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
1

한국의 무역정책 방향과 한∙중∙일 동반적 관계

Embed Size (px)

DESCRIPTION

한국의 무역정책 방향과 한∙중∙일 동반적 관계. 국제무역연구원 조상현 연구위원 ([email protected]). 목 차. Ⅰ. Ⅱ. Ⅳ. Ⅲ. 한국의 시대별 무역정책. 한국무역의 발자취. 한국의 무역정책 방향. 한∙중∙일 동반적 관계의 강화. 한국무역의 발자취. ◈ 반세기 만에 ‘ 무역 1 조 달러 클럽 ’ 에 진입. Ⅰ. 한국무역의 발자취. 1.1 한국무역의 성장. 2. 한민족 경제 네트워크 서비스. - PowerPoint PPT Presentation

Citation preview

Page 1: 한국의 무역정책 방향과 한∙중∙일 동반적 관계

1

Page 2: 한국의 무역정책 방향과 한∙중∙일 동반적 관계

목 차

ⅡⅡⅡⅡ

ⅠⅠⅠⅠ

ⅢⅢⅢⅢ

ⅣⅣⅣⅣ

2

Page 3: 한국의 무역정책 방향과 한∙중∙일 동반적 관계

◈ 반세기 만에 ‘ 무역 1 조 달러 클럽’ 에 진입

3

Page 4: 한국의 무역정책 방향과 한∙중∙일 동반적 관계

Korea International Trade Association www.kita.net

2. 한민족 경제 네트워크 서비스

2. 한민족 경제 네트워크 서비스

1.tradekorea 회원과 전세계 동포기업간의 무역거래 및

비즈니스 서비스

(1) 전세계 동포기업 및 상품정보 제공

(2) 상품정보 , 사업대행 , 사업홍보 등의 비즈니스 서비스

(3) 동포기업 홈페이지 무료제작 서비스

(4) 해외한인단체 홈페이지 무료제작 서비스

1.1 한국무역의 성장 1.1 한국무역의 성장

Ⅰ. 한국무역의 발자취

4

Page 5: 한국의 무역정책 방향과 한∙중∙일 동반적 관계

Korea International Trade Association www.kita.net

2. 한민족 경제 네트워크 서비스

2. 한민족 경제 네트워크 서비스

1.tradekorea 회원과 전세계 동포기업간의 무역거래 및

비즈니스 서비스

(1) 전세계 동포기업 및 상품정보 제공

(2) 상품정보 , 사업대행 , 사업홍보 등의 비즈니스 서비스

(3) 동포기업 홈페이지 무료제작 서비스

(4) 해외한인단체 홈페이지 무료제작 서비스

1.2 수출산업 발전사 1.2 수출산업 발전사

Ⅰ. 한국무역의 발자취

1,000 억$

1,000 억$

1 조 $1 조 $

1 차 경제개발계획

2 차 경제개발계획

3 차 경제개발계획

4 차 경제개발계획

5 차 경제개발계획

신경제5 개년 계획

수출진흥시책 중화학공업육성계획 수입자유화시책공업발전시책

수출 1 억 $‘ 무역의 날’ 제정

수출 1 억 $‘ 무역의 날’ 제정 100 억 $100 억 $

3,000 억$

3,000 억$

5,000 억$

5,000 억$

섬유섬유

신발신발

전자전자

석유화학

석유화학

철강철강

조선조선

ITIT자동차

자동차

생사면직물수출

화학섬유생산 시작

고무화 수출시작

라디오 수출시작

신발수출1 억 달러

포항제철소완공

현대중공업대형 도크 건설

현대자동차‘ 포니’ 수출

울산 석유화학콤플렉스 완공

도쿄선언반도체 본격화

반도체수출 1 위 품목 등극

휴대폰 수출 급성장

LCD 수출 급성장

석유제품 수출 확대

TV 수출시작

5

Page 6: 한국의 무역정책 방향과 한∙중∙일 동반적 관계

