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3
행정간행물 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 No.2003-34-706 국가별 자동차 인증제도 및 검사방법 비교 연구 自動車公害硏究所 AComparativeStudyonVehicleCertification and TestMethodofAllovertheWorld MotorVehicleEmissionResearch Laboratory NationalInstituteofEnvironmentalResearch 2003 國立環境硏究院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 Upload
    others

  • View
    3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행정간행물 등록번호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 자동차 인증제도 및 검사방법비교 연구

自動車公害硏究所

AAACCCooommmpppaaarrraaatttiiivvveeeSSStttuuudddyyyooonnnVVVeeehhhiiicccllleeeCCCeeerrrtttiiifffiiicccaaatttiiiooonnnaaannndddTTTeeessstttMMMeeettthhhooodddooofffAAAllllllooovvveeerrrttthhheeeWWWooorrrlllddd

MMMoootttooorrrVVVeeehhhiiicccllleeeEEEmmmiiissssssiiiooonnnRRReeessseeeaaarrrccchhhLLLaaabbbooorrraaatttooorrryyyNNNaaatttiiiooonnnaaalllIIInnnssstttiiitttuuuttteeeooofffEEEnnnvvviiirrrooonnnmmmeeennntttaaalllRRReeessseeeaaarrrccchhh

2003

國 立 環 境 硏 究 院

Page 2: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국가별 자동차 인증제도 및 검사방법비교 연구

自動車公害硏究所

권상일,엄명도,박용희,이상보,최종우,김선문

AAACCCooommmpppaaarrraaatttiiivvveeeSSStttuuudddyyyooonnnVVVeeehhhiiicccllleeeCCCeeerrrtttiiifffiiicccaaatttiiiooonnnaaannndddTTTeeessstttMMMeeettthhhooodddooofffAAAllllllooovvveeerrrttthhheeeWWWooorrrlllddd

MMMoootttooorrrVVVeeehhhiiicccllleeeEEEmmmiiissssssiiiooonnnRRReeessseeeaaarrrccchhhLLLaaabbbooorrraaatttooorrryyyNNNaaatttiiiooonnnaaalllIIInnnssstttiiitttuuuttteeeooofffEEEnnnvvviiirrrooonnnmmmeeennntttaaalllRRReeessseeeaaarrrccchhh

S.I.KWON,M.D.EOM,Y.H.PARK,S.B.LEE,J.W.CHOI,S.M.KIM

2003

國 立 環 境 硏 究 院

Page 3: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i-

요요요 약약약 문문문

111...제제제목목목국가별 자동차 인증제도 및 검사방법 비교 연구

222...연연연구구구목목목적적적본 연구는 미국,유럽,일본 등에서 시행하고 있는 자동차 배출가스 인증제

도의 검토를 통해 전 세계적인 인증방법의 표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여 효율적인 인증방법 개선방안을 도출하고,또한 자동차 배출가스 검사방법의 비교시험을 통해 오염물질의 효율적인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333...연연연구구구내내내용용용 및및및 방방방법법법∙ 국내․외 배출가스 인증방법 비교 검토∙ 국내․외 배출허용기준 비교 검토∙ 국내․외 시험방법 비교시험 및 분석을 통한 적정 시험방법 및 허용기준 비교

∙ 효율적인 배출가스 관리에 적합한 시험방법 및 인증방법 개선대책 제시

444...연연연구구구결결결과과과본 연구에서는 주요 국가의 인증방법과 운행차 사후관리체계를 비교 분석하

여 국내 실정에 적합한 인증방법 체계를 제안하고자 하였으며,또한 각국의 시험방법에 대한 비교시험을 통하여 배출가스 허용기준을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Page 4: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ii-

결론을 얻었다.

1)미국의 인증제도는 인증이후의 운행차(in-use)관리의 강화를 통해 차량의 배출가스 관련문제를 조기에 발견하여 해결하고,제작사가 저공해차량을 개발하도록 독려하는 새로운제도(CAP 2000)를 시행하고 있다.이 제도는 인증업무를 간소화하고 효율화시켜 인증에 필요한 시간과 비용을 저감시키고 대신 운행차(in-use)관리 강화에 중점을 두고있으며,2001년부터 시행되고 있다.

2)유럽의 인증제도는 EU회원국 전체에서 통용되는 통합인증과 개별 국가에서만 통용되는 국별인증제도로 나뉘어져 있고 미국과 마찬가지로COP(Conformity of Producition)제도를 통한 운행차관리를 강화하고 있다.

3)내구시험 관련부분은 현재 우리나라는 과거의 미국 인증방법을 적용하고있으나 양산시기 조절에 관해 제작사의 부담을 경감시키고,산출 DF에대한 철저한 검토를 할 수 있도록 내구차종선정 기준 및 내구모드를 현재 미국에서 산정하고 있는 ADP(Alternative DurabilityProgram)를 적용하는 것이 적합할 것으로 사료된다.

4)배출가스 인증시험과 관련해서는 배출가스,증발가스를 분리하여 동일차종을 분류하고 환경부 시설․인력의 부족을 보완하기 위하여 미국과 같이 제작사 자체 시험성적서를 인정하고 필요시 확인시험을 하는 방향으로 전환하는 것이 적합할 것으로 사료된다.

Page 5: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iii-

5)양산차 관리에 있어서는 현재 우리나라가 가솔린차량은 미국의 시험방법 및 기준을 적용하고 있고 디젤차량은 향후 유럽의 시험방법 및 기준을 적용할 예정이어서 인증제도의 국제적 표준화를 위해 미국(SEA:SelectiveEnforcement Audit) 및 유럽의 인증제도(COP:Conformity ofProduction)와 통일시키는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6)결함확인검사 제도는 제작자 자체 또는 환경부의 참여하에 많은 차량에대한 사전 스크린시험을 할 수 있는 미국의 In-use VerificationProgram을 도입하고,결함확인에 대한 모든 사항을 환경부 주도하에실시 할 수 있도록 기술적인 판단을 할 수 있는 인력 및 조직 확충이절실하다.

7)배출가스 시험방법별 비교시험 결과에 있어서는 유럽의 시험방법이 현재우리나라가 사용하고 있는 미국의 시험방법에 비해 오염물질이 과다 배출되는 것으로 나타나 향후 배출허용기준 설정시 고려되어야 될 것으로사료된다.

555...연연연구구구결결결과과과의의의 활활활용용용에에에 대대대한한한 기기기대대대효효효과과과본 연구결과는 향후 자동차 배출가스 관리방안의 일환으로,제작사가 저공

해차량을 개발하도록 독려할 수 있는 인증업무의 간소화,효율화를 통해 인증에 필요한 시간과 비용을 저감시키고 반면에 운행차 관리의 강화를 통한 효율적인 자동차 배출가스 관리 방안 수립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또한,향후 전 세계적으로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인증방법 및 기준의 통일화에 필요한 주요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Page 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iv-

목목목 차차차

요 약 문 ···················································································································i목 차 ·················································································································iv차 례 ··············································································································viii

표 차례 ········································································································viii그림 차례 ······································································································ⅸ

Abstract··············································································································ⅹ

Ⅰ.서론·····················································································································1

Ⅱ.국내의 배출가스 인증제도 현황 ························································31.제작차 배출가스 인증제도 ···········································································3

2.제작차 배출가스 인증 ···················································································4가.인증의 종류 및 적용대상············································································4나.인증절차··········································································································9다.내구주행·······································································································10라.배출가스 시험·····························································································13

3.운행차 사후관리 ··························································································14가.양산차 관리·································································································14나.결함확인 검사·····························································································17

Page 7: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v-

Ⅲ.외국의 배출가스 인증제도 ···································································221.미국 ················································································································22가.제작차 배출가스 인증제도·······································································22나.배출가스 시험·····························································································32다.운행차 사후관리·························································································37

2.유럽 ················································································································48가.제작차 배출가스 인증제도·······································································48나.인증주무기관·······························································································50다.인증내구·······································································································52라.배출가스 시험·····························································································55마.운행차 사후관리·························································································58

3.일본 ················································································································72가.자동차 형식지정제도·················································································72나.신형 자동차 신청제도···············································································75다.수입자동차 특별 취급제도·······································································76

Ⅳ.제작차 인증제도 개선 방안·································································791.개요 ················································································································79

2.제작자동차 인증····························································································80가.내구에 관한 검토·······················································································81

Page 8: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vi-

나.배출가스 시험에 관한 검토·····································································82

3.사후 관리 ······································································································83

Ⅴ.국내․외 시험방법 비교········································································861.국내․외 배출가스 허용기준 ····································································86가.국내 배출가스 허용기준···········································································86나.외국의 배출가스 허용기준·······································································87다.국내․외 차량분류 기준···········································································90

2.배출가스 시험방법 비교시험······································································91가.비교시험 모드·····························································································91나.비교시험 결과·····························································································94다.비교시험 결과분석·····················································································98

Ⅵ.결 론 ···········································································································100

참고문헌 ·············································································································102

부 록 ·············································································································1031.우리나라의 인증시험자동차의 정비 내역··············································1032.미국의 수입자동차(CFR85SubpartP)인증 특별취급 ············1053.미국의 인증서류(CertificationDocument)·······························1094.유럽의 인증서류(CertificationDocument)·······························113

Page 9: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vii-

5.유럽의 생산 확인검사 절차 ····································································1266.유럽의 생산 확인검사 절차 ····································································128

Page 10: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viii-

차차차 례례례표표표 차차차례례례

표 3.1 유럽의 지정열화계수 ············································································54표 3.2 유럽의 인증시험항목 ············································································57표 3.3 결함확인검사 합격 불합격 판정기준 ················································69표 3.4 일본의 형식승인제도 비교 ··································································78표 5.1 현행 국내․외 배출허용기준 비교 ····················································89표 5.2 국내․외 차량분류 기준 ······································································90표 5.3 각국의 시험방법별 상관성 결과를 반영한 허용기준 비교 ··········98

Page 11: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ix-

그그그림림림 차차차례례례

그림 2.1 우리나라의 배출가스 인증체계도 ····················································3그림 2.2 우리나라의 배출가스 인증절차도 ····················································9그림 2.3 우리나라의 결함확인검사 및 결함시정절차 ································18그림 3.1 미국의 제작차 배출가스 인증절차도 ············································24그림 3.2 유럽의 인증 업무처리 절차 ····························································51그림 3.3 유럽의 COP처리 절차 ··································································60그림 3.4 유럽의 결함확인 절차도 ··································································61그림 3.5 유럽의 결함확인 절차(제작사 자체시험)····································70그림 3.6 유럽의 결함확인 절차(승인당국확인시험)··································71그림 3.7 일본의 자동차 형식인증 및 등록 절차도 ····································73그림 5.1 CVS-75모드 ·····················································································91그림 5.2 유럽 EC모드(ECE15+EUDC)·················································92그림 5.3 일본 10․15모드 ············································································93그림 5.4 가솔린 자동차의 시험방법별 배출가스 비교 ······························95그림 5.5 디젤 자동차의 시험방법별 배출가스 비교 ··································96그림 5.6 LPG자동차의 시험방법별 배출가스 비교 ·································97

Page 12: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x-

AAAbbbssstttrrraaacccttt

The current emission certification regulations of Korea forgasoline engine passenger cars andlight duty trucks have beenmade in July 1987 based on those of the U.S. adopting theiremission standards and the test procedures in 1982 timeframewithmodificationsforseveraltimes.Rapid increase of car populations resulted in the

registration of 14.58 million units as of end of 2003deteriorating the air quality of the big cities like Seoulseriously.In order to improve the air quality the emission standards

has been tightened constantly, and also "Special Act onCapital Region Air Quality Improvement" has been promulgatedin December 2003 to control further both new vehicles andin-usevehicles.The certification system of the U.S. which Korea has been

following has also undergone modifications for improvementwhich includes introduction of CAP 2000 in 2001. Also thetest procedure and the emission standards of Korea for dieselengine vehicles are to be harmonized with those of the Europewhich calls for improvement of the current certificationsystem.The research is made to develop a certification system most

Page 13: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xi-

suitable for Korea by comparing the certification proceduresand in-use vehicle management system of the U.S., Europeand Japan. The emission standards have also been comparedthrough the correlation tests in the test mode of thesecountries/region.The research may be utilized as basic data which enable

early detection of emission related problems, streamlining ofthe certification works for higher efficiency in terms of timeand cost so that manufacturers may focus on the developmentof the low emission vehicles, and, at the same time,establishment of effective emission control plan throughtighter control of in-use vehicles. It can also be used as thedata necessary for establishment of the global standards onthe certification procedure and standards which are activelyprogressing

Page 14: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1-

III...서서서론론론

현재 우리나라의 인증규제는 1987년 7월 휘발유승용차 및 소형화물차에대해서 과거 미국의 1982년도 수준의 배출가스 규제 및 시험방법을 도입하면서 미국의 인증제도를 기초로 하여 작성되어 몇 차례에 걸쳐 개정되어 왔다.그동안 자동차가 급격히 증가되어 우리나라의 자동차 등록대수는 90년대

중반 이후 1,000만대를 돌파하여,2003년 11월.현재 1,458여만대로서 지난 ‘82년의 64만여대 대비 20년 동안 약 23배의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이에 따라 대기질 오염의 주요 원인은 산업,난방 등에서 자동차로 급격히 전환되고 있어 자동차 오염물질이 국내 대기질 악화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이와 같은 대기질을 개선하기 위하여 환경부는 배출가스 허용기준을 꾸준히

강화하여 왔으며,2003년 12월에 “수도권대기환경개선에관한특별법”을 제정하여 제작차 및 운행차 관리를 계획하고 있다.그러나 효율적인 제작차 및 운행차 관리를 위해서는 현재 시행하고 있는 우

리나라의 인증제도를 보다 실질적으로 자동차 오염물질을 개선할 수 있는 방향으로 전환이 필요한 때이다.미국과 유럽등의 선진국에서는 자동차를 생산하기전에 실시하는 배출가스 사전인증 위주에서 운행차 배출가스 관리를 강화하는CAP 2000, COP(Conformity of Production)제도를 도입하였다. 이에과거 미국의 인증제도를 사용하고 있는 우리나라도 인증제도의 개선이 절실히요구되고 있다.이에 본연구에서는 미국,유럽,일본의 인증방법과 운행차 사후관리체계를

우리나라와 비교 분석하여 국내 실정에 적합한 인증방법 체계를 제안하였으며또한 각국의 시험방법에 대한 비교시험을 통하여 배출가스 허용기준을 비교하

Page 15: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2-

였다.본 연구결과는 배출가스 관련문제를 조기에 발견하여 해결하고,제작사가

저공해차량을 개발하도록 독려할 수 있는 인증업무의 간소화,효율화를 통해인증에 필요한 시간과 비용을 저감시키고 반면에 운행차 관리의 강화를 통한효율적인 자동차 배출가스 관리 방안 수립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또한,향후 전세계적으로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인증방법 및 기준의 통일화에 필요한 주요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Page 1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3-

ⅡⅡⅡ...국국국내내내의의의 배배배출출출가가가스스스 인인인증증증제제제도도도 현현현황황황

111...제제제작작작차차차 배배배출출출가가가스스스 인인인증증증제제제도도도우리나라는 다음의 3단계의 인증제도로 구성되어 있고 이는 과거 미국의 인

증제도를 따른것이다.- 1단계 :먼저 시작품(Prototype)을 생산하여 배출가스 및 소음 인증을

득한 후 자동차를 생산․판매하는 사전인증제도-2단계 :양산중인 차에 대한 품질검사를 하는 수시검사 및 정기검사-3단계 :배출가스 보증기간내에 있는 운행자동차가 기준내에 있는지를 평

가하는 결함확인제도이에 대한 체계도를 그림 2.1에 나타내었다.

생산전단계

생산단계

배출가스보증기간이내

[그림 2.1]우리나라의 배출가스 인증체계도

제작차 배출가스 인증

인증신청서 제출

제작차 양산

운행차 사후관리(결함확인검사)

배출가스 관련시스템 검토

배출가스 및 증발가스 시험

내구성시험-DF산출

수시검사

정기검사

Page 17: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4-

222...제제제작작작차차차 배배배출출출가가가스스스 인인인증증증

가가가...인인인증증증의의의 종종종류류류 및및및 적적적용용용대대대상상상

인증의 종류는 인증,인증생략 및 인증면제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인증은 기본인증과 변경인증으로 구분된다.

111)))인인인증증증면면면제제제

인증면제는 인증을 받지 아니하고 제작하거나 수입할 수 있는 자동차로다음의 경우가 해당된다.① 군용자동차,경호업무용 자동차,소방용자동차② 주한 외국공관이나 외교관 기타 이에 준하는 대우를 받는 자가 공용의목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자동차로서 외무부장관의 확인을 받은 자동차

③ 주한 외국군대의 구성원이 공용의 목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자동차④ 수출용 자동차 또는 박람회 기타 이에 준하는 행사에 참가하는 자가 전시의 목적으로 일시 반입하는 자동차

⑤ 여행자 등이 다시 반출할 것을 조건으로 일시 반입하는 자동차⑥ 자동차제작자 및 자동차관련 연구기관 등이 자동차의 개발 또는 전시등 주행외의 목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수입하는 자동차

⑦ 전기․태양광 또는 수소 등을 동력원으로 사용하는 자동차로서 배출가스가 전혀 배출되지 아니하는 자동차

⑧ 외국에서 1년 이상 거주한 자가 주거를 이전하기 위하여 이주물품으로반입하는 1대의 자동차

Page 18: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5-

222)))인인인증증증생생생략략략

인증생략은 인증생략신청서를 환경부장관에게 제출하여 인증생략서를 교부받아 제작 또는 수입하는 자동차로 다음의 경우가 해당된다.① 국가대표 선수용 및 훈련용 자동차로서 문화관광부장관의 확인을 받은자동차

② 외국에서 국내의 공공기관 또는 비영리단체에 무상으로 기증한 자동차③ 외교관 또는 주한 외국군인의 가족이 사용하기 위하여 반입하는 자동차④ 항공기 지상조업용 자동차⑤ 인증을 받지 아니한 자가 인증을 받은 자동차의 원동기를 구입하여 제작하는 자동차,소음의 경우 원동기 및 차대를 구입하여 제작하는 자동차

⑥ 국제협약에 의하여 인증을 생략할 수 있는 자동차⑦ 일반도로상에서 운행하지 아니하는 자동차(제철소,조선소,광산용 등)⑧ 1회 5대이하 공매되는 자동차(신차에 한함)⑨ 연간 5대 이하의 공익목적의 특수용도차(제설용,방송용,도로관리용,전기통신복구용 자동차)

⑩ 오염물질 저감을 위하여 성능시험 또는 시범운행용으로 제작하는 하이브리드자동차,천연가스자동차,알콜자동차(동일차종별로 총35대 이하제작하는 경우에 한함

⑪ 환경부장관의 허가를 받은 자동차수입관련단체에 소속된 자가 외국의자동차 제작자가 아닌 자로부터 인증받은 자동차와 동일차종을 수입하는 경우로서 1회 통관대수가 5대를 초과하지 않은 자동차(국립환경연구원장이 무작위로 1대를 선정하여 배출가스 및 소음시험결과가 허용기준치 이내인 경우)

⑫ 2002년 7월이후 규제를 만족하는 휘발유 및 경유자동차(1회 통관대

Page 19: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6-

수 5대이하)를 수입하는 경우(국립환경연구원장이 무작위로 1대를 선정하여 배출가스 및 소음시험결과가 허용기준치 이내인 경우)

333)))기기기본본본인인인증증증

자동차를 제작하고자 하는 제작자는 미리 환경부장관으로부터 당해 자동차의 오염물질 배출량이 배출가스 보증기간동안 제작차 배출허용기준에 적합하게 유지 될 수 있다는 인증을 받아야 한다.인증은 동일차종별로 기본인증 시험을 받아 인증서를 발급하며 동일차종의범위는 다음과 같다.

① 아래 사항이 같은 자동차는 동일차종으로 분류한다.(자동차에서 사용하는 연료 또는 차종에 따라 해당사항만 적용한다.이하 같다)

-실린더 보어의 중심간 길이-실린더 블록형상(공냉 또는 수냉 :L-6,90°V-8등)-흡·배기밸브 또는 포트 위치-공기흡입 방법-연소싸이클-배기량(휘발유 또는 가스를 사용하는 차량의 경우 최대배기량 15%이내,경유를 사용하는 자동차의 경우 820cc이내인 엔진은 동일차종에 포함)

-촉매전환장치의 특성-크랭크축 중심선에서 캠축 중심선까지 길이-크랭크축 중심선에서 실린더블록 헤드면 상부까지 길이- 흡·배기밸브가 밸브헤드지름의 3.2mm범위 내에 있거나 포트의 위치와크기가 포트면적 10%이내

Page 20: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7-

② 제1호의 사항이 같은 경우에도 환경부장관이 아래 사항을 참작하여 배출가스 특성이 같지 아니하다고 인정한 경우에는 다른 차종으로 세분할 수있다. 다만,아래 사항 중 4개 이상의 항목이 같지 아니한 경우에는 반드시 다른 차종으로 세분하여야 한다.

-보어와 스트로크-상사 점에서 측정된 실린더의 표면적 대 부피의 비율-흡·배기 다기관 포트의 크기 및 형상-흡·배기 밸브 크기-연료장치-캠축 타이밍과 점화 또는 분사타이밍 특성③ 제1호의 사항이 같은 경우에도 환경부장관이 아래 사항을 참작하여 소음특성이 같지 아니하다고 인정한 경우에는 다른 차종으로 분류할 수 있다.다만,아래 항목 중 3개 이상이 같지 아니한 경우에는 반드시 다른 차종으로 분류하여야 한다.

-차체형상(버스형,카고형,기타)-원동기의 주요구조 및 성능-차량의 속도에 영향을 주는 동력전달장치(변속기는 제외)의 종류와 주요구조 및 성능-차축 등 주행장치의 주요구조 및 크기-배기장치 및 소음방지장치의 종류와 주요구조 및 성능④ 외국에서 사용하던 자동차를 수입하는 경우에는 제1호 내지 제3호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다른 차종으로 분류한다.

Page 21: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8-

444)))변변변경경경인인인증증증

인증받은 자동차에 대하여 그 인증내용을 변경하고자 하는 때에는 변경인증을 받아야 한다.

