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
154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22권 2호 통권52호 2020년 11월 대학교 캠퍼스내 편의시설 디자인 제안 - 가구를 중심으로 한 편의시설 디자인 - Design Proposal for Convenience Facilities in University Campus -Focused on Furniture Design of Convenience Facilities- Author 오양가 Nyamsuren Munkh-Uyanga / 정회원, 한성대학교 인테리어디자인전공 석사과정 한혜련 Han, Hae-Ryon / 부회장, 한성대학교 인테리어디자인전공 교수, 공학박사 *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learning environment of Mongolian universities and to create a special environment for students to study and relax. To do this, we will conduct a comparative study of Korean and Mongolian universities and make interior solutions based on traditional Mongolian patterns. Convenience facilities need to be expanded due to the absence of Mongolian convenience facilities, which are cafes and rest facilities at the University of Mongolia. We propose a furniture design containing folk materials that will bring out the traditional atmosphere of Mongolia. Overall, modern design and convenient design such as furniture, sofa, and desk are required. Keywords 대학캠퍼스, 편의시설, 교육공간, 가구 University Campus, Convenience facilities, Education space, Furniture * 교신저자(Corresponding Author); [email protected] 1. 서론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교육환경은 창의적 사고와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 변 화하는 사회에서 요구되는 지식은 전통적 교과지식이 아 니라, 폭발하는 정보와 지식의 신속성, 다양성, 복잡성, 중첩성 등을 조직하고 관리하는 연계망 지식이나 문제해 지식과 같은 적용력이 크기 때문이다.시간이 지날수 몽골 울란바토르에 (Ulaanbaatar) 속해 있는 대학교 수가 감소되고 있다. 사유는 다음 <표 1>과 같다.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몽골 대학교 수추이 100개 95개 96개 94개 <표 1> 몽골대학교 수 추이 감소 이유는 학생들이 유학생활을 선택하는 것이다. 몽골 대학생들이 유학생활을 선택하는 여러가지 원인이 있으며, 이 중에서 가장 큰 원인은 외국어와 문화교육이 고 (36%) 또 다른 이유 중 하나는 대학내 편의시설 부 족 (21%)이다. <표 2> 유학생활을 선택하는 원인 현대 학생들은 어느 공간 안에서도 편하게 공부를 하 고 싶어 한다. 따라서 디자이너들이 현대적인 자료와 전 통을 살건 민속자료를 보여 줄 가구뿐 만 아니라 여러 기능을 해낼 수 있는 가구들을 디자인하는 추세이다. 편 의시설이란 이용자에게 유익하거나 편한 환경이나 조건 을 갖춘시설이다. 본 연구는 몽골대학교 캠퍼스를 세계기준에 맞는 현대 적인 자료와 민속자료를 보여 줄 가구를 통해 학생들에게 편한 편의시설을 제안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대학교 캠퍼스내 편의시설 디자인 제안최윤영 김은정 김미경 2014.05 대학기숙사 단위생활공간 가구디자인의 유형분류에 따른 주요특성

  • Upload
    others

  • View
    4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대학교 캠퍼스내 편의시설 디자인 제안최윤영 김은정 김미경 2014.05 대학기숙사 단위생활공간 가구디자인의 유형분류에 따른 주요특성

154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22권 2호 통권52호 2020년 11월

학교 캠퍼스내 편의시설 디자인 제안- 가구를 심으로 한 편의시설 디자인 -

Design Proposal for Convenience Facilities in University Campus-Focused on Furniture Design of Convenience Facilities-

Author 오양가 Nyamsuren Munkh-Uyanga / 정회원, 한성 학교 인테리어디자인 공 석사과정

한혜련 Han, Hae-Ryon / 부회장, 한성 학교 인테리어디자인 공 교수, 공학박사*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learning environment of Mongolian universities and to create a

special environment for students to study and relax. To do this, we will conduct a comparative study of Korean

and Mongolian universities and make interior solutions based on traditional Mongolian patterns. Convenience

facilities need to be expanded due to the absence of Mongolian convenience facilities, which are cafes and rest

facilities at the University of Mongolia. We propose a furniture design containing folk materials that will bring out

the traditional atmosphere of Mongolia. Overall, modern design and convenient design such as furniture, sofa, and

desk are required.

K eyw ord s 학캠퍼스, 편의시설, 교육공간, 가구

University Campus, Convenience facilities, Education space, Furniture

* 교신 자(Corresponding Author); [email protected]

1. 서론

1. 1. 연구 의 배경과 목

교육환경은 창의 사고와 한 계를 갖는다. 변

화하는 사회에서 요구되는 지식은 통 교과지식이 아

니라, 폭발하는 정보와 지식의 신속성, 다양성, 복잡성,

첩성 등을 조직하고 리하는 연계망 지식이나 문제해

결 지식과 같은 용력이 크기 때문이다.시간이 지날수

록 몽골 울란바토르에 (Ulaanbaatar) 속해 있는 학교

수가 감소되고 있다. 사유는 다음 <표 1>과 같다.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몽골

학교

수추이

100개 95개 96개 94개

<표 1> 몽골 학교 수 추이

감소 이유는 학생들이 유학생활을 선택하는 것이다.

몽골 학생들이 유학생활을 선택하는 여러가지 원인이

있으며, 이 에서 가장 큰 원인은 외국어와 문화교육이

고 (36%) 다른 이유 하나는 학내 편의시설 부

족 (21%)이다.

<표 2> 유학생활을 선택하는 원인

학생들은 어느 공간 안에서도 편하게 공부를 하

고 싶어 한다. 따라서 디자이 들이 인 자료와

통을 살건 민속자료를 보여 가구뿐 만 아니라 여러

기능을 해낼 수 있는 가구들을 디자인하는 추세이다. 편

의시설이란 이용자에게 유익하거나 편한 환경이나 조건

을 갖춘시설이다.

본 연구는 몽골 학교 캠퍼스를 세계기 에 맞는

인 자료와 민속자료를 보여 가구를 통해 학생들에게

편한 편의시설을 제안하는 것을 그 목 으로 하고 있다.

Page 2: 대학교 캠퍼스내 편의시설 디자인 제안최윤영 김은정 김미경 2014.05 대학기숙사 단위생활공간 가구디자인의 유형분류에 따른 주요특성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22권 2호 통권52호 2020년 11월 155

1. 2 . 연구 방법 범

범 는 인 자료와 민속자료를 보여 가구를

심으로 한다. 본 연구 방법은 몽골의 학교 캠퍼스의

사례를 조사하고, 한국 학교 사례와 비교 조사한다. 한

국에서 사용하고 있는 가구의 특징을 알아보고 몽골 민

속자료 등을 분석하여 디자인을 제안한다. 조사 방법은

<표 3>과 같다. 본 연구 범 는 몽골 울란바트로 3곳

학과 한국의 학교 3곳을 선정하여 분석결과는 결론

으로 정리하 다.

조사

방법조사 내용 학명 소재지 세부 목

사례

조사

몽골 학교

인문 학교울란바토르

수흐바토르구

한국과 몽골의 캠퍼

스에 한 반

특성 비교

국제 울란바토르

학교

울란바토르

바얀주르흐구

농업 학교울란바토르

한오올구

한국 학교

한성 학교 서울시 성북구

고려 학교 서울시 성북구

건국 학교 서울시 진구

편의시설과

가구 조사몽골 학 3곳VS한국 학 3곳

한국과 몽골의 캠퍼

스내 편의시설 구성

내부 가구 특성

비교 분석

문헌

조사

몽골과 한국

민속자료

조사

인터넷, 선행연구, 련문헌

몽골에 맞는 가구

디자인을 해 용

가능한 특성 도출

<표 3> 조사 방법

2 . 이 론 고 찰

2 . 1. 캠퍼스 편의시설

(1) 캠퍼스 편의시설 개념

학캠퍼스의 편의시설은 학생들과 교직원들의 복지증

진을 해 설치되는 시설로써, 학업이나 행정 등 교내

생활에서 필요한 행 들을 지원하는 역할을 한다. 편의

시설은 여러 사람들이 함께 쓰는 것이다. 이용자에게 유

익하거나 편한 환경이나 조건을 갖춘 시설이다. 장애

인·노약자·임산부 등 취약 계층을 포함하여 다양한 사

람들이 건축물, 교통수단, 도로, 정보통신망 등에 편리하

고 안 하게 근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시설

을 말한다. 편의 시설은 장애인이나 노약자, 임산부 등과

같은 사회 약자들 뿐만 아니라 다양한 사람들이 편리

하고 안 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시설들이다.1)

(2) 편의시설의 유형

일반 인 편의시설은 다음 <표 4>와 같이 유형화된다.

1) 츨처: https://ko.dict.naver.com/#/entry/koko/71ea3b62bead4695892ab

구분 명칭 설명

도로 도로는 일반인의 교통을 하여 제공하는 시설이다

공원공공녹지로서 자연지(自然地)나 는 인공 으로 조

성한 후생 조경지다.

공공건물공공의 용도로 쓰는 건물. 학교, 도립 병원, 도서

따 를 이른다.

공통주택건설 아 트 따 의 공통 주택이 모두 동일한 평수

의 크기로만 건설된 유형이다.

교통수단

사람이 이동하거나 짐을 옮기는 데 쓰는 수단 .자

거, 오토바이, 자동차, 기차, 선박, 비행기처럼 사

람과 물자를 쉽게 옮기도록 도와 주는 수단이다.

통신시설

용량 역 데이터 시스템으로 고속 통신 서비

스를 통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설계된 각종 시설물들의 총칭한다.

<표 4> 편의시설의 종류

공공건물 의 학교 캠퍼스내의 편의시설은 다음

<표 5>와 같이 유형화된다.

구분 명칭 설명

카페 커피나 음료, 는 가벼운 음식을 는 집.

식당 학교에서 주로 학생들이 이용하는 값싼 구내식당.

휴게실 잠깐 동안 머물러 쉴 수 있도록 마련해 놓은 공간.

도서온갖 종류의 도서, 문서, 기록, 출 물 따 의 자료

를 모아 두고 일반이 볼 수 있도록 한 시설.

체육시설운동을 할 수 있는 도구, 기계, 장치 따 를 비해

놓은 시설.

<표 5> 학교 캠퍼스 편의시설의 종류

2 . 2 편의시설의 가 구 특 성

다음은 한국과 몽골 학 편의시설에 쓰는 가구에

한 비교조사다. <표 6>은 다음 페이지에서 설명하고자

한다.

Page 3: 대학교 캠퍼스내 편의시설 디자인 제안최윤영 김은정 김미경 2014.05 대학기숙사 단위생활공간 가구디자인의 유형분류에 따른 주요특성

156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22권 2호 통권52호 2020년 11월

몽골 학교 한국 학교

인문 학교 국제 울란바토르 학교 농업 학교 한성 학교 고려 학교 건국 학교

카페

식당

휴게실

도서

체육시설

분석

몽골 학교 캠퍼스에서 쓰는 가구는 반 으로 일반 나무 의자와 책상을

쓴다. 학생들이 한 공간을 여러 까지로 이용한다. 즉 식당에서 식사하고 공

부하고 잠도 잔다. 는 한생들을 한 1인, 2인, 자리가 따로 있는 공간

이 없다. 한 카페나 휴게시설이 없어서 불편하다.

한국 학교 캠퍼스 편의시설은 학생들의 활동에 따라 가구, 소 , 책상 등 편

리하는 디자인 공간이 있고, 가구까지 다양하게 여러 가지로 쓰고 있다.

<표 6> 한국과 몽골 학 편의시설에 쓰는 가구에 한 비교조사

3 . 학교 캠퍼스에 한 선 행 연구

학교 캠퍼스내의 편의시설에 한 선행연구가 부족

하여 학교 캠퍼스 련 논문 에서 캠퍼스시설, 는

가구디자인에 한 표 특성이 연구된 논문을 사례로

조사하 다. 선행연구 분석 결과는 <표 7>과 같다.

조사 방법 연구자 논문제목 내용

1

나란토야

수렝체첵

2018.05

몽골 게르의

통 요소를

도입한

실내디자인 표

특성

몽골 주거형태인 게르의 공강 특

성을 도입한 식음 공간의 특성을 조

사 비교분석 하여 공간의 표

특성을 제안하고 세계 으로 문화의

음재 속에서 몽골과, 몽골 통주거

인 게르의 공간 특성연구.

2

한혜수

최 건

황연숙

2016.05

학생 심 공간을

한 학 캠퍼스

내의 로비공간

개선방안에 한

연구

학내 학생 심 공간이 단순히 학

생들이 머물 공간이라는 의미를 뛰어

넘어 개개인의 가능성을 무한히 펼칠

수 있는 장임을 깨닫고 학캠퍼스

내의 도서 로비공간의 개성방안.

3

김윤자

최지은

최윤

김은정

김미경

2014.05

학기숙사

단 생활공간

가구디자인의

유형분류에 따른

주요특성 분석

학기숙사 단 생활공간의 가구디자

인 사례 분석을 통해 기숙사 가구의

유형을 악하고, 그에 특성과 황

분석을 통해 개선방안을 제시..

4

정숙인

남경숙

2009.09

국내-외

학캠퍼스

시설의 친환경

설계특성에 한

연구

학팸퍼스 시설을 상으로 친환경

설계특성에 한 에 지 약, 자원

약형 측면에서의 기술 용과 미

학 측면에서의 주변 환경과의 조

화 건물 내 자연요소 도입을 분

석하고 국내-외 학시설의 친환경

설계향을 악해서 학시설의

친환경 설계방향을 모색.

<표 7> 선행연구 조사

4 . 결론

본 연구는 몽골 학교 캠퍼스를 세계기 에 맞는

인 자료와 민속자료를 보여 가구를 통해 학생들에

게 편안한 편의시설을 제안하고자 한다. 한국 학교 내

편의시설에서 사용하고 있는 가구의 특징을 알아보고 몽

골 민속자료조사 등 분석을 실시하여 편의시설에 한

민속자료가 포함된 것은 표 하고자 한다.

첫째, 몽골 학교 카페나 휴게시설 공간인 몽골 편의

시설의 부재로 편의시설 확충이 필요하다.

둘째, 몽골 통의 분 기를 살릴 민속자료가 포함된

가구 디자인을 제안한다.

셋째, 체 으로 인 분 기의 디자인과 가구,

소 , 책상 등 편리하는 디자인이 요구한다.

향후 의 결과를 바탕으로 몽골 학교 내 편의시설의

인 디자인과 민속자료가 포함된 통 디자인의 가

구들이 연구되어야 하겠다.

