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1 Research in Vestibular Science Vol. 14, No. 1, March 2015 Review pISSN 2092-8882, eISSN 2093-5501 전정질환에서 두부충동검사의 이용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신경과학교실 이승한 Clinical Application of the Head Impulse Test in Vestibular Disorders Seung-Han Lee Department of Neurolog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Gwangju, Korea Received Mar 2, 2015 Revised Mar 3, 2015 Accepted Mar 3, 2015 Corresponding Author: Seung-Han Lee Department of Neurolog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42 Jebong-ro, Dong-gu, Gwangju 501-757, Korea Tel: +82-62-220-6274 Fax: +82-62-228-3461 E-mail: [email protected] Copyright 2015 by The Korean Balance Society. All rights reserved.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 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The head impulse test (HIT) is an established way to test the angular vestibulo-ocular reflex (aVOR) at the bedside. When the aVOR is normal, the eyes rotate opposite to the head movement through the angle required to keep images stable on the fovea. If the aVOR is impaired, the eyes move less than required and, at the end of the head rotation, the eyes are not directed at the intended target and the visual image is displaced from the fovea. A promptly-generated corrective saccade brings the image of the target back on the fovea. The identification of this corrective saccade is the signature feature of vestibular hypofunction and has greatly increased the utility of the bedside examination for identifying an aVOR deficit. However, sometimes it is not easy to detect corrective saccades without quantitative HIT devices. Exact execution and interpretation of the HIT are warranted to reduce the diagnostic errors, because the HIT has become an important part of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both acute and chronic vestibular disturbances. Res Vestib Sci 2015;14(1):1-8 Keywords: Head impulse test; Reflex, vestibulo-ocular; Vestibular neuronitis; Stroke 두부충동검사(head impulse test, HIT)HalmagyiCurthoys 1 에 의해 처음 보고된 이래, 특별한 도구없이 bedside에서 간단히 전정안반사(vestibulo-ocular reflex, VOR) 를 평가할 수 있는 유용한 검사방법으로 자리잡고 있다. 2 대표적으로 급성전정증후군(acute vestibular syndrome, AVS)의 감별진단에 유용한 검사로 알려진 head impulse, nystagmus, test of skew (HINTS) 소견 중 하나로 임상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3,4 그 외에도 양측성 전정신 경병증(bilateral vetibulopathy), 베르니케 뇌병증 등 다양한 전정신경 질환의 진단에도 사용되고 있다. 5-7 HIT는 유용한 검사이지만 현재까지 대부분 특별한 장비 없이 환자에서 교정단속운동(corrective saccade)을 육안으 로 관찰하는 방식으로 시행되어 정량적이고 객관적인 측 정이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정량적인 계측을 위해서는 주 로 연구목적으로 사용되어 왔던 magnetic search coil이라는 침습적이고 복잡한 검사장비를 요했으나, 최근 video HIT (vHIT)의 도입과 함께 정량적인 계측이 용이해지면서 전정 기능검사의 하나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8,9

전정질환에서 두부충동검사의 이용001-008)RVS2015-138.pdf · 2016-08-04 · 1 Research in Vestibular Science Vol. 14, No. 1, March 2015 Review pISSN 2092-8882, eISSN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전정질환에서 두부충동검사의 이용001-008)RVS2015-138.pdf · 2016-08-04 · 1 Research in Vestibular Science Vol. 14, No. 1, March 2015 Review pISSN 2092-8882, eISSN

1

Research in Vestibular Science Vol. 14, No. 1, March 2015

Review pISSN 2092-8882, eISSN 2093-5501

전정질환에서 두부충동검사의 이용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신경과학교실

이승한

Clinical Application of the Head Impulse Test in Vestibular Disorders

Seung-Han Lee

Department of Neurolog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Gwangju, Korea

⋅Received Mar 2, 2015Revised Mar 3, 2015Accepted Mar 3, 2015

⋅Corresponding Author: Seung-Han LeeDepartment of Neurolog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42 Jebong-ro, Dong-gu, Gwangju 501-757, KoreaTel: +82-62-220-6274Fax: +82-62-228-3461E-mail: [email protected]

⋅Copyright ⓒ 2015 by The Korean Balance Society. All rights reserved.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The head impulse test (HIT) is an established way to test the angular vestibulo-ocular reflex (aVOR) at the bedside. When the aVOR is normal, the eyes rotate opposite to the head movement through the angle required to keep images stable on the fovea. If the aVOR is impaired, the eyes move less than required and, at the end of the head rotation, the eyes are not directed at the intended target and the visual image is displaced from the fovea. A promptly-generated corrective saccade brings the image of the target back on the fovea. The identification of this corrective saccade is the signature feature of vestibular hypofunction and has greatly increased the utility of the bedside examination for identifying an aVOR deficit. However, sometimes it is not easy to detect corrective saccades without quantitative HIT devices. Exact execution and interpretation of the HIT are warranted to reduce the diagnostic errors, because the HIT has become an important part of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both acute and chronic vestibular disturbances.

