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2
_____ 연구보고서 2012-15 _____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 _____ Voluntary Agreements in Korea: Current Status and Effective Utilization _____ 정우현 외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_____

연구보고서 2012-15

_____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_____

Voluntary Agreements in Korea: Current Status and Effective Utilization

_____

정우현 외

Page 2: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연구진

연구책임자 정우현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부연구위원)

참여연구원 장기복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선임연구위원)

문현주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이정석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부연구위원)

김갑철 ((주) 네오에코즈 대표이사)

이경선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원)

한동훈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원)

자문위원

강성원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위원)

김용건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선임연구위원)

박준우 (상명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이응균 (고려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이호중 (환경부 정책총괄과 과장)

황계영 (환경부 기획재정 담당관)

ⓒ 2012 한국환경정책 ․ 평가연구원

발행인 이병욱

발행처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흥로 215(우편번호) 122-706

전화 02)380-7777 팩스 02)380-7799

http://www.kei.re.kr

인쇄 2012년 10월 25일

발행 2012년 10월 31일

출판등록 제17-254호

ISBN 978-89-8464-645-2 93530

값 7,000원

Page 3: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서 언

이른바 제3의 환경정책수단이라고 일컬어지는 자발적 협약이 우리나라에 본격적으로

도입된 지도 10년 이상이 지났습니다. 자발적 협약은 전통적인 명령·통제식 규제에서

벗어나 기업의 자율적 의지와 유연성을 최대한 활용하고자 하는 방식으로, 강제력이 약한

만큼 환경적 효과가 의문시되기도 하는 반면 규제비용의 절감, 유연성, 정부와 산업계

간의 협력적 관계 도모 등 다양한 장점이 있습니다.

1990년대 이후 유럽과 미국, 일본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다양한 형태의 자발적 협약이

운영되었고, 우리나라에서도 1998년 당시 산업자원부가 ‘에너지절약 및 온실가스 배출

감소를 위한 자발적 협약’을 처음 도입하고 1999년 자율환경관리제에 대한 법적 기반을

마련한 이래, 현재까지 꾸준히 새로운 프로그램들이 도입·운영되어 온 것으로 알고 있습

니다.

국내에서의 자발적 협약에 대한 관심은 도입 초기에 비해 다소 수그러든 경향입니다만,

국내에서의 꾸준한 활용경향과 국외에서의 활발한 학문적 논의를 볼 때 연구의 필요성은

분명해 보입니다. 국내에 자발적 협약이 본격적으로 도입된 지 10년 이상이 지난 지금

시점에서 현재까지의 현황을 진단하고 효과적 활용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 본

연구과제는 이러한 배경에서 시의적절하다 할 수 있습니다. 본 연구의 성과가 자발적

협약을 깊이 이해하고 다양한 정책문제에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데 유용한 자료로 활용되

기를 기대합니다.

본 연구를 맡아 수행하신 본원의 정우현 박사, 장기복 박사, 문현주 박사, 이정석

박사, 이경선 연구원, 한동훈 연구원, 외부연구진으로 도움을 주신 ㈜네오에코즈의 김갑

철 대표이사, 그리고 자문위원으로 수고하신 김용건 박사와 강성원 박사에게 감사의

Page 4: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마음을 전합니다. 또한 바쁘신 와중에 연구의 질적 향상에 도움을 주신 상명대학교 박준

우 교수, 고려대학교 이응균 교수, 환경부 황계영 담당관, 이호중 과장께도 감사드립니

다.

2012년 10월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원장 이 병 욱

Page 5: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국문요약

자발적 협약(voluntary agreement)은 직접 규제와 경제적 유인책에 이은 제3의 환경정책수

단으로 각광받으며 1990년대 이후 유럽과 미국, 일본 등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실시되어 오고

있다. 기존 수단에 비해 강제력이 약한 만큼 환경적 효과성에 의문이 제기되기도 하나, 규제비용

절감, 유연성, 이해관계자들 간의 협치 도모, 기업 환경의지 증진 및 활용 등 다양한 장점들이

알려져 있다.

한국에서는 1998년 ‘에너지 절약 및 온실가스 배출감소를 위한 자발적 협약’이 체결된 이래

31개의 협약 프로그램이 도입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그 활용은 더욱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분야별로는 폐기물이 11건으로 가장 두드러진다. 미국을 비롯한 주요국에서 2000년대 이후

활용이 주춤하는 추세를 보이며 기후/에너지 분야에서 두드러지는 경향을 보이는 것과는 대조된

다.

심층적인 사례연구를 위해 ‘에너지 절약 및 온실가스 배출감소를 위한 자발적 협약’, ‘페트병

재질·구조개선 자발적 협약’, ‘플라스틱 폐기물 회수·재활용 자발적 협약’, ‘산업계 녹색구매

자발적 협약’, ‘공사장 비산먼지 저감 자발적 협약’의 5개 협약 프로그램에 대하여, 협약의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의무, 혜택 및 불이행 시 제재조치 설정,

모니터링 체계 및 성과평가 등)와 그 이행, 정보 확산 기능을 위한 요소들(워크숍, 정보교류회,

우수사례 공유, 기술지원 등), 정책의 맥락 및 다른 정책수단과의 관계 등을 중심으로 분석하였

다.

먼저 환경적 효과성 측면에서, 뚜렷한 환경개선효과를 위한 요소들의 설정 및 이행 여부는

프로그램별로 편차가 있었다. 먼저 참여기업의 의무사항 혹은 환경개선목표는 다섯개 프로그램

모두 설정되어 있지만 그 목표수준의 적정 여부는 판단하기 어렵다. 참여에 대한 인센티브와

미이행 시 제재조치는 명확히 설정되지 않은 경우도 많아 기업의 확실한 행동변화를 기대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모니터링 체계에서도 프로그램별로 편차가 크다. 뚜렷한 환경개선효과를

위해서는 이 같은 요소들이 보다 철저히 이행될 필요가 있는 한편, 환경적 효과성 외에 자발적

Page 6: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협약의 다른 효과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협약 프로그램별로 다양한 형태의 정보 생산 및 확산 요소들을 포함하고 있었다. 워크숍

개최와 우수사례 선정 등을 통해 우수저감기술이나 기업의 노하우가 확산되도록 유도하기도

하고, 비산먼지 기상예보제나 녹색제품정보시스템처럼 주관기관이 기업의 환경개선활동에 도

움이 되는 정보를 생산하거나 제공하는 경우가 있었다.

정책의 맥락 혹은 다른 정책수단과의 관계에서 볼 때, 자발적 협약이 본격적인 정책도입

이전에 기반구축을 위한 징검다리 역할을 하거나 강력한 규제를 도입하기 어렵거나 적절하지

못한 상황에서 정책의 공백을 메우는 대안으로 선택된 사례들을 볼 수 있었다.

자발적 협약의 효과적 활용을 위한 몇 가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먼저 환경적 효과성은

일반적으로 강제적 수단에 비해 약하거나 불확실하다는 것이 통설이므로, 강하고 분명한 효과가

요구되는 상황에서는 비자발적 수단을 우선 고려하고 기존 수단을 활용하기 어렵거나 적절하지

않은 경우 혹은 환경적 효과성이 다소 떨어지더라도 자발적 협약의 다른 장점을 활용하고자

하는 목적이 분명할 때 자발적 협약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뚜렷한 효과성을 담보하

기 위해서는 환경개선목표, 인센티브와 제재조치, 모니터링 체계 등을 명확히 설계하고 이행할

필요가 있으며, 프로그램 설계 시부터 체계적인 성과관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수사례 공유, 기술지원 및 컨설팅, 정부주도 R&D, 기업 간 인적교류 기회 등 정보 생산

및 확산의 요소들은 자발적 협약에 본질적인 요소는 아니지만 이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때 효용이

극대화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정책의 맥락 안에서 파악할 때 자발적 협약의 효용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는 경우가 많으며, 후속정책에 대한 시범사업이나 징검다리 역할로 활용된다면

후속정책에 대한 정보수집, 역량강화, 기반구축 등의 역할로 충분히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향후 환경적 효과성, 정보확산의 효과성, 타 정책수단의 보완역할, 협력적 체계 구축 등

다양한 측면에서 자발적 협약 프로그램들에 대한 성과평가 및 기타 후속연구들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주제어: 환경정책수단, 자발적 협약(voluntary agreement), 자발적 접근(voluntary

approach), 자발적 환경 프로그램(voluntary environmental program)

Page 7: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차 례∣제1장·서 론·············································································································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2. 연구의 범위 및 주요 방법 ······································································· 3

제2장·이론적 검토 및 해외동향········································································· 4

1. 자발적 협약의 개념 ··················································································· 42. 자발적 협약의 효용에 대한 검토 ···························································· 53. 해외 동향 및 사례 ··················································································· 17

제3장·자발적 협약의 국내 활용현황······························································· 44

1. 현황조사의 개요 ······················································································· 442. 국내 자발적 협약 활용현황 분석 ·························································· 493. 소결 ··········································································································· 62

제4장·자발적 협약 사례연구············································································ 63

1. 사례연구의 개요 ······················································································· 632. 에너지절약 및 온실가스 배출감소를 위한 자발적 협약 ···················· 653. 페트병 재질·구조개선 자발적 협약 ····················································· 754. 플라스틱 폐기물 회수·재활용 자발적 협약 ········································· 845. 산업계 녹색구매 자발적 협약 ······························································· 946. 공사장 비산먼지 저감 자발적 협약 ···················································· 1047. 소결 ········································································································ 113

Page 8: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제5장·시사점 및 향후 과제············································································· 115

1. 연구의 시사점 및 효과적 활용을 위한 제언 ······································ 1152. 본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과제 ······················································· 117

참고 문헌·············································································································· 121

부록······················································································································· 129

Abstract ··············································································································· 149

Page 9: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표차례∣<표 2-1> 미국 33/50 프로그램 화학물질 저감량 비교 ·························· 10<표 2-2> 자발적 협약의 정보제공 요소들 ·············································· 12<표 2-3> 미국 자발적 협약 프로그램의 정보제공 요소들 ····················· 13<표 2-4> 미국의 분야별 자발적 협약 현황 ············································· 20<표 2-5> 미국의 자발적 협약 목록 ··························································· 21<표 2-6> EU 주요 자발적 협약의 비교 ················································· 33<표 2-7> 네덜란드 LTA3 에너지 절감 성과(2009) ································ 35<표 2-8> 환경자주행동계획 참가업종의 추이 ········································· 37<표 3-1> ‘포장페기물 줄이기 자발적 협약’의 협약문 비교 ··················· 47<표 3-2> 국내 자발적 협약 프로그램 목록 (1) ······································· 50<표 3-3> 국내 자발적 협약 프로그램 목록 (2) ······································· 51<표 3-4> 국내 자발적 협약 프로그램 목록 (3) ······································ 52<표 4-1> 국내 자발적 협약 사례연구 목록 ············································ 64<표 4-2> ‘에너지절약 및 온실가스 배출감소를 위한 자발적 협약’ 개요 ·· 65<표 4-3> 사용량별 관리그룹 ···································································· 66<표 4-4> ‘에너지절약 및 온실가스배출 감소를 위한 자발적 협약’ 추진 경과· 67

<표 4-5> 협약기업의 지역별·업종별 분포현황(2009) ··························· 68<표 4-6> 연도별 인센티브 지원 실적 ······················································· 69<표 4-7> 1998~2003년 자발적 협약 실적 ·············································· 70<표 4-8> 협약당사자의 역할 ···································································· 71<표 4-9> ‘페트병 재질·구조개선 자발적 협약’ 개요 ··························· 75<표 4-10> 재활용 체계에 따른 페트병 분류 ········································· 77<표 4-11> 라벨, 마개 다양화의 문제점 ···················································· 77

Page 10: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표 4-12> ‘페트병 재질·구조개선 자발적 협약’ 추진 경과 ···················· 78<표 4-13> ‘페트병 재질·구조개선 자발적 협약’ 참여업체 ···················· 78<표 4-14> 페트병 재질·구조개선 가이드라인 ·········································· 79<표 4-15> ‘플라스틱 폐기물 회수·재활용 자발적 협약’ 개요 ·············· 84<표 4-16> ‘플라스틱 회수·재활용 자발적 협약’ 추진 경과 ··················· 85<표 4-17> ‘플라스틱 폐기물 회수·재활용 자발적 협약’ 품목별 현황 · 86<표 4-18> ‘플라스틱 폐기물 회수·재활용 자발적 협약’ 목표 재활용률의 산정 · 87<표 4-19> ‘플라스틱 폐기물 회수·재활용 자발적 협약’ 신청 시 심사기준 ·· 88<표 4-20> ‘플라스틱 폐기물 회수·재활용 자발적 협약’ 운영성과 및 현황 ·· 90

<표 4-21> ‘산업계 녹색구매 자발적 협약’ 개요 ···································· 94<표 4-22> ‘산업계 녹색구매 자발적 협약’ 추진 경과 ···························· 96<표 4-23> ‘산업계 녹색구매 자발적 협약’ 확대 계획 ···························· 97<표 4-24> ‘산업계 녹색구매 자발적 협약’ 참여업체 ···························· 98<표 4-25> ‘산업계 녹색구매 자발적 협약’ 참여기업 연차별 진행 계획 ·· 99<표 4-26> ‘산업계 녹색구매 자발적 협약’ 이행 실적 ·························· 100<표 4-27> ‘산업계 녹색구매 자발적 협약’ 이행 기반 구축 현황 ······· 100<표 4-28> ‘산업계 녹색구매 자발적 협약’ 참여 주체별 역할 ············· 101<표 4-29> ‘공사장 비산먼지 저감 자발적 협약’ 개요 ························ 104<표 4-30> ‘공사장 비산먼지 저감 자발적 협약’ 추진 경과 및 계획 · 106

<표 4-31> ‘공사장 비산먼지 저감 자발적 협약’ 참여업체 ··············· 107<표 4-32> 사례연구 대상 프로그램들의 특징 ········································ 114

Page 11: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그림 차례∣<그림 2-1> 1988~1996년간 33/50 프로그램 화학물질 배출저감량 ······· 9<그림 2-2> 미국 자발적 협약의 체결 시기 ··········································· 22<그림 2-3> 미국 E3 프로그램의 이행 절차 ············································ 28<그림 2-4> 환경자주행동계획의 온실가스 감축 실적 ···························· 38<그림 2-5> 환경자주행동계획의 산업폐기물 저감 실적 ························ 39<그림 2-6> 에코 액션 21 프로그램 수행 절차 ······································· 40<그림 2-7> 에코 액션 21 인증․등록 절차 ················································· 41<그림 2-8> 에코 액션 21 인증․등록 기업 수 추이 및 기업 규모 ········ 42<그림 2-9> 업종별 에코 액션 21 인증․등록 업체 비중 ························· 42<그림 3-1> 국내 자발적 협약 프로그램 분야별 구분 ····························· 53<그림 3-2> 국내 자발적 협약 프로그램 시작연도별 분석 ···················· 54<그림 3-3> 국내 자발적 협약 시기별 분석 세부 ···································· 57<그림 3-4> 연도별 운영 중인 자발적 협약 프로그램의 수 ·················· 58<그림 3-5> 국내 자발적 협약 프로그램 주관기관별 구분 ···················· 59<그림 3-6> 국내 자발적 협약 프로그램 규모별 구분 ···························· 60<그림 4-1> 연도별 협약 사업장 현황 ····················································· 68<그림 4-2> 국내 페트병 재활용 추이 ····················································· 76<그림 4-3> 협약 당사자의 역할 ····························································· 81<그림 4-4> ‘포장재 재질·구조 사전평가제도’ 절차 ································· 83<그림 4-5> ‘플라스틱 폐기물 회수·재활용 자발적 협약’ 추진체계 ······ 91

Page 12: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Page 13: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제1장․ 서 론 ∣ 1

∣ 제1장 ․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자발적 협약(voluntary agreement)은 전통적 환경정책수단인 명령·통제식 직접

규제와 경제적 유인책에 이은 제3의 환경정책수단으로 각광받으며 1990년대 이후 유럽

과 미국, 일본 등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실시되고 있다.

자발적 협약은 전통적 규제방식과 경제적 유인책에 비해 기업의 자율에 의존하는 방식

으로, 유연성이 그 특징 중 하나인 만큼 다양한 방식으로 운용될 수 있다. 대표적인

운용방식으로는, 정부가 저감목표 등 협약의 내용을 일방적으로 설정하고 기업의 참여를

유도하는 정부주도형(public voluntary program), 협약내용을 정부와 기업 간의 협상

으로 결정하는 민관협상형(negotiated agreement) 등이 있다.

자발적 협약은 기존의 규제수단에 비해 강제력이 약한 만큼 그 환경적 효과성에 의문

이 제기되기도 하나, 정부의 규제비용을 줄일 수 있고, 급변하는 환경에서 새롭게 발생하

는 환경문제에 대해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으며, 이해관계자들의 협상을 통해 협치

(governance)를 도모할 수 있고, 기업의 환경의지를 증진시키고 최대한 활용하는 등

여러 장점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국에서는 2004년 기준으로 50개 이상의 자발적 협약이 전국적 범위에서 실시되는

것으로 집계되었으며(Brouhle et al. 2005), 주 단위 혹은 지방 단위에서 실시되는

것까지 합치면 수백 개의 자발적 협약이 실시되고 있다. 유럽에서도 1998년 기준으로

이미 300개 이상의 자발적 협약이 실시되는 것으로 집계되었다.

또한 학문적으로도 자발적 협약에 관한 많은 논의가 진행되었으며, 2000년대 이후에

도 자발적 협약에 대한 새로운 이론적 틀, 자발적 협약 프로그램들의 환경성과 평가

및 그 방법론 등 다양한 각도에서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1999년 환경부 고시로 「자율환경관리제 운영규정」이 제정되는 등

법적 기반을 마련하고 1998년 ‘에너지 절약 및 온실가스 배출감소를 위한 자발적 협약’

Page 14: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2 ∣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

등 본격적인 자발적 협약 프로그램들이 도입되기 시작하였고, 이후 10년 이상이 흘렀다.

최근 문헌(허경선, 2010)에 의하면 최소 24개 이상의 자발적 협약이 환경부, 관련 부처

혹은 지자체 주도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국외에서의 활발한 논의와 국내 도입역사 및 활용현황에 비해, 국내 자발적 협약

활용 현황에 대한 종합적 평가나 심층적 연구는 찾아보기 힘든 것이 현실이다. 정회성과

김미숙(2007)과 허경선(2010)은 국내 운용현황을 다루었으나, 대표 사례 중심으로 서술

하거나(정회성, 김미숙, 2007) 기본 정보만 담은 목록 작성 중심이어서(허경선, 2010),

종합적이거나 심층적인 진단에 이르지는 못하였다. 한편 황덕연 외(2007)는 대포천 수질

개선에 대한 자발적 협약의 평가를 시도하였으나 1개 사례에 국한되고 비용효과라는

단일기준에 한정되는 한계를 지닌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1990년대 말 국내에 자발적 협약이 도입된 지 10년 이상이

흐른 시점에서 지금까지의 국내 자발적 협약 활용현황을 정리, 분석하고 그로부터 자발

적 협약이라는 정책수단의 효과적 활용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2장에서는 기존 문헌에 기반을 두어 자발적 협약의 개념과 효용에 대한 이론적

검토를 제공하고, 2000년대 이후를 중심으로 미국, 일본, 유럽 등 주요 선진국들의

자발적 협약 활용현황 및 주요 사례를 소개한다.

제3장에서는 1990년대 말 한국에 자발적 협약이 처음 도입되기 시작한 후부터 현재까

지의 자발적 협약 프로그램들을 조사하고 그 분포, 경향 등을 전체적으로 조망한다.

제4장에서는 조사된 협약 프로그램들 중 몇몇 사례를 선정하여 각 프로그램들이 어떻

게 설계되고 이행되었는지 심층적으로 조사한다.

마지막 제5장에서는 연구결과를 요약하고 시사점과 향후 연구과제들을 도출한다.

Page 15: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제1장․ 서 론 ∣ 3

2. 연구의 범위 및 주요 방법

본 연구에서는 국내 환경 및 에너지 분야에서 자발적 협약의 활용현황을 진단하고자

하였다. 즉 공간적 범위는 국내로 한정되며, 시간적 범위는 국내에 본격적으로 자발적

협약이 도입되기 시작한 시기인 1990년대 말부터 현재까지다.

조사대상이 되는 자발적 협약은 정부기관과 기업 사이의 협약 형식으로 이루어진,

정부주도형 내지 민관협상형 자발적 협약 프로그램에 초점을 맞추기로 한다. 정부기관이

직접 관여하지 않는 산업계주도형 자발적 프로그램도 국내에 몇몇 사례가 존재하나 국내

의 자발적 프로그램은 사실상 정부주도형이 주류를 이루는 것으로 보인다.

자발적 협약의 이론적 검토와 해외동향 파악을 위해서는 기존 문헌들이 주로 활용되었

다. 국내 자발적 협약의 활용현황 조사 및 사례연구를 위해서는 언론기사, 인터넷 등

자료검색, 주관부처 담당자를 통한 협약문서, 보도자료, 기타 관련 자료 확보 및 담당자

면담 등의 방법이 주로 활용되었다.

Page 16: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4 ∣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

∣ 제2장·이론적 검토 및 해외동향∣1. 자발적 협약의 개념

자발적 협약(voluntary agreement, VA)은 오염자인 기업들에게 환경개선 목표를

강제하는 대신 기업 스스로의 자율적 환경개선에 의존하는 방식의 환경정책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 흔히 정부와 기업 간, 혹은 기업과 기업 간에 맺는 협약(agreement)이라는

방식을 통해 이루어져 ‘자발적 협약’으로 불린다.

자발적 협약은 명령 및 통제(command and control) 방식으로 표현되는 기존의 전통

적인 환경규제와 달리 환경개선 목표를 정부가 일방적으로 지시하고 강제하는

(mandatory) 방식이 아니라 기업의 자율에 의존하는 자발적인(voluntary) 방식이라는

데 초점이 있다.

협약이라는 방식을 통하지 않는 다양한 형식의 자발적인 환경 프로그램들이 주목받게

됨에 따라 자발적 ‘협약’이라는 용어보다 좀 더 범위를 넓힌 자발적 접근(voluntary

approach), 자발적 환경 프로그램(voluntary environmental program, VEP)이라는

용어도 많이 사용되며(Khanna & Damon, 1999; Morgenstern & Pizer, 2007b;

OECD, 1999 등) 한국에서는 ‘자율환경관리’로 불리기도 한다(정회성, 2000 등).

널리 인용되는 OECD 보고서(1999, pp.9-10)의 분류에 따르면 자발적 접근은 크게

다음의 세 유형으로 구분된다.

정부주도형(public voluntary programme, 공공 자발적 프로그램)은 협약의 내용,

특히 참여기업이 이행해야 하는 환경개선을 위한 의무(commitment)를 정부기관이 정

하고 개별 기업들은 참여 여부에 대한 선택권을 갖는 방식이다. 미국의 화학물질 저감을

위한 33/50 프로그램이 대표적인 사례 중 하나로 꼽힌다.

민관 협상형(negotiated agreement, 협상형 협약)은 협약의 내용(commitment)이

정부기관과 산업계 간의 협상으로 정해진다는 점이 특징이다. 협상은 국가적 차원에서

특정 산업부문의 대표와 정부대표 사이에서 이루어지거나, 개별 기업과 정부기관 사이에

Page 17: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제2장․ 이론적 검토 및 해외동향 ∣ 5

서 이루어지기도 한다.

산업계 주도형(unilateral commitment, 일방적 서약)은 정부기관의 직접적 관여

없이 산업계가 자체적으로 자발적인 환경개선을 선언하는 유형이다. 대표적인 예로 화학

산업계의 Responsible Care 프로그램이 꼽힌다.

정부주도형과 민관협상형은 사실 그 경계가 분명치 않다. 정부주도형 프로그램이더라

도 산업계의 의견이 어느 정도 수렴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그러한 과정이 비공식적으

로 이루어져 협상이 어떻게 일어났는지 외부에서 알 수 없는 경우도 많다.

2. 자발적 협약의 효용에 대한 검토

자발적 협약의 효용성에 대해서는 서로 상반된 태도가 존재한다. 한편으로는 자발적

협약이 이해관계자들 사이의 소통과 합의를 통해 유연한 방식과 낮은 비용으로 환경개선

을 이룰 수 있는 수단으로 각광받는가 하면, 자발적 협약이 없었더라도 어차피 이루어졌

을 통상적 업무(business-as-usual) 수준 이상의 환경개선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을

뿐 아니라 오염저감비용과 행정비용도 다른 정책수단에 비해 적지 않게 들 수 있다는

인식도 존재한다(OECD, 2003, p.10).

본 절에서는 자발적 협약이 가질 수 있는 몇 가지 효용성에 대해 검토한다.

가. 환경적 효과성

자발적 협약이라는 수단이 목적한 바와 같은 환경개선을 이루는 데 효과적인지에 대해

서는 부정적인 시선이 많다. 자발적 협약이 이해관계자들 사이의 소통과 합의에 의해

유연한 방식과 낮은 비용으로 환경개선을 이룰 수 있는 수단으로 각광받았던 도입 초기와

달리, 두드러진 환경적 효과성을 기대하기 어려운 수단이라는 인식이 많아졌다.

자발적 협약이라는 수단의 본질상 기업에 환경개선목표 달성을 강제하지 못하고 기업

의 ‘자발’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점이 종종 분명한 한계로 인식된다.1) 그러나 협약에

1) 제4장의 사례연구를 위해 방문한 국내 자발적 협약 주관기관의 담당자들에게서도 이러한 인식을 자주

Page 18: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6 ∣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

참여하여 목표를 달성했을 때 주어지는 ‘당근’과 그렇지 못했을 때 주어지는 ‘채찍’이

분명하게 설계되고 이행된다면 자발에 의존한다고 해서 목표가 달성될 수 없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당근’은 규제자(협약 주관부처)로부터 받는 관련 법상의 보고·검사의무

면제, 기술지원, 금융지원, 행정지원, 관련 규제의 경감·면제 등이 있고, 자발적 협약

참여사실이 대외적으로 홍보됨으로써 친환경기업으로서의 기업이미지를 제고하여 소비

자로부터 호응을 얻어 매출 증가로 이어지거나 지역사회, 시민단체와의 관계를 매끄럽게

하는 효과 등이 있다.

그럼에도 자발적 협약에서 환경적 효과성을 기대하기 어려운 이유로 무임승차

(free-riding)와 규제포획(regulatory capture)이 흔히 거론된다(OECD, 1999 등).

무임승차는 기업이 협약에 참가하는 것만으로 실제 통상적 업무(business-as-usual)

수준을 능가하는 환경개선은 이루지 않음에도 협약 참여기업으로서의 ‘당근’을 누리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무임승차가 허용되는 한 참여기업에 실제 환경개선에 대한 노력을

기울일 인센티브는 없다고 볼 수 있다. 규제포획은 협약의 형성과정이 산업계의 이해에

‘포획’되어 환경개선목표를 비롯한 자발적 협약의 주요 내용이 산업계에 지나치게 유리하

게 설정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이유로 협약에서 내건 환경개선목표 자체가 지나치게

낮게 설정되었다면 그 목표를 달성했다고 해도 실제 환경개선효과는 미미한 수준에 지나

지 않게 되며, 참여기업은 그런 미미한 수준의 노력만으로 자발적 협약 참여기업이라는

홍보효과와 기타 여러 혜택들을 누리는 결과를 가져온다.

OECD(1999)2)는 이러한 점들을 극복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제언들을 제시하였다.

환경개선목표를 명확히 설정하라(clearly defined targets)

환경개선효과 측정의 바탕이 되는 통상업무 수준을 설정하라

(characterization of business-as-usual scenario)

‘규제의 위협’을 활용하라(credible regulatory threats)

믿을 만한 모니터링 체계를 구축하라(credible and reliable monitoring)

발견할 수 있었다.

2) OECD(2003), pp.19-20에서 재인용.

Page 19: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제2장․ 이론적 검토 및 해외동향 ∣ 7

제3자의 참여를 활용하라(third-party participation)

불이행 시의 제재조치를 명확히 하라(penalties for non-compliance)

정보제공 요소를 활용하라(information-oriented provisions)

시장경쟁을 왜곡할 우려가 없도록 하라(provisions reducing the risks for

competition distortions)

한편, 세계적으로 자발적 협약이 도입되기 시작한 지 20년 이상이 지나, 자발적 협약

프로그램에 대한 실증적 평가 작업도 어느 정도 축적되어 왔다. 자발적 협약들이 목적한

바와 같은 환경개선을 이루는 데 성공했는가 하는 환경적 효과성에 대한 평가들은 많이

시도되었는데, 그 평가결과들로는 일관성 있는 결론이 도출되지 않았다.

자발적 협약들이 프로그램에 따라 성격과 내용이 많이 다르기 때문에 프로그램마다

다른 성과를 내는 것은 어쩔 수 없다고 하더라도, 동일한 프로그램의 환경적 효과성에

대해서조차 서로 상반된 연구결과를 내는 경우도 비일비재하였다.

그 대표적인 사례로 미국의 화학물질 배출저감을 위한 33/50 프로그램을 들 수 있다.

33/50 프로그램은 1991년에 시작된, 미국 환경청(EPA)이 처음으로 시도한 자발적 협약

프로그램이다. 본 프로그램은 TRI3) 화학물질 중 17개의 우선순위 화학물질(priority

chemicals)4)의 배출량 저감을 목표로 하였으며, EPA의 자체평가(EPA, 1999)에 따르

면 33/50 프로그램은 배출량 50% 저감이라는 목표를 당초 목표연도인 1995년보다 한

해 먼저인 1994년에 달성하는 등 상당한 성공을 거둔 것으로 나타난다. 이 프로그램의

목적 중 하나는 전통적인 명령 및 통제 방식(command-and-control)의 규제 수단만

사용할 때와 비교하여 자발적 협약이 목표 감축량을 더욱 빨리 달성하도록 할 수 있는지

입증하기 위한 것이었다. 한편 화학물질의 처리와 폐기에 초점을 둔 기존의 사후처리방

3) TRI(Toxic Release Inventory): 미국의 독성물질배출목록 프로그램.

4) 17개 우선순위 화학물질은 다음과 같다. Benzene, Carbon tetrachloride, Chloroform,

Dichloromethane, Methyl ethyl ketone, Methyl isobutyl ketone, Tetrachloroethylene, Toluene,

1,1,1-Trichloroethane, Trichloroethylene, Xylenes, Cadmium and cadmium compounds,

Chromium and chromium compounds, Cyanide compounds, Lead and lead compounds,

Mercury and mercury compounds and Nickel and nickel compounds.

Page 20: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8 ∣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

식(end-of-pipe methods)이 아닌 오염의 사전 예방적 접근을 장려하는 목적도 있었

다.

EPA는 1991년 봄과 여름에 걸쳐 총 5,000개 기업, 그 후 3년간 추가적으로 2,500개

의 기업에 33/50 프로그램에 참여하기를 요청하였다. 이 가운데 총 1,294개의 기업이

이 프로그램에 참여하였고, 협약 대상 화학물질의 총 배출량 중 협약참여 사업장에서

관여하는 화학물질량은 60%에 달하였다. 참여 기업을 모집할 때 EPA는 배출량이 많은

기업을 그룹으로 묶어 ‘Top 6005)’을 선정하고 이들의 참여를 도모하기 위해 힘썼고,

이러한 노력을 반영하듯 ‘Top 600’기업 중 64%가 33/50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이는 비교적 규모가 작은 기업의 14%만 참여한 것과 비교해 볼 때 괄목할

만한 참여율이다(EPA, 1999).

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총 1,294개의 기업은 17개 우선순위 화학물질 배출저감을 목표

로 하였으며, 협약 체결 이듬해인 1992년까지(1988년 배출량 기준으로) 33% 저감, 1995

년까지 50% 저감을 목표로 하였다. 저감 목표 달성 여부로 보았을 때 본 프로그램은

배출저감량을 초과 달성하여 EPA로부터 성공적인 자발적 협약 프로그램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프로그램 운영 기간인 1991년부터 1995년 사이에 기업들은 목표했던 배출저감

량을 초과 달성하였고 1992년에는 저감목표였던(1988년 배출량 기준) 33%를 초과 달성

한 40%의 저감 성과를 냈다. 1994년에 이미 1995년 목표였던 50% 저감을 달성하여

1년 앞당겨 목표를 달성하였고, 협약의 마지막 해인 1995년에는 55.1%의 저감에 성공하

는 초과 달성의 성과를 냈다. 이로서 33/50 프로그램은 1991년부터 1995년 까지 총량으

로는 15만 1,500톤의 화학물질 배출을 줄이는 데 성공하였다(EPA, 1999)(그림 2-1

참조).

5) ‘Top 600’ 기업은 추후 연락처를 통합하고 업데이트를 하는 과정에서 그 수가 500으로 줄어들었으나

이 그룹의 이름은 그대로 사용하기로 하였다.

Page 21: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제2장․ 이론적 검토 및 해외동향 ∣ 9

주: 1991~1996년 사이에 재활용과 에너지 회수를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보고된 양은 포함하지 않았다.

<그림 2-1> 1988~1996년간 33/50 프로그램 화학물질 배출저감량

이 밖에 EPA에서 이 프로그램을 성공적인 사례로 평가하는 근거는 이 프로그램 대상

화학물질의 저감률이 비대상 TRI 화학물질의 같은 기간 저감률과 비교하였을 때 더

높다는 점이다. 1990년부터 1995년 까지 이 프로그램 대상물질의 저감률은 46.9%였고

비대상 TRI 화학물질은 25.3%로 저감률에 확연한 차이를 보인다. 뿐만 아니라 33/50

프로그램 종료 후인 1996년에도 대상 화학물질의 저감률이 33/50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고 있는 타 TRI 화학물질에 비하여 높게 유지되었다는 점도 성공적으로 평가되는

이유 중 하나이다.

Page 22: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10 ∣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

전체 TRI 화학물질

(%저감률)

33/50프로그램 비대상 TRI

화학물질

(%저감률)

33/50프로그램 대상물질

(%저감률)

1988~1990년 -14.7 -14.3 -15.4

1990~1995년 -33.2 -25.3 -46.9

1995~1996년 -3.2 -0.04 -10.7

<표 2-1> 미국 33/50 프로그램 화학물질 저감량 비교

하지만 이 화학물질 배출저감 실적을 그대로 협약의 성과라고 인정하기 어려운 점들이

있다. Khanna & Damon(1999, p.3)이 지적하듯이 저감실적의 상당부분이 협약 프로그

램이 시작되기도 전인 1988년부터 1990년 사이에 이루어졌으며(표 2-1 참조), 같은

기간에 협약에 참여하지 않은 기업들도 상당 수준의 저감을 이루었다는 점 등이다.

이에 따라 협약기간 동안의 협약 참여기업의 실적을 비참여기업의 실적과 비교하는

접근법이 성과평가를 위해 보다 적절할 것이나, 배출저감을 쉽게 달성할 수 있는 역량과

의지가 있는 업체들이 선택적으로 협약에 더 많이 참여했으리라는 선택 편의(selection

bias)를 극복해야 하는 문제가 여전히 남아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네 건의 연구가 Heckman(1978)의 2단계 추정기법(two-stage

least square method)을 사용하여 33/50 프로그램의 성과를 평가하였는데, 세부적인

성과의 측정방법, 분석범위, 분석모형 등에 따라 아래와 같이 크게 다른 결론을 보였다.

Khanna & Damon(1999)은 1991년부터 1993년까지 협약의 참여기업과 비참여기업

의 배출저감량을 2단계추정법을 이용하여 비교함으로써 평가하였다. 그 결과 참여기업

이 비참여기업에 비해 더 큰 배출저감을 달성했다고 결론지었으나, Innes & Sam(2008)

은 오랜 분석기간과 더 많은 설명변수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1991년과 1992년을 제외

한 이후의 협약기간에 대해서는 참여기업과 비참여기업 간의 유의미한 차이를 발견하지

못했다. Vidovic & Khanna(2007)는 협약 개시 2년 전의 배출저감을 통제변수로 두어

분석한 결과 심지어 전혀 차이를 발견하지 못하였으며, 선행연구에서 발견되었던 저감효

과의 대부분이 사실 협약 개시 전에 큰 저감을 달성한 상태에서 협약에 참여했던 업체들

Page 23: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제2장․ 이론적 검토 및 해외동향 ∣ 11

로 인한 무임승차(free-riding) 효과였다고 결론지었다. 또 한편 Gamper-Rabindran

(2006)에 의하면 산업분야에 따라 그 효과가 달리 나타났으며, 더욱이 저감효과의 상당부

분이 오염예방이 아닌 오염물질의 이동(off-site transfer)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위에서 살핀 미국 33/50 프로그램의 사례에서 찾을 수 있는 교훈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협약 프로그램의 성과평가를 위한 지표 설정의 중요성이다. 33/50 프로그램의

경우 협약의 공식적인 목표는 기준연도 대비 배출저감량으로 설정되었는데, 이는 협약

참가자들에게 인지하기 쉽고 측정하기 쉬운 장점이 있지만, 그렇게 산정된 성과는 엄

한 의미에서 협약 프로그램의 효과로 보기 어렵다. 특히 협약 프로그램이 아니었더라도

배출량 저감을 달성했을 만한, 환경보전에의 의지와 역량이 있는 기업들이 선택적으로

협약에 참여했기 때문에 발생하는 선택편의(selection bias)를 어떻게 극복하느냐가 중

요한 관건 중 하나이며, 이를 위해서는 축적된 데이터와 통계기법의 활용을 통한 별도의

연구가 요구되었다.

