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국적기업론 -...

Preview:

Citation preview

다국적기업론6. 다국적기업의진입전략

다국적 기업론

• Global vs. Local.

• Global-Local 딜레마의 해결

• 진입 전략

• 진입 전략의 선택

• 정치적 위험

다국적 기업의 진입 전략

2

학습 내용

6. 다국적 기업의 진입 전략

전략의 지향성

1. Global vs. Local (1)

3

1.1 다국적 기업 전략 지향성

6. 다국적 기업의 진입 전략

다국적 기업의 전략: Global vs. Local.

• Four broad multinational strategies

Multidomestic (다국가적). Transnational (초국가적). International (국제적). Regional (지역적).

Bartlett and Ghoshal의 Matrix와 비교.

1. Global vs. Local (2)

4

1.2 다국적 기업의 전략 (1)

6. 다국적 기업의 진입 전략

Pressures for Global Integration and Local Responsiveness

1. Global vs. Local (3)

5

1.2 다국적 기업의 전략 (2)

6. 다국적 기업의 진입 전략

(1) Multidomestic strategy (a.k.a. Multilocal strategy)

• 지역적 대응을 강조. 예, 포장, 색상 등.

• 생산비 증가, 손실 만회를 위해 가격 인상 필요성.• 차별화 (Differentiation) 전략의 한 형태.• 대형 다국적 기업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님.

1. Global vs. Local (4)

6

1.2 다국적 기업의 전략 (3)

6. 다국적 기업의 진입 전략

(2) Transnational strategy

• 2가지 목표가 최우선. 입지 우위를 모색함. 세계적으로 사업을 영위함에 따른 경제적 효율성을 획득함.

• Location advantages (입지 우위): 가치 사슬 활동을 가장 잘, 저렴하게 할수 있는 곳으로 분산시킴.

• Global platform: 한 기업이 몇몇 가치 사슬 활동을 더 잘 수행할 수 있는 입지 (국가).

• Comparative advantage (비교 우위): 특정 국가가 다른 국가에 비하여 가지는 원가, 품질, 자원 상의 우위.

국내 기업들에게만 경쟁 우위를 부여하는 것이 아님 – 글로벌 플랫폼 제공.• 입지 우위는 가치 사슬의 모든 활동에 대해서 존재할 수 있음.

1. Global vs. Local (5)

7

1.2 다국적 기업의 전략 (4)

6. 다국적 기업의 진입 전략

(3) International strategy

• 글로벌 제품을 판매하며, 세계적으로 유사한 마케팅 수법을 활용함.

타협적 접근 – 예, 국내 생산 해외 마케팅. 제공되는 제품과 마케팅 전략을 제한적으로 조정함. 상위 활동과 지원 활동은 여전히 본국에 집중되어 있음.

1. Global vs. Local (6)

8

1.2 다국적 기업의 전략 (5)

6. 다국적 기업의 진입 전략

(4) Regional strategy:

원자재 구매, 생산, 마케팅, 지원 활동 등을 특정 지역 (Region)에서 수행함.

또 하나의 타협적 전략. 지역 네트워크로부터 경쟁적 우위를 획득하고자 하는 시도임. 지역에 적응함으로써 현지 적응 우위를 획득하고자 함.

1. Global vs. Local (7)

9

1.2 다국적 기업의 전략 (6)

6. 다국적 기업의 진입 전략

Content of the Four Basic Multinational Strategies

1. Global vs. Local (8)

10

1.2 다국적 기업의 전략 (7)

6. 다국적 기업의 진입 전략

Global-Local Dilemma

• 전략적 선택은 산업의 글로벌화 정도에 따름.

• Globalization drivers: 초국가적 혹은 국제적 전략을 유지하도록 만드는 산업의 조건.

• 동인의 4가지 범주: 시장, 원가, 정부 그리고 경쟁.