참고문헌

1. 김윤자, 최지은, 최윤 , 김은정, 김미경의 학기숙사 단 생활공간 가구디자인의 유형분류에 따른 주요특성 분석,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4

2. 나랑토야 수렝채책의 몽골 게르의 통 요소,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8

3. 정숙인, 남경숙의 국내-외 학캠퍼스 시설의 친환경 설계특성에 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9

4. 한혜수, 최 건, 황연숙의 학생 심 공간을 한 학 캠퍼스 내의 로비공간 개선방안에 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6

5. https://ko.dict.naver.com/#/entry/koko/71ea3b62bead4695892ab 6. Б. Болд “Монгол ардын хээ угалз” ном

Page 4: 대학교 캠퍼스내 편의시설 디자인 제안최윤영 김은정 김미경 2014.05 대학기숙사 단위생활공간 가구디자인의 유형분류에 따른 주요특성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22권 2호 통권52호 2020년 11월 157

재생개념을 용한 식음공간의 표 특성- 구 북·서성로의 식음공간을 심으로 -

E x pressional Characteristics of Food and Beverage S pace Applied the Concept of R egeneration- Focused on the Food and Drink Space of Buk·seoseong-ro, Daegu -

Author 김기향 Kim, Gi-Hyang / 정회원, 구 학교 실내건축학과 석사

정석연 Jung, Suk-Yon / 정회원, 구 학교 실내건축디자인학과 교수*

Abstract Due to changes in urban industrial structure, spaces that lost their original functions have been regenerated into

spaces with new functions. There are also many such cases in Buk·seoseong-roo Daegu. But previous studies

are about how to use buildings. Therefore, this study presents the design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the food

and beverage space in Buk·seoseong-roo. After drawing up the case of the study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derived from the preceding study, the study conducted an on-site survey of the food and beverage space with

the concept of regeneration of the northwest furnace to analyze the fiv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analysis,

‘traces of time’ is expressed through the structure of the existing building and the preservation of the facade.

‘symbolic’ is expressed repeatedly in space, mainly by utilizing stories related to space or characters. ‘Openness’

is expressed by removing the boundary element of space or by using transparent finishes. ‘Complexity’ shall be a

mixture of additional functions in addition to the main functions. Participation is activated in a space that can be

used for multiple purposes. Finally, when five expressions are properly expressed in a food and beverage space

where the concept of regeneration is applied, users prefer it, and the value of the regenerative space may

increase. This result could contribute to continued activation and user satisfaction when planning future

Buk·seoseong-roo architectural assets like food and beverage spaces.

K eyw ord s 재생, 식음공간, 북·서성로

Regeneration, Food and Beverage Space, Buk·seoseong-ro

* 교신 자(Corresponding Author); [email protected]

1. 서론

1. 1. 연구 의 배경과 목

우리나라의 도시환경은 산업화 이후 속도로 변화했

다. 성장 주의 도시개발로 인해 심도시가 빠르게 성

장하는 동안 구도심은 그 로 방치되었다. 도시 산업구

조의 변화와 사회 패러다임의 환으로 쇠퇴지역 내

유휴공간의 가치에 한 심이 증가하 으며, 쇠퇴지역

내 버려진 공간을 재생하는 사업이 시행되었다. 그 결과

원래의 기능을 잃은 채 그 로 방치되어 있던 공간들이

음식 , 카페, 박물 등 새로운 기능을 가진 공간으로

재탄생하게 되었다. 구 북성로의 경우에도 역사 문

화자원을 보존하고 활용하여 지역을 활성화시킨 재생공

간의 사례들을 찾아볼 수 있다. 하지만 북·서성로 련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북성로의 가치나 건축물 활용 방

안에 한 연구가 부분이다. 재 북·서성로 일 의

식음공간이 은 층의 인구유입을 활성화시키고 있음에

도 불구하고 공간의 디자인 특징을 다루는 연구는 찾아

볼 수 없다. 북·서성로에 존하는 건축물들은 역사

인 흔 을 재생시켜 미래까지 지속 인 재생공간으로써

그 가치를 달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재 운 되

고 있는 재생개념을 용한 북·서성로 식음공간의 디자

인 표 특성을 제시하여, 향후 북성로의 건축자산을 식

음공간으로 계획하는 데 있어 사용자의 만족도 상승과

지속 인 활성화에 기여하는 자료로 활용되는 것을 목

으로 한다.

Page 5: 대학교 캠퍼스내 편의시설 디자인 제안최윤영 김은정 김미경 2014.05 대학기숙사 단위생활공간 가구디자인의 유형분류에 따른 주요특성

158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22권 2호 통권52호 2020년 11월

1. 2 . 연구 범 방법

본 연구의 범 는 구 북·서성로 일 에서 운 되고

있는 식음공간을 심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재생

특성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향후 재생 련

연구에 유용한 자료로 사용될 수 있는 곳으로 총 여섯

곳을 선정하 다.

첫째, 선행연구를 통하여 재생공간의 개념에 해 알

아본다. 선행연구에서 도출된 재생특성과 식음공간 특성

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사례 분석틀을 도출한다.

둘째, 도출된 분석틀로 구 북서성로의 식음공간 사

례조사를 실시한다. 최종 으로 선정한 여섯 곳을 장

방문하여 공간의 특징을 분석한다.

셋째, 분석결과를 종합하여 북성로에 존하는 건축자

산을 향후 식음공간으로 계획하는 데 있어 기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2 . 이 론 고 찰

2 . 1. 재 생 과 재 생 건 축 의 개 념

‘재생’은 죽게 되었다가 다시 살아남, 낡거나 못쓰게

된 물건을 가공하여 다시 쓰게 함을 뜻한다.1) 선행연구

들을 보면 재생의 정의와 유사 용어의 에 한 차이

가 존재했으나, 공통 인 개념은 ‘버려졌거나 죽어가는

것을 원래의 모습으로 되살리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

이와 같은 맥락으로 ‘공간 재생’이란 공간에 생명력을 부

여하여 공간의 유용성을 살리는 행 를 뜻한다.2) ‘재생

건축’이란 어떠한 원인으로 인해 버려졌거나 죽어가는

공간을 특정한 방식으로 다시 살린 건축 공간을 뜻한

다.3) 건축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다양한 가치들이 축

될 수 있으며, 축 된 가치를 활용해 차별화된 공간을

창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재생건축을 물리

인 보존 뿐만 아니라, 건축에 내재되어 있는 과거의

다양한 가치들이 활용 가능하고, 이것이 미래에까지

향을 미칠 수 있는 건축공간으로 정의한다.

2 . 2 . 재 생 공 간 표 특 성 선 행 연구

재생건축 표 특성에 한 선행연구를 통해 재생건축

의 디자인 특성에 한 키워드를 알 수 있었다. 연구자

에 따라 몇 가지 항목과 키워드를 구성하는 방법에 차이

1) 네이버 사 참조.

https://ko.dict.naver.com/#/search?range=all&query=%EC%9E%AC

%EC%83%9D

2) 공간재생: 공간 내의 변화와 함께 주변 환경과의 어울림과 공간에

주는 향을 고려하는 것으로, 공간에 새 생명을 주는 행 로 정의

내릴 수 있다.

재생 문화공간의 회복력 요소가 심리 치유에 미치는 향:회복환

경지각의 매개로, 조선 학교 석사논문, 2020 p.7

3) 신경, 공간 다이어그램을 활용한농 창고 재생건축의 공간 구성 특

성과 재생방법 특성 분석, 한양 학교 석사논문, 2018 p.16

가 있었지만, 공통 으로 나타났던 특성은 역사성과 시

간성이었고, 빈도가 높았던 특성은 상징성, 근성이었

다. 박상경(2017)은 시간성, 상징성에 재질성, 연출성, 복

합성을 추가하 고, 장이문(2018)은 지역성과 장소성, 참

여성을 추가하 다. 오상민(2019)은 역사 시간성에 장

소 정체성과 공간 존재성, 서사 표 성을 추가하

고, 박미라(2015)는 상징성, 시간성, 근성에 연속성과

개방성, 기능 복합성과 참여성으로 항목을 구성하 다.

이 내용을 표로 정리하면 <표 1>과 같다.

연구자 제 목 재생공간의 표 특성

김 정

(2017)

유휴시설을 활용한 시공간

재생디자인 특성에 한 사례 연구

역사성/ 상징성/ 보존성/ 연계성/

장소성

박상경

(2017)

노후화된 공장 주택공간의

상업시설로의 재생건축 계획과

디자인특성에 한 비교연구

시간성/ 재질성/ 상징성/ 연출성/

복합성

박미라

(2017)

유휴산업시설을 재생한 상하이

창의공간의 디자인 표 특성

조형특성상징성

시간성

공간특성

연속성

개방성

근성

로그램특성기능복합성

참여성

장이문

(2018)

재생개념을 용한 유휴

산업시설의 공간특성 연구

문화

연속성

지역성

장소성

공간

보존성

상징성

역사성

사회

연계성

근성

참여성

오상민

(2019)유휴산업시설 감성평가 연구

역사 시간성/ 장소 정체성/

공간 존재성/ 효율 근성/

서사 표 성

<표 1> 재생공간 표 특성 분석

3 . 북 성 로 와 식 음 공 간

3 . 1. 북 성 로 의 재 생 개 념 을 용 한 식 음 공 간

구에 치한 북·서성로는 2011년 카페 리노베이션을

시작으로 재까지 근 건축물을 활용한 재생이 이루어

지고 있다.4) 북·서성로 련 선행연구에 나타난 건축 재

생 사례를 보면 부분 음료 주의 식음공간으로 재생

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5) 이러한 공간은 음료

하나를 마시더라도 차별화된 경험과 서비스를 제공받기를

원하는 사용자들에게 다양한 가치를 재인식시키고 있다.

4) 카페 리노베이션: 2011년 옛 공구상 ‘삼덕상회’를 카페로 리노베

이션한 민간주도의 사업을 뜻한다. 2012년 구 역시 한옥 진흥조

례가 제정되면서 방치된 근 건축물을 재정비하는 움직임이 본격

으로 일어났다.

김수연, 구 북성로의 건축자산을 활용한 장소 랜딩 연구, 성균

학교 석사학 논문, 2019 p.66

5) 북성로 도시형 상가주택 활용사례 4개 3개가 식음공간으로 활용

되고 있었으며, 박물 으로 재생된 나머지 한 곳은 재 식음공간으

로 용도를 변경하 다.

도 학, 도시형상가주택의 활용에 한 연구– 구시 북성로 근 건

축물을 심으로-, 한국농 건축학회논문집, Vol.17No.2[2015] 2015,

p7-8

Page 6: 대학교 캠퍼스내 편의시설 디자인 제안최윤영 김은정 김미경 2014.05 대학기숙사 단위생활공간 가구디자인의 유형분류에 따른 주요특성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22권 2호 통권52호 2020년 11월 159

3 . 2 . 식 음 공 간 의 디자인 표 특 성

구체 인 분석틀을 마련하기 해 식음공간의 디자인

특성에 한 선행연구를 살펴보았다. 빈도가 높았던 특

성은 랜드화, 테마화 등의 ‘상징 특성’이었다. 그 다

음으로는 특정 시 를 연상할 수 있는 연상성, 과거와

재가 공존하는 ‘시간 혼성’이 있었다. 이외에도 참여

를 유도하여 로그램을 활성화 하는 이벤트성, ‘참여 유

도성‘, 두 가지 이상의 기능이 복합되어 있는 ’기능 복합

성‘, 공간에 시각 확장감을 부여하는 ’개방성‘, 등의 특

성이 있었다. 이 내용을 표로 정리하면 <표 2>와 같다.

연구자 제 목 식음공간의 표 특성

변채

(2009)

식음공간 실내에 있어

그린 디자인 연출과

표 기법에 한 연구

연출방법직 , 모방 , 상징 ,

복합

표 기법 재 , 상징 , 연상

김학수

(2011)

식음공간의 조명 연출

기법을 통한 공간

표 방법에 한 연구

랜드화/ 테마화/ 친환경화, 복합화

문근이

(2013)

‘제 3의 공간’으로서

카페의 공간연출 략

스토리텔링을 통한 테마

스타일 창조를 통한 공간 정체성

복합 공간구성을 통한 시 스 다양화

체험요소 활용 인터 션장치 구축

최보경

(2014)

사용자 경험 심

패 리 스토랑 공간

디자인에 한 연구

상징성/ 이벤트성/ 연상성/ 개방성/ 역동성/

편의성

김해

(2018)

국내 외식산업 흐름에

따른 식음공간 연출

특성에 한 연구

창여유도성 유희 경험, 상호작용

친환경성

재 표 특성

상징 표 특성

연상 표 특성

다문화성

시간 혼성

공간 혼성

장르 혼성

<표 2> 식음공간 선행연구 분석

3 . 3 . 재 생 개 념 을 용 한 식 음 공 간 디자인 특 성

재생건축 표 특성에 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식음

공간의 특성과 연 되는 키워드를 분석한 결과 <그림

1>과 같이 재생개념을 용한 식음공간의 표 특성을 5

가지로 도출할 수 있었다.

1)시간성이란 기존 건축물이나 공간의 특정 부분을 보

존하여 시간 특징을 인식 시키고, 공간에 의미를 부여

하는 것을 말한다. 건축물 자체가 지닌 시간의 흐름에

가치를 부여하는 것으로, 역사성보다 건축물의 가치에

한 범 를 넓힌 개념이다.6)

2)상징성은 건축물이 지어진 시 나 장소 특성이

랜드의 이름이나, 로고, 심벌 등 상징 인 요소에 반 되

어 공간에 표 되는 것을 말한다. 이것은 곧 공간의 정

체성이 된다.

3)개방성은 건축물 일부를 공간의 기능에 따라 구조를

확장시켜 시각 개방감을 높이는 특성을 말한다. 공간

내부에서 바라보는 개방은 시야에 장애 요소가 존재하지

6) 박태우, 근 건축물의 공간 재활용에서 시간성 표 방법에 과한 연

구: 국내 근 건축 문화유산을 심으로, 건국 학교 석사논문,

2011 p.42

않거나 투명한 마감재 사용에서 느껴질 수 있으며, 공간

외부에서 바라보는 개방은 투명한 사드와 유리창의 쇼

도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7)

4)복합성은 공간에 여러 가지 기능이 혼재되어있는 것

을 뜻하며, 시설의 연계를 통해 사용자에게 새로운 경험

을 부여한다.

5)참여성은 교류나 공유가 가능한 커뮤니티공간이 조

성되어 있어 사용자의 참여를 유도하는 특성을 말한다.

커뮤니티 공간 조성과 함께 다양한 콘텐츠가 합쳐지면

사용자의 상호작용이 활발하게 일어날 수 있다.

