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대한골절학회지 제 19 권, 제 3 호, 2006년 7월 Journal of the Korean Fractrure Society Vol. 19, No. 3, July, 2006 401 상완골 근위부 골절은 노령에서 보다 많이 발생한다. 노령 에서는 전신 쇠약, 빈혈, 균형 감각의 소실, 반사 작용의 저 하 등으로 넘어지는 일이 잦고, 팔을 짚고 넘어지면 상완골 근위부 골절이 발생하기 쉽다. 노령의 환자는 전신 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가 많으며, 환자가 원하는 기능의 기대치가 낮고, 골다공증이 많이 진행되어 있는 경우도 적지 않아 여 러 면에서 젊은 환자의 상완골 근위부 골절과 차이가 있게 된다 3,11) . 또한 상완골 근위부는 골다공증이 비교적 빨리 나 타난다 7) . 전신 소모성 질환이나 불유합 등이 있는 경우에도 골다공증이 보다 심해진다. 이러한 골다공증은 치료 방침의 결정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에 골다공증이 있는 상완골 근위부 골절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진단 및 분류에서 고려해야 할 문제들 상완골 근위부의 치료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골절의 양상 을 잘 파악해야 한다. 간혹 통증 때문에 팔을 내전 및 내회 전 위치에서 전후방 촬영을 하면 전위 및 각 형성의 정도를 잘못 판단하게 되기가 쉽다. 또한 액와 촬영을 시행하지 않 으면 소 결절의 골절이나 탈구의 존재와 방향을 잘 모르기가 쉽다. 따라서 진성 전후방 촬영과 액와 촬영을 포함한 기본 적인 촬영은 반드시 시행해야 하며, 골절의 양상이 분명하지 않고 조금이라도 미심쩍은 부분이 있으면, 회전 촬영, 전산 화 단층 촬영 및 3차원 재구성 영상 등을 촬영하여 최대한 명확하게 골절 양상을 파악하도록 해야 한다. 상완골 근위부 골절은 나이든 환자가 넘어지면서 발생하 는 예가 가장 흔하다. 따라서 넘어지게 된 원인과 전신 상태 및 일상 활동의 정도도 잘 살펴보아야 한다. 동일한 골절이 라고 하더라도 전신 상태가 좋은 경우와 나쁜 상태는 치료에 차이를 두어야 하며, 일상 활동이 거의 없는 환자와 활동이 많은 환자는 구분하여 치료하는 것이 실제적이다. 상완골 근위부 골절의 분류는 Neer의 사분 골절 분류가 가장 널리 쓰인다 12) . Neer의 분류에 대해서는 한때 그 재현 성 및 객관성 등에 의문이 제기되기는 했었지만 16,17) 치료 방 법을 결정하는 데에는 매우 유용하여, 대부분 Neer의 분류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Neer 분류만에 의지하여 치료 방침을 결정하는 것은 자칫 다른 문제를 간과하기 쉽다. Neer의 분 류는 비수술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 및 상완골 두 치환술 등 의 적응증에 대해서 어느 정도의 지침을 줄 수는 있으나, 각 각의 치료 방침에 대한 세부적인 사항에 대해서는 보다 세심 한 주의가 필요하다. 같은 일분 골절이라고 하더라도 골절 부위의 감입이 있을 경우에는 골절 부위가 안정되어 있으므로 보다 조기에 운동 치료가 가능하다. 그러나 방사선 촬영에서 일분 골절로 보이 는 골절이라고 하더라도 연부 조직의 손상이 심하고 골편 사 이의 감입이 전혀 없으면 골절 부위의 안정도는 훨씬 떨어지 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감입 골절과 동일하게 조기 운동을 시도하면 자칫 골편의 움직임을 야기하여 불유합을 초래할 수도 있다. 이분 골절의 경우에도 단순히 Neer의 분류만으로는 치료 방침을 결정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특히 대 결절 골절의 이분 골절의 경우에 Neer의 1 cm 전위, 45도 각형성의 지침 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는 이들이 점차 늘어가는 추세에 있 다. 대 결절이 상완골 두의 꼭지점의 약 8 mm 정도 아 위치한다는 사실은 대 결절의 골편이 상방으로 8 mm 이상 전위하면 대 결절이 상완골 두 위에 위치하게 되어 팔을 외 통신저자서울시 송파구 풍납 2동 388-1 울산대학교 의과대학교 서울아산병원 정형외과학교실 Tel02-3010-3941Fax02-488-7877 E-mail[email protected] Address reprint requests toJae-Myeung Chun, M.D., Ph.D.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Seoul Asan Medical Center,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388-1, Pungnap 2-dong, Songpa-gu, Seoul 138-736, Korea Tel82-2-3010-3941Fax82-2-488-7877 E-mail[email protected] 골다공증에서의 상완골 근위부 골절 (Proximal Humerus Fracture in Osteoporotic Bone)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정형외과학교실