변경인증시 시험을 받아야 하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① 배출가스-배기량 변경-캠축타이밍과 점화 또는 분사타이밍의 변경-차대동력계를 사용하여 시험하는 경우 동력전달장치(변속비,감속비)변경-촉매장치의 성분,함량,부착위치,용량등 변화-증발가스 관련 연료탱크의 재질 및 제어장치(캐니스터)변경-공차중량이 10%이상 증가(차대동력계를 사용하여 시험하는 경우)-최고출력 또는 최고출력시 회전수 변경-흡배기밸브 또는 포트의 위치-배출가스 관련부품(대기규칙 별표 19의2 대상항목)변경등 배출특성이다를 경우

② 소음-동력전달장치(변속비,감속비,차축수)변경-소음기의 용량,재질 및 내부구조변경-최고출력 또는 최고출력시 회전수 변경-공차중량 30%이상 증가되는 경우-소음관련부품 변경등 소음배출특성이 다를 경우

Page 22: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9-

나나나...인인인증증증절절절차차차

인증절차는 다음의 그림 2.2와 같다.배출가스 인증신청서 제출

검토

인증신청서 승인

시험차 선정

배출가스 및 증발가스 시험차

주행거리 누적(6,400km)

정 비배출가스 및 증발가스 측정

내구시험차

주행거리 누적

주행단계별 배출가스측정

DF산출

정 비

배출가스 허용기준 평가인증시험결과 보고

검토

인증서 발급

인증변경 신청검토

배출가스 검사변경 인증서 발급

아니오(보완지시)

아니오(개선후 재신청)

아니오예

아니오(보완)

[그림 2.2]우리나라의 배출가스 인증철차도

Page 23: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10-

다다다...내내내구구구 주주주행행행

111)))내내내구구구성성성시시시험험험 자자자동동동차차차 선선선정정정기기기준준준

동일차종 중에서 엔진장치조합을 대표하는 자동차로서 예상판매량이 가장많은 차종과 엔진배기량이 동일 한 자동차 1대를 선정한다.이 때 자동차의변속기 형태,연료장치 및 관성중량등급 등을 참작한다.내구성 데이터를 가장 최근 데이터로 갱신하기 위하여 시험용자동차를 선정할 경우에는 생산라인에서 무작위로 선정한다.

222)))내내내구구구성성성시시시험험험

(1)내구성시험 실시① 다음 각호의 경우에 내구성시험을 실시하여야 하고 내구성시험을 하기위한 자동차의 주행은 내구성시험 운전계획(AMA 11Lap)또는 개선내구성시험 운전계획에 의하여 실시한다.다만,택시를 제외한 자동차로서 동일 차종별로 연간 예상판매량이 5천대이하인 경우 내구성 시험을 실시하지 아니할 수 있다.-신규 인증을 받고자 하는 경우-제작차배출허용기준 변경에 따른 변경인증의 경우-동일차종별로 내구성시험을 실시한 차종이 배출허용기준을 초과하여생산할 수 없는 경우

② 내구성시험 실시하기 위한 주행은 공차중량을 45kg이상 초과하지 않는범위의 실측 공차중량에서 실시

③ 내구성 시험 실시하는 동안 변경사항이 있을 경우 최종보고시 내역 및확정된 첨부서류 제출

Page 24: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11-

(2)배출가스 측정

산정을 위한 배출가스 시험은 배출가스 보증기간에 따라 다음의 주행거리(±400km)구분에 따라 실시한다.

배출가스보증기간

시험횟수 시험실시 주행거리

80,000㎞ 5회 8,000㎞,24,000㎞,48,000㎞,72,000㎞,80,000㎞

120,000㎞ 7회8,000㎞,24,000㎞,48,000㎞,72,000㎞,80,000㎞,96,000㎞,120,000㎞

160,000㎞ 9회8,000㎞,24,000㎞,48,000㎞,72,000㎞,80,000㎞,96,000㎞,120,000㎞,144,000㎞,160,000㎞

배출가스 시험을 ECE15+EUDC모드로 측정하는 경우의 내구성 시험은0km에서 최초 시험을 하고 배출가스 보증기간에 해당하는 거리까지 매10,000km(±400 km)마다 시험을 실시한다. 단 0km의 배출가스 시험결과는 열화계수 산정시 제외한다.

(3)열화계수 산정

내구성 시험중 배출가스 시험결과 전부를 사용하여 최소자승법에 의한 회귀직선을 구하여 다음의 방법으로 산출

① CO,HC,NOx,PM의 DF=

② 증발가스,매연의 DF=

여기서, :마지막 주행시점에 해당하는 회귀직선상의 배출가스량

:6,400km 에 해당하는 회귀직선상의 배출가스량

Page 25: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12-

(4)지정열화계수

내구성 시험을 실시하지 않는 차량은 아래의 지정열화계수를 사용

① 휘발유,알콜 또는 가스를 사용하는 자동차

구 분 80,000km 160,000km일산화탄소 1.2 1.4

배기관탄화수소 1.2 1.4증발탄화수소 0.5 0.2질소산화물 1.1 1.4

② 경유를 사용하는 자동차

구 분 차량총중량3.5톤 미만 차량총중량3.5톤 이상일산화탄소 1.2 1.2

배기관탄화수소 1.2 1.2질소산화물 1.1 1.0입자상물질 1.2 1.1질소산화물+탄화수소

1.1

③ 지정열화계수를 적용한 자동차가 연간 판매실적이 5천대를 초과하거나초과가 예상되는 경우 내구성 시험 실시.이 경우 연간 5천대를 초과하는 시점부터 열화계수 산출이전까지 지정열화계수보다 20% 높은 열화계수 적용

(5)정비내구성 시험을 위하여 주행거리를 누적하는 경우에 일정 주행거리마다 배출가스 측정을 위해 정비를 실시할 수 있고 정비항목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부록 1.수록되어 있다.

Page 2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13-

라라라...배배배출출출가가가스스스 시시시험험험

111)))배배배출출출가가가스스스 시시시험험험자자자동동동차차차의의의 선선선정정정기기기준준준

차대동력계를 사용하여 배출가스를 측정하는 경우에 동일차종 중에서 다음의 순서에 의해 시험대상자동차 1대를 대표차종으로 선정한다.① 등가시험중량이 가장 무거운 자동차② 도로부하력이 가장 높은 자동차③ 배기량이 가장 큰 자동차④ 최종 기어비율(오버드라이브 포함)이 가장 높은 변속기를 장착한 자동차⑤ 차축비가 가장 무거운 자동차⑥ 연료탱크 용량이 가장 큰 자동차중량자동차와 같이 원동기를 사용하여 배출가스를 측정하는 경우에는 동일

차종 중에서 다음의 순서에 따라 시험대상자동차 선정① 최고토오크시 속도에서 행정당 연료배분율이 가장 큰 원동기② 최고속도시 행정당 연료배분율이 가장 큰 원동기

222)))시시시험험험항항항목목목

(1)경차,승용1,2,3,화물 1,화물 2차종① 차대동력계에 의한 CVS-75배출가스 시험② SHED증발가스 시험(주간증발손실 및 고온증발손실시험)③ COLDCO시험④ IDLECO,HC및 무부하급가속 매연 시험

Page 27: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14-

- 2006년부터 적용되는 경유차는 ECE15+EUDC 방법에 의해 배출가스 시험을 한다.

- 변경인증 시험시는 COLD CO시험 및 증발가스관련 항목이 변경되지않는 경우 증발가스 시험 생략

(2)승용 4,화물 3차종① 엔진동력계에 의한 ND-13모드 배출가스 시험② 엔진동력계에 의한 ELR모드 매연 시험

333)))배배배출출출가가가스스스 판판판정정정

배출가스 시험자동차에 의한 배출가스 측정결과에 열화계수를 곱하거나더하여 나온 결과를 배출허용기준과 비교하여 적합여부를 평가한다.

333...운운운행행행차차차 사사사후후후관관관리리리

가가가...양양양산산산차차차 관관관리리리

인증을 받아 제작한 자동차의 배출가스가 제작차배출허용기준에 적합한지의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수시검사와 정기검사를 실시하고 있다.수시검사는 제작중에 있는 자동차의 제작차배출허용기준 적합여부를 수시로

확인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 실시하는 검사이며,정기검사는 제작차배출허용기준 적합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자동차의 종류별로 제작대수를 참작하여

Page 28: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15-

일정기간마다 실시하는 검사이다.

111)))수수수시시시검검검사사사

(1)수시검사 대상수시검사는 다음의 경우에 실시한다.① 자동차배출가스 및 소음 인증서(이하 “인증서”라 한다)를 교부받아 판매목적으로 제작한지 1개월 이내인 경우(외국에서 이미 판매된 자동차로 인증을 받은 경우에는 제외한다)

② 제작차 배출허용기준 또는 소음허용기준의 강화에 따른 환경부장관의확인이 필요한 경우

③ 정기검사 및 운행차검사등 각종 검사의 결과를 토대로 허용기준의 적합여부에 대한 검증이 필요하다고 환경부장관이 판단하는 경우

(2)표본자동차의 선정 및 시험공무원의 입회하에 동일차종별로 무작위 발췌하며,선정대수는 연간 자동차 생산대수에 따라 선정한다.입회한 공무원은 검사용기기 및 교정용품 등에 대한 조정상태와 정상적인측정여부를 확인한다.선정차량은 6,400km까지 길들이기를 주행하여야 하나 제작사의 요청시생략 또는 단축할 수 있다.길들이기 주행을 하지 않을 경우 증발가스 및COLDCO시험을 생략한다.

(3)불합격자동차의 처리불합격 판정된 로트의 자동차는 즉시 판매․출고를 정지하고,재검사를 받

Page 29: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16-

아야 하며 그 이전에 판매하고자 할 때는 전수검사를 받아 합격된차만 판매를 할 수 있다.

(4)인증의 취소재검사에도 불합격 될 경우 인증이 취소된다.

222)))정정정기기기검검검사사사

제작차배출허용기준에 적합하게 제작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생산공정에서 완성차를 무작위 발췌하여 배출가스를 측정한다.매월 자동차 생산량에 따라 일정량의 자동차를 무작위 발췌하여 배출가스

를 측정하고 매 분기마다 환경부에 보고한다.(1)시험자동차의 선정 및 시험동일차종별로 매 1개월의 생산대수(수입자동차는 통관대수)가 501대에 해당하는 월 또는 분기를 기준으로 하여 로트를 구성하며 로트에 따른 시료의크기는 다음과 같다.단 월 501대가 안되는 차량은 계속하여 생산된 대수가 501대에 해당하는 월 또는 분기를 기준으로 로트를 구성한다.① 로트의 크기가 501대이상 10,000대이하 일때의 시료의 크기는 2대② 로트의 크기가 10,001대이상 25,000대이하 일때의 시료의 크기는 3대③ 로트의 크기가 25,001대이상 일때의 시료의 크기는 5대

시험자동차는 배출가스 및 소음만을 시험한다,다만 경유자동차의 매연은동일차종별로 1일 생산대수가 100 이상일 때는 5%를,100대 미만일 때는 10%를 무부하급가속 측정방법에 의하여 측정한다.

Page 30: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17-

(3)불합격자동차의 처리제작차 배출가스 및 소음기준을 1개 항목이상 초과시 당해 로트의 자동차를부적합 처리하며 부적합 처리시에는 그 결과를 환경부장관에게 보고하여야한다.부적합판정 자동차는 개선 후 적합판정을 받은 경우에만 판매할 수있다.환경부 장관은 부적합판정 보고를 받으면 지체없이 수시검사를 실시한다.

(4)문제점불합격한 로트의 자동차는 개선후 적합판정을 받아 판매할 수 있으나 그간생산된 자동차는 이미 판매된 상태이므로 이에 대한 처리를 위해 그간 생산되어 판매된 차에 대한 recallcampaign을 하도록 하는 조항이 추가되어야 함.또한 정기검사 보고를 하지 않을 경우에 대한 조치사항이 없어 보고를 하지않을 경우 즉시 수시검사를 실시하는 조항이 추가되어야 함.

나나나...결결결함함함확확확인인인 검검검사사사

자동차 배출가스 결함확인 검사는 제작자동차 배출가스에 대한 사후 관리제도로서 배출가스 보증기간이내에서 운행되고 있는 자동차의 배출가스를 측정분석하여 오염물질 배출량이 제작차 배출허용기준을 초과한 경우 그 원인이 자동차제작사에게 있다고 인정될 경우 결함시정을 명하여 관련부품을 무상 교환토록 함으로써 자동차배출가스 오염물질의 사후관리를 하는 제도이다.결함확인 절차를 그림 2.3에 나타내었다.

Page 31: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18-

결함검사 대상 차종 선정

설문조사에 의한 검사용 자동차 예비선정

대상자동차 현지 확인․점검 및 봉인

시험전 점검 및 정비

차량인도 및 결함확인검사준비

결함확인검사(예비검사 5대)

검사결과 통보

검사결과판정

제작자통보/의견서 제출

결함시정명령

결함시정계획서제출

검 토

결함시정시행

차량소유자에 통지 및 결함시정

기록 및 보고

청 문

종 료

본검사10대

아니오

아니오

아니오

아니오

아니오보완

환경부

자동차공해연구소

자동차공해연구소/제작사

제작차지정정비업체

자동차공해연구소

자동차공해연구소→환경부

환경부

환경부⇔제작자

환경부→제작자

제작자→환경부

환경부

제작자

제작자→차량소유자

제작자

[그림 2.3]우리나라의 결함확인검사 및 결함시정절차

Page 32: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19-

111)))검검검사사사대대대상상상 자자자동동동차차차 선선선정정정

(1)검사대상 차종 선정 절차① 설문조사 :우편조사② 설문서 접수 검토③ 검사 대상 차종 선정 통보

(2)검사 대상 자동차 선정조건① 정비안내서에 따라 정비한 자동차② 원동기 대분해 수리를 아니한 자동차③ 규정 연료를 사용한 자동차④ 최초 구입자가 계속 사용하고 있는 자동차⑤ 견인용도로 사용하지 아니한 자동차⑥ 빈번한 과속주행 및 장기간 방치하지 않은 자동차⑦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운행하지 아니한 자동차⑧ 촉매,전자제어장치(ECU),캐니스터,배기가스 재순환장치(EGR)등배출가스 관련부품이 임의 조작되지 않은 자동차

(3)정비․점검① 소모품류교환 또는 정비엔진오일,오일필터,연료필터,공기여과기,스파크플러그,자동변속오일,배터리,점화장치 배선,배전기캡,배전기로터,PCV밸브,주유구캡

② 진공호스,기타 배선점검 및 수리③ 조정 -점화시기,정지가동시 회전수,밸브간극

Page 33: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20-

(4)예비 점검① 차량외관,제원표상의 기계적인 점검② 예비시험③ 상온주차

222)))검검검사사사대대대상상상 자자자동동동차차차 시시시험험험

(1)검사항목① 배출가스 및 입자상물질 :CO,HC,NOx,입자상물질② 증발 HC:주간증발시험 +고온증발손실시험

(2)검사 방법 및 제반비용① 검사방법 :CVS-75모드② 제반비용 :자동차 제작사 부담

333)))시시시험험험결결결과과과 판판판정정정 및및및 조조조치치치사사사항항항

(1)예비검사시① 검사차량의 평균가스배출량이 항목별로 기준을 초과하고,초과한 항목과 동일한 항목에서 검사차량 5대중 2대 이상이 제작차배출허용기준을초과하는 경우

② 동일한 항목에서 3대 이상의 자동차 제작차배출허용기준을 초과하는 경우

(2)본검사시① 검사차량의 평균가스배출량이 항목별로 기준을 초과하고,초과한 항목

Page 34: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21-

과 동일한 항목에서 검사차량 10대중 3대 이상이 제작차배출허용기준을 초과하는 경우

② 동일한 항목에서 6대 이상의 자동차 제작차배출허용기준을 초과하는 경우

(3)조치사항① 예비시험결과가 부적합 판정을 받은 경우 제작사에 즉시 결과를 통보하고제작사가 15일 이내에 서면으로 결함시정에 응할 경우 결함시정 명령

② 본검사가 부적합 판정을 받은 경우 제작사에 즉시 결과를 통보하고 제작사가 15일 이내에 서면으로 결함시정에 응하겠다는 의사표시를 안할 경우 결함시정 명령

③ 제작사는 결함시정명령 통지날로부터 45일 이내에 다음의 서류를 첨부하여 결함시정계획서 제출․ 결함시정대상자동차의 판매명세서․ 결함확인 원인명세서․ 결함발생자동차의 범위결정명세서․ 결함개선대책 및 개선계획서․ 결함시정에 소요되는 비용예측서․ 결함시정대상자동차소유자에 대한 결함시정내용의 통지계획서

Page 35: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22-

ⅢⅢⅢ...외외외국국국의의의 배배배출출출가가가스스스 인인인증증증제제제도도도

111...미미미국국국인증은 자동차를 판매하기 전에 배출가스 관련 방지시스템의 설계가 제대로

평가하는 사전인증과 양산중인 차에 대한 품질검사를 하는 SAE시험 및 운행차 배출가스 검사로 구성된다.또한,미국환경청(EPA)은 캘리포니아주 대기보전국,자동차제작사 그리고

관련업체와 3년간의 연구를 통하여 인증이후의 운행차(in-use)관리의 강화를통해 차량의 배출가스 관련문제를 조기에 발견하여 해결하고,제작사가 저공해차량을 개발하도록 독려하는 새로운제도(CAP 2000)를 시행하고 있다.이 제도는 인증업무를 간소화하고 효율화시켜 인증에 필요한 시간과 비용을 저감시키고 대신 운행차(in-use)관리를 강화시키는 제도이며,2001년부터 시행되고 있다.

가가가...제제제작작작차차차 배배배출출출가가가스스스 인인인증증증제제제도도도

111)))인인인증증증절절절차차차

-EPA는 Part1서류를 비롯해서 관련 서류 검토후 인증서 발행-인증서는 시험그룹별,Evap/ORVRFamily별로 발행-EPA의 인증서는 아래의 경우에 해당될 경우 취소됨․ 각 인증 서류의 제출시점을 못맞출 경우․ 배출가스 규제치의 불만족․ Phase-In요구 불만족

Page 3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23-

․ GoodEngineeringJudgement불만족등-인증비용․ Federalsigned:$27,211․ Californiaonlysigned:$8,956․ Federalonlyunsigned:$2,738․ Californiaonlyunsigned:$2,738

인증절차는 다음 그림 3.1과 같다.

Page 37: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24-

배출가스 및 증발가스연비 시험차

주행거리 누적(6,400km)

정 비

배출가스 및 증발가스연비측정

내구시험차

주행거리 누적

주행단계별 배출가스측정

DF산출

정 비

배출가스 허용기준 승인배출가스 인증

기록보관

배출가스 인증신청서 제출검토

인증신청서 승인

아니오예

시험차 선정

검토

종료아니오

시험절차승인 검토아니오예

배출가스Carryover

DFCarryover 종전DF

아니오

아니오

[그림 3.1]미국의 제작차 배출가스 인증절차도

Page 38: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25-

222)))인인인증증증내내내구구구

(1)내구그룹(DurabilityGroup)설정

EPA는 차량의 내구기간동안 비슷한 배출가스 열화특성을 보이는 차량을 하나의 내구그룹으로 묶는 “durability group"을 적용하고 있고,이 그룹은엔진형식,연료타입,연료시스템,촉매구조 및 크기,촉매귀금속량등에 기초하여 설정되었다. 이제도로 인하여 제작사는 그들의 차량을 goodengineering judgment에 의해 ”durability group"으로 나눌수 있고이는 약 75%까지 내구시험대수를 줄일 수 있다.구체적인 분류기준은 다음과 같다.

․ 연소싸이클(2행정,4행정,otto싸이클,디젤싸이클등)․ 엔진타입(피스톤,수/공냉식,로타리식등)․ 연료타입(가솔린,디젤,에탄올,메탄올,CNG,LPG,대체연료등)․ 연료공급시스템(TDI,GDI,기화기식,CNG믹서등)․ 촉매구조(모노리스타입등)․ 촉매 귀금속종류(platinum based 산화촉매, palladium based 산화촉매, platinum + rhodium 삼원촉매, palladium +platinum +rhodium 삼원촉매등)

․ 엔진 및 촉매크기 대비 촉매 loading비율-GruopingStatics에 의거 25%이내 또는 0.2g/liter이내일 것GS=(촉매 총 체적/배기량)×(촉매의 귀금속량/촉매 총 체적)

․ 기타 방법-EPA는 위에서 언급한 분류기준으로 분류할 수 없는 차량은 비슷한 열

Page 39: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26-

화특성을 보이는 차량들로 분류할 수 있다.-제작사는 인증신청서 제출이전에 EPA에 보고하면 위에서 언급한 분류기준으로 결정된 내구그룹을 더 세분화 할 수 있다.

-제작사는 일반적으로는 하나의 내구그룹으로 묶기에 적당하지 않은 차량을 단일 내구그룹으로 설정하도록 EPA에 요청할 수 있다.이 때에는다음의 서류를 제출하여야 한다.① 이 차량들이 동일한 배출가스 열화특성을 가진다는 실질적인 증빙자료② 차량의 보증기간동안 배출가스 관련부품이 동일한 열화특성을 가진다는 증빙자료

③ 본 내구그룹이 충분한 In-use 평가,In-use시의 적절한 이력,Recall에 대한 명백한 책임을 나타낼 수 있는 증빙자료

(2)증발가스/ORVRFamily설정

보증기간동안 비슷한 증발가스/ORVR열화특성을 가지는 차량은 단일한 증발가스/ORVR Family로 분류된다. 제작사는 good engineeringjudgment를 사용하여 증발가스/ORVR Family를 결정하고,구체적인 분류기준은 다음과 같다.

․ Vapor저장장치 형식(캐니스터,에어크리너,크랭크케이스등)․ 기본적인 캐니스터 디자인(작동용량,시스템구조(캐니스터수,연결방법등),캐니스터구조,재질등)

․ 연료시스템․ RefuelingEmissionControlSystem․ FillpipeSealMechanism(Mechanical,liquidtrap등)

Page 40: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27-

․ Vapor처리시스템(밸브타입,Vapor처리방식)․ Vapor/LiquidSeparatorUsage․ Purge처리시스템(밸브타입,Purge처리방식)․ VaporHoseDiameter/Material․ CanisterLocation․ OBDHardwareandCalibration․ 연료탱크 재질․ 기타 방법-EPA는 위에서 언급한 분류기준으로 분류할 수 없는 차량은 비슷한 열화특성을 보이는 차량들로 분류할 수 있다.

-제작사는 인증신청서 제출이전에 EPA에 보고하면 위에서 언급한 분류기준으로 결정된 내구그룹을 더 세분화 할 수 있다.

