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
Kwon, In Kyung Solo Exhibition Imagined memories “상상된 기억들” Kwon, In Kyung Solo Exhibition Imagined memories Kwon, In Kyung Solo Exhibition Imagined memories Gallery artbn Gallery artbn 2015. 12. 4(fri) - 12.26(sat)

Kwon, In Kyung Solo Exhibitionkwoninkyung.otm.co.kr/data/file/artbook/833122046... · 2018. 6. 6. · 후원 : Kwon, In Kyung Solo Exhibition Imagined memories Gallery a r t b n 2015

  • Upload
    others

  • View
    2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 Kwon, In Kyung Solo Exhibition

    Imagined memories“상상된 기억들”

    Kwon, In Kyung Solo Exhibition

    Imagined memories

    Kwon, In Kyung Solo Exhibition

    Imagined m

    emories

    Gallery

    artbn

    Gal lery a r t b n 2015. 12. 4(fri) - 12.26(sat)

  • 후원 :

    Kwon, In Kyung Solo Exhibition

    Imagined memoriesGa l l e r y a r t b n2015. 12. 4 (fri) - 12.26 (sat)

    갤러리 아트비앤

    서울시 종로구 삼청로 22-31 2층 www.artbluenett.com 두개의 문

    29×20×4(h)cm, 한지에 수묵, 아크릴, 2015

    Two doors

    29×20×4(h)cmcm, Indian ink on Hanji, Acryl, 2015

  • 5

    상상된 기억들 1

    125×187cm, 한지에 수묵꼴라쥬, 아크릴, 2015

    Imagined memories 1

    125×187cm, Collage of Indian ink on Hanji, Acryl, 2015

    권인경의 ‘상상된 기억들(Imagined memories)’ 전에 등장하는 공간에는 기억들이 켜켜이 쌓여있다. 단편들에 내장된 기억은 꿈처럼 생생하면서도 모호하다. 각 장면은

    강렬하면서도 장면과 장면 사이의 인과 고리가 불분명하기 때문이다. 인과 고리가 분명하다면 기억이나 꿈도 합리화되어 현실 속에 자리 매김 될 것이다. 그래서 의미와 기능을

    부여받을 것이다. 그러나 권인경의 작품에서 인과 고리는 생략되어 있고, 단편과 단편들은 직접 등을 마주 댄다. 연접하는 단편들은 사발팔방으로 강력하게 뻗어나간다. 곧잘

    자기들끼리 알아서 뻗어 나아가는 상황에서, 의식은 조율의 역할을 할 뿐이다. 주도자보다는 조율자로서의 역할을 받아들이는 권인경의 작품에는 세련됨과 완성미 보다는 야생성과

    솔직함이 있다. 분업화된 사회에서 하나만 파면서 얻을 수 있는 이익이 있겠지만, 그렇게 하기 보다는 자신의 본성에 따라가겠다는 선택이다.

    권인경의 작품에서 꿈, 무의식, 광기처럼 흐름은 강력하지만 어디에서 와서 어디로 가는 지는 불확실하다. 대개 중력에 순응하는 방식이지만 장면들은 마치 지구별처럼 푸른색으로

    채워진 공간에 떠있기 일쑤이다. 모호하지만 강력한 것, 그것은 예술을 닮았다. 이성이나 의식, 문명보다는 자연에 더 가까워지려는 선택이다. 종횡무진 뻗어나가는 힘은 화면

    속에서 뜬금없이 출몰하는 물줄기나 수목 이미지와 비교될 수 있다. 사진에 모델링 페이스트가 사용된 [모호한 공간] 시리즈에서는 레이스와 같이 섬세한 그물망이 화면을

    도포한다. 물줄기나 수목의 말단이 가닿는 곳처럼, 조그만 틈만 생겨도 무엇인가로 채워진다. 또 다른 기억으로 채워지기 위해 또 다른 공간이 생겨난다. 세포분열처럼 증식되는

    기억은 기억을 특정한 과거의 재현에 한정하지 않는다. 이 유동하는 세계에서 고정된 한 지점을 전제하는 재현은 불가능하다. 재현된 것이 어느 한 토막 끼어 있을지는 모르지만,

    이내 증식된 단편들의 범람에 의해 상대화될 것이다.

    ‘상상된 기억들’은 기억의 유동성을 떠올리는데, 그것은 단순히 시간이 흐름에 따라 기억이 희미해진다거나 기억의 조작을 말하는 것은 아니다. 그것은 재현이 아닌, 생성을 말한다.

    권인경의 작품에서 기억은 과거의 것일 뿐 아니라 미래의 것이고, 동시에 지금 여기를 새롭게 하는 힘이다. 이 작업의 계기는 지인의 심각한 트라우마로 부터 비롯됐다. 알라이다

    아스만은 [기억의 공간]에서 충격과 기억의 관계를 말한다. 가령 강제수용소가 트라우마의 장소인 것은 그 곳에서 자행된 만행의 과도함이 인간적 이해력과 표현력을 넘어섰기

    때문이다. 이해될 수 있고 표현될 수 있다면 그것은 더 이상 트라우마가 아니다. 그러나 작가는 ‘환자’와 달리 단지 병을 앓고 있는 자가 아니라, 병을 극복한 자이다. 특히 작업을

    통해서. 전형적인 ‘동양화’를 벗어나 뭔가 가득 쌓여있고, 또 작품의 구성요소들이 유기적으로 질서화 되어 있지 않은 권인경의 작품은 편집증이나 분열증적 요소가 있지만,

    거기에는 부정 보다는 긍정적 요소가 강하다. 도피보다는 전진을 떠올리는 경쾌한 에너지가 있다.

    물론 상실감도 있다. [의도하지 않은 상실]이라는 한 작품의 제목처럼, 상처-기억-상실감이라는 연결고리가 성립된다. 그러나 상실이 꼭 고난은 아니다. 종교학자 조너선 스미스가

    [자리잡기]에서 말했듯이, 상실을 꼭 불화, 타락, 비존재라는 카오스로의 침몰이라고 생각할 필요가 없다. 상실은 지금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지만 남아있는 현재를 조율하고

    권인경의 회화

    미지의 기억으로 이끄는 다차원적인 선들

    이 선 영 (미술평론가)

  • 7

    공간을 가득채운 빼곡한 차이들은 하나의 질감으로 드러나는 것이다. 그러한 관점을 잘 드러내는 것이 작품 속에 종종 나타나는 빈 의자들이다. 작품 [The mind map 1]에서 지도

    모양 안의 공간에 자리한 집들을 하나의 덩어리로 보이게 하는 것은 밖에 있는 빈 의자다. 집과 집 사이에는 간격이 있지만, 집들과 의자가 사이에 놓인 간격은 더욱 크다. 부재하는

    현존을 암시하는 의자는 도시와 도시적 삶을 조망하는 누군가의 자리일 것이다. 작품 [The mind map 2]에서도 지도형상으로 밀집된 집들을 언덕 위의 빈 의자가 내려다보는

    시점이 있다. 산동네나 빌딩 숲 같은 밀집된 구조를 상대화하는 것은 그 안팎에 크고 작은 비중으로 배치된 자연이다. 밀집된 공간과 공존하는 것은 시원한 산수, 또는 여백처럼 텅

    비워 놓은 공간, 때로는 아예 칠하지 않고 빈 바탕으로 남겨놓은 공간들이다. 작은 작품들인 [기억들 (Souvenirs)] 시리즈에는 캔버스 올이 다 드러나 있는 빈 바탕이 있는데, 그것은

    기억이 완성되어야 할 미지의 것임을 알려준다.

