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Vol. 51, No. 2, pp. 139~160, 2012.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에 따른 장애인의 공공기관 홈페이지 접근성 준수실태 및 요구분석 * - A도청 홈페이지를 중심으로 - 문 현 미 ** 신 윤 희 *** < 요 약 > 본 연구는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KWCAG 2.0)에 따라 장애인 사용자가 평가한 공공기관 홈페이지의 웹 접근성 준수 실태를 알아보고, 이들이 가진 개선 및 요구사항이 무 엇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시각장애, 청각장애, 지체장애를 가진 6명의 사용자가 이해하기 쉽게 수정된 항목으로 구성된 KWCAG 2.0을 이용하여 550개의 웹 페이지를 점검하였으며, 15개의 과제수행을 통해 장애인 웹 사용자의 입장에서 접근성이 용이한지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에 따른 장애영역별 공공기관 홈페이지 준수실태는 모든 지표에서 90% 이상 준수되고 있었다. 그러나 사용자 중심의 수행과제에서는 준수실태와 달 리 일부분 접근이 어렵다고 보고되었다. 이에 형식적인 측면을 넘어 내용의 전달에 중점을 맞춘 질적 측면의 개선을 고려해 달라는 요구가 공통적이었으며, 장애영역과 장애수준을 고 려한 항목이 현재 준수지침에 추가적으로 보완되어져야 할 것이다. 핵심어 : 웹 접근성, 장애인, KWCAG * 본 논문은 2010학년도 인제대학교 학술연구조성비 보조에 의한 것임. ** 인제대학교 특수교육과 교수교육연구센터(제1저자 : [email protected]) Professor, Department of Special Education, Inje University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연구교수(교신저자 : [email protected]) Institute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Daegu University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에 따른 장애인의 공공기관 홈페이지 …isers.org/common/fileDown.aspx?f=07-%B9%AE%C7%F6%B... ·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 Upload
    others

  • View
    1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에 따른 장애인의 공공기관 홈페이지 …isers.org/common/fileDown.aspx?f=07-%B9%AE%C7%F6%B... ·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Vol. 51, No. 2, pp. 139~160, 2012.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에 따른 장애인의

공공기관 홈페이지 접근성 준수실태 및 요구분석*

-A도청 홈페이지를 중심으로-

문 현 미** ㆍ 신 윤 희***

< 요 약 >

본 연구는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KWCAG 2.0)에 따라 장애인 사용자가 평가한

공공기관 홈페이지의 웹 접근성 준수 실태를 알아보고, 이들이 가진 개선 및 요구사항이 무

엇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시각장애, 청각장애, 지체장애를 가진 6명의 사용자가 이해하기

쉽게 수정된 항목으로 구성된 KWCAG 2.0을 이용하여 550개의 웹 페이지를 점검하였으며,

15개의 과제수행을 통해 장애인 웹 사용자의 입장에서 접근성이 용이한지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에 따른 장애영역별 공공기관 홈페이지 준수실태는 모든

지표에서 90% 이상 준수되고 있었다. 그러나 사용자 중심의 수행과제에서는 준수실태와 달

리 일부분 접근이 어렵다고 보고되었다. 이에 형식적인 측면을 넘어 내용의 전달에 중점을

맞춘 질적 측면의 개선을 고려해 달라는 요구가 공통적이었으며, 장애영역과 장애수준을 고

려한 항목이 현재 준수지침에 추가적으로 보완되어져야 할 것이다.

핵심어 : 웹 접근성, 장애인, KWCAG

* 본 논문은 2010학년도 인제대학교 학술연구조성비 보조에 의한 것임.

** 인제대학교 특수교육과 교수ㆍ교육연구센터(제1저자 : [email protected])

Professor, Department of Special Education, Inje University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연구교수(교신저자 : [email protected])

Institute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Daegu University

Page 2: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에 따른 장애인의 공공기관 홈페이지 …isers.org/common/fileDown.aspx?f=07-%B9%AE%C7%F6%B... ·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1권 제2호)140

Ⅰ. 서 론

1. 연구의 의의

장애인이나 노인과 같은 특정 계층은 정보통신 분야에서의 놀랍도록 빠른 신기술 개발

과 발전으로 인해 인터넷 세상 속에서 공유되는 정보, 다양한 활동과 소통으로부터 소외

되는 또 다른 장애를 경험할 위험성이 높아졌다. 법률적으로는 웹 콘텐츠에 대한 접근과

이용에 있어 있을 수 있는 취약계층의 소외를 예방하거나 해소하기 위해 장애인차별금지

법(2008)과 국가정보화기본법(2009)을 마련하였으며, 이를 통해 장애인이 쉽게 웹 사이

트를 이용할 수 있도록 웹 접근성 준수 의무화를 통해 정보격차를 줄이고자 노력하고 있

다. 또한, 공공기관 및 민간의 모든 웹 사이트에 대해 2009년부터 2015년까지 6단계에

걸쳐 웹 접근성 준수 의무화를 단계적으로 시행해 나가고 있다.

공공기관은 국공립이나 사립 특수학교, 특수학급이 설치된 국공립학교, 장애아전담보육

시설, 종합병원, 사회복지시설과 장애복지시설과 함께 1단계 시행 기관으로 2009년부터

적용되어 웹 접근성 표준을 준수하여 웹 페이지를 제작하는 노력이 현재까지 계속되고 있

다. 웹 접근성 표준 지침은 접근성 높은 행정기관 홈페이지를 실질적으로 설계하고 개발

해야 하는 웹 콘텐츠 개발자와 웹 디자이너들이 웹 콘텐츠 접근성을 준수하여 쉽게 제작

하도록 돕기 위한 목적이며, 2004년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1.0” 단체표준 제정,

2005년 “인터넷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국가표준 제정, 2009년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

성 지침 2.0” 단체표준(TTAK) 제정이 차례로 이루어지고 시행되었다.

2010년에 이르러 행정안전부는 장애인의 웹 접근성 제고를 위해 학계, 연구계, 장애인

단체, 웹 관련 기업 등의 전문가들로 구성된 웹 접근성 표준화 위원회를 구성하여 연구한

결과를 토대로 개정의 틀을 마련하고, 웹 접근성 관련 국제표준인 W3C(World Wide

Web Consortium)의 “웹 콘텐츠 접근성 가이드라인 2.0(WCAG 2.0: Web Content

Accessibility Guidelines 2.0, 2008)”과 웹 관련 신기술 등을 국내 실정에 맞게 반영하

여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2.0” 국가표준(KICS)을 제정하였다. 이러한 웹 접근성

준수를 위한 표준의 제정과 더불어 많은 웹 프로그램 개발자들과 정부기관에서는 웹 접근

성 실태를 조사하고, 웹 접근성 제고를 위한 개선 노력도 꾸준히 진행해오고 있다. 이러한

노력으로 한국정보문화진흥원에서는 중앙행정기관, 광역지자체, 입법ㆍ사법기관 대상으로

웹 접근성 준수 여부를 조사한 결과 2005년에는 전체 평균 72.2점으로 ‘미흡’ 수준에 머물

렀던 것이 2006년에는 평균 81.8점으로 ‘보통’ 수준으로 크게 향상되었다.