2. Global-Local 딜레마의 해결 (1)

11

2.1 Dilemma (1)

6. 다국적 기업의 진입 전략

The Balancing Act of Multinational Strategy Formulation

2. Global-Local 딜레마의 해결 (2)

12

2.1 Dilemma (2)

6. 다국적 기업의 진입 전략

(1) Global markets

• 공통적인 고객의 욕구가 있는가?• 글로벌 소비자가 있는가?• 동일한 마케팅을 이전할 수 있는가?

(2) Costs

• 세계적인 규모의 경제가 있는가?• 저렴한 원자재 공급원이 세계적으로 존재하는가?• 저렴한 양질의 노동자 공급원이 있는가?• 제품 개발 비용이 높은가?

2. Global-Local 딜레마의 해결 (3)

13

2.2 Globalization Drivers (1)

6. 다국적 기업의 진입 전략

(3) Governments

• 목표 국가가 우호적인 무역 정책을 견지하는가?• 목표 국가에 사업 활동을 제한하는 규제가 있는가?

(4) Competition

• 경쟁자들은 어떤 전략을 구사하는가?• 산업의 수출, 수입 규모는 어떠한가?

2. Global-Local 딜레마의 해결 (4)

14

2.2 Globalization Drivers (2)

6. 다국적 기업의 진입 전략

Competitive advantage in the value chain

• 가치 사슬 상의 경쟁 우위의 입지가 본원적 전략의 선택을 결정함.

• Upstream advantages: 저원가 혹은 고품질 디자인. Favor transnational strategy or an international strategy.

• Downstream advantages: 마케팅, 판매, 서비스. Favor multidomestic strategy.

• Mixed conditions 산업의 하위에 강점이 있고 글로벌화 동인이 강할 때. 산업의 상위에 강점이 있고 현지 적응 압력이 강할 때. Both favor regional strategies.

2. Global-Local 딜레마의 해결 (5)

15

2.3 가치 사슬 (1)

6. 다국적 기업의 진입 전략

Pressures for Globalization vs. Localization

2. Global-Local 딜레마의 해결 (6)

16

2.3 가치 사슬 (2)

6. 다국적 기업의 진입 전략

Which Way for the Global Company?

• Transnational strategy 선택:

세계적으로 활동을 분산시키는 이익이 복잡한 조직을 조정하는 비용을 상회할 때.

• International strategy 선택:

중앙 집중에 따른 원가 절감이 세계적인 입지로부터 얻을 수 있는 고품질의 원료와 근로자로 인한 저원가를 상회할 때.

2. Global-Local 딜레마의 해결 (7)

17

2.4 Transnational or International

6. 다국적 기업의 진입 전략

Participation strategies

• 개별 국제 시장에 진입하는 방식의 선택.

Exporting (수출). Licensing (라이선싱). Strategic alliances (전략적 제휴). Foreign direct investment (FDI = 해외 직접 투자).

3. 진입 전략 (1)

18

3.1 진입 전략

6. 다국적 기업의 진입 전략

Exporting

• 국제 시장에서 제품을 판매하는 가장 쉬운 방법.

• Passive exporter: 해외 주문을 국내 주문과 동일하게 취급, 수행하는 기업.

• 그에 비하여 별도의 수출 부서를 두고 광범위한 자원을 수출에 투입할 수도있음.

3. 진입 전략 (2)

19

3.2 수출 (1)

6. 다국적 기업의 진입 전략

Export strategies(1) Indirect exporting: 중간상이나 중개상을 활용.

• 가장 보편적인 중간상: Export Management Company (수출 관리(대행)회사), ExportTrading Company (무역회사(상사)). 제품, 국가, 지역에 특화. 기존 시장에 대한 접근성 제공. 해외 유통상들에 대한 네트워크 보유.

(2) Direct exporting: 해외 고객들과 직접 거래.• 좀 더 공격적인 수출 전략.• 해외 기업들과 더 많은 접촉을 필요로 함.• 해외 판매 대리점, 유통상, 소매상 등을 활용.• 해외에 지점을 필요로 할 수 있음.• 직접 수출의 채널들: 해외 대리점들은 본사의 판촉물과 견본을 사용함. 해외 유통상들은 제품을 재판매함. 해외의 소매상들이나 최종 소비처에 직접 판매.

