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
고령사회에 대비한 노인보건복지정책 評價 2001. 4. 국무조정실 차 례 I. 評價推進 背景方向 1. 評價推進 背景 ···················································································· 2. 評價方向範圍 ················································································ II. 老人保健福祉 關聯 現況 1. 老人 生活實態 ···················································································· 2. 老人保健福祉政策 現況 ·································································· III. 老人保健福祉政策 評價 < 總 括 評 價 > 1. 政策方向에 대한 評價 ······································································ 2. 政策推進體系에 대한 評價 ······························································ < 主 要 政 策 評 價> 1. “老人就業 促進政策評價 ······························································ 2. “長期療養保護서비스 擴充政策評價 ··········································· 3. “老人敎育 活性化政策評價 ·························································· . 改善課題 1. 環境變化對應政策方向 再定立 ············································ 2. 高齡社會對備政策推進體系 强化 ········································· 3. 老人就業 促進政策實效性 提高 ················································ 4. 長期療養保護서비스 提供基盤 擴充 ·············································· 5. 老人欲求副應하는 敎育體系 確立 ············································ . 措置計劃 ······························································································

고령사회에 대비한 노인보건 복지정책 評價kipe.re.kr/board/download/%B3%EB%C0%CE%BA%B9%C1%F6%C1%A… · 2017. 10. 21. · ㅇ 먼저, 고령사회에 대비한 노인보건‧복지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 고령사회에 대비한 노인보건‧복지정책 評價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2001. 4. 국무조정실

    차 례

    I. 評價推進 背景과 方向

    1. 評價推進 背景 ····················································································

    2. 評價方向과 範圍 ················································································

    II. 老人保健‧福祉 關聯 現況

    1. 老人 生活實態 ····················································································

    2. 老人保健‧福祉政策 現況 ··································································

    III. 老人保健‧福祉政 策 評價

    < 總 括 評 價 >

    1. 政策方向에 대한 評價 ······································································

    2. 政策推進體系에 대한 評價 ······························································

    < 主 要 政 策 評 價>

    1. “老人就業 促進政策” 評價 ······························································

    2. “長期療養保護서비스 擴充政策” 評價 ···········································

    3. “老人敎育 活性化政策” 評價 ··························································

    Ⅳ. 改善課題

    1. 環境變化에 對應한 政策方向 再定立 ············································

    2. 高齡社會에 對備한 政策推進體系 强化 ·········································

    3. 老人就業 促進政策의 實效性 提高 ················································

    4. 長期療養保護서비스 提供基盤 擴充 ··············································

    5. 老人欲求에 副應하는 敎育體系 確立 ············································

    Ⅴ. 措置計劃 ······························································································

  • - 1 -

    I. 評價推進 背景과 方向

    1. 評價推進 背景

    □ 急速한 高 齡 化의 進展에 따른 社 會 的 對 應 體 系 構築 必要

    ㅇ 2000년 현재, 65세 이상 노인인구는 전체인구의 7.1%인 337만

    명으로, 우리 사회는 高齡化社會(Aging Society)에 이미 진입

    하였으며,

    - 2022년에는 노인인구비율이 현재 2배인 14.3%에 도달, 高齡社

    會(Aged Society)로 진입할 것으로 전망

    * 고령화사회 : 전체인구 중 65세 이상 노인인구 7~14%,

    고령사회 : 14% 이상

    ** ‘99년 인구동태통계자료에 의하면 평균출생아 수는 1.42명으로, 이런

    추세가 지속된다면 2022년보다 앞서 고령사회에 도달할 것으로 추정

    ㅇ 2000년 현재, 老人扶養比(노인인구/생산연령인구)는 10%로 생

    산연령(15~64세)인구 약 10명이 노인 1명을 부양하나,

    - 2022년에는 20.8%로 증가, 생산연령인구 약 5명이 노인 1명을

    부양하는 수준이 될 것으로 예측

    * ‘95년 부양비 수준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2050년에는 정년을 82세로 올

    리거나, 2035년부터 매년 10만명씩 이민을 받아야 할 것으로 추산

    ㅇ 현재의 노인부양비는 幼年扶養比(14세 이하 인구/생산연령인

    구)의 1/3 정도이나, 2022년에는 이와 비슷한 수준에 도달

    - 노인부양에 드는 公‧私的 비용은 자녀부양에 비해 약 1.7배

    높아, 실제적인 부양비용도 급격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

  • - 2 -

    < 노인인구의 증가 추이 >

    (단위 : 천명, %)

    연 도 2000 2010 2022

    전 체 인 구 47,275 50,618 52,536

    65세 이상 인구 3,371 5,032 7,527

    (구 성 비) 7.1 10.0 14.3

    잠재적 노인부양비율1)

    10.0 7.2 4.8

    총부양비 40.4 43.0 45.3

    노인부양비2) 10.0 14.2 20.8

    유년부양비3)

    30.4 28.4 24.5

    주 : 1) 잠재적 노인부양비율=15~64세 인구/65세 이상 인구

    2) 노인부양비=(65세 이상 인구/15~64세 인구)×100

    3) 유년부양비=(0~14세 인구/15~64세 인구)×100.

    자료 : 통계청, ꡔ장래인구추계ꡕ, ‘96.

    ㅇ 이러한 고령화 속도는 세계적으로도 유례없이 빠른 것으로,

    노인 부양, 보건‧

    의료, 복지 등 여러

    분야의 문제도

    그만큼 빨리 가시화

    될 것이므로 이에

    대응할 수 있는

    사회적 대비 시급

    - 이를 위하여 교육,

    노동, 여가 등을 전생애에 걸쳐 균형있게 향유하고, 개인

    욕구에 따라 이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年齡統合的

    사회가 지속 발전이 가능하다는 인식전환 필요

    * 일본의 경우, 고령화율이 11.6%에 달했던 ‘89년에『Gold Plan(고령자보

    건복지추진 10개년 전략)』을 수립한 바 있으나, 보건‧의료, 고용 등

    당초의 전망을 뛰어넘는 복지수요의 증가에 대처하기 미흡하여 ’94년

    에 『New Gold Plan』을 재수립한 바 있음

    자료 : 통계청, ꡔ장래인구추계ꡕ, ‘96., Japan Aging Research Center, Aging in Japan, ‘98

    고령사회 진입 소요연수

    1850 1900 1950 2000

    한국

    일본

    스웨덴

    프랑스

    고령사회 진입 소요연수 22 25 85 115

    고령화사회 진입연도 2000 1970 1890 1865

    한국 일본 스웨덴 프랑스

  • - 3 -

    □ 老人人口의 質的 變 化에 따른 多角的 政 策 對 應 必要

    ㅇ 사회‧경제적 환경변화와 평균수명의 연장에 따라, 비교적

    건강하고 활기찬 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노인인구가 증가

    하고 있는 반면,

    - 75세 이상 고령노인인구도 지속

    증가하여 건강상의 장애로 독립생활

    이 불가능한 노인 규모도 크게 증가

    * 在家거동불편노인은 약 32%로 파악되고

    있으나, 이 비율은 75세 이상 노인의 경우

    41%로 상승(「‘98년도 전국 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98.)

    ㅇ 현재 30~40대의 상당수가 公‧私的 연금 및 예금‧보험 등을

    통하여 노후준비를 하는 등 미래

    노인 인구의 경제력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예상

    - 이와 함께, 노인인구 중 고졸

    이상 학력이 현재 14.9%에서

    2010년에는 27%로 증가하는 등

    향후 10년 내에 노인교육 수준도

    급속히 높아질 것으로 전망

    ㅇ 건강한 노인의 증가는 경제활동

    욕구 증대를, 고령노인 증가는 장기요양보호 수요를 심화시키

    며, 고학력과 경제력 있는 노인의 증대는 사회참여 욕구를 증

    가시킬 것이므로,

    - 이러한 노인복지수요의 질적 변화와 다양화에 효과적으로 대

    처하기 위해 다각적 정책대응이 요구됨

    자료 : 통계청,「장래인구추계」, ‘96.

    평균수명 추이

    50

    55

    60

    65

    70

    75

    80

    85

    1960 1970 1980 1990 2000 2010 2020 년

    평균

    수명

    (세

    자료 : 정경희 외, 「노인교육기관 및 프로

    그램 실태조사 분석연구」, ‘99

    0%

    20%

    40%

    60%

    80%

    100%

    노인인구의 학력변화

    고졸이상 15% 27%

    고졸미만 50% 55%

    무학 36% 18%

    2000년 2010년

  • - 4 -

    □ 社 會‧福祉環 境의 變 化에 따른 새로운 政 策 的 接近 必要

    ㅇ 자녀수 감소와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증가로, 전통적인 가족

    의 노인부양기능이 지속적으로 약화되는 추세

    - 자녀와 동거하는 노인의 비율은 ‘98년 현재, 48.6%에 불과

    하며 혼자 사는 노인도 17.9%에 이름

    - 이러한 가족의 부양기능 약화는 불가피하게 사회복지수요 증

    대로 이어질 것이므로, 현재의 選別的 복지정책에서 전체 노

    인을 대상으로 하는 普遍的 복지체계로의 전환이 요구됨

    < 노인 거주형태 >

    ‘85주)

    ‘90 ‘94 ‘98

    獨居노인20.5

    8.9 16.2 17.9

    부부노인 16.1 22.8 28.0

    자녀동거 78.3 66.4 55.9 48.6

    기 타 1.2 8.6 5.1 5.5

    주 : '85년 자료는 60세 이상을 대상으로 한 결과이므로 65세 이상을 대상으로 할 경우 자녀 동

    거율이 이보다 더 높을 수도 있음

    자료 : 임종권 외, 『한국노인의 생활실태』한국인구보건연구원, '85.

