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4
M 45-1152010. 3제 115 호 세계농업 WORLD AGRICULTURE 2010. 3

제 115 호 세계농업 3 · 2019. 1. 30. · 21.5 9.5 29.2 48.3 156.2 5.2 73.7 58.6 13.3 143.9 50.1 96.7 1.7 61.2 0 50 100 150 200 250 300 뉴사우스 웨일즈 빅토리아 퀸슬랜드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 M 45-115|2010. 3|

    제 115 호

    세계농업WORLD AGRICULTURE 2010. 3

  • 「세계농업」은 우리 연구원 홈페이지(http://www.krei.re.kr)의

    「세계농업정보」 사이트에 게재된 자료를 월간으로 발행한 것입니다.

    자료에 대하여 의견이 있으면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담당 전익수 부연구위원 [email protected] TEL 02-3299-4349 / FAX 02-962-7312

    민자혜 연 구 원 [email protected] TEL 02-3299-4190

  • 농업․농정 동향

    3 호주의 쌀산업과 글로벌 쌀기업 SunRice

    19 일본의 화훼유통 구조

    31 헝가리 고추산업 동향과 시사점

    47 세계 농산물 교역 전망(Ⅰ)

    세계 농산물 수급․가격 동향

    63 세계 곡물 가격 동향 (2010. 3)

    71 세계 곡물 수급 동향 (2010. 3)

    83 미국 축산물의 수급동향 및 전망 (2010. 3)

    세계 농업 브리핑

    99 세계 농업 브리핑 (2010. 3)

    110 주요 외신 동향 (2010. 3)

    세계 농업 통계

    119 그래프로 보는 세계 농업

    121 USDA 발표 세계 농산물 교역 전망치

    목 차

  • 농업 ․ 농정 동향호주의 쌀산업과 글로벌 쌀기업 SunRice

    일본의 화훼유통 구조

    헝가리 고추산업 동향과 시사점

    세계 농산물 교역 전망(Ⅰ)

  • 농업 ․ 농정 동향

    세계농업 제115호 | 3

    호주의 쌀산업과

    글로벌 쌀기업 SunRice*1)

    김 병 률

    1. 머리말

    세계 인구에서 쌀을 주식으로 의존하는 비율은 50% 정도로 추정하고 있다. 그러

    나 세계 쌀 생산량 4억 3천만 톤 중에서 7%인 3천만 톤만이 매년 교역되고 있어

    밀 등 다른 곡물의 교역 비율(밀 20%, 옥수수 10~12%, 대두 35%)에 비해 현저히

    낮고 비탄력적인 수급구조에 가격변동이 심한 구조를 띠고 있다. 2008년 곡물파동

    때 밀, 옥수수, 대두 등 주요 곡물은 가격이 100~200% 정도 상승했지만 유독 쌀값

    은 300% 가까이 급등하였다. 이러한 쌀 가격과 공급 시스템의 혼란 또는 붕괴는

    논란의 중심이 되고 있으며, 향후 중요한 글로벌 이슈가 될 것으로 보인다.

    물론 국제곡물가격이 카길, ADM, 루이스 드레피스, 벙게 등 세계적인 곡물 메이

    저에 의해 좌우되는 경향이 있으나, 호주의 글로벌 쌀 기업인 SunRice는 이들과 달

    리 쌀 생산자 협동조합 기업이면서 일본 등 동북아시아와 남부아시아, 중동, 미국,

    유럽 등 전세계에 걸쳐 브랜드 쌀과 쌀 가공품들을 지난해만 해도 50만 톤을 판매

    하여 9억 달러라는 기록적인 매출액을 달성하였다. 곡물메이저들 틈새에서 호주의

    SunRice가 글로벌 쌀기업으로 성장한 과정은 세계적인 수출농기업을 육성하고자

    희망하는 우리나라에 좋은 사례가 될 것으로 보인다. 1개 농식품 수출기업으로 9

    억 달러의 수출액은 뉴질랜드의 제스프리, 미국의 선키스트, 네덜란드의 그리너리,

    * 본 내용은 호주 ABARE가 발간한 보고서 및 호주 출장 결과를 토대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김병률 연구위원이 작성하였다([email protected], 02-3299-4317).

    호주의 쌀 농업의

    현황과 글로벌 쌀

    기업 SunRice에 대

    해 정리하여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 농업 ․ 농정 동향

    4 | 2010. 3

    이스라엘의 아그렉스코의 매출액과 견줄만큼 세계적으로 성장한 수출기업이라 할

    수 있다. 그것도 쌀 제품 하나로 세계시장에 50만 톤을 수출하여 벌어들인 성과는

    물량 면에서는 세계 전체 쌀 교역량 3천만 톤에 비하면 1.7%의 미미한 수준이나

    다양한 가공품으로 브랜드 상품을 만들어 높은 가격에 판매한 마케팅전략의 성과

    라 할 수 있다.

    여기서는 4월 5일에서 10일 사이에 조사출장을 다녀온 결과, 호주의 쌀 농업의

    현황과 글로벌 쌀 기업 SunRice에 대해 정리하여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2. 호주의 농축산업과 물 부족

    호주의 인구는 2008년 2,130만 명으로 1960년대 이후 변함없이 매년 20~30만 명

    씩 늘어났으며 2000년 들어 30만 명 가까운 인구가 늘어나고 있다. 호주 인구 중에

    서 고용인구는 인구의 절반인 1,074만 명이며, 그 중에서 농업부문 종사자 수는 31

    만 8천명으로 3%로 임업, 어업을 포함하면 35만 8천명이다. 농업부문 종사자 수는

    2003년 극심한 가뭄에 따른 농업생산 위축으로 15%나 급감한 이후 2002년 수준으

    로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 농촌 고용인구의 절반 정도는 임금 고용자로서 기업 농

    업이 많이 발전되어 있다.

    농업 경영체 수는 2007~08년 14만 개이다. 2006년의 센서스 조사 결과에 따르

    면 가족농 경영체 수가 10만 개 수준이며, 나머지는 법인체로 4만여 개로 추정된

    다. 경영체 중에서 육우 방목 경영체가 전체의 30%로 중심을 차지하며 소와 양을

    사육하는 경우가 전체의 절반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표 1 호주의 농촌 고용형태

    단위: 천 개(명)

    연도 농업경영체

    농촌 고용

    자영 또는 고용주

    임금 고용 가족 인력 계

    '94/95 147.1 227.5 146.5 26.8 400.8

    '00/01 135.4 211.8 213.0 13.0 437.8

    '05/06 154.5 161.8 176.3 10.0 348.0

    '06/07 150.4 166.8 176.5 7.0 350.3

    '07/08 140.7 171.0 173.8 7.3 352.0

    '08/09 - 176.5 173.5 7.8 357.8

    자료: ABARE, Australian Commodity Statistics, 2009.12.

    호주의 국토면적 7억

    6,869만 ha 중 방목

    용 초지를 포함한 농

    경지 면적은 55%인

    4억 2,545만 ha이다.

  • 세계농업 제115호 | 5

    호주의 국토면적 7억 6,869만 ha 중 방목용 초지를 포함한 농경지 면적은 55%인

    4억 2,545만 ha이다. 대부분의 농지는 방목 등 축산용으로 이용되며 순수한 작물

    재배면적은 전체 농경지의 5.5%인 2,353만 ha로 우리나라의 13.4배에 달한다. 또한

    농업용수 부족으로 관개농지는 0.5%인 192만 ha로 우리나라 농지면적보다 조금 많

    은 편이다.

    표 2 호주 농경지 면적

    단위: 천 ha

    구분 2006 2007

    농경지 면적 434,925 425,449

    작물 면적 24,565 23,530

    관개 면적 2,546 1,923

    국토 면적 769,202 769,202

    자료: ABS, Australian Farming in Brief, 2008.

    전체 농경지면적은 감소 추세에 있으며 밀 재배면적은 최근 3년간 증가 추세이

    다. 가축 사육두수는 감소 추세이다.

    표 3 호주 작물 재배면적과 가축 사육두수 변화

    단위: 백만 ha, 백만 두

    연도작물 재배면적 가축 사육두수

    밀 기타 작물 농지면적 소 젖소 양

    2000/01 12.1 10.4 455.7 24.45 3.14 110.93

    2005/06 12.4 10.3 434.9 25.32 2.86 91.03

    2006/07 11.8 9.8 425.4 25.61 2.79 85.71

    2007/08 12.6 11.1 417.3 24.78 2.66 76.94

    2008/09 13.2 10.8 na. 24.78 2.55 71.56

    자료: ABARE, Australian Commodity Statistics, 2009.12.

    지역별로는 강수량이 많은 퀸스랜드주(QLD)와 뉴사우스웨일즈주(NSW)의 농업

    용지 비중이 높다.

  • 농업 ․ 농정 동향

    6 | 2010. 3

    그림 1 호주 지역별 농지 면적

    21.5 9.5 29.248.3

    156.2

    5.2

    73.758.6

    13.3

    143.950.1

    96.7

    1.7

    61.2

    0

    50

    100

    150

    200

    250

    300

    뉴사우스

    웨일즈

    빅토리아 퀸슬랜드 동호주 남호주 타스

    마니아

    노던

    테리토리

    농지 비농지

    자료: 농수산물유통공사, 호주의 경제동향과 농업 개황, 2009.3.

    호주의 농축산물 생산액은 1990~91년(회계년도: 7월부터 익년 6월) 212억 달러,

    2000~01년 348억 달러, 2008~09년 451억 달러(약 47조 원)로 지속적으로 증가하

    고 있다. 451억 달러 중에서 가축 생산(도축)과 축산물 생산액이 44%인 197억 달러

    이며, 곡물 및 대두가 26%인 117억 달러, 채소, 과일 등 기타 작물이 30%인 136억

    달러를 생산하였다.

    표 4 호주의 농축산물 생산액

    단위: 백만 호주달러

    연도

    작물 축산

    총생산액곡물과 유지작물

    기타 작물 계 가축 도축 축산물 계

    1990/91 3,467 5,654 9,121 5,739 6,354 12,093 21,214

    1995/96 7,470 8,177 15,647 6,431 5,707 12,138 27,785

    2000/01 8,701 10,358 19,059 9,738 5,983 15,721 34,779

    2005/06 8,823 12,076 20,899 11,960 5,836 17,796 38,695

    2006/07 5,080 12,915 17,995 12,335 5,917 18,252 36,247

    2007/08 10,754 13,414 24,168 12,109 7,412 19,521 43,689

    2008/09 11,710 13,670 25,380 13,255 6,490 19,745 45,126

    자료: ABARE, Australian Commodity Statistics, 2009.12.

    농축산물 수출액은 2008~09년 320억 달러로 생산액의 71%에 달하고 있다. 농

    축산물 수출액은 호주 전체 수출액의 11.2%를 담당하고 있어, GDP 중 농업 비중

    2.5%를 감안하면 중요한 수출산업이다. 가축과 축산물 수출액이 152억 달러로 수

    호주의 농축산물 생산

    액은 1990~91년 212

    억 호주달러, 2000~

    01년 348억 호주달러,

    2008~09년 451억

    호주달러(약 47조원)

    로 지속적으로 증가하

    고 있다.

  • 세계농업 제115호 | 7

    출의 절반에 달하고 있으며, 곡물과 유종실 수출액이 79억 달러이다. 수출 품목 중

    쇠고기, 밀이 각각 농산물 수출액의 15%씩 차지하며 생우까지 포함하면 17%로서

    가장 중요하다. 밀, 쇠고기에 이어 낙농제품, 양모, 와인 순으로 수출액이 많다.

