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
강 신 영 * 김 규 수 **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2014-08-25 · _ 7[XY/HV =` L1af FgAh5 e 2 ijd klAnoXY/ J K J96K Q ôÙÁ ~ E & GoF c« ÿ¬ Àv T 6\"" $_ EFkl0EF ?96") ¦®6/ - íÆ + ô Uc YYᐸOO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2014-08-25 · _ 7[XY/HV =` L1af FgAh5 e 2 ijd klAnoXY/ J K J96K Q ôÙÁ ~ E & GoF c« ÿ¬ Àv T 6\"" $_ EFkl0EF ?96") ¦®6/ - íÆ + ô Uc YYᐸOO

생태유아교육연구

2011. 제10권 제3호 , 147 - 169

음악개념 중심의 통합적 유아 음악감상과 표현활동이

유아의 음악개념 및 음악적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강 신 영* ․ 김 규 수**

요 약

본 연구는 음악개념 중심의 통합적 유아 음악감상과 표현활동을 구안하여 이를 유아에게 적

용한 후 유아의 음악개념과 음악적 표현력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전라북도 J시에 소재한 C유치원 만 5세 2학급의 원아 37명이다. 2학급을 임의

로 각각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한 학급씩 배정하였다. 음악개념중심의 통합적 유아 음악감

상과 표현활동은 12주 동안 이루어졌다. 총 12곡의 감상곡은 일주일에 한 곡씩, 한 곡당 3회

(월, 수 ,금)의 활동으로 실시되었으며 1회당 소요시간은 활동에 따라 약 15분~30분이 소요되

었다. 교수-학습과정은 탐구학습, 표현중심, 개별화, 통합의 원리에 입각하여 탐색-활동-표상의

3단계로써 도입, 전개, 마무리 활동의 형태로 구성하여 진행되었다. 본 연구결과 음악개념 중심

의 통합적 유아 음악감상과 표현활동은 유아의 음악개념 발달과 유아의 음악적 표현력 발달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음악개념중심의 통합적 유아 음악감상 표현활동은 기존의 단편적

인 음악활동 및 음악감상 방법을 보완하여 유아의 음악개념과 음악적 표현력 발달을 위한 음악

교육 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다고 보았다.

주제어 음악개념(music concepts)

음악적 표현력(ability to express music)

통합적 유아 음악감상과 표현활동(integrated music appreciation and expression activities)

※ 논문 접수 : 2011. 07. 30 / 수정본 접수 : 2011. 09. 08 / 게재 승인 : 2011. 09. 21

* 벽성대학 겸임교수

** 원광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교신저자, [email protected])

Page 2: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2014-08-25 · _ 7[XY/HV =` L1af FgAh5 e 2 ijd klAnoXY/ J K J96K Q ôÙÁ ~ E & GoF c« ÿ¬ Àv T 6\"" $_ EFkl0EF ?96") ¦®6/ - íÆ + ô Uc YYᐸOO

148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0권 제3호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유아기는 음악적 감각 기능이 빠르게 성장하고 발달하는 시기이다. 그러므로 이 시기에 이

루어지는 음악교육은 미적 감각과 정서적 표현 능력을 포함한 전인으로서 인격형성의 토대

를 마련함과 동시에 음악능력 발달의 기초가 된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은 더욱 크다고 하겠

다. 특히, 인간의 음악능력 중 듣기 감각은 그 분화가 매우 뚜렷해 2~6세 유아는 음악능력의

기본이 되는 듣기 감각과 반응력이 뚜렷하게 발달한다. 3~6세경에는 청각이 가장 민감하고

6세경에 이미 성인의 수준에 까지 발달하며, 음의 고저의 판별력이나 리듬감수 능력도 유아

기부터 아동 초기에 걸쳐서 가장 급속히 발달한다(김미숙, 2000; 유덕희, 1983). 이와 같이 유

치원에서 초등학교 저학년까지는 청감각이 가장 민감한 시기이다.

Gorden(1986)은 9세 이전에 음악적 환경이 제공되어야 음악성을 발달시키는데 효과가 높

다고 보았다. 만약 이 시기에 유아들에게 필요한 음악체험을 교육적으로 체계 있게 제공하지

않는다면 유아들은 성인이 된 후에는 보완할 수 없는 일종의 음악 감각적 결핍을 피할 수 없

게 된다(이홍수, 1992). 또한 선천적으로 가지고 태어난 음악적 잠재능력의 일부분만이 개발

되어 결과적으로 낮은 음악성 수준에 머무르게 된다(Gordon, 1977). 이와 같이 음악은 유아기

에 시작하여 다양한 활동을 경험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유아가 음악적 개념과 지식을 스스로

구성해 나갈 수 있도록 음악교육 방법의 중요성을 강조하지 않을 수 없다.

음악교육에 있어 개념중심의 활동은 음악요소의 지각과 형식의 이해를 위한 기초적 토대

마련과 음악적 통찰력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방법으로 제시될 수 있다. 또한 모든 음악활동에

있어서 주의 깊게 들을 수 있는 능력은 매우 중요하다. 음악감상은 유아가 능동적으로 음악

을 듣고 탐색하며 이를 경험하고 이해하는 음악활동의 하나로 모든 음악활동의 기초가 된다

(석문주, 1996). 유아교육과정에 있어서 중요한 목표 중의 하나인 청각적 지각력 즉, 이해하며

듣기의 능력발달을 위해서도 음악 감상하기가 필수적이다(심성경 외, 2003). 청각적인 경험은

유아의 음악성 발달에 결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며 성공적인 언어발달과 읽기교육으로 직결

되기도 한다.

음악감상은 정서적-지적으로 경험하는 반응으로써 능동적이고 음악의 흥미와 본질적 동기

가 시작되는 활동이라는 점에서 음악교육 전체의 추진력이라고 할 수 있다(신정자, 1998). 그

러나 유치원 음악교육의 실태를 분석한 연구결과(곽이정, 2000; 김은아, 2000; 김춘희 1994;

Page 3: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2014-08-25 · _ 7[XY/HV =` L1af FgAh5 e 2 ijd klAnoXY/ J K J96K Q ôÙÁ ~ E & GoF c« ÿ¬ Àv T 6\"" $_ EFkl0EF ?96") ¦®6/ - íÆ + ô Uc YYᐸOO

음악개념 중심의 통합적 유아 음악감상과 표현활동이 유아의 음악개념 및 음악적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149

신정자, 1998; 이미경, 2001; 이춘희․이 영, 1999)에 따르면 감상활동은 현재 유치원에서 이

루어지는 음악활동 중에서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음악은 신체표현으로 강조될 수도 있고, 악기 합주로 나타날 수도 있으며 노래 부르기를

통하여 활성화될 수도 있다. 그 외에도 그림을 통한 감상이나 간단한 몸짓, 말, 글 등 여러 가

지 방법으로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데 이러한 모든 활동을 포괄적 의미의 음악 표현활동이

라고 할 수 있다(성경희, 1988). 이와 같이 음악적 표현력은 자신이 이해한 음악 요소를 다양

한 매체를 통하여 능동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능력으로 여기에는 노래 부르기를 통한 음악적

표현능력, 악기 다루기를 통한 음악적 표현능력, 신체를 통한 음악적 표현능력, 음악 만들기

를 통한 음악적 표현능력 등의 하위영역이 포함된다.

바람직한 음악감상 활동은 음악을 느끼는 것으로 그치지 않고 언어나 미술, 음악적 소리와

신체 표현을 통해 음악에 대한 느낌과 생각을 표현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해와 인식

은 표현함으로서 명료해질 뿐만 아니라 응용력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음악은 단지 이해

됨으로써 끝나지 않고 표현활동과 연결되어 이루어짐으로서 완성된다. Saracho & Spodek

(1994)도 유아들의 음악교육활동은 음악요소를 바탕으로 한 음악개념을 받아들이도록 돕는

개념적 측면과 자신이 이해한 음악적 요소를 능동적으로 표현해볼 수 있는 음악적 표현의 기

회를 통합적으로 함께 제공해 주어야한다고 하였다.

