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4
우리나라의 산업위생 교과과정 자격시험 과목 현황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산업보건학과

우리나라의 산업위생 교과과정 및 자격시험 과목 현황 · 안전, 식품 및 보건위생, 기초공통, 소방)로 나누었고 대학교의 경우는 5가지 분야(산업위생,

  • Upload
    others

  • View
    1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우리나라의 산업위생 교과과정

및 자격시험 과목 현황

연세 대학교 보건대 학원

산 업보건 학과

김 태 호

우리나라의 산업위생 교과과정

및 자격시험 과목 현황

지 도 노 재 훈 교수

이 논 문을 보건학 석사 학 위논문 으로 제출함

200 1년 8월 일

연세 대학교 보건대 학원

산 업보건 학과

김 태 호

감사 의 글

어느덧 2년 반 이라는 짧지 않은 시간은 많은 추억과 여운을 남긴 채

나름 대로는 열심히 배우고 모든 일에 충실 하고자 노력 하였으나 지나간

세월은 항상 아쉽기만 합니다.

먼저 배움의 길을 열어 주시고 많은 이해와 관심으로 이끌어 주신 노재훈

교수님, 논문을 완성하기 까지 많은 지도와 조언을 아끼지 않으신 안규동

교수님, 노영만 교수님께 고개숙여 감사 드리며, 바쁘신 가운데서도 격려를

아끼지 않으신 김치년 선생님을 비롯하여 연구소에 계시는 모든 분들께도

감사 드립니다.

또한, 학업을 계속할 수 있도록 시간적인 배려를 해주신 최수홍 소장님,

박진우 과장님, 많은 업무에 시달리면서도 대신 업무를 처리해 주고 위로 해준

동료 직원들께 감사 드리며, 특히 논문 작성에 많은 도움을 주신 이순영님께

감사 드립니다.

아울러, 나의 일에만 동분서주하며 아비로서 미안한 마음 금할수 없는

아들 토현, 장선이와 부족한 이사람과 함께 하면서 어려울 때 같이 걱정하며

마음의 안정과 휴식처가 되어준 사랑하는 아내에게 감사를 드립니다.

마지막으로 자식의 일이라면 늘 걱정부터 하시는 부모님의 모습에 항상

웃음이 함께 하기를 기원 하면서 이작은 결실의 기쁨을 함께 나누고자 합니다.

2001년 8월

김 태 호 올림

차 례

국 문 요 약 ⅰ

Ⅰ . 서 론 1

Ⅱ . 조 사 대상 및 방법 4

1. 조사 대상 4

2. 조사 방법 5

Ⅲ . 조 사 결과 6

1. 분야별 교과목 취급 현황 6

2. 분야별 과목 명칭수 현황 8

3. 산업위생관련 교과목 취급 현황 10

4. 학교별 취급교과목 및 학점 현황 11

5. 자격시험의 과목 및 출제기준 14

6. 자격시험 출제기준과 교과목의 일치율 비교 17

Ⅳ . 고 찰 19

Ⅴ . 결 론 25

참고 문헌 27

부 록 28

영문 초록 33

표 차 례

표 1. 조사대상 학교 및 학과 현황 4

표 2. 주요 산업위생관련 교과목 취급 현황 10

표 3. 대학별 취급교과목 및 학점 12

표 4. 대학교별 취급교과목 및 학점 13

표 5. 자격시험의 필기시험 과목과 출제 기준 15

표 6. 자격시험의 실기시험 과목과 출제 기준 16

표 7. 산업기사시험 출제기준과 대학에서의 관련교과목 일치율 비교 17

표 8. 기사시험 출제기준과 대학교에서의 관련교과목 일치율 비교 18

그 림 차 례

그림 1. 대학의 분야별 교과목 취급 수 6

그림 2. 대학교의 분야별 교과목 취급 수 7

그림 3. 대학의 분야별 과목 명칭 수 분포 현황 8

그림 4. 대학교의 분야별 과목 명칭 수 분포 현황 9

국문 요약

우리나라의 산업위생분야는 1981년도에 산업안전보건법이 공포된 이후

에 본격적으로 활성화되기 시작하였다. 이에 따라 대학 및 대학교의 산업위생

관련 학과 및 교과목의 신설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그러나 최근에 와서는

점차 축소되어 일부 대학 및 대학교에서만 그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 대학(12개학과) 및 대학교(10개학과)의 산업

위생관련학과에서 취급하고 있는 교과목의 현황과 산업위생관련 자격시험

과목과의 관련성을 비교하고 산업위생 교과정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대학에서 취급하는 교과목의 총수는 384개였으며 이중 환경분야가

전체의 33.1%(127과목)로 가장 많았고 산업위생분야는 27.1% (104과목),

산업안전분야 14.3%(55과목), 식품 및 일반보건 10.6%(41과목), 소방분야

1.6%(6과목) 그리고 기타가 13.3%(51과목)이었다.

2. 대학교에서 취급하는 교과목의 총수는 385개 과목이며 이중 환경분야가

전체의 43.9%(169과목)로 가장 많았고 산업위생분야는 29.3%(113과목), 산업

안전은 7.0%(27과목), 식품 및 일반보건은 8.1%(31과목) 그리고 기타가

11.7%(45과목)이었다.

3. 대학에서 취급하고 있는 교과목의 명칭 수는 전체 219개였으며 이 중

환경분야가 전체의 32.9%(72과목)로 가장 많았고 산업위생분야는 21.9%(48과목),

산업안전은 16.9%(37과목), 식품 및 일반보건은 11.9%(26과목), 소방분야

2.7%(6과목) 그리고 기타 13.7%(30과목)이었다.

- i -

4. 대학교에서 취급하고 있는 교과목의 명칭 수는 전체 246개 과목이었

으며 이중 환경분야가 전체의 43.5%(107과목)로 가장 많았고 산업위생분야는

23.9%(59과목), 식품 및 일반보건이 13.0%(32과목), 산업안전 9.4% (23과목)

그리고 기타 10.2%(25과목)이었다.

5. 대학 및 대학교에서 취급되는 교과목중 산업위생학, 산업환기, 작업

환경측정 및 평가는 자격시험과목과의 일치율이 90% 이상이었으나 보호구,

노동생리, 직업성질환, 유해물질관리, 건강증진, 물리적 유해인자 등은 40%미만

이었다.

결론적으로 대학 및 대학교에서 다루고 있는 산업위생분야 교과목은

타 분야의 교과목에 비해 과목명칭 수 및 전체 취급숫자에서 뒤떨어져

있으며, 산업위생관련 자격시험의 시험과목과도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산업위생학회 및 관련단체에서 대학 및 대학

교의 교과정과 자격시험 출제기준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새로운 환경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교과목의 방향 제시가 필요하다.

