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
제 1 제 EU 제 제제 “ 제제제제제 제제제제 제제제 제제제 제제제 제 제제 제제제 제제제 제제 제제제 제제제제제제 제제제 ” 제제제제 ( 제제제 제제제 제제제 제제 제제 , 1950) “ 제제제 제제제제 제제 제 제제제 제제제제 제제제” 제 제제 (1950) “ 제제제제제 (United States of Europe) 제제” 제제제 제제 (1949) * 제제제 제제제제 (Founding Fathers) : 제제제제 , 제제제제 , 제제제제 제

제 1 부 EU 의 역사

  • Upload
    nantai

  • View
    219

  • Download
    2

Embed Size (px)

DESCRIPTION

제 1 부 EU 의 역사. “ 조직화되고 살아있는 유럽이 문명에 가져올 수 있는 공헌은 평화적 관계 유지에 필수불가결한 것이다 ” 슈망선언 ( 유럽의 심화된 협력을 위한 선언 , 1950) “ 유럽을 창설하는 것이 곧 평화를 창설하는 것이다 ” 장 모네 (1950) “ 유럽합중국 (United States of Europe) 제창 ” 윈스턴 처칠 (1949) * 유럽의 아버지들 (Founding F athers) : 아데나워 , 가스페리 , 할슈타인 등. - PowerPoint PPT Presentation

Citation preview

Page 1: 제 1 부  EU 의 역사

제 1 부 EU 의 역사

“ 조직화되고 살아있는 유럽이 문명에 가져올 수 있는 공헌은 평화적 관계 유지에 필수불가결한 것이다 ” 슈망선언 ( 유럽의 심화된 협력을 위한 선언 , 1950) “ 유럽을 창설하는 것이 곧 평화를 창설하는 것이다” 장 모네 (1950)“ 유럽합중국 (United States of Europe) 제창” 윈스턴 처칠 (1949)

* 유럽의 아버지들 (Founding Fathers) : 아데나워 , 가스페리 , 할슈타인 등

Page 2: 제 1 부  EU 의 역사

유럽연합의 역사 (EU 의 확대과정 )

파리조약 로마조약 기관통합조약 단일유럽의정서 마스트리히트조약

암스테르담조약 니스조약 유럽헌법제정조약 ( 부결 ) 리스본조약

1951 1957 1965 1986 1992

1997 2001 2004 2007

파리조약 (1951/1953 발효 )

•프랑스 외무장관 로베르 슈망 (Robert Schuman) 에 의한 석탄철강공동체 (ECSC) 의 제안 – 슈망선언 : “석탄과 철강 생산의 공동 관리는 유럽연방의 첫 단계로서 경제적 발전의 공통된 근거를 제공하도록 즉시 준비하여야 한다”• 석탄과 철강은 전쟁 및 무기와의 관련성 때문에 가장 필수적 산업으로 이를 공동으로 통제• 어떤 국가도 과거와 같이 다른 국가를 상대로 전쟁 무기를 제조할 수 없게 하려는 의도• 유럽석탄철강공동체 (ECSC) 의 설립• 독일 , 프랑스 , 이탈리아 , 베네룩스 3 국 / 총 6 개국 이 서명• ECSC 는 법인격을 향유하며 자신의 업무수행을 위하여 4 개의 기관 ( 고등관청 , 의회 , 이사회 , 사법재판소 ) 을 설립

Page 3: 제 1 부  EU 의 역사

유럽연합의 역사 (EU 의 확대과정 )

로마조약 (1957/1958 발효 )

• ECSC 의 운영에 자신감을 갖게된 6 개국은 경제 분야를 통한 새로운 유럽건설을 의도• 냉전 하에 핵에너지를 국가의 통제와 시장경쟁에 맡기지 않고 공동 관리를 해야 한다는 의도• 노동 , 상품 , 서비스 , 그리고 자본의 자유로운 이동이 허용되는 공동시장의 창설이 그 목표• EEC 와 Euratom 을 설립하는 두 로마조약이 체결• 유럽원자력공동체 (Euratom) 와 유럽경제공동체 (EEC) 의 설립 / 관세장벽철폐 , 공동농업정책 (1961)• 독일 , 프랑스 , 이탈리아 , 베네룩스 3 국 / 총 6 개국 이 서명• Euratom 과 EEC 는 각각 별개의 법인격을 향유하며 자신의 업무수행을 위하여 4 개의 기관 ( 집행위원회 , 의회 , 이사회 , 사법재판소 ) 을 설립

통합조약 (Merger Treaty/1965)

• ECSC, EEC, Euratom 이 각각 보유하던 세 기구의 기관을 통합하는 기관통합조약 ( 조약자체를 통합한 것은 아님 )

단일유럽의정서 (Single European Act;SEA / 1987 발효 )

• 유럽에서 사람 , 상품 , 자본 , 서비스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국경 없는 공동체의 창설이 목표 : 1992 년까지 역내시장 (inter market) 의 완성목표 , 거주이전 및 자유로운 취업의 자유• 유럽정치협력 (European Political Co-operation), 유럽의회의 권한강화 ( 협력절차 )• EC 를 명실상부한 단일시장으로 완성하기 위하여 국가 간 협력강화를 규정 각국이 설정해 놓은 각종 장벽과 규제의 철폐를 요구

Page 4: 제 1 부  EU 의 역사

유럽연합의 역사 (EU 의 확대과정 )

마스트리히트조약 (1992/1993 발효 )

• EU 를 창설하는 마스트리히트 조약 (Maastricht Treaty on European Union : TEU)• 내적으로 회원국들이 SEA 에 의하여 획득한 발전을 보완하고 외적으로 동유럽의 공산주의 붕괴 , 독일 통일을 거치면서 공동체의 국제적 지위를 강화하려는 의도• 부문별 통합에서 나아가 유럽의 정치 및 경제통합 추진에 새로운 장을 열게 됨• 경제통화동맹 (Economic and Monetary Union : EMU 의 설립 )• 공동체의 사회적 측면을 발전시키며 공동외교안보정책을 설립• 삼주체제 (Three Pillar Structure) 로 구성되어 있는 EU 를 설립 ( 법인격은 없음 )

