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6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Vol. 54, No. 1, pp. 249~294, 2015. 발달재활서비스 대상자 선정 진단평가 검사도구 활용방안 진 미 영 * 강 정 배 ** < 요 약 > 이 연구는 발달재활서비스 대상자 선정을 위한 진단평가 과정에서 활용될 수 있는 진단 평가 검사도구들의 정보를 제공하여 전문가들이 검사도구 선택의 혼선을 줄이고 객관적으로 장애아동이 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평가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자 검사도구의 일반적인 정보 제공과 동시에 활용방안에서 논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 조사한 검사도구는 총 218개로 인지, 신체발달, 감각운동, 적응행동, 정서 심리, 학습, 의사소통, 장애특성의 8개 영역으로 분류하여 검사도구를 정리하였으며 구체적 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국외 편을 그대로 번안하여 사용하는 검사도구는 105개로 국내 실정에 맞추어 개발되거나 표준화하지 않은 검사도구가 많았으며, 영역별 하위영역을 평가하 거나 측정하는 검사도구의 수가 부족한 경우도 있었다. 또한 국외에서 개발된 검사도구를 국내 에서 표준화하여 개발한 년도가 많게는 30년 이상 차이가 나고 있었고 최신 버전의 검사도구 가 부재한 경우가 많았다. 그리고 국내에서 표준화를 실시하였다고 하더라고 어떤 검사도구의 표준화 지역이 1곳 이였던지 표준화 인원수가 500명 미만을 대상으로 표준화를 했다던지, 각기 다른 기준으로 두고 실시를 하고 있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검사도구의 활용 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핵심어 : 발달재활서비스, 진단평가, 검사도구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연구원 Researcher, Institute of Special Education and Rehabilitation Science, Daegu University ** 대구대학교 연구교수(교신저자 : [email protected]) Research Professor, Daegu University

발달재활서비스 대상자 선정 진단 ㆍ평가 검사도구 활용방안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3-%C1%F8%B9%CC%BF%B5,%B0… · 표준화 지역이 1곳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발달재활서비스 대상자 선정 진단 ㆍ평가 검사도구 활용방안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3-%C1%F8%B9%CC%BF%B5,%B0… · 표준화 지역이 1곳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Vol. 54, No. 1, pp. 249~294, 2015.

발달재활서비스 대상자 선정 진단ㆍ평가 검사도구

활용방안

진 미 영* ㆍ 강 정 배**

< 요 약 >

이 연구는 발달재활서비스 대상자 선정을 위한 진단ㆍ평가 과정에서 활용될 수 있는 진단

ㆍ평가 검사도구들의 정보를 제공하여 전문가들이 검사도구 선택의 혼선을 줄이고 객관적으로

장애아동이 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평가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자 검사도구의 일반적인 정보

제공과 동시에 활용방안에서 논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 조사한 검사도구는 총 218개로 인지, 신체발달, 감각ㆍ운동, 적응ㆍ행동, 정서

ㆍ심리, 학습, 의사소통, 장애특성의 8개 영역으로 분류하여 검사도구를 정리하였으며 구체적

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국외 편을 그대로 번안하여 사용하는 검사도구는 105개로 국내

실정에 맞추어 개발되거나 표준화하지 않은 검사도구가 많았으며, 영역별 하위영역을 평가하

거나 측정하는 검사도구의 수가 부족한 경우도 있었다. 또한 국외에서 개발된 검사도구를 국내

에서 표준화하여 개발한 년도가 많게는 30년 이상 차이가 나고 있었고 최신 버전의 검사도구

가 부재한 경우가 많았다. 그리고 국내에서 표준화를 실시하였다고 하더라고 어떤 검사도구의

표준화 지역이 1곳 이였던지 표준화 인원수가 500명 미만을 대상으로 표준화를 했다던지,

각기 다른 기준으로 두고 실시를 하고 있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검사도구의 활용

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핵심어 : 발달재활서비스, 진단ㆍ평가, 검사도구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연구원

Researcher, Institute of Special Education and Rehabilitation Science, Daegu University

** 대구대학교 연구교수(교신저자 : [email protected])

Research Professor, Daegu University

Page 2: 발달재활서비스 대상자 선정 진단 ㆍ평가 검사도구 활용방안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3-%C1%F8%B9%CC%BF%B5,%B0… · 표준화 지역이 1곳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4권 제1호)250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발달재활서비스는 2007년 보건복지부의 4대 바우처 사업 중 ‘지역사회서비스 혁신사업’의 일환으로 시작 된 ‘장애아동 재활치료’가 기조이며, 2011년 「장애아동복지지원법」 제

정으로 법적 근거를 갖게 된 사회서비스를 말한다. 이 서비스의 목적은 만 18세 미만의

시각ㆍ청각ㆍ언어ㆍ지적ㆍ자폐ㆍ뇌병변 장애아동의 인지, 의사소통, 적응행동, 감각ㆍ운동

등의 기능향상과 행동 발달을 위한 것으로 서비스 내용은 언어ㆍ청능, 미술, 음악, 행동,

놀이, 심리운동, 재활심리, 감각ㆍ운동 등이 있다(2014년 장애아동 가족지원 사업안내,

2014; 사회서비스, 2015). 발달재활서비스를 지원받기 위한 전제조건은 장애로 등록되어

있거나 의사의 진단이 있어야 하는데 이 때 가장 중요한 것은 진단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U.S. Ministry Eeucation, 2015, 1.5.). 그 이유는 장애유형을 구분하는 것과(Andresen,

2000) ‘장애’라는 특성 상 다른 복지서비스의 대상자와 달리 모든 활동에 제약이 뒤따르

기 때문에 비교적 구체적인 개개인의 개인별지원계획 수립이 필요하기 때문이다(장애아동

복지지원법, 2012).

현재, 발달재활서비스 이용자 현황은 2013년 기준 약 4만 2천여 명(서하나, 2013, 1)

2014년 기준 약 4만 6천여 명(한국장애인개발원, 2014)으로 1년 사이 4천여 명 정도

증가하였다. 이러한 증가는 발달재활서비스의 이용 욕구가 증가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하지만 최종적으로 선정되는 발달재활서비스 대상자는 장애유형, 장애정도 그리고 그 가족

의 소득기준 등이 고려되어야만 하고, 총 6개의 장애유형(시각ㆍ청각ㆍ언어ㆍ지적ㆍ자폐

ㆍ뇌병변)으로 등록된 아동의 경우 또는 만 6세 미만의 아동이 의료기관의 전문가 즉, 의사

의 진단에 의해서 서비스가 필요하다고 했을 경우 대상자(2014년 장애아동 가족지원 사업

안내, 2014; 장애아동복지지원법, 2012)로 인정되기 때문에 발달재활서비스가 필요한 장애

아동에게 제공되지 못함으로써 그들의 복지적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2014년 7월 기준 발달재활서비스 대상자 75,340명 중 실제 이용자는 46,979명으로

전체의 37.6%에 해당하는 대상자가 서비스를 제공받지 못하고 있다. 이렇게 발달재활서

비스 이용자로 선정되지 못한 28,361명이 발생하는 이유는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발달

재활대상자 선정 기준이 가장 크며(김하정, 2014, 최복천, 2013) 또 다른 이유는 발달재

활서비스 대상자 선정을 위해 진행되는 진단ㆍ평가 과정에서 사용되는 검사도구에 대한

지침 또는 정보가 따로 없다는 것과 현재 장애인으로 등록되는 장애유형에 맞추어 진단ㆍ

Page 3: 발달재활서비스 대상자 선정 진단 ㆍ평가 검사도구 활용방안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3-%C1%F8%B9%CC%BF%B5,%B0… · 표준화 지역이 1곳

발달재활서비스 대상자 선정 진단ㆍ평가 검사도구 활용방안 251

평가를 실시하는 것을 들 수 있다(구성민, 2008).

우선 진단ㆍ평가 선정 과정에서 사용되는 검사도구에 대한 활용지침이 따로 없다보니

진단ㆍ평가 전문가(특수교사, 임상심리사 등)는 어떤 검사도구를 사용하냐에 따라 장애명

칭뿐만 아니라 진단결과가 서로 다르게 나타나고(김하정, 2014), 한국의 문화적ㆍ사회적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국외에서 개발한 검사도구를 그대로 번안하여 사용하므로 장애아동

이 발달 상 필요한 서비스를 조기에 발견하지 못하고 적시적기에 지원하지 못하여 생기는

문제점들이 나타나고 있다(김하정, 2014; 우정한, 김지원, 2005; 하정주, 2003). 그리고

장애유형에만 맞춘 검사도구를 사용하여 진단ㆍ평가를 실시하다보니 현재 지원받고 있는

서비스의 만족스러움 보다는 다른 서비스를 지원받고 싶어 하는 욕구도 나타나고 있다. 가령,

언어와 의사소통의 어려움을 보이는 장애자녀를 둔 부모 대부분은 장애유형의 특성 상 언어

치료서비스를 지원받고 있지만 실질적으로 희망하는 치료서비스는 심리행동치료, 놀이치료

등으로, 장애유형별로 문제가 되는 치료서비스 보다는 현재 자녀의 연령, 발달 상 겪게 되

는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치료서비스를 지원 받기를 원하고 있는 상황이다(김수진,

2008). 즉, 장애유형의 특성 상 발생될만한 소지가 있는 문제에 대한 지원 보다는 자녀의

연령, 발달을 고려한 치료서비스를 지원 받길 원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완화하고자 발달재활서비스와 유사한 성격인 특수교육 관련 서비스를

운영하는 교육부에서는 치료서비스를 제공할 대상자의 선정과정에서 객관성을 확보하고자

2009년 국립특수교육원에서는 지속적인 연구와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특수

교육대상아동 선별ㆍ진단검사 지침’을 마련하였다(국립특수교육원, 2009). 이 지침서의 내용

을 살펴보면, 장애유형별 진단에 필요한 검사도구의 종류, 제작년도, 사용목적, 검사결과

해석 등을 제시함으로써 진단ㆍ평가 전문가들이 검사도구를 선택하는 과정상 발생하는 혼선

을 줄여주고 일관된 진단결과를 낼 수 있도록 도와주고 있다. 하지만 장애아동 개개인에게

꼭 필요한 서비스를 적절하게 제공하고 있는지는 의문이다. 왜냐하면 청각장애아동의 경우,

청능검사 위주로 진단ㆍ평가 검사를 실시하고 있어서 정서ㆍ행동적으로 문제를 조기에 파악

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장애유형에 맞춘 진단ㆍ평가 검사도구의 활용이 아닌 장애아동이

제약을 받게 되는 정서, 인지, 학습, 언어 등(박인하, 조민숙, 백현옥, 2009) 장애아동의

기능향상과 행동발달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발달 상 필요한 영역을 조기에 파악하기 위

해서는 특수교육에서 마련한 ‘특수교육대상아동 선별ㆍ진단검사 지침’안내와 같이 진단ㆍ평가 검사도구들의 정보를 제공하여 전문가들이 검사도구 선택의 혼선을 줄이고 객관적으

로 장애아동이 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평가할 수 있도록 도와 줄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연구자는 이 연구에서 국내ㆍ외에서 제작된 검사도구 중 국내에서 판매하고 있거나 현재

한국 실정에 맞추어 개발된 후 진단ㆍ평가 실시기관, 연구보고서 또는 논문 등에서 사용

Page 4: 발달재활서비스 대상자 선정 진단 ㆍ평가 검사도구 활용방안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3-%C1%F8%B9%CC%BF%B5,%B0… · 표준화 지역이 1곳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4권 제1호)252

되고 있는 검사도구들을 바탕으로 검사도구의 명칭, 제작년도, 사용목적 등의 내용을 정리

하여 일반적인 정보를 제시하고 국내 실정에 맞추어진 표준화된 검사도구의 유무를 확인

하여 좀 더 객관적이고 신뢰로운 검사도구의 활용을 권장하고자 한다. 그리고 더불어 장애

유형별로 진단ㆍ평가 검사도구를 사용할 경우 나타나는 문제점들을 완화하기 위한 검사도구

의 활용방안에 대해서 제안하고자 한다.

2. 연구 목적

첫 째, 국내 실정에 맞추어 개발된 후 진단ㆍ평가 실시기관, 연구보고서 또는 논문 등에서

사용되고 있는 검사도구의 일반적 정보를 통해 영역별 분류, 개발정보, 표준화정보

를 알아보고자 한다.

둘 째, 국내 실정에 맞추어 개발된 후 진단ㆍ평가 실시기관, 연구보고서 또는 논문 등에서

사용되고 있는 검사도구의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발달재활서비스 대상자 선정을

위한 검사도구의 활용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Ⅱ. 연구 방법

이 연구에서는 국내ㆍ외에서 개발된 검사도구 중 국내에서 판매하고 있거나 현재 한국

실정에 맞추어 개발된 후 진단ㆍ평가 실시기관, 연구보고서 또는 논문 등에서 사용하고

있는 검사도구들을 조사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검사도구 수집방법

이 연구에서 조사한 진단ㆍ평가 검사도구의 자료수집 기간은 2014년 9월부터 2014년

1월까지로 3번의 과정을 거쳐 검사도구 종류를 수집하였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다음과 같다. 그리고 검사도구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사용한 자료출처는

<표 2-1>과 같다.

첫 번째, 특수한 교육적 요구가 있는 장애아동에게 적절한 교육과 치료지원 등을 제공

하기 위해 실시하고 있는 특수교육의 진단ㆍ평가 과정(국립특수교육원, 2009)상에서 사

용되고 있는 검사도구를 알아보고자 2011년 5월부터 2013년 12월까지 각 시ㆍ군ㆍ구의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특수교육지원센터 지원 사이트에 등록한 진단ㆍ평가 검사도구 보유

Page 5: 발달재활서비스 대상자 선정 진단 ㆍ평가 검사도구 활용방안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3-%C1%F8%B9%CC%BF%B5,%B0… · 표준화 지역이 1곳

발달재활서비스 대상자 선정 진단ㆍ평가 검사도구 활용방안 253

현황에 제시된 검사도구(특수교육지원센터 지원 사이트, 2014.9.24.) 90여개의 종류를 수

집하였다.

두 번째, 2009년 보건복지부와 교육부에서 15만 명의 아동ㆍ청소년을 대상으로 하고

있는 정신보건 사업차원에서 실시하고 있는(윤주애, 2009, 4; 한국정책방송, 2011, 2) 정신

건강 사업의 아동ㆍ청소년 심층사정평가 검사도구(보건복지부, 2014) 10여개의 종류를

수집하였다.

세 번째, 국내 출판 된 심리검사, 진단검사, 진단ㆍ평가 관련 서적과 연구보고서 등에

제시된 검사도구(강문희, 박경, 정옥환, 2012; 서경희, 윤점용, 윤치연, 이상복, 이상훈, 이

효신, 2002; 육진숙, 변은미, 유승복, 김흥수, 2012; 충청남도교육청, 2012; 한국심리학회

심리검사심의위원회, 2011; Radomski & Latham, 2008/2009 Pierangelo & Giuliani,

1998/2006) 130여개의 종류를 수집하였다.

<표 2-1> 검사도구 종류 자료 출처

검사도구 종류 수집자료 출처 자료 관리 또는 출판부

‘특수교육대상아동 선별ㆍ진단검사 지침’ 국립특수교육원

‘2009 특수교육장학자료의 특수교육지원센터 운영 메뉴얼’ 국립특수교육원

특수교육지원센터 진단ㆍ평가의 기타 게시물 특수교육지원센터 지원 사이트

2014년 정신건강 사업 보건복지부

충남교육복지우선지원 사업 심리검사 편람 교육부

(개정판) 아동심리검사 (주)교문사 출판사

발달장애의 진단과 평가 대구대학교 출판사

연구자를 위한 최신심리척도북

특수교육 종사자를 위한 가이드 109가지 진단검사학지사 출판사

Trombly’s 작업치료학 한미의학 출판사

한국 영유아 발달선별검사 사용 지침서 질병관리본부

2. 검사도구 수집기준

이 연구에서 수집한 검사도구는 장애아동에게 직접적으로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는 복지

부와 교육부, 그리고 국내 판매, 진단ㆍ평가 실시기관 및 관련 서적, 연구보고서, 논문 등

을 바탕으로 수집하였으며, 검사도구를 조사한 결과, 약 241개의 검사도구를 수집할 수

있었다. 이 중에서 최종으로 선정된 검사도구는 총 218개로 선정기준과 제외기준은 다음

과 같다.

