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8
전국 산사태 예방 연도별대책 2013. 4.

전국 산사태 예방 연도별대책sansatai.forest.go.kr/upload/board/lsPrevtMeasure/1367295866422.pdf · :여름철 풍수해 피해;에 대비한 숲가꾸기, 임도, 가로수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전국 산사태 예방 연도별대책sansatai.forest.go.kr/upload/board/lsPrevtMeasure/1367295866422.pdf · :여름철 풍수해 피해;에 대비한 숲가꾸기, 임도, 가로수

전국 산사태 예방 연도별대책

2013. 4.

Page 2: 전국 산사태 예방 연도별대책sansatai.forest.go.kr/upload/board/lsPrevtMeasure/1367295866422.pdf · :여름철 풍수해 피해;에 대비한 숲가꾸기, 임도, 가로수

- 2 -

Page 3: 전국 산사태 예방 연도별대책sansatai.forest.go.kr/upload/board/lsPrevtMeasure/1367295866422.pdf · :여름철 풍수해 피해;에 대비한 숲가꾸기, 임도, 가로수

목 차

《 요 약 》 ···························································· 1

Ⅰ. 연도별대책 수립 개요 ································· 3

1. 수립배경 ···································································· 3

2. 대책의 범위와 성격 ················································ 3

Ⅱ. 현황 및 전망 ················································· 5

1. 최근 산사태의 주요특징 ········································· 5

2. 강우특성에 따른 금년 산사태 전망 ······················ 7

Ⅲ. 목표 및 추진전략 ··········································· 8

Ⅳ. 세부실천과제 ··················································· 9

1. 산사태취약지역 안전 중심의 산사태 사전예방 강화···· 9

2. 상황발생시 신속대응 체계 구축 ··························· 14

3. 피해발생시 조사·복구체계 구축 ························· 20

4. 산사태 방지 지원체계 정비 ··································· 23

<참고자료> ··························································· 26

Page 4: 전국 산사태 예방 연도별대책sansatai.forest.go.kr/upload/board/lsPrevtMeasure/1367295866422.pdf · :여름철 풍수해 피해;에 대비한 숲가꾸기, 임도, 가로수

- 1 -

《 요 약 》

1. 현황 및 전망

□ 최근 산사태의 주요특징

o 10년 단위 산사태 발생규모 분석결과 2000년대부터 급격히 증가 추세

- 산사태면적(연평균) : (’80년대) 231 → (’90년대) 349 → (’00년대) 713ha

o 국지성 집중호우가 빈발, 산사태 발생이 대형화되고 지역간의 편차가 심함

※ 최근 대형 산사태 발생(사례)

- ’02년 태풍’루사‘ : 2,705ha(사망35명) - ‘03년 태풍’매미‘ : 1,330ha(사망10명)

- ’06년태풍’에위니아‘ : 1,597ha(사망9명) * ‘11년국지성집중호우‘ : 824ha(사망43명)

□ 우리나라가 산사태에 취약한 원인

o 기상적 원인 : 연평균 강수량(약 1,300mm)의 대부분이 하절기에 집중

o 지형․지질적 원인 : 산지사면 급경사, 지질은 응집력이 낮은 마사토

o 인위적 훼손 : 채석․광산개발, 타용도 산지전용 등

□ 그간 사전예방대책 추진상황

o 산사태방지 관련 실무교육(순회․집합) 실시

o 산사태현장예방단 구성․운영 지침 제정('13.1.14.)

o '12년 산사태피해지 복구를 위한 ‘산사태복구 현장자문단’ 구성('13.2.25)

o 사방사업 추진상황 현장점검(전남․북, 경남․북, 남부청)

o 산사태취약지역 실태조사 용역 계약('13.3.28)

□ 금년 여름철 기상전망(기상청)

o 강수량은 평년보다 많겠으며, 지역적인 편차가 클 것으로 예상

o 따라서 국지성 집중호우에 대비, 취약지역 중심으로 철저한 예방대책 필요

2. 목표 및 추진전략

□ 목표 : 산사태로 인한 인명 및 재산피해 최소화

□ 추진전략

o 산사태취약지역 안전 중심의 사전예방 및 신속 대응체계 마련

o 산사태 재발방지를 위한 원인조사 및 복구역량 강화

Page 5: 전국 산사태 예방 연도별대책sansatai.forest.go.kr/upload/board/lsPrevtMeasure/1367295866422.pdf · :여름철 풍수해 피해;에 대비한 숲가꾸기, 임도, 가로수

- 2 -

3. 중점추진대책

가. 산사태취약지역 안전 중심의 산사태 사전예방 강화

□ 생활권 산사태취약지역 집중 관리

o 산사태(토석류 포함) 취약지역 실태조사 및 체계적·적극적 관리

* '13년 산사태취약지역 실태조사 계획 : 10천개소, 25억원

□ 산사태 재해 저감을 위한 사방시설 확충

o 산사태취약지역에 대한 사방사업 최우선 시행 및 안전관리 강화

□ 산사태 등 여름철 풍수해에 대한 사전예방 강화

o '12년 산사태피해지, 산사태취약지역, 산림사업지 및 휴양림 등 점검·보수

나. 상황발생시 신속대응 체계 구축

□ 산사태예방지원본부의 설치·운영(본부장 : 산림청장)

o 전국 산사태 대응체계 구축, 피해상황 파악 및 상황대처

□ 산사태 현장대응 전담 조직의 신설․확대

o 산사태 대응팀, 산사태 현장예방단 등 현장대응 조직 구성․운영

□ 산사태정보시스템의 고도화 및 운영 강화

o 스마트폰을 활용한 상황관리시스템 도입 등 고도화 및 운영

□ 상황별 매뉴얼을 통한 신속대응 체계 마련

o 각 단계별로 지역여건을 감안한 매뉴얼 및 시나리오 작성․운영

다. 피해발생시 조사·복구체계 구축

□ 신속·정확한 원인·피해조사 및 보고체계 구축

o 산사태 원인 전문조사단 구성·운영 및 조사결과 보고체계 구축

□ 피해 재발 방지를 위한 견실한 응급·항구복구 추진

o 우선순위에 따른 응급복구 및 견실복구, 모니터링 등 사후관리체계 구축

라. 산사태 방지 지원체계 정비

□ 산사태 방지 교육․홍보 및 국제협력 강화

o 대상별 교육 및 단계별 집중홍보 추진, 선진사례 벤치마킹

□ 산사태 관련 단체의 역할 강화를 통한 전문성 제고

o 전문가를 통한 예방․대응․조사․복구 단계별 컨설팅 체계 마련

Page 6: 전국 산사태 예방 연도별대책sansatai.forest.go.kr/upload/board/lsPrevtMeasure/1367295866422.pdf · :여름철 풍수해 피해;에 대비한 숲가꾸기, 임도, 가로수

- 3 -

Ⅰ. 연도별대책 수립 개요

1. 수립배경

◈ 체계적인 산사태 방지를 위하여 산림보호법에 의거 「전국 산사태예방 장기대책」을 5년마다 수립·시행

◈ 「전국 산사태예방 장기대책」과 연계하여 산사태 피해의 최소화를 위한 「전국 산사태 예방 연도별대책」을 수립하여 시행코자 함

국지성 집중호우 등 기후변화가 심화됨에 따라 증가 추세인

산사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예방․대응 필요성 강조

❍ 2000년대부터 산사태의 발생이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고, 생활권 주변에서 산사태가 발생할 경우 대규모

인명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이 상존

산사태로부터 국민의 생명 및 재산을 최대한 보호할 수 있는

체계적인 정책방향 설정 및 추진 필요

❍「산림보호법」개정·시행에 따라 산사태예방지원본부의 설치·

운영, 산사태취약지역의 관리, 산사태 발생지의 복구 등 법

적근거 확립

❍ 그 동안 축적된 산림녹화 및 사방기술을 바탕으로 향후

전개될 여건변화 등을 고려하여 산림재해 안전망 구축에 이바지

2. 대책의 범위와 성격

대책의 범위

❍ 시간적 범위 : 2013년(1년)

❍ 공간적 범위 : 전국 산림 및 산사태 발생이 우려되는 지역

❍ 내용적 범위 : 산사태 분야의 연도별 정책방향 및 세부과제

Page 7: 전국 산사태 예방 연도별대책sansatai.forest.go.kr/upload/board/lsPrevtMeasure/1367295866422.pdf · :여름철 풍수해 피해;에 대비한 숲가꾸기, 임도, 가로수

- 4 -

대책의 수립근거

❍「산림보호법」제45조의3

- 산림청장은 전국산사태예방장기대책에 따라 매년 전국산사태

예방연도별대책을 수립·시행

대책의 성격

❍ “전국 산사태예방 장기대책”과 연계하여 산사태 분야 정책

목표와 실천과제를 제시하는 1년 단위 대책

❍ “지역 산사태예방 연도별대책”의 수립 기준이 되는 대책

※ 지역산사태예방기관의 장은 관할 지역 특수성을 고려하여 지역대책 수립·시행

❍「사방사업법」제3조의2에 따라 수립·시행되는“사방 기본계획”

('12∼'17)과 상호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추진되는 대책

❍ “여름철 풍수해 피해”에 대비한 숲가꾸기, 임도, 가로수 등

분야별 재해취약지역 점검․관리 사항을 포함 한 대책

대책의 주요내용

❍ 전국 산사태예방 연도별대책의 목표 및 추진방향, 실천과제

❍ 산사태취약지역의 지정·관리 및 산사태정보체계의 구축

❍ 사방댐 등 사방시설의 설치·관리에 관한 사항

❍ 재해취약지역별 여름철 풍수해 예방에 관한 사항

❍ 산사태 피해지의 조사․복구에 관한 사항 등

❍ 산사태예방의 교육·홍보에 관한 사항

Page 8: 전국 산사태 예방 연도별대책sansatai.forest.go.kr/upload/board/lsPrevtMeasure/1367295866422.pdf · :여름철 풍수해 피해;에 대비한 숲가꾸기, 임도, 가로수