EU

ECs 공동외교안보 내무사법EU 의 삼주체제

*EC : EEC 를 대체관세동맹 / 단일시장농업 / 무역구조정책*Euratom

*ECSC

* 공동외교정책협력 , 공동입장 등평화유지 / 인권 / 민주주의인도적원조* 공동안보정책WEU 관련정책 / 군축유럽안보 체제

* 사법당국간 협력 ( 민 , 형사 )* 경찰협력* 인종차별철폐* 마약 , 불법무기 무역금지* 조직범죄 퇴치* 테러리즘 방지* 아동대상 범죄 , 인신매매퇴치

Page 5: 제 1 부  EU 의 역사

유럽연합의 역사 (EU 의 확대과정 )

니스조약 (2001/2003 발효 )

• EU 의 확대 ( 동유럽 국가의 대거 가입 ) 를 준비하기 위한 절차적 , 기술적 성격• 니스조약 부속 ‘ EU 미래에 관한 선언 (Declaration on the Future of the Union)’ 은 ‘ EU 미래에 관한 선언 ( 라켄선언 )’ 을 채택• 라켄 선언의 결과 ‘유럽미래회의 (Convention on the Future of Europe)’ 를 설립• 동 기구의 목적은 ‘ EU 헌법’초안 작성과 이사회에 의한 채택

유럽헌법제정조약 (2004 / 부결 )

• 2006 년 1 월 1 일 발효예정이었으나 회원국 ( 프랑스 , 네덜란드의 국민투표 부결 ) 들의 비준 실패로 무산• 유럽헌법 비준의 무기한 연기 ( 유럽헌법의 사실상 폐기 )

리스본조약 (2007 / 2009. 12. 1 발효 )

• 유럽헌법제정조약 부결 이후 마련된 ‘개혁조약 (Reform Treaty)’• 완결된 헌법전 , 조약이 아닌 단순화된 조약형태의 ‘미니조약’• 헌법적 개념이나 성격을 인정하지 않음• EU 가 완전한 법인격을 가짐 ( 기존의 ‘공동체’라는 표현은 ‘ EU’ 로 대체 )

Page 6: 제 1 부  EU 의 역사

< 참고 > EC 와 EU 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ECs (European Communities)

EU

법인격 보유 법인격 없음

1993 년 마스트리트 조약 이후 EU 의 삼주체제

1 기둥 (EC)EEC/Euratom/ECSC

2 기둥외교안보분야 3 기둥내무사법분야

유럽석탄철강공동체(ECSC)

유럽원자력공동체(Euratom)

유럽경제공동체(EEC:European Economic Community)

일반적으로 EEC 가 EC 로 사용 / ECs 의 실제 통용은 EC 라는 명칭으로 사용위의 세 가지 조약에 의거하여 각각이 법인격을 보유하고 있음

대외무역 , 석탄철강 , 원자력 분야에서 회원국이 해당 분야의 주권을 공동체에 이양하여 정책 결정이 초국가적 차원에서 이루어짐 / 개별국 이름이 아닌 공동체 (EC) 의 이름으로 협상 , 법률행위

국가가 해당 분야의 주권을 보유 / 초국가적 형식이 아닌 회원국 정부간 ‘협력의 방식’으로 공동정책결정

• EU 가 성립 된 이후에도 EC라는 명칭은 계속 사용 됨 • 대외적으로 법적인 구속력을 갖는 조약을 체결하는 경우 법인격이 있는 EC 의 이름으로 행함• (ex. OECD 나 WTO 협상에 참석하는 유럽연합 대표는 EU 가 아닌 EC 라는 명칭으로 참여 )

2009 년 12 월 1 일부터 리스본조약이 발효 함으로서 삼주 체제가 폐기 / EU 가 완전한 법인격을 가지게 됨에 따라 EU 의 이름으로 조약 체결 .

Page 7: 제 1 부  EU 의 역사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bbaa0829&logNo=100131546635

Page 8: 제 1 부  EU 의 역사

유럽통합을 위한 기본조약 일람표서명일 서명장소 조약명 발효일 비고

1951. 4. 18 Paris ECSC 설립조약 1952. 7. 23 존속기한 50 년만료 (2002. 7. 23)

1957. 3. 25 Rome EEC 설립조약EAEC(Euratom) 설립조약 1958. 1.01

1986. 2. 171986. 2. 28

LuxembourgThe Hague SEA 1987. 7. 01

1992. 2. 07 Maastricht EU 조약 1993. 11. 01

1997. 10. 02 Amsterdam 암스테르담조약 1999. 5. 01

2001. 2. 26 Nice 니스조약 2003. 2. 01

2007. 12. 13 Lisbon 리스본조약 2009. 12. 01

Page 9: 제 1 부  EU 의 역사

유럽연합의 양적 확대 (EU 회원국 )

년도 회원국1951

독일 , 프랑스 , 이탈리아 , 베네룩스 3 국 6 개국

1972영국 , 아일랜드 , 덴마크 (3

개국 )1 차 확대

9 개국1981 그리스 (1 개국 )

2 차 확대10 개국

1986 포르투갈 , 스페인 (2 개국 )3 차 확대12 개국

1995오스트리아 , 스웨덴 ,

핀란드 (3 개국 )4 차 확대15 개국

2004

말타 , 키프로스 , 에스토니아 , 라트비아 , 리투아니아 , 폴란드 , 체

코 , 슬로바키아 , 슬로베니아 ,

헝가리 (10 개국 )