Res Vestib Sci 2015;14(1):1-8

Keywords: Head impulse test; Reflex, vestibulo-ocular; Vestibular neuronitis; Stroke

서 론

두부충동검사(head impulse test, HIT)는 Halmagyi와

Curthoys1에 의해 처음 보고된 이래, 특별한 도구없이

bedside에서 간단히 전정안반사(vestibulo-ocular reflex, VOR)

를 평가할 수 있는 유용한 검사방법으로 자리잡고 있다.2

대표적으로 급성전정증후군(acute vestibular syndrome,

AVS)의 감별진단에 유용한 검사로 알려진 head impulse,

nystagmus, test of skew (HINTS) 소견 중 하나로 임상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3,4 그 외에도 양측성 전정신

경병증(bilateral vetibulopathy), 베르니케 뇌병증 등 다양한

전정신경 질환의 진단에도 사용되고 있다.5-7

HIT는 유용한 검사이지만 현재까지 대부분 특별한 장비

없이 환자에서 교정단속운동(corrective saccade)을 육안으

로 관찰하는 방식으로 시행되어 정량적이고 객관적인 측

정이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정량적인 계측을 위해서는 주

로 연구목적으로 사용되어 왔던 magnetic search coil이라는

침습적이고 복잡한 검사장비를 요했으나, 최근 video HIT

(vHIT)의 도입과 함께 정량적인 계측이 용이해지면서 전정

기능검사의 하나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8,9

Page 2: 전정질환에서 두부충동검사의 이용001-008)RVS2015-138.pdf · 2016-08-04 · 1 Research in Vestibular Science Vol. 14, No. 1, March 2015 Review pISSN 2092-8882, eISSN

Res Vestib Sci Vol. 14, No. 1, Mar. 2015

2

두부충동검사의 기초적인 배경

1. 전정안반사

HIT는 기본적으로는 머리회전 시 머리회전 속도와 동일

하게 반대방향으로 안구를 움직여서 선명한 시각을 유지

하게 하는 반사인 VOR을 평가하는 검사이다. 보통

horizontal VOR의 경우 전정신경의 머리회전 속도 정보가

전정신경핵(vestibular nucleus)을 거쳐 외전신경원(abducens

nucleus)으로 전달되고, 최종적으로 외안근으로 가는 운동

신경에 이르는 세신경원궁(three neuron arc)을 통해 발생한다.

VOR은 잠복기가 16 msec 이내로 다른 안구운동에 비해

현저히 짧아 신속하게 안구운동을 유발할 수 있다. VOR은

회전운동에 대한 angular VOR과 이석기관에 의해 유발되

는 translational VOR로 분류할 수 있다.

기존의 온도안진검사(caloric test) 등 VOR 검사가 저주

파(low frequency) 영역에 국한되어 있는 반면, HIT는 일상

생활 중 사용되는 VOR인 고주파(high frequency) 영역(1−5

Hz)에서 VOR을 별도의 장비 없이 쉽게 평가할 수 있고,

수평반고리관 이외의 세반고리관을 평가할 수 있다는 장

점을 가지고 있다.10

2. 교정단속운동

HIT 시행 시 전정신경계에 의한 VOR에 장애가 있는 경

우는 주시 유지를 위해서 extra-vestibular mechanism을 통한

교정단속운동이 관찰되는데, 이를 관찰하는 것이 검사의

핵심이 된다. 그 동안 교정단속운동은 여러 가지 다양한

용어로 설명되어 왔는데, corrective saccade,11 gaze correcting

saccade,12 refixation saccade,1 vestibular catch up saccades,13

and compensatory saccades14 등으로 표현되었고, 이들의 임

상적인 의미는 비슷하다.

VOR의 장애가 있을 때 관찰되는 교정단속운동의 잠복

기는 머리움직임으로부터 통상 50−150 msec 이후에 발생

함으로서 일반적으로 시각이나 기억에 의해 유발된 신속

운동(visually guided/memory-guided saccades)의 잠복기

(약 200 msec)보다 짧고, 심지어는 express saccade의 잠복기

(90−130 msec)보다 더 짧은 경우도 있다.13,14 이러한 짧은

잠복기를 가진 교정단속운동은 전정신경계에 의해 유발되

는 것(vestibular triggered)으로 생각된다.13 또한 교정단속운

동은 예측(prediction)이 가능하거나 가능하지 않는 머리움

직임 모두에서 관찰되었다.14

교정단속운동은 크게 HIT 시행 시 머리의 움직임이 멈

춘 후 발생하여 비교적 육안으로 관찰이 쉬운 overt saccade

외에도, VOR과 동시에 머리의 움직임이 멈추기 전에 이루

어짐으로써 육안으로는 관찰이 어려운, 짧은 잠복기를 가

진 covert saccade로 나눠볼 수 있다. Covert saccade의 존재

가 보고된 이래, 임상적으로 이를 놓치지 않고 찾아내는

점이 중요한 이슈가 되었다.2 실제로 covert saccade가 주로

관찰되는 경우는 bedside HIT에서 위음성으로 오인되기 쉬

워서, vHIT 등 정량적인 검사방법의 중요성이 대두되었다

고 할 수 있다.

