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4
태교 관점 임부 교실이 모아 애착에 미치는 효과 연세대학교 대학원

태교 관점 임부 교실이 모아 애착에 미치는 효과...태교 관점 임부 교실 참여 전·후에 임부는 임부 태아 애착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2) 제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태교 관점 임부 교실이 모아 애착에 미치는 효과...태교 관점 임부 교실 참여 전·후에 임부는 임부 태아 애착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2) 제

태교 관점 임부 교실이 모아 애착에 미치는 효과

연세대학교 대학원

간 호 학 과

김 기 영

Page 2: 태교 관점 임부 교실이 모아 애착에 미치는 효과...태교 관점 임부 교실 참여 전·후에 임부는 임부 태아 애착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2) 제

태교 관점 임부 교실이 모아 애착에 미치는 효과

지도 장 순 복 교수

이 논문을 석사 학위논문으로 제출함

2000년 6월 일

연세대학교 대학원

간 호 학 과

김 기 영

Page 3: 태교 관점 임부 교실이 모아 애착에 미치는 효과...태교 관점 임부 교실 참여 전·후에 임부는 임부 태아 애착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2) 제

김기영의 석사 학위논문을 인준함

심사위원 인 심사위원 인

심사위원

심사위원 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0년 6월 일

Page 4: 태교 관점 임부 교실이 모아 애착에 미치는 효과...태교 관점 임부 교실 참여 전·후에 임부는 임부 태아 애착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2) 제

i

감사의 글

병원에서 근무를 하면서 논문을 작성할 수 있었던 것은 주위 여러분들의 도움

이 컸습니다. 또한 미약한 저에게 논문을 작성케 하신 하나님께 감사를 드립니다.

제가 태교에 관심을 가지게 된 것은 이 땅에서 태아가 너무나 쉽게 죽어가는 것

에 마음이 아파서 였고 제가 근무하는 산과 병동에서 임부들이 한 생명의 소중함

을 모르는 것에 대해 무엇인가 도움을 주기 원했습니다. 그래서 저는 태교에 대

해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태교를 간호중재로 이끌고자 노력하시는 장순복 교수님

의 도움과 함께해 주심으로 태교 관점 임부 교실을 진행할 수 있었습니다. 정확한

분석력으로 논문을 이끄신 오가실 교수님, 논문을 다듬어 주신 김희순 교수님의

도움으로 논문이 이렇게 나올 수 있었습니다.

임부 교실을 함께 했던 소녀 같은 박인숙 수간호사 선생님, 논문 진행에 도움과

따뜻함으로 대해주신 남상조 수간호사 선생님, 내가 알고 있는 병동에서 가장 친

절한 천사와 같은 31병동 간호사들.

우리 가정에 항상 바람막이를 하신 사랑하는 나의 아버지, 제가 공부하는 것을

좋아해서 집안 일을 거의 시키지 않으셨던 어머니, 결혼하려 하니 세탁기 돌리는

것도 고심을 하였답니다. 행복한 가정을 이루어 살고 있는 오빠, 언니, 동생, 또한

귀여운 나의 조카들. 친딸로 대해주시고 사랑을 베풀어 주신 시아버님, 시어머님.

영문 초록을 원문보다 더 잘 옮겨주신 형님과 아주버님. 컴퓨터 작업을 도와주고

나의 투정을 받아주고 지쳐있는 나에게 항상 칭찬과 격려를 해주는 사랑하는 나

의 신랑, 동욱씨.

Page 5: 태교 관점 임부 교실이 모아 애착에 미치는 효과...태교 관점 임부 교실 참여 전·후에 임부는 임부 태아 애착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2) 제

ii

생각해 보니 이 논문은 저에 논문이 아니라 모든 사람의 논문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또한 지쳐있고 마음이 힘들 때 위로와 힘이 되었던 나의 사랑하는 하나님. 제가

공부할 수 있게 하고 논문을 쓰게 했던 것은 하나님의 도움이 가장 컸답니다.

저의 삶이 하나님의 사랑을 주위 사람에게 전해주는 간호사가 될 것을 다짐합니

다.

2000. 7.

김 기영

Page 6: 태교 관점 임부 교실이 모아 애착에 미치는 효과...태교 관점 임부 교실 참여 전·후에 임부는 임부 태아 애착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2) 제

iii

목 차

감사의 글································i

목 차 ··································iii

표 목차·································v

부록 목차································v

국문 요약································vi

I.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1

2. 연구 문제·····························3

3. 연구 가설·····························4

4. 용어 정의·····························4

II. 문헌 고찰 ······························ 6

1. 태 교·······························6

2. 모아 애착···························· 11

3. 태교 관점 임부교육 프로그램··················· 14

III. 연구 방법 ····························· 17

1. 연구 설계···························· 17

2. 대상자 표집 방법 ························ 18

Page 7: 태교 관점 임부 교실이 모아 애착에 미치는 효과...태교 관점 임부 교실 참여 전·후에 임부는 임부 태아 애착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2) 제

iv

3. 측정 도구···························· 18

4. 태교 관점 임부 교실······················· 20

5. 자료 수집···························· 24

6. 자료 분석 ··························· 25

IV. 연구 결과 ····························· 26

1. 대상자의 특성 검정 ······················· 26

2. 가설 검증···························· 28

V. 논 의································ 30

VI. 결론 및 제언···························· 32

1. 결 론······························ 32

2. 제 언······························ 33

참고 문헌································35

Abstract ································61

Page 8: 태교 관점 임부 교실이 모아 애착에 미치는 효과...태교 관점 임부 교실 참여 전·후에 임부는 임부 태아 애착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2) 제

v

표 목 차

표 1. 연구 설계·····························17

표 2. 태교 관점 임부 교실 프로그램 ···················23

표 3. 대상자의 특성 ··························27

표 4. 태교 관점 임부 교실 참여 전·후 임부태아애착 ···········28

표 5. 실험군, 대조군의 산모 신생아 애착·················29

부 록 목 차

부록 1. 임부-태아 애착 질문지 ·····················42

부록 2. 산모-신생아 애착 ·······················46

부록 3. 도구의 신뢰도··························49

부록 4. 태교 관점 임부 교실 내용···················· 51

Page 9: 태교 관점 임부 교실이 모아 애착에 미치는 효과...태교 관점 임부 교실 참여 전·후에 임부는 임부 태아 애착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2) 제

vi

국문 요약

태교 관점 임부 교실이 모아 애착에 미치는 효과

여성들이 임신을 하게 되면 임신 초기에 태아 기형에 대한 두려움을 갖고 임신

말기에는 가장 두려운 것이 분만 동통에 대한 두려움 이다. 이에 여러 병원과 조

산소에서 임부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임부 교육이 분만에 대하여 적

극적이고 분만 시 통증과 불안을 감소시키고 긍정적인 분만 경험을 갖게 한다. 그

러나 임부 교육이 출산과 임부의 건강에 대한 내용만을 다루고 태아의 건강과 임

부 태아와의 관계에 대해서는 간과하고 있다. 그래서 본 연구는 한국 문화 내에서

태아를 중요시 여기는 태교 관점으로 임부 교실을 임신 말기 임부 대상으로 교육

을 실시하였고 이 임부 교실의 효과로 모아 애착을 측정하였다. 모아 애착으로 효

과를 측정한 이유는 애착이 임부에게 신생아 양육의 원동력이 되고 아기에게 정

신적, 신체적 건강의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이다.

태교 관점 임부 교실의 프로그램 내용은 태교에 관한 국내·외 문헌과 태아에

대한 국내·외 연구를 통해서 밝혀진 결과를 근거로 태아의 성장 발달과 반응 능

력, 태내 환경의 중요성, 임부 태아 관계 형성과 강화, 아기에게 기도문, 편지 쓰

기, 태교 명상과 임신에 대한 경험 나누기, 분만에 대한 선입견 나누기, 임신부 사

랑 선언문으로 구성되고 출산을 위한 내용으로 분만의 이해, 이완·호흡법, 분만

준비를 위한 임부 체조로 2시간씩 4주간 실시하는 총 8시간의 강의, 시범, 실습의

교육이다.

연구 방법은 태교 관점 임부 교실이 모아 애착에 효과를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유사 실험 설계를 하였고 2000년 3월 4일부터 6월 15일 까지 일개의 대

Page 10: 태교 관점 임부 교실이 모아 애착에 미치는 효과...태교 관점 임부 교실 참여 전·후에 임부는 임부 태아 애착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2) 제

vii

학 병원에서 실시하였다. 실험군은 18명이고 대조군은 27명으로 총 45명이다. 실

험군은 임신 32주에서 36주 사이로 첫 주 임부 교육 전에 일반적 특성과 임부 태

아 애착을 측정하고 4주 교육 후에 임부 태아 애착을 측정하였으며 임부 태아 애

착은 Cranley(1981)의 Maternal-fetal attachment scale(MFAS)을 번안·수정

한 자가 보고형 도구이다. 대조군은 임신 32 주에서 39주 사이에 일반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산모 신생아 애착은 분만 후에 측정하였으며

Cropley (1971)외 2인에 의해 제작된 Maternal Attachment Tool(MAT)을 이

자형과 김진향(1981) 번역한 관찰형 도구이다. 수집된 자료는 SAS로 통계 분석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태교 관점 임부 교실 참여 전·후에 임부는 임부 태아 애착이 높았다(t=

3.73, p=0.002).

2. 태교 관점 임부 교실에 참여한 산모는 참여 하지 않은 산모 보다 산모 신

생아 애착이 높았다(t=-3.48, p=0.001).

본 태교 관점 임부교육 프로그램이 모아 애착 증진에 효과가 있어 간호 중재 프

로그램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기존의 임부 교실에 태교 관점에서의 태내 환경조

성과 임부·태아의 관계 강화를 포함시킨 내용이 추가될 것이 요구된다. 태교 관

점 임부 교실의 효과 검증으로 분만 통증, 분만 시간, 분만 경험, 모유수유율 등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와 태교를 입증할 수 있는 과학적인 연구가 활발히 이루

어져야 하고 우리나라 산모와 신생아의 애착을 측정할 수 있는 타당하고 신뢰할

만한 도구의 개발 연구를 제언한다.

핵심되는 말: 임부 교실, 태교 관점 임부 교실, 모아 애착

Page 11: 태교 관점 임부 교실이 모아 애착에 미치는 효과...태교 관점 임부 교실 참여 전·후에 임부는 임부 태아 애착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2) 제

-1 -

I.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여성들은 임신을 하게 되면 임신 사실을 극적인 사건으로 인식하게 된다. 임신

초기에는 임신에 대한 양가 감정, 임신 오조, 피로 감 등의 불편 감과 태아 기형

에 대한 두려움을 갖게 되며 임신 말기에는 임신을 수용하게 되지만 분만 동통에

대한 두려움을 갖게 된다(장숙희, 1992). 이러한 임부의 분만 시 두려움, 동통 감

소를 위해 여러 병원과 조산소에서 산전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여러 병원과 조산소 등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산전 교육으로는 라마즈 교실, 임

부 교실, 출산 교실 등이 있으며 이러한 교육은 임부에게 출산에 대한 지식을 제

공하여 분만에 대한 두려움과 공포심을 감소시키고 있다. 또한 이러한 산전 교육

으로 임부가 분만에 대하여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사고를 함으로서 심리 예방적

준비가 되며 분만에 대한 긍정적인 경험을 갖게 하여 분만 시 통증, 불안을 감소

시키는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박영숙, 1987 ; 박영숙 외, 1996 ; 정귀애,1995).

이러한 산전 교육은 분만 과정, 생식기의 구조 및 생리, 신생아 돌보기, 호흡법,

명상, 이완 ·연상법, 정신집중, 맛사지, 산전 운동, 모유 수유와 산욕기 관리, 신

생아 돌보기, 가족 계획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박영숙, 1987 ; 박영숙 외, 1996

정귀애,1995, 노연희,1998). 즉 산전 교육의 주된 교육 내용은 분만에 대한 지식

과 대처 능력을 준비 하도록 유도하며 분만 시에 산부가 분만 통증으로 고통을

당하는 자 즉, 피해자의 입장에서 수동적으로 대처하기 보다는 적극적으로 참여하

여 분만 주체자로 인식하도록 하는 산부 중심적인 산전준비에 초점을 두고 있다.

또한 임부 교실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교육 내용이 모유 수유와 산욕기 관리, 신생

아 돌보기, 가족 계획 등은 사실상 출산 이후 산모를 대상으로 퇴원 전에 교육 하

Page 12: 태교 관점 임부 교실이 모아 애착에 미치는 효과...태교 관점 임부 교실 참여 전·후에 임부는 임부 태아 애착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2) 제

-2 -

는 것이 보다 효과적일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임부 교실이 출산 준비 중심이고

임부 중심이라면 열 달 동안 사실상 단 한 개의 세포로부터 260억 개의 세포로

엄청난 변화를 겪고 있는 태아를 간과하여 인격체로 보지 못하는 견해이다.

이처럼 임부와 출산준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산전교실에 우리 한국 문화

내에 전통적으로 내려오고 있고 태아를 중요시 여기는 태교를 산전 관리 교육으

로 더한다면 태아와 임부 중심의 산전 관리, 출산 준비로 이어질 수 있다고 본다.

또한 현대의 병원에서 제공되고 있는 산전 관리는 서양 의학적인 의료가 중점적

으로 이루어지고 있고 임부들의 자가 관리로서의 태교를 도외시 하고 있어 더욱

한국 문화에 맞는 산전 관리가 이루어질 것으로 본다.

태교는 동양문화권에서 중요시되는 출산 여성의 자가관리 행위로서의 그 고유성

을 지니고 있으며 출산 여성의 자가관리차원과 전문적인 간호 차원에서 구현될

수 있다.(장순복, 1999) 또한 한국 임신 부부들이 심층적인 대화와 참여 관찰로

실시하고 있는 태교는 임부와 태아의 신체적 건강만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정

신적 건강·아이의 바른 심성개발·재능과 지능 개발·단정한 외모·좋은 습관의

형성·아이의 장래에 좋은 의미부여·남아출산 그리고 부모역할습득을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김현옥,1997).

태교는 임부가 태아를 인격체로 보고 임부와 태아 간의 상호 작용을 통해 태아

의 성장발달을 촉진시킬 뿐만 아니라 건강을 도모케 하는 행위이다. 태교를 통해

임부가 태아를 인간으로 인식하며 상호관계를 갖으며 임부와 태아 간에 정서적

교류를 통하여 애착이 형성되고 나아가 임부 태아 애착이 강화될 것이다. 임신

시기에 형성된 임부 태아 애착은 나아가 출산 이후 산모, 신생아 관계에도 긍정

적인 결과를 낳고 있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Muller, M. E., 1996).

산욕기는 모아 상호작용과 산모 신생아 애착의 발달에 있어서 인생에 가장 민감

한 시기이다(Bhakoo et al, 1994), 그러나 이 시기를 모아 간에 애착이 형성되는

최초의 시기 라기 보다는 이미 임신 시기에 형성된 결과에 근거한 민감한 시기라

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보다 모아 애착을 강화하려면 이미 임신 시기부터 적극적

으로 임부와 태아의 애착을 증진시키기 위한 간호 중재가 있어야 할 것이다

Page 13: 태교 관점 임부 교실이 모아 애착에 미치는 효과...태교 관점 임부 교실 참여 전·후에 임부는 임부 태아 애착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2) 제

-3 -

(Cranley, 1992), 간호사는 산욕기에 부모-영아 상호 관계(parent-infant

interaction)를 사정하고 부모가 영아 행동의 의미를 해석할 수 있도록 도우며 부

모 행동을 촉진시키도록 하는 중요한 위치에 있다(Bhakoo et al, 1994). 태교 관

점의 산전 교육적 간호 중재로 임부 태아 애착이 향상되고 산모와 신생아 애착이

증진되어 산모는 아기를 돌보는 정서적 능력이 높아질 것으로 본다. 또한 모아 애

착은 어머니가 아기를 양육하는데 원동력이 되고 어머니의 모든 에너지를 집중할

수 있는 심리적 지남력을 좌우케 하는 힘이다.

이처럼 태아와 임부를 함께 중요시 하는 태교 관점 임부 교실은 기존의 분만 중

심적인 임부 교실 보다 가치가 있다는 타당성을 검정하고 병원 내 임부 교실에서

출산 준비와 임부의 자가 관리 차원을 넘어서 태교를 통합 함으로서 모아 애착을

향상시키는 근거를 제시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그러나 태교 관점 임부 교육 프로

그램으로 모아 애착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는 연구는 이제야 처음으로 이루어지

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 문화 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태교를 임부 교실에 통합시

키는 접근을 하여 모아 애착을 증진시키는 임부 교실로서의 타당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2. 연구 문제

본 연구의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태교 관점 임부 교실 참여가 임부 태아 애착에 영향을 미치는가?

