기타 의지, 교정용신발

개인위생, 보호용구 화장실용구, 목욕용품

이동기기지팡이, 보행기, 장애인용특수자동차, 자동차보조장치, 전동스쿠터, 수동휠체어, 전동휠체어, 휠체어부품, 이동 및 자세변환용구, 들어올리는 기구, 시각장애인용기기

가사용구 취사용구

가구 및 건축물용 부대시설 탁자, 앉는 가구, 침대, 지지대, 승강장치

정보통신 신호기기광학보조기구, 보청기, 음성전달시스템, 대화용기기, 전화기 및 전화용기기, 경보표시및 신호기기, 컴퓨터,타자기,계산기보조기구, 컴퓨터 및 전기기기입력장치, 고정기구

기타 기타

산업군 분류 체계 수립

장애인보조기구 산업분류체계 조작정 정의

실태조사 결과 분석(일반사항)

통계기법 : 기술통계, 교차분석

실태조사 결과분석

통계기법 : 기술통계, 교차분석

자료 처리 및 분석

시사점 도출▷ ▷ ▷

장애인보조기구산업 실태조사 연구

<표 4> 기업형태별 현황단위: 개(%)

2) 자본금 현황

이들 업체의 자본금 현황은 전체 산업 기준으로 5천만원 이하의 업체가 103개소(42.7%), 5천만원 이

상 1억 이하의 업체가 50개소(20.7%)로 자본금 1억 이하의 업체비율이 63.4%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나

대부분의 장애인보조기구 업체들이 영세한 규모로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표 5> 주력품목별 자본금 현황 단위: 개소(%)

11

산업군50백만원이하

51-100

101-150

151-200

201-250

251-300

301-350

351-400

401-450

451이상

전체

개인치료용구1

(12.5)3

(37.5)-

(-)1

(12.5)-

(-)1

(12.5)-

(-)-

(-)-

(-)2

(25.0)8

(100.0)

의지·보조기68

(55.7)25

(20.5)7

(5.7)4

(3.3)2

(1.6)4

(3.3)-

(-)1

(8.0)-

(-)11

(9.0)122

(100.0)

개인위생, 보호용구

1(12.5)

1(12.5)

1(12.5)

2(25.0)

-(-)

1(12.5)

-(-)

-(-)

-(-)

2(25.0)

8(100.0)

이동기기10

(37.5)4

(14.3)2

(7.1)3

(10.7)-

(-)-

(-)-

(-)-

(-)-

(-)9

(32.1)28

(100.0)

가사용구1

(100)-

(-)-

(-)-

(-)-

(-)-

(-)-

(-)-

(-)-

(-)-

(-)1

(100.0)

가구 및 건축물용 부대시설

4(17.4)

5(21.7)

3(13.0)

3(13.0)

-(-)

1(4.3)

1(4.3)

-(-)

-(-)

6(26.1)

23(100.0)

정보통신 신호기기

13(40.6)

7(21.9)

2(6.3)

3(9.4)

1(3.1)

-(-)

1(3.1)

-(-)

-(-)

5(15.6)

32(100.0)

기타5

(26.3)5

(26.3)1

(5.3)1

(5.3)2

(10.5)1

(5.3)-

(-)2

(10.5)1

(5.3)1

(5.3)19

(100.0)

전체103

(42.7)50

(20.7)16

(6.6)17

(7.1)5

(2.1)8

(3.3)2

(0.8)3

(1.2)1

(0.4)36

(14.9)241

(100.0)

구 분 제 조

개 인 160(64.0)

법 인 90(36.0)

합 계 250(100.0)

Disability & Employment|2012. 11. 제22권 제4호(통권 77호)

2. 판매현황

1) 판매처별 판매 비율

각 업체의 판매처별 비율에 대한 복수응답 분석 결과 병원판매가 57.8%로 가장 많고 개인 직판이

53.7%, 의료기상 판매 38.3%, 유통업체 납품 37.2% 등의 순으로 조사되었다.5)

<표 6> 판매처별 비율단위: 개소(%)

주 : 복수응답

2) 판매방식

이들 업체들이 취하고 있는 판매방식은 주로 오프라인 방식이었으며 온라인방식으로만 판매하는

업체는 5개소에 불과했다. 이는 개인의 신체, 장애, 특성에 맞춰져야 하는 장애인보조기구의 특성에

의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약 28%의 업체들은 온·오프라인 방식 모두를 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2

구 분 빈도(반응 백분율) 케이스 백분율

의료기상 판매 94(15.2) 38.3

병원판매 18(2.9) 57.8

유통업체 납품 98(15.8) 37.2

국가 공적급여 납품 61(9.8) 35.3

개인직판 206(33.2) 53.7

비영리기관 납품 101(16.3) 22.7

수 출 20(3.2) 22.0

기 타 22(3.5) 34.6

620(100.0)

5) 단, 이 비율순서는 해당항목에 응답한 업체들 내에서 상대적 비율을 의미함으로 해석 시 주의가 요구됨.

<표 7> 판매방식단위: 개소(%)

3) 판매확대 전략

장애인보조기구 업체들이 취하고 있는 판매확대 전략으로는 제품의 품질 개선(48.4%)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원가절감을 통한 판매가격 인하(13.9%)가 뒤를 이었다.