Page 6: 발달재활서비스 대상자 선정 진단 ㆍ평가 검사도구 활용방안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3-%C1%F8%B9%CC%BF%B5,%B0… · 표준화 지역이 1곳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4권 제1호)254

1) 검사도구 선정기준

첫 번째, 국내에서 사용하고 있는 검사도구 중 표준화된 검사도구 우선순위로 선정하였다.

단, 국내에서는 표준화가 진행되지 않았지만 국외에서 표준화가 진행된 검사도구를 포함

하여 선정하였다.

두 번째, 국내 실정에 맞추어 개발된 검사도구를 선정하였다.

세 번째, 발달재활서비스 대상자, 시각ㆍ청각ㆍ언어ㆍ지적ㆍ자폐ㆍ뇌병변 장애아동이 특수

교육대상자, 시각ㆍ청각ㆍ정신ㆍ지체ㆍ정서행동ㆍ자폐성ㆍ의사소통ㆍ학습ㆍ건강ㆍ발달장애

유형 중에서 한 가지의 장애유형으로 특수교육대상자로 선정될 경우, 진단ㆍ평가 과정에서

사용하게 되는 검사도구를 선정하였다.

네 번째, 표준화 외의 비형식적 검사, 비표준화 된 검사도구들은 국내 임상에서 사용되고

있는 검사도구 여부를 확인하였고, 이 확인 과정에 참여한 전문가는 특수교육학과 박사졸업

자로 현재 특수교육운영위원회의 일원으로 활동하는 전문가 1명과 현재 부산시 S동에 위치

한 아동청소년 정신의학과에서 임상심리사로 근무하고 있는 전문가 1명의 자문을 얻어 추가

로 자료를 수집하여 선정하였다.

2) 제외기준

첫 번째, 241개의 검사도구 중 중복되는 검사도구는 제외하였다.

두 번째, 검사도구의 사용목적이 특정 인지기능이 ‘치매’를 진단ㆍ평가하거나 검사 대상이

‘노인’, 또는 ‘성인’으로 한정하여 검사하는 검사도구는 제외하였다.

세 번째, 국외 표준화된 검사도구 중 국내용으로 번안되지 않은 검사도구는 제외하였다.

네 번째, 국외에서 제작된 검사도구가 번역되거나 국내 표준화 과정을 거치면서 검사도구

명칭이 다소 다르지만 검사 개발자와 도구의 개발 배경과 내용을 검토한 후 같은 경우 중복

되는 검사도구로 보고 제외하였다.

3. 검사도구 분석 방법

자료 수집에 따라 최종 선정된 218개 검사도구의 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표 2-2>에 제시된 자료분석 틀에 맞추어 검사도구의 정보를 정리하였으며, 연구

자는 자료분석 틀을 마련하기 위하여 국립특수교육원(2009)에서 검사도구의 정보를 제공

하고자 발표한 ‘특수교육대상아동 선별ㆍ진단검사 지침’의 조사내용과 Overton(2012)가

제시한 내용을 근거로 이 연구의 취지에 맞게 수정ㆍ보완하여 작성하였다.

Page 7: 발달재활서비스 대상자 선정 진단 ㆍ평가 검사도구 활용방안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3-%C1%F8%B9%CC%BF%B5,%B0… · 표준화 지역이 1곳

발달재활서비스 대상자 선정 진단ㆍ평가 검사도구 활용방안 255

<표 2-2> 자료분석 틀

도구명 사용목적 검사영역개발년도

표준화

여부표준화

년도

표준화

지역

표준화

인원수국외 국내 유 무

두 번째, 총 218개의 검사도구를 <표 2-2>의 자료 분석 틀에 맞추어 검사도구명을 정리

한 후, 검사도구의 정확한 정보를 확보하고자 수집된 검사도구를 설명하고 있는 사용지침

서, 국내 표준화 또는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관련 논문, 검사도구 설명 보고서 등을 참고

하여 검사도구의 목적, 개발년도, 표준화 여부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였으며, 218개의 검사

도구를 각 영역으로 분류하여 정리한 검사도구의 정보는 <부록 1>과 같다.

4. 검사영역 구성 방법

먼저, 검사도구의 정보를 분석한 내용 중에서 검사도구의 사용목적을 토대로 특수교육

박사학위 소지자이면서 발달재활서비스와 관련된 연구의 공동연구원으로 참여한 전문가 1명

과 연구자가 같이 각 검사도구를 설명하고 있는 전공분야 서적과 연구들을 근거하여 검사

도구의 개발 배경 및 이론적 배경을 검토한 후 검사영역을 세부적으로 구분하여 각 영역별

하위영역을 구성하였다.

두 번째, 첫 번째로 구성된 검사도구의 하위영역은 <그림 2-1>에서 제시한 발달재활서비

스의 지원 목적과 특수교육 관련 서비스의 필요성에 대해 평가할 때 사용되는 아일랜드의

특수교육위원회(National Council for Special Education; NCES) 분류체계와 비교하여

제외되는 것이 없는지에 대해서 특수교육 박사학위 소지자이면서 발달재활서비스와 관련

된 연구의 공동연구원으로 참여한 전문가 1명과 연구자가 같이 검토하였다.

세 번째, 발달재활서비스 지원 목적이 기타에 해당하는 영역과 NCES 분류체계에서 미

쳐 다루지 못하는 영역에 대해서는 연구자 2명이 선행연구(김수진, 2008; 정민정, 서주

은, 2010)의 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아동이 발달 상 필요한 영역을 추가하여 발달재활서비

스와 관련된 연구의 공동연구원으로 참여한 전문가 1명과 연구자가 검토하여 인지, 감각

ㆍ운동, 신체발달, 적응행동, 정서ㆍ심리, 학습, 의사소통, 장애특성 총 8개 영역으로 분류

하였다. 영역 구성의 예는 다음 <표 2-3>과 같다.

Page 8: 발달재활서비스 대상자 선정 진단 ㆍ평가 검사도구 활용방안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3-%C1%F8%B9%CC%BF%B5,%B0… · 표준화 지역이 1곳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4권 제1호)256

인지, 학습, 지능

감각

신체, 발달

정서, 행동

의사소통, 언어

자폐성장애

NCES 분류체계

인지

의사소통

감각ㆍ운동

적응행동

기타

(심리, 정서, 사회성, 행동)

발달재활서비스 지원 목적

<그림 2-1> 발달재활서비스 지원 목적과 NCES의 분류 체계

<표 2-3> 영역 구성 예

도구명 사용목적 하위영역 상위영역 분류 근거

K-ABCⅡ 광범위한 인지능력 측정 지적능력 인지K-ABCⅡ 전문가 지침서

(문수백, 2014)

아동용 rey kim 기억

검사아동의 기억기능을 평가 실행기능 인지

Rey-Kim 기억검사 해설서

(김홍근, 1999)

시지각 발달검사

(K-DTVP-2)

시지각과 시각운동 통합

측정감각/시지각 감각ㆍ운동

시지각 발달검사K-DTVP-2

(문수백, 여광응, 조용태, 2003)

한글판 수정바델지수

(K-MBI)일상생활동작 수행평가 일상생활능력 감각ㆍ운동

한글판 수정바델지수(K-MBI)의

개발: 뇌졸중 환자 대상의 다기관

연구(정한영 외, 2007)

한국판 영유아발달선별

검사(K-DST)영유아 건강검진 발달수준 신체발달

한국 영유아 발달선별검사

(K-DST)사용 지침서(질병관리

본부, 2014)

CBCL 6~18 6~18세의 문제행동 평가 행동 적응ㆍ행동

ASEBA 아동ㆍ청소년 행동평가

척도 매뉴얼

(오경자, 김영아, 2010)

이화 바이랜드 적용행동

검사(EWHA-VABS)

일반적인 적응행동

사정적응 적응ㆍ행동

이화-바이랜드 적응행동검사

(EWHA-VABS)개발 및 표준화

연구(김태련, 1993)

청소년 성격평가 질문지

(PAI-A)

성격특성 및 적응행동

평가성격특성 정서ㆍ심리

청소년 성격평가 질문지 해석

지침서(김영환 외, 2008)

소아우울척도 8~13세 우울정도 측정 정서적 특성 정서ㆍ심리한국형 소아우울척도의 개발

(조수철, 이영식, 1990)

기초학력검사

(KISE-BAAT)_읽기읽기능력 측정 학업능력 학습

KISE-기초학력검사(KISE-BAAT)

개발연구(국립특수교육원, 2004)

Page 9: 발달재활서비스 대상자 선정 진단 ㆍ평가 검사도구 활용방안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3-%C1%F8%B9%CC%BF%B5,%B0… · 표준화 지역이 1곳

발달재활서비스 대상자 선정 진단ㆍ평가 검사도구 활용방안 257

Ⅲ. 검사도구 조사결과

이 연구의 검사도구 수집 기준에 따라 선정된 검사도구는 218개로 자료분석 틀에 맞추어

검사도구의 정보를 검사영역별 검사도구, 검사도구 개발정보, 국내 사용기준 표준화 정보

에 대해 구체적으로 분석하였고 이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검사영역별 검사도구 분류

검사도구의 검사영역은 인지, 감각ㆍ운동, 신체발달, 적응ㆍ행동, 정서ㆍ심리, 학습, 의사

소통, 장애특성 총 8개 영역으로 검사도구를 분류하였다. 인지영역의 검사도구는 총 27개

로, 지적능력 22개, 실행기능 5개의 검사도구가 조사되었고, 감각ㆍ운동영역의 검사도구는

총 34개로, 시지각 2개, 시지각과 운동 5개, 감각통합 2개, 운동능력 17개, 일상생활능력

5개, 수단적 일상생활능력 3개의 검사도구 조사되었다.

신체발달영역의 검사도구는 21개로, 발달수준 15개, 건강상태 3개, 기질적 특성 3개의

검사도구가 조사되었고, 적응행동영역의 검사도구는 총 24개로, 문제행동 10개, 적응행동

9개, 적응 및 행동, 적응행동 및 사회성 평가 각 1개, 사회성 5개의 검사도구가 조사되었다.

정서ㆍ심리영역의 검사도구는 총 25개로, 정서특성 7개, 심리특성 7개, 성격특성 3개, 성격

특성 및 부적응 4개, 정서상태, 자아개념 각 2개의 검사도구가 조사되었고, 학습영역의 검사

도구는 총 32개로, 학업능력 18개, 읽기능력 12개, 학업능력 및 언어능력 2개 조사되었다.

의사소통영역의 검사도구는 총 27개로, 언어 및 이해능력 25개, 의사소통능력 2개의 검사

도구가 조사되었고 장애특성과 관련된 검사도구는 총 28개로, 자폐성 장애 12개, ADHD

5개, 학습장애 3개, 정신분열증 1개, 청각장애 3개, 시각장애 4개의 검사도구가 조사되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 내용은 다음 <표 3-1>와 같다.

SELSI 영유아언어발달

검사

수용언어와 표현언어

선별언어 의사소통

영ㆍ유아 언어발달검사

(김영태 외, 2014)

한국판 아스퍼거 증후군

진단척도(K-ASDS)

학령기 아스퍼거증후군

변별자폐성장애 장애특성

한국판 아스퍼거 증후군 진단

척도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김주현, 신민섭, 2005)

ADHD 평정척도

(K-ARS-4판)ADHD 평정척도 ADHD 장애특성

한국어판 부모 및 교사용ADHD

평가척도(K-ARS)의 규준연구

(김영신 외, 2003)

Page 10: 발달재활서비스 대상자 선정 진단 ㆍ평가 검사도구 활용방안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3-%C1%F8%B9%CC%BF%B5,%B0… · 표준화 지역이 1곳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4권 제1호)258

<표 3-1> 영역별 검사도구 분류 (단위 : 개)

영역 검사도구 명칭 계

인지

지적능력

K-ABCⅡ, K-WISCⅣ, 국립특수교육원 한국형 개인 지능검사

(KISE-KIT), 한국판 라이터 비언어성 지능검사(K-Leiter-R),

한국 웩슬러 유아 지능검사(K-WPPSI), 종합인지기능진단검사

(CAS), 슬로슨 지능검사 (SIT-R), 한국판 그림지능 검사(K-

PTI), 인물화에 의한 간편 기능검사, 유아용 인물화 검사, 고대-

비네 검사(K-BINET), 카이제-코스 정신발달검사(KISE-KOHS),

지능ㆍ학습 진단검사(청소년용), 다중지능 발달평가 검사(아동용),

청소년용 다중지능 종합검사, 초등부모용 다중지능검사, 컬럼비아

정신적 성숙척도, 매카시 아동능력검사(MCSCA), 카우프만 간편

지능검사 2판, 종합적인 비언어성 지능검사 2판(CTONI-2), 비

언어성 지능검사(TONI-3),

22

27

실행기능

아동용 Kims 전두엽-관리기능 심경심리검사, 아동용 Rey Kim

기억검사, 스트룹 아동생삭-단어검사, 아동 색 선로검사(CCTT),

아동 충동성 검사(K-MFFT)

5

감각

ㆍ운동

시지각 시지각 기능검사 도구(TVPS), 비운동성 지각검사(MVPT) 2

34

시지각과 운동

시지각발달검사(K-DTVP2), 시지각발달검사(K-DTVP-A)

청소년용, 시각-운동통합발달검사(VMI). 지각운동발달검사(PMDT),

Bender 시각운동형태검사

5

감각통합 Degangi Berk 감각통합검사(TSI), 감각통합검사(SIPT) 2

운동능력

한국판 오세레츠키 운동능력검사, 대근육 운동 발달 검사(TGMD),

Purdue 지각운동검사(PPM), Milani _Comparetti 운동발달검사,

Miller 취학전 아동 사정(MAP), 간편 신경학적 선별검사(QNST),

Purdue Pegboard Test, 9-hole Pegboard, Jebson Hand Function

Test, bruininks-oseretsky test of motor proficiency (BOT),

Minnesota Rate of Manipulation Tests(MRMT), Minnesota

Rate of DexterityTests(MMDT),박스와 블록테스트, Movement

Assessment of infants(MAI), 피바디 운동 발달척도, Pennsylvania

Bi-Manual Work Sample(PBWS)

17

일상생활능력

한글판 수정 바델지수(K-MBI),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FIM), 캐나다 작업수행 측정(COPM), Katz 지수, Klein-Bell

일상생활활동 척도

5

수단적 일상생활능력

The Assessment of Motor and Process skills(AMPS), The

Kohlman Evaluation of Living Skills(KELS), Safety Assessment

of Funcion and the Environment for Rehabilitation(SAFER)

3

신체

발달발달수준

한국판 or 베일리 영유아발달선별검사, 한국판 K-DIAL 3, 교육

진단검사(PEP-R), 한국판 덴버발달 선별검사(K-DDST), 아동

발달검사(K-CDI), 한국판 영유아발달선별검사(K-DST), Battelle

발달검사(BDI), 영유아를 위한 사정, 평가 및 프로그램 체계(AEPS),

15 21

Page 11: 발달재활서비스 대상자 선정 진단 ㆍ평가 검사도구 활용방안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3-%C1%F8%B9%CC%BF%B5,%B0… · 표준화 지역이 1곳

발달재활서비스 대상자 선정 진단ㆍ평가 검사도구 활용방안 259

신체

발달

발달수준

영유아발달선별검사(K-CDR), 한국 영아발달검사(K-DII), 한국

유아발달검사(K-DIP), 영아선별교육진단검사(DEP), 부모작성형

유아모니터링체계(K-ASQ), 발달프로파일(DP), 취학전 유아평가

척도(PES)

