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3
현장연구 2014-03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가 실려 있습니다.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전영환 · 이혜경 · 이진현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 Upload
    others

  • View
    2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가 실려 있습니다.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환·이혜경·이진

Page 2: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자문위원

(가나다순)

박자경 (백석 학교 사회복지학부 교수)

서인환 (장애인재단 사무총장)

염희 (백석 학교 작업치료학과 교수)

육주혜 (나사렛 학교 재활공학과 교수)

이근민 ( 구 학교 재활공학과 교수)

집 필 진 ․책임연구자 : 환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선임연구원)

․공동연구자 : 이혜경 (경북과학 학교 작업치료학과 교수)

이진 ( 구보조기구센터 연구실장)

Page 3: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머리말

보조공학기기는 장애인의 삶 반에 많은 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특히 최

근 연구에 따르면 고용 역에서는 장애인의 직무수행에 정 인 것으로 평가

되고 있습니다. 공단은 2004년부터 보조공학기기 지원 사업을 수행하고 있으

며 양 으로는 많은 성과를 나타냈습니다. 반면, 질 인 측면에서는 보조공학

서비스 달에서 문성이 떨어진다는 지 도 있습니다.

공단은 이러한 실을 반 하여 보조공학 서비스의 질 수 제고의 일환

으로 보조공학기기 지원 업무에 활용할 수 있는 상담평가 도구를 개발하게 되

었습니다.

본 연구는 검사문항 추출, 문가 의견수렴, 일럿 테스트, 시범평가, 평가

과정 개발 등 일련의 체계 인 도구개발 차를 따르고 있습니다. 개발된 평

가도구는 신뢰도 타당도 수 이 양호한 것으로 평가 되었습니다. 평가도구

활용에 한 이해를 돕고자 보조공학기기 지원을 한 상담평가 과정을 개발

하여 제시하 습니다.

본 평가도구는 작업용 보조공학기기의 상담평가 업무 지원을 해 개발되

었지만 평가도구의 주요 용어를 일부 조정한다면 고용을 포함한 모든 분야로

그 용 범 를 확 할 수 있을 것으로 기 됩니다.

2014년 12월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원장 이 순 홍

Page 4: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Page 5: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i

목 차

Abstract ································································································· 1

연구요약 ································································································ 3

제1장 서론 ·························································································· 5

제1 연구의 필요성 ·············································································· 5

제2 연구목 ························································································· 7

제3 평가도구 개발 과정 ······································································· 8

제2장 평가지 개발방법 ···································································· 11

제1 보조공학 평가도구 개발을 한 문헌검토 ··································· 11

1. 검사요인 문항 선정 ··································································· 11

2. 검사 측정방법 선정 ······································································ 11

제2 문가 의견조사 ········································································· 11

제3 일럿 테스트를 통해 평가지 문항 선정 ····································· 12

제4 보조공학기기 사용 합성 평가도구 타당성 검증 ······················· 12

1. 평가 상 ······················································································· 12

2. 평가방법 ························································································· 13

3. 분석방법 ························································································· 13

제5 평가기 마련 평가과정 개발 ················································· 15

1. 평가기 마련 ··············································································· 15

2. 평가과정 개발 ··············································································· 15

Page 6: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ii

제3장 이론 배경 ··········································································· 17

제1 보조공학 평가모델 련 국내외 연구 동향 ································· 17

1. 보조공학 실행의 근간, 재활 모델 ·················································· 18

2. 공학 용을 한 욕구- 심 모델 ·················································· 21

3. 공학 용을 한 체론 근법 ············································ 22

4. 보조공학에 한 사용자의 개인 ······································· 26

5. 보조공학 평가모델 련 국내 연구 동향 ·································· 30

제2 인간-공학 응 모델 개요 ···························································· 31

1. (people)에서 개인(person) 심으로 패러다임의 변화 ············ 31

2. 인간-공학 응에 미치는 요인 ······················································· 33

제3 외국의 보조공학 평가도구 ·························································· 39

1. QUEST ··························································································· 39

2. PIADS ···························································································· 40

3. MPT ······························································································· 41

제4장 보조공학기기 사용 합성 평가도구 개발 ······························ 53

제1 문헌검토를 통한 문항구성 ··························································· 53

제2 문가 의견조사를 통한 평가지 1차 수정 ··································· 55

제3 일럿 테스트를 통한 평가지 2차 수정 ····································· 57

제5장 신뢰도 타당도 평가 ··························································· 61

제1 평가 상자의 일반 특성 ··························································· 61

제2 타당도 신뢰도 분석결과 ·························································· 62

1. 탐색 요인분석 ············································································· 63

2. 확인 요인분석 ············································································· 64

Page 7: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iii

3. 신뢰도 분석 ···················································································· 65

4. 수렴 타당도 분석 ··········································································· 65

제6장 평가기 마련 ········································································· 69

제1 특성 변수별 선호도 수의 평균 차이 비교 ································ 69

제2 평가기 마련 ·············································································· 70

제7장 평가과정 개발 ········································································· 73

제1 보조공학기기 선택을 한 평가 과정 ·········································· 73

제2 평가 단계별 내용 ········································································· 74

1. 기면 지 로토콜 ······································································ 74

2. 보조기기 요구도 체크리스트 ························································ 75

3. 작업용 보조공학기기 선호도 검사 ················································ 76

4. 보조기기 사용 합도 ··································································· 82

제3 용사례 ······················································································· 83

1. 사례-1(시각장애인 : 확 독서기) ···················································· 83

2. 사례-2(지체장애인 : 욕창방지 방석) ··············································· 88

3. 사례-3(지체장애인:특수마우스,특수키보드,높낮이조 작업테이블) ·· 92

4. 사례-4(청각장애인 : 작업물운송/운반장치, 화상 화기) ·············· 100

5. 사례-5(지체장애인:특수작업의자,높낮이조 작업테이블,특수마우스) · 106

제8장 결론 ······················································································· 115

참고문헌 ···························································································· 117

부 록 ···························································································· 125

Page 8: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iv

표목차

<표 4-1> 문헌검토에서 추출한 평가지 문항 ···················································· 53

<표 4-2> 일럿 테스트 참여자의 기 통계치 ·················································· 57

<표 4-3> 항목 제거 시 신뢰도 분석결과 ··························································· 58

<표 5-1> 평가 상자의 일반 특성 ································································ 61

<표 5-2> 탐색 요인분석 결과 ······································································· 63

<표 5-3> 사 검사에 한 확인 요인분석 결과 ··········································· 64

<표 5-4> 사후검사에 한 확인 요인분석 결과 ··········································· 65

<표 5-5> 사 /사후 검사지의 신뢰도 분석결과 ················································ 65

<표 5-6> 사 /사후 보조공학기기 선호도와 보조기기 사용 합도와의 상 계

··········································································································· 66

<표 5-7> 도출된 정 별함수(사 검사) ·························································· 66

<표 5-8> 분류표(사 검사) ················································································· 66

<표 5-9> 도출된 정 별함수(사후검사) ·························································· 67

<표 5-10> 분류표(사후검사) ················································································· 67

<표 6-1> 주요 특성변수별 선호도 평균 비교 ···················································· 69

<표 6-2> 집단별 선호도 합도 평균 수 ·················································· 70

<표 6-3> ANOVA F 검증 ················································································· 71

<표 6-4> Scheffe의 사후검증 ············································································· 71

Page 9: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v

그림목차

[그림 1-1] 공단의 보조공학기기 지원 차 ························································· 7

[그림 1-2] 평가도구 개발 과정 ·········································································· 9

[그림 3-1] 인간 활동 보조공학(HAAT) 모델 ····················································· 24

[그림 3-2] 인간-공학 응(MPT) 모델 ································································ 28

[그림 3-3] (people)에서 개인(person) 심으로 패러다임의 변화 ··············· 32

[그림 3-4] MPT 사용자 양식의 구성 체계 ························································· 48

[그림 4-1] 평가지 안 ····················································································· 54

[그림 4-2] 평가지 1차 수정 ·············································································· 56

[그림 4-3] 평가지 2차 수정(사 검사) ······························································ 59

[그림 4-4] 평가지 2차 수정(사후검사) ······························································ 60

[그림 7-1] 보조공학기기 선택 과정 ··································································· 73

[그림 7-2] 작업용 보조공학기기 선호도 검사 과정 ··········································· 77

[그림 7-3] 총 해석 ·························································································· 79

[그림 7-4] 기상담(사례1) ················································································· 84

[그림 7-5] 보조공학기기 지원 품목 ·································································· 85

[그림 7-6] 보조공학기기 요구도 평가(사례 1) ··················································· 86

[그림 7-7] 보조공학기기 선호도 검사(페블) ····················································· 87

[그림 7-8] 기상담(사례2) ················································································· 89

[그림 7-9] 보조공학기기 요구도 평가(사례 2) ··················································· 91

[그림 7-10] 보조공학기기 선호도 검사(로호궈드로 방석) ···································· 91

[그림 7-11] 기상담(사례3) ················································································· 93

[그림 7-12] 보조공학기기 요구도 평가(사례 3) ··················································· 94

[그림 7-13] 높낮이조 작업테이블, 조이스틱마우스 용 ···································· 95

[그림 7-14] 보조공학기기 선호도 검사(한손키보드) ············································ 97

Page 10: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vi

[그림 7-15] 보조공학기기 선호도 검사(롤러조이스틱 러스) ······························· 98

[그림 7-16] 보조공학기기 선호도 검사(SAT18W) ················································ 99

[그림 7-17] 기상담(사례4) ··············································································· 101

[그림 7-18] 보조공학기기 요구도 평가(사례 4) ·················································· 103

[그림 7-19] 보조공학기기 선호도 검사(CVP-2000) ············································· 104

[그림 7-20] 보조공학기기 선호도 검사( 동카트 운반차) ·································· 105

[그림 7-21] 기상담(사례5) ··············································································· 107

[그림 7-22] 보조공학기기 요구도 체크리스트(사례5) ········································· 109

[그림 7-23] 보조공학기기 선호도 검사(작업용특수의자) ···································· 112

[그림 7-24] 보조공학기기 선호도 검사(유압높낮이작업테이블) ························· 113

[그림 7-25] 보조공학기기 선호도 검사(인테그라 마우스 러스) ······················ 114

Page 11: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Abstract 1

Abstract

Development of Assistive Technology Device

Predisposition Assessment

Jun, Young Hwan(Researcher, Employment Development Institute, KEAD)

Lee, Hye Kyung(Professor, Kyongbuk Science College)

Lee, Jin Hyun(Manager of office, Daegu Assistive Technology Device Cente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ssessment tool which can be

used in consulting process for support of assistive technology device.

The development process of evaluation tool is as follows: Assessment

element is deduced through literacy analysis and it was revised based on

the collected opinions of experts which was the first revision. In order to

test the actual applicability of developed assessment instrument, pilot test

was conducted with the users of Daegu Assistive Technology Device

Center. Based on the result of pilot test, it was revised for the second time

and final assessment instrument created. The analysis result of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developed assessment tool shows that the reliability

level is satisfactory. Regarding the validity test, construct validity and

convergent validity turned out to be valid. Also, a standard that enables

judgment on the level of predisposition was suggested to increase the use

of predisposition test on the assistive technology device.

In this research, protocol for process of consulting assessment was

Page 12: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2

developed to support assistive technology device. The protocol suggests the

entire process from the early consulting stage to follow-up management

stage and as an assessment material for each stage of the process,

predisposition test, early stage interview test and check-list for the degree

of demand of assistive technology device was also developed and

suggested.

This assessment tool was developed to support the task of consulting

assessment of assistive technology device. However, it is expected that if

some parts in main key words of predisposition test questions are adjusted,

the application range can be expanded from the working disabled to all

the disabled people.

Key words : assistive technology, device, assessment, predisposition

Page 13: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연구요약 3

연구요약

본 연구는 장애인들이 직업생활에 필요한 보조공학기기를 지원하기 한

상담과정에 활용할 수 있는 평가도구를 개발하는 데 그 목 이 있다. 평가도

구는 체계 인 연구개발 차를 따르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외 문헌검토를 통해 보조공학 사용 합성 평가도구의 검사요인,

검사문항, 측정방법 등을 결정하 다.

둘째, 문헌연구를 통해 도출된 안 검사문항을 문가 그룹(교수 4명,

장 문가 1명)을 통해 내용타당도를 확보하 다. 다음은 구보조기구센터 이

용 장애인 20명을 상으로 일럿 테스트를 실시하고, 문항제거 신뢰도 검증

을 통해 검사지의 문항을 최종 확정하 다.

셋째, 최종 개발된 검사지를 공단 지사에 보조공학기기를 신청한 장애인

165명을 상으로 시범평가를 실시하고 평가 결과를 분석하여 검사도구의 신

뢰도와 타당도를 평가하 다. 신뢰도를 분석한 결과, 보조공학기기 선호도 검

사지의 Cronbach ɑ 값은 사 검사가 0.948, 사후검사가 0.955로 신뢰도 수

은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성개념에 한 타당도 평가는 탐색 요

인분석과 확인 요인분석을 실시하 는데 두 가지 요인분석 모두 단일 차원

개념을 잘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렴타당도는 상 계 분석과

별분석을 통해 확인하 다. 상 분석은 보조공학기기 선호도 검사의 사 /사

후 수와 보조기기의 사용 합도 수 간에 상 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피어슨의 상 계 계수는 사 검사와 합도 간에는 0.608, 사후검

사와 합도 간에는 0.621로 모두 유의수 1%에서 통계 으로 유의미한 상

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조공학기기의 합도를 검사요인이 별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기 해 별분석을 실시하 다. 선호도 검사 요인들이 보조

Page 14: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4

공학기기 사용 합도 수 을 정확히 분류한 수 은 사 검사가 62.6%, 사후

검사가 70.1%를 나타냈다. 정확 분류율은 사후검사가 사 검사보다 7.55%p 더

높게 나타나 사 검사에 비해 사후검사가 보조기기의 사용 합도를 더 잘

측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에 따라 본 연구에서 개발한 평

가지는 수렴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보조공학기기 선호도 검사에 한 평가기 은 분산분석을 통해 산출

하 다. 평균과 표 편차를 이용해 선호도 집단을 4개로 분류하고 이들 집단

간에 합도 수의 평균에 차이가 있는 지를 확인하 다. 분석결과, 보조공학

기기에 한 선호도의 양호한 정도를 나타내는 단 기 은 38 으로 제시하

다.

다섯째, 장애인에게 필요한 작업용 보조공학기기를 선택하는 평가 과정을

개발하 다. 평가 과정을 단계별로 살펴보면, 보조기기가 신청된 이후 기 상

담과정에서는 보조기기 사용에 한 기본 인 정보를 수집한다. 보조기기 요

구도 평가과정은 신청한 보조기기에 한 최소한의 요구사항을 검하는 과정

이다. 보조기기 선호도 검사는 보조기기에 한 선호가 어느 정도인지를 악

하는 것으로 신청 단계에서는 사 검사를 실시한다. 평가자는 기 상담, 기

기 요구도 평가, 선호도 검사를 종합하여 기기 지원 결정여부를 단하여

정한 기기를 지원한다. 지원된 보조기기는 선호도 사후 검사를 통해 사 과

비교하여 하게 선택 되었는지를 평가한다. 사업담당자와 사업주에게는 보

조기기가 장애인에게 합한지를 악하기 해 합도 평가를 실시할 수 있

다. 이후 지속 인 사후 리를 통해 한 기기 사용이 될 수 있도록 지원한

다. 이러한 일련의 상담평가 체계를 마련하기 해 선호도 검사와 더불어

기면 지와 보조공학기기 요구도 체크리스트리트를 함께 개발하여 제공하

다. 장 실무자의 평가도구 사용에 한 이해를 돕기 해 장애유형별, 기기

유형별 다양한 용사례를 제시하 다.

Page 15: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제1장 서론 5

제 1 장

서 론

제1 연구의 필요성

한국장애인고용공단(이하 공단이라 함)은 장애인고용 진 직업재활법 제

21조에 따라 장애로 인해 직업생활에 어려움을 겪는 장애인에게 작업용 보조

공학기기를 지원하고 있다. 보조공학기기 지원의 목 은 장애인의 고용안정과

고용 진을 도모하는 데 있다. 공단 업무 규정에 따르면 “보조공학기기”란 장

애인이 업무 수행 시 필요한 기능을 유지․향상시키는 공학기기 는 장비를

말한다. 공단이 지원하는 보조공학기기의 보기로는 자정보단말기, 높낮이 작

업테이블, 의사소통기구 등을 들 수 있다.

공단은 2004년 12월에 보조공학기기 지원 사업을 처음 시행하 다. 그 간의

사업 실 을 살펴보면, 2013년 12월 말 기 으로 지원 사업체수는 12,138개소,

지원 장애인수는 48,268명, 지원기기는 65,190 을 나타냈다(한국장애인고용공

단, 2014). 이와 같이 외형 으로 나타난 실 만을 본다면 공단의 보조공학기

기 지원 사업은 목할만한 성과를 거두고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그러나 질

인 측면에서 보조공학기기 달 과정에서 서비스의 문성이 떨어진다는 지

이 있다( 환, 이근민, 2013).

보조공학기기 지원에 있어 문성 부재는 보조공학기기가 장애인에게 합

하게 연결되지 않는 미스매칭의 문제를 발생시킨다. 보조공학기기의 미스매칭

문제는 보조공학기기를 사용하고자 하는 장애인으로부터 지원 기기가 외면

Page 16: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6

는 방치되어 공 기 이 낭비되는 결과를 래할 수 있다(Phillips & Zaho,

1993). 공단은 보조공학기기 지원 업무의 문성을 높이기 해 보조공학사

자격 연수, 직무교육 등을 실시해오고 있다. 그러나 동 사업에 한 사업평가

결과에 따르면, 공단 업무담당자의 36.7%만이 보조공학기기가 장애인에게 매

칭 되었다고 응답해 여 히 서비스 달의 미스매칭이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 2013).

이러한 미스매칭이 발생하는 근원 원인을 살펴보기 해서는 공단 보조

공학기기 지원사업의 업무 차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그림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동 사업의 업무 차는 사업주가 공단 지사에 보조공학기기를 신청

하면 지사 담당자는 신청서를 검토하여 지원타당성을 평가하고 지원 결정 여

부를 사업주에게 통보하고, 지원이 확정된 경우 기기를 해당 장애인에게 제공

하고 사후 리를 하는 일련의 연속 인 과정으로 되어있다. 이 과정에서 기기

지원의 타당성 평가가 제 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미스매칭의 빈도는 차

많아질 것으로 상된다. 이런 에서 보조공학기기 지원에 있어 타당성 평가

과정이 매우 요한 과정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공단 지사에서는 통상 면

는 화 상담만으로 보조공학기기 지원을 결정하고 있어 기기 지원결정의

타당성 결여를 여실히 드러내고 있다. 이러한 상황이 지속되는 경우 해당 서

비스의 질 하락과 서비스 이용자의 불만족을 증폭시킬 수 있다. 따라서 공단

은 보조공학기기 지원 업무의 문성 확보 차원에서 기기 지원결정의 타당성

을 높이기 한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재 국내에는 작업용 보조공학기기의 지원 결정을 평가하기 한 어떠한

형태의 평가도구도 개발된 사례는 없는 것으로 확인된다. 보조공학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민간기 는 보건복지부의 산을 지원받는 지역별 보조기구

센터에서는 보조공학에 한 클라이언트의 욕구를 악하기 한 체크리스트

와 서술형을 혼합한 형식의 상담평가지를 자체 제작하여 활용하고 있다. 이러

한 평가지는 비정형화되어 있고 보편 보조기구에 활용하고 있어 공단과 같

Page 17: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제1장 서론 7

이 작업용 보조공학기기 지원 업무에 바로 도입하여 활용하기에는 하지

않은 이 있다. 따라서 고용서비스 분야에서 보조공학기기 지원 결정에 활용

할 수 있는 평가도구 개발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그림 1-1] 공단의 보조공학기기 지원 차

제2 연구목

이상의 연구배경 하에 본 연구는 보조공학기기 지원 시 상당평가에 활용할

수 있는 보조공학기기 사용 합성 평가도구를 개발하는 데 있다.

Page 18: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8

제3 평가도구 개발 과정

보조공학기기 사용 합성 평가도구 개발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외 문헌검토를 통해 보조공학 사용 합성 평가도구의 검사요인,

검사문항, 측정방법 등을 결정하 다.

둘째, 문헌연구를 통해 도출된 안 검사문항을 문가 그룹을 통해 내용타

당도를 확보하고, 일럿 테스트를 통해 평가지 문항을 수정 보완하여 최

종 평사지를 완성하 다.

셋째, 최종 개발된 검사지를 공단 지사에 보조공학기기를 신청한 장애인을

상으로 시범평가를 실시하고 평가 결과를 분석하여 검사도구의 신뢰도와 타

당도를 평가하 다.

넷째, 개발된 평가지의 활용을 해 평가기 을 마련하 다.

다섯째, 마지막으로 작업용 보조공학기기 지원을 한 상담평가 과정을 개

발하 다. 상담평가 체계를 마련하기 해 보조공학기기 선호도 검사와 더불

어 기면 지, 보조공학기기 요구도 체크리스트를 함께 제공하 다.

본 연구에서는 이상과 같은 일련의 개발 차를 따르며, 보조공학기기의

용 범 는 상용제품만으로 한정하고, 상담평가 과정에 지원 품목을 확인하기

어려운 맞춤제작 보조공학기기는 제외하 다.

Page 19: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제1장 서론 9

[그림 1-2] 평가도구 개발 과정

문헌연구

- 보조공학기기 사용 합성 평가도구 개발을 한

문헌검토

․ 문헌연구를 통해 검사 요인 도출

․ 외국의 련 검사 도구를 통해 검사 문항 도출

․ 측정방법 검토

검사지 개발

(문항구성)

- 문가 그룹을 통해 문항 구성

- 일럿 테스트를 통해 평가지 문항 수정 보완

시범평가- 보조공학기기 신청자를 상으로 시범평가 실시

․신뢰도, 타당도 분석

평가기

마련검사지의 평가기 마련

평가과정

개발

- 평가과정 개발

․단계별 상담평가 로토콜 개발

․ 기면 지 개발

․보조공학기기 요구도 체크리스트 개발

Page 20: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Page 21: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제2장 평가지 개발방법 11

제 2 장

평가지 개발방법

제1 보조공학 평가도구 개발을 한 문헌검토

1. 검사요인 문항 선정

보조공학기기 사용 합성 평가지의 검사요인 검사문항을 선정하기

해 외국에서 활용되고 있는 보조공학 평가도구들을 살펴보았다. 특히 본 연구

개발과 유사한 MPT를 기반으로 검사 요인을 선정하 다.

2. 검사 측정방법 선정

보조공학기기 사용 합성 평가도구의 측정방법을 선정하기 해 외국의

보조공학 평가도구들의 측정방법을 검토하 다. 특히 MPT를 기반으로 하여

평가도구의 측정방법을 선정하 다.

제2 문가 의견조사

문헌검토를 토 로 추출한 보조공학기기 사용 합성 평가지 문항에 한

내용타당도를 확보하기 해 문가 의견조사를 실시하 다. 문가 그룹은 보

Page 22: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12

조공학 공 학과 교수 2명, 작업치료학과 교수 1명, 사회복지학과 교수 1명,

장 문가 1명 등 총 5명으로 구성하 다. 문가 의견조사는 2014년 5월 29

일부터 6월 9일까지 실시하 다. 평가지 구조, 문항 구성 내용, 측정방법 등

에 해 서면으로 의견을 수렴하여 평가지 문항을 1차 수정 보완하 다.

제3 일럿 테스트를 통해 평가지 문항 선정

문가 의견조사를 통해 1차 수정한 평가지 문항에 해 일럿 테스트를

실시하고 평가지를 2차 수정 보완하여 평가지 문항을 최종 확정하 다.

일럿 테스트는 2014년 7월 1달 간 구보조기구센터에 서비스를 신청한 장애

인을 상으로 시행하 다. 모두 20명의 평가사례를 수집하 으며 그 응답

이 유효하지 않은 3명의 사례를 제외한 17명이 문항 선택을 한 기 분석에

활용되었다.

제4 보조공학기기 사용 합성 평가도구 타당성 검증

본 연구에서 최종 으로 개발하여 제안한 평가도구가 타당한 지를 평가하

기 해 시범평가를 실시하 다. 이를 해 실제 장애인근로자를 상으로 평

가를 실시하고 평가 결과를 토 로 타당성 검증을 실시하 다.

1. 평가 상

보조공학기기 사용 합성 평가도구의 시범평가 상은 공단 지사에 보조

공학기기를 신청한 장애인 근로자이다. 평가지는 세 가지 형태로 구분되고 각

각의 해당 평가 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보조공학기기 선호도 검사(사 )는

Page 23: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제2장 평가지 개발방법 13

7,8월 지원 (기)결정자 8월 결정 상자 기기제공 2주 이내인 장애인근

로자, 둘째, 보조공학기기 선호도 검사(사후)는 사 선호도 검사자 기기 사

용 1개월 이상 경과자, 셋째, 합도 검사는 사후 선호도 검사 상자의 사업

주 는 담당자가 평가 상에 해당한다.

2. 평가방법

시범평가는 2014년 8월 부터 9월 말까지 약 2달 간 실시하 다. 평가자료

수집은 공단 본부 근로지원부의 조를 받아 공단 지사별로 일정 평가 사례를

모집하는 방식으로 진행하 다. 장에서 원활한 평가를 해 공단 지사에 평

가 작성 요령서를 제공하 다. 평가는 보조공학기기 선호도 검사의 사

사후 검사지는 장애인 근로자가 직 자기 보고식으로 응답하는 방식으로 평

가가 진행되었다. 다만, 인지 장애로 인해 검사지 작성이 어려운 경우 리

인이 신하여 평가지를 작성하도록 하 다. 사후평가 시 에서의 보조공학기

기 사용에 한 합도 평가는 사업주 는 지사 사업 담당자가 제 3자의 입

장에서 그 수 을 측정하도록 하 다. 보조공학기기 선호도 검사지는 12개 문

항이며 5 척도로 측정되며 수가 높을수록 해당 질문에 한 동의 수 이

높음을 나타낸다. 합도 평가지는 1개 문항이며 수의 범 는 1 에서 10

이며 수가 높을수록 보조공학기기의 사용 합도가 높음을 나타낸다.

3. 분석방법

보조공학기기 사용 합성 평가도구의 심리측정학 합도를 악하기

하여 신뢰도 분석과 요인분석을 수행하 다. 보조공학기기 사용 합성 평가

도구가 보조기기의 사용 합도에 어느 정도의 향력을 나타내는 지를 단

하기 해 상 분석을 실시하 다. 한 보조공학기기의 합도를 검사요인이

Page 24: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14

별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기 해 별분석을 수행하 다. 통계분석은 SPSS

20.0을 활용하 으며, 확인 요인분석은 Amos 7.0을 사용하 다.

