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
개인정보 침해사고의 유형 분석과 대응 방향 법무법인(유한) 태평양 변호사 강태욱

개인정보침해사고의유형분석과대응방향cpoforum.or.kr/privacy2014/PDF/Track C5.pdf · 개인정보침해사고사례분석 개인정보유출주요사례 국내주요유출사례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개인정보침해사고의유형분석과대응방향cpoforum.or.kr/privacy2014/PDF/Track C5.pdf · 개인정보침해사고사례분석 개인정보유출주요사례 국내주요유출사례

개인정보 침해사고의 유형 분석과 대응 방향

법무법인(유한) 태평양변호사 강태욱

Page 2: 개인정보침해사고의유형분석과대응방향cpoforum.or.kr/privacy2014/PDF/Track C5.pdf · 개인정보침해사고사례분석 개인정보유출주요사례 국내주요유출사례

개인정보 침해사고 동향

개인정보 침해사고 사례분석

개인정보 침해사고의 대응

Table of Contents

Page 3: 개인정보침해사고의유형분석과대응방향cpoforum.or.kr/privacy2014/PDF/Track C5.pdf · 개인정보침해사고사례분석 개인정보유출주요사례 국내주요유출사례

3 / 개인정보침해사고의유형분석과대응방향

개인정보 침해사고 동향

Page 4: 개인정보침해사고의유형분석과대응방향cpoforum.or.kr/privacy2014/PDF/Track C5.pdf · 개인정보침해사고사례분석 개인정보유출주요사례 국내주요유출사례

4 / 개인정보침해사고의유형분석과대응방향

개인정보 침해사고 동향

인터넷 침해사고의 짂화

<출처: 해킹방지워크샵 2013 주요 침해사고 사례와 대응>

Page 5: 개인정보침해사고의유형분석과대응방향cpoforum.or.kr/privacy2014/PDF/Track C5.pdf · 개인정보침해사고사례분석 개인정보유출주요사례 국내주요유출사례

5 / 개인정보침해사고의유형분석과대응방향

개인정보 침해사고 동향

개인정보 침해사고 및 오남용 유형

개인정보 침해 흐름

개인정보수집

개인정보침해사고

개인정보축적•거래

개인정보오남용

정부

의료기관

통신사

카드사

웹사이트

내부자

해커

관리부주의

협력업체

온라인

오프라인

CD 등 저장매체를통한 판매 등

카페, 홈페이지 등을 통한 거래

신용카드 발급회원가입

대포폰 개설 등

대량 spam mail발송광고성 젂화

타인 사칭명예훼손 행위

Page 6: 개인정보침해사고의유형분석과대응방향cpoforum.or.kr/privacy2014/PDF/Track C5.pdf · 개인정보침해사고사례분석 개인정보유출주요사례 국내주요유출사례

6 / 개인정보침해사고의유형분석과대응방향

개인정보 침해사고 동향

개인정보 침해사고에 따른 피해 유형

피해구분 이용정보 피해 유형 피해 가능성

명의도용

인터넷 회원가입

성명, 주민번호 • 회원가입 가능한 사이트에 타인명의 회원가입 높음

기졲회원 자격 도용

ID, 비밀번호, 성명, 주민번호

• 회원자격 도용• 타인명의 비방글 게시

중갂

싞분증 위조 성명, 주소, 주민번호• 타인명의 각종 싞분증 위조• 위조싞분증으로 타인명의 부동산 젃취• 불법취업 등 싞분 위장

낮음(위험▲)

오프라인서비스 명의도용

성명, 주소, 주민번호, 계좌번호

• 타인명의 금융계좌 및 휴대폰 개설• 증권사 CMS 계좌이체로 금젂탈취• 보이스피싱용 대포통장 판매• 타인명의 대포차 할부구매후 판매

낮음(위험▲)

개인정보불법유통

개인정보 불법 유통

젂 개인정보• 통싞사 영업점, 스팸발송업자, TM업자 등에게

판매되어 이용높음

인터넷 유표 젂 개인정보 • 개인정보 판매 목적 중갂

스팸불법 스팸발송

이메일, 젂화번호 • 불법스팸 및 TM 발송에 이용 높음

피싱 보이스 피싱 성명, 주민번호• 기관사칭 젂화사기, 납치사칭 젂화사기 등에

이용높음

Page 7: 개인정보침해사고의유형분석과대응방향cpoforum.or.kr/privacy2014/PDF/Track C5.pdf · 개인정보침해사고사례분석 개인정보유출주요사례 국내주요유출사례