중동부 유럽국가25 개국

2007불가리아 , 루마니아 (2 개

국 )27 개국

Page 10: 제 1 부  EU 의 역사

자유무역지역 관세동맹 공동시장 경제동맹 완전경제통합관세 / 비관세장벽제거

공동대외관세생산요소 이동경제정책 조정

초국가기구 설립자유무역지대Free trade area

가맹국간에는 재화의 자유무역을 보장 , 역외의 비가맹국에 대해서는 가맹국들이 독자적으로 관세 및 무역제한 조치를 택하는 형태의 경제통합 관세동맹

Customs union

공동시장Common market

경제동맹Economic union

완전경제통합Complete economic

integration

자유무역지역보다 강화된 경제통합의 형태 / 역내 가맹국들 사이에서는 재화의 자유무역을 보장하고 , 역외 가맹국으로부터의 수입에 대하여 가맹국들이 동일관세 부과 가맹국간에 재화의 자유교역 뿐만 아니라 모든 생산요소의 자유이동이 보장되는 통합의 형태 ( 관세동맹 + 생산요소 이동장벽 제거 )

공동시장의 발전된 형태 / 재화 및 생산요소의 자유이동과 대외공통관세정책을 실시하는 외에도 경제정책을 어느 정도 상호조정하는 지역경제통합을 의미가맹국간에 초국가적 기구를 설립하여 그 기구로 하여금 가맹국들의 금융 , 재정 그리고 기타 사회정책을 조정 , 통합 , 관리하는 형태의 통합 / 가장 강력한 경제협력체제로서 실질적으로 정치적 통합이 이루어져야만 가능하다고 볼 수 있음

유럽연합법을 이해하기에 앞서 / 통합의 과정

Page 11: 제 1 부  EU 의 역사

제 2 부 EU 법의 기본원칙

“… 통상의 국제조약과는 달리 EEC 조약은 독자적인 법제도 (its own legal system) 를 창출했다 . 동 조약의 발효와 동시에 이 법제도는 회원국의 법제도에 통합된 것이므로 회원국의 재판소는 이 법 제도를 적용해야 한다 .”

- Costa v. ENEL 사건 판결 中

Page 12: 제 1 부  EU 의 역사

새로운 법질서의 생성EU 법은 공동체를 구성하는 회원국으로부터 공동체로 회원국 주권이 부분적으로 이양된 것을 기초로 하는 공동체 독자의 법질서가 성립

독립적 법질서로서의 EU 법

• 주권국가 간의 관계를 규율 하는 국제법과 구별• 주권국가의 법인 회원국의 국내법과도 구별회원국과 회원국 국민들의 쌍방을 구속

독립된 법질서로서의 EU 법Case 6/64, Costa v. ENEL (1964) ECR 585.

“… 통상의 국제조약과는 달리 EEC 조약은 독자적인 법제도 (its own legal system) 를 창출했다 . 동 조약의 발효와 동시에 이 법제도는 회원국의 법제도에 통합된 것이므로 회원국의 재판소는 이 법제도를 적용하여야 한다 .”

이 모든것을 고려해 볼 때 동 조약으로부터 유래하는 법은 독자의 법원 (an independent source of law) 이고 그 특별한 동시에 독자적 성질의 바탕위에서 어떠한 형태의 국내법 규정도 이에 대항할 수 없다고 해석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 그렇지 않다면 공동체법은 공동체법으로서의 성격을 잃고 공동체의 법적 기초가 의문시되게 될 것이다 .

Page 13: 제 1 부  EU 의 역사

EU 법의 연원

EU법의 연원

1 차적 연원

2 차적 연원

설립조약기타관련조약

의정서 / 선언서규칙

Regulation

국제조약EU 법 일반원칙

지침Directive

결정Decision

권고 / 의견Recommendati

on / Opinion

1 차적연원 / 설립조약 (Founding Treaties)

유럽공동체와 유럽연합을 설립하는 조약<ex> 1951 파리조약 , 1957 로마조약 , 1992 마스트리히트 조약법적 성격상 국제조약이지만 설립조약에 의해 탄생한 ECSC, Euratom, EEC, EC, EU 는 국제기구도 연방기구도 아닌 혼성적 성격의 ‘초국가적 기구’로서 ‘하나의 새로운 법질서’

2 차적연원 / 규칙 (Regulation)

일반적용성과 온전히 전체로서 법적 구속력을 가지며 모든 회원국에 직접 적용 됨모든 사람을 수범대상으로 하며 , 규칙은 그 발효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회원국법의 일부가 된다 .

Page 14: 제 1 부  EU 의 역사

EU 법의 연원2 차적연원 / 지침 (Directive)

•달성되어야 하는 결과에 대해 수범자인 회원국을 구속하지만 결과 달성의 형식 , 방법의 선택에 있어서는 회원국에게 재량이 부여된다 .• 그 내용을 국내법으로 바꾸기 위한 실시조치가 회원국에 의해 취해져야 한다 .

2 차적연원 / 결정 (Decision)

•결정은 전체로서 구속력을 가지며 수범대상을 특정하는 결정은 그 대상에만 구속력이 있다 .• 회원국 또는 EU 시민에게 권리 , 의무를 부여한다 .

2 차적연원 / 권고 및 의견 (Recommendation and Opinion)

• 권고나 결정은 법적 구속력이 없다는 점에서 규칙 , 지침 , 결정과 구별• 수범 대상에게 어떠한 법적 의무도 부과함이 없이 행동양식을 제안하는 것• 선언적 성격과 윤리적 구속력

Page 15: 제 1 부  EU 의 역사

EU 법의 기본원칙 – 1. 공동체법 우위의 원칙공동체법 우위의 원칙

EU 법 회원국 국내법충돌가능성공동체법의 회원국법에 대한 우위란 EU 법이 그것이 발효한 시점에 존재하는 모순된 내용을 가진 회원국법의 적용을 자동적으로 배제할 뿐만 아니라 , 그 후에 EU 법과 모순되는 회원국법이 유효하게 제정되는 것도 불가능하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

EU 법과 회원국법의 저촉에 대하여 EU 법이 우선하는 것을 인정한 공동체법 우위의 원칙에 의한 해결공동체법 우위원칙의 확립 - (Costa v. ENEL 사건 )

1. 이탈리아의 전력 국유화사업 ( 기존 Edison Volta 사의 국유화를 통한 ENEL 사로의 변경 )2. 원고 Costa(Edison Volta 사 주주 , 밀라노 변호사 ) 는 이같은 국유화가 위법하다고 판단 , 전력요금을 체납하고 치안판사재판소에 채무부존재확인소송을 청구•원고측 주장 - 전력국유화법은 EC 조약 ( 제회원국은 상업적 성격의 어떠한 국가독점도 신규로 도입하지 않는다 ) 에 위배되는 입법• 피고측 주장 - 이탈리아에서 국제조약은 헌법의 하위 , 법률과 동등한 지위 (EC 조약 = 법률 / 국유화법 = 법률 ) 이므로 신법우선의 원칙에 따라 국유화법이 적용되어야 함 .

