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
1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낱말산출 능력: 명사와 동사를 중심으로 이윤경 *김영태** (*용인대학교 재활보건과학대학원 언어치료학과,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학과 및 언어병리학협동과정) 이윤경김영태.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낱말산출 능력: 명사와 동사를 중심으로. 언어청각장애 연구, 2003, 8, 1, 1-19. 본 연구는 명사와 동사를 중심으로 단순언어장애(SLI) 동들의 낱말산출능력을 일반아동들과 비교연구하였다. 연구대상은 언어연령이 4;6 - 6;6SLI 아동 20명과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 20, 그리고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 아동 20, 60명으로 하였다. 과제는 연구자가 제작한 그림이름대기검사와 이해검사를 사 용하였으며, 결과는 집단, 낱말유형, 이해여부, 그리고 오류유형에 따른 오반응빈도를 반복설 계를 통한 4원변량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SLI 아동들은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들과 비교하였을 때 명사에 비해 동사를 산출할 때 더 많은 오류를 보였다. 오류유형 에서는 명사와 동사산출 모두에서 일반아동들에 비해 기타오류를 더 많이 산출하였으며, 사에 비해 동사를 산출할 때 의미적오류기타오류를 더 많이 산출하는 경향을 보였다. 말이해여부에 따라서는, 낱말을 이해하나 이름대기에서만 오류를 보이는 문항을 유의하게 많 이 산출하였으나 집단이나 낱말유형과의 상호작용효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SLI 아동들이 일반아동에 비해 낱말산출에서 지체되어 있으며, 명사에 비해 동사에서 특정적 으로 어려움을 갖는다는 사실을 제시해준다. 핵심어: 단순언어장애, 낱말산출(명사, 동사), 이름대기검사, 오류패턴 . 서 론 단순언어장애(SLI: Specific Language Impairment)는 언어능력과 관련된 요인들, 특히 지적인 능력에 문제가 없이 언어발달에서만 지체나 결함을 보이는 아동들을 말한다(Leonard, 1998). 이처럼 SLI 아동들이 언어영역에서만 특정적인 결함을 갖기 때문에 언어습득 과정에 관심을 갖는 연구자들에게 주요 연구의 대상이 되어 왔다. SLI 아동들에 대한 연구들은 주로 이 아동들의 언어문제가 일반아동들과 비교하여 지 체(delay)된 것인지 혹은 정상발달에서 일탈(deviant)된 것인지에 관심을 가져왔다. 일부 연 구자들은 SLI 아동들이 단지 시간적으로 좀 늦게 발달될 뿐 일반아동과 동일한 문법구조를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낱말산출 능력: 명사와 동사를 중심으로1)_1.pdf · 오류유형과 관련된 결과들은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이 일반아동들에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1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낱말산출 능력

명사와 동사를 심으로

이윤경김 태(용인 학교 재활보건과학 학원 언어치료학과

이화여자 학교 특수교육학과 언어병리학 동과정)

이윤경김 태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낱말산출 능력 명사와 동사를 심으로 985172언어청각장애

연구985173 2003 제8권 제1호 1-19 본 연구는 명사와 동사를 심으로 단순언어장애(SLI) 아

동들의 낱말산출능력을 일반아동들과 비교연구하 다 연구 상은 언어연령이 46 - 66세

인 SLI 아동 20명과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 20명 그리고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

아동 20명 총 60명으로 하 다 과제는 연구자가 제작한 그림이름 기검사와 이해검사를 사

용하 으며 결과는 집단 낱말유형 이해여부 그리고 오류유형에 따른 오반응빈도를 반복설

계를 통한 4원변량분석 방법으로 분석하 다 연구결과 SLI 아동들은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들과 비교하 을 때 명사에 비해 동사를 산출할 때 더 많은 오류를 보 다 오류유형

에서는 명사와 동사산출 모두에서 일반아동들에 비해 lsquo기타오류rsquo를 더 많이 산출하 으며 명

사에 비해 동사를 산출할 때 lsquo의미 오류rsquo와 lsquo기타오류rsquo를 더 많이 산출하는 경향을 보 다 낱

말이해여부에 따라서는 낱말을 이해하나 이름 기에서만 오류를 보이는 문항을 유의하게 많

이 산출하 으나 집단이나 낱말유형과의 상호작용효과는 찰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SLI 아동들이 일반아동에 비해 낱말산출에서 지체되어 있으며 명사에 비해 동사에서 특정

으로 어려움을 갖는다는 사실을 제시해 다

핵심어 단순언어장애 낱말산출(명사 동사) 이름 기검사 오류패턴

Ⅰ 서 론

단순언어장애(SLI Specific Language Impairment)는 언어능력과 련된 요인들 특히

지 인 능력에 문제가 없이 언어발달에서만 지체나 결함을 보이는 아동들을 말한다(Leonard

1998) 이처럼 SLI 아동들이 언어 역에서만 특정 인 결함을 갖기 때문에 언어습득 과정에

심을 갖는 연구자들에게 주요 연구의 상이 되어 왔다

SLI 아동들에 한 연구들은 주로 이 아동들의 언어문제가 일반아동들과 비교하여 지

체(delay)된 것인지 혹은 정상발달에서 일탈(deviant)된 것인지에 심을 가져왔다 일부 연

구자들은 SLI 아동들이 단지 시간 으로 좀 늦게 발달될 뿐 일반아동과 동일한 문법구조를

언어청각장애연구

2

산출한다는 사실을 근거로 언어발달이 단지 지체된 것임을 주장하 다 반면 다른 연구자들

은 이들이 일반아동들과는 근본 으로 다른 방식으로 언어를 습득하며 그들이 사용하는 언

어형태도 일반아동들과는 차이를 보인다는 을 근거로 하여 일탈의 을 지지하고 있다

(Hoff-Ginsberg 2001) 재까지 이루어진 연구들은 체로 SLI아동들이 반 인 언어능력

에서 지체를 보이나 형태구문론 인 측면에서는 SLI 아동들이 정상발달과는 다른 일탈된

특징들을 나타낸다고 보고되고 있기도 하다(Leonard 1998 Menyuk 1997)

SLI 아동들의 어휘 특성에 해서는 형태구문론 연구에 비해 상 으로 게

연구되었기는 하나 선행연구들과 마찬가지로 지체와 일탈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이와 련

된 연구들은 부분 SLI 아동들이 어휘발달에서도 지체를 보이며 주로 이해보다는 산출에서

어려움을 보인다고 보고하 다(Menyuk 1997) Conti-Ramsden amp Jones (1997)는 SLI 아동

들이 자발화에서 산출한 체 낱말수(TNW Total Number of Word)와 다른 낱말수(NDW

Number of Different Word)를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 래아동들과 비교하 다 그 결과

SLI 아동들이 산출한 TNW와 NDW는 동일 언어연령의 일반아동들에 비해 유의하게 었다

고 보고하면서 이들의 낱말산출능력이 정상발달 패턴과는 다를 수 있음을 제시하 다 그러

나 Watkins et al (1995)은 발화의 수를 엄격히 통제하여 비교하 을 때 SLI 아동들과 언어

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 간에 동사 TNW와 NDW에서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고

보고하면서 낱말산출 능력이 정상발달에서 일탈된 것이 아니라고 주장하 다

낱말산출에서 SLI 아동들과 일반아동들 간의 두드러진 차이는 이 아동들이 다른 낱말

유형에 비해 동사에서 특히 어려움을 보인다는 이다(Leonard 1998 Stokes amp Fletcher

2000) Rice amp Bode (1993)는 자발화에서의 동사 TNW와 NDW를 비교하 을 때 SLI 아동

들이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들에 비하여 소수의 동사만을 산출하 으며 이 동사들을

반복 으로 사용하는 경향이 있었다고 보고하 다 특히 SLI 아동들은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래아동들에 비해 산출한 동사 NDW와 TNW가 히 었다고 보고하 다 이와 같은 결

과에 해 연구자들은 동사가 의미 인 지식뿐 아니라 명사보다 발화에서 문법 기능을 더

많이 담당하기 때문에 SLI 아동들이 동사 사용에 특히 어려움을 갖는다고 설명하 다 반면

Watkins et al (1995)은 SLI 아동들이 동사에서 어려움을 갖기 보다는 문법 범주를 사용하

는 데에서 상 으로 취약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하 다

낱말유형에 따라 낱말산출능력이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와 더불어 이해여부에 따라

낱말산출능력이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도 SLI 아동들의 낱말산출 특성을 이해하는 데 요

하다 Rescola amp Schwartz (1990)는 SLI 아동들이 일반아동들에 비하여 낱말이해능력과 산

출능력에서 큰 개인차를 보이며 부분 낱말산출에서 더 어려움을 보 다고 보고하 다 그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낱말산출 능력

3

리고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SLI 아동들이 언어표 에 특히 어려움이 있다는 사실로 이해할

수 있으며 동시에 이들의 언어문제가 단지 습득과정에서의 문제만이 아니라 처리과정에서의

문제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제시하 다

앞에서 제시한 SLI 아동들의 낱말산출 연구들은 부분 자발화에서 아동들이 산출한

TNW와 NDW를 비교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TNW와 NDW는 일상 이고 자연스러운

의사소통 상황에서 아동들이 산출한 낱말들을 측정하는 데 매우 유용한 측정치이기는 하나

모든 아동들에게 동일한 낱말을 측정하지 않기 때문에 단순히 그 측정치에 기 하여 아동들

간의 낱말산출능력을 객 으로 비교하는 데에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이에 반해 일부 연구자들은 이름 기검사(confrontation naming test)를 사용하여 연구를

실시하 다(Leonard et al 1983 Fried-Oken 1984 McGregor amp Windsor 1996 McGregor

1997 Lahey amp Edwards 1999) 이름 기검사는 목표낱말을 그림으로 표 할 수 있는 낱말

로 국한해야 하며 일부 낱말만을 목표낱말로 해야 하는 단 이 있으나 연구자가 미리 선정

한 목표낱말을 모든 아동들에게 동일하게 검사하기 때문에 아동들 간의 낱말산출능력을 객

으로 비교할 수 있다는 장 을 가진다 한 아동들이 낱말산출과정에서 산출한 오류의

유형을 분석함으로써 SLI 아동들이 래아동들과 어떠한 에서 차이를 보이는지를 어휘처

리과정의 측면에서 해석해 볼 수 있게 한다(McGregor 1997) 재까지 이름 기 검사를 사

용한 연구들은 체로 자발화에서의 TNW나 NDW를 비교한 연구의 결과들과 마찬가지로

SLI 아동들이 일반아동들에 비해 낱말산출의 정확도가 뒤떨어진다고 보고하고 있다 한

오류유형과 련된 결과들은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이 일반아동들에 비해 ldquo잘 모르겠다rdquo는 응

답을 유의하게 많이 산출하 다고 공통되게 보고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에 해 일부 연구자

들은 SLI 아동들이 낱말에 한 지식이 부족하거나 불완 한 형태로 습득하 기 때문이라고

설명하 으며 일부 연구자들은 SLI 아동들이 자신이 알고 있는 낱말들을 단지 효율 으로

인출하지 못하 기 때문이라고 설명하기도 하 다(이윤경김 태 2002 Leonard et al

1983 McGregor 1997 Lahey amp Edwards 1999)

한 이름 기검사를 사용하는 경우 동일한 목표낱말에 해 이해검사를 실시할 수 있으

므로 낱말산출과 이해의 계를 보다 직 으로 살펴볼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낱말산출에서

의 문제가 단지 낱말을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인지 혹은 낱말을 이해하고는 있으나 단지 효율

으로 낱말을 인출해내는 과정에서의 문제 때문인지를 어느 정도는 설명해 볼 수 있게 한다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SLI 아동들은 명사에 비해 특히 동사를 산출하는 데 어려움

을 갖는다고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재까지 이름 기검사를 사용하여 SLI 아동들의 낱말

산출능력을 살펴 본 연구들은 부분 명사만을 목표낱말로 다루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언어청각장애연구

4

이름 기검사에서도 SLI 아동들이 명사에 비해 동사산출에 어려움을 보이는지를 살펴보고자

하 다 이름 기검사에서 동사를 산출하는 것은 자발화에서 동사를 산출하는 것과는 달리

구문산출능력에 의한 향을 게 받는다 따라서 SLI 아동들의 동사산출 문제가 동사가 발

화에서 문법 기능을 더 많이 담당하기 때문인지의 여부를 어느 정도 설명해 수 있을 것

이다

한 SLI 아동들이 명사와 동사산출능력이 낱말의 이해여부에 따라서는 어떠한 차이

를 갖는지 한 산출한 오류유형들은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살펴보고자 하 다 이는

SLI 아동들의 명사와 동사 산출능력이 이해능력과는 어떠한 계를 갖는지를 설명해 뿐

아니라 나아가서는 어휘처리과정의 측면에서도 이해해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연

구결과들은 SLI 아동들의 낱말산출능력이 단순히 일반아동들에 비해 지체된 것인지 아니면

일반아동들과는 다른 일탈된 특성을 갖는지를 설명하는 데 의미가 있을 것이다

Ⅲ 연구방법

1 연구 상

본 연구는 언어연령이 46-66세의 SLI 아동 20명을 실험집단으로 하 으며 SLI 아동

들과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CA 일치집단) 20명 그리고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

아동(LA 일치집단) 20명을 각각 통제집단으로 하 다 SLI 아동들의 경우는 (1) 종합병원 언

어치료실이나 개인언어치료실에서 언어치료사에 의해 SLI로 진단받은 아동 에서 (2) 985172취학 아동의 수용언어 표 언어 척도(PRES)985173 (김 태성태제이윤경 2003)를 실시한

결과 수용언어는 생활연령에 비하여 6개월 표 언어는 1년 이상 지체되어 있으며(Stark amp

Tallal 1981) (3) K-WPPSI (박혜원곽 주박 배 1997) 결과 동작성지능이 정상범

(IQ 85 이상)에 속하고 (4) 정서 행동문제나 시청각과 같은 감각장애를 수반하지 않은

아동들로 하 다

일반아동의 경우는 (1) 부모나 교사에 의해 언어능력이나 지 능력이 정상이라고 보고

되었으며 (2) 985172그림어휘력검사985173(김 태 외 1995)의 백분 수가 -1SD 이상에 속하는 아

동들 에서 (3) CA 일치집단은 생활연령이 SLI 아동들과 일 일로 일치시켰을 때 plusmn3개월

이내에 속하는 아동들로 (4) LA 일치집단은 그림어휘력검사 결과가 동일 언어연령 에 속

하는 아동들로 구성하 다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낱말산출 능력

5

비교집단의 통제가 잘 이루어졌는가를 살펴보기 하여 t-검정을 실시한 결과 SLI 아

동 집단과 CA 일치집단 간에 생활연령에 차이가 없었으며 SLI 아동 집단과 LA 일치집단

간에 그림어휘력 수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세 집단의 생활연령과 언어 수의 평균

표 편차는 lt표 - 1gt에 제시하 다

lt표 - 1gt 세 아동집단의 생활연령 언어능력의 평균 표 편차

SLI (N = 20) LA일치(N = 20) CA일치(N = 20)

M SD M SD M SD

생활연령

언어능력

7425

5540

1085

1323

5790

5540

778

1337

7172

7461

875

1449

언어능력 그림어휘력검사의 원 수SLI SLI 아동 집단 LA일치 SLI 아동과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 집단 CA일치 SLI 아동과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 집단

2 검사도구

가 이름 기검사

낱말표 능력은 선행연구(Leonard et al 1983 McGregor 1997)에서 많이 사용된 그림

이름 기과제를 통해 검사하 다 검사에 사용한 낱말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 선정하 다

먼 학령 학령 기 아동들의 어휘산출을 연구한 이상 외(1972) 이연섭권경

안정인실(1980) 그리고 이응백(1989)의 자료를 참조하여 명사와 동사를 각각 80개씩 선정

하 다 낱말선정 시 상아동들의 연령과 낱말의 의미와 기능 그리고 그림으로 표 이 가

능한가 등을 고려하 다 선정한 낱말은 18 times 26 cm 크기의 종이에 흑백의 선으로 그림을 그

리고 필요한 부분에 음 을 넣어 그림자료로 비하 다

그림으로 비된 낱말들로 35-65세 아동 60명(6개월 단 로 10명씩)을 상으로 비

검사를 실시하 으며 비검사 결과는 Bayesian (성태제 2001)을 사용하여 분석하여 문항변

별도와 난이도가 높은 명사와 동사 문항을 각각 35개씩 선정하 다(lt부록 - 1gt lt부록 -

2gt 참조) 낱말선정 시 명사와 동사에서의 수행결과를 비교하기 하여 명사와 동사 문항의

난이도를 동일하게 통제하 다 문항의 신뢰도를 측정하기 하여 내 일치도를 산출한 결

과 α 계수가 명사는 92 동사는 96로 나타나 검사문항의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언어청각장애연구

6

나 이해검사

아동의 낱말산출능력과 낱말이해능력간의 계를 살펴보기 하여 이해검사를 실시하

다 이해검사는 그림어휘력검사(김 태 외 1995)와 동일한 형식으로 검사자가 구어로 제

시한 목표낱말을 4개의 그림 에서 지 하는 것이었다 목표어를 제외한 3개의 보기 문항은

의미 으로 유사한 낱말( 기타rarr바이올린) 음운 으로 유사한 낱말( 기타rarr기차) 그리

고 무 련 낱말( 기차rarr모자)로 구성하 다

3 연구 차

아동의 과제수행이 방해받지 않는 조용한 곳에서 모든 아동들을 개별 으로 검사하 다

먼 검사 에 아동에게 검사 차에 해 간단히 설명한 후 아동이 검사요령을 정확히 이해할

수 있도록 2개의 연습문항을 실시하 다 그리고 아동이 검사 수행방법을 정확하게 숙지한 경

우 본검사를 실시하 다 본검사에서는 아동에게 그림을 한 장씩 제시하며 명사의 경우에는

ldquo이게 뭐지rdquo 그리고 동사의 경우에는 ldquo가 뭐해rdquo하고 질문하여 낱말표 을 유도하 다

명사와 동사검사의 제시순서에 의한 효과를 통제하기 하여 반의 아동에게는 명사검사부

터 그리고 나머지 반의 아동에게는 동사검사부터 실시하 다 아동들의 반응은 검사자가

즉석에서 기록지에 기록하 으며 추후 신뢰도 평가를 하여 녹음기(SONY TCM-100)를 사

용하여 녹음하 다

이해검사는 이름 기 검사가 모두 끝난 후에 실시하 다 검사는 이해검사 그림자료를

보여주면서 검사자가 목표어를 구두로 제시하면 아동이 해당 그림을 지 하게 하는 형식으

로 진행하 다

4 자료분석

가 오반응 빈도

아동들이 이름 기검사에서 오반응을 나타낸 문항의 빈도를 측정하 다

나 오류유형분석

오류유형의 분석기 은 이윤경김 태(2001)의 분석기 을 사용하 다 이 분석기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낱말산출 능력

7

은 McGregor amp Windsor (1996)와 German (2000)이 제시한 분석기 을 종합하여 크게 의미

음운 시각 그리고 기타로 나 어 마련한 것이다 세부 오류유형은 lt부록 - 3gt

lt부록 - 4gt에 제시하 다

5 신뢰도

체의 25 에 해당하는 자료를 무작 로 선택한 후 학원에서 언어병리학을 공한

언어치료사 1인에게 반응의 정반응의 여부와 오류유형을 기록분석하게 하여 검사자의 분

석내용과의 일치율을 측정하 다 그 결과 정반응 여부에 한 기록 결과는 100 그리고

오류유형 분석 결과는 97 의 일치율을 나타내었다

6 통계분석

SPSS 100 로그램을 이용하여 집단(3)을 집단간 변수로 하고 낱말유형(2)과 이해여부

(2) 그리고 오류유형(4)은 집단내 변수로 하여 반복설계를 통한 4원 변량분석을 실시하 다

Ⅳ 연구결과

세 아동 집단이 명사와 동사 이름 기 검사에서 산출한 오반응 빈도의 평균 표 편

차는 lt표 - 2gt 변량분석 결과는 lt표 - 3gt에 제시하 다

1 집단 낱말유형 이해여부에 따른 오반응빈도 분석 결과

먼 집단에 따라 낱말산출의 오반응 빈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F =

1088 plt 001) Tukey HSD 사후분석을 실시한 결과 집단간의 차이는 CA 일치집단이 각

각 SLI 아동집단과 LA 일치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인 것에 의해 비롯되었다 즉 CA 일

치집단이 SLI 아동집단과 LA 일치집단에 비해 오반응을 유의하게 게 산출하 다 반면

SLI 아동집단과 LA 일치집단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낱말유형에 따른 주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낱말유형과 집단간에는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F = 639 plt 01) 즉 SLI 아동집단과 CA 일치집단은 모두 명사에 비해 동

언어청각장애연구

8

lt표 - 2gt 세 아동 집단의 오반응빈도의 평균 표 편차

SLI (N = 20) LA일치(N= 20) CA일치(N= 20)

M SD M SD M SD

명사

이해

가능1

의미

음운

시각

기 타

325

115

300

335

215

131

172

237

490

100

370

250

234

79

232

252

290

105

245

105

283

105

132

150

총 1075 445 1210 449 745 440

이해

불가능2

의미

음운

시각

기 타

75

15

165

145

137

67

283

139

70

15

170

80

92

49

272

140

35

05

40

25

75

22

82

72

총 400 246 335 242 105 177

체3

의미

음운

시각

기 타

400

130

465

480

352

198

455

376

560

115

540

330

234

79

232

252

325

110

285

130

358

127

214

222

총 1475 690 1545 606 850 617

동사

이해

가능

의미

음운

시각

기 타

475

30

375

385

162

57

240

276

415

15

315

215

206

37

127

131

390

25

210

190

222

44

174

91

총 1265 412 960 226 815 312

이해

불가능

의미

음운

시각

기 타

140

00

85

140

105

00

81

176

100

00

125

55

152

00

148

89

90

00

30

45

112

00

57

69

총 365 202 280 280 165 153

의미

음운

시각

기 타

615

30

460

525

137

67

283

139

515

15

485

270

92

49

272

140

480

25

240

235

75

22

82

72

총 1630 501 1240 375 980 368

SLI SLI 아동집단 LA일치 SLI 아동과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집단 CA일치 SLI 아동과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집단 1이해가능 이름 기검사에서는 오반응을 보 으나 이해검사에서는 정반응을 보인 문항 빈도

2이해불가능

이름 기검사와 이해검사에서 모두 오반응을 보인 문항 빈도 3 체 이해여부와 계없이 이름 기검사에서 오반응을 보인 체 문항 빈도(이해가능 +이해불가능)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낱말산출 능력

9

lt표 - 3gt 이름 기검사에서의 오반응 빈도의 변량분석 결과

분산원 SS df MS F

집단 11067 2 5533 1088

오차(집단) 28978 57 508

낱말유형 938E-03 1 938E-03 01

이해여부 81218 1 81218 29570

오류유형 57214 3 19071 6853

낱말유형times집단 1693 2 847 639

낱말유형times이해여부 5104E-02 1 5104E-02 02

이해여부times집단 620 2 310 310

오류유형times집단 7627 6 1271 457

오류유형times낱말유형 3576 3 1192 612

오류유형times이해여부 19753 3 6584 2971

낱말유형times오류유형times집단 1091 6 182 93

낱말유형times이해여부times집단 1077 2 538 220

오류유형times이해여부times집단 1481 6 247 111

낱말유형times오류유형times이해여부 1254 3 418 206

낱말유형times오류유형times이해여부times집단 1091 6 182 90

오차(낱말유형) 7550 57 133

오차(오류유형) 47590 171 278

오차(이해여부) 15656 57 275

오차(낱말유형times오류유형) 33314 171 195

오차(낱말유형times이해여부) 13962 57 245

오차(오류유형times이해여부) 37898 171 222

오차(낱말유형times오류유형times이해여부) 34737 171 203

plt 05 plt 01 p lt 001

사에서 오반응 빈도를 많이 산출한 반면 LA 일치집단은 동사에 비해 명사에서 오반응을 더

많이 산출하 다(lt그림 - 1gt 참조)

이해여부에 따른 주효과도 찰되었다(F = 29570 p lt 001) lt그림 - 2gt에서 볼 수 있

듯이 세 아동집단 모두 이름 기검사에서 오반응을 보 으나 이해는 가능하 던 문항빈도가

이름 기와 이해검사 모두에서 오반응을 보인 문항빈도에 비해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

해여부와 집단 그리고 이해여부와 낱말유형 간에는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가 찰되지 않았

다 그러나 이해여부와 집단 간에는 통계 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으나 SLI 아동집단이 다른

언어청각장애연구

10

두 일반아동집단에 비해 이해는 하면서 이름 기에만 오류를 보인 문항의 빈도가 높은 것으

로 나타났다

0

2

4

6

8

10

12

14

16

18

명사 동사 명사 동사 명사 동사

전체오류 이해가능 이해불가능

오반응빈도

SLI

LA일치

CA일치

0

5

10

15

20

25

이해가능 이해불가능

오반응빈도

SLI

LA일치

CA일치

lt그림 - 1gt 낱말유형에 따른 오반응 빈도 lt그림 - 2gt 이해여부에 따른 오반응 빈도

2 집단 낱말유형 이해여부에 따른 오류유형 분석 결과

오류유형에 따른 주효과도 찰되었다(F = 6853 plt 001) 세 집단의 아동들은 모두

의미 오류와 시각 오류를 많이 산출한 반면 음운 오류는 거의 산출하지 않았다 상호

작용 효과는 오류유형과 집단(F = 457 plt 01) 오류유형과 낱말유형(F = 612 p lt 01) 그

리고 오류유형과 이해여부(F = 2971 plt 001) 사이에서 나타났다

먼 오류유형과 집단의 상호작용효과는 세 집단 아동들이 산출한 오류유형에 차이를

보임을 의미한다 lt그림 - 3gt을 보면 SLI 아동집단이 두 일반아동집단에 비하여 기타 유형

을 다른 오류유형에 비해 상 으로 많이 산출하 다 그러나 의미 음운 그리고 시각

오류는 세 아동집단에서 유사한 경향으로 산출하 다

오류유형은 낱말유형과도 상호작용효과를 나타냈다 lt그림 - 4gt를 보면 동사산출 시

명사에 의미 오류와 기타오류를 많이 산출한 반면 음운과 시각 오류는 게 산출하 다

집단별로 낱말유형에 따른 오류유형 산출 결과를 보면 LA 일치집단은 명사와 동사에서 유

사한 오류패턴을 보인 반면 SLI 아동집단과 CA 일치집단은 명사에 비해 동사에서 의미 오

류와 기타오류를 더 많이 산출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오류유형은 이해여부와도 상호작용효과를 나타내었다 lt그림 - 5gt를 보면 세 아동 집

단은 모두 이해는 하면서 이름 기에만 오류를 보인 경우와 이름 기는 물론 이해에서도 오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낱말산출 능력

11

0

2

4

6

8

10

12

의미적 음운적 시각적 기타

오반응빈도

SLI

LA일치

CA일치

0

1

2

3

4

5

6

7

의미적

음운적

시각적

기타

의미적

음운적

시각적

기타

명사 동사

오반응빈도

SLI

LA일치

CA일치

lt그림 - 3gt 집단별 체 오류유형 산출결과

0

2

4

6

8

10

12

14

16

18

의미적 음운적 시각적 기타

오반응빈도

명사

동사

0

1

2

3

4

5

6

7의미적

음운적

시각적

기타

의미적

음운적

시각적

기타

의미적

음운적

시각적

기타

SLI LA일치 CA일치

오반응빈도

명사

동사

lt그림 - 4gt 낱말유형별 체 오류유형 산출결과

0

1

2

3

4

5

6

7

8

9

10

의미적

음운적

시각적

기타

의미적

음운적

시각적

기타

의미적

음운적

시각적

기타

SLI LA일치 CA일치

오반응빈도

이해가능

이해불가능

lt그림 - 5gt 이해여부에 따른 세 아동 집단의 오류유형

반응을 보인 경우 오류패턴은 유사하게 나타냈다 그러나 이해와 이름 기검사 모두 오반응

을 보인 경우보다 이름 기에서만 오반응을 보이고 이해는 가능하 던 경우에 의미 오류

언어청각장애연구

12

를 월등하게 많이 산출하 다 반면 이해여부와 집단 사이와 이해여부와 낱말유형 사이에서

는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가 찰되지 않았으며 아동집단 간에도 이해여부에 따른 오류유형

은 유의한 차이가 찰되지 않았다

V 논 의

본 연구는 이름 기검사를 사용하 을 때에도 자발화에서의 낱말산출 연구결과와 마찬

가지로 SLI 아동들이 명사에 비해 동사산출에 어려움을 보이는 지를 살펴보고 낱말산출 능

력이 낱말의 이해여부에 따라서는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 지 한 낱말유형(명사와 동사) 간

에 산출된 오류유형에서는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 지를 살펴보는 것을 목 으로 하 다 따라

서 명사와 동사에서의 낱말산출능력 낱말산출과 낱말이해와의 계 그리고 오류유형 결과

를 심으로 논의를 진행하 다

먼 낱말산출에서의 오반응빈도 분석 결과를 보면 SLI 아동 집단은 CA 일치집단에

비해 낱말산출능력이 뒤떨어진 것으로 나타났으나 LA 일치집단과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

지 않았다 그러나 SLI 아동집단과 CA 일치집단은 모두 명사에 비해 동사에서 오반응 빈도를

많이 산출한 반면 LA 일치집단은 동사에 비해 명사에서 오반응을 더 많이 산출하 다 이러

한 결과는 SLI 아동집단이 명사에 비해 동사산출에서 더 어려움을 보인다는 선행연구의 결과

와 유사한 것이며 이들의 낱말산출에서의 차이가 단순히 지체가 아닐 수 있음을 시사한다

SLI 아동들이 이처럼 명사에 비해 동사에서 더 오류를 많이 보인 것은 Rice amp Bode

(1993)가 설명한 것처럼 동사가 의미 인 지식뿐 아니라 명사보다 발화에서 문법 기능을

더 많이 담당하기 때문일 수도 있으며 는 동사가 명사에 비해 상 으로 지시하는 상

이 분명하지 않기 때문일 수도 있다(Hoff-Ginsberg 2001) 본 연구에서는 그림자료를 사용

하여 동사산출을 유도하 으므로 아동들의 동사산출능력이 구문산출능력이나 문맥에 의해

상 으로 향을 게 받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SLI 아동들이 명사에 비해 동사산출에

더 많은 오반응을 산출하 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동사가 문법 기능을 더 많이 담당하기

때문만이 아니라 SLI 아동들이 동사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더 많이 어려움을 갖기 때문으로

해석해 볼 수 있겠다

이해여부에 따른 낱말산출능력 분석 결과는 세 아동집단 모두 이해는 가능하나 이름

기에서만 오류를 보인 문항의 빈도가 이름 기와 이해 모두에서 오류를 보인 문항의 빈도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낱말산출 능력

13

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정상 인 언어발달에서 체로 낱말이해가 산출에

선행된다는 선행연구들을 통해서 설명해 볼 수 있을 것이다(Meynuk 1997) 반면 집단과 이

해여부에 따른 상호작용효과는 나타나지 않으나 SLI 아동들이 다른 두 일반아동집단에 비하

여 이해는 가능하나 이름 기에서만 오류를 보인 문항의 빈도를 높게 산출하 다(lt그림 -

2gt 참조) 이러한 결과는 SLI 아동들의 낱말산출의 문제가 낱말을 인식하는 수 이 아니라

낱말을 인출하는 과정의 문제일 수도 있음을 시사한다(이윤경김 태 2002 Menyuk

1997) 즉 낱말에 한 지식을 의미기억 속에 가지고는 있으나 이를 필요한 경우 효율 으로

잘 인출해내지 못하는 것일 수 있다

오류유형분석 결과는 SLI 아동들이 두 일반아동집단과 마찬가지로 의미 오류를 다른

오류유형에 비해 월등하게 많이 산출하 다는 에서 선행연구(Fried-Oken 1984 McGregor

1997)와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SLI 아동은 물론 일반아동들도 낱말을 정확하

게 산출하지 못할 때 목표낱말과 련된 의미 정보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 다 반

면 SLI 아동집단은 두 일반아동집단에 비하여 기타오류를 유의하게 많이 산출하 는데 이는

주로 SLI 아동들이 lsquoDK(모르겠다)rsquo 반응을 많이 산출한 것과 련된다 이처럼 SLI 아동들이

lsquoDKrsquo 반응을 많이 보인 것은 이 아동들이 목표낱말에 한 일부 지식은 지니고 있으나 낱말

을 산출할 수 있을 정도로 정확한 지식은 지니고 있지 못하 기 때문일 수도 있으며

(McGregor 1997) 낱말이 쉽게 생각나지 않기 때문에 낱말산출을 쉽게 포기하 기 때문일

수도 있다(이윤경김 태 2002)

오류유형은 낱말유형에 따라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 다 lt그림 - 3gt을 보면 LA 일치

집단은 명사와 동사에서 유사한 오류패턴을 보인 반면 SLI 아동집단과 CA 일치집단은 명사

에 비해 동사에서 의미 오류와 기타 오류를 더 많이 산출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명사에

비해 동사검사에서는 의미 으로 에둘러 표 하기와 DK 반응이 많았는데 이는 아동들이 동

사를 산출할 때 정확한 목표낱말로 표 하기 보다는 그림에서 묘사된 상황을 설명하는 경우

가 많았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는 SLI 아동들이 동사 산출에서 오류를 보이는 것이 명사보다

발화에서 문법 기능을 더 많이 담당하기 때문일 수도 있다는 Rice amp Bode (1993)의 설명

보다는 동사가 명사에 비해 상 으로 지시하는 상이 분명하지 않기 때문일 수도 있다는

Hoff-Ginsberg (2001)의 설명이 더 타당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오류유형은 이해여부와도 상호작용효과를 나타냈다 lt그림 - 5gt을 보면 세 아동 집단

은 모두 이해는 하면서 이름 기에만 오류를 보인 경우와 이름 기는 물론 이해에서도 오반

응을 보인 경우의 오류패턴은 유사하게 나타내었으나 이해와 이름 기에서 모두 오반응을

보인 경우보다 이해는 가능한 경우에 의미 오류를 월등하게 많이 산출하 다 이러한 결과

언어청각장애연구

14

는 McGregor (1997)가 설명하 듯이 SLI 아동은 물론 일반아동들도 낱말을 정확하게 산출

하지 못하는 경우 주로 낱말의 의미 속성에 의존하여 목표낱말을 치하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 다 그러나 언어처리과정 에서 보았을 때 이러한 결과는 SLI 아동은 물론 일반

아동들도 낱말산출에서의 오류가 낱말처리 과정 의미 처리과정에서의 문제 때문에 발

생한 것일 수도 있음을 보여 다 즉 유사한 의미 속성을 가진 낱말들 에서 목표낱말을

정확하게 선택하지 못하 기 때문일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설명 에서 어느 것이 더

한가는 추후 연구를 통해 설명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본 연구의 결과는 선행연구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SLI 아동

들이 CA 일치 아동들과 비교해서는 물론 LA 일치 아동들에 비해서도 낱말산출에서 어려움

을 보 으며 명사에 비해 동사에서 더 어려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이 아

동들이 동사 산출에 어려움을 갖는 것이 단순히 지체가 아니라 일탈된 특성일 수 있음을 제

시해 다 한 SLI 아동들은 오류유형에서도 두 일반아동 집단에 비해 lsquoDKrsquo 반응을 월등히

많이 산출하 으며 명사에 비해 동사에서 특히 많이 산출하 는데 이는 아동들이 목표낱말

을 의미기억 속에 정확하게 표상하고 있지 못하 기 때문일 수도 있으며 혹은 의미기억 속

에 장된 낱말을 빨리 효율 으로 인출하지 못해서 쉽게 lsquo모르겠다rsquo라고 반응한 것일 수도

있다고 설명할 수 있다 이처럼 낱말의 유형에 따라 반응의 정확성이나 오류유형에 차이가

나타나는 것이 낱말을 처리하는 과정에서의 문제로 인한 것인지 혹은 문법규칙을 습득하는

데에 있어서 특정 으로 결함을 갖기 때문인지는 추후 더 심도깊게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참 고 문 헌

김 태성태제이윤경(2003) 985172취학 아동의 수용언어 표 언어 발달척도(PRES)985173 서울 서울장

애인종합복지

김 태장혜성임선숙백 정(1995) 985172그림어휘력검사985173 서울 서울장애인종합복지

박혜원곽 주박 배(1997) 985172K-WPPSI 검사요강985173 서울 도서출 특수교육

성태제(2001) Bayesian 통계방법에 의한 검사분석 로그램 wwwevercationcom

이상 정세화이은화이정환(1972) 3 4 5세 아동의 회화에 나타난 어휘 조사 985172한국문화연구원

논총985173 11 337-427이연섭권경안정인실(1980) 985172한국아동의 어휘발달 연구(Ⅰ)985173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이윤경김 태(2002)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낱말찾기 특성 985172언어청각장애연구985173 7(1) 65-80이응백 (1989) 985172국민학교 학습용 기본어휘 연구985173 서울 한교과서주식회사

Conti-Ramsden G amp Jones M (1997) Verb use in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Journal of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낱말산출 능력

15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40 1298-1313

Fried-Oken M (1984) The development of naming skills in normal and language deficient childr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Boston University

German D J (2000) Test of Word Finding (manual) Austin TX Pro-Ed

Hoff-Ginsberg E (2001) Language development (2nd ed) Florence KY Wadsworth

Lahey M amp Edwards J (1999) Naming errors of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42 195-205

Leonard L B Nippold M A Kail R amp Hale C (1983) Picture naming in language-impaired

children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26 609-615

Leonard L B (1998) The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Cambridge MA The MIT

Press

McGregor K K amp Windsor J (1996) Effects of priming on the naming accuracy of preschoolers

with word-finding deficit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39 1048-1058

McGregor K K (1997) The nature of word-finding errors of preschoolers with and without

word-finding deficits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40 1232-

1244

Menyuk P (1997) Naming disorders in children In H Goodglass amp A Wingfield (Eds) Anomia

Neuroanatomical and cognitive correlates San Diego Academic Press

Rescola L amp Schwartz E (1990) Outcome of specific expressive language delay Applied

Psycholinguistics 11 393-407

Rice M L amp Bode J V (1993) GAPS in the verb lexicons of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First Language 13 113-131

Stark R amp Tallal P (1981) Selection of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deficit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46 114-122

Stokes S F amp Fletcher P (2000) Lexical diversity and productivity in Cantonese-speaking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35(4) 527-541

Watkins R V Kelly D V Harbers H M amp Hollis W (1995) Measuring childrenrsquos lexical

diversity Differentiating typical and impaired language learner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38 1349-1355

언어청각장애연구

16

lt부록 - 1gt 명사 이름 기검사 낱말목록

번호 목표낱말 번호 목표낱말 번호 목표낱말 번호 목표낱말

1

2

3

4

5

6

7

8

9

열쇠

그네

망치

유모차

호루라기

도장

사다리

허수아비

기타

10

11

12

13

14

15

16

17

18

주사

목도리

달력

지도

신문

채소

19

20

21

22

23

24

25

26

27

낙하산

분수

필통

화분

우표

온도계

주유소

28

29

30

31

32

33

34

35

장화

국자

수염

바구니

시소

실로폰

옷걸이

지팡이

lt부록 - 2gt 동사 이름 기검사 낱말목록

번호 목표낱말 번호 목표낱말 번호 목표낱말 번호 목표낱말

1

2

3

4

5

6

7

8

9

울다

감다

불다

그리다

맡다

날다

지우다

따다

10

11

12

13

14

15

16

17

18

빗다

따르다

들다

묶다

건 다

뱉다

칠하다

마시다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닫다

웃다

짜다

개다

차다

부수다

묻다

꺾다

28

29

30

31

32

33

34

35

던지다

뽑다

넘다

당기다

붙이다

찢다

쓸다

자르다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낱말산출 능력

17

lt부록 - 3gt 명사 오류분석 기

구분 정의

의미

상 개념어(superordinate)

목표어를 포함하는 상 범주어로 치하는 경우 양 채소

등어(coordinate)

동일한 수 의 다른 낱말이나 동일의미범주의 낱말로 치하는 경우

그네미끄럼틀

하 개념어(subordinate)

목표어를 나타내는 하 범주어로 치하는 경우 가구책상

기능(functional)

목표어의 기능 속성을 나타내는 낱말로 치하는 경우 달력날짜

장소(locative)

목표어와 련된 장소를 나타내는 낱말로 치하는 경우 그네놀이터

구성요소(compositional)

목표어를 구성하는 낱말로 치하는 경우 주사기바늘

연합(association)

목표어와 같이 사용되는 낱말이나 개념으로 치하는 경우 낙하산비행기

의미 에두르기(circumlocution)

목표어의 의미 특성을 여러 낱말로 설명하거나 묘사하는 경우

국자국 떠주는 것

음운

음소 치(p-substitution)

목표어를 구성하는 음소를 다른 유사 음소로 치분수푼수기타치타

음소첨가(p-addition)

목표어에 다른 음소를 첨가 그네근네

음소생략(p-omission)

목표어에 포함된 음소나 음 을 생략하는 경우 우표표

음운유사낱말 치 (malapropisms)

음소 으로 유사한 다른 실제 낱말로 치 주사 주사기

음소( )반복(p-repetition)

목표어의 첫 번째 음소( 는 음 )를 반복하는 경우 그네그 그네

시각

시각 치(v-substitution)

시각 으로 유사한 낱말로 치 우표그림

시각 부분 치(whole-part)

목표어를 묘사한 그림의 일부분을 지칭하는 낱말로 치분수물 화장 거울

시각 에두르기목표어의 시각 특성을 여러 낱말로 설명하거나 묘사하는 경우

꼬리동그라미 에 뭐 달려있어

기타

DK(Donrsquot Know) lsquo모른다rsquo고 응답하는 경우

NR (No Response)

그림을 제시한 후 8 가 경과될 때까지 반응을 보이지 않는 경우

보속반응(perseveration)

이 문항에서의 반응을 되풀이

무 련 반응 목표어와 련되지 않은 낱말로 반응하는 경우

언어청각장애연구

18

lt부록 - 4gt 동사 오류분석 기

구분 정의

상 동사 목표동사의 상 행동을 묘사하는 동사로 치하는 경우 감다목욕하다

등어 동일행동을 묘사하거나 반 행동을 묘사하는 동사로 경우꺾다따다

열다닫다

하 동사 목표동사의 하 행동을 묘사하는 동사로 치하는 경우 묻다 다

연합목표동사와 같이 사용되는 낱말이나 행동어로 치하는 경

짜다그리다

다공사

의미 에두르기목표동사의 의미 특성을 여러 낱말로 설명하거나 묘사하

는 경우

뱉다물고 있던거

버려요

음소 치 목표동사를 구성하는 음소를 다른 유사 음소로 치맡다맡쳐요

부수다부긴다

음소첨가 목표동사에 다른 음소를 첨가 닫다닫은다

음소생략 목표동사에 포함된 음소나 음 을 생략하는 경우 따르다따요

음운유사낱말 치 음소 으로 유사한 다른 실제 동사로 치 빗다벗다

음소반복 목표동사의 첫 번째 음소( 는 음 )을 반복하는 경우 먹다머 먹다

시각 치 목표동사의 행동과 시각 으로 유사한 동사 치 뽑다당기다

시각 부분 치목표동사를 묘사한 그림의 일부분을 지칭하거나 묘사하는

낱말로 치묻다병아리

시각 에두르기목표동사의 행동 특성을 여러 낱말로 설명하거나 묘사하는

경우

부수다망치

때려

동사 사용 목표동사를 동사(lsquo명사+하다rsquo)의 형식으로 표 하는 경우 던지다공 해요

DK

(Dontrsquot Know)lsquo모른다rsquo고 응답하는 경우

NR

(No Response)

그림을 제시한 후 8 가 경과될 때까지 반응을 보이지 않

는 경우

보속반응 이 문항에서의 반응을 되풀이

무 련 반응 목표동사와 련되지 않는 낱말로 반응하는 경우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낱말산출 능력

19

게재 신청일 2003년 1월 24일게재 확정일 2003년 2월 23일

이윤경 (제 1 자) 용인 학교 재활보건과학 학원 언어치료학과 겸임교수 e-mail lyoonkyounghanmailnet김 태 (공동 자) 이화여자 학교 특수교육학 언어병리학과 교수 e-mail youngtaeewhaackr

ABSTRACT

Word (Noun and Verb) Production in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Yoonkyoung Lee(Dept of Speech and Languge Pathology Yongin University)

Young Tae Kim(Dept of Special Education amp

Interdiciplinary Program of Communication Disorders

Ewha Womans University)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word (noun and

verb) productions of children with SLI Sixty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1) 20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SLI group) whose language age were 46 - 66

(2) 20 normal children chronological-age matched with the SLI children (CA controls) and

(3) 20 normal children matched on a composite index of language age with the SLI children

(LA controls) Picture naming and word recognition tests were used and frequencies and

types of errors were analyse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s follows (1) the SLI

group demonstrated significantly higher frequency of errors in verb production than that

of nouns but LA controls produced more errors in nouns than those of verbs (2) the SLI

group produced unrelated errors more than others compared with normal controls Bu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error types produced in both noun and verb tests (3) the SLI group

demonstrated higher frequency of misnaming but recognized items in noun and verb

productions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SLI group and each of

the two normal control groups Thes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e findings of earlier

studies with regard to the restricted verb productions of the children with SLI

Key Words specific language impairment(SLI) word production naming test error pattern

언어청각장애연구

2

산출한다는 사실을 근거로 언어발달이 단지 지체된 것임을 주장하 다 반면 다른 연구자들

은 이들이 일반아동들과는 근본 으로 다른 방식으로 언어를 습득하며 그들이 사용하는 언

어형태도 일반아동들과는 차이를 보인다는 을 근거로 하여 일탈의 을 지지하고 있다

(Hoff-Ginsberg 2001) 재까지 이루어진 연구들은 체로 SLI아동들이 반 인 언어능력

에서 지체를 보이나 형태구문론 인 측면에서는 SLI 아동들이 정상발달과는 다른 일탈된

특징들을 나타낸다고 보고되고 있기도 하다(Leonard 1998 Menyuk 1997)

SLI 아동들의 어휘 특성에 해서는 형태구문론 연구에 비해 상 으로 게

연구되었기는 하나 선행연구들과 마찬가지로 지체와 일탈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이와 련

된 연구들은 부분 SLI 아동들이 어휘발달에서도 지체를 보이며 주로 이해보다는 산출에서

어려움을 보인다고 보고하 다(Menyuk 1997) Conti-Ramsden amp Jones (1997)는 SLI 아동

들이 자발화에서 산출한 체 낱말수(TNW Total Number of Word)와 다른 낱말수(NDW

Number of Different Word)를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 래아동들과 비교하 다 그 결과

SLI 아동들이 산출한 TNW와 NDW는 동일 언어연령의 일반아동들에 비해 유의하게 었다

고 보고하면서 이들의 낱말산출능력이 정상발달 패턴과는 다를 수 있음을 제시하 다 그러

나 Watkins et al (1995)은 발화의 수를 엄격히 통제하여 비교하 을 때 SLI 아동들과 언어

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 간에 동사 TNW와 NDW에서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고

보고하면서 낱말산출 능력이 정상발달에서 일탈된 것이 아니라고 주장하 다

낱말산출에서 SLI 아동들과 일반아동들 간의 두드러진 차이는 이 아동들이 다른 낱말

유형에 비해 동사에서 특히 어려움을 보인다는 이다(Leonard 1998 Stokes amp Fletcher

2000) Rice amp Bode (1993)는 자발화에서의 동사 TNW와 NDW를 비교하 을 때 SLI 아동

들이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들에 비하여 소수의 동사만을 산출하 으며 이 동사들을

반복 으로 사용하는 경향이 있었다고 보고하 다 특히 SLI 아동들은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래아동들에 비해 산출한 동사 NDW와 TNW가 히 었다고 보고하 다 이와 같은 결

과에 해 연구자들은 동사가 의미 인 지식뿐 아니라 명사보다 발화에서 문법 기능을 더

많이 담당하기 때문에 SLI 아동들이 동사 사용에 특히 어려움을 갖는다고 설명하 다 반면

Watkins et al (1995)은 SLI 아동들이 동사에서 어려움을 갖기 보다는 문법 범주를 사용하

는 데에서 상 으로 취약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하 다

낱말유형에 따라 낱말산출능력이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와 더불어 이해여부에 따라

낱말산출능력이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도 SLI 아동들의 낱말산출 특성을 이해하는 데 요

하다 Rescola amp Schwartz (1990)는 SLI 아동들이 일반아동들에 비하여 낱말이해능력과 산

출능력에서 큰 개인차를 보이며 부분 낱말산출에서 더 어려움을 보 다고 보고하 다 그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낱말산출 능력

3

리고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SLI 아동들이 언어표 에 특히 어려움이 있다는 사실로 이해할

수 있으며 동시에 이들의 언어문제가 단지 습득과정에서의 문제만이 아니라 처리과정에서의

문제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제시하 다

앞에서 제시한 SLI 아동들의 낱말산출 연구들은 부분 자발화에서 아동들이 산출한

TNW와 NDW를 비교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TNW와 NDW는 일상 이고 자연스러운

의사소통 상황에서 아동들이 산출한 낱말들을 측정하는 데 매우 유용한 측정치이기는 하나

모든 아동들에게 동일한 낱말을 측정하지 않기 때문에 단순히 그 측정치에 기 하여 아동들

간의 낱말산출능력을 객 으로 비교하는 데에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이에 반해 일부 연구자들은 이름 기검사(confrontation naming test)를 사용하여 연구를

