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
*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2014. 8. 25. · !"#$ 4%&'()*Ò, "- & Ê\ 4è Oò% }ó.'opDO%&Õ° M¯+ }), ô VLO ¾¿e y. 1z>qî~Å. g &, VLO4y"# C"\ õ Bö÷ ø4 " Ôp * Ë`M1z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 생태유아교육연구

    2012. 제11권 제1호 , 1 - 24

    무용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예비유아교사의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체력에 관한 연구

    이 경 희*

    요 약

    본 연구는 신체활동 경험이 부족한 예비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무용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체력에 관하여 알아보고 이를 토대로 유아교사의 자신감 향상에 도움

    을 주고자 하는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B시에 소재한 D 대학교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

    교사 20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신체적 자기효능감은 설문지를 이용하여 실시하였

    고, 체력(근력, 근지구력, 유연성, 순발력, 평형성, 심폐지구력)은 사전·사후로 측정하였다. 연

    구결과, 무용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에서 인지된 신체능력, 신체적 자기표현 자신감이

    향상되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규명되었으며, 체력은 실험집단이 대조집단보다 근

    력, 근지구력, 유연성, 심폐지구력에서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나 순발력과 평형성은 유의한 효

    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예비유아교사들의 자신감 향상과 적극적 참여유도를 위해 다양한 프

    로그램 접근방안이 모색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주제어 무용프로그램(dance program)

    예비유아교사(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신체적 자기효능감(physical self-efficacy)

    체력(physical fitness)

    ※ 논문 접수 : 2012. 01. 31 / 수정본 접수 : 2012. 03. 05 / 게재 승인 : 2012. 03. 23

    * 동부산대학교 유아교육과([email protected])

  • 2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1권 제1호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유아기의 발육발달 과정에서 가장 뚜렷하게 나타나는 특징은 운동능력(Motor ability)인데

    유아기는 운동능력 발달이라는 시점에서 중요한 시기라고 말할 수 있다(Gallahue, 1996). 그

    러므로 유치원에 다니는 만 3∼5세 시기의 유아에게 있어서 신체활동은 발달에 중요한 의미

    를 지니며, 신체활동의 중요성은 유아기의 안정된 건강을 보장함은 물론 평생의 건강에 영향

    을 미친다(이순례, 2007). 특히, 유아는 신체활동에 수반되는 여러 동작 경험을 통해 자신의

    의지에 따라 신체를 스스로 조절하고 움직일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게 됨으로서 자신감을 얻

    게 된다. 이러한 자신감에서 얻어지는 성취감은 점차 활동 범위를 확대하며, 주위환경과 긍정

    적인 관계를 인식 할 뿐만 아니라 사회성 발달도 촉진시킨다(오연주, 정민자, 2003). 또한 유

    아기는 신체적으로 불완전한 상태에 있기 때문에 사고와 상해의 위험을 항상 가지고 있으므

    로 그들 자신의 신체를 어느 정도 보호 할 수 있는 기본적인 체력을 갖출 수 있도록 하는 것

    이 매우 중요하다(류진희 외, 2003).

    이처럼 많은 교사들이 신체표현활동의 중요성을 인식(한지혜, 2008)하면서도 실제 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지지 못하는 이유는 적절한 교수방법에 대한 이해부족과 자료수집의 어려움,

    그리고 무엇보다도 교사 자신의 움직임에 대한 자신감의 결여 및 동작교수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김은심, 2001; 김은심, 박수미, 2003a)에 그 원인이 있다. 그러므로 유아교육현장에서 신

    체표현 활동의 질적 수준을 높이기위해서는 교사들의 신체표현 활동에 적극적이고 다양한

    프로그램 경험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예비유아교사의 경험적 인식은 교육의 질 향상을 위

    한 방안으로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전인적인 발달과 체력을 향상 시킬 수 있도록 교

    사의 많은 경험이 우선되어야 하겠다. 유아기에 경험하는 다양한 교육학습은 성인이 된 이후

    에도 사회생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영ㆍ유아교육의 상대적 중요성이 부각되므로

    (권건일, 신재흡, 2007), 예비유아교사의 질적 향상은 교사양성 교육과정에서 필수적인 조건

    이라 할 수 있다(이은하, 이소영, 2011).

    교사는 단순히 지식 전달자가 아닌 전문가로서의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어야한다. 그에 따

    라 유아교육기관들은 최근 들어 평가인증제와 같은 제도적인 노력을 통하여 유아교육의 질

    을 더욱 높이기 위해 힘쓰고 있으나 가장 우선시 되어야 할 것은 역시 유아교사의 질을 높이

    는 일일 것이며, 이러한 교사의 전문성은 예비교사교육 단계에서부터 길러져야 하기 때문에

    전문적 지식을 갖춘 교사양성을 위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홍계옥, 강혜원, 2011). 즉 유아

    교사는 유아를 보호하고 돌보는 것을 넘어서 유아의 발달과 학습을 조장하는 역할이 강조되

  • 무용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예비유아교사의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체력에 관한 연구․3

    면서 유아교사의 역할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위해 인성적 자질 뿐만 아니라 지식과 교수능

    력을 포함한 전문성을 갖출 것을 요구하고 있다(양옥승 외, 2000; 조경자, 2007).

