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6
한국 대외개발원조의 현황과 사례 2011년 10월 4일(화) KOICA 문상원 과장 1

한국 대외개발원조의 현황과 사례 - Donggukocw.dongguk.edu/contents/2011/2011115152132/pdf2011115152132.pdf수원과 공여의 사례 : 교과서보급사업. 10 . 대한민국은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한국 대외개발원조의 현황과 사례 - Donggukocw.dongguk.edu/contents/2011/2011115152132/pdf2011115152132.pdf수원과 공여의 사례 : 교과서보급사업. 10 . 대한민국은

한국 대외개발원조의 현황과 사례

2011년 10월 4일(화)

KOICA 문상원 과장

1

Page 2: 한국 대외개발원조의 현황과 사례 - Donggukocw.dongguk.edu/contents/2011/2011115152132/pdf2011115152132.pdf수원과 공여의 사례 : 교과서보급사업. 10 . 대한민국은

목차

I. 우리나라의 ODA 현황과 사례

II. 원조효과성에 기반한 ODA 수행전략

2

Page 3: 한국 대외개발원조의 현황과 사례 - Donggukocw.dongguk.edu/contents/2011/2011115152132/pdf2011115152132.pdf수원과 공여의 사례 : 교과서보급사업. 10 . 대한민국은

우리나라의 ODA 현황과 사례

3

Page 4: 한국 대외개발원조의 현황과 사례 - Donggukocw.dongguk.edu/contents/2011/2011115152132/pdf2011115152132.pdf수원과 공여의 사례 : 교과서보급사업. 10 . 대한민국은

빈곤한 가계 1인당 자본

(부정적) 인구증가, 감가

공공예산

공적개발 원조(ODA)

예산지원

인도적 구제 공공투자

공적개발원조(ODA)의 역할

경제성장

기본적 필요

가계저축

Source: J.Sachs(2005)

Page 5: 한국 대외개발원조의 현황과 사례 - Donggukocw.dongguk.edu/contents/2011/2011115152132/pdf2011115152132.pdf수원과 공여의 사례 : 교과서보급사업. 10 . 대한민국은

원조의 필요성

전쟁의 폐허 속에서 오늘의 경제성장을 이루기까지 미국을

비롯한 선진 우방국 및 국제기구의 원조가 크게 기여

과거 수원국으로서 받은 지원을 국제사회에 환원한다는

도덕적 의무감의 실천

개발협력의 수혜자

Page 6: 한국 대외개발원조의 현황과 사례 - Donggukocw.dongguk.edu/contents/2011/2011115152132/pdf2011115152132.pdf수원과 공여의 사례 : 교과서보급사업. 10 . 대한민국은

원조의 필요성

자원빈국으로 무역 입국한 우리나라는 국제사회, 특히 개도국에

대한 의존도가 특히 높으며, 개도국 지원을 통한 수출시장 및 자원의 안정적 확보는 우리의 국가안보 및 국가생존에 직결됨.

– 현재 생존의 기본 문제인 에너지의 97%, 곡물의 71%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임.

높은 대외의존도와 개도국의 중요성

무역마찰 등 수출확대에 따른 부작용을 완화하고, 경제협력강화 및 신흥시장 개척 등을 위해 ODA를 십분 활용할 필요

– ’04년도 우리나라는 대개도국 무역에서 218억불 흑자, 대선진국 무역에서는 68억불 적자 기록

Page 7: 한국 대외개발원조의 현황과 사례 - Donggukocw.dongguk.edu/contents/2011/2011115152132/pdf2011115152132.pdf수원과 공여의 사례 : 교과서보급사업. 10 . 대한민국은

외교통상 및 경제진출의 무기

원조의 필요성

개발협력사업은 국제사회에서 관계(relationship)를 만드는 국가

적 비즈니스이며, 이는 개도국과의 협력관계 증진을 통하여 우리

의 수출기반 및 지지기반 확대로 나타남.