실시하 다(Leonard et al 1983 Fried-Oken 1984 McGregor amp Windsor 1996 McGregor

1997 Lahey amp Edwards 1999) 이름 기검사는 목표낱말을 그림으로 표 할 수 있는 낱말

로 국한해야 하며 일부 낱말만을 목표낱말로 해야 하는 단 이 있으나 연구자가 미리 선정

한 목표낱말을 모든 아동들에게 동일하게 검사하기 때문에 아동들 간의 낱말산출능력을 객

으로 비교할 수 있다는 장 을 가진다 한 아동들이 낱말산출과정에서 산출한 오류의

유형을 분석함으로써 SLI 아동들이 래아동들과 어떠한 에서 차이를 보이는지를 어휘처

리과정의 측면에서 해석해 볼 수 있게 한다(McGregor 1997) 재까지 이름 기 검사를 사

용한 연구들은 체로 자발화에서의 TNW나 NDW를 비교한 연구의 결과들과 마찬가지로

SLI 아동들이 일반아동들에 비해 낱말산출의 정확도가 뒤떨어진다고 보고하고 있다 한

오류유형과 련된 결과들은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이 일반아동들에 비해 ldquo잘 모르겠다rdquo는 응

답을 유의하게 많이 산출하 다고 공통되게 보고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에 해 일부 연구자

들은 SLI 아동들이 낱말에 한 지식이 부족하거나 불완 한 형태로 습득하 기 때문이라고

설명하 으며 일부 연구자들은 SLI 아동들이 자신이 알고 있는 낱말들을 단지 효율 으로

인출하지 못하 기 때문이라고 설명하기도 하 다(이윤경김 태 2002 Leonard et al

1983 McGregor 1997 Lahey amp Edwards 1999)

한 이름 기검사를 사용하는 경우 동일한 목표낱말에 해 이해검사를 실시할 수 있으

므로 낱말산출과 이해의 계를 보다 직 으로 살펴볼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낱말산출에서

의 문제가 단지 낱말을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인지 혹은 낱말을 이해하고는 있으나 단지 효율

으로 낱말을 인출해내는 과정에서의 문제 때문인지를 어느 정도는 설명해 볼 수 있게 한다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SLI 아동들은 명사에 비해 특히 동사를 산출하는 데 어려움

을 갖는다고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재까지 이름 기검사를 사용하여 SLI 아동들의 낱말

산출능력을 살펴 본 연구들은 부분 명사만을 목표낱말로 다루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언어청각장애연구

4

이름 기검사에서도 SLI 아동들이 명사에 비해 동사산출에 어려움을 보이는지를 살펴보고자

하 다 이름 기검사에서 동사를 산출하는 것은 자발화에서 동사를 산출하는 것과는 달리

구문산출능력에 의한 향을 게 받는다 따라서 SLI 아동들의 동사산출 문제가 동사가 발

화에서 문법 기능을 더 많이 담당하기 때문인지의 여부를 어느 정도 설명해 수 있을 것

이다

한 SLI 아동들이 명사와 동사산출능력이 낱말의 이해여부에 따라서는 어떠한 차이

를 갖는지 한 산출한 오류유형들은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살펴보고자 하 다 이는

SLI 아동들의 명사와 동사 산출능력이 이해능력과는 어떠한 계를 갖는지를 설명해 뿐

아니라 나아가서는 어휘처리과정의 측면에서도 이해해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연

구결과들은 SLI 아동들의 낱말산출능력이 단순히 일반아동들에 비해 지체된 것인지 아니면

일반아동들과는 다른 일탈된 특성을 갖는지를 설명하는 데 의미가 있을 것이다

Ⅲ 연구방법

1 연구 상

본 연구는 언어연령이 46-66세의 SLI 아동 20명을 실험집단으로 하 으며 SLI 아동

들과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CA 일치집단) 20명 그리고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

아동(LA 일치집단) 20명을 각각 통제집단으로 하 다 SLI 아동들의 경우는 (1) 종합병원 언

어치료실이나 개인언어치료실에서 언어치료사에 의해 SLI로 진단받은 아동 에서 (2) 985172취학 아동의 수용언어 표 언어 척도(PRES)985173 (김 태성태제이윤경 2003)를 실시한

결과 수용언어는 생활연령에 비하여 6개월 표 언어는 1년 이상 지체되어 있으며(Stark amp

Tallal 1981) (3) K-WPPSI (박혜원곽 주박 배 1997) 결과 동작성지능이 정상범

(IQ 85 이상)에 속하고 (4) 정서 행동문제나 시청각과 같은 감각장애를 수반하지 않은

아동들로 하 다

일반아동의 경우는 (1) 부모나 교사에 의해 언어능력이나 지 능력이 정상이라고 보고

되었으며 (2) 985172그림어휘력검사985173(김 태 외 1995)의 백분 수가 -1SD 이상에 속하는 아

동들 에서 (3) CA 일치집단은 생활연령이 SLI 아동들과 일 일로 일치시켰을 때 plusmn3개월

이내에 속하는 아동들로 (4) LA 일치집단은 그림어휘력검사 결과가 동일 언어연령 에 속

하는 아동들로 구성하 다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낱말산출 능력

5

비교집단의 통제가 잘 이루어졌는가를 살펴보기 하여 t-검정을 실시한 결과 SLI 아

동 집단과 CA 일치집단 간에 생활연령에 차이가 없었으며 SLI 아동 집단과 LA 일치집단

간에 그림어휘력 수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세 집단의 생활연령과 언어 수의 평균

표 편차는 lt표 - 1gt에 제시하 다

lt표 - 1gt 세 아동집단의 생활연령 언어능력의 평균 표 편차

SLI (N = 20) LA일치(N = 20) CA일치(N = 20)

M SD M SD M SD

생활연령

언어능력

7425

5540

1085

1323

5790

5540

778

1337

7172

7461

875

1449

언어능력 그림어휘력검사의 원 수SLI SLI 아동 집단 LA일치 SLI 아동과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 집단 CA일치 SLI 아동과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 집단

2 검사도구

가 이름 기검사

낱말표 능력은 선행연구(Leonard et al 1983 McGregor 1997)에서 많이 사용된 그림

이름 기과제를 통해 검사하 다 검사에 사용한 낱말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 선정하 다

먼 학령 학령 기 아동들의 어휘산출을 연구한 이상 외(1972) 이연섭권경

안정인실(1980) 그리고 이응백(1989)의 자료를 참조하여 명사와 동사를 각각 80개씩 선정

하 다 낱말선정 시 상아동들의 연령과 낱말의 의미와 기능 그리고 그림으로 표 이 가

능한가 등을 고려하 다 선정한 낱말은 18 times 26 cm 크기의 종이에 흑백의 선으로 그림을 그

리고 필요한 부분에 음 을 넣어 그림자료로 비하 다

그림으로 비된 낱말들로 35-65세 아동 60명(6개월 단 로 10명씩)을 상으로 비

검사를 실시하 으며 비검사 결과는 Bayesian (성태제 2001)을 사용하여 분석하여 문항변

별도와 난이도가 높은 명사와 동사 문항을 각각 35개씩 선정하 다(lt부록 - 1gt lt부록 -

2gt 참조) 낱말선정 시 명사와 동사에서의 수행결과를 비교하기 하여 명사와 동사 문항의

난이도를 동일하게 통제하 다 문항의 신뢰도를 측정하기 하여 내 일치도를 산출한 결

과 α 계수가 명사는 92 동사는 96로 나타나 검사문항의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언어청각장애연구

6

나 이해검사

아동의 낱말산출능력과 낱말이해능력간의 계를 살펴보기 하여 이해검사를 실시하

다 이해검사는 그림어휘력검사(김 태 외 1995)와 동일한 형식으로 검사자가 구어로 제

시한 목표낱말을 4개의 그림 에서 지 하는 것이었다 목표어를 제외한 3개의 보기 문항은

의미 으로 유사한 낱말( 기타rarr바이올린) 음운 으로 유사한 낱말( 기타rarr기차) 그리

고 무 련 낱말( 기차rarr모자)로 구성하 다

3 연구 차

아동의 과제수행이 방해받지 않는 조용한 곳에서 모든 아동들을 개별 으로 검사하 다

먼 검사 에 아동에게 검사 차에 해 간단히 설명한 후 아동이 검사요령을 정확히 이해할

수 있도록 2개의 연습문항을 실시하 다 그리고 아동이 검사 수행방법을 정확하게 숙지한 경

우 본검사를 실시하 다 본검사에서는 아동에게 그림을 한 장씩 제시하며 명사의 경우에는

ldquo이게 뭐지rdquo 그리고 동사의 경우에는 ldquo가 뭐해rdquo하고 질문하여 낱말표 을 유도하 다

명사와 동사검사의 제시순서에 의한 효과를 통제하기 하여 반의 아동에게는 명사검사부

터 그리고 나머지 반의 아동에게는 동사검사부터 실시하 다 아동들의 반응은 검사자가

즉석에서 기록지에 기록하 으며 추후 신뢰도 평가를 하여 녹음기(SONY TCM-100)를 사

용하여 녹음하 다

이해검사는 이름 기 검사가 모두 끝난 후에 실시하 다 검사는 이해검사 그림자료를

보여주면서 검사자가 목표어를 구두로 제시하면 아동이 해당 그림을 지 하게 하는 형식으

로 진행하 다

4 자료분석

가 오반응 빈도

아동들이 이름 기검사에서 오반응을 나타낸 문항의 빈도를 측정하 다

나 오류유형분석

오류유형의 분석기 은 이윤경김 태(2001)의 분석기 을 사용하 다 이 분석기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낱말산출 능력

7

은 McGregor amp Windsor (1996)와 German (2000)이 제시한 분석기 을 종합하여 크게 의미

음운 시각 그리고 기타로 나 어 마련한 것이다 세부 오류유형은 lt부록 - 3gt

lt부록 - 4gt에 제시하 다

5 신뢰도

체의 25 에 해당하는 자료를 무작 로 선택한 후 학원에서 언어병리학을 공한

언어치료사 1인에게 반응의 정반응의 여부와 오류유형을 기록분석하게 하여 검사자의 분

석내용과의 일치율을 측정하 다 그 결과 정반응 여부에 한 기록 결과는 100 그리고

오류유형 분석 결과는 97 의 일치율을 나타내었다

6 통계분석

SPSS 100 로그램을 이용하여 집단(3)을 집단간 변수로 하고 낱말유형(2)과 이해여부

(2) 그리고 오류유형(4)은 집단내 변수로 하여 반복설계를 통한 4원 변량분석을 실시하 다

Ⅳ 연구결과

세 아동 집단이 명사와 동사 이름 기 검사에서 산출한 오반응 빈도의 평균 표 편

차는 lt표 - 2gt 변량분석 결과는 lt표 - 3gt에 제시하 다

1 집단 낱말유형 이해여부에 따른 오반응빈도 분석 결과

먼 집단에 따라 낱말산출의 오반응 빈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F =

1088 plt 001) Tukey HSD 사후분석을 실시한 결과 집단간의 차이는 CA 일치집단이 각

각 SLI 아동집단과 LA 일치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인 것에 의해 비롯되었다 즉 CA 일

치집단이 SLI 아동집단과 LA 일치집단에 비해 오반응을 유의하게 게 산출하 다 반면

SLI 아동집단과 LA 일치집단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낱말유형에 따른 주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낱말유형과 집단간에는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F = 639 plt 01) 즉 SLI 아동집단과 CA 일치집단은 모두 명사에 비해 동

언어청각장애연구

8

lt표 - 2gt 세 아동 집단의 오반응빈도의 평균 표 편차

SLI (N = 20) LA일치(N= 20) CA일치(N= 20)

M SD M SD M SD

명사

이해

가능1

의미

음운

시각

기 타

325

115

300

335

215

131

172

237

490

100

370

250

234

79

232

252

290

105

245

105

283

105

132

150

총 1075 445 1210 449 745 440

이해

불가능2

의미

음운

시각

기 타

75

15

165

145

137

67

283

139

70

15

170

80

92

49

272

140

35

05

40

25

75

22

82

72

총 400 246 335 242 105 177

체3

의미

음운

시각

기 타

400

130

465

480

352

198

455

376

560

115

540

330

234

79

232

252

325

110

285

130

358

127

214

222

총 1475 690 1545 606 850 617

동사

이해

가능

의미

음운

시각

기 타

475

30

375

385

162

57

240

276

415

15

315

215

206

37

127

131

390

25

210

190

222

44

174

91

총 1265 412 960 226 815 312

이해

불가능

의미

음운

시각

기 타

140

00

85

140

105

00

81

176

100

00

125

55

152

00

148

89

90

00

30

45

112

00

57

69

총 365 202 280 280 165 153

의미

음운

시각

기 타

615

30

460

525

137

67

283

139

515

15

485

270

92

49

272

140

480

25

240

235

75

22

82

72

총 1630 501 1240 375 980 368

SLI SLI 아동집단 LA일치 SLI 아동과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집단 CA일치 SLI 아동과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집단 1이해가능 이름 기검사에서는 오반응을 보 으나 이해검사에서는 정반응을 보인 문항 빈도

2이해불가능

이름 기검사와 이해검사에서 모두 오반응을 보인 문항 빈도 3 체 이해여부와 계없이 이름 기검사에서 오반응을 보인 체 문항 빈도(이해가능 +이해불가능)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낱말산출 능력

9

lt표 - 3gt 이름 기검사에서의 오반응 빈도의 변량분석 결과

분산원 SS df MS F

집단 11067 2 5533 1088

오차(집단) 28978 57 508

낱말유형 938E-03 1 938E-03 01

이해여부 81218 1 81218 29570

오류유형 57214 3 19071 6853

낱말유형times집단 1693 2 847 639

낱말유형times이해여부 5104E-02 1 5104E-02 02

이해여부times집단 620 2 310 310

오류유형times집단 7627 6 1271 457

오류유형times낱말유형 3576 3 1192 612

오류유형times이해여부 19753 3 6584 2971

낱말유형times오류유형times집단 1091 6 182 93

낱말유형times이해여부times집단 1077 2 538 220

오류유형times이해여부times집단 1481 6 247 111

낱말유형times오류유형times이해여부 1254 3 418 206

낱말유형times오류유형times이해여부times집단 1091 6 182 90

오차(낱말유형) 7550 57 133

오차(오류유형) 47590 171 278

오차(이해여부) 15656 57 275

오차(낱말유형times오류유형) 33314 171 195

오차(낱말유형times이해여부) 13962 57 245

오차(오류유형times이해여부) 37898 171 222

오차(낱말유형times오류유형times이해여부) 34737 171 203

plt 05 plt 01 p lt 001

사에서 오반응 빈도를 많이 산출한 반면 LA 일치집단은 동사에 비해 명사에서 오반응을 더

많이 산출하 다(lt그림 - 1gt 참조)

이해여부에 따른 주효과도 찰되었다(F = 29570 p lt 001) lt그림 - 2gt에서 볼 수 있

듯이 세 아동집단 모두 이름 기검사에서 오반응을 보 으나 이해는 가능하 던 문항빈도가

이름 기와 이해검사 모두에서 오반응을 보인 문항빈도에 비해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

해여부와 집단 그리고 이해여부와 낱말유형 간에는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가 찰되지 않았

다 그러나 이해여부와 집단 간에는 통계 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으나 SLI 아동집단이 다른

언어청각장애연구

10

두 일반아동집단에 비해 이해는 하면서 이름 기에만 오류를 보인 문항의 빈도가 높은 것으

로 나타났다

0

2

4

6

8

10

12

14

16

18

명사 동사 명사 동사 명사 동사

전체오류 이해가능 이해불가능

오반응빈도

SLI

LA일치

CA일치

0

5

10

15

20

25

이해가능 이해불가능

오반응빈도

SLI

LA일치

CA일치

lt그림 - 1gt 낱말유형에 따른 오반응 빈도 lt그림 - 2gt 이해여부에 따른 오반응 빈도

2 집단 낱말유형 이해여부에 따른 오류유형 분석 결과

오류유형에 따른 주효과도 찰되었다(F = 6853 plt 001) 세 집단의 아동들은 모두

의미 오류와 시각 오류를 많이 산출한 반면 음운 오류는 거의 산출하지 않았다 상호

작용 효과는 오류유형과 집단(F = 457 plt 01) 오류유형과 낱말유형(F = 612 p lt 01) 그

리고 오류유형과 이해여부(F = 2971 plt 001) 사이에서 나타났다

먼 오류유형과 집단의 상호작용효과는 세 집단 아동들이 산출한 오류유형에 차이를

보임을 의미한다 lt그림 - 3gt을 보면 SLI 아동집단이 두 일반아동집단에 비하여 기타 유형

을 다른 오류유형에 비해 상 으로 많이 산출하 다 그러나 의미 음운 그리고 시각

오류는 세 아동집단에서 유사한 경향으로 산출하 다

오류유형은 낱말유형과도 상호작용효과를 나타냈다 lt그림 - 4gt를 보면 동사산출 시

명사에 의미 오류와 기타오류를 많이 산출한 반면 음운과 시각 오류는 게 산출하 다

집단별로 낱말유형에 따른 오류유형 산출 결과를 보면 LA 일치집단은 명사와 동사에서 유

사한 오류패턴을 보인 반면 SLI 아동집단과 CA 일치집단은 명사에 비해 동사에서 의미 오

류와 기타오류를 더 많이 산출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오류유형은 이해여부와도 상호작용효과를 나타내었다 lt그림 - 5gt를 보면 세 아동 집

단은 모두 이해는 하면서 이름 기에만 오류를 보인 경우와 이름 기는 물론 이해에서도 오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낱말산출 능력

11

0

2

4

6

8

10

12

의미적 음운적 시각적 기타

오반응빈도

SLI

LA일치

CA일치

0

1

2

3

4

5

6

7

의미적

음운적

시각적

기타

의미적

음운적

시각적

기타

명사 동사

오반응빈도

SLI

LA일치

CA일치

lt그림 - 3gt 집단별 체 오류유형 산출결과

0

2

4

6

8

10

12

14

16

18

의미적 음운적 시각적 기타

오반응빈도

명사

동사

0

1

2

3

4

5

6

7의미적

음운적

시각적

기타

의미적

음운적

시각적

기타

의미적

음운적

시각적

기타

SLI LA일치 CA일치

오반응빈도

명사

동사

lt그림 - 4gt 낱말유형별 체 오류유형 산출결과

0

1

2

3

4

5

6

7

8

9

10

의미적

음운적

시각적

기타

의미적

음운적

시각적

기타

의미적

음운적

시각적

기타

SLI LA일치 CA일치

오반응빈도

이해가능

이해불가능

lt그림 - 5gt 이해여부에 따른 세 아동 집단의 오류유형

반응을 보인 경우 오류패턴은 유사하게 나타냈다 그러나 이해와 이름 기검사 모두 오반응

을 보인 경우보다 이름 기에서만 오반응을 보이고 이해는 가능하 던 경우에 의미 오류

언어청각장애연구

12

를 월등하게 많이 산출하 다 반면 이해여부와 집단 사이와 이해여부와 낱말유형 사이에서

는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가 찰되지 않았으며 아동집단 간에도 이해여부에 따른 오류유형

은 유의한 차이가 찰되지 않았다

V 논 의

본 연구는 이름 기검사를 사용하 을 때에도 자발화에서의 낱말산출 연구결과와 마찬

가지로 SLI 아동들이 명사에 비해 동사산출에 어려움을 보이는 지를 살펴보고 낱말산출 능

력이 낱말의 이해여부에 따라서는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 지 한 낱말유형(명사와 동사) 간

에 산출된 오류유형에서는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 지를 살펴보는 것을 목 으로 하 다 따라

서 명사와 동사에서의 낱말산출능력 낱말산출과 낱말이해와의 계 그리고 오류유형 결과

를 심으로 논의를 진행하 다

먼 낱말산출에서의 오반응빈도 분석 결과를 보면 SLI 아동 집단은 CA 일치집단에

비해 낱말산출능력이 뒤떨어진 것으로 나타났으나 LA 일치집단과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

지 않았다 그러나 SLI 아동집단과 CA 일치집단은 모두 명사에 비해 동사에서 오반응 빈도를

많이 산출한 반면 LA 일치집단은 동사에 비해 명사에서 오반응을 더 많이 산출하 다 이러

한 결과는 SLI 아동집단이 명사에 비해 동사산출에서 더 어려움을 보인다는 선행연구의 결과

와 유사한 것이며 이들의 낱말산출에서의 차이가 단순히 지체가 아닐 수 있음을 시사한다

SLI 아동들이 이처럼 명사에 비해 동사에서 더 오류를 많이 보인 것은 Rice amp Bode

(1993)가 설명한 것처럼 동사가 의미 인 지식뿐 아니라 명사보다 발화에서 문법 기능을

더 많이 담당하기 때문일 수도 있으며 는 동사가 명사에 비해 상 으로 지시하는 상

이 분명하지 않기 때문일 수도 있다(Hoff-Ginsberg 2001) 본 연구에서는 그림자료를 사용

하여 동사산출을 유도하 으므로 아동들의 동사산출능력이 구문산출능력이나 문맥에 의해

상 으로 향을 게 받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SLI 아동들이 명사에 비해 동사산출에

더 많은 오반응을 산출하 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동사가 문법 기능을 더 많이 담당하기

때문만이 아니라 SLI 아동들이 동사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더 많이 어려움을 갖기 때문으로

해석해 볼 수 있겠다

이해여부에 따른 낱말산출능력 분석 결과는 세 아동집단 모두 이해는 가능하나 이름

기에서만 오류를 보인 문항의 빈도가 이름 기와 이해 모두에서 오류를 보인 문항의 빈도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낱말산출 능력

13

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정상 인 언어발달에서 체로 낱말이해가 산출에

선행된다는 선행연구들을 통해서 설명해 볼 수 있을 것이다(Meynuk 1997) 반면 집단과 이

해여부에 따른 상호작용효과는 나타나지 않으나 SLI 아동들이 다른 두 일반아동집단에 비하

여 이해는 가능하나 이름 기에서만 오류를 보인 문항의 빈도를 높게 산출하 다(lt그림 -

2gt 참조) 이러한 결과는 SLI 아동들의 낱말산출의 문제가 낱말을 인식하는 수 이 아니라

낱말을 인출하는 과정의 문제일 수도 있음을 시사한다(이윤경김 태 2002 Menyuk

1997) 즉 낱말에 한 지식을 의미기억 속에 가지고는 있으나 이를 필요한 경우 효율 으로

잘 인출해내지 못하는 것일 수 있다

오류유형분석 결과는 SLI 아동들이 두 일반아동집단과 마찬가지로 의미 오류를 다른

오류유형에 비해 월등하게 많이 산출하 다는 에서 선행연구(Fried-Oken 1984 McGregor

1997)와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SLI 아동은 물론 일반아동들도 낱말을 정확하

게 산출하지 못할 때 목표낱말과 련된 의미 정보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 다 반

면 SLI 아동집단은 두 일반아동집단에 비하여 기타오류를 유의하게 많이 산출하 는데 이는

주로 SLI 아동들이 lsquoDK(모르겠다)rsquo 반응을 많이 산출한 것과 련된다 이처럼 SLI 아동들이

lsquoDKrsquo 반응을 많이 보인 것은 이 아동들이 목표낱말에 한 일부 지식은 지니고 있으나 낱말

을 산출할 수 있을 정도로 정확한 지식은 지니고 있지 못하 기 때문일 수도 있으며

(McGregor 1997) 낱말이 쉽게 생각나지 않기 때문에 낱말산출을 쉽게 포기하 기 때문일

수도 있다(이윤경김 태 2002)

오류유형은 낱말유형에 따라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 다 lt그림 - 3gt을 보면 LA 일치

집단은 명사와 동사에서 유사한 오류패턴을 보인 반면 SLI 아동집단과 CA 일치집단은 명사

에 비해 동사에서 의미 오류와 기타 오류를 더 많이 산출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명사에

비해 동사검사에서는 의미 으로 에둘러 표 하기와 DK 반응이 많았는데 이는 아동들이 동

사를 산출할 때 정확한 목표낱말로 표 하기 보다는 그림에서 묘사된 상황을 설명하는 경우

가 많았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는 SLI 아동들이 동사 산출에서 오류를 보이는 것이 명사보다

발화에서 문법 기능을 더 많이 담당하기 때문일 수도 있다는 Rice amp Bode (1993)의 설명

보다는 동사가 명사에 비해 상 으로 지시하는 상이 분명하지 않기 때문일 수도 있다는

Hoff-Ginsberg (2001)의 설명이 더 타당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오류유형은 이해여부와도 상호작용효과를 나타냈다 lt그림 - 5gt을 보면 세 아동 집단

은 모두 이해는 하면서 이름 기에만 오류를 보인 경우와 이름 기는 물론 이해에서도 오반

응을 보인 경우의 오류패턴은 유사하게 나타내었으나 이해와 이름 기에서 모두 오반응을

보인 경우보다 이해는 가능한 경우에 의미 오류를 월등하게 많이 산출하 다 이러한 결과

언어청각장애연구

14

는 McGregor (1997)가 설명하 듯이 SLI 아동은 물론 일반아동들도 낱말을 정확하게 산출

하지 못하는 경우 주로 낱말의 의미 속성에 의존하여 목표낱말을 치하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 다 그러나 언어처리과정 에서 보았을 때 이러한 결과는 SLI 아동은 물론 일반

아동들도 낱말산출에서의 오류가 낱말처리 과정 의미 처리과정에서의 문제 때문에 발

생한 것일 수도 있음을 보여 다 즉 유사한 의미 속성을 가진 낱말들 에서 목표낱말을

정확하게 선택하지 못하 기 때문일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설명 에서 어느 것이 더

한가는 추후 연구를 통해 설명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본 연구의 결과는 선행연구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SLI 아동

들이 CA 일치 아동들과 비교해서는 물론 LA 일치 아동들에 비해서도 낱말산출에서 어려움

을 보 으며 명사에 비해 동사에서 더 어려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이 아

동들이 동사 산출에 어려움을 갖는 것이 단순히 지체가 아니라 일탈된 특성일 수 있음을 제

시해 다 한 SLI 아동들은 오류유형에서도 두 일반아동 집단에 비해 lsquoDKrsquo 반응을 월등히

많이 산출하 으며 명사에 비해 동사에서 특히 많이 산출하 는데 이는 아동들이 목표낱말

을 의미기억 속에 정확하게 표상하고 있지 못하 기 때문일 수도 있으며 혹은 의미기억 속

에 장된 낱말을 빨리 효율 으로 인출하지 못해서 쉽게 lsquo모르겠다rsquo라고 반응한 것일 수도

있다고 설명할 수 있다 이처럼 낱말의 유형에 따라 반응의 정확성이나 오류유형에 차이가

나타나는 것이 낱말을 처리하는 과정에서의 문제로 인한 것인지 혹은 문법규칙을 습득하는

데에 있어서 특정 으로 결함을 갖기 때문인지는 추후 더 심도깊게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참 고 문 헌

김 태성태제이윤경(2003) 985172취학 아동의 수용언어 표 언어 발달척도(PRES)985173 서울 서울장

애인종합복지

김 태장혜성임선숙백 정(1995) 985172그림어휘력검사985173 서울 서울장애인종합복지

박혜원곽 주박 배(1997) 985172K-WPPSI 검사요강985173 서울 도서출 특수교육

성태제(2001) Bayesian 통계방법에 의한 검사분석 로그램 wwwevercationcom

이상 정세화이은화이정환(1972) 3 4 5세 아동의 회화에 나타난 어휘 조사 985172한국문화연구원

논총985173 11 337-427이연섭권경안정인실(1980) 985172한국아동의 어휘발달 연구(Ⅰ)985173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이윤경김 태(2002)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낱말찾기 특성 985172언어청각장애연구985173 7(1) 65-80이응백 (1989) 985172국민학교 학습용 기본어휘 연구985173 서울 한교과서주식회사

Conti-Ramsden G amp Jones M (1997) Verb use in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Journal of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낱말산출 능력

15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40 1298-1313

Fried-Oken M (1984) The development of naming skills in normal and language deficient childr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Boston University

German D J (2000) Test of Word Finding (manual) Austin TX Pro-Ed

Hoff-Ginsberg E (2001) Language development (2nd ed) Florence KY Wadsworth

Lahey M amp Edwards J (1999) Naming errors of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42 195-205

Leonard L B Nippold M A Kail R amp Hale C (1983) Picture naming in language-impaired

children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26 609-615

Leonard L B (1998) The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Cambridge MA The MIT

Press

McGregor K K amp Windsor J (1996) Effects of priming on the naming accuracy of preschoolers

with word-finding deficit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39 1048-1058

McGregor K K (1997) The nature of word-finding errors of preschoolers with and without

word-finding deficits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40 1232-

1244

Menyuk P (1997) Naming disorders in children In H Goodglass amp A Wingfield (Eds) Anomia

Neuroanatomical and cognitive correlates San Diego Academic Press

Rescola L amp Schwartz E (1990) Outcome of specific expressive language delay Applied

Psycholinguistics 11 393-407

Rice M L amp Bode J V (1993) GAPS in the verb lexicons of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First Language 13 113-131

Stark R amp Tallal P (1981) Selection of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deficit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46 114-122

Stokes S F amp Fletcher P (2000) Lexical diversity and productivity in Cantonese-speaking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35(4) 527-541

Watkins R V Kelly D V Harbers H M amp Hollis W (1995) Measuring childrenrsquos lexical

diversity Differentiating typical and impaired language learner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38 1349-1355

언어청각장애연구

16

lt부록 - 1gt 명사 이름 기검사 낱말목록

번호 목표낱말 번호 목표낱말 번호 목표낱말 번호 목표낱말

1

2

3

4

5

6

7

8

9

열쇠

그네

망치

유모차

호루라기

도장

사다리

허수아비

기타

10

11

12

13

14

15

16

17

18

주사

목도리

달력

지도

신문

채소

19

20

21

22

23

24

25

26

27

낙하산

분수

필통

화분

우표

온도계

주유소

28

29

30

31

32

33

34

35

장화

국자

수염

바구니

시소

실로폰

옷걸이

지팡이

lt부록 - 2gt 동사 이름 기검사 낱말목록

번호 목표낱말 번호 목표낱말 번호 목표낱말 번호 목표낱말

1

2

3

4

5

6

7

8

9

울다

감다

불다

그리다

맡다

날다

지우다

따다

10

11

12

13

14

15

16

17

18

빗다

따르다

들다

묶다

건 다

뱉다

칠하다

마시다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닫다

웃다

짜다

개다

차다

부수다

묻다

꺾다

28

29

30

31

32

33

34

35

던지다

뽑다

넘다

당기다

붙이다

찢다

쓸다

자르다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낱말산출 능력

17

lt부록 - 3gt 명사 오류분석 기

구분 정의

의미

상 개념어(superordinate)

목표어를 포함하는 상 범주어로 치하는 경우 양 채소

등어(coordinate)

동일한 수 의 다른 낱말이나 동일의미범주의 낱말로 치하는 경우

그네미끄럼틀

하 개념어(subordinate)

목표어를 나타내는 하 범주어로 치하는 경우 가구책상

기능(functional)

목표어의 기능 속성을 나타내는 낱말로 치하는 경우 달력날짜

장소(locative)

목표어와 련된 장소를 나타내는 낱말로 치하는 경우 그네놀이터

구성요소(compositional)

목표어를 구성하는 낱말로 치하는 경우 주사기바늘

연합(association)

목표어와 같이 사용되는 낱말이나 개념으로 치하는 경우 낙하산비행기

의미 에두르기(circumlocution)

목표어의 의미 특성을 여러 낱말로 설명하거나 묘사하는 경우

국자국 떠주는 것

음운

음소 치(p-substitution)

목표어를 구성하는 음소를 다른 유사 음소로 치분수푼수기타치타

음소첨가(p-addition)

목표어에 다른 음소를 첨가 그네근네

음소생략(p-omission)

목표어에 포함된 음소나 음 을 생략하는 경우 우표표

음운유사낱말 치 (malapropisms)

음소 으로 유사한 다른 실제 낱말로 치 주사 주사기

음소( )반복(p-repetition)

목표어의 첫 번째 음소( 는 음 )를 반복하는 경우 그네그 그네

시각

시각 치(v-substitution)

시각 으로 유사한 낱말로 치 우표그림

시각 부분 치(whole-part)

목표어를 묘사한 그림의 일부분을 지칭하는 낱말로 치분수물 화장 거울

시각 에두르기목표어의 시각 특성을 여러 낱말로 설명하거나 묘사하는 경우

꼬리동그라미 에 뭐 달려있어

기타

DK(Donrsquot Know) lsquo모른다rsquo고 응답하는 경우

NR (No Response)

그림을 제시한 후 8 가 경과될 때까지 반응을 보이지 않는 경우

보속반응(perseveration)

이 문항에서의 반응을 되풀이

무 련 반응 목표어와 련되지 않은 낱말로 반응하는 경우

언어청각장애연구

18

lt부록 - 4gt 동사 오류분석 기

구분 정의

상 동사 목표동사의 상 행동을 묘사하는 동사로 치하는 경우 감다목욕하다

등어 동일행동을 묘사하거나 반 행동을 묘사하는 동사로 경우꺾다따다

열다닫다

하 동사 목표동사의 하 행동을 묘사하는 동사로 치하는 경우 묻다 다

연합목표동사와 같이 사용되는 낱말이나 행동어로 치하는 경

짜다그리다

다공사

의미 에두르기목표동사의 의미 특성을 여러 낱말로 설명하거나 묘사하

는 경우

뱉다물고 있던거

버려요

음소 치 목표동사를 구성하는 음소를 다른 유사 음소로 치맡다맡쳐요

부수다부긴다

음소첨가 목표동사에 다른 음소를 첨가 닫다닫은다

음소생략 목표동사에 포함된 음소나 음 을 생략하는 경우 따르다따요

음운유사낱말 치 음소 으로 유사한 다른 실제 동사로 치 빗다벗다

음소반복 목표동사의 첫 번째 음소( 는 음 )을 반복하는 경우 먹다머 먹다

시각 치 목표동사의 행동과 시각 으로 유사한 동사 치 뽑다당기다

시각 부분 치목표동사를 묘사한 그림의 일부분을 지칭하거나 묘사하는

낱말로 치묻다병아리

시각 에두르기목표동사의 행동 특성을 여러 낱말로 설명하거나 묘사하는

경우

부수다망치

때려

동사 사용 목표동사를 동사(lsquo명사+하다rsquo)의 형식으로 표 하는 경우 던지다공 해요

DK

(Dontrsquot Know)lsquo모른다rsquo고 응답하는 경우

NR

(No Response)

그림을 제시한 후 8 가 경과될 때까지 반응을 보이지 않

는 경우

보속반응 이 문항에서의 반응을 되풀이

무 련 반응 목표동사와 련되지 않는 낱말로 반응하는 경우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낱말산출 능력

19

게재 신청일 2003년 1월 24일게재 확정일 2003년 2월 23일

이윤경 (제 1 자) 용인 학교 재활보건과학 학원 언어치료학과 겸임교수 e-mail lyoonkyounghanmailnet김 태 (공동 자) 이화여자 학교 특수교육학 언어병리학과 교수 e-mail youngtaeewhaackr

ABSTRACT

Word (Noun and Verb) Production in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Yoonkyoung Lee(Dept of Speech and Languge Pathology Yongin University)

Young Tae Kim(Dept of Special Education amp

Interdiciplinary Program of Communication Disorders

Ewha Womans University)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word (noun and

verb) productions of children with SLI Sixty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1) 20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SLI group) whose language age were 46 - 66

(2) 20 normal children chronological-age matched with the SLI children (CA controls) and

(3) 20 normal children matched on a composite index of language age with the SLI children

(LA controls) Picture naming and word recognition tests were used and frequencies and

types of errors were analyse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s follows (1) the SLI

group demonstrated significantly higher frequency of errors in verb production than that

of nouns but LA controls produced more errors in nouns than those of verbs (2) the SLI

group produced unrelated errors more than others compared with normal controls Bu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error types produced in both noun and verb tests (3) the SLI group

demonstrated higher frequency of misnaming but recognized items in noun and verb

productions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SLI group and each of

the two normal control groups Thes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e findings of earlier

studies with regard to the restricted verb productions of the children with SLI

Key Words specific language impairment(SLI) word production naming test error pattern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낱말산출 능력

3

리고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SLI 아동들이 언어표 에 특히 어려움이 있다는 사실로 이해할

수 있으며 동시에 이들의 언어문제가 단지 습득과정에서의 문제만이 아니라 처리과정에서의

문제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제시하 다

앞에서 제시한 SLI 아동들의 낱말산출 연구들은 부분 자발화에서 아동들이 산출한

TNW와 NDW를 비교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TNW와 NDW는 일상 이고 자연스러운

의사소통 상황에서 아동들이 산출한 낱말들을 측정하는 데 매우 유용한 측정치이기는 하나

모든 아동들에게 동일한 낱말을 측정하지 않기 때문에 단순히 그 측정치에 기 하여 아동들

간의 낱말산출능력을 객 으로 비교하는 데에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이에 반해 일부 연구자들은 이름 기검사(confrontation naming test)를 사용하여 연구를

실시하 다(Leonard et al 1983 Fried-Oken 1984 McGregor amp Windsor 1996 McGregor

1997 Lahey amp Edwards 1999) 이름 기검사는 목표낱말을 그림으로 표 할 수 있는 낱말

로 국한해야 하며 일부 낱말만을 목표낱말로 해야 하는 단 이 있으나 연구자가 미리 선정

한 목표낱말을 모든 아동들에게 동일하게 검사하기 때문에 아동들 간의 낱말산출능력을 객

으로 비교할 수 있다는 장 을 가진다 한 아동들이 낱말산출과정에서 산출한 오류의

유형을 분석함으로써 SLI 아동들이 래아동들과 어떠한 에서 차이를 보이는지를 어휘처

리과정의 측면에서 해석해 볼 수 있게 한다(McGregor 1997) 재까지 이름 기 검사를 사

용한 연구들은 체로 자발화에서의 TNW나 NDW를 비교한 연구의 결과들과 마찬가지로

SLI 아동들이 일반아동들에 비해 낱말산출의 정확도가 뒤떨어진다고 보고하고 있다 한

오류유형과 련된 결과들은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이 일반아동들에 비해 ldquo잘 모르겠다rdquo는 응

답을 유의하게 많이 산출하 다고 공통되게 보고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에 해 일부 연구자

들은 SLI 아동들이 낱말에 한 지식이 부족하거나 불완 한 형태로 습득하 기 때문이라고

설명하 으며 일부 연구자들은 SLI 아동들이 자신이 알고 있는 낱말들을 단지 효율 으로

인출하지 못하 기 때문이라고 설명하기도 하 다(이윤경김 태 2002 Leonard et al

1983 McGregor 1997 Lahey amp Edwards 1999)

한 이름 기검사를 사용하는 경우 동일한 목표낱말에 해 이해검사를 실시할 수 있으

므로 낱말산출과 이해의 계를 보다 직 으로 살펴볼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낱말산출에서

의 문제가 단지 낱말을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인지 혹은 낱말을 이해하고는 있으나 단지 효율

으로 낱말을 인출해내는 과정에서의 문제 때문인지를 어느 정도는 설명해 볼 수 있게 한다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SLI 아동들은 명사에 비해 특히 동사를 산출하는 데 어려움

을 갖는다고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재까지 이름 기검사를 사용하여 SLI 아동들의 낱말

산출능력을 살펴 본 연구들은 부분 명사만을 목표낱말로 다루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언어청각장애연구

4

이름 기검사에서도 SLI 아동들이 명사에 비해 동사산출에 어려움을 보이는지를 살펴보고자

하 다 이름 기검사에서 동사를 산출하는 것은 자발화에서 동사를 산출하는 것과는 달리

구문산출능력에 의한 향을 게 받는다 따라서 SLI 아동들의 동사산출 문제가 동사가 발

화에서 문법 기능을 더 많이 담당하기 때문인지의 여부를 어느 정도 설명해 수 있을 것

이다

한 SLI 아동들이 명사와 동사산출능력이 낱말의 이해여부에 따라서는 어떠한 차이

를 갖는지 한 산출한 오류유형들은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살펴보고자 하 다 이는

SLI 아동들의 명사와 동사 산출능력이 이해능력과는 어떠한 계를 갖는지를 설명해 뿐

아니라 나아가서는 어휘처리과정의 측면에서도 이해해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연

구결과들은 SLI 아동들의 낱말산출능력이 단순히 일반아동들에 비해 지체된 것인지 아니면

일반아동들과는 다른 일탈된 특성을 갖는지를 설명하는 데 의미가 있을 것이다

Ⅲ 연구방법

1 연구 상

본 연구는 언어연령이 46-66세의 SLI 아동 20명을 실험집단으로 하 으며 SLI 아동

들과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CA 일치집단) 20명 그리고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

아동(LA 일치집단) 20명을 각각 통제집단으로 하 다 SLI 아동들의 경우는 (1) 종합병원 언

어치료실이나 개인언어치료실에서 언어치료사에 의해 SLI로 진단받은 아동 에서 (2) 985172취학 아동의 수용언어 표 언어 척도(PRES)985173 (김 태성태제이윤경 2003)를 실시한

결과 수용언어는 생활연령에 비하여 6개월 표 언어는 1년 이상 지체되어 있으며(Stark amp

Tallal 1981) (3) K-WPPSI (박혜원곽 주박 배 1997) 결과 동작성지능이 정상범

(IQ 85 이상)에 속하고 (4) 정서 행동문제나 시청각과 같은 감각장애를 수반하지 않은

아동들로 하 다

일반아동의 경우는 (1) 부모나 교사에 의해 언어능력이나 지 능력이 정상이라고 보고

되었으며 (2) 985172그림어휘력검사985173(김 태 외 1995)의 백분 수가 -1SD 이상에 속하는 아

동들 에서 (3) CA 일치집단은 생활연령이 SLI 아동들과 일 일로 일치시켰을 때 plusmn3개월

이내에 속하는 아동들로 (4) LA 일치집단은 그림어휘력검사 결과가 동일 언어연령 에 속

하는 아동들로 구성하 다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낱말산출 능력

5

비교집단의 통제가 잘 이루어졌는가를 살펴보기 하여 t-검정을 실시한 결과 SLI 아

동 집단과 CA 일치집단 간에 생활연령에 차이가 없었으며 SLI 아동 집단과 LA 일치집단

간에 그림어휘력 수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세 집단의 생활연령과 언어 수의 평균

표 편차는 lt표 - 1gt에 제시하 다

lt표 - 1gt 세 아동집단의 생활연령 언어능력의 평균 표 편차

SLI (N = 20) LA일치(N = 20) CA일치(N = 20)

M SD M SD M SD

생활연령

언어능력

7425

5540

1085

1323

5790

5540

778

1337

7172

7461

875

1449

언어능력 그림어휘력검사의 원 수SLI SLI 아동 집단 LA일치 SLI 아동과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 집단 CA일치 SLI 아동과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 집단

2 검사도구

가 이름 기검사

낱말표 능력은 선행연구(Leonard et al 1983 McGregor 1997)에서 많이 사용된 그림

이름 기과제를 통해 검사하 다 검사에 사용한 낱말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 선정하 다

먼 학령 학령 기 아동들의 어휘산출을 연구한 이상 외(1972) 이연섭권경

안정인실(1980) 그리고 이응백(1989)의 자료를 참조하여 명사와 동사를 각각 80개씩 선정

하 다 낱말선정 시 상아동들의 연령과 낱말의 의미와 기능 그리고 그림으로 표 이 가

능한가 등을 고려하 다 선정한 낱말은 18 times 26 cm 크기의 종이에 흑백의 선으로 그림을 그

리고 필요한 부분에 음 을 넣어 그림자료로 비하 다

그림으로 비된 낱말들로 35-65세 아동 60명(6개월 단 로 10명씩)을 상으로 비

검사를 실시하 으며 비검사 결과는 Bayesian (성태제 2001)을 사용하여 분석하여 문항변

별도와 난이도가 높은 명사와 동사 문항을 각각 35개씩 선정하 다(lt부록 - 1gt lt부록 -

2gt 참조) 낱말선정 시 명사와 동사에서의 수행결과를 비교하기 하여 명사와 동사 문항의

난이도를 동일하게 통제하 다 문항의 신뢰도를 측정하기 하여 내 일치도를 산출한 결

과 α 계수가 명사는 92 동사는 96로 나타나 검사문항의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언어청각장애연구

6

나 이해검사

아동의 낱말산출능력과 낱말이해능력간의 계를 살펴보기 하여 이해검사를 실시하

다 이해검사는 그림어휘력검사(김 태 외 1995)와 동일한 형식으로 검사자가 구어로 제

시한 목표낱말을 4개의 그림 에서 지 하는 것이었다 목표어를 제외한 3개의 보기 문항은

의미 으로 유사한 낱말( 기타rarr바이올린) 음운 으로 유사한 낱말( 기타rarr기차) 그리

고 무 련 낱말( 기차rarr모자)로 구성하 다

3 연구 차

아동의 과제수행이 방해받지 않는 조용한 곳에서 모든 아동들을 개별 으로 검사하 다

먼 검사 에 아동에게 검사 차에 해 간단히 설명한 후 아동이 검사요령을 정확히 이해할

수 있도록 2개의 연습문항을 실시하 다 그리고 아동이 검사 수행방법을 정확하게 숙지한 경

우 본검사를 실시하 다 본검사에서는 아동에게 그림을 한 장씩 제시하며 명사의 경우에는

ldquo이게 뭐지rdquo 그리고 동사의 경우에는 ldquo가 뭐해rdquo하고 질문하여 낱말표 을 유도하 다

명사와 동사검사의 제시순서에 의한 효과를 통제하기 하여 반의 아동에게는 명사검사부

터 그리고 나머지 반의 아동에게는 동사검사부터 실시하 다 아동들의 반응은 검사자가

즉석에서 기록지에 기록하 으며 추후 신뢰도 평가를 하여 녹음기(SONY TCM-100)를 사

용하여 녹음하 다

이해검사는 이름 기 검사가 모두 끝난 후에 실시하 다 검사는 이해검사 그림자료를

보여주면서 검사자가 목표어를 구두로 제시하면 아동이 해당 그림을 지 하게 하는 형식으

로 진행하 다

4 자료분석

가 오반응 빈도

아동들이 이름 기검사에서 오반응을 나타낸 문항의 빈도를 측정하 다

나 오류유형분석

오류유형의 분석기 은 이윤경김 태(2001)의 분석기 을 사용하 다 이 분석기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낱말산출 능력

7

은 McGregor amp Windsor (1996)와 German (2000)이 제시한 분석기 을 종합하여 크게 의미

음운 시각 그리고 기타로 나 어 마련한 것이다 세부 오류유형은 lt부록 - 3gt

lt부록 - 4gt에 제시하 다

5 신뢰도

체의 25 에 해당하는 자료를 무작 로 선택한 후 학원에서 언어병리학을 공한

언어치료사 1인에게 반응의 정반응의 여부와 오류유형을 기록분석하게 하여 검사자의 분

석내용과의 일치율을 측정하 다 그 결과 정반응 여부에 한 기록 결과는 100 그리고

오류유형 분석 결과는 97 의 일치율을 나타내었다

6 통계분석

SPSS 100 로그램을 이용하여 집단(3)을 집단간 변수로 하고 낱말유형(2)과 이해여부

(2) 그리고 오류유형(4)은 집단내 변수로 하여 반복설계를 통한 4원 변량분석을 실시하 다

Ⅳ 연구결과

세 아동 집단이 명사와 동사 이름 기 검사에서 산출한 오반응 빈도의 평균 표 편

차는 lt표 - 2gt 변량분석 결과는 lt표 - 3gt에 제시하 다

1 집단 낱말유형 이해여부에 따른 오반응빈도 분석 결과

먼 집단에 따라 낱말산출의 오반응 빈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F =

1088 plt 001) Tukey HSD 사후분석을 실시한 결과 집단간의 차이는 CA 일치집단이 각

각 SLI 아동집단과 LA 일치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인 것에 의해 비롯되었다 즉 CA 일

치집단이 SLI 아동집단과 LA 일치집단에 비해 오반응을 유의하게 게 산출하 다 반면

SLI 아동집단과 LA 일치집단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낱말유형에 따른 주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낱말유형과 집단간에는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F = 639 plt 01) 즉 SLI 아동집단과 CA 일치집단은 모두 명사에 비해 동

언어청각장애연구

8

lt표 - 2gt 세 아동 집단의 오반응빈도의 평균 표 편차

SLI (N = 20) LA일치(N= 20) CA일치(N= 20)

M SD M SD M SD

명사

이해

가능1

의미

음운

시각

기 타

325

115

300

335

215

131

172

237

490

100

370

250

234

79

232

252

290

105

245

105

283

105

132

150

총 1075 445 1210 449 745 440

이해

불가능2

의미

음운

시각

기 타

75

15

165

145

137

67

283

139

70

15

170

80

92

49

272

140

35

05

40

25

75

22

82

72

총 400 246 335 242 105 177

체3

의미

음운

시각

기 타

400

130

465

480

352

198

455

376

560

115

540

330

234

79

232

252

325

110

285

130

358

127

214

222

총 1475 690 1545 606 850 617

동사

이해

가능

의미

음운

시각

기 타

475

30

375

385

162

57

240

276

415

15

315

215

206

37

127

131

390

25

210

190

222

44

174

91

총 1265 412 960 226 815 312

이해

불가능

의미

음운

시각

기 타

140

00

85

140

105

00

81

176

100

00

125

55

152

00

148

89

90

00

30

45

112

00

57

69

총 365 202 280 280 165 153

의미

음운

시각

기 타

615

30

460

525

137

67

283

139

515

15

485

270

92

49

272

140

480

25

240

235

75

22

82

72

총 1630 501 1240 375 980 368

SLI SLI 아동집단 LA일치 SLI 아동과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집단 CA일치 SLI 아동과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집단 1이해가능 이름 기검사에서는 오반응을 보 으나 이해검사에서는 정반응을 보인 문항 빈도

2이해불가능

이름 기검사와 이해검사에서 모두 오반응을 보인 문항 빈도 3 체 이해여부와 계없이 이름 기검사에서 오반응을 보인 체 문항 빈도(이해가능 +이해불가능)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낱말산출 능력

