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
i 요약 및 정책건의 Ⅰ. 연구개요 및 이론적 논의 1. 연구개요 연구의 배경 및 목적 민선 4 기를 거치면서 창조경제를 둘러싸고 다양한 변화가 출현 전개되고 있으며 , 이에 따른 비즈니스 환경의 급속한 변화가 나타남 방송통신 융합 , 첨단 디지털 신기술의 발전과 모바일콘텐츠 시장의 급성장 등 산업정책적 측면에서도 민선 5 기에 새로운 여건이 조성되고 있어 이를 체계적으로 수용 한 정책개발이 필요함 가령 , 서울시가 최근 새로 수립한 산업경제 마스터플랜인 서울경제비전 2020 8 신성장동력 산업과 문화소프트 경제조성 전략이 계획의 핵심 내용으로 부상함 이 연구는 상술한 배경하에 , 21 세기 일자리 창출 기반이자 신 성장동력인 창조경제를 중심으로 서울시의 제반 정책환경을 분석하고 이에 기초해 창조산업을 육성할 수 있는 전략적 방안을 모색하고자 함 연구의 내용 및 방법 연구의 시간적 범위는 창조경제가 본격 논의된 2000 년대 중반 이후를 주된 대상으로 하는 한편 , 공간적 범위는 서울시 전역을 기본으로 하되 필요한 경우에는 보다 미시적인 공간단위를 대상으로 함 내용적으로는 , 서울시 창조산업의 현황 및 추세 , 주요 부문 ( 장르 ) 에 대한 비즈니스 실태 분석 , 주요 부문 ( 장르 ) 의 정책여건 및 현안분석 , 창조산업 육성을 위한 주요 부문 중심의 전략적 방안 등을 범위로 함 연구의 방법과 관련해서는 , 기존 문헌연구 방법을 기반으로 창조경제의 개념화 및 접근 방법을 설정하고 , 창조산업의 현황 및 추세분석을 위해 창조경제의 13 개 부문 (10 개 장 ) 을 대상으로 통계적 분석과 권역별 분석을 수행함 각종 통계자료를 활용한 시계열 , 횡단면 분석을 통해 기초 현황을 파악하는 한편 , 존 문헌의 검토와 통계자료 분석을 통해 창조경제 트렌드를 파악함

요약 및 정책건의 - si.re.kr 요약_0.pdf · 디지털기반형 게임, 애니메이션, sw개발, 정보서비스 디지털중심형 영화, 방송, 음악 지식서비스형

  • Upload
    others

  • View
    1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요약 및 정책건의 - si.re.kr 요약_0.pdf · 디지털기반형 게임, 애니메이션, sw개발, 정보서비스 디지털중심형 영화, 방송, 음악 지식서비스형

i

요약 및 정책건의

Ⅰ. 연구개요 및 이론적 논의

1. 연구개요

◦연구의 배경 목

-민선 4기를 거치면서 창조경제를 둘러싸고 다양한 변화가 출 ㆍ 개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비즈니스 환경의 속한 변화가 나타남

∙방송통신 융합, 첨단 디지털 신기술의 발 과 모바일콘텐츠 시장의 성장 등

-산업정책 측면에서도 민선 5기에 새로운 여건이 조성되고 있어 이를 체계 으로 수용

한 정책개발이 필요함

∙가령, 서울시가 최근 새로 수립한 산업경제 마스터 랜인 「서울경제비 2020」 8

신성장동력 산업과 문화소 트 경제조성 략이 계획의 핵심 내용으로 부상함

-이 연구는 상술한 배경하에, 21세기 일자리 창출 기반이자 신 성장동력인 창조경제를

심으로 서울시의 제반 정책환경을 분석하고 이에 기 해 창조산업을 육성할 수 있는

략 방안을 모색하고자 함

◦연구의 내용 방법

-연구의 시간 범 는 창조경제가 본격 논의된 2000년 반 이후를 주된 상으로

하는 한편, 공간 범 는 서울시 역을 기본으로 하되 필요한 경우에는 보다 미시 인

공간단 를 상으로 함

-내용 으로는, 서울시 창조산업의 황 추세, 주요 부문(장르)에 한 비즈니스 실태

분석, 주요 부문(장르)의 정책여건 안분석, 창조산업 육성을 한 주요 부문 심의

략 방안 등을 범 로 함

-연구의 방법과 련해서는, 기존 문헌연구 방법을 기반으로 창조경제의 개념화 근

방법을 설정하고, 창조산업의 황 추세분석을 해 창조경제의 13개 부문(10개 장

르)을 상으로 통계 분석과 권역별 분석을 수행함

∙각종 통계자료를 활용한 시계열, 횡단면 분석을 통해 기 황을 악하는 한편, 기

존 문헌의 검토와 통계자료 분석을 통해 창조경제 트 드를 악함

Page 2: 요약 및 정책건의 - si.re.kr 요약_0.pdf · 디지털기반형 게임, 애니메이션, sw개발, 정보서비스 디지털중심형 영화, 방송, 음악 지식서비스형

ii

∙공간 분포패턴이나 집 지 황 등에 해서는 공간계량분석 기법 GIS기법을

활용한 공간경제(산업입지) 분석을 수행함

-집 지 분석과 련해, 1차 분석에서는 입지계수(LQ) 분석을 실시하고, 2차 분석에서

는 다시 객 이고 정 한 분석을 해 LISA 분석을 실시함

∙LISA(Local Indicator of Spatial Association) 분석은 모란지표(Moran’s I Indicator)를

분해하여 국지 공간자기상 성이 높은 단 를 공간클러스터로 식별하는 방법임

-비즈니스 실태를 분석하기 해 선행 연구를 활용하는 한편, 주요 장르( 상, 게임, 모바

일콘텐츠)를 심으로 문가 간담회와 기업 상의 설문조사 등을 실시함

2. 창조경제 관련 이론적 배경 논의

1) 창조경제 관련 개념 및 이론

◦ 환기 도시 경제와 창조경제

-오늘날 도시 경제는 국가의 지속발 을 한 견인차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데, 도시

서울경제에서는 산업경제를 둘러싸고 외 으로 로벌 경제환경이 다변화되고 있고,

내 으로는 다양하고 역동 인 변화가 개되고 있음

-이러한 도시 경제의 구조변화 속에서 창조경제(creative economy)가 향후 도시 경제

를 선도해 갈 수 있는 성장동력으로 부상하고 있음

◦창조경제에 한 주요 개념

-20세기 말 신주도형 경제로의 환과정에서 창조경제는 도시 경제의 신성장동력으

로 부상함

-창조경제는 ‘경제활동에 필요한 투입요소(inputs)와 산출요소(outputs)의 주요한 요소가

토지나 자본이 아닌, 창조 아이디어에 있는 경제’(Hawkins, 2001), 는 ‘개인의 창의

성, 기술, 재능에 기원을 두고 있으며 지식재산권 창출과 활용을 통해 부와 일자리를

창출하는 활동’(DCMS, 1998)으로 정의됨

-창조경제를 둘러싼 논의는 범 하고 다양하며, 특히 창조인력 근방법, 창조산업

근방법, 창조도시 근방법의 세 가지가 주된 흐름으로 나타남

-이 연구는 창조경제의 세 가지 근방법 ‘창조산업 근방법’에 기 하고 있으며, 창

조산업의 체계 분석과 산업활성화 정책을 모색하고자 함

Page 3: 요약 및 정책건의 - si.re.kr 요약_0.pdf · 디지털기반형 게임, 애니메이션, sw개발, 정보서비스 디지털중심형 영화, 방송, 음악 지식서비스형