골다공증에서의 상완골 근위부 골절 (Proximal Humerus Fracture in ... · 2016. 7. 8. · neck fracture of the proximal humerus. There should be vari-ous treatments for

  • Upload
    others

  • View
    2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골다공증에서의 상완골 근위부 골절 (Proximal Humerus Fracture in ... · 2016. 7. 8. · neck fracture of the proximal humerus. There should be vari-ous treatments for

대한골절학회지 제 19 권, 제 3 호, 2006년 7월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종 설■Jo u r n a l o f th e K o r e a n F r a c t r u r e S o c ie t y

V o l . 1 9 , N o . 3 , Ju ly , 2 0 0 6

401

서 론

상완골 근위부 골절은 노령에서 보다 많이 발생한다. 노령

에서는 전신 쇠약, 빈혈, 균형 감각의 소실, 반사 작용의 저

하 등으로 넘어지는 일이 잦고, 팔을 짚고 넘어지면 상완골

근위부 골절이 발생하기 쉽다. 노령의 환자는 전신 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가 많으며, 환자가 원하는 기능의 기대치가

낮고, 골다공증이 많이 진행되어 있는 경우도 적지 않아 여

러 면에서 젊은 환자의 상완골 근위부 골절과 차이가 있게

된다3,11)

. 또한 상완골 근위부는 골다공증이 비교적 빨리 나

타난다7). 전신 소모성 질환이나 불유합 등이 있는 경우에도

골다공증이 보다 심해진다. 이러한 골다공증은 치료 방침의

결정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에 골다공증이

있는 상완골 근위부 골절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진단 및 분류에서 고려해야 할 문제들

상완골 근위부의 치료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골절의 양상

을 잘 파악해야 한다. 간혹 통증 때문에 팔을 내전 및 내회

전 위치에서 전후방 촬영을 하면 전위 및 각 형성의 정도를

잘못 판단하게 되기가 쉽다. 또한 액와 촬영을 시행하지 않

으면 소 결절의 골절이나 탈구의 존재와 방향을 잘 모르기가

쉽다. 따라서 진성 전후방 촬영과 액와 촬영을 포함한 기본

적인 촬영은 반드시 시행해야 하며, 골절의 양상이 분명하지

않고 조금이라도 미심쩍은 부분이 있으면, 회전 촬영, 전산

화 단층 촬영 및 3차원 재구성 영상 등을 촬영하여 최대한

명확하게 골절 양상을 파악하도록 해야 한다.

상완골 근위부 골절은 나이든 환자가 넘어지면서 발생하

는 예가 가장 흔하다. 따라서 넘어지게 된 원인과 전신 상태

및 일상 활동의 정도도 잘 살펴보아야 한다. 동일한 골절이

라고 하더라도 전신 상태가 좋은 경우와 나쁜 상태는 치료에

차이를 두어야 하며, 일상 활동이 거의 없는 환자와 활동이

많은 환자는 구분하여 치료하는 것이 실제적이다.

상완골 근위부 골절의 분류는 Neer의 사분 골절 분류가

가장 널리 쓰인다12). Neer의 분류에 대해서는 한때 그 재현

성 및 객관성 등에 의문이 제기되기는 했었지만16,17)

치료 방

법을 결정하는 데에는 매우 유용하여, 대부분 Neer의 분류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Neer 분류만에 의지하여 치료 방침을

결정하는 것은 자칫 다른 문제를 간과하기 쉽다. Neer의 분

류는 비수술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 및 상완골 두 치환술 등

의 적응증에 대해서 어느 정도의 지침을 줄 수는 있으나, 각

각의 치료 방침에 대한 세부적인 사항에 대해서는 보다 세심

한 주의가 필요하다.

같은 일분 골절이라고 하더라도 골절 부위의 감입이 있을

경우에는 골절 부위가 안정되어 있으므로 보다 조기에 운동

치료가 가능하다. 그러나 방사선 촬영에서 일분 골절로 보이

는 골절이라고 하더라도 연부 조직의 손상이 심하고 골편 사

이의 감입이 전혀 없으면 골절 부위의 안정도는 훨씬 떨어지

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감입 골절과 동일하게 조기 운동을

시도하면 자칫 골편의 움직임을 야기하여 불유합을 초래할

수도 있다.