9

lt표 - 3gt 이름 기검사에서의 오반응 빈도의 변량분석 결과

분산원 SS df MS F

집단 11067 2 5533 1088

오차(집단) 28978 57 508

낱말유형 938E-03 1 938E-03 01

이해여부 81218 1 81218 29570

오류유형 57214 3 19071 6853

낱말유형times집단 1693 2 847 639

낱말유형times이해여부 5104E-02 1 5104E-02 02

이해여부times집단 620 2 310 310

오류유형times집단 7627 6 1271 457

오류유형times낱말유형 3576 3 1192 612

오류유형times이해여부 19753 3 6584 2971

낱말유형times오류유형times집단 1091 6 182 93

낱말유형times이해여부times집단 1077 2 538 220

오류유형times이해여부times집단 1481 6 247 111

낱말유형times오류유형times이해여부 1254 3 418 206

낱말유형times오류유형times이해여부times집단 1091 6 182 90

오차(낱말유형) 7550 57 133

오차(오류유형) 47590 171 278

오차(이해여부) 15656 57 275

오차(낱말유형times오류유형) 33314 171 195

오차(낱말유형times이해여부) 13962 57 245

오차(오류유형times이해여부) 37898 171 222

오차(낱말유형times오류유형times이해여부) 34737 171 203

plt 05 plt 01 p lt 001

사에서 오반응 빈도를 많이 산출한 반면 LA 일치집단은 동사에 비해 명사에서 오반응을 더

많이 산출하 다(lt그림 - 1gt 참조)

이해여부에 따른 주효과도 찰되었다(F = 29570 p lt 001) lt그림 - 2gt에서 볼 수 있

듯이 세 아동집단 모두 이름 기검사에서 오반응을 보 으나 이해는 가능하 던 문항빈도가

이름 기와 이해검사 모두에서 오반응을 보인 문항빈도에 비해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

해여부와 집단 그리고 이해여부와 낱말유형 간에는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가 찰되지 않았

다 그러나 이해여부와 집단 간에는 통계 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으나 SLI 아동집단이 다른

언어청각장애연구

10

두 일반아동집단에 비해 이해는 하면서 이름 기에만 오류를 보인 문항의 빈도가 높은 것으

로 나타났다

0

2

4

6

8

10

12

14

16

18

명사 동사 명사 동사 명사 동사

전체오류 이해가능 이해불가능

오반응빈도

SLI

LA일치

CA일치

0

5

10

15

20

25

이해가능 이해불가능

오반응빈도

SLI

LA일치

CA일치

lt그림 - 1gt 낱말유형에 따른 오반응 빈도 lt그림 - 2gt 이해여부에 따른 오반응 빈도

2 집단 낱말유형 이해여부에 따른 오류유형 분석 결과

오류유형에 따른 주효과도 찰되었다(F = 6853 plt 001) 세 집단의 아동들은 모두

의미 오류와 시각 오류를 많이 산출한 반면 음운 오류는 거의 산출하지 않았다 상호

작용 효과는 오류유형과 집단(F = 457 plt 01) 오류유형과 낱말유형(F = 612 p lt 01) 그

리고 오류유형과 이해여부(F = 2971 plt 001) 사이에서 나타났다

먼 오류유형과 집단의 상호작용효과는 세 집단 아동들이 산출한 오류유형에 차이를

보임을 의미한다 lt그림 - 3gt을 보면 SLI 아동집단이 두 일반아동집단에 비하여 기타 유형

을 다른 오류유형에 비해 상 으로 많이 산출하 다 그러나 의미 음운 그리고 시각

오류는 세 아동집단에서 유사한 경향으로 산출하 다

오류유형은 낱말유형과도 상호작용효과를 나타냈다 lt그림 - 4gt를 보면 동사산출 시

명사에 의미 오류와 기타오류를 많이 산출한 반면 음운과 시각 오류는 게 산출하 다

집단별로 낱말유형에 따른 오류유형 산출 결과를 보면 LA 일치집단은 명사와 동사에서 유

사한 오류패턴을 보인 반면 SLI 아동집단과 CA 일치집단은 명사에 비해 동사에서 의미 오

류와 기타오류를 더 많이 산출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오류유형은 이해여부와도 상호작용효과를 나타내었다 lt그림 - 5gt를 보면 세 아동 집

단은 모두 이해는 하면서 이름 기에만 오류를 보인 경우와 이름 기는 물론 이해에서도 오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낱말산출 능력

11

0

2

4

6

8

10

12

의미적 음운적 시각적 기타

오반응빈도

SLI

LA일치

CA일치

0

1

2

3

4

5

6

7

의미적

음운적

시각적

기타

의미적

음운적

시각적

기타

명사 동사

오반응빈도

SLI

LA일치

CA일치

lt그림 - 3gt 집단별 체 오류유형 산출결과

0

2

4

6

8

10

12

14

16

18

의미적 음운적 시각적 기타

오반응빈도

명사

동사

0

1

2

3

4

5

6

7의미적

음운적

시각적

기타

의미적

음운적

시각적

기타

의미적

음운적

시각적

기타

SLI LA일치 CA일치

오반응빈도

명사

동사

lt그림 - 4gt 낱말유형별 체 오류유형 산출결과

0

1

2

3

4

5

6

7

8

9

10

의미적

음운적

시각적

기타

의미적

음운적

시각적

기타

의미적

음운적

시각적

기타

SLI LA일치 CA일치

오반응빈도

이해가능

이해불가능

lt그림 - 5gt 이해여부에 따른 세 아동 집단의 오류유형

반응을 보인 경우 오류패턴은 유사하게 나타냈다 그러나 이해와 이름 기검사 모두 오반응

을 보인 경우보다 이름 기에서만 오반응을 보이고 이해는 가능하 던 경우에 의미 오류

언어청각장애연구

12

를 월등하게 많이 산출하 다 반면 이해여부와 집단 사이와 이해여부와 낱말유형 사이에서

는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가 찰되지 않았으며 아동집단 간에도 이해여부에 따른 오류유형

은 유의한 차이가 찰되지 않았다

V 논 의

본 연구는 이름 기검사를 사용하 을 때에도 자발화에서의 낱말산출 연구결과와 마찬

가지로 SLI 아동들이 명사에 비해 동사산출에 어려움을 보이는 지를 살펴보고 낱말산출 능

력이 낱말의 이해여부에 따라서는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 지 한 낱말유형(명사와 동사) 간

에 산출된 오류유형에서는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 지를 살펴보는 것을 목 으로 하 다 따라

서 명사와 동사에서의 낱말산출능력 낱말산출과 낱말이해와의 계 그리고 오류유형 결과

를 심으로 논의를 진행하 다

먼 낱말산출에서의 오반응빈도 분석 결과를 보면 SLI 아동 집단은 CA 일치집단에

비해 낱말산출능력이 뒤떨어진 것으로 나타났으나 LA 일치집단과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

지 않았다 그러나 SLI 아동집단과 CA 일치집단은 모두 명사에 비해 동사에서 오반응 빈도를

많이 산출한 반면 LA 일치집단은 동사에 비해 명사에서 오반응을 더 많이 산출하 다 이러

한 결과는 SLI 아동집단이 명사에 비해 동사산출에서 더 어려움을 보인다는 선행연구의 결과

와 유사한 것이며 이들의 낱말산출에서의 차이가 단순히 지체가 아닐 수 있음을 시사한다

SLI 아동들이 이처럼 명사에 비해 동사에서 더 오류를 많이 보인 것은 Rice amp Bode

(1993)가 설명한 것처럼 동사가 의미 인 지식뿐 아니라 명사보다 발화에서 문법 기능을

더 많이 담당하기 때문일 수도 있으며 는 동사가 명사에 비해 상 으로 지시하는 상

이 분명하지 않기 때문일 수도 있다(Hoff-Ginsberg 2001) 본 연구에서는 그림자료를 사용

하여 동사산출을 유도하 으므로 아동들의 동사산출능력이 구문산출능력이나 문맥에 의해

상 으로 향을 게 받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SLI 아동들이 명사에 비해 동사산출에

더 많은 오반응을 산출하 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동사가 문법 기능을 더 많이 담당하기

때문만이 아니라 SLI 아동들이 동사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더 많이 어려움을 갖기 때문으로

해석해 볼 수 있겠다

이해여부에 따른 낱말산출능력 분석 결과는 세 아동집단 모두 이해는 가능하나 이름

기에서만 오류를 보인 문항의 빈도가 이름 기와 이해 모두에서 오류를 보인 문항의 빈도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낱말산출 능력

13

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정상 인 언어발달에서 체로 낱말이해가 산출에

선행된다는 선행연구들을 통해서 설명해 볼 수 있을 것이다(Meynuk 1997) 반면 집단과 이

해여부에 따른 상호작용효과는 나타나지 않으나 SLI 아동들이 다른 두 일반아동집단에 비하

여 이해는 가능하나 이름 기에서만 오류를 보인 문항의 빈도를 높게 산출하 다(lt그림 -

2gt 참조) 이러한 결과는 SLI 아동들의 낱말산출의 문제가 낱말을 인식하는 수 이 아니라

낱말을 인출하는 과정의 문제일 수도 있음을 시사한다(이윤경김 태 2002 Menyuk

1997) 즉 낱말에 한 지식을 의미기억 속에 가지고는 있으나 이를 필요한 경우 효율 으로

잘 인출해내지 못하는 것일 수 있다

오류유형분석 결과는 SLI 아동들이 두 일반아동집단과 마찬가지로 의미 오류를 다른

오류유형에 비해 월등하게 많이 산출하 다는 에서 선행연구(Fried-Oken 1984 McGregor

1997)와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SLI 아동은 물론 일반아동들도 낱말을 정확하

게 산출하지 못할 때 목표낱말과 련된 의미 정보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 다 반

면 SLI 아동집단은 두 일반아동집단에 비하여 기타오류를 유의하게 많이 산출하 는데 이는

주로 SLI 아동들이 lsquoDK(모르겠다)rsquo 반응을 많이 산출한 것과 련된다 이처럼 SLI 아동들이

lsquoDKrsquo 반응을 많이 보인 것은 이 아동들이 목표낱말에 한 일부 지식은 지니고 있으나 낱말

을 산출할 수 있을 정도로 정확한 지식은 지니고 있지 못하 기 때문일 수도 있으며

(McGregor 1997) 낱말이 쉽게 생각나지 않기 때문에 낱말산출을 쉽게 포기하 기 때문일

수도 있다(이윤경김 태 2002)

오류유형은 낱말유형에 따라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 다 lt그림 - 3gt을 보면 LA 일치

집단은 명사와 동사에서 유사한 오류패턴을 보인 반면 SLI 아동집단과 CA 일치집단은 명사

에 비해 동사에서 의미 오류와 기타 오류를 더 많이 산출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명사에

비해 동사검사에서는 의미 으로 에둘러 표 하기와 DK 반응이 많았는데 이는 아동들이 동

사를 산출할 때 정확한 목표낱말로 표 하기 보다는 그림에서 묘사된 상황을 설명하는 경우

가 많았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는 SLI 아동들이 동사 산출에서 오류를 보이는 것이 명사보다

발화에서 문법 기능을 더 많이 담당하기 때문일 수도 있다는 Rice amp Bode (1993)의 설명

보다는 동사가 명사에 비해 상 으로 지시하는 상이 분명하지 않기 때문일 수도 있다는

Hoff-Ginsberg (2001)의 설명이 더 타당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오류유형은 이해여부와도 상호작용효과를 나타냈다 lt그림 - 5gt을 보면 세 아동 집단

은 모두 이해는 하면서 이름 기에만 오류를 보인 경우와 이름 기는 물론 이해에서도 오반

응을 보인 경우의 오류패턴은 유사하게 나타내었으나 이해와 이름 기에서 모두 오반응을

보인 경우보다 이해는 가능한 경우에 의미 오류를 월등하게 많이 산출하 다 이러한 결과

언어청각장애연구

14

는 McGregor (1997)가 설명하 듯이 SLI 아동은 물론 일반아동들도 낱말을 정확하게 산출

하지 못하는 경우 주로 낱말의 의미 속성에 의존하여 목표낱말을 치하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 다 그러나 언어처리과정 에서 보았을 때 이러한 결과는 SLI 아동은 물론 일반

아동들도 낱말산출에서의 오류가 낱말처리 과정 의미 처리과정에서의 문제 때문에 발

생한 것일 수도 있음을 보여 다 즉 유사한 의미 속성을 가진 낱말들 에서 목표낱말을

정확하게 선택하지 못하 기 때문일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설명 에서 어느 것이 더

한가는 추후 연구를 통해 설명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본 연구의 결과는 선행연구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SLI 아동

들이 CA 일치 아동들과 비교해서는 물론 LA 일치 아동들에 비해서도 낱말산출에서 어려움

을 보 으며 명사에 비해 동사에서 더 어려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이 아

동들이 동사 산출에 어려움을 갖는 것이 단순히 지체가 아니라 일탈된 특성일 수 있음을 제

시해 다 한 SLI 아동들은 오류유형에서도 두 일반아동 집단에 비해 lsquoDKrsquo 반응을 월등히

많이 산출하 으며 명사에 비해 동사에서 특히 많이 산출하 는데 이는 아동들이 목표낱말

을 의미기억 속에 정확하게 표상하고 있지 못하 기 때문일 수도 있으며 혹은 의미기억 속

에 장된 낱말을 빨리 효율 으로 인출하지 못해서 쉽게 lsquo모르겠다rsquo라고 반응한 것일 수도

있다고 설명할 수 있다 이처럼 낱말의 유형에 따라 반응의 정확성이나 오류유형에 차이가

나타나는 것이 낱말을 처리하는 과정에서의 문제로 인한 것인지 혹은 문법규칙을 습득하는

데에 있어서 특정 으로 결함을 갖기 때문인지는 추후 더 심도깊게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참 고 문 헌

김 태성태제이윤경(2003) 985172취학 아동의 수용언어 표 언어 발달척도(PRES)985173 서울 서울장

애인종합복지

김 태장혜성임선숙백 정(1995) 985172그림어휘력검사985173 서울 서울장애인종합복지

박혜원곽 주박 배(1997) 985172K-WPPSI 검사요강985173 서울 도서출 특수교육

성태제(2001) Bayesian 통계방법에 의한 검사분석 로그램 wwwevercationcom

이상 정세화이은화이정환(1972) 3 4 5세 아동의 회화에 나타난 어휘 조사 985172한국문화연구원

논총985173 11 337-427이연섭권경안정인실(1980) 985172한국아동의 어휘발달 연구(Ⅰ)985173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이윤경김 태(2002)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낱말찾기 특성 985172언어청각장애연구985173 7(1) 65-80이응백 (1989) 985172국민학교 학습용 기본어휘 연구985173 서울 한교과서주식회사

Conti-Ramsden G amp Jones M (1997) Verb use in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Journal of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낱말산출 능력

15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40 1298-1313

Fried-Oken M (1984) The development of naming skills in normal and language deficient childr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Boston University

German D J (2000) Test of Word Finding (manual) Austin TX Pro-Ed

Hoff-Ginsberg E (2001) Language development (2nd ed) Florence KY Wadsworth

Lahey M amp Edwards J (1999) Naming errors of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42 195-205

Leonard L B Nippold M A Kail R amp Hale C (1983) Picture naming in language-impaired

children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26 609-615

Leonard L B (1998) The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Cambridge MA The MIT

Press

McGregor K K amp Windsor J (1996) Effects of priming on the naming accuracy of preschoolers

with word-finding deficit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39 1048-1058

McGregor K K (1997) The nature of word-finding errors of preschoolers with and without

word-finding deficits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40 1232-

1244

Menyuk P (1997) Naming disorders in children In H Goodglass amp A Wingfield (Eds) Anomia

Neuroanatomical and cognitive correlates San Diego Academic Press

Rescola L amp Schwartz E (1990) Outcome of specific expressive language delay Applied

Psycholinguistics 11 393-407

Rice M L amp Bode J V (1993) GAPS in the verb lexicons of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First Language 13 113-131

Stark R amp Tallal P (1981) Selection of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deficit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46 114-122

Stokes S F amp Fletcher P (2000) Lexical diversity and productivity in Cantonese-speaking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35(4) 527-541

Watkins R V Kelly D V Harbers H M amp Hollis W (1995) Measuring childrenrsquos lexical

diversity Differentiating typical and impaired language learner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38 1349-1355

언어청각장애연구

16

lt부록 - 1gt 명사 이름 기검사 낱말목록

번호 목표낱말 번호 목표낱말 번호 목표낱말 번호 목표낱말

1

2

3

4

5

6

7

8

9

열쇠

그네

망치

유모차

호루라기

도장

사다리

허수아비

기타

10

11

12

13

14

15

16

17

18

주사

목도리

달력

지도

신문

채소

19

20

21

22

23

24

25

26

27

낙하산

분수

필통

화분

우표

온도계

주유소

28

29

30

31

32

33

34

35

장화

국자

수염

바구니

시소

실로폰

옷걸이

지팡이

lt부록 - 2gt 동사 이름 기검사 낱말목록

번호 목표낱말 번호 목표낱말 번호 목표낱말 번호 목표낱말

1

2

3

4

5

6

7

8

9

울다

감다

불다

그리다

맡다

날다

지우다

따다

10

11

12

13

14

15

16

17

18

빗다

따르다

들다

묶다

건 다

뱉다

칠하다

마시다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닫다

웃다

짜다

개다

차다

부수다

묻다

꺾다

28

29

30

31

32

33

34

35

던지다

뽑다

넘다

당기다

붙이다

찢다

쓸다

자르다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낱말산출 능력

17

lt부록 - 3gt 명사 오류분석 기

구분 정의

의미

상 개념어(superordinate)

목표어를 포함하는 상 범주어로 치하는 경우 양 채소

등어(coordinate)

동일한 수 의 다른 낱말이나 동일의미범주의 낱말로 치하는 경우

그네미끄럼틀

하 개념어(subordinate)

목표어를 나타내는 하 범주어로 치하는 경우 가구책상

기능(functional)

목표어의 기능 속성을 나타내는 낱말로 치하는 경우 달력날짜

장소(locative)

목표어와 련된 장소를 나타내는 낱말로 치하는 경우 그네놀이터

구성요소(compositional)

목표어를 구성하는 낱말로 치하는 경우 주사기바늘

연합(association)

목표어와 같이 사용되는 낱말이나 개념으로 치하는 경우 낙하산비행기

의미 에두르기(circumlocution)

목표어의 의미 특성을 여러 낱말로 설명하거나 묘사하는 경우

국자국 떠주는 것

음운

음소 치(p-substitution)

목표어를 구성하는 음소를 다른 유사 음소로 치분수푼수기타치타

음소첨가(p-addition)

목표어에 다른 음소를 첨가 그네근네

음소생략(p-omission)

목표어에 포함된 음소나 음 을 생략하는 경우 우표표

음운유사낱말 치 (malapropisms)

음소 으로 유사한 다른 실제 낱말로 치 주사 주사기

음소( )반복(p-repetition)

목표어의 첫 번째 음소( 는 음 )를 반복하는 경우 그네그 그네

시각

시각 치(v-substitution)

시각 으로 유사한 낱말로 치 우표그림

시각 부분 치(whole-part)

목표어를 묘사한 그림의 일부분을 지칭하는 낱말로 치분수물 화장 거울

시각 에두르기목표어의 시각 특성을 여러 낱말로 설명하거나 묘사하는 경우

꼬리동그라미 에 뭐 달려있어

기타

DK(Donrsquot Know) lsquo모른다rsquo고 응답하는 경우

NR (No Response)

그림을 제시한 후 8 가 경과될 때까지 반응을 보이지 않는 경우

보속반응(perseveration)

이 문항에서의 반응을 되풀이

무 련 반응 목표어와 련되지 않은 낱말로 반응하는 경우

언어청각장애연구

18

lt부록 - 4gt 동사 오류분석 기

구분 정의

상 동사 목표동사의 상 행동을 묘사하는 동사로 치하는 경우 감다목욕하다

등어 동일행동을 묘사하거나 반 행동을 묘사하는 동사로 경우꺾다따다

열다닫다

하 동사 목표동사의 하 행동을 묘사하는 동사로 치하는 경우 묻다 다

연합목표동사와 같이 사용되는 낱말이나 행동어로 치하는 경

짜다그리다

다공사

의미 에두르기목표동사의 의미 특성을 여러 낱말로 설명하거나 묘사하

는 경우

뱉다물고 있던거

버려요

음소 치 목표동사를 구성하는 음소를 다른 유사 음소로 치맡다맡쳐요

부수다부긴다

음소첨가 목표동사에 다른 음소를 첨가 닫다닫은다

음소생략 목표동사에 포함된 음소나 음 을 생략하는 경우 따르다따요

음운유사낱말 치 음소 으로 유사한 다른 실제 동사로 치 빗다벗다

음소반복 목표동사의 첫 번째 음소( 는 음 )을 반복하는 경우 먹다머 먹다

시각 치 목표동사의 행동과 시각 으로 유사한 동사 치 뽑다당기다

시각 부분 치목표동사를 묘사한 그림의 일부분을 지칭하거나 묘사하는

낱말로 치묻다병아리

시각 에두르기목표동사의 행동 특성을 여러 낱말로 설명하거나 묘사하는

경우

부수다망치

때려

동사 사용 목표동사를 동사(lsquo명사+하다rsquo)의 형식으로 표 하는 경우 던지다공 해요

DK

(Dontrsquot Know)lsquo모른다rsquo고 응답하는 경우

NR

(No Response)

그림을 제시한 후 8 가 경과될 때까지 반응을 보이지 않

는 경우

보속반응 이 문항에서의 반응을 되풀이

무 련 반응 목표동사와 련되지 않는 낱말로 반응하는 경우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낱말산출 능력

19

게재 신청일 2003년 1월 24일게재 확정일 2003년 2월 23일

이윤경 (제 1 자) 용인 학교 재활보건과학 학원 언어치료학과 겸임교수 e-mail lyoonkyounghanmailnet김 태 (공동 자) 이화여자 학교 특수교육학 언어병리학과 교수 e-mail youngtaeewhaackr

ABSTRACT

Word (Noun and Verb) Production in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Yoonkyoung Lee(Dept of Speech and Languge Pathology Yongin University)

Young Tae Kim(Dept of Special Education amp

Interdiciplinary Program of Communication Disorders

Ewha Womans University)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word (noun and

verb) productions of children with SLI Sixty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1) 20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SLI group) whose language age were 46 - 66

(2) 20 normal children chronological-age matched with the SLI children (CA controls) and

(3) 20 normal children matched on a composite index of language age with the SLI children

(LA controls) Picture naming and word recognition tests were used and frequencies and

types of errors were analyse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s follows (1) the SLI

group demonstrated significantly higher frequency of errors in verb production than that

of nouns but LA controls produced more errors in nouns than those of verbs (2) the SLI

group produced unrelated errors more than others compared with normal controls Bu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error types produced in both noun and verb tests (3) the SLI group

demonstrated higher frequency of misnaming but recognized items in noun and verb

productions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SLI group and each of

the two normal control groups Thes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e findings of earlier

studies with regard to the restricted verb productions of the children with SLI

Key Words specific language impairment(SLI) word production naming test error pattern

언어청각장애연구

4

이름 기검사에서도 SLI 아동들이 명사에 비해 동사산출에 어려움을 보이는지를 살펴보고자

하 다 이름 기검사에서 동사를 산출하는 것은 자발화에서 동사를 산출하는 것과는 달리

구문산출능력에 의한 향을 게 받는다 따라서 SLI 아동들의 동사산출 문제가 동사가 발

화에서 문법 기능을 더 많이 담당하기 때문인지의 여부를 어느 정도 설명해 수 있을 것

이다

한 SLI 아동들이 명사와 동사산출능력이 낱말의 이해여부에 따라서는 어떠한 차이

를 갖는지 한 산출한 오류유형들은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살펴보고자 하 다 이는

SLI 아동들의 명사와 동사 산출능력이 이해능력과는 어떠한 계를 갖는지를 설명해 뿐

아니라 나아가서는 어휘처리과정의 측면에서도 이해해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연

구결과들은 SLI 아동들의 낱말산출능력이 단순히 일반아동들에 비해 지체된 것인지 아니면

일반아동들과는 다른 일탈된 특성을 갖는지를 설명하는 데 의미가 있을 것이다

Ⅲ 연구방법

1 연구 상

본 연구는 언어연령이 46-66세의 SLI 아동 20명을 실험집단으로 하 으며 SLI 아동

들과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CA 일치집단) 20명 그리고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

아동(LA 일치집단) 20명을 각각 통제집단으로 하 다 SLI 아동들의 경우는 (1) 종합병원 언

어치료실이나 개인언어치료실에서 언어치료사에 의해 SLI로 진단받은 아동 에서 (2) 985172취학 아동의 수용언어 표 언어 척도(PRES)985173 (김 태성태제이윤경 2003)를 실시한

결과 수용언어는 생활연령에 비하여 6개월 표 언어는 1년 이상 지체되어 있으며(Stark amp

Tallal 1981) (3) K-WPPSI (박혜원곽 주박 배 1997) 결과 동작성지능이 정상범

(IQ 85 이상)에 속하고 (4) 정서 행동문제나 시청각과 같은 감각장애를 수반하지 않은

아동들로 하 다

일반아동의 경우는 (1) 부모나 교사에 의해 언어능력이나 지 능력이 정상이라고 보고

되었으며 (2) 985172그림어휘력검사985173(김 태 외 1995)의 백분 수가 -1SD 이상에 속하는 아

동들 에서 (3) CA 일치집단은 생활연령이 SLI 아동들과 일 일로 일치시켰을 때 plusmn3개월

이내에 속하는 아동들로 (4) LA 일치집단은 그림어휘력검사 결과가 동일 언어연령 에 속

하는 아동들로 구성하 다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낱말산출 능력

5

비교집단의 통제가 잘 이루어졌는가를 살펴보기 하여 t-검정을 실시한 결과 SLI 아

동 집단과 CA 일치집단 간에 생활연령에 차이가 없었으며 SLI 아동 집단과 LA 일치집단

간에 그림어휘력 수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세 집단의 생활연령과 언어 수의 평균

표 편차는 lt표 - 1gt에 제시하 다

lt표 - 1gt 세 아동집단의 생활연령 언어능력의 평균 표 편차

SLI (N = 20) LA일치(N = 20) CA일치(N = 20)

M SD M SD M SD

생활연령

언어능력

7425

5540

1085

1323

5790

5540

778

1337

7172

7461

875

1449

언어능력 그림어휘력검사의 원 수SLI SLI 아동 집단 LA일치 SLI 아동과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 집단 CA일치 SLI 아동과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 집단

2 검사도구

가 이름 기검사

낱말표 능력은 선행연구(Leonard et al 1983 McGregor 1997)에서 많이 사용된 그림

이름 기과제를 통해 검사하 다 검사에 사용한 낱말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 선정하 다

먼 학령 학령 기 아동들의 어휘산출을 연구한 이상 외(1972) 이연섭권경

안정인실(1980) 그리고 이응백(1989)의 자료를 참조하여 명사와 동사를 각각 80개씩 선정

하 다 낱말선정 시 상아동들의 연령과 낱말의 의미와 기능 그리고 그림으로 표 이 가

능한가 등을 고려하 다 선정한 낱말은 18 times 26 cm 크기의 종이에 흑백의 선으로 그림을 그

리고 필요한 부분에 음 을 넣어 그림자료로 비하 다

그림으로 비된 낱말들로 35-65세 아동 60명(6개월 단 로 10명씩)을 상으로 비

검사를 실시하 으며 비검사 결과는 Bayesian (성태제 2001)을 사용하여 분석하여 문항변

별도와 난이도가 높은 명사와 동사 문항을 각각 35개씩 선정하 다(lt부록 - 1gt lt부록 -

2gt 참조) 낱말선정 시 명사와 동사에서의 수행결과를 비교하기 하여 명사와 동사 문항의

난이도를 동일하게 통제하 다 문항의 신뢰도를 측정하기 하여 내 일치도를 산출한 결

과 α 계수가 명사는 92 동사는 96로 나타나 검사문항의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언어청각장애연구

6

나 이해검사

아동의 낱말산출능력과 낱말이해능력간의 계를 살펴보기 하여 이해검사를 실시하

다 이해검사는 그림어휘력검사(김 태 외 1995)와 동일한 형식으로 검사자가 구어로 제

시한 목표낱말을 4개의 그림 에서 지 하는 것이었다 목표어를 제외한 3개의 보기 문항은

의미 으로 유사한 낱말( 기타rarr바이올린) 음운 으로 유사한 낱말( 기타rarr기차) 그리

고 무 련 낱말( 기차rarr모자)로 구성하 다

3 연구 차

아동의 과제수행이 방해받지 않는 조용한 곳에서 모든 아동들을 개별 으로 검사하 다

먼 검사 에 아동에게 검사 차에 해 간단히 설명한 후 아동이 검사요령을 정확히 이해할

수 있도록 2개의 연습문항을 실시하 다 그리고 아동이 검사 수행방법을 정확하게 숙지한 경

우 본검사를 실시하 다 본검사에서는 아동에게 그림을 한 장씩 제시하며 명사의 경우에는

ldquo이게 뭐지rdquo 그리고 동사의 경우에는 ldquo가 뭐해rdquo하고 질문하여 낱말표 을 유도하 다

명사와 동사검사의 제시순서에 의한 효과를 통제하기 하여 반의 아동에게는 명사검사부

터 그리고 나머지 반의 아동에게는 동사검사부터 실시하 다 아동들의 반응은 검사자가

즉석에서 기록지에 기록하 으며 추후 신뢰도 평가를 하여 녹음기(SONY TCM-100)를 사

용하여 녹음하 다

이해검사는 이름 기 검사가 모두 끝난 후에 실시하 다 검사는 이해검사 그림자료를

보여주면서 검사자가 목표어를 구두로 제시하면 아동이 해당 그림을 지 하게 하는 형식으

로 진행하 다

4 자료분석

가 오반응 빈도

아동들이 이름 기검사에서 오반응을 나타낸 문항의 빈도를 측정하 다

나 오류유형분석

오류유형의 분석기 은 이윤경김 태(2001)의 분석기 을 사용하 다 이 분석기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낱말산출 능력

7

은 McGregor amp Windsor (1996)와 German (2000)이 제시한 분석기 을 종합하여 크게 의미

음운 시각 그리고 기타로 나 어 마련한 것이다 세부 오류유형은 lt부록 - 3gt

lt부록 - 4gt에 제시하 다

5 신뢰도

체의 25 에 해당하는 자료를 무작 로 선택한 후 학원에서 언어병리학을 공한

언어치료사 1인에게 반응의 정반응의 여부와 오류유형을 기록분석하게 하여 검사자의 분

석내용과의 일치율을 측정하 다 그 결과 정반응 여부에 한 기록 결과는 100 그리고

오류유형 분석 결과는 97 의 일치율을 나타내었다

6 통계분석

SPSS 100 로그램을 이용하여 집단(3)을 집단간 변수로 하고 낱말유형(2)과 이해여부

(2) 그리고 오류유형(4)은 집단내 변수로 하여 반복설계를 통한 4원 변량분석을 실시하 다

Ⅳ 연구결과

세 아동 집단이 명사와 동사 이름 기 검사에서 산출한 오반응 빈도의 평균 표 편

차는 lt표 - 2gt 변량분석 결과는 lt표 - 3gt에 제시하 다

1 집단 낱말유형 이해여부에 따른 오반응빈도 분석 결과

먼 집단에 따라 낱말산출의 오반응 빈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F =

1088 plt 001) Tukey HSD 사후분석을 실시한 결과 집단간의 차이는 CA 일치집단이 각

각 SLI 아동집단과 LA 일치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인 것에 의해 비롯되었다 즉 CA 일

치집단이 SLI 아동집단과 LA 일치집단에 비해 오반응을 유의하게 게 산출하 다 반면

SLI 아동집단과 LA 일치집단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낱말유형에 따른 주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낱말유형과 집단간에는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F = 639 plt 01) 즉 SLI 아동집단과 CA 일치집단은 모두 명사에 비해 동

언어청각장애연구

8

lt표 - 2gt 세 아동 집단의 오반응빈도의 평균 표 편차

SLI (N = 20) LA일치(N= 20) CA일치(N= 20)

M SD M SD M SD

명사

이해

가능1

의미

음운

시각

기 타

325

115

300

335

215

131

172

237

490

100

370

250

234

79

232

252

290

105

245

105

283

105

132

150

총 1075 445 1210 449 745 440

이해

불가능2

의미

음운

시각

기 타

75

15

165

145

137

67

283

139

70

15

170

80

92

49

272

140

35

05

40

25

75

22

82

72

총 400 246 335 242 105 177

체3

의미

음운

시각

기 타

400

130

465

480

352

198

455

376

560

115

540

330

234

79

232

252

325

110

285

130

358

127

214

222

총 1475 690 1545 606 850 617

동사

이해

가능

의미

음운

시각

기 타

475

30

375

385

162

57

240

276

415

15

315

215

206

37

127

131

390

25

210

190

222

44

174

91

총 1265 412 960 226 815 312

이해

불가능

의미

음운

시각

기 타

140

00

85

140

105

00

81

176

100

00

125

55

152

00

148

89

90

00

30

45

112

00

57

69

총 365 202 280 280 165 153

의미

음운

시각

기 타

615

30

460

525

137

67

283

139

515

15

485

270

92

49

272

140

480

25

240

235

75

22

82

72

총 1630 501 1240 375 980 368

SLI SLI 아동집단 LA일치 SLI 아동과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집단 CA일치 SLI 아동과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집단 1이해가능 이름 기검사에서는 오반응을 보 으나 이해검사에서는 정반응을 보인 문항 빈도

2이해불가능

이름 기검사와 이해검사에서 모두 오반응을 보인 문항 빈도 3 체 이해여부와 계없이 이름 기검사에서 오반응을 보인 체 문항 빈도(이해가능 +이해불가능)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낱말산출 능력

9

lt표 - 3gt 이름 기검사에서의 오반응 빈도의 변량분석 결과

분산원 SS df MS F

집단 11067 2 5533 1088

오차(집단) 28978 57 508

낱말유형 938E-03 1 938E-03 01

이해여부 81218 1 81218 29570

오류유형 57214 3 19071 6853

낱말유형times집단 1693 2 847 639

낱말유형times이해여부 5104E-02 1 5104E-02 02

이해여부times집단 620 2 310 310

오류유형times집단 7627 6 1271 457

오류유형times낱말유형 3576 3 1192 612

오류유형times이해여부 19753 3 6584 2971

낱말유형times오류유형times집단 1091 6 182 93

낱말유형times이해여부times집단 1077 2 538 220

오류유형times이해여부times집단 1481 6 247 111

낱말유형times오류유형times이해여부 1254 3 418 206

낱말유형times오류유형times이해여부times집단 1091 6 182 90

오차(낱말유형) 7550 57 133

오차(오류유형) 47590 171 278

오차(이해여부) 15656 57 275

오차(낱말유형times오류유형) 33314 171 195

오차(낱말유형times이해여부) 13962 57 245

오차(오류유형times이해여부) 37898 171 222

오차(낱말유형times오류유형times이해여부) 34737 171 203

plt 05 plt 01 p lt 001

사에서 오반응 빈도를 많이 산출한 반면 LA 일치집단은 동사에 비해 명사에서 오반응을 더

많이 산출하 다(lt그림 - 1gt 참조)

이해여부에 따른 주효과도 찰되었다(F = 29570 p lt 001) lt그림 - 2gt에서 볼 수 있

듯이 세 아동집단 모두 이름 기검사에서 오반응을 보 으나 이해는 가능하 던 문항빈도가

이름 기와 이해검사 모두에서 오반응을 보인 문항빈도에 비해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

해여부와 집단 그리고 이해여부와 낱말유형 간에는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가 찰되지 않았

다 그러나 이해여부와 집단 간에는 통계 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으나 SLI 아동집단이 다른

언어청각장애연구

10

두 일반아동집단에 비해 이해는 하면서 이름 기에만 오류를 보인 문항의 빈도가 높은 것으

로 나타났다

0

2

4

6

8

10

12

14

16

18

명사 동사 명사 동사 명사 동사

전체오류 이해가능 이해불가능

오반응빈도

SLI

LA일치

CA일치

0

5

10

15

20

25

이해가능 이해불가능

오반응빈도

SLI

LA일치

CA일치

lt그림 - 1gt 낱말유형에 따른 오반응 빈도 lt그림 - 2gt 이해여부에 따른 오반응 빈도

2 집단 낱말유형 이해여부에 따른 오류유형 분석 결과

오류유형에 따른 주효과도 찰되었다(F = 6853 plt 001) 세 집단의 아동들은 모두

의미 오류와 시각 오류를 많이 산출한 반면 음운 오류는 거의 산출하지 않았다 상호

작용 효과는 오류유형과 집단(F = 457 plt 01) 오류유형과 낱말유형(F = 612 p lt 01) 그

리고 오류유형과 이해여부(F = 2971 plt 001) 사이에서 나타났다

먼 오류유형과 집단의 상호작용효과는 세 집단 아동들이 산출한 오류유형에 차이를

보임을 의미한다 lt그림 - 3gt을 보면 SLI 아동집단이 두 일반아동집단에 비하여 기타 유형

을 다른 오류유형에 비해 상 으로 많이 산출하 다 그러나 의미 음운 그리고 시각

오류는 세 아동집단에서 유사한 경향으로 산출하 다

오류유형은 낱말유형과도 상호작용효과를 나타냈다 lt그림 - 4gt를 보면 동사산출 시

명사에 의미 오류와 기타오류를 많이 산출한 반면 음운과 시각 오류는 게 산출하 다

집단별로 낱말유형에 따른 오류유형 산출 결과를 보면 LA 일치집단은 명사와 동사에서 유

사한 오류패턴을 보인 반면 SLI 아동집단과 CA 일치집단은 명사에 비해 동사에서 의미 오

류와 기타오류를 더 많이 산출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오류유형은 이해여부와도 상호작용효과를 나타내었다 lt그림 - 5gt를 보면 세 아동 집

단은 모두 이해는 하면서 이름 기에만 오류를 보인 경우와 이름 기는 물론 이해에서도 오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낱말산출 능력

11

0

2

4

6

8

10

12

의미적 음운적 시각적 기타

오반응빈도

SLI

LA일치

CA일치

0

1

2

3

4

5

6

7

의미적

음운적

시각적

기타

의미적

음운적

시각적

기타

명사 동사

오반응빈도

SLI

LA일치

CA일치

lt그림 - 3gt 집단별 체 오류유형 산출결과

0

2

4

6

8

10

12

14

16

18

의미적 음운적 시각적 기타

오반응빈도

명사

동사

0

1

2

3

4

5

6

7의미적

음운적

시각적

기타

의미적

음운적

시각적

기타

의미적

음운적

시각적

기타

SLI LA일치 CA일치

오반응빈도

명사

동사

lt그림 - 4gt 낱말유형별 체 오류유형 산출결과

0

1

2

3

4

5

6

7

8

9

10

의미적

음운적

시각적

기타

의미적

음운적

시각적

기타

의미적

음운적

시각적

기타

SLI LA일치 CA일치

오반응빈도

이해가능

이해불가능

lt그림 - 5gt 이해여부에 따른 세 아동 집단의 오류유형

반응을 보인 경우 오류패턴은 유사하게 나타냈다 그러나 이해와 이름 기검사 모두 오반응

을 보인 경우보다 이름 기에서만 오반응을 보이고 이해는 가능하 던 경우에 의미 오류

언어청각장애연구

12

를 월등하게 많이 산출하 다 반면 이해여부와 집단 사이와 이해여부와 낱말유형 사이에서

는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가 찰되지 않았으며 아동집단 간에도 이해여부에 따른 오류유형

은 유의한 차이가 찰되지 않았다

V 논 의

본 연구는 이름 기검사를 사용하 을 때에도 자발화에서의 낱말산출 연구결과와 마찬

가지로 SLI 아동들이 명사에 비해 동사산출에 어려움을 보이는 지를 살펴보고 낱말산출 능

력이 낱말의 이해여부에 따라서는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 지 한 낱말유형(명사와 동사) 간

에 산출된 오류유형에서는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 지를 살펴보는 것을 목 으로 하 다 따라

서 명사와 동사에서의 낱말산출능력 낱말산출과 낱말이해와의 계 그리고 오류유형 결과

를 심으로 논의를 진행하 다

먼 낱말산출에서의 오반응빈도 분석 결과를 보면 SLI 아동 집단은 CA 일치집단에

비해 낱말산출능력이 뒤떨어진 것으로 나타났으나 LA 일치집단과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

지 않았다 그러나 SLI 아동집단과 CA 일치집단은 모두 명사에 비해 동사에서 오반응 빈도를

많이 산출한 반면 LA 일치집단은 동사에 비해 명사에서 오반응을 더 많이 산출하 다 이러

한 결과는 SLI 아동집단이 명사에 비해 동사산출에서 더 어려움을 보인다는 선행연구의 결과

와 유사한 것이며 이들의 낱말산출에서의 차이가 단순히 지체가 아닐 수 있음을 시사한다

SLI 아동들이 이처럼 명사에 비해 동사에서 더 오류를 많이 보인 것은 Rice amp Bode

(1993)가 설명한 것처럼 동사가 의미 인 지식뿐 아니라 명사보다 발화에서 문법 기능을

더 많이 담당하기 때문일 수도 있으며 는 동사가 명사에 비해 상 으로 지시하는 상

이 분명하지 않기 때문일 수도 있다(Hoff-Ginsberg 2001) 본 연구에서는 그림자료를 사용

하여 동사산출을 유도하 으므로 아동들의 동사산출능력이 구문산출능력이나 문맥에 의해

상 으로 향을 게 받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SLI 아동들이 명사에 비해 동사산출에

더 많은 오반응을 산출하 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동사가 문법 기능을 더 많이 담당하기

때문만이 아니라 SLI 아동들이 동사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더 많이 어려움을 갖기 때문으로

해석해 볼 수 있겠다

이해여부에 따른 낱말산출능력 분석 결과는 세 아동집단 모두 이해는 가능하나 이름

기에서만 오류를 보인 문항의 빈도가 이름 기와 이해 모두에서 오류를 보인 문항의 빈도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낱말산출 능력

13

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정상 인 언어발달에서 체로 낱말이해가 산출에

선행된다는 선행연구들을 통해서 설명해 볼 수 있을 것이다(Meynuk 1997) 반면 집단과 이

해여부에 따른 상호작용효과는 나타나지 않으나 SLI 아동들이 다른 두 일반아동집단에 비하

여 이해는 가능하나 이름 기에서만 오류를 보인 문항의 빈도를 높게 산출하 다(lt그림 -

2gt 참조) 이러한 결과는 SLI 아동들의 낱말산출의 문제가 낱말을 인식하는 수 이 아니라

낱말을 인출하는 과정의 문제일 수도 있음을 시사한다(이윤경김 태 2002 Menyuk

1997) 즉 낱말에 한 지식을 의미기억 속에 가지고는 있으나 이를 필요한 경우 효율 으로

잘 인출해내지 못하는 것일 수 있다

오류유형분석 결과는 SLI 아동들이 두 일반아동집단과 마찬가지로 의미 오류를 다른

오류유형에 비해 월등하게 많이 산출하 다는 에서 선행연구(Fried-Oken 1984 McGregor

1997)와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SLI 아동은 물론 일반아동들도 낱말을 정확하

게 산출하지 못할 때 목표낱말과 련된 의미 정보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 다 반

면 SLI 아동집단은 두 일반아동집단에 비하여 기타오류를 유의하게 많이 산출하 는데 이는

주로 SLI 아동들이 lsquoDK(모르겠다)rsquo 반응을 많이 산출한 것과 련된다 이처럼 SLI 아동들이

lsquoDKrsquo 반응을 많이 보인 것은 이 아동들이 목표낱말에 한 일부 지식은 지니고 있으나 낱말

을 산출할 수 있을 정도로 정확한 지식은 지니고 있지 못하 기 때문일 수도 있으며

(McGregor 1997) 낱말이 쉽게 생각나지 않기 때문에 낱말산출을 쉽게 포기하 기 때문일

수도 있다(이윤경김 태 2002)

오류유형은 낱말유형에 따라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 다 lt그림 - 3gt을 보면 LA 일치

집단은 명사와 동사에서 유사한 오류패턴을 보인 반면 SLI 아동집단과 CA 일치집단은 명사

에 비해 동사에서 의미 오류와 기타 오류를 더 많이 산출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명사에

비해 동사검사에서는 의미 으로 에둘러 표 하기와 DK 반응이 많았는데 이는 아동들이 동

사를 산출할 때 정확한 목표낱말로 표 하기 보다는 그림에서 묘사된 상황을 설명하는 경우

가 많았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는 SLI 아동들이 동사 산출에서 오류를 보이는 것이 명사보다

발화에서 문법 기능을 더 많이 담당하기 때문일 수도 있다는 Rice amp Bode (1993)의 설명

보다는 동사가 명사에 비해 상 으로 지시하는 상이 분명하지 않기 때문일 수도 있다는

Hoff-Ginsberg (2001)의 설명이 더 타당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오류유형은 이해여부와도 상호작용효과를 나타냈다 lt그림 - 5gt을 보면 세 아동 집단

은 모두 이해는 하면서 이름 기에만 오류를 보인 경우와 이름 기는 물론 이해에서도 오반

응을 보인 경우의 오류패턴은 유사하게 나타내었으나 이해와 이름 기에서 모두 오반응을

보인 경우보다 이해는 가능한 경우에 의미 오류를 월등하게 많이 산출하 다 이러한 결과

언어청각장애연구

14

는 McGregor (1997)가 설명하 듯이 SLI 아동은 물론 일반아동들도 낱말을 정확하게 산출

하지 못하는 경우 주로 낱말의 의미 속성에 의존하여 목표낱말을 치하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 다 그러나 언어처리과정 에서 보았을 때 이러한 결과는 SLI 아동은 물론 일반

아동들도 낱말산출에서의 오류가 낱말처리 과정 의미 처리과정에서의 문제 때문에 발

생한 것일 수도 있음을 보여 다 즉 유사한 의미 속성을 가진 낱말들 에서 목표낱말을

정확하게 선택하지 못하 기 때문일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설명 에서 어느 것이 더

한가는 추후 연구를 통해 설명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본 연구의 결과는 선행연구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SLI 아동

들이 CA 일치 아동들과 비교해서는 물론 LA 일치 아동들에 비해서도 낱말산출에서 어려움

을 보 으며 명사에 비해 동사에서 더 어려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이 아

동들이 동사 산출에 어려움을 갖는 것이 단순히 지체가 아니라 일탈된 특성일 수 있음을 제

시해 다 한 SLI 아동들은 오류유형에서도 두 일반아동 집단에 비해 lsquoDKrsquo 반응을 월등히

많이 산출하 으며 명사에 비해 동사에서 특히 많이 산출하 는데 이는 아동들이 목표낱말

을 의미기억 속에 정확하게 표상하고 있지 못하 기 때문일 수도 있으며 혹은 의미기억 속

에 장된 낱말을 빨리 효율 으로 인출하지 못해서 쉽게 lsquo모르겠다rsquo라고 반응한 것일 수도

있다고 설명할 수 있다 이처럼 낱말의 유형에 따라 반응의 정확성이나 오류유형에 차이가

나타나는 것이 낱말을 처리하는 과정에서의 문제로 인한 것인지 혹은 문법규칙을 습득하는

데에 있어서 특정 으로 결함을 갖기 때문인지는 추후 더 심도깊게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참 고 문 헌

김 태성태제이윤경(2003) 985172취학 아동의 수용언어 표 언어 발달척도(PRES)985173 서울 서울장

애인종합복지

김 태장혜성임선숙백 정(1995) 985172그림어휘력검사985173 서울 서울장애인종합복지

박혜원곽 주박 배(1997) 985172K-WPPSI 검사요강985173 서울 도서출 특수교육

성태제(2001) Bayesian 통계방법에 의한 검사분석 로그램 wwwevercationcom

이상 정세화이은화이정환(1972) 3 4 5세 아동의 회화에 나타난 어휘 조사 985172한국문화연구원

논총985173 11 337-427이연섭권경안정인실(1980) 985172한국아동의 어휘발달 연구(Ⅰ)985173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이윤경김 태(2002)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낱말찾기 특성 985172언어청각장애연구985173 7(1) 65-80이응백 (1989) 985172국민학교 학습용 기본어휘 연구985173 서울 한교과서주식회사

Conti-Ramsden G amp Jones M (1997) Verb use in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Journal of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낱말산출 능력

15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40 1298-1313

Fried-Oken M (1984) The development of naming skills in normal and language deficient childr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Boston University

German D J (2000) Test of Word Finding (manual) Austin TX Pro-Ed

Hoff-Ginsberg E (2001) Language development (2nd ed) Florence KY Wadsworth

Lahey M amp Edwards J (1999) Naming errors of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42 195-205

Leonard L B Nippold M A Kail R amp Hale C (1983) Picture naming in language-impaired

children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26 609-615

Leonard L B (1998) The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Cambridge MA The MIT

Press

McGregor K K amp Windsor J (1996) Effects of priming on the naming accuracy of preschoolers

with word-finding deficit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39 1048-1058

McGregor K K (1997) The nature of word-finding errors of preschoolers with and without

word-finding deficits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40 1232-

1244

Menyuk P (1997) Naming disorders in children In H Goodglass amp A Wingfield (Eds) Anomia

Neuroanatomical and cognitive correlates San Diego Academic Press

Rescola L amp Schwartz E (1990) Outcome of specific expressive language delay Applied

Psycholinguistics 11 393-407

Rice M L amp Bode J V (1993) GAPS in the verb lexicons of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First Language 13 113-131

Stark R amp Tallal P (1981) Selection of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deficit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46 114-122

Stokes S F amp Fletcher P (2000) Lexical diversity and productivity in Cantonese-speaking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35(4) 527-541

Watkins R V Kelly D V Harbers H M amp Hollis W (1995) Measuring childrenrsquos lexical

diversity Differentiating typical and impaired language learner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38 1349-1355

