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3
식품안전 이대로 좋은가? MSG의 오해와 진실 임종한 (인하의대 교수, 환경정의 다음지킴이본부장)

Msg의 위험성(임종한 2015)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Msg의 위험성(임종한 2015)

식품안전 이대로 좋은가?

MSG의 오해와 진실

임종한

(인하의대 교수, 환경정의 다음지킴이본부장)

Page 2: Msg의 위험성(임종한 2015)

현대사회와 식품의 안전성

• 현대의 식생활: 식품 자체가 복잡

• 식품을 통해 수많은 화학물질에 노출

: 살충제, 방부제, 표백제, 착색제, 방향제, 산화방지제,

소맥분 개향제, 접착제, 발색제, 팽창제, 양조제, 결착제

• 대량생산과 소비 사회

• 기업에 의해 식품이 유통 생산 , 소비자는 안전성에 대

한 정보를 모른 채 여러 유해물질에 노출

Page 3: Msg의 위험성(임종한 2015)

대사과정: 지방 친화성의 물질을 친수성 물질로 전환

생체이종화합물(Xenobiotic)

반응성 중간물질

결합체(Conjugate)

Phase I - Activation

Phase II - Conjugation

배설

지방친화성(non-polar)

친수성(polar)

대사의 부산물: 산화성손상을유발하는 라디컬 형성

대사중에 다량의 미네랄, 비타민, 효소의 사용

Page 4: Msg의 위험성(임종한 2015)

패스트 푸드는 신체 내 염증 반응을 유발한다

Page 5: Msg의 위험성(임종한 2015)

식품첨가물의 비밀

• 딸기향 우유에 딸기가 들어가는 줄 아십니까?

• 아닙니다. 식용 색소, 인공 착향료 때문입니다.

• 이유는요.....코를 막고 초코 우유나 딸기우유를드셔보세요...어떠세요...일반 우유보다 약간 단맛만 나지 그다지분간이 잘 안가시죠?바로 그겁니다.. 마시면서 향을 동시에 코로 들여 마시기때문에 그런 맛이 나는 겁니다...

우리 혀는 단맛, 쓴맛,짠맛,신맛,등등...그 이외에는 향으로맛을 느낍니다.

Page 6: Msg의 위험성(임종한 2015)

국민간식 라면

Page 7: Msg의 위험성(임종한 2015)

라면섭취량 세계 1위

한국은 섭취량 세계 1위 '라면대국'=국내 라면시장은 2013년 2조원을 돌파했다.

가격이 저렴한 식사대용 식품인 라면은 경기가 호황일 때보다 불황일때 더 잘 팔린다.

Page 8: Msg의 위험성(임종한 2015)

MSG• 음식을 맛있다고 느끼는 이유는 무엇일까? 짠맛, 신맛, 단맛, 쓴맛?

1908년 일본의 화학자 이케다 기쿠나에 박사는 음식의 맛은 ‘감칠맛’에

좌우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케다 박사는 국물을 내는데 주로 쓰이

는 다시마에 주목해 다시마의 맛을 재현하기 위해 노력했다. 그 결과 감

칠맛의 근원인 글루탐산을 추출해냈다. 이케다 박사가 발견한 감칠맛

성분은 일본의 아지노모토사(味の素社)에 의해 상품으로 개발돼 나온

다.

그 상품이 바로 세계 최초의 감칠맛 조미료 MSG(글루탐산나트륨)다.

• 감칠맛을 내기 위한 첨가물인 만큼 MSG는 식품에 존재하지 않던 맛을

내거나 있던 맛을 강하게 혹은 약하게 바꾸는 역할을 한다. 간단하게 얘

기하면, ‘모든 것을 맛있게 만드는 것’이다. 과자, 통조림, 음료수, 카라

멜 등 시중에 판매되는 가공식품 뿐만 아니라 켄터키 프라이드 치킨, 맥

도널드, 타코벨 등 패스트푸드, 대부분의 냉동식품 등 우리가 즐겨먹는

것에 대거 포진해있다.

