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
The Journal of Child Education 2006. Vol. 15 , No. 2, pp. 241 ADHD > ADHD ADHD ADHD ADHD : ADHD 1.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1995; APA, 1994). ADHD ADHD * / 016-373-7621 1999). & Stoner, 1994). 1995; Kendall &

정미라 2006 음악치료 adhd유아 주의집중 자기통제력 효과

  • Upload
    -

  • View
    228

  • Download
    2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정미라 2006 음악치료 adhd유아 주의집중 자기통제력 효과

兒童敎育 第 15卷 第 2號The Journal of Child Education 2006. Vol. 15, No. 2, pp. 241 ~255

음악치료가 ADHD 유아의 주의집중력과 자기통제력에

미치는효과

정 미 라*

목포가톨릭대학교 유아교육과

《요 약 >

본 연구는 유치원 ADHD 유이에게 음악치료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함으로써 음악치

료가 ADHD 유아의 주의집중력과 자기통제력의 증진에 미치는 효과를 고찰하고자 하

였다. 실험처치는 G시에 소재한 H유치원 K유치원 및 G유치원의 유아들 가운데

ADHD 유아라고 판별된 실험집단 11명과 비교집단 10명을 대상으로 2005년 3월 21일

부터 5월 14일까지 8주 동안 주 3회, 40분 수업으로 총 장회 프로그램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 결과, 음악치료는 유치원 ADHD 유아들의 주의집중력과 자기통제력 증진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핵심어 : 음악치료, ADHD 유아, 주의집중력, 자기통제력

1. 서 론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이 하 ADHD라 약칭 함)란 그 유아의 연령 수준에서 할 수 있어

야 하는 만큼 오랫동안 주의집중을 할 수

없거나, 그저 가만히 앉아 있지 못하여 부

산하게 움직이고 과다하게 활동을 하는 유

아들에게 적용되는 용어이대김경희, 1995;

APA, 1994).

ADHD 유아들의 행동은 구조화되고 단체

생활을 해야 하는 유치원 생활에서 더욱 두

드러지며 주목을 받는 경향이 있다. ADHD

* 교신저자 rrπ[email protected] / 016-373-7621

유아들은 학급상황에서 친구들을 집적거리

거나 큰 소리로 떠들고 팔과 다리를 계속적

으로 움직이며, 장시간 앉아 있어야 하는

상황에서는 행동통제에 곤란을 보이는 경향

을 나타낸다. 또한 또래와의 관계에서 충동

적이고, 상호작용을 스스로 감독하거나 또

래의 반응에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하며, 또

래들에게 미성숙하고 공격적이며 파괴적인

유아로 인식되어 거부당하기 쉽기 때문에,

이러한 또래관계의 어려움은 심각한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한은선, 1999). 뿐만 아니라

교사의 설명이나 과제 제시에 주목하지 않

고, 교사의 질문에 충동적으로 영뚱한 대답

을 하며, 학습과제도 끝까지 집중하여 수행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Dupa띠 & Stoner,

1994). 선행연구들(Barkley, 1995; Kendall &

Page 2: 정미라 2006 음악치료 adhd유아 주의집중 자기통제력 효과

242 兒童敎育 第15卷 第2號

Braswell, 1985)에 의 하면, 이 러 한 ADHD 유

아의 행동특성은 주로 주의집중력과 자기통

제력의 부족 때문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

며, 따라서 때HD 유아의 긍정적인 발달 및

성장을 위해서는 주의집중력과 자기통제력

을 증진하는 대안 마련이 무엇보다도 절실

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ADHD 유아 문제가 최근 더욱 관심의 대

상이 되는 이유는 현대 사회의 급속한 변화

과정에서 파생된 다양한 문제로 인하여 그

비율이 급격한 증가 추세에 있기 때문이다

(이영미, 2004). 그리고, 이러한 다양한 문제

들은 유아의 성장과 더불어 더 큰 사회적

부적응행동이나 문제행동을 유발하고, 유아

기의 부적응행동 문제는 지속적으로 유지되

는 특성이 있어서 그 문제가 해결되지 않았

을 경우, 청소년기의 비행이나 일탈로 이어

질 뿐만 아니라 성인기까지 지속적인 영향

을 미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Kendall &

Braswell, 1985). Worfe, Scott 및

Weker1e(2oo3)는 유아의 부적응행동 문제를

유아기에 해결하지 않고 아동기나 청소년기

에 해결하려는 경우에는 외면적으로 나타나

는 표면상의 행동 수정은 용이할 수 있으나

이미 내재되어 견고해지고 습관화된 문제를

해결하는 데는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이 펼요

하며, 그 효과도 미미하다고 보고하였다. 실

제로 우리나라에서 까다로운 기질을 가진

유아들의 경우 약 70-80%가 4세 이전에

ADHD 유아로 확인되고 있다{박명화, 2001).

이에 따라 학자들은 ADHD 유아에 대한 초

기 치료적 접근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으

며(암taleque & Rohner, 2002; Worfe, Scott &

Weker1e, 2003), 음악치료는 이러한 초기 치

료적 접근의 일환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음악치료는 일반적인 정신요법과는 달리

음악활동을 통한 치료를 그 특정으로 하는

데. 이러한 음악활동은 가창, 합창, 음악 감

상, 기악 연주, 작곡 동의 형태로 환자의 성

격, 행동특성 및 적응정도에 따라 선택적으

로 수행되어지며(Lipe, 2002; Smeijsters,

1999), 최근 그 중요성에 대한 인식의 증대와

더불어 특수 유아나 부적응 유아에게 그 적

용 범위가 확장되어 가고 있는 추세이다. 그

리고 이러한 학문적 · 사회적 동향에 부응하

여, 음악치료의 긍정적인 효과에 관한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 오고 있다{김유미, 2000; 심

혜숙 · 박정미, 2003; 유광숙 · 최중옥, 2003;

A1tsch띠앙, 1981; Lathom, 1983; MinskofI,

1980; NordofI & Robbins, 1971; Hanser, 1999;

Zimmerrnan & Zimmerman, 1962).