Page 8: 한국 대외개발원조의 현황과 사례 - Donggukocw.dongguk.edu/contents/2011/2011115152132/pdf2011115152132.pdf수원과 공여의 사례 : 교과서보급사업. 10 . 대한민국은

국제사회위상에 맞는 역할 수행

원조의 필요성

국제사회에서 국력에 상응한 책임과 역할 분담 필요

선진경제권으로 도약하는 국가의 이미지 개선

개도국의 지원요청에 적극 부응하고 빈곤완화, 환경, 인구문제 등

범지구적 문제 해결을 위한 세계적 노력에 적극 동참하여 세계 평

화와 안정에 기여

Page 9: 한국 대외개발원조의 현황과 사례 - Donggukocw.dongguk.edu/contents/2011/2011115152132/pdf2011115152132.pdf수원과 공여의 사례 : 교과서보급사업. 10 . 대한민국은

수원의 역사

우리나라 ODA의 역사

Page 10: 한국 대외개발원조의 현황과 사례 - Donggukocw.dongguk.edu/contents/2011/2011115152132/pdf2011115152132.pdf수원과 공여의 사례 : 교과서보급사업. 10 . 대한민국은

수원과 공여의 사례 : 교과서보급사업

10

대한민국은 1951년 12월부터 1953년까지 해외에서 원조 받은 종이로 교과서를 만들었다. 하지만 이제는 라오스 학생들에게 교과서를 지원하고 있다. 위 사진은 라오스 교과서 지원을 다룬 본보 6일자 A4면 기사. 아래는 1950년대 외국 지원으로 만든 교과서 표지(왼쪽)와 안내문. 사진 제공 교과서박물관

東亞日報

Page 11: 한국 대외개발원조의 현황과 사례 - Donggukocw.dongguk.edu/contents/2011/2011115152132/pdf2011115152132.pdf수원과 공여의 사례 : 교과서보급사업. 10 . 대한민국은

수원과 공여의 사례 2 : 농업지원 사업

11

Page 12: 한국 대외개발원조의 현황과 사례 - Donggukocw.dongguk.edu/contents/2011/2011115152132/pdf2011115152132.pdf수원과 공여의 사례 : 교과서보급사업. 10 . 대한민국은

우리나라 공여의 역사

UN 및 기타 국제기구와의 협력사업으로 외국인초청 훈련 실시 ( 외무부,과기처 )

미국 AID원조계획 및 자금에 의거 개도국 연수생 초청훈련 최초 실시 ( 외무부, 과기처 )

1963년 연수생초청

1967년 전문가파견

1977년 물자공여

1987년 EDCF

1991년 KOICA 2009년

OECD DAC 가입

Page 13: 한국 대외개발원조의 현황과 사례 - Donggukocw.dongguk.edu/contents/2011/2011115152132/pdf2011115152132.pdf수원과 공여의 사례 : 교과서보급사업. 10 . 대한민국은

+ 원조 공여국 1950년대 1인당

국내 총생산 53불(USD) 1960년까지 물자원조(무상) 수원: 30억불(USD)

개발원조 형태 변화-기술협력 및 유상원조 형태의 양허성 차관 1960-70: 17억불(USD) 수원

1990년대 공여국으로 전환 GDP 증가 1953년 10억불2009년 8330억불(USD)

경제 약소국 1945-1960

원조 공여국으로 전환 1990~

경제 개발 5년 계획 1960-1970

원조 수원국

13

발전과정

Page 14: 한국 대외개발원조의 현황과 사례 - Donggukocw.dongguk.edu/contents/2011/2011115152132/pdf2011115152132.pdf수원과 공여의 사례 : 교과서보급사업. 10 . 대한민국은

+ DAC 선진 공여국

신흥공여국

11.25 OECD/DAC

가입

2010.1.1 OECD/DAC 회원국 활동 선진원조 시스템 구축

GNI 대비 ODA 비율 0.15% 달성 (2조8천억원 규모)