iii

-창조경제에 한 개념 논의에서 요한 쟁 가운데 하나는 창조산업의 범 로 국

의 DCMS나 UNCTAD 등의 기 이나 Hawkins, Caves, Florida 등의 학자마다 창조산업

을 인식하는 이나 개념 기 이 다양함

◦창조산업의 주요 특성

-다른 요한 개념 쟁 은 창조산업이 내재하는 다양한 특성으로, 다음의 3가지 특성

이 산업정책이나 발 략 수립 측면에서 요하게 고려되어야 함

∙창의 아이디어 기반과 강한 문화지향성, 복잡한 가치사슬 기반의 클러스터형 산업,

도우 효과를 통한 고부가가치와 일자리 창출

-우선, 창조산업은 그 본원 생산요소라 할 수 있는 창조활동 창조 노동을 둘러싸

고 다음의 내재 속성을 배태함(Caves, 2001)

∙수요의 불확실성, 술을 한 술 속성, 숙련의 다양성, 무한한 다양성, 숙련도 차이,

시간 제약, 콘텐츠의 속성 등

- 한, 창조산업은 문화 역과의 긴 하게 연계된 강한 문화 지향성을 지니나, 이러한

차원을 넘어 창조 아이디어와 지식, 콘텐츠의 생산․활용․거래 등이 요한 요소임

-아울러 창조경제는 로젝트를 기반으로 기획으로부터 제작, 마 ․유통에 이르는 복

잡한 가치사슬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은 공간 으로 투 되어 특정 장소에 산업집

화하여 공간클러스터가 형성․발 함

-마지막으로, 창조경제는 추가 비용 없이 무한한 복제가 가능하고, 원소스멀티유즈

(OSMU)에 의해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하며, 후방의 산업연계를 통해 많은 일자리가

창출될 수 있는 표 인 고용창출형 산업에 해당함

2) 이 연구의 개념적 기준과 분석틀 정립

◦분석범 와 분석 상 설정

-이 연구에서는 창조경제를 구성하는 13개 부문(10개 장르)을 도출하고, 장르별로 세부

업종범 를 구체화하는 한편, 이들을 4 역(<표 1> 참조)으로 재구성함

-상술한 창조산업 구성을 고려해 분석을 수행하되, 이 연구에서는 산업여건과 정책여건

을 고려해 연구 상 장르를 선정함

-서울경제의 주력 문화콘텐츠 산업 분야인 상과 게임을 심으로 하되, 첨단 디지털기

술을 기반으로 유통채 의 하나로 출 하 다가 최근 새로운 산업화의 경로를 확립해

가고 있는 모바일콘텐츠를 략 장르로 선정함

Page 4: 요약 및 정책건의 - si.re.kr 요약_0.pdf · 디지털기반형 게임, 애니메이션, sw개발, 정보서비스 디지털중심형 영화, 방송, 음악 지식서비스형

iv

영역 장르

순수문화형 공연예술, 출판(만화)

디지털주도형

디지털기반형 게임, 애니메이션, SW개발, 정보서비스

디지털중심형 영화, 방송, 음악

지식서비스형 건축, 광고, 디자인, 연구개발서비스

<표 1> 창조경제의 영역 및 장르 구성

◦분석틀 정립

-이 연구에서는 창조경제의 핵심 특성 하나인 클러스터 지향성을 고려해 세 분석층

를 해부하는, 소 다층 ․부문별 근방법(Multi-Layered, Sectoral App)을 모색함

구분핵심층위(부문) 연관층위(부문) 지원

층위(부문)

해당 장르의 제작부문

유통부문 기반부문플랫폼·기기부문

순수문화형(Cultural Type,

Traditional Type)

공연예술, 출판(만화)

좌측핵심부문

(Core Sector)에 해당하는

장르들의 유통기업

-

영상·음향·통신장비

제조

지원시설*

디지털주도형

디지털기반형(Digitalized Type)

게임, 애니메이션 등

SW개발, 정보서비스

디지털중심형(Digitalizing Type)

영화, 방송, 음악 -지원

기관**지식서비스업형

(KIBS Type)건축, 광고, 디자인 연구개발서비스

← 창 조 산 업 →

← 창 조 산 업 클 러 스 터 →

*지원시설:공연/전시·컨벤션/복합문화시설/관광시설 일부/기타시설 등 **지원기관:금융(투자)·회계·지재권 지원기관, 교육훈련 지원, 산업지원 등

<표 2> 창조산업클러스터 구성체계

-창조경제의 가치사슬을 반 해 핵심층 /연 층 /지원층 로 구분하되, 이들 분석층

를 기 으로 앞의 세 략 장르( 상/게임/모바일콘텐츠)를 심층 분석함

∙핵심층 는 기획 제작사슬을 담당하는 주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연 층 는 유통

부문과 함께 기반부문과 기기 랫폼을 담당하는 주체로 재구성함

∙지원시설은 공연, 시, 컨벤션, 복합문화시설, 체육시설 등이며, 지원기 은

융, 지 재산권, 교육훈련, 산업지원기 등을 포함함

Page 5: 요약 및 정책건의 - si.re.kr 요약_0.pdf · 디지털기반형 게임, 애니메이션, sw개발, 정보서비스 디지털중심형 영화, 방송, 음악 지식서비스형