이분 골절의 경우에도 단순히 Neer의 분류만으로는 치료

방침을 결정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특히 대 결절 골절의

이분 골절의 경우에 Neer의 1 cm 전위, 45도 각형성의 지침

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는 이들이 점차 늘어가는 추세에 있

다. 대 결절이 상완골 두의 꼭지점의 약 8 mm 정도 아래에

위치한다는 사실은 대 결절의 골편이 상방으로 8 mm 이상

전위하면 대 결절이 상완골 두 위에 위치하게 되어 팔을 외

통신저자:전 재 명서울시 송파구 풍납 2동 388-1울산대학교 의과대학교 서울아산병원 정형외과학교실Tel:02-3010-3941․Fax:02-488-7877E-mail:[email protected]

Address reprint requests to:Jae-Myeung Chun, M.D., Ph.D.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Seoul Asan Medical Center,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388-1, Pungnap 2-dong, Songpa-gu, Seoul 138-736, KoreaTel:82-2-3010-3941․Fax:82-2-488-7877E-mail:[email protected]

골다공증에서의 상완골 근위부 골절(Proximal Humerus Fracture in Osteoporotic Bone)

전 재 명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정형외과학교실

Page 2: 골다공증에서의 상완골 근위부 골절 (Proximal Humerus Fracture in ... · 2016. 7. 8. · neck fracture of the proximal humerus. There should be vari-ous treatments for

402 전재명

전하면 대 결절이 견봉과 충돌 현상을 일으키게 된다. 또한

견봉 돌기하의 공간 중에서 회전근 개를 제외한 여유 공간이

1 mm 전후 밖에 안 된다는 것도 1 cm 전위라는 지침을 고

수하기 어렵게 만든다. 근래에는 대 결절 골편이 5 mm 이상

전위되면 수술을 시행하는 경향이 늘고 있다.

외과적 경부 골절의 이분 골절도 1 cm 전위, 45도 각형성

의 기준은 적당하지 않다. 정복이 필요한 전위 골절을 1 cm

로 정하면 대다수의 외과적 경부 골절이 이에 속하게 된다.

그러나 실제로는 2 cm 정도의 전위라고 하더라도 상완골의

굵기가 충분한 경우에는 비수술적 치료로 잘 치료된다. 외과

적 경부에서는 1 cm 전위의 기준으로 모든 골절을 판단하는

것 보다 골편끼리 서로 맞닿은 면적이 골 유합에 충분할 정

도인지를 판단하여 결정하는 것이 보다 합리적이다. 또한 각

형성은 어느 방향으로 각 형성이 되었는지도 잘 살펴보아야

한다. 외전 방향의 각 형성은 대 결절이 상완골 두 아래에

위치하는 상관관계가 잘 유지되지만 내전 방향의 각 형성은

대 결절이 상완골 두 근위부에 위치하게 되기가 쉽다. 각 형

성이 심하여 일상생활 정도의 거상 및 외전에서 대 결절과

견봉의 충돌이 우려되는 상태에서는 정복이 필요하며, 정복

의 상태가 불안정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내고정도 필요

하게 된다 (Fig. 1). 각 형성이 발생하면 압박력을 받는 부위

에서는 골편의 분쇄나 감입이 발생하기 쉽고, 견인력을 받는

부위에서는 골편의 분리나 견열 골절의 형태가 발생하기 쉽

다. 각 형성과 함께 압박력이 주어지는 경우에는 골막 등을

포함한 연부 조직은 손상이 적은 반면에 각 형성과 함께 견

인력이 주어지면 연부 조직의 손상이 커진다. 따라서 각 형

성 뿐 만이 아니라 압박력이 주로 작용하였는지 견인력이 주

로 작용하였는지를 잘 살펴야 한다. 압박력이 주로 작용하였

다고 생각되는 경우에는 안정 골절일 가능성이 높아지고, 견

인력이 주로 작용하였다고 생각되는 경우에는 불안정 골절

이 되기 쉽다. 따라서 동일한 정도의 각 형성이 동일한 방향

으로 형성되어 있다고 해도 압박력을 받은 경우에는 완전한

해부학적 정복보다 약간의 불완전 정복을 허용하는 것이 오

히려 골 유합에 바람직하다.

내고정을 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골질이 또한 문제가 된

다. 젊은 환자의 튼튼한 골질에서는 경피적 내고정으로 충분

한 내고정력을 얻을 수 있는 경우가 많다15). 그러나 골다공

증이 진행되어 골질이 약한 경우에는 경피적 내고정술 등으

로는 고정력이 약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대부분의 상완골 근

위부 골절은 외과적 경부를 중심으로 발생한다. 외과적 경부

를 중심으로 힘의 분포를 살펴보면 근위부 골편에는 대 결절

과 소 결절에 부착하는 회전근 개의 힘이 작용하며, 원위부

골편에는 삼각근, 대흉근, 광배근, 대원형 근 등의 근력과 팔

의 무게 등이 작용하여 내전 변형이 되기 쉽다 (Fig. 2). 골편

을 고정하여 골절 부위의 움직임을 해소하고 골유합을 유도

하려면 이러한 힘들을 중화시켜야 한다. 골질이 약해서 고정

이 튼튼하지 않으면 회전근 개에서 발생한 힘이 원위 골편으

로 잘 전달되지 않고 근위골편에만 작용하여 골절 부위의 전

위를 초래하기 쉽다. 이러한 경우에는 회전근 개의 힘을 원

위 골편에 잘 전달해 줄 수 있는 고정 방법을 선택해야 한

다.

