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
I. 서론 그의 십자가의 피로 화평을 이루사 만물 곧 땅에 있는 것들이나 하늘에 있는 것 들이 그로 말미암아 자기와 화목하게 되기를 기뻐하심이라( 1: 20). 위에 인용한 본문은 신약성서 가운데 하나님과 피조물 사이의 평화를 분 명하게 선포하는 대목이다. 만물이란 모든 피조물을 의미하는 것이 분명하므 로 여기에는 인간과 자연 모두가 포함된다는 점에서 오늘날 자연환경과 화해 하지 못하는 인간의 삶에 대한 반성을 촉구하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1) 하나님과 인간의 화해라는 주제는 구원론의 오랜 주제이기도 하다. 그러 나 지금까지의 신학이 인간중심적 차원에서 하나님과 인간의 화해 문제에만 관심을 보였다면, 이제는 인간과 자연을 동시에 하나님과 화해시키는 문제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다시 말하면 인간이 자연과 화해하지 못하면서 하나님과 262_ 종교문화비평 17 연구논문3 아나뱁티즘의 자연과 평화 1) 오덕호, 〈만물의 평화: 환경문제와 관련해서 본 골로새서 1: 13-23, 《신학이해》 , 14집, 호남신학대학교 출판부, 1996, 25-43참고.

연구논문3 아나뱁티즘의자연과평화210.101.116.28/W_files/ftp41/15900365_pv.pdf · 2010-06-22 · 의화해를시도한다는것이불가능한일임을분명히하자는것이다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연구논문3 아나뱁티즘의자연과평화210.101.116.28/W_files/ftp41/15900365_pv.pdf · 2010-06-22 · 의화해를시도한다는것이불가능한일임을분명히하자는것이다

I. 서론

그의십자가의 피로화평을 이루사 만물 곧 땅에 있는 것들이나하늘에 있는 것

들이그로말미암아자기와화목하게되기를기뻐하심이라(골 1: 20).

위에 인용한 본문은 신약성서 가운데 하나님과 피조물 사이의 평화를 분

명하게 선포하는 목이다. 만물이란 모든 피조물을 의미하는 것이 분명하므

로 여기에는 인간과 자연 모두가 포함된다는 점에서 오늘날 자연환경과 화해

하지못하는인간의삶에 한반성을촉구하는의미로해석될수있다.1)

하나님과 인간의 화해라는 주제는 구원론의 오랜 주제이기도 하다. 그러

나 지금까지의 신학이 인간중심적 차원에서 하나님과 인간의 화해 문제에만

관심을 보 다면, 이제는 인간과 자연을 동시에 하나님과 화해시키는 문제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다시 말하면 인간이 자연과 화해하지 못하면서 하나님과

2 6 2 _ 종 교 문 화 비 평 1 7

연구논문3

아나뱁티즘의 자연과 평화

홍 지 훈

1) 오덕호, 〈만물의 평화: 환경문제와 관련해서 본 골로새서 1: 13-23〉, 《신학이해》, 14집, 호남신학 학교 출판부, 1996, 25-43쪽참고.

Page 2: 연구논문3 아나뱁티즘의자연과평화210.101.116.28/W_files/ftp41/15900365_pv.pdf · 2010-06-22 · 의화해를시도한다는것이불가능한일임을분명히하자는것이다

의 화해를 시도 한다는 것이 불가능한 일임을 분명히 하자는 것이다. 하나님이

창조한 것이 인간뿐만이 아니라, 모든 동식물을 포함한 자연전체라는 사실을

기억한다면, 오늘의 신학논의가 인간과 자연을 아우르는 생태학적 방향으로

전개되는것은매우바람직한일이라고생각한다.

이 에서는 16세기 유럽 종교개혁 운동 가운데 한 지류인 아나뱁티즘

(Anabaptism)의 자연과 평화에 한 관심을 살펴보려고 한다. 먼저 아나뱁티즘

이 속한 종교개혁 급진주의 운동의 범주를 정의하고, 그 속에서 아나뱁티즘이

차지하는 위치와 특징들을 정리하여 그 운동의 성격을 밝히려고 한다. 그러고

나서 16세기 아나뱁티즘이 자연과 평화 문제에 하여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

를추적하려고한다. 사실 20세기에들어서환경문제에 한각성이있고나서

야 자연과 환경에 한 신학적 반성이 담긴 연구물들이 등장하기 시작하 다.

그러므로 지난 기독교 2000년의 세월동안에 오늘처럼 진지하게 자연과 환경

에 한 관심을 가졌던 시절은 없었다고 보아야 한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오늘자연과환경에 한신학적논의의근거를 2000년기독교역사속에서전

혀 발견할 수 없다는 뜻은 아니다. 특히 아나뱁티즘의 경우에는 지난 500년간

지속해온 그들의 종교적 삶이 자연과 평화를 논하기에 매우 적합한 형태로 발

전해왔다. 적어도 아나뱁티즘에 기원을 두고 있는 공동체들의 삶은 현재까지

도 검소하고 때로는 원시적이라고 느껴진다. 그리고 전 세계에 흩어져 있는 메

노나이트(Mennonite), 후터라이트(Hutterites) 그리고 아미쉬(Amish) 공동체들의

이상은 16세기 아나뱁티스트들의 공동체 이상을 계승하고 있으며, 현 자본

주의의 무한 경쟁과 무분별한 개발, 그리고 최 이윤추구라는 목표와 동행하

는 현 기독교에 하여 소유욕의 절제가 필요하다는 것을 자신들의 공동체

생활과공동소유를통하여제시하고있다.

본론에서자세한논의가이루어지겠지만, 16세기아나뱁티즘운동의이상

연 구 논 문 _ 2 6 3

Page 3: 연구논문3 아나뱁티즘의자연과평화210.101.116.28/W_files/ftp41/15900365_pv.pdf · 2010-06-22 · 의화해를시도한다는것이불가능한일임을분명히하자는것이다

은 심한 고난과 박해를 불러일으킬 만큼 실현하기 어려운 것이었다. 그래서 오

늘까지 아나뱁티스트는 전 세계에 수백만정도 밖에 되지 않을 정도로 소수이

지만, 그들이 제시한 평화를 향한 이상만큼은 근세의 문을 여는데 크게 기여하

다고해도과언이아니다. 필자는이논문을통하여우선 16세기아나뱁티즘

운동의 등장과정과 구조, 그리고 그들의 신학사상을 살펴봄으로써 오늘 우리

가 추구하는자연과 평화를 향한환경보존의노력에 어떤기초를 제공할수 있

는지를밝히려고한다.

II. 아나뱁티즘의기원과성격

20세기중반까지아나뱁티즘은토마스뮌처(Thomas Müntzer)에게서그 기

원을찾았다. 이는종교개혁자마르틴루터(Martin Luther)와취리히의하인리히

불링거(Heinrich Bullinger)가종교개혁운동에서일탈하는무리들을열광주의자

(Schwärmer)라고 불 고, 그 시 종교개혁 운동에서 농민운동으로 방향을 전

환한 토마스 뮌처에게 모든 원인을 돌렸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취리히 종교개

혁운동가운데에등장한아나뱁티스트들은그기원을달리한다.

츠빙 리는 그로스뮌스터(Großmüster) 교회 설교목사로 부임한 이후 사순

절 금식 논쟁을 통하여 종교개혁운동에 동참하 다. 〈음식물의 선택과 자유에

하여〉(Von der Erkiesen und Freiheit der Speise)2)라는 논문은 당시의 형식주의

적인 신앙행태에 한 거센 비판을 불러일으켰으며, 결국 시의회는 1523년 1

2 6 4 _ 종 교 문 화 비 평 1 7

2) Melchior Schuler und Joh. Schulthess ed., Huldreich Zwinglis Werke I, Der deutschen Schriften teil. 1, Zürich:Friedrich Schultheß, 1828, pp. 1-29.