시간성

식음공간 표 특성재생개념을 용한

식음공간 특성재생공간 표 특성

상징

복합

연상

상징성

이벤트성

연상성

개방성

랜드화

복합화

스토리테마

복합 구성

상징성

개방성

복합성

참여성

<그림 1> 재생개념을 용한 식음공간 특성 도출

4 . 사 례 분 석

4 . 1. 사 례 선 정 과 개 요

본 연구에서는 북·서성로의 재생개념이 용된 식음공

간 구조 변형이 최소화되어 있으며, 음료 주의

매가 이루어지는 식음공간의 사례를 선정하 다. 최종

으로 선정된 사례의 개요는 <표 3>과 같다.

명 칭 치 원기능 개 연도

믹스카페 북성로 구 구 북성로 86-2 수막공장 2015

꽃자리다방 구 구 북성로 107 연마공업사 2017

라일락뜨락 1956 구 구 서성로 13길 7-20 주거공간 2018

어울리커피클럽 구 구 북성로 104-9 음식 2020

화의 장 구 구 북성로 104-15 음식 2020

1.14km 구 구 북성로 59-1 공구상 2020

<표 3> 사례분석 상지 개요

4 . 2 . 사 례 분 석

<그림 1>에서 도출된 재생개념을 용한 식음공간 특

성을 토 로 북·서성로의 재생개념이 용된 식음공간의

7) 강민우, 국내 공공도서 로비공간의 공간 특성 분석: 개방성 분석

을 심으로 한양 학교 석사논문, 2019 p.30-31

시간성

재질성

상징성

연출성

복합성

상징성

시간성

연속성

개방성

근성

기능복합성

참여성

지역성

장소성

상징성

역사성

근성

참여성

Page 7: 대학교 캠퍼스내 편의시설 디자인 제안최윤영 김은정 김미경 2014.05 대학기숙사 단위생활공간 가구디자인의 유형분류에 따른 주요특성

160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22권 2호 통권52호 2020년 11월

특징을 <표 4>와 같이 분석하 다.

(1) 믹스카페 북성로

개요: 믹스카페 북성로는 1950년 에 지어진 콘크리트

건물과 1910년 에 지어진 목조건물이 연결된 복합문화

공간이다.

믹스카페 북성로 (2015)

치 구 구 북성로 86-2 원용도 수막공장

이미지

믹스카페북성로의 디자인 표 특성

시간성일본식 산가옥의 구조와 콘크리트 건물의 기존 사드가 보존

되어 있음. 내부 구조체를 노출시켜 시간의 흔 을 드러냄.

상징성

2층 다다미방 벽면은 시멘트를 그 로 노출시키고 그 에 유리

를 덮어 믹스카페 북성로라는 문구를 새겨놓음. 이러한 연출을

통해 건물의 정체성을 부각하고 있음.

개방성

내부에 공간을 경계짓는 벽이 없어 확장감이 느껴지며, 앙정원에

닿아있는 면에는 모두 창문이 있어 시각 인 개방감이 느껴짐. 외부

에서 안으로 바라다봤을 때는 창문이 좁게 나 있어서 내부보다 개방

성이 떨어짐.

복합성

주요시설은 1층과 2층에 치한 카페이며, 건물 뒤편에 여러 명이

사용할 수 있는 펍이 있음. 3층에는 작업실 시공간이 치해

있고, 건물에 둘러싸인 앙정원에는 화상 이 가능하며 공연 시

무 로 사용할 수 있도록 바닥에 단차를 둠.

참여성커뮤니티 공간은 앙정원으로, 공연이 시작되면 1, 2층 사용자들이

모두 심공간을 바라볼 수 있는 구조로 되어있음.

<표 4> 사례분석(1)

(2) 꽃자리다방

개요: 한국 쟁 당시 시인 구상이 출 기념회를 열었던

곳으로, 그 시 에도 다방으로 운 되었다. 재 같은 자

리에서 같은 이름과 업종으로 업 이다.

꽃자리다방 (2017)

치 구 구 북성로 107 원용도 연마공업사

이미지

꽃자리다방의 디자인 표 특성

시간성

기존 건물의 구조와 사드가 보존으로 시간의 흔 이 드러남.

카페입구에 그 당시가 연상되는 포스터와 액자가 있어 공간에 의

미를 부여하고 있음.

상징성

문인과 화가들이 이 곳을 즐겨 찾아 창작활동을 이어갔던 기존

건물의 스토리텔링 요소를 활용하여 카페의 이름을 지음. 카페

벽면에 시인 구상이 연상되는 ‘반갑고 고맙고 기쁘다’ 라는 문구

가 액자로 만들어 져 붙어있음.

개방성

내부공간과 옥상은 공간이 넓게 트여있었고 공간경계요소가 없어서

개방성을 느낄 수 있었으나, 외부에서 내부를 바라봤을 때는 어둡게

코 된 창문을 통해 부분 으로만 느껴짐.

복합성

2층에는 주요 시설인 카페가, 3층에는 야외카페가 있어 낮에는 카페

로, 밤에는 주류도 함께 매하는 공간으로 운 되고 있음. 로그램

이 진행될 때마다 가구 배치를 변화시켜 공간을 활용함.

참여성

3층 옥상공간을 공연장으로 사용하여 참여를 유도하고 있으며, 벽과

천장이 개방되어있어 음악소리와 조명 등으로 지나가는 사람들에게

호기심을 유발함.

<표 5> 사례분석(2)

(3) 라일락뜨락 1956

개요: 항일민족시인 이상화선생의 생가로, 1956년 토지가

네 군데로 분할되어 재는 일부를 카페와 작업실로 활

용하고 있다.

라일락뜨락 1956 (2018)

치 구 구 서성로 13길 7-20 원용도 주거공간

이미지

라일락뜨락 1956의 디자인 표 특성

시간성

건물의 노후화로 개조가 상당 부분 이루어져 있었고, 기존 건물

의 구조와 배치는 부분 으로만 남아있어 시간성이 다소 낮게 표

됨.

상징성

마당에 200년 넘은 라일락 나무가 훼손되지 않고 정원에 그 로

보존되어 있으며, 카페 로고에 라일락 나무를 삽입하여 랜드의

정체성을 강조하고 있음. 내부에는 이상화 시인의 작품과 상화

가 곳곳에 배치되어 있어 스토리텔링 요소를 부각시키고 있음.

개방성

내부는 공간경계요소가 존재하지만, 정원과 맞닿아있는 부분을 개방

시켜 내부에서 외부로의 시야가 확장되어 보임. 주거공간 특성상

문이라는 경계요소가 건물을 가리고 있어 문 밖 외부에서 내부로

의 시야는 폐쇄 임.

복합성주요 시설은 카페이며 부가 인 기능은 앙정원을 활용한 공연장이

다. 로그램에 따라 필요한 가구를 배치하여 공간을 활용하고 있음.

참여성커뮤니티공간인 앙정원은 ㄷ자 구조로 모든 공간과 연결되어 있어

사용자 간 교류와 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함.

<표 6> 사례분석(3)

(4) 어울리커피클럽

개요: 음식 이 즐비한 골목길 사이에 치한 복합 문화

공간이다. 1층은 커피공장과 카페가 있고, 2층에는 카페

공간과 스튜디오가, 3층에는 카페와 옥외정원이 있다.

어울리커피클럽 (2020)

치 구 구 북성로 104-9 원용도 음식

이미지

어울리커피클럽의 디자인 표 특성

시간성

기존 외벽과 이아웃, 구조체 자체는 변형이 없었지만, 페인트칠

과 추가 인 마감재료로 인해 오랜시간 축 된 시간의 흔 이 다

소 약하게 나타나고 있음.

상징성

어울리커피클럽만의 로고를 반복 으로 사용하여 랜드의 정체

성을 극 으로 알리고 있었고, 개화기 의상과 가구 소품 등

의 요소를 활용해 옛 공간의 이미지를 연출하고 있음.

개방성

사드를 보면 문의 임은 짙은 갈색으로 되어있고, 문은 투명한

유리로 되어있어 시선 집 과 함께 내부로의 개방감이 느껴짐. 카페

내부공간과 옥상정원에서는 경계요소가 없어서 시야에 확장감이 느

껴짐.

복합성주요시설은 카페이며, 개화기 의상체험공간과 사진촬 스튜디오, 옥

외정원이 혼재되어 있음.

참여성

2층 한켠에 마련된 개화기 의상체험을 통해 사용자들의 참여를 극

으로 유도하고 있었으며, 옥상 공간은 언제든지 공연, 시회 등

다목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시야를 차단하는 방해요소를 두

지 않음.

<표 7> 사례분석(4)

Page 8: 대학교 캠퍼스내 편의시설 디자인 제안최윤영 김은정 김미경 2014.05 대학기숙사 단위생활공간 가구디자인의 유형분류에 따른 주요특성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22권 2호 통권52호 2020년 11월 161

(5) 화의 장

개요: 1920년 만남의 장이었던 화장 여 과 같은 자리

에 만들어진 카페이며, 카페겸 바(bar)와 공유주방, 스튜

디오, 매공간으로 이루어진 복합문화공간이다.

화의 장 (2020)

치 구 구 북성로 104-15 원용도 음식

이미지

화의 장의 디자인 표 특성

시간성기존 건물의 구조와 사드 보존으로 축 된 시간의 흔 을 드러

내고 있음.

상징성

스토리텔링 요소를 활용하여 카페의 이름을 지었으며, 화의 장

특유의 상징 인 요소가 카드, 뱃지, 티셔츠 등의 상품에 반복

으로 나타나고 있음.

개방성내부공간은 공간 경계요소의 부재로 탁 트인 느낌이 드는 반면 건물

외부에서 내부로의 개방감은 작은 창문들을 통해 약하게 느껴짐.

복합성주 기능은 카페와 바(bar)이고 공유주방, 강당, 스튜디오, 매공간이

복합 으로 혼재되어 있음.

참여성각 공간마다 상황에 맞게 참여할 수 있는 로그램 책자가 배치되어

있고, 시 매공간을 통해 사용자의 참여도를 높이고 있음.

<표 8> 사례분석(5)

(6) 1.14km

개요: 해방 직후 구 읍성이 철거되고 북성로가 처음

만들어 졌을 때 1.14km 고, 이것을 카페 이름으로 가져

왔다. 1층은 카페이고, 2층은 오토바이 용품 매 으로

운 되고 있다.

1.14km (2020)

치 구 구 북성로 59-1 원용도 음식

이미지

1.14km의 디자인 표 특성

시간성

내부의 구조체는 기존 건축물에서 크게 변형되지 않았다. 기존의

외벽 자체도 변형이 없었지만, 도색과 추가 인 마감재료로 인해

오랜 시간 축 된 시간의 흔 이 다소 약하게 나타나고 있었다.

상징성

1.14km를 랜드화 하여 만든 스티커가 벽면과 컵에 붙어있어

랜드의 정체성이 드러나고 있었으며, 오토바이 련 용품들을

곳곳에 연출해 놓아 간 인 스토리텔링을 하고 있었다.

개방성입구 벽면의 큰 창문을 통해 내부에서 외부를 바라보는 개방감이 높

게 나타나고 있으며, 외부에서도 실내 상황을 악할 수 있었다.

복합성

1층은 카페공간으로, 2층은 오토바이 련용품 매 공간으로 시설

이 복합되어 있으며, 건물 입구에 오토바이를 주차해 놓을 수 있는

작은 주차공간과 의자가 마련되어 있다.

참여성

건물 앞에 오토바이 주차공간과 함께 의자가 마련되어 있어 오토바

이 주차 후 바로 걸터앉아 휴식을 취하며 커피 한 잔을 할 수 있는

공간이 있다. 한 오토바이를 취미로 하지 않는 사용자들도 친근하

게 할 수 있도록 작은 스티커와 뱃지같은 상품과 2층 매 공간을

시장처럼 열어두어 교류가 일어날 수 있도록 했다.

<표 9> 사례분석(6)

5 . 결론

북·서성로의 재생개념이 용된 식음공간에 나타난 디

자인 특성을 살펴 본 결과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간성은 공통 으로 기존 건물의 구조와 사

드의 보존을 통해 표 되며, 변형을 최소화 했을 때 지

속가능한 발 효과를 불러온다.

둘째, 상징성은 주로 공간이나 인물과 련된 스토리

를 활용하여 공간에 반복 으로 드러냄으로써 표 될 수

있으며, 이것은 공간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셋째, 개방성의 경우 공간의 경계요소를 없애거나 투

명한 마감재 사용으로 표 할 수 있으며, 개방감이 크게

느껴질수록 공간의 성격을 악할 수 있으며, 방문이

극 으로 유도된다.

넷째, 복합성의 경우 주 기능인 식음공간에 부가기능

인 문화 술공간과 공공 인 성격의 휴게공간 편의공

간이 혼재되어 있어야 하며, 로그램에 따라 공간의 변

화가 자유로워야 한다.

다섯째, 참여성의 경우 주로 다목 으로 활용 가능한

넓은 옥상이나 건축물 사이의 공간에서 활성화된다.

로그램이 구체 으로 정해져 있고 그것이 주는 의미가

사용자에게 달될 때 참여가 극 으로 일어나며, 지

역활성화에도 향을 수 있다.

재생개념을 용한 식음공간에서 다섯 가지 표 들이

하게 표 될 때 재생공간으로써의 가치가 상승할 수

있으며, 사용자들이 더 선호하는 공간이 될 수 있다는

결과를 얻었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추후 재생개념을

용한 공간과 련된 연구 범 가 확 되기를 기 한다.

참고문헌

1. 재생 문화공간의 회복력 요소가 심리 치유에 미치는 향:회

복환경지각의 매개로, 조선 학교 석사논문, 2020

2. 신경, 공간 다이어그램을 활용한농 창고 재생건축의 공간 구성

특성과 재생방법 특성 분석, 한양 학교 석사논문, 2018

3. 김수연, 구 북성로의 건축자산을 활용한 장소 랜딩 연구, 성

균 학교 석사학 논문, 2019

4. 도 학, 도시형상가주택의 활용에 한 연구– 구시 북성로 근

건축물을 심으로-, 한국농 건축학회논문집, Vol.17 No.2 [2015]

5. 박태우, 근 건축물의 공간 재활용에서 시간성 표 방법에 과

한 연구: 국내 근 건축 문화유산을 심으로, 건국 학교 석사

논문, 2011

6. 강민우, 국내 공공도서 로비공간의 공간 특성 분석: 개방성 분

석을 심으로 한양 학교 석사논문, 2019

Page 9: 대학교 캠퍼스내 편의시설 디자인 제안최윤영 김은정 김미경 2014.05 대학기숙사 단위생활공간 가구디자인의 유형분류에 따른 주요특성

162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22권 2호 통권52호 2020년 11월

산업유산자원을 활용한 복합문화공의 지속가능성에 한 연구**

- 부산 F1963을 심으로 -

A S tud y on the Planning of Complex Cultural S pace w ith Utiliz ing Ind ustrial H eritage R esources- Focused on F1963 -

Author 쉬지아량 Xu, JiaLiang / 정회원, 동서 학교 디자인 학원 석사과정

윤지 Yoon Jiyoung / 정회원, 동서 학교 디자인학부 환경디자인 교수*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regeneration and planning of modern compound cultural space by the

flexible use of regional cultural resources. Taking Pusan f1963 as an example, this paper analyzes the resource

utilization and inherent industrial heritage space (Architecture) characteristics of today's compound cultural space,

so a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regional cultural development and regional regeneration of sustainable

space use. The results show that with the change of social needs and economic development, the regional

space with certain value in the past has lost its functionality, but its inherent cultural attributes and space facilities

can be transformed into a compound space which can accommodate a variety of cultural contents through reuse,

providing various possibilities such as display, education, entertainment, community activities, etc. In addition,

through these various projects, the unique cultural attributes of the region can be created, so that local residents

can participate in art and cultural activities spontaneously, so as to improve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region.