v

3)창조산업 메가트렌드

◦변화하는 창조경제와 4 트 드

-창조경제를 둘러싼 다양한 변화 가운데 다음의 4가지 트 드는 향후 창조경제 반에

직간 으로 향을 주고 그 결과로 다양한 추가변화를 유발하고 있으므로 창조경제 육

성을 한 략 방안에서 요하게 고려되어야 함

-창조경제의 로벌화와 신흥시장의 부상, 콘텐츠 제작 유통환경의 다변화, 디지털융

합 융합형콘텐츠 개발 활성화, 콘텐츠 이용 소비패턴의 다변화 등

◦창조경제의 로벌화와 신흥시장의 부상

-사회경제 반의 세계화 속에 창조경제의 세계시장도 비약 으로 확 되고, 국경간 거

래와 경제활동의 국제교류 등의 로벌화가 활발하게 개됨

∙출 과 음악 등 7개 장르를 상으로 한 콘텐츠 산업의 세계시장은 지난 2005년 5천7

백억 달러에서 2009년 6천6백2십억 달러로 매년 4% 정도의 성장을 보임

-창조경제의 세계화는 기에 콘텐츠 수출 라이선싱 방식이 주를 이루다가 합작투자

나 지법인 설립은 물론 국제공동제작과 같이 보다 극 방식으로 환함

∙이 과정에서 략 제휴나 인수․합병 등을 통해 로벌 기업으로 성장하는 기업들,

특히 로벌 미디어 기업들이 다수 출 하고 있음

-창조경제를 둘러싼 로벌 시장이 지속 확 되면서 아시아나 남미 등 신흥시장 한

목할 성장세를 보이고 있음

∙가령, 2009년∼2015년 동안 세계 콘텐츠 시장은 연평균 약 4.3% 성장이 망되지만,

아시아권 콘텐츠 시장은 약 7.4%의 성장이 상됨

◦콘텐츠 제작 유통환경의 다변화

-디지털 기술이 고도화되면서 콘텐츠 제작 유통을 둘러싼 신기술이 출 하고, 이에

기 해 랫폼 서비스가 진화하고 있음

-다변화되고 있는 기술환경 속에서 콘텐츠 제작은 아날로그 콘텐츠를 디지털화하는 기

존 추세가 더욱 활성화되는 한편, CG나 3D입체 상, 가상 실이나 증강 실 등의 첨단

제작기술 기반 콘텐츠 제작이 증 되고 있음

-유통 역에서도 네트워킹 기술 고도화로 신이 가속화되고 있으며, 특히 모바일 기반

의 새로운 유통채 이 지속 확 되면서 최근에는 독자 인 산업으로 성장함

◦디지털 컨버 스와 융합형콘텐츠 개발 활성화

-21세기 기술융합의 거 한 조류 속에서 디지털기술 기반의 융합(Digital Convergence)

이 단말기 융합/네트워크 융합/서비스 융합/사업자 융합 등으로 다양화되고 있음

Page 6: 요약 및 정책건의 - si.re.kr 요약_0.pdf · 디지털기반형 게임, 애니메이션, sw개발, 정보서비스 디지털중심형 영화, 방송, 음악 지식서비스형

vi

∙단말기 융합과 련해, 기존 온라인 PC에 더해 모바일기기, IPTV, WiBro, HAPDA

등이 새롭게 출 하여 랫폼에서의 통합화를 실 함

∙서비스 측면에서도 TPS(Triple Play Service), QPS 등의 융합형 서비스가 출 함

-세계 융합콘텐츠 시장은 2010년 재 약 4천4백억 달러 규모로 년 비 약 18% 성장

하 으며, 향후 2014년까지 연평균 약 19% 성장이 상됨(Insight Plus, 2010)

-디지털 컨버 스의 활성화에 힘입어 콘텐츠 융합도 활발하게 개되는데, 향후 이러한

추세는 타 산업과의 융합으로 진화하면서 새로운 산업생태계가 발 할 것으로 기 됨

◦콘텐츠 이용 소비패턴의 다변화

-웹 2.0과 신소비계층의 등장으로 일방향 정보흐름과 수동 소비에서 벗어나 방향,

상호작용성, 체험성 시의 소비패턴이 심화되고 있음

-소비패턴의 질 환은 창조 소비자(Prosumer), 사용자창작콘텐츠(UCC) 등의 활동

을 활성화하며, 이러한 콘텐츠 이용 소비패턴에서의 변화는 궁극 으로 사회 의

사소통 방식이나 사업방식의 변화로 나타남

3. 창조산업 주요 현황과 집적지 식별

1) 창조산업 현황

◦서울시 창조산업 황 추세

-창조경제의 핵심을 차지하는 문화콘텐츠 산업을 기 으로 2010년 재 서울시 매출액

은 국 매출액의 73%인 32조9천억 원으로 서울시의 창조경제가 국가 창조경제에서

차지하는 상은 막 함(문화체육 부, 2011)

∙특히, 고, 방송, 콘텐츠솔루션 등은 체 매출액의 80%를 상회하는 수 임

-이 연구에서 설정한 창조경제(13 창조산업 부문)를 기 으로, 2008년 재 서울시 창

조산업의 사업체는 33,061개(제작 분야 사업체는 20,873개), 종사자는 405,172명(제작

부문 종사자는 333,361명)으로 분석됨

-이는 국 비 사업체의 43.8%(제작부문 50.1%), 종사자의 55.3%(제작부문 56.7%)로,

여기서도 서울시의 높은 상을 재확인할 수 있음

- 역별로는 디지털기반형이 52.1%로 가장 높고 그다음으로 지식서비스형이 26.9%의

순서로 나타남

Page 7: 요약 및 정책건의 - si.re.kr 요약_0.pdf · 디지털기반형 게임, 애니메이션, sw개발, 정보서비스 디지털중심형 영화, 방송, 음악 지식서비스형

vii

-장르별로는 종사자를 기 으로 SW개발업이 체 종사자의 1/3에 달하는 압도 비

을 보이고 있고, 출 ·만화(11.3%), 게임(10.9%), 연구개발업(8.8%)과 건축(8.5%) 등도

비교 높은 비 을 나타냄

-한편, 추세상으로는 체 으로 1994~2008년 동안 사업체와 종사자 각각 26.9%,

77.8%, 그 가운데 2000년∼2008년 동안에는 0.1%, 18.1%의 성장세를 보여, 양 인 성

장과 함께 질 인 성장도 개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음

- 역 측면에서는 1994년∼2008년 동안 디지털기반형은 종사자가 무려 188.6% 성장

한 반면, 통 역인 순수문화형은 지속 인 감소세를 보여, 창조경제 내에서 디지

털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음

-장르별로는 SW개발업(284.8%), 정보서비스업(265.2%), 디자인(248.3%), 연구개발업

(208.8%) 등이 매우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음

∙특히, 2000년 이후에는 디자인(127.7%), 공연 술(119.4%), 연구개발업(85.3%), 방송

(54.6%) 등에서 비약 인 성장이 나타나고 있음

∙반면, 음악(-49.5%), 출 /만화(-27.5%), 애니메이션(-20.4%) 등은 감소세를 나타냄

◦창조산업의 공간 분포 황 추세

-창조산업을 공간 측면에서 살펴보면, 종사자를 기 으로 40.1%의 종사자가 집 하고

있는 동남권이 압도 우 를 보이는 가운데, 서남권과 도심권에서 비교우 가 존재함

-장르별로는 공연 술의 경우 도심권과 더불어 동남권이 높은 비 을 보이며, 특히 동남

권은 빠른 성장세에 힘입어 재는 가장 높은 비 (42.1%)을 나타냄

- 화의 경우 공간 심성이 바 어 과거 화산업의 심지이던 도심권 종사자는

재 15% 정도에 불과한 신, 동남권 종사자는 50%에 달하고 있음

-방송의 경우에는 서남권의 압도 우 속에서 도심권과 동남권에 일부 종사자가 분포

하고 있는 반면, 게임의 경우에는 동남권의 지배 우 속에서 서남권과 도심권의 종

사자 우 가 찰되고 있음

-지식서비스형 창조경제에 해당하는 부문들(건축, 연구개발업, SW개발업, 정보서비스업

등)도 다른 부문과 유사하게 동남권의 우세성이 유지되는 가운데 서남권에서 종사자 우

가 비교 높은 것으로 나타남

-가치사슬의 핵심을 차지하는 제작부문에 한정하면, 체를 상으로 한 공간 분포와

유사한 입지패턴을 보이고는 있으나 일부 장르에서는 차별 특성을 나타냄

- 체 으로, 동남권과 서남권에 체의 43%, 29%에 달하는 종사자가 분포해 이원화된

구조를 보이고 있으나, 차 동남권을 향한 “일극 심성”이 크게 강화되고 있음

Page 8: 요약 및 정책건의 - si.re.kr 요약_0.pdf · 디지털기반형 게임, 애니메이션, sw개발, 정보서비스 디지털중심형 영화, 방송, 음악 지식서비스형

