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7
용역최종보고서 발리로드맵채택과PostKyoto 협상전략 연구 2008.7 환경부

발리로드맵채택과PostKyoto 협상전략연구webbook.me.go.kr/DLi-File/pdf/2009/11/182787.pdf提出文 환경부장관 귀하 본 보고서를 「발리 로드맵 채택과

  • Upload
    others

  • View
    1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 용역최종보고서

    발리 로드맵 채택과 PostKyoto

    협상전략 연구

    2008.7

    환 경 부

  • 提 出 文

    환경부장관 귀하

    본 보고서를 「발리 로드맵 채택과 PostKyoto협상

    전략 연구」에 관한 연구용역의 최종보고서로 제출

    합니다.

    2008년 7월

    對外經濟政策硏究院 院長 蔡 旭

  • 硏 究 陣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연구위원 정성춘

    전문연구원 권기수

    전문연구원 이철원

    전문연구원 이형근

  • - i -

    목 차

    제1장. 서론 ···················································································································· 1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1

    2. 연구내용 ····························································································································· 3

    제2장. 발리 로드맵 채택의 의의와 전망 ································································ 4

    1. 배경 ····································································································································· 4

    가. 교토의정서 체제의 한계 ··························································································· 4

    나. 국제사회의 대응 동향 ······························································································· 5

    다. 발리회의의 개요 ········································································································· 5

    2. 발리 로드맵의 주요내용과 각국의 입장 ····································································· 6

    가. 의장초안의 주요내용 ································································································· 6

    나. 쟁점별 각국의 입장 ··································································································· 8

    다. 합의내용 ····················································································································· 13

    3. 평가 및 전망 ··················································································································· 16

    가. 긍정적 측면 ··············································································································· 16

    나. 부정적 측면 ··············································································································· 17

    다. 향후 일정 ··················································································································· 18

    라. 전망 ····························································································································· 18

    제3장. 특별작업반회의에서의 주요 논의 내용 ···················································· 21

    1. 개요 ··································································································································· 21

    가. 제1차 특별작업반회의 ····························································································· 21

    나. 제2차 특별작업반회의 ····························································································· 22

    2. 주요 이슈별 입장 ··········································································································· 24

  • - ii -

    제4장. 주요 선진국의 기후변화대책과 포스트 교토체제 협상전략 ················ 28

    1. 미국 ··································································································································· 28

    가. 정책여건 및 정책방향 ····························································································· 28

    (1) 배출현황 및 산업적 여건 ··················································································· 28

    (2) 기후변화에 대한 정책방향 ················································································· 35

    나. 기후변화대책의 현황 및 과제 ··············································································· 39

    (1) 기후변화대책 추진체제 ······················································································· 39

    (2) 기후변화대책의 주요내용: 감축대책을 중심으로 ·········································· 40

    (3) 성과 및 과제 ········································································································· 45

    다. 포스트 교토 협상전략 ····························································································· 47

    (1) 지향하는 포스트 교토체제의 기본 틀 ····························································· 47

    (2) 쟁점별 입장 ··········································································································· 48

    (3) 우리나라에 주는 영향과 대응방향 ··································································· 52

    2. EU ······································································································································ 56

    가. 정책여건 및 정책방향 ····························································································· 56

    (1) 배출현황 ················································································································· 56

    (2) 기후변화에 대한 정책방향 ················································································· 60

    나. 기후변화대책의 현황 및 과제 ··············································································· 62

    (1) 기후변화대책 추진체제 ······················································································· 62

    (2) 기후변화대책의 주요내용: 감축대책을 중심으로 ·········································· 65

    (3) 관찰 및 평가 ········································································································· 74

    다. 포스트 교토 협상전략 ····························································································· 75

    (1) 지향하는 포스트 교토체제의 기본 틀 ····························································· 75

    (2) 쟁점별 입장 ··········································································································· 76

    (3) 우리나라에 주는 영향과 대응방향 ··································································· 79

    3. 일본 ··································································································································· 82

    가. 정책여건 및 정책방향 ····························································································· 82

    (1) 배출현황 및 감축 여건 ······················································································· 82

    (2) 기후변화에 대한 정책방향 ················································································· 84

    나. 기후변화대책의 현황 및 과제 ··············································································· 87

    (1) 기후변화대책 추진체제 ······················································································· 87

    (2) 기후변화대책의 주요내용: 감축대책을 중심으로 ·········································· 90

    (3) 성과 및 과제 ········································································································· 99

    다. 포스트 교토 협상전략 ··························································································· 102

  • - iii -

    (1) 지향하는 포스트 교토체제의 기본 틀 ··························································· 102

    (2) 쟁점별 입장 ········································································································· 107

    (3) 우리나라에 미치는 영향과 대응 ····································································· 110

    4. 러시아 ···························································································································· 112

    가. 정책여건 및 정책방향 ··························································································· 112

    (1) 배출현황 및 감축 여건 ····················································································· 112

    (2) 기후변화에 대한 정책방향 ··············································································· 115

    나. 기후변화대책의 현황 및 과제 ············································································· 118

    (1) 환경정책 추진체제 ····························································································· 118

    (2) 에너지 소비구조 ································································································· 120

    (3) 기후변화대책의 주요내용 ················································································· 121

    (4) 성과 및 과제 ····································································································· 126

    다. 포스트 교토 협상전략 ··························································································· 129

    (1) 지향하는 포스트 교토체제의 기본 틀 ··························································· 129

    (2) 쟁점별 입장 ········································································································· 130

    (3) 우리나라에 주는 영향과 대응방향 ································································· 131

    제5장. 주요 개발도상국의 기후변화대책과 포스트 교토체제 협상 전략 ·· 134

    1. 중국 ································································································································ 134

    가. 정책 여건 및 정책 방향 ······················································································· 134

    (1) 배출 현황 및 산업적 여건 ············································································· 134

    (2) 기후변화에 대한 국내 정책 방향 : 기본방향과 원칙 ······················ 140

    (3) 기후 변화에 대한 국제협상 전략 ··································································· 141

    나. 기후변화대책의 현황 및 과제 ············································································· 142

    (1) 기후변화대책 추진체제 ····················································································· 142

    (2) 기후변화대책의 주요 내용: 온실가스 감축대책을 중심으로 ·················· 148

    (3) 성과와 과제 ········································································································· 160

    다. 포스트 교토 협상 전략 ························································································· 164

    (1) 지향하는 포스트 교토체제의 기본 틀 ··························································· 164

    (2) 쟁점별 입장 ········································································································· 165

    (3) 우리나라에 주는 영향과 대응방향 ······························································· 168

    2. 브라질 ···························································································································· 171

    가. 정책여건 및 정책방향 ··························································································· 171

  • - iv -

    (1) 배출현황 및 감축 여건 ····················································································· 171

    (2) 기후변화에 대한 국내정책방향 ······································································· 174

    (3) 기후변화에 대한 국제협상 전략 ····································································· 178

    나. 기후변화대책의 현황 및 과제 ············································································· 181

    (1) 기후변화대책 추진체계 ····················································································· 181

    (2) 기후변화대책의 주요 내용: 감축대책을 중심으로 ······································ 184

    (3) 성과 및 과제 ······································································································· 198

    다. 포스트 교토 협상전략 ··························································································· 202

    (1) 지향하는 포스트교토체제의 기본 틀 ····························································· 202

    (2) 쟁점별 입장 ········································································································· 204

    (3) 우리나라에 주는 영향과 대응방향 ································································· 209

    제6장. 향후 협상대응 방향에 대한 제언 ···························································· 211

    1. 현행 교토의정서 체제에 대한 점검 ········································································· 211

    가. 성과 ··························································································································· 211

    나. 문제점 ······················································································································· 211

    2. 우리나라의 여건 ·········································································································· 215

    가. 제조업 중심의 산업구조 ······················································································· 215

    나. 에너지 안보의 확보 ······························································································· 216

    다. 배출량의 국제비교 ······························································································· 216

    라. 에너지 효율의 국제비교 ······················································································· 218

    마. 새로운 성장동력으로서의 가능성 ······································································· 223

    3. Post-2012 협상대응 방향에 대한 제언 ·································································· 224

    가. 기본원칙 ··················································································································· 224

    나. 협상그룹에서의 위치설정 ····················································································· 225

    다. 협상대상 ··················································································································· 230

    라. 협상방식 ··················································································································· 233

    마. 수치목표의 적절한 기준 ······················································································· 233

    바. 개발도상국의 의무부담 ························································································· 234

    사. 부문별 접근방식 ····································································································· 234

    아. 자발적 장기목표 선언 ··························································································· 236

    자. 제조업 국가들 간의 연대 가능성 모색 ····························································· 237

    차. 기타 사항 ················································································································· 238

  • - v -

    제7장 요약 및 결론 ································································································ 241

    1. 연구내용 ························································································································ 241

    2. 주요국의 대응현황 ······································································································ 241

    3. 향후 협상대응 방향에 대한 제언 ············································································· 244

    4. 향후의 연구과제 ·········································································································· 245

    부록 1. Bali Action Plan ························································································ 247

    부록 2. 선진국 분류기준과 해당국가(‘08.6월 현재) ········································· 251

    부록 3. 주요 지표의 국제비교(2005) ·································································· 252

    부록 4. 부시 행정부의 기후변화정책 ·································································· 255

  • - 1 -

    제1장.서론

    1.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포스트 교토체제를 둘러싼 국제적 협상동향 파악

    -기후변화체제에 대한 국제협상의 중심체인 UN 기후변화협약에서는 2007

    년 12월 제13차 당사국총회(발리회의)에서 포스트 교토체제에 대한 협상

    의 로드맵이 채택되었고 이에 따라 국제협상이 이미 개시되었음.

