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5

KIET 산업경제전망 보도자료(최종) FMR S 2T2U VWRPQ 231Ssd Zrsd t :q %89:GHS X o $ % | $^N_ a&DGHEfE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KIET 산업경제전망 보도자료(최종) FMR S 2T2U VWRPQ 231Ssd Zrsd t :q %89:GHS X o $ % | $^N_ a&DGHEfE

보도자료

본 자료는 11월 26일(금) 조간

부터 보도해 주시기 바랍니다.

문의

동 향 분 석 실 장

성장동력산업센터소장

강두용(거시)(02) 3299-3205

장석인(산업)(02) 3299-3249

2011년 경제·산업전망

2010. 11. 26

Page 2: KIET 산업경제전망 보도자료(최종) FMR S 2T2U VWRPQ 231Ssd Zrsd t :q %89:GHS X o $ % | $^N_ a&DGHEfE

< 목 차 >

< 요 약 > i

I. 거시경제 전망 1

1. 국내 경기상황 판단 1

2. 대외여건 전망 5

3. 2011년 국내경제 전망 13

Ⅱ. 주요 산업 전망 29

1. 2010년 동향 29

2. 2011년 전망 31

3. 정책적 시사점 44

4. 주요 산업별 2011년 전망 요약 ········································49

Page 3: KIET 산업경제전망 보도자료(최종) FMR S 2T2U VWRPQ 231Ssd Zrsd t :q %89:GHS X o $ % | $^N_ a&DGHEfE

- iii -

< 요 약 >

Ⅰ. 거시경제 전망

☐ 현 경기 판단 : 빠른 회복세, 최근 들어 다소 둔화 추이

○ 작년 하반기 이후 매우 빠른 회복세를 보여온 국내 경기는 최근 들어

회복속도가 다소 둔화되는 추이

○ 3분기 GDP를 보면 민간소비와 고정투자 등 민간내수의 회복기조는 이어

지고 있으나 정부소비와 재고, 수출 등이 둔화되면서 상반기(전기비 1.8%)

에 비해 성장률(전기비 0.7%)이 상당 폭 둔화

○ 산업생산과 더불어 주요 선행지표들이 둔화 추이를 보이고 있어 4

분기에도 성장세가 비교적 완만할 것으로 예상

□ 세계경제 : 불안요인 지속, 부양효과 소멸로 회복세 둔화 전망

○ 세계경제는 경기부양 효과의 소진 등으로 하반기 들어 회복세가 둔

화되는 추이이며, 2011년에도 불안요인의 미해소, 중국의 긴축 등으

로 전년에 비해 낮은 성장세를 보일 전망

- 유럽 재정불안, 미국경제 더블딥 가능성, 환율 및 무역을 둘러싼

분쟁 가능성 등 세계경제 불안요인이 내년중에도 이어질 전망

- 금융위기 이후 세계경제성장을 견인하여온 중국도 긴축 등으로

성장둔화가 예상되어 2011년 세계경제 성장률은 전년에 비해 상당

정도 둔화될 전망

Page 4: KIET 산업경제전망 보도자료(최종) FMR S 2T2U VWRPQ 231Ssd Zrsd t :q %89:GHS X o $ % | $^N_ a&DGHEfE

- iv -

□ 국제유가 및 환율 : 유가 제한적 상승, 원/달러 환율 완만한 하락 예상

○ 국제유가는 경기회복과 달러 약세로 상승 추세가 이어질 것이나 세계경제

회복세가 완만하고 재고물량의 부담 등이 있어 상승 폭은 완만할 전망

○ 환율은 달러 약세와 외국인 투자자금 유입, 경상수지 흑자 등으로

하락 기조가 이어질 전망

☐ 2011년 경제성장 : 상하반기 큰 차이 없이 연간 4%대 중반 성장

○ 침체 이후 반등효과의 소멸, 경기부양 효과 소진, 세계경제 회복세 둔화 등

의 영향으로 2011년 국내 경제성장은 금년에 비해 상당 정도 둔화가 불가피

○ 금년은 상반기 고성장의 영향으로 6%대 성장이 예상되고, 2011년은

성장세가 둔화되어 연간 4.3% 정도의 성장을 보일 전망

- 상하반기 비슷한 성장흐름이 예상되고, 부문별로는 민간소비는 전년과

비슷한 성장세를 이어가나 설비투자와 수출 증가세가 크게 낮아질 전망

○ 대외적으로는 유럽 재정불안을 비롯한 세계경제 불안요인 확산 가능성,

국내적으로는 가계부채 부담과 환율 하락속도 등이 주요 하방 위험요

인이며, 반면 경기회복에 따른 재고 반등은 금년에 이어 성장률을 높이

는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

○ 중기적으로는 선진국의 부채 재조정에 따른 저성장 기조와 금융위기

이후 파생된 불안요인이 상당기간 이어질 것으로 보여, 우리경제도

과거 추세에 비해 다소 낮은 성장을 지속할 전망

☐ 민간소비 : 소득, 고용 회복에 힘입어 4% 내외 증가

○ 민간소비는 작년 이후 꾸준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으며, 소득 회복과 고용

여건의 점진적인 개선으로 2011년에도 견실한 회복기조를 이어갈 전망

Page 5: KIET 산업경제전망 보도자료(최종) FMR S 2T2U VWRPQ 231Ssd Zrsd t :q %89:GHS X o $ % | $^N_ a&DGHEfE

- v -

○ 다만 주택경기 부진 및 금리 인상과 연계된 가계부채 부담 등으로 높

은 증가를 기대하기는 어렵다는 점에서 GDP 성장률보다 다소 낮은 연

간 4% 내외의 증가를 전망

☐ 설비투자 : 세계경기 불확실성, 성장세 둔화로 증가세 하락 전망

○ 설비투자는 전년 감소의 기저효과와 경기 회복, 수출 신장 등에 힘

입어 2010년 들어 두자릿수의 높은 증가세

○ 2011년에는 기저효과의 소멸, 성장세 둔화, 세계경제 불안요인의 미

해소 등으로 설비투자 증가세가 크게 둔화되어 연간 7% 정도의 증

가율을 기록할 전망

☐ 수출입 : 세계경제 성장세 둔화, 환율 하락으로 수출증가율 10%

내외로 낮아질 전망

○ 2010년 10월까지 수출은 전년 부진의 기저효과와 세계경제 회복에

힘입어 30%를 넘는 증가세를 기록

○ 2011년 수출은 기저효과의 소멸, 세계경제 성장세 둔화, 환율 하락

및 주요업종의 경쟁격화 등으로 증가율이 10% 내외로 둔화될 전망

○ 수입도 증가율은 금년에 비해 크게 둔화될 것이나, 내수 경기 회복,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 등으로 수출보다 높은 14% 내외의 증가를

보일 것으로 예상

○ 2011년 무역수지는 수입이 수출보다 빠르게 증가하면서, 흑자규모

가 금년보다 줄어든 290억 달러 내외를 기록할 전망

Page 6: KIET 산업경제전망 보도자료(최종) FMR S 2T2U VWRPQ 231Ssd Zrsd t :q %89:GHS X o $ % | $^N_ a&DGHEfE

- vi -

<표 Ⅰ-1> 주요 거시경제 지표 전망

(전년동기대비, %, 억달러)

2010년 2011년

상반기 하반기 연간 상반기 하반기 연간

실질GDP7.6

<1.8>

4.8

<0.7>6.2

4.1

<1.1>

4.5

<1.1>4.3

민간소비 5.0 3.7 4.3 3.8 4.1 3.9

건설투자 -0.7 -0.7 -0.7 0.2 0.4 0.3

설비투자 30.1 18.8 23.9 8.0 6.6 7.2

통관기준수출(억달러)

(%)

2,214 2,449 4,663 2,470 2,655 5,125

(34.3) (23.2) (28.3) (11.6) (8.4) (9.9)

통관기준수입(억달러)

(%)

2,040 2,203 4,243 2,336 2,498 4,834

(40.3) (24.0) (31.3) (14.5) (13.4) (13.9)

무역수지 174 246 420 134 158 291

경상수지 117 200 317 116 78 194

소비자물가 2.6 3.3 3.0 3.2 3.5 3.4

주 1) 수출입 ( )안은 전년동기비 증가율

2) < >안은 전기대비 분기증가율의 반기 평균

Page 7: KIET 산업경제전망 보도자료(최종) FMR S 2T2U VWRPQ 231Ssd Zrsd t :q %89:GHS X o $ % | $^N_ a&DGHEfE

- vii -

Ⅱ. 주요 산업 전망

□ 내수 : 제조업 내수둔화 예상되나 IT산업군이 내수성장 주도

○ 고용불안, 가계소득 부진, 건설경기 위축 등으로 인한 경기회복세

둔화와 소비심리 위축으로 제조업 내수는 둔화될 전망이며, 상대적

으로 높은 증가세의 IT산업군이 제조업 내수 성장을 주도할 전망

○ 기계산업군의 경우 일반기계 내수는 호조이나, 자동차와 조선은 부진

할 것으로 전망

○ 소재산업군은 건설경기 부진, 전방산업의 성장 둔화, 구매력 둔화

등으로 1~3%의 미약한 증가세를 보일 전망

<그림 Ⅱ-1> 2011년 주요 산업별 내수증가율 전망

(%)

7.7

-5.9

31.7

14.5

6.0

11.2

1.7

11.6

12.2

16.6

1.5

-4.2

10.9

1.2

3.4

2.1

1.6

8.1

12.6

17.4

자동차

조선

일반기계

철강

석유화학

섬유

가전

정보통신기기

디스플레이

반도체

2010 2011

주 : 자동차는 완성차, 조선은 건조량, 철강은 철강재, 석유화학은 3대 유도품, 섬유는

섬유사 기준이고 여타 업종은 금액 기준

Page 8: KIET 산업경제전망 보도자료(최종) FMR S 2T2U VWRPQ 231Ssd Zrsd t :q %89:GHS X o $ % | $^N_ a&DGHEfE

- viii -

□ 10대 주력산업 수출 : 8.7% 증가로 둔화

○ 수출은 우리나라 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바탕으로 중국과 개도국 등

의 신흥시장 수출 증가가 기대되는 가운데 원화 절상 기조와 글로벌 경기

둔화가 제약 요인으로 작용하여 8.7%로 증가세가 둔화될 전망

- 10대 산업의 수출 증가율은 2006년 13.9%, 2007년 14.9%, 2008년

9.2%를 기록했는바, 2009년과 10년의 특수상황을 제외하면 2011년

의 증가율은 예년 평균보다 소폭 낮은 양호한 수준

○ 신흥시장의 IT제품 수요 증대와 국내 기업의 경쟁력 제고에 힘입어

IT산업군이 10% 증가하면서 제조업 수출을 견인할 전망

○ 소재산업군은 신흥국 수요 증가, 수출단가 상승, 국산제품의 고부가

가치화 진전 등으로 9% 증가할 전망

○ 기계산업군은 자동차와 일반기계의 선전에도 불구하고 조선의 부진

으로 7.5%의 상대적으로 낮은 증가에 그칠 전망

<그림 Ⅱ-2> 2011년 산업별 수출증가율 전망

(%)

45.0

10.2

34.6

23.2

27.0

16.0

30.7

-7.5

30.7

65.5

10.1

1.1

13.0

9.9

9.2

6.7

4.7

5.7

15.4

10.4

자동차(11.5)

조선(9.8)

일반기계(7.0)

철강(6.1)

석유화학(7.4)

섬유(2.8)

가전(2.7)

정보통신기기(7.2)

디스플레이(7.4)

반도체(11.1)

2010 2011

주 : 달러표시 가격 기준, ( )은 총수출 대비 점유율

Page 9: KIET 산업경제전망 보도자료(최종) FMR S 2T2U VWRPQ 231Ssd Zrsd t :q %89:GHS X o $ % | $^N_ a&DGHEfE

- ix -

□ 생산 : 내수와 수출 둔화로 생산도 증가세 둔화

○ 내수 회복세 미약, 수출환경 악화, 해외생산 확대에 따른 국내 생산

기반 약화 등으로 대부분의 업종에서 생산이 둔화되며, 상대적으로

수출 호조인 IT산업군이 제조업 생산을 견인할 전망

- 20나노급 낸드플래시 공정전환과 30나노급 D램 확대로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는 반도체는 내수와 해외수요를 충족시키면서 10대 업

종 중 가장 높은 14.3% 증가할 전망

○ 업종별로 명암이 크게 엇갈리는 기계산업군은 일반기계와 자동차

생산은 증가하나 조선은 감소할 전망

○ 소재산업군은 설비 가동률 향상과 설비능력 확대 등으로 1~3%의

완만한 증가율을 보일 전망임.

<그림 Ⅱ-3> 2011년 산업별 생산증가율 전망

(%)

21.5

-7.4

36.8

12.4

1.0

6.3

8.8

-6.6

18.0

49.5

2.2

-4.5

11.2

2.3

2.8

1.1

0.6

4.8

10.0

14.3

자동차

조선

일반기계

철강

석유화학

섬유

가전

정보통신기기

디스플레이

반도체

2010 2011

주 : 자동차는 완성차, 조선은 건조량, 철강은 철강재, 석유화학은 3대 유도품, 섬유는

섬유사의 물량 기준이고 여타 업종은 금액 기준

Page 10: KIET 산업경제전망 보도자료(최종) FMR S 2T2U VWRPQ 231Ssd Zrsd t :q %89:GHS X o $ % | $^N_ a&DGHEfE

- x -

□ 10대 주력 산업 수입 : 소재․부품 수입증가로 6% 증가

○ 10대 주력 산업의 수입은 환율효과로 수입단가가 하락하는 부품 및

완제품 수입 증가, 수출용 설비도입 등으로 6.0% 증가할 전망

○ IT산업군은 국내 생산이 부족한 부품의 수입, IT신제품 수요 확대,

해외 생산 제품 및 부품의 역수입 증가, 외국 브랜드들의 국내시장

공략 강화 등으로 7.8% 증가할 전망

○ 수입차 증가와 외국산 설비 도입이 늘어나는 기계산업군은 7.9% 증가할 전망

○ 소재산업군은 업종별로 수입수요 편차가 큰 가운데, 수입규모가 큰

철강의 수입 감소로 2.6% 증가에 머물 전망

<그림 Ⅱ-4> 2011년 산업별 수입증가율 전망

(%)

44.2

-3.7

20.8

25.4

42.8

24.9

13.5

24.2

22.1

26.1

7.3

-8.3

11.0

-4.5

14.9

7.9

5.0

7.8

9.0

7.9

자동차

조선

일반기계

철강

석유화학

섬유

가전

정보통신기기

디스플레이

반도체

2010 2011

주 : 달러표시 가격 기준

Page 11: KIET 산업경제전망 보도자료(최종) FMR S 2T2U VWRPQ 231Ssd Zrsd t :q %89:GHS X o $ % | $^N_ a&DGHEfE

- xi -

□ 원화절상, 10대 주요산업 수출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듯

○ 해외생산 확대와 수출시장 다변화, 제품 차별화, 품질 및 브랜드력

강화, 중국과 대만, 일본 통화와의 동반 절상 등으로 원화 절상이

10대 주력산업 수출에 미치는 영향은 과거에 비해 약화되는 추세

- 자동차는 품질 및 브랜드 경쟁력 강화, 조선은 환헤지와 제품 차별화,

가전과 정보기기는 해외생산 확대

- 석유화학과 반도체는 환율보다 국제수급 영향이 더 크고, 디스플레이는

우월한 원가경쟁력 확보로 환율 영향이 매우 미미

○ 그러나, 환율 하락에 따른 원자재 및 부품·소재 수입단가 하락효과

가 수출가격 하락폭보다 크지 않을 경우 수출채산성이 악화되고 수

입부품소재의 국산대체 확대로 국산 부품소재의 매출 감소 전망

○ 특히 부품·소재의 경우 대내적으로는 저가 부품소재 수입증가로 인

한 단가인하 압력이 커지고, 부품의 국산화가 지연될 수 있으며, 대

외적으로는 가격 경쟁력 약화로 해외시장을 잠식당할 가능성

- 일반기계는 수입 의존적인 핵심부품의 조달원가 인하로 부품의 국산화

지연 가능성

- 독과점적 구조의 석유화학은 수출 채산성 악화와 수요업체의 납품단가

인하 압력 증대의 이중고

- 섬유는 수출 채산성 악화와 수입단가 인하로 인한 수입품의 국산제품

대체의 부정적 효과

Page 12: KIET 산업경제전망 보도자료(최종) FMR S 2T2U VWRPQ 231Ssd Zrsd t :q %89:GHS X o $ % | $^N_ a&DGHEfE