    지역별로 호주의 주요 수출지역은 아시아와 중동으로 2/3를 점유하고 있다. 국별

    로 일본이 최대 수출국(16%, 52억 달러)이며 중국에 32억 달러, 미국에 30억 달러,

    인도네시아에 26억 달러, 한국에 18억 달러를 수출하였다.

    표 5 농림어업 수출액과 비중(2008~09년)

    단위: 백만 호주달러

    구분 농업 임어업 총 재화 서비스 총 수출액

    2007/08 27,530 3,813 182,818 51,035 233,853

    2008/09 32,027 3,872 231,728 53,973 285,701

    비 중(%) 11.2 1.4 81.1 18.9 100.0

    자료: ABARE, Australian Commodity Statistics, 2009.12.

    표 6 품목별 수출액과 비중(2008~09년)

    단위: 백만 호주달러

    구분 2007/08 2008/09 비중(%)

    곡물과 유지작물 5,240 7,868 24.6

    밀 2,990 5,028 15.7

    보리 1,496 1,321 -

    사탕수수 76 405 -

    쌀 71 31 -

    캐놀라 303 595 -

    공업용 작물 13,027 16,862 52.6

    원면 466 500 -

    설탕 1,006 1,335 -

    포도주 2,683 2,428 7.6

    육류 및 동물 6,333 7,329 22.9

    쇠고기 4,190 4,857 15.2

    생축 451 559 -

    양고기(Mutton) 443 482 -

    새끼양(Lamb) 803 925 -

    양모 2,796 2,321 7.2

    낙농품 2,763 2,679 8.4

    축산물 전체 14,503 15,165 47.5

    농축산물 전체 27,530 32,027 100.0

    자료: ABARE, Australian Commodity Statistics, 2009.12.

  • 농업 ․ 농정 동향

    8 | 2010. 3

    호주는 매우 건조한 나라로 공간적, 시간적으로 강우량의 편차가 심하고 가뭄이

    반복되고 있다. 평균적으로 강우량의 10% 정도만 지표수나 지하수로 유출되어 이용

    이 가능하여 만성적으로 물이 부족한 국가이다. 호주의 여러 지역이 600~1,500mm

    의 강수량을 보이고 있으나 면적의 절반이 300mm 이하의 강수량을 나타내고 전체

    평균 강수량은 364mm이다. 이에 따라 물 수요 충족을 위해 수자원 중 20% 정도를

    지하수에 의존하고 있어 수자원 가용성(availability)이 매우 낮다.

    농업용 물소비량은 호주 전체 물 소비량의 2/3인 65%를 차지하고 있고, 그 중

    91%가 작물 및 목초생산에 사용되며 9%는 가축의 음용수 및 세척수로 사용된다.

    물소비량은 머리달링 유역(MDB), 호주 남동부지역, 퀸즈랜드(QLD)의 남동부지

    역, 서호주(WA)의 남서부지역들이 호주 나머지 지역의 물소비량보다 훨씬 많이 사

    용하고 있다. 호주 전체 지표유출수의 6%밖에 차지하지 않는 머리달링 유역에서는

    실제로 호주 전체 소비량의 절반 이상의 용수량을 사용하고 있다.

    농업용수 공급형태는 정부지정기관에서 운영하는 관개시설체계에서 용수를 공

    급하는 형태와 개인관개시설에서 용수를 이용하는 형태가 있다. 정부지정기관에서

    용수를 공급하는 경우 용수 이용자는 공급받는 용수량에 일정 요금을 지불하고 있

    다. 정부지정 관개시설 운영자는 정부에서 운영허가권을 발급받아 관할구역 관개

    시설 운영과 사용자에게 용수를 공급할 의무가 있다. 관개용수공급업체는 공사 형

    태로 조합원(관개인)들이 지분을 소유하고 조합원 선거로 대표자를 선출한다.

    개인관개시설은 개인적으로 농지 안에 직접 건설한 소규모 댐이나 하천에서 직

    접 양수하여 이용하는 경우로 건설 및 운영비는 농업인이 직접 부담하며 관개용수

    의 저류와 공급에 드는 비용은 없다. 농업용수 이용자는 취수허가를 받아야 한다.

    쌀 생산은 기본적으로 담수재배가 필요하고, 와인용 포도재배의 90%가 관개용

    수로 재배하고 있다. 그 밖에 원예·채소·목화재배에도 관개용수를 이용하고 있다.

    주요 하천수계는 호주 동부의 머리-달링강 수계이며, 그 외에도 서호주(WA)의

    Kimberley구역 Ord강과 퀸즈랜드(QLD), 서호주(WA) 남서부, 빅토리아(VIC) MacAlister

    지역에 위치한 Burdekin강이 있고, 지하수원으로는 Great Artesian Basin이 있다. 호주

    전체 농가의 42%가 머리-달링강 유역에 밀집해 있어 가장 중요한 수계이다.

    물관리 관련 조직으로는 국가경쟁의회(NCC; National Competition Council), 국가수

    자원구상(NWI; National Water Initiative), 국가물위원회(NWC)가 있으며, ‘미래를 위

    한 물’(Water for the Future) 프로그램에서 관개시스템의 현대화계획을 추진하고 있

    는데 주로 머리-달링강 유역에 투자되고 있다.

    호주는 특히 2002년 이후 2009년 중반까지 계속된 가뭄으로 강과 지류들, 저수

    지들이 메말라 있다. 호주의 지속된 가뭄으로 연방정부는 물환매체제(Water Buy-

    back Scheme)를 만들었으며 지방정부들도 이와 유사한 제도를 만들었다. 물 사용자

    들은 물 사용권을 영구히 사려는 수요가 급증하였다. 호주는 물 사용권이 시장에서

    농업용수 공급형태

    는 정부지정기관에

    서 운영하는 관개시

    설체계에서 용수를

    공급하는 형태와 개

    인관개시설에서 용

    수를 이용하는 형태

    가 있다.

    호주는 2002년 이후

    2009년 중반까지 가

    뭄이 지속되어, 연방

    정부에서 물환매체

    제를 만들었다.

  • 세계농업 제115호 | 9

    거래되는데 지속된 가뭄으로 물 공급량이 급격히 줄어들자 아래 그림에서도 볼 수

    있듯이 2006년말 이후 최근까지 물 배분가격이 급등하였으며 2009년 후반에 와서

    야 강우로 인해 부분적으로 해갈되어 물 공급가격이 하락하였다.

    호주에서 쌀 생산면적이 급격히 줄어든 데는 물 사용권을 벼 재배에 이용하는

    것보다 과수나 원예 등에 이용하는 것이 유리하여 벼 재배농가가 다른 작물 재배

    농가에 물 사용권을 팔았기 때문이다.

    그림 2 호주 물럼비지 관개지역(M.I.A.)의 물 공급가격 추이

    1200

    1000

    800

    600

    400

    200

    S/ML2002Nov 17

    2003May 17

    2003Nov 17

    2004May 17

    2004Nov 17

    2005May 17

    2005Nov 17

    2006May 17

    2006Nov 17

    2007May 17

    2007Nov 17

    2008May 17

    2008Nov 17

    2009May 17

    자료: 2010 ABARE OUTLOOK.

    3. 호주의 쌀산업 현황과 전망

    대부분의 선진공업국과 같이 호주에서도 감자가 전통적인 탄수화물 공급원이다.

    반면 쌀은 전통적으로 카레와 섞어먹는 부식 또는 디저트 식품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1970년대에 태국,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일본, 베트남, 한국으로부터

    이민자가 크게 늘어나면서 아시아계 식당이 늘어 쌀이 주요 탄수화물 공급원으로

    부상하였다. 호주 사회의 세계화가 진행되면서 호주인들도 가정에서 아시아 식품

    등 쌀을 주재료로 이용하는 요리가 늘어나고 관심이 커져 쌀 시장이 확대되었다.

    호주의 쌀 소비량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며 1990년대 후반부터 현재까지

    30~40만 톤 정도 소비되고 있다. 1인당으로 환산하면 14~19kg에 달한다.

    호주의 쌀 생산면적은 2001년에 최대인 17만 7천ha로 조곡기준 164만 톤을 생산

    하였으나, 최근 쌀 생산면적이 급격히 감소하였다. 1996~2002년간 평균 수확면적

    은 150,000ha 수준이었으나 2008년에는 2,160ha로 감소하였다. 농가당 생산면적은

    1996~2008년간 평균 57.5ha로 큰 변화가 없다.

    호주의 쌀 생산면적

    은 2001년에 최대인

    17만 7천ha로 조곡

    기준 164만 톤을 생

    산하였으나, 최근 쌀

    생산면적이 급격히

    감소하였다. 생산량

    역시 수확면적 감소

    와 함께 급격히 감소

    하였다.

  • 농업 ․ 농정 동향

    10 | 2010. 3

    생산량 역시 수확면적 감소와 함께 급격히 감소하였다. 2000년대 초반까지 호주

    는 세계 쌀 생산량의 0.2% 수준을 유지하였다. 1996~2002년간 약 2,300 농가에서

    연 평균 126만 톤을 생산하였다. 그러나 2003~2007년간 극심한 가뭄으로 생산량

    이 감소 추세로 전환되었다. 2003년의 경우 2002년의 약 4분의 1인 44만 톤, 2007

    년에는 16만 톤으로 감소하였다. 2008년에는 38농가, 2,160ha, 18천 톤 생산되었다.

    2009~2010년에는 다소 회복되어 2009년에 63천 톤, 2010년에는 200천 톤이 예상

    된다.

    표 7 호주 쌀 생산 실적, 1996~2009년

    연도수확면적(천 ha)

    생산량(천 톤)

    단수(톤/ha)

    생산농가수농가당 면적

    (ha)

    1996 149.7 966 7.1 2,392 62.6

    1997 166.7 1,255 8.2 2,494 66.4

    1998 141.2 1,324 9.0 2,296 61.1

    1999 151.7 1,362 9.2 2,342 64.4

    2000 133.3 1,084 8.3 2,129 61.9

    2001 177.0 1,643 9.3 2,499 73.7

    2002 144.0 1,192 8.3 2,261 65.1

    2003 46.0 438 9.6 817 46.9

    2004 66.0 553 8.3 1,564 41.4

    2005 51.0 339 6.6 1,004 45.0

    2006 102.0 1,003 9.8 1,753 59.6

    2007 20.0 163 8.3 371 45.2

    2008 2.2 18 8.2 38 56.8

    2009 8.1 63 7.7 na na

    자료: ABS, 농업상품 카탈로그 No.7121.0, New South Wales 지역의 쌀마케팅위원회(2009), ‘통계’(Statistics).

    호주의 쌀 생산지역은 동남부의 뉴사우스웨일즈 주 남부와 빅토리아 주 북부 머

    리강(Murray River)과 달링강(Darling River) 사이에 집중되어 있다. 주로 머레이강 유

    역의 머리밸리 관계지역(Murray Valley Irrigation District)과 물럼비지강(Murrumbidgee

    River) 유역의 물럼비지 관계 지역(Murrumbidgee Irrigation Area), 물럼비지강과 머리

    강 사이의 코울엄밸리 관개지역(Coleambally Irrigation Area)의 3대 관개지역에서 쌀

    관개농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머리밸리 관개비역은 데닐리퀸(Deniliquin)이 중심타

    운으로 쌀 도정공장이 위치해 있고, 물럼비지관개지역은 리튼(Leeton), 코울업밸리

    관개지역은 코울엄밸리(Coleambally)가 중심타운으로 쌀 도정공장이 있다.