    일본의 쓰나미에서 영감을 작품 [기억상실(Black out)]은 망실된 기억을 형상화한다. 그러한 총체적인 파국은 개인의 트라우마를 넘어 집단적 경험으로 자리한다. 장소와 기억의

    긴밀한 관계를 생각할 때, 기억의 상실 또한 쓰나미 같다. 마치 벽돌처럼 두텁게 만들어진 그림은 무너져 내린 건물을 다시 축조하기 위해 남아 있는 벽돌이 어떤 역할을 해야 할지

    알려준다. 벽돌은 드문드문 남아있다. 그것은 징검다리처럼 서로 다른 시공간의 블록을 이어줄 것이다. 단편들 간의 간격은 크지만 간격을 상실로만 볼 것이 아니라, 도약의 계기로

    삼을 수 있다. 예술 또한 현실에서 불가능한 도약이 일어나는 장이다. 예술 속에서의 사건은 현실에서와 같이 재난으로만 간주되지 않는다. 간격은 끊어짐이지만 동시에 이어짐에

    대한 기대를 가진다. 권인경의 작품에서 연결은 점에서 점이 아니라, 선에서 선으로 이어진다. 선의 이미지는 미세한 균열부터 거대한 산맥까지, 물줄기에서 도로까지, 전선에서

    나뭇가지까지 다양하다.

    구조화된 선이라고 할 수 있는 창이나 문도 그 역할을 수행한다. 그것은 여기와 저기를 잇는다. 작품 [상상된 기억들2]에서 화면을 가로지르는 밝은 선은 창틀이다. 창 안과 밖을

    나누는 면은 쑥 빠져 있다. 여기와 저기로 마음껏 왕래한다. 마치 또 다른 차원으로 이동하는 문 같은 역할은 거울 저편의 세계를 상상하게 한다. 거울 저편에서 고정된 현실을

    그대로 복제하는 일은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 작품 [상상된 기억들3]에서 밝은 선으로 기하학적으로 구획된 화면의 앞은 실내, 뒤는 풍경이다. 그러나 바깥의 산과 안의 수석 등,

    안팎이 연결되어 있는 지점들은 여러 곳에 암시되어 있다. 각각 구획된 면에 해와 달이 하나씩 떠 있다. 각기 다른 시간대가 결정체의 조각들처럼 마주한다. 뭔가 가득히 있는

    풍경은 뭔가 가득 쟁여져 있는 문을 열었을 때 쏟아져 나오는 느낌이다. 그러나 매우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되어 있는 권인경의 작품에서 무엇이 쏟아져

    나올지 예측되지는 않는다.

    어떤 창은 밤을, 어떤 창은 낮을 반영하는 등 멀리 보이는 창들에는 제각각의 시간이 들어차 있다. 때때로 창들은 한 벽에 걸린 서로 다른 그림들처럼 보인다. 그림 속에는 또 다른

    그림이 있고, 풍경 속에는 또 다른 풍경이 있다. 작품 [두개의 문]에서 문이 열린 층에 있는 화분은 사람처럼 우리를 내려다본다. 작가는 화분이 자신을 닮았다는 이야기를 전한다.

    화분은 의자와 더불어 풍경과 마주하는 이의 시점을 공유한다. 그것들은 인간이 아닌 인간의 흔적이다. 미시적인 또는 거시적인 시공간 감각을 가지는 권인경의 작품에서 인간은

    흔적으로 나타날 뿐이다. 인간은 재현된 하나의 도상이 아니라, 기억과 지각으로 시공간에 편재한다. 통상적인 시공간 감각과 무관하게 꼬리에 꼬리를 물며 이어지는 단편들은

    가능한 모든 시점이 병렬되어 있다. 연속되는 ‘그리고’로 이어지는 병렬의 감각은 현대적이다. 작품에 편재하는 분절구조들은 각기 다른 단수들을 포함한다. ‘이질적 단수들이

    연접’(들뢰즈)하고, 단편들이 배치되면서 만들어지는 새로운 영토는 지도를 그리며 나아간다.

    변화시키는 복합적인 과정의 출발점을 제공한다. 잃어버린 시공간은 변신의 과정을 통해, 그 자신의 자리에서 벗어나서 타자--사물, 사람, 혹은 표지—안에 자리 잡음으로서 영원히

    접근 가능하도록 남아있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 의하면, 공간은 이미 존재하는 것, 그리고 기억들을 호출하는데 사용되는 이미지들이 자리할 빈 장소들로 나누어져 있지 않다.

    조너선 스미스에 의하면 장소는 선재하며 기억보다 오래 남는다고 생각되지만, 공간은 단지 주어진 것이 아니라, 인간의 투사에 의해 창조된 것이다.

    즉 자리는 수동적인 용기(容器)가 아니라 이식의 능동적 산물이다. 방향 설정은 우리의 몸과 관련된다. 몸은 방위를 설정해주고 자리에 의미를 부여해준다. 그래서 권인경의 [The

    mind map] 시리즈에 나타나 있듯이, 심리적인 지도가 중요하다. 이러한 관점에 의하면 인간이 위치 지어지는 것이 아니라, 인간이 자리를 존재하게 한다. 누구에게도 좋은 기억이

    있는 장소와 그렇지 않는 장소가 있을 것이다. 그 장소에 가면 그때의 기억이 떠올라 현재의 상황이 치유되거나, 반대로 덧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장소가 사라져도 기억은

    남아있다. 시간과 함께 사라진 공간에 대한 기억은 더 강렬하다. 깊은 상실감은 사라진 공간을 지금 여기의 결핍을 치유해줄 대안의 공간으로 변모하는 동력이 된다. 그것은 모든

    민족들이 불러왔던 고향에 대한 노래를 생각해 보면 분명하다. 그러나 고향에 대한 노래와 고향의 현실은 일치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조너선 스미스에 의하면 고향은 내가 태어난 자리나 내가 살던 자리로 가장 잘 이해되는 곳이 아니다. 고향은 기억이 머무는 곳, 공상들이 응축된 곳이다. 그래서 모든 참된 거주

    공간은 고향의 속성을 지닌다. 권인경에게는 30년을 넘게 살아온 아파트가 고향이다. 그러나 대부분 아파트 같은 대형 주거공간은 서로 다른 곳에서 온 이들이 한데 모여드는

    곳이다. 각자 다른 고향이 있는 것이다. 같이 경험한 장소에 대한 기억도 각기 다르다. 기억은 꿈과 무의식, 취향과 성향과 마찬가지로 개인적이다. 그러한 다름은 서로 다른 지향을

    낳을 것이다. [개인의 방] 시리즈에 나타나 있듯이, 각각의 세계는 보이지 않는 벽이 있다. 그것은 개인을 보호하기도 하고 소외시키기도 할 것이다. 권인경의 작품에서 이 이질적

    차이의 힘은 다성음의 조화처럼 긍정적으로 작용한다. 획일성의 상징으로 비판받는 아파트는 차이의 무대로 나타난다. 작품의 주요한 구성요소 중의 하나인 아파트는 그 아래의

    오래된 마을을 도미노처럼 삼킬 듯한 리얼리즘적 관점이 있음과 동시에, 차이 또한 예시한다.