Korea International Trade Association www.kita.net

2. 한민족 경제 네트워크 서비스

2. 한민족 경제 네트워크 서비스

1.tradekorea 회원과 전세계 동포기업간의 무역거래 및

비즈니스 서비스

(1) 전세계 동포기업 및 상품정보 제공

(2) 상품정보 , 사업대행 , 사업홍보 등의 비즈니스 서비스

(3) 동포기업 홈페이지 무료제작 서비스

(4) 해외한인단체 홈페이지 무료제작 서비스

1.3 시대별 수출품목 1.3 시대별 수출품목

Ⅰ. 한국무역의 발자취

6

Page 7: 한국의 무역정책 방향과 한∙중∙일 동반적 관계

Korea International Trade Association www.kita.net

2. 한민족 경제 네트워크 서비스

2. 한민족 경제 네트워크 서비스

1.tradekorea 회원과 전세계 동포기업간의 무역거래 및

비즈니스 서비스

(1) 전세계 동포기업 및 상품정보 제공

(2) 상품정보 , 사업대행 , 사업홍보 등의 비즈니스 서비스

(3) 동포기업 홈페이지 무료제작 서비스

(4) 해외한인단체 홈페이지 무료제작 서비스

1.4 무역 1 조 달러 달성기간 1.4 무역 1 조 달러 달성기간

Ⅰ. 한국무역의 발자취

7

Page 8: 한국의 무역정책 방향과 한∙중∙일 동반적 관계

2. 한민족 경제 네트워크 서비스

2. 한민족 경제 네트워크 서비스 1.5 한국무역의 위상 1.5 한국무역의 위상

Ⅰ. 한국무역의 발자취

▣ 아프리카 (52 개국 ), 남미 (35 개국 ), CIS(12 개국 ) 수출규모와 비슷한 수준

한국한국

인구 278 백만 명면적 2,213 만 ㎢수출 4,224 억불

CISCIS(12 개국 )

인구 897 백만 명면적 3,036 만 ㎢수출 3,609 억불

인구 449 백만 명면적 1,846 만 ㎢수출 4,262 억불

인구 48 백만 명면적 9.9 만 ㎢수출 3,255 억불수입 3,094 억불

아프리카아프리카(52 개국 )

중남미중남미 (35(35 개국 )멕시코 제외

8

Page 9: 한국의 무역정책 방향과 한∙중∙일 동반적 관계

◈ 대외지향형 개방정책의 완성

9

Page 10: 한국의 무역정책 방향과 한∙중∙일 동반적 관계

Ⅱ. 한국의 시대별 무역정책

2.1 공업화의 기반 마련 2.1 공업화의 기반 마련

▣ 무역 100 억 달러 - 수출드라이브 정책 본격 가동 (1948~1974)

▷ 1948~1961 : 경제재건 및 대내지향적 공업화 전략

- 내수균형을 위한 최소한의 수입만 허용 , 수입대금 결제는 원조자금 이용 - 수입대체산업 육성을 위해 고환율정책 → 제분 제당 면방 등 三白산업 육성∙ ∙ - 구상무역제도 운영을 통해 수출과 인기 수입품목을 연계

▷ 1962~1974 : 경제개발계획 시행 및 중화학공업 육성

- 수출드라이브정책 본격 가동 ∙ 환율관리 , 수출에 대한 자동 무역금융 /세제지원 , 수출용원자재 관세감면 및 자동 수입허용 등

- 중화학공업 육성기반 마련 ∙ 정부주도로 특정 산업과 기업을 선별하여 차등지원 ∙ 중화학 부문에 대한 수입통제 강화 , 주요 산업설비 국산화율 요건 강화 등 한시적인 수입대체정책 시행 ∙ 주요 생산설비 건설을 위한 관치금융 , 세제혜택 시행 ( 석유화학 , 제철 , 조선 등 )

10

Page 11: 한국의 무역정책 방향과 한∙중∙일 동반적 관계

Ⅱ. 한국의 시대별 무역정책

2.2 제조업 및 수출산업 고도화 2.2 제조업 및 수출산업 고도화

▣ 무역 1 천억 달러 - 민간주도 경제체제에서 개방정책 시행(1975~1988)