<표 8> 판매확대 전략(1순위)(단위: 개, %)

13

장애인보조기구산업 실태조사 연구

산업군 오프라인 방식 온라인방식 온·오프라인방식 기타 전체

개인치료용구 6(75.0) -(-) 2(25.0) -(-) 8(100.0)

의지·보조기 99(80.5) 2(1.6) 18(14.6) 4(3.3) 123(100.0)

개인위생, 보호용구 4(50.0) 1(12.5) 3(37.5) -(-) 8(100.0)

이동기기 12(42.9) 1(3.6) 15(53.6) -(-) 28(100.0)

가사용구 1(100.0) -(-) -(-) -(-) 1(100.0)

가구 및 건축물용 부대시설 11(45.8) -(-) 11(45.8) 2(8.3) 24(100.0)

정보통신 신호기기 23(71.9) -(-) 8(25.0) 1(3.1) 32(100.0)

기타 8(40.0) 1(5.0) 11(55.0) -(-) 20(100.0)

전체 164(67.2) 5(2.0) 68(27.9) 7(2.9) 244(100.0)

산업군원가절감을통한 판매가격 인하

품질개선

카탈로그배포

A/S강화

국내외전시회참가

인터넷판매

특별한판촉활동하지않음

국가공적급여납품참여

기타 전체

개인치료용구-

(-)3

(37.5)-

(-)-

(-)3

(37.5)1

(12.5)-

(-)1

(12.5)-

(-)8

(100.0)

의지·보조기13

(10.6)72

(58.5)2

(1.6)15

(12.2)5

(4.1)3

(2.4)6

(4.9)1

(0.8)6

(4.9)123

(100.0)

개인위생, 보호용구

2(25.0)

4(50.0)

-(-)

-(-)

1(12.5)

-(-)

-(-)

1(12.5)

-(-)

8(100.0)

이동기기4

(14.3)9

(32.1)2

(7.1)4

(14.3)2

(7.1)1

(3.6)2

(7.1)3

(10.7)1

(3.6)28

(100.0)

가사용구-

(-)-

(-)-

(-)-

(-)-

(-)-

(-)-

(-)1

(100)-

(-)1

(100.0)

가구 및 건축물용부대시설

6(25.0)

9(37.5)

1(4.2)

-(-)

1(4.2)

2(8.3)

1(4.2)

3(12.5)

1(4.2)

24(100.0)

정보통신 신호기기

7(21.9)

16(50.0)

-(-)

2(6.3)

2(6.3)

-(-)

-(-)

5(15.6)

-(-)

32(100.0)

기타2

(10.0)5

(25.0)4

(20.0)-

(-)2

(10.0)4

(20.0)1

(5.0)2

(10.0)-

(-)20

(100.0)

전체34

(13.9)118

(48.4)9

(3.7)21

(8.6)16

(6.6)11

(4.5)10

(4.1)17

(7.0)8

(3.3)244

(100.0)

4) 제품 수출 여부

장애인보조기구 업체 중 국외로 제품을 수출하고 있다고 응답한 업체는 24개 업체로 응답업체의 약

9.9% 수준으로 조사되어 아직은 국내 보조기구산업이 내수시장에 크게 의존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

었다. 수출 품목군별로 살펴보면 정보통신 신호기기 산업군에서 수출을 가장 많이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21.9%).

<표 9> 제품수출 여부단위: 개소(%)

3. 기술개발 현황

1) 기술개발 투자 여부

장애인보조기구 관련 업체 중 기술개발을 위해 투자를 하고 있다고 응답한 업체는 전체의 58.2%로

나타났으며 산업군으로 살펴보았을 때 특히 의지·보조기 관련 업체들이 기술 개발에 많은 투자를 하

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Disability & Employment|2012. 11. 제22권 제4호(통권 77호)

14

산업군 예 아니오 전체

개인치료용구 4(50) 4(50) 8(100.0)

의지·보조기 3(2.5) 119(97.5) 112(100.0)

개인위생, 보호용구 -(-) 8(100.0) 8(100.0)

이동기기 4(14.3) 24(85.7) 28(100.0)

가사용구 -(-) 1(100) 1(100.0)

가구 및 건축물용 부대시설 2(8.3) 22(91.7) 24(100.0)

정보통신 신호기기 7(21.9) 25(78.1) 32(100.0)

기타 4(20.0) 16(80.0) 20(100.0)

전체 24(9.9) 219(90.1) 243(100.0)

<표 10> R&D 투자여부단위: 개소(%)

2) 연구전담조직 보유 여부

R&D 투자를 하고 있다고 응답한 업체를 대상으로 기술개발 연구전담조직 보유 여부를 질의한 결과

41.5%(59개소)만이 연구를 위한 전담 조직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어 전문적이고 조직적인 수

준의 R&D 투자는 여전히 미진한 것으로 보인다.

<표 11> 연구전담조직 보유여부 단위: 개소(%)

장애인보조기구산업 실태조사 연구

15

산업군 예 아니오 전체

개인치료용구 6(75.0) 2(25.0) 8(100.0)

의지·보조기 54(43.9) 69(56.1) 123(100.0)

개인위생, 보호용구 6(75.0) 2(25.0) 8(100.0)

이동기기 21(75.0) 7(25.0) 28(100.0)

가사용구 1(100) -(-) 1(100.0)

가구 및 건축물용 부대시설 20(83.3) 4(16.7) 24(100.0)

정보통신 신호기기 20(62.5) 12(37.5) 32(100.0)

기타 14(70.0) 6(30.0) 20(100.0)

전체 142(58.2) 102(41.8) 244(100.0)

산업군 유 무 전체

개인치료용구 5(83.3) 1(16.7) 6(100.0)

의지·보조기 14(25.9) 40(74.1) 54(100.0)

개인위생, 보호용구 4(66.7) 2(33.3) 6(100.0)

이동기기 12(57.1) 9(42.9) 21(100.0)

가사용구 -(-) 1(100) 1(100.0)

가구 및 건축물용 부대시설 7(35.0) 13(65.0) 20(100.0)

정보통신 신호기기 12(60.0) 8(40.0) 20(100.0)

기타 5(35.7) 9(64.3) 14(100.0)

전체 59(41.5) 83(58.5) 142(100.0)

3) 기술확보 방법

이들 업체들이 제품에 대한 기술 확보 방법은 자체개발이 전체 51.2%로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어 해

당 산업분야의 국가 기술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표 12> 기술확보 방법단위: 개소(%)