-제작사는 일반적으로는 하나의 내구그룹으로 묶기에 적당하지 않은 차량을 단일 내구그룹으로 설정하도록 EPA에 요청할 수 있다.이 때에는다음의 서류를 제출하여야 한다.① 이 차량들이 동일한 증발가스 열화특성을 가진다는 실질적인 증거② 차량의 보증기간동안 증발가스 관련부품이 동일한 열화특성을 가진다는 증거

③ In-useverificationprogram data에 기초한 증거

(3)내구시험차량 선정

-제작사의 GoodEngineeringJudgement사용- 동일 내구그룹내에서 인증 및 In-Use열화과정을 고려한 WorstCase차량 선정

Page 41: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28-

-내구그룹당 1대 선정-CARB HEV 및 LEV-Ⅱ의 150k내구차량에 대해서는 별도의 내구그룹분류

(4)배출가스 내구증명 절차

제작사는 내구프로그램을 제출하여 EPA에 의해 승인을 받아야 한다.이 프로그램은 전체 또는 중간 보증기간동안의 열화를 가장 잘 예측하는 프로그램이어야 한다.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현재의 AMA cycle은 2001MY부터 사용금지- 2003MY 까지는 기존 AMA Cycle DF의 carry over(이월) 허용 :단 in-use verification test는 실시,신모델의 경우는 c/o 불가하며기존모델의 경우도 engineering judgement로 DF c/o 가능 여부를판단

-내구 사이클 개발하여 EPA승인을 받아야 함․ ASADP(Alternative Service Accumulation Durability Program)

개발․ ADP로도 불리며 또는 RDP-Ⅰ, RDP-Ⅱ 포함하여 RDP(Revised

DurabilityProgram)로도 통칭-In-UseVerificationTest결과를 이용하여 내구 Cycle평가-제작사의 기준치 만족 비교방법에 대한 EPA의 사전승인-제작사의 요청에 의해 COLD CO,SC03,SC06은 별도의 DF를 산출할 수있음

- Bench aging 부품을 사용할 경우 관련부품과,열화방법을 EPA에 승인을받아야 함

Page 42: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29-

-내구거리 축적 방법① Whole-vehicle full-mileage accumulation : 차량을 가지고 전체 보증거리를 주행하는 방법

② Whole-vehicle accelerated accumulation : 40,000mile 주행이 100,000mile주행과 동등한 수준의 열화를 가지는 주행방법

③ Bench aging component accumulation : 차량의 실제 열화에기초하여 관련부품의 열화방법을 설정하여 열화부품을 시험차량에 장착하여 시험하는 방법.이 때 관련부품은 사전에 EPA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④ 기타 EPA에 의해 승인받은 방법-이 외에 다음의 자료가 제출되어야 함․ 실제 운행차의 열화과정에 기초한 제작사 열화고정을 증명하는 자료․ In-UseverificationProgram(시험,차량선정,시험제외차량기준등)-제작사는 제출된 프로그램을 시험전에 변경할 수 있고 이때 EPA에 보고하여야 한다.-EPA는 인증이전에 제작사의 제출 프로그램이 실제 열화과정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good engineering judgement로 판단될 때 이 프로그램을 거부할 수 있다.-EPA는 승인된 프로그램이 실제 열화과정에 적하하지 못하다고 판단될 때 승인을 취소할 수 있다.이 때 제작사에 최종결정 60일 이전에 통보하여야 하고,제작사는 이 기간동안 관련 통계자료 및 기술자료를 제출하여 소명할 수있다.또한 EPA는 이자료를 근거하여 최종결정을 내려야 한다.

-열화계수 CarryOver기준․ Good engineering judgement(A/C 17F, CD-94-13, 촉매온도등의자료)로 내구성능이 동일수준일 경우 c/o허용

Page 43: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30-

․ In-UseVerificationData는 c/o불가-In-UseVerificationTestAnalysis․ TestGroup별 In-UseVerification저지 시험 결과의 평균치가 규제치의 1.3배 초과하고 불합격 차량의 비율이 50% 이상 인지의 여부 분석

․ 인증 내구 개선 및 In-UseVerificationTest실시-LineCrossing․ 내구 차량이 여러 E/M 기준치를 포함하는 차량이기 때문에 LineCrossing허용하나,이에 따른 Analysis반드시 실시

(5)In-useVerificationFeedback분석

-In-Use데이터가 운행차에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거나 내구절차가 운행차 배출가스 수준을 낮게 나타내면 EPA가 개입

-EPA는 제작사에게 수시로 어떤 운행차 데이터를 분석하고 내구절차가 유효한지에 대한 결론을 내도록 요구 가능

- 시험차그룹의 운행차평가데이터가 규제치 1.3배를 초과하거나 시험차량의50%이상이 운행차 규제치를 초과하면 제작사의 공식 대응이 요구됨(60일이내에 보고서 제출)

․ 내구절차가 운행차 배출가스수준을 정확히 예측하지 못한다고 EPA가 결정하면 이후 MY에 내구절차사용 승인을 취소할 수 있음(1.3배를 넘지 않고대다수가 불합격시에도 가능)

․ 제작사의 내구절차 승인이 취소되면 조정계수(AdjustmentFactor)를 사용하거나 완전히 새로운 내구절차를 EPA의 승인을 얻어 사용

Page 44: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31-

(6)소량 생산 제작사용 지정 열화계수

소량 생산 제작사는 4)번의 내구프로그램에 의한 열화계수를 사용하지 않고EPA에 의해 지정된 열화계수를 사용할 수 있다.(i)300대/년 이하 생산 제작사-EPA는 전체 제작사의 과년도 내구 데이터의 70% 수준의 DF를 설정하여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함-EPA는 DF산출을 위한 충분한 정보가 없을 경우 대체 방법을 사용하여 산출함.

(ii)301-14,999대/년 생산 제작사- 제작사는 good engineering judgement를 사용하여 산출한 자체 지정열화계수 사용 가능․ 전체 제작사 DF데이터의 평균보다 적거나 70%보다 적을 경우 사용 불가․ 제작사 지정 평균 열화계수가 EPA지정열화계수보다 적지 않아야 함․ EPA는 DF산출을 위한 충분한 정보가 없을 경우 대체 방법을 사용하여산출함

-제작사의 최소 열화계수는 과년도에 동일규제로 인증받은 동일 내구그룹으로 부터의 열화계수를 사용하여 계산할 수 있음

Page 45: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32-

나나나...배배배출출출가가가스스스 시시시험험험

111)))시시시험험험그그그룹룹룹(((TTTeeessstttGGGrrrooouuuppp)))설설설정정정

내구그룹내에서 인증서 발행단위인 시험그룹으로 세분화되어 인증시험을실시한다.이 때 good engineering judgement를 사용하고 세부분류기준은 다음과 같다.

-내구그룹-엔진 배기량(최대배기량의 15%이내,50CID이내)-실린더 수 또는 연소실 형상-실린더 또는 연소실 배열(I또는 V형)-배출가스 기준치

상기 기준으로 구분이 불가능할 경우,유사 배기특성을 가진 차량을 단일시험그룹으로 조합 가능하고,제작사는 상기기준으로 분류된 시험그룹을 더세분화할 수 있고 이 때에는 EPA에 사전에 보고하여야 한다.또한 제작사는 다음의 자료를 제출하여 일반적으로 단일 시험그룹으로 묶을 수 없는 차량을 단일 시험그룹으로 묶도록 환경부에 요청할 수 있다.

-배기부품의 내구 동등성-배기 유사 특성의 실제적 증거- 시험그룹이 충분한 in-use평가,in-use시의 적절한 이력,recall에 대한 명백한 책임 등을 나타낼 수 있는 증빙

Page 4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33-

시험그룹 내에서 가장 열악한 차량은 EGR rate,차량무게,차축비,기어비,N/V 비,T/M엔진 교정등을 고려하여 선정한다.또한 시험그룹은In-Use Verification Test의 단위로 사용한다.CARB HEV의 경우는별도의 시험그룹을 신설한다.

222)))시시시험험험차차차량량량 선선선정정정

-배출가스 시험(FTP&SFTP)차량(1)동일 내구그룹 내,각 시험그룹 별 1대(2)배출가스 측면에서 가장 열악한 차량(3)A/C장착 차량(4)저지시험 :1대/시험그룹(5)고지시험 :1대/시험그룹 또는 ComplianceStatement

-증발가스/Refueling시험차량(1)FTP차량 중 증발가스/Refueling최대 배출 예상 차량(2)가장 열악한 증발가스/Refueling 부품 장착차량(촉매크기 및 재질,

연료탱크 크기 및 재질,Purge 구조 및 유량,refueling 특성,vaporgeneration양등)

(3)저지시험 :1대/시험그룹(4)고지시험 :1대/시험그룹 또는 ComplianceStatement

-COLDCO시험차량(1)FTP차량 중 CO최대 배출 예상 차량(2)1대/내구그룹

Page 47: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34-

-CertificationShortTest(1)FTP차량 중 CST배출가스 최대 배출 예상 차량(2)1대/내구그룹(3)인증서류로 대체 가능

-CARB온도 50F시험(1)매년 1대/시험그룹(2)시험그룹이 3개 이상일 경우 CARB가 선정토록 시험그룹기준 제출

배출가스 개발 차량을 시험차량으로 사용 가능하나 반드시 제작사는 다음의 근거서류를 제출하여야 한다.-주행거리 축적 및 정비를 정상적으로 실시했음-개발 시험차량이 교정용으로 사용하지 않았음

333)))배배배출출출가가가스스스 기기기준준준치치치 비비비교교교방방방법법법

-계산된 열화계수에 배출가스 시험결과 적용 후 기준치 비교-Benchaged부품 사용시에는 최종 결과로 기준치 비교-RAF적용후 기준치 비교

444)))인인인증증증서서서 발발발행행행 방방방법법법

-동일 내구그룹 내,각 시험그룹별로 인증서 발행-시험그룹내,증발가스/ORVR Family별 인증서 발행 :인증 서류는 내

Page 48: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35-

구그룹 별로 작성되므로,이속에는 여러 시험그룹이 포함됨-RAF적용후 기준치 비교

555)))EEEPPPAAA 및및및 제제제작작작사사사 확확확인인인시시시험험험

-제작사 인증 시험결과 제출 후,EPA에서의 확인 시험 실시 여부 또는 제작사에서의 확인 시험 실시 여부 결정(통상 5-10% 실시)

-EPA 확인시험(1)배기시험을 위한 지정장소에 차량제출 요구 가능․ 인증시험 이전에 교정가능한 parameter에 대한 교정요구 가능․ EPA가 판단 불가능한 parameter에 대해서는 제작사에서 사양에의거하여 양산오차 범위내에서 조정 가능

(2)시험결과가 규제치를 만족하지 못할 경우 재시험 실시(3)연비 재시험 가능-제작사 확인 시험 실시 여부의 판정기준(1)시험 차량의 Version이 과거에 불합격한 경력이 있을 때(2)시험 결과가 기준치에 근접할 때(90%)(3)연비/배출가스 결과가 예상보다 높을 때(4) 연비/배출가스 결과가 Gas Guzzler Tax에 근접할 때(+0.3,

-0.2mpg이내일 때)(5) 해당 연식에 EPA의 cut-point 기준으로 볼 때 잠재적인 연비

leader의 경우-제작사 확인시험에 대한 재시험도 제작사에서 실시 가능(1)첫 번째 재시험 :연비/배출가스가 3% 이상 벗어난 경우(3번까지 가능)-제작사 요청에 따라 EPA는 EPA 확인시험 이전에 조건부 인증서 발행

Page 49: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36-

666)))연연연비비비시시시험험험(((FFFuuueeelllEEEcccooonnnooommmyyyTTTeeesssttt)))

-EPA 확인 시험전에 제작사 시험결과로 연비 라벨 작성 가능-EPA 확인 시험후,시험결과가 0.5mpg이상 낮을 경우 신규 라벨 작성부착

- 0.1mpg 이상 차이가 날 경우 EPA 확인 시험 DATA로 GasGuzzlerTax결정

-CAFE결과치는 NHTSA와 EPA에 동시 보고

777))) 소소소량량량 생생생산산산제제제작작작사사사(((SSSmmmaaallllll VVVooollluuummmeee MMMaaannnuuufffaaaccctttuuurrreeerrr))) 인인인증증증절절절차차차

- 년간 총 생산 대수 15,000대 [CARB:4,500]이하인 경우,소량 생산제작사 적용(1)지분 소유관계의 계열사가 없는 경우 전체 시험그룹에 SVM 적용(2)타사 지분을 소유한 경우․ 타사 지분을 50% 이하 소유한 제작사는 년간 총 생산대수가15,000대 미만일 경우 전체 시험그룹에 SVM 규정 적용

․ 타사 지분을 50% 이상 소유한 제작사는 협력제작사와 생산대수를14,999대 이하로 나누어야 시험그룹에 SVM 적용

- Test Group별 생산대수가 15,000대[CARB :4,500대] 이하인 경우에도 적용 가능

- 내구 프로그램의 개발 대신 good engineering judgement를 사용하여 소량 제작사용 지정열화계수를 사용할 수 있다(가.내구그룹의 5)참조)

Page 50: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37-

-In-UseVerificationTest(1)년간 총생산량이 5,000대 [CARB :1,500대]이하,또는 해당 시험

그룹의 생산량이 5,000대 [CARB :1,500대]이하일 경우 HM 차량 및 LM 차량등에 실시되는 In-UseVerificationTest자발적

(2) 년간 총생산량이 5,000-15,000대 [CARB : 1,500-4,500대] 경우에는 최소 2대의 HM 차량에 대해 In-Use Verification Test실시(LM 차량은 자발적)

(3)In-Use Verification Test시,차량 수배를 소비자 아닌 제작사운영차량으로 시험 가능하고, 소유자 검사 데이터를 기준으로50,000mile 이상된 차량이 수배되지 않을 경우에는 50,000mile이하의 차량으로 시험 가능하나 반드시 EPA의 승인을 받아야 함

(4) In-Use Verification Test 차량 중 Hing Mileage 75,000mile의 차량에 요구되는 시험은 면제

다다다...운운운행행행차차차 사사사후후후관관관리리리

EPA는 인증시험과 생산차시험(Assembly Line Test)은 간소화하고In-Use Verification Test와 Confirmatory Test를 신설하여 가능한한많은 운행차 시험을 통하여 제작사가 저공해 자동차를 개발하도록 독려하고효율적인 운행차 관리를 할 수 있도록 CAP 2000을 2001년부터 시행하고 있다.

Page 51: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38-

111))) 양양양산산산차차차관관관리리리[[[SSSEEEAAA(((SSSeeellleeeccctttiiivvveee EEEnnnfffooorrrccceeemmmeeennnttt AAAuuudddiiittt)))TTTeeesssttt]]]

EPA에게 인증 받은 차량에 대하여 생산차량의 배출가스에 대한 확인시험및 관련 설비들의 확인 점검으로 주로 In-Line차량에 대한 시험 또는Port에서 입수된 차량을 대상으로 배출가스 시험을 실시하며,In-Line설비나 시험 장비들을 점검한다.

(1)시험차량 선정기준 :Assembly최종 Line혹은 Port에서 선정① 로스엔젤레스 항구 :캘리포니아 지역 수입차량② 포트랜드 항구 :포트랜드 지역 수입차량③ 브론스윅 항구 :브론스윅 지역 수입차량④ 뉴욕항구 :뉴욕지역 수입차량

(2)시험차량 선정대수 :항구에서 차량 20대를 선정하여 5대 이상의 배출가스 시험을 한다.

(3)시험장소 :EPA에서 지정

(4)시험차량 선정 방법 :인증시와 동일사양으로 차량 선정

(5)SEA 시험 주안점(AssemblyLineInspection)① In-Line에서 배출가스 관리상태 및 지역별 사양구분 방법② 배출가스 인증부품 번호와 인증서 상의 부품번호와의 일치여부③ 인증부품 장착 공정의 작업 표준④ 차량 조립 완료 후 배출가스 부품에 대한 Function시험 방법,절차

및 해당 공정 작업 표준

Page 52: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39-

(6)SEA 시험 주안점(배출가스 시험)① 배출가스 시험절차 전 시험 차량에 대한 배출가스 부품 장착 상태 확인② 배기시스템 누설 확인③ FTP배출가스 시험④ 시험차량 중량 측정(연료는 Full주입상태)⑤ 연료 드레인 후 EmptyTank상태로 연료 시스템 누설 확인

(센서 장착된 캡과 실제 캡 장착시에 대해 각각 실시)⑥ 주간 증발 시험⑦ 배출가스 측정장비 점검⑧ 주차실 온습도 확인⑨ 시험연료 확인

(7)시험 차량의 점검선정차량 모두 스파크플러그 교환,배터리 점검 및 불량 배터리는 교환하고 엔진오일 필요시 보충하며,MUT점검 실시

(8)시험의 진행차량 점검후 시험전 24시간동안 최소 300mile부터 최대 4,000mile까지 주행거리 축적이 가능하며,일반적으로 신차 길들이기 방법으로300mile이내에서 항구 및 고속 주행로에서 길들이기 실시

(9)제출 요청 서류① StartingProcedure,ShiftProcedure② Cross-checkVehicleResult③ PropaneResult

Page 53: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40-

④ CalibrationforDynamometer(도로부하력,관성중량등)⑤ CalibrationforDriveTrace⑥ Copy of Analyzer Curve and Manufacturer's Analysis ofCalibrationGases

⑦ NOx전환 효율 점검⑧ 일간,주간,월간 점검 시트⑨ CVS점검⑩ FuelAnalysis⑪ NDIRH2O+CO2간섭성 점검

(10)판정기준DF를 적용한 결과의 평균이 규제치를 초과하지 않거나 규제치의 40%를기준으로 하는 판정 Table에 따라 판정,최종시험이 완료되면 EPA에 최종결과를 제출하고,이를 EPA가 심사하여 합격 통보를 한다.불합격시에는 Recall절차에 따라 업무를 진행한다.

222)))IIInnn---UUUssseeeVVVeeerrriiifffiiicccaaatttiiiooonnnPPPrrrooogggrrraaammm(((IIIUUUVVVPPP)))

(1)시험개요① IUVP 시험데이터는 인증내구성 개선,배출가스 규제치 만족 및

In-UseConfirmatoryTest실시 여부를 결정하는데 사용② 판정기준 :저지시험 결과의 평균치가 규제치의 1.3배 초과하고 불합격 차량의 비율이 50% 이상일 때

③ 제작사에 의해 간섭을 받을 수 있는 사업용차량을 제외하고,해당지역에서의 개인소유차량 또는 리스 차량중에서 수배

Page 54: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41-

④ 50개주 인증 차량의 경우,저지 시험을 위해 캘리포니아 주에서 50%이하로 수배하고 49개주의 북위 40도 이상의 지역에서 나머지 샘플

⑤ 49개주 인증 차량의 경우 북위 40도 이상의 지역에서 샘플⑥ 고지 차량의 경우에는 4000ft이상의 지역에서 샘플⑦ SmallVolumeTestGroup(<15,000대,[CARB:<4,500대])․ HM 차량만 시험 실시

⑧ Alternative Fuel Vehicle : 15,000대([CARB:<4,500대]) 이하일 때 IUVP면제

⑨ In-UseVerificationTestData의 C/Over불가(매년 시험실시)

(2)시험대상․ 시험그룹별 실시․ Low Mileage(LM):최소 10,000mile이상일 것․ High Mileage(HM):최소 50,000mile 이상이어야 하고 최소 1대

는 75,000mile이상일 것([CARB]LEV-Ⅱ 인증 차량의 경우,75K 대신 90K 임)

(3)시험장소 :제작사 시설(4)HM 시험항목 및 시험대수․ 01-03MY까지는 HM 차량에 대해서만 실시(LM 차량 시험 자발적)․ HM 차량의 시험은 생산 종료후 4년 이내 시작,5년 이내 시험 완료․ 시험차량 기본 대수

Page 55: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42-

[EPA]

시험그룹별판매량(대)

SmallVolumeManufacturer

LargeVolumeManufacturer

1-5K 5K-15K 1-50K50K-250K

250K이상HighMileage

차량자발적 2 4 5 6

[CARB]

시험그룹별판매량(대)

SmallVolumeManufacturer

LargeVolumeManufacturer

1-1.5K1.5K-4.5K

4.5-15K 15K-25K 25K이상HighMileage

차량자발적 2 4 5 6

․ 시험 항목① 저지/고지 FTP(시험그룹별)

(단 시험그룹별 고지 FTP1대는 기본 대수에 포함되나,반드시 저지시험 차량이 아닌 다른 차량으로 시험 가능)

② 저지 SFTP의 US06사이클(시험그룹별)([CARB:LEV/ULEV/SULEV 의 경우 SFTP면제])

③ 저지 Evap/ORVR시험④ CARB:NMOG,HCHO:NMOG/NMHC,HCHO/NMHC비율 사용가능

Page 5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43-

(5)LM 시험항목 및 기본대수․ 04MY부터는 LM 차량에 대해서도 시험 실시․ LM 차량의 시험은 생산종료 1년 이내 시험 완료․ 시험차량 기본대수

[EPA]

시험그룹별판매량(대)

SmallVolumeManufacturer

LargeVolumeManufacturer

1-5K 5K-15K 1-50K50K-250K

250K이상Low Mileage

차량자발적 0 2 3 4

[CARB]

시험그룹별판매량(대)

SmallVolumeManufacturer

LargeVolumeManufacturer

1-1.5K1.5K-4.5K

4.5-15K 15K-25K 25K이상HighMileage

차량자발적 0 2 3 4

․ 시험 항목① 저지 FTP(시험그룹별)② 저지 SFTP의 US06사이클(시험그룹별)

([CARB:LEV/ULEV/SULEV 의 경우 SFTP면제])③ 저지 Evap/ORVR 1대는 (Evap/ORVR Family 별)기본대수에 포함 안된 추가 대수임

Page 57: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44-

(6)In-UseTestFacilityCorrelation․ 제작사 인증 데이터와 EPA 확인 시험 데이터의 비교를 통해 실시․ Round-RobinCorrelationTestProgram 실시․ 매 MY마다 In-UseVerification시험실의 위치와 이름을 EPA에 보고

333)))IIInnn---UUUssseeeCCCooonnnfffiiirrrmmmaaatttooorrryyyPPPrrrooogggrrraaammm(((IIIUUUCCCPPP)))

(1)시험개요① 각 시험그룹별,시험포인트(low andhighmileage),해당연식에 적용② 시험그룹별 In-UseVerification 저지 시험 결과의 평균치가 규제치의 1.3배 초과하고 불합격 차량 비율이 50% 이상 일 때 In-UseConfirmatoryTest실시(단 75K 차량 데이터는 제외됨)(EPA는 시험그룹별 내,T/M 별 Subset별로 Confirmatory Test요구 가능)