류마치스성 질환이나 대사성 질환 등으로 오랫동안 자유

스럽게 팔을 사용하지 못해도 골다공증이 심해지기도 한다.

또한 불유합 등이 있는 경우에도 국소적으로 골다공증이 진

Fig. 1. Various types of surgical neck fracture of the proximal humerus. There should be vari-ous treatments for the various types of surgical neck fracture.

Fig. 2. Varus deformed force. Superior portion of the rotator cuff inserts at the grater tuberosity with an angle of 30 degreesover the humeral head. Force of the rotator cuff generates deformed force to varus tendency after surgical neck fracture.

Page 3: 골다공증에서의 상완골 근위부 골절 (Proximal Humerus Fracture in ... · 2016. 7. 8. · neck fracture of the proximal humerus. There should be vari-ous treatments for

골다공증에서의 상완골 근위부 골절 403

행된다. 이러한 경우에도 골다공증이 내고정 등에 미치는 영

향을 살펴서 치료 방침을 정하는 것이 현명하다.

외과적 경부의 골절은 그 부위의 위치와 형태가 내고정

방법에 영향을 미친다. 외과적 경부 범위에 속하는 골절이라

고 하더라도 근위부에서 골절이 발생하면 근위 골편이 작게

되고 비교적 원위부에서 골절된 경우에는 근위 골편이 비교

적 커진다. 근위 골편이 작은 경우에는 금속판 등으로 충분

한 고정력을 얻기가 어렵고, 무리해서 금속판을 사용하면 금

속판이 위로 튀어 나오게 되어 금속판과 견봉 돌기 사이에

의원적 충돌 상태를 만들 위험성이 있다. 이러한 상태는 외

과적 경부 골절의 상태가 심각한 분쇄 골절인 경우도 동일하

다. 같은 이분 골절이라고 하더라도 손상 기전, 골질 상태,

골절 부위의 높이, 변형의 방향 등을 고려해서 치료 방침을

정해야 한다.

삼분 골절과 사분 골절의 경우에는 수술 치료가 필요하다

는 데에는 대부분 의견이 일치한다. 그러나 어떠한 수술을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골

다공증이 심한 경우에는 내고정이 힘들기 때문에 삼분 골절

이라고 하더라도 상완골 두 치환술이 적합하다고 생각하는

경우도 있으며, 사분 골절이라고 하더라도 해부학적 정복이

가능하면 골 유합을 추구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고 주장

하는 경우도 있다. 수술 전에 명확하게 결정하기 힘든 경우

에는 내고정과 상완골 두 치환을 모두 준비하여 수술 소견에

따라 판단하는 것이 필요한 경우도 있다.

골절과 함께 탈구가 동반된 경우에는 연부 조직 손상이

심하다. 따라서 동일한 삼분 골절이라고 하더라도 탈구가 동

반된 경우에는 무혈성 괴사가 속발될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할 수 있으며, 후방 탈구가 동반된 경우에는 특히 정복이 어

렵다. 골다공증이 심한 환자에서 후방 골절-탈구가 발생한

경우에 상완골 두를 정복하는 도중에 상완골 두가 손상될 가

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완골 두 치환술

을 고려해 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치 료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골절의 형태 등을 분석하여 비

수술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를 결정한다. 통상 일분 골절은

비수술적으로 치료한다. 팔걸이나 견관절 고정기 등의 간편

한 보조기를 사용하여 견관절을 보호하고 더 이상 골편의 전

위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손가락의 운동은 가능한 한

빨리 시작한다. 팔 굽은 수상 후 약 일주일 전후하여 통증이

유발되지 않는 범위에서 시작한다. 어깨 부위의 조기 운동을

선호하는 이들도 있으나 골편의 안정성이 의심되면 연부 조

직이 치유되기를 기다려 약 3주 전후하여 골절 부위의 움직

임이 줄어들고 통증이 사라지기 시작하면 추 운동을 시작한

다. 골 유합이 원활하게 진행되면 약 6주 전후하여 수동적

전방 굴곡 운동을 증가시킨다. 골 유합이 완성되고 수동적

운동 범위가 정상에 가까워지면 능동적 운동으로 전환한다.