    한 날 한 시에 똑같이 만들어진 공간인 아파트는 달라지는 과정이 비교될 수 있기에 반복 속에서 차이를 가늠할 수 있는 역설적 장소가 된다. 아파트와 산동네, 그리고 산수가 함께

    있는 풍경은 이질적인 것의 공존, 그리고 차이 속의 보편성을 말한다. 도시에서 이질적인 것들이 연접되어 있는 상황은 흔하다. 그것은 혼돈과 활기를 주며 작품에 적극 도입된다.

    작품 [동시적 공간]은 시점과 분위기가 다른 두 풍경이 위아래로 연결되어 있다. 졸졸 흘러내리는 작은 물줄기가 두 공간을 잇고 있다. 위와 아래는 유기적으로 섞이지 않고 단지

    병렬되어 있다. 권인경의 작품에서 하나의 중심, 위계적 질서는 자리 잡지 못한다. 정적인 공간 그 자체보다는 기억과 관련된 공간, 즉 시간-공간을 표현함으로서 동적인 차원으로

    끝없이 변주되기 때문이다. 위로 자라나는 성장의 이미지도 그렇다.

    건물이 자라나는 듯한 작품 [증축된 건물]은 기형적으로 증축된 구조에서 영감을 받았다. 결과는 기괴하지만 현실에서 자주 일어나는 일이다. 하나가 생겨난 후 그 위로 덧대어지고

    덧대어진 과정은 공간의 시간적 추이를 알려준다. 증축된 건물은 시간의 단면처럼 변형을 공시적 구조로 표현한다. 사이사이에 배치된 기암괴석은 이 느슨한 집적이 견고성을

    획득했음을 알려준다. 얼기설기 확장된 구조도 시간이 축적되면서 오래된 나무처럼 뿌리를 내리는 것이다. 권인경의 작품에서 무기물은 유기체처럼 자란다. 그러나 그것은 같은

    종에서 같은 종이 나오는 유기적인 성장이 아니다. 그리기와 꼴라주가 함께 하는 화면에서 다른 것이 나오는 경우가 더 많다. 작품 [의도하지 않은 상실]의 아래 부분은

    기암괴석이지만 그 위에는 전혀 다른 시간이 얹혀 있다. 여기에 서로 다른 시대의 기록들의 꼴라주가 가세하면서 간극은 더욱 많아진다. 작품 속 잠재적 간극은 시점은 물론 장면이

    접히고 펼쳐지는 속도 차이에 의해 강조된다. 작품 [동시적 구조]처럼 하나의 풍경 속에 여러 도시가 복합되어 있기도 하다. 그러나 그러한 이질성의 공존도 더 멀리서 보면, 또는

    더 먼 시간을 두고 보면 균질화 될 수 있다.

  • 9

    Kwon, In Kyung Solo Exhibition

    Imagined memories

  • 11

    상상된 기억들 2

    125×187cm, 한지에 수묵꼴라쥬, 아크릴, 2015

    Imagined memories 2

    125×187cm, Collage of Indian ink on Hanji, Acryl, 2015

    Kwon, In Kyung Works of Art

    Multi-Dimensional Lines Steering to Unknown Memories

    Lee Seon Young (art critic)

    The space of Kwon In Kyoung‘s [Imagined Memories] exhibition shows memories embedded in every layer and it appears vivid and obscure like a dream becauseeach scene is strong and at the same time uncertain between scene and scene for causality. If the causal relations are clear, memories or dreams will berationalized enough to be alive in reality and get meanings and functions. Such causal ring in her works however is omitted and piece and piece face away eachother and go away everywhere where such randomness allows only consciousness to take the role of coordinator. The mediating part accepted in her worksreveals wildness and frankness rather than sophistication or elegance. That strongly shows that she will follow her true nature even if she gets some benefits fromher concentration on one thing in the labor-divided society.

    In her works, dreams, unconsciousness and madness make a very strong flow but we cannot be sure that what directions they are going to take. They seem tocomply with gravity but keep afloat like the planet earth in the space filled with blue. Vague but strong, it seems to have similarity with art and must be a choiceheading for nature not for consciousness, reason or civilization. The forces that ramble all over the direction could be compared with water stream or tree imagesthat suddenly come up in the canvas. In [Vague Space] of the modeling paste on photograph series, the canvas is covered with sophisticated mesh like a lace. Thespace of it is densely charged with something as if the terminal parts of the water or trees try to reach. One space is created for another memory to fill. Memorythat proliferates like cell divisions does not confine itself just to its past representation. In this liquid world, to represent a fixed point is not possible. Even thoughsuch representation could be found in a very small scale, the shortly proliferated pieces will make it alienated.

    ‘Imagined Memories’ recalls the liquidity of memory and it does not tell a slow extinction of memory with time or some transformation of it. That is not arepresentation but a creation. In her works, memories not only belong to the past and the future but have the function of renewing here and now. The workcame from a serious trauma she has. Aleida Assmann in his [Space of Memory] mentions the relations between shock and memory. For example, a concentrationcamp becomes the site for trauma because the brutality committed there exceeds understanding and expression humans can accept. A trauma which can beunderstood or expressed is no longer trauma. But the artist is not a 'patient' who is bad but a person who overcame illness, especially through art work. Contraryto the Oriental paintings that generally put importance on the beauty of empty space or to an organic system of order, her works connote paranoiac orschizophrenic elements but they are positive ones rather than negative ones. That is to say, there is a cheerful energy that recalls progress not escape there.

  • 13

    The screen of paints and collage mixed is perfect to create different species. On the bottom of [Unintended Loss] are strange rocks but the entirely different timeis put on the top. With the addition of collage of records having different times to it, many gaps are created. The potential gaps in the work are emphasized by thespeed difference when scenes are folding and unfolding alongside time. Like [Simultaneous Structure], it has some cities in a landscape. Those different thingsbeing co-existent, however, could be homogenized when we wait and see in the long distance.