③ 고지 시험 및 Evap/ORVR 시험 결과 등은 Confirmatory Test와관계없고,단지 EPA의 Recall대상 참조용으로만 사용

④ 50개주 인증 차량의 경우,저지 시험을 위해 캘리포니아 주에서 50%이하로 수배하고 49개주의 북위 40도 이상의 지역에서 나머지 샘플

⑤ 49개주 인증 차량의 경우 북위 40도 이상의 지역에서 샘플⑥ 고지 차량의 경우에는 4000ft이상의 지역에서 샘플⑦ In-Use Confirmatory Test 시작전, EPA에 Vehicle 샘플,

Maintenance,시험 절차를 제출⑧ SFTP Composite 경우, In-Use Verification Test의 FTP/US06

및 열화계수 미적용 인증 SC03데이터 사용

Page 58: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45-

⑨ 시험 결과의 평균치가 규제치 이상이면 recall

(2)시험개시 및 종료․ In-Use Verification Test 종료후 3개월 이내 시작,7개월 이내종료

(3)시험차 대수․ 시험차량 10대 선정,초기 5대 시험 결과의 평균치가 규제치의 75%이하이고 불합격 차량이 없으면 시험 종료 가능

(4)시험항목 :FTP및 SFTP(SFTP:LEV/ULEV/SULEV차량 면제)

444)))IIInnn---UUUssseeeTTTeeesssttt제제제출출출서서서류류류

(1)제작사가 8년간 보관/유지 서류(시험그룹별,Evap/ORVRFamily별)① 장비 상관성 서류② 시험실 장비의 정도관리 서류③ 시험차량 샘플관련 서류(랜덤 샘플링 방법 포함)

(2)In-Use Verification Test의 경우,분기 종료 30일 이내 EPA에 제출 서류

① 배출가스 시험결과② 시험 차량 입수 시 실시된 Inspection/Diagnostic/Maintenance기록 및 절차

③ 시험 차량 입수 후 실시된 Inspection/Diagnostic/Maintenance기록

Page 59: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46-

(3)In-Use Verification Test실시 차량 중 규제치 불만족 차량은 72시간 내에 EPA에 보고

(4)In-Use Verification Test시작전 30일 이내 시험실 명칭 및 위치EPA에 보고

(5)In-UseConfirmatoryTest경우,제작사 8년간 보관 유지 서류① 시험실 장비의 정도관리 서류② 시험차량 샘플관련 서류(6)In-Use Confirmatory Test경우,시험 종료 30일 이내 EPA 제출

서류① 배출가스 시험결과② 시험 차량 입수 시 실시된 Inspection/Diagnostic/Maintenance기록 및 절차

③ 시험 차량 입수 후 실시된 Inspection/Diagnostic/Maintenance기록

555)))차차차량량량 수수수배배배 방방방법법법

(1)TestSample① MFR Record 또는 Owner Registration List로부터 MasterOwnerList취득

② MailingArea는 TestSite로부터 최소 반경 20Mile이내

(2)선정 기준① 연간 필요 시험차대수의 5배로 제작사의 권유문을 1등 우편으로 발송

Page 60: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47-

② 2-4주후에 응답률이 20% 미만일 경우,미응답 대상자에게 추가 발송③ 긍정 응답자에게 Random하게 전화설문 실시④ 필요 차량이 확보되지 않은 경우,필요 수량의 차량이 확보될 때까지새로운 대상에게 Mail발송

⑤ EPA사전승인을 득한 경우,AlternativeSelectionMethod사용 가능

(3)시험차 획득 불가 기준① 대상자가 불참 의사를 밝힌 경우② 차량소유자가 MailingArea밖으로 이주한 경우③ Mail이 전달되지 않은 경우④ 대상자가 두 번의 시도에도 응답하지 않은 경우⑤ 대상 차량의 Mileage또는 년식이 적합하지 않을 경우

666)))수수수배배배차차차량량량 RRReeejjjeeeccctttiiiooonnnCCCrrriiittteeerrriiiooonnn

① 주행거리 오작동 또는 제거,주행거리가 시험조건을 벗어난 경우② 배출가스 관련장치의 조작 또는 유연연료 사용 차량③ 가혹한 조건에서 사용된 차량④ 충돌사고 또는 엔진수리(piston, Crank, Cylinder Head, EngineBlock)차량

⑤ 엔진,T/M,배기시스템의 개조로 인한 극심한 소음 또는 Fluid누유차량

⑥ 차량,시험설비,시험자의 안전에 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 차량⑦ MIL점등차량⑧ EPA의 사전승인을 득한 Item을 지닌 차량

Page 61: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48-

222...유유유럽럽럽

가가가...제제제작작작차차차 배배배출출출가가가스스스 인인인증증증제제제도도도

111)))인인인증증증제제제도도도

-EU국가(통합인증방식)WVTA(Whole Vehicle Type Approval)에 규정된 EEC의 각 법규항목 인증서를 취득하고,이 인증서에 따른 WVTA 검사 통과후 판매

-기타 유럽 국가(국별인증방식)수출 대상국별로 요구되는 ECE 법규 항목(EEC도 가능)인증서를 취득하고,이 인증 및 자국법에 따른 NTA(NationalType Approval)검사 통과후 판매

222)))인인인증증증취취취득득득 절절절차차차

-EU국가

부품형식승인 WVTA

COC

등록시스템형식승인

제작사/수입업자 소비자

Page 62: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49-

(1)부품/시스템 형식승인대표국 인증기관의 감독관 입회하에 인증시험시설을 갖춘 장소(제작사또는 해외 인증기관)에서 각 항목(배출가스,소음등)에 대해 시험을실시,법규 요건 만족시 인증서 획득

(2)전체차량 형식승인(WVTA)부품/시스템 형식승인서를 취득한 후 WVTA을 한 EU 국가에서 취득하면 EU 영역내에서 이 차량 형식승인서가 통용됨.따라서 WVTA취득 차량은 어떤 EU 국가로 수출하더라도 추가 검사나 교통부 서류심사를 받지 않고 바로 등록할 수 있음

(3)공장감사 및 생산적합성(COP:ConfirmityofProduction)시스템/부품 형식승인 또는 WVTA을 받으려면 공장의 품질보증절차에대한 감사를 받아야 하며,형식승인 신청시 품질보증시스템에 대한 서류를 요청받게 된다.기본적으로 ISO 9000에 의한 일반 원칙이 인증기관의 엔지니어들은 공장의 부품 입고에서부터 제조공정,최종검사과정까지 검사한다.또한,생산된 물품이 모두 형식승인된 규정을 만족하는지 여부와 운영자들이 제대로 실행하고 있는지를 확인한다.최초검사에 통과한 이후,일정기간마다 방문조사가 이루어진다.

-기타 유럽 국가

부품형식승인

NTA(NationalType

Approval)

등록시스템형식승인

제작사/수입업자 소비자

Page 63: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50-

(1)국별 인증방식자국 인증제도에 따라 국가별로 인증을 취득해야 한다.자국법규를 대신하는 통합법규(ECE/EEC)항목들에 대한 시스템/부품 형식승인서를 취득하는 방법은 EU 국가의 경우와 동일하다.통합법규와 다른 특별한 자국법규가 있을 경우 이에 대한 적합성 시험과 검사를 받아야차량 형식승인을 취득할 수 있다.

(2)공장감사 및 생산적합성(COP:ConfirmityofProduction)부품/시스템 형식승인 또는 차량 형식승인을 받으려면 공장의 품질보증절차에 대한 감사를 받아야 한다.국가별로 양산차에 대한 COP가정기적으로 실시된다.

나나나...인인인증증증 주주주무무무기기기관관관

111)))승승승인인인당당당국국국(((AAApppppprrrooovvvaaalllAAAuuuttthhhooorrriiitttyyy)))

승인당국이란 차량 및 시스템/부품의 형식에 대하여 승인서를 발급하고필요에 따라 취소하기도 하며,기타 회원국가의 승인당국과 업무창구역할을하는 등 형식승인의 전반에 대하여 책임을 가지는 소관 관청을 의미한다.이는 제작자의 생산적합성을 확인해 주는 책임도 지닌다.-독일 :KBA-프랑스 :MDE-영국 :DOT-네덜란드 :RDW- 룩셈부르크 : SNCT-H(Society National Control Technique

Homologation)

Page 64: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51-

[그림 3-2]유럽의 인증 업무처리 절차

Page 65: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52-

222)))인인인증증증대대대행행행기기기관관관(((TTTeeeccchhhnnniiicccaaalllSSSeeerrrvvviiiccceee)))

인증대행기관이란 회원국가의 승인당국을 위하여 시험이나 검사를 수행하는 시험연구소로 지정받은 조직이나 단체를 의미한다.RDW처럼 승인당국이 자체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독일 :TUV-프랑스 :UTAC-영국 :UDE,VCA,MIRA

다다다...인인인증증증내내내구구구

111)))내내내구구구그그그룹룹룹 선선선정정정

아래 기술된 인자가 같을 경우 같은 내구그룹으로 인정된다.

□ 엔진-실린더 수-엔진 배기량(15%이내)-실린더블럭 형상-밸브 수-연료 시스템-냉각시스템 형식-연소구조-실린더 보어 중심에서의 중심치수

Page 6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53-

□ 배기가스 처리시스템-촉매장치․ 촉매 및 엘리먼트 수․ 촉매형상 및 크기(모노리스 부피의 10%이내)․ 촉매 활성 형태(산화,삼원촉매등)․ 귀금속량(identicalorhigher)․ 귀금속비(15%이내)․ 담체(구조와 재질)․ 셀 밀도․ 촉매 캐이싱 타입․ 촉매부착위치(배기시스템에서의 위치 및 구조,촉매 입구에서의 온도 편차가 50K이내,이 온도는 120km 및 배출가스 시험시에 체크된다)

-공기 분사․ 유무․ 형식(pulsair,airpumps,등)-EGR유무□ 관성범위□ 기타 :bodytype,gearbox(자동,수동),휠 사이즈 또는 타이어형태

222)))내내내구구구시시시험험험

제작사는 내구시험모드를 이용하여 내구시험을 수행하거나 아래의 지정열화계수를 사용할 수 있다.또한 지정열화계수를 사용하여 먼저 배출가스 시험을 보고 내구시험이 종료된 후 그 결과를 이용하여 시험결과를 수정할 수있다.

Page 67: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54-

[표 3.1]유럽의 지정열화계수

엔진형식 지정열화계수CO HC XOx HC+XOx PM

불꽃점화 1.2 1.2 1.2압축착화 1.1 - 1.0 1.0 1.2(1)Forcompression-ignitionenginedvehicles

(1)인증내구 모드내구 모드는 AMA 11-Lap를 이용하고,제작사에서 요청시 당국의 승인을 받아 개선내구모드를 사용할 수 있다.

(2)배출가스 측정배출가스 보증거리는 80,000km이며,최초 0km에서 시험을 하고 매10,000km(±400km)마다 시험을 한다.열화계수 산정을 위한 배출가스 시험방법은 ECE15+EUDC시험방법에의한다.

(3)열화계수 산정열화계수 산정시에는 0km에서의 시험은 제외한다.각 포인트에서의 시험결과를 이용하여 최소자승법에 의해 배출가스량과 주행거리와의 관계도를 그리고 아래와 같이 계산한다.

여기서,=6,400km에서의 배출가스 시험결과

=80,000km에서의 배출가스 시험결과

시험결과는 소수점 4자리까지 나타내고 최종결과는 소수점 3자리까지계산된다.

Page 68: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55-

라라라...배배배출출출가가가스스스 시시시험험험

111)))배배배출출출가가가스스스 동동동일일일차차차종종종 분분분류류류기기기준준준

배출가스 동일차종 분류 기준은 내구그룹 선정기준과 동일하다.

□ 엔진-실린더 수-엔진 배기량(15%이내)-실린더블럭 형상-밸브 수-연료 시스템-냉각시스템 형식-연소구조-실린더 보어 중심에서의 중심치수

□ 배기가스 처리시스템-촉매장치․ 촉매 및 엘리먼트 수․ 촉매형상 및 크기(모노리스 부피의 10%이내)․ 촉매 활성 형태(산화,삼원촉매등)․ 귀금속량(identicalorhigher)․ 귀금속비(15%이내)․ 담체(구조와 재질)․ 셀 밀도․ 촉매 캐이싱 타입

Page 69: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56-

․ 촉매부착위치(배기시스템에서의 위치 및 구조,촉매 입구에서의 온도 편차가 50K이내,이 온도는 120km 및 배출가스 시험시에 체크된다)

-공기 분사․ 유무․ 형식(pulsair,airpumps,등)-EGR유무□ 관성범위□ 기타 :bodytype,georbox(자동,수동),휠 사이즈 또는 타이어형태

222)))증증증발발발가가가스스스 동동동일일일차차차종종종 분분분류류류기기기준준준

① A/F공급 방법② 증발가스 포집방법③ 증발가스 정화방법④ 연료탱크 형상,연료탱크 및 연료호스의 재질⑤ 연료공급장치의 밀봉 및 배출 방법

333)))시시시험험험차차차량량량 선선선정정정기기기준준준다음 선정조건에 의해 시험차량이 선정된다.

□ 차체공기역학적 측면에서 가장 열악한 차량,제작사는 선택을 위해 필요한자료를 제출하여야 한다.

□ 타이어가장 넓은 타이어,타이어크기가 세종류 이상이면,차상급으로 넓은

Page 70: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57-

타이어□ 시험중량가장 높은 관성중량을 갖는 차량

□ 엔진가장 큰 열교환기를 갖는 차량

□ 변속기다음의 각 변속기 차량이 시험에 포함된다.-전륜구동-후륜구동-상시 사륜구동-선택 사륜구동-자동변속기-수동변속기

444)))시시시험험험항항항목목목[표 3.2]유럽의 인증시험항목

시험 구분 규제 명칭 가솔린(M&N) 디젤(M1&N1)TypeⅠ 배기관가스 O(GVW≤3.5t) O(GVW≤3.5t)TypeⅡ 공회전 CO O(GVW>3.5t) X

TypeⅢ크랭크케이스

가스O X

TypeⅣ 증발가스 O(GVW≤3.5t) XTypeⅤ 내구성시험 O(GVW≤3.5t) O(GVW≤3.5t)TypeⅥ 저온 CO&HC O XOBD O O

Page 71: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58-

마마마...운운운행행행차차차 사사사후후후관관관리리리(((CCCOOOPPP:::CCCooonnnfffooorrrmmmiiitttyyyooofffPPPrrroooddduuuccctttiiiooonnn)))

111)))수수수시시시검검검사사사(((PPPrrroooddduuuccctttiiiooonnnCCCooonnnfffooorrrmmmiiitttyyy)))

유럽의 경우 생산단계에서의 차량이 인증시 받은 배출가스 기준에 적합한지에 대한 확인을 한다.이때의 시험은 배기관가스,아이들시험,크랭크케이스가스시험,증발가스 시험으로 구성된다.시험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1)당국에 의해 선정된 차량은 제작사에 의해 어떠한 조정도 할 수 없음(2)규정된 시험방법에 의해 시험이 수행되고 그 시험결과에 열화계수를 적

용하여 최종결과를 산출함(3)당국이 인증서에 정해진 내용에 따라 제작사의 생산표준편차를 만족할

경우 부록 5.의 규정을 따르고,만족하지 않을 경우 부록 6.의 규정을따름

(4)판정기준․ 시험한 차량이 모든 배출가스에 대해 합격기준을 만족할 경우 그차는합격으로 처리되고 한가지 배출가스라도 불합격 판정기준에 이를 경우 그차는 불합격으로 처리

․ 한 가지 배출가스가 합격 판정을 받으면,다른 배출가스 시험항목을위한 추가시험시 그 결과는 변하지 않음

․ 모든 배출가스 항목이 합격기준에 도달하지 못하거나 한가지 배출가스 항목이 불합격판정기준에 도달할 경우 그 차량은 시험이 종료됨(그림3.3)

Page 72: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59-

(5)차량 길들이기-단 제작사의 요청이 있을 경우 다음의 길들이기를 할 수 있음․ 불꽃점화방식의 차량의 경우 3,000km까지․ 압축착화방식의 차량의 경우 15,000km까지이 경우 길들이기 절차는 차량의 조정없이 제작사에 의해 수행됨

-제작사가 차량의 길들이기 ('x'km,여기서 불꽃점화엔진 장착 차량에대해서 x≤3,000km, 압축점화엔진 장착 차량에 대해서 x≤15,000km)를 원하면,절차는 다음과 같음․ 첫 번째 차량은 주행거리 0km와 xkm에서 시험을 수행․ 0km와 xkm에서의 배출가스 산정계수(<1)

․ 다른 차량들은 길들이기를 하지 않고 이 배출계수 산정계수를 곱하여최종 결과를 산출할 수 있음

(6)시험연료 :시중에서 판매하는 연료를 사용하고,제작사가 요청시는 법에 규정된 연료를 사용 가능

(7)배기관 배출가스를 측정한 차량은 크랭크캐이스 가스 검사를 수행

(8)OBDOBD시스템의 성능 확인시험은 다음에 따라 수행된다.

-형식승인기관이 생산품질이 만족스럽지 못하다고 결정하면,차량은 무작위로 계열에서 선택되고 정해진 OBD시험방법에 따라 검사됨

-계열에서 선택된 차량이 필요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면 추가적으로 4대의무작위 표본이 계열에서 취해져야 하며, 추가시험함. 이 검사는15000km 이상 주행하지 않은 차량에 대해 수행

Page 73: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60-

-최소 3대의 차량이 정해진 OBD 시험방법에 기술된 검사의 필요조건을만족하면 합격

차량 3대시험

시험통계 계산

(1),(2)규정에 따라 적어도 한개의배출가스 항목이 불합격 판정기준에

해당되는가?

(1),(2)규정에 따라 적어도 한개의배출가스 항목이 합격 판정기준에

해당되는가?

한개 이상의 배출가스 항목이 합격판정기준에 해당됨

모든 배출가스 항목이 합격기준에해당되는가?

추가 차량 시험

해당차종불합격

해당차종합격

아니오

아니오

아니오

[그림 3.3]유럽의 COP처리 절차

Page 74: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61-

222)))결결결함함함확확확인인인검검검사사사(((IIInnn---ssseeerrrvvviiiccceeeCCCooonnnfffooorrrmmmiiitttyyy)))

< < < < 유 럽유 럽유 럽유 럽 IN - U S E TE S T IN - U S E TE S T IN - U S E TE S T IN - U S E TE S T > > > >

차 량차 량차 량차 량 선 정선 정선 정선 정 (인 증 기 관인 증 기 관인 증 기 관인 증 기 관 )

차 량차 량차 량차 량 점 검점 검점 검점 검 (제 조 업 체제 조 업 체제 조 업 체제 조 업 체 )

In S e rv ice S u rv ey (인 증 기 관인 증 기 관인 증 기 관인 증 기 관 )

V o lun ta ry R em ed ia l P lan (제 조 업 체제 조 업 체제 조 업 체제 조 업 체 )

A ud it o f In -S e rv ic e C on fo rm ity (인 증 기 관인 증 기 관인 증 기 관인 증 기 관 )

R em ed ia l P lan (제 조 업 체제 조 업 체제 조 업 체제 조 업 체 )

R eca ll C am pa ign (인 증 기 관인 증 기 관인 증 기 관인 증 기 관 )

미 조 치 시미 조 치 시미 조 치 시미 조 치 시미 조 치 시미 조 치 시미 조 치 시미 조 치 시미 조 치 시미 조 치 시미 조 치 시미 조 치 시

- R and om B ase

- 10년년년년 또 는또 는또 는또 는 16만만만만 km 이 하이 하이 하이 하- 차 종 당차 종 당차 종 당차 종 당 6대대대대 (1 0대 까 지대 까 지대 까 지대 까 지 가 능가 능가 능가 능 )

- 적 절 한적 절 한적 절 한적 절 한 M a in ten an ce

- 적 절 한적 절 한적 절 한적 절 한 차 량 사 용차 량 사 용차 량 사 용차 량 사 용 (연 료연 료연 료연 료 /과 부 하과 부 하과 부 하과 부 하 )

- 45일 전일 전일 전일 전 제 조 업 체 에제 조 업 체 에제 조 업 체 에제 조 업 체 에 통 보통 보통 보통 보- 시 험 후시 험 후시 험 후시 험 후 1 0일일일일 이 내 에이 내 에이 내 에이 내 에 결 과결 과결 과결 과 제 조 업 체제 조 업 체제 조 업 체제 조 업 체 통 보통 보통 보통 보- 통 보 접 수통 보 접 수통 보 접 수통 보 접 수 2 5일일일일 이 내이 내이 내이 내 S ta tem en t 제 출 가 능제 출 가 능제 출 가 능제 출 가 능 (T es t R epo r t첨 부첨 부첨 부첨 부 , 추 가 조 사 요 청추 가 조 사 요 청추 가 조 사 요 청추 가 조 사 요 청 )

- S u rvey 시 험시 험시 험시 험 끝 나 기끝 나 기끝 나 기끝 나 기 전전전전 제 출제 출제 출제 출

- 회 원 국회 원 국회 원 국회 원 국 정 기정 기정 기정 기 M on ito ring

- 인 증 기 관인 증 기 관인 증 기 관인 증 기 관 S u rv ey M on ito r in g

- 제 조 업 체제 조 업 체제 조 업 체제 조 업 체 관 련 시 험 결 과관 련 시 험 결 과관 련 시 험 결 과관 련 시 험 결 과

- 60일일일일 이 내 에이 내 에이 내 에이 내 에 제 출제 출제 출제 출- 인 증 기 관 은인 증 기 관 은인 증 기 관 은인 증 기 관 은 3 0일일일일 이 내이 내이 내이 내 승 인 여 부승 인 여 부승 인 여 부승 인 여 부 결 정결 정결 정결 정

- 5년 간년 간년 간년 간 자 료 보 존자 료 보 존자 료 보 존자 료 보 존 (인 증 관인 증 관인 증 관인 증 관 요 구 시요 구 시요 구 시요 구 시 제 출제 출제 출제 출 )- C am pa ign 시 점시 점시 점시 점 명 시명 시명 시명 시

- 인 증 취 소인 증 취 소인 증 취 소인 증 취 소 가 능가 능가 능가 능

[그림 3.4]유럽의 결함확인 절차도

기존의 유럽 IN-USE는 자국 IN-USE법규에 준해 진행 되어 왔으며 주로독일,화란,스웨덴 정도의 국가에서만 자국 IN-USE법규에 준해 실시하고 있었으나,향후 모든 EC국가들은 "EC공통 IN-USE 법규"를 따라야 한다.이상에서 보는 바와 같이 EC법규는 미국의 "CAP-2000"법규를 참조하여 만들었으나,내용은 현실에 맞도록 훨씬 간단하게 줄였다(Low/HighMile구분 없으며,고도(HighAltitude)운행차 시험요구삭제 등).금년('03년)에는 영국의 인증대행기관(VCA)주관으로 IN-USE시험을 실시할 예정이다.또한, 보증거리는 5년 또는 80,000km이고 2005년부터는 5년 또는

100,000km로 확대된다.