    이러한 전문성의 요구에 따라 신체활동 중에서 무용, 놀이, 체육, 음악, 동작 등의 프로그램

    에 대한 연구(박해경, 2009)들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한지혜(2007)의 연구에서도 예비교사의

    실기에 대한 요구도가 크다고 하였으며, 창작과 표현의 기회를 충분히 제공받을 수 있도록

    계획하여야하며, 실제 활동을 경험할 수 있는 워크샵활동의 필요성을 제기하기도 하였다. 이

    러한 측면에서 예비교사들에게 교사의 전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실기교육의 한

    방법으로 무용프로그램 중 발레프로그램에 참여해봄으로써 예비교사의 자신감 향상과 표현

    력을 키울 수 있는 움직임의 실제 활동을 체험해보고자 하였다. 또한 유아기에는 특정 신체

    부위만 자극하는 운동보다는 몸 전체의 종합적인 운동 능력을 개발시킬 수 있는 발레프로그

    램을 적용하는 것이 효과적(이석인, 임정미, 김대한, 2009)이라 보고한 연구도 있으며, 임여선

    (2005)의 연구에서도 유아발레의 시작은 5∼7세에 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고 보고하였다.

    발레는 음악과 함께 실시하는 동작이므로 리듬감과 균형감을 증진시키며(유종선, 2001) 뿐만

    아니라 바른 자세유지와 동작들의 반복을 통해 신체의 근력과 유연성 및 지구력을 증진시키

    며 나아가 외적 아름다움과 건강한 체형을 완성시키는데 효과적이라 하였다(박아영, 2005).

    한편, Ryckman 등(1982)은 신체와 관련된 자신감으로써 신체적 자기효능감(physical

    self-efficacy)을 정의하였으며, 신체적 자기효능감 척도는 신체적 자기 자신감을 측정하기위

    해 고안된 것이다. 하위요인으로 인지된 신체능력 척도는 자신의 신체적 능력을 인지하고 있

    음을 측정하는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신체적 자기표현 자신감 척도는 그러한 기술을 보

    여줄 때의 개인적 자신감을 반영한 항목들로 구성되어있다.

    선행연구들의 경우를 살펴보면 김경은(2010)은 예비유아교사들의 자기효능감에 관한연구

    에서 예비유아교사가 새로운 경험에 시도하고자 하는 성향이 높을수록 스스로에 대한 자신

    감이 높고, 이러한 자신감은 다양한 상황에서 새롭고 유용한 아이디어를 내는데 긍정적인 영

    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가 있었으며, 이석인, 임정미, 김대한(2009)의 연구에서 발레프로그램

    이 유아들의 발달과 체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는 연구, 한지혜(2008)의 신체표

    현 교수 효능감에 관한연구에서 신체표현 연수경험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는 연구, 유아

    의 체력 변화연구에 관련된 연구(김은주 외, 2010; 김주한, 황해익, 2006; 이경희, 2011) 등과

    같이 예비교사의 자기효능감과 유아체력에 관한 연구는 많이 행해져 왔다. 그러나 전문성 확

    보를 위한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실제적인 무용프로그램참여에 따른 연구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신체활동 경험이 부족한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체계적 교육프로그

    램인 발레프로그램을 통하여 예비유아교사의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체력에 관하여 연구하고

  • 4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1권 제1호

    자 하였다. 이는 예비교사 자신의 기초체력을 향상시키고자 하였으며, 또한 유아의 체력향상

    을 전이 시킬 수 있는 예비유아교사에게 실천을 통한 적극적인 참여유도로 교사의 전문성확

    보를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 체험활동이 무엇보다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따라서 예비유아교사들의 교사자신의 신체활동에 대한 자신감 형성과 체력에 도움을 주기

    위한 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가설은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가설1. 무용프로그램이 예비유아교사들의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2. 무용프로그램이 예비유아교사들의 체력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Ⅱ. 연구방법

    1. 연구 대상

    본 연구는 B시에 소재한 D대학교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2학년을 대상으로 신체활동 경

    험이 부족하고, 본 연구의 프로그램에 참가하기를 희망한 학생을 중 편의추출법으로 총 20명

    의 대상자를 선발하였으며, 실험군 10명, 대조군 10명으로 분류하였다. 이들은 모두 과거 특

    별한 병력이 없고 현재 건강하며 다른 신체활동프로그램에 참가한 경험이 없으며 본인이 무

    용프로그램에 참여할 의사를 밝히고 동의서를 제출한 자를 선정하였다. 대상자의 신체적 특

    성은 표 1과 같다.

    피험자의 신체적 특성

    변인그룹

    사례수(n) 연령(years) 체중(kg) 신장(cm)

    실 험 군 여(n=10) 21.00±0.82 56.57±12.74 159.30±3.14

    대 조 군 여(n=10) 21.00±0.30 54.07±4.19 159.35±6.56

    Values are M±SD

  • 무용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예비유아교사의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체력에 관한 연구․5

    2. 검사도구

    본 연구 참여자들의 신장과 체중을 측정하고 체력측정은 근력, 근지구력, 유연성, 순발력,

    평형성, 심폐지구력의 6개 항목, 그리고 신체적 자기효능감은 설문지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구체적인 측정 항목 및 도구는 표 2와 같다.