이분 골절은 그 부위에 따라 판단한다. 해부학적 경부 골

절은 매우 드물다. 골다공증이 심한 상태에서 해부학적 경부

골절이 발생하여 전위가 심한 경우에 활동이 많은 환자는 상

완골 두 치환술을 시행한다. 활동이 거의 없으며 전신 상태

가 좋지 않아 완치 후 요구되는 기능 정도가 높지 않다고 생

각되면 비수술적 치료를 시도하여 전위된 상태로 골 유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골다공증이 심한 상태에서 해부학적 경

부 골절이 발생하면 근위 골편에 해당하는 상완골 두를 고정

할 방법이 마땅치 않기 때문에 내고정을 하는 경우는 드물

다. 다행히 해부학적 경부 골절은 매우 드물기 때문에 실제

적으로는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대 결절의 단독 골절인 경우에는 전위가 심하다고 판단되

면 수술을 시행한다. 전위가 1 cm 이상이면 수술을 시행하

여 대 결절 골편을 제 위치에 잘 정복하고 되도록 견고하게

내고정한다. 전위가 5 mm에서 1 cm 사이인 경우에는 전신

상태, 완치 후 요구되는 기능 정도 등을 감안하여 수술 여부

를 결정한다. 수술은 삼각근 분할 접근법이 흔히 쓰이나6) 시

야가 좁고 액와 신경이 손상될 위험성이 있다. 삼각-흉 도달

법을 사용하면 이러한 문제점들이 전혀 없이 안전하게 수술

할 수 있다10). 내고정은 다발성 봉합사 고정 방법이 유용하

다. 골편의 크기와 골질이 나사 고정이 가능하면, 봉합사 고

정과 나사 고정을 동시에 사용할 수도 있다. 수술을 할 때에

는 반드시 투시기를 이용해야 한다. 대 결절 골절은 흔히 골

절 부위에 분쇄를 동반하면서 골편이 주변으로 벌어지기 때

문에 한 곳에서 골절 선을 잘 맞추어도 해부학적 정복이 되

기 어렵다. 또한 근위부에 있는 회전근 개를 훼손할 수 없기

때문에 근위부의 정복 상태를 육안으로 점검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투시기를 이용해서 다각도로 촬영하여 검토하지 않

으면 정복이 불완전하거나 과도하게 될 가능성이 높다.

소 결절의 단독 골절인 경우에도 전위가 심하거나 견관절

이 불안정해질 가능성이 많다고 생각되면 수술 치료가 적합

하다. 삼각-대흉 접근법으로 골절 부위를 노출하여 골편을

정복하고 내고정한다. 고정에는 나사 고정이 흔히 쓰인다.

나사만으로 충분하지 않다고 생각되는 경우에는 봉합사 고

정을 추가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소 결절의 골편이 작은 경

우에는 골편을 제거하고 견갑하 건을 직접 결절 부위에 봉합

할 수도 있다. 약간 정복이 미흡하거나 골편의 회전 변형이

남기가 쉽지만 심각하지 않으면 임상적으로 큰 문제가 되지

않는 것이 대부분이다.

외과적 경부 골절에 발생한 이분 골절에서는 골편의 접촉

면의 넓이가 골수강의 절반이상이면 비수술적 치료로 골 유

합을 기대해 볼 수 있다. 비수술적 치료를 시도할 때에는 일

Page 4: 골다공증에서의 상완골 근위부 골절 (Proximal Humerus Fracture in ... · 2016. 7. 8. · neck fracture of the proximal humerus. There should be vari-ous treatments for

404 전재명

분 골절의 치료에 준한다. 전위가 심하여 골편의 접촉면이

골수강의 반절이 채 못되거나 각 형성이 심하여 상완골 두가

견봉을 향할 정도로 외전되었거나 내전 변형이 심하여 대 결

절이 견봉을 향하고 있는 경우에는 정복을 시도하는 것을 고

려해 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수 정복이 가능하고 정복한

상태가 유지되면 비수술적 치료를 이용한다. 도수 정복은 가

능하지만 정복의 유지가 어려운 경우에 전신 상태가 마취가

위험할 정도이면 경피적 강선 고정이나 골 견인 치료를 고려

해 볼 수 있다2). 골다공증이 진행된 경우에는 경피적 강선

고정이 강선의 이탈의 위험성이 높기 때문에 안전하지 못한

점이 있다. 골 견인은 침상 안정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노령

에서 흔히 쓰이지는 않지만 마취가 어려운 경우에는 고려해

볼 수 있다. 통상 3주 정도의 골 견인으로 충분하며, 3주 전

후 기간의 침상 안정은 큰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경우가 많

다. 도수 정복이 불가능한 변형의 정복은 골절 부위에 수술

기구를 넣어서 근위 골편을 들어 올려서 정복하거나 상완골

두에 강선을 삽입하여 이를 이용해서 근위 골편을 움직여서

정복한다. 내전 변형 때에는 수술 기구가 충분히 골절 부위

안쪽까지 삽입하여 상완골 두 전체를 안쪽 아래에서부터 받

쳐 올리는 방식으로 내전 변형을 바로 잡는다. 골절을 과도

하게 정복해서 불안정 골절을 만드는 것보다는 약간 미흡하

더라도 골편이 서로 약간 감입되어 안정된 상태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복 정도는 반드시 투시기를 사용하여 전후방