그러나 지금까지 이러한 음악치료 관련

연구는 주로 초등학교 아동이나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 연구의 초점이 두어져

있어서 유아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매우 부

족하며, 또한 광범위한 특수유아에 대한 치

료적 접근이 대부분이어서 ADHD 유아를 대

상으로 한 치료적 접근을 다룬 연구는 거의

미개척 영역에 머물러 있는 실정이다. 따라

서 이러한 선행연구의 제한점을 개선하고,

또한 음악치료의 긍정적인 효과성을 보고한

선행 연구의 결과와 ADHD 유아에 대한 조기

치료적 접근의 중요성을 반영하는 일환으로

서, ADHD 유아의 주된 치료 대상인 주의집

중력과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음악치료의 효

과를 고찰하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며,

또한 A마m 유아의 삶의 질 힐t상을 위해서

도 반드시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이에, 본 연구는 ADHD 유아를 대상으로

음악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음악치료가

유아의 주의집중력 및 자기통제력 증진에

미치는 효과를 실증적으로 고찰함으로써

Page 3: 정미라 2006 음악치료 adhd유아 주의집중 자기통제력 효과

음악치료가 때HD 유아의 주의집중력과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효과{정미래 243

ADHD 유아의 주의집중력 및 자기통제력

증진을 통한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할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

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음악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

과 교사 주도의 생활주제 중심 접근 음악교

육활동을 실시한 비교집단간의 주의집중력

증진에 차이가 있는가?

2. 음악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

과 교사 주도의 생활주제 중심 접근 음악교

육활동을 실시한 비교집단간의 자기통제력

증진에 차이가 있는가?

ll. 이론적 배경

음악치료가 주의집중력과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효과와 관련지어 지금까지 수행된

또한 음악치료 교육활동이 다운증후군 학

생의 선택적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효과를

고찰한 유광숙과 최중옥(2003)은 특수학교

정신지체학생 중 다운증후군 판별을 받은

학생을 대상으로 미국의 음악치료사들이 정

신지체 청소년의 적웅행동을 개선하기 위하

여 현장에서 사용하는 리듬, 감상, 가창, 악

기연주 둥으로 구성되는 음악치료 프로그램

을 적용한 결과, 음악치료 교육활동이 선택

적 주의집중력 증진에 효과가 있음(중심과

제 수행능력은 기초선보다 중재시 평균 12

점, 50%, 유지기간 동안 평균 16점, 66.6%

향상, 우발과제 수행능력은 중재시 평균 7

점, 43.8%, 유지기간 동안 평균 9점, 56.3%

향상)을 보고하였다. 그 밖에, 이론적 연구

로서의 문헌조사와 경험적 연구의 실험조사

방법을 사용하여 일반 초등학교 특수학급

내 학습장애 아동으로 진단된 아동 22명에

게 창조적 음악치료를 적용하여 자기효능감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이은희(2001)는 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를 연구한 ADHD 청소년을 위한 음악치료 사례연구에

서 만 10세와 12세의 남아 2명을 대상으로

12주 동안 주 1회 총 12회에 걸쳐 행동주의

적 음악치료를 적용한 결과, 행동주의적 음

악치료가 주의집중력 증진(약 6.8배)과 사회

성 향상에 의미가 있었다고 보고하였다. 김

현미(2001)는 초동학교에 재학중인 정신지체

아{지능지수 45-55) 20명을 대상으로 정신

지체아의 행동변화를 위한 orff와 Kodaly 음

악치료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를 비교한 결

과, 대인관계, 감정반응, 지적기능, 신체사

용, 물체사용 둥 전반적인 모든 영역에서

@뼈 K여aly 음악프로그램 모두 긍정적인

행동변화의 효과를 가져왔으며, 둘 중 어느

방법이 더 효과적이라고 말할 수는 없다고

지적하였다.

섬혜숙과 박정미(2003)는 창조적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학습장애 아동의 자기효능감과

자기통제력 및 학교생활 적응도에 효과가

있다고 규명하였다.

이상의 선행연구들을 분석해 보면, 음악

치료 프로그램은 행동주의적 · 창조적 음악

치료이론에 기초하여 리듬 · 감상 • 가창 · 즉

흥연주 동 다양한 음악활동으로 구성되어

전개될 때 ADHD 유아의 사회정서적 · 인지

적 치료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따라

서 주의집중력과 자기통제력이 부족하고 유

치원 생활 적응력이 현저히 낮은 ADHD 유

아에게 적절한 음악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한

다면 유아의 주의집중력 및 자기통제력의

증진에 있어서 긍정적인 행동 변화를 촉진

시킬 수 있음올 유추할 수 있었다.

Page 4: 정미라 2006 음악치료 adhd유아 주의집중 자기통제력 효과

244 兒童敎育 第15흉 第2號

m.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의 피험자 선정은 다음과 같은 과

정으로 이루어졌다. 먼저, G시에 소재한 H

유치원, K유치원 및 G유치원의 만 5세 유

아들 가운데 AD때와 관련하여 개별적인

인지행동 치료를 받았거나 약물치료를 받은

유아를 제외한 유아들 중에서 담임교사에

의해 주의가 산만하고 충동적이라고 관찰된

유아를 중심으로 일차 선정을 하였다. 다음

으로 이들 유아를 대상으로 담임교사들에게

단축형 코너스 평정 척도를 사용하여 17점

이상으로 평정된 21명의 유아들을 선별하였

다{오경자와 이혜련(1989)에 의하면 17점은

ADHD 유아를 선별하는 기준임). 따라서 본

연구에 선정된 유아들은 ADHD 성향을 지

닌 유아의 성격을 띤다고 말할 수 있겠다.

