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7
>> Korean

Seoul Art Space Geumcheonoffice.sfac.or.kr/UIPage/BizPublicationBook/Upload... · 주제발표 07_ 서울형 창작공간의 미션과 전략 15_ 뱅크아트1929에 관하여 21_

  • Upload
    others

  • View
    2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Seoul Art Space Geumcheonoffice.sfac.or.kr/UIPage/BizPublicationBook/Upload... · 주제발표 07_ 서울형 창작공간의 미션과 전략 15_ 뱅크아트1929에 관하여 21_

Seoul Art Space_Geumcheon

1

>> Korean

Page 2: Seoul Art Space Geumcheonoffice.sfac.or.kr/UIPage/BizPublicationBook/Upload... · 주제발표 07_ 서울형 창작공간의 미션과 전략 15_ 뱅크아트1929에 관하여 21_

2

Seoul Art Space_Geumcheon

33

김윤환

오사무 이케다 Osamu Ikeda

토마스 페즈 Thomas Peutz

조아나 세르비아 Joana Cervia

라도삼

오민근

서진석

김미진

목차

주제발표

07_ 서울형 창작공간의 미션과 전략

15_ 뱅크아트1929에 관하여

21_ 문화 거주자; 국제 레지던시(스마트 프로젝트 스페이스)의 행정 및

프로듀서/큐레이터의 역할

25_ 앙가(Hangar)의 국제 레지던시 예술가

지정토론

(좌장 : 하계훈 - 단국대학교 대학원 교수)

33_ 공장을 넘어 공간으로, 지역을 넘어 중심으로

35_ 창조적 공간(Creative Space)과 창조적 도시(Creative City)

39_ 스마트 프로젝트 스페이스의

“문화 거주자; 국제 레지던시(스마트 프로젝트 스페이스)의

행정 및 프로듀서/큐레이터의 역할” 발제에 대한 토론문

41_ “앙가의 국제적인 거주 예술가” 발제를 위한 토론문

3

Page 3: Seoul Art Space Geumcheonoffice.sfac.or.kr/UIPage/BizPublicationBook/Upload... · 주제발표 07_ 서울형 창작공간의 미션과 전략 15_ 뱅크아트1929에 관하여 21_

4

Seoul Art Space_Geumcheon

55

주제발표

발제1 서울형 창작공간의 미션과 전략김윤환 - 서울문화재단 창작공간추진단 단장

발제2 뱅크아트1929에 관하여Osamu Ikeda - 일본 BankART1929 디렉터

발제3 문화 거주자; 국제 레지던시(스마트 프로젝트 스페이스)의 행정 및 프로듀서/큐레이터의 역할Thomas Peutz - 네덜란드 SMART Project Space 디렉터

발제4 앙가(Hangar)의 국제 레지던시 예술가Joana Cervia - 스페인 Hangar 국제교류 레지던시 프로그램 코디네이터

5

Page 4: Seoul Art Space Geumcheonoffice.sfac.or.kr/UIPage/BizPublicationBook/Upload... · 주제발표 07_ 서울형 창작공간의 미션과 전략 15_ 뱅크아트1929에 관하여 21_

6

Seoul Art Space_Geumcheon

7

서울형 창작공간의 미션과 전략

김윤환(서울문화재단 창작공간추진단 단장)

1. 현대도시의 과제와 예술 패러다임의 변화

뒤 돌아 볼 겨를도 없이 고속성장을 하기에 바빴던 대한민국은 도시건설에서도 속도를 우선시 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

다보니 몇 십 년도 지나지 않아 수명을 다하거나 용도 폐기된 건물이 도시 곳곳에 늘어나고 있다. 그 대표적인 경우가

지하상가나 동사무소 같은 공공시설물인데 이러한 유휴공간의 재활용문제는 이제 정부의 정책과제가 되기에 이르렀다.

한편으로는 최근까지 인기 높던 주상복합건축 붐은 다소 주춤해진 반면, 구 서울역사 같은 손때 묻은 오래된 건물들이

주목받고 있다. 이같이 구도심의 빈 공간 활용을 주목하게 된 원인은 기존도시정책이 한계점1)을 드러냈고 이제는 다른

해결방식을 찾아야만 하는 상황에서 비롯된 것이다. 여기에는 세계화와 함께 도시 간 경쟁이 치열해진 점도 많은 영향

을 미쳤다. 각 도시들은 스스로의 개성과 품격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는 과정에서 예술을 통한 도시개발방식을 선호하

고 있다. 기존 도시개발방식은 비슷비슷한 도시경관을 양산했을 뿐 아니라 시민의 삶을 제약하는 결과를 가져왔기 때

문인데 문화예술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좋은 방식으로 이해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도시 내의 많은 유휴시설들이 문화예술공간으로 재활용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고 그중에서도 특히 창작공

간조성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창작공간은 기존 문화공간과는 그 기능면에서 다르다. 기존 문화공간에서는 완성된 작품

을 발표하거나 시민을 위한 문화프로그램을 시행하는데 비해 창작공간은 창작컨텐츠를 생산할 뿐 아니라 작품발표와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도 시행할 수 있다. 이러한 창작공간만의 특징은 도시의 현재적 요구에 적극 부응할 수 있는 장

점을 갖춘 것으로 인식되고 있는 것이다. 창작공간은 이제 도시의 개성과 심미성, 삶의 질을 제고할 수 있는 도시창의

의 시작거점으로 각광받게 된 것이다. 창작공간은 도시계획의 최전선에 서서 시민창의를 위한 컨텐츠 공장으로서, 도시

계획상의 각종 현안과제들을 선험(아방가르드)적으로 실험하는 예술가들의 아지트2)로서 기능한다.

한편 예술가들과 예술창작공간이 도시부흥의 새 주역으로 떠오르면서 예술패러다임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것은

도시변화에 참여하는 예술가들이 실천하는 무대와 내용과 형식의 변화가 일어나면서 그들 자신 즉, 예술가들의 정체성

3)도 함께 변하고 있다. 그것은 예술의 창작-소통-향유 시스템의 변화로 대중들에게 가시화 된다.

예술변화의 현장은 최근 인기 있는 문래동의 경우와 같은 창작실들의 자생적 군락지나 혹은 홍대일원의 블랙박스 시어

터나 대안공간들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그곳에서는 실험적 예술가들이 작품을 만들어 연습한 후, 바로 그 자리에서

작품을 올리는 경우를 종종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예술의 창작에서 향유에 이르는 시공간이 압축되는 현상이 생기고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시민이 창작과정에 참여하거나 리허설을 관람할 수도 있다. 그에 따라 공간의 설비내용도 달라

지고 있다. 모든 기능요소를 설치하는 것 보다는 꼭 필요한 최소한의 설비만을 갖추고 나머지는 비움으로써 참여자(예

술가, 시민)의 역할이 강조된다. 예술 공간의 운영에서 주요 사용자인 예술가의 역할이 높아지게 되면 필연적으로 예술

가의 창작적 개입이 강조되는데 결과적으로 예술 공간의 성격변화가 일어나게 된다.

1) <저성장 시대의 도시개발의 방향과 전략> 서상락. 고도경제성장기 우리나라는 도시, 지역개발정책에서 경제성장, 대규모 개발논리에 따라 효율성과 속도를 극대

화하는 정책으로 일관돼왔으나 최근 삶의 질을 중심으로 한 지속가능한 도시의 개발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제 도시란 쾌적성, 심미성, 형평성을 갖추기 위해

도시를 가꾸고, 다듬고, 관리하여 진정으로 내실 있는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 내용은 아름다운 도시 만들기, 녹색이 풍부한 푸른

도시 만들기, 역사.문화가 숨쉬는 도시 만들기, 다함께 하는 복지공동체 만들기, 보행자 우선 도시 만들기, 국제화에 부응하는 도시 만들기 등이다.

2) 예술가(창조계급)들이 도시 활성화의 새 주역(도시의 창의성의 샘)인 사실은 뉴욕의 소호나 베이징의 따산츠, 서울의 대학로와 홍대지역 등 많은 국제적 사례를

통해 확인되었다.

3) 김강, <현대 미술에서 예술가의 역할에 관한 연구> 홍익대 대학원 미학과 석사논문, 2008

Page 5: Seoul Art Space Geumcheonoffice.sfac.or.kr/UIPage/BizPublicationBook/Upload... · 주제발표 07_ 서울형 창작공간의 미션과 전략 15_ 뱅크아트1929에 관하여 21_

8

Seoul Art Space_Geumcheon

9

3. 예술가-시민-도시를 위한 새로운 모색, 서울형 창작공간

서울시와 서울문화재단은 2007년부터 아트팩토리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서울형 창작공간으로 명명되는 이 프로젝

트는 2007년 서울시의 컬쳐노믹스 전략에 따라 예술가와 시민의 창조적 능력을 증폭시킴으로써 도시의 국제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사업이다. 이를 위해 기능을 다한 유휴공간을 창작공간으로 활용함으로써 구도심을 문화적으로 재생시키

고 지역공동체에 활력을 불어넣으며 나아가 서울의 문화, 환경, 교육, 경제적 욕구를 충족시키고자 한다.

서울형 창작공간(이하 서울시창작공간)의 특징은 무엇보다도 서울 여러 곳에 조성함으로써 지역별 문화특화와 균형발

전에 기여하는 지역거점형 창작공간을 목표로 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를 위해 서울시는 2008년 3곳(난지 미술창작스튜

디오, 장애인창작스튜디오, 남산창작센터)2009년 총 6곳(남산예술센터, 서교예술실험센터, 금천예술공장, 신당창작아케

이드, 연희문학창작촌, 문래예술공장), 2010년 3곳(홍은예술창작센터, 성북예술창작센터, 관악어린이창작놀이터)을 비롯

이후 총 15개 지역에 창작공간을 조성한다는 계획을 가지고 있다. 이들 각각은 해당지역이 가진 문화.역사와 경제적 특

성을 고려하면서도 예술의 균형발전을 고려한 장르적 안배와 시민의 문화향유 요구에도 부응하고자 하였다. 이를테면

홍대지역이나 문래동 지역 등 예술가들이 활발하게 활동하는 지역에 대해서는 해당 지역의 예술활동을 지원할 수 있는

센터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준비하였고, 산업적 기반은 좋되 문화 인프라가 부족한 금천구 지역에 대해서는 금천예술

공장을 조성하여 기존산업에 예술을 추가함으로써 지역의 문화 활성화는 물론 지역의 경제적 요구에도 적극 부응할 수

있는 공간으로 구상하였다. 신당창작아케이드는 중앙시장과 동대문시장 등 인접 재래시장을 고려하여 공예공방촌을 조

성하였고, 홍은예술창작센터는 무용중심의 공연예술과 생태주의 창작공간, 성북예술창작센터는 시민창작중심의 공간,

관악은 어린이 전용 창작공간으로 구상하였다. 물론 이들 공간들은 장르별.성격별 특화를 추구하면서도 타 장르에 대한

적절한 공간안배6)도 함께하고 있다. 한편 이들 공간들이 서울 곳곳에서 지역밀착형으로 활동하면서도 전체를 통합하는

네트워크 사업도 강화시켜나갈 계획이다.

두 번째는 기존 창작공간들의 단점을 극복하고 장점들을 살려나가고자 하였다. 기존 창작공간의 유형은 크게 개인운영

창작실, 레지던시 프로그램 스튜디오, 폐교활용창작실로 정리해 볼 수 있다. 서울시창작공간은 개인창작공간을 운영할

때 생기는 경제적 부담을 최소화하고 대신 창작에 집중할 수 있는 여건마련을 위한 공간으로서 도심 숲속에 연희문학

창작촌을 조성하였고, 무용 등 공연예술에 집중할 수 있는 홍은예술창작센터(2010년) 등을 준비하고 있다. 한편 레지던

시 프로그램이 안정적 창작공간 제공에 한계를 보인 점을 감안하여 신당창작아케이드는 안정적 창작공간제공을, 금천

예술공장은 국제교류를 활성화하는 공간으로 준비되었다. 또 폐교활용창작공간의 단점인 경제활동의 제약을 극복하기

위해 금천예술공장, 문래예술공장, 신당창작아케이드 등에서는 예술과 산업의 적극적인 만남(상호 MOU체결 등)을 통한

상호 Win-Win을 준비하고 있다. 물론 하나의 공간이 모든 요구를 충족할 수는 없겠으나 여러 곳의 창작공간이 각각의

장점을 발휘하면서 기존 창작공간의 한계를 넘어설 수 있는 길을 찾을 것으로 기대된다.

세 번째는 창작공간의 조성에서 예술인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고자 하였다. 조성공간에 대한 컨셉을 비롯해 설계

를 위한 기초자문과 공간운영을 위한 자문을 현장예술인과 각계 전문인들의 적극적인 의견수렴을 통해 풀어나가고자 하

였다. 또 공간의 내 외부를 조성할 때 예술가 및 예술그룹들이 인테리어와 익스테리어 조성에 참여할 수 있도록 공공프

로젝트, 퍼블릭 샤렛, 입주작가 설치작품 참여 등 다양한 방법을 도입하고 있다. 이것은 창작공간의 1차적 사용자인 예술

가들의 취향을 적극 살리는 공간으로 조성함으로써 여타 문화시설과는 차별화된 감성을 부여하고, 공간의 작품화를 추

구하였다. 향후 창작공간을 이용하게 될 시민들에게 새로운 문화향유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의도도 담겨있다. 이러한 방

법은 공사비용의 효율성면에서도 장점을 발휘하는데 자금투여액수에 비해 상대적으로 좋은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6) 예를 들어 신당창작아케이드의 경우 공예 70%, 사진, 일러스트레이트, 북아트, 예술기획 등 비 공예 분야도 30% 안배하여 서로 시너지 효과를 기하고자 했다.

예술공간의 성격변화는 예술창작을 위한 장소/공간의 확장 현상으로 나타난다. 과거 전문작업실에서 제작되던 작품

이 이제는 거리와 광장, 골목과 동네 등 도시전체에서 만들어지고 있다. 또한 창작주체의 변화가 생기면서 전문 창작

자 뿐 아니라 시민 모두가 창작의 주체로 변화하고 있는 현상도 두드러지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시민예술 프로슈머

(prosumer)4) 혹은 동네예술가의 형태로 나타난다. 세 번째는 창작내용의 변화가 그것인데 전통적 예술장르에서 실험적

탈장르로 확대되면서 과거에는 예술로 규정되지 않던 내용들이 새롭게 예술의 대상으로 채택되고 있다. 네 번째는 창

작형식에도 변화가 일어났는데 고도의 전문기능 중심의 창작방식에서 전문성과 대중적 방식이 혼재된 형식으로 다변화

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들이 가져온 결과로 이제 예술가들은 ‘누구나 예술가가 될 수 있는 시대’에 살면서 전통적 예술가상(천

재적 영감으로 무장한 작품아우라 생산자)보다는 ‘예술의 매개자’라는 새로운 역할이 더 강조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예술 혹은 비예술을 규정하던 제도미학도 변화하고 있고, 작품발표를 위한 장소도 갤러리 공연장을 넘어 거리와 생활

공간으로 확장되었다. 또한 시민 프로슈머의 탄생은 창작형식의 변화를 일으키면서 일반시민이 스스로 창작할 수 있고

예술가와 시민이 공동 창작할 수 있는 시대를 열게 되었다.

2. 한국사회가 필요로 하는 창작공간은?

전국적으로 여러 지방자치단체들이 도시 재활성화를 위한 창작공간 조성에 나서고 있다. 창작공간조성사업은 물리적인

건물조성사업이 아니라 지역사회를 포함한 예술문화생태계를 조성하는 사업으로 이해하는 편이 정확할 것이다. 따라서

성공적인 사업추진을 위해서는 조성목적과 장소에 따라 각기 다른 창조적 조성운영방법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 해

당 사이트에 생명과 개성을 불어넣기 위해서는 공간조성주체들 가의 긴밀한 협력도 필요하다. 관은 행정적 뒷받침을,

예술가들은 창조적 개입을, 지역주민들과 상인들은 창작공간에 대한 이해와 협조가 필요한 것이다. 시설조성에서도 예

술가들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할 필요가 있다. 창작실은 고도의 숙련된 예술활동을 진행하는 공간으로서 공간의 1차적

사용자인 예술가가 원하는 스타일로 꾸미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예술가가 원하는 방식으로 운영5)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기본여건이 잘 준비되지 않으면 예술가와 건물이 서로 겉돌게 되는 사태가 벌어진다. 예술가들은 물리적 시설

을 포함한 주변 환경까지도 작품으로 만들 줄 아는 존재들이기 때문이다. 바로 이러한 특수성 때문에 창작공간을 찾는

방문자들은 낯설고도 재미있는 풍경에 감탄하며 창작공간의 매력에 푹 빠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성공적인 창작공간

의 조성비결은 예술가들의 자율적 공간운영을 보장하면서도 공공적 기능을 상실하지 않는 방법을 찾는 데 있다.

그렇다면 기존 창작공간들의 경향은 어떠했으며 어떤 부분이 해결해야할 과제인가.

기존 창작공간들은 개인 창작실과 창작레지던시 프로그램, 폐교활용 창작실 등의 종류가 있다. 이들은 각각 장단점을

가지고 있는데 개인 창작실의 경우 독립성이 강하지만 도시 내에 운영하기에는 개인비용부담이 크고, 레지던시 프로그

램은 신진예술가 발굴과 국내외 교류활성화에 기여했지만 안정적인 창작실지원은 못된다. 폐교활용 창작실의 경우에는

넓은 작업공간을 싼 값으로 제공했으나 예술경제활동 연계성 부족으로 예술가들의 경제난이 가중되는 단점을 보였다.

그런 면에서 지금 우리사회가 필요로 하는 예술공간은 기존 창작공간의 단점을 해결할 수 있고 예술가-시민-도시의

요청에 부응하는 새로운 형태의 예술공간을 필요로 한다. 즉 예술의 창작-소통-향유가 한 곳에서 가능한 곳, 지역공동

체 강화에 기여하는 공간, 예술과 산업이 만나 서로 상생할 수 있는 매개공간을 말한다.

4) 미래학자인 앨빈 토플러는 〈제3의 물결〉(1980)에서 생산소비자의 시대를 예고했다.

5) 개인이 운영하는 창작공간의 경우 상관없겠으나 공공자금으로 조성된 창작공간의 경우, 예술가들의 창조적 활용이 공공적 활용성과 조화를 이룰 수 있어야만

지속가능한 운영이 가능할 것이다. 만약 공간의 공공적 기능만을 강조하게 되면 예술가들의 창조적 개입이 제약을 받게 되어 일반 문화공간과 차별성이 없어지게

되어 공간의 활성화에 실패하고, 반대로 예술가의 창조적 활용만 강조하게 되면 공적 자금투여의 명분이 약화되므로 예산이 줄어들게 되어 예술창작활동이 위축

된다.

Page 6: Seoul Art Space Geumcheonoffice.sfac.or.kr/UIPage/BizPublicationBook/Upload... · 주제발표 07_ 서울형 창작공간의 미션과 전략 15_ 뱅크아트1929에 관하여 21_

10

Seoul Art Space_Geumcheon

11

<표 1> 2009년 조성 서울시창작공간

각 공간들의 특성화 상황을 보면 먼저 남산에 위치한 남산예술센터는 서울의 공연예술 활성화를 주도하고 예술교육

을 통한 시민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공간으로 운영되고 있다. 남산예술센터에는 두 개의 기관이 속해 있는데 그 중 하

나는 예술교육관으로서 창의문화예술교육 ‘Arts-Echo Project’의 미적체험교육이 이뤄지는 문화예술교육 전문공간

이며, 다른 하나는 국내외 우수 현대연극을 중심의 제작극장이다. 시설은 세미나실, 체험교육실, 예술교육정보자료관,

교육 및 창작개발을 위한 연구실, 창작 연습실, 500백석 규모의 공연장을 보유하고 있다. 주요 프로그램으로는 전문

예술가 재교육 과정인 (Teaching Artist)Arts-TREE, 공무원, 교사, 복지사를 대상으로 하는 문화매개자 양성과정 Arts-

TREE가 있고, 어린이 창의 Arts-TREE, 청소년 창의 Arts-TREE, 문화예술교육 컨텐츠 개발 및 연구 프로그램 등이 있

다. 2009년 극장 프로그램으로는 <오늘, 손님 오신다>를 비롯해 <바다거북이의 꿈>, <선비와 망나니>, <장기하와 얼굴들

‘퍼포먼스 콘서트’>, <운현궁 오라버니> 등이 있다.

홍익대 지역에 위치한 서교예술실험센터는 구 서교동사무소를 리모델링한 곳이다. 홍익대 지역은 500여 개 인디밴드,

20여 개 문화단체, 매년 10개의 페스티벌이 열리는 우리나라 클럽문화와 인디 대안문화의 본거지이다. 서교예술실험

센터는 홍익대 앞에 밀집한 문화자원을 연계한 문화기획 활동을 지원하고, 신생 소그룹들의 성장을 집중 지원하는 등

문화예술인들을 위한 창작 및 기획공간과 공연, 전시, 이벤트 등의 문화발표 공간을 제공하고 있으며, 다양한 문화정

보 안내와 더불어 시민참여형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현재 미디어아트 기획단체인 ‘앨리스온’, 인디밴드레이블

‘카바레사운드’, 공공예술 ‘문화로놀이짱’, 다문화 ‘샐러드TV’, 연극연출 ‘디렉팅 스튜디오’가 입주하여 활동

하고 있다. 주요 운영프로그램은 <서울프린지페스티벌>, <서울뉴미디어페스티벌>, <한국실험예술제>, <서울와우북페스티

벌> 등 홍익대 앞 다양한 축제행사 지원을 비롯해, 옥상 공방프로젝트, 주민음악살롱, 옥상시네마, 홍익대문화콘텐츠마

켓, 미디어 갤러리 등이 있다.

이 름 현 황 개관(예정) 기존시설형태 조성 방향

남산예술센터

.규모: 지하 1층, 지상 2층

.위치: 중구 예장동 8-19 ‘09.6 드라마센터 문화예술전문교육기관,제작극장

서교예술실험센터

.대지: 416.9㎡

.연면적: 551.56㎡

.규모: 지하 1층, 지상 2층

.위치:마포구 서교동 369-8

‘09.6 서교동사무소홍대 앞 밀집 문화자원들을 연계

하는 기획활동 지원 서비스 공간

금천예술공장

.대지: 2,358㎡

.연면적: 3,070㎡

.규모: 지하 1층, 지상 3층, 창고

.위치: 금천구 독산동 333-7

‘09.10 인쇄공장국제 레지던시 스튜디오, 프로젝

트 스튜디오

신당창작아케이드

.연면적: 1,130.9㎡

.규모: 지하상가 점포 40개

.위치: 중구 황학동 119번지

‘09.10 중앙시장 지하상가저렴한 비용으로 장기 임대가 가

능한 창작 공예공방

연희문학창작촌

.대지: 6,915㎡

.연면적: 1,480.2㎡

.규모: 지하1층,지상1층(1~4동), 4개동, 산책

로, 야외 데크

.위치: 서대문구 연희동 200-140

‘09.10서울시

시사편찬위원회도심 속 전원형 문학 창작촌

문래예술공장

.대지: 1,017㎡

.연면적: 2,820㎡

.규모: 지하1층, 지상4층(신축)

.위치: 영등포구 문래동1가 29-1 외 2필지

‘09.12 철공소자생적 창작촌 입주 작가들의 공

동창작을 지원하는 창작 센터

네 번째는 공간운영에서 예술인들의 적극적인 참여 속에 운영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예술가들을 대상으로 다

양한 프로젝트를 공모하여 지원하거나 함께 실행하고, 현장예술인들이 공간운영을 위한 프로그램에도 적극적으로 참여

할 수 있도록 길을 열어가고 있다. 더 적극적인 방식으로는 창작공간 내의 공용공간 중 카페나 식당 등에 대해서는 문

화예술 사회적기업의 참여를 모색 중이다.

다섯 번째는 창작공간과 서울문화재단의 예술지원시스템의 결합을 통한 새로운 예술지원시스템의 확립이다. 그동안 예

술가들은 자신의 예술창작을 위하여 스스로 많은 부분을 해결해나가야만 했다. 그러나 한명의 예술가가 성장하기 위해

많은 전문분야의 전문가들의 지원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창작환경 전반을 지원하는 개념의 예술의 생산, 유통, 소비를

포괄한 종합 인큐베이팅7) 지원시스템 방식을 말한다. 구체적으로는 예술가의 스왑분석을 통해 최적화된 전문인력풀(어

시스턴트, 코칭, 매니저, 안무, 연출, 큐레이터, 비평가, 디자이너, 홍보마케터, 아트 딜러) 지원, 창작공간지원(서울시창

작공간), 재정적 지원(작품제작비, 생활비, 공연 및 전시비용 등)을 들 수 있다. 예술가 선정 방식도 기존심사방식과 더

불어 면접심사, 실연(쇼케이스 등)심사 등 다양한 심사방식 채택이 필요할 것이다.

4. 서울시창작공간의 각 공간소개

<그림 1> 서울시창작공간 2009년 현황 *2010년은 회색글씨

서울시창작공간의 주요 사업방향은 먼저 예술가의 양성을 위한 프로그램으로서 예술가 인큐베이팅, 국제 레지던시 교

류, 국제 창작촌 교류 등이 있고, 지역문화활성화를 위한 프로그램은 주민창작실 운영, 문화예술체험강좌 등이 있다. 문

화산업진흥 프로그램으로는 창작활동과 인접산업 연계를 통한 재래산업 업그레이드, 예술과 기술의 융합 프로젝트, 예

술시장 개발, 쇼핑몰 연계 등이다. 이 세가지 주요 사업방향은 모든 창작공간에 기본적으로 적용되는 내용이지만 구체

적 적용은 각 공간마다 다르다.

7) 프랑스 AMI(Aide aux Musiques Innovatrices)의 경우 음악가를 집중 육성하는 사회적 기업으로서 한 명의 음악가를 키우기 위해 1년 동안 32개에 달하는 지원

협력 업무에 필요한 외부전문가 풀 운영하고 있다.

Page 7: Seoul Art Space Geumcheonoffice.sfac.or.kr/UIPage/BizPublicationBook/Upload... · 주제발표 07_ 서울형 창작공간의 미션과 전략 15_ 뱅크아트1929에 관하여 21_

12

Seoul Art Space_Geumcheon

13

두 번째는 예술의 가치와 사회의 가치를 함께 실천하는 레지던시를 지향한다. 현대 예술은 예술계의 범주를 넘어 폭넓

게 사회로 퍼져나가는 경향인 만큼 공간 연구, 도시 미학, 커뮤너티 리서치, 환경미학, 생태미학, 매체미학, 문화/도시

인류학 등 다양한 분야를 경험하고 소통함으로써 미래를 준비하게 한다. 예술 리서치, 비평 워크숍, 프로덕션 워크숍

등을 통해서 예술적 제안을 구상하게 된다.

세 번째는 예술가의 창조적 제안을 실현하는 국제적인 프로덕션이다. 서울시의 컬쳐노믹스 정책은 문화예술의 생산, 문

화산업, 공공적 예술생산 등 세 가지 축으로 전개될 수 있다. 이는 세 가지 축이 상호 유기적 연관속에서 진행된다. 그

것은 자기중심적 예술이 아니라 삶과 관계된 공공적 사회적 예술 생산을 전폭적으로 지원 생산케하는 서울시 프로덕션

및 국제적인 프로덕션 개발을 말한다.

<표 2> 금천예술공장 주요시설

공간에 대한 성격규정 뿐 아니라 운영 프로그램들도 중요하다. 그 중 우선적으로 고려한 사항은 공간운영의 주체가 될

예술가에 대한 적절한 지원프로그램 마련이다. 그것은 예술의 생산, 유통, 소비를 포괄해서 지원할 수 있는 예술가 인

큐베이팅과 같은 종합지원프로그램9)을 말한다. 이는 예술가에 대한 직접 지원에 그치지 않고 근본적으로 예술가의 존

재기반을 만드는 방식으로서 예술가들이 활동할 수 있는 장을 만들어 내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지원전략도 기존 기금

지원방식과는 달리 예술가 어시스턴트, 코칭, 매니저, 안무, 연출, 큐레이터, 비평가, 디자이너 등 다양한 전문 인력풀을

예술가 및 그룹의 특성에 맞춰 지원하고, 매니지먼트 프로그램 운영과 목표달성을 위한 과정 점검, 포트폴리오 등 실

무적 지원, 네트워크 지원, 작품 발표공간의 섭외, 국제교류지원, 예술시장에의 연결 등 다양한 지원업무들을 포괄한다.

그동안은 예술가 개인이 해결하거나(해결할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지인 등을 통해왔다. 또한 외국관계기관들과 교류협

약(MOU)를 통한 책임성있는 추진토대를 마련하여 국제적 전시 및 공연, 예술인 교환 레지던시 프로그램 등을 추진할

것이다.

두 번째는 창작공간 중심의 문화마을 만들기를 위한 프로그램들을 추진할 것이다. 창작공간은 문화예술의 원천이 쏟아

나는 곳으로서 타 공간과는 다른 차별성으로 예술가와 주민이 만나는 공간이 될 수 있다. 창작공간에서는 예술가들의

전문창작 뿐 아니라 시민과 예술가가 다양한 접촉을 통해 함께 문화예술을 창작하고 소비하는 지역사회의 ‘예술마을

회관’의 기능을 담당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동안 많은 공공미술프로젝트10)들이 지역공동체에 깊숙이 들어가 지역

커뮤니티에 기반한 창작활동을 하려 했으나 한계에 봉착할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창작공간

을 지역창의의 거점으로 삼고 지속적인 시민-예술가 공공 프로그램들을 실천해나가는 것이 해법이 될 것이다. 그러한

결과물로서의 공공작품들은 지역주민들이 스스로 아끼고 잘 관리하는 지역고유의 문화재산이 될 것이다. 그러한 프로

그램으로는 페차쿠차 나잇 금천, 주민창작실(동네 공방)운영, 서울 프로슈머 예술학교 등이 있다.