Page 4: 연구논문3 아나뱁티즘의자연과평화210.101.116.28/W_files/ftp41/15900365_pv.pdf · 2010-06-22 · 의화해를시도한다는것이불가능한일임을분명히하자는것이다

월 츠빙 리를 불러 첫 번째 공개토론회를 개최하 다. 여기서 츠빙 리는 자

신의 개혁 프로그램을 담은 67개 조항(또는 Schlussreden이라 부른다)을 발표하

다. 공개토론회에는 600여명이 참석하여 츠빙 리의 발표를 들었고, 이때부

터 취리히는 가톨릭교회로부터 벗어나 개혁교회의 길로 들어섰다고 볼 수 있

다.3)

당시 취리히 종교개혁에 동참했던 사람들 중에 콘라드 그레벨(Konrad

Grebel)이 있다. 그는 1520년 8월 28일에 콘스탄츠 주교에게 보낸 츠빙 리

의〈개혁변증문서〉(Apologeticus Archeteles)의부록에함께 을실을정도로츠

빙 리와 접한관계 던인문주의자 다. 그리고제 1차취리히논쟁까지성

상추방문제나, 십일세의 폐지, 금식규정 철폐 등등에 관하여 일치된 견해를 보

다. 그러나양자를갈라놓게된것은제 2차취리히공개토론이었다.

일차 논쟁이후에 취리히에서는 성상추방 운동이 심하게 일어났고, 그 결

과 소란스러워진 상황을 해결하기 위하여 소집된 위원회에서는 두 번째 공개

토론회를 1523년 10월에 개최하기로 하 다. 이 토론회에는 츠빙 리와 350

명의성직자를포함한약 900명의시민이참석하 다.4)

여기서 토론된 내용들은 가톨릭과 개신교 표들의 성화와 미사에 한

주장들이었다. 토론회 결과 가톨릭 성직자들은 도시를 떠나게 되었지만, 성화

나 미사문제에 하여 명백한 정리를 하지 못하 기 때문에 츠빙 리 내부에

서 불만을 사게 되었다. 결국 츠빙 리의 개혁방식이 철저하지 못하다는데 인

식을 같이한 사람들이 등장하 다. 그들은 콘라드 그레벨, 펠릭스 만츠(Felix

Mantz) 등등인데 이들은 훗날‘스위스 형제단’(Schweitzer Bröter)이라고 불렸

연 구 논 문 _ 2 6 5

3) 임희국, “츠빙 리의 생애와 신학사상”, 《16세기 종교개혁과 개혁교회의 유산》, 한국장로교출판사, 2003, 198쪽 참고.

4) 위의 책, 199쪽.

Page 5: 연구논문3 아나뱁티즘의자연과평화210.101.116.28/W_files/ftp41/15900365_pv.pdf · 2010-06-22 · 의화해를시도한다는것이불가능한일임을분명히하자는것이다

다. 여기서 콘라드 그레벨이 츠빙 리를 향해 제기한 보다 철저한 개혁안을 살

펴보면다음과같이정리할수있다.5)

첫째, 사람을거듭나게하는분명한회개가있어야한다.

둘째, 세례는 외적인 의미보다 신앙으로 받는 내적세례의 의미가 중요하

다.

셋째, 유아세례는성서적으로근거가없다.

넷째, 성서에 하여문자적으로순종하여야한다.

다섯째, 교회구성은반드시자발적이어야한다.

결국 츠빙 리와 분리된 성서연구그룹이 1524년 9월부터 등장하 는데,

여기에 속한 사람들은 다음과 같다: 콘라드 그레벨, 펠릭스 만츠, 안드레아스

카스텔베르거(Andreas Castelberger), 한스 옥겐푸스(Hans Oggenfuss), 발트리메

푸르(Bartime Pur), 하인리히 아벨리(Heilrich Aberli), 요한네스 브뢰틀리

(Johannes Brötli), 한스휘우프(Hans Huiuf)6)

콘라드 그레벨이 토마스 뮌처에게 보낸 두 편의 서신이 전해져 오는데, 이

것을 보면 스위스 형제단의 생각이 토마스 뮌처와 얼마나 다른지 알 수 있다.

그레벨은 뮌처의 〈꾸며낸 신앙에 하여〉7)라는 작품과〈주장 또는 제안〉8)을

2 6 6 _ 종 교 문 화 비 평 1 7

5) Heinold Fast, “The Dependence of the first Anabaptists on Luther, Erasmus and Zwingli,”Mennonite Quarterly Review30, Goshen: The Mennonite Historical Society, 1956, pp. 104-107. 이 내용은 종교개혁자들로부터 받은 향을 어떻게 벗

어나는지를 정리한 것으로, 그레벨이 뮌처에게 보낸 편지를 중심으로 작성한 것이다. 편지 원문의 출처는 Muralt und Schmided., Quellen der Täufer in der Schweiz Bd I, Zürich: S. Hirzel Verlag, 1952, pp. 13-21.이며, 이 편지는 현재 우리말로도

번역이 되어있다. 박건택 편역, 《종교개혁사상선집》, 솔로몬, 2003, 191-210쪽.

6) Harold. S. Bender, Conrad Grebel, The Founder of the Swiss Brethres, Scottdale: Herald Press, 1950, p. 107.7)“Von dem gedichten Glauben,”(1524) in Günther Franz ed., Thomas Müntzer. Schriften und Briefe, Gerd Mohn:

Gütersloher Verlagshaus, 1968, pp. 218ff.

Page 6: 연구논문3 아나뱁티즘의자연과평화210.101.116.28/W_files/ftp41/15900365_pv.pdf · 2010-06-22 · 의화해를시도한다는것이불가능한일임을분명히하자는것이다

읽었다고 하면서, 뮌처에게 자신들이 판단한 신앙의 내용들을 추가로 적어 보

내고 있다. 그러면서 특별히 무력사용에 한 강력한 반 를 다음과 같이 표현

하 다.

참된 그리스도인은 고민, 고통, 환란, 박해, 수난, 죽음의 세례를 받아야합니다.

그들은 불의 시련을 받아야 합니다. 그리고 육신의 적들을 죽임으로가 아니라,

적인 적들을 극복함으로 원한 안식이 있는 본향에 이릅니다. 그들은 세상

의칼이나전쟁을사용하지않습니다.9)

스위스 형제단이 뮌처의 을 읽었고 그의 주장에 많은 부분 공감하 던

것은 분명하지만, 무력을 사용한 저항이나, 군주들을 향한 비난 등등에는 동조

할 수 없어서 이런 편지를 보내게 된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아나뱁티즘 운

동의 기원을 설명하는 데에 있어서 적어도 뮌처의 향을 받은 그룹과 이와는

다른스위스형제단운동을구분하여야한다.

이에 관한 논의는 순차적으로 이루어졌는데, 뮌처와의 관련성에서 벗어나

는작업은소위벤더(Bender) 학파에의하여진행되었다.10) 그리고그작업은윌

리암스(George H. Williams)의 The Radical Reformation이라는 작품을 통하여

단행본으로출판되었다.11)

20세기 중반 이후에 수정주의자 그룹의 연구가 등장하여 이 문제를 마무

리하 다. 그래서 아나뱁티즘 연구에 적어도 3개의 분파를 인정하여야 한다고

연 구 논 문 _ 2 6 7

8)“Protestation oder Erbietung,”Ibid., pp. 225ff.9) 박건택 편역, 《종교개혁사상선집》, 솔로몬, 2003, 202쪽.

10) Harold. S. Bender, “The Historiography of the Anabaptists,”Mennonite Quarterly Review, 31, 1957, pp.88-104.11) George Williams, The Radical Reformation, Philadelphia: The Westminster Press, 1962.

