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주차 생성문법 개관 -...

Preview:

Citation preview

[12주차 강의]� 생성문법 개관

<학습 목표>

1.� 문법 연구의 흐름을 이해한다.�

2.� 생성문법의 이론적 특징과 논의 배경을 이해한다.�

3.� 생성문법을 통한 한국어 통사론 연구의 의의와 한계를 이해한다.�

<학습 내용>

1.� 문법 연구의 세 가지 흐름

� � 1.1� 전통문법

� � 1.2� 기술문법

� � 1.3� 생성문법

2.� 생성문법의 특징과 배경

� � 2.1� 철학적 배경

� � 2.2� 플라톤의 문제와 오웰의 문제

� � 2.3� 보편문법 가설

3.� 생성문법을 통한 한국어 통사론 연구

� � 3.1� 생성문법의 얼개

� � 3.2� 한국어 생성문법 연구

� � 3.3� 생성문법을 넘어서

--------------------------------------------------------------------------------------------------------------------

1.� 문법 연구의 세 가지 흐름

(1)� 언어를 바라보는 시각의 변화

� � 가.� 흐름:� 전통문법 →�구조문법/기술문법 →�생성문법

� � 나.� ‘문법’

a.� 협의:� ‘통사론’이나 ‘통사론+형태론’

b.� 광의:� 언어학(언어이론)� 전체

� � 1.1� 전통문법

(2)� 전통문법(Traditional� Grammar,� 전통언어학)

� � 가.� 관련 용어:� 규범문법,� 처방문법,� 학교문법

� � 나.� ‘문법’의 위상:� 문법책 속에 존재하는 것.� 사람들에게 읽고 쓰는 법을 가르쳐 주기 위한 교

본에 들어가는 내용들.� 특히 문자언어의 사용에 초점.� 삶의 수단(취업을 위한 지식).� 아직

독자적인 학문의 대상으로 인식되지 않음.�

� � 다.� ‘문법’의 기술:� 문법가가,� 자신이 옳다고 믿는 해당 언어의 질서 일체를 기술하고 언중들로

하여금 그에 따를 것을 기대함.�

� � 라.� 대표 학자:� 예스페르센(Jespersen,� Otto.� 덴마크)

� � 1.2� 기술문법

(3)� 기술문법(Descriptive� Grammar,� 기술언어학)

� � 가.� 관련 용어:� 구조문법

� � 나.� ‘문법’의 위상:� 사회 속에 존재하는 것(사회적 존재,� 사회적 자산).� 문화와 마찬가지로 사람

이 그 사회에 속하여 자연스럽게 터득하게 되는 것.� 비로소 과학의 대상이 됨.�

� � 다.� ‘문법’의 기술:� 문법가 자신의 판단을 중지하고,� 한 언어에 대해 지극히 객관적인 분석만을

수행하여 얻은 결과물을 체계적으로 기술하고자 함.� 이러한 기술의 1차적 목적은,� 한 언

어의 생생한 실제 모습을 담아내는 데에 있지,� 그것을 곧장 문법 교육에 활용하고자 하는

것은 아님.�

� � 라.� 대표 학자:� 소쉬르(Saussure,� Ferdinand� de.� 스위스),� 블룸필드(Bloomfield,� Leonard.� 미국)

� � 1.3� 생성문법

(4)� 생성문법(Generative� Grammar,� 생성언어학)

� � 가.� 관련 용어:� 변형문법,� 변형생성문법,� 수리언어학

� � 나.� ‘문법’의 위상:� 뇌(머리)와 마음(정신)에 존재하는 것(생물학적,� 심리학적인 존재).� 몸의 시

각기관이나 순환계처럼 개개인의 몸에 존재하는 기관의 일종(언어기관,� language�

faculty).� 사람이 배워서 알게 되는 것이 아니라 유전자에 의해 태어날 때부터 가지고 있

는 것임.� 따라서 인간의 종적인 특성 가운데 하나.�

� � 다.� ‘문법’의 기술:� 이상적인 화자와 청자가 오로지 옳은 문장만을 말하고 들을 수 있는,� 그들

의 머릿속에 내재하는 언어지식 혹은 언어능력이 기술 대상임.� 이는 개개인이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직관’(intuition)이라는 형태로 발현됨.� 기술문법에서는 언어에 대한 분석에