이 름 현 황 세부시설 개관 기존시설형태

금천예술공장

.대지: 2,358㎡

.연면적: 3,070㎡

.규모: 지하 1층, 지상 3층, 창고

.위치: 금천구 독산동 333-7

스튜디오 22실, 공동작업장 1, 창작장비실, 공

연연습장 1, 다목적 공간 2, 미디어 랩 1, 예술

가 호스텔 5, 카페형 주방 , 운영사무실 등

‘09.10.7 인쇄공장

9) 프랑스 예술사회적기업 AMI(Aide aux Musiques Innovatrices)의 경우 한 명의 음악가를 지원하기 위해 32개 종류의 업무를 담당하는 외부 전문가풀을 지원시스

템으로 운영한다.

10) 공공예술 : 최근 유행되는 공공예술(혹은 공공미술)은 예술변화의 또 다른 현장이다. 요즘은 많은 작가와 예술그룹들이 골방작업실에서 동네로 뛰쳐나와 지역

과 공동체를 위해 활동하고 있다. 성과도 적지 않지만 개선해야할 숙제도 남겼다. 공공예술의 본래목적이 도시의 활성화에 있다고 봤을 때 도시의 경관개선의 측

면뿐 아니라 도시의 주인인 거주민들의 공동체강화에도 기여해야 한다는 점 때문이다. 주로 ‘도시갤러리’나 ‘아트 인 시티’도 이러한 목표를 잘 알았기 때문

에 지역커뮤니티를 강조해 왔으나 미흡했다. 그 이유는 이벤트적이고 단기적인 프로그램에 의존했기 때문에 프로젝트의 실행 후에는 지역에 계속 남아서 활동하

는 예술가나 그룹을 찾아보기 어렵기 때문이다. 종종 접하게 되는 공공예술의 성공적 사례들을 보면 예술가와 지역민의 관계가 지속된다는 점을 쉽게 알 수 있다.

그러므로 공공예술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지역에 깊숙이 개입하여 실천하는 지역운동형의 공공예술가들이 많이 필요할 텐데 이를 위해서는 그들이 안

정적으로 모일 수 있는 아지트(장소/공간)와 자율적으로 활동할 수 있는 여건이 필요할 것이다.

철물공장촌에서 예술촌으로 변신을 거듭하고 있는 문래동 지역에는 기존 창작촌을 지원하기 위해 문래예술공장을 조성

하고 있다. 2009년 12월 개관 예정인 문래예술공장은 공동작업실, 다목적 발표가 가능한 블랙박스 시어터, 전시실, 녹

음실, 세미나실, 예술가호스텔 등 창작 및 발표활동을 위한 시설을 구비하고 있다. 주요 프로그램은 창작촌 국제교류,

공동창작, 문래예술촌 중심으로 활동하는 예술가들과 연계한 정기포럼, 강좌, 예술가 아카이브, 시민참여 프로그램 등이

있다.

연희문학창작촌의 경우에는 자연녹지와 어우러진 독립가옥들의 풍광을 살려 자연친화적인 문학창작촌으로 조성되었

다. 연희문학창작촌은 문인들의 창작활동을 지원하고 다양한 장을 간 교류와 협력을 위한 거점 역할을 담당하게 될 것

이다. 시설은 작품창작에 몰입할 수 있는 독립적 형태의 집필실, 외국 문인을 위한 집필실, 문학 미디어랩, 예술가 놀이

터, 세미나실, 야외 공연장을 갖추고 있다. 주요 운영프로그램으로는 국제교류 및 작가교환 프로그램, 입주작가 출판기

념회, 시민문학강좌, 어린이를 위한 이야기 공장, 통섭워크숍 등이 있다.

신당창작아케이드는 사람들이 모여들어 흥정을 하고 물건을 사고 파는 시장에 위치해 있는 경우다. 중앙시장은 서울 3

대 재래시장의 하나로 꼽히는 곳이기도 하다. 신당창작아케이드는 재래시장활성화와 공예예술발전을 위해 조성된 창작

공간으로서 도심에 위치한 입지조건을 살려 가능한 많은 창작공간(40개의 창작실 보유)을 조성하였다. 신당창작아케이

드는 도자기, 섬유, 금속, 유리, 목공예, 종이, 칠공예, 칠보공예 등 공예가들 뿐 만 아니라 판화, 북아트, 사진, 일러스트

디자인, 미디어영상, 공공예술기획 등 비 공예분야 예술가들도 모음으로써 예술프로그램의 다변화를 기할 수 있도록 하

였다. 주요 프로그램으로는 오픈스튜디오 페스티벌, 공공미술 프로젝트_시장골목 살리기, 재래시장 DIY 프로젝트, 아트

마켓 ‘만물상’ 등이 있다.

또한 2010년에 개관할 예정인 성북예술창작센터는 시민창작중심의 지역문화예술교육 공간으로, 홍은예술창작센터는 중

대형 블랙박스 시어터를 갖춘 무용중심의 공연예술 창작공간이면서도 생태주의 지역 예술공동체를 지향하는 공간으로

준비되고 있다. 관악어린이창작놀이터는 서울 남부 주택밀집지역에 어린이 전용 창작공간으로 조성 중이다.

5. 아트팩토리형 국제레지던시 금천예술공장

금천예술공장은 로컬의 지역성과 글로벌 미학을 결합하고 시민의 삶과 관계된 예술가들의 제안을 실현하는 국제 레지

던시 스튜디오이다.

금천예술공장이 위치한 금천구는 서울 서남부 준공업지역으로서 인근에는 첨단정보기술단지(IT)인 서울가산디지털단지

와 대규모 패션아울렛 단지, 대형 홈쇼핑 업체들이 들어서 있는 재래산업과 미래산업이 공존하고 있는 지역이다. 금천

예술공장은 이러한 지역적 특성을 반영하여 예술과 산업을 만남을 통한 새로운 예술에너지 생산공장을 지향한다.

금천예술공장의 성격은 크게 세 가지로 나뉘어 진다. 첫 번째는 젊고 창조적인 예술가들을 위한 인큐베이팅 스튜디오8)의

성격이다. 국제적 예술가들이 국내로 들어와 활동할 수 있는 거점공간이자 이들의 예술활동을 시장으로 연결하는 선순환

구조를 구축할 수 있는 국제적 예술가 인큐베이팅 시스템을 구축하는 공간을 지향한다. 세계적인 예술가로 성장 가능성

이 있는 작가들을 입주작가로 발굴, 창조적 작업 환경과 해외 유수의 프로듀서/큐레이터와의 교류을 통해 성장하게 할 것

이다.

7) 금천예술공장 입주예술가 : 금천예술공장 제1기 입주예술가로 선정된 작가는 14개 팀으로, 개인작가 9명과 그룹 5개 팀이다. 모두 독특한 작업과 다양한 활동으

로 주목받고 있는 중견 및 신진예술가들로, 장르별로 시각예술 분야 5개팀, 설치.영상 분야 5개팀, 공연.실험예술 분야에 1개팀, 글로컬 미학 분야에 3개팀 등 14개

팀이다. 또한 테크놀로지 아트 기획으로 입주한 로봇기술자들(아트로봇 프로젝트)과 단기 해외입주예술가들이 입주해 있다.

Page 8: Seoul Art Space Geumcheonoffice.sfac.or.kr/UIPage/BizPublicationBook/Upload... · 주제발표 07_ 서울형 창작공간의 미션과 전략 15_ 뱅크아트1929에 관하여 21_

14

Seoul Art Space_Geumcheon

15

뱅크아트1929에 관하여

Osamu Ikeda(일본 BankART1929 디렉터)

뱅크아트 1929: 어제와 오늘

뱅크아트 1929는 동시대의 문화와 예술을 발전시키기 위해 새로 단장한 역사적 도시 건물들을 활용하여 도시 심장부

에 활기를 불어넣기 위해 고안된 요코하마시의 프로젝트이다. 요코하마 시는 공익 설비 비용을 부담하며 현재 뱅크아

트1929에 달린 두 개의 부속건물을 형성하며 새로 단장된 공공건물을 무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비공식적으

로는 뱅크아트로 알려진 중앙공간에는 옛 다이이치 은행 건물이 자리잡고 있는 반면 뱅크아트 스튜디오 NYK는 일본

의 운송 회사인 니폰유센회사 (NYK)의 버려진 창고에 위치하고 있다. 이 둘을 합한 면적이 3,000m2이다. 또한 요코하

마 시는 시설 운영, 관리, 안전 및 인력 등에 소요되는 연간 지출비용으로 약 ¥65,000,000 (US$, 600,000)를 부담하고

있다. 뱅크아트는 적어도 이러한 비용은 자체 수익으로 감당하며 요코하마 시와의 협력 하에 두 공간을 함께 관리하고

있다. 뱅크아트의 두 공간 간에는 10명의 정규직 이외에도 대략 인턴 또는 파트타임으로 일하는 10명의 직원이 있다.

초기 2년 간의 실험적 프로그램을 끝내고 뱅크아트는 전면적인 프로젝트를 전개한다. 나는 이제까지 이룬 성과와 앞으

로 뱅크아트가 나아갈 방향에 대해 기록하고자 한다.

뱅크아트 1929의 컨셉

i. 뱅크아트 이름의 기원

뱅크 + 아트. 문화예술 활동을 위해 옛 은행 건물을 바꿨다는 의미의 신조어이다. ‘1929’는 다이이치 은행 건물이 요

코하마에 설립된 연도이자 뉴욕의 현대 미술관의 설립연도이다. 또한 ‘1929’년은 주식시장이 무너진 후 세계가 공황

상태에 빠진 잔인한 경제상황에서 예술이 비판적 역할을 수행하던 상징적인 해를 가리킨다.

ii. 공공부문과 민간부문 간의 파트너십을 위한 새로운 가능성

어떤 면에서는 뱅크아트를 공공시설로 볼 수 있기 때문에 모든 시민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동시에 뱅

크아트의 수익 부문은 획기적인 자체 프로젝트들을 진행시킬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뱅크아트는 공공부문과

민간부문 간의 파트너십에 대한 새로운 모델을 구축하고자 한다. 이러한 모델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홍보위원회 구

성원들 간의 적극적인 교류이다. 개별적인 고문들로 구성된 위원회는 뱅크아트에서 한 달에 한 번 모임을 갖는다. 또한

정기적으로 뱅크아트와 요코하마 시의 양측 대표자들은 외부 장소에서 다소 비형식적인 모임을 갖는다.

iii. 도시 건설을 위한 도구

문화예술에 대한 뱅크아트의 투자는 예술을 위한 예술을 하고자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도시 건설을 위한 문화예술로써

이루어졌다. 다시 말하자면 도시 건설을 위한 도구인 셈이다. 요코하마 시는 뱅크아트에게 이와 같은 도구로써의 기능

을 발휘할 수 있도록 자유를 주었다.

iv. 고도의 자유

뱅크아트 1929는 다양한 예술 공간을 대관하여 올린 수익금, 뱅크아트 학교의 수업료, 술집과 카페 및 기타 상품을 통

해 얻은 판매 수익 등을 통해 민간 부문내의 독립성을 유지하고 있다. 최근에는 뱅크아트 이외의 수익 사업의 일환으

로 공동 작업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v. 진행중인 작업

45일 내로 뱅크아트의 전체 공간을 개방하기로 한 경영층의 결정으로 인해 하드 및 소프트적인 면 모두에서 일이 진

행되고 있다. 적소에 시설들을 갖춘 사업을 시작하기 위해 술집, 상점, 학교 등에서는 다양한 사람들과 전문가들을 투

세 번째는 예술과 산업의 만남을 통한 상생의 프로그램을 말한다. 많은 예술가들은 자신의 예술활동을 경제구조와 직

접 연결시키지 못하여 어려움을 겪고 있다. 산업계는 산업계대로 창조적인 콘텐츠의 부족을 호소11)하고 있다. 모든 예

술가들에게 적용될 필요는 없겠지만 적어도 희망하는 예술가들을 대상으로 예술과 산업의 연계프로그램 마련이 필요하

다. 섬유, 금속공예가들과 패션업계와의 만남, 도예가들을 통한 그릇도매상들의 업그레드, 영상미디어 작가와 IT업체와

의 공동 프로젝트, 예술촌과 쇼핑몰의 만남으로 아트마켓 운영, 환경재생예술가와 재활용센터의 만남으로 재활용 예술

가구의 생산 등 현실 가능한 프로그램부터 실천할 필요가 있다. 금천예술공장에서는 아트로봇 프로젝트를 추진할 예정

이다. 아트로봇 프로젝트는 서울문화재단과 서울가산디지털단지 입주기업체 협의회 상호간 약정체결을 기념하여 금천

예술공장 입주작가와 로봇기술자, 그리고 가산디지털 단지 IT업체가 참여하는 프로젝ㅇ트로서 서울서남권 국제창작클

러스트를 위한 인프라구축과 금천예술공장 브랜드 제고를 위한 프로젝트다.

6. 예술가-시민-도시를 위한 새로운 대안공간

예술가의 창작실은 오랫동안 창작의 산실로서의 독립성이 강조되어왔다. 그러나 이제 창작공간은 예술가의 작품생산의

기능 뿐 아니라 공동체강화에 기여하고 도시의 창의성을 불러일으키는 거점으로까지 그 기능이 확장되고 있다. 창조계

급인 예술가가 행복한 도시는 곧 시민이 행복한 도시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요셉보이스가 말한 ‘모든 사람이 예술

가’가 될 때까지 실천하고, 르 페브르가 말하는 ‘도시가 작품’이 되기를 꿈꾸며 예술가들은 도시를 누비게 되는 것

이다.

※본 원고는 창작공간에 대한 필자의 글들과 창작공간추진단의 자료를 토대로 작성했습니다.

11) <문화콘텐츠산업 CEO설문조사>

-제작과정에 예술인력 필요 : 94.1%

-국제경쟁력 제고위해 예술인력 참여 절실 : 84.1%

김윤환

현 서울문화재단 창작공간추진단 단장

2007/8 예술과 도시사회연구소 책임연구원

2008 대구시 문화창조발전소 조성 추진위원회 추진위원

2008 서울시 창작공간추진단 전문위원

2006 전국 오픈스튜디오네트워크 총괄팀장

Page 9: Seoul Art Space Geumcheonoffice.sfac.or.kr/UIPage/BizPublicationBook/Upload... · 주제발표 07_ 서울형 창작공간의 미션과 전략 15_ 뱅크아트1929에 관하여 21_

16

Seoul Art Space_Geumcheon

17

입하여 원활한 운영을 전개하고 있다. 인간의 아이가 모든 포유동물들 중에서 가장 미성숙한 상태로 태어난다는 것은

널리 알려진 상식인데 인간의 아이처럼 뱅크아트도 미성숙한 상태에서 태어났고 그런 점에서 다양한 지식과 힘이 주입

되고 있다.

vi. 투수가 아닌 포수

뱅크아트는 본래 자체 프로젝트들을 강조하지만 시민들과 예술가들 그리고 기타 사람들로부터의 제안을 고려하여 가능

한 범위까지 협력하는 뱅크아트의 공적 역할도 매우 중요하다. 뱅크아트에 던져진 제안이 단박에 거절된 적도 되돌린

적도 없으며 실현가능성을 제공하였다. 우리는 열린-문 정책을 고수하며 나가는 문은 좁음을 다짐할 수 있다.

vii. 유연한 공간

옛 다이치 은행 건물이 특별히 예술을 위해 고안되었던 것이 아니라는 점을 감안하면 처음부터 뱅크아트는 행사와 전

시를 위한 공간을 거의 갖고 있지 못했다. 우리는 미술과 춤을 비롯하여 다른 예술 형태를 표현하기 위해 필요한 다양

한 공간을 만들어내기 위해 안내 데스트, 2.8x3.6x.7m3크기의 벽 구조물, 조명과 음향 시스템을 갖춘 극장 등을 설치하

여 구조를 수정하였다.

viii. 유연한 시간

특히 뱅크아트의 공간은 연중무휴이다. 이러한 유연성은 철야 행사를 진행할 수 있게 하고 뱅크아트의 정규 운영 시간과

겹치지 않도록 하여 화보촬영과 같은 상업성 용도로도 공간을 이용할 수 있게 한다. 왕성한 사업을 도모하기 위해 도시

의 심장부의 비싼 땅을 이용하는 일본의 편의점처럼 뱅크아트 역시 고강도로 공간을 사용하기 위해 발전하고 있다.

뱅크아트의 사업 구조

외부에서 보면 뱅크아트 1929가 다소 자유로운 운영방식을 사용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 하지만 안내 데스크, 상점,

술집, 카페, 아트 스튜디오, 평생교육과정뿐만 아니라 행사 기획과 공동 사업 등을 관리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본질적으로 기존의 문화 기관들과 다를 바가 없다. 그렇다면 왜 뱅크아트가 다른 도시들과 해외로부터 그토록 많은 관

심을 받게 되었을까? 무엇이 뱅크아트를 특별하게 만들까?

뱅크아트의 안내 데스크가 하나의 예가 될 수 있다. 뱅크아트에서는 우리가 점유하고 있는 공간이 절경을 보여주는 역

사적인 건물 내에 있음을 인지하고 이와 같은 절경을 요코하마 시민들의 공동 자산으로 만든다. 여기에서 공공 행사가

열리든 열리지 않던 이 공간은 건축물이나 경치를 감상하러 온 사람들에게 열려있다. 이러한 식으로 우리는 일반인들

로부터의 후원을 장려하는 환경을 만들고 있다. 아마도 이러한 노력 중 가장 중요한 부문이 뱅크아트의 방문객들에 대

한 정보를 관리하는데 가담하고 있는 안내 직원들의 업무일 것이다. 뱅크아트의 잠재방문객을 개발하기 위한 연락망이

될 수 있는 모든 방문자들로부터 이메일 주소와 공간에 대한 피드백을 요청하는 꾸준한 과정을 통해 우리는 데스크에

서 단순한 질문을 처리하는 수준을 넘어서는 단계를 밟아가고 있다. 우리는 이메일 주소, 집 주소 및 직장 주소를 데이

터베이스에 관리하고 있으며 이미 약 30,000개의 정보를 보유하고 있다. 특히 뱅크아트와 같은 규모의 기관이 민간 갤

러리와 같은 안내 데스크를 운영하는 것은 어렵지만 이런 점이 뱅크아트를 독특하게 만든다.

안내 데스크는 예술 관련 책들을 특별히 다루는 서점인 뱅크아트샾의 기능도 겸비한다. 우리는 내부에 방문객의 구매

를 위해 박물관 상점 경영에 전문가를 포진시켰는데 이렇게 하는 것이 수익을 가져다 줄 수 없을 수도 있음을 인지하

고 있었지만 운영 규모가 점차 커져감에 따라 불가피하였다. 우리는 현재 약 3,000개의 아이템을 보유하고 있으며 선

생님들과 아트 컨설턴트, 큐레이터 및 기타 유사 단체들에 비해 판매량은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데스크와 상점의

예가 대수롭지 않을 수도 있지만 뱅크아트의 혁신 속도와 경제 현실에 대한 인식간의 연결의 특성을 보여준다.

뱅크아트의 개관식과 같은 날에 사업이 시작되기 때문에 뱅크아트의 술집은 연중 내내 밤 11시까지 운영된다. 진행 중

인 행사들에 대한 참가 수단으로 스튜디오 예술가들 및 현직 강사 및 예비 강사들과 예술에 대해 지식이 거의 없는 일

반인들을 위해 술집은 뱅크아트의 모든 사업들에 대한 교차로 역할을 한다. 뱅크아트 공간에는 카페도 있다. NYK 공간

에는 술집이 있다. 뱅크아트의 안내 데스크처럼 술집도 NYK 공간에 대한 안내 및 정보 데스크의 역할을 동시에 하는

일인 운영체제를 갖추고 있다. 술집은 가격이 ¥350 정도하는 수수하면서도 적절한 가격의 음료를 메뉴로 내 놓고 있다.

월수입은 ¥450,000(US$ 5,000)에서 시작해서 현재는 ¥1,000,000(US$ 9,000)정도까지 되었다.

뱅크아트 학교의 독특한 점은 단순히 과정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비록 작지만 공인된 교육 기관의 수준에 가까운 교

육을 제공한다. 2개월의 기간 동안 축적된 8유닛이 1학점이 된다. 수업은 월요일부터 토요일까지 매일 진행되며 20명이

넘지 않는 작은 그룹으로 운영된다. 평생 교육과 대학 수준의 진보된 수업들을 특색으로 삼으면서 학교는 현대판 “템

플 스쿨” 또는 높은 수준의 다양한 배움을 독려하였던 에도 시대(1603-1868)에 인기가 있었던 불교 교육기관인 데라

코야가 되기를 갈망한다. 현재까지 뱅크아트는 241명의 강사들과 초대 강사들을 데리고 80개의 강좌를 1,000여명 이

상의 학생들에게 제공하였다. 학생들 사이 및 학생과 선생님 사이의 협동이 이 프로그램의 생명이다. 예를 들자면 예술

비평에 관한 세미나에서는 학생들은 비평에 대한 독립적인 작품을 만들어내고 사진 과정에서는 그룹 전시회를 연다.

수업은 협동작업을 육성하여 수업이 끝난 후에도 예술적 교류 및 관계가 지속된다.

뱅크아트의 컨텐츠 사업은 뱅크아트의 전시회에 대한 카탈로그를 배포하는 것에만 그치지 않고 기타 출판 활동까지 확

장되고 있다. 만약 우리가 후원하는 프로젝트 범위 외에 해당하는 흥미로운 제안이 있다면 앞서 언급된 것처럼 우리가

맡을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다. 우리는 또한 디지털 작품 서비스에도 적극적이다. 현재까지 대략 15개의 개별 프로젝트

를 완료하였다. 예컨대 요코하마 시의 직원봉사자들의 도움으로 요코하마에 많은 식수를 공급하는 야마나시현 근교에

위치한 산촌 마을의 전설의 정수(깨끗한 물)로 요코하마 양조장에서 양조한 밀로 만든 새로운 맥주의 라벨 이름과 디자

인을 고안하는 콘테스트를 개최할 수 있었다.

뱅크아트 NYK 공간에는 20에서 80m2에 이르는 9개의 스튜디오가 있는데 이 곳에서는 2달 과정의 학점을 교환하여 사

용할 수 있는 아티스트-인-스튜디오 프로젝트에 아티스트들의 참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 프로젝트는 개막 리셉션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기를 원하며 오픈 스튜디오의 밤이나 이러한 상호작용을 통해 육성하고자 하는 아이디어를 나타내는

유사한 행사에 참여할 수 있는 아티스트들을 요코하마로 초청한다. 우리는 숙박을 보장하기 때문에 예술가 레지던시

프로그램도 개시하였다.

협동 프로젝트는 뱅크아트의 가장 큰 자산이다. 공간 임대 사업, 기자단에 대한 원조, 광고물에 대한 피드백을 비롯해

실현가능성이 없어 보이는 프로젝트에 대한 의견 제시 등을 통해 우리는 행사 자체의 질을 개선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

고 있다. 만약 제안 내용이 견실하다면 대부분의 경우 우리는 자금을 제공하고 기획에 참여한다. 뱅크아트가 해마다 받

는1,000개가 넘는 협동 제안들 중에서 1/3은 결실을 맺었다.

뱅크아트의 기본 컨셉은 간단하다. 우리는 요코하마의 문화적 자산을 취해서 현대의 것으로 만든다. 우리의 임무는 역

사적 건물이 될 수도 있고 또는 도시, 지방 음식, 오래된 사진, 심지어 부토 무용수 카즈오 오노에 이르기까지 각각의

자산이 지닌 기존의 가능성을 어떻게 최고로 개발하고 확장시킬지에 대해 결정하는 것이다.

뱅크아트 1929의 완전 개방

이제 이제까지 소개한 뱅크아트의 차별적인 컨셉과 구조의 근간이 되는 “개방=공유”라는 컨셉에 대해 다루고자 한

다. 뱅크아트의 서두에 적힌 역과 무역 (Eki to eki)의 한 구절을 빌리자면:

나는 뱅크아트 1929를 기차역으로 여기고 싶다. (사실 뱅크아트의 두 구조물 모두는 미나토 미라이 지하철 라인에 있는

요코하마의 바샤미치역의 위쪽에 있으면서 가장자리를 따라 있다). 나는 뱅크아트를 떠들썩한 유럽의 기차

역처럼 우연히 시간을 보내기 위해 들르는 열린 공간으로 상상한다. : 사람들이 오고 가는 곳, 한 잔의 커

피나 맥주를 마실 수 있는 곳, 가끔은 사람들이 싸우기도 하는 곳, 사람들이 공개된 곳에서 음악을 연주할

수 있는 곳. 더욱이 요코하마는 여전히 상업 도시이다. 사람들이 함께 오고 예술가들이 육성되고 상품들이

오고 가며 정보가 들어왔다가 나가며 경제활동이 왕성한 곳이다. 나는 행위자와 지지자 모두가 생계를 꾸

리고 살아갈 수 있게 도시의 경제 구조를 바꾸고 싶었다. 그리고 나는 뱅크아트가 이런 일이 일어날 수 있

는 실험적인 장소라고 생각한다.

우리는 뱅크아트를 완전히 개방된 곳으로 두고 싶다. 우리의 목표는 어떻게 이 기관을 이해시키고 운영할지에 대한 결

정을 함으로써 내부에서부터 기존 박물관의 운영 시스템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을 찾는 것이다. 뱅크아트가 2005 요코

하마 트리엔날레의 파트너였을 때 50일 동안 연속적으로 운영하였던 “뱅크아트 라이브: 24시간의 환대”라는 전시회

에 대해 박물관 큐레이터가 다음과 같은 메시지를 보냈었다:

“당신은 전시 공간에서 밤새 머무를 수 있습니까?”라고 적힌 전시회 홍보 카피 덕분에 트리엔날레의 공

Page 10: Seoul Art Space Geumcheonoffice.sfac.or.kr/UIPage/BizPublicationBook/Upload... · 주제발표 07_ 서울형 창작공간의 미션과 전략 15_ 뱅크아트1929에 관하여 21_

18

Seoul Art Space_Geumcheon

19

식 자원봉사자들과 아티스트들의 조수들이 그렇게 할 수 있음을 주목하였고 실질적으로 일부는 밤에 그

곳에 있었습니다. 휴식을 위한 공간을 만든 것은 트리엔날레의 두 번째 전시 홀에 대한 독특한 인상을 남

겨주었고 정말로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곳이 되었습니다 (느긋이 평안을 느낄 수 있었다고 해야 할 것 같

습니다). 물론 부분적으로는 전시회의 주제에 기여하면서 동시에 NPO 운영의 측면에서 회의실 공간

을 만들어 내지 않았나요?

휴양 공간 내에서 주제를 다루는 것은 큐레이터들에게- 건축가가 될 수도 있고 디자이너가 될 수도 있으

며 아티스트가 될 수도 있지만 그들 모두는 다 다르죠-다양한 요소들이 혼합된 전체 구조물을 느슨하게

만드는 경향이 있다 라는 인식을 심어줍니다. 즉, 무궁무진한 요소들이 휴식을 만들어 내기 위해 결합한

것이지요.

한편, “당신은 전시 공간에서 밤새 머무를 수 있습니까?” 라는 질문은 예술과 전시 사이의 관계를 재편

성하였습니다. 여기서 보여지는 급진주의는 뱅크아트가 처음부터 다루어온 활동이기 때문에 이러한 조직

의 이론적 가능성뿐만 아니라 관리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음을 암시한다고 생각합니다. “뱅크아트 라이프/

라이프 인 뱅크아트”는 전시회에서 자주 보여지는 홍보 카피의 또 다른 예입니다. 이러한 공간에서 일

어나는 활동들에 대한 가중된 표현이라 생각합니다. 트리엔날레와 같은 큰 행사와 파트너를 맺는 것, 그

것을 재가동하여 뱅크아트의 컨셉으로 응용하는 것 그리고 뱅크아트의 활동들 그 자체를 세계화하는 것은

대단한 의미가 될 것입니다.

유수케 미나미

수석 크레이터, 내셔널 아트 센터, 도쿄

급진주의라는 단어도 적합하지만 뱅크아트는 완전히 개방된 공간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면서 공공 기관의 경계를 확장

하고자 함이 분명하다.

뱅크아트 1929의 미래

뱅크아트의 실험적 프로젝트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평가되었고 아래에 설명된 단계들을 통해 발전하였다. 이와 같은 혁

신적인 과정을 거치면서 우리는 평가위원단(진보위원단)으로부터 지침을 받았고 3년 계획을 제출하였으며 운영을 지속

하기 위한 승인을 받았다. 다음의 3가지 포인트는 현재까지 우리가 해 온 실험적 프로젝트들의 발전 목표이다. :

○ 창의적인 공동체 프로젝트의 선구적인 존재를 널리 알리는 것

○ 일본의 다른 도시들뿐만 아니라 전 세계의 도시들과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것

○ 재정적으로 독립하는 것

몇몇 프로젝트들은 이미 위와 같은 궤도를 따라 결실을 이루었다. 가령, 동일 이름을 가진 요코하마 근교에서 키타나카

프로젝트의 창시자들은 프로젝트 활동을 위한 부지를 유치하면서 그들의 기획을 실현시켰다. 지난 해 미칸구미와 주로

건축가들로 구성된 다른 디자인 그룹들이 뱅크아트 1929의 건너편에 있는 혼마치 건물로 작업실을 옮겼다. 한 개의 건

물에만 국한되지 않고 전체 구역에 걸친 건물들을 연결하는 프로젝트를 위한 기획 역시 시작되었다. 또한 뱅크아트는

도시와 역사적 건축물을 잇는 이미지 전시회인 “EIZON” 및 옛 홍등가의 지역 주민들과 정부 그리고 경찰들과 협력

하는 아트 및 범죄 예방 프로젝트인 “BankART Sakura Villa (뱅크아트 사쿠라 빌라)” 의 기획 단계에 참여하는 것을

비롯한 다른 프로젝트들을 진행하고 있다.