15

21

건강상태 아프가검사, 신생아행동검사, 영유아검진표 3

기질적 특성신생아지각검사(NPI),영유아기질검사(Thomas와 Chess척도),

한국판 영유아 기질 및 비전형 행동 척도(K-TABS)3

적응

ㆍ행동

문제행동

청소년 행동평가척도-교사용(ABAS-T), 코너스 평정척도, 문제

행동의 동기 평정척도(MAS), 벅스의 행동평정 척도(BBRS), CBCL 6-18,

TRF, YSR, CBCL 1.5-5(부모용), C-TRF(교사용), BASC-2

13

24적응행동

한국판 적응행동검사(K-ABS), KISE-SAB, K-SIB-R, 파라다

이스 한국표준 적응행동검(PABS-KS), 지역사회적응검사(CSI-

A), 적응행동 검사(ABS-SE), AAMR 적응행동 척도, AAMD,

이화 바이랜드 적용행동 검사

6

부적응 및 문제행동 청소년 행동평가척도-청소년용(ABAS-S) 1

적응행동 및 사회성 사회성숙도 검사 1

사회성교우 관계 사정, 아동용 사회성 불안척도, 아동 청소년 교우관계

문제검사3

정서

ㆍ심리

정서특성

Beck 불안 척도, 개정판 아동불안척도, Beck 우울척도(BDI), 소아

우울척도(CDI), 레이놀즈 자살생각척도( R-SIQ), 정서지능검사

(아동용), 정서지능검사(청소년용)

7

25

심리특성

단어연상검사, 로샤검사(Rorschach검사), HTP(집 나무 사람 그림

검사), 동적 가족화 검사(KFD), 문장완성검사, 간이정신진단검사

(SCL-90-R), BGT검사

7

성격특성유아성격검사(PTYC),한국판 다면적 인성검사, 아동용 주제통각

검사(TAT)3

성격특성 및 부적응

청소년 성격평가 질문지(PAI-A), 한국 아동ㆍ청소년 성격검사

(KCPI-S, KAPI-S), 한국아동성격검사(KCPI-T ), 한국아동인성

검사(KPI-C)

4

성격특성 및 정서상태 MPI 현대 인성검사(초등생), MPI 현대 인성검사(중고생) 2

자아개념 Piers-Harris 아동용 자아개념 검사, SCI 자아개념 검사 2

학습 학업능력

오티스-레논 학업능력 검사, 디트로이드 학습적성검사, Metropolitan

종합 학습준비도(성취도) 검사, Woodcock-Johnson 교육심리

검사 , 브래켄 기본개념척도, 기초학력검사(KISE-BAAT) 읽기,

기초학력검사(KISE-BAAT) 쓰기, 기초학력검사(KISE-BAAT)

수학, 기초학습기능검사(KEDI-IBLST), 청소년 학습전략검사(ALSA),

학습기술 진단검사(LST), 학습종합 진단검사(GLDI), Boehm 기본

개념 검사, 교육장애 가능성 진단 선별도구, Slingerland 특정언어

장애 진단 선별검사, BASA 읽기검사, BASA 수학검사, BASA

쓰기검사

18 32

Page 12: 발달재활서비스 대상자 선정 진단 ㆍ평가 검사도구 활용방안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3-%C1%F8%B9%CC%BF%B5,%B0… · 표준화 지역이 1곳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4권 제1호)260

학습

읽기능력

gates-MacHinite 묵독 읽기검사, Grey 구어 읽기 검사, Durrell

읽기 장애 진단 분석, Gates-McKillop_Horowitz읽기 진단검사,

Gilmore 구어 읽기 검사, Slosson 구두 읽기 검사, Spache 진단

읽기 척도, Woodcock 읽기 완성검사, 읽기이해검사(TORC-3),

해독 기능검사(DST), Nelson-Denny 읽기 검사, 수준별교육을

위한 읽기진단검사

12

32

학업능력 및 언어기능 Kaufman 초기 학업 및 언어기능검사(K-SEALS) 1

읽기능력 및 인지처리 능력 RA-RCP 읽기 성취 및 읽기 인지처리 능력 검사 1

의사

소통

언어 및 이해능력

초기낱말발달체크리스트(MCDI-K), Iliinois 심리언어 능력검사

(ITPA), Rhode Island 언어 구문검사, 한국 노스웨스턴 구문선별

검사, SELSI 영유아언어발달검사, 보스톤이름대기검사, 취학전

아동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발달척도검사(PRES), 수용ㆍ표현 어휘력

검사(REVT), 피바디 그림어휘검사, 언어성 청각이해 검사, 종합

적인 수용 및 표현어휘검사(CREVT), Goldman-Fristoe 조음검사,

청소년 및 성인 언어검사(TOAL), 조기언어발달검사(TELD), 언어

발달검사-초급(TOLD-P), 아동용 발음평가(APAC), 한국어표준

그림조음음운검사(KS-PAPT), 한국어 발음검사, 우리말 조음ㆍ음운평가/학습(U-TAP U-WAP), 한국판 맥아더-베이츠 의사

소통발달 평가(K-M-B CDI), 언어이해 인지력 검사, 문장이해력

검사, 구문의미 이해력 검사, 취학전 아동의 수용-표현언어검사

(PLS)

2527

의사소통능력 어음청각검사, 언어문제해결력검사 2

장애

특성

자폐성장애

사회적 의사소통 설문지(SCQ), 이화자폐아동행동발달평가 척도

(E-CLAC), 아동기 자폐증 평정척도(CARS), 한국자폐증진단검사

(K-ADS), 자폐영아검목표(M-CHAT), 자폐증 유아선별 부모용

간편 체크리스트, 자폐아 행동 체크리스트(ABC), 자폐증진단면담지

(ADI-R), 자폐증 진단관찰 스케쥴(ADOS), ASSQ, 호주 아스퍼거

증후군 척도(ASAS), 아스퍼거증후군진단척도(ASDS)

12

28ADHD

ADHD 평정척도(ADHD( K-ARS), 한국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장애 진단검사(K-ADHDDS), 주의력결함장애 평가척도(ADDES),

연속수행력 검사(ADS), FAIR 주의집중력 검사

5

학습장애한국판학습장애평가척도(K-LDES), 학습장애 선별검사

(K-LDSS), 학습장애 선별검사(LDST), 3

정신분열증 조기 정신증 검사 1

청각장애영유아청각통합능력척도(IT-MAIS), 한국표준어음변별력 검사

(KSSDT), 청각언어재활을 위한 평가 가이드3

시각장애진용한 시시력표, 한천석 시시력검사, 저시력자용 원거리 시력표,

기능시각검목표4

검사도구 총계 218

Page 13: 발달재활서비스 대상자 선정 진단 ㆍ평가 검사도구 활용방안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3-%C1%F8%B9%CC%BF%B5,%B0… · 표준화 지역이 1곳

발달재활서비스 대상자 선정 진단ㆍ평가 검사도구 활용방안 261

이를 종합하여 살펴보면, 현재 국내에서 사용하고 있는 진단ㆍ평가 검사도구는 한 영역

에만 집중되어 있는 경향은 없지만 영역별 하위영역을 평가하거나 측정하는 검사도구가

제한적으로 사용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는데 인지영역에서는 실행기능, 감각ㆍ운동영역에

서는 감각, 시지각, 적응ㆍ행동영역에서는 사회성, 의사소통영역에서는 의사소통능력을 평가

하거나 측정할 수 있는 검사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2. 검사도구 개발 정보 분석

1) 국외 편 번안사용 및 국내표준화와 국내자체개발에 따른 검사도구 분석

진단ㆍ평가를 실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검사도구 218개의 개발 정보에 대해 조사한 결

과, 국외에서 제작된 검사도구를 표준화 과정 없이 번안한 검사도구는 105개(49%), 국내

자체 개발 57개(26%), 국외 편을 국내 실정에 맞추어 표준화 검사도구 56개(25%)로 국내

실정에 맞추어 표준화하지 않고 번안하여 사용하는 검사도구의 수가 가장 많았다. 번안하여

사용하는 검사영역 중 감각ㆍ운동영역 30개, 학습영역 20개, 정서ㆍ심리영역 13개 등의

순으로 나타났고, 이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 내용은 다음 <표 3-2>와 같다.

<표 3-2> 국외 편 번안사용 및 국내표준화와 국내 자체개발에 따른 검사도구 분석 (단위 : 개)

영역국외 편

번안사용

국외 편

국내표준화국내자체개발 계

인지지적능력 4 13 5 22

실행기능 3 2 5

계 4 1 7 27

감각

ㆍ운동

시지각 2 2

시지각과 운동 2 3 4

감각통합 2 2

운동능력 16 1 17

일상생활능력 5 5

수단적 일상생활능력 3 3

계 30 4 0 33

신체

발달

발달수준 4 7 4 15

건강상태 2 1 3

기질적 특성 1 2 3

계 7 9 5 21

Page 14: 발달재활서비스 대상자 선정 진단 ㆍ평가 검사도구 활용방안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3-%C1%F8%B9%CC%BF%B5,%B0… · 표준화 지역이 1곳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4권 제1호)262

그리고 위의 분석결과를 영역별로 살펴보면, 인지영역에서는 국외 편을 표준화한 검사

도구 16개, 국내자체개발 7개, 번안사용 4개로 국외 편을 국내에서 그대로 번안한 검사도

구는 적은 편이었다. 감각ㆍ운동 영역에서는 국외 편 번안사용 검사도구가 30개, 국외 편

국내표준화 4개, 국내자체개발 없으며, 대부분 국외 검사도구를 번안하여 사용편이었으며,

적응

ㆍ행동

문제행동 4 8 1 13

적응행동 3 3 6

부적응 및 문제행동 1 1

적응행동 및 사회성 1 1

사회성 2 1 3

계 9 10 5 24

정서

ㆍ심리

정서특성 5 2 7

심리특성 6 1 7

성격특성 1 1 1 3

성격특성 및 부적응 2 2 4

성격특성 및 정서상태 2 2

자아개념 1 1 2

계 13 6 6 25

학습

학업능력 8 10 18

읽기능력 11 1 12

학업능력 및 언어기능 1 1

읽기능력 및 인지처리 능력 1 1

계 20 0 12 32

의사

소통

언어 및 이해능력 10 6 9 25

의사소통능력 2 2

계 10 6 11 27

장애

특성

자폐성장애 9 1 2 12

ADHD 3 2 5

학습장애 1 2 3

정신분열증 1 1

청각장애 2 1 3

시각장애 4 4

계 12 5 11 28

총 계 105 56 57 218

Page 15: 발달재활서비스 대상자 선정 진단 ㆍ평가 검사도구 활용방안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3-%C1%F8%B9%CC%BF%B5,%B0… · 표준화 지역이 1곳

발달재활서비스 대상자 선정 진단ㆍ평가 검사도구 활용방안 263

운동영역을 평가하거나 측정할 때 번안하여 사용하는 검사도구가 16개로 감각ㆍ운동 영역

의 다른 하위 영역의 검사도구 보다 많았고 시지각, 감각통합, 일상생활능력, 수단적 일상

생활능력을 평가하거나 측정할 때 사용되는 검사도구는 표준화 되거나 국개자체개발이 없고

모두 국외 편 번안사용 검사도구로 나타났다.

신체발달영역에서는 국외 편을 표준화한 검사도구 9개, 국외 편 번안사용 7개, 국내자

체개발 5개로, 대부분 발달수준을 평가하는 것으로 건강상태를 평가하거나 측정하는 검사

도구의 국외 편을 국내 실정에 맞추어 표준화 한 검사도구는 없었고 자체개발된 검사도구는

1개로 복지부에서 영유아건강검진 시 사용하는 ‘영유아 건강검진표’로 나타났다. 적응ㆍ행동

영역에서는 국외 편을 표준화한 검사도구 10개, 국외 편 번안사용 9개, 국내자체개발 5개

로, 대부분 문제행동을 평가하는 검사도구이며 국외 편을 표준화하여 사용하고 국내 자체

개발된 검사도구는 1개로 나타났다. 그리고 사회성 같은 경우는 국내자체개발 보다는 국외

편을 번안하여 사용하거나 표준화한 검사도구로 나타났다. 정서ㆍ심리영역에서는 국외 편

을 번안사용 검사도구 13개, 국외 편을 표준화한 검사도구 6개, 국내자체개발 6개로 나타

났으며, 정서특성이나 심리특성의 경우 국내자체개발 검사도구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자아개념을 확인할 수 있는 진단ㆍ평가도구가 다른 정서ㆍ심리영역의 하위영역을

평가하거나 측정하는 검사도구 보다 적은 편으로 나타났다.

학습영역에서는 국외 편 번안사용 검사도구 20개, 국내자체개발 10개, 국외 편을 표준화

한 검사도구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부분 번안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국내자체개발

검사도구로 나타났다. 의사소통영역에서는 국내자체개발이 11개, 국외 편 번안사용 10개,

국외 편을 표준화한 검사도구는 6개로 나타났는데 의사소통 하위 영역 중 의사소통능력을

평가하거나 측정할 수 있는 검사도구의 경우 국외 편을 국내 실정에 맞추어 표준화하거나

자체개발되는 검사도구는 매우 드문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특성영역에서는 국외 편 번안

하여 사용하는 검사도구는 12개, 국내자체개발 11개, 국외 편을 표준화한 검사도구는 5개로

나타났다. 이 검사도구 중 자폐성장애를 평가하는 검사도구가 많았으며 국내 실정에 맞추

어 표준화하거나 국내자체개발보다는 국외 편 번안하여 사용는 검사도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청각장애나 시각장애를 평가하거나 측정하는 검사도구 중 국내자체개발

된 검사도구의 경우는 기능적 평가를 알아보는 시시각표, 청력검사로 나타났다.

이를 종합하여 살펴보면, 국내 교육과정을 염두하고 개발된 학습영역의 학업능력 검사의

경우나 국외의 영어 음소와 차이가 있는 한글을 염두하고 개발된 언어 및 이해능력을 평

가하거나 측정하는 검사도구의 국내자체개발 검사도구는 다른 영역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국외의 정서나 심리 그리고 행동의 특성을 그대로 반영된 검사도구에 비해 한국의

정서나 심리 그리고 행동의 특성을 염두하여 개발된 검사도구는 적은 편으로 이에 대한

검사도구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며, 또한 감각ㆍ운동 능력을 평가하거나 측정하는 검사

Page 16: 발달재활서비스 대상자 선정 진단 ㆍ평가 검사도구 활용방안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3-%C1%F8%B9%CC%BF%B5,%B0… · 표준화 지역이 1곳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4권 제1호)264

도구의 국내 실정을 고려한 검사도구의 개발과 표준화한 검사도구가 필요하다.

2) 검사도구 개발년도 분석

검사도구 218개의 개발년도를 분석한 결과, 2000년대 71개(33%), 90년대 48개

(22%), 80년대 34개(16%), 2010년대 19개(8%), 60년대 17개(8%), 60년대 이전과

70년대는 각 14개(6%)로 국내에서 사용되는 검사도구의 대부분 80년, 90년, 2000년대

개발된 것으로 나타났다.

번안 편의 검사도구의 개발년도를 살펴보면, 80년대 29개, 90년대 24개, 60년대 17개의

순으로 80~90년대 개발된 검사도구를 번안하여 국내에서 사용하는 검사도구가 많고, 국외

편을 국내 실정에 맞추어 표준화한 후 개발된 년도는 2000년대 23개, 90년대 18개, 2010

년대 8개의 순으로 2000년대 표준화 한 검사도구가 많았다. 그리고 국내자체개발 검사도

구의 개발년도는 2000년대 38개로 가장 많았다. 최근 2010년대 표준화하거나 개발 또는

국외에서 개발된 검사도구의 영역별 수량은 인지영역 2개, 신체발달영역 3개, 학습과 의사

소통 그리고 감각ㆍ운동영역 각 1개씩 나타났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 내용는 다음

<표 3-3>과 같다.