2) 태교 관점 임부 교실 참여가 산모 신생아 애착에 영향을 미치는가?

Page 14: 태교 관점 임부 교실이 모아 애착에 미치는 효과...태교 관점 임부 교실 참여 전·후에 임부는 임부 태아 애착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2) 제

-4 -

3. 연구 가설

1) 제 1 가설

태교 관점 임부 교실 참여 전·후에 임부는 임부 태아 애착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2) 제 2 가설

태교 관점 임부 교실에 참여한 산모는 참여 하지 않은 산모 보다 산모 신생

아 애착이 높을 것이다.

4. 용어 정의

1) 태교 관점 임부 교실

태교 관점 임부 교실이란 임부 자신과 태아를 위한 총체적 건강 행위를 도모

하도록 돕는 교육 프로그램으로서 기존 출산 준비 교실에서 다루는 분만의 이해,

이완 ·호흡법, 분만 준비를 위한 임부 체조, 신생아 이해와 태아의 성장 발달과

반응 능력, 태내 환경의 중요성, 임부 태아 관계 형성과 강화, 태교 명상 등을 인

지적, 정서적, 감각적으로 훈련시키는 과정이며 2 시간씩 4 주간 실시하는 하는 총

8 시간의 강의, 시범, 실습을 통한 교육을 말한다.

2) 모아 애착

① 임부-태아 애착

이론적 정의

Page 15: 태교 관점 임부 교실이 모아 애착에 미치는 효과...태교 관점 임부 교실 참여 전·후에 임부는 임부 태아 애착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2) 제

-5 -

: 임신한 여성이 태아와의 친밀한 관계에 대한 정서적 결속의 표현 반응이다.

조작적 정의

: Cranley(1981)가 개발한 Maternal-fetal attachment scale(MFAS)을 연구

자가 번안·수정하여 측정하였으며, 임부 태아 애착은 자신과 태아의 구별,

태아와 상호작용, 태아의 특성과 의도의 추측, 자기제공, 역할취득의 5 개 하

부영역으로 구성되며 점수가 높을수록 임부 태아 애착 정도가 높음을 의미한

다.

② 산모-신생아 애착

이론적 정의

: 산모와 신생아 사이에 형성되는 정서적 결합에 따라 모아 간에 형성되는 특

수한 산모의 행동 이다.

조작적 정의

: Cropley (1971)외 2 인에 의해 제작된 Maternal Attachment Tool(MAT)

을 이자형과 김진향(1981)이 번역된 것으로 측정하였으며, 산모의 애착은

신생아의 특성 확인, 상호작용의 양상의 2 개의 하부 영역으로 구성되며 점수

가 높을 수록 산모 신생아 애착이 높음을 의미한다.

Page 16: 태교 관점 임부 교실이 모아 애착에 미치는 효과...태교 관점 임부 교실 참여 전·후에 임부는 임부 태아 애착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2) 제

-6 -

II. 문헌 고찰

1. 태교

우리 나라 전통태교의 근본은 좋은 것을 보고 듣고 느끼며, 심성을 곱게 가지고,

몸을 주의 깊게 움직이라는 것이 대 원칙이다. 이에 우리나라 전통태교의 과학적

접근이 이루어지고 있다.

조선 시대에 유희 선생의 어머니인 사주당 이씨가 저술한 태교신기는 임신하고

아이를 낳아본 경험이 있는 사주당 이씨가 임신한 여인들이 태교를 하도록 서술

하였다. 이 태교신기는 태교의 이치, 태교의 효능, 태교의 필요성, 태교의 방법, 태

교의 중요성, 태교의 당위성을 제시해 주고 있으며( 이연재, 1991), 태교의 당위

성으로 '병을 잘 고치는 명의는 병이 생겨나기 전에 미리 다스리고 교육을 잘하는

사람은 태어나기 전에 가르치기 시작한다. 그러므로 태어나서 받는 스승의 십 년

동안의 가르침은 태어나기 전 뱃속에서 받는 어미의 열 달 동안의 기름만 못하다.

그러나 어미의 열 달 동안의 기름은 아비의 낳음 하루만은 못하다'라고 서술하고

있다. 이는 임신 시 태교와 임신 중 태교의 중요성과 예방 의학적인 면을 보여주

고 있다.

태교 내용의 과학적 근거로 1997년 Pittsburgh 대학에서 212개의 연구의 Meta

분석으로 쌍둥이, 형제 자매, 부모와 자녀의 IQ 분석을 통해 자궁 내 환경이 사람

의 지능 지수(IQ)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를 발표하여 인간의 인지적 기능에 유

전과 자궁 내 환경의 영향을 보여주고(Devlin et al, 1997) 있어 우리 나라 전통

적으로 내려오는 태교가 과학적인 근거를 가지고 있음을 나타낸다. 태교연구회의

태교에 대한 과학적 접근을 한 박문일(1999 b)의 태교연구회 창립 기념 심포지엄

에서 태교신기의 내용인 임신 중에 현란한 곳을 가지 말고 조용한 환경을 강조하

Page 17: 태교 관점 임부 교실이 모아 애착에 미치는 효과...태교 관점 임부 교실 참여 전·후에 임부는 임부 태아 애착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2) 제

-7 -

고 임신 중에 나쁜 것은 행하지 말고, 보지 말고, 듣지 말라는 것이 미신적인 내

용 이기 보다는 태아의 오감 능력과 태아의 반응과 출생 후의 영향에 대한 국내

·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합리적 근거가 됨을 제시하고 있다(Devoe et al, 1989;

Nordstrom et al, 1988; Devlin et al, 1997; Gagnon et al, 1986; 박문일 등,

1999).

한국 임부의 태교 요인에 대한 연구에서(장순복 외, 1996), 임신 10 주에서 분만

후 3 개월 이내에 있는 910 명의 임산부들 대상으로 한국 임산부들이 실행하고

있는 태교행위를 분석하여 태교행위의 구성 요인을 '태아 심성 안정', '태아 인성

발달', '태아와의 교감', '태아 지성 발달' 및 '태아의 신체적 건강' 의 5 요인으로

분류하였다.

한국 임산부의 태교에 대한 주관성의 구조를 전체적으로 조명해 보면, 태교행위

로 마음의 평화에 초점을 둔 정서 안정형, 임산부 스스로가 변화하는 상황에 맞추

는 것을 중요시하는 자기 조절형, 자기 주도적인 입장이 아닌 주변 가족의 도움을

요구하는 의존 지향형으로 나타난다. 또한 태아는 하나의 생명체로서 모체의 상태

가 태아에게 영향을 미친다는 인식 아래 태교의 내용을 보면 신체와 정신의 조화

를 지향하고 있다(김순이 등, 1998).

이와 같이 우리나라 임부들이 하고 있는 태교는 태아를 인격체로 인식하고 태아

의 신체, 정신, 성품의 발달을 하도록 하며 임부의 영향이 태아에게 미친다는 것

을 나타낸다.

임신 부부의 태교 실태조사(최연순 등,1995)를 보면, 태교를 시작한 시기가 임

신 사실을 알고 난 직후부터가 71.4%이고 태동을 느낀 후 시작한 사람은 19.4%로

많은 임신 부부가 임신 전, 임신 시의 태교에 대한 중요성과 인식이 부족함을

볼 수 있으며 임신 전 태교와 임신 시 태교를 포함한 태교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

함을 볼 수 있다.

김 은실(1996)의 딸 세대 15명의 심층 면접을 통한 자료를 보면, 딸 세대의 여

성들은 주로 책을 통해 임신과 출산에 관한 지식을 습득하고, 친구나 선배를 통해

주위에 퍼져있는 대중적이고 경험적인 지식을 알고 있다. 그러나 태교에 대해서는

Page 18: 태교 관점 임부 교실이 모아 애착에 미치는 효과...태교 관점 임부 교실 참여 전·후에 임부는 임부 태아 애착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2) 제

-8 -

책들이 너무 이상적이고 현실과 맞지 않게 쓰여졌다고 생각한다. 직장에 다니는

여성들은 태교에 대해 신경을 쓰기는 하지만 현실적으로 이행할 수 없었기 때문

에 별로 신경을 쓰지 않는다고 했다. 이처럼 태교를 현실에 맞고 과학적 근거 하

에 임부들에게 제공할 필요가 있다.

출산 여성이 인지한 태교의 효과로서 임신 중에 태교를 실시하여 임부의 88%가

효과가 있다라고 대답하였으며(최연순 등, 1995), 태아가 청각, 시각, 미각, 후각

을 느끼고 태아의 경험이 분만 후 아기와 연관을 가지는 태교에 대한 실증적 자

료의 축적과 함께 태교의 과학적 입증이 이루어 가고 있다(박문일, 1999 b).

‘태내 환경의 중요성’에 대한 문헌적 근거를 크게 9가기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기쁘게 생각하며 스트레스를 줄인다.

임부가 기쁘게 생각하고 스트레스를 줄여야 하는 이유의 근거로 임부의 불쾌 정

서(Nordstrom et al, 1988)가 생후 신생아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고 스트레스에

민감한 임부의 아기는 스트레스에 더 영향을 받으며 어머니의 스트레스 호르몬은

태아 발달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거나 어머니의 태반이나 태아의 혈액학 기전에

의한 자궁 태반 혈류 속도를 변하게 한다(McCubbin et al, 1996). 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Weinstock, 1992) 어미 쥐가 번쩍이는 불빛과 소음의 스트레스를

받았을 때 태어난 쥐에서 시상하부-뇌하수체 부신 축에 영구적인 손상을 주었다.

또한 임신부의 스트레스는 양수의 양을 줄이고, 태아의 발육에 방해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박문일, 1991). 이처럼 스트레스가 임부 뿐만 아니라 태반을 통해

태아에게 영향을 미치어 태아의 뇌 조직과 신체 발달의 장애와 출생 후의 건강

에 영향을 주고 있다.

둘째, 임신에 해로운 모든 나쁜 습관을 버린다.

임부의 생활 습관의 일부인 알코올 섭취가(Guerri et al, 1997), 태아의 뇌에

DNA함량을 적게 한다는 것을 밝혀냈다. 뇌의 유전인자에서 DNA가 부족하면 뇌

자신에 필요한 에너지를 만들지 못하여 뇌의 성장을 막아 뇌의 활성호르몬은 물

론, 기타 뇌 발달의 종합적 환경을 깨트려서 더욱 두뇌 발달을 방해하게 된다. 태

아의 산소 부족은(Rees, S., et al, 1999), 뇌의 신경 섬유의 숫자가 감소되고 이

Page 19: 태교 관점 임부 교실이 모아 애착에 미치는 효과...태교 관점 임부 교실 참여 전·후에 임부는 임부 태아 애착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2) 제

-9 -

는 신경 연결에 영향을 주어 출산 후 뇌 기능을 방해한다. 또한 임신 시의 흡연은

catecholamine의 방출과 순환에 의해 임부의 심박동의 증가와 이완기와 수축기

혈압의 의미 있는 증가를 보인다(Castro et al, 1993). 임신부의 음주, 흡연, 산소

가 희박한 환경은 태반을 통해 태아에게 직접 영향을 미친다.

셋째, 태아에게 소음이 있는 환경에 있지 않는다.

태아가 진동성과 청각성 통로를 통하여 소리를 들으며(Park & Kim,1989;

Devoe et al, 1989; Gagnon et al, 1986), 심장 박동률와 호흡, 태아의 움직임의

변화를 보여준다. 태아가 음향 자극 후에(Petrikovsky, B. M. et al.,1993), 양수

를 삼키는 현상이 증가되었고 양수 양은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이러한 음향 자극

은 양수를 실재적으로 없애고 태아의 음향 자극에 대한 반응으로 활동적인 태아

의 움직임은 탯줄의 꼬임과 압박을 이끌 수 있다(Menashe & Sherer, 1990). 전

통적 태교법이 조용한 환경을 강조하였듯이 이처럼 소음은 태아에게 들리어 태아

가 양수를 삼키며 태아의 안전에 문제를 일으킨다.

넷째 태아를 위해 좋은 환경을 만든다.

산전 환경을 향상 시키기 위한 중재가 IQ의 의미 있는 증가를 이끌 수 있다는

(Devlin et al, 1997) 사실이 밝혀졌다. 이는 인간의 지능발달이 자궁 내 환경의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말해 주고 있다.

다섯째 엄마의 소리는 태아의 뇌 발달을 돕는다.

태아와 신생아에게 언어적 자극이(Fifer & Moon, 1994) 태아 뇌를 발달시키고

어머니의 목소리는 수면 시에도 태아와 신생아의 뇌 발달에 영향을 준다. 어머니

의 목소리는 여러 정신 생리계 발달을 주는 민감한 시기 동안 자연스럽고 현저한

자극이다.

여섯째 엄마에게 아무리 작은 자극이더라도 태아에게 큰 반응으로 전달된다.

임부가 진동성 음향 자극을 받는 동안 임부에게 별다른 증상이 없었으나 전치

태반인 28주의 태아가 태아 흉벽의 빠른 움직임을 하였고 놀람 반응으로 보여졌

다(Sherer et al, 1991). 이는 외부의 자극이 임부 보다 태아에게 더 큰 반응과

영향을 주는 것을 말해 준다.

Page 20: 태교 관점 임부 교실이 모아 애착에 미치는 효과...태교 관점 임부 교실 참여 전·후에 임부는 임부 태아 애착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2) 제

-10 -

일곱번째 엄마는 기분이 좋은 음악, 자연 음향을 듣는다.

임신부에게 뇌의 알파파를 형성케 하는 음향 자극인 새소리, 시냇물소리, 파도소

리, 바람소리와 같은 자연음향을 듣게 하였을 때 태아 심박동 변이(variability)가

증가 하였으며 이는 자연 음향, 알파파 생성 음악이 태아의 성숙도를 촉진되어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박문일 등, 1999 b)

여덟번째 좋은 영양을 갖는 것은 임신부와 아기의 평생 건강에 중요한 영향을 미

친다.

미국인과 결혼하여 한국에 사는 한국 임부 여성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Pritham, U A. & Sammons L N., 1993) 임부의 40%가 임신 동안 금기 되어

있는 음식을 섭취하고 있지 않으며 많은 음식이 단백질로 단백질과 칼로리 섭취

의 유지에 대한 중재가 요구되어 진다. 자궁안과 같은 매우 초기 단계에 태아의

영양 부족은 자궁 안에서 구조적 또는 기능적 변화를 이끌어 더 빠르고 더 심각

한 성인 만성 질병을 이끌게 한다(Scrimshaw, 1997). 출생 시 적은 몸무게는 성

인에서 감소된 폐 기능을 이끌며, 자궁 안에 영양 부족에 대한 태아 적응은 폐 구

조에 영구적인 변화를 주어 만성적인 기도 폐쇄를 이끈다. 가임 여성의 영양과 건

강을 향상시킴으로 태아 성장과 폐 기능 향상이 얻어진다(Stein. Et al., 1997).

이처럼 영양 부족은 태아의 중요한 단계에서 성장의 장애를 이끌어 태아가 성인

이 된 후에 만성 질환의 이환과 각 기관의 성장 부족을 일으킨다.

아홉번째 즐거운 마음으로 출산에 임한다.

의료인은 출산을 더 의미 있고 편안하게 만들도록 하며 사회적 관습을 지지하고

유지해 주어야 할 필요가 있다(Pritham, U A. & Sammons L N., 1993). 분만 진

통의 원인이 여러 가지 요소가 복합된 것이나 분만에 대한 공포, 불안 등의 정신

적 인자가 통증을 증가 시킨다(이경혜, 1980; 유은광, 1986). 여성들이 분만 그러

면 동통으로 조건 반사화 된 분만에 대한 잘못된 편견을 깨고 분만 현상에 대해

교육함으로 자궁 수축이 분만 1기의 경우 개대 와 2기의 태아 만출을 시키는 단

순하고도 명백한 생리 과정임을 이해하도록 이끄는 것이 중요하고 조건 반사 형

성을 통해 자궁수축은 특수한 호흡의 신호가 되고 더 이상 동통의 신호가 되지

Page 21: 태교 관점 임부 교실이 모아 애착에 미치는 효과...태교 관점 임부 교실 참여 전·후에 임부는 임부 태아 애착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2) 제

-11 -

않도록 한다(유은광, 1986).