그쳤지만,� 생성문법에서는 더 나아가 언어의 생성까지도 설명하고자 함.� 즉,� 단순한 문법

의 기술에 그치지 않고 옳은 문장은 왜 옳고,� 틀린 문장은 왜 틀린가에 대한 화자․청자의직관을 설명하고자 함.�

� � 라.� 대표 학자:� 촘스키(Chomsky,� Noam.� 미국 MIT)

2.� 생성문법의 특징과 배경

(5)� 논의 내용

� � 가.� 생성문법의 철학적 배경:� 이성주의 철학

� � 나.� 생성문법의 3대 물음:� 플라톤의 문제,� 오웰의 문제,� 데카르트의 문제

� � 다.� 생성문법의 핵심적 이론 체계:� 보편문법 가설(원리와 매개변수 이론)

� � 2.1� 철학적 배경

(6)� 철학의 2대 흐름

� � 가.� 경험주의 철학(경험론)

a.� 대표 학자:� 베이컨(Bacon,� Francis.� 영국)

b.� 핵심 내용:� 인간은 백지 상태에서 태어나 경험을 통해 지식을 습득하게 됨.�

� � ※<표준국어대사전>� 경험론:� 인식의 바탕이 경험에 있다고 보아,� 경험의 내용이 곧

인식의 내용이 된다는 이론.� 초경험적이며 이성적인 계기에 의

한 인식을 인정하지 않는다.� ≒경험주의.�

� � 나.� 이성주의 철학(이성론,� 합리주의 철학)

a.� 대표 학자:� 데카르트(Descartes,� René.� 프랑스)

b.� 핵심 내용:� 무엇을 인식한다고 하는 것은,� 경험에 의해서가 아니라 생득적인 이성에

의해서 이루어지 것임.� 이때 ‘이성’은 선천적 인식 능력임.�

� � ※<표준국어대사전>� 이성:� 칸트 철학에서,� 선천적 인식 능력인 이론 이성과 선천적

의지 능력인 실천 이성을 통틀어 이르는 말.� 좁은 의미로는 감

성,� 오성(悟性)과 구별되어 이데아에 관계하는 더 높은 사고 능

력을 말하기도 한다.�

(7)� 생성문법과 이성주의 철학

� � 가.� 이성주의 철학에서,� ‘이성’은 생득적인 것임

� � 나.� 생성문법에서,� ‘언어’(모국어)는 이성과 마찬가지로 생득적인 것임

(8)� 스키너에 대한 촘스키 비판

� � 가.� 스키너의 행동주의 심리학:� ‘자극-반응’에 입각한 학습

� � 나.� 이에 대한 촘스키의 비판:� 만일 스키너가 옳다면,� 인간은 피동적인 존재에 불과하여,� 결코

존엄성을 지닌다고 하기 어려움.� 이성주의 입장에 섰을 때 인

간의 존엄성을 생각할 수 있음.�

� � 2.2� 플라톤의 문제와 오웰의 문제

(9)� 촘스키가 생각하는 언어의 3대 난제

� � 가.� 플라톤의 문제:� 제1� 언어습득(모국어 습득)은 왜 그렇게 쉽게 이루어지는가?