viii

-권역별로는 동남권의 경우 SW개발업 종사자가 다수를 차지하는 가운데 건축업, 게임,

고 등도 높은 종사자 비 을 나타냄

-서남권도 SW개발업이 43.9%의 압도 비 을 보이는 가운데 연구개발업과 게임, 방송

등의 3 장르에서 비교 높은 우 가 확립되어 있는 반면, 도심권은 SW개발업과 출

만화, 게임 등을 심으로 종사자 우세가 존재함

◦창조산업의 공간 분포 변화추세

-앞의 공간 분포 황에 더해 1995년과 2000년으로 시계열을 확 하여 창조산업의 공

간 분포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를 살펴

-장르별로 변화추세에 한 분석결과는 본문 내용을 참조하고 여기서는 주요 장르를

심으로 간략하게 언 함

- 화부문의 경우 화산업의 역사 심지 던 충무로 일 에 2000년 까지 사업체가

증가하다가 이후 크게 약화되는 신, 강남 지역의 사업체가 지속 인 증가세를 보이고

구로디지털단지나 마포-상암 지역에서도 사업체가 증가함

-방송부문의 경우에는 1995년, 2000년, 2008년의 세 시 에서 여의도 심의 사업체 집

이 일 된 모습을 보이며, 그 규모도 1995년 비 5배가 증가한 것으로 분석됨

-이와 함께, 2000년을 후해 강남-서 지역에 화 방송제작사가 거 유입되었는

데, 2008년에 들어서는 그 성장세가 다소 약화되면서 도심과 마포, 구로- 천지역으로

사업체의 이동이 활발함

-게임부문의 경우에는 표 산업분류체계의 시계열 간 매칭의 문제로 2000년 이후의 시

계열 변화만 살펴보았는데, 체 으로 2000년 이후 강남을 심으로 게임산업이 성장

하면서 2008년에는 주변지역으로 확 되는 집 의 역화 추세가 나타남

-이와 함께, 구로- 천 지역의 디지털단지와 마포-상암 DMC 지역을 심으로 새로운 집

이 형성되면서 집 세도 강화됨

-이외, 디자인산업은 1990년 반 강남-서 지역을 필두로, 종로-을지로 등 다수 지역

으로 분산된 입지패턴을 보이다가, 2000년 에는 여의도-마포- 도심, 강남 등 3극을 향

한 집 세가 강화되고 2008년 들어 강남권, 마포와 을지로 일부 지역을 심으로 집

이 유지되는 가운데 디지털단지에도 새로운 집 이 형성되는 양상을 보임

2) 서울시 창조산업 집적지 식별

◦분석의 개요와 분석방법

Page 9: 요약 및 정책건의 - si.re.kr 요약_0.pdf · 디지털기반형 게임, 애니메이션, sw개발, 정보서비스 디지털중심형 영화, 방송, 음악 지식서비스형

ix

-창조산업의 10 장르를 상으로 장르별 클러스터의 입지패턴을 분석하며, 분석된 결

과는 서울시 창조산업의 입지여건의 일부로서 창조산업 육성을 해 략 방안을 모

색하는 데 활용함

-창조산업의 공간 클러스터, 즉 집 지를 식별하기 해 최근 클러스터 연구에서 범

하게 사용되고 있는 공간계량분석 기법의 하나인 LISA(Local Indicator of Spatial

Association) 분석을 활용함

∙LISA 분석은 주변지역과 유사성을 통해 공간 군집을 식별하는 방법으로, 분석결과

H-H(높은 값 주변에 높은 값을 가지는 지역)유형인 지역을 집 지로 식별함

-LISA 분석에는 장 뿐 아니라 방법론 제약도 존재하므로 이 연구에서는 이를 보완하

기 해 입지계수(LQ)와의 교차분석을 실시하되, 이 교차분석을 통해 H-H유형인 동시

에 입지계수(LQ)가 2 이상을 나타내는 지역이 “강한 집 지역”으로, 그리고 단순히 입

지계수가 2 이상인 지역은 “집 가능지역”으로 식별함

-이하에서는 주요 장르를 심으로 분석결과의 주요 내용을 요약하며, 10 장르에 한

보다 상세한 분석결과는 본문을 참조할 것

◦분석의 결과:주요 집 지 식별

-공연 술부문은 LISA 분석을 통해 23개 지역이 집 지로 식별되고, 입지계수 분석에서

38개 지역이 집 지로 도출되었으며, 양 분석의 교차분석을 통해 입지계수가 2 이상이

고 H-H인 ‘강한 집 지역’은 13개 지역(洞)으로, 그리고 단순 입지계수가 2 이상인 집

가능지역은 25개 지역(洞)으로 식별됨

-강한 집 지는 주로 동남권과 도심권, 마포구 일부인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특히 동남권

은 강남구 일 와 서 구 일부 지역, 도심권은 이화동과 혜화동을 심으로, 그리고 마

포구는 홍 일 를 심으로 집 지가 발달해 있음

-게임부문은 논 동, 도곡동, 삼성동, 역삼동 등 모두 7개 동이 ‘강한 집 지역’으로, 12

개 동이 ‘집 가능지역’으로 식별되고 있는데, 양호한 기반시설과 양질의 오피스 공간

등을 선호하는 게임제작사의 입지선호에 따른 것임

-강남구 외에 마포구 상암동 일 와 서남권 등 12개 동이 집 가능지역으로 식별되고 있

는데, 서남권에서의 집 은 1990년 후반 구로디지털단지를 심으로 물 인 라 개

선과 업무공간이 확충되면서 게임제작사나 SW기업이 지속 으로 유입한 데 따른 것으

로 해석됨

- 화부문은 논 ․신사․압구정․청담동 등 모두 10개 동이 강한 집 지역으로 식별되

고, 청량리, 구로, 돈암, 장충, 필동, 서교동 등 20개 동은 집 가능지역으로 식별됨

Page 10: 요약 및 정책건의 - si.re.kr 요약_0.pdf · 디지털기반형 게임, 애니메이션, sw개발, 정보서비스 디지털중심형 영화, 방송, 음악 지식서비스형

