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
허혈성 뇌졸중이 발생하게 되면, 손상 받은 뇌의 영역에 따 라 다양한 증상이 나타나게 되므로, 증상의 종류나 정도가 매 우 광범위하다. 각 환자의 신경학적 손상을 정확히 기술하는 데는 신경학적 검진 소견을 이용하는 것이 적합하지만, 각 환 자의 증상을 비교하거나, 여러 환자의 증상을 일반화하거나 종합하여 비교하기에는 신경학적 검진을 사용하기에 어려움 이 있다. 그러므로 대규모 임상연구를 시행하기 위해서는, 신 경학적 검진 소견을 간편하고 객관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지 표가 필요하다(1, 2). 이러한 필요성에 의해 지금까지 여러 종류의 신경학적 장애 척도(neurologic deficit scale) 또는 기 능 평가 척도(functional scale, outcome scale)가 개발되어 왔으며(3), 이는 대개 신경학적 또는 기능적 상태를 여러 항 목으로 나누어 각각을 점수화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논문에서는 허혈성 뇌졸중 환자의 임상적 평가를 위해 사용되고 있는 신경학적 척도를 소개하고자 한다. 신경학적 뇌졸중 척도 (Neurologic Stroke Scales) 신경학적 장애 척도 (Neurologic deficit scales) 이는 신경학적 증상 및 징후를 평가하고, 의식수준, 시야장 애, 사지 마비 정도, 반사, 감각소실 등 특정 징후의 정도를 점 수 화한 것이다. 뇌졸중 발생 초기의 임상적 경과 평가, 역학 연구에서 뇌졸중 초기 임상증세의 정도 측정, 또 임상 연구에 서 환자를 추적 관찰하는 데에 주로 사용된다. Scandinavian Stroke Scale (SSS) SSS는 급성기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 혈액희석요법 연구 (hemodilution study)를 위해 만들어져 1985년에 발표 되었다(4). 이는 신경과 의사가 아닌 비신경과의사에 의해 개 발되었다. 의식상태, 지남력, 안구운동, 상하지 및 손의 운동 신경, 언어(speech), 안면마비, 보행장애의 9개 항목으로 이 루어져 있으며, 신경학적 손상이 심할수록 낮은 점수로 표시 된다. Canadian Neurological Scale (CNS) CNS는 뇌졸중환자의 의식상태와 운동기능을 평가하고 모 니터링 하기 위한 목적으로, 문헌 고찰 및 임상경험을 바탕으 74 Neurointervention 4, August 2009 Review 1 경희대학교 부속 동서신의학병원 신경과 Received July 16, 2009; accepted after revision July 26, 2009. Correspondence to: Won-Chul Shin, MD, PhD, Department of Neurology, Kyung Hee University East-West Neomedical Center, Sangil-dong 149, Kangdong-gu, Seoul 134-727, Korea. Tel. 82-2-440-6269 Fax. 82-2-440-8404 E-mail: [email protected] Neurointervention 2009 ; 4 : 74-86 신경학적 뇌졸중 척도는 임상 연구에서 여러 환자의 증상을 일반화하거나 종합하여 비교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 되었으며, 신경학적 장애 척도와 기능적 척도 (예후 측정 척도)가 있다. 신경학적 장애 척도는 신경학적 증상 및 징후 평가하고, 특정 징후의 정도를 점수화한 것으로, 뇌졸중 발생 초기의 임상적 경과 평가, 역학 연구에서 뇌졸중 초 임상증세의 정도 측정, 또 임상 연구에서 환자를 추적 관찰하는 데에 주로 사용된다. 기능적 척도는 주로 뇌졸중과 연관된 장애 정도를 측정하여, 예후와 관련된 자료로 사용된다. 널리 쓰이고 있는 대표적인 신경학적 장애 척도로는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Stroke Scale, 기능적 척도(예후 측정 척도)로는 Modified Rankin scale, Barthel index가 있으며, 그 외에도 여러 신경학적 척도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특정 신경학적 척도 하나만으 뇌졸중 발생 이후 경과를 관찰하거나 예후를 판정하기에는 한계가 있어, 신경학적 장애 척도와 기능적 척도를 적 절히 함께 사용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Key Words : Stroke; Neurologic stroke scale; Neurologic deficit

Introduction of Neurologic Stroke Scales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Introduction of Neurologic Stroke Scales

허혈성 뇌졸중이 발생하게 되면, 손상 받은 뇌의 역에 따

라 다양한 증상이 나타나게 되므로, 증상의 종류나 정도가 매

우 광범위하다. 각 환자의 신경학적 손상을 정확히 기술하는

데는 신경학적 검진 소견을 이용하는 것이 적합하지만, 각 환

자의 증상을 비교하거나, 여러 환자의 증상을 일반화하거나

종합하여 비교하기에는 신경학적 검진을 사용하기에 어려움

이 있다. 그러므로 규모 임상연구를 시행하기 위해서는, 신

경학적 검진 소견을 간편하고 객관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지

표가 필요하다(1, 2). 이러한 필요성에 의해 지금까지 여러

종류의 신경학적 장애 척도(neurologic deficit scale) 또는 기

능 평가 척도(functional scale, outcome scale)가 개발되어

왔으며(3), 이는 개 신경학적 또는 기능적 상태를 여러 항

목으로 나누어 각각을 점수화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논문에서는 허혈성 뇌졸중 환자의 임상적 평가를 위해

사용되고 있는 신경학적 척도를 소개하고자 한다.

신경학적 뇌졸중 척도(Neurologic Stroke Scales)

신경학적 장애 척도 (Neurologic deficit scales)

이는 신경학적 증상 및 징후를 평가하고, 의식수준, 시야장

애, 사지 마비 정도, 반사, 감각소실 등 특정 징후의 정도를 점

수 화한 것이다. 뇌졸중 발생 초기의 임상적 경과 평가, 역학

연구에서 뇌졸중 초기 임상증세의 정도 측정, 또 임상 연구에

서 환자를 추적 관찰하는 데에 주로 사용된다.

Scandinavian Stroke Scale (SSS)

SSS는 급성기 뇌졸중 환자를 상으로 한 혈액희석요법

연구 (hemodilution study)를 위해 만들어져 1985년에 발표

되었다(4). 이는 신경과 의사가 아닌 비신경과의사에 의해 개

발되었다. 의식상태, 지남력, 안구운동, 상하지 및 손의 운동

신경, 언어(speech), 안면마비, 보행장애의 9개 항목으로 이

루어져 있으며, 신경학적 손상이 심할수록 낮은 점수로 표시

된다.

Canadian Neurological Scale (CNS)

CNS는 뇌졸중환자의 의식상태와 운동기능을 평가하고 모

니터링 하기 위한 목적으로, 문헌 고찰 및 임상경험을 바탕으

74 Neurointervention 4, August 2009

Review

1경희 학교부속동서신의학병원신경과

Received July 16, 2009; accepted after revision July 26, 2009.Correspondence to: Won-Chul Shin, MD, PhD, Department ofNeurology, Kyung Hee University East-West Neomedical Center,Sangil-dong 149, Kangdong-gu, Seoul 134-727, Korea.Tel. 82-2-440-6269 Fax. 82-2-440-8404E-mail: [email protected] 2009;4:74-86

∙ ∙ ∙

신경학적 뇌졸중 척도는 임상 연구에서 여러 환자의 증상을 일반화하거나 종합하여 비교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