    통계청, 『‘90년 인구주택센서스 보고』, '90.

    이가옥 외, 『노인생활실태 분석 및 정책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95.

    정경희 외, 『’98년도 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98.

    ㅇ 또한, 지식정보사회의 도래로 세대간 디지털 격차(Digital

    Divide) 현상이 발생하여 현세대 노인의 정보‧문화적 소

    외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고,

    - 시민사회의 발전에 따라 자원봉사 등 시민의 자발적 참여가

    새로운 복지자원을 형성하는 추세에 있음

    - 이러한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새로운 정책접근

    과 체계 마련 필요

  • - 5 -

    2. 評價方向과 範 圍

    < 評價目的과 方向 >

    ㅇ 고령사회에 효과적으로 대비하기 위해 노인보건‧복지에 대

    한 국가차원의 장기 비전 제시와 총체적 정책대응체계를 구

    축할 필요

    - 본 평가는 현행 노인보건‧복지정책의 추진방향 및 체계, 주

    요정책 추진실태를 종합적으로 점검‧평가하여,

    - 향후 정책방향의 제시와 아울러 도출된 문제점에 대한 단기적

    개선대책과 장기적 발전방안을 제시하고자 함

    < 評價範 圍와 分析틀 >

    ㅇ 노인보건‧복지정책은 연금 등 소득보장체계, 의료제도 등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분야이므로 본 평가에서는 시의성 있고

    핵심적 정책분야에 평가범위 한정

    ㅇ 먼저, 고령사회에 대비한 노인보건‧복지 정책추진방향과 이

    를 수행하기 위한 정책추진체계에 대한 종합적 평가 실시

    ㅇ 빈곤, 질병, 소외 등 노인의 3대 기본문제에 대응한 노인의

    “생활안정 지원”, “건강 보호” 및 “사회참여 활성화” 등 3대

    정책영역에 있어,

    - 노인 입장에서의 시급성, 정책의 우선순위 등을 고려, ‘장기요

    양보호 ’와 생산적 복지차원에서 ‘노인취업촉진 ’ 및 ’

    노인교육‘을 선정하여 중점평가

  • - 6 -

    < 노인보건‧복지정책 평가의 분석틀 >

    고 령 사 회 에 효 과 적 대 비

    노인의

    생활안정 지원

    노인의

    건강 보호

    노인의

    사회참여 활성화

    ㅇ노인취업의 촉진

    ㅇ노후소득보장체계

    정립

    ㅇ경로연금제도 내실화

    ㅇ장기요양보호서비스

    확충

    ㅇ공공보건‧의료서비스

    확충

    ㅇ노인의료비 부담 경감

    ㅇ노인교육의 활성화

    ㅇ자원봉사 활성화

    ㅇ활동적 노년상 정립

    * OECD는 고령사회에 대응한 정책목표로 취업 등 사회참여, 인력개발

    등을 통한 사회통합증진과 정책방향으로 가능하면 노인을 현재 살고

    있는 곳에서 보호하고자 하는(aging in place) 재가‧시설보호서비스 등

    지역사회보호체계 구축을 지향

  • - 7 -

    II. 老人保健‧福祉 關聯 現況

    1. 老人 生 活 實 態

    □ 낮은 所得水準과 經濟活 動 機會의 制限

    ㅇ 노후소득의 안정적 보장 미흡

    - ‘99년말 현재, 전체국민의 2.5%가 생활보호대상인 반면, 노인

    의 경우, 이의 3배가 넘는 8.2%로 빈곤층 비율이 높음

    - 노인가구 중 58%가 월 소득이 80만원 이하이며, 자녀로부터

    의 보조에 의존하는 노인이 40%에 달함

    - 노인의 평균용돈 규모도 월 79천원 수준에 불과

    < 생활보호대상자 규모 >

    (단위 : 명, %)

    전 체 국 민 노 인 인 구

    총 인 구 46,858,463 3,204,095

    생활보호대상인구 1,175,187 245,891

    구 성 비 2.5% 8.2%

    자료 : 보건복지부, ꡔ‘99년 생활보호대상자 현황분석ꡕ, ‘99.

    ㅇ 경제활동 기회와 내용의 제한

    - ‘98년 현재, 노인인구 29%가 경제활동을 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으나,

    - 대부분이 농‧어‧축산업 등 단순노무직에 종사하고 있으며, 고

    위임직원(2%)이나 전문가(1.9%) 등 사회적 지위나 수입이 높

    은 직업 종사자는 극소수

    - 특히, 1차산업 종사기회가 적은 도시지역의 경우, 노인의

    경제활동참가율은 17.1%에 그침

  • - 8 -

    □ 老人 健康水準의 低調와 醫療費의 持續的 增加

    ㅇ 평균수명의 연장과 고령노인 인구 증가에 따라 신체적 장애

    를 경험하는 노인이 지속적으로 증가

    - 노인 10명 중 9명 정도가 장기간 치료‧요양을 요하는 당뇨‧

    관절염‧고혈압 등 만성질환을 한 가지 이상 앓고 있음

    * 노인의 43.4%가 관절염을 앓고 있으며, 관절염이 있는 노인의 84.4%가

    일상생활에 지장을 경험

    - 전체 노인인구의 11,5%가 버스 타기, 전화걸기 등 일상생활

    수단의 수행능력(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에

    장애가 있는 경증장애에 처해 있으며,

    - 노인 31.9%가 식사, 목욕 등 일상생활에 꼭 필요한 활동

    (Activities of Daily Living)이 곤란한 중증장애 상태이며, 모

    든 일상적 활동이 어려운 노인도 3.5%에 달함

    < 65세 이상 노인의 건강상태 및 기능장애 정도 >

    독립생활 가능노인

    (56.6%)

    독립생활 불가능 노인(43.4%)

    IADL

    제한노인

    (11.5%)

    ADL 제한 노인(31.9%)

    ADL일부

    제한(28.4%)

    ADL

    모두

    제한

    (3.5%)

    주 : N=2,224명

    자료 : 정경희 외,『‘98년도 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98.

    ㅇ 정신건강상의 장애를 경험하고 있는 노인도 증가하는 추세

    - 2000년 현재, 노인 중 8.2%가 치매증상을 지니고 있으며,

    2015년에는 9%에 이를 것으로 추정

  • - 9 -

    < 65세 이상 치매노인 추정 >(단위 : 명)

    연령계층 2000 2005 2010 2015 2020

    전체노인수 3,370,568 4,252,919 4,032,146 4,846,461 6,899,269

    치매노인수 277,748 351,025 433,918 527,068 619,132

    출 현 율(%) 8.2 8.3 8.6 9.0 9.0

    자료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치매유병률조사자료, ‘97.

    ㅇ 노인 의료비용의 급격한 증가

    - ‘85년~’96년간 전체 진료비가 12.7배 증가한 반면, 노인인구

    의 진료비는 35.5배로 증가하여 다른 계층에 비해 훨씬 빠른

    속도로 증가

    < 건강보험에서의 노인의료비 증가추이 >(단위 : 백만원)

    연도 전체 진료비 (증가지수) 노인진료비 (증가지수)노인의료비

    구성비(%)

    ‘85

    ‘90

    ‘96

    583,278

    2,219,773

    7,423,716

    ( 100)

    ( 501)

    (1,273)

    27,515

    239,173

    976,184

    ( 100)

    ( 692)

    (3,548)

    4.7

    8.2

    13.1

    자료 : 의료보험조합연합회, 의료보험연합회, 『의료보험통계연보』, 각 연도.

    ㅇ 신체적‧정신적 장애를 경험하는 노인의 주된 부양자는 배우자

    와 며느리 등 가족이며 전문적 서비스를 제공받는 경우는 극

    소수에 불과

  • - 10 -

    □ 老人의 社 會 參與機會 未洽

    ㅇ 평생교육에 대한 노인들의 참여 욕구는 높으나, 실제 참여율

    은 매우 낮은 수준

    - ‘98년 현재, 노인의 14%가 평생교육에 참가를 희망하고 있으나,

    실제 노인의 2%만이 노인교육기관 이용

    ㅇ 노인의 자원봉사참여율은 아직은 저조하지만,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참여율이 높아지는 현상

    - 자원봉사에 참여한 경험율은 전체 연령의 경우는 16.9%인데

    비해 60세 이상 연령층은 9.9%로 상대적으로 낮음

    - 서울시 노인 중 자원봉사경험율은 9.3%이지만 고졸 이상의

    노인은 19.2%로, 학력수준에 따라 큰 차이

    ㅇ 노인의 여가활동 참여 수준이 저조할 뿐만 아니라, 그 형태도

    TV시청, 모임, 경로당 참여 등에 치중되어 다양하지 못함

    자료 : 김익기 외, 『한국노인의 삶』, ‘99.

