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
422 2016년도 시험연구보고서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2 years from 2015 to develop appropriate seeding time and fertilization management techniques for stable cultivation of Spergularia marina at the Hwaong reclaimed land in Gyeonggi province. The days of the first harvest from sowing date required 64 days for sowing in August 25, 52 days in sowing on September 10, and 60 days in sowing on September 25. Sowing on September 10 was the shortest to the first havest and shower the largest yield of 6.5ton 10a -1 , the proper seeding time to be around on September 10 in Gyeonggi province. In the experiment determining the proper fertilization rate for Spergularia marina cultivation the yield appeared the highest showing at 6.5ton 10a -1 in recommened fertilization of N, P, K fertilizers by soil test rice straw 500kg 10a -1 application among the treatments such as recommened fertilization of N, P, K fertilizers by soil test, recommened N fertilization of oil cake by soil test, recommened fertilization of N, P, K fertilizers by soil test rice straw 500kg 10a -1 , recommened N fertilization of oil cake by soil test rice straw 500kg 10a -1 applications. Key words : Spergularia marina, Reclaimed land, Halophyte

k- jk...k- jk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2 years from 2015 to develop appropriate seeding time and fertilization management techniques for stable cultivation of Spergularia marina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k- jk...k- jk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2 years from 2015 to develop appropriate seeding time and fertilization management techniques for stable cultivation of Spergularia marina

422 2016년도 시험연구보고서

과제구분 기본연구 수행시기 전반기

연구과제 및 세부과제 연구분야 수행기간 연구실 책임자

경기도신간척지작물안정생산기술개발 농업환경 ‘15~‘16농업기술원환경농업연구과

노안성

신간척지염생식물세발나물재배기술개발 농업환경 ‘15~‘16농업기술원환경농업연구과

노안성

색인용어 세발나물, 간척지, 염생식물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2 years from 2015 to develop appropriate seeding time and fertilization management techniques for stable cultivation of Spergularia marina at the Hwaong reclaimed land in Gyeonggi province. The days of the first harvest from sowing date required 64 days for sowing in August 25, 52 days in sowing on September 10, and 60 days in sowing on September 25. Sowing on September 10 was the shortest to the first havest and shower the largest yield of 6.5ton 10a-1, the proper seeding time to be around on September 10 in Gyeonggi province. In the experiment determining the proper fertilization rate for Spergularia marina cultivation the yield appeared the highest showing at 6.5ton 10a-1 in recommened fertilization of N, P, K fertilizers by soil test+rice straw 500kg 10a-1 application among the treatments such as recommened fertilization of N, P, K fertilizers by soil test, recommened N fertilization of oil cake by soil test, recommened fertilization of N, P, K fertilizers by soil test+rice straw 500kg 10a-1, recommened N fertilization of oil cake by soil test+rice straw 500kg 10a-1 applications.

Key words : Spergularia marina, Reclaimed land, Halophyte

Page 2: k- jk...k- jk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2 years from 2015 to develop appropriate seeding time and fertilization management techniques for stable cultivation of Spergularia marina

Ⅲ. 환경농업연구 423

1. 연구목표염생식물(Halophyte)이란 갯벌이나 간척지의 염분이 함유된 토양 즉 바다와 접해

있는 염습지에서 자라는 일년생 또는 다년생 식물을 말한다(Flowers 등, 1986). 우리

나라에서는 주로 서해안과 남해안의 연안습지, 염전, 간척지에서 다양한 종류의 염생

식물이 분포하고 있어 연안습지 생태계의 먹이사슬의 기반이 되며 오염물질의 정화

그리고 해안 경관 조성에도 역할을 하고 있다. 그 동안 대부분의 염생식물은 해안가

에서 자생하는 잡초 또는 구황식물로 인식되어 왔으나 점차 향토식품 뿐만 아니라

기능성식품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최근 수요가 증가되면서 함초, 세발나물 등이 겨울

철 틈새 작물로 재배되어 새로운 농가 소득원이 되고 있다. 또한 민간에서 약재로

이용하던 염생식물의 효능이 밝혀지면서 의약 및 미용 소재로 활용되고 있으며 미래

의 해수농업, 내염성 작물 육종 등 지속가능한 농업을 위한 소재로도 기대되고 있다.

