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
요약: [네팔] [농촌개발] 분야 현황 한국국제협력단 ODA 연구원

[네팔] [농촌개발] 분야 현황 - ODA 나. 지형 및 기후 다. 농업 당면 과제 2. [네팔] 지방행정체계 가. 지방행정체계 개요 나. koica 사업지역 3

  • Upload
    others

  • View
    2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네팔] [농촌개발] 분야 현황 - ODA 나. 지형 및 기후 다. 농업 당면 과제 2. [네팔] 지방행정체계 가. 지방행정체계 개요 나. koica 사업지역 3

요약:

[네팔] [농촌개발] 분야 현황

한국국제협력단

ODA 연구원

Page 2: [네팔] [농촌개발] 분야 현황 - ODA 나. 지형 및 기후 다. 농업 당면 과제 2. [네팔] 지방행정체계 가. 지방행정체계 개요 나. koica 사업지역 3

목 차

1. [네팔] At a glance

가. 일반 개황

나. 지형 및 기후

다. 농업 당면 과제

2. [네팔] 지방행정체계

가. 지방행정체계 개요

나. KOICA 사업지역

3. [네팔] 개발 정책 및 거버넌스

가. 개발정책 및 전략

나. 관련 정부 부처 조직

다. 농촌개발 분야 거버넌스

라. 농업 분야 현황

4. 타 공여국의 활동 현황

가. 주요 공여기관의 지원 전략

나. 주요 공여기관의 사업 사례

다. 공여국 그룹활동

5. 빈곤 관련 이슈

가. 주요 지표

나. 주요 빈곤 이슈

다. 고려사항 (젠더, 아동, 장애인, 노인, 종교, 종족 등)

부록

코이카 사무소 현황

Page 3: [네팔] [농촌개발] 분야 현황 - ODA 나. 지형 및 기후 다. 농업 당면 과제 2. [네팔] 지방행정체계 가. 지방행정체계 개요 나. koica 사업지역 3

- 1 -

1. [네팔] At a glance1)

가. 일반개황

○ 국명 : 네팔연방민주공화국(Federal Democratic Republic of Nepal) *‘08.5월 왕정종식 및 공화국 선포

○ 위치 : 중국과 인도 사이에 위치

○ 인구 : 3,155만명(2015년)

○ 수도 : 카트만두 (Kathmandu)

○ 기후 : 6-9월은 우기, 10월부터 다음해 5월까지는 건기이며, 1월 평균기온은 11℃, 7월 평균기온은

25℃ 정도임. 1) 카트만두 : 하계 29℃, 동계 15℃ 2) 포카라 : 하계 28℃, 동계 20℃

○ 종족 : 아리안족(80%), 티벳·몽골족(17%), 기타 소수민족(3%)

○ 종교 : 힌두교(87%), 불교(8%), 이슬람교(4%)

○ 면적 : 238,539 ㎢ (한반도의 1.1배)

○ 정치체제 : 내각책임제 (총리가 행정수반)

○ 언어 : 네팔어

○ 주요경제지표

Ÿ GDP : $210억 (2016)

Ÿ 1인당 GDP : $716 (2016)

Ÿ 경제성장률 : 3.4% / 물가 상승률 8.1%

Ÿ 통화단위 : 네팔 루피(NRs) / 1$≒107.76 NRs (2017.2월 기준)

○ 산업구조 : 제조업이 GDP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14%로 매우 낮은 수준이며 제조업 대부분이 설탕,

맥주, 의류 등 소비재 산업 중심임.

[산업구조(2015) : 서비스업 49%, 농업 29%, 제조업 14%]

1) 외교통상부 서남아태평양과 (2017). 네팔 개황 ; 관계부처협동 (2016). 네팔 국가협력전략 Country Partnership Strategy for the Government of Nepal ; 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2017). 네팔개황 참고.

Page 4: [네팔] [농촌개발] 분야 현황 - ODA 나. 지형 및 기후 다. 농업 당면 과제 2. [네팔] 지방행정체계 가. 지방행정체계 개요 나. koica 사업지역 3

- 2 -

나. 지형 및 기후

○ 지형

<네팔 지역별 고도 및 지형>

신세린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7) 네팔의 농업 현황과 정책

Ÿ (다양한 고도와 지형) 국토의 크기는 작으나 지형과 고도가 달라 자연조건이 지역별로 큰 차이를 보

임. 고도에 따라 국토를 크게 1) 평야(테라이) 2) 언덕 3) 산지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움

ü 1)평야 테라이는 대부분이 농경작지로 농업 종사 인구가 많고 인구가 집중되어 있음. 전체 국토의

20%를 차지함. 테라이 지역 중 열대 기후에서는 곡물과 채소, 과일을, 아열대 기후 지역에서는 주요

작물인 쌀과 옥수수, 밀, 황마 등을 재배함.

ü 2)남부의 언덕은 평균 고도 760m로 경사가 가파르고 낭떠러지가 많은 지형임. 전체 국토의 56%를

차지하는 언덕지역에서는 고도와 기후로 인해 재배 작물이 제한되어 있어 옥수수, 기장, 감자, 콩, 머

스터드, 차 등을 재배함.

ü 3)히말라야 주변의 북부지역산지가 차지하는 비중은 전체 국토의 24%로 이 지역의 농업은 감자, 옥

수수와 가축에 의존하고 있음.최고 높이가 5000m 이상까지 이르는 고지대로 이루어져 있음.

○ 기후

Ÿ (다양한 기후) 기후 또한 고도에 따라 열대부터 고지대까지 다양한 기후가 혼재하고 있음. 저지대는

여름 평균 기온이 22-27도, 겨울은 10-15도로 온난다습한 아열대기후 지역인 반면, 고지대는 여름 평

균 기온 5-15도, 겨울에는 영하로 떨어지는 한대 기후임.

Ÿ (강우량) 7월~9월 몬순기간에 내리는 비는 네팔 전체 강우량의 80%를 차지하며, 몬순에 따라 작물

경작시기가 결정됨. 주요작물인 옥수수와 쌀은 각각 8~9월과 10~12월 초에, 기장은 9~11월로 하반

기에 수확하나 밀은 3월~6월로 상반기에 수확함. 몬순기간의 집중 폭우, 고지대의 온도상승으로 인한

Page 5: [네팔] [농촌개발] 분야 현황 - ODA 나. 지형 및 기후 다. 농업 당면 과제 2. [네팔] 지방행정체계 가. 지방행정체계 개요 나. koica 사업지역 3

- 3 -

빙하의 감소, 가뭄 등이 농업 생산량에 큰 영향을 미치기에 몬순기간에는 전년도 생산량에 따라 급격

한 물가상승 등 변동이 발생할 수 있어 네팔 정부는 안정적인 식량 확보를 위해 노력하고 있음.