    1.6%

    15.3%

    41.2%

    42.8%

    55.2%

    58.3%

    96.6%

    0.0% 20.0% 40.0% 60.0% 80.0% 100.0%

    문화활동

    취미활동

    놀이.오락

    음주.차마시기

    경로당.복지관 참여

    모임활동

    텔레비전.라디오 시.청취

    노 인 의 여 가 활 동

  • - 11 -

    2. 老 人保健‧福祉政 策 現況

    □ 老人生 活 安定 支援政 策

    ㅇ 노후소득 보장체계

    - 국민연금제도 역사가 짧아 공적 연금을 통한 노후소득보장체

    계가 아직 확립되어 있지 못한 실정

    * 2008년부터 정상적 노령연금(20년 가입에 60세부터 지급) 급여 개시

    - '98년 경로연금제 도입으로 저소득 노인의 소득보장을 위한

    기본틀은 마련되어 있으나, 지급대상이 한정되고(전체노인의

    20% 내외), 지급액이 낮아(22,500~50,000원) 실질적 생계

    보장에는 한계

    < 경로연금의 지급현황 >

    구분생활보호노인 저소득노인

    총계80세 미만 80세 이상 전액지급자 감액지급자

    주)

    지급인원247,995(42.4%)

    63,272(10.8%)

    230,564명(39.4%)

    43,145명(7.4%)

    584,976명(100%)

    지급액(1인당) 4만원 5만원 3만원 2.25만원 -

    자료 : 보건복지부 노인복지과 내부자료, 2000. 10.

    주 : 부부가 모두 대상자인 경우 지급액이 감액되어 1인당 22,500원 지급.

    ㅇ 노인취업 촉진정책

    - 노인취업알선을 위하여 보건복지부 소관의 노인취업알선센터(70

    개소), 노동부 소관의 고령자인재은행(36개소), 서울시의 고령

    자취업알선센터(13개소) 등 운영

    - 고령자고용시장 확보를 위하여 노동부에서 고령자의 신체 특

    성 등에 맞는 고령자적합직종 77종을 개발(2000년 현재)

    - 노인의 自助的 소득창출 노력 지원을 위해 경로당 및 노인복

    지시설에 공동작업장 총 510개소를 설치‧운영 중(‘99년말 현

    재), 개소당 설치시 600만원 보조

  • - 12 -

    □ 老人健康 保護 政 策

    ㅇ 거동불편 노인을 위한 在家보호서비스

    - 거동불편 노인을 지역사회에서 보호하기 위해 가정봉사원 파

    견, 晝間‧단기보호, 방문간호 등 재가보호서비스 실시

    < 재가보호서비스 내용 >

    구 분 사 업 내 용

    가정봉사원 파견사업

    ㅇ자원봉사자들이 생활보호 대상노인을 방문하여 가사지원

    서비스, 개인활동지원서비스 등 제공

    ㅇ중산층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유료가정봉사원 파견사업을

    시범적으로 실시

    주 간 보 호 사 업 ㅇ거동불편 노인을 낮 동안 보호

    단 기 보 호 사 업ㅇ부양자가 질병, 출장 등의 이유로 노인을 돌볼 수 없는

    경우에 이를 대신하여 노인을 단기간 보호

    방문간호 등

    가정간호서비스

    ㅇ보건소 방문간호사가 노인, 장애인 등 건강취약계층 중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가정방문서비스 실시

    -기본적 간호 처치, 자기건강 관리교육 및 훈련‧상담 등

    직‧간접적 간호서비스와 연계서비스 제공

    - 재가보호서비스기관은 총 250개소로, 노인 14,172명당 1개소

    수준(2000년말 현재)

    * 이중 국고보조를 받고 있는 시설이 총 168개소(가정봉사원파견센터 88,

    주간보호시설 57, 단기보호시설 23개소), 지방비보조만 받거나 자부

    담만으로 운영되고 있는 시설은 82개소

    < ‘노인복지법’에 근거한 재가노인보호서비스 기관현황 >

    (단위 : 개소)

    재가노인복지시설수1개소

    당 노인인구

    전 체 노인수

    가정봉사원 파견사업소

    노인주간보호시설

    노인단기보호시설

    계 국고 비국고 계 국고 비국고 계 국고 비국고

    109 88 21 105 57 48 36 23 1314,172

    명3,543천명

    자료 : 한국재가노인복지협회, 내부자료, 2001. 3

    주 : 비국고 시설은 국고를 지원받지 않는 시설로 각 시‧도에서 파악된 현황임

  • - 13 -

    ㅇ 노인건강 보호를 위한 시설보호서비스

    - 시설보호서비스를 제공하는 長期老人入所施設은 일상생활에

    지장이 없는 노인을 위한 養老施設과, 질환으로 요양을 필요

    로 하는 노인을 위한 療養施設로 법상 분류

    - 장기노인입소시설 총 250개소 중 양로시설이 119개소, 요양시

    설이 131개소이며, 수용가능 정원은 19,551명, 입소자는

    13,907명으로 정원기준으로 65세 이상 노인 0.55%만을 보호

    할 수 있는 수준(2000년말 현재)

    * 치매‧중풍 등 중증노인성질환을 가진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전문요양

    시설은 25개소에 불과

    < 장기노인입소시설 현황 >

    기관수(개소) 현 원(명) 정 원(명)입소율

    (현원/정원, %)

    총 계 250 13,907 19,551 71.1

    무료양로 93 4,872 6,765 72.0

    요양 77 4,692 5,448 86.1

    실비

    양로 4 120 174 69.0

    요양 13 711 939 75.7

    전문요양 25 2,105 2,537 83.0

    유료

    양로 22 702 1,862 37.7

    요양 13 356 714 49.9

    주택 3 349 1,112 31.4

    65세 이상 노인대비

    - 0.40% 0.55% -

    자료 : 보건복지부, ꡔ2001년도 노인복지시설현황ꡕ, 2001. 3.

    ㅇ 전국 시‧군‧구 보건소(250여개)에 치매상담신고센터를 설치‧

    운영하고 있으며,

    - 노인질환 조기발견, 건강지도 및 보건교육 실시 등 노인건강

    증진을 위해 생활보호대상노인에 대한 무료노인건강 진단

    사업 실시

  • - 14 -

    □ 老 人 社 會 參與 活 性 化 政 策

    ㅇ 노인의 여가활동과 교육을 위한 노인교실

    - 현재 468개소에 약 11만명이 등록되어 있으나, 미등록 시설을

    포함할 경우 약 1,200여개의 시설이 있는 것으로 파악

    - ‘노인복지법’상 노인여가복지시설로 규정되어 있어, 교육적 측

    면보다는 여가선용 등 복지적 측면 위주로 운영

    ㅇ 노인의 친목도모 및 여가활동을 위한 경로당

    - 38,580개소로 노인 약 124만명이 등록, 개소당 연간 운영비

    528천원과 난방연료비 250천원 지원(‘99년말 현재)

    - 2000년부터 전국 44개 지역에서 노인복지회관이나 사회복지관

    및 지역 경로당을 연계하여 노인에게 필요한 여가 및 교

    육서비스를 제공하는 ‘경로당 활성화 시범사업’ 추진 중

    ㅇ 노인복지 및 휴양시설

    - 지역사회 노인에게 필요한 각종 서비스를 무료 또는 저렴

    하게 제공하는 노인복지회관 108개소를 운영(2000년 3월 현재)

    하고 있으며, 2001년도에 10개를 신축할 예정

    - 노인 심신휴양을 위한 여가, 위생, 기타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설인 노인휴양시설 6개소 운영(‘99년말 현재)