Page 7: 연구논문3 아나뱁티즘의자연과평화210.101.116.28/W_files/ftp41/15900365_pv.pdf · 2010-06-22 · 의화해를시도한다는것이불가능한일임을분명히하자는것이다

하 다. 첫째는 콘라드 그레벨 중심의 스위스 형제단이고, 둘째는 한스 뎅크

(Hans Denck)를 중심으로 한 남부 독일-오스트리아의 아나뱁티즘이고, 셋째는

멜키오르 호프만(Melchior Hoffman)과 얀 마티스( Jan Mathijs)를 중심으로 하는

북부 독일-네덜란드의 재세례파이다.12) 따라서 아나뱁티즘 운동의 성격을 규

명하는 일도 단일 기원설에서 복수 기원설로 변화하게 되었으며, 동시에 그들

의주장을단일하게묶어내는시도도사실상쉽지않은일이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 까지 전승되는 아나뱁티스트들의 이상을 거꾸로

추적해 보면 다음과 같이 아나뱁티즘의 성격을 규명할 수 있을 것이다. 현재는

메노나이트(Mennonite)와 후터라이트(Hutterite) 그리고 아미쉬(Amish)의 세 종

류 아나뱁티스트들이 존재하는데, 이들은 부분 평화적인 아나뱁티스트들이

다. 후터라이트는 그레벨에게 그 뿌리를 두고 있고, 메노나이트는 비록 멜키오

르 호프만의 천년왕국적인 이상에서 출발한 뮌스터 왕국 사건이후 네덜란드

지역에서 번성하 지만, 메노 시몬즈(Menno Simons)의 철저한 평화주의적인

이상이 반 된 공동체이다. 이런 점을 감안 한다면 다음과 같이 아나뱁티즘의

정체성을정리할수있다고본다.13)

첫째, 성서에 한문자적인순종

둘째, 유아세례반 하고신자의세례(Believers' Baptism)를시행

셋째, 국가공공직무에 한참여거부

넷째, 예수의산상수훈에 한적극적순종

2 6 8 _ 종 교 문 화 비 평 1 7

12) 홍지훈, 〈16세기 종교개혁 급진주의 내에서 재세례파 운동의 성격〉, 《한국사학논총. 홍경만 교수 정년기념》, 경인문화사, 2002,600쪽.

13) 이에 관하여서는 Franklin Littel, The Anabaptist View of the Church, Boston: Starr King Press, 1958, pp. 56-47를 참조

하시오.

Page 8: 연구논문3 아나뱁티즘의자연과평화210.101.116.28/W_files/ftp41/15900365_pv.pdf · 2010-06-22 · 의화해를시도한다는것이불가능한일임을분명히하자는것이다

다섯째, 무력사용을거부하는평화주의

III. 아나뱁티즘의평화주의와자연

16세기 아나뱁티즘 운동은 가톨릭과 루터파 양측으로부터 엄청난 박해를

받았다. 그러나 무력사용을 거부하고 평화주의의 원칙에 선 아나뱁티스트들은

박해에 항하여 싸우려하지 않고 고난을 감수하 다. 평화에 한 아나뱁티

스트들의 이상은 아나뱁티즘 최초의 신앙고백인‘슐라이트하임 신앙고백’에

잘 드러난다. 미하엘 자틀러(Michael Sattler)를 중심으로 스위스 형제단은 1527

년에 모 다. 거기서 채택된 7개의 항목 중에 폭력에 하여 다음과 같이 말하

고있다.

검은 그리스도의 완전성 밖에서 하나님이 제정한 것이다. 무력은 악한 자를 벌

하며죽이지만선한자를보호한다.14)

그리스도인들의 무기는 오직 하나님의 말 이다. 무력을 사용하는 문제에

하여 슐라이트하임 신앙고백의 논지는 분명하다. 검은 그리스도의 완전성

밖에 있는 것이지만, 하나님이 분명히 그 용도를 제정하여 악한 자를 벌하고

선한 자를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완전히 배격하지는 않고 있다.

이러한 입장을 스테이어( J. M. Stayer)는 비정치적 입장(Apolitical Standpoint)라

연 구 논 문 _ 2 6 9

14) L. W. Spitz ed., The Protestant Reformation, Englewood Cliff: Prentice-Hall, 1966, p. 93.

Page 9: 연구논문3 아나뱁티즘의자연과평화210.101.116.28/W_files/ftp41/15900365_pv.pdf · 2010-06-22 · 의화해를시도한다는것이불가능한일임을분명히하자는것이다

고 평가하 다. 비정치적(apolitical)이란 비록 무력이 어떤 윤리적인 목적 달성

을 위해 필요하다고 해도 보다 더 큰 가치실현과는 무관하다는 입장을 의미한

다. 이런 점에서 아나뱁티스트들은 극단적 비정치적(extreme apolitical) 입장이

다.15)

아나뱁티즘의 핵심적 신앙고백인 슐라이트하임 신앙고백이나, 후 학자

들이 정리한 아나뱁티즘의 정체성 안에서도 자연이나 생태문제에 한 직접적

인 언급은 찾아 볼 수 없다. 그러나 성서에 한 문자적인 순종이라는 아나뱁

티즘의 이상은 하나님의 창조질서와 피조물에 한 경외심을 담고 있다고 보

아도 무방할 것이다. 서두에 인용한 신약성서 골로새서 1장 20절에 나오는 말

처럼 그리스도의 십자가 사건으로 화평케 하여 하나님의 구원역사를 이룬다

는 신학 안에는 '만물, 즉 하나님의 피조물과의 화목'이 그 방편으로 제시되어

있다. 따라서 아나뱁티즘은 적어도 인간을 포함한 모든 피조물에 관심을 두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 증거로 한스 후트(Hans Hut)의 경우를 들

수있다.

1. 한스후트와종말론적창조(Hans Hut, 1490-1527)

뉘렌베르그의 시의회는 한스 후트의 체포 장에 후트의 외모를 이렇게 표

현하 다:

요한네스 후트( Johannes Hut), 단히 박식하고 숙련된(능란한) 자로서 비교적

2 7 0 _ 종 교 문 화 비 평 1 7

15) J. M. Stayer, Anabaptist and Sword, Lawrence: Coronado Press, 1973, pp. 3-5.

Page 10: 연구논문3 아나뱁티즘의자연과평화210.101.116.28/W_files/ftp41/15900365_pv.pdf · 2010-06-22 · 의화해를시도한다는것이불가능한일임을분명히하자는것이다

남자다운큰키에시골풍의인격을지녔다. 그의머리는짧게자른밝은갈색이

며 코밑에는 황회색의 수염을 길 다. 그의 의복은 잿빛의 모직으로 되어 있으

며검은외투와챙이넓은잿빛모자와바지를걸쳤다.16)

후트는 1490년경에 태어나 1527년에 죽었는데, 말년에 체포되어 감옥을

탈출하다 연기에 심하게 중독되어 죽었다. 비브라(Bibra)에서 잡상인이나 교회

당 관리인으로 살다가, 1521년경부터 뉘렌베르그와 비텐베르그 사이를 서적

행상으로 떠돌아다니면서 루터파 종교개혁의 사상을 담은 책을 묶어서 판매하

다.17) 그는 세상에서(Gesamtgesellschaft) 어떻게 그리스도인의 형상(nach der

christlichen Gestalt) 로 살 것인가를 고민하 고,18) 아마도 칼슈타트와 토마스

뮌처의 신비적 성주의(mystischer Spiritualismus)에 향을 받게 되었다.19) 그

래서 한스 후트는 자연스럽게도 후기 중세적 신비주의와 종말론이 각인된 개

성있는양상을띠고있다.20)

후트는 작센, 튀링겐, 헷센, 프랑케 지역에서 활동하 는데, 농민 전쟁이

실패로 돌아간 후에 평화적인 재세례파가 되었으며21) 프랑켄(Franken), 바이에

른(Bayern), 오스트리아(Österreich), 매렌(Mähren) 그리고 슐레지엔(Schlesien)에

서 진행된 재세례파 운동에 강력한 향을 끼쳤다. 그가 루터의 칭의론을 추종

하다가 거기로부터 돌아서게 된 것은 이신칭의론의 주장이 오히려 인간 개인

연 구 논 문 _ 2 7 1

16) Gottfried Seebaß, “Hans Hut, Der leidende Rächer,”in Hans-Jürgen Goertz ed., Radikale Reformatoren, München: C.H. Beck, 1978, p. 44.