추가적으로 우리는 글로벌 네트워킹뿐만 아니라 일본의 다른 도시들과 함께 일하는데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이와

같은 네트워킹 프로젝트들에는 다음을 포함한다. : 환경 관련 아트 페스티벌에 참여하는 기회를 조성하기 위해 개최된

“뱅크아트 트수마리”, 프랑스 건축가 도미니끄 레라울트와 아티스트 크리스찬 볼탄스키의 강연, 요코하마 시와 도쿄

국립대의 예술학부와의 협력으로 이루어진 산호세(미국) 글로벌 아트 테크놀로지 페스티벌 ZERO1 참여 등이 있다.

최근 요코하마 시는 매년 10%씩 뱅크아트에 투자한 자금을 회수하기 시작했고 우리는 기본 프로그램 및 뱅크아트 외

부에서 진행되는 협동 프로젝트들을 확대시키면서 자체 수익을 증대시키기 위한 관리상의 조정을 이룰 방법들을 찾고

있다.

결론: 하향식에서 상향식까지

나는 뱅크아트 1929를 지칠 줄 모르는 호의라고 생각한다. 예산 및 제도상의 관점에서는 보상(수당)문제에서 기타 공공

기관들과 필적한다고는 볼 수 없다. 하지만 우리 행정직원들은 언제나 열심히 일하며, 실험적이고 큰 규모의 프로젝트

들을 수행할 수 있었기에 우리의 일이 꽤나 흥미진진하다.

뉴욕과 베를린과 같은 도시의 변형에 예술은 선구적인 역할을 했었다. 저명한 민간 부분과 지역 및 국가 정부기관과

함께 협력하면서 뉴욕과 베를린은 거친 주위환경에도 불구하고 문화적 참여를 증대시켰다. 그러나 이러한 접근은 현재

의 일본을 대변할 수 없다. 우리는 요코하마시의 도움에서 출발하여 민간 부문과 파트너십을 맺었고 그 후에 위와 같

은 방식으로 관리 방향을 바꾸었다. - 우리는 반드시 이러한 접근법을 택해야 한다. 현재의 문제는 다음에 무엇을 할

것인가 이다. 뱅크아트의 컨셉 때문이라도 공공 부문으로부터 독립하는 것이 중요한 단계라고 생각하며 이를 오해하지

않기를 바란다. 정부와의 협업은 이후에도 계속될 것이며 우리가 상당한 후원을 얻을 수 있게 일을 하고 있다는 것도

명백하다. 하지만 뱅크아트의 입장에서는 우리가 뱅크아트에게 가장 적합한 역할을 찾아주고 그러한 역할을 배양하며

뱅크아트가 경제적으로 독립할 수 있도록, 생존할 수 있도록하는 것이 중요하다.

공공기관이 지정관리시스템으로 가는 일본의 변화에 대해 논의하는 심포지엄의 참석자는 다음을 주목하였다. “필요성

이라는 동기 없이 만들어진 미술관들은 동기 부족으로 인해 사라져버릴 것이다.” 이 말은 뱅크아트 자체의 생존에 과

제를 던지고 있다. 뱅크아트 1929는 이제 제 2의 발전 단계로 들어섰다. 그러는 동안 나는 도시에 깊게 관여하게 되었

고, 이에 대해 생각해 보았으며, 심지어 나 자신 조차도 어느 정도 도시에 의해 변화되었다. 또한 도시 내에서 경험도

쌓았으며 이제는 완전한 개방을 향해 나아가고 있다. 간단히 말하자면 나는 이 일이 계속되기를 원한다.

오사무 이케다 Osamu Ikeda

현 일본 BankART1929 대표·PH스튜디오 대표

B세미나 스쿨 졸업

1986~1991 힐 사이드 갤러리 디렉터

2006 문화청 「문화재 건축물의 보존·활용의 추진(약칭)」위원

Page 11: Seoul Art Space Geumcheonoffice.sfac.or.kr/UIPage/BizPublicationBook/Upload... · 주제발표 07_ 서울형 창작공간의 미션과 전략 15_ 뱅크아트1929에 관하여 21_

20

Seoul Art Space_Geumcheon

21

문화 거주자; 국제 레지던시(스마트 프로젝트 스페이스)의

행정 및 프로듀서/큐레이터의 역할

Thomas Peutz(스페인 SMART Project Space 디렉터)

미션

예술가 중심의 획기적인 스마트 프로젝트 스페이스는 암스테르담시의 살아있는 심장이자, 암스테르담시의 시민들과 그

너머의 사람들에게까지 한계의 벽을 넘어서 뻗쳐진 자극과 재충전 그리고 모험의 공간이다. 스마트 프로젝트 스페이스

는 위대한 예술작품이 우리의 삶에 충격을 줄 때 우리 모두가 느끼는 흥분을 새로운 세대들에게 알리기 위한 선봉에 서

있다. 새로운 세대의 창의적인 예술가들과 퍼포머들이 가진 매우 뛰어난 재능을 후원하는 것이 바로 우리의 미션이다.

우리는 각 예술 형식의 경계를 허물면서 다양한 전시회와 영화 그리고 (사운드) 공연 행사를 위임하고 제작하며 연출하

며 스마트 프로젝트 스페이스를 예술을 경험할 수 있는 짜릿한 장소로 만들 수 있도록 예술가들이 새로운 형태의 협업

을 할 수 있게 격려한다. 우리는 실험과 위험을 감수할 준비가 되어있다 우리의 젊고 다양한 청중들은 이를 반길 것이

고 우리의 임무를 이해해 줄 것이다.

스마트 프로젝트 스페이스에 관한여

스마트 프로젝트 스페이스 (SPS)는 1994년에 크로스 플랫폼 문화 실천을 위한 장소로 설립되었다. SPS는 문화 생산을

정의할 수 있는 콘텐츠를 제공하면서 예술가들을 후원하고 동시에 예술가들과 청중들간의 새로운 관계를 활성화시킨

다. 옛 해부병리학협회에 위치한 SPS는 예술 및 문화 생산과 창의적인 연구를 위한 다양한 플랫폼을 개발하였다-전시

공간과 영화 스크린뿐만 아니라 여러 분야에 걸친 퍼포먼스 프로그램을 진행하기 위한 강당, 20명의 예술가들 위한 스

튜디오 그리고 카페/레스토랑 등을 제공한다. – SPS는 흥미로운 국제 신진 예술가들의 다양한 종류의 접근법을 한데

모은다.

SPS는 능동적인 환경에서 창의적인 실험과 연구 그리고 발견을 이루어 낼 수 있도록 하여 반사적인 관찰을 능가하는

실천을 할 수 있도록 조장한다. SPS는 예술 활동의 정치적 성격을 감안하여 부분 실험실이자, 부분 공동체 시설 그리

고 학술적 연구를 위한 부분 센터인 기관이 되고자 한다. 그런 점에서 SPS는 제도적인 현대 예술 공간의 확립된 전시

기능에 도전한다. SPS는 예술가에 의한 것이며 가능성의 스펙트럼 (광대한 가능성)을 포옹하고 현대의 삶(생활)에서 신

진 예술가들의 역할을 규정하는데 중추적인 플랫폼을 만들고자 한다.

청중

SPS는 전시 공간이나 극장, 음악 또는 만남의 장소를 하나의 시설 안으로 어우러지게 함으로써 역동적면서 다양한 청

중을 양성하기 위해서 다양한 요소들을 지닌 활동을 개발한다. 중요한 것은 지역 예술 공동체의 모든 부문이 한데 어

울릴 수 있게 하는 것이다.

건물

행사 장소는 작품들을 일회성으로 단순히 전시하기 제공되는 것이 아니다. 영구적인 워크숍이자 항상 실제 삶의 사건

들이 일어나는 살아있는 도시 공간이다. 창조와 교류를 위해 역동적이며 복잡하며 변화하는 시스템이다.

SPS는 옛 해부병리학협회(circa 1930)를 2006년에 구입하였다. 대대적인 개조는 2008년에 끝냈다. 4개의 층이 기능에

Page 12: Seoul Art Space Geumcheonoffice.sfac.or.kr/UIPage/BizPublicationBook/Upload... · 주제발표 07_ 서울형 창작공간의 미션과 전략 15_ 뱅크아트1929에 관하여 21_

22

Seoul Art Space_Geumcheon

23

따라 분리된다: 10개의 스튜디오와 회의실은 위층에 있다 1층에 위치한 700m2 크기의 전시회 공간과 강당 미디어 스튜

디오와 2개의 영화관 카페/레스토랑 LAB11은 메인 로비를 통해 갈 수 있다.

도시 전략

스마트 프로젝트 스페이스는 암스테르담의 새로운 문화 도시 지도를 형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 위치에 있

다. 도시의 중심부에 근처에 위치한 암스테르담의 옛 서부 지역은 현재 재도시화가 진행되고 있는 가난한 지역이다. 건

물의 새로운 기능은 가능성을 제시하고 도시 개발을 이끌어가며 확립된 문화 지도를 다시 만들고 도시 내의 시각 예술

기반을 확장하려는 공감이 되고 민감한 목표의 초석의 제시한다. 새로운 문화 플랫폼을 창설하면서 스마트 프로젝트

스페이스는 도시 건설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프로젝트는 도시에 지역 및 국제 공동 사회를 위해 새로운 공

공장소와 고품질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다.

지역 기반 시설

공공 자금이 투여되는 기관으로써 SPS은 문화적 자산을 다시 공동 사회에 돌려줘야 할 책임에 대해 인지하고 있다.

SPS는 암스테르담의 문화 기반 시설뿐만 아니라 도시 자체의 독특한 개성에 대해 주의 깊게 살펴보고 있다. 도시는 좋

은 문화적 자원과 풍부한 예술 경험들로 고취될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니고 있으며 상당한 규모의 청중들이 기다리고 있

다. 라익스아카데미(Rijksakademie)나 리트벨트 아카데미(Rietveld Academy) 그리고 샌드버그 기관(Sandberg Institute)과

같은 예술원과 암스테르담 대학과 프리예 대학의 많은 학생인구들을 비롯하여 도시는 충분한 시간과 호기심을 갖고 예

측할 수 없는 결과를 가져오는 유동성과 모순 그리고 믹싱을 장려하는 더 많은 도전적인 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하고자

하는 무궁무진한 젊은 청중을 보유하고 있다.

게다가 대규모의 추방 인구와 직업상 이동이 불가피한 사람들은 자신들의 상상을 실현시킬 (사로잡을) 새로운 문화 공

간을 매우 기대하고 있다.

SPS는 기존의 제도적 구조에 대처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옛 서부 지역에 위치하여 문화적으로 가양각색의 이웃들과

의미 있고 다양한 예술 공동 사회에게 고향이 될 것이다. 시각예술에 있어 국제적인 플랫폼으로써의 SPS의 지위는 암

스테르담 도시가 가장 중요시하는 점이다.

프로그램

현대 예술에 대한 의구심(질문)에 새로운 형태의 비평을 불러일으키고 다른 문화 활동의 플랫폼들과의 관계도 이끌어내

는 콘텐츠 중심의 프로그램이다. 이를 분명히 하기 위해 우리는 모임장소를 특정 콘텐츠를 제시하고 문화 공간에 사람들

을 모으는 새로운 중재자로써의 연구실로 탈바꿈시키기로 결정했다. 우리의 프로그램은 거부할 수 없는 추진력과 창작

력뿐만 아니라 주요부문의 다양한 사회적, 정치적 그리고 역사적 주제를 깊이 있게 다루려는 탐험심에 의해 좌우된다.

이러한 과정은 분명 미술과 영화, 춤, 음악 등과 같은 활동이 때로는 서로 경쟁하고 때로는 협력하게 한다. 다양한 분

야의 통합은 오늘날 피할 수 없는 것이다 우리에게는 다양한 관례들의 새로운 정체성을 다시 만들어내는 과제가 남아

있다. 이것은 표현주의의 음향 및 시각적 실험을 위한 짧은 여행(탈선)을 가져올 수 있는 새로운 영역을 상상하고 정의

하는 것에서 시작할 수 있다. 우리의 궁극적 목표는 재창조를 위한 지속적인 연구실이자 예술을 위한 새로운 콘테츠로

써의 기능을 하는 장소로 만드는 것이다.

전시 프로그램과 행사

스마트 프로젝트 스페이스는 상당히 많은 비평가들의 호평을 바고 있으며 국내와 해외의 프로파일을 육성하기 위한 지

원을 받고 있다. 전시 공간은 예술작품에 대한 아이디어들을 발전시키는 곳이자 순식간에 사회적 그룹화가 일어나는

공간이다. 예술작품이 청중 및 대중들과 즉시 대화할 수 있는 곳이다. 예술가는 현장의(위치한 곳의) 시대와 사회 또는

정치적 콘텐츠에 따라 자체적으로 예술 활동을 정의하는 문화 거주자이다. 청중과 예술작품의 만남은 전시 공간에서

일어나는데 한편으로는 예리하고 실험적이며 비평적이지만 동시에 인간관계를 반영한다.

영화

스마트 시네마는 아트 하우스 시네마(Art House Cinema)와 실험적인 영화와 영상물을 보여주는 프로그램이다. 본편 이

전에 간단한 실험적 영화와 영상작업을 제작하고 컨셉 그리고/또는 콘텐츠 수준에서 시네마 프로그램과 다른 시각 예

술 활동의 프로그래밍과 연결하면서 아트 하우스 프로그램은 더 많은 대중들에게 예술-영화와 영상 예술을 소개시키

며 전시회와 다른 행사들의 입구를 낮추어주는데 도움이 된다. 공간은 강의나 회의 그리고 다양한 분야에 걸친 공연들

을 위한 강당으로 배가되었다.

스튜디오

예술가용 스튜디오는 스마트 프로젝트 스페이스의 구조 상 가장 중요한 곳이다. 종종 사적인 공간이면서 작품을 시작

한 후부터는 실험과 계획을 위한 장소로 이용된다. 예술가와 그들의 작품 사이의 밀접하고 역동적인 연대성을 통해 스

마트 프로젝트 스페이스는 연구 및 개발을 위한 핵심 지원 구조를 제공한다. SPS는 국제 스튜디오 프로그램을 위한 20

개의 스튜디오가 있다. 국제 스튜디오 프로그램은 외국인 예술가들에게 암스테르담에서 살면서 예술 활동을 할 수 있

도록 하는 독특한 기회를 준다.

제작 지원과 미디어랩

스마트 프로젝트 스페이스가 제공하는 가장 가치 있는 서비스는 주요 신규 예술 작품 및 장비의 개발 제작 그리고 조

직하는 것이다. 예술가들을 그들의 프로젝트와 관련된 조언들 받을 수 있고 적적한 파트너와 스폰서와 연락하는데 도

움을 받는다. 스마트의 후원자들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기관이나 회사 또는 민간 후원자들은 공유된 네트워크를 동원

하거나 (기술적인) 노하우를 전수하고나 제작 스폰이나 재정 지원을 함으로써 정기적으로 새로운 작품을 만들어 낼 수

있도록 후원한다. 추가적인 지원은 큐레이터와 프로그래머들 그리고 편집 과정에서 기술적인 지원을 하는 스마트 미디

어랩과 협력하여 개별적으로 예술가들을 돕는 사내 제작팀에 의해 이루어진다. 미디어랩의 일부로써 스마트 프로젝트

스페이스는 많은 양의 서버 공간과/또는 고대역폭의 스트리밍 성능을 필요로 하는 온라인 프로젝트를 지원하기 위한

전용 스트리밍 미디어 서버를 운영한다.

회의 공간

전시회와 더불어 영화 및 공연 프로그램, 지속적인 강의와 예술가들의 발표가 영화관이나 강당에서 실시된다. 현대 생

활에서 작품과 예술가들의 지위의 중심적인 역할을 강조하기 위해 대중들과의 대화를 이끌어내는데 목적이 있다.

스마트 북

스마트 북은 참고 도서관이자 스마트 프로젝트 스페이스의 출판 관련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스마트 북은 책과 정기간

행물을 수집하여 예술가들이나 전문가들이 참조를 위해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젊은 현대 예술가들이나 예술 이론 그

리고 비평에 관한 모든 주요 국제 예술 잡지들과 카탈로그 그리고 서적들을 비롯한 출판물이나 스마트의 출판물을 예

술가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미디어 카페/레스토랑 LAB111

논의는 보통 제한된 스튜디오 공간이 아닌 곳에서 이루어지며 종종 카페나 영업이 끝난 후에는 바에서 이루어진다. 스

마트 프로젝트 스페이스는 예술가들과 대중이 편안한 분위기와 영감을 주는 장소에서 어울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만

남 장소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DJ 및 VJ 그리고 공연 행사는 카페에서 제작된다.

SPS는 매년 예술가들에게 성격이나 분위기를 바꾸고 프로그램에 필수적인 가시성이나 생동감과 유동성을 지키기 위해

카페/레스토랑의 벽에 벽화를 만드는 임무를 부여한다.

Page 13: Seoul Art Space Geumcheonoffice.sfac.or.kr/UIPage/BizPublicationBook/Upload... · 주제발표 07_ 서울형 창작공간의 미션과 전략 15_ 뱅크아트1929에 관하여 21_

24

Seoul Art Space_Geumcheon

25

앙가(Hangar)의 국제 레지던시 예술가

Joana Cervia(스페인 Hangar 국제교류 레지던시 프로그램 코디네이터)

소개

앙가는 카타루나 시각 예술 협회(the Association of Visual Artists of Catalunya, AAVC)에 의해 1997년에 설립되어 시

각예술 관련 리서치 및 작품을 위해 예술가들에 의해 운영되는 창작센터이다. 바르세로나의 포블레노우 지역에 있는

1800m2 (곧 3000 m2까지 확장될 예정이다.) 가량의 개조된 공장에 위치한 앙가는 일련의 특화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

써 시각예술 창작 및 실험을 지원한다. 민간 재단에 의해 설립되었기 때문에 센터에는 원칙적으로 공적 자금이 투입되

며 공적 운영 기준에 따라 예술가들에 의해, 예술가들을 위해 운영된다.

경영 및 재정지원

본 센터에는 주로 카탈로니아 정부와 바르셀로나 시의회를 포함하여 스페인 문화부, AECID(스페인 국제원조개발청), 바

르셀로나 지방의회, 사바델 은행 재단이 자금을 지원한다. 센터는 AAVA의 총회에서 결정된 방향에 따라 AAVA 재단에

의해 운영된다.

국제교류 프로그램

본 프로그램은 예술가의 이동성을 촉진함으로써 특화된 창작센터에서 리서치 및 창작, 그리고 프로덕션 분야에서의 작

업을 개발할 수 있도록 기회를 주기 위해 노력한다. 다른 환경과의 접촉 및 상호작용은 예술적 작업 과정에 유익하다.

앙가의 지원 프로그램은 외국의 센터들을 여행하기 원하는 스페인에 거주하는 예술가들에게 열려있다.

앙가의 레지던시는 프로파일 및 예술적 활동, 그리고 작업 분야 등의 세 가지 범주에 따라 분류된다.

○ 유럽 이동 레지던시

○ 프로덕션 레지던시

○ 리서치 및 예술적 반영 레지던시

1. 리서치 및 예술적 반영 레지던시의 예: 구민자와 윤사비 (앙가/쌈지 스페이스 레지던시 지원 2008)

One & Others이라는 워크샾을 진행했다.

- 참여자의 수: 15명

- 필수 지참 물품: 디지털 카메라 또는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폰

이 워크샾은 관찰하는 것과 관찰당하는 것으로써의 “응시” 를 인식하는 것뿐만 아니라 이에 따른 반응과 반작용을

다룬다.

우리가 다른 사람을 보고 관찰하는 똑 같은 방식으로 우리는 관찰 당한다. 타인의 응시에 대한 반응으로 우리는 우리

자신의 신원을 보여주거나 감추거나 또는 바꿀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르게 보이려는 척을 하거나 또는 그렇게 행동한

다. 때때로 우리는 특정한 성격을 보여주기 위해서 일정한 방법에 따라 행동하려고 많은 주의를 기울인다. 동시에 우리

는 종종 우리 자신을 관찰하고 통제하는 “내부의 눈”에 반응한다. 개개인은 자신의 신원을 자기만의 맥락 내에서 사

람과 사회와의 관계로 나타낸다.

2. 프로덕션 레지던시의 예: 미레아 살라레스 예: 마리아 사라레스 (앙가-FONCA/CENART, 멕시코 2006)

토마스 페즈 Thomas Peutz

현 네덜란드 SMART Project Space 디렉터

브리제대학교 졸업, 미술사, 고전고고학 전공

1994/1995 유럽아트프로젝트 대표 겸 큐레이터

2005 국제현대미술전시 큐레이터

Page 14: Seoul Art Space Geumcheonoffice.sfac.or.kr/UIPage/BizPublicationBook/Upload... · 주제발표 07_ 서울형 창작공간의 미션과 전략 15_ 뱅크아트1929에 관하여 21_

26

Seoul Art Space_Geumcheon

27

2006년에 그녀가 시작한 이 프로젝트는 2009년 까지 지속되었다. 이 기간 동안 그녀는 멕시코와 바르셀로나를 오가며

작업했다.

Las Muertes Chiquitas는 멕시코 시티와 앙가의 CAN 멀티미디어 센터에서 실시된 예술가 레지던시 프로그램의 덕택으

로 2006년 말부터 시작하여 현재까지 진행중인 프로젝트이다. 프로젝트의 하이라이트 및 중점은 (멕시코 연방구에서

부터 시우다드 후아레스까지) 멕시코의 다양한 장소들에서 내가 영화화한 여성들의 대화를 편집한 것에서 기초하여 편

집한 다큐멘터리 영화라는 것이다. 그들은 보기에는 매우 다른 주제인-기쁨의 행위와 폭력 집행-과 관련한 경험에 대

해 이야기 한다.

멕시코에서는 때때로 오르가즘을 La Muerte Chiquita 또는 작은 죽음이라 칭한다. 이를 시작점으로 하여 말에 관한 극

은 기쁨뿐만 아니라 폭력과 죽음에 대해 이야기하는 프로젝트의 타이틀이 되었다. 그들은 현대 멕시코에서의 일상생활

에 있어 은유적 경험과 죽음의 현실을 동시화한다.

프로그램 위원회(심사 위원회)

이 위원회는 예술적 운영에 대한 책임을 진다. 이 위원회는 레지던시 예술가를 선택하거나 해외지원금 대상인 예술가

를 사전 선택하는 것 또는 프로젝트를 선택하는 것 등 심미적 기준에 근거하여 결정을 내릴 책임이 있는 5명의 시각예

술 전문가로 구성되어 있다. 이 위원회는 2년 마다 갱신된다.

앙가의 국제 지원 프로그램의 역사

1998년 (PSI 뉴욕과의 첫 번째 국제 협약)이후 앙가는 국제적으로 레지던시 예술가 교환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2005년

까지 뉴욕(USA 1998)의 PSI와 첫 레지던시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앙가는 2006년에는 뉴욕(USA)의 아이빔(Eyebeam)

과 교환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 앙가와 국제 기관간의 파트너십 리스트

- 라 프리슈 라 벨르 드 마이, 마르셀라 (프랑스 1999)

- 카우스 아우스트랄리스, 로테르담 (네델란드 1999)

- 두엔데, 로테르담 (네델란드 2003)

- 폰다시오네 피스톨레토, 비엘나(이탈리아2000)

- 폰카/세나르트, 멕시코 D.F (2004)

- (CALQ)/액스네오7(AxeNéo7), (퀘벡 2005)

- 현대 이미지 소장(발표회)(CIC), 카이로(이집트 2008)

- 바실리스코, 부에노스아이레스 (아르헨티나 2008)

- 쌈지스페이스, 서울 (한국 2008)

○ 2009년 파트너 리스트

2009년에는 8개의 지원프로그램이 있다.

- 씨따델라르레, 비엘라 (이탈리아)

- 두엔데, 로테르담 (네델란드)

- CIC, 카이로 (이집트)

- 폰카-세나르트, 멕시코 D.F (멕시코)

- 글로가에이어, 베를린 (독일)

- 도쿄원더사이트, 도쿄 (일본)

- MIS, 상파울로 (브라질)

- 아르테도스 그라피코, 보고타(콜롬비아)

스튜디오 대여

앙가는 15개의 대여 가능한 스튜디오를 보유하고 있으며 사용자로는 전문적인 활동을 시작한 예술가, 정기적으로 프로

젝트를 개발하는 예술가 또는 일시적으로 바르셀로나에 머무르는 예술가 등이 있다.

스튜디오 사용

장기체류를 위한 스튜디오 대여는 2년까지 가능하며, 1년에 한 번 신청자를 모집한다.

단기체류를 위한 스튜디오 대어는 한 달에서 석 달까지 사용이 가능하며 신청 절차는 장기체류 신청절차와 같다. 입주

예술가 선정은 앙가의 프로그램 위원회에 의해 이루어진다. 임대 계약을 갱신하기 위해 6개월 마다 앙가의 프로그램

위원회는 개별 인터뷰를 진행한다.

레지던시 예술가들은 추가 비용 없이 앙가가 제공하는 미디어랩, 자동(자가) 비디오 편집기(Mac G-5), 세트와 다양한

용도로 쓰일 수 있는 공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단 기술자가 있는 비디오 편집실은 포함되지 않는다. 프로젝트를 이행

하고 제작하는데 필요한 물류 서비스도 제공된다. 스튜디오 크기는 30m2에서 60 m2 사이이며, 주요 시설 및 서비서는

작업 테이블, 파워포인트, 싱크대, 인터넷 연결, 샤워실, 난방 등이 있다.

예술가들을 위한 시설 및 서비스

1997년 이후부터 앙가는 모든 예술가들이 프로덕션을 위한 자원지원과 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힘써왔으며 특

히 젊은 예술가들을 위해 노력하였다. 앙가의 또 다른 주요 목표로는 예술 프로젝트의 제작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비와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개발함으로써 예술 작품의 우수성을 증진하는 것이다.

제작 중심

입문 초기의 예술가들에게 컨설팅 서비스와 정보를 제공하고 전체적인 평가가 필요한 프로젝트들에 대해서는 특화된

작품(제작) 서비스를 제공한다.

○ 영구적인 예술 제작을 위한 컨설팅 사무소: 예산측정, 예산조정, 샘플 프로젝트, 일회성 질의, 프로젝트 실행 가능성 등.

○ 전반적인 프로젝트 제작: 실행 가능한 (리서치가 수반된 기술적인 분야들과 함께 준비된) 리포트, 예산, 제작 조정

(코디네이션) 등.

○ 프로덕션팀 조성

○ 앙가 서비스의 통합을 위한 코디네이션: 제작(작품), 비디오, 상호 작용 실험실, 개최(진행)/물리적 공간, 프로그램 등.

- 앙가에서 만들어진 제작 프로젝트의 예: 칙스 온 스피스(Chicks on speed) 종합

신체와 테크놀로지 간의 관계에 대한 탐구로 아트, 디자인, 그리고 퍼포먼스로 된 지속적인 작품을 창작하여 이러한 관

계에 대한 영향(반응)을 자극하거나 선동하거나 고무시킴.

공간

- 스튜디오 공간

100m2의 회색 벽 스튜디오. 높이 4.5m. 크롬키 2가지 색상(검은색과 흰색)의 파노라마식 배경과 이에 어울리는 리놀룸

바닥. 인조채광을 이용하나 공간은 독립적이고 조용함. 공간은 ‘T’형 모양으로 되어있어 각각의 면을 배경 구조나 백

스테이지 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두 개의 공간을 제공함.

- 다용도 공간

200m2 크기로 흰색 벽으로 도색 되었으며 자연 채광을 사용한 공간은 기둥에 따라 분할될 수 있다. 다용도 공간은 고

해상도의 비디오와 데이터 프로젝터, 확성기 및 믹싱 데스크를 갖추고 있다.

미디어랩

- 디지털 이미지와 포토그래픽 포스트 제작, 온라인으로 조정되는 제작 이미지 처리 및 포스트 제작 (스캐닝, 온-스크

Page 15: Seoul Art Space Geumcheonoffice.sfac.or.kr/UIPage/BizPublicationBook/Upload... · 주제발표 07_ 서울형 창작공간의 미션과 전략 15_ 뱅크아트1929에 관하여 21_

28

Seoul Art Space_Geumcheon

29

린 디스플레이, 열상 및 프린트)

- 컴퓨터 일반 사용(인터넷, 프린트 등등), 자가 편집 비디오 서비스

자가 편집 비디오 서비스

이 서비스는 선택적인 조언과 지원이 있다면 편집을 자율적으로 할 수 있고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사용에 익숙한 사

람들을 겨냥한다.

영상편집 서비스

앙가는 다양한 영상제작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화이트 파노라마 및 녹색의 크롬 키를 갖춘 배경장치, 석경 조명 키트와

삼각대가 있는 형광등, 촬영을 위한 장비인 카메라, 마이크로폰 등이 있다.

- 카메라 및 음향 기술자, 포토그래피 디자이너, 제작 매니저 등의 프로젝트 수행을 위한 제작팀이 배치되어 있다. 애

플(Apple)의 인증을 받은 전문 편집실이다.

전자 실험실

상호작용작업실을 통해 앙가는 내부 전자제품, 프로그래밍 및 건축 샘플 등과 같이 예술 프로젝트에 필요한 모든 종류

의 하드웨어를 구축할 수 있으며 그 예로는 실시간 상호작용, 데이터 처리 및 시각화, 싱크로나이제이션(동시화), 장치,

자동 조작, 리모컨 등이 있다.

작업실은 또한 일련의 판권을 가지며, 무료 장비는 이를 필요로 하는 프로젝트에 사용할 수 있도록 모든 예술가들이

이용할 수 있다.

연속재생 서비스

앙가는 웹 상에서 무료 비디오 분배 시스템을 실험해왔다. 이 작업 덕택에 앙가는 현재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에 완전

히 기초한 자체적인 웹 스트리밍 서비스를 자랑하고 있다. 이 시스템은 행사, 콘서트, 이야기나 액션 또는 퍼포먼스 등

을 실시간으로 전송하거나 기록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들은 브라우저를 통하거나 다운로드를 하여 영상을 볼

수 있다.