가. 탐색 요인분석

요인 분석은 표 합도 분석(KMO)을 통하여 검증된 자료를 바탕으로 주

성분분석법(principal factor analysis)을 사용하 다. 주성분분석방법은 요인의

수를 최소한으로 산출하고 최 변인들이 지닌 정보를 극 화하는 방법으로

본 연구 목 에 부합된다.

나. 확인 요인분석

확인 요인분석은 Amos 7.0을 활용하여 분석하 다. 탐색 요인분석과

신뢰도 검증 결과를 바탕으로 검사에 한 모형 합성을 분석하 다. 모형

합성을 단하기 해서 TLI(Turker-Lewis index), RMR(root mean square

residual), CFI(comparative fit index) 값을 기 으로 하 다.

다. 신뢰도 분석

평가 문항에 한 문항 신뢰도분석을 하여 내 합치도(Cronbach ɑ)분석

을 수행하 다.

라. 수렴 타당도 분석

수렴 타당도는 검사 수와 외 변수와의 계를 분석함으로써 검사의 타당

도를 검증하는 방법이다. 보조공학기기 사용 합성 평가도구의 사 /사후

수와 보조기기의 사용 합도 수 간에 어느 정도 상 이 있는지를 통해 이

를 악하 다. 한 다른 방법으로는 보조공학기기의 합도를 검사요인이

별할 수 있는지를 통해 수렴 타당도를 분석하 다.

Page 25: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제2장 평가지 개발방법 15

제5 평가기 마련 평가과정 개발

본 에서는 보조공학기기 선호도 검사지의 활용을 한 평가기 을 마련

하기 한 방법과 보조공학기기 선택을 한 평가과정 개발 차를 제시하 다.

1. 평가기 마련

보조공학기기 선호도 검사지의 평가기 마련을 해 시범평가 상자의 주

요 특성 변수별로 선호도 수의 평균에 차이가 있는 지를 검증하 다. 이는

선호도 검사가 주요 특성 변수에 따른 향이 있는 지를 단하기 한 것이

다. 선호도 수의 평정은 해당 수의 평균과 표 편차를 이용하여 집단을

분류하고, 이들 집단 간의 보조기기 사용 합도 수의 차이를 이용해 평가

기 을 마련하 다.

2. 평가과정 개발

보조공학기기를 선택하기 한 평가과정은 기상담, 보조공학기기 요구도

평가, 보조공학기기 선호도 검사, 사후평가 순으로 진행된다. 기상담을 해

기존 공단의 기 상담지와 민간보조기구센터 등에서 사용하고 상담지를 참조

하여 기면 지를 개발하 다. 보조기기에 한 기본 인 요구도를 체크하기

한 보조기기 요구도 체크리스트는 공단에서 제공하고 있는 보조기기 품목과

제품을 범주화하여 그 특성을 악하고 해당 제품의 생산 공 업체 계

자와의 면담을 통해 체크리스트를 제작하 다. 한 구보조기구센터 이용자

를 상으로 시범 용하여 체크리스트를 수정 보완하 다. 평가과정별로

로토콜을 제시하여 평가과정에 한 이해를 높이고자 하 다. 한 평가도

구 사용에 한 이해를 돕기 해 장애유형별, 보조기기유형별로 다양한 용

사례를 제시하 다.

Page 26: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Page 27: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제3장 이론적 배경 17

제 3 장

이론적 배경

제1 보조공학 평가모델 련 국내외 연구 동향

보조공학이 사용자에게 미치는 향을 이해하려면 몇 가지의 보조공학 주

류모델에 한 설명이 선행되어야 한다. 다음에서 고찰하려는 네 가지 평가모

델은 재활 모델(rehabilitation model), 욕구- 심 모델(need-based model), 보

조공학의 체론 근인 인간 활동 보조공학 모델(human activity assistive

technology model: HAAT) 그리고 보조공학에 한 사용자의 개인 인

인간-공학 응 모델이다(De Jonge et al., 2007). 이들 모델을 심으로 평가

모델들의 진 인 발달 과정, 서비스 달의 특성, 최근 정책과 사회문화

추세 특히, 사용자- 심 서비스로의 환을 으로 각 모델의 련성과 통

합성을 살펴본다.

보조공학 문가가 사고 과정의 특성이자 직무의 지침인 련 모델에 한

지식이 없거나 보조공학 서비스 실행의 배경 지식을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보조공학 서비스의 업무 역을 정의하고 체계 근을 제공하는 명확

한 모델이 설정되어 있지 않을 때, 서비스 제공자들의 수행은 다분히 직

이며 임상 경험과 시행착오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Krefting, 1985; Cook &

Polgar, 2008). 수행이론의 틀에 한 지식이 없는 서비스 제공자는 장애인 사

용자와 마찰을 빚거나 문제의 원인을 이해하지 못하며, 업무 역에서 발생하

는 새로운 지식과 개념의 변화를 이해하고 조직화하는데 난항을 겪게 된다

(De Jonge et al., 2007).

Page 28: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18

모델은 련 역, 보조공학 사용자 참여, 문제정의, 서비스 제공자의 역할,

평가 략, 재방법, 고려사항 평가 그리고 모델의 이라 할 수 있는 결과

측면을 체계 으로 설명한 것이다. 지난 수년 동안, 보조공학은 몇몇 모델을

근간으로 서비스가 실행되었다. 기의 보조공학 서비스는 재활 모델과 일반

건강 모델을 기 로 수행되어 왔으나, 최근에 이르러 보조공학의 선택과

용을 포함한 복합 인 자체 이론들이 개발되기 시작했다. 보조공학 서비스

가 발달하여 지역사회로 확장되자 다양한 환경에 용할 수 있는 모델들이 개

발되었다. 욕구- 심 모델은 보조공학 문가가 개인의 목표를 구체 으로 설

정하여 체계 인 과정을 거쳐 보조공학기기를 선택하도록 개발되었다(De

Jonge et al., 2007). 지난 10년간, 보조공학 모델은 보조공학 사용과 련

한 다면 요인을 확인하고 이들 요인의 상호작용 방식을 분석한 다음 서비스

달체계를 개발해 왔다(Lenker & Paquet, 2003). 보조공학 모델은 장애의 사

회모델과 욕구- 심 모델로의 환과 같은 시 추세의 변화와 보조공학 사

용에 따른 문제 그 이면의 요인에 한 이해를 증진하기 해 지속 으

로 발 되어야할 것이다.

1. 보조공학 실행의 근간, 재활 모델

재활 패러다임은 보조공학 서비스 성장의 모태가 되었으며 재 다수의 평

가와 재가 이 모델에 뿌리를 두고 있다(De Jonge et al., 2007). Seidel (2003)

은 재활을 ‘신체 , 정신 손상으로 인해 기능이 변하 거나 제한되었을 때

기능 활동에 다시 참여할 수 있도록 개인의 능력을 회복하는 과정’이라고

정의하 다. 재활 모델은 질병의 원인을 밝히고 치료를 해 의료 문가에게

의존할 수밖에 없는 환자에게 을 두는 의료모델에서 출발하 다. 재활 패

러다임은 양 세계 을 거치면서 발생한 수많은 상자들의 기능 회복에

역 을 두었으며 가능한 한 기능 독립을 다시 획득하고자 다양한 보상 략

을 제공하 다(Seidel, 2003). 보조공학기기는 사지가 손실되거나 구 인 손

Page 29: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제3장 이론적 배경 19

상으로 인해 의수족과 특수한 장비가 필요한 시기에 사용되었다. 재활 패러다

임은 사회 변화와 함께 진 으로 발달하면서 신체구조와 기능에 을

두고 장애인과 그들의 욕구를 바라보는 에 지속 인 향을 미쳤다. 이

모델의 평가는 개 특정 증상과 비정상 인 징후를 확인하고 주로 근골격계

기능, 인지기능, 심 계 기능 같은 신체 기능 역에서 개인이 가지고 있는

능력을 악하는데 을 둔다. 재활 모델에서 재는 개인이 가능한 한 최

수 의 기능으로 회복되도록 의료, 사회, 교육 직업 측면에서 통합

이고 조정된 훈련을 실시하는 것이다(De Jonge et al., 2007).

보조공학 문가가 질병과 손상에 한 해부․생리학 병리 문지식

을 가지고 한 치료와 보상 략을 구사할 때 비로소 환자에게 문가로 인

식된다(Dewsbury et al., 2004). 보조공학 문가는 환자에게 손상된 기능을

회복하는 방법과 이를 체 할 수 있는 한 보상기술을 가르치고, 보조공

학기기를 제시하고, 환경 응 략을 조언한다. 재활 모델은 확고한 과학 근

거를 기반으로 병리와 손상의 연구 그리고 교체와 같은 손상된 신체부

의 체를 한 공학 가능성에 지 한 심을 가지고 있다. 한 컴퓨터 게

임을 이용한 인지기능 발달이나 착석 시스템을 이용한 자세변형의 교정과 같

은 재훈련과 기능증진 역에서 공학 가능성들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De

Jonge et al., 2007).

재활 모델의 목표는 최 한 기능 독립이며 이를 획득하려는 개인의 동기

수 에 따라 목표 달성이 달라진다. 재활 모델은 필요한 보조공학기기 유형을

결정하기 해 일반 으로 개인의 장애를 먼 확인한 후, 보조공학기기를 사

용할 기능 수 을 평가한다. 다음 단계로 개인의 신체를 측정하여 기기 사용

에 필요한 치수와 장 을 확인한다. 모든 재가 추구하는 결과는 개인이 가

정으로 복귀하여 가능한 독립하는 것이다. 따라서 재 결과의 평가는 개인의

독립 수 과 독립을 뒷받침할 만한 기능에 을 두게 된다(De Jonge et al.,

2007).

Page 30: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20

앞서 보았듯이 재활 모델은 의료 모델을 근간으로 발달하 으므로 이 모델

은 장애가 일차 으로 개인의 질병, 외상 는 건강상태에 의해 발생하는 개

인 문제라는 을 가진 장애의 개인 모델을 따르고 있으며, 필요한 의

료 리는 개인별 치료형태로 의료 문가가 제공한다(Barnes & Mercer, 1997).

의료 모델에서 장애는 개인 비극이며 응이 필요한 손상이라는 을 가

지고 있으므로 개인 결손이 자존감에 부정 인 향을 미치게 된다

(Chadwick, 1995). 재활 모델은 신체 일부의 상실과 같이 명백하게 기능을 회

복할 수 없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치료의 우선순 를 기능회복에 둔다(Law et

al., 1998). 신체구조와 기능의 회복 치료를 한 보조공학의 역할은 일반

으로 재 단계의 마지막에 개입한다. 보조공학기기는 개인이 하고자 하는 일

이나 어떤 활동이 수행될 배경을 포 으로 고려하기보다, 재 나타난 특정

한 결손에 따라 결정된다(Hocking, 1999). 따라서 재활 모델은 개인의 고유한

목 과 심, 참여하고자하는 활동의 특성 그리고 보조공학이 사용될 환경을

포 으로 수용하기에는 다소 한계가 있다(De Jonge et al., 2007).

재활 모델의 결과(outcome)는 서비스 제공자가 평가하고 확인하며 환자가

일반 기 인 이상 인 표 수행을 완수하 는지 혹은 완 한 독립을 달성했

는지에 주안 을 둔다(Law et al., 1998). 이 모델은 보조공학 사용 결과의 성

공여부를 측정하는데 다소 어려움 이 있으며 이는 기능 독립을 검사하는

표 화된 여러 검사들이 보조공학기기 사용을 배제한 상태를 완 한 독립으로

간주하기 때문이다(De Jonge et al., 2007). 가령 재활분야의 결과 측정에 많이

사용되는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FIM; Stineman et al., 1996)는 보

조공학기기 사용 결과를 측정하기에는 한 도구라고 할 수 없다. FIM에서

완 독립 수 인 최고 수 7 은 도움이나 보조공학기기 없이 한 시간

내에 과제를 수행하는 사람만이 취득할 수 있으므로, 이 평가도구에서 보조공

학기기를 사용하는 장애인 사용자는 어떤 경우이든 완 히 독립 인 기능수

을 성취하지 못한 결과를 얻게 된다(Cook & Polgar, 2008).

Page 31: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제3장 이론적 배경 21

2. 공학 용을 한 욕구- 심 모델

장애인이 지역사회의의 주류로 편입하도록 돕기 한 장애인차별 지법과

일련의 직업재활 정책들은 보조공학 서비스를 지역사회라는 새로운 맥락으로

이끌었다. 그간 기존 보건의료 환경에서 역할을 담당해왔던 재활 모델은 새로

운 서비스 환경에는 다소 부 합하 다. 보조공학 문가들 역시 새로운 보조

공학기기의 등장, 복잡한 서비스 체계, 일상생활에 합한 보조공학 솔루션을

찾아 선택하는 화용론을 다루는데 있어서 재활 모델의 한계를 인식하게 되었

고, 이들은 보조공학 선택에 따른 련 쟁 들을 다루는 새로운 모델을 모색

하기에 이르 다(De Jonge et al., 2007). 보조공학 문가들은 보조공학 선택

과정을 안내하는 모델을 개발하 으며, 이러한 과정은 보조공학기기를 선택하

는 체계 인 과정을 개 하고 각 단계를 자세히 설명함으로써 다양한 보조공

학 서비스와 서비스를 제공하는 문가를 통합하 다(Bain & Leger, 1997;

Nochajski et al., 1999; Sprigle & Abdelhamied, 1998). 욕구- 심 모델은 사람

들 각자가 개인 목표를 가지고 있으며 일상의 활동에 참여하기를 원한다고

가정한다. 개인의 욕구는 그가 특정 환경 안에서 수행하려는 활동을 확인하

고, 개인이 생각하는 기능 목표나 욕구를 히 정의해 으로써 명확해 질

수 있다(Sprigle & Abdelhamied, 1998). 를 들어, 근성을 향상시키기 해

물리 환경을 조사하는 등 환경에 존재하는 장애물을 조명하고 활동이나

재를 해할 수 있는 환경 요소들을 다룬다(Bain & Leger, 1997). 이 모델은

장애인들의 구체 인 욕구를 악하기 해 장애인을 면담 과정에 참여하도록

권장하고 있다(Nochajski et al., 1999; Sprigle & Abdelhamied, 1998). 한편 보

조공학 문가들은 활동분석과 기능 능력을 측정하고 찰을 통해 사용자의

실제 과제수행 능력을 평가하기도 한다. 이 모델은 일차 으로 개인이 제시한

욕구에 을 두고 기능을 향상시키는 문제-해결 근을 사용함으로써 개인

의 역량, 안정감, 신체 기능의 향상을 목표로 하고 있다(Bain & Leger, 1997;

Sprigle & Abdelhamied, 1998).

Page 32: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22

욕구- 심 모델은 차모델로서 실제 보조공학 서비스 과정의 체계 인 틀

을 제공한다. Bain과 Leger(1997)는 보조공학 서비스 과정의 체계 인 틀로써

보조공학 서비스 9단계를 제시하 다. 이들 단계는 먼 과제의 확인, 사용자

의 능력 확인, 이용 가능한 보조공학기기를 확인, 재와 미래의 환경 확인,

사용자와 보조공학기기 간의 인터페이스 평가, 체 서비스 원에 의한 보조

공학기기 선택, 사용자에게 보조공학기기의 사용과 유지에 한 교육 실시, 평

가 과정의 기록 모든 보조공학 체계의 정기 인 재평가이다.

이러한 욕구- 심 모델의 실제 근은 보조공학 사용자에게 잠재 으로

자신의 욕구를 표 할 기회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스스로 목표를 설정하여

체 서비스 과정을 이끌어 가도록 한다. 하지만, 보조공학 문가가 사용자-

심 근을 지향한다 하더라도 그 가운데 평가나 재에서 사용자에게 주도권

을 부여하지 못할 경우도 배재할 수 없다. 를 들어, 수행요건을 측정하는 복

잡한 평가를 시행함에 있어 보조공학 문가는 사용자의 의견보다 각종 평가

를 통해 도출된 결과를 더 신뢰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한 비용-효율

측면을 고려하여 짧은 기간 안에 신속하게 보조공학 기기를 결정해야 하는 압

박 때문에 보조공학 문가들이 장애인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보조공학기

기 목록을 미리 정해 놓기도 한다. 보조공학 문가와 사용자의 경험, 지식수

재정지원 방식도 사용자- 심 근의 제한요인이 된다. 욕구- 심 모델

은 무엇보다 사용자의 욕구실 에 우선순 를 두고 있어서, 제공된 보조공학

기기의 효율성을 반드시 평가하여 보조공학 재가 사용자의 목표를 얼마나

충족시켰는가의 에서 재결과를 확인한다(De Jonge et al., 2007).

3. 공학 용을 한 체론 근법

인간 활동 보조공학(HAAT) 모델은 자신이 참여하기 원하는 활동과 활동이

일어나는 환경을 탐색함으로써 개인이 원하는 것을 성취하는 데 을 맞춘

Page 33: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제3장 이론적 배경 23

다. 이 모델은 장애인이 보조공학기기를 사용하여 주어진 환경 안에서 활동하

도록 진한다(Cook & Hussey, 2002). Cook과 Hussey(2002)는 Bailey (1989)

가 제안한 포 인 인간수행 모델에 이론 기반을 두고 범 한 역에서

보조공학을 디자인하고 용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이 모델을 개발하 다. 이

모델은 인간(human), 활동(activity), 보조공학 그리고 이 세 가지의 통합된 요

소가 존재하는 맥락(context)의 4가지 요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구성 요소는

체 시스템 내에서 고유한 요소로 역할을 한다<그림 1>. 이들 네 가지 요소

는 하부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먼 인간 요소는 물리 , 인지 , 정서 인자

가 내포되어있으며, 활동 요소는 자기 리, 생산성 여가, 보조공학 요소는

내 , 외 원동력, 마지막으로 맥락은 물리 , 사회 , 문화 , 제도 요소가

포함되어 있다. 보조공학의 디자인, 선택, 실행, 평가 그리고 보조공학기기의

개발 사용에 한 다양한 특성의 연구를 해 각 요소 별 고려와 이들의

통합은 필수 사안이다.

이 모델에서 물리 , 사회 , 문화 환경 맥락은 인간, 활동, 보조공

학으로 구성되어 있는 한 그룹을 마치 둥지처럼 담아내고 있다. 그룹을 형성

하는 세 요소는 이들 요소의 강한 향력 간에 역동 상호작용이 일어나며,

다양한 맥락 안에서 개별 요소 는 그룹 간 역동 상호작용이 개된다

(Cook & Polgar, 2008). 활동은 보조공학 시스템의 반 인 목표이며

Canadian Model of Occupational Therapy(CMOT; CAOT, 2002)에 따르면 일

상생활활동, 일과 생산 활동, 놀이 여가의 세 가지 수행 역으로 나 수

있다. 활동은 좀 더 세분화하여 과제로 나 어진다. 인간은 내 기술과 능력을

가지고 일련의 과제를 완수함으로써 개인이 활동의 기능 성과를 산출하도록

한다. CMOT는 인간의 능력을 물리 , 인지 , 정서 요소로 개념화하 다.

보조공학의 이상 인 사용과 련 있는 이 세 가지 역은 개인의 능력을 이

해하는데 매우 요하다. 보조공학기기의 효과 인 사용은 개인의 능력과 공

학의 요구 간의 한 응이 필수 이다(Scherer, 2005a).

Page 34: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24

[그림 3-1] 인간 활동 보조공학(HAAT) 모델

자료 : Cook, A. M., & Polgar, J. M. (2008). Assistive technology; Principle and practice. 3rd Ed. St. Louis, MO : Mosby.

보조공학기기의 선택과 평가는 특정 기기 사용자가 보자 혹은 숙련자인

지에 따라 상당히 달라질 수 있다. 숙련된 사용자의 사용 략을 분석하거나

교육 로그램을 개발하는 일은 보 사용자가 숙련된 사용자로 변모하기

한 효과 인 방법이 될 수 있다(Cook & Polgar, 2008). ICF에서 강조하고 있

는 참여는 개인의 문제에서 환경의 문제로 패러다임의 이동을 설명하고 있다.

인간이 활동을 수행하는 상황은 개인이 보조공학 시스템을 성공 으로 사용하

느냐의 여부를 결정하는 한 요인이 될 수 있다. 특히, Fougeyrollas(1997)는 개

인에 한 사회 기 가 정상(normality)에 한 인식이나 기 와 련 있다

고 주장하 다. 이러한 이유로 보조공학기기 사용이 사회 낙인이나 고립을

래할 수 있으므로 기기를 사용하게 될 개인의 사회 환경에 한 이해가

무엇보다 요하다고 볼 수 있다(Cook & Hussey, 2002). HAAT 모델은 보조

공학 서비스 제공자에게 개인의 기능과 욕구를 인식하도록 직 이고 체론

인 근법을 제공한다(Lenker & Paquet, 2003). 보조공학 문가는 사용자

Page 35: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제3장 이론적 배경 25

의 삶의 역할(life roles), 일상, 여가, 자기 리활동이 포함되어 있는 작업을 평

가하게 된다. 사용자 개인은 지각하고, 처리하고, 활동하는 생물학 구조를

지님과 동시에 보조공학 시스템에 부여할 기술, 능력, 경험을 지닌 고유한 개

인으로 간주한다. 따라서 보조공학 사용자가 바로 보조공학 시스템을 담당하

는 운 자 역할을 하게 된다(Cook & Hussey, 2002).

이 모델은 서비스 제공자들이 보조공학과 사용자, 활동, 물리․사회․문

화 환경 간 인터페이스의 평가를 통하여 이들 요소가 최 의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진한다. 서비스 제공자의 역할은 사용자들이 충분한 정보를 가지

고 기기를 선택하도록 돕는 일이다. 서비스 제공자는 력 작업을 해 서비

스 과정에 함께하는 사용자와 련자들에게 문지식과 경험을 제공한다(De

Jonge et al., 2007). ICF의 장애개념과 일치하는 이 모델은 개념 으로 임상

이나 손상에 을 맞추는 시각을 지양한다. 그 신 임상가들은 장애인

의 참여 가능성에 을 두고 수행을 장애나 손상의 에서 생각하기 보다

는 사용자, 보조공학, 환경 간의 부조화로 이해하도록 노력한다(De Jonge et

al., 2007). HAAT 모델에 입각한 수행 평가도구나 결과측정 방법이 개발되지

는 않았지만, Cook과 Polgar(2008)는 HAAT 모델 안의 다양한 요소를 히

다루기 해 인간-공학 응 모델 같은 다른 모델들과 캐나다 작업수행 측정

같은 측정도구를 언 하 다. 한 보조공학 사용 결과를 평가하기 해 특별

히 개발된 측정도구들, 가령 퀘백 보조공학 사용자 만족도 평가(QUEST)와 보

조공학기기 심리사회 향 척도(PIADS) 등을 설명하고 있다.

Page 36: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26

4. 보조공학에 한 사용자의 개인

장애인 사용자들이 보조공학에 한 자신들의 경험을 보조공학기기 선택과

정에 반 하기 시작하자, 보조공학 서비스 제공자들의 심은 단순히 기기의

선택 뿐 아니라 사용자가 보조공학기기를 사용하면서 겪는 문제 으로 시야를

넓히기 시작했다. 비록 보조공학 서비스 제공자가 기능을 증진시키는 보조공

학기기의 가치에 을 두더라도 단지 기기의 기능 향상 자체가 보조공학

의 사용을 보장하는 것은 아니다(Cushman & Scherer, 1996; Phillips & Zhao,

1993). Cushman과 Scherer(1996)는 서비스 제공자와 비교해서 사용자들이 기

기의 기능 인 이 은 인정하지만 보조공학기기의 심미 (aesthetic) 측면을 부

정 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을 발견했다. 장애인 사용자가 보조공학기기를

유용하게 인식하거나 심미 으로 인식하는 것은 기기의 사용과 비사용에 향

을 미치게 된다. 많은 사용자들이 보조공학기기를 사용했을 때 시각 으로 다

른 사람과 달라 보이거나 뚜렷한 장애를 가진 사람으로 규정되어 낙인 히는

것을 두려워한다(Brooks, 1998).

보조공학기기에 한 과도한 정 , 부정 인식은 개인의 자존감과 기기

의 가치 인식에 향을 미친다(Brooks, 1998). 기기 사용에 한 개인 경험,

특정 활동이 갖는 의미, 특정한 기기에 한 문화 의미와 같은 보조공학기

기가 갖는 개인 의미도 마찬가지로 기기를 지 받아 사용하는 사용자의 경

향에 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Spencer, 1998). 보조공학기기 사용자

와 이들의 기능과 심에 한 이해는 개인을 해 최 의 보조공학 시스템을

모색하는 사용자- 심 근의 요한 측면이다(Scherer et al., 2005).

이러한 보조공학기기 사용의 심리사회 측면을 설명하고자 시도한 모델이

바로 인간-공학 응 모델이다(Scherer, 1998). 이 모델은 성인 신체장애인의

보조공학기기 사용 비사용을 검사하기 한 근거이론 연구를 통해 발달하

다(Lenker & Paquet, 2003). 인간-공학 응 모델은 사용자와 보조공학의

합성에 향을 미치는 세 층의 요소를 보여 다([그림 3-2]). 가장 안쪽의 첫째

Page 37: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제3장 이론적 배경 27

층은 개인과 련된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 층은 물리 , 사회 환경으

로 문화, 태도, 정책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셋째 층은 비용, 유용성, 안정감

과 같은 공학 요소를 반 하고 있다(Scherer, 2005a).

인간-공학 응 모델은 인간과 보조공학, 그리고 이 둘의 최 의 응을

진하는 환경(milieu)의 요성을 강조한다(Lenker & Paquet, 2003). 이 모델은

사용자의 개성․기질 선호, 보조공학의 주요 특성, 물리 ․사회 환경,

지원 기회 그리고 이 모든 요소들이 잠재 으로 보조공학기기 사용에 미치

는 향에 을 두고 있다(De Jonge et al., 2007). 인간-공학 응 모델은

장애인이 다양한 방식으로 질병과 장애를 극복하고, 어려움과 변화에 응하

고 처하도록 돕기 해서 서로 다른 략들이 요구된다는 을 인정한다.

그것은 보조공학 사용자의 개인 측면들 즉, 보조공학에 한 경험 태도,

보조공학을 사용하는 능력을 평가하여 이들과 최상의 응을 이룰 수 있는 보

조공학기기의 특징들을 악하기 해 노력한다(Scherer, 2005b).

