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
1997 ; 36 : 687 - 695 · · · · · . : . 61 . (1 00 %) , ( 84 .2%) , 9 ( 86.9 % ) , (15.8 %) 0 Donoghue . , 0 Donoghue (ant erior cru ciate liga ment , (1 -6 ). (1 , 4 -8 ), (ACL (4, 9), (ACL- Bl umensaat line (4, 8 , l 9) , (PCL 10) , (PCL angle) (PCL buckling) (3, ll) , (anterior displacement of tibia) (4, 6, 12 , 13) , (poster ior dis- placement of lateral meniscus) (6, 11) , (bone con- tusion) , (ost eochondral l es ion) , (deep la ter al femor al s ul cus) (4, 19 , 20) , (21 -24) (8, 11 , 12). - 687 -

전방십자인대 파열:완전파열과부분파열의 · 2017. 4. 6. · 선형 원위부 (linear disal portion)를 있는 선이 대퇴골 수강 (medullary cavity)을 통과하지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전방십자인대 파열:완전파열과부분파열의 · 2017. 4. 6. · 선형 원위부 (linear disal portion)를 있는 선이 대퇴골 수강 (medullary cavity)을 통과하지

대한밤시선의학호|지 1997 ; 36 : 687 - 695

전방십자인대 파열:완전파열과부분파열의 자기공명영상소견 비교1

송기영 · 이주혁 · 박진희 · 이유진 · 노은진 · 김용훈2 . 이정근3 • 안중모4

목 적 : 전방 십자인대의 완전 파열과 부분 파열의 자기공명영상 소견을 분석하고, 파열

정도를 구별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있는소견을알아보고자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슬관절경술과 수술로 전방 십자인대 손상으로 확진된 80예 (완전 파열 61 예, 부분 파열 19예)의 자기공명영상소견을 완전 파열과 부분 파열로 나누어 각각의 직접

소견과 간접 소견의 빈도를 후향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 완전 파열은 직접 소견 및 간접 소견의 빈도가 각각 61 예 (100 % ), 60예 (98.4%) ,

부분 파열의 16예 (84.2%) , 1 5예 (78.9% )이었다. 직접 소견으로 전방 십자인대의 일부 혹

은 전체가 보이지 않거나 끊어져서 보이고 전방 십자인대의 신호강도가 증가하거나 인대가

위 치하는부위의 신호강도가 증가되어 보이는 경우가완전 파열 61예 (100%) , 부분파열 9 예 (47.4%)이었고, 파도 모양이나 이상 형태를 보인 경우가 완전 파열 53예 (86.9% ), 부분

파열 14예 (73.7%)로 완전 파열에서 직접 소견의 빈도가 높았다. 파도 모양만을 보인 경우

는 부분 파열에서만 5예 (26 .3% )이었고, 정상 소견을 보인 경우도 부분 파열에서 3예 (15.8

%) 보였다. 간접 소견으로 전방 십자인대 각의 이상, 전방 십자인대-블뤼망쩨선 각의 이상, 후방 십자인대선의 이상, 후방 십자인대각의 이상, 후방 십자인대의 휩, 경골 전방전위와 외

측 반월판 후방전위, 골좌상과 경골 외측과 골절, 내측 측부인대와 외측 측부인대의 손상, 후

방 십자인대의 손상, 반월판 손상은 완전 파열이 부분 파열보다 빈도가 높았으며,

0 ’Donoghue triad와 슬와근의 손상은 완전 파열에서만 각각 2예 (3.3%)씩 관찰되었다.

결 론 . 완전 파열은 부분 파열보다 직접 소견과 간접 소견의 빈도가 높으며, 부분 파열은

정상에서 부터 완전 파열과 구별하기 어려울 정도의 소견까지 다양하게 나타났다. 직접 소

견 중에서 전방십자인대의 끊어짐이나선호강도증가를동반하지 않고파도모양만을 보이

는 경 우는 부분 파열을 시 사하며 , 0 ’Donoghue triad와 슬와근의 손상은 완전 파열을 의 심

하게 하는 간접 소견으로 사료된다.

자기공명영상은 전방 십자인대 (anterior cruciate liga

ment , ACL)의 상태뿐만 아니라 슬관절의 다른 구조물을 관찰

할 수 있어서 이상적인 슬관절 검사로 이용되어 왔다 (1 -6).

전방 십자인대 손상은 인대자체의 이상소견, 즉 인대섬유의

파열, 인대 형터의 변화 및 인대가 위치하는 부위의 신호강도

변화를 나타내는 직접 소견과 (1, 4-8), 전방 십자인대 손상과

동반되어 나타나서 인대 손상을 간접적으로 시사하는 소견, 즉

전방 십자인대 각 (ACL angle) 의 이상 (4, 9), 전방 십자인대

-블뤼망셰선 각 (ACL-Blumensaat line angle ) 의 이상 (4, 8,

l 지 방공사 강남병 원 방사선과 2 지 방공사 강남병원 정행외과 {한럼 나1 학교 의과대 학 방사선과학교실 4 삼성 의료원 진단방사선과 이 논문은 1996년 1I 월 II일 접수하여 1997년 1원 27일에 채택되었응.

9) , 후방 십자인대 선 (PCL line) 의 이상(4 , 10) , 후방 십자인

대 각 (PCL angle) (ll) 의 이상, 후방 십자인대 휩 (PCL

buckling) (3, ll) , 경골 전방전위 (anterior displacement of

tibia) (4, 6, 12, 13) , 외측 반월판 후방전위 (posterior dis ­

placement of lateral meniscus) (6, 11) , 골좌상 (bone con­

tusion) , 골연골손상 (osteochondral les ion) , 골절 등의 골손

상 (4 , 14 - 18 )과 대퇴골 외측과요 함몰 (deep la ter al femor al

sulcus) (4, 19, 20) , 내, 외측 측부인대와 후방 십자인대 손상,

반월판 및 주위 근육 및 연조직 손상 (21-24) 등의 소견을 관

찰함으로써 평가가 가능하다.

전방 십자인대 손상은 완전 파열과 부분 파열로 나누며, 손상

된 정도에 따라 치료 방법과 예후가 달라져 완전 파열과 부분

파열을 자기공명영상으로 구별하려는 노력이 있으나 일치된 견

해를 보이지는 않는다 (8, 11 , 12).