세발나물(Spergularia marna)은 석죽과(Caryophyllaceae) 1∼2년생 염생식물로 간척

지, 염전 주변의 염분이 있는 곳에서 자생하며 반원기둥형 줄 모양의 잎이 여러 마

디로 자라며 소나무 잎처럼 가늘고 길며 끝이 뾰족한 것이 세발낙지와 닮았다 해서

세발나물이라는 이름을 붙였다(Kim 등, 2003; Yang, 1999). 세발나물은 내한성이 우

수하여 무가온 하우스에서 월동과 무농약 재배가 가능하고 천연미네날, 칼륨, 식이섬

유가 풍부하여 최근 웰빙을 추구하는 소비자의 요구에 적합한 작목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해남지역에서는 2009년 세발나물 작목반과 2011년 세발나물영농조합을 결성하

여 세발나물을 지역특화작목으로 육성하였으며 매년 재배면적을 확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경기도 화옹지구 신간척지에서 세발나물의 적정 파종시기를 구명

하고 시비관리기술을 개발하여 중부서해 간척지에서 세발나물 시설재배를 기술을 제공

하고자 수행하였다.

2. 재료 및 방법<시험 1> 세발나물 적정 파종시기 구명

본 시험은 신간척지 세발나물의 적정 파종시기 구명을 위하여 2015년부터 2016년까

지 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 화옹간척지 무가온 비닐하우스에서 수행하였다. 파

종시기는 8월 25일, 9월 10일, 9월 25일 3수준으로 파종하였으며 파종전 종자는 염분

농도 1.2% 염수에 침지하고 20℃ 광조건 항온기에서 1일 처리한 후 토양과 종자를

3:1로 균일하게 혼합하여 파종하였다. 파종시기별 파종면적은 1.8 × 1.8m로 하여 시험

구를 난괴법 3반복으로 배치하고 3kg 10a-1 해당량을 파종하였다. 시험전 토양화학성

은 표 1과 같이 표토의 토성은 모래함량이 낮고 미사함량이 높은 미사질양토로 배수

가 불량하고 토양염농도는 14.6dS m-1 수준이었다. 질소와 칼리는 토양검정시비량의

Page 3: k- jk...k- jk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2 years from 2015 to develop appropriate seeding time and fertilization management techniques for stable cultivation of Spergularia marina

424 2016년도 시험연구보고서

50%를 기비로 시비하고 추비는 수확 후 4회 분시하였으며 인산비료는 전량 기비로

시비하였다. 세발나물 수확시기는 초장 13∼15cm 생육시기를 기준으로 산정하였으며

시험구별 채취하여 생체수량과 건조수량을 조사하였다.

토양화학성 분석은 농촌진흥청 토양 및 식물체 분석법(RDA, 2013)에 따라 pH와 EC

는 증류수와 1:5 희석하여 측정하고 NO3-N은 Kjeldahl 증류법, OM은 Tyurin법, 유

효인산은 Lancaster법, 치환성양이온은 1N-NaOAc 추출하여 ICP(GBC Integra XL)

로 분석하였다.

<시험 2> 세발나물 안정생산 기술개발

본 시험은 <시험 1> 세발나물 적정 파종시기 구명시험과 같은 시험하우스에서 수

행하였다. 처리내용은 토양검정시비, 토양검정질소 유박시용, 토양검정시비+볏짚

500kg 10a-1, 토양검정질소 유박시용+볏짚 500kg 10a-1로 총 4처리 하고 시험구 면적은

1.8 × 3.8m, 난괴법 3반복으로 배치하였다. 토양검정시비량의 기비, 볏짚, 유박은 파종

1주전 시용하고 로터리로 토양혼화 작업을 하였으며 유박시비량은 토양검정시비량의

기비 질소량으로 환산하여 산정하였다. 질소와 칼리의 추비는 토양검정시비량의 50%를

수확 후 4회 분시하였으며 인산비료는 전량 기비로 시비하였다. 파종은 9월 10일에

종자 3kg 10a-1을 토양과 혼합하여 파종하였다. 시험전 토양화학성은 표 1과 같이

pH 7.8, 토양염농도 14.6dS m-1, 유효인산 178㎎ ㎏-1, 치환성나트륨 17.4c㏖c ㎏-1의

수준이었다.