x

- 화부문과 가치사슬상의 연계가 매우 강한 방송부문은 도화동, 서강동, 합정동 등 3개

동이 강한 집 지로 식별되고, 다른 18개 동이 집 가능지역으로 분석됨

∙집 가능지역은 여의도동, 마포구 주변, 도심권 일부 등에서 찰되는데, 특히 여의도

동은 높은 입지계수와 최상 종사자 우세를 고려 시 사실상 강한 집 지에 해당함

∙이외, 향후 상암DMC로의 방송사 입주가 완료되면, 마포지역을 심으로 한 서남권에

단 방송클러스터가 형성될 가능성이 높음

◦집 지의 시계열 변화: 화/방송/게임

-제작과 유통을 통합한 클러스터 단 를 상으로 사업체와 종사자를 기 으로 한 집

지의 시계열 변화를 분석한 결과, 화, 방송, 게임 장르별로 1995년, 2000년, 2008년

각각 일정한 변화를 나타냄

-우선, 화부문은 1995년에 동남권과 서남권 지역에 산발 으로 강한 집 지가 존재하

던 클러스터 패턴이 시간이 흐르면서 차 특정한 장소로 집 화되면서 강남권을 심

으로 한 일극화 경향을 나타냄

-방송부문은 1995년 여의도를 심으로 한 압도 우 속에서 지역에 산재해 있던

공간클러스터 패턴은 동남권 지역이 약화되는 신 서부권 지역으로 수렴화 경향을 보

이는 가운데 여의도와 그 주변지역에 단 방송클러스터가 형성되는 한편, 신규 조성

된 상암DMC에서도 새로운 클러스터가 형성 임

-마지막으로, 게임부문은 유통업체의 향으로 2000년에 용산지역과 서 지역을 심으

로 이원화된 집 패턴이 나타났으나, 2008년 들어서는 기존의 지역에 더해 강남구 일 ,

서남권(구로디지털단지), 서북권의 상암DMC 등 보다 다원화된 집 지 패턴이 나타남

-종합하자면, 우선 동남권에는 부분의 창조산업이 고루 발달해 있고, 특히 화, 게임,

애니메이션 등의 집 은 매우 강한 클러스터 특성을 보이는바, 이와 같은 시장주도형의

단 복합클러스터의 성장세를 지속 으로 유지·강화하는 략이 요구됨

-서남권은 여의도를 심으로 방송과 음악 클러스터가 잘 발달해 있고, 물 환경이 재정

비된 구로디지털단지를 심으로 상, 게임클러스터가 성장세를 보이는 이원화된 클

러스터 특성을 나타냄

-도심권은 출 , 디자인, 공연 술 등 순수문화형 창조경제를 심으로 한 공간클러스터

가 상 으로 발달해 있는 클러스터 특성을 보이는바, 이러한 특성을 유지․ 리하는

동시에 디지털기반 창조경제 역과의 연계․네트워킹을 활성화하는 략이 요구됨

-서북권은 신 ․홍 일 등 학가와 상암 DMC를 심으로 이원화된 클러스터 구조

Page 11: 요약 및 정책건의 - si.re.kr 요약_0.pdf · 디지털기반형 게임, 애니메이션, sw개발, 정보서비스 디지털중심형 영화, 방송, 음악 지식서비스형

xi

를 보이는바, 이런 특성하에 상암DMC를 서북권 클러스터 거 으로 도약시키는 한편,

이를 기반으로 그 성장세가 주변부로 확산될 수 있는 략이 요구됨

-다른 권역과 달리 동북권은 공간클러스터가 잘 식별되지 않은 창조경제의 취약지역에

해당하는바, 권역 내 여건과 가용자원을 활용한 략 근과 창조경제 특성화 방안이

시 한 지역임

-이를 해 활용가능한 다양한 자원을 식별하는 것이 필요한데, 다수의 학이나 연구소

가 집 해 있음을 고려할 때 이를 기반으로 최근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부문을 상으

로 특성화 략을 모색해 볼 필요가 있음

3) 정책현황

◦창조산업 련 앙정부의 지원책

-2006년 이후 창조산업에 한 논의가 확산되고 내외 변화가 격히 진행되면서 앙

정부에서는 문화콘텐츠 련 제도의 정비가 범 하게 이루어졌으며 재까지 다양한

자원방안이 시행되고 있음

-정부의 창조산업 육성은 문화체육 부가 주도하고, 방송통신 원회와 지식경제부 등

이 일부 장르를 심으로 육성정책을 수립하며, 산하의 다양한 지원기 에 의해 세부

사업들이 추진되는 정책거버 스를 구성하고 있음

∙장르별, 지원기 별 세부 지원책에 해서는 본문 내용을 참조할 것

-한국콘텐츠진흥원(KOCCA)이 다양한 세부 지원사업을 실행해 오고 있으며, 3D, CG,

HD 등의 콘텐츠 기술수 향상과 제작인 라 확충, 제도 개선 유통체계 리 구축

등 다양한 측면에서 지원사업을 실시함

-지식경제부도 17개 신성장동력 발굴 육성 략과 결부해 디자인·패션, SW산업

IT융합 산업 육성정책을 수립·추진하는 한편, R&D 련 정책도 신화하고 있음

-이외 방송통신 원회는 방송통신정책의 수립, 방송통신 융합 정책의 수립과 융합서비스

의 활성화와 련 기술 개발 등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으며, 세부 사업들은 산하 한국방

송통신 진흥원, 인터넷진흥원 등을 통해 추진되고 있음

◦창조산업 련 서울시 지원책

-서울시의 창조산업 육성도 정부와 유사하게 “문화콘텐츠 산업 육성”이라는 제한된 정책

역을 심으로 추진되었으며, ‘문화 디자인본부’와 ‘경제진흥본부’가 정책추진의

주도 주체 역할을 수행함

Page 12: 요약 및 정책건의 - si.re.kr 요약_0.pdf · 디지털기반형 게임, 애니메이션, sw개발, 정보서비스 디지털중심형 영화, 방송, 음악 지식서비스형

xii

-특히, 문화 디자인본부의 문화산업과가 주도 으로 상산업 인 라 확충과 상문

화 기회의 확 , 시민에게 친숙한 게임, 애니메이션산업 활성화 등의 정책을 추진함

-서울산업통상진흥원 산하의 서울애니메이션센터는 주로 상, 게임, 만화·캐릭터 등의

장르를 지원하고 있으며, 이와 별도로 서울 상 원회는 화산업에 한 지원역할의

일부를 담당하고 있음

-서울애니메이션센터는 마 지원, 제작자 지원, 교육 시설인 라 지원 등을 심

으로 지원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서울 상 원회는 촬 제작자 지원과 함께 화감독

에게 화창작공간(DMC내)을 제공하는 등의 지원사업을 실시함

-이외 서울시는 문화산업 육성을 한 다양한 시설을 조성하 거나 조성하고 있는데, 구

체 으로는 상암DMC 내 IT콤 스와 문화콘텐츠센터(SCC), 동 문디자인 라자

(DDP)와 서울디자인지원센터 등이 조성 이고, 상콤 스 조성도 모색 임

-창조산업에 한 서울시의 지원정책은 주로 창작자 과 공간을 제공하는 지원책 주

로 운 되고 있는데, 새로운 트 드의 도입과 틈새시장의 출 속에서 다양화·다변화되

고 있는 창조경제의 여건을 고려해 볼 때, 정책범 의 다각화와 정책내용의 다양화· 신

화가 모색될 필요가 있음

4. 장르별 여건 및 비즈니스 실태

1) 장르별 주요 여건

◦장르별 여건분석 개요

-이 연구에서 략 장르로 설정된 상 게임, 모바일콘텐츠 산업을 상으로 장르별

기 황과 비즈니스 실태, 주요 추세와 안 등을 체계 으로 분석함으로써 략

방안 도출을 한 정책의 여건을 진단함

․기 황 비즈니스 실태 분석과 련해 산업별 가치사슬 구조를 해부하는 한편,

핵심/연 /지원 부문을 포 한 클러스터를 상으로 통합 분석을 수행함

․비즈니스 실태 분석의 일환으로 장르별로 문가 간담회와 기업면담을 실시하고 이를

통해 세부 인 실태 악을 해 설문조사를 실시함

-실태조사는 서울소재 상, 게임, 모바일콘텐츠 분야의 200개 기업을 상으로 사업체

기 황 경 여건, 사업실태, 정책 안 수요 등을 악함

Page 13: 요약 및 정책건의 - si.re.kr 요약_0.pdf · 디지털기반형 게임, 애니메이션, sw개발, 정보서비스 디지털중심형 영화, 방송, 음악 지식서비스형

xiii

-이러한 여건 분석 실태조사 결과는 앞서 수행된 다른 분석과 더불어 정책과제를 도

출하고 략 방안을 구체화하는 데 활용하고자 함

◦ 상산업의 주요 황 추세

- 화와 방송은 장르 유사성으로 인해 상산업이라는 통합 틀로 근하며, 특히

화와 방송드라마는 가치사슬을 둘러싼 연계가 매우 강함

∙제작단계에서 화와 방송드라마 사이에 제작연계와 인 교류가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으나, 유통단계에서는 양자 간 상이한 유통채 을 가지고 있음