K eyw ord s 지역자원, 복합문화 공간, 지속가능성, 서비스 디자인

local resources, Complex cultural space, Sustainability, Service design

*

교신 자(Corresponding Author); [email protected]**

본 연구는 동서 학교 4단계 BK21 서비스디자인 기반의 사회 신

교육연구 에 의해 지원 되었습니다.

1. 서론

1. 1. 연구 의 배경과 목

2000년 들어 지역문화자원의 개발이 본격 으로 시

작된 것은 여가 시간의 증가로 지역민의 문화 향수 욕구

가 커지고 각 지방자치단체들이 기존의 제조업을

심으로 한 성장이 한계에 이르자 문화・ 산업에서

새로운 동력을 찾을 필요를 느 기 때문이다. 특히 지방

자치단체들이 문화・ 산업에서 가능성을 느낀 것은 문

화 요소가 짧은 기간에 지역에 한 심을 증가시켜

이미지를 제고시키고 이것이 지역 활성화로 이어지게 하

는 힘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주석 선정 연구를 고분

하 도 하지만 막 한 산을 들여 문화공간을 새롭게

창출하기보다는 고유한 문화 자원을 활용하여 해결함이

더욱 합리 인 안이다. 1) 특히 다양성과 편리성을 추

구하는 시 특성에 따라 과거의 역사성을 보존하

며 재의 사회 흐름에 맞게 여러 가지의 목 을 충족

시킬 수 있는 복합문화공간으로 시설이 재생되는 사례가

많으며, 이 게 재생되는 복합문화공간의 다양한 측면

특히 사회 기능 측면에서 공동체의 문화· 술의

매기능을 담당하고 지역 내 커뮤니티 활성화에 큰 기여

를 한다. 앞으로 복합문화공간을 이용하는 사람들에게

문화 술의 기회를 안정 이고 체계 으로 제공하여, 문

화역량을 강화하고 행복감과 삶의 질을 제고하며, 지역

사회의 반 인 창의 , 신 역량 강화와 더불어 사

회 , 문화 과제를 해결 할 수 있는 역할을 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 은 기존 부산 F1963의 산업 공

간자원 활용에 해 악하고, 복합문화 공간의 지역 재

생과 버려진 산업유산 공간(건축)의 특징이 한 분석을

1) 윤지혜, 복합문화공간의 시 별 특성과 활성화 방안연구. 단국 학

교 학원, 석사논문, 2013, p2.

Page 10: 대학교 캠퍼스내 편의시설 디자인 제안최윤영 김은정 김미경 2014.05 대학기숙사 단위생활공간 가구디자인의 유형분류에 따른 주요특성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22권 2호 통권52호 2020년 11월 163

통해 지역문화의 발 과 지속가능한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는 지역의 재생 기 근거자료로 활용되기를 기 해본다.

1. 2 . 연구 방법 범

본 연구의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론 고찰을 통해 복합문화공간의 개념과 발

특징 그리고 재 지역자원 활동이 복합문화공간에

미치는 향을 악하고 분석틀을 정리 하 다.

둘째, 선정된 부산 F1963을 상으로 그 재생과정과

기능의 환을 한 재 산업유산자원의 활동이 문화공

간에 건축 재생 미치는 향을 악한다.

셋째, 분석 결과에 한 종합 인 정리를 통해 지역문

화 발 진과 지속가능한 복합문화 공간 조성을 한

기 근거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2 . 이 론 고 찰

2 . 1. 복 합 문 화 공 간 의 개 념

복합문화공간은 유형 , 물리 자원의 복합화로 동일

건물 는 동일부지 내에 다양한 문화와 그 외의 다양한

로그램을 함께 제공하고 이를 이용하는 소비자에게 필

요한 문화, 교육 로그램 등을 제공하는 것으로 정

의 내릴 수 있다2). 최근에는 복합문화공간이라는 의미가

다양한 문화공간의 의미뿐만 아니라 상업 목 을 한

공간, 홍보의 목 을 한 공간, 체험의 목 을 한 공

간 등으로 인해 더욱 확 된 공간으로서의 의미를 지니

고 있으며3), 이는 문화 술의 창작성이 발휘되는 창조의

장 일 뿐만 아니라 각 술장르와 이 만나는 만남의

장, 더 나아가 문화 감성이 교류함으로서 산업화, 도시

화 속에서 발생하는 피할 수 없는 황폐화를 막아주는 사

회가 요구하는 공간이다4).

2 . 2 . 복 합 문 화 공 간 의 특 성

복합문화공간은 문화의 생산과 소비가 이루어지는 공

간으로 문화 술의 반 인 활동요소를 통합하며, 주변

부의 시설들과 연계되어 경제 인 활성화와 함께 지역주

민들에게 열린 공간이자 창조 공간이 된다. 한 근성

이 높아지고 문화 욕구를 충족시켜주며 재교육할 수

있게 도움을 다.5)

2) 윤지혜, 복합문화공간의 시 별 특성과 활성화 방안연구. 단국 학교

학원, 석사논문, 2013, p6.

3) Kang, m. B. Choi, & Y. Kim, A study on Multi-Cultural Space as

a Creative Support Space : Creative Residency Program to Apply.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journal, Vol.16 No.3, 2014,

pp167-172.

4) Ibid. pp167-172.

5) 이재민, 남성패션 편집매장 복합문화공간에 한 연구, 홍익 학교

학원, 석사논문, 2015, p.23.

특성 내용

상징성문화· 술 복합공간으로써 다른 도시 공간과 차별 인 공간 지역

내 상징 인 문화공간으로 개방

복합성 공연, 시, 교육보 등 다양한 문화 술의 매기능

문성정보획득, 문화 술 자체의 발 과 활성화 공간 문화 술 향유할 수

있는 기회를 폭넓게 제공, 직 참여 유도

참여성 자율 인 참여를 통한 시간과 비용 감, 문화 활동 휴식의 장

근성교통의 편리성으로 용이한 근을 한 연계 교통시설구비 주변 환

경의 요인으로서 환경의 심미성과 쾌 성을 고려

<표 1> 복합문화공간의 특성

2 . 3 . 산 업 유 산 자원 활 용 의 가 치 계 획

최근 세계 으로 도시재생에 한 심의 증가와

함께 산업유산자원의 가치를 재평가하고 이를 재활용하

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산업유산자원을 단순히

물리 형태의 건물로만 보는 것이 아니라 과거의 기억

이 담겨있는 자원으로 인정하기 때문이다. 산업유산자원

에는 산업화 시 를 과거에 경험했던 사람들이 지역사회

와 도시의 상호작용을 통해 형성된 역사 ·상징 ·문화

의미가 축 이 되어 있다. 시 의 흔 을 담고 있는

유산은 과거와 재, 미래를 연결시켜주는 매개체 역할

을 할 수 있으며, 산업화 시 를 경험하지 못한 세 에

게 과거의 경험을 달해 수 있는 교육의 장(場)이 될

수도 있다.6)

이러한 통해 산업유산자원 활용의 특성을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과거부터 재까지 지

역사회나 도시와 상호작용하면서 형성된 사회 , 역사 ,

문화 의미가 축 되어 있는 장소 상징성을 가지고

있다. 둘째, 주변 환경을 정비하고 독특한 지역문화유산

을 만들어 지역을 활성화시킬 뿐만 아니라 사람들의 참

여로 인해 일상 환경과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

양한 술 활동을 통한 문화 가능성을 가진 공간으

로 재평가 할 수 있다. 셋째, 개방 인 넓은 면 을 보유

하고 있어 창의 아이디어에 따라 자유롭게 변형이 가

능하고, 근성이 용이하며, 디자인과 결합하여

새로운 공간을 구 할 수 있는 공간의 활용성이 크다.7)

특성 기본개념 키워드

장소

상징성

상호작용으로 형성된 사회 , 역사 , 문화

의미가 축

역사성, 장소성,

상징성

공간

활용성지역 활성화로 일상 환경과 삶의 질 향상

술성, 다양성,

참여성

지역의

활성화

넓은 면 보유, 자유롭게 변형하여 새로운

공간을 구

활용성, 개방성,

근성, 지속성

<표 2> 산업유산자원 활용의 특성

6) 조연주, 도시재생을 한 유휴 산업시설의 컨버 방법에 한 연구

-문화공간으로 컨버 한 유럽의 사례를 심으로, 한양 학교, 석사

학 논문, 2011. p.12.

7) 양 미, 2018 문화 술교육 공간 포럼-자발 삶을 이끄는 네모의

변화, 한국문화 술교육진흥원, 2018, p.14.

Page 11: 대학교 캠퍼스내 편의시설 디자인 제안최윤영 김은정 김미경 2014.05 대학기숙사 단위생활공간 가구디자인의 유형분류에 따른 주요특성

164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22권 2호 통권52호 2020년 11월

2 . 4 . 산업유 산자원 을 활용한 복 합문화 공간의 특 성

지역개발의 핵심 키워드로서 문화에 한 새로운 시각

과 근방법이 필요하다. 지역과 결합된 문화 문화

이미지에 한 가치창출, 문화소비단계에서 상품가치 극

화의 필요성이 두되고 있으며, 이는 지역 이미지를

고 화시키고 사람들을 단시간에 끌어 모을 수 있는 최

고의 매개체로 작용한다. 한 문화소비계층의 증가와

여가시간의 증 에 따라 일반시민의 문화의식이 지속

으로 높아져가고 있어 근하기 어려운 문화시설보다는

일상생활 속에서 쉽게 하고 참여할 수 있는 문화공간

이 필요하게 되었다.8)

재의 산업유산 재생 황을 보면, 부분의 경우

림창고 갤러리 컬럼의 사례처럼 카페공간을 기반으로 한

시 공연공간이 포함된 복합문화공간으로 많이 개조

되고 있다. 도시에 치하는 산업유산의 경우는 문화

시설물로 충분한 활용 가치를 가지고 있으며 도시 재

생의 역할을 하지만, 다수의 산업유산이 교외지역 는

지방의 소 도시 등에 분포되어 있으므로 도시에서 용

이 가능한 시, 공연 문화공간으로서의 획일 인 기

능으로는 다양한 지역성을 살리고 지역주민의 실질 인

수요에 부응하기에 부족하다.

일차 으로 객의 참여를 유도하기 해 상업

, 문화 인 용도를 도입하는 방법도 있지만, 가장 지속

활용방법으로는 지역 문화와 함께 융합시켜 안정

으로 활용될 수 있는 시설과 로그램이 도입되어야 한

다. 를 들어 문화 공간, 지역주민회 , 체육시설, 술

체험 , 문화교육시설 생태공원 등 지역민이 일상

으로 활용할 수 있는 공간들을 들 수 있다. 지역에 뿌리

를 내리기로 자체 인 수요를 만족시키며, 지역 커뮤

니티를 활성화하는 공간들이 그 지역을 기반으로 지속

가능한 지역발 을 실 할 수 있으며, 산업유산이 오랜

기간 동안 유지될 수 있는 경제 인 수익성을 보장할 수

있다. 근성이 높고 편의와 이익을 가져다 수 있

는 복합문화공간이 산업유산의 재생 가치에 한 지역

주민들의 인식변화를 유도해 나갈 수 있다.9)

산업유산자원 활용을 통한 복합문화공간의 공간특성을

알아보기 해 앞서 연구한 복합문화공간의 특성<표 1>

과 산업유산자원 활용의 특성<표 2>을 각각 도출 후,

종합하여 개념을 정리하 다. 이를 통해 도출된 특성은

지역 경제 특성, 공간 계획 특성, 술 문화 특성,

지속 가능성으로 종합해 볼 수 있다. 이 네 각주 가지

8) 최 , 도시 근 산업유산의 문화 재생을 통한 커뮤니티 활성화

방안에 한 연구: 국내 아트팩토리 조성 운동을 심으로, 인하

학교 석사논문, 2010, p.27.

9) 최 , 도시 근 산업유산의 문화 재생을 통한 커뮤니티 활성화

방안에 한 연구: 국내 아트팩토리 조성 운동을 심으로, 인하

학교 석사논문, 2010, p.73.

특성을 통해 산업유산자원을 활용한 복합문화공간의 사

례를 분석하는 기 특성으로 용하고자 한다.

3 . 사 례 분 석

3 . 1. 사 례 의 선 정 과 개 요

본 연구에서는 부산의 표 인 지역자원이용과 공간

재생을 한 복합문화 공간 F1963을 연구 상으로 선정

하 다. F1963 (고려제강)은 교량용 철제 이블을 비롯

해 다양한 와이어를 만드는 기업으로 1963년부터 2008년

까지 여기에서 45년 동안 와이어로 를 생산했다. 하지

만 2008년 6월 생산시설을 양산으로 이 하면서 사실상

버려졌다. 부산시와 고려제강은 2016년 8월, 이 폐공장에

복합문화공간을 만들자며 함께 손을 잡았다. 그 가능성

을 시험해보기 해 연 부산비엔날 (2016년 9월~11월)

에 무려 20만명의 람객들이 찾는 등 상 밖의 선 에

모두가 놀랐다. 이에 희망을 얻은 부산시는 총 부지

9590㎡ 2000㎡에 해 향후 20년간 무상사용계약을

고려제강과 맺었다. 이후 총 32억원의 국비를 들여 시·

공연 복합 문화 공간 ‘F1963’을 조성했다.