- 687 -

Page 2: 전방십자인대 파열:완전파열과부분파열의 · 2017. 4. 6. · 선형 원위부 (linear disal portion)를 있는 선이 대퇴골 수강 (medullary cavity)을 통과하지

저자들은 전방 십자인대의 완전 파열 빛 부분 파열이 수숭이

나 슬관절경술 (knee arthroscopy)로 확진된 환자의 자기공명

영상을 분석하여 각각의 소견 및 파열 정도를 구별하는 데에 도

움이 되는 소견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및방법

슬관절 자기공명영상을 시행하고 슬관절경술과 수술로 전방

십자인대 손상으로 확인된 80명 (남 : 62, 여 : 1 8) 이 대상이었

으며 , 완전 파열 61 명, 부분 파열 19명이 었다. 부분파열은 수술

이나 슬관절경술 소견상 남아 있는 인대섬유가 연속성을 유지

하고 탐색자로 잡아 당겨서 (physical probing) 변형에 저항이

있는 경우로 진단하였다. 완전 파열의 남녀비는 47: 14, 나이는

11 - 69세 (평균 31.1세 )이었고, 부분 파열의 남녀버는 15: 4,

나이는 22-55셰 (평균 40.2세)이었다. 모든 자기공명영상 검

사는손상후 4주이내에 시행하였다.

자기공명영상 기기는 1.5 Tesla (Signa, GE medical sys­

tem, Milwaukee, WI, USA, 또는 Magnetom, Siemens,

Erlangen, Germany)를 이용하였고, 환자를 앙와위로 늄히고

무릎을 신전시켜 자연스럽게 약 10-15 외전된 상태에서 슬관

절 코일 또는 사지 코일을 이용하여 영상을 얻었다. 영상은 스

핀에코 기법으로 시상연과 관상면 T1강조영상 (TR/TE;

600 -690 / 12 - 15msec) , 양자밀도영상 (TR/TE; 2000/30

msec) , T2강조영상 (TR/TE ; 1800 -2000/ 60-80msec)을

얻었고, 8예에서는 고속 스핀에코 (Fast Spin Echo) 기법으로

시상면 T2강조영상 (TR/TE ; 2000-3600/20-30msec)을

얻었다. 시야는 16-20cm, matrix number는 256x 192 -256,

NEX는 1-2, 절편 두께는 3-4mm, 절편 간격은 0-0.8mm

이였다. 또한 36예에서는 축상면의 T1강조영상 (TR/TE;

A B

솜기영 오1: 전방 십자인대 파일

500-690/ 15-16msec)을 얻었으며 시야는 16cm, matrix

number는 256x256, NEX는 1 - 2, 절편 두께는 5mm, 절편

간격은 1.5mm이었다. 54예에서는 시상면에서 gradient echo

기법으로 T2*강조영상 (TR / TE; 30/ lOmsec, 날럼각 ; 30-

45도)을 얻었고, 시야는 20cm, matrix number는 256 x 256,

NEX는 1, 절편 두께는 3mm, 절편 간격없이 시행하였다.

자기공명영상은 2인의 방사선과 전문의와 1 인의 방사선과

전공의가 펼름으로 판독하였으며, 전방 십자인대가 주위근육보

다 약간 낮은 저신호강도로 대퇴골 외측과 (lateral femoral

condyle) 의 후내측면으로 부터 전방 경콜극 (anterior tibial

spine)의 앞쪽으로 후상방에서 전하방으로 연속적 인 띠모양으

로 보이면 정상으로 판독하였고, 전방 십자인대 파열은 직접 소

견과 간접 소견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직접 소견으로는 1) 전

방 십자인대의 일부 흑은 전체가 보이지 않거나, 끊어져서 보이

는 경우, 2) 전방 십자인대의 신호강도가 증가되어 있거나, 전 방 십자인대가 있어야 할 부위에 신호강도가 증가되어 있는 경

우, 3) 전방 십자인대가 파도모양을 보이거나, 이상 형태를 보

이는 경우를 관찰하여 각 소견의 유, 무와 빈도를 분석하였다.

간접 소견으로는 1) 전방 십자인대 각의 이상, 2) 전방 십자인

대 -블뤼망세선 각의 이상, 3) 후방 십자인대 선의 이상, 4) 후

방 십자인대 각의 이상, 5) 후방 십자인대의 휩, 6) 경골 전방전

위의 정도, 7) 외측 반월판의 후방 전위, 8) 골좌상, 골연골손

상, 골절 등의 골손상, 9) 대퇴골 외측과요 함몰, 10) 내측 측부

인대, 외측 측부인대 및 후방 십자인대 손상, 11) 반월판 손상,

12) 주위 근육 및 연조직 손상, 13) 슬관절액 등을 관찰하여 그

소견의 유, 무와 빈도를 분석하였고, 애매한 경우는 평가곤란으

로 판정하였으며, 3인의 판독의 중 2인 이상이 평가곤란으로

판정한 경우로 하였다 (Fig. 1, 2).

전방 십자인대 각은 전방 십자인대의 앞면을 잇는 선과 경골

2 Fig. 1. A. Sagittal proton density image of complete tear shows poor visualization and discontinuity of the ACL (arrows). B. Sagittal Tl weighted image of partial tear shows bulging abnormal contour at the proximal portion of the ACL (arrows). ACL: anterior cruciate ligament Fig. 2. Sagittal T2 weighted image of partial tear shows wavy contour of the ACL (arrows). ACL: anterior cruciate liga­ment

- 688 -

Page 3: 전방십자인대 파열:완전파열과부분파열의 · 2017. 4. 6. · 선형 원위부 (linear disal portion)를 있는 선이 대퇴골 수강 (medullary cavity)을 통과하지

대한빙시선의학회지 1997 ; 36 : 687- 695

A 8

Fig. 3. A. Sagittal proton density image of partial tear shows the ACL angle of 50

0• The ACL angle

is measured between the anterior surface of the ACL and a reference line taken along the articular sur­face of the mid-lateral tibial pla teau. B. Sagittal proton density image of partial tear shows the ACL­Blumensaat line angle of + 17。 ’The ACL-Blumensaat line angle is measured between a line taken along the posterior surface of the femur and a line taken along the

distal portion of the ACL. The angle has a positive value when the apex points inferiorly and a negative value when the apex points superiorly . ACL: anterior cruciate ligament

A B C

Fig. 4. A. Sagittal Tl weighted image of complete tear shows that PCL line does not intersect the medullary cavity of femur. A line is drawn along the posterior margin of the linear distal portion of the PCL.

B. Sagittal proton density image of complete tear shows the PCL angle of 1200

• The PCL angle is measured between lines drawn through the center of the proximal portion and the center of the distal portion of the PCL.