핵심되는 말 : 산업위생, 교과목, 대학, 대학교

- ii -

Ⅰ . 서 론

우리나라에서 사업장의 산업보건과 관련된 법령의 효시는 1953년 5월10일

제정된 근로기준법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법은 제1공화국 헌법 제17조에 근거를

두고 제6장(10개조문, 제64조∼제73조)에 안전과 보건에 관한 사항을 포함하고

있으며 1981년에 산업안전보건법이 제정될 때까지 28년간 근로자의 안전과

건강을 보호하는 법률로서의 기능을 담당하였다.

근로기준법 제정을 통하여 표출된 산업안전보건분야에 대한 정부정책의 중

요한 변화는 사업장내에 산업재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안전보건조직 체제를

갖추도록 한 것이다. 1960년대는 정부에서 수출 주도형 공업화 기반조성과 기간

산업 및 사회간접시설 확충을 위해 본격적인 경제성장 정책을 추진함으로써

많은 사업장에서 산업재해가 다발 하였다. 그러나 정부의 행정력이 경제개발에

집중 됨으로써 산업재해예방 대책에 한계가 있었으나 근로안전관리규칙(1962년),

근로보건관리규칙(1961년)을 제정하여 사업장 안전보건관리의 기본 틀을 조성

하게 되었다. 또한 1963년에 보건사회부 노동국을 노동청으로 승격시키고 1966

년에는 안전보건업무 전담 부서를 설치하는 등 산업재해예방을 위한 노력이

계속 되었다(노동부, 1999).

우리나라 산업위생 활동은 1981년도에 산업안전보건법이 공포된 이후에 본격

적으로 활성화되기 시작하여 유해 작업장에 대하여 근로자건강진단과 작업환경

측정이 실시되어 왔다. 그러나 시행 초기에는 기업주와 근로자 모두가 산업보건

분야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였고 전문인력도 부족하였다. 따라서 산업보건서비스의

효과도 미흡하여 서비스에 대한 신뢰도가 낮았다(백남원, 1995).

- 1 -

이로 인하여 전문인력이 필요하게 됨에 따라 1984년도부터 산업위생관리

기사 2급과 1급, 1985년도부터는 산업위생관리기술사 제도를 도입하게

되었다. 이와 병행하여 많은 전문대학 및 대학교에서 산업위생 관련학과의

신설이 빠르게 진행되었다. 특히, 1991년도에 원진레이온에서 이황화탄소

중독에 의한 직업병이 발생하면서 산업보건 및 산업위생분야가 한 단계

발전되는 계기가 되어 1992년도에는 작업환경측정실시규정이 제정되는 등

1990년대 초반은 산업위생분야의 활동이 가장 활발한 시기였다. 그러나

산업위생관련 자격시험 시행 초기에는 보건행정관련학과, 환경관련학과,

산업위생 관련학과와 관련한 학과에서 산업위생관리기사는 핵심적인 자격증이

아니고 부수적으로 취득하는 자격 시험이어서 전문적인 산업위생관리자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대학에서 산업위생학과의 명칭은 1989년에 지산간호보건 전문대학(현

부산가톨릭대학교)에서 산업위생학과가 신설되면서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그 후 대전과 안동소재의 대학에서 산업위생과의 신설이 있었으나(백종민,

2001) 산업위생 관련학과 졸업생들의 취업률이 낮아지면서 현재는 경인여

자대학, 안동과학대학, 경산대학교, 인제대학교 등 일부의 대학 또는 대학

교만이 그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또한 산업위생관리기사의 경우 1993년에 합격자가 395명이던 것이 1998

년도에는 59명으로 줄었으며 산업위생관리산업기사의 경우 1994년도에 합격

자가 629명이던 것이 1998년도에는 172명으로 현격한 감소 추세에 있다

(한국산업인력공단, 1999). 이것은 정부에서 정책적으로 인력수급 조절을

위해 합격자를 줄일 수도 있으나 산업위생자격시험 출제기준과 대학 및

대학교의 교과정에 차이가 있어 발생된 문제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조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으며 산업위생분야 자격 취득자

- 2 -

들이 산업위생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산업위생 분야에 대한

교과목의 검토가 매우 시급한 실정이다. 그러나 산업위생분야 인력 및 자격

제도에 대한 조사는 있었으나 산업위생과 관련한 학과나 관련 교과목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대학, 대학교에서의 산업위생관련 학교

및 학과를 선정한 후 이들 학과에서 취급되고 있는 교과목을 조사하여 전체

과목 중 산업위생관련 과목의 분포와 취급현황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또한,

한국산업인력관리공단에서 시행하고 있는 산업위생관련 자격시험 과목의

출제기준과 산업위생관련 교과목과의 일치율을 비교하여 현행 산업위생

관련 교과목의 문제점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대학 및 대학교의 교과정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대학 및 대학교의 산업위생관련학과 교과목의 종류 및 분포를

조사한다.

둘째, 산업위생관리 자격시험의 출제기준과 교과목과의 일치율을 조사한다.

- 3 -

Ⅱ . 조사 대상 및 방법

1. 조사 대상

교육인적자원부로부터 우리나라의 대학 및 대학교에 대한 자료를 지원 받아

전국에 있는 대학(158개 대학 : 국공립 15개, 사립 143개교) 및 대학교(184개교

: 국공립 34개, 사립 150개교)를 대상으로 산업위생관련 학과를 보유하고 있는

37개 대학 40개학과, 36개 대학교 37개학과에 대한 교과목을 조사하였다.

조사대상 학교 및 학과에 대한 1차 조사결과 산업위생관련 과목이 전체

교과목 수에 비하여 10%가 되지 않는 학교 및 학과는 조사 대상에서 제외

하였다. 따라서 실제 조사 대상 학교 및 학과는 11개 대학 12개학과, 10개

대학교 10개학과로 하였다(표 1).

표 1. 조사대상 학교 및 학과 현황

대 학 대 학 교

학 교 명 학 과 명 학 교 명 학 과 명

A 산업안전보건과 a 환경보건학과

B 환경위생과 b 산업보건학과

C 보건환경위생과 c 산업안전보건학과

D 보건위생과 d 보건위생학과

E 산업보건과 e 산업위생학과

F 환경위생과 f 산업안전보건학과

G 환경보건학과 g 환경보건학과

H 환경위생과 h 환경공학과

I 산업안전과 i 환경보건학과

J 보건위생과 j 환경보건학과

K 산업안전보건학과

L 환경생명과학과

- 4 -

2 . 조사 방법

조사대상 학교 및 교과목에 대한 자료는 2001년도 봄 학기를 기준으로

하였으며 취급 교과목 중 교양과목 및 교직과목은 제외하였고 전공선택 및

전공필수와 인접선택 과목만을 조사하였다.

조사대상 학과의 교과과정은 하나의 분야에 대한 교과목만을 취급하지

않고 대부분이 2∼3가지 분야를 혼합한 교과목을 취급하고 있었다. 따라서

이들 교과목의 분류를 대학의 경우는 6가지 분야(산업위생, 환경, 산업

안전, 식품 및 보건위생, 기초공통, 소방)로 나누었고 대학교의 경우는

5가지 분야(산업위생, 환경, 산업안전, 식품 및 보건위생, 기초공통)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대학 및 대학교에 대한 각 분야별 취급 교과목을 정리하여 부록

1과 부록 2에 수록하였다.