주 : 복수응답

4) 정부 R&D사업 경험 여부

정부에서 주관하는 R&D 참여 경험여부에서는 응답업체의 37.3%만 참여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표 13> 정부 R&D사업 경험여부단위: 개소(%)

Disability & Employment|2012. 11. 제22권 제4호(통권 77호)

16

기술확보 방법 빈도

자체 개발 131(51.2)

해외기술 도입 30(11.7)

국가 R&D 지원사업 참여 40(15.6)

핵심 연구 인력 스카우트 7(2.7)

산·학·연 공동 기술개발 39(15.2)

기 타 9(3.5)

합 계 256(100.0)

산업군 유 무 전체

개인치료용구 3(50.0) 3(50.0) 6(100.0)

의지·보조기 12(22.2) 42(77.8) 54(100.0)

개인위생, 보호용구 3(50.0) 3(50.0) 6(100.0)

이동기기 11(52.4) 10(47.6) 21(100.0)

가사용구 -(-) 1(100) 1(100.0)

가구 및 건축물용 부대시설 6(30.0) 14(70.0) 20(100.0)

정보통신 신호기기 12(60.0) 8(40.0) 20(100.0)

기타 6(42.9) 8(57.1) 14(100.0)

전체 53(37.3) 89(62.7) 142(100.0)

5) 정부 R&D자금지원 수혜유형

정부로부터 R&D와 관련된 자금지원 유형은 중소기업청의 기업 협동형 기술개발 이 가장 높게 나타

났다.

<표 14> 정부 R&D 자금지원 수혜유형단위: 개소(%)

주 : 복수응답

4. 정책수요

1) 기술확보 방법

장애인보조기구 업체가 보조기구 지원제도와 관련해 느끼는 어려움 정도는 21.4%가 ‘ 매우어려움’ ,

43.6%가 ‘ 어려움’ 을 느낀다고 응답하였다. 산업품목군으로 보면 의지·보조기 관련 산업군에서 가장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장애인보조기구산업 실태조사 연구

17

지원사업 빈도

한국장애인고용공단의 작업보조공학기기개발지원 5(7.4)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 노인·장애인 재활보조기구 개발지원 10(14.7)

한국정보화진흥원의 IT 우수기술지원 등 6(8.8)

정보통신산업진흥원의 IT 우수기술지원 등 3(4.4)

중소기업청의 기업협동형 기술개발 등 27(39.7)

기 타 17(25.0)

합 계 68(100.0)

<표 15> 관련제도단위: 개소(%)

운영자금 조달과 관련해서는 응답 업체가 25.9%가 ‘ 매우 어려움’ , 41.6%가 ‘ 어려움’ 을 느끼고 있다

고 응답하고 있다.

<표 16> 운영자금 조달단위: 개소(%)

기술개발 자금 조달과 관련된 응답분포 또한 ‘ 매우 어려움’ 35.1%, ‘ 어려움’ 42.7%로 많은 업체들

이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Disability & Employment|2012. 11. 제22권 제4호(통권 77호)

18

산업군매우

어려움어려움 보통 양호함

매우양호함

전체

개인치료용구 1(12.5) 3(37.5) 4(50.5) -(-) -(-) 8(100.0)

의지·보조기 34(27.6) 51(41.5) 35(28.5) 2(1.6) 1(0.8) 123(100.0)

개인위생, 보호용구 1(14.3) 3(42.9) 3(42.9) -(-) -(-) 7(100.0)

이동기기 9(32.1) 10(35.7) 7(25.0) 1(3.6) 1(3.6) 28(100.0)

가사용구 -(-) 1(100.0) -(-) -(-) -(-) 1(100.0)

가구 및 건축물용 부대시설 2(8.3) 11(45.8) 7(29.2) 4(16.7) -(-) 24(100.0)

정보통신 신호기기 4(12.5) 16(50.0) 11(34.4) 1(3.1) -(-) 32(100.0)

기타 1(5.0) 11(55.0) 7(35.0) 1(5.0) -(-) 20(100.0)

전체 52(21.4) 106(43.6) 74(30.5) 9(3.7) 2(0.8) 243(100.0)

산업군매우

어려움어려움 보통 양호함

매우양호함

전체

개인치료용구 2(25.0) 3(37.5) 2(25.0) 1(12.5) -(-) 8(100.0)

의지·보조기 33(27.0) 54(44.3) 26(21.3) 7(5.7) 2(1.6) 122(100.0)

개인위생, 보호용구 3(37.5) 5(62.5) -(-) -(-) -(-) 8(100.0)

이동기기 3(10.7) 10(35.7) 13(46.4) 2(7.1) -(-) 28(100.0)

가사용구 1(100.0) -(-) -(-) -(-) -(-) 1(100.0)

가구 및 건축물용 부대시설 5(20.8) 12(50.0) 6(25.0) 1(4.2) -(-) 24(100.0)

정보통신 신호기기 10(31.3) 9(28.1) 12(37.5) -(-) 1(3.1) 32(100.0)

기타 6(30.0) 8(40.0) 5(25.0) 1(5.0) -(-) 20(100.0)

전체 63(25.9) 101(41.6) 64(26.3) 12(4.9) 3(1.2) 243(100.0)

<표 17> 기술개발자금 조달단위: 개소(%)

내수시장 확보에 대한 응답은 또한 ‘ 매우 어려움’ 17.6%, ‘ 어려움’ 39.8%로 어렵다고 응답하여 과

반 이상의 업체가 내수시장 확보에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표 18> 내수시장 확보 단위: 개소(%)

해외시장 개척에 대한 응답 또한 ‘ 매우 어려움’ 53.3%, ‘ 어려움, 36.8%로 전체의 약 90.1%에 해당하

는 업체들이 해외시장 개척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장애인보조기구산업 실태조사 연구

