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2014. 12. 31 (14-101호) : 핀테크 비즈니스 접목사례 및 최근 동향 □ 핀테크의 파급 속도 □ 최근 국내 지급결제시장의 양상 □ 핀테크기업의 비즈니스 접목사례 □ 금융권의 대응 및 최근 동향

핀테크 비즈니스 접목사례 및 최근 동향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핀테크 비즈니스 접목사례 및 최근 동향

2014. 12. 31

(14-101호)

: 핀테크 비즈니스 접목사례 및 최근 동향

□ 핀테크의 파급 속도

□ 최근 국내 지급결제시장의 양상

□ 핀테크기업의 비즈니스 접목사례

□ 금융권의 대응 및 최근 동향

Page 2: 핀테크 비즈니스 접목사례 및 최근 동향

1

(2014-101호)

핀테크의 파급 속도

○ 최근 미국과 중국 등 글로벌 핀테크기업(IT업체)들은 국내 업체와의 제휴를 통해

지급결제시장에 급격한 속도로 진출함으로써 파급력 확대

대표적인 글로벌 핀테크 기업인 미국의 페이팔(Paypal)과 중국의 알리페이

(Alipay)의 경우 국내업체와의 제휴 체결 속도가 2014년 하반기 이후 6개월 정

도로 점점 짧아지는 양상

- 미국의 페이팔(Paypal)1은 하나은행(2013.4)과 첫 제휴 이후 14개월 뒤에

KG이니시스(2014.6)와 업무 제휴를 체결했으나 불과 6개월 뒤에 또 다시

국내카드사(2014.12)와 제휴 추진

- 중국의 알리페이(Alipay)도 KG이니시스(2012.10)와 첫 제휴를 맺은 후 20

개월 뒤에 하나은행(2014.6)과 제휴한 데 이어, 6개월 뒤에는 한국 스마트카

드(2014.12)와 제휴 체결

[그림 1] 대표적인 글로벌 핀테크기업(IT업체)의 국내시장 진출속도(제휴 기준)

자료: 각 해당 업체 인터뷰

주: 1)이베이의 페이팔은 2014년 12월, 늦어도 2015년 초 국내 카드사와 제휴를 진행할 예정

최근 국내 지급결제시장의 양상

○ 국내 지급결제시장은 미국의 페이팔(PayPal)과 중국의 알리페이(Alipay) 등 규모의

경제를 갖춘 해외 간편결제서비스 업체의 진출 확대로 인해 시장잠식 우려 상황

1 페이팔(1998년 설립, 2002년 eBay에 인수)은 전자결제업체로 2014년 1분기말 현재 1억 4,000만개의 유효계좌 보유, 200여개국 26개 화폐 결제 서비스 제공으로 미국 내 간편결제서비스 최고 점유율 기록

최근 정보기술(IT)로 무장한 글로벌 핀테크업체들이 국내 지급결제시장에 빠른 속도

로 진출함에 따라 금융회사들은 주도권 확보를 위한 다양한 대책 마련이 필요한 시점.

핀테크 사업분야는 현재 소액결제와 송금 기능에 머무르고 있으나 향후 금융산업 전반

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국내 금융권에서는 IT업체와의 단순 제휴를 넘어

IT와 금융, 두 영역의 화학적 결합에 따른 새로운 비즈니스 창출에 나설 필요

14개월

이베이의

페이팔

(미국)

알리바바의

알리페이

(중국)

6개월

20개월

6개월

Page 3: 핀테크 비즈니스 접목사례 및 최근 동향

2

(2014-101호)

- 미국의 페이팔은 하나은행·KG이니시스와 제휴해 소액 해외송금 및 해외 소비

자의 국내 물품결제 서비스 제공에 멈추지 않고, 국내 카드사 등과의 업무 협

력을 통해 영토 확장을 도모

-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업체인 알리바바의 전자결제 서비스 전문회사인 알리페이는

하나은행과 제휴, 국내 항공사·롯데면세점·롯데닷컴 등 400여 가맹점에서 결제서

비스를 시행 중, 내년부터 일부 가맹점에서 오프라인 결제시스템도 갖출 예정

- 중국의 최대 게임회사인 텐센트의 전자결제 자회사인 텐페이도 갤럭시아 커뮤

니케이션즈와 다날 등의 국내 업체와 협력을 통해 한국에 진출

○ 또한 대만과 싱가포르 등 동남아지역의 IT업체들도 국내시장에 진출함으로써 우리

나라 지급결제시장은 글로벌 핀테크 기업들의 각축장으로 변모

대만의 최대 온·오프라인 전자결제업체인 개시플러스(Gash+)는 갤럭시아 커뮤니

케이션즈와 제휴를 맺고, 대만·홍콩 등지의 소비자들이 국내 쇼핑몰에서 편리하게

결제할 수 있는 서비스를 2015년 초에 제공할 예정

싱가포르의 최대 전자상거래회사인 유주그룹의 결제시스템인 유페이(YuuPay)도

한국에서 한류상품 위주의 쇼핑몰 사이트2를 열고 모바일 결제시장에 진출할 예정

[표 1] 글로벌 핀테크기업의 국내 서비스 내용

업체 국내 서비스 내용 비고

이베이의 페이팔 (미국)