▷ 경제자유화 , 민간주도 경제체제로의 전환 (1978~)

- ‘60~’70 년대 축적된 민간자본과 기업인의 영향력 확대 등으로 1980 년대 들어 정부개입의 여지가 크게 감소

- 3 차례의 수입자유화 조치 (- ‘78~’79), 복수통화 바스켓제도를 통한 환율변동 허용 (‘80), 외국인투자 유치방안 (‘80), 대외무역법 제정 (‘86), 무역업 허가제도 완화 (‘86) 등의 개방정책 시행

▣ 무역 3 천억 달러 - 세계화 개방화의 급진전∙ (1989~2000 년 )

▷ ‘ 무역자유화’를 기치로 한 세계무역질서에 편입

- IMF 외환위기 이후 대외개방이 한층 가속화되었으며 WTO 를 필두로 한 다자 주의와 함께 FTA 체결을 통하여 지역주의 공동체 형성 움직임에도 적극 참여

- ’97 년 자유변동 환율제도 도입으로 외환부문 자유화 실현11

Page 12: 한국의 무역정책 방향과 한∙중∙일 동반적 관계

Ⅱ. 한국의 시대별 무역정책

2.3 무역 선도국가 시대의 개막 2.3 무역 선도국가 시대의 개막

▣ 무역 5 천억 달러 - 다자주의와 지역주의 동시에 활용 (2001~2005)

▷ 대외경제 위상의 제고와 함께 해외통상 환경의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정책방향으로의 전환

- WTO 를 중심으로 한 무역자유화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와 함께 EU∙NAFTA 등 지역주의의 대두에 따라 주요 교역국과의 FTA 협상을 적극 추진

▣ 무역 1 조 달러 - 글로벌 FTA 선도국 추진 (2006~)

▷ ‘11.12 월 현재 EU, 인도 , ASEAN 등 44 개국과 FTA 발효 , 내년 초 미국과 FTA 발효 예상

- 한 미 ∙ FTA 발효시 한국은 아시아지역에서 최초로 미국 , EU 와 FTA 네트워크를 구축한 최초의 국가가 됨

- 무역 1 조 달러 달성 (‘11.12.5) 을 계기로 서비스무역과 녹색산업 등 신성장 동력 에 대한 정책지원 방안 모색

12

Page 13: 한국의 무역정책 방향과 한∙중∙일 동반적 관계

◈ 무역 1 조 달러 시대의 무역정책 선진화

13

Page 14: 한국의 무역정책 방향과 한∙중∙일 동반적 관계

Ⅲ. 한국의 무역정책 방향

3.1 FTA 허브국가로의 도약 3.1 FTA 허브국가로의 도약

자료 : 각종 WTO 자료 외

2011.10.

총 310건

< WTO 통보 RTA 발효 건수 >

1995

연도 ’58-’94

’95-’00

’01-’05

’06-’11.10.

건수 43 53 87 127 310

비중(%)

13.9 17.1 28.1 41.0100.

0

13.9 86.1100.

0

< 시기별 RTA 발효 건수 >

자료 : 각종 WTO 자료 외

▣ WTO 출범 이후 FTA 로 대표되는 RTA 급격히 증가 , 더욱 확산될 전망 ‘11.10 월 말 현재 RTA 발효건수는 310 건 , WTO 가 출범한 ’ 95 년 이후 85.7% 에

달하는 258 건이 발효되었고 , 세계 교역에서 FTA 국 간 교역 비중은 약 50% 로 추정

< 세계교역에서 FTA 가 차지하는 비중 >

연도 ’91 ’95 ’05 ’11f

비중(%)