� � 나.� 오웰의 문제:� 제2� 언어습득(외국어 학습)은 왜 그렇게 어려운가?�

� � 다.� 데카르트의 문제:� 언어는 왜 그렇게 창조적인가?�

(10)� 플라톤의 문제

� � 가.� 원래:� 우리는 그렇게 적은 정보를 통해서 어떻게 그렇게 많이 알게 되는가?�

� � 나.� 언어적 차원에서:� 어린 아이는 태어나서 그렇게 짧은 기간(만 4세)에 어떻게 그렇게 복잡

한 모국어를 배울 수가 있는가?�

(11)� 오웰의 문제

� � 가.� 원래:� 우리는 그렇게 많이 듣고도 어떻게 그렇게 적게 알게 되는가?�

� � 나.� 언어적 차원에서:� 어른들은 그렇게 많은 시간을 들임에도 불구하고 외국어 학습에서 그렇

게 더딘 모습을 보이는가?�

(12)� 플라톤의 문제와 오웰의 문제에 대한 동시 해결

� � 가.� 경험에 의한 언어 습득의 문제:� 만일 언어 학습이 경험에 의해 이루어진다면,� 어린 아이의

모국어 습득은 그렇게 빨리 이루어질 수 없으며(플라톤 문제의 미해결),� 성인의 외국어 학

습은 그렇게 더디어서는 안 된다(오웰의 문제)

� � 나.� 문제 해결의 방향:� 그렇게 짧은 기간 안에 모국어 습득이 가능하고,� 그렇게 오랜 시간이

흘러도 외국어 학습이 어려운 이유는,� 아마도 사람이 태어날 때부터 어떠한 언어능력을 내

재하고 있다고 가정해야 동시에 해결될 수 있어 보인다.�

☞�선천적인 언어능력에 대한 가정:� 생성문법의 ‘보편문법 가설’

///

� � 2.3� 보편문법 가설

(13)� 1차 언어습득(구어 차원)의 특성

� � 가.� 생후 4년 동안이라는 시간은,� 모국어의 여러 가지 복잡한 특성들을 모두 경험하기에는 너

무나도 짧다.�

� � 나.� 그 기간 동안 어린 아이는 오로지 주위 사람들(부모,� 가족 등)이 발화한 문장들만을 들을

뿐,� 체계적인 교육을 통해 모국어를 배우지 않는다.�

� � 다.� 어린 아이의 말 속에는 주위에서 배운 문장뿐만 아니라 배우지 않은 문장도 들어 있다.�

� � 라.� 어린 아이는 틀리기 쉬운 문장의 함정에 빠지지 않고 문법적인 문장을 훌륭히 구사한다.

(14)� ‘제1� 언어습득’과 ‘언어습득장치’(LAD)

� � 가.� ∴어린 아이가 태어난 뒤에 모국어를 배운다고 가정할 수 없다.�

� � 나.� 그렇다면,� 어린 아이는 이미 ‘모국어 지식’을 가지고 태어난다고 볼 수 있다.�

� � 다.� 그러나 만일 어린 아이가 ‘특정한 언어 지식’을 가지고 태어난다면,� 한국인은 세상 어디에

서 태어나도 한국어를 구사할 수 있어야 하는데 사실은 그렇지 않다(예컨대,� 미국에서 한

국인 부모가 나은 아이가 영어를 모국어로 가지게 되는 사실)�

� � 라.� ∴어린 아이가 가진 것은 어떠한 언어라도 배울 수 있는 능력,� 즉 범언어적인 언어습득장

치(Language� Aquisition� Device,� LAD)

� � 마.� 이러한 언어습득장치를 촘스키는 보편문법(Universal� Grammar,� UG)이라고 부른다.�

(15)� 생성문법의 보편문법 가설

� � 가.� 보편문법의 성격:� 인간이 부모로부터 유전자에 의해서 물려받아 태어날 때부터 가지게 되

는 종적인 특성

� � 나.� 보편문법의 구성:� 몇 개의 ‘원리’(Principle)� +� 원리가 허용하는 ‘매개변수’(Parameter)

� � � � ☞� ‘생성문법’(Generative� Grammar)을 ‘원리와 매개변수 문법’(Principle� &� Parameter)이

라고도 부르는 이유!