○ 농업 당면과제

Ÿ (낙후된 농업구조) 네팔은 농업이 2014년 GDP의 33.7%에 달할 정도로 전통적으로 농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지만 농업 자체는 낙후된 전형적인 최빈국형 구조를 가지고 있음.

Ÿ (낮은 농업생산성) 농업 인프라 부족과 낮은 농기계 비율, 낙후기술, 개량종자의 높은 가격장벽 등으

로 비농업 노동생산성(2,817달러)에 비해 농업분야의 노동생산성(705달러)이 현저히 낮은 편. 농업의

총요소생산성(Total Factor Productivity, TFP) 또한 0 에 수렴하여 발전이 미미함.

Ÿ (농촌 기초 인프라 부족) 농촌지역은 기초보건시설, 교육시설, 안전한 식수, 위생시설 등 기초 사회

서비스 확보가 전무하거나, 접근성 취약함. 농촌인구의 20%가 비포장도로에서 2시간 이상 떨어진 곳

에서 거주하며 40%는 포장도로에서 2시간 이상 떨어진 곳에서 거주하고 있음. 부족한 인프라로 인해

농촌 인구의 시장접근성이 매우 낮음.

Ÿ (낮은 농업성장률과 낮은 정부 투자) 지난 5년간 평균 GDP 성장률이 4.2% 이상인 것에 비해, 농업부

분 GDP 성장률은 3% 수준임.

Ÿ (관개시설 미비) 쌀과 밀 등 수자원 집중 작물을 주로 경작함에도 불구하고 관개시설은 미비하여 강

우량 의존도가 높아 매해 작황이 불안정함. 관개지가 늘어나고 있으나 여전히 그 면적은 총 농경지의

30%에도 미치지 못함. 전기가 보급되는 농촌지역은 약 10%에 불과하기 때문에 펌프를 사용하기 어

려우며 농업기술을 받아들이는데 제한이 많아 관개시설의 효율성도 매우 낮음.

Ÿ (토지소유 불균형) 농가당 평균 토지 면적은 0.8헥타르이며 0.5헥타르 미만의 토지를 소유하고 있는

농가 비율이 절반에 이름. (1헥타르 미만의 토지 소유 농가는 전체 토지보유 농가의 3/4 에 달하며

1961년부터 2001년간 평균 소유 토지 규모는 오히려 28% 감소함) 농가의 78%를 차지하는 자급자족

형 소규모 농가는 자본능력이 부족하여 관개 등 인프라 투자가 어렵고 농가당 평균 토지소유 면적이

작아 기업적, 근대적 농업경영도 어려운 상황임.

Ÿ (기후 취약국) 네팔은 대표적인 기후취약국으로, 자연재해와 농작물 재해에 취약하여 안정적인 수입을

기대하기 어려워 농가 규모 확대와 빈곤율 감소에 많은 어려움이 산재하고 있음.

Page 6: [네팔] [농촌개발] 분야 현황 - ODA 나. 지형 및 기후 다. 농업 당면 과제 2. [네팔] 지방행정체계 가. 지방행정체계 개요 나. koica 사업지역 3

- 4 -

2. [네팔] 지방행정체계

가. 지방 행정체계 개요

◯ 행정구역

Ÿ 네팔의 행정구역은 5개의 regions로 구분되며, 또다시 14개의 zone과 하위 단계인 75개의 districts(군)

로 나누어져 있음.

Ÿ District은 다시 마을개발위원회(VDC)와 지방자치단체(municipality)로, VDC와 지방자치단체는 구(ward)라는 더

작은 행정단위로 나뉨.

◯ 조직체계2)

Ÿ District Level

­ District의 최고집행기구 DAO(District Administration Office) : DAO의 수장은 CDO(Chief District

Officer)라 불림.

­ 네팔에서는 1991년 지방자치법(Local Government Act)이 통과되었으나 정치적 불안정과 준비 부족

으로 아직 지방자치단체의 장이 주민들의 직접선거에 의해 선출되지 못하고 있음。

­ 지방선거가 제대로 이루어질 경우, District의 선출직 수장은 우리의  지방의회 의장에 해당하는

DDC(District Development Committee) Chairman을 맡게 되나, 네팔에서는 DDC Chairman이 집행

기능을 겸하므로 실제로는 지자체장인 셈.

­ CDO(우리나라의 행정부지사 또는 부군수에 해당)가 실질적인 지역행정의 수장의 역할을 수행함.

Ÿ LDO(Local Development Office)

­ 각 지방행정조직은 DAO(CDO)의 지휘감독도 받지만, 중앙정부의 관련 부처의 지휘감독도 받음. 예컨

대, 너왈퍼라시의 LDO는 이 지역 DAO 뿐만 아니라 중앙정부의 지휘감독을 받음.

­ 네팔 중앙정부에는 Prime Minister's Office(PMO, 총리실) 산하에 11명의 장관(Minister)이 있으며 이

들이 1개 이상의 부처(Ministry)를 맡고 있음.

Ÿ Sub-district Level

VDC

­ 말단 지방행정조직 - 책임자로 Secretary가 있음. 우리나라의 면장(面長)에 해당.

­ 원래 각 VDC마다 VDC Chairman이 있어야 하나, 지방자치법 시행지연으로 Secretary가 Chairman을

겸하고 있음.

Ward

­ Ward는 지방행정조직은 아니며(Ward의 행정을 담당하는 정규직원은 없음), 지방행정을 시행하는 데

2) KOICA (2013). 네팔 농촌공동체 개발사업(너왈퍼라시 지역개발사업) 형성조사(1,2차) 결과 보고서 2013년 기준의

조사 내용이므로 해당부분에 대한 내용을 재확인할 필요 있음.

Page 7: [네팔] [농촌개발] 분야 현황 - ODA 나. 지형 및 기후 다. 농업 당면 과제 2. [네팔] 지방행정체계 가. 지방행정체계 개요 나. koica 사업지역 3

- 5 -

기준이 되는 행정구역임.

­ 각 Ward는 서너 개의 자연마을(natural village or hamlet)로 구성되기도 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하나

의 큰 자연마을이 두 개 이상의 구로 나뉘어 있기도 함. VDC가 소재하는 마을의 경우 우리의 면사

무소 소재지에 해당하므로 상당히 많은 가구가 일정한 지역에 군락 (cluster)을 이루면서 공존함.