인간-공학 응 모델은 보조공학기기의 잠재 인 비사용을 문제 으로 규

정하 다. 비록 Scherer가 인간-공학 응 모델이 보조공학기기 사용에 한

측 인 모델이라 주장하지는 않았으나(Lenker & Paquet, 2003; Scherer,

2005c), 이 모델은 보조공학 서비스 제공자에게 기기 사용 비사용에 한

사용자의 요인을 평가하는데 도움을 다. 이 모델은 보조공학을 선택하는 과

정이 반드시 사용자가 주도하며 개별 사례를 심으로 이루어지도록 설계되어

있다(Scherer, 2005c). 이 모델의 구성개념과 평가도구들은 장애인 사용자들이

보조공학에 한 자신의 인식을 탐색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 보조공학

서비스 제공자는 사용자에게 기기의 사용에 가장 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이

해하도록 돕는 력자 역할을 수행한다. 이 모델은 보조공학기기의 선택과정

에서 사용자의 목표와 선호를 고려하도록 구성되었다. 사용자가 보조공학에

한 자신의 인식과 보조공학기기 사용에 한 성향을 탐색하는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작성함으로써, 보조공학기기의 평가와 선택 과정의 기부터 사용자

가 참여하도록 진한다(Scherer, 2005a; De Jonge et al., 2007).

Page 38: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28

[그림 3-2] 인간-공학 응(MPT) 모델

자료 : Scherer & Dicowden(2008)

이 모델은 사용자와 서비스 제공자가 재 처해 있는 맥락(context)에서 어

떤 보조공학기기가 그를 한 한 해결책인지를 상당히 주의 깊게 고려하

도록 돕는다. 평가를 통해 사용자에게 특정 보조공학기기가 필요하다고 단

되면, 이 모델은 보조공학기기를 구체 으로 평가하고 비교하며 수용 가능한

균형 을 결정하기 한 구조를 제공한다. 보조공학은 사용자에게 잠재 인

이익과 불이익을 제공할 수 있다. 보조공학은 수반되는 서비스 지원 뿐 만 아

니라, 디자인의 에서 사용 가능성, 호환성, 비용-효율성, 신뢰성, 심미성까

지 아우르는 에서 고려된다. 마찬가지로 보조공학이 용될 환경도 요

한 측면이므로, 보조공학기기 사용에 향을 미치게 될 물리 , 환경 , 사회

문제를 다루게 된다(De Jonge et al., 2007). 인간-공학 응 모델의 보조공

학 사용 평가는 보조공학기기의 사용과 비사용, 사용자 만족도, 사용자가 지각

Page 39: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제3장 이론적 배경 29

하는 웰빙을 평가한다(Lenker & Paquet, 2003).

인간-공학 응모델은 개인 간의 차이를 인정하고 사용자가 자신의 생활

속에 보조공학기기가 차지하는 비 을 평가하는 생활 반(whole of life)에

한 근을 취한다(De Jonge et al., 2007). 사용자는 보조공학기기 선택 과정

의 기에 개입하여 자신의 기능수 , 재 사용하고 있는 기기의 만족도, 기

기의 잠재 유용성을 평가한다. 이 모델은 보조공학의 가치를 평가하는 데

을 두기 때문에 보상 략, 과제 재배치, 활동보조 서비스와 같은 당면 과

제에 한 안 해법을 평가하는 것은 아니다(De Jonge et al., 2007).

Scherer(2005c)가 개발한 보조공학기기 사용 합성 평가도구는 보조공학

문가들이 매우 유용하게 사용해 왔으며 인간․공학․환경 간의 조화를 다루

는 입증된 평가도구이다. 인간-공학 응 모델의 이 평가도구는 보조공학기기

에 한 사용자의 태도 기 와 그들의 이후 사용 사례를 서로 비교분석 하

는 데 이용되고 있다(Cushman & Scherer, 1996). 덧붙이자면, 보조공학기기

사용자들의 경험과 인식을 알아보고 이를 문가의 경험 인식과 비교하여,

양자가 인식하는 보조공학기기의 가치 간 차이를 식별하는 데에 유용하게 사

용된다(Cushman & Scherer, 1996). 이 평가도구가 사용자의 보조공학기기 비

사용을 측하는 높은 가능성을 가지고 있지만, 그러한 사실은 최근에 이르러

서 경험 으로 입증되기 시작하 다(Scherer, 2005a).

보조공학 사용자의 심사를 다루는 인간-공학 응 모델의 능력은 용되

는 맥락에 따라 다르게 해석될 수 있다. 만일 장애의 의료모델 맥락에 있다면,

보조공학 문가는 장애에 한 개인의 반응 혹은 기질에 을 둘 것이며

이 요소가 보조공학 수용의 방해요인으로 인식될 수 있다. 보조공학 문가가

보조공학기기에 한 사용자의 성향 측면만 고려하여 사용자를 평가하고 사

용자의 태도에 가치 단을 내리게 되는 오류를 범할 수 있다. 사실, 보조공학

에 한 개인의 태도는 수행하고 있는 활동의 성격, 다양한 기능을 효과 으

로 수행할 수 있는 보조공학의 가능성 그리고 처해 있는 맥락 속에서 얼마나

Page 40: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30

잘 지지되고 있는가에 따라 상당히 다양해질 수 있다. 사용자- 심 근을 수

용하는 보조공학 문가는 장애의 사회 모델을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주도

근(user-driven approach)과 그에 수반되는 평가도구들을 활용하여, 보조

공학 사용자로 하여 공학이 한 해법인지를 단하고, 공학을 선택할 때

고려해야 할 개인 이고 환경 인 요소를 이해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권한

을 부여할 수 있다(De Jonge et al., 2007).

5. 보조공학 평가모델 련 국내 연구 동향

보조공학 서비스에 한 면 한 평가 뿐 아니라 보조공학기기의 선택,

응, 사용 등 일련의 과정에 한 이론 토 는 보조공학 발달에 필수 이라

할 수 있다(De Jonge et al., 2007; Scherer, 2005b). 국내에 보조공학이 도입된

지 10여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보조공학 분야에서 보조공학기기 보

조공학 서비스에 한 기능 결과 측정, 소비자 만족도, 삶의 질을 측정할 수

있는 이 다 할 마땅한 평가모델 평가도구가 없는 상황이다(안나연, 2008).

최근 일부 보조공학 연구자들이 외국에서 사용되고 있는 보조공학 평가도구를

번안하여 한국어 을 개발하 다. 채수 (2008)은 ‘한국어 Psychosocial

Impact of Assistive Devices Scale(PIADS) 번안 검증연구’를 통하여 한국

어를 사용하는 연구자들이 이용할 수 있는 표 화되고 객 인 평가도구를

개발하 으며, 안나연(2008)은 ‘Quebec User Evaluation of Satisfaction with

Assistive Technology(QUEST 2.0)에 한 한국어 번역 검증연구’를 진행했

다. 이혜경(2010)은 MPT(Matching Person and Technology)(Scherer, 1998) 평

가시리즈 ATDPA를 한국어 으로 개발하 다.

비록 그 수가 기는 하지만 한국어로 된 보조공학 평가도구들이 개발되면

서 이제 보조공학 장에서 우리 실정에 맞는 평가도구들을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Page 41: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제3장 이론적 배경 31

제2 인간-공학 응 모델 개요

1. (people)에서 개인(person) 심으로 패러다임의 변화

20세기는 사람들을 집단 단 인 으로 간주하여 의 욕구를 해소하

는데 역 을 두어 왔다. 국가나 을 구성하는 한 개인에게는 거의 심을

두지 않았으며 보조공학기기도 개인의 요구나 선호를 고려한 주문제작 형태보

다는 으로 합한 일반 인 모델을 생산해 내고자 하 다. 를 들어,

한 가지 유형의 휠체어가 많은 사람들에게 일반화되었으며 몇 가지 다른 형태

의 휠체어와 보조공학기기가 있더라도, 장애인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선택

사양이 그다지 폭넓지 않았다(Scherer, 2005b). 21세기에 들어서자 이 과는 달

리 보조공학 서비스 인 라가 범 하게 구축되어졌고 개인의 건강, 안

권리를 보호 할 수 있는 여러 정책과 법률이 제정됨에 따라 보조공학 서비스

에서 개인의 욕구에 을 맞추는 일이 가능하게 되었다. 각 개인의 개별화

된 욕구를 충족시킬 가용 자원과 에 지가 확보된 것이다<그림 3>. 장애인은

사회 으로 정상분포곡선의 하단부에 속하여 치료와 분리가 필요한 사람들이

라는 장애인에 한 기존의 시각에도 변화가 따랐다. 이 변화는 장애인을 단

지 장애를 가진 개인(person)으로 인식하며 그들이 사회 으로 정상분포곡선

의 상부나 간부에 속하도록 장애를 제거하나 최소화하는 방법을 모색하는

으로 변화하 다(Scherer, 2005b).

장애인 사용자들은 보조공학을 선택할 때 먼 자신의 우선순 와 안 을

보조공학기기가 얼마나 잘 반 하는지를 고려한다. 이를테면 가장 렴하거나

빨리 구입할 수 있는 보조공학기기를 선택하는 게 아니라 사용자의 이 선

택의 원동력이 된다는 의미이다. 만일 보조공학기기가 개인이 기 하는 수행

수 을 충족하며 사용이 쉽고 안 하다면 비로소 개인과 보조공학은 합한

응이 이루어진 것이라 할 수 있다. 사용자가 기 하는 목표가 모두 설정되

Page 42: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32

고 욕구와 우선순 가 분명하게 도출되어 반 되기 까지는 보조공학이 해결

책으로서 받아들여지지는 않는다. 특정 보조공학기기가 출발 이 아니라 사용

자의 필요, 욕구 목표가 시작 이 되어야 한다(Scherer, 2002). 많은 사용자

들이 보조공학에 한 사 정보가 없으며 자신 있게 기기를 선택하고 사용하

기 해 기기에 한 사 교육이 필요하다고 말한다(Scherer, 2005b).

[그림 3-3] (people)에서 개인(person) 심으로 패러다임의 변화

자료 : Scherer M. J. (2005b). Living in the state of stuck: How technology impacts the live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4th Ed. Cambridge, MA : Brookline Books.

Page 43: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제3장 이론적 배경 33

보조공학 문가들은 기능 독립과 같은 신체 기능면에서 목표를 성취하

고자 하는 반면, 장애인 사용자는 자신이 릴 수 있는 사회 ․개인 자유

를 기능 독립과 등하게 보는 경향이 있다(Scherer, 2005b).

재활의 사회모델은 변화 면에서 결과를 측정한다. 이 모델은 근본 으로 사

용자 에서 가장 이상 인 결과를 확인하려는 경향을 취한다. 즉,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보조공학기기가 다른 기기보다 더욱 생산 이고 사용 효과가 있

었음을 각 개인이 발견하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기기 선택의 결정권을

가지고 있으며 건강 리자와 재활 문가는 사용자가 합한 선택을 하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장애인 사용자와 재활 보조공학 문가가 함께 워크

를 이룸으로써 효과 이며 비용 효율 인 보조공학기기를 찾아 낼 수 있다.

보조공학 문가와 사용자 간 력 계는 공학과 개인 간의 합한 응을 찾

게 할 뿐 아니라 나아가 사용자의 마음을 움직이는 ‘개인 근(personal

touch)’이 가치 있게 유지되도록 역할을 다할 것이다(Scherer, 2002).

Scherer(2005b)는 사용자가 보다 건강하고 독립 이며 만족스러운 삶을

하기 하여 사용자의 필요와 욕구를 충족하는 보조공학기기 구입 방안을

몇 가지 제시하 다. 첫째, 보조공학 평가와 필요한 의사결정에 있어 사용자의

참여와 교육이 필요하다. 둘째, 보조공학 문가는 사용자의 선호 우선순

를 확인하는 방법과 보조공학 선택을 안내하는 지식이 필요하다. 셋째, 서비스

제공자는 사용자의 사회참여와 삶의 질 측면에서 보조공학 서비스의 결과를

측정하고 기록해야 한다. 넷째, 합한 보조공학기기의 결정, 기기 평가, 선택

시에 사용자- 심 서비스를 실 할 방법에 하여 문가 교육이 필요하다.

2. 인간- 공학 응에 미치는 요인

보조공학기기의 사용 는 비사용에 향을 미치는 요인은 보조공학이 사

용되는 환경(milieu) 는 장소의 특성, 개인의 개성, 기질 선호의 특성 그

Page 44: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34

리고 보조공학 자체의 주요 특성을 들 수 있다(Scherer, 2005b). 보조공학과 사

용자 간의 가장 합한 응은 세 가지 역의 향을 포함하여 많은 요소

를 고려해야 한다. 보조공학기기의 사용은 한 요소의 일련의 변화가 다른 요

소에 향을 미치는 상호작용이다. 따라서 향후 보조공학기기의 호환성 는

비호환성이 새로운 심 역으로 두될 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Scherer,

2005b).

1) 환경 특성

보조공학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환경은 보조공학의 사용을 진 는

억제하며 환경 특성은 비단 물리 근 뿐 아니라 사회 , 경제 지원을

모두 포함한다. Scherer(2005a, 2005b)는 사람과 공학의 응에 미치는 환경 요

인으로, 공학에 한 노출 정도와 이를 할 수 있는 다양한 부 시설, 경제

자원, 공학에 한 다른 사람들의 태도, 가족과 사회의 지지, 서비스, 시스템

정책, 문화 특성을 들었다. 건축물, 공공장소, 한 보건 리, 유용한

개인보조(personal assistance), 정보 근에 한 다양한 편의제공은 장애인이

사회참여와 원하는 사회 역할을 이행하는데 있어서 필수 인 자원이라 할

수 있다. 보조공학기기를 구입하는데 필요한 재정 자원의 부족과 보조공학의

선택과 구입을 지원하기 한 개인별 교육의 부족 역시 사회 환경의 장애이

다(Scherer, 2005a).

Parette 등(2004)은 보조공학 문가들이 폭넓은 문화 감성을 가지고 장애

인 사용자에게 보다 합한 보조공학기기를 찾도록 도와야 한다고 주장하

다. 사회 태도나 문화 요소에서 일어나는 문화변용은 공학의 핵심 요소인

사용자의 보조공학에 한 , 사용에 한 폭넓은 지지, 문가와 그들의

권고에 한 신뢰와 믿음 수 을 망라하여 발생한다. WHO의 ICF(2001)에 따

르면 보조공학은 환경 요소로 간주되며, ICF 도메인의 신체 기능과 활동

참여에 향을 수 있는 요소 가운데 하나이다.

Page 45: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제3장 이론적 배경 35

2) 개인 특성

보조공학과 응하는 개인 특성은 신체, 심리, 개성 인지 역에서

나타나며 이는 사용자의 보조공학기기 사용 합성에 향을 미친다.

(1) 공학 안정감(technical comfort)

사실 장애인 모두가 컴퓨터로 작동하는 보조공학기기를 선호하는 것은 아

니며 오히려 복잡하고 정 한 보조공학기기에 무 심하거나 고 보조공학기

기에 두려움을 느낄 수 있다(Scherer, 2005b). Enders(1984)는 장애인 가운데,

고 기기를 두려워는 보조공학 공포증(technophobes)이 있는 사람과 오로지

고 기기만 원하는 보조공학 선호증(technophiles)인 사람들이 있다고 지 하

다. 보조공학 공포증을 가진 장애인 사용자는 취득한 보조공학기기를 사용

하지 않거나 포기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반면에, 보조공학 선호증은 본래의 기

능 목 보다는 요란하고 획기 인 제품만 고집하여 새로운 보조공학기기가

출시되면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보조공학기기를 폐기하거나 포기하고 새것을

신청하여 사용하려는 경향이 강하다. 따라서, 두 부류 모두 기기 사용에서 비

효율 인 상황을 래하게 된다. 일반 으로 보조공학을 언 할 때 사람들은

고 보조공학기기 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다양하게 출시되어

있는 간단한 기기가 오히려 신체와 인지기능 장애에 유용하게 활용되어 장애

인 사용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독립생활을 증진하는데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Scherer, 2005b).

(2) 신체 기능 인지기능

보조공학 활용의 핵심은 단지 기기의 단순함과 유용성 뿐 아니라 사용자

개인의 욕구에 부합되는 것이다. 새로운 보조공학기기는 인지, 감각 신체

요구가 고 으로 사용자에게 합한 방식으로 제작되어야 한다(LoPresti

Page 46: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36

et al., 2004). 보조공학이 운동과 신체기능, 인지, 지각능력의 향상에 을

두고 있으나, 실제 서비스 혜택은 신체장애인에게 비교 많은 기회가 배당되

기 때문에 인지, 지각 학습장애를 가진 사람에게 상 으로 어떤 장벽이

되기도 한다(Scherer, 2005b). 최근 보조공학 문가들은 인지기능 장애에 한

인식이 증가하고 있으며, 그 일환으로 사회가 요구하는 정보처리나 복잡

한 스 을 다루기 한 지원방법을 모색하는 인지보조공학(cognitive assistive

technology)이 주목받고 있다(LoPresti et al., 2004; Scherer, 2005a).

(3) 성격, 기질 선호도

Scherer(2005b)는 사용자의 성격과 기질에 따라서, 험부담과 도 에 익숙

하더라도 컴퓨터 사용에 응하기 어려운 경우나 조용하고 수동 이지만 자발

으로 쉽게 컴퓨터 사용에 응하는 경우를 설명하 다. 그는 보조공학 사용

장애인의 사례를 언 하면서 자존감이 낮거나, 도 에 익숙하지 않거나, 자기

옹호가 심한 성격유형은 보조공학기기 사용에 좌 을 경험할 수 있다고 설명

하 다. 보조공학기기에 한 짜증이나 부끄러움과 같은 정서 반응이나 다

른 사람의 부정 태도는 보조공학기기 사용에 부정 향을 주게 된다

(Hedberg et al., 2007). 많은 장애인들은 제한된 기능을 기계 제품으로 체

하기보다, 활동보조 혹은 제한 이나마 자신의 능력을 사용하는 쪽을 더 선호

하고 있다. 장애인 사용자는 보조공학기기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잠재 능력

에 해 마다 단이 다를 수 있으며 보조공학기기가 그들 목표성취에 요

하다는 단이 설 때 비로소 보조공학기기를 사용하게 된다(Scherer &

Glueckauf, 2005).

(4) 장애경험(disability experience)

장애경험이란 장애인이 겪는 독특한 인생경험을 의미하며 장애인이 진솔하

게 말하는 장애와 연 된 일상 인 경험을 나타내는 용어이다. 인간은 고유한

Page 47: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제3장 이론적 배경 37

존재이지만 장애경험은 일반 으로 장애인에 한 사람들의 태도에 의해 형성

되는 일종의 상호작용 경험이다(Scherer & Dicowden, 2008). 장애의 개인

의미 즉, 장애경험이 장애인이 환경 안에서 과제를 수행하고 생활 반에 참

여하는데 향을 미친다는 사실은 사뭇 자명하다(Scherer & Dicowden, 2008).

따라서 보조공학 문가들은 보조공학의 선택과 사용 시 사용자의 장애경험의

향을 측해야 하고, 동일한 보조공학기기라도 사용자 마다 다른 효과를 가

져 올 수 있으므로 사용자 심의 개별 근이 필요하다.

3) 보조공학의 특성

오랫동안 보조공학의 사용과 비사용을 연구해온 Scherer(2005b)는 사용자가

기기 사용을 포기하거나 폐기하는 경우를 다음과 같이 들었다. 첫째, 재 사

용 인 보조공학기기나 더 좋다고 생각되는 다른 체물을 사용하여도 그다

지 기능이 향상되지 않은 경우이다. 둘째, 서비스와 수리가 어렵고 사용 유

지에 비용이 많이 드는 경우이며, 셋째 보조공학기기 자체의 성능을 신뢰할

수 없는 경우, 넷째 사용자가 불편함, 불안감 는 창피함을 느끼는 경우이다.

(1) 디자인

디자인 면에서 이용률이 우수한 보조공학기기의 특징은 경량 간편한 휴

, 사용과 설치가 용이함, 다른 보조공학기기와 호환이 좋음, 유지 보수비

용이 렴함, 안 하고 신뢰성 있음, 내구성은 물론 미 인 외 , 비장애인이

사용하는 장비와 유사함 등의 장 이 있다.

(2) 서비스 달

보조공학은 사용을 진하는 여타의 지원이 없다면 지속 이며 효율 인

사용이 어렵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보조공학기기에 한 세부 인 지식, 필요

Page 48: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38

한 사양 선택 제정지원에 한 정보제공이 필요하다. 보조공학기기 지 의

시성 부족, 부 한 평가 차, 련 문가 간 력평가의 부재는 보조공학

서비스의 문제 하나이다. 사용자의 환경 변화에 발맞추어 시기 하게

보조공학기기가 수정, 보완되지 않을 경우 사용자는 보조공학기기 사용을

단하게 될 것이다. 기기 사용 훈련은 사용자와 가족 모두에게 요한데, 보조

공학에 한 정보가 부족하거나 사용자의 자존감이 낮은 경우 사용자가 교육

이나 지원의 요청을 꺼릴 수 있다. 보조공학 문가는 사회복지 서비스의

달기술이 다소 부족할 수 있으며 반면, 보조공학에 숙련되지 않은 재활 문가

는 보조공학에 한 정보 습득을 회피하거나 보조공학기기의 유용성을 경시하

고 가능한 선택사양을 사용자에게 제시하는데 오류를 범할 수 있다. 한 몇

몇 보조공학기기를 과잉일반화(over-generalization)하여 특정한 기기의 처방을

남발할 우려가 있다(Scherer, 2005b). 보조공학의 재정지원은 경증 장애인에게

비교 기회가 더 주어질 수 있으며, 이는 기능이 좋은 장애인이 기능이 낮은

증장애인보다 은 비용으로 서비스를 지원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재정지

원과 훈련된 인원 장비가 제한 인 탓에, 일반 으로 재정운 은 증장애

인에게 한정된 자원을 소진하기보다 기능이 좋은 많은 사람에게 가능한 한 기

능을 유지하고 확 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가용자원을 활용하려는 경향에서 이

러한 쏠림 상이 발생한다(Scherer, 2005b).

(3) 비용효과

비용은 단순한 화폐의 교환이라기보다 자원의 활용과 련 있는 경제개념

이다. 보조공학기기의 비용효과를 평가할 때, 많은 경우 일차 으로 구입가격

에 을 둔다. 이는 기기가 렴한지를 결정하는 논리 잣 로 보이지만,

흔히 왜곡된 비용효과 분석을 야기할 수 있다(Andrich, 2002). 비용효과는 단

지 보조공학의 이익 차원의 제한 분석 보다는 비 결과를 모두

고려해야 한다. 비용을 감하기 해 가 보조공학기기만 사용하거나 값싼

Page 49: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제3장 이론적 배경 39

용품을 사용함으로써 보조공학기기 사용 효과를 얻지 못하거나 독립성에 도

움을 받지 못한다면, 이는 비용 면에서 효과 이지 않은 방법이다. 보조

공학기기의 비용효과를 최 화하는 방법으로는 사용자의 필요와 욕구에 부합

한 기기의 선택, 효과 인 유지 리 교육 이 필요하다.

제3 외국의 보조공학 평가도구

본 에서는 보조공학 평가도구로 리 알려져 있는 QUEST(Quebec User

Evaluation Satisfaction with Assistive Technology)(Demers et al., 1996),

PIADS,(Psychosocial Impact of Assistive Devices Scale)(Day & Jutai, 1996),

MPT에 하여 그 특징을 살펴보았다. 이들 평가도구에 한 검토는 본 평가

도구 개발의 이론 토 로 사용되었다.

1. QUEST

QUEST는 Demers 등(1996)이 개발한 보조공학 성과 측정도구로서 만족도

도구 가장 표 이라고 할 수 있다. QUEST에서의 만족도는 보조공학이

가지는 고유 특성에 한 개인 평가를 의미하고 이러한 평가는 개인 기

, 인식, 태도, 가치를 반 한다.

QUEST는 크게 2개의 차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QUEST는 보조공학기기 8

개 항목과 이와 련한 보조공학 서비스 4개 항목을 구성하고 있다. 보조공학

기기에 한 세부 항목은 편안함, 규격, 사용 간편성, 효과, 내구성, 합성, 안

성, 무게 등이고, 서비스에 한 구성 항목은 서비스 달체계, 수리서비스,

사후서비스, 문서비스 등이다.

QUEST는 장 문가와 연구자들이 보조공학의 성과를 측정하고자 할 때

Page 50: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40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이 도구의 활용도를 언 하면 다음과 같다. 이 도

구는 다양한 장애유형과 연령에 용할 수 있고, 범 한 보조공학기기에

해서 평가할 수 있다. 한 보조공학 사용자의 삶의 편익을 제시할 성과 데이

터를 쉽게 획득할 수 있고, 보조공학기기의 가치와 향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것은 보조공학 만족도에 한 이론 토 를 구축하고 있다. 시간 경과에 따

른 만족도 변화를 측정하기 해 반복 으로 측정할 수 있다. 건강 신체기

능 개선에 한 성과측정 도구와도 같이 사용할 수 있으며, 재활 서비스와 어

떤 제품에 한 비용-효과 분석에도 함께 사용할 수 있다. 보조공학기기에

한 만족도를 국제 으로 비교할 수도 있으며 소비자가 요구하는 보조공학기기

개발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평가 소요시간은 10분에서 15분 정

도이고, 평가는 매우 간단하다. 평가자에 한 특별한 지식이나 자격을 요구하

지 않는다. 우편조사가 가능하여 량의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평가 상자

에게는 보조공학에 한 자신의 만족과 가치에 한 경험과 의견을 쉽게 표

할 수 있는 동기를 유발시킨다(Demers et al., 2000).

2. PIADS

통 으로 증장애인의 재활목표는 기능개선에 을 두었는데, 최근 보

조공학을 통하여 증장애인의 삶의 질을 개선하고자 하는데 심이 높아지고

있다. 증장애인들이 사용하는 보조공학기기는 체로 고가인 계로 서비스

제공자들은 비용-편익 분석을 해 보조공학기기 사용에 따른 장애인의 삶의

질에 한 향을 평가할 필요성을 제기했다. 이런 요청에 의해 보조공학기기

사용자의 사회․심리 향을 측정할 수 있는 보조기구의 사회․심리 향

평가 척도(Psychosocial Impact of Assistive Devices Scale : PIADS)가 개발되

었다(Day & Jutai, 1996).

PIADS는 26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고, 자기 보고식으로 사용이 간편하다.

Page 51: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제3장 이론적 배경 41

이 도구는 보조공학이 사용자의 삶의 질에 어떤 향을 주었는지를 악할 수

있다. 각 문항은 7 척도로 -3(가장 부정 향)에서 +3(가장 정 향)의

범 를 갖는다. PIADS는 보조공학의 사회․심리 향을 측정하기 해 세

가지 차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응력 차원은 보조공학기기 사용결과 힘이나

권한을 부여받는 정도를 악하는 것이고, 능력 차원은 기능, 성과, 생산성 등

에 한 향을 설명하고, 자아존 감 차원은 자기신념, 자기효능, 감정 행

복에 한 향을 악하는 것이다. PIADS의 이 은 장애유형, 장애정도, 보

조공학기기 종류에 계없이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Day et al., 2001).