이렇게 선별된 유아들 중에서 본 음악치료

에 참여하는 것을 부모가 동의한 H유치원

5명, K유치원 3명, 그리고 G유치원 3명을

실험집단으로 구성하고, 나머지 10명의 유

아는 비교집단에 배정하였다.

2. 연구 도구

가.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평정 척도

ADHD 유아 선별 도구로 단축형 Conners

평 정 척도(Abbre꺼ated Conners Teacher Rating

Scale-Revised ACTRS-R)를 사용하였다. 이

것은 ADHD 유아의 주요 증상이 되는 행동

적 문제를 Conners(1 969)가 93문향으로 제작

한 것을 Goyette, Conners 및 Ulrich(1978)가

10문항으로 축약하여 개정한 것으로 오경자

와 이 혜 련(1989)이 번안한 검사이 다. ADHD

유아를 분류하는 교사 평균치는 17점이며,

오경자와 이혜련에 의한 단축형 Cornners 평

정척도의 내적 합치도 Cronbach Q =.92였다.

나. 주의집중력 펑정 척도

Kendall과 Wilcox(1979)에 의해 개발된 자

기조절능력 검λ}(Self-Control Rating Scale

SCRS)지를 이현민(1998), 김지애2002) 둥이

수정 번안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 제

작한 검사지 중에서 주의집중력 관련 10개

문항을 재구성하여 주의집중력 척도로 사용

하였다. 이렇게 재구성한 척도의 신뢰도는

.83으로 나타났으며, 내적 합치도 CrOI뼈ch

Q= .89였다.

다. 자기통제력 평정 척도

Kendall과 Wilcox(1 979)가 개발한 자기조

절능력검사지와 이정란 · 양옥승(2003)이 개

발한 자기조절능력 구성요인에서 공통되는

자기통제력 관련 10개 문항을 선별하여 자

기통제력 척도로 사용하였다. 본 척도의 신

뢰도는 .84이며, 내적 합치도 Cronbach Q=

.87이었다.

3. 음악치료 프로그램

가. 음악치료 프로그램의 진행과정

음악치료 프로그램은 5단계로 진행되었

다. 먼저, 1단계(1-3회기)에서는 친밀감을 형

성하고 긴장감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였으

며, 2단계(4, 13, 14, 19, 20회기)에서는 리듬

읽기, 3단계(5, 6, 9, 10, 15, 16회기)에서는

소리듣기 및 표현하기, 4단계(7, 8, 17, 18,

21회기)에서는 노래 부르기 및 율동하기, 그

Page 5: 정미라 2006 음악치료 adhd유아 주의집중 자기통제력 효과

음악치료가 AD때 유아의 주의집중력과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효과{정미래 245

리고 5단계(11 , 12, 22, 23 , 24회기)에서는 악

기 연주하기로 진행되었다. 각 단계에서는

주의집중력 및 자기통제력 증진과 관련하여

긍정적인 행동 변화가 있을 때 스티커를 사

용하여 강화를 주도록 하였다.

나. 음악치료 프로그램의 내용

본 연구에서 활용된 음악치료 프로그램은

선행연구 및 관련자료를 통하여 그 효과가

입증된 행동주의적 음악치료와 Nordoff와

Robbins(1971)의 창조적 음악치료를 바탕으

로 하였으며, 예비연구 실시 후 연구의 목

적과 기간에 맞게 재구성하여 적용하였다.

프로그램 활동 형태로는 음악치료사들이 정

신지체 아동의 적응행동을 개선하기 위하여

현장에서 폭넓게 사용하는 리듬, 감상, 가

창, 악기연주 등으로 구성되는 달크로즈의

유리드믹을 통한 음률활동, 코다이의 이동

‘도’ 법에 의한 가창활동, 오르프의 앙상블

활동, Nordoff와 Robbins의 창조적 즉홍연주

활동을 적용하였다.

특히 음악치료 프로그램을 구성함에 있어

서는 첫째, 대상 유아들과의 음악치료 활동

을 수행할 때 유아들과의 신뢰감 형성을 매

우 중요시하여 라포 형성 및 상호작용을 도

모하는 활동을 포함시켰으며, 둘째, 주의집

중력 발달의 관점에서 노래 만들어 부르기,

집중력과 지속력을 위한 음악놀이 활동하

기, 기억력 증진을 위한 가창활동과 놀이

활동하기, 발성을 통한 소리 인식과 자기

표현하기, 눈-손 협응을 위한 집중력 향상

오음음계 연주하기 둥을 포함시켰다. 그리

고 셋째, 자기통제력 발달의 관점에서 균형

감각을 위한 음악활동하기, 시선 접촉을 통

한 상호교류하기, 표현 언어능력 증진을 위

한 가창활동하기, 수용 언어능력 향상을 위

한 감상과 대화하기, 자기통제를 위한 앙상

블 활동하기, 음악을 통한 자기감정 표현

바르게 하기, 악기 연주를 통한 충동 조절,

침체된 정서 고양 등을 고려함으로써 주의

집중력과 자기통제력 증진을 위한 ADHD

유아의 긍정적인 행동 변화를 꾀하고자 하

였다. 실험집단에 적용된 음악치료 프로그

램의 단계별 내용은 <표 1>과 같다.

4. 연구 절차

본 연구는 예비연구, 검사자 훈련 실시,

사전검사, 음악치료 프로그램 적용, 사후검

사의 순으로 진행하였다.

가. 예비연구

본 실험을 실시하기 전 실험처치 절차상

의 문제, 프로그램상의 문제, 도구의 적합성

문제를 검토하기 위하여 예비연구를 실시하

였다. 예비연구는 본 연구의 대상이 아닌 G

시에 있는 J유치원의 5세반 ADHD 유아 4

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예비연구 기간은

2004년 2월에서 4월까지 8주간이었다. 이

기간 동안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유아의 반

응과 흥미를 관찰, 수정하였으며, 연구도구

를 실시하여 검사 방법과 시간 둥을 점검,

확정하였다.