  • 세계농업 제115호 | 11

    표 8 호주 곡물년도별 쌀 수급 동향, 1980~2008년(정곡기준)

    연도생산량(천 톤)

    수출량(천 톤)

    수입량(천 톤)

    소비량(천 톤)

    자급률(%)

    1인당소비량(kg)

    1980 521 468 1 65 801.5 4.5

    1981 611 573 1 66 925.8 4.4

    1982 392 251 5 73 537.0 4.8

    1983 452 327 1 71 636.6 4.6

    1984 618 463 9 74 835.1 4.8

    1985 491 390 10 75 654.7 4.8

    1986 393 375 10 81 485.2 5.1

    1987 540 430 10 110 490.9 6.8

    1988 576 500 24 160 360.0 9.7

    1989 605 461 28 172 351.7 10.2

    1990 563 519 28 212 265.6 12.4

    1991 806 607 31 250 322.4 14.5

    1992 683 525 29 267 255.8 15.3

    1993 774 500 28 262 295.4 14.8

    1994 813 500 31 294 276.5 16.4

    1995 691 550 36 302 228.8 16.7

    1996 894 657 37 307 291.2 16.7

    1997 947 537 38 313 302.6 16.9

    1998 974 662 51 333 292.5 17.7

    1999 787 610 46 345 228.1 18.2

    2000 1,175 617 68 356 330.1 18.6

    2001 888 247 65 360 246.7 18.6

    2002 313 150 88 370 84.6 18.9

    2003 395 175 88 380 103.9 19.3

    2004 243 80 106 348 69.8 17.5

    2005 716 326 94 400 179.0 19.9

    2006 117 166 198 434 27.0 21.4

    2007 13 36 188 343 3.8 16.8

    2008 45 20 250 301 15.0 14.6

    자료: FAO, USDA.

    쌀 생산지역은 온난지역으로 일조량이 높고 병충해가 거의 없어 중립종쌀을 생

    산하는 데 적합하다. 품종별로 중립종이 78%를 차지하고 있고 장립종이 15%, 단립

    종이 7%를 차지하고 있다.

    전통적으로 호주에서 생산된 쌀의 85%가 수출되는데, 세계 중립종쌀 교역량에

    서 20~25%를 점유하고 있다. 쌀 수출액은 쌀 생산이 최대를 보였던 2001~02년과

  • 농업 ․ 농정 동향

    12 | 2010. 3

    2002~03년에 각각 354백만 달러, 371백만 달러였으며 그 후 연속된 가뭄으로 생

    산이 급격히 줄어들면서 수출액도 크게 줄어들었다. 2008-09년에 31백만 달러로 최

    대 수출년도인 2002~03년에 비해 8.4%에 그치고 있다.

    쌀은 수출도 하지만 수입도 최근 크게 늘었다. 2001~02년 41.7백만 달러를 수입

    한 이후 지속적으로 수입이 늘어 2008~09년에는 210.8백만 달러를 수입하였다.

    표 9 호주의 쌀 수출입액

    단위: 백만 호주달러

    구분 2001/02 2002/03 2003/04 2004/05 2005/06 2006/07 2007/08 2008/09

    수출액 354 371 145 173 171 347 71 31

    수입액 41.7 49.4 55.6 62.7 71.3 79.6 134.9 210.8

    자료: ABARE, Australian Commodity Statistics, 2009.12.

    호주에서 쌀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토양성분을 검사하여 적합한 토양으로 승인

    되어야 하며, 지방정부와 물관리기관으로부터 재배면허를 받아야 한다. 쌀 생산자

    는 자기 경작지의 1/3 이하 면적에서 쌀을 재배할 수 있으며 나머지 2/3 이상을 다

    른 작물을 재배해야 한다.

    호주의 중립종 쌀 단위면적당 수확량은 세계에서 가장 많으며, 쌀 1kg을 생산하

    는 데 사용하는 물의 양이 다른 국가에 비해 1/5 밖에 되지 않는다. 호주의 쌀 생산

    자는 현재 세계 평균 수확량인 ha당 5.4톤을 45년 전에 초과하여 현재 ha당 수확량

    이 9.7톤에 달한다.

    호주의 쌀 생산에 이용되는 물의 양은 세계의 어느 국가에서보다 적어 세계 평

    균 물 사용량의 50%에 불과하다. 단위 면적당 물 사용량은 물을 적게 필요로 하는

    다수확품종의 개발로 인해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 쌀 생산자는 수확후 토양에 남

    아있는 수분을 2모하는 다른 곡물 재배에 이용하고 있다. 즉 호주의 쌀 생산자는

    모든 물을 재사용하고 있다.

    호주의 쌀 생산농가는 수확후 전량을 생산자들이 주주인 SunRice에 판매하고 있

    다. 2001년 174.4만 톤으로 사상 최대 수확을 올릴 때 2,000여 농가가 쌀을 생산하

    였으나, 2002년부터 2009년까지 8년간 가뭄이 계속되면서 생산농가수가 급격히 줄

    어들어 2009년 미곡년도(2008.4~09.3월)에는 200농가만이 쌀을 생산하였다.

    호주의 쌀 생산자 조직으로 호주쌀생산자협회(RGA, Ricegrowers' Association of

    Australia Inc.)가 있는데, 1930년에 설립되어 1,500명이 소속된 쌀 생산자 협회이다.

    협회의 역할은 쌀산업 정책을 개발·집행하고, 연방정부, 주정부, 지방정부 및 관련

    기관, 전국농민연맹(National Farmers' Federation), 전국 관개자(灌漑者) 위원회 및

  • 세계농업 제115호 | 13

    NSW 관개자 위원회, 기타 이해관계집단에게 쌀 생산자들의 이익을 대표한다. 또

    한 개별 농가의 특정 니즈(needs)를 위해 봉사한다.

    쌀협동조합회사(Rice Cooperative Limited; RCL)로 흔히 SunRice로 더 잘 알려져 있

    는데, RCL는 쌀의 구매자이면서 판매자로 권한을 부여받고 있다. SunRice는 호주

    쌀의 99%를 보관·가공·유통하고 있으며, 호주 쌀 수출의 85%를 취급하고 있다.

    2010년도 쌀 생산여건은 2008년도보다는 나아질 것으로 보이나 향후 전망은 불

    투명한 상태이다. 머리-달링강은 2002년 이후 지속적인 물(저수량) 부족을 겪고 있

    으며 호주 기상청(Bureau of Meteorology)은 쌀 생산 지역이 점차 건조한 상태로 변

    화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SunRice는 ‘물이 없다면 쌀도 없다’고 언급할 만큼 쌀 산업과 물은 불가분의 관계

    에 있다. 매년 주 정부가 저수지와 댐에서 이용가능한 수자원의 양을 평가하고 우

    선순위에 따라 물 사용량을 할당하고 있는데 쌀에 대한 물 사용 순위는 가장 낮은

    상태이다. 2003년부터 극심한 가뭄으로 인해 쌀 생산에 할당된 물의 양은 점차 감

    소되었고 이에 따라 쌀 산업은 직접적 영향을 받아 쌀 생산량 또한 지속적 감소 추

    세를 보이고 있다.

    현재 호주의 물 사용은 음용수에 최우선 순위를 두고 있어 호주의 쌀 산업은 강

    수량이나 저수량이 크게 늘어나지 않는 한 더욱 더 어려워질 것으로 보인다. 따라

    서 호주 쌀 산업의 부활 여부는 전적으로 향후 강우량과 물 할당량에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4. 호주의 쌀기업 SunRice의 운영과 글로벌전략

    SunRice의 역사는 1950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쌀 생산자들은 협동조합을

    설립하기 위해 기금을 만들어 Riverina 지역의 Leeton 소도시에 쌀 생산자협동조합

    도정회사(Ricegrowers Co-operative Mills Limited)를 설립하였고, 그 후 1955년부터 ‘Sun

    White'라는 자체 쌀 브랜드로 소포장 판매를 시작하였다. 초창기에는 호주의 쌀 유

    통에서 쌀의 영양학적 가치와 제품의 품질 등을 강조하였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연구와 신기술 도입을 통해 SunRice는 혁신적인 다양한 쌀제품을 생산하게 되었다.

    SunRice는 2009년 9억 달러 매출액의 글로벌 쌀가공 식품기업이며, 호주에서 가

    장 큰 브랜드 가공식품 수출업체이다. SunRice는 2009년(2008/09년 회계연도) 기업

    매출액이 기록적인 9억 호주달러를 기록하였으며, 순수익도 7,680만 달러를 기록

    하였다. 9억 달러 매출액 증가는 전년도의 7억 1천만 달러에 비하면 27%나 증가한

    성과이다. 순수익 7,680만 달러도 1년전의 1,500만 달러에 비하면 엄청난 증가이다.

    매출액 대비 순수익 비율이 1년 전의 2.1%에서 8.5%로 크게 늘어났다. 농가에 지

    2010년도 쌀 생산여

    건은 2008년도보다

    는 나아질 것으로 보

    이나 향후 전망은 불

    투명한 상태이다.

    SunRice는 머리강

    유역과 물럼비지관

    개지역에 쌀도정공

    장, 제분공장, 포장

    시설, 쌀가공공장,

    쌀케익공장, 사료공

    장을 운영하고 있다.

  • 농업 ․ 농정 동향

    14 | 2010. 3

    급되는 톤당 쌀가격(조곡 기준)이 450달러가 되었으며 최초로 주당 배당금이 22.5

    센트가 되었다1). 1년 전인 2008년에는 농가에 톤당 328달러를 지급한 바 있다. 이

    는 이 지역의 극한 가뭄으로 쌀 생산이 2년 연속 바닥에 달하고 국제시장에서 중

    립종 쌀 공급이 매우 어려운 상황에서 달성한 성과로 의미가 크다.

    호주의 쌀 생산이 최악의 상황임에도 SunRice 매출액이 사상 최대로 증가한 것은

    SunRice가 호주 국내의 쌀가공업체가 아니라 글로벌 쌀 기업이라는 것을 반증해 준

    다. SunRice의 최대 매출성과는 글로벌 교역, 쌀식품사업 확장, CopRice 등 쌀 이외

    의 사료사업 등 투자 다양화 등 전략적 믹스와 운영비 절감의 결과이다. 특히 미국

    캘리포니아에 사업 기반이 있는 SunFoods 주식의 65%를 전략적으로 매수하여 세계

    중립종 쌀 시장이 요동칠 때 세계에서 몇 안되는 중립종 쌀 시장 중 하나인 미국

    시장을 잡은 것은 SunRice사의 성장에 상당한 역할을 하게 되었다.

    SunRice는 호주 동남부지역인 뉴사우스웨일즈주(州)의 대표적인 관개농업지역인

    머리강 유역(Murray Basin)과 물럼비지관개지역(Mullumbidgee Irrigation Area)에 위치

    한 리튼(Leeton), 코울엄밸리(Coleambally), 데닐리퀸(Deniliquin) 세 지역에 쌀도정공장,

    제분공장, 포장시설, 쌀가공공장, 쌀케익공장, 사료공장을 건설하여 운영하고 있다.