17) Johann Loserth, “Hans Hut,”Mennonite Encyclopedia vol. 2, Hillsboro: Mennonite Publishing House, 1982, p. 846.18) Gottfried Seebaß, op. cit., p. 44.19) Gottfried Seebaß, “Hans Hut,”Theologische Realenzyklopädie vol. 15, Berlin: Walter de Gruyter, 1986, p. 742.20) Ibid. p. 741.21) Werner O. Packull, “Thomas Müntzer und das Hutsche Täufertum,”Mennonitischer Geschichtsblätter 46, Karlsruhe:

H. Schneider. 1989, p. 31. 지금까지의 중요한“재세례파-뮌처”연구가들은 다음과 같다. H. D. Schmid, Gottfried Seebaß,Gerhardt Zschäbitz. James M. Stayer.

Page 11: 연구논문3 아나뱁티즘의자연과평화210.101.116.28/W_files/ftp41/15900365_pv.pdf · 2010-06-22 · 의화해를시도한다는것이불가능한일임을분명히하자는것이다

과 기독교 공동체가 필수적으로 겪어야 할 회심을 방해하는 것처럼 보 기 때

문이다.22)

그의 논문으로는“세례의 비 에 관하여”(Von dem Geheimnis der Taufe)를

들 수 있는데,23) 여기서 후트가 말하는 성인 세례(Erwachsenetaufe)는“세상 끝

날에 선택된 자에 한 묵시적인 인침을 외적으로 표현한 것”(das äußere

Kennzeichen apokalyptischer Versiegelung der Erwählten am Ende der Tage)이

다.24)

후트는 세례에 하여 설명하면서 마가복음 16:15절을 인용하며 이렇게

말하 다.

누구든지 들을 귀 있는 자는 들어라. [……] 그리스도께서 처음에 말 하시기를

온세상으로나가서모든피조물의복음(das Evangelium aller creatur)을전하라고

하셨다.25)

여기서“모든 피조물의 복음”(Evangelium aller Kreaturen)이라는 말은 마가

복음 16장 15절에 나오는“모든 피조물에게 복음을 전하라”는 말에서 3격을

소유격으로 잘못 읽어서 나온 표현이기는 하지만, “모든 피조물의 복음”이란

“십자가에 달리신 그리스도가 모든 지체와 함께 하신다는 의미이며 모든 피조

물이이런그리스도를선포한다.”26)고말함으로써그리스도의고난당하심을만

물과연결시키고있다.

2 7 2 _ 종 교 문 화 비 평 1 7

22) Gottfried Seebaß, “Hans Hut,”Radikale Reformatoren, pp. 44-45.23) Heinold Fast, op. cit., p.78.24) Gottfried Seebaß, “Das Zeichen der Erwählten. Zum Verständnis der Taufe bei Hans Hut,”op. cit., pp. 138-164.25)“Von dem Geheimnis der Taufe,”in Lydia Müller ed., Glaubenszeugnisse oberdeutscher Taufgesinnter I, Leipzig: A.

Deichertsche Verlagsbuchhandlung, 1938, p. 15.

Page 12: 연구논문3 아나뱁티즘의자연과평화210.101.116.28/W_files/ftp41/15900365_pv.pdf · 2010-06-22 · 의화해를시도한다는것이불가능한일임을분명히하자는것이다

한스 후트는“세상 끝 날에 선택된 자에 한 묵시적인 인침”이 세례라고

이해하 다. 이것은 세례와 묵시적인 소망을 연결시켰다는 독특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것은 종말의 날을 향한 하나님의 새로운 창조를 고 하는 후트의 사

상이다.

2. 메노시몬즈의평화(Menno Simons, 1496-1561)

네덜란드 아나뱁티스트 운동의 기원은 멜키오르 호프만에게 있다. 호프

만은 스트라스부르크를 새예루살렘이라고 생각하 고 감옥에서 종말이 실현

되기를 기다렸다. 그의 사상은 네덜란드로 퍼져나갔고 결국 인근 도시인 뮌스

터 천년왕국 사건으로 번져나갔다. 1534년에 시작된 뮌스터 천년왕국 사건은

가톨릭과 루터파 연합군에 의하여 진압 당하 고, 엄청난 보복 살상이 자행되

었다.

메노 시몬즈는 그 사건이후 계속되던 박해기간에 자기 동생이 희생되는

것을 보고 아나뱁티즘 운동에 본격적으로 헌신하 다. 그는 이미 카톨릭의 사

제 지만, 자신의과거를다음과같이표현하 다.

비록 나는 성서의 지식을 애써 추구하 지만, 불순하고 감각적이며 무익한 삶

속에서 그 지식을 청년의 정욕으로 낭비하여버렸다. 나는 인생이라는 배를 조

정하는 모든 사람이 일반적으로 그렇게 하듯이, 이익과 편안함과 사람들의 칭

연 구 논 문 _ 2 7 3

26) Ibid., p. 16. “모든 피조물의 복음에서는 그 어떤 다른 것이 제시되거나 선포되어서는 안 된다. 오직 십자가에 달리신 그리스도,

그러나 머리 만으로써의 그리스도가 아니라, 모든 지체와 함께 하는 전체 그리스도(der ganz Christus)이다. 모든 피조물들은

이러한 그리스도를 선포하고 가르친다. 전체 그리스도(der ganz Christus)는 모든 지체 안에서 고난을 받아야만 한다. 그러나

언제나 최고이기만을 원하는 우리 배운 자들이 선포하는 그리스도와는 다르다. 그들에게서 매일 듣는 것처럼, 머리로써의 그리

스도는 조정하시고 심판하시는 분이다.”

Page 13: 연구논문3 아나뱁티즘의자연과평화210.101.116.28/W_files/ftp41/15900365_pv.pdf · 2010-06-22 · 의화해를시도한다는것이불가능한일임을분명히하자는것이다

찬과화려함과명성과명예만을얻으려고했다.27)

변화된 메노의 주장 가운데 우리의 이목을 끄는 것은 검을 사용하는 일에

반 하고 무저항의 삶을 주장한 것이다. 그래서 메노는 뮌스터 천년왕국 사건

을 통해 무력으로 아나뱁티스트 왕국을 건설하려고 했던 레이든의 얀을 다음

과같은말로비판하 다.

그리스도는 베드로의 검으로 방어하기를 원치 않으셨다. 어떻게 크리스천이 검

으로 자기를 방어할 수 있겠는가? 그리스도께서는 아버지께서 당신에게 주신

잔을원했다. 크리스천이라면어찌이잔을마다하겠는가?28)

메노 시몬즈는 박해를 받던 상황 속에서도 주들과 군주들의 무력적인

위협을 비판하 다. 평화적이고 무저항적인 아나뱁티스트를 변하여 관용을

주장하 다. 그는“기독교교리의토 ”라는 을써서아나뱁티스트들을수색

하고색출하여박해하는자들에게이렇게관용을호소하 다.

사탄은 자기를 천사로 위장하고 주님의 알곡 속에 가라지를 섞는다. 그래서 검

의 사용이나, 일부다처나 외적인 왕국건설 등등 수많은 오류로 무죄한 이들을

고통에 처하게 하 기에 나는 이 을 써서 우리의 신앙과 교리를 출판하지 않

을수없었다.29)

2 7 4 _ 종 교 문 화 비 평 1 7

27) Menno Simons, “Reply to Gellius Faber,”in J.C. Wenger ed., The Complete Writings of Menno Simons,, Scottdale:Herald Press, 1984, p. 669.

28) Menno Simons, “Plasphemy of John of Leiden,”Ibid.. p. 45.

Page 14: 연구논문3 아나뱁티즘의자연과평화210.101.116.28/W_files/ftp41/15900365_pv.pdf · 2010-06-22 · 의화해를시도한다는것이불가능한일임을분명히하자는것이다

메노의 사상 가운데에중요한 또 한 가지는 그의 교회론이다. 메노는 교회

개혁은 원시교회를 회복하는 것이라고 여겼다.30) 루터나 칼빈 등에 의하여 시

작된 국가교회의 이상을 메노는 용납할 수 없었다. 진정한 사도적인 교회 회복

을위하여메노는신앙고백을저술하며다음과같이표현하 다.

태양의밝은빛이수년동안비추지않았다. 하늘과땅은마치동이나철같았으

며, 시내와 강은 흐르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하늘에서 이슬도 내리지 않았다.