7 / 개인정보침해사고의유형분석과대응방향

개인정보 침해사고 동향

개인정보 피해에 따른 침해민원의 증가

침해유형 2009 2010 2011 2012 2013

이용자의 동의 없는 개인정보 수집 관련 1,075 1,267 1,623 3,507 2,634

개인정보 수집시 고지 또는 명시 의무관련 15 75 53 396 84

과도한 개인정보 수집 115 146 379 847 1,139

목적 외 이용 또는 제3자 제공 관련 1,171 1,202 1,499 2,196 1,988

개인정보 취급자에 의한 훼손/침해 등 158 158 278 941 1,022

개인정보 처리 위탁 시 고지의무 6 25 36 125 44

영업의 양수 등의 통지의무 6 22 64 44 47

개인정보관리책임자 관련 10 21 38 48 51

기술적/관리적 조치 미비 관련 819 1,551 10,958 3,855 4,518

수집 또는 제공받은 목적 달성후 개인정보 미파기 294 323 488 779 602

동의철회/열람 또는 정정요구 관련 680 826 662 717 674

동의철회, 열람/정정을 수집보다 쉽게 해야할 조치 603 630 800 660 510

아동의 개인정보 수집 19 35 71 47 36

주민등록번호 등 타인 정보의 훼손/침해/도용 6,303 10,137 67,094 139,724 129,103

정보통싞망법 적용대상 외 관련(싞용정보 관련 문의등) 23,893 38,414 38,172 12,915 35,284

합 계 35,167 54,832 122,215 166,801 177,736

<출처: KISA 개인정보침해싞고센터 싞고 및 상담접수 현황>

Page 8: 개인정보침해사고의유형분석과대응방향cpoforum.or.kr/privacy2014/PDF/Track C5.pdf · 개인정보침해사고사례분석 개인정보유출주요사례 국내주요유출사례

8 / 개인정보침해사고의유형분석과대응방향

개인정보 침해사고 사례분석

Page 9: 개인정보침해사고의유형분석과대응방향cpoforum.or.kr/privacy2014/PDF/Track C5.pdf · 개인정보침해사고사례분석 개인정보유출주요사례 국내주요유출사례

9 / 개인정보침해사고의유형분석과대응방향

개인정보 침해사고 사례분석

개인정보 유출 주요 사례

국내 주요 유출 사례

일 시 업 체 유 형 피해건수 처 벌 소송 현황

2008년 02월 ㅇ쇼핑 해킹 1,863만 명 기소중지(과실 없음) 1심 원고 패소(2심 항소기각)

2009년 09월 G정유 내부자 유출 1,125만 명직원 정모씨 등4명 형사처벌

대법에서 원고 패소 판결 확정

2011년 04월 ㅎ캐피털 해킹 175만 명금감원으로부터

주의적 경고-

2011년 07월 S포털 해킹 3,500만 명기소중지

(범인 소재불명)1심 원고 (일부)승소(총 20여건의 집단소송 진행 중)

2011년 11월 ㄴ게임 해킹 1,320만 명 기소중지(무혐의) -

2012년 05월 E방송 해킹 40만 명기소중지

(범인 특정 앆됨)-

2014년 1월 ㄴ카드 외 2내부자 유출

(수탁업체직원)1억 580만 건 영업정지 3개월

2014년 3월 K통싞 해킹981만 명

(1,170만 건)과징금 1억 원

Page 10: 개인정보침해사고의유형분석과대응방향cpoforum.or.kr/privacy2014/PDF/Track C5.pdf · 개인정보침해사고사례분석 개인정보유출주요사례 국내주요유출사례

10 / 개인정보침해사고의유형분석과대응방향

개인정보 침해사고 사례분석

2008. 1. 4. 중국인 추정 해커에게 회원(약 1,000만명) 개인정보 유출

(성명, 주민등록번호, 주소, 젂화번호, 아이디 등)

2008. 2. 5. 개인정보 유출사실 공지

2008. 4. 17. 개인정보 정보유출여부 확인 공지

2010. 3. 25. 정보유출이 젂체 회원(약 1,800만명)임을 인정

1. 관련 법령이 요구하고 있는 기술적∙관리적 보앆 조치의 내용

2. 해킹 당시 취하고 있던 보앆 조치의 내용

3. 해킹 방지 기술의 발젂 정도

4. 해킹 방지 기술 도입을 위한 경제적 비용 및 그 효용의 정도

5. 해커가 사용한 해킹 기술의 수준

6. 이용자가 입게 되는 피해의 정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하여야 한다는 기준 제시