- 5 -

Ⅱ. 현황 및 전망

1. 최근 산사태의 주요특징

산사태 발생 현황

❍ 최근 10년간(’03~’12년) 연평균 558ha의 산사태 발생

【최근 10년간 산사태 발생 추이】

❍ 특히, 10년 단위로 연평균 산사태 발생규모를 분석한 결과

2000년대부터 급격히 증가·대형화 추세

- 2000년대 산사태 발생규모는 1980년대 대비 3배 이상 증가

(단위 : ha)

구 분 합 계 1980년대 1990년대 2000년대

산사태면적 12,927 2,308 3,493 7,126

※ '11년 집중호우에 의해 824ha, '12년 집중호우 및 태풍에 의해 491ha 피해 발생

Page 9: 전국 산사태 예방 연도별대책sansatai.forest.go.kr/upload/board/lsPrevtMeasure/1367295866422.pdf · :여름철 풍수해 피해;에 대비한 숲가꾸기, 임도, 가로수

- 6 -

집중호우 등 기후변화에 따른 산사태 발생 심화

❍ 태풍 등으로 인한 산사태 발생과 함께 기후변화에 따른 국지성

집중호우로 인한 산사태 피해 확대 추세

- 일강우량 100mm이상 : ('80년대) 43 → ('90년대) 49 →('00년대) 54회

- 산사태 피해 : ('80년대) 231 → ('90년대) 349 → ('00년대) 713ha

※ 대형 산사태 피해(사례)

o '02년 태풍 ‘루사’ : 산사태 2,705ha, 인명피해 35명 (복구액 : 1,917억원)

o '03년 태풍 ‘매미’ : 산사태 1,330ha, 인명피해 10명 (복구액 : 1,600억원)

o '06년 태풍 ‘에위니아’ : 산사태 1,597ha, 인명피해 9명 (복구액 : 2,751억원)

o '11년 국지성 집중호우 : 산사태 824ha, 인명피해 43명 (복구액 : 1,477억원)

다만, 인명피해의 경우 그 동안 실시한 적극적 치산녹화사업

등 통합적 산림관리와 산사태 예방·대응 활동으로 감소 추세

❍ 인명피해(연평균) : (’80년대) 37 → (’90년대) 23 → (’00년대) 8명

❍ 제1차(1973~77) 및 제2차(1979~87) 치산녹화사업을 시작으로 사방댐,

계류보전시설 등 지속적인 사방사업을 통해 재해안전망 확보

- ’12년까지 사방댐 6,745개소, 계류보전사업 5,293㎞ 조성

❍ 특히, 우면산 산사태를 계기로 법령·전담조직 등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여 체계적인 산사태 방지 활동기반 구축

구분 우면산 산사태 이전('11년) 우면산 산사태 이후('12년)

근거법령 o 없음 o 산림보호법(8.23 시행)

담당조직 o 치산복원과 사방계(3명) o 산사태방지과(12명, 7.26 신설)

관련예산 o 1,790억원 o 2,337억원(30%증)

위험지역 관리

o 산사태위험지구 74개소 (자연재해대책법)

o 산사태취약지역 4,006개소 (산림보호법)

Page 10: 전국 산사태 예방 연도별대책sansatai.forest.go.kr/upload/board/lsPrevtMeasure/1367295866422.pdf · :여름철 풍수해 피해;에 대비한 숲가꾸기, 임도, 가로수

- 7 -

2. 강우특성에 따른 금년 산사태 전망

기후변화로 인한 이상기상 현상 지속 발생

m (2011년) 서울의 3일(7.26~28) 연속강우량(587.5㎜) 기상관측 이래 최고

- 서울 등 6개 지역 50일간(6.22~8.10) 내린 비, 년 평균 강우량 초과

※ 동두천 1,736.5, 서울 1,608.8, 양평 1,589.3, 강화 1,565.3, 춘천 1,465.8, 인천 1,265.5㎜m (2012년) 25개의 태풍이 발생, 5개가 우리나라에 영향(직·간접)을

주어 평년(3.1개) 대비 1.6배, 최근 10년 평균(2.5개) 대비 2배 많았음

- 50년만(1962년 이후)에 4개의 태풍이 한반도 상륙 및 3개의 태풍

(14호~16호)이 연이어 우리나라에 상륙한 최초의 사례 기록

※ 7호 “카눈”(7.19) → 15호 “볼라벤”(8.28) → 14호 “덴빈”(8.30 ) → 16호 “산바”(9.17) - 제14호“덴빈”과 제15호“볼라벤”의 경우 43시간 이내 우리

나라에 상륙 직접 영향을 준 최초의 태풍으로 기록

※ 제14호 태풍 ”덴빈“이 대만 서쪽 해상으로 진행하던중 서해상으로 북상한 제15호 ”볼라벤“과의

후지와라 효과로 ∝형태의 이상진로를 보인 후 남해안으로 상륙

- 제16호“산바”상륙시 중심기압이 965hPa(최대풍속 38㎧)로 역대

우리나라에 직접영향을 준 태풍 중 5번째로 강한 태풍으로 기록

※ 1위 사라(1959) 951hPa/2위 매미(2003) 954hPa/3위 사오마이(2000) 959hPa/4위 루사(2002) 960hPa

금년 여름철 기온은 평년보다 높고, 강우량도 많겠음

m (기 온) 평년(22~25℃)보다 높고, 평년보다 발달한 북태평양

고기압의 영향으로 태풍 등 발생시 세력 강화가 예상

m (강수량) 평년(501~940㎜)보다 많고, 대기불안정에 의해 많은 비가

내릴 때가 있겠으며 지역적인 편차가 클 것으로 예상

금년에도 기후변화에 따른 집중호우 및 태풍 등으로 인한

산사태 발생이 예상되어 철저한 대처가 요구됨

Page 11: 전국 산사태 예방 연도별대책sansatai.forest.go.kr/upload/board/lsPrevtMeasure/1367295866422.pdf · :여름철 풍수해 피해;에 대비한 숲가꾸기, 임도, 가로수

- 8 -

Ⅲ. 목표 및 추진전략

비 전 산사태 재해 안전망 구축을 통한 녹색국가 구현

목 표 산사태로 인한 인명 및 재산피해 최소화

전 략◇ ◇ ◇ 산사태취약지역 안전 중심의 사전예방 및 신속 대응체계 마련산사태취약지역 안전 중심의 사전예방 및 신속 대응체계 마련산사태취약지역 안전 중심의 사전예방 및 신속 대응체계 마련

◇ 산사태 재발방지를 위한 원인조사 및 복구역량 강화◇ 산사태 재발방지를 위한 원인조사 및 복구역량 강화◇ 산사태 재발방지를 위한 원인조사 및 복구역량 강화

4대 분야 11개 과제

실천

과제

1. 산사태취약지역 안전 중심의 산사태 사전예방 강화 1. 산사태취약지역 안전 중심의 산사태 사전예방 강화 1. 산사태취약지역 안전 중심의 산사태 사전예방 강화

① 생활권 산사태취약지역 집중관리

② 산사태 재해 저감을 위한 사방시설 확충

③ 산사태 등 여름철 풍수해에 대한 사전예방 강화

2. 상황 발생시 신속대응 체계 구축 2. 상황 발생시 신속대응 체계 구축 2. 상황 발생시 신속대응 체계 구축

① 산사태 예방지원본부의 설치 운영

② 산사태 현장대응 전담 조직의 신설·확대

③ 산사태정보시스템의 고도화 및 현장 운영․관리 강화

④ 상황별 매뉴얼을 통한 신속대응 체계 마련

3. 피해발생시 조사 3. 피해발생시 조사 3. 피해발생시 조사․․․복구체계 구축복구체계 구축복구체계 구축

① 신속·정확한 원인·피해조사 및 보고체계 구축

② 피해재발 방지를 위한 견실한 항구복구 추진

4. 산사태 방지 지원체계 정비 4. 산사태 방지 지원체계 정비 4. 산사태 방지 지원체계 정비

① 산사태 방지 교육·홍보 및 국제협력 강화

② 산사태 관련 단체의 역할 강화를 통한 전문성 제고

Page 12: 전국 산사태 예방 연도별대책sansatai.forest.go.kr/upload/board/lsPrevtMeasure/1367295866422.pdf · :여름철 풍수해 피해;에 대비한 숲가꾸기, 임도, 가로수