    측정 도구

    기 구 모델 / 국적 측 정 항 목

    Electro Height Meter CAS. Co. Korea 신장

    Electro Weight Meter CAS. Co. Korea 체중

    In body 4.0 Biospace. Co. Korea 신체조성

    Stop-watch Casio HS-30W. Co. Japan

    윗몸 일으키기

    눈감고 외발서기

    1200M 달리기

    T.K.K 5102 TAKEI. Co. Japan 배근력

    Sit-and-reach Box Helmas SH-9600G. Co. Korea 앉아서 윗몸 앞으로 굽히기

    Tapeline Samhwa. Co. Korea 제자리 멀리 뛰기

    신체적 자기효능감 설문지

    신체적 자기효능감 검사는 Ryckman 등(1982)에 의해 개발되고 홍선옥(1996)에 의해 번안

    사용된 신체적 자기효능감 척도(physical self efficacy: PSE)를 근거로 하였다. 이 척도는 등

    간 척도로서 인지된 신체능력과 신체적 자기표현 자신감 등 2개의 하위 척도로 22개 문항으

    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신체활동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스포츠 심리학과와 사회

    학 전문가와의 자문을 거친 남윤미(2001)의 설문지를 수정ㆍ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인지된 신

    체능력 7문항, 신체적 자기표현 자신감 13문항, 총 20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신

    뢰도를 검증하는 방법으로 내적일관성을 나타내는 신뢰도계수인 Cronbach's α값을 산출한

    결과 .814로 비교적 만족할 만한 신뢰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설문지의 응답형태는 6점 평정척

    도로 구성하여 ‘전혀 그렇지 않다’ 1점, ‘그렇지 않다’ 2점, ‘별로 그렇지 않다’ 3점, ‘조금 그런

    편이다’ 4점, ‘대체로 그렇다’ 5점, ‘아주 그렇다’ 6점을 부여하였다. 따라서 점수가 높을수록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높음을 의미한다. 설문지의 신체적 자기효능감 신뢰도는 표 3과 같다.

  • 6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1권 제1호

    신체적 자기효능감 신뢰도

    척 도 문 항 번 호 Cronbach's α

    인지된 신체능력 1 3 5 7 11 12 18 .750

    신체적 자기표현 자신감 2 4 6 8 9 10 13 14 15 16 17 19 20 .642

    신체적 자기효능감 1∼20 .814

    측정도구의 구체적인 설문문항 내용을 영역별로 제시해보면 인지된 신체능력에서 ‘나는 움

    직임이 빠른 편이다’, ‘나는 체격이 좋은 편이다’ 등의 내용이 있으며, 신체적 자기표현 자신

    감에서는 ‘내 몸에 대해 다른 사람들이 어떻게 볼까 고민하는 때가 있다’, ‘나는 몸이 빠르기

    때문에 활동적인 운동을 잘한다’ 등의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3. 연구 절차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절차는 다음과 같다.

    1) 사전검사

    본 연구를 시행하기에 앞서 신체적 특성을 확인하기위하여 활동 실시 1주일 전 연구도구가

    설치되어 있는 P대학교 체육교육과에서 D대학교 유아교육과 재학 중인 2학년을 선정하여 사

    전검사를 실시하였다. 신체적 자기 효능감은 강의실에서 설문지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체력검

    사는 체육전문가인 석ㆍ박사의 도움을 받아 설명과 시범을 보여주며 근력, 근지구력, 유연성,

    순발력, 평형성, 심폐지구력을 측정하였고, 모든 검사는 2회씩 측정하였다. 예비조사 결과, 24

    명의 예비교사가 본 연구의 검사를 수행했지만 4명이 개인사정으로 참여 거부 의사를 밝혀

    본 연구에서는 20명의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2) 사후검사

    무용프로그램을 12주간 주 3회 90분씩 실시한 후 예비조사를 참석했던 석ㆍ박사의 도움을

    받아 체력 측정을 다시 실시하였으며, 신체적 자기 효능감은 강의실에서 설문지검사를 실시

    하였다.

  • 무용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예비유아교사의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체력에 관한 연구․7

    4. 측정방법

    1) 신체적 특성(신장, 체중)

    측정의 오차를 최대로 줄이기 위하여 동일한 조건에서 동일한 측정자에 의해 오전 8시에서

    9시경에 측정하였고, 측정 전에 심한 운동이나 식사를 피하게 하고, 계측 직전엔 반드시 대소

    변을 보도록 한 후, 똑바로 서서 등과 발뒤꿈치를 자동 측정기(CAS. Co. Korea)에 붙이고,

    발바닥 면에서 두 정점까지의 수직거리를 측정하였으며, 단위는 cm로 소수점 첫째자리까지

    측정했다. 이 때 신체의 동요가 없게 한 후, 체중도 함께 측정하고, 단위는 kg으로 소수점 첫

    째자리까지 실시하였다(김태운 외, 2011).

    2) 신체적 자기효능감

    본 연구에서는 무용프로그램이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규명하기 위하여

    연구자가 예비유아교사들에게 연구의 취지와 목적을 설명하고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관한 설

    문지’를 배포한 다음 응답 요령과 주의사항을 설명하고 자기 평가 기입법(self-administration

    method)으로 응답하도록 한 후, 완성된 설문지를 회수하였다.

    3) 체력

    (1) 근력

    배근력을 측정하였다. 허리 유연체조를 시킨 후, 발판에 새겨진 발모양의 그림에 맞춰 무릎

    을 편 채, 측정기(TAKEI, Co. Japan) 위에 서서 윗몸을 30° 정도 굽히고 쇠사슬의 길이를 조

    절한 후 손잡이를 잡게 한 후 측정하였다. 단위는 kg으로 2회 측정하여 좋은 기록을 선택하

    며 소수점 첫째자리까지 기록하였다(백영호, 2005).