Page 75: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62-

(1)결함확인검사 차종분류 기준결함확인검사시 다음의 세분 기준에 따라 동일차종으로 분류된다.① 연소과정(2행정 또는 4행정)② 실린더 수③ 실린더 블록 형상(직렬,V,수형,대향형등)④ 연료공급방식(직접,간접식)⑤ 냉각시스템 형식(수냉식,공랭식,오일식)⑥ 흡기방식(자연흡기식,강제순확식)⑦ 연료(가솔린,디젤,NG,LPG등)⑧ 촉매형식(삼원촉매 등)⑨ DPF유무⑩ EGR유무⑪ 엔진 실린더 체적(가장 큰 실린더 체적의 30%이내)

(2)제작사 제출정보결함확인검사는 인증당국에 의해 수행되고 제작사는 다음의 관련 정보를제공하여야 한다.① 제작사명 및 주소② 제작사에서 제공한 지역 대표자의 이름,주소,팩스번호,이메일주소③ 차량의 모델명④ 결함확인 차종분류내의 차량 형식목록⑤ 차대번호⑥ 결함확인 동일차종내의 인증개수⑦ 이 인증서내의 동일차종⑧ 제작사가 정보를 수집한 기간⑨ 차량 생산기간⑩ 제작사의 결함확인 절차

Page 7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63-

․ 차량 보관방법․ 차량 선정 및 제외차량 선정 기준․ 시험방법 및 절차․ 결함확인 동일차종 분류를 위한 제작사의 수락 및 거절 기준․ 제작사가 대상차량을 선정하는 지역에 대한 정보․ 선정차량 대수 및 선정계획

⑪ 제작사의 결함확인 절차에 다음사항이 포함되어야 함-차량 정보․ 모델명․ 차대번호․ 차량등록번호․ 제작일․ 운행지역․ 타이어-차량을 선정에서 제외한 이유-선정한 각 차량의 서비스 이력-시험 결과․ 시험일․ 시험장소․ 차량주행거리․ 시험에 사용된 연료 스펙․ 시험조건(온도,습도,동력계관성중량)․ 동력계 설정값(도로부하력등)․ 시험결과(동일차종당 3대이상)-OBD시스템으로 부터의 기록

Page 77: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64-

(3)사후조치제작사에서 제출하는 결과를 가지고 형식승인기관은 다음의 사항에 대하여 결정을 한다.

-차량이 추가적인 결함확인검사나 별도의 조치가 필요한 지에 대한 결정-제작사에 의해 제공된 데이터가 결정을 내리는데 불충분한지,또는 추가적인 정보나 시험 데이터가 필요한지에 대한 결정

- 차량 형식,결함확인이 불만족스러운지 또는 Appendix 3에 따라 결함확인 절차를 진행할 것인지에 대한 결정

-형식승인 기관은 제작사가 특별한 차량에 대한 결함확인 절차 Appendix4에 따라 하지 않도록 요청할 경우 Appendix3에 따라 결함확인을 수행할 수 있다.․ 배기관가스 검사를 통해 배출가스 제어장치의 확인검사를 할 경우Appedix4에 정의된 통계 기준에 따르는 시험절차를 이용

․ 형식승인기관은 제작사의 협조하에 정상적인 조건에서 주행된 차량을선정해야 함,제작사는 차량을 선정하는데 협조해야 하며 차량의 최종검사에 참가할 수 있음

․ 제작사는 형식승인 기관의 감독하에,제작사의 잘못(예:시험 이전의유연 휘발유의 사용)이라고 볼 수 없는 성능저하의 합당한 원인들로인하여 기준치를 초과하는 차량에 대하여도 검사를 수행할 수 있음.단 이 검사결과는 그러한 원인들을 규명해야 하지만,이에 대한 시험결과는 적합성 검사(conformitycheck)에서 제외된다.

․ 형식승인기관이 부록 6.에 정의된 기준에 따른 검사결과에 만족하지못할 시에는 결함조치를 하고 동일한 결함에 노출될 가능성이 있는 동일한 차량 형식에 포함되는 운행중인 차량들에 대하여 확대 실시한다.또한 제작사에 의해 제시된 수리 계획은 형식승인기관에 의해 승인을받아야 한다.제작사는 승인된 수리 계획의 실행에 대한 책임을 진다.형식승인기관은 30일 이내에 결정사항을 모든 회원국들(Member

Page 78: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65-

States)에게 통지하여야 한다.회원국들(Member States)은 그들의영토내에서 등록된 동일한 형식의 모든 차량에 수리조치 계획이 적용되도록 요구할 수 있다.

․ 만약 한 회원국에서 실시한 결함확인 검사에 불합격할 경우 즉시 최초의 형식승인을 부여한 회원국들에게 통보해야 한다.

․ 이후 회원국들은 제작사에게 결함 시정명령을 통지한다.․ 제작사는 이 통지이후 2달이내에 조치계획을 제출하고,해당기관은2달이내에 조치계획 및 실행에 대하여 제작사와 협의한다.만약 형식승인인 기관과 2달이내에 조치계획 및 실행에 대한 동의를 얻지못할 경우 인증취소에 준하는 조치가 취해져야 한다.

(4)결함확인 절차(선정기준 및 시험절차)

□ 선정 및 제외기준이 정보는 차량 시험과 차량소유자와의 인터뷰에 의해 얻어진다.

① 차량은 인증을 받은 차량이어야 하고 EU연합에서 등록되고 운행한 차량을 선정

② 6개월 또는 15,000km(가능한한 늦은차량), 5년 또는 80,000km(가능한한 빠른차량)

③ 제작사의 정비지침서에 따라 정상적으로 정비됨을 보여주는 정비기록이있는 차량

④ 배출가스 특성에 영향을 주는 악조건(경주,과부하,비정상연료사용,또는 tempering)운행기록이 없는 차량,OBD 적용차량의 경우 컴퓨터에 기록된 주행정보 및 오작동코드가 고려되어야 함.만약 컴퓨터에 기록된 정보가 수리없이 오작동코드가 켜진 상태에서 주행된 차량은 선정에서 제외되어야 함

Page 79: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66-

⑤ 엔진 또는 차량의 주요부품이 공인된 정비소에서 수리된 차량은 제외⑥ 차량에서 채취된 연료의 납 및 황성분이 규정된 값의 범위에 들어야 한다.배기관에서 샘플도 가능

⑦ 시험실 담당자의 안전에 위험요소가 없어야 함⑧ 배출가스 관련부품은 형식승인을 받은 제품이어야 함

□ 점검 및 정비시험전에 다음사항의 점검 및 정비가 실행된다

① 점검항목air filter, all drive belt, all fluid levels, radiator cap, allvacuum hoses, 배출가스방지장치와 관련된 전기선, 점화, fuelmetering,배출가스관련부품의 조정상태 및 tempering

② OBD장치 점검OBD오작동기록 및 적정 수리여부만약 Prep기간동안 오작동 지시등이 켜질 경우 fault가 나타나고 수리하여 다시 시험함

③ 점화시스템 점검결함부품은 교체(스파크플러그,케이블 등)

④ 압축 점검부적합시 차량 선정 제외

⑤ 엔진 파라미터 점검(제작사 사양에 따라)필요시 조정

⑥ 정비후 800km내에 주행시도 제작사가 요청하면 오일 및 에어필터 교환⑦ 시험연료는 법에 정한 기준연료로 교체 사용 가능

□ 결함시정 계획① 불합격 판정될 때 형식승인 당국은 제작사에게 결함시정 계획을 요청

Page 80: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67-

② 결함시정 계획은 요청후 60일 이내에 제출해야 하고 당국은 제출후30일 이내에 승인여부를 결정.단 제작사가 정밀한 결함조사를 위해시간을 더 요청할 경우 연장 가능

③ 결함조치는 결함에 영향을 받는 모든 차량에 적용.인증서의 수정 필요성이 첨부

④ 제작사는 시정조치 계획에 관련된 모든 서류 제출 및 recallcampaign

⑤ 결함시정 계획에 다음의 사항이 포함되어야 함-각 차량 정보-차량의 조정,변경,수리,교체 등에 취해진 초치에 대한 제작사의 기술적 자료

-제작사가 차량 소유자에게 고지하는 방법-수리조치의 계획에 따라 수리를 위한 적합한 조건으로 제작사가 규정한 적절한 관리 또는 사용에 대한기술 및 그러한 조건을 선정하게 된제작사의 이유의 설명.만약 결함과 수리 조치가 명백히 관련이 없을경우 조치 불가.

-결함을 시정하기 위해 차량 소유주들이 따라야 하는 절차.이것은 수리 조치가 취해질 날짜,작업장에서 수리에 소요되는 추정시간,그리고 수리가 실시될 장소.

-차량 소유주에게 제공한 자료의 사본-수리 작업 및 구성요소나 장치의 충분한 공급을 위해 제작사가 사용하는 장치에 대한 간략한 설명.리콜(recall)을 실시하기에 충분한 구성요소나 장치의 공급이 언제 이루어지는지 명시.

-수리를 실시하는 작업자에게 보내진 모든 지시의 사본-각각의 차량 형식에서의 배기가스,연료소비율,운전성,그리고 안정성에 대한 제안된 수리조치의 영향을 기술.이러한 결론을 뒷받침하는자료,기술 연구를 바탕으로 수리조치 계획.

Page 81: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68-

- 수리조치계획이 리콜(recall)을 포함할 때,수리내역의 기록 방법에관한 설명서.

⑥ 개조,수리 또는 변경의 효과를 증명하기 위한 시험을 제작사에 요구가능

⑦ 제작사는 리콜(recall)되고 수리된 모든 차량과 수리가 취해진 작업장의 기록을 보관.또한 형식승인기관은 수리조치의 계획이 실시된 이후5년 동안 요청시 기록에 접근 가능.

⑧ 수리,변경 또는 새로운 장치의 추가는 제작사에 의해 차량소유주에게제공되는 증명서에 기록.

(5)결함 판정 절차(i)배출가스 과다 배출차량이 있을 경우① 배출가스 과다 배출차량이란 EURO 3기준을 적용하는 차량은 기준의 1.2배 초과하는 차량,EURO 4기준을 적용하는 차량은 기준의1.5배 초과하는 차량임.

② 배출가스 과다 배출차량중 기준의 2.5배 이하인 차량이 있는 경우-초과 원인 조사 및 다른 차량 1대 추가 시험-추가 차량도 동일 원인에 의해 과다 배출차량으로 판명시․ 그 차량은 불합격 처리되고 결함시정조치(제작사와 승인당국이 인정시)

․ 추가 차량 시험(제작사와 승인당국이 인정하지 않을 시)-1대이상이 과다배출차량이 생기고 제작사와 형식승인기관이 과다배출차량이 동일 원인이 아니라고 인정시 추가 시험

-최대 샘플차까지 시험하여 동일원인에 의한 과다배출차량이 1대 이상이 아닐 경우 그차는 합격

③ 배출가스 과다 배출차량중 기준의 2.5배 이상인 차량이 있는 경우

Page 82: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69-

-초과 원인 조사 및 다른 차량 1대 추가 시험-추가 차량도 동일 원인에 의해 과다 배출차량으로 형식승인당국이 결정시 제작사에 불합격차량,결정사유,결함시정계획등에 대해 통보

-1나의 차량만이 이 조건에 부합하거나 다른 원인에 의해 과다 배출로판정시 계속 시험

-최대 샘플차까지 시험하여 동일원인에 의한 과다배출차량이 1대 이상이 아닐 경우 그차는 합격

(ii)배출가스 과다배출차량이 없을 경우아래 표에 따라 합격 불합격 판정

[표 3.3]결함확인검사 합격 불합격 판정기준누적 표본 개수 통과 결정 값 실패 결정 값

3 0 -4 1 -5 1 56 2 67 2 68 3 79 4 810 4 811 5 912 5 913 6 1014 6 1115 7 1116 8 1217 8 1218 9 1319 9 1320 11 12

Page 83: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70-

▣ 업무 Flow (Step 1)▣ 업무 Flow (Step 1)▣ 업무 Flow (Step 1)▣ 업무 Flow (Step 1) ▶ 2000년( E U R O-3) 이 후 차 종 부 터 적 용 ▶ 2000년( E U R O-3) 이 후 차 종 부 터 적 용 ▶ 2000년( E U R O-3) 이 후 차 종 부 터 적 용 ▶ 2000년( E U R O-3) 이 후 차 종 부 터 적 용

▶ 제작사 자체시험결과 관청제출 ▶ 제작사 자체시험결과 관청제출 ▶ 제작사 자체시험결과 관청제출 ▶ 제작사 자체시험결과 관청제출

▶ 공식 Survey 실시여 부 판단 ▶ 공식 Survey 실시여 부 판단 ▶ 공식 Survey 실시여 부 판단 ▶ 공식 Survey 실시여 부 판단

*보고서제출 내용:E/M 결과,차량선정 Procedure,

차량점검,Maintenance,Lab 등

불만족시

필요시만족시

불필요시

IN-USE 시험보고서 제출(관청 요구시 제조업체가 제출)

보고서검토 (관청)

추가자료제출필요검토(관청)

업무종결

추가자료 제출(제조업체)

공식 IN-USE SURVEY실시 (관청)

유럽 Emission In-use유럽 Emission In-use유럽 Emission In-use유럽 Emission In-use

[그림 3.5]유럽의 결함확인 절차(제작사 자체시험)

Page 84: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71-

▣ 업 무 Flow (Step 2)▣ 업 무 Flow (Step 2)▣ 업 무 Flow (Step 2)▣ 업 무 Flow (Step 2)

▶ 공 식 Su rvey 실 시 (관 청 /제 작 사 입 회 ) ▶ 공 식 Su rvey 실 시 (관 청 /제 작 사 입 회 ) ▶ 공 식 Su rvey 실 시 (관 청 /제 작 사 입 회 ) ▶ 공 식 Su rvey 실 시 (관 청 /제 작 사 입 회 )

N o

1번 시 험

Yes

2번 시 험

No

Ye s

Yes Ye s

Fa il

No

N o

N o Yes Yes

P ass

N o

3대 시 험

규 체 치 초 과

판 정 Tab l e 적 용 1대 이 상 ?

동 일 원 인 ?

최 대 대 수 ?

불 합 격 ?

합 격 ?

시 험 대 수

1대 증 가시 험 대 수

1대 증 가

[그림 3.6]유럽의 결함확인 절차(승인당국 확인)

Page 85: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72-

333...일일일본본본

가가가...자자자동동동차차차 형형형식식식지지지정정정제제제도도도

일본은 우리나라와 달리 안전성능 형식승인과 배출가스 인증을 함께 취급하고 있다.인증의 종류에는 정식 인증에 해당되는 형식지정제도(Type Designation

System),연간 10,000대 미만의 생산차 또는 특수용도차(구급차,순찰차)등에 해당되는 신차 신고제도(Type Notification System) 및 연간 2,000대 미만이 판매되는 수입자동차에 적용되는 수입차특별취급제도(PreferentialHandlingProcedure)가 있다.일본의 자동차 형식승인 및 등록절차를 그림3.7에 나타내었다.

111)))신신신청청청자자자-자동차제작자 및 일본에 자동차를 수출하고자 하는 외국의 자동차 제작자-자동차제작자로부터 자동차를 구입하기 위한 계약을 맺은 자동차 판매자

222)))신신신청청청서서서 제제제출출출 및및및 첨첨첨부부부서서서류류류-자동차구조,장치 및 성능을 기재한 제원표-외관도 및 외관 사진-보완기준에 작합하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는 서류-구조․장치의 개요설명서-기타 자동차의 구조․장치 및 성능에 관한 필요한 서류-완성검사 및 장치의 검사업무 조직을 한 서류

Page 8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73-

ⅠⅠⅠ...형형형식식식 지지지정정정제제제도도도□□□ 장장장치치치의의의 형형형식식식지지지정정정

□□□ 자자자동동동차차차의의의 형형형식식식지지지정정정

ⅡⅡⅡ...신신신형형형자자자동동동차차차 신신신청청청제제제도도도

ⅢⅢⅢ...수수수입입입자자자동동동차차차 특특특별별별취취취급급급제제제도도도

[그림 3.7]일본의 자동차 형식인증 및 등록 절차도

신청 심사 장치 형식지정

신청 ․차량심사․기준적합성 서면심사․품질관리체제 서면심사

※ 형식승인을 받은 장치는 심사생략

형식지정 제작사등이행하는 완성검사 신규검사

(완성검사종료증발행)

(샘플링검사)

신청 ․차량심사․기준적합성 서면심사 심사결과 통지 신규검사

(1대마다검사실시)

신청 기준적합성 서면심사 신청확인서교부 신규검사

(1대마다검사실시)

등록

사용

리콜

Page 87: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74-

-완성검사 및 장치의 검사 실시요령을 기재한 서류-자동차검사용기기의 관리요령을 기재한 서류-완성검사 종료증의 발행요령을 기재한 서류-점검정비방법을 기재한 서류-구매계약서 체결시 계약서 사본

333)))심심심사사사내내내용용용

-차량심사 :교통안전공해연구소 차량심사부-기준적합성 서면심사-품질관리체제 서면심사

444)))형형형식식식지지지정정정

-장치에 대한 형식지정을 받은 경우는 심사를 생략하고 형식지정-장치에 대한 형식지정을 받지 않은 경우는 장치에 대하여 별도로 형식지정을 받은 후 자동차의 형식지정

555)))완완완성성성차차차 검검검사사사

-제작자등의 시설․장비를 이용하여 완성차 검사-필요시 감사-완성차 검사증 발행

666)))신신신규규규검검검사사사 :::샘플링 검사

Page 88: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75-

777)))등등등록록록,,,사사사용용용 및및및 리리리콜콜콜

-등록후 사용중 발생하는 결함에 대하여 리콜 실시

나나나...신신신형형형 자자자동동동차차차 신신신청청청제제제도도도

111)))신신신청청청자자자-자동차제작자 및 일본에 자동차를 수출하고자 하는 외국의 자동차 제작자-자동차제작자로부터 자동차를 구입하기 위한 계약을 맺은 자동차 판매자

222)))신신신청청청서서서 제제제출출출 및및및 첨첨첨부부부서서서류류류-자동차구조,장치 및 성능을 기재한 제원표-외관도 및 외관 사진-보완기준에 작합하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는 서류-구조․장치의 개요설명서-기타 자동차의 구조․장치 및 성능에 관한 필요한 서류-점검정비방법을 기재한 서류-구매계약서 체결시 계약서 사본

333)))심심심사사사내내내용용용

-차량심사 :교통안전공해연구소 차량심사부-기준적합성 서면심사

Page 89: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76-

-제작자의 완성검사 미실시-지정 DF사용

444)))신신신규규규검검검사사사

-자동차 1대마다 검사

555)))등등등록록록,,,사사사용용용 및및및 리리리콜콜콜

-등록후 사용중 발생하는 결함에 대하여 리콜 실시

다다다...수수수입입입자자자동동동차차차 특특특별별별취취취급급급제제제도도도

111)))신신신청청청자자자-외국의 자동차제작자(자동차제작자와 판매계약을 체결한자 포함)가 년간1형식당 2000대 이하의 자동차를 판매할 때 적용

222)))신신신고고고-운수대신에 수입차특별취급자동차신고서 제출-첨부서류․ 차량제원표․ 외관도 및 외관사진․ 구조․장치의 개요설명서․ 도로운송차량의 보완기준에 적합하다는 것을 증명하는 서류

Page 90: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77-

ⅰ 보완기준적합 검토서ⅱ 시험성적표․ 소음 및 배출가스 품질관리 설명서․ 판매계약서 사본․ 차대번호 타각신고서 및 원동기의 형식 타각신고서(사진)․ 기타 심사시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서류

333)))심심심사사사 및및및 신신신청청청확확확인인인서서서 발발발급급급-운수성 자동차교통국 기술안전심사과장은 신청서의 첨부서류를 검토하여도로운송차량의 보완기준규정에 적합시 수입차특별취급자동차신청확인서50부 발급

-추가 발급 요구시 시험성적표 1부 제출될 때 마다 50부 교부-판매중단시 미사용 신청확인서 반납하고,재교부는 하지 않음

444)))신신신청청청확확확인인인서서서 교교교부부부 특특특별별별조조조치치치

-“신형자동차의 시험방법에 대하여”에 의거 별도 지명한자의 확인하에 실시하는 시험에 있어서 과거에 기준부적합사항이 발견되지 않았을 때에는300부 이상 신청확인서 교부시에는 시험성적표 1부에 대하여 100부 이내에서 교부

-자동차제작자가 형식지정신청을 할 때와 예비심사신청을 할 때에는 1형식당 년간 3000대 이내에서 신청확인서를 교부,단,예비심사후 형식지정신청을 하지 않을 때에는 2000대를 초과하여 교부한 신청확인서는 다음 1년간에 교부한 신청확인서의 부수에 포함

Page 91: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78-

[표 3.4]일본의 형식승인제도 비교형식지정제도(Type

DesignationSystem)

신형자동차 신고제도(TypeNotification

System)

수입차특별취급제도(PreferentialHandling

Procedure)

판매기준 10,000대/년 이상 2,000대/년 이상 3,000대/년 이상

심사기준

-제출서류 심사-Sample심사-제품균일성 확보체제 심사

-제출서류 심사-Sample심사

-제출서류 심사

형식승인 형식지정 형식인가 신고완료서 교부

심사기관 운수성 운수성JAIA

(JapanAutomobileImportersAssociation)

심사기간-법규 :2개월-관례 :1-2년 소요

-법규 :1.5-2개월-관례 :6개월 소요

-법규 :1개월-관례 :2개월 소요

시험기관 운수성 지정 시험기관 운수성 지정 시험기관 JAIA 지정 시험기관

비 고

-차량심사부터 형식지정을 받기까지 2년정도 소요

-해당 해외자동차 공장에 대한 운수성심사 및 승인심사 절차가 매우 까다로움

-각 차량에 대한 신차검사 실시(배출가스 면제)

-배출 :50대당 1대-소음 :100대당 1대(최초),300대당 1대(최초이후)

Page 92: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79-

ⅣⅣⅣ...제제제작작작차차차 인인인증증증제제제도도도 개개개선선선방방방안안안

111...개개개요요요배출가스의 관리체계에는 자동차 생산전 단계인 인증,생산공정에서 관리하

는 양산차관리,배출가스 보증기간이내에서 운행중인 자동차의 배출가스를 관리하는 운행차 배출가스관리(In-use Program)및 자동차의 출고에서 폐차까지 배출가스를 관리하는 운행차 배출가스 검사/정비제도(I/M Program)이있다.우리나라는 인증제도로서 자동차의 양산전 인증서류의 검토 및 배출가스,증발가스,COLD CO 시험을 통하여 제작차 배출허용기준 만족여부를 결정하여 인증서를 발급하는 사전인증제도를 실시하고 있고,양산차 관리에서는수시검사 및 정기검사를,운행차 배출가스관리로는 결함확인검사와 OBD 장착을 실시하고 있다.미국(SEA:Selective Enforcement Audit)과 유럽(COP)도 우리나라의

수시검사와 유사한 양산차관리를 실시하고 있으나 정기검사는 실시하고 있지않다.배출가스 보증기간내에서 운행되고 있는 자동차가 제작차 배출허용기준을

만족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검사제도로 미국,유럽,우리나라는 결함확인 검사를 실시하고 있다.결함확인 검사는 자동차 소유자의 자동차를 임차하여 검사용 자동차로 사용하기 때문에 검사용 자동차의 선정 및 시험에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그러므로 결함확인검사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가능하면 결함가능성이 높은 차종을 선정하기 위하여 배출가스 실태조사 및 배출가스 결함정보 보고 등의 자료를 통하여 대상 차종을 선정해야 한다.또한 미국과 유럽은 실제 운행되고 있는 차량의 배출가스를 저감시키기 위

하여 사전인증제도는 간소화하고 결함확인 검사의 확대 및 강화된 결함확인 검

Page 93: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80-

사 제도를 실시하고 있다.이상과 같은 효율적인 관리체계를 위한 인증제도를 인증,양산차관리,결함

확인제도로 나누어 검토하고자 한다.

