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
정 계 숙 * 고 희 선 ** 박 선 해 ***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정 계 숙* ․ 고 희 선** ․ 박 선 해*** !"#$% &'()*+$, -./ 012134 5" 67 8 9: ;-"#? "#$%!&'()*@ab 5cd 3 e f gh3 i j2 klmno

  • Upload
    others

  • View
    3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정 계 숙* ․ 고 희 선** ․ 박 선 해*** !"#$% &'()*+$, -./ 012134 5" 67 8 9: ;-"#? "#$%!&'()*@ab 5cd 3 e f gh3 i j2 klmno

생태유아교육연구

2012. 제11권 제4호 , 77 - 98

보육교사교육원 수학 경험과 대상관계가

예비보육교사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정 계 숙* ․ 고 희 선** ․ 박 선 해***

요 약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교육원에서 수학하고 있는 예비보육교사의 수학 경험, 즉 학업

성취도와 교육만족도 및 대상관계와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

해 대학 부설 보육교사교육원에 재학 중인 예비보육교사 187명을 대상으로 학업성취도는 성

적으로 측정하고, 교육만족도, 대상관계 및 심리적 안녕감은 질문지와 해당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 결과, 첫째, 예비보육교사의 학업성취도와 교육만족도, 대상관계 및 심리적 안녕감 전체

는 각각 정적 상관과 부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둘째, 예비보육교사의 심리적 안녕감 전체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소외, 사회적 무능력, 학업성취도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제한점과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주제어 대상관계(object relation)

심리적 안녕감(psychological well-being)

수학 경험(learning experience)

※ 논문 접수 : 2012. 07. 31 / 수정본 접수 : 2012. 09. 17 / 게재 승인 : 2012. 12. 24

* 부산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 부산대학교 유아교육과 BK21연구원(교신저자: [email protected])

*** 부산대학교 부설 보육교사교육원 교수

Page 2: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정 계 숙* ․ 고 희 선** ․ 박 선 해*** !"#$% &'()*+$, -./ 012134 5" 67 8 9: ;-"#? "#$%!&'()*@ab 5cd 3 e f gh3 i j2 klmno

78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1권 제4호

Ⅰ. 서 론

보육교사는 유아의 성장과 발달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결정적인 요인 중의 하나로 보

육교사의 올바른 가치관, 신념 등 삶에 대한 자세나 삶의 질이 유아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어 유능하면서도 건강한 부모로서의 자질이 요구된다. 즉, 보육교사는 보육기관을

이용하는 연령이 점차 낮아지고, 특히 인격의 기초를 형성하고 다지는 영유아시기에 보육

과 교육을 담당하고 있기 때문에 전문가로서 기본적인 교수능력뿐만 아니라 유아에 대한

애정과 배려심을 가지고 있어야 하며 몸과 마음이 건강한 부모로서의 역할도 필요하다. 게

다가 교사가 심리적으로 안정되고 건강할수록 유아도 안정된 환경에서 더 잘 자랄 수 있

다. 높은 심리적 안녕감을 가진 교사는 특별한 보상이나 인정이 없더라도 영유아, 수업, 기

관에 대한 각별한 심리적 유대감을 형성하여 교사로서의 삶에도 보다 충실히 임하는 경향

을 더 많이 보인다(이미란, 김정원, 2011). 따라서 부모의 대리적인 역할을 하는 보육교사들

은 전문가로서의 태도와 자질 함양을 위해 심리적 차원에서 관리와 점검이 필요하며, 이는

교사가 되기 전부터 시작되는 것이 더 효율적일 것이다.

심리적 안녕감은 마음이 건강하고 행복한 정도를 말하며, 행복이 단지 물질적인 풍요와

개인적인 삶의 만족으로 얻어지는 것이 아니라 사회구성원으로서 잘 기능하고 있느냐에 따

라 차이가 있음을 의미하므로(Ryff, 1989) 한 사람의 정신적 건강상태를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즉, 삶의 질이 높은 건강하고 행복한 사람은 자아수용성, 긍정적 대인관계, 자율성,

환경에 대한 통제력, 삶의 목적, 개인적 성장과 같은 심리적 차원이 높다고 한다. 특히, 주

변 사람과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는 경향성이 높으

며(Russell, 2008), 이 외에도 결혼, 경제력, 친구와의 우정, 신체적인 건강, 직장생활 등 일

상생활에서 성공적인 경험들을 할 가능성이 높다(Lyubomirsky, King, & Diener, 2005). 이

러한 높은 수준의 심리적 안녕감은 유아를 지도하는데 필요한 교수능력 향상에 기초가 되

고(이미란, 김정원, 2011), 특히 역동적이고 복잡한 교육현장에서 유아, 학부모, 원장, 동료

교사 등 다양한 사람과의 관계로 인한 갈등을 보다 유능하게 해결하는데 필요한 특징이기

도 하다. 유아교사의 심리적 안녕감은 연령, 결혼여부, 교육수준, 경력 등 인구학적 변인(박

신영, 박은혜, 2011)뿐만 아니라 직무스트레스 및 조직효과성(신현정, 박진성, 2010), 근무기

관유형 및 보수(박신영, 박은혜, 2011)와 같은 환경적 변인, 특히 직무만족도(이경민, 최윤

정, 2009), 효능감(이채호, 고태순, 2009), 건강증진 생활양식(이채호, 고태순, 2008) 등과 같

은 개인변인에 따라 차이가 난다. 따라서 행복한 교사는 행복감을 덜 느끼는 교사에 비해

Page 3: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정 계 숙* ․ 고 희 선** ․ 박 선 해*** !"#$% &'()*+$, -./ 012134 5" 67 8 9: ;-"#? "#$%!&'()*@ab 5cd 3 e f gh3 i j2 klmno

보육교사교육원 수학 경험과 대상관계가 예비보육교사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79

자신의 일에 대한 만족감을 더 느끼고 보다 만족스런 삶을 위해 매진하는 모습을 통해 유

아들에게 안정되고 건강한 심리적 환경을 제공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교사의 심리적 안

녕감은 보다 나은 교육의 질을 담보하기 위한 선행조건으로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필요

가 있다.

개인은 자신의 삶에서 자신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함으로써 만족하고 충만함을 느끼는 자

기실현적 과정을 통해 진정한 행복감을 느낄 수 있다. Waterman(1993)은 심리적 안녕감을

자기실현적 행복으로 표현하고, 특히 개인은 삶의 활동에 완전히 몰입하고 자신이 누구인

지에 대한 생각을 표현할 때 자신이 살아있다는 것을 느끼며, 이는 도전성, 완결성, 그리고

노력과 관련된 활동들과 관련성이 있다고 하였다. 즉, 분명한 목표가 설정되어 있고 목표를

향해 성실히 노력하고 몰입할수록 삶에 대한 생동감을 더 느끼는 것이다. 긍정적인 정서와

의미있는 삶과의 관련성을 연구한 King, Hicks, Krull과 Del Gaiso(2006)는 중요한 목표를

향해 나아가는 것은 개인의 삶을 즐겁게 하고, 이는 다시 전반적인 삶에 대한 만족도를 향

상시킨다고 하였다. 요컨대 의미있는 활동이나 성취는 삶에 즐거움과 만족을 주고, 긍정적

정서는 삶에 있어서 유의미감이나 목적의식을 더 높여준다는 것으로(Baumgardner &

Crothers, 2008), 목표를 추구하는 행위와 성취가 삶을 살아가는데 중요한 행복의 원천이며

심리적 건강함에 지표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성인학습자의 경우에 학업 그 자체의