현재

2015년

2010년

신흥공여국 Emerging Donor

2009년 2010년 2012년 2015년

GNI 대비 ODA 비율 0.25% 달성 MDGs달성 에 기여

국민에게 지지받는

선진공여국으로

자리매김

무상원조비율 확대 비구속성 원조 확대 원조효과성 증대 국민지지도 향상

지원현황

14

Page 15: 한국 대외개발원조의 현황과 사례 - Donggukocw.dongguk.edu/contents/2011/2011115152132/pdf2011115152132.pdf수원과 공여의 사례 : 교과서보급사업. 10 . 대한민국은

우리나라 ODA체계

15

* 국제개발협력위원회 / 국무총리실-개발협력정책관실(2010.1.1신설)

Page 16: 한국 대외개발원조의 현황과 사례 - Donggukocw.dongguk.edu/contents/2011/2011115152132/pdf2011115152132.pdf수원과 공여의 사례 : 교과서보급사업. 10 . 대한민국은

국제개발협력의 기본골격

16

Page 17: 한국 대외개발원조의 현황과 사례 - Donggukocw.dongguk.edu/contents/2011/2011115152132/pdf2011115152132.pdf수원과 공여의 사례 : 교과서보급사업. 10 . 대한민국은

국제개발 협력 기본 방향

① “수원국에 희망을” 개도국의 빈곤퇴치와 자립

② “국제사회에 모범을” 국제사회의 보편적 가치 추구

③ “국민에게 자긍심을” 우리나라의 국격 제고

Page 18: 한국 대외개발원조의 현황과 사례 - Donggukocw.dongguk.edu/contents/2011/2011115152132/pdf2011115152132.pdf수원과 공여의 사례 : 교과서보급사업. 10 . 대한민국은

국제개발협력의 기본골격

원조규모 약 3배 증가

GNI대비 0.25%

GNI대비 0.1%

Page 19: 한국 대외개발원조의 현황과 사례 - Donggukocw.dongguk.edu/contents/2011/2011115152132/pdf2011115152132.pdf수원과 공여의 사례 : 교과서보급사업. 10 . 대한민국은

국제개발 선진화 방안

19

국제개발협력 기반 확대

국민적 공감대 확보 / 국민과 함께하는 개발협력 / 전문인력 양성

국제개발협력의 기본골격

OECD DAC 회원국 / ODA 규모 및 비율 / 통합체계 구축

Page 20: 한국 대외개발원조의 현황과 사례 - Donggukocw.dongguk.edu/contents/2011/2011115152132/pdf2011115152132.pdf수원과 공여의 사례 : 교과서보급사업. 10 . 대한민국은

국제개발협력의 기본골격

• •

Page 21: 한국 대외개발원조의 현황과 사례 - Donggukocw.dongguk.edu/contents/2011/2011115152132/pdf2011115152132.pdf수원과 공여의 사례 : 교과서보급사업. 10 . 대한민국은

개발협력 콘텐츠의 구성

21

개발경험 + 사업기술 + 감성분야 원조모델에 활용

Page 22: 한국 대외개발원조의 현황과 사례 - Donggukocw.dongguk.edu/contents/2011/2011115152132/pdf2011115152132.pdf수원과 공여의 사례 : 교과서보급사업. 10 . 대한민국은

원조시스템의 효과적 개편

22

Page 23: 한국 대외개발원조의 현황과 사례 - Donggukocw.dongguk.edu/contents/2011/2011115152132/pdf2011115152132.pdf수원과 공여의 사례 : 교과서보급사업. 10 . 대한민국은

원조시스템의 효과적 개편

23

26개국

70% 이상

국제사회 주요기준 지역별 안배

원조의 효과적 수행여건 등을 종합 고려

Page 24: 한국 대외개발원조의 현황과 사례 - Donggukocw.dongguk.edu/contents/2011/2011115152132/pdf2011115152132.pdf수원과 공여의 사례 : 교과서보급사업. 10 . 대한민국은

원조시스템의 효과적 개편

24

유무상 합동전담팀

Page 25: 한국 대외개발원조의 현황과 사례 - Donggukocw.dongguk.edu/contents/2011/2011115152132/pdf2011115152132.pdf수원과 공여의 사례 : 교과서보급사업. 10 . 대한민국은