19.2 31.1 44.5 49.2자료 : 각종 WTO 자료 외

14

Page 15: 한국의 무역정책 방향과 한∙중∙일 동반적 관계

Ⅲ. 한국의 무역정책 방향

3.1 FTA 허브국가로의 도약 3.1 FTA 허브국가로의 도약

▣ EU, 인도 ,ASEAN 등 44 개국과 FTA 발효 , 내년 초 한 - 미 FTA 발효 예상

한 국 은 미 국 , EU, ASEAN 등 전세계 빅 3 거대경제권과 모두 FTA 를 체결한 유일한 국가

한 미 ∙ FTA 가 발효될 경우 아시아 지역에서 최초로 미국 , EU 와 FTA네트워크를 구축

한국은 중국 , 일본 등과의 FTA 도 추진 검토 중∙

< FTA 추진현황 >

15

Page 16: 한국의 무역정책 방향과 한∙중∙일 동반적 관계

Ⅲ. 한국의 무역정책 방향

3.1 FTA 허브국가로의 도약 3.1 FTA 허브국가로의 도약

▣ 한국의 FTA 교역국가간 교역비중 갈수록 증대 예상

2011 년 한국의 FTA 교역비중 은 24.2%, 중국 19.4%, 일본 17.2% 에 앞서기 시작

< 한중일 FTA 교역비중 비교 >

한 미 ∙ FTA 가 발 효 되 면 교 역 비 중 이 34.2% 까 지 상승할 전망

한 국 의 FTA 네 트 워 크 를 활 용 하 기 위 한 외 국 기 업 의 투자 증가가 전망되며 , 특히 중 국 , 일본 기 업 의 투 자 가 확대되어 일자리 창출에 크게 기여“ 동아시아 FTA 허브로

부상”“ 동아시아 FTA 허브로

부상” 주 : 단기는 협상이 끝난 국가들 , 중장기는 협상중인 국가를 합하여 계산

자료 : 각국 정부 , IMF DOTS

주 : ** 는 일 페루 ∙ FTA 발효시주 : * 는 한 미 ∙ FTA 발효시

*

**

16

Page 17: 한국의 무역정책 방향과 한∙중∙일 동반적 관계

Ⅲ. 한국의 무역정책 방향

3.2 상품 /서비스 무역의 동반성장 3.2 상품 /서비스 무역의 동반성장▣ 제조업 중심의 무역구조 개선 , 서비스 분야에 대한 투자 강화

17

상품 수출은 세계 7 위를 기록한 반면 , 서비스 수출은 15 위 기록 (2010)

<2010 년 주요국 상품수출과 서비스수출 비교 >

상품수출금액 ( 순위 ) 국 가 서비스수출금액 ( 순위 )

15,778 (1) 중국 1,703 (3)

12,783 (2) 미국 5,183 (1)

12,689 (3) 독일 2,324 (2)

7,698 (4) 일본 1,389 (6)

5,734 (5) 네덜란드 1,133 (9)

5,207 (6) 프랑스 1,426 (5)

4,664 (7) 한국 816 (15)

자료 : WTO

Page 18: 한국의 무역정책 방향과 한∙중∙일 동반적 관계

Ⅲ. 한국의 무역정책 방향

3.2 상품 /서비스 무역의 동반성장 3.2 상품 /서비스 무역의 동반성장▣ 한국의 외국인 관광객 유치는 세계 28 위 , 의료관광객도 현저히 낮음

18

한국을 방문한 외국인 관광객 수는 한국을 방문한 외국인 관광객 수는 880880 만 명만 명 (2010(2010 년년 )) 으로 세계 으로 세계 2828 위에 위에 불과불과 - 외국인 관광객 수가 가장 많은 프랑스 (7,680 만명 ) 의 약 1/9 수준

우리나라 외국인 의료관광객 수는 싱가포르우리나라 외국인 의료관광객 수는 싱가포르 , , 태국 등에 비해 현저히 낮은 수준태국 등에 비해 현저히 낮은 수준 - 국별 외국인 환자수 (‘10): 한국 8 만명 , 싱가포르 72 만명 ( 추정 ), 태국 156 만명

( 추정 ) - 의료 관광객 유치 확대를 위해 국내 영리 의료법인 허용 및 민관 공동 해외홍보센터

설립 지원 등 다각적인 지원책 시급

2007

년2008 년 2009 년

2010

태국 1,540 1,300 1,200 156*

싱가포르 571 646 665* 725*

한국 7.9 27.5 60.2 81.8

< 주요국 외국인 의료관광객 수 >( 단위 : 천명 )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추정 자료 : 보건복지부 , Singapore Economic Development Board, Tourism Authority of Thailand