되었으며, 신경학적 장애 척도와 기능적 척도 (예후 측정 척도)가 있다. 신경학적 장애 척도는 신경학적 증상 및 징후

를 평가하고, 특정 징후의 정도를 점수화한 것으로, 뇌졸중 발생 초기의 임상적 경과 평가, 역학 연구에서 뇌졸중 초

기 임상증세의 정도 측정, 또 임상 연구에서 환자를 추적 관찰하는 데에 주로 사용된다. 기능적 척도는 주로 뇌졸중과

연관된 장애 정도를 측정하여, 예후와 관련된 자료로 사용된다. 널리 쓰이고 있는 표적인 신경학적 장애 척도로는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Stroke Scale, 기능적 척도(예후 측정 척도)로는 Modified Rankin scale, Barthel

index가 있으며, 그 외에도 여러 신경학적 척도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특정 신경학적 척도 하나만으

로 뇌졸중 발생 이후 경과를 관찰하거나 예후를 판정하기에는 한계가 있어, 신경학적 장애 척도와 기능적 척도를 적

절히 함께 사용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Key Words : Stroke; Neurologic stroke scale; Neurologic deficit

Page 2: Introduction of Neurologic Stroke Scales

로 하여 1986년에 고안되었다(5). 신경과 의사뿐 아니라 간

호사를 비롯한 비 신경과의사도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

으며, 의식상태, 지남력, 언어, 운동기능, 안면마비의 총 8개

의 항목으로 이루어져 있다. SSS와 마찬가지로 신경학적 손

상이 심할수록 점수가 낮으며, 언어를 이해하는데 장애를 보

이는 환자를 위한 버전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Stroke Scale (NIHSS)

NIHSS는 1989년에 처음 발표되었으며, 이미 사용되고 있

었던 여러 신경학적 척도들 (Toronto scale, Oxbury scale,

Cincinnati stroke scale, Edinburgh 2 coma scale, Boston

diagnostic aphasia examination)을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6). 처음에는 총 13개의 항목으로 이루어져 있었으나, 신뢰

도가 다소 떨어졌던 항목 (동공반사, 족부반사)을 제외하고

감각기능 항목의 점수 폭을 축소시켜서 최종적으로 11개의

항목으로 구성되었다. 이는 임상 연구를 위해서 개발되었지

만, 현재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진료 시 가장 널리 쓰이는 신

경학적 척도로, 중재적 시술, 혈전용해치료를 포함한 뇌졸중

치료의 효과, 입원중의 환자 상태 모니터링 등 광범위한 임상

에 적용되고 있다.

전반적인 신경학적 검사의 핵심요소 11개 항목으로 구성되

어 있으며 의식상태 (세가지 항목으로 구성), 안구운동, 시야,

안면마비유무, 사지의 운동기능, 감각기능, 소뇌기능, 언어기

능, 구음장애여부, 편측무시여부 등의 항목으로 이루어져 있

다. 모든 항목이 정상일 때 0점으로 표시된다. 각 항목은 실제

환자의 신경학적 기능의 수행능력 정도에 따라 점수를 매기

게 되며, 환자가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추정하여 점수를 책정하

면 안 된다 (Appendix 참조). 2001년 의식상태 항목을 둘로

줄이고, 안면마비항목을 제외시킨 modified NIHSS가 발표되

었으나, 아직까지는 널리 사용되고 있지 않다(7, 8).

European Stroke Scale (ESS)

ESS는 유럽의 신경과의사들에 의해 중 뇌동맥 역의 뇌

졸중을 상으로 하는 임상연구를 위해서 개발되어 1994년

에 발표되었다(9). 14개 항목으로 구성되어있으며, 이들 14

개 항목은 뇌졸중 환자의 예후와 접한 연관이 있다고 보고

되었던 신경학적 증상 항목으로 선정되었다. 의식상태, 이해

력, 언어, 시야, 안구운동, 안면운동, 상지의 위치 유지 능력,

상지를 들어 올리는 능력, 손목 신전, 손가락 근육 힘, 하지의

위치 유지능력, 하지 굽힘, 발등 굽힘, 보행 등의 항목으로 이

루어져 있다. 총점이 낮을수록 심한 정도의 뇌경색을 의미한

다. 상, 하지의 운동기능이 보다 중점적으로 다뤄지고 있으며,

근력 외에도 기능적인 면이 포함되어있다. 각 항목별 점수 폭

을 4-10점까지 다양하게 하여, 환자간의 차이가 크도록 만

들었으며, 이는 작은 차이도 민감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으나, ESS는 뇌간 등 중 뇌동맥이 아닌 다른 동맥

역의 뇌경색에는 사용에 제한이 있다.

기타 신경학적 장애 척도

A. Mathew Scale

가장 먼저 사용되었던 뇌졸중 척도로, 1972년에 리세롤

(glycerol) 치료의 효과를 연구한 보고에서 발표되었다(10).

의식상태, 지남력, 언어, 뇌신경기능, 운동신경, 전반적인 장

애 상태, 반사, 감각기능의 10개 항목이 포함되어 있으며, 사

망 0점에서 정상 100점까지의 점수분포를 보인다. 이 척도는

1988년에 수정되어 nimodipine 및 혈액희석요법 연구에 사

용된 바 있다(11, 12).

B. Fugl-Meyer Scale

(Brunnstrom Fugl-Meyer Scale)

1975년에 발표되었으며, 주로 상 하지의 기능에 바탕을 둔

운동기능 평가 척도이다(13). 따라서 운동기능의 장애가 없

는 환자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하다.

C. Toronto Scale

Toronto scale은 1976년에 발표된 급성 허혈성 뇌졸중의

steroid 치료 효과 연구에서 처음 사용되었다(14). 11개의 범

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의식상태, 근력, 감각기능, 시야장애,

실어증, 고위 피질 기능, 혼돈, 안구운동, 운동 조절기능, 구음

장애, 연하곤란의 항목으로 이루어져 있다. 각각의 항목은

0-4점의 점수로 체크하게 되며, 정상은 총점 0점으로 표시

된다.

D. Middle Cerebral Artery (MCA) Neurologic Scale

이것은 Orgogozo MCA stroke scale이라고도 하며, 1983

Neurointervention 4, August 2009 75

뇌졸중환자의임상적평가

Table 1. Modified Rankin Scale

Score Description

0 No symptoms at all 1 No significant disability despite symptoms; able to carry out all usual duties and activities 2 Slight disability; unable to carry out all previous activities, but able to look after own affairs without assistance3 Moderate disability; requiring some help, but able to walk without assistance 4 Moderately severe disability; unable to walk without assistance and unable to attend to own bodily needs without assistance 5 Severe disability; bedridden, incontinent and requiring constant nursing care and attention 6 Dead

Page 3: Introduction of Neurologic Stroke Scales

년에 발표되었다(15). 중 뇌동맥 역의 뇌경색으로 인한

반신마비를 연구하기 위해서 개발되었다. 처음에는 13개의

항목으로 이루어져있었으나, 최종버전에서는 신뢰도가 떨어

지는 3개 항목을 제외시켰다. 양측 상하지의 근력 및 근 긴장

도의 이상여부를 측정하며, 얼굴근육의 이상도 약간의 점수

를 배정하나, 그 비중이 사지에 비해 적다. 혼돈이나 시야, 감

각이상은 측정하지 않으며, 의식상태는 3점 척도로 측정하도

록 되어있다.

E. Hemispheric Neurological Scale

이 척도는 뇌의 전방순환계(anterior circulation)에 해당

하는 역의 허혈성 뇌졸중의 혈액희석요법 연구를 위해 개

발되어 1987년에 발표되었다(16). 23개의 항목으로 이루어

져 있으며, 정상은 0점, 가장 나쁜 상태가 100점으로 채점된

다. 의식상태, 언어기능, 피질 기능, 운동기능, 감각기능 등으

로 구성되어 있으며, 의식상태는 Glasgow coma scale을 이

용한다. 15-30분 가량 소요된다고 알려져 있으며, 매우 복잡

하여, 뇌졸중 전문 신경과의사가 필요하다. 고위 피질기능이

포함되어있어 비우성반구 역의 뇌졸중 평가에도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검사자간의 타당도에 한 연구결과는 아직까

지 발표된 바 없다.