한편, 음악교육에 있어서 통합활동이 잘못 이루어질 경우 음악은 다른 활동을 하기 위한

소재에 불과할 수 있다. 음악교육에서 통합적 접근이 실효를 거두기 위해서는 음악개념이 모

든 통합활동에 포함되는 개념중심의 음악교육이 되어야 한다(권덕원, 1987). 음악개념은 음악

활동의 기본 구성 요소로서 음악을 이해하고 응용하는데 기초가 되기 때문이다. 유아는 음악

적 개념을 의식적 또는 무의식적으로 여러 가지 다양한 음악활동, 즉 노래 부르기, 악기연주,

율동, 창작하는 등의 형태로 표현하고자 한다. 그 외에도 그림을 통한 감상이나 간단한 몸짓,

말, 글 등 여러 가지 방법으로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데 이러한 모든 활동을 음악 표현활동

이라고 할 수 있다(성경희, 1988). 유아는 이해한 것을 설명하는 데에는 구어 능력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교사는 유아의 나이에 따라 음악개념을 표현하는 데 사용할 여러 가지 수단을

개발해 주어야 한다(Hair, 1977; Scott, 1979).

또한, 통합 활동이 단순통합에 그치지 않고 보다 심화된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활동이

여러 번에 걸쳐 이루어지고 음악개념 역시 여러 가지 활동으로 경험되지만 목표가 분리됨 없

이 서로 연결되어 진행되어야 한다. Campbell & Scott-Kassner(1995)는 이러한 개념을 ‘실로

엮은 통합’이라고 불렀으며 본 연구에서는 그와 같은 접근을 통해 활동의 교육적 효과를 높

이고자 하였다.

Page 4: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2014-08-25 · _ 7[XY/HV =` L1af FgAh5 e 2 ijd klAnoXY/ J K J96K Q ôÙÁ ~ E & GoF c« ÿ¬ Àv T 6\"" $_ EFkl0EF ?96") ¦®6/ - íÆ + ô Uc YYᐸOO

150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0권 제3호

집 단 사 례 수성 별 연 령

남 여 M SD

실험집단 18 10 8 68.06 3.33

비교집단 19 11 8 68.42 3.61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개념 중심의 통합적 유아 음악감상과 표현활동을 구안하여

이를 유아에게 적용한 후 유아의 음악개념 발달과 음악적 표현력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음악개념 중심의 통합적 유아 음악감상과 표현활동이 유아의 음악개념에 미치는 영

향은 어떠한가?

둘째, 음악개념 중심의 통합적 유아 음악감상과 표현활동이 유아의 음악적 표현력에 미치

는 영향은 어떠한가?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의 대상은 전라북도 J시에 소재한 C유치원 만 5세 2학급의 원아 37명이다. 2학급

을 임의로 각각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한 학급씩 배정하였다.

<표 1> 연구대상 유아의 연령과 성별 구성 단위 : 개월

2. 연구도구

1) 유아의 음악개념 검사

유아의 음악개념 검사 도구는 Seashore의 Musical Talent Test와 Lorton과 Walley(1979)

의 음악능력 관찰 기록과 Music Materials for Teaching을 참고하여 박명숙(1984)이 46문항

으로 제작한 측정도구와, 이건용(1993)의 청각을 통한 음악능력평가 시스템 개발방안(초․

중․고)에서 사용된 검사를 유아에게 적합한 문항으로 김춘희(1994)가 선별 작성한 18문항

중에서 음높이 5문항, 셈여림 5문항, 음색 5문항, 리듬 5문항, 표현법 3문항, 가락 3문항 등 총

26문항을 선정하여 사용하였다.

선정된 유아의 음악개념 측정도구는 현장교사 2명과 유아교육 전문가 2명에게 내용타당도

Page 5: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2014-08-25 · _ 7[XY/HV =` L1af FgAh5 e 2 ijd klAnoXY/ J K J96K Q ôÙÁ ~ E & GoF c« ÿ¬ Àv T 6\"" $_ EFkl0EF ?96") ¦®6/ - íÆ + ô Uc YYᐸOO

음악개념 중심의 통합적 유아 음악감상과 표현활동이 유아의 음악개념 및 음악적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151

를 검증 받았고, 채점자간 신뢰도는 r = .90으로 나타났다. 이 검사는 청각을 통한 평가이므로

각 문항이 녹음되어 있다. 문제의 유형은 녹음된 문항을 듣고 녹음 내용안에서 들은 내용이

서로 같고, 다른지를 예/아니오 로 대답하는 방식이다. 점수가 높을수록 음악개념이 높다고

본다.

2) 유아의 음악적 표현능력 검사

음악적 표현능력을 평가하는 도구는 Lorton & Walley(1979)의 Recording Skill Development

in Music에 제시된 총 89문항의 음악발달검사를 최영숙(1982)이 번안한 것을 김광자(2004)가

노래를 통한 표현 5문항, 신체를 통한 표현 5문항, 악기를 통한 표현 5문항, 음악 만들기 5문

항 등 총 20문항으로 재구성한 것을 사용하였다. 이 검사의 채점자 내 신뢰도는 r = .90이었

고 채점자 간 신뢰도는 r = .86이었다.

3. 연구절차

1) 음악개념 중심의 통합적 유아 음악감상과 표현활동 구안

본 연구에서는 음악개념 중심의 통합적 유아 음악감상과 표현활동을 구안하기 위하여 다

음과 같은 과정의 절차를 거쳤다.

첫 번째 단계로 음악개념 중심의 통합적 유아 음악감상과 표현활동에 적합한 음악곡의 선

정을 위하여 문헌을 고찰하고 이를 반영하여 본연구의 활동을 구안하기에 적합한 곡을 12곡

으로 선정 하였다.

두 번째 단계로 선정된 곡 안에서 각 곡마다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음악적 요소들을 중심으

로 유아에게 주어질 음악개념을 추출 하였다. 음악개념을 유아가 받아들이고 심화 경험할 수

있도록 그 곡의 음악개념을 표현하기에 적합한 형태의 표현활동으로 구안하였다.

세 번째 단계로 음악개념 중심의 통합적 유아 음악감상과 표현활동을 구안 한 뒤 예비실험

을 통해 보완점을 찾아내고 이를 수정 보완한 후 최종적으로 음악개념 중심의 통합적 유아

음악감상과 표현 활동안을 완성하였다.

(1) 음악감상곡 선정

본 연구에서 사용하는 감상곡은 유아의 표현을 이끌어 내기에 적합한 이야기가 있는 표제

음악과 고전음악을 중심으로 셈여림, 빠르기, 박자, 음의 높낮이, 음색, 화음 등의 음악적 개

Page 6: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2014-08-25 · _ 7[XY/HV =` L1af FgAh5 e 2 ijd klAnoXY/ J K J96K Q ôÙÁ ~ E & GoF c« ÿ¬ Àv T 6\"" $_ EFkl0EF ?96") ¦®6/ - íÆ + ô Uc YYᐸOO

152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0권 제3호

념과, 유아의 흥미, 음악적 발달 수준을 고려하여 선정 하였다.

유아들에게 적합한 곡의 선정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강미령, 2004; 권미란, 2000;

김미숙, 2000; 이선규, 2004; 장길자, 1997; 장정애, 2004)들을 살펴보고 음악 감상에 적합한 50

여곡을 1차 수집 한 후 생활주제와 관련되고 음악 개념이 분명히 드러나는 30곡을 선택하였

다. 다시 선택한 30곡 중에서 유아의 흥미와 음악적 발달 수준을 고려하여 1회 감상 시간이

최대 5분을 넘지 않으며 빠르고 느림, 높은 소리와 낮은 소리, 무거운 느낌과 경쾌한 느낌, 웅

장한 곡과 부드러운 곡, 등과 같이 대비가 분명하고 명확한 박자와 리듬, 강약을 갖는 곡을 위

주로 12곡을 선택하였다. 이때 특히 짧고 묘사적이며 친숙한 이야기가 있고 생동감이 있어 유

아가 즐겁게 표현활동으로 연결 할 수 있는 예술적인 곡인가에 중점을 두어 최종 선정하였다.