19

산업군매우

어려움어려움 보통 양호함

매우양호함

전체

개인치료용구 2(25.0) 4(50.0) 1(12.5) 1(12.5) -(-) 8(100.0)

의지·보조기 47(39.8) 48(40.7) 20(16.9) 2(1.7) 1(0.8) 118(100.0)

개인위생, 보호용구 2(25.0) 5(62.5) 1(12.5) -(-) -(-) 8(100.0)

이동기기 7(25.0) 12(42.9) 6(21.4) 3(10.7) -(-) 28(100.0)

가사용구 1(100.0) -(-) -(-) -(-) -(-) 1(100.0)

가구 및 건축물용 부대시설 7(29.2) 13(54.2) 4(16.7) -(-) -(-) 24(100.0)

정보통신 신호기기 13(40.6) 11(34.4) 7(21.9) -(-) 1(3.1) 32(100.0)

기타 5(25.0) 9(45.0) 3(15.0) 3(15.0) -(-) 20(100.0)

전체 84(35.1) 102(42.7) 42(17.6) 9(3.8) 2(0.8) 239(100.0)

산업군매우

어려움어려움 보통 양호함

매우양호함

전체

개인치료용구 -(-) 6(75.0) 1(12.5) 1(12.5) -(-) 8(100.0)

의지·보조기 22(17.9) 48(39.0) 37(30.1) 15(12.2) 1(0.8) 123(100.0)

개인위생, 보호용구 1(12.5) 5(62.5) 2(25.0) -(-) -(-) 8(100.0)

이동기기 7(25.0) 6(21.4) 10(35.7) 5(17.9) -(-) 28(100.0)

가사용구 -(-) 1(100.0) -(-) -(-) -(-) 1(100.0)

가구 및 건축물용 부대시설 3(12.5) 10(41.7) 6(25.0) 5(20.8) -(-) 24(100.0)

정보통신 신호기기 8(25.0) 11(34.4) 10(31.3) 3(9.4) -(-) 32(100.0)

기타 2(10.0) 10(50.0) 6(30.0) 2(10.0) -(-) 20(100.0)

전체 43(17.6) 97(39.8) 72(29.5) 31(12.7) 1(0.4) 241(100.0)

<표 19> 해외시장 개척 단위: 개소(%)

정부의 기술개발과 관련한 하여 업체들이 원하고 있는 지원 유형은 ‘R&D 관련 투자’ 로 35.8%로 가

장 높게 나타났으며, 차순위로 ‘R&D 결과물에 대한 상품화 지원’ 29.2%로 나타났다.

<표 20> R&D 관련 희망하는 지원유형단위: 개소(%)

장애인보조기구산업 육성관련과 산업에서 선호하고 있는 정부정책은 ‘ 자금 지원’ 31.1%, ‘ 정부 및

공공부분의 시장 수요 창출’ 25.8%, ‘ 제도 및 인프라 구축’ 23.8% 순으로 조사되었다.

Disability & Employment|2012. 11. 제22권 제4호(통권 77호)

20

산업군매우

어려움어려움 양호함

매우양호함

전체

개인치료용구 1(12.5) 6(75.0) -(-) 1(12.5) 8(100.0)

의지·보조기 73(60.3) 40(33.1) 7(5.8) 1(0.8) 121(100.0)

개인위생, 보호용구 3(37.5) 5(62.5) -(-) -(-) 8(100.0)

이동기기 13(46.4) 11(39.3) 4(14.3) -(-) 28(100.0)

가사용구 -(-) 1(100.0) -(-) -(-) 1(100.0)

가구 및 건축물용 부대시설 12(50.0) 11(45.8) 1(4.2) -(-) 24(100.0)

정보통신 신호기기 17(53.1) 8(25.0) 5(15.6) 2(6.3) 32(100.0)

기타 10(50.0) 7(35.0) 1(5.0) 2(10.0) 20(100.0)

전체 129(53.3) 89(36.8) 18(7.4) 6(2.5) 242(100.0)

산업군R&D

관련투자기술이전

컨설팅전문인력

지원

R&D 결과물에 대한상품화 지원

기타 전체

개인치료용구 3(37.5) -(-) 1(12.5) 1(12.5) 3(37.5) -(-) 8(100.0)

의지·보조기 41(33.6) 27(22.1) 14(11.5) 14(11.5) 21(17.1) 5(4.1) 122(100.0)

개인위생, 보호용구 4(50.0) 1(12.5) -(-) -(-) 2(25.0) 1(12.5) 8(100.0)

이동기기 12(42.9) 1(3.6) 1(3.6) 1(3.6) 13(46.4) -(-) 28(100.0)

가사용구 -(-) -(-) -(-) -(-) 1(100) -(-) 1(100.0)

가구 및 건축물용부대시설

5(20.8) -(-) 2(8.3) 1(4.2) 15(62.5) 1(4.2) 24(100.0)

정보통신 신호기기 14(43.8) 2(6.3) 1(3.1) 3(9.4) 12(37.5) -(-) 32(100.0)

기타 8(40.0) 1(5.0) 6(30.0) 1(5.0) 4(20.0) -(-) 20(100.0)

전체 87(35.8) 32(13.2) 25(10.3) 21(8.6) 71(29.2) 7(2.9) 243(100.0)

21

<표 21> 산업육성관련 정부정책 희망유형(1순위) 단위: 개소(%)

주 : 복수응답

5. 사업현황

장애인보조기구 산업실태조사 응답 업체의 최근 3년간 상위 5개 주력 품목 매출액 현황은 다음과 같

다. 3년간 총 매출액이 가장 높은 산업군은 정보통신신호기기 산업군으로 126,598백만원으로 조사되

었으며, 차순으로 의지·보조기 산업군의 3년간 총 매출 규모가 113,037백만원으로 조사되었다. 3년

간 총 매출 규모 3순위 산업군은 이동기기 산업군으로 84,224백만원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주요 품목