• EC 조약과 회원국법이 충돌하는 경우 어떤 법을 적용해야 하는가의 문제•통상의 국제조약과는 달리 EC 조약은 독자적인 법제도를 창출 . •EC 조약의 문언과 정신으로 부터 상호주의에 의거 수입된 법제도에 대하여 공동체법의 집행력이 회원국마다 사후적인 국내법에 따라 달라지는 것은 허용되지 않음 .• 동 조약으로부터 유래하는 법은 그 특별한 동시에 독자적 성질의 바탕위에서 어떠한 형태의 국내법 규정도 이에 대항할 수 없다고 해석하는 것이 타당 .

Page 16: 제 1 부  EU 의 역사

EU 법의 기본원칙 – 2. 직접적용과 직접효과직접적용과 직접효과의 구별

EU 법이 회원국의 국내법 질서에 어떻게 편입되는가 ? 의 문제EU 법이 회원국에서의 별도의 실시조치를 필요로 하지 않고 곧바로 회원국법의 일부로 되어 공동체 전역에서 일률적으로 적용되는 것을 직접적용이라 한다 .

직접적용 (Direct application)

개인이 EU 법을 국내법원에서 원용할 수 있는가 ? 의 문제자연인 및 법인이 EU 법을 원용하여 회원국법에 상관없이 그 자체로 서 국내법원 앞에서 주장하여 실현 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하는 것을 의미

직접효과 (Direct Effect)

TFEU 제 288 조 1. 규칙은 일반적 적용성이 있다 . 규칙은 완전한 구속력이 있으며 모든 회원국에 직접 적용된다 .

EU 법이 직접효과를 발생하는 경우 개인은 국내법원에서 소송 중 EU 법을 근거로 하여 자신의 권리 실현 및 상대방의 권리주장에 반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

수직적 직접효과수직적 직접효과

개인이 회원국에 대하여 EU 법을 원용하여 개인의 권리를 주장하는 경우개인이 다른 개인에 대하여 EU 법을 원용하여 권리를 주장하는 경우

Page 17: 제 1 부  EU 의 역사

직접적용성과 직접효과의 관계EU 법이 직접 적용된다고 하여 직접효과를 가지는 것은 아니며 직접 효과를 발생한다고 하여 직접적용성을 가지는 것은 아님에 유의

직접효과의 승인 – ( Van Gend en Loos 사건 )

1. 네덜란드 원고 반 헨드 앤 로스는 1960 년 서독으로부터 요소비료의 수입 , 네덜란드 관세국은 8% 의 관세부과2. EC 설립 당시 동 제품에 3% 의 관세부과가 되고 있던 것이 인상된 것은 EC 조약 제 12 조 ( 조약 발효 후 회원국 간의 수출입에 대한 관세의 인상 금지 ) 에 위배되는 무효한 관세 인상이라 주장에 대해 선결적 판단을 구한 사건•원고측 주장 -EC 조약은 회원국을 상호 구속하는 통상의 국제조약을 넘어서고 있으며 회원국과 그 기관만이 아니라 제 국민도 구속하는 것을 의도한 조약이다 .• 피고측 주장 - 네덜란드는 EC 조약은 통상의 국제조약과 다르지 않으므로 그 직접효과를 인정하는 것은 조약기초자의 의견에 반한다 .

• EC 조약 제 12 조가 회원국 내에서 직접효과를 가질 수 있는가 ?( 원고가 EC 조약을 근거로 자신의 권리를 회원국 국내법원에서 실현시킬 수 있는가 ?)

•공동체법은 회원국법과는 관계없이 개인에게 의무만을 부과하는 것이 아니라 권리를 부여하는 것도 의도하고 있다고 판시하여 EC 조약 제 12 조의 직접효과를 승인 . •EC 조약의 목적인 공동시장의 창설이 공동체 내의 개인에게 직접 관계하는 것 / 조약의 전문이 회원국 정부만이 아니라 그 국민에 대해서도 언급하고 있는 점• 동 판결 이후 다수의 판결에 의하여 조약 , 지침 , 규칙 등 여러 가지 EU 법 관련 규정에 대하여 직접효과가 인정되어 EU법의 근본규칙으로 확립

EU 법의 기본원칙 – 2. 직접적용과 직접효과

Ex. 규칙은 직접 적용되지만 그 직접효과는 규칙규정의 내용에 의하며 , 지침은 직접 적용되지 않지만 , 지침이 직접효과를 가지는가의 유무는 결국 그 규정의 내용에 따르게 된다 .

Page 18: 제 1 부  EU 의 역사

제 3 부 입법절차 및 기관론

“…. 기관이 양도받은 임무를 단일한 제도적 틀 속에서 보다 양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 기관이 보다 민주적이고 효율적인 활동을 강화할 것을 염원하면서… .”(Desiring to enhance further the democratic and efficient functioning of the institutions so as to enable them better to carry out, within a single institutional framework, the tasks entrusted to them….)