-하나은행·KG이니시스와 제휴해 소액 해외송금 및 해외 소비자의 국내 물품결제 서비스 제공, 국내 카드사 등과의 업무 협력을 통해 영토 확장 도모

애플의 애플페이 (미국)

-NFC가 장착된 아이폰을 통해 스타벅스·GS25 등 일부 가맹점에서 해외거래 형태로 사용 가능

-국내 모바일 결제시장

진출 준비 중

-전자금융업 등록 및 보

안성 심의절차 연구 중

알리바바의 알리페이 (중국)

-하나은행과 제휴, 국내 항공사·롯데면세점·롯데닷컴 등 400여 가맹점에서 결제서비스 시행

-KG이니시스·한국 스마트카드와 제휴

-오프라인 결제시스템

도입 예정

텐센트의 텐페이 (중국)

-갤럭시아 커뮤니케이션즈, 다날과 제휴

개시플러스 (대만)

-갤럭시아 커뮤니케이션즈와 제휴 -국내 모바일 결제시장

진출 준비 중

유주그룹의 유페이

(싱가포르)

-한류상품 위주의 온라인 쇼핑몰 오픈 -국내 모바일 결제시장

진출 준비 중

자료: 언론 보도자료 및 연구자 재정리

2 유주코리아의 관계자에 따르면, 유페이의 온라인 쇼핑몰은 “처음에는 뷰티·패션 등 한류상품 위주로

중국·일본 등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사업을 시작한 뒤 점차 품목을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밝힘

Page 4: 핀테크 비즈니스 접목사례 및 최근 동향

3

(2014-101호)

핀테크기업의 비즈니스 접목사례

○ 핀테크기업 수3를 국가별로 살펴보면,

2013년 현재 미국 다음으로 영국이

가장 많은 숫자를 보유하고 있는 상황

특히, 미국의 핀테크기업들은 모바

일뱅킹 앱과 독자적인 지급결제 플

랫폼 등을 개발, 비즈니스에 접목함

으로써 모범적 운영사례로 꼽힘

○ (보다 발전된 형태의 기술을 활용한

송금 서비스 시행) 미국과 벨기에의 핀테크기업 들은 개인간 지급결제 분야에서 비즈

니스와 접목한 송금 서비스를 개발, 시행 중(서비스 형태: 이메일 주소나 모바일번호

기반 → 바코드 또는 1회용 카드번호 등으로 발전)

• 미국의 피서브(Fiserv)사는 고객이 자신의 은행 계좌에서 수취인의 은행 계좌, 이

메일 주소 또는 모바일 번호로 송금할 수 있는 서비스인 은행계좌 기반 ‘팝머니

(Popmoney)’ 송금 서비스 실시

• 미국의 범프 테크놀로지스(Bump Technologies)사는 페이팔 계정과 연결된 이메

일 주소를 활용하여 송금인이 스마트폰에 금액을 입력한 후 수취인의 스마트폰과

부딪치면 송금이 완료되는 범프 페이(Bump Pay) 서비스 제공

• 미국의 페이드파이퍼(Paidpiper)사는 고객이 물품 사진과 가격정보를 결제 요청 메

시지에 첨부하여 제3자에게 전송하면 제3자가 입력한 결제정보가 바코드나 1회용

카드번호로 전환되고, 가맹점은 고객의 바코드를 스캔하거나 카드 번호를 입력하여

결제 처리하는 서비스 시행

[표 2] 미국 핀테크기업의 개인간 지급결제 송금서비스 사례

회사명 서비스 내용

Fiserv Popmoney(은행 계좌 기반의 송금 서비스): 고객이 자신의 은행계좌에서 수취인의 은행 계좌, 이메일 주소 또는 모바일 번호로 송금할 수 있는 서비스