    The packed differences that fill up the space come out as a texture. And such viewpoint is well matched with empty chairs often seen in her work. In [The mindmap 1], an empty chair outside is served to make houses in a map-like space look a lump. There are gaps between houses but they are smaller than gaps formedbetween houses and the chair when compared. The chair that hints an absent presence will be a space for someone who watches a city and urban life. In [Themind map 2], an empty chair on a hill looks down on houses being concentrated like the shape of a map as well. The nature arranged in and out of thosestructures relativizes a dense structure like the poor village on the hill or a concrete jungle. Hill, water, empty space or even uncolored blank all coexist with thattight structure. [Souvenirs] series have the blanks of dismantled canvas strands and it suggests memory is something unknown to be finished.

    [Black out] inspired by tsunami which took place in Japan embodies memory lost. Such overall collapse overwhelms personal trauma and takes its place as acollective memory. Considering a close relation between place and memory, the loss of memory could also be compared with tsunami. The painting of thick-colored bricks indicates what role the remaining bricks have to take in order to rebuild the collapsed buildings. Bricks scattered here and there will link thedifferent blocks of space·time like a stepping stone. Even if the gap between pieces is wide, that cannot be regarded as a loss and instead may be an opportunityfor leap. Art is too the place something impossible really occurs. Events in art do not mean a realistic disaster. Gap is loss but expects continuity at the same time.In her works, a link continues from line to line, not from point to point. The image of line varies from a delicate crack to huge mountains to a water stream to aroad to wire to a twig.

    Windows and doors that are a structured line also play each role. They link here and there. In [Imagined Memories2], a bright line crossing the canvas is a windowsill. There is no side that divides in and out of the window there. The line freely comes and goes here and there. Like the doors that move to another dimension, itsrole symbolizes the other world of the mirror. The fixed reality will not be exactly reproduced there. In [Imagined Memories3], the bright-lined and geometricallydivided front of the screen indicates the inside and showing a landscape for the outside. But mountain and rocks suggest the inside and outside are connectedtogether. A sun and a moon are located on two divided screens and two different time zones face like pieces of a crystal. It feels that a landscape with filled withsomething is about to pour out as soon as we open a door charged with things. But we cannot predict what will come out in her work where various elementsare connected in different ways.

    Deeply located windows have their own time, some reflecting daylight, others for the night. Sometimes they look like different pictures that are hung up on awall, featuring picture in picture, landscape in landscape. A flowerpot beside the floor with the door opened looks down at us as if it is a human in [Two Doors].The artist tells us that the pot resembles her. The flowerpot, alongside chairs, shares a sight the viewer takes when he/she faces landscape. They are not humanbut human's traces. In her works having both microscopic and macroscopic sense of space·time, humans simply appear as marks. Men are not a represented iconbut are omnipresent as memory and perception in space·time. Pieces back to back, regardless of the general sense of space·time, make all the possible sightsjuxtaposed. And the sense of the parallel continuity of 'and' is modern. Segmental structures widespread in the works contain their own singular. Territoriesnewly created with 'different singulars connected' (Gilles Deleuze) and pieces getting arranged move forward, tracing a map.

    Of course, we could find the sense of loss. As the title of [Unintended Loss] shows, the ring of hurt-memory-sense of loss is revealed. But loss does not mean surelya hardship. As religious scholar Jonathan Smith mentions in his book of [To Take Place], we don't need to think loss is a sinking into the chaos of disharmony,corruption, not-being. Loss provides the starting point of a multiplicative process to coordinate and change the present remained. Through the transformativeprocess, space·time lost moves from its original space to others-things, humans or a cover and therefore could be forever approachable. Once we take suchperspective, space is not divided by already existing things and an empty space that is supposed to fill images used to call for memories. According to JonathanSmith, space pre-exists and outlives memory, but it is not simply given too and rather created by the projection of man.

    It means that space is not a passive vessel but an active product of transplant. To set up a direction is concerned with our body. Body establishes directions andgives a meaning to space. As shown in her work of [The mind map] series, psychological instructions are thus important. This viewpoint suggests that man is notgiven a space but rather determines the existence of space. Anyone has the memory of good and bad spaces. Good space can heal but bad one tends to makethe situation worse. Even though space disappears, only there remains its memory. And especially the memory of space that fades away with time gets intense. Adeep sense of loss becomes a power that makes the non-existent space an alternative to heal deficiency here and now. When we think over songs all the peopleson the globe had, that suggestion is reasonable. However, in reality, it is highly unlikely that their home does correspond with those songs.

    By Jonathan Smith, home is not the most well understood site as my birth place or my living place. Home is the place for memory to stay and fantasies arecondensed there. So, all the true space to live has the characteristics of home. Kwon In Kyoung has lived in an apartment for more than 30 years and the placemay be considered as a home to her. Large scale residential spaces like apartments however gather people who have different homes, meaning that they aredestined to have different memories even when living in the same place. Like dreams, unconsciousness, tastes or habitude, memory is regarded as a trulypersonal thing. And those distinctions should create different orientation. As shown in [Personal Room] series, each world has invisible walls. The walls mayprotect and alienate an individual. In her works, such disparate element positively acts like a polyphonous harmony. The criticism of apartment's uniformity isreplaced by the stage of its new birth of difference. Apartment, as one of the important elements for the work, includes in it a realistic point of view of seeminglyswallowing the older village down there and at the same time also forecasts differences.

    Paradoxically, apartment becomes a place to identify differences from the process of repetition, because the architecture was built on the plan of the same modeland the same period of construction. The combination of apartment and poor village tells the co-existence of different things and at the same time a kind ofuniversality. In cities different things usually co-exist and it generates chaos and vitality, and such combination is actively introduced in her work. Two landscapeshaving different atmosphere and point of sight are connected up and down in [Simultaneous Space]. A small water stream connects the two spaces in it. The topand bottom of it have no organic mixture but are arranged in a row. In her works, one center or a hierarchical order cannot establish themselves, for space·time inrelation to memory should be expressed, and it finally results in an endless variation heading towards a dynamic dimension instead of resting on a static space.The image of growing upward has the same trend too. [Extended Building] is inspired by a freakishly extended structure. Very strange, but such construction isbeing often witnessed in daily life.

    The repeatedly constructed layers explain the progress of time of space. The extended building expresses such transformation in a synchronic structure like a sideof time. Strange rocks between layers show this loose integration acquires strength. In other words, an entangled and extended structure even could take rootslike old tress with time passing. In her works, inorganic substances grow like organisms. But that cannot be compared with the general pattern of organic growth.

  • 상상된 기억들

    권인경

    인간은 그들이 속해 있는 장소나 특정 공간, 사물에서 기억과 기대 그리고 추억을 만들어 낸다. 인간과 장소, 인간과 사물이 맺은

    관계는 자아, 정체성, 개인사, 추억 등 지극히 개인적인 문제들을 건드린다. 인간은 장소나 자신들의 소유물 사이에서 경험한 사건,

    기억, 그리고 관계, 유대, 소통, 공감을 통해 심리적 작용을 경험한다.