- 상산업은 기획-제작-유통으로 이어지는 가치사슬과 후방의 지원부문에 의해 클러

스터가 구성되며, 클러스터 내 으로 다양한 세부 장르들이 존재함

- 상산업 가운데 화는 2010년 재 473편이 상 되어 3천7백억원의 매출액을 기록하

는데, 한국 화가 차지하는 비 은 차 감소세를 보이고 있음

∙2010년 기 극장, 스크린, 좌석수 등에서 서울이 차지하는 비 은 각각 18.6%,

18.2%, 19.0%로 비교 높은 비 을 나타냄

-방송산업은 2010년 재 8조9천5백억원의 매출액을 기록해 화산업의 20배 정도의 시

장규모를 나타냄

-부문별로는 방송채 사용사업과 지상 방송이 체의 36.9%, 36.4%로 가장 많은 비

을 차지하고 있으며, 해외수출 가운데 94.6%는 드라마콘텐츠가 차지하고 있음

-사업체로는 국 사업체의 약 71.1%가 서울에 입지하고 있으며, 특히 방송 상독립제작

사는 78.0%가 서울에 집 하고 있는 높은 산업 상을 나타냄

-서울시 상산업의 공간클러스터 여건과 련해서는 여의도와 그 인 지역(방송), 강남

과 서 의 일부 지역( 화)에서 강한 집 지가 나타나고 있고, 이외 상암지역과 양천구

일부 지역에서도 집 이 나타남

-국내 상산업의 특성은 세한 사업구조 속에 수익률의 악화, 특정 수익원( 화의 극장

수익과 방송의 고수익)에의 과도한 의존성, 그리고 스타 심의 제작구조와 이에 따른

낙후한 제작역량 등을 지 할 수 있음

-한편, 상산업이 가지는 추세와 안은 략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어 요하게 고려

되어야 할 요소로, 우선 ‘ 상산업의 로벌화’가 주된 추세로 나타나고 있음

-실제, 상산업은 화 방송드라마를 심으로 최근 10여 년간 콘텐츠 수출과 해외시

장 진출, 그리고 국제공동제작 등이 활성화되고 있으며, 특히 최근에는 K-POP을 매개한

신한류에 의해 더 범 하고 다양화되고 있는 추세임

Page 14: 요약 및 정책건의 - si.re.kr 요약_0.pdf · 디지털기반형 게임, 애니메이션, sw개발, 정보서비스 디지털중심형 영화, 방송, 음악 지식서비스형

xiv

-‘제작시스템의 질 변화와 디지털화’도 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추세로, 디지털기술의

도입에 의해 새로운 제작 유통시스템이 출 하고 있음

-아울러, 화에서 시작된 ‘3D입체 상의 활성화’ 한 다른 요한 추세로, 3DTV 등의

입체 상단말기 제작과 3D방송을 계기로 실생활의 많은 역에서 3D콘텐츠 이용이 비

약 으로 확 되고 있음

-이외 ‘콘텐츠 유통의 다변화와 디지털화’가 요한 추세로, 인터넷, 모바일, 이블TV,

IPTV 등 다양하고 새로운 유통매체의 보 으로 콘텐츠 유통채 이 다변화되고 있음

◦게임산업의 주요 황 추세

- 상산업과 유사하게 게임산업도 기획-개발(제작)-유통 서비스의 복잡한 가치사슬로

구성되며, PC게임, 아 이드, 비디오, 온라인, 모바일 게임 등 다양한 장르가 존재함

-2009년 재 국내 게임시장은 3,640백만 달러로 세계 게임시장의 3.1% 수 에 불과하

며, 주로 온라인게임이 높은 비 을 차지함

-게임산업 한 다양한 특성을 가지는바, 노동집약 이면서도 고부가가치형의 산업, 기

술집약 이고 산업 간 연계가 강한 클러스터형 산업, 게임의 사용자와 객체 간 강한 상

호작용성, 시장경제 성격과 사회문화 특성의 공유 등을 고려할 수 있음

-2008년 재 게임산업클러스터는 사업체 5,105개(지원부문 제외), 종사자 44,1852명의

규모를 가지며, 이 가운데 핵심층 는 각각 486개, 18,201명을 나타냄

-공간 측면에서는, 강남-서 일 의 산업클러스터와 구로디지털단지, 상암DMC 등을

심으로 집 지가 발달해 있음

∙특히, 동남권 강남-서 지역은 2000년 이후 자연 , 시장주도 과정을 거쳐 진화

한 클러스터로, 강한 집 지를 심으로 연 부문도 집 하고 있는 자기완결 클러

스터이자 여 히 성장잠재력이 큰 단 클러스터로 자리매김하고 있음

-게임산업 한 재 다양한 변화를 나타내고 있는데, 우선 온라인게임 시장이 체 게임

의 81%(09년 기 )를 차지하고 있을 정도로 장르의 편 화가 심한데, 이는 시장의 불안

정성을 확 하는 등의 여러 부정 향을 래할 수 있음

-다행히, 최근에는 여성이나 성인 등으로 이용계층이 다변화되면서 게임장르의 다양화를

가능하게 할 계기가 마련되고 있음

-다른 추세로는 지난 1980년 반 이래로 외연성장을 거치면서 다양한 질 변화를 경

험하고 있는바, 해외시장 진출 확 와 같은 정 측면이 있는가 하면 산업구조의 양극

화도 심화되고 있어 소제작사의 역량강화를 한 다각 인 노력이 요구됨

Page 15: 요약 및 정책건의 - si.re.kr 요약_0.pdf · 디지털기반형 게임, 애니메이션, sw개발, 정보서비스 디지털중심형 영화, 방송, 음악 지식서비스형

xv

-모바일게임 시장의 성장 한 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추세로, 2002년∼2009년 동안