    ㅇ 노인의 자원봉사 활성화를 위한 노인지역봉사지도원제 운영

    (약 17천여명), 수당 지급 및 우수활동자에 대한 포상 실시

  • - 15 -

    III. 老人保健‧福祉政 策 評價

    總 括 評 價

    1. 政 策 方向에 대한 評價

    ㅇ 현행 노인보건‧복지정책은 저소득 노인계층을 주대상으로

    선별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수준에 머물고 있어,

    - 다양해지고 있는 노인복지수요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

    는 정책적‧제도적 기반 확충 필요

    * 복지부「노인보건‧복지중장기발전계획(‘99)」은 전체 노인을 대상으로

    한 “총체적 서비스 제공 개발‧확충”이라는 기본방향을 설정하고 있으

    나, 재원 등 추진기반 확보 미흡

    ㅇ 취업, 교육, 주택, 교통, 자원봉사 등 노인복지 관련정책들이

    유기적으로 연계되지 못하고 개별적으로 추진됨에 따라 ,

    정책간 시너지 효과 미흡

    * 복지부「노인보건‧복지중장기발전계획」은 관련부처 기능을 포괄한 종

    합계획이 아니며 부처간 업무연계방안도 미흡

    - 노인복지정책의 체계적 추진을 목적으로 설치되었던 “노인복

    지대책위원회”가 활동실적 저조 등의 이유로 ‘99년 폐지된

    후, 이를 대체할 조정기구도 실질적으로 없는 상태

    * UN/ESCAP(아‧태경제사회위원회)는 각국의 해당부처에 「고령화사회대

    책기구」를 설치할 것을 권고

  • - 16 -

    ㅇ 평균수명 연장으로 정년퇴직 이후에도 근로의욕과 능력이 있

    는 노인이 증가하고 있는 반면,

    - 노인 생산력에 대한 부정적 사회인식과 고용‧평생교육‧사회

    복지의 효과적 연계망이 미비하여 이들의 근로능력 향상과

    이에 기초한 자활여건 조성이 미흡한 실정

    - 고용조건 및 기술의 급격한 변화와 생산성 저조를 이유로 한

    고령자 조기퇴직과 재고용 기피는 종국적으로 사회보장체계

    에 부담을 가중시켜 경제적 효율성 저하를 초래할 것

    * 현재 남성의 경우, 정년(평균 55세) 이후 평균적으로 15년 이상을 더

    살 것으로 예측

    ㅇ 지식 기반경제의 급속한 대두에 따라, 연령별 디지털격차

    (Digital Divide) 현상 심화

    * 50대 이상 연령층의 디지털 교육수준

    은 전체평균의 18%, 활용수준은

    23.4%에 불과

    - 이러한 디지털격차의 심화에

    따라, 노인계층이 기존의

    경제적‧ 사회적 소외와 더불어

    정보‧ 문화적 소외를 경험할

    가능성이 증대되어, 노인의

    사회통합을 저하시키는 결과

    초래

    현대경제연구소, 『국내디지털격차

    현황』, 지식경제, 2000. 10.주 : 한국정보센터 「2000 정보생활 실태 및

    정보화인식조사」를 근거로 지수 산출

    0

    20

    40

    60

    80

    100

    120

    140

    160

    10대 20대 30대 40대 50대이상

    연령별 디지털화 지수

    교육지수

    활용지수

    인프라지수

  • - 17 -

    2. 政 策 推進體 系에 대한 評價

    □ 政 府와 民間간의 適切한 協助 體 系 未洽

    ㅇ 민간과 공공부문간의 역할분담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부족하

    며, 민간의 참여와 민간자원의 활용도 저조

    - 가정의 노인부양 기능이 약화되는 가운데, 지역주민 및 사회

    단체 등의 자발적 참여 부족

    - 실버산업 등 시장기능에 의한 서비스 제공기반도 미흡

    ㅇ 가족의 노인부양기능 지원체계 미비

    - 관련대책이 경로우대제도 및 효행자 포상 등 전통적 孝의 강

    조에 머물러 있고, “부양제공자”로서의 가족역할에 대한 정

    책지원의 통합적 방향 설정 미흡

    - 특히, 치매, 중풍 등 장기요양보호를 요하는 중중환자 노인

    가족 등에 대한 정책적 지원이 시급하나, 이에 대한 지지

    서비스 등은 아직 초기단계에 머물고 있음

    * 장기요양보호가 필요한 노인을 돌보는 가족구성원의 경우, 55.8%가 경

    제적 부담을, 65.9%가 정서적 부담을 느끼고 있으며, 수발에 지장이

    있을 정도로 건강이 나쁜 경우도 21.2%에 달함(이가옥 외,「장기요양

    보호노인의 욕구 및 가족의 부양부담」, ‘99.)

    ㅇ 지역주민과 사회단체의 참여 지원체계 미정착

    - 급격한 산업화‧도시화에 따라, 지역공동체의식은 지속 약화되

    고 있으나,

    - 노인복지를 위한 지역주민 등의 참여가 저조한 실정이며 이

    를 활성화하기 위한 지원체계 정착도 미흡

  • - 18 -

    ㅇ 실버산업 등 시장기능 활성화기반 미흡

    - 노인 소득수준의 향상에 따라서 양질의 유료서비스에 대한

    욕구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나, 사회적 인식 저조,

    정보부족 등의 제약으로 시장기능의 활성화 미흡

    * 유료노인복지시설의 경우, 입주율이 다른 시설의 평균입소율 77.1%의

    절반인 38.2%에 그침

    - 실버산업을 통한 민간의 참여를 촉진하기 위한 정책적 관심

    은 유료노인복지시설에 대한 융자지원에 국한되어, 다양한 실

    버산업 분야를 활성화하기에는 한계

    □ 老 人福祉 關聯 擔當組織 및 財源 基 盤 脆弱

    ㅇ 날로 증가하고 있는 노인복지수요에 대응하기에는 현재 담

    당행정조직 규모(복지부 : 2과, 시‧도 : 1계)로는 한계

    < 각국의 노인복지 행정체계 비교 >

    국 가 중앙(연방)정부 지방자치단체(지방정부)

    미 국

    ㅇ 노인복지청(Administration on

    Aging)

    - ①노인복지계획국 ②노인

    보건국 ③노인복지사업국

    ④사무국 등으로 구성

    - 9개의 지역 사무소(AOA

    Regional Offices)

    ㅇ 주(State) : 노인복지국(Bureau

    of Aging)

    ㅇ 시‧군‧구(County/District) :

    노인복지사무소(Area Agency

    on Aging)

    일 본

    ㅇ 厚生省 노인보건복지국

    - ①기획과 ②노인복지계획과

    ③노인복지진흥과 ④노인

    보건과 등으로 구성

    ㅇ 都‧道‧府‧縣 : 노인보건복지국

    ㅇ 市‧町‧村 : 노인복지과

    한 국ㅇ 보건복지부

    - 2과(노인복지과, 노인보건과)

    ㅇ 시‧도 : 1계

    (서울시 : 노인복지과)

  • - 19 -

    ㅇ 2001년도 정부예산(일반회계) 94조원 중 노인복지예산은

    0.33%인 3,100억원으로 OECD 주요국가와 비교할 때, 337만

    노인의 복지를 위한 예산으로는 크게 부족한 실정

    < OECD 주요회원국의 사회보장부문별 지출비율(‘95) >(단위 : GDP에 대한 %)

    급 여 부 문 한국 일본 스웨덴 프랑스

    노령‧장애‧유족 1.16 6.83 11.39 13.29

    노인과 장애인 복지서비스 0.11 0.27 3.37 0.78

    자료 : OECD, Social Expenditure Database ‘80~’96, ‘99.

    □ 地方自 治團體 單位의 老人福祉 推進基 盤 脆弱

    ㅇ 지자체의 노인복지에 대한 관심과 재정여건이 전반적으로 미

    흡하며 지역별로 큰 편차를 보임으로써, 노인복지 여건의

    지역간 균형발전에 장애

    - 노인복지 관련예산이 지자체의 전체예산에서 차지하는 비율

    은 평균 2.25%로 전반적으로 미흡할 뿐만 아니라, 시‧도별로

    큰 격차(0.98~5.2%)

    * 예산비중은 시‧도별 노인인구의 규모나 비율과 연관성이 없음

    - ‘93년부터 지자체별로 조성하고 있는 노인복지기금의 경우,

    16개 광역단체 중 조성목표액에 미달된 곳이 7개가 있는 등

    조성과 집행이 당초 목표보다 크게 지연

    - 이에 따라, 노인복지시설 등도 지역별로 편중되어 지역별

    노인복지여건의 불균형 심화

  • - 20 -

    < 시‧도 노인복지 예산(2000년도) >( 단위 : 백만원, %)

    시‧도 전체예산(A)노인보건

    복지예산(B)

    노인복지예산

    비율(B/A × 100)

    노인

    복지기금

    노인인구

    비율

    서 울 10,599,135 146,145 1.4 10,000 5.3

    부 산 1,767,775 34,611 1.96 1,000 6.0

    대 구 1,287,200 23,913 1.8 1,885 5.8

    인 천 1,153,977 17,825 1.54 1,745 5.4

    광 주 937,165 16,680 1.8 3,585 5.5

    대 전 815,089 14,397 1.76 985 5.3

    울 산 839,414 8,200 0.98 639 3.8

    경 기 3,881,105 117,514 3.0 10,221 5.6

    강 원 3,642,656 72,069 2.0 7,996 9.7

    충 북 2,097,492 40,696 1.94 5,892 9.5

    충 남 1,223,295 63,479 5.2 3,813 12.0

    전 북 4,007,923 124,287 3.1 513 11.0

    전 남 1,650,100 45,883 2.8 4,319 13.2

    경 북 3,199,790 98,219 3.1 2,451 11.4

    경 남 1,396,900 46,319 3.3 100 8.9

    제 주 961,155 16,653 1.73 4,113 8.0

    전 체 39,460,171 886,890 2.25 59,257 7.1

    자료 : 보건복지부 내부자료 / 통계청, 「시‧도별 추계인구 : ‘70~2020」

    주 : 국고, 지방비 포함

    ㅇ 중앙부처와 지자체간의 원활한 정보공유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중앙‧지방간 업무연계 미흡

    □ 老人人口에 대한 綜合 的 統 計인프라 構築 未洽

    ㅇ 노인인구에 대한 실태파악 미흡과 자료 부족으로 장기적‧ 종

    합적 정책의 수립과 추진에 장애

    - 전국단위의 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가 정기적으로

    실시되지 못하고 있고, 전국차원에서 관련자료를 수집할 수

    있는 법적 근거도 미흡

    * 사례 : 00시에서 파악하고 있는 40개 재가노인복지시설 중 전액 시비보

    조만을 받고 있는 22개 재가노인복지시설의 운영현황에 대해

    서는 복지부에서 파악이 안 되고 있음

  • - 21 -

    主 要 政 策 評 價

    1. “老 人就 業 促 進政 策” 評價

    □ 老人就 業 促 進을 위한 政 策의 實 效 性 未洽

    ㅇ ‘고령자고용촉진법’은 고령자를 55세 이상으로 규정하고 있

    으나, 실제로 정책중점이 50대 연령층에 두어짐으로써, 60대

    이상 노인취업에 대한 정책적 관심 저조

    - ‘98년 현재, 5인 이상 사업체 고용자 중 55세 이상 고령자 는

    6.9%이나, 55~59세 연령에 집중되어 있어, 60세 이상은

    2.9%에 불과한 실정

    < 5인 이상 사업체 지역별 고령자 취업현황 >

    (단위 : 명)

    55~59세 60세 이상고령자 소계

    (55세 이상)

    고령자고용율

    (55세 이상/전체)

    233,163

    (58.5%)

    165,114

    (41.5%)

    398,277

    (100.0%)6.88%

    자료 : 노동부.「‘98. 사업체노동실태조사보고서」, ‘99.