C. Sagittal proton density image of partial tear shows the PCL bowing ratio of 0.37. The PCL bowing ratio is defined by the ratio of line segment lengths x/y. y is the distance between the anteriormost tibial and femoral insertion points of the PCL. x is perpendicular to line y , and the longest line connecting y and the anterior surface of the PCL. PCL: posterior cruciate ligament

고평부 외중간측 (midlateral tibial plateau)을 잇는 선이 만

나는 각도를 측정하여 그 각도가 45。 이하인 경우 (Fig.3) , 전

방 십자인대 -블뤼망셰선 각은 대퇴골의 후변을 잇는 선과 전

방 십자인대의 원위부를 잇는 선이 만냐는 각도를 측정하여 접

점이 아량쪽을 향하고 그 각도가 +15。 이상인 경우를 양성으

로 판정하였다 (Fig.3). 후방 십자인대 선은 후방 십자인대의

선형 원위부 (linear disal portion)를 있는 선이 대퇴골 수강

(medullary cavity)을 통과하지 않는 경우 (Fig. 4.) (10) , 후

방 십자인대 각은 후방 십자인대 근위부의 중심을 잇는 선과 원

위부의 중심을 잇는 선이 만나는 각도가 107。 이상인 경우

(Fig.4)를 양성으로 판정하였고 (9) , 후방 십자인대의 휩은 후

방 십자인대가 경골에 종지 (insertion)하는 부위의 가장 앞쪽

- 689

과 대퇴골에 종지하는 부위의 가장 앞쪽을 연결한 선의 거리를

분모로하고, 그 선에서 수직으로 후방 십자인대의 하부면까지

이르는 거리의 최대치를 분자로 한 값, 즉 후방 십자인대 휩비

(PCL bowing ratio)가 0.39 이상인 경우를 휩이 있는 것으로

판정하였다 (Fig. 4) (6, 9). 경골 전방전위는 경골의 장축과 평

행한 접선을 대퇴골 외측과 (lateral femoral condyle)의 후면

과 경골의 후면에서 그런 후에 그 거리가 7mm 이상이면 양성

으로 판정하였고 (Fig.5) (9, 13) , 외측 반월판의 후방 전위는

경골 전방전위를 반영하기는 하지만 별도로 측정하여 경골 거

평부의 최후방에서의 접선이 외측 반월판의 후각을 통과하고

그 거리가 3.5mm 이상이면 양성으로 판정하였다 (Fig.5) (8).

골손상은 골좌상, 골연골손상, 골절 등이 관찰된 부위를 대퇴골

Page 4: 전방십자인대 파열:완전파열과부분파열의 · 2017. 4. 6. · 선형 원위부 (linear disal portion)를 있는 선이 대퇴골 수강 (medullary cavity)을 통과하지

과 경골의 내측과 외측으로 나누어 분석하였고, 대퇴골 외측과

요의 함몰은 그 깊이가 1.5mm 이상이면 양성으로 판정하였다

(9, 20). 내, 외측 측부인대 손상은 수술로 확인되었거나, 인대

의 비후 및 끊어짐과 언대 주위의 부종의 소견을 보인 경우, 그

리고 후방 십자인대 손상은 수술 흑은 슬관절경술로 확인된 경

우와, 후방 십자인대가 부분적 혹은 전체적으로 보이지 않거니

끊어져 보이고, 신호강도 증가를 보이는 경우로 하였다. 반월판

손상은 수술이나 슬관절경술로 확인되었거나, 신호 증가의 소

견이 연골쪽으로 걸쳐서 관찰되는 소견으로 하였으며, 주위 근

육이나 연조직 손상은 부종이나 출혈의 소견이 보이는 경우로

하였다.

상기 직접 소견과 간접 소견의 빈도를 완전 파열과 직접 파열

로 나누어 후향적으로 비교 분석하였고, 시상면, 관상면, 축상

면의 소견을 관찰하였다.

결 과

완전파열

80예중 완전 파열은 61예 (76.3%)이었다. 전예에서 직접 소

견을 볼 수 있었고, 그 빈도는 Table 1에 나타내었다. 전예에서

전방 십자인대의 일부 흑은 전체가 보이지 않거나 끊어져서 보

Table 1. lncidence of Direct Signs of Anterior Cruciate Ligament Tear

Complete Tear Partial Tear

Poor visualization

or Discontinuity

Hyperintensity Wavy or abnormal contour

Wavy contour

without other direct signs

(n=6 1)

61 (100%)

61 (100%)

53 (86.9 %)

0

ACL; Anterior Cruciate Ligament

A

(n= 19)

9 (47 .4%)

9 (47 .4%) 14 (73.7%)

5 (26.3 %)

B

솜기영 오1 : 전밤 십자인대 파열

였고, 전방 십자인대의 신호강도가 증가되었거나 전방 십자인

대가 있어야 동}는 부위의 신호강도가 증가되었으며 (Fig.1A) ,

이중 26예 ( 42.6%) 에서는 T1강조영상에서 전방 십자인대가

끊어져서 보이는 소견이 애매하였으나 T2 흑은 T 2* 강조영상

에서는 뚜렷이 보였다. 시상변에서 전방 십자인대가 파도 모양

을 보이거나 이상 형태를 보이는 경우는 53예 (86.9% ) 이였고,

8예에서는 평가곤란의 소견을 보였다. 또한 전방 십자인대가

다른직접 소견을동반하지 않고,파도모양만을 보이거나이상

형태만을 보이는경우는 없었다.

60예 ( 98.4 %)에서 간접소견을 볼 수 있었고, 그 빈도는

Table 2에 나타내였다. 슬관절액을 보인 경우가 60예 (98.4 %)