장비 임차

- 촬영을 위한 조립 작업, 프로젝트 제작 및 문서 관리

- 예술가들을 위한 교육 워크샾

-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앙가의 IT 인프라 (사무실, 웹서버 등)가 모두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에 기반한다는 사실과는 별도로 오픈 소스에 대한

약정을 통해 일부 서비스를 예술가들이 사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 워크샵

- 리눅스 플랫폼을 사용하여 일할 수 있는 영구 미디어랩

- 웹 프로젝터, 애플리케이션, 키오스크, 데이터 베이스 등등과 같은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를 사용할 수

있는 특정 프로젝트 개발

- 영상 편집을 위해 설치된 시네레라를 보유한 컴퓨터

- 작업 그룹

- GNU-리눅스를 위한 프로젝트 조언 및 지원

앙가는 창의적인 프로젝트를 위한 무료 소프트웨어의 사용에 기초하여 특정 장치나 주제를 다루는 워크샆을 기획한다.

- 매주 월요일: 스트리밍 작업그룹

- 매주 토요일: 아르뒤노와 퓨어 데이터 관련 작업그룹 개시

오픈 스튜디오

앙가는 전시를 위한 공간은 아니지만 일년에 두 번, 오픈 스튜디오가 열릴 때 레지던시 예술가들은 자신들의 작품을

전시할 수 있다. 올해 2009년에는 바르셀로나 시의 다양한 예술 공간에서 예술가 작품 프리젠테이션 이라는 새로운 활

동을 시작한다.

조아나 세르비아 Joana Cervia

현 스페인 Hangar 국제교류 프로그램 코디네이터

바르셀로나대학 졸업, 지리학 전공

1998~ 스페인 Hangar 재직

Page 16: Seoul Art Space Geumcheonoffice.sfac.or.kr/UIPage/BizPublicationBook/Upload... · 주제발표 07_ 서울형 창작공간의 미션과 전략 15_ 뱅크아트1929에 관하여 21_

30

Seoul Art Space_Geumcheon

31

지정토론

좌장

하계훈 - 단국대학교 대학원 교수

토론자

라도삼 -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연구위원

오민근 - 문화유산국민신탁 사무국장

서진석 - 대안공간 LOOP 디렉터, 경원대학교 겸임교수

김미진 - 예술의전당 전시예술감독,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교수

31

Page 17: Seoul Art Space Geumcheonoffice.sfac.or.kr/UIPage/BizPublicationBook/Upload... · 주제발표 07_ 서울형 창작공간의 미션과 전략 15_ 뱅크아트1929에 관하여 21_

32

Seoul Art Space_Geumcheon

33

공장을 넘어 공간으로, 지역을 넘어 중심으로

라도삼(서울시정개발연구원 연구위원)

1. 우리가 그렸던 꿈

드디어 아트 팩토리가 문을 열었다. 우리가 꾸었던 하나 둘 이루어지기 시작한 것이다. 우리가 꾸웠던 꿈...,

이 자리에서 여러 분께 감사를 드린다. 우선, 여러 어려움에도 공장을 사고, 아트팩토리를 꾸민 서울시에 감사드린다.

2007년 9월, 처음 생각할 당시, 이게 과연 가능할까란 생각이 많았는데, 과감한 투자전략과 새로운 방향전환에 의해 그

게 이루어졌다고 생각한다.

창작공간추진단에게도 감사드린다. 낯선 공공업무 현장에 와서 예술가의 자율성을 무리없이 서울시정에 접목시키고, 오

늘 이 자리까지 온 점, 무한하게 감사드린다. 아마 여러분의 노력이 없었으면 아트 팩토리가 이처럼 성공적으로 문 열

기 어려웠을 것이다. 여러분이 있었기에 가능했던 일이고, 앞으로 해나가야 할 일이다. 그렇기에 난 토론에 앞서 감사

의 말씀을 드린다.

제가 이렇게 감사의 말씀을 드리는 것은 앞으로 얘기할 아트 팩토리의 상황과 깊은 연관이 있기 때문이다. 우리가 꾸

었던 꿈을 어떻게 하면 잘 만들어 갈 것인가? 우린 아직 영글지 않은 열매에 불과할 뿐이다. 우리가 앞으로 가야 할

일은 험난하다. 주변에선 ‘성과’를 재촉할 것이며, 예술가는 예술가대로 서울시는 서울시대로 다양한 요구를 할 것이

다. 아트 팩토리는 과연 어떠한 위치에 있으면서 어떤 역할을 해 나가야 할 것인가? 태어난 아이에게 이름을 주고, 1주

년이 지난 기념일로부터 그 아이의 운명을 점치듯, 우리는 우리에게 주어진 이 소중한 아이를 잘 키워갈 의무가 있다.

이 아이가 어떻게 자라야 할 지..., 우린 그에게 무엇을 주고 교육해야 할 지..., 그에게 기대하는 것은 무엇이고, 우린

그 기대를 어떻게 만들어 가야 할 지..., 우린 우리에게 놓인 험난한 길을 가야만 한다.

2. 컬쳐노믹스와 아트 팩토리

처음 아트 팩토리를 꿈꾸었을 때, 우리는 여러 가지 생각을 했다. 첫째는 레지던스와는 다른 개념이었다. 순수한 작가

들의 창작공간은 우리에겐 그다지 관심사항이 아니었다. 우리는 컬쳐노믹스란 이름으로 아트 팩토리를 받아들였고, 그

개념 하에 추진했기 때문이다.

컬쳐노믹스란 한마디로 말해 ‘문화경제’를 말한다. 즉, 문화의 경제화를 얘기하는 것으로, 천박하게 들리겠지만, ‘문

화를 통해 먹고사는 도시를 만들겠다’는 것이 우리가 내세운 개념이었다. 그것을 위해 우리는 두 가지 방향을 고려했

다. 하나는 문화예술의 경쟁력을 키우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도시 발전 자원으로 문화예술을 활용하는 것이다. 즉, 문

화예술의 경쟁력을 키워 문화시장을 창출하는 한편, 그것을 활용에 도시의 매력을 상승, 세계가 주목하는 도시를 만들

자는 것이 컬쳐노믹스의 목표였다.

다른 여러 도시들의 경험을 살펴봤다. 예술가를 위해서는 아파트까지 제공하는 도시를 봤고, 세계적 예술시설을 불러들

여 랜드마크를 만드는 도시를 봤다. 하나의 거점 지역을 선정, 새로운 예술지대로 개발하는 도시도 봤고, 전통적인 지

역이나 역사적 장소를 활용, 새로운 예술-창의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도시도 봤다. 그 경험 속에서 우리는 예술가의 중

요성과 지역개발의 방식, 도시 브랜드의 중요성을 경험했고, 이를 바탕으로 세 가지 방향의 정책을 기획했다.

그 하나는 아트 팩토리다. 아트 팩토리는 지역을 새롭게 (재)생하는 하나의 거점이다. 예술가들이 지역과 결합하여 얘기

하고, 새로운 경험을 쌓으며, 지역을 만들어 가는 것이 아트 팩토리다. 우린 과거 레지던스 경험과는 다른 차원에서 아

트 팩토리를 보았고, 철저히 커뮤니티 센터이자 예술과 지역의 공진화 관점에서 아트 팩토리를 추론했다. 아트 팩토리

Page 18: Seoul Art Space Geumcheonoffice.sfac.or.kr/UIPage/BizPublicationBook/Upload... · 주제발표 07_ 서울형 창작공간의 미션과 전략 15_ 뱅크아트1929에 관하여 21_

34

Seoul Art Space_Geumcheon

35

를 통한 작가들의 순환과 지역의 (문화적-예술적) 개발-물리적 뿐만 아니라 교육적-이 우리의 목표였던 것이다. 불행

히 이 개념은 공유되지 않았다. 처음부터 개념을 낳고, 시설을 먼저 구입한 결과, 시설 개발에 연연하여 기본계획조차

수립하지 못한 채 우린 아트 팩토리가 먼저 개관되는 오늘의 사태를 맞았다. 서로 다른 생각과 꿈! 나는 아트 팩토리를

둘러싼 서로 다른 다양한 생각들을 본다. 그 생각들은 차이일 수도 있고, 넘을 수 없는 간격일 수도 있다. 그러나 우리

가 오늘 이 아트 팩토리로서가 아니라, 서울을 바꿔가는 변화의 거점으로서 아트 팩토리를 바라본다면, 앞으로도 아트

팩토리의 개념과 역할에 대해선 수많은 토론과 논쟁을 이어가야 한다.

둘째는 문화 오아시스다. 컬쳐노믹스의 핵심 중 가장 중요한 키워드인 문화오아시스는 본래, 창작공간추진단의 김윤환

단장님이 스쾃운동을 하실 때 강조한 개념으로, 난 문화에 대한 접근성 개념으로 오아시스를 바라봤다. 오아시스란 각

거점에 문화-예술이 정확한 표현이다-가 흐를 수 있는 창구를 만들어, 시민들이 손쉽게 예술을 관람하고 영유할 수 있

는 환경을 제공하자는 것이다. 오늘날 서울광장, 북서울 꿈의 숲, 능동 숲, 한강시민공원 등에서 이루어지는 공연이나

전시는 모두 이 오아시스 프로젝트에서 출발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컬쳐노믹스의 세 번째 영역을 구성하는 것은 창의문화지대(Creative Zone)를 만드는 것이다. 서울의 곳곳, 문

래동이나 홍대, 대학로, 삼청동, 답십리, 강남 가로수 길, 용산 삼각지, 서초구 예술의 전당 주변 등 다양한 곳에 우리의

예술자원은 널려 있다. 이 지역은 각기 특징적인 장르의 클러스터를 형성하며, 우리 예술산업의 성장가능성과 발판을 제

공한다. 우리가 추구했던 것은, 아니 정확히 말해 추구해 나가야 할 것-그건 이제 막 사업을 시작하려 하기 때문이다-

은, 이와 같은 지역을 잘 보존, 예술클러스터가 자리를 잡고, 지역을 형성하고, 예술성장의 발판-환경을 만들어 나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창의문화지대 조성은 예술지원과 더불어, 단지 지원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도시환경 내에서 생존

의 권한을 갖고 살아가며, 그 지역을 서울의 브랜드로 만드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 바로 그것이라 할 수 있다.

때문에 우린 아트 팩토리에게 우리가 생각한 꿈을 만들어 가라고 요구한다. 그 꿈은 두 가지다. 하나는 예술이 살아가

는 환경에 대한 것이다. 예술가들이 새롭게 작업가며, 자신을 만들어 갈 수 있는 꿈을 꾸는 것. 그리고 다른 하나는 지

역을 변화하는 핵심 거점이 되는 것이다. 아트 팩토리는 단순한 레지던스가 아니다. 그것은 척박한 도시에 예술을 불어

넣는, 죽은 객체에 살아있는 생명을 불어넣는 공장과 같은 것이다. 예술가와 지역(민)이 함께 만나 새로운 예술의 전형

과 지역발전의 꿈을 만들어 가라는 것! 그것이 아트 팩토리다.

3. 공장을 넘어 공간으로, 예술을 넘어 지역발전의 중심으로

아트 팩토리의 출발은, 아직은 익숙하지 않은 지역기반 예술활동에 대한 경험과, 작가와 지역의 결합없이 작품만 남겨

종국에는 반달리즘을 유발했던 공공미술에 대한 아픈 추억을 반성하며, 시작된다. 그것은 일회적 소비가 아닌 체계적

경험쌓기와 생산활동의 모델이다. 우리 이 공장운동을 통해 다양한 경험을 쌓아나가야 하며, 그로부터 우리 도시가 변

해갈 수 있는 새로운 모델과 방식을 제공해야 한다. 예술이 지역을 얼마나 잘 바꿔가고, 서울을 얼마나 잘 변화시켜 나

갈 수 있는 지를. 우리에겐 많은 시간이 주어지지 않았다. 한편에선 재생의 욕구가 넘쳐나는 반면, 다른 한편에선 재개

발의 욕구가 넘쳐 난다. 다른 한편에서 문화적 공간에 대한 요구가 넘쳐나는 반면, 다른 한편에서 더 많은 사적공간에

대한 욕구와 상업적 개발의 요구가 넘쳐난다. 우린 이 공공성과 이기심이 공존하는 현실에서, 문화가 제기하는 문제,

일상성과 미학, 예술, 아우라, 교육 등 다양한 문제를 풀어가야 한다.

성과의 요구가 엄연한 현실에서 도전은 쉽지 않다. 실험은 미뤄지고, 관성이 반복될 확률도 있다. 그러나 그것을 지켜

가는 것은 결국 아트 팩토리의 몫이다. 새로운 실험과 창의적인 아이템, 세계적 주목하는 프로젝트 등으로 우리의 도

시와 예술을 바꿔갈 때 아트 팩토리는 진정한 공장으로서 의미가 있을 것이다. 이제 막 시작하는 아트 팩토리! 그 꿈이

무겁지만, 가능성이 있기에 우린 새로운 전형으로서 아트 팩토리를 꿈꾸고, 아트 팩토리의 더욱 더 확장된 발전을 기대

해 본다.

(2009. 9. 30.)

On BankART1929에 대한 토론문

창조적 공간(Creative Space)과 창조적 도시(Creative City)

오민근12)(문화유산국민신탁 사무국장)

현실의 인식

2004년에 요코하마시의 ‘문화예술창조도시 요코하마’ 정책을 ‘문화관광연구원’에서 발간하는 ‘문화도시 문화복

지’에 소개하였다. 물론 아무런 반응도 없었으며, 2005년 아시아문화중심도시 경관분과 위원으로 활동하면서, 요코하

마시의 사례를 소개하였을 때, 비로소 관심을 보이기 시작하였다.

이 당시에는 지역균형발전, 문화중심도시사업 등에 의해 전국이 개발의 파도에 휩쓸리기 시작하던 때였으며, 또한

Creative City(창조적 도시13))와 관련하여 Charles Landry, Creative Class(창조적 계급)와 관련하여 Richard Florida와 같

은 외국전문가가 우리나라의 각종 매체에 종종 오르던 초창기라고 볼 수 있다.

물론 요코하마에서는 이미 유럽의 창조적 도시와의 교류와 네트워킹을 시작해오고 있었고, 그것을 정책으로 만들어 시

행하게 된 것이다.

또한, 2000년대 중반만 하더라도, 우리나라에서는 유럽의 문화수도(European Capital of culture)와 같이, 매년 문화수도

를 정하여 집중 지원하는 이벤트사업에 대해 큰 관심을 가지고 있던 미성숙된 시기이기도 하다.

점차 2005년도 하반기에 건설교통부(현 국토해양부)의 ‘살고 싶은 도시만들기’, 문화관광부(현 문화체육관광부)의

‘역사문화마을만들기’, 행정안전부(현 행정자치부)의 ‘살기 좋은 지역만들기’, 농림부(현 농림수산식품부)의 ‘살기

좋은 농촌만들기’ 등 지역 주민의 의견 수렴과 참여를 바탕으로 하는 계획을 주 내용으로 하는 중앙부처들의 정책사

업이 시작되기에 이른다.

문화(예술)와 공간과의 관계에 대해 중앙부처는 물론, 대부분의 전문가들과 해당 분야 종사자 및 활동가들조차도 그 중

요성과 관계성에 대해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하나의 에피소드를 들어 여기 적는다.

건교부의 ‘살고 싶은 도시 만들기’ 정책연구 프로젝트에 참여할 당시, ‘기업도시, 농촌, 주민참여, 문화예술’ 등의

5가지 분야로 나누어 연구진을 구성하였는데, ‘문화예술’ 분야를 담당자를 구분할 때 필자만 손을 들고 있었다. 이러

한 사실은, 당시 연구진이 속해 있는 학술단체가 공간의 계획이나 디자인에 관하여 약 60여년 가까이 활동해오고 있는

단체였음에도, 정작 계획되고 디자인된 공간에서 삶을 영위할 ‘사람들’이 그 공간에서 무엇을 누리면서 살아야 하는

지에 대해서는 고민해오지 않았다는 것이다.

커다란 놀라움과 당혹감을 느끼던 당시였지만, 이후 5년 정도의 시간이 흐르고 나니 공간을 계획하고 디자인하는 지침

의 개정 중인데, 여기에 문화나 역사와 같은 지역적 특성이 반영되도록 모색 중이라는 것은 상당한 인식의 증가가 있

어왔음을 알 수 있다. 참으로 다행한 일이 아닐 수 없다.

2007년 가을 문화관광부 지역문화과로 옮기면서, 국가적 차원에서 지자체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정책으로

‘UNESCO Creative Cities Network Program’에 대해 국내 지자체가 선정되도록 하는 것을 지원하는 사업을 기획하여

추진하였다.

이때, 유네스코의 사업에 적어도 빠른 시간내에 신청이 가능하다고 판단된 13개 지자체를 대상으로 사업설명회를 했지

12) 문화체육관광부 공간문화과, 지역문화과 전문위원을 거쳐, 현재 문화유산국민신탁 사무국장으로 있다. 경관 및 지역활성화 등과 관련하여 10여 년간 연구해오

다가, 문화체육관광부에 입사하던 2006년부터 본격적으로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통해 우리가 사는 공간을 문화적으로 바꾸어 나가는 것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와

활동을 해오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에서는 ‘산업유산 재창조로 예술창작벨트조성사업’, ‘유네스코 창조도시 네트워크 지자체 선정 지원 사업’, ‘문화지도

(cultural map)’ 등의 정책사업을 기획하였다. [email protected]

13) 현재 국내에서 널리(?) 사용하고 있는 ‘창조도시’라는 용어는 사사끼마사유끼 교수의 ‘창조도시에의 도전(創造都市への挑戦)’이라는 책이 국내에서 번역출

간된 이후 더욱 아무런 의식없이 사용하고 있다. creative city를 직역하면, ‘창조적 도시’가 되는데, 이는 현재까지 알려져 있는 creative city가 갖는 특성이 모

두 ‘creative(창조적 혹은 창의적)’이기 때문에, ‘창조적인 도시(creative city)’로 일컬어지는 것이다.

Page 19: Seoul Art Space Geumcheonoffice.sfac.or.kr/UIPage/BizPublicationBook/Upload... · 주제발표 07_ 서울형 창작공간의 미션과 전략 15_ 뱅크아트1929에 관하여 21_

36

Seoul Art Space_Geumcheon

37

만, 주요 질문이 ‘정부에서 얼마를 지원해 주느냐, 용역 3개월 주면 되느냐’ 이었다. 당시에 ‘창조 혹은 창조도시’

라는 용어를 포함하여 슬로건을 사용하고 있던 지자체의 수가 약 15개에 달했지만, 대부분이 관광개발과 같은 내용을

이러한 용어로 포장하고 있었다. 현재도 20여개가 넘는 지자체가 이러한 용어가 포함된 슬로건을 표방하고 있다.

그리고, 지난 2008년 11월, 요코하마에서 개최한 Creative City 국제회의에 한국의 추진 상황을 발표하러 다녀왔다. 당시

에 creative space의 사례지로 일컬어지고 있던 黄金町, 寿町의 사례를 둘러보았고, 요코하마의 추진 상황 등을 알 수

있었다. 이후 올해 9월 초에도 요코하마시에서 Creative City 국제회의를 개최하였고, 역시 1년 사이에 외국과의 교류

등 더욱 많은 논의가 있었고 자신감이 차있다고 느꼈다.

이러는 사이에 서울시를 비롯하여 많은 지자체에서 ‘문화’, ‘예술’을 표면에 내건 정책사업을 쏟아내기 시작하였고,

산업유산의 문화공간화, 창작공간, 아티스트 레지던스 사업 등이 여기저기서 행해지게 되었다.

경제불황과 기후변화, 그리고 창조적 공간(creative space)과 창조적 도시(Creative City)

2008년 가을부터 미국에서 시작된 금융위기로 인한 경제불황의 터널이 전세계를 흔들어놓고 있다.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나, 각종 보도 등을 보면 가장 빠르게 극복하고 있는 나라라고 이야기하고 있다. 경제불황의 터널이 언제 끝날지

모르지만, 그 끝에 경제불황 이전과 같은 상태를 유지하고 있거나, 혹은 더욱 발전하여 나아진 지자체는 과연 존재할

것인지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기존의 산업단지유치와 같은 비교적 구태의연한 수법으로는 경제불황과 기후변화에 따른 사회경제적 변화에 대처할 수

없다. 획일적인 정책과 그로 인한 사업, 예산의 비효율적 투입 등을 지향하고, 이러한 국제적 변화를 지역적 여건에 맞

추어 지역독자의 정책과 사업을 구상해야 할 것이다.

이때 역시 가장 중요한 것은 이러한 것을 담당할 인재를 발굴하고 기르는 것이며, 이를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문화와

예술에 의해 개인의 창의성을 끌어낼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야 한다. 그 중에서 절반을 차지할 정도로 중요한 것이

창의성을 끌어낼 수 있는 공간적 환경이 조성되어야 한다. 제도권 교육환경은 물론, 비제도권의 창조적 환경(creative

space 혹은 creative milieu)이 생활공간 곳곳에 있어서, 문화와 예술에 전문적으로 종사하거나 활동하는 사람들과 함께

일반 개인이 자유롭게 교류하고 네트워킹하는 그러한 공간이 필요하다.

우리는 ‘천재’가 되고 싶다고 해서, 5년짜리 계획을 수립하면, 5년 안에 천재가 될 수 있을까? ☺

‘창조적 도시(creative city)’의 ‘도시’라는 단어 때문에 그런지는 몰라도, 대부분의 지자체 관계자 및 이에 관심이

있는 대부분의 문화, 예술, 도시 등의 관계자들이 마치 기존의 ‘도시계획’처럼 목표연도를 설정하고, 해당 연도가 되

기까지 해마다 달성해야할 목표를 부문별로 설정하여 사업 추진하면, ‘창조적 도시’가 될 수 있다고 여기는 것이 아

직까지의 현실이다.

실례로 한두 해 전에 모 지자체에서 수립한 ‘창조적 도시’연구용역 결과를 보면, ‘창조적 도시’가 되기 위해 해야

할 사업으로 적어도 약 100여개 이상을 제시하였다. 바꿔 말하면, 100여개 이상의 사업을 모두 목표연도까지 수행하면

‘창조적 도시’가 될 수 있다는 의미인데, 과연 가능할까?

그래서 아래와 같이 얘기할 수 있다.

‘창조적 도시(creative city)’ ≠ 도시계획 || ‘창조적 도시(creative city)’ ≠ 지자체 행정구역

‘창조적 도시(creative city)’ = 창조적 공간

+

[ 창조적 인재 + 잠재적 창의력이 미발현된 일반 개인 ]

+

[ 창조적 제도 설계 & 창조적 행정 (creative administration or governance) ]

+

? → 이 부분은 해당 지역에서 지역적 여건에 따라 스스로 결정하는 것

BankART1929에 대해 묻고 싶은 점 : 창조적 공간을 조성하고자 하는 우리나라 모든 주체에게

BankART1929는 두 개의 근대건축물을 문화예술용도로 활용하면서 작게 시작하였다. 그리고 현재까지 약 6년여에 걸쳐

요코하마시가 창조적 도시로 일컬어지는 데에 큰 역할을 수행한 공간이기도 하다.

그렇게 되기까지 행정과 시민, ArtNPO(문화예술 관련 민간단체)의 관계를 어떻게 형성해 나갔는지 궁금하다. 특히, 요

코하마시와의 관계가 더욱 궁금하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행정이 예산을 지원해주게 되면, 창조적 공간을 운영하는 주

체는 자율성을 잃게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아니면, 관변 단체처럼 운영되거나.

BankART1929도 이러한 점에 대해서 어떻게 극복해 나갔는지 궁금하다.

두 번째로 궁금한 것은, 어떻게 그렇게 다양한 프로그램을 기획할 수 있는가이다. 연중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는 것으

로 아는데, 그 프로그램의 다양성은 어떠한 취지와 목표에 의해 추진되는가이다.

세 번째로 궁금한 것은, 프로그램이 없는 경우에, BankART1929의 공간은 어떻게 활용되는가이다.

프로그램이라는 것이 1년 365일 내내 진행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되지 않기 때문에, 분명히 해당 공간이 프로그램으

로 채워지지 않을 때가 있을 것이다.

네 번째로 궁금한 것은, BankART1929가 지속적으로 ‘창조적인 공간’으로 역할을 하고자 한다면, 앞으로 어떠한 것

들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가. 그리고, ‘문화예술공간’이 도시의 재생에 기여하는 바에 대해서도 궁금하다.

국내 Creative Space 조성에의 제언 : 금천예술공장을 중심으로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서울시의 아트팩토리사업에 의해 여기 금천예술공장을 비롯하여 문래동, 신당동 창작아케이드 등

의 공간이 ‘창작공간’이라는 이름으로 조성되고 있다. 물론, ‘창작공간’이 ‘창조적 공간’과 같은 의미가 아니라

는 것은 누구나 짐작할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창작공간’을 리모델링하여 조성하고, 그 공간에 예술가만 유입시키기만 하면, 그 공간과 그 지역이 문화적

으로, 예술적으로 활성화될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았으면 한다. 즉, 그들(예술가)만을 위한 공간만으로 한정하지 않았으

면 하는 것이다.

그 ‘창작공간’이 자리하는 지역과 반드시 소통할 수 있도록 공간적으로, 프로그램을 통해서도, staff의 운용에서도 반

드시 ‘지역적 고민’을 깊이 해주기 바란다. 외부 방문객을 우선으로 하지 않고, 주변의 존재하는 공장에서 근무하는

노동자들을 우선하여 고민해 주길 바란다.

현재 인천 중구의 차이나타운 인근에 조성된 ‘미술창작공간’과 같이, 대한통운창고의 오래된 붉은 벽돌이 주는 느낌

은 온데 간데 없고, 붉은 벽돌이지만 새 벽돌로 지은 창작공간을 조성하여 낯선 느낌을 주지 않도록 해주길 바란다. 대

부분의 해외 성공 사례가 그렇듯이, 요코하마도 그렇듯이, 그 지역만의 개성을 존중하고 배려하여 조성되는 공간이길

바란다. 게다가 인천의 ‘미술창작공간’에 존재하는 붉은 벽돌 건물 사이에 번쩍거리는 스테인레스 재질의 시설물들

이 주는 이질적 풍경과 같이 조금만 더 신경을 썼더라면 아쉬움이 남지 않도록 했으면 좋겠다.

인구 20만의 영국 게이츠헤드시의 Sage Gateshead 음악당의 설계에 유니버설디자인과 경관디자인이 함께 고려된 사실

과 요코하마시 창조핵심구역이 도시디자인과 공공디자인이 함께 어우러져 있다는 것도 함께 알아두어야 할 점이다.

아래 지도에서와 같이, 독산역에 내려서 금천예술공장에 이르는 길을 걸어서 가거나 우측의 시흥대로에서 버스나 택시

를 타는 등의 대중교통수단을 이용하여 다른 경로로 이르게 될 터인데, 그 과정에 해당하는 공간을 ‘공공디자인’을

통해 해당 지자체가 정비를 해주었으면 한다. 안전하고 쾌적하며, 두드러지지 않으면서 한 눈에 쏙 들어오는 금천예술

공장 방향표지판이나, 안전하게 걸어올 수 있도록 해주는 금천구만의 가드레일로 디자인 해줄 필요가 있는 것이다.

금천예술공장을 가는데 차를 피하는데 신경쓰고, 어느 길로 가야하는지 자꾸만 두리번 거리거나 길을 묻거나, 지도를

들고 다닌다면, 정작 예술공장에 도착했을 때는 ‘예술’을 누리고자 하는 마음은 어느 덧 사라지고, 그저 좀 쉬었다

가자는 느낌만이 들 것이다.

Page 20: Seoul Art Space Geumcheonoffice.sfac.or.kr/UIPage/BizPublicationBook/Upload... · 주제발표 07_ 서울형 창작공간의 미션과 전략 15_ 뱅크아트1929에 관하여 21_

38

Seoul Art Space_Geumcheon

39

위 두 장의 인공위성사진(daum 검색자료)에서 독산역과 시흥대로에서 금천예술공장(사진의 동그라미)까지의 가로 분위기를 보라.

공장이 많은 이 곳에서, creative industry가 형성될 수 있는 가능성도 충분히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creative industry는 creative cluster로,

금천예술공장은 이 지역의 문화예술 창조 거점으로서의 역할을 잘 수행해 낸다면, 좌측의 안양천과 이 일대의 교육기관을 연계하여 주변

주거단지에 거주하는 주민들의 창조적 공간으로서 자리매김할 것이며, 이곳의 이미지를 긍정적으로 바꾸어 놓는 계기가 되어, 지역활성화

로 연결될 수 있는 기반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오늘의 이 행사처럼, 국내외 관련 사례와 단체들과 꾸준한 교류와 네트워크를 전개해 나가길 바라며, 이를 통해 독창적

인 프로그램의 개발과 공간의 운영을 모색하고, 점차 행정으로부터의 독립을 도모해나가는 자활력을 갖추어야 할 필요

가 있다.

감사의 말

오늘 이 자리에서 토론할 기회를 주신 금천예술공장의 관계자분들에게 깊은 감사를 드린다. 앞으로도, 금천예술공장이

국내외에서도 창조적 공간으로써, 창의적인 운영으로써 국내외에서 일컬어질 수 있도록 운영해주시리라 믿어 의심치

않는다.

또한, 아주 바쁜 일정임에도 한국에 와서 BankART1929의 운영경험을 소개해준 이께다 오사무 대표에게도 깊은 감사를

드린다. 더욱이 개인적으로는 학술적 관심 차원에서, 업무상으로는 국가정책기획 차원에서 2007년 초에 BankART1929

를 방문하였을 때 인사를 나눈 이후, 공적인 자리에서 두어 번 더 만나 인사를 나누었을 뿐인데도, 지금까지 요코하마

시가 추진해온 ‘문화예술창조도시 요코하마’ 정책사업을 정리한 ‘Creative City Yokohama’의 번역을 흔쾌히 받아

들여준 것도 이 자리를 빌어 다시 한번 감사를 드린다고 말하고 싶다. 또한 이를 도와주신 요코하마시 도시디자인실

상석조사역이신 国吉直幸 선생님께도 깊은 감사를 드린다.