별 업체 개소수는 의지·보조기 관련 업체가 244개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인보조기구산업 실태조사 연구

산업군제도 및인프라구축

자금지원

전문인력양성

해외시장개척지원

정부 및공공부문의 시장수요

창출

세제혜택증가

기술표준제정

기술이전

기타 전체

개인치료용구1

(12.5)2

(25.0)-

(-)1

(12.5)4

(50.0)-

(-)-

(-)-

(-)-

(-)8

(100.0)

의지·보조기33

(26.8)39

(31.7)11

(8.9)2

(1.6)21

(17.1)3

(2.4)6

(4.9)3

(2.4)5

(4.1)123

(100.0)

개인위생, 보호용구

2(25.0)

1(12.5)

-(-)

-(-)

5(62.5)

-(-)

-(-)

-(-)

-(-)

8(100.0)

이동기기7

(25.0)6

(21.4)-(-)

1(3.6)

10(35.7)

2(7.1)

2(7.1)

-(-)

-(-)

28(100.0)

가사용구-

(-)-

(-)-

(-)-

(-)1

(100.0)-

(-)-

(-)-

(-)-

(-)1

(100.0)

가구 및 건축물용부대시설

8(33.3)

7(29.2)

1(4.2)

-(-)

6(25.0)

2(8.3)

-(-)

-(-)

-(-)

24(100.0)

정보통신 신호기기

4(12.5)

15(46.9)

2(6.3)

-(-)

10(31.3)

1(3.1)

-(-)

-(-)

-(-)

32(100.0)

기타3

(15.0)6

(30.0)3

(15.0)-

(-)6

(30.0)-

(-)1

(5.0)-

(-)1

(5.0)20

(100.0)

전체58

(23.8)76

(31.1)17

(7.0)4

(1.6)63

(25.8)8

(3.3)9

(3.7)3

(1.2)6

(2.5)244

(100.0)

22

<표 22> 주력품목의 최근 3년간 매출액 (대분류 기준)단위: 백만원, 개소

대분류 기준의 산업군을 “장애인보조기구 품목고시”의 중분류 기준으로 세분화하여 세부 품목별

산업 규모는 다음과 같다.

중분류 기준으로 3년간 총 매출 규모가 가장 높은 품목은 ‘보청기’ 로 81,315백만원으로 조사되었으

며 차순으로 보조기 65,283백만원, 의지 42,779백만원, 침대 26,807백만원 순으로 나타나고 있다.

<표 23> 주력품목의 최근 3년간 매출액 (중분류 기준)단위: 백만원, 개소

Disability & Employment|2012. 11. 제22권 제4호(통권 77호)

주력품목(대분류)

2007 2008 20093년간

총매출액매출액업체

개체수매출액

업체개체수

매출액업체

개체수

개인치료용구 3,624 22 4,836 22 9,445 24 17,905

훈련용구 10 1 101 1 156 1 267

의지·보조기 32,386 244 37,200 248 43,451 263 113,037

개인위생, 보호용구 2,124 18 5,064 24 9,501 26 16,689

이동기기 25,235 72 24,688 76 34,301 86 84,224

가사용구 - - - - 332 2 332

가구 및 건축물용부대시설

10,974 35 13,347 37 16,391 40 40,712

정보통신 신호기기 39,810 55 41,451 60 45,336 63 126,598

조작용구 - 1 240 1 711 1 951

기타 21,473 74 18,413 77 20,094 80 59,980

합계 135,636 522 145,340 546 179,718 586 460,695

주력중품목

2007 2008 20093년간총매출매출액

업체개체수

매출액업체

개체수매출액

업체개체수

자극장치 422 3 514 3 625 3 1,561

욕창예방용구 2,155 10 3,266 10 5,787 10 11,208

운동, 근력, 균형훈련기구 1,047 9 1,056 9 3,033 11 5,136

의사전달을 위한 치료 및 훈련용구 10 1 101 1 156 1 267

보조기 18,062 139 21,005 141 26,216 149 65,283

의지 12,852 98 14,491 100 15,436 107 42,779

23

주 : 복수응답

이들 업체의 제품 생산 방식은 제품 생산 방식을 살펴보면 국내에서 완제품을 생산하는 경우가

80.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장애인보조기구산업 실태조사 연구

기타의지 25 1 37 1 32 1 94

교정용신발 1,447 6 1,667 6 1,767 6 4,881

화장실용구 519 5 1,113 5 2,307 4 3,939

목욕용품 1,605 13 3,951 19 7,194 22 12,750

지팡이 121 4 102 4 143 4 366

보행기 808 12 1,384 13 1,981 15 4,173

장애인용특수자동차 5,053 5 6,395 5 7,583 5 19,031

자동차보조장치 1,000 1 1,400 1 1,800 1 4,200

전동스쿠터 4,995 3 3,685 3 2,974 3 11,654

수동휠체어 5,809 19 5,617 21 10,516 24 21,942

전동휠체어 4,645 9 3,512 9 4,365 12 12,522

휠체어부품 287 2 353 2 421 2 1,061

이동 및 자세변환용구 337 4 440 4 840 5 1,617

들어올리는 기구 1,318 4 768 5 1,176 5 3,262

시각장애인용기기 862 8 1,032 8 2,422 9 4,316

취사용구 0 0 0 0 332 2 332

탁자 1,672 7 2,745 8 1,885 9 6,302

앉는가구 769 8 958 8 1,271 8 2,998

침대 7,464 8 8,026 9 11,317 11 26,807

지지대 1,054 11 1,606 11 1,898 11 4,558

승강장치 15 2 12 2 100 2 127

광학보조기구 4,446 3 3,720 3 3,499 3 11,665

보청기 25,411 24 27,180 28 28,714 30 81,305

음전달시스템 10 4 165 4 137 4 312

대화용기기 9 2 53 2 137 2 199

전화기 및 전화용기기 2,500 1 2,900 1 3,100 1 8,500

경보표시 및 신호기기 470 3 756 3 456 3 1,682

컴퓨터, 타자기, 계산기보조기구 6,461 16 6,242 17 8,689 18 21,393

컴퓨터 및 전기기기입력장치 503 2 435 2 604 2 1,542

고정기구 0 1 240 1 711 1 951

기타 21,473 75 18,413 77 20,094 80 59,980

합계 135,636 522 145,340 546 179,718 586 460,695

24

<표 24> 제품 생산방식단위: 개소(%)

