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태내기 태내발달과 태내환경 -...

Preview:

Citation preview

6.태내기: 태내발달과 태내환경

수정 태내기 발달단계 임신 개월별 발달 태아진단검사 태내 발달이상

태내발달에 영향을 주는 환경요인

수정

1. 난자와 정자 난자: 둥근 모양, 직경 0.14~0.2mm, 대략 72시간 생존 정자: 난자의 1/40크기. 약 48~72시간 생존

2. 수정란 (난자+정자): 23쌍의 46개 염색체를 지님 염색체: 태어날 아기의 모든 유전적 잠재성 결정 *일란성 쌍생아, 이란성 쌍생아란? 일란성 쌍생아 한 개의 정자가 한 개의 난자에 수정된 수정란이 발달 초기에 두 개의 배아로 분할되어 따로 성장 발육, 동일 유전인자, 태반 공유 이란성 쌍생아 동일 월경주기에 배란된 둘 이상의 난자에 하나씩의 정자가 수정되어 자라난 쌍생아

수정

3. 성의 결정 난자: X염색체 정자: X염색체 (여아): 머리가 크고 꼬리가 짧아 헤엄 속도는 느리나 수명이 조금 길다 : Y염색체 (남아): 머리부분의 크기가 작고 꼬리가 길어 빨리 움직이나 빨리 죽음 *수정 시 여아: 남아= 100 : 160정도이나 출생 시 100: 105가 됨 ( 이 의미는? )

태내기 발달단계 수정 후부터 출산까지 약38주 (34~40주 사이 출산)

제5장 태내발달과 태내환경

1 2 3

배종기

수정란이 자궁벽에

착상하는 기간

(약 2주)

배아기

수정란이 자궁벽에

착상한 후부터 8주

까지

태아기

8주 이후부터 출생

까지의 기간

태내발달의 단계

*수정란→ 급속한 세포분열→자궁착상(1-2주)

포배낭: 바깥부분(태반)

안쪽부분(태아 & 양막)

*사망률이 가장 높은 시기

1단계 2단계 3단계

태내기 발달단계 수정 후부터 출산까지 약38주 (34~40주 사이 출산)

제5장 태내발달과 태내환경

1 2 3

배종기

수정란이 자궁벽에

착상하는 2주까지

의 기간

태내발달의 단계

배종기

수정란이 자궁벽에

착상하는 기간

(약 2주)

1단계

그림 출처: 정옥분(2010). 영유아발달의 이해.

태내기 발달단계 수정 후부터 출산까지 약38주 (34~40주 사이 출산)

제5장 태내발달과 태내환경

1 2 3

배종기

수정란이 자궁벽에

착상하는 2주까지

의 기간

태내발달의 단계

*자궁외 임신 (난관, 난소, 자궁경부, 등에 착상)

배종기

수정란이 자궁벽에

착상하는 기간

(약 2주)

1단계

그림 출처: 정옥분(2010). 영유아발달의 이해.

태내기 발달단계 수정 후부터 출산까지 약38주 (34~40주 사이 출산)

제5장 태내발달과 태내환경

1 2

배종기

수정란이 자궁벽에

착상하는 2주까지

의 기간

배아기

수정란이 자궁벽에

착상한 후부터 8주

까지

태내발달의 단계

*인간의 성장과정 중 가장 빠른 시기

(신체의 모든 주요기관과 조직 형성)

*입덧 시작

1단계 2단계

태내기 발달단계 수정 후부터 출산까지 약38주 (34~40주 사이 출산)

제5장 태내발달과 태내환경

1 2 3

배종기

수정란이 자궁벽에

착상하는 2주까지

의 기간

배아기

수정란이 자궁벽에

착상한 후부터 8주

까지

태아기

8주 이후부터 출생

까지의 시기

태내발달의 단계

*인간으로서 필요한 체계와 기능 획득

*말엽에 운동(반사기능)발달

*모체의 감정과 관련성

1단계 2단계 3단계

태내발달의 단계 그림 출처: 정옥분(2010), p. 194

제5장 태내발달과 태내환경

태아진단 검사

기본검사

처음 임신 확인 시 소변검사와 혈액검사 실시

양수 검사

대상: 35세 이상인 산모, 자녀 중 염색체 이상이 있는 산모, 부모 중 염색체 이상이 있는 산모, 초음파 검사에 이상소견이 있는 산모 등

시기: 임신 14-18주에 실시

방법: 복부에 바늘 (양수천자) 삽입하여 양수 채취

진단: 염색체 결함, 선천 이상, 태아의 성숙도 등 태아 상태 진단

다운 증후군 진단 (99% 이상의 정확도)