3. 진입 전략 (3)

20

3.2 수출 (2)

6. 다국적 기업의 진입 전략

Licensing

• 국내의 Licenser와 해외의 Licensee 간 합의에 의한 계약.

• Licenser는 가치가 있는 특허, 노하우 혹은 상표를 소유하고 있음.

• 해외 Licensee는 그에 대한 사용료로써 로열티(Royalties) 를 지급.

Special licensing agreements

• International franchising (국제 프랜차이징): 프랜차이저가 사업 운영 전반에 대하여 사용을 허락함.

• Contract manufacturing (계약 생산): 해외 기업의 사양에 따라서 생산함.

• Turnkey contracting (턴키 계약): 다국적 기업이 프로젝트를 온전히 수행, 해외 발주자에게 양도.

3. 진입 전략 (4)

21

3.3 라이선싱 (1)

6. 다국적 기업의 진입 전략

Contents of a Licensing Agreement

3. 진입 전략 (5)

22

3.3 라이선싱 (2)

6. 다국적 기업의 진입 전략

Special licensing agreements

• International franchising (국제 프랜차이징): 프랜차이저가 사업 운영 전반에 대하여 사용을 허락함.

• Contract manufacturing (계약 생산): 해외 기업의 사양에 따라서 생산함.

• Turnkey contracting (턴키 계약): 다국적 기업이 프로젝트를 온전히 수행, 해외 발주자에게 양도.

3. 진입 전략 (6)

23

3.3 라이선싱 (3)

6. 다국적 기업의 진입 전략

International strategic alliances

• 사업 활동에 참여하기 위하여 상이한 국가의 기업들 간에 체결되는 협력 계약.

• 가치 사슬 상의 어떠한 활동도 포함될 수가 있음.

• 국제 전략적 제휴의 유형:

Equity International Joint Ventures (IJV=지분방식 국제 합작기업): 상이한국가의 2개 이상의 기업이 별도의 기업에 대한 지분을 보유함.

International Cooperative Alliance (국제 협력제휴): 상이한 국가의 기업들이 가치 사슬 중의 특정 활동에 대하여협력하기로 합의함.

3. 진입 전략 (7)

24

3.4 전략적 제휴

6. 다국적 기업의 진입 전략

Foreign Direct Investment (=FDI)

• 기업이 해외의 사업을 소유하고 직접 통제함.

국제화의 가장 높은 단계.

• Greenfield investments (신설 투자): 해외 비즈니스를 맨처음부터 (fromscratch) 시작함.

3. 진입 전략 (8)

25

3.5 해외 직접 투자

6. 다국적 기업의 진입 전략

Formulating Participation Strategy

• 몇 가지 이슈들을 고려하여야 함:

개별 참여 전략의 기본적인 기능. 기업의 전략적 의지. 어떻게 하면 기업의 다국적 전략을 가장 잘 뒷받침하게 되는지.

4. 진입 전략의 선택 (1)

26

4.1 진입 전략 선택

6. 다국적 기업의 진입 전략

수출 전략 선택

• 판매, 고객 신용, 제품의 매출을 통제할 필요가 있는가? If yes direct exporting

• 수출 활동을 관리할 자원이 있는가? If not indirect exporting

• 국제 판촉 활동을 계획하고 수행할 자원이 있는가? If not foreign intermediaries and indirect exporting

• 상당한 해외 출장, 판매 직원의 해외 파견 등을 지원할 자원이 있는가? If so direct exporting.

• 해외 고객이나 네트워크를 개발할 시간과 역량을 보유하고 있는가? If not foreign intermediaries or indirect exporting.

• 시간과 자원이 국내 사업에 영향을 줄 것인가? If not direct exporting.

4. 진입 전략의 선택 (2)

27

4.2 수출

6. 다국적 기업의 진입 전략

Licensing 선택

3가지 요소에 따름.• 제품의 특성. 오래된 제품이나 조만간 대체될 제품이 최적.

• 목표 시장의 특성. 현지국의 상황.