아름다운나무들과무성한들판은말라버리고시들어버렸다.31)

물론 이 표현은 메노 시몬즈가 교회와 기독교의 적 타락 상태를 자연에

비유하여 묘사한 것이다. 자연이 파괴된 상태를 묘사한 그의 속에서 느껴지

는 것은 적 타락의 상태가 얼마나 심각했는가 하는 점이다. 이처럼 메노는

진정한 사귐 가운데 있어야할 공동체의 상태를 매우 염려하 으며, 평화 가운

데에하나님과화해의삶을살기원했던것이다.

3. 야콥후터와재산공동체( Jacob Hutter 1500-1536)

레오나르드 그로스(Leonard Gross)32)는 야콥 후터의 전기를 썼는데33) 야콥

후터를“기독교 공산주의자”(ein christlicher Kommunist)라고 표현하 다. 후터

연 구 논 문 _ 2 7 5

29) Menno Simons, “Foundation of Christian Doctrine,”Ibid., p. 107.30) Timothy George, Theology of the Reformers,《개혁자들의 신학》, 이은선, 피 민 역, 요단출판사, 1988, 341쪽.

31) Menno Simons, “Confession of Distressed Christians,”op. cit., p. 502.32) 메노파 교회의 역사위원회 총비서. 역사연구 계획과 고문서 책임자. Mennonite Historical Bulltin의 편집자이며, Selected

Hutterian Documents 1542-1654를 번역 편찬하 다.

33) Leonard Gross, “Jakob Hutter,”in H-J Goertz ed., Radikale Reformatoren, pp. 137-145.

Page 15: 연구논문3 아나뱁티즘의자연과평화210.101.116.28/W_files/ftp41/15900365_pv.pdf · 2010-06-22 · 의화해를시도한다는것이불가능한일임을분명히하자는것이다

의 생애는 자기 민족인 후터파 형제단(Huterischen Brüdern)의 역사와 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한마디로 후터의 생애는 공동체의 역사(Geschichte einer

Gemeinschaft)라고할수있다.

후터는 자신의 신학으로 자기의 공동체를 이끈 것은 아니다. 1528년부터

1533년까지 그는 약 5년간 매렌(Mähren)의 공동체에 오스트리아의 재세례파

지도자로써 향을 끼쳤다. 그런데 종교적인 운동이 지속적으로 일어나게 되

면서 량의 박해가 끊이지 않았다. 따라서 후터는 오스트리아의 재세례파들

이 특히 티롤을떠나 매렌에집단 이주하는것에맞추어서하나님의백성이 함

께모여형제공동체를이루는것을시도하 던것이다.

16세기 중반에 기록된 후터파 연 기의 기록은 이러한 매렌 공동체의 설

립을 하나님이 자기 백성을 다른 백성들과 구별하여 세상 끝날에 다시 회복시

키려는 의도로 한 일이라고 보았다. 이 기록에 의하면 루터나 츠빙 리의 개혁

은 민족을 개선하는 종교개혁으로써는 실패하 다고 생각하고, 하나님은 다른

방법을써서자기의민족을세우겠다고하 다는것이다.

연 기에는 스위스의 재세례파와의 연관에 관하여도 언급하고 있다. 콘라

드 그레벨, 펠릭스 만츠, 게오르그 블라우록, 후브마이어등 등의 이름이 언급

되고 있다. 1560년경 연 기의 공식 역사가 던 브라이트미셸(Kaspar

Braitmichel)은 1525년이후스위스형제단과이직접적인관련에관하여언급하

고있으며, 그중간지도자로써블라우록과로이블린을들고있다.

결정적인 향은후브마이어와그의도시적재세례집단(니콜스부르그체류

기간)에게서 찾아 볼 수 있다. 니콜스부르그는 이주해온 약 12000명을 중심으

로 가히 단위 종교 공동체의 중심지가 되었다. 이러한 공동체에 하여 사람

들은 한편으로는“공권력의 재세례파”(obrigkeitliches Täufertum)이러고 부른다.

왜냐하면그정치지도자인리히텐슈타인(Leonhard von Liechtenstein)의통치아

2 7 6 _ 종 교 문 화 비 평 1 7

Page 16: 연구논문3 아나뱁티즘의자연과평화210.101.116.28/W_files/ftp41/15900365_pv.pdf · 2010-06-22 · 의화해를시도한다는것이불가능한일임을분명히하자는것이다

래에허락되어진일이기때문이었다.

니콜스부르그 근처에서 소그룹들을 발견할 수 있다. 1528년에 등장한 한

소그룹은 군복무를 거부하는 것이 특징인데, 이것 때문에 후브마이어 추종파

인“검의 사람들”(Schwertler)와 비하여“막 기의 사람들”(Stäbler)라고 불리

었다. 왜냐하면 이들은 비폭력 정신에 입각하여 전쟁세도 내지 않았기 때문이

었다. “막 기의 사람들”의 지도자는 야콥 비데만( Jakob Wiedemann)으로써 애

꾸눈 야곱이라고 불렸다. 이 그룹은 약 100명을 헤아렸는데 니콜스부르그 근

처의마을베르겐(Bergen)에모 다. 1528년봄에이미이들에게는추방명령이

내려졌다. 이들은 이미 정신적으로 그리고 물질적으로 소유를 나누는 일에 익

숙하 기 때문에 자신들의 재산을 나누는 일을 자연스럽게 하 다. 그들의 기

록에 보면 이 기간 동안에 외투를 백성들 앞에 펼쳐 놓고 누구든지 자기의 소

유를 자발적으로 강요됨 없이 내어 필요에 따라 쓰도록 하 다고 하며, 이렇게

한것은예언자와사도들의가르침에따른것이었다고주장한다.

또 다른 소그룹은 1529년경 아우슈피츠(Auspitz)에 등장한 재산공동체이

다. 1530년에는 외륵 차우너링(Jörg Zaunering)과 로이블린(Wilhelm Reublin)이

기초를 놓은 다른 그룹들도 등장하 다. 이들은 서로 연계하 다. 또 다른 후

터파의 뿌리는 티롤에서 1529년에 세워졌는데 취리히에서 추방당한 블라우록

이그곳의재세례파들과합류하면서시작되었다.

야콥 후터의 이름은 후터파의 연 기에 1529년부터 출판물에 등장한다.

그는 오스트리아와 매렌의 재세례파 지도자가 되었으며 재산공동체의 이상을

가졌던 인물이었다. 후터는 1500년 경 티롤의 푸스터탈(Pustertal)에 있는 브루

넥(Bruneck) 근처의작은마을모스(Moos)에서태어났다. 브룬넥에서잠깐학교

를 다닌 후 그는모자 만드는기술을 배워프라하 등지로 다니다가재세례파를

알게 되었다. 후터는 1529년에 티롤에서 블라우록의 후임으로 등장하 다.

연 구 논 문 _ 2 7 7

Page 17: 연구논문3 아나뱁티즘의자연과평화210.101.116.28/W_files/ftp41/15900365_pv.pdf · 2010-06-22 · 의화해를시도한다는것이불가능한일임을분명히하자는것이다

1531년경에는 아우슈피츠(Auspitz)와 로시츠(Rossitz) 지역의 형제단들이 후터

의 중재로 연결되었다. 그러나 1534/35년 뮌스터 왕국사건의 발발로 매렌의

형제단에게도 향을끼쳐서오스트리아의페르디난트공(Erzherzog Ferdinand)

은 후터파를 추방하 다. 후터는 1536년 다시 티롤로 돌아왔다가 체포되어 인

스부르크에서화형당하 다.

후터는 매우 활동적인 인물이었다. 그는 세상권세와 교회권세에 의하여

저질러지는 불의에 하여 저항하는 모험을 그치지 않았다. 이러한 후터의 특

징을 연 기 사가는 이들의 운동을 지속시켜준 원동력으로 묘사하고 있다.

1535년 매렌에 벌어진 폭력적인 박해 때문에 이들의 운동이 소멸될 지경에 이

르 을 때에도 흩어진 이들을 묶어준 것은 후터의 이었다. 그래서 이 운동은

지속될수있었다.