촬영, 회전 촬영, 액와 촬영 등을 시행하여 확인하는 것이 바

람직하다. 정복된 골절의 내고정은 각각의 예에 맞추어 시행

한다. 골절이 너무 근위부에서 발생하였거나 골절 부위의 분

쇄가 심하여 금속판을 사용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장력 대 강

선 고정법이 유용하다. 장력 대 강선 고정에는 Neer 등이 고

안한 방법과 같이 Ender 정 등으로 골수강 내고정을 하고 이

를 이용하는 선행적 장력 대 강선 고정4,13)

, Hawkins가 고안

한 방법과 같이 대 결절과 소 결절 사이를 관통하고 다시 이

를 원위 골편에 삽입하여 고정하는 방법이 있으며8), AO 방

법과 같이 원위골편으로부터 상완골 두 쪽으로 강선을 삽입

하고 회전근 개와 이 강선들을 연결하는 역행적 장력 대 강

선 고정 등이 있다 (Fig. 3)1). 골다공증이 있을 경우에 약한

뼈에 의지해서 내고정을 하려고 하는 것보다 훼손되지 않은

회전근 개를 이용한 고정이 보다 용이한 경우가 많다. 근위

골편이 커서 금속판을 삽입하기 쉽다고 생각하는 경우에는

금속판 내고정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근래에는 상완골 근위부

골절을 위한 고유의 금속판이 개발되어 사용에 편리하다. 근

래 상완골 근위부 골절을 위해서 개발된 잠김 금속판은 나사

가 금속판과 결합되어 고정되는 방식으로, 이러한 금속판은

나사를 삽입하여 고정하면 마치 blade plate와 같은 역할을

하기 때문에 골다공증이 있는 뼈에서도 예전의 금속판보다

강한 내고정력을 가진다. 잠김 금속판은 금속판과 나사가 서

로 결합되어 고정되기 때문에 마치 blade plate와 같이 역할

하기 때문에 상완골 두가 다시 전위되는 것을 막는 힘이 강

하다. 예전에는 통상의 금속판을 수술 전에 미리 제작하거나

수술장에서 blade plate를 만들어서 사용하기도 하였으나5,9)

잠김 금속판은 사용하기 쉽고 여러 방향으로 나사를 삽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골다공증이 심한 경우에는 회전근

개와 금속판을 장력 대 고정으로 추가하여 연결하면 근위 골

편에 주어지는 힘이 원위 골편으로 전달되어 보다 도움이 된

다. 드물게 나사 고정이 안 될 정도로 골다공증이 심한 경우

에는 나사 삽입부에 골 시멘트를 주입하여 보강하는 방법이

쓰이기도 한다. 골수정을 선호하는 이들도 있으나 결과에 대

해서는 논란이 있다14).

삼분 골절의 경우에는 수술 치료를 선호하는 것은 대부분

의견이 일치된다. 그러나 골다공증이 있는 경우에 어떠한 수

술이 가장 적합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일치하는 의견이 없다.

가능하면 골 유합을 얻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골다공증이 있

는 경우에는 고정이 어려워서 골 유합을 얻기가 쉽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이유로 오히려 상완골 두 치환술을 선호

하는 경우도 있다. 삼분 골절은 외과적 경부 골절과 대 결절

골절이 함께 발생하는 예가 가장 많다. 수술 전에는 방사선

영상을 면밀하게 분석해서 각각의 골편의 전위 방향 및 전위

정도를 잘 파악해서 정복할 방법의 계획을 미리 잘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 간혹 대 결절의 골편이 상완골 두 위쪽으로

Fig. 3. Various types of tension band fixation. There are various types of tension band fixation for the proximal humeral fracture.