주 : 복수응답

자사의 제조 제품 외에 다른 품목의 수입 여부의 질의 결과 약 35.5%에 해당하는 86개 업체가 제조

와 수입 유통을 병행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표 25> 해외제품 수입여부 단위: 개소(%)

제조와 수입을 병행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 소비자 욕구반영(소비자의 국내제품에 대한 낮은 신뢰

도’ 25.3%, ‘ 국내 제품이 존재하지 않음’ 24.1% 순으로 응답하였다.

Disability & Employment|2012. 11. 제22권 제4호(통권 77호)

구 분 빈도

부품생산 17(6.0)

완제품생산 228(80.3)

OEM으로 국내 기업에 납품 23(8.1)

OEM으로 해외기업에 납품 5(1.8)

기타 11(3.9)

합계 284(100.0)

구 분 유 무 전체

개인치료용구 2(25.0) 6(75.0) 8(100.0)

의지·보조기 43(35.2) 79(64.8) 122(100.0)

개인위생·보호용구 -(-) 8(100) 8(100.0)

이동기기 12(44.4) 15(55.6) 27(100.0)

가사용구 1(100) -(-) 1(100.0)

가구 및 건축물용 부대시설 8(33.3) 16(66.7) 24(100.0)

정보통신 신호기기 13(40.6) 19(59.4) 32(100.0)

기타 7(35.0) 13(6.0) 20(100.0)

전체 86(35.5) 156(64.5) 242(100.0)

25

<표 26> 수입병행이유단위: 개소(%)

Ⅳ. 결론 및 제언

산업실태조사는 특정 산업을 전략 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 방안을 수립하기 위한 목적

으로 실시된다. 본 연구는 전무했던 장애인보조기구 산업 육성을 위한 기초 자료 확보 및 주요 보조기

구 품목군의 산업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국내 장애인보조기구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업체 일반사항, 판

매현황, 기술개발 현황, 정책수요, 사업현황 등의 영역에 대해 실태조사를 수행하였다. 장애인보조기

구 산업 실태조사 결과에 근거하여 장애인보조기구 산업의 특성 및 육성 정책 수립을 위한 시사점으로

다음과 같이 제시할 수 있다.

첫째, 국내 장애인보조기구 업체의 64%가 개인기업 형태이며, 약 절반(44.5%)이 자본금 ‘ 50백만원

이하’ 의 영세업체들로 구성되어 있다. 대부분의 보조기구 업체들이 영세한 기업 구조를 취하고 있어

관련 분야의 총체적 육성을 위해서는 공적자금 투입을 통한 체계적인 육성 전략 마련이 필요하다. 따

라서 장애인보조기구 분야를자생력 있는 산업으로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선도 업체 및 스타기업의 육

성과 수요 집중 품목 발굴을 통한 선택과 집중의 육성 전략이 필요하다. 둘째, 설문에 응답한 244개 업

체 중 약 58.2%에 해당되는 142개 업체가 직·간접적인 기술 투자를 하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으나, 연

구를 위한 전담 조직이 구성된 경우는 41.5%(59개)에 불과하며, 기술개발에 필요한 자금 조달은 대부

분 업체 내부 보유 이익금을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필요한 기술을 외부 지원 없이 자체

장애인보조기구산업 실태조사 연구

산업군

국내생산품대비

가격경쟁력높음

국내제조제품존재

하지않음

해당제품에대한 국내

제조인프라미비(공장,설비, 부품)

우수(고품질)제품확보

소비자욕구반영(소비자의국내 제품에 대한 낮은 신뢰도)

생산품 이외에 다양한 제품을

취급하기 위해

전체

개인치료용구 2(100.0) -(-) -(-) -(-) -(-) -(-) 2(100.0)

의지·보조기 2(4.8) 8(19.0) 1(2.4) 10(23.8) 19(45.2) 2(4.8) 42(100.0)

이동기기 6(54.5) 4(36.4) 1(9.1) -(-) -(-) -(-) 11(100.0)

가사용구 -(-) -(-) -(-) -(-) -(-) 1(100) 1(100.0)

가구 및 건축물용부대시설

2(25.0) 2(25.0) -(-) 3(37.5) -(-) 1(12.5) 8(100.0)

정보통신 신호기기 -(-) 5(41.7) 1(8.3) 1(8.3) 1(8.3) 4(33.3) 12(100.0)

기타 1(14.3) 1(14.3) -(-) 2(28.6) 1(14.3) 2(28.6) 7(100.0)

전체 13(15.7) 20(24.1) 3(3.6) 16(19.3) 21(25.3) 10(12.0) 83(100.0)

26

개발하는 업체가 전체의 51.2%(151개)로 나타나 보조기구 업체들의 체계적인 기술 개발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산업 특성에 맞는 맞춤형 R&D 지원 제도를 만들거

나, 산학 연구 지원을 위한 종합 클러스터를 설치, 운영하여 업체가 필요로 하는 실용 기술 과제 중심의

기술 지원 마련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응답 업체들이 선호하고 있는 정부 R&D 지원 정책은

R&D관련 투자확대, 원천기술 개발보다는 실용과제 중심의 소규모 자금 지원을 원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또한 산업 육성을 위한 정부 지원 내용은 자금 지원(31.1%), 정부 및 공공부문의 시장수요

창출(25.8%), 제도 및 인프라 구축(23.8%) 순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정부 정책은 단순한 기술 지원에