언어청각장애연구

16

lt부록 - 1gt 명사 이름 기검사 낱말목록

번호 목표낱말 번호 목표낱말 번호 목표낱말 번호 목표낱말

1

2

3

4

5

6

7

8

9

열쇠

그네

망치

유모차

호루라기

도장

사다리

허수아비

기타

10

11

12

13

14

15

16

17

18

주사

목도리

달력

지도

신문

채소

19

20

21

22

23

24

25

26

27

낙하산

분수

필통

화분

우표

온도계

주유소

28

29

30

31

32

33

34

35

장화

국자

수염

바구니

시소

실로폰

옷걸이

지팡이

lt부록 - 2gt 동사 이름 기검사 낱말목록

번호 목표낱말 번호 목표낱말 번호 목표낱말 번호 목표낱말

1

2

3

4

5

6

7

8

9

울다

감다

불다

그리다

맡다

날다

지우다

따다

10

11

12

13

14

15

16

17

18

빗다

따르다

들다

묶다

건 다

뱉다

칠하다

마시다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닫다

웃다

짜다

개다

차다

부수다

묻다

꺾다

28

29

30

31

32

33

34

35

던지다

뽑다

넘다

당기다

붙이다

찢다

쓸다

자르다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낱말산출 능력

17

lt부록 - 3gt 명사 오류분석 기

구분 정의

의미

상 개념어(superordinate)

목표어를 포함하는 상 범주어로 치하는 경우 양 채소

등어(coordinate)

동일한 수 의 다른 낱말이나 동일의미범주의 낱말로 치하는 경우

그네미끄럼틀

하 개념어(subordinate)

목표어를 나타내는 하 범주어로 치하는 경우 가구책상

기능(functional)

목표어의 기능 속성을 나타내는 낱말로 치하는 경우 달력날짜

장소(locative)

목표어와 련된 장소를 나타내는 낱말로 치하는 경우 그네놀이터

구성요소(compositional)

목표어를 구성하는 낱말로 치하는 경우 주사기바늘

연합(association)

목표어와 같이 사용되는 낱말이나 개념으로 치하는 경우 낙하산비행기

의미 에두르기(circumlocution)

목표어의 의미 특성을 여러 낱말로 설명하거나 묘사하는 경우

국자국 떠주는 것

음운

음소 치(p-substitution)

목표어를 구성하는 음소를 다른 유사 음소로 치분수푼수기타치타

음소첨가(p-addition)

목표어에 다른 음소를 첨가 그네근네

음소생략(p-omission)

목표어에 포함된 음소나 음 을 생략하는 경우 우표표

음운유사낱말 치 (malapropisms)

음소 으로 유사한 다른 실제 낱말로 치 주사 주사기

음소( )반복(p-repetition)

목표어의 첫 번째 음소( 는 음 )를 반복하는 경우 그네그 그네

시각

시각 치(v-substitution)

시각 으로 유사한 낱말로 치 우표그림

시각 부분 치(whole-part)

목표어를 묘사한 그림의 일부분을 지칭하는 낱말로 치분수물 화장 거울

시각 에두르기목표어의 시각 특성을 여러 낱말로 설명하거나 묘사하는 경우

꼬리동그라미 에 뭐 달려있어

기타

DK(Donrsquot Know) lsquo모른다rsquo고 응답하는 경우

NR (No Response)

그림을 제시한 후 8 가 경과될 때까지 반응을 보이지 않는 경우

보속반응(perseveration)

이 문항에서의 반응을 되풀이

무 련 반응 목표어와 련되지 않은 낱말로 반응하는 경우

언어청각장애연구

18

lt부록 - 4gt 동사 오류분석 기

구분 정의

상 동사 목표동사의 상 행동을 묘사하는 동사로 치하는 경우 감다목욕하다

등어 동일행동을 묘사하거나 반 행동을 묘사하는 동사로 경우꺾다따다

열다닫다

하 동사 목표동사의 하 행동을 묘사하는 동사로 치하는 경우 묻다 다

연합목표동사와 같이 사용되는 낱말이나 행동어로 치하는 경

짜다그리다

다공사

의미 에두르기목표동사의 의미 특성을 여러 낱말로 설명하거나 묘사하

는 경우

뱉다물고 있던거

버려요

음소 치 목표동사를 구성하는 음소를 다른 유사 음소로 치맡다맡쳐요

부수다부긴다

음소첨가 목표동사에 다른 음소를 첨가 닫다닫은다

음소생략 목표동사에 포함된 음소나 음 을 생략하는 경우 따르다따요

음운유사낱말 치 음소 으로 유사한 다른 실제 동사로 치 빗다벗다

음소반복 목표동사의 첫 번째 음소( 는 음 )을 반복하는 경우 먹다머 먹다

시각 치 목표동사의 행동과 시각 으로 유사한 동사 치 뽑다당기다

시각 부분 치목표동사를 묘사한 그림의 일부분을 지칭하거나 묘사하는

낱말로 치묻다병아리

시각 에두르기목표동사의 행동 특성을 여러 낱말로 설명하거나 묘사하는

경우

부수다망치

때려

동사 사용 목표동사를 동사(lsquo명사+하다rsquo)의 형식으로 표 하는 경우 던지다공 해요

DK

(Dontrsquot Know)lsquo모른다rsquo고 응답하는 경우

NR

(No Response)

그림을 제시한 후 8 가 경과될 때까지 반응을 보이지 않

는 경우

보속반응 이 문항에서의 반응을 되풀이

무 련 반응 목표동사와 련되지 않는 낱말로 반응하는 경우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낱말산출 능력

19

게재 신청일 2003년 1월 24일게재 확정일 2003년 2월 23일

이윤경 (제 1 자) 용인 학교 재활보건과학 학원 언어치료학과 겸임교수 e-mail lyoonkyounghanmailnet김 태 (공동 자) 이화여자 학교 특수교육학 언어병리학과 교수 e-mail youngtaeewhaackr

ABSTRACT

Word (Noun and Verb) Production in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Yoonkyoung Lee(Dept of Speech and Languge Pathology Yongin University)

Young Tae Kim(Dept of Special Education amp

Interdiciplinary Program of Communication Disorders

Ewha Womans University)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word (noun and

verb) productions of children with SLI Sixty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1) 20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SLI group) whose language age were 46 - 66

(2) 20 normal children chronological-age matched with the SLI children (CA controls) and

(3) 20 normal children matched on a composite index of language age with the SLI children

(LA controls) Picture naming and word recognition tests were used and frequencies and

types of errors were analyse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s follows (1) the SLI

group demonstrated significantly higher frequency of errors in verb production than that

of nouns but LA controls produced more errors in nouns than those of verbs (2) the SLI

group produced unrelated errors more than others compared with normal controls Bu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error types produced in both noun and verb tests (3) the SLI group

demonstrated higher frequency of misnaming but recognized items in noun and verb

productions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SLI group and each of

the two normal control groups Thes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e findings of earlier

studies with regard to the restricted verb productions of the children with SLI

Key Words specific language impairment(SLI) word production naming test error pattern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낱말산출 능력

5

비교집단의 통제가 잘 이루어졌는가를 살펴보기 하여 t-검정을 실시한 결과 SLI 아

동 집단과 CA 일치집단 간에 생활연령에 차이가 없었으며 SLI 아동 집단과 LA 일치집단

간에 그림어휘력 수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세 집단의 생활연령과 언어 수의 평균

표 편차는 lt표 - 1gt에 제시하 다

lt표 - 1gt 세 아동집단의 생활연령 언어능력의 평균 표 편차

SLI (N = 20) LA일치(N = 20) CA일치(N = 20)

M SD M SD M SD

생활연령

언어능력

7425

5540

1085

1323

5790

5540

778

1337

7172

7461

875

1449

언어능력 그림어휘력검사의 원 수SLI SLI 아동 집단 LA일치 SLI 아동과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 집단 CA일치 SLI 아동과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 집단

2 검사도구

가 이름 기검사

낱말표 능력은 선행연구(Leonard et al 1983 McGregor 1997)에서 많이 사용된 그림

이름 기과제를 통해 검사하 다 검사에 사용한 낱말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 선정하 다

먼 학령 학령 기 아동들의 어휘산출을 연구한 이상 외(1972) 이연섭권경

안정인실(1980) 그리고 이응백(1989)의 자료를 참조하여 명사와 동사를 각각 80개씩 선정

하 다 낱말선정 시 상아동들의 연령과 낱말의 의미와 기능 그리고 그림으로 표 이 가

능한가 등을 고려하 다 선정한 낱말은 18 times 26 cm 크기의 종이에 흑백의 선으로 그림을 그

리고 필요한 부분에 음 을 넣어 그림자료로 비하 다

그림으로 비된 낱말들로 35-65세 아동 60명(6개월 단 로 10명씩)을 상으로 비

검사를 실시하 으며 비검사 결과는 Bayesian (성태제 2001)을 사용하여 분석하여 문항변

별도와 난이도가 높은 명사와 동사 문항을 각각 35개씩 선정하 다(lt부록 - 1gt lt부록 -

2gt 참조) 낱말선정 시 명사와 동사에서의 수행결과를 비교하기 하여 명사와 동사 문항의

난이도를 동일하게 통제하 다 문항의 신뢰도를 측정하기 하여 내 일치도를 산출한 결

과 α 계수가 명사는 92 동사는 96로 나타나 검사문항의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언어청각장애연구

6

나 이해검사

아동의 낱말산출능력과 낱말이해능력간의 계를 살펴보기 하여 이해검사를 실시하

다 이해검사는 그림어휘력검사(김 태 외 1995)와 동일한 형식으로 검사자가 구어로 제

시한 목표낱말을 4개의 그림 에서 지 하는 것이었다 목표어를 제외한 3개의 보기 문항은

의미 으로 유사한 낱말( 기타rarr바이올린) 음운 으로 유사한 낱말( 기타rarr기차) 그리

고 무 련 낱말( 기차rarr모자)로 구성하 다

3 연구 차

아동의 과제수행이 방해받지 않는 조용한 곳에서 모든 아동들을 개별 으로 검사하 다

먼 검사 에 아동에게 검사 차에 해 간단히 설명한 후 아동이 검사요령을 정확히 이해할

수 있도록 2개의 연습문항을 실시하 다 그리고 아동이 검사 수행방법을 정확하게 숙지한 경

우 본검사를 실시하 다 본검사에서는 아동에게 그림을 한 장씩 제시하며 명사의 경우에는

ldquo이게 뭐지rdquo 그리고 동사의 경우에는 ldquo가 뭐해rdquo하고 질문하여 낱말표 을 유도하 다

명사와 동사검사의 제시순서에 의한 효과를 통제하기 하여 반의 아동에게는 명사검사부

터 그리고 나머지 반의 아동에게는 동사검사부터 실시하 다 아동들의 반응은 검사자가

즉석에서 기록지에 기록하 으며 추후 신뢰도 평가를 하여 녹음기(SONY TCM-100)를 사

용하여 녹음하 다

이해검사는 이름 기 검사가 모두 끝난 후에 실시하 다 검사는 이해검사 그림자료를

보여주면서 검사자가 목표어를 구두로 제시하면 아동이 해당 그림을 지 하게 하는 형식으

로 진행하 다

4 자료분석

가 오반응 빈도

아동들이 이름 기검사에서 오반응을 나타낸 문항의 빈도를 측정하 다

나 오류유형분석

오류유형의 분석기 은 이윤경김 태(2001)의 분석기 을 사용하 다 이 분석기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낱말산출 능력

7

은 McGregor amp Windsor (1996)와 German (2000)이 제시한 분석기 을 종합하여 크게 의미

음운 시각 그리고 기타로 나 어 마련한 것이다 세부 오류유형은 lt부록 - 3gt

lt부록 - 4gt에 제시하 다

5 신뢰도

체의 25 에 해당하는 자료를 무작 로 선택한 후 학원에서 언어병리학을 공한

언어치료사 1인에게 반응의 정반응의 여부와 오류유형을 기록분석하게 하여 검사자의 분

석내용과의 일치율을 측정하 다 그 결과 정반응 여부에 한 기록 결과는 100 그리고

오류유형 분석 결과는 97 의 일치율을 나타내었다

6 통계분석

SPSS 100 로그램을 이용하여 집단(3)을 집단간 변수로 하고 낱말유형(2)과 이해여부

(2) 그리고 오류유형(4)은 집단내 변수로 하여 반복설계를 통한 4원 변량분석을 실시하 다

Ⅳ 연구결과

세 아동 집단이 명사와 동사 이름 기 검사에서 산출한 오반응 빈도의 평균 표 편

차는 lt표 - 2gt 변량분석 결과는 lt표 - 3gt에 제시하 다

1 집단 낱말유형 이해여부에 따른 오반응빈도 분석 결과

먼 집단에 따라 낱말산출의 오반응 빈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F =

1088 plt 001) Tukey HSD 사후분석을 실시한 결과 집단간의 차이는 CA 일치집단이 각

각 SLI 아동집단과 LA 일치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인 것에 의해 비롯되었다 즉 CA 일

치집단이 SLI 아동집단과 LA 일치집단에 비해 오반응을 유의하게 게 산출하 다 반면

SLI 아동집단과 LA 일치집단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낱말유형에 따른 주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낱말유형과 집단간에는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F = 639 plt 01) 즉 SLI 아동집단과 CA 일치집단은 모두 명사에 비해 동

언어청각장애연구

8

lt표 - 2gt 세 아동 집단의 오반응빈도의 평균 표 편차

SLI (N = 20) LA일치(N= 20) CA일치(N= 20)

M SD M SD M SD

명사

이해

가능1

의미

음운

시각

기 타

325

115

300

335

215

131

172

237

490

100

370

250

234

79

232

252

290

105

245

105

283

105

132

150

총 1075 445 1210 449 745 440

이해

불가능2

의미

음운

시각

기 타

75

15

165

145

137

67

283

139

70

15

170

80

92

49

272

140

35

05

40

25

75

22

82

72

총 400 246 335 242 105 177

체3

의미

음운

시각

기 타

400

130

465

480

352

198

455

376

560

115

540

330

234

79

232

252

325

110

285

130

358

127

214

222

총 1475 690 1545 606 850 617

동사

이해

가능

의미

음운

시각

기 타

475

30

375

385

162

57

240

276

415

15

315

215

206

37

127

131

390

25

210

190

222

44

174

91

총 1265 412 960 226 815 312

이해

불가능

의미

음운

시각

기 타

140

00

85

140

105

00

81

176

100

00

125

55

152

00

148

89

90

00

30

45

112

00

57

69

총 365 202 280 280 165 153

의미

음운

시각

기 타

615

30

460

525

137

67

283

139

515

15

485

270

92

49

272

140

480

25

240

235

75

22

82

72

총 1630 501 1240 375 980 368

SLI SLI 아동집단 LA일치 SLI 아동과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집단 CA일치 SLI 아동과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집단 1이해가능 이름 기검사에서는 오반응을 보 으나 이해검사에서는 정반응을 보인 문항 빈도

2이해불가능

이름 기검사와 이해검사에서 모두 오반응을 보인 문항 빈도 3 체 이해여부와 계없이 이름 기검사에서 오반응을 보인 체 문항 빈도(이해가능 +이해불가능)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낱말산출 능력

9

lt표 - 3gt 이름 기검사에서의 오반응 빈도의 변량분석 결과

분산원 SS df MS F

집단 11067 2 5533 1088

오차(집단) 28978 57 508

낱말유형 938E-03 1 938E-03 01

이해여부 81218 1 81218 29570

오류유형 57214 3 19071 6853

낱말유형times집단 1693 2 847 639

낱말유형times이해여부 5104E-02 1 5104E-02 02

이해여부times집단 620 2 310 310

오류유형times집단 7627 6 1271 457

오류유형times낱말유형 3576 3 1192 612

오류유형times이해여부 19753 3 6584 2971

낱말유형times오류유형times집단 1091 6 182 93

낱말유형times이해여부times집단 1077 2 538 220

오류유형times이해여부times집단 1481 6 247 111

낱말유형times오류유형times이해여부 1254 3 418 206

낱말유형times오류유형times이해여부times집단 1091 6 182 90

오차(낱말유형) 7550 57 133

오차(오류유형) 47590 171 278

오차(이해여부) 15656 57 275

오차(낱말유형times오류유형) 33314 171 195

오차(낱말유형times이해여부) 13962 57 245

오차(오류유형times이해여부) 37898 171 222

오차(낱말유형times오류유형times이해여부) 34737 171 203

plt 05 plt 01 p lt 001

사에서 오반응 빈도를 많이 산출한 반면 LA 일치집단은 동사에 비해 명사에서 오반응을 더

많이 산출하 다(lt그림 - 1gt 참조)

이해여부에 따른 주효과도 찰되었다(F = 29570 p lt 001) lt그림 - 2gt에서 볼 수 있

듯이 세 아동집단 모두 이름 기검사에서 오반응을 보 으나 이해는 가능하 던 문항빈도가

이름 기와 이해검사 모두에서 오반응을 보인 문항빈도에 비해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

해여부와 집단 그리고 이해여부와 낱말유형 간에는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가 찰되지 않았

다 그러나 이해여부와 집단 간에는 통계 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으나 SLI 아동집단이 다른

언어청각장애연구

10

두 일반아동집단에 비해 이해는 하면서 이름 기에만 오류를 보인 문항의 빈도가 높은 것으

로 나타났다

0

2

4

6

8

10

12

14

16

18

명사 동사 명사 동사 명사 동사

전체오류 이해가능 이해불가능

오반응빈도

SLI

LA일치

CA일치

0

5

10

15

20

25

이해가능 이해불가능

오반응빈도

SLI

LA일치

CA일치

lt그림 - 1gt 낱말유형에 따른 오반응 빈도 lt그림 - 2gt 이해여부에 따른 오반응 빈도

2 집단 낱말유형 이해여부에 따른 오류유형 분석 결과

오류유형에 따른 주효과도 찰되었다(F = 6853 plt 001) 세 집단의 아동들은 모두

의미 오류와 시각 오류를 많이 산출한 반면 음운 오류는 거의 산출하지 않았다 상호

작용 효과는 오류유형과 집단(F = 457 plt 01) 오류유형과 낱말유형(F = 612 p lt 01) 그

리고 오류유형과 이해여부(F = 2971 plt 001) 사이에서 나타났다

먼 오류유형과 집단의 상호작용효과는 세 집단 아동들이 산출한 오류유형에 차이를

보임을 의미한다 lt그림 - 3gt을 보면 SLI 아동집단이 두 일반아동집단에 비하여 기타 유형

을 다른 오류유형에 비해 상 으로 많이 산출하 다 그러나 의미 음운 그리고 시각

오류는 세 아동집단에서 유사한 경향으로 산출하 다

오류유형은 낱말유형과도 상호작용효과를 나타냈다 lt그림 - 4gt를 보면 동사산출 시

명사에 의미 오류와 기타오류를 많이 산출한 반면 음운과 시각 오류는 게 산출하 다

집단별로 낱말유형에 따른 오류유형 산출 결과를 보면 LA 일치집단은 명사와 동사에서 유

사한 오류패턴을 보인 반면 SLI 아동집단과 CA 일치집단은 명사에 비해 동사에서 의미 오

류와 기타오류를 더 많이 산출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오류유형은 이해여부와도 상호작용효과를 나타내었다 lt그림 - 5gt를 보면 세 아동 집

단은 모두 이해는 하면서 이름 기에만 오류를 보인 경우와 이름 기는 물론 이해에서도 오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낱말산출 능력

11

0

2

4

6

8

10

12

의미적 음운적 시각적 기타

오반응빈도

SLI

LA일치

CA일치

0

1

2

3

4

5

6

7

의미적

음운적

시각적

기타

의미적

음운적

시각적

기타

명사 동사

오반응빈도

SLI

LA일치

CA일치

lt그림 - 3gt 집단별 체 오류유형 산출결과

0

2

4

6

8

10

12

14

16

18

의미적 음운적 시각적 기타

오반응빈도

명사

동사

0

1

2

3

4

5

6

7의미적

음운적

시각적

기타

의미적

음운적

시각적

기타

의미적

음운적

시각적

기타

SLI LA일치 CA일치

오반응빈도

명사

동사

lt그림 - 4gt 낱말유형별 체 오류유형 산출결과

0

1

2

3

4

5

6

7

8

9

10

의미적

음운적

시각적

기타

의미적

음운적

시각적

기타

의미적

음운적

시각적

기타

SLI LA일치 CA일치

오반응빈도

이해가능

이해불가능

lt그림 - 5gt 이해여부에 따른 세 아동 집단의 오류유형

반응을 보인 경우 오류패턴은 유사하게 나타냈다 그러나 이해와 이름 기검사 모두 오반응

을 보인 경우보다 이름 기에서만 오반응을 보이고 이해는 가능하 던 경우에 의미 오류

언어청각장애연구

12

를 월등하게 많이 산출하 다 반면 이해여부와 집단 사이와 이해여부와 낱말유형 사이에서

는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가 찰되지 않았으며 아동집단 간에도 이해여부에 따른 오류유형

은 유의한 차이가 찰되지 않았다

V 논 의

본 연구는 이름 기검사를 사용하 을 때에도 자발화에서의 낱말산출 연구결과와 마찬

가지로 SLI 아동들이 명사에 비해 동사산출에 어려움을 보이는 지를 살펴보고 낱말산출 능

력이 낱말의 이해여부에 따라서는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 지 한 낱말유형(명사와 동사) 간

에 산출된 오류유형에서는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 지를 살펴보는 것을 목 으로 하 다 따라

서 명사와 동사에서의 낱말산출능력 낱말산출과 낱말이해와의 계 그리고 오류유형 결과

를 심으로 논의를 진행하 다

먼 낱말산출에서의 오반응빈도 분석 결과를 보면 SLI 아동 집단은 CA 일치집단에

비해 낱말산출능력이 뒤떨어진 것으로 나타났으나 LA 일치집단과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

지 않았다 그러나 SLI 아동집단과 CA 일치집단은 모두 명사에 비해 동사에서 오반응 빈도를

많이 산출한 반면 LA 일치집단은 동사에 비해 명사에서 오반응을 더 많이 산출하 다 이러

한 결과는 SLI 아동집단이 명사에 비해 동사산출에서 더 어려움을 보인다는 선행연구의 결과

와 유사한 것이며 이들의 낱말산출에서의 차이가 단순히 지체가 아닐 수 있음을 시사한다

SLI 아동들이 이처럼 명사에 비해 동사에서 더 오류를 많이 보인 것은 Rice amp Bode

(1993)가 설명한 것처럼 동사가 의미 인 지식뿐 아니라 명사보다 발화에서 문법 기능을

더 많이 담당하기 때문일 수도 있으며 는 동사가 명사에 비해 상 으로 지시하는 상

이 분명하지 않기 때문일 수도 있다(Hoff-Ginsberg 2001) 본 연구에서는 그림자료를 사용

하여 동사산출을 유도하 으므로 아동들의 동사산출능력이 구문산출능력이나 문맥에 의해

상 으로 향을 게 받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SLI 아동들이 명사에 비해 동사산출에

더 많은 오반응을 산출하 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동사가 문법 기능을 더 많이 담당하기

때문만이 아니라 SLI 아동들이 동사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더 많이 어려움을 갖기 때문으로

해석해 볼 수 있겠다

이해여부에 따른 낱말산출능력 분석 결과는 세 아동집단 모두 이해는 가능하나 이름

기에서만 오류를 보인 문항의 빈도가 이름 기와 이해 모두에서 오류를 보인 문항의 빈도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낱말산출 능력

13

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정상 인 언어발달에서 체로 낱말이해가 산출에

선행된다는 선행연구들을 통해서 설명해 볼 수 있을 것이다(Meynuk 1997) 반면 집단과 이

해여부에 따른 상호작용효과는 나타나지 않으나 SLI 아동들이 다른 두 일반아동집단에 비하

여 이해는 가능하나 이름 기에서만 오류를 보인 문항의 빈도를 높게 산출하 다(lt그림 -

2gt 참조) 이러한 결과는 SLI 아동들의 낱말산출의 문제가 낱말을 인식하는 수 이 아니라

낱말을 인출하는 과정의 문제일 수도 있음을 시사한다(이윤경김 태 2002 Menyuk

1997) 즉 낱말에 한 지식을 의미기억 속에 가지고는 있으나 이를 필요한 경우 효율 으로

잘 인출해내지 못하는 것일 수 있다

오류유형분석 결과는 SLI 아동들이 두 일반아동집단과 마찬가지로 의미 오류를 다른

오류유형에 비해 월등하게 많이 산출하 다는 에서 선행연구(Fried-Oken 1984 McGregor

1997)와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SLI 아동은 물론 일반아동들도 낱말을 정확하

게 산출하지 못할 때 목표낱말과 련된 의미 정보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 다 반

면 SLI 아동집단은 두 일반아동집단에 비하여 기타오류를 유의하게 많이 산출하 는데 이는

주로 SLI 아동들이 lsquoDK(모르겠다)rsquo 반응을 많이 산출한 것과 련된다 이처럼 SLI 아동들이

lsquoDKrsquo 반응을 많이 보인 것은 이 아동들이 목표낱말에 한 일부 지식은 지니고 있으나 낱말

을 산출할 수 있을 정도로 정확한 지식은 지니고 있지 못하 기 때문일 수도 있으며

(McGregor 1997) 낱말이 쉽게 생각나지 않기 때문에 낱말산출을 쉽게 포기하 기 때문일

수도 있다(이윤경김 태 2002)

오류유형은 낱말유형에 따라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 다 lt그림 - 3gt을 보면 LA 일치

집단은 명사와 동사에서 유사한 오류패턴을 보인 반면 SLI 아동집단과 CA 일치집단은 명사

에 비해 동사에서 의미 오류와 기타 오류를 더 많이 산출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명사에

비해 동사검사에서는 의미 으로 에둘러 표 하기와 DK 반응이 많았는데 이는 아동들이 동

사를 산출할 때 정확한 목표낱말로 표 하기 보다는 그림에서 묘사된 상황을 설명하는 경우

가 많았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는 SLI 아동들이 동사 산출에서 오류를 보이는 것이 명사보다

발화에서 문법 기능을 더 많이 담당하기 때문일 수도 있다는 Rice amp Bode (1993)의 설명

보다는 동사가 명사에 비해 상 으로 지시하는 상이 분명하지 않기 때문일 수도 있다는

Hoff-Ginsberg (2001)의 설명이 더 타당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오류유형은 이해여부와도 상호작용효과를 나타냈다 lt그림 - 5gt을 보면 세 아동 집단

은 모두 이해는 하면서 이름 기에만 오류를 보인 경우와 이름 기는 물론 이해에서도 오반

응을 보인 경우의 오류패턴은 유사하게 나타내었으나 이해와 이름 기에서 모두 오반응을

보인 경우보다 이해는 가능한 경우에 의미 오류를 월등하게 많이 산출하 다 이러한 결과

언어청각장애연구

14

는 McGregor (1997)가 설명하 듯이 SLI 아동은 물론 일반아동들도 낱말을 정확하게 산출

하지 못하는 경우 주로 낱말의 의미 속성에 의존하여 목표낱말을 치하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 다 그러나 언어처리과정 에서 보았을 때 이러한 결과는 SLI 아동은 물론 일반

아동들도 낱말산출에서의 오류가 낱말처리 과정 의미 처리과정에서의 문제 때문에 발

생한 것일 수도 있음을 보여 다 즉 유사한 의미 속성을 가진 낱말들 에서 목표낱말을

정확하게 선택하지 못하 기 때문일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설명 에서 어느 것이 더

한가는 추후 연구를 통해 설명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본 연구의 결과는 선행연구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SLI 아동

들이 CA 일치 아동들과 비교해서는 물론 LA 일치 아동들에 비해서도 낱말산출에서 어려움

을 보 으며 명사에 비해 동사에서 더 어려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이 아

동들이 동사 산출에 어려움을 갖는 것이 단순히 지체가 아니라 일탈된 특성일 수 있음을 제

시해 다 한 SLI 아동들은 오류유형에서도 두 일반아동 집단에 비해 lsquoDKrsquo 반응을 월등히

많이 산출하 으며 명사에 비해 동사에서 특히 많이 산출하 는데 이는 아동들이 목표낱말

을 의미기억 속에 정확하게 표상하고 있지 못하 기 때문일 수도 있으며 혹은 의미기억 속

에 장된 낱말을 빨리 효율 으로 인출하지 못해서 쉽게 lsquo모르겠다rsquo라고 반응한 것일 수도

있다고 설명할 수 있다 이처럼 낱말의 유형에 따라 반응의 정확성이나 오류유형에 차이가

나타나는 것이 낱말을 처리하는 과정에서의 문제로 인한 것인지 혹은 문법규칙을 습득하는

데에 있어서 특정 으로 결함을 갖기 때문인지는 추후 더 심도깊게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참 고 문 헌

김 태성태제이윤경(2003) 985172취학 아동의 수용언어 표 언어 발달척도(PRES)985173 서울 서울장

애인종합복지

김 태장혜성임선숙백 정(1995) 985172그림어휘력검사985173 서울 서울장애인종합복지

박혜원곽 주박 배(1997) 985172K-WPPSI 검사요강985173 서울 도서출 특수교육

성태제(2001) Bayesian 통계방법에 의한 검사분석 로그램 wwwevercationcom

이상 정세화이은화이정환(1972) 3 4 5세 아동의 회화에 나타난 어휘 조사 985172한국문화연구원

논총985173 11 337-427이연섭권경안정인실(1980) 985172한국아동의 어휘발달 연구(Ⅰ)985173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이윤경김 태(2002)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낱말찾기 특성 985172언어청각장애연구985173 7(1) 65-80이응백 (1989) 985172국민학교 학습용 기본어휘 연구985173 서울 한교과서주식회사

Conti-Ramsden G amp Jones M (1997) Verb use in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Journal of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낱말산출 능력

15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40 1298-1313

Fried-Oken M (1984) The development of naming skills in normal and language deficient childr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Boston University

German D J (2000) Test of Word Finding (manual) Austin TX Pro-Ed

Hoff-Ginsberg E (2001) Language development (2nd ed) Florence KY Wadsworth

Lahey M amp Edwards J (1999) Naming errors of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42 195-205

Leonard L B Nippold M A Kail R amp Hale C (1983) Picture naming in language-impaired

children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26 609-615

Leonard L B (1998) The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Cambridge MA The MIT

Press

McGregor K K amp Windsor J (1996) Effects of priming on the naming accuracy of preschoolers

with word-finding deficit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39 1048-1058

McGregor K K (1997) The nature of word-finding errors of preschoolers with and without

word-finding deficits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40 1232-

1244

Menyuk P (1997) Naming disorders in children In H Goodglass amp A Wingfield (Eds) Anomia

Neuroanatomical and cognitive correlates San Diego Academic Press

Rescola L amp Schwartz E (1990) Outcome of specific expressive language delay Applied

Psycholinguistics 11 393-407

Rice M L amp Bode J V (1993) GAPS in the verb lexicons of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First Language 13 113-131

Stark R amp Tallal P (1981) Selection of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deficit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46 114-122

Stokes S F amp Fletcher P (2000) Lexical diversity and productivity in Cantonese-speaking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35(4) 527-541

Watkins R V Kelly D V Harbers H M amp Hollis W (1995) Measuring childrenrsquos lexical

diversity Differentiating typical and impaired language learner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38 1349-1355

언어청각장애연구

16

lt부록 - 1gt 명사 이름 기검사 낱말목록

번호 목표낱말 번호 목표낱말 번호 목표낱말 번호 목표낱말

1

2

3

4

5

6

7

8

9

열쇠

그네

망치

유모차

호루라기

도장

사다리

허수아비

기타

10

11

12

13

14

15

16

17

18

주사

목도리

달력

지도

신문

채소

19

20

21

22

23

24

25

26

27

낙하산

분수

필통

화분

우표

온도계

주유소

28

29

30

31

32

33

34

35

장화

국자

수염

바구니

시소

실로폰

옷걸이

지팡이

lt부록 - 2gt 동사 이름 기검사 낱말목록

번호 목표낱말 번호 목표낱말 번호 목표낱말 번호 목표낱말

1

2

3

4

5

6

7

8

9

울다

감다

불다

그리다

맡다

날다

지우다

따다

10

11

12

13

14

15

16

17

18

빗다

따르다

들다

묶다

건 다

뱉다

칠하다

마시다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닫다

웃다

짜다

개다

차다

부수다

묻다

꺾다

28

29

30

31

32

33

34

35

던지다

뽑다

넘다

당기다

붙이다

찢다

쓸다

자르다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낱말산출 능력

17

lt부록 - 3gt 명사 오류분석 기

구분 정의

의미

상 개념어(superordinate)

목표어를 포함하는 상 범주어로 치하는 경우 양 채소

등어(coordinate)

동일한 수 의 다른 낱말이나 동일의미범주의 낱말로 치하는 경우

그네미끄럼틀

하 개념어(subordinate)

목표어를 나타내는 하 범주어로 치하는 경우 가구책상

기능(functional)

목표어의 기능 속성을 나타내는 낱말로 치하는 경우 달력날짜

장소(locative)

목표어와 련된 장소를 나타내는 낱말로 치하는 경우 그네놀이터

구성요소(compositional)

목표어를 구성하는 낱말로 치하는 경우 주사기바늘

연합(association)

목표어와 같이 사용되는 낱말이나 개념으로 치하는 경우 낙하산비행기

의미 에두르기(circumlocution)

목표어의 의미 특성을 여러 낱말로 설명하거나 묘사하는 경우

국자국 떠주는 것

음운

음소 치(p-substitution)

목표어를 구성하는 음소를 다른 유사 음소로 치분수푼수기타치타

음소첨가(p-addition)

목표어에 다른 음소를 첨가 그네근네

음소생략(p-omission)

목표어에 포함된 음소나 음 을 생략하는 경우 우표표

음운유사낱말 치 (malapropisms)

음소 으로 유사한 다른 실제 낱말로 치 주사 주사기

음소( )반복(p-repetition)

목표어의 첫 번째 음소( 는 음 )를 반복하는 경우 그네그 그네

시각

시각 치(v-substitution)

시각 으로 유사한 낱말로 치 우표그림

시각 부분 치(whole-part)

목표어를 묘사한 그림의 일부분을 지칭하는 낱말로 치분수물 화장 거울

시각 에두르기목표어의 시각 특성을 여러 낱말로 설명하거나 묘사하는 경우

꼬리동그라미 에 뭐 달려있어

기타

DK(Donrsquot Know) lsquo모른다rsquo고 응답하는 경우

NR (No Response)

그림을 제시한 후 8 가 경과될 때까지 반응을 보이지 않는 경우

보속반응(perseveration)

이 문항에서의 반응을 되풀이

무 련 반응 목표어와 련되지 않은 낱말로 반응하는 경우

언어청각장애연구

18

lt부록 - 4gt 동사 오류분석 기

구분 정의

상 동사 목표동사의 상 행동을 묘사하는 동사로 치하는 경우 감다목욕하다

등어 동일행동을 묘사하거나 반 행동을 묘사하는 동사로 경우꺾다따다

열다닫다

하 동사 목표동사의 하 행동을 묘사하는 동사로 치하는 경우 묻다 다

연합목표동사와 같이 사용되는 낱말이나 행동어로 치하는 경

짜다그리다

다공사

의미 에두르기목표동사의 의미 특성을 여러 낱말로 설명하거나 묘사하

는 경우

뱉다물고 있던거

버려요

음소 치 목표동사를 구성하는 음소를 다른 유사 음소로 치맡다맡쳐요

부수다부긴다

음소첨가 목표동사에 다른 음소를 첨가 닫다닫은다

음소생략 목표동사에 포함된 음소나 음 을 생략하는 경우 따르다따요

음운유사낱말 치 음소 으로 유사한 다른 실제 동사로 치 빗다벗다

음소반복 목표동사의 첫 번째 음소( 는 음 )을 반복하는 경우 먹다머 먹다

시각 치 목표동사의 행동과 시각 으로 유사한 동사 치 뽑다당기다

시각 부분 치목표동사를 묘사한 그림의 일부분을 지칭하거나 묘사하는

낱말로 치묻다병아리

시각 에두르기목표동사의 행동 특성을 여러 낱말로 설명하거나 묘사하는

경우

부수다망치

때려

동사 사용 목표동사를 동사(lsquo명사+하다rsquo)의 형식으로 표 하는 경우 던지다공 해요

DK

(Dontrsquot Know)lsquo모른다rsquo고 응답하는 경우

NR

(No Response)

그림을 제시한 후 8 가 경과될 때까지 반응을 보이지 않

는 경우

보속반응 이 문항에서의 반응을 되풀이

무 련 반응 목표동사와 련되지 않는 낱말로 반응하는 경우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낱말산출 능력

19

게재 신청일 2003년 1월 24일게재 확정일 2003년 2월 23일

이윤경 (제 1 자) 용인 학교 재활보건과학 학원 언어치료학과 겸임교수 e-mail lyoonkyounghanmailnet김 태 (공동 자) 이화여자 학교 특수교육학 언어병리학과 교수 e-mail youngtaeewhaackr

ABSTRACT

Word (Noun and Verb) Production in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Yoonkyoung Lee(Dept of Speech and Languge Pathology Yongin University)

Young Tae Kim(Dept of Special Education amp

Interdiciplinary Program of Communication Disorders

Ewha Womans University)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word (noun and

verb) productions of children with SLI Sixty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1) 20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SLI group) whose language age were 46 - 66

(2) 20 normal children chronological-age matched with the SLI children (CA controls) and

(3) 20 normal children matched on a composite index of language age with the SLI children

(LA controls) Picture naming and word recognition tests were used and frequencies and

types of errors were analyse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s follows (1) the SLI

group demonstrated significantly higher frequency of errors in verb production than that

of nouns but LA controls produced more errors in nouns than those of verbs (2) the SLI

group produced unrelated errors more than others compared with normal controls Bu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error types produced in both noun and verb tests (3) the SLI group

demonstrated higher frequency of misnaming but recognized items in noun and verb

productions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SLI group and each of

the two normal control groups Thes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e findings of earlier

studies with regard to the restricted verb productions of the children with SLI

Key Words specific language impairment(SLI) word production naming test error pattern

언어청각장애연구

6

나 이해검사

아동의 낱말산출능력과 낱말이해능력간의 계를 살펴보기 하여 이해검사를 실시하

다 이해검사는 그림어휘력검사(김 태 외 1995)와 동일한 형식으로 검사자가 구어로 제

시한 목표낱말을 4개의 그림 에서 지 하는 것이었다 목표어를 제외한 3개의 보기 문항은

의미 으로 유사한 낱말( 기타rarr바이올린) 음운 으로 유사한 낱말( 기타rarr기차) 그리

고 무 련 낱말( 기차rarr모자)로 구성하 다

3 연구 차

아동의 과제수행이 방해받지 않는 조용한 곳에서 모든 아동들을 개별 으로 검사하 다

먼 검사 에 아동에게 검사 차에 해 간단히 설명한 후 아동이 검사요령을 정확히 이해할

수 있도록 2개의 연습문항을 실시하 다 그리고 아동이 검사 수행방법을 정확하게 숙지한 경

우 본검사를 실시하 다 본검사에서는 아동에게 그림을 한 장씩 제시하며 명사의 경우에는

ldquo이게 뭐지rdquo 그리고 동사의 경우에는 ldquo가 뭐해rdquo하고 질문하여 낱말표 을 유도하 다

명사와 동사검사의 제시순서에 의한 효과를 통제하기 하여 반의 아동에게는 명사검사부

터 그리고 나머지 반의 아동에게는 동사검사부터 실시하 다 아동들의 반응은 검사자가

즉석에서 기록지에 기록하 으며 추후 신뢰도 평가를 하여 녹음기(SONY TCM-100)를 사

용하여 녹음하 다

이해검사는 이름 기 검사가 모두 끝난 후에 실시하 다 검사는 이해검사 그림자료를

보여주면서 검사자가 목표어를 구두로 제시하면 아동이 해당 그림을 지 하게 하는 형식으

로 진행하 다

4 자료분석

가 오반응 빈도

아동들이 이름 기검사에서 오반응을 나타낸 문항의 빈도를 측정하 다

나 오류유형분석

오류유형의 분석기 은 이윤경김 태(2001)의 분석기 을 사용하 다 이 분석기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낱말산출 능력

7

은 McGregor amp Windsor (1996)와 German (2000)이 제시한 분석기 을 종합하여 크게 의미

음운 시각 그리고 기타로 나 어 마련한 것이다 세부 오류유형은 lt부록 - 3gt

lt부록 - 4gt에 제시하 다

5 신뢰도

체의 25 에 해당하는 자료를 무작 로 선택한 후 학원에서 언어병리학을 공한

언어치료사 1인에게 반응의 정반응의 여부와 오류유형을 기록분석하게 하여 검사자의 분

석내용과의 일치율을 측정하 다 그 결과 정반응 여부에 한 기록 결과는 100 그리고

오류유형 분석 결과는 97 의 일치율을 나타내었다

6 통계분석

SPSS 100 로그램을 이용하여 집단(3)을 집단간 변수로 하고 낱말유형(2)과 이해여부

(2) 그리고 오류유형(4)은 집단내 변수로 하여 반복설계를 통한 4원 변량분석을 실시하 다

Ⅳ 연구결과

세 아동 집단이 명사와 동사 이름 기 검사에서 산출한 오반응 빈도의 평균 표 편

차는 lt표 - 2gt 변량분석 결과는 lt표 - 3gt에 제시하 다

1 집단 낱말유형 이해여부에 따른 오반응빈도 분석 결과

먼 집단에 따라 낱말산출의 오반응 빈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F =

1088 plt 001) Tukey HSD 사후분석을 실시한 결과 집단간의 차이는 CA 일치집단이 각

각 SLI 아동집단과 LA 일치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인 것에 의해 비롯되었다 즉 CA 일

치집단이 SLI 아동집단과 LA 일치집단에 비해 오반응을 유의하게 게 산출하 다 반면

SLI 아동집단과 LA 일치집단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낱말유형에 따른 주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낱말유형과 집단간에는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F = 639 plt 01) 즉 SLI 아동집단과 CA 일치집단은 모두 명사에 비해 동

언어청각장애연구

8

lt표 - 2gt 세 아동 집단의 오반응빈도의 평균 표 편차

SLI (N = 20) LA일치(N= 20) CA일치(N= 20)

M SD M SD M SD

명사

이해

가능1

의미

음운

시각

기 타

325

115

300

335

215

131

172

237

490

100

370

250

234

79

232

252

290

105

245

105

283

105

132

150

총 1075 445 1210 449 745 440

이해

불가능2

의미

음운

시각

기 타

75

15

165

145

137

67

283

139

70

15

170

80

92

49

272

140

35

05

40

25

75

22

82

72

총 400 246 335 242 105 177

체3

의미

음운

시각

기 타

400

130

465

480

352

198

455

376

560

115

540

330

234

79

232

252

325

110

285

130

358

127

214

222

총 1475 690 1545 606 850 617

동사

이해

가능

의미

음운

시각

기 타

475

30

375

385

162

57

240

276

415

15

315

215

206

37

127

131

390

25

210

190

222

44

174

91

총 1265 412 960 226 815 312

이해

불가능

의미

음운

시각

기 타

140

00

85

140

105

00

81

176

100

00

125

55

152

00

148

89

90

00

30

45

112

00

57

69

총 365 202 280 280 165 153

의미

음운

시각

기 타

615

30

460

525

137

67

283

139

515

15

485

270

92

49

272

140

480

25

240

235

75

22

82

72

총 1630 501 1240 375 980 368

SLI SLI 아동집단 LA일치 SLI 아동과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집단 CA일치 SLI 아동과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집단 1이해가능 이름 기검사에서는 오반응을 보 으나 이해검사에서는 정반응을 보인 문항 빈도

2이해불가능

이름 기검사와 이해검사에서 모두 오반응을 보인 문항 빈도 3 체 이해여부와 계없이 이름 기검사에서 오반응을 보인 체 문항 빈도(이해가능 +이해불가능)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낱말산출 능력

9

lt표 - 3gt 이름 기검사에서의 오반응 빈도의 변량분석 결과

분산원 SS df MS F

집단 11067 2 5533 1088

오차(집단) 28978 57 508

낱말유형 938E-03 1 938E-03 01

이해여부 81218 1 81218 29570

오류유형 57214 3 19071 6853

낱말유형times집단 1693 2 847 639

낱말유형times이해여부 5104E-02 1 5104E-02 02

이해여부times집단 620 2 310 310

오류유형times집단 7627 6 1271 457

오류유형times낱말유형 3576 3 1192 612

오류유형times이해여부 19753 3 6584 2971

낱말유형times오류유형times집단 1091 6 182 93

낱말유형times이해여부times집단 1077 2 538 220

오류유형times이해여부times집단 1481 6 247 111

낱말유형times오류유형times이해여부 1254 3 418 206

낱말유형times오류유형times이해여부times집단 1091 6 182 90

오차(낱말유형) 7550 57 133

오차(오류유형) 47590 171 278

오차(이해여부) 15656 57 275

오차(낱말유형times오류유형) 33314 171 195

오차(낱말유형times이해여부) 13962 57 245

오차(오류유형times이해여부) 37898 171 222

오차(낱말유형times오류유형times이해여부) 34737 171 203

plt 05 plt 01 p lt 001

사에서 오반응 빈도를 많이 산출한 반면 LA 일치집단은 동사에 비해 명사에서 오반응을 더

많이 산출하 다(lt그림 - 1gt 참조)

이해여부에 따른 주효과도 찰되었다(F = 29570 p lt 001) lt그림 - 2gt에서 볼 수 있

듯이 세 아동집단 모두 이름 기검사에서 오반응을 보 으나 이해는 가능하 던 문항빈도가

이름 기와 이해검사 모두에서 오반응을 보인 문항빈도에 비해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

해여부와 집단 그리고 이해여부와 낱말유형 간에는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가 찰되지 않았

다 그러나 이해여부와 집단 간에는 통계 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으나 SLI 아동집단이 다른

언어청각장애연구

10

두 일반아동집단에 비해 이해는 하면서 이름 기에만 오류를 보인 문항의 빈도가 높은 것으

로 나타났다

0

2

4

6

8

10

12

14

16

18

명사 동사 명사 동사 명사 동사

전체오류 이해가능 이해불가능

오반응빈도

SLI

LA일치

CA일치

0

5

10

15

20

25

이해가능 이해불가능

오반응빈도

SLI

LA일치

CA일치

lt그림 - 1gt 낱말유형에 따른 오반응 빈도 lt그림 - 2gt 이해여부에 따른 오반응 빈도

2 집단 낱말유형 이해여부에 따른 오류유형 분석 결과

오류유형에 따른 주효과도 찰되었다(F = 6853 plt 001) 세 집단의 아동들은 모두

의미 오류와 시각 오류를 많이 산출한 반면 음운 오류는 거의 산출하지 않았다 상호

작용 효과는 오류유형과 집단(F = 457 plt 01) 오류유형과 낱말유형(F = 612 p lt 01) 그

리고 오류유형과 이해여부(F = 2971 plt 001) 사이에서 나타났다

먼 오류유형과 집단의 상호작용효과는 세 집단 아동들이 산출한 오류유형에 차이를

보임을 의미한다 lt그림 - 3gt을 보면 SLI 아동집단이 두 일반아동집단에 비하여 기타 유형

을 다른 오류유형에 비해 상 으로 많이 산출하 다 그러나 의미 음운 그리고 시각

오류는 세 아동집단에서 유사한 경향으로 산출하 다

오류유형은 낱말유형과도 상호작용효과를 나타냈다 lt그림 - 4gt를 보면 동사산출 시

명사에 의미 오류와 기타오류를 많이 산출한 반면 음운과 시각 오류는 게 산출하 다

집단별로 낱말유형에 따른 오류유형 산출 결과를 보면 LA 일치집단은 명사와 동사에서 유

사한 오류패턴을 보인 반면 SLI 아동집단과 CA 일치집단은 명사에 비해 동사에서 의미 오

류와 기타오류를 더 많이 산출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오류유형은 이해여부와도 상호작용효과를 나타내었다 lt그림 - 5gt를 보면 세 아동 집

단은 모두 이해는 하면서 이름 기에만 오류를 보인 경우와 이름 기는 물론 이해에서도 오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낱말산출 능력

11

0

2

4

6

8

10

12

의미적 음운적 시각적 기타

오반응빈도

SLI

LA일치

CA일치

0

1

2

3

4

5

6

7

의미적

음운적

시각적

기타

의미적

음운적

시각적

기타

명사 동사

오반응빈도

SLI

LA일치

CA일치

lt그림 - 3gt 집단별 체 오류유형 산출결과

0

2

4

6

8

10

12

14

16

18

의미적 음운적 시각적 기타

오반응빈도

명사

동사

0

1

2

3

4

5

6

7의미적

음운적

시각적

기타

의미적

음운적

시각적

기타

의미적

음운적

시각적

기타

SLI LA일치 CA일치

오반응빈도

명사

동사

lt그림 - 4gt 낱말유형별 체 오류유형 산출결과

0

1

2

3

4

5

6

7

8

9

10

의미적

음운적

시각적

기타

의미적

음운적

시각적

기타

의미적

음운적

시각적

기타

SLI LA일치 CA일치

오반응빈도

이해가능

이해불가능

lt그림 - 5gt 이해여부에 따른 세 아동 집단의 오류유형

반응을 보인 경우 오류패턴은 유사하게 나타냈다 그러나 이해와 이름 기검사 모두 오반응

을 보인 경우보다 이름 기에서만 오반응을 보이고 이해는 가능하 던 경우에 의미 오류

언어청각장애연구

12

를 월등하게 많이 산출하 다 반면 이해여부와 집단 사이와 이해여부와 낱말유형 사이에서

는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가 찰되지 않았으며 아동집단 간에도 이해여부에 따른 오류유형

은 유의한 차이가 찰되지 않았다

V 논 의

본 연구는 이름 기검사를 사용하 을 때에도 자발화에서의 낱말산출 연구결과와 마찬

가지로 SLI 아동들이 명사에 비해 동사산출에 어려움을 보이는 지를 살펴보고 낱말산출 능

력이 낱말의 이해여부에 따라서는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 지 한 낱말유형(명사와 동사) 간

에 산출된 오류유형에서는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 지를 살펴보는 것을 목 으로 하 다 따라

서 명사와 동사에서의 낱말산출능력 낱말산출과 낱말이해와의 계 그리고 오류유형 결과

를 심으로 논의를 진행하 다

먼 낱말산출에서의 오반응빈도 분석 결과를 보면 SLI 아동 집단은 CA 일치집단에

비해 낱말산출능력이 뒤떨어진 것으로 나타났으나 LA 일치집단과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