- xii -

<표 Ⅱ-1> 2011년 산업전망 기상도

내수 생산 수출 수입

자동차 ☼☼ ☼조선 ☁ ☁ ☂일반기계 ☼☼ ☼☼ ☼☼ ☼☼철강 ☼ ☁석유화학 ☼ ☼☼섬유 ☼ ☼가전 ☼정보통신기기 ☼ ☼ ☼디스플레이 ☼☼ ☼ ☼☼ ☼반도체 ☼☼ ☼☼ ☼☼ ☼

주 : 1) 전망 : 전년대비 증가율 기준, -10% 이하☂☂, -5%~-10 ☂, -5~0% ☁,

0~5% , 5~10% ☼, 10% 이상 ☼☼

2) 생산과 내수의 경우 자동차는 완성차, 조선은 건조량, 철강은 철강재, 석유

화학은 3대 유도품, 섬유는 섬유사의 물량 기준이고 여타 업종은 금액 기준

3) 수출과 수입은 모든 업종에서 달러화 가격 기준

□ 정책적 시사점

○ 부품·소재 기업 역량 제고로 경쟁력 기반 강화 필요

- 수입의존도가 높은 핵심부품·소재의 연구개발투자 우선 지원

․하이브리드차, 전기차 관련 부품·소재, NC장치 및 고속화·고정밀화 부품,

고강도·고기능성 강재, 초경량·친환경 금속제품 등

- 수요업체와 부품업체간 장기적 파트너십 확충 긴요

○ 신성장동력분야의 선제적 투자여건 조성과 산업생태계 구축차원의

발전전략 전환 필요

- 유망 신산업의 선제적 투자로 시장 창출 주도

- 그간의 성과와 성장잠재력이 큰 성장동력 중심으로 산업생태계

(eco-system) 구축을 통한 글로벌 역량 강화 중요

Page 13: KIET 산업경제전망 보도자료(최종) FMR S 2T2U VWRPQ 231Ssd Zrsd t :q %89:GHS X o $ % | $^N_ a&DGHEfE

- xiii -

○ 환경 친화 소비 분위기 조성 등 내수 진작책 필요

- 친환경 제품에 대한 적극적 홍보와 우대 세제 지원 등으로 친환경제품

시장 조기 창출 필요

- 글로벌 시장으로의 진출 기반 마련을 위해 국내의 실적 확보 지원

○ 중국 및 신흥시장 중심의 글로벌 시장 확대 긴요

- 중국내 유통물류시스템과의 연계전략 등을 통한 중국 내수시장에

대한 전략적 접근 모색

- 신흥지역과 경제협력협정 체결 지역에 대한 시장 공략 강화

Page 14: KIET 산업경제전망 보도자료(최종) FMR S 2T2U VWRPQ 231Ssd Zrsd t :q %89:GHS X o $ % | $^N_ a&DGHEfE

- xiv -

<표 Ⅱ-2> 2011년 주요 산업별 생산 전망

(%)

20092010 2011

상반기 하반기 상반기 하반기

자동차

(천대)

3,513 2,100 2,169 4,269 2,124 2,239 4,363

(-8.2) (37.3) (9.4) (21.5) (1.1) (3.2) (2.2)

조선

(만CGT)

1,447 650 690 1,340 610 670 1,280

(-0.3) (-9.3) (-5.4) (-7.4) (-6.2) (-2.9) (-4.5)

일반기계

(10억원)

62,791 37,947 47,965 85,912 42,084 53,481 95,565

(-11.5) (36.6) (37) (36.8) (10.9) (11.5) (11.2)

철강

(천톤)

56,919 32,709 31,247 63,956 31,962 33,456 65,418

(-11.5) (28.5) (-0.7) (12.4) (-2.3) (7.1) (2.3)

석유화학

(천톤)

20,995 10,673 10,532 21,205 10,908 10,892 21,800

(8.3) (1.3) (-0.4) (1.0) (2.2) (3.4) (2.8)

섬유

(천톤)

1,818 959 974 1,933 978 976 1,954

(-2.8) (8.6) (4.2) (6.3) (2.0) (0.2) (1.1)

가전

(10억원)

29,257 15,570 16,250 31,820 15,740 16,260 32,000

(-8.8) (10.9) (6.8) (8.8) (1.1) (0.1) (0.6)

정보통신기기

(10억원)

75,123 33,685 36,463 70,148 35,619 37,870 3,489

(-6.7) (-9.2) (-4.1) (-6.6) (5.7) (3.9) (4.8)

디스플레이

(10억원)

37,598 21,096 23,259 44,355 22,495 26,308 48,803

(3.3) (24.6) (12.5) (18.0) (6.6) (13.1) (10.0)

반도체

(10억원)

40,826 29,165 31,865 61,030 32,520 37,240 69,760

(19.1) (76.8) (31.0) (49.5) (11.5) (16.9) (14.3)

주 : 1) ( )은 전년 동기비 증가율2) 자동차는 완성차, 조선은 건조량, 철강은 철강재, 석유화학은 3대 유도품, 섬

유는 섬유사 기준으로 실질기준이고, 나머지는 명목기준

Page 15: KIET 산업경제전망 보도자료(최종) FMR S 2T2U VWRPQ 231Ssd Zrsd t :q %89:GHS X o $ % | $^N_ a&DGHEfE

- xv -

<표 Ⅱ-3> 2011년 주요 산업별 내수 전망

(%)

20092010 2011

상반기 하반기 상반기 하반기

자동차

(천대)

1,463 761 815 1,576 774 825 1,599

(18.5) (16.6) (0.6) (7.7) (1.7) (1.2) (1.5)

조선

(만CGT)

101 50 45 95 48 43 91

(4.1) (-5.7) (-5.8) (-5.9) (-4.0) (-4.4) (-4.2)

일반기계

(10억원)

60,340 34,899 44,596 79,495 38,535 49,655 88,190

(-6.2) (31.7) (31.7) (31.7) (10.4) (11.3) (10.9)

철강

(천톤)

45,411 27,028 24,950 51,978 25,816 26,797 52,613

(-22.4) (35.0) (-1.7) (14.5) (-4.5) (7.4) (1.2)

석유화학

(천톤)

9,655 5,055 5,179 10,234 5,181 5,401 10,582

(4.1) (8.2) (3.9) (6.0) (2.5) (4.3) (3.4)

섬유

(천톤)

1,434 803 791 1,594 817 811 1,628

(-2.2) (18.1) (4.9) (11.2) (1.7) (2.5) (2.1)

가전

(10억원)

21,421 10,653 11,132 21,785 10,725 11,414 22,139

(-8.1) (4.0) (-0.4) (1.7) (0.7) (2.5) (1.6)

정보통신기기

(10억원)

42,955 23,120 24,818 47,938 24,911 26,890 51,801

(-7.8) (15.4) (8.3) (11.6) (7.7) (8.3) (8.1)

디스플레이

(10억원)

10,174 5,745 5,672 11,417 6,255 6,600 12,855

(-48.4) (18.7) (6.4) (12.2) (8.9) (16.4) (12.6)

반도체

(10억원)

34,799 18,840 21,732 40,572 21,220 26,410 47,630

(3.7) (12.8) (20.1) (16.6) (12.6) (21.5) (17.4)

주 : 1) ( )은 전년 동기비 증가율

2) 자동차는 완성차, 조선은 건조량, 철강은 철강재, 석유화학은 3대 유도품, 섬

유는 섬유사 기준으로 실질기준이고, 나머지는 명목기준

Page 16: KIET 산업경제전망 보도자료(최종) FMR S 2T2U VWRPQ 231Ssd Zrsd t :q %89:GHS X o $ % | $^N_ a&DGHEfE

- xvi -

<표 Ⅱ-4> 2011년 주요 산업별 수출 전망

(백만 달러, %)

20092010 2011

상반기 하반기 상반기 하반기

자동차 37,122 25,636 28,199 53,835 28,934 30,314 59,248

(-24.2) (66.7) (29.7) (45.0) (12.9) (7.5) (10.1)

조선 45,128 24,565 25,160 49,725 25,007 25,286 50,293

(4.6) (1.8) (19.8) (10.2) (1.8) (0.5) (1.1)

일반기계 23,580 14,834 16,910 31,744 16,931 18,939 35,870

(-20.0) (37.1) (32.5) (34.6) (14.1) (12.0) (13.0)

철강 23,030 13,047 15,319 28,366 15,324 15,852 31,176

(-22.9) (14.8) (31.3) (23.2) (17.5) (3.5) (9.9)

석유화학 27,466 17,625 17,255 34,880 18,946 19,149 38,095

(-14.5) (44.4) (13.1) (27.0) (7.5) (11.0) (9.2)

섬유 11,634 6,581 6,914 13,495 6,885 7,512 14,397

(-12.6) (20.8) (11.8) (16.0) (4.6) (8.6) (6.7)

가전 10,057 6,436 6,710 13,146 6,850 6,920 13,770

(-22.0) (38.6) (24.0) (30.7) (6.4) (3.1) (4.7)

정보통신기기 37,828 16,492 18,491 34,983 17,793 19,187 36,980

(-17.3) (-10.7) (-4.5) (-7.5) (7.9) (3.8) (5.7)

디스플레이 25,123 15,252 17,585 32,837 16,925 20,960 37,885

(36.6) (45.8) (19.9) (30.7) (11.0) (19.2) (15.4)

반도체 31,042 23,634 27,736 51,370 26,110 30,620 56,730

(-5.3) (99.0) (44.7) (65.5) (10.5) (10.4) (10.4)

10대 산업

합계

272,010 164,102 180,279 344,381 179,705 194,739 374,444

(-11.3) (31.5) (22.5) (26.6) (9.5) (8.0) (8.7)

주 : 1) ( )은 전년 동기비 증가율

2) 수치는 통관 기준

Page 17: KIET 산업경제전망 보도자료(최종) FMR S 2T2U VWRPQ 231Ssd Zrsd t :q %89:GHS X o $ % | $^N_ a&DGHEfE

- xvii -

<표 Ⅱ-5> 2011년 주요 산업별 수입 전망

(백만 달러, %)

20092010 2011

상반기 하반기 상반기 하반기

자동차5,868 3,995 4,468 8,463 4,276 4,801 9,077

(-23.2) (69.0) (27.5) (44.2) (7.0) (7.5) (7.3)

조선4,872 2,270 2,420 4,690 2,050 2,250 4,300

(-8.5) (-4) (-3.5) (-3.7) (-9.7) (-7.0) (-8.3)

일반기계21,659 12,183 13,981 26,164 13,645 15,397 29,042

(-7.7) (24.2) (18.0) (20.8) (12.0) (10.1) (11.0)

철강23,978 15,389 14,685 30,074 14,784 13,924 28,708

(-42.1) (39.9) (13.1) (25.4) (-3.9) (-5.2) (-4.5)

석유화학9,534 6,567 7,050 13,617 7,322 8,319 15,641

(-22.6) (68.5) (25.1) (42.8) (11.5) (18.0) (14.9)

섬유7,407 4,365 4,883 9,248 4,841 5,134 9,975

(-15.8) (38.0) (15.0) (24.9) (10.9) (5.1) (7.9)

가전3,892 2,177 2,240 4,417 2,270 2,370 4,640

(-19.7) (18.8) (8.8) (13.5) (4.3) (5.8) (5.0)

정보통신기기 12,618 7,337 8,333 15,670 8,014 8,884 16,898

(-15.9) (25.8) (22.8) (24.2) (9.2) (6.6) (7.8)

디스플레이3,418 1,950 2,225 4,175 2,094 2,455 4,549

(4.5) (28.6) (17.0) (22.1) (7.4) (10.3) (9.0)

반도체26,620 14,656 18,924 33,580 15,650 20,590 36,240

(-16.9) (21.9) (29.6) (26.1) (6.8) (8.8) (7.9)

10대 산업

합계

119,866 70,889 79,209 150,098 74,946 84,124 159,070

(-22.2) (31.8) (19.9) (25.2) (5.7) (6.2) (6.0)

주 : 1) ( )은 전년 동기비 증가율

2) 수치는 통관 기준

Page 18: KIET 산업경제전망 보도자료(최종) FMR S 2T2U VWRPQ 231Ssd Zrsd t :q %89:GHS X o $ % | $^N_ a&DGHEfE

- 1 -

I. 거시경제 전망

1. 국내 경기상황 판단

□ 빠른 회복세 최근 들어 다소 둔화 추이

○ 국내경기는 작년 하반기 이후 세계 금융위기의 경기침체로부터 매우

빠른 회복세를 시현

- 2010년 1~3분기 GDP는 전년동기비 6.5% 전기비 1.4%의 높은 성장세

- 다만 전년 침체의 기저효과, 최근 성장에서 재고 변동의 높은 기여, 가

계 및 임금소득 회복세의 상대적 부진 등에 따라 지표경기 성장세에 비

해 체감경기는 상대적으로 부진

○ 금년 하반기 들어 회복속도가 다소 감속되는 추이

- 3분기 GDP는 상반기에 비해 성장세가 둔화

*전기비 GDP 성장률 [‘10년 상반기] 1.8% → [’10년 3/4] 0.7%

<그림Ⅰ-1> GDP 성장률 추이

자료: 한국은행.

Page 19: KIET 산업경제전망 보도자료(최종) FMR S 2T2U VWRPQ 231Ssd Zrsd t :q %89:GHS X o $ % | $^N_ a&DGHEfE

- 2 -

○ 다만 3분기 성장세 둔화는 정부소비(전기비 -0.6%)와 재고투자 감소

(GDP성장기여도 -0.6%p)에 따른 것으로, 이를 제외한 민간내수(민

간소비와 고정투자)의 성장세는 상반기에 못지 않아, 기본적인 내수

회복기조는 이어지고 있는 상황

*민간소비 증가율(전기비) [‘10년 상반기] 0.8% → [3/4] 1.3%

*설비투자 증가율(전기비) [‘10년 상반기] 5.8% → [3/4] 6.3%

*건설투자 증가율(전기비) [‘10년 상반기] -1.2 → [3/4] 1.5%

- 외수 부문의 경우 순수출의 성장기여도(3분기 -0.2%p)는 상반기와

같은 수준이나 재화 수출증가율은 상반기 5.3%(전기비)에서 3분기

1.9%로 둔화

○ 산업생산과 경기지수도 전반적으로 둔화 추이

- 전기비 산업생산 및 서비스생산 증가율이나 경기동행지수, 제조업

가동률 등은 8월 이후 하락 추이

*광공업생산(%) [’10년 2/4] 5.0 → [7월] 1.1 → [8월] -1.3 → [9월] -0.4

*서비스생산(%) [’10년 2/4] 0.6 → [7월] -1.3 → [8월] -0.1 → [9월] -0.4

*동행지수 순환변동치

[’10년 6월] 101.7 → [7월] 102.2 → [8월] 102.1 → [9월] 101.3

- 제조업 재고/출하 순환도도 상승세 둔화를 반영

○ 전체적으로 볼 때 경기부양 효과의 소진과 침체 직후의 반등효과 소멸,

세계경기의 회복세 둔화 등이 최근 국내경기의 회복속도 둔화를 가

져오고 있는 것으로 추정

Page 20: KIET 산업경제전망 보도자료(최종) FMR S 2T2U VWRPQ 231Ssd Zrsd t :q %89:GHS X o $ % | $^N_ a&DGHEfE

- 3 -

<그림Ⅰ-2> 제조업 생산지수와 서비스업 생산지수 증가율 추이

자료: 통계청.

<그림Ⅰ-3> 경기종합지수 추이

자료: 통계청.

Page 21: KIET 산업경제전망 보도자료(최종) FMR S 2T2U VWRPQ 231Ssd Zrsd t :q %89:GHS X o $ % | $^N_ a&DGHEfE

- 4 -

<그림Ⅰ-4> 제조업 재고-출하순환 <그림Ⅰ-5> 제조업ICT 재고-출하순환

(07.1Q~10.3Q) (06.1Q~10.3Q)

자료: 통계청. 자료: 통계청.