서 벗어나 만들어진 제품에 대한 유효 수요처 확대 방안도 고려해야 될 것으로 판단된다. 넷째, 장애인

보조기구 제조업체의 매출규모를 살펴본 결과, 최근 3년간 총 매출액은 460,694백만원으로 (’ 07년

135,636백만원, ’ 08년 145,340백만원, ’ 09년 179,718백만원)으로 매년 증가 추세에 있으며, 제품별군별

로 매출 순위를 살펴보면 ‘ 정보통신 신호기기’ 의 총매출액이 126,597백만원으로 가장 높고 ‘의지·보

조기’ (113,037백만원), ‘ 이동기기’ (84,224백만), 기타(59,980백만원) 등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국내 장애인보조기구 산업이 유통 중심 구조를 탈피하고, 자생력 있는 제조 기반 산업으로 육성되기

위해서는 총 매출액이 높은 즉, 수요가 집중되는 품목을 발굴하고, 해당 품목 중심의 산업육성 전략을

수립함으로써 장애인보조기구 산업 분야가 자생할 수 있도록 기반을 확보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

된다.

Disability & Employment|2012. 11. 제22권 제4호(통권 77호)

27

장애인보조기구산업 실태조사 연구

참고문헌

강병익 외 (2006). 고령친화제품 실태조사 및 초기시장육성전략 연구. 보건복지부.

고령친화용품산업화지원센터 (2006). 2006 고령친화용품산업체 연감. 고령친화용품산업화 지원센터.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0). 중소기업 기술경쟁력 제고 5개년 계획 2001 ~ 2005, 중소기업청.

문무성 외(2008a). 재활보조기구 품질관리 서비스전달체계 산업활성화에 대한 연구(상). 보건복지가

족부·재활공학연구소.

문무성 외(2008b). 재활보조기구 품질관리 서비스전달체계 산업활성화에 대한 연구(하). 보건복지가

족부·재활공학연구소.

박수천 (2005). 일본의 실버산업을 통해 본 우리나라 고령친화산업의 정책대안. 한국노인복지학회

<2005년 춘계확술대회>.

보건복지부( 2010). 2010년 장애인복지사업안내. 보건복지부.

보건복지부 (2006).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제2차 시범사업 복지용구 급여 실시계획. 보건복지부.

심상완·박을종 (2002). 고령사회대비 복지 과학기술 정책 연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오도영 (2008). 한국의 보조공학 서비스 활성화 방안연구. 대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유재성 외 (2009). 고령친화 복지용구사업 선진화 전략개발 연구.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육주혜 외 (2006). 한국·미국·일본의 정보통신 보조공학 산업동향 연구. 한국정보문화진흥원.

육주혜·김영규·공진용·손병창·고등용 (2007). 우리나라 보조공학 서비스 발전을 위한 보조공

학 법률 제정 연구.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고용개발원.

이건찬 외 (2009). 2009의료기기산업분석보고서.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이규연 외 (2007). 고령친화산업실태조사. 고령친화용품산업화지원센터.

이영호 외 (2005). 의료기기산업 실태조사 및 구조분석.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장현숙 외 (2005). 고령친화산업 중장기 실행전략 연구. 보건복지부.

통계청 (2009). 광업·제조업조사보고서(Ⅰ). 통계청.

통계청 (2009). 광업·제조업조사보고서(Ⅱ). 통계청.

통계청 (2008). 2007년 광업·제조업 통계조사용 산업 및 품목 분류표. 통계청.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9). 2008년도 장애인 실태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3). 우수 재활보조기구업체 지정기준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3). 장애인 보장구 보험급여 기준 개선 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09). 고령친화우수제품 우수사업자 지정제도 운영방안 연구. 한국 보건산업

28

Disability & Employment|2012. 11. 제22권 제4호(통권 77호)

진흥원.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08a). 고령친화 복지용구 지정 및 관리체계 정책 포럼 연제집. 한국보건 산

업진흥원.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08b). 2007보건산업연구개발실태조사분석. 보건산업진흥원.

한국의료기기산업협회 (2009). 2009의료기기제조 수입 수리업소 편람. 한국의료기기산업협회.

한국장애인개발원(2010), 고수요장애인보조기구 산업육성 전략연구. 보건복지부

한국장애인개발원(2010b). 2009 장애인보조기구인프라구축사업 「보조기구·서비스 기초실태 및

수요추계연구(Ⅱ)」. 보건복지가족부.

한국장애인개발원 (2010c). 2009 장애인보조기구인프라구축사업 「보조기구 법·제도 개선 제안

연구(Ⅲ)」. 보건복지가족부.

AAATE(2000), Assistive technology market and research : AAATE

BizAcumen (2009). A World Market Review Wheelchairs(Powerd and Manual). BizAcumen.

Carlson, D., & Ehrlich, N. J. (2006). Sources of payment for assistive technology: Findings from

a national survey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ssistive Technology, 18(1), 77-86.

Carlson, D., Ehrlich, N. J., Berland, B. J., & Bailey, M. N. (2002). Assistive technology survey

results: Continued benefits and needs reported by Americans with disabilities. Research

Exchange, 7, 1-4.

DOC. (2003). Technology Assessment of the U.S. Assistive Technology Industry. U.S.

Department of Commerce.

Wolff, J., Agree, E., & Kasper, J. (2005). Wheelchairs,Walkers, And Canes:What Does Medicare

Pay For, AndWho Benefits? Tracking the use of mobility-related assistive technology and

its impact on spending. Health Affairs, 24(4), 1140-1149.