참고문헌

ㅇ 오민근(2008), 「문화의 창조적 활용, 도시재생에서 창조적 도시로」, 계간 황해문화 여름호

ㅇ 오민근(2008), 「서울에서 찾은 폐공간의 재생과 문화적 활용」, 도시문화사람 제2호, 서울문화포럼

ㅇ Charles Landry(2006), The Art of City Making, Earthscan 외

스마트 프로젝트 스페이스의 “문화 거주자; 국제 레지던시(스마트 프로젝트 스페이스)의

행정 및 프로듀서/큐레이터의 역할” 발제에 대한 토론문

서진석(대안공간루프 디렉터, 경원대학교 겸임교수)

21세기, 변화하는 현대미술의 구조

현대미술의 장에서 시각이미지의 창작-매개-향유의 순환 구조는 단선적인 흐름으로 진행되던 과거와 달리 각각의 기

능과 영역에서 다양한 변화를 겪으며 새롭게 구성되고 있다.

창작 영역에서는 장르의 해체와 융합현상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기성작가와 젊은 작가들의 간극이 좁혀지고 있

다. 매개 공간들은 화이트 큐브를 벗어나, 공공의 영역으로 나아갔다. 가상공간에 창작과 향유의 접점영역이 출현하고

있으며 유통 접점들 간의 사회적 위계 구조 또한 점차 허물어지고 있다. 미술시장에서 대중화 현상은 가속화되고 있으

며 전문가와 비전문가의 경계선은 갈수록 엷어지고 있다. 예술과 자본은 과거 어느 때 보다도 긴밀한 유기적 관계를

형성하고 있으며 몇몇 미술관은 지역적 한계를 벗어나 글로벌 기업화하고 있다.

영역의 해체, 기능의 다변화와 확장은 21세기의 사회 현상의 일부분이다. 디지털테크놀러지의 발달과 글로벌캐피탈리즘

의 팽창은 현대인의 삶과 문화를 근본부터 재구성하고 있다. 미술산업 역시 모든 영역과 구조에서 새로운 정의와 분석

이 요구되고 있다. 과거 우리가 규정지었던 예술 장르의 정체성이 지금도 유효한가? 창작자, 매개자, 향유자의 의미는

어떻게 변화 되고 있는가? 21세기 새로운 패러다임은 창작공간이나 매개공간 등 현대미술 기관들의 목적기능들을 새롭

게 변화시키며 또 다른 요구들을 하고 있다.

21세기, 새로운 창작 공간

80년대 이후 신자유주의의 세계화 물결 아래서 현대 미술계는 자본주의 자유경제시장에 조건 없이 노출되었다. 현대미

술이 20세기 초 작가 - 20세기 중후반 큐레이터 - 21세기 현재 콜렉터 중심으로 권력이 이동되고 있는 대에는 이러한

시장 중심의 논리가 크게 작용하고 있었음을 우리는 알고 있다.

21세기의 사회문화는 새로운 변화의 시기를 맞이하고 있다. 우리는 급속히 가속화되고 있는 사회의 흐름 속에서 지금

이 아닌 다음의 흐름을 예측하고 새로운 예술의 전략적 방향성을 제시해야만 한다. 이미 서구 사회경제는 시장자유 논

리인 신자유주의의 몰락을 선언 하였다. 국가 중심의 사회적 공공성을 중시하는 대안적 케인스학파의 논리가 다음의

사회경제를 주도해나갈 체제로 제시되고 있다. 이제는 국가 주도의 문화 정책과 지원이 그만큼 중요해지고 사회적 공

공성이 문화계에서 더욱 더 중요시되고 있는 시점이다. 이번 새로운 금천창작센터 개관은 그런 의미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가 될 수 있다.

필자는 앞서 이야기한 21세기 현대 미술의 구조적 변화 아래서 현재의 아시아 현대미술계가 요구하는 대안적인 공간을

제시하고자 한다.

제안 1 순발성 - 21세기 매개공간은 행정업무 기획업무 진행의 순발성 필요하다. 생산 유통 소비의 순환구조는 과거에

비해 매우 빠르게 순환되고 있고 갈수록 가속성이 부여 되고 있다. 과거 공적 기관들의 단계적 업무 시스템은 프로젝

트의 완성도는 성취하기 용이하였으나 창의성을 요구하는 현대미술계에서, 다른 기관들에 비해 트랜드 리딩에 있어선

뒤쳐질 수밖에 없었다. 21세기 미술관들은 이런 단점을 보완하고 다른 기관들에 비해 단기적 혹은 장기적 프로젝트의

순발력이 있는 진행을 통해 언제나 현대미술계에서 선점적 위치를 고수한다. 이는 세계예술계의 새로운 흐름을 제시하

는데 보다 많은 기회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이다.

Page 21: Seoul Art Space Geumcheonoffice.sfac.or.kr/UIPage/BizPublicationBook/Upload... · 주제발표 07_ 서울형 창작공간의 미션과 전략 15_ 뱅크아트1929에 관하여 21_

40

Seoul Art Space_Geumcheon

41

제안 2 개방성 - 21세기의 창공간은 운영 및 기획 시스템의 개방성 필요하다. 과거 기관 내부만의 시스템을 통해서 모

든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방식은 21세기 현대 미술계가 요구하는 단일 세계 미술시장과의 소통에서 고립될 가능성이 크

다. 창작 스튜디오 내부의 운영 및 기획 시스템 뿐 아니라 외부와의 유기적 결합을 통해 포용성을 증대 시킨다. 즉 국

내, 국외 미술인 혹은 기관들과의 연계를 통해 보다 다양하고 많은 소통의 접점을 마련 할 수 있는 것이다. 네트워크형

시스템은 생산 유통 소비영역의 공유를 통해 보다 큰 미술 시장으로의 확장을 손쉽게 꾀할 수 있으며 이는 세계미술계

속의 창작공간을 보다 효과적으로 브랜딩 할 수 있을 것이다.

제안 3 융합성 - 21세기의 창공간은 창의 기능에서 탈피 유통과 시장의 영역까지 확장이 필요하다. 단지 시각이미지의

생산에서 머물지 않고 창작과 시장의 기능까지 확장은 이미지가 사회경제의 원동력이 되는 21세기 드림소사이어티의

중심 플랫폼으로서의 기능을 구축할 수 있을 것 이다. 또한 음악 행위 영상 평면 설치 등 다 장르의 융합형 공간을 구

축하여 장르의 융합과 확장을 시도한다. 현재의 문화소비자들은 보다 다감각 공감각화 되어가도 있으며 어느 때보다도

다양하고 깊이 있는 문화적 가치관을 가지고 있다 장르의 통섭 현상은 생산자들의 의지적 시도 뿐 아닌 수용자의 요구

와 함께 변모되고 있는 것이다. 미술장르 간의 통섭 뿐 아니라 인문학, 과학 등 타 분야와의 유기적 통섭을 통해 새로

운 문화 담론의 방향성 제시도 필요하다. 다면적 공간과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기존 창작공간의 단선적 기능을 탈피

하고 21세기가 요구하는 유기적이고 복합적인 예술 기능공간으로 진화 한다

※ 위 글 중 일부는 경기창작센터 세미나에 발제문에 기고되었습니다.

“앙가의 국제적인 거주 예술가” 발제를 위한 토론문

김미진(예술의전당 전시예술감독, 홍익대 미술대학원교수)

지금 이 시대는 세계화와 정보화를 통해 세계의 문화는 시간과 거리를 단축시키며 하나의 공동체로서 나아가고 있다.

문화의 발전을 위해 자국만이 아니라 예술가들의 교류를 활발하게 진행하면서 전지구의 문화적 발전이라는 공동의 실

천부분이 진행되고 있다. 이런 일환으로 대규모 전시뿐만 아니라 예술창작공간프로그램을 통해 젊고 실험적인 예술가

들이 이동을 하며 이질적인 장소와 사회적 환경을 수용하면서 작가들끼리 서로 영향을 미치고 자신들의 작업을 확대해

나가 결국 예술문화확장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쌈지를 비롯한 민간기관에서부터 실험성과 독창적인 프로그램을 자율적으로 운영하며 순수미술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고 지난 몇 년 동안 고양, 창동, 난지도 등 국립기관을 중심으로 많은 레지던시 프로그램이 생겨 문화발

전의 토대를 구축하고 있는 중이다.

국내 젊은 미술가들은 예술의 창작공간으로부터 전시. 비평가와 함께하는 세미나, 오픈스튜디오를 통한 갤러리를 비롯

한 미술시장과의 접촉기회,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지역사회와 교류, 국제교류의 기회 등 다양한 창작과 소통의 기회를

갖게 된다. 특히 올해부터는 서울 문화재단에서 세계 각국의 레지던시 프로그램을 연구하고 지난 10여 년 간의 타 공

간에서 운영한 것의 분석적 토대로 지역적 공간 특성을 살리고 최대한 작가들의 작업영역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으로 서

교동 동사무소, 남산 드라마 창작 센터, 금천예술공장, 문래동 아트팩토리 등을 연이어 열고 있다.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지역 유휴공간을 찾아 새로운 틈새문화전략으로 공간을 만들어갈 것이라 기대한다.

먼저 앙가프레젠테이션의 원고를 읽고 우리나라와 다른 몇 가지 부분에 대해 질문을 하고자 한다. 첫 번째 카타루니

아 시각예술협회라는 민간 재단에 의해 설립 운영되고 있는 앙가는 공적자금지원을 정부, 시의회, 스페인 문화부, 국제

원조개발청, 바르셀로나 지방의회, 시바델 은행재단 등 여러 기관에서 받고 있는데 매년 확정적으로 순조롭게 집행되고

있는지에 대해 질문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매년 예산 규모나 행정지도자의 이해도에 따라 변화되며 국가나 지자체의

공적 자금이 민간재단에 투입되고 있어 불확실성에 대해 매우 어려움이 많고 받기위한 서류를 비롯하여 행정상 절차가

매우 복잡하다. 특히 예술부분에 있어 사회적 기여도가 크다고 할지라도 전체예산 모두를 지원받기는 무척 어려운 실

정이다. 예를 들면 쌈지의 경우 민간 기업에서 운영하고 있지만 예산상 어려움으로 프로그램이 중단된 것으로 알고 있

다. 그 밖에 영은미술관 등 공간만 지원되고 공간유지를 비롯한 다양한 프로그램운영 등 그 나머지 부분은 예산상 기

대하기 힘든 현실이다.

그리고 예술경영의 심미적 부분을 위한 시각예술 5인을 구성하는데 어떤 방식으로 선정되는지, 2 년 임기가 적당한지

에 대한 질문이다. 예를 들면 뮌스트 조각프로젝트같이 하나의 우수한 특성을 만들어 나가는 데는 카스퍼 쾨니히가 30

년 총감독으로 맡아서 나온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우리나라처럼 수시로 기획할 때마다 자문을 선정하여 결정해 나가는

경우가 있는데 다양한 의견의 수렴과 공평성, 책임에서 기인한다고 생각되나 공간의 특성과 기획의도를 충분히 숙지

못한 상황에서 자문에 임하게 됨으로 심도 높은 기획이나 평가가 이루어지기 힘들다고 여겨진다.

국제교류프로그램의 경우 현시대적 특성인 예술가의 이동에 의해 특화된 작업의 개발의 기회를 제공하는 데 있다고 했

다. 유럽은 특성상 국경의 개념보다는 비슷한 공동문화권 안에서 개인주체의 이동이 자유스럽고 일상적이다. 이동을 통

해 작가들은 사회, 역사, 환경, 등이 다른 민족위주의 문화적 다름과 탈 국경주의에서 나온 획일성사이에서 작가주체에

더욱 몰입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은 글로발리즘의 좀 더 수준 높은 심미적, 지적차원의 예술로 발전될 수 있지만 한편

Page 22: Seoul Art Space Geumcheonoffice.sfac.or.kr/UIPage/BizPublicationBook/Upload... · 주제발표 07_ 서울형 창작공간의 미션과 전략 15_ 뱅크아트1929에 관하여 21_

42

Seoul Art Space_Geumcheon

43

으로 환경적 변화와는 상관없는 획일성으로 갈 수 있다. 그래서 유럽작가들은 국가적 정체성의 작업보다는 보다 더 예

술적인 맥락에서 심미적으로 접근하고 있다고 본다. 그러나 짧게 머무는 레지던시의 경우 이런 복합적인 문화를 숙성

시켜 개인의 본질적인 작업을 하기보다는 우선 바로 경험하게 되는 정치, 사회에 관한 환경적 요인을 먼저 받아들이고

그 현상위주로 작업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 이 문제는 매우 복잡한 부분으로 탈현대사회가 진행되고 있는 이시대의 현

상에 관한 것이기 때문에 많은 논쟁을 필요로 한다. 전지구화의 과정과 함께하는 비엔날레 등의 대형전시나 국제전에

서는 바로 심미적 차원의 작업보다는 민족(nationality)적 성향이 강한 작업들로 구색맞추기를 여전히 선호하기 때문이

다. 이 부분에서 앙가의 경우 매체를 비디오, 사진을 이용한 new media부분으로 국한시켜 특화 지원하고 있는 것은

매우 바람직하다고 본다. 그리고 젊은 작가들의 경우 지속적으로 작업할 수 있는 컨설팅사무소와 제작기계에 대한 꾸

준한 서비스가 제공된다고 하는데 지금 막 작가들 스튜디오제공만을 위주로 하는 우리나라에 장기적인 비전을 제공하

는 좋은 예가 될 것이라 생각한다.

마지막 질문은 앙가 프로그램을 거쳐 간 작가 중 장기적인 컨설팅을 받고 있는 작가들의 비율은 얼마이며 창립 10 여

년이 지난 현재 예술계나 지역문화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알고 싶다.

현재 우리나라의 경우 젊은 작가들에 대한 프로그램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편이고 전 세계적으로 레지던시나 여러

프로그램이 개방되어 그 어느 때보다 국제적인 경험과 예술계의 입문이 쉬워졌다고 생각된다. 그 반면 중진이후의 작

가들 경우는 그 혜택에서 벗어나 있어 무척 소되고 힘든 환경에서 작업한다고 볼 수 있다. 젊은 작가뿐만 아니라 중

진 원로까지를 대상으로 하는 지속적인 프로그램의 개발로 탄탄한 문화의 뿌리를 갖게 되는 사업이 절실하게 필요한

시점이다.

>> English

43

Page 23: Seoul Art Space Geumcheonoffice.sfac.or.kr/UIPage/BizPublicationBook/Upload... · 주제발표 07_ 서울형 창작공간의 미션과 전략 15_ 뱅크아트1929에 관하여 21_

44

Seoul Art Space_Geumcheon

45

Contents

Presentation

49_ Building a Creative Space for Seoul: the Mission and the Strategies

59_ On BankART 1929

65_ A Tenant of Culture Administration of the International Residency

(SMART Porject Space) and Roles of Producers/Curators

69_ International Artist Residencies in Hangar

Discussion

(Chair: Gye-Hoon, Ha)

77_ Beyond the Factory into Space, Beyond the Region into the Center

81_ Creative Spaces and Creative Cities

87_ Discussion for the Presentation “A tenant of Culture; administration

of the international residency (SMART Project Space)

and roles of producers/curators”

89_ Discussion for the Presentation on

“International Artist residencies in Hangar”

Youn-Hoan, Kim

Osamu Ikeda

Thomas Peutz

Joana Cervia

Do-Sam Na

Min-Geun Oh

Jin-Suk Suh

Mi-Jin Kim

45

Page 24: Seoul Art Space Geumcheonoffice.sfac.or.kr/UIPage/BizPublicationBook/Upload... · 주제발표 07_ 서울형 창작공간의 미션과 전략 15_ 뱅크아트1929에 관하여 21_

46

Seoul Art Space_Geumcheon

47

Presentation

Presentation 1 Building a Creative Space for Seoul: the Mission and the StrategiesYoun-Hoan, Kim - Head of Arts Space Utilization TFT,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Presentation 2 On BankART 1929Osamu Ikeda - Director of BankART 1929

Presentation 3 A Tenant of Culture ; Administration of the International Residency(SMART Porject Space) and Roles of Producers/Curators

Thomas Peutz - Director of SMART Project Space

Presentation 4 International Artist Residencies in HangarJoana Cervia - Internation Exchange Programs Coordinator of Hangar

47

Page 25: Seoul Art Space Geumcheonoffice.sfac.or.kr/UIPage/BizPublicationBook/Upload... · 주제발표 07_ 서울형 창작공간의 미션과 전략 15_ 뱅크아트1929에 관하여 21_

48

Seoul Art Space_Geumcheon

49

Building a Creative Space for Seoul: the Mission and the Strategies

Youn-Hoan Kim, Head of the Arts Space Utilization TFT,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1. The challenges facing modern cities and the transformation of the art paradigm In Korea, a country which has hitherto been preoccupied with high-speed economic growth with no leisure

for reflecting on the past, it was inevitable that speed should have been the priority in the constructions of cities as well.

Hence, all over the city there is an increasing number of buildings which have become unviable after only after a few

decades or which have lost their functionality. The most representative cases are public facilities such as underground

commercial arcades or district (dong) administrative offices, and the problem of re-utilizing such idle spaces has now

become a policy challenge at the national government level. On the other hand, the boom in the construction of

mixed-use (commercial and residential) buildings which were highly popular until only recently has shown some

stagnation, while old buildings that are infused with Seoul’s history are drawing our attention. The reason that we

have thus begun to focus on the utilization of unused spaces in the older heart of the city is because previous urban

policies have exposed their limitations 1) and we have reached a point where we must look for new solutions. The fact

that globalization has intensified the competition between cities also had a large impact in this respect. Each city is

making an effort to enhance their respective uniqueness and dignity, and in the process they are demonstrating a

preference for a method of urban development that relies on art. The reason for this is that previous methods of urban

development had not only produced similar urban scenery, but also resulted in limiting the lives of citizens, and culture

and the arts are now being perceived as a beneficial means to resolves such problems.

Accordingly,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cases where many idle spaces within the city has been recycled

as spaces for art and culture, and in particular, there has been many cases where creative spaces have been built.

Creative spaces are functionally different from pre-existing types of cultural spaces. The older model of cultural spaces

servesto exhibit completed artworks or to conduct cultural programming for citizens, whereas creative spaces not only

produce creative contents, but are also capable of conducting exhibitions of artworks and cultural and arts education

programs. The unique feature of such creative spaces is that they are perceived as having the advantage in actively

responding to the present needs of the city. Creative spaces have thus become noted as the launching basefor

heightening the individuality and aesthetics of the city and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Creative spaces are at the

vanguard of urban planning and function as a contents factory for citizens’ creativity and as an agitpunkt 2) for artists

who engage in avant-garde experiments to address the present challenges involved in city planning.

1) Sang-rak Seo, The Directions and Strategies for Urban Development in an Era of Slow Growth. During the period of high-speed economic growth, Korea consistently pursued a policy off maximizing efficiency and speed in accordance with the logic of economic growth and large-scale development in implementing our urban and regional development policies. However, recently there is a rise in interest in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cities that focus on the quality of life. Now the argument is that a city should be designed, refined and maintained in order to truly improve the quality of substantial life and that a city should be pleasurable, aesthetic and balanced. The contents that reflect such ideas are the campaigns to create a beautiful city, to create a green city, to build a city infused with history and culture, to create a welfare community for all, to create a city where pedestrians are prioritized, and to create a city that meets the challenges of globalization. 2) The fact that artists (the creative class)are the new leaders of urban regeneration (the fountainhead of creativity in the city) has been demonstrated by many international examples, including SoHo in New York City, 大山子of Beijing, and Daehak-ro (the "College Avenue") and the Hongik Campus area of Seoul.

Page 26: Seoul Art Space Geumcheonoffice.sfac.or.kr/UIPage/BizPublicationBook/Upload... · 주제발표 07_ 서울형 창작공간의 미션과 전략 15_ 뱅크아트1929에 관하여 21_

50

Seoul Art Space_Geumcheon

51

Meanwhile, as artists and artistic creative spaces emerge as the new leaders of urban regeneration, this is

having an influence on art paradigms. This means that as changes occur in the platform, content and form through

which artists who participate in urban transformation practice their art, their own identities, in other words their

identity3) as artists, are also undergoing change. This becomes evident to the masses through the changes in the

system by which art is created, communicated, and appreciated.

The sites of such artistic transformations are easy to locate: they include autogenous communities of

creative studios, such as those in Mullae-dong which have recently gained much popularity, or the black box theaters

or alternative spaces that are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Hongik University campus. There we often witness

experimental artists create works and rehearsing them and then immediately presenting them to the public in the

same location. There is thus a temporal and spatial condensation of the process by which art is transmitted from its

creation to its reception. In some cases, citizens may even participate in the creation process or view the rehearsals.

Accordingly, the contents of the facilities installed in the space are also changing. Instead of installing all the functional

elements, these spaces opt to prepare only the minimally necessary facilities and leave the rest empty, emphasizing

instead the role of the participants (artists and citizens). As the role of the artists, who are the major users of art spaces,

becomes more dominant in the administration of such art spaces, it is inevitable that importance will be placed upon

the artists’ creative intervention, and consequently there occurs a transformation in the nature of the art spaces.

The change in the nature of the art space becomes reflected in the expansion of the locations and spaces

utilized for artistic creation. Artworks that in the past were produced in specialized work studios are now being created

in the streets, plazas, alleys and neighborhoods all across the city. Also, the shift in the subject of creation is a notable

phenomenon: not only professional creative artists but all citizens are now being regarded as the subject of creation.

More specifically, these subjects take the form of citizen art prosumers4) or neighborhood artists. The third change is in

the content of the creative works: the traditional artistic genres are being broadened into experimental, post-genre

forms, and contents which in the past were not defined as art are now newly being adopted as the valid matter of art.

Fourthly, the form of creation has also experienced changes. If before the creative methods were focused on highly-

skilled and professional functions, now the creative form has become variegated, with many hybrids of specialized and

popular methods.

As a consequence of such changes, now artists are living in an era when "anyone can become an artist, "

and the traditional image of the artist(a producer of the aura of artistic works, equipped with inspired genius) is

becoming eclipsed by the emphasis on the role of "mediator for art."Concomitantly, the institutional aesthetics by

which art and non-art were categorized are also changing, and the locations where artworks are presented have

expanded beyond the gallery or the performance venue and spilled out into the streets and daily living spaces.

Moreover, the birth of the citizen prosumer has engendered a change in the creative forms, opening the door to an era

where ordinary citizens can create art themselves, and where artists and citizens may collaborate in the creative acts.

2. What kind of creative spaces does Korean society require? Across the country, many local self-government organizations are taking the initiative to build creative

spaces for the purpose of revitalizing the cities. Such projects for buildingcreative spaces should not be simply

understood as the task of constructing physical buildings: rather, it would be more accurately described as the project

to form a artistic and cultural ecosystem that includes the regional community. Therefore, in order for such projects to

proceed with success, it is important to develop creative formation and administration methods that differ according

to the respective purpose and location of the formations. In order to infuse vitality and individuality to each of the sites,

we will also require the close cooperation of the various agents involved in the formation of these spaces. The

government must provide administrative support, the artists should offer creative intervention, and local residents and

commercial entities must have an understanding of and a cooperative attitude toward creative spaces. Even during

the construction of facilities, it will be necessary to induce active participation of the artists. The creative studio is a

space where artistic work requiring high expertise takes place, and hence it should best be designed in the style desired

by the artists who are the first users of these spaces, and they should also be operated in the manner desired by the

artists themselves 5). Unless such basic conditions are properly prepared, we will face a situation where the artists and

the building diverge in purposes. This is because artists are beings who tur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cluding

the physical facilities as elements of their art. Because of this special nature of artistic spaces, visitors who visit these

locations marvel at the unfamiliar and entertaining spectacle of the creative spaces and become deeply immersed in

their attractions. Therefore the secret to forming successful creative spaces is to find a means to secure the autonomy

of artists that will allow them the liberty of operating the spaces, while still not relinquishing the public function of

such spaces.

It is thus necessary to examine what the tendencies of creative spaces have been in the past and to identify

what the challenges are that need to be resolved.

Pre-existing creative spaces include various types, such as individual creative studios, creative residency

programs, and creative studios that utilized unused old school facilities. Each of these spaces have their own respective

advantages and drawbacks: individual studios provide a strong sense of autonomy but the expenses involved make

them difficult to operate within the city. Meanwhile, residency programs have contributed to the discovery of emerging

artists and the vitalization of exchanges within Korea and abroad, but they fail to provide a stable support as creative

studios. In the case of art studios that utilize closed school buildings, they have provided spacious locations for artistic

work at a cheap price, but intensified the economic hardship of artists due to the lack of linkage to artistic economic

activities. In this respect, the kind of artistic spaces required by our society at the present is that which can resolve the

flaws of the pre-existing types of creative spaces while providing a new form of creative space that fulfill the demands

of artists, citizens and the city alike. In other words, we require a mediating space where the creation, distribution and

reception of artworks can occur simultaneously, a space that contributes to the strengthening of the local community,

and a space where art and industry can intersect and mutually prosper.

3. The Search for a Creative Space Model for Seoul to Serve Artists, Citizens, and the City. The administration of Seoul and the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have been implementing the Art

Factory Project since 2007. This project, called the Model of Creative Spaces Adapted for Seoul, aims to enhance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this city by heightening the creative ability of artists and citizens, in accordance with

Seoul’s "culturenomics" strategy established in 2007. To fulfill this objective, we seek to culturally revitalize the old

center of the city by re-utilizing idle spaces that no longer fulfill their functions as creative spaces, thereby also infusing

new vitality to the local community and quenching the cultural, environmental, educational and economic demands

of Seoul.

The special feature of the Seoul-Model Creative Spaces (hereafter referred to as Seoul Creative Spaces) is

above all the fact that they will be built in many locations throughout Seoul, thereby aiming to serve as local-bases

3) Gang Kim, A Study of the Role of the Artist in Contemporary Art. Masters thesis for the Graduate School of Hongik University Aesthetics Department, 20084) In The 3rd Wave (1980), futurist Alvin Toffler predicted the era of the prosumer.

5) Although it may be irrelevant in the case of creative spaces operated by individuals, in the case of creative spaces built with public funds, sustainable operation will only be possible if the creative usage of the artists is balanced with the public utility. If emphasis is placed only on public function of these spaces, the creative intervention of artists becomes limited, and the differentiation from other cultural spaces disappears leading to the failure of the invigoration of the space, and on the other hand, if the emphasis is placed only on the creative use by artists, then the justification for the investment of public funds becomes weak andthe budget becomes reduced, leading to the reduction of artistic creative activity.

Page 27: Seoul Art Space Geumcheonoffice.sfac.or.kr/UIPage/BizPublicationBook/Upload... · 주제발표 07_ 서울형 창작공간의 미션과 전략 15_ 뱅크아트1929에 관하여 21_

52

Seoul Art Space_Geumcheon

53

that contribute to the cultural specialization and balanced development of each respective district. For this purpose,

the administration of Seoul plans to form a total of 15 creative spaces in various locations: 3 locations in 2008 (Nanji

Art Studio, Creative Studios for the Disabled, Nam San Creative Center), 6 in 2009 (Namsan Arts Center, Seoul Art Space

SEOGYO, Seoul Art Space Geumcheon, Seoul Art Space SINDANG, Seoul Art Space YEONHI, Seoul Art Space MULLAE),

and 3 in 2010 (Seoul Art Space HONGEUN, Seoul Art Space SUNGBUK, Creative Playground for Children in Gwanak).

Each of these spaces sought to take into consideration the cultural, historical and economic features of the respective

district, while also responding to the need to distribute genres for the balanced development of the arts and to respond

to the demand of citizens for cultural enjoyment. For example, in districts such as the Hongik University campus

neighborhood or the Mullae-dong area where artists are currently active, the spaces were prepared so that they can

function as support centers for the artistic activities in the area in question, while in the case of Geumcheon-gu, where

the industrial foundation is solid bu the cultural infrastructure is in shortage, the Seoul Art Space Geumcheon was

conceptualized as a space that will add art to the pre-exiting industries, there by not only responding to the need for

the vitalization of the local culture but also meeting the local economic demands. Seoul Art Space SINDANG was

formed as a craft workshop village with consideration given to the traditional open-air markets called the Joongang

market and Dongdaemun market which are the vincinity, while the Seoul Art Space HONGEUN was designed for the

stage arts focusing on dance and as an ecological creative space. Seoul Art Space SUNGBUK was conceptualizedas a

space for citizen’s won creativity, while Gwanak was designed as a creative space exclusively catering to children. These

spaces, while of course striving to attain specialization in terms of genre and characteristics, have also appropriately

distributed spaces for other genres as well 6). Meanwhile, we also plan to strengthen the project of building a network

that will integrate all of these spaces even while each of these spaces remains highly local and responsive to its

respective district within Seoul.

Secondly, we sought to overcome the drawbacks of pre-existing creative spaces and to better fostertheir

advantages. Pre-existing types of creative spaces can be broadly categorized as the following: individually operated

creative studios, residency program studios, and creative studios that utilized closed former school buildings. The Seoul

Art Spaces minimized the financial burden incurred when operating individual art studios and instead provide

conditions where it is possible to focus on creation. The Seoul Art Space YEONHIfor literature was built in the forest

within the heart of the city, and we are also preparing to open Seoul Art Space HONGEUN, where one can focus on the

stage arts such as dance (2010). Meanwhile,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residency programs exposed their

limitation in providing a stable creative space, the Seoul Art Space SINDANG was prepared to provide stable creative

spaces, while Seoul Art Space Geumcheon was designed as a space to invigorate international exchange. Also, in order

to resolve the limitations on economic activity which was the disadvantage of Art spaces that utilized closed former

school buildings, we are preparing a mutual Win-Win arrangement (through the conclusion of mutual MOUs, etc.)

whereby art and industry actively intersect in the locations including Seoul Art Space Geumcheon, Seoul Art Space

MULLAE and Seoul Art Space SINDANG. Of course, a single space cannot fulfill every one of these demands, but as

these numerous creative spaces each realize their respective advantages, we expect that we will find that means to

overcome the shortcomings of previous Art spaces.