- 9 -

< 기본방향 >

o 인명·재산피해 최소화를 위한 생활권 산사태취약지역 집중관리

o 산사태 재해 저감을 위한 사방시설 확충

o 산사태 등 여름철 풍수해에 대한 사전예방 강화

Ⅳ. 세부실천과제

1 산사태취약지역 안전 중심의 산사태 사전예방 강화

정책여건1

산사태 피해의 사전 예방을 위한 집중관리 요구 증대

❍ 우면산 산사태 등을 계기로 인명·재산피해 최소화 등 보다

효과적인 산사태방지 체계 구축에 대한 사회적 요구 증대

※ 우면산 산사태(’11. 7.27) : 인명피해 16명, 피해면적 43ha

산사태 발생을 원천 차단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우므로

피해를 사전 예방하기 위한 집중관리 체계 필요

❍ 법령 등 산사태 예방·대응을 위한 정책기반 정비

- 산림보호법 시행(’12.8), 산사태방지과 신설(’12.7), 예산확대,

중점관리 대상 설정(산사태취약지역 4,006개소) 등

❍ 향후 중점관리 대상의 확대 및 예방사방 실시 등 집중관리 필요

- 생활권 인명피해 우려지역을 대상으로 산사태취약지역 실태

조사를 실시하여 지정․관리를 추진하고 있으나, 확대가 시급

- 따라서, 조사․지정을 확대하고 이를 중심으로 예방사방 실시

등 위험요소 사전차단 필요

※ '11년 황폐지실태조사 결과 조사된 황폐지에 대하여 사방댐 19,674개소,

계류보전 14,016km, 산지사방 2,539ha 추가시설 필요

Page 13: 전국 산사태 예방 연도별대책sansatai.forest.go.kr/upload/board/lsPrevtMeasure/1367295866422.pdf · :여름철 풍수해 피해;에 대비한 숲가꾸기, 임도, 가로수

- 10 -

세부 실천과제2

① 생활권 산사태취약지역 집중 관리

산사태(토석류 포함) 취약지역 실태조사 추진

❍ 산사태 특히, 토석류(土石流) 피해 우려지역에 대한 현장조사를

통해 향후 산사태 피해가 우려되는 중점관리 대상 설정

- '13년 산사태취약지역 실태조사 계획 : 10천개소, 25억원

※ 1. 전문가를 활용한 생활권 인명피해 우려지역에 대한 실태조사 및

산림지반특성지도 제작을 위한 토질분석 병행

2. 현장조사시 지자체 담당자 및 관계자와 협조하여 동행 조사

- 조사된 산사태취약지역은 지역산사태예방기관을 통해 지정·

관리(실태조사 → 지정위원회 심의 → 지정 고시·관리)

❍ 산사태취약지역 실태조사 결과에 대한 DB 구축으로 산사태

예방 활동을 위한 기반마련

- 실태조사 개소에 대한 위치정보, 대피장소 등을 산사태정보

시스템에 DB화하여 지역산사태예방기관으로 하여금 활용

취약지역 위주의 사전점검·정비강화 및 주민대피체계 구축

❍ 우기 전·후 집중 현장점검(연 2회 이상) 및 정비를 실시하고

필요시 안전조치 명령

- 산사태취약지역별 담당자(공무원 및 산사태현장예방단)를

지정하여 책임관리(점검․정비) 실시

※ 집중호우 및 태풍이 내습하는 시기에는 수시 점검 및 응급조치

❍ 주민대피체계 구축으로 유사시 인명피해 최소화 유도

- 산사태취약지역 주민 비상연락망 구축, 단계별 행동요령 마련,

지역별 담당자 지정 및 대피장소 설정 등 매뉴얼, 시나리오 정비

※ 산사태예측정보 수신(지역산사태예방기관) → 비상연락(취약지역주민),

안내방송(관내주민), 재난방송·스마트폰앱(대국민) → 주민대피 실시

Page 14: 전국 산사태 예방 연도별대책sansatai.forest.go.kr/upload/board/lsPrevtMeasure/1367295866422.pdf · :여름철 풍수해 피해;에 대비한 숲가꾸기, 임도, 가로수

- 11 -

② 산사태 재해 저감을 위한 사방시설 확충

생활권 산사태취약지역 중심의 사방사업 추진

❍ 인명피해 방지가 필요한 생활권 산사태취약지역에 토석·유목

등을 차단할 수 있는 사방시설을 최우선 추진

- 사방댐/계류보전 : (’12까지) 6,745/5,293 → (’13) 785개소/584㎞

※ 산사태 취약지역 실태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연차별 사업대상지 검토

❍ 사방댐·계류보전사업은 유역면적을 고려해 소계류(小溪流)부터

주계류(主溪流)까지 다단계 형태로 조성하여 안전성 강화

- 사방댐은 현지여건을 고려하여 형식 등 다양화(일반․저수겸용 등)

<사방댐 시설에 따른 효과 입증사례>

시설연도 개소별 재해방지효과

’02 강원 평창 봉평 흥정 가옥 93호, 인원 190명, 밭 1ha, 마을도로 3km 보호

’03 경남 산청 차황 실매 가옥 200호, 인원 700명, 농경지 2ha’04 강원 평창 봉평 덕거 가옥 116호, 인원 305명, 밭20ha, 마을도로

4km 보호

’11 경기 동두천 하봉암 가옥 150호, 공장 10동 농경지 10ha 보호

사방사업의 조기·견실 시공 및 안전관리 강화

❍ 산사태 예방을 위한 우기 전 사방사업 시공완료 체계 구축

- 대상지선정 → 타당성평가 → 시공에 이르기까지 체계적 현장

관리 및 지도감독을 통해 우기 이전 사방사업 완료

❍ 사방시설 안전점검을 조속히 실시하여 보완이 필요한 개소는

우기이전 조치완료

❍ 노후화된 사방댐은 안전점검·보수 및 재해예방 차원에서

상·하류 인근에 추가 조성

❍ 산사태취약지역 사방댐에 대하여 ‘원격관리시스템’을 시범 도입하여

재해위험정보를 수집함으로써 주민 대피 등 안전관리에 활용

Page 15: 전국 산사태 예방 연도별대책sansatai.forest.go.kr/upload/board/lsPrevtMeasure/1367295866422.pdf · :여름철 풍수해 피해;에 대비한 숲가꾸기, 임도, 가로수

- 12 -

③ 산사태 등 여름철 풍수해에 대한 사전예방 강화

’12년 산사태 피해 복구지역 및 사방시설지역

❍ 산사태 복구사업은 우기 전 복구완료 목표로 추진

- 주택·도로·생활권 주변 등 민생관련 피해지역은 개선복구

차원에서 견실 복구하고 2차 피해가 없도록 사전예방조치 실시

❍ 복구 완료한 지역도 연약지반 등 취약지역은 집중호우에 대비한

별도의 사후관리 대책을 마련하여 특별관리

❍ 사방시설의 경우 일제점검을 실시하여 필요한 개소는 사방댐

관리, 안전조치 등을 앞당겨 우기 전 완료

- 사방댐(본체, 측벽, 물받이 등), 계류보전(바닥막이, 기슭막이 등)

- 점검결과 준설을 필요로 하는 개소에 대하여는 우기전 준설 완료

산불피해지역 및 산지전용·토석채취지역

❍ 산불피해 및 산지전용, 토석채취 등으로 산사태 및 풍수해 우려가

있는 지역은 우기 전 사방시설 설치 및 수시점검 실시

- '13년 산불피해지역(포항, 울주 등)에 대하여 하단부에 주택·

건물 등이 있어 인명피해가 우려되는 지역은 개소별 담당자를

지정하여 책임관리

※ 산불피해지 산사태 등 2차피해 우려지역 실태조사(산사태방지과-829호,

2013. 3. 13) 결과에 따라 체계적 관리

임도시설지역 및 숲가꾸기 등 산림사업지역

❍ 임도노면, 비탈면 및 배수시설 등에 대한 점검 및 안전조치 실시

- 노면의 정체수 구간은 자갈포설, 복토 등으로 원활한 배수유도

- 절·성토면 붕괴우려지는 옹벽·석축 등으로 보강조치(우기전

어려울 경우 마대쌓기, 비닐피복 등으로 응급조치)

- 암거, 배수관, 도수로 등 배수에 지장을 주는 퇴적물 등 사전 제거

Page 16: 전국 산사태 예방 연도별대책sansatai.forest.go.kr/upload/board/lsPrevtMeasure/1367295866422.pdf · :여름철 풍수해 피해;에 대비한 숲가꾸기, 임도, 가로수

- 13 -

❍ 신설·구조개량 등 공사 중인 임도는 재해예방 조치 후 작업

- 배수시설은 우기 전 공사 완료하되 부득이한 경우 우회수로

설치 등 응급조치

❍ 숲가꾸기, 벌채 사업지의 운재로(작업로)에 대한 산사태 등 피해

예방대책 강구

- 숲가꾸기(벌채) 산물, 피해목 등의 집재·정리를 철저히 하여

유목(流木)이 교량·배수관에 걸려 재해가 발생되는 일이 없도록 조치

- 하천(계곡)의 홍수위 30m이내 지역, 집수유역내 산물은 모두

수집하여 반출 또는 안전한 구역으로 이동조치

❍ 태풍·집중호우시 가로수 도복 우려목은 차량·보행자 안전을

위하여 사전제거 또는 지주목 설치 등으로 보완

❍ 산불·병해충·태풍 피해 제거목 등은 계곡부를 피하여 안전한

곳에 집재하거나 현장에서 파쇄하여 활용

자연휴양림, 수목원, 등산로 등 산림휴양시설 조성지역

❍ 태풍·집중호우 등 유사시 시설물이 산사태, 계곡물 범람으로

인해 인명피해 우려가 있는지를 사전 점검 후 정비실시

- 시설물 주변 배수로는 최고 홍수위를 기준하여 보수·보강

※ 유사시 이용객에 대한 대피계획 등 자체 실정에 맞는 매뉴얼 마련 시행

❍ 태풍·집중호우시 이용객 입장을 통제하고, 안내방송 실시 및

이미 입장한 이용객을 신속히 안전한 지역으로 대피 조치

❍ 기상특보 발효 시 관리자 비상근무 실시 및 연락체계 유지

임업용 생산·유통시설 조성지역

❍ 임업용 생산·유통시설은 산사태·계곡물 범람·태풍 등으로

인한 피해 위험이 없는 곳에 설치하도록 사전지도

❍ 시설의 배수로 정비 및 부대시설이 태풍·집중호우시 안전한지

점검 후 정비유도

Page 17: 전국 산사태 예방 연도별대책sansatai.forest.go.kr/upload/board/lsPrevtMeasure/1367295866422.pdf · :여름철 풍수해 피해;에 대비한 숲가꾸기, 임도, 가로수