법제처 공식 홈페이지, http://www.moleg.go.kr

보건복지부 공식 홈페이지, http://www.mw.go.kr

산업연구원 http://www.kiet.re.kr

중소기업 수출지원센터 http://www.exportcenter.go.kr

중소기업연구원 http://www.kosbi.re.kr

중소기업청 http://www.smba.go.kr

A Study of the Current Status of the Assistive Devices

Industry in Korea

Kwon, Sung-Jin*(Assistive Technology Research & Assistance Center)

Park, Ji-Yeon**(Korea Disabled People's Development Institut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mote effective advancement of the fast-changing assistive devices industry, by securing and analyzing relevantpreliminary data of the industr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argetedon manufacturers specialized in assistive device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total of 250 surveys out of 378 possible cases were returned, and the results wereanalyzed. The survey shows that 64% of the total respondents were privatecompanies, among which 42.7% were with a capital of below 50 million won,mostly in types of direct selling. About 58.2% of the responding companies wereinvesting in R&D projects while their scales and systems were not so wellorganized. Also, the survey identified that most companies had difficulties inassistive devices policy, financing for operation and R&D, capturing domesticmarkets and exploring overseas markets. The turnovers of the respondents’ top 5products over 3 years were 126,598 million won in aids for communication,information and signaling, 113,037million won in prostheses and orthoses, and84,224 million won in assistive products for personal mobility. Based on theresult of this survey, a few implications can be suggested in order to promote theindustry of assistive device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s follows: - To foster leading companies in the assistive devices industry - To establish systems to support R&D tailored for the industry- To support R&D and generate demand in public sector - To discover high-demand products and establish strategy for promoting thoseproducts

Key words : assistive devices, assistive devices industry, strategy for promotingthe industry, study of the current status of the industry

Ab

str

ac

t

* 제1저자(권성진) : [email protected]** 교신저자(박지연) : [email protected]*** 투고일 2012.6.25. 심사기간 2012.7.4. ~ 2012.8.8. 게재확정일 2012.8.8.

29

장애인보조기구산업 실태조사 연구

30

부 록

산업 실태조사 결과 중 3년간 총 매출 규모 실적에서 상위권에 있는 전동 이동보조기구(전동휠체

어·전동스쿠터), 수동휠체어, 의지·보조기, 보청기 등 4개 품목에 대한 산업 특성 분석

전동휠체어·전동스쿠터의 국내 산업 특성

•기업군 특징 : 기업 개체수는 적고, 소규모로 운영되고 있음

•판매방법 : 오프라인 방식

•판매전략 : 품질개선, 제품 A/S 강화, 상품 홍보지를 이용한 홍보

•시장 구조 : 공적급여 시장 의존도가 높으며, 수입제품의 비중이 큼

•정부 R&D관련 불참 요인 : 정부사업의 자격요건 미달, 기업에서 추진하는 R&D 방향과 적합한

사업이 없음

•정부 R&D 추진 방향 : R&D결과물에 대한 상품화 지원

•산업 육성 전략

- 자금 지원

- 정부 및 공공부문의 수요창출(공적급여 확대)

- 장애인보조기구 관련 제도 및 인프라 구축

•관련기업의 3년간 매출 규모

- 산업실태조사 참여 기업 355개 기업 중 57개 기업에서 판매(2009년 기준)

- 3년간 총 매출액 약 534억원

수동 휠체어의 국내 산업 특성

•기업군 특징 : 기업 수는 적고, 소규모로 운영되고 있음

•판매방법 : 오프라인 방식

•판매전략 : 품질개선, 원가 절감, 상품 홍보지를 이용한 홍보

•시장 구조 : 공적급여 시장 의존도가 높으며, 제품가격 경쟁력 요인으로 인해 수입 제품의 비중

이 큼

•정부 R&D관련 불참 요인 : 관련 정보 부족, R&D 전담 인력 부족

•정부 R&D 추진 방향 : R&D결과물에 대한 상품화 지원

•산업 육성 전략

- 정부 및 공공부문의 수요 창출(공적급여 확대)

- 자금지원

- 제도 및 인프라 구축

•관련기업의 3년간 매출 규모

- 산업실태조사 참여 기업 355개 기업 중 69개 기업에서 판매(2009년 기준)

- 3년간 총 매출액 약 372억원

Disability & Employment|2012. 11. 제22권 제4호(통권 77호)

31

의지·보조기의 국내 산업 특성

•기업군 특징 : 기업 수는 많으나, 소규모로 운영

•판매방법 : 오프라인 방식

•판매전략 : 품질개선, 원가 절감, 상품 홍보지를 이용한 판매전략 수립

•시장 구조 : 내수 시장 중심, 타 품목에 비해 수입의존도 낮음

•정부 R&D관련 불참 요인 : 관련정보 부족, 자격요건 미달, 자금 부족

•정부 R&D 추진 방향 : R&D관련 투자 증액, 기술이전, 결과물에 대한 상품화 지원

•산업 육성 전략

- 자금지원

- 제도 및 인프라 구축

- 정부 및 공공부문의 수요 창출(공적급여 확대)

•관련기업의 3년간 매출 규모

- 산업실태조사 참여 기업 355개 기업 중 265개 기업에서 판매

- 3년간 총 매출액 약 1,088억원

보청기의 국내 산업 특성

•기업군 특징 : 기업 수는 많으나, 소규모로 운영

•판매방법 : 오프라인 방식

•판매전략 : 품질개선, 원가 절감, 상품 홍보지를 이용한 판매전략 수립

•시장 구조 : 내수 시장 중심, 타 품목에 비해 수입의존도 낮음

•정부 R&D관련 불참 요인 : 관련정보 부족, 자격요건 미달, 자금 부족

•정부 R&D 추진 방향 : R&D관련 투자 증액, 기술이전, 결과물에 대한 상품화 지원

•산업 육성 전략

- 자금지원

- 제도 및 인프라 구축

- 정부 및 공공부문의 수요 창출(공적급여 확대)

•관련기업의 3년간 매출 규모

- 산업실태조사 참여 기업 355개 기업 중 265개 기업에서 판매

- 3년간 총 매출액 약 1,088억원

장애인보조기구산업 실태조사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