둘째, 이러한 데이터와 통계기법을 활용한 연구에서조차 세부적인 분석모형, 변수,

분석범위 등에 따라 결과가 쉽게 달라지는 사례를 33/50 프로그램이 보여 주었다. 이는

객관적인 지표와 방법론을 설정하기가 그만큼 어렵다는 점을 보여 주며, 한편 33/50

프로그램의 환경적 효과성이 그다지 뚜렷하지 않음을 가리키기도 한다. 이처럼 같은

자발적 프로그램의 환경적 효과성에 대한 연구결과마다 다른 결론을 내는 경우는

ISO14000과 같은 몇몇 프로그램을 제외하고는 종종 나타나는 현상이다.6)

6) 미국 에너지부(DOE)의 1605(b) 프로그램의 경우도 Pizer et al.(2008)은 협약이 유의미한 결과를 가져왔

다고 결론지은 반면 Kim & Lyon(2011)은 반대의 결론을 내렸다(Bui & Kapon(2012), p.33에서 재인용).

Page 24: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12 ∣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

정보제공 요소 내용

소프트웨어

(Software)

배출량/비용의 측정 혹은 제어방법에 관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EPA가 개

발·보급

우수사례

(Cases)프로그램 참가기업 중 우수 저감노력의 사례연구

목록발간

(Lists)기술지원 혹은 제품 공급자 목록 작성

기술정보

(Technical Information)오염발생 및 저감 기술에 관한 과학기술 정보 문서

기술지원

(Technical Assistance)맞춤형 기술자문을 제공할 수 있는 전문인력과 직접 교류

기업 간 교류

(peer-to-peer exchange)

효과적 오염저감 전략에 대해 참여기업 간 정보교류 기회제공. 주로 컨퍼런

스를 통해, 때때로 온라인 대화를 통해 이루어짐

정부 R&D

(Governmental R&D)정부재원에 의한 오염저감기술 연구. 프로그램을 통해 성과를 확산

인증

(Certification) 오염저감 기술에 대한 정부 인증

자료: Lyon & Maxwell(2007), p.727에서 발췌, 수정

<표 2-2> 자발적 협약의 정보제공 요소들

나. 정보의 확산

Lyon & Maxwell(2007)은 정보확산(information diffusion)을 자발적 협약의 중요

한 효용으로 보았다. 이들은 미국 환경청(EPA)의 파트너십 프로그램으로 분류된 60개의

공공 자발적 프로그램(Public Voluntary Program, PVP)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대부

분의 프로그램이 여러 종류의 정보제공 요소들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정보제공 요소들은 아래 <표 2-2>와 같다.

Page 25: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제2장․ 이론적 검토 및 해외동향∣ 13

제2장․ 이

론적 검

토 및

해외동향∣

13

<표 2

-3> 미국 자

발적 협

약 프

로그램의 정

보제공 요

소들

Page 26: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14∣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

14∣

자발

적 협

약의 현

황 진

단 및

효과적 활

용방안

자료

: Lyon &

Maxwel

l(2007).

Page 27: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제2장․ 이론적 검토 및 해외동향 ∣ 15

자발적 협약을 통한 정보의 확산은 협약을 주관하는 정부기관이 정보를 생산하고

제공하거나(기술지원, 전문가 컨설팅 등), 참여기업이 가진 정보(저감기술 등)를

다른 기업들과 공유하도록 하여 업계 전체로 확산되도록 하는(우수사례 공유, 기업

담당자들의 워크숍 개최 등) 등의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기업들이 주어진 환경에서 자신의 이윤을 극대화하는 행동을 하리라는 신고전경제학

적 모형에서 볼 때, 적절한 제도가 주어진다면 가장 효율적인 저감기술을 스스로 찾아서

활용할 것을 기대할 수 있다. 이때 그러한 합리적 행동을 저해하는 요소 중 하나가 정보의

불완전성, 즉 효율적인 저감기술에 대한 정보가 알려지지 않은 경우이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기술지원, 전문가 컨설팅, 우수사례 공유, 기술교육 및 워크숍 개최 등의 방법으로

그러한 정보가 생산되고 확산되도록 함으로써 간접적으로 환경개선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는 특히 자체적으로 기술연구를 수행하기 어렵고 정보력이 약한 중소업체들이

많은 분야에서 큰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정보의 생산 및 확산은 자발적 협약이라는 정책수단의 중요한 효용일 수 있다.

Lyon & Maxwell(2007)은 많은 자발적 협약에서 이러한 정보의 확산이 일어나며, 정보

의 확산 때문에 자발적 협약의 환경적 성과평가에 대한 실증분석이 부정적인 결론을

갖는다는 가설을 제시하기도 하였다. 즉, 환경개선에 도움이 되는 정보가 참여기업뿐만

아니라 비참여기업까지도 포함하는 업계 전반으로 확산됨으로써, 참여기업과 비참여기

업의 성과가 동시에 높아져 이 두 그룹을 비교할 때 차이를 발견하지 못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를 감안하여 정보확산을 자발적 협약의 성과에 포함하는 새로운 성과지표와

측정법을 사용하여 자발적 협약의 성과를 평가할 필요성을 주장하였다.

이러한 정보확산의 요소를 잘 활용할 때 자발적 협약의 효용을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다. 정보확산의 요소는 자발적 협약의 본질적인 요소라기보다는 자발적 협약 프로그

램을 설계할 때 넣을 수 있는 설계요소이므로, 프로그램 설계 시 상황에 맞는 적절한

정보확산의 요소가 있는지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Page 28: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16 ∣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

다. 협력적 관계의 구축

자발적 협약은 기존의 명령 및 통제방식에서 규제자와 피규제자로서의 대립구도를

가졌던 정부와 기업 간의 관계를 협력 관계로 재편하려는 취지를 가지고 있다. 특히

민관협상형의 자발적 협약은 저감목표 등을 정부와 산업계 혹은 개별기업 간에 협상하는

과정을 통해 이해관계자들 간의 소통과 합의에 따라 의사결정을 이루는 협력적 관계,

혹은 협치체계(governance)를 이룰 수 있는 것으로 기대된다.

굳이 민관협상형이 아니더라도, 기업의 자율에 의존하는 만큼 기업의 자율적 환경개선

의지를 최대한 이끌어내어 활용함으로써 기업의 환경의지를 북돋울 수 있다. 또한, 협약

의 구조와 운영방식에 따라 정부와 기업뿐 아니라 해당 지자체, 시민단체, 주민 등 기타

이해관계자들도 참여하는 소통의 장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운영될 수도 있다.

라. 다른 정책수단의 보완

자발적 협약의 환경적 효과성에 대한 부정적인 의견을 받아들여 약한 효과밖에 기대할

수 없다고 할지라도, 여전히 어떤 여건에서는 유용한 대안인 경우가 있다.

Morgenstern & Pizer(2007a)는 미국, 유럽 및 일본에서의 여러 자발적 협약 프로그

램들에 대한 연구를 종합한 결론으로, 자발적 프로그램들의 환경적 효용

(environmental gains)에는 한계가 있지만, 규제 등 비자발적 수단을 이용한 정책이

적절하지 않거나, 법적 혹은 정치적 이유에서 도입하기 어렵거나, 도입할 수 있다 하더라

도 시행하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이 예상되는 경우 자발적 협약의 활용이 의미를

가질 수 있다고 정책결정자들에게 조언하였다.

Page 29: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제2장․ 이론적 검토 및 해외동향 ∣ 17

3. 해외 동향 및 사례7)

본 절에서는 유럽, 미국, 일본 등 주요 선진국들의 자발적 협약 활용동향과 최근의

주요 사례들을 살핀다.

가. 미국의 자발적 협약

1) 미국 환경정책의 변화

1970년대 이후 클린턴 정부 때까지 미국의 환경규제는 기본적으로 전통적인 명령과

통제 방식에 의존해 왔다. 명령과 통제 방식의 환경규제는 피규제자의 입장에 대한 배려

를 너무 소홀히 하였으며, 과도한 절차상의 규제로 행정비용의 낭비를 초래하는 등 비효

율성을 야기하였으며, 환경개선을 위해 필요한 사회적인 역할 분담에도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클린턴 행정부가 들어서고 정부개혁이 시작되면서, 환경보호국(EPA)도 더 융통성

있고, 비용 효과적인 방법으로 대중의 건강과 환경보호를 위한 개혁 작업을 시작하였다.

‘더 깨끗하고 비용 효과적이며, 지혜로운 환경프로그램’을 슬로건으로 내걸고, 피규제자

들이 더 잘 이해하고 순응할 수 있는 방향으로 규제를 변화한 것이다. 또한, 환경보전의

결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시민과 기업체들과의 파트너십을 구축하는 데 중점을 두고 추진

하였다.

환경보호국은 환경문제의 우선순위 결정, 책임소재의 명확화, 세금의 효율적 사용을

위해 환경보호국과 ‘국가 환경성과 파트너십 체제(National Environmental

Performance Partnership System)’를 구축하였다. 뿐만 아니라 환경보호국과 기업체

도 공동의 협력 과정을 통해 경제적 성과와 환경보전이 병행될 수 있음을 인식하고,

기업체들과 조직들이 자발적 파트너십 프로그램에 참여하게 되었다.

7) 본 절은 (주)네오에코즈의 김갑철 대표이사가 주로 작성하였음.

Page 30: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18 ∣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

2) 자발적 협약의 연혁

미국의 자발적 프로그램의 시초는 1986년 도입된 화학물질배출목록제도(Toxic

Release Inventory, TRI)로 보기도 한다. 이 제도는 환경보호국이 「유해화학물질관리

법」을 제정하면서 도입한 것으로, 유해화학물질을 사용하는 업체로 하여금 자신이 사용

하는 유해물질의 목록과 사용량을 보고하고 공개하게 하여 환경오염물질 배출량을 저감

하도록 유도하는 제도이다.

미국 환경보호국은 이어서 1991년에 33/50 프로그램을 도입하여 유해화학물질 배출

량을 1992년까지는 기준연도(1988년) 대비 33%를, 1995년까지는 50%를 자발적으로

감축하도록 하였다. 이 시기에 미국화학제조업자협회(Chemical Manufacturers

Association, CMA)는 Responsible Care 제도를 도입하였는데, 이는 미국 산업분야에

서 최초의 자율규제 프로그램이다.

특히 자발적 협약은 기업의 오염저감 비용에 대한 충분한 정보가 없어도 쉽게 도입하

여 사용할 수 있고, 규제자와 피규제자로서의 정부와 기업 간 적대적 상호관계를 탈피하

고 협력적 상호관계를 형성한다는 점에서 1990년대 들어 새로운 정책수단으로 급격히

도입되었으며 대기, 수질, 폐기물 그리고 유해화학물질 배출에 대한 기존 법규의 효율성

과 범위를 넓히기 위해서 광범위하게 활용되었다. 미국에서 자발적 협약은 대개 ‘파트너

십 프로그램’이라는 이름으로 이행되고 있다.

이렇게 도입된 자발적 협약의 일부는 일몰조항에 의해 프로그램이 종료된 것도 있지

만, 지금까지 계속 유지되는 것들도 있다. 2000년대 들어서는 간헐적으로 새로운 프로그

램들이 도입되고 있으나, 1990년대에 비해 그 수가 현저히 줄어들었다.

3) 자발적 협약의 기본원칙

미국에서 이루어지는 자발적 협약은 기본적으로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원칙이 기본이

다. 첫째, 정부는 기업과 적극적인 대화 채널을 수립한다. 둘째, 정부는 기업의 통상적인

업무수행 성과8)의 범위를 넘어서 움직이도록 하는 국가 성과목표를 수립한다. 셋째,

자발적 협약은 기업이 사회의 목표와 부합하고 실현 가능한 성과목표를 도입하도록 촉진

Page 31: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제2장․ 이론적 검토 및 해외동향 ∣ 19

한다. 넷째, 자발적 협약은 기업이 그들의 활동에 대한 편익과 성과개선을 위한 최선의

방안을 결정하도록 조정한다.

4) 자발적 협약 분야

미국의 자발적 협약은 농업, 대기, 에너지 효율 및 기후변화, 오염예방, 제품 라벨링,

환경기술, 운송, 폐기물, 물, EPA의 지역 파트너십 프로그램 등 다양한 분야에서 운용되

고 있다. 다음의 <표 2-4>는 분야별 주요 자발적 협약을 정리한 것이고(중복 기재),

<표 2-5>는 협약 유형에 따른 분류를 정리한 것이다.

미국 자발적 협약의 체결 시점을 살펴보면, 1990년대 초반에 프로그램들이 매우 활발

하게 도입되었으나, 1990년대 후반 이후 현재까지는 새로운 프로그램의 도입이 간헐적

으로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그나마 2000년대 이후에 도입된 자발적 협약의 대부분은

온실가스 감축과 관련된 것이며, 오염예방과 관련된 자발적 협약의 도입은 극히 미미하

다.

8) business-as-usual

Page 32: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20 ∣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

분야 프로그램명

농업 ▲ AgSTAR Program, ▲ Pesticide Environmental Stewardship Program

대기

▲ Clean Diesel Campaign, ▲ Coal Combustion Products Partnership(C2P2),

▲ EnergyStar, ▲ Green Power Partnership, ▲ High GWP Partnership

Programs,

▲ Responsible Appliance Disposal Partnership, ▲ SmartWay Transport

Partnership

에너지효율

기후변화

▲ AgSTAR Program, ▲ Coalbed Methane Outreach Program(CMOP), ▲ Coal

Combustion Products Partnership(C2P2), ▲ Combined Heat and Power

Partnership, ▲ EnergyStar, ▲ Greenhill Advanced Refrigeration Partnership,

▲ Green Power Partnership, ▲ GreenScapes, ▲ High GWP Partnership

Programs, ▲ Landfill Methane Outreach Program(LMOP), ▲ Mobile Air

Conditioning Climate Protection Partnership, ▲ Natural Gas STAR Program,

▲ SmartWay Transport Partnership, ▲ Voluntary Aluminum Industrial

Partnership, ▲ WasteWise, ▲ 2010/15 PFOA Stewardship Program, ▲ Design

for the Environment, ▲ Federal Electronics Challenge, ▲ Economy, Energy

and the Environment Initiative(E3)

오염예방

▲ 33/50 Program, ▲ Design for the Environment, ▲ Environment Accounting

Project, ▲ Environmental Leadership Program, ▲ Green Chemistry, ▲ Indoor Environments Program, ▲ Pesticide Environmental Stewardship Program,

▲ Waste Minimization National Plan, ▲ Water Alliance for Voluntary

Efficiency(WAVE), ▲ Voluntary Standards Network, ▲ Economy, Energy

and the Environment Initiative(E3), ▲ Plug-In To eCycling, ▲ Project XL,

▲ Common Sense Initiative

제품라벨링 ▲ Design for the Environment, ▲ EnergyStar

운송

▲ Clean Diesel Campaign, ▲ Coal Combustion Products Partnership(C2P2),

▲ Green Suppliers Network (GSN) / Economy, Energy and the Environment

(E3), ▲ High GWP Partnership Programs, ▲ Mobile Air Conditioning Climate

Protection Partnership, ▲ SmartWay Transport Partnership

폐기물▲ Coal Combustion Products Partnership(C2P2), ▲ GreenScapes, ▲ Plug-In

To eCycling, ▲ Responsible Appliance Disposal Partnership, ▲ WasteWise

<표 2-4> 미국의 분야별 자발적 협약 현황

Page 33: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제2장․ 이론적 검토 및 해외동향∣ 21

제2장․ 이

론적 검

토 및

해외동향∣

21

Public

Volu

nta

ryUnilate

ral

Negotiate

dClim

ate

Change

Pollution P

revention

1.AgSta

r Pro

gra

m(1

993)

2.Clim

ate

Wis

e(1

993)

3.Chlo

rofluorc

arb

on

Subst

itute

s(19

93)

4.Coalb

ed M

eth

ane O

utr

each

Pro

gra

m(1

994)

5.Com

mute

r Choic

e(1

993)

6.Energ

y S

tar

Buildin

gs(

1994)

7.Energ

y S

tar

Hom

es(

1995)

8.Energ

y S

tar

Off

ice

Equip

ment(19

93)

9.Energ

y S

tar

Tra

nsf

orm

er

Pro

gra

m(1

995)

10.Environm

enta

l Ste

ward

ship

In

itia

tive(1

997)

11.Gre

en L

ights

(1991)

12.HFC-23 R

educt

ions(

1993)

13.Hig

h G

WP P

art

ners

hip

Pro

gra

ms(

1995)

14.Landfill M

eth

ane O

utr

each

Pro

gra

m(1

994)

15.M

obile A

ir C

onditio

nin

g

Clim

ate

Pro

tect

ion

Part

ners

hip

(1998)

16.Natu

ral

Gas

Sta

r(19

93)

17.Rum

inant

Liv

est

ock

Meth

ane

Eff

icie

ncy

Pro

gra

m(1

993)

18.Seaso

nal

Gas

Use

for

the

Contr

ol

of

NOx(1

993)

19.Clim

ate

Change O

utr

each

Pro

gra

m(1

993)

20.Tra

nsp

ort

ation P

art

ners

(1995)

21.

U.S

Initia

tive o

n J

oin

t Im

ple

menta

tion(1

993)

22.Volu

nta

ry A

lum

inum

Indust

rial

Part

ners

hip

(1995)

23.W

ast

eW

ise(1

994)

24.Cle

an D

iese

l Cam

paig

n(2

005)

25.Coal

Com

bust

ion P

roduct

s Part

ners

hip

(2001)

26.Gre

en P

ower

Part

ners

hip

(2001)

27.Resp

onsi

ble

Appliance

Dis

posa

l Part

ners

hip

(2006)

28.Sm

art

Way T

ransp

ort

Part

ners

hip

(2004)

29.Com

bin

ed H

eat

and P

ower

Part

ners

hip

(2001)

30.Gre

enhill

Advance

d

Refr

igera

tion

Part

ners

hip

(2007)

31.

Gre

enSca

pes(

2005)

32.Federa

l Ele

ctro

nic

s Challenge(2

004)

33.2010

/15 P

FOA S

teward

ship

Pro

gra

m(2

006)

1.33/5

0 P

rogra

m(1

991)

2.Desi

gn f

or

the

Environm

ent(19

91)

3.Environm

ent

Acc

ounting

Pro

ject

(1992)

4.Environm

enta

l Leaders

hip

Pro

gra

m(1

994)

5.Gre

en

Chem

istr

y(1

992)

6.In

door

Environm

ents

Pro

gra

m(1

995)

7.Pest

icid

e

Environm

enta

l Ste

ward

ship

Pro

gra

m(1

993)

8.W

ast

e M

inim

ization

National

Pla

n(1

997)

9.W

ate

r Allia

nce

for

Volu

nta

ry

Eff

icie

ncy

(WAVE)(19

92)

10.Volu

nta

ry S

tandard

s Netw

ork

(1993)

11.Eco

nom

y, Energ

y a

nd

the E

nvironm

ent

Initia

tive(2

009)

12.Plu

g-In

To

eCycl

ing(2

003)

1.Resp

onsi

ble

Care

(1988)

2.Resp

onsi

ble

Dis

trib

ution

Pro

cess

(1991)

3.Resp

onsi

ble

Recy

clin

g

Code

4.Resp

onsi

ble

Carr

ier(

1994)

5.Coatings

Care

(1996)

6.Enco

ura

gin

g

Environm

enta

l Exce

llence

(19

92)

7.Sust

ain

able

Fore

stry

In

itia

tive(1

99

5)

8.Str

ate

gie

s fo

r Today

Environm

enta

l Part

ners

hip

(1990)

9.Gre

at

Printe

r Pro

ject

(1992)

1.Pro

ject

XL(1

995)

2.Com

mon

Sense

In

itia

tive

(1994)

<표 2

-5> 미국의 자

발적 협

약 목

Page 34: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22 ∣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

<그림 2-2> 미국 자발적 협약의 체결 시기

현재 미국에서 진행되는 주요 자발적 협약에 대해 간략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AgStar Program(1994)

- 미국 EPA가 중심이 되어 산업계와 주정부 등이 협력하여 메탄을 자발적으로

감축하는 프로그램

○ Clean Diesel Campaign(2005)

- 2014년까지 현존하는 디젤 엔진뿐만 아니라 신규 디젤엔진의 배출물을 규제와

자율로 저감하는 두 가지 활동으로 구성된다.

- 신규 엔진, 차량에 적용할 엄격한 배출기준의 개발 및 시행

- 차량개조, 청정연료, 설비교체, 공회전 저감, 기타 오염저감 수단을 통해 자발적

인 배출물 저감촉진

○ Coalbed Methane Outreach Program(1994)

- 탄광 메탄가스의 회수와 사용을 통해 석탄 채광과정에서 발생하는 메탄가스를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하는 자발적 프로그램

Page 35: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제2장․ 이론적 검토 및 해외동향 ∣ 23

○ Coal Combustion Products Partnership(2001)

- 에너지소비 감소, 온실가스 배출 감소를 위해 석탄연소 제품의 비용 효과적인

사용을 늘리기 위한 정부와 산업계 협력 프로그램

○ Combined Heat and Power Partnership(2001)

- 미국 내에서 열병합발전 또는 폐열발전 등을 확대하여 에너지 부문에서 배출되

는 탄소의 양을 감소하는 것을 목적으로 기업, 연구소, 정부 단체 등과의 협력을

맺는 자발적 프로그램

○ Design for the Environment(1991)

- 인간 건강과 환경 안전을 위한 제품의 제작 및 사용, 공정, 기술 등의 검증

촉진이 목적

- 환경보호국의 주도로 산업계, 공공기관, 대학, 연구소가 자발적 파트너십 프로

그램을 통해 에코 디자인 활동 추진

○ Energy Star(1992)

- 1992년에 환경보호국이 도입한 에너지 효율 인증 프로그램으로 비효율적인

에너지 사용에 따른 이산화탄소 배출과 오염물질을 줄이기 위한 것으로, 소비자

가 성능, 기능 혹은 편리성을 추구하면서도 에너지 효율 제품을 쉽게 식별하고

구매할 수 있도록 하여 에너지 절약 제품의 사용을 장려하기 위한 제도

- 이 마크를 획득한 제품은 엄격한 에너지 효율 가이드라인을 충족시킨 제품으로

서 에너지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미국은 이들 제품을 구입 하면 세금 감면

혜택도 있어 기업들의 판매 전략에 필수적

- 현재는 에너지부와 환경보호국의 공동 프로그램으로, 에너지 효율 기준에 합격

한 제품에 인증을 부여

○ Federal Electronics Challenge(2004)

- 연방 시설 및 기관의 녹색제품 구입, 사용 중 전자제품의 환경영향 감소, 사용

후 환경적으로 안전한 처리를 추진하는 자발적 파트너십 프로그램

- 대상품목은 컴퓨터, 프린터, 휴대폰 등이며, 2011년 말 현재 19개 정부기관

Page 36: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24 ∣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

125개 시설에서 참여

○ Greenhill Advanced Refrigeration Partnership(2007)

- 오존층 파괴 물질과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는 첨단 기술, 전략, 그리고 실행방

법을 촉진하기 위해 슈퍼마켓 영업자, 냉각장치 공급자들과 맺는 자발적 협력

프로그램

○ Green Power Partnership(2001)

- 전통적인 전력 사용의 환경적 영향을 저감하기 위해 태양에너지, 풍력, 지열,

바이오매스, 바이오가스 등과 같은 신재생에너지원인 녹색전력을 자발적으로

구입하는 실천 프로그램

- 2012년 현재 1,300개가 넘는 기관이 참여하는 사업으로 온실가스 배출 저감에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평가

○ GreenScapes(2005)

- 천연자원과 에너지 보존을 위한 비용 효과적이고 환경 친화적인 해결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대규모 자연경관에서의 폐기물 감소, 재사용, 재활용하는 것에

대해 정부와 산업체 간 협력을 목적으로 하는 프로그램

○ High GWP Partnership Programs(1995)

- 온실가스 배출 감소를 목표로 한 환경보호국과 공공 및 민간 산업체의 자발적

협력 프로그램

- 이 협약에는 다양한 분야의 산업체가 참여하고 있으며 PFCs, HFCs, SF6 등의

온실가스를 생산공정에서 효과적으로 사용하도록 하고 있음

○ Landfill Methane Outreach Program(1994)

- 온실가스 배출을 감소시키기 위한 자발적 협조와 파트너십 프로그램으로서 LFG

에너지 프로젝트 개발 지원

○ Mobile Air Conditioning Climate Protection Partnership(1998)

- 자동자엔지니어협회, 자동차에어컨협회 등과 협력 프로그램으로 자동차 에어컨

의 환경적 영향을 줄이는 게 목적

Page 37: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제2장․ 이론적 검토 및 해외동향 ∣ 25

○ Natural Gas Star Program(1993)

- 천연가스 생산과정에서 발생하는 메탄을 줄이기 위한 프로그램

○ Pesticide Environmental Stewardship Program(1994)

- 오염방지 전략을 실행하고 살충제 사용과 관련된 환경위험을 줄이기 위해 사용

자들과 점진적으로 협력하는 자발적인 프로그램

○ Plug-In To eCycling(2003)

- 주요 가전제품 제조사 및 소매업체와 파트너십 관계를 맺고 추진하는 재활용

활동

- 참여기업은 소비자의 환경보호 활동 참여를 격려하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전개

○ Responsible Appliance Disposal Partnership(2006)

- 오존층을 보호하고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기 위해 시작된 자발적 협약 프로그램

- 건물소유주, 소매상인, 지역 정부, 제조업자, 대학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참여

○ SmartWay Transport Partnership(2004)

- 2004년 시작해 현재 미국에서 1,200개 이상의 파트너가 있으며 운송 부문에서

온실가스 저감을 목표로 하는 파트너십 프로그램

○ Voluntary Aluminum Industrial Partnership(1995)

- 알루미늄업계의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협력 프로그램

○ WasteWise(1994)

- 비영리단체에서 대형 사업체에 이르기까지 모든 조직이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방식으로 운영

- 프로그램 참여자 스스로가 자신의 필요에 의해 설계한 폐기물 감소방식과 목표

를 가지고 추진하고, 환경보호국은 사업자의 목표달성을 위하여 다양한 지원을

○ 2010/15 PFOA Stewardship Program(2006)

- 2010년 이전에 2000년 대비 PFOA(Perfluorooctanoic Acid) 배출량을 95%

Page 38: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26 ∣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

줄이고, 2015년에는 배출을 배제하는 것을 목표로 한 자발적 협력 프로그램

5) 주요 사례

가) Project XL

Project XL(eXcellence and Leadership)은 주정부, 지방정부와 기업이 공동으로

환경보전 및 안전보건을 위해 비용 효과적이고 혁신적인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 1995년에

도입한 미국의 대표적인 자발적 협약 프로그램 중 하나이다.

환경보호국은 개별 기업에 대해 계약주체로서 프로그램 관리를 책임지며, 주정부,

지방정부, 관련 규제기관 및 기타 이해관계자들이 공동으로 Project XL 프로그램의

후원자 역할을 수행한다. 환경보호국과 기업 간 계약인 최종 프로젝트 동의서(Final

Project Agreement, FPA)를 확정하는 과정에서 명시되는 조정기관(coordinating

agency)은 실사 및 공식문서 기록, 기준 준수와 관련된 사항이나 강제 이행사항 등에

관한 실무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기업은 달성할 수 있는 환경기준을 스스로 예측하고 그러한 기준

을 충족하기 위해서 가장 효율적인 방법을 연구하여 그 이행계획을 계약에 의해 대외적으

로 공표한다. 정부를 포함한 다양한 이해관계자는 이러한 기업의 자발적 노력이 성공할

수 있도록, 기존의 복잡한 규제절차 등을 단일화 또는 완화하는 등 가능한 제도적 지원책

을 제공한다. 다수의 기관으로 구성된 기존의 환경문제에 대한 협의 창구를 조정기관으

로 일원화함으로써 행정 처리의 효율적 수행과 규제관련 감독의 합리화도 이룰 수 있다.

Project XL의 시범사업은 5단계를 거쳐 수행된다. 먼저 후원자와 환경보호국의 담당

직원 및 이해관계자들은 제안서에 포함할 내용에 대해 토론을 거쳐 프로그램 예비 제안서

를 작성한다. 예비 제안서가 작성되면 후원자는 세부사항을 결정하여 공식 제안서를

작성하고 환경보호국에 제출한다. 이때 이해관계자들의 의견을 충분히 반영해야 하며,

대중에게 정보를 공개한다. 제출된 제안서의 심사를 통해 최종 결정된 제안서는 구체적

인 실행계획, 기대성과, 준수요건(규제, 정책 등), 평가방법 등의 내용을 포함한다.

이에 대한 최종 합의서가 체결되면 후원자는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정부기관으로의

Page 39: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제2장․ 이론적 검토 및 해외동향 ∣ 27

정기적인 평가가 이루어진다. 이처럼 환경보호국의 시범사업인 Project XL은 관련 법

규, 프로그램, 정책을 반영하기 위해 추진되며 이해관계자들의 의견을 충분히 반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Project XL의 선택기준은 여덟 가지로, 이 기준에 기초하여 사업 및 지원 대상을

선별하고 기업, 연방정부 및 지방정부, 그리고 환경보호국과의 지속적인 협의를 통해

지역사회와 관련 있는 이해관계자들과 공개질의 및 회의 등을 거치면서 진행된다.

시범사업 형태로 1996년부터 2001년까지 5년간 수행되어 평가된 Project XL 사례는

총 50개이다. Project XL 참여 기업은 해당기준을 충족시키는 한 사전승인 및 검열

없이 생산라인의 변화나 설비신축 등이 가능하며, 환경 관련 보고의무를 통합하여 매년

4회의 분기보고와 1회의 연차보고 이외의 모든 보고의무를 면제받는다.

이러한 혜택으로 참여 기업은 승인, 검열 및 보고 의무를 면제받아 신제품을 신속하게

시장에 내놓을 수 있게 되었다. 제품시장 도달 기간에 따라 초기 제품 경쟁력이 결정되는

반도체나 전자산업의 참여가 활발하였다.

나) E3(Economy, Energy and the Environment Initiative)

2009년에 도입된 E3는 미국에서 가장 최근에 시작한 오염예방 분야의 자발적 협약이

다. 이 프로그램은 공급망(supply chain)에 있는 중소 공급자의 공정 개선과 폐기물

최소화를 위해 GSN(Green Suppliers Network)이 운영하는 프로그램에 에너지와 온

실가스가 추가된 것이다. E3에는 환경보호국뿐만 아니라 상무부(Department of

Commerce, DOC), 에너지부(Department of Energy, DOE), 노동부(Department

of Labor, DOL), 중소기업청(Small Business Administration, SBA) 등 다섯 개

정부기관이 함께 참여하고 있다.

GSN과 E3는 상호 보완적인 관계로 연계되어 있는데, GSN은 장비 제조업체 및 공급

망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반면, E3는 지역사회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E3의 가장 큰 특징은 연방정부 및 지역사회가 중소 제조업체들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지속 가능성 측면에서의 공통 관심사와 의제를 함께 다루며, 적절한 해결책으로

Page 40: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28 ∣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

활용할 수 있는 각종 정부 지원 프로그램의 연계 방안을 모색한다는 점이다.

최근 점점 많은 기업들이 자신들의 전반적인 사업전략에 지속가능성을 채택하고 있지

만, 중소기업은 운영 과정에서의 실질적이고 지속가능한 접근 방법을 통합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충분히 가지고 있지 못하다. E3는 이러한 중소기업들에 지역사회와 함께

제조업체의 수익성을 향상시키고 지속 가능한 사업이 될 수 있도록 효율적이고 협력적인

기술지원을 제공한다.

E3 프로그램의 운영절차는 <그림 2-3>과 같이 크게 4단계로 나누어진다.

<그림 2-3> 미국 E3 프로그램의 이행 절차

1단계는 E3 팀을 구성하여 프로젝트를 찾는 단계다. 2단계는 프로젝트를 적용할 기업

을 찾고 분석을 위한 준비를 하는 단계다. 3단계는 분석 단계로 환경 및 에너지 분석을

통해 최종보고서를 작성하는 단계다. 마지막 4단계는 지원 및 평가 단계로 이행을 지원하

고 그 결과를 수집하며, 지속적인 관계를 유지하는 단계다.

특히 실행 단계에서 필요한 지원을 얻기 위해 복잡한 연방 프로그램을 탐색할 필요가

Page 41: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제2장․ 이론적 검토 및 해외동향 ∣ 29

없다는 점이 큰 장점이다. 이것이 가능한 이유는 E3팀에 정부 관련 부처가 함께 참여하여

교육, 시스템, 자금 등 기업이 필요한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나. 유럽의 자발적 협약

1) EU의 자발적 협약에 대한 기본시각

EU에서 자발적 협약은 일반적으로 공식적인 EU의 제도적 틀(유럽공동체 방식으로

불리는 EC, EU의회 등) 내에서 배타적으로 이루어지는 정치적인 의사결정의 결과물로

보지 않고, EU 법률에 의해 합법화되어 있는 사회적 파트너 조직들 간의 협상 결과물로

보고 있다. 즉, EU의 자발적 협약의 중요한 특징은 EU의 법률에 명문화되어 있지 않다

는 점이다.

1990년대 이후 EU는 전통적인 규제에 대한 보완책으로 대체 수단의 활용을 점점

더 강조하면서, 새로운 규제 정책을 개발해 왔다. 이러한 대체 수단은 덜 강제적이고,

비정부적인 성격을 띠고 있어 일반적으로 연성법(soft law), 자율 규제(self regulation)

또는 공동 규제(co-regulation)라는 용어로 명명되었다. 이러한 거버넌스 대체 형태의

전형적인 결과물이 자발적 협약이다.9)

규제 수단을 다양화하는 목적은 주로 정책의 효과성, 정당성 및 투명성을 제고하기

위한 것인데, EU의 입법 과정에서 권한 이양, 보완성(subsidiarity)10) 및 비례성

(proportionality)의 원칙을 따른 것이다.

유럽 사회 대화(European Social Dialogue)는 새로운 대안 거버넌스의 대표적인

사례 가운데 하나다. 「유럽 사회 대화, 혁신과 변화를 위한 힘(The European Social

Dialogue, a Force for Innovation and Change)」이라는 제목의 2002년 보고서에서

EU 집행위원회는 사회 대화가 더 나은 거버넌스로 가기 위한 핵심 요소이며, 사회 파트

9) EU에서 활용되는 대표적인 자발적 정책 수단은 에코라벨링 제도(Eco labeling scheme), 환경경영감사제

도(Environmental Management and Audit Scheme, EMAS), 자발적 환경협약(Voluntary

Environmental Agreements, VEA)의 세 가지다.

10) 중앙 권력은 차위 또는 지방적 조직이 효과적으로 할 수 없는 기능만을 수행한다는 원칙.

Page 42: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30 ∣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

너들에 자발적으로 참여 수준을 높여 달라고 요청하였다. 2004년에 발표한 「확대된

유럽에서의 변화를 위한 파트너십(Partnership for Change in an Enlarged Europe)」이라는 보고서에서는 그 수단으로 자발적 협약을 특별히 강조하였다.11)

2) 자발적 협약의 유형

OECD의 자발적 협약 분류 체계인 산업계의 일방적 서약 방식과 산업계와 공공기관

간 합의 방식을 기준으로 보면, EU의 자발적 협약은 거의 모두 후자인 합의 방식을

따르고 있다.

또 다른 분류 기준으로 자발적 협약의 규모에 따라 협약체계(agreement scheme)와

단일협약(single agreement)으로 구분할 수 있다. 협약체계는 국가 환경정책의 일부를

구성하며, 네덜란드의 LTA(Long Term Agreements)나 독일의 산업계 지구 온난화

예방 선언(Declaration of Industry on Global Warming Prevention)이 대표적이다.

반면, 단일협약은 네덜란드 LTA의 Benchmarking Covenant처럼 협약체계의 일부분

으로 이행되는 경우도 있지만, 단일 이슈를 해결하기 위한 독립적인 협약의 형태를 띠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일반적으로 자발적 협약은 법적 구속력을 부과하는 경우가 드문데, 법적 구속력을

가지는 자발적 협약의 비중이 매우 높은 네덜란드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EU 국가에서

도 자발적 협약에 대한 법적 구속력을 강제하지는 않는다.

한편 EU 법률 체계에서 자발적 협약은 개별 회원국 단위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

다. EU 전체를 대상으로 한 자발적 협약의 예로는 에코 디자인 지침에 따라 추진 중인

에코 디자인 자발적 협약과, EU 집행위원회와 유럽자동차협회(ACEA)가 맺은 온실가스

감축 자발적 협약이 대표적이다.12) 유럽자동차협회와의 자발적 협약은 목표 달성에 실패

11) “Partnership for Change in an Enlarged Europe - Enhancing the Contribution of European

Social Dialogue(COM(2004) 557 final, 12 August 2004)”에서는 ‘자발적 협약(voluntary

agreements)’이라는 용어가 아니라 ‘자율 협약(autonomous agreements)’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다.

이러한 논의는 환경 분야보다는 노동 분야 등 사회적 이슈와 관련된 거버넌스 측면에서 많이 다루어졌다.

12) 유럽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자발적 프로그램으로 Green Light(2000), Green Building(2005), Motor

Challenge Program(2003) 등이 있다.