두부충동검사의 시행방법

HIT의 기본적인 시행방법 및 원리를 살펴보면, 피검자

가 전방의 목표물을 쳐다보게 해서 눈을 고정한 후, 검사자

가 예측하지 못하게 고개를 빠르게 한 쪽으로 돌리는 방법

으로 시행한다. 만약 VOR이 정상이라면 피검자의 눈은 머

리가 돌아간 반대방향으로 돌아가면서 정상적으로 망막에

상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VOR에 장애가

있는 경우는 눈이 머리가 돌아간 만큼 충분히 움직이지 못

함으로 인해, 주시하던 목표물이 망막에서 벗어나게 되고 이

를 보상하기 위해 의지적인 교정단속운동이 생기게 된다.15

HIT의 원리는 간단하지만 숙련도에 따라 검사의 민감도

가 다를 수 있고, 검사자간의 시행방법 상 미세한 차이점들

(시작할 때 고개의 위치, 머리를 돌리는 속도, 피검자가 머

리 회전을 예측을 할 수 있는지 등)에 따라 의외로 다른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으므로 아래의 사항들에 대해 고려

가 필요하다.

1. Outward HIT vs. inward HIT

Halmagyi와 Curthoys1의 원문에는 고개를 일측으로 20도

정도 돌린 후 반대측으로 빠르게 돌린다고 되어있고, 이때

시선을 고정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통상 1 m 정도

떨어진 목표물을 쳐다보게 한다고 했다. 그러나 다른 문헌

에서는 고개가 바르게 정면을 쳐다보고 있는 상태(neutral

position)에서 빠르게 측방으로 돌리는 방법으로 시행하기

도 한다.15 즉, 시작점에서 머리를 일측으로 살짝 돌린 후

(eccentric position) 중앙을 향해 돌리는 방법(inward HIT)과

중앙에서 시작하여 바깥쪽으로 돌리는 방법(outward HIT)

Page 3: 전정질환에서 두부충동검사의 이용001-008)RVS2015-138.pdf · 2016-08-04 · 1 Research in Vestibular Science Vol. 14, No. 1, March 2015 Review pISSN 2092-8882, eISSN

이승한. 전정질환에서 두부충동검사의 이용

3

이 있다. 두 가지 모두 일측의 전정신경을 자극하고 반대측

은 억제하며, 같은 방향으로 머리를 돌린다는 데 있어서

공통점은 있지만, 시작지점에서 안구의 위치나 고개 위치

가 다르며, 피검자가 방향을 예측하는 데 있어서도 차이점

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예를 들어 outward HIT의 경우

시작점에서 눈의 위치는 중앙에서 시작하여 끝날 때는

eccentric한 위치에 있어 안진이 있는 경우에 Alexander의

법칙에 따라 안진이 크게 잘 보이는 위치로서 판정이 다소

어려울 수 있고, 피검자가 방향을 예측하기에는 inward HIT

에 비해 좀 더 우월한 점이 있으며, 마지막 자세에서 목의

위치는 strain을 유발하는 위치에서 된다. 그러나 두 방법을

정상인과 일측성 전정신경병증 간에 VOR gain, VOR

latency, 교정단속운동의 빈도 등을 여러 가지 사항들을 비

교했을 때 눈에 띄게 현저한 차이점은 없었다.16-18

2. 속도 및 가속도, 회전각도

HIT를 시행할 때 머리를 돌리는 속도와 가속이 중요한

데 보통 적절한 속도는 200−400o/s, 가속도는 2,000−4,000o/s2로 알려져 있다.1,19 Weber 등2의 보고에 의하면 일

측성 전정신경병증 환자를 대상으로 HIT 시행 시 가속도

를 6,000o/s2까지 올릴 때 VOR gain의 결함이 더욱 뚜렷해지

고 overt saccade도 더 많이 관찰되었다고 하여 빠르게 가속

을 주는 것이 유리할 것으로 판단되나, 또한 이럴 때 covert

saccade도 더 자주 관찰된다고 하였다.

최근 정량적으로 HIT를 측정하는 vHIT의 매뉴얼에는

권장되는 속도는 100−200o/s로 다소 낮게 권장되고 있는

데(ICS impulse manual), 이는 vHIT 장비가 좀 더 낮은 속도

와 가속도에서도 민감하게 VOR gain과 교정단속운동을 측

정할 수 있다는 의미도 있고, 너무 빠른 속도로 했을 때는

비디오 고글 장비의 slippage 등을 유발할 수 있는 기술적인

문제점들이 감안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머리를 얼마 정도 크기의 각도로 돌려야 할지도 고려해

야 할 대상인데, 너무 크게 돌렸을 때 부상의 위험성도 있

기 때문에 머리를 15도에서 20도 내외 정도로 회전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1,19,20

3. 예측성 및 타겟

HIT를 시행할 때 또 한가지의 원칙은 피검자가 고개를

돌리는 방향이나 시행하는 시기(timing)를 예측하지 못하

게 하는 것이다. 예측이 가능한 active head rotation의 경우

는 passive head rotation에 비해 VOR gain이 상승한다는 보

고가 있는데,21,22 이런 배경을 통해 추론해본다면 예측이

가능한 HIT의 경우는 VOR gain의 상승으로 인해 교정단속

운동의 발생빈도가 줄어들거나, 교정단속운동의 잠복기가

짧아지면서 covert saccade의 빈도가 늘어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예측되며, 이러한 점들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연구

를 요한다.16

Halmagyi와 Curthoys1의 첫 논문에서도 언급되어 있듯이

HIT 시행 시 피검자가 목표물을 잘 주시하는 것은 원활하

게 교정단속운동을 관찰하는 데 중요한 인자가 된다.