3. MPT

1) 개념 기

(1) 웰빙 삶의 질 고찰

오늘날 우리 생활 반에 걸쳐 지배 인 치를 유하고 있는 공학의

향을 고려할 때, 공학이 웰빙에 범 한 향을 미치고 있다는 은 그다지

놀라운 일이 아니다. 최근 수년 동안, 공학의 다양한 양상과 공학이 인간의 웰

빙에 미치는 향은 주요한 연구 분야로 부상되었다. 공학이란 용어를 완 하

게 정의하기는 어렵지만, 이 용어는 하드웨어, 기계, 기구와 같이 인간이 사용

하는 유형물을 지칭하기도 하며, 조직 기술 방식을 포함하는 범 한 구

성요소를 포함하기도 한다. 웰빙 역시 단일 정의로 설명하기는 어려운 용어이

며 행복, 건강, 안녕, 안락함, 안도감 안 함 등의 포 개념으로서 심리

웰빙, 주 웰빙이란 용어로 사용되기도 한다(Yair, 2009).

사람들은 행복을 정의할 때, 주로 정 정서의 언어를 사용하거나 자족감

과 만족감의 어구로 표 한다. Helliwell와 Putnam(2004)은 행복과 삶의 만족

을 구분해서 설명하 는데, 연구 상자들이 행복을 평가할 때는 비교 짧은

Page 52: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42

기간 내의 기분 상태와 같은 정서 인 표 을 사용한 반면에, 삶의 만족에

한 평가는 장기간, 보다 안정된 인지 인 평가로 측정한다고 제시하 다. 정서

요소와 삶의 만족 이 두 가지를 하나로 정의하는 경우, 행복은 ‘ 반 으로

즐거웠던 경험과 그 의미’로 정의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행복한 사람은 목

있는 자신의 삶을 자각하면서 정 정서를 즐긴다. 이러한 정의는 행복을

일시 이고 순간 으로 생각하기보다, 오히려 된 경험들을 일반화 한 것

이다(Ben-Shahar, 2007).

Schwarz와 Strack(1999)은 주 웰빙이란 재 자신의 행복에 해 개인

이 내리는 평가라고 정의하 다. 이들은 연구 상자들이 주 웰빙에 해

질문 받을 때, 종종 ‘기분이 좋아요’라는 정서 용어를 사용해 표 한다고 주

장하 다. 이들 연구와는 달리, 웰빙은 연구자가 이를 기술하는 정확한 방법을

찾을 수 없는 복합 인 구조이기도 하다(Pollar & Lee, 2003). 웰빙에

한 다양하고 포 인 정의에도 불구하고, 다수의 정의가 갖는 공통 의미

는 인간의 심리 건강이라는 이다(Yair, 2009). 일반 으로, 사람들은 성

취를 해 노력한 이후에 오는 생생한 쾌감을 선호하며 그들이 가치 있게 추

구하는 다른 목표와 충돌한다면 기꺼이 일시 인 행복을 유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Kim-Prieto, 2001).

웰빙을 설명하는 다른 용어로 ‘삶의 질(quality of life: QOL)’이 있다. 삶의

질은 신체 , 정서 , 정신 , 사회 행동 요소를 포함하는 다차원 구

조이다(Janse et al., 2004). 웰빙 삶의 질 련 요인은 공학에 한 인간경

험을 형성하는 범주의 일부이다. 삶의 질에 한 보편 인 정의를 찾기는 어

렵지만, 보조공학이 이에 미치는 향을 측정하기 해 정의를 내릴 필요도

있다(Yair, 2009). 장애인에 한 보조공학의 향에 한 연구에서, Renwick

등(1994)은 삶의 질을 사람이 자신의 삶에서 요하다고 생각하는 어떤 가능

성을 리는 수 이라고 정의하 다. 이 정의는 인간 존재를 지지하는 공학의

가장 요한 목표에 을 맞춘 것이다. Fuhrer(2000)는 웰빙을 개인이 삶의

Page 53: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제3장 이론적 배경 43

반 인 측면이나 건강 는 여가와 같은 특정 역에 하여 가지는 정

단과 기분이라고 정의하면서 의욕, 감정, 인지와 같은 심리기능의 주요 특징

이 모두 공학의 향을 받는다고 주장하 다.

웰빙의 요성은 무엇인가? 개인 차원에서 요한 웰빙의 효과는 첫째,

수입 면에서 행복한 사람은 불행한 사람보다 소득이 더 높다. 둘째, 직장의 만

족 수 은 생산성 수익 결과와 한 련이 있다. 셋째, 신체건강 측면에

서, 장수는 높은 수 의 웰빙과 련 있다. 웰빙 수 이 낮은 사람은 높은 사

람과 비교해 면역체계가 결손되어 있고 체로 특정 질병에 한 유병률이 높

다. 넷째, 정신건강 측면에서, 행복한 사람은 불행한 사람과는 반 로, 정신질

환 비율이 낮다. 다섯째, 정 웰빙은 결혼과 행복한 결혼생활을 유지할 가

능성을 높이고, 친구가 많고 사회 유 를 강하게 한다(Diener & Seligman,

2004). 이같이 웰빙은 개인에게 요하며 공학 역시 우리 생활 반에 녹아있

기 때문에 웰빙에 한 공학의 다양한 효과 연구가 필수 이라 할 수 있다.

(2) 웰빙 삶의 질에 한 보조공학의 향

보조공학 분야의 연구자들은 보조공학기기가 개인의 삶의 질을 증진하거나

하시키는 여러 요인을 연구하 다. 기기 사용이 장애인의 기능 , 심리

응지표로 해석될 때, 여러 환경과 상황을 고려한 보조공학기기의 사용에 한

이해야 말로 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Scherer, 1996). Ohnabe(2006)는 건강

공학(health technology)의 기 개념을 정립하면서 보조공학이 삶의 질에 미치

는 향을 설명하 다. 보조공학은 ICF(WHO, 2001)의 구성요소인 활동과 참

여를 재하고 있으며, 보조공학기기는 자립생활을 지원하고 활동을 수행하도

록 돕는다. 보조공학은 직업과 크리에이션 활동을 통해 사회참여를 더욱 확

시킨다. 이 개념의 틀에서, 보조공학은 일상생활활동 수행과 사회참여의 증

진 곧, 삶의 질과 웰빙을 향상시키는데 있어 즉각 인 결과를 도출해 낼 수

있다(Ohnabe, 2006).

Page 54: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44

보조공학 문가들은 보조공학 서비스가 물리치료, 작업치료, 크리에이션

치료, 수술 약물의 동시치료(concurrent therapy)의 효과 이상으로, 사용자

의 삶의 질과 웰빙에 유의미하고 주목할 만한 향을 미친다고 생각한다. 이

러한 향들이 부분 기능 향상 독립성 강화와 계있지만, 보조공학기기

는 심리 웰빙 측면에도 다양한 향을 미친다. 장애인 사용자는 주변 사회

가 보조공학기기를 어떻게 인지하는지를 요하게 의식하고 있으며 이러한

향은 기능 향상과는 다소 거리가 있는 요소이다(Yair, 2009).

주 웰빙은 사용자들이 생활 반 는 특정 역에 있어서 보조공학기

기가 미치는 향을 어떻게 평가하고 지각하는지와 련 있다(Fuhrer, 2000).

보조공학기기와 이의 사용 결과는 사용자의 수용태도와 생활 반에 두루 효

과를 미친다. 만족도(satisfaction)는 주 웰빙의 요한 양상이며, 특정 생

활 역이나 생활 반에 걸쳐 나타나는 보조공학기기의 사용효과 뿐 아니라

보조공학 서비스의 만족까지 포함하는 용어이다. 보조공학기기는 장애인의 삶

의 질을 정 으로 강화할 수 있으나(Scherer, 1996), 때로는 기기 사용이 사

용자에게 부정 정서를 유발하거나 낙인 히는 경험이 되어 삶의 질 감소를

야기할 수 있다(Wilson, 2005).

의학 으로, 삶의 질은 건강 련 측면으로 설명된다. 건강 련 삶의 질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HRQOL)은 ‘질병이나 상해로 인해 보건의료

서비스 정책의 공 과 이용에 향을 받으며 손상, 기능상태, 인지 기회

를 조정함으로써 부과되는 삶의 가치’로 정의한다(Patrick & Erickson, 1993).

건강 련 삶의 질 평가는 건강과 웰빙에 한 개인의 지각을 비롯해서 신체,

정신, 사회 역할기능까지 평가해야 한다는 이 일반 인 견해이다

(Bowling, 1995). 통상 인 건강 련 삶의 질 평가는 일반 질환과 특이 질환을

모두를 평가하며 기기 사용자의 생활에 보조공학기기가 미치는 향을 악할

수 있으나, 이 평가는 특성상 의학 으로 편 되어진 제한 이 있다. 이는 보

조공학기기가 건강의 회복과 치유를 증진하려는 목 보다 주로 기능 역량

Page 55: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제3장 이론적 배경 45

을 향상하거나 회복하는데 주안 을 두기 때문이다(Yair, 2009).

보조공학 연구자들은 보조공학기기가 유능감, 자신감을 고취시키면서 동시

에 삶의 가능성을 활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어떻게 동기부여 하는지를 평

가하는 방법에 하여 연구하 다(Jutai, 1999). 이들은 보조공학이 개인에게

향을 주는 방식이 첫째, 복합 이고 다면 이며 둘째, 역동 이며 시간의 추

이에 따라 변하고 한 사람의 생활 반에 걸쳐 향을 미치고 있으며 셋째,

개인에게 자신의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진하는 형태라고 주장하 다(Jutai,

1999). 기기 사용의 결과를 측정하는 근들은 게 이러한 가정을 따르고

있다.

Yair(2009)는 보조공학기기 사용 결과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평가도구들이

있으나 개인의 기능 수행을 평가 할 때, 보조공학기기를 요하게 고려하지

는 않는다고 하 다. Bernd 등(2009)은 문헌연구를 통해 나타난 보조공학

련 평가도구들을 보조공학 특성 평가도구와 비특성 평가도구로 구분하 다.

보조공학 특성 평가도구를 다시 기기 선택 합성 평가도구와 사용 결과 평가

도구로 나 었다. 기기 선택 합성 평가도구로는 MPT를, 사용 결과 평가도

구는 PIADS와 QUEST를 포함하 으며, Canadian Occupation Performance

Measurement(COPM: Law et al., 1998)는 보조공학 비특성 평가도구로 분류

하 다.

2) MPT 평가도구의 구성 특징

인간-공학 응 모델의 평가과정은 사용자의 목표와 선호도, 공학에서 얻는

이 에 한 시각 그리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신이 인식하는 결과 성취의

변화를 기록하는, 체크리스트 형태의 검사지로 구성되어 있다. 인간-공학 응

모델 평가는 장애인 사용자에게 필요한 공학 유형에 따라 몇 가지 다른 검사

양식이 구비되어 있다(Scherer, 2005c).

Page 56: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46

첫째, 일반 사항(survey of technology use: SOTU)

둘째, 보조공학 분야(assistive technology device predisposition assessment:

ATD PA)

셋째, 교육공학 분야(educational technology device predisposition assessment:

ETPA)

넷째, 직업공학 분야(workplace technology device predisposition assessment:

WTPA)

다섯째, 건강공학 분야(healthcare technology device predisposition assessment:

HCTPA)

보조공학기기 사용 합성 평가도구의 구성은 사용자 양식과 서비스를 제

공하는 문가를 상으로 하는 문가 양식이 있으며, 동일한 보조공학기기

에 해 문가와 사용자 간 의 비교가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 번안하려

는 평가도구는 「보조공학기기 사용 합성 평가도구 - 사용자 양식」이며 평가

도구의 반 인 구성은 <그림 4>와 같다. 평가도구는 사 검사와 사후검사로

나 어져 있으며, 각 검사는 개인 양식과 기기 양식으로 편성되어 있다. 사후

검사의 경우 보조공학기기 비사용자를 한 질문지가 첨부되어있다.

「보조공학기기 사용 합성 평가도구 - 개인 양식」은 세 역, 54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구체 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Scherer et al., 2005).

첫째, A 역(9개 항목) : 사용자의 기능 역량을 평가(5 리커드 척도)

둘째, B 역(12개 항목) : WHO가 발표한 ICF의 활동 참여의 맥락에서

삶의 질/주 웰빙을 평가

셋째, C 역(33개 항목) : 사용자의 개성 심리사회 특성을 평가

「보조공학기기 사용 합성 평가도구 - 기기 양식」은 사용자에게 재 고

려하고 있는 보조공학기기에 한 그들의 성향과 보조공학기기 사용 이후 기

기와 사용자의 응이 하 는지에 한 질문이 각각 12 문항으로 구성되

Page 57: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제3장 이론적 배경 47

어 있다. 보조공학기기 사용 합성 평가도구의 개인 양식과 기기 양식 모두

WHO의 ICF와 호완을 이루며 보조공학 사용에 향을 받는 ICF 역을 평가

하는데 합한 평가도구로 간주할 수 있다(Scherer et al., 2004).

Scherer 등(2005)은 보조공학기기 사용 합성 평가도구를 활용하여 장애인

사용자의 기기 사용을 측함에 있어 사용자의 개성 심리사회 요소의

요성에 한 연구를 실시하 다. 연구 결과, 응답자가 개인 양식의 B 역과 C

역에 해 정 으로 평가할수록, 보조공학기기에 해 더 우호 인 성향

을 보 으며 사후검사에서 기기와의 응이 더욱 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분석은 개성 심리사회 요소가 보조공학기기 사용에 한 개인의 성향과

보조공학기기와의 응을 측하는 변수로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 다. 따라서

B 역과 C 역 사이에는 정량 상 계가 존재하며, 기기 양식의 12 문항을

측정한 결과로 특정 기기 사용에 한 사용자의 합성을 측할 수 있으며

이 동일 요인이 보조공학과 사용자 간 응을 측하는 변수라고 주장하 다.

MPT 매뉴얼(Scherer, 2005c)에는 구체 인 필요에 따라 보조공학기기 사용

합성 평가도구를 분리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제시하 다. 를 들어, 보조

공학 문가들이 사용자의 보조공학 필요성에 한 인식과 주 삶의 질,

심리사회 험요소, 보조공학의 용 기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면

「보조공학기기 사용 합성 평가도구 - 사용자 양식, 사 검사」가 합하다.

그 외 보조공학의 사용, 보조공학의 심리사회 향, 보조공학에 한 만족도

그리고 사용자의 새로운 기기의 필요성을 알아보고자 한다면, 「보조공학기기

사용 합성 평가도구 - 사용자 양식, 사후검사」를 권장하고 있다.

Page 58: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48

[그림 3-4] MPT 사용자 양식의 구성 체계

Section A

Section B

Section C

Question 12

Initial

Person Device

Follow-up

Person Device

Section A

Section B

Section C

Question 12 Question 12

3) MPT 평가도구의 수체계 평가과정

개인 양식의 A 역은 지원받은 보조공학기기가 사용자의 능력을 얼마나 향

상시켰는지 5 척도로 응답한다. 를 들어, 확 즈의 경우 1번 시력 항목

에서 기능이 향상된 정도를 1 에서 5 한 곳에 표시한다. 지원받은 기기

의 명칭을 기록하고 이 기기가 내년에도 지원이 더 필요한지의 여부를 표기하

도록 지시하고 있다. 개인 양식의 B 역은 활동 참여의 맥락에서 삶의 질

과 주 웰빙을 평가하는 12문항이 있다. 만족도는 ‘매우 만족’ 할 경우 5 ,

‘매우 불만족’ 하다면 1 으로 평가한다. 12 문항 가운데 사용자가 가장 요

하게 생각하는 항목 세 가지를 요도에 따라 1, 2, 3번으로 기재하고, 사용자

가 재 경험하고 있는 주요 방해요인을 기재하도록 한다. 사용자의 개성

심리사회 특성을 묻는 C 역은 33개 문항 가운데 자신에게 해당되는 항목

을 표기한다(Scherer, 2005a; Scherer, 2008).

기기 양식은 보조공학기기 사용과 련한 12개 질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

용자는 재 고려하고 있는 보조공학기기의 명칭을 고 이 기기에 해 12개

Page 59: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제3장 이론적 배경 49

항목에 한 평가를 5 척도로 응답한다. 이들 문항 가운데 가장 요하게

여기는 3개 항목을 별도로 표기하고 각 항목의 평가 수를 모두 합산하여 총

을 기록한다. 사용자가 제시한 보조공학기기 가운데 가장 높은 총 을 받은

기기가 사용자가 가장 선호하는 기기라고 이해할 수 있다. 사후검사에는 비사

용자를 한 평가가 첨부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 기기에

하여 그 사용을 단하게 된 주요원인을 보기 12개 가운데서 찾아 기록하도

록 한다. 이 평가도구는 사용자가 작성하는데 15분 정도 요되며, 작성된 평가

도구를 바탕으로 사용자와 보조공학 문가의 심층면담을 통해 포 로

일(comprehensive profile)을 얻는 포 평가는 45분 정도 소요된다(Scherer,

2005a, Scherer, 2008).

평가도구의 CD 매뉴얼에는 컴퓨터 채 과 해석에 해 설명하고 있으며

그 실행은 인간-공학 응 연구소로 의뢰하여야 한다. 비록 컴퓨터 채 이 추

가서비스로 제공되지만 이는 선택사항이며, 임상에서는 사용자가 기록한 반응

패턴에 한 포 로 일이 보조공학 서비스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기기 양식은 평가한 각 기기의 수를 합산하는 항목별 분석(item by item

analysis)을 실시하여 가 치를 두어야할 기기나 련 서비스를 확인할 수 있

다. 이 평가도구는 규 집단과 비교하는 규범 측정(nomothetic measures)이

아니며, 사용자가 지필방식으로 기록한 체크리스트 형태의 검사지를 바탕으로

보조공학 문가의 면담을 통해 개인의 특성을 악하는데 주안 을 두는 사

례사 측정(idiographic measures)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따라서 개별사례의

만족도, 심리사회 요소 보조공학기기의 성향을 시간의 추이와 비교하여

연구하는 방식을 강조하고 있다(Scherer, 2005a, Scherer, 2008).

4) MPT 평가도구의 타당성 활용

보조공학기기 사용 합성 평가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는 15세 이상의 기

기 사용자를 상으로 다양한 연구에 걸쳐 검증되었다. Scherer 등(2005)은 각

Page 60: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50

각 2002년과 2004년 두 차례에 걸쳐 보조공학기기 사용 합성 평가도구의 내

일 성과 측타당성에 한 연구를 실시하 다. 그 결과, 개인 양식의 B

역 삶의 질 부분은 내 일 성에서 Cronbach's α 값이 의 두 차례에서 각

각 .89, .88로 나타났으며 C 역의 8개 심리사회 역도 모두 .73 이상으로

나타나, 보조공학기기 합성 평가도구의 개인 양식이 우수한 신뢰도를 보이

고 있음을 시사하 다. 한 B 역과 C 역의 45개 문항이 보조공학 성향, 보

조공학과 사용자 간 합성을 측하는지를 확인하기 해 실시한 별분석에

서, 체 Wilk's Lambda는 2002년의 경우 p=.03 수 , 2004년의 경우 p=.00

수 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보조공학 사용에 한 개인

의 성향 보조공학과 사용자간 합성의 측변수로써 삶의 질과 개인 ․

심리사회 요소가 분명히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Scherer와

Cushman (2001), Scherer와 Craddock(2002)의 연구에서는 개인 양식 B 역의

내 일 성 신뢰도가 각각 .80, .83으로 나타났다. Scherer와 Cushman(2001)은

구인타당도를 검증하기 해 SCI 환자 20명을 상으로 B 역 삶의 질 부분과

Satisfaction with Life Scale(SLS; Diener & Emmons, 1985)을 비교연구하 다.

그 결과 두 평가도구가 높은 상 계(.89, p<.01)를 가지고 있었으며, B 역이

만족도 평가도구인 SLS와 동일한 구인을 측정하고 있음을 나타내었다.

Scherer와 Frisina(1994)는 정상청력노인과 청력 보조공학기기를 사용하는 노인

을 상으로 Communication Profile for the Hearing Impaired(CPHI;

Demorest & Erdman, 1987)와 보조공학기기 사용 합성 평가도구를 용하

여 거 련 타당도를 검증하 다. 그 결과 CPHI와 보조공학기기 사용 합

성 평가도구 둘 다 청력 보조공학기기 사용자와 비사용자 간에 유의미한 차이

가 도출되어, 공학 사용에 수반되는 개인 심리사회 요소 평가의 가치

를 증명하 다.

의 연구 외에,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실시된 연구는 보조공학기기 합성

검사도구의 항목들이 보조공학 사용 비사용 결정에 향을 미치는 련요

Page 61: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제3장 이론적 배경 51

인에 을 잘 맞추고 있음을 보여주었다(Vincent & Morin, 1999). 기능

기자극 치료기를 사용하는 청소년을 상으로 한 연구에서, 개인과 공학간

합성에 있어 심리사회 측면의 필요성을 부각시키기도 하 다(Brown,

1996). 장애인 학생이 컴퓨터 근 보조공학기기를 선택 혹은 거부하는 결

정에 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는 연구에서, 보조공학기기 합성 검사도구

의 항목들이 학생에게 컴퓨터 근기기를 용할 경우에 유용하다는 근거를

제공하 다(Goodman et al., 2002). 아일랜드에서 실시된 연구는 보조공학기기

를 성공 으로 사용하도록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지지의 수 이 그들의 삶의

질과 직 으로 연 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MPT 평가과정은 미국에서 개

발된 원본 외에 랑스어와 이탈리아어 번역본이 존재한다(Scherer &

Craddock, 2002). Bernd 등(2009)은 2003년에서 2007년 까지 MEDLINE의 문

헌을 조사하여 재활분야에서 보조공학의 모델과 평가도구를 연구하 다. 그는

보조공학기기 사용 합성 평가도구에 하여 언 하면서 이에 한 연구가

주로 미국 내에서 이루어졌으며 유럽에서 직 연구된 것은 거의 찾아볼 수

없다고 설명하 다.

이상 세 가지 평가도구에 한 특징을 탐색한 결과, QUEST와 PIADS는 보

조공학기기 사용에 따른 만족도와 심리 향을 평가하는 성과(outcome) 척

도라 할 수 있다. MPT는 성과 척도이기도 하지만 평가과정을 통해 한 보

조공학기기를 장애인에게 연결하는 데 더 을 두고 있다. 이러한 특징을

고려한다면 보조공학기기 지원 결정을 한 평가도구 개발에 있어서는 평가에

강 이 있는 MPT 도구를 벤치마킹하는 것이 합하다고 할 수 있다.

Page 62: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Page 63: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제4장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53

제 4 장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제1 문헌검토를 통한 문항구성

제3장의 이론 검토를 토 로 다음과 같은 평가 문항을 구성하 다. 평가

지 문항은 목표달성, 삶의 질 향상, 작업불편 해소, 직무능력 향상, 직장 응

도움, 보조기기 사용법 특성에 한 숙지, 사용의 안 성, 일상업무 합성,

보조기기 사용능력, 보조기기 사용에 필요한 지원사항, 업무환경과의 합성,

보조기기 사용의 안락성 등 12개로 구성하 다. MPT의 ATDPA를 기본 모태

로 한 평가지 안은 <그림 4-1>과 같다. 평가지의 구성 문항은 총 12개이며

5 척도로 구성하 다. 가 치 부여를 해 요 문항 3개를 선택하는 질문

을 포함하고 있다.

<표 4-1> 문헌검토에서 추출한 평가지 문항

문항번호 구성 항목 관련 평가도구1 목표 달성 ATDPA, PIADS, QUEST2 삶의 질 ATDPA, PIADS3 작업불편 QUEST4 직무능력 PIADS5 직장적응 ATDPA, PIADS6 기기특성 ATDPA, QUEST7 안전성 ATDPA, QUEST8 일상업무 적합성 ATDPA9 기기 사용 능력 ATDPA10 지원사항 WTDPA11 업무환경 적합성 ATDPA12 사용 안락성 ATDPA

Page 64: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54

[그림 4-1] 평가지 안

사 검사

기기

보조공학기기 사용 합성 평가

(Assistive Technology Predisposition Assessment)사용자

평가자

주요목표(6개월)

날짜

주요 목표(1년 이후)

지시문 : 아래의 12문항을 읽어 보시기 바랍니다.

1이 보조공학기기는 나의 목표 달성에 도움이 될 것이다( 에서 기록한 주요 보조공학기기 사용 목

표를 포함하여)

2 이 보조공학기기는 나에게 유익하며 내 삶의 질을 향상시킬 것이다.

3 이 보조공학기기는 장애로 인한 나의 작업불편을 해소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4 이 보조공학기기는 나의 직무 능력을 향상시킬 것이다.

5 이 보조공학기기는 나의 직장 응에 도움을 것이다.

6 나는 이 보조공학기기의 사용법이나 특성을 잘 알고 있다고 자신한다.

7 나는 이 보조공학기기의 사용이 안 할 것이라고 기 한다.

8 이 보조공학기기는 나의 일상 업무에 매우 합할 것이다.

9나는 불편, 스트 스, 그리고 피로감을 느끼지 않으면서 이 보조공학기기를 사용할 수 있는 능력과

체력을 가지고 있다.

10 나는 이 보조공학기기의 성공 인 사용에 필요한 지원 사항을 제공받을 수 있다.

11 이 보조공학기기는 내가 원하는 모든 업무환경과 잘 맞을 것이다.

12 나는 직장에서 이 보조공학기기를 남의 시선에 의식하지 않고 편안하게 사용할 것이다.

아래 보조공학기기 란에 귀하가 고려하고 있는 보조공학기기의 명칭을 기입하세요. 시를 참고하십시오. 아

래의 각 기기에 해 귀하가 가장 요하다고 생각하는 3가지 질문을 (X)로 표기하세요. 아래에 제시된 척도

를 이용하여 각 기기별로 12가지 질문에 해 평가를 실시한 후, 총 란에 평가 결과를 기재하세요.

5 = 매우 그 다 2 = 그 지 않다

4 = 그 다 1 = 그 지 않다

3 = 보통이다 0 = 해당사항 없음

보조공학기기 1 2 3 4 5 6 7 8 9 10 11 12총

(1-12)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시)

자정보단말기4 4

4

X5 4

3

X4 3 4

3

X2 2

에 제시된 기기별 총 을 다시 한 번 검토하세요. 일반 으로 가장 높은 수를 받은 기기가 가장 선호도

가 높은 기기입니다(최 수 = 60 ). 그러나 총 이 서로 비슷할 때는 가장 요하다고 (X)한 질문 3가지

의 수합에 가 치를 부여하세요.