이처럼 임부와 태아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태아의 성장 발달의 시기가 태어난

이후의 건강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사실에 대해서 국내·외에 태교에 대한 공동

인식이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태교를 많은 산모들이 자가 관리로 하고 있는 상

황에서 한국 문화의 전통적 태교가 과학적 타당성을 바탕으로 임신한 여성의 자

가 산전 관리로 발전되도록 간호중재가 이루어져야 함을 볼 수 있다.

2. 모아 애착

부모와 아이 사이의 애착은 임신 동안에 시작되고 출산 초기에 강화되며 아이의

정신과 신체 건강에 본질적이므로, 모아 애착을 증진시키는 것이 모성 간호가 추

구해야 할 의미 있는 목표이며(Olds, S. B. et al, 1988), 임신한 여성은 출산 전인

임신의 기간 동안 성공적인 어머니와 아이의 관계에 대한 책임을 갖게 된다

(Muller, 1992; Cranley, 1992).

임부-태아 애착 과정은 임신한 여성이 자신의 복부를 문지르거나, 태아에게 말

하거나, 태어나지 않은 아이의 성별과 전반적인 외모에 대해 환상을 갖는 것이다

(Davis & Akridge, 1987).

외국에서는 임부와 태아의 관계를 애착의 개념으로 설명하며 한국 문화에서는

임부와 태아의 관계를 태교로 설명해 왔다. 임신 중 태교행위를 통해 임부와 남편

이 태아와 의도적으로 상호작용을 하고(유안진, 1990; 최연순 와 김현옥, 1995;

김현옥,1996) 태아의 반응에 의해 더욱 자극을 받으며 아이에게 사랑의 감정을

전달하였다(김현옥,1996).

산전 애착에 대한 연구에서 태동과 임신 주수는 산전 애착에 긍정적인 관련성을

보이며(김현옥,1991; Grace,1989; Muller, 1992;), 임신의 위험 상태가 산전 애

착과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보고 되어왔다(Muller, 1992; 김현옥, 1991).

Page 22: 태교 관점 임부 교실이 모아 애착에 미치는 효과...태교 관점 임부 교실 참여 전·후에 임부는 임부 태아 애착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2) 제

-12 -

Muller(1993)는 336 명의 저 위험 임부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본인이 개발한

산전 애착 도구(Prenatal Attachment Inventory)로 임부 태아의 애착을 측정하

였으며 임부 태아 애착이 증가함에 따라 전반적인 임신 적응이 더 긍정적이었다.

산전 애착이 신체상, 성(sex)에 대한 태도, 임신과 아기에 대한 태도에 상관관계

를 갖으나 결혼 만족도에는 상관관계를 가지 않으며 산전 애착과 아이들의 존재

에는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왔고 이는 산전 애착은 여성의 어머니로서의 과거 경

험과 과거 아이와의 관계와는 구별된 특별한 개인과의 관계라는 생각을 갖게 한

다.

초음파를 통하여 태아형태를 확인한 임신부는 초음파 검진을 하지 않은 임신부

보다 태아애착행위가 더 많았으며(김현옥, 1991), 아기에 대한 실제적인 모습이

영양과 약물 이나 알코올 남용에 대한 환자의 순응에도 강한 영향을 미치고 아내

의 임신에 대해 분명하게 인식하지 못한 남편에게 건강한 임신을 위한 남편의 참

여를 이끌 수 있다(Bralow, 1983).

MFAS 로 측정한 국내 298 명의 임신부를 대상으로 연구한 김현옥의 연구

(1991)와 69 명의 임부를 대상으로 한 Grace(1989)의 연구를 보면 두 연구에서

태아애착행위의 5 가지 유형 중 자신과 태아를 구별하는 행위는 임신부들이 가장

적게 하는 애착 행위이다. 이는 실제로 임부가 태아를 자신과 구별하는 것이 적은

것인지 자신과 태아와의 구별을 측정하는 4 가지 문항 중 2 문항인 ‘나는 이번 아

기에게 여자이름을 지어 놓았다.’ 와 ‘나는 이번 아기에게 남자이름을 지어 놓았

다.’가 ‘아니오’의 비율이 많으며 두 문항이 자신과 태아를 구별하는 것 보다는 우

리 문화 전통상 이름을 태어난 후에 짓는 것을 반영하고 있다(김현옥, 1991).

이와 같이 서양의 임부 태아 애착의 개념은 우리 나라의 태교 안에서 나타나는

속성 중에 있으며 태아에 대한 애착으로 임부는 더 태아와 상호작용을 하고 건강

에 신경을 쓰는 것으로 나타난다.

모아 애착은 어머니와 아이의 상호작용으로부터 발달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두 사람 중에 한 사람의 행동이 다른 사람의 반응을 일으킨다. 교대로 이 반응은

다른 사람의 자극으로서 행동하고 더 다양한 패턴으로 행동의 발달을 이끈다

Page 23: 태교 관점 임부 교실이 모아 애착에 미치는 효과...태교 관점 임부 교실 참여 전·후에 임부는 임부 태아 애착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2) 제

-13 -

(Tulman, 1981).

여러 동물에서 나타나는 각인(imprinting)은 결정적 시기(critical period)에서만

일어난다(조복희 외, 1990). Lorenz 는 한 어미 거위가 낳은 알을 Lorenz 자신이

부화시켰더니 알에서 깨어난 새끼 거위들은 Lorenz 를 어미처럼 졸졸 따라 다니

는 것을 관찰하였다. 병아리와 오리의 결정적 시기는 부화 후 36 시간 정도인데

부화 후 13 시간에서 16 시간 사이에 가장 민감하며 포유 동물인 개나 고양이도

각인 현상을 보인다. 이러한 각인 이론(imprinting thoery)에 기초를 두고 있는

애착 이론은 이 민감한 시기 동안 형성되어진 애착이 영원하고 이 과정에 성공이

나 실패는 어머니의 양육 능력에 영원히 지속적인 결과를 가져온다(Tulman,

1981). 출산 후 민감한 시기 동안 어머니와 아기 사이에 피부 접촉은 아기에게

더 촉각적이고 현실적인 정보를 주고 모아 애착을 발달시킨다(Curry, 1982). 그

러나 이러한 민감한 시기의 발견 등은 모아 관계를 출산 이후로 보았다. 모아 애

착은 산후에 최초로 새롭게 형성되는 것이 아니고 이미 임신 기간 동안 형성된

애착이 기초로 하여 연속선상에서 발달된다는 견해가 타당하므로 출산 이전인 임

신 기간부터 임부 태아 애착을 강화시키는 중재로 태교가 고려되어지며 이에 출

산 이후 결정적 시기의 모아 애착은 더욱 증가 될 수 있다고 본다.

초기의 밀접한 접촉이 부모와 아이 사이의 애착 과정을 가속화하며 이 초기 접

촉이 늦어지는 것이 애착 과정 형성을 못한다고 말할 수 없으나 이러한 노력을

하지 못하는 부모에게 애착 과정의 지연은 아기의 미래 건강에 영향을 줄 수 있

다(Bobak & Jensen, 1987). 산모의 신생아에 대한 첫 접촉 시에 애착 행위에 대

한 관찰에서(이자형, 김진향, 1981), 임신 횟수가 많고 신생아의 성별이 원하는

경우와 결혼 기간이 긴 경우, 산모가 임신을 희망한 경우 및 모아의 접촉 소요한

시간이 긴 경우에 모아 애착 행위가 증가되었다. 또한 질식 분만 산모는 제왕절개

분만 산모에 비해 모아 상호 작용을 더 잘하고 분만 경험에 대한 긍정적인 지각

을 가진 경우 모아 상호 작용이 잘 진행된다(조미영, 1990). 아기와 더 오래 떨어

져 있을수록 모아 애착이 낮고(Bhakoo et al, 1994), 모자 동실 동거에 있는 산모

들이 신생아와 분리되어 있는 산모 보다 신생아에 대한 애착행위가 높으며(손복

Page 24: 태교 관점 임부 교실이 모아 애착에 미치는 효과...태교 관점 임부 교실 참여 전·후에 임부는 임부 태아 애착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2) 제

-14 -

희, 1984), 조기 접촉이 시도된 경우와 신생아 돌보기 활동이 격려, 지지된 경우

산모의 애착이 높았다(박혜숙, 1983). 고위험 신생아의 산모에게 아기와의 조기

접촉과 신생아 돌보기 활동과 정보제공을 하고 산모의 말에 경청, 정서적 지지,

기술적 인정을 포함한 지지적 간호 활동을 한 산모에게서 상례적 간호 만을 한

경우 보다 모아 접촉 시 신생아에 대한 애착행위가 많았고 신생아에 대해 긍정적

으로 지각하였다(왕임순, 1985).

이처럼 모아 애착은 산모와 신생아의 초기 접촉에 의해 증가되어짐을 볼 수 있

고 모아 동실인 경우에 모아 애착이 높으므로 모아 동실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병원의 간호사는 산모와 신생아의 접촉을 자주 해주도록 해야 한다. 또한 산욕 초

기의 민감한 시기에 모아 애착을 사정하고 증진시키도록 간호사는 산모에게 신생

아 돌보기 활동과 정서적 지지를 제공하여야 할 위치에 있다.

3. 태교 관점 임부교육 프로그램

임신은 건강에 대한 습관이 변화될 수 있는 사건이며 여성의 동기는 임부와 태

아의 건강에 최고의 가치를 두기 때문에 “가르칠 수 있는 절호의 시간”이다. 태아

발달과 임부의 건강을 위해서 중재가 초기에 시작 될 때 유익은 명백히 더 크지

만(Tegtmeier & Elsea, 1984), 실재로 병원에서 제공되어지는 교육은 임신 시

태아와 모체의 건강 보다 출산을 위한 교육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기존의 임부 교육 내용을 보면 분만과정, 분만 동안의 호흡법, 회음근육운동, 연

상법, 이완법, 맛사지법, 산전체조 등의 내용(박영숙 외, 1996; 정귀애, 1995; 문

영숙, 1980; 최혜숙, 1995; 이인자, 1994; 김금중 와 윤은광, 1999)으로 출산을

위한 교육 내용과 출산 후의 산후 회복, 신생아 관리, 모유 수유 등의 내용(문영

숙, 1980; 김금중 와 윤은광, 1999; 노연희, 1998; 김현희, 2000)으로 임신 중의

태아와의 관계와 태아의 건강 보다는 출산 이후의 산욕기 내용으로 구성 되고 있

Page 25: 태교 관점 임부 교실이 모아 애착에 미치는 효과...태교 관점 임부 교실 참여 전·후에 임부는 임부 태아 애착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2) 제

-15 -

다. 이는 임부 교육이 안산과 출산 이후의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어 임신 열 달 동

안 한 개의 세포로부터 260 억 개의 세포로 성장하고 임신 중 자궁 내의 환경이

출생 후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시점이다. 그러나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교육이 태아와 임부·태아간의 관계가 도외시 된 채 이루어지고 있다.

국내에 태교를 임부에게 교육하여 효과를 측정한 연구는 없으나 박영숙(1987)의

라마즈 출산 교육에서 태아의 발육에 대한 내용을 포함 했으며 한경자 등(1985)

은 산전 라마즈 교육에 영아의 능력에 대한 내용을 넣었다. 조산 협회에서 주관하

는 출산 준비 교육은 태교와 태아의 성장 발달에 대한 교육을 하는데 그 내용은

미흡하다(대한조산협회, 1999).

기존의 임부교실은 호흡법, 이완법등의 설명과 실습 위주의 교육이었으나 태교 관

점 임부 교육 프로그램은 지지 그룹이 서로 만나서, 감정을 나누고, 서로의 문제

와 대처 방법을 토론하여 정보를 교환하고 정서적 지지를 받으며 도움을 주고 받

는 운영 방법을 하여(Lentner, E. & Glazer, G., 1991), 자신과 다른 임부의 임신

동기와 목적을 나눔으로 감정 이입을 하고 이해의 확장을 가져오게 하며 임신의

동기화를 이끌게 하였다. 또한 분만에 대한

외국에서 임부 태아와 관계에 대한 연구로 임부 태아 애착을 증진시키기 위한

중재가 임신 32 주와 37 주 사이에 있는 초임부를 대상으로(Davis & Akridge,

1987) 자궁 내 애착을 증진하기 위해 첫 번째 중재로 복부 촉진을 통해 태아의

자세를 나타내게 하고 다음 방문 전에 이 방법을 적어도 3 번 하도록 하며 작은

책자에 발견한 것을 그림으로 그리도록 하였다. 두 번째 중재는 임부가 태아의 활

동에 영향을 느낀 것을 노출하도록 하여 기록하게 하고 세 번째 중재는 태아가

반응을 보일 때 태아가 있는 복부를 문지르거나, 치거나 마사지하도록 하였다. 이

중재는 각 상호작용으로 임부에게 언어적 지지와 피드백을 제공하였다. 태아의

움직임과 같은 태아의 신호(cue)는 태아에 대한 임부의 인식을 높이고 태아의 환

경에 대한 임부의 행동의 영향을 인식하게 한다. 작은 표본으로 한(실험군, 10 명,

대조군, 12 명) 애착 증진 중재가 분만 후 2 일과 4 일에 중재를 받지 않은 산모

보다 모아 애착이 증진되지는 않았지만, 임신 3 기에 임부-태아 애착 행동이 관

Page 26: 태교 관점 임부 교실이 모아 애착에 미치는 효과...태교 관점 임부 교실 참여 전·후에 임부는 임부 태아 애착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2) 제

-16 -

찰되어 졌다. 임신 3 기에 임부에게 애착 중재로 임부가 매일 태아의 자세를 점검

하고 아기의 신체를 느끼도록 하고 아이의 활동을 느끼도록 격려하고 활동이 어

떤 영향을 주는지 주의하고 매일 상호작용 활동을 묘사하게 하고 아기가 있는 배

를 문지르고, 가볍게 마사지 하도록 하는 중재를 하였다. 이 애착 중재를 받은

실험군과 대조군의 숫자가 적지만(실험군 5 명, 대조군 5 명), 분만 후 2 일과 4

일 사이에 모아 애착 행위가 증진되었다(Carter-Jessop, 1981).

임신 부부들이 하고 있는 태교로 배에다 손을 대고 이야기 하기, 태아에게 일기

쓰기, 아기가 노는 것을 느끼기, 아기의 이름을 부르기 등의 태아와 상호작용을

하고 우유를 마시는 것으로 영양분을 섭취하여 임부나 아기의 건강에 도움을 받

고 우유가 가지고 있는 하얀 속성이 아기의 피부에 영향을 미치어 피부가 깨끗

한 아이가 되기를 기대하는 심정을 내포한다(김현옥, 1996).

임신 중의 명상 태교는 부정적인 근심, 걱정을 없애고 엄마의 마음을 편안하게

만들어 엄마의 심장박동 소리를 태아에게 들려줄 수 있는 좋은 방법이다. 긍정적

인 상황들을 상상으로 만들어 내고 명상을 통해 집중함으로써 마음을 편안하게

유지하고 태아에게 집중한다(월간 태교, 1999). 또한 소프롤로지 교육에서는 출산

준비에 태아에 대한 명상으로 태교적 요소가 있다(김은성, 2000).

이처럼 국내·외에 임신 중의 태아와 임부간 관계의 중요성이 인식되어지고 있

으나 우리 나라 문화에 있는 태아와 임부간의 관계인 태교가 태교의 현황만을 제

시해 주고 있고 태교를 통한 중재에 대한 연구가 미흡하다.

본 태교 관점 임부 교육 프로그램은 임신 말기의 임부를 대상으로 기존에 열리

고 있는 임부 교실에서 실시했던 출산 준비에 대한 교육과 태교와 태아에 대한

연구를 통합하여 분만 대처 능력 획득과 임부·태아간의 상호작용과 자궁 내 환

경의 증진시키도록 하고 출산 후 태어난 신생아와의 정서적 결속이 되는 애착이

강화됨으로 조기에 양육 능력의 원동력을 준비시키는 간호 처방이 될 수 있는가

에 관한 가설을 검정하는 연구가 시도 되야 할 것으로 고찰된다.

Page 27: 태교 관점 임부 교실이 모아 애착에 미치는 효과...태교 관점 임부 교실 참여 전·후에 임부는 임부 태아 애착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2) 제

-17 -

III. 연구 방법

1. 연구 설계

본 연구는 임부들을 대상으로 태교 관점의 임부 교육이 임부 태아 애착, 산모

신생아 애착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기 위하여 실시된 유사실험연구로서 연구설

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사후) 실험설계를 이용하였다(표 1).