    또한 SunRice는 자회사들(subsidiary companies)을 만들어 쌀에 국한하지 않고 조미

    료, 통조림 등 가공사업과 곡물제분과 동물사료 제조업도 운영하고 있다. 우선 식

    료품 서비스분야에 초점을 맞추어 올리브, 전채(前菜, antipasto), 양념, 쌀 및 생선,

    과일, 채소 통조림을 제조, 물류, 판매하는 자매회사인 Riviana를 운영하여 혁신적

    이고 성공적인 제품개발을 하고 있다.

    또다른 자회사가 동물사료회사인 CopRice Feeds로 쌀 부산물을 이용하여 동물사

    료를 제조하여 판매하고 있는데, 리튼(Leeton), 통갈라(Tongala), 코브덴(Cobden) 지역

    에 3개의 사료공장이 있다. 개사료 브랜드로 Puppy Food, Dog Food, 고양이 사료로

    Max's Cat Pet Litter, 경주마 사료로 NutriRice 등이 있다.

    곡물저장회사인 AGS(Australlian Grain Storage)도 SunRice의 중요한 자회사이다. 곡

    물저장시설이 리베리나(The Riveria) 지역에 18군데에 걸쳐 분포되어 있다2). 필자가

    4월 9일 방문한 휘튼(Whitton) 지역에 -Griffith와 Leeton의 중간에 위치한 타운- 있는

    AGS의 곡물 건조저장시설(Bulk Storage Facilities)은 1920년대에 설치된 4개의 건물과

    최근 현대식으로 건설된 1개의 건물이 운영되고 있으며, 현대식 건물의 1회 저장

    1) 2010년 쌀농가 수취가격이 톤당 550 호주달러로 ’09년 450달러에 비해 22% 높아졌다.2) The Riverina 지역은 뉴사우스웨일즈 지역에서 아래로 머레이강(Murray River), 중간에 물럼비지강(Murrum- bidgee

    River)이 서쪽으로 흘러 달링강(Darling River)과 만나 남쪽으로 흐르는 호주의 가장 중요한 생명줄인 두 개의 강을 끼고

    있는 최고의 초원과 농지가 끝없이 펼쳐져 있는 지역으로 대표적인 타은으로 그리피스(Griffith), 와가와가(Wagga

    Wagga), 리튼(Leeton), 웬트워쓰(Wentworth), 데닐리퀸(Deniliquin), 앨버리(Alburi), 헤이(Hay) 등이 있음. 이 지역에 물럼비지 관개지역(Murrumbidgee Irrigation Area, MIA)이 있어 쌀농사와 포도, 시금치 등 관개농업이 성행하고 있음.

    SunRice는 1950년

    쌀 생산자들이 기금

    을 만들어 Riverina

    지역의 Leeton 소도

    시에 설립한 쌀 생산

    자협동조합 도정회

    사로 시작되었다.

  • 세계농업 제115호 | 15

    용량은 32,000톤이며 건축비가 900만 호주달러(한화 환산 약 100억 원)이다. 1칸에

    2,000톤 씩 저장하는 저장고가 16개가 설치되어 있으며 저장고 바닥에는 쌀 수분

    비율을 줄여 건조시키기 위해 5개의 홈통에 깔려 있는 강제통풍방식의 건조시스템

    이다. 곡물을 품종, 등급별로 구분 저장하는 컴퓨터 자동분류기가 설치되어 있다.

    미국, 캐나다 등 북중미, 요르단 등 중동지역, 일본, 인도네시아, 태국, 홍콩 등

    아시아, 유럽, 아프리카, 파푸아뉴기니아, 솔로몬군도, 뉴질랜드 등 전세계 60개국

    이상에 매년 50만 톤에 달하는 브랜드 쌀 제품을 수출하고 있다.

    SunRice는 호주 뿐 아니라 미국, 파푸아뉴기니아(PNG), 요르단, 솔로몬군도에 쌀

    도정판매회사를 운영하고 있어, 쌀 조달을 호주에 국한하지 않고 세계에서 조달하

    고 있으며 세계 시장을 상대로 브랜드 상품을 판매하고 있다.

    미국에서는 SunFoods 지분 65%를 사들여 대주주로서 미국 쌀 시장의 거대 공급

    자가 되었으며, 중동지역에는 요르단에 Aqaba Processing 도정 포장회사를 만들어

    요르단, 시리아, 이라크 등 중동지역에 SunWhite라는 경쟁력있는 브랜드쌀을 판매

    하고 있다. SunWhite라는 상부브랜드(Umbrella brand) 아래 개별 제품브랜드로 Sun-

    white Basmati, Parboiled and Jasmine 등이 있다. 또한 쌀과자(Rice Cakes)와 마이크로웨

    이브 쌀 등도 개발하여 판매하고 있다.

    아시아지역에서는 싱가포르 시장에 캉가루(Kangaroo) 브랜드로 판매하고 있다.

    홍콩에서는 주요 슈퍼마켓체인에서 브랜드쌀을 잘 판매하고 있다. 필리핀과 인도

    네시아 등에서는 미국의 자회사인 SunFood를 이용하여 브랜드쌀 판매를 하고 있다.

    태평양 지역에서는 Island Sun과 SunWhite 브랜드가 견고한 시장점유율을 보이고

    있다. 이 지역에서 시장 포지션을 강화하기 위해 새로운 공급원을 개발하고 포장

    수준을 개선하고 혁신적인 홍보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표 10 SunRice의 글로벌 쌀 도정 및 포장판매회사

    국가 쌀 도정 및 포장판매회사 내용

    미국 SunFoods- 캘리포니아 소재 쌀 도정 및 판매회사로 SunRice에서

    65% 지분 참여- 브랜드: HINODE

    파푸아뉴기니아(PNG)

    Trukai Industries- 쌀 도정, 포장 및 판매회사로 SunRice가 대주주- PNG에서 최대이며 가장 성공한 쌀 유통업체- 브랜드 Trukai RICE

    요르단Aqaba Processing Company

    - 도정, 포장회사로 SunRice가 대주주- 브랜드: SunWhite는 걸프만협력국가들 중 선두 칼로스

    브랜드

    솔로몬군도 Solomons Rice Company- SunRice가 지분 전체 소유한 Honiara 유통회사- 브랜드: Solarais

    SunRice는 글로벌 쌀기업으로서 입지를 굳히기 위해 다양한 마케팅전략을 수립

  • 농업 ․ 농정 동향

    16 | 2010. 3

    하여 추진하고 있다. TV 상업광고를 위해 호주의 올림픽 금메달리스트 3관왕인 스

    테파니 라이스(Stephanie Rice)를 새로운 브랜드 홍보대사로 임명하였으며, UN 아동

    기금인 유니세프(UNICEF)의 태평양 프로그램을 후원하기도 한다.

    SunRice는 국내외로 1,800명 이상의 직원을 고용하고 있다. 호주 내에는 600명이

    고용되어 있으며, 해외에 1,200명이 고용되어 있다. 또한 호주, 파푸아뉴기니아, 일

    본, 요르단, 미국, 싱가폴, 솔로몬군도에 현지 사무소를 설립하여 현지인들을 고용

    하고 있다.

    SunRice는 식용쌀(table rice), 쌀가루, 쌀스낵에서부터 동물사료제품까지 1,100개

    이상의 제품을 제조하여 세계에 판매하고 있다.

    5. 시사점

    호주의 쌀 농업은 지난 2001년 17만 7천 ha의 면적에 조곡기준 164만 톤을 생산

    할 정도로 무서운 기세로 성장하였지만 그 후 극심한 가뭄 피해로 인해 1만 ha 면

    적, 20만 톤의 생산량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으로 급격히 축소되었다. 2009년 후

    반부터 강우량이 회복되어 8년 연속 가뭄에서는 일부 벗어났지만 많은 저수지들이

    여전히 말라있고 향후 강수량에 절대적으로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여 쌀 농업이

    빠른 기간 내에 크게 회복되지는 못할 것으로 예상되고 수출국으로서 위치도 줄어

    들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호주의 협동조합 쌀 기업인 SunRice는 세계에서 쌀을 매입하여 도정, 가

    공해 판매하는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하였기 때문에 호주 내의 생산량 증감에 영향

    을 크게 받지 않을 정도가 되었다.

    지금과 같은 SunRice의 쌀 가공제품 개발력과 전세계적인 판매망, 도정 및 가공

    회사 네트워크라면 향후 세계 쌀 가공제품 시장, 브랜드쌀 시장에서 SunRice의 위

    치는 더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카길, 벙게 등 국제곡물메이저들은 밀, 옥수수, 콩

    등 원료곡물에 대한 독과점력을 발휘하지만 SunRice는 세계의 50% 인구가 주식으

    로 소비하는 쌀을 대상으로 다양한 가공제품을 개발하여 판매하고 있어 쌀 가공제

    품에 대한 영향력은 또다른 독과점 능력이라 여겨진다.

    글로벌 수출농기업은 개념 자체부터 국내시장에서 벗어나 세계시장을 염두에

    두고 경영하는 기업이다. SunRice는 호주 내 쌀 생산자들의 협동조합 기업이지만

    도정공장과 가공회사를 호주 뿐 아니라 파푸아 뉴기니아, 미국, 요르단, 솔로몬 군

    도 등 세계 주요 지역에 설치하고 세계적인 판매망과 해당지역에 적합한 브랜드명

    까지 만들어 글로벌 마케팅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글로벌 수출농기업

    들을 육성해야 한다. 글로벌 개념의 수출농기업 경영과 마케팅전략 만이 가능하다.

    쌀 한 품목으로도 다양한 가공제품으로 글로벌 기업이 되듯이 예컨대 쌀, 버섯, 과

    SunRice는 국내 600

    명, 해외 1,200명이

    고용되어 총 1,800명

    이상의 직원을 고용

    하고 있다.

  • 세계농업 제115호 | 17

    일, 축산물 등 단일 품목으로도 얼마든지 글로벌 수출농기업이 될 수 있다. 원료

    농산물로도 글로벌 수출농기업이 될 수 있지만 원료 생산이 적고 외국에서 조달할

    수 밖에 없다면 오히려 원료를 국내 뿐 아니라 외국에서 조달하여 고부가가치 가

    공제품으로 수출하거나 현지에서 판매하는 글로벌 수출농기업이 가능성 면에서

    더 높을 수 있다.

    참고문헌

    ABARE, Australia Commodity Statistics 2009, 2009.12.

    ABARE, Australian Commodities, March quarter 2010.

    ABARE, Australian grains, 2010, 11.

    SunRice, SunRice Briefing, 8 April 2010.

    SunRice, Annual Report 2009. 2009.4.30.

    농수산물유통공사, 호주의 경제동향과 농업현황, 2009.3.

    http://www.rmbnsw.org.au/?page=statistics

  • 농업 ․ 농정 동향

    세계농업 제115호 | 19

    일본의 화훼유통 구조*

    국 승 용

    1. 일본 화훼산업 개황

    생산에서 유통, 소비에2)이르는 일본의 화훼 산업 규모는 약 9,400억 엔 규모에

    달한다. 또한 농업 생산에서 화훼가 차지하는 비중은 면적 기준으로는 36,000ha로

    경지면적의 0.8% 수준이지만, 종사자수는 24만 6천 명으로 7%, 생산액은 4,819억

    엔으로 6%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일본의 화훼 수입 규모는 2008년 기준 516억 엔이며, 절화류는 332억 엔, 구근류

    는 101억 엔이다. 일본에는 2007년 기준 192개의 화훼 도매시장이 운영되고 있으

    며, 이들 도매시장을 경유하는 화훼류의 비중은 85.4%이다. 도매시장을 경유하지

    않는 화훼 유통 경로는 인터넷 등을 활용한 산지 직거래, 소매업체의 산지 직구입,

    생산자 직판시설 판매 등이 있다. 화훼 소매업의 규모는 2만 5천 개의 화훼 전문매

    장 취급액 5,724억 엔, 1만 6천 개의 식품 슈퍼 취급액 2,357억 엔 등을 합하여

    8,081억 엔 규모이며, 이 밖에도 종합 슈퍼, 백화점, 통신 판매 등의 방식으로 화훼

    류가 유통되고 있다.