연평균 14.6%의 성장률을 보이고 있고, 모바일기기의 확 와 오 마켓의 활성화 등으

로 향후 지속 인 성장세가 상되는 시장임

-이외, 게임기기 랫폼 기술의 발달로 기능성 게임, 모션센서기반 체감형 게임, UCC

기반 온라인 게임, 치기반(LBS) 기반 모바일 게임 등 신 게임 장르의 출 한

요하게 인식되어야 할 추세에 해당함

◦ 모바일콘텐츠 산업의 주요 황 추세

-모바일콘텐츠 산업은 ‘모바일콘텐츠의 제작·유통·서비스와 련된 비즈니스를 수행하는

산업군’으로 정의되는데, 과거 디지털콘텐츠 산업의 일부 역으로 통합되어 있다가 최

근 오 마켓(App Store, Android Market) 등 신시장 창출을 계기로 독자 산업으로 발

하고 있음

-모바일콘텐츠 산업은 가치사슬로 보면 단순히 모바일콘텐츠의 제작에만 한정되지 않고

모바일 기기와 SW개발, 무선통신네트워킹 등 다양한 부문 련 주체로 구성됨

-산업화의 기에는 통신사업자가 주도하는 수직 , 폐쇄 가치사슬로부터 최근 랫

폼 개방에 의해 개방 , 수평 계에 기 한 앱생태계(Eco-system)가 형성됨으로써 생

태계형 가치사슬로 질 환을 겪고 있음

- 로벌 모바일콘텐츠 시장은 애 사(Apple)의 앱스토어(App Store)를 필두로 5 마켓

으로 구성된 오 마켓(open market)을 심으로 형성되어 있음

∙애 리 이션 ( )등록수를 기 으로 앱스토어(애 ), 안드로이드(구 ), 오비스토

어(노키아), 앱월드(림) 등의 순서로 시장규모를 차지하고 있음

∙애 앱스토어에 등록된 애 리 이션 수는 2010년 10월에 26만건에서 2011년

9월에 약 53만건으로 기하 수 으로 증가하고 있음

-향후 모바일 시장의 성장세를 측해 볼 수 있는데, 가령 표 인 오 마켓인 애

앱스토어의 경우 다운로드 건수가 2011년 1월 100억회를 기록한 이래로 6월 140억회,

7월 150억회를 기록함(148Apps.biz)

-2009년 재 세계 모바일콘텐츠 시장은 총 278억 달러 정도이고 그 가운데 모바일앱

시장이 약 52억 달러를 차지하는 것으로 추정되는데, 2010년 15억 달러에서 2014년 580

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음(Gartner, 2011)

-국내의 모바일콘텐츠 산업은 아직은 맹아 단계이고, 시장규모는 세계시장의 2.2%(약

6억 달러) 정도의 미미한 수 이며 제작역량 한 매우 취약한 실정임

Page 16: 요약 및 정책건의 - si.re.kr 요약_0.pdf · 디지털기반형 게임, 애니메이션, sw개발, 정보서비스 디지털중심형 영화, 방송, 음악 지식서비스형

xvi

∙실제, 국내 이동통신 3사가 운 하는 오 마켓에 등록된 모바일콘텐츠는 그 수가 10

만개를 하회하고 부분 벨소리나 음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콘텐츠 개발주체 한

소규모 스튜디오나 1인 기업 심의 세한 구조를 나타내고 있음

∙이 연구의 조사에서도 모바일콘텐츠 제작주체들은 주로 앱스토어와 안드로이드 마켓

에 60%를 등록하고 있고, 국내 오 마켓에의 등록은 24% 정도에 불과함

-모바일콘텐츠 산업의 추세와 련해서는 시장의 팽창과 개방형 모바일 생태계가 발

하고 있는 이 우선 고려되어야 할 추세임

-실제, 한 조사에 따르면, 2009년 모바일 애 리 이션 다운로드는 13.6억회를 기록한 이

후 2010년∼2015년에 연평균 47%, 스마트폰기반 애 리 이션 다운로드는 61%의 성

장세를 보일 것으로 측함(OVUM, 2010)

- 한, 모바일 기술, 특히 네트워킹 기술 신의 가속화와 신 서비스 모델(모바일

SNS, 치기반서비스, 모바일클라우드, N-screen 서비스, mVoIP 등)의 확산도 모바일콘

텐츠 산업을 둘러싼 주요 트 드의 하나로 자리매김하고 있음

-이외, 최근 4세 이동통신기술을 둘러싼 표 화 경쟁, 애 과 삼성 자 간 지식재산권

분쟁 등에서 볼 수 있듯이 기술표 화를 둘러싼 로벌 경쟁과 지식재산권 분쟁이 심화

되고 있는 도 향후 모바일콘텐츠 산업에서 략 응이 필요한 추세임

2) 비즈니스 실태조사

◦ 조사개요 일반 황

-서울 소재 창조산업 분야 사업체 략 장르로 설정된 상, 게임, 모바일콘텐츠 련

사업체를 상으로 조사함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개별방문 면 조사를 원칙으로 하되, 조사 상자 편의와 조

사효율을 고려해 팩스 이메일 조사를 병행함

∙조사기간:2011년 8월 12일∼8월 25일

-조사는 사업체 기 황 경 여건, 비즈니스 실태, 정책 안 수요조사 등 세 역

으로 구분하고, 각 역에 해 세부 내용을 심으로 조사항목을 구성함

-조사 상 기업은 총 204개로, 상부문이 95개 기업, 게임부문이 64개 기업, 모바일부문

이 45개 기업으로 구성됨

∙지역별로는 동남권 기업이 46.1%로 가장 많고 이어 서남권 기업이 25.5%의 순서임

Page 17: 요약 및 정책건의 - si.re.kr 요약_0.pdf · 디지털기반형 게임, 애니메이션, sw개발, 정보서비스 디지털중심형 영화, 방송, 음악 지식서비스형

xvii

∙ 문제작사, 기획 제작사, 제작 유통사 등의 제작 련 업체가 가장 큰 비 을

차지하고 있음

-조사 상 기업 35.8%가 최근 2년간 매출액이 증가한 반면, 60.8%는 최근 2년간 매출

액이 감소하거나 변화가 없다고 응답함

-이외, 향후 성장이 상되는 창조산업 분야로는 59.1%가 모바일콘텐츠라고 응답했고,

그다음으로 22.5%는 캐릭터, 21.1%는 방송 등이라고 답함

∙장르 내 으로는 상업체는 극장용 화, 게임업체는 교육용 게임, 모바일업체는 모

바일 상거래 등이라고 응답함

◦ 실태조사 주요 결과:비즈니스 실태

-향후 장기 발 을 한 핵심트 드로 요하게 고려해야 될 요소로는 모바일콘텐츠

분야의 성장, 콘텐츠 유통채 의 다양화 등으로 인식함

-사업에 성공하기 한 핵심 요소로는 장르에 계없이 창의 콘텐츠 발굴 확보

(58.8%)라고 응답했고, 이외 우수 문인력 충원(27.9%)과 회사의 기획역량(23.5%) 등

을 매우 요하게 인식하고 있음

-콘텐츠 제작 시 기업들은 다양한 요소를 외부의 문기업을 통해 조달하는바, 기업 간

연계․네트워킹이 제작역량을 강화하는데 요한 요소임을 확인할 수 있음

∙ 상장르의 경우 특수효과, 음악, 조명, 세트제작 등의 외부조달 비 이 높고, 게임장

르의 경우 음향, 그래픽디자인, PR/ 고/홍보, SW개발 등의 순서로 외부조달 비 이

높음

- 콘텐츠 발굴 방식으로는 부분 회사 내에서 자체 발굴(80%)하는 것으로 나타나, 창의

콘텐츠 제작을 해 콘텐츠 발굴 채 의 다각화가 필요함을 알 수 있음

- 문인력 충원 방식은 인맥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으며, 필요 인력은 상의 경우 홍보마