위험성: 합병증 유발 가능성

융모막 채취법

시기: 양수검사보다 빠른 시기(임신 9-11주)의 염색체 이상 검사 대상: 결과를 빨리 알고자 하는 산모 (24시간 이내 결과 통보) 방법: 튜브를 자궁 속으로 삽입하거나 복부를 통해 주사바늘 삽입하여 융모돌기 채취 진단: 시클 셀 빈혈, 대사장애, 혈우병, 다운증후군(100%의 정확도) 위험성: 기형아 출산 가능성과 감염이나 출혈 (1%에 불과)

태아진단 검사

내시경을 이용한 태아기형 진단

시기: 임신 10-14주

방법: 복벽을 통해 바늘 내시경을 자궁에 넣어 태아의 외형 관찰 (전신마취)

용도: 육손, 언청이 등 기형여부 확인

초음파 검사

시기: 임신 11-13주 (기형진단을 위해서는 20-24주)에 실시

방법: 복부에 바늘 (양수천자) 삽입하여 양수 채취

용도: -정확한 임신 시기, 태아의 크기, 형태, 위치, 생존여부, 성장률 등 태아 상태 확인

-정밀 색도플러 초음파: 선천성 심장 질환, 콩팥이상, 이분척추, 언청이, 골격형성 부진 등

-융모막 채취법과 양수검사 시 부수적으로 사용

태내 발달이상

: 선천성 기형이나 장애를 가진 아기의 임신과 출산 증가

신생아의 약 3-5%가 기형 (Sheperd, 1986)

국내는 약 5-6%의 신생아가 기형

1) 선천적 이상

: 신체외형 및 장기의 기형뿐 아니라 체내대사장애와

자폐증, 뇌성마비 등의 정신 장애

: 원인-유전적 요인과 염색체 이상 등 (p. 175-176 참조)

2) 환경적 요인

원인: 태아감염, 태내환경과 영양 등

태내 발달이상

: 23쌍의 염색체 중 한 쌍이 성염색체이고 나머지 22쌍이 상염색체

1) 성염색체 이상

: XX 와 XY로 태어나는 것이 정상이나 성염색체 중 하나가 없거나 더 많은 경우

터너 증후군 (p.177)

X염색체가 하나 없는 45개의 염색체 (XO 염색체)

2) 상염색체 이상

다운증후군(몽고리즘)

47개의 염색체

(21번 염색체가 3개인 경우가 보편적) p. 179

태내발달에 영향을 주는 환경요인

제5장 태내발달과 태내환경

영양

약물복용

유산, 사산, 조산, 태아발달에 부정적 영향

임신 4~6주 치명적 (탈리도마이드, 합성여성호르몬제, 아스피린 반복복용, 피임약, 약물복용 아버지)

질병

연령 및 출산 횟수

음주

흡연

정서상태

기타요인

저체중아, 중추신경계 손상 초래 (출산전 2-4주가 가장 심각) 영아돌연사 가능성 증가

다운증후군(노산), 미숙아(어린 산모)

알코올 증후군 (임신 6-12주가 가장 위험)

풍진, 당뇨병, 매독, HIV

방사능, 수은, 납, Rh인자 불일치

스트레스

연령 및 출산 횟수

영양

약물복용

흡연

음주

질병

정서상태

기타요인

태내발달에 영향을 주는 환경요인<토론>

토론 주제:

“지금까지 태내환경에 대한 관심은 주로 여성의 음주, 흡연, 스트레스

등에 초점이 맞춰져 왔었다. 그렇다면 남성도 태내환경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가? 만일 그렇다면, 어떤 요인들이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인가?”

참고문헌

정옥분(2010). 영유아발달의 이해. 서울: 학지사

Recommen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