    어떤 사고나 화재로 자신의 집, 공간, 소유물을 잃은 사람들은 오랫동안 자기가 없어진 것 같은 상실감을 느낀다. 이는 인간이 공간,

    특정 장소나 자신만의 물건들에 유대감을 느끼고 그것과 일상적 관계를 맺으며 자신을 깊이 투영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프랑스

    작가 조르주 페렉(George perec)이 등장인물들의 실제 소유 물건들을 통해 등장인물을 소개했던 것은 그들이 속한 장소에서 그

    인간의 정체성이 드러나기 때문이다. 에스키모인들은 새 물건이 자신에게 오면 혀로 핥는 의식을 하는데 이는 물건을 인간

    정체성의 일부로 받아들이는 인식이 있어서이다. ‘우리를 둘러싼 물건들은 결국 우리인 것과 분리될 수 없다.’는 칙센트

    미하이(Mihaly csykszentmihalyi)의 인식 또한 이에 맞닿아 있다.

    특정 트라우마를 경험한 사람들은 이것에 침해를 당하며 불안한 정서를 느끼고 이것의 강도는 상상을 초월한다. 그들은 자신만의

    치유공간이나 대상 물건을 만들어 안식을 느끼고자 한다. 이는 특정한 장소가 될 수도 있고 자신이 친숙한 동네나 집, 개인의 방

    혹은 특정 사물이 될 수도 있다. 트라우마를 잊기 위해 상상의 경험을 만들어내 하나의 기억으로 만들고 이 반복된 기억은 실제

    경험과 같이 굳어진다. 과거의 트라우마를 편집하고 교정하여 기억함으로써 트라우마를 벗어나고자 하는 것이다. 특정 장소나

    물건을 통해 시간적, 공간적 거리는 극복되고 이는 기억의 버팀목이 되며 때로는 공간을, 사물을 의인화하기도 하며 기억, 추억을

    상상의 영역으로 끌어낸다.

    심리적 트라우마를 경험하지 않은 인간들조차도 어린 시절 좋았던 기억의 장소를 지속적으로 찾아간다거나 개인의 공간을

    자신만의 특정 세계로 만들며 현실의 트라우마를 희화화 하려 한다.

    조그만 장소, 구석, 내밀한 개인의 공간에서 기억의 상상화는 일어나며 이는 실제화 된다. 우리는 공간의 상상적 체험을 통해

    자신만의 집을 찾으려 한다.

    상상된 기억들 3

    194×259cm, 한지에 수묵꼴라쥬, 아크릴, 2015

    Imagined memories 3

    194×259cm, Collage of Indian ink on Hanji, Acryl, 2015

  • 17

    의도하지 않은 상실

    61×92.5cm, 한지에 고서꼴라쥬, 수묵, 아크릴, 2015

    Unintended loss

    61×92.5cm, Collage of antique books on Hanji, Indian ink, Acryl, 2015

    잃어버린

    61×92.5cm, 한지에 고서꼴라쥬, 수묵, 아크릴, 2015

    My lost

    61×92.5cm, Collage of antique books on Hanji, Indian ink, Acryl, 2015

  • 19

    The mind map 2

    64×130cm, 한지에 수묵, 아크릴, 2015

    The mind map 2

    64×130cm, Indian ink on Hanji, Acryl, 2015

    Imagined memories

    Kwon, In Kyoung

    People create memories, anticipation and reminiscences from their location, specific space or object. Therelationship between people and place, or people and objects can provoke deeply personal issues such as one’sego, identity, personal history or memories. Through their personal events, memories, relationships, bonds,communication, and sympathy that occur in conjunction with their place and belongings, they get to experience acertain psychological effect.

    People who have lost their house, space and belongings by an accident or fire, are subject to a deep and prolongedfeeling of losing oneself entirely. This is because people get attached to space, specific location or belongings, andthus form an everyday life relationship with them and end up projecting themselves deep into these physicalentities.

    French author George Perec described and channeled his characters through their belongings, for the very reasonthat people's identities are best revealed through the space that they belong in. The Eskimos have a custom oflicking objects that have newly come into their lives, because they recognize that an object is a part of a human.Mihaly Csikszentmihalyi's idea of how "things that surround us are inseparable from who we are" is a notion thatreflects this concept.

    People who suffered from traumatic experiences get invaded by such experiences and become emotionallyunstable, to an extent that is unimaginable by the general public. These sufferers attempt to seek solace by creatingtheir very own healing space or objects. This can take a form of a specific location, a familiar neighborhood or ahouse, a personal room or a certain object. In order to forget their trauma, they create an imagined experiencewhich turns into a memory, and through repetition eventually turn into an actual experience. It is an effort to escapefrom the trauma by editing and reforming one's memory of the experience. Time and physical distance is overcomethrough a specific place or object, and the things become a pillar of support for memory. Sometimes one can evenpersonify a location or an object, and one can also drag a memory or reminiscence into the realms of imagination.Even the people who have not suffered from actual emotional trauma tend to repeatedly visit a place of their fondchildhood memory, or create their personal space into a unique world for themselves, in an attempt to pictorializethe trauma of reality.

    Imaginification of memories occur in a small space, a corner, or the inner personal space, and they eventuallymanifest into reality. We strive to find our own home through an imaginative experience of space.