나. 검사자 훈련 및 일치도

유아교육 전공으로 대학원을 수료하였으

며 6년의 유치원 교사 경력을 가진 H유치

원의 5세반 교사와 연구보조원 경험이 풍부

하고 유아교육을 전공한 대학원생을 본 연

구의 검사자로 선정, 활용하였다. 선정된 검

사자들은 미리 검사도구를 인지할 수 있도

록 본 연구자를 통해 검사 실시 전에 측정

Page 6: 정미라 2006 음악치료 adhd유아 주의집중 자기통제력 효과

兒童敎育 第15卷 第2號246

실시 회기

2

3

내용

。 자신의 이름을 소개하고 치료사가 즉흥연주로 노래 불러주기(웅답식 노래 주고받기) ex. 당신은 누구십니까 ~ 나는 o 00-

그 이름 너무 예뻐요.

。 음악에 맞춰 치료사와 함께 손빽 치기, 발 구르기, 포용하기(신체 접촉)

。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악기와 노래 제목을 말하고, 치료사의 반주에 맞춰 즉흥 연주하기(음악적 친밀감 경험)

〈표 1) 음악치료 프로그램의 내용

활동 활동목표 활동 주제

활동 단계

긴장감해소 친밀감 형성하기 음악적 접촉 주의집중력 향상 자기통제력 증진

라포형성 ~l

상호작용

4. 13, 14,19,

20

。 리듬 특정에 맞춰 손빽치기, 걷기, 구르기, 뛰기 。 리듬 스피치 - 노랫말을 통한 리듬읽기, 그림악보 놀이하기

。 악센트를 통한 박자인식하기 웅답을 이용하여 리듬치기 박자인식을 위한 발박과 손박 활용하기 리듬 원기 활동에 대해 느낀 점 이야기하기

。 타악기, 선율악기 소리 식별하기 。 ‘동물의 사육제’를 감상하고 각 악곡에 해당하는 동물 흉내내기 5, 6,

。 선율악기 C음부터 G음까지 신체 표현하기 9, 10,

신체로 노래 연주하기 15. 16

。 ‘피터와 늑대’를 들으며 그림악보를 보고 악기 알아 맞추기

。 음악의 내용에 관하여 대화나누기

7, 8, 17, 18,

21

11 , 12, 22 , 23 ,

24

。 반주에 맞추어 허멍하고 난 후음의 높낮이를 신체로 표현하며 다시 허멍하기

。 노래를 익히고 가사에 따른 신체 동작 표현하기 。 유아가 하고 싶은 말을 글로 쓰면 치료사가 노래로 만들어 불러주고, 유아가 신체 동작으로 표현하기

。 유아와 치료사가 릴레이로 노래 주고받기 치료사가 노래 부르면 유아가 허밍하며 동작으로 표현하기

O 노래와 율동을 동시에 표현하기 。 가사와 동작에 대하여 느낀점 이야기하기

。 타악기의 리듬을 인식하고 치료사의 시범연주 따라하기

。 선율악기의 고 · 저 이해하기 핸드벨 C부터 B까지 흔들기 실로폰 저음부터 고음까지 연주하기

o 치료사의 반주에 맞추어 천천히에서 빠르게, 작게에서 크게 타악기 연주하기

。 쉽표를 이해하며 주고 받기 연주하기 。 치료사의 반주에 맞추어 노래 부르며 그림악보의 악상에 맞게 앙상블 연주하기

。 앙상블 연주 후 느낀 점 이야기하기

O 주의집중력 · 소리 인식 식별

주의집중 · 눈-손 협웅 능력 향상

。 자기통제력 증진 • 내면욕구의 긍정 적 표출 타인 인식

。 주의집중력 증진 · 자기 표현 소리 식별

• 눈-손 협응 능력 향상

。 자기통제력 증진 내면욕구의 긍정 적 표출 타인 인식

증진 ~l 7<

듬 기

리 원

2

소리튿기 ~l

표현하기 3

。 주의집중력 증진 자기 표현

· 소리 인식 。 자기통제력 증진

• 상호교류 내면욕구의 긍정 적 표출

• 타인 인식

。 주의집중력 증진 리듬 인식 눈-손 협웅 능력 향상

。 자기통제력 증진 • 상호교류 내면욕구의 긍정 적 표출 타인 인식

노래 부르기 및

율동하기

악기 연주하기

4

5

Page 7: 정미라 2006 음악치료 adhd유아 주의집중 자기통제력 효과

음악치료가 때때 유아의 주의집중력과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효과{정미래 247

내용과 평정방법에 대한 설명을 듣게 하였

으며, 검사 문항을 세심하게 읽고 검토한

후 이해하기 어렵거나 의미 파악이 모호한

문항에 대해서는 본 연구자의 충분한 설명

을 통해 문항 이해를 확실히 하도록 하였

다. 검사의 일치도를 높이기 위하여 검사자

들이 질문을 시연해 보는 등의 훈련을 꾸준

히 실시한 결과 84%의 검사자간 내적 일치

도와 88%의 검사자내 일치도를 보였다.

다. 사전 · 사후검사

본 연구의 실험처치 이전의 사전 검사는

실험처치가 시작되기 전 주인 2005년 3월

17일부터 18일까지 2일에 걸쳐서 훈련된 검

사자들에 의해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모두에

실시되었다. 검사는 동일한 검사자들을 활

용함으로써 검사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하여

K유치원과 G유치원의 대상유아들을 H유치

원에 모아 H유치원 다용도실에서 실시되었

다. 사후검사 역시 실험이 끝난 직후인 5월

19일부터 20일까지 2일에 걸쳐 사전검사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되었다.