Page 43: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제2장․ 이론적 검토 및 해외동향 ∣ 31

하여 법적인 강제 조치라 할 수 있는 새로운 규정이 제정되기에 이르렀다.13)

3) 자발적 협약의 발전과정

유럽의 자발적 협약은 프랑스(1971)와 영국(1972)에서 처음으로 도입되었으며, 1980

년대 들어 환경정책의 유용한 도구로 인식되기 시작하였다. 1990년대 초, 유럽 환경정책

이 전통적 관행인 명령 및 통제에서 벗어나 새로운 환경정책 수단의 도입이 보편화되면서

EU 회원국에서 자발적 협약은 중요한 환경정책 수단이 되었고, 이후 EU 회원국에서

자발적 협약의 도입이 점차 확대되었다.

유럽 자발적 협약의 주요 주제는 오염물질 배출 저감과 유해물질의 단계적 폐지, 폐기

물 발생 저감 및 온실가스 감축 등이다. 미국의 자발적 협약이 에너지 효율성과 오염예방

두 가지 주제에 집중한 데 비해, EU는 에너지와 제품 환경성이 가장 중요한 주제였으며,

이에 따라 1990년대 말까지 이루어진 자발적 협약의 상당 부분은 유해물질 저감과 폐기

물 재활용을 다루었다.

특히 1990년대 중반은 배터리 분리수거 같은 폐기물과 재활용 문제(벨기에), 폐기

단계에 있는 자동차의 재활용(프랑스와 독일)에 관한 자발적 협약이 이루어지는 등 재활

용이 가장 중요한 이슈로 등장하였으며, 이때가 자발적 협약의 양적 팽창이 이루어진

시기라 할 수 있다.14)

2002년 6월, EU 집행위원회가 ‘규제환경 간소화와 개선(Action Plan: Simplifying

and Improving the Regulatory Environment)’을 채택한 이후 유럽에서의 자발적

협약은 양적 팽창보다 질적 목표를 고려하는 것으로 점차 변화해 갔다.

13) 운송 분야는 EU 역내 CO2 배출량의 약 20%를 차지하며, 승용차에서만 운송분야 배출량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1998년 유럽자동차공업협회는 자발적 협약 체결을 통해 2008년까지 신차의 평균 CO2

배출량을 주행거리 1km당 140g 수준으로 낮추겠다고 약속했다. EU 집행위원회는 자동차업계에 대해

자발적 협약에 따른 CO2 감축목표를 달성하지 못하면 법적 강제조치를 도입할 수 있다고 경고했으나,

2006년까지의 성과에서 목표 달성이 어려운 것으로 판단되자, 2007년 12월 자동차의 CO2 배출규제를

목표로 EU의 새로운 규정(regulation) 제정을 추진하였고, 이 규정은 2009년 발표되었다.

14) EU에서는 자발적 협약과 관련된 회원국의 활동이나 성과를 체계적으로 수집하거나 관리하지 않아 통계

적 유의성을 가진 자료를 얻기 어렵다. 유럽 환경청 조사에 의하면, 1990년대 중반에 EU 회원국의 중앙정

부 차원에서 이루어진 자발적 협약이 300건을 넘으면서 양적인 팽창이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Page 44: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32 ∣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

네덜란드의 에너지 효율성에 관한 장기 협약(Long Term Agreements, LTA)이 대표

적인 예로, 실행 1단계(1999~2000)에서는 에너지 효율성의 양적 발전을 목표로 한

반면, 실행 2단계(2001~2012)에서는 에너지 경영, 에너지 효율 제품 개발 및 신재생에

너지 등의 개발로의 질적 발전에 주안점을 두었다.

한편, 2008년부터 시작된 교토의정서 1차 공약기간에 대비하여 EU 회원국들은 1990

년대 말부터 2000년대 초반에 앞 다투어 에너지 효율 향상 및 온실가스 감축을 주제로

한 다양한 자발적 협약들을 도입하기 시작하였다.

4) 회원국별 주요 자발적 협약의 비교

다음의 <표 2-6>은 EU 27개 회원국에서 국가 단위의 자발적 협약을 시행하고, 수량

목표와 일정이 명확하게 제시되어 있으며, 성과 모니터링이나 공공 조치가 수반되는

프로그램 가운데 대표적인 10개의 자발적 협약을 비교한 것이다.

5) 자발적 협약의 주요 사례

가) 네덜란드 LTA3와 LEE

1990년대 초반부터 네덜란드 경제농업혁신부(Ministry of Economic Affairs,

Agriculture and Innovation)는 에너지 절약 촉진을 목적으로 다양한 부문이 참여하는

장기적인 자발적 협약을 마련해 왔다. 산업계와 추진한 최초의 에너지 효율 향상 프로그

램인 LTA(Long Term Agreement)는 전 세계 에너지 효율 관련 자발적 협약의 모범이

다. 네덜란드의 LTA는 단일협약이 아닌 협약체계로, 그 안에 Benchmarking

Covenant on Energy Efficiency(ETS 미참여 기업), Corporate Sector Energy

Conservation Agreement(주택)나 Spring Agreement(건설업계) 등이 포함된다.

EU-ETS에 참여하는 기업은 LEE(Long Term Agreement on Energy Efficiency

for ETS)의 대상이다.15)

15) 엄밀한 의미에서는 LEE도 LTA 협약체계의 한 부분을 이루지만, LTA와 LEE를 별도의 프로그램으로

관리하고 있다.

Page 45: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제2장․ 이론적 검토 및 해외동향∣ 33

제2장․ 이

론적 검

토 및

해외동향∣

33

국가

프로

그램

명기

포함

분야

비고

(목표

/성과

/활동

등)

산업

(에너

지집

약도

)공

공상

업수

송농

업높

음낮

벨기

에(플

란더

스)

Bench

mark

ing C

ovenant(BC)

2003~

2012

○-

--

--

성과

8.4

TW

h/연

(2007)

Auditin

g C

ovenant(AC)

2005~

2013

-○

--

--

성과

0.1

8TW

h/연

(2005~

2006)

덴마

크Volu

nta

ry A

gre

em

ents

on

Energ

y E

ffic

iency

1996~

○○

-○

--

초기

검증

후 3

년 이

내 갱

신 검

증,

협약

미이

행 시

제재

핀란

Energ

y C

onse

rvation

Agre

em

ents

1997~

2007

○○

○○

○○

(2010

)

성과

9.0

TW

h/연

(2007)

Energ

y E

ffic

iency

Agre

em

ents

2008~

2016

2016

년까

지 9

% 절

감 목

독일

Join

t Decl

ara

tion o

f th

e

Germ

an I

ndust

ry o

n C

lim

ate

Pro

tect

ion

1995~

2012

2000~

2015

○○

--

--

부문

목표

18개

가운

데 1

6개

이미

달성

(2008)

에스

토니

아Subst

itution t

he P

ollution

Charg

e(E

nvironm

enta

l Charg

es

Act

)2006~

○○

--

--

보고

의무

는 없

으며

,재

정 지

원 프

로그

램 병

행 운

아일

랜드

Energ

y A

gre

em

ents

Pro

gra

m2006~

--

○-

-에

너지

집약

도 전

년 대

8%(2

007), 6

%(2

008)

감소

네덜

란드

Long T

erm

Agre

em

ents

(LTA)

1999~

2020

-○

--

--

3단

계 진

행 중

, 2005년

대비

2020년

까지

30% 효

율 향

상 목

Energ

y E

ffic

iency

for

ETS(L

EE)

2009~

2020

○-

--

--

EEP(E

nerg

y E

ffic

iency

Pla

n)

슬로

베니

아CO

2 T

ax a

nd V

olu

nta

ry

Agre

em

ents

2005~

2009

-○

--

--

새로

운 프

로그

램 설

계 중

스웨

덴Pro

gra

m for

Ener

gy E

fficie

ncy

in

Energ

y I

nte

nsi

ve I

ndust

ries

2005~

○-

--

--

98개

기업

약 1

.1억

유로

투자

성과

1.0

TW

h/연

(2006)

영국

Clim

ate

Change A

gre

em

ents

2001~

○-

--

--

2년

단위

성과

측정

, 업

종에

따라

대목

표와

상대

목표

로 구

Energ

y E

ffic

iency

Agre

em

ents

2009~

--

--

○-

<표 2

-6> EU 주

요 자

발적 협

약의 비

자료

: Rez

ess

y,

S.

and P

. Ber

told

i(2010

), V

olunta

ry A

gre

emen

ts i

n t

he

Fie

ld o

f Ener

gy E

ffic

iency

and E

mis

sion

Red

uct

ion.

Page 46: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34 ∣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

1999년 발효된 LTA1은 에너지 다소비 산업에 중점을 두고 공정 효율성을 주로 다루었

고, 이는 추후 서비스, 교육, 의료, 농업 부문으로 확대되었다. LTA2(2001~2012)에서

는 직접공정 외에 에너지 관리 및 신재생에너지 사용도 중요한 요소로 다루어지기 시작하

였다.

2007년 네덜란드 정부는 새로운 환경 계획을 도입하였는데, 이를 바탕으로 LTA2를

심화 및 확장시켜 2008년 7월에 LTA3를 도입하였다. LTA3는 LAT2와 1999년의

Benchmarking Covenant를 통합시켜 2020년까지 운영하기로 하였다. LTA3의 출범

을 전후하여 Corporate Sector Energy Conservation Agreement와 Spring

Agreement가 2008년에 시작되었고, 2009년에는 EU-ETS 참여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LEE가 체결되었다. 현재 29개 산업 부문이 LTA3에 동참하고 있다.

LTA3의 목표는 2020년까지 참여기업이 관련 시설의 에너지 효율을 2005년 대비

30% 향상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참여기업은 4년마다 에너지 효율 계획(Energy

Efficiency Plan, EEP)을 수립하고, 에너지의 생산․사용 및 에너지 경영 시스템의 이행․유지에 대해 매년 점검하고 보고해야 한다.

LEE에 참여하는 기업들도 LTA 참여기업과 마찬가지로 에너지 효율 계획을 수립하여

보고해야 하며, 추가로 산업단체가 중심이 되어 2030년까지 2005년 대비 에너지 효율

50% 향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로드맵을 제출해야 한다.

1998년부터 2008년까지 에너지 효율은 23.2%가 개선되었는데, 그 원인은 신재생에

너지 도입(42%), 에너지 효율 제품 개발(30%), 공정개선(28%)의 순이었다.

LTA3 도입 이후 2009년의 성과를 살펴보면 다음의 <표 2-7>과 같다. 2008년 대비

2009년의 전체 에너지 절감량은 4.6PJ로, 참여부문별로 보면 일반 제조업이 2.8PJ,

식품 0.6PJ, 기타 1.2PJ로 나타났으며, 활동별로 보면 신재생에너지 도입 2.2PJ, 공정

개선 1.9PJ로 나타났다. 전체 에너지 효율은 전년 대비 1.8% 향상되었다.

Page 47: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제2장․ 이론적 검토 및 해외동향 ∣ 35

구분 제조업 식품 기타 계

효율성

개선

공정개선 1,902.1 829.9 301.6 3,033.6

망(chain)

효율성

생산 -57.4 30.1 -59.3 -86.6

제품 -744.6 165.1 1.6 -577.9

신재생

에너지

발전 114.8 -157.1 -44.9 -87.2

구매 1,551.5 -227.8 985.0 2,308.7

Total 2,766.4 640.2 1,184 4,590.6

<표 2-7> 네덜란드 LTA3 에너지 절감 성과(2009)

(단위: TJ)

주: 2008년 대비.

자료: Agentschap NL(2010), Long-Term Agreement on Energy Efficiency in the Netherlands

LTA3 Results of 2009.

나) EU의 에코 디자인

EU의 제품환경 규제 가운데 대표적인 것으로 에코 디자인 지침이 있다. 보통

‘EuP(energy using product)’로 알려진 에너지 사용 제품에 대한 에코 디자인 지침은

2009년 ‘ErP(energy related product)’로 대체되었는데, 이 지침(2009/125/EC)16)에

따르면, 친환경 설계가 되어 있지 않은 에너지 관련 제품은 EU 시장에서 판매를 금지하

며, 제품 설계 시 자원 채취, 생산, 포장, 운송, 사용, 폐기 단계의 전 과정을 고려해야

한다.

자발적 협약은 에코 디자인 지침의 도입에 따른 제품 환경 규제를 대신할 수 있는

대안으로 제시되었고, EU 집행위원회는 복합 셋톱박스, 영상장비, 공작기계, 의료영상

장비 등 4개 품목에 대해 사업자들에게 자발적 협약을 제안하였다.

현재 의료영상장비를 제외한 3개 제품군에 대한 자발적 협약이 추진 중인데, 영향평가

를 포함한 사전연구, 이해관계자 미팅, 협의 포럼(consultation forum) 등을 거쳐 작성

된 자발적 협약 초안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다. 복합 셋톱박스 부문의 자발적

협약이 가장 먼저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16) Directive 2009/125/EC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of 21 October 2009

Establishing a Framework for the Setting of Ecodesign Requirements for Energy-related

Products.

Page 48: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36 ∣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

에코 디자인 자발적 협약의 추진 과정에 유럽에너지효율경제위원회(European

Council for an Energy Efficient Economy, ECEEE)17)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산업계와 협의 포럼을 통해 실질적인 에너지 효율 성과를 내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다. 일본의 자발적 협약

1) 일본의 자발적 협약에 대한 기본시각

일본에서는 고비용 저효율 구조를 탈피하고, 시장원리에 입각하여 자율적이고 책임

있는 환경관리체제로 전환하며, 환경과 무역의 연계 움직임에 공동으로 대처하기 위해

자발적 협약을 도입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일본에서의 자발적 협약은 두 가지가 대표적인데, 하나는 경단련이 1997년 기후변화

협약 3차 당사국 총회(교토)를 앞두고 선언한 ‘환경자주행동계획’이고, 다른 하나는

2004년부터 환경성으로부터 업무를 위임받아 ‘재단법인 지속성추진기구(IPSuS) 에코

액션 21 중앙사무국’18)이 중소기업과 함께하는 ‘에코 액션 21 인증․등록’제도다.

일본의 자발적 협약은 미국이나 유럽과는 달리 정부와 기업이 협약을 맺는 것이 아니

라, 기업이 산업단체를 통해 스스로 환경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지키겠다는 선언을 하는

방식(환경자주행동계획)이나, 정부가 정한 가이드라인을 스스로 지키고 이를 인증받는

방식(에코 액션 21 인증․등록)을 사용한다는 점이 특이하다.

2) 환경자주행동계획

일본 산업계는 1991년에 발표한 경단련의 지구환경헌장(Keidanren Global

17) ECEEE는 비영리 독립단체로 정부, 산업계, 연구기관 및 시민단체에 지식과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며, 정책 입안자부터 실무 프로그램 설계자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집단들에 에너지 효율 이슈를

이해시키고, 이를 적용하도록 촉진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18) 2004년 10월부터 재단법인 지구환경전략연구소(Institute for Global Environmental Strategies,

IGES)가 실시해 온 ‘에코액션 21 인증․등록 사업’은 2011년 10월 1일부터 재단법인 지속성추진기구

(IPSuS)로 이관되었다.

Page 49: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제2장․ 이론적 검토 및 해외동향 ∣ 37

Environment Charter)의 정신에 따라 자발적인 환경개선 노력을 해왔다. 이는 1996년

7월에 발표한 경단련 환경어필(Keidanren Appeal on the Environment)로 발전하였

고, 1997년 6월 37개의 산업단체가 참여한 경단련 환경자주행동계획(Keidanren

Voluntary Action Plan on the Environment)으로 결실을 보았다.

경단련 환경자주행동계획에서는 당시 일본 산업계가 안고 있는 가장 중요한 두 가지

환경 이슈인 ‘기후변화’와 ‘폐기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업의 자발적인 노력이 절실하

며, 이를 달성하기 위해 두 분야에서 각 산업계가 처한 상황에 맞게 목표를 설정하고,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스스로 노력하겠다는 점을 공표한 것이다.

환경자주행동계획은 ① 제조업이나 에너지 다소비 산업뿐만 아니라 유통․운수․건설․무역․보험 등 여러 산업 분야에서 폭넓은 참여를 하고 있고, ② 지구온난화 대책과 폐기물

대책에 대해 많은 산업이 수치적인 목표를 내걸고 있으며, ③ 행동계획에 대해 매년

결과를 공표하고 정기적인 검토를 통하여 산업계가 환경 대책에 대해 지속적으로 개선을

해나가며, ④ 산업별로 자율적이고 현실적인 실천방안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이 특징이

다.

환경자주행동계획에 참여한 산업단체는 1997년 당시 37개 업종에서 2010년도에는

제조업과 에너지 전환 부문 34개 업종을 포함하여 총 61개 업종이다.

1997년 2010년

산업․에너지 전환 부문 28 34

업무 부문 6 14

운수 부문 3 13

계 37 61

<표 2-8> 환경자주행동계획 참가업종의 추이

자료: 日本経済団体連合会(2012a), 「2011年度 環境自主行動計画 第三者評価委員会 評価報告書」, p.6.

환경자주행동계획의 가장 큰 특징은 구체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그 성과를 매년 측정

하고 이를 발표한다는 점이다. 온난화 분야와 폐기물 분야로 나누어 매년 발표하며,

2004년도부터는 온실가스 감축 분야에 대해서는 외부의 제3자 평가를 받고 있다.

Page 50: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38 ∣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

산업․에너지 전환 부문에 참가한 있는 34개 업종의 2010년도 CO2 배출량은 4.4억

t-CO2이며, 이는 2009년도에 비해서는 5.3% 증가한 수치이지만, 기준연도인 1990년

도 대비 12.3% 감소한 것이다. 1997년 이후 환경자주행동계획의 CO2 감축량은 2007년

까지 목표 수준을 거의 유지하였고, 제1 공약기간이 시작된 2008년 이후에는 목표 수준

보다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그림 2-4 참조). 한편, 2010년도의 산업폐기물 최종처

분량의 실적은 624만 톤으로, 2009년도에 비해 12만 톤(약 2%) 증가하였다. 이는 기준

연도인 1990년도(5,902만 톤)의 89.4%가 감소한 수준이며, 산업폐기물 최종처분 감축

에 관한 업계 전체의 목표(제2차 목표)를 달성하였다(그림 2-5 참조).

자료: 日本経済団体連合会(2012a), 「2011年度 環境自主行動計画 第三者評価委員会 評価報告書」, p.4.<그림 2-4> 환경자주행동계획의 온실가스 감축 실적

Page 51: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제2장․ 이론적 검토 및 해외동향 ∣ 39

자료: 日本経済団体連合会(2012b), 「環境自主行動計画[循環型社会形成編]-2011年度フォローアップ調査結果-」, p.1.

<그림 2-5> 환경자주행동계획의 산업폐기물 저감 실적

3) 에코 액션 21

일본 환경성은 1996년부터 중소기업 등 다양한 사업자에 대해 자체적으로 환경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환경활동을 촉진하기 위한 간단한 방법을 제공하고자

에코 액션 21을 수립하고, 그 보급을 진행해 왔다.

에코 액션 21은 환경경영시스템, 환경성과평가 및 환경보고서를 하나로 통합한 것으

로, 에코 액션 21에 맞추어 중소기업도 자발적이고 적극적으로 환경문제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하고, 그 노력 결과를 환경활동 보고서로 정리하여 공표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환경경영시스템은 ISO 14001 규격을 근간으로 하면서 필수적인 기본요소만 규정함으

로써 중소업체의 적용이 용이하도록 되어 있다. 환경성과평가에는 이산화탄소 배출량,

폐기물 배출량 및 총 배수량(오수 및 하수 배출량) 등을 반드시 파악해야 할 항목으로

규정하고, 에너지 절약, 폐기물 감축․재활용 및 절수 등은 반드시 대응해야 할 행동으로

규정하고 있다. 환경경영시스템 운영에 따른 환경성과는 환경활동보고서 형식을 통해

Page 52: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40 ∣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

공표하는데, 이 보고서에는 환경방침, 환경목표와 실적, 주요 환경활동계획의 내용, 환

경활동의 대응결과 평가, 환경 관련 법규의 준수 유무 등을 포함해야 한다.

2004년에는 녹색구매의 진전과 주요 사업자의 공급망 녹색화, 환경보고서의 보편화,

지방자치단체 등의 고유한 환경경영시스템 인증·등록 제도의 창설 등에 대응하기 위해

에코 액션 21의 구조를 개선하여 인증·등록 제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그 체제를 개편하

였다. 또한 2009년에는 내용을 보다 알기 쉽게 설명하고, 에코 액션 21의 노력을 촉진함

으로써 환경에 대한 대처를 발전시킬 목적으로 「에코 액션 21 가이드라인 2009년판」을

개정하였다.

한편, 에코 액션 21 인증․등록제도는 사업자가 환경경영시스템을 계획․실행․평가․재검

토하는 일련의 환경활동 수행 프로그램으로, 프로그램을 수행할 때는 일본 환경성이

ISO 14001을 바탕으로 작성한 「에코 액션 21 가이드라인」을 따르도록 하고 있다. 「에코

액션 21 가이드라인」에는 환경부하의 자기 체크 가이드라인, 환경대응의 자기 체크 가이

드라이, 환경경영시스템 가이드라인, 환경활동보고서 가이드라인의 4개 부문으로 구성

되어 있다.

<그림 2-6> 에코 액션 21 프로그램 수행 절차

Page 53: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제2장․ 이론적 검토 및 해외동향 ∣ 41

환경부하 자기 체크리스트에는 ① 총 에너지 투입량 ② 총 물질 투입량 ③ 수자원

투입량 ④ 온실가스 배출량 ⑤ 화학물질 배출량 및 이동량 ⑥ 총 제품 생산량 또는

판매량 ⑦ 폐기물 총 배출량 ⑧ 폐기물 최종 처분량 ⑨ 총 배수량(수질오염물질 배출량

포함)의 9개 환경부하 항목에 대한 항목별 환경부하 집계표에 환경부하를 기재하고 총괄

집계하도록 하고 있다.

환경대응 자기 체크리스트는 대응 측면별로 사업 활동에 따른 투입물 관련 항목, 사업

활동에 따른 배출물 관련 항목, 환경경영시스템 관련 항목으로 구분되며 이들 대응측면

별 체크리스트에는 각각의 체크 항목별로 사업자 스스로 중요도와 대응정도를 ○, △,

☓로 기입해 평점으로 수치화한다.

에코 액션 21의 인증‧등록을 희망하는 사업자는 신청 전에 3~6개월간 사업장에서

에코 액션 21 프로그램을 수행하여야 하며, 인증‧등록 절차는 <그림 2-7>과 같다.

에코 액션 21은 실질적으로도 환경부하를 저감하는 수단으로 사회적 호응이 높아

2011년 10월 현재 6,859개 업체가 인증을 취득․등록하고 있다. 이 중 종업원 수 100인

<그림 2-7> 에코 액션 21 인증․등록 절차

Page 54: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42 ∣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

이하 소규모 사업자가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중소기업의 참여가 활발한 것을 알

수 있고(그림 2-8 참조), 업종별로는 제조업이 24%, 폐기물처리 및 재활용업이 16%를

차지하고 있다(그림 2-9 참조).

자료: 財団法人持続性推進機構 エコアクション21中央事務局(2011)

<그림 2-8> 에코 액션 21 인증․등록 기업 수 추이 및 기업 규모

자료: 財団法人持続性推進機構 エコアクション21中央事務局(2011)

<그림 2-9> 업종별 에코 액션 21 인증․등록 업체 비중

Page 55: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제2장․ 이론적 검토 및 해외동향 ∣ 43

라. 소결

본 절에서는 미국, 유럽, 일본 등 주요 선진국들의 자발적 협약의 활용 동향과 주요

사례를 살펴보았다. 이들 주요국에서는 1990년대 초반 이후 환경보전, 오염예방, 기후변

화 등을 목적으로 한 자발적 협약이 꾸준히 체결·운영되고 있으나, 활발했던 1990년대

이후 활용빈도는 다소 주춤하는 것으로 보인다. 미국은 1990년대 초반 활발히 도입하던

것에 비해 1990년대 후반부터는 도입빈도가 눈에 띄게 줄어든 채 유지되는 것으로 파악

되었다. 유럽과 일본도 프로그램 수, 도입빈도와 같은 정량적인 자료는 구할 수 없었으

나, 대체로 2000년대 이후에는 양적인 팽창은 일어나지는 않은 것으로 보였다. 활용분야

에서도 미국은 2000년대 이후에는 오염예방보다는 기후변화 관련 프로그램들이 주종을

이루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유럽과 일본도 기후변화, 에너지 관련 프로그램들이 두드러

졌다.

이러한 주요국의 동향에 비해 지난 십수년간의 한국에서의 자발적 협약의 활용 동향은

어떠했는지 다음 장에서 개괄적으로 살핀다.

Page 56: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44 ∣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

∣제3장·자발적 협약의 국내 활용현황∣본 장에서는 자발적 협약이 국내에 도입된 지 10년 이상 지난 시점에서 그동안의

활용현황을 전체적으로 조망하였다. 이를 위해 자료 검색 등을 통해 국내에서 체결된

자발적 협약의 목록을 작성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활용현황을 간략히 분석하였다.

1. 현황조사의 개요

가. 조사의 필요성

자발적 협약이 국내에 도입되어 시행된 지도 10년 이상이 흘렀다. 1998년 처음 체결된

‘에너지절약 및 온실가스 배출감소를 위한 자발적 협약’을 필두로 대기, 화학물질, 폐기

물, 수질관리 등 다양한 분야의 협약들이 체결되어 왔다.

자발적 협약들을 총괄적으로 관리하거나 현황을 파악하는 주체는 따로 없고 각 협약의

주관기관은 환경부 내 각 부서 혹은 기타 부처, 기관, 지자체로 산재되어 있어, 전체적인

현황파악을 위해서는 별도의 조사가 필요했다.

본 연구에서는 보도자료 등의 검색을 통해 국내 자발적 협약의 현황파악을 시도한

허경선(2010)의 방법을 기본적으로 차용하여 현재까지 체결된 자발적 협약 목록을 작성

하고, 이를 바탕으로 분야별 분포, 시계열적 추세 등을 분석하였다.

나. 조사방법

국내에서 체결된 자발적 협약들을 파악하기 위해 먼저 인터넷 검색으로 신문기사

및 기타 관련 자료를 수집하였다. 2012년 3월부터 6월 까지 구글(google) 및 네이버

(naver) 검색엔진, 미디어 가온(kinds) 기사검색엔진, 환경부 홈페이지 통합검색엔진을

이용하여19) ‘자발적 협약’ 혹은 ‘자율환경관리’의 검색어로 자발적 협약에 관한 신문기사,

19) 구글(google, http://www.google.co.kr/); 네이버(naver, http://www.naver.com/); 미디어

Page 57: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제3장․ 자발적 협약의 국내 활용현황 ∣ 45

보도자료 및 기타 관련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렇게 파악된 협약들에 관해 주관부처(환경

부, 지자체 등) 홈페이지와 자료실 등을 추가로 검색하거나 주관부처 담당자에게 요청하

는 등의 방법으로 보도자료, 협약문, 계획안 등의 추가 자료를 수집하여 협약의 존재를

확인하고 협약의 목적, 간략한 내용, 체결기관 등을 파악하였다.

‘자발적 협약’이라는 명칭으로 검색되었으나 구체적인 행동의 변화를 목표하기 보다는

상호간의 협력의지를 확인하는 수준의 협약들은 조사대상에서 제외하였다. 예를 들어

2011년 환경부와 이동통신사 간 체결된 ‘폐휴대폰 사랑나눔을 위한 자발적 협약’은 ‘폐휴

대폰 범국민 공동수거 캠페인’의 일환으로 체결된 것으로, 단순한 캠페인의 성격이 강하

며 협약 당사자의 의무 같은 구체적인 내용이 명확하게 규정되지 않아 조사대상에서

제외하였다.20) 또한 2010년 환경부와 삼성전자 간에 체결된 ‘스마트폰 대기오염도 서비

스’ 자발적 협약은 ‘스마트폰 앱을 통해 대기오염도 정보를 국민에게 제공하기로 노력할

것을 다짐’ 하는 것이 그 내용으로, 본격적인 자발적 협약이라기보다는 관계자들 간의

상호협력을 약속하는 수준으로 판단되어 조사대상에서 제외하였다.21)

이렇게 파악된 자발적 협약은 모두 정부기관을 주관부처로 히는 공공 자발적 프로그램

이었다. 정부기관의 참여 없이 기업 간에 자발적으로 추진하는 일방적 서약(unilateral

commitment) 방식의 자발적 프로그램도 일부 존재하나,22) 자발적 협약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지 않아 조사결과에는 포함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정부기관을 주관부처로

하는 공공 자발적 프로그램을 분석범위로 제한한다.

이렇게 파악된 자발적 협약 프로그램들의 목록을 정리하였다. 분석단위는 개별 ‘협약’

가온(http://www.kinds.or.kr/); 환경부(http://www.me.go.kr/).

20) 환경부 보도자료(2011.4.11, “서랍속 폐휴대폰으로 자원확보와 사랑나눔 실천하세요!”,

http://www2.korea.kr/newsWeb/pages/brief/partNews2/view.do;JSESSIONID_KOREA=CLY

tQb3V6VbCvgLmq5NLgdM88D1fPbNTVGNqJrnhbm2fR67pHQGm!-1118849351?call_from=ext

link&call_from=extlink&dataId=155737696 [2012.9.21]).

21) 환경부 보도자료(2010.10.21, “환경부, 삼성전자와 스마트폰 대기오염도 서비스 자발적 협약 체결”

http://www.me.go.kr/web/286/me/common/board/detail.do?boardId=notice_02&decorator=

me&idx=176149 [2012.10.9]).

22) 화학업계의 Responsible Care(RC) 프로그램, 반도체업계의 PFC/SF6 저감 등. 보다 자세한 내용은

정우현 외(2012), 「환경거버넌스의 다각화 현황 및 시사점」 중 제3부 “기업의 자율적 환경관리” 참조.

Page 58: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46 ∣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

이 아닌, ‘자발적 협약 프로그램’ 단위로 정리하였다. 즉, 서로 다른 시기에 다른 기관들

과 체결된 별도의 협약이더라도 내용상 동일성이 있고 같은 주관부처에서 연속성 있게

관리되는 하나의 프로그램으로 볼 수 있다면 하나의 ‘자발적 협약 프로그램’으로 묶었다.

예를 들어 ‘건강/미용류 제품군 포장폐기물 줄이기’, ‘식품군 포장 폐기물 줄이기’,

‘화장품류·주류·면도기 제품군 포장 폐기물 줄이기’ 자발적 협약의 경우 하나의 “포장

폐기물 줄이기’ 협약 프로그램으로 묶었다. 이 세 건의 협약은 환경부 자원순환정책과

주관으로 2008년 5월, 7월, 12월에 잇달아 체결되었다. 이들은 판촉용 포장재로 인한

폐기물 발생을 줄이고자 하는 동일한 목적을 가지고 있으며, 각각 다른 제품군의 업체들

을 대상으로 하는 점 외에는 협약의 목적, 내용, 협약문의 구성 등이 유사하여, 각각의

다른 협약으로 보기보다는 하나의 협약 프로그램 내에서 제품군별로 나누어 체결한 것으

로 보아 하나의 프로그램으로 취급하였다. <표 3-1>에서 보듯이 세 개 협약의 협약문

구성과 내용은 거의 유사하다.

또한, 대기오염 저감 자발적 협약 프로그램의 경우도 2005년 ‘광양만권 5-13 자발적

협약’, 2006년 ‘대산·당진지역 5-18 자발적 협약’ 및 ‘울산지역 5-15 자발적 협약’,

2007년 ‘조선업 VOC 저감 5-30 자발적 협약’의 환경부 대기관리과가 주관하는 4건의

협약으로 구성된다.23) 석유화학 등 대형 대기오염물질 배출사업장이 밀집한

23) 환경부 대기관리과는 대기오염저감에 관한 이 4건의 협약에 대해 2단계 협약(2012~)을 2012년 중

체결할 예정이다.(환경부 보도자료(2011.11.4, “자발적협약 지역 대기오염물질 저감에 크게 기여”,

http://www.me.go.kr/web/286/me/common/board/detail.do?boardId=notice_02&decorator=

me&idx=179241 [2012.10.9]); 환경부 대기관리과는 대기오염저감에 관한 이 4건의 협약 중 1단계

협약이 끝난 광양만권 사업장을 대상으로 2012년 1월, 울산지역을 대상으로 2012년 3월, 조선업계를

대상으로 2012년 9월 2차 협약을 체결하였다.(환경부 보도자료(2012.3.9, “울산지역 대기오염물질

저감은 사업장이 앞장선다”,

http://www2.korea.kr/newsWeb/pages/brief/partNews2/view.do?dataId=155815838&call_fro

m=extlink&call_from=extlink [2012.9.21]); 환경부 보도자료(2012.1.13, “공장집중 광양만권 사업장

대기오염물질 줄이자 합심”,

http://www2.korea.kr/newsWeb/pages/brief/partNews2/view.do?dataId=155806993&call_fr

om=extlink&call_from=extlink [2012.9.21]); 환경부 보도자료(2012.9.21, “조선업계, 향후 5년간

휘발성 유기화합물질 총 14,896톤 줄인다.”,

http://www.me.go.kr/web/287/me/common/board/detail.do?idx=182767&decorator=me&bo

ardId=notice_02 [2012. 9.21]).

Page 59: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제3장․ 자발적 협약의 국내 활용현황∣ 47

제3장

․ 자발

적 협

약의 국

내 활

용현황

∣47

‘ 식품

군’ 포

장폐

기물

줄이

기 자

발적

협약

리는 외형중시 소비문화와 편리성을 추구하는

소비행태로

포장

폐기물

발생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자원

의 낭비

는 물

론 우

리와 우리

후손이 살아갈

소중

한 삶

의 터

전이 훼

손되

어 가

있음을 인

식한다.

에 식품을 제조,

수입,

판매하는 사업자들은

건전한

생산

・소비

문화

정착시

자원

절약

하고

, 판촉

용 포

장재

로 인한

기물의

생을

줄이는데 적

극 동

참하고자 한

다.

러한

의지

실천하

위하여

『식품군

포장폐기물 줄이기

발적 협

약』을

음과 같

체결한다.

1. 협약 당

사자는 제

품 포

장재의 사

용 및

배출량을 줄

여 환

경을 지

키기 위

실천운동에 적

극 참

여한다.

1. 협약 당

사자는 제

품 판

촉용 포

장재를 줄

이기 위

「그린마일

리지

캠페

인」을

실시한

다.

1. 협약당사자는 ‘제

품 판

촉용

포장

재’ 를

2007년

용량 기

준으

로 첫

해에

30%

, 그

후 4년간

매년 10%

이상

씩을

줄여

2012년

에는 80%이상을

줄이고, 그 성

과를 주

기적(연

1회)으

로 자

홈페이지

등에

공개한

다.

1. 협약당사자가 생

산하는 포

장제품에

포장공간비율, 포장횟수, 포장재질을

적극적으로 표

시한다.

200

8년 7월

16

화장

품류

・주류

・면도

기 제

품군

포장

폐기

물 줄

이기

자발

적 협

약서

리는

형중

소비

문화

편리

성을

구하

소비

행태

로 포

장 폐

기물

발생

량이

지속

적으

로 증

가하

고 있

자원

의 낭

비는

물론

우리

와 우

리 후

손이

살아

갈 소

중한

삶의

전이

훼손

되어

가고

있음

을 인

식한

다.

에 화

장품

류․주

류․면

도기

류 제

품을

제조

, 수

입,

판매

하는

업자

들은

전한

산・소

비문

화를

착시

자원

절약

하고

, 판

촉용

장재

로 인

한 폐

기물

의 발

생을

이는

적극

동참

하고

자 한

다.

러한

지를

천하

기 위

하여

화장

품류

․주류․면도

기류

장 폐

기물

줄이

기 자

발적

협약

』을

다음

과 같

이 체

결한

다.

1. 화

장품

류 제

조․수입

자는

2012년

까지

종합

제품

포장

공간

비율

을 2

5%에

서 5

% 이

상을

줄인

다.

1. 주

류 제

조․수

입자

는 나

무,

천 등

재활

용이

어려

운 재

질의

촉용

포장

재를

사용

하지

아니

하고

, 2종

이하

재질

포장

재를

사용

하며

, 증

정품

제공

으로

인하

여 공

간비

율이

가되

는 제

품의

제조

․수입

을 하

지 아

니하

도록

한다

.

다만

, 환

경친

화적

인 포

장 재

질 및

방법

의 준

비기

등을

고려

하여

그 제

품의

비율

을 최

소한

첫해

에 3

0%,

그 후

매년

10% 이

상씩

늘려

2012년

에는

80%

이상

으로

늘린

다.

1. 면

도기

류 제

조․수

입자

는 판

촉용

2차

포장

재를

사용

하는

합제

품의

비율

을 첫

해에

30%

, 그

후 매

년 1

0% 이

상씩

줄여

2012년

에는

80%

이상

을 줄

인다

.

1. 협

약대

상 제

품 판

매자

는 제

조․수

입자

의 협

약이

행에

적극

력한

다.

1. 협

약당

사자

는 그

성과

를 주

기적

(연 1

회)으

로 자

홈페

이지

등에

공개

한다

.

1. 협

약당

사자

는 2

008년

12월

24일

부터

「그린

마일

리지

페인

」 또는

「판촉

용 포

장재

줄이

기 캠

페인

」을 실

시한

다.

2008년

12월 24일

건강/미용류 제

품군 포

장폐기물 줄

이기 자

발적 협

약서

리는 외형중시 소비문화와 편리성을 추구하는

소비행태로

포장

폐기물

발생량

지속

적으

증가하고 있어 자원의 낭

비는 물

론 우리

와 우리

후손이 살아갈 소중한 삶

의 터

전이 훼

손되

어 가

있음을 인

식한다.