<표 3-3> 검사도구 개발년도 분석 (단위 : 개)

영역 개발년도번안 편의

국외개발년도

국외 편의

국내표준화국내자체개발 계

인지

60년대 이전 0

27

60’s 0

70’s 1 2 3

80’s 1 1 2

90’s 5 1 6

2000’s 2 5 4 11

2010’s 3 2 5

기타 0

감각

ㆍ운동

60년대 이전 2 2

34

60’s 7 7

70’s 3 3

80’s 9 9

90’s 9 1 10

2000’s 2 2

2010’s 1 1

기타 0

Page 17: 발달재활서비스 대상자 선정 진단 ㆍ평가 검사도구 활용방안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3-%C1%F8%B9%CC%BF%B5,%B0… · 표준화 지역이 1곳

발달재활서비스 대상자 선정 진단ㆍ평가 검사도구 활용방안 265

신체

발달

60년대 이전 1 1

21

60’s 1 1

70’s 2 2

80’s 1 1

90’s 2 1 3

2000’s 7 1 8

2010’s 1 3 4

기타 1 1

적응

ㆍ행동

60년대 이전 1 1

24

60’s 1 1

70’s 1 1

80’s 4 1 5

90’s 2 2 4

2000’s 4 5 9

2010’s 3 3

기타 0

정서

ㆍ심리

60년대 이전 6 6

25

60’s 1 1

70’s 1 1

80’s 4 1 5

90’s 1 2 1 4

2000’s 3 2 5

2010’s 3 3

기타 0

학습

60년대 이전 3 3

32

60’s 5 5

70’s 3 3

80’s 5 1 6

90’s 4 4

2000’s 10 10

2010’s 1 1

기타 0

의사

소통

60년대 이전 0

27

60’s 2 2

70’s 1 1

80’s 3 1 4

90’s 3 4 1 8

2000’s 1 9 10

Page 18: 발달재활서비스 대상자 선정 진단 ㆍ평가 검사도구 활용방안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3-%C1%F8%B9%CC%BF%B5,%B0… · 표준화 지역이 1곳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4권 제1호)266

그리고 위의 분석결과를 영역별 검사도구 개발년도를 살펴보면, 인지영역의 경우 번안편

의 국외 개발년도는 70년대, 80년대 2000년대이고, 국외에서 개발된 검사도구를 국내에서

표준화하여 개발한 년도는 70년대부터 2010년대로 꾸준히 개발이 진행되었으며, 90년대와

2000년대 각 5개로 가장 많았다. 국내자체개발한 검사도구는 2000년대 4개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감각ㆍ운동영역의 경우 번안편의 국외 개발년도는 80년대, 90년대 각 9

개로 가장 많으며 최근 2000년도나 2010년도에 국외에서 개발된 검사도구를 국내 번안편

으로 사용한 검사도구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국외에서 개발된 검사도구를 국내

에서 표준화하여 개발한 검사도구는 2000년대 2개, 90년대, 2010년대 각 1개로 최근 국외

편을 국내에서 표준화한 검사도구가 거의 없고, 국내자체개발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발달영역의 경우 번안편의 국외 개발년도는 70년대, 90년대 각 2개, 60년대 이전,

60년대, 70년대 각 1개로 2000년대와 2010년대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국외 편을 국내

에서 표준화하여 개발한 검사도구는 2000년대 7개, 90년대, 2010년대 1개로 나타났다.

그리고 국내자체개발한 검사도구는 2010년대 3개, 90년대 1개이며, 기타는 영유아건강검

진표로 개발년도가 따로 표기되어 있지 않았다. 적응ㆍ행동영역의 경우 번안편의 국외 개발

년도는 80년대 4개로 가장 많고, 국외 편을 국내에서 표준화하여 개발한 검사도구는

의사

소통

2010’s 1 1 227

기타 0

장애

특성

60년대 이전 1 1

28

60’s 0

70’s 0

80’s 2 2

90’s 3 3 3 9

2000’s 7 2 7 16

2010’s 0

기타 0

총 계

60년대 이전 13 0 1 14

218

60’s 17 0 0 17

70’s 12 2 0 14

80’s 29 4 1 34

90’s 24 18 6 48

2000’s 10 23 38 71

2010’s 0 9 10 19

기타 0 0 1 1

Page 19: 발달재활서비스 대상자 선정 진단 ㆍ평가 검사도구 활용방안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3-%C1%F8%B9%CC%BF%B5,%B0… · 표준화 지역이 1곳

발달재활서비스 대상자 선정 진단ㆍ평가 검사도구 활용방안 267

2000년대 4개, 2010년 3개의 순으로 많았다. 그리고 국내자체개발은 2000년대 5개로

2010년대 개발된 검사도구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ㆍ심리영역의 경우 번안편의 국외

개발년도는 60년대 이전이 6개, 80년대 4개의 순으로 많았고 국외 편을 국내에서 표준화

하여 개발한 검사도구는 2000년대 3개, 90년대 2개의 순으로 최근 2010년대 표준화한

검사도구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국내자체개발한 검사도구는 2010년대 3개, 2000

년대 2개의 순으로 나타났다.

학습영역의 경우 번안 편 국외 개발년도는 60년대 5개, 90년대 4개의 순으로 많았고

국외 편을 국내에서 표준화하여 개발한 검사도구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국내자체

개발한 검사도구는 2000년대 10개로 가장 많고 최근 2010년대 개발한 검사도구는 1개로

읽기능력 및 인지처리능력을 평가하는 검사도구로 나타났다. 의사소통영역의 경우 번안 편

국외 개발년도는 80년대, 90년대 각 3개, 60년대 2개의 순으로 많았고 국외 편을 국내에서

표준화하여 개발한 검사도구는 90년대 4개로 가장 많고 최근 2010년대 국외 편을 국내

에서 표준화하여 개발한 검사도구는 1편으로 언어 및 이해능력을 평가하는 검사도구로 나타

났다. 그리고 국내자체개발은 2000년대 9개로 가장 많고 최근 2010년 개발된 검사도구

는 1개로 의사소통능력을 평가하는 검사도구로 나타났다. 장애특성영역의 경우 번안편의

국외 개발년도는 2000년대 7개, 90년대 3개의 순으로 많았고 국외 편 국외 편을 국내에

서 표준화하여 개발한 검사도구는 90년대 3개, 2000년대 2개로 최근 2010년대 표준화한

검사도구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국내자체개발한 검사도구는 2000년대 7개, 90

년대 3개로 나타났고 최근 2010년 국내자체개발한 검사도구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종합하여 살펴보면, 전반적으로 최근 2010년대 국외 편을 국내에서 표준화하여

개발한 검사도구나 국내자체개발한 검사도구의 영역으로는 신체발달영역 4개, 인지영역 5

개, 적응ㆍ행동영역 3개, 정서ㆍ심리영역 3개, 의사소통영역 2개, 감각ㆍ운동과 학습영역

1개, 장애특성 각 0개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대부분 2000년대 중반을 기점으로 국외에서

개발된 검사도구를 번안하여 사용하거나 국내 실정에 맞추어 표준화 또는 국내자체적으로

개발한 검사도구들이 다른 년도의 검사도구 수에 비해 많았음을 알 수 있었다.

3) 국외 개발년도 대비 국내 개발년도 차이 분석

국외 편을 국내 표준화하여 개발한 검사도구는 218개 중 56개이며, 이 검사도구의 국외

에서 개발한 년도 대비 국내에서 표준화하여 개발한 년도의 차이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10년~ 20년 미만 20개, 5년~ 10년 미만 14개, 20년~ 30년 미만 8개, 30년~ 40년 미만

7개, 40년 ~ 50년 미만 3개, 50년 이상, 5년 미만이 각 2개씩 나타났다. 즉, 국외 편을

국내에서 표준화한 검사도구의 초기 개발된 년도는 매우 오래전에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 내용은 다음 <표 3-4>와 같다.

Page 20: 발달재활서비스 대상자 선정 진단 ㆍ평가 검사도구 활용방안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3-%C1%F8%B9%CC%BF%B5,%B0… · 표준화 지역이 1곳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4권 제1호)268

<표 3-4> 국외 개발년도 대비 국내 개발년도 차이 분석 (단위 : 개)

영역5년

미만

5년 ~

10년

미만

10년 ~

20년

미만

20년 ~

30년

미만

30년 ~

40년

미만

40년 ~

50년

미만

50년

이상계

인지지적능력 1 5 1 3 1 2 13

실행기능 1 1 1 3

계 0 1 6 2 4 1 2 16

감각

ㆍ운동

시지각 0

시지각과 운동 2 1 3

감각통합 0

운동능력 1 1

일상생활능력 0

수단적 일상생활능력 0

계 0 0 1 2 0 1 0 4

신체

발달

발달수준 5 2 7

건강상태 0

기질적 특성 1 1 2

계 0 0 6 1 2 0 0 9

적응

ㆍ행동

문제행동 5 5

적응행동 1 1 1 3

부적응 및 문제행동 0

적응행동 및 사회성 1 1

사회성 1 1

계 0 6 1 1 1 1 0 10

정서

ㆍ심리

정서특성 2 2

심리특성 1 1

성격특성 1 1

성격특성 및 부적응 1 1 2

성격특성 및 정서상태 0

자아개념 0

계 0 3 2 1 0 0 0 6

학습

학업능력 0

읽기능력 0

학업능력 및 언어기능 0

읽기능력 및 인지처리 능력 0

계 0 0 0 0 0 0 0 0

Page 21: 발달재활서비스 대상자 선정 진단 ㆍ평가 검사도구 활용방안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3-%C1%F8%B9%CC%BF%B5,%B0… · 표준화 지역이 1곳

발달재활서비스 대상자 선정 진단ㆍ평가 검사도구 활용방안 269

그리고 위의 분석결과를 영역별로 살펴보면, 인지영역의 경우 10년~ 20년 미만 6개, 30

년 ~ 40년 미만 4개, 20년 ~ 30년 미만, 50년 이상이 각 2개의 순으로 나타났고, 5년 ~

10년 미만 1개는 비언어적 지적능력을 측정하는 검사도구로 나타났다. 그리고 5년 미만

차이가 나는 검사도구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각ㆍ운동영역의 경우 20년 ~ 10년 미만

2개, 10년~ 20년 미만 1개, 40년~ 50년 미만 1개로 5년~ 10년 미만 또는 5년 미만 차이

가 나는 검사도구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발달영역의 경우 10년 ~ 20년 미만 6개,

30년 ~ 40년 미만 2개의 순으로 나타났고, 5년 ~ 10년 미만 또는 5년 미만 차이가 나는

검사도구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적응ㆍ행동영역의 경우 5년~ 10년 미만 3개, 10년~ 20

년 미만 2개, 20년 ~ 30년 미만 1개로 나타났고, 5년 미만 차이가 나는 검사도구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ㆍ심리영역의 경우 5년~ 10년 미만 3개, 10년~ 20년 미만 2개, 20

년 ~ 30년 미만 2개로 나타났고, 5년 미만 차이가 나는 검사도구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사소통영역의 경우 5년 미만, 5년 ~ 10년 미만, 10년 ~ 20년 미만 각 2개로 나타났다.

장애특성영역의 경우 5년~ 10년 미만, 10년~ 20년 미만 각 2개, 20년~ 30년 미만 1개로

나타났고, 5년 미만 차이가 나는 검사도구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종합하여 살펴보면, 국외 검사도구 개발년도 대비 국내 검사도구 개발년도가 전반

적으로 5년 이상 차이가 나는 검사도구를 국내에서 사용하고 있으며, 40년 이상 차이가

나는 검사도구는 인지 영역에서 지적능력을 평가하는 검사도구 3개와 적응ㆍ행동영역에서

적응행동을 평가하는 검사도구 1개 그리고 감각ㆍ운동영역에서 시지각과 운동을 평가하는

검사도구로 대부분 국외에서 최신 개발된 검사도구를 국내 실정에 맞추어 표준화하는 경우

는 드문 것으로 나타났다.

의사

소통

언어 및 이해능력 2 2 2 6

의사소통능력 0

계 2 2 2 0 0 0 0 6

장애

특성

자폐성장애 1 1

ADHD 2 1 3

학습장애 1 1

정신분열증 0

청각장애 0

시각장애 0

계 0 2 2 1 0 0 0 5

총 계 2 14 20 8 7 3 2 56

Page 22: 발달재활서비스 대상자 선정 진단 ㆍ평가 검사도구 활용방안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3-%C1%F8%B9%CC%BF%B5,%B0… · 표준화 지역이 1곳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4권 제1호)270

3. 검사영역별 국내 사용기준 표준화 정보 분석

검사영역별 국내 문화적ㆍ환경적인 요소를 고려하여 사용되고 있는 검사도구의 표준화

정보를 알아보기 위해서 국외 편을 그대로 번안하여 사용하고 있는 검사도구 105개를 제외

한 113개의 검사도구에 대한 표준화 정보를 분석하였다.

1) 표준화 진행 여부 및 지역

113개의 검사도구 중 표준화를 실시한 검사도구는 104개로 약 91%에 해당하는 검사

도구가 표준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표준화를 실시한 지역을 살펴보면, 전국규모

52개로 가장 많고 2지역 이상 14개, 대도시ㆍ중소도시 13개, 1지역 10개, 표준화 지역에

대한 정보가 없음이 12개, 기타 비형식적 검사, 영유가 건강검진표, 정보를 찾지 못한 것이

각 1개씩 총 3개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 내용은 다음 <표 3-5>와 같다.

<표 3-5> 표준화 진행 여부 및 지역 (단위 : 개)

영역

표준화 여부 표준화 지역

유 무 전국대도시ㆍ중소도시

2지역

이상1지역

제시

없음기타

인지지적능력 18 10 5 1 1 1

실행기능 5 2 3

계 23 0 10 5 1 2 4 1

감각

ㆍ운동

시지각

시지각과 운동 3 1 1 1

감각통합

운동능력 1 1

일상생활능력

수단적 일상생활능력

계 3 0 0 1 0 1 1 0

신체

발달

발달수준 11 5 4 1 1

건강상태 1

기질적 특성 2 1 1

계 13 1 6 5 1 0 0 1

Page 23: 발달재활서비스 대상자 선정 진단 ㆍ평가 검사도구 활용방안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3-%C1%F8%B9%CC%BF%B5,%B0… · 표준화 지역이 1곳

발달재활서비스 대상자 선정 진단ㆍ평가 검사도구 활용방안 271

그리고 위의 분석결과를 영역별 검사도구의 표준화 진행여부와 지역을 살펴보면, 인지

영역의 경우 23개 모두 표준화 연구를 실시하여 개발되었으며, 지역은 전국 규모 10개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 대도시ㆍ중소도시 5개, 지역정보가 제시되지 않음이 4개로 나타났다.

적응

ㆍ행동

문제행동 6 6

적응행동 6 3 2 1

부적응 및 문제행동 1 1

적응행동 및 사회성 1 1

사회성 1 1

계 15 0 12 0 2 1 0 0

정서

ㆍ심리

정서특성 2 1 1

심리특성 1 1

성격특성 2 1 1

성격특성 및 부적응 4 4

성격특성 및 정서상태 2 2

자아개념 1 1

계 12 0 8 0 1 1 1 1

학습

학업능력 10 9 1

읽기능력 1

학업능력 및 언어기능

읽기능력 및 인지처리 능력 1 1

계 11 1 9 1 1 0 0 0

의사

소통

언어 및 이해능력 14 1 3 1 4 2 4

의사소통능력 1 1 1

계 15 2 3 1 5 2 4 0

장애

특성

자폐성장애 3 1 1 1

ADHD 5 1 1 2 1

학습장애 2 1 1 1

정신분열증

청각장애 1 1

시각장애 4

계 11 5 3 0 3 3 2 0

총 계 104 9 52 13 14 10 12 3

Page 24: 발달재활서비스 대상자 선정 진단 ㆍ평가 검사도구 활용방안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3-%C1%F8%B9%CC%BF%B5,%B0… · 표준화 지역이 1곳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4권 제1호)272

감각ㆍ운동영역의 경우 3개 모두 표준화 연구를 실시하여 개발되었으며, 지역은 전국 1

개, 대도시ㆍ중소도시, 1개 지역, 지역정보 제시되지 않음이 각 1개로 나타났다. 신체발달

영역의 경우, 14개 검사도구 중 1개를 제외한 13개의 검사도구가 표준화 연구를 실시하여

개발되었으며, 지역은 전국 6개, 대도시ㆍ중소도시 5개, 2개 지역 이상 1개, 기타 영유아

건강검진 검사 1개로 나타났다. 적응ㆍ행동영역의 경우, 15개 모두 표준화 연구를 실시하여

개발되었으며, 지역은 전국 12개, 2개 지역 이상 2개, 1개 지역 1개로 지역정보가 제시되지

않은 경우는 없었다. 정서ㆍ심리영역의 경우, 12개 모두 표준화 연구를 실시하여 개발되

었으며, 지역은 전국 8개, 2개 지역 이상, 1개 지역, 지역정보 제시되지 않음이 각 1개로

기타 1개는 지역에 대한 정보를 찾지 못하였다. 학습영역의 경우 12개 검사도구 중 11개

가 표준화 연구를 실시하여 개발되었으며, 지역은 전국 9개, 대도시ㆍ중소도시, 2개 지역

이상 각 1개로 나타났다. 의사소통영역의 경우 17개 검사도구 중 15개가 표준화 연구를

실시하여 개발되었으며, 지역은 2개 지역이상이 5개, 지역정보가 제시되지 않음이 4개, 전국

3개, 1개 지역 2개, 대도시ㆍ중소도시 1개의 순으로 나타났다. 장애특성영역의 경우, 16개

검사도구 중 11개가 표준화 연구를 실시하여 개발되었으며, 지역은 전국, 2개 지역 이상,

1개 지역 각 3개, 지역정보가 제시되지 않음이 2개로 나타났다.

