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
이태호(서울대학교) GS&J GS&J 창립 창립 4주년 주년 기념 기념 심포지엄 심포지엄 농업농촌의 농업농촌의 길 2009 2009 2009.10.8 2009.10.8

이태호(서울대학교) · 2011. 12. 5. · 2. 외국의직불제: 일본(3) 1인당gdp가비슷한시기의한-일농가인구및 농외소득률비교 자료: 기타무라(2009)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 이태호(서울대학교)

    GS&J GS&J 창립창립 44주년주년 기념기념 심포지엄심포지엄

    농업농촌의농업농촌의 길길 20092009 2009.10.82009.10.8

  • 2

    Ⅰ. 현황(1)

    ○ 농가소득 향상

    ○ 다원적기능 함양

    ○ 농가소득 안정

    소득보전직불제의소득보전직불제의 목적목적

    우리 소득보전 직불제는 이러한 목적을

    얼마나 달성하고 있는가?

  • 3

    Ⅰ. 현황(2)

    현행현행 직접지불제직접지불제

    자료: 김태곤, 직접지불제 개편과 농가단위 소득안정제 도입, 농촌경제연구원, 2009

    유형 연도 유형 대상농지 및 대상자 지원단가

    쌀소득

    보전

    고정 ‘05 공익 ○‘98-‘00년간 논농업에 이용된 농지의 경작자 ○70만원/ha

    변동 ‘05 소득안정 ○벼 재배농가 ○목표가격과 수확기 쌀값의 85%보전

    친환경농업 ‘99 공익 ○친환경인증 농가

    ○밭:유기전환 794천원/ha, 무농약

    674, 저농약 524

    ○논:유기전환 392천원/ha, 무농약

    307, 저농약 217

    경관보전 ‘05 공익 ○협약에 따라 경관작물을 재배하는 농가○동계작물 100만원/ha

    ○하계작물 170만원/ha

    조건불리 ‘04 공익 ○조건불리지역 밭, 과수원, 초지○밭:40만원/ha

    ○초지:20만원/ha

    FTA피해보전 ‘04 소득안정 ○지원대상 품목을 생산하는 농업인○(기준조수입-당해연도평균조수입)×보

    전비율(85%)

    경영이양 ‘97 구조조정○65-74세(벼농사 영농경력 10년이상)

    ○3년이상 소유하고 있는 논, 밭, 과수원○250천원/ha/월

  • 4

    Ⅰ. 현황(3)

    연령별연령별 농가당농가당 보조금보조금 수취액수취액

    자료: 농가경제조사, 2004-2006, 통계청

  • 5

    Ⅰ. 현황(4)

    작목별작목별 농가당농가당 보조금보조금 수취액수취액

    자료: 농가경제조사, 2004-2006, 통계청

  • 6

    Ⅰ. 현황(5)

    면적별면적별 농가당농가당 보조금보조금 수취액수취액

    자료: 농가경제조사, 2004-2006, 통계청

  • 7

    Ⅰ. 현황(6)

    지역별지역별 농가당농가당 보조금보조금 수취액수취액

    자료: 농가경제조사, 2004-2006, 통계청

  • 8

    Ⅰ. 현황(7)

    농식품부농식품부 직불금직불금 예산추이예산추이((단위단위: : 억원억원))

    자료: 농식품부 농업정책자금관리단

    년도 총계 쌀소득보전직불 친환경농업직불 조건불리지역직불 기타직불

    1997 607 0 0 0 607

    1998 518 0 0 0 518

    1999 534 0 57 0 477

    2000 402 0 57 0 345

    2001 2,509 2,105 57 0 347

    2002 4,289 3,929 30 15 315

    2003 6,432 5,053 30 5 1,344

    2004 8,675 5,765 55 100 2,755

    2005 10,014 7,402 69 123 2,420

    2006 19,441 16,082 114 523 2,722

    2007 20,825 16,672 175 523 3,455

  • 9

    Ⅰ. 현황(8)

    표본농가표본농가 농가당농가당 보조금보조금 수취액수취액((단위단위: : 천천원원))