Bump Technologies

Bump Pay: 페이팔 계정과 연결된 이메일 주소를 활용, 송금인이 스마트폰에 금액을 입력한 후 수취인 스마트폰과 부딪치면 송금 완료

Paidpiper 물품 사진과 가격정보를 결제 요청 메시지에 첨부하여 제3자에게 전송하면 제3자가 입력한 결제정보가 바코드나 1회용 카드번호로 전환, 가맹점은 바코드를 스캔하거나 카드번호를 입력하여 결제 처리

자료: 금융결제원

3 미국의 벤처캐피탈 전문조사기관인 CB Insights에 따르면, 핀테크기업의 주요 투자분야는 지난 2008년만 해도 지급(70%)/자본시장(10%)/은행·기업금융(10%)순이었으나 2013년에는 은행·기업금융(29%)/지급(28%)/데이터분석(29%) 등으로 변화한 것으로 조사됨

[그림 2] 국가별 핀테크기업 수(단위: 개)

자료: Venture Scanner

374

57

15

10

7

4

0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미국

영국

싱가포르

중국

홍콩

일본

한국

Page 5: 핀테크 비즈니스 접목사례 및 최근 동향

4

(2014-101호)

○ (소셜 미디어를 활용한 금융서비스 시행) 미국의 렌또(Lenddo)사는 금융회사의 ‘핀

테크 혁신 랩(Fintech Innovation Lab NYC)’을 통해 2011년에 설립된 핀테크기업

으로, 각자의 소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개별 신용도를 측정

본 대출 서비스의 주 대상은 신흥시장(emerging market)의 중산층으로 친지나

가족 등의 인적 정보를 담은 신용시스템을 구축, 그 프로세스 진행과정 상에서 인

적 관계 형성에 근거한 신뢰를 중시함으로써 대출인의 상환능력4 향상 초래

동 사는 소셜 미디어 데이터를 활용, 보다 상호 연관적이고 직관적이며 사회통합

적인 금융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마케팅과 거래 기회를 포착

○ (데이터 분석을 통한 사업기회 모색) 미국

의 빌가드(BillGuard)사는 카드사기와 오

류를 예방할 수 있는 ‘스마트 머니 앱

(Smart Money App)’을 개발, 클라우드

소싱 데이터를 활용하여 이상 징후 관련

특정 패턴을 파악

동 사는 데이터 분석을 통해 미래에 전개

될 상황을 예측하고, 기대상황에 도달하도

록 도와주는 데이터 분석을 통해 사업기

회 모색

○ (스마트폰 사진을 활용, 은행 서비스 제공) 미국의 일부 핀테크기업들은 스마트폰

사진을 활용하여 지불 서비스나 모바일 수표 예금(mobile check deposit) 서비스

등을 제공

말라우자이(Malauzai)사는 클라우드 컴퓨팅을 활용, 스마트폰 내 사진을 활용하여

신속한 지불 서비스 실시

마이텍(Mitek)사 역시 스마트폰 사진을

활용한 모바일 수표 예금 서비스 제공

- 예금 최대한도는 수표당 25,000달러,

일 고객당 25,000달러, 월 고객당

750,000달러까지 가능

4 렌또(Lenddo)사의 소셜 미디어를 활용한 금융 서비스에서 중산층의 대출상환비율은 95%에 이르며, 은행들은 이를 통해 마케팅이나 상품 홍보 등 새로운 기회마련 모색

[그림 3] BillGuard사의 스마트 머니 앱

자료: www.billguard.com

[그림 4] Mitek사의 모바일 수표 예금

자료: www.miteksystems.com

Page 6: 핀테크 비즈니스 접목사례 및 최근 동향

5

(2014-101호)

금융권의 대응 및 최근 동향

○ (IT와 금융의 화학적 결합에 의한 새로운 사업 창출) 미국, 영국 등에서는 기존 금

융회사들이 주도적으로 인큐베이터(Incubator), 액셀러레이터(Accelerator) 프로

그램을 가동, IT업체와의 단순 제휴를 넘어 IT와 금융영역의 화학적 결합을 통해

새로운 비즈니스 창출

미국의 웰스파고(Wells Fargo)은행은 금융회사 중심의 스타트업(창업기업)5 프

로그램을 만들어 금융업무에 도움이 될 IT분야의 혁신적인 스타트업에 미리 투

자(Start-up Accelerator)