라. 실험처치

본 연구의 실험처치는 음악교육 전공으로

대학원을 수료하였으며 유아음악교육을 11

년간 강의한 경력을 가진 음악치료사에 의

해 2005년 3월 21 일부터 5월 14일까지 8주

동안 주 3회, 40분 수업으로 총 24회 실시

되었다. 실험처치는 K유치원과 G유치원의

대상유아들을 오후에 H유치원에 모아 H유

치원에서 실시되었다.

실험집단의 처치과정은 도입, 전개, 정착

의 과정으로 40분에 걸쳐 매회 실시되었다.

먼저 도입 단계에서는 친밀감을 형성하여

음악활동의 주제를 설명하고, 음악활동을

위한 준비성과 요구에 대한 이야기를 주고

받았다. 전개 단계에서는 회기별 프로그램

내용에 따른 활동을 수행하도록 유도하면

서, 유아가 가지고 있는 여러 가지 감정을

〈표 2>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처치 내용 비교 집 단

실험 집단 비교 집단 구 분

처치 유형 유아의 전인적 발달을 고려 한 음악치료 교사의 지시에 따라 하는 음악 교육 표로그램 프로그랩

달크로즈의 유리드믹을 통한 음률 및 감상활동 코다이의 이동 ‘도’ 법에 의한 노래 생활주제 중심 접근의 대집단 노래

활동 형태 부르기 활동 부르기 활동 오르프의 앙상블 활동,

. Nordoff와 Robbins(1977)의 창조적 즉흥

연주활동 라포 형성

도입 단계 음악활동을 위한 준비성과 요구 · 주제를 중심으로 한 동기유발 인식하기

활동내용 음악치료 프로그랩 내용 수행하기

. 6차 유치원 교육과정 계획에 따른 전개과정 전개 단계

음악적 경험과 느낀점 이야기하기 생활주제 중심 접근 음악교 육활동하기

정착단계 활동 후 느낌을 다양한 방법으로

활동 후 느낌을 이야기하기 표현하기

Page 8: 정미라 2006 음악치료 adhd유아 주의집중 자기통제력 효과

248 兒童敎育 第15卷 第2號

음악활동을 통해서 마음껏 표출하고 느낀

점을 토의할 수 있는 시간을 주었다. 그리

고 정착 단계에서는 유아가 자신의 사고,

감정, 느낌, 기분 동을 다양한 방법을 통해

창조적으로 표현해 보도록 하였다.

동일한 기간에 비교집단의 처치 과정도

도입, 전개, 정착의 과정으로 나뉘어 H유치

원 5세반 교사에 의하여 실시되었다. 도입

단계에서 교사는 유아들을 주제를 중심으로

한 동기유발로 유도하였다. 전개 단계에서

는 우리나라 유치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음악활동의 90%가 노래 부르기로 되어 있

다는 안재신(1994)의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유치원 교육과정의 계획에 따른 생활주제

중심 접근 노래 부르기를 중심으로 하는 음

악교육활동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정착 단

계에서는 유아들에게 자신의 감정이나 느낌

을 이야기해 보도록 진행하였다. 두 집단간

실험처치 내용을 비교하면 <표 2>와 같다.

마. 자료 처리

주의집중력 검사와 자기통제력 검사는 각

영역별로 매우 잘함은 5점, 잘함은 4점, 보

통/중간은 3점, 못함은 2점, 전혀 못함은 1

점을 부여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SAS 프

로그램을 이용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다.

m. 결과 및 논의

1. 결과 및 해석

가.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ADHD 유아

의 주의집중력에 마치는 효과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AD田 유아의 주의

집중력 증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

하여 본 연구에서는 음악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과 교사 주도의 생활주제

중심 접근 음악교육활동을 실시한 비교집단

의 사후검사 접수와 사전검사 점수의 차이

를 검증하여 그 효과를 비교하였다. 두 집

단의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의 점수를 비교한

차이 검증 결과는 <표 3>과 같다.

〈표 3) ADHD 유아의 주의집중력 차이 검증 결과

구 분 M SD p

주의 실험집단 1.20 0.717 4.66 .0002

집중력 비교집단 0.12 0.155

위의 <표 3>에 제시된 바와 같이 뻐HD

유아의 주의집중력은 실험처치 전인 사전검

사 점수와 실험처치 후의 사후검사 점수의

차이에 있어서 실험집단(M=1.2, SD=켄.717)

이 비교집단(M=O.l2, SD켜.155)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집단에 따른 점수 차이

변화가 두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를 알아보기 위하여 t검증을 실시한 결과

음악치료 프로그램 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

과 비교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

가 있었다{t=4.66, p=.OOO2). 이 러 한 연구결과

는 음악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교사 주도의 생활주제 중심 접근 음악교육

활동에 참여한 비교집단에 비해 주의집중력

에 있어서 유의미하게 높은 행동 변화를 나

타냄으로써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주의집중

력 개선에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따라서 연

구문제 1과 관련하여 음악치료 프로그램은

AD때 유아의 주의집중력 증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이 규명되었다. 그러나 전반적

으로 보아 ADHD 유아들의 주의집중력 평

가 점수는 매우 낮은 분포를 보였다.

Page 9: 정미라 2006 음악치료 adhd유아 주의집중 자기통제력 효과

음악치료가 뼈때 유아의 주의집중력과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효과{정미래 249

나.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ADHD 유아

의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효과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ADHD 유아의 자기

통제력 증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

하여 본 연구에서는 음악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과 교사 주도의 생활주제

중심 접근 음악교육활동을 실시한 비교집단

의 사후검사 접수와 사전검사 점수의 차이

를 검증하여 그 효과를 비교하였다. 두 집

단의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의 접수를 비교한

차이 검증 결과는 <표 4>와 같다.