- 14 -

< 기본방향 >

o 산사태예방지원본부의 운영 등 신속 보고·대응체계 유지

o 산사태정보시스템의 고도화 추진 및 운영·관리 강화

o 상황별 매뉴얼을 통한 기관별 임무수행 및 위기관리 기반 마련

2 상황발생시 신속대응 체계 구축

정책여건1

산사태예방지원본부 기능 강화를 통한 현장 관리 내실화 필요

❍ 여름철재해대책기간동안 상황유지․전파․대응에 대한 총괄 체계 필요

❍ 유관기관 및 단체들과 협조체계 강화 필요

- 최근 산사태에 대한 여러기관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므로

유관기관 및 단체들의 협조관계에 대한 재정립 필요

※ 지자체 전담인력 확충(안행부), 관련교육 개설(교육부), 군부대 및

국립공원내 취약지역 조사․관리(국방부, 환경부)

산사태 방지를 위한 지자체 등 현장 초기대응력 강화 유도

❍「산림보호법」개정 및 사방사업 예산 확대 등 산사태 업무가

대폭 확대되었으나 상대적으로 현장 대응 인력은 부족

- 산사태대응팀, 산사태현장예방단, 산사태자원봉사단 등 적극적 운영 유도

산사태정보시스템의 현장운영능력 강화 등 고도화 요구 증가

❍ 고도화 사업이 진행되면서 시스템에 대한 기대치 상승

- 현장모니터링 및 관리기능 보강 등을 통해 욕구 해소 필요

지역별 여건에 맞는 매뉴얼 및 시나리오 보완 필요

❍ 유사시 상황대처를 위해 매뉴얼 및 시나리오를 작성하였으나,

지역 여건과 맞지 않게 획일적으로 작성 → 진단․보완 필요

Page 18: 전국 산사태 예방 연도별대책sansatai.forest.go.kr/upload/board/lsPrevtMeasure/1367295866422.pdf · :여름철 풍수해 피해;에 대비한 숲가꾸기, 임도, 가로수

- 15 -

세부 실천과제2

① 산사태예방지원본부의 설치 · 운영

산사태예방지원본부의 설치 및 단계별 운영 강화

❍ 산사태예방지원본부(본부장 : 산림청장)를 중심으로 신속 정확한

보고체계 마련 등 전국 산사태 예방·대응체계 구축

【산사태예방지원본부 설치·운영계획】

o 운영기간 : 5.15 ~ 10.15 (5개월)

o 설치장소 : 정부대전청사 1동 15층(☎ 042-481-8844,8846,8848)

o 주요임무 : 전국 산사태 대응활동의 총괄지휘, 산사태 유관기관과의 협조체계 구축, 산사태 관련 대국민 홍보 등 실시

o 산사태예방지원본부의 체계도

산사태예방지원본부장

산림청장

산사태예방지원부본부장산림보호국장

상황실장산사태방지과장

산림자원과, 목재생산과

산림휴양문화과, 산림경영소득과,

산림환경보호과, 산불방지과,

도시숲경관과, 대변인실

(협 조)

시․

국립산림품종관리센터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

※ 지방자치단체 및 소속기관의 경우 자체 상황실(산림재해대책 상황실 등) 구성·운영

Page 19: 전국 산사태 예방 연도별대책sansatai.forest.go.kr/upload/board/lsPrevtMeasure/1367295866422.pdf · :여름철 풍수해 피해;에 대비한 숲가꾸기, 임도, 가로수

- 16 -

❍ 산사태예방지원본부 상황실(상황실장 : 산사태방지과장)을 중심으로

산사태 및 풍수해 상황대처 강화

- 기상정보 모니터링 : 기상청 방재기상정보시스템 등을 통한

기상정보(호우·태풍경보, 강우량 등)의 신속한 수집·전파

- 산사태예측정보 제공 : 산사태정보시스템을 통한 예측정보 제공

- 상황전파 및 점검 : 상황전파·보고체계 유지 및 지방자치단체,

소속기관 등의 비상근무·대응상황 점검 등

【상황실 비상근무조 운영표】

구분 내 용 근무시간 비상근무조

상황실장 : 산사태방지과장

관심단계

태풍․호우빈발시기

-비상근무 없이 일상 업무 수행하면서

징후 감시활동

주의단계

예비특보 또는주의보 발령시

22:00까지

10개조로 운영(1명 근무)

김영환 송인종 박영환 황상훈 공태식

김은혜 조화택 이원기 이경미 유승문

경계단계

경보 발령시 철야근무(09:00 교대)

4개조로 운영(2명 근무)

김영환송인종

박영환황상훈

조화택이원기

유승문공태식

심각단계

경보 발령 후 피해 발생 가능시

철야근무(09:00 교대)

2개조로 운영(4명 근무)

김영환, 박영환송인종, 황상훈

조화택, 유승문이원기, 공태식

※ 비상근무 시간은 기상상황에 따라 탄력적으로 운영(필요시 근무지원조치)

산사태예방지원본부를 통한 유관기관·단체 협조체계 구축

❍ 지역산림조합, 소방서, 경찰서, 교육청 등과의 사전 협조체계

구축으로 재해예방 및 신속대응체계 마련

- 산림조합 : 예방·대응·복구전반, 인력·장비 지원 등

- 소방서·경찰서 : 대응단계 주민대피조치, 도로통제, 인명구조 등

- 교육청 : 예방단계 사전예방 교육 및 대응단계 학생 대피조치 등

❍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와의 업무협조체계 유지

- 호우, 태풍 등으로 인한 전국 규모의 피해가 예상될 때 중앙재난안전

대책본부의 파견요청에 의해 우리청 소속기관 직원(7급 이상) 파견

Page 20: 전국 산사태 예방 연도별대책sansatai.forest.go.kr/upload/board/lsPrevtMeasure/1367295866422.pdf · :여름철 풍수해 피해;에 대비한 숲가꾸기, 임도, 가로수

- 17 -

② 산사태 현장대응 전담 조직의 신설·확대

지역별 산사태 대응활동을 총괄할 산사태대응팀 구성·운영

❍ 산사태 업무를 전담할 지방자치단체 및 소속기관별 조직(과·팀

또는 계)인「산사태대응팀」신설·확대

- 국무총리실, 안전행정부 등 지속협의 및 지자체·소속기관 신설 독려

※ 산림보호법(제45조의15), 재난관리 종합대책(총리실) 등에 전담조직 신설 명시

- 지자체별 자체 조직 진단시 전담부서 필요성 등 설명자료 협조

※ 서울시 산지방재과, 북부청․동부청 산사태대응팀

산사태현장예방단 운영을 통한 상시 대응체계 구축

❍ 산사태취약지역 사전 점검·정비 및 유사시 주민대피 등 현장

대응 활동을 수행할「산사태 현장예방단」구성·운영

※ 산사태현장예방단 : 공무원을 보조한 상시 현장 관리체계(1개단 4명, 25개단)

일본「치산패트롤」추진개요

<임 무> 산지재해위험지구를 대상으로 현지점검·정비 및 지역주민 교육·홍보 실시 <운 영> 지방자치단체, 농림사무소, 위험관리국에 배치하여 운영

사방댐 등 치산시설의 점검 산지재해위험지구 정비 초등학교 치산세미나 현장

산사태자원봉사단을 통한 일반국민의 산사태 예방활동 참여 유도

❍ 산사태 현장 예방활동 및 신고 등의 활동이 자발적으로 추진

될 수 있도록 시범 운영

- 전국 시․군․구별 1개단(4명)을 구성토록 유도하고, 향후 운영실적

및 현지의견 등을 참고하여 발전 방안 마련

Page 21: 전국 산사태 예방 연도별대책sansatai.forest.go.kr/upload/board/lsPrevtMeasure/1367295866422.pdf · :여름철 풍수해 피해;에 대비한 숲가꾸기, 임도, 가로수

- 18 -

③ 산사태정보시스템의 고도화 및 현장 운영․관리 강화

현장중심의 관리체계 강화를 위한 산사태정보시스템 고도화

❍ 스마트폰을 활용한 현장 산사태상황관리시스템 도입

❍ 산사태취약지역 실태조사, 지정․해제 및 관리, 웹GIS 기반 구축

❍ 토석류 피해 시뮬레이션에 따른 사방댐 효과분석 기능 도입

❍ 실시간 강우 이동 상황 모니터링 모듈 도입

【산사태상황관리시스템】

산사태정보시스템 담당자의 현행화 등 운영·관리 강화

❍ 산사태정보시스템 사용자의 개인정보(연락처 등) 현행화 및 예측

정보 제공시 대응상황 지도감독 수시 실시

- 인사이동에 따른 시스템 사용자 변경, 산사태 예·경보 발령시

조치사항 등록 등 점검

❍ 지방자치단체, 지방청 및 소속기관을 대상으로 산사태 위기상황을

가정한 모의훈련 실시(5월, 6월 2회)로 운영·관리상황 점검

- 모의훈련 후 미흡한 점에 대한 개선사항을 적극 발굴·보완

Page 22: 전국 산사태 예방 연도별대책sansatai.forest.go.kr/upload/board/lsPrevtMeasure/1367295866422.pdf · :여름철 풍수해 피해;에 대비한 숲가꾸기, 임도, 가로수

- 19 -

※ '12년 산사태정보시스템 고도화 사업 내역

구 분 '11년(기존) '12년(고도화)