순위 국가외국인

관광객 수 관광수입

1 프랑스 76.8 46.6

2 미국 59.7 103.5

3 중국 55.7 45.8

8 독일 26.9 34.7

27 한국 8.8 9.8

< 2010 년 국가별 외국인 관광객수 >( 단위 : 백만명 , 십억 달러 )

자료 : 관광지식정보시스템 , UNWTO

Page 19: 한국의 무역정책 방향과 한∙중∙일 동반적 관계

Ⅲ. 한국의 무역정책 방향

3.2 상품 /서비스 무역의 동반성장 3.2 상품 /서비스 무역의 동반성장▣ 한국의 서비스 무역환경은 최적

한국은 지리적으로 중국 , 일본 , 러시아 , ASEAN 등 주요국의 중심부에 위치 , 비행시간 3.3 시간 내 약 15 억 , 9 시간 내 약 32 억의 인구가 밀집

인구자료 : World Bank

Page 20: 한국의 무역정책 방향과 한∙중∙일 동반적 관계

Ⅲ. 한국의 무역정책 방향

3.3 녹색산업의 수출경쟁력 제고 3.3 녹색산업의 수출경쟁력 제고

▣ 녹색시장 성장과 대내외 여건변화

20

Page 21: 한국의 무역정책 방향과 한∙중∙일 동반적 관계

Ⅲ. 한국의 무역정책 방향

3.3 녹색산업의 수출경쟁력 제고 3.3 녹색산업의 수출경쟁력 제고

▣ 녹색시장 폭발적으로 성장

21

2007 년 이후 연평균 8.3%씩 성장하여 2020 년 3 조 1 천억 달러 전망

< 세계 녹색시장 성장 전망> < 세계 신재생에너지시장 성장 전망>

< 세계 녹색시장 성장 전망> < 세계 신재생에너지시장 성장 전망>

< 세계 녹색시장 성장전망> < 세계 신재생 에너지시장 성장 전망>

자료 : Federal Ministry of the Environment(2009)

Page 22: 한국의 무역정책 방향과 한∙중∙일 동반적 관계

Ⅲ. 한국의 무역정책 방향

3.4 정부의 무역정책 3.4 정부의 무역정책

▣ 신흥시장 , 중견∙중소기업 , 무역인프라가 화두

22

Page 23: 한국의 무역정책 방향과 한∙중∙일 동반적 관계

◈ 경제적 긴밀도 강화 속에 동반번영 추구

23

Page 24: 한국의 무역정책 방향과 한∙중∙일 동반적 관계

Ⅳ. 한 중 일 동반적 관계의 ∙ ∙강화

4.1 무역 1 조 달러 국가의 수출구조 4.1 무역 1 조 달러 국가의 수출구조▣ 무역 1 조 달러 클럽 국가의 10 대 품목 수출비중 (’08~’10 평균 )

24

Page 25: 한국의 무역정책 방향과 한∙중∙일 동반적 관계

Ⅳ. 한 중 일 동반적 관계의 ∙ ∙강화

4.1 무역 1 조 달러 국가의 수출구조 4.1 무역 1 조 달러 국가의 수출구조▣ 무역 1 조 달러 클럽 국가의 지역별 수출비중 (2010 년 )