F. Copenhagen Stroke Scale

1988년에 발표되었으며, 의식상태, 언어, 무시(neglect),

안구운동, 안면마비, 시야장애, 상지를 들어올리는 근력, 손의

기능, 하지 들어올리는 근력, 보행의 10가지 항목으로 이루어

져 있다(17).

G. Unified Stroke Scale

이는 MCA neurological scale과 Scandinavian stroke

scale (SSS)을 종합하여 만든 뇌졸중 척도로 1992년에 발표

되었다(18). SSS에 발등 굽힘 능력과 사지의 근 긴장도를 추

가하 다. 허혈성 뇌졸중뿐 아니라 출혈성 뇌졸중에서도 예

후 예측도가 높다고 보고되었다(19).

76 Neurointervention 4, August 2009

최혜연외

Table 2. Barthel Index

Parameters Score

Feeding 00 = unable 05 = needs help cutting, spreading butter, etc., or requires modified diet 10 = independent

Bathing 00 = dependent 05 = independent (or in shower)

Grooming 00 = needs to help with personal care 05 = independent face/hair/teeth/shaving (implements provided)

Mobility (on level surfaces) 00 = dependent 05 = needs help but can do about half unaided 10 = independent (including buttons, zips, laces, etc.)

Bowels 00 = incontinent (or needs to be given enemas) 05 = occasional accident 10 = continent

Bladder 00 = incontinent, or catheterized and unable to manage alone 05 = occasional accident 10 = continent

Toilet Use 00 = dependent 05 = needs some help, but can do something alone 10 = independent (on and off, dressing, wiping)

Transfers (bed to chair, and back) 00 = unable, no sitting balance 05 = major help (one or two people, physical), can sit 10 = minor help (verbal or physical) 15 = independent

Mobility (on level surfaces) 00 = immobile or < 50 yards 05 = wheelchair independent, including corners, > 50 yards 10 = walks with help of one person (verbal or physical) > 50 yards 15 = independent (but may use any aid; for example, stick) > 50 yards

Stairs 00 = unable 05 = needs help (verbal, physical, carrying aid) 10 = independent

Page 4: Introduction of Neurologic Stroke Scales

Neurointervention 4, August 2009 77

뇌졸중환자의임상적평가

Table 3.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Neurological Deficit Scales

Scales 1st (yr) Parameters Strengths Weaknesses

Mathew S 1972 consciousness, orientation, high construct validity; high poor inter-rater reliability; low (10-12,39) speech, cranial nerve function, correlation with other internal consistency; time

motor, sensory, global disability neurological scales consuming, difficult to be assessed state, reflex by non-neurologist

Fugl-Meyer S 1975 motor, reflex extensively evaluated measure, too complex and time consuming; (13,40) good validity and reliability restricted to motor symptoms. Toronto S 1976 consciousness, motor, sensory, reflect exact neurological status; difficult to assess some parameters (14,41) visual field, aphasia, higher can be used in any arterial in acute phase; too complex to be

cortical function, confusion, gaze, territorial infarction; high assessed by non-neurologists; coordination, dysarthria, correlation with other time consuming dysphagia neurological scales

MCA 1983 motor weakness, motor tone, good reliability even in the less not sensitive to detect clinically neurologic S consciousness trained personnel; strong significant changes; Cannot be (15,42) predictor of neurological outcome; used with posterior circulation

good for MCA stroke; stroke; no previous use in detailed scale for motor the large clinical trial

SSS 1985 consciousness, gaze, motor, good inter-rater reliability; assess Intended for use only in conscious (4,43,44) dysphagia, facial weakness, gait; can be estimated from patients; limited information

orientation, gait medical records retrospectively(45) about validity CNS (5,46) 1986 donsciousness, orientation, good predictor for outcome; good limited to the anterior circulation

speech, motor, facial weakness inter-rater reliability; easy to use stroke; some useful measure by non-neurologists; brief; separate omitted; low sensitivity; patients version for the patients with with comprehension problem comprehension defects(46); cannot be tested for distal and can be estimated from medical proximal motor separatelyrecords retrospectively(47,48)

Hemispheric 1987 consciousness, language, useful for nondominant too complex to be assessed by non-neurologic S cortical function, motor, sensory hemispheric stroke neurologists; some redundant items (16) Copenhagen 1988 consciousness, speech, neglect, relatively detailed items lack of evaluation of reliability stroke S gaze, facial weakness, visual field, (17) motor, gait NIHSS 1989 consciousness, gaze, visual field, good inter-rater reliability; training distal motor symptoms are not (6,49,50) facial weakness, motor, and certification system(37); included to total scores; low

coordination, sensory, language, applicable to all subtypes of stroke; sensitivity; weighted to the left neglect good correlation with infarction hemispheric infarction(55,56)

volume and vessel occlusion(51); can be estimated from medical records retrospectively(48,52-54)

Unified 1992 consciousness, orientation, gaze, high construct validity; good difficult to assess; stroke S (18) motor, speech, facial weakness, predictor for functional outcome; lack of enough experiences

gait, foot dorsiflexion, motor tone good reliability ESS(9) consciousness, comprehension, correlation with other neurological lack of enough experience; 1994 speech, visual field, gaze, facial scales; related to long term limited information about reliability;

weakness, motor (detailed), gait functional outcome; well detect cannot be used with brain small differences in neurological stem infarction status using large scales; easy to use by non-neurologists

CSS, Canadian neurologic scale; ESS, European stroke scale; MCA, middle cerebral artery; NIHSS,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strokescale; S. scale; yr, year Number in the parenthesis means reference number.

Page 5: Introduction of Neurologic Stroke Scales

예후 측정 척도

일상생활의 활동을 평가하여, 기능적 장애 유무를 판단하

는 기능적 척도는 예후를 판정하는 데에 이용되어 왔다. 예후

를 측정하는 척도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하나는

global outcome scale이고, 나머지 하나는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scale이다. 이 척도들은 신경과 의사가 아닌 다

른 의료인도 쉽게 측정할 수 있으며, 환자 또는 보호자와 전

화로도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뇌졸중의 급성

기에는, 실생활의 기능을 평가하기는 부적절하기 때문에 기

능적인 상태를 평가하는 척도의 적용은 무의미하다고 볼 수

있다. 현재 가장 많이 쓰이고 있는 기능적 척도는 Barthel

index와 Rankin scale 이다.

Global outcome scales

환자의 예후에 따라 소수의 범주로 나누도록 되어 있으며,

쉽고 빠르게 기능적인 상태를 분류할 수 있다. 각각의 범주는

임상적으로도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인다. 그러나 각 범주의 정

의가 다소 애매하고 객관적 근거가 부족하여, 정답이 없다는

단점이 있다(20). 또한 범주의 수가 적어 점수의 변화에 한

민감도가 낮다는 것도 치료나 처치의 효과를 보고자 할 때 단

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A. Modified Rankin Scale

Rankin scale은 1957년에 60세 이상의 뇌졸중환자를 위해

개발되었다(21). 5개 단계로 이루어져 있던 첫 버전에서 사

망 범주를 포함시켜 6단계로 나눈 modified Rankin scale

(mRS)이 현재 널리 쓰이고 있다(Table 1).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표준화된 질문형식의 체크리스트가 사용되기도 한다

(20, 22).

B. Glasgow Outcome Scale

5점 체계의 척도로 Glasgow coma scale과의 함께 쓰일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23). 두부 손상 및 비외상성 혼수상태에

서 주로 사용되어 왔다. 1점은 사망, 5점은 양호한 회복(good

recovery)을 뜻한다. 각 단계 간의 명확한 구분이 없어 종종

혼동될 수 있다. 또한 뇌졸중 환자에서의 신뢰성에 한 연구

는 부족하다.