○ 전체적인 경기 흐름이나 BSI 등 심리지표, 여타 선행지표의 추이를

볼 때 4분기에도 상반기에 비해 다소 낮은 증가세가 이어질 전망

- 경기선행지수, 여타 선행지표, 제조업 재고/출하 순환도 등의 추이를

볼 때 회복세 둔화 추이는 당분간 지속될 전망

*선행지수 전년동월비(%) [’10년 7월] 6.8 → [8월] 5.9 → [9월] 4.9

*기계수주(전기비) [2/4] 24.2% → [3/4] -0.8%

*건설수주(전기비) [2/4] -6.6% → [3/4] -5.0%

Page 22: KIET 산업경제전망 보도자료(최종) FMR S 2T2U VWRPQ 231Ssd Zrsd t :q %89:GHS X o $ % | $^N_ a&DGHEfE

- 5 -

2. 대외여건 전망

(1) 세계 경기

□ 세계경제 회복세, 2010년에 비해 둔화 전망

○ 지난해 하반기 이후 세계경제가 플러스 성장률을 회복하면서 예상

보다 빠른 회복세를 보여왔으나, 최근 들어서는 주요국들을 중심으

로 경제성장률이 둔화되는 추이

- 급락 이후의 반등 효과나 정책당국의 경기부양 효과 등이 소멸되면서

주요국 경제의 회복속도가 점차적으로 둔화

- 유럽 재정위기 부각, 미국경제의 더블딥 가능성 논쟁 등 최근 들어

세계경제의 불안정성이 재연

- OECD 산업생산지수나 선행지수도 최근 들어 하락세가 뚜렷

<그림Ⅰ-6> OECD 산업생산지수 및 경기선행지수의

변화율 추이(월별)

-15

-12

-9

-6

-3

0

3

6

9

12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8

-15

-12

-9

-6

-3

0

3

6

9

12

15

OECD 산업생산지수(우) OECD 경기선행지수(좌)

(%, 전년동월비) (%, 전년동월비)

자료: OECD.

Page 23: KIET 산업경제전망 보도자료(최종) FMR S 2T2U VWRPQ 231Ssd Zrsd t :q %89:GHS X o $ % | $^N_ a&DGHEfE

- 6 -

<표Ⅰ-2> OECD 및 주요국 경기선행지수(CLI)

경기선행지수(100=장기 평균치)

전월비 변화(points)

전년비(points) 성장순환

전망**2010 2010 2010

8월4월 5월 6월 7월 8월 4월 5월 6월 7월 8월

OECD Area 103.0 103.1 103.0 103.0 102.9 0.2 0.0 0.0 -0.1 -0.1 5.6 possible peak

Euro Area 103.8 103.8 103.8 103.8 103.7 0.2 0.1 0.0 0.0 0.0 5.1 possible peak

Major Five Asia* 102.5 102.3 102.0 101.8 101.6 -0.2 -0.2 -0.2 -0.2 -0.2 1.2 downturn

Major Seven 103.2 103.2 103.1 103.0 103.0 0.2 0.0 -0.1 -0.1 -0.1 6.1 possible peak

Canada 103.8 103.6 103.2 102.8 102.3 0.0 -0.2 -0.4 -0.4 -0.5 4.5 downturn

France 103.5 103.1 102.7 102.4 102.3 -0.4 -0.5 -0.4 -0.3 -0.1 1.0 downturn

Japan 102.3 102.5 102.8 103.0 103.3 0.3 0.2 0.2 0.2 0.3 8.2 expansion

Germany 104.9 105.5 105.8 105.9 106.0 0.8 0.6 0.3 0.1 0.0 10.0 expansion

Italy 103.9 103.6 103.4 103.2 103.0 -0.2 -0.3 -0.2 -0.2 -0.2 1.6 downturn

United Kingdom 103.8 103.5 103.2 102.9 102.7 -0.1 -0.3 -0.3 -0.3 -0.2 3.1 downturn

United States 102.7 102.7 102.6 102.4 102.3 0.3 0.1 -0.1 -0.2 -0.1 6.6 possible peak

Brazil 100.6 100.4 100.0 99.6 99.3 0.0 -0.2 -0.4 -0.4 -0.3 2.9 slowdown

China 103.2 102.7 102.2 101.7 101.3 -0.4 -0.5 -0.5 -0.5 -0.4 -1.4 downturn

India 101.2 100.9 100.7 100.6 100.4 -0.2 -0.2 -0.2 -0.2 -0.2 0.2 downturn

Russia 102.1 102.7 103.3 103.8 104.3 0.7 0.6 0.5 0.5 0.5 9.0 expansion

자료 : OECD주 : * 한국, 중국, 일본, 인도, 인도네시아

** 지수가 100 이상에서 상승(또는 하락)하면 expansion(또는 downturn),반대로 100 미만에서 상승(또는 하락)하면 recovery(또는 slowdown)를 의미

○ 금융시장의 안정과 신흥국의 고성장 등으로 인해 세계경기의 재침

체 가능성은 낮아 보이지만, 유럽 재정위기의 불확실성과 전세계적

인 실업 및 가계부채 문제, 추가적인 정책 효과의 한계 등 불안요인이 상존

○ 세계경제 성장률은 지난해 마이너스(-0.6%)로 급락한 데 따른 반등

효과 등으로 올해 4%대 후반을 기록할 전망이나, 2011년에는 미국

과 중국을 비롯하여 대다수 국가들의 성장률이 하락하면서 4% 내

외로 낮아질 것으로 전망

- 세계경기 향방의 주요 관건은 금융위기 직후에 각국이 대규모로 시

행한 경기부양책의 효과가 점차 소진되고 있는 상황에서 대내적으

로 실업 문제와 가계부채 문제, 정부부채 급증 문제 등이 어떻게

전개되는가에 달려 있음.

Page 24: KIET 산업경제전망 보도자료(최종) FMR S 2T2U VWRPQ 231Ssd Zrsd t :q %89:GHS X o $ % | $^N_ a&DGHEfE

- 7 -

<표Ⅰ-3> 주요국의 성장률 추이와 전망

(%, 전년동기비)

2009년2010년 2011년

(전망)1/4분기 2/4분기 3/4분기 연간(전망)

세계경제 -0.6 - - - 4.8 4.2

OECD -3.2 2.4 3.0 - 2.7 2.2

미국 -2.6 2.4 3.0 - 2.6 2.3

일본 -5.2 4.7 2.4 - 2.8 1.5

유로 -4.1 0.8 1.9 - 1.7 1.5

중국 9.1 11.9 10.3 9.6 10.5 9.6

세계교역 -11.0 - - - 11.4 7.0

자료 : IMF; 미 상무부; 일본 내각부; 유로 통계청; 중국 국가정보센터.

○ 세계교역은 세계 실물경기 성장세의 둔화 영향과 더불어 글로벌 임

밸런스 해소 문제를 둘러싼 환율 갈등 및 보호무역주의 확산 가능

성으로 인해 연간 신장률이 2010년 11%대에서 2011년에는 7% 수준

으로 하락할 전망

<그림Ⅰ-7> 세계경제 성장률과 세계교역 신장률 추이

-15

-10

-5

0

5

10

15

70 72 74 76 78 80 82 84 86 88 90 92 94 96 98 00 02 04 06 08 10

세계경제 성장률 세계교역 신장률

(%)

자료 : IMF.

Page 25: KIET 산업경제전망 보도자료(최종) FMR S 2T2U VWRPQ 231Ssd Zrsd t :q %89:GHS X o $ % | $^N_ a&DGHEfE

- 8 -

(2) 국제 유가

□ 완만한 상승기조 전망

○ 지난해 연중 지속적인 상승 흐름을 보인 국제 유가는 올 들어서 실

물경기의 회복에도 불구하고 추가적인 상승세가 이어지지 못하고,

배럴당 65~85달러의 범위에서 제한적인 움직임

- 금융위기를 전후로 국제 유가가 급등세와 급락세를 보인 것을 제외

하면, 국제 유가는 금융위기 이전의 배럴당 50~80달러에서 약간 상

향 이동한 범위에서 변동하는 움직임

- 올 상반기 실물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면서 국제 유가는

한때 배럴당 최고 87달러 수준까지 상승하였으나, 유럽 재정위기

우려감으로 최저 68달러까지 떨어졌고, 이후 보합세를 보임.

<표Ⅰ-4> 국제 유가 추이

(달러/배럴, 기간 평균, %)

구 분 2008년2009년 2010년

상반기 하반기 연평균 상반기 하반기 연평균

WTI 99.8 51.2 72.161.9

(-38.0)

78.2

(52.7)

76.0

(5.4)

77.9

(25.8)

Brent 97.4 51.7 71.561.7

(-36.7)

77.4

(49.7)

76.9

(7.6)

77.8

(26.1)

Dubai 93.7 51.6 71.861.8

(-34.0)

77.0

(49.2)

74.1

(3.2)

76.4

(23.6)

자료 : 한국석유공사.주 : 2010년 하반기와 연평균은 2010년 10월말 현재까지의 기준

○ 국제 원유가는 올해 연평균 약 20%대의 상승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며, 세계경기가 재침체로 빠지지 않는 한 2011년에는 올해보

다 약간 높은 변동 범위에서 상승률은 다소 낮아질 것으로 전망

- 미 달러화의 약세와 OPEC 산유국들의 유가 하락 억제 등이 유가

의 상승 요인으로 작용하겠으나, 세계경제 성장세의 둔화와 원유

재고량의 높은 수준 등이 유가의 추가 상승세를 제한할 전망

Page 26: KIET 산업경제전망 보도자료(최종) FMR S 2T2U VWRPQ 231Ssd Zrsd t :q %89:GHS X o $ % | $^N_ a&DGHEfE

- 9 -

○ 2011년 국제유가는 금년보다 상승폭이 작은 9% 내외 상승하여 연

평균 80달러대 중반(두바이 유 기준)을 보일 것으로 전망

<그림Ⅰ-8> 국제 유가 추이

20

30

40

50

60

70

80

90

100

110

120

130

140

150

2003

.1

2003

.7

2004

.1

2004

.7

2005

.1

2005

.7

2006

.1

2006

.7

2007

.1

2007

.7

2008

.1

2008

.7

2009

.1

2009

.7

2010

.1

2010

.7

WTI유 Dubai유 Brent유

(U$/bbl)

자료: 한국석유공사.

<표Ⅰ-5> 2010년 및 2011년 국제 유가 전망

(달러/배럴, %)

유종 WTI Brent Dubai 3대평균

전망기관 EIA PIRA CERA1) PIRA CERA1) CGES2) CERA1) IMF

전망시점 10.13 9.28 10.22 9.28 10.22 10.25 10.22 10.6

2010년 78.0 78.6 79.1 78.9 78.5 78.3 77.3 76.2

2011년

(상승률)

83.0

(6.4)

88.6

(12.7)

87.2

(10.2)

87.6

(11.0)

85.8

(9.3)

83.6

(6.8)

84.2

(8.9)

78.8

(3.3)

자료 : EIA; PIRA; CERA; CGES; IMF.

주 : 1) 시나리오별 전망치의 수정값

2) 기준유가 시나리오 전망

Page 27: KIET 산업경제전망 보도자료(최종) FMR S 2T2U VWRPQ 231Ssd Zrsd t :q %89:GHS X o $ % | $^N_ a&DGHEfE

- 10 -

(3) 환율

○ 올해 원/달러 환율은 1,154.8원으로 시작해 연초 1,100원대까지 하

락하였으나, 유럽發 재정위기와 천안함 사태 등을 겪으면서 1,250원

대까지 상승한 후 다시 하락 추이가 이어져 10.22일 현재 1,122.3원

을 기록

* 1,154.8원 (연초 1.4일) → 1,123.0원 (10.22일), 2.7% 하락

* 1,104.1원 (연저점 4.26일) → 1,123.0원 (10.22일), 1.7% 상승

* 1,253.3원 (연고점 5.26일) → 1,123.0원 (10.22일), 10.3% 하락

<그림Ⅰ-9> 2010년 원/달러 환율 추이

1,050

1,100

1,150

1,200

1,250

1,300

2010-01-04

2010-02-04

2010-03-07

2010-04-07

2010-05-08

2010-06-08

2010-07-09

2010-08-09

2010-09-09

2010-10-10

1253.3원 (5.26일, 연고점, 천안함 사태 직후)

1123.0원 (10.22일)

1154.8원 (1.4일)

1104.1원 (4.26일, 연저점)

○ 향후 원/달러 환율은 美FRB의 추가적인 통화완화 정책 예상과 수

출 확대를 위한 미국 정부의 弱달러 정책 지속, 우리나라의 경상수

지 흑자 지속 등으로 완만한 하락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

- 원화 환율 하락 속도에는 미국의 금융정책 등과 더불어 위안화 추

이 등도 변수가 될 전망

- G20 이후 제한적인 자본유입 규제 허용으로 정부의 자본유출입 규

제 가능성이 높아짐에 따라 환율의 급격한 하락 가능성은 낮을 전망

Page 28: KIET 산업경제전망 보도자료(최종) FMR S 2T2U VWRPQ 231Ssd Zrsd t :q %89:GHS X o $ % | $^N_ a&DGHEfE

- 11 -

○ 2010년 원/달러 환율은 상반기 1,154원, 하반기 1,145원을 기록하여

연평균 1,150원 내외(전년비 9.9% 하락)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

○ 2011년 원/달러 환율은 ’10년 대비 약 6.0% 하락하여 연평균 1080

원 내외 예상

<표Ⅰ-6> 원/달러 환율 전망치

(원)

원/달러

환율

2009년 2010년 2011년

연간 상반기 하반기 연간 상반기 하반기 연간

1276 1154 1145 1150 1095 1065 1080

○ 엔/달러 환율은 5월 이후 급격한 하락세를 보이며 심리적 마지노선

인 85엔이 붕괴되는등 지속적인 엔화 강세 추이

○ 엔화강세의 원인은 금융위기 이후 엔화의 안전자산으로서의 메리트

부각, 중국의 다변화전략에 따른 엔화 수요 확대, 일본 외환시장의

개인거래 규제 강화에 따른 엔화 수요 확대, 환율 안정을 위한 국

제공조 및 일본 정부 단독 개입의 어려움 등에 기인

- 중국의 미국 국채 보유 비중 축소/일본 국채 비중 확대로 엔화 수

요 확대

- 일본은 개인 투자자의 증거금 대비 거래대금을 기존 100배에서 50

배로 축소

: 최근까지 일본 외환시장에서 개인투자자들은 ‘해외통화 매수, 엔

화 매도’가 다수→ 증거금 대비 거래대금 축소로 엔화 매도 포

지션을 축소하는 숏커버리지 발생→엔화 수요가 단기간에 급증

- 엔화가치 안정을 위해 일본 정부와 협조할 국가가 부재한 가운데,

일본 정부의 단독 개입은 역부족

Page 29: KIET 산업경제전망 보도자료(최종) FMR S 2T2U VWRPQ 231Ssd Zrsd t :q %89:GHS X o $ % | $^N_ a&DGHEfE

- 12 -

○ 엔화는 올해 연말까지 달러당 80엔대 초반에서 조정국면이 전개될

것으로 예상되나, 일본경제의 취약한 펀더멘털과 높은 국가부채 수

준을 감안할 때 연말 이후 완만한 상승세로 전환될 전망

○ 원/엔 환율의 경우는 2010년 연평균 1,315원 내외를 기록하고, 2011

년에는 2010년 대비 약 7% 정도 하락하여 연평균 1220원 내외를

보일 것으로 예상

○ 한편 위안화 환율은 중국의 인플레이션 우려와 위안화에 대한 투기

심리 억제 의지, 글로벌 불균형 해소를 위한 국제공조 등으로 절상

기조를 보일 것이나, G20 회의에서 중국이 환율정책의 자주성 방어

에 성공하고 이번 환율 합의가 구속력이 약해 절상속도는 완만할

전망

Page 30: KIET 산업경제전망 보도자료(최종) FMR S 2T2U VWRPQ 231Ssd Zrsd t :q %89:GHS X o $ % | $^N_ a&DGHEfE