지 않았다 그러나 SLI 아동집단과 CA 일치집단은 모두 명사에 비해 동사에서 오반응 빈도를

많이 산출한 반면 LA 일치집단은 동사에 비해 명사에서 오반응을 더 많이 산출하 다 이러

한 결과는 SLI 아동집단이 명사에 비해 동사산출에서 더 어려움을 보인다는 선행연구의 결과

와 유사한 것이며 이들의 낱말산출에서의 차이가 단순히 지체가 아닐 수 있음을 시사한다

SLI 아동들이 이처럼 명사에 비해 동사에서 더 오류를 많이 보인 것은 Rice amp Bode

(1993)가 설명한 것처럼 동사가 의미 인 지식뿐 아니라 명사보다 발화에서 문법 기능을

더 많이 담당하기 때문일 수도 있으며 는 동사가 명사에 비해 상 으로 지시하는 상

이 분명하지 않기 때문일 수도 있다(Hoff-Ginsberg 2001) 본 연구에서는 그림자료를 사용

하여 동사산출을 유도하 으므로 아동들의 동사산출능력이 구문산출능력이나 문맥에 의해

상 으로 향을 게 받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SLI 아동들이 명사에 비해 동사산출에

더 많은 오반응을 산출하 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동사가 문법 기능을 더 많이 담당하기

때문만이 아니라 SLI 아동들이 동사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더 많이 어려움을 갖기 때문으로

해석해 볼 수 있겠다

이해여부에 따른 낱말산출능력 분석 결과는 세 아동집단 모두 이해는 가능하나 이름

기에서만 오류를 보인 문항의 빈도가 이름 기와 이해 모두에서 오류를 보인 문항의 빈도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낱말산출 능력

13

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정상 인 언어발달에서 체로 낱말이해가 산출에

선행된다는 선행연구들을 통해서 설명해 볼 수 있을 것이다(Meynuk 1997) 반면 집단과 이

해여부에 따른 상호작용효과는 나타나지 않으나 SLI 아동들이 다른 두 일반아동집단에 비하

여 이해는 가능하나 이름 기에서만 오류를 보인 문항의 빈도를 높게 산출하 다(lt그림 -

2gt 참조) 이러한 결과는 SLI 아동들의 낱말산출의 문제가 낱말을 인식하는 수 이 아니라

낱말을 인출하는 과정의 문제일 수도 있음을 시사한다(이윤경김 태 2002 Menyuk

1997) 즉 낱말에 한 지식을 의미기억 속에 가지고는 있으나 이를 필요한 경우 효율 으로

잘 인출해내지 못하는 것일 수 있다

오류유형분석 결과는 SLI 아동들이 두 일반아동집단과 마찬가지로 의미 오류를 다른

오류유형에 비해 월등하게 많이 산출하 다는 에서 선행연구(Fried-Oken 1984 McGregor

1997)와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SLI 아동은 물론 일반아동들도 낱말을 정확하

게 산출하지 못할 때 목표낱말과 련된 의미 정보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 다 반

면 SLI 아동집단은 두 일반아동집단에 비하여 기타오류를 유의하게 많이 산출하 는데 이는

주로 SLI 아동들이 lsquoDK(모르겠다)rsquo 반응을 많이 산출한 것과 련된다 이처럼 SLI 아동들이

lsquoDKrsquo 반응을 많이 보인 것은 이 아동들이 목표낱말에 한 일부 지식은 지니고 있으나 낱말

을 산출할 수 있을 정도로 정확한 지식은 지니고 있지 못하 기 때문일 수도 있으며

(McGregor 1997) 낱말이 쉽게 생각나지 않기 때문에 낱말산출을 쉽게 포기하 기 때문일

수도 있다(이윤경김 태 2002)

오류유형은 낱말유형에 따라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 다 lt그림 - 3gt을 보면 LA 일치

집단은 명사와 동사에서 유사한 오류패턴을 보인 반면 SLI 아동집단과 CA 일치집단은 명사

에 비해 동사에서 의미 오류와 기타 오류를 더 많이 산출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명사에

비해 동사검사에서는 의미 으로 에둘러 표 하기와 DK 반응이 많았는데 이는 아동들이 동

사를 산출할 때 정확한 목표낱말로 표 하기 보다는 그림에서 묘사된 상황을 설명하는 경우

가 많았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는 SLI 아동들이 동사 산출에서 오류를 보이는 것이 명사보다

발화에서 문법 기능을 더 많이 담당하기 때문일 수도 있다는 Rice amp Bode (1993)의 설명

보다는 동사가 명사에 비해 상 으로 지시하는 상이 분명하지 않기 때문일 수도 있다는

Hoff-Ginsberg (2001)의 설명이 더 타당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오류유형은 이해여부와도 상호작용효과를 나타냈다 lt그림 - 5gt을 보면 세 아동 집단

은 모두 이해는 하면서 이름 기에만 오류를 보인 경우와 이름 기는 물론 이해에서도 오반

응을 보인 경우의 오류패턴은 유사하게 나타내었으나 이해와 이름 기에서 모두 오반응을

보인 경우보다 이해는 가능한 경우에 의미 오류를 월등하게 많이 산출하 다 이러한 결과

언어청각장애연구

14

는 McGregor (1997)가 설명하 듯이 SLI 아동은 물론 일반아동들도 낱말을 정확하게 산출

하지 못하는 경우 주로 낱말의 의미 속성에 의존하여 목표낱말을 치하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 다 그러나 언어처리과정 에서 보았을 때 이러한 결과는 SLI 아동은 물론 일반

아동들도 낱말산출에서의 오류가 낱말처리 과정 의미 처리과정에서의 문제 때문에 발

생한 것일 수도 있음을 보여 다 즉 유사한 의미 속성을 가진 낱말들 에서 목표낱말을

정확하게 선택하지 못하 기 때문일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설명 에서 어느 것이 더

한가는 추후 연구를 통해 설명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본 연구의 결과는 선행연구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SLI 아동

들이 CA 일치 아동들과 비교해서는 물론 LA 일치 아동들에 비해서도 낱말산출에서 어려움

을 보 으며 명사에 비해 동사에서 더 어려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이 아

동들이 동사 산출에 어려움을 갖는 것이 단순히 지체가 아니라 일탈된 특성일 수 있음을 제

시해 다 한 SLI 아동들은 오류유형에서도 두 일반아동 집단에 비해 lsquoDKrsquo 반응을 월등히

많이 산출하 으며 명사에 비해 동사에서 특히 많이 산출하 는데 이는 아동들이 목표낱말

을 의미기억 속에 정확하게 표상하고 있지 못하 기 때문일 수도 있으며 혹은 의미기억 속

에 장된 낱말을 빨리 효율 으로 인출하지 못해서 쉽게 lsquo모르겠다rsquo라고 반응한 것일 수도

있다고 설명할 수 있다 이처럼 낱말의 유형에 따라 반응의 정확성이나 오류유형에 차이가

나타나는 것이 낱말을 처리하는 과정에서의 문제로 인한 것인지 혹은 문법규칙을 습득하는

데에 있어서 특정 으로 결함을 갖기 때문인지는 추후 더 심도깊게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참 고 문 헌

김 태성태제이윤경(2003) 985172취학 아동의 수용언어 표 언어 발달척도(PRES)985173 서울 서울장

애인종합복지

김 태장혜성임선숙백 정(1995) 985172그림어휘력검사985173 서울 서울장애인종합복지

박혜원곽 주박 배(1997) 985172K-WPPSI 검사요강985173 서울 도서출 특수교육

성태제(2001) Bayesian 통계방법에 의한 검사분석 로그램 wwwevercationcom

이상 정세화이은화이정환(1972) 3 4 5세 아동의 회화에 나타난 어휘 조사 985172한국문화연구원

논총985173 11 337-427이연섭권경안정인실(1980) 985172한국아동의 어휘발달 연구(Ⅰ)985173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이윤경김 태(2002)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낱말찾기 특성 985172언어청각장애연구985173 7(1) 65-80이응백 (1989) 985172국민학교 학습용 기본어휘 연구985173 서울 한교과서주식회사

Conti-Ramsden G amp Jones M (1997) Verb use in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Journal of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낱말산출 능력

15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40 1298-1313

Fried-Oken M (1984) The development of naming skills in normal and language deficient childr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Boston University

German D J (2000) Test of Word Finding (manual) Austin TX Pro-Ed

Hoff-Ginsberg E (2001) Language development (2nd ed) Florence KY Wadsworth

Lahey M amp Edwards J (1999) Naming errors of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42 195-205

Leonard L B Nippold M A Kail R amp Hale C (1983) Picture naming in language-impaired

children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26 609-615

Leonard L B (1998) The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Cambridge MA The MIT

Press

McGregor K K amp Windsor J (1996) Effects of priming on the naming accuracy of preschoolers

with word-finding deficit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39 1048-1058

McGregor K K (1997) The nature of word-finding errors of preschoolers with and without

word-finding deficits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40 1232-

1244

Menyuk P (1997) Naming disorders in children In H Goodglass amp A Wingfield (Eds) Anomia

Neuroanatomical and cognitive correlates San Diego Academic Press

Rescola L amp Schwartz E (1990) Outcome of specific expressive language delay Applied

Psycholinguistics 11 393-407

Rice M L amp Bode J V (1993) GAPS in the verb lexicons of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First Language 13 113-131

Stark R amp Tallal P (1981) Selection of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deficit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46 114-122

Stokes S F amp Fletcher P (2000) Lexical diversity and productivity in Cantonese-speaking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35(4) 527-541

Watkins R V Kelly D V Harbers H M amp Hollis W (1995) Measuring childrenrsquos lexical

diversity Differentiating typical and impaired language learner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38 1349-1355

언어청각장애연구

16

lt부록 - 1gt 명사 이름 기검사 낱말목록

번호 목표낱말 번호 목표낱말 번호 목표낱말 번호 목표낱말

1

2

3

4

5

6

7

8

9

열쇠

그네

망치

유모차

호루라기

도장

사다리

허수아비

기타

10

11

12

13

14

15

16

17

18

주사

목도리

달력

지도

신문

채소

19

20

21

22

23

24

25

26

27

낙하산

분수

필통

화분

우표

온도계

주유소

28

29

30

31

32

33

34

35

장화

국자

수염

바구니

시소

실로폰

옷걸이

지팡이

lt부록 - 2gt 동사 이름 기검사 낱말목록

번호 목표낱말 번호 목표낱말 번호 목표낱말 번호 목표낱말

1

2

3

4

5

6

7

8

9

울다

감다

불다

그리다

맡다

날다

지우다

따다

10

11

12

13

14

15

16

17

18

빗다

따르다

들다

묶다

건 다

뱉다

칠하다

마시다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닫다

웃다

짜다

개다

차다

부수다

묻다

꺾다

28

29

30

31

32

33

34

35

던지다

뽑다

넘다

당기다

붙이다

찢다

쓸다

자르다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낱말산출 능력

17

lt부록 - 3gt 명사 오류분석 기

구분 정의

의미

상 개념어(superordinate)

목표어를 포함하는 상 범주어로 치하는 경우 양 채소

등어(coordinate)

동일한 수 의 다른 낱말이나 동일의미범주의 낱말로 치하는 경우

그네미끄럼틀

하 개념어(subordinate)

목표어를 나타내는 하 범주어로 치하는 경우 가구책상

기능(functional)

목표어의 기능 속성을 나타내는 낱말로 치하는 경우 달력날짜

장소(locative)

목표어와 련된 장소를 나타내는 낱말로 치하는 경우 그네놀이터

구성요소(compositional)

목표어를 구성하는 낱말로 치하는 경우 주사기바늘

연합(association)

목표어와 같이 사용되는 낱말이나 개념으로 치하는 경우 낙하산비행기

의미 에두르기(circumlocution)

목표어의 의미 특성을 여러 낱말로 설명하거나 묘사하는 경우

국자국 떠주는 것

음운

음소 치(p-substitution)

목표어를 구성하는 음소를 다른 유사 음소로 치분수푼수기타치타

음소첨가(p-addition)

목표어에 다른 음소를 첨가 그네근네

음소생략(p-omission)

목표어에 포함된 음소나 음 을 생략하는 경우 우표표

음운유사낱말 치 (malapropisms)

음소 으로 유사한 다른 실제 낱말로 치 주사 주사기

음소( )반복(p-repetition)

목표어의 첫 번째 음소( 는 음 )를 반복하는 경우 그네그 그네

시각

시각 치(v-substitution)

시각 으로 유사한 낱말로 치 우표그림

시각 부분 치(whole-part)

목표어를 묘사한 그림의 일부분을 지칭하는 낱말로 치분수물 화장 거울

시각 에두르기목표어의 시각 특성을 여러 낱말로 설명하거나 묘사하는 경우

꼬리동그라미 에 뭐 달려있어

기타

DK(Donrsquot Know) lsquo모른다rsquo고 응답하는 경우

NR (No Response)

그림을 제시한 후 8 가 경과될 때까지 반응을 보이지 않는 경우

보속반응(perseveration)

이 문항에서의 반응을 되풀이

무 련 반응 목표어와 련되지 않은 낱말로 반응하는 경우

언어청각장애연구

18

lt부록 - 4gt 동사 오류분석 기

구분 정의

상 동사 목표동사의 상 행동을 묘사하는 동사로 치하는 경우 감다목욕하다

등어 동일행동을 묘사하거나 반 행동을 묘사하는 동사로 경우꺾다따다

열다닫다

하 동사 목표동사의 하 행동을 묘사하는 동사로 치하는 경우 묻다 다

연합목표동사와 같이 사용되는 낱말이나 행동어로 치하는 경

짜다그리다

다공사

의미 에두르기목표동사의 의미 특성을 여러 낱말로 설명하거나 묘사하

는 경우

뱉다물고 있던거

버려요

음소 치 목표동사를 구성하는 음소를 다른 유사 음소로 치맡다맡쳐요

부수다부긴다

음소첨가 목표동사에 다른 음소를 첨가 닫다닫은다

음소생략 목표동사에 포함된 음소나 음 을 생략하는 경우 따르다따요

음운유사낱말 치 음소 으로 유사한 다른 실제 동사로 치 빗다벗다

음소반복 목표동사의 첫 번째 음소( 는 음 )을 반복하는 경우 먹다머 먹다

시각 치 목표동사의 행동과 시각 으로 유사한 동사 치 뽑다당기다

시각 부분 치목표동사를 묘사한 그림의 일부분을 지칭하거나 묘사하는

낱말로 치묻다병아리

시각 에두르기목표동사의 행동 특성을 여러 낱말로 설명하거나 묘사하는

경우

부수다망치

때려

동사 사용 목표동사를 동사(lsquo명사+하다rsquo)의 형식으로 표 하는 경우 던지다공 해요

DK

(Dontrsquot Know)lsquo모른다rsquo고 응답하는 경우

NR

(No Response)

그림을 제시한 후 8 가 경과될 때까지 반응을 보이지 않

는 경우

보속반응 이 문항에서의 반응을 되풀이

무 련 반응 목표동사와 련되지 않는 낱말로 반응하는 경우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낱말산출 능력

19

게재 신청일 2003년 1월 24일게재 확정일 2003년 2월 23일

이윤경 (제 1 자) 용인 학교 재활보건과학 학원 언어치료학과 겸임교수 e-mail lyoonkyounghanmailnet김 태 (공동 자) 이화여자 학교 특수교육학 언어병리학과 교수 e-mail youngtaeewhaackr

ABSTRACT

Word (Noun and Verb) Production in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Yoonkyoung Lee(Dept of Speech and Languge Pathology Yongin University)

Young Tae Kim(Dept of Special Education amp

Interdiciplinary Program of Communication Disorders

Ewha Womans University)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word (noun and

verb) productions of children with SLI Sixty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1) 20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SLI group) whose language age were 46 - 66

(2) 20 normal children chronological-age matched with the SLI children (CA controls) and

(3) 20 normal children matched on a composite index of language age with the SLI children

(LA controls) Picture naming and word recognition tests were used and frequencies and

types of errors were analyse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s follows (1) the SLI

group demonstrated significantly higher frequency of errors in verb production than that

of nouns but LA controls produced more errors in nouns than those of verbs (2) the SLI

group produced unrelated errors more than others compared with normal controls Bu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error types produced in both noun and verb tests (3) the SLI group

demonstrated higher frequency of misnaming but recognized items in noun and verb

productions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SLI group and each of

the two normal control groups Thes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e findings of earlier

studies with regard to the restricted verb productions of the children with SLI

Key Words specific language impairment(SLI) word production naming test error pattern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낱말산출 능력

7

은 McGregor amp Windsor (1996)와 German (2000)이 제시한 분석기 을 종합하여 크게 의미

음운 시각 그리고 기타로 나 어 마련한 것이다 세부 오류유형은 lt부록 - 3gt

lt부록 - 4gt에 제시하 다

5 신뢰도

체의 25 에 해당하는 자료를 무작 로 선택한 후 학원에서 언어병리학을 공한

언어치료사 1인에게 반응의 정반응의 여부와 오류유형을 기록분석하게 하여 검사자의 분

석내용과의 일치율을 측정하 다 그 결과 정반응 여부에 한 기록 결과는 100 그리고

오류유형 분석 결과는 97 의 일치율을 나타내었다

6 통계분석

SPSS 100 로그램을 이용하여 집단(3)을 집단간 변수로 하고 낱말유형(2)과 이해여부

(2) 그리고 오류유형(4)은 집단내 변수로 하여 반복설계를 통한 4원 변량분석을 실시하 다

Ⅳ 연구결과

세 아동 집단이 명사와 동사 이름 기 검사에서 산출한 오반응 빈도의 평균 표 편

차는 lt표 - 2gt 변량분석 결과는 lt표 - 3gt에 제시하 다

1 집단 낱말유형 이해여부에 따른 오반응빈도 분석 결과

먼 집단에 따라 낱말산출의 오반응 빈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F =

1088 plt 001) Tukey HSD 사후분석을 실시한 결과 집단간의 차이는 CA 일치집단이 각

각 SLI 아동집단과 LA 일치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인 것에 의해 비롯되었다 즉 CA 일

치집단이 SLI 아동집단과 LA 일치집단에 비해 오반응을 유의하게 게 산출하 다 반면

SLI 아동집단과 LA 일치집단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낱말유형에 따른 주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낱말유형과 집단간에는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F = 639 plt 01) 즉 SLI 아동집단과 CA 일치집단은 모두 명사에 비해 동

언어청각장애연구

8

lt표 - 2gt 세 아동 집단의 오반응빈도의 평균 표 편차

SLI (N = 20) LA일치(N= 20) CA일치(N= 20)

M SD M SD M SD

명사

이해

가능1

의미

음운

시각

기 타

325

115

300

335

215

131

172

237

490

100

370

250

234

79

232

252

290

105

245

105

283

105

132

150

총 1075 445 1210 449 745 440

이해

불가능2

의미

음운

시각

기 타

75

15

165

145

137

67

283

139

70

15

170

80

92

49

272

140

35

05

40

25

75

22

82

72

총 400 246 335 242 105 177

체3

의미

음운

시각

기 타

400

130

465

480

352

198

455

376

560

115

540

330

234

79

232

252

325

110

285

130

358

127

214

222

총 1475 690 1545 606 850 617

동사

이해

가능

의미

음운

시각

기 타

475

30

375

385

162

57

240

276

415

15

315

215

206

37

127

131

390

25

210

190

222

44

174

91

총 1265 412 960 226 815 312

이해

불가능

의미

음운

시각

기 타

140

00

85

140

105

00

81

176

100

00

125

55

152

00

148

89

90

00

30

45

112

00

57

69

총 365 202 280 280 165 153

의미

음운

시각

기 타

615

30

460

525

137

67

283

139

515

15

485

270

92

49

272

140

480

25

240

235

75

22

82

72

총 1630 501 1240 375 980 368

SLI SLI 아동집단 LA일치 SLI 아동과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집단 CA일치 SLI 아동과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집단 1이해가능 이름 기검사에서는 오반응을 보 으나 이해검사에서는 정반응을 보인 문항 빈도

2이해불가능

이름 기검사와 이해검사에서 모두 오반응을 보인 문항 빈도 3 체 이해여부와 계없이 이름 기검사에서 오반응을 보인 체 문항 빈도(이해가능 +이해불가능)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낱말산출 능력

9

lt표 - 3gt 이름 기검사에서의 오반응 빈도의 변량분석 결과

분산원 SS df MS F

집단 11067 2 5533 1088

오차(집단) 28978 57 508

낱말유형 938E-03 1 938E-03 01

이해여부 81218 1 81218 29570

오류유형 57214 3 19071 6853

낱말유형times집단 1693 2 847 639

낱말유형times이해여부 5104E-02 1 5104E-02 02

이해여부times집단 620 2 310 310

오류유형times집단 7627 6 1271 457

오류유형times낱말유형 3576 3 1192 612

오류유형times이해여부 19753 3 6584 2971

낱말유형times오류유형times집단 1091 6 182 93

낱말유형times이해여부times집단 1077 2 538 220

오류유형times이해여부times집단 1481 6 247 111

낱말유형times오류유형times이해여부 1254 3 418 206

낱말유형times오류유형times이해여부times집단 1091 6 182 90

오차(낱말유형) 7550 57 133

오차(오류유형) 47590 171 278

오차(이해여부) 15656 57 275

오차(낱말유형times오류유형) 33314 171 195

오차(낱말유형times이해여부) 13962 57 245

오차(오류유형times이해여부) 37898 171 222

오차(낱말유형times오류유형times이해여부) 34737 171 203

plt 05 plt 01 p lt 001

사에서 오반응 빈도를 많이 산출한 반면 LA 일치집단은 동사에 비해 명사에서 오반응을 더

많이 산출하 다(lt그림 - 1gt 참조)

이해여부에 따른 주효과도 찰되었다(F = 29570 p lt 001) lt그림 - 2gt에서 볼 수 있

듯이 세 아동집단 모두 이름 기검사에서 오반응을 보 으나 이해는 가능하 던 문항빈도가

이름 기와 이해검사 모두에서 오반응을 보인 문항빈도에 비해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

해여부와 집단 그리고 이해여부와 낱말유형 간에는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가 찰되지 않았

다 그러나 이해여부와 집단 간에는 통계 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으나 SLI 아동집단이 다른

언어청각장애연구

10

두 일반아동집단에 비해 이해는 하면서 이름 기에만 오류를 보인 문항의 빈도가 높은 것으

로 나타났다

0

2

4

6

8

10

12

14

16

18

명사 동사 명사 동사 명사 동사

전체오류 이해가능 이해불가능

오반응빈도

SLI

LA일치

CA일치

0

5

10

15

20

25

이해가능 이해불가능

오반응빈도

SLI

LA일치

CA일치

lt그림 - 1gt 낱말유형에 따른 오반응 빈도 lt그림 - 2gt 이해여부에 따른 오반응 빈도

2 집단 낱말유형 이해여부에 따른 오류유형 분석 결과

오류유형에 따른 주효과도 찰되었다(F = 6853 plt 001) 세 집단의 아동들은 모두

의미 오류와 시각 오류를 많이 산출한 반면 음운 오류는 거의 산출하지 않았다 상호

작용 효과는 오류유형과 집단(F = 457 plt 01) 오류유형과 낱말유형(F = 612 p lt 01) 그

리고 오류유형과 이해여부(F = 2971 plt 001) 사이에서 나타났다

먼 오류유형과 집단의 상호작용효과는 세 집단 아동들이 산출한 오류유형에 차이를

보임을 의미한다 lt그림 - 3gt을 보면 SLI 아동집단이 두 일반아동집단에 비하여 기타 유형

을 다른 오류유형에 비해 상 으로 많이 산출하 다 그러나 의미 음운 그리고 시각

오류는 세 아동집단에서 유사한 경향으로 산출하 다

오류유형은 낱말유형과도 상호작용효과를 나타냈다 lt그림 - 4gt를 보면 동사산출 시

명사에 의미 오류와 기타오류를 많이 산출한 반면 음운과 시각 오류는 게 산출하 다

집단별로 낱말유형에 따른 오류유형 산출 결과를 보면 LA 일치집단은 명사와 동사에서 유

사한 오류패턴을 보인 반면 SLI 아동집단과 CA 일치집단은 명사에 비해 동사에서 의미 오

류와 기타오류를 더 많이 산출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오류유형은 이해여부와도 상호작용효과를 나타내었다 lt그림 - 5gt를 보면 세 아동 집

단은 모두 이해는 하면서 이름 기에만 오류를 보인 경우와 이름 기는 물론 이해에서도 오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낱말산출 능력

11

0

2

4

6

8

10

12

의미적 음운적 시각적 기타

오반응빈도

SLI

LA일치

CA일치

0

1

2

3

4

5

6

7

의미적

음운적

시각적

기타

의미적

음운적

시각적

기타

명사 동사

오반응빈도

SLI

LA일치

CA일치

lt그림 - 3gt 집단별 체 오류유형 산출결과

0

2

4

6

8

10

12

14

16

18

의미적 음운적 시각적 기타

오반응빈도

명사

동사

0

1

2

3

4

5

6

7의미적

음운적

시각적

기타

의미적

음운적

시각적

기타

의미적

음운적

시각적

기타

SLI LA일치 CA일치

오반응빈도

명사

동사

lt그림 - 4gt 낱말유형별 체 오류유형 산출결과

0

1

2

3

4

5

6

7

8

9

10

의미적

음운적

시각적

기타

의미적

음운적

시각적

기타

의미적

음운적

시각적

기타

SLI LA일치 CA일치

오반응빈도

이해가능

이해불가능

lt그림 - 5gt 이해여부에 따른 세 아동 집단의 오류유형

반응을 보인 경우 오류패턴은 유사하게 나타냈다 그러나 이해와 이름 기검사 모두 오반응

을 보인 경우보다 이름 기에서만 오반응을 보이고 이해는 가능하 던 경우에 의미 오류

언어청각장애연구

12

를 월등하게 많이 산출하 다 반면 이해여부와 집단 사이와 이해여부와 낱말유형 사이에서

는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가 찰되지 않았으며 아동집단 간에도 이해여부에 따른 오류유형

은 유의한 차이가 찰되지 않았다

V 논 의

본 연구는 이름 기검사를 사용하 을 때에도 자발화에서의 낱말산출 연구결과와 마찬

가지로 SLI 아동들이 명사에 비해 동사산출에 어려움을 보이는 지를 살펴보고 낱말산출 능

력이 낱말의 이해여부에 따라서는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 지 한 낱말유형(명사와 동사) 간

에 산출된 오류유형에서는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 지를 살펴보는 것을 목 으로 하 다 따라

서 명사와 동사에서의 낱말산출능력 낱말산출과 낱말이해와의 계 그리고 오류유형 결과

를 심으로 논의를 진행하 다

먼 낱말산출에서의 오반응빈도 분석 결과를 보면 SLI 아동 집단은 CA 일치집단에

비해 낱말산출능력이 뒤떨어진 것으로 나타났으나 LA 일치집단과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

지 않았다 그러나 SLI 아동집단과 CA 일치집단은 모두 명사에 비해 동사에서 오반응 빈도를

많이 산출한 반면 LA 일치집단은 동사에 비해 명사에서 오반응을 더 많이 산출하 다 이러

한 결과는 SLI 아동집단이 명사에 비해 동사산출에서 더 어려움을 보인다는 선행연구의 결과

와 유사한 것이며 이들의 낱말산출에서의 차이가 단순히 지체가 아닐 수 있음을 시사한다

SLI 아동들이 이처럼 명사에 비해 동사에서 더 오류를 많이 보인 것은 Rice amp Bode

(1993)가 설명한 것처럼 동사가 의미 인 지식뿐 아니라 명사보다 발화에서 문법 기능을

더 많이 담당하기 때문일 수도 있으며 는 동사가 명사에 비해 상 으로 지시하는 상

이 분명하지 않기 때문일 수도 있다(Hoff-Ginsberg 2001) 본 연구에서는 그림자료를 사용

하여 동사산출을 유도하 으므로 아동들의 동사산출능력이 구문산출능력이나 문맥에 의해

상 으로 향을 게 받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SLI 아동들이 명사에 비해 동사산출에

더 많은 오반응을 산출하 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동사가 문법 기능을 더 많이 담당하기

때문만이 아니라 SLI 아동들이 동사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더 많이 어려움을 갖기 때문으로

해석해 볼 수 있겠다

이해여부에 따른 낱말산출능력 분석 결과는 세 아동집단 모두 이해는 가능하나 이름

기에서만 오류를 보인 문항의 빈도가 이름 기와 이해 모두에서 오류를 보인 문항의 빈도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낱말산출 능력

13

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정상 인 언어발달에서 체로 낱말이해가 산출에

선행된다는 선행연구들을 통해서 설명해 볼 수 있을 것이다(Meynuk 1997) 반면 집단과 이

해여부에 따른 상호작용효과는 나타나지 않으나 SLI 아동들이 다른 두 일반아동집단에 비하

여 이해는 가능하나 이름 기에서만 오류를 보인 문항의 빈도를 높게 산출하 다(lt그림 -

2gt 참조) 이러한 결과는 SLI 아동들의 낱말산출의 문제가 낱말을 인식하는 수 이 아니라

낱말을 인출하는 과정의 문제일 수도 있음을 시사한다(이윤경김 태 2002 Menyuk

1997) 즉 낱말에 한 지식을 의미기억 속에 가지고는 있으나 이를 필요한 경우 효율 으로

잘 인출해내지 못하는 것일 수 있다

오류유형분석 결과는 SLI 아동들이 두 일반아동집단과 마찬가지로 의미 오류를 다른

오류유형에 비해 월등하게 많이 산출하 다는 에서 선행연구(Fried-Oken 1984 McGregor

1997)와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SLI 아동은 물론 일반아동들도 낱말을 정확하

게 산출하지 못할 때 목표낱말과 련된 의미 정보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 다 반

면 SLI 아동집단은 두 일반아동집단에 비하여 기타오류를 유의하게 많이 산출하 는데 이는

주로 SLI 아동들이 lsquoDK(모르겠다)rsquo 반응을 많이 산출한 것과 련된다 이처럼 SLI 아동들이

lsquoDKrsquo 반응을 많이 보인 것은 이 아동들이 목표낱말에 한 일부 지식은 지니고 있으나 낱말

을 산출할 수 있을 정도로 정확한 지식은 지니고 있지 못하 기 때문일 수도 있으며

(McGregor 1997) 낱말이 쉽게 생각나지 않기 때문에 낱말산출을 쉽게 포기하 기 때문일

수도 있다(이윤경김 태 2002)

오류유형은 낱말유형에 따라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 다 lt그림 - 3gt을 보면 LA 일치

집단은 명사와 동사에서 유사한 오류패턴을 보인 반면 SLI 아동집단과 CA 일치집단은 명사

에 비해 동사에서 의미 오류와 기타 오류를 더 많이 산출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명사에

비해 동사검사에서는 의미 으로 에둘러 표 하기와 DK 반응이 많았는데 이는 아동들이 동

사를 산출할 때 정확한 목표낱말로 표 하기 보다는 그림에서 묘사된 상황을 설명하는 경우

가 많았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는 SLI 아동들이 동사 산출에서 오류를 보이는 것이 명사보다

발화에서 문법 기능을 더 많이 담당하기 때문일 수도 있다는 Rice amp Bode (1993)의 설명

보다는 동사가 명사에 비해 상 으로 지시하는 상이 분명하지 않기 때문일 수도 있다는

Hoff-Ginsberg (2001)의 설명이 더 타당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오류유형은 이해여부와도 상호작용효과를 나타냈다 lt그림 - 5gt을 보면 세 아동 집단

은 모두 이해는 하면서 이름 기에만 오류를 보인 경우와 이름 기는 물론 이해에서도 오반

응을 보인 경우의 오류패턴은 유사하게 나타내었으나 이해와 이름 기에서 모두 오반응을

보인 경우보다 이해는 가능한 경우에 의미 오류를 월등하게 많이 산출하 다 이러한 결과

언어청각장애연구

14

는 McGregor (1997)가 설명하 듯이 SLI 아동은 물론 일반아동들도 낱말을 정확하게 산출

하지 못하는 경우 주로 낱말의 의미 속성에 의존하여 목표낱말을 치하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 다 그러나 언어처리과정 에서 보았을 때 이러한 결과는 SLI 아동은 물론 일반

아동들도 낱말산출에서의 오류가 낱말처리 과정 의미 처리과정에서의 문제 때문에 발

생한 것일 수도 있음을 보여 다 즉 유사한 의미 속성을 가진 낱말들 에서 목표낱말을

정확하게 선택하지 못하 기 때문일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설명 에서 어느 것이 더

한가는 추후 연구를 통해 설명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본 연구의 결과는 선행연구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SLI 아동

들이 CA 일치 아동들과 비교해서는 물론 LA 일치 아동들에 비해서도 낱말산출에서 어려움

을 보 으며 명사에 비해 동사에서 더 어려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이 아

동들이 동사 산출에 어려움을 갖는 것이 단순히 지체가 아니라 일탈된 특성일 수 있음을 제

시해 다 한 SLI 아동들은 오류유형에서도 두 일반아동 집단에 비해 lsquoDKrsquo 반응을 월등히

많이 산출하 으며 명사에 비해 동사에서 특히 많이 산출하 는데 이는 아동들이 목표낱말

을 의미기억 속에 정확하게 표상하고 있지 못하 기 때문일 수도 있으며 혹은 의미기억 속

에 장된 낱말을 빨리 효율 으로 인출하지 못해서 쉽게 lsquo모르겠다rsquo라고 반응한 것일 수도

있다고 설명할 수 있다 이처럼 낱말의 유형에 따라 반응의 정확성이나 오류유형에 차이가

나타나는 것이 낱말을 처리하는 과정에서의 문제로 인한 것인지 혹은 문법규칙을 습득하는

데에 있어서 특정 으로 결함을 갖기 때문인지는 추후 더 심도깊게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참 고 문 헌

김 태성태제이윤경(2003) 985172취학 아동의 수용언어 표 언어 발달척도(PRES)985173 서울 서울장

애인종합복지

김 태장혜성임선숙백 정(1995) 985172그림어휘력검사985173 서울 서울장애인종합복지

박혜원곽 주박 배(1997) 985172K-WPPSI 검사요강985173 서울 도서출 특수교육

성태제(2001) Bayesian 통계방법에 의한 검사분석 로그램 wwwevercationcom

이상 정세화이은화이정환(1972) 3 4 5세 아동의 회화에 나타난 어휘 조사 985172한국문화연구원

논총985173 11 337-427이연섭권경안정인실(1980) 985172한국아동의 어휘발달 연구(Ⅰ)985173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이윤경김 태(2002)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낱말찾기 특성 985172언어청각장애연구985173 7(1) 65-80이응백 (1989) 985172국민학교 학습용 기본어휘 연구985173 서울 한교과서주식회사

Conti-Ramsden G amp Jones M (1997) Verb use in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Journal of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낱말산출 능력

15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40 1298-1313

Fried-Oken M (1984) The development of naming skills in normal and language deficient childr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Boston University

German D J (2000) Test of Word Finding (manual) Austin TX Pro-Ed

Hoff-Ginsberg E (2001) Language development (2nd ed) Florence KY Wadsworth

Lahey M amp Edwards J (1999) Naming errors of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42 195-205

Leonard L B Nippold M A Kail R amp Hale C (1983) Picture naming in language-impaired

children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26 609-615

Leonard L B (1998) The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Cambridge MA The MIT

Press

McGregor K K amp Windsor J (1996) Effects of priming on the naming accuracy of preschoolers

with word-finding deficit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39 1048-1058

McGregor K K (1997) The nature of word-finding errors of preschoolers with and without

word-finding deficits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40 1232-

1244

Menyuk P (1997) Naming disorders in children In H Goodglass amp A Wingfield (Eds) Anomia

Neuroanatomical and cognitive correlates San Diego Academic Press

Rescola L amp Schwartz E (1990) Outcome of specific expressive language delay Applied

Psycholinguistics 11 393-407

Rice M L amp Bode J V (1993) GAPS in the verb lexicons of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First Language 13 113-131

Stark R amp Tallal P (1981) Selection of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deficit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46 114-122

Stokes S F amp Fletcher P (2000) Lexical diversity and productivity in Cantonese-speaking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35(4) 527-541

Watkins R V Kelly D V Harbers H M amp Hollis W (1995) Measuring childrenrsquos lexical

diversity Differentiating typical and impaired language learner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38 1349-1355

언어청각장애연구

16

lt부록 - 1gt 명사 이름 기검사 낱말목록

번호 목표낱말 번호 목표낱말 번호 목표낱말 번호 목표낱말

1

2

3

4

5

6

7

8

9

열쇠

그네

망치

유모차

호루라기

도장

사다리

허수아비

기타

10

11

12

13

14

15

16

17

18

주사

목도리

달력

지도

신문

채소

19

20

21

22

23

24

25

26

27

낙하산

분수

필통

화분

우표

온도계

주유소

28

29

30

31

32

33

34

35

장화

국자

수염

바구니

시소

실로폰

옷걸이

지팡이

lt부록 - 2gt 동사 이름 기검사 낱말목록

번호 목표낱말 번호 목표낱말 번호 목표낱말 번호 목표낱말

1

2

3

4

5

6

7

8

9

울다

감다

불다

그리다

맡다

날다

지우다

따다

10

11

12

13

14

15

16

17

18

빗다

따르다

들다

묶다

건 다

뱉다

칠하다

마시다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닫다

웃다

짜다

개다

차다

부수다

묻다

꺾다

28

29

30

31

32

33

34

35

던지다

뽑다

넘다

당기다

붙이다

찢다

쓸다

자르다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낱말산출 능력

17

lt부록 - 3gt 명사 오류분석 기

구분 정의

의미

상 개념어(superordinate)

목표어를 포함하는 상 범주어로 치하는 경우 양 채소

등어(coordinate)

동일한 수 의 다른 낱말이나 동일의미범주의 낱말로 치하는 경우

그네미끄럼틀

하 개념어(subordinate)

목표어를 나타내는 하 범주어로 치하는 경우 가구책상

기능(functional)

목표어의 기능 속성을 나타내는 낱말로 치하는 경우 달력날짜

장소(locative)

목표어와 련된 장소를 나타내는 낱말로 치하는 경우 그네놀이터

구성요소(compositional)

목표어를 구성하는 낱말로 치하는 경우 주사기바늘

연합(association)

목표어와 같이 사용되는 낱말이나 개념으로 치하는 경우 낙하산비행기

의미 에두르기(circumlocution)

목표어의 의미 특성을 여러 낱말로 설명하거나 묘사하는 경우

국자국 떠주는 것

음운

음소 치(p-substitution)

목표어를 구성하는 음소를 다른 유사 음소로 치분수푼수기타치타

음소첨가(p-addition)

목표어에 다른 음소를 첨가 그네근네

음소생략(p-omission)

목표어에 포함된 음소나 음 을 생략하는 경우 우표표

음운유사낱말 치 (malapropisms)

음소 으로 유사한 다른 실제 낱말로 치 주사 주사기

음소( )반복(p-repetition)

목표어의 첫 번째 음소( 는 음 )를 반복하는 경우 그네그 그네

시각

시각 치(v-substitution)

시각 으로 유사한 낱말로 치 우표그림

시각 부분 치(whole-part)

목표어를 묘사한 그림의 일부분을 지칭하는 낱말로 치분수물 화장 거울

시각 에두르기목표어의 시각 특성을 여러 낱말로 설명하거나 묘사하는 경우

꼬리동그라미 에 뭐 달려있어

기타

DK(Donrsquot Know) lsquo모른다rsquo고 응답하는 경우

NR (No Response)

그림을 제시한 후 8 가 경과될 때까지 반응을 보이지 않는 경우

보속반응(perseveration)

이 문항에서의 반응을 되풀이

무 련 반응 목표어와 련되지 않은 낱말로 반응하는 경우

언어청각장애연구

18

lt부록 - 4gt 동사 오류분석 기

구분 정의

상 동사 목표동사의 상 행동을 묘사하는 동사로 치하는 경우 감다목욕하다

등어 동일행동을 묘사하거나 반 행동을 묘사하는 동사로 경우꺾다따다

열다닫다

하 동사 목표동사의 하 행동을 묘사하는 동사로 치하는 경우 묻다 다

연합목표동사와 같이 사용되는 낱말이나 행동어로 치하는 경

짜다그리다

다공사

의미 에두르기목표동사의 의미 특성을 여러 낱말로 설명하거나 묘사하

는 경우

뱉다물고 있던거

버려요

음소 치 목표동사를 구성하는 음소를 다른 유사 음소로 치맡다맡쳐요

부수다부긴다

음소첨가 목표동사에 다른 음소를 첨가 닫다닫은다

음소생략 목표동사에 포함된 음소나 음 을 생략하는 경우 따르다따요

음운유사낱말 치 음소 으로 유사한 다른 실제 동사로 치 빗다벗다

음소반복 목표동사의 첫 번째 음소( 는 음 )을 반복하는 경우 먹다머 먹다

시각 치 목표동사의 행동과 시각 으로 유사한 동사 치 뽑다당기다

시각 부분 치목표동사를 묘사한 그림의 일부분을 지칭하거나 묘사하는

낱말로 치묻다병아리

시각 에두르기목표동사의 행동 특성을 여러 낱말로 설명하거나 묘사하는

경우

부수다망치

때려

동사 사용 목표동사를 동사(lsquo명사+하다rsquo)의 형식으로 표 하는 경우 던지다공 해요

DK

(Dontrsquot Know)lsquo모른다rsquo고 응답하는 경우

NR

(No Response)

그림을 제시한 후 8 가 경과될 때까지 반응을 보이지 않

는 경우

보속반응 이 문항에서의 반응을 되풀이

무 련 반응 목표동사와 련되지 않는 낱말로 반응하는 경우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낱말산출 능력

19

게재 신청일 2003년 1월 24일게재 확정일 2003년 2월 23일

이윤경 (제 1 자) 용인 학교 재활보건과학 학원 언어치료학과 겸임교수 e-mail lyoonkyounghanmailnet김 태 (공동 자) 이화여자 학교 특수교육학 언어병리학과 교수 e-mail youngtaeewhaackr

ABSTRACT

Word (Noun and Verb) Production in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Yoonkyoung Lee(Dept of Speech and Languge Pathology Yongin University)

Young Tae Kim(Dept of Special Education amp

Interdiciplinary Program of Communication Disorders

Ewha Womans University)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word (noun and

verb) productions of children with SLI Sixty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1) 20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SLI group) whose language age were 46 - 66

(2) 20 normal children chronological-age matched with the SLI children (CA controls) and

(3) 20 normal children matched on a composite index of language age with the SLI children

(LA controls) Picture naming and word recognition tests were used and frequencies and

types of errors were analyse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s follows (1) the SLI

group demonstrated significantly higher frequency of errors in verb production than that

of nouns but LA controls produced more errors in nouns than those of verbs (2) the SLI

group produced unrelated errors more than others compared with normal controls Bu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error types produced in both noun and verb tests (3) the SLI group

demonstrated higher frequency of misnaming but recognized items in noun and verb

productions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SLI group and each of

the two normal control groups Thes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e findings of earlier

studies with regard to the restricted verb productions of the children with SLI

Key Words specific language impairment(SLI) word production naming test error pattern

언어청각장애연구

8

lt표 - 2gt 세 아동 집단의 오반응빈도의 평균 표 편차

SLI (N = 20) LA일치(N= 20) CA일치(N= 20)

M SD M SD M SD

명사

이해

가능1

의미

음운

시각

기 타

325

115

300

335

215

131

172

237

490

100

370

250

234

79

232

252

290

105

245

105

283

105

132

150

총 1075 445 1210 449 745 440

이해

불가능2

의미

음운

시각

기 타

75

15

165

145

137

67

283

139

70

15

170

80

92

49

272

140

35

05

40

25

75

22

82

72

총 400 246 335 242 105 177

체3

의미

음운

시각

기 타

400

130

465

480

352

198

455

376

560

115

540

330

234

79

232

252

325

110

285

130

358

127

214

222

총 1475 690 1545 606 850 617

동사

이해

가능

의미

음운

시각

기 타

475

30

375

385

162

57

240

276

415

15

315

215

206

37

127

131

390

25

210

190

222

44

174

91

총 1265 412 960 226 815 312

이해

불가능

의미

음운

시각

기 타

140

00

85

140

105

00

81

176

100

00

125

55

152

00

148

89

90

00

30

45

112

00

57

69

총 365 202 280 280 165 153

의미

음운

시각

기 타

615

30

460

525

137

67

283

139

515

15

485

270

92

49

272

140

480

25

240

235

75

22

82

72

총 1630 501 1240 375 980 368

SLI SLI 아동집단 LA일치 SLI 아동과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집단 CA일치 SLI 아동과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집단 1이해가능 이름 기검사에서는 오반응을 보 으나 이해검사에서는 정반응을 보인 문항 빈도

2이해불가능

이름 기검사와 이해검사에서 모두 오반응을 보인 문항 빈도 3 체 이해여부와 계없이 이름 기검사에서 오반응을 보인 체 문항 빈도(이해가능 +이해불가능)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낱말산출 능력

9

lt표 - 3gt 이름 기검사에서의 오반응 빈도의 변량분석 결과

분산원 SS df MS F

집단 11067 2 5533 1088

오차(집단) 28978 57 508

낱말유형 938E-03 1 938E-03 01

이해여부 81218 1 81218 29570

오류유형 57214 3 19071 6853

낱말유형times집단 1693 2 847 639

낱말유형times이해여부 5104E-02 1 5104E-02 02

이해여부times집단 620 2 310 310

오류유형times집단 7627 6 1271 457

오류유형times낱말유형 3576 3 1192 612

오류유형times이해여부 19753 3 6584 2971

낱말유형times오류유형times집단 1091 6 182 93

낱말유형times이해여부times집단 1077 2 538 220

오류유형times이해여부times집단 1481 6 247 111

낱말유형times오류유형times이해여부 1254 3 418 206

낱말유형times오류유형times이해여부times집단 1091 6 182 90

오차(낱말유형) 7550 57 133

오차(오류유형) 47590 171 278

오차(이해여부) 15656 57 275

오차(낱말유형times오류유형) 33314 171 195

오차(낱말유형times이해여부) 13962 57 245

오차(오류유형times이해여부) 37898 171 222

오차(낱말유형times오류유형times이해여부) 34737 171 203

plt 05 plt 01 p lt 001

사에서 오반응 빈도를 많이 산출한 반면 LA 일치집단은 동사에 비해 명사에서 오반응을 더

많이 산출하 다(lt그림 - 1gt 참조)

이해여부에 따른 주효과도 찰되었다(F = 29570 p lt 001) lt그림 - 2gt에서 볼 수 있

듯이 세 아동집단 모두 이름 기검사에서 오반응을 보 으나 이해는 가능하 던 문항빈도가

이름 기와 이해검사 모두에서 오반응을 보인 문항빈도에 비해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

해여부와 집단 그리고 이해여부와 낱말유형 간에는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가 찰되지 않았

다 그러나 이해여부와 집단 간에는 통계 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으나 SLI 아동집단이 다른

언어청각장애연구

10

두 일반아동집단에 비해 이해는 하면서 이름 기에만 오류를 보인 문항의 빈도가 높은 것으

로 나타났다

0

2

4

6

8

10

12

14

16

18

명사 동사 명사 동사 명사 동사

전체오류 이해가능 이해불가능

오반응빈도

SLI

LA일치

CA일치

0

5

10

15

20

25

이해가능 이해불가능

오반응빈도

SLI

LA일치

CA일치

lt그림 - 1gt 낱말유형에 따른 오반응 빈도 lt그림 - 2gt 이해여부에 따른 오반응 빈도

2 집단 낱말유형 이해여부에 따른 오류유형 분석 결과

오류유형에 따른 주효과도 찰되었다(F = 6853 plt 001) 세 집단의 아동들은 모두

의미 오류와 시각 오류를 많이 산출한 반면 음운 오류는 거의 산출하지 않았다 상호

작용 효과는 오류유형과 집단(F = 457 plt 01) 오류유형과 낱말유형(F = 612 p lt 01) 그

리고 오류유형과 이해여부(F = 2971 plt 001) 사이에서 나타났다

먼 오류유형과 집단의 상호작용효과는 세 집단 아동들이 산출한 오류유형에 차이를

보임을 의미한다 lt그림 - 3gt을 보면 SLI 아동집단이 두 일반아동집단에 비하여 기타 유형

을 다른 오류유형에 비해 상 으로 많이 산출하 다 그러나 의미 음운 그리고 시각

오류는 세 아동집단에서 유사한 경향으로 산출하 다

오류유형은 낱말유형과도 상호작용효과를 나타냈다 lt그림 - 4gt를 보면 동사산출 시

명사에 의미 오류와 기타오류를 많이 산출한 반면 음운과 시각 오류는 게 산출하 다

집단별로 낱말유형에 따른 오류유형 산출 결과를 보면 LA 일치집단은 명사와 동사에서 유

사한 오류패턴을 보인 반면 SLI 아동집단과 CA 일치집단은 명사에 비해 동사에서 의미 오

류와 기타오류를 더 많이 산출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오류유형은 이해여부와도 상호작용효과를 나타내었다 lt그림 - 5gt를 보면 세 아동 집

단은 모두 이해는 하면서 이름 기에만 오류를 보인 경우와 이름 기는 물론 이해에서도 오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낱말산출 능력