Thirdly, we strive to encourage the active participation of artists in the formation of these Art spaces. We

actively collected basic advice regarding the design andconcepts of these built spaces as well as consultations

regarding the operation of the spaces from artists active in their fields and experts in various areas. Also when building

the interior and exterior of the spaces, we introduced various methods to solicit the participation of artists and art

groups, by conducting public projects, public charrettes, and installation art works by resident artists. This ensured that

the spaces actively reflected the case of the artists who are their initial users, thereby conferring them a sensibility that

is differentiated from other cultural facilities and turning the spaces themselves into works of art. This also reflected our

intention to provide the citizens who will use the creative spaces in the future with opportunities to appreciate culture.

Such methods also had the advantage of raising efficiency in terms of construction costs, and that we were able to

garner relatively good results in proportion to the amount of capital that was invested.

Fourthly, we upheld the principle that artists should actively participate in the administration of the spaces.

We openly solicited the participation of artists in various projects and supported their efforts or collaborated with

them, and we are opening doors to enable the participation of active artists in programs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se Art spaces. As an even more active method, we are seeking the participation of cultural, artistic and social

corporations in the operation of cafes or restaurants which are public spaces installed within the Art spaces.

Our fifth goal is to establish a new support system for the arts based upon the integration of these Art

spaces and the art support system of the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In the past, artists had to overcome

many challenges on their own in order to engage in their creative work. However, in order for a single artist to achieve

his or her growth, the support of many specialists in various fields is needed. Therefore, what we need is an integral

incubating7) system that encompasses the production,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of art based upon the concept of

supporting the entirety of the creative environment. More specifically, these efforts should include the formation of an

optimized specialized human resource pools (assistants, coaches, managers, choreographers, producers, curators, art

critics, designers, publicity marketers, art dealers) through the SWAPanalysis of artists, the support of creative spaces

(Seoul Art spaces), financial support (production costs for art works, living stipends, expenses for performances and

exhibitions, etc.) and others. Also in the method of selecting artists, we will need to employee diverse methods of

evaluation including interviews and demonstrations (showcases, etc.) in addition to previous assessment methods.

4. Introduction to Each of the Seoul Art Spaces

<Figure 1> Current status of Seoul Art Spaces as of 2009 *Grey letters indicate the scheduled results for 2010

7) France’s AMI(Aide aux Musiques Innovatrices), for example, is a social company that concentrates on fostering musicians which operates in 1 year 32 external specialist pools required for the supportive and collaborative work in order to foster 1 musician.

6) For example, in the case of Seoul Art Space SINDANG, we sought to achieve a synergy effect by combining 70% allocation to craft arts with 30% allocation to non-craft fields such as photography, illustrations, book art, and art planning.

Page 28: Seoul Art Space Geumcheonoffice.sfac.or.kr/UIPage/BizPublicationBook/Upload... · 주제발표 07_ 서울형 창작공간의 미션과 전략 15_ 뱅크아트1929에 관하여 21_

54

Seoul Art Space_Geumcheon

55

The basic direction for the project of creating the Seoul Art spaces is to be a program for fostering artists by

promoting artist incubation, exchanges of international residencies, and international interaction as with other artist

villages, and also to serve as a program for revitalizing local culture by operating creative workshops for local residents

and offering classes for experiencing culture and the arts. As a program for promoting cultural industries, we seek to

upgrade traditional industries through linkages between artistic activity and the industry in the vicinity, to promote

the project for merging art and technology, to develop the art market, and to build affiliation with shopping malls. All

three of these basic directions for the project applies fundamentally to all creative spaces but the details of application

differ for each space.

<Chart 1> Seoul Art spaces created in 2009

The following is an examination of the current status of the specialization of each space: first of all the

Namsan Arts Center located in Namsan (South mountain) is being operated as a space for leading the vitalization of

performance art of Seoul and for promoting the creativity of citizens through education and the arts. Namsan Arts

Center includes two institutions, one of which is the arts education hall, a specialized space for education in the culture

and arts where we conduct aesthetics experience education as part of the creative cultural arts education ‘Arts-Echo

Project.' The other institution is the production theater focused on outstanding modern plays from Korea and abroad.

The installed facilities include a seminar room, the experiential education room, the information archives

for arts education, the research hall for education and creative development, creative practice rooms, and a

performance venue that can seat 500 people.Major programs include (Teaching Artist) Arts-TREE, a course for the

reeducation of professional artists, the cultural mediator training course Arts-TREE for public officials, teachers and

welfare workers, Arts-TREE for the creativity of children, Arts-TREE for the creativity of adolescents, and content

development and research programs for cultural arts education. The theater programming for the year 2009 features

"Today, the Guest Arrives" as well as "The Dream of the Sea Turtle", "The Gentleman and the Rogue", "Gi-ha Jang and

the Faces: Performance Concert" and "The Older Brother of Unhyeun Place," etc.

Seoul Art Space SEOGYO located in the area of the Hongik University campus is housed in the remodeled

building of the former district office of Seogyo-dong. The Hongik University campus area is the epicenter of the indie

and alternative culture and the club going culture of Korea where around 500 indie bands, 20 cultural organizations,

and 10 festivals annually are active. Seoul Art Space SEOGYO supports cultural production and planning activities in

linkage with the cultural resources that are concentrated in front of Hongik University, and providing intends support

for the growthof emerging small groups, etc., offering creative and production spaces for cultural and artistic activists

and providing cultural presentation venues for performances, exhibitions, events, etc. It also operates various cultural

information guide services along with administering programs that encourage citizen participation. Currently the

media art production organization ‘AliceOn’, that indie band label ‘Cabaret Sound’, the public arts organization

‘Munhwaronolizzang’, the multicultural 'Salad TV', and the theater production group‘Directing Studio’ have taken up

residence and are active. The major programs in operation are our efforts to support various festival events in front of

the Hongik University such as the "Seoul Fringe Festival," the "Seoul New Media Festival," the "Korea Experimental Arts

Festival," the "Seoul Wow Book Festival,"etc., as well as the Rooftop Workshop Project, the Resident Music Salon, the

Hongik University Cultural contents market, Contents Market, and the Media Gallery.

In the Mullae-dong area, which is transformingitself from an ironworks factory zone to an arts village, we

are building we are building Seoul Art Space MULLAE to support the pre-existing arts village. Seoul Art Space MULLAE

which is scheduled to open inDecember of 2009 is equipped with facilities for creative work and presentation activities

including a shared workshop studio, a black box theater for multipurpose presentations, an exhibition hall, a recording

studio, seminar rooms, and a hostel for artists. Major programs are international exchanges with arts villages, joint

creative work, regularly scheduled forums in linkage with artists whose activities are centered in the Mullae arts village,

lectures, artist archives, citizen participation programs, etc.

In the case of Seoul Art Space YEONHI, this space was built as a nature friendly literature creation village

that brings into relief the beautiful scenery of independent houses that harmonize with the surrounding greenery of

nature. Seoul Art Space YEONHI supports the creative work of literary authors and will take on the role of a base for the

exchanges and collaborations between various genres. The facilities include independently structured writing rooms

where authors can immerse themselves in their creative work, writing rooms for foreign writers, literature media labs, a

playground for artists, seminar rooms, and outdoor performance venues. Major programs include international

exchange and visiting writer programs, resident writer publication commemoration events, literature lectures for

citizens, story factories for children, Consilience workshops, etc.

Seoul Art Space SINDANG is located in a market where people gather her to negotiate prices and to buy and

sell items. The Jungang market is also one of the 3 major traditional markets of Seoul. Seoul Art Space SINDANG is a

creative space built for the invigoration of the traditional markets and the development of the craft arts, and seeks to

take advantage of its location in the heart of downtown by installing as many creative spaces (currently 40 creative

rooms) as possible. Seoul Art Space SINDANG brings together not only craftsmen engaged with ceramics, fabrics,

metals, glasses, wood crafts, paper, lacquer crafts and cloisonne but also artists in non-craft areas such as

Name Current StatusOpening

(Scheduled)Original building

Characteristics

Namsan Arts Center

. Dimensions: one floor underground, two floors above ground. Location: 8-19 Yejang-dong, Jung-gu

June 2009 Drama Center

A s p e c i a l i ze d e d u ca t i o n a l institution for the cultural arts, production theater

Seoul Art Space SEOGYO

. Site area: 416.9㎡

. Floor area: 551.56㎡

. Dimensions: 1 floor underground, 2 floors above ground. . Location: 369-8 Seogyo-dong Mapo-gu

June 2009Seogyo-dong

administrative office

A service space that supports the production activities that links the cultural resources concentrated in the area in front of the Hongik University campus.

Seoul Art Space Geumcheon

. Site area: 2,358㎡

. Floor area: 3,070㎡

. Dimensions:1 floor underground, 3 floors above ground, warehouse . Location: 333-7 Doksan-dong, Geumcheon-gu

October 2009

Printing factoryInternational residencies studio, project studio

Seoul Art Space SINDANG

. Floor area130.9㎡

. Dimensions: 40 underground shops

. Location: 119 Hwanghak-dong, Jung-gu

October 2009

Jungang market, underground commercial

arcade

Creative craft workshops that can be leased for long-terms for low costs.

Seoul Art Space YEONHI

. Dimensions: 6,915㎡

. Floor area: 1,480.2㎡

. Dimensions: 1 floor underground, 1 floor above ground (buildings 1~4) outdoor walkways, outdoor decks. Location: 200-140 Yeonhui-dong, Seodaemun-gu

October 2009

The City Compliation

Committee of Seoul

A Pastoral creative writing literature village in the heart of the city.

Seoul Art Space MULLAE

. Site area: 1,017㎡

. Floor space: 2,820㎡

. Dimensions: 1 floor underground, 4 floors above ground (newly constructed) . Location: 29-1 Mullae-dong 1-ga, Yeongdeungpo-gu and 2 other lots

December 2009

Iron Works

A creative center that supports t h e j o i n t c r e a t i v e w o r k o f autogenous resident artists.

Page 29: Seoul Art Space Geumcheonoffice.sfac.or.kr/UIPage/BizPublicationBook/Upload... · 주제발표 07_ 서울형 창작공간의 미션과 전략 15_ 뱅크아트1929에 관하여 21_

56

Seoul Art Space_Geumcheon

57

printmaking, bookart, photography, illustration design, media video, public arts production, etc. thereby promoting

the diversification of arts programs. Major programs are the open studio festival, the public arts project "Revivifying the

market alleys," the traditional market DIY project, and the art market "general thrift shop".

Also, Seoul Art Space SUNGBUK which is scheduled to open in 2010 is a local cultural arts education space

oriented toward citizen creativity, and Seoul Art Space HONGEUN is a creative space for performance arts centered on

dance equipped with medium and large-scale black box theaters that is also a space that strives toward creating an

ecological local artistic community. The Gwanak Creative Playground for Children is being built in the southside of

Seoul where many residences are concentrated as a creative space exclusively devoted to children.

5. Seoul Art Space Geumcheon: An International Residency in the Art Factory Model Seoul Art Space Geumcheon is an international residency studion that combines the regional features of

the local area and global aesthetics and that seeks to fulfill the suggestions raised by artists in relation to the lives of

citizens.

Seoul Art Space Geumcheon is located in Geumcheo-gu, which is a semi-industrial area in the southwest

side of Seoul, and in the vicinity are the Seoul Gasan Digital Complex, a high-tech information technology complex, a

large-scale fashion outlet complex, and large home-shopping companies, making this a zone where traditional and

future-oriented industries commingle. Seoul Art Space Geumcheon reflects these local characteristics and strives to be

a factory for producing new artistic energy through the intersection of the arts and industry.

The features of Seoul Art Space Geumcheon can be categorized into three elements. The first is its character

as an incubating studio8) for young and creative artists. It is a base where international artists can come and active

engage in their work within Korea, and we seek to serve as a space that constructs a positive-feedback structure so

that their artistic activities can be linked to the market. We shall discover promising artists who can be fostered to

become globally renowned artists and promote their development by providing a creative work environment and

opportunities for exchanges with outstanding producers and curators from abroad.

Secondly, our objective is to become a residency that puts into practices both the values of art and the

values of society. Contemporary art tends to move beyond the bounds of the art world and expand into the society at

large, and hence we shall promote the experience of and communication with various fields including space studies,

urban aesthetics, community research, environmental aesthetics, ecological aesthetics, media aesthetics, cultural and

urban anthropology, etc., thereby preparing for the future. Research into the arts, criticism workshops, production

workshops, etc. will enable us to conceptualize artistic proposals.

Thirdly, we seek to achieve international productions that realize the creative ideas of artists. The

culturenomics policy of Seoul’s administration can be executed along the three axes of 1) the production of cultural

arts, 2) cultural industries and 3) the production of public art. These three axes shall be implemented with mutual and

organic relations. This signifies the development of Seoul productions and international productions that supports

artthat is not merely ego-centric but rather a public and socially oriented art related to our lives.

<Chart 2> Major facilities at the Seoul Art Space Geumcheon

It is not only important to define the nature of the space, but also that of the programs to be operated in it.

Among these considerations, the first is to prepare appropriate support programs for the artists who will be the main

protagonists of the operation of the space. This refers to comprehensive support programs such as artist incubating9)

that will encompass promotion for the production,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of art. This should not be limited to

direct support for the artist individual; it should rather be the means for laying the basis for the existence of artists by

creating anarena where artists may be active. Therefore the strategy for support should not be confined to providing

support funds as in the past, but should take the form of offering a variety of specialist human resource pools including

artist assistants, coaches, managers, choreographers, producers, curators, art critics, designers, etc.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artist and the group. It should also encompass a variety of support services such as the operation of

management programs and reviews of the processfor achieving objectives, practical support for portfolios, etc.,

promotion of networking, soliciting presentation spaces for works of art, support for international exchanges, and

provision of linkages to the art market. In the past, artists were compelled to seek to overcome their challenges (despite

the fact that they often could not be overcome) by relying on acquaintances. We shall also implement artist exchange

residency programs, by preparing responsible foundations for executing this goal through the conclusion of MOUs for

exchange with relevant foreign institutions.

Secondly, we will proceed with programs that seek to built cultural villages focused on creative spaces.

Creative spaces are the fountainhead for the cultural arts, and by differentiating themselves from other spaces, they

can serve as locations where artists and local residents can interact. In the creative spaces, it is important to encourage

artists to not only devote themselves to their creative art but also expose themselves to contacts between artists and

the citizens, thereby enabling these spaces to function as an "village meeting hall for culture" where the cultural arts

are produced and consumed together. In the past, many public arts projects10) sought to deeply penetrate the local

community and engage in creative activities based on the local society, but they could not help face obstacles. The

solution to such problems is to adopt the creative spaces as the basis for local creativity, and implementing in practice

continuous public programs for citizens and artists. The public artworks that are created as a result will become

cultural assets unique to the locality, valued and well-maintained by the local residents. Such programs include the

Name Current status Detail of facilities OpeningFormer

facilities

Seoul Art Space

Geumcheon

. Site area: 2,358㎡

. Floor area: 3,070㎡

. Dimensions: 1 floor

underground, 3 floors above

ground, warehouse. . Location: Doksan-dong,

Geumcheon-gu 333-7

22 studios, 1 common workspace, creative

equipment room, 1 performance rehearsal

room, 2 multipurpose spaces, 1 media lab, 5

hostels for ar tists, café-style kitchen,

administrative offices, etc.

‘09.10.7 . Printing factory

8) Resident artists at the Seoul Art Space Geumcheon: The first cohort of artists selected for residency at the Seoul Art Space Geumcheon includes 14 teams, with 9 individual artists and 5 group teams. All are emerging or more established artists noted for their unique work and variety of activities. In terms of genre, the 14 teams include 5 teams in the visual arts, 5 teams in the installation and video field, 1 team in the performance and experimental art field, 3 teams in the glocal aesthetics field. Also, there are the robotic technology engineers (Art Robot Project) who have taken up residence as part of the technology art plan and short-term foreign resident artists.

9) France’s AMI(Aide aux Musiques Innovatrices), operates 32 external specialist pools for the supportive and collaborative work required to foster 1 musician.10) Public Art : The recent trend toward public art is another instance of the transformation of art. These days, many artists and artistic groups have broken away from their isolated studios and entered the neighborhoods and are actively engaged in work for the local community. Although there have been some achievements, there are many remaining challenges. The original purpose of public art being the regeneration of cities, public art should not only focus on the improvement of urban scenery but must also contribute to the strengthening of the community of the residents who are the proprietors of the city. "City galleries" or "Art in the City"reflected an awareness of this purpose and hence emphasized local community, but their efforts fell short of the ideal. The reason for their failure is that they relied on event-oriented and short-term programs,and after the execution of the project, it was hard to locate artists or groups who remained and stayed active in the local community. When we examine the successful cases of public art that we sometimes witness, we can easily observe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rtists and the local residents persist. Therefore, in order to vitalize public art, what is needed above all are large numbers of public-oriented artists who engaged closely with the local area in practice, and this in turn requires an agitpunkt(location / space) where they have stable gatherings and are provided with the conditions needed for autonomous activity.

Page 30: Seoul Art Space Geumcheonoffice.sfac.or.kr/UIPage/BizPublicationBook/Upload... · 주제발표 07_ 서울형 창작공간의 미션과 전략 15_ 뱅크아트1929에 관하여 21_

58

Seoul Art Space_Geumcheon

59

Pechakucha Nigh Geumcheon, the operation of the local resident creative workshop (neighborhood workshop) and

the Seoul Prosumer Arts School.

Thirdly, we aim to implement mutually beneficial programs through the intersection of the arts and

industry. Many artists are facing difficulties because they fail to directly connect their artistic activity with the economic

structure. Meanwhile the world of industry is also lamenting the deficiency of creative contents11). Although this does

not necessarily need to be applied to all artists, at least for those artists who desire such programs, we need to establish

programs that offer linkage between the arts and industry. The meeting of craftsmen working with fabrics and metals

with representatives of the fashion industry, the upgrading of wholesale tableware merchants through collaboration

with ceramics artists, joint projects engaged by video media artists and IT companies, the operation of art markets

through the interaction of the arts village and shopping malls, the production of recycled artistic furniture through the

meetin goof environmental recycling artists and the recycling center, etc. are examples of practicable programs that

we should prioritize. At Seoul Art Space Geumcheon, we plan to implement an Art Robot project. The Art Robot Project

commemorates the conclusion of the mutual agreement between the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and the

Seoul Gasan Digital Complex Resident Companies Association by launching a project which brings together the

participation of the resident artists of the Seoul Art Space Geumcheon, robot technology engineers, and the

companies of the Gasan Digital IT complex and that proposes to enhance the brand image of the Seoul Art Space

Geumcheon as well as building the infrastructure for the international creative cluster in the Southwest zone of Seoul.

6. New Alternative Spaces for Artists, Citizens, and the City We have hitherto emphasized the autonomy of the creative studio of artists, which we consider the

incubator for creation. However, now creative spaces must not only function as a place for the production of artwork

by the artist, but also expand its functions to contribute to the strengthening of the community as well as serving as

the basis for igniting urban creativity. A city in which artists, who are the creative class, are happy is ipso facto a city

where citizens are happy, and thus it is that artists seek to realize in practice the ideal stated by Joseph Beusy that

"every person is an artist" and navigate the city dreaming of creating a space where, as Lefebvre has said, "the city is

the artwork."

※ This manuscript was composed by drawing upon the author’s own writings regarding creative spaces and the data provided by the Arts

Space Utilization FTF.

On BankART 1929

Osamu Ikeda, Director of BankART 1929

BankART 1929: Then and Now BankART 1929 is a Yokohama City project designed to revitalize the heart of the city by utilizing refurbished

historical city buildings for the development of contemporary culture and the arts. The Yokohama City Government

covers the utilities and provides rent-free use of the renovated properties that now form the two wings of BankART

1929. The central space, informally known as BankART, occupies the former Daiichi Bank building, while the other,

BankART Studio NYK, is housed in a defunct warehouse of the Japanese shipping company, Nippon Yusen Kaisha

(NYK). Together these spaces comprise 3,000 m2. The City of Yokohama also underwrites the approximate ¥65,000,000

(US$600,000) in annual expenditures for facility operations, janitorial services, security and staffing. BankART at least

matches this sum through its own revenues and co-administers the two spaces in conjunction with Yokohama City.

Between BankART’s two spaces there are ten permanent staff and approximately another ten people who serve as

interim and part-time staff. With the initial two-year experimental program now behind us, BankART has expanded

into full-scale projects. I would like to document what has been accomplished thus far and where BankART is headed.

The Concepts Behind BankART 1929 i. origin of the BankART name

Bank + ART. A neologism for a former bank building transformed for cultural and arts activities. 1929 refers

to the year in which the Daiichi Bank building was completed in Yokohama, as well as, the year in which New York’s

Museum of Modern Art was founded. The year 1929 is also symbolic in that it mark the year in which world panic

struck after the stock market crashed and the presence of art became all the more critical in these grim economic

times.

ii. new possibilities for public-private partnerships

Because BankART is a public institution in some measure, it strives to ensure access to all citizens. At the

same time, its for-profit sector allows it the independence to advance its own groundbreaking projects. In this way,

BankART seeks to establish a new model of public and private partnership. Most significant to this model is the active

exchange among members on our promotional board. Composed of independent advisors, the committee meets once

a month onsite at BankART. It also convenes periodically for more informal meetings at outside venues with

representatives both from BankART and the City of Yokohama.

iii. instrument for city building

BankART’s investment in culture and the arts is not intended as art for art’s sake, but rather culture and the

arts for the purpose of city building. It is, in other words, an instrument for city building. The City of Yokohama has

offered BankART the freedom to use this instrument well.

iv. high degree of freedom

BankART 1929 maintains independence within the private sector from its revenues drawn from the rental of

various arts spaces, tuition fees from BankART’s school, sales at its pub and caféand other ventures. Recently, we have

been actively engaged in coordination work as a for-profit enterprise outside of BankART.

11) <Cultural contents industry CEO survey>- there is a need for artistic human resources to engage in the production process : 94.1%- there is an urgent need for the participation of artists in order to improv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 84.1%

Youn-Hoan KimThe Head of Arts Space Utilization TFT,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2007/8 Senior Researcher, Arts and Urban Society Research Institute2008 Committee Member, Daegu City Cultural Creativity Generator Composition Promotion Committee 2008 Expert Advisor, Seoul Creative Spaces Formation Promotion Committee 2006 Executive Team Leader, National Open Studio Network

Page 31: Seoul Art Space Geumcheonoffice.sfac.or.kr/UIPage/BizPublicationBook/Upload... · 주제발표 07_ 서울형 창작공간의 미션과 전략 15_ 뱅크아트1929에 관하여 21_

60

Seoul Art Space_Geumcheon

61

v. work in progress

Our management decision to open the entire BankART space within 45 days meant that both its hard and

soft sides were still in process. Opening for business with few facilities in place, the pub, shop and school have

developed into smooth operations through the input of various individuals and specialists. It is common knowledge

that the human infant is born the most immature of all mammals, and indeed like an infant, BankART was born

immature and has been instilled with a diversity of knowledge and power along the way.

vi. catcher not the pitcher

While BankART naturally highlights its own projects, it is extremely important to BankART’s civic role to take

into account proposals from citizens, artists and others, and to the extent possible, assist in their coordination. No

proposal that is pitched to BankART is rejected outright and no proposal is returned, providing it is feasible. We

maintain an open-door policy and make sure that the exit door is a narrow one.

vii. flex space

Given that the historic Daiichi Bank building was not expressly designed for the arts, from the start the

BankART space had almost no capacity for events and exhibitions. We modified the structure by installing a reception

desk, a wall structure measuring 2.8 x 3.6 x .7 meters, theater lighting and a sound system, all of which are mobile, for

the various space requirements of art, dance and other forms of artistic expression.

viii. flex time

In practice, the BankART space is open round the clock year round. This flexibility allows for all-night events

as well as opens the space for commercial use, such as for magazine shoots, which helps to circumvent overlapping

with BankART’s normal hours of operation. Like the Japanese convenience store that utilizes expensive real estate in

the heart of the city for its vigorous business, BankART too has naturally evolved toward high-density usage of its

space.

BankART’s Business Framework Viewed from the outside, it might appear that BankART 1929 is a rather unconventional operation. But

given that it manages a reception desk, shop, pub, café artist studios, lifelong learning courses, and an event planning

and coordination business, essentially it is no different than the structure of existing cultural institutions. Why then has

BankART attracted so much attention from other cities and from abroad? What makes BankART unique?

BankART’s reception desk is one example. At BankART we recognize that the space we occupy is in an

historic building that offers a scenic view, making it a community asset for the citizens of Yokohama. Whether or not

public events are held here, the space remains open for those who come to take in the architecture or the view. In this

way, we are creating an environment that cultivates patrons from among ordinary people. Perhaps the most

significant part of this effort is the work of the reception staff engaged in sharing data about BankART’s visitors.

Through a steady process of soliciting e-mail addresses and feedback from each visitor to the space, such as contacts

whom might have introduced a new visitor to BankART, we have taken steps beyond fielding simple inquiries at the

desk. We continue to compile e-mail, home and business addresses into a database that has already approached

30,000 entries. In practice, it is difficult for an institution of BankART’s scale to run a reception desk like that of private

galleries, thus making it distinct.

The reception desk doubles as the BankART Shop, a bookstore specializing in arts related books. We

appointed a specialist in museum shop operations for our purchasing, and while we recognized that doing so meant

that we would operate without a profit, we have persevered as the scale of operations has gradually increased. We

currently stock some 3,000 items and sales to teachers, arts consultants, curators and other similar parties have

similarly increased. Indeed, while these examples of the desk and shop may seem insignificant, they characterize the

linkage between BankART’s pace of evolution and awareness of economic realities.

Opening for business on the same day as BankART’s grand opening, the BankART Pub operates until 11:00

PM year round. As an entré to events in progress, for studio artists or for before or after school lectures, as well as, for

ordinary people with little knowledge of the arts, the pub serves as a crossroad for all of BankART’s ventures. In the

BankART space, there is the café In the NYK space, the pub. The pub, like BankART’s reception desk, is a one-person

operation that doubles as the reception and information desk for the NYK space. The pub offers a menu of

unpretentious, moderately priced drinks in the ¥350 range. Monthly sales started at ¥450,000 (US$5000) and currently

are in the neighborhood of ¥1,000,000 (US$9000) per month.

The unique aspect of BankART’s school is not simply the course offerings so much as its status as an

accredited educational institution, albeit a small one. Eight units accumulated over a two-month period earn one

credit. Classes meet daily Monday thru Saturday in small groups of no more than twenty people. Featuring more

advanced classes at the lifelong learning and graduate levels, the school aspires to serve as a modern-day “temple

school,” or terakoya, a Buddhist educational facility popular in the Edo period (1603-1868) that encouraged high

standards and diverse learning. To date, BankART has offered 80 courses to over 1000 students taught by 241

instructors and guest lecturers. Collaboration among students and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is a vital dimension

of the program. In a seminar on art criticism, for example, students produce independent works of criticism, and in a

photography course, they hold a group exhibition. The classes foster teamwork, and even after these classes come to

an end, relationships and artistic exchange continue.

BankART’s content business is not limited to circulating catalogues for our exhibitions, but has extended

into other publishing activities. If there is an interesting proposal that falls outside our sponsored projects, as stated

before, we will endeavor to take it on. We are also active in digital production services. To date, we have completed

approximately fifteen discrete projects. Supported by Yokohama city employee volunteers, for instance, we held a

contest to name and design the label for a Yokohama brewery’s new wheat beer brewed from the legendary pure

water of the nearby mountain village of Dôhi in Yamanashi Prefecture that supplies Yokohama with much of its

drinking water.

In the BankART NYK space, there are nine 20-80 m2 studios that artists involved in our artist-in-studio

project can use in exchange for two months of course credit. The project invites artists to Yokohama who are willing to

participate actively in opening receptions and are available for open studio nights and similar events with the idea

that this interaction is nurturing. Because we can now guarantee accommodations, we have also initiated a resident

artists program.

Coordination projects represent BankART’s greatest asset. Through our space rental business, aid to the

press, feedback on publicity materials and input on potentially infeasible projects, we put forth our best efforts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events themselves. If the content of a proposal is solid, in many cases we offer to provide

funding and participate in the planning. Of the 1,000 or so coordination offers BankART receives annually, about one

third of them are brought to fruition.

BankART’s basic concept is simple—we seek to take Yokohama’s cultural assets and make them

contemporary. Our mission is to determine how best to tap and expand the existing potential of each asset, be it an

historic building, the city, local food, old photographs, or even butoh dancer Kazuo Ohno.

BankART 1929 and Total Openness Now I would like to touch on the concept “Openness = Sharing,” which underlies BankART’s distinctive

concepts and framework that I have just introduced. Borrowing a passage from Station and Trade (Eki to eki, 駅と易)

that documents the opening of BankART:

Page 32: Seoul Art Space Geumcheonoffice.sfac.or.kr/UIPage/BizPublicationBook/Upload... · 주제발표 07_ 서울형 창작공간의 미션과 전략 15_ 뱅크아트1929에 관하여 21_

62

Seoul Art Space_Geumcheon

63

I would like to think of BankART1929 as a train station. (In fact, both of BankART’s structures are

along the edge of and on the upper portion of Yokohama’s Bashamichi Station on the Minato Mirai

Subway Line.) I envision BankART as an open space for casually passing time as in a bustling European train

station: where people come and go; sip a cup of coffee or down a glass of beer; nap on a bench; where

people occasionally get into a fight; where they choose to perform music out in the open. Indeed,

Yokohama is still a city of commerce. It is a place of exchange where people come together, where artists

are nurtured, goods move in and out, information flows in and out and the economy is vigorous. I would

like to transform the economic structure of the city to enable both the doers and the supporters to make a

living, and I believe BankART is an experimental site where this can happen.