- 13 -

3. 2011년 국내경제 전망

(1) 경제성장

☐ 세계경제 회복세 둔화, 경기부양 효과 소진 등으로 성장 둔화 전망

○ 세계경제의 회복세가 금년 하반기 이후 둔화되는 추이이고, 국내적

으로도 경기부양 효과의 감소, 침체 이후 반등효과의 소멸 등으로

내년 성장률은 금년에 비해 상당폭 둔화될 전망

- 다만 금년 성장률이 기저효과 둥으로 이례적으로 높았던데 비해 둔

화 폭이 커보이는 것으로, 기본적인 회복기조는 유지되면서 2000년

이후의 장기성장추세에 근접한 정도의 성장흐름을 이어갈 전망

☐ 금년 성장률은 6%대, 2011년은 연간 4.3% 성장 전망

○ 금년 성장률은 하반기에 다소 둔화되나 상반기의 높은 성장률(전년

동기비 7.6%)에 힘입어 6%대 성장을 보일 전망

- 금년 1~3분기 성장률은 6.5%(전년동기비)로, 본전망에서는 4분기에

도 3분기와 비슷한 성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아 연간전체로 6.2%

정도의 성장을 보일 것으로 예상

○ 2011년에는 세계경제가 4% 내외의 성장기조를 이어가고, 유가와 환

율이 상기 전망 전제에 따를 경우, 국내경제는 4%대 초중반의 성장

을 보일 것으로 전망

- 침체후 반등효과나 경기부양 효과의 소멸로 내수 성장세가 둔화

․민간소비는 꾸준한 증가세가 이어지나 가계부채 부담 등으로 높

은 증가를 기대하기는 어렵고, 설비투자는 증가율이 크게 둔화될

것으로 보이며 건설투자는 부진이 이어질 전망

Page 31: KIET 산업경제전망 보도자료(최종) FMR S 2T2U VWRPQ 231Ssd Zrsd t :q %89:GHS X o $ % | $^N_ a&DGHEfE

- 14 -

- 세계경기 회복세 둔화, 중국의 긴축, 환율 하락, 세계 반도체 경기

둔화 등으로 외수 부문의 성장기여 역시 2010년에 비해 하락 예상

○ 전기비 성장률 1% 정도의 성장세가 이어지면서 상하반기 비슷한

성장 흐름을 보일 전망

- 전기비 분기 평균으로 1.0~1.1% 정도의 성장이 예상되며, 이는

2000년 이후 우리경제의 추세성장률에 근접한 수준

□ 대외적으로는 세계경제 회복세 불안, 국내적으로는 가계부채 문

제, 환율 하락 속도 등이 주요 하방위험 요인

○ 유럽 재정위기 재연 가능성, 미국 경제 더블딥 가능성, 환율 및 무

역분쟁의 확산 가능성 등 대외부문의 불안요인이 금년에 이어 내년

에도 여전히 가장 큰 하방위험요인으로 작용할 전망

- 아울러 금융위기 이후 우리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크게 확대된 중국

경제의 성장둔화 폭도 주요 변수

․금융위기 이후 대중 수출 증가가 경기회복에 주도적 역할을 하는

등 중국경제가 국내경기에 미치는 영향이 크게 확대

․최근 인플레 압력이 높아지고 중국정부가 긴축을 강화함에 따라

중국경제의 내년 성장률은 상당 정도의 둔화가 예상되는 상황

- 여기서는 상기 세계경제 불안요인이 내년중에도 지속되면서 국내

투자 등의 제약요인으로 작용하나 세계경제의 회복기조에 큰 영향

을 미칠 정도의 돌발적 상황 변화는 없는 경우를 전제로 하여 전망

Page 32: KIET 산업경제전망 보도자료(최종) FMR S 2T2U VWRPQ 231Ssd Zrsd t :q %89:GHS X o $ % | $^N_ a&DGHEfE

- 15 -

○ 한편 국내적으로는 높은 수준에 머물고 있는 가계부채 문제와 완화

절상 속도 등이 주요 변수

- 높은 가계부채/가처분소득 비율은 출구전략에 따른 금리 인상이나

주택경기 부진과 맞물려 가계부담이 악화될 경우 소비 및 전체경기

회복에 걸림돌로 작용할 가능성

- 국제적인 환율 분쟁의 확산이나 미 달러 약세의 급진전 등의 경우

원화 환율이 상기 전망 전제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하락할 가능성

도 있으며 이 경우 수출에 대한 타격이 불가피

□ 재고투자, 전년보다 기여도는 작지만 성장률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

○ 재고투자는 금년 1~3분기 GDP성장에 대한 기여율(전년동기비 기준)

이 40%를 상회하는등 최근 성장률을 크게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

* 재고 변동의 GDP 성장기여도 (전년동기비, ( )안은 GDP 성장률)

[‘10년 1분기] 2.2%p (8.1%) ⟶ [2분기] 4.5%p (7.2%) ⟶ [3분기] 1.8%p (4.5%)

○ 금융위기 직후의 재고 감축 수준을 고려할 때 재고재축적은 아직도

완료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는 점에서, 2011년에도 재고투자는 여

전히 성장률을 높일 수 있는 요인(upside risk)으로 작용할 가능성

□ 중기적으로는 위기 이전보다 다소 낮은 성장 이어질 전망

○ 선진국을 중심으로 부채 재조정에 따른 저성장 국면이 당분간 이어

질 것으로 보이고, 세계경제의 불안요인도 완전해소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이란 점에서, 중기적으로는 우리의 수출이나 GDP

성장세도 금융위기 이전에 비해 낮은 수준을 유지할 전망

Page 33: KIET 산업경제전망 보도자료(최종) FMR S 2T2U VWRPQ 231Ssd Zrsd t :q %89:GHS X o $ % | $^N_ a&DGHEfE

- 16 -

<표Ⅰ-7> 주요 거시경제지표 전망

(전년동기대비, %, 억 달러)

2010년 2011년

상반기 하반기 연간 상반기 하반기 연간

실질GDP7.6

<1.8>

4.8

<0.7>6.2

4.1

<1.1>

4.5

<1.1>4.3

민간소비 5.0 3.7 4.3 3.8 4.1 3.9

건설투자 -0.7 -0.7 -0.7 0.2 0.4 0.3

설비투자 30.1 18.8 23.9 8.0 6.6 7.2

통관기준수출(억달러)

(%)

2,214 2,449 4,663 2,470 2,655 5,125

(34.3) (23.2) (28.3) (11.6) (8.4) (9.9)

통관기준수입(억달러)

(%)

2,040 2,203 4,243 2,336 2,498 4,834

(40.3) (24.0) (31.3) (14.5) (13.4) (13.9)

무역수지 174 246 420 134 158 291

경상수지 117 200 317 116 78 194

소비자물가 2.6 3.3 3.0 3.2 3.5 3.4

주 : < >안은 전기대비증가율의 반기 평균임.

(2) 부문별 전망

☐ 민간소비

○ 민간소비는 작년 이후 회복기조로 돌아서 금년 3분기까지 꾸준히

회복세가 이어지는 추이

- 2010년 상반기 민간소비는 전년동기비 5%(전기비 0.8%)의 높은 증

가세를 보였고 3분기에 전년동기비 증가율은 다소 낮아졌으나 전기

비 증가율이 1.3%로 확대되면서 상승세를 지속

Page 34: KIET 산업경제전망 보도자료(최종) FMR S 2T2U VWRPQ 231Ssd Zrsd t :q %89:GHS X o $ % | $^N_ a&DGHEfE

- 17 -

20092009 2010

1/4 2/4 3/4 4/4 연간 1/4 2/4 3/4

민간소비

(국민계정)1.3

-4.4 -1.0 0.7 5.80.2

6.3 3.7 3.3

(0.3) (3.3) (1.7) (0.4) (0.7) (0.8) (1.3)

소매판매액지수 1.1-4.7 1.5 2.8 10.8

2.69.9 4.9 7.4

(1.0) (5.1) (0.3) (4.1) (0.5) (0.0) (2.8)

실질 GNI -0.6-5.4 -0.2 3.7 7.5

1.58.9 5.4 -

(-0.7) (4.9) (1.1) (2.7) (0.9) (0.5) -

- 전반적인 경기회복 추이와 주가 등 자산가격의 회복, 고용여건의

점진적인 개선 등이 소비증가에 긍정적으로 작용

<표Ⅰ-8> 민간소비 관련 지표 추이

(%)(전년동기비, ( )는 전분기비)

자료: 한국은행

○ 재화별로는 ‘노후차 교체지원’ 정책 효과의 소멸로 내구재 소비는

증가세가 작년 하반기에 비해 크게 둔화되었으나 준내구재와 비내

구재 및 서비스소비가 증가세를 확대하는 추이

<그림Ⅰ-10> 재화별 소비 추이

(전년동기비 증가율, %)

-20.0 -15.0 -10.0 -5.0 0.0 5.0

10.0 15.0 20.0 25.0 30.0 35.0

2008 2/4 3/4 4/4 2009 2/4 3/4 4/4 2010 2/4

내구재 준내구재 비내구재 서비스 최종소비지출

자료 : 한국은행

Page 35: KIET 산업경제전망 보도자료(최종) FMR S 2T2U VWRPQ 231Ssd Zrsd t :q %89:GHS X o $ % | $^N_ a&DGHEfE

- 18 -

○ 경기회복 추이를 반영하여 고용도 금년 들어 취업자수가 꾸준히 증

가세를 이어가는등 개선되는 추이를 보이면서 소비회복에 기여

- 임금은 2010년 2분기까지도 실질임금이 위기전 정점 수준을 회복하

지 못하여 상대적으로 회복속도가 부진한 편이나 기본적으로 회복

세가 이어지는 추이

<그림Ⅰ-11> 고용 증가율 추이

(%)(전년동기대비)

-6.0

-4.0

-2.0

0.0

2.0

4.0

6.0

8.0

10.0

2008 2/4 3/4 4/4 2009 2/4 3/4 4/4 2010 2/4 3/4

취업자 비임금근로자 임금근로자 상용근로자 임시근로자

자료 : 한국은행

○ 전반적인 소득 및 고용 회복추세를 반영하여 소비는 내년에도 꾸준

한 증가세를 이어갈 전망

- 다만 높은 가계부채 수준의 부담, 임금 및 가계소득 증가세의 상대

적 부진 추세 등에 따라 높은 증가세를 기대하기는 어려울 전망

․가계부채는 최근 주가 상승 등에 따라 자산증가율이 부채증가

율을 상회하고 있으나 가계부채/가처분소득 비율이 매우 높은

수준에 달해 있어 중장기적으로 부채 재조정이 불가피하다는

점에서 소비회복속도를 억제하는 요인으로 작용

․특히 출구전략에 따른 금리인상과 주택경기 부진으로 가계부채

부담이 커질 가능성

Page 36: KIET 산업경제전망 보도자료(최종) FMR S 2T2U VWRPQ 231Ssd Zrsd t :q %89:GHS X o $ % | $^N_ a&DGHEfE

- 19 -

- 2011년 민간소비는 금년과 비슷한 4% 내외의 연간 증가를 보일 것

으로 예상

<그림Ⅰ-12> 소비심리지수 추이

75

85

95

105

115

125

135

7 8 9 10 11 12 2010 2 3 4 5 6 7 8 9 10

현재경기판단CSI 향후경기전망CSI 소비자심리지수

자료 : 한국은행

<그림Ⅰ-13> 가계부채 및 자산 추이(%)

자료 : 한국은행주 : 자산 및 부채증가율은 좌축, 부채/자산 비율은 우축

□ 설비투자

○ 2010년 설비투자는 전년 급감의 기저효과와 국내외 경기 회복, 수출

호조 등에 힘입어 3분기까지 20%를 상회하는 높은 증가세를 지속중

- 설비투자 순환변동치 또한 가파른 증가세를 보이면서 회복국면이

이어지고 있음을 반영

Page 37: KIET 산업경제전망 보도자료(최종) FMR S 2T2U VWRPQ 231Ssd Zrsd t :q %89:GHS X o $ % | $^N_ a&DGHEfE

- 20 -

- 국민계정 설비투자는 상반기 증가율이 30%에 달하였고 하반기에도

두자릿수 증가세를 이어갈 것으로 보여 2010년 연간 증가율이 20%대

중반에 달할 것으로 전망

<표 Ⅰ-9> 설비투자 관련 주요 지표 추이

(전년동기비, %)

20092010

1/4 2/4 3/4

설비투자 -9.129.9(2.4)

30.2(9.1)

25.2(6.3)

주체별민간 -9.3 31.2 31.0 -

정부 -1.8 4.3 6.4 -

형태별운수장비 4.7

19.4(-8.9)

4.8(0.8)

-

기계류 -13.032.5(5.9)

38.7(11.4)

-

설비투자추계지수 -8.225.5(1.4)

24.5(6.0)

27.7(7.0)

자료 : 한국은행, 통계청

주 : ( ) 안은 계절조정계열의 전기대비 증감률

<그림Ⅰ-14> 설비투자의 순환국면

자료 : 한국은행, 통계청

주 : 설비투자순환변동치 = log(설비투자/설비투자 HP추세)*100

Page 38: KIET 산업경제전망 보도자료(최종) FMR S 2T2U VWRPQ 231Ssd Zrsd t :q %89:GHS X o $ % | $^N_ a&DGHEfE

- 21 -

○ 주체별로는 민간부문이, 세부 업종별로는 IT 산업과 자동차 산업이

전체 설비투자 회복을 주도

- 민간부문의 설비투자 증가율은 2009년에는 -9.3%를 기록했으나,

2010년 들어 1, 2분기 연속 30%를 상회하는 수준으로 회복 (표 Ⅰ- 9)

- 특히, 민간부문 중에서는 전자부품, 영상, 음향, 통신, 자동차부품,

기계장비 업종 등이 전체 설비투자 회복을 주도 (표 Ⅰ- 10)

- 반면, 정부부문의 설비투자 증가율은 1/4 - 2/4분기 동안 4-6% 수

준에 그침

<표 Ⅰ-10> 기계수주 추이

(전년동기비, %)

20092010

1/4 2/4 3/4

제조업 전체 -13.748.4(1.8)

58.6(23.9)

29.6(-3.7)

전자부품,영상,음향,통신 33.0 160.4 170.3 5.6

자 동 차 -1.7 123.7 62.7 35.3

기 계 장 비 -1.0 58.2 73.9 32.0

자료 : 통계청주 : ( )는 전기비

○ 2011년의 설비투자는 증가세를 이어가나 경기회복 초기의 반등효과

가 소멸되고 국내외 경기회복세의 둔화, 세계경제 불확실성의 잔존

등에 따라 증가율이 2010년에 비해 크게 낮아질 전망

- 설비투자 선행지표 중 국내 기계수주(선박제외)는 3분기 연속 전년

동기비 증가세가 이어지고는 있으나, 증가속도가 점차 둔화되는 추

이이며, 전기비로는 3분기 들어 감소세로 전환 (표 Ⅰ- 10)

Page 39: KIET 산업경제전망 보도자료(최종) FMR S 2T2U VWRPQ 231Ssd Zrsd t :q %89:GHS X o $ % | $^N_ a&DGHEfE

- 22 -

- 한편, 전년의 경기침체로 인해 유보되었던 시설확충이 2010년 상반

기에 집중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설비투자 조정압력도 3분기 연속 증

가폭이 축소되는 추이 (표 Ⅰ- 11)

- 환율 하락 추이, 수출 둔화 및 더블딥 우려 등에 따른 국내외 경기

회복세의 둔화와 불확실성 등이 내년 설비투자 증가를 억제하는 요

인으로 작용할 전망

○ 2011년 설비투자는 금년보다 훨씬 낮은 연평균 7% 내외의 증가를

보일 것으로 예상

<표 Ⅰ-11> 제조업 설비투자 조정압력 추이

(%p)

20092010

1/4 2/4 3/4

제조업 전체 -3.5 21.7 14.4 5.6

일 반 기 계 -18.0 34.8 45.8 38.7

영상․음향기기 11.8 40.7 43.5 17.9

자 동 차 -5.4 50.7 35.4 16.3

철 강 -11.5 36.1 21.6 2.7

통 신 장 비 -7.7 2.5 -2.9 -1.2

반 도 체 0.4 32.0 -2.6 -10.3

선 박 4.9 -15.7 -19.5 -20.9

자료 : 통계청

주 : 설비투자조정압력은 제조업 생산지수증가율-제조업 생산능력 증가율

□ 건설투자

○ 건설투자는 최근 2분기 연속 마이너스 증가율을 기록하는 등 부진

한 상황이 지속

- 정부의 주택담보 대출 완화 등 부동산 규제완화 정책에도 불구하

고, 민간부문의 건설투자 위축 상황이 지속중

Page 40: KIET 산업경제전망 보도자료(최종) FMR S 2T2U VWRPQ 231Ssd Zrsd t :q %89:GHS X o $ % | $^N_ a&DGHEfE

- 23 -

- 특히, 그간 건설투자의 급격한 감소를 막던 공공 건설투자도 최근

마이너스 증가율로 돌아서면서 건설투자 위축 상황이 더욱 악화

(표 Ⅰ- 12)

○ 2010년 건설투자는 상반기에 -0.7%의 마이너스 증가를 보였고 하반

기에도 부진이 지속되고 있어 연간 전체로도 마이너스 증가를 예상

<표 Ⅰ-12> 건설투자 관련 지표 추이

(전년동기비, %)