Page 5: 골다공증에서의 상완골 근위부 골절 (Proximal Humerus Fracture in ... · 2016. 7. 8. · neck fracture of the proximal humerus. There should be vari-ous treatments for

골다공증에서의 상완골 근위부 골절 405

튀어 나와 보이지만 실제로는 대 결절의 골편이 위로 전위된

것이 아니고 상완골 두가 외전 감입되어 대 결절이 상완골

두 위쪽에 위치하는 것으로 보이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경

우에 대 결절을 상완골 두 보다 아래로 위치하도록 정복하면

상완골 두와 대 결절 전체가 과도하게 외전되게 되며, 회전

근 개에는 강력한 견인력이 작용하여 통증과 관절 운동 제한

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대 결절의 골편의 위

치와 대 결절이 떨어져 나간 결손 부위의 위치를 비교하여

감별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완골 두를 제 자리로 밀어 올

리면 쉽게 대 결절의 정복이 이루어진다. 수술 기구를 이용

해서 대-소 결절 등을 직접 잡으면 골다공증이 있는 대-소

결절의 골편에 새로운 골절이 발생하기가 매우 쉽다. 대-소

결절 골편의 정복은 회전근 개에 봉합사를 삽입하여 각각의

골편을 조절하고 상완골 두는 외과적 경부의 이분 골절처럼

정복한다. 투시기를 이용하여 정복 상태를 점검하여 연부 조

직을 되도록 훼손하지 않고 간접적으로 정복하는 것이 바람

직하다. 모든 골편을 해부학적으로 정복하는 것은 불가능하

며 바람직하지도 않다. 대 결절은 상완골 두 보다 8 mm 정

도 아래에 위치하고, 소 결절이 상완골 두 관절면과 겹치지

않고, 상완골 두의 후경각이 올바르고, 외전 및 내전이 과다

하지 않으면 허용 가능하다. 어느 정도의 내-외전이 허용 가

능한지에 대해서는 명확한 지침이 없으나 대략 30도 이내의

내-외전은 큰 문제가 없다. 외관적 경부에서는 골 유합에 문

제없을 정도의 접촉이 유지되어야 한다. 약간의 감입을 허용

해서 골절 부위의 안정을 도모할 수 있으면 보다 안전하다.

삼분 골절에서의 내고정은 이분 골절과 다름이 없다. 외과적

경부 골절의 부위가 너무 높거나 분쇄가 심하면 장력 대 강

선 고정을 이용하고, 골절 부위가 낮아서 금속판 사용에 무

리가 없으면 잠김 금속판을 이용할 수 있다 (Fig. 4). 대-소

결절의 골편은 나사 고정이나 봉합사 고정을 병용한다. 경우

에 따라서는 삼분 골절이나 삼분 골절-탈구에서도 상완골 두

치환술을 고려해 볼 수는 있으나, 대부분 내고정이 가능하

다. 견고해 보이는 고정이라고 해도 골다공증이 심한 경우에

는 수술 후 다시 전위될 가능성이 있음을 염두에 두어야 한

다. 수술 후 약 3주 정도 견관절 고정 보조기나 외전 보조기

등으로 보호하여 연부 조직의 치유가 어느 정도 진행되었다

고 생각되는 시점에서 추 운동을 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약 6주 정도 되어 골유합이 진행되면 수동적 굴곡 운동 범위

를 점차 늘려간다. 회전 운동은 대부분 자연히 회복된다. 회

전 운동 범위가 자연히 회복되지 않는 경우에는 방사선 유합

이 이루어진 이후에 회전 운동을 시행하는 것이 안전하다.

수동적 운동 범위가 회복되었으나 능동적 운동의 회복이 늦

는 경우에는 회전근 개, 삼각근 및 견갑골 주위 근육의 근력

을 증가시키는 능동 운동을 시행한다.

사분 골절은 수술 치료가 필요하다. 사분 골절이라 하더라

도 일차적인 치료로 해부학적 정복과 내고정을 주장하는 의

견도 있으나 골다공증이 있는 사분 골절에서는 정복 및 내고

정이 어려워 해부학적인 상태의 골 유합을 얻기가 매우 어렵

다. 대부분 상완골 두 치환술을 시행하고 조기 운동 방법을

권한다 (Fig. 5). 상완골 두 치환술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상

완골의 길이가 원래대로 회복되어야 하고, 상완골 두의 크기

가 적절해야 하며 상완골 두가 향하는 위치가 약 30도 후경

각을 이루어서 해부학적 상태에 가까워야 하며, 대 결절 및

소 결절과 상완골 간부 및 상완골 두와의 상관관계가 적합해

야 하며, 대-소 결절이 상완골 두에 잘 유합되어야 한다. 상

완골 두 치환술을 시행한 경우에는 수술을 시행한 날 저녁부

터 수동적 운동을 시작하고 수동적 운동 범위가 회복되면 능

동적 운동으로 전환한다.

Fig. 4. A case with locking plate for the proximal humeral fracture. A locking plate is useful for the low lying surgical neck fracture, even with osteoporosis.

Fig. 5. A case of hemiarthroplasty for the four-part fracture dislocation. There was four-part fracture with anterior disloca-tion (arrow). A hemiarthropalsty has been done for the frac-ture-dislocation.