Page 65: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제4장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55

제2 문가 의견조사를 통한 평가지 1차 수정

문헌검토에서 추출한 평가지 안에 하여 문가 의견조사를 실시하 다.

문가 원들은 의미 달이 잘되도록 문구 수정, 문항 복 고려, 평가지 명

칭 일부 수정 고려, QUEST 등 타 평가 문항 반 검토, 문항별 수 기입 방

식 조정, 문항 수 척도 수 조정 검토 등 다양한 의견을 제시하 다. 이러

한 문가 의견을 바탕으로 평가지를 1차 수정하 다. 수정한 평가지는 <그림

4-2>와 같다.

주요 변경내용을 살펴보면, 평가지 명칭은 ‘보조공학기기 사용 합성 평가

도구’에서 ‘작업용 보조공학기기 선호도 검사’로 변경하 다. 해당 문항에

한 5 수 을 체크하는 방식도 수를 는 방식에서 1 에서 5 의 값을 체

크하는 방식으로 변경하 다. 최 안은 한 평가지에 여러개의 도구를 동시에

작성할 수 있도록 되어있지만 단순화를 해 1개 평가지에 1개의 보조기기만

을 평가하는 것으로 수정하 다. 문항은 당 안 12개 문항에서 환경 인 부

분에 한 1개 문항(11번 문항)을 추가하여 13개 문항으로 수정하 다.

Page 66: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56

성 명 날 짜 보조공학기기 명칭 평가자사용 목표(6개월) 사용 목표(1년 이후)

[그림 4-2] 평가지 1차 수정

작업용 보조공학기기 선호도 검사

■ 아래 각 문항에 대해 귀하가 동의하는 정도와 귀하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문항 3개를 선택하여 (√) 해 주시기 바랍니다.

구분 문 항

전혀

그렇지

않다

대체로

그렇지

않다

보통

이다

대체로

그렇다

매우

그렇다

중요

문항

3개

1이 보조공학기기는 나의 목표 달성에 도움

이 될 것이다① ② ③ ④ ⑤ □

2이 보조공학기기는 나에게 유익하며 내 삶

의 질을 향상시킬 것이다① ② ③ ④ ⑤ □

3이 보조공학기기는 장애로 인한 나의 작업

불편을 해소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① ② ③ ④ ⑤ □

4이 보조공학기기는 나의 직무 능력을 향상

시킬 것이다① ② ③ ④ ⑤ □

5이 보조공학기기는 나의 직장 적응에 도움을

줄 것이다① ② ③ ④ ⑤ □

6나는 이 보조공학기기의 사용법이나 특성을

잘 알고 있다① ② ③ ④ ⑤ □

7내 능력과 체력으로 이 보조공학기기를 불

편, 스트레스, 피로감 없이 사용할 것이다① ② ③ ④ ⑤ □

8 이 보조공학기기는 사용하기에 안전할 것이다 ① ② ③ ④ ⑤ □

9이 보조공학기기는 나의 일상 업무에 매우

적합할 것이다① ② ③ ④ ⑤ □

10이 보조공학기기는 내가 일하는 업무환경과

잘 맞을 것이다① ② ③ ④ ⑤ □

11나는 직장에서 남에게 피해를 주지 않고 이

보조공학기기를 사용할 것이다① ② ③ ④ ⑤ □

12나는 직장에서 남의 시선을 의식하지 않고

이보조공학기기를 사용할 것이다① ② ③ ④ ⑤ □

13직장에서는 나에게 이 보조공학기기 사용에

필요한 각종 편의와 배려를 제공할 것이다① ② ③ ④ ⑤ □

총 점 :

Page 67: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제4장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57

제3 일럿 테스트를 통한 평가지 2차 수정

구보조기구센터에 보조기구를 신청한 장애인 20명을 상으로 일럿 테

스트를 실시하 다. 이들의 일반 특성을 보면, 성별은 여자가 65.0%, 연령은

평균 44.6세, 장애유형은 뇌병변이 35.0%, 시각장애가 35.0%, 청각장애가

30.0%를 차지하고 장애등 은 평균 2등 으로 나타났다.

평가지 구성 항목에서 보조기기의 사용 목 은 기존 안에서는 6개월, 1년

사용 목 2가지를 구성하고 있었으나 일럿 테스트 결과, 기기 사용 기간에

따른 사용 목 에 차이가 거의 없어 기기 사용 목 을 6개월 사용 목 하나

로 변경하 다.

<표 4-2> 일럿 테스트 참여자의 기 통계치

구분 빈도 비율

성별

남자 7 35.0

여자 13 65.0

계 20 100.0

장애유형

뇌병변장애 7 35.0

시각장애 7 35.0

청각장애 6 30.0

계 20 100.0

장애등급 20 2.0(1.1)

연령 20 44.6(24.8)

주 : 장애등급, 연령 비율 셀의 값은 평균, 그리고 ( )는 표준편차를 나타냄

항목이 삭제될 경우의 Cronbach 알 값을 살펴본 바에 따르면 문항2, 문

항3번 모두 신뢰도 계수 값이 0.892로 나타나 이들 두 문항이 체 신뢰도에

미치는 향이 낮은 것으로 악되었다. 문항2에 비해 문항3이 이론 토 가

다소 취약한 을 고려해 문항3을 최종 삭제하 다. 신뢰도 검증에는 17명의

Page 68: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58

사례수가 사용되었다. 문항 삭제 후 신뢰도 계수 값을 비교하면, 삭제 은

0.873, 삭제후는 0.892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반 해 보조공학기기 사용

합성 평가도구는 12개 문항으로 최종 확정하 다. 최종 평가지는 <그림

4-3>에 제시하 다. <그림 4-4>는 사후검사지이다. 사후검사지는 보조공학기기

사용 이후 효과성을 측정하기 해 사용될 수 있다. 사 검사지와 달리 보조

기기의 총사용 기간을 확인하기 한 항목이 있으며, 평가 시 에 보조공학기

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그 원인을 기재하도록 하고 있다. 사 검사는 문항

의 시제가 미래형인 반면, 사후검사는 시제가 모두 재형이다.

<표 4-3> 항목 제거 시 신뢰도 분석결과

구분 항목이 삭제된

경우 척도 평균

항목이 삭제된

경우 척도 분산

수정된

항목-전체

상관관계

항목이 삭제된

경우 Cronbach

알파

문항1 57.529 15.640 .397 .873

문항2 57.588 16.257 .179 .892

문항3 57.588 16.257 .179 .892

문항4 57.412 15.257 .907 .853

문항5 57.412 15.257 .907 .853

문항6 57.882 13.735 .446 .888

문항7 57.412 16.257 .505 .868

문항8 57.471 15.015 .838 .853

문항9 57.412 15.257 .907 .853

문항10 57.412 15.257 .907 .853

문항11 57.471 15.015 .838 .853

문항12 57.471 15.015 .838 .853

문항13 57.4706 14.140 .830 .848

Page 69: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제4장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59

[그림 4-3] 평가지 2차 수정(사 검사)

작업용 보조공학기기 선호도 검사(사전 검사)

성 명 성별/연령 남□ 여□ /( 세 ) 장애유형/ 등급 /( 급) 날 짜 . .보조기기 명칭 작성자사용 목적(6개월 간)

■ 아래 각 문항에 해 귀하가 동의하는 정도와 귀하가 가장 요하게 생각하는 문항 3개를 선택하

여 (√) 해주시기 바랍니다.

구분 문 항

전혀

그렇지

않다

대체로

그렇지

않다

보통

이다

대체로

그렇다

매우

그렇다

중요

문항

3개

1이 보조기기는 나의 목표 달성에 도움이 될

것이다① ② ③ ④ ⑤ □

2이 보조기기는 나에게 유익하며 내 삶의 질

을 향상시킬 것이다① ② ③ ④ ⑤ □

3이 보조기기는 나의 직무 능력을 향상시킬

것이다 ① ② ③ ④ ⑤ □

4이 보조기기는 나의 직장 적응에 도움을 줄

것이다① ② ③ ④ ⑤ □

5나는 이 보조기기의 사용법과 특성을 잘 알

고 있다① ② ③ ④ ⑤ □

6내 능력과 체력으로 이 보조기기를 불편,

스트레스, 피로감 없이 사용할 것이다① ② ③ ④ ⑤ □

7 이 보조기기는 사용하기에 안전할 것이다 ① ② ③ ④ ⑤ □

8이 보조기기는 나의 일상 업무에 매우 적합

할 것이다① ② ③ ④ ⑤ □

9이 보조기기는 내가 일하는 업무 환경과 잘

맞을 것이다① ② ③ ④ ⑤ □

10나는 직장에서 남에게 피해를 주지 않고 이

보조기기를 사용할 것이다① ② ③ ④ ⑤ □

11나는 직장에서 남의 시선을 의식하지 않고

이 보조기기를 사용할 것이다① ② ③ ④ ⑤ □

12직장에서는 나에게 이 보조기기 사용에 필

요한 각종 편의와 배려를 제공할 것이다① ② ③ ④ ⑤ □

총 점 :

Page 70: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60

[그림 4-4] 평가지 2차 수정(사후검사)

작업용 보조공학기기 선호도 검사(사후 검사)

성 명 성별/연령 남□ 여□ /( 세 ) 장애유형/ 등급 / ( 급) 날 짜 . .보조기기 명칭 작성자사용목적(6개월 간) 총 사용 일수 ( 일)

■ 아래 각 문항에 해 귀하가 동의하는 정도와 귀하가 가장 요하게 생각하는 문항 3개를 선택하여

(√) 해주시기 바랍니다.

구분 문 항전혀

그렇지않다

대체로 그렇지않다

보통이다

대체로그렇다

매우그렇다

중요 문항 3개

1이 보조기기는 나의 목표 달성에 도움이 되고 있다

① ② ③ ④ ⑤ □

2이 보조기기는 나에게 유익하며 내 삶의 질이 향상되고 있다

① ② ③ ④ ⑤ □

3이 보조기기는 나의 직무 능력을 향상 시키고 있다

① ② ③ ④ ⑤ □

4이 보조기기는 나의 직장 적응에 도움이 되고 있다

① ② ③ ④ ⑤ □

5나는 이 보조기기의 사용법과 특성을 잘 알고 있다

① ② ③ ④ ⑤ □

6내 능력과 체력으로 이 보조기기를 불편, 스트레스, 피로감 없이 사용하고 있다

① ② ③ ④ ⑤ □

7 이 보조기기는 사용하기에 안전하다 ① ② ③ ④ ⑤ □

8이 보조기기는 나의 일상 업무에 매우 적합하다

① ② ③ ④ ⑤ □

9이 보조기기는 내가 일하는 업무 환경과 잘 맞다

① ② ③ ④ ⑤ □

10나는 직장에서 남에게 피해를 주지 않고 이 보조기기를 사용하고 있다

① ② ③ ④ ⑤ □

11나는 직장에서 남의 시선을 의식하지 않고 이 보조기기를 사용하고 있다

① ② ③ ④ ⑤ □

12직장에서는 나에게 이 보조기기 사용에 필요한 각종 편의와 배려를 제공하고 있다

① ② ③ ④ ⑤ □

총 점 :

현재 보조공학기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1 보조기기 사용 기간 : (일)

2 보조기기를 사용하지 않는 주된 원인은 무엇인가?

( )

Page 71: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제5장 신뢰도 및 타당도 평가 61

제 5 장

신뢰도 및 타당도 평가

제1 평가 상자의 일반 특성

평가 상자의 일반 특성은 <표 5-1>과 같다. 성별 비율은 남자가 71.2%,

여자가 28.8%로 남자가 여자보다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유형은 지체

장애가 66.5%, 시각장애가8.9%, 언어장애가 9.1%, 청각장애가 9.1%, 지 장애

가 3.0%를 나타냈다. 평가 상자가 신청한 보조공학기 품목은 특수작업의자가

29.1%로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작업물운송운반장치(18.8%), 높낮이작업테이

블(12.7%), 자세보조장치(12.1%), 특수작업기구(5.5%) 순으로 나타났다. 연령은

평균 42.4세, 장애등 은 평균 2.4 , 보조기기 총 사용 기간은 평균 45.2일로

나타났다.

<표 5-1> 평가 상자의 일반 특성

구분 빈도 비율

성별

남자 116 71.2

여자 47 28.8

계 163 100.0

장애유형

지체장애 109 66.5

시각장애 31 18.9

언어장애 15 9.1

청각장애 4 2.4

지적장애 5 3.0

합계 164 100.0

Page 72: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62

(계속)

구분 빈도 비율

보조공학기기 품목

대형모니터 12 7.3

특수작업의자 48 29.1

점자프린터 1 .6

높낮이조절작업테이블 21 12.7

자세보조장치 20 12.1

작업물운송/운반장치 31 18.8

확대독서기 1 .6

문서인식S/W및 H/W 1 .6

특수작업기구 9 5.5

음성출력 S/W 및 H/W 6 3.6

신호장치 1 .6

점자프린터 1 .6

사무보조장치 1 .6

보완대체의사소통장치 2 1.2

화면확대 S/W 및 H/W 3 1.8

점자정보단말기 7 4.2

합계 165 100.0

연령(세) 163 42.4(9.9)

장애등급(급) 163 2.4(1.8)

기기 사용기간(일) 138 45.2(21.7)

주 : 연령, 장애등급, 기기 사용기간 비율 셀의 값은 평균, 그리고 ( )는 표준편차를 나타냄

제2 타당도 신뢰도 분석결과

이 에서는 개발된 검사지가 구성개념을 어느 정도 잘 반 하고 있는 지

를 악하기 해 탐색 요인분석과 확인 요인분석을 실시하 다. 그 결과

는 다음과 같다.

Page 73: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제5장 신뢰도 및 타당도 평가 63

구분사점검사 사후검사

요인점수 요인점수

문항1 0.760 0.756

문항2 0.810 0.840

문항3 0.851 0.861

문항4 0.747 0.870

문항5 0.719 0.711

문항6 0.794 0.789

문항7 0.816 0.772

문항8 0.856 0.855

문항9 0.847 0.845

문항10 0.781 0.861

문항11 0.799 0.836

문항12 0.813 0.818

고유값 7.69 8.05

설명변량 64.06 67.09

요인수 1개 1개

1. 탐색 요인분석

요인 분석은 표 합도 분석(KMO)과 barttlett의 구형성 검정을 통하여 검

증된 자료를 바탕으로 주성분분석법(principal factor analysis)을 실시하 다.

KMO의 척도는 사 검사가 0.919, 사후검사가 0.917, barttlett 검정의 p값은 사

, 사후 검사 모두 0.000으로 나타났다. KMO 값은 0.7이상, barttlett 검정의

p값은 0.05 이하일 때 요인분석이 합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수집한 평가

자료는 요인분석에 합한 자료라 할 수 있다.

탐색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사 검사와 사후검사 모두 요인은 1개만

추출되었으며 요인 설명력은 사 검사는 64.06%, 사후검사는 67.09%로 나타났

다. 이러한 결과에서 검사지의 12개 문항은 보조공학기기에 한 선호라는 하

나의 구성개념을 잘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표 5-2> 탐색 요인분석 결과

Page 74: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64

2. 확인 요인분석

확인 요인분석은 이론 배경에서 변수들 간의 계를 미리 설정해놓고

요인분석을 실시하는 것으로 연구자의 지식에 근거하여 내재된 요인차원

가설을 확인하는 수단으로 활용된다(김계수, 2007). 확인 요인분석에서는 잠

재변인을 설명하는 여러 개의 측정변인들 가운데 하나의 변인에 한 경로계

수를 1로 고정하여 다른 변인들과 비교하는 과정을 거치는데, 본 연구에서는

첫 번째 는 마지막 측정변인에 하여 경로계수를 1로 고정시키고 이를 기

으로 다른 변인들의 경로계수를 추정하 다.

분석결과 각 문항의 표 화된 경로계수는 사 검사가 0.689∼0.852, 사후검

사가 0.673∼0.859로 유의수 1%에서 모두 통계 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

나 측정문항들이 ‘보조공학기기 선호’라는 개념을 잘 설명해주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표 5-3> 사 검사에 한 확인 요인분석 결과

구분 요인적재치 표준적재치 측정오차 C.R.

문항1 1.000 0.729 0.238

문항2 1.042*** 0.786 0.18 10.079

문항3 1.163*** 0.836 0.156 10.764

문항4 0.934*** 0.726 0.211 9.254

문항5 1.008*** 0.689 0.302 8.764

문항6 0.98*** 0.772 0.175 9.888

문항7 1.027*** 0.832 0.126 10.712

문항8 1.201*** 0.852 0.146 10.987

문항9 1.157*** 0.840 0.15 10.822

문항10 0.966*** 0.756 0.188 9.667

문항11 1.076*** 0.774 0.208 9.908

문항12 1.094*** 0.796 0.186 10.216

주 : TLI = 0.857, CFI = 0.883, RMR = 0.022

Page 75: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제5장 신뢰도 및 타당도 평가 65

<표 5-4> 사후검사에 한 확인 요인분석 결과

구분 요인적재치 표준적재치 측정오차 C.R.

문항1 1.000 0.729 0.222

문항2 1.095*** 0.820 0.147 10.519

문항3 1.129*** 0.848 0.125 10.904

문항4 1.299*** 0.859 0.150 11.061

문항5 0.872*** 0.673 0.231 8.520

문항6 0.918*** 0.765 0.151 9.757

문항7 0.959*** 0.741 0.189 9.442

문항8 1.232*** 0.843 0.156 10.828

문항9 1.162*** 0.835 0.147 10.726

문항10 1.165*** 0.852 0.129 10.955

문항11 1.090*** 0.824 0.141 10.571

문항12 0.998*** 0.801 0.140 10.259

주 : TLI = 0.857, CFI = 0.883, RMR = 0.022

3. 신뢰도 분석

사 검사지와 사후검사지에 한 Cronbach ɑ 값을 산출한 결과, 사 검사

는 0.948, 사후검사는 0.955로 나타나 본 평가지의 신뢰도는 매우 우수한 것으

로 확인되었다.

<표 5-5> 사 /사후 검사지의 신뢰도 분석결과

구분사전검사 사후검사

Cronbach ɑ 빈도 Cronbach ɑ 빈도

전체 (12개 문항) 0.948 165 0.955 160

4. 수렴 타당도 분석

보조공학기기 사용 합성 평가도구(선호도 검사)의 사 /사후 수와 보조

기기의 사용 합도 수 간에 상 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피어슨

Page 76: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66

의 상 계 계수는 사 검사와 합도 간에는 0.608, 사후검사와 합도 간에

는 0.621로 모두 유의수 1%에서 통계 으로 유의미한 변인들 간에 상 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평가지는 수렴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표 5-6> 사 /사후 보조공학기기 선호도와 보조기기 사용 합도와의 상 계

구분 사전검사 사후검사

보조기기 사용 적합도 0.608*** 0.621***

다음은 보조공학기기의 합도를 검사요인이 별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기

해 별분석을 실시하 다. 종속변수에 해당하는 분류집단은 보조기기 사용

합도 수(10 만 )를 3분 집단으로 범주화하 다. 집단1은 합도 수

이 낮은 집단, 집단2는 합도가 간 이상인 집단, 집단3은 합도 수 이 매

우 높은 집단으로 정의된다. 사 검사 12개 문항을 투입한 별함수는 카이제

곱이 80.002이고 유이수 1%에서 통계 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타 별함

수로 유효한 것으로 단되었다. 별함수에 의한 분류율은 62.6%를 나타냈다.

<표 5-7> 도출된 정 별함수(사 검사)

함수 고유치 정준상관 Wilks 람다 카이제곱 자유도 유의확률

1 .718 0.647 0.517 86.002 24 0.000

<표 5-8> 분류표(사 검사)

실제집단 표본수예측집단

집단1(%) 집단2(%) 집단3(%)

집단1 36 24(66.7) 7(19.4) 5(13.9)

집단2 55 11(20.0) 26(47.3) 18(32.7)

집단3 48 1(2.1) 10(20.8) 37(77.1)

주 : 정확히 분류된 표본 비율 = 62.6%

Page 77: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제5장 신뢰도 및 타당도 평가 67

사후검사 12개 문항을 투입한 별함수는 카이제곱이 100.002이고 유이수

1%에서 통계 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타 별함수로 유효한 것으로 단

되었다. 사후검사 요인들이 보조공학기기 사용 합도 수 을 정확히 분류한

수 은 70.1%를 나타냈다. 정확 분류률은 사후검사가 사 검사보다 7.55%p 더

높게 나타나 사 검사에 비해 사후검사가 보조기기의 사용 합도를 더 잘

측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표 5-9> 도출된 정 별함수(사후검사)

함수 고유치 정준상관 Wilks 람다 카이제곱 자유도 유의확률

1 .776 0.661 0.458 100.357 24 0.000

<표 5-10> 분류표(사후검사)

실제집단 표본수예측집단

집단1(%) 집단2(%) 집단3(%)

집단1 36 23(65.7%) 3(8.6%) 9(25.7%)

집단2 55 6(10.9%) 31(56.4%) 18(23.7%)

집단3 48 0(0.0%) 5(10.6%) 42(89.4%)

주 : 정확히 분류된 표본 비율 = 70.1%

Page 78: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Page 79: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제6장 평가기준 마련 69

구분

사전검사 t

또는

F

사후검사 t

또는

F빈도

평균

(표준편차)빈도

평균

(표준편차)

성별남자 116 54.0(6.8)

0.830113 54.0(7.9)

0.328여자 47 52.9(8.5) 47 53.6(8.7)

연령

20대 22 53.0(6.5)

0.546

22 53.6(6.6)

0.40030대 40 53.8(7.1) 38 52.8(10.7)

40대 61 54.4(7.7) 60 54.6(7.7)

50대 이상 40 52.6(7.8) 40 54.2(6.6)

장애

유형

지체장애 109 53.7(7.1)

1.248

109 54.0(7.8)

1.641

시각장애 31 53.4(8.5) 28 53.5(9.4)

언어장애 15 52.1(7.4) 15 53.7(6.3)

청각장애 4 47.8(7.8) 4 45.5(10.2)

지적장애 5 58.0(1.6) 5 59.0(1.4)

장애

정도

중증 78 53.2(8.2)0.725

75 53.4(8.9)0.699

경증 85 54.1(6.4) 85 54.3(7.3)

제 6 장

평가기준 마련

제1 특성 변수별 선호도 수의 평균 차이 비교

장애인의 주요 특성에 따라 선호도 수에 차이가 있는 지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성별, 연령, 장애정도, 보조공학기기 품목은 사 , 사후 검사 모두에

서 선호도 수의 평균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서 보

조공학기기 선호도 검사는 장애인의 주요 특성 보조공학기기 특성에 크게

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확인된다.

<표 6-1> 주요 특성변수별 선호도 평균 비교

Page 80: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70

구분

사전검사 t

또는

F

사후검사 t

또는

F빈도

평균

(표준편차)빈도

평균

(표준편차)

보조

공학

기기

시각보조기구 32 53.2(8.4)

1.998

29 53.8(9.0)

1.851

특수작업의자 48 55.0(6.3) 48 55.9(5.3)높낮이조절작업테이블 21 50.9(7.4) 21 52.8(5.4)

자세보조장치 20 56.6(7.1) 20 56.2(8.6)작업물운송/운반장치 31 52.5(7.0) 31 51.8(10.2)

기타 13 51.6(7.7) 13 50.8(9.0)

제2 평가기 마련

보조공학기기 선호도 사 검사의 수는 평균이 53.6 , 표 편차가 7.3으로

나타났다. 평가기 을 마련하기 해 평균 수 53 을 기 으로 음(-)의 표

편차를 1단 증가시키는 것으로 하여 4개 집단을 구성하 다. 집단 별 수

구간은 54 이상은 집단1, 46 에서 53 사이는 집단2, 39 에서 45 사이

는 집단3, 38 이하는 집단4로 구분된다.

선호도 수의 평균은 체가 53.6 이고, 집단별로는 집단1이 58.4 , 집단

2가 49.3 , 집단3이 42.5 , 집단1이 32.7 을 나타냈다. 합도 수는 체가

8.9 이고, 집단별로는 집단1이 9.4 , 집단2가 8.4 , 집단3이 7.5 , 집단4가

5.8 을 나타냈다.

<표 6-2> 집단별 선호도 합도 평균 수

집단선호도 검사 점수 적합도 점수

빈도 평균점수 표준편차 빈도 평균점수 표준편차

집단1 100 58.4 1.9 89 9.4 0.7

집단2 46 49.3 2.0 35 8.4 1.1

집단3 13 42.5 1.8 11 7.5 1.8

집단4 7 32.7 8.3 5 5.8 2.4

전체 166 53.6 7.3 140 8.9 1.3

Page 81: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제6장 평가기준 마련 71

집단별로 보조기기 사용 합도 수에 차이가 있는 지를 악해 선호도

수의 평가 기 을 설정하고자 하 다. ANOVA 분석을 실시한 결과, F값이

3.905로 유의수 1%에서 집단 간에 합도 수의 평균에 차이가 있는 것으

로 나타났다. 개별 집단 간의 평균 차이를 검증하기 해 Scheffe의 사후검증

을 실시하 다. 분석결과, 집단1은 집단2, 집단3, 집단4와 평균 차이가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 집단2는 집단1, 집단4와는 평균 차이가 있는 반면, 집단3과는

평균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4는 집단1과 평균에 차이가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

<표 6-3> ANOVA F 검증

  제곱합 df 평균 제곱 F 유의확률

집단-간 99.311 3 33.104 31.905 .000

집단-내 141.110 136 1.038    

합계 240.421 139      

<표 6-4> Scheffe의 사후검증

기준집단 집단 평균차이 표준오차 유의확률

집단1

집단2 .953 .203 .000

집단3 1.927 .326 .000

집단4 3.582 .468 .000

집단2

집단1 -.953 .203 .000

집단3 .974 .352 .058

집단4 2.629 .487 .000

집단3

집단1 -1.927 .326 .000

집단2 -.974 .352 .058

집단4 1.655 .549 .032

집단4

집단1 -3.582 .468 .000

집단2 -2.629 .487 .000

집단3 -1.655 .549 .032

Page 82: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72

분산분석 결과에 따라 집단2와 집단3은 동일한 집단으로 간주된다. 집단1은

선호도 수가 평균 58.4 으로 보조기기에 한 선호도가 가장 높은 집단이

다. 집단1을 제외하는 경우, 동일 집단인 집단2와 집단3은 집단4와 평균에 차

이가 있다. 따라서 보조기기 선호도의 양호한 정도를 단하는 최소 기 은

집단4의 선호도 상한 수인 38 이 정한 수 이라 할 수 있다.