에 샴푸/린

스,

세제류 등 제품을 제조,

수입,

판매하는

사업자들은

건전한

생산

・소비문

화를

정착시켜 자원을 절약하고,

판촉용 포장재로 인한

폐기물의 발

생을 줄

이는데 적

극 동

참하고자 한

다.

러한 의지를 실천하기

하여

『건강/미

용류

제품군 포

장폐기물 줄이기 자

발적

약』

을 다음

같이 체

결한다.

1.

협약

당사자는

제품

포장재의

사용

배출량을

줄여

환경

지키

위한

실천운동에 적

극 참

여한

다.

1.

협약 당

사자는 제

품 판

촉용 포

장재를 줄

이기 위

2008년 6월

1일

부터

「그린

마일리

지 캠

페인

」을

실시한다.

1.

협약당사자는 ‘ 제

품 판촉용 포장재’ 를

’ 07년

사용량

기준으로

첫해에

30%,

5년간(’08~’12, 매년 10%) 80%이

상을 줄

이고, 그

성과를 주

기적(연

1회

)으로 자사

페이지

등에 공

개한다.

1. 협약당사자가 생

산하는 포

장제품에

포장공간비율, 포장횟수, 포장재질을

적극적으로 표

시한다.

200

8년 5월

30

<표 3

-1> ‘포장페기물 줄

이기 자

발적 협

약’의

협약문 비

Page 60: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48 ∣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

산업단지의 대기오염 저감을 목표로 대상지역에 따라 광양만권, 대산·당진, 울산지역

에 대하여 각각 협약이 체결되였고, 이후 지역단위 대신 조선업이라는 업종, VOC라는

특정물질에 초점을 두어 약간 다른 형식으로 네 번째 협약을 체결하였다. 이 네 건의

협약은 협약의 내용, 협약문의 구성 등이 매우 유사하며, 환경부 대기관리과에서 총괄적

으로 관리하는 하나의 프로그램으로 보는 것이 적절하다.

그 외 지역단위에서 운영되는 지자체 주관의 소규모 협약들이 있는데, 이 중 많은

경우 단신의 신문기사를 제외하고는 추가자료를 수집하기 어려워 구체적인 내용이나

존재를 확인하기 어려웠다. 특히 체결된 지 여러 해가 지난 협약은 관할 지자체에 연락하

여도 담당자조차 찾을 수 없는 경우가 많았다. 이들은 대개 2002년 제정된 「자율환경관

리협약 운영규정」(환경부 고시 제2002-139호)을 바탕으로 독자적으로 운영되는 것으로

보이며, 하나의 주관부처에서 유기적으로 관리되는 하나의 프로그램으로 보기는 어려우

나, 편의상 <표 3-4>에서는 ‘지역 자율환경관리’로 묶어 정리하였다. 예를 들어 1999년

인천시는 시내에 위치한 제일제당 인천공장, 인천제철, 대우중공업 등 인천 내 30여

개 기업과 자율환경관리제도를 위한 협약을 체결하였고, 경기도도 2003년부터 도내

안산, 평택 등 산업단지에 위치한 기업을 대상으로 자율환경관리제도를 시행하였다.

또한 광주광역시는 2005년 금호타이어(주), ㈜코카콜라보틀링과 자율환경관리협약을

체결하였으며, 최근에는 2012년 당진시가 지역 내 6개 철강업체와 자율환경 실천협약을

체결했다.24)

24) 연합뉴스(1999.8.17, “인천지역 30여개 기업 자율환경관리제 도입”,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44

67392 [2012. 9.21]); 경기도민일보(2006.11.30, “자율환경관리기업 지속 확산”,

http://www.kgdm.co.kr/news/68840 [2012. 9.21]); 뉴스와이어(2005.7.21, “광주시, 금호타이어와

자율환경관리협약 체결”, http://www.newswire.co.kr/newsRead.php?no=67173 [2012. 9.21]);

충청제일뉴스(2012.6.16, “당진, 철강기업과 자율환경 실천협약 체결”,

http://osktv.co.kr/news/service/article/mess_02.asp?P_Index=10441&flag= [2012. 9.21]).

Page 61: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제3장․ 자발적 협약의 국내 활용현황 ∣ 49

2. 국내 자발적 협약 활용현황 분석

가. 활용현황 - 개관

1990년대 말부터 2012년 초까지 국내에서 체결된 자발적 협약 프로그램을 조사한

결과, <표 3-2~3-4>에서 보인 총 31개의 협약 프로그램이 파악되었다.

1998년 산업자원부(현 지식경제부)와 에너지관리공단의 주관으로 1차 협약이 체결된

‘에너지절약 및 온실가스 배출감소를 위한 자발적 협약’이 정부기관과 기업들 간의 협약

이라는 형식을 지닌 국내 공공 자발적 협약 프로그램으로는 최초 사례로 파악되었다.25)

이 협약 프로그램은 이후 2010년까지 매년 신규협약 및 재협약이 체결되며 약 1,300여

개 사업장이 참여한 국내 최장수, 최대 규모의 협약 프로그램으로 기록된다.

25) 협약이라는 형식을 띠지 않은 자발적 프로그램을 포함하도록 범위를 넓히면 1995년부터 시행된 ‘녹색에

너지 가족운동(Green Energy Family, GEF)’ 등의 사례도 존재한다.(김현준 2007, p.20) 협약(협정)의

형식을 띤 사례로 1997년 인천광역시와 한국전력 간에 체결된 ‘영흥화력발전소 건설 및 운영관련 환경협

정’도 자발적 협약의 맥락에서 소개되기도 하였으나(김현준, 2007, p.8) 협정에서 규정된 의무의 이행을

강제하는 규정이 있는 등 공법상의 계약에 가까워, <표 3-2~3-4>에 정리된 본격적인 자발적 협약

프로그램들과는 성격이 달랐던 것으로 보인다.

Page 62: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50 ∣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

분야 협약명 / 프로그램명주관

기관

운영

기간주요 내용

기후/

에너지

에너지절약 및

온실가스 배출감소를

위한 자발적 협약

산업

자원부,

에너지

관리

공단

1998

~

·에너지 절약 및 온실가스 배출감소 목표.

·협약기간은 5년

·1998년 포스코 등 15개 사업장을 시작으로

2009년까지 1,300여 개 사업장 참여

온실가스

-대기오염물질

통합감축 자발적 협약

환경부/

지자체

2005

~

2010

·온실가스 및 대기오염물질 감축이 목표

·삼성전자 외 총 171개 사업장 참여

항공부문 온실가스

자발적 감축 협약

국토

해양부

2010

~

·항공부문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설정 후 이행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등 7개 항공사 참여

대기

페인트 VOC 저감

자발적 협약환경부

2004

~

2009

·건축용 및 자동차보수용 페인트의 VOC

함유량 저감을 목표

·건설화학공업 6개 페인트업체 참여

대기오염저감

자발적 협약

환경부/

지자체

2005

~

·대기오염 저감목표를 설정한 후 이행

·광양만권, 울산지역, 대산, 당진지역, 조선업

VOC 총 109개 업체 참여

석면 안전관리를 위한

자발적 협약환경부

2010

~

2011

·건축물 철거, 보수 시 발생하는 석면 비산을

안전하게 관리하기 위한 협약

·서울메트로 등 16개 업체 참여

환경친화형 도료

사용을 위한

자발적 협약

수도권

대기

환경청

2011

~

·환경친화적 도료의 유통기간 확대 및

기술개발 촉진이 목적

·환경부, 한국토지주택공사, 한국도로공사 등

참여

수도권 사업장

대기총량 관리

자발적 협약

수도권

대기

환경청

2011

~

·수도권 대기질 개선을 위해 배출물질 저감

·한국서부발전(주) 등 11개 사업장

공사장 비산먼지 저감

자발적 협약

수도권

대기

환경청

2012

·지역주민의 건강보호 및 체감 대기질 향상을

위해 공사장 비산먼지 저감을 목표

·현대건설 및 수도권 10개 사업장

수질

김해 대포천의

수질 개선 ∙유지에

관한 자발적 협약

환경부/

지자체

2002

~

·대포천 수질 개선, 유지를 위한 협약

·1급수 유지 시 상수원보호구역 지정 유예

·환경부, 상동면 주민대표, 경상남도 지사 및

김해시장 참여

갑천, 미호천

수질개선을 위한

자발적 협약

금강

유역

환경청

2011

~

·갑천, 미호천 수질개선을 위한 협약

·하이닉스 반도체 등 16개 업체 참여

청미천 좋은 물 만들기

자발적 협약

한강

유역

환경청

2012

~

·청미천 수질개선을 위한 협약

·한강유역환경청, 환경보전협회, 지자체 및

20개 기관

<표 3-2> 국내 자발적 협약 프로그램 목록 (1)

주: 각 분야 내에서 프로그램 시작연도 기준으로 정렬.

Page 63: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제3장․ 자발적 협약의 국내 활용현황 ∣ 51

분야 협약명 / 프로그램명주관

기관

운영

기간주요 내용

폐기물

생산자책임재활용

자발적 협약환경부

2000

~

2002

·전자제품, 형광등, 유리병, 금속캔, 타이어 등

재활용체제 구축. 2002년 법제화

·전자제품, 형광등, 유리병 업체 다수 참여

1회용품 줄이기

자발적 협약환경부

2009

~

·커피전문점 및 패스트푸드점의 1회용품 사용

감소를 위한 협약

·(주)롯데리아 외 42개 업체 참여

포장폐기물 줄이기

자발적 협약환경부

2008

~

·판촉용 포장재 사용 및 배출량 감소를 목표

·2007년 대비 2008년까지 30% 절감,

2012년까지 80% 절감 목표

·건강/미용용품군, 식품군, 화장품, 주류,

면도기 업체 등 총 71개 업체 참여

플라스틱 폐기물

회수·재활용

자발적 협약

환경부2008

~

·폐플라스틱 재활용 활성화를 위해 기존에

폐기물 부담금 대상 품목 중 EPR에 포함되지

않은 품목을 대상으로 재활용율 달성 시 부담금

면제해 주는 제도

·2011년까지 약 425개 사업장 참여

폐기물 감량

자발적 협약

한국

환경

공단

2008

~

·폐기물다량배출 사업장의 폐기물 감량이 목표

·협약기간 3년

·롯데칠성음료(주)등 13개 사업장 참여

페트병 재질∙구조개선

자발적 협약환경부

2009

~

2011

·재활용 촉진을 위해 페트병재질 및 구조 개선

·롯데칠성음료(주) 외 17개

업체,(사)한국페트병 자원순환협회 참여

재생아스콘 사용촉진

자발적 협약

환경부

/

지자체

2009

~

2010

·재생아스콘 사용촉진을 위해 공공기관의

건설공사에 재생아스콘 사용

·조달청, 서울시 등 20개 공공기관 및 관련 협회

참여

소주업계 360ml병

공용화

자발적 협약

환경부2009

~

·공병회수 및 재사용 촉진을 위해 유리병을

공동으로 사용

·17개 소주업계 참여

음식문화 개선

자발적 협약 환경부

2010

~

2011

·음식물쓰레기를 줄이기 위한 목적

·고속도로 휴게소, 대학병원, 병원 등 참여

1회용 비닐쇼핑백

없는 매장 자발적 협약환경부

2010

~

·일회용 비닐봉투 및 쇼핑백 사용량 절감

·대형유통업체 및 기업형 슈퍼마켓 1,186개

매장 참여

폐자동차 자원회수를

위한 자발적 협약환경부

2011

~

2012

·자동차 제조업계의 재활용 강화

·현대, 기아자동차, 한국GM, 르노삼성,

쌍용자동차 참여

<표 3-3> 국내 자발적 협약 프로그램 목록 (2)

주: 각 분야 내에서 프로그램 시작연도 기준으로 정렬

Page 64: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52 ∣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

분야 협약명 / 프로그램명주관

기관

운영

기간주요내용

화학

물질

화학물질 배출저감

자발적 협약(30/50

프로그램)

환경부2004

~

·유해화학물질을 기업체가 자발적으로 기준

연도 대비 3년까지 30%. 5년까지 50%

저감하는 것이 목표

·2012년까지 GS칼텍스 외 200여 개 사업장

참여

특정 잔류성 유기오염

물질저감을 위한

자발적 협약

환경부

2005

~

2010

·다이옥신 등 특성 잔류성 유기물질

배출저감이 목표

·협약기간 5년 후 법제화

·포스코 등 철강, 화학, 시멘트 분야 29개 업체

참여

프탈레이트 가소제

용도제한 자발적 협약환경부

2007

~

2011

·프탈레이드 가소제 및 함유 혼합물질

사용제한

·2011년 종료 후 법제화

·총 22개 제조업체 및 사용업체 참여

기타

지역 자율환경관리제*

지자체1999

~

·기업과 관할 행정기관의 긴밀한 유대를 통한

지역 환경질 개선을 목표

·인천, 경기도 등 지자체 및 관할 사업장 참여

토양오염

방지 및 정화를

위한 자발적 협약

환경부2003

~

·유류저장시설로 인한 토양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협약

·협약기간은 10년

·한국석유공사와 SK 등 정유 5개사 참여

녹색구매 자발적 협약 환경부2005

~

·녹색기술의 연구 및 녹색생산 및 녹색소비의

활성화를 위한 협약

·협약기간은 3년

·2012년까지 총 8차 협약 130개 이상

기업참여

생태∙경관보전지역 및

특정도서

보전∙관리를 위한

자발적 협약

금강

유역

환경청

2008

~

·자연생태계가 우수한 생태, 경관보전지역과

특정도서의 보전관리를 위해 지역 사업장이

환경정화활동에 참여

·삼성전자 및 삼성 계열사 6개 산업장 참여

환경, 에너지 분야

대중소 동반성장

자발적 협약

지식

경제부

2011

~

·온실가스 감축 및 환경친화적

제품생산촉진을 위해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그린파트너십을 형성

·홈플러스 등 6개 대기업 및 100개 중소기업

참여

<표 3-4> 국내 자발적 협약 프로그램 목록 (3)

주: 각 분야 내에서 프로그램 시작연도 기준으로 정렬.

* 지역 자율환경관리제는 「자율환경관리제 운영규정」(2002)을 바탕으로 운영되는 지자체 주관의 소규모

협약들로, 동일성을 갖는 하나의 협약프로그램은 아니나 편의상 본 표에서 하나로 묶어 처리함

Page 65: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제3장․ 자발적 협약의 국내 활용현황 ∣ 53

<그림 3-1> 국내 자발적 협약 프로그램 분야별 구분

나. 분야별 활용현황

조사된 총 31개의 자발적 협약 프로그램을 대상 분야별로 분류하면 <그림 3-1>과

같다. 협약 프로그램들은 내용에 따라 기후/에너지, 대기, 수질, 폐기물, 화학물질, 기타

의 총 6개 분야로 분류하였다.

분석결과 폐기물/자원순환 분야의 협약이 전체 31개 협약 프로그램 중 약 1/3을 차지

하는 11건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이어 대기 분야 6건, 기후/에너지 분야,

수질 및 화학물질 분야가 각각 3건을 차지하였다. 그 외 녹색구매, 토양오염, 지역생태보

전, 지역 자율환경관리제에 관한 5건은 기타 분야로 구분하였다.

Page 66: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54 ∣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

다. 연도별 활용현황

국내 자발적 협약의 활용현황을 시계열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먼저 협약 프로그램이

시작된 시점을 살피고, 이어 각 협약 프로그램들이 운영된 기간 전체를 살폈다.

먼저, 각 연도에 새로 시작된 협약 프로그램의 수를 <그림 3-2>에 나타냈다. 1998년

‘에너지절약 및 온실가스 배출감소를 위한 자발적 협약’이 체결된 이후 현재까지 비교적

꾸준히 새로운 협약 프로그램이 생기는 것을 볼 수 있다. 2008년 이후로는 매년 네

개 이상의 새로운 협약 프로그램이 새로 생겨나고 있고 2011년에는 다섯 개의 새로운

협약 프로그램이 생겨나, 한국에서는 최근까지도 자발적 협약이라는 수단이 활발히 활용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3-2> 국내 자발적 협약 프로그램 시작연도별 분석

각 협약 프로그램이 운영된 기간을 나타내면 <그림 3-3>과 같다. 운영종료시기

는 체결 당시 보도자료, 신문기사 등에 발표된 계획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으므로

계획된 기간을 채우지 못하고 운영이 중단된 경우는 반영되지 않을 수 있음을 밝혀

Page 67: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제3장․ 자발적 협약의 국내 활용현황 ∣ 55

둔다. 단, ‘에너지절약 및 온실가스배출 감소를 위한 자발적 협약’은 온실가스 목표

관리제라는 새로운 제도가 도입되면서 2011년 이후로는 사실상 운영이 중단된 상태

로, 주관부처 담당자와의 면담을 통해 이러한 사실이 확인되어 분석에 반영하였다.

Page 68: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56 ∣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

<그림 3-3> 국내 자발적 협약 시기별 분석 세부

Page 69: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제3장․ 자발적 협약의 국내 활용현황 ∣ 57

<그림 3-3> 국내 자발적 협약 시기별 분석 세부 (계속)

Page 70: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58 ∣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

<그림 3-4> 연도별 운영 중인 자발적 협약 프로그램의 수

위와 같이 조사된 내용을 바탕으로 연도별로 운영 중인 자발적 협약 프로그램의 수를

나타내면 <그림 3-4>와 같다. 즉 협약의 시작시기뿐 아니라 운영기간 전체를 고려하여

도, 현재까지 자발적 협약의 활용이 계속 늘어나는 경향을 볼 수 있었다.

다. 주관기관별 활용현황

국내 자발적 협약 조사 대상인 31개 협약 중 68%에 해당하는 21건의 협약이 환경부의

주관으로 체결하였으며, 이외 환경부 외청 및 소속기관으로 한국환경공단 1건, 한강유역

환경청 1건, 금강유역환경청 2건, 수도권 대기환경청 3건을 체결하였다. 이 밖에 지식경

제부(舊 산업자원부) 2건, 국토해양부 1건의 협약을 주관하였다(그림 3-5 참조).

Page 71: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제3장․ 자발적 협약의 국내 활용현황 ∣ 59

주: 중앙부처와 지자체가 공동주관한 경우 중앙부처만 표기함

<그림 3-5> 국내 자발적 협약 프로그램 주관기관별 구분

지자체가 협약을 주관하면 대개 지자체가 자체적으로 추진하는 협약이라기보다는 중

앙부처에서 시작한 프로그램을 이어받아 지역 단위로 운영하는 형태다. 예를 들어 대기

오염 저감 자발적 협약 프로그램을 보면 환경부가 총괄하는 프로그램 내에서 개별 협약은

‘광양만권 5-13 자발적 협약’, ‘대산·당진지역 5-18 자발적 협약’등 지역단위로 체결되

며, 환경부 및 해당 지자체의 공동주관으로 이루어졌다. 이처럼 지자체가 공동주관기관

으로 포함된 사례는 전체 조사대상 31개 협약 프로그램 중 13%에 해당하는 4건으로

조사되었다.

지역 자율환경관리제는 환경부가 고시로 제정한 ‘자율환경관리제도 운영규정’을 모델

로 각 지자체가 운영하는 협약들로 구성되는데, 이 경우는 환경부가 협약의 내용, 구성

등에 대한 모형을 제공했지만 협약을 공동체결하지는 않고 지자체가 개별적으로 운영한

다.

Page 72: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60 ∣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

<그림 3-6> 국내 자발적 협약 프로그램 규모별 구분

라. 규모별 활용현황(참여기업/사업장의 수)

조사된 31개의 협약을 협약 참여기관의 수(기업 혹은 사업장)에 따라 분류하여 <그림

3-6>과 같이 규모별로 정리하였다.

조사 결과 11~50개 기업/사업장이 참여한 협약 프로그램이 총 31개 중 13개로 대부분

을 차지하였다. 10개 이하의 기업/사업장이 참여한 소규모 프로그램도 10개에 달하였다.

제일 많은 수의 기업/사업장이 참여한 협약은 ‘에너지절약 및 온실가스 배출 감소를

위한 자발적 협약’으로 총 1,300여 개의 사업장이 참여하였다.

여기에 보인 규모별 분석은 협약의 성공 여부와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음을 지적해

둔다. 특정 지역이나 산업 분야를 대상으로 하는 협약은 협약의 대상이 되는 기업/사업장

의 모수 자체가 작은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에너지절약 및 온실가스 배출

감소를 위한 자발적 협약’처럼 산업 분야와 지역을 가리지 않고 에너지 소비량이 일정규

모 이상이면 모두 협약대상에 해당하므로 모수의 규모가 매우 큰 경우다.

상황에 따라서는 참여기업/사업장의 수는 20개 이하지만 사실상 대상 기업의 대부분

Page 73: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제3장․ 자발적 협약의 국내 활용현황 ∣ 61

이 참여한 사례도 있다. 예를 들어 ‘항공부문 온실가스 자발적 협약’은 항공업계만 대상이

되므로 협약 체결기관이 7개에 불과하지만 실제로는 국내 모든 항공사가 참여한 것이

다.26) ‘소주업계 360ml병 공용화 자발적 협약’도 협약 체결 대상이 11곳에 불과하지만

이는 국내 소주업계 대부분에 해당한다.27) 또한 금강유역환경청이 2008년 체결한 ‘생

태·경관 보전지역 및 특정도서 보전·관리를 위한 자발적 협약’은 생태·경관 보전지역

(소황사구)와 특정도서(옥도) 주변의 사업장을 대상으로 하며, 삼성전자를 비롯한 삼성

계열사 총 6개의 사업장이 협약에 참여하였다.28)

또한 협약체결의 단위가 기업 또는 사업장이냐에 따라서도 참여기관의 수는 달라진다.

100개 이상의 기관과 협약을 체결한 자발적 협약은 협약체결의 단위가 기업이 아니라

각 사업장이나 매장 등인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1회용 비닐쇼핑백 없는 매장 자발적

협약’은 2010년 대형유통업체 359개 매장, 2011년 기업형 슈퍼마켓 827개와 협약을

맺으며 총 1,186개의 매장과 협약을 맺었다.29) ‘화학물질 배출저감 자발적 협약’은 GS칼

텍스, LG석유화학, 한화석유화학 등 화학 관련 사업장 약 200여개를 대상으로 협약을

체결하였다.30)

26) 국토해양부 보도자료(2012.9.21, “항공온실가스 감축, 정부와 항공사가 같이 노력한다”,

http://www.mltm.go.kr/USR/NEWS/m_71/dtl.jsp?id=95070976 [2012. 10.9]).

27) 환경부 보도자료(2009.6.22, “소주병 공동 사용으로 저탄소 녹색성장에 적극 동참”,

http://www.me.go.kr/web/286/me/common/board/detail.do?boardId=notice_02&decorator=

me&idx=168576 [2012. 10. 9]).

28) 금강유역환경청 보도자료(2009.4.27, “삼성계열 6개 환경친화기업, 자발적 협약”,

http://www.me.go.kr/web/2291/gg/common/board/detail.do?idx=308015&decorator=gg&bo

ardId=gg_bodo&categoryId=CATG1 [2012. 10. 9]).

29) 환경부 보도자료(2012.1.31, “기업형 슈퍼마켓, 2월 1일부터 1회용 비닐쇼핑백 판매 중단”,

http://www.me.go.kr/web/286/me/common/board/detail.do?boardId=notice_02&decorator=

me&idx=180351 [2012. 10. 9]).

30) 환경부 보도자료(2008.11.21, “화학물질 배출저감 자발적 협약 획기적 노력으로 3년간 배출량 65%

저감”,

http://www.me.go.kr/web/286/me/common/board/detail.do?boardId=notice_02&decorator=

me&idx=166358 [2012. 10. 9]).

Page 74: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62 ∣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

3. 소결

1998년 ‘에너지절약 및 온실가스배출 감소를 위한 자발적 협약’이 처음 체결된 이래

우리나라에서 현재까지 체결된 협약 프로그램은 총 31개로 파악되었다. 분야별로 보면

폐기물이 전체의 약 1/3에 해당하는 11건, 대기분야 6건, 기후/에너지, 수질, 화학물질

분야가 각 3건씩, 그 외 5건이 기타분야로 구분되었다. 미국을 비롯한 주요국에서 2000

년대 이후 기후/에너지 분야에서의 자발적 협약의 활용이 두드러지게 나타난 것과 비교

하면31) 우리나라는 기후/에너지 분야의 활용이 그다지 높지 않고, 반면 폐기물 분야에서

의 활용이 특히 높았다. 연도별로는 1998년 첫 도입 이후 현재까지 비교적 꾸준히 새로운

협약 프로그램들이 생겼고, 최근 약 5년간을 보아도 매년 네 개 이상의 새로운 프로그램

이 도입되고 있으며, 협약의 시작시기뿐 아니라 운영기간 전체를 고려하여도 현재까지

자발적 협약의 활용이 계속적으로 늘어나는 경향을 볼 수 있었다. 이 또한 미국을 비롯한

주요 국가에서 2000년대 이후 자발적 협약의 활용이 주춤하는 경향과 대비된다. 주관기

관별로 보면 지식경제부와 국토해양부가 주관한 3건을 제외하면 환경부와 산하기관 혹

은 지자체가 주관하였다. 지자체가 주관하면 대개 중앙부처에서 시작한 프로그램을 이어

받아 지역 단위로 운영하는 형태이며, 총 5개의 프로그램에 지자체가 주관기관으로 포함

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31) 제2장 3. 「해외 동향 및 사례」 참조.

Page 75: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제4장․ 자발적 협약 사례연구 ∣ 63

∣ 제4장·자발적 협약 사례연구∣1. 사례연구의 개요

앞서 제3장에서는 국내 자발적 협약 프로그램들의 활용 현황을 전체적으로 조망하였

다. 본 장에서는 개별 협약 프로그램이 어떻게 설계되고 이행되는지를 살피기 위해 총

다섯 개의 협약 프로그램을 사례를 선정하여 구체적인 내용을 조사하였다(표 4-1 참조).

사례는 비교적 다양한 분야와 유형을 다룰 수 있도록 선정하였다. 분야별로 보면 폐기

물 분야에서 두 건, 대기 분야 한 건, 기후/에너지 분야 한 건, 기타(녹색구매)에서 한

건의 사례를 선정하였다. 사례연구에 포함되지 않은 수질오염과 화학물질 분야는 해당

협약 프로그램의 수가 각각 세 건으로 적고, 수질분야의 경우 대표적인 사례인 ‘김해

대포천 수질개선·유지에 관한 자발적 협약’은 협약 프로그램이 개시된 지(2002) 이미

오래 지나 협약 담당자를 만나거나 관련 자료를 얻기에 어려웠을 뿐 아니라, 이미 기존연

구를 통하여 이해관계자들 사이의 협력체계 구축에 기여한 바가 잘 드러나 있다고 판단하

여 제외하였다.32)

32) ‘김해 대포천 수질개선·유지에 관한 자발적 협약’을 다룬 대표적인 논문은 홍성만, 유재원(2004), “수질

개선을 위한 정부-주민 간 환경협약사례: 대포천의 수질개선·유지를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보」 13(5): 95-119을 들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저자는 지역의 수질개선을 둘러싸고 주민들의 노력과 중앙정부,

지방정부의 지원과 협력으로 자발적 협약이 체결, 유지된 사례로 보았다. 이외 홍성만, 주재복(2003),

“자율규칙형성을 통한 공유재관리: 대포천 수질개선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보」 37(2), 469-494쪽; 김창수(2004), “협력과 강압의 환경정책수단 선택조건: 대포천과 회동수원지 사례의 비교분

석”,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15(3): 71-98; 황덕연, 박재현, 박순애(2007), “수질개선사업에 대한 자율환

경관리와 정부주도 관리 방식의 비용효과분석: 대포천과 양재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보

」 19(4): 241-258에서도 대포천 사례를 주민들의 자발적 노력과 지자체 및 정부의 도움으로 체결한

자발적 협약이 수질개선 및 유지에 효과적이었다고 평가하였다.

Page 76: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64 ∣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

협약명 분야 주관기관 운영기간 참여기관

에너지절약 및

온실가스 배출

감소를 위한

자발적 협약

기후/

에너지지식경제부 1998. 12~

지식경제부, 에너지관리공단,

에너지 다소비 사업장

(2009년 약 1,300개 사업장)

폐트병

재질·구조개선

자발적 협약

폐기물환경부

자원재활용과

2009. 4 ~

2011.7

환경부,(사)한국페트병

자원순환협회, 17개 페트병

생산업체 대표

플라스틱 폐기물

회수·재활용

자발적 협약

폐기물환경부

자원순환정책과2009. 5 ~

환경부, 플라스틱 제조업체 등

777개 사업자

산업계 녹색구매

자발적 협약기타

환경부

녹색기술경제과2005. 9 ~

환경부, 한국환경산업기술원,

산업계 약 150개 기업

공사장 비산먼지

저감 자발적 협약대기

수도권

대기환경청 2012. 1̀ ~

수도권 대기환경청, 수도권 내

10개 대형건설사업장

<표 4-1> 국내 자발적 협약 사례연구 목록

협약 주관기관은 총 다섯 건의 사례 중 네 건이 환경부 및 산하기관 주관이며, 한

건은 지식경제부/에너지관리공단이 주관하였다.

운영을 시작한 지 여러 해 지난 협약 프로그램은 그동안 축적된 성과를 돌아볼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주관부처 담당자가 여러 번 바뀌면서 자료확보가 어렵고 도입

당시의 의도와 배경 등을 파악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선정사례 중 1998년 개시된

‘에너지절약 및 온실가스 배출 감소를 위한 자발적 협약’과 2005년 개시된 ‘산업계 녹색

구매 자발적 협약’은 개시된 지 5년 이상 지난 사례들이며, 그 외에는 비교적 최근에

개시되어 축적된 성과는 적지만 도입 당시의 배경 및 도입목적 파악, 기타자료 확보가

용이할 것으로 기대하였다.

협약의 규모도 ‘에너지절약 및 온실가스 배출 감소를 위한 자발적 협약’과 같이 1,300

여 개 사업장이 참가한 대규모 협약부터 단 10개 사업장이 참여한 ‘공사장 비산먼지

Page 77: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제4장․ 자발적 협약 사례연구 ∣ 65

저감 자발적 협약’과 같은 소규모 협약까지 고르게 다루고자 하였다.

사례로 선정된 각 협약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주관기관 혹은 관련 기관의 담당자 면담

과 협약문서, 보도자료, 기타 문서 등 각종 문헌자료 수집의 방법으로 내용을 조사하였

다. 협약의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의무, 혜택 및 불이행

시 제재조치 설정, 모니터링 체계 및 성과평가 등)와 그 이행, 정보확산 기능을 위한

요소들(워크숍, 정보교류회, 우수사례 공유, 기술지원 등), 정책의 맥락 및 다른 정책수

단과의 관계 등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조사방법은 주관부처 담당자의 의견을 주로 청취하였으므로 협약 프로그램을 도입하

고 운영하는 정부부처 담당자 입장에서의 생생한 의견과 정보를 얻을 수 있었으나, 한편

반대편인 기업 측의 의견 혹은 제3자로부터의 객관적인 평가를 구하지 못하였음은 본

연구의 한계임을 밝힌다.

2. 에너지절약 및 온실가스 배출감소를 위한 자발적 협약

협약명 에너지절약 및 온실가스배출 감소를 위한 자발적 협약

주관부처 지식경제부(舊 산업자원부)/ 에너지관리공단

운영시기 1998. 12 ~

협약 참여주체지식경제부(舊 산업자원부), 에너지관리공단,

에너지 다소비 사업장 약 1,300개

<표 4-2> ‘에너지절약 및 온실가스 배출감소를 위한 자발적 협약’ 개요

가. 협약의 배경 및 추진경과

기후변화에 관한 교토의정서가 1997년 12월 채택되면서 정부는 이로 인한 국내 기업

의 경제적 부담을 최소화하고 에너지절약 기술 확보 및 에너지 고효율 생산 시스템 구축

을 통해 기후변화 협약에 대응하기 위한 목적으로 ‘에너지절약 및 온실가스 배출감소를

Page 78: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66 ∣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

위한 자발적 협약’을 추진하였다. 본 협약 프로그램은 1998년 5월 포스코 외 15개 사업장

과 시범협약을 체결한 이래, 2009년까지 약 1,300여 개 사업장이 참여한 국내 최초,

최장수, 최대 규모의 자발적 협약 프로그램이다. 협약의 추진 경과는 <표 4-4>와 같다.

나. 참여기업의 의무, 혜택 및 제재

‘에너지절약 및 온실가스 배출감소를 위한 자발적 협약’은 연간 에너지 사용량이

2,000toe 이상인 에너지 다소비 사업장을 대상으로 한다. 해당 사업장은 에너지 사용량

에 따라 <표 4-3>처럼 세 그룹으로 구분된다.

그룹구분 집중관리그룹 자율관리그룹 참여지원그룹

사용량기준 20,000 toe 이상 5,000 ~ 20,000 toe 5,000 toe 미만

차별성

원단위 개선 목표 설정

등 난이도 높은 절감활동

유도

자발적 절약의지를 가진

그룹으로 효율적 목표

달성 유도

에너지관리에 대한

기술적 기반이 미약.

자율적 이행을 유도

<표 4-3> 사용량별 관리그룹

1998년 1차 체결 이후 매년 새로운 사업장들이 협약을 체결하여, 자발적 협약 프로그

램에 참여하는 사업장 수는 꾸준히 증가해 왔으며, 2006년 이후로는 증가추세가 둔화되

었다(그림 4-1 참조).

Page 79: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제4장․ 자발적 협약 사례연구 ∣ 67

연도 추진경과

1998

포스코 등 15개 사업장과 최초 시범협약 체결

‘에너지절약 강화대책 추진회의’에 자발적 협약 도입(안) 보고(1998.1)

VA 추진 기본계획 수립보고(1998.2)

에너지절약 및 VA 도입방안 연구계획 제출(1998.3)

네덜란드 NOVEM의 Long Term Agreement 및 영국 환경부의 MACC 자료요청

및 세부 내용 조사

VA 기술지침서 연구개발 1~3차 협의(1998.6)

VA 5개년 추진계획 수립 보고(1998.7)

1999

LG화학 등 52개 사업장과 협약체결

자발적 협약 지침서 발간(1999.1)

자발적 협약 운영규정 제정(산업자원부 공고 제1999-183호, 1999.11)

- 자발적 협약(VA) 업무의 효율적 추진을 위하여 협약운영규정 마련

2000

삼성전자 등 145개 사업장과 협약체결

자문위원회(정부, 학계 및 관계 전문가 12인) 구성 및 개최

1999년 VA 이행실적 우수사업장 최초 포상 실시(2000.10)

VA 추진사업장 외부전문가에 의한 최초 기술지도 실시

자발적 협약 운영규정 개정(산업자원부 공고 제2000-12호, 2000.1)

- 중장기 계획의 효율적 추진을 위한 이행계획 변경서식 신설

- 협약업무의 지자체 활성화를 위한 협약운영 규정마련

2001

S-Oil 등 162개 사업장과 협약체결

자발적 협약 운영규정 개정(산업자원부 공고 제2001-265호, 2001.12)

- 협약기업의 지위승계 조항 신설 및 개별사업장 단위로 협약대상을 구분

- 이행계획서 제출기한을 6개월에서 3개월로 단축

2002 SKC 등 161개 사업장과 협약 체결

2003

현대오일뱅크(주) 등 164개 사업장과 협약체결

자발적 협약 운영규정 개정(산업자원부 공고 제2003-270호, 2003.12)

- 협약기업 대상확대(5,000toe 이상 → 2,000toe 이상) 및 협약관리대상 구분

- 선협약 방식의 협약체결관련 조항 신설

2004 LG필립스 LCD 등 411개 사업장과 협약체결

2005

SK(주) 울산 Complex 등 486개 사업장과 협약체결

자발적 협약 운영규정 개정(산업자원부 공고 제2005-195호, 2005.8)

- 에너지관리 수준을 고려한 평가항목 수정, 재협약사업장 자금지원의 연속성 확보

2006

현대제철(주) 등 237개 사업장과 협약체결

자발적 협약 운영규정 개정(산업자원부 공고 제2006-345호, 2006.12)

- 참여지원그룹 추가에 의한 관리그룹 세분화

- 참여기업의 에너지 사용량 중 연료사용량 하한선(500toe)조항 신설 등

2007 동양제철화학(주) 등 201개 사업장과 협약체결

2008

대한유화공업(주) 등 158개 사업장과 협약체결

자발적 협약 운영규정 개정(지식경제부 공고 제2008-231호, 2008.8)

- 산업과 건물부문의 관리그룹 에너지사용량 기준 차별화

- 관리그룹별 제출서류 개선 및 참여지원그룹의 서류간소화 등

<표 4-4> ‘에너지절약 및 온실가스배출 감소를 위한 자발적 협약’ 추진 경과

Page 80: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68 ∣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

자료: 산업자원부, 에너지관리공단 (2010), 「2010년 에너지절약 및 온실가스배

출 감소를 위한 자발적협약(VA) 가이드 북 - 산업부문」<그림 4-1> 연도별 협약 사업장 현황

본 협약의 참여 사업장은 지역별, 업종별로 다양하다. 지역별, 업종별 분표 현황은

<표 4-5>와 같다.

<표 4-5> 협약기업의 지역별·업종별 분포현황(2009)

자료: 산업자원부, 에너지관리공단(2010), 「2010년 에너지절약 및 온실가스배출 감소를 위한 자발적

협약(VA) 가이드 북 - 산업부문」.