    (2) 근지구력

    윗몸일으키기를 실시하였다. 무릎을 굽히고 엉덩이와 발뒤꿈치 사이를 30∼45cm 떨어지게

    하여, 두 팔은 가슴 앞에서 교차시켜 피험자가 누웠다가 앉은 자세가 되었을 경우, 팔꿈치가

    무릎에 닿도록 실시하였다. 측정 중에 양손이 어깨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하였고, 초시계를 이

    용하여 1분 간 실시하여 횟수를 측정 하였다(AAHPERD, 1980).

    (3) 유연성

    앉아 윗몸 앞으로 굽히기를 실시하였다. 신발을 벗고 발바닥을 측정기구 수직면에 밀착시

  • 8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1권 제1호

    켜 무릎을 곧게 펴고, 상체를 서서히 굽히면서 팔을 최대한 뻗은 상태에서 약 2초간 자세를

    유지하게 하여 체전굴계(Helmas SH-9600G, Kore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단위는 cm로 2

    회 실시하여 좋은 기록을 선택하여 소수점 첫째자리까지 기록하였다(ACSM, 2001).

    (4) 순발력

    제자리멀리뛰기를 실시하였다. 구름판의 표시선을 넘지 않도록 서서 팔이나 몸, 다리로써

    충분하게 반동을 주어 전방으로 뛰어 착지하도록 하였고, 구름판의 표시선 으로부터 가장 가

    까운 착지 지점(발뒤꿈치 혹은 손, 엉덩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였으며, 단위는 cm로 2회 실

    시하여 좋은 기록을 선택하여 소수점 첫째자리까지 기록하였다(백영호, 2005).

    (5) 평형성

    눈감고 외발서기를 실시하였다. 피험자는 눈을 감고, 맨발로 서서 양손을 벌린 채 측정자의

    “시작” 구령에 따라 한발을 바닥으로부터 15cm 정도 들고 몸을 심하게 움직이거나 다리를

    땅에 내릴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였다. 초시계(Casio HS-30W. Japan)를 이용하여 5회 실시

    하여 그 평균값을 초(sec.)로 기록하였다(고흥환, 1998).

    (6) 심폐지구력

    1,200M 달리기-걷기로 측정하였다. 준비운동 후 5명으로 구성하여 지나치게 경쟁하거나

    달리는 도중 트랙을 이탈하지 않고 걷는 것이 허용됨을 사전에 숙지시켜 억지로 달리지 않도

    록 하였고, 초시계를 이용하여 분(min.), 초(sec.)로 기록하였다(조근종, 김성훈, 2003).

    5. 무용프로그램 실험방법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2학년을 대상으로 신체적 능력을 고려한 무용프로그램을 12주를 5

    단계로 나누어 지도 하였다. 1-3단계 까지는 각 2주씩 6주 동안 실시하였으며, 4-5단계 까지

    는 각 3주씩 6주 동안 실시하였다. 준비단계는 20분, 정리운동은 10분 실시하였으며, 본 운동

    은 Bar work와 Center work를 총 60분 동안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프로그램은 국내외에서

    가장 광범위하게 쓰이고 있는 발레교수법인 바가노바의 과정(grade 5)과 영국왕립무용학교의

    과정을 비교하여 공통적인 부분을 추출하였으며, 구체적인 실험집단의 무용프로그램은 표 4

    와 같다. 무용프로그램은 초보자에 맞게 근육의 무리가 가지 않는 범위 내에서 동작을 꾸준

    히 연습하게끔 하였다. 운동강도는 Borg's scale를 이용하였으며 1-2주는 RPE(rating of

    perceived exertion) 11∼12(알맞음), 3-12주는 RPE 13∼15(약간 힘듬-힘듬)로 실시하였다.

  • 무용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예비유아교사의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체력에 관한 연구․9

    1) 준비운동(Warm-up)

    본 운동을 시작하기 전 준비운동으로 기본관절운동과 스트레칭을 20분 동안 실시하였다.

    2) 본 운동(Main Exercise)

    12주간의 연습동안 1-3단계 까지는 각 2주씩 실시하였으며, 4-5단계 까지는 각 3주씩 실시

    하였다. 유지하고 휴식시간은 30초로 하여 1세트를 3회 실시하였다. 운동 빈도는 주 3회(월,

    수, 금)로 하였다.

    3) 정리운동(Cool-down)

    신체를 점차 휴식상태로 돌아오도록 이끄는 정리운동으로 스트레칭, 팔 기본 동작, 시선 연

    습을 10분 동안 실시하였다.

    단 계 바연습(30분) 센타(30분) 강도

    1단계

    (1-2주)

    ㆍ발레의 발 포지션을 익힌다

    ㆍBar는 양손으로 잡는다

    ㆍ1번, 2번 데미쁠리에 동작익힌다

    ㆍ바트망 탄듀 동작을 익힌다

    ㆍ플랙스 (마루에 앉아서)

    ㆍ포르 드 브라를 익힌다. 큰 소리로

    함께 외치며 동작을 익힌다(1번부

    터 3번까지)

    ㆍ쁘띠 주테를 익힌다

    ㆍ앙 화쓰, 앙 우베흐, 앙 크로와제를

    익힌다.

    ㆍ보통 2/4박자의 리듬

    ㆍ레베랑스

    RPE

    11-12

    (저강도)

    2단계

    (3-4주)

    ㆍBar는 양손으로 잡는다.

    ㆍ1번, 2번, 3번 쁠리에, 그랑 쁠리에를

    병행한다.

    ㆍ바트망탕듀드방, 데리에르를익힌다.

    ㆍ바트망 글리세, 바트망 퐁듀, 그랑

    바트망, 를르베를 익힌다.

