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
북북북북북 북북 북북 2011. 3. 10. 북 북 북 북북북북

북한경제에 대한 이해

  • Upload
    baba

  • View
    52

  • Download
    1

Embed Size (px)

DESCRIPTION

북한경제에 대한 이해. 2011. 3. 10. 조 동 호 이화여대. 1. 북한 경제성장전략의 전개과정. 경제성장을 위해서는 생산요소 투입 증가가 필요 - 이는 자본주의 시장경제이든 사회주의 계획경제이든 마찬가지 1950 년대 북한과 같은 저개발국에 있어서는 생산요소 중에서 특히 자본의 획득이 중요 - 왜곡된 경제구조 , 산업기반의 파괴 경제발전전략이란 결국 자본획득전략을 의미. (1) 자본의 중요성. 내부자본 외부자본 - PowerPoint PPT Presentation

Citation preview

Page 1: 북한경제에 대한 이해

북한경제에 대한 이해

2011. 3. 10.

조 동 호이화여대

Page 2: 북한경제에 대한 이해

1. 북한 경제성장전략의 전개과정

Page 3: 북한경제에 대한 이해

경제성장을 위해서는 생산요소 투입 증가가 필요

- 이는 자본주의 시장경제이든 사회주의 계획경제이든 마찬가지

1950 년대 북한과 같은 저개발국에 있어서는 생산요소 중에서 특히 자본의 획득이 중요

- 왜곡된 경제구조 , 산업기반의 파괴

경제발전전략이란 결국 자본획득전략을 의미

(1) 자본의 중요성

Page 4: 북한경제에 대한 이해

내부자본 외부자본 - 지원 (Assistance) - 차관 (Loan) - 투자 (FDI) - 수출 (Export)

(2) 자본획득 방식

Page 5: 북한경제에 대한 이해

내부자본은 없었으며 , 외부자본을 유치할 환경도 갖추지 못했던 상태

- 1953 년 북한 일인당 국민소득 46 달러 유일한 방안은 외부로부터의 지원 - 1953-60 년의 기간 중 지원 총액은 14.3 억달러로서

GNP 의 약 20% - 1957-60 년 북한 건설투자 재원의 약 82% 가

외부지원에 의존

(3) 자본획득전략 : 1950-60년대

Page 6: 북한경제에 대한 이해

그러나 외부지원은 성격상 장기간 지속될 수는 없는 것이며 , 실제로 1960 년대 들어 감소하기 시작하면서 점차 유상으로 전환

북한은 남한과 마찬가지로 외부지향적 성장전략의 채택이 바람직

- 작은 내수시장 - 노동만이 거의 유일한 생산요소 그러나 ‘주체’ , ‘ 자립경제’ , ‘ 자력갱생’을

슬로건으로 제시함으로써 오히려 내부지향적 성장전략을 채택

Page 7: 북한경제에 대한 이해

1970 년대 초반 북한은 서방세계로부터 차관을 도입하기 시작

- 1970 년대 초반 동서 데탕트

- 차관은 체제에 가장 덜 영향을 주는 방안

여전히 내부자본은 없었으며 투자를 유치할 환경도 미비

수출은 ‘주체’ 슬로건에 정면으로 위배되므로 어떤 경우에든 추진이 곤란

(4) 자본획득전략 : 1970 년대

Page 8: 북한경제에 대한 이해

21 개 서방국가로부터 총 12.3 억달러의 차관 도입

- 1971-78 년의 기간 중 북한이 도입한 차관 중에서 서방세계가 차지하는 비중은 3/4

그러나 오일쇼크로 인해 원리금 상환이 불가능해지면서 채무불이행 국가로 낙인

그 결과 1970 년대 중반부터 경제성장 둔화 - 북한 역사상 처음으로 1975 년 계획지표 미달성을

발표

Page 9: 북한경제에 대한 이해

여전히 내부자본은 부족하고 지원과 차관은 끊어졌으며 수출촉진은 불가능한 상황에서 남은 방안은 투자의 유치

- 1984 년 합영법의 도입 그러나 실패할 수밖에 없는 운명 - 적극적 개방 , 개혁이 뒷받침되지 못함 - 지극히 열악한 투자환경 1986 년까지 단 6 건 성사

(5) 자본획득전략 : 1980 년대

Page 10: 북한경제에 대한 이해

김일성은 1986 년 ‘ 2․28 교시’를 통해 조총련계 기업의 투자를 강력히 촉구

- 1986 년 8 월 조선국제합영총회사 건립 - 본래 의도와는 달리 ‘조조합영’으로 전락 1992 년까지 합영 실적은 116 개에

불과하며 조총련계 기업이 101 개 - 그나마 조총련계 기업들도 얼마되지 않아 철수 - 인프라 미비 , 에너지 공급의 불안정 , 계약 불이행 ,

북한 측의 경영 간섭 및 무리한 요구 , 내수시장의 부재 등의 이유

Page 11: 북한경제에 대한 이해

가능한 모든 방안을 추진해 본 상황에서 보다 진전된 형태로의 투자유치만이 대안

- 1991 년 나진 - 선봉 경제특구 설립

그러나 경제특구를 통한 외부자본 유치전략 역시 이전과 동일한 이유로 실패

2001 년까지 실적은 8,800 만달러에 불과 - 중국 연변 : 5 억 5,100 만달러 - 러시아 연해주 : 6 억 4,200 만달러

(6) 자본획득전략 : 1990 년대

Page 12: 북한경제에 대한 이해

2. 북한 경제성장전략의 변화 : “ 위험한 생존”의 모색

Page 13: 북한경제에 대한 이해

1990 년대 급격한 환경 변화 - 냉전의 종식과 대외경제관계의 붕괴 - 동유럽 사회주의국가들의 체제전환 - 중국과 러시아의 한국 접근 - 극심한 남북한 경제력 격차 - 김일성의 사망