표 1. 연구 설계

사 후

조 사 사전조사 중재

임부 교실 직

후 조사 분만 후 조사

실험군 일반적특성

임부태아애착

태교관점임부교실

임부태아애착

산모 신생아 애착

대조군 일반적특성 산모 신생아 애착

실험군과 대조군의 일반적 특성은 사전에 조사하고 태교 관점 임부 교실이 임

부 태아 애착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실험군에 있어서 태교 관점 임

부 교육 중재 전후로 임부 태아 애착 정도를 비교하며 산모 신생아 애착은 실험

군과 대조군을 분만 후에 측정하였다.

Page 28: 태교 관점 임부 교실이 모아 애착에 미치는 효과...태교 관점 임부 교실 참여 전·후에 임부는 임부 태아 애착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2) 제

-18 -

2. 대상자 표집 방법

본 연구는 2000 년 3 월 14 일부터 6 월 15 일 까지 서울시내에 소재하고 있는

Y 대학 의료원 산부인과 외래에서 분만을 위해 산전 등록하고 주기적으로 산전간

호를 받고 있는 임산부를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 표집을 일개 종합병원으로 제한한 이유는 각 병원의 환경, 대상자의 특성이

측정 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 하여 대상자의 동질성을 유지하기 위함이며,

태교 관점 임부 교실이 모아 애착에 주는 영향의 다른 변수를 통제하기 위하여

다음의 기준에 해당하는 대상자를 선정하였다.

<대상자 선정 기준>

임신 합병증이나 다른 질병이 없는 자

단태의 태아 임신자

중졸 이상의 모성

본 연구에 참여하기를 허락한 자

정상아를 출산하고 산후에 건강한 산모

로 실험군은 임신 32 주에서 36 주 사이의 대상자이고 태교 관점 임부 교실을 4

주 참석한 자이며 대조군은 임신 32 주에서 39 주 사이의 대상자로 태교 관점 임

부 교실이나 다른 임부 교실 또는 출산 준비 교실에 참석하지 않은 자이다. 실험

군은 18 명이고 대조군은 27 명으로 연구 대상자는 총 45 명이다.

3. 측정 도구

· 임부-태아 애착 측정 도구

임부태아 애착 측정도구는 Cranley(1981)의 태아애착척도(Maternal-Fetal

Page 29: 태교 관점 임부 교실이 모아 애착에 미치는 효과...태교 관점 임부 교실 참여 전·후에 임부는 임부 태아 애착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2) 제

-19 -

Attachment Scale)를 번안·수정하였으며 Cranley 는 5 점 척도로 하였으나 중

간 측정이 중간 수치로의 편향을 방지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4 점 척도로 하였

으며 자가 보고형 도구이다.

Cranley 의 도구가 한국적 상황에 맞는지 검증하기 위해 임신 20 주에서 40 주

사이의 임부 10 명을 대상으로 이 도구가 임부 태아 애착을 나타내는 것이 적절

한지를 각 문항 별로 조사한 후 태교 연구를 한 모성간호학 교수 1 인과 적절하

게 수정·보완하였다. 수정된 도구의 문항은 자신과 태아의 구별과 관련된 3 문

항, 태아와 상호작용과 관련된 5 문항, 태아의 특성과 의도에 대해 추측하는 것

과 관련된 6 문항, 자기제공과 관련된 6 문항, 역할취득과 관련된 4 문항으로 총

24 문항으로 구성되었고 응답자는 임부태아 애착을 4 점 척도로 ‘항상 그렇다’

에서 ‘그렇지 않다.’로 측정하였다. 임부-태아 애착 점수는 총 96 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임부-태아 애착이 높다.

연구 도구의 사전 조사는 임신 20주에서 38주사이에 있는 20명의 임부를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신뢰도는 .89이며 24문항 각각 모두 .88이상 이었고 본

연구에서는 임부 교실 참가 전에 신뢰도는 .91이고 임부 교실 참가 후에 .87

이었다.

Cranley(1981)가 제 3기 임신부(임신 주수 35주에서 40주) 71명을 대상으로 한

도구의 신뢰도는 .85이었다. 김현옥(1991)의 연구에서 Cronbach신뢰도 분석은 .

83이었다.

�산모-신생아 애착 도구

본 연구에 사용된 도구는 Cropley(1971)외 2 인에 의해서 개발된 것으로 산모

의 애착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이며 관찰형 도구이다.

산모가 신생아와 초기에 접촉했을 때 관찰되어지는 행동을 공식화한 측정 도구

로 산모가 신생아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한 산모의 행동은 외모와 기능, 상태의

평가에 대한 10 문항, 산모의 신생아에 대한 상호작용 양상 12 문항이다.

본 연구 도구는 국내에 이자형과 김진향(1981)에 의해 소개되었고 박혜숙

Page 30: 태교 관점 임부 교실이 모아 애착에 미치는 효과...태교 관점 임부 교실 참여 전·후에 임부는 임부 태아 애착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2) 제

-20 -

(1983), 손복희(1984), 조수현(1990) 등에 의해 사용되었다.

산모에 의해 각 항목의 행동이 나타날 경우에는 1 점, 나타나지 않을 경우에는 0

점으로 산모-신생아 애착의 총점은 22 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산모 신생아 애

착 이 높다.

4. 태교 관점 임부 교실

태교 관점 임부 교실은 임부가 태아의 건강을 위해 태내 환경조성과 임부·태

아의 관계 강화에 초점을 두고 았다.

태교에 대한 문헌고찰과 태아에 대한 국내·외 선행연구와 임부 태아 애착 증

진에 대한 국내·외 선행연구를 통하여 밝혀진 내용을 기초로 모성 간호학 교수

1 인과 임부건강교실 강사 1 인과 태교 중심 임부 교실 강사이며 분만실 수간호사

1 인과 대학원에 재학 중이며 산모 병실 3 년 경력의 간호사 1 명과 함께 내용을

구성하였다. 이 프로그램의 내용 타당도, 적용 가능성, 대상자의 참여 가능성, 효

과 검증을 위한 예비 단계로 1999 년 경기도 일개 보건소에서 4 주간 실시해 보

고 수정·검토한 후에 경기도내 일개 보건소에서 임부를 대상으로 적용하여 사전

검정 단계를 거친 후에 정형화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표 2).

본 교육프로그램은 교육자와 참석자의 소개, 전반적인 프로그램 안내와 함께 설

명 내용으로는 태아 성장 발달과 태아의 반응 능력, 태내 환경의 중요성, 분만의

이해, 신생아 이해를 하고 시범 내용으로 임부 태아 관계 형성과 강화, 이완법, 호

흡법, 임부 체조를 하고 실습 시켰다.

이 교육 프로그램은 언어적 설명과 시범, 실습 외에도 대상자의 임신동기와 목

적, 분만에 대한 선입관을 나누고 아기에게 기도문이나 편지를 써서 발표하고 태

아에 대한 감각적 체험을 하게 하였다.

임신 동기와 목적을 쓰고 나누기는 임신의 동기, 목적과 임신한 후 자신이나 태아

Page 31: 태교 관점 임부 교실이 모아 애착에 미치는 효과...태교 관점 임부 교실 참여 전·후에 임부는 임부 태아 애착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2) 제

-21 -

를 위해 특별히(구체적으로) 한 일, 임신 후 자신의 느낌을 A4 용지에 쓰고 5 명

정도 숫자로 그룹을 나누어서 한 명씩 돌아가면서 자신이 쓴 내용을 바탕으로 발

표하고 사회자가 대상자들의 말을 정리하며 진행하였다. 임신부가 자신의 임신에

대해 점검하여 임신의 주체자로 인식하도록 하였고 다른 임신부의 경험을 나누어

동질 의식을 갖게 하였다.

분만에 대한 선입관 나누기는 여성이 분만에 대한 선입관으로 분만 하면 진통으

로 연결되어 여성들이 분만에 대한 두려움과 공포를 더해주는 사회 문화적 상황

이 분만 시 통증을 증가 시킨다(이경혜, 1980; 유은광, 1986; 박문일, 1999 a).

또한 분만 상황이 보호자와 분리되어 있고 출산 과정이나 분만 과정에 대한 사전

지식을 가지고 있으나 분만을 위해 병원에 입원하는 동안 자신이 갔고 있는 지식

이나 자신의 몸에 대한 통제력을 갖지 못하는 상황이다(김은실, 1996). 이러한 분

만 상황에서 분만에 대한 두려움과 불안에 대한 공동 인식과 선입관을 깨달아

여성이 자신의 몸에 대한 통제력, 자율권을 갖고 출산을 경험하게 한다.

5 명 정도로 그룹을 나누어 분만에 대해 가지고 있는 편견, 선입견에 대해 각자

돌아가면서 자신의 편견, 선입견을 나누고 사회자가 그 말을 정리해 준다.

아기에게 기도문, 편지 쓰기는 우리 문화 내에서 이루어지는 태교로(김현옥,

1996) 어머니로서의 역할 확인, 부모와 태아의 애정 발달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임부와 태아 모두에게 도움이 된다.

임부들에게 1 교실 끝난 후 다음 주에는 아기에게 기도문 이나 편지를 쓸 것이

니깐 쓸 내용을 생각하도록 미리 말한다. OHP 와 pen 을 2 교실 참가 시에 나누어

주고 맥아더 장군이 아들에게 쓴 기도문이나 ‘만일 내가 다시 아이를 키운다

면’(다이아나 루먼스, 1997)과 인디언 어머니가 아들에게 하는 기도문으로 ‘아름

다움을 얻는 길’(베어 하트, 1999)을 OHP 로 보여준다. 10 분 정도 쓰게 하고 각

자 아기에게 쓴 기도문 이나 편지를 OHP 로 발표한다.

임부 태아 관계 형성과 강화는 임부가 태아를 감각적 체험으로 경험하도록 태

아를 촉진하도록 하였다. 태아의 자세를 점검하고 태아의 신체와 태아가 어떤 활

동을 하는지 느끼고 반응을 보일 때 태아가 있는 복부를 문지르거나, 마사지하도

Page 32: 태교 관점 임부 교실이 모아 애착에 미치는 효과...태교 관점 임부 교실 참여 전·후에 임부는 임부 태아 애착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2) 제

-22 -

록 한다. 이 중재는 태아의 움직임과 같은 태아의 신호(cue)가 태아에 대한 임부

의 인식을 높이고 태아의 환경에 대한 임부의 행동의 영향을 알게 한다(Davis &

Akridge,1987; Carter-Jessop,1981),

임부가 가장 편한 자세를 취하게 하고 사회자가 태아의 촉진과 복부 마사지 부

위를 말한다.

Page 33: 태교 관점 임부 교실이 모아 애착에 미치는 효과...태교 관점 임부 교실 참여 전·후에 임부는 임부 태아 애착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2) 제

-23 -

표 2. 태교 관점 임부 교실 프로그램

시간 제 1 주 제 2 주 제 3 주 제 4 주

10 분

10 분

호흡법

이완법

(시범,실습)

10 분

호흡법

이완법

임부 체조

(시범, 실습)

호흡법

이완법

임부 체조

(시범,실습)

호흡법

이완법

임부 체조

(시범,실습)

10 분 임신 동기,

목적 쓰기

분만에 대한

선입관 나누기

10 분 분만 비디오

시청

10 분

임신 동기,

목적 나누기

10 분 휴식

우유 마시기

분만에 대한

이해

(설명)

10 분 휴식, 우유 마시

임부 체조

(시범, 실습)

10 분

아기에게

기도문,

편지 쓰기

휴식, 우유 마시기

양육 관점의

신생아 이해

(설명)

10 분 임부태아관계강화

(시범, 실습)

휴식,

우유 마시기

10 분

태내 환경의

중요성

(설명)

기도문,

편지 나누기 태교명상 II

(실습)

10 분

임부태아관계

강화

(시범, 실습)

태교명상 I

(실습)

병원 Tour

<분만실, 생아실,

산모 병실>

(견학)

임신부 사랑

선언문

(실습)

l 음영이 된 부분은 태교 관점 임부 교실에만 있는 내용이다.

Page 34: 태교 관점 임부 교실이 모아 애착에 미치는 효과...태교 관점 임부 교실 참여 전·후에 임부는 임부 태아 애착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2) 제

-24 -

5. 자료 수집

① 실험군

산전 관리를 받고자 의료원에 내원한 임신 32 주에서 36 주 사이에 있는 대상

자에게 임부교실에 대해 설명하고 임부 교실에 참여하기를 원하는 대상자는 4 주

동안의 태교 관점 임부 교실에 참여하였다. 교실에 참석한 대상자를 교육 전에

일반적 특성과 임부 태아 애착으로 사전 조사를 실시했다.

실험군은 2000 년 4 월 6 일부터 5 월 4 일까지 사전 조사를 했고 4 주 동안 1

주에 한 번 태교 관점 임부 교실을 제공 하고 4 주 교육 후 임부 태아 애착을

위한 자료를 수집했다.

실험군은 자연 분만과 제왕절개술 후에 산모 신생아 애착을 측정하였다. 실험군

의 질 분만한 산모는 분만 후 12 시간에서 24 시간 사이와 제왕절개술을 받은

산모는 정맥 주입 주사를 뺀 후인 분만 후 2 일에서 3 일 사이에 모유 수유 실에

서 첫 모아 접촉 시 산모 신생아 애착을 관찰하였다. 산모 신생아 애착의 신뢰도

를 위해 연구자 1 인에 의해서 산모 신생아 애착 관찰 protocol(부록 2)을 기준

으로 하여 관찰하였다.

② 대조군

대조군은 임신 32 주에서 39 주 사이에 있는 대상자로 임부 교실이나 다른 출산

교실, 라마즈 교실에 참여하지 않은 대상으로 직장문제, 거리상의 이유, 개인적인

일로 참여하지 못한 대상자로 일반적 특성으로 사전 조사를 했다.

사후 조사로 산모 신생아 애착은 실험군과 같다.

Page 35: 태교 관점 임부 교실이 모아 애착에 미치는 효과...태교 관점 임부 교실 참여 전·후에 임부는 임부 태아 애착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2) 제

-25 -

6. 자료 분석

수집된 자료는 SAS 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①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은 백분율과 평균, 범위를 이용했다.

② 실험군과 대조군의 동질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x2-Test 로 통계적 검증을

했다.

③ 태교 관점 임부 교실의 임부 태아 애착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군

은 임부 교실 참여 전·후에 paired t-Test 를 이용하여 검증했다.

④ 태교 관점 임부 교실의 산모 신생아 애착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

험군과 대조군의 산모 신생아 애착의 차이는 t-Test 를 이용하여 검증한

다.

Page 36: 태교 관점 임부 교실이 모아 애착에 미치는 효과...태교 관점 임부 교실 참여 전·후에 임부는 임부 태아 애착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2) 제

-26 -

IV. 연구 결과

1.대상자의 특성 검정

연구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실험군이 29.8 세 이고 대조군은 31.3 세 이다.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으나(p=0.13), 실험군의 나이가 대조군 보다 더 어리다.

또한 평균 결혼기간이 실험군은 3 년 5 개월이고 대조군은 4 년 10 개월로 실험

군의 결혼 기간이 더 짧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다(p=0.22). 자녀 수는 실

험군은 자녀가 없는 비율이 61.1%이고 대조군은 40.7%로 대조군이 1 명 이상의

자녀를 실험군 보다 더 가지고 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다(p=0.35)

직업은 실험군에서 직업이 있는 경우가 22.2%이고 대조군은 직업이 있는 경우

가 40.7%로 대조군이 직업을 가진 경우가 많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다

(p=0.197).

이상과 같이 실험군과 대조군은 연령, 학력, 직업, 경제적 상태, 결혼 기간,

자녀 수에서 비슷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Page 37: 태교 관점 임부 교실이 모아 애착에 미치는 효과...태교 관점 임부 교실 참여 전·후에 임부는 임부 태아 애착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2) 제

-27 -

표 3. 대상자의 특성

실험군 대조군

특성 구분

실수 백분율 실수 백분율

x2

or t p

평균 29.8 세 31.3 세 연령

범위 24~38 세 25~39 세

1.53 0.13

고졸

이하 5 27.8 9 33.3 학력

대졸

이상 13 72.2 18 66.7

0.16 0.69

있다 4 22.2 11 40.7 직업

없다 14 77.8 16 55 .3

1.67 0.20

150 만원

이하 5 27.8 4 14.8

151~

200 만원 4 22.2 7 25.9

경제적

상태

201 만원

이상 9 50.0 16 59.3

1.14 0.57

평균 41 개월 58 개월 결혼

기간

범위 12 개월~

147 개월

9 개월~

204 개월

1.53 0.22

없음 11 61.1 11 40.7

1 명 6 33.3 12 44.4

자녀수

2 명 1 5.6 4 14.8

2.08 0.35

*실험군(N=18), 대조군(N=27)

Page 38: 태교 관점 임부 교실이 모아 애착에 미치는 효과...태교 관점 임부 교실 참여 전·후에 임부는 임부 태아 애착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2) 제

-28 -

2. 가설 검증

1) 가설 1

“태교 관점 임부 교실 참여 전·후에 임부는 임부 태아 애착에 차이가 있을 것

이다.”라는 가설은 지지 되었다(표 4).