일측전정신경병증 환자를 대상으로 magnetic search coil

을 이용하여 피검자에게 통상적으로 목표물을 주시하게

하는 HIT를 시행한 후, 암실에서 목표물을 없애고 단지 전

에 보았던 목표물을 상상하게 하면서 HIT를 시행했을 경우

에는 교정단속운동의 잠복기가 길어졌으며, covert saccade

의 발생빈도는 목표물의 유뮤에 상관없이 비슷하게 유지

되었던 반면에 overt saccade는 그 발생빈도가 좀 더 뚜렷이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16

4. 기타 임상적인 고려사항

자발안진이 뚜렷한 AVS가 있는 경우 HIT가 임상적으로

매우 중요한 한편, 안진에 의해 육안으로는 교정단속운동

의 관찰이 용이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경우는

vHIT 등 정량적인 방법으로 평가하는 방법이 도움이 될 것

으로 예상된다. 정량적인 계측이 어려운 경우에는 다음의

몇 가지를 고려해서 HIT를 시행해 볼 수 있으리라 생각된

다. 이중 하나는 말초성 안진은 Alexander의 법칙을 따르므

로 안진의 빠른 성분 방향으로 eccentric 위치에 안구가 있을

때 가장 강한 안진이 예상되며, 주시유발안진(gaze-evoked

nystagmus)이 있는 경우와 같이 역시 eccentric gaze에서 안

진이 뚜렷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HIT 검사의 방법 중 마지

막 안위가 안와의 중앙에 있을 때 안진의 영향을 덜 받을

것으로 예상되는데, 예를 들어 머리를 바깥 쪽으로 틀었다

가 중앙으로 돌리는 inward HIT를 시행할 때 최종적인 눈

의 위치가 중앙에 있어서 안진의 영향을 덜 받으므로 좀

더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경추부 질환이 심한 경우

나 추골동맥이나 경동맥 협착이나 박리 등이 있는 경우는

목에 부담이 덜 가는 inward HIT가 좀 더 안전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이러한 점들에 대해서는 전향적인 연구

Page 4: 전정질환에서 두부충동검사의 이용001-008)RVS2015-138.pdf · 2016-08-04 · 1 Research in Vestibular Science Vol. 14, No. 1, March 2015 Review pISSN 2092-8882, eISSN

Res Vestib Sci Vol. 14, No. 1, Mar. 2015

4

결과가 뒷받침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16,18

두부충동검사의 임상적 의의 및 적용

1. 말초성과 중추성 급성전정증후군의 감별진단

HIT가 임상적으로 주목을 받고 있는 이유는 여러 가지

가 있겠지만, 그 중에 한 가지는 AVS 환자에서 중추성과

말초성 원인을 감별하는데 유용하다는 점이다.

Lee 등23은 전정신경염(vestibular neuritis, VN)처럼 현훈

을 단독증상으로 하는 25명의 소뇌경색 환자(pseudo-VN)

의 신경이과적인 소견을 보고하였는데, 이중 대부분이 후

하소뇌동맥(posterior inferior cerebellar artery, PICA) 영역의

뇌경색이었고(96%) 이들은 모두 HIT에서 정상소견을 보였다.

Newman-Toker 등24은 AVS 환자에서 정상 HIT가 소뇌경

색을 시사하는 중요한 소견이라고 하였는데, 일부 뇌경색

환자(9%; 1 전정소뇌경색, 1 뇌교소뇌경색, 1 뇌교소뇌-미

로경색)에서는 비정상적인 HIT를 보이는 경우가 있어 동

반증상을 잘 살펴야 한다고 하였다. 이러한 점들을 보완하

여 이후 보고되었던 HINTS는 HIT 외에 다른 안구증상인

주시유발안진 및 스큐편위(skew deviation) 여부와 함께 조

사하여 AVS 환자에 적용했을 때, HIT 단독으로 조사했을

때보다 훨씬 우월한 결과를 보였고(민감도 100%, 특이도

96%), 이는 급성기에 시행하는 diffusion-weighted imaging이

위음성을 보일 수 있는 점을 감안했을 때 magnetic resonance

imaging보다 오히려 더 높은 민감도를 보였다.3 정리해보면

HINTS에서 중추성 AVS를 시사하는 소견은 impulse normal-

fast phase alternating-refixation on the cover test 중에서 한

가지 이상 소견을 보이는 경우로 정리해 볼 수 있다.