    ㅇ 발리 로드맵에 따르면 2009년 말까지 포스트 교토체제에 대한 국제적 협

    상을 마무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음.

    ㅇ 또한 2008년 4월초 제1차 장기협력행동특별작업반 회의(AWG-LCA)회의

    가 개최되었고 향후 협상을 위한 구체적인 작업계획이 확정된 상태에 있

    음.UN을 중심으로 한 기후변화협상이 본격적으로 가동되었음.

    -기후변화체제의 또 다른 논의의 장인 G8정상회의에서도 기후변화문제는

    핵심적 의제의 하나이며 2008년 7월 일본 홋카이도에서 개최되는 G8정상

    회의에서의 논의가 향후의 국제협상에 중요한 분수령이 될 것으로 전망됨.

    ※ G8:주요 선진 8개국 정상들이 매년 1회 개최하는 회의로 세계의 정

    치․경제 이슈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에너지,환경 등 국제문제를 포괄

    적으로 논의하고 있음.기존 G7국가(미국,영국,독일,일본,캐나다,

    이탈리아,프랑스)에 1998년부터 러시아가 추가되면서 G8이 되었음.

    ㅇ G8정상회의에서의 논의결과는 UN을 중심으로 한 기후변화 협상과정에

    피드백되어 매우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ㅇ 미국,EU,일본 등 선진국 및 중국,인도,러시아 등 대량배출 개발도상국

    은 협상과정에서 자국의 입장을 반영시키기 위해 다양한 협상전략을 구

    사하고 있으며 이는 G8(G20)정상회의에서도 그대로 드러날 것으로 전망

    됨.

  • - 2 -

    ■ 주요국가의 협상전략 파악

    -이처럼 급변하는 국제정세 하에서 기후변화체제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이는 주요 선진국 및 대량 배출국의 국내대책 및 협상전략을 파악하고

    이를 우리나라의 협상전략 수립에 활용할 필요가 있음.

    -가장 영향력이 큰 미국의 협상전략은 아직 불투명한 상태에 있음.미국의

    신정부가 어떠한 형태의 기후변화체제를 요구하는지에 따라 협상은 큰 영

    향을 받을 것으로 보이며 따라서 협상전망도 매우 불투명한 상황임.

    ㅇ 미국은 기본적으로 권력이 분산되어 있기 때문에 기후변화정책의 방향을

    예측하기가 매우 어려운 상황임.

    ㅇ 기후변화정책은 행정부,의회,주정부 차원에서 개별적으로 추진되고 있

    음.공화당의 부시 행정부는 매우 보수적인 반면 의회와 주정부 차원에서

    는 적극적인 기후변화대책을 추진하려 하고 있음.

    -EU와 일본은 협상의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해 경쟁하고 있음.EU는 하향

    식 접근법(top-down)의 총량목표설정을 주장하는 반면 일본은 상향식 접

    근방식의 총량목표설정을 주장하고 있어 기후변화체제 형성에 적극적인

    두 지역의 대립이 주목되고 있음.

    ㅇ EU는 배출권 거래제도(EU-ETS)를 세계적 표준으로 확산시키면서 협상

    의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해 대담한 감축목표를 천명하는 전략을 구사하

    고 있음.

    ㅇ 한편 일본은 EU의 하향식 접근법의 감축목표 설정에는 반대하면서도 개

    발도상국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부문별 접근방식 등을 주장하는 등 다

    양한 전략을 구사하고 있음.

    -한편 중국,인도,러시아,브라질,남아프리카 공화국,멕시코 등 대량배출

    국의 국내대책 및 협상전략은 우리나라에 크게 알려져 있지 않음.따라서

    이에 대한 동향분석도 필요함.

  • - 3 -

    ㅇ 다만 본 연구에서는 미,일,EU,러시아와 개도국 중에서는 중국,브라질

    에 대한 분석에 한정하였음.

    ■ 우리나라 협상전략 도출

    -본 연구는 다양한 국제협상의 장에서 나타나고 있는 기후변화체제에 대한

    국제적 논의동향,주요국의 기후변화정책 및 전략을 조사․분석하여 우리

    나라의 기후변화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2.연구내용

    ■ UNFCCC중심의 국제회의의 동향 정리

    -제13차 당사국총회(COP13,발리회의)에서 합의된 주요 내용과 그 이후 추

    진되고 있는 AWG-LCA에서의 주요 논의내용을 정리하면서 국제협상의

    동향을 제시함.

    ■ 주요 선진국의 기후변화대책과 협상전략 정리

    -미국,EU,일본의 국내에서의 기후변화대책과 주요 이슈에 대한 국제협상

    에서의 입장을 정리함.

    ■ 주요 개발도상국의 기후변화대책과 협상전략 정리

    -중국,브라질,러시아의 국내에서의 기후변화대책과 주요 이슈에 대한 국

    제협상에서의 입장을 정리함.

    ■ 우리나라의 기후변화 협상전략 제시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우리나라가 기후변화 협상에서 취해야 할 협상전

    략의 방향을 제시함.

  • - 4 -

    제2장.발리 로드맵 채택의 의의와 전망

    1.배경

    가.교토의정서 체제의 한계

    ■ 2007년 12월 3일(월)부터 14일(금)까지 약 2주간에 걸쳐 제13차 기후변화

    협약 당사국총회(COP13)가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개최되었음.

    -이번 회의의 최대 쟁점은 교토의정서의 기한이 종료되는 2012년 이후의

    기후변화체제,즉 포스트 교토의정서체제(이하,포스트 교토체제)에 대한

    협상의 로드맵을 논의하는 것이었음.

    ■ 포스트 교토체제에 대한 협상이 벌써부터 시작된 이유는 협상기간과 합

    의결과가 각국의 비준을 거쳐 발효되기 까지는 많은 시간이 소요될 것으

    로 예상되기 때문임.

    -교토의정서는 주지하는 바와 같이 1992년 체결된 기후변화협약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법적 구속력을 가지는 문서로서,1997년 12월 교토에서 합

    의되고 채택되었음.

    ◦ 교토의정서는 2008~2012년 기간(제1공약기간)동안 부속서Ⅰ에 표기되어

    있는 국가(선진국 및 동유럽 시장경제전환국으로 구성)들을 대상으로 배

    출삭감을 의무화하고 있는데,기후변화 문제에 대한 최초의 국제적 대응

    체제로서 그 의미는 대단히 큼.

    -그러나 교토의정서는 미국,중국,인도 등 세계 온실가스 배출의 약 절반

    정도를 배출하는 대량배출국이 제외되어 있을 뿐 아니라 대상기간이 200

    8~2012년으로 한정되어 있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음.

    ※ 교토의정서의 대상 온실가스는 CO2(이산화탄소),CH4(메탄),N2O(아산화

    질소),HFCs(수소불화탄소),PFCs(과불화탄소),SF6(육불화황)의 6가지가

    있음.

  • - 5 -

    나.국제사회의 대응 동향

    ■ 교토의정서가 가지는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국제사회에서는 이

    전부터 다양한 장을 통해 포스트 교토체제에 대해 논의해 왔음.

    - 첫째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 및 교토의정서 당사국회의

    (COP/MOP)에서의 논의로,포스트 교토체제에 대한 협의가 최초로 이루

    어진 것은 2005년 COP11에서였음.

    ◦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에서는 주로 개발도상국의 기후변화에 대한 적

    응 지원 및 기술이전 등에 대해 논의하였으며,교토의정서 당사국회의에

    서는 선진국의 교토의정서 종료 이후 삭감 가능성과 삭감목표 등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져 왔음.

    -둘째는 기후변화협약 이외의 국제적 협의체를 통한 논의로,대표적인 것이

    G8(G20)정상회의임.포스트 교토체제에 대해 최초로 논의가 이루어진 것

    은 2005년 영국에서 개최된 G8정상회의(글렌이글스 정상회의)에서였음.