    ㆍ전 시간에 익힌 것을 음악에 맞춰

    실시한다.

    ㆍ샹쥬망을 익힌다.

    ㆍ에샤뻬 쏘떼를 익힌다.

    ㆍ스키핑, 쿠페, 파드바스크를익힌다.

    ㆍ제자리에서 점프를 익힌다.

    ㆍ레베랑스

    RPE

    13-15

    (중강도)

  • 10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1권 제1호

    단 계 바연습(30분) 센타(30분) 강도

    3단계

    (5-6주)

    ㆍBar는 한손으로 잡는다.

    ㆍ오른쪽, 왼쪽 2번씩반복한다.

    ㆍ전 시간에 익힌 쁠리에→바트 망 탕듀

    → 바트망 글리세→ 바 트망 퐁듀 →

    그랑 바트망을 음악에맞춰실시한다.

    ㆍ롱드 잠 아떼르, 데벨로페, 를 르베 드

    방을 익힌다.

    ㆍ삐루엣을 위한 훈련을 한다.

    ㆍ아라베스크를익힌다.

    ㆍ팔을 움직이면서 하는 3ste을익힌다.

    ㆍ삐루엣을 위한훈련을 한다.

    ㆍ발랑쎄드꼬베, 파드샤, 젯떼를익

    힌다.

    ㆍ호핑 스텝을익힌다.

    ㆍ그랑 알레그로

    ㆍ레베랑스

    RPE

    13-15

    (중강도)

    4단계

    (7-9주)

    ㆍBar는 한손으로 잡는다.

    ㆍ오른쪽, 왼쪽 2번식 반복한다.

    ㆍ시간에익힌쁠리에→바트망탕듀→바

    트망 글리세→ 롱드 잠 아떼르→ 바트

    망 퐁듀 아떼르→ 데벨로페→ 그랑 바

    트망을 음악에맞춰실시한다.

    ㆍ를르베화쓰드방과데리에르를익힌다.

    ㆍ폴드브라, 삐루엣, 앙 디올, 앙 드당,

    파드부레를익힌다.

    ㆍ글리샤드 데리에르 와 드방, 발란스

    안 나방과앙아리에르를익힌다.

    ㆍ아쌈브레를 익힌다.

    ㆍ레베랑스

    RPE

    13-15

    (중강도)

    5단계

    (10-12주)

    ㆍ전 시간에 익힌 쁠리에→ 바트망 탕듀

    →바트망글리세→데벨로페데리에르

    → 그랑 바트망→ 삐루엣(앙 디올 을

    위한 훈련)을 음악에맞춰실시한다.

    ㆍBar는 한손으로 잡는다.

    ㆍ오른쪽, 왼쪽 2번씩반복한다.

    ㆍ리듬과 근육 그리고 세련된 동작을 요

    구하는 단계

    ㆍ바트망프라페, 샤세를 익힌다.

    ㆍ폴 드 브라→ 바트망 탕듀→ 아다지

    오→삐루엣→앙디올→앙드당을

    실시한다.

    ㆍ글리샤드, 발랑쎄를 익힌다.

    ㆍ수업시간에 익힌 기본동작을연결한

    앙세르망을 실시한다.

    RPE

    13-15

    (중강도)

    6. 자료 분석

    본 실험의 자료처리는 SPSS Ver. 14.0을 이용하여 두 집단이 동일한 집단임을 알아보기

    위해 t 검증(independent t-test)을 이용하여 사전값에 대한 동질성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모든

    변인에 대한 평균값(M)과 표준편차(SD)를 산출하였다. 각 집단 내의 프로그램 실시 전ㆍ후

    차이를 비교하기위해 t 검증(paired t-test)을 이용하여 각 집단 내의 실시 전ㆍ후 차이를 분

    석하였으며, 유의수준은 α=.05 로 검증하였다.

  • 무용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예비유아교사의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체력에 관한 연구․11

    Ⅲ. 연구결과

    본 연구는 신체활동 경험이 부족한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2학년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신

    체적 자기효능감과 체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12주간의 무용프로그램을 적용시킨

    실험집단 10명과 별도로 운동을 하지 않은 여대생 10명을 선정하여 총 20명을 연구 참여자로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신체적 자기효능감의 변화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대한 각 집단 내, 집단 간의 프로그램 실시 후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는 표 5와 같다. 인지된 신체능력의 각 집단 내 비교에서 실험집단은 사전검사 3.52±4.37점에

    서 사후검사 3.73±.057점으로 증가하여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

  • 12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1권 제1호

    [그림 1] 신체적 자기효능감의 변화

    이상의 결과에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신체적효능감이 높게 나타나 ‘무용프로그램이

    예비유아교사들의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채택되었다.

    2. 체력의 변화

    1) 근력(배근력)

    근력에 대한 각 집단 내, 집단 간의 프로그램 실시 전ㆍ후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표 6과

    같이 나타났다. 각 집단 내 비교에서 실험집단은 사전검사 43.50±19.77㎏에서 사후검사

    59.75±18.36㎏으로 증가하여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p

  • 무용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예비유아교사의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체력에 관한 연구․13

    [그림 2] 근력의 변화

    2) 근지구력(윗몸일으키기)

    근지구력에 대한 각 집단 내, 집단 간의 프로그램 실시 전ㆍ후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표 7

    과 같이 나타났다. 각 집단 내 비교에서 실험집단은 사전검사 22.80±6.94회에서 사후검사

    37.00±3.85회로 증가하여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p

  • 14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1권 제1호

    3) 유연성(앉아서 윗몸 앞으로 굽히기)