Page 81: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제4장․ 자발적 협약 사례연구 ∣ 69

‘에너지절약 및 온실가스 배출감소를 위한 자발적 협약’에 참여를 원하는 업체는 달성

목표와 계획 등을 설정하여 에너지관리공단에 신청하고, 에너지관리공단 전문위원회가

에너지절약 및 온실가스 감축목표 적정 및 실행가능성 여부, 감축목표 이행을 위한 투자

효율성 적정 여부 등을 검토하여 최종 선정한다.

참여 사업장은 업체별, 업종별 실정에 맞게 자율적으로 달성목표를 설정한다. 협약사

업장의 달성목표는 에너지 효율 개선 또는 CO2 배출감축 목표 중 선택할 수 있으며,

정부는 과거 협약기업의 실적 및 해외 사례를 참조하여 협약기간 5년간 기준연도 대비

5% 이상(매년 1% 이상)의 에너지 이용향상 개선을 권장한다.

본 자발적 협약의 참여 사업장에 대한 혜택으로 시설자금 및 세제지원, 의무진단 주기

연장 및 면제, 친환경기업 평가 시 인센티브, 기술지원, 기업 홍보지원을 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협약사업장은 3년 거치 5년 분할상환의 이자 3%로 사업장당 250억 원 이내

에서 에너지절약에 필요한 설비 및 소프트웨어 지원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자발적 협약

우수사업장으로 선정되면 5년마다 의무적으로 받아야 하는 에너지진단을 1회 면제 또는

연장 받을 수 있고, 에너지전문가의 기술지원을 받을 수 있다. 에너지의무진단 면제에

따른 기업의 경제적 이익은 적지 않은 편이어서, 의무진단을 1회 면제받은 사업장은

수천만 원에서 수억 원에 이르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고 한다.

1998년부터 1999년까지의 연도별 인센티브 지원 실적은 <표 4-6>과 같다.

<표 4-6> 연도별 인센티브 지원 실적

자료: 산업자원부, 에너지관리공단(2010), 「2010년 에너지절약 및 온실가스배출 감소를 위한 자발적

협약(VA) 가이드 북 - 산업부문」.

Page 82: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70 ∣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

연도 사업장 개선건수절감량

(천toe)

절감액

(억원)

투자비

(억원)

회수기간

(년)

CO2저감

(천tC)

98~99 46 798 775 1,418 2,692 1.9 569

2000 210 2,353 1,636 4,074 3,638 0.8 1,328

2001 372 3,322 1,556 4,168 4,542 1.1 1,397

2002 532 3,583 1,888 5,087 6,723 1.3 1,504

2003 676 3,465 1,807 4,681 6,539 1.4 1,362

자료: 산업자원부 보도자료(2005. 5. 7),“에너지절약 자발적협약(VA) 체결”.

<표 4-7> 1998~2003년 자발적 협약 실적

협약 불이행 시에는 협약취소 및 지원제한 등의 제재조치가 규정되어 있다. 협약기

업의 이행계획서 및 이행실적보고서가 현저히 부실하고 협약기업의 협약이행의지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한하여 이행권고, 협약취소 및 협약에 관련된 각종 지원 등

제한조치를 취할 수 있으며, 협약취소 기업은 후년까지 협약 참여를 제한받는다. 실제

로는 대부분 참여사업장의 이행실적이 양호하고 자발적 협약 프로그램의 특성상 주관

기관과 참여기업 간의 우호적인 분위기가 형성되어 이와 같은 제재조치가 실제로 발동

되는 사례는 거의 없었던 것으로 파악된다.

다. 협약의 모니터링 체계 및 성과평가

‘에너지절약 및 온실가스배출 감소를 위한 자발적 협약’은 업체가 매년 제출하는

이행실적보고서를 통해 실적을 모니터링 및 평가하고, 이에 따른 인센티브를 부여한

다. 이행실적보고서는 실적연도의 에너지절약 및 온실가스 감축사항이 포함되어 있

고, 세부적으로는 실적연도의 에너지사용 현황, 제품생산별 원단위 현황 및 프로젝트

단위 세부 개선추진활동을 보고하여야 한다.

1999년부터 2003년까지 자발적 협약 이행실적은 <표 4-7>과 같다.

Page 83: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제4장․ 자발적 협약 사례연구 ∣ 71

라. 협약당사자들의 역할분담

‘에너지절약 및 온실가스배출 감소를 위한 자발적 협약’을 체결하는 협약 당사자는

지식경제부(舊 산업자원부), 에너지관리공단, 그리고 협약 체결 기업들이다. 원활한 협

약 이행을 위해 정부는 시설자금 및 세제 지원, 시책제도 개선을 담당하고, 에너지관리공

단은 협약 실무를 담당한다. 각 협약당사자의 구체적인 역할 및 관계는 <표 4-8>과

같다.

주관기관

(지식경제부)참여기업

전담기관

(에너지관리공단)

시설자금 및 세제지원

- 협약 기업의 절약투자 촉진을

위한 에너지절약 시설자금

의 융자지원

- 에너지절약 시설투자금액의

20%를 법인세에서 감면

시책 제도 개선

- 자발적 협약 사업장의 에너지

절약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각종 제도 마련 및 자발적 협

약 사업 운영의 효율 향상을

위해 제도 개선

에너지절약 및 온실가스 감

축 노력 강화

- 에너지절약 및 온실가스 배출

감축 목표 설정

- 실행계획을 수립하여 추진일

정 및 방법을 정부에 보고

- 기업은 계획이행을 위한 자발

적 에너지절약 노력을 실천

최고 경영층의 에너지절약

에 대한 인식 제고

제도의 전담운영 및 이행계

획 수립에 대한 지도와 평가

에너지효율향상 및 온실가

스 감축 관련 신기술 개발,

보급

자발적 협약에 대한 대외 홍

보 및 설명회, 실무자 연수

등 실시

운영성과의 분석 및 시책 제

도개선을 위한 제언

<표 4-8> 협약당사자의 역할

마. 정보의 생산 및 확산 메커니즘

본 협약의 주관기관인 지식경제부와 에너지관리공단은 참여 사업자 간의 정보 확산을

위하여 매년 이행실적 우수사업장 포상 및 실무자 연수를 실시하였다. 본 행사에서는

우수사례를 공유 및 포상하고, 정책세미나, 기술세미나, 제도개선 의견수렴을 위한 토론

회, 신재생에너지시설 견학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행사를 통하여 기업 담당자들과 주관

부처 관계자, 기타 전문가들이 모여 정보를 공유하며, 기업 담당자들 간의 교류로 기업들

이 경험을 통해 축적한 정보들이 확산되고 에너지절약과 온실가스 감축에 대한 인지도를

제고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

Page 84: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72 ∣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

또한, 본 협약에 참여하여 에너지절약 계획을 세우고 이행하는 경험 자체가 기업 내에

서 에너지절약에 대한 인식을 향상시키고 역량을 축적하는 역할을 하였던 것으로 보인

다. 기업조직은 이윤극대화와 비용절감을 추구하며, 에너지절감을 통해 얻을 수 있는

비용절감과 이윤창출은 다른 대안에 비해 크지 않은 경우가 많아, 에너지절약은 기업

내 우선순위에서 밀려 잘 추진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본 협약 프로그램을 통해 기업들이

에너지절약 목표를 설정하고 이행계획을 수립, 실천하고 수행실적을 자체 점검하는 기회

를 가지게 되었으며, 이러한 활동을 통해 에너지절약 및 온실가스감축 활동에 대한 기업

내 인지도 향상과 학습효과가 이루어졌을 것으로 기대된다. 예를 들어 에너지절약 목표

와 설정과 이행계획 수립을 위해서는 기업 내 내부결재가 이루어져야 하고, 이를 통해

평소 에너지절약 및 온실가스 저감에 대해 인지도가 낮았던 임원진들도 이러한 활동에

자주 노출이 됨으로써 인지도 제고의 효과를 기대할 수도 있다.

사. 정책의 맥락 및 후속 정책과의 관계

본 협약 프로그램은 산업계에 대한 강력한 온실가스/에너지 규제가 도입되기 어려웠던

시점에서 정책의 공백을 메우는 의도로 도입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협약 프로그램이

도입된 1998년 당시 교토의정서 채택 등 국제적으로는 기후변화 대응이 중요한 이슈로

떠올랐으나 국내적으로는 아직 온실가스 감축에 대한 강력한 규제를 도입할 만큼의 분위

기가 형성되지 않았다고 볼 수 있다. 에너지절약에 관해서도 본 협약 프로그램의 도입

이전에는 산업부문에 대해 에너지절약을 권고하는 교육프로그램 외에 실질적인 규제는

존재하지 않았다. 당시에도 에너지사용 기기에 대해서는 에너지효율 기준을 이용한 규제

가 존재하였으나, 산업부문에 대해서는 분야별로 천차만별인 공정을 고려하여 규제를

설계하기 어려운 점 등이 있어 에너지에 대한 산업부문의 규제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또한 에너지절약을 강제하다 보면 생산량을 줄이는 것 외에 뚜렷한 대안이 없는 경우가

생겨 산업을 위축시킬 우려가 있다는 점도 산업부문에 관한 에너지규제를 도입하기 어려

웠던 원인 중 하나일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자발적 협약이라는 대안적 수단을 활용함

Page 85: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제4장․ 자발적 협약 사례연구 ∣ 73

으로써, 직접규제라는 강제적 수단에 비해 환경개선효과의 확실성은 떨어질지라도 산업

계의 반발을 피해 약한 효과라도 거둘 것을 기대할 수 있었을 것이다.

한편, 본 자발적 협약 프로그램을 방패삼아 더욱 강력한 온실가스/에너지 규제를 막고

자 하는 산업계의 의도가 반영된 일종의 규제선점(regulatory preemption)이라고 보는

시선도 존재한다. 1998년 당시 기후변화에 대한 국제사회의 움직임이 활발해지는 상황

에서 국내에 산업계 온실가스 감축에 대한 정책이 전무하다는 비판 여론과 이에 따른

본격적인 규제도입을 막기 위해 자발적 협약이라는 약한 정책수단의 도입에 산업계가

적극 협조한 결과라는 것이다. 그러나 본 협약이 규제선점의 결과라 하더라도, 이를

더욱 강력한 정책수단의 도입을 막기 위한 방패로 계속 사용하기 위해서는 협약이 어느

정도의 성과를 보여야 하고, 이것이 산업계가 협약 프로그램에 실제로 협조하여 자발적

감축을 이루도록 하는 인센티브가 될 수 있다는 점에도 주목하여야 할 것이다.33)

현재 ‘에너지절약 및 온실가스 배출감소를 위한 자발적 협약’은 2011년부터 본격적으

로 도입되기 시작한 ‘온실가스 목표관리제’로 대체되고 있다. ‘온실가스 목표관리제’는

온실가스 배출량 및 화석에너지 사용량을 정부가 기업과 상호 협의하여 결정하고, 이행

계획과 관리체계 등을 구축하여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이행하는 제도이며, 산업계 및

발전 부문뿐 아니라 건물·교통, 폐기물, 농업·축산 분야까지 포함한다. ‘온실가스 목

표관리제’의 대상업체는 3년간 평균 온실가스 배출량 및 에너지 사용량이 「저탄소 녹색

성장 기본법」상 일정기준 이상인 업체 및 사업장이며, 현재는 연간 50,000 toe 이상

에너지를 사용하는 에너지 다소비 사업장을 대상으로 한다.

‘온실가스 목표관리제’의 도입에 따라 ‘에너지절약 및 온실가스 배출감소를 위한 자발

적 협약’은 2010년 이래 사실상 종료 상태이다. ‘온실가스 목표관리제’는 감축목표를

기업측이 자발적으로 설정하던 자발적 협약 프로그램과 달리 정부와 업체가 협의하여

감축목표를 설정하고, 실적의 검증절차를 강화하며, 구체적인 인센티브와 개선명령,

과태료 등의 페널티를 통해 이행을 유도하는 것이다. 2012년 현재 ‘에너지절약 및 온실가

스배출 감소를 위한 자발적 협약’는 연간 에너지사용량 2,000 toe 상의 사업장을 대상으

33) Maxwell, Lyon, & Hackett(2000) 참조.

Page 86: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74 ∣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

로 하고, 「온실가스 목표관리제」는 50,000 toe 이상 사업장을 대상으로 하므로 기존

자발적 협약 대상 사업장이 모두 현행 목표관리제의 적용을 받는 것은 아니지만, 정부는

2014년 목표관리제 대상 사업장 기준을 하향 조정하며 대상 기업을 확장할 계획이다.

아. 요약 및 소결

본 협약 프로그램은 1998년 체결되어 2010년까지 운영된 국내 최초, 최장수의 자발적

협약 프로그램이며, 또한 총 1,300여개의 사업장이 참가한, 사업장 수 기준으로도 국내

최대 규모의 협약 프로그램이다. 현재는 감축목표 설정, 실적의 검증, 인센티브와 페널티

등이 좀 더 강화된 제도인 온실가스 목표관리제로 대체되면서 사실상 종료된 상태이다.

연간 에너지소비량 2,000toe 이상의 에너지다소비 사업장을 협약 대상으로 하였으며,

협약에 참여한 사업장은 에너지절약 혹은 온실가스 감축 목표 및 이행계획을 작성하고

실천하게 된다. 에너지절약 목표는 기준연도 대비 5% 이상(매년 1% 이상)으로 설정할

것을 권고하지만, 개별 사업장의 특성에 따라 유연하게 설정할 수 있다. 각 사업장의

이행 여부는 매년 사업장이 작성·보고하는 이행실적을 바탕으로 모니터링된다. 참여사

업장은 에너지진단 의무의 경감, 시설자금 및 세제 지원, 기술지원, 홍보지원 등의 인센

티브를 제공받는다.

이처럼 본 협약 프로그램은 구체적이고 정량적인 사업장별 환경개선목표 설정(권고),

모니터링 체계, 인센티브 제공, 불이행 시의 제재조치 등의 요소를 제도상 갖추고 있는

한편, 실제 이러한 요소들이 얼마나 철저히 이행되어 기업의 환경개선 행위를 유도하는

메커니즘으로 작용했는지는 알기 어렵다. 협약 프로그램으로 인한 환경적 효과성에 대한

평가 또한 통상업무(business-as-usual) 수준 등을 고려하여 엄정하게 이루어질 필요

가 있다.

본 협약 프로그램에 관해 자발적 협약이라는 정책수단의 역할에 대해서는 강력한 규제

를 도입하기 어려운 당시 상황에서 정책의 공백을 메우는 역할, 그리고 협약의 운영을

통해 에너지절약에 대한 기업 내 인식을 향상시키는 역할로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Page 87: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제4장․ 자발적 협약 사례연구 ∣ 75

산업계 온실가스 규제에 대한 분위기가 무르익지 않았던 1998년 당시 본 자발적 협약

프로그램을 통해 어느 정도의 성과를 이루어낼 수 있었다.

‘에너지절약 및 온실가스 배출감소를 위한 자발적 협약’이 시작된 1998년도에는 국제

적으로는 교토의정서 채택 등 기후변화에 관해 활발한 움직임이 있었지만, 국내 기업들

은 온실가스나 에너지절약 문제에 대한 심각성을 아직 본격적으로 인식하지 못한 시점이

었다. 본 협약 프로그램이 시행되어 참가하는 사업자가 늘면서, 기업 내부적으로도 에너

지 절약에 대한 인식을 환기시키고, 산업 전반적으로도 에너지 절약 및 온실가스 감축에

대해 인식을 제고하는 계기가 되었다. 협약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수행된 기업 담당자

대상의 워크숍, 우수사례 선정 등을 통해서 기업 환경/에너지 담당자들 간의 정보교류도

이루어질 수 있었다.

3. 페트병 재질·구조개선 자발적 협약

협약명 페트병 재질·구조개선 자발적 협약

주관부처 환경부 자원순환국 자원재활용과

운영시기 2009. 4 ~ 2011. 7

협약 참여주체 환경부, (사)한국페트병자원순환협회, 17개 페트병 생산업체 대표

<표 4-9> ‘페트병 재질·구조개선 자발적 협약’ 개요

가. 협약의 배경 및 목적

페트병은 가볍고, 투명하고, 내구성이 강하고, 보존력이 우수하고, 안전하다는 특성

때문에, 음료를 비롯한 식품 보존용기로 널리 사용된다. 2010년 기준 국내에서 약 160톤

의 페트병이 생산되었으며, 이 중 84.9%가 음료, 생수, 주류용기로 사용되었다. 페트병

사용량 증가와 함께 재활용량도 증가하여 2010년 기준 생산량의 약 85.7%의 페트병이

Page 88: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76 ∣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

재활용되었다(그림 4-2 참조).34)

자료: 한국페트병자원순환협회 홈페이지(http://www.petrecycle.or.kr).

<그림 4-2> 국내 페트병 재활용 추이

페트병의 재활용량은 증가하고 있지만, 페트병 생산단계에서 재활용이 충분히 고려되

지 않은 제품들이 대부분이어서 재활용 비용이 비싸고 재활용제품의 품질도 낮다는 점이

문제로 인식되었다. 재활용 체계에 따라 페트병은 무색단일재질, 유색단일재질, 복합재

질의 세 가지로 구분하며(표 4-10 참조), 재활용 방법은 주로 수거한 페트병을 이용하여

1차로 플라스틱 플레이크를 생산한 후 이를 이용하여 2차로 부직포, 쿠션 내장재, 건축

단열재, 건축 미관재, 공업용 벤딩 등을 생산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생산자 및 사업

자가 재활용에 대한 충분한 고려 없이 소비자의 기호 및 기업의 마케팅 전략에 따라

다양한 재질 및 구조의 페트병을 생산함으로써 재활용 품질의 저하와 재활용 비용의

증가가 일어났으며, 또한 종이라벨, 직접인쇄, 금속마개, 비수용성스티커라벨 등의 등장

34) 페트병 용도별 생산비율 및 재활용 현황은 (사)한국페트병자원순환협회 홈페이지 통계자료를 활용.

Page 89: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제4장․ 자발적 협약 사례연구 ∣ 77

도 공정효율성을 떨어뜨리고 재활용제품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원인으로 지적되었다(표

4-11 참조).

종류 특징 점유율

무색단일재질 화학성분이 PET 재질로 동일하고, 무색 투명한 페트병 64%

유색단일재질화학적 성분이 PET 재질로 동일하지만 무색 투명하지 않은

페트병(녹색, 파란색 등)26%

복합재질

합성수지 재질을 두 개 이상 복합하여 사용하거나, 합성수지와

여타의 재질을 접합, 코팅 등의 방법으로 복합적으로 사용한

재질 중 PET 재질 이외의 재질이 2% 이상 함유된 페트병

10%

자료: 한국페트병자원순환협회(2012.8.31), “자원순환 촉진을 위한 페트병포장 재질·구조개

선 자발적협약”.

<표 4-10> 재활용 체계에 따른 페트병 분류

종류 특징

종이라벨수중에서 벌크화되어 세척 및 헹굼조에서 배수구망을 막음

공정설비의 연속 가동시간을 단축

직접인쇄인쇄인크로 인해 재생원료의 품질 저하

무색단일재질이지만 저급재생원료로 선별처리

금속마개분쇄기 투입 및 비중치에 의한 분리가 불가능

분쇄기 투입 전 일일이 수작업으로 제거. 공정효율 극히 저하

비수용성

스티커라벨비수용성접착제를 라벨 전체에 사용하여 풍력 및 비중에 의한 제거 불가능

자료: 한국페트병자원순환협회(2012.8.31), “자원순환 촉진을 위한 페트병포장 재질·구조개

선 자발적협약”.

<표 4-11> 라벨, 마개 다양화의 문제점

이에 환경부는 페트병 재활용 촉진 및 재활용품의 고부가가치 창출을 목적으로 제품의

제조단계부터 재질·구조개선을 위한 업계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페트병

재질·구조개선 자발적 협약’을 추진·체결하였다. 구체적인 추진 경과는 <표 4-12>와

Page 90: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78 ∣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

음료업계(6개)롯데칠성음료(주), 코카콜라음료(주), 웅진식품(주), 동아오츠카(주),

서울우유협동조합, 매일유업(주)

주류업계(11개)

하이트맥주(주), 오비맥주(주), ㈜진로, 보해양조(주), ㈜금복주,

롯데주류BG, ㈜국순당엘엔비, 대선주조(주), ㈜선양, 하이트주조(주),

㈜충북소주

<표 4-13> ‘페트병 재질·구조개선 자발적 협약’ 참여업체

같다.

기간 추진경과

2008. 6. 1 ~ 9. 1 가이드라인(안) 마련을 위한 연구용역 실시

2008. 12. 22 ~

12. 26이해관계자 및 전문가 의견수렴

2008. 12. 29 가이드라인(안) 최종 확정

2009. 2. 27 자발적 협약 체결을 위한 관련 업체 설명회 개최

2009. 3. 13 ~ 3. 25 자발적 협약 참여 여부에 대한 업계의견 수렴

2009. 4. 6 페트병 재질, 구조개선 자발적 협약 체결

2010. 7. 1 재질/색상 개선 완료

2011. 7. 1 라벨, 마개/기타 부착물 개선 완료

<표 4-12> ‘페트병 재질·구조개선 자발적 협약’ 추진 경과

나. 참여기업의 의무, 혜택 및 제재

‘페트병 재질·구조개선 자발적 협약’의 참여 대상기업은 색상·재질 분야는 연간

출고량이 500톤 이상, 라벨·마개 분야는 연간 출고량이 100톤 이상인 업체로 국내

페트병 생산업체 중 총 18개 업체가 이에 해당되었으며, 이 중 ㈜무학을 제외한 17개

업체가 본 자발적 협약에 참여하였다(표 4-13 참조).

‘페트병 재질·구조개선 자발적 협약’에 참여한 업체들은 협약과 함께 마련된 ‘페트병

Page 91: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제4장․ 자발적 협약 사례연구 ∣ 79

재질·구조개선 가이드라인’(표 4-14 참조)에 따라 생산하는 페트병의 재질·색상과

라벨·마개·기타 부착물을 재활용에 적합하도록 개선할 의무를 가진다. ‘페트병 재

질·구조개선 가이드라인’은 환경부의 주관으로(사)한국페트병자원순환협회35)에 의해

마련되었으며, 재질·색상 부문의 개선은 2010년 7월 1일까지, 라벨·마개·기타 부착

물의 개선은 2011년 7월까지 이룰 것을 목표로 하였다.

항목 세부내역 시행시기

재질 / 색상 단일 재질무색, 스카이블루, 그린 이외의

색상 생산중단2010. 7. 1

라벨 복합 재질 갈색 이외의 색상 생산 중단

2011. 7. 1 마개 / 기타 부착물

금속, 마개와 분리되는 실리콘, 고무, 비중 1

이상의 플라스틱 마개 사용 중단

주: 무색복합재질 및 비수용성스티커라벨은 재활용성 등을 2009년 6월 30일까지 추가 검토하여

기준설정 후 적용 여부 판단.

<표 4-14> 페트병 재질·구조개선 가이드라인

본 협약에의 참여 혹은 의무사항 이행에 대해 프로그램을 통해 주어지는 직접 혜택이

나 협약 의무사항의 불이행에 따른 공식적인 제재조치는 분명치 않다. 즉 협약이 의도한

페트병 제조공정 개선의 이행을 담보하는 직접적인 메커니즘은 협약 프로그램 내에 설계

되어 있지 않다.

다만 협약을 이행함으로써 재활용에 더욱 적합한 페트병을 생산하게 되므로 재활용률

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EPR36)제도에 의해 현재 업체들이 부담하는 재활용 부과금이

경감되는 간접 이득을 기대할 수 있다는 점이 있다. 또한 향후 ‘페트병 재질·구조개선

가이드라인’의 내용이 법제화될 전망에 따라, 이에 대응하기 위한 해당 업체의 역량을

35) (사)한국페트병자원순환협회는 자원의 절약과 환경보전을 목적으로 2002년 4월 설립된 단체로 페트병

재활용의무생산자, 재활용사업자, 성형사업자로 구성된다. 2002년 5월 환경부와 협약을 체결하여 페트병

과 관련된 생산자의 재활용사업공제의무를 위임받아 공제사업과 함께 재활용 관련 연구 및 기술개발,

대국민홍보사업 등을 수행하고 있다.

36) EPR(Extended Producer Responsibility):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

Page 92: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80 ∣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

사전에 구축할 수 있는 점, 법제화 이전에 자발적 협약에의 참여를 통해 제도의 도입단계

에서 업계의 입장을 피력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는 점 등이 있다. 실제로 협약

운영자들은 협약이 업체들의 애로사항 등 의견을 청취하고 업계 분위기를 파악하며 업계

로부터 자료를 제공받는 등 본격적인 정책마련을 위한 준비역할을 했다고 한다.

다. 협약의 모니터링 체계 및 성과평가

‘페트병 재질·구조개선 자발적 협약’의 이행에 대한 모니터링은 (사)한국페트병자원

순환협회가 담당하였다. 협약의 이행은 ‘페트병 재질·구조개선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

조공정을 변경하여 재활용에 적합하도록 개선된 페트병을 제조하는 것을 의미하며, 출시

되는 페트병을 보면 쉽게 이행 여부를 판단할 수 있어 모니터링상의 불확실성은 적은

편이다. 협약의 체결 시 참여업체는 제품명, 개선부문 등을 명시한 이행계획을 협회에

제출하며, 협회는 협약 이행기간에 수시로 업체와 연락하여 이행 진행상황을 확인하고,

협약 종료 후 협약결과보고서와 함께 가이드라인을 준수하여 생산된 페트병 제품을 협회

에 제출함으로써 이행에 대한 모니터링이 이루어졌다. 그 결과 협약을 체결한 총 17개

업체 중 11개 업체의 페트병 재질·구조개선이 완료되었음이 확인되었다.

라. 협약 당사자들의 역할분담

‘페트병 재질·구조개선 자발적 협약’에는 음료 및 주류업계 17개 업체와 환경부 및

(사)한국페트병자원순환협회가 참여하였다. 환경부는 협약을 총괄하고, 특히 협약체결

사업자와 비대상사업자와 형평성을 고려하여 출고실적을 지속적으로 확인하여 협약대상

을 확대해 나가는 역할을 하며, (사)한국페트병자원순환협회는 협약 이행과 모니터링의

실무를 담당하고, 특히 기존 제품 재활용이 용이하도록 기술개발에 노력하고 새로 출시

되는 제품의 재질·구조와 재활용 용이성을 계속 모니터링하여 필요 시 개선안을 제시하

는 역할을 하였다(그림 4-3 참조).

Page 93: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제4장․ 자발적 협약 사례연구 ∣ 81

<그림 4-3> 협약 당사자의 역할

마. 정보의 생산 및 확산 메커니즘

본 협약 프로그램과 관계된 정보 생산·확산 메커니즘은 ‘페트병 재질·구조개선 가이

드라인’을 통해 설명할 수 있다. 이 가이드라인은 환경부가 본 협약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사)한국페트병자원순환협회를 통해 마련하였다. 이 가이드라인은 페트병의 재질, 색상,

구조 등을 어떻게 변경하면 재활용에 보다 적합한 페트병을 생산할 수 있는지에 관한

정보를 담고 있으며, 해당 업체들은 본 협약 프로그램을 통해 이 가이드라인을 접하고

이에 따를 것이 유도되었다. 즉, 이 가이드라인은 정부가 환경개선기술에 대한 정보를

연구개발하여 협약 프로그램을 통해 확산시킨 사례로 볼 수 있다.

바. 정책의 맥락 및 후속 정책과의 관계

본 협약 프로그램의 도입 당시는 페트병 재질·구조상의 문제 때문에 재활용의 어려움

이 처음으로 널리 인지되기 시작한 시점이었다. 이에 대한 정책적 대응의 필요성이 제기

되면서 본격적인 제도화 이전 단계에서 시범사업 성격으로 본 협약 프로그램이 도입·운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실제로 본 협약 프로그램은 약 2년간 운영 후 사실상 종료단계에

Page 94: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82 ∣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

이르렀으며, 후속정책으로 ‘포장재 재질·구조 사전평가제도’가 2012년 현재 시범사업

형태로 운영되고, 향후 더욱 본격적인 형태로 법제화될 것으로 보인다.

본격적인 정책 이전의 시범사업으로 본다면, 본 협약 프로그램은 그 역할을 충실히

하였다. 협약 프로그램을 통해 해당업체들의 개선사항이 ‘페트병 재질·구조개선 가이드

라인’이라는 형식으로 마련되어 업계에 확산되었고, 많은 업체들이 이 가이드라인을

준수하여 페트병 제조공정을 개선함으로써 제도순응을 위한 업계의 역량이 구축되는

효과가 있었고, 협약 프로그램의 운영을 통해 정부의 정책의도와 업계의 의견이 교환되

는 기회를 가질 수 있었다.

본 협약 프로그램의 후속정책인 ‘포장재 재질·구조 사전평가제도’는 재활용을 고려한

포장재의 재질·구조 기준을 마련하고, 이를 준수하면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제도다.

환경부는 2013년 ‘포장재 재질·구조 사전평가제도’를 본격적으로 시행하기에 앞서,

‘페트병 재질·구조개선 자발적 협약’으로 사전평가제 도입 여건이 성숙했다고 판단된

페트병분야를 대상으로 2012년 현재 시범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2012년 시범사업으로 실시되는 페트병에 관한 ‘포장재 재질·구조 사전평가제도’는

<그림 4-4>와 같은 단계로 진행된다.

평가 결과에 따라 적합판정을 받은 제품은 ‘자원 순환형 포장 인증제품’으로 홍보하며

생산자책임재활용(EPR) 제도에 따라 제조업체가 부담하는 재활용 부과금을 최대 20%

까지 경감해주고, 장기적으로는 법적 근거 마련 후 재활용 의무율을 인하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부적합 판정을 받은 제품은 개선을 권고받아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실시

한다.

Page 95: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제4장․ 자발적 협약 사례연구 ∣ 83

<그림 4-4> ‘포장재 재질·구조 사전평가제도’ 절차

사. 요약 및 소결

본 협약 프로그램은 음료 및 주류 업계의 일정 규모 이상의 페트병 생산업체들을

대상으로 재활용이 용이한 재질 및 구조를 가진 페트병을 생산하도록(‘페트병 재질·구조개선 가이드라인’ 준수) 유도하는 것이 목적이다. 협약에는 주관부처인 환경부와 페트

병 생산업체 외에(사)한국페트병자원순환협회가 포함되었다. 이후 2011년 ‘포장재 재질

구조 사전평가제도’의 도입이 결정되고 2012년 페트병에 대한 시범사업이 실시되면서

본 협약은 사실상 종료단계라고 볼 수 있다.

본 협약의 이행 여부는 가이드라인을 준수한 페트병의 출고 여부로 판단할 수 있어

모니터링상의 불확실성은 적은 편이다. 실제 모니터링은 (사)한국페트병자원순환협회가

진행하며, 협약체결 시의 이행계획, 협약 종료시 결과보고서 등을 제출함으로써 이루어

진다.

그러나 협약 참여 및 이행에 대한 직접적인 혜택이나 불이행에 대한 제재가 명확히

주어지지 않아, 이행을 유도하는 메커니즘은 약하고 볼 수 있다. 이행에 대한 간접 혜택으

로 재활용률 증가에 따라 EPR에 의한 재활용분담금이 내려가는 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점이 지적될 뿐이다. 그럼에도 업체들이 협약에 참여하고 의무사항을 이행하는 이유는

Page 96: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84 ∣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

본 협약이 향후 정책에 대한 시범사업 성격으로 실시되어 향후 정책에 대비하기 위해

참여하는 의미가 있었으며, 향후 정책형성과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업계의 의견을

피력해 두는 등의 의도도 있었을 것이라 생각한다. 실제로 협약을 통해 업체들의 애로사

항 등 의견을 청취하고 업계 분위기를 파악하며 업계의 자료협조 등 본격적인 정책마련을

위한 준비가 이루어졌다고 한다.

한편, 본 협약 프로그램과 함께 마련된 ‘페트병 재질·구조개선 가이드라인’을 통해

페트병의 재활용 향상을 위한 환경개선기술 정보가 생산되고 협약 프로그램을 통해 업계

에 확산된 것으로 볼 수 있다.

4. 플라스틱 폐기물 회수·재활용 자발적 협약

협약명 플라스틱 폐기물 회수·재활용 자발적 협약

주관부처 환경부 자원순환국 자원순환정책과

운영시기 2009. 5 ~

협약 참여주체환경부, 한국환경공단,

플라스틱 18개 품목 제조·수입업체 등 777개 사업자(재활용업체 포함)

<표 4-15> ‘플라스틱 폐기물 회수·재활용 자발적 협약’ 개요

가. 협약 배경 및 추진경과

‘플라스틱 회수·재활용 자발적 협약’은 폐플라스틱의 재활용을 활성화하려는 목적으

로 도입되었다. 예전에는 플라스틱을 재활용이 어려운 품목으로 분류하여 재활용보다는

사용억제를 정책목표로 두었으나(폐기물부담금제도), 재활용기술이 발달하면서 플라스

틱 재활용이 가능해지자 재활용 촉진을 유도할 필요가 생겼고, 이에 따라 업체가 생산한

플라스틱에 대해 스스로 회수·재활용체계를 갖추고 일정 수준 이상의 재활용을 이행하

Page 97: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제4장․ 자발적 협약 사례연구 ∣ 85

도록 유도하는 ‘플라스틱 회수·재활용 자발적 협약’을 도입하였다. 본 자발적 협약의

추진경과는 <표 4-16>과 같다.

기간 추진경과

2007. 4 ~ 10 폐기물 회수·재활용 자발적 협약 관리운영방안 연구사업

2007.11 자발적 협약 공모 및 서류접수, 설명회 개최

2008. 1 ~ 12 전선 등 8개 품목 자발적 협약 참여

2009. 1 ~ 12 비료포장재 등 11개 품목 자발적 협약 참여

2010. 1 ~ 12 자동차 A/S용 범퍼 등 18개 품목 자발적 협약 참여

2011. 1윤활유 포장용기, 수산물 양식용 부자(2개 품목)

생산자책임재활용(EPR)제도 전환

2011. 1 ~ 12 산업용 PE필름 등 18개 품목 자발적 협약 참여

2012. 1 콘크리트 거푸집용 합성수지판 등 22개 품목 자발적 협약 참여

자료: 환경부(2012b), 「(저탄소 녹색성장에 기여하는) 플라스틱 회수 ·재활용 자발적 협약」.

<표 4-16> ‘플라스틱 회수·재활용 자발적 협약’ 추진 경과

나. 참여기업의 의무, 혜택 및 제재

‘플라스틱 회수·재활용 자발적 협약’의 대상기업들은 기존 폐기물부과금제도의 대상

이 되는 플라스틱 제품의 제조·수입업체들이다. 구체적으로는 「자원의 절약과 재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10조 제1항 제6호 규정에 따른 플라스틱 제품 및 그 포장재

의 제조업자 또는 수입업자(사업자단체 등을 포함)로 규정된다. ‘플라스틱 회수·재활용

자발적 협약’대상 품목과 품목별 재활용 방법은 <표 4-17>과 같다.

Page 98: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86 ∣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

품목 폐기물 발생처(회수방법) 재활용 방법

프로파일,

바닥재

건설업체, 인테리어업체가 재건축이나 내부 리모델링 작

업을 통해 발새오디는 제품을 회수하여 유/무상으로 업체

에 공급

분쇄하여 분말생산

PE관건설토목업체를 통해 회수하거나 고물상에서 생활계 재활

용품과 혼합 회수되어 재활용업체에 공급분쇄·압출 후 펠릿생산

PE 영농필름 공단 또는 민간수집상이 수거한 제품을 업체에 공급 분쇄·압출 후 펠릿생산

팔레트

·컨테이너대형유통업체나 고물상에서 회수하여 재활용업체 공급 분쇄·압출 후 펠릿생산

전력

및 통신선

전선제품 대규모 수요처인 한전, 한국통신 등에서 회수하

여 재활용업체에 공급선별·분쇄 후 펠릿생산

건설용 발포

폴리스티렌

토목구조물, 건물 건축 및 철거 시, 아파트 등의 내부

수리 시 발생하는 제품을 회수하여 재활용업체에 공급

파쇄과정을 거쳐

재생비드, 재생 잉곳 및

펠릿생산

PVC관건물 건축 및 철거 시 또는 아파트 등의 내부 수리 시

발생하는 PVC관을 회수하여 재활용업체에 공급파쇄하여 분말 생산

로프·망 국토해양부, 수협, 지자체가 주관하여 해양쓰레기인 폐로

프, 폐어망을 수거하여 재활용업체에 공급파쇄하여 펠릿생산

김발장 삼진네이처 외 1개 업체가 직접 회수 및 재활용(펠릿생산)

비료포장재마을 공동집하장에 배출된 비료포대를 지역별 수거·운반사업자가 회수 후 재활용업체에 공급

파쇄하여 펠릿생산

곤포사일리지지역별 수거·운반사업자를 지정 및 시·군별 축산농가

연락처를 확보하여 회수 후 재활용업체에 공급파쇄하여 펠릿생산

청소기신제품 판매 시 역회수, 지자체를 통한 회수, 민간 재활용

업체를 통한 자체회수

해체, 압축, 파쇄, 선별

후 재활용 원료를 생산

정수기,

청정기, 비데,

필터, 연수기,

음식물처리기

웅진코웨이(주)등 협약 참여 제조사가 주관하여 수거 후

재활용사업자에 공급파쇄하여 펠릿생산

자동차 A/S용

범퍼·몰딩

자동차 정비업체, A/S 센터에서 회수하여 재활용업체에

공급

분쇄, 세척, 압출하여

펠릿생산

산업용

PE필름

대형물류센터, 유통업체에서 회수하여 재활용업체에 공

선별, 용융, 압출하여

펠릿생산

콘크리트

거푸집용

합성수지판

가설업체 및 철근콘크리트 업체가 폐제품을 적재 보관하

면 재활용 사업자가 무상 회수

선별, 용융, 압출하여

재활용 제품을 생산

생활용품

협약 참여 제조사를 통한 역회수시스템과 개별 재활용사

업자와 위탁계약을 통한 회수 시스템을 병행하여 재활용

사업자에게 공급

파쇄하여 재활용 제품 및

재생원료(펠릿) 생산

자료: 환경부(2012b), 「(저탄소 녹색성장에 기여하는) 플라스틱 회수 ·재활용 자발적 협약」.