    ◦ 이 회의에서는 기후변화 문제를 중요 이슈로 다루면서 포스트 교토체제

    에 대해 논의하였고,이 논의 결과가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에 영향을

    미치는 협상구조가 형성되어 왔음.

    다.발리회의의 개요

    ■ 2007년 12월에 개최된 발리회의는 지난 3년 동안 이루어진 다양한 논의

    를 수렴하면서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모두가 참여하는,새로운 협상의 장

    을 여는 발판을 마련하기 위해 개최된 회의였음.

    -앞서 소개한 당사국총회 혹은 G8정상회의는 모두 일부 국가들이 참여하

    는 임시적인 협상의 장에 불과하였기 때문에 보다 다수의 국가들이 참여

    할 수 있는 포괄적인 협상의 장을 마련할 필요가 매우 높았음.

    -더구나 교토의정서가 종료된 직후인 2013년부터 곧바로 새로운 기후변화

    체제를 가동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2009년 혹은 2010년까지 협상을 종료해

  • - 6 -

    야만 하는 시간적 제약도 이번 회의를 촉진시킨 이유 중 하나였음.

    ◦ 협상종료 이후 각국은 비준절차에 들어가고 새로운 의정서가 발효될 수

    있는 요건을 충족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시간(예:2009~2012년)이 필요하

    기 때문임.

    ※ 참고:1997년 12월에 체결된 교토의정서는 2005년 2월에 발효되어 발효까

    지 무려 7년 남짓의 시간이 소요되었음.

    ■ 2007년 발리 회의에서는 본래 회의종료일이었던 12월 14일(금)까지 합의

    가 도출되지 못하였다가 회의 연장일인 15일(토)극적인 타결을 보았음.

    그 만큼 각국 간의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얽혀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음.

    2.발리 로드맵의 주요내용과 각국의 입장

    가.의장초안의 주요내용

    ■ COP13에서는 2007년 12월 8일 의장초안이 발표되었고 이를 둘러싼 참가

    국들의 공방이 본격화되었음.의장초안의 핵심적 내용은 다음과 같음.

    ■ 첫째,세계 전체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2050년까지 2000년 대비 50% 삭감

    한다고 명기하고 있음.이는 지구 전체의 장기적인 배출삭감에 대한 명확

    한 수치목표를 제시한 것으로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패널(IPCC:

    IntergovernmentalPanelonClimateChange)제4차 보고서의 제안을 수

    용한 것임.

    ■ 둘째,선진국 전체의 배출삭감 수치목표를 명기하고 있음.이 안은 EU와

    중국이 주장한 것을 받아들인 것으로,2013년 이후의 포스트 교토체제에

    서 선진국 전체는 2020년까지 1990년 대비 25~40% 삭감해야 한다고 명

    기하고 있음.이 또한 IPCC보고서의 제안을 수용한 것임.

    -IPCC는 지구온난화 방지를 위해서는 제4차 보고서에서 산업혁명 이전에

    비해 평균기온 상승을 2도 이내로 억제할 것을 요구하고 있음.이를 위해

    서는 세계 전체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2050년까지 반감시켜야 하고,또 이

  • - 7 -

    를 위해서는 전 세계 배출량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선진국의 대폭적인

    삭감이 필요함.

    -수치목표 설정에 대해 EU는 찬성,미국과 일본은 반대 입장을 표명하였

    음.중국과 인도 등 개발도상국은 EU와 함께 수치목표 설정을 요구하였

    음.

    -2007년 노벨 평화상 수상자인 앨 고어 전 미국 부통령은 2007년 12월 13

    일 COP13회의 강연에서 수치목표를 설정해야 함을 주장하여 EU의 입장

    을 지지하였고,미국정부에는 기후변화 문제에 대한 정책을 전환할 것을

    요구하였음.

    ■ 셋째,2009년 말까지 포스트 교토체제에 대한 협상을 완료할 것을 명기하

    고 이를 위해 실무그룹(WorkingGroup)을 설치해야 한다고 명기하고 있

    음.협상시한에 대해서는 중국 등 일부 국가를 제외하면 거의 모든 국가

    의 의견이 일치함.

    -미․일․EU는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모두가 참여하여 2009년까지 포스트

    교토체제에 대한 협상을 완료할 것을 주장하였음.

    -반면 중국 등 개발도상국은 2009년까지는 선진국이 먼저 배출삭감을 위한

    체제를 정비하고 그 이후에 협상을 추진한다는 입장을 보였음.

    ■ 넷째,개발도상국 지원에 대해서는 자금 메커니즘과 기술이전의 기본 틀

    에 대해 명기하고 있음.

    -자금 메커니즘:배출권 거래의 자금원이 되는 기금 이외에 추가적으로 자

    금을 공급하는 새로운 틀도 검토할 것을 제시하였음.

    -기술이전:향후 선진국에서 개도국으로 기술이전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틀을 검토할 것을 제시하였음.특히 중국을 중심으로 한 개도국 그

    룹은 기술이전에 필요한 비용을 부담하는 새로운 기금을 창설할 것을 주

    장하였고 이에 대해 미․일은 반대 입장을 표명하였는데 이는 기술유출에

    대한 우려 때문인 것으로 해석됨.

  • - 8 -

    쟁점 내용

    장기적 수치목표 2050년까지 세계 전체 배출량을 2000년 대비 50% 삭감

    선진국 수치목표 2020년까지 1990년 대비 25~40% 삭감

    협상 완료시한 및 협상 참가범위 선진국과 개도국 모두 참가하여 2009년 말까지 협상 완료

    개도국 지원 메커니즘 자금 메커니즘, 기술이전 지원 촉진을 위한 틀 형성 촉구

    부문별 접근방식(미 ․ 일 의견 병기)미국과 일본이 주장해 온 에너지 다소비 산업을 중심으로 한

    자발적 삭감방식

    ■ 다섯째,미국과 일본이 주장해 온 부문별 접근방식(산업별로 온실가스 삭

    감목표 부과)도 의장 초안에 병기하고 있음.

    -미국과 일본은 선진국의 수치목표 설정에 반대하는 한편 엄격한 삭감의무

    가 부과되지 않는 부문별 접근방식을 주장해 왔음.

    -부문별 접근방식은 주로 에너지 다소비 산업(예:철강,시멘트,알루미늄

    등)을 대상으로 자발적인 삭감목표를 설정하고 국가간 기술협력을 통해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켜 배출삭감을 달성하고자 하는 접근법임.

    의장초안의 주요 내용

    자료: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정성춘 연구위원 작성(’08.6월)

    나.쟁점별 각국의 입장

    ■ 수치목표

    -수치목표의 설정은 선진국 간 및 선진국과 개도국 간에 첨예한 대립이 발

    생한 쟁점으로 2007년 당사국총회에서도 가장 난항을 겪은 분야였음.

    -먼저 선진국 간에서는 EU와 미․일 간의 대립이 발생하였음.

    ◦ EU는 선진국에 엄격한 삭감의무를 요구하였음.EU는 장기적인 삭감목표

    로서 2050까지 1990년 대비 50% 삭감을 요구하였으며,중기적인 삭감목

    표로서 의장초안에 제시된 안을 적극 찬성하는 입장을 보였음.

    ◦ 일본은 장기적인 삭감목표로서 2050년까지 현재 대비 50% 삭감을 제시하

  • - 9 -

    였음.그러나 의장초안에 제시되어 있는 중기적인 삭감목표에 대해서는

    명백한 반대입장을 표명하였음.

    ◦ 미국은 기본적으로 수치목표 설정에 반대하는 입장이며,수치목표를 설정

    할 때에도 배출총량지표 이외의 다양한 지표를 각국의 상황에 맞게 적용

    할 필요가 있다는 입장을 보여 왔음.예를 들면 생산량당 배출량,GDP당

    배출량 등 에너지 효율을 나타내는 지표를 활용하여 수치목표를 설정해

    야 한다는 입장을 가지고 있음.

    ◦ 일본도 기본적으로는 이러한 미국의 입장에 동조하고 있으며 특히 부문

    별 접근방식은 이러한 목표설정방식을 지지하고 있음.

    -중국,인도를 비롯한 개발도상국의 입장은 단호하고 분명함.그것은 선진

    국에 엄격한 삭감의무를 요구하는 것임.반대로 자신들에 대한 삭감의무

    요구는 단호하게 거부하는 입장을 보이고 있음.

    ◦ 이번 의장초안에는 선진국에 대해서만 수치목표를 제시하였기 때문에 개

    도국에 대한 수치목표 설정은 쟁점이 되지 않았음.그러나 이 문제는 향

    후 포스트 교토체제를 성립시키기 위해서 해결해야 할 가장 어려운 난관

    이 될 것으로 보임.