    일본의 화훼 수요는 1997년 6,800억 엔에서 정점을 이룬 후 지속적으로 하락하

    는 추세에 있다. 일본 정부는 화훼 소비가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추세에 있다고 보

    고 현재의 추세를 방관할 경우 화훼 산업의 축소를 우려하고 있다. 또한 화훼 수입

    * 본 내용은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국승용 부연구위원이 작성하였다([email protected], 02-3299-4290).

    일본의 화훼 산업 규

    모는 약 9,400억 엔

    규모에 달하며, 총

    경지면적은 36,000

    ha, 종사자수는 24

    만 6천명, 생산액은

    4,819억 엔이다.

  • 농업 ․ 농정 동향

    20 | 2010. 3

    그림 1 일본의 화훼산업 구조

    업체수 800개

    꽃다발가공

    516억 엔

    수입

    500억 엔

    종묘

    생산

    4,819억 엔

    도매

    시장경유율 85.4%

    도매시장 4,522억 엔도매업체 870억 엔 소매

    종합슈퍼, 백화점

    통신판매, 기타

    소매판매 8,081억 엔전문매장 5,724억 엔식품슈퍼 2,357억 엔

    자료: 2009, 화훼산업진흥방침, 농림수산성.

    비중이 확대됨에 따라 일본 화훼 생산 규모 역시 감소하고 있다. 절화를 중심으로

    화훼류 수입이 증가하여 2007년도 금액 기준 수입 화훼류의 비중이 11%에 이르고

    있다. 특히 국화, 장미, 카네이션 등의 품목은 일본 국내 생산에 적지 않은 위협이

    되고 있다. 이처럼 수입 절화류의 비중이 확대되고 있는 이유는 절화류 생산에 적

    합한 저위도(低緯度)의 고원 지역에서 높은 품질의 저렴한 절화류가 일본 시장으로

    유입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일본 국내 화훼 생산은 1998년까

    지 지속되었던 성장세가 감소세로 전환되었다.

    일본 정부는 화훼 소비의 위축, 수입 화훼의 증가, 이에 따른 일본 화훼 생산의

    축소 등 현재와 같은 추세가 계속된다면, 화훼 생산 기반이 현저하게 위축될 것을

    우려하고 있다. 이에 2009년 8월 각계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여 ‘화훼산업진흥방

    침(花き産業振興方針)’을 발표하였다. 소비자에게 올바른 지식 보급, 새로운 수요

    창출, 시장의 요구에 대응한 생산 및 유통 체계 수립, 화훼 산업의 자구 노력 등을

    주요 화훼산업 진흥방침으로 발표하였다.

    그 중 주목을 끄는 내용은 새로운 수요 창출을 위해 화육(花育)을 추진한다는 것

    이다. 식습관, 식문화 등을 교육과 연계하여 농업 및 식품산업과 국민 식생활의 상

    호 발전을 도모하고자 실시되는 일본의 식육(食育)은 널리 알려져 있다. 화육 역시

    이와 유사한 활동으로 ‘어린이 교육 현장과 지역에서 꽃과 자연에 접할 기회를 확

    대하고 꽃의 아름다움을 느끼는 감정을 키우는 노력’으로 화육의 개념을 정의하

    고 있다. 또한 유치원과 초등학교의 교육에서 꽃에 대한 교육을 강화하고, 가정

    일본 정부는 화훼 생

    산 기반이 위축될 것

    이 우려됨에 따라,

    2009년 8월 각계 전

    문가의 의견을 수렴

    하여 ‘화훼산업진흥

    방침’을 발표하였다.

  • 세계농업 제115호 | 21

    및 지역 사회, 화훼 산업 관계자들이 재배 등 꽃과 관련된 활동의 긍정적인 측면을

    알리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2. 일본의 화훼 유통 현황

    2006년 기준 일본 화훼의 도매시장의 수1)는 194개소이며, 도매시장 경유율은

    85.4%이다. 약 7만종에 달하는 다수의 품목이 유통되고, 생산구조와 소매구조가 영

    세하며, 저장성이 부족한 특성이 있기 때문에 화훼류는 도매시장을 경유하는 유통

    경로의 비중이 높은 특징이 있다. 도매시장의 취급액은 1990년대 중후반까지는 지

    속적으로 증가하였으나,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중앙도매시장의 경우 취급액이 정체 상태에 있으며, 지방도매시장에서는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취급량 측면에서는 중앙도매시장과 지방도매시장 모두 감

    소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구 분  1990 1995 2000 2005 2006 2007

    시장경유율  82.3 81.9 79.1 82.8 85.4 -

    중앙도매시장 시장수 17 20 23 25 24 24

    취급액 833 1,396 1,392 1,537 1,551 1,559

    지방도매시장 시장수 234 198 187 171 170 168

    취급액 3,721 3,774 3,392 2,967 2,971 -

    계시장수 251 218 210 196 194 192

    취급액 4,554 5,170 4,784 4,504 4,522  

    표 1 화훼류 도매시장 유통 추이

    단위: %, 개소, 억 엔

    자료: 2009, 화훼산업진흥방침, 농림수산성.

    일본은 분화에 비해 절화의 소비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은 특징이 있다. 절화의

    유통비중은 일반 소매점을 통한 판매 비중이 가장 높고 그 수준이 안정적이다. 최

    근 꽃다발 제조업의 경우 규모화가 이루어져 직거래의 비중을 높이고 있어 도매시

    장을 경유하는 비중은 낮아지고 있다. 또한 중도업자(우리나라의 중도매인)를 경유

    하는 비중이 낮아지는 반면 도매업자(우리나라의 도매시장법인)로부터 직접 구매

    하는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

    1)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농수산물도매시장을 관할하는 ‘농수산물유통및가격안정에관한법률’이 주로 공영도매시장

    이나 법정도매시장을 다루기 때문에 유사도매시장은 도매시장으로 간주하지 않는 것이 관행이다. 하지만, 일본의 도매시장은 대도시, 중소도시, 공영 및 민영 등 도매시장 전반을 포괄하고 있다.

    2006년 기준 일본

    화훼의 도매시장의

    수는 194개소이며,

    도매시장 경유율은

    85.4%이다.

  • 농업 ․ 농정 동향

    22 | 2010. 3

    그림 2 화훼 부류별 수요 추이

    절화류 수요 추이

    분화류 수요 추이

    초화류 수요 추이

    구근류 수요 추이

    억본

    백만본

    억본

    백만본

    억엔

    억엔

    억엔

    억엔250

    200

    150

    100

    50

    0

    1,200

    1,000

    800

    600

    400

    200

    0

    500

    400

    300

    200

    100

    0

    1,500

    1,000

    500

    0

    3,500

    3,000

    2,500

    2,000

    1,500

    500

    1,000

    10

    8

    6

    4

    2

    0

    350

    300

    250

    200

    150

    100

    0

    70

    60

    50

    40

    30

    20

    0

    1985 1990 1995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1985 1990 1995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1985 1990 1995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1985 1990 1995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국화(일본산)토루코키쿄(일본산) 백합(일본산)

    장미(일본산) 카네이션(일본산)기타(일본산)

    서양란화목관엽

    기타페츄니아

    사루비아팬지

    메리골드산출액

    백합(일본산)기타(일본산)

    튤립(일본산)수입

    글라디올라스(일본산)소비액

    10

    0

    43.7

    56.762.4 64.2 63.4 62.5 61.9 61.0 60.7 60.3 59.6 58.5

    50

    182

    205 245

    305 313 321 320324 310 300 294 284

    0.51.4

    3.4

    8.6 9.0 9.0 8.7 8.4 8.2 8.0 7.9 7.8

    546

    635

    866952 890 824

    750 758692 667

    655

    593

    산출액기타시클라멘

    수입량 소비액

  • 세계농업 제115호 | 23

    분화의 경우에는 일반 소매점의 취급비중이 감소하고 양판점(대형유통업체)의

    취급 비중이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절화와 마찬가지로 도매업자로부터

    직접 구매하는 비중이 증가하고 있는 반면 중도업자를 경유하는 비중은 감소하고

    있다.

    3. 일본 화훼도매시장의 유통 구조

    일본 도매시장의 거래 주체는 도매업자, 중도업자, 매매참가인 등이 있다. 도매

    업자는 우리나라 도매시장의 도매시장법인과 유사한 역할을 수행하는 유통기구

    로 화훼의 수집, 경매 등 판매, 정산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중도업자는 우리나라

    도매시장의 중도매인과 유사한 역할을 수행하는 유통기구로 도매시장 내에 점포

    를 운영하면서 도매업자로부터 화훼를 구입하여 판매한다. 매매참가인은 도매업

    자로부터 화훼를 구입하여 판매하는 유통기구로 도매시장 내에 점포를 보유하고

    있지 않다.

    우리나라 화훼공판장과 유사한 유형의 유통기구가 활동하고 있으나 몇 가지 중

    요한 차이점이 있다. 먼저, 우리나라의 화훼공판장은 경매 거래의 비중이 높은 반

    면 일본 도매시장은 웹거래라 불리는 사전예약거래의 비중이 전체 거래의 2/3 수

    준에 이르고 있다. 규모 측면에서 일본의 대표적인 화훼도매시장은 도쿄의 오타도

    매시장과 오사카의 쯔루미 도매시장을 꼽을 수 있다. 이 2개 도매시장 모두 총 거

    래량에서 경매를 거치는 비중은 1/3 수준에 불과하며, 나머지는 웹거래를 통해 이

    루어진다.

    웹거래는 도매업자와 출하자와 중매업자 또는 매매참가인을 연계하여 출하 이

    전에 거래량과 거래금액을 확정하는 거래방식이다. 인터넷의 웹을 활용한다는 점

    을 제외하면 일반적으로 일본 도매시장에서 시행되는 예약상대거래와 유사한 거

    래이며, 우리나라 양재 화훼공판장에서는 사전주문거래라는 이름으로 유사한 거래

    가 이루어지고 있기도 하다. 우리나라의 사전주문거래는 초기 시행단계로 그 비중

    이 미미한 것에 비해 일본의 웹거래는 도매시장의 주된 거래 방식이다. 경매 이전

    에 2/3 가량의 화훼 거래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출하량에 따라 가격이 급등락하는

    현상이 완화되고, 비교적 안정적으로 화훼의 수급이 이루어질 수 있다.

    둘째, 경매거래는 100% 샘플 거래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도매시장에 출하

    된 화훼는 샘플만 경매를 위해 경매장으로 이동하고, 나머지 물량은 정온저장고2)

    에 보관된다. 샘플 경매를 통해 경매를 위한 진열, 대기, 이동 등의 과정에서 발생

    2) 일본 도매시장에서는 화훼류를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는 시설에 보관한다고 하여, 화훼류 보관시설을 정온고(定溫庫)라 한다.

    일본 도매시장의 거

    래 주체는 도매업자,

    중도업자, 매매참가

    인 등이 있다. 우리

    나라 화훼공판장과

    유사한 유형의 유통

    기구가 활동하고 있

    으나 몇 가지 차이점

    이 있다.