예측정보

전달체계

ㆍ실무자 5명에게 SMS 자동

전송

ㆍ기관장 포함 10명까지 확대

ㆍ유선ㆍ팩스 및 TV자막 등을 통해 전달

강우분석 고도화

ㆍ76개소 관측소 자료 ㆍ714개소 관측자료(동네예보) 활용

ㆍ3개 기준우량(연속ㆍ1일

ㆍ1시간)으로 전국 동일

적용

ㆍ지역별 특성을 고려하여 10개권역

으로 구분하고, 권역별 기준우량지수

(토양함수량)를 개발

ㆍ시․군․구 예측정보 제공 ㆍ읍․면․동 예측정보 제공

판정표 개정을 통한

위험등급 재조정

ㆍ7개인자(경사도, 경사위치,

경사길이, 사면형, 임상,

토심, 모암) 적용

ㆍ9개 인자(사면경사, 사면길이, 사면

곡률, 지형습윤지수, 경급, 토심, 사면

방위, 모암, 임상) 확대 적용

④ 상황별 매뉴얼을 통한 신속대응 체계 마련

「산사태 예방·대응 현장매뉴얼」을 통한 현장대응 체계 확립

❍ 예방 → 대응 → 조사 → 복구단계별 상황 및 주체별 임무를

체계화하여 일선에서의 활용도 제고('13. 4월중 수립․시행 예정)

지역여건을 반영한 행동매뉴얼(시․도, 지방청) 및 시나리오

(시․군․구, 관리소 등) 운영

❍ 지방자치단체 및 소속기관별 현장 상황을 고려한 매뉴얼 보완 및

시나리오 운영을 통해 실전 행동요령 마련

- 단계별 담당자 행동요령, 취약지역별 담당자 지정, 지역주민

대피방법 및 대피장소 등

※ 산사태 예방․대응 경진대회(5월중) 중 매뉴얼, 시나리오 품평회를 통한

우수사례 보급으로 지자체 및 소속기관 벤치마킹 유도 → 기관별 작성된

시나리오 산사태정보시스템에 등록

❍ 지방자치단체 및 소속기관을 대상으로 산사태 위기상황을 가정한

모의훈련을 실시(5월, 6월 2회)하여 행동요령 점검·숙지 유도

Page 23: 전국 산사태 예방 연도별대책sansatai.forest.go.kr/upload/board/lsPrevtMeasure/1367295866422.pdf · :여름철 풍수해 피해;에 대비한 숲가꾸기, 임도, 가로수

- 20 -

< 기본방향 >

o 신속·정확한 원인·피해조사 및 보고체계 구축

o 산사태 재발방지를 위한 항구적·체계적 복구 기반마련

3 피해발생시 조사·복구체계 구축

정책여건1

산사태 피해 후 발생 원인에 대한 전문적인 조사체계 미흡

❍ 산사태 발생 시 원인조사 체계가 구축되지 않은 상태에서 단순

피해물량 위주의 조사·복구 실시

- 언론 및 이해관계 주민들의 관련정책 신뢰도 저하 초래

※ '12년 ‘산사태원인조사단’을 운영하며 도출된 문제점에 대한 보완 시행 필요

: 조사단 구성원 선발, 구성원별 담당구역 설정, 조사단의 역할 등

❍ 또한, 피해조사에 대한 매뉴얼 부재로 조사방법 미숙지 및

조사자에 따라 조사․보고방법이 상이하여 DB화에 애로사항 발생

❍ 따라서, 산사태 예방·대응·복구 정책의 안정적 추진기반 구축을

위해 신속․면밀한 원인 조사․분석 체계 및 매뉴얼 마련 필요

- 주기적인 인사이동 등에 따른 담당자의 비전문성 보완 가능

산사태 발생원인에 대한 정확한 분석이 선행되지 않은 상황에서

복구설계가 진행되면서 항구․견실복구 목표에 한계 노출

❍ 경험에 의한 복구설계가 진행되고 있어 설계에 대한 사전

검증 미진 → 산사태복구 설계심의제도 보완․활용 제고 필요

❍ 단계별(조사→설계→복구)로 계획성 있는 복구를 진행하여 조기․견실 복구하여야 하나 예산 확보 등의 사유로 지연

❍ 복구사업의 품질향상을 위한 모니터링 등 사후관리 기반 부재

Page 24: 전국 산사태 예방 연도별대책sansatai.forest.go.kr/upload/board/lsPrevtMeasure/1367295866422.pdf · :여름철 풍수해 피해;에 대비한 숲가꾸기, 임도, 가로수

- 21 -

세부 실천과제2

① 신속·정확한 원인·피해조사 및 보고체계 구축

산사태 원인 전문조사단 구성·운영

❍ 산사태로 인한 대규모 피해(인명, 사회적 이슈) 발생지를 대상

으로 산림청 중심의 전문적·체계적 원인조사 실시

❍「산사태 원인 전문조사단」역할 및 구성․운영

-【역 할】산사태 발생시 초기 투입되어 산사태발생현황 파악,

피해 응급조치 검토, 피해규모 및 원인파악, 언론대응 등 실시

-【구 성】산림공학회, 산림기술사협회, 사방협회 등 전문기관

인력을 권역별로 구분하여 구성

-【운 영】산사태 발생 우려시 비상연락망 유지 → 산사태 발생시

자료수집 및 현장투입 → 피해원인 분석 후 복구 자문 및 언론대응 등

※ 5월중 산사태 원인 전문조사단을 구성하여 산사태 대응 모의훈련(6월

실시예정)시 준비체계 점검 등 운영 추진

산사태 발생원인·피해조사 실시 및 보고

❍ 신속한 피해조사를 실시하되, 특히 발생원인의 면밀한 조사를

통해 향후 산사태 재발방지 및 복구기반 마련

- 상황 종료시 신속한 원인 및 피해조사를 실시하되 누락지가

발생하지 않도록 철저한 조사 실시

- 지자체 및 소속기관 담당자의 신속·정확한 현장 조사를 위한

「산림재해 조사․복구 실무매뉴얼」제작·보급(’13년)

❍ 조사결과의 보고체계

- 피해발생을 인지한 경우 우선 유선보고 후 서면 보고

- 잠정 피해상황을 ‘산림재해상황보고서’(서식)에 따라 산림청에 보고

- 피해 최종보고는 피해원인이 종료된 후 7일 이내(사유시설 14일)

국가재난관리정보시스템(NDMS)에 입력하고 산림청에 보고

Page 25: 전국 산사태 예방 연도별대책sansatai.forest.go.kr/upload/board/lsPrevtMeasure/1367295866422.pdf · :여름철 풍수해 피해;에 대비한 숲가꾸기, 임도, 가로수

- 22 -

② 피해 재발 방지를 위한 견실한 항구복구 추진

신속한 복구 추진을 위한 사전준비

❍「산사태복구 설계심의단」구성·운영으로 체계적 복구 추진

- 설계의 투명성과 내실화를 위한 산사태 전문가 사전 심의제도 운영

※ 복구금액 5억원 이상의 대상지는 사전설계 자체심의 의무화(’13부터)

※ 복구금액 10억원 이상 대상지(시·도지사 또는 방재청장 심의건)는 합동심의

❍ 충분한 복구 공사기간 확보를 위한 효율적 행정절차 이행

- 중앙재해대책본부의 복구계획 확정·통보 시 예산 성립전 예산

집행제도 적극 실시로 복구공사 기간 단축 유도

※ 성립전 예산집행제도 : 지자체에서 재해구호 및 복구와 관련하여 복구

계획 확정·통보 된 경비는 추가경정예산 성립 이전에 사용할 수 있으며,

동일 회계연도 내의 차기 추경예산에 반영 가능

산사태 피해지의 체계적 복구 추진

❍ 견실한 산사태 복구 실현을 위한 연도별 복구대책 수립·시행

❍ 시급성 등을 고려한 복구 우선 순위별 맞춤형 복구 실현

- 1순위 : 인가주변, 산업시설 주변 등 → 2순위 : 경작지, 도로변

가시지역 등 → 3순위 : 일반 산지지역

❍ 산사태 복구사업의 지역주민 의견수렴 확대 및 지도·점검 강화

- 대규모 복구 사업지를 중심으로 해당지역 주민 대표자 등을

활용한「명예 주민감독관제」를 시행하여 만족도·신뢰도 제고

- 산사태 복구 추진상황 지도·점검반 상시 가동체계 운영

산사태 피해 복구지의 모니터링 등 사후관리체계 구축

❍ 산사태 복구지 DB구축 및 수치지도화 등 사후관리 기반 확립

❍ 복구사업의 환류체계 구축 및 품질향상 등을 위한 모니터링

및 사회·경제적 효과분석 실시

Page 26: 전국 산사태 예방 연도별대책sansatai.forest.go.kr/upload/board/lsPrevtMeasure/1367295866422.pdf · :여름철 풍수해 피해;에 대비한 숲가꾸기, 임도, 가로수