그러나 HINTS 검사로도 뇌교의 국소적인 병변, 특히 전

정신경핵의 국소경색이나, 전하소뇌동맥(anterior inferior

cerebellar artery, AICA) 영역의 말단부 가지인 labyrinthine

infarction일 때 감별이 매우 어려운 경우가 발생할 수 있

다.25,26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HINTS 외에도 추가적인 임

상소견들이 필요할 수 있는데, 최근 기존의 HINTS battery

에다 bedside에서 청력소실 여부를 보완한 HINTS plus

(HINTS+hearing)가 보고되었으며, 이는 HINTS에 비해

AICA 경색에서 동반되는 청력소실을 보완함으로써 중추

성 AVS를 진단하는 데 민감도와 특이도가 더욱 향상된 것

으로 알려져 있다.4 HIT 및 eye sign들 외에도 심한 자세불

안 동반여부 및 72시간 증상지속 여부 등을 중추성 징후로

포함하려는 보고들도 있었다.27

HIT 자체가 검사자가 눈으로 관찰하는 다소 주관적인

검사이고, covert saccade와 같이 눈으로는 확인이 어려운

교정단속운동도 관찰될 수 있는 제한점과, gold standard로

알려진 magnetic search coil을 임상에서 적용하기 어려운

점 등을 감안하여, 최근에는 vHIT 장비를 이용하여 이를

정량화, 객관화하려는 연구들이 진행 중이다. vHIT는 교정

단속운동을 잘 볼 수 있다는 점 외에도 VOR gain을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데, VN의 경우 병변 측 gain의 감소를,

AICA의 경우 병변 반대측에 감소 소견이 주로 관찰되고,

PICA에서는 정상 VOR gain을 보이는 등 vHIT을 이용해서

정량적, 객관적으로 감별하려는 노력도 계속 진행 중이

다.28

2. 기타 말초성 전정신경계 질환

대표적인 말초성 AVS인 VN은 앞서 감별진단에서도 언

급하였지만 HIT에서 병변 측으로 시행 시 비정상적인 교

정단속운동 및 VOR gain의 감소가 관찰되는 것이 특징이

다. VN unilateral vestibular deafferentation (UVD) 환자를 대

상으로 magnetic search coil을 이용하여 시행했던 HIT 연구

결과를 보면 VOR gain은 acceleration (750−6,000o/sec2)에

따라 각각 0.59에서 0.29까지 가속이 큰 경우 더 뚜렷한

VOR gain의 감소를 보였으며, UVD의 경우 0.46에서 0.13

까지 VOR gain의 감소가 관찰되었다.2 또한 교정단속운동

도 VOR response 도중에 관찰되는 covert saccade와 머리 움

직임이 끝난 후 관찰되는 overt saccade가 VN 및 UVD에서

비슷한 양상으로 관찰되었다(Figure 1).2 vHIT를 이용한 연

구들에서도 앞선 magnetic search coil 연구와 유사한 결과

를 확인할 수 있었다.28,29

VN에서 비정상적인 HIT가 발병 후 얼마 동안이나 지속

될 것인지도 관심인데, VN에 대한 한 longitudinal case

series에 의하면 bedside HIT는 VN의 초기 90%에서 관찰되

는 반면, 3개월 후에는 40%, 6개월 이후에는 30%에서만 비

정상적인 교정단속운동이 관찰되었다.30

VN에서 한가지 유의할 점은 통상적인 bedside HIT가

horizontal plane에서 주로 시행된다는 점을 감안했을 때, 앞

반고리관-수평반고리관-난형낭(utricle)을 지배하는 상전정

신경이 포함되어 손상된 경우에는 통상 시행되는 기존의

horizontal HIT로 큰 문제없이 병변을 찾아낼 수 있겠으나,

후반고리관 및 구형낭(saccule)을 지배하는 하전정신경에

Page 5: 전정질환에서 두부충동검사의 이용001-008)RVS2015-138.pdf · 2016-08-04 · 1 Research in Vestibular Science Vol. 14, No. 1, March 2015 Review pISSN 2092-8882, eISSN

이승한. 전정질환에서 두부충동검사의 이용

5

Figure 1. The video head impulse test (vHIT) (GN Otometrics, Taastrup, Demark) in a patient with bilateral vestibulopathy due to superficial siderosis. Both horizontal, left anterior and right posterior (LARP), right anterior and left posterior (RALP) semicircular canals are tested. Reduced vestibulo-ocular reflex (VOR) gains in all six canals (<0.8 in the horizontal and <0.7 in the vertical canals),abnormal covert (black arrow) and overt saccades (white arrow) are obtained. The plots in this figures are time series showing superimposedrecords of the head velocity stimulus and the eye-velocity responses to about 20 brief unpredictable head turns in the direction of each semicircular canal. The average VOR gain value and dot diagrams of VOR gains are shown in the left column.

만 선택적으로 발생한 경우, horizontal HIT는 정상소견을

보일 수 있다.31 물론 자발 하향회선안진 및 cervical

vestibular-evoked myogenic potential의 이상소견이 동반될

수 있으나 이와 함께 posterior canal plane에서 vertical HIT

를 시행하여 교정단속운동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메니에르병에서는 HIT에 대해 아직 대규모 연구결과는