Page 83: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제7장 평가과정 개발 73

제 7 장

평가과정 개발

제1 보조공학기기 선택을 한 평가 과정

아래 [그림 7-1]은 장애인에게 필요한 작업용 보조공학기기를 선택하는 평

가 과정을 도식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그림 7-1] 보조공학기기 선택 과정

Page 84: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74

평가 과정을 단계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 보조기기 신청 수

단계에서는 보조기기 사용에 한 기본 인 정보를 수집한다. 여기서는 기

면 지가 사용된다(부록 1 서식 참조). 보조기기 요구도 평가과정은 신청한 보

조기기에 한 최소한의 요구사항을 검하는 과정이다. 보조기기 요구도 평

가는 보조공학기기 요구체크리스트를 사용한다(부록 2 서식 참조). 보조기기

선호도 검사는 보조기기에 한 선호가 어느 정도인지를 악하는 것으로 신

청 단계에서는 사 검사를 실시한다(부록 3 참조). 평가자는 기 상담, 기기

요구도 평가, 선호도 검사를 종합하여 기기 지원 결정여부를 단하여 정한

기기를 지원한다. 지원된 보조기기는 선호도 사후 검사(부록 4 참조)를 통해

사 과 비교하여 하게 선택 되었는지를 평가한다. 사업담당자와 사업주에

게는 보조기기가 장애인에게 합한지를 악하기 해 합도 평가(부록 5

참조)를 실시할 수 있다. 이후 지속 인 사후 리를 통해 한 기기 사용이

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제2 평가 단계별 내용

1. 기면 지 로토콜

가. 기본 정보

보조공학기기 상담 기록지에서 성명, 성별, 나이 등 기본 인 정보를 악

함으로써 상담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이용자에 한 부분을 악할 수 있는 기

회의 획득을 목 으로 한다. 특히 근무 형태, 주요 업무, 장애 상태, 재 사용

하고 있는 보조기구 등을 악함으로써 보조공학기기의 선택 방향을 개 으

로 악할 수 있다.

Page 85: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제7장 평가과정 개발 75

나. 기본 능력

기본 능력은 신체·인지 상황을 악하는 것으로 한 보조공학기기 선

택의 기본 인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라고 볼 수 있다. 각 기본 능력에 한

평가 기 은 김동일 등(2012)이 “직업 장애 기 개발 연구”에서 소개한 직

업능력에 필요한 다양한 평가 도구들 신체와 인지 부분에 필요한 요소들을

요약하여 실무담당자가 직 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간략하게 나타냈다. 이

는 이미 악되어 있는 이용자의 정보를 활용하여 선택할 수 도 있다. 는

문 평가자의 조언을 통해 선택할 수도 있다. 제시된 평가 기 은 보조기기

를 사용하기에 가장 기 인 구별 방법이라고 볼 수 있다.

다. 서비스 욕구

이용자가 원하는 보조기구의 역을 악하는 단계로 구체 인 제품을 선

택하기 에 그 제품에 해당하는 품목 선택을 통해 기본 능력과 비교하여

한 선택이 될 수 있는지를 악한다. 비고에 제시된 장애 역을 심으로

각 역에 한 품목이 배치가 되는지를 악한다. 세부 선택 제품은 구체

으로 이용자가 원하는 제품명을 작성함으로써 보조공학기기 요구도 체크리

스트에서 해당 품목을 신속히 악할 수 있다.

2. 보조기기 요구도 체크리스트

보조공학기기 요구도 체크리스트는 공단에서 2014년 기 으로 지원하고 있

는 체 제품을 다루며, 이 목록에서 이용자가 원하는 제품이 한지를

악한다. 평가내용에서 기본 으로 해당 제품을 사용하기 해 필요한 신체, 인

지, 환경 인 부분들이 합한지를 악하게 된다.

총 22개 품목은 기 면 지를 통해 선택된 보조기기 품목으로 찾아가서

Page 86: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76

그에 해당하는 제품을 악하고, 그 제품들에 한 평가 내용을 기본 으로

체크하면 된다. 체크된 평가에서 ‘아니오’라고 평가 되는 부분이 있다면 그 기

기 사용에 한 고려가 필요하다. [부록 2]에서 살펴보면 기본 으로 제품 사

용을 해 필요한 질문 요소는 백색이며, 음 으로 처리된 하 세부 으로

나열된 질문을 통해 제품의 구분을 보다 명확하게 할 수 있다. 최종 결과로

하나 이상의 제품이 결과로 나타나게 된다면, 지원 가능 제품에서 이용자의

선택을 존 하여 지원을 실시하면 된다.

3. 작업용 보조공학기기 선호도 검사

작업용 보조공학기기 선호도 검사는 사용자가 선택한 보조기기가 사용자의

욕구, 보조기기 환경 간의 합한 상호작용을 제공하 는지를 평가하는 과

정으로, 「작업용 보조공학기기 선호도 검사- 사 ․사후검사」, 사후에 사업담

당자 는 사업주 상의 「보조공학기기 사용 합도」 검사로 구성되어 있으

며, 다음과 같은 장 이 있다.

∙ 보조기기의 목표 설정 과정에서 사용자의 참여를 진한다.

∙ 사용자의 욕구, 목표 선호도를 알 수 있다.

∙ 보조기기 사용 성과에 향을 미치는 개인 , 환경 , 사회 요인을

알 수 있다.

∙ 시간 경과에 따른 보조기기 선호도 변화를 알 수 있어 사례 리의 기

자료로 유용하다

∙ 보조기기 미사용과 원인을 알 수 있다.

∙ 제3자의 시각에서 사용자와 보조기기 간의 합성을 알 수 있다.

작업용 보조공학기기 선호도 검사의 수해석 결과활용은 개별화된 향

과 요인을 분석하는 경향을 가지기 때문에 표 화된 검사의 해석 방법과는 다

Page 87: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제7장 평가과정 개발 77

소 차이가 있다. 즉, 이 도구는 규 집단과 비교하는 규범 측정(nomothetic

measures)이 아니라 보조기기 선호도를 사 , 사후 검사하고 시간 경과에 따

른 개인의 선호도 변화의 특성을 악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합한 보조기기

를 제공하려는 사례사 측정(idiographic measures) 방식을 따른다. 작업용 보

조공학기기 선호도 검사의 과정은 다음과 같다([그림 7-2]).

[그림 7-2] 작업용 보조공학기기 선호도 검사 과정

가. 작업용보조공학기기 선호도 검사-사 검사

1) 목

작업용 보조공학기기 선호도 검사-사 검사는 사용자와 보조공학서비스 제

공자가 력하여 선택한 보조기기가 사용자의 보조기기 선호도와 어떤 응

(matching) 계가 있는지를 악하려는 목 으로 실시한다.

2) 실시

사용자는 사용하려는 보조기기에 하여 보조기기의 유익성, 사용자 자신에

Page 88: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78

한 인식, 보조공학기기 합성, 환경 지지 정도에 한 기 를 12항목에

걸쳐 평가한다. 작성요령은 다음과 같다.

작업용 보조공학기기 선호도 검사 - 사전검사

■ 작성 준비

- 준비물: 볼펜, 연필, 지우게

- 검사 소요시간 : 10분 ~ 15분

- 검사 장소 : 조용하고 집중에 방해되지 않는 곳

■ 작성 방법

◎ 일반적 사항

- 작성자는 본인 또는 대리인의 이름이나 관계를 기입함

- 사용목적은 향후 6개월 동안의 사용 목적을 의미함

◎ 설문 문항

- 설문은 사용자가 직접 문항을 읽고 응답함이 원칙이며 표기는 대

리인이 작성할 수 있음

- 사용자가 읽기 어려울 경우 대리인이 읽어 주고 응답을 물어서

표기할 수 있음

- 1-12번 문항까지 5점 척도이며 해당하는 숫자에 (√) 표기함

- 중요 문항 3개는 12개 질문 가운데 사용자가 가장 중요하다고 생

각하는 문항을 3개 선택하여 (√) 표기함

- 반드시, 모든 문항을 빠짐없이 응답하여야 함

- 총점은 응답한 12개 문항의 점수를 합산하여 기입함.

Page 89: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제7장 평가과정 개발 79

3) 결과 활용

작업용 보조공학기기 선호도 검사-사 검사는 두 가지의 결과를 도출한다.

하나는 12개 문항의 총 이며 둘째는 사용자에게 요하다고 생각되는 질문인

3가지 요문항이다.

∙총 은 최 12 에서 최고 60 의 범 를 나타내며 보조기기에 한 사

용자의 선호도 수 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평가 기 수를

심으로 수가 낮을수록 선호도 수 이 낮으며 수가 기 수보다

높을수록 보조기기에 한 선호도가 높으며 정 으로 인식한다고 단

할 수 있다. 만약, 선호도 수가 기 수 38 보다 낮은 경우 보조기

기 사용 합성이 떨어질 것으로 상되므로 지원 결정에 있어 신 을

기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필요한 경우 사례회의를 거쳐 최종 지원결정

을 내려야 한다. 두 가지 이상의 보조기기에 한 선호도를 검사할 경우

가장 높은 총 을 받은 보조기기가 사용자가 가장 선호하는 기기라고 볼

수 있다.

[그림 7-3] 총 해석

Page 90: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80

∙ 요 문항 3개는 보조기기에 한 개인의 경향성을 잘 반 하는 개인

특성 부분으로, 총 과는 별개로 가 치를 두어 향후 목표 설정, 기기지

원, 교육 훈련 시 고려해야할 부분이다. 사용자가 선택하는 요 문항

3개가 보조기기 마다 같거나 다를 수 있으므로 보조공학서비스는 이를

고려한 개별화된 서비스를 실시해야 한다.

나. 작업용보조공학기기 선호도 검사-사후검사

1) 목

작업용 보조공학기기 선호도 검사-사후검사는 보조기기를 지원받고 일정

기간이 지난 후, 사용 경험을 바탕으로 사용자의 보조기기 선호도를 악하고

자 실시한다.

2) 실시

사용자는 사용한 보조기기에 한 보조기기의 유익성, 사용자 자신에 한

인식, 보조공학기기 합성, 환경 지지 정도에 한 결과를 12항목에 걸쳐

평가한다. 작성요령은 아래 표와 같다. 재 보조기기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마련된 별도 란에 사용 기간과 미사용 원인을 기입한다.

3) 결과활용

작업용 보조공학기기 선호도 검사-사후검사의 총 과 요 문항 3개는 사

검사와 결과해석이 유사하므로 이를 참고한다.

∙사후검사는 보조기기 선호도가 사 검사와 비교하여 시간의 추이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 는지에 한 정보를 제공해주므로, 추후 보조기기 사용과

Page 91: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제7장 평가과정 개발 81

작업용 보조공학기기 선호도 검사 - 사후검사

■ 작성 준비

- 준비물: 볼펜, 연필, 지우게

- 검사 소요시간 : 10분 ~ 15분

- 검사 장소 : 조용하고 집중에 방해되지 않는 곳

■ 작성 방법

◎ 일반적 사항

- 작성자는 본인 또는 대리인의 이름이나 관계를 기입함

- 사용목적은 향후 6개월 동안의 사용 목적을 의미함

- 총 사용 일수는 보조기기를 사용한 총 일 수를 일(日) 단위로 기

입함

◎ 설문 문항

- 설문은 사용자가 직접 문항을 읽고 응답함이 원칙이며 표기는

대리인이 작성할 수 있음

- 사용자가 읽기 어려울 경우 대리인이 읽어 주고 응답을 물어서

표기할 수 있음

사후 리 서비스 시 최 화된 맞춤 서비스를 실시할 수 있다.

∙사후검사 결과는 보조기기의 계속 인 사용과 만족도를 측하는 요한

자료가 될 수 있다

∙사후검사를 통해 지원받은 보조기기의 미사용 여부와 원인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와 함께 애로사항을 해결할 해법을 모색할 수 있다.

∙작업용 보조공학기기 선호도 검사-사후검사는 사 검사, 보조기기 사용

합도 검사와 함께 개별사례에 한 포 로 일을 제공한다.

Page 92: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82

- 1-12번 문항까지 5점 척도이며 해당하는 숫자에 (√) 표기함

- 중요 문항 3개는 12개 질문 가운데 사용자가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문항을 3개 선택하여 (√) 표기함

- 반드시, 모든 문항을 빠짐없이 응답하여야 함

- 총점은 응답한 12개 문항의 점수를 합산하여 기입함

◎ 현재 사용자가 보조기기를 사용하지 않고 있는 경우

- 현재 보조공학기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란을 작성함

- 보조기기 사용 기간은 지원받은 이후에 사용했던 총 일 수를 일(日)

단위로 기입함

- 사용하지 않는 주된 원인을 간략하게 직접 작성함(예, 고장, 사용이

불편함 등)

4. 보조기기 사용 합도

1) 목

사업담당자와 사업주는 장애인 근로자와 보조기기가 얼마나 합한 응을

이루었는지를 「보조기기 사용 합도」 검사를 통해 악한다.

2) 실시

구체 인 작성요령은 아래 표와 같다.

3) 결과활용

보조기기 사용 합도의 결과는 단독으로도 의미가 있으나 작업용 보조공

학기기 선호도 검사-사후검사와 함께 활용되어 재 사용하고 있는 보조기기

Page 93: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제7장 평가과정 개발 83

에 한 사용자의 정 선호도와 보조기기와 사용자 간 응을 지지하는 역

할을 한다.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도

■ 작성 방법

- 작성자는 사업담당자 또는 사업주

- 근로자와 보조공학기기가 얼마나 적합한 대응을 이루었는지를 해당

하는 숫자에 (○) 표기함

- 범위는 전혀 적합하지 않음(1점) - 매우 적합함(10점)

제3 용사례

1. 사례-1(시각장애인 : 확 독서기)

사례자는 여성으로 14년 백내장 수술로 이후 약시가 진행되었으며, 사고

로 인해 시력이 더욱 나빠져 재의 상태에 이르 다. 재 안마 일을 하고

있다. 신체 기본 능력은 확 한 자를 구분할 수 있는 정도의 상태를 보여

시력 항목에서 ‘약간부족’으로 악되었다. 보조기구 서비스 욕구는 직장

가정에서 각종 인쇄물을 직 으로 확인하기를 원하 으며, 휴 할 수 있는

기기를 선택하 다. 이에 휴 용 확 독서기가 기본 인 서비스 욕구에

한 것으로 악되었다.

지원품목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해당 사례는 시각장애인의 정보 근에 필요

한 제품이 필요하다. 공단에서 지원하는 확 독서기 품목은 크게 ‘거치형’,

Page 94: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84

‘휴 용’, ‘겸용’으로 나 수 있으며, 사례자는 휴 용 제품에 한 욕구가

있었다.

[그림 7-4] 기상담(사례1)

Page 95: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제7장 평가과정 개발 85

[그림 7-5] 보조공학기기 지원 품목

Page 96: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86

[그림 7-6] 보조공학기기 요구도 평가(사례 1)

사례자의 욕구에 부합하는 휴 용 확 독서기를 하게 제공할 수 있는

자료로 ‘보조공학기기 요구도 체크리스트’를 사용하여 기기의 선택을 도울 수

있다. [그림 7-6]에서와 같이 평가지에서 ‘확 독서기’품목을 선택하여 기본

으로 사용할 수 있는 평가 내용을 질문 평가 하 다. 그리고 각 보조공학

기기에서 제공하고 있는 특성에 따라 분류된 하 의 질문을 실시하 다. 그

결과 2개의 제품이 선택이 되었다. ‘페블’과 ‘Compact 7 HD’ 제품이다. 사례

자는 각 제품의 기능 에서 손잡이가 달린 제품을 선호하여 최종 선택으로

‘페블’이 합한 기기로 선택되었다.

선호도 사 검사를 실시한 결과 총 이 53 으로 기기 사용에 한 선호

도는 기 수 38 을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기기 제공에 따라

Page 97: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제7장 평가과정 개발 87

장애인이 기기를 합하게 사용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단된다. 요 문항

으로는 목표달성, 삶의 질, 직무능력 향상을 체크하 다. 요 문항은 필요한

경우 가 치를 부여하여 유사 제품 선택의 단 근거로 삼을 수 있다.

[그림 7-7] 보조공학기기 선호도 검사(페블)

Page 98: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88

상담평가 결과를 요약하면, 서비스 신청자는 시력 장애인으로 안마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잔존 시력을 최 한 활용하기를 희망하고 있다. 보조공학기기

에 한 요구도를 평가한 결과, 손잡이가 달린 휴 용 확 독서기 ‘페블’이 추

천되었다. 해당 보조기기에 한 선호도를 평가한 결과, 선호도 수는 53 으

로 해당 기기에 한 선호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이상의 상당평가

를 결과를 반 하여 휴 용 확 독서기 ‘페블’의 지원이 정한 것으로 단

된다.

2. 사례-2(지체장애인 : 욕창방지 방석)

사례자는 남성으로 1996년에 교통사고로 척수손상을 가지게 되었으며, 하지

마비 상태이다. 재 직업은 없는 상태로 공무원 등 취업 비를 해 공부를

하고 있다. 신체 기본 능력은 시력, 청력, 언어, 이해력, 근력, 지구력, 앉은

자세 유지, 상지 소근육 사용, 상지 근육 사용에는 좋은 상태이다. 하지 마

비로 기립 자세유지는 부족하 고, 이동은 휠체어를 통하여 이동함으로 약간

부족한 상태이다. 건강상태는 욕창 발생으로 치료를 받고 있는 상황으로 ‘약간부족’으로 악되었다. 보조기구 서비스 욕구는 장시간 착석에도 욕창 발생

을 일 수 있는 방석을 원하 다. 지속 인 구직 활동을 해 필요한 보조공

학기기로 단된다.

사례자의 욕구에 부합하는 보조공학기기는 2014년에 새롭게 추가된 사무용

품 ‘자세보조장치’ 품목에 해당한다. 이에 사용자에게 욕창을 방할 수 있

는 한 제품으로 크게 공기 방석과 통풍 기능을 가지고 있는 방석이 선택

되었다. 이 에서 사례자는 공기형을 보다 선호하 으며 이에 ‘컨폼 공기방

석’과 ‘로호쿼드로 방석’ 2가지 제품 에서 일반 으로 척수손상 환자들이 많

이 사용하는 ‘로호쿼드로 방석’을 사례자는 최종 선택하 다.

선호도 사 검사를 실시한 결과 총 이 53 으로 기기 사용에 한 선호

Page 99: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제7장 평가과정 개발 89

도는 기 수 38 을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기기 제공에 따라

장애인이 기기를 합하게 사용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단된다. 요 문항

으로는 삶의 질 개선, 직무능력 향상, 보조기기 사용을 한 편의제공을 체크

하 다. 요 문항은 필요한 경우 가 치를 부여하여 유사 제품 선택의 단

근거로 삼을 수 있다.

[그림 7-8] 기상담(사례2)

Page 100: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90

상담평가 결과를 요약하면, 이번 사례자는 공무원을 희망하는 척수손상 장

애인으로 하지마비로 기립 자세유지에 제한이 있고 휠체어를 사용하고 있다.

재 욕창 발생으로 치료를 받고 있다. 구직활동을 해 착석에 도움이 되는

보조기구를 희망하 다. 보조공학기기 요구도 평가결과, 욕창을 방할 수 있

는 제품으로 일반 으로 척수손상 환자들이 많이 사용하는 ‘로호쿼드로 방석’이 추천되었다. 해당 보조기기에 한 선호도를 평가한 결과, 선호도 수는

53 으로 해당 기기에 한 선호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이상의 평

가 결과에 따라 ‘로호쿼드로 방석’의 지원이 정한 것으로 단된다.

Page 101: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제7장 평가과정 개발 91

[그림 7-9] 보조공학기기 요구도 평가(사례 2)

[그림 7-10] 보조공학기기 선호도 검사(로호궈드로 방석)

Page 102: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92

3. 사례-3(지체장애인:특수마우스,특수키보드,높낮이조 작업테이블)

사례자는 남성으로 조산으로 인한 강직성 뇌성마비와 불완 사지마비를

가지고 있다. 재 직업은 ‘*****생활센터’에서 사회복지사로 근무하고 있다. 신

체 기본 능력은 시력, 청력, 이해력은 좋은 상태 다. 하지만 강직성 뇌성마

비로 인해 근력, 지구력은 측정하기가 어려웠다. 상지 소근육 사용은 동작

심에서 조 씩 제한 으로 동작하는 정도로 ‘부족함’으로 악 되었다. 언어

수 은 부정확한 발음이지만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상태 으며, 건강상태는

주기 으로 병원을 방문하여 근육통을 억제하는 약을 복용하고 있었다. 보조

기구 서비스 욕구는 사무에 필요한 환경이었다. 먼 재 사용하는 사무용

책상이 높아서 컴퓨터 사용에 따른 신체 어려움이 많았으며, 일반마우스와

키보드를 사용하고 있지만 시간 지연과 더불어 오타가 많이 발생하여 업무

Page 103: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제7장 평가과정 개발 93

에 지장이 있었다. 효율 인 업무를 해 높낮이 테이블, 확 특수키보드, 특

수마우스를 신청하 다.

사례자의 욕구에 부합하는 보조공학기기는 ‘특수키보드’, ‘특수마우스’, ‘높낮이조 작업테이블’품목에 해당한다. 이에 [그림 7-12]와 같이 사용자의 컴퓨

터 근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한손키보드’와 ‘롤러 조이스틱 러스’가 선

택되었다. ‘높낮이조 작업테이블’은 사무용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악되었으

며, 사용자가 쉽게 동으로 조 이 가능한 제품이면 되었다. 이에 동휠체어

를 사용하지만 휠체어가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은 필요하지 않으므로 ‘SAT-

18W’가 선택 되었다.

[그림 7-11] 기상담(사례3)

Page 104: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94

[그림 7-12] 보조공학기기 요구도 평가(사례 3)

Page 105: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제7장 평가과정 개발 95

(계속)

[그림 7-13] 높낮이조 작업테이블, 조이스틱마우스 용

Page 106: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96

요구도 체크리스트를 통해 추천된 보조기기 3 에 한 선호도 사 검사

를 실시한 결과, 한손키보드가 50 [그림 7-14], 롤러조이스틱 러스가 51 [그

림 7-15], SAT-18W(높낮이조 작업테이블)이 51 [그림 7-16]으로 나타났다. 따

라서 이들 기기 제공에 따라 장애인이 해당 기기 모두를 합하게 사용할 가

능성이 있는 것으로 단된다. 요 문항으로는 한손키보드는 삶의 질 개선,

기기 사용법과 특성, 일상 업무 합성, 롤러조이스틱 러스는 삶의 질 개선,

직무능력 향상, 직장 응, SAT-18W(높낮이조 작업테이블)은 삶의 질 개선,

직무능력 향상, 사용능력을 체크하 다. 요 문항은 필요한 경우 가 치를 부

여하여 유사 제품 선택의 단 근거로 삼을 수 있다.

상담평가 결과를 요약하면, 이번 사례자는 남성으로 강직성 뇌성마비와 불

완 사지마비를 가지고 있고 재 사회복지 서비스 기 에서 사회복지사로

일하고 있다. 장애상태는 근력, 지구력이 떨어지고 소근육 사용에 제한이 있었

다. 그는 사무환경 개선을 희망하 다. 보조공학기기에 한 요구도를 평가한

결과, 한손키보드, 롤러조이스틱 러스, SAT-18W(높낮이 조 작업테이블)이

추천되었다. 추천된 기기들에 해 선호도를 평가한 결과 모두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평가 결과에 따라 한손키보드, 롤러조이스틱 러스,

SAT-18W의 지원이 정한 것으로 단된다.

Page 107: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제7장 평가과정 개발 97

[그림 7-14] 보조공학기기 선호도 검사(한손키보드)

Page 108: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98

[그림 7-15] 보조공학기기 선호도 검사(롤러조이스틱 러스)

Page 109: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제7장 평가과정 개발 99

[그림 7-16] 보조공학기기 선호도 검사(SAT18W)

Page 110: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100

4. 사례-4(청각장애인 : 작업물운송/운반장치, 화상 화기)

사례자는 청각장애를 가지고 있는 남성으로 선천 으로 정확한 원인은 모

르지만 감염에 의한 것으로 기억하고 있다. 직업은 ‘****인쇄’에서 인쇄 업무를

담당하고 있었다. 신체 기본 능력은 청력과 언어 모두 수화 통역을 통하지

않고는 화를 하기 어려운 ‘부족함’ 상태 다. 그 외 다른 신체기능은 모두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조기구 서비스 욕구는 회사에서 렛트에 물건을 옮

기는 데 필요한 작업용 장비와 회사와 가정에서 청각장애인 련 커뮤니티에

화를 할 수 있는 화상 화기를 희망하 다.

사례자의 욕구에 부합하는 보조공학 기기는 ‘작업물운송/운반장치’와 ‘화상

화기’의 품목에 해당한다. 이에 화상 화기는 [그림 7-18]와 같이 보청기능이

필요 없으며 터치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제품을 원하여 ‘CVP-2000’이 선택되

었다.

작업물운송/운반장치에서는 물건을 1,100cm 미만의 높이에서 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렛트에 올려진 물건의 이동을 필요로 하는 두 가지 조건에 부합

하는 ‘ 동카트운반차’가 선택 되었다.

요구도 체크리스트를 통해 추천된 보조기기 2 에 한 선호도 사 검사

를 실시한 결과, CVP-2000(화상 화기)는 55 , 동카트운반차는 47 으로 나

타났다. 따라서 이들 기기 제공에 따라 장애인이 해당 기기 모두를 합하게

사용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단된다. 요 문항으로는 CVP-2000(화상 화

기)는 목표달성, 삶의 질 개선, 직무능력 향상, 동카트운반차는 삶의 질 개

선, 직무능력 향상, 직장 응을 체크하 다. 요 문항은 필요한 경우 가 치

를 부여하여 유사 제품 선택의 단 근거로 삼을 수 있다.

Page 111: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제7장 평가과정 개발 101

[그림 7-17] 기상담(사례4)

Page 112: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102

Page 113: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제7장 평가과정 개발 103

[그림 7-18] 보조공학기기 요구도 평가(사례 4)

Page 114: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104

[그림 7-19] 보조공학기기 선호도 검사(CVP-2000)

Page 115: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제7장 평가과정 개발 105

[그림 7-20] 보조공학기기 선호도 검사( 동카트 운반차)

Page 116: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106

상담평가 결과를 요약하면, 이번 사례자는 청각장애를 가진 남성으로 언어

청각능력에 제한이 있다. 재 인쇄 포장 업무를 담당하고 있으며 원거

리에 있는 청각장애 동료들과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원하고 작업 물건을 쉽게

운반할 수 있는 보조기기를 희망하 다. 기기 요구도를 평가한 결과, CVP-

2000(화상 화기), 동카트운반차가 추천되었다 추천된 기기들에 해 선호도

를 평가한 결과 모두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평가 결과에 따

라 한손키보드, 롤러조이스틱 러스, SAT-18W의 지원이 정한 것으로 단

된다.