원조시스템의 효과적 개편

25

Page 26: 한국 대외개발원조의 현황과 사례 - Donggukocw.dongguk.edu/contents/2011/2011115152132/pdf2011115152132.pdf수원과 공여의 사례 : 교과서보급사업. 10 . 대한민국은

원조시스템의 효과적 개편

26

Page 27: 한국 대외개발원조의 현황과 사례 - Donggukocw.dongguk.edu/contents/2011/2011115152132/pdf2011115152132.pdf수원과 공여의 사례 : 교과서보급사업. 10 . 대한민국은

원조시스템의 효과적 개편

27

Page 28: 한국 대외개발원조의 현황과 사례 - Donggukocw.dongguk.edu/contents/2011/2011115152132/pdf2011115152132.pdf수원과 공여의 사례 : 교과서보급사업. 10 . 대한민국은

원조시스템의 효과적 개편

28

패키지형 사업 : 중점분야/중점지역의 여러 사업 간 유기적 연계

소득증대 교 육

의 료 전력공급

타당성 조사

원조사업

인프라

· 기술전수

· 기자재지원

사후관리

사례 사례

Page 29: 한국 대외개발원조의 현황과 사례 - Donggukocw.dongguk.edu/contents/2011/2011115152132/pdf2011115152132.pdf수원과 공여의 사례 : 교과서보급사업. 10 . 대한민국은

원조시스템의 효과적 개편

29

80%

10배

Page 30: 한국 대외개발원조의 현황과 사례 - Donggukocw.dongguk.edu/contents/2011/2011115152132/pdf2011115152132.pdf수원과 공여의 사례 : 교과서보급사업. 10 . 대한민국은

국제활동의 강화

30

Page 31: 한국 대외개발원조의 현황과 사례 - Donggukocw.dongguk.edu/contents/2011/2011115152132/pdf2011115152132.pdf수원과 공여의 사례 : 교과서보급사업. 10 . 대한민국은

31

국제개발협력을 통한 소프트 파워 제고: 우리의 선택은?

• 공여국의 단기적 (경제적) 이익 추구보다는 수원국 중심의 원조의 효과성 증진을 목표로 장기적으로 접근해야 궁극적으로 공여국의 국가 이미지 및 브랜드 가치가 향상

- 개발협력 제공 -> 선의 (Goodwill) 축적 -> 국가 이미지 제고 -> 국가 브랜드 가치 향상 => 우리 물품 및 기업 진출

※ 일본 VS 북유럽의 이미지

Page 32: 한국 대외개발원조의 현황과 사례 - Donggukocw.dongguk.edu/contents/2011/2011115152132/pdf2011115152132.pdf수원과 공여의 사례 : 교과서보급사업. 10 . 대한민국은

원조효과성에 기반한

ODA 수행 전략

32

Page 33: 한국 대외개발원조의 현황과 사례 - Donggukocw.dongguk.edu/contents/2011/2011115152132/pdf2011115152132.pdf수원과 공여의 사례 : 교과서보급사업. 10 . 대한민국은

33

원조효과성 (Aid Effectiveness) 제고

’05년 “원조효과성 제고를 위한 파리선언”

’08년 “아크라 행동선언(AAA)”

원조 실시체계 및 수행방식의 선진화, 포괄적 파트너십 구축, 평가시스템 강화, 취약국 및 최빈국에 대한 지원 확대 등에 대해 논의, 합의 도출

2011년, 제4차 HLM (서울)

Page 34: 한국 대외개발원조의 현황과 사례 - Donggukocw.dongguk.edu/contents/2011/2011115152132/pdf2011115152132.pdf수원과 공여의 사례 : 교과서보급사업. 10 . 대한민국은