F1963은 Kiswire(고려제강 본사와 기념 )의 설계

임무를 맡은 조병수 건축가 담당하고 완성한 것이며,이

기념 은 2014년 “부산다운 건축상 상”을 받았다. 그의

건축 작춤은 ‘자연’과 ‘자연스러움’을 숭상하고,작품 곳

곳에 지역성, 통성, 장소, 기하, 계, 상자, 수평선, 상

성 등의 요소들을 구 하며, 장소와 완벽한 조화를 이

루고 있다.10)

부산 F1963

년도 2016년 9월

치 부산 역시 수 구 구락로 123번길 20

원 건축기능 고려제강 (와이어로 공장)

<표 3> 부산 F1963의 개요

3 . 2 . 사 례 분 석

(1) 지역 경제 특성

이 지역은 45년 동안 와이어를 생산하는 공장으로 부

산지역 공업생산에 크게 기여했고, 공장건축시설은 근

공업의 형 특징을 잘 갖추고 있다. F1963의 재활용

은 기존 건축의 형태와 골조를 보존하고 공간사용 용도

10) https://leopon.co.kr/

Page 12: 대학교 캠퍼스내 편의시설 디자인 제안최윤영 김은정 김미경 2014.05 대학기숙사 단위생활공간 가구디자인의 유형분류에 따른 주요특성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22권 2호 통권52호 2020년 11월 165

에 맞게 개조한 것으로, 이런 고유 문화자원의 재활용에

의한 역사 기억의 재 은 신축 건축공간보다 지역

상징 의미와 정체성을 가지고 있다.

부산 F1963

1. F1963 릿지 4. F1963 스퀘어 7.카페 Terra Rosa 10. 석천홀

2. 소리길 5. 달빛가든8 . 체 코 맥 주

Praha99311.국제갤러리

3. Kiswire 본사 6. 유리온실 9. 스24서 12. 도서

<표 4> 부산 F1963의 공간배치

한, 국제갤러리 부산 과 석천홀이 입 하면서

F1963은 지역 술문화의 수출 성지로 자리잡게 되었다.

1982년 서울 개 이후 국내외 표 화랑으로 자리 잡은

국제갤러리의 두 번째 지 으로, 세계 으로 활발하게

활동하는 동시 유명 미술작가들의 주요 작품과 그 흐

름을 한 자리에서 할 수 있다. 회화와 조각, 사진과

상 등 다채로운 작품을 소개함으로써 미술과 더욱

가까워질 수 있는 특별한 경험을 제공하는, 술과 일상

의 가교 역할을 하는 공간이다. 석천홀은 고려제강, 부산

역시, 부산문화재단이 국내 최 로 민 업을 통해

시장과 공연장으로 동시에 활용이 가능한 실험 공간

으로 탄생했다. 형 마겟 코스트코는 연결과 공간 분리

의 완성으로 지역 주민뿐 아니라 국의 객 유치

지역 경제 활성화에 진 하고 있다.

a) 술 공장 입구 b) 국제갤러리 부산

(2) 공간 계획 특성

F1963은 기존 건물의 형태와 골조를 유지한 채 공간

의 사용 용도의 특성에 맞추어 리노베이션된 재생건축이

다. F1963은 오랜 시간을 거쳐 덧붙여지며 지어져, 넓은

평면의 간 부분을 잘라내어 정을 만들고, 그 정을

통해 환기, 채 이 되게 하 다. 면(진입부) 측의

벽체들을 제거하고, 유리를 설치하면서, 란색 익스팬디

드 메탈을 덧붙여 확장 공간으로써의 가능성과 새로운

이미지를 만들어 내었다. 옛 공장의 흔 을 고스란히 간

직한 바닥은 그린과 어우러져 조경석과 디딤돌로 재탄생

했으며, 공장 지붕을 받치던 나무 트러스는 방문객들이

편안히 쉴 수 있는 벤치로 새롭게 태어났다. 특히, 최근

몇 년 동안 와이어로 공장으로부터 개조된 공간은 자

연 으로 형성된 경공업 요소 디자인으로 들에게 특

히 인정받았으며, F1963은 술가와 시민들이 이용하는

국제갤러리 부산 외에도 유명 음식 들이 입주해 재

가장 유행하고 있는 종합 술·외식 단지를 형성했다. 그

에는 수제막걸리로 유명한 F1963 도서 ,복순도가,

유명 체인 카페 Terra Rosa, 스24서 이 있다. 그 에

복순도가 손막걸리는 지역에서 생산되는 국내산 과

통 룩을 이용해 집안에서 통 으로 내려오는 방식으

로 옛 항아리 독에 발효시켜 빚어진 우리나라 고유의 발

효주이다. 통의 바탕 에 자연 속 발효 문화와 다양

한 문화 콘텐트를 자연스럽게 목하여 한국식문화의 지

속 가능성을 보여 다.

F1963은 다양한 실내공간을 갖추고 있는 것 외에도

원 옥외공간을 재설계하고 있는데, F1963 스퀘어,소리

길,유리온실,달빛가든,F1963 릿지 등이 포함된다.

그 에 F1963 스퀘어는 땅과 하늘과 사람이 만나는

열린공간, 무 와 객석, 허 가든이 어우러진 공간에서

공연과 세미나가 열리고, 정기 으로 다양한 상물(오페

라, 화, 실황공연)을 상 한다. 소리길은 F1963의 문

을 열고 들어가면 도심의 숲이자 힐링 공간인 맹종죽 숲

_소리길이 펼쳐진다. 공장 바닥의 콘크리트를 잘라 조성

한 숲길을 걸으며 바람에 댓잎 부딪히는 소리를 들어

보시기 바란다.

c) 스24서 d) 카페 Terra Rosa

(3) 술 문화 특성

F1963의 재생은 ‘녹색’ 과 ‘ 술’을 심으로 주변 주

민들의 문화생활에 다양한 가능성을 만들고 있으며, 공

장에서부터 문화공간으로, 주민과 이곳, 지역의 참여 정

도가 계속해서 높아져 공간과 주민들의 생활문화가

융합되고 있다.

외개방 이래 다양한 공간기능을 이용하여 다양한

술 시, 공연, 음악제 등을 꾸 히 개최해 왔으며, 를

들어 F1963 뮤직 페스티벌 F1963 Music Festival, 리

안 오피 인 부산 Julian Opie in Busan,2018 제5회 세

계인문학포럼 The 5th World Humanities,부산 리턴

즈,부산 국제코미디 페스티벌 오 콘서트 등이 열지고

Page 13: 대학교 캠퍼스내 편의시설 디자인 제안최윤영 김은정 김미경 2014.05 대학기숙사 단위생활공간 가구디자인의 유형분류에 따른 주요특성

166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22권 2호 통권52호 2020년 11월

있다. F1963 홈페이지에서 공개한 시행사를 보면, 주민

들의 문화 참여성은 계속 높아지고 있다11).

e) 악기 연주회 f) 개인 술

(4) 지속 가능성

F1963은 자연과 술이 공존하고 문화 술의 모든 장

르가 융복합되어, 365일 활기가 넘치는 문화공장으로 변

모하여 시민, 술인과 소통하며 세계 인 복합문화공간

으로 거듭나고 있다. 리모델링된 F1963은 다양한 공간형

식과 조직내용을 제공하여 지역의 지속가능성을 활성화

하고 시민과 외부 술가, 기 의 력을 지속 으로 장

려하며 신 인 술문화 발 을 장려하 다.

특히, 문화재단 1963은 술에 한 심을 높이고 문

화 발 의 기반이 될 수 있도록 독서문화 활성화 사업을

추진하기 해 설립된 문화재단 1963은 술 문도서

운 과 문화 술 강연, 시, 음악회 등을 개최해 문화

술 분야의 지식과 정보를 제공한다.

한, Kiswire 본사 주차장 P2에서 F1963스퀘어와

수련가든으로 연결되는 릿지이다. 릿지에서 F1963과

탁트인 수 강변을 조망할 수 있다. kiswire와 F1963

을 심으로 한 지역개발로 주변 교통환경이 개선되고

버스지하철 등 주변 도로 사정이 활성화 다.

g) F1963 스퀘어 h) 나무 소리길

3 . 3 . 소 결

본 연구에서는 산업유산자원을 활용한 복합문화공간의

기획에 한 연구를 통해 네 가지 측면을 종합 으로 정

리할 수 있다.

첫째,지역 경제 특성 측면에서는 폐공장 리모델링

한 술공간은 국제갤러리와 석천홀의 강력한 입 을 통

해 F1963이 부산의 표 인 재생사례로 빠르게 자리매

김하고 술과 의 일상을 연결하는 교량 역할을 하

게 되었다.

둘째, 공간 계획 특성 측면에서는 F1963은 재 문

화비즈니스 공간의 반 인 기능을 결합하여 술 시,

11) http://www.f1963.org/ko/, F1963 홈페이지

공연 공간 외에도 이 선호하는 커피, 식음료, 독서

휴게 등 나무 소리길 다양한 공간형식을 갖추고 있

어 다양한 유형의 사람들의 공간구성에 한 수요에

합하다.

셋째, 술 문화 특성 측면에서는 용 인 술

힘으로 새로운 공간기능의 근성과 참여성을 높이고 야

외 장, 공연 랫폼 등으로 지역주민과 공간의 유 계

를 효과 으로 향상시킬수 있다.

넷째, 지속 가능성 측면에서는 지역 고유의 문화 속

성에 한 보존과 공간 새로운 기능의 환을 통해 지

역 술문화의 조직과 발 에 다양한 가능성을 제공하고

그 지역의 신 인 문화 속성을 창출하여 지역주민의

지속가능한 참여를 진하 다. 련 정부부처의 물

자 자 지원을 받아 지역의 향력을 확 해 나가고

있다.

4 . 결론

본 연구에서는 부산 F1963을 상으로 하고, 재생과정

에서 산업유산자원의 활용원칙을 분석하여 도시에서

의 폐기공간의 개발특성과 가치를 악하 다.

사회 요구의 환과 경제의 발 에 따라, 과거에 일

정한 가치를 지닌 지역공간이 기능성을 잃었지만, 그 고

유의 문화 속성과 공간 시설은 재활용을 통해 다양한

문화콘텐츠를 수용할 수 있는 복합공간으로 환되어,

시, 교육, 엔터테인먼트, 커뮤니티 활동 등 다양한 가

능성을 제공하고 있다. 한 이러한 다양한 로그램을

통해 지역특유의 문화 속성을 만들고 지역주민이 자발

으로 술과 문화활동에 참여하게 하여 지역의 지속가

능한 발 을 제고한다.

이 게 지역 고유 자원을 활용한 복합문화공간은 역사

인 시 가치를 기반으로 형성될 수 있는 시 는 역

사 가치를 유지하며, 사용자들의 복합 인 목 을 수

용할 수 있는 복합문화공간으로 공공 활용성을 넓히는

기 자료가 되기를 기 한다.

참고문헌

1. 윤지혜, 복합문화공간의 시 별 특성과 활성화 방안연구. 단국

학교 학원, 석사논문, 2013

2. Kang, m. B. Choi, & Y. Kim, A study on Multi-Cultural

Space as a Creative Support Space : Creative Residency

Program to Apply.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journal,

Vol.16 No.3, 2014

3. 신 솔,「장소성 회복을 한 복합문화공간 계획에 한 연구:

신흥시장을 심으로」, 홍익 학교 석사논문, 2016

4. 이재민,「남성패션 편집매장 복합문화공간에 한 연구」, 홍

익 학교 석사논문, 2015

5. 조연주, 도시재생을 한 유휴 산업시설의 컨버 방법에 한

연구-문화공간으로 컨버 한 유럽의 사례를 심으로, 한양 학

교, 석사학 논문, 2011

6. 양 미, 2018 문화 술교육 공간 포럼-자발 삶을 이끄는 네모

의 변화, 한국문화 술교육진흥원, 2018

Page 14: 대학교 캠퍼스내 편의시설 디자인 제안최윤영 김은정 김미경 2014.05 대학기숙사 단위생활공간 가구디자인의 유형분류에 따른 주요특성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22권 2호 통권52호 2020년 11월 167

도심재생활성화를 한 세운상가의 도시재생 특성에 한 연구

A S tud y on Urban R evitaliz ation Characteristics of S ew oon Arcad e for Urban R evitaliz ation

Author 이자 Lee, Ja Young / 정회원, 한양 학교 실내건축디자인학과 석사과정

주쉐잉 Zhu, Xueying / 정회원, 한양 학교 실내건축디자인학과 석사과정

황연숙 Hwang, Yeon-Sook / 정회원, 한양 학교 실내건축디자인학과 교수*

Abstract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city faded away old and indiscriminate buildings were built in the city. Eco-friendly

is emerging as a social issue around the world. Therefore, Urban regeneration of regenerated architecture, which

is preserved and regenerated, is attracting attention in the architectural field. This research analyzes the Sewoon

Arcade, one of the old areas, to revitalize the city center, and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regeneration.

First, the framework of characteristic criteria is derived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Second, based on the

checklist derived,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regeneration centered on Sewoon Arcade Center are analyzed.

Third, based on the analysis,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regeneration in

aging areas is derived. Through analysis, characteristics were derived with zeitlichkeit, accessibility and complexity.

It appeared to have high zeitlichkeit, complexity and low accessibility. To grasp the temporal flow of space

through temporal characteristics and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plexity, the space was activated by the

participation of users through various spatial programs. Access characteristics should be improved by guiding

users to access natural spaces and by securing a flow line and guiding plates. Therefore, this research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regeneration to revitalize the urban regeneration industry and economy of the

Sewoon Arcade district located in the center of Seoul.

K eyw ord s 도시재생, 세운상가, 도시활성화지역, 창의 산업, 산업경제

Urban regeneration, Sewoon Arcade, Urban revitalization area, Creative industries, Industrial economy

* 교신 자(Corresponding Author); [email protected]

1. 서론

1. 1. 연구 의 배경과 목

한국은 1950년 한국 쟁 이후 속도로 발 을 이룬

국가로 격한 산업화는 도시의 규모를 증가시켰다.

격한 도시발 은 오래된 옛것이 사라지고, 무분별한 건

축물이 도시에 지어졌다. 한국뿐만이 아닌 세계 으

로 재 친환경이 사회 이슈로 두되면서 새로운 건

축물이 아닌 기존의 건축물을 체 는 일부 보존하며

새로운 기능으로 재탄생 시키는 재생건축으로 인구감소,

주거환경의 낙후, 산업구조의 변화 등으로 쇠퇴하는 도

시를 재활성화 시키는 도시재생이 건축분야에서 발 하

며 심받고 있는 부분 하나이다.