행정안전부는 2009년 장애인을 위한 전자정부서비스의 획기적인 개선을 위해 “전자정

Page 3: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에 따른 장애인의 공공기관 홈페이지 …isers.org/common/fileDown.aspx?f=07-%B9%AE%C7%F6%B... ·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에 따른 장애인의 공공기관 홈페이지 접근성 준수실태 및 요구분석 141

부 보편적 서비스” 사업을 대표적인 통합전자민원창구인 ‘전자민원G4C(Government For

Citizen)’와 ‘정보공개시스템’에 시범 적용한 바 있다. 그 결과 전자민원G4C는 민원서비스

와 주소변경 알리미 등의 부가서비스를, 정보공개시스템은 회원관리, 공개안내, 정보공개

창구 등의 웹페이지를 개선하였다. 특히 전자민원G4C의 웹 접근성 개선내용을 보면, 먼저

사이트를 논리적 순서에 맞게 구성하고 내용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마우스

를 사용하지 않고도 탭키 이동 및 키보드를 통해 논리적 순서에 맞게 모든 메뉴에 접근이

가능하도록 개선하였다. 이미지에 있어서도 가급적 이미지의 사용을 배제하고 이미지에

대한 대체 텍스트를 충실히 제공하는 방향으로 개선한 바 있다. 그러나 웹개발 자체가 웹

사용자보다는 웹개발자나 디자이너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다보니, 준수율 증진을 보고하고

있는 실태조사와 연구를 살펴보면 많은 수가 웹 개발자나 디자이너를 중심으로 한 전문가

평가 방식(김민규, 2009; 박성수, 2009; 한국정보문화진흥원, 2005a; 한국정보문화진흥

원, 2006)을 사용하거나 KADO-WAH 2.0을 이용한 자동평가 방식(이명희, 2006; 한국

정보 문화진흥원, 2005b)을 사용하여 국내지침 준수 여부를 평가하였다. 때문에 웹개발자

나 디자이너 중심 평가방식에 의해 보고되는 웹 접근성 준수율의 향상이 실제 웹 사용자

인 장애인이 이용하는데 불편함이 없음을 의미하는 것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가 KWCAG 2.0 웹 접근성 점검도구를 이용하여 웹 접근성 준수 정

도를 파악할 뿐 아니라 별도의 수행과제를 통해 장애인의 입장에서 접근성이 용이한지 확

인하고자 하였다.

선행 연구들을 보면, 장애인 사용자가 웹 접근성 실태를 조사한 연구의 경우에도 주로

시각장애인인 경우가 많았으며(김용섭 외, 2007, 김정현 2002; 나은주, 2005; 박지영,

2010), 국외 연구에서도 Karrenman 등(2007)은 일반 웹 사이트와 읽기 쉬운 웹 사이트

로 수정된 웹 사이트를 대상으로 지적장애를 가진 사용자의 웹 접근성 특성을 밝힌바 있

다. 김용섭 등(2007)은 여러 장애 유형의 웹 이용에 대한 실질적인 연구가 거의 없다는

현실을 지적하면서 향후 연구 과제로서 사용자 특성을 반영한 웹 접근성 준수 지침을 수

립하는데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는 장애인의 웹 이용 특성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시각장애의 웹 접근성에 대한 연구의 결과로 이미지 등 시각정보에 대한 설

명 부재, 지나치게 많은 동적 이미지의 구현, 대체 텍스트의 미사용, 다중프레임의 사용,

건너뛰기 기능의 미제공, 텍스트의 확대 축소 기능의 부재, 배경 색상과 글자 색상의 변환

기능 부재 등 웹 접근성을 저해하는 많은 요인들이 제시되고 있으나(김용섭 외, 2007, 김

정현 2002; 나은주, 2005; 박지영, 2010) 청각장애의 경우 동영상에서의 음성정보에 대

한 설명 부재, 지체장애인의 경우 키보드만으로의 홈페이지 접근 불가 정도만이 인터넷

이용 상의 어려움으로 제시되고 있다(홍경순, 2009).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각장애인은

물론 청각장애, 지체장애 사용자를 포함하여 장애인 사용자가 KWCAG 2.0를 통한 평가

Page 4: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에 따른 장애인의 공공기관 홈페이지 …isers.org/common/fileDown.aspx?f=07-%B9%AE%C7%F6%B... ·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1권 제2호)142

를 통해 웹 접근성 준수 실태를 점검하고, 직접 수행하는 과제를 통해 사용상의 어려움을

찾아내고 개선 및 요구사항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2. 연구 문제

첫째,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에 따라 장애인 사용자가 평가한 공공기관 홈페이

지의 웹 접근성 준수 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공공기관 홈페이지에 대한 장애인 사용자의 개선 및 요구사항은 어떠한가?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본 연구의 진행을 위해 A도내에 장애인 복지관 및 A대학의 특수교육과와 장애학생지원

센터에 의뢰하였다. 연구 대상자 선정기준에 따라 연구에 참여 가능한 도내 거주 장애인

을 추천받아 표집하였으며, 연구참여 동의를 확인하여 최종적으로 지체장애 2명, 시각장애

2명, 청각장애 2명으로 총 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대상자 선정기준은 다음과 같다.

(1) A도내 거주자

(2) 일상생활에서 웹을 사용하며, 정보를 검색한 경험이 있는 자

(3) 지적 장애가 없어 인터넷 정보에 대한 이해가 가능한 자

선정된 대상자의 구체적인 정보와 특성은 <표 2-1>과 <표 2-2>와 같다.

<표 2-1> 연구 대상자의 세부정보

구 분 성별 생년월일 학력 장애급수

지체장애 A 남 81년 06월 22일 고졸 지체장애 1급

지체장애 B 남 79년 01월 03일 전문대졸 지체장애 1급

시각장애 A 남 87년 08월 21일 대학재학중 시각장애 1급

시각장애 B 님 84년 08월 09일 대학재학중 시각장애 1급

청각장애 A 여 74년 10월 08일 고졸 청각장애 2급

청각장애 B 여 89년 02월 03일 대학재학중 청각장애 6급

Page 5: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에 따른 장애인의 공공기관 홈페이지 …isers.org/common/fileDown.aspx?f=07-%B9%AE%C7%F6%B... ·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에 따른 장애인의 공공기관 홈페이지 접근성 준수실태 및 요구분석 143

<표 2-2> 연구 대상자의 인터넷 사용 특성

구 분 특 성

지체장애 A손의 사용이 원활하지 못하여 가정에서는 대체키보드와 마우스 스틱을 사용하며, 보조

기기가 없는 경우에는 도우미의 도움을 받아 인터넷에 접근이 가능함

지체장애 B 손의 사용에 불편함이 있고 속도가 느리긴 하나 보조기기 없이 인터넷에 접근이 가능함

시각장애 A잔존시력이 없는 시각장애(맹)인으로 스크린리더 (음성지원프로그램)를 사용하여 인터

넷에 접근이 가능함

시각장애 B저시력으로 음성지원 프로그램을 필요로 하진 않으나 대형 모니터를 사용하는 경우에만

인터넷에 접근이 가능함

청각장애 A

인터넷 사용에 어려움은 없으나 잔존청력이 없는 청각장애(농)인으로 의사소통 수단으로

수화와 텍스트를 사용함. 따라서 인터넷에서 동영상, 음성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콘텐

츠에 접근하는 경우 수화나 자막(원고)의 지원이 필요함

청각장애 B인터넷 사용에 어려움은 없으나 고도 난청으로 인터넷에서 동영상, 음성을 포함하는 멀티

미디어 콘텐츠에 접근하는 경우 수화나 자막(원고)의 지원이 필요함

2. 연구 절차

본 연구는 2010년 5월 ~ 10월까지 약 5개월 동안 진행되었다. 선정된 6명을 대상으로

점검의 정확성과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2차에 걸친 점검훈련을 실시하였다. 각 장애

인별(청각장애, 시각장애, 지체장애)로 1일 2시간, 각 2회씩 장애인 종합복지관 및 대학

내 컴퓨터 사용이 가능한 장소에서 연구 대상자들이 주로 접근하는 포털사이트 및 A도청

사이트(선정 웹페이지 제외)에 접속하여 훈련을 실시하였다. 1차 점검훈련에서는 연구자

가 먼저 개발된 점검항목을 실기를 통해 설명하고, 연구 대상자 또한 직접 점검하면서 이

해하지 못하는 부분을 질의응답을 통해 해결하면서 점검 정확도를 높였다. 훈련은 사용자

가 각 항목별로 준수여부에 대해 의문 없이 명확하게 점검할 수 있을 때까지 진행되었다.