파리선언 원칙

34

□ 주인의식(Ownership) ㅇ 개발의 일차적 책임은 수원국 정부에 있음. □ 원조일치(Alignment) ㅇ 공여국이 개발활동에서 수원국의 제도와 전략, 절차를 지원하고 활용 □ 원조조화(Harmonisation) ㅇ 공여국간의 원조정책 연계 및 분업강화를 통해 개도국내에서 공여국간, 공여국-공여기관간 원조중복 및 파편화 방지 □ 성과중심 관리(Managing for Results) ㅇ 수원국의 국가개발전략과 예산편성 연계를 강화시키고 전략의 추진실적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을 통해 개발활동 성과 제고 □ 상호책임(Mutual Accountability) ㅇ 파리선언 이행공약에 대해 수원국과 공여국이 공동으로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 마련

Page 35: 한국 대외개발원조의 현황과 사례 - Donggukocw.dongguk.edu/contents/2011/2011115152132/pdf2011115152132.pdf수원과 공여의 사례 : 교과서보급사업. 10 . 대한민국은

파리선언 12개 지표

35

5대원칙 12개 지표

주인 의식

1. 수원국의 구체적인 국가개발전략 수립 : 중기 재정지출 및 연간예산이 반영된 국가개발전략을 가지고 있는 국가수

원조 일치

2. 신뢰할 수 있는 국가 시스템 구축 : 신뢰할만한 공공조달시스템과 공공재정관리시스템을 가지고 있는 국가수

3. 수원국 예산에 통합된 원조 : 수원국 국가예산에 보고된 분야 지원 원조자금비율

4. 조율된 지원을 통한 수원국 역량강화 : 수원국의 국가개발전략과 부합하는 프로그램을 통한 개발역량지원 비율

5(a). 수원국 공공재정관리시스템 활용 : 수원국의 공공재정관리시스템을 활용하는 공여국 수와 원조자금의 비율

5(b). 수원국 공공조달시스템 활용 : 수원국의 공공조달시스템을 활용하는 공여국 수와 원조자금의 비율

6. 프로젝트 수행조직 중복회피를 통한 수원국 역량강화 : 프로젝트 수행조직(PIU)의 수

7. 원조의 예측가능성 제고 : 합의된 일정에 따라 집행되는 원조자금의 비율

8. 원조의 비구속화 확대 : 비구속화 비율

Page 36: 한국 대외개발원조의 현황과 사례 - Donggukocw.dongguk.edu/contents/2011/2011115152132/pdf2011115152132.pdf수원과 공여의 사례 : 교과서보급사업. 10 . 대한민국은

파리선언 12개 지표

36

5대원칙 12개 지표

원조 조화

9. 공여국간 공동합의 및 공동절차 활용 : 프로그램원조(PBA)로 제공된 원조의 비율

10. 공여국간 공동 분석 유도 : 공여국간 공동 현지조사 및 공동국가분석 비율

성과 관리

11. 성과중심체제 구축 : 국가개발전략과 분야별 프로그램에 대한 이행성과를 평가하기 위한 투명하고 모니터링 가능한 평가시스템을 지닌 국가 수

상호 책임성

12. 상호 공동책임 : 원조 효과성 제고를 위해 합의된 사항의 이행상황을 공동으로 평가하는 국가 수

Page 37: 한국 대외개발원조의 현황과 사례 - Donggukocw.dongguk.edu/contents/2011/2011115152132/pdf2011115152132.pdf수원과 공여의 사례 : 교과서보급사업. 10 . 대한민국은

P rogram

수원국이 주도하여 수립하고 추진하는 개발 프로그램 지칭…주인의식 100%

B ased

바탕을 둔 … 무관하게 독자적으로 진행하지 않는

A pproach

접근법임…방식(modality)이 아니라

37

Page 38: 한국 대외개발원조의 현황과 사례 - Donggukocw.dongguk.edu/contents/2011/2011115152132/pdf2011115152132.pdf수원과 공여의 사례 : 교과서보급사업. 10 . 대한민국은