- 23 -

< 기본방향 >

o 산사태 방지 교육․홍보 및 국제협력 강화

o 산사태 관련 단체의 역할 강화를 통한 전문성 제고

4 산사태 방지 지원체계 정비

정책여건1

산사태 등 재해관련 업무의 범위 및 전문성은 높아지고 있는

반면, 담당자의 업무 전문성은 상대적으로 낮음

❍ 기후변화에 따른 집중호우 증가로 산사태 발생은 증가추세

❍ 반면, 산사태 관련 업무 담당자의 경우 대부분 타업무와 함께

재해업무를 수행 중이며 순환 근무로 인해 전문성 부족

- 특히, 지방자치단체 담당공무원의 경우 산사태정보시스템의 활용 등

전반적인 산사태 업무수행 능력 강화 필요성 제기

기후변화 대응에 대한 국제 동향 및 선진국가 벤치마킹 필요

❍ 산사태방지 관련 운영 체계, 사방시설 시공 등 선진국의 사례를

벤치마킹함으로써 관련분야를 발전시키는 계기 마련 필요

산림공학회, 사방협회 등 전문단체의 사전 역할분담 부족으로

전문적 기술자문 체계 등 선제적 대응기반 구축 미흡

❍ ’11년 우면산 산사태 발생시 언론 등 현장에 대한 전문적·선제적

대응 미흡으로 산사태 관련 정책 신뢰도 저하

❍ 산사태 예방단계에서 조사․복구 단계에 이르기 까지 역할 분담 필요

Page 27: 전국 산사태 예방 연도별대책sansatai.forest.go.kr/upload/board/lsPrevtMeasure/1367295866422.pdf · :여름철 풍수해 피해;에 대비한 숲가꾸기, 임도, 가로수

- 24 -

세부 실천과제2

① 산사태 방지 교육․홍보 및 국제협력 강화

교육 대상별 맞춤형 산사태 방지 교육체계 구축·운영

❍ 산사태 방지를 위한 대상별 교육과정 개설 및 운영

- (업무담당자) 지자체 및 소속기관 담당자 대상의 예방·대응·

조사·복구 실무교육으로 전문역량 강화

※ 산림교육원 위탁교육 및 현장 순회교육, 모의훈련, 워크숍 지속실시

- (현장예방단) 선발완료 후(5월) 임무숙지 교육 등 추진

- (취약지역 주민) 취약지역 지정·관리내용, 평상시 자체점검·

정비요령 및 유사시 대피요령 등 교육

- (일반국민) 산사태 재해 위험성 및 대국민 행동요령 등 교육

※ 관련부처 협의를 통해 교육과정 개설 및 민방위 훈련 연계 추진

【연간 교육계획】

교육 명칭 교육시기 교육대상 교육기관(추진부서)

산사태현장예방단 교육 5.14~5.15 산사태현장예방단경북

산림환경연구원

산사태복구․사방사업 현장 순회교육 3월~6월 공무원 산사태방지과

산사태방지분야 발전방안 전문가 워크숍 3.26~3.27 공무원, 일반인 ″

산사태정보시스템 담당자 교육 4월 공무원 ″

산사태 대응 모의훈련 5월, 6월 공무원 ″

제10차 한․일 토사재해방지기술회의 5.15~5.18 공무원, 일반인 ″

전국 산사태 예방․대응 체계 경진대회 5월 공무원 ″

산사태방지분야 유관기관 워크숍 5월 공무원 ″

산사태 방지 해외 선진 국가 방문 6.1~6.8 공무원 ″

전국 산사태방지 관계관 회의 6월 공무원 ″

국제 산사태프로그램(ICL/IPL) 동북아 네트워크 워크숍

6월공무원,일반인

산사태 조사․복구 담당자 교육 11월 공무원 ″

제36회 전국 산사태방지 연찬회 12월 공무원, 일반인 ″

Page 28: 전국 산사태 예방 연도별대책sansatai.forest.go.kr/upload/board/lsPrevtMeasure/1367295866422.pdf · :여름철 풍수해 피해;에 대비한 숲가꾸기, 임도, 가로수

- 25 -

산사태 예방부터 복구까지 단계별 집중홍보 추진

❍“산사태방지 홍보영상”을 활용하여 산사태예방 경각심 고취 및

재해발생시 피해 최소화를 대한 행동요령 등 홍보

- TV, 라디오, SNS, 포털 사이트 등 다양한 매체 활용

❍ 시기별·지역별·대상자별 차별화된 현장 홍보 실시

- 우기전, 집중호우 및 태풍시기, 복구시기별 중점 타깃 홍보

- 농산촌 주민은 마을방송, 아파트 주민은 안내방송을 실시하고,

취약지역 중심의 캠페인 등 실시

산사태 분야 정보·기술 교류 등 국제협력 추진

❍ 산사태 국제 심포지엄 및 한·일 토사재해 방지기술회의 등을

통한 선진 정보·기술 벤치마킹 등 추진

- 산사태 국제 심포지엄을 통한 유럽 및 대만·홍콩 등 산사태

방지분야 선진국과의 교류 강화

※ 심포지엄을 ICL 지역별 중소규모 네트워크 워크숍 등과 연계추진

- 한·일 토사재해 방지기술회의(5.15~5.18)의 내실화 추진

② 산사태 관련 단체의 역할 강화를 통한 전문성 제고

전문가를 통한 예방․대응․조사․복구 단계별 컨설팅체계 마련

❍ 사방협회, 산림공학회 등 전문가를 활용한 컨설팅 및 세미나 개최

❍ 예방단계(취약지역 지정·관리 등), 대응·복구단계(원인·피해

조사 및 복구자문 등)별 컨설팅 실시

❍ 산사태 대응의 평가·분석 실시

- 산사태가 발생한 지역에 대한 대응단계 시 문제점 및 개선방안

등을 평가·분석하고 이를 보완 요청하여 전문성 강화 유도

Page 29: 전국 산사태 예방 연도별대책sansatai.forest.go.kr/upload/board/lsPrevtMeasure/1367295866422.pdf · :여름철 풍수해 피해;에 대비한 숲가꾸기, 임도, 가로수

- 26 -

<참 고 자 료>

1. 산사태 피해 현황 ······················································ 27

가. 최근 10년간 산사태 피해 현황 ····························· 27

나. ’12년 산림분야 피해 현황 ····································· 28

2. 산림재해대책 관련 서식 ············································ 29

가. 산사태 상황보고(서식) ··········································· 29

나. 산림재해상황보고(서식) ········································· 30

3. 산림청 헬기 및 중장비 배치현황 ····························· 32

4. 산림재해대책 담당부서 현황 ···································· 33

Page 30: 전국 산사태 예방 연도별대책sansatai.forest.go.kr/upload/board/lsPrevtMeasure/1367295866422.pdf · :여름철 풍수해 피해;에 대비한 숲가꾸기, 임도, 가로수

- 27 -

1. 산사태 피해 현황

가. 최근 10년간 산사태 피해 현황

연도별피해 면적

(ha)

복구금액

(백만원) 인명 피해

(사망)피해 기간

국고

계 5,575 918,933 543,722 78

2012 491 97,075 48,462 11차 집중호우(8.12∼16)2차 태풍 ‘볼라벤, 덴빈’(8.25∼30)3차 태풍‘산바’(9.15∼17)

2011 824 147,650 74,007 431차(7.7∼16), 2차(7.26∼28)3차(8.6∼10/태풍 “무이파”)

2010 206 31,872 11,426 1

1차(7.16∼18), 2차(7.23∼24)3차(8.13∼18)4차(9. 1∼2/태풍 “곤파스”)5차(9.21∼22)

2009 250 59,937 27,036 5 1차(7.7~7.8), 2차(7.11~7.16)

2008 102 15,887 13,582 - 1차(7.23~7.26)

2007 73 13,935 7,812 -1차(8.4~8.15)2차(9.1~9.18/태풍“나리”)

2006 1,597 275,106 192,741 91차(7.9~7.29/태풍“에위니아”)2차(10.22~10.24)

2005 469 87,333 44,899 9

1차(6.30~7.2), 2차(8.2~8.3)3차(8.8~8.11)4차(9.6~9.8 /태풍 “나비”)5차(9.17~9.18)

2004 233 30,098 19,285 -

1차(6.19~21/태풍“디엔무”)2차(7.12~17)3차(8.17~19/태풍“메기”)4차(9.11~12)

2003 1,330 160,040 104,472 10

1차(6.18~6.19/태풍“소델로”)2차(7.9~7.13)3차(7.22~25), 4차(8.6~8.7)5차(8.23~8.27)6차(9.12~9.13/태풍“매미”)

※ “태풍”명이 없는 기간은 집중호우 피해임

Page 31: 전국 산사태 예방 연도별대책sansatai.forest.go.kr/upload/board/lsPrevtMeasure/1367295866422.pdf · :여름철 풍수해 피해;에 대비한 숲가꾸기, 임도, 가로수

- 28 -

나. ’12년 산림분야 피해 현황

□ 공공시설(단위 : 백만원)

피해기간 피해종류총 계 지원복구 자체복구

물량 복구금액 물량 복구금액 국비 지방비 물량 자체복구

총계

계   113,506   108,125 56,145 51,980   5,381

산사태(ha) 491.18 90,751 476.98 88,400 45,974 42,426 14.20 2,351

계류보전(km) 6.62 2,279 5.37 1,230 615 615 1.25 1,049

사방댐(식) 7 1,063 7 1,063 532 531

임도(km) 29.81 6,289 26.90 5,537 3,041 2,496 2.91 752

휴양림(식) 5 281 3 235 118 117 2 46

가로수(본) 27,886 9,662 25,216 8,846 4,423 4,423 2,670 816

기타(건) 38 3,181 25 2,814 1,442 1,372 13 367

1차집중호우(8.12~16)     

소계   3,769   3,006 1,769 1,237   763

산사태(ha) 22.94 2,816 17.67 2,201 1,365 836 5.27 615

계류보전(km) 0.92 222 0.92 222 111 111    

사방댐(식)    

임도(km) 1.80 462 1.33 323 162 161 0.47 139

휴양림(식) 1 61 1 61 31 30    

가로수(본) 44 9     44 9

기타(건) 1 199 1 199 100 99    

2차태풍‘볼라벤,덴빈’(8.25~30)     