2차 점검에서는 점검 과정에서 새롭게 발견된 문제점을 중심으로 해결하면서 점검의 정확

성과 신뢰도를 재점검하였다.

점검해야 할 550개의 웹사이트 목록을 엑셀로 저장하여 3차로 나누어 메일로 전송하여

제공하였다. 웹페이지 점검지의 경우에는 시각장애의 경우에는 파일로 제공하고 청각과

지체장애의 경우에는 복사본을 직접 전달하였다. 3주에 걸친 점검 기간 동안 온라인이나

오프라인 면담을 통하여 수시로 진행과정의 흐름을 점검하였으며, 이 때 명확하게 준수

여부를 점검할 수 없었던 항목들을 최종 점검하게 하여 정확한 점검이 유지되도록 하였다.

Page 6: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에 따른 장애인의 공공기관 홈페이지 …isers.org/common/fileDown.aspx?f=07-%B9%AE%C7%F6%B... ·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1권 제2호)144

KWCAG 2.0을 사용한 준수 점검이 끝난 후 수행과제 체크리스트를 이용하여 사용자

입장에서 웹사이트의 접근이 용이한지를 평가하였다. 마지막으로 개별 인터뷰를 통하여

점검 시 느끼는 문제점이나 요구사항에 대한 질적 자료를 확보하였다. 연구 일정에 따른

수행내용은 다음 <표 2-3>과 같다.

<표 2-3> 연구진행에 따른 수행일정 및 내용

일 정 연구 진행에 따른 수행 내용

5.1 - 5.13

• 웹페이지 점검할 연구 대상자 6명 선정

• 장애영역별 1차 점검 훈련

- 웹 접근성 점검도구 소개 및 점검지침 안내

- 컴퓨터를 이용한 실제 점검 훈련 실시

- 웹 접근성 점검도구 항목에 대한 사용자의 이해 점검

5.14 - 5.17

• 장애영역별로 점검도구 항목 최종 수정

• 1주차 점검을 위한 웹페이지 선정 및 배부, 점검지 배부

- 웹페이지 링크가 가능한 주소목록(엑셀파일)을 각 장애인들에게 이메일로 전송

5.17 - 5.23

• 2주차 점검

-개별적으로 할당된 웹페이지를 가정에서 점검

• 점검 상황 확인 및 문제점 해결

- 점검 진행에 대한 슈퍼비전 및 점검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이나 의문사항에

관한 전화상담 실시

• 2주차 점검을 위한 웹페이지 선정 및 배부

5.24 - 5.30

• 1주차 점검지 수거(〮시각장애인의 경우 파일로 제출)

• 2주차 점검

• 점검 상황 확인 및 문제점 해결

5.24 - 5.30• 장애영역별 2차 점검 훈련

- 웹 접근성 점검과정에서 발생한 문제점 해결 중심의 훈련

5.30 - 6.6• 2주차 점검지 수거

• 3주차 점검을 위한 웹페이지 선정 및 배부

6.7 - 6.13• 3주차 점검

• 점검 상황 확인 및 문제점 해결

6.14 - 6.18• 3주차 점검지 수거

• 수행과제 실시

6.19 - 10.30• 연구 대상자 개별 면담을 통한 자료수집

• 점검결과 분석

Page 7: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에 따른 장애인의 공공기관 홈페이지 …isers.org/common/fileDown.aspx?f=07-%B9%AE%C7%F6%B... ·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에 따른 장애인의 공공기관 홈페이지 접근성 준수실태 및 요구분석 145

3. 연구 도구

본 연구에서 사용된 연구 도구는 점검받을 A도청 홈페이지, 점검도구로 사용된 웹 접근

성 점검도구와 수행과제 점검표였다. 연구 도구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다음과 같다.

1) 점검대상 홈페이지

점검대상 홈페이지는 한 개의 공공기관 사이트로써 대표 홈페이지와 장애인 관련 특성

홈페이지 10종을 포함하여 총 1,001페이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중 대표 페이지 550페

이지를 대상으로 점검을 실시하였다.

2) 웹 접근성 점검도구

본 연구 도구는 웹 접근성 향상을 위한 국가표준기술 가이드라인(Korean Web Content

Accessibility Guidelines 2.0; KWCAG 2.0)’에 명시된 지표영역별 구성항목을 장애영역

별로 개별화하여 재구성한 것이다. 장애영역별 개별화는 KWCAG 2.0에서 새로운 문항을

추가하지는 않았으며 각 장애영역별로 다른 장애에 해당하는 항목은 삭제하고 해당 항목

만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KWCAG 2.0의 항목은 웹개발자나 웹디자이너 중심으로 전문용

어를 사용해 일반 사용자가 이해하기에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각 항목을 쉬운 용어와 실

례를 들어 일반사용자가 이해할 수 있도록 수정하였으며, 수정된 내용에 대해서는 1차 점

검훈련에서 사용자에게 이해 가능 여부를 조사, 수정하여 최종 완성하였다.

웹 접근성 점검도구는 <표 2-4> 점검지표영역에 해당하는 네 가지 지표영역인 인식의

용이성, 운용의 용이성, 이해의 용이성, 기술적 진보성을 중심으로 하되 18개 항목을 사용

자인 장애인이 쉽게 이해하고 실제 점검 시 지침 항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내용을 수정

하여 <표 2-5>와 같이 제시하였다.

<표 2-4> 점검 지표영역

지표영역 웹 접근성 점검 항목

인식의 용이성 대체텍스트, 배경이미지, 동영상 자막, 색상에 무관한 인식

운용의 용이성이미지 맵, 프레임, 깜박임, 키보드 이용, 건너뛰기 링크, 반응시간 조절,

새창(팝업창)

이해의 용이성데이터 테이블 정보제공, 제목셀과 내용셀 구분, 페이지 제목, 논리적 구성,

온라인 서식

기술적 진보성 부가 애플리케이션, 자바스크립트

Page 8: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에 따른 장애인의 공공기관 홈페이지 …isers.org/common/fileDown.aspx?f=07-%B9%AE%C7%F6%B... ·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1권 제2호)146

<표 2-5> 웹 접근성 점검 도구

1. 인식의 용이성

1. (대체텍스트가 없는 경우) 각 페이지에서 이해할 수 없는 메뉴소개나 설명이 있습니까? 예를 들어 “이용

안내” 라고 읽혀야 하나 아무 내용이 안 읽히거나 파일의 이름이 읽히는 경우입니다.

2. (대체텍스트가 있으나 구체적이지 않은 경우) 각 페이지에서 메뉴를 제외한 정보 중 구체적이지 않는

정보가 있습니까? 예를 들어 “○○○를 위한 모임사진”이라고 읽히지 않고 “핫뉴스”라고만 읽히는 경우

입니다.

3. (대체텍스트가 있으나 무의미한 경우) 의미가 없어 읽힐 필요가 없는 이미지가 읽히는 경우가 있습니까?

예를 들어 글머리기호(○, □) 장식용 이미지(---) 등에는 대체텍스트 내용이 없어야 하나, 네모 또는

선 등으로 읽히는 경우입니다.

4. 청각장애자일 경우 동영상, 음성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있는 경우 자막이나 원고, 또는 수화를 제공

합니까?

5. 흑백칼라처럼 색상을 배제하여도 명암이나 패턴, 또는 텍스트를 통해 원하는 정보를 접근하여 구분할 수

있습니까? 예를 들어 그래프나 그림, 차트를 볼 때, 색상이 아니어도 모양이나 텍스트로 정보의 구분이

가능해야 합니다.