흥미, 자격증 취득이나 경력 관리와 같은 전문성 향상, 자신의 가능성을 확인하고 개척하려

는 자기실현의 목표 등 다양한 학습동기를 통해 교육에 대한 만족감(이정희, 안영식, 2007),

자기주도 학습능력과 태도(한상길, 2009)를 형성하여 스스로 학습상황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다. 따라서 교육적 경험은 자기성찰, 자기실현, 사고의 전환을 통해 점차 정체성의 변화를

초래하고(김혜숙, 2003), 학습의 성과를 통해 학습자의 전반적인 삶의 변화에도 작용하여(이

정희, 안영식, 2007) 보다 심리적으로 건강한 사람이 될 수 있게 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보육교사교육원에 재학 중인 예비보육교사의 경우 정해진 목표를 수행하

기 위한 보육교사교육원에서의 여러 수학 경험 중 특히 학업성취도와 교육 전반에 대한 만

족도는 개인의 목표 추구 행동과 환경에 대한 적응성 정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심리적 안녕

감에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일반적으로 보육교사 양성과정에는 보육학개론, 아동발달,

부모교육, 아동상담, 지역사회복지론 등 인간발달을 이해할 수 있는 과목은 물론 영유아와

그들의 부모의 발달을 돕는 다양한 교육적 실천방법을 통해 대인관계나 타인 배려의 중요

성 및 자기실현의 사회적 가치 등을 인식시키고 고양시키는 교과목이 포함된 교육과정이

운영되고 있다. 이 교육과정을 통해 인간의 건강한 성장, 발달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자신

이 지향하는 목표를 성취하기 위한 발판을 마련함으로써 삶의 활력소를 얻고 앞으로 자기

Page 4: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정 계 숙* ․ 고 희 선** ․ 박 선 해*** !"#$% &'()*+$, -./ 012134 5" 67 8 9: ;-"#? "#$%!&'()*@ab 5cd 3 e f gh3 i j2 klmno

80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1권 제4호

실현에 보다 적극적인 자세를 형성할 수 있게 한다. 보육교사 자격취득을 위한 교육과정이

구성된 대학의 성인학습자는 자기조절효능감(방희명, 2011)뿐만 아니라 대학생활의 적응에

따라 대학교육의 만족도에 있어 차이를 나타냈으며, 특히 40세 이상의 성인학습자는 일반

적인 교육과정을 통해서도 다양한 수학 경험들로 인해 자기지향적인 동기, 자기 주도적 학

습방식, 비판적 시각과 같은 긍정적 변화를 보였다. 따라서 보육교사양성과정에서의 수학

경험은 보육교사교육원생으로서 새로운 삶의 변화를 체험하고 일상의 활력을 찾을 수 있는

동기로 작용할 수 있어 예비보육교사의 심리적 안녕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심리적 안녕감은 성격의 기초가 되어 개인의 인지, 감정, 행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대상관계와 같은 개인의 심리내적인 요인에도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대상관계란

초기 애착관계와 유사한 것으로 양육자와의 관계를 통해 형성된 자기와 대상에 대한 심리

내적인 표상을 말하는데(Honer, 1984), 이때 대상에는 사람뿐만 아니라 장소, 사물, 감정들

이 포함된다(Clarkin, 2006). 특히, 대상관계이론에 의하면 영아는 대상관계를 통해 자기표

상과 대상표상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갖게 된 정서적 기억을 내면화하여 정서반응양식과 성

격의 기초를 마련한다고 한다(Christoher, Bickhard, & Lambeth, 2001; Kernberg, 2006). 따

라서 대상관계는 인간의 원초적인 초기경험에 기초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무의식적 측면이

강하고(박부형, 이영호, 2004), 삶의 기본적인 욕동으로(Schrafft & Fairbairn, 1997) 반복적

인 경험을 통해 타인과 세상을 이해하는 틀로 형성된다(Horner, 1984). 따라서 유아기에 부

적절한 대상관계를 가진 사람은 불안정한 자기정체감을 형성하고, 부적절한 방어기제를 사

용하여 대인관계에 어려움을 겪는다(우상우, 장문선, 2010; Lynum, & Willberg & Karterud,

2008). 반면, 안정적인 대상관계를 경험한 사람은 긍정적인 정서(나미화, 2007), 문제해결력

(김미란, 2002), 심리적 적응력(Baik, 1998)이 높았으며, 긍정적인 대인관계를 형성하고 유지

하는 능력이 뛰어났다(유근준, 2008). 이처럼 양육자와의 초기경험은 한 개인의 성격뿐만

아니라 대인관계에도 결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변인임을 알 수 있다. 대상관계는 이와

같이 한 개인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변인으로, 특히 유아교사의 안정적인 대상관계는 교사

효능감과 교육신념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정계숙, 김미정, 견주연, 2011). 나

아가 부모와 같은 돌봄과 배려 등의 관계 지향적 역할과 자질이 요구되는 보육교사에게 있

어서 안정적인 대상관계는 교사 자신의 전문성 뿐 아니라 유아들의 사회·정서적 발달에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는 점에서 앞으로 많은 연구가 필요한 변인이다.

이에 본 연구는 보육교사교육원에 재학 중인 예비보육교사의 학업성취도 및 교육만족도

와 같은 수학 경험과 대상관계의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심리적 안녕감에 대

한 각 변인의 영향력은 어떠한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예비보육교사들의 보육교사

Page 5: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정 계 숙* ․ 고 희 선** ․ 박 선 해*** !"#$% &'()*+$, -./ 012134 5" 67 8 9: ;-"#? "#$%!&'()*@ab 5cd 3 e f gh3 i j2 klmno

보육교사교육원 수학 경험과 대상관계가 예비보육교사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81

양성과정에서의 수학 경험 및 대상관계와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그들의

심리적 건강 증진을 위한 보육교사 양성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 예비보육교

사를 위한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교육원에 재학 중인 예비보육교사의 수학 경험(학업성취도 및 교육만족도)

과 대상관계는 심리적 안녕감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둘째, 보육교사교육원에 재학 중인 예비보육교사의 수학 경험(학업성취도 및 교육만족도)

과 대상관계의 심리적 안녕감에 대한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가?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P시에 소재한 1개의 대학 부설 보육교사양성과정에 재학 중인 예비보육교사

18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대상인 예비보육교사들의 일반적 특성은 표 1과 같다.