    ㅇ 고령자를 6% 이상 고용 또는 신규채용‧재고용하는 사업체에

    대해 고용보험기금에서 고령자고용촉진장려금을 지급(1인당

    월 5만원)하고 있으나, 정책실효성을 거두기에는 낮은 수준

    * 일본의 경우, 고령자고용 촉진을 위해 고연령자고용환경정비장려금, 고

    령자취업준비장려금, 특정구직자고용개발조성금, 고연령고용계속급여 등

    다양한 조성금 지원

  • - 22 -

    □ 關聯機關間 連繫 不足으로 就 業 斡旋情報의 共同活 用 未洽

    ㅇ 노인취업알선 관련기관간 구직자와 구인처에 대한 정보가

    공유되지 못하고 있어 취업알선사업의 효율성 저하

    - 보건복지부 산하 노인취업알선센터의 경우, 구직자와 구인처

    에 대한 전산화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고,

    - 노동부 고용안정정보망(Work-net) 경우에도, 고령자에 대한

    전문서비스 내용 확충이 미흡한 수준

    □ 老人就 業 促 進을 위한 職業 敎 育프로그램의 多樣化 未洽

    ㅇ 노인취업촉진을 위한 직업프로그램의 내용이 다양화되어 있지

    못해 노인의 충분한 취업능력 개발과 전문직종 취업 저조

    - 현재 개발된 고령자적합직종(77종)은 단순노무직 위주로 편

    성되어 있어 충분한 취업능력 개발과 전문직종 취업에 한계

    < 한국산업인력공단의 고령자 단기적응훈련직종 >

    구 분 1주과정 2주과정

    훈련직종

    주차장관리원, 건물관리원,

    수위‧경비원, 텔레마케터,

    간병인, 가사보조원,

    식당종사원, 산모돌보는이,

    아기돌보는이,

    임종환자돌보는이

    민원상담원, 교통량조사원 등

    조리보조원, 도배보조원,

    봉재보조원, 제과보조원,

    제빵보조원, 발관리보조원 등

    ㅇ 전문‧사무직 퇴직자의 직장경험과 전문지식을 활용하기 위한

    노인창업활동에 대한 지원 미흡

    * 현재 중소기업청내 소상공인지원센터에서 실시하고 있는 소규모 창업

    지원은 중년계층을 주대상으로 하고 있음

  • - 23 -

    □ 老人共同作業 場 等 自 助 的 努力에 대한 支援 未洽

    ㅇ 노인공동작업장의 운영실적이 전반적으로 부실하고, 노인의

    소일거리 제공 외에 노인소득의 실질적 향상에 기여하지 못함

    - 이에 대한 지원도 설치시 개소당 600만원 보조, 단편적 행정

    지원에 그치고 있음

    * 대한노인회 산하의 공동작업장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2000. 11.2~14,

    노인문제연구소)

    - 연중 작업을 하고 있는 작업장이 29.5%에 불과

    - 1인당 1일 근로소득이 5천원 미만인 작업장이 전체의 72.4%

    - 작업의 유형도 약초재배, 제품포장 등 단순노동이 대부분

  • - 24 -

    2. “長 期 療 養 保護서비스 擴 充 政 策” 評價

    < 老人健康 保護를 위한 施 設 保護서비스 >

    □ 長 期 入 所保護를 위한 施 設 및 人力의 不足

    ㅇ 2000년말 현재, 장기노인입소시설은 총 250개로 65세 이상 노

    인의 0.55%만을 보호할 수 있는 수준으로 증대하고 있는 서

    비스수요를 충족시키기에는 한계

    * 선진국의 경우, 노인인구의 4~5%를 보호할 수 있는 수준

    ㅇ 현재 생활지도원(사회복지사) 인력이 없는 시설이 전체의

    45%에 달하는 등 담당전문인력의 부족으로 적절한 서비스

    제공에 장애

    □ 施 設 別 機能 定 立 未洽으로 서비스의 效 率性 低下

    ㅇ 실제 운영상, 양로시설과 요양시설간 서비스 대상이 구분되

    지 못함으로써, 이용자 특성에 따른 서비스의 차별화 및 효율

    성 저해

    - 단순보호기능만을 수행해야 하는 양로시설의 경우, 입소노인

    의 28.5%가 치매, 17.6%는 臥 床상태이며 일반요양시설의

    경우에도 전문요양시설 보호대상인 중증장애노인이 입소자의

    40%를 넘고 있음

    ㅇ 이용자 부담 정도에 따라 무료‧실비‧유료시설로 구분되어 예

    산이 차등 지원됨으로써,

    - 실비시설 이용자의 입장에서는, 비용을 부담함에도 불구하고

    서비스 질은 무료시설보다 오히려 떨어지는 문제 발생

  • - 25 -

    < 擧動不便老人을 위한 在 家 保護서비스 >

    □ 在 家 保護서비스의 體 系 的 提 供을 위한 統 合 管理 未構築

    ㅇ 다양한 법령에 의거, 개별사업별로 서비스가 제공됨으로써,

    시설 및 서비스 대상에 대한 체계적 실태파악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지역별 수요에 따른 균형있는 시설 설치‧운영 저해

    * 노인복지회관에서 자체사업으로 재가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도 있고,

    별도의 재가노인복지시설로 신고‧운영하는 경우도 있음

    □ 在 家 保護서비스內容의 包括性‧體 系 性 不足

    ㅇ 의료서비스보다는 사회서비스에 초점이 두어져 있는 주간 및

    단기보호서비스를 보완하기 위하여 의료서비스와의 통합과

    이를 위한 의료기관의 참여가 요구되나,

    - 종합병원, 병‧의원 등 의료기관의 참여를 활성화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은 현재로서는 미흡하며,

    - 또한 의료기관에 주간 및 단기보호시설을 부설 설치하는 등

    의 ‘기존 시설활용 방안’도 구체적 전략 부족

    ㅇ 노인의료복지기관 등의 인력과 시설을 활용하여 재가보호

    서비스에 연계하기 위한 방안 부족

  • - 26 -

    3. “老 人敎 育 活 性 化 政 策” 評價

    □ 老人欲 求의 多樣化에 對 應한 敎 育프로그램 未洽

    ㅇ 노인학교의 경우, 교육방법이 강의 중심으로 다양하지 못하고,

    프로그램도 율동‧건강관리 등으로 일률적이며, 이에 따라

    고학력‧저연령 노인층의 참여 저조

    ㅇ 노인복지회관, 사회복지회관의 경우, 교양강좌 교실 운영 외

    에도 취업상담 및 알선, 재가노인복지시설 운영 등 다양한 사

    업을 수행, 노인교육에만 전념하고 있지는 못함

    ㅇ 종교‧사회단체 등의 운영 시설인 경우, 운영주체의 성격과 재

    정여건 등에 따라 내용과 수준이 큰 차이

    ㅇ 디지털 활용 교육기법 개발과 활용 미흡 등으로 노인들의 정

    보소외 현상에 대한 대처 미비

    * 노인교육전담기관의 경우, 컴퓨터 교육을 실시하는 기관은 3.7% 수준

    (‘99년 현재)

    □ 老人敎 育 機關의 運營 內實 化 不足 및 地域的 偏重

    ㅇ 현재 노인교육기관(총 1,194개소) 중 상근직원이 없는 기관이

    43.7%에 달하는 등 실질적 운영기반 미흡

    ㅇ 시‧도별로는 서울시가 340개소로 노인 1,268명당 1개소인데

    비해, 경남 지역은 53개소로 4,042명당 1개소로 지역별로 큰

    편차

  • - 27 -

    < 노인교육기관의 시‧도별 설치현황 >

    (단위 : 개소, 명)

    시‧도

    ①노인교실

    ②대한

    노인회소속

    ③천주교

    ④교회

    ①+②+③+④-중복수

    ⑤노인복지회관

    ⑥종합

    (사회)복지관

    ⑤+⑥-중복수 소계

    (A)

    65세이상

    노인수(B)

    개소당 노인

    인구수(A/B)

    전국 468 277 93 227 842 109 318 352 1,194 2,640,205 2,211

    서울 114 27 80 70 249 16 86 91 340 431,100 1,268

    부산 97 16 0 13 109 5 44 19 128 172,389 1,347

    대구 14 11 0 12 32 4 24 27 59 111,188 1,885

    인천 6 9 4 3 17 10 12 13 30 103,140 3,438

    광주 7 7 0 3 11 5 16 18 29 58,125 2,004

    대전 8 8 0 13 24 3 15 18 42 57,592 1,371

    울산 7 4 0 4 11 1 3 4 15 31,898 2,127

    경기 37 44 8 21 88 27 32 54 142 368,693 2,596

    강원 21 19 0 4 43 2 11 13 56 117,828 2,104

    충북 13 13 1 11 29 3 8 9 38 113,792 2,995

    충남 23 16 0 11 42 6 11 16 58 175,703 3,029

    전북 26 16 0 16 40 8 14 18 58 172,567 2,975

    전남 22 24 0 14 42 7 12 15 57 220,888 3,875

    경북 33 23 0 22 55 3 14 17 72 257,188 3,572

    경남 22 27 0 8 36 5 13 17 53 214,222 4,042

    제주 18 11 0 2 18 4 3 4 22 33,892 1,541

    □ 老人敎 育을 위한 人力의 專門性 및 效 率的 活 用 低調

    ㅇ 교육프로그램 운영인력의 전문성 부족으로 교육기관의 상당수가

    운영상의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노인교육담당자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전문인력 양성제도의 정착도 미흡

    * 2000년부터, 교육인적자원부에서는 10개 기관의 「노인교육담당자 및

    전문가 양성과정」을 지원하고 있으나, 필요인력에 비해 배출 인력이

    소수이며, 수강자 일부만이 노인교육기관에 근무하고 있는 실정

    ㅇ 대부분의 노인교육기관이 정보부족, 강사료 등 문제로 수준높

    은 강사 확보에 애로(이병준, 「21C 노령화사회를 대비한 노인교육 활

    성화방안연구」, ‘99. 정경희 외 「노인교육기관 및 프로그램실태조사 분석

    연구」, ’99.)