이를 종합하여 살펴보면, 각 영역별로 표준화한 검사도구를 국내에서 사용할 가능성은

높은데 표준화를 실시한 지역이 전국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서울, 경기도, 대구 등과

같이 한 개의 지역에서 표준화를 실시하거나 서울과 경기, 대구와 경북지역, 경남 창원과

마산, 서울과 대구 등과 같이 2개 또는 3개의 지역에 편중되어 표준화를 실시한 검사도구

들도 있었다. 그리고 표준화 연구는 실시하였지만 표준화 인원수만 제시하고 지역을 표기

하지 않고 연구를 실시한 검사도구들도 있었으며, 8개의 영역 중 표준화를 실시한 검사도구

의 수가 적은 하위영역을 확인할 수 있어서 이 영역들을 평가할 수 있는 표준화된 검사도구

의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2) 국내 표준화에 따른 표준화 인원

앞서 조사한 국내 표준화 여부를 조사한 결과, 표준화 연구를 실시한 검사도구는 총 104

개로, 이 검사도구들이 표준화하는 과정에서 표집한 인원수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 결과,

500 ~ 1,000명 미만이 21개, 500명 미만 18개, 1,000 ~ 1,500명 미만 17개, 1,500명 ~

2,000명 미만 13개, 2,500명 이상 11개, 5,000명 이상 10개, 2,000 ~ 2,500명 미만 9

개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 내용은 다음 <표 3-6>과 같다.

Page 25: 발달재활서비스 대상자 선정 진단 ㆍ평가 검사도구 활용방안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3-%C1%F8%B9%CC%BF%B5,%B0… · 표준화 지역이 1곳

발달재활서비스 대상자 선정 진단ㆍ평가 검사도구 활용방안 273

<표 3-6> 표준화 진행 여부 및 지역 (단위 : 개)

영역

표준화 인원수

500

미만

500~

1,000

미만

1,000~

1,500

미만

1,500~

2,000

미만

2,000~

2,500

미만

2,500

이상

5,000

이상기타

인지지적능력 1 5 4 3 1 3 1

실행기능 1 2 1 1

계 2 7 0 4 3 2 3 2

감각

ㆍ운동

시지각

시지각과 운동 1 2

감각통합

운동능력 1

일상생활능력

수단적 일상생활능력

계 1 1 2 0 0 0 0 0

신체

발달

발달수준 2 6 1 2

건강상태

기질적 특성 1 1

계 2 0 7 1 1 2 0 0

적응

ㆍ행동

문제행동 1 1 1 1 2

적응행동 2 1 1 2

부적응 및 문제행동 1

적응행동 및 사회성 1

사회성 1

계 1 3 2 2 4 3 0 0

정서

ㆍ심리

정서특성 1 1

심리특성 1

성격특성 1 1

성격특성 및 부적응 1 1 2

성격특성 및 정서상태 2

자아개념 1

계 3 1 0 0 1 3 3 1

학습

학업능력 3 1 4 2

읽기능력

학업능력 및 언어기능

읽기능력 및 인지처리 능력 1

계 0 4 1 4 0 0 2 0

Page 26: 발달재활서비스 대상자 선정 진단 ㆍ평가 검사도구 활용방안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3-%C1%F8%B9%CC%BF%B5,%B0… · 표준화 지역이 1곳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4권 제1호)274

그리고 위의 분석결과로 영역별 표준화 인원수를 살펴보면, 인지영역의 경우 500 ~1,000

명 미만 7개, 1,500 ~ 2,000명 미만 4개, 2,000 ~ 2,500명 미만, 5,000명 이상이 각 3개,

2,500명 이상, 500명 미만 각 2개로 실행기능을 측정하거나 평가하는 검사도구의 표준화

인원은 모두 1,000명 미만을 대상으로 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인지영역 중 500명

미만으로 표준화를 실시한 하위영역은 지적능력과 실행기능 각 1개로 나타났다. 감각ㆍ운동

의 경우 1,500명 이상 인원을 표집하여 표준화한 검사도구는 없으며, 1,000 ~1,500명 미만

2개, 500미만 또는 500-1,500명 미만의 인원을 대상으로 표준화를 실시하였다. 신체발달

의 경우 1,000 ~ 1,500명 미만 7개, 500명 미만과 2,500명 이상이 각 2개, 1,500 ~ 2,000

명 미만과 2,500명 이상이 각 1개로 500명 미만의 인원을 대상으로 표준화를 실시한 하위

영역과 2,500명 이상의 인원을 대상으로 표준화를 실시한 하위영역의 검사도구는 발달수준

을 평가하거나 측정하는 검사도구로 나타났다.

적응ㆍ행동영역의 경우 2,500명 이상을 대상으로 표준화를 실시한 검사도구는 4개,

500 ~ 1,000명 미만 3개, 1,000 ~ 1,500명 미만과 1,500 ~ 2,000명 미만 각 2개, 500명

미만 1개로 나타났으며 500명 미만을 대상으로 표준화를 실시한 하위영역은 문제행동을

평가하거나 측정하는 검사도구로 나타났다. 정서ㆍ심리의 경우 500명 미만, 2,500명 이상,

5,000명 이상이 각 3개, 500 ~ 1,000명 미만과 2,000 ~ 2,500명 미만이 각 1개로 나타

났고 500명 미만을 대상으로 표준화를 실시한 하위영역의 검사도구는 정서특성, 심리특성

그리고 성격특성 및 부적응을 평가하거나 측정하는 검사도구로 나타났다. 학습영역 경우

500 ~ 1,000명과 1,500 ~ 2,000명 미만 각 4개, 5,000명 이상 2개, 1,000 ~ 1,500명 1

의사

소통

언어 및 이해능력 7 1 1 2 1 2

의사소통능력 1

계 7 2 1 2 0 0 1 2

장애

특성

자폐성장애 1 1 1

ADHD 1 2 2

학습장애 1 1

정신분열증

청각장애 1

시각장애

계 2 3 4 0 0 1 1 0

총 계 18 21 17 13 9 11 10 5

Page 27: 발달재활서비스 대상자 선정 진단 ㆍ평가 검사도구 활용방안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3-%C1%F8%B9%CC%BF%B5,%B0… · 표준화 지역이 1곳

발달재활서비스 대상자 선정 진단ㆍ평가 검사도구 활용방안 275

개로 나타났고 모두 500명 이상을 대상으로 표준화를 실시하였음이 나타났다. 의사소통의

경우 500명 미만 7개, 500 ~ 1,000명 미만과 1,500 ~ 2,000명 미만이 각 2개로 나타났

으며 언어 및 이해능력을 평가하거나 측정하는 검사도구가 500명 미만 대상으로 표준화를

실시하였다. 장애특성영역의 경우 1,000 ~ 1,500명 미만 4개, 500 ~ 1,000명 미만 3개,

500명 미만 2개, 2,500명과 5,000명 이상 각 1개로 나타났으며 1,000명 미만을 대상으로

표준화를 실시한 하위영역의 검사도구는 ADHD 3개, 자폐성장애와 학습장애가 각 1개로

나타났다.

이를 종합하여 살펴보면, 1,000명 미만을 대상으로 표준화를 실시한 검사도구가 많은 편

으로 나타났으며, 2,500명 이상을 대상으로 표준화를 실시한 검사도구의 영역은 인지영역

중 지적능력, 신체발달영역 중 발달수준, 적응ㆍ행동영역 중 적응행동과 부적응 및 문제행동,

정서ㆍ심리영역 중 성격특성과 성격특성 및 부적응 그리고 성격특성 및 정서상태와 자아

개념, 의사소통 영역 중 언어 및 이해능력, 장애특성영역 중 자폐성장애와 시작장애를 평가

하고 측정하는 검사도구로 나타났다.

Ⅳ. 검사도구 활용방안

국내ㆍ외에서 개발된 검사도구 중 국내에서 판매하고 있거나 진단ㆍ평가 실시기관, 연구

보고서 또는 논문 등에서 사용하고 있는 검사도구 218개를 조사한 결과를 바탕으로 발달

재활서비스 대상자 선정을 위한 진단ㆍ평가 과정에서의 검사도구 활용방안에 대해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1. 연령별 발달과 서비스 욕구를 고려한 진단ㆍ평가 검사도구 활용

현재 발달재활서비스를 지원 받을 수 있는 대상자의 기준은 이미 시각ㆍ청각ㆍ언어ㆍ지적

ㆍ자폐ㆍ뇌병변장애로 등록이 되어있거나 의사진단에 의해서 서비스가 필요하다는 인정을

받은 만 6세 미만의 아동으로(보건복지부, 2012) 기능적인 평가를 실시한 후 서비스를 받는

경우가 많고, 만 6세 아동의 경우 영유아 발달선별검사를 통해 발달지연이 의심되어 서비

스가 필요로 하다는 의사의 진단으로 그치고 있어서 장애아동의 연령에 따라 발달상 나타

나는 문제점(최복천, 2013)에 따른 서비스를 지원 받기보다는 장애유형에 따라 통상적으로

나타날 수 있는 문제에 대해서만 고려하여 지원받게 되어 서비스 내용이 대부분 의사소통

능력 향상(전귀옥, 강대옥, 박재국, 2012)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특히, 장애를 진단ㆍ평가

Page 28: 발달재활서비스 대상자 선정 진단 ㆍ평가 검사도구 활용방안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3-%C1%F8%B9%CC%BF%B5,%B0… · 표준화 지역이 1곳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4권 제1호)276

할 경우, 대부분 의료적인 접근으로 기능적 판단을 하고 있기 때문에 교육이나 복지서비스의

필요성을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로 인하여 장애자녀를 둔 부모들은 연령과 발달을

고려한 서비스를 받고 싶어 하는 욕구가 높아지고 있다(김수진, 2008). 하지만 이를 해결

할 수 있는 방법은 현재 전무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발달재활서비스의 대상자를 선정하는

과정에서 활용될 검사도구는 장애유형에만 맞춘 검사도구의 활용 보다는 연령과 발달과정

에서 필요로 하는 부분과 장애 당사자가 요구하는 서비스를 고려하여 다양한 측면을 평가

할 수 있도록 영역을 분류하여 검사도구를 활용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서 이 연구에서 연구자가 제안하는 검사의 영역은 기존 특수교육

대상자 선정 시 진단ㆍ평가를 위하여 검사도구를 나눈 지적 영역, 사회 영역, 학습 영역,

정서적 영역, 운동 영역의 5개 영역(우정한, 김지원, 2005)이 아닌 총 8개 영역으로 인지,

감각ㆍ운동, 신체발달, 적응ㆍ행동, 정서ㆍ심리, 학습, 의사소통, 장애특성으로 각 영역 별

하위영역을 다음 <표 4-1>과 같이 세분화하여 제시하였다.

<표 4-1> 8개 영역 구분

영역 하위영역 영역 하위영역

인지지적능력

정서

ㆍ심리

정서특성

심리특성실행기능

성격특성

감각

ㆍ운동

시지각

성격특성 및 부적응시지각과 운동

성격특성 및 정서상태감각통합

자아개념

운동능력

학습

학업능력

일상생활능력 읽기능력

수단적 일상생활능력 학업능력 및 언어기능

신체

발달

발달수준 읽기능력 및 인지처리 능력

의사

소통

언어 및 이해능력건강상태

의사소통능력기질적 특성

장애

특성

자폐성장애

적응

ㆍ행동

문제행동ADHD

적응행동학습장애

부적응 및 문제행동정신분열증

적응행동 및 사회성 청각장애

사회성 시각장애

Page 29: 발달재활서비스 대상자 선정 진단 ㆍ평가 검사도구 활용방안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3-%C1%F8%B9%CC%BF%B5,%B0… · 표준화 지역이 1곳

발달재활서비스 대상자 선정 진단ㆍ평가 검사도구 활용방안 277

2. 검사도구 활용에 대한 기준 및 지침 마련

검사도구의 개발 정보를 조사한 결과, 국외 편을 번안한 검사도구가 가장 많았으며, 국외

편을 국내 표준화 하거나 자체적으로 개발하였다고 하더라도 개발년도가 2010년대 최근

것 보다는 2000년대 이전에 개발된 검사도구가 많았다. 그리고 국외에서 개발된 검사도구

를 국내에서 표준화하여 재개발하였을 때의 년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 5년 이상 차

이가 나는 검사도구들이 많았고 영역별로 크게는 30년, 40년 이상 차이가 나는 검사도구

가 현재 국내에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검사도구의 개발년도, 표준화 실

시 지역, 표준화 인원수 등, 각기 다른 기준으로 실시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발달재활서비스와 유사 서비스인 특수교육 관련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실시하는 진단

ㆍ평가 과정에서 사용되고 있는 검사도구에 대한 조사 결과, 장애유형과 아동의 발달 상

특성과 상관없이 동일한 검사도구를 사용하고 있었고 진단ㆍ평가 도구에 대한 지식 및 정

보 그리고 사용법을 알지 못하여 최근 개발된 검사도구를 사용하는 경우가 드문 것으로 나

타났다(우정한, 김지원, 2005). 특히, 검사도구의 활용에 대한 기준 및 지침 마련이 되어

있지 않다보니 시간이 절약되고 사용하기 쉽다는 이유로 표준화 된 검사도구 보다는 비표

준화 된 검사도구의 활용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이미선, 강병호, 김주영, 조광순, 2001)

는 것은 이 연구에서 실시한 검사도구의 조사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문제

점은 특수교육대상자 선정과정에서 뿐만 아니라 발달재활서비스에서도 나타날 가능성이 높

으며, 특히, 장애아동은 ‘장애’라는 특성 상 여러 가지의 제약을 받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진단ㆍ평가 검사자들의 자칫 잘못된 진단ㆍ평가로 인하여 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지원받지

못하거나 각자의 주관적인 해석으로 인하여 일관된 결과가 제시되지 않아 같은 조건에서도

어떤 아동은 발달재활서비스를 제공받게 되고 어떤 아동은 제공받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

되는 때문에 이를 줄이기 위해서는 진단ㆍ평가 검사자들이 발달재활서비스의 대상자 선정

을 위한 진단ㆍ평가 과정에서 사용하여야 할 검사도구의 종류, 사용법, 해석기준 그리고 표

준화 검사도구 사용 기준, 비표준화 된 검사도구 사용기준 등에 대한 검사도구 활용 지침

이 마련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서 이 연구에서 연구자는 다음과 같이 검사도구의

우선 선택 기준을 제안해 보았다.