Activities of Daily Living Scales

ADL 척도는 독립적인 생활을 위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특정 행위를 시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점수화하여 종합한 것

으로, routine ADLs 또는 instrumental ADLs의 각 세부 항목

들을 포함하는 예후 측정 척도이다. 변화를 인식하기 쉽고, 해

당하는 점수에 한 근거가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ADL 척도

점수의 변화가 실제 기능적인 상태의 변화를 변하는지에

한 점은 확실치 않다.

A. Barthel Index (BI)

BI는 식사능력, 이동, 개인위생, 화장실 이용, 목욕하기, 평

지에서 걷기, 휠체어 운전, 계단 오르내리기, 옷 입고 벗기,

변조절, 소변조절의 10개 항목으로 되어있으며, 총점 100점

은 전 항목의 수행이 가능한 상태를 나타낸다(Table 2)

(24). 사용하기가 쉽고, 추적관찰하기에 용이하다. 그러나 가

장 기본적인 기능만을 측정한다는 단점이 있어, 의미 있는 인

지기능 장애를 가지는 환자에서도 BI 100점이 가능한 천장

효과 (ceiling effect)를 보인다.

B. Activity Index

4가지의 정신적 능력(mental capacity), 6가지의 운동 기

능, 5가지의 ADL 항목으로 구성되어있다(25). BI와 강한 연

관관계를 보인다고 보고되었다. 전화를 이용하여 검사해도

신뢰도가 유지되는지에 한 연구는 아직 없다. 쉽게 적용할

수 있으나, 아직 널리 사용되지 않아 임상 연구에서의 자료가

없다는 단점이 있다. BI보다 개선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지는 않다.

C.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FIM)

BI 사용시의 문제점인 천장효과, 환자의 변화를 감지하는

데 한 낮은 민감도, 인지기능 장애를 보이는 환자에서의 부

적절함 등을 보완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장애를 평가하는 18

개의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6개의 부 척도, 2개의 범위

로 되어있다(26, 27). 신체적 기능(식사, 개인위생, 목욕하기,

옷 입기, 화장실 이용, 소변조절, 변조절, 이동, 걷기), 인지

기능(의사소통, 사회적 관계형성, 문제 해결, 기억력)의 항목

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항목은 1-7점으로 측정된다. 신경

학적, 정형외과적 이상소견을 가지는 환자들에서 타당도가

검증되었다. 전화로 체크했을 때에도 검사자간의 일치도가

높았으며, 여러 예후 연구에서 사용되었다. 그러나 뇌졸중 임

상연구에서 쉽게 사용하기에는 배우기가 어렵고, 채점방식이

복잡하다.

좋은 신경학적 뇌졸중 척도의 요건

좋은 임상적 척도(Clinical scale)는 구체적이면서, 예후와

연관이 있는 항목들로 구성되어야 하며, 신뢰도 및 타당도가

높아야 한다. 또한 신경학적 이상 및 변화를 감지하는데 민감

해야 하고 실제 임상에서 적용하기 쉬워야 한다(1). 그러나

지금까지 개발된 신경학적 척도 중 이 모든 조건을 충분히 만

족하는 것은 아직 없다 (Table 3).

예후와의 연관성

신경학적 장애 척도는 뇌졸중 환자의 기능적인 상태와 연

관되어 있고, 또한 예후를 예측하는데도 도움이 되는 것으로

여러 연구를 통해 알려져 있다(28-30). 또한 부분의 경우,

신경학적 장애 척도 개발 당시부터 예후와 연관된 항목을 선

78 Neurointervention 4, August 2009

최혜연외

Page 6: Introduction of Neurologic Stroke Scales

정하려고 노력하 다. 신경학적 장애 척도의 세부 항목 중에

서도 의식수준은 예후와 관련하여 매우 중요한 항목으로, 비

록 부분의 환자에서(90% 이상) 정상으로 나타나지만, 임

상 경과의 악화나 최종 예후에 매우 중요한 인자로서 반드시

모니터링 해야 한다(28). NIHSS는 3개월 및 1년 후 예후를

예측하는데 좋은 것으로 보고되었고(28, 31). CNS나 MCA

neurologic scale 보다 더 예측 능력이 우수했다. Modified

Rankin scale이나 BI, Glasgow outcome scale과 비교했을

때에도 NIHSS의 점수 변화가 예후와 더 강한 연관관계가 있

는 것으로 보고되었다(29).

신뢰도와 타당도

앞서 언급했듯이, 임상적 척도는 신뢰도와 타당도가 우수

해야 한다.

신경학적 척도를 구성하는 항목의 기준이 간단하고 정확할

수록 검사자간의 일치도 및 신뢰도가 높으며, 여러 신경학적

징후를 포함할수록 개념타당도(construct validity)가 높은

것으로 보인다. 부분의 신경학적 장애 척도 및 예후 척도는

높은 개념 타당도를 보이고, 예후를 예측하는 면에서도 타당

도가 좋은 것으로 보고되었다(32, 33). SSS를 Mathew

scale, Toronto scale, Fugl-Meyer stroke scale과 비교한

연구에서 검사에 참여한 의사간의 일치도는 높았지만, 의사

와 간호사간의 일치도는 높지 않았다. 그렇지만, 상 적으로

짧은 시간이 소요되고 간단한 SSS가 나머지 척도와 비교하

여 비슷한 신뢰도와 타당도를 보 고 예후에 중요한 향을

미치는 임상적 악화를 감지해 내는 능력도 높았다(34).

신경학적 이상의 변화에 한 민감도

신경학적 이상의 변화를 감지해 내는 능력은 신경학적 장

애 척도가 예후측정 척도보다 우수한데, 이는 다양한 항목으

로 구성되어 있고, 그 기준이 비교적 명확하며, 항목내의 점수

차이에 따른 임상적 의미가 뚜렷하다는데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신경학적 이상의 변화가 잦은 뇌졸중 발생

초기에는 예후측정 척도인 기능적 척도보다는 신경학적 장애

척도를 사용하는 것이 더 좋다. 신경학적 장애 척도 중

Mathew scale, SSS, NIHSS, MCA neurologic scale의 신경

학적 증상의 변화를 감지해 내는 정도를 비교했을 때, NIHSS

가 가장 민감한 것으로 보고되었다(35). 따라서, 증상의 악화

여부, 중재적 시술이나 혈전용해치료 등의 효과를 확인하는

데에는 NIHSS를 사용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기

능적 척도 중에서는 Global scale보다 ADL scale이 더 변화

에 민감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BI의 경우 95점 이상이

26%에 달한다는 한 연구결과와 같이 천장효과가 커서 작은

차이를 인지하기 어렵다. 이에 반해 FIM은 변화 인지에 한

민감도도 높고, 천장 효과도 없어, 기능적 상태의 변화를 나타

내는데 더 유리한 것으로 생각된다(36).

척도 사용의 용이성

신경학적 척도를 구성하는 항목의 수가 적고 간단할수록

사용이 편리하고, 임상에서 빠른 시간 내에 행할 수 있으며,

신경학적 검진에 익숙하지 않은 의료진도 쉽게 이용할 수 있

다. 그러나, 그러한 경우에는 신경학적 이상을 정확히 반 하

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구성항목의 수가 많고 점수체계

가 복잡한 경우에는 신경학적 이상을 민감하게 측정해내는

장점이 있는 반면, 측정자내 신뢰도, 측정자간 신뢰도가 낮을

수 있다. NIHSS는 비교적 여러 가지 항목을 포함하고 있으

나, 인터넷 및 비디오 테이프를 통해 훈련이 가능하고 인증제

도가 갖춰져 있다(37). 이를 통해, 비전문가도 쉽고 빠르게

검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또 그 결과를 신뢰할 수 있도

록 하 다.