5. 사례-5(지체장애인 : 특수작업의자, 높낮이조 작업테이블, 특수

마우스)

사례자는 척수염 수술 후 척수 장애를 가지

게 되었으며, 지체장애 1 으로 등록되어 있다.

재 ‘ 작****’에서 재택근무로 작물을 감시

하는 일을 하고 있다. 신체 기본 능력은 사지

마비로 근력, 지구력, 기립 자세 유지, 상지 소

근육, 상지 근육 사용이 어려운 ‘부족함’ 상태

다. 앉은 자세, 건강, 이동은 약간 좋은 상태

고, 청각, 시각, 언어, 인지력은 ‘좋음’ 상태다.

보조기구 서비스 욕구는 기존에 사용하고 있던 헤드Z마우스가 오래되어 오작

동을 자주 하여 교체가 필요하 다. 그리고 재택근무로 컴퓨터를 주로 사용하

는데 장시간 작업시 편안한 의자와 테이블 높낮이 조 이 되기를 희망하 다.

Page 117: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제7장 평가과정 개발 107

[그림 7-21] 기상담(사례5)

Page 118: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108

사례자의 욕구에 부합하는 보조공학 기기는 ‘특수작업의자’, ‘높낮이조 작

업테이블’, ‘특수마우스’의 품목에 해당한다. 이에 ‘특수작업의자’는 독립 보

행과 기립에 어려움이 있는 장애인이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작업용특수의자’가 선택되었다. 장시간 울 필요도 있었지만 해당 제품의 경우 수동으로 작

동하는 의자로 사례자의 사용에는 어려움이 있어 제외되었다.

Page 119: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제7장 평가과정 개발 109

[그림 7-22] 보조공학기기 요구도 체크리스트(사례5)

‘높낮이조 작업테이블’은 좁은 공간에서 사용가능한 ‘유압높낮이작업테이

블’이 선택되었다. 같은 조건의 ‘FT210’은 상 으로 사례자에게 디자인과 컨

트롤 부분의 조작 부분이 마음에 들지 않았으며, 사무용에 주로 사용하는

‘SAT-18W’는 사례자의 작업공간에 비해 테이블이 무 커 최종 선택에서 제

외되었다.

Page 120: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110

Page 121: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제7장 평가과정 개발 111

‘특수마우스’는 입, 호흡을 통해 사용 가능한 ‘인테그라 마우스 러스’ 제

품이 선택 되었다. 사례자는 머리의 움직임은 원활하 으나, 항 경련제 등을

복용하고 있어 때때로 일어나는 불수의 인 움직임으로 인해 ‘트래커Pro’와

‘해드 마우스 익스트림’의 제품 사용에 제한이 있어 최종 선택 되지 않았다.

요구도 체크리스트를 통해 추천된 보조기기 3 에 한 선호도 사 검사

를 실시한 결과, 작업용특수의자는 52 , 유압높낮이작업테이블은 52 , 인테

그라 마우스 러스는 51 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들 기기 제공에 따라 장

애인이 해당 기기 모두를 합하게 사용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단된다.

요 문항으로는 작업용특수의자는 목표달성, 삶의 질 개선, 직무능력 향상,

유압높낮이작업테이블은 목표달성, 삶의 질 개선, 직무 응, 인테그라 마우스

러스는 삶의 질 개선, 직무능력 향상, 직무 응을 체크하 다. 요 문항은

필요한 경우 가 치를 부여하여 유사 제품 선택의 단 근거로 삼을 수 있다.

상담평가 결과를 요약하면, 이번 사례자는 남성이며 척수손상 장애인으로

재택근무 형태로 작물을 감시하는 일을 하고 있다. 장애상태는 사지마비로

근력, 지구력, 기립자세 유지, 상지 소균육 근육 사용에 어려움이 있었다.

사례자는 재택근문 컴퓨터 워크스테이션을 희망하 다. 보조기기 요구도를 평

가한 결과, 작업용 특수의자, 유압식 높낮이 작업테이블, 인테그라 마우스

러스(특수마우스)가 추천되었다. 추천된 기기들에 해 선호도를 평가한 결과

모두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평가 결과에 따라 작업용 특수

의자, 유압식 높낮이 작업테이블, 인테그라 마우스 러스(특수마우스)의 지원

이 정한 것으로 단된다.

Page 122: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112

[그림 7-23] 보조공학기기 선호도 검사(작업용특수의자)

Page 123: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제7장 평가과정 개발 113

[그림 7-24] 보조공학기기 선호도 검사(유압높낮이작업테이블)

Page 124: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114

[그림 7-25] 보조공학기기 선호도 검사(인테그라 마우스 러스)

Page 125: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제8장 결론 115

제 8 장

결 론

본 연구는 보조공학기기를 지원하기 한 상담과정에 활용할 수 있는 평가

도구를 개발하는 데 그 목 이 있다. 평가도구 개발과정은 문헌분석을 통해

검사 요인을 도출하고, 이를 문가 그룹의 의견을 수렴하여 1차 수정하 다.

개발된 평가지에 한 실제 용 가능성을 검사하기 해 구보조기구 센터

이용자를 상으로 일럿 테스트를 실시하 다. 일럿 테스트 결과를 바탕

으로 2차 수정을 하여 최종 으로 평가지를 완성하 다. 개발된 평가도구에

한 신뢰도 타당도를 분석한 결과, 신뢰도 수 은 양호한 것으로 평가되

었다. 타당도 평가에서는 개념타당도, 수렴타당도가 유효한 것으로 평가되었

다. 한 보조기기 선호도 검사의 활용성을 높이기 하여 선호도의 수 을

단할 수 있는 기 을 제시하 다.

본 연구에서는 보조기기 지원을 한 상담평가 과정에 한 로토콜을 개

발하 다. 이 로토콜에는 기 상담부터 사후 리에 이르는 과정을 제시하

고 있으며, 과정별 요구되는 평가지로 선호도 검사지와 더불어 기면 지, 보

조기기 요구도 체크리스트를 함께 개발하여 제공하 다.

본 평가도구는 작업용 보조공학기기의 상담평가 업무 지원을 해 개발되

었다. 그 지만 선호도 문항의 주요 키워드를 일부 조정한다면 고용뿐만 아니

라 모든 분야의 장애인을 상으로 그 용 범 를 확 할 수 있을 것으로 기

된다.

Page 126: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Page 127: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참고문헌 117

참고문헌

김계수 (2007).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서울: 한나래출 사.

안나연 (2008). Quebec User Evaluation of Satisfaction Test(QUEST 2.0)의

한국어 번역 검증연구. 미간행 나사렛 학교 재활복지 학원 석사

학 청구논문.

이혜경 (2010). 한국어편 보조공학기기 사용 합성 평가도구 개발, 박사학

논문, 구 학교.

환, 이근민 (2013). 보조공학기기 지원사업 평가,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

용개발원.

채수 (2008). 한국어 Psychological Impact of Assistive Device Scale

(PIADS) 번안 검증 연구. 미간행 구 학교 학원 박사학 청구

논문.

한국장애인고용공단 (2014). 공단 업무바인더, 한국장애인고용공단 내부자료.

Andrich, R. (2002). The SCAI instrument: measuring cost of individual

assistive technology programs. Technology and Disability, 14, 95-99.

Bain, B. K., & Leger, D. (1997). Assistive technology: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New York : Churchill Livingstone.

Barnes, C., & Mercer, G. (1997). Breaking the mould? an introduction to doing

disability research. Leeds, England : The Disability Press.

Ben-Shahar, T. (2007). Happier. New York : McGraw-Hill.

Bernd, D., Pijl, V. D., & Witte, L. P. (2009). Existing models and

instruments for selection of assistive technology in rehabilitation

practice. Scandinav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16, 146-158.

Page 128: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118

Bowling, A. (1995). Measuring disease: a review of disease-specific quality of life

measurement scales. Buckingham : Open University Press.

Brooks, N. A. (1998). Models for understanding rehabilitation and assistive

technology. In D. B. Gary, L. A. Quatrano, & M. L. Lieberman

(Eds.), Designing and using assistive technology: the human perspective.

Baltimore : Paul H. Brookes.

Brown, D. (1996). Personal implications of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standing for older adolescents with spinal cord injuries. Technology

and Disability, 5(4), 295-311.

Canadian Association of Occupational Therapists. (2002). Enabling occupation:

an occupational therapy perspective. 2nd Ed. Ottawa : CAOT Publication.

Chadwick, A. (1995). Rights on a wrong wheel: the dangers of a medical

approach to civil rights. Austral Disability Review, 2, 40-59.

Cushman, L. A., & Scherer, M. J. (1996). Measuring the relationship of

assistive technology use, functional status over time, and consumer-

therapist perceptions of ATs. Assistive Technology, 8(2), 103-109.

Cook, A. M., & Hussey, S. M. (2002). Assistive technologies; principle and

practice. 2nd Ed. St. Louis, MO : Mosby.

Cook, A. M., & Polgar, J. M. (2008). Assistive technologies; Principle and

practice. 3rd Ed. St. Louis, MO : Mosby.

Day, H., & Jutai, J.W. (1996). Piads: The Psychosocial Impact of Assistive Device

Scale. Toronto: Authors.

Day, H., Jutai, J.W., Woolrich, W., & Strong, G. (2001). The stability of

impact of assistive devices.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23, 400-404.

De Jonge, D., Scherer, M. J., & Rodger, S. (2007). Assistive technology in the

workplace. St. Louis, MO : Mosby.

Page 129: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참고문헌 119

Demers, L., Weiss-Lambrou, R., & Ska, B. (1996). Development of the

Quebec User Evaluation of Satisfaction with Assistive Technology

(QUEST). Assistive Technology, 8, 3-13.

Demers, L., Weiss-Lambrou, R., & Ska, B. (2000). User evaluation of

satisfaction with assistive technology (QUEST version 2.0), New York:

The Institute for Matching Person & Technology, Inc.

Demorest, M. E., & Erdman, S. A. (1987).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profile for the hearing impaired.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52, 129-143.

Dewsbury, G., Clarker, K., & Randall, D. (2004). The anti-social model of

disability. Disability and Sociology, 19(2), 145-158.

Diener, E., & Emmons, R. A. (1985). The independence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7, 1105

-1117.

Diener, E., & Seligman, M. E. P. (2004). Beyond money: toward an

economy of well-being. Psychological Science in the Public Interest, 5,

1-31.

Fougeyrollas, P. (1997). The influence of the social environmental on the

social participation of people with disability. In C. Christiansen, & C.

Baum (Eds), Occupational Therapy: enabling function and well being, 2nd.

Ed. (pp 378-391). Thorofare NJ : Slack.

Fuhrer, M. J. (2000). Subjectifying quality of life as a medical rehabilitation

outcome.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22, 481-489.

Goodman, G., Tiene, D., & Luft, P. (2002). Adoption of assistive technology

for computer access among college student with disabilities.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24(1,2,3), 80-92.

Page 130: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120

Hedberg, K. E., Ivanoff, S. D., & Iwarson, S. (2007). Experiences among

older persons using mobility devices.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Assistive Technology, 2(1), 15-22.

Helliwell, J., & Putnam, R. D. (2004). The social context of well-being. London

: Philosophical transaction of the royal society.

Hocking, C. (1999). Function or feeling: factors in abandonment of assistive

device. Technology and Disability, 11, 3-11.

Janse, A. J., Gemke, R. J., Uiterwaal, C. S., Van Der Tweel, I., Kimpen, J.

L., & Sinnema, G. (2004). Quality of life: patients and doctors don't

always agree: a meta-analysis. Journal of Clinical Epidemiology, 57,

653-661.

Jutai, J. (1999). Quality of life impact of assistive technology. Rehabilitation

Engineering, 14, 2-7.

Kim-Prieto, C. Y. (2001). What's wonderful life? the pursuit of personal

happiness versus the pursuit of in-group obligations.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

Krefting, L. H. (1985). The use of conceptual model in clinical practice.

Canad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52(4), 173-178.

Law, M., Baptiste, S., Carswell, A., McColl, M. A., Polatajko, H., & Pollock,

N. (1998).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2nd Ed. Ottawa :

CAOT Publications.

Lenker, J. A., & Paquet, V. (2003). A review of conceptual models for

assistive technology outcomes research and practice. Assistive

Technology, 15, 1-15.

LoPresti, E. F., Mihailidis, A., & Kirsch, N. (2004). Technology for cognitive

rehabilitation and compensation: state of the art. Neuropsychological

Page 131: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참고문헌 121

Rehabilitation, 14, 5-39.

Nochajski, S. M., Oddo, C., & Beaver, K.. (1999). Technology and transition:

tools for success. Technology and Disability, 11, 93-101.

Ohnabe, H. (2006). Current trends in rehabilitation engineering in japan.

Assistive Technology, 18, 220-232.

Parette, H. P., Huer, M. B., & Scherer, M. J. (2004). Effects of acculturation

on assistive technology service delivery.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Technology, 19(2), 31-41.

Patrick, D. L., & Erickson, P. (1993). Health status and health policy. New

York : Oxford University Press.

Phillips, B., & Zhao, H. (1993). Predictors of assistive technology

abandonment. Assistive Technology, 5, 36-45.

Pollar, E., & Lee, P. D. (2003). Child well-being: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Social Indicators Research, 61, 59-78.

Renwick, R., Brown, I., & Raphael, D. (1994). Quality of life: linking a

conceptual approach to service provision. Journal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3, 32-44.

Scherer, M. J. (1996). Outcomes of assistive technology use on quality of

life.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18, 439-448.

Scherer, M.J. (1998). Matching Person and Technology: a series of assessments for

evaluating predispositions to and outcomes of technology we in

rehabilitation, education, the workplace and other settings. Webster, NY,

The Institute for Matching Person & Technology.

Scherer, M. J. (2002). The change in emphasis from people to person:

introduction to the special issue on assistive technology.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24(1), 1-4.

Page 132: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122

Scherer, M. J. (2005a). Assessing the benefits of using assistive technologies

and other supports for thinking, remembering and learning.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27(13), 731-739.

Scherer, M. J. (2005b). Living in the state of stuck: How technology impacts the

live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4th Ed. Cambridge, MA : Brookline

Books.

Scherer, M. J.(2005c). The matching person and technology (MPT) model manual

and assessment. 5th Ed. (CD-ROM). Webster, NY: The Institute for

Matching Person & Technology, Inc.

Scherer, M. J., & Craddock, G. (2002). Matching person and technology

(MPT) assessment process. Technology and Disability, 14, 125-31.

Scherer, M. J., & Cushman, L. (2001). Measuring subjective quality of life

following spinal cord injury: a validation study of the assistive

technology device predisposition assessment.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23(9), 387-393.

Scherer, M. J., & Dicowden, M. A. (2008). Organizing future research and

intervention efforts on the impact and effects of gender differences

on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the usefulness of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ICF).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30(3), 161-165.

Scherer, M. J., & Glueckauf, R. (2005). Assessing the benefits of assistive

technology for activities and participation. Rehabilitation Psychology, 50,

132-41.

Scherer, M. J., Sax, C., Vanbiervliet, A., Cushman, L., & Scherer, J. V.

(2005). Predictors of assistive technology use: the importance of

personal and psychosocial factors.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27,

Page 133: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참고문헌 123

1321-31.

Seidel, A. C. (2003). Theories derived from rehabilitation perspective. In E.B.

Crepeau (Ed), Willard and Spackman's Occupational therapy (pp 235-240).

philadelphia : LWW.

Spencer, J. C. (1998). Tool or baggage? alternative meanings of assistive

technology. In D. B. Gray, L. A. Quatrano, & M. L. Lieberman (Eds),

Designing and using assistive technology: the human perspective.

Baltimore: Paul H. Books.

Sprigle, S., & Abdelhamied, A. (1998). The relationship between ability

measures and assistive technology selection, design and use. In D. B.

Gray, L. A. Quatrano, & M. L. Lieberman (Eds), Designing and using

assistive technology: the human perspective. Baltimore : Paul H. Books.

Scherer, M. J., & Dicowden, M. A. (2008). Organizing future research and

intervention efforts on the impact and effects of gender differences

on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the usefulness of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ICF).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30(3), 161-165.

Schwarz, N., & Strack, F. (1999). Reports of subjective well-being: judgemental

processes and their methodological implications. New York : Russell -Sage.

Stineman, M. G., Shea, J., Jette, A. M., Tassoni, C. J., Ottenvacher, K.,

Fiedler, R.C., & Granger, C. V. (1996). The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Archive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77, 1101- 1108.

Vincent, C., & Morin, G. (1999). L'Utilisation ou non des aides techniques:

comparison d'un modeleamericain aux besoins de la realite

quebecoise. Canad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6, 92-101.

Wilson, D. J. (2005). Braces, wheelchairs and iron lungs. Journal of Medical

Page 134: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124

Humanities, 26(2-3), 173-190.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1).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ICF. Geneva : WHO.

Yair, A. H. (2009). Technolog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New York :

Cambridge university press.

Page 135: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 부 록 -

1. 기 면 지 ···································································· 127

2. 보조공학기기 요구도 체크리스트 ·································· 130

3. 작업용 보조공학기기 선호도 검사(사 검사) ·············· 140

4. 작업용 보조공학기기 선호도 검사(사후 검사) ·············· 141

5. 작업용 보조공학기기 합도 검사지 ····························· 142

Page 136: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Page 137: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부 록 127

[부록1] 기초면접지

□ 기본 정보

성명/성별 / 나이(생년월일) 세( . . )

평가 일자 . . 근무 형태 □사무 □제조 □서비스

□기타( )

직장명 주요 업무

연락처 주소

장애유형/등급 장애/ 급 장애등록/원인 /

장애상태 신변처리 □스스로 가능 □도움필요

사용보조기구 이동수단 □도보 □대중교통 □자가용 □기타( )

□ 기본 능력

항목현재 상태

부족한 항목 상세 기술부족함 약간부족 약간좋음 좋음

시력 □1 □2 □3 □4

청력 □1 □2 □3 □4

언어(발화 수준) □1 □2 □3 □4

이해력(인지) □1 □2 □3 □4

근력 □1 □2 □3 □4

지구력 □1 □2 □3 □4

기립 자세 유지 □1 □2 □3 □4

앉은 자세 유지 □1 □2 □3 □4

상지 소근육(손가락) 사용 □1 □2 □3 □4

상지 대근육(팔, 어깨) 사용 □1 □2 □3 □4

건강 □1 □2 □3 □4

이동 □1 □2 □3 □4

기타 특징

Page 138: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128

- 기본 능력 평가 기 -

①시력 : 교정시력이 맹 ‘부족함’, 약시 한 문서 250 point 크기 이상 식별 ‘약간부족’,

약시 한 문서 250 point 크기 식별 ‘약간 좋음’, 교정시력으로 일반 문서 식별

가능 ‘좋음’( 는 공단 시력계 검사 지표 이용)

②청력 : 청력검사 70db 이상(소리 식별 불가능) ‘부족함’, 36db~69db(비행기 소리 정도 는

매우 큰 목소리 일부 구분) ‘약간부족’, 25db~35db(큰 목소리 식별 가능) ‘약간좋

음’, 25db 이하 ‘좋음’

③언어 : 발화를 통한 구분 불가 ‘부족함’, 3회 이상 발화를 통한 식별 가능 ‘약간부족’, 언어

달 속도 발화의 명확성이 떨어지나 충분한 식별 가능 ‘약간좋음’, 일반 인

화 가능 ‘좋음’

④이해력(인지) : 공단의 ‘K-WAIS’ 외 심리평가 도구 지표를 이용하여 구분

⑤근력 : 공단의 ‘드는힘 도구’, ‘악력계’, ‘배근력계’ 등의 수를 토 로 구분

⑥지구력 : 공단의 ‘드는힘 도구’, ‘악력계’, ‘배근력계’ 등의 수를 토 로 구분

⑦기립 자세 유지 : 기립 불가 ‘부족함’, 고정된 물체(테이블, 벽 등)를 지지하여 기립 가능

‘약간부족’, 움직이는 물체(지팡이, 보행보조차 등)를 이용하여 기립 가

능 ‘약간좋음’, 지지 없이 기립 가능 ‘좋음’

⑧앉은 자세 유지 : 스스로 앉은 자세 유지 불가 ‘부족함’, 움직임이 없는 상태에서는 앉은

자세가 가능하나 움직이면 자세유지 불가능 ‘약간부족’, 등받이 팔받

침 등 지지 가 있는 의자 휠체어에 앉을 수 있는 상태 ‘약간좋

음’, 착석에 어려움이 없는 상태 ‘좋음’

⑨상지 소근육(손가락) 사용 : 공단의 ‘손기능검사’, ‘다차원양손 응검사’ 수를 토 로 구분

⑩상지 근육(팔, 어깨) 사용 : 공단의 ‘Goniometers’를 이용하여 자가 는 지지를 통한

움직임 등을 구분

⑪건강 : 수술 등의 치료가 필요한 건강상태 ‘부족’, 장기간 지속 인(주 2회 이상) 의료

외래 진료가 필요한 상태 ‘약간부족’, 상시 인 의료 외래 진료가 필요한 상태

(분기 1회 정도) ‘약간좋음’, 건강상 문제가 없는 상태 ‘좋음’

⑫이동 : 타인의 도움 없이 이동이 불가능한 상태 ‘부족함’, 타인의 도움으로 이동이 가능한

상태 ‘약간부족’, 보조기구를 통해 이동 가능한 상태 ‘약간좋음’, 타인 기구

도움 없이 완 독립 이동 가능 ‘좋음’

Page 139: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부 록 129

□ 서비스 욕구

기구 영역 품목 비고

정보접근

□점자정보단말기 □점자프린터

시각□화면확대 S/W 및 H/W □확대독서기

□음성출력 S/W 및 H/W □문서인식 S/W 및 H/W

□대형 모니터

□특수키보드 □특수마우스지체, 뇌병변

□입력보조장치

작업기구

□높낮이 조절 작업테이블 □경가각 작업테이블

전체 유형□휠체어용 작업테이블 □특수 작업기구 및 장비

□특수 작업 의자 □작업물 운송/운반장치

의사소통

□신호장치 □화상전화기청각

□소리 증폭장치

□음성 메모기 전체 유형

□보완대체의사소통장치 지체,, 뇌병변, 지적

사무보조

□시각장애인용 계산기 시각

□책장 넘기는 도구 □수화기 홀더

지체, 뇌병변□팔 지지대 □물건집게

□필기보조도구 □원고홀더

세부 선택

제품

Page 140: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130

[부록2] 보조공학기기 요구도 체크리스트

품 목 제품 평가내용 평가 결과

자정보

단말기

① 한소네 U2

② 한소네 U2 쿼티

③ 한소네 U2 미니

④ 한소네보이스쿼

⑤ SEIKA mini

․음성 정보를 듣기 한 청력에 이상이 없거

나, 자를 숙지하고 읽을 수 있습니까?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는 신체 ・인지기능을 가지고 있습니까?

□ □아니오

□ □아니오

①, ②, ③, ④,

․ 자 키를 숙지하고 있습니까? □ □아니오 ①, ③, ⑤

․쿼터 키 자 키를 숙지하고 있습니까? □ □아니오 ②

․청력에 이상이 없으며, 쿼터 키만 숙지하고

있습니까?․□ □아니오 ④

․보행 네비게이션 기능이 필요합니까? □ □아니오 ①, ②, ③, ④

․PC에 자정보 단말기를 연결하여 사용할

업무가 있습니까?□ □아니오 ⑤

① SEIKA 3

․컴퓨터가 사용 할 공간에 비치되어 있습니까?․사용할 컴퓨터에 스크린리더 로그램이 설

치되어 있습니까?

․컴퓨터 는 단말기(보이스 제품)를 사용할 수 있는 신체 ・인지기능을 가지고 있습니까?

․ 자를 숙지하고 읽을 수 있습니까?

․사무 정보를 자를 통해 많이 읽어야 하는 직업을 가지셨습니까?

□ □아니오

□ □아니오

□ □아니오

□ □아니오

□ □아니오

린터

① 북메이커

② ET

③ DOG-Multi

④ 에베 스트

⑤ 타이거 리미어100

⑥ 엠 린트스팟닷

⑦ BASIC-D

⑧ DOG-Pro32w

⑨ DOG-MULTI

SUPER

⑩ Tactile Image

Enhancer

․ 린트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컴퓨터

는 자정보단말기를 보유하고 사용이 가

능합니까?․ 리터를 사용할 수 있는 신체 ・인지기능을

가지고 있습니까?

․ 자를 숙지하고 읽을 수 있습니까?․ 용용지를 지속 으로 공 할 수 있습니까?

□ □아니오

□ □아니오

□ □아니오□ □아니오

①, ②, ③, ④, ⑤, ⑥, ⑦, ⑧,

⑨, ⑩

․음성 정보를 듣기 한 청력에 이상이 없습

니까? □ □아니오

①, ②, ④,

⑦,

․양면 인쇄 기능을 필요로 하는 사무 환경에

있습니까? □ □아니오

①, ②, ④,

⑤, ⑧

․ 자와 더불어 묵자를 인쇄하는 기능을 필

요로 하는 사무 환경에 있습니까? □ □아니오③, ⑥, ⑦, ⑨,

․낱장 용지 사용을 하여 린트를 해야 합니까? □ □아니오 ④, ⑤, ⑥

Page 141: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부 록 131

품 목 제품 평가내용 평가 결과

① 자라벨러

(BL-1000)

② 박이((BL-2011)

․짧은 문장 정도를 자로 출력하기를 원하십니까?

․ 리터를 사용할 수 있는 신체 ・인지기능을 가지고 있습니까?

․ 자를 숙지하고 읽을 수 있습니까?․출력물을 부착하여 사용하는 업무에 필요합

니까?

□ □아니오

□ □아니오□ □아니오

□ □아니오

①, ②

화면확

S/W

H/W

① 텍스트 10.0

② 라이트닝 러스

③ 아이

․S/W를 설치 사용 가능한 컴퓨터를 보유하고 사용이 가능합니까?

․ (경)증의 시각장애인으로 해당S/W의 배율/ 비/명암을 조정하여 화면 내용의 인지가 가능합니까?

□ □아니오

□ □아니오

①, ②, ③

․음성 정보를 듣기 한 청력에 이상이 없습니까?

□ □아니오 ③

․하나의 컴퓨터에서 사용하기를 원하십니까? □ □아니오 ①, ②

․여러 장소에 비치된 컴퓨터에 사용할 필요가 있습니까? □ □아니오

음성출력

S/W

H/W

①센스리더 로페셔

②센스리더 로페셔

업그 이드③한 도우

아이즈 8.0

④ Korean JAWS

․음성 정보를 듣기 한 청력에 이상이 없습니까?

․S/W를 설치, 사용 가능한 컴퓨터를 보유하고 사용이 가능합니까?

․출력되는 음성을 듣기 한 사운드 장치를 구비하고 있습니까?