<표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변인 구분 N(%)

교사연령

25세 이하

26세 ~ 30세

31세 ~ 35세

36세 ~ 40세

41세 ~ 45세

46세 이상

12(6.4)

21(11.2)

36(19.3)

43(23.0)

51(27.3)

24(12.8)

교사결혼여부미혼

기혼

53(27.8)

134(72.2)

교육수준

고졸

전문대졸

대졸

110(58.8)

44(24.1)

31(17.1)

Page 6: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정 계 숙* ․ 고 희 선** ․ 박 선 해*** !"#$% &'()*+$, -./ 012134 5" 67 8 9: ;-"#? "#$%!&'()*@ab 5cd 3 e f gh3 i j2 klmno

82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1권 제4호

2. 연구도구

1) 보육교사교육원 수학 경험 질문지

보육교사교육원 수학 경험 질문지는 학업성취도와 교육에 대한 만족도로 구성되었다. 먼

저 보육교사교육원 수학 과정에서의 학업성취도는 1학기와 2학기를 통틀어 전체 기간의 성

적으로 측정하고, 교육만족도는 자기보고식의 2문항에 대해 5단계로 평정하게 하여 총점을

구함으로써 보육교사교육원에서 경험한 교육 전반에 대한 만족도를 측정하였다. 즉, 교육만

족도는 수학하고 있는 기관에 대한 만족도(‘해당 기관에서 수학하신 것에 대해 얼마나 만족

하십니까’)와 교육 경험에 대한 만족도(‘보육교사가 되기 위한 학업을 완수하신 것이 어느

정도 만족스럽습니까’)를 측정하는데 점수가 높을수록 교육만족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2) 대상관계

대상관계척도는 Bell, Billington 과 Becker(1986)가 개발하고 박부형, 이영호(2004)이 일

부 수정한 45문항의 자기보고식 검사지를 본 연구에 맞게 44문항으로 수정하였다. ‘전혀 아

니다(1점)’에서 ‘매우 그렇다(5점)’까지의 리커트 5점 척도이고, 점수가 높을수록 대상관계가

불안정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대상관계척도는 불안정애착, 사회적 무능력, 소외, 자아중심성

의 4개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어있다. 본 연구에서 하위척도별 구성과 신뢰도는 표 2와 같다.

<표 2> 대상관계척도 구성과 신뢰도

하위척도 문항수 내용 Cronbach ⍺불안정애착 15

대인관계에서의 걱정, 죄책감, 질투의 감정들과 관련된

고통스러움.81

사회적 무능력 8 이성 및 친구관계에서의 불확실성과 불편감 .70

소외 11 신뢰롭고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는 것의 어려움 .76

자아중심성 10자기보호적이고 자기중심적 목표를 위해 타인에게

요구적인 태도를 갖는 것64

계 44 .88

Page 7: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정 계 숙* ․ 고 희 선** ․ 박 선 해*** !"#$% &'()*+$, -./ 012134 5" 67 8 9: ;-"#? "#$%!&'()*@ab 5cd 3 e f gh3 i j2 klmno

보육교사교육원 수학 경험과 대상관계가 예비보육교사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83

3) 심리적 안녕감

심리적 안녕감척도는 Ryff(1989)개발하고 김명소, 김혜원, 차병호(2001)가 타당화한 46문

항을 본 연구에 맞게 43문항으로 수정한 검사지로, ‘전혀 아니다(1점)’에서 ‘매우 그렇다(5)’

까지의 리커트 5점 척도이고, 점수가 높을수록 심리적 안녕감이 높다. 심리적 안녕감 척도

의 하위변인은 자아수용, 긍정적 대인관계, 자율성, 환경통제력, 삶의 목적, 개인적 성장의 6

요인으로 구성되어있으며, 본 연구에서 하위척도별 구성과 신뢰도는 표 3과 같다.

<표 3> 심리적 안녕감척도 구성과 신뢰도

하위척도 문항수 내용 Cronbach ⍺자아수용 8 자신의 과거와 현재의 모습에 대한 긍정적 태도와 수용 .60

긍정적

대인관계7

타인의 행복에 관심을 두고, 공감과 친밀감을 가지고 만

족스러운 관계를 유지하는 정도.78

자율성 7개인의 자기결정적이고 독립적인 정도, 자신의 자율

성에 반하는 사회적 압력에 저항할 수 있는 정도.74

환경통제력 7자신의 욕구와 가치에 적합한 상황을 선택하고 만들

어 나갈 수 있는 능력.70

삶의 목적 7 삶의 방향성을 지니고 목적을 부여하는 신념과 정도 .73

개인적 성장 7지속적으로 자기를 개발하고 새로운 경험에 열려있

는 정도.62

계 43 .89

3. 연구절차

본 연구는 2011년 12월에 P시에 위치한 대학 부설 보육교사교육원에 재학 중인 예비보육

교사 255명에게 질문지를 배포하였으며, 이 중 중복 응답하거나 무성의하게 응답한 68부를

제외하고 총 187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4. 자료처리

본 연구결과의 분석은 SPSS 14.0을 이용하여 예비보육교사의 보육교사교육원 수학 경험

변인으로서 학업성취도 및 교육만족도, 대상관계와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는 상관관계를

Page 8: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정 계 숙* ․ 고 희 선** ․ 박 선 해*** !"#$% &'()*+$, -./ 012134 5" 67 8 9: ;-"#? "#$%!&'()*@ab 5cd 3 e f gh3 i j2 klmno

84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1권 제4호

변인 문항수전체(전체) 문항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교육만족도

기관만족도

학업만족도

2

1

1

8.52

4.34

4.18

1.42

.78

.78

4.26

4.34

4.18

.71

.78

.78

대상관계

불안정 애착

사회적 무능력

소외

자아중심성

44

15

8

11

10

99.65

34.73

18.08

21.91

24.93

17.58

7.81

4.39

5.47

4.04

2.26

2.32

2.26

2.00

2.49

.40

.52

.55

.50

.40

심리적 안녕감

자아수용

긍정적 대인관계

자율성

43

8

7

7

155.77

27.46

26.35

23.50

18.68

5.18

4.70

3.38

3.62

3.43

3.76

3.36

.43

.65

.67

.48

분석하였으며, 예비보육교사의 학업성취도 및 교육만족도, 대상관계와 심리적 안녕감과의

영향력은 중다회귀분석하였다.

Ⅲ. 연구 결과

1. 예비보육교사의 보육교사교육원 수학 경험, 대상관계,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

먼저 각 변인 간의 상관을 제시하기 전에 연구에 참여한 예비보육교사 전체 집단에 있

어서 각 변인들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제시하였다.

표 4에 의하면, 예비보육교사의 교육만족도 전체 평균은 8.52(SD=1.42), 문항 평균은

4.26(SD=.71), 대상관계의 전체 평균은 99.65(SD=17.58), 문항 평균은 2.26(SD=.40), 심리적

안녕감 전체 평균은 155.77(SD=18.68), 문항 평균은 3.62(SD=.43)이었다. 예비보육교사의 교

육만족도 하위변인의 문항평균 범위가 4.18~4.34로 나타난 것으로 보아 본 연구의 대상자

들은 교육만족도를 높은 수준으로 지각함을 알 수 있다(5점 척도). 대상관계의 문항 평균은

2.00~2.49로 나타나 보통수준(3점)보다 낮게 지각하고 있었으며, 심리적 안녕감의 문항 평

균은 3.36~3.93으로 나타나 보통수준(3점)보다 높게 지각하고 있었다(5점 척도).