Ÿ 자발적 지역주민자치조직 (CWF(Civilian Ward Forum))

­ CWF는 Ward 내 가장 대표적인 주민자치조직으로 ‘주민의회’에 해당

­ 본 CWF는 중앙정부가 권장해서 2년 전부터 단계적으로 도입된 것으로 파악됨. 전국 모든 Ward에

일괄적으로 도입되고 있음.

Ÿ 여타의 주민조직

­ Ward 내에는 자생적으로 발생한 많은 단체들이 있음. 주민조합, 부인 단체, 청년단체 등. 그 외에

NGO들도 존재함.

­ 이들 주민조직 중에서 주민조합(cooperatives)의 활동이 매우 활발함.

­ 저축 및 대부(lending) 관련 cooperative들이 많으며, 농축산물의 공동 판매를 위한 조합도 있음.

나. KOICA 사업지역

○ 네팔 사업 현황

對네팔 KOICA 사업 진행 현황 (2016 기준)

프로젝트 사업

- 네팔 티카풀지역 보건의료 환경개선 사업(‘11-’16/ 583만불)

- 네팔 정보재난 복구센터 구축사업(‘13-‘17/460만불)

- 네팔 무구지역 보건의료환경 개선사업(‘13-’18/500만불)

- 네팔 농촌공동체 개발사업(‘14-’19/800만불)

- 네팔 직업교육훈련교사 역량강화사업(‘15-’19/500만불)

- 네팔 통합적 지역개발을 위한 연구개발인프라 구축사업(‘16-’23/1,000만불)

- 네팔 포괄적성교육, 안전한 교육 환경 구축을 통한 소녀 및 여성역량강화사업

(‘16-’20/500만불)

- 네팔 누와꼿군 지진피해보건분야 재건복구지원사업('15-'18/840만불)-->긴급구호

기술협력 사업

- 개발컨설팅 : 네팔 의료보험 제도구축 지원사업(‘13-’17/450만불)

- 민관협력 프로젝트 6건, 국제기구협력사업 3건

- 연수초청 77명, 봉사단 파견 67명

외교통상부 서남아태평양과 (2017). 네팔 개황

Page 8: [네팔] [농촌개발] 분야 현황 - ODA 나. 지형 및 기후 다. 농업 당면 과제 2. [네팔] 지방행정체계 가. 지방행정체계 개요 나. koica 사업지역 3

- 6 -

◯ 네팔 사업 지역

<지역별 KOICA 사업 진행현황>

무구지역보건의료

환경개선사업(‘13-’1

8)

네팔 정보재난

복구센터구축사업

(‘13-‘17) 헤따투아

네팔 농촌공동체

개발사업 (‘14-’19)

너왈퍼라시

네팔

포괄적성교육,

안전한 교육

환경 구축을

통한 소녀 및

여성역량강화사

(16-’20) 아크햄

네팔 누와꼿군

지진피해보건분야

재건복구지원사업('1

5-'18) 긴급구호

네팔

직업교육훈련교사

역량강화사업

(‘15-’19) 카트만두 티까풀지역

보건의료

환경개선사업

(‘11-16’)

Image: 외교통상부 서남아태평양과 (2017). 네팔 개황 / 저자 내용 편집

3. [네팔] 개발 정책 및 거버넌스

가. 개발정책 및 전략

네팔의 국가계획위원회(NPC, National Planning Commission)는 정치적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5년이

아닌 3개년 단위의 국가계획(TYIP, Three Year Interim Plan)을 수립하고 있으며, 현재 14차 3개년

계획(2016/17-2018/19)을 실행 중임.

<네팔 3개년계획의 주요 목표>

관계부처협동 (2016). 네팔 국가협력전략 Country Partnership Strategy for the Governme

nt of Nepal

Page 9: [네팔] [농촌개발] 분야 현황 - ODA 나. 지형 및 기후 다. 농업 당면 과제 2. [네팔] 지방행정체계 가. 지방행정체계 개요 나. koica 사업지역 3

- 7 -

나. 네팔 농촌개발 정책

◯ 농업개발전략 (Agricultural Development Strategy 2015-2035; ADS)

Ÿ (수립 배경) 기존에 추진되었던 농업전망계획(Agriculture Perspective Plan 1995/96-2014/15)이 완료

되면서 네팔정부와 주요원조기관(ADB, IFAD, EU, FAO, SDC, JICA, WFP, USAID, DANIDA, World

Bank, DfID, AusAID, UN Women)이 함께 수립한 정책임. 여전히 생산성이 낮으며 식량 부족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20년간의 후속 장기전략임. 농업전망계획의 성과및 한계를 분석하

고 공여국간 통합적 접근을 통한 농업지원 방향을 모색함.

Ÿ (주요 목표) 농업 부문 개발을 국가 발전의 선결 과제로 인지하고, 농업 생산성 향상 및 농업 상업화

를 통한 식량안보 확보

Ÿ (세부 목표) 네팔의 농촌 및 농업개발을 위해 해결해야 할 주요 과제로 ‘지역 거버넌스 강화’, ‘소규모

농업 인프라 등 물리적 기반시설 확충’, ‘상업화’, ‘경쟁력 강화’중 상업화 전략의 핵심 쟁점으로 가치

사슬 개발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음. 또한 지역주민 농업 생산기술 역량 강화를 통한 농업 생산성

향상, 비농업 경제 활동 발굴, 자연재난 대응력 강화 등을 명시함.

Ÿ (전략 우선순위) ① 농업관련 과학 기술 분야 투자 촉진. 지식 순환구조 (연구-교육-확장) 지원 ② 광

범위하고 포괄적인 농업 성장. 사회적·지역적 불평등 개선 ③ 소농의 경쟁력 있는 가치사슬 창출 지

원 ④ 지역 인프라와 개발 및 기업농 육성

◯ 국가종자비전 2013-2025 종자분야 개발전략 (National Seed Vision 2013-2025 Seed Sector Develop

ment Strategy)

Ÿ (수립배경) 2000년 발표된 국가종자정책(National Seed Policy) 후속조치의 일환으로 농업생산성 증대

를 위해 국제기구와 NGO에서도 꾸준히 개량종자 보급사업을 추진해왔는데 네팔정부도 이에 동참함.

Ÿ (전략목표) ①네팔종자산업 육성 ② 농업생산성 증대 ③농가수입증대 ④수입종자 대체 ⑤종자수출

◯ 농업기계화 촉진정책(Agriculture Mechanisation Promotion Policy)

Ÿ (수립배경) 2014년 도입된 정책으로, 도농 현상으로 인해 농촌인구가 감소하면서 기계화를 통해 생산

비용을 감소시키고 생산성을 증대하고자 하는 정책임. 이러한 내용은 농업개발전략에도 포함되어 있

어 농업개발전략의 목표를 달성에 도움이 될 것임.