<표 4-17> ‘플라스틱 폐기물 회수·재활용 자발적 협약’ 품목별 현황

Page 99: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제4장․ 자발적 협약 사례연구 ∣ 87

산정 기준 목표 재활용률 산정법

제품 출고량 및 재활용

정보가 확실한 경우

재활용 의무율 =

최근년간평균제품출고량×합성수지투입률최근년간평균재활용량×합성수지투입률

조정계수재활용 의무량 = 제품 출고량 × 재활용의무율 × 합성수지투입률

제품 출고량 및 재활용

정보가 불확실한 경우

재활용의무율 =

제품출고량 × 합성수지투입률 × 대상제품의 폐기물발생률1) ×

플라스틱 재활용률2)

재활용 의무율 = 제품출고량×합성수지투입률재활용의무량

조정계수

제품정보가 없는 경우

폐기물부담금 부과요율에 따른 최소 재활용의무율을 기본으로

내구연수 등을 감안한 조정계수를 설정하여 심사평가단에서

의무율을 조정

재활용의무율 = 최소 재활용의무율 + 조정계수

주: 1) 최근 5년간 대상제품 출고량 대비 폐기물 발생률의 평균값

2) 생활계 사업장·건설폐기물의 발생량과 재활용량을 합하여 추정된 발생량 대비 재활용률

의 최근 5년간 평균값

자료: 환경부(2012b), 「(저탄소 녹색성장에 기여하는) 플라스틱 회수·재활용 자발적 협약」.

<표 4-18> ‘플라스틱 폐기물 회수·재활용 자발적 협약’ 목표 재활용률의 산정

협약에 참여하려는 기업들은 해당제품에 대한 회수·재활용 계획을 포함한 이행계획

서를 제출하고, 서류심사와 현장실사를 거쳐 승인을 받는다. 이때 달성하려는 목표재활

용률은 대상품목의 연도별 생산량, 국내 출고량, 시장점유율, 합성수지투입량, 내구연수

등을 기준으로 산정된다.

또한 자체적으로 회수 및 재활용 체계를 가지고 있거나 재활용사업자와 계약하여 해당

품목을 회수할 수 있어야 하며, 회수·재활용 실적을 관리·감독할 조직을 갖추어야

한다.

협약의 이행에 대한 혜택이나 미이행 시 제재조치도 명확히 설정되어 있다. 본 협약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회수·재활용체계를 갖추고 목표재활용률을 달성한 기업은 이에

따른 혜택으로 ‘자원의 절약과 재활용촉진에 관한 법률’에 따라 부과되던 폐기물부담금을

Page 100: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88 ∣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

면제받게 된다. 참여업체가 목표재활용률을 비롯한 협약내용을 이행하지 않는다면 미이

행부과금을 내야 한다. 미이행 부과금을 2회 이상 부과받거나, 3개월 이상 연체하거나

자료를 허위로 작성하거나, 자발적 협약 지침의 규칙을 위반하면 자발적 협약이 해지될

수 있다. 협약이 해지되면 협약을 체결한 기간에 대해 폐기물부담금이 부과된다.

다. 협약의 모니터링 체계 및 성과평가

‘플라스틱 회수·재활용 자발적 협약’의 모니터링은 협약의 이행실무를 담당하는 한국

환경공단(구 한국환경자원공사)이 진행한다. 협약참여 신청 시부터 이행계획의 적정성

을 심사하기 위해 회수시스템, 재활용계획, 회수·재활용실적 관리·감독 조직의 세

가지 항목에 대해 서류심사와 현장실사를 실시한다.

심사기준 구체적인 심사기준

회수 시스템

판매지역마다 협약을 체결한 플라스틱제품에서 발생하는 폐기

물에 대한 회수 시스템의 구축 여부를 검토

자체수거라면 수거방법 및 주기 등 회수·운반사업의 구체적

계획, 회수·운반차량, 장비, 인력·조직 현황 등을 검토

수거업체 또는 재활용사업자와 위탁 계약한 경우 위탁계약서,

위탁사업자의 차량, 장비, 인력·조직 현황 등을 검토

재활용 계획

직접 재활용하는 경우 재활용 기술·용도의 적정성, 재활용

시설용량 및 폐기물재활용 신고 등 폐기물 인·허가사항 등을

검토

위탁 재활용하는 경우 재활용 기술·용도의 적정성, 위탁계약

서, 위탁업체 현황, 재활용 시설용량, 폐기물 재활용신고 등

폐기물 인·허가 사항을 검토

회수·재활용 실적

관리·감독조직

회수 및 재활용 실적을 적정하게 관리하고 감독할 수 있는

인력 및 조직 현황 등을 검토

자료: 환경부(2012b), 「(저탄소 녹색성장에 기여하는) 플라스틱 회수 ·재활용 자발적 협약」.

<표 4-19> ‘플라스틱 폐기물 회수·재활용 자발적 협약’ 신청 시 심사기준

Page 101: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제4장․ 자발적 협약 사례연구 ∣ 89

협약 체결 후 운영기간에는 협약사업자 및 재활용사업자를 대상으로 매년 이행현황에

대한 정기조사와 수시조사를 실시하여 출고실적의 확인 및 기타 이행상황을 점검한다.

정기조사는 협약사업자(출고실적), 재활용사업자(재활용실적) 각각 연 1회 이루어지며,

수시조사는 협약사업자(출고실적) 연 1회 이상, 재활용사업자(비대상 혼입비율 조사를

포함한 재활용실적) 연 2회 이상 이루어진다. 조사항목은 협약사업자에 대한 출고실적의

확인 및 제조·수입 관리대장 기록 검토, 재활용사업자에 대한 회수·재활용관리대장

기록 검토, 재활용시설에 반입된 해당제품의 플라스틱 실제중량 확인 등을 통한 재활용

실적 인정기준 검토 등이다. 조사결과 재활용방법을 준수하지 않으면 조사·확인일까지

의 수량 전체를 재활용실적으로 인정하지 않으며, 재활용실적 인정기준을 준수하지 않으

면 조사·확인일까지의 미준수 비율만큼 재활용실적으로 인정하지 않는다. 또한 매년

이행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 재활용실적 등을 증빙한다.

2008년부터 2011년까지 4년간의 운영 성과 및 현황은 환경공단의 운영성과보고37)자

료로 정리되었으며, 주요 성과를 요약하면 <표 4-20>과 같다. 운영성과평가를 위해

대상품목의 수, 참여사업자 수, 협약에 의한 재활용량, 재활용의무량 달성률, 폐기물부

담금 면제액이 산정되며, 이로 인한 경제적 편익, 기업부담경감, 고용창출효과, 온실가

스감축효과가 추정되었다.

37) 한국환경공단 보도자료(2012.7.24), “‘2011년 플라스틱 회수·재활용 자발적 협약’으로 1,834억 아꼈

다” 중 붙임자료 “2011년도 플라스틱 폐기물 회수·재활용 자발적 협약” 운영성과보고.

Page 102: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90 ∣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

운영성과 및 현황 2008 2009 2010 2011

참여현황품목(개) 8 11 18 18

사업자*(개소) 412 540 685 777

운영성과

재활용량(톤) 69,218 104,563 144,674 179,785

재활용 의무량

달성률(%)112 107 106.9 102.7

경제적

편익(억원)759 1,090 1,462 1,834

기업부담

경감(억원)100 139 140 -

고용 창출

효과(명)490 701 920 1,269

온실가스 감축

효과(천톤)24 111 167 202

폐기물부담금

면제액(억원)100 140 420 479

주*: 사업자는 협약사업자 및 재활용사업자를 포함한다.

자료: 환경부(2012b), 「(저탄소 녹색성장에 기여하는) 플라스틱 회수 ·재활용 자발적협약」; 한국환경공단 보도자료(2012.7.24.,”2011년 플라스틱 회수·재활용 자발적 협약으로 1,834

억 아꼈다).

<표 4-20> ‘플라스틱 폐기물 회수·재활용 자발적 협약’ 운영성과 및 현황

라. 협약당사자들의 역할분담

‘플라스틱 회수·재활용 자발적 협약’의 협약 당사자는 환경부, 한국환경공단(구 환경

자원공사), 플라스틱 제조·수입업자인 협약체결업체들로 구성된다. 환경부는 협약 프

로그램을 총괄 관리하며, 한국환경공단은 이행실무를 맡아 진행하고, 구체적인 역할은

<그림 4-5>와 같다.

또한 협약을 체결한 플라스틱업체로부터 재활용을 위임받은 재활용업자들도 자발적

협약의 이행확약서를 제출함으로써 협약에 부분참여하며, 환경공단이 실시하는 이행상

황의 정기 및 수시 조사의 대상이 된다. 한편 각 품목의 사업자 협의체도 협약의 운영에

간접 역할을 담당한다.38)

38) 미래환경(2012)에 따르면 이 협의체들은 플라스틱 제조·수입업체들과 재활용업체 사이를 매개하여

Page 103: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제4장․ 자발적 협약 사례연구 ∣ 91

자료: 환경부(2012b), 「(저탄소 녹색성장에 기여하는)플라스틱 회수 ·재활용 자발적 협약」.<그림 4-5> ‘플라스틱 폐기물 회수·재활용 자발적 협약’ 추진체계

마. 정보의 생산 및 확산 메커니즘

환경부는 ‘플라스틱 회수·재활용 자발적 협약’과 관련하여 참여업체 등을 대상으로

워크숍, 성과보고회 등을 개최하였다. 사업자, 전문가, 시민단체 들이 참여하며, 우수사

례의 공유·포상, 환경부의 운영성과보고, 정책추진방향 설명 등이 이루어졌다. 2009년

에 열린 워크숍에서는 환경윤활유공업협회 및 한국바이닐환경협의회가 윤활유용기,

분야별 사업자들의 플라스틱 회수 및 재활용에 대한 보고를 대행하는 역할을 한다. 분야별 사업자들은

협의체에 가입하여 운영 회비를 납입하고 협의체에서는 이를 모아 하청 재활용업체를 고용하여 재활용을

이행하고, 사업체와 재활용업체 사이를 매개하며 재활용률 관리와 정부보고를 대행한다. 2012년 9월

현재 한국바이닐환경협의회, 한국전선공업협동조합, 한국발포플라스틱공업 협동조합, 한극프라스틱공업

협동조합연합회,(사)한국파렛트컨테이너협회, 한국PVC관공업 협동조합,(사)한국합성수지자원순환협

회, 해태발장생산자협의체,(사)한국전자산업 환경협회, 생활환경가전 폐플라스틱 회수/재활용 협의체,

(사)한국자동차 자원순환협회 등 총 11개 협의체가 이에 해당한다.(미래환경(2012.9.1, “대기업 환경 부담

금 면제해주는 ‘플라스틱 폐기물 회수·재활용 자발적 협약’”,

http://www.ecofuturenetwork.co.kr/news/articleView.html?idxno=9373, [2012. 9.19]).

Page 104: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92 ∣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

창틀·바닥재의 재활용에 관한 우수사례를 발표하였으며,39) 2012년의 성과보고회에서

는 재활용 이행률, 활발한 해외전시 등으로 우수한 실적을 인정받은 업무유공자들에

대한 포상이 이루어졌고, 정책추진방향에 관해 자발적 협약을 법률로 명시하기 위한

입법예고에 대한 설명 등이 이루어졌다.40)

바. 정책의 맥락 및 후속 정책과의 관계

‘플라스틱 회수·재활용 자발적 협약’은 플라스틱 폐기물에 관한 기존정책인 폐기물부

담금제도와 새로운 정책인 생산자책임재활용(EPR)제도 사이의 징검다리 역할을 하게

하는 의도로 도입된 것으로 보인다. 현재 실제로 자발적 협약 대상품목 중 윤활유 포장용

기, 수산물 양식용 부자(浮子)의 2개 품목은 EPR제도로 전환되었으나, 그 외에 대해서는

아직 구체적인 전환계획이 없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폐기물부담금 제도는 1993년에 도입되었으며, 유해·유독물질을 함유하거나 재활용

이 어렵고 폐기물 관리상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제품·재료·용기의 제조 또는 수입업

자에게 오염자부담원칙에 따라 폐기물 처리비용 일부를 부담시키는 제도이다. 플라스틱

제품뿐 아니라 살충제 등 유독물·부동액·1회용기저귀·껌 등의 품목에 대하여 적용되

었다. 폐기물부담금은 재활용여부에 상관없이 제품 출고량에 따라 부과되므로 재활용에

대한 인센티브가 되지 못하고, 다만 생산비용을 증가시킴으로써 제품 생산을 억제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재활용기술이 발달하지 못했던 당시 플라스틱은 재활용이 어려

운 품목으로 분류되어, 재활용촉진보다는 사용억제에 정책목표를 두어 폐기물부담금

제도를 적용하였다.

한편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Extended Producer Responsibility, EPR)는 제품·포장재의 생산자에게 재활용 의무를 부과하는 제도로, 대상품목의 제조업자 및 수입업자는

39) EBN 산업뉴스(2009.4.15, “환경부, ‘자발적 협약’ 통해 재활용율 높인다”,

http://www.ebn.co.kr/news/n_view.html?id=378333 [2012. 10. 4]).

40) 환경일보(2012. 7. 11, “플라스틱 폐기물 협약, 자발적 재활용 통한 자원절약 효과 커”,

http://www.hkbs.co.kr/hkbs/news.php?mid=1&treec=131&r=view&uid=235155 [2012. 9.

19]).

Page 105: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제4장․ 자발적 협약 사례연구 ∣ 93

재활용에 대한 책임을 지고 의무재활용량을 이행해야 하며, 의무량을 준수하지 않으면,

회수·재활용 전 과정에 소요되는 비용의 115~130%까지 부과금을 물게 되는 제도다.

우리나라에서 2003년부터 정식으로 시행되고 있으며, 2012년 현재 전자제품(10종),

전지, 금속캔, 유리병 등 24개 품목이 EPR 대상 품목으로 지정되었다.

폐기물부담금제도와 달리 EPR제도는 재활용에 초점을 맞춘다. EPR제도는 생산업체

가 제품의 회수·재활용에 대한 책임을 지며, 이에 따라 재활용시설, 운반장비, 회수경

로, 관련 인력 및 조직 등을 포함하는 회수·재활용체계가 구축되어 있어야 제도의 정상

적인 운영이 가능하다. 회수·재활용은 생산업체가 직접하거나, 재활용업체 등에 위탁

할 수 있다.

기술의 발달로 플라스틱의 재활용이 가능해지자 EPR제도로 전환하여 재활용을 유도

할 여지가 생겼으나, EPR제도의 시행을 위한 회수·재활용 체계가 구축되어 있지 않아

바로 시행하기에는 무리가 있었다. 이에 따라 본 자발적 협약 프로그램을 통해 회수·재활용 체계를 구축할 기회를 주고 업계의 역량이 강화된 이후 단계적으로 EPR로 전환하

려는 의도가 있었던 것으로 볼 수 있다.41)

사. 요약 및 소결

플라스틱은 기존에 재활용이 어려운 품목으로 분류되어 「자원의 절약과 재활용 촉진

에 관한 법률」에 의한 폐기물부담금을 부과하여 그 사용을 억제해 왔다. 재활용 기술이

발달하면서 플라스틱의 재활용이 가능해지자 사용억제뿐 아니라 재활용 촉진을 유도할

필요가 생기면서 정책의 변화가 요구되었다. 생산자에게 재활용의무를 부과하고 의무

미이행 시 부과금을 물리는 생산자책임재활용(EPR)제도를 통해 재활용을 유도할 수

있을 것이나, EPR의 본격 시행에 앞서 플라스틱의 수거회수 및 재활용 체계의 구축이

선행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자발적 협약 프로그램을 통해 EPR제도의 시행에

41) 기사에 따르면 환경부는 플라스틱 중 “일정비율 이상 재활용이 가능한 품목은…단계적으로 생산자책임재

활용(EPR) 제도의 대상품목으로 전환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EBN 산업뉴스,(2009. 4. 15, “환경

부, ‘자발적 협약’ 통해 재활용율 높인다”, http://www.ebn.co.kr/news/n_view.html?id=378333,

[2012. 10. 4]).

Page 106: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94 ∣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

필요한 기반구축의 역할을 기대할 수 있었다. 즉, 이 경우 자발적 협약은 본격적인 제도

도입 전의 징검다리 역할로서 제도도입에 필요한 기반(회수·재활용 체계) 구축, 경험축

적 등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협약 프로그램은 참여업체의 의무, 혜택 및 제재조치가 명확히 규정되고 구체적인

모니터링 체계를 갖추고 있어 환경개선목표의 이행을 담보하는 장치들은 효과적으로

설계·이행되는 것으로 보인다. 본 협약의 참여업체는 생산된 플라스틱의 회수·재활용

체계를 구축하고 목표 재활용률을 설정 및 이행해야 하며, 미이행 시에는 미이행 부과금,

협약의 해지 등의 제재조치가 가동된다. 다만 면제되는 폐기물부담금에 비해 목표 재활

용률이 충분히 높게 설정되었는지가 효과성을 담보하는 관건으로 보인다.

정보의 생산 및 확산에 관해서는 협약업체 등이 참여하는 워크숍의 형식으로 우수사례

의 공유 등이 이루어졌다.

5. 산업계 녹색구매 자발적 협약

협약명 산업계 녹색구매 자발적 협약

주관부처 환경부 환경정책실 녹색기술정책과

운영시기 2005. 9 ~

협약 참여주체 환경부, 한국환경산업기술원, 산업계 약 150개 업체

<표 4-21> ‘산업계 녹색구매 자발적 협약’ 개요

가. 협약의 배경 및 추진경과

환경부는 녹색기술의 연구, 개발 및 녹색소비를 확산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2004년

「녹색제품 구매촉진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고 정부 및 공공기관에 대해 녹색제품 의무구

Page 107: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제4장․ 자발적 협약 사례연구 ∣ 95

매를 시작하였다. 이어 녹색구매의 확산을 위해서는 공공기관뿐 아니라 산업계의 참여가

중요하다는 인식에 따라 2005년 ‘산업계 녹색구매 자발적 협약’을 통해 산업계의 녹색구

매 자발적 참여를 유도하였다.

통상 기업 매출액의 3%가 소모품류의 구매에 사용되므로, 산업계에 녹색구매가 확산

되면 친환경상품 시장이 급격히 성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였다. 그 예로 1차 협약에

참여한 30개 기업이 매출액의 1%만 친환경상품으로 전환하더라도 약 3조 원 규모의

친환경상품 시장이 창출될 것으로 기대하였으며, 중장기적으로 소모품뿐만 아니라 원료

와 부품까지 환경친화적인 제품으로 대체하면 친환경상품 시장이 급격히 성장할 것이라

고 전망하였다.42)

이러한 배경 아래 ‘산업계 녹색구매 자발적 협약’은 기업의 자율적인 친환경상품구매와

생산을 촉진하고, 산업계 전반으로 녹색구매 확산을 유도하여 궁극적으로 녹색생산-녹

색유통-녹색구매로 순환되는 지속 가능한 사회를 구현하는 것을 목표로 추진되었다.

‘산업계 녹색구매 자발적 협약’의 추진경과는 <표 4-22>와 같다.

2011년 5월 환경부가 발표한「제2차 녹색제품 구매촉진 기본계획(2011~2015)」은 산

업계 녹색구매 문화를 확산하기 위해 자발적 협약의 체결 확대 및 운영의 내실화를 강조

하였다. 구체적으로 현재 제조·유통업 중심의 대상 기업을 <표 4-23>과 같이 의료법

인, 교육기관, 종교시설, 사업자 단체 등으로 확대하고, 소모성자재 구매대행업체(MRO)

와 업무제휴 및 자발적 협약 가입 유도를 통해 녹색제품 보급을 활성화할 것이라고 밝혔

다.

42) 환경부 보도자료(2005.9.26, “산업계의 녹색구매 자발적 협약 체결”).

Page 108: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96 ∣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

기간 추진경과

2005

제1차 산업계 녹색구매 자발적 협약 체결(2005.9)

녹색구매 자발적 협약 홈페이지 구축, 운영(2005.10)

산업계 녹색구매 우수사례 워크숍 개최(2005.11)

일본 친환경상품전시회 연수단 구성, 운영(2005.12)

2006

제1차 녹색구매 자발적 협약 추진위원회(4월) 및 실무위원회(7월) 개최

Eco Procura 2006 컨퍼런스 참가 및 녹색구매 사례 발표(2006.9)

일본 친환경상품 정책연수단 운영(2006.12)

제2차 산업계 녹색구매 자발적 협약 체결(2006.12)

2007

제2차 녹색구매 자발적 협약 추진위원회 개최(2007.4)

산업계 「녹색구매 가이드라인」 발간(2007.5)

제3차 산업계 녹색구매 자발적 협약 체결(2007.6)

제2차 녹색구매 자발적 협약 실무위원회 개최(2007.7)

제1차 친환경상품 유통촉진 자발적 협약 실무위원회 개최(2007.9)

제4차 산업계 녹색구매 자발적 협약 체결(2007.11)

산업계 녹색구매 자발적 협약 홍보집 발간(2007.11)

2008

녹색구매 자발적 협약 실무위원회 개최(2008.1)

친환경상품 유통촉진 실무위원회 개최(2008.4)

산업계 대상 친환경 상품 정책 설명회 개최(2008.4)

친환경상품 소비촉진 캠페인 개최(2008.6)

녹색구매 자발적 협약 성과평가 워크숍 개최(2008.11)

1차 협약기업 녹색구매 이행평가 평가위원회 개최(2008.12)

2009

친환경상품 정책연수 실시(2009.1)

녹색구매 자발적 협약 실무분과위원회 개최(2009.2)

2009년 녹색소비주간 선포 및 저탄소 녹색소비 캠페인(2009.5)

제5차 산업계 녹색구매 자발적 협약 체결(2009.6)

녹색구매 자발적 협약 실무분과위원회(7월) 및 성과평가 워크숍 개최(11월)

2010

녹색구매 자발적 협약 실무분과위원회 개최(2010.1)

2차 협약기업 녹색구매 이행성과 평가위원회 개최(2010.2)

친환경상품 소비촉진 캠페인 개최(2010.4)

산업계 녹색구매 자발적 재협약 및 신규협약 체결(2010.6)

3차 협약기업 녹색구매 이행성과 평가위원회 개최(2010.7)

산업계 녹색구매 워크숍(2010.9)

2011

녹색구매 자발적 협약 실무위원회 개최(2011.1)

2011 산업계 녹색구매 자발적 협약 체결(2011.4)

2011 신규 협약기업 담당자 회의 개최(2011.5)

2011 녹색소비주간 및 소비촉진 캠페인 개최(2011.6)

녹색구매 자발적 협약 실무분과위원장 회의(6월) 및 위원 회의(7월)개최

산업계 녹색구매 워크숍 개최(2011.10)

2012 2012 산업계 녹색구매 자발적 협약 체결(2012.8)

자료: 환경부·한국환경산업기술원(2012), 「산업계 녹색구매 2011 성과보고서」.

<표 4-22> ‘산업계 녹색구매 자발적 협약’ 추진 경과

Page 109: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제4장․ 자발적 협약 사례연구 ∣ 97

구분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자발적 협약 참여기업(수) 123 135 150 165 180 200

자발적 협약기업

녹색구매 실적(억원)3,000 3,500 4,000 4,500 5,000 5,500

자료: 환경부(2011), 「제2차 녹색제품구매촉진 기본계획(2011~2015)」.

<표 4-23> ‘산업계 녹색구매 자발적 협약’ 확대 계획

나. 참여기업의 의무, 혜택 및 제재

‘산업계 녹색구매 자발적 협약’은 산업계 전반을 대상으로 한다. 2005년 30개 기업과

1차 협약을 체결한 이래 본 협약에 참여한 업체는 총 150여 개 업체에 달하며, 2012년

9월 현재 협약이 유지되는 기업은 약 108개에 달한다(표 4-24 참조).

‘산업계 녹색구매 자발적 협약’ 참여기업은 녹색구매를 추진할 수 있도록 관련 규정을

정비하고, 자발적으로 구매계획을 수립·이행·평가하며, 직원을 대상으로 녹색구매

관련 교육을 실시할 의무가 있다. 또한 녹색상품 생산 및 유통을 위하여 친환경 원료

및 부품을 조달하고, 친환경상품을 개발·생산·판매하기 위해 노력하여야 하며 구매

목표치는 자발적으로 설정한다. 본 협약의 기간은 3년으로 연차별 구체적 진행계획은

<표 4-25>와 같다.

Page 110: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98 ∣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

협약 차수 협약 기업수 협약 기업 재협약

1차

(2005. 9)30개 사

강원랜드, 금호건설, 기아자동차, 두산중공업, 롯데제과,

르노삼성자동차, 리바트, 삼성물산(주) 건설부문, 삼성

SDI, 삼성전기, 삼성전자, 아시아나항공, SK가스, SK

(주), SK텔레콤, S-OiL(주), LG생활건강, LG전자, LG화

학, 유한킴벌리, E1, GS칼텍스, KT, 포스코, 한국수력원자

력, 한솔제지, 현대INI스틸, 현대건설, 현대오일뱅크, 현대

자동차

2009. 8

2차

(2006.12)17개 사

롯데백화점, 렉스필드컨트리클럽, 삼성테크윈, 소니코리

아, 아모레퍼시픽, 애경, SKC, 엔투비, 웅진코웨이, 웅진씽

크빅, 웅진해피울, 63시티, 퍼시스, 포스코건설, 풀무원,

한화유통, 현대중공업

2010. 6

3차

(2007. 6)33개 사

신세계 이마트부문, 삼성테스코(주), 롯데쇼핑(주) 롯데마

트, ㈜GS리테일 GS스퀘어백화점, ㈜GS리테일 GS마트,

㈜신세계마트, ㈜이랜드리테일 홈에버, 그랜드백화점(주)

백화점부문, 그랜드백화점(주) 할인점부문, 상록플라자주

식회사, ㈜신세계 백화점부문, 뉴코아아울렛, 뉴코아백화

점(NC백화점), 화성산업(주) 동아백화점, ㈜새시대체인 벨

몽드, 애경유지공업(주), ㈜대우인터내셔널 마산대우백화

점, ㈜아라리오 야우리백화점, ㈜중소기업유통센터, ㈜대

현 패션백화점 ENVY, 동서백화점(주), 오션백화점(유),

㈜흥업백화점, ㈜이천일아울렛, 농업회사법인 ㈜삼무, ㈜무공이네, 농협대구경북유통(주), ㈜세이브존 아이앤씨,

㈜메가마트, ㈜대동주택 대동백화점, ㈜코스트코 코리아

2011. 4

4차

(2007.11)27개 사

금호석유화학, 대우루컴즈, 라파즈석고보드시스템, 라파

즈코리아석고, 루펜리, 라파즈한라시멘트, 무림에스피, 무

림페이퍼, 미래세움, 벅스, 범우, 북센, 신한은행, 동부제

철, 포스코켐텍, 포스코특수강, 포스코CT, 무림페이퍼, 무

림SP, 범우

2011. 4

5차

(2009. 6)15개 사

롯데호텔, 롯데면세점, 롯데칠성음료, 롯데건설, 호남석유

화학, 롯데알미늄, 롯데햄, 롯데삼강, 롯데기공, 롯데리아,

코리아세븐, 케이피케미칼, 롯데월드, 롯데슈퍼, 우리홈쇼

2012. 8

6차

(2010. 6)9개 사

대림산업, 두산건설, 아이마켓코리아, LS전선, 조선호텔,

KB국민은행, 파르나스호텔, 포스코엠텍, 한국스탠다드차

타드 금융지주(주)

-

자료: 환경부, 한국환경산업기술원(2012), 「산업계 녹색구매 2011 성과보고서」.

<표 4-24> ‘산업계 녹색구매 자발적 협약’ 참여업체

Page 111: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제4장․ 자발적 협약 사례연구 ∣ 99

1차 연도

녹색구매 도입단계

2차 연도

녹색구매 확산단계

3차 연도

녹색구매 정착단계

국내외 우수사레 벤치마킹

녹색구매 이행계획 수립

친환경상품 정보제공

MRO업체(구매대행업체)

를 통한 기반 마련

산업계 수요를 반영한 환경

마크 인증품목 확대

전 참여기업의 녹색구매

시행

물품 구매서, 공사시방서

개정, 구매시스템 정비 등

협력 납품업체 대상 교육

친환경상품 대상품목에

산업용 자재 확대

협력, 납품업체의 원·부자재에 대한 환경성 평가

정착 유도

친환경상품 대상품목에

산업용자재 지속 확대

녹색구매 등 자발적 협약

실정 평가 및 홍보 개선방

안 마련 등

자료: 환경부 보도자료(2006.4.11), “산업계의 녹색구매 활동 본격 추진”.

<표 4-25> ‘산업계 녹색구매 자발적 협약’ 참여기업 연차별 진행 계획

‘산업계 녹색구매 자발적 협약’의 참여기업에 정부가 직접 제공하는 혜택은 크지 않다.

다만 참여기업은 정부로부터 친환경상품정보 등 관련 정보를 제공받으며, 본 협약의

참여 사실을 홍보함으로써 친환경기업으로서의 이미지 제고효과를 거둘 수 있다. 협약

내용의 미이행에 대한 제재조치는 뚜렷하지 않다.

다. 협약의 모니터링 체계 및 성과평가

‘산업계 녹색구매 자발적 협약’의 모니터링 및 성과평과는 매년 참여 기업이 협약이행

추진실적을 한국환경산업기술원에 보고함으로써 이루어진다. 협약 이행 추진실적에는

구매목표, 구매실적, 녹색구매 가이드라인 제·개정 실적, 녹색구매 시스템 구축 및

추진현황, 녹색구매 교육현황 등이 포함된다.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본 이행 추진실적을

이용하여 우수사례를 표창하고, 「산업계 녹색구매 성과보고서(이행보고서)」를 발간하여

녹색구매 이행실적 및 우수사례를 홍보한다. 또한 각 업체는 이행실적을 홈페이지나

환경경영 보고서 등에 공고한다.

프로그램의 성과는 참여기업의 추진실적 보고와 제출자료를 바탕으로 측정되며, 매년

「산업계 녹색구매 성과보고서」가 발간된다. 성과보고서상에 나타난 성과지표로는 참여

기업들의 녹색제품(환경마크 및 GR마크 인증제품) 구매실적(구매액)이 있으며, 2006년

Page 112: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100 ∣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

1,680억 원에서 2010년 3,860억 원으로 지난 약 5년간 꾸준히, 그리고 크게 늘어나는

추세이다(표 4-26 참조). 그 외 기업의 녹색구매 가이드라인 제정, 녹색구매시스템 구축

등 녹색구매의 기반구축 사업 추진 실적(기업수)도 프로그램의 성과로 측정된다(표

4-27 참조).

구분 2006 2007 2008 2009 2010

제출기업 27 41 51 64 78

정부공인

친환경상품

환경마크

인증제품99,172 136,945 169,445 195,390 307,550

GR마크

인증제품69,069 69,042 69,567 75,187 78,899

계 168,241 205,987 239,012 270,577 386,450

자료: 환경부, 한국환경산업기술원(2012), 「산업계 녹색구매 2011 성과보고서」.

<표 4-26> ‘산업계 녹색구매 자발적 협약’ 이행 실적

(단위: 백만 원)

구분 2006 2007 2008 2009 2010

녹색구매

기반

가이드라인 제정 15 35 40 66 74

구매 시스템 구축 16 23 29 44 58

홍보활동 7 27 26 39 55

구매 교육 12 25 29 33 46

자료: 환경부, 한국환경산업기술원(2012), 「산업계 녹색구매 2011 성과보고서」.

<표 4-27> ‘산업계 녹색구매 자발적 협약’ 이행 기반 구축 현황

(단위: 개사)

라. 협약 당사자들의 역할분담

‘산업계 녹색구매 자발적 협약’의 협약당사자는 환경부. 한국환경산업기술원, 그리고

산업계의 참여기업으로 이루어진다. 환경부는 협약을 총괄 관리하고, 한국환경산업기술

원은 협약을 원활하게 진행하기 위한 이행 실무를 담당하고 있다. 구체적인 각 협약당사

Page 113: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제4장․ 자발적 협약 사례연구 ∣ 101

참여주체 역할

환경부

자발적 협약 계획 수립 및 체결

포상 연수 등 인센티브 제공

친환경상품 우수구매, 유통 기업 홍보

녹색구매 추진·실무위원회 구성 및 운영

한국환경

산업기술원

친환경상품 및 환경동향 정보제공

친환경상품 판매매장 운영지원

에코디자인(DIF), 전 과정평가(LCA) 등 교육지원

친환경상품 구매·사용에 따른 환경경제적 편익 분석 제공

참여기업

구매관련 규정, 지침 등 정비 및 시스템 구축

친환경상품 구매계획 수립 및 이행

자발적 협약 이행실적 공표(환경보고서 등)

친환경상품 생산 및 유통, 보급 활성화

친환경상품 판매매장 설치, 운영

친환경상품 소비촉진 캠페인 전개

자료: 녹색구매 자발적 협약 홈페이지(http://www.ecova.or.kr/).

<표 4-28> ‘산업계 녹색구매 자발적 협약’ 참여 주체별 역할

자의 역할은 <표 4-28>과 같다.

‘산업계 녹색구매 자발적 협약’은 협약당사자들로 구성된 실무위원회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실무위원회는 협약기업이 확대됨에 따라 협약을 내실화하고 활성화하기 위해

업종별로 구성되었으며, 정부 관계자 및 협약기업의 관계자가 위원으로 참여한다. 업종

별로 에너지·화학·철강, 전기·전자·자동차, 건설·중공업·기자재, 유통, 생활용

품·식품·제지, 서비스의 총 6개 분과위원회가 구성되었으며, 분과별 특성을 고려하여

공동이행과제를 추진하고, 구체적인 실천방안과 친환경상품 육성·지원 대책을 논의한

다. 한 예로 2010년에 유통분과는 녹색소비 캠페인, 녹색매장 시범사업을 추진하고,

건설·중공업·기자재분과는 친환경 건축자재 활성화 방안을 논의하였다. 본 실무분과

위원회는 협약당사자들의 소통창구 역할도 수행하고 있다.

Page 114: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102 ∣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

마. 정보의 생산 및 확산 메커니즘

본 협약 프로그램의 정보 생산·확산 메커니즘으로, 환경부가 매년 참여기업 등을

대상으로 개최하는 ‘산업계 녹색구매 워크숍’을 들 수 있다. 워크숍에서는 협약성과의

발표, 참여기업의 녹색구매 우수사례의 소개, 녹색경영 전문가 특강, 기타 관련 정책방향

소개와 발전방향 토론 등이 이루어졌다. 워크숍은 또한 기업 녹색구매 담당자들과 정부

부처 관계자, 전문가 등이 모여 정보를 공유하는 기회가 되기도 한다. 환경부와 환경산업

기술원이 매년 발간하는 「산업계 녹색구매 성과보고서」도 참여기업의 녹색구매 사례와

성과, 기타 관련정보를 확산하는 창구 역할을 한다. 또한 환경산업기술원은 ‘녹색제품정

보시스템(http://www.greenproduct.go.kr/)’이라는 친환경상품 정보시스템을 구축

하여 녹색제품과 녹색구매 관련 정보를 기업들에 제공한다.

녹색구매에 대한 인식이 산업계에 널리 확산되지 않았던 상황에서 위와 같은 요소들은

기업의 담당자들에게 녹색상품과 녹색구매의 개념, 실천방법들을 효과적으로 인식시키

는 역할을 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요소들뿐 아니라 협약에 참여하면서 녹색구매

계획을 세우고 이행한 기업 담당자들의 경험 자체도 산업계에 녹색구매에 대한 인지도를

제고하고 역량을 강화하는 역할을 했던 것으로 보인다. 기업의 구매담당자들은 협약

프로그램을 통해 녹색구매를 처음 접하고 녹색제품의 구별법, 구매정보 등에 대한 교육

을 받으며 녹색구매 계획 수립과 이행을 통해 경험을 축적하는 계기가 되었다.43)

바. 정책의 맥락 및 후속 정책과의 관계

녹색제품, 녹색소비와 생산에 대한 필요성이 인식되면서 2004년 제정된 「녹색제품

구매촉진에 관한 법률」은 정부 및 공공기관에 대해 녹색제품의 구매를 의무화하였지만,

산업계의 녹색구매에 대해서는 정책의 공백상태였다. 녹색제품의 확산을 위해서는 산업

계의 역할이 중요하지만, 민간부문인 산업계에 대해서까지 녹색제품의 구매를 강제하는

43) 본 협약의 녹색구매에 대한 기업담당자의 인식제고 효과에 관한 내용은 주관부처 담당자의 인터뷰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으며, 산업계의 의견을 따로 청취하지는 못했던 한계가 있음을 밝힌다.