11

0

2

4

6

8

10

12

의미적 음운적 시각적 기타

오반응빈도

SLI

LA일치

CA일치

0

1

2

3

4

5

6

7

의미적

음운적

시각적

기타

의미적

음운적

시각적

기타

명사 동사

오반응빈도

SLI

LA일치

CA일치

lt그림 - 3gt 집단별 체 오류유형 산출결과

0

2

4

6

8

10

12

14

16

18

의미적 음운적 시각적 기타

오반응빈도

명사

동사

0

1

2

3

4

5

6

7의미적

음운적

시각적

기타

의미적

음운적

시각적

기타

의미적

음운적

시각적

기타

SLI LA일치 CA일치

오반응빈도

명사

동사

lt그림 - 4gt 낱말유형별 체 오류유형 산출결과

0

1

2

3

4

5

6

7

8

9

10

의미적

음운적

시각적

기타

의미적

음운적

시각적

기타

의미적

음운적

시각적

기타

SLI LA일치 CA일치

오반응빈도

이해가능

이해불가능

lt그림 - 5gt 이해여부에 따른 세 아동 집단의 오류유형

반응을 보인 경우 오류패턴은 유사하게 나타냈다 그러나 이해와 이름 기검사 모두 오반응

을 보인 경우보다 이름 기에서만 오반응을 보이고 이해는 가능하 던 경우에 의미 오류

언어청각장애연구

12

를 월등하게 많이 산출하 다 반면 이해여부와 집단 사이와 이해여부와 낱말유형 사이에서

는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가 찰되지 않았으며 아동집단 간에도 이해여부에 따른 오류유형

은 유의한 차이가 찰되지 않았다

V 논 의

본 연구는 이름 기검사를 사용하 을 때에도 자발화에서의 낱말산출 연구결과와 마찬

가지로 SLI 아동들이 명사에 비해 동사산출에 어려움을 보이는 지를 살펴보고 낱말산출 능

력이 낱말의 이해여부에 따라서는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 지 한 낱말유형(명사와 동사) 간

에 산출된 오류유형에서는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 지를 살펴보는 것을 목 으로 하 다 따라

서 명사와 동사에서의 낱말산출능력 낱말산출과 낱말이해와의 계 그리고 오류유형 결과

를 심으로 논의를 진행하 다

먼 낱말산출에서의 오반응빈도 분석 결과를 보면 SLI 아동 집단은 CA 일치집단에

비해 낱말산출능력이 뒤떨어진 것으로 나타났으나 LA 일치집단과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

지 않았다 그러나 SLI 아동집단과 CA 일치집단은 모두 명사에 비해 동사에서 오반응 빈도를

많이 산출한 반면 LA 일치집단은 동사에 비해 명사에서 오반응을 더 많이 산출하 다 이러

한 결과는 SLI 아동집단이 명사에 비해 동사산출에서 더 어려움을 보인다는 선행연구의 결과

와 유사한 것이며 이들의 낱말산출에서의 차이가 단순히 지체가 아닐 수 있음을 시사한다

SLI 아동들이 이처럼 명사에 비해 동사에서 더 오류를 많이 보인 것은 Rice amp Bode

(1993)가 설명한 것처럼 동사가 의미 인 지식뿐 아니라 명사보다 발화에서 문법 기능을

더 많이 담당하기 때문일 수도 있으며 는 동사가 명사에 비해 상 으로 지시하는 상

이 분명하지 않기 때문일 수도 있다(Hoff-Ginsberg 2001) 본 연구에서는 그림자료를 사용

하여 동사산출을 유도하 으므로 아동들의 동사산출능력이 구문산출능력이나 문맥에 의해

상 으로 향을 게 받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SLI 아동들이 명사에 비해 동사산출에

더 많은 오반응을 산출하 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동사가 문법 기능을 더 많이 담당하기

때문만이 아니라 SLI 아동들이 동사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더 많이 어려움을 갖기 때문으로

해석해 볼 수 있겠다

이해여부에 따른 낱말산출능력 분석 결과는 세 아동집단 모두 이해는 가능하나 이름

기에서만 오류를 보인 문항의 빈도가 이름 기와 이해 모두에서 오류를 보인 문항의 빈도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낱말산출 능력

13

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정상 인 언어발달에서 체로 낱말이해가 산출에

선행된다는 선행연구들을 통해서 설명해 볼 수 있을 것이다(Meynuk 1997) 반면 집단과 이

해여부에 따른 상호작용효과는 나타나지 않으나 SLI 아동들이 다른 두 일반아동집단에 비하

여 이해는 가능하나 이름 기에서만 오류를 보인 문항의 빈도를 높게 산출하 다(lt그림 -

2gt 참조) 이러한 결과는 SLI 아동들의 낱말산출의 문제가 낱말을 인식하는 수 이 아니라

낱말을 인출하는 과정의 문제일 수도 있음을 시사한다(이윤경김 태 2002 Menyuk

1997) 즉 낱말에 한 지식을 의미기억 속에 가지고는 있으나 이를 필요한 경우 효율 으로

잘 인출해내지 못하는 것일 수 있다

오류유형분석 결과는 SLI 아동들이 두 일반아동집단과 마찬가지로 의미 오류를 다른

오류유형에 비해 월등하게 많이 산출하 다는 에서 선행연구(Fried-Oken 1984 McGregor

1997)와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SLI 아동은 물론 일반아동들도 낱말을 정확하

게 산출하지 못할 때 목표낱말과 련된 의미 정보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 다 반

면 SLI 아동집단은 두 일반아동집단에 비하여 기타오류를 유의하게 많이 산출하 는데 이는

주로 SLI 아동들이 lsquoDK(모르겠다)rsquo 반응을 많이 산출한 것과 련된다 이처럼 SLI 아동들이

lsquoDKrsquo 반응을 많이 보인 것은 이 아동들이 목표낱말에 한 일부 지식은 지니고 있으나 낱말

을 산출할 수 있을 정도로 정확한 지식은 지니고 있지 못하 기 때문일 수도 있으며

(McGregor 1997) 낱말이 쉽게 생각나지 않기 때문에 낱말산출을 쉽게 포기하 기 때문일

수도 있다(이윤경김 태 2002)

오류유형은 낱말유형에 따라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 다 lt그림 - 3gt을 보면 LA 일치

집단은 명사와 동사에서 유사한 오류패턴을 보인 반면 SLI 아동집단과 CA 일치집단은 명사

에 비해 동사에서 의미 오류와 기타 오류를 더 많이 산출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명사에

비해 동사검사에서는 의미 으로 에둘러 표 하기와 DK 반응이 많았는데 이는 아동들이 동

사를 산출할 때 정확한 목표낱말로 표 하기 보다는 그림에서 묘사된 상황을 설명하는 경우

가 많았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는 SLI 아동들이 동사 산출에서 오류를 보이는 것이 명사보다

발화에서 문법 기능을 더 많이 담당하기 때문일 수도 있다는 Rice amp Bode (1993)의 설명

보다는 동사가 명사에 비해 상 으로 지시하는 상이 분명하지 않기 때문일 수도 있다는

Hoff-Ginsberg (2001)의 설명이 더 타당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오류유형은 이해여부와도 상호작용효과를 나타냈다 lt그림 - 5gt을 보면 세 아동 집단

은 모두 이해는 하면서 이름 기에만 오류를 보인 경우와 이름 기는 물론 이해에서도 오반

응을 보인 경우의 오류패턴은 유사하게 나타내었으나 이해와 이름 기에서 모두 오반응을

보인 경우보다 이해는 가능한 경우에 의미 오류를 월등하게 많이 산출하 다 이러한 결과

언어청각장애연구

14

는 McGregor (1997)가 설명하 듯이 SLI 아동은 물론 일반아동들도 낱말을 정확하게 산출

하지 못하는 경우 주로 낱말의 의미 속성에 의존하여 목표낱말을 치하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 다 그러나 언어처리과정 에서 보았을 때 이러한 결과는 SLI 아동은 물론 일반

아동들도 낱말산출에서의 오류가 낱말처리 과정 의미 처리과정에서의 문제 때문에 발

생한 것일 수도 있음을 보여 다 즉 유사한 의미 속성을 가진 낱말들 에서 목표낱말을

정확하게 선택하지 못하 기 때문일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설명 에서 어느 것이 더

한가는 추후 연구를 통해 설명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본 연구의 결과는 선행연구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SLI 아동

들이 CA 일치 아동들과 비교해서는 물론 LA 일치 아동들에 비해서도 낱말산출에서 어려움

을 보 으며 명사에 비해 동사에서 더 어려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이 아

동들이 동사 산출에 어려움을 갖는 것이 단순히 지체가 아니라 일탈된 특성일 수 있음을 제

시해 다 한 SLI 아동들은 오류유형에서도 두 일반아동 집단에 비해 lsquoDKrsquo 반응을 월등히

많이 산출하 으며 명사에 비해 동사에서 특히 많이 산출하 는데 이는 아동들이 목표낱말

을 의미기억 속에 정확하게 표상하고 있지 못하 기 때문일 수도 있으며 혹은 의미기억 속

에 장된 낱말을 빨리 효율 으로 인출하지 못해서 쉽게 lsquo모르겠다rsquo라고 반응한 것일 수도

있다고 설명할 수 있다 이처럼 낱말의 유형에 따라 반응의 정확성이나 오류유형에 차이가

나타나는 것이 낱말을 처리하는 과정에서의 문제로 인한 것인지 혹은 문법규칙을 습득하는

데에 있어서 특정 으로 결함을 갖기 때문인지는 추후 더 심도깊게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참 고 문 헌

김 태성태제이윤경(2003) 985172취학 아동의 수용언어 표 언어 발달척도(PRES)985173 서울 서울장

애인종합복지

김 태장혜성임선숙백 정(1995) 985172그림어휘력검사985173 서울 서울장애인종합복지

박혜원곽 주박 배(1997) 985172K-WPPSI 검사요강985173 서울 도서출 특수교육

성태제(2001) Bayesian 통계방법에 의한 검사분석 로그램 wwwevercationcom

이상 정세화이은화이정환(1972) 3 4 5세 아동의 회화에 나타난 어휘 조사 985172한국문화연구원

논총985173 11 337-427이연섭권경안정인실(1980) 985172한국아동의 어휘발달 연구(Ⅰ)985173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이윤경김 태(2002)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낱말찾기 특성 985172언어청각장애연구985173 7(1) 65-80이응백 (1989) 985172국민학교 학습용 기본어휘 연구985173 서울 한교과서주식회사

Conti-Ramsden G amp Jones M (1997) Verb use in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Journal of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낱말산출 능력

15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40 1298-1313

Fried-Oken M (1984) The development of naming skills in normal and language deficient childr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Boston University

German D J (2000) Test of Word Finding (manual) Austin TX Pro-Ed

Hoff-Ginsberg E (2001) Language development (2nd ed) Florence KY Wadsworth

Lahey M amp Edwards J (1999) Naming errors of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42 195-205

Leonard L B Nippold M A Kail R amp Hale C (1983) Picture naming in language-impaired

children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26 609-615

Leonard L B (1998) The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Cambridge MA The MIT

Press

McGregor K K amp Windsor J (1996) Effects of priming on the naming accuracy of preschoolers

with word-finding deficit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39 1048-1058

McGregor K K (1997) The nature of word-finding errors of preschoolers with and without

word-finding deficits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40 1232-

1244

Menyuk P (1997) Naming disorders in children In H Goodglass amp A Wingfield (Eds) Anomia

Neuroanatomical and cognitive correlates San Diego Academic Press

Rescola L amp Schwartz E (1990) Outcome of specific expressive language delay Applied

Psycholinguistics 11 393-407

Rice M L amp Bode J V (1993) GAPS in the verb lexicons of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First Language 13 113-131

Stark R amp Tallal P (1981) Selection of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deficit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46 114-122

Stokes S F amp Fletcher P (2000) Lexical diversity and productivity in Cantonese-speaking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35(4) 527-541

Watkins R V Kelly D V Harbers H M amp Hollis W (1995) Measuring childrenrsquos lexical

diversity Differentiating typical and impaired language learner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38 1349-1355

언어청각장애연구

16

lt부록 - 1gt 명사 이름 기검사 낱말목록

번호 목표낱말 번호 목표낱말 번호 목표낱말 번호 목표낱말

1

2

3

4

5

6

7

8

9

열쇠

그네

망치

유모차

호루라기

도장

사다리

허수아비

기타

10

11

12

13

14

15

16

17

18

주사

목도리

달력

지도

신문

채소

19

20

21

22

23

24

25

26

27

낙하산

분수

필통

화분

우표

온도계

주유소

28

29

30

31

32

33

34

35

장화

국자

수염

바구니

시소

실로폰

옷걸이

지팡이

lt부록 - 2gt 동사 이름 기검사 낱말목록

번호 목표낱말 번호 목표낱말 번호 목표낱말 번호 목표낱말

1

2

3

4

5

6

7

8

9

울다

감다

불다

그리다

맡다

날다

지우다

따다

10

11

12

13

14

15

16

17

18

빗다

따르다

들다

묶다

건 다

뱉다

칠하다

마시다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닫다

웃다

짜다

개다

차다

부수다

묻다

꺾다

28

29

30

31

32

33

34

35

던지다

뽑다

넘다

당기다

붙이다

찢다

쓸다

자르다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낱말산출 능력

17

lt부록 - 3gt 명사 오류분석 기

구분 정의

의미

상 개념어(superordinate)

목표어를 포함하는 상 범주어로 치하는 경우 양 채소

등어(coordinate)

동일한 수 의 다른 낱말이나 동일의미범주의 낱말로 치하는 경우

그네미끄럼틀

하 개념어(subordinate)

목표어를 나타내는 하 범주어로 치하는 경우 가구책상

기능(functional)

목표어의 기능 속성을 나타내는 낱말로 치하는 경우 달력날짜

장소(locative)

목표어와 련된 장소를 나타내는 낱말로 치하는 경우 그네놀이터

구성요소(compositional)

목표어를 구성하는 낱말로 치하는 경우 주사기바늘

연합(association)

목표어와 같이 사용되는 낱말이나 개념으로 치하는 경우 낙하산비행기

의미 에두르기(circumlocution)

목표어의 의미 특성을 여러 낱말로 설명하거나 묘사하는 경우

국자국 떠주는 것

음운

음소 치(p-substitution)

목표어를 구성하는 음소를 다른 유사 음소로 치분수푼수기타치타

음소첨가(p-addition)

목표어에 다른 음소를 첨가 그네근네

음소생략(p-omission)

목표어에 포함된 음소나 음 을 생략하는 경우 우표표

음운유사낱말 치 (malapropisms)

음소 으로 유사한 다른 실제 낱말로 치 주사 주사기

음소( )반복(p-repetition)

목표어의 첫 번째 음소( 는 음 )를 반복하는 경우 그네그 그네

시각

시각 치(v-substitution)

시각 으로 유사한 낱말로 치 우표그림

시각 부분 치(whole-part)

목표어를 묘사한 그림의 일부분을 지칭하는 낱말로 치분수물 화장 거울

시각 에두르기목표어의 시각 특성을 여러 낱말로 설명하거나 묘사하는 경우

꼬리동그라미 에 뭐 달려있어

기타

DK(Donrsquot Know) lsquo모른다rsquo고 응답하는 경우

NR (No Response)

그림을 제시한 후 8 가 경과될 때까지 반응을 보이지 않는 경우

보속반응(perseveration)

이 문항에서의 반응을 되풀이

무 련 반응 목표어와 련되지 않은 낱말로 반응하는 경우

언어청각장애연구

18

lt부록 - 4gt 동사 오류분석 기

구분 정의

상 동사 목표동사의 상 행동을 묘사하는 동사로 치하는 경우 감다목욕하다

등어 동일행동을 묘사하거나 반 행동을 묘사하는 동사로 경우꺾다따다

열다닫다

하 동사 목표동사의 하 행동을 묘사하는 동사로 치하는 경우 묻다 다

연합목표동사와 같이 사용되는 낱말이나 행동어로 치하는 경

짜다그리다

다공사

의미 에두르기목표동사의 의미 특성을 여러 낱말로 설명하거나 묘사하

는 경우

뱉다물고 있던거

버려요

음소 치 목표동사를 구성하는 음소를 다른 유사 음소로 치맡다맡쳐요

부수다부긴다

음소첨가 목표동사에 다른 음소를 첨가 닫다닫은다

음소생략 목표동사에 포함된 음소나 음 을 생략하는 경우 따르다따요

음운유사낱말 치 음소 으로 유사한 다른 실제 동사로 치 빗다벗다

음소반복 목표동사의 첫 번째 음소( 는 음 )을 반복하는 경우 먹다머 먹다

시각 치 목표동사의 행동과 시각 으로 유사한 동사 치 뽑다당기다

시각 부분 치목표동사를 묘사한 그림의 일부분을 지칭하거나 묘사하는

낱말로 치묻다병아리

시각 에두르기목표동사의 행동 특성을 여러 낱말로 설명하거나 묘사하는

경우

부수다망치

때려

동사 사용 목표동사를 동사(lsquo명사+하다rsquo)의 형식으로 표 하는 경우 던지다공 해요

DK

(Dontrsquot Know)lsquo모른다rsquo고 응답하는 경우

NR

(No Response)

그림을 제시한 후 8 가 경과될 때까지 반응을 보이지 않

는 경우

보속반응 이 문항에서의 반응을 되풀이

무 련 반응 목표동사와 련되지 않는 낱말로 반응하는 경우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낱말산출 능력

19

게재 신청일 2003년 1월 24일게재 확정일 2003년 2월 23일

이윤경 (제 1 자) 용인 학교 재활보건과학 학원 언어치료학과 겸임교수 e-mail lyoonkyounghanmailnet김 태 (공동 자) 이화여자 학교 특수교육학 언어병리학과 교수 e-mail youngtaeewhaackr

ABSTRACT

Word (Noun and Verb) Production in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Yoonkyoung Lee(Dept of Speech and Languge Pathology Yongin University)

Young Tae Kim(Dept of Special Education amp

Interdiciplinary Program of Communication Disorders

Ewha Womans University)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word (noun and

verb) productions of children with SLI Sixty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1) 20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SLI group) whose language age were 46 - 66

(2) 20 normal children chronological-age matched with the SLI children (CA controls) and

(3) 20 normal children matched on a composite index of language age with the SLI children

(LA controls) Picture naming and word recognition tests were used and frequencies and

types of errors were analyse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s follows (1) the SLI

group demonstrated significantly higher frequency of errors in verb production than that

of nouns but LA controls produced more errors in nouns than those of verbs (2) the SLI

group produced unrelated errors more than others compared with normal controls Bu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error types produced in both noun and verb tests (3) the SLI group

demonstrated higher frequency of misnaming but recognized items in noun and verb

productions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SLI group and each of

the two normal control groups Thes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e findings of earlier

studies with regard to the restricted verb productions of the children with SLI

Key Words specific language impairment(SLI) word production naming test error pattern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낱말산출 능력

9

lt표 - 3gt 이름 기검사에서의 오반응 빈도의 변량분석 결과

분산원 SS df MS F

집단 11067 2 5533 1088

오차(집단) 28978 57 508

낱말유형 938E-03 1 938E-03 01

이해여부 81218 1 81218 29570

오류유형 57214 3 19071 6853

낱말유형times집단 1693 2 847 639

낱말유형times이해여부 5104E-02 1 5104E-02 02

이해여부times집단 620 2 310 310

오류유형times집단 7627 6 1271 457

오류유형times낱말유형 3576 3 1192 612

오류유형times이해여부 19753 3 6584 2971

낱말유형times오류유형times집단 1091 6 182 93

낱말유형times이해여부times집단 1077 2 538 220

오류유형times이해여부times집단 1481 6 247 111

낱말유형times오류유형times이해여부 1254 3 418 206

낱말유형times오류유형times이해여부times집단 1091 6 182 90

오차(낱말유형) 7550 57 133

오차(오류유형) 47590 171 278

오차(이해여부) 15656 57 275

오차(낱말유형times오류유형) 33314 171 195

오차(낱말유형times이해여부) 13962 57 245

오차(오류유형times이해여부) 37898 171 222

오차(낱말유형times오류유형times이해여부) 34737 171 203

plt 05 plt 01 p lt 001

사에서 오반응 빈도를 많이 산출한 반면 LA 일치집단은 동사에 비해 명사에서 오반응을 더

많이 산출하 다(lt그림 - 1gt 참조)

이해여부에 따른 주효과도 찰되었다(F = 29570 p lt 001) lt그림 - 2gt에서 볼 수 있

듯이 세 아동집단 모두 이름 기검사에서 오반응을 보 으나 이해는 가능하 던 문항빈도가

이름 기와 이해검사 모두에서 오반응을 보인 문항빈도에 비해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

해여부와 집단 그리고 이해여부와 낱말유형 간에는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가 찰되지 않았

다 그러나 이해여부와 집단 간에는 통계 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으나 SLI 아동집단이 다른

언어청각장애연구

10

두 일반아동집단에 비해 이해는 하면서 이름 기에만 오류를 보인 문항의 빈도가 높은 것으

로 나타났다

0

2

4

6

8

10

12

14

16

18

명사 동사 명사 동사 명사 동사

전체오류 이해가능 이해불가능

오반응빈도

SLI

LA일치

CA일치

0

5

10

15

20

25

이해가능 이해불가능

오반응빈도

SLI

LA일치

CA일치

lt그림 - 1gt 낱말유형에 따른 오반응 빈도 lt그림 - 2gt 이해여부에 따른 오반응 빈도

2 집단 낱말유형 이해여부에 따른 오류유형 분석 결과

오류유형에 따른 주효과도 찰되었다(F = 6853 plt 001) 세 집단의 아동들은 모두

의미 오류와 시각 오류를 많이 산출한 반면 음운 오류는 거의 산출하지 않았다 상호

작용 효과는 오류유형과 집단(F = 457 plt 01) 오류유형과 낱말유형(F = 612 p lt 01) 그

리고 오류유형과 이해여부(F = 2971 plt 001) 사이에서 나타났다

먼 오류유형과 집단의 상호작용효과는 세 집단 아동들이 산출한 오류유형에 차이를

보임을 의미한다 lt그림 - 3gt을 보면 SLI 아동집단이 두 일반아동집단에 비하여 기타 유형

을 다른 오류유형에 비해 상 으로 많이 산출하 다 그러나 의미 음운 그리고 시각

오류는 세 아동집단에서 유사한 경향으로 산출하 다

오류유형은 낱말유형과도 상호작용효과를 나타냈다 lt그림 - 4gt를 보면 동사산출 시

명사에 의미 오류와 기타오류를 많이 산출한 반면 음운과 시각 오류는 게 산출하 다

집단별로 낱말유형에 따른 오류유형 산출 결과를 보면 LA 일치집단은 명사와 동사에서 유

사한 오류패턴을 보인 반면 SLI 아동집단과 CA 일치집단은 명사에 비해 동사에서 의미 오

류와 기타오류를 더 많이 산출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오류유형은 이해여부와도 상호작용효과를 나타내었다 lt그림 - 5gt를 보면 세 아동 집

단은 모두 이해는 하면서 이름 기에만 오류를 보인 경우와 이름 기는 물론 이해에서도 오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낱말산출 능력

11

0

2

4

6

8

10

12

의미적 음운적 시각적 기타

오반응빈도

SLI

LA일치

CA일치

0

1

2

3

4

5

6

7

의미적

음운적

시각적

기타

의미적

음운적

시각적

기타

명사 동사

오반응빈도

SLI

LA일치

CA일치

lt그림 - 3gt 집단별 체 오류유형 산출결과

0

2

4

6

8

10

12

14

16

18

의미적 음운적 시각적 기타

오반응빈도

명사

동사

0

1

2

3

4

5

6

7의미적

음운적

시각적

기타

의미적

음운적

시각적

기타

의미적

음운적

시각적

기타

SLI LA일치 CA일치

오반응빈도

명사

동사

lt그림 - 4gt 낱말유형별 체 오류유형 산출결과

0

1

2

3

4

5

6

7

8

9

10

의미적

음운적

시각적

기타

의미적

음운적

시각적

기타

의미적

음운적

시각적

기타

SLI LA일치 CA일치

오반응빈도

이해가능

이해불가능

lt그림 - 5gt 이해여부에 따른 세 아동 집단의 오류유형

반응을 보인 경우 오류패턴은 유사하게 나타냈다 그러나 이해와 이름 기검사 모두 오반응

을 보인 경우보다 이름 기에서만 오반응을 보이고 이해는 가능하 던 경우에 의미 오류

언어청각장애연구

12

를 월등하게 많이 산출하 다 반면 이해여부와 집단 사이와 이해여부와 낱말유형 사이에서

는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가 찰되지 않았으며 아동집단 간에도 이해여부에 따른 오류유형

은 유의한 차이가 찰되지 않았다

V 논 의

본 연구는 이름 기검사를 사용하 을 때에도 자발화에서의 낱말산출 연구결과와 마찬

가지로 SLI 아동들이 명사에 비해 동사산출에 어려움을 보이는 지를 살펴보고 낱말산출 능

력이 낱말의 이해여부에 따라서는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 지 한 낱말유형(명사와 동사) 간

에 산출된 오류유형에서는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 지를 살펴보는 것을 목 으로 하 다 따라

서 명사와 동사에서의 낱말산출능력 낱말산출과 낱말이해와의 계 그리고 오류유형 결과

를 심으로 논의를 진행하 다

먼 낱말산출에서의 오반응빈도 분석 결과를 보면 SLI 아동 집단은 CA 일치집단에

비해 낱말산출능력이 뒤떨어진 것으로 나타났으나 LA 일치집단과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

지 않았다 그러나 SLI 아동집단과 CA 일치집단은 모두 명사에 비해 동사에서 오반응 빈도를

많이 산출한 반면 LA 일치집단은 동사에 비해 명사에서 오반응을 더 많이 산출하 다 이러

한 결과는 SLI 아동집단이 명사에 비해 동사산출에서 더 어려움을 보인다는 선행연구의 결과

와 유사한 것이며 이들의 낱말산출에서의 차이가 단순히 지체가 아닐 수 있음을 시사한다

SLI 아동들이 이처럼 명사에 비해 동사에서 더 오류를 많이 보인 것은 Rice amp Bode

(1993)가 설명한 것처럼 동사가 의미 인 지식뿐 아니라 명사보다 발화에서 문법 기능을

더 많이 담당하기 때문일 수도 있으며 는 동사가 명사에 비해 상 으로 지시하는 상

이 분명하지 않기 때문일 수도 있다(Hoff-Ginsberg 2001) 본 연구에서는 그림자료를 사용

하여 동사산출을 유도하 으므로 아동들의 동사산출능력이 구문산출능력이나 문맥에 의해

상 으로 향을 게 받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SLI 아동들이 명사에 비해 동사산출에

더 많은 오반응을 산출하 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동사가 문법 기능을 더 많이 담당하기

때문만이 아니라 SLI 아동들이 동사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더 많이 어려움을 갖기 때문으로

해석해 볼 수 있겠다

이해여부에 따른 낱말산출능력 분석 결과는 세 아동집단 모두 이해는 가능하나 이름

기에서만 오류를 보인 문항의 빈도가 이름 기와 이해 모두에서 오류를 보인 문항의 빈도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낱말산출 능력

13

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정상 인 언어발달에서 체로 낱말이해가 산출에

선행된다는 선행연구들을 통해서 설명해 볼 수 있을 것이다(Meynuk 1997) 반면 집단과 이

해여부에 따른 상호작용효과는 나타나지 않으나 SLI 아동들이 다른 두 일반아동집단에 비하

여 이해는 가능하나 이름 기에서만 오류를 보인 문항의 빈도를 높게 산출하 다(lt그림 -

2gt 참조) 이러한 결과는 SLI 아동들의 낱말산출의 문제가 낱말을 인식하는 수 이 아니라

낱말을 인출하는 과정의 문제일 수도 있음을 시사한다(이윤경김 태 2002 Menyuk

1997) 즉 낱말에 한 지식을 의미기억 속에 가지고는 있으나 이를 필요한 경우 효율 으로

잘 인출해내지 못하는 것일 수 있다

오류유형분석 결과는 SLI 아동들이 두 일반아동집단과 마찬가지로 의미 오류를 다른

오류유형에 비해 월등하게 많이 산출하 다는 에서 선행연구(Fried-Oken 1984 McGregor

1997)와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SLI 아동은 물론 일반아동들도 낱말을 정확하

게 산출하지 못할 때 목표낱말과 련된 의미 정보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 다 반

면 SLI 아동집단은 두 일반아동집단에 비하여 기타오류를 유의하게 많이 산출하 는데 이는

주로 SLI 아동들이 lsquoDK(모르겠다)rsquo 반응을 많이 산출한 것과 련된다 이처럼 SLI 아동들이

lsquoDKrsquo 반응을 많이 보인 것은 이 아동들이 목표낱말에 한 일부 지식은 지니고 있으나 낱말

을 산출할 수 있을 정도로 정확한 지식은 지니고 있지 못하 기 때문일 수도 있으며

(McGregor 1997) 낱말이 쉽게 생각나지 않기 때문에 낱말산출을 쉽게 포기하 기 때문일

수도 있다(이윤경김 태 2002)

오류유형은 낱말유형에 따라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 다 lt그림 - 3gt을 보면 LA 일치

집단은 명사와 동사에서 유사한 오류패턴을 보인 반면 SLI 아동집단과 CA 일치집단은 명사

에 비해 동사에서 의미 오류와 기타 오류를 더 많이 산출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명사에

비해 동사검사에서는 의미 으로 에둘러 표 하기와 DK 반응이 많았는데 이는 아동들이 동

사를 산출할 때 정확한 목표낱말로 표 하기 보다는 그림에서 묘사된 상황을 설명하는 경우

가 많았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는 SLI 아동들이 동사 산출에서 오류를 보이는 것이 명사보다

발화에서 문법 기능을 더 많이 담당하기 때문일 수도 있다는 Rice amp Bode (1993)의 설명

보다는 동사가 명사에 비해 상 으로 지시하는 상이 분명하지 않기 때문일 수도 있다는

Hoff-Ginsberg (2001)의 설명이 더 타당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오류유형은 이해여부와도 상호작용효과를 나타냈다 lt그림 - 5gt을 보면 세 아동 집단

은 모두 이해는 하면서 이름 기에만 오류를 보인 경우와 이름 기는 물론 이해에서도 오반

응을 보인 경우의 오류패턴은 유사하게 나타내었으나 이해와 이름 기에서 모두 오반응을

보인 경우보다 이해는 가능한 경우에 의미 오류를 월등하게 많이 산출하 다 이러한 결과

언어청각장애연구

14

는 McGregor (1997)가 설명하 듯이 SLI 아동은 물론 일반아동들도 낱말을 정확하게 산출

하지 못하는 경우 주로 낱말의 의미 속성에 의존하여 목표낱말을 치하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 다 그러나 언어처리과정 에서 보았을 때 이러한 결과는 SLI 아동은 물론 일반

아동들도 낱말산출에서의 오류가 낱말처리 과정 의미 처리과정에서의 문제 때문에 발

생한 것일 수도 있음을 보여 다 즉 유사한 의미 속성을 가진 낱말들 에서 목표낱말을

정확하게 선택하지 못하 기 때문일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설명 에서 어느 것이 더

한가는 추후 연구를 통해 설명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본 연구의 결과는 선행연구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SLI 아동

들이 CA 일치 아동들과 비교해서는 물론 LA 일치 아동들에 비해서도 낱말산출에서 어려움

을 보 으며 명사에 비해 동사에서 더 어려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이 아

동들이 동사 산출에 어려움을 갖는 것이 단순히 지체가 아니라 일탈된 특성일 수 있음을 제

시해 다 한 SLI 아동들은 오류유형에서도 두 일반아동 집단에 비해 lsquoDKrsquo 반응을 월등히

많이 산출하 으며 명사에 비해 동사에서 특히 많이 산출하 는데 이는 아동들이 목표낱말

을 의미기억 속에 정확하게 표상하고 있지 못하 기 때문일 수도 있으며 혹은 의미기억 속

에 장된 낱말을 빨리 효율 으로 인출하지 못해서 쉽게 lsquo모르겠다rsquo라고 반응한 것일 수도

있다고 설명할 수 있다 이처럼 낱말의 유형에 따라 반응의 정확성이나 오류유형에 차이가

나타나는 것이 낱말을 처리하는 과정에서의 문제로 인한 것인지 혹은 문법규칙을 습득하는

데에 있어서 특정 으로 결함을 갖기 때문인지는 추후 더 심도깊게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참 고 문 헌

김 태성태제이윤경(2003) 985172취학 아동의 수용언어 표 언어 발달척도(PRES)985173 서울 서울장

애인종합복지

김 태장혜성임선숙백 정(1995) 985172그림어휘력검사985173 서울 서울장애인종합복지

박혜원곽 주박 배(1997) 985172K-WPPSI 검사요강985173 서울 도서출 특수교육

성태제(2001) Bayesian 통계방법에 의한 검사분석 로그램 wwwevercationcom

이상 정세화이은화이정환(1972) 3 4 5세 아동의 회화에 나타난 어휘 조사 985172한국문화연구원

논총985173 11 337-427이연섭권경안정인실(1980) 985172한국아동의 어휘발달 연구(Ⅰ)985173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이윤경김 태(2002)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낱말찾기 특성 985172언어청각장애연구985173 7(1) 65-80이응백 (1989) 985172국민학교 학습용 기본어휘 연구985173 서울 한교과서주식회사

Conti-Ramsden G amp Jones M (1997) Verb use in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Journal of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낱말산출 능력

15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40 1298-1313

Fried-Oken M (1984) The development of naming skills in normal and language deficient childr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Boston University

German D J (2000) Test of Word Finding (manual) Austin TX Pro-Ed

Hoff-Ginsberg E (2001) Language development (2nd ed) Florence KY Wadsworth

Lahey M amp Edwards J (1999) Naming errors of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42 195-205

Leonard L B Nippold M A Kail R amp Hale C (1983) Picture naming in language-impaired

children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26 609-615

Leonard L B (1998) The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Cambridge MA The MIT

Press

McGregor K K amp Windsor J (1996) Effects of priming on the naming accuracy of preschoolers

with word-finding deficit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39 1048-1058

McGregor K K (1997) The nature of word-finding errors of preschoolers with and without

word-finding deficits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40 1232-

1244

Menyuk P (1997) Naming disorders in children In H Goodglass amp A Wingfield (Eds) Anomia

Neuroanatomical and cognitive correlates San Diego Academic Press

Rescola L amp Schwartz E (1990) Outcome of specific expressive language delay Applied

Psycholinguistics 11 393-407

Rice M L amp Bode J V (1993) GAPS in the verb lexicons of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First Language 13 113-131

Stark R amp Tallal P (1981) Selection of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deficit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46 114-122

Stokes S F amp Fletcher P (2000) Lexical diversity and productivity in Cantonese-speaking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35(4) 527-541

Watkins R V Kelly D V Harbers H M amp Hollis W (1995) Measuring childrenrsquos lexical

diversity Differentiating typical and impaired language learner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38 1349-1355

언어청각장애연구

16

lt부록 - 1gt 명사 이름 기검사 낱말목록

번호 목표낱말 번호 목표낱말 번호 목표낱말 번호 목표낱말

1

2

3

4

5

6

7

8

9

열쇠

그네

망치

유모차

호루라기

도장

사다리

허수아비

기타

10

11

12

13

14

15

16

17

18

주사

목도리

달력

지도

신문

채소

19

20

21

22

23

24

25

26

27

낙하산

분수

필통

화분

우표

온도계

주유소

28

29

30

31

32

33

34

35

장화

국자

수염

바구니

시소

실로폰

옷걸이

지팡이

lt부록 - 2gt 동사 이름 기검사 낱말목록

번호 목표낱말 번호 목표낱말 번호 목표낱말 번호 목표낱말

1

2

3

4

5

6

7

8

9

울다

감다

불다

그리다

맡다

날다

지우다

따다

10

11

12

13

14

15

16

17

18

빗다

따르다

들다

묶다

건 다

뱉다

칠하다

마시다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닫다

웃다

짜다

개다

차다

부수다

묻다

꺾다

28

29

30

31

32

33

34

35

던지다

뽑다

넘다

당기다

붙이다

찢다

쓸다

자르다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낱말산출 능력

17

lt부록 - 3gt 명사 오류분석 기

구분 정의

의미

상 개념어(superordinate)

목표어를 포함하는 상 범주어로 치하는 경우 양 채소

등어(coordinate)

동일한 수 의 다른 낱말이나 동일의미범주의 낱말로 치하는 경우

그네미끄럼틀

하 개념어(subordinate)

목표어를 나타내는 하 범주어로 치하는 경우 가구책상

기능(functional)

목표어의 기능 속성을 나타내는 낱말로 치하는 경우 달력날짜

장소(locative)

목표어와 련된 장소를 나타내는 낱말로 치하는 경우 그네놀이터

구성요소(compositional)

목표어를 구성하는 낱말로 치하는 경우 주사기바늘

연합(association)

목표어와 같이 사용되는 낱말이나 개념으로 치하는 경우 낙하산비행기

의미 에두르기(circumlocution)

목표어의 의미 특성을 여러 낱말로 설명하거나 묘사하는 경우

국자국 떠주는 것

음운

음소 치(p-substitution)

목표어를 구성하는 음소를 다른 유사 음소로 치분수푼수기타치타

음소첨가(p-addition)

목표어에 다른 음소를 첨가 그네근네

음소생략(p-omission)

목표어에 포함된 음소나 음 을 생략하는 경우 우표표

음운유사낱말 치 (malapropisms)

음소 으로 유사한 다른 실제 낱말로 치 주사 주사기

음소( )반복(p-repetition)

목표어의 첫 번째 음소( 는 음 )를 반복하는 경우 그네그 그네

시각

시각 치(v-substitution)

시각 으로 유사한 낱말로 치 우표그림

시각 부분 치(whole-part)

목표어를 묘사한 그림의 일부분을 지칭하는 낱말로 치분수물 화장 거울

시각 에두르기목표어의 시각 특성을 여러 낱말로 설명하거나 묘사하는 경우

꼬리동그라미 에 뭐 달려있어

기타

DK(Donrsquot Know) lsquo모른다rsquo고 응답하는 경우

NR (No Response)

그림을 제시한 후 8 가 경과될 때까지 반응을 보이지 않는 경우

보속반응(perseveration)

이 문항에서의 반응을 되풀이

무 련 반응 목표어와 련되지 않은 낱말로 반응하는 경우

언어청각장애연구

18

lt부록 - 4gt 동사 오류분석 기

구분 정의

상 동사 목표동사의 상 행동을 묘사하는 동사로 치하는 경우 감다목욕하다

등어 동일행동을 묘사하거나 반 행동을 묘사하는 동사로 경우꺾다따다

열다닫다

하 동사 목표동사의 하 행동을 묘사하는 동사로 치하는 경우 묻다 다

연합목표동사와 같이 사용되는 낱말이나 행동어로 치하는 경

짜다그리다

다공사

의미 에두르기목표동사의 의미 특성을 여러 낱말로 설명하거나 묘사하

는 경우

뱉다물고 있던거

버려요

음소 치 목표동사를 구성하는 음소를 다른 유사 음소로 치맡다맡쳐요

부수다부긴다

음소첨가 목표동사에 다른 음소를 첨가 닫다닫은다

음소생략 목표동사에 포함된 음소나 음 을 생략하는 경우 따르다따요

음운유사낱말 치 음소 으로 유사한 다른 실제 동사로 치 빗다벗다

음소반복 목표동사의 첫 번째 음소( 는 음 )을 반복하는 경우 먹다머 먹다

시각 치 목표동사의 행동과 시각 으로 유사한 동사 치 뽑다당기다

시각 부분 치목표동사를 묘사한 그림의 일부분을 지칭하거나 묘사하는

낱말로 치묻다병아리

시각 에두르기목표동사의 행동 특성을 여러 낱말로 설명하거나 묘사하는

경우

부수다망치

때려

동사 사용 목표동사를 동사(lsquo명사+하다rsquo)의 형식으로 표 하는 경우 던지다공 해요

DK

(Dontrsquot Know)lsquo모른다rsquo고 응답하는 경우

NR

(No Response)

그림을 제시한 후 8 가 경과될 때까지 반응을 보이지 않

는 경우

보속반응 이 문항에서의 반응을 되풀이

무 련 반응 목표동사와 련되지 않는 낱말로 반응하는 경우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낱말산출 능력

19

게재 신청일 2003년 1월 24일게재 확정일 2003년 2월 23일

이윤경 (제 1 자) 용인 학교 재활보건과학 학원 언어치료학과 겸임교수 e-mail lyoonkyounghanmailnet김 태 (공동 자) 이화여자 학교 특수교육학 언어병리학과 교수 e-mail youngtaeewhaackr

ABSTRACT

Word (Noun and Verb) Production in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Yoonkyoung Lee(Dept of Speech and Languge Pathology Yongin University)

Young Tae Kim(Dept of Special Education amp

Interdiciplinary Program of Communication Disorders

Ewha Womans University)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word (noun and

verb) productions of children with SLI Sixty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1) 20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SLI group) whose language age were 46 - 66

(2) 20 normal children chronological-age matched with the SLI children (CA controls) and

(3) 20 normal children matched on a composite index of language age with the SLI children

(LA controls) Picture naming and word recognition tests were used and frequencies and

types of errors were analyse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s follows (1) the SLI

group demonstrated significantly higher frequency of errors in verb production than that

of nouns but LA controls produced more errors in nouns than those of verbs (2) the SLI

group produced unrelated errors more than others compared with normal controls Bu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error types produced in both noun and verb tests (3) the SLI group

demonstrated higher frequency of misnaming but recognized items in noun and verb

productions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SLI group and each of

the two normal control groups Thes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e findings of earlier

studies with regard to the restricted verb productions of the children with SLI

Key Words specific language impairment(SLI) word production naming test error pattern

언어청각장애연구

10

두 일반아동집단에 비해 이해는 하면서 이름 기에만 오류를 보인 문항의 빈도가 높은 것으

로 나타났다

0

2

4

6

8

10

12

14

16

18

명사 동사 명사 동사 명사 동사

전체오류 이해가능 이해불가능

오반응빈도

SLI

LA일치

CA일치

0

5

10

15

20

25

이해가능 이해불가능

오반응빈도

SLI

LA일치

CA일치

lt그림 - 1gt 낱말유형에 따른 오반응 빈도 lt그림 - 2gt 이해여부에 따른 오반응 빈도

2 집단 낱말유형 이해여부에 따른 오류유형 분석 결과

오류유형에 따른 주효과도 찰되었다(F = 6853 plt 001) 세 집단의 아동들은 모두

의미 오류와 시각 오류를 많이 산출한 반면 음운 오류는 거의 산출하지 않았다 상호

작용 효과는 오류유형과 집단(F = 457 plt 01) 오류유형과 낱말유형(F = 612 p lt 01) 그

리고 오류유형과 이해여부(F = 2971 plt 001) 사이에서 나타났다

먼 오류유형과 집단의 상호작용효과는 세 집단 아동들이 산출한 오류유형에 차이를

보임을 의미한다 lt그림 - 3gt을 보면 SLI 아동집단이 두 일반아동집단에 비하여 기타 유형

을 다른 오류유형에 비해 상 으로 많이 산출하 다 그러나 의미 음운 그리고 시각

오류는 세 아동집단에서 유사한 경향으로 산출하 다

오류유형은 낱말유형과도 상호작용효과를 나타냈다 lt그림 - 4gt를 보면 동사산출 시

명사에 의미 오류와 기타오류를 많이 산출한 반면 음운과 시각 오류는 게 산출하 다

집단별로 낱말유형에 따른 오류유형 산출 결과를 보면 LA 일치집단은 명사와 동사에서 유

사한 오류패턴을 보인 반면 SLI 아동집단과 CA 일치집단은 명사에 비해 동사에서 의미 오

류와 기타오류를 더 많이 산출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오류유형은 이해여부와도 상호작용효과를 나타내었다 lt그림 - 5gt를 보면 세 아동 집

단은 모두 이해는 하면서 이름 기에만 오류를 보인 경우와 이름 기는 물론 이해에서도 오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낱말산출 능력

11

0

2

4

6

8

10

12

의미적 음운적 시각적 기타

오반응빈도

SLI

LA일치

CA일치

0

1

2

3

4

5

6

7

의미적

음운적

시각적

기타

의미적

음운적

시각적

기타

명사 동사

오반응빈도

SLI

LA일치

CA일치

lt그림 - 3gt 집단별 체 오류유형 산출결과

0

2

4

6

8

10

12

14

16

18

의미적 음운적 시각적 기타

오반응빈도

명사

동사

0

1

2

3

4

5

6

7의미적

음운적

시각적

기타

의미적

음운적

시각적

기타

의미적

음운적

시각적

기타

SLI LA일치 CA일치

오반응빈도

명사

동사

lt그림 - 4gt 낱말유형별 체 오류유형 산출결과

0

1

2

3

4

5

6

7

8

9

10

의미적

음운적

시각적

기타

의미적

음운적

시각적

기타

의미적

음운적

시각적

기타

SLI LA일치 CA일치

오반응빈도

이해가능

이해불가능

lt그림 - 5gt 이해여부에 따른 세 아동 집단의 오류유형

반응을 보인 경우 오류패턴은 유사하게 나타냈다 그러나 이해와 이름 기검사 모두 오반응

을 보인 경우보다 이름 기에서만 오반응을 보이고 이해는 가능하 던 경우에 의미 오류

언어청각장애연구

12

를 월등하게 많이 산출하 다 반면 이해여부와 집단 사이와 이해여부와 낱말유형 사이에서

는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가 찰되지 않았으며 아동집단 간에도 이해여부에 따른 오류유형

은 유의한 차이가 찰되지 않았다

V 논 의

본 연구는 이름 기검사를 사용하 을 때에도 자발화에서의 낱말산출 연구결과와 마찬

가지로 SLI 아동들이 명사에 비해 동사산출에 어려움을 보이는 지를 살펴보고 낱말산출 능

력이 낱말의 이해여부에 따라서는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 지 한 낱말유형(명사와 동사) 간

에 산출된 오류유형에서는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 지를 살펴보는 것을 목 으로 하 다 따라

서 명사와 동사에서의 낱말산출능력 낱말산출과 낱말이해와의 계 그리고 오류유형 결과

를 심으로 논의를 진행하 다

먼 낱말산출에서의 오반응빈도 분석 결과를 보면 SLI 아동 집단은 CA 일치집단에

비해 낱말산출능력이 뒤떨어진 것으로 나타났으나 LA 일치집단과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

지 않았다 그러나 SLI 아동집단과 CA 일치집단은 모두 명사에 비해 동사에서 오반응 빈도를

많이 산출한 반면 LA 일치집단은 동사에 비해 명사에서 오반응을 더 많이 산출하 다 이러

한 결과는 SLI 아동집단이 명사에 비해 동사산출에서 더 어려움을 보인다는 선행연구의 결과

와 유사한 것이며 이들의 낱말산출에서의 차이가 단순히 지체가 아닐 수 있음을 시사한다

SLI 아동들이 이처럼 명사에 비해 동사에서 더 오류를 많이 보인 것은 Rice amp Bode

(1993)가 설명한 것처럼 동사가 의미 인 지식뿐 아니라 명사보다 발화에서 문법 기능을

더 많이 담당하기 때문일 수도 있으며 는 동사가 명사에 비해 상 으로 지시하는 상

이 분명하지 않기 때문일 수도 있다(Hoff-Ginsberg 2001) 본 연구에서는 그림자료를 사용

하여 동사산출을 유도하 으므로 아동들의 동사산출능력이 구문산출능력이나 문맥에 의해

상 으로 향을 게 받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SLI 아동들이 명사에 비해 동사산출에

더 많은 오반응을 산출하 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동사가 문법 기능을 더 많이 담당하기

때문만이 아니라 SLI 아동들이 동사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더 많이 어려움을 갖기 때문으로

해석해 볼 수 있겠다

이해여부에 따른 낱말산출능력 분석 결과는 세 아동집단 모두 이해는 가능하나 이름

기에서만 오류를 보인 문항의 빈도가 이름 기와 이해 모두에서 오류를 보인 문항의 빈도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낱말산출 능력

13

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정상 인 언어발달에서 체로 낱말이해가 산출에

선행된다는 선행연구들을 통해서 설명해 볼 수 있을 것이다(Meynuk 1997) 반면 집단과 이

해여부에 따른 상호작용효과는 나타나지 않으나 SLI 아동들이 다른 두 일반아동집단에 비하

여 이해는 가능하나 이름 기에서만 오류를 보인 문항의 빈도를 높게 산출하 다(lt그림 -

2gt 참조) 이러한 결과는 SLI 아동들의 낱말산출의 문제가 낱말을 인식하는 수 이 아니라

낱말을 인출하는 과정의 문제일 수도 있음을 시사한다(이윤경김 태 2002 Menyuk

1997) 즉 낱말에 한 지식을 의미기억 속에 가지고는 있으나 이를 필요한 경우 효율 으로

잘 인출해내지 못하는 것일 수 있다

오류유형분석 결과는 SLI 아동들이 두 일반아동집단과 마찬가지로 의미 오류를 다른

오류유형에 비해 월등하게 많이 산출하 다는 에서 선행연구(Fried-Oken 1984 McGregor

1997)와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SLI 아동은 물론 일반아동들도 낱말을 정확하

게 산출하지 못할 때 목표낱말과 련된 의미 정보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 다 반

면 SLI 아동집단은 두 일반아동집단에 비하여 기타오류를 유의하게 많이 산출하 는데 이는

주로 SLI 아동들이 lsquoDK(모르겠다)rsquo 반응을 많이 산출한 것과 련된다 이처럼 SLI 아동들이

lsquoDKrsquo 반응을 많이 보인 것은 이 아동들이 목표낱말에 한 일부 지식은 지니고 있으나 낱말

을 산출할 수 있을 정도로 정확한 지식은 지니고 있지 못하 기 때문일 수도 있으며

(McGregor 1997) 낱말이 쉽게 생각나지 않기 때문에 낱말산출을 쉽게 포기하 기 때문일

수도 있다(이윤경김 태 2002)

오류유형은 낱말유형에 따라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 다 lt그림 - 3gt을 보면 LA 일치

집단은 명사와 동사에서 유사한 오류패턴을 보인 반면 SLI 아동집단과 CA 일치집단은 명사

에 비해 동사에서 의미 오류와 기타 오류를 더 많이 산출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명사에

비해 동사검사에서는 의미 으로 에둘러 표 하기와 DK 반응이 많았는데 이는 아동들이 동

사를 산출할 때 정확한 목표낱말로 표 하기 보다는 그림에서 묘사된 상황을 설명하는 경우

가 많았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는 SLI 아동들이 동사 산출에서 오류를 보이는 것이 명사보다