(2) 표현활동 구안

① 악기 표현활동

주로 리듬악기와 타악기, 그리고 생활주변의 물품들을 이용하여 만든 악기들이 사용 되었

다. 신체를 악기처럼 사용하여 소리를 표현하기도 한다. 악기표현활동은 음의 셈여림, 빠르기,

박자 등의 개념을 표현하는데 많이 이용되었다. 혼자 혹은 소그룹으로, 혹은 전체가 합주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흥미 있는 표현활동이 되도록 계획하였다.

② 신체표현활동

신체표현활동은 감상곡의 음악개념 중 셈여림, 빠르기, 박자, 높낮이, 음색, 화음 ,표현법 등

모든 음악개념을 표현하기에 적합한 활동이다. 그러나 좀 더 적극적이고 주도적으로 신체를

움직여 창의적인 표현을 하도록 하기 위해서 다양한 소도구들과 기구들이 필요하다. 또한 활

동이 진행되는 동안 교사의 긍정적이고 세심한 관찰과 유아의 표현에 대한 언어적 격려가 중

요하므로 활동 전 연구자와 교사가 사전 협의를 통해 이를 중요하게 다루었다. 한편 각 신체

표현활동을 위해서는 감상곡의 배경이야기나 곡의 내용표현에 적합한 자료를 계획하고 준비

한다. 유아들의 표현을 다양하게 이끌어내도록 여러 가지 자료를 제공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③ 언어표현활동

언어표현활동은 감상곡의 주 멜로디에 노랫말을 만들어 붙여 노래 부르기 활동과 동시 짓

기 활동으로 진행된다. 언어 표현 활동을 통해서 유아들은 감상곡의 박자, 주 멜로디, 가락의

진행 등의 표현법에 주목해 주의 깊게 들을 수 있다. 감상 도입 부분에서 들었던 감상곡의 배

경 이야기나 유아의 감상느낌과 생각을 노랫말에 담아 표현하는 활동으로 진행된다. 언어표

Page 7: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2014-08-25 · _ 7[XY/HV =` L1af FgAh5 e 2 ijd klAnoXY/ J K J96K Q ôÙÁ ~ E & GoF c« ÿ¬ Àv T 6\"" $_ EFkl0EF ?96") ¦®6/ - íÆ + ô Uc YYᐸOO

음악개념 중심의 통합적 유아 음악감상과 표현활동이 유아의 음악개념 및 음악적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153

현 활동을 위해서는 감상곡의 주 멜로디가 반복 녹음된 CD를 감상곡 전곡과 함께 사용 한다.

또한 교사는 주 멜로디를 피아노나 키보드 등의 악기로 익숙하게 연주 할 수 있도록 한다. 언

어표현 활동이 어렵게 느껴지지 않도록 오선악보와 막대악보, 리듬 카드를 준비하고 문장완

성 카드 등을 활용한다. 유아들이 만든 노랫말을 주 멜로디에 붙여 노래로 부르기 전에 멜로

디를 허밍이나 여러 가지 소리로 불러 보아서 충분히 익숙해지도록 한다. 또한 유아들의 노

랫말을 모아 작은 노래책으로 만들거나 조별로 함께 만든 노랫말을 게시하고 표현의 다양성

을 비교해보는 마무리 활동에도 비중을 둔다.

④ 그림표현 활동

유아들이 개념중심의 음악감상 활동을 통해 느끼고 알고 받아들이게 된 음악개념들을 선

이나, 형태, 색깔, 등으로 표현하는 활동이다. 또한 음악을 들으며 셈여림, 빠르기, 음의 높낮

이, 음색, 화음 등의 음악개념 뿐 아니라 음악에 들어있는 스타카토나 레가토, 피치카토, 슬러

와 액센트 등의 표현법을 모두 표현하기에 적합한 활동이다. 미술표현활동을 위해서는 화구

와 여러 종류의 종들이 다양하게 준비 되어야 하는데 유아 스스로 선택한 도구를 가지고 활

동할 수 있을 때 미술표현에 대한 흥미와 몰입정도가 높다. 미술표현 활동을 하는 동안 감상

곡이 주어지고 유아들은 음악을 들으며 유아가 듣고 인식하는 음악의 요소와 개념을 표현한

다. 미술표현 활동 역시 마무리 단계에서 유아들의 표현을 서로 비교해보고 어떤 개념이 표

현된 것인지, 같은 개념의 표현방법이 서로 다른 점을 격려하면서 표현경험을 공유하는 과정

에도 유의 한다.

(3) 예비 실험

2007년 3월 19일에서 3월 23일 동안에 실험절차의 적절성 및 활동 소요시간을 알아보기 위

해 실험에 참여하지 않는 만 5세 유아 1학급을 대상으로 본 프로그램의 일부를 발췌하여 예

비 실험을 실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교사와 연구자가 토의를 거쳐서 음악개념 중심의 음악감

상과 표현활동을 최종적으로 구성하였다.

2) 검사자 훈련 및 예비검사

2007년 3월 26일에서 3월 30일까지 검사자 훈련 및 예비 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자는 검

사도구의 목적과 내용, 유아에게 질문하는 순서와 방법 등에 관련된 것을 본 연구자로부터

훈련받았다. 검사자는 대학원 과정생 2인이며 모두 유아교육 기관에서 교사로 근무한 경력이

있다.

Page 8: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2014-08-25 · _ 7[XY/HV =` L1af FgAh5 e 2 ijd klAnoXY/ J K J96K Q ôÙÁ ~ E & GoF c« ÿ¬ Àv T 6\"" $_ EFkl0EF ?96") ¦®6/ - íÆ + ô Uc YYᐸOO

154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0권 제3호

주 기간생활주제

소주제 작곡가 / 음악감상곡 음 악 개 념표현활동

악기표현

신체표현

언어표현

그림표현

14월2주(4.9~13)

봄봄이왔어요

생상;“동물의 사육제” 중‘숲속의 뻐꾸기

·셈여림(조용한 소리)·빠르기(느린박자 빠르기의변화-점점 느리게)·음색(피아노, 클라리넷)·박자(4/3박자)

○ ○ ○

24월3주(4.16~20)

봄봄의식물

비발디; “사계”중 ‘봄’1악장 알레그로

·셈여림(셈여림의대비크게, 작게)

○ ○ ○

예비검사는 본 연구대상이 아닌 만 5세 유아 1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유아 1인당 평

균 검사 시간은 음악개념 검사는 20분~25분 정도였으며, 음악적 표현력 검사는 25분~30분

정도 소요되었다.

3) 교사교육

2007년 3월 26일에서 4월 3일까지 실험집단 교사를 대상으로 본 활동에 대한 교육을 6회에

걸쳐 실시하였다.

4) 사전검사

2007년 3월 29일에서 4월 6일까지 자유선택활동 시간과 수업이 끝난 뒤, 조용한 학부모 상

담실에서 본 연구자와 훈련된 보조 연구자 1인이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유아들을 대상으로

1:1로 먼저 음악개념 검사를 실시한 후 다음날 같은 장소에서 음악적 표현력 검사를 실시하

였다.

5) 실험처치

2007년 4월 9일부터 6월 29일까지 12주 동안 음악 개념중심의 통합적 음악 감상 표현활동

을 적용하였다. 실험처치 과정의 내용과 방법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1) 실험집단의 수업활동 과정

① 내용 구성

본 연구에서 1주에 1곡씩 12주에 걸쳐 생활 주제와의 연관을 고려한 음악감상 12곡을 1곡

당 3개씩 총 36개의 활동으로 표 2와 같이 구성하였다.