Page 115: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제4장․ 자발적 협약 사례연구 ∣ 103

것은 적절하지 않은 면이 있다. 녹색구매를 강제하면 기업의 자유로운 구매행위를 제약

하고 시장의 자유경쟁을 왜곡할 우려가 있다는 측면에서 강제적 수단과는 맞지 않는

면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녹색제품의 인증마크 제도나 본 자발적 협약 프로그램과

같은 자발적 수단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녹색구매를 강제하면 산업계의 반발

우려 등 추진상의 어려움을 예상할 수 있다. 특히 본 협약은 관련업계가 특정 업종 혹은

분야가 아니라 산업계 전반에 걸치므로, 정책 이해관계자의 범위가 매우 넓고 수가 많아

정책 추진상에 어려움을 예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책의 추진을 원활히 하는 한편

강제보다는 민간부문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것이 보다 적절하다는 인식 하에 자발

적 협약이라는 수단이 선택된 것으로 보인다.

본 협약 프로그램은 현재로서는 다른 정책수단으로 전환할 계획이 없는 것으로 파악되

며, 당분간 지금과 같은 자발적 협약의 형태가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사. 요약 및 소결

본 협약 프로그램은 녹색구매에 대한 인식이 기업 내부로 널리 확산되지 않았던 상황

에서 자발적 협약 참여기업으로서의 홍보효과 등으로 기업의 참여를 유도하고, 참여기업

에 대해 녹색구매에 대한 인지도 제고, 경험축적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기업 구매담당자들은 협약 프로그램의 참여를 통해 녹색구매에 관한 정보를

접하고 구매계획을 세우고 이행하는 과정에서 경험을 축적할 수 있었다.

산업계의 녹색구매에 대한 정책적 노력의 필요성이 인지되는 한편, 민간부문인 산업계

에 녹색구매를 강제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은 면이 있고 또한 산업계의 반발 등 추진상의

어려움이 예상되는 배경에서, 기업의 자발적 참여를 통해 녹색구매를 촉진하고자 자발적

협약이라는 수단이 선택된 것으로 보인다. 즉, 강제적 수단이 적합하지 않거나 도입이

어려운 상황에서 정책의 공백을 메우는 역할로 볼 수 있다.

협약 참여기업의 의무는 녹색구매 목표치를 포함하는 녹색구매 계획 수립 및 이행,

기타 직원교육과 구매시스템 정비 등 녹색구매를 위한 기업 내 기반구축이다. 구매 목표

Page 116: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104 ∣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

치는 기업 사정을 고려하여 자발적으로 설정하며, 협약내용의 미이행 시 제재조치도

분명치 않다. 즉 본 협약은 정해진 환경개선목표치의 달성을 위해 기업의 의무, 혜택,

제재조치 등을 분명히 설정·이행하는 형태라기보다는 각 기업의 자발에 의존하는 형태

라고 볼 수 있다. 협약의 참여에 대해 정부가 직접 주는 혜택은 분명치 않으나 친환경기업

으로서의 홍보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협약 프로그램의 이행은 참여기업들의 추진실적 보고를 통해 모니터링된다. 매년

발간되는 성과보고서에서는 참여기업들의 녹색제품 구매실적 및 기반구축 사업 추진실

적들이 성과지표로 제시된다. 녹색제품 구매실적을 보면 2006년 1,680억 원에서 2010

년 3,860억원으로 지난 약 5년간 두 배 이상, 그리고 꾸준히 늘어나는 추세이다.

정부가 운영하는 녹색제품정보시스템(http://www.greenproduct.go.kr/)을 통해

녹색제품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며, 성과보고서 발간을 통한 우수사례 공유, 워크숍을

통한 기업 담당자와 정부관계자, 전문가의 교류 등을 통해 정보교류가 이루어진다.

6. 공사장 비산먼지 저감 자발적 협약

협약명 공사장 비산먼지 저감 자발적 협약

주관부처 수도권 대기환경청 기획과

운영시기 2012. 1 ~ 12(예정)

협약 참여주체 수도권 대기환경청, 수도권 내 대형건설사업장 10곳

<표 4-29> ‘공사장 비산먼지 저감 자발적 협약’ 개요

가. 협약의 배경 및 추진경과

비산먼지는 공기 중 부유 상태로 존재하면서 사람의 호흡을 통해 인체에 침입하여

Page 117: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제4장․ 자발적 협약 사례연구 ∣ 105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주고, 식물 생육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물질이다. 전체 비산먼지

발생 중 공사 활동으로 인한 발생은 약 20%에 달한다.

공사장 비산먼지는 「대기환경보전법」으로 관리된다. 「대기환경보전법」에 의하면 비

산먼지가 발생하는 사업은 지방자치단체장에게 신고하고 비산먼지 발생을 억제하기 위

한 시설을 설치하거나 필요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지방자치단체장은 이 시설이나 조치

가 적합하지 않으면 개선을 명하고, 본 명령을 이행하지 않으면 사업의 중지를 명하거나

과태료와 벌금을 부과할 수 있다. 환경부와 지자체는 매년 비산먼지에 대한 특별점검과

정기점검을 실시한다.

그러나 비산먼지의 특성상 효과적인 규제는 어려운 실정이다. 좁은 지역에서 짧은

시간에 오염도가 크게 변하는 비산먼지의 특성상 지속적으로 관찰하지 않으면 점검과

관리가 어려우나 이를 위한 측정 장비 등이 충분하지 않고, 엄격한 기준을 적용하여

측정 및 관리를 시행하면 과다비용 등 문제점이 발생하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기존의

비산먼지 저감대책은 지자체 중심의 사업장의 지도, 점검, 계도 및 홍보활동 등에 의존하

는 한계가 있었다.44)

공사장 비산 먼지는 인근 지역민들이 체감하는 건강과 쾌적한 환경에 직접 관련이

있어 비산먼지 관련 민원이 급증하고 있다. 2010년 「수도권 대기환경 시민 의식 조사(수

도권 대기환경청)」에 의하면 수도권 미세먼지 오염도 측정결과는 5년 전인 2005년 56㎍/㎥에서 2010년 47㎍/㎥로 점차 개선되는 추세에 있음에도, 시민의 약 25%가 “택지조

사 등 개발공사로 대기질이 나빠졌다”고 응답하여 비산먼지가 시민의 체감 대기질 저하

의 원인으로 꼽히기도 했다.45)

이러한 배경에서 수도권 대기환경청은 비산먼지 저감대책를 보완하여, 공사현장에서

발생하는 비산먼지를 저감시켜 주민들의 체감 대기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공사

장 비산먼지 저감 자발적 협약’을 추진하였다. 본 협약의 목표는 대형 건설 공사장을

대상으로 건설업계의 자발적 참여를 통해 비산먼지를 저감시켜 지역 주민의 건강 보호와

44) 환경부(2012a), 「비산먼지 저감대책」.45) 수도권 대기환경청 내부자료.

Page 118: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106 ∣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

체감 대기질 개선에 기여하는 것이다. 본 협약의 추진 경과 및 계획은 <표 4-30>과

같다.

기간 추진경과

2011. 12 수도권 대형 건설공사장 비산먼지 저감 T/F 추진

2012. 1.27 비산먼지 예보제 실시

2012. 1.31 ‘공사장 비산먼지 저감 자발적 협약식’ 개최

2012. 2~3, 4~6 비산먼지 저감 컨설팅 추진

2012. 5 환경 관리자 및 현장 근로자 대상 홍보 및 교육자료 제작

2012. 4~6 체감대기질 만족도 조사

2012. 7~8 민원발생 및 위반사업장 위주의 관리 책임자 교육 및 기술 지원

2012. 9 가을철(건조기) 비산먼지 발생 사업장 특별점검 계획 수립

2012.10~11 가을철 비산먼지 다량 발생 대비 특별점검 실시

2012.12 비산먼지 관리 우수 사례 발굴 및 포상, 전파

<표 4-30> ‘공사장 비산먼지 저감 자발적 협약’ 추진 경과 및 계획

나. 참여기업의 의무, 혜택 및 제재

‘공사장 비산 먼지 저감 자발적 협약’은 수도권 내 대규모 택지건설사업장을 대상으로

한다. 주관부처인 수도권대기환경청, 관련 지자체, 전문가 및 시민단체로 구성된 ‘공사장

비산 먼지 저감 T/F’46)가 수도권 내 대규모 택지개발사업이 진행되는 사업장 중 비산먼

지가 발생하는 공정을 진행하고 주변에 민가가 위치한 사업장을 선정하여 협약 체결을

추진하였다. 2012년 1월 현재 <표 4-31>에 나타난 10개 사업장이 ‘공사장 비산 먼지

저감 자발적 협약’에 참여하였다.

46) ‘공사장 비산 먼지 저감 T/F’는 수도권대기환경청, 3개 시·도(서울시, 경기도, 인천시) 담당 과장,

전문가 및 시민단체 17명으로 구성되어 대규모 건설사업장 현장방문, 오염도 측정, 교육, 기술 지원 및

행정조치 등을 실시한다.

Page 119: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제4장․ 자발적 협약 사례연구 ∣ 107

사업장 시공사 소재지 착공일 진행공정

마곡

도시개발사업(1공구)금호산업(주) 강서구 마곡동 일원 2009. 9 택지조성

마곡

도시개발사업(2공구)진흥기업(주) 강서구 가양동 일원 2010. 2 성토, 관로

강남 보금자리 조성사업 한신공영(주) 강남구 세곡동 일원 2010. 9 토목기초

구월보금자리 조성사업 경림건설(주)남동구 구월동,

수산동 일원2011. 9 가설공사

가정 택지조성사업 남양건설(주)서구 가정동,

신현동. 원창동 일원2009.10 토공, 오우수

목감

택지개발사업(1공구)㈜서희건설 시흥시 조남동 일원 2009. 1

토공, 우오수,

구조물

목감

택지개발사업(2공구)신동아건설(주) 시흥시 조남동 일원 2009.10 관로작업

위례

택지개발사업(1공구)금호산업(주)

하남시 학암동,

감이동 일원2011. 4 택지조성

원흥보금자리 조성사업 현대건설(주)고양시 덕양구

도내동 10번지 일원2011. 6 토공 가설교량

현촌 도시개발사업 금호산업(주)평택시 용이동

234번지 일원2011.12 시공준비

<표 4-31> ‘공사장 비산먼지 저감 자발적 협약’ 참여업체

본 협약에 참여한 사업장은 관련 법령을 준수하여 비산먼지 관리를 위하여 비산먼지

억제 시설 설치 등을 이행하여야 한다. 구체적으로 분기별 비산먼지 관리대책 및 저감방

안을 수립, 이행하고 비산먼지 관련 민원해소방안을 마련하여야 한다. 특히 본 협약과

함께 시행되는 ‘비산먼지 기상예보제’에 따라 비산먼지 억제조치가 발령되면 건축물 철거

등 비산먼지 다량발생 공정을 중지하고, 살수차 운행, 차량속도 제한 등 비산먼지 관리조

치를 취하며, 그 조치를 수도권대기환경청에 보고해야 한다. 또한 직원들에게 비산먼지

관련 교육을 주기적으로 실시하여 직원들의 환경의식을 제고하여야 한다.

협약 참여에 대한 직접적인 혜택이나 미이행 시 제재조치는 분명치 않다. 다만 본

협약에 참여한 업체는 수도권대기환경청이 실시하는 ‘비산먼지 저감 컨설팅’에 의해 비산

Page 120: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108 ∣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

먼지 저감 기술진단 및 지원을 받을 수 있다.

다. 협약의 모니터링 체계 및 성과평과

환경부 및 지자체는 비산먼지 발생 사업장에 대해 정기점검과 비산먼지 발생량이 늘어

나는 봄철, 가을철에 특별점검을 실시한다. 비산먼지 저감 자발적 협약에 참여하는 사업

장에 대한 협약의 이행실태 점검은 ‘비산먼지 기상예보제’에 의한 조치보고와 ‘비산먼지

저감 컨설팅’에 의해 주로 이루어진다. 즉, 비산먼지 예보제에 의해 기상 악화(습도 35%

이하)에 따른 ‘작업주의’를 통보하면 사업장은 비산먼지 발생 공정 중지, 살수차 운행,

차량속도 제한 등을 이행한 후 조치를 수도권 대기환경청에 보고하여야 한다. 수도권

대기환경청에서는 미보고 사업장에 대해 현장 진단을 강화하고, 이행 평가 결과를 점검

한다. ‘비산먼지 저감 컨설팅’은 전문가에 의한 현장진단 및 이동식 측정차량을 이용한

농도측정과 이를 바탕으로 한 컨설팅 결과를 이행하고, 즉시 조치 가능사항은 현장 진단

시 수정 후 확인을 받고, 장기간 소요시설은 재방문하여 이행결과를 확인한다.

한편 협약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실시되는 공사장 인근 주민들의 체감 대기질 조사도

협약 프로그램의 성과평가를 위한 지표로 볼 수 있다. 주민 체감도 조사는 설문조사

형식으로 자발적 협약 체결 이전, 이행 중, 종료 후에 실시되며47), 이행 중인 2012년

5~6월 조사에서는 약 60%의 주민이 현재 비산먼지 관리에 만족한다고 응답하였다.

본 협약은 비산먼지와 관련한 체감대기질 향상과 민원 감소를 주요 목표로 삼고 있으므로

주민만족도는 중요한 성과지표가 될 수 있다. 한편 주민만족도 조사를 위한 설문은 객관

적인 성과평가의 목적 외에도 주민의 요구사항 및 의견 청취를 통해 더 나은 관리대책을

수립할 수 있고, 만족도조사를 수행하는 그 자체로 정부차원의 관리노력이 주민들에게

인지되는 효과도 있을 수 있다.

47) 2012년 10월 현재 1차 협약이 아직 종료되지 않아 종료 후 조사는 아직 실시된 바 없음.

Page 121: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제4장․ 자발적 협약 사례연구 ∣ 109

라. 협약당사자들의 역할분담

‘공사장 비산 먼지 저감 자발적 협약’은 수도권대기환경청이 주관하고 각 사업장이

참여한다. 수도권대기환경청은 비산먼지 관리를 위한 행정적, 기술적 지원을 위해 ‘비산

먼지 기상예보제’, ‘비산먼지 저감 컨설팅’을 실시하고, 교육자료를 제작하여 직원 교육을

지원하며, 우수 업체를 표창하고, 활동성과에 대한 홍보를 실시하고 있다.

마. 정보의 생산 및 확산 메커니즘

‘공사장 비산먼지 저감 자발적 협약’관련 정보의 생산 및 확산 메커니즘으로 ‘비산먼지

기상예보제’와 ‘비산먼지 저감 컨설팅’을 들 수 있다. ‘비산먼지 기상예보제’는 수도권대

기환경청이 기상청의 습도 및 풍속 예보를 참조하여 습도 35% 이하, 풍속 5.5m/s 이상

일 때 작업주의, 풍속 8m/s 이상일 때 작업중지를 알리면 사업장은 비산먼지 발생 공정

의 작업에 주의를 기울이거나, 작업을 중지하여 비산먼지 날림 및 유출을 사전에 방지하

는 제도이다. ‘비산먼지 기상예보제’는 비산먼지를 효과적으로 저감하는 데 도움이 되는

기상정보를 정부가 생산, 제공하는 메커니즘이다.

‘비산먼지 저감 컨설팅’은 전문가가 사업장의 비산먼지 억제시설 관리상태를 진단하

고, 사업장의 시간대별, 진행공정에 따른 미세먼지 오염도를 측정·분석하며, 주변 지역

과의 오염도 비교를 통해 문제점을 파악하고 비산먼지 억제시설을 추가로 설치하거나

미세먼지 농도를 고려한 토목 공정의 조정 등 컨설팅을 실시한다.

이 외에도 ‘공사장 비산 먼지 저감 자발적 협약’에는 우수사업장 사례 포상 등 정보

확산 측면의 요소가 설계되어 있다. 단, 비산먼지의 특성상 저감기술이 살수차의 운행,

관리 인력의 배치, 기상악화 시 공사 중단 등 비교적 단순하고 혁신의 여지가 적어,

혁신적인 기술을 산업계 전반으로 확산하는 역할까지는 하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실제

우수 사업장의 사례를 보아도 공사장뿐만 아니라 주변 도로까지 물을 뿌리거나 자체적으

로 점검시설을 설치하는 정도다. 다만 기존에 알려진 기술일지라도 그 실천의 중요성에

대한 인지제고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Page 122: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110 ∣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

바. 정책의 맥락 및 후속 정책과의 관계

비산먼지는 「대기환경보전법」으로 관리하고 있으나, 비산먼지의 특성상 효과적인 규

제는 어렵다. 좁은 지역에서 짧은 시간 내에 오염도가 크게 변동하는 비산먼지의 특성상

지속적인 오염도 측정 없이는 효율적인 관리가 어렵고, 살수차 운행 등 공사장의 운영방

식에 관한 사업장 측의 비산먼지 관리행위도 계속 모니터링할 수 없어 효율적으로 강제하

기 어렵다. 이러한 점에서 비산먼지 저감을 위한 사업장 측의 자발적 실천을 유도해

내야 할 필요성이 크다. 즉 효과적인 규제의 시행이 사실상 어려운 상황에서 자발적

협약이라는 수단을 활용하여 정책의 공백을 메우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본 협약은 현재 다른 정책수단으로 전환될 계획은 없는 것으로 파악되며, 현재 수도권

을 대상으로 한 본 협약을 2013년 전국 범위로 확대한 자발적 협약 프로그램이 추진될

예정이다.

사. 요약 및 소결

좁은 지역에서 짧은 시간 내에 오염도가 크게 변동하는 비산먼지의 특성상 지속적인

오염도 측정 없이는 효율적인 관리가 어렵고, 살수차 운행 등 공사장의 운영방식에 관한

사업장 측의 비산먼지 관리행위도 지속적인 모니터링 없이는 효율적인 강제가 어렵다.

이러한 점에서 비산먼지 저감은 사업장 측의 자발적 실천이 중요한 분야다. 즉 효과적인

규제가 사실상 어려운 상황에서 자발적 협약이라는 수단을 활용하여 정책의 공백을 메우

는 역할이다.

한편 본 협약 프로그램은 다양한 정보확산의 요소도 있다. 비산먼지 기상예보제는

비산먼지의 효율적인 저감을 위한 기상정보를 정부가 생산·제공하며, 우수사례 포상과

저감기술 컨설팅 등을 통해 저감기술이 확산되고 실천될 수 있도록 한다.

본 협약은 비산먼지와 관련한 체감대기질 향상과 민원감소가 주된 목표이며, 성과평가

를 위해 주민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주민만족도 조사를 위한 설문은 객관적인

성과평가의 목적 외에도 주민들의 의견을 청취하고 만족도조사를 수행하는 그 자체로

Page 123: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제4장․ 자발적 협약 사례연구 ∣ 111

정부차원의 관리노력이 주민들에게 인지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즉 정책의 중요한

이해관계자인 주민과의 소통 경로를 형성하는 역할이다. ‘체감’대기질 향상과 민원감소

라는 정책목표를 감안하면 이러한 주민과의 신뢰관계 형성은 목표달성을 용이하게 해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측정가능한 목표의 설정이나 참여에 대한 직접적인 혜택,

미이행 시 제재조치 등은 분명하지 않다.

7. 소결

본 장에서 살핀 다섯 개 국내 자발적 협약 프로그램 특징들을 환경적 효과성, 정보확

산, 정책적 맥락의 세 측면에서 요약하면 <표 4-32>와 같다.

먼저 환경적 효과성 측면에서, 뚜렷한 환경개선효과를 담보하기 위해 권고되는 네

가지 요소들을 각 프로그램이 어떻게 포함하는지 살폈다. <표 4-32>를 보면 이러한

요소들이 얼마나 명확하고 구체적으로 설정되고 이행되는지 프로그램별로 편차가 존재

함을 볼 수 있다. 먼저 협약 참여기업이 이행해야 하는 의무사항 내지 환경개선 목표는

다섯 개 협약 프로그램에 모두 설정되어 있지만, 그 목표수준이 얼마나 적정하게 설정되

어 있는지, 즉 의미있는 수준의 환경개선을 이루는 이른바 ‘야삼찬 목표(ambitios goal)’

로 설정되었는지는 판단하기 어렵다. 협약참여에 대한 인센티브와 미이행 시 제재조가

명확하게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도 많아 기업들의 확실한 행동변화를 이끌어 내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이행 여부의 모니터링에 대해서도 구체적인 점검기준과 현장실사를

포함하는 철저한 모니터링 체계를 갖춘 협약이 있는 반면 대부분 기업이 제출하는 자료에

의존하는 한계가 있다. 뚜렷한 환경개선효과를 담보하기 위해서는 이와 같은 요소들이

철저하고 구체적으로 설계·이행될 필요가 있겠지만, 뚜렷한 환경개선효과 이외에도

자발적 협약이라는 수단이 갖는 다른 효과들이 있을 수 있음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정보생산 및 확산은 협약 프로그램별로 다양한 형태의 정보생산 및 확산요소를 포함하

는 것으로 보인다. ‘에너지절약 및 온실가스 배출감소를 위한 자발적 협약’, ‘플라스틱

폐기물 회수·재활용 자발적 협약’이나 ‘산업계 녹색구매 자발적 협약’처럼 참여기업

Page 124: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112 ∣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

대상의 워크숍 개최와 우수사례 선정 및 공유 등을 통해 개별기업이 가진 노하우가 산업

계 전반으로 확산되도록 유도하는 사례가 있고, 주관기관의 주도로 기업의 환경개선활동

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생산하거나 기업에 제공하는 사례도 있다. ‘비산먼지 기상예보제’

나 ‘녹색제품정보시스템’, ‘페트병 재질·구조개선 가이드라인’의 제정 등이 후자에 속한

다고 볼 수 있다.

정책의 맥락 혹은 다른 정책수단과의 관계에서 볼 때, 자발적 협약이 본격적인 정책도

입 이전에 기반구축을 위한 징검다리 역할을 하거나 강력한 규제를 도입하기 어렵거나

적절하지 못한 상황에서 정책의 공백을 메우는 대안으로 선택되는 사례들을 볼 수 있었

다. 예를 들어 ‘에너지절약 및 온실가스 배출감소를 위한 자발적 협약’은 1998년 도입

당시 산업계의 온실가스 감축이나 에너지절약에 대해 강력한 규제를 도입할 수 있는

분위기가 무르익지 않았던 배경에서 자발적 협약이라는 다소 약한 수단으로 정책의 공백

을 메우고 어느 정도의 효과를 달성하고자 했던 측면이 있으며, 약 10년간의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얻은 참여기업들의 경험과 인지제고가 훗날 ‘온실가스 목표관리제’와 같은

강화된 정책도입을 대비한 산업계 역량강화의 역할을 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한편

본 협약의 도입이 이를 방패삼아 더욱 강력한 규제를 막으려는 산업계의 의도가 반영된

일종의 규제선점이라고 보는 시선도 주목할 만하다.

‘산업계 녹색구매 자발적 협약’은 산업계에 녹색구매를 강제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은

면이 있을 뿐 아니라 추진상의 어려움이 예상되는 상황에서, 또한 ‘공사장 비산먼지

저감 자발적 협약’은 비산먼지의 특성상 사업장의 자발적인 참여 없이 효과적인 규제를

성공시키기 어려운 측면이 있어 자발적 협약이라는 대안이 선택된 것으로 보인다.

한편 ‘플라스틱 폐기물 회수·재활용 자발적 협약’은 재활용기술이 발달하면서 플라스

틱 재활용 촉진의 필요성이 대두되었으나 본격적으로 생산자책임재활용(EPR)제도를

도입하기에는 생산업체 중심의 회수·재활용체계라는 기반이 구축되지 않은 상황에서,

본 자발적 협약을 통해 회수·재활용체계를 구축한 뒤 EPR제도로 전환하고자 하는

의도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페트병 재질·구조개선 자발적 협약’도 향후 사전평가제

도 등으로 법제화될 사항에 대하여 자발적 협약을 통해 시범사업 성격으로 먼저 운영해

Page 125: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제4장․ 자발적 협약 사례연구 ∣ 113

봄으로써 업계에 준비할 기간을 주고 업계 의견을 수렴하는 등 본격적인 제도를 준비하는

단계로 사용된 측면이 있다.

Page 126: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114∣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

114∣

자발

적 협

약의 현

황 진

단 및

효과적 활

용방안

협약

환경

적 효

과성

정보

생산

/확산

메커

니즘

정책

의 맥

락/

다른

정책

과의

관계

의무

사항

/

환경

개선

목표

모니

터링

혜택

미이

행시

제제

조치

에너

지절

약 및

온실

가스

배출

감소

를 위

자발

적 협

에너

지절

약/C

O2

감축

목표

자율

설정

이행

실적

제출

시설

자금

/세

지원

, 의

무진

경감

,

친환

경기

업 인

티브

, 기

술지

협약

취소

, 지

제한

등 가

우수

사업

장 포

상,

실무

자 연

강력

규제

도입

이 어

려운

상황

서 대

안으

로 선

택,

이후

‘목

표관

리제’

로 대

체 중

페트

재질·구

조개

자발

적 협

‘가이

드라

인’에

른 재

질·구

조 개

결과

보고

서와

선된

페트

병 제

--

‘가이

드라

인’을

한 정

보생

산/확

본격

적 법

제화

전 시

범사

업 성

격,

이후

‘사

전평

가제

도’로

대체

플라

스틱

폐기

물 회

수·재

활용

자발

적 협

목표

재활

용률

정,

회수·재

활용

체계

구축

이행

계획

사,

이행

현황

기/

수시

조사

, 이

결과

보고

(서류

및 현

장실

사)

폐기

물부

담금

미이

행부

과금

,

협약

해지

, 혜

중지

워크

숍,

성과

보고

회 등

폐기

물부

담금

도에

서 EPR로

환하

기 위

한 징

다리

할(기

반구

축)

산업

계 녹

색구

자발

적 협

녹색

상품

구매

획 수

립,

규정

비,

직원

교육

기반

구축

추진

실적

보고

환경

이미

지 홍

보효

-워

크숍

, 녹

색제

정보

시스

템 등

규제

적절

하지

않거

나 추

진이

려운

상황

에서

안으

로 선

공사

장 비

산먼

저감

자발

적 협

관련

설설

치,

조치

, 대

책수

등 관

련 법

령 준

수,

기상

예보

에 따

른 조

치 시

기상

예보

제에

른 조

치보

고,

별 및

정기

점검

,

주민

체감

대기

조사

--

비산

먼지

상예

보제

, 비

산먼

지 저

감 컨

설팅

효과

적인

제가

어려

상황

에서

대안

으로

선택

<표 4

-32> 사례연구 대

상 프

로그램들의 특

Page 127: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제5장 ․ 시사점 및 향후 과제 ∣ 115

∣ 제5장·시사점 및 향후 과제∣1. 연구의 시사점 및 효과적 활용을 위한 제언

본 절에서는 연구를 통해 도출되는 시사점과 자발적 협약의 효과적 활용에 관한 제언

들을 환경적 효과성, 정보확산의 측면, 타 정책수단과의 관계, 이해관계자들 간의 협력적

관계의 도모라는 측면으로 나누어 정리하고자 한다. 제3장의 활용현황 진단에서 보듯이

우리나라에서 자발적 협약의 활용은 최근까지도 더욱 활발해지는 추세여서, 자발적 협약

이라는 정책수단에 대한 더욱 깊은 이해와 효과적 활용방안에 대한 논의가 요구된다.

가. 효과성에 대해서는 주의를 요함

환경적 효과성이라는 면에서는 자발적 협약의 한계를 분명히 인지할 필요가 있다.

제2장에서 보았듯이 기존문헌들에 따르면 자발적 협약이라는 정책수단의 환경적 효과성

은 프로그램마다 편차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강제적 수단에 비해 약하거나 불확실하다는

것이 통설이다(Lyon & Maxwell, 2007; Morgenstern & Pizer, 2007b 등). 따라서

강하고 분명한 환경적 효과가 요구되는 상황에서는 직접규제 등의 비자발적 수단을 우선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자발적 협약의 활용은 기존의 정책수단을 활용하기 어렵거나

적절하지 않을 때 그 공백을 활용하기 위한 목적 혹은 환경적 효과성이 다소 떨어지더라

도 자발적 협약의 다른 다양한 장점을 활용하려는 목적이 분명할 때가 바람직하다. 이러

한 의미에서 자발적 협약은 직접규제, 경제적 유인책과 같은 기존 정책수단들을 대체할

만한 수단이라기보다 기존 정책수단들을 주로 활용하면서 그 빈틈을 메우거나 다소 특수

한 상황에서 활용하는 보완적인 수단으로 보는 것이 적절하다.

또한, 자발적 협약을 활용할 때 뚜렷한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해서는 이를 위한

요소들을 협약 프로그램에 명확히 설계해 넣고 충실하게 운영할 필요가 있다. 즉 구체적

이고 측정 가능한 환경개선목표의 설정, 목표이행 여부에 대한 효과적인 모니터링 체계

Page 128: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116 ∣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

의 구축, 협약참여와 목표이행에 대한 참여기업의 ‘당근’과 ‘채찍’, 즉 인센티브와 제재조

치의 설정 및 충실한 이행이 그것이다. 또한 자발적 협약 프로그램이 뚜렷한 효과를

보이지 않으면 강력한 규제정책이 대신 도입될 것이라는 규제위협(regulatory threat)

을 활용하여 환경적 효과성을 도모하는 등 다른 정책수단과의 관계를 잘 활용하는 것도

효과적일 수 있다.

또한 자발적 협약 프로그램이 통상업무 수준(business-as-usual) 이상의 환경개선

효과를 달성하였는가에 대한 평가를 엄정하게 실시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프로그램의 설계에서부터 체계적인 성과관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48)

즉, 프로그램의 성과평가를 누가, 어떤 방법으로, 얼마나 자주 시행할 것인지 등에 대한

사항과 성과평가를 위해 필요한 데이터 수집에 관한 사항을 모니터링 체계에 포함시키는

것을 프로그램 설계 시부터 고려하여 체계적이고 엄정한 성과평가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국내에서도 ‘대기오염 저감을 위한 자발적 협약’ 등 일부 협약 프로그램

에서는 이와 같은 요소들이 어느 정도 반영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나. 정보확산의 요소를 효과적으로 활용

자발적 협약 프로그램을 통해 효율적인 저감기술의 확산, 기업이 체험을 통해 얻은

(learning by doing) 정보의 공유, 기술역량이 낮은 중소기업에의 기술지원, 기업 담당

자들의 인식제고 등 다양한 방식의 정보 생산 및 확산을 도모할 수 있다. 이러한 요소는

자발적 협약에 본질적인 요소는 아니지만 많은 자발적 협약 프로그램들이 이와 같은

요소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때 자발적 협약의 효용이 극대화될 수

있다.

앞서 살폈듯이 자발적 협약 프로그램에서 정보 생산 및 확산은 우수사례의 공유 및

홍보, 기술지원 및 컨설팅, 정부주도의 관련 R&D, 참여기업 담당자들 간의 인적교류를

통한 비공식적 정보확산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양한 요소들을 각

48) 자발적 협약의 성과를 평가하기 위한 독립적이고 체계적인 성과관리시스템의 필요성은 허경선(2010)

등이 주장한 바 있다.

Page 129: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제5장 ․ 시사점 및 향후 과제 ∣ 117

협약 프로그램이 처한 상황에 맞게 효과적으로 활용할 것을 모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 정책의 맥락 안에서 효과적으로 활용

한편, 정책의 맥락 안에서 파악할 때 자발적 협약의 효용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는

경우가 많다. 자발적 협약은 여건상 다른 정책수단의 도입이 어렵거나 상당한 시간이

걸릴 때 정책의 공백을 메우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사례연구에서 보듯이 자발적 협약은

후속정책에 대한 시범사업 성격이나 징검다리 역할로 활용되는 사례가 많다. 이때 후속

정책을 위한 정보수집, 역량강화, 기반구축 등의 역할로 충분히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

다.

라. 협력적 관계를 도모

자발적 협약의 도입은 규제자와 피규제자 간의 대립구도로 인식되는 정부와 기업간의

관계를 협력적 관계로 재편하려는 취지를 가졌다. 자발적 협약은 정책을 둘러싼 이해관

계자들이 소통하고 합의를 형성하는 장으로 활용하는 등 이해관계자들의 협력적 관계를

도모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기업 담당자들로부터 새로운 아이디어를 얻거나 이해관계

자들의 의견을 들을 수 있고, 대립되는 이해관계를 가진 기관들을 모아 자체적으로 의견

조율을 이루도록 유도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이러한 요소들도 정책상황에 따라 효과적

으로 활용할 수 있는 여지가 있을 것이다.

2. 본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과제

본 연구가 갖는 여러 한계 중에서도 자발적 협약 프로그램들에 대한 본격적인 성과평

가를 목적으로 하지 않았음을 본 절에서 특기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특정 프로그램의

성과를 본격적으로 평가하고자 하는 연구라기보다는 국내 자발적 협약 프로그램의 현황

과 특징들을 전반적으로 파악하고자 몇 개의 사례를 살핀 것에 가깝다. 특히 제4장의

심층 사례연구에서 다섯 개 협약 프로그램의 내용들을 소개하고 이를 바탕으로 자발적

Page 130: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118 ∣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

협약의 여러 측면과 효과에 대한 논의를 제시하였으나 각 프로그램에 대한 본격적인

정량적 실증분석이나 평가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향후 다양한 측면에서 기존의 자발적

협약 프로그램들에 대한 실증적 분석과 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가. 환경적 효과성에 대한 성과평가

국내 주요 자발적 협약 프로그램에 대한 환경적 효과성의 평가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러한 성과평가는 성과지표의 설정, ‘통상업무 수준’의 설정, 평가모형, 데이터

등 여러 측면에서 엄정한 방법론에 기반하여 이루어져야 하며, 나아가 앞서 밝혔듯이

프로그램의 설계에서부터 이러한 성과관리 시스템을 포함할 것을 고려하여야 한다.

외국문헌, 특히 미국의 경우 33/50 프로그램을 비롯한 주요 자발적 협약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환경적 효과성에 대한 실증분석이 여러 번에 걸쳐 이루어졌음을 감안할 때

국내 자발적 협약 프로그램에 대한 성과평가는 매우 미진한 상태라고 볼 수 있다.

나. 정보확산의 효과성에 대한 평가

정보확산에서도 새로운 저감기술 및 관련 정보의 확산효과, 기업 담당자 혹은 임원들

의 인지도 제고효과 등 다양한 측면에서 기존 자발적 협약 프로그램들이 얼마나 효과적이

었는지 평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기업 담당자들에 대한 설문조사 등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효과적인 정보확산을 위해 어떤 방식이 바람직한가에

대해서도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Lyon & Maxwell(2007)이 제시하는 바처럼

환경적 효과성에 대한 평가에 정보확산 측면을 포함하는 방식도 의미있는 작업일 것이

다.

다. 타 정책수단의 보완 역할에 대한 평가

자발적 협약이 후속수단을 위한 시범사업이나 징검다리 역할 등 타 정책수단의 보완

역할로 활용될 경우의 효용에 대한 평가도 의미있는 작업일 것이다. 시범사업으로서

Page 131: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제5장 ․ 시사점 및 향후 과제 ∣ 119

관련 기업이나 업계, 혹은 정부의 역량을 강화하거나 필요한 체제를 구축한 측면, 후속정

책의 설계를 위한 정보수집, 기업담당자들의 인식제고 및 교육효과 등에 대해서도 후속

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라. 협력적 체계 구축 측면에 대한 고찰

자발적 협약이 이해관계자들 간의 협력적 체계 구축에 기여한 측면에 관해서도 사례연

구 등 정성적 방법으로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김해 대포천 수질개선·유지에 관한

자발적 협약’은 지역주민과 지자체 및 기타 이해관계자들의 협력적 관계에 대한 연구가

여러 차례 진행되었으나,49) 다른 협약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연구가 미진한 편이다.

49) 홍성만, 유재원(2004); 홍성만, 주재복(2003); 김창수(2004); 황덕연, 박재현, 박순애(2007).

Page 132: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Page 133: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참고 문헌∣ 121

∣참고 문헌∣<국문 자료>

경기도민일보. 2006.11.30. “자율환경관리기업 지속 확산”.

http://www.kgdm.co.kr/news/68840 [2012.9.21].

국토해양부 보도자료. 2012.9.21, “항공온실가스 감축, 정부와 항공사가 같이 노력한다”.

http://www.mltm.go.kr/USR/NEWS/m_71/dtl.jsp?id=95070976 [2012.10.9].

금강유역환경청 보도자료. 2009.4.27. “삼성계열 6개 환경친화기업, 자발적 협약”.

http://www.me.go.kr/web/2291/gg/common/board/detail.do?idx=308015&decorat

or=gg&boardId=gg_bodo&categoryId=CATG1 [2012.10.9].

김창수. 2004. “협력과 강압의 환경정책수단 선택조건: 대포천과 회동수원지 사례의 비교분석”.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15(3): 71-98.

김현준. 2007. “자발적 환경협약”. 「환경법연구」 29(1): 3-35.

뉴스와이어. 2005.7.21. “광주시, 금호타이어와 자율환경관리협약 체결”.

http://www.newswire.co.kr/newsRead.php?no=67173 [2012.9.21].

매일경제. 2000.11.5. “환경부-형광등업계 자발적 협약 체결”.

______. 2005.10.1. “삼성전자·SK 등 33개사 온실가스 감축 자발적 협약”.

미래환경. 2012.9.1. “대기업 환경 부담금 면제해 주는 ‘플라스틱 폐기물 회수·재활용 자발적

협약”. http://www.ecofuturenetwork.co.kr/news/articleView.html?idxno=9373,

[2012.9.19]

연합뉴스. 1999.8.17. “인천지역 30여개 기업 자율환경관리제 도입”.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

id=0004467392 [2012.9.21].