Page 9: Msg의 위험성(임종한 2015)

정부 당국의 시각• 업계는 2000년대 이후 소득 증대와 함께 소비자들의 건강지향적인 의식이 강화됐는

데, 특히 자녀 건강을 매우 중요하게 여기면서 천연 식품을 선호하게 되고, 인공, 화학,

합성, 정제, 조미료, 첨가물 등과 관련된 식품은 그 유해성의 실제 여부와는 상관없이

모두 불량한 식품으로 인식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MSG 안전성과 관련해 1995년

FDA는 MSG에 대해 “현재 조미료로 사용하고 있는 수준에서 인체에 해를 준다는 증

거나 이유는 없다”고 밝혔다. 1987년 국제식품첨가물전문가위원회도 “MSG는 건강

에 해를 끼칠 가능성이 전혀 없다”고 발표했다.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FAO)와 세계

보건기구(WHO)도 1987년 MSG의 안전성에 대해 재검토한 결과 안전성에 아무런 문

제가 없다고 평가했다. 유럽의 EU식품과학위원회의 실험 동물을 대상으로 한 급성 및

만성 독성실험에서도 MSG로 인한 독성효과가 없음이 밝혀졌다.

• 식약처에서도 2010년 “MSG는 평생 섭취해도 안전하다”는 공식 입장을 발표했다. 일

일 섭취 허용량에 대해서도 별도로 제한을 두지 않았다. 이처럼 아직까지 MSG가 인

체에 해를 끼친다는 근거는 발견되지 않고 있다.

Page 10: Msg의 위험성(임종한 2015)
Page 11: Msg의 위험성(임종한 2015)
Page 12: Msg의 위험성(임종한 2015)

MSG의 유해성“ 미국 실험생물학 과학자연맹(Federation of American Societies

for Experimental Biology, FASEB) 는 식품 섭취를 통하지 않고

MSG 3 그램을 섭취한 몇몇 사람들에게서 일시적이고 경미한 증상을

경험하였다.

하지만 , 현재까지 , 어느 과학자도 MSG가 식품으로 제공되는

연구에서 이러한 일시적인 반응을 재현하지 못하였다. 가능한 증거에

근거하여, FDA는 MSG to be safe for use as 일반 국민에게서

정상적으로 소비되는 수준의 농도에서는 MSG는 안전하다고

평가한다.

미국 FDA 대변인 Marianna Naum 박사와의 인터뷰(2014).

Page 13: Msg의 위험성(임종한 2015)

음식섭 취없이 MSG 다량의 섭취가 MSG에 반응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에게서 속임약보다 더 증상을 유발할 순 있다. 하지만, 재조

사를 통하여 지속적이고 심각한 효과가 관찰되진 않았다.”

Geha, R. S. et al. Review of Alleged Reaction to Monosodium Glutamate and Outcomeof a Multicenter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Study. J. Nutr. 130, 1058S-1062S (2000).

MSG의 유해성

Page 14: Msg의 위험성(임종한 2015)

MSG의 독성 ?

• 그러나 너무 좋으면 뭔가 꺼림칙한 법. MSG에도 수많

은 문제가 도사리고 있다. 모든 맛을 ‘감칠맛’ 하나로 환

원시킨다는 문제는 약과다. MSG가 실질적으로 건강을

해치는 물질이라는 연구보고가 줄을 잇기 때문이다.

Page 15: Msg의 위험성(임종한 2015)

이중 맹검법을 통해 두통 및 근육통 유발

Page 16: Msg의 위험성(임종한 2015)
Page 17: Msg의 위험성(임종한 2015)

산화성 손상

• 산화성 손상(Oxidative stress) (Kemp et al.2008)

:산화환원반응의 순환의 붕괴 와 거대분자의손상과 관련된 산화촉진제와 항산화제간의불균형

• 항산화제 (Halliwell and Gutteridge, 2007)

: 산화물질과 비교하여 적은 농도로도산화반응을 억제하는 물질

Page 18: Msg의 위험성(임종한 2015)

산화성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

적응하기 실패

예) 향정신성 요소들, 신경재생, DNA 회복 등적응 반응

산화성 손상ROS/RNS

단백질, 지방, 그리고 DNA 산화

Organelle dysfunction

세포의자살

세포의괴사

칼슘조절장애

Page 19: Msg의 위험성(임종한 2015)

대사요소, 산화성 손상, 염증에 의한 인지기능의 조절

신경재생신경보호

접합부 가소성

좌식 생활당뇨, 비만,

고콜레스테롤

운동

적응하는 세포의스트레스 반응

BDNF

IGFs

HSPs

UCPs

MnSOD

HO-1

산화성 스트레스 염증

손상된 접합부 가소성손상된 신경재생

신경퇴행

인지 장애질환 진행

인지장애질환 진행

Adapted from: Stranahan and Mattson, 2011

칼로리 제한

경미한 산화성스트레스

PGC-1a

Page 20: Msg의 위험성(임종한 2015)