• 수원국 정부 또는 기관의 주도하는 프로그램 활용

• 단일 포괄적인 프로그램 및 예산틀 • 공여국의 보고, 예산책정, 재정관리 및 조달을 위한 공여국간 공식적인 조정 및 조화 절차 유무

• 프로그램 설계 및 실행, 재정관리 그리고 모니터링 및 평가를 위해 현지 체제의 활용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 (by DAC)

38

Page 39: 한국 대외개발원조의 현황과 사례 - Donggukocw.dongguk.edu/contents/2011/2011115152132/pdf2011115152132.pdf수원과 공여의 사례 : 교과서보급사업. 10 . 대한민국은

2. 개발협력의 유형

수원국

프로젝트

국가/기구

프로젝트

국가/기구

프로젝트

국가/기구

2.1 프로젝트형

(Project-based)

Page 40: 한국 대외개발원조의 현황과 사례 - Donggukocw.dongguk.edu/contents/2011/2011115152132/pdf2011115152132.pdf수원과 공여의 사례 : 교과서보급사업. 10 . 대한민국은

2. 개발원조(ODA) 형태

• 2.2. 프로그램형 (Program based)

40

Page 41: 한국 대외개발원조의 현황과 사례 - Donggukocw.dongguk.edu/contents/2011/2011115152132/pdf2011115152132.pdf수원과 공여의 사례 : 교과서보급사업. 10 . 대한민국은

2. 개발원조(ODA) 형태

Page 42: 한국 대외개발원조의 현황과 사례 - Donggukocw.dongguk.edu/contents/2011/2011115152132/pdf2011115152132.pdf수원과 공여의 사례 : 교과서보급사업. 10 . 대한민국은

PBA(Program Based Approach) 구현수단

42

• 예산지원 – 수원국 국고(treasury)로 재원을 이전 – 사용처,우선순위, 규모, 목적 등에 대해 공여국이 지정하지

않음 – 수원국 정부는 공여국으로부터 제공된 재원을 자체 예산

시스템과 절차를 바탕으로 배분, 집행하고 그 내역을 모니터링하여 공여국측에 보고 ⇒ PBA의 4대 요건을 대부분 충족

– 수원국의 전반적 국가전략에 초점을 두면 일반예산지원(GBS), 특정 분야에 초점을 두면 섹터예산지원(SBS)

Page 43: 한국 대외개발원조의 현황과 사례 - Donggukocw.dongguk.edu/contents/2011/2011115152132/pdf2011115152132.pdf수원과 공여의 사례 : 교과서보급사업. 10 . 대한민국은

PBA(Program Based Approach) 구현수단

43

• 공동지원 – 공동예산지원(basket fund)와 공동 기술협력(pooled

technical assistance) – 공동예산지원은 공여국간 조정으로 공동의 틀과 체계를

통해 재원을 제공하며, 대개 리드공여국이나 수원국, 다자기구가 관리하는 특별구좌나 신탁기금의 형태

– 공동기술협력은 주로 platform 형식으로 조율되고 일원화되어 제공되는 기술협력

– 정책, 전략상으로는 수원국의 프로그램과 일치되어 있으나, 특히 특별구좌형태의 공동예산지원은 항상 수원국 예산체계에 편입되는 것은 아님 ⇒ 항상 PBA의 4대 요건을 충족시키는 것은 아님

Page 44: 한국 대외개발원조의 현황과 사례 - Donggukocw.dongguk.edu/contents/2011/2011115152132/pdf2011115152132.pdf수원과 공여의 사례 : 교과서보급사업. 10 . 대한민국은

PBA(Program Based Approach) 구현수단

44

• 프로젝트 및 기술 협력 – 재원을 직접 이전하지 않고, 물질적 성과물(인프라 등) 혹

은 인적 자원 측면에서의 성과를 매개로 수원국이 국가개발 프로그램 혹은 섹터 개발 프로그램을 실시하는데 기여

– 그 정책과 목표가 수원국의 특정 PBA 혹은 SWAp의 목적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통합되는 방식과 독자적(stand-alone) 추진 방식 ⇒ 항상 PBA 4대 조건을 충족하는 것은 아님

– 주의! 자체적으로 패키지화한 ‘지원 프로그램’에 통합되어 있는 것은 공여국의 프로그램과 연관이 없는 한, PBA로 볼 수 없음!