로 빈도가 가장 많았다. 전방 십자인대 각의 이상이 51 예 (83.6

%), 전방 십자인대 블뤼망셰선 각의 이상이 46예 (75.4%)를

보여 전방 십자인대 축의 변화를 나타내는 빈도가 후방 십자인

대 선의 이상, 후방 십자인대 각의 이상, 후방 십자인대 휩비의

이상으로 나타나는 후방 십자인대 축의 변화보다 높았으며, 경

골 전방전위의 이상이 27예 (44.3 % )로 외측 반월판 후방 전위

의 15예 (24.6% )보다 많았다. 골좌상은 경골에서만 보인 16예

와 대퇴골에서 보인 5예 천예에서 외측을 침범하였으며, 대퇴

골과경골에서 동시에 보인 8예중 7예에서 OJ:측의 외측을침범

하여 29예중 28예 ( 96.6% )가 대퇴골이나 경골의 외측을 침범

하였으나 내측을 침범한 경우도 3예에서 보였다 (Table 3). 또

한 경골과간와 골절 (intercondylar fracture) 3예 (4.9 %), 대

퇴골간와 골절 1예 (1.6% ), 경골 외측 변연부 골절 (Segond

fracture) 3예 (4.9% )가 보였고 비골 골절도 2예 ( 3.3% ) 에서

보였으며, 대퇴골 외측과요 함몰은 보이지 않았다. 전방 십자인

대 손상과 동반되어 나타나는 다른 인대 손상으로는 내측 측부

인대만의 손상이 20예 ( 32.8 % )로 가장 많았고 외측 측부인대

만의 손상이 4예 (6.6 % ), 후방 십자인대만의 손상이 4예 (6.6

%)이었고,내측측부인대와후방십자인대의 복합손상 4예 (6. 6% )와 내측 측부인대와 외측 측부인대의 복합손상 1예 (1.6

%)도 관찰되어 내측 측부인대 손상이 25예 (41.0% )로 가장

많았다. 반월판 손상은 내측 반월판 손상 17예 (27.9% ) 전예와

Fig. S. A. Sagittal Tl weighted im­age of complete tear shows anterior displacement of tibia of lOmm. The distance is measured between two vertical lines drawn tangent to pos­terior cortical margins of lateral femoral and tibial condyles. B. Sagittal Tl weighted image of complete tear shows posterior dis­placement of lateral meniscus of 5 mm. The distance is measured be­tween two lines drawn tangent to posterior corner of lateral tibia pla­teau and most posterior aspect of the posterior horn of the lateral memscus

- 690 -

Page 5: 전방십자인대 파열:완전파열과부분파열의 · 2017. 4. 6. · 선형 원위부 (linear disal portion)를 있는 선이 대퇴골 수강 (medullary cavity)을 통과하지

대한밤시선의학회XI1997;36:687-695

Table 2. lncidence of lndirect Signs of Anterior Cruciate Ligament Tear

Complete Tear (n=61)(%)(M)

51(83.6%)(3 1.90)

9( 47.4%)( + 24.30

)

Abnormal ACL angle Abnormal 46(75.4%)( + 26.3

0

)

ACL-Blumensaat line angle Abnormal PCL line Abnormal PCL angle Abnormal PCL bowing ratio Anterior displacement of tibia Posterior displacement of LM

7(1 1.5%) 13(21.3 %)(95.90

)

14(22.9%)(0.44) 27(44.3%)( 1O.5mm) 15(24.6%)

29(47.5 %) 3(4.9%)

25(41.0%) 1(1.6%) 8(13.2%)

29(47 .5%) 2(3.3 %) 2(3 .3%)

60(98 .4%)

Bone bruise Segond fracture

MCL injury LCL injury PCL injury

Meniscus in jury 0 ’ Donoghue triad

Popliteus injury Joint effusion

Partial Tear (n= 19)( %)(M)

15(78.9%)(34.3 0)

3(15.8 %) 5(26.3 %)(97.80

)

2(10.5 %)(0.44) 5(26.3 %)(I 1.2mm) 2(10.5 %) 5(26.3 %) 1(5.3%) 2(10.6 %)

1(5.3%) 3(15.8%)

7(36.8 %)

o o

15(78.9%)

M; Mean value ACL; Anterior Cruciate Ligament PCL; Posterior Cruciate Ligament MCL; Medial Collateral Ligament LCL; Lateral Collateral Ligament LM; Lateral Meniscus

외측 반월판 손상 12예 (19.8% )중 10예에서 후방 손상을 보였

다 (Table 4). 또한 0 ’Donoghue triad로 알려져 있는 전방 십

자인대, 내측 측부인대 빛 내측 반월판의 동반 손상도 2예 (3.3

%)에서 보였다. 주위 근육의 손상은 2예 (3.3%)에서 슬와근

(popliteus muscle)의 부종이 보였다.

부분파열

80예중 부분 파열은 19예 (23.7%)이었다. 16예 (84 .2%) 에

서 직접소견을 볼수 있었고, 그 빈도는 Table 1 에 나타내었다.

19예중 3예 (15.8% ) 에서 정상 소견을 보였다. 시상, 관상, 축

상변에서 9예 (47.4 %)에서 전방 십자인대의 일부 혹은 전체가

보이지 않거나 끊어져서 보였고, 전방 십자인대의 신호강도가

증가되었거나 전방 십자인대가 있어야 하는 부위의 신호강도가

증가되었으며 (Fig. 1B) , 이중 2예에서는 T1강조영상에서 전

방 십자인대가 끊어져 보이는 소견이 애매하였으나, T2강조영

상에서 뚜렷이 보였다. 시상변에서 전방 십자인대가 파도형태

를 보이거나 이상형태를 보이는 경우는 14예 (73.7% )이었고,

다른 직접 소견을 동반하지 않고 파도 모양만을 보이거나 이상

형태만을 보인 경우는 5예 (26.3%)가 관찰되어 완전 파열과는

구별되는소견을보였다 (Fig.2).

15예 (78.9% )에서 간접 소견을 볼 수 있었고 그 빈도는

Table 2에 나타내였다. 15예 (78 .9%)에서 다양한 양의 슬관절

액을 보여 빈도가 높았다. 전방 십자인대 각의 이상이 15예

(78.9 % ), 전방 십자인대 블뤼망써l션 각의 이상이 9예 (47.4

%)를 보여 전방 십자인대 축의 변화를 나타내는 빈도가 후방

십자인대 선의 이상, 후방 십자인대각의 이상, 후방 십자인대

휩비의 이상으로 나타냐는 후방 십자인대 축의 변화보다 많았

ω U

으며, 경골 전방전위의 이상이 5예 (26.3 %)로 외측 반월판 후

방 전위의 2예 (10.5%)보다 많았다. 골좌상은 경골에서만 보

인 3예, 대퇴골에서만 보인 1 예, 그리고 대퇴골과 경골에서 동

시에 보인 1예에서 모두 외측을 침범하였다 (Table 3). 또한

경골 외측과 변연부 골절 (Segond fracture) 이 l예 (5.3%) , 비

골 골절도 2예 (10.5%)에서 보였으나, 대퇴골 외측과요 함몰

은 보이지 않았다. 내측 측부인대만의 손상이 1예 (5.3%) , 외

측 측부인대만의 손상이 l예 (5.3%) , 후방 십자인대의 손상이

2예 (10.5% ) 이었으며, 내측 측부인대와 후방 십자인대의 복합

손상이 1예 (5.3% )에서 보여 내측 측부인대 손상은 2예 (10.6

%)이었다. 반월판 손상은 내측 반월판 손상 6예 (31.5%) 전예

가 후방손상이었고, 외측 반월판 손상 l예 (5.3% )는 전후방 동

시손상이었다 (Table 4). 또한 완전 파열과는 달리 0 ’Don­

oghue triad는 보이지 않았으며, 주위 근육이나 연조직의 손상

도보이지 않았다.