첫 번째, 발달재활서비스 대상자 선정 과정에서 사용될 검사도구의 개발년도 또는 국내

실정에 맞추어 표준화한 년도는 10년 미만의 것을 1순위로 두고 사용하여야 한다. 그 이유

는 개발년도와 사용년도의 차이가 날 경우, 10년 전 지능검사에서 평균 70점을 맞았지만

현재 지능검사를 실시할 경우 약 80점을 맞을 수 있는 플린효과가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장애유형을 판단하는 기준점을 달리 두어야지만 현재 그 기준점까지 고려하여 해석을 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Page 30: 발달재활서비스 대상자 선정 진단 ㆍ평가 검사도구 활용방안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3-%C1%F8%B9%CC%BF%B5,%B0… · 표준화 지역이 1곳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4권 제1호)278

두 번째, 국외 편 번안사용 보다는 국내 표준화된 검사도구를 1순위로 두고 선택하는

방법을 실시한다. 단, 영역의 특성 상 표준화된 검사도구가 없는 경우 2순위로 두어 여러

가지의 비표준화된 비슷한 성향의 검사도구를 사용하여 장애아동의 필요 서비스를 찾아야

할 필요가 있다. 그 이유는 ‘장애’ 특성 상 비표준화 된 검사도구 사용이나 국내의 사회적

ㆍ문화적 환경을 고려하지 못한 검사도구를 사용할 경우 검사자들의 일관되지 않은 결과

해석 뿐만 아니라 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지원하지 못 할 수 있기 때문이다(Andresen,

2000).

세 번째, 표준화된 검사도구 활용 시 표준화 지역이 전국지역을 대상으로 하였는지와

표준화 인원수가 2,000명 이상인 경우를 1순위로 두고 사용할 필요가 있다. 그 이유는 최

소한 이 검사도구가 신뢰롭고 객관적인 것이라 할 수 있는 기준이 인구통계학적 변인을

고려한 표집으로 최소 2,000명 이상, 연령대 환산점수산출이 1~2개월 단위, 검사-재검사

의 신뢰도 계수가 .90으로 각 연령별 표집 인원수가 최소 100명으로 3개월 미만이어야

하기 때문이다(Nuttall, 1999; 차유진 외, 2010, 재인용).

위의 3가지의 기준을 바탕으로 검사도구를 1순위와 2순위로 나눌 경우의 예는 다음

<표 4-2>와 같다.

<표 4-2> 검사도구 선택 우선순위에 따른 검사도구 예시

영역검사도구

선택 우선순위검사도구 명

인지

1순위K-ABC Ⅱ, K-WISC Ⅳ, 지능ㆍ학습 진단검사-청소년용, 초등부모용

다중지능검사 등

2순위국립특수교육원 한국형 개인 지능검사(KISE-KIT), 고대-비네검사,

종합인지기능검사(CAS) 등

감각ㆍ운동

1순위 없음

2순위시지각발달검사(K-DTVP2), 한국판 오세레츠키 운동능력검사, 한글판

수정 바델지수 등

신체발달

1순위한국판 영유아발달선별검사(K-DST), 한국판 영유아 기질 및 비전형

행동척도(K-TABS)

2순위한국 영아발달검사(K-DII), 한국판 덴버발달 선별검사(K-DDST),

한국판 K-DIAL 등

적응ㆍ행동1순위 CBCL 6-18, CBCL 6-18(부모용)

2순위 한국판 적응행동검사(K-ABC), 사회성숙도 검사, K-SIB-R 등

정서ㆍ심리1순위 한국 아동ㆍ청소년 성격검사(KCPI-S), MPI 현대 인성검사(초등생) 등

2순위 유아성격검사(PTYC), 로샤검사, Beck 우울척도, HTP검사 등

Page 31: 발달재활서비스 대상자 선정 진단 ㆍ평가 검사도구 활용방안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3-%C1%F8%B9%CC%BF%B5,%B0… · 표준화 지역이 1곳

발달재활서비스 대상자 선정 진단ㆍ평가 검사도구 활용방안 279

네 번째, 검사도구의 목적이 선별을 위한 것인지, 진단을 내리기 위해 사용하는 것인지,

총괄적인 평가를 위한 것인지, 신체 기능을 측정하기 위한 것인지 등을 고려하여 검사도구

를 분류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발달재활서비스를 제공하는 검사도구를 활용하기 전 문제의

가능성이 있는지에 대한 선별 검사도구를 1차적으로 실시해야 할 필요가 있다. 즉, 선별과정

시 활용되는 검사도구는 현재 국가차원에서 영유아, 초ㆍ중ㆍ고생들의 문제를 파악하기

위해 활용되고 있는 영유아 선별검사 K-DST, 정서ㆍ행동특성검사를 실시하여 1차적인

선별을 진행한 후 서비스의 필요성 유무를 파악한 후 위에서 제시한 검사도구 우선수위를

고려하여 서비스 영역별 검사도구를 선택한 후 진단ㆍ평가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Ⅴ. 결론 및 제언

이 연구에서는 현재 한국 실정에 맞추어 개발되어 사용하고 있는 검사도구와 국내ㆍ외

에서 제작된 검사도구 중 국내에서 판매하고 있거나 진단ㆍ평가 실시기관, 연구보고서 또는

논문 등에서 사용되고 있는 검사도구들을 바탕으로 검사도구의 일반적인 정보를 분석하여

그 문제점을 알아보고 발달재활서비스 대상자 진단ㆍ평가 과정 시 장애유형만 고려하여

진단ㆍ평가 검사도구를 사용할 경우 나타나는 문제점을 완화하기 위해서 검사도구를 발달상

나타나는 문제 또는 필요한 영역별로 나누어 그에 따른 활용방안에 대해서 제안하였다.

먼저 검사도구 218개를 조사한 결과, 인지, 감각ㆍ운동, 신체발달, 적응ㆍ행동, 정서ㆍ심리, 학습, 의사소통, 장애특성 총 8개 영역으로 구분하여 검사도구를 분류할 수 있었는

데 각 하위 영역별 검사도구가 고르게 분포되지 못하고 한 영역을 평가하거나 측정하는

학습

1순위BASA 읽기검사, BASA 쓰기검사, BASA 수학검사, 기초학력검사

(KISE-BAAT) 읽기 등

2순위수준별 교육을 위한 읽기진단검사, 학습종합 진단검사(GLDI),

디트로이드 학습적성검사 등

의사소통

1순위 없음

2순위한국판 맥아더-베이츠 의사소통발달 평가, 한국어 발음검사, 한국어

표준 그림조음음운검사(KS-PAPT) 등

장애특성

1순위 없음

2순위사회적 의사소통(SCQ), 아동기 자폐증 평정척도(CARS), 학습장애

선별검사(LDST) 등

Page 32: 발달재활서비스 대상자 선정 진단 ㆍ평가 검사도구 활용방안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3-%C1%F8%B9%CC%BF%B5,%B0… · 표준화 지역이 1곳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4권 제1호)280

검사도구가 편중되는 경우가 있어 전반적인 영역별 검사도구 개발이 필요하다.

두 번째, 218개 검사도구 중 국외 편 번안하여 사용한 검사도구는 105개로 국내 실정에

맞추어 표준화하거나 국내자체 개발된 검사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특히, 감각ㆍ운동의

경우 국내자체 개발된 검사도구가 없다보니 각 하위영역 별 국내 실정에 맞는 검사도구

개발이 필요하다. 그리고 이 외에 신체발달영역의 기질적 특성, 적응ㆍ행동 영역의 사회

성, 정서ㆍ심리 영역의 정서특성과 심리특성 등을 평가하거나 측정할 검사도구의 개발이

시급하게 필요하다. 또한 검사도구의 개발년도가 최근 2010년에 표준화 하거나 자체개발

된 검사도구가 적고 국외 개발된 검사도구를 국내 표준화하여 사용하는 년도의 차이가 대

부분 5년 이상 난다. 따라서 검사도구의 플린효과(김상윤, 2005)를 고려하여 전반적인 검사

도구의 최신버전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특히, 장애아동을 진단ㆍ평가하는 검사도구의

제한점은 매년 연구에서 지적되어 왔지만(김명희, 안명희, 2004; 정대영, 2013; 조광순,

2005) 현재까지도 개선되지 못한 점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발연구

및 표준화 연구는 꾸준히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세 번째, 국내 실정에 맞추어 표준화 된 검사도구는 총 104개로 각기 다른 지역기준과

표준화 인원수로 표준화를 실시하였다. 감각ㆍ영역의 모든 하위 영역, 정서ㆍ심리영역 중

정서특성과 심리특성, 학습영역 중 읽기능력, 학업능력 및 언어기능 그리고 읽기능력 및

인지처리 능력, 의사소통영역 중 의사소통능력, 장애특성 중 청각장애, 시각장애, 정신분열

증을 평가하거나 측정하는 검사도구들이 전국지역을 대상으로 표준화를 실시하지 못하였

으며, 전국을 대상으로 하였다고 하더라도 인원이 1,000명 미만이거나 표준화하여 개발한

년도가 10년 이상 되는 검사도구가 많기 때문에 각 표준화를 실시할 경우의 기준 또한 마련

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완화하고자 이 연구에서는 검사도구의 활용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

였다.

첫 번째, 연령별 발달과 서비스를 고려하영 장애유형별 진단ㆍ평가 검사도구가 아닌 이

연구에서 제안한 8개의 영역별 검사도구를 분류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두 번째, 검사도구의 개발년도, 표준화 실시 지역, 표준화 인원 등에 대한 각기 다른 기준

으로 검사도구를 개발하고 있기 때문에 진단ㆍ평가 검사자들의 혼선을 야기하고 일관되지

않은 결과를 초래하여 장애아동이 제대로 된 서비스를 지원받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검사

도구 활용에 대한 기준과 지침이 마련되어야 한다. 특히, 검사자의 검사도구 활용 지침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표준화한 검사도구를 기준으로 우선적으로 선택하여 진단ㆍ평가를 실시

할 수 있도록 이 연구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검사도구의 우선 선택기준으로 실시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이 연구에서는 표준화 인원과 실시지역을 제시하여 이에 대한 선택기준에

대해서만 제시하였지만 추후 연구에서는 검사도구의 해석 기준을 위한 각 하위 영역별 절단

Page 33: 발달재활서비스 대상자 선정 진단 ㆍ평가 검사도구 활용방안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3-%C1%F8%B9%CC%BF%B5,%B0… · 표준화 지역이 1곳

발달재활서비스 대상자 선정 진단ㆍ평가 검사도구 활용방안 281

점에 따른 해석과 영역별 검사도구 평가 시 전체 점수에 대한 서비스 판정기준, 영역별

선별, 진단, 평가를 구별하여 추후 연구에서 진행할 필요가 있다.

세 번째, 검사도구의 목적이 선별을 위한 것인지, 진단을 내리기 위해 사용하는 것인지,

총괄적인 평가를 위한 것인지, 신체 기능을 측정하기 위한 것인지 등을 고려하여 검사도

구를 분류하고 1차 선별검사를 통해 문제 가능성과 서비스 필요여부를 파악한 후 영역별

검사도구를 활용하여 진단ㆍ평가하여 서비스를 지원할 필요가 있다.

참 고 문 헌

강문희, 박 경, 정옥환 (2012). 개정판 아동심리검사. 서울: ㈜교문사.

구성민 (2008). 바우처(Voucher) 시스템과 청각서비스: 지역사회 서비스 혁신 사업 중 「2008 장애아동

재활치료서비스사업」과제 중심으로. 청능재활, 4(2), 104-114.

국립특수교육원 (2004). KISE-기초학력검사(KISE-BAAT) 개발연구. 천안아산: 국립특수교육원.

국립특수교육원 (2009). 특수교육대상아동 선별ㆍ진단검사 지침. 천안아산: 국립특수교육원.

국립특수교육원 (2009). 2009 특수교육장학자료의 특수교육지원센터 운영 매뉴얼. 천안아산: 국립특수

교육원.

김명희, 안명희 (2004). 장애 영유아 진단ㆍ평가의 현황 및 문제점과 개선방안. 생활과학연구, 9, 210-233.

김상윤 (2005). 유아용 지능검사의 플린효과 분석에 관한 연구(4). 아동연구, 14, 18-34.

김수진 (2008). 치료지원 바우처사업 대상아동의 장애유형과 연령에 따른 재활치료 실태 및 부모욕구조사.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3(4), 691-706.

김영신, 소유경, 노주선, 최낙경, 김세주, 고윤주 (2003). 한국어판 부모 및 교사용 ADHD 평가척도(K-ARS)

규준연구. 신경정신의학, 42(3), 352-359.

김영태, 김경희, 윤혜련, 김화수 (2014). 영ㆍ유아 언어발달 검사. 서울: 재단법인 파라다이스복지재단.

김영환, 김지혜, 오상우, 이수정, 조은경, 홍상황 (2008). 청소년 성격평가 질문지 해석지침서. 서울: 학지사

심리검사연구소.

김주현, 신민섭 (2005). 한국판 아스퍼거 증후군 진단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소아ㆍ청소년정신의학,

16(1), 98-105.

김태련 (1993). 이화-바이랜드 적응행동검사(EWHA-VABS)개발 및 표준화 연구. 한국문화연구원 논총,

62(3), 5-102.

김홍근 (1999). Rey-Kim 기억검사 해설서. 대구: 신경심리출판사.

문수백 (2014). K-ABCⅡ 전문가 지침서. 서울: 학지사 심리검사연구소.

문수백, 여광응, 조용태 (2003). 한국판 시지각 발달검사(K-DTVP-2). 서울: 도서출판 학지사.

보건복지부 (2012). 장애아동복지지원법. 서울: 보건복지부.

보건복지부 (2014a). 2014년 장애아동 가족지원 사업안내. 세종시: 보건복지부.

Page 34: 발달재활서비스 대상자 선정 진단 ㆍ평가 검사도구 활용방안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3-%C1%F8%B9%CC%BF%B5,%B0… · 표준화 지역이 1곳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4권 제1호)282

보건복지부 (2014b). 2014년 정신건강 사업. 세종시: 보건복지부.

서경희, 윤점룡, 윤치연, 이상복, 이상훈, 이효신 (2002). 발달장애의 진단과 평가. 경북: 대구대학교 출판부.

서하나 (2013, 1). 올해 장애아동 발달재활서비스 어떻게 받나. 서울: 에이블뉴스.

오경자, 김영아 (2010). ASEBA 아동ㆍ청소년 행동평가척도 매뉴얼. 서울: (주)휴노.

우정한, 김지원 (2005). 특수학급 교육대상자 선정에 따른 진단ㆍ평가 실태와 개선방안: 초등학교 특수학급을

중심으로.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6(2), 201-228.

육진숙, 변은미, 유승복, 김흥수 (2012). 학령전기 아동을 위한 표준화된 인지평가 도구의 문헌고찰. 대한

인지재활학회지, 1(1), 69-98.

윤주애 (2009, 4). 아동청소년 ADHD, 우울증 등 선별검사 및 치료지원. 서울: 메디컬투데이.

이미선, 강병호, 김주영, 조광순 (2001). 장애 영ㆍ유아 조기발견 및 진단ㆍ평가 방안 연구. 천안아산: 국립

특수교육원.

전귀옥, 강대옥, 박재국 (2012). 장애아동 치료지원서비스 이용 실태 및 부모의 인식 -부산지역을 중심

으로- 특수아동교육연구, 14(3), 211-235.

정대영 (2013). 한국에서의 학습장애 진단 및 판별의 쟁점과 방향. 한국학습장애 학술대회지, 1, 1-28.

정한영, 박병규, 신희석, 강윤규, 편성범, 백남종, 김세현, 김태현, 한태륜 (2007). 한글판 수정바델지수(K-

MBI)의 개발: 뇌졸중 환자 대상의 다기관 연구. 대한재활의학회지, 31(3), 283-297.

정민정, 서주은 (2010). 장애아동 특성에 따른 재활치료 서비스 현황 및 욕구조사에 관한 연구 -바우처

사업 수헤자를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15(4), 157-173.

조광순 (2005). 국내 발달장애 유아 진단ㆍ평가의 문제점 및 과제. 언어치료연구, 14(1), 127-148.

조수철, 이영식 (1990). 한국형 소아우울척도의 개발. 신경정신의학, 29(4), 943-956.

조용태, 유경미 (2011). 한국판 청소년용 시지각 발달검사(K-DTVP-A)의 심리측정적 특성 분석. 발달

장애학회지, 17(3), 157-173.

질병관리본부 (2014). 한국 영유아 발달선별검사 사용 지침서. 충북: 질병관리본부.

차유진, 김세연, 우희순, 정희승, 김은주, 최유임, 박수현 (2010). 한국형 발달프로파일-Ⅲ의 표준화를 위한

예비연구. 대한작업치료학회지, 18(3), 11-21.