<표 2> 음악개념 중심의 통합적 유아 음악감상과 표현활동 내용

Page 9: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2014-08-25 · _ 7[XY/HV =` L1af FgAh5 e 2 ijd klAnoXY/ J K J96K Q ôÙÁ ~ E & GoF c« ÿ¬ Àv T 6\"" $_ EFkl0EF ?96") ¦®6/ - íÆ + ô Uc YYᐸOO

음악개념 중심의 통합적 유아 음악감상과 표현활동이 유아의 음악개념 및 음악적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155

·화성(솔로와 튜티장식음,트릴)

·음색(바이올린, 현악기)

34월4주(4.23~27)

봄봄의동물

림스키 코르사코프;‘호박벌의 비행’

·빠르기(빠른 음악)·가락의 방향(반음계)·셈여림(pp<ff,피치카토·음색(플루트, 현악기)

○ ○

4 5월1주(4.30~5.4)

나와우리가족

나의몸

슈만: 어린이 정경 중“숨바꼭질”

·빠르기(빠른속도,점점빠르게)

·셈여림(점점 크게)·화성(연결되지 않은 음;

스타카토)·음색(피아노)

○ ○ ○

55월2주(5.7~11)

나와우리가족

나의마음(감정)

하이든:놀람교향곡94번G장조:‘놀람’ 중 2악장’

·셈여림(셈여림의 변화)·박자(4/3)·악센트, 레가토·음색(관현악기)

○ ○ ○

65월3주(5.14~18)

나와우리가족

우리가족

브람스: 자장가

·셈여림(조용한 음악)·빠르기(느린 음악)·박자(기본3박)·화성(레가토,싱코페이션)·음색(높은목소리,피아노)

○ ○ ○

75월4주(5.21~25)

우리이웃

우리동네

베르디;“일 트로바트레“중‘대장간의 합창’

·셈여림(변화, 엑센트)·형식 ·박자(4/4박자)·음색(여성,남성혼성합창)

○ ○ ○

85월5주(5.28~6.1)

우리이웃

이웃과문화

엘가;‘사랑의 인사’

·빠르기의 변화·셈여림의 변화·레가토 ,루바토·음색(바이올린 ,피아노)·박자(4/2)

○ ○ ○

96월1주(6.4~8)

동물집에서기르는동물

프로코피예프“피터와늑대” 중 ‘어느 이른아침’과 ‘피터의행진‘

·셈여림,·높낮이,·빠르기·음색

○ ○ ○

106월2주(6.7~15)

동물동물은우리의친구

생상;“동물의 사육제” 중‘서주와 사자왕의 행진’

·셈여림의 변화·주제가락·음색(두 대의 피아노와

현악기)

○ ○ ○

116월3주(6.18~22)

여름여름생활

차이코프스키;“백조의 호수” 중 ‘정경’

·빠르기, 셈여림의 변화,레가토와 스타카토,·주제가락·음색(오보에,현악기)·박자(4/4박자)

○ ○ ○

126월4주(6.25~29)

여름물과우리생활

요한스트라우스2세;‘아름답고 푸른도나우강,작품314’

·기본3박,·빠르기셈여림변화·당김 음·엑센트,스타카토, 레가토·음색(관현악기,호른,남성합창)

○ ○ ○

활동 수 9 12 8 7

Page 10: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2014-08-25 · _ 7[XY/HV =` L1af FgAh5 e 2 ijd klAnoXY/ J K J96K Q ôÙÁ ~ E & GoF c« ÿ¬ Àv T 6\"" $_ EFkl0EF ?96") ¦®6/ - íÆ + ô Uc YYᐸOO

156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0권 제3호

② 교수-학습과정

음악개념중심의 통합적 유아 음악감상과 표현활동은 12주 동안 이루어졌다. 총 12곡의 감

상곡은 일주일에 한 곡씩, 한 곡당 3회(월, 수 ,금)의 활동으로 실시되었다. 1회당 소요시간은

활동에 따라 약 15분~30분이 소요되었다. 교수-학습과정은 탐색-활동-표상의 3단계로써 도

입, 전개, 마무리 활동의 형태로 진행되었다.

<표 3> 음악 개념중심의 통합적 유아 음악감상과 표현활동 <1차시>

감 상 곡림스키코르사코프의 ‘호박벌의 비행’ 동 화 황제 술탄의 이야기

1회 감상시간: 1:09분 집 단 형 태 대집단

활 동 명 1차시: 지휘를 해 봅시다 활 동 내 용 신체표현

음악 개념빠른 음악, 셈여림의 변화(PPᐸff),피치카토(현을 퉁겨내는 소리)

연주에 사용되는

악기 (음색)플루트와 현악기

활동 목표►셈여림의 변화, 빠르기의 변화를 알고 주의 깊게 듣고 표현 할 수 있다.

►피치카토로 연주되는 음의 느낌과 반음계에 귀 기울여 듣는다.

활동 자료►술탄 황제 이야기 그림동화 ►림스키코르사코프의 사진

►첼로, 바이올린 ,플루트의 사진 ►관련 도서

활 동

►도입 :

음악과 관련된 이야기를 듣고 수수께끼로 주의를 집중시킨다.

∙나는 봄에 볼 수 있는 곤충입니다. 나는 왜앵∼ 왜앵∼ 날아다닙니다.

∙나는 이 꽃 저 꽃에서 꿀을 모읍니다.

·나는 뾰족한 침을 가지고 있어 나를 건드리면 침으로 공격합니다.

∙벌이 등장하는 황제 술탄의 이야기를 들려준다.

호박벌의 공격이 시작되는 장면을 강조하여 실감나게 구연 한다.

▶ 전개

∙동화의 내용만 다시 본다. 이때 설명 없이 작은 볼륨으로 음악을 들려준다.

∙이제 호박벌이백조를 공격하는 장면을 림스키코르사코프라는 음악가가 음악으로 만든 것을 듣도록

하자고 한 뒤 CD를 듣는다.

∙플루트와 현악기를 보여 준다

∙호박벌들이 빠른속도로움직인다. 빠른속도. 호박벌들이 공격하며침을쏘는 것처럼현을튕겨내

는 소리 피치카토에 유의하여 듣는다. 호박벌의 공격이 점차 빨라진다.(여리게⟶세게)

∙다시 한번들을 것을 제안하며 음악에맞추어 자리에앉은채로 어떤움직임을 할 수 있을지 생각

한다.예)손으로 지휘하며 듣기, 바이올린을 연주하는 동작을 하며듣기, 호박벌이 된 것처럼 가상하

고 손으로 공중을 날아다니듯 움직이며 듣기, 유아 개개인의 생각대로 손과 머리와 상체를 자유롭

게 움직이며 듣는다.

▶마무리

∙음악영역에놓아둘악기사진과 음악가사진, 이야기의줄거리를 보여주고 자유선택활동시간에볼

수 있음을 알려준다.

∙“꿀벌마야의 모험”과 “벌의 생활”“우리아이첫번째라이브러리 “곤충의 세계”, “곤충과거미의 100

가지 비밀1,2”.등 관련된 그림동화와 책들을 보여주고 도서영역에 가져다놓는다.“꿀 좀 주세요” 손

유희로 마무리 한 뒤 분단별로 음악에 맞추어 벌처럼 날아 손을 씻으러간다

Page 11: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2014-08-25 · _ 7[XY/HV =` L1af FgAh5 e 2 ijd klAnoXY/ J K J96K Q ôÙÁ ~ E & GoF c« ÿ¬ Àv T 6\"" $_ EFkl0EF ?96") ¦®6/ - íÆ + ô Uc YYᐸOO

음악개념 중심의 통합적 유아 음악감상과 표현활동이 유아의 음악개념 및 음악적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157

1차시와 2차시 3차시의 음악 개념중심의 통합적 유아 음악감상과 표현활동의 예를 그림으

로 나타내면 그림 1과 같다.