Ÿ (주요내용) 네팔 정부는 농기계를 도입하는 농가에게 일정액의 인센티브를 제공하며, 소규모 농가에게

는 낮은 비용으로 농기계를 대여하고 있음.

◯ 총리 주도 농업현대화사업 (Prime Minister Agriculture Modernisation Project; PMAMP)

Ÿ (수립배경) 농업개발부 차원의 정책 이외에도 최근(2016년 12월) 착수한 총리 주도 사업은 향후 10년

Page 10: [네팔] [농촌개발] 분야 현황 - ODA 나. 지형 및 기후 다. 농업 당면 과제 2. [네팔] 지방행정체계 가. 지방행정체계 개요 나. koica 사업지역 3

- 8 -

을 사업기간으로 정하고 7개의 provinces 별 super zones3)을 중심으로 농업 생산성 증대를 통해 식

량 자급률을 향상시키는 것을 주요 목표로 삼음.

Ÿ (사업내용) 농업생산성 증대를 위한 보조금 지급 정책이 주요 골자4)이며, ① 농산물 가공센터, 저장시

설, 판매처와 냉장보관시설 설립, 작물 조직배양실험에 50%의 비용 보조 ② 2,100개 구역에 도로망을

확장③ 농가 신용 대출 ④ 보험비 보조 ⑤농업에 필요한 자재 수입 관세 1%로 인하 ⑥ 쌀, 밀, 옥수

수,사탕수수 가격보조 등의 안을 담고 있음.

나. 관련 정부 부처 조직

○ 농업개발부 (Ministry of Agricultural Development; MoAD)

Ÿ 네팔의 농업개발전략(Agricultural Development Strategy; ADS)에서 명시한 주요 농업개발 프로그램의

수행과 운영 관리 등 농업관련 정책을 포함한 국가 차원의 농업개발 전략 수립과 관련 법률 및 규정

을 제정하는 중앙부처임.

Ÿ (핵심 과제) ① 농업 생산성 향상을 통한 빈곤 감소, ② 상업농 시스템지원을 통한 네팔 농산물의 경

쟁력 강화, ③ 지속 가능한 농업 개발 등

◯ 농업국 (Department of Agriculture; DoA)

Ÿ MoAD의 산하 조직으로 정책 및 전략적 지휘 하에 농업개발 관련 사업을 직접 수행하는 실무국 역할

을 담당하함. 2003년 DoA의 조직 개편 당시 DoA 산하 12개의 분과가 존재함.

Ÿ (농촌지도과) 농가의 생산량 증대 뿐 아니라 농산품의 품질 개선, 시장 경쟁력 확보 및 지속 가능성

등을 고려한 포괄적인 농촌지도 시스템 구축에 중점을 두고 있음. 또한 농업 기술 개발, 유통 센터

확장 및 활성화, 농산물 가격 및 시장 정보 수집·분석 및 취약계층 대상 농촌지도 프로그램 제공 등

을 주요 과제로 꼽음.

◯ 지방 농업 개발 사무소 (District Agricultural Development Office, 이하 DADO)

Ÿ 전국 75개 Districts(district)에서 군단위의 사업이행 및 농업기술서비스 제공 등의 역할 담당함.

Ÿ DADO 산하의 농촌지도소(Agriculture Service Center)는 District의 크기에 따라 1개의 District 내에

약 3~5개소가 설치되어 있으며, 지역 농민들에게 훈련 프로그램을 제공함.

다. 농촌분야 거버넌스

○ 농촌 지도 체계

3) 정부는 농업 생산지를 땅의 면적을 기준으로 크게 4개(pockets, blocks, zones, super zones)로 구분하였음. (1 pocket: 10ha, 1 block: 100ha, 1 zone: 500ha, 1 super zone: 1,000ha)

4) The Himalayan Times(2016.05.28.). Government aims to boost productivity to make Nepal self-reliant in agriculture

Page 11: [네팔] [농촌개발] 분야 현황 - ODA 나. 지형 및 기후 다. 농업 당면 과제 2. [네팔] 지방행정체계 가. 지방행정체계 개요 나. koica 사업지역 3

- 9 -

Ÿ 일반적으로 네팔의 농촌지도 체계는 농업연구윈원회(NARC)가 개발된 기술을 군 단위 농업개발

사무소인 DADO의 SMO(Subject Matter Officer)에게 우선 전수함. 기술 전수 받은 SMO는

농촌지도소에서 근무하는 농촌지도사에게 재전수하고, 최종적으로 농가 및 농민 그룹에 기술 전수가

이루어짐.

Ÿ 농촌지도소 별로 2~3명의 Technician과 1명의 Junior Technician이 배치되며, 이들 농촌지도사는

선진농민이나 농민 그룹에게 기술 보급을 진행함.

Ÿ 네팔의 마을 단위는 마을 1개당 약 10개의 농민그룹이 있을 수 있으며, 이들 중 1~2명의 선진농민을

자체적으로 선정하여 기술교육을 받도록 함. (선진농민이 농민 그룹 전체를 대상으로 전파하는

방식이나 선진 농민이 없는 경우, 농촌지도사는 농민 그룹 혹은 협동조합을 대상으로 직접

기술전수를 함)

<농업기술 보급 체계도>

KOICA 농어촌개발팀 & 네팔사무소 (2017). 네팔 과일 및 채소 가치사슬 확대 사업 예비조사결과보고서

라. 농업 분야 현황5)

◯ 농경지 현황

Ÿ 네팔의 농경지는 2013년 기준 412만 헥타르로 전체 국토의 28.7%에 이름.

Ÿ (농지 면적 감소 추세) 개간을 통해 1969년까지 356만 헥타르였던 농지가 2001년 426만 헥타르까지

5) 신세린 (2017).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네팔 농업 현황에서 정리

Page 12: [네팔] [농촌개발] 분야 현황 - ODA 나. 지형 및 기후 다. 농업 당면 과제 2. [네팔] 지방행정체계 가. 지방행정체계 개요 나. koica 사업지역 3

- 10 -

증가하는데 2000년대 이후에는 도시화로 인해 농지의 일부가 다른용도로 전환되면서 감소세임. 농경

지 중에서도 미경작지가 지역에 따라 17-60%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 휴경지가 상당부분을 차지하여

실제 경작지는 전체 농경지보다 적음.