2. 운용의 용이성

6. 웹 페이지 안에 프레임이 있는 경우, 프레임의 내용을 이해할 수 있는 적절한 제목이 제공되어 있습니까?

7. 깜빡이는 콘텐츠(사진, 영상, 텍스트 등)가 있는 경우 사전 안내가 있습니까?

8. 각 페이지의 모든 정보를 키보드(Tab키와 Shift+Tab키)만으로 접근할 수 있습니까?

9. 페이지별로 ‘본문 바로가기(건너뛰기)’ 등이 설정되어 있어 사용자가 보고자 하는 주요 콘텐츠로 바로

이동이 가능합니까?

10. 시간제한이 있는 콘텐츠의 경우 시간제한 조절(시작, 중지, 전체 보기)이 가능합니까?

11. 새 창 열기나 팝업 창이 열리기 전에 안내 메시지가 제공됩니까? 예를 들어 창이 새로 열릴 때 음성으로

“새창에서 열림”, 또는 “새창” 등으로 알리는 경우입니다.

3. 이해의 용이성

12. 표나 게시물 등에 전체 제목이나 요약정보가 제공됩니까? 예를 들어 표나 게시물을 읽기 전에 이 게시

물은 “○○별 민원사무 목록, 민원서식 표입니다.”라는 안내메시지가 있는 경우를 말합니다.

13. 표나 게시물 등에 접근할 경우 소제목과 내용을 구분하고 이해할 수 있는 정보가 제공됩니까? 예를 들어

표나 게시물의 정보를 읽기 전에 “게시물 제목” “게시자” “날짜” 등으로 소제목과 내용에 대한 안내메시

지가 있는 경우를 말합니다.

14. 해당페이지에 적절한 페이지 제목이 제공됩니까?

15. 웹 페이지의 정보가 각 메뉴 별로 이해하기 쉽도록 위에서 아래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순서에 맞게

정렬되어 있습니까?

16. 웹 페이지에서 특정 정보를 선택 혹은 입력(예, 검색창에 입력)해야 하는 경우, 선택하거나 입력하라는

안내메시지를 제공합니까?

Page 9: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에 따른 장애인의 공공기관 홈페이지 …isers.org/common/fileDown.aspx?f=07-%B9%AE%C7%F6%B... ·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에 따른 장애인의 공공기관 홈페이지 접근성 준수실태 및 요구분석 147

4. 기술적 진보성

17. 별도의 프로그램을 설치해야 되는 경우(플래시, ActiveX 등) 설치하지 않고도 그 내용에 접근할 수

있습니까?

18. 다음과 같은 기능들이 적절히 작동됩니까?

(1) 링크 (2) 확인/삭제/수정 버튼 클릭 (3) 페이지 선택과 이동 (4) 특정 정보의 입력과 선택

수정된 내용을 중심으로 장애영역별 점검도구를 개별화하여 제시하였다. 인식의 용이성

1,2,3번 항목의 경우, 잔존시력을 활용하여 정보를 인식할 수 없어 음성인식지원 프로그램

(예: 스크린리더)를 이용하는 전맹 장애인에게 해당하는 항목이며, 인식의 용이성 4번 항

목의 경우 음성 및 소리 인식이 어려운 청각장애인에게 해당되는 항목이다. 또한 인식의

용이성 5번 항목은 잔존시력을 활용할 수 있는 저시력인 경우 해당되는 항목이며 운용의

용이성 6~11번 항목은 시각장애인과 지체장애인에게 해당되는 항목이기 때문에 아래의

<표 2-6>과 같이 장애별에 따라 개별화하여 항목을 제시하였다.

<표 2-6> 장애별 점검지표 항목

장애구분 항목수지표영역별 항목번호

인식의 용이성 운용의 용이성 이해의 용이성 기술적 진보성

지체장애 12 - 6, 7, 8, 9, 10 12, 13, 14, 15, 16 17, 18

시각

장애

전맹 14 1, 2, 3 6, 8, 9, 11 12, 13, 14, 15, 16 17, 18

저시력 13 5 6, 7, 8, 9, 10 12, 13, 14, 15, 16 17, 18

청각장애 8 4 - 12, 13, 14, 15, 16 17, 18

3) 수행과제 점검표

대표홈페이지를 기준으로 <표 2-7>과 같이 15개의 과제수행을 통해 장애인이 인식

하는 웹 접근성 준수 여부를 5점척도(최우수, 우수, 보통, 미흡, 아주 미흡)로 평가하였다.

웹 접근성 점검지표는 웹개발자를 위한 것임으로 별도의 수행과제를 통해 접근성이 용이

한지 확인하였다.

Page 10: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에 따른 장애인의 공공기관 홈페이지 …isers.org/common/fileDown.aspx?f=07-%B9%AE%C7%F6%B... ·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1권 제2호)148

<표 2-7> 수행과제 점검표

연번 수 행 과 제 명

준수정도

최우수 우수 보통 미흡아주

미흡

1메인페이지의 주메뉴에 접근하여 메뉴구조를 알아보

세요.

2 메인페이지에서 제공하는 모든 정보를 알아보세요.

3메인페이지에서 새창이 뜨는 경우 새창 팝업 공지를

모두 하고 있는지 알아보세요.

4메인페이지에서 좌측 팝업존에서 시간제한(멈추기와

다시 플레이) 기능이 가능한지 알아보세요.

5메인페이지에서 인터넷 방송을 클릭해 무슨 내용인지

알아보세요.

6메인페이지에서 통합검색에서 검색어 “예산서”로

자료를 찾아보세요.

7 경상남도 찾아오시는 길을 찾아보세요.

8 조직도를 찾아보세요.

9지금 보고 있는 페이지가 무슨 페이지인지 안내를

해주고 이를 잘 이해할 수 있나요?

10새소식에서 게시물 목록 및 내용을 알아보고 이전

목록, 현재 목록, 다음 목록으로 이동해 보세요.

11 새소식에서 첨부파일을 다운로드해 보세요.

12자유게시판에서 글과 파일을 올려보고 저장, 수정,

삭제 기능을 실행해 보세요.

13자신이 원하는 페이지를 하나 클릭하여 읽고 무슨

내용의 글인지 쉽게 이해하고 파악되나요?

14 회원 가입을 해보세요.

15 로그인을 해 보세요.

4. 자료 수집과 분석

준수 실태는 청각과 지체장애인의 경우 점검지에, 시각장애인의 경우에는 엑셀파일에

기록하였으며, 질적 자료는 면담법을 활용하여 수집하였다. 연구자 2명이 자료를 수집하

고, 점검표와 면담에서 작성된 각 페이지별 점검사항을 검토하였다. 웹 접근성 점검도구에

서는 2점 척도(예/아니오)와 해당 없음으로 빈도분석하여 퍼센트화 하였고, 수행과제에

Page 11: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에 따른 장애인의 공공기관 홈페이지 …isers.org/common/fileDown.aspx?f=07-%B9%AE%C7%F6%B... ·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에 따른 장애인의 공공기관 홈페이지 접근성 준수실태 및 요구분석 149

있어서는 5점 척도(최우수, 우수, 보통, 미흡, 아주 미흡)로 빈도분석하여 퍼센트화 하였다.

개선 및 요구사항 분석에서는 면담을 통하여 각 영역지표 및 항목에 따라 의견을 통합하

여 질적 분석하였다. 또한 면담 시 수집된 자료는 연구자 2명이 함께 검토하여 개별문장

이나 문단이 가지고 있는 주제에 따라 질적 검토를 하여 반영하였다.