▪ 1차시

“황제 술탄의 이야기”

동화로 듣기

‘호박벌의 비행’을 듣기

ㆍ앉은 자리에서 상체

를 움직이며 듣기

▪2차시

“만일 내가 호박벌이라면...”

상상하며 호박벌의 비행’ 듣기

ㆍ소도구와 신체의 여러 부분을 이용해

음의 셈여림, 빠르기, 피치카도와 레가토,

음색의 변화들을 느낀대로

표현하며 듣기

▪3차시

‘만일 호박벌이 선을

그리며 날아다닌다면...’ 상상하며

‘호박벌의 비행’ 듣기

ㆍ미술 도구를 이용하여 음의 셈여림,

빠르기의 변화, 피치카토, 레가토, 음색의

변화를 느낀대로 표현하며 듣기

[그림 1] ‘호박벌의 비행’ 감상과 표현 활동

③ 교수자료

본 연구에서는 음악적 개념을 중심으로 감상곡을 주의 깊게 들을 수 있도록 유아의 흥미를

집중 시키는 여러 가지 방법들이 사용되었다.

도입부분에서는 감상곡의 배경스토리가 나와 있는 음악 그림책을 일부 활용하고, 스토리가

빈약하거나 그림동화책을 찾을 수 없는 곡은 음악 해설집의 내용을 바탕으로 동화를 재구성

Page 12: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2014-08-25 · _ 7[XY/HV =` L1af FgAh5 e 2 ijd klAnoXY/ J K J96K Q ôÙÁ ~ E & GoF c« ÿ¬ Àv T 6\"" $_ EFkl0EF ?96") ¦®6/ - íÆ + ô Uc YYᐸOO

158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0권 제3호

한 뒤 막대인형이나 융판 자료와 그림동화, 그림자인형 자료 등 적합한 자료를 제작하여 사

용하였다.

④ 교사의 역할

첫째, 음악감상곡에 들어있는 음악요소와 개념에 대해 충분히 숙지하고 있어야한다.

둘째, 유아가 자신감을 가지고 활동에 참여하도록 유아자신의 장점과 능력을 인식하도록

돕는다.

셋째, 유아의 잠재적인 발달 수준을 실제적 발달수준으로 끌어올리기 위하여 다양한 질문

을 통해 유아들이 창의적으로 사고 할 수 있도록 하여 유아의 표현활동을 북돋운다.

넷째, 교사는 활동과정 중에 유아의 동기를 유발하고 흥미를 유지시키며 다양한 표현을 장

려하도록 여러 가지 활동 자료를 준비하고 제공하여야 한다.

다섯째, 유아의 음악개념 및 표현능력을 발달시켜 줄 수 있는 지도방법을 이해하고 적절히

활용한다.

여섯째, 소집단 및 개별적으로 유아와 상호작용하는 시간을 많이 갖는다.

⑤ 평가

평가는 음악개념 중심의 통합적 유아 음악감상과 표현활동을 적용하는 과정동안 교사와

연구자가 매회 수업 종료 후 수업의 전 과정을 기록한 테이프를 보면서 활동 과정 및 유아들

의 반응 특성을 관찰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다음 활동계획에 반영하도록 하였다.

6) 비교집단 음악활동

비교집단은 실험집단과 동일한 생활주제에 따른 유치원 교육과정을 운영하였다. 비교집단에

서도 실험집단의 프로그램 횟수에 따른 효과를 없애기 위하여 주3회 담임교사에 의해 음악교

육 활동이 이루어 졌다. 그 내용으로는 주제중심의 새 노래 부르기 활동과 노래와 연관된 신

체표현 활동이었다.

7) 사후검사

2007년 7월 2일부터 7월 12일까지 실험 집단 및 비교집단의 유아를 대상으로 사전검사와

동일한 방법으로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Page 13: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2014-08-25 · _ 7[XY/HV =` L1af FgAh5 e 2 ijd klAnoXY/ J K J96K Q ôÙÁ ~ E & GoF c« ÿ¬ Àv T 6\"" $_ EFkl0EF ?96") ¦®6/ - íÆ + ô Uc YYᐸOO

음악개념 중심의 통합적 유아 음악감상과 표현활동이 유아의 음악개념 및 음악적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159

4. 자료분석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PC 1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

의 평균 월령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평균과 표준편차를 사용하였다. 실험효과를 검증하기 위

해서 각 집단의 사전검사 점수와 사후검사 점수의 총점과 하위영역별 점수로 사전-사후 검

사점수의 증가분에 대한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Ⅲ. 결과 및 해석

1. 유아의 음악개념에 미치는 영향

음악개념 중심의 통합적 유아 음악감상과 표현활동이 유아의 음악개념 발달에 미치는 영

향을 알아본 결과는 표 4와 같다.

<표 4> 음악개념 점수의 집단별 차이 검증 결과

하위내용 집단사전검사 사후검사 증가분

tM (SD) M (SD) M (SD)

음높이실험집단(18)비교집단(19)

7.89(2.08)8.00(1.60)

9.06( .94)8.21(1.47)

1.17(1.62).21( .42)

2.49*

셈여림실험집단(18)비교집단(19)

8.39(1.69)8.68(1.06)

9.50( .86)8.79(1.08)

1.11(1.64).11( .46)

2.57*

음색실험집단(18)비교집단(19)

8.56(2.45)9.16( .90)

9.56( .86)9.26( .87)

1.00(1.81).11( .32)

2.12*

리듬실험집단(18)비교집단(19)

8.28(2.70)8.68(1.29)

9.33(1.33)8.79(1.23)

1.06(2.29).11( .32)

1.79

표현법실험집단(18)비교집단(19)

5.06(1.51)5.47( .77)

5.78( .73)5.58( .51)

.72(1.07)

.11( .46)2.30*

가락실험집단(18)비교집단(19)

4.89(1.57)4.89( .99)

5.44(1.04)5.00( .88)

.56(1.34)

.11( .32)1.43

음악 개념 전체실험집단(18)비교집단(19)

44.06(9.84)44.89(3.86)

48.67(4.58)45.63(3.58)

5.61(6.10).74( .87)

3.45***

*p< .05, ***p< .001

표 4에서 보는 것처럼 유아의 음악개념 전체 점수에 대한 두 집단 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Page 14: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2014-08-25 · _ 7[XY/HV =` L1af FgAh5 e 2 ijd klAnoXY/ J K J96K Q ôÙÁ ~ E & GoF c« ÿ¬ Àv T 6\"" $_ EFkl0EF ?96") ¦®6/ - íÆ + ô Uc YYᐸOO

160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0권 제3호

의의 있는 차이를 보였다(t=3.45, p< .001). 즉 실험집단의 사후검사 평균은 48.67이고 비교집

단의 사후검사 평균은 45.63으로 평균 점수간의 차이는 3.04로 실험집단이 높았으며, 사전검

사 평균과 비교하여 사후검사 평균점수의 증가분을 살펴보면 실험집단이 5.61증가하였고 비

교집단이 .74증가하여 음악개념중심의 통합적 유아 음악감상과 표현활동을 적용한 실험집단

의 증가가 컸다.

음악개념 하위내용별로 살펴보면 셈여림과 음높이, 표현법, 음색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

타났으며 리듬과 가락에서는 실험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사전보다 사후에 증가를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의의 있는 차이는 아니었다. 점수의 차이가 가장 큰 영역은 셈여림, 음높이 순이

었으며 리듬과 가락은 작은 점수 차이를 보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음악개념중심의 통

합적 유아 음악감상과 표현활동이 유아의 음악개념 발달에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2. 유아의 음악적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음악개념중심의 통합적 유아 음악감상과 표현활동의 적용이 유아의 음악적 표현력에 미치

는 영향은 어떠한지를 알아본 결과는 표 5와 같다.