<표 4> 예비보육교사의 교육만족도, 대상관계, 심리적 안녕감 평균과 표준편차(N=187)

Page 9: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정 계 숙* ․ 고 희 선** ․ 박 선 해*** !"#$% &'()*+$, -./ 012134 5" 67 8 9: ;-"#? "#$%!&'()*@ab 5cd 3 e f gh3 i j2 klmno

보육교사교육원 수학 경험과 대상관계가 예비보육교사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85

환경 통제력

삶의 목적

개인적 성장

7

7

7

23.90

27.03

27.53

4.09

4.05

3.58

3.41

3.86

3.93

.58

.58

.51

표 4의 기초자료에 근거하여 예비보육교사의 학업성취도, 교육만족도, 대상관계와 심리적

안녕감 변인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를 표 5에 제시하였다.

표 5를 살펴보면, 예비보육교사의 학업성취도 및 교육만족도는 심리적 안녕감 전체와 각

각 유의한 상관(r= .26, p<.01, r= .15, p<.05)을 보여 예비보육교사의 학업성취도와 교육만

족도가 높을수록 심리적 안녕감도 높음을 알 수 있다. 하위변인에서는 학업성취도가 환경

통제력과 가장 높은 상관(r= .30, p<.01)을 보였으며, 그 다음으로 자아수용(r= .26, p<.01)

이 높은 상관을 보였다. 또한 교육만족도는 자아수용(r= .16, p<.05)이 유의한 상관을 보였

으나 긍정적 관계, 자율성, 환경통제력, 삶의 목적, 개인적 성장과 같은 하위변인에서는 상

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예비보육교사의 성적이 높을수록 환경에 대한 통제력과 자신

을 수용하는 능력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또한 보육교사교육원 교육에 대한 만족도

가 높을수록 자신을 수용하는 능력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표 5> 예비보육교사의 학업성취도, 교육만족도, 대상관계와 심리적 안녕감 전체 및 하위

변인들 간의 상관 (N=187)

변수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 1.00

2 .14 1.00

3 -.19* -.14 1.00

4 -.07 -.07 .59** 1.00

5 -.26** -.21** .63** .57** 1.00

6 -.08 -.07 .59** .33** .28** 1.00

7 .26** .16* -.28** -.28** -.37** -.04 1.00

8 .22** .09 -.52** -.49** -.64** -.20** .43** 1.00

9 -.01 .08 -.15* -.31** -.09 -.11 .33** .33** 1.00

10 .30** .14 -.40** -.36** -.44** -.08 .64** .48** .37** 1.00

11 .14 .13 -.25** -.25** -.31** -.11 .47** .54** .43** .57** 1.00

12 .22** .06 -.17* -.25** -.28** -.07 .35** .50** .43** .44** .71** 1.00

13 -.20** -.16* .92** -.76** .80** .66** -.32** -.60** -.20** -.42** -.29** -.24** 1.00

14 .26** .15* -.41** -.44** -.50** -.14 .75** .75** .61** .79** .82** .74** -.48** 1.00

(1-학업성취도, 2-교육만족도, 3-불안정애착, 4-사회적 무능력, 5-소외, 6-자아중심성, 7-자아수용, 8-긍정적 관계,

9-자율성, 10-환경통제력, 11-삶의 목적, 12-개인적 성장, 13-대상관계 전체, 14-심리적 안녕감 전체)

*p<.05, **p<.01

Page 10: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정 계 숙* ․ 고 희 선** ․ 박 선 해*** !"#$% &'()*+$, -./ 012134 5" 67 8 9: ;-"#? "#$%!&'()*@ab 5cd 3 e f gh3 i j2 klmno

86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1권 제4호

예비보육교사의 대상관계 전체와 심리적 안녕감 전체 및 하위변인 간의 관계는 부적상관

(r= -.15, p<.05 ~ r= -.64, p<.01)이 유의하게 나타나 예비보육교사의 대상관계의 점수가

높을수록 심리적 안녕감이 낮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대상관계의 전체와 모든 하

위변인들은 긍정적 관계 관련 심리적 안녕감과 가장 높은 부적 상관(r= -.20, p<.01 ~ r=

-.64, p<.01)을 보였으며, 대상관계의 하위변인인 소외는 심리적 안녕감 전체(r= -.50,

p<.01)와 하위변인인 긍정적 관계(r= -.64, p<.01)에서 가장 높은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즉,

예비보육교사의 불안정한 애착, 사회적 무능력, 소외, 자아중심성이 높을수록 긍정적인 대

인관계가 낮게 나타났고, 특히 소외감을 높게 느낄수록 긍정적인 대인관계가 어렵다는 것

을 의미한다.

또한 예비보육교사의 대상관계 전체는 학업성취도 및 교육만족도와 각각 r= -.20, p<.01,

r= -.16, p<.05의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여 예비보육교사의 대상관계 점수가 낮을수록 학업

성취도와 교육만족도 점수가 높았다. 즉, 예비보육교사의 전반적인 대상관계가 안정적일수

록 학업성취도와 교육만족도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예비보육교사의 학업성취

도와 교육만족도는 대상관계의 하위변인인 소외에서 각각 r= -.26, r= -.21(p<0.01)의 유의

한 부적상관을 나타내어, 소외감 문제가 적을수록 학업성취도와 보육교사교육원의 교육에

대한 만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2. 예비보육교사의 심리적 안녕감에 대한 학업성취도 및 교육만족도, 대상관계 변

인의 설명력

다음은 예비보육교사의 심리적 안녕감 전체 및 하위변인에 대한 학업성취도 및 교육만

족도와 대상관계 변인의 설명력을 알아보기 위해 먼저 독립변인들 간의 다중공선성을 진단

해본 결과 공차와 VIF가 1에 근접하여 다중공선성에 문제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토대

로 예비보육교사의 심리적 안녕감 전체 및 하위변인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

력을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알아보았으며, 그 결과는 각각 표 6, 표 7과 같다.

예비보육교사의 심리적 안녕감 전체에 대한 학업성취도 및 교육만족도의 2개변인, 대상

관계의 4개 하위변인 총 6개 변인을 투입한 결과는 표 6과 같다. 예비보육교사의 학업성취

도, 교육만족도, 대상관계의 하위변인들 중 소외, 사회적 무능력, 학업성취도와 같은 3개 변

인이 유의미한 설명변인이었으며, 특히 소외가 25%로 가장 많은 설명력을 가졌다. 여기에

사회적 무능력이 추가됨으로써 설명력이 3% 증가하여 28%의 설명력을 가지며, 학업성취도

가 3%를 추가하여 총 31%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따라서 예비보육교사의 심리적 안녕감 전

Page 11: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정 계 숙* ․ 고 희 선** ․ 박 선 해*** !"#$% &'()*+$, -./ 012134 5" 67 8 9: ;-"#? "#$%!&'()*@ab 5cd 3 e f gh3 i j2 klmno

보육교사교육원 수학 경험과 대상관계가 예비보육교사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87

체에 영향을 미치는 학업성취도 및 교육만족도와 대상관계 하위변인들의 상대적인 중요도

는 소외, 사회적 무능력, 학업성취도 순이다.