    ■ 협상 참가범위 및 협상시한

    -이번 발리회의의 가장 중요한 목적은 기후변화협약 당사국 모두가 참여하

    는 새로운 협상의 장을 출범시키는 것이었음.따라서 모든 회원국이 참가

    하여 언제까지 협상을 완료할 것인지에 대한 기본합의 도출이 이번 회의

    의 최대의 목적이었음.

    -먼저 협상 참가범위에 대하여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사이에 이견이 있었음.

    ◦ 미국,EU,일본 등 선진국은 개발도상국도 새로운 기후변화체제 협상에

    당연히 참여해야 한다고 강력히 주장하였음.이는 개발도상국이 참여하지

    않는 기후변화체제는 무의미하기 때문임.

  • - 10 -

    ◦ 이에 반해 중국 등 개발도상국은 선진국이 먼저 포스트 교토체제에 대한

    구체적인 합의를 도출한 이후 참여하겠다는 의사를 보이기도 하였음.이

    러한 입장을 보이는 개발도상국의 참여를 최대한 이끌어내는 것이 이번

    회의의 가장 큰 과제였음.

    -한편 협상시한에 대해서는 대체적으로 2009년 말까지 협상을 완료한다는

    데 의견의 일치가 이루어졌음.2007년 10월 하순에 인도네시아 보고르에서

    개최된 준비회의에서는 미국과 중국 등이 애매한 태도를 보였으나,대체적

    으로 2009년 말을 협상시한으로 한다는 데 의견의 일치를 보았음.

    ■ 개도국 지원

    -개도국 지원과 관련된 핵심 이슈는 기술이전과 자금 메커니즘인데,이 문

    제에 대해서는 선진국과 개도국 간의 의견차이가 매우 심하여 교섭이 난

    항을 겪었음.

    ◦ 기술이전과 관련하여 개발도상국은 선진국의 에너지 기술을 적극적으로

    이전받을 수 있는 새로운 틀을 구축할 것을 요구하고 있음.특히 중국과

    인도는 이 문제에 적극적이며 기술이전을 촉진할 수 있는 새로운 기금의

    설립을 주장하고 있음.

    ◦ 반면 미․일은 기술이전이 기술유출로 이어질 것에 대해 크게 우려하면

    서 기술이전에 상대적으로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음.최근 중국,인

    도 등의 경제성장으로 선진국의 국제경쟁력이 크게 위협받고 있는 상황

    을 반영한 것으로 해석됨.EU는 상대적으로 기술이전에 매우 적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음.

    -세계은행은 개도국의 벌목으로 인한 삼림 감소를 막기 위해 삼림보호기금

    을 새롭게 설치하여 벌목을 중단하는 개도국에 자금을 지원하는 메커니즘

    을 구상하고 있음.세계은행의 삼림보호기금에 대해 주요국은 다음과 같은

    입장을 보이고 있음.

    ◦ 일본:1,000만 달러(약 11억 엔)를 기여 (2007년 12월 4일 발리회의에서

    표명)→ 이를 통해 개발도상국의 포스트 교토체제 참가를 촉구

  • - 11 -

    ◦ 호주:기여의사를 표명(2007년 12월 4일 발리회의)

    ◦ 브라질,코스타리카 등:삼림의 벌채가 심각한 수준으로 조속한 지원이

    필요함을 역설(2007년 12월 4일 발리회의)

    ※ 삼림은 온실가스를 흡수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나 최근 세계적인 목재

    수요의 증가로 인하여 삼림면적이 급속히 감소되고 있음.그 결과 연간

    온실가스 배출량의 약 20%는 이러한 삼림 감소에 기인하는 것으로 추정

    되고 있음.그러나 개도국이 벌목을 중단할 경우 고용이 감소하고 목재수

    출로 인한 수입이 감소하는 등 경제적 피해가 발생하기 때문에 이를 지

    원할 필요가 있음.

    ■ 교토 메커니즘

    -교토의정서 청정개발체제(CDM)상에서는 배출권 부여 대상이 되지 않는

    사업이지만 포스트 교토체제에서는 배출권을 부여받을 수 있는 사업으로

    인정해 줄 것을 요구하는 사업영역이 존재함.이 문제를 둘러싸고 국가간

    의 이견이 존재하고 있음.

    -CO₂포집․저장기술(CCS)영역

    ◦ CO₂를 포집하여 저장하는 방식에 대해 배출권을 부여할 것인지의 여

    부(즉 CDM 사업으로 인정할 것인지 여부)를 놓고 이를 찬성하는 선진국

    과 반대하는 개도국 사이에 대립이 발생하여 왔음.

    ◦ 개도국 특히 중국은 세계 배출권 공급의 약 절반을 차지하는 자국의 입

    지가 CCS로 인하여 약화될 것을 우려하여 이를 반대하여 왔음.그러나

    COP13에서 중국은 조건부 찬성으로 돌아섰음.한편 인도 등 개도국은

    “온실가스 삭감효과가 의심스럽다”는 이유로 이를 반대하였음.

    -원자력 발전소 건설

    ◦ 선진국이 개발도상국에 원자력 발전소를 건설하여 CO₂삭감에 기여할

  • - 12 -

    국가 교섭기한 수치목표 기술이전 개도국 지원

    일본 2009년 명기하지 않음특허에 배려하여

    한정적으로적극적으로 지원하지만 다액의

    자금 부담에는 소극적

    미국 2009년 명기하지 않음특허에 배려하여

    한정적으로적극적으로 지원하지만 다액의

    자금 부담에는 소극적

    경우 이를 CDM 사업으로 인정하여 배출권을 부여해야 할 것인지도 쟁

    점임.

    ◦ 교토의정서 체제에서는 원자력 발전이 “기술적 과제가 불명확 하다”는 이

    유로 배출권 부여 대상에서 제외되어 있음.그러나 중국과 인도는 온실가

    스 삭감효과를 인정하면서 원자력 발전소를 건설할 계획을 가지고 있음.

    ※ 원자력 발전은 1Kw/h당 CO₂배출량이 25g으로 석탄 화력발전의 40분의

    1에 불과함.제4차 IPCC 보고서에도 “안정성에 문제가 있지만 삭감에는

    유효하다”고 일정 부분은 그 효과를 인정하고 있음.다만,핵 확산,원자

    력 발전소 사고 등에 대한 우려가 높아 국가별로 입장이 서로 다른 상황

    임.원자력 발전의 또 다른 문제는 건설비가 비싸다는 점임.그러나 CDM

    사업으로 인정된다면 배출권이 부여되기 때문에 비용부담을 경감시켜 줌.

    ◦ 일본은 배출권을 부여해야 한다는 입장을 제안하였음(발리회의,2007년

    12월 5일 회의 시 주장).2013년 이후에는 개도국에 발전소를 건설하여

    배출권을 획득하려는 의도로 보임.

    -벌채를 줄이는 투자에 배출권 부여

    ◦ COP13에서는 2007년 12월 14일 개발도상국의 벌채를 줄일 수 있도록 하

    는 선진국의 사업에 대해 특례적으로 배출권을 부여하는 데 합의하였음.

    ◦ 개도국에서는 아직도 목재를 연료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음.선진국 기업

    이 개도국의 에너지원을 대체하는 투자를 하여 벌채가 감소할 경우 이에

    따른 이산화탄소 배출삭감에 상당하는 배출권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함.교

    토의정서에서는 식림활동을 하지 않으면서 벌채를 방지하는 사업에는 배

    출권을 부여하지 않도록 하고 있음.

    각국․지역의 주요 주장

  • - 13 -

    EU 2009년선진국은 2020년까지

    30%, 2050년까지 60-80%

    적극적인 지원 필요 적극적으로 지원

    중국 2010년선진국이 2020년까지

    25-40%

    선진국 기술을 값싸게 활용할 수 있는 틀이 필요

    적극적으로 지원을 요구

    개도국

    2009년선진국이 2020년까지

    25-40%

    선진국 기술을 값싸게 활용할 수 있는 틀이 필요

    적극적으로 지원을 요구

    자료:『일본경제신문』 (2007.12.09,3면).

    다.합의내용

    ■ 수치목표

    -“선진국은 2020년까지 1990년 대비 25~40%를 삭감한다”는 의장초안의 문

    구는 삭제되었음.그 대신 ‘IPCC의 제4차 보고서가 제시하는 목표’(의장초

    안 수치목표와 동일한 목표)를 삭감목표로 한다는 데 합의하여 수치목표

    에 관한 한 간접적인 표현에 머물렀음.이는 명시적인 수치목표 삽입을 반

    대하는 미국의 입장과 수치목표를 제시하고자 하는 EU의 입장을 절충한

    것임.