◯ 농작물 현황

Ÿ (곡물중심, 작물다양성 낮음) 네팔의 농업에서 곡물이 전체 경작지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80%로 그 중

에서도 쌀이 40%, 옥수수 20%, 밀이 17%를 차지하여 작물다양성이 매우 낮음.

Ÿ (상업작물 수요증가, 성장률은 더딘편) 채소, 과일, 향신료, 차 등의 상업작물 재배가 증가하고는 있

으나 과일, 낙농업의 1995~ 2005년 사이 연평균 성장률은 3%, 채소의 성장률은 5.1%로 성장속도가

더딘편임. 저장․운송시설의 부족, 등급판정과 가공시스템의 미비로 고부가가치 상업작물의 재배확대가

더딘추세임.

ü (주요농작물 1: 쌀) 쌀은 경작 면적과 생산 모든 면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네팔의 주식임.

전체 곡물 경작 면적의 42.5%에 달함.

`(총 생산량) 2012년 처음으로 연 500만 톤 이상의 쌀 생산량을 달성한 이후 2014년에도 504만 톤의

`생산량을 달성하였음. 그러나 2015년 지진으로 인해 생산량이 다시 478만 톤으로 하락하였으며 관개

`시설이 파괴되면서 향후 몇 년간 생산량도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임.

Page 13: [네팔] [농촌개발] 분야 현황 - ODA 나. 지형 및 기후 다. 농업 당면 과제 2. [네팔] 지방행정체계 가. 지방행정체계 개요 나. koica 사업지역 3

- 11 -

<네팔 쌀 총생산량과 면적당 생산량>

ü (주요농작물 2: 옥수수) 옥수수는 쌀에 이은 네팔의 제2경작물로 전체 곡물경작 면적의 25.4%, 생산

량의 22.9%를 차지하고 있음.33)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해 농산물 수입 3위

를 차지하고 있는데, 2011년 기준 4,697만 달러에 상당하는 19만 톤의 옥수수를 수입하였음.

(총생산량) 총생산량은 2015년 224만 톤으로 네팔인들의 소비량인 290만 톤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상