표 1. 시험전 토양 화학성

토 성 pH(1:5)

EC(dS m-1)

OM(g ㎏-1)

NO3-N(㎎ ㎏-1)

Av.P2O5(㎎ ㎏-1)

Ex. cations(c㏖c ㎏-1) SO4(㎎㎏-1)

Cl(㎎㎏-1)K Ca Mg Na

미사질양토(SiL)

7.8 14.6 11 6.0 178 2.3 6.3 10.8 17.4 1,883 3,530

※ 토양검정시비량(N-P2O5-K2O-퇴비) : 23-11-28-2,500 kg 10a-1

※ 시비방법 : 기비(질소 50%, 인산 100%, 칼리 50%), 추비 4회(질소 50%, 칼리 50%)

3. 결과 및 고찰<시험 1> 세발나물 적정 파종시기 구명

가. 재배기간 중 하우스 평균온도 및 토양화학성 변화

세발나물 재배기간 중 하우스의 일평균 온도와 토양온도를 조사한 결과는 그림 1과 같다. 최저온도 기간(1월 19일∼1월 25일)의 노지 평균온도는 –8.8℃를 나타냈으나 하우스내 평균온도는 2.4℃, 토양 평균온도는 7.7℃를 나타내어 영상의 온도를 유지하였다. 따라서 중부서해 화옹지구 신간척지에서 무가온 이중하우스 재배시 세발

Page 4: k- jk...k- jk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2 years from 2015 to develop appropriate seeding time and fertilization management techniques for stable cultivation of Spergularia marina

Ⅲ. 환경농업연구 425

나물 월동재배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세발나물의 파종시기별 토양화학성을파종 후 150일까지 30일 간격으로 조사한 결과는 표 2와 같다. 재배기간에 pH, 유효인산, 치환성양이온, 토양염소, 황산염은 시험전과 큰 차이가 없었으나 파종 후 150일토양염농도는 7.1∼12.5dS m-1 수준으로 다소 감소하였다.

표 2. 시험하우스의 토양화학성 변화

조 사시 기

파종시기(월. 일)

pH(1:5)

EC(dS m-1)

OM(g ㎏-1)

Av.P2O5(㎎㎏-1)

Ex. cations(c㏖c ㎏-1) SO4(㎎ ㎏-1)

Cl(㎎㎏-1)K Ca Mg Na

30

DAS

1) 8. 25 7.5 8.8 11 266 2.30 4.9 6.5 9.5 1,015 2,681

2) 9. 10 7.4 10.6 13 369 2.90 6.9 6.3 2.7 1,458 2,343

3) 9. 25 7.9 10.7 14 368 2.04 7.0 9.1 13.3 970 3,390

60

DAS

1) 8. 25 7.8 10.8 10 373 2.60 5.2 8.2 13.4 1,063 3,608

2) 9. 10 7.7 10.4 15 355 2.14 7.0 8.4 11.5 1,078 2,559

3) 9. 25 8.0 8.6 14 328 2.30 5.9 8.1 11.4 869 1.950

90

DAS

1) 8. 25 7.9 11.0 12 245 2.30 4.7 7.8 13.4 1,080 2,677

2) 9. 10 7.6 10.9 17 396 1.80 7.2 7.1 11.3 1,071 2,390

3) 9. 25 7.8 6.9 14 234 1.60 6.9 7.7 10.6 819 1,915

120

DAS

1) 8. 25 7.5 9.7 14 250 1.90 6.9 9.5 17.3 1,397 3,758

2) 9. 10 7.5 13.0 19 278 2.01 8.0 9.2 14.8 1,418 3,336

3) 9. 25 7.8 7.5 13 173 1.70 6.3 8.1 11.0 858 1,989

150

DAS

1) 8. 25 7.7 12.5 12 153 2.20 5.1 8.9 15.8 1,242 3,364

2) 9. 10 7.5 11.8 14 194 2.17 7.6 9.2 14.9 1,482 3,240

3) 9. 25 8.1 7.1 14 246 2.10 6.8 8.3 10.7 859 1,797

♩ DAS : Days after seeding

그림 1. 시험하우스 및 노지의 일평균 기온과 토양온도 변화

Page 5: k- jk...k- jk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2 years from 2015 to develop appropriate seeding time and fertilization management techniques for stable cultivation of Spergularia marina