Page 45: 한국 대외개발원조의 현황과 사례 - Donggukocw.dongguk.edu/contents/2011/2011115152132/pdf2011115152132.pdf수원과 공여의 사례 : 교과서보급사업. 10 . 대한민국은

• 부채경감(Debt Relief) • 식량지원(Food Aid) • 긴급지원 • 시민사회, NGO 지원

45

2. 기타 개발원조(ODA) 형태

Page 46: 한국 대외개발원조의 현황과 사례 - Donggukocw.dongguk.edu/contents/2011/2011115152132/pdf2011115152132.pdf수원과 공여의 사례 : 교과서보급사업. 10 . 대한민국은

CPS 도입 배경

• 지난 반세기 원조의 반성 -> “Aid Fatigue!!”

• 빈곤층을 위한 성장(Pro-poor Growth) 및 협력대상국의 주인의식에 기반한 개발협력 모델을 지향.

• 이에 협력대상국이 직접 자국의 개발전략을 수립을 촉구

• 각 원조기관은 국가개발전략의 실행을 지원하는 일관성&예측가능성을 담은 중기 실천 지침, CPS를 만들게 됨

• 1990년초 World Bank의 Appendix로 시작하여 90년대 하반기 부터 국제기구뿐만 아니라 선진원조 공여기관이 채택함.

46

Page 47: 한국 대외개발원조의 현황과 사례 - Donggukocw.dongguk.edu/contents/2011/2011115152132/pdf2011115152132.pdf수원과 공여의 사례 : 교과서보급사업. 10 . 대한민국은

CPS 도입 배경

• 국내외 국제개발협력의 환경 변화의 대응(ex. DAC Peer review)

• 국내 ODA 이해관계자의 다양화로 지원정책의 일관성 확보

• 유무상 분리된 국별전략 수립 한계 극복

47

CPS(Country Partnership Strategy) 수립 결정 ; 국제개발협력위원회, 중점협력국 26개국에 대하여 2012년까지 유무상 통합 CPS의 수립을 결정

Page 48: 한국 대외개발원조의 현황과 사례 - Donggukocw.dongguk.edu/contents/2011/2011115152132/pdf2011115152132.pdf수원과 공여의 사례 : 교과서보급사업. 10 . 대한민국은

용어 정의 및 구성

• CPS(국별협력전략) : 원조효과성 제고를 위해 채택

된 주요 ODA 행정 도구(Management Tool)로 수원국

에 대한 중기지원계획 및 성과관리 방안이 포함.

CAS(Country Assistance Strategy)에서 명칭 변경 및

국내사용 통일.

- 내용: 국가 개발현황 분석 및 주요 프로그램과 성과관리

방안, 중기예산지원액도 포함된 전략문서

48

Page 49: 한국 대외개발원조의 현황과 사례 - Donggukocw.dongguk.edu/contents/2011/2011115152132/pdf2011115152132.pdf수원과 공여의 사례 : 교과서보급사업. 10 . 대한민국은

프로그램형 사업추진 체계

49

[KOICA] [수원국]

국별협력전략(CPS) 반영 ←

국가개발계획 ↓

섹터 프로그램

↓ ↓

① 사업 발굴(프로그램 통합)

시행

② 사업 형성 및 계획 승인(프로그램 통합)

③ 사업실시(수단별 개별 실시) →

프로

젝트

초청

연수 전문가파견

봉사단

파견

Basket Fund

지원

↓↓

④ 모니터링 및 평가(프로그램 통합)

Page 50: 한국 대외개발원조의 현황과 사례 - Donggukocw.dongguk.edu/contents/2011/2011115152132/pdf2011115152132.pdf수원과 공여의 사례 : 교과서보급사업. 10 . 대한민국은