표 4. 태교 관점 임부 교실 참여 전·후 임부태아애착

구분 인수 평균 표준편차 t p

참여전 18 80.11 8.62 3.73 0.002

참여후 18 85.39 7.45

임부 태아 애착이 참여 전에 80.11 로 나타났고, 참여 후에 85.39 로 나타났으

며 교육의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t= 3.73, p=0.002). 따라

서 태교 관점 임부 교실에 참여한 임부가 참여 후 임부 태아 애착이 차이가 있

을 것이다 라는 가설은 지지 되었다.

2) 가설 2

“태교 관점 임부 교실에 참여한 산모는 참여 하지 않은 산모 보다 산모 신생아

애착이 높을 것이다.” 라는 가설을 지지 되었다(표 5).

Page 39: 태교 관점 임부 교실이 모아 애착에 미치는 효과...태교 관점 임부 교실 참여 전·후에 임부는 임부 태아 애착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2) 제

-29 -

표 5. 실험군, 대조군의 산모 신생아 애착

구분 인수 평균 표준편차 t P

실험군 18 9.33 1.97 -3.48 0.001

대조군 27 7.26 1.95

산모 신생아 애착 정도에서 실험군은 평균 7.26 으로 나타났고 대조군은 9.33 으

로 나타났으며 두 군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t= -3.48,

P=0.001).따라서 태교 관점 임부 교실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 하지 않은 대조

군 보다 산모 신생아 애착이 높다 라는 가설은 지지 되었다.

Page 40: 태교 관점 임부 교실이 모아 애착에 미치는 효과...태교 관점 임부 교실 참여 전·후에 임부는 임부 태아 애착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2) 제

-30 -

V. 논 의

임신 32 주에서 36 주 사이에 있는 임부를 대상으로 4 주 동안 매 주 2 시간 씩

태교 관점 임부 교실을 실시하여 임부 교실에 참여한 임부는 참여 후 임부 태아

애착이 증가 되었고 산모, 신생아 애착이 높은 것으로 검정 되었다. 그러나 본 프

로그램을 가지고 연구를 진행한 후 논의하고자 하는 부분은 산모 신생아 애착 측

정과 태교 관점 임부 교실 운영에 관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 임신 말기 임부를 대상으로 본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사용하였는데,

태교가 임신 전 태교, 임신 중 태교, 임신 시 태교로 구분할 수 있으므로(김현옥,

1996) 임신 초기, 임신 중기의 각각 임부 대상으로 태교 관점 임부 교실을 각 임

신 시기에 필요한 프로그램 내용을 개발될 것이 요구되어진다. 또한 임신 말기 임

부들을 대상으로 하는 태교 관점 임부 교실의 내용 역시 처음으로 프로그램을 개

발하여 실시하였기 때문에 산모들의 요구에 맞으며 문헌의 뒷받침으로 좀 더 정

련되어 이루어져 나가야 한다.

본 프로그램을 운영하면서 임신부들이 4 주 동안의 프로그램을 모두 참석하는데

저조하였으며 이는 병원의 지지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출산 준비 교육이 참석

율이 저조했던 것처럼(박영숙, 1987), 프로그램 운영상 병원의 지원이 필요하다.

병원에서 유료로 하고 출산 준비 교실 참여한 임부들에게 분만 시 가족을 참여하

게 한다든지(김금중 과 윤은광, 1999) 또는 병원의 적극적인 지지로 운행되는 경

우의(노연희, 1998) 참석률이 높은 경우와 상반된다. 이처럼 출산 준비 교실이 잘

운영되기 위해서는 교육 비용, 교육전담 간호사 확보, 교육 장소의 확보(최혜숙,

1995), 교육 받은 임산부에게 혜택 제공 등의 실질적인 병원의 행정적인 지지가

필요하다. 또한 임부 교실의 운영에서 교육의 시간은 단 1 회의 교육으로 효과가

적으며(이인자, 1994), 4 주 이상의 교육과 훈련을 통해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여러 병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산전 교육에 출산 중심의 교육 뿐만 아니라 태

Page 41: 태교 관점 임부 교실이 모아 애착에 미치는 효과...태교 관점 임부 교실 참여 전·후에 임부는 임부 태아 애착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2) 제

-31 -

아의 성장 발달을 위한 태내 환경의 중요성과 임부와 태아간의 상호 작용을 포함

시키어 프로그램을 진행한다면 임신부가 열 달 동안의 기간에 태아의 건강을 위

해 노력하고 또한 태아와 애착을 형성하여 출산 후 민감한 시기에 모아 애착이

증진되어져 신생아 양육능력이 더 커질 것으로 사료된다.

태교 관점 임부 교실에 참여한 산모는 참여하지 않은 산모 보다 산모 신생아 애

착이 높았다. 그러나 산모 신생아 애착 점수가 총 22 점에서 실험군의 애착 점수

가 9.33 이고 대조군의 애착 점수가 7.26 으로 낮았다. 이는 임부 태아 애착 점수

가 총 96 점에서 실험군이 85.39 점이고 대조군이 80.11 점으로 비교적 높았던

것에 비해 산모 신생아 애착 정도가 낮게 측정 되었다. 이 산모 신생아 애착 도구

는 관찰형 도구로 신생아의 특성 확인과 상호작용 양상으로 나누어지는데 신생아

의 특성 확인은 산모가 신생아의 외모와 기능, 상태의 평가를 언어적 표현 한 것

을 측정하고 상호작용의 양상은 산모와 신생아의 상호 작용을 관찰하는 것이다.

이 도구가 외국에서 사용한 것을 번안한 것으로 우리 나라 산모들이 언어적 표현

이 부족한 문화적 상황에서 산모 신생아 애착을 측정 하는데 미흡하였다. 이 도구

를 사용한 조수현(1990)의 연구에서 우리 나라 산모가 성별 확인과 상태의 변화

에 대해 말하는 경우가 드물었고 손복희(1984)의 연구에서 아기의 이름을 부른

산모는 한 명도 없었고 Hale(1977)의 도구로 산모와 신생아의 애착 행위를 관찰

한 왕임순(1985)의 연구에서도 ‘아기 몸에 입맞추는 행동’은 대상자 중 한 예도

없어 도구의 사회 문화적 배경의 차이임을 보여준다. 국내에 산모와 신생아의 애

착을 측정하는 도구로는 Cropley 외 2 인의 도구가 가장 많이 쓰이고 우리 문화에

맞는 애착 도구가 없어서 사용하게 되었다.

이처럼 국내 문헌에서 사용되어지는 산모 신생아 애착 도구가 외국 도구를 번

안하여 사용되어지고 있으며 우리 문화에 맞는 산모 신생아 애착 도구가 없는 상

황에서 산모 신생아 애착을 관찰할 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Page 42: 태교 관점 임부 교실이 모아 애착에 미치는 효과...태교 관점 임부 교실 참여 전·후에 임부는 임부 태아 애착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2) 제

-32 -

VI. 결론 및 제언

1. 결 론

본 연구는 동양문화권에서 중요시 되고 출산 여성의 자가관리 행위로 그 고유

성을 지니고 있는 태교의 관점으로 임신 말기 임부를 대상으로 태교 관점 임부

교실이 임부 태아 애착, 산모 신생아 애착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연구이

다. 임신 32 주에서 36 주 사이의 임부를 대상으로 출산을 위한 준비 뿐만 아니라

태아의 건강한 성장 발달을 위한 태내 환경과 임부 태아와의 관계를 포함한 4 주

과정의 태교 관점 임부 교육 프로그램을 시행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태교에 대한 문헌고찰과 태아에 대한 국내·외 선행연구와 임부

태아 애착 증진에 대한 국내·외 선행연구를 통하여 밝혀진 내용을 기초로 구성

되어졌다.

프로그램 내용은 태아 성장 발달, 태아의 반응 능력, 임부 자가 관리, 참석자의

임신 경험, 임부 태아 관계 형성과 강화, 태내 환경 조성으로 구성하며 분만 준비

로 이완법, 호흡법을 하고 임부 체조, 신생아 이해를 내용으로 하였다.

연구설계는 태교 관점 임부 교육의 효과를 측정한 유사실험 설계이며, 교육 참여

후 임부 태아 애착에 미치는 효과와 교육 참여자인 실험군과 비참여자인 대조군

과의 산모 신생아 애착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내에 위치한 대학병원에서 연구에 참여를 허락한 대상으로 45

명이었다.

자료수집기간은 2000 년 3 월 14 일부터 6 월 15 일 까지 이며, 연구 도구는 임

부 태아 애착과 산모 신생아 애착 도구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AS 로 전산 처리 하였으며, t-Test, paired t-Test, x2-Test,

Page 43: 태교 관점 임부 교실이 모아 애착에 미치는 효과...태교 관점 임부 교실 참여 전·후에 임부는 임부 태아 애착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2) 제

-33 -

등의 통계방법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 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설 검증>

1) 가설 1

“태교 관점 임부 교실에 참여 전·후에 임부는 임부 태아 애착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는 지지 되었다(t= 3.73, p=0.002).

2) 가설 2

“태교 관점 임부 교실에 참여한 산모는 참여 하지 않은 산모 보다 산모 신생아

애착이 높을 것이다.”는 지지 되었다(t=-3.48, p=0.001)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태교 관점 임부 교육은 임부의 임부 태아애착에 유의

한 영향을 미치고 출산 이후 산모 신생아 애착에도 영향을 미친다.

2. 제 언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 간호 실무의 측면에서 여러 병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출산준비 교실이 출

산에 대한 준비 내용으로 제한되어 있어 태아의 성장 발달을 위한 태내 환

경과 임부와 태아와의 관계를 포함시킨 임부교실이 이루어져야 하며 또한

출산 준비 교육자와 간호사가 인식을 하여 준비 되도록 한다. 또한 태교 관

점 임부 교실 내용이 임부들의 요구와 문헌들을 통해 프로그램의 보완이 이

루어져야 한다.

2) 간호 연구의 측면에서 태교 관점 임부 교실의 효과 검증으로 분만 통증, 분

Page 44: 태교 관점 임부 교실이 모아 애착에 미치는 효과...태교 관점 임부 교실 참여 전·후에 임부는 임부 태아 애착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2) 제

-34 -

만 시간, 분만 경험, 모유수유율 등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가 요구된다.

또한 태교를 입증할 수 있는 과학적인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야 한다.

연구 도구 면에서는 우리나라 산모와 신생아의 애착 행위를 측정할 수 있는

타당하고 신뢰할 만한 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3) 간호 교육적 측면에서 산전 교육에 임부의 태아와의 관계와 태교를 학부 교

과에 포괄하도록 한다.

Page 45: 태교 관점 임부 교실이 모아 애착에 미치는 효과...태교 관점 임부 교실 참여 전·후에 임부는 임부 태아 애착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2) 제

-35 -

참 고 문 헌

김금중, 유은광(1999). 치료적 터치를 병용한 듀라(Doula)의 역할이 분만 제 요

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여성건강간호학회지, 5(2), 224~235.

김순이,류칠선(1998). 임산부의 태교에 대한 태도유형 분석-Q 방법론적 접근-.

대한간호학회지, 27(4), 740~751.

김은성(2000). 소프롤로지란 무엇인가?. SOPHROLOGY WORKSHOP, 3~7.

김은실(1996). 출산 문화와 여성. 한국 여성학, 12(2), 119~153.

김현옥(1991). 임신부의 태아애착행위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현옥(1996). 태교 실천에 대한 일상생활 기술적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 논

김현희(2000). 소프롤로지식 분만교육이 분만시 산모의 불안, 분만진통 정도에

미치는 영향. SOPHROLOGY WORKSHOP, 75~96.

노연희(1998). 초산모의 소프롤로지 교육의 효과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행정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다이아나 루먼스(1997). 마음을 열어주는 101가지 이야기. 류시화 역서. 서울 :

도서출판 이레.

대한태교연구회 학술위원회(2000). 임신부 사랑 선언문·지침서. 대한태교연구회.

대한조산협회(1999). 출산준비교육 교재. 사단 법인 대한조산협회.

문영숙(1980). 분만의 정상경과에 관한 산전교육이 초임부의 상태-불안에 미치

는 영향에 관한 연구. 간호학회지, 10(1), 11~17.

박문일(1999 a). 태교는 과학이다!. 서울 : 한양대학교 출판부.

박문일(1999 b). 태교의 과학적 배경. 대한태교연구회 창립기념 심포지움, 3~29.

박문일(2000). 임신부 사랑 선언문 지침서. 서울 : 대한태교연구회.

박문일, 신동렬, 문형, 이재억, 황윤영, 장수천(1999). 산모의 청각을 통한 “뇌

Page 46: 태교 관점 임부 교실이 모아 애착에 미치는 효과...태교 관점 임부 교실 참여 전·후에 임부는 임부 태아 애착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2) 제

-36 -

alpha-파 생성 음향” 및 “자연음향”. 미발간원자료.

박영숙(1987). 라마즈 출산교육 프로그램 운영에 관한 평가. 대한간호학회지,

17(1), 52~63.

박영숙, 김영임, 박연환 (1996). 출산교실에 참여한 임부의 교육 평가 및 요구.

여성건강간호학회지, 2(1), 108~117.

박형우(1998). 인체발생학-총론-. 군자출판사.

박혜숙(1983). 신생아 돌보기 활동이 산모의 애착행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베어 하트(1999). 인생과 자연을 바라보는 인디언의 지혜. 형선호 역서. 서울 :

황금가지.

서란희, 서원심, 한효임, 송연란, 박미옥(1999). 열린출산준비교육. 미발간원자

료.

손복희(1984). 모자 동실 동거가 산모의 신생아에 대한 애착 행위에 미치는 영향.

이화 여자 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석사 학위 논문.

오수일(1991). 태교명상. 고운산아기샘.

왕임순(1985). 지지적 간호가 고위험 신생아에 대한 어머니의 지각과 애착 행위

에 미치는 영향. 이화 여자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유안진(1990). 한국 전통사회의 유아교육. 서울대학교 출판부.

유은광(1986). 산과적 정신예방법(Psychoprophylaxis in obstetrics; Lamaze

method)의 간호임상적용-분만실 간호 중심으로-. 대한간호, 25(5),52~61.

유지수(1999). 스트레스 반응 및 관리 개요. 출산준비교육 교재, 204~215.

이경혜(1980). 정신적 무통분만법. 대한간호, 19(3), 41~43.

이자형, 김진향(1981). 산모의 신생아에 대한 애착행위에 관한 연구. 간호학회지,

11(2), 9~19.

이연재(1991). 태교신기, 서울 : 문덕사.

이인자(1994). 산전 라마즈 호흡법의 교육 효과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행정대

학원 석사학위 논문.

Page 47: 태교 관점 임부 교실이 모아 애착에 미치는 효과...태교 관점 임부 교실 참여 전·후에 임부는 임부 태아 애착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2) 제

-37 -

임산부 전용 도서관-토끼와 여우(1999). 월간 태교, 한양 메디칼

장숙희 (1992). 임부의 건강지각과 산전 간호 행위에 관한 연구. 전남대 간호학

과 석사학위논문.

장순복, 박영주, 최연순, 정재원 (1996). 한국 임부의 태교요인. 대한간호학회지,

26(20), 345~358.

장순복(1999). 임상 간호학에서 태교의 의의. 대한태교연구회 창립기념 심포지움,

105~117.

전영자(1998). 초임부의 교육 요구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 여성건강간호학회지,

4(2), 187~200.

정귀애(1995). 산전분만준비교육이 초산모의 분만진통, 불안 및 분만경험 지각에

미치는 효과.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조미영(1990). 초산모의 분만유형별 분만경험에 대한 지각과 모아상호작용 과정

에 관한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20(2), 153~171.

조복희, 정옥분, 유가효(1990). 인간발달-발달 심리적 접근- . 수문사.

조수현(1990). 어머니의 신생아에 대한 지각과 애착행위와의 관계. 전남대학교

간호학과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최연순, 김현옥(1995). 임신부부의 태교 실태조사. 여성건강간호학회지, 1(2),

153~173.

최혜숙(1995). 산전 교육의 효과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하재청, 김재봉, 김병기, 오영근, 이무삼, 정해만(1993). 인체발생학-선천성 기

형-. 아카데미서적.