426 2016년도 시험연구보고서

나. 세발나물 발아특성 및 수량

파종시기별 발아특성과 균핵병 발생율은 표 3과 같다. 파종시기별 10% 출현기의

소요일수를 조사한 결과 8월 25일 파종이 8일, 9월 10일 파종이 4일, 9월 25일 파종

이 3일 이었으며, 90% 출현기의 소요일수는 8월 25일 파종이 16일, 9월 10일 파종이

10일, 9월 25일 파종이 7일로 나타나 늦게 파종할수록 출현소요 일수는 감소하는 경

향이었다. 파종 후 30~40일에는 하우스의 고온 다습한 영향으로 인하여 균핵병이

발생하였으며 파종시기가 빠를수록 균핵병의 발생면적율이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파

종시기별 수확시기와 생체수량은 표 4와 같다. 세발나물의 1차 수확 소요일수는 8월

25일 파종이 64일, 9월 10일 파종이 52일, 9월 25일 파종이 60일로 9월 10일 파종시

기에서 가장 짧았다. 8월 25일과 9월 10일 파종시기의 세발나물은 2차에서 4차까지

수확시기가 동일하였으며 9월 25일 파종시기에는 3차까지만 수확하였다. 생체수량은

8월 25일 파종이 4.6톤 10a-1, 9월 10일 파종이 6.5톤 10a-1, 9월 25일 파종이 3.8톤

10a-1 이었으며 9월 10일 파종시기에서 수량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세발나물의 수확

시기별 식물체 화학성을 조사한 결과는 표 5와 같다. 총질소 함량은 1차 수확기에

2.96~3.28%이었는데 비해 3차 수확기에는 1.84∼2.51%로 감소하였으며 나트륨염화

물은 1차 수확기에 11.62~17.59%에서 3차 수확기에 8.29∼9.17%로 감소하였다.

표 3. 발아특성 및 병 발생율

파종시기(월. 일)

10% 출현기(소요일수)

90% 출현기(소요일수)

균핵병 발생면적율(%)

1) 8. 25 9월 3일(8일) 9월 10일(16일) 35

2) 9. 10 9월 14일(4일) 9월 20일(10일) 16

3) 9. 25 9월 28일(3일) 10월 2일(7일) 5

표 4. 수확시기 및 세발나물 수량

파종시기(월. 일)

수확시기(월/일) 생체수량(톤 10a-1)

1차 2차 3차 4차 1차 2차 3차 4차 합 계

1) 8. 25 10/29 12/17 3/8 4/3 1.2 1.2 0.9 1.3 4.6b

2) 9. 10 11/2 12/17 3/8 4/3 1.8 1.4 1.9 1.4 6.5a

3) 9. 25 11/25 3/8 4/3 - 1.2 1.3 1.4 - 3.8c

Page 6: k- jk...k- jk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2 years from 2015 to develop appropriate seeding time and fertilization management techniques for stable cultivation of Spergularia marina

Ⅲ. 환경농업연구 427

표 5. 세발나물 식물체 화학성

(단위 : %)

조사시기파종시기(월. 일)