신경학적 뇌졸중 척도 사용의 이점

신경학적 뇌졸중 척도는 그 개발 목적에서도 알 수 있듯이

뇌졸중 임상연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환자의 기저상태

를 규정하고, 치료 또는 처치의 효과를 확인, 비교하는데 도움

이 되며, 비슷한 임상 중증도의 환자를 연구 상군으로 선정

하는 데에도 기준으로 사용될 수 있다(38). 그 외에도 규모

역학연구에서 환자 정보를 객관화하고 그룹화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즉, 신경학적 척도를 이용하면 신경학적 검사 결

과를 객관적으로 비교할 수 있고, 점수 별로 환자를 그룹화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IHSS 15점 이상인 경우 심각한 뇌경

색으로 4-15점은 중증도 뇌경색으로, 4점 미만은 경도 뇌경

색으로 분류할 수 있다. Modified Rankin scale도 점수에 따

라 두 군으로 나누어서 (예, 0-2점을 좋은 예후, 3점 이상을

나쁜 예후) 분석하는 방법이 널리 이용된다.

신경학적 척도를 사용하는 것은 뇌졸중 임상연구에서뿐 아

니라 실제 임상에서도 이점이 있다. 신경과, 신경외과, 상의

학과, 재활의학과를 비롯한 여러 전문분야의 협력을 필요로

하는 뇌졸중 치료의 특성상 여러 전문인력의 일관된 치료과

정을 위한 환자 상태의 객관적인 정보교환에 도움이 될 수 있

다. 또한, 혈전용해치료 등 특정 처치 시에, 시행 기준으로 사

용할 수 있다.

결 론

뇌졸중 척도는 여러 다양한 목적을 위해 쓰이고 있다. 무작

위선정 임상연구를 통한 새로운 치료의 효과를 평가하거나,

혈전용해치료와 같은 특정 치료의 지침으로 사용되거나, 입

원 후 또는 특정 치료 후 환자의 신경학적 증상변화를 모니터

링 하기 위해 사용되거나, 초기에 환자의 예후를 예측하기 위

해서도 이용된다. 그러나 하나의 뇌졸중 척도가 여러 목적을

한번에 충족시키기는 쉽지 않다. 발병 초기의 증상변화를 측

정하는 데에는 신경학적 장애 척도만으로도 가능하지만, 장

기간의 예후를 판단하는 데에는 기능적 척도가 더 도움이 될

Neurointervention 4, August 2009 79

뇌졸중환자의임상적평가

Page 7: Introduction of Neurologic Stroke Scales

수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쓰이고 있는 기능적 척도에는 한계

가 있어, 뇌졸중 환자의 특정 치료 효과를 포함한 장기적인

예후를 관찰하는 연구에서는 신경학적 장애척도와 기능적 척

도를 함께 사용하는 것이 척도 자체의 한계를 극복하는데 도

움이 될 것이라 생각된다.

참고문헌

1. Lyden PD, Hantson L. Assessment scales for the evaluation ofstroke patients. J Stroke Cerebrovasc Dis 1998;7:113-127

2. Kasner SE. Clinical interpretation and use of stroke scales. LancetNeurol 2006;5:603-612

3. Lyden PD, Lau GT. A critical appraisal of stroke evaluation andrating scales. Stroke 1991;22:1345-1352

4. Multicenter trial of hemodilution in ischemic stroke--backgroundand study protocol. Scandinavian stroke study group. Stroke1985;16:885-890

5. Cote R, Hachinski VC, Shurvell BL, Norris JW, Wolfson C. Thecanadian neurological scale: a preliminary study in acute stroke.Stroke 1986;17:731-737

6. Brott T, Adams HP, Jr., Olinger CP, Marler JR, Barsan WG,Biller J, et al. Measurements of acute cerebral infarction: a clinicalexamination scale. Stroke 1989;20:864-870

7. Lyden PD, Lu M, Levine SR, Brott TG, Broderick J. A modified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stroke scale for use in stroke clinicaltrials: preliminary reliability and validity. Stroke 2001;32:1310-1317

8. Meyer BC, Hemmen TM, Jackson CM, Lyden PD. Modified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stroke scale for use in stroke clinicaltrials: prospective reliability and validity. Stroke 2002;33:1261-1266

9. Hantson L, De Weerdt W, De Keyser J, Diener HC, Franke C,Palm R, et al. The European stroke scale. Stroke 1994;25:2215-2219

10. Mathew NT, Rivera VM, Meyer JS, Charney JZ, Hartmann A.Double-blind evaluation of glycerol therapy in acute cerebralinfarction. Lancet 1972;2:1327-1329

11. Gelmers HJ, Gorter K, de Weerdt CJ, Wiezer HJ. Assessment ofinterobserver variability in a dutch multicenter study on acuteischemic stroke. Stroke 1988;19:709-711

12. Koller M, Haenny P, Hess K, Weniger D, Zangger P. Adjustedhypervolemic hemodilution in acute ischemic stroke. Stroke1990;21:1429-1434

13. Fugl-Meyer AR, Jaasko L, Leyman I, Olsson S, Steglind S. Thepost-stroke hemiplegic patient. 1. A method for evaluation ofphysical performance. Scand J Rehabil Med 1975;7:13-31

14. Norris JW. Steroid therapy in acute cerebral infarction. ArchNeurol 1976;33:69-71

15. Orgogozo JM, Dartigues J.F. Methodology of clinical trials inacute cerebral ischemia: survival, functional, and neurologicaloutcome measure. Cerebrovasc Dis 1991;1:100-111

16. Adams RJ, Meador KJ, Sethi KD, Grotta JC, Thomson DS.Graded neurologic scale for use in acute hemispheric stroketreatment protocols. Stroke 1987;18:665-669

17. Olesen J, Simonsen K, Norgaard B, Gronbaek M, Johansen OS,Krogsgaard A, et al. Reproducibility and utility of a simpleneurological scoring system for stroke patients (Copenhagen

stroke scale). J Neuro Rehab 1988;2:59-6318. Orgogozo JM, Asplund K, Boysen G. A unified form for

neurological scoring of hemispheric stroke with motor impair-ment. Stroke 1992;23:1678-1679

19. Edwards DF, Chen YW, Diringer MN. Unified neurologicalstroke scale is valid in ischemic and hemorrhagic stroke. Stroke1995;26:1852-1858

20. Wilson JT, Hareendran A, Hendry A, Potter J, Bone I, Muir KW.Reliability of the modified rankin scale across multiple raters:benefits of a structured interview. Stroke 2005;36:777-781

21. Rankin J. Cerebral vascular accidents in patients over the age of60. II. Prognosis. Scott Med J 1957;2:200-215

22. Shinohara Y, Minematsu K, Amano T, Ohashi Y. ModifiedRankin scale with expanded guidance scheme and interviewquestionnaire: interrater agreement and reproducibility of assess-ment. Cerebrovasc Dis 2006;21:271-278

23. Jennett B, Snoek J, Bond MR, Brooks N. Disability after severehead injury: observations on the use of the glasgow outcome scale.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1981;44:285-293

24. Mahoney FI, Barthel DW. Functional evaluation: the Barthelindex. Md State Med J 1965;14:61-65

25. Lindmark B, Hamrin E. Evaluation of functional capacity afterstroke as a basis for active intervention. Presentation of a modifiedchart for motor capacity assessment and its reliability. Scand JRehabil Med 1988;20:103-109

26. Granger CV, Hamilton BB, Linacre JM, Heinemann AW, WrightBD. Performance profiles of the functional independencemeasure. Am J Phys Med Rehabil 1993;72:84-89

27. Heinemann AW, Linacre JM, Wright BD, Hamilton BB, GrangerC. Relationships between impairment and physical disability asmeasured by the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Arch PhysMed Rehabil 1993;74:566-573