Ⅲ. 연구 결과

본 연구에서는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에 따른 장애영역별 공공기관 홈페이지 준

수실태와 그 공공기관 홈페이지 개선사항, 이 두 부분으로 나누어 조사하였으며 이에 따

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공공기관 사이트의 접근성 준수실태

본 공공기관 A사이트의 접근성 준수실태는 크게 지표영역 및 장애인별 웹 접근성 준수

실태와 지표항목별, 그리고 수행과제별 이렇게 세부분으로 나누어서 분석하였으며 그 세

부적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지표영역 및 장애영역별 웹 접근성 준수실태

본 연구에서 지표영역별 웹 접근성 준수실태는 <표 3-1>과 같이 모든 지표에서 90%

이상 준수되고 있었다. 특히 기술적 진보성은 상당히 높은 준수율을 보였으나 아직 프레

임이나 깜빡임, 제어 등 운용의 용이성에서는 다른 지표보다 낮게 나타났다.

<표 3-1> 공공기관 A사이트 지표영역별 웹 접근성 준수실태 (단위 : %)

인식의 용이성 운용의 용이성 이해의 용이성 기술적 진보성

98.9 94.9 98.8 99.2

장애 영역별 웹 접근성 준수실태에서는 <표 3-2>와 같이 대부분 90%가 넘는 접근성

을 보였으나 지체장애의 경우 운용의 용이성이나 이해의 용이성에서, 시각장애의 경우 인

식의 용이성이나 기술적 진보성에서, 청각장애의 경우 인식의 용이성에서 다른 지표보다

더 낮게 나타났다.

Page 12: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에 따른 장애인의 공공기관 홈페이지 …isers.org/common/fileDown.aspx?f=07-%B9%AE%C7%F6%B... ·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1권 제2호)150

<표 3-2> 장애영역별 웹 접근성 준수실태 (단위 : %)

지표구분 지체장애 시각장애 청각장애

인식의 용이성 100 98.8 96.9

운용의 용이성 98.2 99.6 100

이해의 용이성 98.7 99.9 98.7

기술적 진보성 99.7 98.5 99.1

2) 지표영역 항목별 준수실태

장애를 감안하여 각 지표영역에 따른 항목별 준수실태를 보면 다음과 같다.

(1) 인식의 용이성

인식의 용이성의 경우 <표 3-3>과 같이 메뉴나 색상에 따른 인식보다도 대체텍스트나

구체적인 정보를 설명해 놓지 않는 경우에 인식이 어려웠다고 보고하였다. 특히 시각장애

인(맹)의 경우 스크린 리더 사용시 통합검색을 하면 탭 아래의 검색 결과의 수만 읽어주

고 검색주제에 대한 대체텍스트가 없는 경우가 많으며, 또한 웹북과 같은 엑티브 엑스 등

의 설치나 플래쉬와 같은 설치가 되어있는 경우 웹북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부족하여 무

슨 내용인지 확인이 안 되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시각장애인(맹) 뿐만 아니라 시각장애

인(저시력)의 경우 위치도 및 조감도에 표시되어 있는 글자를 보기 어렵다고 언급하였다.

<표 3-3> 인식의 용이성 지표영역 항목별 준수실태 (단위 : %)

항 목 준수율

(1) (대체텍스트가 없는 경우) 각 페이지에서 이해할 수 없는 메뉴소개나 설명이 있습니까? 98.7

(2) (대체텍스트가 있으나 구체적이지 않은 경우) 각 페이지에서 메뉴를 제외한 정보 중

구체적이지 않는 정보가 있습니까?97

(3) (대체텍스트가 있으나 무의미한 경우) 의미가 없어 읽힐 필요가 없는 이미지가 읽히는

경우가 있습니까?99.3

(4) 청각장애자일 경우 동영상, 음성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있는 경우 자막이나 원고,

또는 수화를 제공합니까?100

(5) 흑백칼라처럼 색상을 배제하여도 명암이나 패턴, 또는 텍스트를 통해 원하는 정보를

접근하여 구분할 수 있습니까?99.5

전체 준수율 98.9

Page 13: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에 따른 장애인의 공공기관 홈페이지 …isers.org/common/fileDown.aspx?f=07-%B9%AE%C7%F6%B... ·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에 따른 장애인의 공공기관 홈페이지 접근성 준수실태 및 요구분석 151

(2) 운용의 용이성

운용의 용이성에서는 <표 3-4>과 같이 콘텐츠간의 이동이나 키보드의 사용보다도 웹

페이지가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있거나 광고나 안내와 같은 시간에 따라 움직이는 자바스

크립트 구현의 문제로 인하여 제어가 힘든 점이 인터넷 정보접근을 방해한다고 하였다.

<표 3-4> 운용의 용이성 지표영역 항목별 준수실태 (단위 : %)

항 목 준수율

(6) 웹 페이지 안에 프레임이 있는 경우, 프레임의 내용을 이해할 수 있는 적절한 제목이

제공되어 있습니까?95.8

(7) 깜빡이는 콘텐츠(사진, 영상, 텍스트 등)가 있는 경우 사전 안내가 있습니까? 해당없음

(8) 각 페이지의 모든 정보를 키보드(Tab키와 Shift+Tab키)만으로 접근할 수 있습니까? 99.6

(9) 페이지별로 ‘본문 바로가기(건너뛰기)’ 등이 설정되어 있어 사용자가 보고자 하는 주요

콘텐츠로 바로 이동이 가능합니까?99.7

(10) 시간제한이 있는 콘텐츠의 경우 시간제한 조절(시작, 중지, 전체 보기)이 가능합니까? 80

(11) 새 창 열기나 팝업 창이 열리기 전에 안내 메시지가 제공됩니까? 99.3

전체 준수율 94.9

특히 시각장애인의 경우 프레임의 적절한 제목이 없거나 웹페이지의 프레임에서 스크린

리더로 읽을 시 ‘리스트’라고만 말해주고 정확히 무엇에 대한 목록인지 구체적인 정보가

없다고 대답하였다. 운용의 용이성 지표영역을 포함하여 전 지표영역을 통틀어 준수율이

가장 낮은 항목은 시간제한이 있는 콘텐츠의 시간 조절 가능성 여부에 대한 것으로 준수

율이 80%에 그쳤다. 이는 움직이는 메뉴나 홍보의 경우 시간제한버튼이 있음에도 불구하

고 자바스크립트의 오류 등 마우스로 운용하기가 어렵거나 중지하는 것이 힘들기 때문으

로 보고하였다.

(3) 이해의 용이성

이해의 용이성에서는 <표 3-5>와 같이 게시물의 경우 소제목과 내용을 구분할 수 있

도록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500여 페이지나 되는 페이지마다 대부분 적절한 제목이

제공되고 있지만, 몇 개 페이지들이 제목이 불일치하는 경우가 있다고 보고하였다.

Page 14: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에 따른 장애인의 공공기관 홈페이지 …isers.org/common/fileDown.aspx?f=07-%B9%AE%C7%F6%B... ·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1권 제2호)152

<표 3-5> 이해의 용이성 지표영역 항목별 준수실태 (단위 : %)

항 목 준수율

(12) 표나 게시물 등에 전체 제목이나 요약정보가 제공됩니까? 99.8

(13) 표나 게시물 등에 접근할 경우 소제목과 내용을 구분하고 이해할 수 있는 정보가 제공

됩니까?99.9

(14) 해당페이지에 적절한 페이지 제목이 제공됩니까? 94.6

(15) 웹 페이지의 정보가 각 메뉴 별로 이해하기 쉽도록 위에서 아래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순서에 맞게 정렬되어 있습니까?100

(16) 웹 페이지에서 특정 정보를 선택 혹은 입력(예, 검색창에 입력)해야 하는 경우, 선택

하거나 입력하라는 안내메시지를 제공합니까?99.9

전체 준수율 98.8

(4) 기술적 진보성

기술적 진보성에서는 <표 3-6>과 같이 대부분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시하는 페이지

들은 별도의 프로그램 없이 내용에 접근이 가능한 형태로 되어있어서 게시물의 링크나 버

튼, 검색기능이 적절히 작동되고 있지만, 게시물쓰기의 경우 웹에디터나 공공기관의 성격

으로 본인인증방식(i-pin)과 같은 것을 사용함으로써 일부페이지에서는 ActiveX를 설치

해야하는 경우가 있어 정보접근이 어려웠다고 보고하고 있다. 또한 첨부파일 중 일부가

웹페이지에서 바로 열려서 읽혀야 되는 형태가 아닌 열렸다가 다시 닫히는 등 매회 다운

로드 받아야 하는 것들에서 어려움이 있다고 보고했다.