한경자, 박영숙(1985). 산전 Lamaze 교육의 효과에 관한 연구-영아모의 태도와

모아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대한간호학회지, 15(2), 16~24.

Bhakoo, O. N., Pershad , D., Mahajan, R., Gambhir, S. K.(1994). Development

Of Mother-Infant Attachment Scale. Indian Pediatrics, 31, 1477~ 1482.

Bobak, I. M., Jenson, M. D. (1987). Attachment. essentials of maternity

Page 48: 태교 관점 임부 교실이 모아 애착에 미치는 효과...태교 관점 임부 교실 참여 전·후에 임부는 임부 태아 애착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2) 제

-38 -

nursing, The Nurse & the childbearing family. the C.V. Mosby company.

641~658.

Bralow, L.(1983). Maternal bonding in early fetal ultrasound examinations.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14, July, 114.

Bristor, M. W., Helfer, R. E., Coy, K. B.(1984). Effects of perinatal

coaching on mother-infant interaction. AJDC, 138, March, 254~257.

Carter-Jessop, L.(1981). Promoting maternal attachment through prenatal

intervention. American Journal of Maternal Child Nursing, 6, March/April,

107~112.

Castro, L C., Allen, R., Ogunyemi, D., Roll, K., Platt, L D., (1993).

Cigarette smoking during pregnancy: Acute effects on uterine flow

velocity waveforms. Obstetrics & Gynecology, 81(4), 551~555.

Cranley, M S.(1981). Development of a tool for the measurement of maternal

attachment during pregnancy. Nursing Research, 30(5), 281~285.

Cranley, M S.(1992). Response to “A critical review of prenatal attachment

research”. Scholarly Inquiry for Nursing Practice: An International

Journal, 6(1), 23~26.

Cropley, C., Lester, P., Pennington, S. (1976). Assessment tool for

measuring maternal attachment behaviors. Current Practice in OB. & GY.

Nursing, 1st ed., The C. V. Mosby Co., 16~28.

Davis, M S., Akridge, K M. (1987). The Effect of promoting intrauterine

attachment in primiparas on postdelivery attachment. JOGNN,

November/December, 430~437.

Devlin, B., Daniel, M., Roeder, K. (1997). The heritability of IQ. Nature,

388(31), July, 468~471.

Devoe, L D., Searle, N. A., Ruedrich, D. A., Castillo, R. A., Metheny, W. P.

(1989). The effects of vibroacoustic stimulation on baseline heart rate,

Page 49: 태교 관점 임부 교실이 모아 애착에 미치는 효과...태교 관점 임부 교실 참여 전·후에 임부는 임부 태아 애착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2) 제

-39 -

breathing activity, and body movements of normal term fetuses. American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y, 161(3), September, 524~529.

Fifer, W.P., Moon, C.M. (1994). The role of mother’s voice in the

organization of brain function in the newborn. Acta Paediatric, Suppl,

397, 86~93.

Gaffney, K., Choi, E., Yi,K., Jones, G. B., Bowman, C., & Tavangar, N. N.

(1997). Stressful events among pregnant Salvadoran women: A cross-

cultural comparison. JOGNN,26(3), 303~309.

Gagnon, R., Hunse C., Carmichael, L., Fellows, F., Patrick, J. (1986).

Effects of vibratory acoustic stimulation on human fetal breathing and

gross fetal body movements near term. American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y, 155(6), December, 1227~1230.

Guerri C., Renau-Piqueras J. (1997). Alcohol, astroglia, and brain

development. Molecular Neurobiology, 15(1), August, 65~81.

Grace, J. T. (1989). Development of maternal-fetal attachment during

pregnancy. Nursing Research, 38(4), 228~232.

Hale, D. J., Lozoff, B., Sosa, R. (1977). Defining the limits of the

maternal sensitive period. Development Medicine Child Neurology, 19,

454~461.

Ishii, T., Horiguchi, S., Kato, T., Waturi, N., Hirose, M., Hirota, K.

(1991). If the fetus can vocalize, how can we detect it?. Biology of the

Neonate, 60( Suppl 1), 52~61.

McCubbin, J. A., Lawson, E. J., Cox, S., Sherman, J. J., Norton, J. A.,

Read, J. A. (1996). Prenatal maternal blood pressure response to stress

predicts birth weight and gestational age: A preliminary study. American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y, 175(3), Part 1, 706~712.

Menashe, M., Sherer, D. M. (1990). Caution regarding fetal acoustic

Page 50: 태교 관점 임부 교실이 모아 애착에 미치는 효과...태교 관점 임부 교실 참여 전·후에 임부는 임부 태아 애착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2) 제

-40 -

stimulation in oligohydramnios. American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y ,

162(2), February, 603~604.

Muller, M E.(1992). A critical review of prenatal attachment research.

Scholarly Inquiry for Nursing Practice: An International Journal, 6(1),

5~22.

Muller, M E.(1993). Development of the prenatal attachment inventory.

Western Journal of Nursing Research, 15(2), 199~215.

Muller, M E.(1996). Prenatal and postnatal attachment: A modest correlation.

JOGNN, 25(2), February, 161~166.

Nordstrom, U L., Dallas, J H., Morton , H G., Patel, N B. (1988). Mothering

problems and child morbidity amongst “Mothers with emotional

disturbances”. Acta Obstetricia et Gynecologica Scandinavica, 67(2),

155~158.

Olds, S. B., London, M. L., Ladewig, P. A.. (1988). Maternal newborn

nursing-A family centered approach. Addison-Wesley Publishing

Company, Third Edition. 1128~1149.

Park, Moon Il., Kim, Doo Sang. (1989). The acoustic stimulation test in the

anencephalus: preliminary results. Journal of Perinatal Medicine, 17,

329~331.Petrikovsky, B.M., Schifrin, B., Diana, L. (1993). The effect of

fetal Acoustic stimulation on fetal swallowing and amniotic fluid index.

Obstetrics & Gynecology, 81(4), April, 548~550.

Pritham, U A., Sammons, L N. (1993). Korean women’s attitudes toward

pregnancy and prenatal care. Health Care for Women International, 14,

145~153.

Rees, S., Breen, S., Loeliger, M., McCrabb, G., Harding, R. (1999).

Hypoxemia near mid-gestation has long-term effects on fetal brain

development. Journal of Neuropathology and Experimental Neurology,

Page 51: 태교 관점 임부 교실이 모아 애착에 미치는 효과...태교 관점 임부 교실 참여 전·후에 임부는 임부 태아 애착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2) 제

-41 -

58(9), September, 932~945.

Scrimshaw, N. S. (1997). The relation between fetal malnutrition and

chronic disease in later life. BMJ, 315(4), October, 825~826.

Sherer, D. M., Abramowicz, J. S., D’Amico, M. L., Allen, T., Woods, J. R.

(1991). Fetal panting: Yet another response to the external vibratory

acoustic stimulation test. American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y, 164,

591~591.

Stein, C. E., Kumaran, K., Fall, C. H. D., Shaheen, S. O., Osmond, C.,

Barker, D. J. P. (1997), Relation of fetal growth to adult lung function

in South India. Thorax, 52, 895~899.

Stoppard, Miriam. (1993). Conception, Pregnancy and Birth. Dorling

Kindersley. Tegtmeier D., Elsea S. (1984). Wellness throughout the

maternity cycle. Nursing Clinics of North America, 19(2), 219~227.

Tulman, L J. (1981). Theories of maternal attachment. Advances in Nursing

Science,July, 7~14.

Weinstock, M., Matlina, E., Maor, G I., Rosen, H., McEwen, B S. (1992).

Prenatal stress selectively alters the reactivity of the hypothalamic-

pituitary adrenal system in the female rat. Brain Research, 13, 595(2),

195~200.

Page 52: 태교 관점 임부 교실이 모아 애착에 미치는 효과...태교 관점 임부 교실 참여 전·후에 임부는 임부 태아 애착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2) 제

-42 -

부록 1. 임부-태아 애착 질문지

¤ ¤ ¤ ¤ ¤ ¤ ¤ ¤ ¤ ¤ ¤ ¤ ¤ ¤

임부 태아 애착 질문지

안녕하십니까?

귀하의 임신을 축하 드립니다.

저는 산부인과에 근무하는 간호사입니다.

저는 임신부들이 태아에 대해 갖고 계신 생각, 느낌, 행동에 대한 것을 통

하여 귀하와 태아가 어떠한 관계인지 알고자 합니다. 그리하여 임신부와

태아의 건강을 증진하고자 합니다. 귀하께서 제공해 주시는 이 자료는 임

신 중에 있는 임신부들의 태아애착발달을 증진시키기 위한 출산 교실 운영

내용을 마련하는데 귀중한 자료로 사용될 것임을 약속 드립니다.

자료는 무기명으로 처리 되며 연구목적에만 사용될 것이므로 개인의 비밀

은 절대 보장됩니다.

현재 귀하의 느낌이나 생각, 행동에 대해서 사실대로 솔직하게 응답해 주

시기를 부탁 드립니다.

본 질문지에 참가하기 원하신다면 뒷장의 질문지에 기록해 주십시오.

바쁘신 중에도 시간을 내어 협조해 주신 귀하께 감사를 드립니다.

2000. 3.

연세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김 기 영

¤ ¤ ¤ ¤ ¤ ¤ ¤ ¤ ¤ ¤ ¤ ¤ ¤ ¤

Page 53: 태교 관점 임부 교실이 모아 애착에 미치는 효과...태교 관점 임부 교실 참여 전·후에 임부는 임부 태아 애착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2) 제

-43 -

A. 다음은 임부 태아 애착에 대한 질문입니다. 임신기간 중에 귀하

께서 경험할 수도 있는 내용으로서 옳거나 틀린 답은 없습니다. 귀

하의 느낌의 정도에 따라서 해당란에 “4”표해 주십시오.

나는 다음과 같이 생각하거나 행동한다.

항상 그렇

자주 그렇

가끔 그렇

그렇

지않

나는 뱃속에 있는 아기에게 이야기 한다.

나는 임신으로 인해 겪게 되는 어려움들이

경험해 볼만한 가치가 있다고 생각 한다.

나는 뱃속에서 아기가 놀 때 기분이 좋다.

나는 아기에게 젖먹이는 모습을 상상하곤

한다.

나는 아기가 어떻게 생겼는지 보고 싶다.

나는 아기가 배 안에서 잘 지내리라고 생각

한다.

나는 뱃속에 있는 태아를 “아가!” 혹은 다

른 이름으로 불러보곤 한다.

나는 아기를 돌보는 모습을 상상하곤 한다.

나는 아기가 움직이는 양상을 보고 아기의

성격에 대하여 추측한다.

나는 이번 아기에게 이름을 지어 놓았다.

나는 나 자신의 건강을 위해 노력하고 있

다.

나는 뱃속에 있는 아기의 건강을 위해 노력

하고 있다.

Page 54: 태교 관점 임부 교실이 모아 애착에 미치는 효과...태교 관점 임부 교실 참여 전·후에 임부는 임부 태아 애착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2) 제

-44 -

나는 다음과 같이 생각하거나 행동한다. 항상 그렇

자주 그렇

가끔 그렇

그렇

지 않

나는 뱃속에 있는 아기가 들을 수 있을 것

으로 생각한다.

나는 아기가 느낄 수 있다고 생각 한다.

나는 아기가 생각할 수 있다고 여긴다.

나는 아기가 움직일 때 나에게 무엇인가 말

하는 것처럼 느낀다.

나는 아기를 놀게 하기 위해 배를 눌러보거

나 쓰다듬어 보곤 한다.

나는 아기를 낳아 안아 보고 싶다.

나는 아기의 모습을 상상하곤 한다.

나는 아기가 움직일 때 배를 쓰다듬어 준

다.

나는 임신으로 인한 외모의 변화를 자랑스

럽게 생각한다.

나는 임신 된 나를 자랑스럽게 여긴다.

나는 뱃속에 있는 아기에게 좋다고 생각 되

는 육류 및 채소 등의 음식물을 신경 써서

먹는다.

나는 아기가 움직이지 않으면 태동을 보기

위해서 태아의 주위를 눌러본다.

Page 55: 태교 관점 임부 교실이 모아 애착에 미치는 효과...태교 관점 임부 교실 참여 전·후에 임부는 임부 태아 애착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2) 제
Page 56: 태교 관점 임부 교실이 모아 애착에 미치는 효과...태교 관점 임부 교실 참여 전·후에 임부는 임부 태아 애착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2) 제

-46 -

부록 2. 산모-신생아 애착

산모 신생아 애착 관찰의 protocol

<신생아 특성 확인>

외모와 기능

1. 성(Sex)에 대해서 말한다. : 남자 나 여자를 나타내는 말을 한다.

2. 크기(Size)에 대해서 말한다. : 크기가 작은지 큰지에 대해서 말한다.

3. 몸을 살펴본다. : 아기의 가운을 열어 몸을 살펴 본다.

4. 신체에 관해 질문 한다. : 아기의 신체에 대해 관찰자에게 질문 한다.

5. 신체기능에 관해 질문 한다. : 아기의 신체의 기능(울음, 배변, 배뇨 등)에 대해

관찰자에게 질문 한다.

6. 인간의 특성과 관련하여 말한다. : 산모가 아기를 인간으로 인식하여 인간의 특

성과 관련된 질문을 관찰자에게 한다.

7. 가족과 관련하여 말한다. : 아기가 가족의 누구와 닮았는지 말한다.

상태의 평가

8. 상태에 대해 간단하게 질문 한다. : 아기의 상태, 외모에 대해 관찰자에게 질문

한다.

9. 상태에 대해 사실적으로 평한다. : 아기의 상태, 외모에 대해 사실적으로 말한다.

10. 상태의 변화에 대해 말한다. : 아기가 변화된 것에 대해 말한다.

<산모의 신생아에 대한 상호작용 양상>

1. 이야기하거나 노래한다. : 어머니가 아기에게 이야기하거나 노래한다.

2. 이야기할 때 이름을 사용한다. : 어머니가 아기에게 이야기 할 때 이름을 사용

한다.

3. 얼굴을 마주 보는 자세를 한다. : 어머니의 눈이 아기의 눈을 향하며 어머니의

얼굴이 아이의 얼굴에 평행하게 한다.

4. 눈뜬 사실에 대해 이야기한다. : 아기가 눈 뜬 것에 이야기하거나 반응한다.

Page 57: 태교 관점 임부 교실이 모아 애착에 미치는 효과...태교 관점 임부 교실 참여 전·후에 임부는 임부 태아 애착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2) 제

-47 -

5. 눈을 뜨도록 자극한다. : 아기가 눈을 뜨도록 언어적으로 자극한다.

6. 사지나 머리를 만진다. : 손, 손가락을 사용하여 사지나 머리를 만진다.

7. 몸체를 만진다. : 손, 손가락을 사용하여 몸체를 만진다.

8. 손끝으로 만진다. : 손가락 끝으로 아기의 머리, 얼굴, 신체 표면 등을 만진다.

9. 손가락으로 쓰다듬는다. : 손가락으로 아기의 머리, 얼굴, 신체 표면 등을 쓰다

듬는다.

10. 손가락으로 만진다. : 손가락으로 아기의 머리, 얼굴, 신체 표면 등을 만진다.

11. 끌어당긴다. : 어머니의 위 팔과 아래 팔 손으로 아이의 몸을 잡고 어머니의

몸 가까이 당긴다.

12. 접촉하기 위해서 자발적으로 움직인다. : 어머니가 아기와 더 밀접한 접촉을 위

해 자세를 바꾸거나 팔, 몸을 움직인

다.

Page 58: 태교 관점 임부 교실이 모아 애착에 미치는 효과...태교 관점 임부 교실 참여 전·후에 임부는 임부 태아 애착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2) 제

-48 -

모아 애착 측정 도구

해당란에 4표해 주세요.