222...제제제작작작자자자동동동차차차 인인인증증증우리나라의 경우 인증신청,내구시험,배출가스시험을 거쳐 인증서를 발급

하는 과거 미국의 인증제도를 채택하여 왔다.그러나 이러한 제도는 제작사에서 배출가스 보증기간에 해당하는 기간을 내

구주행사이클(AMA 11-LAP 또는 내구개선모드)에 의해 주행하여 단계별 측정결과에 의하여 DF를 구하는데 장시간(12-14개월)이 소요되어 새로운 모델의 자동차를 개발하고 상품화하는데 많은 비용과 기간이 걸리는 어려움이 있다.따라서 최근 미국에서는 내구그룹을 신설하여 내구시험 차량을 줄여 인증단계에서의 제작사의 부담을 줄이고 운행차 사후관리를 강화하는 CAP 2000제도를 2001년부터 적용하고 있다.이에 미국의 인증제도를 따르고 있는 우리나라도 미국의 새로운 인증제도인

CAP2000의 적용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그러나 이제도를 도입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전제조건이 반영되어야 한다.

-제작사와 정부간의 상호 신뢰 구축- 정부의 good engineering judgement가 가능한 유연한 조직과 기술력이 확보된 인력의 확충

-In-use자동차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제작사의 시설․장비 확보

Page 94: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81-

111)))내내내구구구에에에 관관관한한한 검검검토토토

(1)내구차종에 관한 검토-현재 우리나라의 내구 DF의 경우 제작사 자체적으로 실시하여 산출하고 있고 이에 대한 사후 검토가 부족한 실정임

-따라서 제작사 내구시험 차량 감소를 통해 제작사의 양산시기 조절에대한 자율권을 보장하고 환경부의 경우에는 산출 DF에 대한 철저한검토를 할 수 있도록 미국의 내구그룹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으로 사료됨

(2)ADP내구모드 적용에 관한 검토현재까지는 AMA 11-Lap또는 개선내구모드를 사용하여 왔으나 보증기간이 확대됨에 따라(80,000km→160,000km) 시험기간이 길어져(약14개월 소요)자동차 경쟁에서 매우 중요한 차량개발 단축을 위한새로운 내구사이클이 요구된다.따라서 미국에서는 제작사에서 자율적으로 개발한 내구사이클을 제시하고 EPA에서 기술적인 검토로 모드를 인증한다.국내에서는 다음의 사항을 고려하여 ADP내구모드 적용

-정부에서 기술적으로 인정한 표준 ADP사이클 적용(in-use결과를반영하여 보완 가능)

-소형과 대형 등 차종별 ADP사이클 개발은 제작사에서 개발하여 제시할 경우 기술적 검토로 사용을 인정(정확한 in-use결과를 대표할 수 있는 차종별 내구모드 개발)

-국내 제작사의 수출차종에 대해 외국에서 인정받은 ADP 사이클과

Page 95: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82-

외국 제작사의 자국에서 인정받은 수입차량의 ADP사이클 사용인정(국내제작사의 경우 국내용과 수출용의 별도 내구모드 개발을 통한비용의 절감을 꾀하고,수입차의 경우 무역분쟁의 소지를 억제)

-In-use시험결과에 따라 표준 ADP사이클 및 별도 승인 ADP사이클 수정․보완 실시

222)))배배배출출출가가가스스스 시시시험험험에에에 관관관한한한 검검검토토토

(1)인증차종에 대한 검토-현재 우리나라의 경우 배출가스,증발가스,COLD CO를 동일한 그룹으로 묶고 있어 각 오염물질별 대표 차종에 대한 분류 기준이 없음

-이에 배출가스,증발가스,COLD CO를 각각의 동일차종으로 분류하고 이에대한 차종 선정도 각각의 오염물질을 대표할 수 있는 차종으로나누어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함

(2)기준변경시의 인증시기 조절 방안 검토-현재는 배출가스허용기준이 변경되는 시점에 모든 차종이 새로운 인증을 받아야 하기 때문에 차량 개발 및 인증기간 등에 대한 제작사의부담이 큼

-또한 공인시험기관이 자동차 공해연구소 1곳으로 시설 및 인력의 부족으로 인한 시험일정이 길어지는 등의 문제가 있음

-이에 기준변경에 따른 기본인증 시험시 제작사 자체 시험을 인정하고필요시 확인시험을 하는 제도가 필요함

Page 9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83-

(3)배출가스 인증시험-자동차제작사의 자체 인증시험결과를 인정하고 인증시험기관(자동차공해연구소)에서 시험시는 제작사 자체성적서를 참고용으로 함께 제출토록 함

-인증시험시 제작사의 인증시험결과와 인증시험기관의 인증시험결과에차이가 심할 경우 배출가스 시험장비에 대한 정도관리를 실시

-필요시 공인시험기관에서의 확인시험을 실시

333...사사사후후후 관관관리리리

111)))양양양산산산차차차 관관관리리리

사전인증을 받아 사용자에게 판매하기 전에 생산과정에서 인증 내용과 동일한 수준으로 자동차를 생산하는지를 관리하는 제도로서 우리나라에서는 수시검사와 정기검사를 실시하고 있다.미국과 유럽은 필요시 무작위 선별하여 확인검사를 하는 SEA(Selective

Enforcement Audit) 과 COP(Conformity of Production)를 실시하고있다.우리나라는 현재 중량차를 제외하고 가솔린차량은 미국의 시험방법 및 기준

을 적용하고 있고 디젤차량은 향후 유럽의 시험방법 및 기준을 적용할 예정이어서 인증제도의 국제적 표준화를 위해 사후관리에 있어서 미국 및 유럽의 인증제도와 통일시키는 방안을 검토하여야 할 것이다.또한 정기검사의 경우 제작사가 자체 시설을 이용하여 스스로 시험하여 그 결

과를 환경부에 보고하고 있고 현재까지 부적합된 차량이 없어 그 실효성이 적다.

Page 97: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84-

이에 다음사항의 개선이 필요-정기검사는 제작사가 필요시 자체 실시 이를 관리자료로만 활용-가솔린 자동차의 경우 미국의 제도로,디젤 자동차의 경우 유럽의 제도로변경하여 인증시험과 통일

222)))결결결함함함확확확인인인 검검검사사사

결함확인 검사는 사전인증과 양산차 관리 과정을 거쳐 판매된 차량이 실제운행하면서 배출가스보증기간 동안 배출가스허용기준 이내로 성능을 유지하면서 운행되는지를 확인하는 제도이다.이 제도는 실제 운행하는 차량의 배출가스를 관리하는 제도이므로 실질적인 배출가스 저감을 위한 관리를 위해서는 이제도의 효율적인 개선이 필요하다.현재 우리나라에서 실시하고 있는 결함확인 제도에서는 다음과 같은 몇가지

의 문제점이 있다.

-사전모니터링제도의 운영 부족예산 및 시설․인력의 부족으로 많은 차량을 대상으로 시험할 수 없으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결함 가능성이 높은 차량을 선정할 수 있는 사전 모니터링 제도가 필요

-제작자의 과도한 참여현행 규정상 제작사가 결함확인검사 제반비용(차량 임차비,정비점검비,차량운반비 및 보험료,시험의뢰비,절차수행에 대한 행정비,관련공무원출장비 등)을 지불하므로 제작사의 과도한 참여로 차량선정시 제작사가유리한 방향으로 차량을 선정하려는 경향이 큼

-결함확인검사 대상자동차의 소유자에 대한 혜택 미흡

Page 98: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85-

현재는 자동차의 임대비용과 일부무료점검․정비만을 제공하고 있어 소유자의 참여가 미흡한 실정임

-결함확인검사 전문인력 부족결함확인검사의 효율적인 수행을 위해서는 대상자동차의 선정,점검․정비,검사,결함요인 분석 등에 기술적인 판단이 필요하나 현재 이에 대한자동차공해연구소의 조직 및 인력이 부족한 실정임

-예산 부족미국 EPA의 경우 인증을 모델년도로 매년 받기 때문에 이에 대한 충분한인증료로 모든 결정을 EPA의 주도로 시행하고 있음

□ 개선방안-In-useVerificationProgram 도입제작자 자체 또는 환경부의 참여하에 많은 차량에 대한 사전 스크린시험을 할 수 있는 미국의 In-useVerificationProgram 도입

-결함확인검사 대상자동차의 소유자에게 혜택 부여미국과 같이 참여자에 대한 비용보상등의 인센티브제도의 도입

-결함확인 시험절차 개선․ 현지조사는 결함확인검사기관 또는 설문조사기관에서만 실시(제작사배제)

․ 향후 OBD시행에 대비한 관련사항 삽입-운영비용 및 조직에 대한 확충․ 결함확인에 대한 모든 사항을 환경부 주도하에 실시 할 수 있도록 기술적인 판단을 할 수 있는 인력 및 조직 확충

․ 미국과 같이 인증비용을 통한 예산 확보

Page 99: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86-

ⅤⅤⅤ...국국국내내내․․․외외외 시시시험험험방방방법법법 비비비교교교

111...국국국내내내․․․외외외 배배배출출출가가가스스스 허허허용용용기기기준준준

가가가...국국국내내내 배배배출출출가가가스스스 허허허용용용기기기준준준

(1)현행 배출가스 허용기준현재 우리나라는 승용차 및 소형화물차에는 미국의 시험방법과 기준을 적

용하고 있고,중량자동차에는 유럽의 시험방법과 기준을 적용하고 있다.본장에서는 시험방법간 비교시험을 통해 각 오염물질별 허용기준을 분석하기위하여 가솔린승용차와 소형경유자동차만을 비교하고자 한다.차종별 구체적인 기준은 다음과 같다.

-가솔린승용차 :미국의 LEV 기준 적용-휘발유경차,LPG승용차 :미국의 TLEV 기준 적용-휘발유소형화물자동차 :미국의 LEV 기준 적용-휘발유중량자동차 :유럽의 EURO4수준-경유소형화물차 :유럽의 EURO3기준 적용-경유중량차 :유럽의 EURO3수준

(2)향후 우리나라의 배출허용기준2006.1.1이후부터 우리나라는 휘발유자동차의 경우 미국의 기준치와 시

험방법을 적용하고,경유자동차는 유럽 기준치와 시험방법을 적용할 예정이다.차종별 구체적인 기준은 다음과 같다.

Page 100: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87-

-휘발유승용차는 미국 캘리포니아의 ULEV 기준 적용․ 2006년부터 Phase-in및 intermediate기준적용-가스자동차 및 경차는 휘발유승용차와 동일기준 적용-경유자동차는 유럽의 EURO4기준 적용․ 신차 2007년/기존차 2008년부터 기준 적용

나나나...외외외국국국의의의 배배배출출출가가가스스스 허허허용용용기기기준준준

(1)미국(연방정부)1994년에 Tier-Ⅰ 기준을 적용하였고 2004년에 Tier-Ⅱ 기준으로 강

화하였고 Tier-Ⅱ의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승용차/LDT의 NOx 0.4g/mile → 0.07g/mile로 강화하며, 2004년부터 2008년까지 Phase-in적용

-Tier-Ⅰ과 Tier-Ⅱ 중간에 NLEV 프로그램 진행

(2)미국 캘리포니아1992년에 LEV-Ⅰ 기준을 적용하였고 2002년에 LEV-Ⅱ 기준으로 강

화하였고 LEV-Ⅱ의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승용차의 NOx0.3g/mile→ 0.07g/mile로 강화-NMOGfleetaverage년간 약 10%로 급격히 강화-LDT2기준은 승용차와 동일

Page 101: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88-

-증발가스 2.0g/mile→ 0.5g/mile로 강화(3-daydiurnal)-보증기간 100,000mile→ 120,000mile로 강화-SULEV 기준도입-ZEVpartialcredit도입

(3)유럽2000년에 EURO3기준이 시작되며 2005년에 EURO4기준을 시행

-EURO4기준에서는 NOx와 PM이 각각 50%씩 저감되도록 강화

(4)일본-디젤자동차․ 신단기 규제치 :2002년까지 NOx,PM 30% 삭감목표 설정․ 신장기 규제치 :2007년까지 NOx,PM 50% 삭감목표 설정-가솔린자동차․NOx,HC약 70% 삭감과 내구요건 강화(2005년까지 50% 삭감)

Page 102: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89-

[표 5.1]현행 국내․외 배출허용기준 비교

차 종 국가 적용기간 중량 배출허용기준(g/km)

CO HC NOx PM HCHO

가솔린승용차

한국 ‘02.7이후 2.11/2.61

0.047/0.056 0.12/0.19

미국 LEV('01이후)

2.11/2.61

0.047/0.056

0.12/0.19(0.031/0.044)

0.009/0.011

유럽 EURO3('00이후) 2.3 0.2 0.15

일본 2000.10.1이후 0.67 0.08 0.08

경유소형화물차

한국 '02.7이후

t<1.7 0.95 0.08 0.65 0.07

t>1.7 " " 0.78 0.09

미국 LEV(‘01이후)

t<1.7 2.11/2.61

0.047/0.056 0.12/0.19 -/

0.050.009/0.011

t>1.7 2.73/3.42

0.062/0.081 0.25/0.31 0.05/

0.060.011/0.014

유럽 EURO3(‘00이후)

RM≤1250 0.64 0.06 0.50 0.051251≤RM≤1700

0.80 0.07 0.65 0.07

RM>1700 0.95 0.08 0.78 0.10

일본 (‘02이후)GVW<1.7 0.63 0.12 0.28 0.052

GVW>1.7 " " 0.49 0.06

-한국의 휘발유승용차의 경우 NMHC로 측정하고 미국의 경우 NMOG로 측정함.-한국과 미국의 기준은 보증기간이 5년 또는 80,000km/10년 또는 160,000km 의 기준임.

-t(ton),시험중량 :차량의 공차중량 +136kg-RM(Referencemass),시험중량 :차량의 공차중량 +100kg-미연방의 LEV 기준중 일부 오염심화지역은 ‘99년부터 적용됨.-미국의 NOx()기준은 캘리포니아 기준임.

Page 103: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90-

다다다...국국국내내내․․․외외외 차차차량량량분분분류류류 기기기준준준국내․외의 차량분류 기준을 표 5.2에 나타내었다.[표 5.2]국내․외 차량분류 기준국가 종류 정의 규모

한국

경자동차

사람 또는 화물을 운송하기 적합하게 제작된 것 엔진배기량 800cc미만

승용자동차

사람을 운송하기 적합하게제작된것

승용 1엔진배기량 800cc 이상,차량총중량 2.5톤 미만,승차인원 8인이하 및 차량너비2,000mm,높이 1,800mm미만

승용 2 엔진 배기량 800cc 이상, 차량총중량2.5톤 미만의 다목적형 승용자동차

승용 3 엔진배기량 800cc 이상,차량총중량 3.5톤 미만 및 승차인원 15인 이하

승용 4 차량 총중량 3.5톤 이상

화물자동차

화물을 운송하기 적합하게제작된 것

화물 1 엔진배기량 800cc이상 및 차량총중량 2톤 미만

화물 2 엔진배기량 800cc이상 및 차량총중량 2톤 이상 3.5톤 미만

화물 3 차량 총중량 3.5톤 이상

미국

소형승용차(LightDutyVehicle) 승차인원 12인이하 차량

소형화물차(Light Light DutyTruck)

차량 총중량 8500lb(3856kg) 이하, 공차중량6000lb(2721kg) 이하 차량 및 화물을 운송하거나 승차인원 12인 이상 자동차

중형화물차(Light Heavy DutyTruck)

차량 총중량 8500lb 이하,공차중량 6000lb 이상 차량 및 화물을 운송하거나 승차인원 12인 이상자동차

중량자동차(Heavy DutyVehicle)

차량 총중량 8500lb 초과 및 공차중량 6000lb이상 자동차

유럽

승용자동차

적어도 4륜 또는 1000kg이상으로 3륜을 가지며 승객운속용으로 사용

M1 승차인원 8인 이하,차량총중량 3500kg이하

M2 승차인원 8인 이상,차량총중량 3500kg초과,5000kg이하

화물자동차

적어도 4륜 또는 1000kg이상으로 3륜을 가지며 화물운반용으로 사용

N1 차량총중량 3.5톤 이하N2 차량총중량 3.5톤 초과 12톤 이하N3 차량총중량 12톤 초과

미국

승용자동차 승차인원 10인 이하 자동차버스 승차인원 11인 이상 자동차

미니트럭(MT) 배기량<660cc,차길이≤3300mm,차폭≤1400mm

소형화물차(LDV) 차량총중량≤2.5톤

Page 104: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91-

222...배배배출출출가가가스스스 시시시험험험방방방법법법 비비비교교교시시시험험험

가가가...비비비교교교시시시험험험모모모드드드

배출가스 시험방법별 비교시험은 전세계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다음의 3가지시험방법으로 시험하였다.

-CVS-75모드 :한국,미국 시험방법-유럽 EC모드(ECE15+EUDC)-일본 10․15모드

(1)CVS-75모드(FTP-75)현재 우리나라에서 인증시 사용하고 있는 시험방법으로 12-36시간 항온,

항습이 된 주차실에서 주차시킨후 다음 그림의 시험방법에 따라 차대동력계에서 시험한다.

[그림 5.1]CVS-75모드

Page 105: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92-

(2)유럽 EC모드(ECE15+EUDC)유럽에서 시행하고 있는 시험방법으로 6-36시간 항온,항습이 된 주차실

에서 주차시킨후 다음 그림의 시험방법에 따라 차대동력계에서 시험한다.우리나라는 향후 디젤자동차의 경우 이 방법에 의해 시험할 예정이다.

주기 일반정보

도시주행모드

-평균차속 :19km/h-주행시간 :195초-주행거리 :1.013km※ 도시주행주기의 주행거리 :기초도시주행주기 주행거리 ×4=4.052km

추가도시주행모드-평균차속 :62.6km/h-주행시간 :400초-주행거리 :6.995km-최고속도 :120km/h

[그림 5.2]유럽 EC모드(ECE15+EUDC)

Page 1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93-

(3)일본 10․15모드일본에서 시행하고 있는 시험방법으로 적어도 15분간 60±2km/h의 속

도로 차량을 예열시킨후 다음 그림의 시험방법에 따라 차대동력계에서 시험한다.

[그림 5.3]일본 10․15모드

Page 107: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94-

나나나...비비비교교교시시시험험험결결결과과과

미국,유럽,일본의 각 시험방법에 의해 가솔린,LPG,디젤 차량별로 배출가스 시험한 결과를 분석하였다.

(1)시험대상차종-가솔린승용차 :18대-LPG차 :3대-디젤차 :5대

(2)시험결과․ 가솔린승용차(18대)

시험항목CVS-75모드(한국,미국)

일본 10․15모드유럽 EC모드(ECE+EUDC)

CO(g/km) 0.365 0.086(77%↓) 0.792(117%↑)

HC(g/km) 0.037 0.009(76%↓) 0.084(128%↑)

NOx(g/km) 0.037 0.016(58%↓) 0.072(95%↑)

※ ()은 CVS-75모드 대비 증감율을 나타냄

- 배출가스 시험결과 CO,HC,NOx의 경우 우리나라의 시험방법인CVS-75모드에 의한 시험보다 일본 시험방법의 경우 각 오염물질이77,76,58% 적게 배출되었고 유럽 시험방법의 경우 117,128,95% 높게 배출되었음.

Page 108: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95-

시험방법간 배출가스 비교

0.00

0.10

0.20

0.30

0.40

0.50

0.60

0.70

0.80

0.90

HC NOx CO

배출

가스

(g/k

m)

CVS-75

유럽 EC모드

일본 10-15모드

[그림 5.4]가솔린자동차의 시험방법별 배출가스 비교

․ 디젤차(5대)

시험항목 CVS-75모드 일본 10․15모드유럽 EC모드(ECE+EUDC)

CO(g/km) 0.407 0.415(1.9%↑) 0.475(16.7%↑)

HC(g/km) 0.050 0.061(22.3%↑) 0.070(39.8%↑)

NOx(g/km) 0.699 0.690(1.3%↓) 0.709(1.5%↑)

PM(g/km) 0.069 0.073(5.4%↑) 0.087(25.8%↑)

※ ()은 CVS-75모드 대비 증감율을 나타냄

-PM의 경우 일본 및 유럽시험방법에서 5.4,25.8% 높게 배출되었음.