태임. 또한 현재 연간 66만 톤의 가금류의 사료 수요도 증가하고 있어 네팔의 옥수수 생산량은 점점

`````증가할 것으로 보임. 다만 경작지 대비 생산량은 여전히 낮은 수준이지만 개량종자 보급 노력에 힘

`입어 생산성개선을 나타내고 있음.

<네팔 옥수수 생산량>

ü (주요농작물 3: 밀) 밀은 네팔에서 세번째로 많이 생산되는 곡물로 전체 재배면적의 22.7%, 전체 곡

물 생산량의 21.5%를 차지함. 밀 재배면적은 2015년 76만 헥타르로 7배 이상 증가하였으며 생산량

또한 같은 기간 11만 톤에서 197만 톤으로 급증하였음. 재배면적은 꾸준히 확대되어왔고 총 생산량

도 안정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어 매년 날씨에 따라 생산량이 변동하는 곡물들과 차이가 있음.

Page 14: [네팔] [농촌개발] 분야 현황 - ODA 나. 지형 및 기후 다. 농업 당면 과제 2. [네팔] 지방행정체계 가. 지방행정체계 개요 나. koica 사업지역 3

- 12 -

<네팔 밀 총생산량과 면적당 생산량>

ü (상업작물: 채소)

(채소 생산량 증가추세) 채소가 2010년 기준 네팔 전체 경작지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7.3%에 불과하였으

나 소비량이 크게 증가하면서 재배가 확대되고 는 추세 정부 차원에서 농작물 재배 다각화를 위해 채소

재배를 권장하면서 10년간 채소 생산량은 연평균 6.9%, 재배면적은 연평균 4.6% 상승하였음.

(소규모 농가) 채소재배 농가의 90%가 소규모 농가이며 시장에 판매하기 위해 채소를 재배하는 농가의

비율은 18%, 채소재배가 주요 수입원인 농가의 비율은 5%에 불과함. 테라이지역 채소판매비율은 79.2%

이며 산지채소의 판매비율은 15.5% 불과, 지역별로 상업화정도에 큰 차이가 있음.

(재배작물 비율) 채소별로는 콜리플라워 재배면적이 3만 3,172헥타르, 토마토 재배면적이 1만 9,724 헥

타르, 양배추 1만 4,306헥타르, 호박 9,757헥타르로 가장 많은 양이 재배되고 있음. 산지에서는 주로 콜

리플라워, 겨자 잎, 무, 양배추 등을 재배하며 언덕지역에서는 조롱박, 수박, 오이, 콩 등을 재배함. 가장

생산액이 많은 채소는 콜리플라워로 총 채소의 20%를 차지함.

(시장의 미발달) 상품으로 판매하는 농부들의 판매지의 60%는 지역시장이며, 도보, 자전거, 인력거 등으

로 근거리 판매하는 농부들은 79%이다. 도매시장에 납품하는 농부들의 비율은 25%에 불과한데 지역별

로 도매 창고가 불균형하게 분포되어 있어 이 비율 또한 지역에 따라 큰 차이가 있음.

(저장기술의 부족으로 인한 손실 증가) 저장기술의 미발달로 수확, 포장, 배송하는 과정에서 손실량이

많아 토마토 33%, 콜리플라워 14%, 양배추 13%, 완두콩 10%, 콩 7% 가 모두 손실비율임.

손실이 가격에 반영되어 납품에서 붙는 마진이 2012년 기준 양배추 150%, 콜리플라워 113%, 완두콩

111%, 토마토 94%로 매우 높음. 이로인해 네팔은 상당량의 채소를 인도에서 수입하고 있는데 콜리플라

워는 가장 많이 생산됨에도 불구하고 한 해 수입량이 3,329톤에 달함.

◯ 농업 생산성 현황

Page 15: [네팔] [농촌개발] 분야 현황 - ODA 나. 지형 및 기후 다. 농업 당면 과제 2. [네팔] 지방행정체계 가. 지방행정체계 개요 나. koica 사업지역 3

- 13 -

Ÿ (낮은 농업생산성) 네팔의 농업생산성은 헥타르 당 2.3톤(쌀, 옥수수, 밀 기준)으로 인근 국가인 방글

라데시(3.9톤), 스리랑카(3.8톤)17)에 비해서도 낮은 편임. 농업생산량이 낮은 가장 큰 이유는 쌀과 밀

등 수자원 집중 작물을 주로 경작함에도 불구하고 관개시설이 부족하기 때문임.

<네팔 농업 생산성 현황>

Ÿ (생산지수) 내전이 종료된 2000년 후반부터 식량생산이 큰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음. 곡물생산지수와

식량생산지수 모두 2004~06년 평균을 100으로 놓았을 때 2013년 130으로 약 30% 증가하였음. 상업

작물의 성장은 더디나 총 농업생산량은 정부의 자급자족 달성 노력과 관개지 확대로 인해 증가 추세

를 보이고 있음.

<곡물/식량 생산지수>

◯ 식량 수급현황

Ÿ (낮은 식량자급률, 식량위기국) 식량 자급자족 달성이 목표인 식량안보 취약국가로 식품 수입이 수출

보다 월등히 크게 나타남. FAO는 네팔을 낮은 수준의 식량위기국(minimally food insecure)으로 지정

하고 있음. 낮은 식량자급률로 네팔의 식료품가격은 매우 높은 편이며, 2014년 기준 국제적으로 식량

문제를 앓고 있는 20개 국가 중 3위를 차지하고 있음. 이 때문에 5세 미만 영아의 영양실조 비율은

2011-13년 평균 16%에 달해 빈곤층에 큰 위협이 되고 있음.

Page 16: [네팔] [농촌개발] 분야 현황 - ODA 나. 지형 및 기후 다. 농업 당면 과제 2. [네팔] 지방행정체계 가. 지방행정체계 개요 나. koica 사업지역 3

- 14 -

Ÿ (식량 수입국) 2015년 기준 네팔의 식품·가축 수출액은 약 202억 루피이지만 수입액 996억 루피의

1/5 수준에 불과하여 큰 무역적자의 원인이 되고 있음. 식품은 전체 수입의 약18%를 차지하는데 내

륙국가의 특성상 수입과 수출의 대부분이 인도를 통해 이루어짐. 수입량의 대부분은 쌀이지만 옥수수

의 생산이 감소하면서 옥수수의 수입량도 함께 증가할 것으로 보임.

Ÿ (네팔정부의 농업분야 투자 노력) 식량안보의 중요성을 알고 있는 네팔 정부 또한 농업분야에 꾸준히

투자를 하고 있다. 정부 예산 지출에서 농업이 차지하는 비율은 9%로 인도 6%, 중국 1.7%, 인도네시

아 0.9% 등 타 국가보다 높음. 노력의 일환으로 관개시설인프라 투자와 종자보급 등의 노력을 통해

최근 몇 년간 네팔은 곡물 필요량 생산을 달성하였음. 수요가 공급을 초과하였던 1990년대와 달리

2000년대 들어서 곡물 잉여 생산에도 성공하였음.

Ÿ (지진으로 인한 식량안보위기) 2011/12년에는 604만 톤의 곡물을 생산하여 최대치를 갱신하였으나

2015년 지진 이후 농업인프라가 파괴되면서 식량 안보에 대한 위기감이 커지고 있음.

4. 타공여국의 활동 현황6)

가. 주요 공여기관의 지원 전략

○ 한국 對네팔 원조 현황

Ÿ 2010-2014년간 對네팔 총 해외원조액은 50억 2,282만 달러(총 지출 기준)로 무상 41억 5,005만 달러

(83%), 유상 8억 7,277만 달러(17%)이며, 무상원조 규모는 비슷한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는 데 반해,

유상원조 규모가 2013년에 크게 증가함.

Ÿ 같은 기간 동안 순지출 기준으로 42억 5,212만 달러(무상 41억 5,005만 달러, 유상 1억 207만 달러)

를 지원 받음.

○ 주요 공여국 및 기관

Ÿ (중요 공여기관) 2010-2014년 간, 상위 공여국 및 기관은 세계은행(20%), 아시아개발은행(14%), 영국

(13%), 일본(7%), 미국(7%) 등으로, 우리나라는 이기간 동안 2%(9,685만 달러)를 지원함(총지출 기준).

6) 정현희 (2015). 네팔 보건 ODA 전문가 보고서, 네팔사무소; KOICA ; 관계부처협동(2016). 네팔 국가협력전략 Country Partnership Strategy for the Government of Nepal

Page 17: [네팔] [농촌개발] 분야 현황 - ODA 나. 지형 및 기후 다. 농업 당면 과제 2. [네팔] 지방행정체계 가. 지방행정체계 개요 나. koica 사업지역 3