〈표 4) ADHD 유아의 자기통제력 차이 검증 결과

구 분 M SD R 자기 실험집단 1.382 0.431 통제력 비교집단 0.160 0.143

8.53 <.0001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이 규명되었다.

2. 논의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간단히 요약

하면서 관련문헌과 선행연구에 기초하여 몇

가지 논의를 전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치료 프로그램은 ADHD 유아

의 주의집중력 증진에 긍정적인 영i>J: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시 · 청각적 자극을 동시에 사용한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다운증후군 아동의 CIAT 중심

과제 수행능력과 우발과제 수행능력을 향상

시킨다고 보고한 유광숙과 최중옥{2(03)의

연구나, 음악치료 활동이 정신지체 아동의

주의집중 행동의 향상에 영향을 미친다고

위의 <표 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밝힌 성인영(1999)의 연구와 맥을 같이 한

ADHD 유아의 자기통제력은 실험처치 전인

사전검사 접수와 실험처치 후의 사후검사

점수의 차이에 있어서 실험집단(M=1.382,

SD퀴.431)이 비교집단(M=O.1 60, SD킹.143)보

다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집단에 따른 점

수 차이 변화가 두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서 t검증을 실시한

결과, 음악치료 프로그램 활동에 참여한 실

험집단과 비교집단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

미한 차이가 있었디{t=8.53, p<.OOO 1). 이는

음악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교

사 주도의 생활주제 중심 접근 음악교육활

동에 참여한 비교집단에 비해 자기통제력에

있어서 유의미하게 높은 행동 변화를 나타

냄으로써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자기통제력

개선에 효과적임을 시사한다고 하겠다. 따

라서 연구문제 2와 관련하여 음악치료 프로

그램은 ADHD 유아의 자기통제력 증진에

다. 이러한 선행연구들은 대상 아동들과의

음악치료 활동을 수행함에 있어서 아동들과

의 신뢰감 형성을 매우 중요시하는 공통점

을 보였다. 즉 대상 아동들이 여러 측면에

서 많이 퇴행되어 있었지만 아동을 있는 그

대로 존중하고 인정함으로써 음악치료 활동

들이 대상 아동들의 정서와 감정에 작용하

고 행동 조절을 유도하고자 하였던 것이다.

본 연구에서 라포 형성 및 상호작용을 도모

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이 수행되었던 것도

같은 맥락에서 해석할 수 있겠다. 이것으로

부터 음악치료 활동은 ADHD 유아의 음악

능력의 고양(김현미, 2001; 정미라 · 최영경,

2005)뿐만 아니라 주의집중력의 변화 • 증진

을 도모하는 일환으로 모색되어질 수 있으

며, 그 때, ADHD 유아들의 주의집중력 증

진을 위해서는 대상 유아들과의 신뢰감 형

성을 기초로 한 음악치료 프로그램을 활용

Page 10: 정미라 2006 음악치료 adhd유아 주의집중 자기통제력 효과

250 兒童敎育 第15卷 第2號

할 수 있도록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음악치료 프로그램은 ADHD 유아의

자기통제력 증진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이것은 Hanseπ1999)가 학습장애를

가진 아동이 음악적 기술을 습득할 경우 인

식, 운동신경, 자기조절, 지각 둥의 영역에서

음악 학습이 갖는 창조적이고 긍정적인 측

면의 상승효과를 가져오게 된다고 보고한

것과 일치된 결과였다. 또한, 이러한 연구결

과는 사회적 기술 향상 프로그램이 ADHD

아동의 자기통제력 향상에 긍정적 영 õJ:-을

미친다고 보고한 정종진과 김영화(2(02)의

연구를 고려할 때, 사회적 기술 향상 프로그

램과 음악치료 프로그램을 연계한 자기통제

력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방안이 모색

되어질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셋째, 유아의 주의집중력 및 자기통제력

에 있어서 실험집단보다는 유의미하게 낮은

점수를 보이고는 있지만, 교사 주도의 음악

활동을 했던 비교집단도 사전검사에 비해

사후검사에서 보다 더 높은 점수를 나타냈

다. 이 러 한 본 연구의 결과는 강숙희(1994)

가 유치원 음악교육에 대한 교사의 태도와

유아의 음악능력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에서

유치원 교육과정에 따른 주제별 주당 음악

지도의 횟수가 증가될수록 유아의 음악능력

증진에 효과적이라는 연구결과를 보고한 것

을 감안할 때, 음악활동이 유아의 음악능력

뿐만 아니라 주의집중력과 자기통제력 향상

에도 기여하고 있음을 시사한다고 하겠다.

넷째, 음악치료가 ADHD 유아의 주의집

중력 및 자기통제력 증진에 미치는 긍정적

인 영향은 유아교육현장에서의 적용가능성

을 시사한다.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구체적

인 교수 모델이나 교수-학습 방법은 아니라

하더라도, 이는 유아교육현장에서 ADHD 유

아에게 음악치료 프로그램의 수행을 통한

주의집중력 및 자기통제력 증진을 촉진시킬

수 있는 하나의 중요한 체계를 제공하는 것

이기 때문이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리듬,

듣기, 노래 부르기, 악기 다루기 등의 다양

한 음악활동을 연계한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주의집중력이나 자기통제력의 증진에 있어

서 노래 부르기라는 분리된 음악 활동을 수

행하는 것보다 효과적이라는 사실을 시사하

고 있는데, 이러한 사실은 행동 변화에 대

한 음악치료의 효과를 고찰한 선행연구(김

현미, 2001; Alvin, 1978; Goldstein, 1964;

Mahlberg, 1973; Nordoff & Robbins, 1979)의

결과를 통해서도 뒷받침되고 있다. 현재 많

은 유아교육현장에서의 음악활동에서 노래

부르기를 중심으로 하고 있는 것(안재신,

1994)은 유아들의 홍미를 즉시적으로 자극

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효과는 있지만, 유

아의 다양성에 대응하지 못하고, 나아가 유

아의 발달적 특성을 음악활동에 접목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을 지니기 때문에(이숙희,

2(05), 향후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음악활동

은 유아의 발달적 특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음악활동이 통합 • 연계되는 형식으로 이루

어져야 할 것이다.