  • 농업 ․ 농정 동향

    24 | 2010. 3

    할 수 있는 화훼류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물론 일본 도매시장에서 샘플 경매

    가 정착될 수 있었던 주요 요인은 화훼류의 품질 표준화가 발달되어 있고, 출하자

    와 도매유통기구 간의 신뢰가 구축되어 있기 때문이다.

    셋째, 도매시장 내에 점포를 운영하고 있는 중매업자의 수가 상대적으로 적은

    반면, 매매참가인이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오타 도매시장의 경우 중매업자 20

    명, 매매참가인이 약 2천 명이며, 쯔루미 도매시장의 경우 절화 중매업자 12명, 분

    화 중매업자 3명, 매매참가인 2,500명이다. 도매시장 내 점포를 통해 분산되는 화

    훼보다는 도매시장 외에 사업장을 운영하고 있는 매매참가인이 활발하게 활동하

    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물류 정보화를 통해 복잡한 거래를 종합적으로 신속하게 관리할 수 있다.

    도매시장에 반입되는 화훼류에는 모두 바코드가 부착되어, 바코드의 정보를 기준

    으로 물류가 이루어진다. 웹거래가 이루어져 구매자가 확정된 화훼류도 전량 도매

    시장에 반입되어 바코드가 부착된 후 정온저장고에 보관된다. 그리고 경매가 마감

    되면 정온저장고에 경매를 위해 대기 중인 화훼류의 구매자가 확정된다. 정온고에

    보관되어 있던 화훼는 자동분류기로 옮겨지고, 자동분류기는 바코드 정보를 판독

    하여, 구매자별로 화훼류를 분류하여 반출하도록 되어 있다. 절화의 경우에는 상자

    에 포장되어 기계화가 이루어져 있으나, 분화는 기계화가 곤란하여 수작업에 의존

    하는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다.

    4. 일본 화훼 도매시장의 물류체계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웹거래, 샘플 경매 등 비교적 복잡한 거래가 일본 화훼도

    매시장에서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은 물류 체계가 발달되어 있기 때문이다.

    의 오타 화훼도매시장의 시설을 사례로 일본 화훼 도매시장의 물류 체계

    를 살펴보자.

    도매시장에서 거래되는 화훼류는 전량 1번 플랫폼을 통해 반입된다. 플랫폼은

    다양한 규모의 차량이 사용할 수 있도록 도크의 높이 역시 다양하다. 플랫폼은 일

    반적으로는 출하를 위해 활용되지만, 대량 수송 차량을 이용해 출하하는 경우에

    도 활용된다. 반입된 화훼류에는 바코드가 부착되고, 경매 거래를 위해 출하된

    화훼는 샘플만 경매시계가 부착된 경매장으로 운송된다. 샘플을 제외한 화훼와

    웹거래가 이루어진 화훼는 3번 연결통로를 통해서 4번 지하정온고로 이송된다.

    경매가 마감되면, 정온고의 화훼류는 5번 물류동으로 투입된다. 물류동에는 소터

    (Sorter)라 불리는 자동분류장치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 장치는 상자에 부착된 바

    코드를 판독하여 구매자별로 화훼류를 모아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자동분류장치

    를 통과한 화훼류는 6번의 플랫폼과 같은 반출구로 구매자별로 화훼류를 보낸다.

    일본 화훼도매시장

    에서 비교적 복잡한

    거래가 원활하게 이

    루어질 수 있는 것은

    물류 체계가 발달되

    어 있기 때문이다.

  • 세계농업 제115호 | 25

    그림 3 절화(왼쪽)와 분화(오른쪽)의 바코드

    구매자는 반출구에 모여있는 화훼류를 대차에 싣고 집배송장으로 운반하여, 차량

    에 상차한다.

    그림 4 오타 화훼시장의 시설

    자료: 2009, Flower Message 21st, 株式會社 大田花き.

    아래 에서 볼 수 있듯이 화훼도매시장의 물류 공간 전역에 입체화된

    컨베이어가 설치되어 있고, 이 컨베이어를 통해 절화 상자들이 이동된다. 상품투입

    구에 화훼 상자를 투입하면 상자에 부착된 바코드 정보를 판독하여 도매시장 내에

    지정된 장소로 컨베이어를 활용해 이동된다. 경매, 웹거래 등 다양한 방식으로 거

    래가 이루어진 여러 종류의 화훼가 구매자별로 특정 반출구에 모이기 때문에 구매

    자는 신속하게 자신이 구매한 화훼를 수령할 수 있다.

  • 농업 ․ 농정 동향

    26 | 2010. 3

    그림 5 쯔루미 도매시장의 자동분류장치

    앞서 설명한 화훼류의 물류는 주로 상자단위로 포장이 이루어진 절화에 적용되

    는 것이고, 분화류는 자동화가 곤란하기 때문에 적용하고 있지 못하다. 오사카 쯔

    루미 도매시장에 이같은 물류체계를 도입한 시점이 1994년이라 한다. 아직도 하역

    에서부터 경매, 상차까지의 과정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우리나라에 비해

    서는 상당히 앞서 있다고 볼 수 있다. 특히, 도매시장에 반입 즉시 화훼류를 정온

    고에 보관하고, 도매시장 내 화훼의 이동을 최소화하여 화훼류의 품질을 효율적으

    로 관리함으로써 화훼의 가치를 제고시키는 물류 체계가 운영되고 있다는 점은 일

    본 화훼산업의 역량을 잘 드러내는 사례라 판단된다.

    이밖에도 오타시장과 쯔루미 시장의 화훼류 물류 체계에서 눈여겨 봐야할 지점

    이 몇 가지 있다. 우선 경매공간과 물류공간을 분리함으로써 경매와 물류의 효율

    성을 동시에 높이고 있다. 앞서 언급한 바대로 일본 도매시장의 경매는 100% 견본

    경매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므로 경매장에는 견본 전시를 위한 공간과

    경매 참여자를 위한 좌석 정도의 공간만 있으면 된다. 에서 확인할 수 있

    듯이 쯔루미 도매시장의 경매장은 견본이 지나가는 컨베이어 벨트와 매매참가인

    들이 앉는 좌석, 옥션시계로 구성되어 있다. 나머지 화훼 물류는 경매장 뒷 공간에

    서 이루어진다. 또한 다수의 경매시계가 동시에 작동하기 때문에 비교적 짧은 시

    간 내에 많은 물량의 거래가 가능하다.

    도매시장에 반입 즉

    시 화훼류를 정온고

    에 보관하고, 도매시

    장 내 화훼의 이동을

    최소화하여 화훼류

    의 품질을 효율적으

    로 관리함으로써 화

    훼의 가치를 제고시

    키는 물류 체계가 운

    영되고 있다.

  • 세계농업 제115호 | 27

    그림 6 쯔루미 도매시장(왼쪽)과 양재 공판장(오른쪽)의 경매장

    둘째, 이미 거래가 이루어진 웹거래 물량도 100% 도매시장에 반입되도록 하고

    있는 이유에 대해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언뜻 생각하기에는 이미 거래가 이루어

    졌기 때문에 도매시장에 반입되는 것이 불필요하고, 오히려 물류비를 증가시킬 것

    처럼 생각된다. 하지만, 화훼 유통구조의 특성 때문에 특정 생산자는 다수의 구매

    자를 대상으로 판매해야 하고, 특정 구매자는 하나의 품목이 아닌 다수의 품목을

    동시에 구입해야 한다. 즉, 출하자도 도매시장에 일괄 출하하는 것이 편리하고, 구

    매자도 도매시장에서 구색을 갖추어 일괄 구매하는 것이 효율적이라는 것이다. 또

    한, 도매시장과 같이 중립적인 관리자가 개입되어야 품질 등에 대한 불만이 제기

    되었을 때 공정한 조정이 가능하다.

    셋째, 분화류 유통에 필요한 다양한 규격의 포장 상자가 활용되고 있다. 고가의

    분화류는 유통과정에서 꽃이 손상되면 가치가 크게 하락하게 된다. 특히 서양난의

    경우 촘촘하게 피어있는 꽃 중에서 하나만 손상이 되어도 전반적인 모양과 조화를

    해치기 때문에 상품성이 크게 저하될 수밖에 없다. 일본 도매시장에서는 서양난의

    꽃대를 봉지에 씌워 유통과정에서 꽃의 손상을 방지하고 있으며, 꽃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개발된 상자를 이용하는 경우도 있다.

    넷째, 화훼 유통에서 아직 부분적이긴 하지만 팔렛트(pallet)를 이용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일본의 경우도 화훼 물류에서 대차(臺車,

    boogie/trolley)가 보편적인 운반 수단으로 자리잡고 있다. 이는 구매자들이 다양한

    종류의 절화와 분화를 동시에 취급하므로 도매시장 내에서 대차에 이들을 모아 싣

    고 운반하는 것이 편리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일본의 화훼 유통구조 역시

    중소 소매업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에 여전히 도매시장 내에서는 대차를

    활용한 운반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대량 거래를 희망하는 구매자

    의 비중이 증가함에 따라 절화를 팔렛트에 적재한 후 대형 트럭으로 수송하는 사

    례가 증가하고 있다.

  • 농업 ․ 농정 동향

    28 | 2010. 3

    그림 7 서양난의 포장

    5. 우리나라 화훼 유통에 주는 시사점

    우리나라의 화훼 소비도 일본과 마찬가지로 최근 완만하게 하락하는 추세에 있

    다. 하지만, 최근 몇 년간 경기가 좋지 못한 것이 화훼 소비 감소의 주 요인이므로

    장기적으로는 화훼 소비는 증가할 것이라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특히, 일본의

    경우 1인당 국민소득이 정체되어 있으나, 우리나라는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이므로

    화훼에 대한 잠재 수요가 상대적으로 크다는 점에서 화훼 소비가 확대될 것로 기

    대하고 있기도 하다. 향후 화훼 소비의 변화 여부를 떠나서 일본에서 관심을 가지

    고 시행하는 교육과 꽃의 연계(花育)에 대해서는 우리도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

    다. 꽃의 소비는 정서나 문화와 깊게 연계되어 있기 때문에 화훼 수요가 안정적으

    로 증가하기 위해서는 꽃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과 이해를 높이려는 노력이 필요

    하다.

    경매 위주의 거래 방식의 다각화가 필요하다. 출하자나 구매자 모두, 일정한 수

    준의 가격에 안정적인 물량이 거래되기를 희망한다. 하지만 경매 체제 하에서는

    경매가 완료되기 전까지는 거래량과 거래가격을 예측하기 어렵다. 그렇기 때문에

    일본의 도매시장이 수백석 규모의 경매장을 확보하고 있으면서도 예약거래의 일

    종인 웹거래의 비중이 2/3에 이르는 방향으로 발전한 것이다. 경매를 통해 형성된

    가격은 시장 동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보조적 기능을 통해 웹거래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경매 거래와 예약거래가 상호 연계 발전하는 체계를 갖추고 있다. 일

    본 도매시장의 거래 체계는 경매 위주의 거래 하에서 가격 급등락 현상이 지속되

    고 있는 우리나라 화훼 유통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화훼 물류의 선진화가 필요하다. 화훼류의 품질은 유통과정에서 온도, 습도 변

    화, 충격에 민감하게 영향 받는다. 비교적 우수한 시설을 확보하고 있다는 양재동

    화훼 공판장조차, 여름에는 온기에, 겨울에는 한기에 노출되어 유통과정에서 화훼

    일본 화훼도매시장

    에서 비교적 복잡한

    거래가 원활하게 이

    루어질 수 있는 것은

    물류 체계가 발달되

    어 있기 때문이다.