- 리스본조약 (TEU) 전문 中

Page 19: 제 1 부  EU 의 역사

유럽연합의 입법절차

리스본조약 이전의 입법절차대부분의 입법과정은 위원회 , 각료이사회 , 유럽의회 3 자 간의 상호 관계에 의해 결정

입법의 필요성•조약에 규정된 목적의 달성• 조약은 상대적으로 EU 행위의 광범위한 기본 틀을 제공하므로 구체적인 부분에 관한 법이 필요• EU 가 작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함• 역내시장 완성과 같은 EU 의 목적 달성

EU 의 입법 채택을 위한 의사결정절차는 유럽의회의 역할에 따라 네가지 유형으로 나뉨

협의절차협력절차

공동결정절차동의절차

위원회가 제출한 법안을 채택하기 전에 이사회가 반드시 유럽의회의 의견을 듣는 절차유럽의회가 위원회가 제출한 법안을 두 번 검토하여 의견을 제시할 수 있도록 한 절차

이사회가 유럽의회와 협력하여 결정을 채택하는 것일부 형태의 결정을 하는데 있어 반드시 유럽의회의 승인을 얻도록 하는 것

협의 (Consultation), 협력 (Cooperation), 공동결정 (Co-decision), 동의 (Parliamentps Assent) 절차

Page 20: 제 1 부  EU 의 역사

유럽연합의 입법절차리스본조약 이후의 입법절차

입법절차는 ( 구속력 있는 ) 규칙 , 지침 , 결정을 채택하는 절차 의사결정 절차의 다양성은 효율서의 저하 / 민주성의 결핍 문제를 해소하고자 의회의 권한을 대폭 강화

현재의 입법 채택을 위한 의사결정절차는 보통입법절차 (ordinary legislative procedure) 와 특별입법절차 (special legislative procedure) 의 두 가지로 유형화 된다 .

보통입법절차

특별입법절차

유럽위원회의 제안에 기초하여 유럽의회 및 이사회가 규칙 , 지침 및 결정을 공동으로 채택하는 결정방식 < 기존의 공동결정절차의 일부 내용을 수정하여 적용 >

이사회의 참가와 함께 유럽의회에 의해 , 또는 유럽의회의 참가와 함께 이사회에 의해 규칙 , 지침 또는 결정을 채택하는 것

•종래의 공동결정절차는 위원회에 법안의 독점적 발의권을 부여하고 있었지만 기타 주체에 의한 입법 발의가 가능 . ( 공동안보방위정책에 대한 결정에 회원국의 발의 , 유럽중앙은행제도에 관한 유럽중앙은행의 권고 , 시민에 의한 발의 등 )• 보통입법절차는 제 1 독회 , 제 2 독회 , 조정위원회 및 제 3 독회를 단계별로 명확히 나누고 각 단계에서 유럽의회와 이사회의 대등한 관계를 규정

•종래에 존재하던 협의절차 , 동의절차 등 공동결정절차 이외의 입법절차와 유럽의회가 발의권을 갖는 특정 분야의 입법절차를 특별입법절차라고 한다 .

Page 21: 제 1 부  EU 의 역사

유럽연합의 기관• 이사회 , 집행위원회와 함께 EU 의 공동 입법기관 중의 하나• 유럽 시민을 대표하고 이들의 직접선거에 의하여 선출• 공식 소재지는 스트라스부르 , 사무국은 룩셈부르크와 브뤼셀에 위치• 유럽의회 의원 수는 의장을 제외하고 750 명을 초과할 수 없다 . (14.2)

•유럽의회 의원은 국적이 아닌 자신이 속한 정당에 따라 착석• 유럽의회에는 현재 7 개의 정당이 존재 ( 중도우파 – 유럽국민당 / 중도좌파 성향 – 유럽사회당 / 유럽자유당 외에 무소속 등이 존재 )• 20 개의 상임위원회가 존재 ( 집행위원회가 제출한 법률안 초안 검토 및 개정안 제안 )

기능과 권한입법권한

예산에 관한 권한감독권한

해임 , 임명권한

공동협력절차 , 공동결정절차 에서 보통입법절차에 의하여 입법행위가 보다 많은 영역으로 확대( 보통입법절차를 통해 이사회와 연대하여 법률을 제정함으로서 입법제정에 참가권이 보다 확대 )

유럽의회와 이사회가 함께 모든 예산을 결정 ( 필수 지출예산 ( 이사회 ), 비필수 지출예산 구분의 폐지 )

유럽시민의 청원권 , 조사위원회 , 유럽사법재판소에 대한 재판청구권 , 재정적 통제 등집행위원회의 임명과 해임에 관여함으로써 집행위원회에 대한 민주적 통제권 행사( 집행위원회에 대한 불신임의결권 등 )

1. 유럽의회 (European Parliament)

Page 22: 제 1 부  EU 의 역사

유럽연합의 기관• 회원국의 국가 및 정부수반 , 유럽이사회 의장 및 집행위원장으로 구성• 유럽이사회는 입법권을 행사 할 수 없음• 유럽이사회 의장은 임기 2 년 6 개월로 한차례 재선 가능 , 유럽이사회의 가중다수결에 의해 선발

• EU 이사회가 존재하는데도 불구하고 최고위급 차원의 정상회의가 필요한 이유는 특별히 중대하고 중요한 문제에 대해 대표들 간에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 정상들 간의 조정을 통해서만 결정이 가능하기 때문

기능과 권한다른 기관들이 운영되는 기준을 확립하고 공동체정책의 속도와 틀을 설정하는데 핵심적 역할 수행

2. 유럽이사회 (European Council)

세계무역기구와의 협상과 같은 중요한 국제협상 검토 , 일반국제문제에 대한 선언을 채택을 담당새로운 회원국의 공동체 가입문제를 검토연합의 발전에 필요한 자극을 주고 , 일반적인 정책 목표 및 우선순위를 결정외교안보정책 고위대표의 권한을 침해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공동외교안보정책과 관련하여 EU 의 대외적 대표성을 가짐

Page 23: 제 1 부  EU 의 역사

유럽연합의 기관• 이사회는 EU 의 주된 의사결정기관으로 회원국 정부의 장관급 위원들로 구성• 이사회는 보통 1 년에 80 여 차례의 회동• 의제에 따라 30 여개의 이사회조직 (configuration) 이 존재 ( 경제 및 재정문제 , 총괄 , 외무 , 사법 및 내무 , 고용 , 사회정책 , 보건 및 소비자 문제 , 교통 등 ) 하며 이사회 회의는 주제에 따라 회원국 장관이 달라진다 .