    유연성에 대한 각 집단 내, 집단 간의 프로그램 실시 전ㆍ후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표 8과

    같이 나타났다. 각 집단 내 비교에서 실험집단은 사전검사 10.68±6.40 ㎝에서 사후검사

    16.74±4.95 ㎝로 증가하여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p

  • 무용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예비유아교사의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체력에 관한 연구․15

    순발력의 변화 (㎝)

    구분 실험집단 대조집단 t-value

    사전 124.20±17.99 134.60±17.99 -1.292

    사후 132.60±17.77 125.10±07.44 1.231

    [그림 5] 순발력의 변화

    5) 평형성(눈감고 외발서기)

    평형성에 대한 각 집단 내, 집단 간의 프로그램 실시 전ㆍ후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표 10

    과 같이 나타났다. 각 집단 내 비교에서 실험집단은 사전검사 25.40±15.39 sec.에서 사후검사

    43.40±36.15 sec.로 증가하여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p

  • 16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1권 제1호

    6) 심폐지구력(1,200m 달리기)

    심폐지구력에 대한 각 집단 내, 집단 간의 프로그램 실시 전ㆍ후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표

    11과 같이 나타났다. 각 집단 내 비교에서 실험집단은 사전검사 282.70±38.62 sec.에서 사후검

    사 249.00±38.62 sec.로 감소하여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p

  • 무용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예비유아교사의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체력에 관한 연구․17

    신체적 자기효능감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신체활동 경험이 부족하고 체격조건이 거의 비슷

    한 예비유아교사 20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10명과 대조집단 10명으로 분류하여 실시하였다.

    다음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선행연구와 비교ㆍ분석한 결과를 다음과 같이 논의하고자 한다.

    1.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실험집단에서 인지된 신체능력(p

  • 18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1권 제1호

    교사가 즐겁고 행복한 정서를 가지고 새로운 경험에 시도하고자 하는 경향이 높을수록 자신

    감이 높고, 이러한 자신감은 다양한 상황에서 새롭고 유용한 아이디어를 나타내어 동작활동

    을 원활히 진행 할 수 있을 것이다. 현직교사를 대상으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교육을 실시

    하는 것이 예비유아교사의 교육보다 훨씬 어렵다는 점을 고려할 때, 대학의 예비교사교육은

    매우 중요하다(김은심, 2005). 그러나 동작교육의 경우 경험이나 대상에 대한 학습자의 사고

    를 신체의 움직임을 통해 적극적으로 표현하기 위해서는 외부로 부터의 일방적인 가르침이

    나 모방만으로는 어렵다(김은심, 2005; Pica, 2004).

    따라서 예비유아교사가 능동적으로 움직임에 대한 직접적인 체험을 경험하는 과정은 필수

    적이라 할 수 있다. 동작을 자신감 있게 가르치기 위해서는 대상을 조직하고 구성해나가는

    체험을 갖게 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 하겠다. 이렇듯 동작교육의 중요성은 매우 잘 인식

    하고 있으나 질 높은 동작교육의 적용에 대하여 구체적인 아이디어가 부족한 교사들에게 다

    양한 목적의 동작활동을 제시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김은정, 이정욱, 2009) 동작 활동의 중

    요성을 인식하는 연구(이만수, 2001; 이상경, 2002)에서도 실제 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지지 못

    하는 이유는 적절한 교수방법에 대한 이해부족과 자료수집의 어려움 그리고 무엇보다도 교

    사 자신의 움직임에 대한 자신감 결여에 그 원인이 있다고 보고 하였다. 특히 김은심 외

    (2003)는 교사의 교수효능감이 직전교육으로부터 적지 않은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하였으며,

    직전교육에서의 경험이 교사가 되었을 때 동작활동에 대한 태도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점

    을 보고한 바 있다.

    이에, 유아교사의 자질과 역할에 대한 논의가 다시금 이루어져야 할 시점이라고 볼 수 있

    다. 유아교사가 가지는 특수성을 바탕으로 한 전문성을 세워나가야 한다. 유아교사의 특성을

    전문화하기위해서는 예비유아교사가 현장에 나가기 전에 유아교사의 자질과 역할을 제대로

    인식하고 이에 따른 실천적 경험을 통해 획득 할 수 있는 연구와 지원이 필요할 것이다. 따라

    서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실천적 지식을 가질 수 있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예비유아교사들의 자신감 향상과 적극적 참여유도를 위해 다양한 프

    로그램 접근방안이 모색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2. 체력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대조집단은 사전ㆍ사후에 변화가 없었지만, 실험집단은 근력

    (p

  • 무용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예비유아교사의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체력에 관한 연구․19

    는 훈련으로써 몸의 움직임을 부드럽게 하여 자연스러운 자세 유지와 유연성을 키우게 하였

    으며, 몸의 긴장 상태를 방지하기 위해 호흡과 함께 하면서 스트레칭 등 반복적 훈련을 통해

    서 근지구력을 향상시켰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다양한 신체활동 프로그램을 통하여 체력이

    향상된다고 보고한 많은 연구결과(문은식, 최연희, 2009; 오덕자, 서혜은, 2009; 이혜주, 오수

    학, 2008)들을 지지하는 결과이며, 본 연구에서도 실험집단 내에서 모든 체력요소가 향상되었

    다. 그러나 몇몇의 연구에서 순발력은 향상 하지 않은 연구결과(최희진, 이영란, 2009)가 나타

    나, 체력에 관한 선행연구는 다양한 결과가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건강한 신체에 건강한 정신이라는 말처럼 정신은 신체와 따로 떨어져 별개의 것으로 존재

    하는 것이 아니라 몸 자체에 내재되어 있으며 몸의 형상을 통하여 정신활동이 표출된다. 이

    러한 본질적 가치를 지닌 체력에는 일상적인 건강 및 운동과 관련된 요소로서 유연성, 근력

    및 근지구력, 심폐지구력, 순발력, 민첩성, 평형성, 등이 있다(이미숙 외, 2010).