최복천 (2013). 장애아동 의료 및 재활치료서비스 지원체계에 대한 비판적 고찰. 장애아동인권연구, 4(1),

61-81.

충청남도교육청 (2012). 충남교육복지우선지원 사업 심리검사 편람. 충청남도: 충청남도교육청.

특수교육지원센터 (2019, 9. 24). ‘특수교육지원센터 진단ㆍ평가 게시물’. http://support.knise.kr/에서 인출.

하정주 (2003). 장애유아 선정 및 교육진단도구의 활용 실태와 개선방안 연구.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한국심리학회 심리검사심의위원회 (2011). 연구자를 위한 최신심리척도북. 서울: 학지사.

한국장애인개발원 (2014). 발달재활서비스 제공인력 관리방안 토론회. 서울: 한국장애인개발원.

한국정책방송 (2011, 2). ‘정신건강 검사’ 학생 90만명으로 확대. KTV 국민방송.

Andresen, E. M. (2000). Criteria for assessing the tools of disability outcomes research.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1, S15-S20.

Page 35: 발달재활서비스 대상자 선정 진단 ㆍ평가 검사도구 활용방안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3-%C1%F8%B9%CC%BF%B5,%B0… · 표준화 지역이 1곳

발달재활서비스 대상자 선정 진단ㆍ평가 검사도구 활용방안 283

NCES. (2010). Procedure use to Diagnose a Disability and to Assess Special Educational

Needs. An International Review.

Overton, T. (2012). Assessing learners with special needs. An applied approach. Pearson.

Pierangelo, R., & Giuliani, G. (2006). 특수교육 종사자를 위한 가이드 109가지 진단 검사 -선정, 해석

및 활용법- (여광응 외 공역). 서울: 학지사.

Radomski, M. V., & Latham, C. A. T. (Eds.). (2008). Trombly’s 작업치료학(이정원, 박수현, 김수경,

홍승표, 이지현, 박경영 역). 서울: 한미의학.

Radomski, M. V., & Latham, C. A. T. (Eds.). (2008). Occupational therapy for physical dysfunction

6th edition.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U.S. Ministry Eeucation. (2015, 1. 5) 뉴질랜드 교육부. http://www.minedu.govt.nz/ NZEducation/

EducationPolicies/SpecialEducation/PublicationsAndResources/FormsAndGuidelines/Individual

EducationPlansGuidelines/Assessment.aspx에서 인출.

Page 36: 발달재활서비스 대상자 선정 진단 ㆍ평가 검사도구 활용방안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3-%C1%F8%B9%CC%BF%B5,%B0… · 표준화 지역이 1곳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4권 제1호)284

<Abstract>

Proposal on the Use of Assessment Tools for Selection of

Developmental Rehabilitation Service Participants

Jin, Mi Youngㆍ Kang, Jung Bae

This study intends to offer information on diagnosis, evaluation, and assessment

tools for selecting developmental rehabilitation service participants. The aim is to help

experts select related assessment tools and evaluate the service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To that end, this study offers general information on assessment tools

and discusses the utilization methods.

In this study, 218 assessment tools were analyzed in detail, which were categorized

into the following eight domains: cognition; physical development; senses and movement;

adaptation and behaviors; emotions and feelings; learning; communication; features

of disability.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218 tools, 105 were adapted from

foreign tools, which were not developed or standardized in accordance with domestic

situations. Some of them didn’t have sufficient content for evaluating or measuring

the sub-variables of each domain. Second, there was a lack of latest versions as foreign

assessment tools were developed and standardized more than 30 years later in

Korea. Third, the standardization was unreliable with different criteria for each

assessment. There were cases where it was done in only one area or targeted

less than 500 people.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introduces assessment tool utilization methods.

Key Words : developmental rehabilitation services, diagnosis and evaluation, assessment tool

논문접수 : 2015. 01. 31 / 논문심사일 : 2015. 02. 13 / 게재승인 : 2015. 03. 02

Page 37: 발달재활서비스 대상자 선정 진단 ㆍ평가 검사도구 활용방안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3-%C1%F8%B9%CC%BF%B5,%B0… · 표준화 지역이 1곳

발달재활서비스 대상자 선정 진단ㆍ평가 검사도구 활용방안 285

<부록 1> 검사도구 영역별 조사표1)2)

1) 년도차이: 국외 검사도구 개발년도 대비 국내 표준화 후 개발년도의 차이(국외개발년도-국내개발년도)

2) 표준화: 국외 검사도구와 국내 자체개발에 따른 표준화 여부 확인

(단위 : 년, 지역, 명)

검사

영역검사도구명

사용

목적

개발년도 년도

차이1)

국내 표준화 정보 비고

국외 국내 표준화2) 지역 년도 인원수

인지

K-ABCⅡ 지적능력 2004 201410년

이상○ 전국 2013 3,200

국립특수교육원 한국형 개인 지능검사

(KISE-KIT)지적능력   2003 ○ 전국 2003 2,036 국내자체개발

k-WISC Ⅳ 지적능력 2003 201110년

이상○ 전국

2009~

20102,400

K-Leiter-R

한국판 라이터 비언어성 검사도구지적능력 1997 2010

10년

이상○ 전국

2007~

20081,196

K-WPPSI(한국 웩슬러 유아 지능검사) 지적능력 1967 199630년

이상○ 전국

1993~

19951,600

종합인지기능진단검사

(Cognitive Assessment System; CAS)지적능력 1997 2007

10년

이상○ 전국 2007 1,600

슬로슨 지능검사(Slosson Intelligence

Test Revised; SIT-R)지적능력 1981       번안사용

한국판 그림지능 검사(K-PTI) 지적능력 1964 198520년

이상○ 대도시 및

중소도시1986 846

구다나프 인물화 검사(Goodenough-Harris

인물화검사/Goodenough-Harrisdrawing Test;

GHDT) 인물화에 의한 간편 기능 검사

지적능력 1963 197310년

이상○ 제시 없음

1973 10,427

유아용 인물화 검사

(Infan’s Draw a Person Test)지적능력 1963 2007

40년

이상○ 대도시 및

중소도시

2004~

200610,231

고대-비네 검사 지적능력 1937 197130년

이상○ 전국

19702,424

한국판 KOHS 정신발달 검사

(카이제-코스 정신발달검사(KISE-KOHS))지적능력 1919 1997

50년

이상○ 2개 1996 402

지능ㆍ학습진단검사_청소년용 지적능력   2010 ○ 전국 2007 6,377 국내자체개발

다중지능 발달평가 검사_아동용 지적능력 2007 ○ 대도시 및

중소도시  1,514 국내자체개발

청소년용 다중지능 종합검사_청소년용 지적능력   2010 ○ 대도시 및

중소도시  885 국내자체개발

초등부모용 다중지능검사_부모용 지적능력   2007 ○ 대도시 및

중소도시  약 800 국내자체개발

컬럼비아 정신적 성숙척도(K-CMMS) 지적능력 1945 199750년

이상○ 전국 1996 756

Page 38: 발달재활서비스 대상자 선정 진단 ㆍ평가 검사도구 활용방안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3-%C1%F8%B9%CC%BF%B5,%B0… · 표준화 지역이 1곳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4권 제1호)286

인지

매카시 아동능력 검사(McCarthy Scales

of Children’s Abilities; MCSCA)지적능력 1972       번안사용

카우프만 간편 지능검사(Kaufman Brief

Intelligence Test; KBIT-2) 2판지적능력 2004       번안사용

종합적인 비언어성 지능검사 2판

(Comprehensive of Nonverbal Intelligence;

CTONI-2)

지적능력 2009       번안사용

비언어성 개인 지능검사(Test of Nonverbal

Intelligence-Third Edition; TONI-3)지적능력 1982 1991

5년

이상○ 정보

못찾음   

Hiskey-Nebraska 학습 적성검사(Hiskey-

Nebraska Tests of Learning Aptitude;

H-NTLA)

지적능력 1966 199730년

이상○ 전국    

아동용 Kims 전두엽-관리기능 신경심리검사 실행기능   2005자체

개발○ 제시 없음    

아동용 Reykim 기억검사 실행기능   1999자체

개발○ 제시 없음 1999 201

스트룹 아동색상-단어검사 실행기능 1978 200720년

이상○ 1곳 2006 782

아동 색 선로검사(CCTT, CCTT2) 실행기능 1995 200710년

이상○ 1곳

2006766

아동 충동성 검사(K-MFFT) 실행기능 1965 200430년

이상○ 제시 없음 2004

2,500

감각

ㆍ운동

시지각발달검사(K-DTVP2)시지각과

운동1966 2003

20년

이상○ 대도시 및

중소도시2003 1,000

시지각발달검사(K-DTVP-A)_청소년용시지각과

운동1966 2013

48년

이상○ 전국 2009 1,100

시지각 기능검사 도구 Test of Visual

Perceptual Skills(TVPS)시지각 1982   번안사용

시각-운동통합발달검사(Developmental

Test of Visual Motor Integration; VMI),

시지각과

운동1967 1990

20년

이상○ 제시 없음 630

지각운동발달검사(PMDT)시지각과

운동1990 번안사용

비운동성 지각검사(Motor Free Perceptual

Test; MVPT)시지각 1972   번안사용

Bender 시각운동형태검사(Bender Visual

Motor Gestalt Test; BVMGT) 또는 BGT

검사

시지각과

운동1938   번안사용

Degangi Berk 감각통합검사/드강기버크

감각인지평가(Degangi Berk Test of

Sensory Integration; TSI)

감각통합 1983   번안사용

감각통합검사/감각통합실행검사(Sensory

Integration and Praxis Test; SIPT)감각통합 1,989   번안사용

한국판 오세레츠키 운동능력검사

(김정권, 권기덕 등)운동능력 1923 번안사용

Page 39: 발달재활서비스 대상자 선정 진단 ㆍ평가 검사도구 활용방안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3-%C1%F8%B9%CC%BF%B5,%B0… · 표준화 지역이 1곳

발달재활서비스 대상자 선정 진단ㆍ평가 검사도구 활용방안 287

감각

ㆍ운동

대근육 운동 발달 검사(Test of Gross

Motor Development; TGMD)운동능력 1985   번안사용

Purdue 지각운동검사(Purdue Perceptual

Motor Survey; PPM)운동능력 1,966   번안사용

(준거참조검사)

Milani _Comparetti 운동발달검사(Milani

Comparetti Motor Development Test)운동능력

1977   번안사용

Miller 취학전 아동 사정(Miller Assessment

for Preschoolers; MAP)운동능력 1982   번안사용

간편 신경학적 선별검사(Quick Neurological

Screening Test; QNST)운동능력 1998   번안사용

Purdue Pegboard Test 운동능력 1968   번안사용

Grooved Pegboard 운동능력 1985   번안사용

9-hole Pegboard 운동능력 1985   번안사용

Jebson Hand Function Test 운동능력 1969   번안사용

Bruininks-Oseretsky Test of Motor

Proficiency(BOT)운동능력 1978   번안사용

Minnesota Rate of Manipulation Tests

(MRMT)운동능력 1969   번안사용

Minnesota Rate of Dexterity Tests

(MMDT)운동능력 1998   번안사용

박스와 블록테스트

(상자와 나무토막검사)운동능력 1985 2004

10년

이상○ 188

Movement Assessment of Infants(MAI) 운동능력 1980   번안사용

피바디 운동 발달척도 Peabody

Developmental Motor Scales(PDMS)운동능력

1969

~

1982

  번안사용

Pennsylvania Bi-Manual Work Sample

(PBWS)운동능력 1969   번안사용

한글판 수정 바델지수(K-MBI) 일상생활능력 1995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FIM) 일상생활능력 1,990   번안사용

캐나다 작업수행 측정(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COPM)일상생활능력

초기

연구

1991

  번안사용

Katz 지수(Kats Index of ADL) 일상생활능력 1963   번안사용

Klein-Bell 일상생활활동 척도(Klein-Bell

Activities of Daily Living Scale)일상생활능력 1982   번안사용

The Assessment of Motor and Process

skills(AMPS)

수단적

일상생활능력1993   번안사용

The Kohlman Evaluation of Living Skills

(KELS)

수단적

일상생활능력1,993   번안사용

Safety Assessment of Function and the

Environment for Rehabilitation(SAFER)

수단적

일상생활능력1993   번안사용

Page 40: 발달재활서비스 대상자 선정 진단 ㆍ평가 검사도구 활용방안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3-%C1%F8%B9%CC%BF%B5,%B0… · 표준화 지역이 1곳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4권 제1호)288

신체

발달

아프가 검사(Apgar Scale) 건강상태 1952   번안사용

신생아행동검사(Braxelton Neonatal Behavi

oral Assessment Scale; NBAS)건강상태 1973   번안사용

베일리영유아발달선별검사(Bayley Scales

of Infant Development; BSID)

한국판 or 베일리영유아 발달선별검사 2판

(K-BSID-2)

발달수준 1969 200330년

이상 ○ 대도시 및

중소도시2002 1,700

신생아지각검사(Neonatal Perception Inven

tory; NPI)

기질적

특성1964   번안사용

영유아기질검사(Thomas와 Chess척도)기질적

특성1977 1999

20년

이상○ 전국 1999 1,175

한국판 영유아 기질 및 비전형 행동 척도

(K-TABS)

기질적

특성1999 2012

10년

이상○ 대도시 및

중소도시

2011~

20122,107

한국판 K-DIAL 3 발달수준 1998 200210년

이상○ 대도시 및

중소도시2002 1,484

교육진단검사(PEP-R) 발달수준 1990 200510년

이상○ 정보

못찾음2005 423

한국판 덴버발달 선별검사(K-DDST) 발달수준1967

200230년

이상○ 대도시 및

중소도시

1999~

20011,054

아동발달검사(K-CDI) 발달수준 1992 200610년

이상○ 대도시 및

중소도시2006 1,192

한국판 영유아발달선별검사(K-DST) 발달수준 2014 ○ 전국 2013 3,674 국내자체개발

Battelle 발달검사(The Battelle Developmental

Inventory; BDI)발달수준 1999   번안사용

영유아 검진표 건강상태     국내자체개발

(검진용)

영유아를 위한 사정, 평가 및 프로그램 체계

(AEPS)발달수준 1976 2008 번안사용

영유아발달선별검사(Korea Child Development

Review; K-CDR)발달수준 1996 2006

10년

이상○ 전국

2004~

20051,141

한국 영아발달검사(K-DII) 발달수준   2011 ○ 2곳 2005 143 국내자체개발

한국 유아발달검사(K-DIP) 발달수준   2011 ○ 전국 2006 1,204 국내자체개발

영아선별교육진단검사(DEP) 발달수준 2008 ○ 전국 2008 1,168 국내자체개발

부모작성형유아모니터링체계(K-ASQ) 발달수준 1999 2006 ○ 전국 2005 3,000

발달프로파일(Developmental Profile; DP) 발달수준 1986   번안사용

취학전 유아평가척도(The Preschool

Evaluation Scales; PES)발달수준 1992   번안사용

적응

ㆍ행동

청소년 행동평가척도-교사용(ABAS-T) 행동   2004 ○ 전국 2003 259 국내자체개발

코너스 평정척도(Conners’Parent and

Teacher Ratiing Scales; CPRS/CTRS)행동 1969   번안사용

문제행동의 동기평정척도(Motivation

Assessment Scale; MAS) “동기사정척도” 행동 1988   번안사용

Page 41: 발달재활서비스 대상자 선정 진단 ㆍ평가 검사도구 활용방안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3-%C1%F8%B9%CC%BF%B5,%B0… · 표준화 지역이 1곳