    -이는 수치목표 설정에 반대하는 미국과 일본,이에 대항하여 수치목표 설

    정을 적극 추진한 EU가 타협한 결과로서,포스트 교토체제에 대한 협상을

    더 이상 미룰 수 없다는 양측의 위기감이 그 배경에 있음.

    ◦ 미국은 2008년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있어 구체적인 수치목표가 삽입되

    는 것에 매우 민감하였음.

    ◦ EU는 기후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처하는 것이 정치적으로 유리하며,배출

    권 거래 제도를 이미 도입하였기 때문에 포스트 교토체제를 조속히 성립

    시키는 것이 경제적으로도 유리함.

    ◦ 일본은 선진국의 수치목표 설정에는 반대하면서 개발도상국의 참가를 강

    하게 요구하는 입장임.

    ■ 온실가스 삭감

  • - 14 -

    -개발도상국에 대해서도 “報告․검증 가능한”배출삭감을 요구하는 문구가

    삽입되었는데 이를 둘러싸고 선진국과 개발도상국간 대립이 발생하였음.

    ◦ 결국 개도국의 지속적 발전을 인정하는 동시에 선진국에 의한 기술지원,

    금융,능력개발 등을 고려하면서 적절하고도 보고․검증 가능한 방법으로

    온실가스 삭감을 실시한다고 합의하였음.

    -선진국은 온실가스의 양적 제한․삭감을 포함하여 적절하면서도 보고․검

    증 가능한 방법으로 온실가스 삭감을 실시한다고 합의하였음.

    -선진국의 2012년 이후의 배출삭감에 대해 논의하는 AWG의 작업일정도

    결정되었음.2008년에는 4차례의 특별작업반회의가 개최될 예정이며 이를

    위해 사무국에 관련 정보제공,워크숖 개최,테크니컬 페이퍼 작성 등의

    작업계획이 합의되었음.

    -교토의정서 제9조에 기초한 교토의정서 재검토 의제에 관해서도 논의되었

    음.개발도상국은 선진국 의무사항을 중심으로 한 재검토를 요구하였으나

    선진국은 폭넓은 범위의 재검토를 요구하였음.결국 재검토 대상범위를

    한정하지 않는다는 선에서 합의되었음.

    ■ 협상 참가범위 및 협상시한

    -2008년 봄에 모든 당사국이 참여하는 특별작업반회의를 설치하고 4월까지

    1차 회의를 개최하기로 합의하였음.따라서 개도국을 포함한 모든 당사국

    의 포스트 교토체제 협상이 2008년 이후 본격화될 것임.

    -이 작업반에서 수치목표,국별 삭감의무,개발도상국 지원방법 등이 구체

    적으로 논의될 것이며,협상은 2009년 말 덴마크에서 개최되는 제15차 기

    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에서 완결할 것을 목표로 설정하고 있음.

    ■ 적응,자금 메커니즘

    -선진국이 중심이 되어 자금을 제공하고 개발도상국의 홍수피해 방지 등

  • - 15 -

    사업을 지원하는 제도 강화를 촉구함.CDM 크레디트의 2%를 자금원으로

    하는 「적응기금」(AdaptationFund)에 대해 다음 사항이 합의되었음.

    ㅇ 적응기금 이사회를 설치함.지구환경금융(GEF)을 동 이사회 사무국으로

    설치함.피 신탁기관으로서 세계은행을 잠정적으로 지명하며 3년 후 재평

    가하도록 하였음.

    ㅇ 동 이사회는 COP/MOP가 정한 원칙에 따라 프로젝트의 채택여부를 결정

    할 권한을 가지며 COP/MOP에 매년 업무보고를 함.프로젝트의 실시는

    GEF에서와 같이 국제기관 등이 하며 일정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개발도

    상국 스스로가 직접 실시할 수도 있음.

    ■ 기술개발 및 이전의 촉진

    -선진국이 에너지 절약 등의 기술을 개발도상국에 이전하는 기술이전을 촉

    구함.기술개발 및 이전에 관해서는 다음의 사항이 합의되었음.

    ㅇ 이행부속기구(SBI)하에서 기술이전에 관한 논의를 추진하기로 하였음.

    ㅇ 기술이전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자금이전이 필요하다는 개발도상국의 요

    구에 대응하여 기술이전 촉진을 위한 「StrategicProgram」에 대한 검

    토를 GEF에 요청하였고 제28회 보조기관 회의(2008년 6월)까지 검토할

    것을 합의하였음.

    ■ 삼림

    -교토의정서에는 없는 새로운 삼림보호제도로서 삼림보호기금의 설치에 합

    의하였음.

    ■ 부문별 접근방식

    -미국과 일본이 주장하여 온 부문별 접근방식도 합의문에 포함되었음.부문

    별 접근방식에 대해서는 아직 그 구체적 내용과 범위 등이 합의되어 있지

    않음.다만 기후변화협약 제4조1(c)의 이행,즉 기후변화의 완화에 필요한

  • - 16 -

    기술개발과 보급을 촉진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부문별 접근방식을 활용한

    다고 기술되어 있음.

    ■ 교토 메커니즘

    - 이산화탄소 포집․저장(CCS) 기술의 CDM으로서의 취급에 대해서는

    COP/MOP4에서의 Guidance채택을 위해 향후 1년간 검토를 한다고 합

    의하였음.

    3.평가 및 전망

    가.긍정적 측면

    ■ 첫째,교토의정서에 참여하지 않았던 대량배출국인 미국과,배출삭감의무

    를 지지 않고 있던 중국,인도의 참여를 이끌어냈다는 측면에서 긍정적으

    로 평가할 수 있음.이는 기후변화협약의 기본정신인 ‘공통의 차별화된

    책임’원칙을 최초로 구현하는 합의임.

    -발리 로드맵에서는 포스트 교토체제에 대한 교섭에 선진국은 물론 개발도

    상국 전체가 참여한다는 합의가 도출되었음.이 국가들이 참여하는 실무그

    룹이 설치되고 2008년 4월 이전에 제1차 회의를 개최할 것이 합의되었음.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2004년 중국의 온실가스 배출량(이산화탄

    소 환산)은 연간 48억 톤으로 일본의 4배이며,2007년에는 미국을 추월하

    여 세계 제1위에 올라설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2010년대 중반 경에는 미

    국,중국,인도 3개국이 세계 전체 배출량의 약 절반 정도를 차지할 것으

    로 전망되고 있음.

    ■ 둘째,포스트 교토체제에 대해 협의할 수 있는 국제협상의 기본 틀을 구

    축했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됨.

    -포스트 교토체제에 대한 협의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나 교토의정서

    당사국회의 등에서 산발적으로 이루어져 왔음.

  • - 17 -

    -포스트 교토체제에 대해서는 2005년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개최된 기후변

    화협약 제11차 당사국총회(COP11) 및 제1차 교토의정서 당사국회의

    (COP/MOP1)에서 처음으로 논의가 개시되었음.

    -2006년 케냐 나이로비에서 개최된 제12차 당사국총회(COP12)및 제2차 교

    토의정서 당사국회의(COP/MOP2)에서는 (1)부속서 Ⅰ국의 삭감가능성

    논의(AWG2),(2)기후변화에 대한 적응,기술이전 등 개발도상국 지원책

    논의(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장기적 협력에 관한 대화)가 이루어졌음.

    ■ 셋째,향후 과학적 예측을 기초로 하면서 온실가스 삭감 논의를 추진할

    수 있는 기반을 형성하였다는 점에서 평가될 수 있음.

    -발리 로드맵 합의문에서는 의장초안에 제시된 선진국의 수치목표(2020년

    까지 1990년 대비 25~40% 삭감)가 삭제되었으나 IPCC 제4차 보고서에

    제시된 수치를 목표로 설정할 것이 삽입되었음.

    -IPCC는 보고서에서 향후의 삭감목표에 대해 몇 가지 안을 제시하였는데,

    향후 수치목표 설정에 관한 논의에서는 IPCC의 이러한 과학적 견해가 중

    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됨.

    나.부정적 측면

    ■ 첫째,선진국에 대한 수치목표 설정에 실패하였으며 향후 선진국 간 및

    선진국과 개도국 간의 수치목표 설정을 둘러싼 갈등의 소지를 남겨두었

    음.

    -처음에 의장초안에 제시된 2020년까지 1990년 대비 25~40% 삭감이라는

    수치목표는 미국과 일본의 반대로 삭제되었음.EU,중국,인도 등이 주장

    하였으나 합의에는 이르지 못했음.

    ■ 둘째,개발도상국 지원에 관한 논의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했음.