소계   13,905   12,772 6,463 6,309   1,133

산사태(ha) 10.54 2,264 10 2,069 1,035 1,034 1 195

계류보전(km)      

사방댐(식)      

임도(km) 3.64 946 3.00 717 400 317 0.64 229

휴양림(식) 2 46 2 46

가로수(본) 19,104 8,548 17,524 8,016 4,008 4,008 1,580 532

기타(건) 28 2,101 18 1,970 1,020 950 10 131

3차태풍‘산바’(9.15~17)     

소계   95,832   92,347 47,913 44,434   3,485

산사태(ha) 457.70 85,671 449.81 84,130 43,574 40,556 7.89 1,541

계류보전(km) 5.70 2,057 4.45 1,009 504 505 1.25 1,048

사방댐(식) 7 1,063 7 1,063 532 531

임도(km) 24.37 4,881 22.57 4,497 2,479 2,018 1.80 384

휴양림(식) 2 174 2 174 87 87

가로수(본) 8,738 1,105 7,692 830 415 415 1,046 275

기타(건) 9 881 6 644 322 322 3 237

□ 사유시설(단위 : 백만원)

피해기간피해현황(㏊) 지원현황

품목 면적 계 국고 지방비 융자 자부담

소계 7회 132,622.2 23,312 12,366 5,300 4,007 1,639

4.2~4.4 강풍피해 표고재배사 등 10종 6.1 165 42 18 88 17

8.14~8.16 호우피해 밤등 11종 14.1 109 24 10 61 14

8.25~8.30 태풍 “볼라벤․덴빈” 표고재배사 등 20종 1,732 8,739 2,511 1,076 3,626 1,526

9.16~9.17 태풍 “산바” 표고재배사 등 15종 72.9. 540 160 69 230 81

9.27. 구미 ㈜휴브글로벌 임산물 등 130,797 13,755 9,628 4,127 - -

12.28 폭설피해 조경수, 대추비가림 0.1 4 1 - 2 1

Page 32: 전국 산사태 예방 연도별대책sansatai.forest.go.kr/upload/board/lsPrevtMeasure/1367295866422.pdf · :여름철 풍수해 피해;에 대비한 숲가꾸기, 임도, 가로수

- 29 -

산 사 태 상 황 보 고- 2013. 0. 0(금) 06:00 -

산사태예방지 원본 부

042)481-8844

2. 산림재해대책 관련 서식

가. 산사태 상황보고(서식)

Ⅰ 산사태 발생 현황

구 분2013년도

비 고전일까지 금일 누계

산사태(ha)임 도(km)가로수(본)기 타인명피해(명)

Ⅱ 주요 대처상황

《주요 작성 내용》: 실적위주로 작성

1. 비상근무 현황(공무원 00명)

2. 기관장 주요 활동내용(교육, 현장점검 상황 등)

3. 산사태 예보발령지역 : 주의보( 개 시·군·구), 경보( 개 시·군·구)

4. 산사태취약지역점검( 개소), 취약지역주민경보발령상황전파( 명)

- 주요 시설물 점검 내역

5. 산사태 예방 관련 공문지시( 회)

6. 기타 산사태 대응과 관련된 사항을 위주로 작성

Ⅲ 금후 추진계획 : 앞으로 조치 및 해야 할 계획을 작성

Page 33: 전국 산사태 예방 연도별대책sansatai.forest.go.kr/upload/board/lsPrevtMeasure/1367295866422.pdf · :여름철 풍수해 피해;에 대비한 숲가꾸기, 임도, 가로수

- 30 -

나. 산림재해상황보고(서식)

산 림 재 해 상 황 보 고 산림청

피해기간 : 태풍 산사태예방 지원본부

작성 2012.09.21.16:00피해 총액     0 백만원

                 

Ⅰ 피해발생현황(공공시설)

기관

피해종별 단위 피해량지원단가 피해액 비

고(원) (백만원)

계       0  

산림시설

산사태 ha   100,452,000    

야계사방(계류보전) km   228,590,000    

사방댐 개소   287,359,000    

임 도 km   203,021,200    

자연휴양림숲속의집 ㎡   1,512,000    

화장실 ㎡   1,026,000    

수목원시설 묘포장 ㎡   5,000    

유리온실 ㎡   80,000    

초본원 ㎡   133    

교관목원 ㎡   1,200    

  생태관찰로 km   125,499,000    

  휴게실 ㎡   1,512,000    

  화장실 ㎡   1,026,000    

가로수 기타 가로수 본   121,000    

활엽수류,14cm미만 본   213,954    

활엽수류,15cm이상 본   719,579    

침엽수류,14cm미만 본   257,254    

침엽수류,15cm이상 본   597,607    

  산사태 외 피해 산림입목(풍해목) 본        

    기타(청사등공공시설) 건        

인명 인명피해 명        

※ 노란색 셀의 피해량만 기재하시면 피해액은 자동 계산 됩니다.(서식 변경 금지, 단위 확인하여 소수점 확인하여 기입)

Page 34: 전국 산사태 예방 연도별대책sansatai.forest.go.kr/upload/board/lsPrevtMeasure/1367295866422.pdf · :여름철 풍수해 피해;에 대비한 숲가꾸기, 임도, 가로수

- 31 -

Ⅱ 피해발생현황(사유시설)

기관

피해종별 단위 피해량지원단가 피해액 비

고(원) (백만원)

계       0  

산림시설

표고재배사 ㎡   27,008    

대추비가림 개량형(개폐기없음) ㎡   4,460    

소계 (피해량-㎡) 개량형(수동개폐기) ㎡   5,090    

0 연동형(자동개폐기) ㎡   6,340    

소계 (피해액) 우산형(수동개폐기) ㎡   6,700    

0 우산형(자동개폐기) ㎡   7,140    

산림작물

표고자목 1.2m 본   2,200    

톱밥표고 ha기준 ㎡   4,200    

유실수(묘목기준) 대추 ㎡   199    

  대추(낙과율) ㎡   47    

떫은감 ㎡   175    

떫은감(낙과율) ㎡   47    

호도 ㎡   118    

호도(낙과율) ㎡   47    

밤 ㎡   107    

밤(낙과율) ㎡   47    

  기타(은행) ㎡        

  기타(은행 낙과율) ㎡   47    

조경수분재(묘목기준) 조경수,분재 ㎡   2,171    

약용류(묘목기준) ㎡   716    

복분자(묘목기준) ㎡   655    

머루(묘목기준) ㎡   542    

다래(묘목기준) ㎡   255    

도라지(종자대) ㎡   122    

더덕(종자대) ㎡   305    

두릅(종자대) ㎡   237    

취나물(종자대) ㎡   161    

산양삼(종자대) ㎡   808    

약초류(종자대) ㎡   266    

야생화(종자대 ㎡   335    

잔디(파종생산비) ㎡   183    

※ 노란색 셀의 피해량만 기재하시면 피해액은 자동 계산 됩니다.(서식 변경 금지, 단위에 따른 소수점 확인하여 기입)

Page 35: 전국 산사태 예방 연도별대책sansatai.forest.go.kr/upload/board/lsPrevtMeasure/1367295866422.pdf · :여름철 풍수해 피해;에 대비한 숲가꾸기, 임도, 가로수

- 32 -

3. 산림청 헬기 및 중장비 배치현황

□ 산림청 헬기(단위 : 대)

기 종대 수

계 본부 익산 양산 원주 영암 안동 강릉 진천 함양

합 계 47 7 5 5 5 4 5 5 7 4

초대형 S-64E 4 - 1 - - - 1 1 1

대 형 KA-32T 30 4 3 4 4 3 3 3 3 3

중 형

BELL206L-3 5 - - 1 1 1 1 - 1

AS350-B2 4 1 1 - - - - 1 - 1

ANSAT 4 2 - - - - - 2

□ 중장비(지방산림청 및 산림조합)

(단위 : 대)

구 분 계 굴삭기 덤프트럭 불도저 그레이더

합 계 352 230 116 - 6

북 부 청 24 17 6 - 1

동 부 청 27 19 6 - 2

남 부 청 22 15 5 - 2

중 부 청 13 10 3 - -

서 부 청 9 6 3 - -

산림조합 257 163 93 - 1

Page 36: 전국 산사태 예방 연도별대책sansatai.forest.go.kr/upload/board/lsPrevtMeasure/1367295866422.pdf · :여름철 풍수해 피해;에 대비한 숲가꾸기, 임도, 가로수

- 33 -

4. 산림재해대책 담당부서 현황

□ 산림청 업무별 담당부서

구 분 총괄부서 실무부서 비 고

o 산사태산사태방지과(042)481-8844

8846

산사태방지과(042)481-8844

8846

o 임도, 입목피해, 벌채목 정리,

운재로(작업로) 정비 등〃

목재생산과(042)481-4275

4276

o 산림소득품목(표고버섯, 산림

작물, 잔디 등)〃

산림경영소득과(042) 481-4194

4196

o 숲가꾸기산물 정리, 운재로

(작업로) 정비 등〃

산림자원과(042)481-4218

4105

o 자연휴양림시설 등 〃산림휴양문화과(042)481-4211

4212

o 수목원시설 등 〃산림환경보호과(042)481-4248

4249

o 가로수 등 〃도시숲경관과(042)481-4227

4108

* 위 표에명시되지않은기타피해의실무부서는피해종별업무담당부서임

Page 37: 전국 산사태 예방 연도별대책sansatai.forest.go.kr/upload/board/lsPrevtMeasure/1367295866422.pdf · :여름철 풍수해 피해;에 대비한 숲가꾸기, 임도, 가로수