고 찰

전방 십자인대 손상은 인대 자체의 변화에 의한 직접 소견,

즉 인대가 부분적 혹은 전체적으로 보이지 않거나 끊어져 보이

는 경우, 인대가 위치하는 부위의 신호강도가 증가되는 경우와

전방 십자인대가 파도형태나 이상 형태를 보이는 것을 관찰함

으로써 가능하다 (1 , 4-8). Tung 등(6)은 시상변에서 전방 십

자인대의 이상 형태를 관협}는 것이 진단에 가장 예민하고 특

야한 소견이라고 하였고, Robertson 등(4)은 시상면과 축상변

에서 전방 십자인대가 끊어져서 보이는 소견이 가장 믿을 만하

다고 하였다. Yao 등(8)은 직접 소견중에서 인대가 끊어져서

Page 6: 전방십자인대 파열:완전파열과부분파열의 · 2017. 4. 6. · 선형 원위부 (linear disal portion)를 있는 선이 대퇴골 수강 (medullary cavity)을 통과하지

Ta ble 3. Incidence of Bone Bruise According to Location

Complete Tear Partial Tear

Tibia

Lateral side only 15 3

Medial side only 0 0

Both side 0

Femur

Lateral side only 5

Medial side only 0 0

Both sid 0 0

Tibia & Femur

Lateral side only 6

Medial side only 0 0

Both side 0

Tibia, Lateral side & 0

Femur, Both side

Total 29 5

Table 4. Incidence of Meniscus Injury According to Lo-cation

Complete Tear Partial Tear

Medial meniscus

Anterior horn only 0 0

Posterior horn only 10 6

Both horn 7 0

Lateral

Anterior horn only 2 0

Posterior horn only 6 0

Both horn 4

Total 29 7

보이는 경우와 T2강조영상에서 신호강도 증가를 보이는 소견

은 완전 파열에서 많이 보이고 부분 파열의 경우에는 33-43%

에서만 보인다고 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완전 파열의 경우 전

례에서 직접 소견이 보였고, 부분 파열의 경우 76.9%에서 보여

Yao 등(8) 의 보고보다 빈도가 높았으나, 이는 손상 정도의 차

이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손상이 심할수록 직접 소견의

관찰이 보다 용이하였다. 부분 파열은 손상된 정도에 따라 직접

소견이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으며, 이 연구에서도 부분 파열에

서 직접 소견이 모두 관찰되어 완전 파열과 구멸하기 어려웠던

경우가 8예 (42.l %)이었고, 정상으로 나타난 경우도 3예 (15.8

%)이었다. 그러나 전방 십자인대가 끊어져서 보이거나 T2 흑

은 T2* 강조영상에서 신호강도 증가를 보이는 소견이 없이 파

도 형태만을 보인 경우는 완전 파열에서는 보이지 않았으나 부

분 파열에서는 5예 (27 .8%)가 보여 부분 파열을 시사하는 직

접 소견으로추정된다.

전방 십자인대는 2개의 띠로 구성되어 있어 후방 십자인대보

다 신호강도가 약간 증가되어 보이고, 슬관절을 따라 사위

(oblique) 주행을 하며, 호산구성 (eosinophi lic ) 또는 점액성

솜기영 오1 : 전망 십자인대 파일

변성 (mucoid degeneration) , 부분체적 평균(partial volume

averaging) , 박동성 인공물 (pulsation artifact) 등의 요인에

의해 전방 십자인대의 상태를 파악하기에 충분하지 않은 경우

5- 15%이다 (5, 6, 20, 24 - 27). 따라서 직접 소견만을 관찰하

는 것으로는 손상의 진단에 흔란을 초래할 수 있어 전방 십자인

대 손상과 동반되어 나타나는 간접 소진을 관찰함으로써 진단

에 도움을 줄 수 있다. 간접 소견은 여러가지가 알려져 있으며,

Brandser 등(27)은 전방 십자인대 손상에 의한 기능 부전으로

후방 십자인대 선의 이상, 후방 십자인대 각의 이상, 후방 십자

인대의 휩, 경골 전방전위와 외측 반월판 후각 노출, 골좌상, 대

퇴골 외측과요 함몰, 내측 측부인대 손상을 의미있는 소견으로

파악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위의 소견 뿐만 아니라 문헌에 보

고되어 있는여러가지 소견을분석하였다.

정상 전방 십자인대는 대퇴골과 경골 고평부 외측의 경골면

이 만드는 각도가 약 55。를 이루면 팽팽해져서 대퇴골 함요

(femoral notch) 의 후면과 평행을 이루게 된다 (4, 9). Gentili

등(9)은 파열이 생기면 전방 십자인대는 보다 수평해 져서 정

위 ( orientation)를 잃게 되어 정위에 변화가 생기는 것이 가

장 예민하고 특이한 간접 소견이 된다고 하여, 전방 십자인대

각이 45。이하 (예민도 90%, 특이도 97%) 인 경우와 전방 십자

인대 -블뤼망셰선 각이 15。 이상(예민도 89%, 특이도 100%)

인 경우를의미있는소견으로보고하였다.본연구에서 전방십

자인대 각의 이상을 보인 빈도가 완전 파열에서 83.6%, 부분

파열에서 78.9%로 Yao 등(8)의 52%, 48%보다 높게 관찰되

었으며, 손상의 정도에 관계없이 가장 빈도가 높은 정위 이상의

소견으로 나타났으나, 전방 십자인대 -블뤼망셰선 각은 완전

파열에서 보다 부분 파열에서의 빈도가 낮았다.

후방십자인대의 휩은경골의 전방전위에 의해 2차적으로나

타나며, 그 평가가 주관적이어서 예민도가 떨어지게 된다(3).