� � 다.� 핵심문법과 주변문법

a.� 보편문법(Universal� Grammar):� 어린 아이가 가지고 태어나는 ‘초기 상태의 문

법’(initial� state� Grammar)

� � � ☞� ‘원리’� 및 아직 고정되지 않은 ‘매개변수’로 구성됨

b.� 핵심문법(Core� Grammar):� 보편문법(초기 상태의 문법)이 초기 언어 자료(Primary�

Language� Data,� PLD)에 노출된 이후 그것의 원리들에 딸린 매개변수들이 특정한

값으로 고정된 ‘안정적 상태의 문법’(steady� state� Grammar).� 모든 언어들에 공통

된 것임.�

c.� 주변문법(Peripheral� Grammar):� 특정 언어의 특이한 문법.� 모든 언어들에 공통된

것이 아니며,� 따라서 보편문법의 연구 대상이 되지 못함.� (예:� 한국어의 높임법 등)

� � 라.� 보편문법과 핵심문법의 관계:� ‘핵심문법’은 ‘매개변수가 고정된 보편문법’이다.�

(16)� 보편문법 가설과 언어습득의 2가지 문제 해결

� � 가.� 플라톤의 문제(제1� 언어습득의 문제)� 해결:� 인간의 선천적인 언어습득장치(보편문법)로 인

해 만 4세에 모국어 습득이 가능해짐.� 모국어 습득이란,� 보편문법에서 매개변수의 값을 고

정하는 과정에 불과하므로 제한된 언어자료를 가지고 짧은 시간에 이루어질 수 있다.�

� � 나.� 오웰의 문제(제2� 언어습득,� 즉 ‘외국어 학습’의 문제)� 해결:� 모국어 습득 과정에서 보편문법

의 매개변수가 특정한 값으로 고정되어 버리면,� 그로 인해,� 매개변수가 다르게 고정된 언

어(즉,� 외국어)를 배우는 것이 근본적으로 어렵게 됨.� 즉,� 외국어 학습은 본질적으로 모국

어 학습의 수준에 이르지 못함.�

(17)� 생성문법에서 구별하는 2가지 언어

� � 가.� E-언어(External� Language):� 우리가 귀로 듣거나 눈으로 볼 수 있는,� 산출된 언어

☞�훔볼트의 ‘에르곤’이나 소쉬르의 ‘파롤’과 비슷함

� � 나.� I-언어(Internal� Language):� 산출된 언어(E-언어)를 가능하게 해 준 언어능력

☞�훔볼트의 ‘에네르게이아’나 소쉬르의 ‘랑그’와 비슷함

� � 다.� 생성문법의 연구 방법과 목표

a.� 우리가 직접 관찰할 수 있는 ‘E-언어’를 조사함으로써,�

b.� 궁극적으로 그 안에 내재해 있는 ‘I-언어’를 찾아내고자 함

� � 라.� 용어 및 개념 정리

I-언어 ≒�언어지식 ≒�보편문법 ≒�언어능력

(18)� 촘스키가 제시하는 문법 이론의 평가 척도

� � 가.� 관찰적 타당성(observational� adequacy)을 갖춘 문법 이론:� 논의의 대상이 되는 모든 문

장들을 남김없이 모두 올바르게 설명할 수 있는 문법 이론

� � 나.� 기술적 타당성(descriptive� adequacy)을 갖춘 문법 이론:� 한 언어의 모든 문장들을 남김

없이 모두 올바르게 설명할 수 있는 문법 이론.� 즉,� 한 언어의 모국어 화자가 가진 직관을

원리적으로 설명해 줄 수 있는 문법 이론.�

� � 다.� 설명적 타당성(explanatory� adequacy)을 갖춘 문법 이론:� 인간이 구사하는 모든 언어의

문장들을 남김없이 모두 올바르게 설명할 수 있는 문법 이론.� 즉,� 언어습득을 원리적으로

설명해 낼 수 있는 문법 이론

� � 라.� 촘스키가 추구하는 생성문법의 목표:� 기술적 타당성을 기본적으로 추구하면서도,� 궁극적으

로 설명적 타당성까지 지니는 문법 이론이 되고자 함

(19)� 보편문법의 원리들에 관한 생성문법의 이론들

� � 가.� 핵계층 이론(X-bar� Theory)

� � 나.� 의미역 이론(Theta� Theory)

� � 다.� 격 이론(Case� Theory)

� � 라.� 지배 이론(Government� Theory)

� � 마.� 한계 이론(Bounding� Theory)

� � 바.� 결속 이론(Binding� Theory)

� � 사.� 통제 이론(Control� Theory)