    -개도국의 참여를 촉진하기 위해 자금지원 및 기술이전을 촉진하도록 하고

    있으나 구체적인 메커니즘에 대한 논의는 향후의 과제로 설정되어 있을

  • - 18 -

    기후변화협약 관련 회의 G8 정상회의

    2005년COP11, COP/MOP1(캐나다): 포스트 교토체제에 대한 논의 시작

    제1회 G20 대화(영국, Gleneagles회의): 주요 20개국, 세계은행, IEA 등 참석

    2006년COP12, COP/MOP2(케냐): 선진국 삭감 가능성, 개발도상국 지원책 등 논의

    제2회 G20 대화(멕시코): 저탄소사회 실현을 위한 에너지 효율 향상

    2007년COP13, COP/MOP3(인도네시아): 포스트 교토체제 협상 로드맵(발리 로드맵) 합의

    제3회 G20 대화(독일)

    2008년 COP14(폴란드): 포스트 교토체제 협상

    제4회 G20 대화(일본): /지속가능개발장관회의(치바) /G8개발장관회의(동경) /G8환경장관회의(고베) /G8에너지장관회의(아오모리)

    2009년 COP15(덴마크): 포스트 교토체제 협상완료 제5회 G20 대화(이탈리아)

    2010~2012년

    COP16각국의 비준절차 시작

    2013년 포스트 교토체제(제2차 공약기간) 출범

    뿐임.

    -이 문제와 관련하여 개도국과 선진국 사이에 의견차이가 많아 향후 대립

    이 발생할 것으로 전망됨.

    다.향후 일정

    ■ 기후변화협약과 관련된 일정으로서는 먼저 2008년에 제14차 당사국총회

    (COP14,2008년 12월,폴란드)가 예정되어 있고 포스트 교토체제에 관한

    본격적인 논의가 시작될 것임.

    ■ G8정상회의는 2008년 7월 일본 홋카이도에서 개최되었으며 기타 지속가

    능개발 장관회의,G8개발장관회의,G8환경장관회의,G8에너지장관회의

    등이 개최되었음.이러한 회의의 논의의 성과는 COP14에 반영될 것임.

    기후변화 국제협상의 일정

    자료:KIEP정성춘 연구위원 작성(’08.6월)

    라.전망

  • - 19 -

    ■ 첫째,그 동안 산발적으로 추진된 포스트 교토체제에 대한 협상이 이제

    본격적으로 추진되기 시작했다는 신호탄으로서 의미를 가지고 있음.

    - G8이나 기후변화협약 하의 장기대화,교토의정서 하의 AWG(Ad hoc

    WorkingGroup)등에서 일부 국가들을 중심으로 산발적으로 논의되던

    것이 개발도상국도 모두 참여하는 본격적인 협상 라운드에 돌입하게 되었

    음.

    ■ 둘째,향후 협상에서 각국은 자국의 이익을 최대화하기 위한 협상전략을

    구사하면서 협상에 임할 것으로 보임.

    -미국은 가능한 한 배출총량에 대한 수치목표 설정을 반대하면서 새로운

    지표를 활용한 목표설정을 주장할 것으로 전망됨.특히 2008년 11월 대통

    령 선거 이후에는 기후변화에 대해 적극적인 정책을 구사할 것으로 보여

    2009년 이후의 협상이 매우 중요한 고비가 될 것으로 전망됨.

    -EU는 기후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것이 정치적으로도 유리하며 동시

    에 EU경제의 국제경쟁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지기 때문에,향후 협상

    에서 주도권 확보를 위해 대단히 적극적인 포스트 교토체제 확립을 주장

    할 것으로 전망됨.EU는 기본적으로 배출총량에 대한 수치목표를 설정하

    고 이러한 지구적 환경규제를 경제적 이익으로 전환하기 위해 노력하는

    전략을 구사할 것임.

    -일본은 산업계,그리고 경제산업성을 중심으로 추가적인 삭감의무에 대해

    매우 부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음.이에 반해 개발도상국에 대한 삭감의

    무 부과에 대해서는 매우 적극적임.기본적으로 일본이 보유한 에너지 절

    약기술을 활용하여 포스트 교토체제하에서 새로운 환경 비즈니스 기회를

    포착하기 위해 노력할 것으로 전망됨.

    -중국,인도 등 개발도상국은 기후변화대책을 강구해야 한다는 기본원칙에

    는 동의하고 있으나 개발도상국에 삭감의무가 부과되는 것에는 강하게 반

    발하고 있음.이들 국가는 경제성장을 우선하고 있고 배출삭감을 위해 선

    진국으로부터 자금과 기술을 최대한 확보하려는 전략을 구사할 것임.

  • - 20 -

    -따라서 포스트 교토체제 협상결과가 EU 주도의 배출총량 수치목표 체제

    로 갈 것인지,아니면 미국과 일본 주도의 부문별 접근방식이나 기술 중시

    체제로 갈 것인지는 아직 알 수 없음.다만 중국,인도 등 대량배출 개발

    도상국의 동향이 포스트 교토체제의 성격을 결정지을 것으로 전망됨.

  • - 21 -

    제3장.특별작업반회의에서의 주요 논의 내용

    1.개요

    가.제1차 특별작업반회의

    ■ 일정 및 관련 특별작업반

    -2007년 12월 발리회의의 결정에 의거하여 2008년 3월 31일부터 4월 4일에

    걸쳐 태국의 방콕에서 기후변화협약 작업반회의가 개최되었음.

    ㅇ 회의에는 약 160여 개국 1,100여명의 대표가 참석하였음.

    -관련된 작업반회의는 다음과 같음.

    ㅇ 장기협력행동특별작업반 회의(AWG-LCA,AdHocWorking Groupon

    Long-Term CooperativeActionundertheConvention):발리로드맵에

    의거하여 제1차 회의 개최

    ㅇ 선진국추가감축특별작업반 회의(AWG-KP,AdHocWorkingGroupon

    FurtherCommitmentsforAnnexⅠ PartiesundertheKyotoProtocol:

    제5차 회의의 제1부 회의 개최

    ■ 작업계획의 작성

    -AWG-LCA에서는 2009년 말 COP15(코펜하겐)에서의 포스트 교토체제 합

    의를 목표로 한 협상의 작업계획(WorkProgramme)을 작성하였음.

    ㅇ UNFCCC의 사무총장 YvodeBoer는 개막연설에서 다음과 같이 촉구하

    였음.

    ㅇ “Over the next five days, this first meeting of the AWG-LCA needs to clearly map

    out how to structure its work. According to the Bali Road Map, the AWG-LCA

    needs to establish a clear work programme in a coherent and integrated manner.

    This requires careful thinking to effectively address all issues in a balanced way.”

  • - 22 -

    ㅇ 또한 사무총장은 작업계획의 유효성을 높이기 위해 2007년 회의에서 다

    음과 같은 사항을 확인할 필요가 있음을 지적하였음.

    ㅇ “The effectiveness of the AWG-LCA’s work programme might be further

    augmented, if this meeting were to:

    o identify the issues that need further clarification;

    o identify topics that require additional workshops;

    o identify what input and support you need from your secretariat;

    o identify clearly how the process can be informed by outputs from relevant

    intergovernmental processes as well as insights from the business and

    research communities and civil society.

    ㅇ 2007년 회의는 특정한 협상 이슈에 대한 구체적 협상의 개시가 아니라

    협상의제,협상일정 등 협상 프로세스에 대한 논의가 핵심을 이루고 있

    음.

    나.제2차 특별작업반회의

    ■ 일정

    -2008년 6월 2일부터 12일까지 독일 본에서 개최되었음.

    -이 회의에는 171개 당사국 정부대표와 관련 국제기구 대표 등 약 2천 여

    명이 참가하였음.

    ■ 주요 논의내용

    AWG-LCA에서의 논의

    -'08-'09년도 AWG-LCA의 협상 일정이 추가적으로 확정되었음(‘08-’09년간

    각각 4회 개최).