보고되지 않았으나, 발작기 및 발작간기 등 검사시기 또는

질병의 경과에 따라 정상 또는 비정상 등 다양한 소견을

보일 것으로 생각된다. 38명의 메니에르 환자를 대상으로

magnetic search coil로 시행된 연구결과를 보면 HIT에서

gain asymmetry는 28.9%에서 관찰되었던 반면 온도안진검

사는 42.1%에서 canal paresis가 관찰되어, 메니에르병에서

HIT는 전통적인 온도안진검사에 비해 덜 예민한 결과를

보였으며, 이는 고주파자극에 대한 반응이 메니에르병에

서 비교적 보존됨에 기인할 가능성이 있다.32

3. 중추성 전정신경계 질환

앞서 언급하였듯이 어지럼을 일으키는 중추성 병변에서

는 HIT가 정상인 경우가 많겠으나, 일부 중추성 병변에서

는 이상소견을 보일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4 특히

AICA 경색에서는 AICA의 분지인 internal auditory artery가

함께 침범될 경우 내이 허혈로 인해 청력저하를 동반한 급

성 어지럼이 발생할 수 있고, VN과 유사한 양상의 비정상

적인 HIT가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전정신경의 뇌간출입부

(root entry zone)와 전정신경다발(vestibular fascicle)의 근위

부 및 전정신경핵의 병변에도 HIT이나 온도안진검사에서

일측반고리관 마비가 관찰되어 역시 말초성 전정신경병증

Page 6: 전정질환에서 두부충동검사의 이용001-008)RVS2015-138.pdf · 2016-08-04 · 1 Research in Vestibular Science Vol. 14, No. 1, March 2015 Review pISSN 2092-8882, eISSN

Res Vestib Sci Vol. 14, No. 1, Mar. 2015

6

BA

C

Figure 2. Diffusion-weighted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oculography, and head impulse test of the patient with isolated vestibularnuclear infarction. (A) The diffusion-weighted MRI disclosed acute tiny infarction (arrow) in the area of right medial vestibular nucleus.(B) Three-dimensional video-oculography showed the spontaneous left beating nystagmus which increases during leftward gaze and changes into right beating during rightward gaze. H, horizontal eye position. (C) Head impulse test (HIT) using the magnetic search coil technique demonstrated that the gains of the vestibulo-ocular reflex were reduced during HITs for the horizontal and posteriorsemicircular canals on both sides, but more marked for ipsilesional ones. RHC, right horizontal canal; RAC, right anterior canal; RPC,right posterior canal; LHC, left horizontal canal; LAC, left anterior canal; LPC, left posterior canal. Modified from Kim et al. (J Neurol2014;261:121-9).25

과 감별이 어려울 수 있다.25 전정신경핵의 병변의 경우 건

측을 향하는 전정안진과 더불어 병변 측에서 HIT가 양성

으로 나와 VN과 유사한 소견을 보이지만, 수평안구운동의

신경적분체인 내측전정신경핵의 이상으로 주시유발안진

등이 함께 동반될 수도 있어 이러한 점이 감별에 도움을

줄 수 있다(Figure 2).25

소뇌경색의 경우에도 과거에는 모두 HIT는 정상으로 알

려져 있었으나 광범위한 병변을 가진 경우 종괴효과로 인

해 뇌간의 전정신경핵이나 신경다발을 압박하여 HIT 양성

소견을 보일 수 있다.24 또한 최근에는 타래(flocculus) 병변

만 단독으로 있는 경우 AVS 증상과 함께 HIT가 양성으로

나올 수 있다고 보고되었다.33 좀 더 구체적으로는 HIT에서

수평 VOR gain이 양측에서 감소되어 있고, 특히 병변의 반

대측에서 좀 더 심한 gain의 감소가 관찰되었던 반면, 저주

파의 회전의자검사에서는 VOR gain이 정상이거나 오히려

증가한 양상으로 관찰되었다.

일부 퇴행성 소뇌질환의 경우에도 온도안진검사는 정상

이지만, HIT는 양성으로 관찰되는 경우가 있다.34 대표적인

예가 spinocerebellar ataxia type 6 (SCA6)로서, 온도안진검

사나 저주파의 회전의자검사에서는 정상 VOR을 보이지

만, 고주파자극인 HIT에서는 경미한 환자의 경우 VOR

gain의 증가를 보이다가, 중등도의 환자에서는 VOR gain이

감소하는 질병의 경과에 따라 negative correlation의 소견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앞서 뇌경색의 예에서와 같이

타래 또는 전정신경핵의 퇴행성 변화에 의해 고주파, 고가

속(high-acceleration) 자극에 대해 선택적인 손상이 관찰될

Page 7: 전정질환에서 두부충동검사의 이용001-008)RVS2015-138.pdf · 2016-08-04 · 1 Research in Vestibular Science Vol. 14, No. 1, March 2015 Review pISSN 2092-8882, eISSN

이승한. 전정질환에서 두부충동검사의 이용

7

것으로 생각된다.35

이 밖에 소뇌병변에서는 전정신경핵에 대한 탈억제에

의해서 VOR gain이 오히려 증가함으로 인해 HIT 시 머리회전

방향으로 교정성 단속운동이 발생하거나(reversed corrective

saccade, back-up saccade),36 cross-coupling 현상에 의해서 수

평으로 머리회전 시 비정상적으로 수직성분의 교정성 단

속운동이 같이 나타나는 현상, 즉 perverted HIT도 보고되

어 있다.37

4. 말초와 중추 전정신경을 동시에 침범하는 질환들

앞서 중추전정신경계 질환에서 언급한 AICA infarction

이나 isolated vestibular nuclear infarction의 경우가 대표적이

고, 이외에도 cerebello-pontine angle 부위의 intra-axial brain

tumor의 경우 일측성으로 말초전정신경계와 중추전정신경

계를 동시에 침범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서는 HIT 소견만으로는 말초와 중추성 병변여부를 감별하