28. Appelros P, Terent A. Characteristics of the national institute ofhealth stroke scale: results from a population-based stroke cohortat baseline and after one year. Cerebrovasc Dis 2004;17:21-27

29. Bruno A, Saha C, Williams LS. Percent change on the nationalinstitutes of health stroke scale: a useful acute stroke outcomemeasure. J Stroke Cerebrovasc Dis 2009;18:56-59

30. Muir KW, Grosset DG, Lees KR. Interconversion of stroke scales.Implications for therapeutic trials. Stroke 1994;25:1366-1370

31. Muir KW, Weir CJ, Murray GD, Povey C, Lees KR. Comparisonof neurological scales and scoring systems for acute strokeprognosis. Stroke 1996;27:1817-1820

32. Banks JL, Marotta CA. Outcomes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modified Rankin scale: implications for stroke clinical trials: aliterature review and synthesis. Stroke 2007;38:1091-1096

33. Josephson SA, Hills NK, Johnston SC. NIH stroke scale reliabilityin ratings from a large sample of clinicians. Cerebrovasc Dis2006;22:389-395

34. Roden-Jullig A, Britton M, Gustafsson C, Fugl-Meyer A.Validation of four scales for the acute stage of stroke. J InternMed 1994;236:125-136

35. Bessenyei M, Fekete I, Csiba L, Bereczki D. Characteristics of 4stroke scales for the detection of changes in clinical signs in theacute phase of stroke. J Stroke Cerebrovasc Dis 2001;10:70-78

36. Dromerick AW, Edwards DF, Diringer MN. Sensitivity tochanges in disability after stroke: a comparison of four scalesuseful in clinical trials. J Rehabil Res Dev 2003;40:1-8

37. Goldstein LB, Samsa GP. Reliability of the national institutes of

80 Neurointervention 4, August 2009

최혜연외

Page 8: Introduction of Neurologic Stroke Scales

Neurointervention 4, August 2009 81

뇌졸중환자의임상적평가

health stroke scale. Extension to non-neurologists in the context ofa clinical trial. Stroke 1997;28:307-310

38. D’Olhaberriague L, Litvan I, Mitsias P, Mansbach HH. Areappraisal of reliability and validity studies in stroke. Stroke1996;27:2331-2336

39. Frithz G, Werner I. Studies on cerebrovascular strokes. II. Clinicalfindings and short-term prognosis in a stroke material. Acta MedScand 1976;199:133-140

40. Fugl-Meyer AR, Jaasko L. Post-stroke hemiplegia and ADL-performance. Scand J Rehabil Med Suppl 1980;7:140-152

41. Norris JW. Comment on “Study design of stroke treatments”.Stroke 1982;13:527-528

42. Candelise L. Stroke scores and scales. Cerebrovasc Dis1992;2:239-247

43. Multicenter trial of hemodilution in acute ischemic stroke. Resultsof subgroup analyses. Scandinavian stroke study group. Stroke1988;19:464-471

44. Multicenter trial of hemodilution in acute ischemic stroke. I.Results in the total patient population. Scandinavian stroke studygroup. Stroke 1987;18:691-699

45. Barber M, Fail M, Shields M, Stott DJ, Langhorne P. Validity andreliability of estimating the Scandinavian stroke scale score frommedical records. Cerebrovasc Dis 2004;17:224-227

46. Cote R, Battista RN, Wolfson C, Boucher J, Adam J, HachinskiV. The Canadian neurological scale: validation and reliabilityassessment. Neurology 1989;39:638-643

47. Stavem K, Lossius M, Ronning OM. Reliability and validity ofthe Canadian neurological scale in retrospective assessment ofinitial stroke severity. Cerebrovasc Dis 2003;16:286-291

48. Bushnell CD, Johnston DC, Goldstein LB. Retrospective assess-ment of initial stroke severity: comparison of the NIH stroke scaleand the Canadian neurological scale. Stroke 2001;32:656-660

49. Lyden P, Brott T, Tilley B, Welch KM, Mascha EJ, Levine S, etal. Improved reliability of the NIH stroke scale using videotraining. NINDS tPA stroke study group. Stroke 1994;25:2220-2226

50. Goldstein LB, Bertels C, Davis JN. Interrater reliability of theNIH stroke scale. Arch Neurol 1989;46:660-662

51. Fischer U, Arnold M, Nedeltchev K, Brekenfeld C, Ballinari P,Remonda L, et al. NIHSS score and arteriographic findings inacute ischemic stroke. Stroke 2005;36:2121-2125

52. Williams LS, Yilmaz EY, Lopez-Yunez AM. Retrospectiveassessment of initial stroke severity with the NIHSS stroke scale.Stroke 2000;31:858-862

53. Kasner SE, Cucchiara BL, McGarvey ML, Luciano JM,Liebeskind DS, Chalela JA. Modified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stroke scale can be estimated from medical records. Stroke2003;34:568-570

54. Kasner SE, Chalela JA, Luciano JM, Cucchiara BL, Raps EC,McGarvey ML, et al. Reliability and validity of estimating theNIH stroke scale score from medical records. Stroke1999;30:1534-1537

55. Lyden P, Claesson L, Havstad S, Ashwood T, Lu M. Factoranalysis of the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stroke scale in patientswith large strokes. Arch Neurol 2004;61:1677-1680

56. Fink JN, Selim MH, Kumar S, Silver B, Linfante I, Caplan LR, etal. Is the association of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stroke scalescores and acute magnetic resonance imaging stroke volume equalfor patients with right- and left-hemisphere ischemic stroke?Stroke 2002;33:954-958

57. Lee KM, Jang YH, Kim YH, Moon SK, Park JH, Park SW et al.Reliability and validity of korean version of National Institutes ofHealth Stroke Scale -Multi-center study- J Korean Acad RehabMed 2004; 28: 422-435

Page 9: Introduction of Neurologic Stroke Scales

82 Neurointervention 4, August 2009

최혜연외

지시 척도 정의 점수

1a. 의식 수준: 검사자는 평가를 할 때 기관절개 튜브, 언어

장애, 구강과 기관의 외상 등에 의하여 완전한 평가에 방해

를 받더라도 한 가지 반응을 반드시 선택해야 한다. 3점은

통증을 유발하는 자극에서도 움직임이 없는 경우(자세 반사

를 제외하고)에만 선택한다.

1b. 의식수준에 관한 질문: 환자에게 현재 몇 월인지와 나이

를 묻는다. 답은 정확해야 한다. - 유사하다고 해서 부분

점수를 주지 않는다. 실어증이나 혼미상태에 있어 질문을 이

해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2점을 준다. 기관 삽관, 구강기도

외상, 어떤 원인에 의해서든 심한 조음장애, 언어장벽 또는

실어증이 아닌 다른 어떤 문제 때문에 환자가 말을 할 수 없

을 때에는 1점을 준다. 첫 번째 답에 해서만 평가를 하

고 검사자가 언어적 혹은 비언어적 지시로 환자를 도와주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1c. 의식 수준에 관한 지시: 환자에게 눈을 떴다 감았다 하

게한 후 마비되지 않은 쪽 손을 펴라고 지시한다. 만약 손을

사용할 수가 없으면 다른 1단계 명령으로 치한다. 분명하

게 시도를 하지만 근약화 때문에 완전히 수행하지 못 할 경

우에는 점수를 준다. 만약 환자가 지시에 반응을 하지 않는

경우, 몸짓으로 지시내용을 보여주고 따라 하는 지에 따라

점수를 준다(즉 지시를 못 따름. 1단계 혹은 2단계 지시를

따름). 외상, 절단, 혹은 다른 신체적 장애가 있으면 적당한

1단계 지시를 준다. 첫 번째 시도만으로 점수를 준다.