- 동행은 금융에서의 빅 아이디어 사업화와 은행 내 혁신 분위기 조성을 위해

외부 혁신가들의 아이디어에 벤처 투자, 그에 따른 사업 아이디어 개발 중시

→ 동행의 액셀러레이터는 유망 스타트업을 선정하여 소액 지분에 해당하는 현금

투자(50,000~500,000달러 상당)와 6개월간의 코칭 및 협업을 지원, 이러한

인큐베이터 기능을 통해 스타트업과 은행 내 비즈니스 라인간 협업 가능

→ 동행은 해마다 10~20여개 창업기업을 선발하여 협업분위기에서 상품을

개발할 예정

영국에서는 정부가 핀테크 분야 확대와 성장 촉진을 위한 종합 지원책6을 발표하

자, 은행들이 이에 부응하여 적극적인 투자와 지원에 나섬

- 산탄데르(Santander) 은행은 P2P(Peer-to-Peer) 대출업자와 협업체계를

유지, 1억 파운드 규모의 핀테크 스타트업을 지원하기 위한 대출계획을 발표

→ 동행은 최근 P2P 대출업자인 펀딩 써클(Funding Circle)과 합작에 나섬으

로써 모바일 결제산업의 핵심기능 위협에 적극 대응, 대출 희망 중소기업들

에게 P2P 대출업자를 소개

- 영국을 대표하는 바클레이스 은행(Barclays Bank)은 벤처캐피털사인 테크스

타(Techstars)와, 로이드(Lloyds PLC)는 스타트업 양성소인 핀테크

(Fintech)와 ‘액셀러레이터(Accelerator)’를 만들어 핀테크 투자에 나섬

○ (‘핀테크 혁신 랩’ 설치를 통해 보다 적극적으로 대응) 미국과 독일 등 굴지의 금융회

사들은 실리콘밸리에 ‘핀테크 혁신 랩(The Fintech Innovation Lab)’을 설치하여

금융 고유목적에 부합하는 테크 프로젝트를 직접 개발하는 등 보다 적극적으로 대응

미국에서는 모바일 결제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해 ‘핀테크 혁신 랩(The Fintech

5 웰스파고 은행은 2014년 8월 위치인식기술을 지닌 Zumigo(캘리포니아 산호세 소재), 아이프린트 신원조회기술(EyePrint ID)을 지닌 EyeVerify(캔사스시티 소재), 인공지능(AI)기술을 보유한 Kasisto(뉴욕 소재)

의 3개사를 투자대상 핀테크기업으로 선정 6 영국 정부(재무부)는 신성장 산업이자 창조산업인 핀테크 분야의 적극 지원을 통해 영국을 글로벌금융

혁신의 중심지로 육성하기 위한 종합적인 지원계획을 담은 ‘Plan to make Britain global centre of financial

innovation set out by government’ 발표(2014년 8월 6일)

Page 7: 핀테크 비즈니스 접목사례 및 최근 동향

6

(2014-101호)

Innovation Lab)’을 설치, 뉴욕시의 파트너십 펀드와 액센츄어가 벤처육성을 담당

하고 매년 일정수의 벤처를 집중 지원 대상으로 선정

- 캐피털원(Capital One), BNY멜론(Bank of NewYork Mellon) 등은 실리콘밸

리지역에서 혁신 랩을 설치, 운영 중

독일의 도이치방크(DeutchBank) 역시 실리콘밸리지역에서 혁신 랩 운영 중

○ (벤처 펀드 조성을 통해 핀테크 스타트업 육성) 일부 해외 금융회사들은 벤처펀드를

직접 조성하며 핀테크 스타트업 투자에 적극 나서고 있음

스페인의 BBVA와 러시아의 스베르방크는 지난 수년간 약 1,000억원 규모의 벤

처펀드를 조성, 스타트업 투자에 나섬

미국의 금융그룹인 캐피털 원(Capital One), 글로벌 신용카드사인 아메리칸 익스프

레스(American Express)도 펀드를 만들어 스타트업 투자에 착수

○ (환경 정비에 의한 핀테크 육성 지원책 마련) 한편 우리나라 정부(금융위원회)에서

도 글로벌 핀테크 기업의 국내 진출이 급속하게 확산되는 현 상황에서 ‘핀테크 상담

지원센터’7설치, 전자금융업 진입장벽 완화, 전자지급수단의 이용한도 확대 등 핀테

크산업 육성 지원에 적극성을 띄고 있음

정부는 핀테크 산업 육성을 위해 보안성 심의제도 폐지 등 사전적 규제 최소화 및

사후 사고 발생 시 책임을 엄격하게 묻는 방식으로 규제의 틀 전환 예정

- 정부에서는 핀테크를 ‘금융시장의 신성장 동력’으로 인식하여 서둘러 혁신기업

지원 등 금융혁신 대책을 제시, 정책적 시너지 제고 기대

그러나 새로운 지급결제시장을 둘러싼 다양한 플랫폼 사업자의 경쟁 심화와 함

께 소관부처간 업무장벽 등으로 인해 협업을 통한 제도·인프라·투자 및 규제정

책 등 ‘종합적인 핀테크 육성 지원대책’ 마련에는 다소 시일 소요 예상

- 관할부처간 업무조율과정8을 거쳐 금융혁신을 위한 제도 개선은 물론 향후

요구되는 인프라와 연구활동, 기업과 수요자의 요구에 부응할 것으로 기대

[표 3] (전자)금융업무관련 각 유관회사별 소관부서

회사 소관 부서

금융회사, 전자금융업자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이동통신사업자 방송통신위원회, 미래창조과학부