<표 6> 예비보육교사의 심리적 안녕감 전체에 대한 학업성취도 및 교육만족도와 대상관계

의 회귀분석

모형 변인 B ß t R R² F1 (상수)

소외

192.94

-1.70 -.50

39.19***

-7.78***

.50 .25 60.51***

2 (상수)

소외

사회적 무능력

201.01

-1.24

-1.00

-.37

-.23

36.68***

-4.81***

-.308**

.53 .28 36.40***

3 (상수)

소외

사회적 무능력

학업성취도

109.53

-1.06

-1.08

.08

-.31

-.25

.16

3.03**

-4.00***

-3.37**

2.56*

.56 .31 27.18***

*p<.05 **p<.01 ***p<.001

예비보육교사의 심리적 안녕감 각 하위변인들에 대한 설명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학업성

취도 및 교육만족도의 2개 변인, 대상관계의 4개 하위변인 총 6개 변인을 투입한 결과는

표 7과 같다.

자아수용 관련 심리적 안녕감은 예비보육교사의 학업성취도 및 교육만족도와 대상관계

의 하위변인들 중 소외, 학업성취도 2개 변인이 유의미한 설명변인이었으며, 소외가 14%로

가장 많은 설명력을 가졌다. 여기에 학업성취도가 추가됨으로써 설명력이 3% 증가하여

17%의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요컨대 예비보육교사의 대상관계 하위변인인

소외(ß= -.32)가 학업성취도(ß= -.18)보다 자아수용 관련 심리적 안녕감을 가장 많이 예언

할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예비보육교사의 자아수용 관련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

을 미치는 학업성취도 및 교육만족도와 대상관계 하위변인들의 상대적인 중요도는 소외,

학업성취도 순인 것을 알 수 있다.

긍정적 대인관계 관련 심리적 안녕감은 예비보육교사의 학업성취도 및 교육만족도와 대

상관계의 하위변인들 중 소외, 사회적 무능력과 같은 2개 변인이 유의미한 설명변인이었으

며, 그 중 소외가 41%로 가장 높은 설명력을 가졌다. 여기에 사회적 무능력이 추가됨으로

써 설명력이 2% 증가하여 43%의 설명력을 가졌으며, 이는 예비보육교사의 대상관계 하위

변인인 소외(ß= -.53)가 사회적 무능력(ß= -.19)보다 긍정적 대인관계 관련 심리적 안녕감

Page 12: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정 계 숙* ․ 고 희 선** ․ 박 선 해*** !"#$% &'()*+$, -./ 012134 5" 67 8 9: ;-"#? "#$%!&'()*@ab 5cd 3 e f gh3 i j2 klmno

88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1권 제4호

을 가장 많이 예언할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표 7> 심리적 안녕감의 하위변인에 대한 학업성취도 및 교육만족도와 대상관계의

회귀분석

종속변인 독립변인 B ß t R R² F

자아수용

(상수) 35.13 39.19***.37 .14 29.22***

소외 -.35 -.37 -7.78***

(상수) 7.68 .70

.41 .17 318.22***소외 -.31 -.32 -4.64***

학업성취도 .02 .18 2.52*

긍정적

대인관계

(상수) 38.38 34.94***.64 .41 127.46***

소외 -.55 -.64 -11.29***

(상수) 40.06 32.66***

.66 .43 70.31***소외 -.46 -.53 -7.86***

사회적 무능력 -.21 -.19 -.2.87**

자율성(상수) 27.77 27.71***

.31 .09 19.20***사회적 무능력 -.24 -.31 -4.38***

환경

통제력

(상수) 31.08 27.83***.44 .19 43.93***

소외 -.33 -.44 -6.63***

(상수) 7.03 .84

.48 .23 27.09***소외 -.29 -.39 -5.77***

학업성취도 -.02 -.20 2.91*

(상수) 6.43 .78

.50 .25 20.56***소외 -.21 -.27 -3.40*

학업성취도 -.02 -.21 3.19*

사회적 무능력 .18 .19 2.45*

삶의

목적

(상수) 31.99 27.30***.31 .09 19.02***

소외 -.23 -.31 -4.36***

개인적

성장

(상수) 31.58 30.34***.28 .08 16.10***

소외 -.19 -.28 -4.01***

(상수) 14.81 1.89

.32 .10 10.53***소외 -.16 -.24 -3.35**

학업성취도 -.01 -.16 -2.16*

*p<.05 **p<.01 ***p<.001

자율성 관련 심리적 안녕감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줄 수 있는 예측변인은 대상관계의 하

위변인들 중 사회적 무능력 1개 변인이었으며, 9%의 설명력을 가진다. 즉, 학업성취도 및

교육만족도와 소외, 불안정 애착, 자아중심성과 같은 대상관계 하위변인은 자율성 관련 심

리적 안녕감을 예언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통제력 관련 심리적 안녕감에 대한 예비보육교사의 학업성취도 및 교육만족도와 대

Page 13: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정 계 숙* ․ 고 희 선** ․ 박 선 해*** !"#$% &'()*+$, -./ 012134 5" 67 8 9: ;-"#? "#$%!&'()*@ab 5cd 3 e f gh3 i j2 klmno

보육교사교육원 수학 경험과 대상관계가 예비보육교사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89

상관계의 하위변인들 중 유의미한 설명변인은 소외, 학업성취도, 사회적 무능력과 같은 3개

변인이었으며, 특히 소외가 19%로 가장 많은 설명력을 가졌다. 여기에 학업성취도가 추가

됨으로써 설명력이 4% 증가하여 23%의 설명력을 가지며, 사회적 무능력이 2%를 추가하여

총 25%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따라서 예비보육교사의 환경통제력 관련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학업성취도 및 교육만족도와 대상관계 하위변인들의 상대적인 중요도는 소

외, 학업성취도, 사회적 무능력 순인 것으로 알 수 있다.

삶의 목적 관련 심리적 안녕감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줄 수 있는 예측변인은 대상관계의

하위변인들 중 소외 1개 변인이었으며, 9%의 설명력을 가진다. 즉, 학업성취도 및 교육만족

도와 사회적 무능력, 불안정 애착, 자아중심성과 같은 대상관계 하위변인은 삶의 목적 관련

심리적 안녕감을 유의하게 예언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적 성장 관련 심리적 안녕감은 예비보육교사의 학업성취도 및 교육만족도와 대상관

계의 하위변인들 중 소외, 학업성취도가 유의미한 설명변인이었으며, 소외가 8%로 가장 높

은 설명력을 가졌다. 여기에 학업성취도가 추가됨으로써 설명력이 2% 증가하여 10%의 설

명력을 가졌으며, 요컨대 예비보육교사의 대상관계 하위변인인 소외(ß= -.24)가 학업성취도

(ß= -.16)보다 개인적 성장 관련 심리적 안녕감을 가장 많이 예언할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Ⅳ. 논 의

본 연구는 예비보육교사의 행복한 삶과 정신건강을 위한 보육교사 양성 교육과정 운영방

안 및 심리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를 두고, 대학 부설 보육교사

교육원에 재학 중인 예비보육교사의 수학 경험변인인 학업성취도 및 교육만족도, 대상관계,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와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논의하

고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보육교사의 수학 경험변인으로서 학업성취도, 교육만족도, 심리적 안녕감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예비보육교사의 학업성취도 및 교육만족도는 심리적 안녕감 전체

및 일부 하위변인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즉, 예비보육교사의 수학 경험변인인 학업성취도

및 교육만족도가 높을수록 심리적 안녕감 하위변인 중 ‘자아수용’과 ‘환경통제력’이 높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예비유아교사의 학과 적응 및 진로 결정도에 따라 심리적 안녕감이 차이를 보인다