워터저널. 2005.7.20. “환경부-19개 기업 ‘다이옥신 줄이기’ 앞장”.

http://www.waterjournal.co.kr/news/articleView.html?idxno=782 [2012.9.21].

산업자원부. 2002. 「환경경영 실천 및 확산방안」. 산업자원부, 에너지관리공단. 2010. 「2010년 에너지절약 및 온실가스배출 감소를 위한

자발적협약(VA) 가이드 북 - 산업부문」. 산업자원부 보도자료. 2005.5.7. “에너지절약 자발적협약(VA) 체결”.

Page 134: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122 ∣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

전국경제인연합회. 2011. 「규제 유연성 제고 방안 - 환경 자발적 협약 제도를 중심으로 」.정우현. 2012. 「환경거버넌스의 다각화 현황 및 시사점」.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정회성. 2000. 「(지속가능한 사회를 향한) 지역자율환경관리의 효과적 추진방향」.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정회성, 김미숙. 2007. “산업환경관리 수단으로서의 자율관리제도 고찰”. 「환경법연구」 29(1): 89-123.

지식경제부. 에너지관리공단. 2010, 「2010 에너지절약 및 온실가스배출 감소를 위한

자발적협약(VA) 가이드북」.지식경제부 보도자료. 2011.11.15. “대·중소기업의 동반성장, 탄소저감으로 결실 맺는다”.

충북일보. 2011.6.15. “하이닉스, 수질개선 위해 기업간 자발적 협약 참여”.

http://www.inews365.com/news/article.html?no=183943 [2012.9.21].

충청제일뉴스. 2012.6.16. “당진, 철강기업과 자율환경 실천협약 체결”.

http://osktv.co.kr/news/service/article/mess_02.asp?P_Index=10441&flag= [2012.

9.21].

한국유럽학회. 2006. 「유럽연합과 유럽 주요국의 환경정책 비교연구」.한국페트병자원순환협회. 2012.8.31. “자원순환 촉진을 위한 페트병포장 재질·구조개선 자

발적협약”.

한국환경공단 보도자료. 2012.7.24. “2011년 플라스틱 회수·재활용 자발적 협약으로 1,834억

아꼈다”.

http://www.me.go.kr/web/286/me/common/board/detail.do?idx=182171&decorato

r=me&boardId=notice_02&currentPage=0, [2012. 9.18].

허경선. 2010. “자발적 협약의 이슈와 시사점: 미국 기후변화 대응 프로그램(Climate Challenge

Program)을 중심으로”. 「재정포럼」 2010(7): 20-39.

홍성만, 유재원. 2004. “수질개선을 위한 정부-주민간 환경협약사례: 대포천의

수질개선·유지를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보」 13(5): 95-119.

홍성만, 주재복. 2003. “ 자율규칙형성을 통한 공유재 관리: 대포천 수질개선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보」 37(2): 469-494.

황덕연, 박재현, 박순애. 2007. “수질환경개선사업에 대한 자율환경관리와 정부주도관리 방식의

Page 135: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참고 문헌∣ 123

비용효과분석: 대포천과 양재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보」 19(4): 241-258.

환경일보. 2012.3.30. “2012년 세계 물의 날 기념식 열려”,

http://www.hkbs.co.kr/hkbs/news.php?mid=1&r=view&uid=227054 [2012.10.9].

환경일보. 2012.7.11. “플라스틱 폐기물 협약, 자발적 재활용 통한 자원절약 효과 커”.

http://www.hkbs.co.kr/hkbs/news.php?mid=1&treec=131&r=view&uid=235155

[2012. 9. 19].

환경부. 2010. 「건축물 석면관리를 위한 자발적 협약서(안)」.______. 2011. 「제2차 녹색제품 구매촉진 기본계획」. ______. 2012a. 「비산먼지 저감대책」.______. 2012b. 「(저탄소 녹색성장에 기여하는) 플라스틱 회수 ·재활용 자발적 협약」.환경부. 한국환경산업기술원. 2011. 「2011 산업계 녹색구매 성과보고서」.환경부 보도자료. 2002.4.3. “김해 대포천 국내최초로 수질개선·유지에 관한 자발적 협약

체결”.

환경부 보도자료. 2003.1.27. “1회용품 사용 줄이기 자발적 협약 이행실태 발표”.

환경부 보도자료. 2004.4.10. “페인트 VOC 저감 자발적 협약 추가 체결”.

환경부 보도자료. 2005.9.26. “산업계의 녹색구매 자발적 협약 체결”.

환경부 보도자료. 2006.4.11. “산업계의 녹색구매 활동 본격 추진”,

http://www.me.go.kr/web/286/me/common/board/detail.do?boardId=notice_02&d

ecorator=me&idx=145286. [2012.10.9].

환경부 보도자료. 2006.12.27. “한국석유공사, 환경부와 토양오염 방지 및 정화를 위한 자발적

협약 체결”.

환경부 보도자료. 2007.1.21. “사업장폐기물 548천톤 감량한 결과, 3,048억원 비용 절감”.

환경부 보도자료. 2008.11.21. “화학물질 배출저감 자발적 협약 획기적 노력으로 3년간 배출량

65% 저감”.

http://www.me.go.kr/web/286/me/common/board/detail.do?boardId=notice_02&d

ecorator=me&idx=166358 [2012.10.9].

환경부 보도자료. 2009.6.22. “소주병 공동 사용으로 저탄소 녹색성장에 적극 동참”.

http://www.me.go.kr/web/286/me/common/board/detail.do?boardId=notice_02&d

Page 136: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124 ∣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

ecorator=me&idx=168576 [2012.10.9].

환경부 보도자료. 2009.7.30. “공공기관이 재생아스콘 사용 앞장선다”.

환경부 보도자료. 2009.8.26. “한국 탄소시장(Carbon Market)의 태동은 지자체에서……”,

http://www.google.co.kr/url?sa=t&rct=j&q=171%EA%B0%9C%20%EC%82%AC%EC

%97%85%EC%9E%A5%20%EC%98%A8%EC%8B%A4%EA%B0%80%EC%8A%A4&sourc

e=web&cd=3&cad=rja&ved=0CD8QFjAC&url=http%3A%2F%2Fwww.ggec.or.kr%2F

data_file%2Fdown%2F090826_A1.hwp&ei=Hh_UUJqRMPC8iAfq3oCYBw&usg=AFQj

CNEtNp48fZrWKpb-_lCBHGX4EC6LFw&bvm=bv.1355534169,d.aGc [2012.10.9].

환경부 보도자료. 2010.1.15. “수액백, 국내 제조완구에서 프탈레이트 사용 근절”.

환경부 보도자료. 2010.4.27. “금강유역환경청, 녹색기업과 함께 하는 생태우수지역

보전·관리”.

환경부 보도자료. 2010.5.27. “낭비없는 음식문화, 고속도로 타고 ‘씽싱’”.

환경부 보도자료. 2010.10.21. “환경부, 삼성전자와 스마트폰 대기오염도 서비스 자발적 협약

체결”.

http://www.me.go.kr/web/286/me/common/board/detail.do?boardId=notice_02&d

ecorator=me&idx=176149 [2012.10. 9].

환경부 보도자료. 2011.4.11.“서랍속 폐휴대폰으로 자원확보와 사랑나눔 실천하세요!”.

http://www2.korea.kr/newsWeb/pages/brief/partNews2/view.do;JSESSIONID_KO

REA=CLYtQb3V6VbCvgLmq5NLgdM88D1fPbNTVGNqJrnhbm2fR67pHQGm!-11188

49351?call_from=extlink&call_from=extlink&dataId=155737696 [2012. 9.21].

환경부 보도자료. 2011.7.7. “삼성물산·대림산업, 건축물 석면관리 우수업체로 선정”.

환경부 보도자료. 2011.7.14. “환경친화형 도료 사용을 위한 자발적 협약”.

환경부 보도자료. 2011.10.18. “자동차 제조사가 앞장서서, 버려지는 자동차에서 보물 캔다”.

환경부 보도자료. 2011.11.1 “기업형 슈퍼마켓에서도 1회용 비닐쇼핑백 사라진다”.

환경부 보도자료. 2011,11.4. “자발적협약 지역 대기오염물질 저감에 크게 기여”.

http://www.me.go.kr/web/286/me/common/board/detail.do?boardId=notice_02&d

ecorator=me&idx=179241 [2012. 10. 9].

환경부 보도자료. 2011.10.4. “자발적협약 지역 대기오염물질 저감에 크게 기여”.

Page 137: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참고 문헌∣ 125

환경부 보도자료. 2011.11.14. “수도권 대기개선! 사업장도 발벗고 나선다”.

환경부 보도자료. 2012.1.13. “공장집중 광양만권 사업장, 대기오염물질 줄이자 합심”.

http://www2.korea.kr/newsWeb/pages/brief/partNews2/view.do?dataId=15580699

3&call_from=extlink&call_from=extlink [2012.9.21].

환경부 보도자료. 2012.1.31. “기업형 슈퍼마켓, 2월 1일부터 1회용 비닐쇼핑백 판매 중단”.

http://www.me.go.kr/web/286/me/common/board/detail.do?boardId=notice_02&d

ecorator=me&idx=180351 [2012. 10. 9].

환경부 보도자료. 2012.3.9. “울산지역 대기오염물질 저감은 사업장이 앞장선다”.

http://www2.korea.kr/newsWeb/pages/brief/partNews2/view.do?dataId=15581583

8&call_from=extlink&call_from=extlink [2012. 9.21].

환경부 보도자료. 2012.9.21. “조선업계, 향후 5년간 휘발성 유기화합물질 총 14,896톤 줄인다”.

http://www.me.go.kr/web/287/me/common/board/detail.do?idx=182767&decorato

r=me&boardId=notice_02 [2012. 9.21].

EBN 산업뉴스. 2009.4.15. “환경부, ‘자발적 협약’ 통해 재활용율 높인다”.

http://www.ebn.co.kr/news/n_view.html?id=378333 [2012. 10. 4].

<일문 자료>

財団法人持続性推進機構エコアクション21中央事務局. 2011. 「エコアクション21認証・登録制度の現状と課題」.

日本経済団体連合会. 2012a. 「2011年度 環境自主行動計画 第三者評価委員会 評価報告書」.______. 2012b. 「環境自主行動計画[循環型社会形成編]-2011年度フォローアップ調査結果-」.

<영문 자료>

Agentschap NL. 2010. Long-Term Agreement on Energy Efficiency in the Netherlands

LTA3 Results of 2009.

Brouhle, K., C. Griffiths, and A. Wolverton. 2005. “The use of voluntary approaches

for environmental policy making in the U.S”. The Handbook of Environmental

Voluntary Agreements: 107-134.

Page 138: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126 ∣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

Bui, Linda and S. Kapon. 2012. “The Impact of Voluntary Programs on Polluting

Behavior: Evidence from Pollution Prevention Programs and Toxic Release”. Journal

of Environmental Economics and Management, 64: 31-44.

Commission of the European Communities. 2002. Environmental Agreements at

Community Level within the Framework of the Action Plan on the Simplification

and Improvement of the Regulatory Environment. COM(2002) 412.

______. 2004. Partnership for Change in an Enlarged Europe - Enhancing the

Contribution of European Social Dialogue. COM(2004) 557.

______. 1996. On Environmental Agreements.

Dalkmann, H. et al. 2005. Review of Voluntary Approaches in the European Union:

Feasibility Study on Demonstration of Voluntary Approaches for Industrial

Environmental Management in China, Wuppertal Institute for Climate Environment

and Energy.

EPA. 1999. 33/50 Program the Final Record.

European Union. 2002. Action Plan: Simplifying and Improving the Regulatory

Environment.

______. 2009. Directive 2009/125/EC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of 21 October 2009 Establishing a Framework for the Setting of Ecodesign

Requirements for Energy-related Products.

Gamper-Rabindran, S. 2006. “Did the EPA’s voluntary industrial toxics program

reduce emissions? A GIS analysis of distributional impacts and by-media analysis

of substitution”. Journal of Environmental Economics and Management, 52(1):

391-410.

Goodin, R. 1986. “The Principle of Voluntary Agreement”. Public Administration,

64(4): 435-444.

Heckman, J. J. 1978. “Dummy Endogenous Variables in a Simultaneous Equation

System”. Econometrics, 46(6): 932-959.

Innes, R. and A. G. Sam. 2008. “Voluntary Pollution Reductions and the Enforcement

Page 139: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참고 문헌∣ 127

of Environmental Law: An Empirical Study of the 33/50 Program”. Journal of Law

and Economics 51(2): 271-296.

Lyon, T. P. and J. W. Maxwell. 2002. “‘Voluntary’ Approaches to Environmental

Regulation: A Survey”. Economic Institutions and Environmental Policy: 142-174.

Lyon, T. P. and J. W. Maxwell. 2007. “Environmental Public Voluntary Programs

Reconsidered”. The Policy Studies Journal, 35(4): 723-750.

Khanna, M. and L. A. Damon. 1999. “EPA’s voluntary 33/50 Program: impact on toxic

realeases and economic performance of firms”. Journal of Environmental Economic

and Management, 37(1): 1-25.

Kim, E. and T. Lyon. 2011. “Strategic Environmental Disclosure: Evidence from the

DOE’s Voluntary Greenhouse Gas Registry”. Journal of Environmental Economics

and Management 61(3): 311-326.

Maxwell, J. W, T. P. Lyon and S. C. Hackett. 2000. “Self-regulation and Social

Welfare: the Political Economy of Corporate Environmentalism”. Journal of Law

& Economics, vol.XLIII: 583-617.

Morgenstern, R. D. and W. A. Pizer. 2007a. “How well do voluntary environmental

programs Really work?”. Resources: 23-26.

______. 2007b. Reality Check: the nature and performance of voluntary environmental

program in the United States, Europe, and Japan. An REF Press Book.

OECD. 1999. Voluntary Approaches for Environment Policy: an assessment.

______. 2003. Voluntary Approaches for Environmental Policy: Effectiveness,

Efficiency and Usage in Policy Mixes.

Pizer, W. A., R. Morgenstern, and J. Shih. 2008. The Performance of Voluntary

Climate Change Programs. Discussion Paper. 08-14-REV. Resources for the

Future.

Price, Lynn. 2005. Voluntary Agreements for Energy Efficiency or GHG Emissions

Reduction in Industry: An Assessment of Programs around the World. Ernest

Orlando Lawrence Berkeley National Laboratory.

Page 140: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128 ∣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

Rezessy, S. and P. Bertoldi. 2010. “Voluntary Agreements in the Field of Energy

Efficiency and Emission Reduction: Review and Analysis of the Experience in

Member States of the European Union”. European Commission.

Segerson, K. and Thomas J. Miceli. 1998. “Voluntary Environmental Agreements:

Good or Bad News for Environmental Protection?”. Journal of Environmental

Economics and Management, 36(2): 109-130.

Tanasescu, I. 2005. “Voluntary Instruments in EU Environmental Policy”. Paper

Prepared for the 2005 Berlin Conference on the Human Dimension of Environmental

Change.

Vidovic, M. and N. Khanna. 2007. “Can voluntary pollution prevention programs fulfill

their promises? Further evidence from the EPA’s 33/50 Program“. Journal of

Environmental Economics and Management, 53(2): 180-195.

<온라인 자료>

녹색구매 자발적협약 홈페이지. http://www.ecova.or.kr/ [2012.9.21].

한국페트병자원순환협회. http://www.petrecycle.or.kr/ [2012.10.9].

Page 141: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부록∣ 129

<부 록>

부록 A. 국내 자발적 협약 프로그램 목록

1. 기후 / 에너지 분야

가. 에너지절약 및 온실가스 배출감소를 위한 자발적 협약

○ 주관기관: 산업자원부, 에너지관리공단

○ 운영기간: 1998~

○ 주요 내용:

­ 에너지절약 및 온실가스 배출감소 목적

­ 에너지 다소비 사업장(2,000toe 이상)은 에너지절약 및 온실가스 배출감소를

위한 목표와 추진방법을 설정한 후 이행하고 정부는 모니터링, 평가, 자금

및 세제지원을 실시

­ 협약기간 5년

­ 에너지 목표관리제의 시작으로 2010년 협약 이후 당분간 체결되는 협약이

없음

○ 참여기관: 1998 포스코 등 15개 사업장 이후 2009년까지 총 1,300여 개 사업장

나. 온실가스-대기오염 물질 통합감축 자발적 협약

○ 주관기관: 환경부/지자체

○ 운영기간: 2005~2010

○ 주요 내용:

­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및 대기 오염물질 감축 노력을 통하여 지구환

경보호 및 대기질 개선에 공헌하고자 체결

­ 참여 기업은 온실가스 배출량 통계조사 및 배출권거래제도 시범사업 실시

Page 142: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130 ∣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

협조, 신규 공장건설 및 생산공정 개선 시 온실가스 감축기술 반영, 자발적·비구속적 온실가스 감축노력 유도

­ 정부는 협약 참여기업에 자발적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사업자에 대한 인센티

브 부여 방안 마련, 기술개발 및 산업 지원 확대 등 정책적 지원 방침

­ 2009년까지 171개 사업장이 참여했으며, 이 사업장들은 2010년부터 배출권

거래 사업에 참여

○ 참여기관:

­ 삼성전자, GS칼텍스, 포스코, LG화학, 삼성 에버랜드, 수자원공사, 태평양,

CJ, SK, 한솔제지, 유한킴벌리 등 33개 회원사, 2005년 이후 각 지자체와

지역 기업으로 확산(천안시, 광주시, 창원시, 인천시 등) 2009년 171개 사업

다. 항공부문 온실가스 자발적 감축 협약

○ 주관기관: 국토해양부

○ 운영기간: 2010~

○ 주요 내용:

­ 참여 항공사는 최근 3년간 연평균 연료효율 대비 개선치를 기준으로 감축목표

를 설정 후, 세부적인 이행방안을 마련하여 향후 1년간 감축활동을 추진.

­ 감축목표 달성 시 녹색 항공사 표창 수여 등 인센티브 부여

○ 참여기관:

­ 1차(2010. 7):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제주항공

­ 2차(2011. 9):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제주항공, 에어부산, 진에어, 이스타

항공

­ 3차(2012. 9):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제주항공, 에어부산, 진에어, 이스타

항공, 티웨이항공

Page 143: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부록∣ 131

2. 대기

가. 페인트 VOC 저감 자발적 협약

○ 주관기관: 환경부

○ 운영기간: 2004~2009

○ 주요 내용:

­ 건축용 및 자동차보수용 페인트의 VOC 함유량 저감을 목표

­ 건축용 페인트는 2005년 말까지 2003년 평균 유기용제 함량의 20% 이상을,

2007년 말 및 2009년 말까지 35%, 50% 이상 저감을 목표로 함

○ 참여기관: 건설화학공업 관련 6개 페인트 업체

나. 대기오염 저감 자발적 협약

○ 주관기관: 환경부/지자체

○ 운영기간: 2005~

○ 주요 내용:

­ 기업체에서 스스로 저감목표를 정한 후 5년에 걸쳐 실천

­ 광양만권, 울산지역은 질소산화물 등 3개 항목에 대해 13% 저감 목표

­ 조선업종(부산, 울산, 전남, 경남 지역)은 VOC 1개 항목에 대해 협약을 추진

하여 30% 저감을 목표

­ 대산·당진 지역은 질소산화물, VOC 등 4개 항목에 대해 18% 저감을 목표

­ 울산지역은 1차 협약 종료 후 2012년부터 2차 협약으로

SMART(Stewardship-based Management for Area-specific Risk

reduction Target) 시행 중

○ 참여기관:

­ 광양만권(2006~2010) POSCO, 광양제철소 등 15개

­ 울산지역(2006~2010, 2012~2016) SK울산공장 등 25개

Page 144: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132 ∣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

­ 대산, 당진 지역(2007~2011, 2012~2016) 현대오일뱅크 등 10개

­ 조선업 VOC(부산, 울산, 전남 영암, 경남 거제, 통영, 진해, 2007~2011):

현대중공업 등 9개, 협약기간. 총 59개 사업장

다. 석면 안전관리를 위한 자발적 협약

○ 주관기관: 환경부

○ 운영기간: 2010~2011

○ 주요 내용:

­ 건축물 철거, 보수 시 발생하는 석면 비산을 안전하게 관리하기 위한 협약

­ 건설업계 및 서울메트로는 건축 철거, 보수 시 석면 사전제거, 석면 해체,

제거작업관리, 감독철저, 석면폐기물 적정처리 관리 등을 수행하며 관련 단체

및 환경부는 이를 지원

­ 2011년 상반기 이행실적에 관한 평가 및 우수업체 표창 후 사실상 종료.

○ 참여기관: 서울메트로 등 16개 업체

라. 환경친화형 도료 사용을 위한 자발적 협약

○ 주관기관: 수도권 대기환경청

○ 운영기간: 2011~

○ 주요 내용:

­ 환경친화형 도료의 유통기반 확대 및 기술개발 촉진을 위한 협약

­ 공공부문의 도료 다량 사용기관의 휘발성 화합물 배출량 저감을 위한 환경친

화형 도료 사용 추진

­ 환경친화형 도료의 구매계획, 사용실적 공표 및 매년 평가회 개최

­ 환경친화형 도료의 유통기반 확대 및 기술개발 촉진

○ 참여기관: 환경부, 한국토지주택공사, 한국도로공사, SH공사,

Page 145: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부록∣ 133

인천광역시 도시개발공사, 경기도시공사, 전국자동차정비조합, 환경부

마. 수도권 사업장 대기총량 관리 자발적 협약

○ 주관기관: 수도권 대기환경청

○ 운영 기간: 2011~

○ 주요내용:

­ 수도권 대기질 개선을 위해 체결한 사업장은 할당받은 배출허용총량보다 최소

10% 이상 추가 저감하며, 정부는 협약사업장을 대상으로 한 재원지원, 우수

사례표창, 녹색기업 가점부여 등 인센티브 발굴, 제공 등 제도적 장치 마련

­ 2011년 협약은 2012년까지 유효하며, 2013~2017년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사업장 할당 기준이 마련되면 이에 대한 협약을 다시 체결할 예정

○ 참여기관: 한국서부발전(주) 등 11개 사업장

바. 공사장 비산먼지 저감 자발적 협약

○ 주관기관: 수도권 대기환경청

○ 운영기간: 2012~

○ 주요 내용:

­ 지역 주민의 건강 보호 및 체감 대기질 개선을 위해 건설사업장이 자발적으로

공사장 비산먼지 저감에 참여

­ 이를 위한 기상 예보제 및 비산먼지 저감 컨설팅을 운영하여 최종적으로는

지역 주민들의 체감 대기질을 개선하기 위한 협약

­ 2012년 시범사업 실시

○ 참여기관: 현대건설 및 수도권 10개 사업장

Page 146: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134 ∣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

3. 수질

가. 김해 대포천의 수질 개선 ∙ 유지에 관한 자발적 협약

○ 주관기관: 환경부/지자체

○ 운영기간: 2002~

○ 주요 내용:

­ 낙동강 물금취수장 인근 대포천의 수질을 기존 3~4급수에서 1급수로 개선하

고 유지하기 위한 협약

­ 주민은 자율적으로 상동면수질개선대책위원회를 두고, 대포천 수질 개선 및

유지를 위해 노력하며 정부 및 지자체는 이를 지원

­ 특히 수질이 유지될 경우에는 상수원보호구역 지정과 오염총량관리제 시행을

유예하기로 하였으며 2012년까지 유예되고 있음

○ 참여기관: 환경부, 상동면 주민대표, 경상남도지사, 김해시장

나. 갑천, 미호천 수질개선을 위한 자발적 협약

○ 주관기관: 금강유역환경청

○ 운영기간: 2011~

○ 주요 내용:

­ 갑천, 미호천 수질개선을 위해 인근 기업체와 협약을 맺고, 협약업체는 폐수

재이용 등 수질오염물질 줄이기를 위해 노력하며, 금강유역환경청은 폐수 고

도처리를 위한 기술 지원과 환경정책 자료를 제공

○ 참여기관: 하이닉스반도체 등 16개 업체

다. 청미천 좋은 물 만들기 자발적 협약

○ 주관기관: 한강유역 환경청

○ 운영기간: 2012~

Page 147: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부록∣ 135

○ 주요 내용:

­ 청미천 수질개선을 위한 협약업체 간의 행정, 재정적 지원 및 상호협조체계

구축

○ 참여기관: 환경유역환경청, 환경보전협회, 지자체 및 20개 기관

4. 폐기물

가. 생산자 책임 재활용 자발적 협약

○ 주관기관: 환경부

○ 운영기간: 2000~2002

○ 주요 내용:

­ 기존에 폐기물 수거 및 재활용을 위한 예치금이 있었으나 전자제품, 유리병,

금속캔, 타이어, 폐윤활유, 형광등의 재활용체계를 구축하고 예치금을 면제

해주는 제도

­ 2002년 생산자 책임 재활용을 법제화하면서 종료

○ 참여기관: 전자제품, 형광등, 유리병, 금속캔, 타이어 업체 다수

나. 1회용품 줄이기 자발적 협약

○ 주관기관: 환경부

○ 운영기간: 2009~

○ 주요 내용:

­ 커피전문점과 패스트푸드점의 1회용품 사용 감소를 위해 협약을 체결

­ 사업장은 다회용 컵을 가져오는 고객에게 가격 할인 등 인센티브를 제공하여

1회용품 회수율을 높이고, 1회용품을 다회용품으로 전환하도록 노력하기 위

한 협약

○ 참여기관: ㈜롯데리아 외 42개 업체

Page 148: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136 ∣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

다. 포장폐기물 줄이기 자발적 협약

○ 주관기관: 환경부

○ 운영기간: 2008~

○ 주요 내용:

­ 판촉용 포장재로 인한 폐기물 발생 저감을 위한 협약

­ 협약을 체결한 업체들은 판촉용 포장재 사용 및 배출량 줄이기 실천운동에

적극 참여하고 그린마일리지 캠페인 실시 및 포장제품에 포장 공간 비율 등을

표시해야 함

­ 전체적인 목표는 2008년에는 2007년 대비 30% 절감 후, 2012년까지 총

80%를 절감

○ 참여기관:

­ 1차(2008. 5): 건강/미용용품군 18개 업체

­ 2차(2008. 7): 식품군 24개 업체

­ 3차(2008.12): 화장품, 주류, 면도기 29개 업체

라. 플라스틱 폐기물 회수·재활용 자발적 협약

○ 주관기관: 환경부

○ 운영기간: 2008~

○ 주요 내용:

­ 폐플라스틱 재활용 활성화를 통한 기업부담경감 및 기업의 환경책임의식을

고취하기 위해 시행

­ 기존의 폐기물 부담금 대상 품목 중 재활용률이 높으나 아직 EPR제도에 포함

되지 않은 품목을 대상으로 추진

­ 본 협약 추진 후 재활용을 추진하면 부담금을 면제해 주는 제도

○ 참여기관: 2011년까지 약 425개 사업장 및 환경공단

Page 149: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부록∣ 137

마. 폐기물 감량 자발적 협약

○ 주관기관: 환경공단

○ 운영기간: 2008~

○ 주요 내용:

­ 폐기물 감량을 위해 자원 생산, 소비 기업 중 폐기물 다량 배출 사업장과

환경공단이 협약에 참여하여 기업은 폐기물 감량 목표를 설정·이행하고,

공단은 이행을 위한 인센티브(감량화 시설 설치자금 지원, 세제혜택) 등을

지원함.

­ 협약기간은 3년

○ 참여기관: 1차(2007. 12): 롯데칠성음료 ㈜ 등 13개 사업장

바. 페트병 재질·구조개선 자발적 협약

○ 주관기관: 환경부

○ 운영기간: 2009~2011

○ 주요 내용:

­ 페트병 재활용 촉진 및 재활용제품의 고부가가치 창출을 위해 제품의 제조

단계부터 재질, 구조개선을 추진. 협약당사자는 페트병 재질, 색상을 무색,

스카이블루, 그린, 갈색으로 통일하고 마개는 금속, 마개와 분리되는 실리콘,

고무, 비중 1 이상의 플라스틱 마개 사용 중단

○ 참여기관: 롯데칠성음료(주) 외 17개 업체,(사)한국페트병 자원순환협회

사. 재생아스콘 사용 촉진 자발적 협약

○ 주관기관: 환경부/지자체

○ 운영기간: 2009~2010

○ 주요 내용:

Page 150: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138 ∣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

­ 재생아스콘 사용촉진을 위하여 환경부와 공공기관이 추진

­ 공공기관의 건설공사에서는 재생아스콘 사용을 위해 노력하고 생산자는 공인

기관으로부터 품질인증 받은 제품 공급, 환경부는 정책개발과 기술지원 강화

­ 2010년 하반기부터 공공기관과 사회기반시설사업(SOC) 시행자가 시행하는

건설공사에는 재생아스콘 의무 사용

○ 참여기관: 조달청, 서울시 등 20개 공공기관 및 관련 협회

아. 소주업계 360ml병 공용화 자발적 협약

○ 주관기관: 환경부

○ 운영기간: 2009~

○ 주요 내용:

­ 공병의 회수 및 재사용 촉진, 신병 투입억제로 자원 절약 및 온실가스 발생

감소를 위하여 참여업체들이 재사용 가능한 유리병을 공동으로 사용

○ 참여기관:

­ 1차(2009. 6): 7개 소주사.

­ 2차(2010. 3): 금복주, 무학, 보해양조 참여로 10개 소주업계 모두 참여

자. 음식문화 개선 자발적 협약(음식물쓰레기 줄이기 자발적 협약)

○ 주관기관: 환경부

○ 운영기간: 2010~2011

○ 주요 내용:

­ 음식물 쓰레기 줄이기를 위해 체결. 군부대는 일반국민 발생량의 50% 이상

줄일 것을 목표하고 고속도로 휴게소는 기존 음식물 쓰레기 양의 20% 이상

감량하는 등 음식물 쓰레기 줄이기 목표를 설정하여 이를 이행

○ 참여기관: 고속도로 휴게소, 대학교, 병원, 장례식장, 호텔뷔페, 대기업, 학교

Page 151: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부록∣ 139

차. 1회용 비닐 쇼핑백 없는 매장 자발적 협약

○ 주관기관: 환경부

○ 운영기간: 2010~

○ 주요 내용:

­ 일회용 비닐봉투 및 쇼핑백 사용량을 줄여 자원 절약

○ 참여기관: 대형유통업체 및 기업형 슈퍼마켓 1,186개 매장

카. 폐자동차 자원회수를 위한 자발적 협약

○ 주관기관: 환경부

○ 운영기간: 2011~2012

○ 주요 내용:

­ 자동차 제조업계에 대한 재활용 및 온실가스 감축 책임을 강화하기 위한 협약

­ 자동차 제조사는 2012년 폐자동차 재활용률 95% 달성과 기후변화물질인 냉매

회수, 처리 등을 목표로 시범사업을 추진

○ 참여기관: 현대, 기아자동차, 한국GM, 르노삼성, 쌍용자동차

5. 화학물질

가. 화학물질 배출저감 자발적 협약(30/50 프로그램)

○ 주관기관: 환경부

○ 운영기간: 2004~

○ 주요 내용:

­ 유해 화학물질을 기업체 스스로 사용을 저감하여 기준연도 대비 3년까지

30%, 5년까지 50% 저감하는 것을 목표로 하여 이행계획 수립 및 실천하고

정부는 이행실태를 확인 및 독려

○ 참여기관: 2012년까지 GS칼텍스, LG화학 외 200여 사업장 참여

Page 152: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140 ∣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

나. 특정 잔류성 유기오염 물질저감을 위한 자발적 협약

○ 주관기관: 환경부

○ 운영기간: 2007~2011

○ 주요 내용:

­ 프탈레이트 가소제 및 이를 0.1% 초과하여 함유한 혼합물질을 수액, 백, 완구

용품 등에 사용 제한. 2011년 종료검토 후 2012년 법제화 추진

○ 참여기관:

­ 1차(2007. 9): 7개 제조업체 및 사용업체

­ 2차(2010. 3): 15개 제조업체 및 사용업체

6. 기타

가. 지역 자율환경관리제

○ 주관기관: 환경부/지자체

○ 운영기간: 1999~

○ 주요 내용:

­ 기업과 관할 행정기관의 긴밀한 유대를 통한 지역 환경질 개선

○ 참여기관: 인천, 경기도 등 지자체 및 관할 사업장

나. 토양오염 방지 및 정화를 위한 자발적 협약

○ 주관기관: 환경부

○ 운영기간: 2003~

○ 주요 내용:

­ 유류저장시설로 인한 토양오염을 방지하고 오염 토양을 정화하기 위한 목적으

로 정유사 및 한국석유공사와 자발적 협약을 체결. 협약기간은 10년. 당사자

는 토양오염을 막기 위해 토양오염도 검사를 3년 주기로 실시하고, 토양오염

Page 153: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부록∣ 141

이 밝혀지면 토양오염 정밀조사를 실시하고 토양 정화계획을 수립하여 자율적

으로 토양오염 정화를 수행하며 지하매설배관을 단계적으로 지상화함

○ 참여기관:

­ 1차(2002): SK 등 정유 5사

­ 2차(2006): 한국석유공사

다. 녹색구매 자발적 협약

○ 주관기관: 환경부

○ 운영기간: 2005~

○ 주요 내용:

­ 녹색기술의 연구, 개발 및 녹색생산과 녹색소비를 활성화하기 위해 협약에

참여한 기업들은 환경마크, 우수재활용 인증제품, 절전형 사무가전 기기 및

고효율 에너지 기자재 등 녹색제품을 의무구매함. 협약기간은 3년

○ 참여기관:

­ 1차(2005. 9): 30개 사

­ 2차(2006.12): 17개 사

­ 3차(2007. 6): 33개 사

­ 4차(2007.11): 27개 사

­ 5차(2009. 6): 15개 사

­ 6차(2010. 6): 9개 사

­ 7차(2011. 4)

­ 8차(2012. 8)

라. 생태·경관보전지역 및 특정도서 보전·관리를 위한 자발적 협약

○ 주관기관: 금강유역환경청

Page 154: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142 ∣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

○ 운영기간: 2008~

○ 주요 내용:

­ 자연생태계가 우수한 생태, 경관보전지역(소황사구)과 특정도서(옥도)의 보

전관리를 위해 체결. 지역 사업장이 환경보전 시설물 설치, 수목 식재, 외래식

물 제거 및 해양쓰레기 수거 등 환경정화 활동을 하는 내용. 협약기간은 1년

○ 참여기관: 삼성전자 외 삼성 계열사 6개 사업장

마. 환경ㆍ에너지 분야 대ㆍ중소 동반성장 자발적 협약

○ 주관기관: 지식경제부

○ 운영기간: 2011~

○ 주요 내용:

­ 온실가스 감축 및 환경 친화적 제품 생산 촉진을 위해 대기업이 본 협약을

환경부와 체결한 후 협력 중소기업과 그린파트너십을 형성하여 제품생산 전

과정의 탄소배출 실적을 진단하고, 기술개발, 공정개선, 설비확충 등을 통해

환경개선 및 온실가스 감축을 추진

○ 참여기관: 홈플러스 등 6개 대기업 및 100개 중소기업

Page 155: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부록∣ 143

부록 B. 주요 자발적 협약 협약서

1. 에너지절약 및 온실가스 배출감소를 위한 자발적 협약 협약문

Page 156: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144 ∣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

2. 페트병 재질·구조개선 자발적 협약

Page 157: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부록∣ 145

Page 158: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146 ∣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

3. 플라스틱 폐기물 회수·재활용 자발적 협약

Page 159: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부록∣ 147

4. 산업계 녹색구매 자발적 협약

Page 160: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148∣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

148∣

자발

적 협

약의 현

황 진

단 및

효과적 활

용방안

5. 공사장 비

산먼지 저

감 자

발적 협

Page 161: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Abstract∣ 149

Abstract

Voluntary  Agreements  in  Korea

:  Current  Status  and  Effective  Utilization 

The  voluntary  agreement(VA)  has  been  used worldwide  as  a  new  policy 

instrument  for  environmental  issues  since  early  1990s,  being  recognized  for 

its  advantages  as  flexibility,  decrease  of  regulatory  costs,  cooperative  nature 

among  stakeholders,  etc. Now more  than  10  years  have  passed  since Korea 

began  to  use  the VA,  since  the  first VA  for  Energy  Saving  and Greenhouse 

Gas Reduction was  signed  in 1998. This  research aims  to provide an overview 

of  VAs  in  Korea,  and  draw  policy  implications  for  its  effective  utilization 

through  analysis  of  current  status  and  case  studies. 

Our  research  documented  a  total  of  31  VA  programs  in  Korea.  A  brief 

analysis  revealed  that  the  number  of VAs  is  in  increasing  trend until  today, 

and  about one  third of  the programs  aimed  at  the waste management  issue. 

Five  of  the VA  programs were  further  examined  in  terms  of  environmental 

effectiveness(e.g.  whether  the  target,  incentives,  penalties,  monitoring  are 

properly designed and  implemented),  informational aspect, policy  context(e.g. 

VA  used  as  pilot  project  for  the  next  policy),  etc. 

In  conclusion we  recognize  that  the  environmental  effectiveness  of  VA  is 

not  strongly  guaranteed  if  not  carefully  designed  and  implemented,  and 

recommend VA  as  complementary  policy  tool. We  also  note  that  the  utility 

of VA can be maximized with understanding of  the  informational aspect and 

the  policy  context. 

Page 162: 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0753.pdf · 환경적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계요소(참여기업의

150∣자발적 협약의 현황 진단 및 효과적 활용방안

Keywords  :  Environmental  Policy  Instrument,  Voluntary  Agreement(VA), 

Voluntary  Approach(VA),  Voluntary  Environmental  Program(VE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