  • 세계농업 제115호 | 29

    의 품질을 저하시킨다. 또한, 하역, 경매를 위한 선별과 진열, 경매 후 이송 등의 과

    정에서 화훼류에 충격이 가해지고 이 역시 품질 저하를 야기한다. 그러므로 물류

    비를 절감시킴과 동시에 유통과정에서 품질을 효율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현대적

    인 물류 체계를 도입해야 화훼 유통 구조를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2009, 花き産業振興方針, 農林水産省.

    2009, Flower Message 21st, 株式會社大田花き.

    2008, 市場年報. 大阪鶴見花き地方都賣市場.

  • 농업 ․ 농정 동향

    세계농업 제115호 | 31

    헝가리 고추산업

    동향과 시사점*

    김 경 필

    1. 헝가리 고추 수급3)

    공급 동향

    헝가리(Republic of Hungary)는 중부유럽의 다뉴브강 근접 지역에 위치하여 7개국

    과 국경을 접하고 있으며, 수도는 부다페스트, 면적은 남한보다 조금 적고, 인구는

    1천만 명 수준인 국가이다. 대체로 대륙성 기후이고, 남부는 지중해성 기후, 서부

    는 아틀란틱 기후의 특성을 보이며, 연평균 기온은 10.5℃이다.

    헝가리의 고추 재배면적은 4,087ha이며, 그 중 단맛 고추(Sweet pepper) 품종이

    2,552ha, 매운맛 고추(Red pepper) 품종이 1,535ha를 차지한다. 고추 생산량은 160,419

    톤으로 단맛 고추 148,304톤, 매운맛 고추가 12,115톤이다. 2006년도 이후에 단맛 고

    추 면적과 생산량이 크게 늘어났다. 우리나라의 2007년 재배면적(5,500ha)에 비해 다

    소 적으나, 생산량은 비슷한 수준이다.

    헝가리는 유럽의 주요 고추생산국으로서 주요재배지역은 칼로차(Kalocsa), 세게

    드(Szegedi) 등이다. 현재 전체 생산량의 약 60%에 달하는 3만 5천 톤을 세계 20여

    개국으로 수출하고 있다.

    헝가리의 고추 수입액은 5백만 달러 수준으로 주요 수입국은 스페인, 네덜란드,

    중국, 세르비아 등이다. 2009년 고추 수입은 전년 대비 32.9% 감소하였고, 특히 주

    * 본 내용은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김경필 연구위원이 작성하였다.([email protected], 02-3299-4312).

    헝가리의 고추 재배

    면적은 4,087ha이

    며, 고추 생산량은

    160,419톤이다. 주

    요재배지역은 칼로

    차, 세게드 등이며,

    현재 3만 5천 톤을

    세계 20여 개국으로

    수출하고 있다.

  • 농업 ․ 농정 동향

    32 | 2010. 3

    요 수입국인 네덜란드와 중국의 수입 감소가 두드러졌다. 반면, 세르비아와 폴란드

    에서의 수입은 각각 493%, 1,463% 증가하여, 수입 고추시장에 큰 변동이 나타났다.

    표 1 헝가리 고추 생산량 및 재배면적단위: 톤, ha

    단맛 고추(Sweet pepper) 매운맛 고추(Red pepper)

    생산량 재배면적 생산량 재배면적

    1990 69,982 7,965 64,783 9,055

    1991 109,443 7,654 95,298 6,953

    1992 85,138 7,830 33,746 5,042

    1993 85,821 6,780 33,997 4,594

    1994 83,714 7,394 40,654 5,359

    1995 90,555 8,680 40,793 4,682

    1996 96,101 4,506 52,105 4,581

    1997 100,048 6,916 45,323 5,655

    1998 109,686 6,138 64,619 6,770

    1999 132,001 5,880 33,105 4,627

    2000 97,570 4,302 39,969 5,385

    2001 99,823 4,521 59,737 6,476

    2002 85,588 4,137 57,059 6,128

    2003 84,210 3,876 37,094 5,436

    2004 99,123 3,963 52,377 5,245

    2005 90,224 2,778 49,383 5,649

    2006 174,505 4,257 32,633 4,389

    2007 190,774 4,187 13,771 2,243

    2008 148,304 2,552 12,115 1,535

    자료: 헝가리 통계청(www.ksh.hu).

    표 2 헝가리의 고추 수입 동향

    순위 국가수입액 비중 증감률

    2007 2008 2009 2007 2008 2009 09/08

    1 스페인 0.211 2.355 1.463 9.65 45.46 42.08 -37.86

    2 네덜란드 0.256 1.287 0.521 11.72 24.84 14.99 -59.48

    3 중국 0.290 0.933 0.478 13.31 18.02 13.75 -48.76

    4 세르비아 1.141 0.052 0.310 52.30 1.01 8.91 493.45

    5 오스트리아 0.126 0.234 0.254 5.78 4.52 7.31 8.53

    6 칠레 - - 0.159 - - 4.58 -

    7 독일 0.088 0.167 0.099 4.02 3.22 2.84 -40.81

    8 슬로바키아 0.001 0.066 0.093 0.04 1.27 2.66 41.14

    9 폴란드 0.001 0.002 0.030 0.01 0.04 0.85 1463.82

    10 불가리아 - - 0.027 - - 0.77 -

    합계 2.182 5.180 3.478 100 100 100 -32.86

    단위: 백만 US달러, %

    주: Capsicum or Pimenta(HS code: 090420).자료: World Trade Atlas.

    헝가리의 고추 수입

    액은 5백만 달러 수

    준으로 주요 수입국

    은 스페인, 네덜란

    드, 중국, 세르비아

    등이다.

  • 세계농업 제115호 | 33

    고추 생산 실태1)

    □ 생산 실태

    헝가리의 고추 재배 역사를 살펴보면, 1917∼1928년까지는 매운 고추 위주로

    생산해 왔으나, 1928년 매운 맛을 제거한 품종을 개발하기 시작하였다. 그 이전

    에도 단맛이 나는 고추를 생산하기는 하였으나 씨 제거 등에 노동력이 많이 투

    입되기 때문에 어려운 점이 있어, 1960년 매운맛을 제거한 품종을 개발하는 데

    성공하였다.

    헝가리에서 생산되는 고추 품종에는 크게 두 가지 종류가 있다. 먼저 하늘을 향

    해 자라는 가공용 고추가 있는데, 생산비중은 적은 편이다. 공간이 협소해도 재배

    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고, 기계로 수확이 가능하며, 60∼70년대에 주로 재배되었

    다. 두 번째로 고추가 아래로 향해 자라는 품종은 현재 헝가리에서 보편적으로 재

    배되고 있는 품종들이다.

    고추 재배방식은 모종을 식재하는 방식과 씨앗을 파종하는 방식이 있다. 모종

    식재방법이 더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보편적으로 재배되고 있다. 시설하우스 내부

    에 모종을 식재하는 방식은 헝가리 재배면적의 20∼25%를 차지한다. ha당 30∼40

    톤까지 수확이 가능하기 때문에 현재 보급을 확대하는 재배방식이다.

    비닐하우스 시설재배는 주로 세게드 지역에서 이용되고 있으며, 시설재배법의

    개선사항 연구는 계속 진행 중에 있다. 하우스 시설재배는 전체 생산량의 10∼15%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단위당 수확량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

    고 있다.

    헝가리 고추 재배방식은 씨앗직파 방식과 묘 식재방식으로 나뉜다. 재배방식별

    로 ① 씨앗직파는 3월 20일부터 4월 10일 사이에 파종하고, ② 모종 식재는 4월 10

    일부터 4월 15일 사이에 이루어진다.

    종묘 식재 시 예전에는 흙을 털어낸 뿌리 상태로 모종을 식재하였으나 최근에는

    흙까지 포함한 뿌리 상태로 식재한다. 모종 식재는 기계를 이용하며, 수작업으로

    모종을 기계에 집어넣어 땅에 식재한다. 모종을 식재할 때 예전에는 한 구덩이에

    2∼3개를 심었으나 최근에는 1개만 심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농약 살포는 6∼7월에 수행한다. 농약 살포 횟수는 기후, 날씨 여건에 따라 영향

    을 받으며, 보통은 년간 5∼6회 정도 기계로 살포한다.

    1) 헝가리 고추연구소(Fűszerpaprika Kutatό-Fejlesztő Nonprofit Kӧzhasznú Kft.) 소속의 Mr. Zoltán Tímár 대표와의 2010년 2월 면담조사 결과임(한국농촌경제연구원). 고추연구소는 1917년 고추관련 연구조사 연구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원래 품질·성분 검사 위주에서 최근에 연구 및 개발로 영역 확대된 비영리기관임.

    헝가리에서 생산하

    는 고추 종류는 크게

    하늘을 향해 자라는

    가공용 고추와, 아래

    를 향해 자라는 품종

    으로 나뉜다. 고추

    재배방식은 묘종을

    식재하는 방식과 씨

    앗을 파종하는 두 가

    지 방식이 있다.

  • 농업 ․ 농정 동향

    34 | 2010. 3

    그림 1 기계를 이용한 방제 모습(좌), 박테리아 제거를 위한 흙 순환 작업(우)

    고추 씨앗을 파종할 때에는 파종 직후 고추 씨앗을 보호하기 위해 씨앗 발아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토양표면의 박테리아를 제거하는 흙순환 작업을 한다. 흙순

    환 방법은 에서 흙순환 기계의 통풍관 가운데 구멍으로 바람을 배출시켜

    대지 표면의 흙을 가볍게 순환시키는 방법이다.

    고추 재배방식에서 반 터널식으로 재배할 경우 9월 중순에 수확 가능한 상태가

    된다. 수작업으로 수확한 고추의 상품 상태는 아주 깨끗하다.

    고추 수확기계를 이용하여 수확하는 방법은 수확기계를 이용하여 줄기를 걷어

    내고 수확 및 분리된 고추는 트럭으로 옮겨진다. 기계를 이용한 수확방식은 편리

    하지만 수작업에 의한 수확에 비해 품질이 떨어진다. 하지만, 비용을 절감할 수 있

    고 편리하며 수확을 빠르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 때문에 품질이 낮아지지만 이용

    하고 있다.

    수확한 고추는 줄기, 잎 등 고추의 불필요한 부분까지 포함된 상태이다. 큰 규모

    의 제조업체에서는 수확한 고추를 초록색 부분 등 줄기 제거와 1차 선별 과정을

    거친 후 가공공정에 투입한다.

    그림 2 기계를 이용한 고추줄기 제거 과정(좌), 수확한 고추의 트럭 투입 과정(우)

  • 세계농업 제115호 | 35

    2. 고추 가공

    가공 과정2)

    헝가리산 고춧가루는 유럽시장에서 고품질 상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토양과 기

    후조건 등으로 인해 헝가리 고추 특유의 맛이 난다. 대체로 고추 품질에 영향을 미

    치는 요인은 기후·환경, 품종, 재배방식, 수확후 관리(수확, 선별, 가공) 등 4가지로

    구분하여 기본적인 품질 개선 연구 항목으로 설정하고 있다.

    고추가공공장에서 재배농가에게 일반적으로 구입 고추의 물리적 조건을 제시하

    고 이에 맞추어 생산하여 출하하는 농가의 생산물만을 구입하고 있다. 고추원물

    납품을 위해 농가들과 특정시점에 계약을 맺지는 않으며, 필요할 때마다 계약한다.