    또 다른 연구(이석인, 임정미, 김대한, 2009)에서 유아를 대상으로 발레프로그램을 적용시

    킨 후 순발력, 근지구력, 유연성, 평형성에 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보아 체력 향상에 매우 효과

    적이라 하겠으며 본 연구 결과를 지지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문은식, 최연희(2009)의 연구,

    전통놀이활동이 유아의 체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살펴보면 근력, 근지구력, 민첩성에서 유의

    한 효과가 나타나고 순발력에서는 실험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연구 기간이 짧은 이유

    인 것으로 판단하고 있었다. 한편, 이혜주, 오수학(2008)의 연구를 보면 교육인적자원부에서

    개발한 유아체력증진 프로그램이 유아들의 신체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며, 이는 유아의

    체력증진의 중요성과 필요성에 대해 인식시켜주는 결과이기도 하다. 따라서 교사의 체력에

    대한 전문성과 이해를 높여 예비교사들이 실제적으로 적용하고 활용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발레프로그램은 근력, 근지구력, 유연성, 순발력, 평형성, 심폐지구력의 모든 체력 요

    소의 향상을 수반하고 있다. 예비유아교사의 기초체력 향상은 유아의 체력향상을 전이 시킬

    수 있는 예비교사들의 체력관리 또한 중요한 인식이 아닐 수 없다. 나아가 유아교사의 체력

    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의 의미가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는 B시에 소재한 D대학교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2학년을 대상으로 무용프로그램

    을 적용한 후 체력 및 신체적 자기효능감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신체활동 경험이 부족하고

    체격조건이 거의 비슷한 예비유아교사 20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10명과 대조집단 10명으로

    분류하여 실시하였다. 신체적 자기효능감은 12주간의 무용프로그램 실시 전ㆍ후 설문지를 사

    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체력(근력, 근지구력, 유연성, 순발력, 평형성, 심폐지구력)도 프로그램

    실시 전ㆍ후의 변화를 사전ㆍ사후로 측정하여 비교 분석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신체적 자기효능감에서 실험군은 인지된 신체능력, 신체적 자기표현 자신감 모두에

  • 20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1권 제1호

    서 향상되었다.

    둘째, 체력은 집단내의 변화에서 실험군의 경우 근력, 근지구력, 유연성, 순발력, 평형성, 심

    폐지구력 모두에서 향상되었으나 대조군은 변화가 없었다. 집단간의 변화에서는 실험군이 대

    조군보다 근력, 근지구력, 유연성, 심폐지구력에서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와 결론을 토대로 연구의 수행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과 후속 연구를 위

    한 앞으로의 연구방향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에서 사용된 조사대상은 B시에 소재한 D대학교 유아교육과 율동동아리회원

    으로 제한하였으나 후속 연구에서는 조사대상의 사례수를 확대하여 연구해봄으로써 예비유

    아교사의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체력에 대한 보다 체계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둘째, 무용프로그램으로 예비유아교사들의 신체적 효능감이 높아져 자신감 향상과 적극적

    참여유도에 효과가 있었기에 차후 좀 더 흥미를 줄 수 있는 다양한 신체활동 프로그램을 개

    발하여 활성화 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 무용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예비유아교사의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체력에 관한 연구․21

    참고문헌

    고흥환(1998). 체육의 측정과 평가. 서울: 연세대학교 출판부.

    권건일, 신재흡(2007). 유아교사론. 서울: 양서원.

    김경은(2010). 예비유아교사의 정서, 경험에의 개방성 및 자기효능감과 창의성 간의 관계.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인간발달 연구, 18(1), 1-18.

    김은심(2001). 유아교사를 위한 창의적 동작교육. 서울: 정민사.

    김은심(2005). 구성주의 이론에 기초한 유아동작교육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동작교육에 대한

    인식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영유교육학논집, 9(3), 31-56.

    김은심, 박수미(2003a). 유치원 교사의 동작교수 효능감 형성에 미치는 동작교육 경험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8(2), 295-314.

    김은정, 이정욱(2009). 움직임을 통한 공간능력 향상 활동이 유아의 공간능력과 신체표현능력

    에 미치는 효과. 유아교육학논집, 13(6), 345-366.

    김은주, 김솔미, 임재택, 하정연, 백영호(2010). 생태유아교육기관과 일반유아교육기관 유아의

    체격 및 체력 비교 연구. 생태유아교육연구, 9(1), 51-70.

    김주한, 황해익(2006). 유아체력 검사도구개발을 위한 전통놀이 선정에 관한 연구. 생태유아

    교육연구, 5(2), 191-213.

    김태운, 김종원, 김현준, 박찬호, 전재영, 이경희, 최문기(2011). 운동생리학. 서울: 도서출판 대진.

    남윤미(2001). 무용교육이 여고생의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서원대학교 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류진희, 황현옥, 최명희, 김우림(2003). 유아의 발달에 적합한 신체활동. 서울: 양서원.

    문은식, 최연희(2009). 전통마당놀이 활동이 유아의 체력에 미치는 영향. 생태유아교육연구,

    8(4), 235-256.