2. 최적의 응시: 수평적 안구운동만을 검사한다. 수의적 혹

은 안구두부의 반사적 안구운동은 점수를 주나 냉온검사는

시행하지 않는다. 만약 환자가 수의적 또는 반사적 동

작으로 극복될 수 있는 안구의 동측편향이 있는 경우는 1점

이다. 만약 환자가 단독 말초 신경 마비 (제3, 제4, 혹은 제6

뇌신경)가 있으면 1점이다. 응시는 모든 실어증 환자에서

시행할 수 있다. 안구 외상, 붕 , 기존에 이미 실명된 상태,

또는 다른 시력이나 시야의 장애가 있는 환자들은 반사 운동

에 의해 검사할 수 있으며 검사자가 방법을 선택한다. 환자

와 눈을 맞추고 환자의 옆쪽으로 이동을 하면 가끔 부분적인

응시마비를 확인할 수 있다.

0=명료, 예민하게 반응함.

1=명료하지는 않으나, 명령하는 작은 자극에 각성이 되며

응답 또는 반응을 함.

2=명료하지 않으며, 집중을 얻기 위하여 반복된 자극이 필

요하거나 둔화되어 있어서 움직임을 얻기 위하여(상동적 움

직임이 아닌) 강하거나 통증을 일으키는 자극이 필요함.

3=반사적인 운동 또는 자율효과에 의한 반응만을 보이거나

완전히 무반응, 이완, 또는 무반사 상태.

0=두 가지 질문에 정확하게 답함.

1=한 가지 질문에만 정확하게 답함.

2=두 가지 질문 모두에 정확하게 답하지 못함.

0=두 가지 지시를 정확하게 시행함.

1=한 가지 지시만 정확하게 시행함.

2=두 가지 지시 모두 수행하지 못함.

0=정상

1=부분적인 응시 마비. 이 점수는 응시가 한쪽 또는

양쪽 안구에서 있지만, 강제적인 편향이나 완전

응시마비가 없는 경우에 주어진다.

2=강제적인 편향 또는 완전 응시마비가 있으며 안구

두부 움직임에 의해 극복되지 못하는 경우.

-Appendix-

NIH Stroke Scale (한 판) 57

뇌졸중척도 항목의 검사를 기록된 순서에 따라 시행하시오. 각각의 세부항목을 검사한 후에 각 척도의 점수를 기록하시오. 뒤로 돌

아가서 점수를 변경하지 마시오. 제시된 각각의 검사 방법을 따르시오. 점수는 환자가 할 수 있으리라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

로 환자가 시행한 것을 반 하여야 한다. 의사는 신속하게 검사를 실시하면서 답변들을 기록해야 한다. 제시된 사항을 제외하고는

환자에게 가르침을 주어서는 안된다(예: 환자가 특별히 더 노력하도록 반복을 요청하는 것). 만약 어떤 항목을 검사하지 못했을 때

는 그 자세한 이유를 서식에 명확히 기록해야 한다. 검사하지 못한 모든 항목들은 감독관이 다시 조사 할 것이며 검사자와 전화로

토의할 것이다.

Page 10: Introduction of Neurologic Stroke Scales

Neurointervention 4, August 2009 83

뇌졸중환자의임상적평가

지시 척도 정의 점수

3. 시각: 상하 사분면의 시야를 면법, 손가락 숫자세기,

또 는 시각 위협 중 적절한 방법을 이용하여 검사한다. 환자

를 격려하여, 옆에서 움직이는 손가락을 정확하게 볼 수 있

으면 정상으로 판정한다. 만약 일측의 시력이 상실 되었거나

일측 안구가 적출되어 있는 상태면, 남아있는 안구의 시야를

측정한다. 만약 사분맹을 포함한 확실한 비 칭이 있는 경우

에 1점으로 평가한다. 이 경우에는 두 번의 동시 자극을 행

하도록 한다. 만약 소멸현상이 있으면 환자는 1점을 받고 결

과는 질문 11에 한 답으로 사용된다.

4. 안면마비: 이를 보여 주거나 눈썹을 위로 올리거나 눈을

감도록 환자에게 요청하거나 몸짓을 이용하여 환자를 격려

하도록 한다. 반응이 없거나 이해를 못하는 환자의 경우 유

해자극에 한 반응으로 얼굴을 찌푸리는 칭 정도에 해

점수를 부여한다. 만약 안면의 외상/붕 가 있거나, 경구기

관 내 삽관이 되어 있는 경우, 테이프 또는 다른 물리적인

장애물이 얼굴을 가리는 경우에는 이들을 가능한 정도까지

제거하여야 한다.

5 & 6. 상지와 하지의 운동: 지체를 적당한 위치에 둔다:

상지는 손바닥을 아래로 하여(앉아 있으면) 90도 또는(누워

있으면) 45도 신전하고 하지는(항상 누워서 측정하며) 30도

신전한다. 만약 상지가 10초 이전에 또는 하지가 5초 이전

에 떨어지면 하락에 한 점수를 측정한다. 실어증환자에게

는 유해자극은 사용하지 말고 목소리로 절박함을 나타내거

나 몸짓으로 지시를 따르도록 유도한다. 마비되지 않은 상지

부터 시작하여 차례 로 검사를 시행한다. 절단된 환자나 견

관절 또는 고관절의 관절고정술을 받은 경우에만 9점으로

점수를 매기고 검사자는 반드시 9점에 한 설명을 명확히

기술하여야 한다.

NIH Stroke Scale, continued

0=시야 상실 없음.

1=부분적 반맹.

2=완전 반맹.

3=양측 반맹( 뇌 맹을 포함한 시력상실).

0=정상 칭적 운동.

1=경미한 마비(코 입술 주름이 편평해짐, 웃을 때 비 칭

성).

2=부분적마비(얼굴 하부의 완전마비 또는 거의 완전마비).

3=일측 또는 양측의 완전 마비(얼굴 상부 및 하부 움직임

이 전무함).

0=하락이 없음, 상지를 90도(혹은 45도)에서 10초 동안 유

지함.

1=하락 있음, 상지를 90도(혹은 45도)에서 유지는 하나,

10초가 되기 전에 떨어짐; 침상이나 다른 지지물을 건드리

지는 않음.

2=중력에 한 약간의 노력이 있음, 지시에 따라 상지를

90도(혹은 45도)까지 들어 올리지 못하거나 유지를 못함,

침상까지 떨어짐, 그러나 중력에 한 약간의 노력이 있음.

3=중력에 한 노력이 없음, 상지가 떨어짐.

4=움직임이 없음.

9=절단, 관절고정술. 설명:

5a 좌측상지.

5b 우측상지.

0=하락이 없음, 하지를 30도에서 5초 동안 유지함.

1=하락 있음, 하지가 5초가 끝날 때 하락하나 침상을 치지

는 않음.

2=중력에 한 약간의 노력이 있음; 하지가 5초만에 떨어

지나 중력에 한 약간의 노력이 있음.

3=중력에 한 노력이 없음; 하지가 바로 침상으로 떨어

짐.

4=움직임이 없음.

5=절단, 관절고정술. 설명:

6a 좌측하지.

6b 우측하지.

Page 11: Introduction of Neurologic Stroke Scales

84 Neurointervention 4, August 2009

최혜연외

지시 척도 정의 점수

7. 사지 운동실조: 이 항목은 일측성 소뇌 병변의 징후를 찾

는 것이 목표이다. 양쪽 눈을 뜨고 검사한다. 시야결손이 있

을 때는 반드시 결손이 없는 시야 범위 내에서 검사를 시행

한다. 양측에서 손가락-코-손가락(finger-nose-finger) 검

사와 발꿈치-정강이(heel-shin) 검사를 시행하고, 마비의

정도를 감안하여 운동실조 여부를 판단한다. 환자가 지시를

이해하지 못하거나 마비가 있는 경우에는 운동실조는 없는

것으로 기록한다. 절단이나 관절 유합의 경우에만“9”점을

주고, 검사자는 점수를 주지 않은 것에 한 설명을 반드시

분명하게 기록해야 한다. 실명된 환자의 경우에는 상지를 신

전한 자세에서 손가락을 코에 갖다 도록 검사를 실시한다.