MSG와 가수분해식물단백질(HVP)는두통을 유발할 수 있다

• Monosodium glutamate (MSG), an established headache trigger, has become far more prevalent in canned, packaged and prepared foods over the past decade. The presence of MSG in food may be difficult to detect since the terms "natural flavor," "flavoring," or "hydrolyzed vegetable protein (HVP)," all may appear on food labels to refer to MSG, according to current FDA food labeling codes. HVP typically contains 10-30% MSG. Case studies are presented in which the elimination of all food sources of MSG resulted in decreased headache frequency. Information and food lists helpful in identifying dietary MSG and HVP are presented. When patients are put on an MSG-free trial diet, attention needs to be given to identification of the wide variety of foods containing MSG and HVP.

Scopp AL(1). Headache. 1991 Feb;31(2):107-10.

Page 21: Msg의 위험성(임종한 2015)

저자: 임 종 한 (인하대 직업환경의학과 교수)

Page 22: Msg의 위험성(임종한 2015)

목 차

화학물질 용어 사전

프로로그

Part 1. 무심코 먹인 음식이 아이를 병들게 한다

Part 2. 세상에서 가장 위험한 집

Part 3. 부모가 의사보다 똑똑하고 까다로워야 하는 이유

Part 4. 태아에서 유아기까지 아이의 인생이 걸려있다

에피로그

Page 23: Msg의 위험성(임종한 2015)

생활 속에 범람하는 독성물질

PGHPHMGMIT/CMITRadonDEPMSGGMO

▪▪▪

Page 24: Msg의 위험성(임종한 2015)

왜 어린이가 환경오염에 보다 취약한가?

• 첫째, 어린이들은 성장과 발달의 빠른 변화를겪으며, 어린이 몸은 아직 미성숙하다. 화학물질로부터 그들의 몸을 보호할해독시스템이 아직 발달하지 못하였다.

뇌와 다른 기관들은 지속적으로 발달중이어서, 손상에 특별히 민감한 시기를가진다.

• 둘째, 성인에 비해 체중에 비하여 보다 빠르게숨을 쉬고, 많이 먹고 마신다. 이것은 대기, 음식,물에 있는 화학물질에 더 많이노출되도록 한다.

Page 25: Msg의 위험성(임종한 2015)

• 셋째, 어린이들은 옥외에서 더 많이 지내고, 살충제나 중금속과 같은 화학물질이 많이존재하는 땅에서 논다. 또한 어린이들은 손과다른 물건들은 입에다 가져가서 화학물질의섭취가 가능하도록 한다.

• 임신부와 어린이들은 실내에서 사용되는화학물질, 예를 들면, 세척제, 페인트, 화장품등 다른 소비제품에 접촉하거나 흡입하게 될위험이 많다.

• 어린이들은 이러한 화학물질의 잠재적인위협을 인지하지 못하며, 유해한 폭로를피하지 못한다.

왜 어린이가 환경오염에 보다 취약한가?

Page 26: Msg의 위험성(임종한 2015)

• 어떤 화학물질이 어린이 건강에 위협을 주는지정확히 이해하기 위하여 보다 많은 연구가필요하다.

• 어떤 연구들은 태아와 어릴 때 발암물질에 노출이시작될 때, 암을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고보고한다.

• 어떤 화학물질은 유전적인 발현에 간섭하고, 내분비계를 방해해서, 중요 장기에 세포 발달을변화시키고, 아직 잘 이해되지 않는 기전을 통해태중에 그리고 생명 초기에 발달과정에 영향 을준다.

왜 어린이가 환경오염에 보다 취약한가?

Page 27: Msg의 위험성(임종한 2015)

환경영향으로 인한 어린이질환과 건강문제들

• -아토피질환

• -천식과 호흡기질환

• -저체중아, 미숙아 출산

• -암

• -내분비질환들

• -신경발달장애들

• -어린이 비만

• -손상

Page 28: Msg의 위험성(임종한 2015)

급증하는 어린이 천식, 아토피질환

• 국내 연구 자료를 통해서 본 국내 천식 유병률의 변화

• 국제역학조사(ISAAC)'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한바에 따르면 1995년도 초등학생 및 중학생의 천식유병률은 5 .7% 이었으나 , 2000년 조사에서는7.6%로 나타나 5년 사이에 30% 이상 증가