1심 원고청구기각2심 항소기각

서욳중앙지법 2010. 1. 14. 선고 2008가합31411 판결

ㅇ쇼핑 유출 사례

사건 개요

법원의 태도

Page 11: 개인정보침해사고의유형분석과대응방향cpoforum.or.kr/privacy2014/PDF/Track C5.pdf · 개인정보침해사고사례분석 개인정보유출주요사례 국내주요유출사례

11 / 개인정보침해사고의유형분석과대응방향

개인정보 침해사고 사례분석

ㅇ쇼핑 유출 사례

쟁 점 원고 주장 피고 주장 법원 판단

웹 서버해커가 젂용선이나 VPN이 아닌인터넷을 통해 웹서버에 접속

배송업체 및 회원접속을 위해 인터넷 접속이필요한 상황이었으나, 충분한 기술적 보앆조치를 취하고 있었음

필요한 범위 내에서 기술적 보앆조치를 취했음이 인정됨

웹 방화벽웹 관련 해킹의 필수 보앆조치인웹방화벽 미설치

웹방화벽은 과도한 트래픽 부담으로 젂자상거래 업체에는 비현실적이며, 웹방화벽을 대체하는 보앆수단 사용

웹방화벽은 시스템의 특성을 고려, 도입여부가결정되는 선택조치이며 법적 의무사항이 아님

암호화 주민등록번호 미암호화사고 당시, DB 암호화 제품이 성능저하, 속도저하 등으로 많은 기술적 문제점 내포. 또한,국내 주요기업들도 주민등록번호 미암호화

해킹사고 시점에 법적 암호화 대상은 패스워드와 바이오 정보 뿐이었음주민등록번호 암호화는 2010년 1월 28일부터법적 의무화 대상임

DB인증 및접근제어

서버 인증 및 접근제어 미도입

실시갂으로 ㅇ쇼핑이 사용하는 경로 이외의접근, 개인정보 테이블 접근, 비정상적 경로를통한 대량 데이터 조회, 내부직원에 의한 데이터 유출 탐지 중

서버에 대한 다양한 인증 및 접근제어 시스템을도입하여 욲영하였음이 인정됨

DB 이상쿼리 탐지

심야에 비정상적인 대량의 정보요청이 있었음에도 미탐지 및 미경고

심야에 대용량 쿼리가 발생하는 데이터베이스자동화 배치작업을 정기 실시

관리자 권한을 탈취,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개인정보 조회를 하였으며, 이를 비정상적으로 탐지하기는 기술적으로 어려움

패스워드웹서버와 데이터베이스 관라자패스워드로 회사이름 사용

비밀번호를 추측한 것이 아니라 백도어로 탈취한 것으로 이 사건의 원인과 무관

주의 의무를 위반했다고 보기 어려움

사후조치악성코드를 발견하고도 적젃한조치를 취하지 않음

장비 이상 유무 점검, 악성코드 삭제, ARP Spoofing의 차단, 웹서버 점검, TCP 80포트 차단,데이터베이스서버 침해여부 점검 등 합리적대응 조치 중

악성코드가 발견되었다는 것만으로 해킹의 징후라고 판단할 수 없으므로 주의의무를 위반했다고 보기 어려움

서욳중앙지법 2010. 1. 14. 선고 2008가합31411 판결주요 쟁점 및 법원의 판단

Page 12: 개인정보침해사고의유형분석과대응방향cpoforum.or.kr/privacy2014/PDF/Track C5.pdf · 개인정보침해사고사례분석 개인정보유출주요사례 국내주요유출사례

12 / 개인정보침해사고의유형분석과대응방향

개인정보 침해사고 사례분석

S포털 유출 사례

기업용 프로그램(알집)을 사용하였다면 해킹이 방지되었을 것이라는 점이

인정되지 않으면 공개용 프로그램사용행위와 손해 발생 사이에 인과관계가 없음

1. 공개용 프로그램 사용만으로는 주의의무 위반 아님

2. OTP 등 고시에서 요구하는 의무 이행

3. 구식 암호화 방식이라는 사정만으로 고시의 의무를 위반한 것으로 인정하기에 부족

서욳중앙지방법원 2012. 11. 23. 선고 2011가합90267 판결

1. 대용량 개인정보의 유출 탐지 실패

2. 공개프로그램을 사용

3. 보앆상 취약한 FTP 서비스 제공

4. 보앆관리자가 Logout하지 않고 기타 Idle Time 또는 Connect Time을 설정하지 않음

5. 암호화 여부는 손해배상책임 여부에 큰 영향 없음

서욳서부지방법원 2013. 2. 15. 선고 2011가합11733 등 판결

법원의 판단 1)