8. 감각: 의식장애 또는 실어증환자에서는 핀으로 찔 을

때 느낌이 있거나 얼굴을 찡그리거나, 또는 강한 자극에

한 회피반응을 보임. 뇌졸중에 의한 감각 소실만을 비정상으

로 채점하며, 검사자는 반신 감각소실을 정확히 검사하기 위

해서 가능한 많은 신체부분 (상지(손제외), 하지, 몸통, 얼

굴 등)을 검사 하여야 한다. “중증 또는 완전 감각 소실”은

감각 소실이 명확히 검증될 때에만“2”점을 준다. 따라서 기

면상태나 실어증 환자의 경우 개“1”점 혹은“0”점을 준

다. 뇌간 뇌졸중으로 양측성 감각 소실이 있는 환자는“2”점

을 준다. 환자가 반응이 없고 사지마비인 경우는“2”점을 준

다. 혼수(항목 1a=3)상태에 있는 환자는 임의로“2”점을

준다.

9. 최상 언어 능력: 이해력에 한 정보는 지금까지의 검사

과정에서 많이 얻어질 수 있다. 환자에게 첨부된 그림을 보

고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설명하도록 하고, 첨부된 명

칭 그림의 이름을 말하게 하며, 첨부된 구문들을 읽게 한다.

이해력은 지금까지 시행한 일반 신경학적 검사의 지시뿐만

아니라 이 검사의 반응으로 판단한다. 만약 시력소실로 검사

가 안되면, 환자의 손에 쥐어준 물건을 알아맞히게 하고, 말

을 따라하게 하고, 자발적으로 말해 보도록 한다. 기도에 삽

관이 된 환자는 씨를 쓰도록 한다. 혼수상태 환자(항목

1a=3)는 임의로 3점을 준다. 기면 상태이거나 협조가 잘

안 되는 환자라도 세 가지 중 한 항목은 골라야 하며 환자가

전혀 말을 하지 못하거나 1단계 지시 따르기도 수행하지 못

하는 경우에만 3점을 준다.

NIH Stroke Scale, continued

0=없음

1=사지 중 하나에서 존재

2=사지 중 둘에서 존재

운동실조가 존재하는 경우,

우상지 1=예 2=아니요

9=절단 또는 관절 유합, 설명

좌상지 1=예 2=아니요

9=절단 또는 관절 유합, 설명

우하지 1=예 2=아니요

9=절단 또는 관절 유합, 설명

좌하지 1=예 2=아니요

9=절단 또는 관절 유합, 설명

0=정상; 감각 소실 없음.

1=경도 내지 중등도의 감각 소실; 환자는 환측에서 핀찌르

기에 해 덜 뾰족하거나 둔하게 느낌; 환자가 핀찌르기에

해 닿는 느낌은 있으나 표재성 통증은 없음.

2=중증 혹은 완전 감각 소실; 환자는 안면, 상지, 및

하지에서 닿은 것을 인식하지 못함.

0=실어증 없음; 정상.

1=경도 내지 중등도의 실어증; 유창성이나 이해력에 어느

정도 명백한 소실이 있으나, 생각의 표현이나 표현의 형태에

심각한 제한은 없음. 언어 표현 또는 이해력의 감소로 제공

된 자료에 한 화가 어렵거나 불가능함. 예를 들면, 주어

진 자료에 해 검사를 할 때 검사자가 환자의 반응으로부터

그림이나 카드 이름을 알 수 있음.

2=중증의 실어증; 모든 의사 소통이 단편적인 표현으로만

이루어짐; 듣는 사람의 추리, 질문, 추측이 매우 필요함. 교

환될 수 있는 정보의 범위가 제한됨;

듣는 사람에게 의사 소통이 부담스러움. 검사자는 환자의 반

응을 통해 제공된 자료를 알아낼 수 없음.

3=벙어리, 전실어증; 언어나 청각적 이해가 불가능함.

Page 12: Introduction of Neurologic Stroke Scales

Neurointervention 4, August 2009 85

뇌졸중환자의임상적평가

지시 척도 정의 점수

10. 구음장애: 환자의 언어 능력이 정상이라 생각되면 첨부

된 예제를 이용하여 읽기, 따라 말하기를 이용하여 언어상태

를 점검하여야 한다. 만약 환자에게 심한 실어증이 있을 때

에는 자발적 언어의 명료도로 점수화한다. 기관지 삽관이 되

어 있거나 기타 물리적 장애로 말을 못할 때에만“9”점을 주

고 검사자는 점수를 주지 못하는 명확한 이유에 해 기술해

야 한다. 환자에게는 왜 검사를 받는지에 해 말해 주지 않

는다.

11. 인식상실과 부주의상태(이전에 무시상태에 해당됨):전

단계 검사에서 무시상태를 확인하며 충분한 소견이 얻어질

수 있다. 만일 환자가 시각적인 이중 동시자극을 할 수 없는

심한 시각적인 손상이 있고 피부자극에 한 반응이 정상이

면 점수는 정상이다. 만약

환자가 실어증 상태이나 양측의 자극에 한 주의집중이 가

능한 상태라면, 점수는 정상이다. 시공간적 무시나 병인식불

능증(anosagnosia)이 있으면 비정상의 증거가 된다. 비정

상은 존재하는 경우에만 채점되므로 항목은 항상 평가가 가

능하다.

NIH Stroke Scale, continued

0=정상.

1=경도 내지 중등도; 일부 단어를 불분명하게 발음하거나,

아무리 나빠도 힘들게나마 알아들을 수 있음.

2=중증; 실어증이나 벙어리/실구어증이 없는 상태에서도

환자의 발음이 매우 불분명하여 이해할 수 없음.

9=기관 삽관 또는 기타 물리적 장애.

설명

0=이상 소견 없음

1=이중 동시 자극에 한 감각 기능중의 한 기능 즉 시각,

촉각, 청각, 공간, 또는 사람에 한 부주의 상태이거나 인

식상실 상태가 나타남.

2=중증의 편측-부주의 상태 또는 1개 이상의 감각기능에

한 편측-부주의 상태. 환자 자신의 손을 인식하지 못하거

나 공간의 일측 방향만을 지향하지 못하는 상태.

Page 13: Introduction of Neurologic Stroke Scales

86 Neurointervention 4, August 2009

최혜연외

Neurointervention 2009;4:74-86

Clinical Assessment in Stroke Patients: Introduction of Neurologic Stroke Scales

Hye- Yeon Choi, MD, Hak Young Rhee, MD, Sang-Beom Kim, MD, Won-Chul Shin, MD, PhD.

1Department of Neurology, Kyunghee East-West Neomedical Center, College of Medicine, Kyung-Hee University

Neurologic stroke scales have been developed for quantification of neurologic deficits, functionaloutcomes, and global outcomes in stroke patients. Neurologic deficit scales are scoring systems forseverities of specific neurologic symptoms or signs. These scales are used to assess initial severity anddeterioration in acute stroke phase, and to follow-up.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Stroke Scale iswidely used neurologic deficit scale. Functional outcome scales are evaluation tools used to measurestroke related disability. Modified Rankin scale, and Barthel index are most frequently used outcomescales. Because there is no scale that appears to satisfy all of the requirements of an ideal neurologicscale, it is helpful to use a neurologic deficit scale along with a functional outcome scale.

Key Words : Stroke; Neurologic stroke scale; Neurologic defic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