• 자사의 상황. 국제화 하기에 자원이 부족할 수도 있음.

라이선싱의 단점.• 통제를 포기함.• 새로운 경쟁자를 양성하게 될 수도 있음.• 낮은 수익.• 기회 비용 (다른 진입 전략에 장벽이 됨).

4. 진입 전략의 선택 (3)

28

4.3 라이선싱

6. 다국적 기업의 진입 전략

전략적 제휴 동기

• 파트너의 시장 지식.• 정부의 요구 사항.• 위험의 공유.• 기술의 공유.• 규모의 경제.• 저렴한 비용의 원료와 근로자.

핵심 고려 사항

• 다른 진입 전략이 전략적 목표를 더 잘 만족시킬 수 있는가?• 공헌할 경영진이나 자본을 보유하고 있는가?• 파트너가 기업 목표 달성에 기여할 수 있는가?• 기대되는 최종 이익은?

4. 진입 전략의 선택 (4)

29

4.4 전략적 제휴

6. 다국적 기업의 진입 전략

해외직접투자

• 대다수경험있는기업들은 FDI를택하고있음.

FDI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4. 진입 전략의 선택 (5)

30

4.4 해외 직접 투자

6. 다국적 기업의 진입 전략

전략적 고려 사항

• 수익이나 학습에 대한 기업의 전략적 의지.• 기업의 역량.

• 현지국 정부 규제.• 목표 제품과 시장의 특성.

• 지리적, 문화적 거리• 정치적, 재무적 위험.

• 통제 욕구.

4. 진입 전략의 선택 (6)

31

4.5 전략적 고려 사항 (1)

6. 다국적 기업의 진입 전략

The Risk-Versus-Control Tradeoff

4. 진입 전략의 선택 (7)

32

4.5 전략적 고려 사항 (2)

6. 다국적 기업의 진입 전략

Decision Matrix for Formulating Entry-mode Strategies

4. 진입 전략의 선택 (8)

33

4.5 전략적 고려 사항 (3)

6. 다국적 기업의 진입 전략

진입 전략과 글로벌 전략

• 시장에 진입하여야 하는 전략적 이유는 무엇인가?

Location advantages (입지 우위) vs. Market penetration (시장 침투).

예, 원료의 공급원, R&D, 생산 등.

• 진입 전략을 혼합함으로써 기본적인 다국적 전략을 뒷받침할 수 있음.

4. 진입 전략의 선택 (9)

34

4.6 진입 전략과 글로벌 전략 (1)

6. 다국적 기업의 진입 전략

요약 (1)

4. 진입 전략의 선택 (10)

35

4.6 진입 전략과 글로벌 전략 (2)

6. 다국적 기업의 진입 전략

요약 (2)

4. 진입 전략의 선택 (11)

36

4.6 진입 전략과 글로벌 전략 (3)

6. 다국적 기업의 진입 전략

Political risk

• 한 국가의 비즈니스 환경에 대한 정치적 결정과 사건의 영향.

예, 다국적 기업의 수익성이나 글로벌 비즈니스 운영의 타당성이 부정적인영향을 받음.

5. 정치적 위험 (1)

37

5.1 정치적 위험 (1)

6. 다국적 기업의 진입 전략

Assessment:

• 정치 시스템의 영속성과 복원력은 어떠한가?• 과거의 정권 이양은 평화적이었는가?

• 정치적 안정을 위하여 NGO (예, 노동조합, 교회, 언론 등)가 수행하는 역할은 무엇인가?

• 사회적, 윤리적, 인종적, 종교적 긴장감과 같은 내부적 요소들이 사회 불안이나 내전을 야기시킬 수 있는지?

• 부패의 정도는?• 법의 지배는 얼마나 신뢰할 수 있는가?

• 자연 재해 가능성 (쓰나미, 지진 등).

5. 정치적 위험 (2)

38

5.1 정치적 위험 (2)

6. 다국적 기업의 진입 전략

Political Risk in Selected Countries (1 no risk, 0 highest risk)

5. 정치적 위험 (3)

39

5.1 정치적 위험 (3)

Recommen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