T-N P2O5 K2O CaO MgO Na2O

1차

1) 8. 25 3.28 1.25 4.07 1.09 1.53 17.59

2) 9. 10 2.96 1.37 5.33 0.98 1.23 13.92

3) 9. 25 3.01 1.57 7.86 1.12 1.44 11.65

2차

1) 8. 25 3.19 1.00 4.00 0.35 0.81 10.04

2) 9. 10 2.90 01.05 3.96 0.33 0.80 10.09

3) 9. 25 1.84 0.79 4.56 0.52 1.06 8.29

3차

1) 8. 25 2.51 0.87 4.75 0.51 1.19 9.17

2) 9. 10 2.17 0.87 4.56 0.48 1.15 8.48

3) 9. 25 1.84 0.79 4.56 0.52 1.06 8.29

4차

1) 8. 25 2.03 1.21 5.03 0.64 1.07 7.44

2) 9. 10 0.48 1.08 5.14 0.72 1.05 7.69

3) 9. 25 - - - - - -

<시험 2> 세발나물 안정생산 기술개발

가. 토양화학성 변화 및 세발나물 생육

재배기간 중 토양화학성 변화는 표 6과 같다. 토양염농도는 파종 후 30일에 5.7∼

6.4dS m-1에서 파종 후 150일에 6.5∼11.5dS m-1로 증가하였으며 토양검정질소 유박

시용 처리구에서 낮았고 토양검정질소 유박+볏짚시용 처리구에서 높게 유지되었다.

재배기간 증 pH, 유효인산, 치환성양이온, 토양염소, 황산염은 유박시용 처리구와 화

학비료 처리구와 큰 차이가 없었으며 파종 후 150일에는 시험전 토양화학성과 비교

하여 다소 낮은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세발나물의 수확전 생육조사 결과는 표 7과 같

다. 파종 후 54일의 초장은 토양검정시비 처리구에서 15.3cm로 가장 높았으며 토양검

정질소 유박시용 처리구에서는 12.3cm로 낮았다. 주당 생체중은 토양검정시비 처리구

와 토양검정시비+볏짚시용 처리구에서 1.164~1.168g 주-1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유박

보다는 화학비료 기비 시용처리에서 생육이 증가하였다.

Page 7: k- jk...k- jk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2 years from 2015 to develop appropriate seeding time and fertilization management techniques for stable cultivation of Spergularia marina

428 2016년도 시험연구보고서

표 6. 토양화학성 변화

조 사시 기

처리내용 pHEC(dSm-1)

OM(g ㎏-1)

Av.P2O5(㎎㎏-1)

Ex. cations(c㏖c ㎏-1) SO4(㎎ ㎏-1)

Cl(㎎㎏-1)K Ca Mg Na

1)토양검정시비 7.6 5.7 11 274 3.8 7.2 7.4 10.1 840 1,084

30

DAS

2)토양검정질소유박시용 7.3 5.5 11 363 4.3 7.3 8.1 9.7 633 1,037

3)토양검정시비+볏짚시용 7.5 4.2 9 266 3.5 6.4 7.3 8.5 441 870

4) 토양검정질소유박+볏짚시용 7.3 6.4 10 276 4.3 7.9 8.2 10.8 885 1,173

1)토양검정시비 7.9 6.9 11 173 2.1 5.3 6.9 8.9 794 1,543

60

DAS

2)토양검정질소유박시용 7.6 6.7 11 254 1.9 5.6 7.8 7.8 677 1,507

3)토양검정시비+볏짚시용 7.6 6.7 10 120 2.4 4.7 7.1 9.7 764 1,921

4) 토양검정질소유박+볏짚시용 7.6 9.4 12 217 2.1 6.0 8.2 11.4 1,424 2,361

1)토양검정시비 7.4 8.0 16 272 1.9 6.1 6.4 9.3 1,034 1,754

90

DAS

2)토양검정질소유박시용 7.5 6.2 13 348 2.3 5.3 6.7 8.0 439 1,255

3)토양검정시비+볏짚시용 7.6 7.1 13 196 1.9 4.7 6.1 9.0 470 1,665

4) 토양검정질소유박+볏짚시용 7.3 7.7 13 524 2.1 5.6 6.8 8.9 709 1,530

1)토양검정시비 7.7 8.4 14 144 1.9 6.6 8.1 11.2 1,147 2,996

120

DAS

2)토양검정질소유박시용 7.4 5.9 13 207 2.0 5.6 7.5 8.2 609 1,504

3)토양검정시비+볏짚시용 7.4 8.1 13 147 2.0 5.5 7.4 10.8 733 2,392

4) 토양검정질소유박+볏짚시용 7.3 11.2 14 252 2.2 7.4 9.0 12.9 1,702 2,811

1)토양검정시비 7.6 9.6 13 156 2.4 7.2 7.6 12.3 1,438 2,448

150

DAS

2)토양검정질소유박시용 7.7 6.5 10 166 2.2 5.9 7.3 8.7 775 1,519

3)토양검정시비+볏짚시용 7.4 11.7 11 140 2.4 6.6 7.7 13.5 1,471 2,918

4) 토양검정질소유박+볏짚시용 7.3 10.8 11 225 2.5 7.1 8.1 12.4 1,661 2,513

Page 8: k- jk...k- jk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2 years from 2015 to develop appropriate seeding time and fertilization management techniques for stable cultivation of Spergularia marina

