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
- 1 - 보도일시 배포 즉시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배포일시 2014. 5. 20.(화) 담당부서 관세청 특수통관과 담당과장 이철재 (042-481-7830) 담당자 권태휴 사무관 (042-481-7835) (010-7167-3176) (010-2505-8932) 해외 직구 올해도 거침없는 상승세 !

해외 직구 사상 최대

  • Upload
    wan-heo

  • View
    217

  • Download
    3

Embed Size (px)

DESCRIPTION

 

Citation preview

Page 1: 해외 직구 사상 최대

- 1 -

보도일시 배포 즉시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배포일시 2014. 5. 20.(화) 담당부서 관세청 특수통관과담당과장 이철재 (042-481-7830) 담당자 권태휴

사무관(042-481-7835)

(010-7167-3176) (010-2505-8932)

해외 직구 올해도 거침없는 상승세 !- 사상최대규모였던작년에비해서도50%이상급증, 최다구매품목은의류․신발-

□ 해외 인터넷 쇼핑(해외 직접구매)의 상승세가 그칠 줄 모른다.

ㅇ 관세청(청장 백운찬)은 올해 4월까지 세관을 통해 수입된 해외 인터

넷 쇼핑물품이 약 5백만 건에 4억 8천만 불 규모로 사상 최대 규

모였던 작년 같은 기간에 비해서도 50% 이상 급증했다고 밝혔다.

□ 최대 쇼핑국은 미국(74%)이 압도적이며, 중국(11%), 독일(5%),

홍콩(4%), 일본(2%)이 그 뒤를 이었다.

ㅇ 품목별로는 의류․신발(27%), 건강기능식품(14%), 화장품(8%),

핸드백․가방(8%)이 전체의 약 57%를 차지했으며, 1회 평균 10만원

안팎의 건강․생활용품 구매에 관심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 올해 4월까지 정식으로 수입신고된 약 350만 건을 분석한 결과 해외

인터넷 쇼핑을 즐기는 계층별 특징도 흥미로운 결과를 보였다.

ㅇ 우선, 구매 연령대를 보면 30대가 전체구매의 52%(177만 건), 20대는

22%(77만 건)로 인터넷에 친숙하고 구매능력이 있는 20∼30대

젊은 층이 해외 인터넷 쇼핑을 주로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ㅇ 남성보다는 여성(62%)이, 거주지별로는 서울(32%)과 경기(27%)지역 등

수도권 거주자가 해외 인터넷 쇼핑을 즐기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ㅇ 올해 4월까지의 평균 구매횟수는 2.0회로서, 1회가 63%, 2회가

17%, 3∼5회가 14%, 6∼9회가 4%로 조사되었으며, 10회 이상 구

매자도 2%(3만 1천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Page 2: 해외 직구 사상 최대

- 2 -

□ 해외 인터넷 쇼핑은 양질의 제품을 저렴한 가격으로 구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엄연한 수입행위인 만큼 주의도 요구된다.

ㅇ 위해식품류·농림축수산물(검역물품)·가짜상품 등 품목에 따라 국내

반입이 제한되는 물품은 인터넷쇼핑으로 구매하더라도 통관이 불가능할

수 있으며, 세금을 면제받기 위해 가격을 낮춰서 신고하는 경우에는

오히려 큰 손해*를 볼 수도 있다.

* <사례> 개인 블로그를 개설하여 구매자 모집 후 147회에 걸쳐 약 3,645만원 상당의

신발을 면세범위 이내로 저가신고하다 세관에 적발

ㅇ 아울러, 개인이 자가소비용(自家消費用)으로 반입하는 물품은 간편한

통관절차가적용되고 있으나, 이를 악용해 판매용 물품을 자가소비용으로

위장하여 불법반입하다 적발되는 사례도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 관세청은 이러한 불법행위를 근절하기 위해

ㅇ 특송으로 들어오는 모든 전자상거래 물품은 100% X-Ray검사를

실시하고, X-Ray 판독 전담인력을 양성함과 동시에, 자동화된

설비가 구축된 특송화물 전용검사장을 2016년 가동 목표로 구

축중이다.

ㅇ 또한, 타인명의를 도용한 불법통관을 방지하기 위해 특송화물의

배송결과를 제출하도록 관세법을 개정하여 올해부터 시행하는 등

지속적으로 제도를 개선하고, 국민건강 위해물품 등 불법물품에

대한 감시단속도 강화하고 있다.

□ 한편, 관세청은 해외 인터넷 쇼핑물품의 신속통관을 지원하고

물가안정을 도모하기 위해

ㅇ ‘수입물품 가격공개’, ‘병행수입 활성화’, ‘해외직구 통관간소화’

정책을 마련하여 지난 4월 발표한 바 있으며

ㅇ 관세청 홈페이지를 통해 각 정책별로 수요자의 의견을 수렴한 후

정책에 적극 반영하여 국민과 함께 만든 정책이 되도록 할 예정

이라고 밝혔다. (참여: www.customs.go.kr)

Page 3: 해외 직구 사상 최대

- 3 -

□ 전자상거래물품 신고방법별 통관현황(단위: 천 건, 천 불)

구 분목록통관 간이신고 일반신고 합계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2012년 2,845 213,324 39 9,199 5,060 484,683 7,944 707,206