후터파의 특징을 들자면 하나님의 왕국을 이땅에 건설한다는 확신에 있

다. 이러한 모습이 구체화 된 것이 재산공동체의 이상에서 비롯된 형제적인 질

서인 것이다. 사실 한스 후트나 뎅크의 경우에는 성주의적이며 철저히 개인

적인 입장이었다. 후터파 형제단의 다른 지도자인 페터 리데만(Peter

Riedemann)의 작품“변명”(Rechenschaft 1529)에 나오는 내용에 의하면 비록 그

리스도인 개인의 성주의적인 면을 형제적인 연합에로 이끌고는 있지만, 아

직도 그는하나님의 을받은 개인을강조하고있는 것으로보아 하나님왕국

에 한 초기 성주의적인 개념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개명으로는

재세례파는 느슨하게 조직될 수밖에 없었다. 물론 공권력의 박해 아래에서 후

터식의 하나님 왕국건설은 부분의유럽 땅에서그 기회조차얻을수 없었음

은 물론이다. 한마디로 후터는 재세례파의 성주의적인 이상에 머무르지 않

고하나님의왕국을진정으로현세상에건설하려고시도하 던것이다.

2 7 8 _ 종 교 문 화 비 평 1 7

Page 18: 연구논문3 아나뱁티즘의자연과평화210.101.116.28/W_files/ftp41/15900365_pv.pdf · 2010-06-22 · 의화해를시도한다는것이불가능한일임을분명히하자는것이다

IV. 아나뱁티즘의현 적의의

앞에서 우리는 한스 후트와 메노 시몬스 그리고 야콥 후터 등 세 사람의

아나뱁티스트들의 삶과 사상을 통하여 종말론적인 공동체의 이상과 평화주의

그리고 나눔의 재산공동체 이상을 살펴보았다. 이들의 후손들은 오늘날에도

전세계에퍼져존속하고있다.

아나뱁티스트 연구가인 해롤드 벤더는《재세례 신앙의 비전》이라는 책에

서 아나뱁티즘의 특징으로 세 가지를 강조하 는데, 첫째는 제자도이고, 둘째

는 형제애이고, 셋째는 사랑과 무저항의 윤리라고 하 다.34) 그리고 그들은 거

짓말을 하지 않으며 무절제하게 먹거나 마시지 아니하며 겸손과 인내와 정직

과 청결과 절제와 솔직함으로 산다고 하 다. 그리고 그들의 형제애는 가난과

궁핍에 처한 형제들의 필요를 채워주기 위하여 하나님의 사랑으로 자신의 재

산을 팔정도이며, 나아가 모든 무기와 투쟁, 폭력과 생명을 빼앗는 일을 중지

한다고 하 다. 그리고 이것은 하나님의 원리에 근거한 새로운 삶의 창조라고

하 다.35) 그리스도의가르침 로살면서자신의재물에 하여청지기정신으

로 하고 만물에 평화가 깃들기를 소망하는 삶이 바로 하나님의 창조세계에

부합하는삶인것이다.

여기서 제자도는 성서에 근거한 그리스도의 가르침 로 살겠다는 의미이

고, 형제애는 절제와 나눔을 의미한다. 그리고 사랑과 무저항의 윤리는 평화실

현을 향한 아나뱁티즘의 이상을 뜻한다. 이런 이상은 16세기에서부터 지금까

지 전해진 것인데, 여기서 그 주제들에 한 현 적 의미들을 다시 한 번 살펴

연 구 논 문 _ 2 7 9

34) Harold Bender, The Anabaptist Vision, 《재세례 신앙의 비전》, 김복기 옮김, KAP, 2009, 70쪽.

35) 위의 책, 104쪽.

Page 19: 연구논문3 아나뱁티즘의자연과평화210.101.116.28/W_files/ftp41/15900365_pv.pdf · 2010-06-22 · 의화해를시도한다는것이불가능한일임을분명히하자는것이다

보도록하자.

1. 성서적삶과제자도

아나뱁티스트학자인죤하워드요더( John Howard Yoder)는《제자도》에서

이렇게주장하 다.

아나뱁티스트가 존재해야 할 이유는 그들이 신자의 세례를 시행했기 때문도 아

니고, 그들이 채택한 사회윤리 때문도 아니고, 그들이 무장하기를 거부하고 맹

세를 거부하기 때문도 아니다. 아나뱁티스트들의 존재 이유는, 아무리 기독교

적이고 성서를 능가한다 할지라도 성서 이외의 그 어떠한 권위도 받아들이지

않기때문이다.36)

신약성서가 삶의 규범으로써의 역할을 감당할 수 있는가에 한 논의는

체로 부정적인 결론으로 유도되지만, 아나뱁티스트들은 신약성서의 가르침

을삶에적용시키는일은각자가선택할몫이라고주장한다.

신약성서가 삶의 규범으로 적용될 수 있다면, 우선 국가관과 교회관이다.

칼로 변되는 국가의 질서는 하나님의 정의를 실현하고 구원하는 형태는 아

니지만, 하나님의 은혜의 한 표현으로써 피조물을 구속하려는 목표를 향하고

있다. 타락한 피조물까지도 구속하려는 하나님의 의도는 타락한 피조물과 그

세계를 보호한다. 그러나 교회에 하여 하나님이 주신 명령은 악을 십자가의

2 8 0 _ 종 교 문 화 비 평 1 7

36) John Howard Yoder, Discipleship as political Responsibility, 《제자도-그리스도인의 정치적 책임》, 김기현 역, KAP, 2007,64쪽.

Page 20: 연구논문3 아나뱁티즘의자연과평화210.101.116.28/W_files/ftp41/15900365_pv.pdf · 2010-06-22 · 의화해를시도한다는것이불가능한일임을분명히하자는것이다

삶으로 이기라는 것이다. 십자가의 길은 세상을 향한 하나님의 구원계획의 참

된본질가운데하나이다.

결국 성서적 삶은 인간을 포함한 모든 피조물의 타락을 방지하여야 하는

칼의 질서와 악을 선으로 이기는 십자가의 질서가 연합하여 세상을 향한 하나

님의구원사역을가능하게하는것이다.

2. 자연과평화공동체

1534년부터 약 2년간 진행된 뮌스터 천년왕국 운동의 지도자 던 베른하

르트 로트만(Bernhard Rothmann)은 루터파 목사 다가 얀 라이든과 얀 마티스

에게 동조하 던 인물이다. 그는 가톨릭과 루터파 연합군의 공격에 맞서서 기

독교인들도 검을 들고 세상적인 힘에 맞설 것을 촉구하 다. 그는 검의 용도를

악의 세력에 하여 맞서 싸우도록 하나님께서 주신 것으로 보았다. 뮌스터 천

년왕국의 핵심 인물들은 멜키오르 호프만이 주장한 종말론적 새 예루살렘이

뮌스터라고 믿었고, 그래서 검을 사용해서라도 새 예루살렘을 세우고 지켜야

한다고 생각하 다. 그러나 오늘날의 아나뱁티스트는 뮌스터 천년왕국 운동을

진정한 아나뱁티즘으로 받아들이지 않는다. 누가 와서 오른 뺨을 치거든 다른

뺨도돌려 던예수시 의교훈을저버린자들이라고비판한다.37)

그들은 예수 그리스도가 십자가를 선택한 것처럼, 예수의 제자들도 검을

택하는 신에 죽음을 선택할 것이라고 확신하며, 성서에 나오는 그리스도의

명령도 폭력을 금하고 원수까지도 사랑하라고 명백히 말하고 있다고 본다. 평

연 구 논 문 _ 2 8 1

37) Arnold Snyder, From Anabaptist Seed; the Historical Core of Anabaptist-Relatied Identity,《재세례 신앙의 씨앗으로부

터- 재세례 신앙의 정체성에 관한 역사적 핵심》, 김복기 역, KAP, 2003, 82쪽.