  • 21

    Souvenirs 2

    45.5×53cm, Indian ink on canvas, Acryl, 2015

    기억들 1

    53×45.5cm, 캔버스에 수묵, 아크릴, 2015

    Souvenirs 1

    53×45.5cm, Indian ink on canvas, Acryl, 2015 기억들 2

    45.5×53cm,캔버스에 수묵, 아크릴, 2015

  • 23

    The mind map 1

    64×130cm, 한지에 수묵, 아크릴, 2015

    The mind map 1

    64×130cm, Indian ink on Hanji, Acryl, 2015

  • 25

    서로 다른 기억들

    53×45.5cm, 캔버스에 수묵, 아크릴, 20155

    Unequal memories

    53×45.5cm, Indian ink on canvas, Acryl, 2015

    증축된 기억 1

    92.5×61cm, 한지에 고서꼴라쥬, 수묵, 아크릴, 2015

    Extended memory 1

    92.5×61cm, Collage of antique books on Hanji, Indian ink, Acryl, 2015

  • 27

    개인의 방 5

    146×103cm, 한지에 수묵채색, 아크릴, 2015

    The private room 5

    146×103cm, Indian ink on Hanji, Acryl, 2015

    신지도 2

    21×31cm, 한지에 수묵, 아크릴, 2015

    The brand new map 2

    21×31cm, Indian ink on Hanji, Acryl, 2015

  • 동시적 공간 2

    64×130cm, 한지에 수묵꼴라쥬, 아크릴, 2015

    Synchronistic space 2

    64×130cm, Collage of Indian ink on Hanji, Acryl, 2015

  • 31

    증축된 기억 2

    22.5×16cm, 종이에 수묵, 아크릴, 2015

    Extended memory 2

    22.5×16cm, Indian ink on paper, Acryl, 2015

    변주된 방 2

    10×10cm, 한지에 수묵, 아크릴, 2015

    Altered room 2

    10×10cm, Indian ink on Hanji, Acryl, 2015

    누군가의 방

    21×30cm, 한지에 수묵꼴라쥬, 모델링 페이스트, 아크릴, 2015

    Somebody's room

    21×30cm, Collage of Indian ink on Hanji, Modeling paste, Acryl, 2015

  • 33

    변주된 방 1

    14.5×9.7cm, 엽서에 수묵, 아크릴, 2015

    Altered Room 1

    14.5×9.7cm, Indian ink, Acryl on postcard, 2015

    신호들 1

    12×44.3×4(h)cm, 한지에 수묵, 아크릴, 2015

    Signs 1

    12×44.3×4(h)cm, Indian ink on Hanji, Acryl, 2015

    Front View

    ◀개인의 방 3

    25.5×19cm, 프린트 위 먹, 아크릴, 2015

    The private room 3

    25.5×19cm, Indian ink, Acryl on Print paper, 2015

    ◀◀개인의 방 4

    18×13.5cm, 골판지 위 먹, 아크릴, 2015

    The private room 4

    18×13.5cm, Indian ink on corrugated cardboard, Acryl, 2015

    Side View

  • 35

    모호한 공간 6

    10.5×10cm, 사진에 모델링 페이스트, 먹, 2015

    Vague space 6

    10.5×10cm, Modeling paste, Indian ink on photograph, 2015

    모호한 공간 5

    11×9cm ,사진에 모델링 페이스트, 2015

    Vague space 5

    11×9cm, Modeling paste on photograph, 2015

    모호한 공간 7

    11.8×8.8cm, 사진에 모델링 페이스트, 2015

    Vague space 7

    11.8×8.8cm, Modeling paste on photograph, 2015

  • 37

    기억상실

    9×35,5×4(h)cm, 한지에 수묵, 아크릴, 2015

    Black out

    9×35.5×4(h)cm, Indian ink on Hanji, Acryl, 2015

    Front View

    Side View

  • Kwon, In Kyung Solo Exhibition

    Imagined memories

    “상상된 기억들”

  • 41

    ▶Heart-land 6

    130.5×162cm, 한지에 고서꼴라쥬, 수묵, 아크릴, 2014

    Heart-land 6

    130.5×162cm, Collage of antique books on Hanji, Indian ink, Acryl, 2014

    ▲Heart-land 5

    23.5×26cm, 한지에 고서꼴라쥬, 수묵, 아크릴, 2014

    Heart-land 5

    23.5×26cm, Collage of antique books on Hanji, Indian ink, Acryl, 2014

  • 43

    ▶Heart-land 2014

    127×158cm, 한지에 고서꼴라쥬, 수묵, 아크릴, 2014

    Heart-land 2014

    127×158cm, Collage of antique books on Hanji, Indian ink, Acryl, 2014

    ▲Heart-land 4

    61×92.5cm, 한지에 고서꼴라쥬, 수묵, 아크릴, 2014

    Heart-land 4

    61×92.5cm, Collage of antique books on Hanji, Indian ink, Acryl, 2014

  • 45

    기억의 심연4

    24.5×33.5cm, 한지에 고서꼴라쥬, 수묵, 아크릴, 2014

    Abyss of memory 4

    24.5×33.5cm, Collage of antique books on Hanji, Indian ink, Acryl, 2014

    정감화 된 공간

    27.5×22cm, 캔버스에 고서꼴라쥬, 수묵, 아크릴, 2014

    My little cozy space

    27.5×22cm, Collage of antique books on Hanji, Indian ink, Acryl, 2014

  • 모호한 공간 4

    26.5×20cm, 한지에 수묵, 아크릴, 2014

    Vague space 4

    26.5×20cm, Indian ink on Hanji, Acryl, 2014

    상상된 기억들 3

    194×259cm, 한지에 수묵꼴라쥬, 아크릴, 2015

    Imagined Memories 3

    259 x 194cm, Collage of Indian ink on Hanji, Acryl, 2015

    Kwon, In Kyung Solo Exhibition

    Imagined memories

  • 권 인 경

    2012 홍익대학교 대학원 미술학과 동양화 전공 졸업(박사)2004 홍익대학교 대학원 동양화과 졸업(석사)2002 홍익대학교 동양화과 졸업(학사)

    수상경력2015 제 4회 바람난 미술 공모전 당선(서울문화재단)2014 제 4회 가송예술상(공아트스페이스)2013 제 2회 바람난 미술 공모전 당선(서울문화재단)

    서울시립미술관 Emerging Artist 당선-전시기금 후원(서울시립미술관)2012 제 1회 바람난 미술 공모전 당선(서울문화재단) 2011 63스카이아트 미술관 New Artist Project 신진작가 선정2009 제 3회 가나 나우 아트 공모 당선2007 제 7회 송은미술대상전(인사아트센터)2003 제 14회 미술세계 대상전 특선(안산 단원전시관)

    제 25회 중앙미술대전 특선(서울 시립미술관 경희궁 분관)

    개인전2015 제 8회 개인전 상상된 기억들(Imagined memories)-서울문화재단후원(갤러리 아트비엔, 서울)2013 제 7회 개인전 Heart-Land-서울시립 미술관 Emerging Artist 선정전(그림손 갤러리, 서울)

    제 6회 개인전 L’ÉCHAPPÉE BELLE -프랑스 주재 한국 문화원 공모당선(한국 문화원, 파리)2011 제 5회 개인전 도시-조망과 은거의 풍경-서울문화재단후원(가나아트스페이스, 서울)2009 제 4회 개인전 도시-순간의 지속-서울문화재단후원(갤러리 이즈, 서울)2007 제 3회 개인전 도시-시간의 공존-문예진흥기금, 한전 프라자 갤러리 기획공모당선(한전프라자갤러리, 서울)2006 제 2회 개인전 도시-변화 그리고 반영-문화 일보 기획공모당선(문화일보갤러리, 서울)2005 제 1회 개인전 도시_일상의 삶(공평아트센터, 서울)

    기획전2015 십이월 (도로시살롱, 서울)

    더 서울-메세나 매칭 펀드 공모 당선(그림손 갤러리, 가회동 60, 서울)집에 대한 단상(광주롯데갤러리, 광주)부산국제아트페어(벡스코, 부산) 종로구 전봇대 아트프린트 프로젝트 참여도시 풍경전(블랙스톤 갤러리, 이천) 전(홍익대학교 현대미술관, 서울)2015 청년예술 100(국제농업전람센터, 북경)어포더블 아트페어(동대문 디자인 플라자, 서울)The other art fair(빅토리아 하우스, 런던)바람난 미술(서울도서관, 서울)도시산책(도로시 살롱, 서울)집에 대한 단상(대전 롯데 갤러리, 대전)법고창신-서울문화재단 후원(그림손 갤러리, 서울)신운필전(파비욘드 갤러리, 서울)집에 대한 단상(안양 롯데 갤러리, 안양)개인의 방(아트스페이스H, 서울)로데오 옥션(플랫폼, 서울)아트캠페인 바람난 미술 - 찾아가는 전시(지하철 플랫폼 고속터미널 메트로 광고판 전시)더 서울(가회동 60, 서울)