<표 5> 음악적 표현력 점수의 집단별 차이 검증 결과

하위내용 집단사전검사 사후검사 증가분

tM (SD) M (SD) M (SD)

노 래부르기

실험집단(18)비교집단(19)

6.50(1.98)6.63(1.92)

8.22(1.43)6.84(1.64)

1.72(1.74).21( .71)

3.49***

악 기다루기

실험집단(18)비교집단(19)

5.28(2.63)6.11(1.33)

9.17(1.10)6.21(1.23)

3.89(2.25).11( .32)

7.27***

신체표현실험집단(18)비교집단(19)

7.00(1.91)7.42(1.46)

9.61( .85)7.42(1.30)

2.61(1.54).01( .33)

7.22***

음 악만들기

실험집단(18)비교집단(19)

4.94(2.21)5.42(2.24)

8.56(1.38)5.53(2.09)

3.61(2.06).11( .57)

7.14***

음악표현전체

실험집단(18)비교집단(19)

23.72(7.70)25.58(5.46)

35.56(3.68)26.00(4.86)

11.83(6.39).42(1.12)

7.67***

***p< .001

표 5에서 보는 것처럼 유아의 음악적 표현력 전체 점수에 대한 두 집단간의 차이는 통계적

으로 의의 있는 차이를 보였다(t=7.67, p< .001). 즉 실험집단의 사후검사 평균은 35.56이고

Page 15: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2014-08-25 · _ 7[XY/HV =` L1af FgAh5 e 2 ijd klAnoXY/ J K J96K Q ôÙÁ ~ E & GoF c« ÿ¬ Àv T 6\"" $_ EFkl0EF ?96") ¦®6/ - íÆ + ô Uc YYᐸOO

음악개념 중심의 통합적 유아 음악감상과 표현활동이 유아의 음악개념 및 음악적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161

비교집단의 사후검사 평균은 26.00으로 평균 점수간의 차이는 9.56으로 실험집단이 높았으며,

사전검사 평균과 비교하여 사후검사 평균점수의 증가분을 살펴보면 실험집단이 11.83증가하

였고 비교집단이 .42증가하여 음악개념중심의 통합적 유아 음악감상과 표현활동을 적용한 실

험집단의 증가가 컸다.

음악적 표현력을 하위내용별로 살펴보면 악기 다루기에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사후검

사 점수 증가분의 차이가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에 신체표현, 음악 만들기, 노래 부

르기 순으로 차이를 보였다. 실험집단의 증가점수에서 노래 부르기의 증가보다 악기 다루기

와 음악 만들기, 신체표현의 점수 증가가 크게 나타났다. 즉 음악활동에서 비교적 많이 다루

어지고 있는 노래 부르기와 신체표현활동 보다는 흔하지 않은 음악 만들기와 악기 다루기 활

동에서의 증진 효과가 높았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음악개념 중심의 통합적 유아 음악감

상과 표현활동이 유아의 음악적 표현력 발달에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Ⅳ. 논의 및 결론

1. 요약 및 논의

본 연구는 음악개념 중심의 통합적 유아 음악감상과 표현활동을 구안하여 이를 유아에게

적용한 후 유아의 음악개념과 음악적 표현력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문제별로 요약하고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1) 음악개념 중심의 통합적 유아 음악감상과 표현활동이 유아의 음악개념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에서 구안한 음악개념 중심의 통합적 유아 음악감상과 표현활동은 생활주제에 따

른 단편적인 음악 활동에 비해 유아의 음악개념 발달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악

개념의 하위영역별로 이와 같은 효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음악개념 중 셈여림 개념 발달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셈여림 개념

의 내용요소인 큰소리와 작은 소리, 점점 세게와 점점 여리게, 갑자기 크게와 갑자기 작게 악

센트 등을 이해하고 구별 할 수 있는 음악개념이 향상된 것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결과는 4

세 이전에 다양한 방법으로 듣기 활동을 통해 셈여림에 대한 지각이 생겨난다는

Zimmerman(1971)의 결과에 더하여 5세에도 셈여림에 대한 교육적 효과가 지속되고 있음을

Page 16: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2014-08-25 · _ 7[XY/HV =` L1af FgAh5 e 2 ijd klAnoXY/ J K J96K Q ôÙÁ ~ E & GoF c« ÿ¬ Àv T 6\"" $_ EFkl0EF ?96") ¦®6/ - íÆ + ô Uc YYᐸOO

162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0권 제3호

알 수 있다.

둘째, 음높이 개념 발달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높이 개념의 내용요소인 높은

음과 낮은 음, 올라가는 음과 내려가는 음, 도약 진행하는 음 그리고 음정 등을 이해하고, 구

별 할 수 있는 음악개념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조작기 유아는 음의 높낮이를 구

별 할 수 있다는 Scott(1979)과 Young(1982)의 결과와 맥을 같이 하는 것으로서 본 연구결과

는 음악감상과 표현활동이 이러한 능력을 더욱 향상시켰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셋째, 표현법개념 발달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현법개념의 내용요소인 슬러와

스타카토, 표현 기호가 없는 선율의 구별, 슬러와 레가토 등을 이해하고 구별할 수 있는 음악

개념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음색개념 발달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색 개념의 내용요소인 동물의 소리

구별, 리듬악기와 선율악기 소리 구별, 악기별 음색 구별을 할 수 있는 음악개념이 향상된 것

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음악개념 중심의 통합적 음악감상과 표현활동은 단편적인 음악활

동에 비해 유아의 음악개념 증진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음악은 하나의 교과활동으

로 가르치기보다 통합적으로 적용할 때 가장 효과적이라는 Eliason & Jenkins(2003)의 주장

을 뒷받침한다.

다섯째, 본 연구 결과 유아의 음악적 개념 중 가락과 리듬에서는 실험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사전보다 사후에 더 큰 차이의 점수 증가를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의의 있는 차이는 아

니었는데, 이는 성인은 음악에서 가락적 표현, 리듬적 표현에 민감한 반면, 유아들은 먼저 음

색을 듣는다고 한 박명숙(2000)의 주장과 일맥 통하는 부분으로 보인다. 또한 가락의 지각은

6~8세에 발달을 보이고 가락 기억력은 8~14세에 가장 높게 나타난 Zimmerman(1972)의 결

과와도 관련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처럼 음악개념 중심의 통합적 유아 음악감상과 표현활동은 유아의 음

악개념 중 셈여림과 음높이, 표현법, 음색에서 모두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

는 주변에서 들리는 소리를 얼마나 많이 또 얼마나 의미 있고 즐겁게 경험할 기회가 주어졌

느냐에 따라 음악적 성장발달에 영향을 미친다는 이홍수(1992)의 연구와 맥을 같이 한다.

유아음악교육은 단순히 소리나 음을 지각하고 이에 대해 정서적 경험을 하는 것으로 그치

는 것이 아니라 음악을 진정으로 즐기기 위해 음악을 이해하는 과정이 포함되어야 한다는

Gordon의 이론에 기초하여 감상수업을 실시한 결과 음감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김현영(2001)의 연구와 음악감상을 통한 다양한 경험이 유아의 청음능력과 음악개념, 그림

표현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는 김성균의 연구(1984)와도 유사하다. 유아의 음악능력 발달에

관한 신인숙(1987)의 연구와 포괄적 음악교육을 위한 개념적 접근법의 적용 방안에 관한 소

Page 17: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2014-08-25 · _ 7[XY/HV =` L1af FgAh5 e 2 ijd klAnoXY/ J K J96K Q ôÙÁ ~ E & GoF c« ÿ¬ Àv T 6\"" $_ EFkl0EF ?96") ¦®6/ - íÆ + ô Uc YYᐸOO

음악개념 중심의 통합적 유아 음악감상과 표현활동이 유아의 음악개념 및 음악적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163

양춘(1996)의 연구, 유아의 통합적 음악 감상활동을 연구한 송은경(2004), 포괄적 음악 감상

활동과 유아의 음악적 창의성에 관한 강경희(2001)등의 연구에서도 공통적인 것은 음악교육

방법에 있어 음악적 개념을 형성하는 것이 음악 능력을 향상시키는 근원이 된다는 점을 밝히

고 있다. 또한 김영희(2001)는 음악적 감상능력의 신장을 위해서 음악적 개념을 형성하는 것

이 중요함을 들고 있으며, 신정자(1998)의 연구에서는 직접적 음악감상에 기초한 포괄적인

음악활동이 유아의 음악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보고하였다. 이들의 연구에서

도 유아의 음악개념은 음악 능력을 높이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어 본 연구의 결과를 뒷받침

하고 있다.