외모와 기능 나타남 나타나지 않음

1. 성(Sex)에 대해서 말한다. …………………… ……………………

2. 크기(Size)에 대해서 말한다. …………………… ……………………

3. 몸을 살펴본다. …………………… ……………………

4. 신체에 관해 질문 한다. …………………… ……………………

5. 신체기능에 관해 질문 한다. …………………… ……………………

6. 인간의 특성과 관련하여 말한다. …………………… ……………………

7. 가족과 관련하여 말한다. …………………… ……………………

상태의 평가

8. 상태에 대해 간단하게 질문 한다. …………………… ……………………

9. 상태에 대해 사실적으로 평한다. …………………… ……………………

10. 상태의 변화에 대해 말한다. …………………… ……………………

산모의 신생아에 대한 상호작용 양상

1. 이야기하거나 노래한다. …………………… ……………………

2. 이야기할 때 이름을 사용한다. …………………… ……………………

3. 얼굴을 마주 보는 자세를 한다. …………………… ……………………

4. 눈뜬 사실에 대해 이야기한다. …………………… ……………………

5. 눈을 뜨도록 자극한다. …………………… ……………………

6. 사지나 머리를 만진다. …………………… ……………………

7. 몸체를 만진다. …………………… ……………………

8. 손끝으로 만진다. …………………… ……………………

9. 손가락으로 쓰다듬는다. …………………… ……………………

10. 손가락으로 만진다. …………………… ……………………

11. 끌어당긴다. …………………… ……………………

12. 접촉하기 위해서 자발적으로 움직인다.……………… ……………………

Page 59: 태교 관점 임부 교실이 모아 애착에 미치는 효과...태교 관점 임부 교실 참여 전·후에 임부는 임부 태아 애착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2) 제

-49 -

부록 3. 도구의 신뢰도

임부 교실 전 임부 태아 애착 측정도구의 문항분석 및 신뢰도

( Cronbach Coefficient Alpha )

for STANDARDIZED variables: 0.912199

Deleted Correlation

Variable with Total Alpha

--------------------------------------

- BEFORE01 0.513129 0.901922

BEFORE02 0.195117 0.909950

BEFORE03 0.566467 0.901098

BEFORE04 0.514298 0.902116

BEFORE05 0.635390 0.900136

BEFORE06 0.241179 0.906199

BEFORE07 0.494936 0.902264

BEFORE08 0.606961 0.899889

BEFORE09 0.414527 0.904093

BEFORE10 0.281620 0.909539

BEFORE11 0.378918 0.904961

BEFORE12 0.634062 0.899744

BEFORE13 0.555651 0.901966

BEFORE14 0.607788 0.900946

BEFORE15 0.605154 0.900758

BEFORE16 0.622080 0.899324

BEFORE17 0.503468 0.902112

BEFORE18 0.468308 0.902838

BEFORE19 0.667833 0.898767

BEFORE20 0.465705 0.903001

BEFORE21 0.771293 0.894966

BEFORE22 0.686523 0.897711

BEFORE23 0.580958 0.900525

BEFORE24 0.544450 0.901213

Page 60: 태교 관점 임부 교실이 모아 애착에 미치는 효과...태교 관점 임부 교실 참여 전·후에 임부는 임부 태아 애착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2) 제

-50 -

임부 교실 후 임부 태아 애착 측정도구의 문항분석 및 신뢰도 ( Cronbach Coefficient Alpha )

for STANDARDIZED variables: 0.870293

Deleted Correlation

Variable with Total Alpha

------------------------------------------

AFTER01 0.621559 0.858654

AFTER02 0.226285 0.872543

AFTER03 . 0.871942

AFTER04 0.343040 0.868145

AFTER05 0.082196 0.871915

AFTER06 0.172479 0.870993

AFTER07 0.643823 0.860333

AFTER08 0.370267 0.867339

AFTER09 0.586716 0.860208

AFTER10 0.311058 0.879151

AFTER11 0.665951 0.857538

AFTER12 0.633047 0.858696

AFTER13 0.523242 0.864239

AFTER14 0.483778 0.864773

AFTER15 0.257986 0.870309

AFTER16 0.573162 0.861236

AFTER17 0.492050 0.867350

AFTER18 0.447369 0.865587

AFTER19 0.180473 0.871044

AFTER20 0.635379 0.858417

AFTER21 0.706533 0.859254

AFTER22 0.601478 0.859765

AFTER23 0.484017 0.865055

AFTER24 0.649719 0.861018

Page 61: 태교 관점 임부 교실이 모아 애착에 미치는 효과...태교 관점 임부 교실 참여 전·후에 임부는 임부 태아 애착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2) 제

-51 -

부록 4. 태교 관점 임부 교실 내용

‘태아의 성장 발달’은 인체발생학-선천성 기형-(하재청 외, 1993), 인체발생

학-총론-(박형우, 1998), Conception, Pregnancy and Birth(Stoppard,

Miriam.,1993)을 바탕으로 만들었다.

태아의 성장과 발달

태 아

월 령

신 장

(CM )

체 중

(GM)

특 징

( 신체, 두뇌, 운동, 의식 )

1 0.2 1 뽕나무 열매 모양.

수정, 수정란의 분열 시작.

2 2 4 초기 신경조직이 형성.

위, 척추, 뇌 등 의 신체 기관 형성 시작.

심장 박동이 시작됨.

신체 주요 부위의 발달이 진행.

눈, 턱, 입 등이 형성되고 머리 부분이 발달.

내부의 중요기관이 형성되고 성장함.

기형 유발 물질에 민감.

3 9 20 손발의 모양, 머리와 몸통의 구분이 생기고, 서서히

사람의 모습에 가까워짐.

손가락, 발가락의 형태가 뚜렷해지며, 심장 완성.

팔 다리의 활동을 시작.

태아가 자극에 반응.

태아가 양수를 삼킴.

4 17 110 솜털이 나고, 손톱, 발톱이 자람.

골격은 골화가 빠르게 진행됨.

태반이 완성되고 성별이 확실해짐.

5 23 300 피부는 여전히 붉고 주름진 채 발달함.

태아의 몸은 통통해지기 시작함.

모체의 심장박동이나 위 소리를 들을 수 있으며, 자

궁 밖에서 나는 소리도 들음.

쓴 맛과 단 맛을 구별함.

근육의 발달과 강도가 세지며 펴기, 집기, 방향 돌리

기와 같은 운동을 함.

놀람 반사를 함.

6 30 600-

700

피하지방의 부족으로 피부는 전반적으로 주름짐.

뇌세포가 발달하기 시작하며, 기억할 수 있음.

복합적인 운동을 함.

Page 62: 태교 관점 임부 교실이 모아 애착에 미치는 효과...태교 관점 임부 교실 참여 전·후에 임부는 임부 태아 애착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2) 제

-52 -

7 35 1000

-

1200

눈을 뜰 수 있으며, 보거나 초점을 맞출 수 있음.

삼키는 것과 빠는 것도 계속해서 발달함.

뇌는 더 커지며 뇌세포와 신경회로가 충분히 연결되

고 활성화됨.

점점 더 복합적인 습득과 운동이 가능해짐.

꿈틀거리거나 발로 차는 행동으로 산모와 의사전달.

소변을 배설함.

8 40 1500

-

1600

폐를 제외하고 거의 모든 기관들이 완전히 발달.

빛에 대한 동공 반사가 존재.

9 45 2000

-

2500

대다수의 태아는 머리가 아래를 향함.

골반 진입으로 태동 감소.

어른과 비슷한 정신 활동.

양수 마시고 오줌 쌈.

10

50

3000

불규칙한 자궁 수축

피하지방이 증가되어 통통해지며 체중도 증가

태아의 움직임이 전보다는 줄어들지만, 산모는 여전

히 태아가 발로 차는 것을 느낌

·태내 환경의 중요성

태교에 대한 국내 문헌과 학위 논문, 태교연구회의 문헌, 태아에 대한 국외 연구

문헌을 토대로 하였다.

1. 기쁘게 생각하며 스트레스를 줄인다.

; 긍정적인 사고방식은 임신부의 정신 건강은 물론, 자궁속의 태아에게도 좋은

결과를 가져온다. 임신을 기쁘게 생각하며, 정서적으로 안정된 환경, 스트레스 없

는 환경을 임신부 스스로 조성해야 한다. 그것이 태아의 건강을 위하는 일이다.

임신부의 스트레스는 태아의 뇌 발달, 태아의 성장을 장애를 가져온다.

2. 임신에 해로운 모든 나쁜 습관을 버린다.

; 자궁속의 태아는 엄마와 같은 환경에 동시에 노출되게 된다. 엄마가 술을 마시

거나 담배를 피우거나 카페인이 함유된 커피를 마실 때, 그 영향이 고스란히 태아

에게 전달된다.

임신 중에 술을 많이 마시면 태아는 각종 질환에 시달리게 된다. 신체적 발육이

늦어지고 기형아, 정신박약증도 증가하며, 미숙아가 될 수 있으며 우울증과 행동

Page 63: 태교 관점 임부 교실이 모아 애착에 미치는 효과...태교 관점 임부 교실 참여 전·후에 임부는 임부 태아 애착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2) 제

-53 -

장애도 많다.

담배는 더욱 나쁜 결과들을 가져오며, 카페인이 함유된 음료들도 좋지 않다.

임신부의 나쁜 습관들이 태어날 아기의 운명을 결정 지을 수도 있으므로 이러한

습관을 버린다. 자신의 의지로 교정이 가능한 것들은 스스로 조절해야 한다. 이것

은 태아 건강을 위하여 엄마가 해야 할 최소한의 배려이다.

3.태아에게 소음이 있는 환경에 있지 않는다.

; 소음은 자궁속의 양수를 줄입니다. 양수는 아기에게 산소처럼 중요한 것인데 소

음이 있는 곳이나 큰소리로 떠드는 곳에 있지 않는다.

3. 태아를 위해 좋은 환경을 만든다.

담배가 있는 곳, 공기의 오염은 임신부 보다 태아에게 더 큰 영향을 준다.

태교를 위한 조용한 환경, 영양이 풍부한 좋은 음식들, 담배 연기 없는 깨끗한 공

기 등 이러한 환경들은 태아의 뇌 발달에 좋습니다.인간의 지능발달에서 가장 중

요한 것은 “임신시의 자궁내 환경”이기 때문이다.

4. 엄마의 소리는 태아의 뇌 발달을 돕는다.

태아는 엄마의 소리를 듣고 엄마의 부드러운 소리에 뇌가 발달해 가고 정신적 안

정을 갖는다. 태동을 느낄 때에 배를 부드럽게 쓰다듬으며 태담을 하고 아기에게

항상 대화를 한다.

5. 엄마에게 아무리 작은 자극이더라도 태아에게 는 큰 반응으로 전달된다.

임신부의 신체는 태아를 10개월간 키우느라 너무 피곤하다. 약 20%의 임신부들

이 유산과 조산을 경험한다. 임신 중기부터는 혈액이 늘어나고, 팔과 다리도 부으

며 임신 말까지 12Kg이상 증가하는 체중 때문에 허리도 아파지며 몸의 균형 잡

기도 힘들어 진다. 임신말기로 갈수록 더욱 신체의 안전이 무너지기 쉽다.

임신부 신체의 사소한 충격도, 태아에게는 지진 같은 충격으로 전달 될 수 있다.

임신부와 태아의 안전을 위해 위험한 환경을 제거한다.

6. 엄마에게 기분이 좋은 음악, 자연 음향을 듣는다.

임신부가 좋아하는 음악, 풀벌레 소리, 새소리, 파도 소리 같은 자연의 음향을 통

해 엄마가 심리적으로 안정되고 태아가 성장해 나간다.

8.좋은 영양을 갖는 것은 임신부와 아기의 평생 건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임신 기간 동안 식사는 아기의 성장을 발달시키도록 한다. 영양 부족은 태아 성장

의 중요한 단계에서 성장의 장애를 이끌어 치명적이고 영원한 건강 기능에 문제

를 가져온다. 영양 부족은 태아가 성인이 된 후에 만성 질환의 이환과 각 기관의

성장 부족을 일으킨다.

Page 64: 태교 관점 임부 교실이 모아 애착에 미치는 효과...태교 관점 임부 교실 참여 전·후에 임부는 임부 태아 애착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2) 제

-54 -

칼로리; 비 임신 시 보다 300cal 를 더 섭취한다. 임신 시의 칼로리는

2,100~2,400cal

protein; 단백질은 아기의 세포와 기관의 발달과 성장과 자궁, 태반, 가슴의 성장

에 요구된다. 임신 전에 하루에 46g 에서 임신 시에 76g 으로 증가한다.

단백질의 부족은 성장이 지연된 아기와 연관이 된다.

육류, 닭고기, 생선, 치즈, 달걀, 우유, 곡류, 견과류, 콩.

철분; 철분은 hemoglobin 을 형성하는데 필요하다. 임신 동안 혈류양이 증가되고

아기는 자신의 혈액 세포를 생성하기 위해 철분이 필요하다. 임신의 마지막 3 기

동안 아기는 태어난 후에 사용하기 위해 간에 비축하기 위해 엄마에게 철을 빼앗

는다.

출산 후에 생기는 혈액 손실을 위해 필요하다.

철보충제는 vitamin C 와 함께 먹을 때 흡수가 잘 된다.

철이 많은 음식으로 간, 적색 육류, 계란 노른자, 콩류 이다.

칼슘; 칼슘은 아기의 골격, 심장,근육, 치순의 성장과 발달에 기본적이다. 부적절

한 칼슘 섭취는 산모의 칼슘 저장을 고갈시킨다.

우유, 유제품, 요거트, 치즈.

엽산; 임신 동안에 거의 2 배를 섭취한다. 너무 적은 엽산은 빈혈을 일으킬 수 있

다.

간, 기름기 없는 쇠고기, 콩, 달걀 노른자, 잎이 있는 진녹색의 야채

비타민 C; 이 비타민은 신체 조직의 성장과 유지, 감염에 저항력, 치유, 뼈와 근육

의 성장과 유지에 본질적이다.

신 과일, 토마토, 감자, 잎이 있고 녹색의 야채.

비타민 D; 칼슘과 인의 흡수에 본질적이다. 발달하고 있는 아기에 건강한 뼈와

치아의 형성에 매우 중요하다. 비타민 D 는 음식과 햇빛에 노출에 의해 얻어진다.

강화된 우유, 마아가린, 생선, 달걀 노른자, 효소이다.

비타민 A; 이 비타민은 건강한 피부와 모발과 갑상선의 기능의 유지에 필요하다.

아기에게 있어서 비타민 A 는 뼈의 성장과 치순의 발달에 필요하다.

뻐터, 강화된 마아가린, 크림, 진녹색과 진노란의 야채, 간, 노랗고 시지 않은 과일

이다.

7. 즐거운 마음으로 출산에 임한다.

출산이 임박하면 대부분의 임산부들이 진통을 걱정한다. 그러나 진통 없는 출산은

없다. 진통은 아기가 자연분만 될 때 생기는 정상적인 통증이다. 자궁근육이 수축

Page 65: 태교 관점 임부 교실이 모아 애착에 미치는 효과...태교 관점 임부 교실 참여 전·후에 임부는 임부 태아 애착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2) 제

-55 -

해야 분만이 되므로 모든 임산부는 다소의 진통을 겪는다.

임신 말기에 두려움을 가지지 말고 분만에 대한 침착함과 자신감을 가진다. 임신

과 분만, 그 자체를 행복한 마음으로, 긍정적으로 받아들인다.즐거운 마음을 가지

면 머리도 맑아지며, 분만 시간도 단축되고, 분만의 통증도 훨씬 덜해진다.

곧 세상에 나올 아기의 얼굴을 떠올리면서 기쁜 마음을 가진다.

·임신 동기, 목적 나누기

다음 질문으로 쓰고 나눈다.

·임신의 동기, 목적을 써보는 시간을 가져보세요.

·임신한 후 자신이나 태아를 위해 특별히(구체적으로) 한 일이 있나 적어보세요.

·임신 후 자신의 느낌을 표현해 보세요.

·임부태아 관계 강화

Davis & Akridge(1987), Carter-Jessop(1981), 오수일(1991)의 문헌을 바탕

으로 하였다.

1. 태아의 자세를 점검하고 태아의 신체를 느낀다.

① 오른손으로 복부를 아랫배에서부터 배꼽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문지른다.

② 왼손으로 복부를 아랫배에서부터 배꼽을 중심으로 시계 반대 방향으로 문지

른다.

2. 임신한 자신의 몸을 느낀다.

① 오른손으로 아랫배에서부터 가슴 중앙까지를 문질러 올렸다가 다시 아랫배까

지 문질러 내린다.

② 오른손으로 아랫배에서부터 왼쪽 배를 따라 왼쪽 젖가슴까지 문질러 올리고

다시 왼쪽 젖가슴에서 아랫배까지 문질러 내린다.

③ 왼손으로 아랫배에서부터 오른쪽 배를 따라 오른 젖가슴까지를 왕복한다.

3. 태아가 어떤 활동을 하는지 느끼고 반응을 보일 때 태아가 있는 복부를 문지르

거나, 마사지하도록 한다. 이 중재는 태아의 움직임과 같은 태아의 신호(cue)

는 태아에 대한 임부의 인식을 높이고 태아의 환경에 대한 임부의 행동의 영향

을 알게 한다.