• 아토피 피부염 역시 1995년 조사 때는 초등학생의16.3%, 중학생의 7.3%로 나타난 데 반해 2000년조사 시에는 각각 24.9%와 12.8%로 증가한 소견을보이고 있다. 일부 지역에서는 4-6세 유아 에게서아토피 경험률이 40%까지 증가

대한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 한국 어린이-청소년의 알레르기 질환에 관한전국적 역학조사(1995년 및 2000년 설문조사)

Page 29: Msg의 위험성(임종한 2015)

6 yr

4 mo

15 yr

9 mo 13 mo

20 mo

아토피피부염 발생 연령

Page 30: Msg의 위험성(임종한 2015)

알레르기 질환의 발생순서(알레르기 행진)

식품알레르기(위장관)

0 1/2 1 3 7 15

아토피 피부염(습진)

천식비염

Year

Page 31: Msg의 위험성(임종한 2015)

J Clin Diagn Res. 2013 Dec;7(12):2683-5.

Page 32: Msg의 위험성(임종한 2015)

활성산소 지표

신체

방어기전

Page 33: Msg의 위험성(임종한 2015)

출생 시부터 건강이상을 보이는 어린이

• 73개 구군 중 100명 출산 중 저체중아,

미숙아를 모두 합하면 총 이상 태아 수는

100명중 6.8명 (최저: 5.6명, 최대 8.4명)이다.

• 100명에 1명에서3명이 발생하는

선천성기형아까지 고려하면 출생 당시부터

건강이상을 보이는 태아의 수는 점차 증가 추세.

• 이상 출산이 많은 지역은 10 명에 1명꼴로

저체중아 및 미숙아 등 의 이상 태아가 발생.

Page 34: Msg의 위험성(임종한 2015)
Page 35: Msg의 위험성(임종한 2015)

미숙아(Premature baby)

미숙아는 영아사망의 중요원인이며, 임신 중 약 4-9%에서 발생하고 있다.

Leem JH et al. EHP 2006: 114(6) ; 905-910

Page 36: Msg의 위험성(임종한 2015)

임신 중 산화성 손상 및 염증의 증가는자궁의 프로스타그란딘의 분비 증가를 가져와

미숙아의 증가를 가져다 줄 수 있다.

Page 37: Msg의 위험성(임종한 2015)

어린이 정신장애• 2005년에 서울대병원 소아정신과와 서울시는

초중고교 19개교를 무작위로 선정해 2672명을대상으로 역학조사를 한 결과는 958명(35.9%)이정신장애를 겪고 있으며 13.2%는 2가지 이상의정신장애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 가장 많은 정신장애는 높은 장소, 천둥, 어두움, 주사, 벌레, 개 등 특정 대상에 과도하게 반응하는특정공포증(15.57%)이었으며 이어 주의력 결핍과잉행동장애(ADHD·지나치게 부주의하고 학업에몰두하지 못하는 장애·13.25%), 적대적반항장애(어른에게 사사건건 반항하는 장애·11.34%), 틱장애(끊임없이 눈을 깜빡 거리거나 이상한 소리를계속 내는 장애·3.89%) 등의 순이었다.

• 국내에서 ADHD와 같은 질환은 혈중 납과의연관성이 보고되었다.

Page 38: Msg의 위험성(임종한 2015)

자폐증도 산화성 손상에 매우 취약

Page 39: Msg의 위험성(임종한 2015)

어린이 비만

• 전세계적으로 대유행하는 비만 . 미국에서는비만 유병률이 1980년 5%에서 1994년에11%로, 2000년에는 15.5%로 3배 증가

• 2002년 남자의 17.9%, 여자의 10.9%가 비만에해당하였다. 1979년 조사에서 남자 1.7%, 여자2.4%로 나타난 것과 비교하면 남자는 9배,여자는 4배 증가 한 것이다. 1990년대 이후청소년 비만이 급격하게 증가한 것으로 추정.

박영신 등. 23년간 서울지역 초중고등학생의

비만추이. 소아과 2004;47(3):247-257

Page 40: Msg의 위험성(임종한 2015)
Page 41: Msg의 위험성(임종한 2015)

MSG는 일상의 식품에서 발견되는 정도를약간 상회하는 수준에서도 식욕을 조절하는

뇌시상하부 손상을 통하여 비만을 가져다 줄 수 있다.