    * 현재 서울시에서만 ‘강사뱅크제’를 운영(노인문제연구소 주관)

  • - 28 -

    □ 老人敎 育에 대한 部處間 役割分擔 不明確

    ㅇ 노인복지와 평생교육간의 구분에 대한 합의가 없어, 부처간

    적절한 업무분장 미흡

    * 복지부 등록시설인 ‘노인교실’ 등에서의 교육부 개발 평생교육프로

    그램의 활용이 미흡한 등 상호연계 부족

    ㅇ 노인교육을 교육부에서는 교육사업으로, 복지부에서는 복지사

    업 측면을 강조하고 있으며, 관련법상 개념도 상이

    * 복지부 ‘노인복지법’은 노인교육시설을 노인 사회활동참여욕구와 교양

    및 교육에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노인여가복지시설로 정의(노인복

    지회관 및 노인교실 포함)

    ** 교육부 ’평생교육법‘ 내용에는 노인교육에 관한 사항이 구체적으로 언급

    되지 않으나, 평생교육의 일부로 간주

  • - 29 -

    IV. 改善課題

    1. 環 境 變 化에 對 應한 政 策 方向 再 定 立

    □ 選 別 的 政 策에서 總體 的 福祉體 系로 政 策 方向 轉換

    ㅇ 취약노인계층을 위한 사회안전망 구축에 우선순위를 두고 추

    진하되, 점진적으로 전체노인의 다양한 복지욕구에 대응할

    수 있는 普遍的‧總體的 복지체계로의 전환이 요구됨

    - 기초생활보장제도를 통해 노인의 최저생계비를 보장해나가되,

    의료비 등 노인 특성에 따른 추가비용을 감안하여 실질적 보

    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추진

    - 근로능력이 있는 노인을 위해서는 취업기회 확대, 중산층

    이상의 노인을 위해 ‘지역사회시니어클럽’ 확대, 실버산업 활

    성화 등 정책대상 특성에 따라 정책내용 차별화

    □ 關聯政 策 間 連繫 强 化를 위한 綜合 計劃 및 調整體 系 마련

    ㅇ 관계부처 및 각 개별정책을 유기적으로 연계하기 위해 범정

    부차원의「노인보건‧복지 중‧장기 종합대책」수립 필요

    - 소득‧고용-보건‧복지-정보‧문화-주거‧교통 등의 관련정책을

    포괄하는 체계적 대책을 마련하여 고령화에 효과적 대처

    * 장애인‧아동 등 다른 취약계층 지원정책과의 연계도 강화하여 정

    책의 효율성 제고

    ** UN은 인구고령화에 대한 사회적 대비가 필요한 시점으로 노인인구비

    율이 7% 이상 되는 시기를 설정

  • - 30 -

    ㅇ 이를 제도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해 국무총리실에 관계부처 및

    민간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노인보건‧복지대책위원회(가

    칭)’ 설치

    - 중‧장기 종합계획 등의 심의, 관계부처간 정책 협의‧조정, 주

    요시책의 점검‧평가 등 실질적 기능 수행

    □ 生 産的 福祉志向의 政 策 方向 定 立

    ㅇ 고용‧평생교육‧사회복지의 효과적 연계망을 구축하고, 노인

    근로능력 향상과 이에 기초한 자활여건 조성

    - 평생교육체계에 기초한 노인근로능력 향상과 취업‧창업 지

    원 프로그램의 개발 및 자원봉사 활성화를 포함한 적극적 자

    활 지원방안 마련 등 생산적 복지지향의 정책 추진

    □ 知識情報社 會의 進展에 能動的 對 處

    ㅇ 노인계층의 디지털 소외현상 해소를 위해 노인정보화교육 확

    대, 노인의 디지털 접근성 제고 등 장기적‧적극적 정책 개발

    필요

    - 현재 노인계층의 디지털 정보격차가 주로 디지털 교육과

    기술활용 측면에서 발생한다는 점을 감안하여,

    - 단기적으로 정보화촉진기금 지원 등을 통해 보건복지부 추

    진 ‘노인정보화교육’을 내실화하고, 장기적으로 노인 편의를

    고려한 디지털 활용기술 개발 등에 대한 지원 필요

  • - 31 -

    2. 高 齡 社 會에 對 備한 政 策 推進體 系 强 化

    □ 公 共‧民間 部門間 役割分擔 및 民間 資源의 活 性 化 支援

    ㅇ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역할을 명확히 하고, 민간자원의 활

    성화를 위한 지원체계를 정립할 필요

    - 기초생활보호대상 노인에 대한 소득‧의료‧주거 등 기초생활

    보장은 국가 책임하에 강화하되,

    - 기초생활보장 이상의 부분에 대하여 정부‧지역사회‧가족이

    공동으로 지원체계를 구축하고, 실버산업 등 민간시장을

    통한 다양한 서비스 개발 장려

    < 정부와 민간의 노인복지 역할분담의 기본모형 >

    목 표 최저생활 보장 다양한 욕구 충족

    ↑ ↑ ↑

    내 용 사회적 최저기준 이하의 욕구 사회적 최저기준 이상의 욕구

    ↑ ↑ ↑

    공 급 주 체 공공부문, 비영리 민간 영리(실버)산업, 비영리 민간

    ㅇ 가족의 노인부양기능 유지‧보완을 위한 지지시스템 확충

    - 재가복지서비스와 연계한 가족훈련, 가족상담, 환자가족모임

    지원, 치매환자 등록 등 다양한 지지프로그램의 체계적 확충

    - 장기적으로 노인간병수당 등 노인간병에 대한 지원방안 강구

    * 영국, 스웨덴 등 많은 국가가 보호제공자에게 보호제공자 급여 제공

    - 노인부양자에 대한 소득공제 확대방안에 대한 장기적 검토

  • - 32 -

    ㅇ 노인복지정책 추진에 지역주민과 사회단체의 참여 유도

    - 각 지자체에 설치되어 있는 ‘복지위원회’ 등 다양한 민간복

    지망 강화를 통해 지역단위의 복지체계 확립

    * 현재 추진 중인 ‘경로당 활성화 시범사업’과 연계, 경로당 후원회 결성,

    자원봉사 등을 통한 지역주민 참여 확대

    - 사회복지단체간 네트워크 구축, 복지활동정보지원센터 활성화등

    을 통해 노인복지에 대한 민간단체 참여 촉진

    ㅇ 실버산업 육성 등 시장기능 활성화 지원

    - 금융지원 확대, 민간사업자협회 설립 지원 및 사회적 인식

    제고를 통한 수요창출방안 등의 다각적 육성방안 강구

    - 실버벤처기업에 대한 벤처기업기술개발자금(중소기업청 주

    관) 제공 확대

    ㅇ 일반노인 및 퇴직자를 대상으로 자발적인 소득창출 및 자원

    봉사 지원을 위한 ‘지역사회시니어클럽’ 적극 추진

    □ 老人福祉 擔當組織과 財源의 段階的 擴 充

    ㅇ 중앙정부의 노인복지 담당부서 인력 및 담당조직을 고

    령화의 진전에 맞춰 단계적으로 확충하고,

    - 전국단위 일관성 있는 정책 수행을 위해 시‧도에 전담부서를

    설치하는 방안 검토

    * 대통령 지시사항(’99. 1.27) : 노인의 비중을 고려, 담당 행정부서를 격

    상시키는 방안을 강구

  • - 33 -

    ㅇ 정부예산 중 노인보건‧복지 관련예산을 연차적으로 확대하

    고, 우선순위에 입각하여 예산배분의 효율성 제고

    - 정부재정의 한계를 감안, ‘사회복지공동모금’ 등 민간모금에

    대한 세제지원의 단계적 확대 등을 통해 민간의 노인복지

    관련 투자 촉진

    □ 老人福祉政 策 推進을 위한 地方‧中央間 連繫體 系 確 立

    ㅇ 단기적으로 노인복지와 관련한 정기적 지자체 평가 실시 및

    이에 따른 예산지원과 연계한 인센티브 강화 등 연계 확충방

    안 추진

    ㅇ 장기적으로 지역 특성에 맞는 정책 수립‧추진을 위해 노인복

    지기금 등 재원 확충방안을 포함한 지자체별 「노인보건‧복

    지 중‧장기계획」의 수립 제도화(‘노인복지법’ 개정)

    □ 老人의 生 活 및 欲 求에 대한 定 期 的 調査 實 施

    ㅇ 노인 특성과 욕구에 부응하는 정책 수립 등을 위해 노인의

    생활실태 및 복지욕구 등에 대한 전국적 실태조사의 정기적

    실시(타부문의 복지실태조사와 종합적 연계)