Page 21: 연구논문3 아나뱁티즘의자연과평화210.101.116.28/W_files/ftp41/15900365_pv.pdf · 2010-06-22 · 의화해를시도한다는것이불가능한일임을분명히하자는것이다

화적 아나뱁티즘의 핵심인물이었던 메노 시몬즈도“안으로 성령과 불의 세례

를받고, 밖으로주의말 을따라물의세례를받은사람들은인내, 희망, 침묵

그리고하나님의말 외에는어떤무기도가져서는안된다.”고하 다.38)

아나뱁티스트들은 그리스도인들의 무력사용에 반 하지만, 폭력이 난무

하는 세상 속에서 어떻게 응하고 평화를 지켜나갈 것인가에 한 고민을 끊

임없이 하고 있다. 더구나 현 사회는 물리적 폭력뿐만 아니라, 무한 경쟁적

인 정치, 경제 사회구조를 용인하고 있기 때문에 아나뱁티즘의 고민은 더 깊어

가고있다.

버지니아의 이스턴 메노나이트 학 갈등전환학 교수인 히즈키아스 아세

파(Hizkias Assefa)는 그의 저서에서“진정한 평화는 갈등이나 폭력의 부재 이

상을 의미한다.”고 하면서, 사회의 일부 구성원이 부와 특권을 누리는 동안 다

른 구성원들이 억압과 극심한 빈곤 등에 시달리는 경제구조나 사회구조는 반

드시 해결되어야 하는 폭력이라고 본다. 따라서 평화는 상호 파괴적인 관계를

상호 협력적이고 발전적인 관계로 전환(transformation)하는 것이 진정한 평화

라고주장하 다.39)

그는 갈등해소의 방법을 화해라고 보는데, 그가 말하는 화해는 첫째, 하나

님과의 화해, 둘째, 자신과의 화해, 셋째, 사회 전체와의 화해, 넷째, 자연과의

화해이다.40)

이것은 사람들이 하나님의 창조물인 자연과 립하고, 자연을 존중하지 않고

악용하며 산다면 하나님과 완전한 화해를 이룰 수 없다는 인식이 기초한다. 지

2 8 2 _ 종 교 문 화 비 평 1 7

38) 위의 책, 85쪽.

39) Hizkias Assefa, Peace and Reconciliation as Paradigm,《평화와 화해의 새로운 패러다임》, 이재 역KAP, 2003, 18-19쪽.

40) 위의 책, 30-36쪽.

Page 22: 연구논문3 아나뱁티즘의자연과평화210.101.116.28/W_files/ftp41/15900365_pv.pdf · 2010-06-22 · 의화해를시도한다는것이불가능한일임을분명히하자는것이다

구와 지구환경을 포함하여 인류 이외의 다른 피조물을 잘못 이용하는 것은 바

로인간과창조자의관계를욕되게하는것이다.41)

결국 평화는 인간과 인간 사이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인간과 온 물질 사

이에이루어져야하는것이라는해석이다.

3. 나눔과재산공동체

후터파의 재산공동체는 오늘에도 지속되고 있다. 부르더호프(Bruderhof)

라고부르는후터파공동체는말그 로‘형제의마당’이다. 그래서그들은하

나님에 의하여 창조된 것에 한 개인소유를 지양한다. 이것은 신자의 세례,

무저항 평화주의 그리고 단순하고 소박한 생활이라는 아나뱁티즘 공통의 요

소 외에 후터라이트들에서만 볼 수 있는 특징이다. 그러나 공동소유가 공산주

의를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들이 개인소유를 지양하는 가장 큰 이유는 나눔을

위해서이다. 결국 후터라이트의 생산양식 가운데에는 생산경쟁이 설 자리가

없다.

경쟁적인 생산의 원인은 소비적인 욕망에서 비롯된다. 따라서 후터라이트

공동체는 부분부유한공동체가아니며, “끊임없이자기의지를부정하며절

약하는 삶의 방식을 선택하기 때문에 부분의 농가들 보다 수입이 많지 않

다.”42)

오래된 메노나이트 공동체 가운데에는 현 화된 농업생산방식을 거부하

연 구 논 문 _ 2 8 3

41) 위의 책, 36쪽.

42) John Hostedler, Hutterite Life, 《후터라이트 사람들. 그 삶의 이야기》, 김복기 역, KAP, 2002, 45쪽.

Page 23: 연구논문3 아나뱁티즘의자연과평화210.101.116.28/W_files/ftp41/15900365_pv.pdf · 2010-06-22 · 의화해를시도한다는것이불가능한일임을분명히하자는것이다

고 옛날 방식을 고집하기도 하는데 반하여 후터라이트는 현 적인 농기계 제

작과 수리를 위하여 공동의 공작소를 마을에 설치하기도 한다. 그러나 그들은

공동 냉장고나 공동 세탁기로도 만족하며 기타의 편의시설들에 집착하지 않는

다. 개인의 사사로운 생활에 이용될 승용차를 거부하고 물건을 실어 나를 수

있는 차량을 선호한다. 라디오나 텔레비전, 잡지 등등 세속적 관심거리를 유발

시키는 것들과 거리를 유지한다. 어쩌면 후터라이트들이 경쟁생산을 지향하지

않는 것은 사유재산이 필요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저들은 자연

과 동행하는 삶을 지향하고 있기 때문에 공동소유라는 거 한 틀에서 생활하

고 있다. 이것은 한마디로 하나님과 인간의 욕심 사이에 평화조약을 맺은 것이

라고볼수있다.

V. 결론

이상과같이 16세기아나뱁티즘의성격과거기에서파생된현 아나뱁티

즘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2000년 기독교 역사 속에 등장한 여러 갈래의 신앙

운동들 중에서 아나뱁티즘 만큼 평화를 지향한 공동체는 없다. 그들이 주장한

평화는 성서에 그 뿌리를 두고 있으며, 그 성서 문자주의가 오늘날까지도 저들

의 이상을 유지하는 공동체로 존속하게 하 다. 동시에 16세기 아나뱁티즘은

오늘에 이르기까지 재산의 사유화에 제약을 두고 있다. 사유재산에 한 정도

의 차이는 있을지라도 부분의 공동체 재산들은 공유하고 있다. 개인 소유의

증가를 위한 경쟁적 생산을 지양하고, 공동체 구성원의 필요에 따라 생산품을

나누는 저들 공동체의 이상은 현 사회의 무한경쟁으로 인한 불평등이나 부의

편중과 더 나아가 폭력적 갈등구조와 이로 인한 국지적인 전쟁같은 문제점들

2 8 4 _ 종 교 문 화 비 평 1 7

Page 24: 연구논문3 아나뱁티즘의자연과평화210.101.116.28/W_files/ftp41/15900365_pv.pdf · 2010-06-22 · 의화해를시도한다는것이불가능한일임을분명히하자는것이다

에경종을울린다고하겠다.

성서적 제자도와 평화 그리고 나눔이라는 아나뱁티즘의 이상은 하나님이

창조한 자연과 공존하겠다는 생태적인 이상과 자연스럽게 연결된다고 생각한

다. 16세기 아나뱁티즘의 종교개혁 운동 가운데에 오늘 우리가 말하는 생태적

인 주장을 직접 찾을 수는 없지만, 현 아나뱁티스트학자들 사이에 자연과의

평화를 주장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아나뱁티즘의 자연과 평화에 한 이상은

오늘날 자연과 갈등하며 발전하는 현 사회에 매우 중요한 이정표를 제시하고

있음에틀림없다.

하나님의 창조세계와 화해하고, 경쟁적인 생산방식에 제동을 걸어 소유와

나눔 사이에 균형을 세우려는 현 아나뱁티즘의 삶의 양식은 단순하고 소박

한 삶 그리고 성서에 근거한 삶을 살며, 박해 가운데에서도 저항하지 않고 평

화를 위하여 헌신하려는 16세기 아나뱁티스트들의 이상이 그 뿌리가 되었기

때문임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앞으로 환경보존의 문제에 관한 현 아나

뱁티스트들의활동및환경친화적공동체의삶에 한연구가추가된다면, 16

세기부터 현 에 이르기까지 신학적인 바탕 위에서 생태적인 삶을 살고 있는

아나뱁티스트를 자연과 평화의 관점에서 보는 연구는 더욱 거 큰 결실을 맺을

것으로확신한다.