- 34 -

□ 소속기관, 지자체 담당자 연락처

구분 기관별 과 명(팩스) 과 장 계 장 담 당 자

본청 산림청(042)481-

산사태방지과472-3223

이명수(4270)0-5403-9106

산사태정책) 박영환(4033) 0-3873-1351황상훈(8845) 0-9432-7444공태식(4077) 0-8662-5879김은혜(4219) 0-8927-6420

박미정(4299) 0-4180-1249

예방·대응) 김영환(8844) 0-7225-5617산사태상황 0-4646-3410 송인종(8846) 0-3626-8127 산사태 상황(8848)

조사·복구) 이경미(4273) 0-7146-3450 유승문(4274) 0-5378-1509

사 방) 조화택(4271) 0-8454-7680 이원기(4272) 0-3374-7515 염인환(8847) 0-3517-7794

목재생산과 임상섭(4200)0-4931-4093 임 도)함흥식(4275) 010-7411-5406 이민규(4276) 0-9424-2726 (팩스)471-1446

1차소속기관(지방청외)

과학원(02)961-

연구지원-2525 권혁래(2511)1-9822-3327 관리)김대훈(2542) 0-2421-7498 산림보호) 김장식(2555) 0-9336-3148

산림생태-2629 성주한(2601)0-9109-3381 산림생태)이영근(2604) 0-2718-9417

산림방재-2699 김경하(2681)0-8706-8398 해안방재림) 윤호중(2685) 0-8238-6080 산사태)이창우(2688) 0-5883-0648

우충식(2694) 0-9146-8738

산림수토-2649 배상원(2631)011-306-9627

산림복원)정용호(2640) 1-260-7166산림토양)김영걸(2641) 0-3583-8231

산림환경복원) 임주훈(2632) 0-7119-1871입지 토양) 김용석(2637) 0-7762-9872

교육원(031)5707-

교육기획570-7317

최광철(311)0-8816-9288 행정관리)김원중(312) 0-9091-4076

수목원(031)540-

행정관리540-1088

이정용(1011)0-3760-0595 보호관리)이춘임(1021) 0-9267-7498 김태우(1023) 0-8906-0878 [email protected]

신성일(1026) 0-9965-4286 [email protected]

품종센터(043)850-

품종심사과848-0451

조경진(3320)0-8856-3706 품종심사)장용석(3310) 0-6217-1644 유재훈(317) 0-3351-3157 [email protected]

휴양림(042)580-

휴양경영580-5559

강성철(5530)0-3539-0464 휴양경영)남상진(5532) 0-5627-9464 정영희(5544) 0-8669-3387 [email protected]

항 공(02)2166-

산림항공2665-8155

방봉길(4531)0-7272-6768 항공기획)오해근(4532) 0-3741-1063 임세훈(4533) 0-2049-0809 [email protected]

1차소속기관(지방청)

북 부(033)738-

산림경영738-6201

박병성(6210)0-9557-3480 산림토목)여운식(6240) 0-7374-4828 황인화(6241) 0-9073-7336 [email protected]

홍규철(6242) 0-8949-8276 [email protected]

동 부(033)640-

산림경영645-4913

심기호(8600)0-2086-4823 산림토목)김동환(8630) 0-9159-2281 김문식(8631) 0-5375-4594 [email protected]

정태옥(8632) 0-8498-0398 [email protected]

남 부(054)850-

산림경영850-7779

용환택(7740)0-5377-4283 산림토목)조창준(7760) 0-8796-4829 권태현(7761) 0-8712-5020 [email protected]

김진호(7762) 0-4511-8002 [email protected]

중 부(041)850-

산림경영852-6138

진재식(4040)0-8586-3582 산림토목)노희부(4061) 0-8800-1886 이상욱(4062) 0-6433-7918 [email protected]

황진영(4063) 6-9882-8069 [email protected]

서 부(063)620-

산림경영635-4608

박기완(4603)0-4121-7071 산림토목)박창오(4670) 0-6381-3195

김영국(4640) 0-3657-8861 [email protected]은현정(4671) 0-9437-7286 [email protected]장현석(4672) 0-7662-7923 [email protected]

Page 38: 전국 산사태 예방 연도별대책sansatai.forest.go.kr/upload/board/lsPrevtMeasure/1367295866422.pdf · :여름철 풍수해 피해;에 대비한 숲가꾸기, 임도, 가로수

- 35 -

구분 기관별 과 명(팩스) 과 장 계 장 담 당 자

지자체

서 울(02)2133-

산지방재2133-1084

정중곤(2170)0-3741-0340 사면정비)유혜미(2184) 0-5610-8227

김계영(2186) 0-8346-5546 [email protected]최광무(2185) 0-7132-5609 [email protected]손화남(2187) 0-6227-8295 [email protected]

부 산(051)888-

푸른산림888-4259

정판수(4250)1-854-5545 산림보전)이호준(4253) 0-3552-6658 강갑진(4252) 1-859-7167 [email protected]

대 구(053)803-

공원녹지803-4339

강점문(4330)0-3507-5415 산 림)장정걸(4400) 0-3520-2199 오지현(4403) 1-9359-6546 [email protected]

인 천(032)440-

공원녹지440-3684

김학열(5049)0-3787-8790 도시숲관리)박병구(3681) 0-4767-8707 김성훈(3684) 0-8792-3832 [email protected]

광 주(062)613-

공원녹지613-4219

김동수(4200)0-8652-7462 산 림)진종규(4240) 1-609-9019 안 도(4243) 0-3628-7418 [email protected]

대 전(042)270-

공원녹지270-5539

백종하(5530)0-6396-6878 산림환경)이석훈(5580) 0-5711-4459 김윤식(5582) 04574-4314 [email protected]

울 산(052)229-

녹지공원229-3109

고영명(3310)1-9505-7119 산 림)송철호(3350) 0-6429-7707 이순동(3352) 0-2425-6391 [email protected]

세종시(044)-300

산림축산300-4429

곽근수(4410)0-3541-1910 보 호)권영성(4411) 0-3030-2720 김민식(4412) 0-3402-9949 [email protected]

경기(031)

8030-

산 림8030-3539

유범규(3530)0-2240-7718 산림보호)김종학(3531) 0-6253-5803 고영희(3532) 0-5376-2354 [email protected]

8008-

산림환경연구소6643

이세우(6550)0-2029-3585 산림토목)김성각(6632) 1-3733-8042 홍석인(6634) 0-4769-3889 [email protected]

강 원(033)249-

산림자원249-4044

김준해(2660)0-8857-0891 치산복원)이남규(3129) 0-7590-9236 정길화(3128) 1-360-9770 [email protected]

이성진(3155) 0-7390-7169 [email protected]

충 북(043)220-

산림녹지220-3769

안광태(3760)0-9409-2078

산지관리)송영동(3791) 0-4646-8257보 호)신동명(3771) 0-5775-0770 김태은(3793) 0-6488-2609 [email protected]

산림환경연구소6101

김석영(6100)0-2873-3501 산지관리)박재우(6170) 1-484-5720 이경중(6191) 0-7278-8027 [email protected]

김준명(6193) 0-8435-9475 [email protected]

충 남(041)635-

산림녹지635-3067

이용열(2740)0-8812-4889 보 호)이돈규(4493) 1-428-5785 강전우(4504) 0-3451-0826 [email protected]

전북(063)

280- 산림녹지280-3129

심춘도(2660) 1-689-6528 산림보호)노연호(3112) 0-8284-2664 송경호(3125) 0-5676-8960 [email protected]

290- 산림환경연구소5513

김창균(5430)0-2655-4046 산림자원개발)최영호(5470) 1-658-1801 이승관(5471) 0-8644-2493 [email protected]

강병선(5474) 0-4657-1285 [email protected]

전 남(061)286-

산림산업286-4789

박화식(6610)0-3548-8119 산지보전)고재하(6650) 0-3020-5460

최우영(6652) 0-4617-7598 [email protected]정문조(6651) 0-9222-6010 [email protected]이정혜(6654) 0-4614-8214 [email protected]정성표(6653) 0-8617-9122 [email protected]한겨레(6656) 0-9443-6428 [email protected]

경 북

(053)950-

산림녹지950-2669

김종환(2660)0-8810-8725 산지관리)박종순(2871) 0-3325-2656 김현창(2664) 6-529-7190 [email protected]

(054)778-

산림환경연구원748-6012

이광선(3806)1-541-0681 산림산업)김택동(3870) 1-9451-5371 사방)이상표(3892) 0-9506-8145 [email protected]

재해)이상학(3871) 0-6383-6997 [email protected]

북부지원850-3349 권영대(3207) 1-9350-5614 사 방)권영제(3357) 0-3533-2172 [email protected]

임 도)이영우(3354) 0-6610-5750 [email protected]

서부지원430-8789 임희재(8701) 7-537-1311 사 방)이종환(8730) 6-875-5136 [email protected]

임 도)이경의(8720) 6-536-8673 [email protected]

경남(055)

211- 산림녹지211-4259

김황규(4250)0-3560-1264 산림토목)박세복(4292) 0-3572-2094 오성윤(4294) 0-4491-8900 [email protected]

안상연(4295) 0-8529-1669 [email protected]

254- 산림환경연구원3916

백만길(3800)0-2588-7381 산지보전)유재원(3910) 0-9783-0169

산지보전)정종명(3912) 0-3849-0286 [email protected]산림토목)최동성(3922) 1-9556-6710 [email protected] 도 유 림)이언동(3932) 0-5119-7628 [email protected]

제 주(064)710-

녹지환경710-6769

고영복(6760)0-8660-9185 산지경영)정성호(6771) 0-9853-4232 김근용(6772) 1-9662-4381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