• 이사회의 하부기관으로 이사회의 업무준비를 보조하는 상주대표위원회 (Committee of Permanent Representatives:COREPER) 가 있으며 단지 이사회의 부수적 기관으로 활동해야 하지만 관행상 실질적인 의사결정기관으로 발전하여 왔다 .

기능과 권한위원회에서 제출된 제안을 심의하여 제안의 통과 여부를 최종 결정하는 EU 입법기관으로서의 역할

3. (EU) 이사회 (Council)

유럽의회와 공동으로 입법 및 예산에 관한 권한을 행사유럽의회와 함께 EU 의 예산을 감독하고 EU 를 대신하여 조약을 체결공동외교안보정책을 입안하고 유럽이사회가 명확히 한 일반 지침과 전략을 기초로 이를 한정하고 이행 하는데 필요한 결정을 내림

Page 24: 제 1 부  EU 의 역사

유럽연합의 기관• EU 의 주요 정책을 제안하고 그 제안에 대해 각료이사회와 유럽의회의 승인을 얻어 이행 ( 행정부 기능 )• 회원국으로부터 독립적으로 활동 ( 위원회는 각 회원국의 이익이 아닌 EU 의 공동 이익을 추구하는 기관 )

• 리스본조약에 의해 새롭게 도입된 ‘외교안보정책 고위대표’ 는 부집행위원장으로서 유럽이사회가 집행위원장의 동의를 얻어 가중다수결로 임명하며 이사회에서는 EU 의 공동외교안보정책을 대표하고 집행위원회에서는 EU 의 대외관계를 책임지게 된다 .

기능과 권한이사회와 유럽의회에 법률안을 제출할 수 있는 권한의 보유 < 법률안 제출권 >

4. 유럽 ( 집행 ) 위원회 (European Commission)

국내기관과 함께 공동으로 EU 차원의 정책과 법률이 이행될 것을 보장 및 이행의 감독 < 행정적 책임 >

재정의 집행과 대외관계에 관한 업무 < 집행기관으로서의 역할 >

회원국이 공동체 법을 위반한 경우 유럽사법재판소에 소송의 제기 < 사법적 권한의 행사 >

외교안보정책 고위대표의 권한을 침해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공동외교안보정책과 관련하여 EU 의 대외적 대표성을 가짐

Page 25: 제 1 부  EU 의 역사

유럽연합의 기관•EU 의 법률이 모든 회원국에서 동일한 방법으로 해석되고 적용되도록 보장하는 것이 주된 역할• 유럽연합 사법재판소는 사법재판소 (Court of Justice), 일반재판소 (General Court), 전문재판소 (special court) 로 구성

•사법재판소는 회원국당 1 명의 재판관으로 구성 (6 년 임기 ), 임명시 회원국 정부의 공동 합의 필요• 사법재판소는 EU 사법재판소 규정에 따라 전원재판부 (full Court), 대재판부 (Grand Chamber), 소재판부 (Chamber) 로 분류 < 계류된 사건의 대부분은 소재판부에서 처리 >

공동체설립조약의 해석자로서 공동체가 가진 권한의 한계를 판단

5. 유럽연합 사법재판소 (Court of Justice of the European Union)

헌법적 성격을 가진 기본적이고 중요한 원칙들을 발달 (ex. 공동체법 우위의 원칙 , 직접효력 , 국가책임 )

법을 통한 정치적 역할의 수행 (ex. 회원국의 국내무역장벽 철폐와 역내시장의 창설 )

리스본조약에 의거 경찰 및 형사공조에 관련된 사항이 아닌 ‘자유 , 안보 및 사법지대’에 대한 심사

• 일반재판소는 유럽사법재판소의 업무 경감을 위해 종속적으로 설치되었으나 현재는 각각의 관할권내에서 동일한 지위• 일반재판소는 구성에 있어 회원국당 ‘최소 1 인’의 재판관으로 구성되도록 규정된 점에서 사법재판소와 구별• 전문재판소는 보통입법절차에 따라 행동하는 유럽의회와 이사회가 특정 분야에서 제기된 소송의 일심재판소로 기능하도록 일반재판소에 부속된 형태로 설립 할 수 있다 .

기능과 권한

Page 26: 제 1 부  EU 의 역사

유럽연합의 기관•1998 년 6 월 1 일자로 설립 . 독일 프랑크푸르트에 소재• 1999 년 1 월 1 일자로 도입된 EU 의 단일통화인 유로화 관리가 주된 임무• 유로를 사용하고 있는 ( 총 27 개중 ) 16 개 회원국 시민을 위한 물가안정을 보장• EU 의 경제 및 화폐정책의 틀을 짜고 이행하는데 책임지며 법인격 보유

• 유럽중앙은행 체제는 유로 채택 여부와 관계없이 ECB 와 EU 회원국 중앙은행 27 개로 구성• 유럽중앙은행은 독립적으로 권한을 행사하고 자금을 관리 ( 유럽공동체 기관이나 기구 , 회원국 정부 및 기타 어떠한 기관으로부터 지시를 구하거나 받을 수 없다 .)