    납품 고추의 조건 및 내용은 미리 제공하고, 계약 기간은 보통 1년 단위이다.

    원료 구입 시에는 사전적으로 생산농가의 생산물에 대한 샘플검사를 실시하고

    품질을 측정하여 요구조건에 맞는 원료만 구입한다. 계약내용에 품종까지 제시하

    지는 않지만 색깔, 맛, 수분 함량 등의 품질관련 수치를 검사한다.

    원료를 공급하는 소규모 농가는 대략 100여 호 정도이다. 대형 공급업체가 많지

    않지만 3∼4개의 공급업체 중에서 1∼2개 업체와 계약한다. 헝가리산의 고추 구입

    시기는 9∼10월이며, 수확 기간에 맞추어 원물을 구입한다.

    가공공장 내에 별도의 건조시설은 없고, 외부에 건조기계를 갖춘 건조회사와 계

    약하여 건조한 후 창고에 보관한다. 가공제품 판매형태는 주문업체에서 주문하는

    상품 형태에 따라 반가공 제품이나 완전제품 형태이다.

    세게드 가공공장의 고춧가루 상품화를 위한 가공공정은 다음과 같다.

    ① 반가공된 제품은 창고에 보관한다.

    ② 발주업체의 주문에 따라 반가공제품을 분쇄하여 가루화(powder) 시킨다.

    ③ 원료 품질 검사결과 불순물이 포함된 반가공제품은 별도의 살균장치에 통과

    시킨다.

    ④ 발주업체가 요구하는 품질·가격수준에 맞추어 헝가리산과 수입산 고추를 혼

    합한다.

    ⑤ 혼합된 고춧가루 제품의 품질검사를 재수행한다.

    ⑥ 품질 및 가격 맞춤형 고춧가루가 배출되어 포장 자루에 25kg 단위로 포장한다.

    ⑦ 자루에 포장된 상품은 금속물질 검사를 수행한다.

    ⑧ 검사를 거친 상품은 최종적으로 밴딩과정을 거쳐 출하한다.

    2) 세게드 고추가공공장 가공과정을 사례로서 제시함. 가공공장 회사명은 Rubin 고추가공공장(Hάzi Piros Paprika Kft.)이며, 세게드 지역에 위치함. 연간 생산량은 1,000∼1,200톤이며, 이중 70%는 외국으로 수출하고 나머지 30%는 자국 대규모 소비업체로 출하함.

    원료 구입시에는 사

    전적으로 생산농가

    의 생산물에 대한 샘

    플검사를 실시하고

    품질을 측정하여 요

    구조건에 맞는 원료

    만 구입한다.

  • 농업 ․ 농정 동향

    36 | 2010. 3

    그림 3 세게드 가공공장의 고춧가루 가공 및 상품화 과정

    1) 창고에 보관중인 반가공제품 2) 건조중인 반가공제품

    3) 고춧가루 반가공제품 포장상태 4) 반가공제품 분쇄기 투입

    5) 불순물 포함물 공정라인 6) 반가공제품 분쇄 및 파우더화

    7) 고춧가루 혼합(품질·가격 맞춤형) 8) 맞춤형 고춧가루 배출 및 포장

  • 세계농업 제115호 | 37

    그림 3 세게드 가공공장의 고춧가루 가공 및 상품화 과정(계속)

    9) 고춧가루 포장상품 적재 10) 포장상품의 금속 검사

    11) 포장상품 밴딩

    고춧가루는 품질과 가격 수준에 맞추어 크게 두 가지 종류로 상품화된다. 첫째는

    헝가리산 고추만으로 고품질 고춧가루를 만든 프리미엄 제품으로 가격도 비싼 편

    이기 때문에 주로 일반 가정용 소비, 기념품 판매용으로 출하한다. 특히 세게드산

    고추는 유럽에서 고추 품질을 인정받고 있으며, 인증명은 EU의 지리적 표시 인증

    제로서 생산 및 재배과정에서 표준형태(standard form)로 규격화하여 생산하고 있다.

    둘째는 헝가리산 고추와 수입 고추를 혼합하여 가격과 품질조건을 적절히 맞춘 상

    품이다.

    고춧가루 주요 수입국가는 페루, 중국, 칠레, 남아공이며, 한국 업체로부터 수입

    해본 경험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춧가루는 품질 속성에 따라 Extra Delicatesse, Delicatesse, Hot Delicatesse, Noble-

    Sweet, Rose Paprika Powder의 다섯 등급으로 구분된다. 상품 색깔의 ASTA 값은 각

    등급별로 130, 110, 110, 100, 65로 구분되며, 건조상태의 이물질 함유량 기준은 각

    각 0.4%, 0.5%, 0.5%, 0.6%, 1.0%이다. 수분율은 모든 등급에서 11.0% 이하이다.

    고춧가루 상품화는

    품질과 가격 수준에

    맞추어 헝가리산 고

    추만으로 고품질 고

    춧가루를 만든 상품

    과 헝가리산 고추와

    수입 고추를 혼합하

    여 가격과 품질조건

    을 적절히 맞춘 상품

    으로 나뉜다.

  • 농업 ․ 농정 동향

    38 | 2010. 3

    품질 및 안전성 관리

    헝가리에서는 1922년 고추품질 관리규정이 제정되었으며 Paprika Powder 제품의

    품질향상을 위해 원료 및 가공제품의 품질 규격화 관리를 엄격하게 시행하고 있다.

    헝가리 Paprika powder의 품질기준은 색상, 향, 사분혼합율 등을 기준으로 설정하고

    있다. ASTA 값이 120 이상이면 Extra, 65이하이면 Rose로 분류하며, 신미성분을 기

    준으로 한 분류는 10㎎/100g 이하이면 순한 맛(free of pungency), 20㎎/100g은 약간

    매운맛(slightly pungent), 20㎎/100g 이상이면 매운맛(pungent)으로 분류한다.

    칼로짜 가공공장에서는 품질과 안전성 제고를 위해 3톤 기준으로 검사를 실시하

    며, 수치 측정이 가능한 색깔, 모래, 먼지 포함 부분을 측정한다. 맛은 수치 측정이

    어려우나, 발주자가 제시한 속성을 충족하는 제품 기준으로 출하한다.

    세게드 가공공장의 품질검사 실험실에서는 저장품 중 샘플을 추출하여 최종 제

    품을 바탕으로 5∼6개월 동안 분석하며, 혼합 과정 전에도 분석을 거치고 있다. 주

    요 검사 내용은 수분율과 색택 수준을 검사한다.

    세게드 Rubin 가공공장에서는 수입 제품을 혼합할 때에도 품질검사를 엄격히 실

    시하고 있다. 특히, 2004년에 페루, 남아공산 고춧가루에서 유해물질이 섞인 제품

    들이 발견된 사례가 있어서 검사를 더욱 엄격히 시행하고 있다.

    품질검사 내용에는 유해물질 중에서 인조색소 추가 여부, 화학약품의 농도 등이

    며, ‘슈단’ 염색제 외에 여러 가지 화학물질을 검사하고 있다. 품질 검사업체는 독

    일 함부르크 소재하고 있는 유로파인이며, 외부표피 색감 검사전문 기관이다.

    일반적으로 50여 개의 유해물질 검사 항목에 대한 검사는 헝가리 연구기관에

    서 수행하고, 세게드 가공공장 자체 실험실에서는 Micro Biology 관련검사를 실시

    한다.

    그림 4 고춧가루 품질검사실(좌), 품질검사용 고춧가루 시료(우)

    헝가리에서는 1922

    년 고추품질 관리규

    정이 제정되었으며

    Paprika Powder 제

    품의 품질향상을 위

    한 원료 및 가공제품

    의 품질 규격화 관리

    를 강화하고 있다.

  • 세계농업 제115호 | 39

    3. 판매실태

    헝가리의 전통 고추는 우리나라 고추와 매우 유사하며 고춧가루 형태로 팔리고

    있는 점이 비슷하다. 그러나 우리나라에 비해 종류가 매우 다양화, 다변화되어 있

    다는 점에서는 차이가 있다.

    생고추의 크기와 모양, 색깔 등 품질 속성에 있어 품종이 매우 다양할 뿐만 아니

    라, 가공제품도 다양한 포장형태, 판매형태를 보여준다. 건조고추 꾸러미 상품은

    구성내용에 따라 건조고추 꾸러미, 건조고추와 마늘, 숯 등을 같이 엮은 꾸러미 종

    류들이 있다. 가공형태 종류도 단순건조, 세절 건조, 절임류 등이 있다. 포장재도

    비닐 소포장, 깡통 소포장, 천 포장, 튜브 포장 형태 등이 있으며, 포장 상품 내용도

    고춧가루와 마늘가루 등의 혼합포장상품 종류가 있다. 관광 기념품으로 선물할 수

    있는 상품도 다양하다. 매운 맛 수준에 따라서도 매운맛, 맵지 않은 맛, 향도 매운

    향이 강한 상품, 매운 맛이 약한 상품 등으로 구분하여 판매하고 있다.

    그림 5 헝가리 재래시장의 고추 판매실태

    재래시장 판매의 다양한 고추 상품 절단 건조 고추

    전통식 고추꾸러미 판매상품 다양한 포장형태의 판매상품

    헝가리의 전통 고추

    는 우리나라 고추와

    매우 유사하나, 상품

    의 종류가 매우 다양

    화, 다변화되어 있다.

  • 농업 ․ 농정 동향

    40 | 2010. 3

    병에 포장된 반가공제품 매운 맛 수준이 다른 비닐 포장

    튜브제품 튜브제품

    그림 6 헝가리 백화점의 고추 판매실태

    고추 판매 가격 환율:1HUF(포린트)=6.36 다양한 신선고추

    그림 7 고추 가공제품

    헝가리의 고춧가루

    사용형태는 매운맛

    과 맵지 않은 맛 등

    매운 맛 수준에 따라

    사용 용도가 달라지

    며, 헝가리의 거의

    모든 음식에 고추류

    가 첨가된다.

  • 세계농업 제115호 | 41

    4. 소비 행태

    헝가리의 고춧가루 사용형태는 매운맛과 맵지 않은 맛 등 매운 맛 수준에 따라

    사용 용도가 달라진다. 한국의 된장처럼 따뜻한 스프 등 거의 모든 음식에 고추류

    를 첨가한다.

    헝가리의 대표 음식 중 생선스프(매운탕), 고기 볶음 요리(쀼리끌드)등에는 생고

    추와 파프리카가 사용된다. 굴라쉬(한국의 육개장과 비슷)에는 생고추를 잘라서 넣

    거나 고춧가루를 넣는다. 고춧가루가 사용되는 스프로는 토마토스프, 굴라쉬스프,

    생선스프 등이 있으며, 매운 소세지(끌바스)를 만들 때 고춧가루를 넣기도 한다.

    대체로 헝가리 남성들은 매운맛의 고추를 선호하고 여자들은 단맛의 고추를 선

    호한다. 지역에 따라 헝가리 중심 및 수도권에서는 매운맛을 선호하고, 외곽으로

    가면 덜 매운맛, 중화된 맛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헝가리 부다페스트 재래시장 및 음식점에서는 생고추와 절임고추, 고춧가루를

    사용한 다양한 음식들을 볼 수 있다. 주로 절임류, 소스에 매운맛을 내기 위한 재

    료, 가공제품 재료, 소스 국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