20092010

1/4 2/4 3/4

건설투자 4.42.3

(1.3)-2.9

(-3.6)-2.1(1.5)

주체별민간 0.2 1.9 -0.4 -

정부 16.8 3.6 -8.5 -

형태별건물 -1.8

1.7(-0.9)

-6.3(-3.8)

-

토목 13.33.1

(4.0)1.1

(-3.4)-

건설수주총액 3.0 -6.9 -6.6 -5.0

건축허가면적 -12.9 36.5 47.4 -14.3

자료 : 한국은행, 통계청, 국토해양부

주 : ( ) 안은 계절조정계열의 전기대비 증감률

○ 2011년에도 건설투자는 부진에서 벗어나기 어려울 전망

- 미분양 주택수가 서서히 줄어들고는 있지만 2010년 8월 현재 여전

히 10만 3천호에 달하는 물량이 해소되고 있지 않아 민간 주택시장

의 급속한 회복을 기대하는 어려운 상황

- 4대강 사업 및 세종시 건설과 같은 호재에도 불구하고, LH 공사

부채 문제와 재정 건전성 문제 등으로 인해 공공부문 건설투자도

높은 증가를 보이기는 어려울 전망

Page 41: KIET 산업경제전망 보도자료(최종) FMR S 2T2U VWRPQ 231Ssd Zrsd t :q %89:GHS X o $ % | $^N_ a&DGHEfE

- 24 -

- 건설경기 선행지표 중 국내 건설수주액도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

는 추이이고, 건축허가 면적 역시 2010년 3/4분기에 마이너스 증가

기록

- 금년에 이어 내년 건설투자 역시 부진을 벗어나지 못하면서 0%대

의 낮은 증가율을 기록할 전망

□ 수출입

○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급감하였던 수출은 2009년 4분기 증가세로

돌아선 이후 2010년 들어서도 10월까지 전년동기 대비 30.4%의 큰

폭 신장세를 기록

<표 Ⅰ-13> 최근 수출입 동향

(억달러, %)

2009 2010

연간 4/4 1/4 2/4 3/4 10월 1~10월

수 출3,635 1,037 1,011 1,203 1,173 441 3,827

(-13.9) (11.7) (35.8) (33.1) (23.7) (29.9) (30.4)

수 입3,231 929 981 1,058 1,057 372 3,468

(-25.8) (1.4) (37.4) (43.0) (24.5) (22.4) (33.1)

무역수지 404 111 30 145 116 69 360

자료 : 한국무역협회

주 : ( )안은 전년동기 대비 증감률.

○ 이같은 수출 호조는 세계경기 회복과 수출단가의 상승, IT제품의 수

출호조, 기저효과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였기 때문

- 2009년 1∼10월 중 수출급감(-19.8%)에 따른 기저효과가 발생하고

있는데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위축되었던 세계경제가 회복세로

접어들면서 IT제품과 자동차, 일반기계 등을 중심으로 수요가 급증

Page 42: KIET 산업경제전망 보도자료(최종) FMR S 2T2U VWRPQ 231Ssd Zrsd t :q %89:GHS X o $ % | $^N_ a&DGHEfE

- 25 -

○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하락세가 지속되었던 수출단가는 2010년 1~

8월 중 전년동기 대비 14.5%나 상승하였으며, 수출물량도 세계경기

의 회복에 힘입어 17.9%나 증가

- 품목별로는 유가 상승에 따른 석유제품(37.3%) 및 화공품(20.4%),

IT수요 회복에 따른 반도체(35.0%) 가격이 크게 상승

- 수출물량은 글로벌 경기침체의 타격이 컸던 자동차(51.5%), 기계류(38.6%)

등이 세계경기 회복에 힘입어 큰 폭으로 증가

○ 지역별로는 글로벌 금융위기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작게 받았던 중

국, 아세안, 중남미 등 대개도국 수출이 높은 증가세

- 2010년 1~9월 중 대선진국 수출도 25.5%의 높은 증가를 보였으나,

대개도국 수출은 이보다 훨씬 높은 32.5%의 증가율을 기록

- 이에 따라 대개도국 수출비중은 2008년의 68.9%에서 2010년 1∼9월

에는 72.0%로 증가

<표 Ⅰ-14> 지역별 수출 추이

 

 

수출비중(%) 수출증가율(%)

2008 2009 2010(1-9) 2009 2010(1-9)

선 진 국 31.1 28.8 28.0 -20.4 25.5

미 국 11.0 10.4 10.7 -18.8 31.3

일 본 6.7 6.0 5.9 -22.9 28.8

E U 13.8 12.8 11.6 -20.2 18.9

개발도상국 68.9 71.2 72.0 -10.9 32.5

중 국 21.7 23.9 25.1 -5.1 38.6

ASEAN 11.7 11.3 11.4 -16.8 33.0

중남미 7.9 7.4 8.3 -19.5 46.2

중 동 6.3 6.6 5.9 -9.8 13.2

동 구 5.7 4.3 4.7 -34.9 43.5

총 수 출 100.0 100.0 100.0 -13.9 30.5

자료 : 한국무역협회

Page 43: KIET 산업경제전망 보도자료(최종) FMR S 2T2U VWRPQ 231Ssd Zrsd t :q %89:GHS X o $ % | $^N_ a&DGHEfE

- 26 -

○ 업종별로는 무선통신기기를 제외한 대부분의 주력업종 수출이 빠르

게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반도체, 자동차, 일반기계, 석유화학, 석

유제품, 디스플레이 등 6개 품목이 전체 수출증가의 62% 정도를 차지

- 특히 반도체는 수출단가 상승과 물량 증가가 겹쳐 2010년 들어 전

년동기 대비 70%를 넘는 높은 증가세를 기록하고 있으며,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로 30% 가까이 감소하였던 자동차와 일반기

계도 세계경기 회복으로 40% 내외의 높은 증가세 기록

- 석유화학과 석유제품도 유가상승에 따른 수출단가 상승으로 30%

대의 높은 수출증가율을 나타내었으며, 디스플레이도 중국을 비롯

한 세계수요 회복으로 수출이 급증

- 반면, 조선은 2009년 수출증가에 따른 기저효과로 10% 정도의 수출

증가에 그쳤으며, 무선통신기기는 휴대폰 경쟁 심화에 따른 판매가

격 하락과 해외생산 비중 확대로 수출 감소 추세가 지속

<표 Ⅰ-15> 업종별 수출 추이

(억달러, %)

  수출액 수출비중 수출증가율 수출기여율

  2009 ‘10(1~10) 2009 ‘10(1~10) 2009 ‘10(1~10) 2010(1~10)

반 도 체 310.4 424.9 8.5 11.1 -5.3 76.3 20.6

자 동 차 254.1 286.6 7.0 7.5 -27.5 44.3 9.9

일 반 기 계 268.5 294.0 7.4 7.7 -28.0 35.8 8.7

석 유 화 학 274.7 293.4 7.6 7.7 -14.5 31.9 7.9

석 유 제 품 229.7 253.2 6.3 6.6 -38.9 38.2 7.8

디스플레이 234.3 272.2 6.4 7.1 28.4 32.0 7.4

철 강 230.3 232.6 6.3 6.1 -22.9 22.9 4.9

조 선 451.3 414.8 12.4 10.8 4.6 10.5 4.4

가 전 100.6 109.4 2.8 2.9 -22.0 32.0 3.0

섬 유 류 116.3 113.2 3.2 3.0 -12.6 19.3 2.1

컴 퓨 터 80.1 73.9 2.2 1.9 -25.1 14.7 1.1

무선통신기기 309.9 220.6 8.5 5.8 -13.2 -15.8 -4.6

총수출 3,635.3 3,827.5 100.0 100.0 -13.9 30.4 100.0

자료 : 한국무역협회

Page 44: KIET 산업경제전망 보도자료(최종) FMR S 2T2U VWRPQ 231Ssd Zrsd t :q %89:GHS X o $ % | $^N_ a&DGHEfE

- 27 -

○ 2010년 수입은 전년 수입 급감의 기저효과와 원유 등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 수출용 설비도입 증가, 소비 회복 등으로 원자재, 자본

재, 소비재 수입이 모두 급증하면서 10월까지 전년동기 대비 33.1%

나 급증

<표 Ⅰ-16> 용도별 수입 추이

 

 

수입액(억 달러) 수입증가율(%) 수입비중(%)

2009 2010(1~9) 2009 2010(1~9) 2009 2010(1~9)

원자재 1,860.5 1,817.6 -31.5 38.3 57.6 58.7

자본재 1,040.1 975.2 -15.4 30.0 32.2 31.5

소비재 327.5 299.9 -18.4 27.3 10.1 9.7

총수입 3,230.9 3,095.7 -25.8 34.5 100.0 100.0

자료 : 한국무역협회

○ 2011년 수출은 기저효과 소멸과 세계경기 둔화, 원화절상에 따른

가격경쟁력 약화, 반도체 등 IT제품의 경쟁 격화와 가격 하락 등으

로 전년보다 증가율이 크게 낮아져 10% 내외의 증가를 전망

- 선진국의 통화절상 압력과 자본시장으로의 외국인 투자자금 유입으

로 원화절상 추세가 지속되면서 가격경쟁력이 약화될 전망

- 글로벌 경기 회복과 아울러 전세계적인 산업구조조정이 어느 정도

진전되면서 2011년에는 선진국 기업들의 투자확대 등 공격적인 경

영으로 자동차, IT제품 등의 수출시장 경쟁이 더욱 거세어질 전망

○ 2011년 수입은 내수 경기 회복,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 등으로 수

출보다 높은 14% 내외의 증가를 보일 전망

○ 수출보다 수입이 더 빠른 속도로 늘어나면서 2011년 무역수지는

2010년보다 줄어든 290억 달러 내외로 전망

Page 45: KIET 산업경제전망 보도자료(최종) FMR S 2T2U VWRPQ 231Ssd Zrsd t :q %89:GHS X o $ % | $^N_ a&DGHEfE

- 28 -

<표 Ⅰ-17> 2011년 수출입 전망

(전년동기비, %, 억 달러)

2010년 2011년

상반기 하반기 연간 상반기 하반기 연간

통관기준 수출2,214

(34.3)

2,449

(23.2)

4,663

(28.4)

2,470

(11.6)

2,655

(8.4)

5,125

(9.9)

통관기준 수입2,039

(40.3)

2,204

(24.0)

4,243

(31.2)

2,336

(14.5)

2,498

(13.4)

4,834

(13.9)

무역수지 175 245 420 134 158 291

주 : ( )안은 전년동기비 증가율.

Page 46: KIET 산업경제전망 보도자료(최종) FMR S 2T2U VWRPQ 231Ssd Zrsd t :q %89:GHS X o $ % | $^N_ a&DGHEfE

- 29 -

Ⅱ. 주요 산업별 전망

1. 2010년 동향

□ 내수는 기저효과와 실물경기 회복으로 큰 폭의 증가세

○ 10대 주력산업의 내수는 조선을 제외한 모든 업종이 기저효과와 실

물경기 회복으로 전년의 감소에서 증가세로 돌아선 가운데, 큰 폭

의 증가세를 기록한 비IT산업이 내수 성장을 주도한 것으로 추정

- 일반기계는 수요 산업의 생산 호조와 설비투자 증가로 32%의 큰

폭 증가

- 철강은 재고수요 증가로 15%, 섬유는 수요산업 호조로 11%, 자동

차는 신모델 출시효과로 8% 증가

- 가전을 제외한 IT산업은 스마트폰과 노트북 등 신제품 중심의 수요

회복으로 12~17% 증가

□ 글로벌 경기 회복으로 10대 주력산업의 수출은 27% 증가

○ 정보통신기기 외에 모든 산업이 두자리 수의 수출 증가를 나타내면

서 10대 주력산업의 수출은 전년대비 26.6% 증가한 것으로 추정

- IT제조업군과 비IT제조업군의 수출 증가율이 각각 27.2%, 26.2%로

고른 증가세 시현

- 이중 반도체는 신흥국 IT산업 호조와 스마트폰과 윈도 7 PC 등 신

제품 수요 증가로 67% 증가, 가전과 디스플레이는 월드컵 특수와

중국 가전하향 정책으로 각각 31%씩 증가

Page 47: KIET 산업경제전망 보도자료(최종) FMR S 2T2U VWRPQ 231Ssd Zrsd t :q %89:GHS X o $ % | $^N_ a&DGHEfE

- 30 -

- 비IT제조업군에서는 부품 수출이 크게 증가한 자동차가 45%, 세계

경기 회복에 힘입은 일반기계와 석유화학이 각각 35%, 27% 증가

- 반면, 해외생산 확대 및 수출단가 하락의 정보통신기기는 8% 감소

□ 수출과 내수의 동반 호조로 생산도 큰 폭 회복세

○ 10대 주력산업의 생산은 조선과 정보통신기기를 제외한 산업이 내

수가 회복되고 수출도 크게 증가하면서 전년 대비 큰 폭 증가세를

기록한 것으로 추정

- 미세화공정 투자로 경쟁력을 확보한 반도체가 50%의 매우 높은 증

가율을 기록하였고, 설비투자 및 수출이 증가한 일반기계가 37%,

신차 출시 및 부품 수출이 증가한 자동차가 22%의 높은 증가율을

기록한 것으로 추정

- 이밖에 재고 증대 및 기저효과의 디스플레이가 18%, 내수 회복과

재고 확충의 철강이 12% 증가

- 그러나, 해운시장 부진이 지속되고 있는 조선과 수출 부진의 정보

통신기기는 7% 감소 기록

□ 10대 주력산업 수입은 소재․부품 수입 증가와 내수 호조로 25% 증가

○ 건조량 감소로 수입이 감소한 조선 외에 대부분 산업의 수입이

20%이상의 증가세를 나타내면서 10대 주력산업의 수입은 전년대비

25.2% 증가한 것으로 추정

- 국내경기 회복에 따른 전방산업 수요 확대와 가격 상승에 대응한

수입수요 증가 및 기저효과로 소재산업군의 수입이 29% 증가하여

전체 수입 증가를 주도

- IT제조업은 24% 증가하여 상대적으로 증가폭이 덜 한 편

Page 48: KIET 산업경제전망 보도자료(최종) FMR S 2T2U VWRPQ 231Ssd Zrsd t :q %89:GHS X o $ % | $^N_ a&DGHEfE

- 31 -

2. 2011년 전망

□ 제조업 내수 둔화될 전망이나 IT산업군이 내수성장세 주도전망

○ 고용불안, 가계소득 부진, 건설경기 위축 등으로 인한 경기회복세

둔화와 소비심리 위축으로 제조업 내수는 둔화될 전망이며, 상대적

으로 높은 증가세의 IT산업군이 제조업 내수 성장을 주도할 전망

- 반도체는 스마트폰과 태블릿PC 수출 확대에 따른 국내 수요 증가

로 17%의 높은 증가율을 기록할 전망

- 디스플레이는 IT기기와 디지털 TV용 패널 수요 증가로 13% 증가할

전망

- 정보통신기기는 스마트폰 및 모바일 PC 수요 증가와 무선네트워크

시장 활성화로 8% 증가할 전망

- 가전은 소비심리 악화와 민간주택건설 감소 등으로 2% 증가에 그

칠 전망

○ 기계산업군의 경우 일반기계 내수는 호조이나, 자동차와 조선은 부

진할 것으로 전망

- 일반기계는 노후설비교체 압력증대에 따른 수요기업들의 투자 지속

으로 11% 증가할 전망

- 자동차는 2009∼10년 판매 급증으로 인한 대기수요 실현으로 구매

력이 소진되어 1.5% 증가에 머물 전망

- 해운시황 회복이 미흡한 조선은 4.2% 감소로 금년에 이어 감소세

지속할 전망

Page 49: KIET 산업경제전망 보도자료(최종) FMR S 2T2U VWRPQ 231Ssd Zrsd t :q %89:GHS X o $ % | $^N_ a&DGHEfE

- 32 -

○ 소재산업군은 건설경기 부진, 전방산업의 성장 둔화, 구매력 둔화

등으로 1~3%의 미약한 증가세를 보일 전망

- 철강은 건설, 조선 등 전방산업의 부진으로 인한 수요 둔화로 1.2%

증가에 그칠 전망이며, 기저효과로 상저하고 현상 예상

- 석유화학은 전방 수요산업의 수출 둔화와 시장 포화 등으로 3.4%

증가할 전망

- 섬유는 실질소득 부진으로 구매력이 둔화되어 2.1% 증가로 금년보

다 대폭 둔화

<그림 Ⅱ-1> 2011년 주요 산업별 내수증가율 전망

(%)