We would like BankART to be a thoroughly open space. Our objective is to figure out how to develop the

operating system of existing museums from the inside out by determining how this institution can be understood and

perform. In response to the exhibition “BankART Live: 24 Hours of Hospitality” that ran continuously for 50 days when

BankART partnered with the 2005 Yokohama Triennial, a museum curator sent the following message:

Promotional copy at the exhibition reading “Can you stay overnight in the exhibition space?”

noted that official Triennial volunteers and artists’ assistants could do so, and some actually did stay there

at night. Creating a space for relaxation conveyed a particular impression of the Triennial’s second

exhibition hall, indeed turning it into a relaxed (or perhaps I should say “laid-back”) space. In part, of course,

this can be attributed to the subject matter of the exhibition, but at the same time, doesn’t it also grow out

of the distinctive space of the meeting room within an NPO operation? Engagement with a subject matter

in a recreational space conveys an impression to the creators—be they architects, designers or artists

however different they are from one another— that tends to loosen the entire structure in which their

different elements mix. That is, myriad elements combine contributing to the attainment of relaxation.

Meanwhile, the question “Can you stay overnight in the exhibition space?” also realigns the

relationship between art and exhibitions. Because the radicalism seen here is the sort of activity that

BankART has engaged in from the beginning, I think it indicates the restiveness as well as the theoretical

possibilities of this organization. “BankART Life/Life in BankART” is another example of promotional copy

that frequently appeared in the exhibition. I believe this is a cumulative expression of the activities in this

space…Partnering with a big event like the Triennial, reworking it and adapting it to BankART’s concepts

and the globalizing of BankART’s activities themselves should emerge as something of great meaning.

Yusuke Minami

Senior Curator, The National Art Center, Tokyo

Regardless of the appropriateness of the word radicalism, it is clear that BankART pushes the boundaries of

a public institution by working toward being a fully open space.

BankART 1929’s Future Course BankART’s experimental projects have been assessed in a variety of ways and have evolved through the

stages as described below. During this evolutionary process, we have received guidance from an assessment panel

(advancement panel), submitted a three-year plan and have been approved for continuing operations. The following

three points outline the evolving goals of our experimental projects to date:

•Spreading awareness the pioneering existence of a creative community project.

•Building a network with other Japanese cities as well as a global one.

•Increasing fiscal independence.

Several projects already have come to fruition along this trajectory. The creators of the Kitanaka Project in

the Yokohama neighborhood of the same name, for example, have realized their plans for securing a site for the

project’s activities. Last year Mikangumi and other design groups primarily composed of architects, moved their

operations to the Honmachi Building across from BankART 1929. Planning has also begun for a project that is not

limited to a single building but one that connects buildings throughout an entire zone. Other projects also underway

include BankART’s involvement in the planning stages of “EIZON,” an imaging exhibition that connects the city to

historical structures and “BankART Sakura Villa,” an art and crime-prevention project in cooperation with local

residents, government, and police in a former red light district.

In addition, we have started to engage in working actively with other Japanese cities as well as in global

networking. Such networking projects include: “BankART Tsumari,” inaugurated to take advantage of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 environmental-related art festivals; lectures by the French architect Dominique Perrault and artist

Christian Boltanski; and participation in the San Jose (USA) global art and technology festival ZERO1 in collaboration

with the city of Yokohama and Tokyo National University of Fine Arts and Music.

Recently, the City of Yokohama has started to phase out its funding of BankART annually in 10% increments, and we

are seeking ways to make managerial adjustments to increase self-supported earnings while also expanding basic

programming and coordination projects outside of BankART.

Conclusion: From Top Down to Bottom Up I see BankART 1929 as a place of inexhaustible goodwill. From the budgetary and institutional perspectives,

I cannot say that on the subject of compensation, it is comparable with other public institutions. But our administrative

people are always hard working, our experimental projects enjoy great latitude, and overall, our work is quite thrilling.

Art played a leading role in the formation of the cities of New York and Berlin. Working in concert with their respective

private sectors, local and national governments, New York and Berlin increased cultural engagement in even their

roughest neighborhoods. But this approach cannot speak for contemporary Japan. We started with the assistance of

the Yokohama city government, partnered with the private sector, and then shifted control in that direction—we must

take this approach. The problem now is what comes next. Misunderstandings notwithstanding, because of the very

concept that is BankART, I believe that disengaging from the public sector is a critical step. Collaborative work with the

government will continue hereafter and it is evident that we are working toward maintaining substantial support. But

as BankART, it is important that we find the role that best fits BankART, cultivate this role and proceed to make

BankART financially viable.

A participant at a symposium addressing Japan’s shift toward a designated manager system in its public

institutions remarked, “Art museums created without requisite motivation will disappear from a lack of motivation.”

These words challenge BankART’s own existence. BankART 1929 has shifted into the second phase of its development.

Meanwhile, I have become rather deeply engaged the city, have thought about it, even had my own body somewhat

transformed by it, and also have steered clear of animosity, accumulated some experience in the city, and now am

moving toward total openness. Simply put, I desire that this work continue.

Osamu IkedaDirector of BankART1929 and HP Studio in Japan

Graduated in B Seminar School1986-1991 Director, Hill Side Gallery2006 Committee Member of Preservation and Application of Cultural Properties in Agency for Cultural Affairs

Page 33: Seoul Art Space Geumcheonoffice.sfac.or.kr/UIPage/BizPublicationBook/Upload... · 주제발표 07_ 서울형 창작공간의 미션과 전략 15_ 뱅크아트1929에 관하여 21_

64

Seoul Art Space_Geumcheon

65

A Tenant of Culture ; Administration of the International Residency (SMART Project Space) and Roles of Producers/Curators

Thomas Peutz, Director of SMART Project Space

Mission Artist driven and alternative, SMART Project Space endeavors to be the beating heart of the city of

Amsterdam, a place of stimulation, refreshment, and adventure which reaches out beyond the confines of its walls to

involve those in the City and far beyond. SMART Project Space is at the forefront of helping to introduce a new

generation to the excitement we all feel when great art makes an impact on our lives. It is our mission to support

extraordinary emerging talents in a new generation of creative artists and performers.

We commission, produce and present a multiplicity of exhibitions, film and (sound) performance events

which continue to push forward the boundaries of each art form, we encourage artists in new collaborations that

make SMART Project Space a thrilling place to experience art. We are prepared to experiment and take risks; our

diverse and young audience appreciates this and understands our mission.

About SMART Project Space SMART Project Space (SPS) was established in 1994 as a site for cross platform cultural practice. SPS

supports artists by providing contexts to define cultural production, while at the same time, stimulating new

relationships between artists and audiences. Housed in a former Pathological Anatomical Laboratory, SPS has

developed different platforms of artistic and cultural production and creative research – offers exhibition spaces,

cinema screens, auditorium for multidisciplinary performance programmes, 20 artists’ studios and a café/ restaurant –

SPS drawstogether a wide range of approaches from the most interesting emerging international artists.

SPS encourages practices that transcend reflexive observation by fostering creative experimentation,

questioning, and discovery in an active environment. SPS posits the political nature of artistic activity, and intends to

be an institution that is part laboratory, part community facility and part centre for academic inquiry. In this sense, SPS

challenges the established exhibition function of institutional contemporary art spaces. SPS is artist driven and

endeavours to embrace the spectrum of possibilities and to create a platform that is pivotal in asserting the role of

emergent artists within contemporary life.

Audience SPS has developed different elements of activity in order to generate a dynamic and broad audience by

merging exhibition spaces, cinemas, music, and a meeting place within a single facility. Importance is placed on

drawing together all sections of the artistic and local community.

The Building

Page 34: Seoul Art Space Geumcheonoffice.sfac.or.kr/UIPage/BizPublicationBook/Upload... · 주제발표 07_ 서울형 창작공간의 미션과 전략 15_ 뱅크아트1929에 관하여 21_

66

Seoul Art Space_Geumcheon

67

The venue by no means offers only a simple presentation of works. It’s a permanent workshop, a lively

urban space with real life events happening all the time. It’s a dynamic, complex and mutating system of creation and

exchange.

SPS purchased the former Pathological Anatomical Laboratory (circa1930) in 2006. Extensive renovations

were completed in 2008. Four levels are separated according to function: ten studios and a conference room upstairs;

700 m2 of exhibition space on the first floor, an Auditorium; a media studio, plus 2 cinemas; and café/restaurant

LAB111, which can be accessed through the main lobby.

Urban strategy SMART Project Space is situated in a location which will play a vital role in shaping the new cultural city

map in Amsterdam. Located close to the city centre, Old West of Amsterdam is a deprived area currently undergoing

urban regeneration. The new functionality of the building offers a sense of possibility, of civic improvement, a flagship

that is sympathetic and responsive aiming to redraw the established cultural map and expand the infrastructure of

visual arts within the city. By creating a new cultural platform, SMART Project Space will play a vital role within its

urban setting. It will endow the city with a high quality municipal service and a new public space for both the local and

international community.

Local Infrastructure As a publicly funded institution, SPS recognizes its responsibility to return something of its cultural capital

back to the community it serves. SPS carefully considers the cultural infrastructure of Amsterdam, as well as the unique

character of the city itself. The city has thepotential to be imbued with good cultural resources and copious art

experiences, and it has a sizeable audience waiting in the wings. With art academies such as Rijksakademie, Rietveld

Academy, and the Sandberg Institute, as well as a large student population from the Universiteit van Amsterdam and

the Vrije Universiteit, the city has a thriving young audience with enough time and curiosity to be involved in more

challenging programmes of activity that encourage fluidity, contradiction, remix, that delivers unpredictable results.

Additionally, an extensive expatriate and professionally mobile population is ardently on the look out for new places of

cultural interest to captivate their imaginations.

SPS seeks to provide an alternative to the existing institutional structures. Its location in the Old West district is home to

a culturally diverse neighbourhood and a significant and varied artistic community. SPS’s position as an international

platform for the visual arts is an important focus for the city of Amsterdam.

Programme The programme is conceived as a context specific programme evoking new forms of critical reflection on

the question of contemporary arts and its relationship with other platforms of cultural activity. To articulate this we

have decided to turn the venue into a laboratory for new interventions in order to provide a specific context and bring

people together in a cultural space. Our programme is dominated by its irresistible momentum, its invention, its

exploration in depth of various social, political and historical themes of major proportions.

Such a process certainly also brings art, theater, dance and music activities to confront each other and collaborate. The

merging of different disciplines is today inevitable; we are facing the challenge of reinventing new identities for

different practices. It’s through this negotiation that we can start imagining and defining new territories that bring us

on an excursion into expressionistic sonic and visual experimentation. Our ultimate intention is to create a venue

which functions as an on-going laboratory of reinvention, and a new context for art practice.

Exhibition Programme and Events SMART Project Space has attracted considerable critical acclaim and support which has raised the profile at

home and abroad. The exhibition space is the place where ideas develop about artworks and where momentary social

groupings occur. It is the moment in which an artwork enters into an immediate dialogue with its audience and public.

The artist is a tenant of culture, wherein artistic activity defines itself according to epochs and the social or political

context in which it is sited. An encounter between the audience and the artwork takes place in the exhibition space,

one which is perceptive, experimental and critical and at the same time is a reflection of human relations.

The 6 gallery spaces,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are left as open and flexible as possible in order to meet the needs of

the artist, facilitating the most dynamic presentation of artworks.

Film SMART Cinema presents a programme of Art House Cinema and experimental film and video. By

programming brief experimental films and video works before the feature films, and by linking the cinema

programme to the programming of the other visual arts activities on the levelof concept and/or content, the Art House

programmeis instrumental in introducing a larger audience to art-cinema and video art and in lowering the threshold

to the exhibitions and other events. The spaces double up as auditoriums for lectures, conferences and

multidisciplinary performances.

Studios The artist’s studio is the most critical area within the framework of SMART Project Space. It is often a domain

of privacy and a place of experiment and contemplation from where works originate. Through a close and dynamic

engagement with the artists and their work, SMART Project Space provides an essential support structure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SPS has at its disposal 20 studios as International Studio Programme. The International Studio

Programme provides foreign artists with a unique opportunity to live and work in Amsterdam.

Production support and Media Lab SMART Project Space’s most valuable service is the development, production and organization of major

new artworks and installations. Artists are advised in respect of their projects and assisted in establishing contacts with

suitable partners and sponsors. An essential role is played by patrons of SMART. A dedicated group of institutional,

corporate and private sponsors who support the realization of new work on a regular basis through the mobilization

of their shared networks, providing (technical) know-how, product sponsoring and financial support. Further support

is provided by the curators and programmers and the in-house production team who personally assist the artists in

conjunction with the SMART Media Lab that provides active technical support in post production. As part of the Media

Lab, SMART Project Space operates a dedicated streaming media server to support on-line projects requiring large

amounts of server space and/or high bandwidth streaming capabilities.

Conference space In addition to the exhibitions, the cinema and performance programs, a continual series of lectures and

artist presentations take place in the cinemas, auditoriums and auditorium. These aim to establish an engaging

dialogue with the public in order to emphasize the central role that the work and positioning of artists can play in

contemporary life.

Page 35: Seoul Art Space Geumcheonoffice.sfac.or.kr/UIPage/BizPublicationBook/Upload... · 주제발표 07_ 서울형 창작공간의 미션과 전략 15_ 뱅크아트1929에 관하여 21_

68

Seoul Art Space_Geumcheon

69

SMART books SMART Books is the reference library and publishing administrator of SMART Project Space. It collects books

and periodicals, keeps them available for reference by artists and art professionals, supports artists in the realization of

publications and stocks SMART Publications as well as all major international art magazines, catalogues and books on

young contemporary artists, art theory and criticism.

Media café/restaurant LAB111 Discussion usually happens beyond the confines of the studio, it often happens in the café or in the bar after

hours. SMART Project Space emphasises the importance of the meeting place where artists and the public intermingle

in a relaxed atmosphere and inspiring setting. DJ’s, VJ’s and performance events are programmed in the Café.

Each year an artist is commissioned by SPS to make a wall mural in the café/restaurant, changing the character and

atmosphere and keeping the fluidity and essence of the programme visible and alive .

International Artist Residencies in Hangar

Joana Cervia, International Exchange Programs Coordinator of Hangar

Introduction Hangar is an artist run production centre for research and production in visual arts founded in1997 by the

Association of Visual Artists of Catalunya (AAVC). Located in a converted factory of 1800m2 (soon to be amplified to

3000 m2) in the Poblenou district in Barcelona, Hangar supports creation and experimentationin the visual arts by

offering a series of specialised services. Constituted as a Private Foundation, the centre is funded principally by public

money and is run by and for artists according to public operational criteria.

Management and financial support The centre is financed mainly by the Catalan Government and the Barcelona City Council, with

contributions from the Spanish Ministry of Culture, AECID (the Spanish Agency for International Aid and

Development), the Barcelona Provincial Council, the Sabadell Bank Foundation. The management of the centre is in

the hands of the AAVC Foundation whose direction is elected by the General Assembly of the AAVC.

International Exchange Program The program seeks to promote artists’ mobility so that they may have the opportunity to develop their work

in research, creation and production areas in specialized production centres. Contact and interaction in a different

setting favours the artistic working process.Hangar’s grant programme is open to Spanish artists or artists residing in

Spain who would like to travel to centres abroad.

The residencies are classified into three different categories in accordance with profile, artistic practice and area of

work: 1. European mobility based residencies, 2. Production based residencies, 3. Research and artistic reflection based

residencies.

○ Example of Research and artistic reflection residency: Minja Gu and Sabi Yun (Hangar/Ssamzie space grant

residency 2008)

- They developed a workshop, One & Others

- Number of participants: 15 people

- Requirements: Digital camera or mobile phone with camera.

This workshop deals with "the gaze”, observing and being observed, the reaction and response that this generates, as

well as awareness of the gaze.

In the same way that we see and observe other people, we too are observed. Responding to the gaze of

others, we can show, conceal or change our own identity, as well as pretending or acting in order to seem different.

Sometimes, in order to display a specific personality, we pay great attention to behaving and acting in a certain way.

At the same time, we often respond to our own "internal eyes” with which we observe and control ourselves.

Individuals express their own identities within their own context and in relation to people and society.

○ Example of production residency of Mireia Sallarés (Hangar-FONCA/CENART, México 2006).

Thomas PeutzGeneral Director of SMART Project Space

Graduate in Art History and Classical Archaeology, Vrije University1994/5 Curator and director of Art Projects Europe, Amsterdam2005 Curator, International Exhibition of Contemporary Art

Page 36: Seoul Art Space Geumcheonoffice.sfac.or.kr/UIPage/BizPublicationBook/Upload... · 주제발표 07_ 서울형 창작공간의 미션과 전략 15_ 뱅크아트1929에 관하여 21_

70

Seoul Art Space_Geumcheon

71

She initiated the project in 2006 and it continued until this year 2009. During this time she has been working between

Mexico and Barcelona.

Las Muertes Chiquitas is a project in progress I began working on at the end of 2006 thanks to an artist-in-residence

programme at the CNA Multimedia Centre in Mexico City and Hangar. The central piece and main focus of the project

is a documentary film I am editing based on a compilation of conversations with women I filmed in various places in

Mexico (from the Distrito Federal to Ciudad Juárez). They talk about experiences with regard to two seemingly

opposing topics - the act of pleasure and the execution of violence.

In Mexico an orgasm is sometimes called La Muerte Chiquita, or Little Death.Using this as a starting point, the play on

words became the title of a project which talks not only about pleasure, but also about violence and death. They are

synchronised experiences of metaphor and the reality of death in daily life in contemporary Mexico.

The Programmes Committee (Jury) It's responsible for artistic management functions. This committee is made up of 5 Visual Arts experts who

are responsible for making decisions based on aesthetic criteria, such as selecting resident artists, pre-selecting artists

for an overseas grant or selecting projects. This Committee is renewed every 2 years.

Hangar's international grant program history List of partnership working between Hangar and with international institutions

Since 1998 (first international agreement with PS1 New York) Hangar has managed a program of international artist

residences exchanges.

First residency was with PS1 in New York (USA 1998) until 2005.

Hangar continued with its exchange program with Eyebeam in New York (USA) 2006 (only one year).

- La Friche Belle de Mai, Marsella (France 1999)

- Kaus Australis, Rotterdam (Netherlands 1999)

- Duende, Rotterdam ( Netherlands 2003)

- Fondazione Pistoletto, Biella (Italy 2000)

- FONCA/CENART, México DF (2004)

- (CALQ)/AxeNéo7, (Québec 2005)

- Contemporary Image Collective (CIC), El Cairo (Egipt 2008)

- El Basilisco, Buenos Aires (Argentina 2008)

- Ssamzie Space, Seoul (Korea 2008)

List of partners 2009

In 2009 there are 8 grant.

- Cittadellarte, Biella (Italy)

- Duende, Rotterdam(Netherlands)

- CIC, El Cairo (Egipt)

- Fonca-Cenart, México D.F. (México)

- GlogauAir, Berlin (Germany)

- Tokyo Wonder Site, Tokyo (Japan)

- MIS, Sao Paulo (Brazil)

- Artedos Gráfico, Bogotá (Colombia)

Rental studios Hangar has 15 studios to rent, users are artists beginning their professional careers, artists who periodically

need to develop a project and artist who are in Barcelona temporarily. To access the Studios:Studio rental for long-

term stays (up to 2 years): Hangar issues calls for applications, once a year. Studio rental for short-term stays (1 to 3

months): The application procedure is the same as the one for long-term stays. Hangar issues calls for applications,

once a year. The selection process is undertaken by:The selection process is undertaken by Hangar’s Programme

Committee.

Resident artists can use the following Hangar services at no extra cost: Medialab, self video editing (Mac

G-5), renting of set and multipurpose space, though not including video editing suite with technician. Logistic support

for carrying out and producing projects is also provided. Personal interview with Hangar’s Programme Committee held

every six months in order to renew rental contract). Studio dimensions: between 30 and 60 m2 Facilities: Work tables,

power point, sink, Internet connection, showers and heating Artists renting a studio on a long-stay basis can use the

Hangar services at no cost.

Facilities and services for artists Since 1997, Hangar has been working to offer all artists access to production resources and media, in

particular artists in the early stages of their careers. Another of Hangar’s main goals is to promote excellence in arts

production through the ongoing development of tools and services that improve production quality of arts projects.

Production Central Consulting services and information to artists in the early stages of their careers, and, on the other hand,

specialised production services for projects requiring holistic assessment.

These services include:- A permanent arts production consultancy office: budgeting models, budget optimisation,

sample projects, one-off queries, viability consultations, etc.- Overall project production: viability reports (prepared

jointly with the technical areas, which carry out the study), budgets, production co-ordination, etc.- Organisation of

production teams- Co-ordination to ensure integration of Hangar services: production, video, interaction lab, venues/

physical spaces, programming, etc.

Example of a production project made in Hangar, the collective chicks on speed.

The exploration of relationships between the body and technology, provoking, inciting or inspiring reflection

about these relationships through the creation of wearable works of art, design and performance.

Spaces - Studio space

100m2 grey-walled studio, 4.5m in height. Includes chromo-key backdrop, with two cycloramas (black and white) and

suitable linoleum floor. Lighting is artificial but space is isolated and quiet. The space is ‘T’-shaped thus providing two

areas on each side which can be used for constructing sets or for backstage purposes.

- Multi-purpose space

A 200 m2 white-walled naturally-lit space (can also be blacked out) divided by columns. The multi-purpose space is

equipped with a high-definition video and data projector, loudspeakers and a mixing desk.

Medialab

Page 37: Seoul Art Space Geumcheonoffice.sfac.or.kr/UIPage/BizPublicationBook/Upload... · 주제발표 07_ 서울형 창작공간의 미션과 전략 15_ 뱅크아트1929에 관하여 21_

72

Seoul Art Space_Geumcheon

73

- Digital image and photographic post production, online calibrated production image processing and post

production (scanning, on-screen display, rip and printing)

- General use of Computers (Internet, Printing, etc.), self editing video service

Self service editing video This service is aimed at people who are familiar with the software and hardware and are autonomous in

terms of editing, with the option of occasional advice and support.

Editing video service Hangar offers various video production services, including:

A set with a white cyclorama and green chroma key, quartz lighting kit and fluorescent lights with tripods and other

accessories - Hire of equipment for shoots: cameras, microphones, etc.

- Camera technician - Configuration of a production team suitable for the project (camera and sound technicians,

sound and photography design, production manager, etc.)

- Specialized editing suite with Apple Certified Pro

Electronic laboratory Through the Interactive Lab, Hangar can develop all kinds of hardware that may be required for arts

projects, such as developing internal electronics, programming and building prototypes. Some examples of

applications include: real time interaction, data processing and visualization, synchronisations, devices, automations,

remote controls, etc.

The Lab also develops a series of copyright-free tools, which are made available to all artists for use in any

projects that may require them.

Streamming service Hangar has been experimenting with free video distribution systems on the web. Thanks to this work,

Hangar currently boasts its own web streaming service, completely based on open source software. The system can be

used for live transmission and recording of events, concerts, talks, actions, performances, etc. Users can see the videos

embedded in any browser or download them.

Equipment for hire For shoots, assembling works, project production and documentation.

Training workshops for artists

- Open Source Software

Apart from the fact that Hangar’s IT infrastructure (office, web server, etc) is all based on open source software, our

commitment to open source is also reflected in some of the services available to artists:- Workshops- Permanent

Medialab where people can work using the Linux platform- Development of specific projects that use open source

software or hardware, such as web projects, applications, kiosks, data bases, etc. - A computer with Cinelerra installed

for video editing- Working groups- Project advice and support for GNU-Linux

Hangar organizes workshops dealing with particular tools or subjects based on the use of free software in creative

projects.

- Every Monday: Workgroup of streaming

- Every Thursday: Open workgroups with Arduino and Pure Data

Open studios Hangar is not a place for exhibition although twice a year on the occasion of open studios, residents artists

can show their work. This year 2009 starts a new activity Presentation of artist'works in differents art spaces in

Barcelona city.

Joana CerviaInternational Exchange Programs Coordinator of Hangar

Graduated in Geography, the University of Barcelona1998~ Working with Hangar

Page 38: Seoul Art Space Geumcheonoffice.sfac.or.kr/UIPage/BizPublicationBook/Upload... · 주제발표 07_ 서울형 창작공간의 미션과 전략 15_ 뱅크아트1929에 관하여 21_

74

Seoul Art Space_Geumcheon

75

Discussion

Chair:Gye-Hoon Ha - Professor, Dankook University

Do-Sam Na - Research Fellow, Seoul Development Institute

Min-Geun Oh - Secretary General, National Trust for Cultural Heritage

Jin-Suk Suh - Director, Gallery LOOP

Mi-Jin Kim - Artistic Director, Seoul Art Center

75

Page 39: Seoul Art Space Geumcheonoffice.sfac.or.kr/UIPage/BizPublicationBook/Upload... · 주제발표 07_ 서울형 창작공간의 미션과 전략 15_ 뱅크아트1929에 관하여 21_

76

Seoul Art Space_Geumcheon

77

Beyond the Factory into Space, Beyond the Region into the Center

Do-Sam Na, Research Fellow of Seoul Development Institute

1. Our Long-harbored Dream

The doors of the Art Factor are finally open. Our dreams are becoming true, one by one … the dreams that

we have long habored …

I would like to take this opportunity to express my deepest thanks. First of all, I’d like to thank the

administration of SeoulforpurchasingthefactoryanddesigningtheArtSpaceevenamiddifficulties. In September 2007,

when we first conceptualized this idea, we had many doubts whether it would be feasible, but bold investment

strategies and new changes in direction has allowed us to achieve our goals.

I would also like to thank the team that implemented the Arts Space Utilization TFT. I am infinitely grateful

to those of you who came to this unfamiliar site of public work and seamlessly applied the autonomous vision of

artists to the municipal administration and brought us to this day of completion. Without your devoted efforts, it

would have been difficult to achieve such success in the opening of our Art Space. It is because of you that it was

possible, and we still face many challenges that need your help. Therefore I emphasize thus my gratitude before

launching into our discussion.

The reason I thank you thus is because what I mentioned above has a deep relevance to the circumstances

of the Art Space that I will discuss in the following. How will we continue to realize in practice the dream that we have

fostered? What we have now is merely an unripe fruit. The tasks we face hereafter are daunting. Those around us will

press us for palpable “achievements,” while artists and the administration of Seoulwilleachmaketheirrespectivedeman

dsuponus.WhatstatusdoestheArtSpaceoccupy,andwhatrolemustitfulfill?Justaswenameanewborninfantandpredictitsf

uturefateonthedayofthe1year anniversary of the baby’s birth, we have the obligation to nurture and foster this

precious child that has been given us. How shall we direct this child’s growth … what must we give to the child and

how must we educate him … , what is it that we expect of him and how shall we help fulfill our expectations … the

road ahead is fraught with challenges.

2. Culturenomics and the Art Space

When we first dreamed of establishing this Art Space, we had many thoughts. Our first idea was that it

should be conceptually different from a residency. We were not overly interested in providing a creative space purely

for artists. We conceptualized the Art Space (Art Factory) under the rubric of “culturenomics,” and we implemented our

plans in accordance with that concept.

To put it succinctly, culturenomics refers to a “culture economy.” In other words, it signifies the

economization of culture, and though this may sound crude, our forefront concept was to “create a city that feeds itself

Page 40: Seoul Art Space Geumcheonoffice.sfac.or.kr/UIPage/BizPublicationBook/Upload... · 주제발표 07_ 서울형 창작공간의 미션과 전략 15_ 뱅크아트1929에 관하여 21_

78

Seoul Art Space_Geumcheon

79

through culture.” To achieve this, we considered two directions we should take. The first was to foster our

competitiveness in the cultural arts, and the other was to utilize the cultural arts as a resource for urban development.

In other words, the objective of our culturenomics project was as follows: while we generated the cultural market by

enhancing the competitiveness of our cultural arts, we would simultaneously utilize this to elevate the attractiveness of

our city in order to create a city that draws the attention of the world.

We examined the experiences of many other cities. We have seen cities that go as far as to provide

apartment residences for their artists, and we have seen cities that bring in globally renowned arts facilities to

establish landmarks. There were cities that designated a launching zone from which they developed a new arts district,

and there were cities that utilized traditional areas or historical places to develop a new arts & creativity network.

Throughout such experiences, we witnessed firsthand the importance of artists, the methods of regional development

and the brand image of a city, and it is upon this basis that we planned our policy consisting of 3 directions.

One of these is the Art Factory (Art Space). The Art Factory provides one basis from which the revitalization of a region

can occur. In the Art Space, artists merge with and converse with the region, accumulate new experiences, and build

up that region. We regarded these Art Factories as being upon a different dimension from the Residencies that we

experienced in the past, and we reasoned that Art Factories should serve strictly as community centers and a site for

building resonances between the arts and the region. Our goal in establishing the Art Factories was to circulate artists

and to promote the cultural and artistic development (educational as well as physical) of the respective region.

Unfortunately this vision was not shared. From the first, after we birthed this concept and went ahead and purchased

the facilities, we became entangled more in the development of the facilities with the result that the Art Factory

opened its doors before we had the chance to even establish basic plans. Differing ideas and differing dreams! I

observe a diversity of differing thoughts surrounding the Art Factory. These may be negotiable disagreements, or they

may represent conflicts that cannot overcome. However, if we regard this Art Factory not simply it is at the present but

as the launching board for transforming Seoul, we will need to continue to have abundant discussions and debates

about its concept and its function.