N.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ADHD

유아의 주의집중력 및 자기통제력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고찰함으로써

음악치료적 접근을 통한 ADHD 유아의 삶

의 질 향상에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

다. 본 연구에서 입증된 연구 결과를 토대

Page 11: 정미라 2006 음악치료 adhd유아 주의집중 자기통제력 효과

음악치료가 AD뻐 유아의 주의집중력과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효파{정미래 251

로 도출할 수 있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치료는 ADHD 유아의 주의집

중력 증진에 효과적이다. 즉 음악치료는 생

각보다는 말과 행동이 앞서고 주의집중력이

결여되어 학습과제를 끝까지 성실히 수행하

지 못하는 ADHD 유아의 행동 특성을 긍정

적으로 변화시키는 데에 도움이 된다.

둘째, 음악치료는 ADHD 유아의 자기통

제력을 증진시키는 데에 효과적이다. ADHD

유아의 행동 특성이 점차 자기통제력의 부

족 때문으로 인식되어지고 있고, 이러한 자

기통제력의 부족은 즉각적인 반응을 추구하

며 사소한 자극에도 쉽게 산만해지고 낮은

학업성취와 부정적인 자아개념을 갖게 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데, 음악치료는 이러

한 부정적인 행동 특성을 수정 • 변화시키는

데에 기여한다.

그러나 이러한 긍정적인 연구결과에도 불

구하고, 본 연구가 지니는 몇 가지 제한점

을 지적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을 위한 프로그램이 다양

한 활동으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실제로 어

떤 특정한 기법이 주의집중력과 자기통제력

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는지를 확인할 수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의 내용을 뒷

받침하기 위해서는 음악치료 프로그램에 적

용된 하위 활동들이 주의집중력과 자기통제

력에 각각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

는 후속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는 음악치료가 ADHD 유아

의 주의집중력 및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효

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검사용 질문지를 사

용하였으나, 질문지 응답만으로는 깊이 있

는 분석을 수행하는 데 한계가 있을 수 있

음을 간과할 수 없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

는 깊이 있는 분석을 위하여 심충적인 면접

이나 관찰 동을 통한 질적 분석이 함께 이

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와 결론을 심화하고 발전

시키기 위하여 향후 ADHD 유아들에 대한

음악치료 연구의 방향에 대해 몇 가지 시사

점을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치료가 ADHD 유아의 주의집

중력 및 자기통제력 증진에 긍정적인 효과

가 있다는 본 연구 결과를 유아교육현장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유아의 발달에 적합한

다양한 음악치료 프로그램의 연구 · 개발이

촉진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ADHD 유아들에게 음악치료 프로

그램을 적용함에 있어서는 음악 감상 동을

통한 수동적인 음악치료 뿐만 아니라 즉흥

연주와 같은 능동적인 음악치료를 함께 적

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유아들의 주의집중

력 및 자기통제력 증진을 촉진하는 데에 촉

매제 역할을 할 것이다. 또한 이러한 효과

를 고양하기 위해서는 음악치료를 위해 고

안된 다양한 악기 구성, 유아의 특성에 알

맞은 새로운 가창곡과 연주곡, 그리고 새로

운 동요나 노래극 활동 둥에 관한 연구가

축적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다양한 연령층을 대상으로 하는 추

후연구가 요청되며, 특히 연령이 적은 유아

를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에는 보다 많은 훈련회기와 많은 대상 유아

그리고 다양하고 풍부한 프로그램 내용을

적용함으로써 결과의 일반화를 유출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Page 12: 정미라 2006 음악치료 adhd유아 주의집중 자기통제력 효과

252 兒童敎育 第15卷 第2號

참고문헌

강숙희(1994). 유치원 음악교육에 대한 교사

의 태도와 유아 음악능력과의 관계.

o}-동교육, 4(1), 5-18.

김경희(1995). 자기통제 훈련야 주의력결핍

과영행동아의 주의산만 행동수쟁에 미

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김유미(2000). 유아음악교육의 두뇌생리학적

근거와 적용. 열련유아교육연구, 5(2),

45-70.

김지아(2002). 자기조절향상 프로그햄이 유

。}의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석

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김현미(2001). 정신지채아의 음악능력 발달

과 행동 변화를 위한 Orffer ~αlaly

음악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 배교, 석

사학위논문, 창원대학교.

박명화{2(0 1). ADHD 유아의 행동문제와 교

사의 대처형태에 관한 연구. 쟁서·행

동장애연구, 17(2), 117-134.

성인영(1999). 음악활동이 쟁신지채아동의

부적응행동 강소에 미치는 효과. 석

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섬혜숙, 박정미(2003). 창조적 음악치료가 학

습장애 아동의 자기효능감과 학교생

활적응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

지 , 15(3), 505-527.

안재신(1994). 상상력 개발을 위한 유아기

음악교육과갱 연구. 박사학위논문, 단

국대학교.

오경자, 이혜련(1989). ADHD 평가도구로서

의 단축형 Conners 평가 척도 연구.

대한신경갱신의학회 추채학술대회 발

표지, 8(1), 135-142

유광숙, 최중옥(2003). 음악치료 교육활동이

다운증후군 학생의 선택적 주의집중

력에 미치는 효과. 특수아동교육연구,

5(1), 153-170.

이숙희(2005). 통합적 유아 음악교육이 유아

의 음악적 홍미와 음악적 태도에 미치

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2(1), ,

407-430.

이영미(2004). ADHD 아동의 통합놀이치료

효과. 놀이치료연구, 7(1), 41-57.