<표 3-6> 기술적 진보성 지표영역 항목별 준수실태 (단위 : %)

항 목 준수율

(17) 별도의 프로그램을 설치해야 되는 경우(플래시, ActiveX 등) 설치하지 않고도 그 내용

에 접근할 수 있습니까?97.3

(18) 다음과 같은 기능들이 적절히 작동됩니까?

(1) 링크98.9

(2) 확인/삭제/수정 버튼 클릭 100

(3) 페이지 선택과 이동 99.7

(4) 특정 정보의 입력과 선택 100

전체 준수율 99.2

Page 15: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에 따른 장애인의 공공기관 홈페이지 …isers.org/common/fileDown.aspx?f=07-%B9%AE%C7%F6%B... ·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에 따른 장애인의 공공기관 홈페이지 접근성 준수실태 및 요구분석 153

3) 수행과제별 웹 접근성 준수실태

수행과제별에 따른 웹 접근성 준수실태에서는 <표 3-7>와 같이 총 15개의 항목 중 5

점의 리커트 척도(최우수, 우수, 보통, 미흡, 아주 미흡)로 나누어 평가하였다. 다른 장애

의 경우 어려움이 없었으나 특히 시각장애(저시력)의 경우 여러 번 클릭하여 메뉴에서 맵

이나 조직도와 같은 하위메뉴로 찾아가는 것이 용이하지 않았다고 보고하였다. 그 외에

인터넷 방송과 같이 프레임을 좌우로 나누어 좌측에는 영상을, 우측에는 설명을 제시하는

경우나, ActiveX와 같은 별도의 프로그램을 설치해야하는 경우 센스리더와 같은 프로그램

의 발전으로 접근은 가능하지만 불편하다고 언급하였다. 청각장애인들의 경우에도 인터넷

방송을 볼 때 자막서비스나 수화서비스가 없는 불편함을 보고하였다.

<표 3-7> 수행과제별 웹 접근성 준수실태 (단위 : %)

항 목 최우수 우수 보통 미흡 아주 미흡

1. 주메뉴에 접근하여 메뉴구조를 알아보기 83.3 - 16.7 - -

2. 메인페이지에서 제공하는 모든 정보 알아보기 100 - - - -

3. 메인페이지에서 새창 팝업 공지 여부를 확인하기 100 - - - -

4. 메인페이지 팝업 존에서 시간제한 기능 확인하기 100 - - - -

5. 메인페이지 인터넷방송 찾아 실행해보기 16.7 33.3 50 - -

6. 메인페이지 통합검색에서 검색어 “예산서”로

자료를 찾아보기100 - - - -

7. 경상남도 찾아오시는 길 찾아서 열어보기 66.6 - 16.7 16.7*

-

8. 조직도 찾아보기 83.3 - - 16.7*

-

9. 페이지 내용을 안내하는 제목이 있는지 확인하고

이해가 되는지 점검하기83.3 16.7 - -

10. 새소식 게시물 목록과 내용을 찾아보고 이전,

현재, 다음 목록으로 이동해보기100 - - - -

11. 새소식에서 첨부파일 다운로드 해보기 100 - - - -

12. 자유게시판에 글과 파일을 올려보고 저장,

수정, 삭제해보기100 - - - -

13. 자신이 원하는 페이지에 접근하여 내용 읽어

보고 이해되는지 확인하기100 - - - -

14. 회원가입 해보기 100 - - - -

15. 로그인 해보기 100 - - - -

Page 16: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에 따른 장애인의 공공기관 홈페이지 …isers.org/common/fileDown.aspx?f=07-%B9%AE%C7%F6%B... ·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1권 제2호)154

2. 공공기관 사이트의 개선 및 요구사항 분석

공공기관 사이트의 개선 및 요구사항에 대한 면담을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인식의 용이성에 대해서는 대부분 규정대로 웹개발자들이 프로그래밍을 하였지만, 구체

적인 내용전달에서 상세한 부분이 미흡하다는 결론이다. 형식적인 측면은 잘 준수되고 있

었지만, 내용을 전달하는 ‘메시지’까지 포괄하여 생각할 때 인식이 되는가의 여부가 아니

라 어떤 내용을 전달하고 있는가를 고려할 필요성이 있다.

1) 인식의 용이성

인식의 용이성에서는 <표 3-8>와 같이 대체텍스트를 제공하였다고 하더라도 구체적인

내용의 설명 없이 대체텍스트의 빈칸이나 단어만을 제공하는 경우에 대해 언급하였으며,

이미지의 파일 이름의 경우에도 상세하게 안내해주는 배려가 필요하다고 보고하였다. 또

한 멀티미디어의 경우 대체텍스트나 수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콘텐츠를 제공할 필요성이

있으며, 특히 저시력 장애 사용자에게는 화려한 색상이나 글꼴들이 오히려 가독성을 떨어

뜨리기 때문에 보편적인 글꼴사용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표 3-8> 웹 접근성 지표영역 인식의 용이성 개선방향

항 목 개 선 방 향

(1) (대체텍스트가 없는 경우) 각

페이지에서 이해할 수 없는 메뉴

소개나 설명이 있습니까?

<img> 태그 등으로 제공되는 모든 이미지 정보에서 alt 속성으로

이미지를 파악할 수 있는 텍스트 정보에서 alt 속성은 제시되어

있으나 alt="" 라고 표시할 경우 메뉴소개나 설명 없이 묵음으로

넘어가는 경우가 있음으로 alt 속성 사용시 내용이 반드시 제공되

어야 함.

(2) (대체텍스트가 있으나 구체적

이지 않은 경우) 각 페이지에서

메뉴를 제외한 정보 중 구체적

이지 않는 정보가 있습니까?

일부 <img>태그에서 간단한 단어만을 제시하는 경우 좀 더 부가

적인 정보를 반드시 제공해야할 필요가 있음.

(3) (대체텍스트가 있으나 무의미한

경우) 의미가 없어 읽힐 필요가

없는 이미지가 읽히는 경우가

있습니까?

일부 메뉴에서 한글사용이 아닌 주소나 <img>태그에서 이미지의

파일이름이 읽히는 경우는 alt속성의 내용을 재확인할 필요가

있음.

(4) 청각장애자일 경우 동영상, 음성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있는

경우 자막이나 원고, 또는 수화

를 제공합니까?

어린이광장 사이트에서 노래듣기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

할 때 대체 콘텐츠인 자막이나 텍스트, 수화로 제공할 필요가

있음.

Page 17: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에 따른 장애인의 공공기관 홈페이지 …isers.org/common/fileDown.aspx?f=07-%B9%AE%C7%F6%B... ·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에 따른 장애인의 공공기관 홈페이지 접근성 준수실태 및 요구분석 155

(5) 흑백칼라처럼 색상을 배제하여도

명암이나 패턴, 또는 텍스트를

통해 원하는 정보를 접근하여

구분할 수 있습니까?

저시력 장애의 경우 웹페이지의 글꼴이나 화려한 색상들이 오히려

웹페이지의 가독성을 떨어뜨리는 결과를 지니게 됨.