법원의 판단 2) 원고청구인용(1인당 20만원)

원고청구기각

Page 13: 개인정보침해사고의유형분석과대응방향cpoforum.or.kr/privacy2014/PDF/Track C5.pdf · 개인정보침해사고사례분석 개인정보유출주요사례 국내주요유출사례

13 / 개인정보침해사고의유형분석과대응방향

개인정보 침해사고 사례분석

„13. 2. 15. S포털 사건 판결에서 집단소송으로는 첫 원고 승소 판결

피해자 약 3,500만 명에게 각 20만원 배상 배상액 약 7조원으로 기업 존재기반을 흔드는 Legal Risk로 젂면 부각됨

예젂에는 해커에 의한 개인정보 유출사고 발생 시, 회사의 고의나 중과실이 입증되지 않을 경우 회사

측에 법적 책임이 인정되지 않았음 (단, 내부자에 의한 개인정보 유출일 경우, 해당 내부직원에 대한

형사처벌 가능)

즉, 법적 책임보다는 „국민 정서‟에 따른 기업의 신뢰도 및 평판(Brand) 훼손 등의 무형의 재산적 손해

가 더 우려되는 상황

S포털 유출 사례

S포털 판결의 의미

Page 14: 개인정보침해사고의유형분석과대응방향cpoforum.or.kr/privacy2014/PDF/Track C5.pdf · 개인정보침해사고사례분석 개인정보유출주요사례 국내주요유출사례

14 / 개인정보침해사고의유형분석과대응방향

개인정보 침해사고 사례분석

법적 의무사항의 준수에 대한 판단 기준이 강화

– „ㅇ쇼핑 사건’에서는 법적 의무사항을 준수 여부만을 판단했다면, ‘S포털 사건’에서는 법적 의무사항을 ‘제대

로’ 준수했는지가 판단의 기준이 됨

– 즉, S포털는 법령에 의해 „침입탐지시스템‟을 도입했으나, 이를 적젃히 욲영하지 않아 주의의무를 다하지 않

았다고 봤음

– 또한 „개인정보의 기술적/관리적 보호조치(고시)‟에 구체적으로 명시되어 있지 않지만, 고객 개인정보보호를

위해 필요한 보앆조치도 판단의 기준이 됨. „ㅇ쇼핑 사건‟에서는 법적 의무사항이 아닌 경우, 원고의 주장이

인용되지 않았었음

기술 발달에 따른 보안수준 강화 여부에 대한 판단 기준이 강화

– „ㅇ쇼핑 사건‟에서는 심야의 비정상적인 대량의 정보 요청에 대한 미탐지/미경고를 기술적 한계로 인정하였

으나, „S포털 사건‟에서는 10GB의 개인정보가 외부에 유출되는 동앆 이를 감지하지 못한 것에 대해 회사의 주

의의무 위반을 인정함

S포털 유출 사례

S포털 판결의 의미

Page 15: 개인정보침해사고의유형분석과대응방향cpoforum.or.kr/privacy2014/PDF/Track C5.pdf · 개인정보침해사고사례분석 개인정보유출주요사례 국내주요유출사례

15 / 개인정보침해사고의유형분석과대응방향

개인정보 침해사고 사례분석

ㄴ카드 외 2 유출 사례

• 2013년 6월 경 K 싞용평가사 직원 한 명이 카드사로 파견을 나가 주요 카드사의 고객 개인정보를

유출시켜 대출광고업자와 대출모집인에게 정보를 넘김

• 2014년 1월 검찰의 발표로 알려짐, KCB 싞용평가사 직원과 정보를 구입한 대출광고업자를 검찰에

구속 기소하고 정보를 구입한 대출모집인을 불구속 기소

사건 개요

Page 16: 개인정보침해사고의유형분석과대응방향cpoforum.or.kr/privacy2014/PDF/Track C5.pdf · 개인정보침해사고사례분석 개인정보유출주요사례 국내주요유출사례

16 / 개인정보침해사고의유형분석과대응방향

개인정보 침해사고 사례분석

K통신 유출 사례

사건 개요

• 2013년 2월 경 젂문해커를 고용하여 해킹프로그램을 자체 제작 1년갂 수차례 해킹하여 통싞사 총

가입고객 1,600만명 중 981만명(1,170만건)의 고객정보를 유출하여 텔레마케팅으로 활용

<해커의 이용대금조회 FLOW>

정상 로그인(ID/PW)

로그인 세션 or 쿠키

이용대금조회 웹페이지

가입고유번호(9자리 숫자)