    자료: 농가경제조사, 통계청, 2003-2006; 농림수산식품 주요통계, 농림수산식품부, 2008

    구분

    공적

    보조금

    농업투자

    보조금

    기타농업

    보조금

    기타공적

    보조금농가소득

    농외소

    호당

    농업예

    2003 1,706 186 506 1,015 26,878 9,397 13,630

    2004 2,250 256 749 1,251 29,001 9,544 14,790

    2005 2,825 397 961 1,467 30,503 9,884 16,470

    2006 3,151 325 1,122 1,705 32,303 10,037 18,000

  • 10

    Ⅰ. 현황(9)

    지역별지역별 농가소득농가소득, , 농업소득농업소득, , 농외소득농외소득 변이계수변이계수

    자료: 기타무라(2009)

    *변이계수는 2003년부터 2006년까지 농가별 변이계수를 지역별로 평균한 것임

  • 11

    Ⅰ. 현황(10)

    농업소득의농업소득의 불안정성과불안정성과 농외소득률농외소득률

    자료: 농가경제조사, 통계청, 2003-2006

  • 12

    Ⅰ. 현황(11)

    농업소득의농업소득의 불안정성과불안정성과 기타농업보조금기타농업보조금

    자료: 농가경제조사, 통계청, 2003-2006

  • 13

    3. 외국의 직불제: 미국(1)

    • 오랜 소득보전직불제 역사, 다양한 직불제 시도

    • 부족분지불제(DP), 생산탄력직불제(PFC), 가격변동직불제(CCP)를 거쳐 수입보전직불제(ACRE)로 진화

    • 농가소득 중 농업소득 비중 감소하고 소수의 대농이 농업생산의대부분을 차지하게 되자 점차 소득보조 감소

    • 농산물 수급 불일치와, 직불금이 대농에게 집중되는 것은 아직도 문제.

  • 14

    2. 외국의 직불제: 미국(2)

    미국의미국의 농업예산농업예산

    자료: 김한호, 임정빈(2008)

    단위: 억불

  • 15

    2. 외국의 직불제: 미국(3)

    미국의미국의 농가소득농가소득 구성구성

    자료: 김한호(2006)

    단위: 불, %

  • 16

    2. 외국의 직불제: 미국(4)

    미국의미국의 영농규모별영농규모별 농가호수와농가호수와 농업생산액농업생산액 비중비중

    자료: 김한호(2006)

  • 17

    3. 외국의 직불제: EU(1)

    • 1957년 공동농업정책(CAP) 탄생 이후 꾸준히 개혁시도

    • 개혁에도 불구하고 과도한 농업보조이고 대농에 보조 집중된다는 비판 계속

    • 2003년에 생산과잉을 해결하고 농업예산 감축하기 위하여 단일직불제(SPS) 도입.

    • 단일직불제는 이행조건형(Cross Compliance) 직불제이고 직불금 받을 권리를 농지와 분리하여 거래할 수 있음.

  • 18

    2. 외국의 직불제: EU(2)

    국가별국가별 상위상위 25% 25% 농가가농가가 차지하는차지하는 농업총수입농업총수입, , 농업보조금농업보조금, , 농업순자산농업순자산

    자료: Farm Household Income: Issues and Policy Responses, OECD, 2003

  • 19

    2. 외국의 직불제: EU(3)

    EU의의 공동농업정책공동농업정책(CAP) (CAP) 예산과예산과 농촌개발농촌개발 예산예산

    자료: 임송수와 힐

    * 2000-2004년은 1999년 가격기준이고, 2004-2006년은 2004년 가격기준임.

  • 20

    2. 외국의 직불제: EU(4)

    EU 농가농가 생산액의생산액의 로렌츠로렌츠 곡선곡선

    자료: EC DFRD, 2006

  • 21

    2. 외국의 직불제: EU(5)

    국가별국가별 농업소득이농업소득이 농가소득에서농가소득에서 차지하는차지하는 비중비중

    *농가의 정의가 나라 별로 다른 것을 반영하기 위한 것.