연 구 논 문 _ 2 8 5

_ 홍지훈

호남신학 신학과 교수(종교개혁사). 저서로《마르틴 루터와 아나뱁티즘》등이 있고, 공역으로《종교개혁과 반종교개혁》

등이 있다. 논문으로는〈마르틴 루터의 속죄론〉, 〈신앙약자 보호 문제에 한 루터와 칼슈타트의 논쟁〉등이 있다.

[email protected]

Page 25: 연구논문3 아나뱁티즘의자연과평화210.101.116.28/W_files/ftp41/15900365_pv.pdf · 2010-06-22 · 의화해를시도한다는것이불가능한일임을분명히하자는것이다

참고문헌

Assefa, Hizkias, 2003, Peace and Reconciliation as Paradigm, 《평화와화해

의새로운패러다임》, 이재 역, KAP.

Bender, Harold. S., 1950, Conrad Grebel, The Founder of the Swiss

Brethren, Scottdale: Herald Press.

, 1957, “The Historiography of the Anabaptists,”Mennonite

Quarterly Review 31, Goshen: The Mennonite Historical Society, 1957.

Bender, Harold, 2009, The Anabaptist Vision, 《재세례신앙의비전》, 김복기

옮김, KAP.

Fast, Heinold, 1956, “The Dependence of the first Anabaptists on Luther,

Erasmus and Zwingli,”Mennonite Quarterly Review 30, Goshen: The

Mennonite Historical Society, 1956.

George, Timothy, 1988, Theology of the Reformers, 《개혁자들의신학》,이은

선, 피 민역, 요단출판사.

Gross, Leonard, 1978, “Jakob Hutter,”Hans-Jürgen Goertz ed., Radikale

Reformatoren, München: C. H. Beck.

Hostedler, John, 2002, Hutterite Life, 《후터라이트 사람들. 그 삶의 이야기》,

김복기역, KAP.

Littel, Franklin, 1958, The Anabaptist View of the Church, Boston: Starr

King Press.

Loserth, Johann, 1982, “Hans Hut,”Mennonite Encyclopedia vol. 2,

Hillsboro: Mennonite Publishing House, 1982.

Müller, Lydia ed., 1938, Glaubenszeugnisse oberdeutscher Taufgesinnter I,

2 8 6 _ 종 교 문 화 비 평 1 7

Page 26: 연구논문3 아나뱁티즘의자연과평화210.101.116.28/W_files/ftp41/15900365_pv.pdf · 2010-06-22 · 의화해를시도한다는것이불가능한일임을분명히하자는것이다

Leipzig: A. Deichertsche Verlagsbuchhandlung.

Muralt und Schmid ed., 1952, Quellen der Täufer in der Schweiz Bd I,

Zürich: S. Hirzel Verlag.

Packull, Werner O., 1989, “Thomas Müntzer und das Hutsche Täufertum,”

Mennonitischer Geschichtsblätter 46, Karlsruhe: H. Schneider.

Schuler, Melchior und Schulthess, Joh. ed., 1828, Huldreich Zwinglis

Werke I, Der deutschen Schriften teil. 1, Zürich: Friedrich Schultheß.

Seebaß, Gottfried, 1978, “Hans Hut, Der leidende Rächer,”Hans-Jürgen

Goertz ed., Radikale Reformatoren, München: C. H. Beck.

, 1986, “Hans Hut,”Theologische Realenzyklopädie vol. 15, Berlin:

Walter de Gruyter.

Snyder, Arnold, 2003, From Anabaptist Seed: the Historical Core of

Anabaptist-Related Identity, 《재세례 신앙의 씨앗으로부터- 재세례 신

앙의정체성에관한역사적핵심》, 김복기역, KAP.

Spitz, L. W. ed., 1966, The Protestant Reformation, Englewood Cliff:

Prentice-Hall.

Stayer, J. M., 1973, Anabaptist and Sword, Lawrence: Coronado Press.

Williams, George, 1962, The Radical Reformation, Philadelphia: The

Westminster Press.

Yoder, John Howard, 2007, Discipleship as political Responsibility, 《제자

도-그리스도인의정치적책임》, 김기현역, KAP.

박건택편역, 2003, 《종교개혁사상선집》, 솔로몬.

오덕호, 1996, 〈만물의 평화: 환경문제와 관련해서 본 골로새서 1: 13-23〉,

《신학이해》, 14집, 호남신학 학교출판부.

연 구 논 문 _ 2 8 7

Page 27: 연구논문3 아나뱁티즘의자연과평화210.101.116.28/W_files/ftp41/15900365_pv.pdf · 2010-06-22 · 의화해를시도한다는것이불가능한일임을분명히하자는것이다

임희국, 2003, 〈츠빙 리의 생애와 신학사상〉, 《16세기 종교개혁과 개혁교회

의유산》, 한국장로교출판사.

홍지훈, 2002, 〈16세기 종교개혁급진주의내에서재세례파운동의 성격〉, 《한

국사학논총. 홍경만교수정년기념》, 경인문화사.

2 8 8 _ 종 교 문 화 비 평 1 7

Page 28: 연구논문3 아나뱁티즘의자연과평화210.101.116.28/W_files/ftp41/15900365_pv.pdf · 2010-06-22 · 의화해를시도한다는것이불가능한일임을분명히하자는것이다

Natur und Frieden des Täufertums

Hong, Ji-Hoon

Honam theological University

In dieser Forschung wurde vorgestellt, wie man von dem Glauben des 16.

Jht. des Täufertums den Schwerpunkt über Natur und Frieden in der heutigen

Zeit herausfinden kann. Offenbar scheint es, dass es kaum keine direkte Ökolo-

gische Behauptung, z.B. die Naturschutz, ökoprodukt, Umweltschutz usw.

gebe. Aber inderekt, d.h. im Grunde genommen, das Leben des 16. Jht. Täufer-

tums zeigt sich sowohl umweltfreundliches Verhältnis, als auch keine Habgier

nach weltlichen Dingen. Ich stelle vor, dass diese Verhältnisse von der harten

Nachfolgeschaft Jesu und seiner Friedensfertigkeit nach Widerstandlosigkeit

stark beeinflusst worden waren.

Nach meiner Meinung müssen 3 Widerrtähfer des 16. Jht. geforscht wer-

den. Sie sind Hans Hut, Menno Simons und Jakob Hutter. Hans Hut als

Hervorrang der Theorie von Erwählten bei dem neuen Schöpfung Gottes,

Menno Simons als Botschaft des Friedens Christi und Jakob Hutter als Hersteller

der Gütergemeinschaft nach dem Vorbild der alten Gemeinde Christi.

Wenn die Rechtfertingung bzw. das Heil der Menschen vor Gott

Versälnung(Reconciliation) mit Gott bedeute , wie Dr. Assefa geäussert hatte,

dann die Versöhnung soll nicht nur zwischen dem Gott und den Menschen

vollgeführt werden, sondern auch zwischen Menschen und Menschen, ausser-

연 구 논 문 _ 2 8 9

Abstract

Page 29: 연구논문3 아나뱁티즘의자연과평화210.101.116.28/W_files/ftp41/15900365_pv.pdf · 2010-06-22 · 의화해를시도한다는것이불가능한일임을분명히하자는것이다

dem zwischen Menschen un Natur als Geschöpfe Gottes.

In diesem Punkt kann man feststellen, das Täufertum in 16. Jht. ein

Vorbild des umweltfreunflichen Gesellschaft der modernen Zeit zu sein. Das

Ideal des Täufertums, d.h. Frieden, Freiheit von Habsucht und Nachfolge

Christi, soll bei heutigen ökologischen Ebene der Theologie ein neues

Forschungsgebiet anbieten.

Key Words: Täufertum, Frieden, umweltfreundliches Verhältnis, Gütersgemein-

schaft, Widerstandlosigkeit, Versöhnung.

투 고 일 : 2010. 1. 15

심 사 일 : 2010. 1. 18

게재결정일 : 2010. 2. 22

2 9 0 _ 종 교 문 화 비 평 1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