    * 장애인의 경우 ‘장애인복지법’에 의거, 5년마다 실태조사를 하게 되어

    있음

    ㅇ 인구센서스에 노인실태 관련항목을 확충하고, 관련부처간

    통계자료의 공동활용을 위한 통계인프라 구축

  • - 34 -

    3. 老人就 業 促 進政 策의 實 效 性 提 高

    □ 老人就 業 促 進政 策의 實 效 性 確 保를 위한 政 策 手段 擴 充

    ㅇ 고령자취업촉진정책의 중점대상을 현재의 50대 위주에서 60

    대 이상 연령층으로 점진적 확대

    ㅇ 연차적으로 고령자고용촉진장려금을 점진적으로 확대하고,

    - 장기적으로 300인 미만 중소규모 사업장의 고령자 평균고용

    률이 6.2%(‘98년 현재)인 점을 감안, 300인 이상 사업장의

    기준고용율 상향조정 검토

    ㅇ 재고용‧근무연장제를 실시하는 기업에 대한 지원방안 검토

    ㅇ 장기적으로 고령자임금체계의 합리적 개선유도방안 강구

    (임금피크제 등)

    □ 關係部處間 情報共有 等을 위한 네트워크 構築

    ㅇ 보건복지부가 노인취업알선 관련 자료‧정보를 제공하고, 노

    동부는 고용안정정보망에 전문서비스를 개발하는 등 역할을

    분담하여 노인취업정보시스템 구축 추진

    ㅇ 장기적으로 취업‧창업 정보뿐만 아니라, 취업‧창업교육훈련

    지원과 노인창업 인큐베이터 등 다각적 역할을 수행하는

    정보공유네트워크 구축

  • - 35 -

    < 구직자/구인처 연계를 위한 정보공유네트워크 구성도(예시) >

    창업희망노인 ⇒

    구직자

    등록정보

    취합

    노인인력

    정보공유체계

    ←구인

    업체

    정보

    취합

    ⇔ 중소기업

    취업희망노인 ⇒ ⇒ ← ⇔자문회사,

    창업지원기관

    자원봉사

    희망노인⇒ ⇒ ← ⇔

    공공사회봉사활동단체

    노인취업

    알선센터

    (보건

    복지부)

    각 지역

    사회복지

    전문요원

    (보건

    복지부)

    고령자

    취업알선

    센터

    (서울시)

    시‧군‧구

    취업정보

    센터

    (지자체,

    노동부)

    고령자

    인재은행

    (노동부)

    각 지역

    실업극복

    범국민

    운동본부

    지역

    NGO

    □ 關係部處間 連繫를 통한 老人 就 業 敎 育의 內實 化

    ㅇ 교육인적자원부에서 다양한 직업교육프로그램 및 고령자

    창업준비 기초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노동부의 고령자직업능력개발훈련과정, 중

    소기업청의 소상공지원센터와 연계하여 교육을 실시하는 등

    관계기관간 연계를 통하여 교육프로그램의 질적 수준 제고

    ㅇ 전문성을 요하는 고령자적합직종 개발을 지속 확대하고 직

    업교육프로그램 확충을 통해 전문인력을 요구하는 산업수

    요에 대처

  • - 36 -

    □ 老人共同作業 場에 대한 支援方案 擴 充

    ㅇ 공동작업장에 대한 용역수주, 일감부여, 생산품 판매알선 등

    의 행정지원을 강화하고,

    - 지역사회니어클럽, 지역내 기업 등과 연계한 자원봉사, 경영

    자문 등을 통해 운영의 효율화 도모

    * 영국의 경우, 정부‧지자체가 민간기업과 합동으로 노인복지공장(old

    worker's sheltered workshop)을 운영하거나 민간 운영 시설에 대한

    노인복지공장기금 융자 지원 실시

    4. 長 期 療 養 保護서비스 提 供 基 盤 擴 充

    □ 長 期 療 養 保護서비스의 段階的 擴 充 推進

    ㅇ 양로시설의 기능을 보강하여 요양시설로 전환하는 등 기존

    시설의 기능전환 및 증‧개축을 통한 확충 추진

    ㅇ 장기적으로 노인욕구에 따른 다양한 장기요양보호가 이루어

    질 수 있는 체계 구축

    ㅇ 이와 함께, 전문간병인력 등 필요인력의 확충을 위해 전문

    간병인 자격증제 도입 등 노인요양 전문인력의 제도화 및 확

  • - 37 -

    * 복지부 「2000년 노인장기요양보호정책기획단」은 최종적 시설보호 수

    준을 전체 노인인구의 3% 정도로 유지하고, OECD 주요선진국의 3~

    7% 수준에 근접시키는 것을 목표로 설정, 이에 필요한 시설‧인력수,

    소요재정을 산정‧제시한 바 있음

    ** 참고 : 부표(장기요양보호서비스의 단계별 확충방안에 따른 필요시설

    및 인력 추계)

    □ 長 期 老人入 所施 設의 機能 再 定 立

    ㅇ 지역사회에서의 노인보호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시설별 기능

    재정립

    - 현재 주거목적의 단순 수용보호 기능은 지역사회 내 다양한

    형태의 소규모 주거시설(Group Home), 유료노인복지시설

    에서 수행되도록 하고

    - 재가보호시설을 확충하고 현재의 양로시설은 보건‧의료기능

    이 보강된 요양시설로 전환

    - 시설보호는 재가보호서비스로의 도움을 받고서도 지역사회에

    서 독립적 생활을 할 수 없는 노인에게만 제공

    ㅇ 무료, 실비 등 비용부담에 따른 구분을 폐지하고, 소득수준과

    관계없이 동일 서비스를 향유하기 위한 소득수준에 따른 차

    등비용(Sliding Scale)체계 도입

    □ 在 家 保護서비스의 統 合 的 管理體 系 構築

    ㅇ 다양한 재가보호기관간의 역할을 재정립하고, 관련사업간

    연계를 강화하여 통합적 관리체계 구축

    ㅇ 지역사회에서 재가복지서비스의 준거점이 될 수 있는 기관을

    선정, 재가서비스기관간의 연계 강화

  • - 38 -

    □ 醫療서비스 등과의 連繫를 통한 在 家 保護서비스內容 擴 充

    ㅇ 보건‧의료서비스와 연계한 통합적 재가보호서비스체계 구축

    - 종합병원과 병‧의원에 단기보호시설을, 보건소에는 치료 및

    재활서비스가 중점적으로 필요한 중증치매‧중풍노인 대상의

    晝間보호센터의 설치를 유도하고, 기존의 노인장기입소시설

    에 재가보호시설 설치 장려

    - 보건소의 재가노인보호기능을 강화하고 보건소 의료인력을

    대상으로 노인건강 관련 재훈련 실시

    ㅇ 노인의료복지기관 등과 재가보호서비스간 연계 강화

    5. 老人欲 求에 副 應하는 敎 育 體 系 確 立

    □ 需要者의 欲 求에 對 應한 多樣한 敎 育 內容 擴 充

    ㅇ 여가와 교육 목적이 조화를 이루도록 교육인적자원부 평생교

    육 프로그램 개발과 연계한 다양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 노인세대와 다른 세대간 공동경험 기회 확대를 위한 “세대간

    교류교육(inter-generational education)프로그램” 개발 확대

    * 예 : 초‧중‧고교 각종 행사에 노인 참여, 보육원‧유치원 등과 연계를

    통한 세대공동체 자원봉사활동 등

    - 노후생활에 필요한 건강상식, 위급시 대처방안 등 실질적

    정보를 포함한 다양한 표준교재 개발 및 보급

    - 개발된 프로그램의 활용 확대를 위한 부처간 협조 강화

  • - 39 -

    ㅇ 정보통신부 정보화 교육프로그램을 노인교육기관과 연계하

    는 등 정보화교육 내실화

    - 노인교육에 대한 접근성 향상을 위해 인터넷을 활용한 노인

    교육프로그램 개발 지원

    * 미국의 경우, 노인 상호간의 컴퓨터 활용기술 교육과 정보교환을 위

    한 Senior-Net(‘86 설립) 등 컴퓨터 네트워크가 활성화되고 있음

    □ 地域社 會 協力體 系 構築을 통한 老人敎 育의 內實 化

    ㅇ 지역단위의 노인교육협력체계 구축

    - 지역별 거점 노인교육기관을 지정, 노인교육 담당자 재교육,

    노인교육 관련 인적자원의 공동활용 등을 위한 지역 단위의

    협력네트워크 구축

    - 노인교육기관과 지역 도서관, 박물관, 사회체육시설 등 공공

    시설을 연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보급

    ㅇ 기존시설의 활용을 통한 노인교육기회 확대

    - 초‧중‧고등학교에서의 노인교육 프로그램 운영을 확대하고,

    대학 평생교육원에 노인의 참여 촉진

    - 대학‧전문대 시설 및 강의의 지역노인에 대한 개방 유도

    * 사례 : 경북대는 ‘95년부터「명예학생제도」운영, 지역 노인에게 일반학

    생과 같이 대학강의를 수강할 수 있는 기회 제공, 지역사회의

    큰 호응을 얻고 있음

  • - 40 -

    □ 老人敎 育 人力資源의 擴 充과 共同活 用

    ㅇ 노인교육담당자의 전문성 향상을 위해 노인교육지도자 양성

    과정에 대한 지원 확대

    - 자원봉사 활성화차원에서 지역내의 퇴직 교사‧전문가 등을

    강사자원으로 적극 활용

    - 평생교육사 자격 취득 필수과목 및 관련 전문인력 연수에 노

    인교육 관련 과목 포함

    * 관련기관 종사자의 노인양성과정 참여 확대를 위한 인센티브 부여방

    안 검토

    ㅇ 노인교육기관, 프로그램 및 강사에 대한 DB를 전국단위로 구

    축, 교육의 질과 수요자 접근성 제고(교육인적자원부 평생교

    육DB 구축과 연계)