7.7

-5.9

31.7

14.5

6.0

11.2

1.7

11.6

12.2

16.6

1.5

-4.2

10.9

1.2

3.4

2.1

1.6

8.1

12.6

17.4

자동차

조선

일반기계

철강

석유화학

섬유

가전

정보통신기기

디스플레이

반도체

2010 2011

주 : 자동차는 완성차, 조선은 건조량, 철강은 철강재, 석유화학은 3대 유도품, 섬유는

섬유사 기준이고 여타 업종은 금액 기준

○ 자동차와 조선을 제외한 모든 산업의 내수는 2010년의 상고하저 현

상에 따른 기저효과로 하반기에 성장률이 더 높은 상저하고 형태를

보일 전망

Page 50: KIET 산업경제전망 보도자료(최종) FMR S 2T2U VWRPQ 231Ssd Zrsd t :q %89:GHS X o $ % | $^N_ a&DGHEfE

- 33 -

<그림 Ⅱ-2> 2011년 주요 산업별 상·하반기 내수증가율 전망

(%)

1.7

-4.0

10.4

-4.5

2.5

1.7

0.7

7.7

8.9

12.6

1.2

-4.4

11.3

7.4

4.3

2.5

2.5

8.3

16.4

21.5

자동차

조선

일반기계

철강

석유화학

섬유

가전

정보통신기기

디스플레이

반도체

상반기 하반기

주 : 자동차는 완성차, 조선은 건조량, 철강은 철강재, 석유화학은 3대 유도품, 섬유

는 섬유사 기준이고 여타 업종은 금액 기준

□ 10대 주력산업 수출, 글로벌 경기둔화로 증가세 둔화 전망

○ 수출은 우리나라 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바탕으로 중국과 개도국 등

의 신흥시장 수출 증가가 기대되는 가운데 원화 절상 기조와 글로

벌 경기 둔화가 제약 요인으로 작용하여 8.7%로 증가세가 둔화될

전망

- 그러나 10대 산업의 수출 증가율은 2006년 13.9%, 2007년 14.9%,

2008년 9.2%를 기록했는바, 2009년과 10년의 특수상황을 제외하면

2011년의 증가율은 예년 평균보다 소폭 낮은 양호한 수준

○ 신흥시장의 IT제품 수요 증대와 국내 기업의 경쟁력 제고에 힘입어

IT산업군이 10% 증가하면서 제조업 수출을 견인할 전망

- 경쟁국 기업과의 원가경쟁력 격차를 바탕으로 글로벌 세트기업과의

견고한 거래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디스플레이가 15.4%로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할 전망

Page 51: KIET 산업경제전망 보도자료(최종) FMR S 2T2U VWRPQ 231Ssd Zrsd t :q %89:GHS X o $ % | $^N_ a&DGHEfE

- 34 -

- 스마트TV, 태블릿 PC 등 신제품 출시 확대에 힘입어 반도체는

10.4% 증가할 전망

- 가전과 정보통신기기는 국산 브랜드 인지도 및 경쟁력 제고, 3DTV

와 스마트 TV 시장 확산, 3G 및 스마트폰 시장 확대에 따라 5%대

의 증가율을 기록할 전망

○ 소재산업군은 신흥국 수요 증가, 수출단가 상승, 국산제품의 고부가

가치화 진전 등으로 9% 증가할 전망

- 철강은 내수 둔화에 따른 수출 여력 확대와 아울러 중국과 인도 등

신흥국 수요 호조로 9.9% 증가할 전망

- 석유화학은 세계 최대 수입시장인 중국의 수요가 건실한 성장세를

지속하고 수출 단가가 상승함에 따라 9.2% 증가할 전망

- 섬유는 제품의 고부가가치화에 따른 수출단가 상승, 아세안 국가의

의류수출 증가와 중국 내수 확대로 소재 수요가 늘어나면서 6.7%

증가할 전망

○ 기계산업군은 자동차와 일반기계의 선전에도 불구하고 조선의 부진

으로 7.5%의 상대적으로 낮은 증가에 그칠 전망

- 자동차는 EU FTA 수혜, 신모델의 주요시장 투입, 완성차의 품질

및 브랜드 상승으로 10.1% 증가할 전망

- 일반기계는 중국의 높은 고정자산 투자세 지속과 미국 등 주요국의

한국산 수요확대로 13.0% 증가할 전망

- 반면, 조선은 해운시황 회복이 미흡한 가운데 선박의 인도 지연으

로 1.1% 증가에 그칠 전망

Page 52: KIET 산업경제전망 보도자료(최종) FMR S 2T2U VWRPQ 231Ssd Zrsd t :q %89:GHS X o $ % | $^N_ a&DGHEfE

- 35 -

 2009

2010   2011    상반기 하반기   상반기 하반기  

IT제조업104,050 61,814 70,522 132,336 67,678 77,687 145,365

(-5.2) (36.0) (20.3) (27.2) (9.5) (10.2) (9.8)

비IT제조업167,960 102,288 109,757 212,045 112,027 117,052 229,079

(-14.7) (28.9) (23.9) (26.2) (9.5) (6.6) (8.0)

(기계산업군)105,830 65,035 70,269 135,304 70,872 74,539 145,411

(-13.0) (29.2) (26.6) (27.9) (9.0) (6.1) (7.5)

(소재산업군)62,130 37,253 39,488 76,741 41,155 42,513 83,668

(-17.5) (28.4) (19.3) (23.5) (10.5) (7.7) (9.0)

10대 주력산업272,010 164,102 180,279 344,381 179,705 194,739 374,444

(-11.3) (31.5) (22.5) (26.6) (9.5) (8.0) (8.7)

<표 Ⅱ-1> 주요 산업군별 2011년 수출 전망

(백만 달러, %)

주 : 1) ( )안은 전년 동기비 증가율

2) 수치는 통관기준임.

<그림 Ⅱ-3> 2011년 업종별 수출증가율 전망

(%)

45.0

10.2

34.6

23.2

27.0

16.0

30.7

-7.5

30.7

65.5

10.1

1.1

13.0

9.9

9.2

6.7

4.7

5.7

15.4

10.4

자동차(11.5)

조선(9.8)

일반기계(7.0)

철강(6.1)

석유화학(7.4)

섬유(2.8)

가전(2.7)

정보통신기기(7.2)

디스플레이(7.4)

반도체(11.1)

2010 2011

주 : 달러표시 가격 기준, ( )은 총수출 대비 점유율

○ 석유화학, 섬유, 디스플레이를 제외한 7개 업종은 상반기의 수출 증

가율이 하반기보다 높을 전망

- 조선, 철강, 정보통신기기는 기저효과가 크고, 자동차, 일반기계, 가

전은 하반기에 수출 증가 둔화를 시사

Page 53: KIET 산업경제전망 보도자료(최종) FMR S 2T2U VWRPQ 231Ssd Zrsd t :q %89:GHS X o $ % | $^N_ a&DGHEfE

- 36 -

<그림 Ⅱ-4> 2011년 산업별 상·하반기 수출증가율 전망

(%)

12.9

1.8

14.1

17.5

7.5

4.6

6.4

7.9

11.0

10.5

7.5

0.5

12.0

3.5

11.0

8.6

3.1

3.8

19.2

10.4

자동차

조선

일반기계

철강

석유화학

섬유

가전

정보통신기기

디스플레이

반도체

상반기 하반기

○ 10대 주력 산업의 수출 증가율이 총수출 증가율을 하회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총수출 대비 비중이 2010년 73.8%에서 2011년

73.0%로 다소 낮아질 전망

- 총수출 대비 비중이 높은 품목은 자동차(11.5%), 반도체(11.1%), 조

선(9.8%), 디스플레이(7.4%), 석유화학(7.4%) 등으로 5개 산업의 합

계는 47.2%에 이를 전망

□ 내수와 수출 둔화로 생산도 증가세 둔화

○ 내수 회복세 미약, 수출환경 악화, 해외생산 확대에 따른 국내 생산

기반 약화 등으로 대부분의 업종에서 생산둔화가 예상되며, 상대적

으로 수출 호조인 IT산업군이 제조업 생산을 견인할 전망

- 20나노급 낸드플래시 공정전환과 30나노급 D램 확대로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는 반도체는 내수와 해외수요를 충족시키면서 10대 업

종 중 가장 높은 14.3% 증가할 전망

Page 54: KIET 산업경제전망 보도자료(최종) FMR S 2T2U VWRPQ 231Ssd Zrsd t :q %89:GHS X o $ % | $^N_ a&DGHEfE

- 37 -

- 디스플레이는 선제적 투자 지속과 세트제품의 대형화와 IT신제품

수요 확대에 힘입어 10.0% 증가할 전망

- 정보통신기기는 스마트폰의 내수와 수출 증가, 신규통신 인프라 확

대, 기저효과 등으로 4.8% 증가할 전망

- 가전은 내수 회복세 미약과 해외생산 확대, 저가 수입품 증가로

0.6%의 낮은 증가율에 그칠 전망

○ 산업별로 명암이 크게 엇갈리는 기계산업군은 일반기계와 자동차

생산은 증가하나 조선은 감소할 전망

- 일반기계는 국내 설비투자 확대와 해외 수요 증가로 11.2% 증가할

전망

- 자동차는 내수와 수출 둔화, 기저효과로 2.2% 증가에 머물 전망

- 조선은 수주량이 건조량 규모에 못미치는 상황이 지속되면서 4.5%

감소할 전망

○ 소재산업군은 설비 가동률 향상과 설비능력 확대 등으로 1~3%의

완만한 증가율을 보일 전망임.

- 철강은 신증설 설비의 가동률이 높아지면서 2.3% 증가할 전망

- 석유화학과 섬유는 내수 성장이 완만하나, 수출 호조로 각각 2.8%,

1.1% 증가할 전망

Page 55: KIET 산업경제전망 보도자료(최종) FMR S 2T2U VWRPQ 231Ssd Zrsd t :q %89:GHS X o $ % | $^N_ a&DGHEfE

- 38 -

<그림 Ⅱ-5> 2011년 산업별 생산증가율

(%)

21.5

-7.4

36.8

12.4

1.0

6.3

8.8

-6.6

18.0

49.5

2.2

-4.5

11.2

2.3

2.8

1.1

0.6

4.8

10.0

14.3

자동차

조선

일반기계

철강

석유화학

섬유

가전

정보통신기기

디스플레이

반도체

2010 2011

주 : 자동차는 완성차, 조선은 건조량, 철강은 철강재, 석유화학은 3대 유도품, 섬유는

섬유사의 물량 기준이고 여타 업종은 금액 기준

○ 섬유, 가전, 정보통신기기는 상반기의 생산 증가율이 하반기보다 높고,

여타 업종은 하반기 증가율이 더 높을 전망

<그림 Ⅱ-6> 2011년 산업별 상·하반기 생산증가율 전망

(%)

1.1

-6.2

10.9

-2.3

2.2

2.0

1.1

5.7

6.6

11.5

3.2

-2.9

11.5

7.1

3.4

0.2

0.1

3.9

13.1

16.9

자동차

조선

일반기계

철강

석유화학

섬유

가전

정보통신기기

디스플레이

반도체

상반기 하반기

Page 56: KIET 산업경제전망 보도자료(최종) FMR S 2T2U VWRPQ 231Ssd Zrsd t :q %89:GHS X o $ % | $^N_ a&DGHEfE

- 39 -

□ 10대 주력산업 수입은 소재․부품 수입증가로 6% 증가

○ 10대 주력업종의 수입은 환율효과로 수입단가가 하락하는 부품 및

완제품 수입 증가, 수출용 설비도입 등으로 6.0% 증가할 전망

○ IT산업군은 국내 생산이 부족한 부품의 수입, IT신제품 수요 확대,

해외 생산 제품 및 부품의 역수입 증가, 외국 브랜드들의 국내시장

공략 강화 등으로 7.8% 증가할 전망

- 디스플레이는 IT용 소형 패널 공급능력 부족분에 대한 수입수요가

발생하면서 9.0% 증가할 전망

- 반도체는 스마트폰과 자동차용 반도체 수입 증가로 7.9% 증가할 전망

- 정보통신기기는 스마트폰과 태블릿PC 등 외산제품 수입 수요 지속

으로 7.8% 증가할 전망

- 가전은 수출둔화로 수출용 수입수요는 둔화하나, 수입단가 하락에

따른 부품과 완제품 수입 증가로 5.0% 증가할 전망

○ 수입차 증가와 외국산 설비 도입이 늘어나는 기계산업군은 7.9% 증가할 전망

- 일반기계는 반도체장비, 신재생에너지 설비 등 우리의 경쟁력이 취

약한 장비수입 지속으로 11.0% 증가할 전망

- 자동차는 EU FTA 발효와 수입차에 대한 인식 변화로 완성차와 부

품 수입이 늘어나 7.3% 증가할 전망

- 반면, 조선은 국내 건조량의 감소로 중국 현지공장에서 가공한 블

록의 반입 규모가 줄어들면서 8.3% 감소할 전망

○ 소재산업군은 세부 산업별로 수입수요 편차가 큰 가운데, 수입규모

가 큰 철강의 수입 감소로 2.6% 증가에 머물 전망

Page 57: KIET 산업경제전망 보도자료(최종) FMR S 2T2U VWRPQ 231Ssd Zrsd t :q %89:GHS X o $ % | $^N_ a&DGHEfE

- 40 -

- 석유화학은 고부가가치 특화제품 수입 증가, 전방산업의 수요 지속

등으로 14.9%의 10대 주력산업 중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할 전망

- 섬유는 원화 강세에 따른 수입 증가, 고가제품의 수입 지속, 해외

생산품의 역수입 증가 등으로 7.9% 증가할 전망

- 반면, 철강은 열연과 후판제품의 국내공급이 늘어나면서 동제품을

중심으로 수입이 4.5% 감소할 전망

<표 Ⅱ-2> 주요 산업군별 2011년 수입 전망

(백만 달러, %)

20092010 2011

상반기 하반기 상반기 하반기

IT제조업46,548 26,120 31,722 57,842 28,028 34,299 62,327

(-15.6) (23.2) (25.1) (24.3) (7.3) (8.1) (7.8)

비IT제조업73,318 44,769 47,487 92,256 46,918 49,825 96,743

(-25.9) (37.3) (16.6) (25.8) (4.8) (4.9) (4.9)

(기계산업군)32,399 18,448 20,869 39,317 19,971 22,448 42,419

(-11.1) (26.9) (16.8) (21.4) (8.3) (7.6) (7.9)

(소재산업군)40.919 26.321 26.618 52.939 26.947 27.377 54.324

(-34.6) (45.7) (16.4) (29.4) (2.4) (2.9) (2.6)

10대 주력업종119,866 70,889 79,209 150,098 74,946 84,124 159,070

(-22.2) (31.8) (19.9) (25.2) (5.7) (6.2) (6.0)

주 : 1) ( )안은 전년 동기비 증가율

2) 수치는 통관기준임.