Ⅲ. 환경농업연구 429

표 7. 세발나물 생육

조 사시 기

처리내용초장(cm)

분지수(개 주-1)

생체중(g 주-1)

30

DAS

1) 토양검정시비 6.0 2.0 0.096

2) 토양검정질소 유박시용 5.3 1.6 0.052

3) 토양검정시비+볏짚시용 5.5 2.0 0.1064) 토양검정질소 유박+볏짚시용 5.6 1.8 0.084

54

DAS

1) 토양검정시비 15.3 4.8 1.164

2) 토양검정질소 유박시용 12.3 3.6 1.102

3) 토양검정시비+볏짚시용 14.8 4.7 1.168

4) 토양검정질소 유박+볏짚시용 13.8 4.5 0.977

나. 세발나물 수량 및 식물체 화학성

세발나물의 생체수량 조사결과는 표 8과 같다. 세발나물의 1차 수확시기는 ‘15년

11월 2일이었으며 ‘16년 4월 3일까지에 4차로 나누어 수확하였다. 생체수량은 토양검

정시비+볏짚시용 처리구에서 6.5톤 10a-1으로 가장 높았으며 토양검정질소 유박시용

처리구에서 낮았다. 또한 토양검정시비 처리구와 토양검정질소 유박+볏짚시용 처리

구의 수량은 통계적 유의차는 없었으나 같은 기비처리에서 추가적인 볏짚시용에 의

한 수량증대 효과는 있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세발나물의 수확시기별 식물체 양분함

량을 조사한 결과는 표 9와 같다. 총질소 함량은 1차 수확기에 2.80~3.60% 이었으나

4차 수확기에는 2.12∼2.81%로 감소하였으며 나트륨염화물은 1차 수확기에 13.62~

15.79%에서 4차 수확기에 6.61∼7.48%로 감소하였다. 이는 생육초기 저온으로 인하

여 생육속도가 느려지면서 생체량에 비해 양분흡수량이 많아져 세발나물의 양분함량

이 높게 나타난 것으로 판단되었다.

표 8. 세발나물 생체수량

처리내용생체수량(톤 10a-1)

1차 2차 3차 4차 합 계

1) 토양검정시비 1.8 1.4 1.4 1.3 6.0ab

2) 토양검정질소유박시용 1.5 1.3 1.5 1.4 5.8b

3) 토양검정시비+볏짚시용 1.7 1.7 1.9 1.2 6.5a

4) 토양검정질소유박+볏짚시용 1.6 1.4 1.7 1.5 6.2ab

※ 수확시기 : 1차(‘15.11.2), 2차(‘15.12.17), 3차(‘16.3.8), 4차(‘16.4.3)

Page 9: k- jk...k- jk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2 years from 2015 to develop appropriate seeding time and fertilization management techniques for stable cultivation of Spergularia marina

430 2016년도 시험연구보고서

표 9. 세발나물 식물체 양분함량

(단위 : %)