후방 십자인대 휩비, 후방 십자인대 각 및 후방 십자인대 선은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고 좀 더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도입

되었다 (3, 4, 8 - 11) . 그러나 기기내에서의 슬관절 위치의 미묘

한차이에 의해서도후방십자인대 지표가많은영향을받아손

상을 알아내는 데에 비교적 효과적이지 못한 지표로진단적인

가치가 낮다는 견해가 있으나 (6, 8, 9, 13) , 한 등(24)은 예민

도 71.4% , 특이도 83.5 % , 정확도 78.4%로 상대적으로 높은 진

단적인 가치를 보인다는 상반된 견해를 보이고 있다. 이와같은

차이에는 많은 이유가 있겠지만, 후방 십자인대 휩비의 측정 방

법의 차이에 의한요인도관여할것으로추정된다.이 연구에서

는 Tung 등(6) , Gentili 등(9) 의 측정 방법을 이용하여 후방

십자인대각 107。이하(예빈도 52%, 특이도 94%) , 후방 십자인

대 선의 이상 (예민도 52 %, 특이도 91%) , 후방 십자인대 휩비

0.39이상 (예민도 34%, 특이도 100% )을 후방 십자인대의 지

표로 이용하였다. Yao 등(8)은 후방 십자인대의 지표에 이상을

보인 경우가 완전 파열에서 55%, 부분 파열에서 43% 관찰되

어 빈도가 낮으며, 파열 정도를 구별하는 데에 도움을 주지 못

한다는 견해를 보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도 후방 십자인대각의

이상, 후방 십자인대 휩비 및 후방 십자인대선의 이상을 보인

경우가완전 파열과부분파열에서 파열의 정도에 관계없이 낮 %

Page 7: 전방십자인대 파열:완전파열과부분파열의 · 2017. 4. 6. · 선형 원위부 (linear disal portion)를 있는 선이 대퇴골 수강 (medullary cavity)을 통과하지

대한밤시선의학회지 1997 ; 36 : 687- 695

은빈도를보였다.

경골의 전방전위를 측정하는 것은 후방 십자인대 지표를 측

정동F는 것보다 직접적이고 간편하다. 경골。15mm의 전방 전위

를 보이는 경우 Vahey 등(13)은 예민도 58%, 특이도 93%, 정

확도 69%, 한 등(24)은 예민도 78.7%, 특이도 89.5%, 정확도

84 .3%를 보인다고 하였다. 그러나 Vahey 등(13)은 7mm 이상

의 전방전위를 보인 경우는 전례에서 파열을 동반했다고 보고

하였고, Gentili 등(9)은 5mm를 기준으로 하면 예민도 63%,

특이도 80%를 보이지만 7mm를 기준으로 하면 예민도는 41

%로 떨어 지지만 특이도는 91 %로 올라간다는 견해를 보여 새

로운 기준을 제시하였다. 경골이 전방전위를 보이면 외측 반월

판은 대퇴골 측에 남아 있어 후방으로 노출되게 되며, 전방 전

위의 정도에 따라노출의 정도에 영향을주게되어 Brandser 등

(27)은 경골 전방전위와 외측 반월판 후방전위가 유사한 진단

적 가치를 갖고 있다고 하였다. 또한 Yao 등(8)은 외측 반월판

의 후방전위는 부분 파열에서는 관찰되지 않아 완전 파열을 시

사하는 중요한 소견이라고 주장하였다. 본 연구에서 경골의 전

방 전위를 7mm를 기준으로 하고 외측 반월판의 후방전위는 3.

5mm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경골 전방전위 빈도가 더 높게 나

타났으나, 외측 반월판의 후방전위가 부분 파열에서도 관찰되

어 Yao 등(8) 의 견해와 달리 파열의 정도를 구멸하는 데에 도

움이 되지 않는소견으로추정된다.

슬관절 외측부위의 골좌상과 골연골손상은 전방 십자인대의

손상에서 흔히 동반되며 (5, 14, 22, 28, 29) , 주로 급성 손상에

서 예민하게 나타나는 소견이다 (4) . Kaplan 등(14)은 급성 전

방 십자인대 손상을 보인 환자의 56%에서 잠행골절 ( occult

fracture) 이 보이고, 전례에서 경골 외측과의 후방을 침범하고

동반 손상의 경우에도 상기 부위와 대퇴골 외측과의 후방에서

골손상이 나타난다고 하였고, 한 등(24)은 급성 손상에서 43 % ,

만성 손상에서 33%의 콜손상을 관찰하였다. Murphy 등(15)

은 경골 외측과에서 94%, 대퇴골 외측과에서 91%의 골손상을

관찰하였으나, 부분 파열에서는 6예 중 1예에서만 골손상이 보

여 이와같은 소견은 완전 파열을 시사한다고 하였다. 그러나

Yao 등( 8 )은 완전 파열에서 87 % , 부분 파열에서 48%의 골손

상을 관찰하여, 골손상이 파열의 정도를 구별동}는 데에 도움이

되는 소견이 아니며, 오히려 부분 파열을 찾아내는 데에 도움이

되는 소견이라고 주장하였다. 본 연구의 소견이 Yao 등(8) 의

견해를 뒷받침하는 소견을 보였고, 이중 완전 파열 96.6%, 부

분 파열 100%에서 경골 혹은 대퇴골의 외측 부위에서 골좌상

이 보였다. 경골 외측과 변연부 골절 (Segond fracture)은 슬

관절의 과도한 내회전 벚 외회전에의해 생기는 피질골의 박리

골절로 75-100%에서 전방 십자인대의 손상을 동반하는 것으

로 알려져 있으며 (18, 29, 30) , 본 연구에서 파열의 정도에 관

계없이 완전 파열에서 3예, 부분 파열에서 l예가 관찰되었다.

Cobby 등(2이은 정상에서 대퇴골 외특과요의 함몰이 1.2mm

이상인 경우눈 없으며,1.5mm 이상이면 신뢰할 만한 전방 십

자연대 손상의 간접 소견이라고 하였고, 한 등(24)은 1.2mm를

기준으로 했을때 47예 중 9예에서 보인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

서는 1.5mm를 기준으로 하였으며, 완전 및 부분 파열에서 1예 %

도 보이지 않았다. 이 차이에 대한 정확한 설명은 어려우나 대

상 환자의 손상 기전에 의한 요인과 함몰의 기준에 대한 차이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전방 십자인대의 손상과 동반되어 나타