기 어렵고 주시유발안진이나 기타 동반되는 신경학적 결

손을 찾아내는 것이 중요하다.7

양측성으로 말초와 중추전정신경계를 동시에 침범하는

경우도 있는데, 대표적인 예가 베르니케뇌병증, cerebellar

ataxia, neuropathy, and vestibular areflexia syndrome (CANVAS),

superficial siderosis의 경우이다.7 이 중 베르니케뇌병증의

경우는 thiamine의 결핍에 의해 급성 또는 아급성으로 다양

한 신경계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으로, 내측전정신경핵이

나 설하신경앞핵(nucleus prepositus hypoglossi)을 포함한 다

양한 부위를 침범하여 HIT와 온도안진검사에서 양측성 전

정신경병증 소견을 보이며, 이외에도 주시유발안진, 충추

성체위안진, 상향안진 등 다양한 신경학적 증상을 보일 수

있다.5

CANVAS와 superficial siderosis의 경우 만성적인 경과를

보이는 것이 특징인데, 두 질환 모두 양측성 전정신경병증

외에도 소뇌기능장애를 보일 수 있는 공통점이 있고,

CANVAS에서는 말초신경병증이 동반되는 반면, superficial

siderosis에서는 감각신경성난청이 주로 동반되는 차이점도

있다.7

결 론

본 원고에서는 HIT의 원리에 대한 간단한 review와 검사

시행 시 고려해야 할 점, 임상적 적용에 대해서 살펴보았

다. HIT는 AVS의 감별진단을 포함한 신경학적 검사의 일

부인 점은 물론, 최근에는 vHIT 장비의 도입과 함께

laboratory test로서도 어지럼 환자의 진단에 있어서 매우 중

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어떻게 시행할 것인가 방법론

적인 면에 대해서도 좀 더 많은 연구와 그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검사방법의 표준화가 필요하겠다. 또한 심장질환

에서 심전도를 모든 임상의사들이 쉽게 사용하듯이 전정

신경계 질환에서도 HIT 검사를 널리 이용하게 될 수도 있

겠다. 그러기 위해서는 다양한 전정신경계 질환이나 어지

럼을 호소하는 임상적 상황에서 시행된 HIT 검사소견이

데이터화되고 질환별 소견이 표준화되어 쉽게 임상에 적

용하고 해석할 수 있도록 하는 절차와 노력이 필요하겠다.

중심 단어: 두부충동검사, 전정안반사, 전정신경염, 뇌졸중

CONFLICT OF INTEREST

No potential conflict of interest relevant to this article was

reported.

REFERENCES

1. Halmagyi GM, Curthoys IS. A clinical sign of canal paresis. Arch Neurol 1988;45:737-9.

2. Weber KP, Aw ST, Todd MJ, McGarvie LA, Curthoys IS, Halmagyi GM. Head impulse test in unilateral vestibular loss: vestibulo-ocular reflex and catch-up saccades. Neurology 2008; 70:454-63.

3. Kattah JC, Talkad AV, Wang DZ, Hsieh YH, Newman-Toker DE. HINTS to diagnose stroke in the acute vestibular syndrome: three-step bedside oculomotor examination more sensitive than early MRI diffusion-weighted imaging. Stroke 2009;40:3504-10.

4. Saber Tehrani AS, Kattah JC, Mantokoudis G, Pula JH, Nair D, Blitz A, et al. Small strokes causing severe vertigo: frequency of false-negative MRIs and nonlacunar mechanisms. Neurology 2014;83:169-73.

5. Choi KD, Oh SY, Kim HJ, Kim JS. The vestibulo-ocular reflexes during head impulse in Wernicke's encephalopathy.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2007;78:1161-2.

6. Weber KP, Aw ST, Todd MJ, McGarvie LA, Curthoys IS, Halmagyi GM. Horizontal head impulse test detects gentamicin vestibulotoxicity. Neurology 2009;72:1417-24.

7. Choi SY, Kee HJ, Park JH, Kim HJ, Kim JS. Combined periph-eral and central vestibulopathy. J Vestib Res 2014;24:443-51.

8. Macdougall HG, McGarvie LA, Halmagyi GM, Curthoys IS, Weber KP. The video Head Impulse Test (vHIT) detects vertical semicircular canal dysfunction. PLoS One 2013;8:e61488.

Page 8: 전정질환에서 두부충동검사의 이용001-008)RVS2015-138.pdf · 2016-08-04 · 1 Research in Vestibular Science Vol. 14, No. 1, March 2015 Review pISSN 2092-8882, eISSN

Res Vestib Sci Vol. 14, No. 1, Mar. 2015

8

9. MacDougall HG, Weber KP, McGarvie LA, Halmagyi GM, Curthoys IS. The video head impulse test: diagnostic accuracy in peripheral vestibulopathy. Neurology 2009;73:1134-41.

10. Choi KD, Oh SY, Kim JS. Head thrust test. J Korean Soc Clin Neurophysiol 2006;8:1-5.

11. Kasai T, Zee DS. Eye-head coordination in labyrinthine-defective human beings. Brain Res 1978;144:123-41.

12. Segal BN, Katsarkas A. Long-term deficits of goal-directed vestibulo-ocular function following total unilateral loss of pe-ripheral vestibular function. Acta Otolaryngol 1988;106: 102-10.