Page 14: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정 계 숙* ․ 고 희 선** ․ 박 선 해*** !"#$% &'()*+$, -./ 012134 5" 67 8 9: ;-"#? "#$%!&'()*@ab 5cd 3 e f gh3 i j2 klmno

90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1권 제4호

는 연구결과(신경숙, 2009)와 맥을 같이 한다. 또한 예비보육교사의 성적 및 학교생활만족

도가 자기효능감과 우울에 영향을 준다는 결과(윤갑정, 우호정, 2012)와도 같은 맥락으로

이해할 수 있다. 성인학습자는 수학 경험을 통해 자기실현, 전문성 향상 및 즐거움을 얻는

데(이정희, 안영식, 2007), 특히 자신이 설정한 목표를 가지고 학습에 참여하기 때문에(한상

길, 2009), 성공적인 수학 경험을 통해 학업적 효능감, 자기조절효능감 등 자기효능감을 경

험할 수 있고, 결국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친다고 한다(방희명, 2011; 이진,

2008). 본 연구의 예비보육교사도 성적에 따라 ‘자아수용’과 ‘환경통제력’에서 차이를 보였는

데, 자아수용과 환경통제력이 우리나라 성인남녀 삶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라고

볼 때(김명소, 김혜원, 차경호, 2001) 예비유아교사의 학업성취는 삶의 질을 변화시키는 촉

매제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진로가 개인의 삶에서 중요한 의미를 차지할수록

목표지향적인 행동을 더 많이 하게 되고 진로를 통한 삶의 만족도도 달라진다는 주장(Lent

& Brown, 2008)도 학업성취와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련성을 말해준다. 따라서 보육교사의

심리적 건강이 교육의 질에 영향을 미친다고 볼 때 자신이 선택한 목표에 끝까지 도전하고

수행하면서 즐거움을 경험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해주는 것이 필요하다. 단순히 자격증취

득이라는 목표가 아닌 좀 더 다양한 경험에 새롭게 도전하고, 몰입하면서 자신의 잠재력을

발견할 때 살아있다는 충만감을 느끼고 이는 다시 자신의 성장을 위한 원동력이 될 것이

다. 그러므로 비록 예비보육교사들을 위한 양성과정이 일반 교사양성과정에 비해 비교적

짧은 기간일지라도 교육 및 보육 관련 과목 이외에 효율적인 학업수행을 위한 특강 마련,

별도의 공부방 운영, 개인의 잠재력을 발현할 수 있는 자기개발 관련 교양과목 개설, 학업

및 진로상담실 설치 등 예비보육교사의 정신건강 향상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을 통해 교사

의 질 제고를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예비보육교사의 대상관계와 심리적 안녕감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대상관

계의 전체 및 하위변인은 심리적 안녕감 전체 및 하위변인과 부적 상관을 보였다. 즉, 본

연구의 예비보육교사는 대상관계의 어려움이 많을수록 심리적 안녕감이 낮게 나타났다. 이

는 대학생의 대상관계가 심리적 안녕감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고, 자기효능감과 분리개별

화가 이 영향 관계를 매개한다는 연구결과와 그 맥락을 같이 한다(신정인, 강영걸 김영호,

2010). 대상관계는 자기와 타인, 나아가 세상과의 관계에 대한 정신적 표상으로서(Bram,

Gallant, Segrin, 1999) 자기개념과 대인관계의 근원적인 틀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초기 양

육자와의 부적절한 관계 경험은 부정적 자기개념을 형성하고 미숙한 방어기제를 사용함으

로써 부적절한 성격을 형성하는데 영향을 준다(우상우, 장문선, 2010; Lynum, 2008). 주관

적 행복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대상관계는 성격의 기초이며 자아발달에 영향을 주는

Page 15: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정 계 숙* ․ 고 희 선** ․ 박 선 해*** !"#$% &'()*+$, -./ 012134 5" 67 8 9: ;-"#? "#$%!&'()*@ab 5cd 3 e f gh3 i j2 klmno

보육교사교육원 수학 경험과 대상관계가 예비보육교사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91

요인이다(Diener, 1984). 안정적인 대상관계는 초기 대상관계 경험을 기초로 자기와 타인을

표상하고(Garbard, 2005), 현재의 대인관계 방식을 결정하며(박부형, 이영호, 2004), 그리고

보육교사는 유아의 대상관계가 형성되는 중요한 시기에 부모의 대리자 역할을 한다는 점

및 현직 교사의 불안정한 대상관계는 교사신념과 교사효능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점

(정계숙, 김미정, 견주연, 2011) 등을 통하여 안정적인 대상관계는 예비보육교사 시기부터

그 특성의 의미를 이해하고 교육이나 중재에 힘써야 할 중요한 교사 자질 중의 하나라 할

수 있다. 더욱이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련성 측면에서 볼 때 더욱 많은 관심이 요구되는 자

질이라 할 수 있다. 특히, 매스컴을 통해 예비보육교사의 부적절한 보육행위가 문제시 되고

있고, 빠르게 확산되는 보육시설의 수요로 인해 자질이 충분히 검증되지 않은 보육교사들

이 종종 채용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건강한 부모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예비보육교

사들을 양성하기 위해 양성과정에서 그들의 부정적인 대상관계와 같은 심리적 건강 문제를

지원하는 상담서비스의 제공도 필요하다 하겠다.

셋째, 예비보육교사의 학업성취도와 대상관계의 하위변인인 소외, 사회적 무능력은 전체

심리적 안녕감에 대해 유의한 설명력을 나타냈다. 그 중 소외가 가장 설명력이 컸으며, 다

음으로 사회적 무능력과 학업성취도 순이었다. 이는 심리적 안녕감은 개인 외적인 변인인

학업성취도보다 소외나 사회적 무능력과 같은 개인내적인 변인과 더 큰 관련성이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 소외는 심리적 안녕감을 가장 잘 예측할 수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는데, 대

학생의 소외감이 긍정적 대인관계와 높은 상관이 있다는 연구결과(신정인, 강영걸, 김영호,

2010)와 일치한다. 이는 예비보육교사가 신뢰롭고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는데 어려움을 느끼

면 전반적인 삶의 질이 낮아진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집단주의적 특성을 가진 한국

사회의 특징과 부합되는 결과이다. 이런 예비보육교사의 경우, 특히 많은 교육 인원수로 인

해 매 과목에서 팀별로 이루어지는 활동이 많은 보육교사 교육과정은 이들에게 기회이기도

하지만 위기가 될 수도 있다. 실제로 연구대상 예비교사들은 본 연구에서 실시한 사후면담

에서 학업부담감, 진로선택 및 만족, 동료들과의 마찰, 가족과의 낮은 배려 등 다양한 어려

움을 가지고 있었으나 같은 반 동료나 가족에게 조차 표현하지 못하고 단절감과 고립감을

느끼는 사례가 종종 있었다. 팀원들과의 협동 학습 기회 제고 뿐 아니라, 신체적인 취미 활

동이 행복감에 영향을 준다는 연구결과(성보훈, 윤선아, 2010)를 고려하여 팀원들 간의 스

포츠 활동이나 신체활동을 장려하는 보육교사 양성 교육과정의 개방적 운영과 대인관계 역

량 강화를 위한 과정 운영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소외 다음으로 중요한 심리적 안녕감의 예측변인으로 사회적 무능력을 들 수 있다. 사회