- 5 -

Ⅲ . 조사 결과

1. 분야별 교과목 취급현황

가. 대학의 분야별 교과목 취급현황

조사대상 11개 대학 12개 학과에서 취급하는 모든 교과목의 합은 384개

였다. 환경분야가 전체의 33.1%(127과목)로 가장 많으며 산업위생분야는 104

과목으로 전체의 27.1% 였다(그림 1).

그림 1. 대학의 분야별 교과목 취급 수

- 6 -

나. 대학교의 분야별 교과목 취급현황

조사대상 10개 대학교 10개 학과에서 취급하고 있는 모든 교과목의 합은

385개였다. 환경분야가 전체의 43.9%(169과목)로 가장 많았으며 산업위생분야

는 113개 과목으로 전체의 29.3% 였다(그림 2).

그림 2. 대학교의 분야별 교과목 취급 수

- 7 -

2 . 분야별 과목 명칭 수 현황

가 . 대학

대학에서 취급하고 있는 과목명칭은 총 219개였다. 환경분야가 전체의

32.9%(72개 과목)로 가장 많았고 산업위생분야는 21.9%(48개 과목)였다. 그

다음으로 안전분야가 16.9%(37개 과목), 기타기초과목이 13.7%(30개 과목), 식

품 및 보건 11.9%(26개 과목), 소방분야 2.7%(6개 과목)순 이었다 (그림 3).

그림 3. 대학의 분야별 과목 명칭 수 분포 현황

- 8 -

나 . 대 학교

대학교에서 취급하고 있는 과목명칭은 총 246개였다. 환경분야가 전체의

43.5%(107개 과목)로 가장 많았고 산업위생분야는 59개 과목으로서 23.9%에

불과하였다. 그 다음으로 식품 및 보건분야가 13.0%(32개 과목), 기타기초과

목이 10.2%(25개 과목), 산업안전 9.4%(23개 과목)순 이었고 대학에서 취급

하는 소방분야의 교과목은 취급하고 있지 않았다(그림 4).

그림 4. 대학교의 분야별 과목 명칭 수 분포 현황

- 9 -

3 . 산업위생관련 교과목 취급 현황

조사대상 학교(대학 및 대학교)의 22개 학과에서 취급되고 있는 산업위

생관련 교과목 중 가장 많이 취급하는 것은 산업환기로서 조사대상의 모든

학과에서 취급되고 있었다. 산업위생학, 작업환경측정 및 평가, 작업환경측정

관리 등도 대부분의 학교에서 교과목으로 취급하고 있었으나 유해물질관리,

보호구, 건강증진, 산업심리 등을 취급하는 학교는 많지 않았다(표 2).

표 2. 주요 산업위생관련 교과목 취급 현황

과 목 명 계 대 학 대 학 교

산업독성 (중독)학 13* 4 9

산업위생학 21 11 10

산업환기 22 12 10

인간공학 10 3 7

작업 (산업)환경관리 14 11 3

작업환경측정(평가) 20 12 8

산업보건학 (관리) 8 2 6

직업성질환 6 2 4

실내공기오염 8 2 6

유해물질관리 3 2 1

보호구 6 3 3

소음진동 10 5 5

산업안전보건법 10 5 5

기기분석및실험 9 4 5

건강증진 3 1 2

산업심리학 7 4 3

*, 취급학과 수

- 10 -

4 . 학교별 취급교과목 및 학점 현황

가. 대학

조사대상 12개 학과에서 취급하는 산업위생관련 교과목중 작업환경측정

및 평가와 산업환기는 모든 학과에서 취급하였고 산업위생학, 작업환경관리

도 11개 학과에서 교과목으로 취급했다. 그러나 산업보건, 직업성질환, 유해

물질관리, 실내환경오염은 2개 학과에서 교과목으로 취급하고 있었다.

교과목에 대한 학점분포는 산업위생학, 작업환경관리, 산업환기는 2학점과

3학점이 고루 분포되어 있으나 인간공학, 소음진동, 산업심리는 모두 2학점

이었다.

한편, 작업환경측정 및 평가 의 경우 평가까지를 포함하지 않고 작업환경

측정만을 교과목으로 취급하는 학과가 7개였다(표 3).

나. 대학교

조사대상 10개 학과에서 취급하는 산업위생관련 교과목 중 산업위생학과

산업환기는 모든 학과가 취급하였고 산업독성학 9개, 작업환경측정 및 평가는

8개 학과에서 교과목으로 다루고 있었다. 그러나 유해물질관리 1개, 건강증진 2

개, 노동생리 2개, 작업환경관리는 3개 학과에서 취급하였다.

교과목에 대한 학점분포는 대학과는 달리 인간공학, 작업환경측정 및 평가

는 모두 3학점이었으며 나머지 교과목의 경우도 3학점이 많았다(표 4).

- 11 -

표 3. 대학별 취급교과목 및 학점

구 분

A B C D E F G H I J K L

산업

안전

보건

산업

안전

보건

산업

안전

보건

위생

환경

위생

환경

보건

환경

위생

산업

보건

보건

위생

보건

환경

위생

환경

위생

환경

생명

산업위생학 3* 3 2 3 2 3 2 - 3 2 3 3

안전보건

법 규3 2 2 - - - - 3 - - 3 -

산업심리 2 2 2 - - - - 2 - - - -

인간공학 2 - 2 - - - - 2 - - - -

작업환경

관 리2 3 2 3 2 3 2 3 3 2 - 2

보 호 구 1 - 2 - - - - 2 - - - -

작업환경

측정 및 평가(1)* * 3 (2) 2 (2) 2 2 (3) 2 (2) (2) (2)