따라서 웹 폰트타입을 가능한 보편적 폰트타입으로 설정해야 함.

2) 운용의 용이성

운용의 용이성에서는 <표 3-9>과 같이 프레임의 불편함을 크게 언급하였으며 특히 메

뉴 부분에서는 메뉴 수의 적절성도 언급하였다. 지체장애의 경우 키보드만으로 운영되거

나 혹은 시각장애의 경우 리더기를 통해서 읽는 경우 선형방식으로 읽기 때문에 Ctrl+F

키를 이용하여 주로 사용한다고 하는데 이때에도 메뉴의 수가 많으면 찾는데 시간이 많이

걸린다고 하였다.

<표 3-9> 웹 접근성 지표영역 운용의 용이성 개선방향

항 목 개 선 방 향

(6) 웹 페이지 안에 프레임이 있는

경우, 프레임의 내용을 이해할

수 있는 적절한 제목이 제공되어

있습니까?

특정 한 페이지에서 프레임으로 나눈 정보에 내용이 링크되지 않

았음. 또한 프레임을 접근할 때는 스크린 리더에서 프레임을 잘 인

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음으로 <iframe>등으로 쓰는 프레임은 되

도록 같은 페이지 안에 구현할 수 있도록 할 것.

(7) 깜빡이는 콘텐츠(사진, 영상, 텍스

트 등)가 있는 경우 사전 안내가

있습니까?

잘 준수되어 있음으로 별다른 개선사항 없음.

(8) 각 페이지의 모든 정보를 키보드

(Tab키와 Shift+Tab키)만으로

접근할 수 있습니까?

사지마비 장애인들에게는 Tab키로 일일이 이동해야하는 어려움이

있음. 따라서 본문바로가기의 일환인 네비게이터(현재페이지의 위

치확인 및 링크로 이동)를 이용할 수 있도록 구현해줄 필요가 있

으며 많은 메뉴는 자칫 키보드만으로 이동할 때 많은 시간을 요할

수 있음.

(9) 페이지별로 ‘본문 바로가기(건너

뛰기)’ 등이 설정되어 있어 사용

자가 보고자 하는 주요 콘텐츠로

바로 이동이 가능합니까?

잘 준수되어 있음으로 별다른 개선사항 없음.

(10) 시간제한이 있는 콘텐츠의 경우

시간제한 조절(시작, 중지, 전체

보기)이 가능합니까?

시간조절버튼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마우스를 움직이면 다시 해제

되는 현상이 있음으로 콘텐츠 저작물을 구현 시 자동 해제 현상없

이 동작가능 하도록 구현해 주는 것이 필요함.

(11) 새 창 열기나 팝업 창이 열리기

전에 안내 메시지가 제공됩니까?잘 준수되어 있음으로 별다른 개선사항 없음.

Page 18: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에 따른 장애인의 공공기관 홈페이지 …isers.org/common/fileDown.aspx?f=07-%B9%AE%C7%F6%B... ·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1권 제2호)156

3) 이해의 용이성

이해의 용이성에서는 <표 3-10>과 같이 표나 게시물에 접근할 때 영어와 한글이 혼용

되어서 나타나기 때문에 하나의 언어로 제시하였으면 좋겠다는 의견과 해당페이지의 제목

이나 통합검색 시 탭으로 구분되어 결과가 나타내어지는 경우 검색된 개수보다도 탭 구분

의 정확한 메뉴 안내정보가 필요하다고 언급함으로써 형식이 아닌, 내용의 질적 부분에

대한 개선사항을 요구하였다.

<표 3-10> 웹 접근성 지표영역 이해의 용이성 개선방향

항 목 개 선 방 향

(12) 표나 게시물 등에 전체 제목

이나 요약정보가 제공됩니까? 잘 준수되어 있음으로 별다른 개선사항 없음.

(13) 표나 게시물 등에 접근할 경우

소제목과 내용을 구분하고 이해

할 수 있는 정보가 제공됩니까?

스크린 리더를 사용하여 게시물 페이지 이동시 영어와 한글이 혼용

되어 나타나기 때문에 하나의 언어로 통일해서 안내해 줄 필요가

있음.

(14) 해당페이지에 적절한 페이지

제목이 제공됩니까?

새 창으로 열리는 페이지의 경우 적절한 페이지 제목이 없거나 네비

게이터(현재페이지의 위치확인)상의 제목이 적절하게 부합되지 않

는 일부 페이지는 수정해줄 필요가 있음.

(15) 웹 페이지의 정보가 각 메뉴 별로

이해하기 쉽도록 위에서 아래

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순서에

맞게 정렬되어 있습니까?

메뉴별로 스크린리더에서 안내해줄 시 영어와 한글이 혼용되어 나타

나기 때문에 하나의 언어로 통일해서 안내해 줄 필요가 있음. 또한

통합검색 시에 탭으로 구분되어 있는 경우 탭의 메뉴 구분보다는

검색된 개수를 읽어주는 경우가 있음으로 탭 구분 시 정확한 메뉴

안내<alt 속성 이용>를 제시해 줄 필요가 있음.

(16) 웹 페이지에서 특정 정보를 선택

혹은 입력(예, 검색창에 입력)해야

하는 경우, 선택하거나 입력하

라는 안내메시지를 제공합니까?

잘 준수되어 있음으로 별다른 개선사항 없음.

4) 기술적 진보성

기술적 진보성에서는 <표 3-11>과 같이 저시력 장애인의 경우가 가장 접근이 어려웠

는데 예를 들어 웹북의 해상도를 맞추어 놓았거나, 관련정보를 파일형태로 게재하였을 경우

리더기에서 다운로드해서 꼭 읽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ActiveX와

같은 별도의 설치프로그램이 필요할 경우 사전안내가 없거나 다른 프로그램과의 연동 시

에도 연결 오류라든지 사전안내의 부재들이 문제점으로 언급되어졌다. 즉, 기술의 진보성

에서는 정보의 포맷자체가 융통적인가와 다른 프로그램과 호완성이 있는가, 그리고 구체

적으로 사전안내를 해놓았는가가 개선방향으로 언급되었다.

Page 19: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에 따른 장애인의 공공기관 홈페이지 …isers.org/common/fileDown.aspx?f=07-%B9%AE%C7%F6%B... ·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에 따른 장애인의 공공기관 홈페이지 접근성 준수실태 및 요구분석 157

<표 3-11> 웹 접근성 지표영역 기술적 진보성 개선방향

항 목 개 선 방 향

(17) 별도의 프로그램을 설치해야

되는 경우(플래시, ActiveX 등)

설치하지 않고도 그 내용에 접근

할 수 있습니까?

오히려 저시력장애인의 경우 대형스크린을 사용함으로 해상도가

낮은 화면에서는 특정 해상도(예:1024x768)에만 맞춘 웹북의 경우

접근이 불가할 수 있음. 또한 일부페이지에서 pdf나 hwp파일을 첨

부파일로 해놓은 경우 바로 열리지 않고 다운로드를 해야 열리는

경우가 있음으로 첨부파일보다는 되도록 웹페이지의 내용으로 텍

스트화 하여 제공해줄 필요가 있음. 또한 ActiveX를 부득이하게

설치할 경우 사전안내 및 대체 콘텐츠를 제공해 줄 필요가 있음.

(18) 다음과 같은 기능들이 적절히

작동됩니까?

(1) 링크

링크 게시물 중에서도 웹사이트의 관리자 이메일과 같은 mail to:

태그는 outlook프로그램이 별도로 깔려있어야 하며 이와 연동하는

과정에서 링크의 오류가 많기 때문에 별도의 이메일 발송 페이지

를 만들 필요가 있음. 링크가 되어있어야 하는 부분에 링크 연결이

없거나 링크를 열었을 때 오류가 발생하는 부분을 확인해야 할 필요

가 있음.