Page 16: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정 계 숙* ․ 고 희 선** ․ 박 선 해*** !"#$% &'()*+$, -./ 012134 5" 67 8 9: ;-"#? "#$%!&'()*@ab 5cd 3 e f gh3 i j2 klmno

92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1권 제4호

적 무능력은 만족스러운 이성과 친구관계에서의 불확실성과 불편감, 친밀한 관계의 결핍,

불만족스러운 성적 적응을 측정하는 변인이다(Bell, Billington, & Becker, 1986). 본 연구에

서는 예비보육교사가 주로 35세 이상의 기혼여성으로 남편이나 자녀 등 미시체계 내의 대

상과의 어려움이 많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즉, 결혼생활과 동시에 학업을 해야 하는 이

중부담으로 자신을 도와주지 않는 남편이나 자녀의 문제로 인한 심리적 불편감이 큰 것으

로 해석할 수 있다. 예비보육교사가 학업에 매진할 수 있도록 가족의 지지를 이끌어 낼 수

있는 방안을 개별적인 상담프로그램이나 멘토링 프로그램을 통해 적극 보급하는 일이 필요

하다. 전반적으로 소외나 사회적 무능력은 결국 집단과의 관계 및 개인의 밀착된 대인관계

에서 발생하는 사회적, 정서적 문제이므로 심리적 안녕감에서 차지하는 사회관계의 중요성

이 다시 한 번 확인된다. 상담프로그램을 통해 교사의 정신건강을 개선한 연구에서(김순업,

박재황, 2006) 사회적 인정과 격려가 중요한 단서로서 기능하였듯이, 예비보육교사의 대상

관계 관련 사회·정서적 어려움을 해소하는 상담이나 중재프로그램을 통한 지속적인 사회적

인정과 격려 등 심리적 차원의 지원이 보육교사교육원의 교육과정 속에서 포함되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심리적 안녕감의 설명변인인 학업성취도는 내재적 동기에 의해 자신의 가능성을 확인하

고 개척하려는 학습자에게 결정적인 동기 부여를 한다. 비록 예비보육교사들의 학습 동기

는 다양하지만 노력의 결과물인 성적을 통해 교육만족감(이정희, 안영식, 2007)과 자기효능

감(방희명, 2011)이 증진되어 교육원생활의 적응뿐 아니라 긍정적인 삶의 원동력으로 작용

한 것으로 보인다. 즉, 성인학습자가 새로운 세계와의 결합, 타인과 진정한 관계맺기, 자기

주도 배움의 경험, 삶의 균형과 몰입 등 다양한 수학 경험들을 삶과 연결하여 체험함으로

써 자기주도적 학습, 자기지향적인 동기, 삶의 변화를 가져오고, 특히 자기효능감이 증진되

면서 자아정체성을 회복할 수 있다는 주장(민선향, 2006)을 뒷받침하는 결과이다. 그러나

학업성취는 삶의 질을 높이는 변인이면서도 결과에 따라서는 역의 기능을 하는 변인이 되

기도 한다. 심리적 안녕감은 현재 삶에서 자신이 잘 기능하고 있는지에 대한 스스로의 평

가이므로 학업을 통해 성취감을 얻어 심리적 안녕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보

육교사교육원에서는 성인학습자의 성공적인 수학을 돕기 위한 구체적인 학생지원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더욱이 부적응을 보이는 학습자는 낮은 학업성취, 진로목표의 부

재 등과 같은 이유로 자퇴나 휴학을 하는 경우가 많다는 점에서(김수연, 1998) 학습에 대한

동기 부여나 흥미 고취로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개별적인 학습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 연구대상 예비보육교사들은 연령층이 30, 40대의 여성들로 기존의 직업이 적성

에 맞지 않아 새롭게 진로를 선택하거나 혹은 인생의 전환점을 위해 새롭게 학업을 선택한

Page 17: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정 계 숙* ․ 고 희 선** ․ 박 선 해*** !"#$% &'()*+$, -./ 012134 5" 67 8 9: ;-"#? "#$%!&'()*@ab 5cd 3 e f gh3 i j2 klmno

보육교사교육원 수학 경험과 대상관계가 예비보육교사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93

경우가 종종 있어 이론과 실제를 통합적으로 접목해야하는 유아교육의 특수성에 대한 이해

부족 및 효율적인 학업수행에서의 어려움을 보이고 있었다. 따라서 개인별 맞춤식 교육서

비스, 즉 연령과 개인의 능력에 따라 개인별 취약한 영역을 찾고 이를 보완해주는 일대일

학습코칭이 필요하다. 이러한 노력은 심리적 차원의 지원과 함께 보육교사의 전문성을 향

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는데, 최근 보육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해 보육교사 양성 교육과

정에서의 개선 방안으로 교과목 개선과 실습 강화가 주로 논의되었던(정계숙, 손환희, 하은

실, 2012) 제한점을 보완해 줄 것이다.

본 연구는 단일 보육교사교육원생 집단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학업성취도 및 만족도

가 특정 보육교사교육원의 교육과정의 특징으로 인해 나타난 결과일 수도 있는 제한점이

있다. 그러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학업성취나 교육만족도와 같은 보육교사교육

원의 수학 경험과 대상관계의 영향력을 비교한 본 연구를 통해 보육교사 양성과정에 있는

예비보육교사들의 학습 능력뿐만 아니라 심리적 건강 증진을 위한 보육교사 양성 교육과정

의 개선 및 중재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에 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앞으로 보다 다양한 기관에서 훈련 중인 예비보육교사를 대상으로 그들이 학업을 성

공적으로 완수하고 심리적으로 건강하고 안정된 교사로서 기능하는데 영향을 줄 수 있는

다양한 심리적 경험을 규명하고 그 경험 간의 관계를 밝히는 더 심도 있는 연구를 통해 예

비보육교사를 지원하는 다각적인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Page 18: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정 계 숙* ․ 고 희 선** ․ 박 선 해*** !"#$% &'()*+$, -./ 012134 5" 67 8 9: ;-"#? "#$%!&'()*@ab 5cd 3 e f gh3 i j2 klmno

94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1권 제4호

참고문헌

김명소, 김혜원, 차병호(2001). 심리적 안녕감의 구성개념분석 : 한국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15(2), 19-39.

김미란(2002). 대상관계, 자존감, 자아탄력, 자아통제와 청소년의 사회적 문제해결능력과의

관계연구. 목포대학교 교육연구, 14(1), 157-174.

김수연(1998). 전문대학생의 자퇴 및 휴학 결정요인. 교육사회학연구, 8(2), 77-108.

김순업, 박재황(2006). 현실요법을 적용한 교사정신건강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상담학연구, 7(3), 789-802.

김혜숙(2003). 성인학습자의 정체성에 관한 연구 : 평생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여성을 중

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나미화(2007). 청소년의 개인주의-집단주의 성향에 따른 대상관계수준과 주관적 안녕감 간

의 관계.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민성향(2006). 성인들의 배움에 관한 연구 : 학위과정의 참여자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

학원 박사학위논문.

박부형, 이영호(2004). 한국판 대상관계질문지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23(4), 1065-1084.