- 15 -

<농업분야 주요 공여국 및 기관>

Ministry of Agricultural Development (2015). Nepal Portfolio Performance Review (NPPR))

나. 주요 공여기관 사업사례

○ KOICA 사업사례

[사업명] KOICA-UNDP 네팔 과일 및 채소 가치사슬 개발사업 (2018-2022년/500만불 )

§ 사업목표

ü 2022년까지 네팔의 최빈국 극복을 위해 국가경제 30%이상인 농업분야 부가가치 창출을 통

해 농업생산성 증가, 품목 다양화, 상업화로 국가경제개발계획에 기여

ü 네팔의 과일 및 채소 가치사슬(value-chain) 개발을 통한 소농의 소득증대

§ 사업내용

ü (수원기관) 네팔 농업개발부(Ministry of Agricultural Development)

ü (사업수행기관) 유엔개발계획(UNDP,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ü (세부내용) 연구시설, 농산물 집하장, 조합 대상 시설 및 기자재 지원 / 정부 및 농가 기술

보급 및 역량강화 / 모니터링 및 평가 / 사업관리

§ 기대성과

ü 과일 및 채소 재배 농가의 농업 생산성 향상 ü 수확 후 관리 기술 개발을 통한 수확 후 손실 감소ü 지역 단위의 시장성 향상

§ 사업 협업 기대효과

ü 사업 수행 기관인 UNDP의 풍부한 국제사업 수행 경험 및 구축된 현지네트워크 등 사업 추

진을 위한 기반이 탄탄해짐. 또한, 가치사슬 확대의 일환으로 수확 후 관리 기술 개발 및

보급을 통한 농가 소득 증대 및 국가 균형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됨.

ü 수원기관 및 UNDP 간 협력 사업 수행을 통한 국제사회 내 ODA 사업 역량 증진

ü 對 네팔 대외적 국가 이미지 제고

KOICA 농어촌개발팀 & 네팔사무소 (2017). 네팔 과일 및 채소 가치사슬 확대 사업 예비조사결과보고서

Page 18: [네팔] [농촌개발] 분야 현황 - ODA 나. 지형 및 기후 다. 농업 당면 과제 2. [네팔] 지방행정체계 가. 지방행정체계 개요 나. koica 사업지역 3

- 16 -

○ 타 공여기관 농촌개발 및 농업분야 활동 현황

Ÿ 2012/13년 회계연도 기준, 네팔 내 농업분야 원조 총액은 미화 367백만 달러로 이 중 무상원조가 총

액의 68%, 차관이 23%, 기술지원이 9%에 이름.

Ÿ 2012/13년 회계연도 기준, 지출규모로 가장 큰 농업 프로젝트는 USAID의 '지식기반 통합 지속개발농

업 및 영양사업 (Knowledge-based Integrated Sustainable Agriculture and Nutrition Project: KISAN)’

이며 사업총액규모로는 세계은행의 국제개발협회 (Internat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IDA)의 ‘농

업상업화 및 무역사업 (Project for Agriculture Commercialization and Trade: PACT)’임.

Ÿ 스위스개발청(Swiss Agency for Development and Cooperation: SDC)은 지속가능한 토양관리 프로그

램(Sustainable Soil Management Programme)을, ADB와 OFID는 공동사업으로 마을기반 농업관개 사

업(Community-Managed Irrigated Agriculture Project)를, IFAD는 농민을 위한 종자개량 사업(Improve

d Seeds for Farmers Programme)을 진행 중.

Ÿ 기타 공여국들의 사업은 주로 식량 및 영양안보 관련 요소가 주를 이루며, 정부의 전략적 우선순위에

일치하는 상업화(Commercialization), 가치사슬개발(Value Chain Development), 생산성 증가, 기업식농

업 촉진(Agrobusiness Promotion), 농업 인프라 지 원, 기술지원(Techincal Assistance) 등의 사업을 진

행함.

Ÿ 공여국들 사업은 사업 개수로는 식량영양 안보(Food and Nutrition Security) 분야가 가장 많으나, 재

원 투입 규모로는 상업화 관련 사업이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함.

<네팔 내 농업분야 상위 5개 사업-2012/13년도 투입기준>

사업명 지원기관 총액 USD

2012-13년도 투입 USD

Knowledge-based Integrated Sustainable Agriculture and Nutrition Project (KISAN)

USAID 20,414,809 6,628,793

Sustainable Soil Management Program(SSMP), Phase IV

SDC 7,235,142 2,565,581

Community-Managed Irrigated Agriculture (Sector) Project (CMIASP)

ADB, OFID 13,500,000 2,565,206

KisankalagiUnnatBiu-BijanKaryakramImproved Seeds for Farmers Programme

IFAD 39,355,971 2,538,273

Project for Agriculture Commercialization and Trade (PACT)

IDA 60,000,000 2,338,067

KOICA (2013). 네팔 농촌공동체 개발사업(너왈퍼라시 지역개발사업) 형성조사(1,2차) 결과 보고서

Page 19: [네팔] [농촌개발] 분야 현황 - ODA 나. 지형 및 기후 다. 농업 당면 과제 2. [네팔] 지방행정체계 가. 지방행정체계 개요 나. koica 사업지역 3

- 17 -

다. 공여국 협의체 활동

◯ 공여국 및 기관간 협의체(International Development Partners' Group)를 구성하여 정기적인 모임을

통해 원조조화를 추구하며 분야별 작업반을 운영 중임.

◯ 국내 ODA 시행부처와의 무유상/무상 간 협력 방안

Ÿ 국내부처지원 관련 사업간 우리나라 농업관련 부처 및 기관의 對네팔 사업*간 연계를 통해 농업분야

전문가 및 기관의 전문 역량과 경험 공유, 사업 중복 방지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

Ÿ 농림축산식품부는 농촌경제연구원을 통해 「개도국 식량안보를 위한 농정성과 확산 사업(KAPEX) 사업」, 농촌진

흥청은 아시아농식품협력협의체(AFACI)를 통해 「네팔 수확후 관리기술 개발 사업」을 추진 중임.

5. 빈곤 관련 이슈7)

가. 주요 지표

나. 주요 빈곤 이슈

◯ (빈곤선) 국제 빈곤선($1.25) 이하 비율이 7년 동안 약 53%(2003/04)에서 25.16%(2010/11)로 절반 이

상 감소되는 성과를 보이나, 여전히 많은 수의 인구가 빈곤선 이하 혹은 빈곤선 근처에 머물러 있음.

◯ (인간개발) 네팔의 인간개발지수는 0.548(2014)로 188개국중 145위를 차지하여, 과거기록대비 지수는

향상되었으나 국별 순위가 하락한 추세를 보임. * 서남아시아 평균 HDI(2014년) 0.607, 네팔은 2000

년 173개국 중 142위(0.451)

◯ (MDGs 달성) 네팔정부는 정치적 불안정에도 불구하고 자국이 8개 목표 대부분을 이미 달성하였거나

7) 관계부처협동(2016). 네팔 국가협력전략 Country Partnership Strategy for the Government of Nepal