Page 6: 골다공증에서의 상완골 근위부 골절 (Proximal Humerus Fracture in ... · 2016. 7. 8. · neck fracture of the proximal humerus. There should be vari-ous treatments for

406 전재명

맺음말

상완골 근위부 골절의 치료는 세심하게 진단하고 분석해

서 신중하게 치료 방침을 정해야 한다. 상완골 근위부 골절

은 해부학적 정복이 반드시 필요한 부분은 아니다. 오히려

약간의 감입은 골절 부위를 안정되게 해준다. 골다공증이 있

는 경우에는 내고정이 견고하게 이루어지기 힘들다. 그러나

장력 대 고정을 회전근 개에 삽입하여 강선이나 금속판에 연

결하여 고정하면 골다공증이 있는 상태에서도 대부분 고정

이 가능하다. 골다공증이 있는 경우에는 수술 후 치료를 세

심하게 조절하여 골편들이 전위되는 것을 막는 것이 바람직

하다. 사분 골절이나 심각한 골다공증을 동반한 삼분 골절에

서는 상완골 두 치환술을 시행하기도 한다.

참 고 문 헌

1. Chun JM, Kim SY, Lee SW, Kim KH and Lee JH: Retro-grade pin fixation with tension band wiring for the proximal humeral fractures. J Korean Orthop Assoc, 38: 498-502, 2003.

2. Chun JM, Groh GI and Rockwood CA Jr: Two-part frac-tures of the proximal humerus. J Shoulder Elbow Surg, 3: 273- 287, 1994.

3. Court-Brown CM, Garg A and McQueen MM: The epide-miology of proximal humeral fractures. Acta Orthop Scand, 72: 365-371, 2001.

4. Cuomo F, Flatow FL, Maday MG, Miller SR, McIlveen SJ and Bigliani LU: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of two- and three-part displaced surgical neck fractures of the proximal humerus. J Shoulder Elbow Surg, 1: 287-295, 1992.

5. Esser RD: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of three- and four-part fractures of the proximal humerus. Clin Orthop, 299: 244-251, 1994.

6. Flatow EL, Cuomo F, Maday MG, Miller SR, McIlveen SJ and Bigliani LV: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of two-part displaced fractures of the greater tuberosity of the proximal part of the humerus. J Bone Joint Surg, 73-A: 1213- 1218, 1991.

7. Hall MC and Rosser M: The structure of the upper end of the humerus with reference to osteoporotic changes in senes-cence leading fractures. Can Med Assoc J, 8: 290-294, 1963.

8. Hawkins RJ, Bell RH and Gurr K: The three-part fracture of the proximal part of the humerus: operative treatment. J Bone Joint Surg, 68-A: 1410-1414, 1986.

9. Instrum K, Fennell C, Shrive N, Damson E, Sonnabend D and Hollinshead R: Semitubular blade plate fixation in pro-ximal humeral fractures. J Shoulder Elbow Surg, 7: 462-466, 1998.

10. Kim SY, Oh SK, Kim JH, Choi JH and Chun JM: Del-topectoral approach for the operative treatment of fracture of the greater tuberosity of the proximal humerus. J Korean Soc Surg Hand, 8: 28-32, 2003.

11. Lind T, Kroner K and Jensen J: The epidemiology of frac-tures of the proximal humerus. Arch Orthop Trauma Surg, 108: 285-287, 1989.

12. Neer CS 2nd: Displaced proximal huemral fractures. I. Classi-fication and evaluation. J Bone Joint Surg, 52-A: 1077-1089, 1970.

13. Neer CS II: Fractures of the upper humerus. In Shoulder Re-construction. Philadelphia, W.B. Saunders Co, 364-398, 1990.

14. Rajasekhar C, Ray PS and Bhamra MS: Fixation of proxi-mal humeral fractures with the Polarus nail. J Shoulder Elbow Surg, 10: 7-10, 2001.

15. Resch H, Povacz P, Frohlich R and Wambacher M: Per-cutaneous fixation of three- and four-part fractures of the pro-ximal humerus. J Bone Joint Surg, 79-B: 295-300, 1997.

16. Sidor ML, Zuckerman JD, Lyon T, Koval K, Cuomo F and Schoenberg N: The Neer classification system for proximal humeral fractures: An assessment of interobserver reliability and intraobserver reproducibility. J Bone Joint Surg, 75-A: 1745-1750, 1993.

17. Sidor ML and Zuckerman JD: Lyon T, Koval K, Schoenberg N, Classification of proximal humeral fractures. The contribu-tion of the scapualr lateral and axillary radiographs. J Shoulder Elbow Surg, 3: 24-27, 1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