산업환기 2 3 2 3 2 3 2 3 3 2 3 2

산업보건 - 3 - - - - - 3 - - - -

기기분석

실 험- 3 - 2 - 1 2 - - - - -

산업독성

(중 독)- 3 - 2 - - - 2 - - 3

직 업 성

질 환- 2 - - - - - 2 - - - -

유해물질

관 리- 3 - - - - - 2 - - - -

소음진동 - - 2 2 - - - - 2 2 - 2

건강증진 - - - - - - - 2 - - - -

실내환경

오 염- - - - - - 2 - - - - 2

* , 학점수 ; * * , 작업환경측정만을 교과목으로 취급하는 경우

- 12 -

표 4. 대학교별 취급교과목 및 학점

구 분

a b c d e f g h i j

환경

보건

산업

보건

산업

안전

보건

보건

위생

산업

위생

산업

안전

보건

환경

보건

환경

공학

환경

보건

환경

보건

산업위생학 2* 3 3 3 3 3 3 3 3 3

안전보건

법 규- 2 3 - 2 3 3 - - -

산업심리 - - 3 - 2 3 - - - -

인간공학 - 3 3 3 3 3 - 3 3 -

작업환경

관 리2 - - - - 3 - - - 3

보호구 - - 3 - 2 3 - - - -

작업환경

측정(평가)- 3 3 3 3 3 3 3 3 -

산업환기 2 3 3 3 3 3 3 3 3 3

산업보건 2 3 - 3 - 3 - 3 3 -

기기분석

실 험- 3 3 - 2 3 - - 3 -

산업독성

(중 독)2 3 3 3 3 3 3 - 3 3

직업성질환 - - - - 3 3 - 3 3 -

유해(화학)물질관리

- - 3 - - - - - - -

소음진동 2 - 3 - 3 - - 3 - 3

건강증진 - - 2 - 3 - - - - -

실내환경

(공기)오염- 3 3 - 2 3 - 3 3 -

노동생리 - - 3 - 3 - - - - -

보건교육 - - - 3 2 - 3 - - -

* , 학점수

- 13 -

5 . 자격시험의 과목 및 출제기준

가. 산업위생관리산업기사

산업위생관리산업기사의 검정기준은 산업위생관리에 관한 기술 기초이론

지식 및 숙련기능을 바탕으로 복합적인 기능업무를 수행 할 수 있는 능력의

유무를 평가하는 것이며, 시험과목은 필기시험과 실기시험으로 구분된다.

필기시험과목은 산업위생학개론 등 4과목이고 출제기준은 노동과 건강, 산업

피로 등 13종류이다(표 5). 실기시험과목은 작업환경관리실무이고 출제기준

은 작업환경측정 및 평가, 작업환경관리 등 5종류이다(표 6).

나. 산업위생관리기사

산업위생관리기사의 검정기준은 산업위생관리에 관한 공학적 기술이론

지식을 가지고 설계, 시공, 분석 등의 기술업무를 수행 할 수 있는 능력의

유무를 측정하는 것이다. 시험과목은 산업기사와 마찬가지로 필기시험과

실기시험으로 구분된다. 필기시험은 산업위생학개론 등 5과목이고 출제 기준

은 인간공학, 개인보호구 등 18종류이고(표 5) 실기시험과목 및 출제기준은

산업기사와 동일하다(표 6).

- 14 -

표 5. 자격시험의 필기시험 과목과 출제 기준

산 업 위 생 관 리 기 사 산업위생관리 산업기사

시 험 과 목 출 제 기 준 시 험 과 목 출 제 기 준

산업위생학개론 산업위생

인간공학

관계법규

산업재해

산업위생학

개론

산업위생

산업피로

노동과 건강

작업환경측정

및 평가

측정 및 분석

유해인자측정

평가 및 통제

작업환경측정

및 평가

측정원리

분진측정

유해인자측정

작업환경

관리대책

산업환기

작업공정관리

개인보호구

작업환경관리 분진 및

유해화학물질

물리적유해인자

보호구 및

노동생리

물리적 유해

인자 관리

온열조건

이상기압

소음진동

방사선

산업환기 환기원리

전체환기

국소환기

환기시스템

산업독성학 분진및부유입자

유해화학물

중금속

인체구조및대사

- 15 -

표 6. 자격시험의 실기시험 과목과 출제 기준

산업위생관리기사 산업위생관리 산업기사

시험과목 출제기준 시험과목 출제기준

작업환경

관리실무

작업환경측정 및 평가

작업환경관리

환기일반

전체환기

국소환기

작업환경

관리실무

작업환경측정 및 평가

작업환경관리

일반환기

전체환기

국소환기

- 16 -

6 . 자격시험 출제기준과 교과목의 일치율 비교

가. 대학

출제기준 중 산업환기와 작업환경측정 및 평가는 모든 대학에서 취급하고

있었다. 그러나 작업환경관리의 출제기준인 보호구, 노동생리, 물리적 유해

인자에 대한 관련 교과목의 일치율은 낮았다(표 7).

표 7. 산업기사시험 출제기준과 대학에서의 관련교과목 일치율 비교

시 험 과 목 출 제 기 준 관련교과목 및 일치율

산업위생학

개론

산업위생

산업피로

노동과 건강

산업위생학(91.7%)*

직업성질환(25%)

인간공학(16.7%)

산업독성학(33.3%)

산업심리(25%)

작업환경측정

및 평가

측정원리

분진측정

유해인자측정

작업환경측정(100%)

작업환경측정및평가(41.7%)

기기분석 및 실험(33.3%)

작업환경관리 분진 및 유해화학물질

물리적유해인자

보호구 및 노동생리

작업환경관리(91.7%)

보호구(25%)

유해물질관리(16.7%)

소음진동(41.6%)

산업환기 환기원리

전체환기

국소환기

환기시스템

산업환기(100%)

* , 전체 조사대상 학과수중 관련교과목을 취급하는 학과수의 백분율

- 17 -

나. 대학교

산업위생학개론과 작업환경측정 및 평가의 출제기준에 대하여 대학교에서

다루는 관련교과목의 일치율은 높았다. 그러나 물리적유해인자관리의 출제기

준인 이상기압, 방사선, 소음진동 등에 대한 관련 교과목의 일치율은 관련

교과목을 취급하지 않거나 낮았다(표 8).

표 8. 기사시험 출제기준과 대학교에서의 관련교과목 일치율 비교

시험과목 출제기준 관련교과목 및 일치율

산업위생학개론 산업위생

인간공학

관계법규

산업재해

산업위생학(100%)*

인간공학(70%)

관계법규(50%)

산업심리(30%)

직업성질환(40%)

작업환경측정

및 평가

측정 및 분석

유해인자측정

평가 및 통제

작업환경측정및평가(80%)

기기분석및실험(50%)

작업환경

관리대책

산업환기

작업공정관리

개인보호구

산업환기(100%)

작업환경관리(30%)

공정안전(10%)

개인보호구(30%)

물리적유해

인자관리

온열조건

이상기압

소음진동

방사선

소음진동(50%)

산업독성학 분진및부유입자

유해화학물

중금속

인체구조및대사

산업독성학(90%)

유해화학물질관리(10%)

노동생리(20%)

* , 전체 조사대상 학과수중 관련교과목을 취급하는 학과수의 백분율

- 18 -

Ⅳ . 고 찰

산업위생 관련학과 및 관련과목에 대한 정의는 교육인적자원부나 관련 단체

에서도 언급되어 있지 않았다. 본 조사에서 산업위생 관련과목이라 함은

산업위생관리산업기사 및 기사시험의 시험과목 및 출제기준에 수록된 과목을

산업위생 관련과목으로 정의하였고 산업위생 관련학과는 산업위생 관련 교과

목을 2과목이상 취급하는 학과로 정의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 및 대학교에서 취급하고 있는 산업위생 관련 교과목은

어떤 종류가 있으며, 어느 정도를 다루고 있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들 교과목이 산업위생관리기사와 산업기사의 시험과목 출제기준과 어느