이은희(20이). 주의력 철핍 빛 과영행동장애

청소년을 위한 음악치료 사례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이정란, 양옥승(2003). 유아의 자기조절 구성

요인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23(2), 69-90.

이현민(1998). 자녀의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

태도? 유야의 자기조절능력과 쟁서지능

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정미라, 최영경(2005).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ADHD 유아의 음악능력에 미치는 효

과.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2(4), 335-

358.

정종진, 김영화(2002). 사회적 기술 향상 프

로그램이 ADHD 아동의 충동성 및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효과, 초등교육

연구, 15(2), 403-424.

최중옥(2003). 폭수아동의 。l해와 교육. 서

울: 교육과학사.

한은선(1999). 주의력철핍 과영행동장애 아

동의 사회기술훈련의 효과. 석사학위

논문, 성균관대학교.

APA (1994).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01 mental disordor(4th ed.). Washinton,

DC: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Altsch띠er, 1. M. (1981). Four year’s

Page 13: 정미라 2006 음악치료 adhd유아 주의집중 자기통제력 효과

음악치료가 ADHD 유아의 주의집중력과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효과(정미래 253

experiences with music as a therapeutic

aid at Eloise Hospital. American

Joumal of Psychiatry, 23, 792-794.

Alvin, J. (1978). Music therapy for the

autistic child.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Barkley, R. A. (1995). Taking charge of

ADHD. New York: Guilford Press.

Conners, C. K. (1969). A teacher rating scale

for use in drug studies with children.

American Joumal of Psychiatry, 125,

884-888.

Dupaul, G. J., & Stoner, G. (1994). ADHD in

the schools : Assessment and intervention

strategies. New Y ork: Guilford Press.

Goldstein, C. (1964). Music 때d creative 하잉

therapy for an autistic child. Joumal of

Music Therapy, 1(4), 135-138.

Goyette, C. H., Conners, C. K., & Ulrich, R.

F. (1 978). Normative data on revised

conners parents and teacher rating

scales. Joumal of Abnormal

Psychology, 6, 231-236.

Hanser, S. B. (1 999). 재e new music

therapist ’'s handbook. San Francisco:

Harper & Row publishers.

Kendall, P. C., & Braswell, L. (1985).

Cognitive-behavioral research and

therapy. Orlando: Academic 만ess.

Kendal P. c., & Wilcox, L. E. (1979).

Se1f-control in children Deve10pment

of a rating scale. Joumal of Consulting

& Psychology, 47(6), 1020-1029.

Khaleque, A., & Rohner, R. P. (2002).

Perceived parental acceptance-r멍echon

and psychological a이ustment a

meta-때alysis of cross cultural and

intracultural studies.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4, 54-64.

Lathom, W. (1983). Role of music therapy in

the education of handicapped children

and youth Lawrence. KS: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music therapy.

Lipe, A. W. (2002). Beyond therapy music,

spiritually, and health in human

experience. Joumal of Music Therapy,

39(3), 209-240.

Mahlberg, M. (1973). Music therapy in the

σeatment of an autistic child. Joumal

of Mi따ic 재erapy, 1α4), 189-193.

Minskoff, E. (1980). Teaching approach for

deve10ping nonverbal communication

skills in students with social perception

deficits Part 2. Proxemic, vocalic, and

artifactual clues. Joumal of Leaming

Disabilities, 13(4), 203-208.

Nordoff, P., & Robbins, C. (1 971). 1까erapy

in music for handicapped Children

London: Gollancz.

Nordoff, P., & Robbins, C. (1979). 재erapy

in music for handicapped children.

London: Victor Gallancz LTD.

Priestley, M. (1994). Essays on analytical

music. Gilsum NH: Barcelona

publishers.

Smeijsters, H. (1999). Music therapy he1ping

to work 야rrou양1 grief and fmding a

personal identity. Joumal of Music

Therapy, 36(3), 222-252.

Wolfe, D. A., Scott, K., & Wekerle, C.

(2003). Child ma1treatment Risk of

a매ustment problems and dating

Page 14: 정미라 2006 음악치료 adhd유아 주의집중 자기통제력 효과

254 兒童敎育 第15卷 第2號

찌olence in adolescence. Joumal 01 the

American Academy 01 Child and

Adolescence Psychiaη, 4이3), 282-289.

Zimmennan, E. H., & Zinnnerman, J. (1962).

πle altemation of behavior in a special

classroom situation. Journal 01 the

Experimental Analysis 01 Behavior, 5,

59-60.

Page 15: 정미라 2006 음악치료 adhd유아 주의집중 자기통제력 효과

음악치료가 AD때 유아의 주의집중력과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효과(정미래 255

(Abstract>

The Effects of Music Therapy Program on

Attention and Self-Control Abilities of Y oung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Chung, Mi-Ra

The purpose of tru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usic therapy program on

young children’s attention and self-control abilities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To address the research purpose, the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as below:

First,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attention abilities between the ADHD cruldren of the

experimental group that takes music therapy program and those of the control group that

doesn’t?

Second,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self-control abilities between the ADHD cruldren of

the experimental group that takes music therapy program and those of the control group

that doesn’t?

A total of 21 children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The

subjects participated weekly 3 sessions in the music therapy program for 8 weeks. There

were 24 sessions and each session lasted approximately 40 minutes.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 t-test ’.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music therapy program was effective to improve

attention and self-control abilities of the ADHD children. lt suggests that music therapy

program is effective as a way of offering music activities to the ADHD cruldren.

10 WOfi짜 Mμric Tbκ-apy, Yoμηrg CJJi,μf-en with Attentioη-Deficit/ 배peractivity Disorder, AtteηÚoη Abilities, Se/f-coη'trol Abilities

1차 원고접수 : 2006. 2. 5

수정원고접수 : 2006. 2. 25

최종게재결정 : 2006. 3.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