    □ 老人敎 育에 대한 關係部處間 役割分擔體 系 確 立

    ㅇ 노인교육 개념과 역할에 대한 관계부처간 합의에 기초하여,

    부처간 역할분담과 업무협조체계 확립

    < 노인교육 관련 관계부처간 업무연계도(안) >

    시‧도별 평생교육원- 강사 DB 구축- 프로그램 개발

    지역별 노인교육 관련기관 협의체- 노인교육 담당자 재교육

    - 지역사회 노인교육 관련자원 연계

    문화센터 도서관박물관

    여성회관시‧군‧구민

    회관

    사회복지관

    노인복지회관

    노인학교/노인대학

    초중등학교,전문대‧대학부설

    평생(사회)교육원

    전문대‧대학강의청강

    지역사회복지자원

    노인교육프로그램운영기관

    노인교육프로그램운영기관

    노인교육전담기관

    교육기관

    ↓↑

    자 원 봉 사, 취 업

  • - 41 -

    Ⅴ. 措置計劃

    개 선 과 제 조 치 계 획 조치기한 주관부처 협조부처

    1. 정책추진

    체계 강화

    1-1. 정부‧민간간

    역할 분담

    ㅇ가족의 부양기능 지원방안

    마련

    -노인부양가족 지지프로그램

    확충

    -노인간병 지원방안 검토

    ㅇ지역주민‧사회단체 참여

    유도방안 마련

    -‘복지위원회’ 활성화

    -경로당 활성화에 지역주민

    참여방안 등 마련

    ㅇ시장기능 활성화방안 마련

    -실버산업의 단계적

    육성계획 수립

    2001. 12

    보건복지부

    재정경제부,

    기획예산처,

    지자체

    지자체,

    행정자치부

    관련부처

    (산자부,

    건교부,

    재경부 등)

    1-2. 담당조직

    및 재원의

    확충

    ㅇ‘노인보건‧복지대책위원회’

    설치

    ㅇ노인보건‧복지예산의

    단계적 확대

    2001. 9

    계 속

    국무조정실,

    보건복지부

    보건복지부

    관계부처

    기획예산처

    1-3. 중앙‧지방간

    업무연계

    체계 확립

    ㅇ지자체 평가 및 인센티브

    강화방안 마련

    ㅇ지자체별 「노인보건‧복지

    중‧장기계획」 수립 제도화

    ㅇ정기적 실태조사 실시방안

    마련

    ㅇ인구센서스에 노인관련

    항목 확충

    2001. 12

    2001. 9

    (계 속)

    (계 속)

    통계청

    지자체,

    기획예산처,

    행정자치부

    지자체,

    행정자치부

    지자체,

    행정자치부

    보건복지부

  • - 42 -

    개 선 과 제 조 치 계 획 조치기한 주관부처 협조부처

    2. 노인취업 촉진정책의 실효성 제고

    2-1. 정책수단 확충

    ㅇ고령자 재고용‧근무연장제 실시 기업 지원방안 검토

    ㅇ고령자고용촉진장려금 지원 확대 및 기준고용율 상향조정 검토

    2001. 12

    노동부

    보건복지부,기획예산처보건복지부,기획예산처

    2-2. 정보공유 네트워크 구축

    ㅇ정보망 구축 및 정보 공유네트워크 구축방안 마련

    〃 노동부,보건복지부

    정보통신부

    2-3. 노인 취업 교육의 내실화

    ㅇ직업교육프로그램 확충방안 마련

    ㅇ전문성 있는 고령자적합 직종 개발 확대

    계 속

    교육인적자원부노동부

    노동부,보건복지부중소기업청,보건복지부

    2-4. 노인의 자조적 노력 지원

    ㅇ공동작업장에 대한 지원 강화방안 마련

    2001. 12 보건복지부 기획예산처

    3. 장기요양 보호서비스제공 기반 확충

    3-1. 시설 및 전문담당 인력 확충

    ㅇ단계적 시설 확충 및 전문인력 확보방안 마련

    2001. 12 보건복지부 기획예산처

    3-2. 장기노인 입소시설 기능 재정립

    ㅇ장기노인입소시설의 기능 재정립방안 마련

    〃 〃

    3-3. 재가보호 서비스의 통합적 관리

    ㅇ재가보호시설의 통합적 관리방안 수립

    〃 〃 지자체, 행정자치부

    3-4. 재가보호 서비스내용 확충

    ㅇ의료‧보건서비스 등과의 연계를 위한 방안 마련

    〃 〃 〃

  • - 43 -

    개 선 과 제 조 치 계 획 조치기한 주관부처 협조부처

    4. 노인욕구에

    부응하는

    교육체계

    확립

    4-1. 다양한

    교육내용

    확충

    ㅇ세대간 교류프로그램 등

    내용 다양화

    ㅇ표준교재 발간방안 마련

    ㅇ노인정보화교육 확대

    2001. 12

    2001. 9

    계 속

    교육인적

    자원부

    보건복지부

    보건복지부

    정보통신부,

    기획예산처

    4-2. 노인교육의

    내실화

    ㅇ지역별 협력네트워크 구축

    방안 마련

    ㅇ기존시설을 활용한 노인

    교육기회 확대

    2001. 12

    계 속

    보건복지부,

    지자체

    보건복지부

    교육부,

    행정자치부

    교육부,

    문화관광부,

    지자체

    4-3. 노인교육

    인력자원

    확충

    ㅇ노인교육지도자 양성과정

    지원 강화방안 마련

    ㅇ노인교육 DB 개발방안

    마련

    2001. 12

    교육인적

    자원부

    기획예산처,

    보건복지부,

    지자체

    보건복지부,

    정보통신부

    4-4. 부처간

    역할분담

    체계 확립

    ㅇ노인교육에 대한 역할

    분담방안 마련

    2001. 9 국무조정실,

    교육인적

    자원부,

    보건복지부

    문화관광부,

    지자체

  • - 44 -

    < 부표 : 長期療養保護서비스의 段階別 擴充方案에 따른 必要施設 및 人力 推計 >

    (단위 : 개소, 명)

    구 분 시 설 보 호 재 가 보 호

    1

    단계

    구분 필요시설 기존시설 추가필요시설 구분 필요시설 기존시설 추가필요시설

    요양시설

    전문요양시설

    요양병원

    (100인병상

    기준)

    162

    81

    27

    57

    28

    9

    105

    53

    18

    가정봉사원

    주간보호

    단기보호

    가정간호

    422

    552

    611

    183

    76

    42

    21

    243

    346

    510

    590

    0

    구분 필요인력 기존인력 추가필요인력 구분 필요인력 기존인력 추가필요인력

    요양시설

    전문요양시설

    요양병원

    (100인병상

    기준)

    4,860

    4,131

    1,593

    1,710

    1,428

    531

    3,150

    2,703

    1,062

    가정봉사원

    주간보호

    단기보호

    가정간호

    35,468

    2,760

    3,057

    1,559

    5,688

    340

    112

    10

    29,780

    2,420

    2,945

    1,549

    2

    단계

    구분 필요시설 기존시설 추가필요시설 구분 필요시설 기존시설 추가필요시설

    요양시설

    전문요양시설

    요양병원

    (100인병상

    기준)

    247

    124

    41

    162

    81

    27

    84

    43

    14

    가정봉사원

    주간보호

    단기보호

    가정간호

    773

    2,796

    2,109

    360

    422

    552

    611

    243

    351

    2,244

    1,498

    117

    구분 필요인력 기존인력 추가필요인력 구분 필요인력 기존인력 추가필요인력

    요양시설

    전문요양시설

    요양병원

    (100인병상

    기준)

    7,410

    6,324

    2,419

    4,860

    4,131

    1,593

    2,550

    2,193

    826

    가정봉사원

    주간보호

    단기보호

    가정간호

    64,970

    13,979

    10,543

    3,061

    35,468

    2,760

    3,057

    1,559

    29,502

    11,219

    7,486

    1,502

    3

    단계

    구분 필요시설 기존시설 추가필요시설 구분 필요시설 기존시설 추가필요시설

    요양시설

    전문요양시설

    요양병원

    (100인병상

    기준)

    258

    129

    43

    247

    124

    41

    11

    5

    2

    가정봉사원

    주간보호

    단기보호

    가정간호

    1,076

    7,216

    4,227

    453

    773

    2,796

    2,109

    360

    303

    4,420

    2,118

    93

    구분 필요인력 기존인력 추가필요인력 구분 필요인력 기존인력 추가필요인력

    요양시설

    전문요양시설

    요양병원

    (100인병상

    기준)

    7,740

    6,579

    2,537

    7,410

    6,324

    2,419

    330

    255

    118

    가정봉사원

    주간보호

    단기보호

    가정간호

    90,407

    36,082

    21,136

    3,853

    64,970

    13,979

    10,543

    3,061

    25,437

    22,103

    10,593

    792

    자료 : 노인장기요양보호정책기획단, 『노인 장기요양보호의 종합대책 수립방안 연구』,

    2000.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