6. 유럽 중앙은행 (European Central Bank : ECB)

• 1975 년 7 월 22 일 브뤼셀조약에 의해 설립 , 1992 년 마스트리히트조약에 의하여 공동체의 기관으로 승격 . 룩셈부르크에 소재• 각 회원국으로 부터 1 명의 위원으로 구성된 27 명• 이들 중 1 명을 연임이 가능한 3 년 임기의 위원장으로 선출

•연합과 기타 연합에 의해 수립된 기구의 모든 세입 및 세출의 회계를 감사하는 것이 주된 임무 (EU 기금을 다루는 개인과 조직에 대한 회계감사권 보유 )• 감사원은 자신이 행동할 수 있는 법적 권한은 가지지 않고 ‘유럽부패방지사무국 (OLAF)’ 과 긴밀한 관계 유지 , 감사위원이 부정 , 부패 발견시 OLAF 에서 행동할 수 있도록 이 사실을 고지

7. ( 회계 ) 감사원 (Court of Auditors)

Page 27: 제 1 부  EU 의 역사

제 4 부 리스본조약

사르코지 대통령은 " 메르켈 총리와 함께 아일랜드가 리스본 조약을 비준하도록 돕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 "이라면서 " 필요하다면 직접 비준을 지원하기 위해 아일랜드를 방문할 준비도 돼 있다 " 라고 덧붙였다 .

   메르켈 총리도 " 다음주 브뤼셀에서 열리는 EU 정상회담에서 우리는 아일랜드 국민들이 가을에 열리는 두번째 국민투표에서 리스본 조약을 지지하도록 아일랜드 측과 합의하게 될 것으로 낙관한다 " 고 밝혔다 .

Page 28: 제 1 부  EU 의 역사

리스본조약 제정배경니스조약 부속서 ‘연합의 미래에 관한 선언’ ( 니스선언 ) 에서 유럽연합헌법 채택을 위한 구체적 일정 제시

리스본조약의 제정배경과 성격2001. 2. 26

‘ 유럽미래회의’의 출범과 실무단을 통한 유럽헌법을 설립하는 조약안 작성 (2003. 6. 18)2002. 2. 28

EU 회원국 정상들의 ‘유럽을 위한 헌법을 설립하는 조약’에 서명2003. 10. 29

프랑스와 네덜란드에서 각각 실시된 국민투표에서 유럽헌법조약 비준 부결과 침체 2005.5.29/6.1

프랑스 신임 대통령 사르코지와 독일 메르켈 총리는 “빈사상태에 빠진 유럽헌법 부터 되살리자”는데 합의 , 브뤼셀 유럽이사회는 유럽헌법조약의 개정을 위한 일정의 수립2007. 5. 16

포르투갈의 수도 리스본에서 EU 회원국들의 리스본조약에 서명 / 2009. 12. 1 일 발효2007. 12. 13

Page 29: 제 1 부  EU 의 역사

  

2007 년 12 월 13 일 , EU 회원국 정상들에 의해 공식 서명 2009 년 12 월 1 일 , ‘ 리스본조약 (Treaty of Lisbon)’ 발효 리스본조약의 공식명칭 : ‘EU 조약 및 EC 설립조약을 개정하는 리스본조약

(Treaty of Lisbon amending the Treaty on European Union and the Treaty establishing the European Community)(2007/C306/01)’ 조약의 명칭에서 보는 바와 같이 , 리스본조약은 기존의 EU 기본조약들을 수정하는 조약으로서 ‘개혁조약 (Reform Treaty)’ 이라고도 불림 리스본조약 제정 작업의 대전제 : ‘ 새로운 조약은 헌법적 성질을 가지는 어떠한 조항도 둘 수 없다’ 기본권헌장 (2001) : TEU 제 6 조 1 항 기본권헌장과 제조약은 법적으로 동등한 가치가 있다 . TEU 제 6 조 2 항 연합은 인권 및 기본적자유의 보호를 위한 유럽협약 (유럽인권협약 ) 에 가입한다 .

리스본조약의 개요

유럽헌법조약이 프랑스와 네덜란드의 국민투표에서 부결되어 이를 경험한 EU 는 ‘새로운 조약은 헌법적 성질을 가지는 어떠한 조항도 둘 수 없다’는 전제하에 작업을 진행하였으며 결과적으로 ‘헌법’조약과는 달리 개혁조약은 ‘헌법’이라는 명칭을 사용 할 수 없고 , 깃발 , 찬가 , 모토와 같은 EU 의 상징과 관련된 일체의 조항을 둘 수 없게 되었다 .

Page 30: 제 1 부  EU 의 역사

리스본조약과 EU 의 법적실체EU 에 법인격의 부여

“ 공동체는 법인격을 가진다” (The Community shall have legal personality)

EC 는 명시적으로 법인격을 부여하였지만 EU 의 법인격 소지 유무는 어떠한 조항도 두지 않음EC 조약 제 281 조

EC, EU 의 법인격 유무를 떠나 양자의 상호 관계 및 용어에 있어 적지 않은 혼동을 초래

“ 연합은 법인격을 가진다” (The Union shall have legal personality)

EU 만이 단일한 법인격을 갖게 되며 EC 라는 용어의 사용도 폐지되게 됨 .

리스본조약 제 47 조

EU 는 법원에 소송의 제기 , 출석 및 국제조직에 EU 의 이름으로 가입 할 수 있게 됨EU 의 성격이 ‘정치적 실체 (Political entity)’ 에서 ‘법적 실체 (Legal entity)’ 로 전환

현실적으로 EC 보다 EU 의 인지도가 높고 실질적으로 EU 가 회원국들을 대표하여 국제적인 활동을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법인격이 없는 EU 는 그 자신의 이름으로 조약을 체결하지도 , 또 국제기구에 가입할 수도 없었음 .