� � � � ☞� 생성문법에서는 이상의 7가지 이론을 통해 세상의 모든 언어를 다 설명할 수 있다고 봄

///

3.� 생성문법을 통한 한국어 통사론 연구

(20)� 생성문법 이론의 변천사

� � 가.� 초기 이론:� Chomsky(1957),� Syntactic� structures.�

☞� 심층구조와 표면구조,� 그 사이를 매개하는 변형규칙을 도입함

� � 나.� 표준 이론:� Chomsky(1965),� Aspects� of� the� theory� of� syntax.�

☞� 통사부 외에 의미부를 두어 문장의 의미해석 문제를 다루기 시작함

� � 다.� 지배결속이론:� Chomsky(1981),� Lectures� on� government� and� binding� theory.�

☞� 다양한 규칙들을 몇 가지 원리로 통합하여,� 원리와 매개변수 이론으로 정립함

� � 라.� 장벽이론:� Chomsky(1986),� Barriers.�

☞� 지배결속이론의 수정․보완� � 마.� 최소주의 이론:� Chomsky(1995),� The� minimalist� Program.� ~� 현재

☞�지배결속이론의 모든 원리들을 ‘경제성 원리’로 단일화

� � 3.1� 생성문법의 얼개

(21)� 언어기관

� � 가.� 언어기관 =� {인지체계,� 수행체계}

� � 나.� 인지체계 =� {어휘부,� 통사부(=연산체계)}

� � 다.� 통사부에 연결된 언어 부문들

※모형:� 어휘부(형태부)� →� 통사부 →�의미부

� � � � � � � � � � � � � � � � � � →� 음운부

a.� 어휘부(형태부)에서는,� 단어를 만든다.�

b.� 통사부에서는,� 어휘부로부터 단어를 수입하여 문장을 만든다.�

c.� 의미부에서는,� 통사부에서 만들어진 문장의 의미를 해석한다.�

d.� 음운부에서는,� 통사부에서 만들어진 문장의 발음을 담당한다.�

� � 라.� 통사부 =� {심층구조,� 표면구조}

※변형 규칙:� 심층구조와 표면구조를 매개함

¶문장 형성의 실례:� 수동문 ‘Bill� was� killed� Bill� by� Mary.’�

a.� 심층구조:� [e]� was� killed� [Bill]� by� Mary.�

☞� 변형규칙 적용:� 목적어 Bill이 주어 자리로 이동함 (이동규칙,� Move-α)

b.� 표면구조:� [Bill]i� was� killed� [t]i� by� Mary.

� � 3.2� 한국어 생성문법 연구

(22)� 본 강좌에서 다룬 연구 주제들

� � 가.� 최근의 한국어 문법 연구에서 생성문법은 기본적인 이론 틀로 작용함

� � 나.� 2주차 강의에서

a.� 주격조사가 명사(N0)가� 아닌 명사구(NP)에 결합한다고 보는 것:� ‘조사구’� 혹은 ‘후치

사구’� 논의

b.� 서술어를 동사가 아닌 동사 어간만으로 보는 것:� [� 그 아이가 빵을 먹V� ]VP

c.� 동사 어간에 결합하는 어미(선어말어미,� 어말어미)들을 통사부에서 모두 하나의 독립

된 핵들로 보는 것:� -었-(시제소 T),� -다(서법소 M�혹은 보문자 C)

d.� 문장의 구의 일종으로 파악하는 것:� S� =� MP(서법소구)� or� CP(보문자구)

� � 다.� 4주차 강의에서

a.� 문장성분 가운데 논항의 위상을 표시하는 격(Case)� 논의

b.� 문장성분 가운데 논항의 위상을 표시하는 의미역(Theta� role)� 논의

c.� 논항의 문법기능 변화 논의:� 예외적 격 표시 구문,� ‘쉽다’� 구문 등

� � 라.� 5주차 강의에서

a.� 피동접사의 서술어 자릿수 줄이기 및 논항 이동

b.� 사동접사의 서술어 자릿수 늘리기 및 논항 이동

� � 마.� 6주차 강의에서

a.� 목적어 있는 피동문

b.� 능격동사 구문

c.� 사동문의 통사 구조

d.� 한국어 문장 구조의 기하학:� 관할,� 성분통어

e.� 자동사문과 형용사문이 심층구조에서 보이는 유사성

� � 바.� 7주차 강의에서

a.� 부정소와 부정극성어의 호응 및 허가 논의

b.� 부정의 중의성 문제

� � 사.� 10주차 강의에서

a.� 주체높임의 호응 문제

b.� 객체높임의 호응 문제

� � 아.� 11주차 강의에서

a.� 내포문 형성 문제:� 내포화 변형(관형사절 형성 문제)