정도 일치하는지를 조사하였다. 그러나 학교에서 취급되는 교과목이 자격

시험과목 및 출제 기준과 반드시 일치해야 한다는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대학 및 대학교에서의 산업위생 관련 교과목은 학문을 위하여 취급하는

것이지 반드시 자격시험을 목적으로 다루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그러나 산업위생관리산업기사 및 기사에 응시할 수 있는 자격이 대학 및

대학교 졸업과 동시에 주어지게 되므로 산업기사와 대학, 기사와 대학교를

연관시킬 필요성은 있다. 따라서 산업위생관리기사 및 산업기사의 출제기준과

시험과목이 대학 및 대학교에서의 취급교과목과 어느 정도는 상관관계가

있어야 한다. 또한 학교에서 배우게되는 교과목이 학문 자체로서만 의미가

있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 산업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어야 하며 산업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기준을 정부에서는 자격제도를 통해 각 자격별 역할을 정하고

있다. 또한, 그 자격을 취득하기 위하여 어떠한 과목 또는 내용을 공부해야

- 19 -

하는지에 대하여 기준을 두고 있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산업위생 관련학과에서 취급하는 교과목은 하나의 분야만을 취급

하는 경우는 적었으며 대학의 산업위생관련학과에서 취급하는 교과목의 분야는

환경분야, 산업위생분야, 산업안전분야, 식품 및 보건분야, 소방분야 등 다양하며

이들 분야 중 2∼3가지 분야를 혼합하여 여러 가지 교과목을 취급하고 있었다.

조사대상 대학의 산업위생관련학과에서 다루는 총 과목수는 384개로 환경분야가 전체

의 33.1%(127과목)로 가장 많은 수의 교과목을 다루고 있었으며 산업위생분야는

27.1%(104과목), 산업안전분야 14.3%(55과목), 식품 및 보건분야10.6%(41과목),

소방분야1.6%(6과목)순으로 각 분야의 교과목을 다루고 있었다. 산업위생관련

학과에 대한 교과목을 조사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산업위생분야가 환경분야

보다 적은 수의 교과목을 취급하고 있었으며 이 같은 현상은 대학교에서 더 심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한편, 대학교에서 취급하는 과목 명칭 수는 총 246개로

환경분야가 전체의 43.5%(107과목)이며 산업위생은 23.9%(59과목)로서 순수한

과목 수 즉, 과목명칭 수에 있어서도 환경분야가 산업위생분야보다 많은 비율이

었다. 이와 같이 산업위생분야의 학과에서 취급하는 교과목이 전체 수에서 뿐 만

아니라 과목명칭 수에서도 산업위생분야가 환경분야보다 낮은 비율이었다.

우리나라의 자체 보건관리자 선임자수는 3,457명으로 간호사가 1,420명

(41.1%), 환경관리는 1,393명(40.0%)이며 산업위생은 356명(10.3%)으로 가장

적은 수의 비율이다(노동부, 2001b). 이러한 결과는 2000년도까지 산업위생관련

자격자 수가 기술사 111명, 기사 2,162명, 산업기사 2,957명으로 총 5,230명

의 인원이 배출되었으나(한국산업인력관리공단, 2001)실제로 취업하고 있는

인원은 적다는 것을 설명하고 있는 것이다. 산업위생관련 학과를 졸업하고

산업위생관련 자격을 취득하여도 취업이 어렵기 때문에 학교에서는 환경,

- 20 -

안전 등 타 분야를 병행하여 교과목을 편성하고 있다.

1993년도에 제정되고 이후 수 차례 개정되어진 기업활동규제완화에관한

특별조치법에 의하여 사업장 보건관리자 선임의무가 완화되었다. 이에 따라

사업장에서는 환경보전법에 의한 환경기사와 산업안전보건법에 의한 보건

관리자가 동시에 선임 가능한 대기환경기사를 선호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다량의 유해화학물질 사용 사업장이 아닌 경우에는 대부분 산업위생자격자

보다는 간호사를 보건관리자로 선임하는 추세이다. 또한 사업장 자체측정 및

관리가 활성화되지 않고 있어 점점 더 산업위생관련 졸업생들은 취업이

어려워지고 영역이 좁아짐으로서 산업위생 관련학과 및 과목이 감소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몇 가지 사례를 보면 대학원의 경우 동덕여자대학

교는 1998년도까지만 해도 산업보건학과가 운영되고 있었으나 1999년도부터

산업보건학과가 폐지되고 보건관리학과로 학과의 명칭 및 교과목이 변경되었다.

대학교의 경우 인제대는 1992년도에 산업보건학과를 개설한 이후 1995년에

산업안전보건학과로 명칭 및 교과목을 변경하였으며 고신대의 경우도 1985년도

보건학과를 개설한 이후 1999년도에 환경보건학과로 변경하였다.

보건관리자의 직무중 산업위생관리분야에서 해야할 업무는 보호구의 구입시

적격품의 선정, 물질안전보건자료의 게시 또는 비치, 근로자 보건교육 및

건강증진지도, 전체환기장치 및 국소배기장치 등에 관한 설비의 점검과 작업

방법의 공학적 개선·지도, 직업병발생의 원인조사 및 대책수립, 산업재해에

관한 통계의 유지·관리를 위한 지도·조언, 작업관리 및 작업환경관리에 관한

사항 등이 있다(산업안전보건법 제16조). 그러나 대학이나 대학교에서 취급하고

있는 교과목 중 보호구 및 직업성질환은 6곳, 유해물질관리는 3곳으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교과정을 이수하고 산업위생관련 자격을 가진 보건관리자는

- 21 -

직무를 제대로 수행하기 어렵다. 또한, 우리나라의 작업환경측정 사업장

22,742개소 중 소음이 발생되고 있는 사업장은 20,882개소로서 전체의 90.2%를

차지하고 있으나(노동부, 1999) 소음진동을 별도의 필수교과목으로 다루는

학교는 조사대상 학교의 45.5%이다. 이 같은 사실은 산업안전보건법상 보건

관리자의 직무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의 작업환경실태에 대한 현실을 외면한

교과목 편성이라고 할 수 있다.

세계보건기구(WHO)에서 권장하는 산업위생과 관련한 교과목은 basic

requirement와 supporting knowledge, core content 등으로 구분하고 있다.

Supporting knowledge는 독성학, 작업생리학, 직업성질병, 통계학, 역학,

인간공학, 산업심리학, 안전공학, 산업보건학이며 core content는 산업위생

학개론, 유해성인지, 물리적인자의 평가 및 관리, 화학적인자 측정 및 평가,

분석화학(기기분석, 분석기법), 생물학적모니터링, 작업환경관리대책, 산업환기,

산업위생프로그램의 조직 및 관리 등이다(김현욱, 2001). 그러나 조사대상

대학 및 대학교의 22개 학과에서 취급하고 있는 교과목 중 인간공학은 10개

학과, 산업심리학 7개 학과 직업성질병 6개 학과였으며 생물학적모니터링을

다루는 곳은 없었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산업위생관련 대학 및 대학교에서

취급하는 교과목이 WHO에서 권장하는 산업위생교과목과는 많은 차이가

있었다.