나는 다른 인대냐 반윌판의 손상은 특히 내측 반월판과 내측 측

부인대의 손상이 많이 나타나는것으로알려져 있으나,동반손

상 그 자체가 전방 십자인대 손상을 예측할 수 있는 소견은 아

니다 (5, 24). Remer 등(5)은 내측 반월판 43 % , 외측 반월판

32%, 내측 측부인대 18 % , 한 등(24)은 내측 반월판 66 % , 외

측 반월판 28%, 내측 측부인대 21 %의 동반 손상을 보고하였

다. 또한 Yao 등(8)은 내측 측부인대 손상이 완전 파열에서 58

%, 부분 파열에서 24%의 빈도를 보이나 감별에 도움이 되는

소견은 아니라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내측 반월판, 외측 반

월판, 내측 측부인대 손상이 완전파열과 부분 파열의 감별에 도

움을 주지 않았다. 그러나 손상이 심하여 전방 십자인대, 내측

반월판, 내측 측부인대가 동시에 손상된 0 ’Donoghue triad는

완전 파열에서 2예가 보였으나, 부분 파열에서는 보이지 않아

감별에 도움이 되는 소견으로 생각한다. 또한 Yao 등(8)은 슬

와근 (popliteus muscle) 의 손상은 완전 파열을 시사핸 종요

한 소견이며 완전 파열에서 32 % , 부분 파열에서 5%에서 보인

다고 하였고, 본 연구에서도 완전 파열에서 2예 보였으내 부분

파열에서는 보이지 않아 파열의 정도가 심해야 나타나는 소견

으로 생각한다. 슬관절액은 전방 십자인대의 손상에 많이 나타

나지만 정상에서도 소량이 관찰되고, 또한 십자 인대손상 이외

의 손상과질환에 의해 나타나는경우가많아간접 소견으로분

류하지 않기도 한다 (4, 6, 9, 27). 본 연구에서 완전 파열과 부

분 파열에서 가장 많은 빈도를 보이는 소견이었으나 파열의 정

도를 감별히는 데에 도움이 되는 소견은 아니였다.

결론적으로 완전 파열은 직접 소견과 간접 소견이 보이는 빈

도가 부분 파열보다 높으며, 부분 파열은 손상의 정도에 따라

정상에서 부터 완전 파열과 구별하기 어려울 정도의 소견까지

다양하다. 직접 소견 중에서 전방 십자인대의 끊어짐이나 신호

강도 증가를 보이는 소견을 동반하지 않고 전방 십자인대가 파

도형태만을 보이는 것은 부분 파열을 시사하는 소견으로 생각

하며 , 0 ’Donoghue tr iad, 슬와근의 손상은 완전 파열을 시 사하

는 간접 소견으로 추정되나, 그 증례가 적어 앞으로 연구 보완

되어야할것으로사료된다.

참 고 문 헌

1. Mink JH, Levy T, Crues JV III. Tears of the anterior cruciate ligament and menisci of the knee: MR imaging evaluation. Radiology 1988; 167: 769-774

2. Lee JK, Yao L, Phelps CT, Wirth CR, Czajka J, Lozman J . An­terior cruciate Iigament tears: MR imaging compared with arthroscopy and c1 inical tests. Radiology 1988 ; 166: 861-864

3. Vahey TN, Broome DR, Kayes Kι Shelbourne KD. Acute and chronic tears of the anterior cruciate ligament : differential features at MR imaging. Radiology 1991; 181: 251-253

4. Robertson PL, Schweitzer ME, Bartolozzi AR, Ugoni A. An­ter ior cru ciate ligament tears ‘ evaluation of multiple signs with MR imaging. Radiology 1994; 193 : 829-834

5. Remer EM, Fitzgerald SW, Friedman H, Rogers LF, Hendrix

Page 8: 전방십자인대 파열:완전파열과부분파열의 · 2017. 4. 6. · 선형 원위부 (linear disal portion)를 있는 선이 대퇴골 수강 (medullary cavity)을 통과하지

RW , Schafer MF. Anterior cruciate ligament injury: MR

imaging diagnosis and patterns of injury. RadioGraphics 1992;

12: 901-915

6. Tung GA , Davis LM , Wiggins ME, Fadale PD. Tears of the an

terior cruciate ligament: primary and secondary signs at MR

imaging. Radiology 1993; 188:661-667

7. Pope Jr TL. MRI of the knee Iigaments. Semin Ultrasound CT

MR 1994; 15 ‘ 366-382

8. Yao L, Gentili A, Petrus L. Lee JK. Partial ACL rupture: an MR

diagnosis? Skeletal Radiol 1995; 24: 247-251

9. Gentili A, Seeger LL. Yao L. Do HM. Anterior cruciate ligament

tear: indirect signs at MR imaging. Radiology 1994 ; 193 : 835-840

10. Schweitzer ME, Cervilla V, Kursunoglu-brahme S, Resnick D

The PCL line: signs of anterior cruciate Iigament injury ‘ Clin

Jmaging 1992 ; 16: 43-48

11. McCauley TR, Moses M, Kier R, Lynch JK , Barton JW, Jokl P

MR diagnosis of tears of anterior cruciate ligament of the knee

importance of ancillary findings. AJR 1994 ; 162: 115-119

12. Chan WP, Peterfy C, Fritz RC, Genant HK. MR diagnosis of

complete tears of the anterior cruciate ligament of the knee: im­

portance of anterior sublu xation of the tibia. AJR 1994; 162

355-360

13. Vahey TN, Hunt JE, Shelbourne KD. Anterior translocation of

the ti bia at MR imaging: a secondary sign of anterior cruciate

ligament tear. Radiology 1993; 187: 817-819

14. Kaplan PA , Walker CW , Kilcoyne RF. Brown DE, Tusek D, Dussault RG. Occult fracture patterns of the knee associated

with anterior cruciate ligament tears: assessment with MR

imaging. Radiology 1992; 183: 835-838

15. Murphy BJ, Smith RL, Uribe JW, Janecki CJ, Hechtman KS, Mangasarian RA . Bone signal abnormalities in the posterolateral

tibia and lateral femoral condy le in complete tears of the an

terior cruciate ligament: a specific sign? Radiology 1992; 182

221 - 224

16. Rosen MA , Jackson DW , Berger PE. Occult osseous lesions

documented by magnetic resonance imaging associated with an­

terior cruciate ligament ruptures. Arthroscopy 1991; 7 ‘ 45-51

17. Graf BK, Cook DA, De Smet AA, Keene JS “ Bone bruises " on

magnetic resonance imaging evaluation of anterior cruciate liga-

솜기영 오1: 전밤 십자인[H 파열

ment injuries. Am J Sports Med 1993; 21 : 220-223

18. Weber WN , Neumann CH, Barakos JA, Peterson SA, Steinbach

LS, Genant HK. Lateral tibial rim(Segond) fractures: MR

imaging characteristics. Radiology 199 1 ; 180 : 731-734

19. Warren RF, Kaplan N, Bach BR. The lateral notch sign of an­

terior cruciate ligament insufficiency. Am J Knee Surg 1988; 1

119-1 24

20. Cobby MJ , Schweitzer ME, Resnick D. The deep lateral femoral

notch : an indirect sign of a torn anterior cruc iate Iigament

Radiology 1992; 184: 855-858

21. Shelbourne KD , Nitz PA. The 0 ’ Donoghue triad revisited. Am

J Spo ,.ts Med 1991 ; 19: 474-477

22. Kaye JK. Ligament and tendon tears: secondary signs. Radi

ology 1993 ; 188: 616-617

23. De Smet AA , Graf BK. Meniscal tears missed on MR imaging

relationship to meniscal tear patterns and anterior cruciate liga­

ment tears. AJR 1994; 162:905-911

24 한기석, 강흥식 , 구진모, 김주완, 조규형, 성상철 전방 십자

인대 손상의 자기공명영상 동반소견 대한방사선의학회지 1995 ; 32: 617-623

25 안중모, 강흥식, 깅성문, 성상철 슬관절 인대 손상의 자기공 명영상 대한방사선의학회지 1992; 28 ‘ 269-274

26. Hodler J , Haghighi P, Trudell D, Resnick D. The cruciate

ligaments of the knee: correlation between MR appearance and

gross and histologic findings in cadaveric specimens. AJR 1992

; 159 : 357-360

27. Brandser EA, Riley MA, Berbaum KS, E!-Khoury GY , Lee

Bennet D. MR imaging of anterior cruciate ligament injury: in­

dependent value of primary and secondary signs. AJR 1996;