또한 유아의 음악 능력은 단순히 음악을 제시하는 것만으로는 길러지지 않으므로 유아들

이 능동적으로 음악을 느끼고, 느낀 것을 노래하고 창의적으로 신체를 움직여 표현해 보는

등의 경험을 하도록 해 주어야 한다고 한 Ball(1995)의 연구와 다양한 소리를 능동적으로 듣

기, 움직이기, 노래 부르기, 악기 연주하기와 같은 활동이 통합적으로 이루어져야 음악능력이

길러진다고 한 Haines & Gerber(1996)의 연구와도 그 맥을 같이 한다.

유아의 음악개념은 단순히 음악을 들려주는 식의 감상교육 보다 음악영역 내에서 감상활

동과 노래 부르기, 감상활동과 악기 다루기, 감상활동과 신체표현하기, 감상활동과 음악 만들

기 등, 다른 활동과의 통합을 통해서 접근할 때 음악개념이 더욱 효과적으로 발달 될 수 있다

고 본다. 또한 음악과 미술, 음악과 동작, 음악과 언어, 등 다른 활동 영역간의 통합을 통해,

다양한 교수 매체와 다양한 표현방식으로 음악개념을 경험할 수 있도록 통합적, 경험적으로

접근할 때 유아들의 음악능력이 향상된다고 볼 수 있다.

2) 음악개념 중심의 통합적 유아 음악감상과 표현활동이 유아의 음악적 표현력에 미

치는 영향

음악개념 중심의 통합적 유아 음악감상과 표현활동은 생활주제에 따른 단편적인 음악 활

동에 비해 유아의 음악적 표현력 발달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악적 표현력의 하

위영역별로 나타난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래 부르기 표현력 발달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본 연구에 실험집단

으로 참여한 유아들은 음악개념 중심의 통합적 음악감상과 표현활동을 통하여 단순히 노래

부르기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음악적 개념에 기초해 몸동작을 표현해가며 노래 부를 수 있

었고 가사를 바꾸어 부르거나 새 노랫말을 만들어 불러볼 수 있었으며, 노래에서 반복되는

멜로디 패턴이나 리듬패턴에 맞게 표현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음악적 능력은 음악적

경험의 범위와 관련된다고 한 Susan & Jackie(2002)의 연구결과를 지지하는 것이다.

Page 18: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2014-08-25 · _ 7[XY/HV =` L1af FgAh5 e 2 ijd klAnoXY/ J K J96K Q ôÙÁ ~ E & GoF c« ÿ¬ Àv T 6\"" $_ EFkl0EF ?96") ¦®6/ - íÆ + ô Uc YYᐸOO

164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0권 제3호

둘째, 악기 다루기 표현력 발달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들은 활동이 진행되는

동안 노래박자에 맞추어 악기로 셈여림을 표현하고, 리듬 타악기 등을 이용하여 느리고 빠르

게, 길고 짧게 등을 표현했다. 또한 교사의 신체 움직임에 맞추어 리듬악기로 반주표현을 할

수 있었다. 또한 다양한 음 개념에 기초하여 악기연주활동을 하는 동안 유아들은 스스로 악

기연주자가 되어 훨씬 적극적인 반응과 자신감을 가지고 활동에 참여하였다. 이러한 경험은

유아들이 악기연주를 통해 음악적 개념을 더욱 명료하게 가지게 된다는 Orff의 음악교육원리

를 지지하는 결과이다.

셋째, 신체 표현력 발달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들은 느리게 또는 빠르게, 리

듬특징 및 박자에 맞추어 표현하고, 악기소리를 구분하여 신체로 반응하고, 소리의 높낮이를

구분하여 신체로 표현할 수 있고, 셈여림에 따라 몸동작을 크고 작게 표현할 수 있었다. 이는

본 연구에서 음악개념 중심의 통합적 음악감상과 표현활동의 경험이 유아들의 신체 표현능

력에 효과적임을 말해준다. 이러한 결과는 신체표현 활동이 유아의 음악에 대한 학습을 도우

며 리듬에 대한 개념을 발달시키는데 자연스럽고 효과적인 방법이 된다고 제시한

Stabley(2001)의 연구결과를 지지한다.

넷째, 음악 만들기 능력 발달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들은 주어진 노랫말에

선율을 즉흥적으로 만들어 표현하기도 하고 교사가 제시하는 선율을 다른 선율로 바꾸어 부

를 수 있었으며 한 가지의 악기로 다양한 소리를 만들어 보거나 특정한 사물의 소리를 악기

로 만들어내는 활동을 자연스럽게 표현해 내었다. 이는 본 연구에서 음악개념 중심의 통합적

음악감상과 표현활동이 유아들의 음악 만들기 능력발달에 효과적임을 말해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음악개념 중심의 통합적 음악감상과 표현활동은 단편적인 음악활

동에 비해 유아의 음악개념 증진뿐만 아니라 음악적 표현력에도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즉 노래 부르기, 악기다루기, 신체표현, 음악 만들기 모두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나

타냈다.

본 연구결과는 음악감상을 통한 다양한 경험이 기존의 음악교과 지도를 받은 유아보다 표

현력이 통계적으로 의의 있게 높아졌다는 김춘희(1994)의 연구와도 맥을 같이한다. 송은경

(2004)의 연구에서도 통합적 접근의 음악활동이 유아의 정서를 자연스럽게 표현도록 하며,

음악 능력과 정서지능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했다. 또한 김광자(2004)는 포괄적

음악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에서 개념적, 통합적, 경험적, 창의적 음악교육 접근은 단편적인

음악 활동에 비해 유아의 음악적 인지능력과 음악적 표현 능력에도 크게 영향을 미친다고 밝

혔다.

본 연구에서 노래 부르기는 악기다루기, 신체표현과 음악 만들기보다 점수 차이가 크지 않

Page 19: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2014-08-25 · _ 7[XY/HV =` L1af FgAh5 e 2 ijd klAnoXY/ J K J96K Q ôÙÁ ~ E & GoF c« ÿ¬ Àv T 6\"" $_ EFkl0EF ?96") ¦®6/ - íÆ + ô Uc YYᐸOO

음악개념 중심의 통합적 유아 음악감상과 표현활동이 유아의 음악개념 및 음악적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165

게 나타났는데, 그 이유로써 노래 부르기는 일반적으로 감상활동과 통합하지 않고도 흔히 하

는 활동인 반면 악기 다루기나 신체표현, 음악 만들기는 감상활동과 통합적으로 적용할 때

더 효과가 크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유아의 음악적 표현력 증진을 위해서 악기 다루기와 신체표현, 음악 만들기 등이

음악활동에 많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2. 결론 및 제언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와 논의를 토대로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개념 중심의 통합적 유아 음악감상과 표현활동은 유아의 음악개념 발달에 효과

적이다.

둘째, 음악개념 중심의 통합적 유아 음악감상과 표현활동은 유아의 음악적 표현력 발달에

효과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음악개념중심의 통합적 유아 음악감상 표현활동은 기존의 단편적인 음

악활동 및 음악감상 방법을 보완하여 유아의 음악개념과 음악적 표현력 발달을 위한 음악교

육 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다고 본다.

이상의 논의와 결론을 바탕으로 후속연구에 대한 몇 가지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연령과 성을 고려하지 않고 이루어졌다. 유아의 연령과 성에 따라 유아의

음악능력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후속 연구가 요구된다.