13. Tian J, Crane BT, Demer JL. Vestibular catch-up saccades in labyrinthine deficiency. Exp Brain Res 2000;131:448-57.

14. Schubert MC, Migliaccio AA, Della Santina CC. Modification of compensatory saccades after aVOR gain recovery. J Vestib Res 2006;16:285-91.

15. Schubert MC, Tusa RJ, Grine LE, Herdman SJ. Optimizing the sensitivity of the head thrust test for identifying vestibular hypofunction. Phys Ther 2004;84:151-8.

16. Lee SH, Newman-Toker DE, Zee DS, Schubert MC. Compensatory saccade differences between outward versus in-ward head impulses in chronic unilateral vestibular hypofunction. J Clin Neurosci 2014;21:1744-9.

17. Schubert MC, Mantokoudis G, Xie L, Agrawal Y. Acute VOR gain differences for outward vs. inward head impulses. J Vestib Res 2014;24:397-402.

18. Nystrom A, Tjernstrom F, Magnusson M. Outward versus in-ward head thrusts with video-head impulse testing in normal subjects: does it matter? Otol Neurotol 2015;36:e87-94.

19. Halmagyi GM. Diagnosis and management of vertigo. Clin Med 2005;5:159-65.

20. Cremer PD, Halmagyi GM, Aw ST, Curthoys IS, McGarvie LA, Todd MJ, et al. Semicircular canal plane head impulses detect absent function of individual semicircular canals. Brain 1998;121:699-716.

21. Black RA, Halmagyi GM, Thurtell MJ, Todd MJ, Curthoys IS. The active head-impulse test in unilateral peripheral vestibulopathy. Arch Neurol 2005;62:290-3.

22. Della Santina CC, Cremer PD, Carey JP, Minor LB. Comparison of head thrust test with head autorotation test reveals that the vestibulo-ocular reflex is enhanced during vol-untary head movements. Arch Otolaryngol Head Neck Surg 2002;128:1044-54.

23. Lee H, Sohn SI, Cho YW, Lee SR, Ahn BH, Park BR, et al. Cerebellar infarction presenting isolated vertigo: frequency

and vascular topographical patterns. Neurology 2006;67:1178-83.24. Newman-Toker DE, Kattah JC, Alvernia JE, Wang DZ. Normal

head impulse test differentiates acute cerebellar strokes from vestibular neuritis. Neurology 2008;70:2378-85.

25. Kim HJ, Lee SH, Park JH, Choi JY, Kim JS. Isolated vestibular nuclear infarction: report of two cases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J Neurol 2014;261:121-9.

26. Kim HA, Lee SR, Lee H. Acute peripheral vestibular syndrome of a vascular cause. J Neurol Sci 2007;254:99-101.

27. Casani AP, Dallan I, Cerchiai N, Lenzi R, Cosottini M, Sellari-Franceschini S. Cerebellar infarctions mimicking acute peripheral vertigo: how to avoid misdiagnosis? Otolaryngol Head Neck Surg 2013;148:475-81.

28. Mantokoudis G, Saber Tehrani AS, Wozniak A, Eibenberger K, Kattah JC, Guede CI, et al. VOR gain by head impulse video-oculography differentiates acute vestibular neuritis from stroke. Otol Neurotol 2015;36:457-65.

29. Blodow A, Pannasch S, Walther LE. Detection of isolated covert saccades with the video head impulse test in peripheral vestibular disorders. Auris Nasus Larynx 2013;40:348-51.

30. Choi KD, Oh SY, Kim HJ, Koo JW, Cho BM, Kim JS. Recovery of vestibular imbalances after vestibular neuritis. Laryngoscope 2007;117:1307-12.

31. Kim JS, Kim HJ. Inferior vestibular neuritis. J Neurol 2012;259:1553-60.

32. Park HJ, Migliaccio AA, Della Santina CC, Minor LB, Carey JP. Search-coil head-thrust and caloric tests in Meniere's disease. Acta Otolaryngol 2005;125:852-7.

33. Park HK, Kim JS, Strupp M, Zee DS. Isolated floccular in-farction: impaired vestibular responses to horizontal head impulse. J Neurol 2013;260:1576-82.

34. Kirchner H, Kremmyda O, Hufner K, Stephan T, Zingler V, Brandt T, et al. Clinical, electrophysiological, and MRI findings in patients with cerebellar ataxia and a bilaterally pathological head-impulse test. Ann N Y Acad Sci 2011;1233:127-38.

35. Huh YE, Kim JS, Kim HJ, Park SH, Jeon BS, Kim JM, et al. Vestibular performance during high-acceleration stimuli cor-relates with clinical decline in SCA6. Cerebellum 2015. [Epub ahead of print]

36. Choi JY, Kim JS, Jung JM, Kwon DY, Park MH, Kim C, et al. Reversed corrective saccades during head impulse test in acute cerebellar dysfunction. Cerebellum 2014;13:243-7.

37. Jeong SH, Kim JS, Baek IC, Shin JW, Jo H, Lee AY, et al. Perverted head impulse test in cerebellar ataxia. Cerebellum 2013;12:77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