  • - 23 -

    향후의 작업계획

    연도 회 의 명 기간 및 장소 비 고

    '08년

    (4회)

    제1차 AWG-LCA ‘08.3.31-4.4,

    태국 방콕

    -Post-2012작업계획 마련(‘08

    년 3회,’09년 4회 회의개최)제5차 AWG-KP(Part1)

    제2차 AWG-LCA

    ‘08.6.2-6.12,

    독일 본

    -‘09년 회의일정 조정

    (3-4월,6월,8-9월,12월 등)

    -회의별 의제안 확정

    ․공유비전,감축,적응,기술,

    재정 등 5개 분야(LCA)

    ․메카니즘,LULUCF등(KP)

    제5차 AWG-KP(Part2)

    제3차 AWG-LCA ‘08.8.1-8.27,

    가나 아크라-문안협상 착수

    제6차 AWG-KP(Part1)

    제4차 AWG-LCA ‘08.12.1-12.12,

    폴란드 포즈난

    -문안협상(계속)

    (제14차 당사국총회)제6차 AWG-KP(Part2)

    '09년

    (4회)

    제5차 AWG-LCA‘09.3-4월(장소미정)-문안협상(계속)

    제7차 AWG-KP(Part1)제6차 AWG-LCA

    ‘09.6월(장소미정)-문안협상(계속)제7차 AWG-KP(Part2)제7차 AWG-LCA

    ‘09.8-9월(장소미정)-문안협상(계속)제8차 AWG-KP(Part1)제8차 AWG-LCA ‘09.12월

    덴마크 코펜하겐

    -문안협상 완료

    (제15차 당사국총회)제8차 AWG-KP(Part2)

    자료:환경부

    -장기협력행동(Long-term CooperativeAction)협상문안 준비

    ㅇ 발리행동계획상의 5개 핵심요소(공유비전,감축,적응,기술,재정)에 대

    한 당사국의 구체적 문안을 사무국이 취합․제시키로 결정

    ※사무국으로 하여금 회의개최 1주전까지 당사국 의견을 취합․제출토록 함

    ㅇ 제출된 당사국들의 의견을 토대로 차기 회의부터 본격적인 LCA 문안협

    상 착수 계획

    -사무국으로 하여금 3가지 Technicalpaper(농업분야 감축,메카니즘,재정)및

    1가지 Informationnote(유엔기구의 적응지원 활동)를 준비토록 함

  • - 24 -

    -제14차 당사국총회 개최지(폴란드 포즈난)의 숙박 문제,12.1-12일간의 회의

    기간이 이슬람 축제기간(Eidal-Adha)과 중복되는 문제,‘09년도 개최지 문

    제 등을 사무국 및 의장단이 협의해 나가기로 함

    AWG-KP(부속서1당사국의 추가감축 특별작업반)에서의 논의

    -선진국→개도국간 CDM 사업(Bi-CDM)만 인정여부,개도국 감축행동(NAMA)

    에 대한 Credit부여여부 등 교토메카니즘(CDM,JI,ETS)개선을 위한

    협상주제를 열거하고,차기회의부터 본격 논의 계획

    ※ NAMA :NationallyAppropriateMitigationActions(정래권 기후변화

    대사가 제안한 내용으로,개도국의 NAMA 조치에 대한 인센티브 부여

    주장)

    ㅇ 향후, 메카니즘의 적용범위,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기여, 공통이익

    (Co-benefits),기술이전 효과 등을 토대로 검토 진행예정

    -흡수원의 경우,REDD활동에 대한 인센티브 부여(개도국),습지,농업 등

    으로 흡수원 인정범위 확대(선진국)를 향후 협의과제로 발굴

    ※REDD:ReducingEmissionsfrom DeforestationandDegradation

    -부문별 접근(SectoralApproach)을 선진국의 의무이행에 국한하자는 개도

    국(G77)과,이를 확대적용하려는 선진국(EU,일본 등)간 이견 노출

    ※ 국제협력관이Rapporteur로서회의결과보고및 보고서채택권고,이견없이채택됨

    2.주요 이슈별 입장

    ■ 장기비전(sharedvision)

    - EU는 “산업혁명 이전 수준으로부터 2℃ 이내로 기온상승을 억제한다.

  • - 25 -

    2020년까지 선진국은 30%,2050년까지 세계 전체 배출을 반감 이하로”한

    다는 목표를 제시하였음.

    -일본은 “향후 10~15년에 세계 전체 배출량을 감소세로 전환시키고 2050

    년까지 반감 이하”로 한다는 목표를 제시하였음.

    -미국은 세계 전체의 감축목표를 지지하지만 구체적인 수치목표를 제시하

    지 않았음.

    -중국이나 브라질 등 주요 개발도상국은 공유된 비전을 장기 수치목표에

    한정하지 말아야 하며 오히려 기후변화협상에 나타나 있는 궁극적 목표나

    원칙 특히 공통되지만 차이 있는 책임원칙이야말로 공유된 비전이라고 주

    장하였음.

    -브라질은 산업혁명 이후의 배출량을 기초로 한 “역사적 책임”(historical

    responsibility)을 주장하였음.

    ■ 감축

    -선진국은 선진국의 감축과 개도국의 감축을 동시에 논의하고 개도국에도

    응분의 감축노력을 요구하였음.다만 각국의 경제적 상황을 고려하여 개도

    국의 차별성도 인정하는 분위기였음.그러면서 개도국의 감축잠재력이 어

    느 정도인지에 대해 먼저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

    -개도국은 다양한 의견을 표출하였음.

    ㅇ 중국,브라질 등은 발리행동계획에 나타나 있는 개도국에 대한 측정․보

    고․검증(MRV,MeasurableReportableVerifiable)조건은 선진국의 그

    것과 서로 다르다고 주장하였음.즉 개도국의 MRV 조건은 각국이 스스

    로 정한 방법으로 MRV하다면 족하다고 주장.

    ㅇ 선진국 노력의 comparability확보에 대해서 개도국은 그 의미를 분명히

    할 것을 주장.여기에는 교토의정서에 비준하지 않은 미국도 다른 선진국

    들과 동등한 의무를 져야 한다는 것을 개도국이 요구하고 있음을 시사.

  • - 26 -

    ■ 적응

    -선진국측은 취약성 평가,리스크 평가,협약 하에서 이미 실시되고 있는

    조치의 강화 등 먼저 정보분석작업을 강조.개도국 중에서도 소도서국,최

    빈국에 대한 중점지원을 강조하면서 G77+중국이라는 개도국 그룹을 분열

    시키려는 시도.

    -개도국은 협약 하에 새로운 기금을 설치하고 이 기금은 적응 지원에 중점

    적으로 사용할 것을 제안.적응지원을 위한 소규모 기금이 난립해 있고 이

    들 기금은 선진국의 영향력 하에 있는 지구환경금융(GEF)이 관리하고 있

    기 때문임.개도국은 협약 하에 대규모 기금을 설립하고 이를 개도국 영향

    력 하에서 운영하고 싶다는 의도가 있음.

    ■ 기술

    -선진국측은 기술이전은 민간활동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며 정부는 이전

    을 촉진하기 위한 환경(enablingenvironment)을 구축 하는 것이라는 입

    장.

    ㅇ 일본은 부문별 접근방식이 기술이전에 유효하다고 주장

    ㅇ 유럽은 탄소시장이 기술이전에 유효하다고 주장

    ㅇ 미국은 온난화 방지에 유효한 기술에의 관세 및 비관세 장벽 철폐 주장

    -개도국측은 UNFCCC하에서 논의되는 기술이전이란 협약 제4조 5항에서

    정한 선진국의 약속의 일환으로서 추진되어야 하는 것이라고 주장

    ㅇ 협약 제4조 5항에서는 선진국에 의한 개도국에 대한 기술이전의 촉진 및

    자금공여가 명기되어 있음.

    ㅇ 중국과 인도는 지식재산권이 기술이전에 방해가 된다고 주장.따라서 기

    술이전기금을 설립하고 이를 통해 지식재산권을 구입하여 이를 개도국에

  • - 27 -

    우대조건 혹은 무상으로 이전하는 방안을 제안.

    ※ G77+중국:선진국에 대항하는 UNFCCC 하에서의 하나의 교섭 그룹.

    1960년대 선진국 주도의 무역체제인 GATT(GeneralAgreementon

    Tariffs and Trade)에 대항하기 위해 개도국은 UN 산하에

    UNCTAD(UnitedNationsConferenceonTradeandDevelopment)를 설

    립.G77은 이 때 형성된 그룹.이 시기 중남미 경제학자들은 개도국이

    발전하지 못하는 이유는 구조적인 원인에 기인한다는 이론(이른바 종속

    이론)을 주장.이는 G77의 사상적 배경을 형성하였고 현재에도 그 영향

    이 남아 있는 것으로 추정.이러한 배경이 선진국 대 개도국 대립의 중

    요한 요인으로 작용.

    ■ 원조․자금이전

    -선진국측은 기존의 ODA나 세계은행 등 국제금융기관의 활용을 주장.유

    럽은 탄소시장의 역할을 강조.

    -개도국측은 협약 하에 새로운 기금의 설치를 주장.GEF가 아니라 의정서

    하에 설치된 적응기금에서는 개도국의 대표성이 높아 이러한 방식의 채용

    을 강조.

    ㅇ 개도국은 오존층 보호를 위한 몬트리올 의정서 하의 개도국 지원 다국간

    기금을 모델로 해야 한다고 주장.