    자료: Farm Household Income: Issues and Policy Responses, OECD, 2003

  • 22

    3. 외국의 직불제: 일본(1)

    • 2007년에야 품목횡단적 소득보전직불제 실시

    • 쌀, 맥류, 대두, 사탕무, 전분감자와 같은 토지이용형 작물재배농가의 규모확대와 소득안정이 목적

    • 일정한 면적 이상의 경작을 하는 개별농가와 마을영농 경영체에지급

    • 완전히 시장중립적인 정책이 아님

  • 23

    2. 외국의 직불제: 일본(2)

    일본일본 농가농가 판매액의판매액의 로렌츠로렌츠 곡선곡선(2005)(2005)

    자료: 일본농업센서스 2005

  • 24

    2. 외국의 직불제: 일본(3)

    1인당인당 GDPGDP가가 비슷한비슷한 시기의시기의 한한--일일 농가인구농가인구 및및

    농외소득률농외소득률 비교비교

    자료: 기타무라(2009)

    한국 일본

    연도 농가가족수 농외소득율 GDP 연도 농가가족수 농외소득율 GDP

    1982 4.85 32.1% 3,389 1970 4.84 55.6% 3,323

    1985 4.42 18.5% 4,643 1973 4.63 58.3% 4,494

    1990 3.77 25.8% 8,203 1978 4.48 60.2% 7,102

    1995 3.23 31.8% 12,818 1983 4.37 63.8% 11,366

    2000 2.91 32.2% 16,439 1988 4.28 64.7% 15,893

    2005 2.70 32.4% 21,342 1993 4.30 62.1% 21,117

    2006 2.65 31.1% 23,038 1994 4.22 60.5% 21,739

    1995 4.19 61.2% 22,564

    1996 4.17 61.1% 23,571

    단위: 명, %, US dollars

  • 25

    2. 결론(1)

    ○ 미국: 대농의 소득안정

    ○ 일본: 토지이용형 농가의 구조개선, 다원적 기능 함양

    ○ EU: 농업보조예산 고정 또는 감축, 다원적 기능 함양

    각국의각국의 소득보전직불제의소득보전직불제의 목표목표

    각국의각국의 사정에사정에 따라따라 목표목표 다름다름

  • 26

    3. 결론(2)

    농가소득보전직불제의농가소득보전직불제의 원칙원칙

    • 시장왜곡 최소화: decoupled, targeted

    • 거래비용 최소화: 행정비용, 정보비용 최소화

    • 자본화 최소화: 농지가격 상승 요인 최소화

    • 기존 직불제와의 조화: 쌀직불제와 상충되지 않도록

    • 기존 정책과의 조화: 지역발전정책, 저소득층 정책과 조화

  • 27

    3. 결론(3)

    한국의한국의 상황과상황과 소득보전직불제소득보전직불제 발전발전 방향방향

    • 높은 농지가격: 자본화 되기 쉬운 면적과 연계된 고정직불 억제

    • 구조개선 미흡: decoupled, targeted 원칙 고수하는 직불

    • 낮은 농외소득 비중: 영세소농 위한 소득향상 직불

    • 대농의 높은 부채비율: 대규모 농가를 위한 소득안정직불

    • 과다한 농가수: 파악 어려운 농가소득 대신 품목별 수입 또는

    가격을 기준으로 하는직불

    근본적근본적 대책은대책은 농가의농가의 역량역량 강화강화 및및 지역산업지역산업 발전정책으로발전정책으로

    진화하는진화하는 것것

    것것

  • 28

    3. 결론(4)

    국가별국가별 농가농가 가계소득과가계소득과 비농가비농가 가계소득의가계소득의

    비율비율(2002)(2002)

    자료: OECD(2003)

  • 29

    3. 결론(5)

    한국한국 농가농가 판매액의판매액의 로렌츠로렌츠 곡선곡선(2005)(2005)

    자료: 농업조사 2005, 통계청

  • 30

    3. 결론(6)

    한국형한국형 소득보전직불제소득보전직불제

    ○ 2원화된 소득보전 직불제

    • 대농을 위한 소득안정직불제: 농가별 소득 파악이 현실적으로

    어려우므로 작물별로 시행하되, ‘품목 불특정한 보조’가 되도록

    하기 위해서, 참여농가가 재배하는 ‘모든’ 작물의 재배 면적에

    기초하여 지급

    • 영세소농을 위한 소득향상 직불제: 보건복지가족부의 기초생활

    보장정책과 연계하여 시행하되, 정부와의 협약을 지불조건으로

    하는 이행조건형이 되도록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