Page 109: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96-

시험방법간 배출가스 비교

0.00

0.10

0.20

0.30

0.40

0.50

0.60

0.70

0.80

HC CO NOx PM

배출

가스

(g/k

m)

CVS-75

유럽 EC모드

일본 10-15모드

[그림 5.5]디젤자동차의 시험방법별 배출가스 비교

․ LPG승용차(3대)

시험항목CVS-75모드(한국,미국)

일본 10․15모드유럽 EC모드(ECE+EUDC)

CO(g/km) 0.945 0.160(83%↓) 2.220(135%↑)

HC(g/km) 0.034 0.007(79%↓) 0.092(169%↑)

NOx(g/km) 0.028 0.032(13%↑) 0.053(90%↑)

※ ()은 CVS-75모드 대비 증감율을 나타냄

-배출가스 시험결과 가솔린차와 유사한 경향을 보임

Page 110: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97-

시험방법간 배출가스 비교

0.00

0.50

1.00

1.50

2.00

2.50

HC NOx CO

배출

가스

(g/k

m)

CVS-75

유럽 EC모드

일본 10-15모드

[그림 5.6]LPG자동차의 시험방법별 배출가스 비교

․ 시험모드 분석

CVS-75(미국,한국)

유럽 EC모드(ECE

15+EUDC) 비 고시간(초) % 시간 %

구간별분석

공회전 339 18.0 260 22.0유럽 모드의 경우 CVS-75모드에 비해 급가속 급감속구간이 많음.

급가속 288 15.3 192 16.3급감속 282 15.0 198 16.8

완만한가속 254 13.5 55 4.7완만한감속 200 10.6 38 3.2정속 516 27.5 437 37.0합계 1879 100 1180 100

일반분석

평균속도 34.1km/h 33.6km/h 유럽 모드의 경우 CVS-75모드에 비해 평균속도가 작고 최고속도는 높음.

총주행거리 17.77km 11.007km총시간 1874초 1180초최고속도 91.2km/h 120km/h

Page 111: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98-

다다다...비비비교교교시시시험험험 결결결과과과분분분석석석

각국의 시험방법별 비교시험 결과 가솔린 자동차의 경우 우리나라의 시험방법인 CVS-75모드로 시험한 결과가 유럽의 시험방법에 비해 CO,HC,NOx의 각 오염물질이 117,128,95% 적게 배출되었고 일본의 시험방법에 비해서는 77,76,58% 높게 배출되었다.이는 유럽 시험방법인 ECE15+EUDC모드의 경우 CVS-75모드에 비해

급가속 급감속 구간이 많고,평균속도가 작고 최고속도는 높은데서 기인하는것으로 사료된다.이에 반에 미국 및 유럽 시험방법은 장시간 차량을 주차시킨후 차량 엔진이

냉간인 상태에서 시험이 시작되나 일본 시험방법의 경우 엔진이 충분히 예열된상태에서 시험함으로 써 배출가스가 다른 시험방법에 비해 적게 배출된다.LPG자동차의 경우도 가솔린 자동차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디젤 자동차의 경우는 우리나라의 시험방법인 CVS-75모드로 시험한 결과

가 유럽의 시험방법에 비해 CO,HC,PM의 각 오염물질이 16.7,39.8,25.8% 적게 배출되었고 일본의 시험방법에 비해서도 1.9,22.3,5.4% 적게 배출되었다.또한 NOx는 세 시험방법 모두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이는 디젤 차량은 냉간 및 열간시동에 가솔린자동차에 비해 크게 영향을 안

받고 유럽의 시험방법은 급가속,급감속구간이 많은 것에 기인하여 PM이 높게배출되는 것으로 사료된다.이러한 시험결과를 반영하여 시험차량에 대한 각국의 배출허용기준을 비교

한 결과를 표 5.3에 나타내었다.가솔린승용차의 경우 CO,NOx는 유럽>미국=한국>일본순으로 배출가스 기

준이 엄격하고 HC는 미국=한국>유럽>일본순으로 배출가스 기준이 엄격한 것으로 나타났다.

Page 112: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99-

디젤소형화물차의 경우 NOx는 미국>일본>유럽>한국의 순으로 배출가스 기준이 엄격하고 PM은 미국>일본>유럽>한국의 순으로 배출가스 기준이 엄격한 것으로 나타났다.그러나 이 결과는 내수용 차량으로 시험한 결과로 각 나라별로 그 나라에 시

험방법 및 기준에 맞추어 차량을 개발하고,차종분류 기준이 각 나라별로 상이하기때문에 절대적인 기준비교는 될 수 없을 것으로 사료된다.또한 일본의 경우 가장 최근에 디젤차의 NOx,PM의 배출허용기준을 강화하여

기준이 우리나라나 유럽에 비해 엄격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 5.3]각국의 시험방법별 상관성 결과를 반영한 허용기준 비교

차 종 국가 적용기간 중량 배출허용기준(g/km)

CO HC NOx PM HCHO

휘발유승용차

한국 ‘02.7이후 2.11/2.61

0.047/0.056 0.12/0.19

미국 LEV('01이후)

2.11/2.61

0.047/0.056

0.12/0.19(0.031/0.044)

0.009/0.011

유럽 EURO3('00이후) 1.06 0.088 0.077

일본 2000.10.1이후 2.84 0.329 0.185

경유소형화물차

한국 '02.7이후 t>1.7 0.95 0.08 0.78 0.09

미국 LEV(‘01이후) t>1.7 2.73/

3.420.062/0.081 0.25/0.31 0.05/

0.060.011/0.014

유럽 EURO3(‘00이후)

RM>1700 0.81 0.06 0.77 0.08

일본 (‘02이후) GVW>1.7 0.62 0.98 0.50 0.06

Page 113: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100-

VVVIII...결결결론론론

본 연구에서는 주요 국가의 인증방법과 운행차 사후관리체계를 비교 분석하여 국내 실정에 적합한 인증방법 체계를 제한하고자 하였으며,또한 각국의 시험방법에 대한 비교시험을 통하여 배출가스 허용기준을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결론을 얻었다.

1)미국의 인증제도는 인증이후의 운행차(in-use)관리의 강화를 통해 차량의 배출가스 관련문제를 조기에 발견하여 해결하고,제작사가 저공해차량을 개발하도록 독려하는 새로운제도(CAP 2000)를 시행하고 있다.이 제도는 인증업무를 간소화하고 효율화시켜 인증에 필요한 시간과 비용을 저감시키고 대신 운행차(in-use)관리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2001년부터 시행되고 있다.

2)유럽의 인증제도는 EU회원국 전체에서 통용되는 통합인증과 개별 국가에서만 통용되는 국별인증제도로 나뉘어져 있고 미국과 마찬가지로COP(Conformity of Producition)제도를 통한 운행차관리를 강화하고 있다.

3)내구시험 관련부분은 현재 우리나라는 과거의 미국 인증방법을 적용하고있으나 양산시기 조절에 관해 제작사의 부담을 경감시키고,산출 DF에대한 철저한 검토를 할 수 있도록 내구차종선정 기준 및 내구모드를 현재 미국에서 사용하고 있는 ADP(Alternative DurabilityProgram)를 적용하는 것이 적합할 것으로 사료된다.

Page 114: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101-

4)배출가스 인증시험과 관련해서는 배출가스,증발가스를 분리하여 동일차종을 분류하고 환경부 시설․인력의 부족을 보완하기 위하여 미국과 같이 제작사 자체 시험성적서를 인정하고 필요시 확인시험을 하는 방향으로 전환하는 것이 적합할 것으로 사료된다.

5)양산차 관리에 있어서는 현재 우리나라가 가솔린차량은 미국의 시험방법 및 기준을 적용하고 있고 디젤차량은 향후 유럽의 시험방법 및 기준을 적용할 예정이어서 인증제도의 국제적 표준화를 위해 사후관리에 있어서 미국(SEA:Selective Enforcement Audit) 및 유럽의 인증제도(COP:ConformityofProduction)와 통일시키는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6)결함확인검사 제도는 제작자 자체 또는 환경부의 참여하에 많은 차량에대한 사전 스크린시험을 할 수 있는 미국의 In-use VerificationProgram을 도입하고,결함확인에 대한 모든 사항을 환경부 주도하에실시 할 수 있도록 기술적인 판단을 할 수 있는 인력 및 조직 확충이절실하다.

7)배출가스 시험방법별 비교시험 결과에 있어서는 유럽의 시험방법이 현재우리나라가 사용하고 있는 미국의 시험방법에 비해 오염물질이 과다 배출되는 것으로 나타나 향후 배출허용기준 설정시 고려되어야 될 것으로사료된다.

Page 115: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102-

참참참 고고고 문문문 헌헌헌

1. 환경부,“자동차 배출가스 인증제도 개발 및 전산화 설계”,20012. 한국자동차공업협회,“2006년 이후 중장기 자동차 배출허용기준 설정을 위한 조사연구

사업”,20023. EPA,"ControlofAirPollutionFromNewandIn-useMotorVehiclesand

NewandIn-useMotorVehicleEngines:CertificationandTestProcedures",CFRPart86,2002

4. EU,“OntheApproximationoftheLawsoftheMemberStatesonMeasurestobeTakenagainstAirPollutionbyEmissionsfromMotorVehicles”,CouncilDirective70/220/EEC,2002

5. CurrentandFutureExhaustEmissionLegislation,AVL6. ComplianceAssuranceProgram(CAP2000)FinalRule,EPA,19997. 일본의 자동차환경대책,일본환경청,19998. 금후의 자동차 배출가스 저감대책 방안,일본환경청,1998

Page 11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103-

부부부록록록 111...우우우리리리나나나라라라의의의 인인인증증증시시시험험험자자자동동동차차차의의의 정정정비비비 내내내역역역

1.내구성 시험을 위하여 주행거리를 누적하는 경우에 일정 주행거리마다 배출가스 측정에 앞서 정기정비를 실시한다.정비는 자동차의 사용 및 정비안내서의 정하는 바에 의하여 다음 정비항목을 정기적으로 실시한다.

① 점화장치② 냉각시동 촉진장치③ 공회전속도 및 공기․연료의 혼합비④ 원동기 구동벨트 장력⑤ 밸브간격⑥ 흡배기 조절밸브⑦ 원동기볼트 토오크⑧ 점화플러그 및 점화시기⑨ 연료필터 및 공기필터⑩ 크랭크케이스 배출가스 제어장치⑪ 연료증발가스 제어장치⑫ 분사시기조절⑬ 가버너조절⑭ 연료분사노즐 청소 및 정비⑮ 연료분사장치

2.수시정비정기정비 외에 비정기적으로 다음의 정비를 할 수 있다.① 점화플러그 또는 분사장치가 계속해서 실화현상을 보일 경우 교환

Page 117: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104-

② 시동이 자주 정지되거나 육안으로 식별 가능한 매연이 배출될 경우 저온시동 촉진장치의 재조정

③ 원동기의 공회전 속도가 기준속도와 300rpm 이상 차이가 나거나 시동이 자주 정지될 경우 공회전 속도 재조정

④ 촉매전환장치의 부품결함이나 정기정비의 필요성에 의한 경보가 표시될경우 내구성 시험중의 1회 정비

자동차제작자는 다음의 경우 환경부장관의 사전 승인을 받아 원동기,배출가스 제어장치,연료장치 등에 대한 비정기정비를 할 수 있다.① 부품의 결함,장치의 기능이상을 수리하더라도 시험자동차가 사용중인차량을 계속 대표하고 연소실에 직접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예비판정을한 경우(다만,점화플러그,연료분사장치 또는 제거 가능한 예연소실의 제거나 교환을 제외한다.)

② 계속되는 실화,원동기 정지,과열,연료의 누출,오일압력의 저하,충전 표시의 경보와 같은 명백한 기능 이상이 발생하여 정비 및 수리가필요한 경우

③ 연료 증발가스 제어장치에서 연료의 냄새,연료,윤활유 등의 누출 등이 있어 이의 수리가 필요한 경우

다음의 경우 재순환장치의 정비를 실시할 수 있다.① 시험자동차의 내구성 시험중 배출가스 재순환장치의 정비 경보표시가있을 경우 3회까지 정비

② 배출가스 재순환장치의 명백한 기능 이상이 발생되었을 때 이를 수리하여도 배출가스 시험결과에 대표치를 얻는데 지장이 없다고 인정되는 경우

Page 118: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105-

부부부록록록 222... 미미미국국국의의의 수수수입입입자자자동동동차차차(((CCCFFFRRR888555 SSSuuubbbpppaaarrrttt PPP)))인인인증증증 특특특별별별취취취급급급

111)))적적적용용용대대대상상상

Part86의 인증규제 불만족 차량 및 조건부로 수입 허가된 차량에 국한적용

222)))인인인증증증을을을 취취취득득득하하하지지지 않않않은은은 자자자동동동차차차의의의 수수수입입입허허허가가가 요요요건건건

(1)수입하려는 인증 규제 불만족 차량이 인증면제 또는 생략 대상이 아닌 경우 해당 인증서를 소지한 ICI(병행수입업자)가 수입

(2)최종 수입허가 요건-해당 인증서를 소지한 경우-차량을 개조하여 인증시험에 통과한 경우-인증 면제 또는 생략 대상이 될 경우-원 인증서로 커버되고 촉매 및 O2센서 적용하여 시험에 합격한 경우

333)))조조조건건건부부부 수수수입입입허허허가가가

(1)조건부 수입허가 차량은 다음의 서면보고서를 갖추어 최종승인을 취득해야 함

-차량수입자의 신원,주소,전화번호-차량소유자의 신원,주소,전화번호 및 납세자 ID번호

Page 119: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106-

-VehicleIdentification-해당법규 정보-EPA 최종승인시까지의 차량보관장소 Identification-검사 또는 시험을 실시한 행정관의 허가서-해당 차량의 실제 생산년도-해당인증서의 ID

(2)조건부 수입허가 기간 :120일

444)))인인인증증증차차차량량량의의의 최최최종종종 수수수입입입허허허가가가

(1)EPA Forms 작성 또는 EPA Computer에 데이터를 전산 제출하여 승인 취득

(2)FTP규제치를 만족(3)인증신청일로부터 15일 이내에 EPA의 구두 또는 서면통지를 받지

않을 것

555)))수수수입입입차차차의의의 검검검사사사 및및및 시시시험험험

배출가스 규제 만족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검사 또는 시험을 실시

666)))개개개조조조 및및및 시시시험험험차차차의의의 최최최종종종수수수입입입허허허가가가

(1)아래 조건 만족시 현재까지 유효한 인증서를 소지한 인증서-차령이 6년 이상된 경우-미군속 및 미정부 소속 민간인이 해외에서 소유,구매하여 사용한 차량

Page 120: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107-

(2)개조/시험 차량을 수입하기에 부적절한 EPA 인증서 소지자 List에올라있지 않은 경우

(3)EPA Form을 작성 또는 EPA Computer에 데이터(FTP 결과치)를 전산 입력하여 승인을 취득함으로써 수이 가능

(4)승인신청후 15일 이내에 EPA의 구두 또는 서면통보가 없을 경우승인 완료

(5)UsefulLife동안 EPA의 In-use시험 또는 검사를 수검

777)))정정정비비비지지지침침침서서서,,,보보보증증증 및및및 배배배출출출가가가스스스 라라라벨벨벨

(1)정비지침서 :구매자 또는 소유자에게 제공(2)보증 :UsefulLife동안 배출가스 보증 제공(3)배출가스 라벨 :엔진 부위에 읽기 쉽도록 배출가스 라벨 부착

888)))인인인증증증 면면면제제제 및및및 생생생략략략

(1)인증 면제 요건-수리 또는 개조를 위한 차량-시험차-사전인증 시험차-전시용 차

(2)인증 생략차-경주용 차

(3)최초 제작일에 근거한 생략 및 면제 요건-1968.1.1이전 제작 가솔린 LDV및 LDT

Page 121: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108-

-1975.1.1이전 제작 디젤 LDV-1976.1.1이전 제작 디젤 LDT-1978.1.1이전 제작 Motorcycle-1970.1.1이전 제작 가솔린 및 디젤 HDE

999)))벌벌벌칙칙칙

(1)조건부 승인일로부터 120일 이내에 최종 승인을 취득하지 못하는경우 세관에 이송 보관

(2)인증 미취득 차량을 판매한 수입차는 최고 $10,000/대 부과

Page 122: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109-

부부부록록록 333...미미미국국국의의의 인인인증증증서서서류류류(((CCCeeerrrtttiiifffiiicccaaatttiiiooonnnDDDooocccuuummmeeennnttt)))

111)))인인인증증증서서서류류류 종종종류류류 및및및 제제제출출출 시시시점점점

-인증서류는 각 내구그룹별로 작성,시험그룹별 특이사항은 별도로 구분해서 인증서류내에 표기

-Part1Application:인증서 발부전에 제출- Part1 Update및 Part2 Application :인증서 발부후 해당 MY의해당 CY의 1월 1일 이전에 제출(만약 인증서 발부일 기준으로 해당 CT1월 1일이 30일 이내인 경우,인증서 발효 후 90일 이전에 제출)

- Final(Part 1/Part 2) Update Application :해당 MY의 차기 CY1월 1일 이전에 제출(예 :98MY→ 99.1.1)

-RunningChange:양산차량 적용과 동시에 또는 이전에 제출-EPA 요청서류 :EPA로부터 요청 받은 날 기준 15일 이내-In-Use서류-배출가스 관련자료 보관 기간․ 일반적인 배출가스 시험자료 :1년․ 그 외 모든 인증자료 :8년

222)))PPPaaarrrttt111인인인증증증서서서류류류 포포포함함함 내내내용용용

-CorrespondenceandCommunicationInformation-DurabilityGroupDescription-Evap/ORVRGroupDescription-DurabilityTestProcedureDescription:DF산출 시험절차

Page 123: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110-

-TestGroupDescription-내구 및 배출가스 시험차량의 Identification및 Description-배출가스 기준치 및 시험결과 목록-배출가스 시험 없이 제출되는 시험항목의 ComplianceStatement-OBD-Ⅱ System Description[CARB의 경우 보다 상세한 자료 제출]-AFV차량의 Description-AECDList-인증서에 포함될 모델의 Identification및 Description-TestGroup및 Evap/ORVRFamily별 예상 판매 물량-TestGroup별 인증서 요청서(대표자 서명 및 기준치 만족 내역 포함)-CARBZEV/HEV인증서류

333)))PPPaaarrrttt222인인인증증증서서서류류류 포포포함함함 내내내용용용

-배출가스 부품의 부품번호(엔진코드 별)-주요 부품 및 시스템에 대한 기본 교정 정보(엔진코드 별)-인증서에 포함될 모델의 Identification및 Description- TestGroup 및 Evap/ORVR Family 별 예상 판매 물량(MY 종료시제출 가능)

-소유자 지침서,서비스 지침서,TSB사본-[CARB]Ratioof(NMOG/NMHC)및 (HCHO/NMHC)-[CARB]보증 내역- [CARB] Emission Control System Continuity at LowTemperature․ 인증 TLEV/LEV/ULEV/SULEV 차량에 대해 20-86F 온도에서 시험

Page 124: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111-

하여 NMOG/CO/NOx/HCHO 의 데이터가 Discontinuity 하지 않음을보여 주는 제작사 EngineeringEvaluation

444)))RRRuuunnnnnniiinnngggCCChhhaaannngggeee시시시 제제제출출출 자자자료료료

-보고시 변경 내역,사유,적용모델,배출가스에의 영향 여부 및 배출가스시험결과 제출

-각 시험그룹별 RunningChangeSummaryLog작성 제출- 제출시 인증서류의 Change Sheet불필요(사유 :오기사항을 포함해서모두 Update분에 포하되기 때문)

555)))UUUpppdddaaattteeedddAAAppppppllliiicccaaatttiiiooonnn

- Part1 Update :인증서 발부 후 발생된 Running Change 및 단순오기 사항

- Final(Part1/Part2)Update:해당 MY의 해당 CY 1월 1일부터 해당 MY종료시 까지 발생된 RunningChange및 단순 오기 사항

- 이미 생산된 차량에 대한 misbuild situation을 정정하는 것은 허용 안함.(즉,단순 오기 사항에 대해서만 허용하지만,다른 사양의 배출가스 부품 장착에 의한 수정은 허용 안함)

666)))EEEPPPAAA 추추추가가가 요요요청청청자자자료료료

-GoodEngineeringJudgement결정․ 내구그룹 분류

Page 125: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112-

․ 내구그룹내에서의 가장 열악한 내구 시험차량 선정․ In-Use열화성이 정확히 반영된 내구사이클 개발 및 적용․ 시험그룹 분류 및 가장 열악한 배출가스 시험차량 선정․ 엔진/차량 파라미터․ 데이터 C/Over,C/Across에 관한 사항․ 향후 모델에 대한 내구과정의 적합성에 관해서-ComplianceStatement의 Backdata-배출가스 관련 부품 및 AECD의 상세한 기술자료-배출가스 관련 부품 및 AECD의 상세한 교정내역-결함장치가 없음을 증명하는 정보-교정가능한 파라미터 내역-인증 차량에 대한 History-내구차량/시험차량에 실시된 각종 시험 데이터 및 주행거리 축적-인증 차량에 발생된 주요 사고에 대한 기록 및 내역-각종 시험에 대한 시험 절차-Evap/ORVR시험에 사용된 특이한 절차에 관한 사항(Canister working Capacity/Canister Bed Volume/Temp.Profile)

-VINDecodeDescription

Page 12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113-

부부부록록록 444...유유유럽럽럽의의의 인인인증증증서서서류류류(((CCCeeerrrtttiiifffiiicccaaatttiiiooonnnDDDooocccuuummmeeennnttt)))

인증서류는 다음의 사항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그림등을 포함하여 A4크기로 3부를 제출하여야 한다.

0. 일반0.1.상표 (제작사의 판매명):…………………………………………………0.2.형식과 일반 상업적 서술(들):……………………………………………….0.3.형식 구분 방법,차량에 표시가 되어 있다면(b):………………………0.3.1.그 제작사 표시의 위치:……………………………………………………….0.4. 차량의 범주(c):…………………………………………………………0.5. 제작사의 이름과 주소:……………………………………………….0.8. 조립 공장(들)의 주소(들):………………………………………………..1. 일반적인 차량의 구조 특성들1.1. 대표적인 차량의 사진들과 그림들:…………………………………..1.3.3. 구동 축(개수,위치,상호연결):……………………………………...2. 질량과 치수(e)(kg과 mm단위로)

(적용가능한 도면을 언급)2.6. running order에서의 차량중량 또는 cab 을 포함한 차체 (chassis)

의 중량 (냉각수,오일,연료,공구,비상용 바퀴와 운전자를 포함한 일반적인 장비를 포함한)(o)(최대와 최소):……………………………………

2.8.제작사가 제시한 기술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최대 중량(r)(최대와 최소):…………………………………………………………………

3. 동력장치(q)3.1. 제작사:………………………………………………………………….