이에 서울시에서는 4차 산업시 일자리 심지의 창

출, 안 한 환경 제공을 한 노후건물과 기반시설 개선,

도시권의 실 을 통한 사회 ·공간 불평등 해소, 기후

변화 응을 한 보행 심 구조와 에 지 감 등을 주

요한 재생목표로 설정하며 압축 이고 격한 사회문화

환경 변화 속에서 도시를 ‘개발의 상’이 아닌 ‘공존

의 장소’로 성숙한 시민의식, 참여를 바탕으로 ‘서울형

도시재생’을 등장시켰다.1)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심재생활성화를 해 노후지

역의 하나인 세운상가 사례를 분석하여 도시재생 특성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노후지역의 도시재생 발 방향을

악하고자 한다.

1. 2 . 연구 방법 범

본 연구는 서울형 도시재생 사업 유형 에서도 근린

재생형으로 생활 심지 특화형인 ‘ 심시가지형’을 범

1) 2025 서울시 도시재생 략계획, 서울특별시, 2018, p.13

Page 15: 대학교 캠퍼스내 편의시설 디자인 제안최윤영 김은정 김미경 2014.05 대학기숙사 단위생활공간 가구디자인의 유형분류에 따른 주요특성

168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22권 2호 통권52호 2020년 11월

로 한정하고자 한다. ‘ 심시가지형’은 과거 산업·상업·역

사·문화 기능 심으로 성장을 견인하 으나, 재 활력

이 하되어 재활성화가 필요한 지역을 상으로 하며

서울의 심 거리인 종로, 을지로, 청계천을 통하는

심부지인 세운상가를 사례범 로 선정하 다.

연구의 방법은 첫째, 선행논문 서울형 도시재생 활

성화지역 련 자료 분석을 통한 이론 고찰을 하며 이

를 통한 특성 기 틀을 도출한다. 둘째, 도출한 체크리

스트를 바탕으로 세운상가 심의 도시재생 특성을 분석

한다. 셋째,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도심재생활성화에

따른 노후지역의 도시재생 특성에 한 발 방향을 분석

하고 결론을 도출한다.

2 . 이 론 고 찰

2 . 1. 서울 형 도 시재 생

도시재생의 가장 큰 목표는 지속가능한 동력을 장착한

체감가능 도시재생이다. 지역여건에 따른 다양한 맞춤형

재생으로 함께 성장하고, 민간과 주민의 극 인 참여

등 재생 주체를 확 하여 시민이 함께 체감하고 지속

으로 만들어가는 서울형 도시재생을 최종목표로 설정한

다. 4가지 목표로는 국가와의 분권· 력, 일자리 창출, 안

한 정주환경, 지속가능한 미래가 있다.2)

도시재생활성화지역은 도시재생특별법 제2조에 의거

하여 도시재생사업을 추진하는 주요 목 성격에 따

라 도시 경제기반형과 근린재생형으로 구분된다. ‘ 이

용· 개발 심지역’, ‘쇠퇴·낙후 안성(상업)지역’,‘역사문

화자원 특화지역’, ‘노후 주거지역’으로 구분된다. 다음

<표 1>과 같다.3)

도시경제 기반형 근린재생형

도시경제 기반형 심시가지형 일반형

효과가 도시 국가

차원에 미치는 핵심시설

과 그 주변지역 (이 부

지, 도시설, 규모 문화

체육시설 등)

재활성화가 필요하고, 지역

심 시가지로서 잠재력 있

는 지역 (업무, 사업, 역사문

화 등)

인구 감소 고령화

등으로 쇠퇴하고 문화

복지여건 등 잠재력

이 있는 도시지역

서울시 차원의 선정 서울시 차원의 선정서울시,자치구(주민)

공모 선정

이용· 개발 심지역쇠퇴, 낙후

산업지역

역사·문화·

특화지역노후 주거지역

<표 1> 서울형 도시재생 사업유형

2 . 2 . 세 운 상 가

근린재생형 에서 심시가지형으로 쇠퇴, 낙후 산업

지역을 연구하며 서울형 도시재생 사업 진행 2015년도에

서 2019년으로 창기 사업을 기 으로 한다. 범 에 해

당하는 상으로 우리나라 1세 주상복합건물인 세운상

2) 서울특별시, 서울형 도지재생이란, 2020, URL’서울도시재생포털’

3) 서울특별시, 도시재생 활성화지역이란, 2020, URL’서울도시재생포털’

가 일 를 상으로 한다. 세운상가는 서울의 심에

치하며 우리나라 1세 주상복합이라는 장소성을 가지고

있다. 상업공간뿐만이 아닌 삶의 터 으로 이용자의 융

합과 활성화가 기 되는 곳이다.

<표 2> 세운상가 서울도시재생활성화 로그램 내용4)

근린재생형 ( 심시가지형)

유형 쇠퇴, 낙후 산업지역

범 세운상가 일

치종로구 종로 1,2,3,4가동

구 희동, 을지로동 일

목표

- 도심 창의산업에 심으로 육성

- 보행 심공간으로 도심 내 표 명소화 공간 조성

- 주민 삶의 방식과 역사를 존 하는 도시재생 추진

사업

내용

- 세운상가군 주변 보행네트워크 구축

- 세운메이커스 큐 세운 업지원센터 운

- 세운상가 옥상, 정(5F), 지하실 (시민을 한 휴게공간 조성/거

공간 조성을 통한 지역 활성화에 기여)

2 . 3 . 선 행 연구 특 성 도 출

본 연구에서는 앞서 세운상가의 서울형 도시재생 사업

유형을 참고하여 키워드 총 3가지로 ‘도시재생’, ‘창의 산

업’, ‘산업경제 활성화’로 뽑아 련 선행연구 분석을 통

해 특성을 추출하 다. <표 3>과 같다.

연구자 제목 특성

김정곤

외 2인

(2018)

도시재생을 한 근 건축물의 공간

재생 특성에 한 연구

역사 시간성, 장소

정체성, 공간 존재성,

효율 근성

박상경

외 1인

(2017)

노후화된 공장의 상업시설로의

재생건축 디자인특성에 한 연구

시간성(보존성, 역사성 등),

재질성(개방성, 투명성,

재생성), 상징성,

연출성(장식성, 형성, 연속성),

보합성(다양성, 로그램,

근성, 참여성)

지성철

(2017)

문화창의산업 클러스터의 공간

컨버 디자인 특성 연구개방성, 복합성, 커뮤니티성

박미라

외 1인

(2014)

유휴산업시설 재생을 통한 상하이

창의공간에 나타난 디자인 표 특성

상징성, 시간성, 근성,

연속성, 개방성, 가변성,

참여성

<표 3> 선행연구를 통한 특성 도출

의 선행연구를 비교 분석하여 특성을 도출하고 정리

한 결과는 <표 4>와 같다.

특 성선 행 연구

1 2 3 4 합계

시간성 ● ● ● 3

정체성 ● 1

존재성 ● 1

근성 ● ● 2

재질성 ● 1

연출성 ● 1

복합성 ● ● 2

개방성 ● 1

커뮤니티성 ● 1

가변성 ● 1

참여성 ● 1

<표 4> 공간특성 도출

4) 서울특별시, 세운상가 일 도시재생활성화계획 고시, 2018, URL

‘서울도시재생포털’

Page 16: 대학교 캠퍼스내 편의시설 디자인 제안최윤영 김은정 김미경 2014.05 대학기숙사 단위생활공간 가구디자인의 유형분류에 따른 주요특성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22권 2호 통권52호 2020년 11월 169

선행연구 분석결과 세운상가의 경우 각 공간분석에

한 선행논문은 있으나 도시재생활성화지역으로서 세운상

가의 창의 산업, 산업경제 활성화의 구체 인 연구 분석

은 부족하 다. 공간 특성에 한 선행연구를 통해 공간

특성의 빈도수가 높은 순으로 시간성, 근성, 복합성을

도출하 으며, 세부 내용은 <표 5>와 같다.

특성 요소 내용

시간성

상징성, 보존성,

마감재, 공간의

임, 간

시간성은 공간이 가지고 있는 과거부터 재까지의

흔 을 말하며 공간의 오 제, 마감재, 색채 등을 유

지하거나 재탄생 시켜 공간의 가치를 부여한다.

근성공간의 연결,

사용자의 근

공간의 활성화를 한 사용자의 근을 유도하는 것

으로 주변 교통수단이나 보행로, 산책로, 장 등 사

용자의 자연스러운 공간의 근을 유도한다.

복합성

휴식, 시, 체험,

문화 로그램,

홍보물

공간의 다양한 기능을 의미하며 휴식, 문화 활동의

로그램 등을 통해 사용자의 참여를 유도하며 공간

을 활성화 시킨다.

<표 5> 공간 특성과 세부 내용

3 . 노 후 지 역 의 도 시재 생 특 성

3 . 1. 체 크 리 스트 도 출

이론 고찰과 특성 도출을 통해 기 틀을 작성하

으며 황 기 은 그 다:●(3 ), 보통이다:◐(2 ), 미흡

하다:○(1 ) 으로 하여 3가지 단계의 척도로 조사한다.

다음<표 6>과 같다.

특성 내용 황

본래의 흔 을 과거와 재가 공존하며 오 제 마감재로 표

되어 있는가.

옛 오 제를 활용한 공간이 마련되어 있는가.

시간성을 느낄 수 있는 시 체험공간이 조성되어 있는가.

기존 기능을 유지하며 내부공간과 메이커스 큐 의 기능이 연결성

을 가지며 시간의 흔 을 보존하고 있는가.

내부와 외부(메이커스 큐 , 상업시설)의 연결은 자연스러운가.

공간 활성화를 해 공간의 내부 외부에서 메이커스 큐 , 상업

시설로 근할 수 있는 연결성이 다양한 치에 제공되어 있는가.

세운상가, 청계상가, 림상가의 연결은 하나의 흐름을 가지고 있

어 사용자의 동선이 원활한가.

사용자가 공간에 근하는데 있어 사인 는 안내 의 표시가 있

는가.

산업경제 활성화로서 메이커스 큐 와 상업공간의 홍보는 공간에

서 보여지고 있는가.

역사와 재를 느낄 수 있는 사용자의 참여 체험공간이 있는가.

메이커스 큐 의 기능 하나로 창업공간 형성으로서 활성화 시

킬 수 있는 시공간이 있는가.

지역활성화를 한 다양한 홍보가 이루어 지고 있는가.

사용자의 호기심을 자극시키며 공간으로 유도할 수 있는 다양한

문화 로그램이 형성되어 있는가.

사용자와 계자를 한 휴식공간이 마련되어 있는가.

<표 6> 체크리스트 틀

3 . 2 . 세 운 상 가 일 분 석

본 연구는 서울시 도시재생사업 다시·세운 1단계 구간

인 세운상가, 청계상가, 림상가 범 로 세운상가 일

를 체크리스트를 통한 시간성, 근성, 복합성 조사결과

는 다음<표 7>과 같다.

세운상가 일

치 종로구 종로 1,2,3,4가동

사업기간 2015년 ̀ 2019년(사업실행단계)

상지역 세운상가 일 도시재생활성화구역(종로 – 을지로 구간)

이미지

조사결과

시간성

기존 철근 콘크리트의 를 그 로 유지하며 노출시켜 표

하 으며 옛 흔 을 확인할 수 있음●

옛 간 을 활용하여 휴식공간의 의자를 만들어 사용자에게 시

간성을 보여주며 동시에 휴식의 공간을 제공함◐

옛 흔 을 보존한 시공간과 라디오, 손편지 등의 체험공간을

제공함●

자상가라는 기능을 유지하며 메이커스 큐 의 기능도 자제

품과 련하여 창의 산업공간이 들어와 있으나 자상가와

련 없는 창의 공간도 있음

근성

내부에서 외부로 연결되는 게이트가 간에 있으나 내부공간 안

에서 외부로 동선을 유도하는 안내표시가 따로 존재하지는 않음◐

림상가에서부터 세운상가까지 간 계단을 통해 근할 수

있음●

공 보행로를 통해 림상가, 청계상가, 세운상가가 연결되어

있음●

다양한 연결통로는 있지만 직 인 안내 , 사인 등이 없어

사용자를 공간에 참여시키는 근성은 떨어짐○

복합성

공간 안에서 포스터를 통한 문화 로그램 홍보는 이루어지고

있으나 상업시설의 홍보는 부족함◐

옛 라디오, 손편지와 LED라인 조명을 통한 시공간이 있으며

사진촬 할 수 있는 체험공간까지 제공하고 있음. 그 외에도

LP , 자기기와 련된 다양한 시공간이 있음

LP 을 수리실과 함께 체험할 수 있는 시공간이 있으며, 60

년 발자취가 담긴 ‘세운 자박물 ’을 통해 자산업의 활성화

를 한 사용자의 심을 유도함

내부 안에서 주로 포스터를 통한 홍보와 SNS, 앱을 통해 소식

을 할 수 있으나 이는 내부로 들어오지 않거나 앱을 설치하

지 않으면 확인이 어려움

옥상정원에서 이루어지는 리마켓, 음악행사 등 다양한 연령

층을 고려한 행사가 이루어지고 있음. 한, 상업시설에 다양한

디자인의 카페와 음식 으로 사용자가 머물 수 있는 환경이 조

성되어 있음

메이커스 큐 간에 식물과 더불어 사용자 계자를 한

휴식공간이 조성되어 있으며 공 보행로에도 계단과 오 제를

통한 휴식공간이 조성되어 있음

<표 7> 세운상가 일

Page 17: 대학교 캠퍼스내 편의시설 디자인 제안최윤영 김은정 김미경 2014.05 대학기숙사 단위생활공간 가구디자인의 유형분류에 따른 주요특성

170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22권 2호 통권52호 2020년 11월

4 . 결론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론 고찰과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도시재생

으로 산업경제 활성화를 한 특성을 시간성, 근성, 복

합성으로 도출하여 분류하 다. 시간성은 공간의 오 제,

마감재, 색채 등을 유지하거나 재탄생시켜 공간의 가치

를 부여한다. 근성은 공간의 활성화를 한 사용자의

근을 유도하는 것이며, 복합성은 공간의 다양한 기능

을 의미하며 사용자의 참여를 유도하며 공간을 활성화시

키기 한 활동을 말한다.

둘째, 세운상가 일 를 사례로 하며 조사결과 특성

시간성, 복합성이 가장 높으며, 근성이 낮게 나타났다.

체 인 순서는 시간성=복합성> 근성으로 볼 수 있다.

시간성과 복합성 특성을 통해 공간의 시간의 흐름을 유

지하며 공간을 형성하고 다양한 활동을 통해 산업경제

활성화 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성은 시간성과 복

합성 특성에 비해 산업경제 활성화를 한 사용자의

근을 유도하는 부분에 있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시간성 특성으로 살펴본 결과 체 으로 시간

의 흐름을 확인할 수 있는 마감재의 통일성과 철근 콘크

리트로 를 그 로 유지하며 세운상가의 옛 흔 을

확인할 수 있다. 과거 간 을 활용한 의자, 유물 시 ,

라디오와 손편지의 시 체험공간을 통해 과거의

자제품을 체험할 수 있으며 자연스러운 과거와 재의

비교를 통해 시간의 흐름을 느낄 수 있다.