    박아영(2005). 사설무용학원의 성인발레교육에 대한 실태조사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준희(2004). 무용전공 여대생의 주관적 신체상과 신체적 자기효능감의 관계. 한국스포츠리

    서치, 15(6), 575-588.

    박해경(2009). 12주간 발레프로그램이 유아의 신체적 자아개념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무용

    학회논문집, 58(1), 77-92.

    백영호(2005). 체육의 측정과 평가. 부산: 제일 출판사.

  • 22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1권 제1호

    안연분(2005). 창작무용을 통한 성취경험이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울산대학교 산

    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양옥승, 이은화, 조복희, 최양미(2000). 유아기의 효율적인 국가인적자원개발. 관리체제 확

    립방안연구, 교육인적자원부.

    오덕자, 서혜은(2009). 무용활동 참여에 따른 청소년기 여학생들의 스트레스, 신체적 자기효

    능감 및 체력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과학회지, 18(3), 867-876.

    오연주, 정민자(2003). 4, 5세 유아의 개인 특성 변인이 운동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

    보육학, 33(6), 185-208.

    유종선(2001). 발레 활성화를 위한 초심자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

    원 박사학위논문.

    이경현, 김인범, 임낙철, 장용주(2008). 노인의 신체적 여가활동참가가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우울성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리서치, 16(6), 205-212.

    이경희(2011). 12주간 발레프로그램이 취학 전 여자아동의 체력에 미치는 영향. 동부산대학

    교 논문집, 30, 447-464.

    이만수(2001). 유치원의 동작교육현황에 관한 연구. 한국유아체육학회지, 2(1), 171-186.

    이미숙, 김종규, 이남주, 김용준(2011). 초등학생의 교육청별, 비만수준에 따른 자기효능감과

    건강관련 체력.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13(1), 91-103.

    이상경(2002). 동작교육에 관한 유치원교사의 인식 및 실태조사 연구. 배재대학교 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이석인, 임정미, 김대한(2009). 발레수업이 유아의 체격과 체력요인에 미치는 효과. 한국무용

    과학회, 18(0), 1-12.

    이순레(2007). 유아교육 및 보육과정에 의거한 유아체육의 방향. 한국유아체육학회지. 춘계

    학술대회, 13-25.

    이은하, 이소영(2011). 예비유아교사의 그림 저널쓰기 활동에 나타난 경험탐색. 생태유아교육

    연구. 10(1), 127-150.

    이헤주, 오수학(2008). 유아의 신체발달에 대한 ‘2006 교육인적자원부 유아체력증진 프로그램’

    의 효과 검증. 스포츠과학논문집, 20, 66-77.

    임여선(2005). 발레교육이 유아성장발달에 미치는 인식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정경옥(2006). 중학교 특기·적성 재즈무용 활동이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

    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무용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예비유아교사의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체력에 관한 연구․23

    조경자(2007). 예비유아교사들이 인식한 좋은 유치원교사의 특성.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4(4), 561-586.

    조근종, 김성훈(2003). 에어로빅스가 중년여성들의 신체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조사. 체

    육과학회지, 23, 99-102.

    최종진(2002). 초등학생의 고전발레 기본동작 습득이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인천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희진, 이영란(2009). 요가운동이 여중생의 체력과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충북

    대학교 평생체육연구소논문집, 21, 203-211.

    한지혜(2007). 예비교사의 유아동작교육 수강만족도 및 인식. 인문논집, 21(21), 129-154.

    한지혜(2008). 예비교사와 유아교원의 신체표현 교수 효능감에 관한 연구. 교육이론과 실천,

    18, 81-95.

    홍계옥, 강혜원(2011). 예비유아교사의 의사 결정성과 자아존중감 및 교사효능감과의 관계.

    영유아교육학회, 14(0), 5-17.

    홍선옥(1996). 운동참여가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성역할 유형 변화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황혜정(2007). 방과 후 발레활동이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

    향. 청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AAHPERD. (1980).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manual. AAHPERD. Washington, D. C.

    ACSM's Guidelines for Exercise Testing and Prescription sixth Edition. (2001).

    Lippincott Williams & Wikins A Wolters Kluwer Company, 7-151.

    Gallahue, D. L. (1996). Developmental physical education for today's children(3rd Ed).

    Brown Benchmark Publishers.

    Bandura, A. (199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

    Pica, R. (2004). Experiences in Movement: Birth to Age 8. Albany, NY: Delmar Publishers Inc.

    Ryckman, R. M. Robbinsons, M. A. Thomton, B., & Cantrell, P. (1982).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physical self-efficacy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Social Psychology,

    42, 891-900.

  • 24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1권 제1호

    Abstract

    A Study of the Dance Program on Physical Self-Efficacy and

    Physical Fitness i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Kyung-Hee Le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levat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elf-confidence by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a Dance Program on their physical self-efficacy

    and physical fitness. Pre-service teachers who were enrolled in college D's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 located in B city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for this research. Physical

    self-efficacy was examined by means of a questionnaire and physical fitness markers(muscular

    strength, muscular endurance, flexibility, cardiovascular health)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study.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Dance Program positively affected the

    experimenta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experienced an improvement in perceived physical

    ability and physical self-presentation confidence. In terms of physicality, the experimental

    group experienced improvements in muscular strength, muscular endurance, flexibility, and

    cardiovascular health but not agility and balance.

    So, the researchers conclude that access to various programs is necessary to improve self-

    confidence and active participation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