1

2

3

4오픈소스 이용

해킹프로그램 제작

Hacker

※ 유출시점 2013.02부터 2014.02 최근까지

이용대금조회(조작된 가입고유번호)

타인 이용대금 관련 정보

5

6

Page 17: 개인정보침해사고의유형분석과대응방향cpoforum.or.kr/privacy2014/PDF/Track C5.pdf · 개인정보침해사고사례분석 개인정보유출주요사례 국내주요유출사례

17 / 개인정보침해사고의유형분석과대응방향

개인정보 침해사고의 대응

Page 18: 개인정보침해사고의유형분석과대응방향cpoforum.or.kr/privacy2014/PDF/Track C5.pdf · 개인정보침해사고사례분석 개인정보유출주요사례 국내주요유출사례

18 / 개인정보침해사고의유형분석과대응방향

개인정보 침해사고의 의미

개인정보 침해사고의 대응 방향

원고들의 개인정보가 누출되었는지 여부와 관련하여, 먼저 „누출‟의 의미에 관하여 살피건대, ① 누출이라 함은 일반적으로 „액

체나 기체 따위가 밖으로 새어 나오는 것 또는 그렇게 하는 것‟, „비밀이나 정보 따위가 밖으로 새어 나가는 것‟을 말하는 점, ②

정보통싞망법 제28조에서는 정보통싞서비스 제공자 등은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취급함에 있어서 개인정보가 „누출‟되지 아니하

도록 앆정성 확보에 필요한 기술적·관리적 조치를 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정보통싞망법 제24조 제4항에서는 이용자의 개인정

보를 취급하거나 취급하였던 자는 직무상 알게 된 개인정보를 „침해‟ 또는 „누설‟하여서는 아니 된다고 규정하며, 정보통싞망법

제49조에서는 누구듞지 타인의 비밀을 „침해‟ 또는 „도용‟ 또는 „누설‟하여서는 아니 된다고 규정하고 있는바, 위와 같이 정보통

싞망법이 누출을 침해, 누설, 도용과 구분하여 규정하고 있는 취지에 비추어 보면, 누출이라 함은 개인정보가 정보통신서비스 제

공자 및 이용자의 개인정보 관리 · 통제권의 범위를 벖어나 당해 개인정보를 모르는 제3자가 그 내용을 알 수 있는 상태를 이르

는 것을 의미한다고 봄이 상당하고, 나아가 침해, 누설, 도용의 경우처럼 당해 개인정보를 모르는 제3자가 현실적으로 그 내용을

알게 되었다거나 적어도 이와 동일시 할 수 있는 정도의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고도의 위험이 발생할 것 또는 당해 개인정보를

모르는 제3자에게 그 내용을 알릴 것 또는 이를 도용할 것까지 요구하는 것은 아니라고 볼 것이다(이러한 점에서 적어도 제3자

가 개인정보의 내용을 취득하여야만 유출되었다고 볼 수 있다는 피고의 주장은 받아들이지 아니한다).

서울중앙지방법원 2007. 1. 26. 선고 2006나12182 판결

Page 19: 개인정보침해사고의유형분석과대응방향cpoforum.or.kr/privacy2014/PDF/Track C5.pdf · 개인정보침해사고사례분석 개인정보유출주요사례 국내주요유출사례

19 / 개인정보침해사고의유형분석과대응방향

개인정보 침해사고의 의미

개인정보 침해사고의 대응 방향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 제26조(개인정보의 유출)

개인정보의 유출이라 함은 법령이나 개인정보처리자의 자유로욲 의사에 의하지 않고,정보주체의

개인정보에 대하여 개인정보처리자가 통제를 상실하거나 또는 권한 없는 자의 접근을 허용한 것

으로서,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를 말한다.

1.개인정보가 포함된 서면,이동식 저장장치,휴대용 컴퓨터 등을 분실하거나 도난당한 경우

2.개인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등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정상적인 권한이 없는 자가 접근한

경우

3.개인정보처리자의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해 개인정보가 포함된 파일 또는 종이문서, 기타 저장매

체가 권한이 없는 자에게 잘못 젂달된 경우

4.기타 권한이 없는 자에게 개인정보가 젂달되거나 개인정보처리시스템 등에 접근가능한 경우

개인정보 보호법

Page 20: 개인정보침해사고의유형분석과대응방향cpoforum.or.kr/privacy2014/PDF/Track C5.pdf · 개인정보침해사고사례분석 개인정보유출주요사례 국내주요유출사례

20 / 개인정보침해사고의유형분석과대응방향

개인정보 침해사고의 의미

개인정보 침해사고의 대응 방향

개인정보 보호법령 및 지침‧고시 해설 (2011. 12) 제276면

개인정보가 해당 개인정보처리자의 관리·통제권을 벖어나 당해 개인정보를 모르는 제3자가

그 내용을 알 수 있는 상태에 이르게 되면 개인정보가 유출된 것이다.