The second direction is the Art Factory’s role as a cultural oasis. “Cultural oasis” is one of the keywords the

constitutes the core of culturenomics and was originally a concept emphasized by Mr. Youn-Hoan Kim, the head of

Arts Space Utilization TFT during the squatting movement. I interpret the “oasis” as a concept that underscores

approachability to culture. An oasis creates in each base an opening for culture (or more accurately, art) to flow, so as

to create an environment where citizens can easily view and appreciate art. Performance and exhibitions that take

place today in SeoulPlaza,theNorthSeoulForestofDreams,theNeungdongForest,andinthecitizens’ park on the banks of

the River Han all were initiated as part of the oasis project.

The last area that composes culturenomics is the establishment of “Creative Zones.” There are artistic

resources dispersed throughout various locations in Seoul, including Mullae-dong, Daehak-ro (CollegeAvenue),

Samcheong-dong, Dapship-ri, theGarosu-gil (the“Tree-lined Avenue”) in Gangnam, Samgakji in Yongsan, and the

vicinity of the Seoul Arts Center in Seocho-gu. These areas each form clusters that constitute distinctive genres, and

provided a foothold for the development of our arts industry. What we have pursued, or more accurately what we

should pursue in the future (sinceweareonlyjustnowembarkingonthisproject) is to preserve these are as well so that

artistic clusters may take root, form zones, and create an environment and a launching point for the development of

the arts. Along with artistic support, the formation of creative cultural zones donot rely merely on support but have a

right to exist within the urban environment and will ultimately fulfill their role in transforming that area as part of the

brand image of Seoul.

Therefore, we urge the Art Factory to realize the dream that we have created. This dream of ours consists of

two parts. The first is about the environment in which art exists: we dream that artists may continue with new creative

work and dream of generating their own identities. The other is to provide a core launching base for transforming the

surrounding area. The Art Factory is not merely a residency. It is like a factory in that it infuses new life into a demised

subject by breathing in the life of art in to the desolate cityscape. A place where artists and the area residents meet and

foster a dream of creating a new type of art and developing the region! That is what a true art factory is.

3. Beyond the Factory into Space, Beyond the Region into the Center

This beginning chapter of the art factory takes places with our regretful reflection of the painful memory of

past failures with public art, when our inexperience with locally based artistic activity and the flawed result of leaving

artworks behind that did not merge the artist and the locality which ultimately induced vandalism. These indicate that

the model should be the systematic accumulation of experience and production activity, rather than one-time

consumption. Through this Art Space (factory) movement, we must build various experiences that will provide us with

new models and methodologies for transforming our city. We must demonstrate how well art can transform a region

and how well it can enhance Seoul. We do not have much time. On the one hand, we are charged with the desire for

regeneration, but on the other hand there is an equal demand for re-development. On the one hand there is an

overflow of demands for cultural spaces, but on the other hand the demands for more private spaces and commercial

development is also urgent. In this reality, where public-mindedness and selfishness commingle, we must seek the

solutions to the problems raised regarding culture, daily life and aesthetics, art, aura, and education.

Taking on this challenge is not easy when faced with the reality that clamors for palpable results.

Experiments are deferred, and it is probable that inertia will recur. However, guarding our dreams is ultimately the

mission of the Art Factory. The Art Factory will have significance when it transforms our city and our arts with new

experiments and creative items, and projects that draw the attention of the world. The Art Factory is not on the cusp of

its new beginning! Although the burden of fulfilling our dream is heavy, it is because of the possibilities that we

continue to dream of the Art Factory as a new type, and look forward to its continued expansion and development.

(September 30, 2009)

Page 41: Seoul Art Space Geumcheonoffice.sfac.or.kr/UIPage/BizPublicationBook/Upload... · 주제발표 07_ 서울형 창작공간의 미션과 전략 15_ 뱅크아트1929에 관하여 21_

80

Seoul Art Space_Geumcheon

81

Creative Spaces and Creative Cities

Min-Geun Oh12), Secretary General of the National Trust for Cultural Heritage

The Perception of Reality In 2004, I introduced Yokohama city's policy to promote Yokohama as the "City of the Creation of Cultural

Arts" to the journal "Cultural City and Cultural Welfare" which is published by the Korea Culture and Tourism Institute.

Unsurprisingly, this introduction did not elicit any responses at the time of its publication, and it was only when I

introduced the case of Yokohama city while I was active as an advisory member of the Landscape division of the Hub

City of Asian Culture in 2005 that I was able to draw more attention to this example.

At the time, the entire country was becoming swept up in the rush of development in response to the

projects promoting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and culturally-oriented cities, and this was also the period in

which the Korean media was in the first stage of giving coverage to foreign experts such as Charles Landry with his

argument for Creative Cities13) and Richard Floridawho discussed the concept of a Creative Class.

Yokohama, of course, had already begun interactingand networking with creative cities in Europe, and had come to

implement such interchanges as a municipal policy.

Also, even as soon as in the middle of the decade of the 2000s, Korea was entering an as yet immature stage

in this area, still harboring great interest in event-based projects such as the "European Capital of Culture," in which we

selected one cultural capital each year and concentrated support our on that city.

Gradually, as we reached the latter half of the year 2005, Korea began to initiate policy projects

implemented by central government departments such as the project to "Create a Desirable City for Living" led by the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currently the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the

project to "Create a Historical Cultural Village" implemented by the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currentl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and the project to "Create a Desirable Region to Live In" enacted by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currently the Ministry of Government Administration and Home

Affairs), the main contents of which focused on plans based on the participation of residents of the respective regions

and the collection of their opinions.

Here I'd like to introduce an episode that illustrates the reality that not only central governmental

departments but also the majority of experts and workers and activists who are within the field in question do not

have a sufficient awareness of the importance and relationship between culture (art) and space.

12) After serving in the Spatial Culture Department of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and as the expert advisor for the Regional Culture Department, I am currently working in the post of secretary for The National Trust for Cultural Heritage. After engaging for ten years in research related to scenery and regional revitalization, since 2006 when I joined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I began to devote myself more closely to the efforts to culturally transform our living spaces by drawing upon the history and culture of respective regions. In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I planned projects including the "Project to Build a Art Creation Belt Through the Reinvention of Industrial Heritages," the "Project to Support the Designation of Korea’s Regional Self-Government System as Part of the UNESCO Creative Cities Network," and the "cultural map" project. [email protected] 13) The term "creative city" that is currently widely employed in Korea is becoming even more indiscriminately applied without sufficient awareness of its significance after the Korean translation and publication of Professor Sasaki Masayuki’s book The Challenge to Build Creative Cities. A direct Korean translation of the term "creative city" places the emphasis on "creative," which reflects the understanding that the characteristics of all the cities hitherto recognized as creative cities have indeed all been "creative."

Page 42: Seoul Art Space Geumcheonoffice.sfac.or.kr/UIPage/BizPublicationBook/Upload... · 주제발표 07_ 서울형 창작공간의 미션과 전략 15_ 뱅크아트1929에 관하여 21_

82

Seoul Art Space_Geumcheon

83

At the time I was participating in the policy research project for the project to "Create a Desirable City for

Living" led by the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the research team were composed by separating the

project into 5 fields, such as the "The enterprise city, the agricultural regions, resident participation, culture & arts" etc,

and during the selection process for the members to be in charge of the "culture & arts" field, I found that I was the only

person who had raised my hand. This fact indicates that, despite the fact that the academic organization to which the

research team belonged had been active in the planning and design of spaces for around 60 years, the team had not

deeply engaged with ideas on what "people" should be deriving from living in these spaces that have been planned

and designed.

I experienced a great degree of surprise and perplexity at the time, but after the passage of 5 years, I am

now engaged in the process of revising the guidelines for planning and designing spaces, and I perceive a significant

heightening of awareness in the fact that we are seeking to reflect culture, history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within

theses spaces. This is a fortunate development that is a cause for great relief.

As I transferred to the regional culture department of the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in 2007, I planned

and progressed to implement the project to support the effort to designate Korea’s domestic regional self-government

system as part of the "UNESCO Creative Cities Network Program," in pursuit of the policy of promoting the development

of regional self-government on the national level.

At this juncture, we gave a project explanation briefing regarding the 13 regional self-government

administrations that we judged as possible candidates for applying to the UNESCO project within a short period, but

the main questions that were raised was about "what amount the government will offer as support, and whether it will

be possible to give 3 months of labor."At the time there were about 15 regional self-government administrations that

were using our slogans including the terminology "creation or the creative city,"but most of these were using such

terms to superficially spruceup contents such as tourism development. Even now, over 20 regional self-government

administrations boast slogans that include such terminology.

Also, in November of 2008, I visited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he "Creative City" hosted in Yokohama

to give a presentation regarding the progress made in Korea. This is when I examined the situation in Koganecho and

Kotobuki that were being referred to as case examples of "creative space" and learned about the status of progress in

Yokohama. Afterwards, in September of this year, Yokohama city again hosted an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he

"Creative City,"and I felt that the level of confidence was higher, with more discussions being conducted within the span

of the past year in the form of interactions with foreign countries, etc.

Meanwhile, many regional self-government administrations in Korea, beginning with Seoul, began to

produce policy projects that at least on the surface profess "culture" and "art," and in many locales projects were

implemented to convert industrial heritage sites into cultural spaces and to construct creative spaces and offer artist

residencies.

Economic recession, the change in climate, and Creative Spaces / Creative Cities The dark tunnel of economic recession thatbegan with the U.S. financial crisis in the autumn of 2008 has

shaken the entire world. Korea has been no exception, but various reports in the media claim that Korea is one of the

countries that are most rapidly recovering from the economic crisis. It isunknown when this tunnel of economic

recession will end, but it is worth considering whether at the end of this period the regional self-government

administrations will still exist in its status quo or in a more developed state.

We cannot respond successfully to the socio-economic changes that will occur in the wake of the economic

recession and the ensuing climate change with conventional and outmoded previous methods such as the promotion

of industrial complexes. We must desist insisting on uniform policies andthe kind of projects which pursues such

policies and stem inefficient expenditures of the budget, and must instead conceptualize policies and projects for each

region’s residents that befit the regional conditions and international changes.

What is most important is to discover and foster talented human resources that can take charge of such

work, and the best method for doing so is to for an environment that can elicit individual creativity through culture

and art. The one factor that is so important that it should be considered half of the challenge is to construct spatial

environments that can derive creativity. Such spaces should be provided not only in institutionalized educational

environments, but in the form of creative spaces or creative milieus interspersed throughout various locations in our

daily living spaces, so that people who are professionals or activists in cultural and artistic endeavors can freely

exchange ideas and network with ordinary individuals.

Just because we wish to be "geniuses", does that mean that it is truly possible to become geniuses by means

of establishing a five-year plan to do so? Perhaps people are misled by the word "city" that is included our objective "creative city," but the

unfortunate realityis that the majority of those engaged with regional self-government administrations or those in the

fields of culture, art and urban development, etc. who are interested in regional self-government seem to be under the

misguided impression that a "creative city" can be formed by simply implementing a policy byestablishing a objective

accomplishment date as is the practice for "urban planning" and by setting out goals for each subfield to be achieved

by the end of each year.

To cite an actual case, if we examine the results of the research commissioned by a certain regional self-

government administration for their "creative city"project, over 100 projects were indicated as being necessary to be

implemented in order to attain a "creative city." In other words, the authors of this research signified that if these 100 or

so projects were all executed by the objective year it would be possible to claim that a "creative city"has been

established, but is this truly possible?

In this vein, it is possible to state the following:

"Creative City" ≠Urban planning || "Creative City" ≠dministrative zones for regional self-government

"Creative City" = Creative spaces

+ [Creative human talent + ordinary individuals whose potential creativity has remained unexpressed]

+ [The design of creative institutions & creative administration or governance]

+

? (this remaining factor should be self-determined by each region according to their local circumstances)

Questions for BankART1929: to all the entities and individuals in Korea that wish to build creative spaces BankART1929 began on a scale by utilizing two modern era buildings for culture and art. In the 6 years

leading up to the present, we have also provided a space that performed an important role in establishing Yokohama

city as a city deserving the epithet "creative city."

Weare curious to know the process by which we formed relationships between the administration, citizens,

and the ArtNPO (civic organization related to the cultural arts) in order to attain such results. In particular, the

relationship with Yokohama city is a matter of curiosity, because in the case of our country, in cases where the

administration provides budgetary support, often the agents who operate the creative space often lose their

autonomy. Or else, they are run as if they were organizations that serve as spokespersons for the governmental

administration.

We would like to know if BankART1929 had faced such challenges and how they were overcome.

Secondly, I am curious to know how you are able to plan such a wide variety of programs. As far as I know,

Page 43: Seoul Art Space Geumcheonoffice.sfac.or.kr/UIPage/BizPublicationBook/Upload... · 주제발표 07_ 서울형 창작공간의 미션과 전략 15_ 뱅크아트1929에 관하여 21_

84

Seoul Art Space_Geumcheon

85

programs are run there year-round, and I would like to know how this variety of programming is determined in terms

of their objectives and motivations.

Thirdly, how is the space of BankART1929 utilized in cases where there is no set program?

It is my assumption that programs cannot be maintained for 365 days a year, and therefore I presume that there will

be periods when the said space is not occupied by programs.

And here’s my fourth question: if BankART1929 is to continuously fulfill its role as a "creative space," what

elements do you think will be required? Also, I would like to know what contributions such "cultural arts spaces" make

to the regeneration of urban environments.

Comments regarding the formation of Creative Spaces in Korea: focusing on the case of Seoul Art Space

Geumcheon Currently in Korea, under the aegis of Seoul Metropolitan City’s Art Factory Project, venues known as

"creation spaces" are being built, including Seoul Art Space Geumcheon as well as other creation arcades in Moonrae-

dong and Shindang-dong. It is apparent to everyone, of course, that "creation space" is not synonymous with "creative

space."

However, I hope that we are not misled to think that simply remodeling "creation spaces"and inputting

artists into such venues will be sufficient for culturally and artistically revitalizing that space and the region to which it

belongs. That is, I hope that such venues will not be limited in applicability to the assigned people (artists).

In order to enable this "creation space" to become a site where communication with the region can occur, I

encourage all to engage in thoughtful consideration of regional considerations, through both the programming and

the operations of the staff. The priority should not be on scouting external visitors, but on the laborers who work at the

factories that exist nearby.

It would be better to avoid the example of the "art creation space" that has been built in the vicinity of the

Chinatown district of Jung-gu, Incheon city, where the feelings inspired by the old russet bricks of the Korea Express

warehouse has utterly disappeared, replaced by the new creation space that is still made of red brick but exudes an

unfamiliar, brand new image. As demonstrated by the success cases abroad and by the case of Yokohama, I hope we

can create spaces that give respect to and take consideration of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respective regions.

Moreover, I hope we won’t have committed regrettable oversight of details that could have been avoided, such as in

the case of the glaringly shiny stainless steel facilities that jar with against the red brick buildings of Incheon city’s "art

creation factory."

It would behoove us to be aware that when the Sage Gateshead music venue was designed in Gatehead

city of England, where the population is 200,000, consideration was given to both the principles of universal design

and scenic design, and that in Yokohama City, the Creation Central District blends the ideals of both urban design and

public design.

As seen in the map below, visitors will either arrive in Doksan station and walk the way to Seoul Art Space

Geumcheon, or reach the Factory by another route by moving to the Siheung road to the right and boarding public

transportation means such as buses or taxis, and it is my hope that the regional self-government administration will

provide the expenses for the formation of spaces along that route based on the principles of "public design." There is a

need to install direction guide signboards that are safe, pleasing and easily noticeable without being egregious and to

design guardrails unique to Geumcheon-gu that will ensure that pedestrations may arrive safely.

If visitors are forced to stress about avoiding cars, or are so confused by the directions that they must be

constantly looking about or stopping to ask directions or referring to the map, by the time they arrive at the Art

Factory, they will have lost their enthusiasm to engage with "art" and will be resigned themselves to merely having a

momentary respite.

In the two satellite photos above (information searched from the DAUM portal), observe the atmosphere of the roads leading from

Doksan station and the Siheung road to the Seoul Art Space Geumcheon (area encircled on the map). It is apparent that even in this

area where there are a lot of factories, there is sufficient potential for forming a creative industry. In other words, if the creative industry

takes the form of a creative cluster, and if the Seoul Art Space Geumcheon fulfills its mission to become the launching point for cultural

arts creation in this region, it will establish itself as a creative space serving the local citizens in the nearby residential districts, in

linkage with the area’s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the Anyang-cheon. Moreover, it will provide the opportunity to build a positive

image of the region, and will lay the foundation for the revitalization of the region.

I hope that we will continue to pursue opportunities for engaging in continuous exchanges and networking

with organizations and case studies from both Korea and abroad, as we have done in today’s event. Through such

efforts, we will need to develop unique programs and seek improved ways to operate our spaces, and gradually build

up self-sustainability so that we may gain autonomy from the governmental administrations.

Words of thanks I would like to express my deep gratitude to the representatives of Seoul Art Space Geumcheon, who

allowed me this opportunity to take part in today’s discussion, despite our short period of acquaintance based on a

couple of public engagements. I have the strongest faith that the head of the factory, Mr. Gwang-Joon Lee, will lead the

Seoul Art Space Geumcheon so that the space will become renowned in both Korea and abroad as a notable creative

space with creative administration.

I would also like to thank Mr. Ikeda Osamu, who came to Korea despite his busy schedule to introduce his

experiences in operating BankART1929. Moreover, I would like to take this opportunity to thank him for willingly

taking on the translation of "Creative City Yokohama," which provides an overview of the policy project for "cultural

arts creation city Yokohama" that the city of Yokohama has hitherto implemented, despite having only met me a

Page 44: Seoul Art Space Geumcheonoffice.sfac.or.kr/UIPage/BizPublicationBook/Upload... · 주제발표 07_ 서울형 창작공간의 미션과 전략 15_ 뱅크아트1929에 관하여 21_

86

Seoul Art Space_Geumcheon

87

couple of times at public events after first exchanging greetings in the beginning of 2007, when I visited BankART1929

out of both personal academic interest and also in pursuit of planning the national policy as part of my work. Lastly,

also deeply thank Mr. Kuniyoshi Naoyuki,the executive urban designer for Yokohama city, for his assistance in this

regard.

References

Min-Geun Oh (2008), "The Creative Utilization of Culture: From Urban Regeneration to Creative Cities," A Quarterly Hwanghae Culture, Summer Issue.

Min-Geun Oh (2008), "Revitalization and Cultural Utilization of Closed Spaces Uncovered in Seoul," Cities, Culture and People, Issue No. 2, Seoul Culture Forum.

Charles Landry (2006), The Art of City Making, Earthscan, etc.

Discussion for the Presentation "A tenant of Culture; administration of the international residency (SMART Project Space) and roles of producers/curators"

Jin-Suk Suh, Director of the Alternative Space-LOOP and adjunct professor at Kyungwon University

The 21st Century and the Changing Structure of Contemporary Art In the field of contemporary art, the circulating structure of the creation-mediation-appreciation of visual

images has evolved beyond the mono-linear flow of the past, renewing itself with a variety of changes occurring in the

respective functions and fields.

In the field of creation, there is an active movement toward the deconstruction and fusion of genres, and

the gap between previously established artists and young up coming artists is becoming narrowed. The mediated

spaces have moved beyond the standard white cube, and have emerged out into the public arenas. In virtual space,

there are emerging new areas where creation and appreciation meet, and the social hierarchy between the

distribution points is also gradually breaking down. The phenomenon of popularization of the art market is

accelerating, and the distinction between specialists and non-specialists is becoming increasingly blurred. Art and

capital is forming a closer organic relationship than any time in the past, and several art galleries have broken out of

their local and regional limitations to develop into a more global corporate model.

Such dismantling of fields and the variegation of functions is all part of the social phenomenon of the 21st

century.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and the expansion of global capitalism is fundamentally restructuring

contemporary lives and cultures. The art industry is no exception, calling for new definitions and analysis of all of its

fields and structures. Are the identities of the artistic genres that we have defined I the past still valid today? How are

the meanings of creator, mediator and consumer of art changing? The new paradigm of the 21st century is bringing

about renewed changes in the purpose and function of contemporary art institutions such as creative spaces and

mediating spaces, giving rise to new demands.

The 21st Century and the New Creative Spaces Under the influence of the neo-liberalist wave of globalization since the 1980s, the sphere of contemporary

art has become unconditionally exposed to the liberal economic market of capitalism. We are well aware that this

market-oriented logic is one of the major reasons that the center of power of contemporary art has shifted from artists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to curators in the mid and late twentieth century and finally to collectors in the current

21st century.

The social culture of the 21st century is now encountering a new period of change. Amid this rapidly

accelerating flow of change, we must not merely diagnose the present but predict the next wave of the future and

present strategic directions for new art. Already, the socio-economics of the West has declared the downfall of the

liberal market logic of neo-liberalism. In its stead, the logic of the Keynesian school, which places emphasis on social

public values centered on the nation, is being presented as the new regime that will be the next leader of society and

Page 45: Seoul Art Space Geumcheonoffice.sfac.or.kr/UIPage/BizPublicationBook/Upload... · 주제발표 07_ 서울형 창작공간의 미션과 전략 15_ 뱅크아트1929에 관하여 21_

88

Seoul Art Space_Geumcheon

89

economics. Now government-lead cultural policies and support will become all the more important, and we are at a

juncture where social public welfare is being valued more in the cultural spheres. The opening of the new Seoul Art

Space Geumcheon may be very significant in this context.

Here, I would like to present some suggestions about the alternative spaces required by our current Asian

contemporary art sphere within the context of the structural changes taking place in 21st century contemporary art as

discussed above.

Suggestion 1 Spontaneity – Mediating spaces in the 21st century require spontaneity in administration,

planning and execution. The circulation speed of the structure of production,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has

become faster, and the rate of acceleration is increasing. The procedural work system employed by public institutions

of the past was conducive to achieving a high level of completion in projects, but in the contemporary artworld where

creativity is at a premium, such older institutions cannot help but fall behind other institutions in terms of trend-

leading power. Art galleries of the 21st century should make up for such deficiencies with spontaneous and flexible

execution of short-term and long-term projects in order to constantly maintain a vanguard position in the

contemporary art sphere. This will enable us to have more opportunities to generate new trends and present them to

the global art world.

Suggestion 2 Openness – Creative spaces in the 21st century require openness in its operations and its

planning systems. The past practice of proceeding with projects only through the internal systems of respective

institutions now present the high risk of becoming isolated from interaction with the unified global art market when

such interaction is required by the 21st century contemporary art sphere. We must broaden our inclusiveness by not

only relying on the operation and planning system internal to the creative studio but also forming organic external

collaborations. In other words, we can establish a wider variety of bases for communication through linkage with

artists and institutions from both Korea and abroad. This network-model system allows us to share the resources in the

fields of production,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facilitating our expansion into the wider art market and enabling

us to more effectively brand our creative spaces in the global art world.

Suggestion 3 Capacity for Fusion – Creative spaces of the 21st century need to expand beyond the function

of creation into the fields of distribution and marketing. By not limiting ourselves to the production of visual images

and broadening our function to encompass both creation and the market, we will be able to build a functional central

platform of the 21st century’s dream society that will be the generative force behind the society and economy. Also, we

must attempt to merge and expand genres by building a fused spaces that includes various genres such as music,

performance art, video, planar art and installation art. The cultural consumers of the present are becoming more

multi-sensory and synaesthetic, and more than ever before possess variegated and in-depth cultural values. Hence the

phenomenon of merging the genres is not merely driven by the intention of the producers, but is evolving in response

to thedemands of the receivers of the art. We also need to direct the new discourse through not only the combination

of artistic genres but also the organic collaboration with other fields such as the humanities and sciences. With multi-

faceted spaces and various programming, we will be able to move beyond the simple linear function of preexisting

creative spaces and evolve into the organic and complex artistic functional spacesthat are demanded by the 21st

century.

Parts of the above essay have been previously presented for the seminar at the Gyeonggi Creation Center.

Discussion for the Presentation on "International Artist residencies in Hangar"

Mi-Jin Kim, Artistic Director of the Exhibition at Seoul Arts Center

and professor in the Arts Graduate School of Hongik University

In this current era, the development of globalization and the information society has condensed the time

and distance in global culture and generating a unified community. In order to ensure the growth of culture, we are

implementing the shared practice of developing a global culture by vitally interacting with not only artists from within

one’s own country but around the world. In this vein, young and experimental artists have moved beyond large-scale

exhibitions into art creation space programs, where they embrace unfamiliar spaces and social environments,

mutually influencing each others’artistic work while broadening their own creative work, thus ultimately making

important contributions to the expansion of art and culture.

In Korea, private institutions such as Ssamziehave led the way in experimentation and originality in

programming and have had a large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the fine arts, and during the past few years, many

residency programs centered on national institutions have emerged in Goyang, Changdong, Nanji-do, etc., building

the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culture.

Young artists in Korea have become exposed to various opportunities for creation and communication,

from creative spaces for art to galleries with seminars and open studios which combine exhibitions and the

participation of critics that provide opportunities to contact the art market, as well as educational programs that

allow artists to interact with the regional society and the international society.In particular, beginning this year the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is conducting a research of the residency programs conducted by various

countries around the world, and based upon the analysis of the operations of other spaces over the past 10 years, they

have developed programs that bring into relief the features of the local space while supporting the creative work

spheres of artists as much as possible, initiating such programs at the Seogyo-dong administrative office, the Nam San

Drama Creative Center, Seoul Art Space Geumcheon, Seoul Art Space Mullae, etc. We look forward to seeing such

spaces constantly develop through niche-culture strategies that seek out and utilize local idle spaces.

After reading the Hangar presentation manuscript, I would like to first address some questions about areas

in which this case differs from Korea’s. First of all, Hangar, which has been established and operated by a private

foundation called the Catalunya Visual Arts Association, is receiving public support funds from various institutions

including the government, the municipal assembly, the Spanish cultural department, the international aid

development agency, the Barcelona regional council, and the Sibadel bank foundation, and I would like to ask

whether such support has proceeded smoothly and consistently each year. In the case of Korea, each year support

funds change depending on the scale of the budget and the level of comprehension of the administrative leaders

when public funds from the national government or local self-government entities are input into private foundations,

leading to many difficulties due to unpredictability and the complicated administrative procedures requiring many

documents in order to receive the funds. Especially in the artistic fields, even when the level of social contribution is

high, in reality is very difficult to receive the full funding budget. For example, in the case of Ssamzie, although it is

operated by a private company, I have been informed that its programs have been discontinued due to budgetary

Page 46: Seoul Art Space Geumcheonoffice.sfac.or.kr/UIPage/BizPublicationBook/Upload... · 주제발표 07_ 서울형 창작공간의 미션과 전략 15_ 뱅크아트1929에 관하여 21_

90

Seoul Art Space_Geumcheon

91

difficulties. Other than this, only spaces such as the Youngeun art gallery have received support, while it is still difficult

to expect budgets for other activities including the maintenance of space and the operation of various programs.

Also, it is stated that 5 visual arts members form a group to contribute to the aesthetics of arts

management, and I would like to know how these members are selected and whether their 2 year term is an

appropriate length of time. For example, the building of just one single superior feature such as the Munster sculpture

project can be regarded as the long-term outcome of the 30 years that Caspar Koenig served as the director. By

contrast, there are many cases such as in Korea, where every time a program is planned new consultants are

designated, and though this practice may be based upon the need for reflecting a variety of opinions and ensuring

fairness as well as responsibility, on the other hand the consultants may serve under conditions in which they have not

sufficiently grasped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in question or the intentions of the planning, making it

difficult to generate insightful planning or assessments.

In the case of international exchange programs, it was said that this was a way of providing opportunities

for developing specialized work through the transmigration of artists, which is a phenomenon that characterizes our

contemporary era. Due to the special circumstances of Europe, the concept of national borders is less prominent and it

is common to see individual subjects moving freely within the similar and shared cultural sphere of Europe. With such

migration, artists may devote themselves more intensely to the artist’s subjectivity, negotiating between the

recognition of cultural difference centered on nations with differing social, historical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awareness of the uniformity that arises out of the trans-border movements.

This signifies that globalism can develop into a higher level of aesthetic and intellectual art, but on the

other hand, it may also lead to a uniformity and conformity that is irrelevant to the environmental changes. I think

that it is for this reason that artists in Europe are taking a more aesthetic approach in the artistic vein rather than

focusing on works regarding national identity. However, in the case of short-term residencies, there is a possibility that

works will veer toward accepting the immediate environmental experiences of socio-political factors and focus on

such phenomenon, rather than engaging maturely with such complex cultures and generating essential

individualized work.

This problem touches upon a very complex field, and because it has to do with the phenomenon of our

current, post-modernizing era,it requires abundant discussion and debate. This is because large-scale exhibitions such

as biennales or international exhibitions that are in tandem with the globalizing process still prefer to cater to works

that strongly feature nationality, rather than works of an aesthetic dimension. In this respect, in the case of Hangar, I

think it is very appropriate that Hangar is specializing in terms of media by limiting its support to new media that uses

video and photography. Also, it has been said that in the case of young artists, they will be provided with continuous

services offering consulting offices and production machinery that allow them to continue their work, and I think this

will serve as a good example that illustrates a long-term vision for Korea, where we are still limited to providing studios

to artists.

As my last question, I would like to know the proportion of the artists who have passed through the Hangar

program that are now receiving long term consulting, and now that it has bee 10 or so years since your establishment,

what influence Hangar has on the art world and the local culture.

Currently, in the case of Korea, there is a lot of activity promoting programs for young artists, and globally various

residency programs have opened their doors, making it easier than every to gain international experience and entry

into the art world. On the other hand, as for artists who are more established, they lie beyond the scope of such

benefits, and are therefore very excluded and work under a difficult environment. We are at a point where there is an

urgent need to develop continuous programs that support not only young artists but also more established and senior

artists, thereby enrooting a strong foundation for cultural growth.

Page 47: Seoul Art Space Geumcheonoffice.sfac.or.kr/UIPage/BizPublicationBook/Upload... · 주제발표 07_ 서울형 창작공간의 미션과 전략 15_ 뱅크아트1929에 관하여 21_

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