    2014 아트캠페인 바람난 미술 - 찾아가는 전시(지하철 플랫폼 왕십리역, 숙대입구역 메트로 광고전시)‘청춘예찬’(홍익대학교 현대미술관, 서울)KIAF(코엑스 B 홀, 서울)2014 청년예술 100(798 sz art center, 북경(중국))

    ‘Separate’(이경하, 권인경 2인전)-기획초대전(갤러리 포월스, 서울)

    ‘예술로 희망을 선물해요’-서울문화재단 주최 나눔경매 전시(금천예술공장, 서울)미술과 이상-‘현대미술, 이상을 담다.’-기획초대전(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서울)

    ‘화가-사의(寫意)찬미’-기획초대전(한원미술관, 서울)아트캠페인 ‘바람난 미술’(서울역사박물관, 서울)Place aux jeunes(갤러리 기욤, 파리)

    2013 서울 포커스-한국화의 반란(서울시립북서울 미술관, 서울)Emerging Artists 신진작가 전시지원 프로그램 보고전(Round-up)-기획초대전(서울시립미술관, 서울)탐하다 Seek and desire-기획초대전(경남도립미술관, 창원)소설적 풍경-기획초대전(광주신세계갤러리, 광주)신년유람-기획초대전(인천신세계갤러리, 인천)

    2012 묵선전-외부작가 기획초대전(성균관대 성균갤러리, 서울)도시-내부자의 풍경(KDB 대우증권 역삼역 갤러리, 서울)

    ‘이야기가 있는 풍경’전-기획초대전(서울 추모공원 갤러리, 서울)‘공간 그리고 풍경’ 전-제 1회 new artist project 신진작가 선정 전(63스카이 아트 갤러리, 서울)

    2011 아시아 탑 갤러리 호텔 아트페어(그랜드 하얏트, 홍콩)제3회 가나나우아트 신진작가 공모 3인전-'Triangle'(가나컨템포러리, 서울)

    2010 ‘화가(畵家)-그리기의 즐거움’-기획초대전(한원미술관, 서울)아시아 탑 갤러리 호텔아트페어(그랜드 하얏트, 홍콩)

    ‘Space perfume'-기획초대전(가나 컨템포러리, 서울)2009 현대미술의 Vision 2009-기획초대전(세종문화회관 미술관, 서울)

    안녕 강원도, 반가워 양구 전-기획초대전(박수근 미술관, 강원도)‘SOAF’-영 제너레이션 아트 아티스트 10인 선정전(코엑스 인도양홀, 서울)공존-박생광, 천경자 미래와 만나다. -기획초대전(갤러리 이즈, 서울)

    2008 부산국제아트페어 특별전 초대(부산 벡스코 1층 전시관, 부산)아시아프(구 서울역사, 서울)

    ‘BIAF(부산문화회관, 부산)평론가 선정 현대작가 55인(예술의 전당, 서울)

    2007 포천 아시아 비엔날레 특별전-기획초대전 (포천광역고속터미널 특별전시장, 경기도)‘My private collection'전-기획초대전 (가나아트센터, 서울)‘도시의 힘’전-기획초대전(진흥아트홀, 서울)The Asian spirit and soul(성남아트센터, 경기도)

    2006 동방신상(중국 중앙미술학원 미술관, 북경)2005 우수청년작가전(Galerie Etienne de Causans, Paris)

    한・중 우수 청년작가 초대전(북경 중앙 미술학원미술관, 북경)2003 ‘진경-그 새로운 제안 전’-기획초대전(국립현대 미술관, 경기도)

    레지던시 프로그램2015-2016 OCI 레지던시 입주 (현재)2013-Cité des Arts(Paris) 입주2009-2014 가나 장흥 아뜰리에 입주

    교과서㈜아침나라 중학교 미술 교과서(2013. p.59) ㈜두산동아 중학교 미술 교과서(2013. p.71, 뒷속지)㈜미진사 고등학교 미술 교과서(2014. p.52)

    저서디자인 유머, 박영원 지음, 안그라픽스, 2013, p. 315도시에 미학을 입히다, 고명석 지음, Watch books, 표지, p. 20

    작품소장 개인소장, 국립현대미술관 미술은행, 외교통상부(재외공간-두바이대사관), 화봉갤러리, 갤러리 이즈, 63스카이 아트 갤러리, 미스터피자, 충북대 병원

    휴대폰 : 010-8880-1688작업실 : 인천광역시 남구 아암대로 287번길 7, 2층(OCI레지던시)이메일 : [email protected]

  • Kwon, In KyungEducation2012 D.F.A in Oriental Painting, Graduate School of Fine Arts,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2004 M.F.A in Oriental Painting, Graduate School of Fine Arts,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2002 B.F.A in Oriental Painting, College of Fine Arts,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Awards2015 The 4th Art campaign-Cagy arts(Support-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2014 The 4th GHASONG art award(Gong art space, Seoul)2013 Emerging Artist selected(Seoul museum of Art)

    The 2nd Art campaign-Cagy arts(Support-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2012 The 1st ALPHA young artist Arts Festival(Seoul Museum, Seoul)

    The 1st Art campaign-Cagy arts(Support-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2011 63 SkyArt gallery New Artist Project selected(Hanwharesort)2009 The 3th Gana now art2007 The 7th Songeun Arts Festival(Insa Art Center)2003 Special Prize, the 14th Misulsege Awards(Danwon Exhibition Hall, Ansan)

    Special Prize, the 25th Joongang Fine Arts Competition(Annex of Seoul Metropolitan Museum of Art at Gyeonghuigung, Seoul)

    Solo Exhibitions2015 The 8th solo exhibition ‘Imagined memories’(Gallery artbn, Seoul): Support-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2013 The 7th Solo Exhibition ‘Heart-Land’(Gallery Grimson, Seoul): Support-Emerging Artist(Seoul Museum of Art)

    The 6th Solo Exhibition 'L’Échappée Belle’: Support-Ambassade de Corée Centre Culturel(Ambassade de Corée Centre Culturel, France)2011 The 5th Solo Exhibition 'City-The Landscape with View and Retirement '(Gana art space, Seoul): Support-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2009 The 4th Solo Exhibition 'City-Ephemeral eternity'(Gallery Is, Seoul): Support-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2007 The 3rd Solo Exhibition-Planned and Public Subscription Exhibition 'City-The coexistence of time'(Korea Electric Power Corp. Plaza Gallery, Seoul):