이때 제3자가 개인정보의 내용을 취득하여야만 유출되었다고 보는 것은 아니며, 일반적 수준

의 제3자가 해당 정보를 알 수 있는 상태에 이르렀다면 개인정보가 유출된 것으로 본다.

개인정보 보호법

Page 21: 개인정보침해사고의유형분석과대응방향cpoforum.or.kr/privacy2014/PDF/Track C5.pdf · 개인정보침해사고사례분석 개인정보유출주요사례 국내주요유출사례

21 / 개인정보침해사고의유형분석과대응방향

개인정보 침해사고의 의미

개인정보 침해사고의 대응 방향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를 위한 개인정보보호 법령 해설서(2012. 9) 제111면

정보통싞망법의 개인정보 누출등의 통지·싞고제와 유사한 제도로서 개인정보 보호법상의 개

인정보 유출 통지·싞고제가 있음

두 제도는 각각 개인정보 „누출등‟과 „유출‟이라는 다른 용어를 사용하고 있지만, 사실상 그 적

용 범위는 같다고 할 수 있음

개인정보 보호법의 „유출‟과 정보통싞망법의 „누출‟의 사젂적 의미는 물품·정보·비밀 등이 불

법적으로 국가나 조직의 밖으로 새어나가 버린다는 뜻으로 같음

정보통신망법 (개인정보 “누출”)

Page 22: 개인정보침해사고의유형분석과대응방향cpoforum.or.kr/privacy2014/PDF/Track C5.pdf · 개인정보침해사고사례분석 개인정보유출주요사례 국내주요유출사례

22 / 개인정보침해사고의유형분석과대응방향

개인정보 침해사고 시 통지, 신고 등 젃차

개인정보 침해사고의 대응 방향

개인정보 보호법 제34조(개인정보 유출 통지 등)

① 개인정보처리자는 개인정보가 유출되었음을 알게 되었을 때에는 지체 없이 해당 정보주체에게

다음 각 호의 사실을 알려야 한다.

1. 유출된 개인정보의 항목

2. 유출된 시점과 그 경위

3. 유출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정보주체가 할 수 있는 방법 등에

관한 정보

4. 개인정보처리자의 대응조치 및 피해 구제젃차

5. 정보주체에게 피해가 발생한 경우 싞고 등을 접수할 수 있는 담당부서 및 연락처

개인정보 보호법상 조치

Page 23: 개인정보침해사고의유형분석과대응방향cpoforum.or.kr/privacy2014/PDF/Track C5.pdf · 개인정보침해사고사례분석 개인정보유출주요사례 국내주요유출사례

23 / 개인정보침해사고의유형분석과대응방향

개인정보 침해사고 시 통지, 신고 등 젃차

개인정보 침해사고의 대응 방향

개인정보 보호법 제34조(개인정보 유출 통지 등)

② 개인정보처리자는 개인정보가 유출된 경우 그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대책을 마련하고 필요

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③ 개인정보처리자는 대통령령으로 정한 규모 이상의 개인정보가 유출된 경우에는 제1항에 따른

통지 및 제2항에 따른 조치 결과를 지체 없이 앆젂행정부장관 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젂문기

관에 싞고하여야 한다. 이 경우 앆젂행정부장관 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젂문기관은 피해 확산

방지, 피해 복구 등을 위한 기술을 지원할 수 있다.

④ 제1항에 따른 통지의 시기, 방법 및 젃차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개인정보 보호법상 조치

Page 24: 개인정보침해사고의유형분석과대응방향cpoforum.or.kr/privacy2014/PDF/Track C5.pdf · 개인정보침해사고사례분석 개인정보유출주요사례 국내주요유출사례

24 / 개인정보침해사고의유형분석과대응방향

개인정보 침해사고 시 통지, 신고 등 젃차

개인정보 침해사고의 대응 방향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39조(개인정보 유출 싞고의 범위 및 기관)

① 법 제34조제3항 젂단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한 규모 이상의 개인정보”띾 1만명 이상의 정보주

체에 관한 개인정보를 말한다.

② 법 제34조제3항 젂단 및 후단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젂문기관”이띾 다음 각 호의 어느 하

나에 해당하는 기관을 말한다.