Page 31: 제 1 부  EU 의 역사

리스본조약과 제도의 개혁1. 기관에 관한 규정

유럽 위원회 , 이사회 , 유럽의회 , 유럽사법재판소 , 감사원의 5 개 기관체제리스본조약 이전

2. 상설유럽이사회 의장직제 신설유럽이사회 의장직을 EU 회원국이 알파벳 순서에 따른 6 개월 단위의 윤번제리스본조약 이전

•유럽이사회 작업의 일관성 유지의 어려움• EU 차원의 각 기관의 균형을 유지하면서 정책을 발전 시킬 수 있는 보다 명확한 권한 행사의 한계

유럽이사회 의장직을 ‘상설의장제’로 전환하여 상설유럽이사회 의장직제’신설리스본조약 • 2 년 6 개월 임기의 유럽이사회 의장직은 연임이 가능하며 유럽 이사회의 업무를 주재 , 추진한다 .• 유럽이사회 의장직이 유럽위원회 및 유럽의회와 더불어 유럽이사회도 상근 의장체제 (a full time president) 로 운영 < 초대 이사회 의장은 반 롬푸이 (Van Rompuy)>

이사회를 유럽이사회 , 이사회로 분리하고 유럽중앙은행을 EU 기관에 편입 7 개 리스본조약 • 이사회를 정상들의 회의체인 ‘유럽 이사회’와 각료들의 회의체인 ‘이사회’로 분리 용어와 기능 혼란 방지

Page 32: 제 1 부  EU 의 역사

리스본조약과 제도의 개혁3. 외교안보정책 고위대표직의 신설

4. 의사결정방식의 변화SEA, 마스트리히트 조약 이후 전원일치제 , 가중다수결투표제도에 의한 의사결정리스본조약 이전

•전원일치제가 회원국 수의 증가와 함께 일 회원국에 의한 거부권 행사로 인한 비효율성으로 발생• 니스조약에 첨부된 ‘ EU 의 확대에 관한 의정서’ 제 3 조 ‘이사회에서의 투표 가중치와 관련한 규정’에 의한 회원국의 투표 가중치 적용 • 독일 , 영국 , 프랑스 , 이탈리아 (29) / 스페인 , 폴란드 (27) / 루마니아 (14) ……. 룩셈부르크 (4) / 몰타 (3)

각료이사회에서 의사결정 시 ‘이중다수결제도’의 도입리스본조약 • EU 의 복잡한 의사결정 구조를 효율화하기 위하여 ‘국가기준’과 ‘인구기준’의 이중기준 설정• 회원국의 55%(27 개국 중 15 개국 ) 와 회원국 전체 인구의 65% 이상이 이중적으로 찬성해야 안건이 채택되는 의사결정 방식•2014 년부터 단계적인 도입 , 2017 년부터 전면 실시

EU 의 대외정책을 수행함에 있어 보다 강력한 결속력과 단일성의 확보리스본조약 • 외교안보정책고위대표는 공동외교안보정책 (CFSP) 분야를 대표하며 해당 분야 업무의 조율을 담당• 고위대표자는 유럽위원회의 부위원장 , 각료 위원회의 외교이사회 의장을 겸함

Page 33: 제 1 부  EU 의 역사

리스본조약과 제도의 개혁5. 유럽의회 및 국내의회의 권한 강화

6. EU 권한의 명확화EU 와 회원국 간 권한의 배분과 그 행사의 한계를 보다 명확하게 정의리스본조약

• 연합 권한의 한계는 “설정된 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조약에서 회원국들에 의해 연합에게 부여된 권한”인 ‘권한부여의 원칙’에 의해 규율• 연합은 이 원칙에 의거 , 부여된 권한의 범위 내에서 행동하고 연합에게 부여되지 않은 권한은 회원국들에게 남아 연합과 회원국이 공유

유럽의회 의원수의 확대 / 유럽 위원회의 법률안에 대한 국내의회의 법률안 거부권리스본조약 • 유럽의회 의원수의 확대 (736 명 에서 751 명으로 확대 )• 유럽 위원회에 의하여 만들어진 법률안에 대하여 국내의회 의원 3 분의 1 이상이 반대 시 유럽위원회에 재검토를 위하여 환송됨 (yellow card)•법률안에 대하여 국내의회 의원 과반수의 반대시 법률안은 폐기 될 수 있음 (orange card)

배타적 권한공유 권한

지원 , 조정 및 보충행동권한

제 조약이 EU 에게 배타적 권한을 부여하면 EU 는 법적으로 구속력 있는 행위를 제정 , 채택 가능( 주요분야는 관세동맹 , 역내시장의 운영에 필요한 경쟁규칙 확립 등 )

배타적 권한이 행사되지 않는 분야는 연합과 회원국이 권한을 공유( 주요분야는 역내시장 , 사회정책 , 환경 , 소비자 보호 , 운송 , 에너지 , 자유 , 안전 및 사법지대 , 공중보건 등 )리스본조약 이전의 ‘보충적 권한’으로 연합과 회원국이 공동의 이해를 가지는 분야( 산업 , 문화 , 관광 , 교육 , 직업훈련 , 청소년 및 스포츠 , 시민보호 , 행정협력 등 )

Page 34: 제 1 부  EU 의 역사

[1] 배타적 권한오직 EU 만이 법적으로 구속력있는 행위를 제정하고 채택할 수 있는 권한① 관세동맹② 역내시장의 운영에 필요한 경쟁규칙의 확립③ 유로를 채택하고 있는 회원국을 위한 통화정책④ 공동어업정책에 있어 해양생물자원의 보전⑤ 공동통상정책[2] 공유권한 배타적 권한이 행사되지 않는 분야 가운데 연합과 회원국이 공유하는 권한① 역내시장② 사회정책③ 경제적ㆍ사회적 및 지역적 통합④ 해양생물자원의 보전을 제외한 농어업⑤ 환경⑥ 소비자보호⑦ 운송⑧ 범유럽운송네트워크⑨ 에너지⑩ 자유 , 안전 및 사법지대⑪ 공중보건과 관련된 공동안전

리스본조약의 법적 쟁점

Page 35: 제 1 부  EU 의 역사

리스본조약의 법적 쟁점

[3] ‘지원ㆍ조정 및 보충행동권한회원국의 조치를 지원하고 조정하거나 혹은 보충하기 위한 행동을 수행할 EU 의 권한① 사람의 건강보호 및 증진② 산업③ 문화④ 관광⑤ 교육 , 직업훈련 , 청소년 및 스포츠⑥ 시민보호 ⑦ 행정협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