발달재활서비스 대상자 선정 진단ㆍ평가 검사도구 활용방안 289

적응

ㆍ행동

벅스의행동평정척도(Burks Behavior Rating

Scales; BBRS)행동 1986   번안사용

아동행동진단검사(BASC-2) 행동 1992   번안사용

아동·청소년 행동평가척도_부모용(CBCL 6-

18)행동 2001 2010

5년

이상○ 전국

2002~

20042,616

아동·청소년 행동평가척도_교사용(TRF) 행동 2001 20105년

이상○ 전국 2008 957

아동·청소년 행동평가척도_자가보고용(YSR) 행동 2001 20105년

이상○ 전국 2008 1,673

유아 행동평가척도_부모용(CBCL 1.5-5) 행동 2000 20085년

이상○ 전국 2005 2,433

유아 행동평가척도_교사용(C-TRF) 행동 2000 20095년

이상○ 전국 2005 1,371

K-ABS 한국판적응행동검사 적응행동 1974 199010년

이상○ 2곳 1990 2,559

적응행동검사(KISE-SAB) 적응행동 2003 ○ 전국 2002 3,541 국내자체개발

사회성숙도검사(Social Maturity Scale)적응행동 및

사회성1965 1985

20년

이상○ 전국 1977 2,200

한국판적응행동검사(K-SIB-R) 적응행동 1965 200740년

이상○ 전국 2005 2,763

파라다이스 한국표준적응행동검사(PABS-KS) 적응행동 2007 ○ 1곳2004~

2005699 국내자체개발

지역사회적응검사(CSI-A) 적응행동 2004 ○ 전국 2002 1,356 국내자체개발

청소년 행동평가척도-청소년용(ABAS-S)부적응 및

행동  2004 ○ 전국 2003 3,191 국내자체개발

적응행동 검사(ABS-SE) 적응행동 1981   번안사용

AAMR 적응행동척도_주거와 지역사회

-2 /AAMR 적응행동척도_학교

(ABC-RC-2, ABC-S:2)

적응행동 1993   번안사용

AAMD(American Association on Mental

Adaptive Behavior Scale)적응행동 1974  

이화바이랜드적용행동검사(EWHA-VABS) 적응행동

1935

~

1965

199330년

이상○ 2곳 1992 746

교우관계사정(Sociometric Assessment) 사회성 1934   번안사용

아동용 사회성 불안척도(The Social Anxiety

Scale for Children)사회성 1988   번안사용

아동 청소년 교우관계문제검사

(Korean Inventory of Interpersonal

Problem; K-IIP)

사회성 1990 20095년

이상○ 전국 2009 1,474

Page 42: 발달재활서비스 대상자 선정 진단 ㆍ평가 검사도구 활용방안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3-%C1%F8%B9%CC%BF%B5,%B0… · 표준화 지역이 1곳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4권 제1호)290

정서

ㆍ심리

유아성격검사(PTYC) 성격특성   1994 ○ 정보

못찾음1993

제시

없음

(4~6세

대상)

국내자체개발

청소년 성격평가 질문지(PAI-A)성격특성 및

부적응1991 2008

10년

이상○ 전국 2001

1,000

한국아동ㆍ청소년성격검사

(KCPI-S, KAPI-S)_자기보고형

성격특성 및

부적응2010 ○ 전국 2007

학년별

500

이상

국내자체개발

KCPI-T 한국아동성격검사-교사평정용성격특성 및

부적응2009 ○ 전국 2007 676 국내자체개발

KPI-C 한국아동인성검사성격특성 및

부적응1977 1997

20년

이상○ 전국 1997 300

다면적인성검사(MMPI)

한국판다면적인성검사(MMPI-2, MMPI-A)성격특성 1940 2005

60년

이상○ 전국 2001

인구

총 조사

MPI 현대 인성검사(초등생)성격특성 및

정서상태  2012 ○ 전국 2011 5,702 국내자체개발

MPI 현대 인성검사(중고생)성격특성 및

정서상태2012 ○ 전국 2011 7,003 국내자체개발

Piers-Harris 아동용 자아개념 검사(The Piers

-Harris Children’s Self Concept Scale)자아개념 1985   번안사용

SCI 자아개념 검사 자아개념 2006 ○ 전국 2002 3,427 국내자체개발

아동용주제통각검사(CAT)

한국판아동용주제통각검사(TAT)성격특성 1949 1976 번안사용

단어연상검사 심리적 특성 1908 1982 번안사용

로샤검사(Rorschach검사) 심리적 특성 1921   번안사용

HTP(집 나무 사람 그림검사) 심리적 특성 1947   번안사용

동적 가족화 검사(KFD) 심리적 특성 1970   번안사용

문장완성검사 심리적 특성 1904   번안사용

BGT검사(Bender Visual Motor Gestalt

Test; BVMGT)심리적 특성 1938   번안사용

Beck 불안 척도 (Beck Anxiety Inventory;

BAI)정서적 특성 1988   번안사용

개정판 아동불안척도/아동발현불안척도

(Revised Children’s Manifest Anxiety

Scale; RCMAS)

정서적 특성1985   번안사용

Beck 우울척도(BDI) 정서적 특성 1961   번안사용

소아우울척도(Kovacs’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CDI)정서적 특성 1983 1991

5년

이상○ 1곳 1990 288

레이놀즈 자살생각척도(Reynold Suicidal

Questionnaire; R-SIQ)정서적 특성 1987   번안사용

간이정신진단검사(Symptom Checklist-90

-Revision; SCL-90-R)심리적 특성 1976 1984

5년

이상○ 2곳

Page 43: 발달재활서비스 대상자 선정 진단 ㆍ평가 검사도구 활용방안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3-%C1%F8%B9%CC%BF%B5,%B0… · 표준화 지역이 1곳

발달재활서비스 대상자 선정 진단ㆍ평가 검사도구 활용방안 291

정서

ㆍ심리

정서지능검사_아동용 정서적 특성 1995 20005년

이상○ 제시 없음

정서지능검사_청소년용 정서적 특성 1995   번안사용

학습

오티스-레논 학업능력 검사(Otis Lennon

School Ability Test; OLSAT)학업능력 1979   번안사용

디트로이드 학습적성검사(Detroit 학업적성

검사)학업능력 1967   번안사용

Metropolitan 종합 학습준비도(성취도) 검사

(Metropolitan Readiness Tests; MRT)학업능력 1933   번안사용

Woodcock-Johnson 교육심리 검사 개정판

(woodcock johnson psychoeducational

battery-revised; WJ-R)

학업능력 1977   번안사용

브래켄 기본개념척도 개정판(Bracken Basic

Concept Scale; BBCS)학업능력 1998   번안사용

BASA 읽기검사 학업능력   2009 ○ 전국 2008 973 국내자체개발

BASA 쓰기검사 학업능력   2009 ○ 전국 2008 843 국내자체개발

BASA 수학검사 학업능력   2009 ○ 전국 2008 941 국내자체개발

기초학력검사(KISE-BAAT) 읽기 학업능력 2005 ○ 전국 2004 1,985 국내자체개발

기초학력검사(KISE-BAAT) 쓰기 학업능력 2005 ○ 전국 2004 1,942 국내자체개발

기초학력검사(KISE-BAAT) 수학 학업능력 2005 ○ 전국 2004 2,000 국내자체개발

기초학습기능검사(KEDI-IBLST) 학업능력 1989 ○ 대도시 및

중소도시1987 1,298 국내자체개발

청소년 학습전략검사(Assessment of Learning

Strategy for Adolescent; ALSA)학업능력   2007 ○ 전국 2005 1,721 국내자체개발

학습기술 진단검사(Learning Skills Test;

LST)학업능력   2002 ○ 전국 2001 7,408 국내자체개발

학습종합 진단검사(GLDI) 학업능력   2001 ○ 전국 2001 7,351 국내자체개발

Boehm 기본개념 검사(Boehm Test of

Basic Concepts Revised; BTBC-R)학업능력 1986   번안사용

교육장애 가능성 진단 선별도구(Screening

Instrument for Targeting Educational

Risk; SIFTER)

학업능력

1989

~

2004

  번안사용

Slingerland 특정언어장애 진단 선별검사

(Slingerland Screening Tests for Identifying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Disability)

학업능력 1977   번안사용

RA-RCP 읽기 성취 및 읽기 인지처리 능력

검사

읽기 및 인지

처리능력2011 ○ 2곳 2011 511 국내자체개발

Kaufman 초기학업 및 언어기능검사(Kaufman

Survey of Early Academicand Language

Skills; K-SEALS)

학업능력

및 언어

기능

1993     번안사용

Gates-MacHinite 묵독 읽기검사 읽기능력 1989     번안사용

Grey 구두 읽기 검사(Gray Oral Reading

Test; GORT)읽기능력 1963   번안사용

Page 44: 발달재활서비스 대상자 선정 진단 ㆍ평가 검사도구 활용방안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3-%C1%F8%B9%CC%BF%B5,%B0… · 표준화 지역이 1곳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4권 제1호)292

학습

Durrell 읽기 장애 진단 분석(Durrell Analysis

of Reading Difficulty; DARD)읽기능력 1937     번안사용

Gates-Mckillop_Horowitz 읽기 진단검사

(Gates-Mckillop_Horowitz Reading Diagn

ostic Test)

읽기능력 1962     번안사용

Gilmore 구어 읽기 검사(Gilmore oral reading

test)읽기능력 1968     번안사용

Slosson 구두 읽기 검사-개정판(Slosson

oral Reading Test-Revised; SORT-R)읽기능력 1990     번안사용

Spache 진단 읽기 척도(Spache Diagnostic

Reading Scales; DRS)읽기능력 1963     번안사용

Woodcock 읽기 완성성검사(Woodcock Reading

Mastery Tests-Revised; WRMT-R)읽기능력 1987   번안사용

읽기이해검사 3판(Test Of Reading

Comprehension-Third Edition; TORC-3)읽기능력 1995     번안사용

해독 기능검사(Decoding Skills Test; DST) 읽기능력 1985     번안사용

Nelson-Denny 읽기 검사(Nelson-Denny

Reading Test; NDRT)읽기능력 1929     번안사용

수준별 교육을 위한 읽기진단검사 읽기능력   2001국내자체개발

(비형식적 검사)

의사

소통

초기낱말발달체크리스트(MacArthur Comm

unicative Development Inventory-Korea;

MCDI-K)

언어 1993   번안사용

일리노이 심리언어 검사 Illinois 심리언어

능력검사(ITPA)언어 1968   번안사용

Rhode Island 언어 구문검사(Rhode Island

Test of Language Structure; RITLS)언어 1983   번안사용

한국 노스웨스턴 구문선별검사 언어 1971 198510년

이상○ 1곳 1985 213

SELSI 영유아언어발달검사 언어   2003 ○ 전국 2001 1,090 국내자체개발

K-BNT-C 아동용 한국판 보스톤 이름

대기검사언어 1983 1999

5년

이상○ 전국 1997 2,560

PRES 취학전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발달척도검사언어   2003 ○ 2곳 2000 621 국내자체개발

REVT 수용ㆍ표현어휘력검사 언어   2009 ○ 전국2001~

20096,800 국내자체개발

피바디 그림어휘검사(Peabody picture

vocabulary test; PPVT)언어 1981 1995

10년

이상○ 2곳 1994 4,200

언어성 청각이해 검사(Test for Auditory

Comprehension of Language Revised;

TACL-R)

언어 1985   번안사용

종합적인 수용 및 표현어휘검사(Comprehensive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Test; CREVT)

언어 2002

(2판)  번안사용

Goldman-Fristoe 조음검사(Goldman Fristoe

Test of Articulation; GFTA)언어 1969   번안사용

Page 45: 발달재활서비스 대상자 선정 진단 ㆍ평가 검사도구 활용방안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3-%C1%F8%B9%CC%BF%B5,%B0… · 표준화 지역이 1곳

발달재활서비스 대상자 선정 진단ㆍ평가 검사도구 활용방안 293

의사

소통

청소년 및 성인 언어검사(Test of Adolescent

and Adult Language; TOAL)언어

1994

(3판)  번안사용

조기언어발달검사(Test of Early Language

Development; TELD)언어

1991

(2판)  번안사용

언어발달검사-초급(Test of Language

Development Primary; TOLD-P)언어 1982   번안사용

아동용발음평가(Assessment of Phonology

for Children; APAC)언어   2007 ○ 제시 없음

2006~

2007222 국내자체개발

KS-PAPT 한국어 표준그림 조음 음운검사 언어 2002 ○ 제시 없음 2001 160 국내자체개발

한국어 발음검사 언어   1991국내자체개발

(실태조사)

U-TAP·U-WAP(우리말조음ㆍ음운평가/학습) 언어   2004 ○ 제시 없음 2004 150 국내자체개발

한국판 맥아더-베이츠 의사소통발달 평가

(K-M-B CDI)언어 2007 2011

5년

미만○ 대도시 및

중소도시

2010~

20111700

어음청각검사 의사소통능력   2010 국내자체개발

언어문제해결력검사 의사소통능력   2000 ○ 2곳 2000 756 국내자체개발

언어이해 인지력 검사 언어 1990 19925년

미만○ 1곳 1992 155

문장이해력검사 언어 1988 19945년

이상○ 제시 없음 1994 406

P-FA 파라다이스유창성검사 언어 2004 ○ 2곳2001~

2003143 국내자체개발

구문의미 이해력 검사 언어 2004 ○ 2곳10년 동안

진행

정보

못찾음국내자체개발

취학전 아동의 수용-표현언어검사

(Preschool Language Scale; PLS)언어 1969   번안사용

장애

특성

한국표준어음변별력검사(KSSDT) 청각장애   1997 ○ 2곳1995~

19962,712 국내자체개발

청각언어재활을 위한 평가 가이드(Evaluation

of Auditory Response to Speech; EARS-K)청각장애 1996 번안사용

진용한 시시력표 시각장애   1997국내자체개발

(시력검사)

한천석 시시력검사 시각장애   1951국내자체개발

(시력검사)

저시력자용 원거리 시력표 시각장애   2002국내자체개발

(시력검사)

기능시각검목표 시각장애 1982 2008국내자체개발

(시력검사)

영유아청각통합능력척도(IT-MAIS) 청각장애 2001   번안사용

한국판/사회적 의사소통 설문지(SCQ) 자폐 2003   번안사용

Page 46: 발달재활서비스 대상자 선정 진단 ㆍ평가 검사도구 활용방안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3-%C1%F8%B9%CC%BF%B5,%B0… · 표준화 지역이 1곳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4권 제1호)294

장애

특성

이화자폐아동행동발달평가 척도(E-CLAC) 자폐 1970 199020년

이상○ 전국

1982~

19901,329

아동기 자폐증 평정척도(CARS) 자폐 1986   번안사용

K-ADS 한국자폐증진단검사 자폐 2004 ○ 제시 없음 2003 322

자폐영아검목표(Checklist for Autism/PDD

in Toddlers; M-CHAT)자폐 2001   번안사용

자폐증 유아선별 부모용 간편 체크리스트 자폐   1997 ○ 1곳 1997 24,000 국내자체개발

자폐아행동체크리스트

(The Autism Behavior Checklist; ABC)자폐 1980   번안사용

자폐증진단면담지(ADI-R) 자폐 2003   번안사용

자폐증 진단관찰 스케쥴(ADOS) 자폐 1989 번안사용

ASSQ 자폐 1998   번안사용

호주 아스퍼거 증후군 척도(Australian Scale

for Asperger’s Syndrome; ASAS)자폐 1995   번안사용

아스퍼거증후군진단척도(ASDS) 자폐 2001 번안사용

ADHD 평정척도(ADHD Rating Scale-IV;

K-ARS 4판)ADHD 1991 2002

10년

이상○ 1곳 2002 1,044

한국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진단검사

(K-ADHDDS)ADHD   2004 ○ 제시 없음 2003 305 국내자체개발

주의력결함장애 평가척도(Attention Deficit

Disorders Evaluation Scale; ADDES)ADHD 1989

1996

~

1997

5년

이상○ 1곳 1994 538

한국판학습장애평가척도(K-LDES) 학습장애 1983 199810년

이상○ 2곳 1998 720

학습장애 선별검사(K-LDSS) 학습장애   2008자체

개발○ 전국 2008 1,264

학습장애 선별검사(자가진단척도 LDST)

_김동일학습장애   2009

자체

개발국내자체개발

조기 정신증 검사(Eppendorf Schizophrenia

Inventory; ESI)정신분열증 2000   번안

사용

연속수행력검사_청각(ADS시각, 청각검사) ADHD 2000자체

개발○ 2곳 2000 847

FAIR 주의집중력 검사 ADHD 1996 20025년

이상○ 전국 1995 1,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