수원국 개발환경 분석

• 정치·경제·사회 등 수원국 일반 현황을 분석

• 빈곤 현황, 특징 등 다양한 개발 과제를 분석

• 개발과제 해결을 위한 중기·장기 국가개발계획 분석

50

Page 51: 한국 대외개발원조의 현황과 사례 - Donggukocw.dongguk.edu/contents/2011/2011115152132/pdf2011115152132.pdf수원과 공여의 사례 : 교과서보급사업. 10 . 대한민국은

프로그램 선정

• 국내외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관심 및 중점 활동 내역을 분석

• 지난 한국 ODA 지원 실적과 그에 대한 평가와 교훈 반영

• 앞선 개발환경 분석 결과를 최종 반영

• 추가로 한국의 다양한 ODA 정책 및 지원 방향을 고려

51

Page 52: 한국 대외개발원조의 현황과 사례 - Donggukocw.dongguk.edu/contents/2011/2011115152132/pdf2011115152132.pdf수원과 공여의 사례 : 교과서보급사업. 10 . 대한민국은

프로그램 설계

• 국가 지원을 통해 최종적으로 취하고자 하는 목적 • CPS 기간 내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 • 목표 달성을 위한 프로그램(Outcome) 적시 • 다양한 modality 투입요소 결정

52

Page 53: 한국 대외개발원조의 현황과 사례 - Donggukocw.dongguk.edu/contents/2011/2011115152132/pdf2011115152132.pdf수원과 공여의 사례 : 교과서보급사업. 10 . 대한민국은

프로그램 설계의 예

• (개발환경 분석 후 프로그램 선정) A국에 대해 향후 KOICA는 행정 효율성 향상을 통한 부패 척결과 국가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전자정부 지수를 높이고자(목적) 전자정부 프로그램을 선정함.(이는 A국 정부 국가개발계획의 주요 목표 중 하나임)

• (프로그램 설계를 위한 분석) A국의 전자정부 구축 마스터플랜과 이를 이행하기 위한 구체적인 이행계획, 협력대상국 투입 예산을 검토함.

• (동분야 타공여국활동 분석) 동시에 동 분야의 원조조화 노력을 조사하여 그들의 활동 내역을 파악.(조사 결과 IT 분야 Working Group에서 인프라(제도 중심)와 G2B, G2G 사업에 주요 역할을 하고 있었음)

53

A국의 행정효율성 향상 프로그램

Page 54: 한국 대외개발원조의 현황과 사례 - Donggukocw.dongguk.edu/contents/2011/2011115152132/pdf2011115152132.pdf수원과 공여의 사례 : 교과서보급사업. 10 . 대한민국은

프로그램 설계의 예

• (프로그램 설계 협의) 사무소는 A국의 정보통신 담당 기관 및 수원총괄기관 관계자와의 협의를 통해 한국의 비교우위가 있고 전자정부 구축을 위한 A국의 우선순위에 따라 G2G 사업의 일부와 인프라(법률, 역량강화)에 집중화된 프로그램을 설계에 합의.

• (세부 사업 결정) CPS 수립 이후 A국 해외사무소는 ODA 총괄기관 및 ICTA와 추가 협의를 통해 중기 예산 범위 내에서 A국 정부가 요청한 프로젝트 사업 3건과 법률 전문가 파견, ICTA 주요 관계자 국별연수 등을 결정함.

• 또한 World Bank 중심으로 구성된 IT WG 내 타공여기관과 함께 PRSC라는 예산지원을 통해 A국 전자정부 실현을 위한 IT제도 개혁에 지원을 결정. 54

A국의 행정효율성 향상 프로그램

Page 55: 한국 대외개발원조의 현황과 사례 - Donggukocw.dongguk.edu/contents/2011/2011115152132/pdf2011115152132.pdf수원과 공여의 사례 : 교과서보급사업. 10 . 대한민국은

질의응답

55

Page 56: 한국 대외개발원조의 현황과 사례 - Donggukocw.dongguk.edu/contents/2011/2011115152132/pdf2011115152132.pdf수원과 공여의 사례 : 교과서보급사업. 10 . 대한민국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