둘째, 음악개념중심의 통합적 유아 음악감상과 표현활동은 통합적인 교육활동으로 다양하

게 전개되므로 음악감상 통합 활동을 실시했을 때 나타나는 다양하고 역동적인 변화에 대해

질적인 평가방법이 요구된다.

셋째, 음악개념 중심의 통합적 유아 음악감상과 표현활동을 실시할 때 활동을 위한 공간,

매체 등이 중요하다고 본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교수 자료 등 음악 관련 환경 요인을 고

려할 필요가 있다.

넷째, 본 연구가 보여준 바에 따르면 음악영역 내에서 다른 영역과 통합적으로 접근할 때

유아들의 음악능력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통합의 방식이 다양하므로 본 연구의 통

합 방식과 다른 또 다른 통합적 접근법에 따른 효과를 비교해보는 것도 의의가 있다고 본다.

Page 20: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2014-08-25 · _ 7[XY/HV =` L1af FgAh5 e 2 ijd klAnoXY/ J K J96K Q ôÙÁ ~ E & GoF c« ÿ¬ Àv T 6\"" $_ EFkl0EF ?96") ¦®6/ - íÆ + ô Uc YYᐸOO

166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0권 제3호

참고문헌

강경희(2001). 포괄적 음악 감상 활동이 유아의 음악적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교

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강미령(2004). 통합적 음악 감상 활동이 유아의 정서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곽이정(2000). 유치원 음악교육 실태 분석연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권덕원(1987). 음악교육에 있어서 개념적 접근을 위한 이론적 근거.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권미란(2000). 음악 감상활동에서 신체표현이 유아의 창의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광자(2004). 포괄적 음악교육에 기초한 유아의 음악적 능력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

증.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경희(2002). 개념적 접근법에 의한 음악 감상이 유아의 음감과 리듬감에 미치는 영향. 계명

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미숙(2000). 체험적 음악 감상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교육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김성균(1984). 유아음악교육. 서울: 학문사.

김영희(2001). 유아를 위한 음악감상지도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은아(2000). 유아의 음악적 경험과 음악 선호도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춘희(1994). 포괄적 음악교육접근이 5세 유아의 음악감상 능력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현영(2001). Gordon의 음악학습 이론에 근거한 음악 감상활동이 유아의 음감과 리듬감의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명숙(2000). 유아의 음악 듣기교육 프로그램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석문주(1996). 음악적 성장을 위한 음악과 교수-학습지도. 서울: 풍남.

성경희(1988). 음악과 교육론. 서울: 갑을 문화사.

소양춘(1996). 포괄적 음악교육을 위한 개념적 접근법의 적용 방안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송은경(2004). 통합적 음악 감상활동이 유아의 음악 적성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age 21: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2014-08-25 · _ 7[XY/HV =` L1af FgAh5 e 2 ijd klAnoXY/ J K J96K Q ôÙÁ ~ E & GoF c« ÿ¬ Àv T 6\"" $_ EFkl0EF ?96") ¦®6/ - íÆ + ô Uc YYᐸOO

음악개념 중심의 통합적 유아 음악감상과 표현활동이 유아의 음악개념 및 음악적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167

신인숙(1987). 유아의 음악능력 발달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효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신정자(1998). 음악 감상에 기초한 포괄적인 음악활동이 유아의 음악능력에 미치는 영향. 원

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심성경․이효숙․임선옥․박순이․허은주․박지애(2003). 유아음악교육내용에 대한 교사의

개념도 분석. 아동학회지, 24(4), 71-88.

유덕희(1983). 아동발달과 음악교육론. 서울: 개문사.

이건용(1987). 음악 감상에 있어서의 들음과 들림. 서울: 음악교육.

이춘희·이영(1999). 유아 음악 교육활동의 현장 실태 연구. 경원전문대 논문집, 21, 285-308.

이홍수(1992). 느낌과 통찰의 음악교육. 서울: 세광음악출판사.

장길자(1997). 음악 감수성 개발을 위한 유아기의 듣기 지도 방법에 관한연구. 이화여자대학

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장정애(2004). 음악감상에 기초한 다중 표상활동이 유아의 음악 지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

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Ball, C. H. (1995). The Answer Lies in Improved Teaching, MEJ, 3.

Campbell, P. S., & Scott-Kassner, C. (1995). Music in childhood from preschool through

the elementary grade, New York: Schrimer Books. Comprehensive Musicianship,

CMP Report Vol. Ⅱ. (Washington D.C: MENC, 1965).

Eliason, C. & Jenkins, L. (2003). A Practical guide to early childhood curricululum(6th

ed.). Perarson Education Inc. Upper Saddle River. New Jersey: Merill Prentice-Jall.

Gordon, E. E. (1986). Guiding your child musical development. Chicago: GIA Publication.

(1977). Edwin E Gordern's Learning Sequence In Music : skill, contence,

and Pattern. Chicago: GIA Publication.

Haines, B., & Gerber, L. (1996). Leading young children to music(5th ed). Columbus, OH:

Charles E. Merril Publising.

Hair, H. I. (1977). Discrimination of tonal direction on verbal and non verbal tasks by

first-grade children. Journal of Reasearch in Music Education, 25(3), Fall.

Lorton, J. W., & Wally, B. L. (1979). Introdution to early children education. New York:

D. Van Nosfrand Company.

Saracho, O. N., & Spodek, B. (1994). Right from the start. Massachussetts: Allyn &

Bacon.

Page 22: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2014-08-25 · _ 7[XY/HV =` L1af FgAh5 e 2 ijd klAnoXY/ J K J96K Q ôÙÁ ~ E & GoF c« ÿ¬ Àv T 6\"" $_ EFkl0EF ?96") ¦®6/ - íÆ + ô Uc YYᐸOO

168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0권 제3호

Scott. C. R. (1979). Pitch concept formation in preschool children. Council for Research in

Music Education Bulletin. 59.

Seashore, C. E. (1938). Seashore measures of musical talents. New York: Columbia

Photograph Company.

Stabley, N. C. (2001). Creative activities for string students, Music Educators Journal,

88(2), 29-33.

Susan, H., & Jackie, S. (2002). Constructions of Musical Ability. Bulletin of the Council

for Research in Music Education, 153-154, 102-108.

Young, L. P. (1982). An investigation of young childrens music development using

nonverbal and manipulative techniqu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Ohio

Station University.

Zimmerman, M. P. (1971). Music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ashington, D.C: MENC.

Page 23: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2014-08-25 · _ 7[XY/HV =` L1af FgAh5 e 2 ijd klAnoXY/ J K J96K Q ôÙÁ ~ E & GoF c« ÿ¬ Àv T 6\"" $_ EFkl0EF ?96") ¦®6/ - íÆ + ô Uc YYᐸOO

음악개념 중심의 통합적 유아 음악감상과 표현활동이 유아의 음악개념 및 음악적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169

Abstract

The Effects of the Application of Integrated Music Appreciation

and Expression Activities based on Young Children's Music

Concepts and their Ability to Express Music

Shin-Young Kang ․ Kyu-Soo Kim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application of integrated music

appreciation and expression activities affects the development of music concepts and young

children’s ability to express music The questions within the study asked How do integrated

music appreciation and expression activities affect music concepts and young children’s ability

to express music?

The subject of the study was 37 children who were five years old at the C kindergarten in

Jeon Ju city, Jeon Ra Buk Do, Korea.

The study was progressed on pre-experiment, experimenter training and pre-test, teachers'

training, pre-test, experiment management, and pro-test in order.

For the first stction, 12 pieces of music were selected for integrated music appreciation and

expression activities and every piece of selected music had different musical characteristic. The

section covering integrated music appreciation and expression of music was completed by

extracting concepts that would be given to young children within selected pieces of music.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integrated music appreciation and expression activities

have affected the development of music concepts of young children and their development of

the ability to express mus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