통신과금사업자 등 전자지급결제서비스 사업자 미래창조과학부

지급결제시스템 운영자 한국은행

7 금감원이 핀테크기업을 지원하고자 설치, 출범(2014.11.13) 한달 만에 약 34개 기업이 동 센터를 이용

8 여기서 업무조율과정이란 플랫폼 단위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모바일 지급결제에 관련된 역내 기준을

제정하고 업계표준 조율을 위한 장을 마련하는 것을 의미

Page 8: 핀테크 비즈니스 접목사례 및 최근 동향

7

(2014-101호)

○ (은행 탈점포화 가속 및 핀테크업무 진용 구축) 국내은행들은 스마트폰이 은행창구

거래 및 송금 등을 대체하고 있는 시점에서 핀테크를 활용해 탈 점포화를 시도하는

한편 핀테크업무 진용 구축을 통한 새로운 금융상품 및 서비스 개발 본격화 예상

하나은행과 신한은행은 각각 뱅크월렛카카오 전용 통장인 ‘하나월렛통장’과 핀테

크 서비스인 ‘TV머니(2014.8)’를 출시

- ‘하나월렛통장’을 뱅크월렛카카오 충전계좌로 등록 시 100만원 이하 잔액에 연

1%의 금리를, 월 3차례 또는 5만원 이상 충전 시 최고 2%까지 우대금리 제공

- 신한은행의 ‘TV머니’는 고객이 TV를 시청하며 채널을 통해 바로 결제할 수

있는 선불식 TV전용 결제서비스로서, 이를 통해 IPTV에서 제공되는 각종 컨

텐츠와 홈쇼핑 상품 등을 비밀번호 입력만으로 간편하게 결제 가능

국민·하나·신한·우리·기업 등의 국내 주요은행들은 최근 조직 개편을 통해 스마트금

융 관련 부서의 기능 강화 및 새로운 형태의 스마트금융 서비스 개발에 치중

- 특히, 핀테크 사업 추진부서를 별도로 구성, 핀테크 시장에서 비용 효율적인 방

법에 입각한 고객 접점 확대 및 지속적인 금융혁신 단행을 통해 신상품 및 서

비스 제공에 나섬으로써 고객의 가치 향상 기대

[표 4] 국내 주요은행의 핀테크 사업 추진부서

구분 추진 부서 비고

KB

국민은행

스마트금융부 내에

‘핀테크 전담팀’ 신설

해외 모범사례 등 정보 공유, 모바일 결제 등

핀테크 서비스 강화 계획

하나은행 e-금융사업부에서 주도 기존의 인터넷·모바일팀/기획팀에서 담당

신한은행 ‘미래채널부’에서 주도 IT업체와 협력, 금융상품·서비스 개발에 주력

우리은행 스마트금융사업단 내에

‘핀테크 사업부’ 신설

상품 개발과 마케팅 전문가 및 IT전문인력 참

여, 외국 인터넷전문은행 벤치마킹, 기존 은행

서비스 재정의 작업 추진 예정

IBK

기업은행

스마트금융부 내에 태스

크포스(TF)로 ‘통합플랫

폼팀’ 별도 구성

현재 각 모바일 앱으로 서비스 중인 원뱅킹·원

금융센터·원알림 등을 하나로 통합한 ‘원뱅크’

(가칭) 2015년 상반기중 출시

자료: 언론 보도자료 및 연구자 재정리

○ (인터넷 전문은행 허용 논의) 현재 금융실명제법을 개정해 은행 직원이 고객과의 대면

없이 실명확인을 해주는 방안이 마련되고 있는 데다, 산업자본의 금융진출을 막는 금

산분리도 단계적으로 완화될 것으로 보여 국내에서도 인터넷 전문은행 탄생 예고

이미 2014년 9월 금융실명제법이 일부 완화돼 본인확인 업무를 다른 금융회사에 위

탁 가능하며, 향후 화상통신 또는 지문·홍채 등의 생체인식 방법 등으로 대체할 계획

<선임연구위원 이기송([email protected]) ☎2073-57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