b.� 접속문 형성 문제:� 접속화 변형

(23)� 본 강좌에서 다루지 않은 연구 주제들

� � 가.� 다양한 문법 이론의 공통점과 차이점

a.� 생성문법

b.� 생성문법에 반기를 든 문법 이론들

1)어휘와 문법기능을 중시한 문법 이론들:� 격문법(Case� Grammar),� 관계문법

(Relational� Grammar),� 어휘기능문법(LFG)

2)변형 자체를 인정하지 않는 문법 이론:� 범주문법(Categorial� Grammar),� 일

반화구구조문법(GPSG),� 핵어중심구구조문법(HPSG)

3)기능문법(Functional� Grammar)

4)역할․지시문법(Role� and� Reference� Grammar,� RRG)� � 다.� 문장 구조의 특징

a.� 국어의 구 구조 설정:� 문장의 핵,� 굴절소 및 부정소 설정 여부,� 조사구 설정 여부

b.� 부정문에서의 단형과 장형 간의 동의성 여부

� � 라.� 명사구의 특징

a.� 격의 여러 문제:� 격의 종류,� 격 실현,� 격 할당/점검 기제,� 격 교체,� 격 중출 구문

b.� 조응사(anaphora)의 결속 현상과 무형대명사(PRO,� pro)� 설정 여부

c.� 의문사와 양화사 인상

d.� 논항 생략

e.� 어순재배치

� � 마.� 동사구의 특징

a.� 연속동사 구문

b.� 경동사 구문:� ‘하다’,� ‘되다’,� ‘이다’� 구문

ㄷ.� 보조동사 구문

� � 바.� 통사론과 형태론의 접점

a.� 통사적 접사 혹은 구적 접사를 비롯한 통사적 단어 설정의 문제 등

b.� 구적 관용어의 형성과 저장 문제

c.� 용언의 어근 분리 현상

d.� 조사와 이다의 선행 성분 문제

� � 사.� 자연언어처리(Natural� Language� Process)� 문제

� � 3.3� 생성문법을 넘어서

(24)� 한국어 통사론 연구의 반성

� � 가.� 촘스키가 생성문법을 제안할 수 있었던 배경:� 촘스키 등장 이전에 이미 영어에 대한 철저

한 기술이 이루어져 있었음

� � 나.� 생성문법을 통한 한국어 통사론 연구의 특징:� 한국어 문장 자체의 특성에 주목했다기보다

는,� 생성문법의 보편문법 이론이 한국어에도 적용 가능한가를 알아보고 싶은 욕망이 더욱

강했음

� � 다.� 생성문법을 위시한 서구 이론들은 끊임없이 바뀌어 왔으며,� 이에 따라 한국어 통사론 연구

도 다변화되어 왔음

� � 라.� 그러나 한국어 문장 자체의 특성에 관한 실증적․체계적․종합적 고찰이 상대적으로 매우 불

충분하게 이루어진 것이 사실임

(25)� 분석을 중심으로 한 한국어 통사론 연구의 필요성:� 해석문법 태동 배경

� � 가.� 생성문법:� 문장의 ‘분석’과 ‘산출’� 모두를 설명하고자 하는 문법 이론

� � 나.� 한국어 문장에 관한 연구 실태 및 수준:� 아직까지 한국어 문장에 관한 분석조차 제대로 이

루어지지 않았음

� � 다.� ∴우선 한국어 문장을 총체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문법 이론이 필요함

☞� ‘해석문법’� 등장의 이유 (다음 시간에 자세히 다룰 것임)

Recommen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