넷째, 복합성 특성으로 살펴본 결과 개설된 공간으로

는 메이커스 큐 , 음식 , 카페, 시, 휴식, 책방, 소품

샵, 체험의 공간이 있으며 옥상정원에서 이루어지는

리마켓 등 자상가라는 기능과 연계성을 가지는 공간과

문화 로그램으로 사용자의 참여를 유도하며 공간을 활

성화 시켰다. 메이커스 큐 거리와 연결되는 상업시설

외에 내부에는 기존 기능화 공간을 유지하고 있다. 이에

산업경제 활성화를 해 내부에 다양한 로그램을 제공

하고 정리된 동선을 통해 사용자의 근을 유도함으로써

사용자의 활동을 통해 활성화 시켜야 한다.

다섯째, 근성은 다른 특성에 비해 가장 낮게 나타났

다. 근성 특성으로 살펴본 결과 세운상가 안에서 내부

와 외부의 연결은 간 게이트를 통해 연결성을 가지고

있는 반면 공간 내부에서 외부로 사용자의 호기심을 유

발하며 근을 유도하는 사인 는 안내 이 제공되지

않았다. 세운상가 내부에는 세운상가 계자를 한 주

민휴식공간 한군데와 창업공간 두군데가 존재하지만 공

간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내부의 체 공간을 이해할 수

있는 이미지가 존재하지 않고 동선의 안내 부족으로

공간을 찾기 어렵다. 이에 공간 내부에서 외부로 가는

안내 이나 지도 이미지를 통해 사용자에게 공간을 인식

시키고 휴식공간과 창업공간 근성을 높이기 해 복도

정리를 통한 동선확보와 사인 는 안내 이 제공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서울 심부에 치한 세운상가 일 를 도

시재생 산업경제 활성화를 한 특성에 해 사례분석을

심으로 살펴보았다. 향후 사례 수 확 와 공간 사용자

설문지를 통해 노후지역의 도시재생 특성 분석을 보완하

여 보다 구체 인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1. 지성철, 문화창의산업 클러스터의 공간 컨버 디자인 특성 연구

– 국 상하이 창의 술단지를 심으로-, 석사학 논문, 2017

2. 박상경, 장순각, 노후화된 공장의 상업시설로의 재생건축 디자인

특성에 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 회논문집, 19(3),

2017

3. 김정곤, 뇌호원, 이장걸, 도시재생을 한 근 건축물의 공간

재생 특성에 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27(1), 2018

4. 박미라, 김문덕, 유휴산업시설 재생을 통한 상하이 창의공간에

나타난 디자인 표 특성,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23(6),

2014

5. 서울특별시, 2025 서울시 도시재생 략계획, 2019, URL‘서울도

시재생포털’, https://news.seoul.go.kr/citybuild/archives/56563

6. 서울특별시, 서울형 도시재생이란, 2020, URL‘서울도시재생포

털’, https://uri.seoul.go.kr/surc/seoulInfo/aboutURC.do

7. 서울특별시, 도시재생 활성화지역이란, 2020, URL‘서울도시재생

포털’, https://uri.seoul.go.kr/surc/propProgress/businessStatus

Info.do#none

8. 서울특별시, 세운상가 일 도시재생활성화계획 고시, 2018, URL

‘서울도시재생포털’, https://uri.seoul.go.kr/surc/archive/policy

View.do?bbs_seq=2748

Page 18: 대학교 캠퍼스내 편의시설 디자인 제안최윤영 김은정 김미경 2014.05 대학기숙사 단위생활공간 가구디자인의 유형분류에 따른 주요특성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22권 2호 통권52호 2020년 11월 171

재생디자인 표 특성을 용한 평생학습 공간디자인에 한 연구-유휴학교시설을 심으로-

A S tud y on the S pace Design of L ifelong L earning Center Applying R egeneration Design E x pression

Characteristics- Centering on Idle School Facilities -

Author 최세정 Choi, Se-Jung / 정회원, 홍익 학교 건축도시 학원 실내건축디자인학과 석사과정

윤은경 Yun, Yean-Kyung / 정회원, 홍익 학교 건축도시 학원 실내설계교수, 건축학박사*

Abstract Modern society has extended life expectancy due to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is self-sufficient in changing

the working environment and increasing leisure time 52 hours a week in preparation for old age through a

lifelong career against changes in the demographic structure due to declining birthrate and aging There is an

increasing need for lifelong education in the blue and middle ages for development. However, the space and

programs that follow the increasing number of learners each year are not being used efficiently and do not

perform their intended function. In addition, the number of closed schools and idol school facilities that have been

neglected due to the social and technological change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decrease in the

school-age population is increasing. As a result, there is an increasing need for refurbished designs for recycling

idle facilities. Idol school facilities have high access to the residential area and are basically composed of

educational spaces, and by reusing existing facilities, the financial resources required for expansion and

contraction can be reduced. In this way, the utilization of idol school facilities is a necessary issue in the present

era, and the publicity, playability, and connectivity derived from the characteristics of reproduction design

expression when planning a space in a lifelong learning center are applied. It is possible to minimize damage

and economic loss due to indiscriminate removal, and to make new spatial changes necessary for local residents.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reproduction design is an appropriate flow of the present age, and it is

effective to apply the expression characteristics and expression methods of the reproduction design utilizing the

idle facilities in the city to reproduce. Therefore, based on this research, we hope that research on spatial

reproduction that applies the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reproduction design will be continued

K eyw ord s 재생디자인,평생학습 , 유휴학교

Reproduction Design, Lifeiong Learning center, Idul school

* 교신 자(Corresponding Author); [email protected]

1. 서론

1. 1. 연구 의 배경과 목

사회는 격한 과학 문명의 발달로 평균 수명이

연장되고 출산, 고령화에 따른 인구 변화, 1인 가구의

증가로 은퇴 후의 삶과 제2의 직장을 비하는 청·장년

기의 교육 요구가 커지고 있고, 소득의 증가 법정 근

로시간의 단축 등 근무환경의 개선과 변화로 여가시간이

증 되면서 이에 따른 자기성장, 자아실 등 자기개발

취미활동을 하고자 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특징으로 교육도 더 이상 한정된 시기에만 이

루어지는 것이 아닌 인생 체를 통하여 이루어져야 하

는 평생교육의 요성이 나타나게 되었다. 이러한 사회

욕구를 반 하여 공공기 을 비롯한 학, 각종 종교

단체 는 여성단체, 특수 학원 등이 평생교육을 운 하

고 있으나 매년 증가하는 학습자 수에 따르는 공간과

로그램이 효율 으로 이용되지 않아 제기능을 다하지 못

하고 있다. 한, 사회는 4차 산업 명으로 도시들은

Page 19: 대학교 캠퍼스내 편의시설 디자인 제안최윤영 김은정 김미경 2014.05 대학기숙사 단위생활공간 가구디자인의 유형분류에 따른 주요특성

172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22권 2호 통권52호 2020년 11월

사회 , 기술 으로 변화하며 이에 따른 도시의 변화 속

에서 방치되고 있는 유휴시설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러

한 문제를 안고 있는 유휴시설들은 여러 형태가 있지만,

출산율 하로 인한 학령인구감소로 폐교 유휴학교시

설이 그 하나이다.

학교는 지역 심에 치하여 근성이 높아 지역 주

민들이 이용하는 평생교육공간으로 활용하기 유리한 조

건을 갖추고 있으며, 유휴 학교의 기존시설인 교실, 강당,

운동장 등 기본 으로 교육공간으로 구성되어 있기에

은 비용으로 시설들을 재활용함으로써 최 의 효과를 볼

수 있다. 이 듯 유휴 학교시설은 기존 학생들뿐 아니라

지역 주민들에게 필요한 평생교육을 할 수 있는 공동의

공간으로 탈바꿈 할 수 있는 잠재성을 품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 기능을 하지 못하고 방치되어

있는 유휴학교시설을 활용하고 재생디자인 표 특성을

용하여 지역사회에 평생교육을 체험할 수 있는 새로운

용도의 평생학습 으로 공간디자인을 제안하는 것에 목

이 있다.

1. 2 . 연구 방법 범

본 연구는 인들에게 필요한 평생교육을 제공하고

있는 평생학습 을 선정하고, 선행연구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재생디자인 표 특성을 분석하고 도출하여 유휴학

교시설을 평생학습 으로 공간 재생하려고 한다.

이에 선행연구와 문헌고찰을 통해 2장에서는 평생교육

과 평생학습 의 개념 필요성과 황을 조사하여 그

에 따른 로그램과 공간구성을 이해하고, 3장에서는 재

생디자인의 개념과 형성배경 필요성을 알아보고 선행

연구에서 나타난 재생디자인의 표 특성을 분석하여 표

특성과 표 방법을 도출한다. 4장에서는 국내·외 평생

학습 평생교육의 기능을 하고 있는 기 들의 사례

를 비교, 분석을 통해 평생학습 공간디자인에 용하

려 한다.

2 . 평 생 학습 의 이 론 고 찰

2 . 1. 평 생 교육 의 이 해

(1) 평생교육의 개념 정의

평생교육이란 사람의 교육을 인생의 기간에 걸쳐

역에서 일어나는 과정으로 보는 것을 의미한다.1)

평생교육이라는 개념은 랭그랑(Lengrand)이2) 평생교

육의 정의를 “평생교육은 개인의 출생에서부터 죽을 때

까지 생애에 걸친 교육(수직 차원)과 개인 사회

체의 교육(수평 차원)의 통합”이라 했으며, 1965년

1) 김종서 외, 평생교육개론, 교육과학사, 2000, p.2

2) 두산백과, 폴 랭그랑(Paul Lengrand), 1910, 랑스의 교육가

리에서 개최된 유네스코 국제회의에서 랭그랑(Lengrand)

이 ‘평생교육론’이라는 논문에서 최 로 평생교육을 사용

했던 것으로 시작되었다. 평생교육의 개념을 선행 논문

을 통해 살펴보면 <표 1> 같이 정리할 수 있다.

<표 1> 평생교육의 개념 정의

(2) 평생교육의 필요성

사회의 평생교육의 필요성은 주 52시간 근무제로

시작된 ‘워라벨’ 추구의 사회 변화로 인한 근로 환경

개선 근무 시간 단축에 의한 여가시간 증가로 자기

성장과 자아실 을 한 자기개발을 통해 삶의 질 변

화를 느낄 수 있게 하는 평생교육의 가치와 필요성은 더

욱 높아지고 있다. 한, 고령화 사회에서 인생과 경력

리 패러다임의 변화로 인들에게 반드시 필요하게 되

었다. 속한 환경의 변화 속에서 개인이 사회변화에 효

과 으로 응하도록 하고, 새로운 지식과 기술의 습득

을 통해 길어진 노년기에 한 은퇴 후 제2의 인생 계획

의 실천을 해 요하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 속에 개

개인의 역량을 증진시키는 평생교육의 요성은 더욱 강

조되고 있다.

2 . 2 . 평 생 학습 의 이 해

(1) 평생학습 의 개념

2018년 평생교육백서에 의한 평생교육기 의 원론 인

개념은 평생교육 기능을 수행하거나 평생교육을 목 으

로 정하고 있는 조직이나 단체를 의미한다.3) 하지만 원

론 인 개념과는 달리 실에서는 다양한 법에서 평생교

육기 의 범 , 종류, 역할 등을 규정한다.

여기서 일차 인 련법은 평생교육법으로, 이 법에

따라 인가·등록·신고를 통해서 평생교육기 으로 인정하

는 법인 는 단체를 말한다. 이 평생학습 은 「평

3) 교육부 국가평생교육진흥원, 2018 평생교육백서, 2018, p.81

Page 20: 대학교 캠퍼스내 편의시설 디자인 제안최윤영 김은정 김미경 2014.05 대학기숙사 단위생활공간 가구디자인의 유형분류에 따른 주요특성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22권 2호 통권52호 2020년 11월 173

생교육법」제19~제21조에 규정되어 있는 시·군·구 평생

학습 에 해당하는 평생교육시설이다.

(2) 평생학습 의 황

2018년 평생교육백서에 의하면 평생학습 의 기 수와

학생수는 아래 <표 2>와 같이 2014년 이후 2018년까지

꾸 히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 <표 3>과 같

이 지역별 평생학습 의 수를 살펴보면 서울과 경기에

집 되어 있음을 볼 수 있으며 강원도를 비롯한 다른 지

역은 수도권에 비해 반도 안되는 수 으로 운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통계는 평생학습 의 시

설이 부족하며 지역 심의 평생학습시설 확충이 선무

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구분 2014년 2017년 2018년

기 수 423 435 498

학생 학습자수 858,338 924,890 957,722

교사 강사수 10,335 11,668 13,668

사무직원수 2,213 2,315 2,774

<표 2> 연도별 평생학습 황

<표 3> 2018년 기 지역별 평생학습 수

2 . 3 . 평 생 학습 의 로 그 램 공 간 구 성

(1) 평생학습 의 로그램

2018년 평생교육백서에 나타난 교육 로그램을 보면

「평생교육법」(제2조 1항)에서 학력보완교육, 성인문자

해득교육, 직업능력향상교육, 인문교양교육, 문화 술교

육, 시민참여교육의 6 역으로 제시하고 있다. 그에

따른 평생학습 에서 주제별 로그램 운 황을 보면

시민참여교육, 학력보완교육, 성인문자해득교육 역에

비교하여 문화 술교육, 인문교양교육, 직업능력향상교육

3개의 역에 확연하게 치 되어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한, 2018년 기 주제 역별 평생 로그램 학습자 수를

살펴보아도 직업능력향상(45.1%), 인문교양(28.3%), 문화

술(12.4%), 역 순으로 참여자 수가 많게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학습자들이 가장 필요하다고 요구하는

직업교육 로그램, 인문교양 로그램, 여가선용 로그램,

건강/ 교육 로그램으로 정리하고자 한다.

(2) 평생학습 의 로그램에 따른 공간구성

앞서 정리한 학습자들이 가장 많이 요구하는 4개의

로그램인 직업교육 로그램, 인문교양 로그램, 여가선용

로그램, 건강/ 로그램에 따라 다음<표 4>과 같이

평생학습 의 공간구성을 하고자 한다.