○ 일반기계, 철강, 섬유, 정보통신기기는 상반기의 수입증가율이 하반

기보다 높은 반면, 자동차, 석유화학, 가전, 디스플레이, 반도체는

하반기의 증가율이 더 높을 전망

Page 58: KIET 산업경제전망 보도자료(최종) FMR S 2T2U VWRPQ 231Ssd Zrsd t :q %89:GHS X o $ % | $^N_ a&DGHEfE

- 41 -

<그림 Ⅱ-7> 2011년 산업별 수입증가율 전망

(%)

44.2 -3.7

20.8 25.4

42.8

24.9 13.5

24.2 22.1

26.1

7.3 -8.3

11.0

-4.5 14.9

7.9

5.0 7.8

9.0 7.9

자동차

조선

일반기계

철강

석유화학

섬유

가전

정보통신기기

디스플레이

반도체

2010

주 : 달러표시 가격 기준

<그림 Ⅱ-8> 2011년 산업별 상·하반기 수입증가율 전망

(%)

7.0

-9.7

12.0

-3.9

11.5

10.9

4.3

9.2

7.4

6.8

7.5

-7.0

10.1

-5.2

18.0

5.1

5.8

6.6

10.3

8.8

자동차

조선

일반기계

철강

석유화학

섬유

가전

정보통신기기

디스플레이

반도체

상반기 하반기

주 : 달러표시 가격 기준

Page 59: KIET 산업경제전망 보도자료(최종) FMR S 2T2U VWRPQ 231Ssd Zrsd t :q %89:GHS X o $ % | $^N_ a&DGHEfE

- 42 -

□ 원화절상이 10대 산업수출에 미칠 영향은 과거에 비해 약화예상

○ 해외생산 확대와 수출시장 다변화, 제품 차별화, 품질 및 브랜드력

강화, 중국과 대만, 일본 통화와의 동반 절상 등으로 원화 절상이

10대 주력업종 수출에 미치는 영향은 과거에 비해 약화되는 추세

- 자동차는 품질 및 브랜드 경쟁력 강화, 조선은 환헤지와 제품 차별

화, 가전과 정보기기는 해외생산 확대

- 석유화학과 반도체는 환율보다 국제수급 영향이 더 크고, 디스플레

이는 우월한 원가경쟁력 확보로 환율 영향 매우 미미

○ 그러나, 환율 하락에 따른 원자재 및 부품·소재 수입단가 하락효과

가 수출가격 하락폭에 못미칠 경우 수출채산성이 악화되고 수입제

품의 국산제품 대체 확대로 인한 국산 제품 매출이 감소될 전망

○ 특히 부품·소재의 경우 대내적으로는 저가 부품수입 증가 증가로

인해 단가인하 압력이 커지고, 부품의 국산화가 지연될 수 있으며,

대외적으로는 가격 경쟁력 약화로 해외시장을 잠식당할 가능성

- 일반기계는 수입 의존적인 핵심부품의 조달원가 인하로 부품의 국

산화 지연 가능성

- 독과점적 구조의 석유화학은 수출 채산성 악화와 수요업체의 납품

단가 인하 압력 증대의 이중고

- 섬유는 수출 채산성 악화와 수입단가 인하로 인한 수입품의 국산제

품 대체의 부정적 효과

Page 60: KIET 산업경제전망 보도자료(최종) FMR S 2T2U VWRPQ 231Ssd Zrsd t :q %89:GHS X o $ % | $^N_ a&DGHEfE

- 43 -

영향 내용

부정적 영향

예상 업종

자 동 차 가격경쟁력 약화로 수출에 부정적 영향

조 선 수입 기자재 유입 증가로 국내 기자재 매출 감소

일반기계 부품소재의 국산화 노력 지연 가능

철 강 철강제품 수입 확대

석유화학가격경쟁력 약화와 수요업체의 납품단가 인하

압력

섬 유 수입제품의 국산 제품 대체 확대

가 전저가부품 수입증가와 가격경쟁력 약화로 국내외

시장 상실

정보통신기기 부품 단가인하 압력과 경쟁국 부품 수입 증가

영향 미미 예상

업종

디스플레이한국의 원가경쟁력이 우월하여 가격 상승분 흡수

가능

반 도 체 환율변동보다 국제수급상황의 영향이 더 큰 편

<표 Ⅱ-3> 2011년 산업별 부품소재 분야에 대한 원화강세 영향

<표 Ⅱ-4> 2011년 산업전망 기상도

내수 생산 수출 수입

자 동 차 ☼☼ ☼

조 선 ☁ ☁ ☂

일 반 기 계 ☼☼ ☼☼ ☼☼ ☼☼

철 강 ☼ ☁

석 유 화 학 ☼ ☼☼

섬 유 ☼ ☼

가 전 ☼

정보통신기기 ☼ ☼ ☼

디 스 플 레 이 ☼☼ ☼ ☼☼ ☼

반 도 체 ☼☼ ☼☼ ☼☼ ☼

주 : 1) 전망 : 전년대비 증가율 기준, -10% 이하☂☂, -5%~-10 ☂, -5~0% ☁,

0~5% , 5~10% ☼, 10% 이상 ☼☼

2) 생산과 내수의 경우 자동차는 완성차, 조선은 건조량, 철강은 철강재, 석유

화학은 3대 유도품, 섬유는 섬유사의 물량 기준이고 여타 업종은 금액 기준

3) 수출과 수입은 모든 산업에서 달러화 가격 기준

Page 61: KIET 산업경제전망 보도자료(최종) FMR S 2T2U VWRPQ 231Ssd Zrsd t :q %89:GHS X o $ % | $^N_ a&DGHEfE

- 44 -

3. 정책적 시사점

□ 부품·소재 기업 역량 제고로 경쟁력 기반 강화 필요

○ 수입의존도 높은 핵심부품·소재의 연구개발투자 우선 지원

- 자 동 차 : 하이브리드차, 전기차 관련 부품·소재

- 일반기계 : NC장치 및 고속화·고정밀화 부품

- 철 강 : 고강도·고기능성 강재, 초경량·친환경 금속제품 등

- 석유화학 : 고부가가치 융복합 신소재, IT소재

- 가 전 : LCD 모듈 구동칩, PDP용 필터, 디지털셋톱박스 핵심부

품, 데이터방송 미들웨어와 솔루션

- 정보통신기기 : 베어스밴드칩, 핵심킬러 SW, 콘텐츠

- 디스플레이 : OLED정공 주입재료

○ 수요업체와 부품업체간 장기적 파트너십 구축 중요

- 대학과의 산학협력 확대, 맞춤형 인재 육성, 중소기업의 연구개발인

력 채용 지원, R&D 지원 등을 통해 부품·소재업체의 독자적 제품

개발 역량 확보

- 전자부품․소재 DB망 활용, 글로벌 파트너링 사업 강화, 모기업과

의 해외 동반 진출 확대로 국내 대기업에 대해서 파트너로서의 역

할 필요

- 수요업체와 부품업체간 협력하에 공정개선이나 품질 향상 등을 통

한 원가절감 달성에 대해서는 원가절감액의 상당 부분을 협력사에

보상하는 제도 도입

Page 62: KIET 산업경제전망 보도자료(최종) FMR S 2T2U VWRPQ 231Ssd Zrsd t :q %89:GHS X o $ % | $^N_ a&DGHEfE

- 45 -

□ 신성장동력분야의 선제적 투자 여건조성과 산업생태계 조성차원

의 재도약 정책추진 필요

○ 유망 신산업의 선제적 투자로 시장 창출 주도

- 자 동 차 : 하이브리드차, 전기차, 클린디젤차 등의 그린카

- 조 선 : 친환경 선박, Extreme Ocean Plant, 레저선박의 핵심기술

개발 지원과 인프라 확충

- 석유화학 : 고기능․고부가가치 스페셜티 핵심소재

- 섬 유 : 초경량, 초고강도, 초고탄성률, 초내구성의 첨단 고기능성

섬유소재

○ 그간의 성과와 성장잠재력이 큰 성장동력 중심으로 산업생태계

(eco-system) 구축을 통한 글로벌 역량 강화 중요

- 섬 유 : 스트림간 성과공유를 위한 생산단가 및 임가공단가 변

동에 대한 협의 채널 구축

- 가 전 : 스마트TV와 3DTV에서 제조사·통신사·포털·방송사·콘텐

츠제작사·소프트웨어 개발사 등 다양한 업종 간 연계 필요

- 정보통신기기 : 모바일 단말, 부품, SW 및 서비스부문에서 기업간

유기적인 연계체계를 구축하고, 대-중소업체간 공동 기술개발 및

협력 강화

□ 중국 및 신흥시장 중심의 글로벌 시장 확충 긴요

○ 중국내 유통물류시스템과의 연계전략 등을 통한 중국 내수시장에

대한 전략적 접근 모색

Page 63: KIET 산업경제전망 보도자료(최종) FMR S 2T2U VWRPQ 231Ssd Zrsd t :q %89:GHS X o $ % | $^N_ a&DGHEfE

- 46 -

- 기업 역량과 소비자 특성을 고려하여 특정지역에 우선 진출하는 단

계적 거점확보 전략 추진

- 소득수준별, 연령별로 차별적 마케팅 전개와 마케팅 수단에서도 사

이버 쇼핑몰, 전자거래, 제품명 현지화, 차별적 마케팅 등을 적극

활용할 필요

- 일반기계 : 중국 서부지역 개발에 필요한 건설 중장비 시장과 대

규모 자연재해로 인한 중장비 수요 지속 기회 활용

- 디스플레이 : 중국의 LCD 패널 육성정책을 수출기회로 활용하여

중국의 LCD 생산라인 신설․증설에 필요한 관련장비 및 부품 수

출 확대

○ 신흥지역과 경제협력협정 체결 지역에 대한 시장 공략 강화

- 자 동 차 : 유로 5의 환경규제 강화 대응 차종 개발로 EU FTA의

적극 활용, 중동과 중남미 시장 확대

- 일반기계 : 산업설비 구축을 목적으로 Oil & Gas 다운스트림 분야

에 대한 투자를 계속하고 있는 중동국가들의 플랜트 발주 시장

- 가 전 : EU는 2011년부터 세탁기, TV, DVDP 등에 대기전력

1w 규정 시행, 2013년부터는 0.5w기준을 적용하므로 대기전력을

대폭 저감시키는 가전부품 및 기기 개발로 EU시장 공략

□ 환경 친화 소비 분위기 조성 등 내수 진작책 필요

○ 친환경 제품에 대한 적극적 홍보와 우대 세제 지원 등으로 친환경

제품 시장 조기 창출 필요

- 자 동 차 : 2011년은 가솔린 하이브리드차 등 친환경 자동차가 출

시되므로 안정적인 시장확보를 위한 세제지원 확대 필요

Page 64: KIET 산업경제전망 보도자료(최종) FMR S 2T2U VWRPQ 231Ssd Zrsd t :q %89:GHS X o $ % | $^N_ a&DGHEfE

- 47 -

- 가 전 : 단일 KS표준안 조속 제정으로 LED 형광등 시장 형성,

가전기기의 렌털 서비스 확대를 통해 기존 사용제품의 신제품으로

의 교체 수요 촉진

○ 글로벌 시장으로의 진출 기반 마련을 위해 국내의 실적 확보 지원

- 일반기계에서 풍력설비, 태양광설비 등 신재생에너지 설비, 플랜트

등 대형프로젝트의 경우 업종의 특성상 신기술, 신제품 개발 후 상

용화 및 수출확대를 위한 실증사업화가 절실

- 철강수요 집중도가 높은 공공시설, 사회배관망 등 SOC에 대한 공

공투자를 활용하여 공공부문의 철강수요 개발

Page 65: KIET 산업경제전망 보도자료(최종) FMR S 2T2U VWRPQ 231Ssd Zrsd t :q %89:GHS X o $ % | $^N_ a&DGHEfE

- 48 -

<표 Ⅱ-5> 주요 산업별 전망의 시사점 (요약)

업종 주요 내용

자 동 차-유로 5 등 선진국의 환경규제 강화 대응 차종 개발

-친환경 자동차 판매확대 및 조기정착 지원

조 선-친환경선박, 레저선박등의신성장동력분야와조선기자재수출산업화지원

-건조설비 최적화 및 전용 추진

일반기계-중국 등 전략시장과 중동 플랜트 기자재시장 공략으로 해외진출 확대

-공공기관의 조달 확대로 글로벌 시장 진출에 필요한 실적 확보

철 강-저급 수입 철강재의 유입에 대한 경계체제 상시가동

-기술개발 및 해외시장 진출 지원 확대로 산업구조 고도화 추진

석유화학-생산구조 고도화와 고부가가치 핵심소재 시장 진출 확대

-대형화와 현지 진출 확대로 글로벌화 촉진

섬 유-첨단 고기능 섬유 개발 및 산업연계 강화

-섬유 스트림간 협력 강화로 위기대응체제 구축

가 전-시장 선점 위한 스마트그리드 가전제품 개발 지원

-부품 중소기업의 역량강화를 위한 연구개발지원 확대

정보통신

기 기

-모바일 단말, 부품, SW 및 서비스 부문의 연계체계 구축

-차세대 제품 연구개발 지원 확대 및 폐쇄적 시장 구조 개선

디스플레이-중국 내수시장 진출 강화

-핵심부품·소재의 생산능력 강화 및 국산화 지원

반 도 체-R&D인력 확대와 녹색성장 관련 제품의 전략적 개발

-시스템 반도체의 대형화 유도로 글로벌 경쟁력 확보와 부실화 예방

Page 66: KIET 산업경제전망 보도자료(최종) FMR S 2T2U VWRPQ 231Ssd Zrsd t :q %89:GHS X o $ % | $^N_ a&DGHEfE

- 49 -

4. 주요 산업별 2011년 전망 요약1)

<자동차>

○ 내수는 10년 이상된 노후차량의 대체 수요기반이 충분하고 완성차

업체들간의 경쟁적 인센티브 제공 등으로 전년대비 1.5% 증가한

159만대를 기록할 전망

○ 수출은 원화환율 절상 우려, 해외생산 증가 등의 부정적인 요인이

있으나 글로벌 자동차시장에서 국내 완성차에 대한 품질 및 브랜드

가치 상승, 국내 자동차부품에 대한 해외 완성차업체들의 수요 증

가 등으로 전년대비 10.1% 증가한 약 592억 달러(자동차부품 포함)

에 달할 전망

○ 생산은 2009년 경영위기를 겪었던 일부 완성차업체들이 경영정상

화, 내수 및 수출의 소폭 증가 등에 힘입어 전년대비 2.2% 증가한

약 436만대를 기록할 전망

○ 수입은 하반기 EU FTA 발효에 따른 가격인하 효과로 최근 시장점

유율을 높이고 있는 유럽산 고급차의 판매 증가가 더욱 확대되면서

전년대비 7.2% 증가한 90억 달러(자동차부품 포함)를 기록할 전망

<조선산업>

○ 선종별로 다르고 본격 회복국면으로 보기 어려우나 해운시황이 개

선되고 있고 원유 및 가스 시추 및 생산을 위한 해양플랜트의 발주

도 이어질 전망이어서 국내 조선업체들의 수주 증가 예상

1) 주요 업종별 세부 내용문의와 보다 자세한 업종별 전망 자료를 얻고자 하실 경우에는 산업연구원의 업종별

전망 담당자에게 연락하시기 바람. 자동차-김경유 부연구위원/3299-3125, 조선-홍성인 연구위원/3299-3044,

일반기계-박광순 선임연구위원/3299-3293, 철강-정은미 연구위원/3299-3064, 석유화학-남장근 연구위원

/3299-3294, 섬유-이임자 부연구원/3299-3108, 가전-이경숙 연구위원/3299-3055, 정보통신기기-김종기 연구위

원 / 3299-3106, 디스플레이-서동혁 연구위원/3299-3032, 반도체- 주대영 연구위원/ 3299-3190

Page 67: KIET 산업경제전망 보도자료(최종) FMR S 2T2U VWRPQ 231Ssd Zrsd t :q %89:GHS X o $ % | $^N_ a&DGHEfE

- 50 -

○ 생산은 건조량이 수주량을 웃돌면서 수주잔량이 계속 감소하고 있

어 4.5% 감소한 1,280만 CGT에 머물 전망

○ 수출은 고선가 시기의 선박이 인도됨에 따라 금년에 이어 내년에도

약 1.1%의 증가가 예상되고, 수입은 국내 건조량 감소에 따른 중국

현지 생산 블록의 반입규모 감소로 8.3% 감소한 43억 달러에 머물

전망

<일반기계산업>

○ 내수는 수요기업들의 투자 지속, 노후설비교체 압력증대에 따라 꾸

준히 지속될 것으로 보이지만 증가율은 10.9%로 다소 낮을 전망

○ 수출은 세계경기의 성장세, 중국의 서부 대개발 및 고정자산 투자

세 지속, 중동지역에 대한 플랜트 기자재 수출 수요 확대 등 긍정

적 요인이 상존하나 증가율은 13%로 예상

○ 생산은 내수 및 수출증가율이 모두 둔화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전년대비 11.2% 증가율을 보일 것으로 전망

○ 수입은 반도체제조장비, 신재생에너지 설비 등 우리의 경쟁력이 취

약한 장비 수입 지속으로 11% 증가할 전망

<철강산업>

○ 주요 수요산업인 기계, 자동차 등 제조업 부문의 안정적인 생산증

가에도 불구하고 건설 및 조선산업의 경기침체로 인해 봉형강류 및

강관의 철강 수요가 부진하면서 2011년 철강 내수는 전년 대비

1.2% 늘어난 5,261만톤으로 예상

○ 세계 철강경기가 신흥국 중심으로 회복하고 국내 철강산업의 수출

여력이 확대되면서 철강 수출은 2010년 284억 달러에서 312억 달러

Page 68: KIET 산업경제전망 보도자료(최종) FMR S 2T2U VWRPQ 231Ssd Zrsd t :q %89:GHS X o $ % | $^N_ a&DGHEfE