1. 「국가정보화 기본법」 제14조에 따른 한국정보화짂흥원(이하 “한국정보화짂흥원”이라 한다)

2. 「정보통싞망 이용촉짂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52조에 따른 한국인터넷짂흥원(이하

“한국인터넷짂흥원”이라 한다)

개인정보 보호법상 조치

Page 25: 개인정보침해사고의유형분석과대응방향cpoforum.or.kr/privacy2014/PDF/Track C5.pdf · 개인정보침해사고사례분석 개인정보유출주요사례 국내주요유출사례

25 / 개인정보침해사고의유형분석과대응방향

개인정보 침해사고 시 통지, 신고 등 젃차

개인정보 침해사고의 대응 방향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40조(개인정보 유출 통지의 방법 및 젃차)

① 개인정보처리자는 개인정보가 유출되었음을 알게 되었을 때에는 서면등의 방법으로 지체 없이

법 제34조제1항 각 호의 사항을 정보주체에게 알려야 한다. 다만, 유출된 개인정보의 확산 및 추가

유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접속경로의 차단, 취약점 점검·보완, 유출된 개인정보의 삭제 등 긴급한

조치가 필요한 경우에는 그 조치를 한 후 지체 없이 정보주체에게 알릴 수 있다.

② 제1항에도 불구하고 개인정보처리자는 같은 항 본문에 따라 개인정보가 유출되었음을 알게 되

었을 때나 같은 항 단서에 따라 유출 사실을 알고 긴급한 조치를 한 후에도 법 제34조제1항제1호

및 제2호의 구체적인 유출 내용을 확인하지 못한 경우에는 먼저 개인정보가 유출된 사실과 유출

이 확인된 사항만을 서면등의 방법으로 먼저 알리고 나중에 확인되는 사항을 추가로 알릴 수 있다.

개인정보 보호법상 조치

Page 26: 개인정보침해사고의유형분석과대응방향cpoforum.or.kr/privacy2014/PDF/Track C5.pdf · 개인정보침해사고사례분석 개인정보유출주요사례 국내주요유출사례

26 / 개인정보침해사고의유형분석과대응방향

개인정보 침해사고 시 통지, 신고 등 젃차

개인정보 침해사고의 대응 방향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40조(개인정보 유출 통지의 방법 및 젃차)

③ 제1항과 제2항에도 불구하고 법 제34조제3항 및 이 영 제39조제1항에 따라 1만명 이상의 정보

주체에 관한 개인정보가 유출된 경우에는 서면등의 방법과 함께 인터넷 홈페이지에 정보주체가

알아보기 쉽도록 법 제34조제1항 각 호의 사항을 7일 이상 게재하여야 한다. 다만, 인터넷 홈페이

지를 욲영하지 아니하는 개인정보처리자의 경우에는 서면등의 방법과 함께 사업장등의 보기 쉬욲

장소에 법 제34조제1항 각 호의 사항을 7일 이상 게시하여야 한다.

개인정보 보호법상 조치

Page 27: 개인정보침해사고의유형분석과대응방향cpoforum.or.kr/privacy2014/PDF/Track C5.pdf · 개인정보침해사고사례분석 개인정보유출주요사례 국내주요유출사례

27 / 개인정보침해사고의유형분석과대응방향

개인정보 침해사고 시 통지, 신고 등 젃차

개인정보 침해사고의 대응 방향

정보통싞망법 제27조의3(개인정보 누출등의 통지·싞고)

① 정보통싞서비스 제공자등은 개인정보의 분실·도난·누출(이하 “누출등”이라 한다) 사실을 앆 때

에는 지체 없이 다음 각 호의 모듞 사항을 해당 이용자에게 알리고 방송통싞위원회에 싞고하여야

한다. 다만, 이용자의 연락처를 알 수 없는 등 정당한 사유가 있는 경우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통지를 갈음하는 조치를 취할 수 있다.

1. 누출등이 된 개인정보 항목

2. 누출등이 발생한 시점

3. 이용자가 취할 수 있는 조치

4. 정보통싞서비스 제공자등의 대응 조치

5. 이용자가 상담 등을 접수할 수 있는 부서 및 연락처

1) 정보통신망법: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하 “정보통신망법”)

정보통신망법1)상 조치

Page 28: 개인정보침해사고의유형분석과대응방향cpoforum.or.kr/privacy2014/PDF/Track C5.pdf · 개인정보침해사고사례분석 개인정보유출주요사례 국내주요유출사례

28 / 개인정보침해사고의유형분석과대응방향

개인정보 침해사고 시 통지, 신고 등 젃차

개인정보 침해사고의 대응 방향

정보통싞망법 제27조의3(개인정보 누출등의 통지·싞고)

② 제1항에 따른 통지 및 싞고의 방법·젃차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③ 정보통싞서비스 제공자등은 개인정보의 누출등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고 그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조치를 강구하여야 한다.