산업위생관리산업기사 및 기사의 시험과목은 필기시험과 실기시험으로

나누어 시행되며 자격시험 중 실기시험의 내용 및 방법에 있어서 문제은행

형태의 시험으로 출제하고 있어 산업현장에서 요구하는 현장 활용성이

미흡하고 시험출제 방식도 암기내용의 단편적인 평가로 이루어져 현장적용 가능

성이 낮은 내용이 출제되고 있다(조정윤 등, 1998a). 시험의 난이도는 차이가

- 22 -

있을 수 있으나 기사 및 산업기사 모두 시험과목이 같을 뿐만 아니라 출제

기준도 기사가 산업기사에 비하여 산업심리, 노동생리, 유체역학등의 과목

이 추가된 것 외에는 동일하다(한국산업인력관리공단, 1999). 특히, 자격시

험의 출제 기준과목과 교과목과의 일치정도를 비교해 보면 산업위생학, 산업

환기 등은 90%이상이었으나 유해 화학물질관리, 노동과 건강, 방사선, 이상

기압 등은 20%미만이거나 교과목으로서 취급하지 않았다.

한편, 현재 우리나라의 산업위생분야의 자격증은 자격 취득자가 현장에서

필요한 직무수행 능력을 소유하고 있는지 정확히 평가되지 못하고 있다(정태화

등, 1998). 또한 산업위생분야 자격이 근로자의 건강과 직결되는 직무를 수행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 분야 자격에 대한 중요성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으며(조정윤 등, 1998b )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한번 취득한 자격은 그

분야에 종사하지 않더라도 평생 유효한 자격으로서 유지되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들 문제에 대한 해결 방향은 자격시험의 실기검정 필답형 시험을

현장평가 위주의 시험 출제가 이루어지도록 실기시험을 산업현장 실무위주의

검정내용과 방법으로 바꾸어야 한다(박종성 등, 1999).

최근 생활습관의 변화와 근로인구의 중·고령화, 과중한 업무 또는 직무 스트레스

등에 기인한 기초질환이 작업관련 뇌심혈관계 질환으로 발전·악화되는 사례가

1997년도에 343명에서 2000년도에는 1,666명으로 증가 추세에 있다. 요통환자

의 경우도 1999년도에 183명에서 2000년도에는 421명으로 증가하고, 경경완

장애 등의 신체부담으로 인한 질병은 1999년도에 161명이었던 것이 2000년도

에는 394명으로 증가하는 등(노동부, 2001a) 예전에는 중요하지 중요하게 다루지

않았던 새로운 질병 또는 질환이 사회 문제화 되기 시작하고 있다. 그러나 학교

에서 이와 관련한 교과목을 취급하고 있는 경우가 적어 이 분야의 교과목에

- 23 -

대하여도 새롭게 개설 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또한, 노·사 관계의

주요 쟁점은 대개 고용, 임금, 근로조건, 작업환경 등의 문제이며 이러한 문제는

경제체제와 밀접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다(작업환경측정기술협의회, 1999).

일반적으로 산업안전 뿐 만 아니라 산업보건 및 산업위생의 문제는 노사관계에

있어서 논쟁의 목적이 되지 못하고 항상 임금인상이나 고용문제 등의 협상을

위한 수단으로 이용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경제가 어려워지고 인력수급의

불균형이 이루어지면서 이 문제는 앞으로도 많은 문제점으로 남게 될 것이다.

그러나 산업위생 과목으로 노동경제학이나 노사관계와 관련된 교과목은 찾아 볼

수 없다. 따라서 기존의 틀에서 벗어나 새로운 환경과 수요에 맞도록 노동

경제학이나 노사관계학도 함께 다루어야 할 것이다.

이번 조사는 전공별 학습목표를 정확히 파악하지 못하였을 뿐 만 아니라

과목별 세부 내용을 파악하지 못한 상태에서 교과목의 제목만으로 각 분야의

관련성을 판단하였다. 따라서 앞으로 교과목의 세부내용을 정확히 파악하고 각

학과의 학습목표를 파악한 후 대학원과 외국의 산업위생 관련학과에 대한

교과목을 조사하여 좀더 구체적이고 발전적인 교과목 편성과 앞으로 산업

위생이 나아갈 방향의 제시가 필요하다.

- 24 -

Ⅴ . 결 론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 소재하고 있는 산업위생 관련 11개 대학(12개학과)과

10개 대학교(10개학과)에 대하여 교과목의 종류, 교과목의 분야별 분포,

산업위생교과목의 취급정도를 조사하였다. 또한 산업위생관련 자격시험

과목과 산업위생관련 학과에서 다루는 교과목과의 비교를 통해 관련교과목의

일치율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에서 취급하는 교과목의 총 수는 384개였으며 이 중 환경분야는

전체의 33.1%(127과목)로 가장 많았고 산업위생분야는 27.1% (104과목),

산업안전분야가 14.3%(55과목), 식품 및 일반보건은 10.6%(41과목), 소방

분야는 1.6% (6과목) 그리고 기타가 13.3%(51과목)였다.

둘째, 대학교에서 취급하는 교과목의 총 수는 385개 과목이며 이 중 환경

분야는 전체의 43.9%(169과목)로 가장 많았고 산업위생분야는 29.3%(113과목),

산업안전은 7.0%(27과목), 식품 및 일반보건은 8.1%(31과목) 그리고 기타가

11.7%(45과목)이었다.

셋째, 대학에서 취급하고 있는 교과목의 명칭 수는 전체 219개 이었으며

이중 환경분야가 전체의 32.9%(72과목)로 가장 많았고 산업위생분야는

21.9%(48과목), 산업안전은 16.9%(37과목), 식품 및 일반보건은 11.9%(26과목),

소방분야 2.7%(6과목) 그리고 기타 13.7%(30과목)이었다.

넷째, 대학교에서 취급하고 있는 교과목의 명칭 수는 전체 246개 과목

이었으며 이중 환경분야가 전체의 43.5%(107과목)로 가장 많았고 산업위생

- 25 -

분야는 23.9%(59과목), 식품 및 일반보건이 13.0% (32과목), 산업안전

9.4%(23과목) 그리고 기타 10.2%(25과목)이었다.

다섯째, 대학 및 대학교에서 취급되는 교과목중 산업위생학, 산업환기

등은 자격시험과목과의 일치율이 90% 이상 이었으나 보호구, 노동생리,

직업성질환, 유해물질관리, 건강증진, 물리적 유해인자 등은 40%미만 이었다.

결론적으로 대학 및 대학교에서 다루고 있는 산업위생분야 교과목은

타 분야의 교과목에 비해 과목명칭 수 및 전체 취급숫자에서 뒤떨어져

있으며, 산업위생관련 자격시험의 시험과목과도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산업위생학회 및 관련단체에서 대학 및 대학

교의 교과정과 자격시험 출제기준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새로운 환경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교과목의 방향 제시가 필요하다.