Page 20: [네팔] [농촌개발] 분야 현황 - ODA 나. 지형 및 기후 다. 농업 당면 과제 2. [네팔] 지방행정체계 가. 지방행정체계 개요 나. koica 사업지역 3

- 18 -

달성할 것으로 평가함.

특히 빈곤감소, 5세 이하 아동사망률, 위생시설 접근율 목표는 달성되었고, 모성보건 증진, 보편적

초등교육 실현, 양성평등, 모자보건 등의 목표도 달성할 것으로 전망함.

◯ (지역간 빈곤격차) 농촌의 빈곤율은 도시의 2배에 달하며, 빈곤층의 95%가 농촌지역에 거주할 정도

로 지역 간 빈부격차가 심함. 농촌 안에서도 동부 언덕, 산지 지역은 빈곤율이 28%인 반면 중서부

와 극서부 언덕, 산지 지역은 빈곤율이 72%에 달할 정도로 지역별 차이가 심하게 나타남.

◯ (토지소유 불균형) 토지소유가 농가의 빈곤과 크게 연관되어 있으나 금전적 이익을 볼 수 있을 만큼

의 땅을 소유하고 있는 농가들은 적음. 인구의 절반이 전체 토지의 17%를 차지하고 있는 반면 5%의

인구가 27%의 토지를 소유하고 있으며, 10%의 농가는 보유 토지가 전혀 없어 불균형 문제가 매우

심각함.

◯ (식량부족) 네팔에서 78%의 농가가 자급자족형 농업임. 판매가 주요 목적인 농가는 1%에도 미치지

못함.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당수의 농가들이 식량 자급자족에 실패하고 있는 데 60%의 농가들이 다

음 수확까지 필요한 식량을 확보하지 못하며 40%의 농가가 6개월 미만의 식량이, 20%의 농가는 6

개월 이상의 식량이 부족한 상황임.

◯ (식수위생 접근성) 농촌의 식수와 위생시설 접근성 지표가 꾸준히 향상되어 도시와 차이가 미미하나,

가옥 부지 내 식수시설 지표는 도·농간 큰 차이를 보임.

<네팔 식수 및 위생시설 접근성>

다. 고려사항

◯ (지진피해 재건복구) 2015년 4월 발생한 7.8 규모의 지진피해 재건복구에 대한 국제사회와의 협조가

필요한 시점으로, 유엔 및 국제사회와의 조정을 통해 재건 복구에 적극 기여할 필요가 있음.

Ÿ 대지진 이후 네팔 정부가 수립한 중·장기 복구계획(재건복구계획, Post Disaster Recovery Framework/

2016-2020)추진에 기여하며, 우리나라의 중점협력분야 지원 방향과 부합한 사업검토가 필요함.

Ÿ 타 원조기관 및 국제기구 등 개발 파트너와의 지속적인 정보 공유 및 협력을 통해 효과적인 재건복

Page 21: [네팔] [농촌개발] 분야 현황 - ODA 나. 지형 및 기후 다. 농업 당면 과제 2. [네팔] 지방행정체계 가. 지방행정체계 개요 나. koica 사업지역 3

- 19 -

구 참여가 요구됨. (KOICA를 통해 현재 진행하고 있는 네팔 누와꼿군 지진피해 보건 분야 재건복지

원 사업이 이에 해당)

◯ (신헌법) 2006년 10월 내전이 종식 후, 약 10년의 헌법 제정 과정을 거쳐 2015년 9월 헌법을 최종

제정, 공포하였기에 해당 헌법에 반영된 주요 가치를 고려하여 개발 사업에 반영할 필요가 있음.

◯ (부족의식과 카스트제도) 네팔은 100여개 종족과 언어로 구성되어 있어 부족에의 귀속의식이 뚜렷하

며 국민의 80% 이상이 힌두교도로 강력한 힌두문화의 영향을 받고 있으며 카스트 제도에 따른 계급의

식 및 차별이 관습상 상존함.

◯ (성불평등) 초등학교 및 중등학교의 등록률과 수료율에서 남녀 간 격차가 낮으나 고등교육으로 갈수

록 차별이 발생하며, 사회계층간 또는 지역 간 성불평등 격차가 분화되는 양상을 띠고 있음.

☞네팔의 성불평등 지수는 0.489로 188개 국가 중 108위(2014)

☞초등교육 양성평등지수(GPI) : 0.8(2000) → 1.1(2015)

☞중등교육 양성평등지수(GPI) : 0.7(2000) → 1.1(2015)

☞고등교육 양성평등지수(GPI) : 0.4(2000) → 0.8(2013)

◯ (여성차별 및 폭력) 가부장적 문화와 가치가 여성의 권익옹호에 악영향을 미치고 성폭력과 조혼 등

병폐들이 남아 있으며, 여성에 대한 폭력은 여성이 문맹일 경우에 더 심한 것으로 나타남. 농촌에

사는 여성들이 성차별에 더 취약한 상황에 놓여 있으며, 법으로 금지된 낮은 카스트에 대한

차별이 남아 있음. * 2005-2013 조혼 비율 : 10%(만 15세), 41%(만 18세)

◯ (미성년자 임신) 네팔은 또한 남아시아권역 국가 중 미성년자 임신비율(2014년 기준 1,000명당 72.5

명)이 파키스탄(48), 인도(38.5), 스리랑카(24.1) 등에 비해 현저히 높은 국가로 여성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학교보건, 생식보건 사업 관리가 필요함.

◯ (농업분야 지원) 네팔 농업분야발전전략(ADS)에 부합한 사업형성이 필요하며, 네팔경제 구조에서 농

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높고 농업 종사자도 많은 것을 고려하여 농업 생산성 향상을 통한 농가

소득 향상 대안을 적극 지원할 필요가 있음.

Page 22: [네팔] [농촌개발] 분야 현황 - ODA 나. 지형 및 기후 다. 농업 당면 과제 2. [네팔] 지방행정체계 가. 지방행정체계 개요 나. koica 사업지역 3

- 20 -

참고 문헌

KOICA 발간물

· KOICA 농어촌개발팀 & 네팔사무소 (2017). 네팔 과일 및 채소 가치사슬 확대 사업 예비조사결과보고서

· KOICA (2013). 네팔 농촌공동체 개발사업(너왈퍼라시 지역개발사업) 형성조사(1,2차) 결과 보고서

· KOICA 네팔사무소 (2014). 네팔 농촌공동체 개발사업 집행계획

외부 발간물

· 관계부처 협동 (2016). 네팔 국가협력전략 Country Partnership Strategy for the Government of Nepal

· 외교통상부 서남아태평양과 (2017). 네팔 개황

· 신세린 (2017).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네팔 농업 현황

· Ministry of Agricultural Development (2015). Nepal Portfolio Performance Review (NPPR)

참고 사이트

· ODA 정보포털. “KOICA 사업정보”,http://www.oda.go.kr/opo/bsin/bsnsInfoCnttBsnsInfo.do?P_KOICA_AREA_SE_CD= 3,

Page 23: [네팔] [농촌개발] 분야 현황 - ODA 나. 지형 및 기후 다. 농업 당면 과제 2. [네팔] 지방행정체계 가. 지방행정체계 개요 나. koica 사업지역 3

- 21 -

(부록) 사무소 현황

1 사무소 연혁 및 지위

가. 사무소 연혁

- 1995년 6월 설립 및 초대 전중영 주재원 파견

- 2006년 8월 해외 사무소로 승격

- 2008년 3월 2인 사무소로 확대

- 2015년 김형규 사무소장 부임(15. 8.24 - 현재)

나. 법적 지위

- 2014년 10월 한-네팔 간 무상원조 기본협정 체결

※ 2015.2월 발효

- 네팔 D.P.(Development Partners) 목록에 등재, 사무소 운영 및 사업을 위한 수입물품

(기자재, 건축 자재 기재 등)에 대한 면세 적용

다. 관할 지역 : 네팔

ㅇ 사무소 직인관리자: (정) 김형규 소장, (부) 장서희 부소장

3 인원 현황

사무소 인원 현황 (2018.01.01일 기준)

ㅇ 한국 직원 : 9명

소 장 부소장 봉사단 코디네이터 ODA 영프로페셔널

김형규 장서희신석영, 최성석,

김이랑

조은지, 김유진, 이은실(이상 사무소),

서현지(공관)

2 직인 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