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shinhan/yoonjiwon/... · 2016-09-09 · - 일반적으로 GTT는 2주마다 실시 - NPH와 RI을 병용 오전 :

  • Upload
    lykhanh

  • View
    218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1. 임신오조(Hyperemesis Gravidarum)

2. 당뇨병(Diabetes Mellitus)

3. 갑상선 질환(Thyroid Gland Disease)

4. 심장 질환(Heart Disease)

5. 혈액학적 장애 (Hematologic disorders)

6. 전신성 홍반성 낭창(SLE)

7. 호흡기계 질환 (Respiratory Disease)

1. 임신오조증 (Hyperemesis Gravidarum)

: N/V 지속으로 탈수, 전해질불균형 영양 불균형, 체중감소,

acetonuria(Ketonuria), 간 & 신장 손상을 초래하는 병리적 상태

발생빈도 : 0.5~2%

morning sickness (입덧): 임부의 70~90%가 경험

임신 5~12주경 나타나,

12주 이후 자연적으로 사라지거나 감소됨.

원인

- hCG, estrogen 증가

- 위운동 저하, 위 염산 분비감소

- 일시적 갑상선 기능항진증

- Vit B 결핍, 탄수화물 대사장애

증상

- 체중감소와 탈수 → 저혈량증 (hypovolemia), Hct & BUN 증가,

urine output 감소, BP 하강, PR 변화

- 수분, 전해질 불균형(hyponatremia, hypokalemia)

→ 신장 & 심장 기능장애

- metabolic acidosis

- 영양결핍상태 → 저단백혈증, 저비타민혈증

- 저트롬빈혈증 → 점막출혈

- Vitamin B 결핍 → 말초신경질환

치료와 간호중재

- 목적 : 적절한 영양 유지

- 입원치료 : 수분/전해질 교정, 칼로리, 비타민 보충 ( 수액요법)

- 경구섭취 : 일시적으로 금식,

구토 사라진 후 48시간까지 금식

2. Diabetes Mellitus (당뇨병)

* “insulin”부족 ⇒ 근육, 지방조직에서 glucose 흡수 부족

: 근, 지방세포로 glucose 이동, 흡수 시키는 기능

⇒ ① 단백질 및 지방의 분해(ketosis)

- ketoacidosis

- 체중감소 → 多식(polyphagia)

⇒ ② 혈액내 glucose 축적(htperglycemia)

- 혈액의 고삼투성 → 혈액량 증가 → 多뇨(polyuria),

당뇨(glycosuria)

- 조직 탈수 → 多음(polydipsia)

1) 분류 by ACOG

임신성 당뇨(Gestational DM)

Class 발병시기 공복시 정맥내 공복시 혈장내 치료

A1 임신성

105mg/dl 이하 120mg/dl 이하 diet

A2 105mg/dl 이상 120mg/dl 이상 insulin

임신 전 당뇨(Pregestational DM, Overt DM)

Class 발병연령 유병기간 혈관질환 치료

B 20세 이상 10년 이하 없음 insulin

C 10-19세 10-19년 없음 insulin

D 10세 이하 20년 이상 Benign retinopathy

(양성망막병변) insulin

F 아무때나 아무때나 Nephropathy(신병변) insulin

R 아무때나 아무때나 Proliferative retinopathy

(증식성 망막병변) insulin

H 아무때나 아무때나 Heart disease insulin

(1) 임신 전 당뇨 (Overt DM) : 임신 전 ~ 분만 후까지 지속

▪ random plasma glucose level 200mg /dl

+ polydipsia, polyuria, weight loss

▪ 주로 Type I (인슐린 의존성)

▪ 빈도: 0.1~0.2%

▪ 임신 전 기간 동안 임부의 대사이상을 초래하여 태아 손상 유발

▪ 임신 초반기 : 태아손상, 자연유산 발생

임신 중/후반기 : 거대아, 고인슐린증, 사산 발생

(2) 임신성 당뇨 (Gestational DM, GDM)

: 주로 임신 중, 후반기 대사장애로 태아에게 손상 유발

분만 후 정상 또는 지속 가능성 있으므로 산후 6주경 check

빈도: 1~3%

① 위험요인 : 30세 이상

가족력

이전에 거대아, 기형아, 사산아 분만 과거력

비만

고혈압

Glycosuria(당뇨): 임신 중 2회 이상

검사 방법

50g-oral glucose tolerance test(50g OGTT)를 24~28주에 시행

→ 1시간 후 130 mg /dl 면 (+)

→ 이때 100gm OGTT 시행

<임신성 당뇨 진단기준> : 100g-3hour-OGTT로 진단

당 측정시간 venous blood(mg/dl) Plasma(mg/dl)

Fasting(공복시) 90 105

1-hour 165 190

2-hour 145 165

3-hour 125 145

2개 이상 항목에서 기준 수치 이상인 경우 당뇨로 진단 1개 이상 증가(& 위험요인) 시에는 32주경 재검사

② 임신이 당뇨병에 미치는 영향

임신 중에는

▷ GFR 증가, 당에 대한 역치 감소, 세뇨관 재흡수 감소로 glycosuria

⇒ 임신성 당뇨 진단을 어렵게 함.