□ □아니오

□ □아니오

□ □아니오

①, ②, ③, ④

․센스리더 스탠다드 는 워에디션 제품을 보유하고 있습니까?

□ □아니오 ②

․하나의 컴퓨터에서 사용하기를 원하십니까? □ □아니오 ①, ②, ④

․여러 컴퓨터(최 3 )에 사용할 필요가 있습니까?

□ □아니오 ③

․ 자 사 기능이 필요합니까? □ □아니오 ①, ②

① 책마루XT

② 보이스아이 PC-mate

③ 보이스아이 라이 로

․음성 정보를 듣기 한 청력에 이상이 없습니까? □ □아니오

①, ②, ③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는 신체 ・인지기능을 가지고 있습니까? □ □아니오

․보이스아이 코드를 보유하거나 활용할 수 있습니까?

□ □아니오 ②, ③

Page 142: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132

품 목 제품 평가내용 평가 결과

․라디오 기능이 필요합니까? □ □아니오 ①

․제품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컴퓨터를

보유하고 있습니까?□ □아니오 ②

․데이지(DAISY) 이어 주요 콘텐츠를 보

유하거나 사용할 수 있습니까?□ □아니오 ①, ②

확 독서기

① 머린 LCD 러스② 머린 LCD ③ 클리어뷰 러스④ 스마트뷰 시 지⑤ 아크로뱃 LCD⑥ 메조(Mezzo)⑦ 비디오메틱룩스⑧라이 스타HD/22⑨스마트뷰 시 지HD SI 22

⑩ 멀티뷰⑪ 뉴토 즈 22⑫ 다빈치 HD⑬ 머린 HD

․ (경)증의 시각장애인으로 해당기기의

배율/ 비/명암을 조정하여 상물의 인지가 가능합니까?

․1년 이상 제품을 사용할 수 있습니까?(진행

성 시각장애의 경우 진행고려)․ 자를 숙지하고 읽을 수 있습니까?

․메뉴 조작을 해 팔을 어깨 높이까지 들

어 올릴 수 있고 팔, 손가락 근력 신체 조 능력이 있습니까?

․확 독서기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공

간이 있습니까?

□ □아니오

□ □아니오□ □아니오

□ □아니오

□ □아니오

①, ②, ③, ④,

⑤, ⑥, ⑦, ⑧, ⑨, ⑩, ⑪, ⑫,

․카메라 회 기능이 필요합니까? □ □아니오 ⑤, ⑫

․화면 각도를 조 하여 사용해야할 환경입니까? □ □아니오

①, ③, ④, ⑤, ⑥, ⑧, ⑩, ⑫

① 컴팩트② 맥스 넬③ 아미고④ 아크로뱃⑤ 마이리더⑥ 반디2⑦ 버텍스(Vertex)⑧ 트랜스포머⑨ 페블⑩ 루비⑪ MANO⑫ Compact 5 HD⑬ Compact 7 HD

․ (경)증의 시각장애인으로 해당기기의 배율/ 비/명암을 조정하여 상물의 인

지가 가능합니까?

․1년 이상 제품을 사용할 수 있습니까?(진행성 시각장애의 경우 진행고려)

․ 자를 숙지하고 읽을 수 있습니까?

․해당기기의 휴 사용하는데 팔의 떨림 상이 없습니까?

․메뉴 조작을 해 팔을 어깨 높이까지 들어

올릴 수 있고 팔, 손가락 근력 신체 조 능력이 있습니까?

․확 독서기 휴 가 필요하십니까?

□ □아니오

□ □아니오

□ □아니오

□ □아니오

□ □아니오

□ □아니오

①, ②, ③, ④,

⑤, ⑥, ⑦, ⑧,

⑨, ⑩, ⑪, ⑫, ⑬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컴퓨터를 보유하고

있습니까? □ □아니오④, ⑭,

․카메라 회 기능이 필요합니까? □ □아니오 ④,

․쓰기 기능이 필요하십니까? □ □아니오 ①

Page 143: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부 록 133

품 목 제품 평가내용 평가 결과

․손잡이가 필요하십니까? □ □아니오 ⑨

․소리알림 기능이 필요하십니까? □ □아니오 ⑬

형모니터

①DELL 24인치 모니터

② 삼성 24인치 모니터

③ 삼보 24인치 모니터

․ 증의 시각장애인으로 해당기기의 배율/ 비/명암을 조정하여 상물의 인지가

가능합니까?

․메뉴 조작을 해 팔을 어깨 높이까지 들어 올릴 수 있고 팔, 손가락 근력 신체

조 능력이 있습니까?

․1년 이상 제품을 사용할 수 있습니까? (진행성 시각장애의 경우 진행고려)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컴퓨터를 보유하고

있습니까?

□ □아니오

□ □아니오

□ □아니오

□ □아니오

①, ②, ③

문서인식

S/W

H/W

① HP 5590

(스캔젯)

② Cannon Lide

110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는 신체 ・인지기능을 가지고 있습니까?

․사용 가능한 컴퓨터를 보유하고 사용이 가능

합니까?․ 학문자인식 소 트웨어를 보유하고 있습

니까?

□ □아니오

□ □아니오

□ □아니오

①, ②

․확 기능이 필요합니까? □ □아니오 ①

․OCR 기능이 필요합니까? □ □아니오 ②

① 소리안 ․소리안 로그램을 필요로 합니까? □ □아니오 ①

① Readeasy Move

② Readit Wand

③ 소리안 카메라

④ 소리안 썬더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는 신체 ・인지기능을

가지고 있습니까?․사용 가능한 컴퓨터를 보유하고 사용이 가능

합니까?

□ □아니오

□ □아니오

②, ③

․컴퓨터를 사용하지 않고 사용하기를 원하십

니까? □ □아니오①

․시각장애인용 컴퓨터를 필요로 합니까? □ □아니오 ④

․여러 장소에 비치된 컴퓨터에 사용할 필요

가 있습니까?□ □아니오 ②

특수키보드① Maxim 분리형 키보드② 한손키보드

․일반 키보드의 사용에 어려움이 있습니까?

․연결, 구동할 수 있는 컴퓨터를 보유하고

사용이 가능합니까?

․팔의 떨림, 근력 약화로 해당 특수키보드의

사용(입력)에 불편함이 없습니까?

□ □아니오

□ □아니오

□ □아니오

①, ②

Page 144: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134

품 목 제품 평가내용 평가 결과

․키보드의 좌우 비, 상하 높이에 따라 팔을 이동시킬 수 있습니까?

□ □아니오

․양손을 사용하여 입력이 가능합니까? ①

․특수키를 사용할 수 있는 인지기능을 가지고 있습니까?

□ □아니오 ②

특수

마우스

① 빅트랙

② 롤러 트랙볼

러스

③ 롤러 조이스틱

러스

④ 트래커Pro

⑤ 헤드 마우스

익스트림

⑥ 인테그라 마우스

러스

․일반 마우스의 사용에 어려움이 있습니까?․연결, 구동할 수 있는 컴퓨터를 보유하고

사용이 가능합니까?

□ □아니오

□ □아니오

①, ②, ③, ④, ⑤, ⑥

․트랙볼 버튼을 손이나 신체 특정부 (발, 팔꿈치, 턱 등)를 사용하여 조작하는데 불편함이 없습니까?

․손가락 는 발가락을 이용하여 버튼을 를 수 있습니까?

□ □아니오

□ □아니오

①, ②

․조이스틱 버튼을 손이나 신체 특정부(발, 팔꿈치, 턱 등)로 쥐고 움직여 사용하는데 불편함이 없습니까?

․손가락 는 발가락을 이용하여 버튼을 를 수 있습니까?

□ □아니오

□ □아니오

․얼굴 는 머리부 등의 신체부 의 움직임을 의지에 따라 조 할 수 있습니까?

․머리의 과도한 불수의 움직임이 없습니까?

□ □아니오□ □아니오

④, ⑤

․입 는 얼굴 등의 신체부 의 움직임을 의지에 따라 조 할 수 있습니까?

․호흡을 원활하게 조 할 수 있습니까?․침 삼킴을 의지에 따라 조 할 수 있습니까?

□ □아니오□ □아니오□ □아니오

높낮이조

작업테이블

① FT1000 / FT1000(SUS형)② FT210 / FT210(SUS형)③ ERGO테이블 /

ERGO 테이블 (SUS)형

④ CSES / CSES (SUS) 형

⑤ CJT-1500 (HP) CJT-1500 (HP) (SUS 형)⑥ CJT-1800 (HP)

CJT-1800 (HP)(SUS 형)

⑦ ERAT COMPUTER 테이블

․일반 인 테이블 높이에서 작업을 할 때 신체 피로 기구 조작에 어려움이 있습니까?

․테이블 높이를 조작할 수 있는 신체 ・인지기능을 가지고 있습니까? 는 조작을 도와

수 있는 보조자가 있습니까?․테이블을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은 충분한가?․테이블이 사용 시 작업효율이 향상 되는가? ․작업 공간에 동 조 을 한 기 배선이

설치되어 있는가?

□ □아니오

□ □아니오□ □아니오□ □아니오

□ □아니오

①, ②, ③, ④, ⑤, ⑥, ⑦, ⑧, ⑨, ⑩, ⑪, ⑫, ⑬, ⑭, ⑮

․물을 사용하는 작업장입니까? □ □아니오

①, ②, ③, ④, ⑤, ⑥, ⑧, ⑨,

⑩, ⑬, ⑭, ⑯,

Page 145: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부 록 135

품 목 제품 평가내용 평가 결과

⑨ SAT-15W/SAT -15W(SUS 형)

⑩ SAT-18W/SAT-18W(SUS 형)

⑪ TS100⑫ FT5000⑬유압높낮이작업

테이블/유압 높낮이 작업테이블 (SUS 형)

⑭이지업다운/이지업 다운(SUS 형)

⑮ TSED-S3⑯ SIAT-1800HE⑰ SIAT-1800SUSHE

․컴퓨터를 사용하는 사무용에 주로 사용하는가? □ □아니오 ⑩

․테이블을 작업 환경에 따라 잦은 이동이 필요한가?

□ □아니오 ④, ⑤, ⑧, ⑩

․좁은 공간(1m x 1m 이내)에서 작업이 필요

한가?□ □아니오 ②, ⑬

․테이블에서 작업을 할 때 자주 사용하는 작

업도구가 필요한가?□ □아니오 ④, ⑪

경가삭작업

테이블

① 동식각도조

작업 (TS340)

․평면 테이블에서 작업을 할 때 신체 피로

기구 조작에 어려움이 있습니까?

․테이블 경사 높이를 조작할 수 있는 신체

・인지기능을 가지고 있습니까? 는 조작을

도와 수 있는 보조자가 있습니까?

․테이블을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은 충분한가?

․테이블이 사용 시 작업효율이 향상 되는가?

․작업 공간에 동 조 을 한 기 배선이

설치되어 있는가?

□ □아니오

□ □아니오

□ □아니오

□ □아니오

□ □아니오

휠체어용

작업테이블① Multi-Tray

․테이블을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팔받침

가 있는 휠체어를 사용하는가?□ □아니오 ①

특수작업기

구 장비

① LCD모니터 이동보조기

② 휠체어 캐리어

․장비를 장착할 수 있는 견고한 테이블을 가

지고 있습니까?

․모니터를 조작할 수 있는 신체 ・인지기능을

가지고 있습니까? 는 조작을 도와 수 있는

보조자가 있습니까?

․작업공간에서 컴퓨터 모니터 치를 조 을

통해 작업효율이 향상 되는가?

□ □아니오

□ □아니오

□ □아니오

․차량을 보유하고 있습니까?

․보유한 휠체어를 상지를 이용하여 이동 시

킬 수 있습니까?

□ □아니오

□ □아니오②

Page 146: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136

품 목 제품 평가내용 평가 결과

특수작업

의자

① EP3000② AB-C222③ AB-C121변형④ DK-021A⑤ 작업용특수의자⑥ DU142-H⑦ DU142⑧ HARA-MAGIC⑨ HARA-SIMON⑩ DK-005A⑪ WS4211T⑫ WS1220E⑬ 입식의자(EP501)⑭ 이노체어(IN-)⑮ 이노체어(CH-)⑯ 신드롬⑰ 트리⑱ EP2000⑲ 도방지의자⑳ GS-757

․ 재 사용하는 의자에서 장시간 작업을 할 때 신체 피로 기구 조작에 어려움이 있습니까?

․의자의 기능(팔받침 , 좌석 높이 등)을 조작할 수 있는 신체 ・인지기능을 가지고 있습니까? 는 조작을 도와 수 있는 보조자가 있습니까?

․특수작업의자(등받이 각도 조 , 좌석 높이 등의 기능 사용)를 사용 시 작업효율이 향상 되는가?

□ □아니오

□ □아니오

□ □아니오

①, ②, ③, ④, ⑤, ⑥, ⑦, ⑧, ⑨, ⑩, ⑪, ⑫, ⑬, ⑭, ⑮, ⑯, ⑰, ⑱, ⑲, ⑳

․머리의 지지가 작업효율에 향상이 됩니까? □ □아니오⑥, ⑧, ⑩, ⑭, ⑯

․발받침 의 사용이 작업효율에 향상이 됩니까?

□ □아니오①, ②, ⑥, ⑦, ⑫,

․입식으로 작업을 주로 하는 환경입니까? □ □아니오 ⑪, ⑬

․의자에서 미끄럼 방지가 필요 합니까? □ □아니오①, ⑪, ⑫, ⑬, ⑱

․피로 회복을 해 일정 시간 울 필요가 있습니까?

□ □아니오 ⑭, ⑮

․독립 인 보행 기립에 어려움 는 착석 시 자세유지에 어려움이 있습니까?

□ □아니오 ⑤

․작업 는 사무 불수의 움직임으로 의자에서 낙상한 경험이 있습니까?

□ □아니오 ⑳

작업물운송/

운반장치

① 형리 트② 형리 트③ 발란스암④ 동테이블리 트⑤ 테이블트럭⑥ 이동 차⑦ 렛트용이동 차⑧ MIRACLE-300⑨ 무동력턴테이블⑩ 자동승강캐리어⑪ 자동승강 차⑫ 디스커버리 21⑬유압높낮이테이

블리 트 (2단)

․장비의 기능을 조작하고 운반할 수 있는 신

체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까?

․물건을 재 이동의 작업을 주로 사용

하는 환경입니까?

․장비를 배치 사용할 수 있는 작업 환경

입니까?

□ □아니오

□ □아니오

□ □아니오

①, ②, ③, ④,

⑤, ⑥, ⑦, ⑧,

⑨, ⑩, ⑪, ⑫,

⑬, ⑭, ⑮, ⑯,

⑰, ⑱, ⑲, ⑳

․물건을 1500cm 이상의 높이에 재 는 이

동해야할 기능이 필요 합니까?□ □아니오

①, ②, ③, ④,

⑥, ⑦, ⑧, ⑫,

⑬, ⑭

․물건을 1100cm 미만의 높이에 재 는 이

동해야할 기능이 필요 합니까?□ □아니오

⑤, ⑨, ⑩, ⑪,

⑬, ⑮, ⑯

Page 147: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부 록 137

품 목 제품 평가내용 평가 결과

⑭ 에어 밸런스⑮ MIRACLE-1500⑯ 동카트운반차⑰ 동바구니운반차⑱ 소형계단운반기⑲ 디스커버리22⑳ WSP-1500P

․물건의 이동거리가 짧습니까? □ □아니오 ④, ⑭

․주로 렛트에 올려진 물건을 이동해야 합

니까?□ □아니오

②, ③, ⑥, ⑦,

․장비에 물건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는 가드가 필요 합니까?

□ □아니오 ⑰

사무보조

제품

① 책장넘기는도구

②스텐드형수화기홀더

③수화기부착형수

화기홀더④ 책상용팔받침

⑤휠체어용 키보드

지지⑥ 오 형집게

⑦필기보조도구세트

⑧ 원고홀더스탠드⑨ 페이지터 립

⑩페이지터 리더블

․상지기능의 장애가 있습니까? □ □아니오①, ②, ⑦, ⑨, ⑩

․상지기능 근력 등을 사용할 수 있습니

까?□ □아니오

③, ④, ⑤, ⑥,

․ 화기의 이용이 가능합니까? □ □아니오 ②, ③

․기구를 설치 보 할 공간이 있습니까? □ □아니오②, ③, ④, ⑤,

⑧, ⑨, ⑩

․상지 하지기능의 장애로 독서나 업무 등

에 불편함이 있습니까?□ □아니오

①, ④, ⑤, ⑧,

⑨, ⑩

․연결, 구동할 수 있는 PC(노트북)를 보유하고 사용이 가능합니까?

□ □아니오 ⑤

보완 체

의사소통

장치

① 키즈보이스

② 이지컴

․언어장애를 가지고 있습니까?․상징과 상징이 내포하고 있는 의미에 해

이해할 수 있습니까?

□ □아니오

□ □아니오①, ②, ③

․터치스크린 는 스 치를 통해 조작할 수 있습니까?

․보조기기의 주된 사용목 이 의사소통입니까?□ □아니오□ □아니오

①, ③

․경고나 감지 등의 음성을 통한 외부 환경의 알림이 필요합니까?

□ □아니오 ②

신호장치

① 듀얼진동디지털알람시계

② LED 조명 진동알림기

③ 스마트 LED 호출기

․청각장애를 가지고 있습니까?

․소리신호를 변환하여 달해주는 빛과 진동

을 감지할 수 있습니까?

□ □아니오

□ □아니오①, ②

․일상생활 업무 등에 필요한 시간의 알림

이 필요합니까?□ □아니오 ①

① 어데 러스② 세이 존

․경고나 감지 등의 음성을 통한 외부 환경의 알림이 필요합니까?

□ □아니오 ①, ②

Page 148: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138

품 목 제품 평가내용 평가 결과

화상 화기

① CVP-6500

② 화상 화기

③ CVP-2000

․의사소통이 어려운 청각장애인으로 수화를 사용할 수 있습니까?

․인터넷연결이 가능하고 인터넷 화, 휴 폰 등 통신비용을 지불할 수 있습니까?

□ □아니오

□ □아니오①, ②, ③

․청력이 손상되어 보청기능을 사용하여야 합니까?

□ □아니오 ①

․터치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까? □ □아니오 ③

음성메모기① 아이담테크 A55

② ICD-PX333

․기능을 사용할 최소 사양의 PC(노트북)를 보유하고 사용이 가능합니까?

․스피커나 이어폰을 통해 출력된 음성을 인지할 수 있습니까?

※동 제품은 청신경이 손상된 농의 장애인이 사용할 수 없으며 장애수 에 따라 사용가능 여부가 달라질 수 있음

□ □아니오 ①, ②

음성증폭기

① FM복합보청기② 하하③ StarSound600④ Front Row Pro⑤ Hear it Perfect⑥ FM집단보청기⑦ 하하-2⑧ 디즈⑨ 골 도 602⑩ 골 도 603⑪ 골 도 605⑫ 아미고⑬ 스마트폰 보청

이어폰⑭ 사운드 포인터⑮ 보청 화기⑯ WE-2000⑰ 릴 이션⑱ 에솝 귀걸이형⑲ 에솝 목걸이형

․청각장애를 가지고 있습니까?․청신경이 이상이 없는 자로 음성 난청증

상이 있습니까?

□ □아니오

□ □아니오

①, ②, ③, ④,

⑤, ⑥, ⑦, ⑧, ⑨, ⑩, ⑪, ⑫,

⑬, ⑭, ⑮, ⑯,

⑰, ⑱, ⑲

․일상생활 이동시 소리 PC, 휴 폰 등을 통해 달되는 소리를 청취하고자 합니까?

□ □아니오①, ②, ⑥, ⑨, ⑩, ⑬

․송, 수신기를 통해 일상생활의 소리와 TV,

PC등을 통해 달되는 소리를 청취하고자

합니까?

□ □아니오 ⑦, ⑨

․소리증폭장치를 설치할 공간이 있습니까? □ □아니오①, ④, ⑤, ⑦, ⑪, ⑭

․ 외선 증폭기능의 사용시 인식이 가능한

환경입니까?□ □아니오 ④, ⑤

․주 수 수신이 가능한 환경입니까? □ □아니오 ①, ⑦, ⑪, ⑭

․스마트폰의 소리를 증폭하는데 필요합니까? □ □아니오 ⑬

Page 149: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부 록 139

품 목 제품 평가내용 평가 결과

자세

보조장치

① 컨폼공기방석

② EG-Pad

③ 로호쿼드로방석

④ 벌집 X

⑤ 벌집 XI

⑥ 벌집 XS

․수동 혹은 동 휠체어 이 등의 보조기구를 가지고 있습니까?

․욕창이 발생한 경험이나 수술한 이 있습

니까?․장시간 앉아서 일을 합니까?

․방석 커버를 세탁하기를 원합니까?

□ □아니오

□ □아니오

□ □아니오

□ □아니오

①, ②, ③. ④,

⑤, ⑥

․알 르기가 있습니까? □ □아니오 ①

․공기 방석을 원합니까? □ □아니오 ①. ③

․통풍 기능을 원합니까? □ □아니오①. ③, ④, ⑤,

․펑크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방석을 원하십니까?

․몸무게가 110kg 이상입니까?

□ □아니오

□ □아니오

④, ⑤, ⑥

① 가슴지지

․척추나 상지기능에 장애가 있습니까?

․체간 지지가 힘들거나 몸의 심이 앞으로

기울어집니까?

․장시간 테이블이나 작업선반에서 일을 합니

까?

□ □아니오

□ □아니오

□ □아니오

Page 150: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140

[부록3] 작업용 보조공학기기 선호도 검사(사전 검사)

작업용 보조공학기기 선호도 검사(사전 검사)

성 명 성별/연령 남□ 여□ /( 세 ) 장애유형/ 등급 /( 급) 날 짜 . .보조기기 명칭 작성자사용 목적(6개월 간)

■ 아래 각 문항에 대해 귀하가 동의하는 정도와 귀하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문항 3개를 선택하여 (√) 해주

시기 바랍니다.

구분 문 항전혀 그렇지않다

대체로 그렇지않다

보통이다

대체로그렇다

매우그렇다

중요 문항 3개

1 이 보조기기는 나의 목표 달성에 도움이 될 것이다 ① ② ③ ④ ⑤ □

2이 보조기기는 나에게 유익하며 내 삶의 질을 향상 시킬 것이다 ① ② ③ ④ ⑤ □

3 이 보조기기는 나의 직무 능력을 향상시킬 것이다 ① ② ③ ④ ⑤ □

4 이 보조기기는 나의 직장 적응에 도움을 줄 것이다 ① ② ③ ④ ⑤ □

5 나는 이 보조기기의 사용법과 특성을 잘 알고 있다 ① ② ③ ④ ⑤ □

6내 능력과 체력으로 이 보조기기를 불편, 스트레스, 피로감 없이 사용할 것이다 ① ② ③ ④ ⑤ □

7 이 보조기기는 사용하기에 안전할 것이다 ① ② ③ ④ ⑤ □

8 이 보조기기는 나의 일상 업무에 매우 적합 할 것이다 ① ② ③ ④ ⑤ □

9 이 보조기기는 내가 일하는 업무 환경과 잘 맞을 것이다 ① ② ③ ④ ⑤ □

10나는 직장에서 남에게 피해를 주지 않고 이 보조 기기를 사용할 것이다 ① ② ③ ④ ⑤ □

11나는 직장에서 남의 시선을 의식하지 않고 이 보조 기기를 사용할 것이다 ① ② ③ ④ ⑤ □

12직장에서는 나에게 이 보조기기 사용에 필요한 각종 편의와 배려를 제공할 것이다 ① ② ③ ④ ⑤ □

총 점 :

Page 151: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부 록 141

성 명 성별/연령 남□ 여□ /( 세 ) 장애유형/ 등급 / ( 급) 날 짜 . .보조기기 명칭 작성자사용목적(6개월 간) 총 사용 일수 ( 일)

[부록4] 작업용 보조공학기기 선호도 검사(사후 검사)

작업용 보조공학기기 선호도 검사(사후 검사)

■ 아래 각 문항에 대해 귀하가 동의하는 정도와 귀하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문항 3개를 선택하여 (√) 해주시기 바랍니다.

구분 문 항전혀

그렇지않다

대체로 그렇지않다

보통이다

대체로그렇다

매우그렇다

중요 문항 3개

1 이 보조기기는 나의 목표 달성에 도움이 되고 있다 ① ② ③ ④ ⑤ □2 이 보조기기는 나에게 유익하며 내 삶의 질이 향상 되고

있다 ① ② ③ ④ ⑤ □3 이 보조기기는 나의 직무 능력을 향상 시키고 있다 ① ② ③ ④ ⑤ □4 이 보조기기는 나의 직장 적응에 도움이 되고 있다 ① ② ③ ④ ⑤ □5 나는 이 보조기기의 사용법과 특성을 잘 알고 있다 ① ② ③ ④ ⑤ □6 내 능력과 체력으로 이 보조기기를 불편, 스트레스, 피로

감 없이 사용하고 있다 ① ② ③ ④ ⑤ □7 이 보조기기는 사용하기에 안전하다 ① ② ③ ④ ⑤ □8 이 보조기기는 나의 일상 업무에 매우 적합하다 ① ② ③ ④ ⑤ □9 이 보조기기는 내가 일하는 업무 환경과 잘 맞다 ① ② ③ ④ ⑤ □10 나는 직장에서 남에게 피해를 주지 않고 이 보조 기기를

사용하고 있다 ① ② ③ ④ ⑤ □

11 나는 직장에서 남의 시선을 의식하지 않고 이 보조 기기를 사용하고 있다 ① ② ③ ④ ⑤ □

12 직장에서는 나에게 이 보조기기 사용에 필요한 각종 편의와 배려를 제공하고 있다 ① ② ③ ④ ⑤ □

총 점 : 현재 보조공학기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1 보조기기 사용 기간 : (일)2 보조기기를 사용하지 않는 주된 원인은 무엇인가?

( )

Page 152: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142

[부록5] 작업용 보조공학기기 적합도 검사지

<사업 담당자 는 사업주 의견>

보조공학기기 사용 합도

■ 근로자와 보조공학기기와 얼마나 잘 맞았는지를 아래의 숫자에 (○)표기 하세요.

1 2 3 4 5 6 7 8 9 10

매우

합하지 않음 합함

Page 153: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 KEAD · 현장연구 2014-03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장연구 2014-03

보조공학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도구 개발

발 행 일 2014년 12월 31일

발 행 인 이 순 홍

발 행 처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주 소 (463-939)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로 173-59

화 (031) 728-7000

팩 스 (050) 3470-0901

홈페이지 (고용개발원) http://edi.kead.or.kr

(공단) http://www.kead.or.kr

자우편 [email protected]

I S B N 978-89-5813-973-7 93330

인 쇄 처 장애인이워크 ☏ (02) 734-3173

*비매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