25

Page 26: 한국의 무역정책 방향과 한∙중∙일 동반적 관계

Ⅳ. 한 중 일 동반적 관계의 ∙ ∙강화

4.2 한국의 무역구조 4.2 한국의 무역구조

▣ 한국 : 소수 주력품목 의존형 무역구조

26

< 주요 6 대 품목의 수출증가율 추이 >

Page 27: 한국의 무역정책 방향과 한∙중∙일 동반적 관계

Ⅳ. 한 중 일 동반적 관계의 ∙ ∙강화

4.3 중국의 무역구조 4.3 중국의 무역구조

27

< 중국의 수출입 금액 추이 > < 성질별 수출입 구조 변화 >

▣ 중국 : 성장과 변화를 거듭하는 세계의 공장

Page 28: 한국의 무역정책 방향과 한∙중∙일 동반적 관계

Ⅳ. 한 중 일 동반적 관계의 ∙ ∙강화

4.3 중국의 무역구조 4.3 중국의 무역구조 ▣ 중국 : 성장과 변화를 거듭하는 세계의 공장

28

< 중국의 주요 수출품목 비중 변화 > < 지역별 수출구조 변화 >

Page 29: 한국의 무역정책 방향과 한∙중∙일 동반적 관계

Ⅳ. 한 중 일 동반적 관계의 ∙ ∙강화

4.4 일본의 무역구조 4.4 일본의 무역구조 ▣ 일본 : 장인기술로 승부하는 동양의 제조업 강국

29

< 일본의 수출입 금액 추이 > < 성질별 수출입 구조 변화 >

Page 30: 한국의 무역정책 방향과 한∙중∙일 동반적 관계

Ⅳ. 한 중 일 동반적 관계의 ∙ ∙강화

4.4 일본의 무역구조 4.4 일본의 무역구조

30

< 일본의 주요 수출품목 비중 변화 > < 지역별 수출구조 변화 >

▣ 일본 : 장인기술로 승부하는 동양의 제조업 강국

Page 31: 한국의 무역정책 방향과 한∙중∙일 동반적 관계

Ⅳ. 한 중 일 동반적 관계의 ∙ ∙강화

4.5 한∙중∙일 교역현황 4.5 한∙중∙일 교역현황

31

< 한국의 對中 수출입 추이 > < 한국의 對日 수출입 추이 >

Page 32: 한국의 무역정책 방향과 한∙중∙일 동반적 관계

Ⅳ. 한 중 일 동반적 관계의 ∙ ∙강화

4.5 한∙중∙일 교역현황 4.5 한∙중∙일 교역현황

32

< 한국의 對中 수출입 품목추이 >

  1990 1995 2000 2005 2011. 1-10 월

수출

폴리에스텔섬유 합성수지 석유제품 반도체 평판디스플레이

천연색음극선관 가죽 합성수지 컴퓨터 반도체

기타 합성수지 철강판 전자판 광학기기 석유제품

백판지 석유제품 철강판 무선통신기기 합성수지

기타 음금선관 인조섬유 가죽 합성수지 석유화학합섬원료

수입

식물성물질 합금철선철 및 고철 의류 컴퓨터 반도체

인조단섬유직물 인조단섬유직물 컴퓨터 의류 컴퓨터

시멘트 의류 석탄 철강판 철강판

석탄 석탄 식물성물질 반도체 무선통신기기

기타 농산물 철강판 반도체 석탄 평판디스플레이

Page 33: 한국의 무역정책 방향과 한∙중∙일 동반적 관계

Ⅳ. 한 중 일 동반적 관계의 ∙ ∙강화

4.5 한∙중∙일 교역현황 4.5 한∙중∙일 교역현황

33

< 한국의 對日 수출입 품목추이 >

  1990 1995 2000 2005 2011. 1-10 월

수출

의류 반도체 석유제품 석유제품 석유제품

반도체 의류 반도체 반도체 반도체

철강판 철강판 컴퓨터 철강판 철강판

석유제품 석유제품 의류 평판디스플레이 무선통신기기

신발 영상기기 철강판 컴퓨터 금은및백금

수입

반도체 반도체 반도체 반도체 철강판

철강판 기타 기계류 철강판 철강판 반도체

섬유 및 화학기계 철강판 반도체 제조용장비 반도체 제조용장비 플라스틱제품

원동기 및 펌프 계측제어분석기 기타 기계류 플라스틱제품 반도체 제조용장비

기타 기계류 섬유 및 화학기계 컴퓨터 기타 잡제품 기타 화학공업제품

Page 34: 한국의 무역정책 방향과 한∙중∙일 동반적 관계

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