- 51 -

로 늘어날 전망이지만 수출경쟁 심화에 따른 철강 보호무역주의 강

화, 중국발 아시아 철강시장의 불안정화라는 위험요인 고려 필요

○ 생산은 신․증설 설비들의 가동률 향상과 내수의 점진적인 회복으

로 2011년에 6,542만톤으로 늘어날 것으로 보이지만 제철원료 가격

상승에 따른 원가상승 부담이 수익성 향상에 제약요인으로 작용할

전망

○ 철강수요 회복에 대한 기대와 환율효과 등으로 철강 수입이 계속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열연, 후판과 같은 제품의 국내 공급이 늘어나

면서 수입억제 요인으로 작용하여 2011년 철강 수입은 287억 달러

수준으로 전년 대비 4.5% 감소 예상

<석유화학산업>

○ 내수는 기저효과와 전방 수요산업의 수출 증가세 둔화 및 국내 3대

주력사업 시장포화 등에 따라, 물량기준 3.4% 증가에 그칠 전망

○ 수출은 세계경제 성장세 둔화와 원유 재고량 누적 등으로 유가 상

승세가 제한적이고, 국제시장에서 기존 나프타의 재고 누적으로 석

유화학 제품의 수출단가 상승폭이 크게 억제되어 금액기준 9.2%로

증가가 둔화될 전망

○ 생산은 기저효과와 내․외수의 여러 불안 요인들의 복합적 작용으

로 부정적 요소가 크나, 최대 수입시장인 중국의 수요가 견조한 증

가세이므로 2.8%로 높아질 전망

○ 수입은 기저효과와 함께 세계경제 회복세 둔화 등 불확실성 요인

증대로 전방 수요산업의 성장이 한풀 꺾이고, 선진국의 고부가가치

스페셜티 제품에 대한 수요증가세도 크게 감소하는 데다, 원화강세

의 영향도 작용하여 14.9%로 2010년보다 크게 둔화될 전망

Page 69: KIET 산업경제전망 보도자료(최종) FMR S 2T2U VWRPQ 231Ssd Zrsd t :q %89:GHS X o $ % | $^N_ a&DGHEfE

- 52 -

<섬유산업>

○ 내수는 국내 경기 및 민간소비의 꾸준한 성장에도 불구하고 주가

및 실질소득의 상대적 부진으로 구매력이 둔화하면서 다소 완화하

여 상반기에 1.7%, 하반기에 2.5% 증가하여 연간 2.1% 증가 전망

○ 수출은 세계경기의 불안요인 잔재, 환율 하락 가능성, 글로벌 경기

둔화 등으로 상반기 4.6%, 하반기 8.6% 증가하여 연간 6.7% 증가

전망

○ 생산은 내수와 수출이 모두 둔화하고 원자재값 상승 및 임가공료

인상 등의 여파로 생산 증가폭이 감소하여 상반기에 2.0%, 하반기

0.2% 증가하여 연간으로는 1.1% 증가 예상

○ 수입은 원화환율이 전년대비 하향 안정세를 유지하고, 민간소비 증

가세에 따른 고가 제품의 수입 회복세, 베트남 등 해외 생산품의

역수입 증가 등으로 완만히 증가하여 상반기 10.9%, 하반기에 5.1%

증가하여 연간으로는 7.9% 증가 전망

<가전산업>

○ 내수는 고용 악화 및 가계부채 증가로 소비심리가 위축되고 민간주

택건설 감소로 빌트인 가전 수요가 둔화되면서 1.6% 증가에 그칠

전망

○ 수출은 미국과 중국 등 주요 수출대상국의 성장률 하락과 환율 절

상, 보호무역주의 확산 가능성 등 대외환경 악화와 기저효과로 달

러화 기준 4.7%의 한자리수 증가할 전망

○ 달러화 기준 수출은 증가하나, 원화 강세로 인해 원화 환산 수출

증가율은 오히려 마이너스이고, 내수 증가도 소폭에 머물러 생산은

0.6% 증가에 그칠 전망

Page 70: KIET 산업경제전망 보도자료(최종) FMR S 2T2U VWRPQ 231Ssd Zrsd t :q %89:GHS X o $ % | $^N_ a&DGHEfE

- 53 -

○ 내수 회복세가 미약하고 수출 둔화로 인한 수출용 수입수요는 감소

하나 원화절상에 따른 수입단가하락으로 수입이 늘어나면서 수입은

달러화 기준 5.0% 증가할 전망

<정보통신기기산업>

○ 내수는 스마트폰 및 모바일 PC 수요 증가와 무선네트워크 시장 활

성화 등으로 전년대비 8.1% 증가 전망

○ 수출은 휴대폰시장 경쟁 심화와 해외생산 확대의 부정적 요인이 있

지만 국내 스마트폰의 경쟁력 제고와 정보기기의 꾸준한 수출증가

세 그리고 기저효과로 전년대비 5% 정도 증가 예상

○ 생산은 전반적으로 해외생산 비중 확대로 큰 폭의 증가세 시현은

어렵지만, 정보통신기기의 수출 및 내수 증가세 그리고 기저효과로

전년대비 4%대 증가율을 기록

○ 수입은 스마트폰, 태블릿PC 등 신규 글로벌 제품에 대한 높은 수입

수요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나 전년의 높은 증가율에 따른 기저효

과로 전년대비 7.8% 정도 증가 예상

<디스플레이 산업>

○ 세트제품의 수요증가가 TV보다는 IT기기에서 더 크게 발생할 전망

이이서 내수는 약 12% 증가할 것이지만 재고부담이 1분기까지는

지속될 전망

○ 수출은 중국을 비롯한 주요국 시장의 세트제품 수요의 완만한 증

가, 재고 부담에 따른 패널가격의 회복 지연, 세트기업간 경쟁격화

에 따른 가격인하 압박 등이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면서 대체로 약

15% 증가할 전망

Page 71: KIET 산업경제전망 보도자료(최종) FMR S 2T2U VWRPQ 231Ssd Zrsd t :q %89:GHS X o $ % | $^N_ a&DGHEfE

- 54 -

○ 생산은 비록 패널가격 하락세가 조기 해소되지 못하더라도 세트제

품 가격하락에 따른 수요증대 기대감, 경쟁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가동률 유지 등으로 약 10%의 증가율이 예상

○ 국내 생산구조가 대형패널 중심의 생산으로 IT용 소형패널의 수입

수요가 지속 발생하는 형태여서, 수입은 수출증가에 따른 국내 중

소형 패널수요 증가에 따라 약 9% 증가가 예상

<반도체 산업>

○ 내수는 스마트폰, 태블릿PC 등 수출확대로 국내시장에서 반도체의

유효수요 증가

○ 수출은 가격 강세와 함께 개도국의 IT제품 수요증대에 따른 반도체

수요급증 예상되고, 특히 D램은 PC용보다 모바일용, 서버용, 그래

픽용의 수출 증대 예상

○ 생산은 국내 선발업계가 D램 30나노급, 플래시메모리 20나노급으로

완전히 전환하여 생산 확대 예상

○ 수입은 스마트폰, 자동차용 등의 반도체 수입이 급증

Page 72: KIET 산업경제전망 보도자료(최종) FMR S 2T2U VWRPQ 231Ssd Zrsd t :q %89:GHS X o $ % | $^N_ a&DGHEfE

- 55 -

<표 Ⅱ-6> 2011년 주요 산업별 생산 전망

(%)

20092010 2011

상반기 하반기 상반기 하반기

자 동 차(천대)

3,513 2,100 2,169 4,269 2,124 2,239 4,363

(-8.2) (37.3) (9.4) (21.5) (1.1) (3.2) (2.2)

조 선(만CGT)

1,447 650 690 1,340 610 670 1,280

(-0.3) (-9.3) (-5.4) (-7.4) (-6.2) (-2.9) (-4.5)

일 반 기 계(10억원)

62,791 37,947 47,965 85,912 42,084 53,481 95,565

(-11.5) (36.6) (37) (36.8) (10.9) (11.5) (11.2)

철 강(천톤)

56,919 32,709 31,247 63,956 31,962 33,456 65,418

(-11.5) (28.5) (-0.7) (12.4) (-2.3) (7.1) (2.3)

석 유 화 학(천톤)

20,995 10,673 10,532 21,205 10,908 10,892 21,800

(8.3) (1.3) (-0.4) (1.0) (2.2) (3.4) (2.8)

섬 유(천톤)

1,818 959 974 1,933 978 976 1,954

(-2.8) (8.6) (4.2) (6.3) (2.0) (0.2) (1.1)

가 전(10억원)

29,257 15,570 16,250 31,820 15,740 16,260 32,000

(-8.8) (10.9) (6.8) (8.8) (1.1) (0.1) (0.6)

정보통신기기(10억원)

75,123 33,685 36,463 70,148 35,619 37,870 3,489

(-6.7) (-9.2) (-4.1) (-6.6) (5.7) (3.9) (4.8)

디스플레이(10억원)

37,598 21,096 23,259 44,355 22,495 26,308 48,803

(3.3) (24.6) (12.5) (18.0) (6.6) (13.1) (10.0)

반 도 체(10억원)

40,826 29,165 31,865 61,030 32,520 37,240 69,760

(19.1) (76.8) (31.0) (49.5) (11.5) (16.9) (14.3)

주 : 1) ( )은 전년 동기비 증가율

2) 자동차는 완성차, 조선은 건조량, 철강은 철강재, 석유화학은 3대 유도품,

섬유는 섬유사 기준으로 실질기준이고, 나머지는 명목기준

Page 73: KIET 산업경제전망 보도자료(최종) FMR S 2T2U VWRPQ 231Ssd Zrsd t :q %89:GHS X o $ % | $^N_ a&DGHEfE

- 56 -

<표 Ⅱ-7> 2011년 주요 산업별 내수 전망

(%)

20092010 2011

상반기 하반기 상반기 하반기

자 동 차(천대)

1,463 761 815 1,576 774 825 1,599

(18.5) (16.6) (0.6) (7.7) (1.7) (1.2) (1.5)

조 선(만CGT)

101 50 45 95 48 43 91

(4.1) (-5.7) (-5.8) (-5.9) (-4.0) (-4.4) (-4.2)

일 반 기 계(10억원)

60,340 34,899 44,596 79,495 38,535 49,655 88,190

(-6.2) (31.7) (31.7) (31.7) (10.4) (11.3) (10.9)

철 강(천톤)

45,411 27,028 24,950 51,978 25,816 26,797 52,613

(-22.4) (35.0) (-1.7) (14.5) (-4.5) (7.4) (1.2)

석 유 화 학(천톤)

9,655 5,055 5,179 10,234 5,181 5,401 10,582

(4.1) (8.2) (3.9) (6.0) (2.5) (4.3) (3.4)

섬 유(천톤)

1,434 803 791 1,594 817 811 1,628

(-2.2) (18.1) (4.9) (11.2) (1.7) (2.5) (2.1)

가 전(10억원)

21,421 10,653 11,132 21,785 10,725 11,414 22,139

(-8.1) (4.0) (-0.4) (1.7) (0.7) (2.5) (1.6)

정보통신기기(10억원)

42,955 23,120 24,818 47,938 24,911 26,890 51,801

(-7.8) (15.4) (8.3) (11.6) (7.7) (8.3) (8.1)

디스플레이(10억원)

10,174 5,745 5,672 11,417 6,255 6,600 12,855

(-48.4) (18.7) (6.4) (12.2) (8.9) (16.4) (12.6)

반 도 체(10억원)

34,799 18,840 21,732 40,572 21,220 26,410 47,630

(3.7) (12.8) (20.1) (16.6) (12.6) (21.5) (17.4)

주 : 1) ( )은 전년 동기비 증가율

2) 자동차는 완성차, 조선은 건조량, 철강은 철강재, 석유화학은 3대 유도품, 섬

유는 섬유사 기준으로 실질기준이고, 나머지는 명목기준

Page 74: KIET 산업경제전망 보도자료(최종) FMR S 2T2U VWRPQ 231Ssd Zrsd t :q %89:GHS X o $ % | $^N_ a&DGHEfE

- 57 -

<표 Ⅱ-8> 2011년 주요 산업별 수출 전망

(백만 달러, %)

20092010 2011

상반기 하반기 상반기 하반기

자 동 차37,122 25,636 28,199 53,835 28,934 30,314 59,248

(-24.2) (66.7) (29.7) (45.0) (12.9) (7.5) (10.1)

조 선45,128 24,565 25,160 49,725 25,007 25,286 50,293

(4.6) (1.8) (19.8) (10.2) (1.8) (0.5) (1.1)

일 반 기 계23,580 14,834 16,910 31,744 16,931 18,939 35,870

(-20.0) (37.1) (32.5) (34.6) (14.1) (12.0) (13.0)

철 강23,030 13,047 15,319 28,366 15,324 15,852 31,176

(-22.9) (14.8) (31.3) (23.2) (17.5) (3.5) (9.9)

석 유 화 학27,466 17,625 17,255 34,880 18,946 19,149 38,095

(-14.5) (44.4) (13.1) (27.0) (7.5) (11.0) (9.2)

섬 유11,634 6,581 6,914 13,495 6,885 7,512 14,397

(-12.6) (20.8) (11.8) (16.0) (4.6) (8.6) (6.7)

가 전10,057 6,436 6,710 13,146 6,850 6,920 13,770

(-22.0) (38.6) (24.0) (30.7) (6.4) (3.1) (4.7)

정보통신기기37,828 16,492 18,491 34,983 17,793 19,187 36,980

(-17.3) (-10.7) (-4.5) (-7.5) (7.9) (3.8) (5.7)

디스플레이25,123 15,252 17,585 32,837 16,925 20,960 37,885

(36.6) (45.8) (19.9) (30.7) (11.0) (19.2) (15.4)

반 도 체31,042 23,634 27,736 51,370 26,110 30,620 56,730

(-5.3) (99.0) (44.7) (65.5) (10.5) (10.4) (10.4)

1 0대 산업합 계

272,010 164,102 180,279 344,381 179,705 194,739 374,444

(-11.3) (31.5) (22.5) (26.6) (9.5) (8.0) (8.7)

주 : 1) ( )은 전년 동기비 증가율

2) 수치는 통관 기준

Page 75: KIET 산업경제전망 보도자료(최종) FMR S 2T2U VWRPQ 231Ssd Zrsd t :q %89:GHS X o $ % | $^N_ a&DGHEfE

- 58 -

<표 Ⅱ-9> 2011년 주요 산업별 수입 전망

(백만 달러, %)

20092010 2011

상반기 하반기 상반기 하반기

자 동 차5,868 3,995 4,468 8,463 4,276 4,801 9,077

(-23.2) (69.0) (27.5) (44.2) (7.0) (7.5) (7.3)

조 선4,872 2,270 2,420 4,690 2,050 2,250 4,300

(-8.5) (-4) (-3.5) (-3.7) (-9.7) (-7.0) (-8.3)

일 반 기 계21,659 12,183 13,981 26,164 13,645 15,397 29,042

(-7.7) (24.2) (18.0) (20.8) (12.0) (10.1) (11.0)

철 강23,978 15,389 14,685 30,074 14,784 13,924 28,708

(-42.1) (39.9) (13.1) (25.4) (-3.9) (-5.2) (-4.5)

석 유 화 학9,534 6,567 7,050 13,617 7,322 8,319 15,641

(-22.6) (68.5) (25.1) (42.8) (11.5) (18.0) (14.9)

섬 유7,407 4,365 4,883 9,248 4,841 5,134 9,975

(-15.8) (38.0) (15.0) (24.9) (10.9) (5.1) (7.9)

가 전3,892 2,177 2,240 4,417 2,270 2,370 4,640

(-19.7) (18.8) (8.8) (13.5) (4.3) (5.8) (5.0)

정보통신기기12,618 7,337 8,333 15,670 8,014 8,884 16,898

(-15.9) (25.8) (22.8) (24.2) (9.2) (6.6) (7.8)

디스플레이3,418 1,950 2,225 4,175 2,094 2,455 4,549

(4.5) (28.6) (17.0) (22.1) (7.4) (10.3) (9.0)

반 도 체26,620 14,656 18,924 33,580 15,650 20,590 36,240

(-16.9) (21.9) (29.6) (26.1) (6.8) (8.8) (7.9)

10대 산업합 계

119,866 70,889 79,209 150,098 74,946 84,124 159,070

(-22.2) (31.8) (19.9) (25.2) (5.7) (6.2) (6.0)

주 : 1) ( )은 전년 동기비 증가율

2) 수치는 통관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