박신영, 박은혜(2011). 유치원 교사가 인식하는 심리적 안녕감과 협동적 조직문화. 한국교

원교육연구, 28(2), 167-189.

방희명(2011). 예비보육교사 성인학습자의 학습요인이 대학교육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

국거버넌스학회보, 18(3), 245-269.

성보훈, 윤선아(2010). 행복의 정의와 발달단계별 결정요인. 뇌교육연구, 6, 103-134.

신경숙(2009). 예비유아교사의 학과적응, 진로결정도 및 종교활동과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

계. 교사교육연구, 48(2), 1-20.

신정인, 강영걸, 김영호(2010). 대학생의 대상관계가 분리개별화, 자기효능감, 심리적 안녕감

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17(10), 189-212.

신현정, 박진성(2010). 유아교사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주는 관련변인 탐색연구: 직무스

트레스와 조직효과성을 중심으로. 유아교육학논집, 14(2), 147-170.

우상우, 장문선(2010). 초기대상관계와 경계선 성역의 관련성에서 자기개념, 방어기제의 매

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9(2), 453-469.

유근준(2008). 대상관계의 변화 과정에 대한 질적연구 : 근거이론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

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age 19: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정 계 숙* ․ 고 희 선** ․ 박 선 해*** !"#$% &'()*+$, -./ 012134 5" 67 8 9: ;-"#? "#$%!&'()*@ab 5cd 3 e f gh3 i j2 klmno

보육교사교육원 수학 경험과 대상관계가 예비보육교사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95

윤갑정, 우효정(2012). 예비보육교사의 개인적 변인, 전문성 발달 목표와 걱정이 자기효능감

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6(3), 161-185.

이경민, 최윤정(2009). 유아교사의 행복, 강점, 직무만족의 관련성 탐색 연구. 유아교육연구,

29(3), 215-235.

이미란, 김정원(2011). 영유아교사의 심리적 안녕감과 교사헌신.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2(2), 243-260.

이진(2008). 개인의 목표성취와 삶의 만족도 : 자기효능감의 역할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정희, 안영식(2007). 만학도의 대학생활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평생교육학연구, 13(3),

89-116.

이채호, 고태순(2008). 보육교사의 건강지각과 건강증진 생활양식 및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 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12(2), 23-40.

(2009).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 보육효능감 및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구조모형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6(2), 49-70.

정계숙, 김미정, 견주연(2011). 유아교사의 대상관계 및 교육신념과 교사효능감과의 관계.

아동교육, 20(3), 271-286.

정계숙, 손환희, 하은실(2012). 전문성 강화를 위한 보육교사 양성과정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생애학회지, 2(1), 21-38.

주동범, 전은순(2011). 성인학습자의 평생학습 참여경험 및 자기주도 학습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직업교육연구, 30(1), 15-28.

한상길(2009). 평생교육론. 경기도 고양: 공동체.

Baik, J. (1998). Individuation, college adjustment and ego identity: Construction of a

measure of individuation and psychometric analysis. The Science & Engineering,

58(9-B), 5157.

Baumgardner, S. R. & Crothers, M. K. (2008). Positive Psychology. 안신호, 이진환, 신현

정, 홍창의, 정영숙, 이재식, 서수균, 김비아 역(2011). 긍정심리학. 서울: 시그마프레

스.

Bell, M., Billington, R., & Becker, B. (1986). A scale for the assessment of Object

relations : Reliability, validity, and factorial invariance.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42, 733-741.

Bram, Anthony, D., Gallant, Sherylc, J., & Segrin, Chris. (1999). A longitudinal

Page 20: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정 계 숙* ․ 고 희 선** ․ 박 선 해*** !"#$% &'()*+$, -./ 012134 5" 67 8 9: ;-"#? "#$%!&'()*@ab 5cd 3 e f gh3 i j2 klmno

96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1권 제4호

investigation of Object relations : Child-rearing antecedents, stability in adulthood,

and construct validation.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33, 159-188.

Diener, E., & Emmons, R. A. (1984).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bulletin, 95,

542-575.

Christoher, J. C., Bickhard, M. H., & Lambeth, G. S. (2001). Otto Kernberg's Object

relations theory; a metapsychological critique. Theory Psychology 2001; 11; 697.

Clarkin, J. F. (2006). Conceptualization and treatment of personality disorders. Psychotherapy

research, 16. 1-11.

Garbard, G. O. (2005). Psychodynamic Psychiatry in clinical Practice. fifth Edition,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 Inc.

Honer, A. J. (1984). Object relations and the developing ego in therapy. New York :

Jason Aronson.

Kernberg, O. (2006). Psychoanalytic affect theory in the light of contemporary

neurobiological findings. International Congress Series 1286, 107-117.

King, L. A., Hicks, J. A., Krull, J. L., & Del Gaiso, A. K. (2006). Positive affect and the

experience of meaning in lif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0,

170-196.

Lent, R. W., & Brown, S. D. (2008).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and subjective

well-being in the concext of work.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16, 6-21.

Lynum, L., I. & Willberg, T. & Karterud, S. (2008). self-esteem in patients with

borderline and avoidant personality disorders. Scandinavian Journal of Psychology,

49(5), 469-477.

Lyubomirsky, S., King, L., & Diener, E. (2005). The benefits of frequent positive affect:

Does happiness lead to success?, Psychological bulletin, 131(6), 803-855.

Russell, J. E. A. (2008) Promoting subjective well-being at work.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16(1), 117-131.

Ryff, C. D. (1989).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7,

1069-1081.

Ryff, C. D. & Singer, Burton. H. (2000). Interpersonal flourishing: A positive health

agenda for the new millennium.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1), 30-44.

Page 21: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정 계 숙* ․ 고 희 선** ․ 박 선 해*** !"#$% &'()*+$, -./ 012134 5" 67 8 9: ;-"#? "#$%!&'()*@ab 5cd 3 e f gh3 i j2 klmno

보육교사교육원 수학 경험과 대상관계가 예비보육교사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97

Schrafft, D. E. & Fairbairn, B. E. (1997). From instinct to self : the evolution and

implacations of W. R. D. Fairbairn's theory of Object relations.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analysis, 78(6), 1085-1104.

Waterman, A, S. (1993). Two conceptions of happines: Contrast of personal expressiveness

(eudaimonia) and hedonic enjoymen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4, 678-691.

Page 22: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정 계 숙* ․ 고 희 선** ․ 박 선 해*** !"#$% &'()*+$, -./ 012134 5" 67 8 9: ;-"#? "#$%!&'()*@ab 5cd 3 e f gh3 i j2 klmno

98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1권 제4호

Abstract

Impact of Learning Experience in a Childcare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 and Object Relations on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Chung, Kai-Sook ․ Koh, Hee-Seon ․ Park, Seon-Ha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achievement,

satisfaction with learning experience, object relation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The subjects were 187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who

answered questions about object relation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atisfaction with

education, and their grades every semester were analyzed to evaluate their academic

achievement. The result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chievement and overall psychological wellbeing on the one hand, and learning satisfaction on

the other a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object relations and overall psychological

wellbeing. Second, “alienation” was identified as the variable that had the largest impact on

overall psychological wellbeing, followed by “social incompetence” and “academic

achievement”. Finally, in this study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for teacher education and

research limitation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