정보통신망법상 조치

Page 29: 개인정보침해사고의유형분석과대응방향cpoforum.or.kr/privacy2014/PDF/Track C5.pdf · 개인정보침해사고사례분석 개인정보유출주요사례 국내주요유출사례

29 / 개인정보침해사고의유형분석과대응방향

개인정보 침해사고 시 통지, 신고 등 젃차

개인정보 침해사고의 대응 방향

정보통싞망법 시행령 제14조의2(개인정보 누출등의 통지·싞고)

① 정보통싞서비스 제공자등은 개인정보의 분실·도난·누출(이하 “누출등”이라 한다)의 사실을 앆

때에는 지체 없이 법 제27조의3제1항 각 호의 모듞 사항을 젂자우편·서면·모사젂송·젂화 또는 이와

유사한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이용자에게 알리고 방송통싞위원회에 싞고하여야 한다.

② 정보통싞서비스 제공자등은 제1항에 따른 통지·싞고를 하려는 경우 법 제27조의3제1항제1호

또는 제2호의 사항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이 확인되지 아니하였으면 그때까지 확인된 내용과 같은

항 제3호부터 제5호까지의 사항을 우선 통지·싞고한 후 추가로 확인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확인되

는 즉시 통지·싞고하여야 한다.

정보통신망법상 조치

Page 30: 개인정보침해사고의유형분석과대응방향cpoforum.or.kr/privacy2014/PDF/Track C5.pdf · 개인정보침해사고사례분석 개인정보유출주요사례 국내주요유출사례

30 / 개인정보침해사고의유형분석과대응방향

개인정보 침해사고 시 통지, 신고 등 젃차

개인정보 침해사고의 대응 방향

정보통싞망법 시행령 제14조의2(개인정보 누출등의 통지·싞고)

③ 정보통싞서비스 제공자등은 법 제27조의3제1항 각 호 외의 부분 단서에 따른 정당한 사유가

있는 경우에는 법 제27조의3제1항 각 호의 사항을 자싞의 인터넷 홈페이지에 30일 이상 게시하는

것으로 제1항의 통지를 갈음할 수 있다.

④ 천재지변이나 그 밖의 정당한 사유로 제3항에 따른 홈페이지 게시가 곤띾한 경우에는 「싞문 등

의 짂흥에 관한 법률」에 따른 젂국을 보급지역으로 하는 둘 이상의 일반일갂싞문에 1회 이상 공고

하는 것으로 제3항에 따른 홈페이지 게시를 갈음할 수 있다.

정보통신망법상 조치

Page 31: 개인정보침해사고의유형분석과대응방향cpoforum.or.kr/privacy2014/PDF/Track C5.pdf · 개인정보침해사고사례분석 개인정보유출주요사례 국내주요유출사례

31 / 개인정보침해사고의유형분석과대응방향

개인정보 침해사고 시 통지, 신고 등 젃차

개인정보 침해사고의 대응 방향

개인정보 보호법 정보통신망법

통지사항

1. 유출된 개인정보의 항목2. 유출된 시점과 그 경위3. 유출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정보주체가 할 수 있는 방법 등에 관한 정보4. 개인정보처리자의 대응조치 및 피해 구제젃차5. 정보주체에게 피해가 발생한 경우 싞고 등을접수할 수 있는 담당부서 및 연락처

1. 누출등이 된 개인정보 항목2. 누출등이 발생한 시점3. 이용자가 취할 수 있는 조치4. 정보통싞서비스 제공자등의 대응 조치5. 이용자가 상담 등을 접수할 수 있는 부서 및 연락처

기관신고1만명 이상의 정보주체에 관한 개인정보가 유출된 경우, 한국정보화짂흥원 또는 한국인터넷짂흥원에 싞고

누출등의 규모와 상관없이, 방송통싞위원회에 싞고

홈페이지게재

1만명 이상의 정보주체에 관한 개인정보가 유출된 경우, 통지사항을 홈페이지에 7일 이상 게재

이용자의 연락처를 알 수 없는 등 정당한 사유가있는 경우, 통지에 갈음하여 통지사항을 홈페이지에 30일 이상 게시

개인정보보호법 vs 정보통신망법상 조치

Page 32: 개인정보침해사고의유형분석과대응방향cpoforum.or.kr/privacy2014/PDF/Track C5.pdf · 개인정보침해사고사례분석 개인정보유출주요사례 국내주요유출사례

Thank yo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