Page 127: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114-

3.1.1.제작사의 엔진 코드(엔진에 표시되거나,다른 구별 방법등에 따라)3.2. 내연 기관3.2.1.1.작동 원리:불꽃 점화 /압축 점화,4행정 /2행정 (l)3.2.1.2.실린더의 개수와 배열………………………………………………………...3.2.1.2.1.실린더 직경(r):………………………………………………mm3.2.1.2.2. 행정(r):………………………….…………………………..mm3.2.1.2.3. 점화 순서:………………………………………………………..3.2.1.3.엔진 배기량(s):……………………………………………………...cm3

3.2.1.4.압축비(2):…………………………………………………………………3.2.1.5.연소실,피스톤 크라운,그리고,불꽃점화엔진의 경우,피스톤 링의

그림들……(2)3.2.1.6. 일반적인 엔진 공회전 속도(허용오차 포함)………min-1

3.2.1.6.1. high엔진 공회전 속도(허용오차 포함)…………………min-1

3.2.1.7.엔진 아이들링시에 배기가스내의 일산화탄소 량(2):………...….제작사에 의해 제시된 것처럼 % (불꽃점화엔진에만 해당)3.2.1.8. 최대정격출력(maximum net power(t):…Kw at…. min-1

(제작사의 발표값)(1)3.2.2. 연료:디젤 오일/가솔린/LPG/NG(l)일반적인 엔진 공회전 속도(공차 포함)3.2.2.1.RON (ResearchOtaneNumber):유연:………………………….3.2.2.2.RON:무연 ……………………………………………………………………3.2.2.3.연료탱크 입구:좁은 오리피스/표식(l)3.2.3. 연료 공급3.2.4.1.기화기(들)유무:예/아니오(l)3.2.4.1.1. 상표(들):…………………………………………………………3.2.4.1.2. 형식(들):………………………………………………………….3.2.4.1.3. 개수:……………………………………………………

Page 128: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115-

3.2.4.1.4. 조정(2):3.2.4.1.4.1. 제트 (jet):……………………………..3.2.4.1.4.2. 벤추리 (venture).3.2.4.1.4.3. 부표실(floatchamber)3.2.4.1.4.4. 부표 질량………………….3.2.4.1.4.5. 부표 지침(needle):…………3.2.4.1.5. 냉간시동장치 :수동/자동(1)3.2.4.1.5.1. 작동원리(들):……………………………………….3.2.4.1.5.2. 작동 한계/설정들 (1)(2):……………………………….3.2.4.2. 연료 분사 유무 (압축착화의 경우만 해당):예/아니오(1)3.2.4.2.1. 시스템 설명:………………………………………………….3.2.4.2.2. 작동 원리:직접 분사/예연소실/스월 챔버(1)3.2.4.2.3. 분사 펌프3.2.4.2.3.1. 상표(들):……………………………………………………..3.2.4.2.3.2. 형식(들):………………………………………………………3.2.4.2.3.3. 최대연료전달량(1) (2):…….mm3/stroke 또는 cycle at

pump speed of :…….min-1 또는, 다른 방법으로, 특성 도표:…………………

3.2.4.2.3.4. 분사 시기(2):……………………………………………3.2.4.2.3.5. 분사 진각곡선(2):……………………………………….3.2.4.2.3.6. 교정 절차:시험 작업대(testbench)/엔진(1)3.2.4.2.4. 조속기(governer)

3.2.4.2.4.1. 형식:……………………………………………………………3.2.4.2.4.2. 차단점(cut-offpoint)3.2.4.2.4.2.1.부하조건에서의 차단점:……………………………..min-13.2.4.2.4.2.2.무부하조건에서의 차단점:……………………………….min-1

Page 129: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116-

3.2.4.2.6. 인젝터(들)3.2.4.2.6.1. 상표(들):……………………………………………………….3.2.4.2.6.2. 형식(들):……………………………………………………………..3.2.4.2.6.3. 작동 압력(2):……….kPa또는 특성 도표(2):…………….3.2.4.2.7. 냉간시동장치3.2.4.2.7.1. 상표(들):…………………………………………………3.2.4.2.7.2. 형식(들):……………………………………………………………3.2.4.2.7.3. 설명:………………………………………………………………..3.2.4.2.8. 보조시동장치3.2.4.2.8.1. 상표(들):…………………………………………………….3.2.4.2.8.2. 형식(들)…………………………………………………………..3.2.4.2.8.3. 장치 설명:……………………………………………………….3.2.4.3. 연료분사에 의해 (불꽃 점화의 경우만 해당):예/아니오(1)3.2.4.3.1. 작동원리:흡기관(단-/다점(1))/직접 분사/기타(특수)(1):3.2.4.3.2. 상표(들):………………………………………………………………3.2.4.3.3. 형식(들):…………………………………………………………3.2.4.3.4. 장치 설명:

제어장치의 형식이나 개수………………3.2.4.3.4.1. 연료 제어기의 형식………………………3.2.4.3.4.2. 공기유량센서의 형식………………….3.2.4.3.4.3. 연료분배기의 형식…………………….. 연속분사가3.2.4.3.4.4. 압력조절기의 형식………………………. 아니면서도,그에3.2.4.3.4.5. 마이크로 스위치의 형식………………….. 상당하는3.2.4.3.4.6. 공회전 조절 스크류의 형식…………… 상세부를 갖는3.2.4.3.4.7. 스로틀하우징 (throttlehousing)의 형식… 경우의 시스템3.2.4.3.4.8. 냉각수온센서의 형식……………………3.2.4.3.4.9. 공기온도센서의 형식……………………

Page 130: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117-

3.2.4.3.4.10.온도 스위치의 형식……………………3.2.4.3.5. 인젝터:개방압력(2):……kPa또는 특성 도표(2):….3.2.4.3.7. 냉간 시동 장치3.2.4.3.7.1. 작동 원리:…………………………………………………....3.2.4.3.7.2. 작동 한계/설정(1)(2)………………………………………….3.2.4.4. 공급 펌프3.2.4.4.1. 압력(2):……… kPa또는 특성 도표(2)…………………...3.2.6. 점화3.2.6.1. 상표(들):……………………………………………………..3.2.6.2. 형식(들):……………………………………………………..3.2.6.3. 작동 원리:……………………………………………………...3.2.6.4. 점화 진각 곡선(2):……………………………………………….3.2.6.5. 정 점화 시기(2):………………………………………………….3.2.6.6. 접점 간극:…………………………………………………………...3.2.6.7. 드웰 각(dwellangle)(2):………………………………………3.2.7. 냉각 장치(액체/공기)(1)3.2.8. 흡기 장치3.2.8.1. 과급장치 :예/아니오(1)3.2.8.1.1. 상표(들):…………………………………………………………..3.2.8.1.2. 형식(들):……………………………………………………………3.2.8.1.3. 장치의 설명(예를 들면,최대 과급압,kPa,적용가능하다면 웨이

스트게이트(wastegate)):…………………………………………………..3.2.8.2. 인터쿨러 (intercooler):예/아니오(1)3.2.8.4. 흡기관과 그 부속장치들의 설명과 그림들(충진 챔버(plenum

chamber),예열 장치,추가 흡기관,등):…………………….3.2.8.4.1. 흡기관 설명(그림과 사진을 포함)…………………3.2.8.4.2. 공기여과기,그림들:

Page 131: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118-

3.2.8.4.2.1. 제작사(들):………………………………………………………3.2.8.4.2.2. 형식(들):…………………………………………………………3.2.8.4.3. 흡기 소음기,그림3.2.8.4.3.1. 상표(들):………………………………………………………3.2.8.4.3.2. 형식(들):……………………………………………………………3.2.9. 배기시스템3.2.9.2. 배기시스템의 설명과 그림:………………………………………..3.2.11. 밸브 타이밍 (valvetiming)과 대응하는 자료3.2.11.1. 밸브의 최대 수명,개폐각도,사점 (Dead Center)과 관련하

여대체 배전기의 세부 타이밍:………………………………………3.2.11.2. 기준 그리고 설정 범위(1):………………………………………3.2.12. 공기 오염에 대하여 취해지는 조치들3.2.12.1. 크랭 케이스에 있는 누설가스 재순환 장치(설명과 그림):…….3.2.12.2.추가적인 배기가스 저감 장치들(다른 주제에 포함되지 않는)…3.2.12.2.1.촉매변환기 :예/아니오 (1)3.2.12.2.1.1.촉매변환기와 그 부품들의 개수:…………………………………3.2.12.2.1.2.치수,모양 그리고,촉매장치의 체적:…………………………….3.2.12.2.1.3.촉매반응의 종류:…………………………………………………….3.2.12.2.1.4.귀금속의 총 담지량:…………………………………………………3.2.12.2.1.5.상대적인 농도:………………………………………………………..3.2.12.2.1.6.담체(구조와 재료)………………………………………………….3.2.12.2.1.7.셀 밀도 (celldensity):…………………………………………3.2.12.2.1.8.촉매변환기 케이싱 (casing)의 종류:……………………………3.2.12.2.1.9.촉매변환기의 위치(배기관에서의 위치와 기준점에서의 거리):3.2.12.2.1.10.열 차폐물 (heatshield):예/아니오(1)3.2.12.2.2. 산소센서:예/아니오(1)3.2.12.2.2.1. 형식:……………………………………………………………

Page 132: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119-

3.2.12.2.2.2. 위치:…………………………………………………………………

3.2.12.2.2.3. 제어범위:………………………………………………3.2.12.2.2.3. 공기 분사:예/아니오(1)3.2.12.2.2.3.1.형식(펄스 공기(purseair),공기 펌프(airpump)등):3.2.12.2.4. 배기가스 재순환 :예/아니오(1)3.2.12.2.4.1. 특성(유량 등):………………………………………………….3.2.12.2.5. 증발가스 제어시스템:예/아니오(1)3.2.12.2.5.1. 장치들의 세부적인 설명 및 그 조정 상태:………………..3.2.12.2.5.2. 증발가스 제어시스템의 그림:…………………………………3.2.12.2.5.3. 탄소 흡수기 (charboncanister)의 그림:……………..3.2.12.2.5.4. 건조 탄 (charcoal)의 질량:………………………………..3.2.12.2.5.5.용량과 재료를 명시한 연료 탱크의 개략도:……………………3.2.12.2.5.6. 탱크와 배기 장치사이의 열 차폐물의 그림:………………...3.2.12.2.6. 입자상물질 포집기 (particulatetrap):예/아니오(1)3.2.12.2.6.1. 포집기의 크기,모양 그리고 용량:………………………….3.2.12.2.6.2. 포집기의 형식과 설계:…………………………………3.2.12.2.6.3. 위치(배기관에서의 기준 거리):……………………………..3.2.12.2.6.4. 재생 방법 또는 장치,설명과 그림:………………………..3.2.12.2.7. 다른 장치들(설명과 작동)(1)3.2.12.2.8. 차량 탑재 진단 장치3.2.12.2.8.1. MI의 설명 및 그림:

3.2.12.2.8.2. OBD장치에 의해 감시되는 모든 부품의 목록과 목적:

3.2.12.2.8.3.기술 설명(일반적인 작동 원리):

Page 133: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120-

3.2.12.2.8.3.1. 불꽃 점화 엔진(1):

3.2.12.2.8.3.1.1.촉매 감시(1):

3.2.12.2.8.3.1.2.실화 발견(1):

3.2.12.2.8.3.1.3.산소센서 감시(1):

(1)적용할 수 없는 곳은 삭제.3.2.12.2.8.3.1.4. OBD장치에 의해서 관찰되는 다른 구성요소들

3.2.12.2.8.3.2. 압축 착화 엔진(1):(1)3.2.12.2.8.3.2.1.촉매 관찰:

3.2.12.2.8.3.2.2. 입자상물질 포집기 감시:………………………………………………………………………

3.2.12.2.8.3.2.3. 전자 분사시스템 감시(1):………………………………………………………………………

3.2.12.2.8.2.4.OBD시스템에 의해 관찰되는 다른 부품들(1):……………………………………………………………………….

3.2.12.2.8.4.MI활성화를 위한 기준(운전 사이클의 회수와 통계적인 방법):

3.2.12.2.8.5.모든 OBD출력 코드 목록과 사용된 양식들 (각각의 설명 포함):

(1)3.2.12.2.8.6. 아래의 추가적인 정보들은 그러한 정보들이 제작사나OEM 공급자들의 지적재산권이나 축적된 노하우에 의해 뒷받침될 수 없을 경우,OBD 호환 대체물이나 서비스 부품,진단장비,그리고 검사장

Page 134: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121-

비가 제조될 수 있도록 차량 제작사에 의해 공급되어야만 한다.

이 항에서 제시되는 정보들은 EC 형식 승인 인증서의 Appendix 2에서 반복될 것이다.(이 지침서의 AnnexX)

3.2.12.2.8.6.1. 차량의 본래 형식승인을 위해 사용된 준비사이클의 형식과회수에 대한 설명

3.2.12.2.8.6.2.OBD 시스템에 의해 감시되는 부품에 대한 차량의 기본형식승인을 위해 사용된 OBD 시연사이클 (demonstration cycle)의형식에 관한 설명

3.2.12.2.8.6.3.OBD 장치에 의해 관찰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관련된 2차 감시변수들의 목록을 포함한,불량 발견 및 MI활성화(일정한운전 사이클의 회수 또는 통계적 방법)를 위한 전략을 포함한 모든 감시부품들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문서.모든 OBD 출력 코드의 목록과 사용된 양식(각각의 설명을 포함)은 개별 배출물과 관련된 동력전달부품들 및 배출물과 연관없는 각각의 구성요소들과 관련되어 있으며,부품의 감시는 MI활성화를 결정하기 위해사용된다.특히,FF의 서비스 $05 TestID $21에서 제시된 자료와,서비스 $06에서 제시된 자료에 대한 포괄적인 설명이 제공되어야 한다.ISO 15765-4 '제어기 영역 네트워크(Control Area Network,CAN)에서 도로용 차량의 진단-Part4:배출관련시스템'에 따라 통신접속을 사용하는 차량 형식의 경우에 있어서,FF의 서비스 $06TestID $ 00에서 제시된 자료에 대한 포괄적인 설명이 OBD 감시 ID에대하여 제공되어야만 한다.

Page 135: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122-

3.2.12.2.8.6.4.이 항에서 요구되는 정보들은,예를 들어,다음과 같은 표를 완성함으로써 정의될 수 있는데,이는 본 Annex에 첨부될 것이다.

(1)적용할 수 없는 곳은 삭제.

(1)3.2.15. LPG공급장치 :예/아니오 (1)3.2.15.1. 지침서 70/221/EEC(*)에 따른 인증 번호3.2.15.2. LPG연료공급을 위한 전자식 엔진 관리장치3.2.15.2.1.제작사(들):………………………………………….3.2.15.2.2.형식(들):……………………………………………….3.2.15.2.3.배기관련 조정 가능성:…………………………………………….3.2.15.3. 추가 문서3.2.15.3.1.가솔린에서 LPG 또는역으로 전환시 촉매의 안전장치에 대한 설

명:…3.2.15.3.2.장치 개략도(전기 배선,진공연결보충호스,등):……………..3.2.15.3.3.기호의 그림:………………………………………………….3.2.16. NG연료 장치:예/아니오 (1)3.2.16.1. 명령 70/221/EEC(*)에 따른 인증 번호:………………….3.2.16.2. NG연료 공급을 위한 전자 엔진 관리 제어 장치:3.2.16.2.1.상표(들):……………………………………………………………….

부품 오류코드 관찰 전략오류 발견기준

MI활성화기준

2차 변수예비 조건

증명검사

촉매장치 P0420산소센서1과신호 2

센서1과센서신호2의 차이

3번째 사이클

엔진속도,엔진부하,공연비,촉매온도

두개의형식 I사이클

형식 I

Page 13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123-

3.2.16.2.2.형식(들):…………………………………………………….3.2.16.2.3.배기관련 조정 가능성:……………………………………….………3.2.16.3. 추가 문서:………………………………………………………………3.2.16.3.1.가솔린에서 NG로,또는 역으로 변환시 촉매의 안전장치에 대한

설명:……………………………………………………………………………….3.2.16.3.2.장치 개략도(전기 배선,진공연결 보충 호스,등):………..3.2.16.3.3.기호의 그림:………………………………………………….

4. 변속장치(v)4.4. 클러치(형식):…………………………………………………...4.4.1. 최대 토크 변환:………………………………………………….4.5. 기어박스4.5.1. 형식(수동/자동/CVT(1)):……………………………………...4.6. 기어비

기 어내부 기어비(축회전수 대비기어의 엔진비)

최종 드라이브비(구동휠대비 기어비)

총기어비

CVT 최대123.CVT 최소후진CVT :Contiunouslyvariabletransmission

Page 137: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124-

6. 현가장치6.6 타이어와 휠

6.6.1. 타이어/휠 조합 (타이어의 경우 크기 호칭,최소하중지수,최소속도범주기호를 표기/휠의 림의 크기와 오프셋을 표기)

6.6.1.1. 축6.6.1.1.1.축 1:.................6.6.1.1.2.축 2:.....................6.6.1.1.3.축 3:.....................6.6.1.1.4.축 4:....................기타

6.6.2 회전반경의 최대와 최소 한계6.6.2.1.축 1:......................6.6.2.2.축2:....................6.6.2.3.축 3:......................6.6.2.4.축 4:....................기타

6.6.3.차량 제작사에서 추천하는 타이어 압력.............kPa

9. 차체 구조9.10.3.좌석9.10.3.1.수:.....................

Page 138: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125-

시시시험험험조조조건건건의의의 정정정보보보

1. 점화 플러그1.1.상표:..............................................................................1.2.형태:.............................................................................1.3.전극 간격 조정:........................................................

2. 점화 코일2.1. 상표:.........................................................................2.2. 형태:..........................................................................

3. 점화 축전기3.1. 상표:..........................................................................3.2. 형태:..........................................................................

4. 윤활제 사용4.1 상표:.........................................................................4.2 형태:..........................................................................

Page 139: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126-

부부부록록록 555...유유유럽럽럽의의의 생생생산산산 확확확인인인검검검사사사 절절절차차차(1)이 절차는 제작사의 생산 표준편차가 만족할 만 할때 생산차의 배기관

가스 검사에 관한 것이다(2) 최소 3대의 표본이 사용되어야 하며,표본추출 절차는 생산불량이

40%일때 시험을 통과할 확률이 0.95(생산자의 위험=5%)이고,생산불량이 65%일때 통과할 확률이 0.1(소비자의 위험=10%)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3)기준치로부터의 표준편차의 합을 정량화하는 샘플의 시험통계는 다음과같다.

1

1( )

n

i

i

L xs =

−∑

여기서,L=오염물질에 대한 기준치의 자연대수값xi=표본 중 i번째 차량에 대한 측정치의 자연대수값s=생산 표준편차의 추정값 (측정치에 자연대수를 취한 후에 )n=현재의 표본 개수

(4)판정 기준-시험통계량이 아래표에 제시된 표본개수에서의 합격결정수치보다 크다면,그 배출가스는 합격

-시험통계량이 아래표에 제시된 표본개수에서의 불합격결정수치보다 작다면,그 배출가스는 불합격.

Page 140: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127-

테스트된 차량의 누적개수

(현재의 샘플 크기)

합격결정수치(Passdecisionthreshold)

불합격결정수치(Faildecisionthreshold)

3 3,327 -4,7244 3,261 -4,7905 3,195 -4,8566 3,129 -4,9227 3,063 -4,9888 2,997 -5,0549 2,931 -5,12010 2,865 -5,18511 2,799 -5,25112 2,733 -5,31713 2,667 -5,38314 2,601 -5,44915 2,535 -5,51516 2,469 -5,58117 2,403 -5,64718 2,337 -5,71319 2,271 -5,77920 2,205 -5,84521 2,139 -5,91122 2,073 -5,97723 2,007 -6,04324 1,941 -6,10925 1,875 -6,17526 1,809 -5,24127 1,743 -6,30728 1,677 -6,37329 1,611 -6,43930 1,545 -6,50531 1,479 -6,57132 -2,112 -2,112

Page 141: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128-

부부부록록록 666...유유유럽럽럽의의의 생생생산산산 확확확인인인검검검사사사 절절절차차차(1)이 절차는 제작사의 생산 표준편차가 불만족할 만 할때 생산차의 배기

관가스 검사에 관한 것이다(2) 최소 3대의 표본이 사용되어야 하며,표본추출 절차는 생산불량이

40%일때 시험을 통과할 확률이 0.95(생산자의 위험=5%)이고,생산불량이 65%일때 통과할 확률이 0.1(소비자의 위험=10%)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3)오염물질들의 측정은 대수정규분포를 이룬다고 간주하여 처음에는 그들의 자연 대수값으로 변환하도록 하여야 하고,m0와 m은 각각 최소와최대 표본의 개수를 나타내고,n은 현재의 표본개수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4)차례로 측정된 측정치의 자연대수값이 x1,x2,…,xj이고,L이 오염물질에 대한 기준치의 자연대수값이라하면,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j jd x L= −

1

1 n

n j

j

d dn =

= ∑

2 2

1

1( )

n

n j n

j

v d dn =

= −∑

(5)아래표는 현재의 표본개수에서의 합격 (An)와 불합격(Bn)결정 수치들

을 보여주고 있다.검정 통계량은 /n nd v 이고,다음과 같이 측정치들이 합격인지 불합격인지 판정하는데 이용.

0m n m≤ ≤ 인 경우에 대하여 :

- /n n nd v A≤ 라면,통과

Page 142: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129-

- /n n nd v B≥ 라면,탈락

- /n n n nA d v B< < 라면 추가 측정

-추가아래의 순환공식이 연속적인 시험통계량을 계산하는데 유용하다.

1

1 1(1 )n n nd d d

n n−

= − +

22 2

1

( )1(1 )

1

n nn n

d dv v

n n−

−= − +

1 1 1( 2,3, ,; ; 0)n d d v= ⋅⋅⋅ = =

Page 143: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비교연구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143951.pdf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83-000225-01 NIERNo.2003-34-706 국가별자동차인증제도및검사방법

-130-

표본 크기n

합격결정역An

불합격결정역Bn

3 -0,80381 16,64743

4 -0,76339 7,68627

5 -0,72982 4,67136

6 -0,69962 3,25573

7 -0,67129 2,45431

8 -0,64406 1,94369

9 -0,61750 1,59105

10 -0,59135 1,33295

11 -0,56542 1,13566

12 -0,53960 0,97970

13 -0,51379 0,85307

14 -0,48791 0,74801

15 -0,46191 0,65928

16 -0,43573 0,58321

17 -0,40933 0,51718

18 -0,38266 0,45922

19 -0,35570 0,40788

20 -0,32840 0,36203

21 -0,30072 0,32708

22 -0,27263 0,28343

23 -0,24410 0,24943

24 -0,21509 0,21831

25 -0,18557 0,18970

26 -0,15550 0,16328

27 -0,12483 0,13880

28 -0,09354 0,11603

29 -0,06159 0,09480

30 -0,02892 0,07493

31 0,00449 0,05629

32 0,03876 0,038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