② 임신이 당뇨병에 미치는 영향

임신 중에는

ⓐ 임신 중 내분비 활동의 활성화 → insulin 분비활동 증가

ⓑ 태반분비 호르몬(hPL, E, P, cortisol)의 insulin 길항작용

말초에서 insulin 저항성

ⓒ 부신피질에서 glucocorticoid, 뇌하수체 전엽에서 GH의 분비 증가

임부의 과혈당 경향 초래

⇒ ⓐ + ⓑ + ⓒ : insulin 요구량 증가

⇒ 정상임부의 insulin 요구량은 비임신시에 비해 2~3 배 증가

⇒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경우 임신성 당뇨 발생

② 임신이 당뇨병에 미치는 영향

분만시(태반만출 후)에는

태반분비 호르몬의 급격한 감소 + 진통시 근육피로, 당섭취 부족

(저혈당 경향)

⇒ insulin 요구량의 급격한 감소

③ 당뇨병이 임신에 미치는 영향

임부에게 미치는 영향

㉠ PIH 발생빈도 증가 : 4배

㉡ infection 발생빈도 증가 : 비뇨기 감염, 모닐리아성 질염

㉢ 양수과다증 빈도 증가

㉣ 거대아(macrosomia)로 인한 난산 or C/S 빈도 증가

㉤ Ketoacidosis로 인한 자궁내 태아사망

: 심한 과혈당(350mg↑/dl), 케톤뇨, 산증 동반

태반순환감소로 태아저산소증 유발하여 50~80%의 태아 사망

㉥ 산후 출혈 빈도 증가

㉦ 모성사망률 증가

: 당뇨합병증(ketoacidosis 등), 고혈압, 감염, C/S, 산후 출혈 등

태아와 신생아에 미치는 영향

㉠ 주산기 사망률 증가

㉡ macrosomia(거대아) : 분만 손상

㉢ 저혈당증 : 분만 후 1~3시간 내 저혈당증으로 인해 뇌손상 가능

태아 췌장의 인슐린 분비기능 항진 & 혈당 공급(모체 혈액) stop

㉣ 호흡곤란증후군 : insulin의 증가로 L/S 합성 지연

태아의 insulin 증가는 폐 계면활성제 합성 방해

㉤ 선천성 기형 : 정상임신의 3~4배,

신경관결함, 심장결함, 위장관결함, 신장 기형 등

㉥ 저산소증, 저칼슘혈증, 고빌리루빈혈증

④ 산전간호

㉠ 영양 : 35cal/Kg 또는 2000~2500cal/day 권장

- 3번의 식사 & 3번의 간식

- 탄수화물 40~50%, 지방 30~35%, 단백질 20~25%(100~125g)

- 비만 임부는 1500~1800cal/day 권장

- 임신 중, 후반기 비임신시보다 단백질 30g/day 더 섭취

㉡ 혈당측정 : 하루 4회, 아침/점심/저녁 식전, 취침 전에 측정

㉢ 소변검사 : 하루 4회 소변검사

- 4(+)인 경우 의사에게 보고

- 정기적인 소변배양검사

: 세균수 10만 이상시 무균상태까지 항생제 치료

㉣ insulin 투여

- FBS 80~110mg/dl, pp 2hr 150~160mg/dl 유지가 기준

- 일반적으로 GTT는 2주마다 실시

- NPH와 RI을 병용

오전 : 일일 insulin 필요량의 2/3을 투여, NPH : RI = 2 : 1

오후 : 일일 insulin 필요량의 1/3을 투여, NPH : RI = 1 : 1

- 경구용 insulin 제재는 태아기형발생 위험 있으므로 금기

☑ 임신 중 insulin 요구량의 변화

- 임신 1기 : 변화 없음 또는 감소(저혈당증)

- 임신 2, 3기 : 50~70% 증가

- 분만 중, 후 : 감소

㉤ 운동 : 매일 30분 정도의 산책이 적당(식후가 바람직)

㉥ 태아사정

- 초음파를 이용한 태아연령 사정

- 신경계 결함 사정 : 임신 16주경 AFP test

- 산전진찰 자주 실시 : 28주까지 2주에 1회, 이후는 매주

- 태아 안녕 사정 : 임신 30~32주경 24hr urine 이용 estriol 측정

10~40mg/day 이상이면 정상

- L/S 검사 : 양수검사 이용, 2 이상이면 정상

- creatinine 검사 : 양수검사 이용, 2mg↑/dl 면 태아 신장 성숙

- NST, CST 실시

⑤ 분만 간호

㉠ 분만시기 결정 : 임신 34~36주경 입원

- L/S ratio 2 이상이면 38주경 분만 시도

당뇨병의 경우 phophatidylglycerol의 존재가 더 중요,

L/S = 2 이라도 RDS(호흡곤란 증후군) 발생가능

- PIH 또는 양수과다증의 경우 L/S <2 라도 분만 시도

㉡ 분만방법 결정 : C/S 선호

㉢ insulin 투여 : 분만일에는 insulin 투여용량을 감소, RI 투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