(2) 확인/삭제/수정 버튼 클릭

(3) 페이지 선택과 이동

(4) 특정 정보의 입력과 선택

잘 준수되어 있음으로 별다른 개선사항 없음.

Ⅳ. 결 론

본 연구에서는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에 따른 장애영역별 공공기관 홈페이지 준

수실태와 그 공공기관 홈페이지 개선사항으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른

논의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에 따른 장애영역별 공공기관 홈페이지 준수실태는

모든 지표영역에서 90% 이상 준수되고 있었다. 그러나 아직 운용의 용이성의 준수율이

다른 지표에 비해 낮게 나타났으며, 항목별 준수실태에 있어서는 대체텍스트의 제공이나

제목의 불일치 등이 간혹 지켜지지 않았고, 특히 문제가 되는 사항으로는 ActiveX 프로그

램의 사용이나 자바스크립트 사용으로 인한 오류가 있었다. 이러한 지표의 높은 준수율과

는 달리 실제 사용자 입장에서의 수행과제 점검에서는 지표에서 밝히지 못한 문제점들을

제시하였다. 전맹 장애인의 경우에는 키보드를 통해 접근이 용이한 것으로 점검했던 지표

수행과는 달리 저시력 장애인의 경우 전체 맵이나 조직도와 같은 하위메뉴 형태나 그림들

을 파악하는데 용이하지 않았으며, 청각장애인들의 경우 인터넷 방송에 접근하기가 용이

Page 20: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에 따른 장애인의 공공기관 홈페이지 …isers.org/common/fileDown.aspx?f=07-%B9%AE%C7%F6%B... ·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1권 제2호)158

하지 않았다고 보고함으로써 사용자 입장에서 기술적 보완이 필요한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또한, 이해의 용이성의 경우 페이지 내용에 대한 파악에서 일부 접근이 용이하지 않다고

보고함으로써 개발자 입장에서와 다른 반응을 나타내었다.

둘째로, 과제수행 결과에 따른 공공기관 홈페이지 개선사항에서는 웹페이지가 정보를

제공하는 매체인 만큼 양적인 부분도 중요하지만 질적인 부분에서 내용의 전달성에 중점

을 맞춰 개선을 고려해 달라는 요구가 공통적인 요구사항이었다. 이에 따른 네 가지 지표

에서의 요구사항을 살펴보면, 인식의 용이성의 경우 전맹 장애인은 세부 정보에 대한 대

체텍스트 제공, 저시력 장애인은 배경색상과 글자색상의 변환기능이나 텍스트 전용 웹사

이트의 제공, 해독이 용이한 표준글꼴 사용을 통한 개선사항을 요구하였다. 저시력 장애인

의 요구는 나은주(2005)의 연구에서처럼 다양한 콘텐츠를 활용하면서도 지루하지 않는

인터페이스 디자인 구현과 글씨체의 크기, 자간, 행간의 간격, 메뉴의 간결함과 정적인 형태,

텍스트의 확대ㆍ축소기능의 자율화 등이 필요하다고 언급한 내용과 일맥한다. 청각장애인

의 경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자막이나 수화서비스의 제공을 요구하였다.

운용의 용이성에서는 프레임의 불편을 가장 크게 언급하였으며 개인에게 불필요한 메뉴

의 양에 대한 적절성도 언급하였다. 지체장애인의 경우나 전맹 장애인의 경우 주로 Ctrl

+F의 키보드 기능으로 메뉴를 찾는데 효율성이 떨어진다고 보고한 것을 볼 때 지표에서

처럼 키보드로 운용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넘어 사용자가 어떻게 활용하느냐의 정보도 필

요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본 연구를 통해 개발자 측면의 현재 지표의 양적인 수행율

과는 달리 사용자 입장에서의 현재 지표와 실질적인 수행과제를 통해 알아본 결과, 사용

자 입장을 고려한 웹 접근성 준수항목이 현재 점검표에서 추가적으로 있어야 하며, 각 장

애별, 그리고 장애의 수준별 입장을 고려한 항목이 추가적으로 보완되어야 하겠다.

Page 21: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에 따른 장애인의 공공기관 홈페이지 …isers.org/common/fileDown.aspx?f=07-%B9%AE%C7%F6%B... ·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에 따른 장애인의 공공기관 홈페이지 접근성 준수실태 및 요구분석 159

참 고 문 헌

김민규 (2009). 장애인의 웹 접근성 평가도구 개발.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김용섭, 이민창, 오군석, 김영일, 이명희 (2007). 시각장애인의 웹 접근성 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특수교육

저널: 이론과 실천, 8(2), 197-225.

김정현 (2002). 시각장애 학생의 웹 접근성에 관한 연구.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3(2), 66-95.

나은주 (2005). 저시력 장애인의 웹 디자인 접근성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박성수 (2009). 국내 특수학교 홈페이지의 웹 접근성 평가 및 분석.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박지영 (2010). 저시력 장애인의 웹 접근성 향상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박형성, 박성수 (2006). 뇌성마비 학생의 웹 접근성 향상을 위한 인터페이스 개발. 특수교육학연구, 41(1),

111-132.

이명희 (2006). 시각장애인의 웹 접근성 실태조사 연구. 조선대학교 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정보통신부 (2004).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1.0(TTAS.OT-10.0003).

정보통신부(2005). 인터넷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한국정보통신표준(KICS.OT-10.0003).

정보통신부 (2009).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2.0(TTAK.OT-10.0003/R1): 단체표준.

정보통신부 (2010).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2.0(KICS.OT-10.0003/R1): 국가표준.

홍경순 (2009). 특수교육기관을 위한 웹 접근성 제고 방안. 새 시대로 도약하는 2009년 특수교육의 비전,

115-135.

한국정보문화진흥원 (2005a). 2005 웹 접근성 실태조사.

한국정보문화진흥원 (2005b). 웹 접근성 평가프로그램 KADO-WAH 사용자 가이드.

한국정보문화진흥원 (2006). 2006 웹 접근성 실태조사.

행정안전부 (2009). 장애인을 위한 전자정부서비스 획기적 개선. 행정안전부 보도자료.

Karrenman, J., Geest, T., & Buursink, E. (2007). Accessible website content guidelines, for user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Journal of Applied Research in Intellectual Disabilities, 20,

510-518.

W3C Recommendation, “Web Content Accessibility Guidelines 2.0”, Dec, 2008.

Page 22: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에 따른 장애인의 공공기관 홈페이지 …isers.org/common/fileDown.aspx?f=07-%B9%AE%C7%F6%B... ·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1권 제2호)160

<Abstract>

The Current Condition and Need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for Web Accessibility on the Public Institution’s

web-site using the KWCAG 2.0

Mun, Hyun Mi ㆍ Shin, Yun Hee

This study was to figure out the current conditions and need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for web accessibility on the public institution’s web-site using the

KWCAG 2.0. The participants were 6 (2 users with visual disability, 2 users

with hearing disability, 2 users with physical disability) as a web-user. 550 web

pages were reviewed by the participants using the checklist revised KWCAG and

task-list for web-user. All of data was analyzed by frequency and Likert sca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found two things.

First, the accessible rate was high over 90% in the subscales of KWCAG 2.0.

However, the task-list rate was different, reporting they had some difficulties

for assessing some of pages. Second, Main needs by the participants was easy

understanding of context beyond checklist’s accomplishment.

Therefore, we suggest that the checklist focusing on web developer needs to

take complimentary items focusing on web users.

Key Words : web accessibility, user with disability, KWCAG

논문접수 : 2012. 05. 01 / 논문심사일 : 2012. 05. 07 / 게재승인 : 2012. 06.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