발화에서 문법 기능을 더 많이 담당하기 때문일 수도 있다는 Rice amp Bode (1993)의 설명

보다는 동사가 명사에 비해 상 으로 지시하는 상이 분명하지 않기 때문일 수도 있다는

Hoff-Ginsberg (2001)의 설명이 더 타당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오류유형은 이해여부와도 상호작용효과를 나타냈다 lt그림 - 5gt을 보면 세 아동 집단

은 모두 이해는 하면서 이름 기에만 오류를 보인 경우와 이름 기는 물론 이해에서도 오반

응을 보인 경우의 오류패턴은 유사하게 나타내었으나 이해와 이름 기에서 모두 오반응을

보인 경우보다 이해는 가능한 경우에 의미 오류를 월등하게 많이 산출하 다 이러한 결과

언어청각장애연구

14

는 McGregor (1997)가 설명하 듯이 SLI 아동은 물론 일반아동들도 낱말을 정확하게 산출

하지 못하는 경우 주로 낱말의 의미 속성에 의존하여 목표낱말을 치하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 다 그러나 언어처리과정 에서 보았을 때 이러한 결과는 SLI 아동은 물론 일반

아동들도 낱말산출에서의 오류가 낱말처리 과정 의미 처리과정에서의 문제 때문에 발

생한 것일 수도 있음을 보여 다 즉 유사한 의미 속성을 가진 낱말들 에서 목표낱말을

정확하게 선택하지 못하 기 때문일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설명 에서 어느 것이 더

한가는 추후 연구를 통해 설명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본 연구의 결과는 선행연구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SLI 아동

들이 CA 일치 아동들과 비교해서는 물론 LA 일치 아동들에 비해서도 낱말산출에서 어려움

을 보 으며 명사에 비해 동사에서 더 어려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이 아

동들이 동사 산출에 어려움을 갖는 것이 단순히 지체가 아니라 일탈된 특성일 수 있음을 제

시해 다 한 SLI 아동들은 오류유형에서도 두 일반아동 집단에 비해 lsquoDKrsquo 반응을 월등히

많이 산출하 으며 명사에 비해 동사에서 특히 많이 산출하 는데 이는 아동들이 목표낱말

을 의미기억 속에 정확하게 표상하고 있지 못하 기 때문일 수도 있으며 혹은 의미기억 속

에 장된 낱말을 빨리 효율 으로 인출하지 못해서 쉽게 lsquo모르겠다rsquo라고 반응한 것일 수도

있다고 설명할 수 있다 이처럼 낱말의 유형에 따라 반응의 정확성이나 오류유형에 차이가

나타나는 것이 낱말을 처리하는 과정에서의 문제로 인한 것인지 혹은 문법규칙을 습득하는

데에 있어서 특정 으로 결함을 갖기 때문인지는 추후 더 심도깊게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참 고 문 헌

김 태성태제이윤경(2003) 985172취학 아동의 수용언어 표 언어 발달척도(PRES)985173 서울 서울장

애인종합복지

김 태장혜성임선숙백 정(1995) 985172그림어휘력검사985173 서울 서울장애인종합복지

박혜원곽 주박 배(1997) 985172K-WPPSI 검사요강985173 서울 도서출 특수교육

성태제(2001) Bayesian 통계방법에 의한 검사분석 로그램 wwwevercationcom

이상 정세화이은화이정환(1972) 3 4 5세 아동의 회화에 나타난 어휘 조사 985172한국문화연구원

논총985173 11 337-427이연섭권경안정인실(1980) 985172한국아동의 어휘발달 연구(Ⅰ)985173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이윤경김 태(2002)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낱말찾기 특성 985172언어청각장애연구985173 7(1) 65-80이응백 (1989) 985172국민학교 학습용 기본어휘 연구985173 서울 한교과서주식회사

Conti-Ramsden G amp Jones M (1997) Verb use in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Journal of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낱말산출 능력

15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40 1298-1313

Fried-Oken M (1984) The development of naming skills in normal and language deficient childr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Boston University

German D J (2000) Test of Word Finding (manual) Austin TX Pro-Ed

Hoff-Ginsberg E (2001) Language development (2nd ed) Florence KY Wadsworth

Lahey M amp Edwards J (1999) Naming errors of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42 195-205

Leonard L B Nippold M A Kail R amp Hale C (1983) Picture naming in language-impaired

children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26 609-615

Leonard L B (1998) The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Cambridge MA The MIT

Press

McGregor K K amp Windsor J (1996) Effects of priming on the naming accuracy of preschoolers

with word-finding deficit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39 1048-1058

McGregor K K (1997) The nature of word-finding errors of preschoolers with and without

word-finding deficits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40 1232-

1244

Menyuk P (1997) Naming disorders in children In H Goodglass amp A Wingfield (Eds) Anomia

Neuroanatomical and cognitive correlates San Diego Academic Press

Rescola L amp Schwartz E (1990) Outcome of specific expressive language delay Applied

Psycholinguistics 11 393-407

Rice M L amp Bode J V (1993) GAPS in the verb lexicons of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First Language 13 113-131

Stark R amp Tallal P (1981) Selection of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deficit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46 114-122

Stokes S F amp Fletcher P (2000) Lexical diversity and productivity in Cantonese-speaking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35(4) 527-541

Watkins R V Kelly D V Harbers H M amp Hollis W (1995) Measuring childrenrsquos lexical

diversity Differentiating typical and impaired language learner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38 1349-1355

언어청각장애연구

16

lt부록 - 1gt 명사 이름 기검사 낱말목록

번호 목표낱말 번호 목표낱말 번호 목표낱말 번호 목표낱말

1

2

3

4

5

6

7

8

9

열쇠

그네

망치

유모차

호루라기

도장

사다리

허수아비

기타

10

11

12

13

14

15

16

17

18

주사

목도리

달력

지도

신문

채소

19

20

21

22

23

24

25

26

27

낙하산

분수

필통

화분

우표

온도계

주유소

28

29

30

31

32

33

34

35

장화

국자

수염

바구니

시소

실로폰

옷걸이

지팡이

lt부록 - 2gt 동사 이름 기검사 낱말목록

번호 목표낱말 번호 목표낱말 번호 목표낱말 번호 목표낱말

1

2

3

4

5

6

7

8

9

울다

감다

불다

그리다

맡다

날다

지우다

따다

10

11

12

13

14

15

16

17

18

빗다

따르다

들다

묶다

건 다

뱉다

칠하다

마시다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닫다

웃다

짜다

개다

차다

부수다

묻다

꺾다

28

29

30

31

32

33

34

35

던지다

뽑다

넘다

당기다

붙이다

찢다

쓸다

자르다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낱말산출 능력

17

lt부록 - 3gt 명사 오류분석 기

구분 정의

의미

상 개념어(superordinate)

목표어를 포함하는 상 범주어로 치하는 경우 양 채소

등어(coordinate)

동일한 수 의 다른 낱말이나 동일의미범주의 낱말로 치하는 경우

그네미끄럼틀

하 개념어(subordinate)

목표어를 나타내는 하 범주어로 치하는 경우 가구책상

기능(functional)

목표어의 기능 속성을 나타내는 낱말로 치하는 경우 달력날짜

장소(locative)

목표어와 련된 장소를 나타내는 낱말로 치하는 경우 그네놀이터

구성요소(compositional)

목표어를 구성하는 낱말로 치하는 경우 주사기바늘

연합(association)

목표어와 같이 사용되는 낱말이나 개념으로 치하는 경우 낙하산비행기

의미 에두르기(circumlocution)

목표어의 의미 특성을 여러 낱말로 설명하거나 묘사하는 경우

국자국 떠주는 것

음운

음소 치(p-substitution)

목표어를 구성하는 음소를 다른 유사 음소로 치분수푼수기타치타

음소첨가(p-addition)

목표어에 다른 음소를 첨가 그네근네

음소생략(p-omission)

목표어에 포함된 음소나 음 을 생략하는 경우 우표표

음운유사낱말 치 (malapropisms)

음소 으로 유사한 다른 실제 낱말로 치 주사 주사기

음소( )반복(p-repetition)

목표어의 첫 번째 음소( 는 음 )를 반복하는 경우 그네그 그네

시각

시각 치(v-substitution)

시각 으로 유사한 낱말로 치 우표그림

시각 부분 치(whole-part)

목표어를 묘사한 그림의 일부분을 지칭하는 낱말로 치분수물 화장 거울

시각 에두르기목표어의 시각 특성을 여러 낱말로 설명하거나 묘사하는 경우

꼬리동그라미 에 뭐 달려있어

기타

DK(Donrsquot Know) lsquo모른다rsquo고 응답하는 경우

NR (No Response)

그림을 제시한 후 8 가 경과될 때까지 반응을 보이지 않는 경우

보속반응(perseveration)

이 문항에서의 반응을 되풀이

무 련 반응 목표어와 련되지 않은 낱말로 반응하는 경우

언어청각장애연구

18

lt부록 - 4gt 동사 오류분석 기

구분 정의

상 동사 목표동사의 상 행동을 묘사하는 동사로 치하는 경우 감다목욕하다

등어 동일행동을 묘사하거나 반 행동을 묘사하는 동사로 경우꺾다따다

열다닫다

하 동사 목표동사의 하 행동을 묘사하는 동사로 치하는 경우 묻다 다

연합목표동사와 같이 사용되는 낱말이나 행동어로 치하는 경

짜다그리다

다공사

의미 에두르기목표동사의 의미 특성을 여러 낱말로 설명하거나 묘사하

는 경우

뱉다물고 있던거

버려요

음소 치 목표동사를 구성하는 음소를 다른 유사 음소로 치맡다맡쳐요

부수다부긴다

음소첨가 목표동사에 다른 음소를 첨가 닫다닫은다

음소생략 목표동사에 포함된 음소나 음 을 생략하는 경우 따르다따요

음운유사낱말 치 음소 으로 유사한 다른 실제 동사로 치 빗다벗다

음소반복 목표동사의 첫 번째 음소( 는 음 )을 반복하는 경우 먹다머 먹다

시각 치 목표동사의 행동과 시각 으로 유사한 동사 치 뽑다당기다

시각 부분 치목표동사를 묘사한 그림의 일부분을 지칭하거나 묘사하는

낱말로 치묻다병아리

시각 에두르기목표동사의 행동 특성을 여러 낱말로 설명하거나 묘사하는

경우

부수다망치

때려

동사 사용 목표동사를 동사(lsquo명사+하다rsquo)의 형식으로 표 하는 경우 던지다공 해요

DK

(Dontrsquot Know)lsquo모른다rsquo고 응답하는 경우

NR

(No Response)

그림을 제시한 후 8 가 경과될 때까지 반응을 보이지 않

는 경우

보속반응 이 문항에서의 반응을 되풀이

무 련 반응 목표동사와 련되지 않는 낱말로 반응하는 경우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낱말산출 능력

19

게재 신청일 2003년 1월 24일게재 확정일 2003년 2월 23일

이윤경 (제 1 자) 용인 학교 재활보건과학 학원 언어치료학과 겸임교수 e-mail lyoonkyounghanmailnet김 태 (공동 자) 이화여자 학교 특수교육학 언어병리학과 교수 e-mail youngtaeewhaackr

ABSTRACT

Word (Noun and Verb) Production in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Yoonkyoung Lee(Dept of Speech and Languge Pathology Yongin University)

Young Tae Kim(Dept of Special Education amp

Interdiciplinary Program of Communication Disorders

Ewha Womans University)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word (noun and

verb) productions of children with SLI Sixty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1) 20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SLI group) whose language age were 46 - 66

(2) 20 normal children chronological-age matched with the SLI children (CA controls) and

(3) 20 normal children matched on a composite index of language age with the SLI children

(LA controls) Picture naming and word recognition tests were used and frequencies and

types of errors were analyse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s follows (1) the SLI

group demonstrated significantly higher frequency of errors in verb production than that

of nouns but LA controls produced more errors in nouns than those of verbs (2) the SLI

group produced unrelated errors more than others compared with normal controls Bu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error types produced in both noun and verb tests (3) the SLI group

demonstrated higher frequency of misnaming but recognized items in noun and verb

productions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SLI group and each of

the two normal control groups Thes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e findings of earlier

studies with regard to the restricted verb productions of the children with SLI

Key Words specific language impairment(SLI) word production naming test error pattern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낱말산출 능력

11

0

2

4

6

8

10

12

의미적 음운적 시각적 기타

오반응빈도

SLI

LA일치

CA일치

0

1

2

3

4

5

6

7

의미적

음운적

시각적

기타

의미적

음운적

시각적

기타

명사 동사

오반응빈도

SLI

LA일치

CA일치

lt그림 - 3gt 집단별 체 오류유형 산출결과

0

2

4

6

8

10

12

14

16

18

의미적 음운적 시각적 기타

오반응빈도

명사

동사

0

1

2

3

4

5

6

7의미적

음운적

시각적

기타

의미적

음운적

시각적

기타

의미적

음운적

시각적

기타

SLI LA일치 CA일치

오반응빈도

명사

동사

lt그림 - 4gt 낱말유형별 체 오류유형 산출결과

0

1

2

3

4

5

6

7

8

9

10

의미적

음운적

시각적

기타

의미적

음운적

시각적

기타

의미적

음운적

시각적

기타

SLI LA일치 CA일치

오반응빈도

이해가능

이해불가능

lt그림 - 5gt 이해여부에 따른 세 아동 집단의 오류유형

반응을 보인 경우 오류패턴은 유사하게 나타냈다 그러나 이해와 이름 기검사 모두 오반응

을 보인 경우보다 이름 기에서만 오반응을 보이고 이해는 가능하 던 경우에 의미 오류

언어청각장애연구

12

를 월등하게 많이 산출하 다 반면 이해여부와 집단 사이와 이해여부와 낱말유형 사이에서

는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가 찰되지 않았으며 아동집단 간에도 이해여부에 따른 오류유형

은 유의한 차이가 찰되지 않았다

V 논 의

본 연구는 이름 기검사를 사용하 을 때에도 자발화에서의 낱말산출 연구결과와 마찬

가지로 SLI 아동들이 명사에 비해 동사산출에 어려움을 보이는 지를 살펴보고 낱말산출 능

력이 낱말의 이해여부에 따라서는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 지 한 낱말유형(명사와 동사) 간

에 산출된 오류유형에서는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 지를 살펴보는 것을 목 으로 하 다 따라

서 명사와 동사에서의 낱말산출능력 낱말산출과 낱말이해와의 계 그리고 오류유형 결과

를 심으로 논의를 진행하 다

먼 낱말산출에서의 오반응빈도 분석 결과를 보면 SLI 아동 집단은 CA 일치집단에

비해 낱말산출능력이 뒤떨어진 것으로 나타났으나 LA 일치집단과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

지 않았다 그러나 SLI 아동집단과 CA 일치집단은 모두 명사에 비해 동사에서 오반응 빈도를

많이 산출한 반면 LA 일치집단은 동사에 비해 명사에서 오반응을 더 많이 산출하 다 이러

한 결과는 SLI 아동집단이 명사에 비해 동사산출에서 더 어려움을 보인다는 선행연구의 결과

와 유사한 것이며 이들의 낱말산출에서의 차이가 단순히 지체가 아닐 수 있음을 시사한다

SLI 아동들이 이처럼 명사에 비해 동사에서 더 오류를 많이 보인 것은 Rice amp Bode

(1993)가 설명한 것처럼 동사가 의미 인 지식뿐 아니라 명사보다 발화에서 문법 기능을

더 많이 담당하기 때문일 수도 있으며 는 동사가 명사에 비해 상 으로 지시하는 상

이 분명하지 않기 때문일 수도 있다(Hoff-Ginsberg 2001) 본 연구에서는 그림자료를 사용

하여 동사산출을 유도하 으므로 아동들의 동사산출능력이 구문산출능력이나 문맥에 의해

상 으로 향을 게 받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SLI 아동들이 명사에 비해 동사산출에

더 많은 오반응을 산출하 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동사가 문법 기능을 더 많이 담당하기

때문만이 아니라 SLI 아동들이 동사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더 많이 어려움을 갖기 때문으로

해석해 볼 수 있겠다

이해여부에 따른 낱말산출능력 분석 결과는 세 아동집단 모두 이해는 가능하나 이름

기에서만 오류를 보인 문항의 빈도가 이름 기와 이해 모두에서 오류를 보인 문항의 빈도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낱말산출 능력

13

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정상 인 언어발달에서 체로 낱말이해가 산출에

선행된다는 선행연구들을 통해서 설명해 볼 수 있을 것이다(Meynuk 1997) 반면 집단과 이

해여부에 따른 상호작용효과는 나타나지 않으나 SLI 아동들이 다른 두 일반아동집단에 비하

여 이해는 가능하나 이름 기에서만 오류를 보인 문항의 빈도를 높게 산출하 다(lt그림 -

2gt 참조) 이러한 결과는 SLI 아동들의 낱말산출의 문제가 낱말을 인식하는 수 이 아니라

낱말을 인출하는 과정의 문제일 수도 있음을 시사한다(이윤경김 태 2002 Menyuk

1997) 즉 낱말에 한 지식을 의미기억 속에 가지고는 있으나 이를 필요한 경우 효율 으로

잘 인출해내지 못하는 것일 수 있다

오류유형분석 결과는 SLI 아동들이 두 일반아동집단과 마찬가지로 의미 오류를 다른

오류유형에 비해 월등하게 많이 산출하 다는 에서 선행연구(Fried-Oken 1984 McGregor

1997)와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SLI 아동은 물론 일반아동들도 낱말을 정확하

게 산출하지 못할 때 목표낱말과 련된 의미 정보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 다 반

면 SLI 아동집단은 두 일반아동집단에 비하여 기타오류를 유의하게 많이 산출하 는데 이는

주로 SLI 아동들이 lsquoDK(모르겠다)rsquo 반응을 많이 산출한 것과 련된다 이처럼 SLI 아동들이

lsquoDKrsquo 반응을 많이 보인 것은 이 아동들이 목표낱말에 한 일부 지식은 지니고 있으나 낱말

을 산출할 수 있을 정도로 정확한 지식은 지니고 있지 못하 기 때문일 수도 있으며

(McGregor 1997) 낱말이 쉽게 생각나지 않기 때문에 낱말산출을 쉽게 포기하 기 때문일

수도 있다(이윤경김 태 2002)

오류유형은 낱말유형에 따라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 다 lt그림 - 3gt을 보면 LA 일치

집단은 명사와 동사에서 유사한 오류패턴을 보인 반면 SLI 아동집단과 CA 일치집단은 명사

에 비해 동사에서 의미 오류와 기타 오류를 더 많이 산출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명사에

비해 동사검사에서는 의미 으로 에둘러 표 하기와 DK 반응이 많았는데 이는 아동들이 동

사를 산출할 때 정확한 목표낱말로 표 하기 보다는 그림에서 묘사된 상황을 설명하는 경우

가 많았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는 SLI 아동들이 동사 산출에서 오류를 보이는 것이 명사보다

발화에서 문법 기능을 더 많이 담당하기 때문일 수도 있다는 Rice amp Bode (1993)의 설명

보다는 동사가 명사에 비해 상 으로 지시하는 상이 분명하지 않기 때문일 수도 있다는

Hoff-Ginsberg (2001)의 설명이 더 타당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오류유형은 이해여부와도 상호작용효과를 나타냈다 lt그림 - 5gt을 보면 세 아동 집단

은 모두 이해는 하면서 이름 기에만 오류를 보인 경우와 이름 기는 물론 이해에서도 오반

응을 보인 경우의 오류패턴은 유사하게 나타내었으나 이해와 이름 기에서 모두 오반응을

보인 경우보다 이해는 가능한 경우에 의미 오류를 월등하게 많이 산출하 다 이러한 결과

언어청각장애연구

14

는 McGregor (1997)가 설명하 듯이 SLI 아동은 물론 일반아동들도 낱말을 정확하게 산출

하지 못하는 경우 주로 낱말의 의미 속성에 의존하여 목표낱말을 치하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 다 그러나 언어처리과정 에서 보았을 때 이러한 결과는 SLI 아동은 물론 일반

아동들도 낱말산출에서의 오류가 낱말처리 과정 의미 처리과정에서의 문제 때문에 발

생한 것일 수도 있음을 보여 다 즉 유사한 의미 속성을 가진 낱말들 에서 목표낱말을

정확하게 선택하지 못하 기 때문일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설명 에서 어느 것이 더

한가는 추후 연구를 통해 설명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본 연구의 결과는 선행연구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SLI 아동

들이 CA 일치 아동들과 비교해서는 물론 LA 일치 아동들에 비해서도 낱말산출에서 어려움

을 보 으며 명사에 비해 동사에서 더 어려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이 아

동들이 동사 산출에 어려움을 갖는 것이 단순히 지체가 아니라 일탈된 특성일 수 있음을 제

시해 다 한 SLI 아동들은 오류유형에서도 두 일반아동 집단에 비해 lsquoDKrsquo 반응을 월등히

많이 산출하 으며 명사에 비해 동사에서 특히 많이 산출하 는데 이는 아동들이 목표낱말

을 의미기억 속에 정확하게 표상하고 있지 못하 기 때문일 수도 있으며 혹은 의미기억 속

에 장된 낱말을 빨리 효율 으로 인출하지 못해서 쉽게 lsquo모르겠다rsquo라고 반응한 것일 수도

있다고 설명할 수 있다 이처럼 낱말의 유형에 따라 반응의 정확성이나 오류유형에 차이가

나타나는 것이 낱말을 처리하는 과정에서의 문제로 인한 것인지 혹은 문법규칙을 습득하는

데에 있어서 특정 으로 결함을 갖기 때문인지는 추후 더 심도깊게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참 고 문 헌

김 태성태제이윤경(2003) 985172취학 아동의 수용언어 표 언어 발달척도(PRES)985173 서울 서울장

애인종합복지

김 태장혜성임선숙백 정(1995) 985172그림어휘력검사985173 서울 서울장애인종합복지

박혜원곽 주박 배(1997) 985172K-WPPSI 검사요강985173 서울 도서출 특수교육

성태제(2001) Bayesian 통계방법에 의한 검사분석 로그램 wwwevercationcom

이상 정세화이은화이정환(1972) 3 4 5세 아동의 회화에 나타난 어휘 조사 985172한국문화연구원

논총985173 11 337-427이연섭권경안정인실(1980) 985172한국아동의 어휘발달 연구(Ⅰ)985173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이윤경김 태(2002)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낱말찾기 특성 985172언어청각장애연구985173 7(1) 65-80이응백 (1989) 985172국민학교 학습용 기본어휘 연구985173 서울 한교과서주식회사

Conti-Ramsden G amp Jones M (1997) Verb use in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Journal of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낱말산출 능력

15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40 1298-1313

Fried-Oken M (1984) The development of naming skills in normal and language deficient childr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Boston University

German D J (2000) Test of Word Finding (manual) Austin TX Pro-Ed

Hoff-Ginsberg E (2001) Language development (2nd ed) Florence KY Wadsworth

Lahey M amp Edwards J (1999) Naming errors of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42 195-205

Leonard L B Nippold M A Kail R amp Hale C (1983) Picture naming in language-impaired

children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26 609-615

Leonard L B (1998) The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Cambridge MA The MIT

Press

McGregor K K amp Windsor J (1996) Effects of priming on the naming accuracy of preschoolers

with word-finding deficit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39 1048-1058

McGregor K K (1997) The nature of word-finding errors of preschoolers with and without

word-finding deficits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40 1232-

1244

Menyuk P (1997) Naming disorders in children In H Goodglass amp A Wingfield (Eds) Anomia

Neuroanatomical and cognitive correlates San Diego Academic Press

Rescola L amp Schwartz E (1990) Outcome of specific expressive language delay Applied

Psycholinguistics 11 393-407

Rice M L amp Bode J V (1993) GAPS in the verb lexicons of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First Language 13 113-131

Stark R amp Tallal P (1981) Selection of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deficit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46 114-122

Stokes S F amp Fletcher P (2000) Lexical diversity and productivity in Cantonese-speaking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35(4) 527-541

Watkins R V Kelly D V Harbers H M amp Hollis W (1995) Measuring childrenrsquos lexical

diversity Differentiating typical and impaired language learner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38 1349-1355

언어청각장애연구

16

lt부록 - 1gt 명사 이름 기검사 낱말목록

번호 목표낱말 번호 목표낱말 번호 목표낱말 번호 목표낱말

1

2

3

4

5

6

7

8

9

열쇠

그네

망치

유모차

호루라기

도장

사다리

허수아비

기타

10

11

12

13

14

15

16

17

18

주사

목도리

달력

지도

신문

채소

19

20

21

22

23

24

25

26

27

낙하산

분수

필통

화분

우표

온도계

주유소

28

29

30

31

32

33

34

35

장화

국자

수염

바구니

시소

실로폰

옷걸이

지팡이

lt부록 - 2gt 동사 이름 기검사 낱말목록

번호 목표낱말 번호 목표낱말 번호 목표낱말 번호 목표낱말

1

2

3

4

5

6

7

8

9

울다

감다

불다

그리다

맡다

날다

지우다

따다

10

11

12

13

14

15

16

17

18

빗다

따르다

들다

묶다

건 다

뱉다

칠하다

마시다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닫다

웃다

짜다

개다

차다

부수다

묻다

꺾다

28

29

30

31

32

33

34

35

던지다

뽑다

넘다

당기다

붙이다

찢다

쓸다

자르다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낱말산출 능력

17

lt부록 - 3gt 명사 오류분석 기

구분 정의

의미

상 개념어(superordinate)

목표어를 포함하는 상 범주어로 치하는 경우 양 채소

등어(coordinate)

동일한 수 의 다른 낱말이나 동일의미범주의 낱말로 치하는 경우

그네미끄럼틀

하 개념어(subordinate)

목표어를 나타내는 하 범주어로 치하는 경우 가구책상

기능(functional)

목표어의 기능 속성을 나타내는 낱말로 치하는 경우 달력날짜

장소(locative)

목표어와 련된 장소를 나타내는 낱말로 치하는 경우 그네놀이터

구성요소(compositional)

목표어를 구성하는 낱말로 치하는 경우 주사기바늘

연합(association)

목표어와 같이 사용되는 낱말이나 개념으로 치하는 경우 낙하산비행기

의미 에두르기(circumlocution)

목표어의 의미 특성을 여러 낱말로 설명하거나 묘사하는 경우

국자국 떠주는 것

음운

음소 치(p-substitution)

목표어를 구성하는 음소를 다른 유사 음소로 치분수푼수기타치타

음소첨가(p-addition)

목표어에 다른 음소를 첨가 그네근네

음소생략(p-omission)

목표어에 포함된 음소나 음 을 생략하는 경우 우표표

음운유사낱말 치 (malapropisms)

음소 으로 유사한 다른 실제 낱말로 치 주사 주사기

음소( )반복(p-repetition)

목표어의 첫 번째 음소( 는 음 )를 반복하는 경우 그네그 그네

시각

시각 치(v-substitution)

시각 으로 유사한 낱말로 치 우표그림

시각 부분 치(whole-part)

목표어를 묘사한 그림의 일부분을 지칭하는 낱말로 치분수물 화장 거울

시각 에두르기목표어의 시각 특성을 여러 낱말로 설명하거나 묘사하는 경우

꼬리동그라미 에 뭐 달려있어

기타

DK(Donrsquot Know) lsquo모른다rsquo고 응답하는 경우

NR (No Response)

그림을 제시한 후 8 가 경과될 때까지 반응을 보이지 않는 경우

보속반응(perseveration)

이 문항에서의 반응을 되풀이

무 련 반응 목표어와 련되지 않은 낱말로 반응하는 경우

언어청각장애연구

18

lt부록 - 4gt 동사 오류분석 기

구분 정의

상 동사 목표동사의 상 행동을 묘사하는 동사로 치하는 경우 감다목욕하다

등어 동일행동을 묘사하거나 반 행동을 묘사하는 동사로 경우꺾다따다

열다닫다

하 동사 목표동사의 하 행동을 묘사하는 동사로 치하는 경우 묻다 다

연합목표동사와 같이 사용되는 낱말이나 행동어로 치하는 경

짜다그리다

다공사

의미 에두르기목표동사의 의미 특성을 여러 낱말로 설명하거나 묘사하

는 경우

뱉다물고 있던거

버려요

음소 치 목표동사를 구성하는 음소를 다른 유사 음소로 치맡다맡쳐요

부수다부긴다

음소첨가 목표동사에 다른 음소를 첨가 닫다닫은다

음소생략 목표동사에 포함된 음소나 음 을 생략하는 경우 따르다따요

음운유사낱말 치 음소 으로 유사한 다른 실제 동사로 치 빗다벗다

음소반복 목표동사의 첫 번째 음소( 는 음 )을 반복하는 경우 먹다머 먹다

시각 치 목표동사의 행동과 시각 으로 유사한 동사 치 뽑다당기다

시각 부분 치목표동사를 묘사한 그림의 일부분을 지칭하거나 묘사하는

낱말로 치묻다병아리

시각 에두르기목표동사의 행동 특성을 여러 낱말로 설명하거나 묘사하는

경우

부수다망치

때려

동사 사용 목표동사를 동사(lsquo명사+하다rsquo)의 형식으로 표 하는 경우 던지다공 해요

DK

(Dontrsquot Know)lsquo모른다rsquo고 응답하는 경우

NR

(No Response)

그림을 제시한 후 8 가 경과될 때까지 반응을 보이지 않

는 경우

보속반응 이 문항에서의 반응을 되풀이

무 련 반응 목표동사와 련되지 않는 낱말로 반응하는 경우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낱말산출 능력

19

게재 신청일 2003년 1월 24일게재 확정일 2003년 2월 23일

이윤경 (제 1 자) 용인 학교 재활보건과학 학원 언어치료학과 겸임교수 e-mail lyoonkyounghanmailnet김 태 (공동 자) 이화여자 학교 특수교육학 언어병리학과 교수 e-mail youngtaeewhaackr

ABSTRACT

Word (Noun and Verb) Production in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Yoonkyoung Lee(Dept of Speech and Languge Pathology Yongin University)

Young Tae Kim(Dept of Special Education amp

Interdiciplinary Program of Communication Disorders

Ewha Womans University)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word (noun and

verb) productions of children with SLI Sixty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1) 20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SLI group) whose language age were 46 - 66

(2) 20 normal children chronological-age matched with the SLI children (CA controls) and

(3) 20 normal children matched on a composite index of language age with the SLI children

(LA controls) Picture naming and word recognition tests were used and frequencies and

types of errors were analyse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s follows (1) the SLI

group demonstrated significantly higher frequency of errors in verb production than that

of nouns but LA controls produced more errors in nouns than those of verbs (2) the SLI

group produced unrelated errors more than others compared with normal controls Bu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error types produced in both noun and verb tests (3) the SLI group

demonstrated higher frequency of misnaming but recognized items in noun and verb

productions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SLI group and each of

the two normal control groups Thes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e findings of earlier

studies with regard to the restricted verb productions of the children with SLI

Key Words specific language impairment(SLI) word production naming test error pattern

언어청각장애연구

12

를 월등하게 많이 산출하 다 반면 이해여부와 집단 사이와 이해여부와 낱말유형 사이에서

는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가 찰되지 않았으며 아동집단 간에도 이해여부에 따른 오류유형

은 유의한 차이가 찰되지 않았다

V 논 의

본 연구는 이름 기검사를 사용하 을 때에도 자발화에서의 낱말산출 연구결과와 마찬

가지로 SLI 아동들이 명사에 비해 동사산출에 어려움을 보이는 지를 살펴보고 낱말산출 능

력이 낱말의 이해여부에 따라서는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 지 한 낱말유형(명사와 동사) 간

에 산출된 오류유형에서는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 지를 살펴보는 것을 목 으로 하 다 따라

서 명사와 동사에서의 낱말산출능력 낱말산출과 낱말이해와의 계 그리고 오류유형 결과

를 심으로 논의를 진행하 다

먼 낱말산출에서의 오반응빈도 분석 결과를 보면 SLI 아동 집단은 CA 일치집단에

비해 낱말산출능력이 뒤떨어진 것으로 나타났으나 LA 일치집단과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

지 않았다 그러나 SLI 아동집단과 CA 일치집단은 모두 명사에 비해 동사에서 오반응 빈도를

많이 산출한 반면 LA 일치집단은 동사에 비해 명사에서 오반응을 더 많이 산출하 다 이러

한 결과는 SLI 아동집단이 명사에 비해 동사산출에서 더 어려움을 보인다는 선행연구의 결과

와 유사한 것이며 이들의 낱말산출에서의 차이가 단순히 지체가 아닐 수 있음을 시사한다

SLI 아동들이 이처럼 명사에 비해 동사에서 더 오류를 많이 보인 것은 Rice amp Bode

(1993)가 설명한 것처럼 동사가 의미 인 지식뿐 아니라 명사보다 발화에서 문법 기능을

더 많이 담당하기 때문일 수도 있으며 는 동사가 명사에 비해 상 으로 지시하는 상

이 분명하지 않기 때문일 수도 있다(Hoff-Ginsberg 2001) 본 연구에서는 그림자료를 사용

하여 동사산출을 유도하 으므로 아동들의 동사산출능력이 구문산출능력이나 문맥에 의해

상 으로 향을 게 받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SLI 아동들이 명사에 비해 동사산출에

더 많은 오반응을 산출하 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동사가 문법 기능을 더 많이 담당하기

때문만이 아니라 SLI 아동들이 동사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더 많이 어려움을 갖기 때문으로

해석해 볼 수 있겠다

이해여부에 따른 낱말산출능력 분석 결과는 세 아동집단 모두 이해는 가능하나 이름

기에서만 오류를 보인 문항의 빈도가 이름 기와 이해 모두에서 오류를 보인 문항의 빈도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낱말산출 능력

13

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정상 인 언어발달에서 체로 낱말이해가 산출에

선행된다는 선행연구들을 통해서 설명해 볼 수 있을 것이다(Meynuk 1997) 반면 집단과 이

해여부에 따른 상호작용효과는 나타나지 않으나 SLI 아동들이 다른 두 일반아동집단에 비하

여 이해는 가능하나 이름 기에서만 오류를 보인 문항의 빈도를 높게 산출하 다(lt그림 -

2gt 참조) 이러한 결과는 SLI 아동들의 낱말산출의 문제가 낱말을 인식하는 수 이 아니라

낱말을 인출하는 과정의 문제일 수도 있음을 시사한다(이윤경김 태 2002 Menyuk

1997) 즉 낱말에 한 지식을 의미기억 속에 가지고는 있으나 이를 필요한 경우 효율 으로

잘 인출해내지 못하는 것일 수 있다

오류유형분석 결과는 SLI 아동들이 두 일반아동집단과 마찬가지로 의미 오류를 다른

오류유형에 비해 월등하게 많이 산출하 다는 에서 선행연구(Fried-Oken 1984 McGregor

1997)와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SLI 아동은 물론 일반아동들도 낱말을 정확하

게 산출하지 못할 때 목표낱말과 련된 의미 정보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 다 반

면 SLI 아동집단은 두 일반아동집단에 비하여 기타오류를 유의하게 많이 산출하 는데 이는

주로 SLI 아동들이 lsquoDK(모르겠다)rsquo 반응을 많이 산출한 것과 련된다 이처럼 SLI 아동들이

lsquoDKrsquo 반응을 많이 보인 것은 이 아동들이 목표낱말에 한 일부 지식은 지니고 있으나 낱말

을 산출할 수 있을 정도로 정확한 지식은 지니고 있지 못하 기 때문일 수도 있으며

(McGregor 1997) 낱말이 쉽게 생각나지 않기 때문에 낱말산출을 쉽게 포기하 기 때문일

수도 있다(이윤경김 태 2002)

오류유형은 낱말유형에 따라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 다 lt그림 - 3gt을 보면 LA 일치

집단은 명사와 동사에서 유사한 오류패턴을 보인 반면 SLI 아동집단과 CA 일치집단은 명사

에 비해 동사에서 의미 오류와 기타 오류를 더 많이 산출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명사에

비해 동사검사에서는 의미 으로 에둘러 표 하기와 DK 반응이 많았는데 이는 아동들이 동

사를 산출할 때 정확한 목표낱말로 표 하기 보다는 그림에서 묘사된 상황을 설명하는 경우

가 많았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는 SLI 아동들이 동사 산출에서 오류를 보이는 것이 명사보다

발화에서 문법 기능을 더 많이 담당하기 때문일 수도 있다는 Rice amp Bode (1993)의 설명

보다는 동사가 명사에 비해 상 으로 지시하는 상이 분명하지 않기 때문일 수도 있다는

Hoff-Ginsberg (2001)의 설명이 더 타당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오류유형은 이해여부와도 상호작용효과를 나타냈다 lt그림 - 5gt을 보면 세 아동 집단

은 모두 이해는 하면서 이름 기에만 오류를 보인 경우와 이름 기는 물론 이해에서도 오반

응을 보인 경우의 오류패턴은 유사하게 나타내었으나 이해와 이름 기에서 모두 오반응을

보인 경우보다 이해는 가능한 경우에 의미 오류를 월등하게 많이 산출하 다 이러한 결과

언어청각장애연구

14

는 McGregor (1997)가 설명하 듯이 SLI 아동은 물론 일반아동들도 낱말을 정확하게 산출

하지 못하는 경우 주로 낱말의 의미 속성에 의존하여 목표낱말을 치하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 다 그러나 언어처리과정 에서 보았을 때 이러한 결과는 SLI 아동은 물론 일반

아동들도 낱말산출에서의 오류가 낱말처리 과정 의미 처리과정에서의 문제 때문에 발

생한 것일 수도 있음을 보여 다 즉 유사한 의미 속성을 가진 낱말들 에서 목표낱말을

정확하게 선택하지 못하 기 때문일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설명 에서 어느 것이 더

한가는 추후 연구를 통해 설명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본 연구의 결과는 선행연구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SLI 아동

들이 CA 일치 아동들과 비교해서는 물론 LA 일치 아동들에 비해서도 낱말산출에서 어려움

을 보 으며 명사에 비해 동사에서 더 어려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이 아

동들이 동사 산출에 어려움을 갖는 것이 단순히 지체가 아니라 일탈된 특성일 수 있음을 제

시해 다 한 SLI 아동들은 오류유형에서도 두 일반아동 집단에 비해 lsquoDKrsquo 반응을 월등히

많이 산출하 으며 명사에 비해 동사에서 특히 많이 산출하 는데 이는 아동들이 목표낱말

을 의미기억 속에 정확하게 표상하고 있지 못하 기 때문일 수도 있으며 혹은 의미기억 속

에 장된 낱말을 빨리 효율 으로 인출하지 못해서 쉽게 lsquo모르겠다rsquo라고 반응한 것일 수도

있다고 설명할 수 있다 이처럼 낱말의 유형에 따라 반응의 정확성이나 오류유형에 차이가

나타나는 것이 낱말을 처리하는 과정에서의 문제로 인한 것인지 혹은 문법규칙을 습득하는

데에 있어서 특정 으로 결함을 갖기 때문인지는 추후 더 심도깊게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참 고 문 헌

김 태성태제이윤경(2003) 985172취학 아동의 수용언어 표 언어 발달척도(PRES)985173 서울 서울장

애인종합복지

김 태장혜성임선숙백 정(1995) 985172그림어휘력검사985173 서울 서울장애인종합복지

박혜원곽 주박 배(1997) 985172K-WPPSI 검사요강985173 서울 도서출 특수교육

성태제(2001) Bayesian 통계방법에 의한 검사분석 로그램 wwwevercationcom

이상 정세화이은화이정환(1972) 3 4 5세 아동의 회화에 나타난 어휘 조사 985172한국문화연구원

논총985173 11 337-427이연섭권경안정인실(1980) 985172한국아동의 어휘발달 연구(Ⅰ)985173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이윤경김 태(2002)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낱말찾기 특성 985172언어청각장애연구985173 7(1) 65-80이응백 (1989) 985172국민학교 학습용 기본어휘 연구985173 서울 한교과서주식회사

Conti-Ramsden G amp Jones M (1997) Verb use in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Journal of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낱말산출 능력

15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40 1298-1313

Fried-Oken M (1984) The development of naming skills in normal and language deficient childr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Boston University

German D J (2000) Test of Word Finding (manual) Austin TX Pro-Ed

Hoff-Ginsberg E (2001) Language development (2nd ed) Florence KY Wadsworth

Lahey M amp Edwards J (1999) Naming errors of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42 195-205

Leonard L B Nippold M A Kail R amp Hale C (1983) Picture naming in language-impaired

children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26 609-615

Leonard L B (1998) The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Cambridge MA The MIT

Press

McGregor K K amp Windsor J (1996) Effects of priming on the naming accuracy of preschoolers

with word-finding deficit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39 1048-1058

McGregor K K (1997) The nature of word-finding errors of preschoolers with and without

word-finding deficits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40 1232-

1244

Menyuk P (1997) Naming disorders in children In H Goodglass amp A Wingfield (Eds) Anomia

Neuroanatomical and cognitive correlates San Diego Academic Press

Rescola L amp Schwartz E (1990) Outcome of specific expressive language delay Applied

Psycholinguistics 11 393-407

Rice M L amp Bode J V (1993) GAPS in the verb lexicons of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First Language 13 113-131

Stark R amp Tallal P (1981) Selection of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deficit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46 114-122

Stokes S F amp Fletcher P (2000) Lexical diversity and productivity in Cantonese-speaking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35(4) 527-541

Watkins R V Kelly D V Harbers H M amp Hollis W (1995) Measuring childrenrsquos lexical

diversity Differentiating typical and impaired language learner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38 1349-1355

언어청각장애연구

16

lt부록 - 1gt 명사 이름 기검사 낱말목록

번호 목표낱말 번호 목표낱말 번호 목표낱말 번호 목표낱말

1

2

3

4

5

6

7

8

9

열쇠

그네

망치

유모차

호루라기

도장

사다리

허수아비

기타

10

11

12

13

14

15

16

17

18

주사

목도리

달력

지도

신문

채소

19

20

21

22

23

24

25

26

27

낙하산

분수

필통

화분

우표

온도계

주유소

28

29

30

31

32

33

34

35

장화

국자

수염

바구니

시소

실로폰

옷걸이

지팡이

lt부록 - 2gt 동사 이름 기검사 낱말목록

번호 목표낱말 번호 목표낱말 번호 목표낱말 번호 목표낱말

1

2

3

4

5

6

7

8

9

울다

감다

불다

그리다

맡다

날다

지우다

따다

10

11

12

13

14

15

16

17

18

빗다

따르다

들다

묶다

건 다

뱉다

칠하다

마시다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닫다

웃다

짜다

개다

차다

부수다

묻다

꺾다

28

29

30

31

32

33

34

35

던지다

뽑다

넘다

당기다

붙이다

찢다

쓸다

자르다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낱말산출 능력

17

lt부록 - 3gt 명사 오류분석 기

구분 정의

의미

상 개념어(superordinate)

목표어를 포함하는 상 범주어로 치하는 경우 양 채소

등어(coordinate)

동일한 수 의 다른 낱말이나 동일의미범주의 낱말로 치하는 경우

그네미끄럼틀

하 개념어(subordinate)

목표어를 나타내는 하 범주어로 치하는 경우 가구책상

기능(functional)

목표어의 기능 속성을 나타내는 낱말로 치하는 경우 달력날짜

장소(locative)

목표어와 련된 장소를 나타내는 낱말로 치하는 경우 그네놀이터

구성요소(compositional)

목표어를 구성하는 낱말로 치하는 경우 주사기바늘

연합(association)

목표어와 같이 사용되는 낱말이나 개념으로 치하는 경우 낙하산비행기

의미 에두르기(circumlocution)

목표어의 의미 특성을 여러 낱말로 설명하거나 묘사하는 경우

국자국 떠주는 것

음운

음소 치(p-substitution)

목표어를 구성하는 음소를 다른 유사 음소로 치분수푼수기타치타

음소첨가(p-addition)

목표어에 다른 음소를 첨가 그네근네

음소생략(p-omission)

목표어에 포함된 음소나 음 을 생략하는 경우 우표표

음운유사낱말 치 (malapropisms)

음소 으로 유사한 다른 실제 낱말로 치 주사 주사기

음소( )반복(p-repetition)

목표어의 첫 번째 음소( 는 음 )를 반복하는 경우 그네그 그네

시각

시각 치(v-substitution)

시각 으로 유사한 낱말로 치 우표그림

시각 부분 치(whole-part)

목표어를 묘사한 그림의 일부분을 지칭하는 낱말로 치분수물 화장 거울

시각 에두르기목표어의 시각 특성을 여러 낱말로 설명하거나 묘사하는 경우

꼬리동그라미 에 뭐 달려있어

기타

DK(Donrsquot Know) lsquo모른다rsquo고 응답하는 경우

NR (No Response)

그림을 제시한 후 8 가 경과될 때까지 반응을 보이지 않는 경우

보속반응(perseveration)

이 문항에서의 반응을 되풀이

무 련 반응 목표어와 련되지 않은 낱말로 반응하는 경우

언어청각장애연구

18

lt부록 - 4gt 동사 오류분석 기

구분 정의

상 동사 목표동사의 상 행동을 묘사하는 동사로 치하는 경우 감다목욕하다

등어 동일행동을 묘사하거나 반 행동을 묘사하는 동사로 경우꺾다따다

열다닫다

하 동사 목표동사의 하 행동을 묘사하는 동사로 치하는 경우 묻다 다

연합목표동사와 같이 사용되는 낱말이나 행동어로 치하는 경

짜다그리다

다공사

의미 에두르기목표동사의 의미 특성을 여러 낱말로 설명하거나 묘사하

는 경우

뱉다물고 있던거

버려요

음소 치 목표동사를 구성하는 음소를 다른 유사 음소로 치맡다맡쳐요

부수다부긴다

음소첨가 목표동사에 다른 음소를 첨가 닫다닫은다

음소생략 목표동사에 포함된 음소나 음 을 생략하는 경우 따르다따요

음운유사낱말 치 음소 으로 유사한 다른 실제 동사로 치 빗다벗다

음소반복 목표동사의 첫 번째 음소( 는 음 )을 반복하는 경우 먹다머 먹다

시각 치 목표동사의 행동과 시각 으로 유사한 동사 치 뽑다당기다

시각 부분 치목표동사를 묘사한 그림의 일부분을 지칭하거나 묘사하는

낱말로 치묻다병아리

시각 에두르기목표동사의 행동 특성을 여러 낱말로 설명하거나 묘사하는

경우

부수다망치

때려

동사 사용 목표동사를 동사(lsquo명사+하다rsquo)의 형식으로 표 하는 경우 던지다공 해요

DK

(Dontrsquot Know)lsquo모른다rsquo고 응답하는 경우

NR

(No Response)

그림을 제시한 후 8 가 경과될 때까지 반응을 보이지 않

는 경우

보속반응 이 문항에서의 반응을 되풀이

무 련 반응 목표동사와 련되지 않는 낱말로 반응하는 경우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낱말산출 능력

19

게재 신청일 2003년 1월 24일게재 확정일 2003년 2월 23일

이윤경 (제 1 자) 용인 학교 재활보건과학 학원 언어치료학과 겸임교수 e-mail lyoonkyounghanmailnet김 태 (공동 자) 이화여자 학교 특수교육학 언어병리학과 교수 e-mail youngtaeewhaackr

ABSTRACT

Word (Noun and Verb) Production in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Yoonkyoung Lee(Dept of Speech and Languge Pathology Yongin University)

Young Tae Kim(Dept of Special Education amp

Interdiciplinary Program of Communication Disorders

Ewha Womans University)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word (noun and

verb) productions of children with SLI Sixty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1) 20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SLI group) whose language age were 46 - 66

(2) 20 normal children chronological-age matched with the SLI children (CA controls) and

(3) 20 normal children matched on a composite index of language age with the SLI children

(LA controls) Picture naming and word recognition tests were used and frequencies and

types of errors were analyse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s follows (1) the SLI

group demonstrated significantly higher frequency of errors in verb production than that

of nouns but LA controls produced more errors in nouns than those of verbs (2) the SLI

group produced unrelated errors more than others compared with normal controls Bu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error types produced in both noun and verb tests (3) the SLI group

demonstrated higher frequency of misnaming but recognized items in noun and verb

productions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SLI group and each of

the two normal control groups Thes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e findings of earlier

studies with regard to the restricted verb productions of the children with SLI

Key Words specific language impairment(SLI) word production naming test error pattern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낱말산출 능력

13

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정상 인 언어발달에서 체로 낱말이해가 산출에

선행된다는 선행연구들을 통해서 설명해 볼 수 있을 것이다(Meynuk 1997) 반면 집단과 이

해여부에 따른 상호작용효과는 나타나지 않으나 SLI 아동들이 다른 두 일반아동집단에 비하

여 이해는 가능하나 이름 기에서만 오류를 보인 문항의 빈도를 높게 산출하 다(lt그림 -

2gt 참조) 이러한 결과는 SLI 아동들의 낱말산출의 문제가 낱말을 인식하는 수 이 아니라

낱말을 인출하는 과정의 문제일 수도 있음을 시사한다(이윤경김 태 2002 Menyuk

1997) 즉 낱말에 한 지식을 의미기억 속에 가지고는 있으나 이를 필요한 경우 효율 으로

잘 인출해내지 못하는 것일 수 있다

오류유형분석 결과는 SLI 아동들이 두 일반아동집단과 마찬가지로 의미 오류를 다른

오류유형에 비해 월등하게 많이 산출하 다는 에서 선행연구(Fried-Oken 1984 McGregor

1997)와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SLI 아동은 물론 일반아동들도 낱말을 정확하

게 산출하지 못할 때 목표낱말과 련된 의미 정보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 다 반

면 SLI 아동집단은 두 일반아동집단에 비하여 기타오류를 유의하게 많이 산출하 는데 이는

주로 SLI 아동들이 lsquoDK(모르겠다)rsquo 반응을 많이 산출한 것과 련된다 이처럼 SLI 아동들이

lsquoDKrsquo 반응을 많이 보인 것은 이 아동들이 목표낱말에 한 일부 지식은 지니고 있으나 낱말

을 산출할 수 있을 정도로 정확한 지식은 지니고 있지 못하 기 때문일 수도 있으며

(McGregor 1997) 낱말이 쉽게 생각나지 않기 때문에 낱말산출을 쉽게 포기하 기 때문일

수도 있다(이윤경김 태 2002)