167:121-126

28. Yao L, Lee JK. Occult intraosseous fracture: detection with MR

imaging. Radiology 1988 ; 167 ‘ 749-751

29. Vellet AD, Marks PH, Fowler PJ, Munro TG. Occult

posttraumatic osteochondral lesions of the knee: prevalence ,

c1assification , and short-term sequele evaluated with MR

imaging. Radiology 1991; 178 ’ 271-276

30. Goldman AB , Pavlov H, Rubenstein D. The Segond fracture of

the proximal tibia: a small avulsion that reflects major ligamen­

tous damage. AJR 1988 ; 151: 1163-1167

- 694 -

Page 9: 전방십자인대 파열:완전파열과부분파열의 · 2017. 4. 6. · 선형 원위부 (linear disal portion)를 있는 선이 대퇴골 수강 (medullary cavity)을 통과하지

대한밤사선의학호IXI1997;36:687-695

J Korean Radiol Soc 1997; 36 : 687- 695

Anterior Cruciate Ligament Tear : Comparison of MR

Features between Complete and Partial Tear 1

Ki Young Song, M.D. , Joo Hyuk Lee, M .D., Jin Hee Park, M.D. , Yu Jin Lee, M .D. Eun Jin Rho, M.D. , Young-Hoon Kim, M.D 2, Jeong Geun Yi, M.D3

•, Joong Mo Ahn, M.D4•

1 Department of Radiology, Kangnam General Hospital Public Corporation

2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η1, Kangnam General Hospital Public Corporation

3Department of Radiology, Hallym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4Department of Radiolog)ι Samsung Medical Center

Purpose: To determine the MRI features which distinguish complete and partial tear of the an­terior cruciate ligament(ACL) and to thus improve MRI interpretation.

Materials and Methods: In 80 patients, we analyzed MR findings of direct and indirect signs of ACL tear (complete tear, 61 cases, partial tear, 19 cases) confirmed by arthroscopy or surgery, and compared the relative incidence of each sign in cases of complete and partial tear.

Results: Direct and indirect signs were found in 61 (100 %) and 60 cases(98.4%), respectively, in complete tears, but in 16 (84.2 %) and 15 cases(78.9%), respectively, in partial tears. Poor visualization, discontinuity and h yperintensity were seen in all complete tears but in only nine cases(47.4%) of partial tear. A wavy or abnormal contour was seen in 53 cases(86.9%) of complete tear and 14 (73.7 %) of partial tear. A wavy contour without other direct signs was seen in only five cases(26 .3%) of partial tear. Three cases(15.8%) of partial tear showed normal MR finding. Indirect signs, i. e. abnormal ACL angle, abnormal ACL-Blumensaat line angle, abnormal posterior cruciate ligament(PCL) line, abnormal PCL angle, PCL buckling, anterior displacement of tibia, posterior dis­placement of lateral meniscus, bone bruise , Segond fracture , tear of collateral ligaments, PCL, and tear of meniscus were commoner in complete than in partial tears. Two cases of 0’Don<핑hue’s triad and two of popliteus injury were seen only in complete tears.

Conclusion: Direct and indirect signs of ACL tear were more commonly noted in complete than in partial tears. The latter showed MR features varying from normal to almost complete tear. We suggest that a wavy contour without other direct signs is indicative of a partial tear, and that O'Donoghue ’s triad and popliteus muscle injury are indirect signs of a complete tear.

Index Words: Knee, injuries Knee, ligaments, menisci, and cartilage Knee, MR

Address reprint requests to : Joo Hyuk Lee, M.D. , Department of Radiology, Kangnam General Hospital Public Corporation, # 171-1 Samsung-Dong, Kangnam-Gu, SeouL 135-090 Korea.

Tel. 82-2- 554-9011(715) Fax. 82-2-564- 2960

- 695 -

Page 10: 전방십자인대 파열:완전파열과부분파열의 · 2017. 4. 6. · 선형 원위부 (linear disal portion)를 있는 선이 대퇴골 수강 (medullary cavity)을 통과하지

《저작권에 관한 동의서》

라는제목의 논문이 대한방사선의학회지에 출간될 경우그저작권을대한방사션의학회에 이전한다.

저자는 저작권이외의 모든 권힌 즉, 특허신청이나 향후 논문을 작성하는데 있어서 본논문의 일부

흑은 전부를 사용하는 등의 권한을 소유한다. 저자는 대한방사선의학회지로부터 서면허가를 받으면

타논문에 본논문의 자료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자료가 발표된 원논문을 밝힌다. 본논문의 모

든 저자는 본논문에 실제적이고 지적인 공헌을 하였으며 논문의 내용에 대하여 공적인 책임을 공유

한다.

본논문은 과거에 출판된 적이 없으며 현재 타학술지에 제출되었거냐 제출할 계획이 없다.

제 1저자/ 년 월 일 제 2저 A}

제 4저자 제 5저자

〔 분 야 :

본 동의서는 원고에 기술된 순서대로 전 저자의 서명이 있어야 함.

대한방사선의학회 원고 최종 점검표

口 원고 1부, 사진 1부를 동봉한다.

口 행간 여백 1 행 (double space)에 21 X30cm (A4) 용지에 작성한다.

口 원고배열은 한글과 영문으로 기재된 표지, 내표지, 초록(한글과 영문), 서론,

대상 및 방법, 결과, 고잘, 참고문헌, 표, 사진설명의 순으로 한다.

口 초록은 목적, 대상 및 방법, 결과, 결론으로 나누어 기술한다.

U 영문초록 하단에 색인단어 ( Index Words)를 기입한다.

口 저작권에 관한 동의서에 전 저자가 서명한다.

U 투고규정내의 저자 점검사항을 점검하였다.

• 696 •

제 3저 A}

제 6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