·태교 명상

임신 중의 명상 태교는 부정적인 근심, 걱정을 없애고 엄마의 마음을 편안하게 만

Page 66: 태교 관점 임부 교실이 모아 애착에 미치는 효과...태교 관점 임부 교실 참여 전·후에 임부는 임부 태아 애착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2) 제

-56 -

들어 엄마의 심장박동 소리를 태아에게 들려줄 수 있는 좋은 방법이다. 긍정적인

상황들을 상상으로 만들어 내고 명상을 통해 집중함으로써 마음을 편안하게 유지

하고 태아에게 집중한다(월간 태교, 1999).

불을 끄고 임부들이 편안한 자세를 갖게 한 후 태교 명상을 사회자가 직접 읽어

준다.

열린 출산 준비 교실(1999)을 토대로 하였다.

-아기를 위한 명상과 사랑을 주기(태교명상 I)

온몸을 이완하고 조용히 심호흡을 합니다.

당신의 의식을 자궁 속에 태아에게 집중합니다.

초음파로 자궁 안을 들여다 보는 것처럼, 각 부분을 상상합니다.

따뜻한 양수, 커다란 머리, 동그란 엉덩이, 앙증맞은 두 손과 발, 부드러운 복부와

푸르스름한 탯줄, 그리고 태반 등을 마음의 눈으로 바라봅니다.

자궁 벽 태반과 연결된 탯줄을 통해 아기에게 작은 방울의 산소, 단백질, 비타민

등 모든 영양소가 전달되고 있습니다.

아울러 당신의 따뜻한 감정과 밝은 에너지가 파도처럼 아기에게 보내지고 있음을

느끼십시오.

아기는 당신의 깊은 애정과 배려 속에서 만족스럽게 영양분을 받아들이고 당신에

게 감사를 표현하고 싶어합니다.

이번에는 아기가 느끼는 따뜻함과 안도감 등이 작은 거품에 쌓여 탯줄을 통해 당

신에게 보내지고 있음을 상상하십시오.

이 이미지에 몰두하며 강력한 에너지가 당신과 아기 사이를 연결하고 있음을 느

껴보십시오.

잠시 후 다음과 같이 소리 내어 말해 봅니다.

“나는 아기가 필요로 하는 모든 것을 충분히 주고 있습니다.

아기에게 필요한 영양소와 사랑과 행복을 바라는 내 마음을.

내 아기가 건강하게 자라고 행복한 인생을 사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자 아기와 나눈 마음의 교류를 서서히 끝내도록 합시다.

심호흡과 함께 집중력을 천천히 풀어 봅니다.

당신의 몸이 따뜻하고 부드러운 빛으로 채워져 옴을 느끼실 수 있을 겁니다.

눈을 뜨고 손이나 발을 천천히 움직여 보십시오.

그리고 방긋이 미소를 지어 보십시오.

-출산을 위한 명상(태교명상, II)

Page 67: 태교 관점 임부 교실이 모아 애착에 미치는 효과...태교 관점 임부 교실 참여 전·후에 임부는 임부 태아 애착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2) 제

-57 -

자궁의 수축을 상상하며 천천히 심호흡을 합니다.

온몸에 긴장을 풀고 의식은 자궁에 집중합니다.

처음은 짧고 불규칙적이지만 점차 규칙적으로 커다란 파도가 되어 오고 갑니다.

수축의 파도는 자궁경관을 열어놓고 태아를 밀어주고 사라지곤 합니다.

파도는 하복부로, 골반 속으로 또는 허리 쪽으로 강하게 퍼져갑니다.

자궁수축이 커다랗게 물결 치며 당신의 호흡은 부드럽고 빠르게 장단을 맞추며

파도를 타고 오르내립니다.

수축이 거듭되고 격해질 대는 몸을 일으켜 등뼈를 바르게 세웁니다.

마음의 에너지를 한 곳으로 집중합니다.

예를 들면 자신의 호흡에, 골반을 통과하는 태아에게, 장미 봉우리가 피어나듯 열

리고 있는 자궁경관,

분만은 어떻게 찾아올까 떠오르는 대로 상상해봅니다.

당신은 지금 소파 위에 또는 분만대기실 침대 위에 있습니다.

당신이 원하는 체위로 이 순간처럼 편안하게 이완하고 있습니다.

규칙적으로 자궁이 수축할 때마다 자궁경관은 조금씩 열리고 태아는 골반 속으로

들어갑니다.

그러나 수축이 기분 좋은 느낌은 아닙니다.

의료인이 진찰을 위해 내 이름을 부르고 누워서 내진을 받는 동안에도 호흡을 하

며 긴장을 풀어봅니다.

진찰 결과 기대했던 만큼 진전은 없어도 실망하지는 않습니다.

마음을 새롭게 가다듬어 분만시간이 좀더 늦추어 질 거에 대비해 준비합니다.

좀 더 힘을 절약하고 신체, 태아에게 활력과 산소를 공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매 수축 후에 오는 휴식의 기분을 좀 더 즐깁니다.

기나긴 진통이 끝을 향해 있을 대 당신은 온 몸으로 느끼게 됩니다.

힘을 주고 싶다는 욕구인 배변감,

전신의 에너지가 항문으로 집중되고,

호흡을 가다듬어 힘 주기를 몇 차례,

아기의 울음소리에 모성애의 꽃은 희열로 피어나고 수고의 열매에 황홀해집니다.

남편의 모습에서도 사랑과 감사가 넘쳐 나고 있습니다.

그리고 짧은 휴식 후 작은 파도가 다시 일고 태반이 밖으로 밀려나는 느낌이 시

원하게 온몸을 쓸고 지나갑니다.

Page 68: 태교 관점 임부 교실이 모아 애착에 미치는 효과...태교 관점 임부 교실 참여 전·후에 임부는 임부 태아 애착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2) 제

-58 -

·분만에 대한 선입관 나누기

; 여성이 분만에 대한 선입관으로 분만 하면 진통으로 연결되어 여성들이 분만에

대한 두려움과 공포를 더해주는 사회 문화적 상황이 분만 시 통증을 증가 시킨다

(이경혜, 1980; 유은광, 1986; 박문일, 1999 a). 분만 중에 임부가 공포 혹은 불

안이 심한 경우 혈액 내에 catecholamine 이 상승하여 알파 수용기

(norepinephrine)와 베타 수용기(epinephrine)를 자극한다. 알파 수용기

(norepinephrine) 자극으로 자궁혈관의 수축으로 태아의 저산소증과 빈맥을 이끌

고 베타 수용기(epinephrine) 자극으로 평할근의 이완으로 자궁 수축력의 약화로

분만 시간이 길어진다(박영숙, 1999).

분만 상황이 보호자와 분리되어 있고 출산 과정이나 분만 과정에 대한 사전 지식

을 가지고 있으나 분만을 위해 병원에 입원하는 동안 자신이 갔고 있는 지식이나

자신의 몸에 대한 통제력을 갖지 못하는 상황이다(김은실, 1996).

분만 상황에서 여성 자신의 몸에 대한 통제력, 자율권을 가지고 출산을 경험하게

한다.

출산 시 통증을 어머니와 아기가 처음으로 하는 공동 작업이며 진통은 아기를 출

생시키는 매우 중요한 에너지라는 것을 자각하게 함으로써 산통을 극복한다(김은

성, 2000).

분만에 대해 가지고 있는 편견, 선입견에 대해 이야기해 보세요.

위의 질문으로 각자 돌아가면서 자신의 생각을 나누고 사회자가 그 생각을 정리

해 준다.

·아기에게 기도문, 편지 쓰기

태아와 상호작용은 태아의 신체적 성장 뿐만 아니라 어머니로서의 역할 확인, 태

아에 대한 정체감 형성, 부모와 태아의 애정 발달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배에다 손을 대고 이야기 하기, 태아에게 일기 쓰기,

아기가 노는 것을 느끼기, 아기의 이름을 부르기 등 태아와 상호작용 시도는 부모

와 태아 모두에게 도움이 된다(김현옥, 1996)

아기에게 기도문 이나 편지를 써보세요. 여기는 문예창작 교실이 아니니깐 아기에

게 해주고 싶은 말을 써보세요.

맥아더 장군이 아들에게 쓴 기도문을 OHP 로 보여준다.

‘만일 내가 다시 아이를 키운다면’(다이아나 루먼스, 1997)과 인디언 어머니가 아

Page 69: 태교 관점 임부 교실이 모아 애착에 미치는 효과...태교 관점 임부 교실 참여 전·후에 임부는 임부 태아 애착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2) 제

-59 -

들에게 하는 기도문으로 ‘아름다움을 얻는 길’(베어 하트, 1999)을 OHP 로 보여

준다.

각 자 아기에게 쓴 기도문 이나 편지를 OHP 로 발표한다.

-만일 내가 다시 아이를 키운다면

만일 내가 다시 아이를 키운다면

먼저 아이의 자존심을 세워 주고

집은 나중에 세우리라.

아이와 함께 손가락 그림을 더 많이 그리고.

손가락으로 명령하는 일은 덜 하리라.

아이를 바로잡으려고 덜 노력하고,

아이와 하나가 되려고 더 많이 노력하리라.

시계에서 눈을 떼고 눈으로 아이를 더 많이 바라보리라.

만일 내가 다시 아이를 키운다면

더 많이 아는 데 관심을 갖지 않고,

더 많이 관심 갖는 법을 배우리라.

자전거도 더 많이 타고 연도 더 많이 날리리라.

들판을 더 많이 뛰어다니고 별들을 더 오래 바라보리라.

더 많이 껴안고 더 적게 다투리라.

도토리 속의 떡갈나무를 더 자주 보리라.

덜 단호하고 더 많이 긍정하리라.

힘을 사랑하는 사람으로 보이지 않고 사랑의 힘을 가진 사람으로 보이리라.

-다이아나 루먼스-

-아름다움을 얻는 길

이 아이에게 특별한 축복을 바랍니다.

당신들은 우리 인생을 둘러싸고 우리를 계속 가게 합니다.

이 아이를 보호하고 인생에 균형을 주기 바랍니다.

이 아이가 자라는 동안 빛을 주십시오.

아이의 몸이 구석구석 건강하도록 허락해 주십시오.

육체적으로 뿐 아니라 정신적으로도 건강한 아이가 되게 해주십시오.

아이가 어디에 있든지 당신의 따뜻하고 사랑스런 에너지로 감싸주십시오.

때로는 아이의 인생에 흐린 날도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늘 그곳에서 빛나는 당신이 이 아이에게 빛을 주시고 늘 안전하게 지켜주

Page 70: 태교 관점 임부 교실이 모아 애착에 미치는 효과...태교 관점 임부 교실 참여 전·후에 임부는 임부 태아 애착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2) 제

-60 -

십시오. -베어 하트-

·임신부 사랑 선언문

임신부 사랑선언(대한태교연구회, 2000)은 ‘전통 태교의 과학화 연구’를 하고 있

는 대한 태교 연구회가 1999 년에 창립되어 ‘임신부 스스로 사랑’하고 ‘임신 중

아기 사랑’을 하도록 하며 분만과정이 가족이 참여하는 축제가 되고자 임신부 스

스로 태아를 위한 사랑 선언을 하고 임신부와 태아를 위한 가족, 직장, 사회 선언

으로 이루어진다.

‘임신부 사랑 선언문’을 OHP 로 보고 임부 한명이 읽고 따라 읽게 한다.

-임신부 사랑선언문

임신부 자기 선언

1. 임신은 나의 생애 최고의 축복이다.

2. 자궁 안의 태아를 조건 없이 사랑한다.

3. 임신을 기쁘게 생각하며 스트레스를 줄인다.

4. 임신에 해로운 모든 나쁜 습관을 버린다.

5. 즐거운 마음으로 출산에 임한다.

임신부 가족 선언

1. 임신부를 위한 따뜻한 가정환경을 만든다.

2. 임신부를 돕는 것은 태아를 돕는 것이다.

3. 임신부를 사랑으로 이해하며 태교에 동참한다.

4. 모든 일에서 임신부의 안전이 최우선이다.

5. 분만은 가족이 함께 하는 축제이다.

직장·사회 선언

1. 임신을 통하여 생명의 존엄성을 깨닫는다.

2. 태아에게 해로운 사회적 환경들을 개선한다.

3. 모든 임신부는 사회의 관심 속에서 보호되어야 한다.

4. 모성 건강은 사회 건강이며 나아가 국력이다.

5. 여성은 품위 있는 환경에서 분만할 권리가 있다.

Page 71: 태교 관점 임부 교실이 모아 애착에 미치는 효과...태교 관점 임부 교실 참여 전·후에 임부는 임부 태아 애착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2) 제

A b s t r a c t

E f f e c t s o n M a t e r n a l - I n f a n t A t t a c h m e n t

b y t h e T a e g y o P e r s p e c t i v e P r e n a t a l C l a s s

K i m , K i Y o u n g

D e p t . o f N u r s i n g ,

The Graduate School,

Y o n s e i U n i v e r s i t y

(D i rec ted by professor Soon- Bok, Chang)

Pregnant women, generally, have some fear of fetus freak in the early

stage of pregnancy and that of labor in the late stage. For this reason, many

maternity hospitals and obstetric clinics offer some prenatal educations for

pregnant women and it helps them to have an active attitude toward delivery

and to have a positive delivery experience, through decreasing delivery fear

and pain. However, this education deals with only delivery and maternal

health of matters, overlooking the health problem of fetus and the maternal-

fetal relationship. The present study with the Taegyo perspective, which

regards as of great importance of unborn child in Korean culture, measured

- 61 -

Page 72: 태교 관점 임부 교실이 모아 애착에 미치는 효과...태교 관점 임부 교실 참여 전·후에 임부는 임부 태아 애착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2) 제

effects on maternal-infant attachment by operating the prenatal class for the

pregnant women in the last pregnancy period. The reason to measure the

effects on maternal-infant attachment is that the attachment becomes a

motive power for mother to raise her infant and a mental and physical

important factor for a baby.

The program of the Taegyo perspective prenatal class was based on the

results from various domastic and abroad studies on Taegyo. The program

covers the following contents: fetal growth development and its responding

ability , the importance of uterine environment, the formation of maternal-

fetal relationship and its solidification, writing letters or prayers to baby,

sharing Taegyo meditation, sharing of experience about pregnancy, sharing

of prejudice against delivery, and declaration of loving maternity; for delivery

itself, it also includes understanding delivery, relaxation breathing technique,

maternity exercise which is practiced for 2 hours a week for 4 weeks, thus 8

hours in all.

As the study method, the pseudo-experiment was designed in order to

research how the Taegyo perspective prenatal class effects on maternal-

infant attachment and it was done in a university hospital from March 4 to

June 15 of the year 2000. The experiment group consists of 18 women and

the contrast group was 27; so 45 in total. The experiment group, which

consists of pregnant women placed in the pregnancy period 32nd week to

36th week, was measured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and maternal-fetal

attachment, and, again, maternal-fetal attachment 4 weeks after. Maternal-

- 62 -

Page 73: 태교 관점 임부 교실이 모아 애착에 미치는 효과...태교 관점 임부 교실 참여 전·후에 임부는 임부 태아 애착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2) 제

fetal attachment was measured by this Maternal-fetal attachment

scale(MFAS), a self reported tool written by Cranley(1981)and translated

and mended by soonbok Chang and author. The contrast group, which

consists of pregnant women placed in the pregnancy period 32nd week to

39th week, also was measured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The maternal-

infant attachment was measured after delivery on both groups, for this

Maternal Attachment Tool (MAT), an observative tool, written by Cropley

and other two (1971) and translated by Jahyung Lee and Jinhyang Kim

(1981), was used. Every collected data were taken statistics and analyzed

by SAS.

The followings are the study results:

1. The maternal-fetal attachment was shown higher after prenatal class than

before the class. (t=3.73, p=0.002)

2. The delivered women who took the prenatal class showed higher

maternal-infant attachment than whose who didn't take the class. (t=-3.48,

p=0.001)

The above results proved that the present Taegyo perspective

prenatal education program has great effects in increasing maternal-infant

attachment and thus it is applicable to a nursing arbitration program; it

demands that the existing prenatal class should include those contents of

uterine environment for fetal growth by Taegyo perspective and maternal-

fetal relationship. Lastly, the examination of effects on maternal-infant

attachment by the Taegyo perspective prenatal class shows that we have to

- 63 -

Page 74: 태교 관점 임부 교실이 모아 애착에 미치는 효과...태교 관점 임부 교실 참여 전·후에 임부는 임부 태아 애착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2) 제

study more about the Taegyo perspective prenatal class's effects on delivery

pain, delivery time, delivery experience, and breast feeding; and that we

need to develop a reasonable and reliable tool to measure maternal-infant

attachment.

Key words :

prenatal class, Taegyo perspective prenatal class, maternal-infant

attachment

- 6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