- 26 -

참고 문헌

김현욱. 국내 및 국외대학원의 교과과정. 2001년도 춘계학술대회 연제집

2001; 21- 37

노동부. 2000년도 산업재해현황, 2001a

노동부. 보건관리자 선임현황, 2001b

노동부. 알기쉬운산업보건관리, 1999

노동부. 제1차 산업재해예방 5개년계획(안), 1999

작업환경측정기술협의회. 사회·경제적 체제 변화에 따른 산업보건의 변화와

대책. 산업위생관리기사 연수교육 자료집 1999; 241- 263

박종성, 김현욱, 원정일. 산업위생분야 국가자격제도의 운영현황과 발전방안.

산업위생학회지 1999; 9(2): 32- 51

백남원. 산업위생학개론. 신광출판사, 1995

백종민. 대학의 교과과정. 2001년도 한국산업위생학회 춘계학술대회 연제집

2001; 9- 12

정태화, 신명훈, 조정윤, 이정표, 박종성, 김상진, 김현수, 박동열, 박윤희,

양미란, 박태준, 김수원. 자격제도의 종합적 실태분석과 개선방안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998; 199- 264

조정윤, 박종성, 김현수, 박윤희. 21세기를 향한 국가기술 자격제도의 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998a ; 189- 258

조정윤, 정태화, 김현수, 박동열, 박윤희, 박종성, 신명훈. 국가기술자격취득

에 따른 학점인정방안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998b ; 140- 165

한국산업인력관리공단. 국가기술자격검정출제기준표, 1999

한국산업인력관리공단. 국가기술자격검정통계연보, 2001

- 27 -

부 록

1- 1 . 대학의 분 야별 교과목 분류표

1- 2 . 대학의 분 야별 교과목 분류표 (계속 )

2 - 1 . 대학교 의 분야별 교과목 분류 표

2 - 2 . 대학교 의 분야별 교과목 분류 표 (계속 )

- 28 -

부록 1- 1. 대학의 분야별 교과목 분류표

분야별 과목명

산업위생 (실무)학(개론), 산업안전보건법규, 노동관계법규, 산업심리학,

인간공학, 작업환경관리 (실습), 작업환경측정(실험), 작업환경측정 (분석)

및평가, 작업환경측정기법및실습, 보호구실무, 산업환기 (기술)(공학), 산

업보건(학)개론, 기기분석 (및실험), 산업 (독성)중독학, 현장실습* , 재해사

례분석, 직업 (성질환)병, 유해물질관리, 산업환경물질분석, 산업환경측정

실험, 산업안전보건세미나, 산업환경정보, 산업심리(및교육실습), 소음진

동 (학)* , 소음진동 (공학개론)방지공학* , 정량분석및실험, 위생설계및실습,

위생시공및실무, 실내환경오염(관리), 안전보건심리및교육, 노동생리학,

건강증진, 산업보건실무,

대기환경개론, 대기오염(실험)개론, 대기오염측정, 대기오염방지기술, 대

기오염제어, 대기오염실험, 대기위생공학, 환경화학(및실험), 환경생태학

(및실습), 환경기상학, 유체역학, 환경토양학, 토양오염, 수질환경개론, 수

질오염(개론), 수질오염방지기술, 수질오염공정시험법, 수질오염분석실험,

수질오염측정, 환경미생물학 (및실험), 환경생리학, 환경공학 (연습), 환경

공학설계실습, 환경생물학 (및실험), 환경위생(학)(세미나), 환경위생학실

험, 환경위생 (학)실험, 먹는물시험법, 하수관리 (실험), 상하수도공학, 환경

양론, 수질시험법, 환경유해성관리, 환경 (행정및)관계법규, 환경보건연습,

환경독성학, 생활폐기물관리, 환경영향평가 (실습)론, 폐수처리(공학), 폐

기물처리 (실험)(공학), 폐기물개론, 폐기물오염개론, 급배수관리, 환경변

이원성실험, 환경오염공정시험법, 환경오염방지실험, 환경생명과학, 환경

생명분석화학, 환경유체역학, 환경전산CAD실습, 자원재생학, 현장실습* ,

소음진동 (학)* , 소음진동(공학개론)방지공학*

*, 각 분야별 공통과목

- 29 -

부록 1- 2. 대학의 분야별 교과목 분퓨료 (계속)