오류유형은 낱말유형에 따라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 다 lt그림 - 3gt을 보면 LA 일치

집단은 명사와 동사에서 유사한 오류패턴을 보인 반면 SLI 아동집단과 CA 일치집단은 명사

에 비해 동사에서 의미 오류와 기타 오류를 더 많이 산출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명사에

비해 동사검사에서는 의미 으로 에둘러 표 하기와 DK 반응이 많았는데 이는 아동들이 동

사를 산출할 때 정확한 목표낱말로 표 하기 보다는 그림에서 묘사된 상황을 설명하는 경우

가 많았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는 SLI 아동들이 동사 산출에서 오류를 보이는 것이 명사보다

발화에서 문법 기능을 더 많이 담당하기 때문일 수도 있다는 Rice amp Bode (1993)의 설명

보다는 동사가 명사에 비해 상 으로 지시하는 상이 분명하지 않기 때문일 수도 있다는

Hoff-Ginsberg (2001)의 설명이 더 타당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오류유형은 이해여부와도 상호작용효과를 나타냈다 lt그림 - 5gt을 보면 세 아동 집단

은 모두 이해는 하면서 이름 기에만 오류를 보인 경우와 이름 기는 물론 이해에서도 오반

응을 보인 경우의 오류패턴은 유사하게 나타내었으나 이해와 이름 기에서 모두 오반응을

보인 경우보다 이해는 가능한 경우에 의미 오류를 월등하게 많이 산출하 다 이러한 결과

언어청각장애연구

14

는 McGregor (1997)가 설명하 듯이 SLI 아동은 물론 일반아동들도 낱말을 정확하게 산출

하지 못하는 경우 주로 낱말의 의미 속성에 의존하여 목표낱말을 치하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 다 그러나 언어처리과정 에서 보았을 때 이러한 결과는 SLI 아동은 물론 일반

아동들도 낱말산출에서의 오류가 낱말처리 과정 의미 처리과정에서의 문제 때문에 발

생한 것일 수도 있음을 보여 다 즉 유사한 의미 속성을 가진 낱말들 에서 목표낱말을

정확하게 선택하지 못하 기 때문일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설명 에서 어느 것이 더

한가는 추후 연구를 통해 설명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본 연구의 결과는 선행연구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SLI 아동

들이 CA 일치 아동들과 비교해서는 물론 LA 일치 아동들에 비해서도 낱말산출에서 어려움

을 보 으며 명사에 비해 동사에서 더 어려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이 아

동들이 동사 산출에 어려움을 갖는 것이 단순히 지체가 아니라 일탈된 특성일 수 있음을 제

시해 다 한 SLI 아동들은 오류유형에서도 두 일반아동 집단에 비해 lsquoDKrsquo 반응을 월등히

많이 산출하 으며 명사에 비해 동사에서 특히 많이 산출하 는데 이는 아동들이 목표낱말

을 의미기억 속에 정확하게 표상하고 있지 못하 기 때문일 수도 있으며 혹은 의미기억 속

에 장된 낱말을 빨리 효율 으로 인출하지 못해서 쉽게 lsquo모르겠다rsquo라고 반응한 것일 수도

있다고 설명할 수 있다 이처럼 낱말의 유형에 따라 반응의 정확성이나 오류유형에 차이가

나타나는 것이 낱말을 처리하는 과정에서의 문제로 인한 것인지 혹은 문법규칙을 습득하는

데에 있어서 특정 으로 결함을 갖기 때문인지는 추후 더 심도깊게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참 고 문 헌

김 태성태제이윤경(2003) 985172취학 아동의 수용언어 표 언어 발달척도(PRES)985173 서울 서울장

애인종합복지

김 태장혜성임선숙백 정(1995) 985172그림어휘력검사985173 서울 서울장애인종합복지

박혜원곽 주박 배(1997) 985172K-WPPSI 검사요강985173 서울 도서출 특수교육

성태제(2001) Bayesian 통계방법에 의한 검사분석 로그램 wwwevercationcom

이상 정세화이은화이정환(1972) 3 4 5세 아동의 회화에 나타난 어휘 조사 985172한국문화연구원

논총985173 11 337-427이연섭권경안정인실(1980) 985172한국아동의 어휘발달 연구(Ⅰ)985173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이윤경김 태(2002)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낱말찾기 특성 985172언어청각장애연구985173 7(1) 65-80이응백 (1989) 985172국민학교 학습용 기본어휘 연구985173 서울 한교과서주식회사

Conti-Ramsden G amp Jones M (1997) Verb use in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Journal of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낱말산출 능력

15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40 1298-1313

Fried-Oken M (1984) The development of naming skills in normal and language deficient childr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Boston University

German D J (2000) Test of Word Finding (manual) Austin TX Pro-Ed

Hoff-Ginsberg E (2001) Language development (2nd ed) Florence KY Wadsworth

Lahey M amp Edwards J (1999) Naming errors of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42 195-205

Leonard L B Nippold M A Kail R amp Hale C (1983) Picture naming in language-impaired

children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26 609-615

Leonard L B (1998) The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Cambridge MA The MIT

Press

McGregor K K amp Windsor J (1996) Effects of priming on the naming accuracy of preschoolers

with word-finding deficit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39 1048-1058

McGregor K K (1997) The nature of word-finding errors of preschoolers with and without

word-finding deficits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40 1232-

1244

Menyuk P (1997) Naming disorders in children In H Goodglass amp A Wingfield (Eds) Anomia

Neuroanatomical and cognitive correlates San Diego Academic Press

Rescola L amp Schwartz E (1990) Outcome of specific expressive language delay Applied

Psycholinguistics 11 393-407

Rice M L amp Bode J V (1993) GAPS in the verb lexicons of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First Language 13 113-131

Stark R amp Tallal P (1981) Selection of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deficit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46 114-122

Stokes S F amp Fletcher P (2000) Lexical diversity and productivity in Cantonese-speaking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35(4) 527-541

Watkins R V Kelly D V Harbers H M amp Hollis W (1995) Measuring childrenrsquos lexical

diversity Differentiating typical and impaired language learner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38 1349-1355

언어청각장애연구

16

lt부록 - 1gt 명사 이름 기검사 낱말목록

번호 목표낱말 번호 목표낱말 번호 목표낱말 번호 목표낱말

1

2

3

4

5

6

7

8

9

열쇠

그네

망치

유모차

호루라기

도장

사다리

허수아비

기타

10

11

12

13

14

15

16

17

18

주사

목도리

달력

지도

신문

채소

19

20

21

22

23

24

25

26

27

낙하산

분수

필통

화분

우표

온도계

주유소

28

29

30

31

32

33

34

35

장화

국자

수염

바구니

시소

실로폰

옷걸이

지팡이

lt부록 - 2gt 동사 이름 기검사 낱말목록

번호 목표낱말 번호 목표낱말 번호 목표낱말 번호 목표낱말

1

2

3

4

5

6

7

8

9

울다

감다

불다

그리다

맡다

날다

지우다

따다

10

11

12

13

14

15

16

17

18

빗다

따르다

들다

묶다

건 다

뱉다

칠하다

마시다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닫다

웃다

짜다

개다

차다

부수다

묻다

꺾다

28

29

30

31

32

33

34

35

던지다

뽑다

넘다

당기다

붙이다

찢다

쓸다

자르다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낱말산출 능력

17

lt부록 - 3gt 명사 오류분석 기

구분 정의

의미

상 개념어(superordinate)

목표어를 포함하는 상 범주어로 치하는 경우 양 채소

등어(coordinate)

동일한 수 의 다른 낱말이나 동일의미범주의 낱말로 치하는 경우

그네미끄럼틀

하 개념어(subordinate)

목표어를 나타내는 하 범주어로 치하는 경우 가구책상

기능(functional)

목표어의 기능 속성을 나타내는 낱말로 치하는 경우 달력날짜

장소(locative)

목표어와 련된 장소를 나타내는 낱말로 치하는 경우 그네놀이터

구성요소(compositional)

목표어를 구성하는 낱말로 치하는 경우 주사기바늘

연합(association)

목표어와 같이 사용되는 낱말이나 개념으로 치하는 경우 낙하산비행기

의미 에두르기(circumlocution)

목표어의 의미 특성을 여러 낱말로 설명하거나 묘사하는 경우

국자국 떠주는 것

음운

음소 치(p-substitution)

목표어를 구성하는 음소를 다른 유사 음소로 치분수푼수기타치타

음소첨가(p-addition)

목표어에 다른 음소를 첨가 그네근네

음소생략(p-omission)

목표어에 포함된 음소나 음 을 생략하는 경우 우표표

음운유사낱말 치 (malapropisms)

음소 으로 유사한 다른 실제 낱말로 치 주사 주사기

음소( )반복(p-repetition)

목표어의 첫 번째 음소( 는 음 )를 반복하는 경우 그네그 그네

시각

시각 치(v-substitution)

시각 으로 유사한 낱말로 치 우표그림

시각 부분 치(whole-part)

목표어를 묘사한 그림의 일부분을 지칭하는 낱말로 치분수물 화장 거울

시각 에두르기목표어의 시각 특성을 여러 낱말로 설명하거나 묘사하는 경우

꼬리동그라미 에 뭐 달려있어

기타

DK(Donrsquot Know) lsquo모른다rsquo고 응답하는 경우

NR (No Response)

그림을 제시한 후 8 가 경과될 때까지 반응을 보이지 않는 경우

보속반응(perseveration)

이 문항에서의 반응을 되풀이

무 련 반응 목표어와 련되지 않은 낱말로 반응하는 경우

언어청각장애연구

18

lt부록 - 4gt 동사 오류분석 기

구분 정의

상 동사 목표동사의 상 행동을 묘사하는 동사로 치하는 경우 감다목욕하다

등어 동일행동을 묘사하거나 반 행동을 묘사하는 동사로 경우꺾다따다

열다닫다

하 동사 목표동사의 하 행동을 묘사하는 동사로 치하는 경우 묻다 다

연합목표동사와 같이 사용되는 낱말이나 행동어로 치하는 경

짜다그리다

다공사

의미 에두르기목표동사의 의미 특성을 여러 낱말로 설명하거나 묘사하

는 경우

뱉다물고 있던거

버려요

음소 치 목표동사를 구성하는 음소를 다른 유사 음소로 치맡다맡쳐요

부수다부긴다

음소첨가 목표동사에 다른 음소를 첨가 닫다닫은다

음소생략 목표동사에 포함된 음소나 음 을 생략하는 경우 따르다따요

음운유사낱말 치 음소 으로 유사한 다른 실제 동사로 치 빗다벗다

음소반복 목표동사의 첫 번째 음소( 는 음 )을 반복하는 경우 먹다머 먹다

시각 치 목표동사의 행동과 시각 으로 유사한 동사 치 뽑다당기다

시각 부분 치목표동사를 묘사한 그림의 일부분을 지칭하거나 묘사하는

낱말로 치묻다병아리

시각 에두르기목표동사의 행동 특성을 여러 낱말로 설명하거나 묘사하는

경우

부수다망치

때려

동사 사용 목표동사를 동사(lsquo명사+하다rsquo)의 형식으로 표 하는 경우 던지다공 해요

DK

(Dontrsquot Know)lsquo모른다rsquo고 응답하는 경우

NR

(No Response)

그림을 제시한 후 8 가 경과될 때까지 반응을 보이지 않

는 경우

보속반응 이 문항에서의 반응을 되풀이

무 련 반응 목표동사와 련되지 않는 낱말로 반응하는 경우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낱말산출 능력

19

게재 신청일 2003년 1월 24일게재 확정일 2003년 2월 23일

이윤경 (제 1 자) 용인 학교 재활보건과학 학원 언어치료학과 겸임교수 e-mail lyoonkyounghanmailnet김 태 (공동 자) 이화여자 학교 특수교육학 언어병리학과 교수 e-mail youngtaeewhaackr

ABSTRACT

Word (Noun and Verb) Production in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Yoonkyoung Lee(Dept of Speech and Languge Pathology Yongin University)

Young Tae Kim(Dept of Special Education amp

Interdiciplinary Program of Communication Disorders

Ewha Womans University)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word (noun and

verb) productions of children with SLI Sixty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1) 20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SLI group) whose language age were 46 - 66

(2) 20 normal children chronological-age matched with the SLI children (CA controls) and

(3) 20 normal children matched on a composite index of language age with the SLI children

(LA controls) Picture naming and word recognition tests were used and frequencies and

types of errors were analyse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s follows (1) the SLI

group demonstrated significantly higher frequency of errors in verb production than that

of nouns but LA controls produced more errors in nouns than those of verbs (2) the SLI

group produced unrelated errors more than others compared with normal controls Bu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error types produced in both noun and verb tests (3) the SLI group

demonstrated higher frequency of misnaming but recognized items in noun and verb

productions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SLI group and each of

the two normal control groups Thes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e findings of earlier

studies with regard to the restricted verb productions of the children with SLI

Key Words specific language impairment(SLI) word production naming test error pattern

언어청각장애연구

14

는 McGregor (1997)가 설명하 듯이 SLI 아동은 물론 일반아동들도 낱말을 정확하게 산출

하지 못하는 경우 주로 낱말의 의미 속성에 의존하여 목표낱말을 치하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 다 그러나 언어처리과정 에서 보았을 때 이러한 결과는 SLI 아동은 물론 일반

아동들도 낱말산출에서의 오류가 낱말처리 과정 의미 처리과정에서의 문제 때문에 발

생한 것일 수도 있음을 보여 다 즉 유사한 의미 속성을 가진 낱말들 에서 목표낱말을

정확하게 선택하지 못하 기 때문일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설명 에서 어느 것이 더

한가는 추후 연구를 통해 설명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본 연구의 결과는 선행연구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SLI 아동

들이 CA 일치 아동들과 비교해서는 물론 LA 일치 아동들에 비해서도 낱말산출에서 어려움

을 보 으며 명사에 비해 동사에서 더 어려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이 아

동들이 동사 산출에 어려움을 갖는 것이 단순히 지체가 아니라 일탈된 특성일 수 있음을 제

시해 다 한 SLI 아동들은 오류유형에서도 두 일반아동 집단에 비해 lsquoDKrsquo 반응을 월등히

많이 산출하 으며 명사에 비해 동사에서 특히 많이 산출하 는데 이는 아동들이 목표낱말

을 의미기억 속에 정확하게 표상하고 있지 못하 기 때문일 수도 있으며 혹은 의미기억 속

에 장된 낱말을 빨리 효율 으로 인출하지 못해서 쉽게 lsquo모르겠다rsquo라고 반응한 것일 수도

있다고 설명할 수 있다 이처럼 낱말의 유형에 따라 반응의 정확성이나 오류유형에 차이가

나타나는 것이 낱말을 처리하는 과정에서의 문제로 인한 것인지 혹은 문법규칙을 습득하는

데에 있어서 특정 으로 결함을 갖기 때문인지는 추후 더 심도깊게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참 고 문 헌

김 태성태제이윤경(2003) 985172취학 아동의 수용언어 표 언어 발달척도(PRES)985173 서울 서울장

애인종합복지

김 태장혜성임선숙백 정(1995) 985172그림어휘력검사985173 서울 서울장애인종합복지

박혜원곽 주박 배(1997) 985172K-WPPSI 검사요강985173 서울 도서출 특수교육

성태제(2001) Bayesian 통계방법에 의한 검사분석 로그램 wwwevercationcom

이상 정세화이은화이정환(1972) 3 4 5세 아동의 회화에 나타난 어휘 조사 985172한국문화연구원

논총985173 11 337-427이연섭권경안정인실(1980) 985172한국아동의 어휘발달 연구(Ⅰ)985173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이윤경김 태(2002)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낱말찾기 특성 985172언어청각장애연구985173 7(1) 65-80이응백 (1989) 985172국민학교 학습용 기본어휘 연구985173 서울 한교과서주식회사

Conti-Ramsden G amp Jones M (1997) Verb use in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Journal of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낱말산출 능력

15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40 1298-1313

Fried-Oken M (1984) The development of naming skills in normal and language deficient childr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Boston University

German D J (2000) Test of Word Finding (manual) Austin TX Pro-Ed

Hoff-Ginsberg E (2001) Language development (2nd ed) Florence KY Wadsworth

Lahey M amp Edwards J (1999) Naming errors of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42 195-205

Leonard L B Nippold M A Kail R amp Hale C (1983) Picture naming in language-impaired

children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26 609-615

Leonard L B (1998) The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Cambridge MA The MIT

Press

McGregor K K amp Windsor J (1996) Effects of priming on the naming accuracy of preschoolers

with word-finding deficit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39 1048-1058

McGregor K K (1997) The nature of word-finding errors of preschoolers with and without

word-finding deficits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40 1232-

1244

Menyuk P (1997) Naming disorders in children In H Goodglass amp A Wingfield (Eds) Anomia

Neuroanatomical and cognitive correlates San Diego Academic Press

Rescola L amp Schwartz E (1990) Outcome of specific expressive language delay Applied

Psycholinguistics 11 393-407

Rice M L amp Bode J V (1993) GAPS in the verb lexicons of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First Language 13 113-131

Stark R amp Tallal P (1981) Selection of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deficit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46 114-122

Stokes S F amp Fletcher P (2000) Lexical diversity and productivity in Cantonese-speaking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35(4) 527-541

Watkins R V Kelly D V Harbers H M amp Hollis W (1995) Measuring childrenrsquos lexical

diversity Differentiating typical and impaired language learner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38 1349-1355

언어청각장애연구

16

lt부록 - 1gt 명사 이름 기검사 낱말목록

번호 목표낱말 번호 목표낱말 번호 목표낱말 번호 목표낱말

1

2

3

4

5

6

7

8

9

열쇠

그네

망치

유모차

호루라기

도장

사다리

허수아비

기타

10

11

12

13

14

15

16

17

18

주사

목도리

달력

지도

신문

채소

19

20

21

22

23

24

25

26

27

낙하산

분수

필통

화분

우표

온도계

주유소

28

29

30

31

32

33

34

35

장화

국자

수염

바구니

시소

실로폰

옷걸이

지팡이

lt부록 - 2gt 동사 이름 기검사 낱말목록

번호 목표낱말 번호 목표낱말 번호 목표낱말 번호 목표낱말

1

2

3

4

5

6

7

8

9

울다

감다

불다

그리다

맡다

날다

지우다

따다

10

11

12

13

14

15

16

17

18

빗다

따르다

들다

묶다

건 다

뱉다

칠하다

마시다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닫다

웃다

짜다

개다

차다

부수다

묻다

꺾다

28

29

30

31

32

33

34

35

던지다

뽑다

넘다

당기다

붙이다

찢다

쓸다

자르다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낱말산출 능력

17

lt부록 - 3gt 명사 오류분석 기

구분 정의

의미

상 개념어(superordinate)

목표어를 포함하는 상 범주어로 치하는 경우 양 채소

등어(coordinate)

동일한 수 의 다른 낱말이나 동일의미범주의 낱말로 치하는 경우

그네미끄럼틀

하 개념어(subordinate)

목표어를 나타내는 하 범주어로 치하는 경우 가구책상

기능(functional)

목표어의 기능 속성을 나타내는 낱말로 치하는 경우 달력날짜

장소(locative)

목표어와 련된 장소를 나타내는 낱말로 치하는 경우 그네놀이터

구성요소(compositional)

목표어를 구성하는 낱말로 치하는 경우 주사기바늘

연합(association)

목표어와 같이 사용되는 낱말이나 개념으로 치하는 경우 낙하산비행기

의미 에두르기(circumlocution)

목표어의 의미 특성을 여러 낱말로 설명하거나 묘사하는 경우

국자국 떠주는 것

음운

음소 치(p-substitution)

목표어를 구성하는 음소를 다른 유사 음소로 치분수푼수기타치타

음소첨가(p-addition)

목표어에 다른 음소를 첨가 그네근네

음소생략(p-omission)

목표어에 포함된 음소나 음 을 생략하는 경우 우표표

음운유사낱말 치 (malapropisms)

음소 으로 유사한 다른 실제 낱말로 치 주사 주사기

음소( )반복(p-repetition)

목표어의 첫 번째 음소( 는 음 )를 반복하는 경우 그네그 그네

시각

시각 치(v-substitution)

시각 으로 유사한 낱말로 치 우표그림

시각 부분 치(whole-part)

목표어를 묘사한 그림의 일부분을 지칭하는 낱말로 치분수물 화장 거울

시각 에두르기목표어의 시각 특성을 여러 낱말로 설명하거나 묘사하는 경우

꼬리동그라미 에 뭐 달려있어

기타

DK(Donrsquot Know) lsquo모른다rsquo고 응답하는 경우

NR (No Response)

그림을 제시한 후 8 가 경과될 때까지 반응을 보이지 않는 경우

보속반응(perseveration)

이 문항에서의 반응을 되풀이

무 련 반응 목표어와 련되지 않은 낱말로 반응하는 경우

언어청각장애연구

18

lt부록 - 4gt 동사 오류분석 기

구분 정의

상 동사 목표동사의 상 행동을 묘사하는 동사로 치하는 경우 감다목욕하다

등어 동일행동을 묘사하거나 반 행동을 묘사하는 동사로 경우꺾다따다

열다닫다

하 동사 목표동사의 하 행동을 묘사하는 동사로 치하는 경우 묻다 다

연합목표동사와 같이 사용되는 낱말이나 행동어로 치하는 경

짜다그리다

다공사

의미 에두르기목표동사의 의미 특성을 여러 낱말로 설명하거나 묘사하

는 경우

뱉다물고 있던거

버려요

음소 치 목표동사를 구성하는 음소를 다른 유사 음소로 치맡다맡쳐요

부수다부긴다

음소첨가 목표동사에 다른 음소를 첨가 닫다닫은다

음소생략 목표동사에 포함된 음소나 음 을 생략하는 경우 따르다따요

음운유사낱말 치 음소 으로 유사한 다른 실제 동사로 치 빗다벗다

음소반복 목표동사의 첫 번째 음소( 는 음 )을 반복하는 경우 먹다머 먹다

시각 치 목표동사의 행동과 시각 으로 유사한 동사 치 뽑다당기다

시각 부분 치목표동사를 묘사한 그림의 일부분을 지칭하거나 묘사하는

낱말로 치묻다병아리

시각 에두르기목표동사의 행동 특성을 여러 낱말로 설명하거나 묘사하는

경우

부수다망치

때려

동사 사용 목표동사를 동사(lsquo명사+하다rsquo)의 형식으로 표 하는 경우 던지다공 해요

DK

(Dontrsquot Know)lsquo모른다rsquo고 응답하는 경우

NR

(No Response)

그림을 제시한 후 8 가 경과될 때까지 반응을 보이지 않

는 경우

보속반응 이 문항에서의 반응을 되풀이

무 련 반응 목표동사와 련되지 않는 낱말로 반응하는 경우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낱말산출 능력

19

게재 신청일 2003년 1월 24일게재 확정일 2003년 2월 23일

이윤경 (제 1 자) 용인 학교 재활보건과학 학원 언어치료학과 겸임교수 e-mail lyoonkyounghanmailnet김 태 (공동 자) 이화여자 학교 특수교육학 언어병리학과 교수 e-mail youngtaeewhaackr

ABSTRACT

Word (Noun and Verb) Production in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Yoonkyoung Lee(Dept of Speech and Languge Pathology Yongin University)

Young Tae Kim(Dept of Special Education amp

Interdiciplinary Program of Communication Disorders

Ewha Womans University)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word (noun and

verb) productions of children with SLI Sixty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1) 20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SLI group) whose language age were 46 - 66

(2) 20 normal children chronological-age matched with the SLI children (CA controls) and

(3) 20 normal children matched on a composite index of language age with the SLI children

(LA controls) Picture naming and word recognition tests were used and frequencies and

types of errors were analyse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s follows (1) the SLI

group demonstrated significantly higher frequency of errors in verb production than that

of nouns but LA controls produced more errors in nouns than those of verbs (2) the SLI

group produced unrelated errors more than others compared with normal controls Bu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error types produced in both noun and verb tests (3) the SLI group

demonstrated higher frequency of misnaming but recognized items in noun and verb

productions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SLI group and each of

the two normal control groups Thes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e findings of earlier

studies with regard to the restricted verb productions of the children with SLI

Key Words specific language impairment(SLI) word production naming test error pattern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낱말산출 능력

15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40 1298-1313

Fried-Oken M (1984) The development of naming skills in normal and language deficient childr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Boston University

German D J (2000) Test of Word Finding (manual) Austin TX Pro-Ed

Hoff-Ginsberg E (2001) Language development (2nd ed) Florence KY Wadsworth

Lahey M amp Edwards J (1999) Naming errors of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42 195-205

Leonard L B Nippold M A Kail R amp Hale C (1983) Picture naming in language-impaired

children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26 609-615

Leonard L B (1998) The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Cambridge MA The MIT

Press

McGregor K K amp Windsor J (1996) Effects of priming on the naming accuracy of preschoolers

with word-finding deficit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39 1048-1058

McGregor K K (1997) The nature of word-finding errors of preschoolers with and without

word-finding deficits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40 1232-

1244

Menyuk P (1997) Naming disorders in children In H Goodglass amp A Wingfield (Eds) Anomia

Neuroanatomical and cognitive correlates San Diego Academic Press

Rescola L amp Schwartz E (1990) Outcome of specific expressive language delay Applied

Psycholinguistics 11 393-407

Rice M L amp Bode J V (1993) GAPS in the verb lexicons of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First Language 13 113-131

Stark R amp Tallal P (1981) Selection of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deficit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46 114-122

Stokes S F amp Fletcher P (2000) Lexical diversity and productivity in Cantonese-speaking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35(4) 527-541

Watkins R V Kelly D V Harbers H M amp Hollis W (1995) Measuring childrenrsquos lexical

diversity Differentiating typical and impaired language learner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38 1349-1355

언어청각장애연구

16

lt부록 - 1gt 명사 이름 기검사 낱말목록

번호 목표낱말 번호 목표낱말 번호 목표낱말 번호 목표낱말

1

2

3

4

5

6

7

8

9

열쇠

그네

망치

유모차

호루라기

도장

사다리

허수아비

기타

10

11

12

13

14

15

16

17

18

주사

목도리

달력

지도

신문

채소

19

20

21

22

23

24

25

26

27

낙하산

분수

필통

화분

우표

온도계

주유소

28

29

30

31

32

33

34

35

장화

국자

수염

바구니

시소

실로폰

옷걸이

지팡이

lt부록 - 2gt 동사 이름 기검사 낱말목록

번호 목표낱말 번호 목표낱말 번호 목표낱말 번호 목표낱말

1

2

3

4

5

6

7

8

9

울다

감다

불다

그리다

맡다

날다

지우다

따다

10

11

12

13

14

15

16

17

18

빗다

따르다

들다

묶다

건 다

뱉다

칠하다

마시다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닫다

웃다

짜다

개다

차다

부수다

묻다

꺾다

28

29

30

31

32

33

34

35

던지다

뽑다

넘다

당기다

붙이다

찢다

쓸다

자르다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낱말산출 능력

17

lt부록 - 3gt 명사 오류분석 기

구분 정의

의미

상 개념어(superordinate)

목표어를 포함하는 상 범주어로 치하는 경우 양 채소

등어(coordinate)

동일한 수 의 다른 낱말이나 동일의미범주의 낱말로 치하는 경우

그네미끄럼틀

하 개념어(subordinate)

목표어를 나타내는 하 범주어로 치하는 경우 가구책상

기능(functional)

목표어의 기능 속성을 나타내는 낱말로 치하는 경우 달력날짜

장소(locative)

목표어와 련된 장소를 나타내는 낱말로 치하는 경우 그네놀이터

구성요소(compositional)

목표어를 구성하는 낱말로 치하는 경우 주사기바늘

연합(association)

목표어와 같이 사용되는 낱말이나 개념으로 치하는 경우 낙하산비행기

의미 에두르기(circumlocution)

목표어의 의미 특성을 여러 낱말로 설명하거나 묘사하는 경우

국자국 떠주는 것

음운

음소 치(p-substitution)

목표어를 구성하는 음소를 다른 유사 음소로 치분수푼수기타치타

음소첨가(p-addition)

목표어에 다른 음소를 첨가 그네근네

음소생략(p-omission)

목표어에 포함된 음소나 음 을 생략하는 경우 우표표

음운유사낱말 치 (malapropisms)

음소 으로 유사한 다른 실제 낱말로 치 주사 주사기

음소( )반복(p-repetition)

목표어의 첫 번째 음소( 는 음 )를 반복하는 경우 그네그 그네

시각

시각 치(v-substitution)

시각 으로 유사한 낱말로 치 우표그림

시각 부분 치(whole-part)

목표어를 묘사한 그림의 일부분을 지칭하는 낱말로 치분수물 화장 거울

시각 에두르기목표어의 시각 특성을 여러 낱말로 설명하거나 묘사하는 경우

꼬리동그라미 에 뭐 달려있어

기타

DK(Donrsquot Know) lsquo모른다rsquo고 응답하는 경우

NR (No Response)

그림을 제시한 후 8 가 경과될 때까지 반응을 보이지 않는 경우

보속반응(perseveration)

이 문항에서의 반응을 되풀이

무 련 반응 목표어와 련되지 않은 낱말로 반응하는 경우

언어청각장애연구

18

lt부록 - 4gt 동사 오류분석 기

구분 정의

상 동사 목표동사의 상 행동을 묘사하는 동사로 치하는 경우 감다목욕하다

등어 동일행동을 묘사하거나 반 행동을 묘사하는 동사로 경우꺾다따다

열다닫다

하 동사 목표동사의 하 행동을 묘사하는 동사로 치하는 경우 묻다 다

연합목표동사와 같이 사용되는 낱말이나 행동어로 치하는 경

짜다그리다

다공사

의미 에두르기목표동사의 의미 특성을 여러 낱말로 설명하거나 묘사하

는 경우

뱉다물고 있던거

버려요

음소 치 목표동사를 구성하는 음소를 다른 유사 음소로 치맡다맡쳐요

부수다부긴다

음소첨가 목표동사에 다른 음소를 첨가 닫다닫은다

음소생략 목표동사에 포함된 음소나 음 을 생략하는 경우 따르다따요

음운유사낱말 치 음소 으로 유사한 다른 실제 동사로 치 빗다벗다

음소반복 목표동사의 첫 번째 음소( 는 음 )을 반복하는 경우 먹다머 먹다

시각 치 목표동사의 행동과 시각 으로 유사한 동사 치 뽑다당기다

시각 부분 치목표동사를 묘사한 그림의 일부분을 지칭하거나 묘사하는

낱말로 치묻다병아리

시각 에두르기목표동사의 행동 특성을 여러 낱말로 설명하거나 묘사하는

경우

부수다망치

때려

동사 사용 목표동사를 동사(lsquo명사+하다rsquo)의 형식으로 표 하는 경우 던지다공 해요

DK

(Dontrsquot Know)lsquo모른다rsquo고 응답하는 경우

NR

(No Response)

그림을 제시한 후 8 가 경과될 때까지 반응을 보이지 않

는 경우

보속반응 이 문항에서의 반응을 되풀이

무 련 반응 목표동사와 련되지 않는 낱말로 반응하는 경우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낱말산출 능력

19

게재 신청일 2003년 1월 24일게재 확정일 2003년 2월 23일

이윤경 (제 1 자) 용인 학교 재활보건과학 학원 언어치료학과 겸임교수 e-mail lyoonkyounghanmailnet김 태 (공동 자) 이화여자 학교 특수교육학 언어병리학과 교수 e-mail youngtaeewhaackr

ABSTRACT

Word (Noun and Verb) Production in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Yoonkyoung Lee(Dept of Speech and Languge Pathology Yongin University)

Young Tae Kim(Dept of Special Education amp

Interdiciplinary Program of Communication Disorders

Ewha Womans University)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word (noun and

verb) productions of children with SLI Sixty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1) 20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SLI group) whose language age were 46 - 66

(2) 20 normal children chronological-age matched with the SLI children (CA controls) and

(3) 20 normal children matched on a composite index of language age with the SLI children

(LA controls) Picture naming and word recognition tests were used and frequencies and

types of errors were analyse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s follows (1) the SLI

group demonstrated significantly higher frequency of errors in verb production than that

of nouns but LA controls produced more errors in nouns than those of verbs (2) the SLI

group produced unrelated errors more than others compared with normal controls Bu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error types produced in both noun and verb tests (3) the SLI group

demonstrated higher frequency of misnaming but recognized items in noun and verb

productions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SLI group and each of

the two normal control groups Thes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e findings of earlier

studies with regard to the restricted verb productions of the children with SLI

Key Words specific language impairment(SLI) word production naming test error pattern

언어청각장애연구

16

lt부록 - 1gt 명사 이름 기검사 낱말목록

번호 목표낱말 번호 목표낱말 번호 목표낱말 번호 목표낱말

1

2

3

4

5

6

7

8

9

열쇠

그네

망치

유모차

호루라기

도장

사다리

허수아비

기타

10

11

12

13

14

15

16

17

18

주사

목도리

달력

지도

신문

채소

19

20

21

22

23

24

25

26

27

낙하산

분수

필통

화분

우표

온도계

주유소

28

29

30

31

32

33

34

35

장화

국자

수염

바구니

시소

실로폰

옷걸이

지팡이

lt부록 - 2gt 동사 이름 기검사 낱말목록

번호 목표낱말 번호 목표낱말 번호 목표낱말 번호 목표낱말

1

2

3

4

5

6

7

8

9

울다

감다

불다

그리다

맡다

날다

지우다

따다

10

11

12

13

14

15

16

17

18

빗다

따르다

들다

묶다

건 다

뱉다

칠하다

마시다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닫다

웃다

짜다

개다

차다

부수다

묻다

꺾다

28

29

30

31

32

33

34

35

던지다

뽑다

넘다

당기다

붙이다

찢다

쓸다

자르다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낱말산출 능력

17

lt부록 - 3gt 명사 오류분석 기

구분 정의

의미

상 개념어(superordinate)

목표어를 포함하는 상 범주어로 치하는 경우 양 채소

등어(coordinate)

동일한 수 의 다른 낱말이나 동일의미범주의 낱말로 치하는 경우

그네미끄럼틀

하 개념어(subordinate)

목표어를 나타내는 하 범주어로 치하는 경우 가구책상

기능(functional)

목표어의 기능 속성을 나타내는 낱말로 치하는 경우 달력날짜

장소(locative)

목표어와 련된 장소를 나타내는 낱말로 치하는 경우 그네놀이터

구성요소(compositional)

목표어를 구성하는 낱말로 치하는 경우 주사기바늘

연합(association)

목표어와 같이 사용되는 낱말이나 개념으로 치하는 경우 낙하산비행기

의미 에두르기(circumlocution)

목표어의 의미 특성을 여러 낱말로 설명하거나 묘사하는 경우

국자국 떠주는 것

음운

음소 치(p-substitution)

목표어를 구성하는 음소를 다른 유사 음소로 치분수푼수기타치타

음소첨가(p-addition)

목표어에 다른 음소를 첨가 그네근네

음소생략(p-omission)

목표어에 포함된 음소나 음 을 생략하는 경우 우표표

음운유사낱말 치 (malapropisms)

음소 으로 유사한 다른 실제 낱말로 치 주사 주사기

음소( )반복(p-repetition)

목표어의 첫 번째 음소( 는 음 )를 반복하는 경우 그네그 그네

시각

시각 치(v-substitution)

시각 으로 유사한 낱말로 치 우표그림

시각 부분 치(whole-part)

목표어를 묘사한 그림의 일부분을 지칭하는 낱말로 치분수물 화장 거울

시각 에두르기목표어의 시각 특성을 여러 낱말로 설명하거나 묘사하는 경우

꼬리동그라미 에 뭐 달려있어

기타

DK(Donrsquot Know) lsquo모른다rsquo고 응답하는 경우

NR (No Response)

그림을 제시한 후 8 가 경과될 때까지 반응을 보이지 않는 경우

보속반응(perseveration)

이 문항에서의 반응을 되풀이

무 련 반응 목표어와 련되지 않은 낱말로 반응하는 경우

언어청각장애연구

18

lt부록 - 4gt 동사 오류분석 기

구분 정의

상 동사 목표동사의 상 행동을 묘사하는 동사로 치하는 경우 감다목욕하다

등어 동일행동을 묘사하거나 반 행동을 묘사하는 동사로 경우꺾다따다

열다닫다

하 동사 목표동사의 하 행동을 묘사하는 동사로 치하는 경우 묻다 다

연합목표동사와 같이 사용되는 낱말이나 행동어로 치하는 경

짜다그리다

다공사

의미 에두르기목표동사의 의미 특성을 여러 낱말로 설명하거나 묘사하

는 경우

뱉다물고 있던거

버려요

음소 치 목표동사를 구성하는 음소를 다른 유사 음소로 치맡다맡쳐요

부수다부긴다

음소첨가 목표동사에 다른 음소를 첨가 닫다닫은다

음소생략 목표동사에 포함된 음소나 음 을 생략하는 경우 따르다따요

음운유사낱말 치 음소 으로 유사한 다른 실제 동사로 치 빗다벗다

음소반복 목표동사의 첫 번째 음소( 는 음 )을 반복하는 경우 먹다머 먹다

시각 치 목표동사의 행동과 시각 으로 유사한 동사 치 뽑다당기다

시각 부분 치목표동사를 묘사한 그림의 일부분을 지칭하거나 묘사하는

낱말로 치묻다병아리

시각 에두르기목표동사의 행동 특성을 여러 낱말로 설명하거나 묘사하는

경우

부수다망치

때려

동사 사용 목표동사를 동사(lsquo명사+하다rsquo)의 형식으로 표 하는 경우 던지다공 해요

DK

(Dontrsquot Know)lsquo모른다rsquo고 응답하는 경우

NR

(No Response)

그림을 제시한 후 8 가 경과될 때까지 반응을 보이지 않

는 경우

보속반응 이 문항에서의 반응을 되풀이

무 련 반응 목표동사와 련되지 않는 낱말로 반응하는 경우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낱말산출 능력

19

게재 신청일 2003년 1월 24일게재 확정일 2003년 2월 23일

이윤경 (제 1 자) 용인 학교 재활보건과학 학원 언어치료학과 겸임교수 e-mail lyoonkyounghanmailnet김 태 (공동 자) 이화여자 학교 특수교육학 언어병리학과 교수 e-mail youngtaeewhaackr

ABSTRACT

Word (Noun and Verb) Production in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Yoonkyoung Lee(Dept of Speech and Languge Pathology Yongin University)

Young Tae Kim(Dept of Special Education amp

Interdiciplinary Program of Communication Disorders

Ewha Womans University)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word (noun and

verb) productions of children with SLI Sixty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1) 20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SLI group) whose language age were 46 - 66

(2) 20 normal children chronological-age matched with the SLI children (CA controls) and

(3) 20 normal children matched on a composite index of language age with the SLI children

(LA controls) Picture naming and word recognition tests were used and frequencies and

types of errors were analyse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s follows (1) the SLI

group demonstrated significantly higher frequency of errors in verb production than that

of nouns but LA controls produced more errors in nouns than those of verbs (2) the SLI

group produced unrelated errors more than others compared with normal controls Bu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error types produced in both noun and verb tests (3) the SLI group

demonstrated higher frequency of misnaming but recognized items in noun and verb

productions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SLI group and each of

the two normal control groups Thes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e findings of earlier

studies with regard to the restricted verb productions of the children with SLI

Key Words specific language impairment(SLI) word production naming test error pattern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낱말산출 능력

17

lt부록 - 3gt 명사 오류분석 기

구분 정의

의미

상 개념어(superordinate)

목표어를 포함하는 상 범주어로 치하는 경우 양 채소

등어(coordinate)

동일한 수 의 다른 낱말이나 동일의미범주의 낱말로 치하는 경우

그네미끄럼틀

하 개념어(subordinate)

목표어를 나타내는 하 범주어로 치하는 경우 가구책상

기능(functional)

목표어의 기능 속성을 나타내는 낱말로 치하는 경우 달력날짜

장소(locative)

목표어와 련된 장소를 나타내는 낱말로 치하는 경우 그네놀이터

구성요소(compositional)

목표어를 구성하는 낱말로 치하는 경우 주사기바늘

연합(association)

목표어와 같이 사용되는 낱말이나 개념으로 치하는 경우 낙하산비행기

의미 에두르기(circumlocution)

목표어의 의미 특성을 여러 낱말로 설명하거나 묘사하는 경우

국자국 떠주는 것

음운

음소 치(p-substitution)

목표어를 구성하는 음소를 다른 유사 음소로 치분수푼수기타치타

음소첨가(p-addition)

목표어에 다른 음소를 첨가 그네근네

음소생략(p-omission)

목표어에 포함된 음소나 음 을 생략하는 경우 우표표

음운유사낱말 치 (malapropisms)

음소 으로 유사한 다른 실제 낱말로 치 주사 주사기

음소( )반복(p-repetition)

목표어의 첫 번째 음소( 는 음 )를 반복하는 경우 그네그 그네

시각

시각 치(v-substitution)

시각 으로 유사한 낱말로 치 우표그림

시각 부분 치(whole-part)

목표어를 묘사한 그림의 일부분을 지칭하는 낱말로 치분수물 화장 거울

시각 에두르기목표어의 시각 특성을 여러 낱말로 설명하거나 묘사하는 경우

꼬리동그라미 에 뭐 달려있어

기타

DK(Donrsquot Know) lsquo모른다rsquo고 응답하는 경우

NR (No Response)

그림을 제시한 후 8 가 경과될 때까지 반응을 보이지 않는 경우

보속반응(perseveration)

이 문항에서의 반응을 되풀이

무 련 반응 목표어와 련되지 않은 낱말로 반응하는 경우

언어청각장애연구

18

lt부록 - 4gt 동사 오류분석 기

구분 정의

상 동사 목표동사의 상 행동을 묘사하는 동사로 치하는 경우 감다목욕하다

등어 동일행동을 묘사하거나 반 행동을 묘사하는 동사로 경우꺾다따다

열다닫다

하 동사 목표동사의 하 행동을 묘사하는 동사로 치하는 경우 묻다 다

연합목표동사와 같이 사용되는 낱말이나 행동어로 치하는 경

짜다그리다

다공사

의미 에두르기목표동사의 의미 특성을 여러 낱말로 설명하거나 묘사하

는 경우

뱉다물고 있던거

버려요

음소 치 목표동사를 구성하는 음소를 다른 유사 음소로 치맡다맡쳐요

부수다부긴다

음소첨가 목표동사에 다른 음소를 첨가 닫다닫은다

음소생략 목표동사에 포함된 음소나 음 을 생략하는 경우 따르다따요

음운유사낱말 치 음소 으로 유사한 다른 실제 동사로 치 빗다벗다

음소반복 목표동사의 첫 번째 음소( 는 음 )을 반복하는 경우 먹다머 먹다

시각 치 목표동사의 행동과 시각 으로 유사한 동사 치 뽑다당기다

시각 부분 치목표동사를 묘사한 그림의 일부분을 지칭하거나 묘사하는

낱말로 치묻다병아리

시각 에두르기목표동사의 행동 특성을 여러 낱말로 설명하거나 묘사하는

경우

부수다망치

때려

동사 사용 목표동사를 동사(lsquo명사+하다rsquo)의 형식으로 표 하는 경우 던지다공 해요

DK

(Dontrsquot Know)lsquo모른다rsquo고 응답하는 경우

NR

(No Response)

그림을 제시한 후 8 가 경과될 때까지 반응을 보이지 않

는 경우

보속반응 이 문항에서의 반응을 되풀이

무 련 반응 목표동사와 련되지 않는 낱말로 반응하는 경우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낱말산출 능력

19

게재 신청일 2003년 1월 24일게재 확정일 2003년 2월 23일

이윤경 (제 1 자) 용인 학교 재활보건과학 학원 언어치료학과 겸임교수 e-mail lyoonkyounghanmailnet김 태 (공동 자) 이화여자 학교 특수교육학 언어병리학과 교수 e-mail youngtaeewhaackr

ABSTRACT

Word (Noun and Verb) Production in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Yoonkyoung Lee(Dept of Speech and Languge Pathology Yongin University)

Young Tae Kim(Dept of Special Education amp

Interdiciplinary Program of Communication Disorders

Ewha Womans University)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word (noun and

verb) productions of children with SLI Sixty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1) 20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SLI group) whose language age were 46 - 66

(2) 20 normal children chronological-age matched with the SLI children (CA controls) and

(3) 20 normal children matched on a composite index of language age with the SLI children

(LA controls) Picture naming and word recognition tests were used and frequencies and

types of errors were analyse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s follows (1) the SLI

group demonstrated significantly higher frequency of errors in verb production than that

of nouns but LA controls produced more errors in nouns than those of verbs (2) the SLI

group produced unrelated errors more than others compared with normal controls Bu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error types produced in both noun and verb tests (3) the SLI group

demonstrated higher frequency of misnaming but recognized items in noun and verb

productions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SLI group and each of

the two normal control groups Thes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e findings of earlier

studies with regard to the restricted verb productions of the children with SLI

Key Words specific language impairment(SLI) word production naming test error pattern

언어청각장애연구

18

lt부록 - 4gt 동사 오류분석 기

구분 정의

상 동사 목표동사의 상 행동을 묘사하는 동사로 치하는 경우 감다목욕하다

등어 동일행동을 묘사하거나 반 행동을 묘사하는 동사로 경우꺾다따다

열다닫다

하 동사 목표동사의 하 행동을 묘사하는 동사로 치하는 경우 묻다 다

연합목표동사와 같이 사용되는 낱말이나 행동어로 치하는 경

짜다그리다

다공사

의미 에두르기목표동사의 의미 특성을 여러 낱말로 설명하거나 묘사하

는 경우

뱉다물고 있던거

버려요

음소 치 목표동사를 구성하는 음소를 다른 유사 음소로 치맡다맡쳐요

부수다부긴다

음소첨가 목표동사에 다른 음소를 첨가 닫다닫은다

음소생략 목표동사에 포함된 음소나 음 을 생략하는 경우 따르다따요

음운유사낱말 치 음소 으로 유사한 다른 실제 동사로 치 빗다벗다

음소반복 목표동사의 첫 번째 음소( 는 음 )을 반복하는 경우 먹다머 먹다

시각 치 목표동사의 행동과 시각 으로 유사한 동사 치 뽑다당기다

시각 부분 치목표동사를 묘사한 그림의 일부분을 지칭하거나 묘사하는

낱말로 치묻다병아리

시각 에두르기목표동사의 행동 특성을 여러 낱말로 설명하거나 묘사하는

경우

부수다망치

때려

동사 사용 목표동사를 동사(lsquo명사+하다rsquo)의 형식으로 표 하는 경우 던지다공 해요

DK

(Dontrsquot Know)lsquo모른다rsquo고 응답하는 경우

NR

(No Response)

그림을 제시한 후 8 가 경과될 때까지 반응을 보이지 않

는 경우

보속반응 이 문항에서의 반응을 되풀이

무 련 반응 목표동사와 련되지 않는 낱말로 반응하는 경우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낱말산출 능력

19

게재 신청일 2003년 1월 24일게재 확정일 2003년 2월 23일

이윤경 (제 1 자) 용인 학교 재활보건과학 학원 언어치료학과 겸임교수 e-mail lyoonkyounghanmailnet김 태 (공동 자) 이화여자 학교 특수교육학 언어병리학과 교수 e-mail youngtaeewhaackr

ABSTRACT

Word (Noun and Verb) Production in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Yoonkyoung Lee(Dept of Speech and Languge Pathology Yongin University)

Young Tae Kim(Dept of Special Education amp

Interdiciplinary Program of Communication Disorders

Ewha Womans University)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word (noun and

verb) productions of children with SLI Sixty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1) 20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SLI group) whose language age were 46 - 66

(2) 20 normal children chronological-age matched with the SLI children (CA controls) and

(3) 20 normal children matched on a composite index of language age with the SLI children

(LA controls) Picture naming and word recognition tests were used and frequencies and

types of errors were analyse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s follows (1) the SLI

group demonstrated significantly higher frequency of errors in verb production than that

of nouns but LA controls produced more errors in nouns than those of verbs (2) the SLI

group produced unrelated errors more than others compared with normal controls Bu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error types produced in both noun and verb tests (3) the SLI group

demonstrated higher frequency of misnaming but recognized items in noun and verb

productions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SLI group and each of

the two normal control groups Thes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e findings of earlier

studies with regard to the restricted verb productions of the children with SLI

Key Words specific language impairment(SLI) word production naming test error pattern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낱말산출 능력

19

게재 신청일 2003년 1월 24일게재 확정일 2003년 2월 23일

이윤경 (제 1 자) 용인 학교 재활보건과학 학원 언어치료학과 겸임교수 e-mail lyoonkyounghanmailnet김 태 (공동 자) 이화여자 학교 특수교육학 언어병리학과 교수 e-mail youngtaeewhaackr

ABSTRACT

Word (Noun and Verb) Production in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Yoonkyoung Lee(Dept of Speech and Languge Pathology Yongin University)

Young Tae Kim(Dept of Special Education amp

Interdiciplinary Program of Communication Disorders

Ewha Womans University)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word (noun and

verb) productions of children with SLI Sixty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1) 20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SLI group) whose language age were 46 - 66

(2) 20 normal children chronological-age matched with the SLI children (CA controls) and

(3) 20 normal children matched on a composite index of language age with the SLI children

(LA controls) Picture naming and word recognition tests were used and frequencies and

types of errors were analyse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s follows (1) the SLI

group demonstrated significantly higher frequency of errors in verb production than that

of nouns but LA controls produced more errors in nouns than those of verbs (2) the SLI

group produced unrelated errors more than others compared with normal controls Bu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error types produced in both noun and verb tests (3) the SLI group

demonstrated higher frequency of misnaming but recognized items in noun and verb

productions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SLI group and each of

the two normal control groups Thes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e findings of earlier

studies with regard to the restricted verb productions of the children with SLI

Key Words specific language impairment(SLI) word production naming test error patter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