조사시기 처리내용 T-N P2O5 K2O CaO MgO Na2O

1차

1) 토양검정시비 3.02 1.28 6.63 1.21 1.51 13.62

2) 토양검정질소 유박시용 3.60 1.36 7.12 1.54 1.91 13.93

3) 토양검정시비+볏짚시용 3.25 1.38 6.14 1.40 1.67 15.79

4) 토양검정질소유박+볏짚시용 2.80 1.53 7.65 1.75 1.81 13.87

2차

1) 토양검정시비 3.48 1.16 4.43 0.49 0.87 9.28

2) 토양검정질소 유박시용 3.45 1.25 4.00 0.43 0.85 9.25

3) 토양검정시비+볏짚시용 3.33 1.21 4.43 0.41 0.81 8.18

4) 토양검정질소유박+볏짚시용 2.83 1.17 4.38 0.55 0.81 8.24

3차

1) 토양검정시비 2.25 0.80 4.49 0.57 0.96 7.33

2) 토양검정질소 유박시용 2.43 0.77 4.57 0.56 1.02 7.04

3) 토양검정시비+볏짚시용 2.46 0.85 4.94 0.44 0.97 7.36

4) 토양검정질소유박+볏짚시용 2.11 0.79 4.25 0.67 1.10 7.43

4차

1) 토양검정시비 2.12 1.06 4.43 0.77 1.06 7.48

2) 토양검정질소 유박시용 2.81 1.13 4.38 0.63 0.97 6.97

3) 토양검정시비+볏짚시용 2.55 1.16 4.77 0.65 0.99 7.14

4) 토양검정질소유박+볏짚시용 2.12 1.09 4.24 0.65 0.96 6.61

4. 적 요경기도 화옹지구 신간척지에서 세발나물의 안정적 재배를 위한 적정 파종시기를 구명

하고 시비관리기술을 개발하고자 2015년부터 2016년까지 농어촌연구원 화옹간척지 비닐

하우스에서 수행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 무가온 이중 비닐하우스 조건에서 재배기간 중 최저 일평균 온도는 2.4℃, 토양

평균온도는 7.7℃를 나타내어 중부서해 화옹지구 신간척지에서 세발나물 월동

재배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나. 세발나물의 파종시기별 1차 수확 소요일수는 8월 25일 파종이 64일, 9월 10일

파종이 52일, 9월 25일 파종이 60일로 9월 10일 파종시 가장 짧았으며 생체수

량은 9월 10일 파종이 6.5톤 10a-1 으로 수량성이 가장 높아 적정 파종시기로

판단되었다.

다. 세발나물의 시비관리를 위하여 토양검정시비, 토양검정질소 유박시용, 토양검정시

Page 10: k- jk...k- jk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2 years from 2015 to develop appropriate seeding time and fertilization management techniques for stable cultivation of Spergularia marina

Ⅲ. 환경농업연구 431

비+볏짚 500kg 10a-1, 토양검정질소 유박시용+볏짚 500kg 10a-1 을 처리하여 수

량을 비교한 결과 토양검정시비+볏짚 처리구에서 6.5톤 10a-1 으로 가장 높았

으며 토양검정질소 유박시용 처리구에서 낮았다.

5. 인용문헌

농촌진흥청. 2013. 종합검정실 분석매뉴얼(토양, 식물체, 수질, 중금속)

Cho, J.Y., Yang, S.Y., Yu, S.O., Kim, B. W., Jang, H. G., Chon, S.U., Park, Y.J.,

Heo, B.G. 2005. The actual distributing states of the fresh wild

vegetables at five-day traditional markets in Jeonnam district. Kor. J.

Hort. Sci. Technol. 23(4):396-401

Flowers T.J., M.A. Hajibagheri, and N.J.W. Clipson. 1986. Halophytes. The

quarterly review of biology. 61(3):313-337

Kim, H.S., Ihm, B.S., Lee, J.S., Park, S.H. 2003. Ecological studies on the

vegetation of abandoned salt field in Gasado. Kor. J. Eco. 17(2):123-132

Yang, H.S. 1999. A syntaxonomical study on the vegetation of ruined salt field

in Chonnam province. Kor. J. Ecol. 22(5);265-270

6. 연구결과 활용제목○ 화옹간척지 세발나물 재배 적정 파종시기 및 시비관리 방법(영농활용)

7. 연구원 편성

세부과제 구 분 소 속 직 급 성 명 수행업무 참여기간

신간척지염생식물세발나물재배기술개발

책임자농업기술원환경농업연구과

농업연구사 노안성 연구수행 총괄 ’15~’16

공동연구자

농업연구사농업연구사농업연구관농업연구관

박영수장재은박중수강창성

생육 조사시료 채취성적 검토시험 자문

’15~’16’15~’16’15~’16’15~’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