    Support- Arts Council Korea, Korea Electric Power Corp. Plaza Gallery2006 The 2nd Solo Exhibition-Planned and Public Subscription Exhibition 'City-Change and Reflection': Support-Munhwa Gallery(Munhwa Gallery, Seoul)2005 The 1st Solo Exhibition 'City-A daily life'(Gongpyeong Art Center, Seoul)

    Selected Exhibitions2015 DECEMBER(dorossy salon, Seoul)

    The Seoul-Mecenat Matching Fund(Gallery Grimson, Gahoedong 60, Seoul)Homescape(lottegallery, Gwangju)Busan International Art Fair(BEXCO, Busan)Jongno-gu Electric pole Artprint project(Jonno-gu, Seoul)The landscape of the city Exhibition(Black Stone the gallery, Icheon)Old and new generation(Hongik Museum of Art, Seoul)

    2015 Art Nova 100(No. 11 Exhibition hall, National Agricultural Exhibition Center, Beijing)) Affordable Art Fair(DDP, Seoul) The other Art Fair(Victoria house, London)Art campaign-Cagy arts(Seoul Metropolitan Library, Seoul)Rambling City(dorossy salon, Seoul)Homescape(lottegallery, Daejeon)‘Review the old and make the New’-Support-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Gallery Grimson, Seoul)The brand new painting Exhibition(Far beyond gallery, Seoul)Homescape(lottegallery, Anyang, Daejeon)The private room(ArtspaceH, Seoul)Rodeo Auction(Platform, Seoul)Art campaign-Cagy arts(Seoul Metro platform billboard-Express bus terminal station, Seoul)The Seoul(Gahoedong 60, Seoul)

    2014 Art campaign-Cagy arts(Seoul Metro platform billboard-Wangsimni and Sookmyung Women’s Univ. Station , Seoul)‘Ode to youth’(HoMa, Seoul)KIAF(Coex B hall, Seoul)2014 Artnova100(798 art center, Beijing)

    ‘Separate’-Planned and Invited Exhibition(gallery4walls, Seoul)‘SFAC(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10th anniversary: 10 years of contributions to Seoul culture’- Planned and Invited Exhibition (Seoul Art space_Geumcheon, Seoul)‘Art and Ideals-Pursuit of Ideals in Contemporary Art’- Planned and Invited Exhibition(Ewha Womans University Museum, Seoul) ‘Artist’-Planned and Invited Exhibition(Hanwon Gallery, Seoul)Art campaign-Cagy arts(Seoul museum of history, Seoul)Place aux jeunes(Galerie Guillaume, Paris)

    2013 Beyond Korean Painting (Bukseoul Museum of Art, Seoul)‘Round-up’-Planned and Invited Exhibition (Seoul Museum of Art, Seoul)‘Seek and Desire’-Planned and Invited Exhibition (Gyeongnam Art Museum, Changwon)‘Novelistic landscape’-Planned and Invited Exhibition (Gwangju Shinsegae gallery, Gwangju)‘A new year sightseeing’-Planned and Invited Exhibition(In-cheon Shinsegae gallery, Incheon)

    2012 ‘Ink drawing’-Planned and Invited Exhibition(Sungkyun Gallery, Seoul)‘City-Landscape of insider’(KDB yeksam station Gallery, Seoul)‘Landscape having story’-Planned and Invited Exhibition(Seoul memorial park Gallery, Seoul)‘Space and View’ -The 1st 63 Sky Art Museum New Artist project(63 Sky Art Gallery, Seoul)

    2011 ASIA TOP GALLERY HOTEL ART FAIR HK 11(GRAND HYATT, Hong Kong)The 3th Gana now art -'Triangle'(Gana contemporary, Seoul)

    2010 ‘Artist-Pleasure of painting’-Planned and Invited Exhibition(Hanwon Gallery, Seoul)ASIA TOP GALLERY HOTEL ART FAIR HK 2010(Grand HYATT, Hong Kong)'Space perfume'-Planned and Invited Exhibition (Gana contemporary, Seoul)

    2009 ‘The Vision of Modern Art, 2009'-Planned and Invited Exhibition(Sejong Center, Seoul)'Hi! Gangwon province, Nice Meeting you Yanggu' (Park soo Keun Museum in Yanggu, Gangwon-do)‘SOAF’-Young Generation Art Artist 10(Coex Indo Sea Hall, Seoul)‘Coexistence-Park saeng kwang, Chun Kyung ja meet Future(Gallery is, Seoul)

    2008 ‘BIAF'(Busan International Art Fair)-Planned and Invited Exhibition(Bexco, Busan)'ASYAAF'(Former Seoul station, Seoul)‘BIAF'(Busan International Art Fair)(Busan cultural center, Busan)55's Contemporary artists exhibition-Selected by Critics(Seoul Arts Center, Seoul)

    2007 ‘Pocheon Asia Biennale 2007'-Planned and Invited Exhibition(Special Exhibition hall in Pocheon broad express bus terminal, Geonggi-do)‘My private collection' Exhibition-Planned and Invited Exhibition(Gana art center, Seoul)‘The Power of City' Exhibition-Planned and Invited Exhibition(Jin Heung Arthall, Seoul)The Asian spirit and soul(Sung-Nam Art Center, Geonggi-do)

    2006 Eastern New Image Exhibition(China Central of Academy of Fine Arts, Beijing)2005 La jeune création coréenne(Galerie Etienne de Causans, Paris)

    The excellent China-Korea youth painter invites 21 centuries to exhibit(Art center in Bajing academy of Art , Bajing)2003 “REAL-SCAPE Revisited”-Planned and Invited Exhibition(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Geonggi-do)

    Residency program2015~2016 OCI residence2013.1~2013.3 Cité Internationale des Arts2009~2014; Gana art residence

    Teaching Experience2008 Instructor in the Dept of Art studies, Fine Arts, Hongik University2009 Instructor in the Dept of Fine Arts, Hongik University2012 Instructor in the Dept of Artistic Crafts , Sungshin Women’s University2013 Instructor in the Dept of Fine Arts(Korean painting), Hongik University2014 Instructor in Pangok high school

    CollectionPrivate collection, Art Bank of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nd Trade, 63SkyArt Gallery, Hwabong Gallery, Gallery Is, Mister Pizza.

    Phone : 82-10-8880-1688(C.P.)Residence : 2nd floor, Aam-daero 287beon-gil, Nam-gu, Incheon, Korea, 402-773(www.ocimuseum.org) E-mail : [email protected]

  • Kwon, In Kyung Solo Exhibition

    Imagined memoriesExhibition Period 2015.12.4 - 12.26 Exhibition Venue G a l l e r y a r t b nPhoto POINT STUDIO | 4ARTProduction Memoryworks www.memoryworks.co.kr

    Date of Production 2015.12Limited Edition 500 Copies

    All rights reserved.No part of this publication may be reproduced or transmitted in any form or by any means,electronic or mechanical without written permission of the publisher

    후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