  • - 28 -

    온실

    가스1990 1995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CO2 5,017.5 5,343.4 5,703.1 5,890.5 5,808.3 5,875.9 5,940.4 6,019.9 6,045.0 5,934.4

    메탄 708.4 675.9 615.8 608.0 593.9 598.6 603.4 605.9 607.3 605.1

    N2O 333.7 357.1 346.3 341.9 336.6 332.5 331.7 358.3 368.0 378.6

    기타 87.1 94.9 133.9 138.0 128.6 137.8 136.6 149.4 161.2 157.6

    합계 6,146.7 6,471.2 6,799.1 6,978.4 6,865.4 6,944.9 7,012.4 7,133.5 7,181.4 7,075.6

    제4장.주요 선진국의 기후변화대책과 포스트 교토체제 협상전략

    1.미국

    가.정책여건 및 정책방향

    (1)배출현황 및 산업적 여건

    ■ 배출현황

    -기준년(1990년)총배출량은 약 61억 5천만 톤(CO2환산)이었음.

    ㅇ 이 중 CO2가 약 50억 톤,메탄이 약 7억 톤,N2O가 약 3억 톤,기타 온

    실가스가 약 9천만 톤을 차지하고 있어 CO2와 메탄이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한편 2006년의 온실가스 총배출량은 70억 8천만 톤이었음.

    ㅇ 이 중 에너지 기원 CO2가 약 58억 톤으로 전체의 82.3%를 차지하고 있

    으며 기타 CO2가 1.5%,메탄이 8.6%,N2O가 5.4%,기타가 2.2%를 차지

    하고 있음.

    미국의 온실가스 배출추이

    (단위:CO2환산 백만 톤)

    자료:EnergyInformationAdministration

  • - 29 -

    1990 2005 2006

    배출량 6,146.7 7,181.4 7,075.6

    1990년 대비 증감(율) -1,034.7

    16.8%

    928.9

    15.1%

    연평균 증가율 - 1.0% 0.9%

    2005년 대비 증감(율) - --105.8

    -1.5%

    온실가스 배출현황(2006)

    Figure 1. U.S. Greenhouse Gas Emissions by Gas, 2006

    Energy-RelatedCarbon Dioxide

    5,825.5(82.3%)

    High-GWPGases157.6

    (2.2%)

    Nitrous Oxide378.6(5.4%)

    methane

    605.1(8.6%)

    Other CarbonDioxide 108.8

    (1.5%)

    자료:EnergyInformationAdministration

    -1990년을 기준으로 볼 때 미국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매년 평균 약 0.9%씩

    증가하여 왔음.

    ㅇ 그리하여 2006년에는 1990년에 비해 약 10억 톤 가까이 배출량이 증가하

    였음.이는 1990년에 비해 15.1%나 배출량이 증가한 수준임.

    미국의 온실가스 배출변화

    (단위:CO2환산,백만 톤)

    자료:EnergyInformationAdministration

    -미국의 GDP당 온실가스 배출량(배출집약도)과 GDP당 에너지 사용량

    (에너지 집약도)은 지속적으로 하락해 왔음.

  • - 30 -

    1990 1995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P2006

    Gross Domestic

    Product(billion

    2000 dollar)

    7,112.5 8,031.7 9,470.3 9,817.0 9,890.7 10,048.8 10,301.0 10,675.8 11,003.4 11,319.4

    Greenhouse Gas

    Emissions(million

    CO2 ton)

    6,146.7 6,471.2 6,799.1 6,978.4 6,885.4 6,944.9 7,133.5 7,133.5 7,181.4 7,075.6

    Greenhouse Gas

    Intensity(million

    CO2 ton/million

    2000 dollar

    884.2 805.7 717.9 710.8 694.1 691.1 680.8 668.2 652.7 625.1

    Change From Previous Year(Percent)

    Gross Domestic

    Product- 2.5 4.4 3.7 0.8 1.6 2.5 3.6 3.1 2.9

    Greenhouse Gas

    Emissions- 0.6 0.8 2.6 -1.6 1.2 1.0 1.7 0.7 -1.5

    Greenhouse Gas

    Intensity- -1.9 -3.5 -1.0 -2.4 -0.4 -1.5 -1.8 -2.3 -4.2

    Change From2002(Percent)

    Cumulative - - - - - - -1.5 -3.3 -5.6 -9.8

    Annual Average - - - - - - -1.5 -1.7 -1.9 -2.5

    ㅇ 1990년(=100)을 기준으로 볼 때 배출집약도와 에너지집약도는 모두 2006

    년 약 75까지 하락하였음.

    ㅇ 1990년에 비해 경제의 에너지 효율이 약 25% 정도 개선된 것으로 평가할

    수 있음.

    ㅇ 부시 행정부는 2002년부터 2012년까지 10년 동안 배출집약도를 18% 개선

    한다는 목표를 설정하고 있음.2006년까지 누계로 약 9.6%를 개선하였음.

    이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연평균 2%를 약간 밑도는 정도의 효율개선이

    필요함.

    미국의 온실가스 배출집약도 추이

    자료:EnergyInformationAdministration

  • - 31 -

    Distribution of Total U.S. Greenhouse Gas Emissions by End-Use Sector,2006

    Greenhouse Gas and SourceSector

    Residential Commercial Industrial Transportation Total

    Carbon Dioxide Milion Metric Tons Carbon Dioxide Equivalent

    Energy-Related(adjusted) 1,216.8 1,056.1 1,668.0 1,884.7 5,825.5

    Industrial Processes - - 108.8 - 108.8

    Total CO2 1,216.8 1,056.1 1,776.8 1,884.7 5,934.4

    Methane Energy

    Coal Mining - - 64.7 - 64.7

    Natural Gas Systems - - 150.8 - 150.8

    Petroleum Systems - - 21.1 - 21.1

    Stationary Combustion 8.1 0.1 0.5 - 8.8

    Staionary Combustion: Electricity 0.1 0.1 0.1 - 0.3

    Mobile Sources - - - 4.8 4.8

    Waste Management

    Landfills - 146.7 - - 146.7

    Domestic Wastewater Treatment - 15.9 - - 15.9

    Industrial Wastewater Treatment - - 8.5 - 8.5

    Industrial Processes - - 2.4 - 2.4

    Agicultural Sources

    Enteric Fermentation - - 114.6 - 114.6

    Animal Waste - - 56.2 - 56.2

    Rice Cultivation - - 9.1 - 9.1

    Crop Residue Buming - - 1.2 - 1.2

    Total Methane 8.2 162.9 429.2 4.8 605.1

    Nitrous Oxide Agriculture

    Nitrogen Fertilization of soils - - 226.7 - 226.7

    solid Waste of Animals - - 61.7 - 61.7

    Crop Residue Buming - - 0.6 - 0.6

    Energy Use

    Mobile Combustion - - - 54.8 54.8

    stionary Combustion 0.8 0.3 4.5 - 5.6

    배출집약도 및 에너지 집약도 추이

    Figure2. Intensity Ratios: Carbon/Energy, Energy/GDP, and Carbon/GDP, 1980-2006

    50

    75

    100

    125

    150

    1980 1982 1984 1986 1988 1990 1992 1994 1996 1998 2000 2002 2004 2006

    Carbon/GDP

    Energy/GDP

    Carbon/Energy

    자료:EnergyInformationAdministration

    부문별 온실가스 배출현황

  • - 32 -

    stionary Combustion: Electricity 3.3 3.2 2.5 - 9.0

    Industrial Sources - - 13.8 - 13.8

    Waste Management

    Human Sewage in Wastewater - 5.9 - - 5.9

    Waste Combustion - - - - 0.0

    Waste Combustion: Electricity 0.1 0.1 0.1 - 0.4

    Total Nitrous Oxide 4.3 9.6 309.9 54.8 378.6

    Hydrofluorocarbons(HFCs)

    HFC-23 - - 14.5 - 14.5

    HFC-32 - 0.4 - - 0.4

    HFC-125 - 22.1 - - 22.1

    HFC-134a - - - 66.1 66.1

    HFC-143a - 23.0 - - 23.0

    HFC-236fa - 2.9 - - 2.9

    Total HFCs 0.0 48.4 14.5 66.1 129.0

    Perfluorocarbons(PFCs)

    CF4 - - 2.9 - 2.9

    C2F6 - - 3.4 - 3.4

    NF3C3Fc and C2F3 - - 0.6 - 0.6

    Total PFCs 0.0 0.0 6.9 0.0 6.9

    Other HFCs,PFCs/PFCs/PFPEs - 6.1 - - 6.1

    Sulfur Hexaflueride(SF3)

    SF3:Utility 4.5 4.3 3.3 - 12.2

    SF3:Other - - 3.4 - 3.4

    Total SF8 4.5 4.3 6.7 0.0 15.5

    Total Non- CO2 17.1 231.3 767.2 125.6 1,141.2

    Total Emissions 1,233.8 1,287.4 2,544.0 2.0. 7,075.6

    자료:EnergyInformationAdministration

    ■ 배출전망

    -EnergyInformationAdministration(EIA)은 미국의 에너지 기원 CO2배출

    량이 2030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