2013년 3,807 330,716 21 7,744 7,331 701,578 11,159 1,040,038

2014년 1월∼4월 1,522 134,181 6 1,835 3,439 342,755 4,967 478,771

전년 동기 대비

증감(%)28 28 △25 △36 66 72 52 56

□ 국가별 전자상거래 물품 수입통관 현황(‘14년 1월~4월)

(단위: 천 건, %)

구분 미국 중국 독일 홍콩 일본 기타 합계

건수 3,666 565 237 213 98 188 4,967

비율 74 11 5 4 2 4 100

* 적출국 기준

□ 품목별 전자상거래 물품 수입통관현황(‘14년 1월~4월)

(단위 : 천 건, %)

구분 의류․신발 건강식품 화장품 핸드백․가방 완구 기타 합계

건수 1,333 670 415 390 158 2,001 4,967

비율 27 14 8 8 3 40 100

* 기타: 시계, 가전제품, 서적, 음반(CD) 등

74%

11%

5% 4% 2% 4%

국가별비율

미국

중국

독일

홍콩

일본

기타

의류·신발27%

건강식품14%

화장품8%

핸드백·가방8%

완구3%

기타40%

품목별비율

참고 1 관련 통계 (2014년)

Page 4: 해외 직구 사상 최대

- 4 -

□ 연령대별 전자상거래 물품 통관 현황(‘14년 1월~4월)

(단위: 천 건, %)

구분10대

이하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이상합계

건수 47 765 1,772 564 194 91 3,433

비율 1 22 52 16 6 3 100

* 일반 수입신고 기준이며 외국인 등 연령대 파악이 불가능한 경우는 제외

□ 성별기준 전자상거래 물품 통관 현황(‘14년 1월~4월)

(단위: 천 건, %)

구분 남 여 합계

건수 1,303 2,130 3,433

비율 38 62 100

* 일반 수입신고 기준이며 외국인 등 성별 파악이 불가능한 경우는 제외

10대이하1%

20대22%

30대52%

40대16%

50대6%

60대이상3%

연령대별 구성비율

남38%

여62%

남여비율

□ 지역별 전자상거래 물품 통관 현황(‘14년 1월~4월)

(단위: 천 건, %)

구분 서울 경기 인천 영남 충청 호남강원

제주합계

건수 1,115 915 176 664 263 211 89 3,433

비율 32 27 5 19 8 6 3 100

* 일반 수입신고 건수 기준으로 세관에 신고된 주소지 기준으로 산출

Page 5: 해외 직구 사상 최대

- 5 -

□ 구매 횟수별 전자상거래 물품 수입통관현황(‘14년 1월~4월)

(단위: 천 명, 천 건, %)

구분 1회 2회 3~5회 6~9회 10회이상 합계

구매인원 1,073 293 237 65 31 1,699

수입건수 1,073 586 861 463 450 3,433

구매인원

비율63 17 14 4 2 100

* 일반 수입신고 건수 기준

서울32%

경기27%

인천5%

영남19%

호남6%

충청8%

강원-제주3%

지역별구성비율

1회63%

2회17%

3~5회14%

6~9회4%

10회이상2%

구매횟수별비율

Page 6: 해외 직구 사상 최대

- 6 -

□ 국가별 전자상거래 물품 수입통관 현황(단위: 천 건, %)

구분 미국 중국 독일 홍콩 일본 기타 합계

건수 8,372 1,276 488 345 184 494 11,159

비율 75 11 4 3 2 5 100

* 적출국 기준

□ 품목별 전자상거래 물품 수입통관현황

(단위: 천 건, %)

구분 의류․신발 건강식품 화장품 핸드백․가방 완구 기타 합계

건수 3,329 1,643 905 730 277 4,275 11,159

비율 30 15 8 7 2 38 100

□ 연령대별 전자상거래 물품 통관 현황(단위: 천 건, %)

구분10대

이하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이상합계

건수 130 1,893 3,668 1,077 401 178 7,347

비율 2 26 50 15 5 2 100

* 일반 수입신고 기준이며 외국인 등 연령대 파악이 불가능한 경우는 제외

□ 성별기준 전자상거래 물품 통관 현황(단위: 천 건, %)

구분 남 여 합계

건수 2,834 4,513 7,347

비율 39 61 100

* 일반 수입신고 기준이며 외국인 등 성별 파악이 불가능한 경우는 제외

참고 2 2013년도 통계

Page 7: 해외 직구 사상 최대

- 7 -

□ 지역별 전자상거래 물품 통관 현황(단위: 천 건, %)

구분 서울 경기 인천 영남 충청 호남강원

제주합계

건수 2,413 1,925 373 1,422 563 454 197 7,347

비율 33 26 5 19 8 6 3 100

* 일반 수입신고 건수 기준으로 세관에 신고된 주소지 기준으로 산출

□ 구매 횟수별 전자상거래 물품 수입통관현황

(단위: 천 명, 천 건, %)

구분 1회 2회 3~5회 6~9회 10회이상 합계

구매인원 1,525 470 426 154 130 2,705

수입건수 1,525 940 1,565 1,103 2,214 7,347

구매인원

비율56 17 16 6 5 100

* 일반 수입신고 건수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