분야별 과목명

보건

식품

위생

분야

위생화학 (및실험), 식품위생학(및실험), 위생미생물(실험)학, 식품화학, 인

체생리학, 식품위생실험, 위생해충학및실험, 위생관계법규, 방역소독실무,

전염병관리 (학), 기생충학시험, 인체조직학, 영양화학, 식품첨가물, 식품

분석법, 위생해충학 (실험), 위생곤충학및실습, 위생해충관리및실습, 위생

설계및시공실습, 역학및전염병, 해부생리학

산업

안전

분야

생산 (운영)관리, 건설공학개론, 응급구조실습, 공업제도실습, 산업안전관

리론, 산업안전관리실무, 산업안전실무, 산업안전연습, 기계공학개론, 기

계안전(공학), 기계안전실습, 전기공학개론, 전기안전 (공학), 전기안전실

습, 시스템안전 (공학), 건설재료학, 건설안전실무, 건설안전공학, 건설안

전및실습, 건설시공학, 건설안전구조학, 화공안전및실습, 화공안전공학,

무재해추진실무, 안전교육실무, 가스안전공학, 산재보상보험법, 설계제도,

위험물질론, 위험예지훈련, 위험물시설론, 가스안전및법규, 산업재해방지,

소방

분야

소방원론, 응급구조실습, 소방유체및약제, 소방시설개론, 소방유체역학,

소방실무,

기타

기초

분야

전산학실무, CAD실무, 산업영어, 전공영어, 공중보건학, (보건)통계학,

의학용어, (일반)물리학, 생물학, 생화학, 유기화학, 분석화학(및실험), 미

생물학및실험, 컴퓨커응용, 보건학개론, 보건화학, 보건물리학, 물리화학,

생리학, 응급처치학, Autocad실습, W ordprocess실습, 일반화학, 기초물

리, 일반물리학, 자료처리학, 보건전산시스템

- 30 -

부록 2- 1. 대학교의 분야별 교과목 분류표

분야별 과목명

소음진동 (학)* , 작업환경허용기준, 직업노출평가, 직업역학및실습, 국소환

기설계, 산업보건정책론, (산업)인간공학, 산업사회학, 산업환경실습, 산

업위생실습 (실무), 산업중독 (독성)학, 산업심리학, 산업위생학(개론)(실

험), 산업환경관리, 산업미생물학및실험, 산업안전보건법(규), 보건및산업

위생법규* , 산업보건학특론, 산업보건학 (개론), 산업환경보건학, 산업환기

(기술)(공학)(실험), 산업위생관리, 산업보건통계, 작업환경측정및평가, 작

업환경관리및측정, 산업(환경)역학, (호흡기)보호구, 작업환경측정실험,

실내공기오염론 (제어), 기기분석 (이론)및실험, 직장건강관리, 환경보건안

전경영* , 노동생리학, 보건교육, 안전보건교육론, 작업환경분석실험, 직업

병관리론, 직업성질환, 산업환경과질병, 보호장비개론, 건강증진론, 사업

장보건관리실무, 작업환경측정실무, 실내환경관리,

환경보건학 (개론), 환경과학 (실험)개론, 환경유기화학, 유체역학, 환경분

석화학(실험), 수질오염 (개)(론), 수화학, 환경단위조작, 응용환경화학,

연소공학, 환경위생학 (개론), 수질오염분석(실험), 환경미생물학(실험), 환

경철학, 대기오염론(학)(방지), 대기오염개론, 대기오염 (방지)제어공학, 인

간 (환경)생태학, 도시환경계획및관리, 환경학일반, 폐수처리 (공학)(설계),

수질관리개론, 수처리실험, 수질분석, 환경기기분석, 환경 (기초)화학 (실

험), 환경기술, 환경 (관계)법규, 환경정보관리, 환경독물학, 환경독성학,

환경경제학, 환경계획및영향평가, 환경계획및관리학, 환경행정학, 환경공

학및설계, 환경공학개론(설계), 환경공업교재연구및지도, 환경분석및실험,

환경양론, 폐기물처리론 (공학), 폐기물 (관리)학, 환경위해성관리(평가), 환

경오염론, 환경교육론, 대기및폐기물관리, (지구)환경생태학, 수질대기시

험법, 공해병관리, 진동방지공학및실험,

*, 각 분야별 공통과목

- 31 -

부록 2- 2. 대학교의 분야별 교과목 분류표 (계속)

분야별 과목명

환경

분야

환경기초시설실습, 환경기상학, 상수도공학, 소음방지공학및실험, 고급환

경물리화학, 하수도공학, 대기화학, 환경안전관리, 환경CAD, 수리수문학,

환경영향평가, 환경정책론, 해양환경학, 유해성산업폐기물관리, 자연환경

보전론, 환경경영론, 자원재활용학, 지구환경학, 토양오염학, 육수학, 산

업폐수처리, 환경광화학, 환경식품학, 환경보전과기업경영, 고도정수처리,

반응공학, 미기상학, 대기분석실험, 대기오염방지기술, 대기오염통제, 대

기오염물측정실험, 소음진동 (학)* , 환경보건안전경영* , 지역개발론

보건

식품

위생

분야

식품학, 영양과건강, (인체)해부생리학, 피복환경학, 보건위생학연구 (개

론), 보건영양 (학), 식량보존학, 식품위생학 (및연습), 위생곤충학 (및연습),

생활과건강, 보건커뮤니케이션, 건강관리학, 정신보건, 건강측정및평가,

소비자보건, 위생분석학, 보건행정학, 학교보건, 수질위생관리, 보건정보

관리학, 모자보건, 노인보건, 보건관계법규, 보건경제학,보건사회학, 지역

사회보건학및실습, 보건및산업위생법규*

산업

안전

분야

안전공학, 기계안전공학(실험), 에너지관리, 위험성평가, 폭발공학, 산재

방재학, 위험관리, 산업안전보건현장실습세미나, 응급처치(및실습), 화재

폭발실험, 산업안전관리 (론)(실무), 전기안전공학(및실습), 화공 (학)안전

공학, 건설안전공학, 구조역학, 기계공작법, 건설안전관리실무,

기타

기초

분야

생리학, 생화학, 연구방법론, 유기화학, 분석화학 (실험), 실용전산, 일반화

학 (실험), 중소기업경영론, 기초미생물학, 공중보건학, 역학, (보건)통계

학, 의학용어, (일반)물리학, 생물학, 보건학개론, 보건화학, 보건물리학,

물리화학, 보건통계학및실습, 기초독성학및실험

*, 각 분야별 공통과목

- 32 -

=Abstract =

T he current status of curricula related to

industrial hy g iene and qualified ex amination

in Korea

T ae Ho, Kim

Department of Occupational Health

Graduate School of Health Science and Management

Yonsei Univer sity

(Directed by Professor J aehoon Roh , MD, Ph .D)

Since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Law has been published in

1981, the industrial hygienic area started to be activated. Many

colleges and universities have set the departments and curriculum

related to this field, but there remains at only a few schools including

Kyung In Women ' s College, In Je University , etc.

T herefore, this study is to survey the kinds and handling status of

the curriculum included in the curricula of the department s relating to

the industrial hygienics at the colleges (12 departments ) and the

- 33 -

univer sities (10 departments ) in Korea, and to identify the handling level

of the concerned curriculum through comparison with the curriculum

prescribed in the standards on the examinations for the license relating

to industrial hygiene, of which the result s are as follow s :

1. T otal number of curriculum types handled in the colleges is 384, of

which 127 curriculum are of the environment area accounting for 33.1%,

104 curriculum of the industrial hygiene area being 27.1%, 55 being of

the occupational safety area, 41 being of foods and general health area,

6 being of fire protection , and 51 being of others .

2. T otal number of curriculum types handled in the univer sities is 385,

of which 169 curriculum are of the environment area accounting for

43.9% being at the first rank , 113 being of the industrial hygiene area

accounting for 29.3%, 27 being of the occupational safety area, 31 being

of the foods and general health area, and 45 being of other s .

3. T otal number of curriculum titles handled in the colleges is 219, of

which 72 curriculum accounting for 32.9% are of the environment area

being at the first rank , 48 of 21.9% being of the industrial hygiene

area, 16.9% of the occupational safety , 11.9% of the foods and general

health, 2.7% of the fire protection area, and 13.7% of others .

4. T otal number of curriculum titles handled in the colleges is 246, of

which 107 curriculum accounting for 43.5% are of the environment area

- 34 -

being at the first rank , 59 of 23.9% being of the industrial hygiene

area, 13.0% of foods and general health , 9.4% of the occupational safety ,

and 10.2% of other s .

5. Among the curriculum prescribed in the standards on the

examinations for the industrial hygienic engineer ' s license, industrial

hygiene, industrial ventilation , the w orking environment

measurement/ assessment are being handled above 90%. however ,

personal protective appliances , labor physiology, physical harmful

factor s, health promotion , etc. are being handled at low level below

40%.

T o conclude, the curriculum relating to the industrial hygiene are

behind other environment - related curriculum , etc., in the number and

handling level, and the curriculum prescribed in the standards on

examinations for the industrial hygienic engineer ' s license are being

handled at low level, and the speed responding to the environmental

changes is also low . T herefore, it needs to include the curriculum

demanded by the concerned people in the curricula of the

colleges/ univer sities and in the examinations for the industrial hygienic

engineer ' s license, together with the existing curriculum .

key words : industrial hygiene, curriculum, college, university

- 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