로그램 공간구성

1직업교육

로그램

직업교육

공간교육실, 강당, 실습실, 어학실, 세미나실 등

2인문교양

로그램

인문교양

공간

상담실, 식생활/보건교육실, 컴퓨터실, 한자교실,

자료실, 강당, 멀티미니어실, 열람실 등

3여가선용

로그램

문화 술

공간

강당, 시실, 소극장, 음악실습실, 미술실습실

4건강/

로그램

생활체육

공간

헬스장, 수 장, 샤워실, 탈의실, 스실, GX룸,

실내 다목 체육실, 탁구장, 배드민턴장 등

<표 4> 평생학습 의 로그램에 따른 공간구성

3 . 재 생 디자인 유 휴 학교시설의 이 론

고 찰

3 . 1. 재 생 디자인의 이 해

(1) 재생디자인의 개념 정의

공간재생은 사용되지 않고 버려진 공간에 어떠한 목

을 가지고 공간을 다시 살리는 것이다. 즉 새로운 공간

에 목 을 주어 새로운 의미의 장소를 만드는 것을 공간

재생 디자인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재생디자인이란 속한 도시 변화와 발 속에

서 기능과 용도를 잃어가는 시설들의 물리 환경 개선

뿐만 아니라 건축물의 역사성과 정체성을 보존하여 새로

운 목 과 의미에 맞추어 재사용 하는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2) 재생디자인의 형성배경

재생디자인의 발생은 도시 변화과정과 맥락을 같이한

다. 산업 명과 세계 을 거치면서 격히 팽창하며

근 도시는 탈산업화 과정을 통해 격한 도시구조의

재편성을 겪게 되었다. 그와 동시에 신도시 개발로 기존

의 산업 도시들은 제조업의 이 과 분산에 따라 쇠퇴하

게 되었다. 4)

한때 번 과 성장의 상징이었던 공간들이 유기된 형태

로 남게 되고 흉물로 방치되면서 유휴공간의 심각성은

날로 커져 유휴공간을 다양한 측면에서 재활용하고자 하

는 재생디자인이 두되었다.

(3) 재생디자인의 요성

시 에서 공간재생의 요성은 날로 커가고 있으며,

특히 유휴공간의 재생과 활용은 다양한 잠재력을 가진

4) 정은지, 유휴공간의 술 재생에 한 연구, 남 학교 문화 문

학원 석사학 논문, 2018, p.10

Page 21: 대학교 캠퍼스내 편의시설 디자인 제안최윤영 김은정 김미경 2014.05 대학기숙사 단위생활공간 가구디자인의 유형분류에 따른 주요특성

174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22권 2호 통권52호 2020년 11월

공간의 가능성으로 사회변화에 발맞추어 그 요성이 날

로 높아지고 있다. 이를 정리하면 다음<표 5>과 같다.

요성 내용

환경유휴시설에서 발생되는 환경오염을 이고, 신축에 사용되는

자원을 약하여 환경을 보존.

경제유휴시설의 재생은 사회 비용을 약하고 지역경제 활성화

부동산 상승 등 경제 부가가치가 발생.

미학옛 것에 한 가치있는 해석과 창조로 새로운 조형 형태의

디자인 의미가 있는 공간으로 재탄생.

<표 5> 재생디자인의 요성

3 . 2 . 선 행 연구

재생디자인의 표 특성을 선행연구를 통해 공간에서

어떻게 표 되는지 다음<표 6>같이 분석하여 조사하

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재생디자인의 표 특성을 공공

성, 유희성, 연결성으로 정의하 다.

<표 6> 선행연구에 나타난 재생디자인의 표 특성

3 . 3 . 재 생 디자인의 표 특 성

(1) 공공성

재생 공간은 오랜 역사 장소성을 가지고 있는 공간

의 성격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역사 환경을 지역 주민

을 한 소통하고 공유할 수 있는 공공의 공간으로 사용

할 수 있는 개방된 공간이 되어야 한다.

1) 확장/개방

공공성을 높이기 해 건물구조체의 일부를 제거하여

확장된 개방 인 공간으로 변화한다. 한, 투명한 재료

의 사용으로 과거의 공간과 재의 공간을 연결, 첩하

여 공간의 확장성과 개방성을 높일 수 있다. 오 스페이

스와 보이드(void)도 개방성을 높이는 하나의 요소이다.

(2) 유희성

재생디자인을 하는 건물은 오랫동안 장소 랜드마크

역할을 한 건축물이었다. 그래서 과거의 형태 특징

조형물, 오 제 등 상징 형태 부분과 마감 재료, 색감

등의 시각 인 부분을 통해 공간이 가지는 역사성과 정

서 인 요소가 풍부한 상징성을 가진 공간으로 재탄생

될 수 있다.

1) 차용/반복

단순한 과거의 형태를 차용하는 것이 아니라

감각으로 발 시켜 공간의 조형성을 보여 다. 이처럼

과거의 형태와 재료의 차용/반복은 공간이 가지고 있는

형태 요소를 재해석하여 새로운 형태로 발 시켜 과거

의 친근함으로 상징성을 표 한다.

2) 반

옛 건물의 형상이나 재료, 모티 를 다른 재료나

색, 구조로 이미지화시키는 반 의 표 은 상징 효과

를 수 있다.

(3) 연결성

과거부터 이어진 주변 환경과 공간을 통해 보이는 시

간과 공간에 계성을 부여한다. 과거의 사건을 통해 인

식된 시간은 사람들의 기억 속에서 과거와 재를 연결

시켜 주며 과거의 사건을 경험하는 체험을 하게 된다.

1) 재

건물 본래의 디테일 재료, 색감, 공간, 구조 등 건

물이 가지고 있는 그 로 재 하는 방법과 그 흔 을 재

하는 방법, 건물에 표 된 요소를 제거하거나 첨가하

는 재 의 방법이 있다.

2) 병치

역사성을 지닌 기존의 상태와 새롭게 변형된 상태를

에 나란히 둠으로써 조화시키는 방법으로 기존 구조와

새로운 건물이 마치 하나인 양 보이도록 하는 방법이다.

3 . 4 . 유 휴 학교시설의 이 해

(1) 유휴학교시설의 정의

우리나라는 출산 고령화에 따른 학령인구 감소로

인해 유휴교실이 늘어나고 있으며 이러한 학교의 유휴시

설은 표 으로 유휴교실과 폐교시설이 있다. 선행연구

자들의 유휴교실에 한 정의를 보면 <표 7>과 같다.

<표 7> 선행연구에 나타난 유휴학교시설의 정의

Page 22: 대학교 캠퍼스내 편의시설 디자인 제안최윤영 김은정 김미경 2014.05 대학기숙사 단위생활공간 가구디자인의 유형분류에 따른 주요특성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22권 2호 통권52호 2020년 11월 175

명평생학습원

공간

개요

치경기도 명시

철망산로 2로연도 2020년 3월 이

규모 지하1층/지상 5층 면지면 : 4,400㎡,

연면 :9,716.38㎡

평면

교육

그램

직업교육 인문교양 여가선용 건강/

◐ ● ● ◐

재생

디자

특성

특성

방법

공간구성

직업교육

공간

인문교양

공간

문화 술

공간

생활체육

공간

공공성확장/

개방

유희성

차용/

반복○ ○

반 ○ ○ ○ ○

연결성

재 ○ ○ ○

병치 ○ ○ ○ ○

있음 ● 보통 ◐ 없음 ○

<표 8> 국내사례 1

서천평생학습센터

공간

개요

치충청남도 서천군

서천읍 군청로 16-1연도 2012년 개

규모 지하1층/지상 4층 면지면 : 3,604㎡,

연면 :5,500㎡

평면

교육

그램

직업교육 인문교양 여가선용 건강/

◐ ◐ ● ○

재생

디자

특성

특성

방법

공간구성

직업교육

공간

인문교양

공간

문화 술

공간

생활체육

공간

공공성확장/

개방○

유희성

차용/

반복○ ○ ○

반 ○ ○ ○ ○

연결성

재 ○ ○ ○ ○

병치 ○ ○ ○ ○

있음 ● 보통 ◐ 없음 ○

<표 9> 국내사례 2

Bakar community center

공간

개요

치 크로아티아 연도 2016년 개

규모 지상1층 면 1,555 평방미터

평면

교육

그램

직업교육 인문교양 여가선용 건강/

○ ◐ ◐ ○

재생

디자

특성

특성

방법

공간구성

직업교육

공간

인문교양

공간

문화 술

공간

생활체육

공간

공공성확장/

개방○ ◐ ○

유희성

차용/

반복○ ◐ ○

반 ○ ○

연결성

재 ○ ○

병치 ○ ◐ ◐ ○

있음 ● 보통 ◐ 없음 ○

<표 10> 국외사례 1

(2) 유휴학교시설의 황과 발생원인

지방교육재정알리미 자료에 의하면 2020년 기 국

시도별 폐교 보유 황은 국 3,834개이며, 미활용폐교

는 국 1,387개로 아직 활용되지 못하고 유휴시설로 방

치되고 있다.

출산·고령화가 래하는 가장 큰 변화는 학령인구

감소이다. 우리 교육 장에서는 출산 고령화로 인

한 인구 구조 변화로 · ·고 학생 수도 지속 으로 감

소하여, 80년 1,077만 명 학생 수가 16년 589만 명으로

488만 명(45.3%)이 감소하 으며, 향후 30년까지는 77만

명(13.1%)이 추가 감소함으로써 학생 수는 531만 명으로

어들 망이다. 이와 같이 출산으로 인한 학령인구

감소와 신도시 개발로 인한 유휴학교시설의 지속 인 증

가는 시 에 해결해야 할 요한 과제이다.

4 . 사 례 조 사 분 석

4 . 1. 사 례 조 사 상 범

사례 상 범 는 2010년 이후 개 한 국내 지역의 평

생학습 과 국외는 국내 평생학습 과 유사한 기능을 하

고 있는 커뮤니티센터 문화센터로 상을 정하 다.

4 . 2 . 국 내· 국 외 사 례 분 석

Page 23: 대학교 캠퍼스내 편의시설 디자인 제안최윤영 김은정 김미경 2014.05 대학기숙사 단위생활공간 가구디자인의 유형분류에 따른 주요특성

176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22권 2호 통권52호 2020년 11월

Walkerville community center

공간

개요

치 호주 연도 2013년 개

규모 지상1층 면 1,600 평방미터

평면

교육

그램

직업교육 인문교양 여가선용 건강/

○ ● ● ○

재생

디자

특성

특성

방법

공간구성

직업교육

공간

인문교양

공간

문화 술

공간

생활체육

공간

공공성확장/

개방○ ○

유희성

차용/

반복○ ◐ ○

반 ○ ○

연결성

재 ○ ○

병치 ○ ● ○

있음 ● 보통 ◐ 없음 ○

<표 11> 국외사례 2

4 . 3 . 분 석 의 종 합

사례분석을 통해 국내·외 평생학습 에 나타난 재생디

자인의 표 특성을 정리하면 다음 <표 12> 같다.

번호 기 명

표 특성

공공성 유희성 연결성

확장/개방 차용/반복 반 재 병치

1명

평생학습원● ◐ ○ ○ ○

2서천평생

학습센터● ◐ ○ ○ ○

3Bakar

community center● ● ● ● ○

4Walkerville

community center● ● ● ● ●

<표 12> 국내·외 평생학습 에 나타난 재생디자인 표 특성 분석표

분석 결과 큰 특징은 국내·외 평생학습 의 모든 사례

에 인문교양, 문화 술교육공간은 구성되어 있지만, 직업

교육, 생활체육공간은 일부 있거나, 아 없는 경우도 있

었다. 한, 국내사례의 경우 신축이 많아 재생디자인의

표 특성은 공공성 외에 나타나지 않았으며, 국외사례의

경우는 도시 재생과 련한 활용이 많아 재생디자인의

표 특성이 부분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첫째, 공공성은 국내 평생학습 과 국외 커뮤니티 센

터, 문화센터는 지역 주민이 이용하기 때문에 확장되고

개방된 공간으로 모든 사례에 나타났다.

둘째, 유희성은 국내사례의 경우 인문교양공간과 문화

술공간의 시, 열람실 등 오 공간에 형태의 반복으

로 일부 나타났으나, 차용/반 표 은 나타나지 않았다.

국외사례의 경우는 기존 건물의 재료, 형태 등을 새로운

색감과 형태의 발 된 차용/반복/반 의 표 방법으로

부분 나타났다.

셋째, 연결성은 국내사례의 경우 지역 역사를 보여주

는 시형태로 일부 나타났으나 재생의 표 방법은

볼 수 없었다. 국외사례의 경우 건물의 내·외부 재료와

형태의 재 과 병치 표 방법이 부분 나타났다.

5 . 결론

의학의 발달로 평균 수명이 연장되고 출산, 고령화

에 따른 인구 구조의 변화로 평생직업을 통해 노후를

비하고, 주52시간 근무환경의 변화와 여가시간 증 로

자기개발을 한 청·장년기의 평생교육 요구가 커지고

있다. 한, 사회 , 기술 변화로 인한 도심지 유휴시

설과 학령인구감소로 방치되고 있는 폐교 유휴학교시

설이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유휴시설 재활용을 한

재생디자인의 필요성이 날로 높아지고 있다.

유휴학교시설은 거주 지역과의 근성이 높아 지역사

회의 심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지역 주민들이 필요로

하는 복지시설, 체육시설, 노인시설, 평생교육시설로 활

용하기 유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다. 특히 유휴학교의 교

실, 강당, 운동장 등 기본 으로 교육공간으로 구성되어

있기에 기존의 시설들을 재활용함으로써 신축에 필요한

재원을 감할 수 있는 효과를 볼 수 있다. 이 듯 유휴

학교시설의 활용은 시 에 꼭 필요한 과제이며, 평생

학습 으로 공간 계획시 재생디자인 표 특성으로 도출

된 공공성, 유희성, 연결성을 용하여 무분별한 철거로

인한 훼손, 경제 손실 등을 최소화하고 지역 주민들에

게 필요한 새로운 공간으로 탈바꿈 할 수 있다.

따라서 재생디자인은 시 의 합한 흐름이며 도시

의 유휴시설 유휴학교시설 활용시 재생디자인의 표

특성과 표 방법을 용하여 재생되어야 효과 임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를 바탕으로 재생디자인의 표 특

성을 용한 공간재생의 연구가 지속 으로 진행되기를

기 한다.

참고문헌

1. 정은지, 유휴공간의 술 재생에 한 연구, 남 학교 문화

문 학원 석사학 논문, 2018, p.10

2. 국가평생교육진흥원, 2018 평생교육백서, 2018, p.81

3. 테마별분석, 설명자료, 2016

4. 김종서 외, 평생교육개론, 교육과학사, 2000, p.2

5. 두산백과, 폴 랭그랑(Paul Lengrand), 1910, 랑스의 교육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