Page 42: Msg의 위험성(임종한 2015)

현실화하는 당뇨 위험

• 대한당뇨병학회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공동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2003년 국내당뇨병 환자수는 전 인구의 8.29%인 401만명에 달했다.

• 국내 당뇨병 환자는 매년 50만명씩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오는 2030년에는 전체인구의 14.37%인 720만명에 달할 것으로추산되고 있다.

Page 43: Msg의 위험성(임종한 2015)

인슐린신호 전달

• ↑ 혈당

• ↑ 혈관성질환

• ↑ 중성지방

염증산화성손상

인슐린 신호전달체계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

비만

환경호르몬 -BPA, 다이옥신,

PCBs, 일부 살충제

신체비활동

식품첨가물(MSG)

고혈당 탄수화물

대기오염

↓항산화제

↓오메가-3

과당

납, 기타중금속

일부살충제

스트레스포화지방

Page 44: Msg의 위험성(임종한 2015)

섬유근육통증후군 및 과민성대장증후군 환자도MSG –free diet 로 증상이 호전된다.

Page 45: Msg의 위험성(임종한 2015)

감미료 아스파탐과 MSG를 함께 사용하면당뇨가 악화된다

Page 46: Msg의 위험성(임종한 2015)

뇌는 산화손상에 매우 취약하다

• 혈류의 중단에 견디지 못함

• 신경재생과 신경교아세포 재생이 자극되긴 하지만, 신경의 재생은 제한적이다.

• 연계된 기능- 작은 결함이 큰 영향을 미친다.

• 나이에 매우 민감하다

• 칼슘에 의존하는 반응

• 다불포화지방(PUFAs)으로 구성

Page 47: Msg의 위험성(임종한 2015)

독성물질 노출산화성 손상

비만, 고혈압,심혈관질환, 당뇨

노인성치매,

파킨손질환저체중아

조기 생애 경험은 이후 성인, 노령기의건강, 질환발생에 영향을 미친다

노화는 수태된 순간부터 시작된다

Page 48: Msg의 위험성(임종한 2015)
Page 49: Msg의 위험성(임종한 2015)

식품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Page 50: Msg의 위험성(임종한 2015)

대안을 찾아서

-시민의 건강을 정책에 최우선에 두어야 함.

유해화학물질관리 강화

-소비자 중심의 안전관리 수준 제고

소비자의 알권리 보장

-과학적이고 선진화된 기준 규격 설정

안전성 증진을 위한 조사 연구사업 추진

식품의 안전관리 기반 추진

정부

Page 51: Msg의 위험성(임종한 2015)

MSG 안전 대책

• 사람을 대상으로 한 자료에선 MSG의 건강피해 자료를찾기 어려움. 하지만, 많은 수의 동물실험자료에서는MSG가 산화성 손상을 가져와 비만 , 당뇨 , 지방간 ,아토피질환 , 심지어는 신경퇴행성질환인 치매 발생가능성도 제기함.

• 동 물 실험 자 료 여 서 현 섭 취 수 준 에 서 사 람 들 에 게건강피해를 야기할 가능성은 상대적으로 낮지만, 민감집단인 경우 사람에게서 피해가 발생되어질 개연성은충분히 있음.

• 한국, 일본, 중국에서의 MSG에서의 소비량이 특별히많음. MSG는 사용량이 늘어나면, 유해한 영향이 증가될가능성이 높아 현재와 같이 아무런 관리가 없는 채로방치할 경우 , 시민들의 건강에 유해한 영향을 미칠가능성이 높음

Page 52: Msg의 위험성(임종한 2015)

• 사용량이 적은 나라에 비해 특히 세계에서 MSG사용량이 가장 많은 국내에선 이에 대한 대책이필요함.

• 산화성 손상에 대해 신체 방어기전이 약한 어린이와노인이 경우, MSG가 민감한 반응을 야기할 수 있음.

• 적은 량의 섭취로도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집단이있음으로 이들 민감 집단의 건강보호를 위해 MSG사용시는 반드시 표기를 해야 함.

MSG 안전 대책

Page 53: Msg의 위험성(임종한 2015)

시민들

• 인스턴트식품 제한Slow Food Movement

• 식품 안전 정보에 관심 : 유기농산품, 유기축산업,

GMO 식품, MSG 등 식품 첨가물 표시

생산지 정보

• MSG 표기 의무화 추진, 시민운동차원에서 MSG 식당

지역 네트워크 구축, 홍보 활동

• MSG-free diet를 통해 증상 호전 정보 SNS에 올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