급기야 1995 년 ‘고난의 행군’에 돌입 - 최초로 남한 및 국제사회에 지원을 요청 - ‘ 효자 3 년상’이 아니라 어쩔 수 없었던 상황

Page 14: 북한경제에 대한 이해

1971

1972

1973

1974

1975

1976

1977

1978

1979

1980

1981

1982

1983

1984

1985

1986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0.0)

(5.0)

0.0

5.0

10.0

15.0

20.0

25.0

‘ 생존’ 자체가최우선 과제

Page 15: 북한경제에 대한 이해

성장은 더 이상은 목표가 될 수 없었으며 생존 자체가 절실한 상황

- “ 자본주의 바다에 외로운 사회주의 작은 돛단배 한 척” 개방과 개혁이 근본적 처방이나 체제유지가

더 중요 - ’ 선민 (先民 )’ 혹은 ’선경 (先經 )’ 이 필요했음에도 ’선군

(先軍 )’ 과 ‘국방공업 우선정책’을 제시 이미 모든 방안을 추진해 본 상황에서 어쩔 수

없이 ‘위험한 생존 전략’을 시도

Page 16: 북한경제에 대한 이해

북한은 외부자본 획득을 위한 새로운 , 그러나 위험한 방안을 도입

- 남북경협 - 미사일 수출과 각종 불법거래 , 핵 개발

북한은 생존을 위해 위험한 선택을 하였고 일정 부분 목적한 성과를 거둔 것도 사실이나 , 이제는 더 이상 유효하지 않는 상황으로 변화

- 이명박 정부 대북정책 , UN 차원의 경제제재

Page 17: 북한경제에 대한 이해

3. 최근 북한경제 상황 평가

Page 18: 북한경제에 대한 이해

‘ 위험한 생존’ 전략을 채택하면서도 스스로 추진할 수 있는 대내적 방안도 동시에 모색

2002 년 7․1 조치는 사회주의 계획경제 시스템을 정상화시키고자 하는 의도였지만 , 다른 한편으로는 ‘알아서 먹고 살아라’는 지시

- 외부자본의 유입이 쉽지 않은 상황에서 ‘어쩔 수 없는 방임’을 시작

2003 년 계획부문 보완을 위한 시장의 설치는 ‘어쩔 수 없는 방임’의 핵심

Page 19: 북한경제에 대한 이해

현실경제는 기대와는 반대 오히려 시장만이 날로 번창 - 국영공장들조차 국가계획보다는 시장 판매에 더 관심 - 100 달러 지폐는 주민들에게 '딸라 아바이 ' 로 칭송 - 장사를 통해 부를 축적한 중산층의 등장 - 북한주민의 90% 는 시장에 생계를 의존 - 장사로 인해 출근률은 고난의 행군 시기보다 낮은 10%

Page 20: 북한경제에 대한 이해

자본주의의 싹이 움트기 시작한 것이었고 , 북한 사회주의 역사상 최대의 위기

2009 년 12 월 화폐개혁 실시 - 인위적인 시장 철폐 및 계획경제 복귀 - 정치적으로도 사회주의를 물려주어야 세습 정당성 확보 - 신흥 부유층인 군부 길들이기 성격도 존재

2010-11 년 경공업 우선 정책으로 선회 - 2012 년 ‘김정일 시대’ 마감과 강성대국 완성을 위한 어쩔

수 없는 선택

Page 21: 북한경제에 대한 이해

4. 전망 :“핵보다 더 불안한 경제의 이중화”

Page 22: 북한경제에 대한 이해

현재 북한경제는 계획과 시장이라는 이중구조가 심화되고 있는 상황

- 계획부문조차 시장 없이는 운영이 곤란

‘평균적’으로 볼 때 시장으로 인해 일반 주민의 일상생활은 향상

- 1990 년대와 달리 앉아서 굶어 죽는 것이 아니라 시장에서의 경제활동이라는 대안이 존재

- 실제로 시장은 점차 확대되고 있으며 , 다양한 업종이 발생하고 있는 상황

Page 23: 북한경제에 대한 이해

그러나 이는 계획부문의 축소를 의미 - 북한의 경제난을 과거와는 달리 보다 복잡하게 보아야 할

필요

결국 북한경제는 ‘성장하며 붕괴’하는 중 - 이미 계획부문에서의 배급제는 대부분 중단 - 국영기업 , 상점도 개인 물주에게 위탁 운영하는 경우도

발생

Page 24: 북한경제에 대한 이해

향후 북한경제의 안정적 성장을 위해서는 두 가지 요인이 필요

- 단기적으로는 외부자본의 획득 - 장기적으로는 체제의 개방과 개혁 ( 중국도 요구 )

김정은 후계체제가 이를 얼마나 달성하느냐에 따라 북한의 미래가 결정

- 2012 년 강성대국 건설 선포 이전까지는 유화와 도발의 모순적 행동을 되풀이 할 가능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