인력과 기획자, 게임의 경우 로그래머, 문기획자 등의 순서로 많음

-분야별 최고 기술선진국은 미국이며, 국내의 기술수 은 최고 기술선진국 비 7.1 (10

만 )이라고 응답해, 반 으로 국내의 기술력은 조한 것으로 조사됨

-기업의 입지선정은 기반시설 양호(32.8%)가 가장 요하며, 이어 제작 유통사 집 ,

렴한 임 료 등의 순서로 응답함

◦ 실태조사 주요 결과:정책 안

-콘텐츠 제작과정에서의 애로요인으로는 과도한 제작비 부담이 가장 높은 순 를 차지

하고, 다음으로 창의 소재 콘텐츠 부족, 문인력 확보 어려움 등의 순서임

Page 18: 요약 및 정책건의 - si.re.kr 요약_0.pdf · 디지털기반형 게임, 애니메이션, sw개발, 정보서비스 디지털중심형 영화, 방송, 음악 지식서비스형

xviii

-반면, 유통과정에서의 애로요인으로는 유통채 확보의 어려움, 콘텐츠 유통 수익배

분 련 법제의 불합리성, 작권 배분 시 기업 횡포 등이라고 응답함

- 문인력 채용에 따른 애로요인으로는 실무경험을 가진 문인력 부족, 인건비 상승, 우

수인력의 잦은 이직 등이 지 되었고, 창업과정에서도 창업자 부족 다음으로 우수

문인력 확보가 주요 애로요인이라고 응답함

-향후 집 육성해야 할 기술분야에 해 장르별로 상이한 응답을 보 는데, 상장르의

경우 디지털콘텐츠 유통기술, 컴퓨터그래픽 기술, 입체 상 제작 기술, 게임장르의 경우

모바일콘텐츠 제작기술, 컴퓨터그래픽 기술, 가상 실/증강 실 기술 등임

-콘텐츠 산업의 육성·발 을 한 우선 인 지원책으로는 자 지원(69.6%) 외에 인력양

성 채용지원(42.2%), 제작 유통 련 시설 인 라(18.6%) 등의 순서를 나타냄

-제작활동에 한 지원책에 해서는 제작자 지원 외 문인력 양성 채용 지원, 창

의 소재 콘텐츠 발굴 지원 등에서 우선순 가 높게 나타남

-반면, 유통 마 을 한 효과 인 지원책으로는 유통 련 첨단시설 인 라 확충

외에 마 문인력 양성 지원, 불공정 계약 행 개선 등에서 우선순 가 높게 나옴

-이외, 자 문인력 지원, 입지지원 등의 정책 우선순 에 해서는 본문의 실태조

사 결과를 참조할 것

-마지막으로 모바일콘텐츠 육성 활성화를 한 지원책으로는 기술개발 지원(46.6%)

이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인 가운데 콘텐츠 모바일화를 한 장비 시스템 지원

(33.3%), 모바일 분야로의 사업확 · 환 지원(22.1%) 등에서 우선순 가 높게 나타남

Ⅱ. 정책건의

1. 정책과제 및 정책방향

1) 5대 정책과제

◦창조경제 로벌트 드에의 극 응

-21세기 창조산업을 둘러싼 다양한 구조변화가 개되고 있으므로 이에 한 선제

응이 필요함

-창조경제의 로벌화와 창조기업의 질 환 등의 5 메가트 드를 도출하 으며 이

들 트 드에 한 극 응이 요구됨

Page 19: 요약 및 정책건의 - si.re.kr 요약_0.pdf · 디지털기반형 게임, 애니메이션, sw개발, 정보서비스 디지털중심형 영화, 방송, 음악 지식서비스형

xix

◦ 로벌 경쟁력 강화와 해외시장 진출 활성화

- 세계 으로 창조경제가 지속 으로 성장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의 로벌 경

쟁력은 여 히 취약하고 로벌화 노력도 미흡한 실정임

-세계 콘텐츠 시장 규모는 1조 3566억 달러(2010년)로 향후 5년간 5%씩 성장이 상되

고 있으나 국내 시장의 비 은 약 2%에 불과하고 수출지역도 아직은 편 화되어 있음

-K-POP 등의 신한류가 지속되고 활성화되기 한 국제 문화교류의 기반조성도 요할

것으로 보임

◦ 소 콘텐츠기업의 역량강화를 한 산업기반 구축

-국내 창조경제의 지속 인 성장에도 불구하고 산업구조의 양극화로 인해 다수 소기

업의 역량이 취약하므로, 이를 강화하는 기반의 구축이 필요함

-기획 마 역량이 약하고, 첨단 상기술 경쟁력도 조한 실정임을 감안하여 가치

사슬을 고려한 비즈니스 환경의 질 개선을 강구해 볼 수 있는바, 제작에 한 제반

여건을 체계 으로 개선할 필요가 있음

-유통환경의 선진화와 콘텐츠 소비 진을 한 기분 구축도 모색할 필요가 있음

◦신규 략 장르의 발굴 체계 육성

-최근 창조경제를 심으로 기술 산업의 통합, 시장의 분화, 틈새시장 출 성장

등 다양한 변화가 개되고 있음

∙ 화, 방송, 애니메이션의 기술 산업통합, e-Learning이나 e-Publishing 등의 틈새시

장의 성장과 모바일콘텐츠 시장의 성장 등

-이에 따라 선제 응을 해 성장 잠재력이 높고 고용창출에 기여할 신규 장르를 략

으로 육성할 필요가 두됨

◦장르별 세부 안문제에의 극 응

-창조산업 반에 걸친 정책 안 외에, 장르별로도 다양한 추세변화와 이에 따른 안문

제가 상존하므로 이에 한 극 응도 필요함

-이외, 이 연구 조사결과인 비즈니스 실태, 정책 애로 수요 등과 장르별 안 등도 고

려해야 함

Page 20: 요약 및 정책건의 - si.re.kr 요약_0.pdf · 디지털기반형 게임, 애니메이션, sw개발, 정보서비스 디지털중심형 영화, 방송, 음악 지식서비스형

xx

2. 창조경제 전략적 육성 방안

1) 창조산업 기반 구축

◦추진배경 목

-서울의 창조산업은 다양한 로벌 구조변화 속에서도 높은 산업 상과 속한 성장세

를 지속하고 있으나, 장기 경쟁여건은 여 히 미흡하고, 특히 소형 창조기업의 역량

은 취약한 실정임

∙세계시장에서 국내 비 은 2.2%에 불과하며, 매출 10억 원 미만이 체의 80%를 상회

∙한국의 창조산업 경쟁력은 세계 최고수 (100) 비 일정한 격차가 있는데, 이는 이

연구의 실태조사를 통해서도 드러난 바 있음

-이러한 취약한 역량은 기업 내 요인도 있으나 불리한 사업환경에도 기인한 바 큼

∙앞의 부문별 안 정책과제에 제시된 비즈니스 실태와 정책과제를 참조할 것

-이외, 국가 창조산업의 선도 정책기구인 한국콘텐츠진흥원(KOCCA)의 지방이 이

정되어 있는 상황에서 주변지역과의 경쟁 한 심화되는 양상임

-따라서 변하는 로벌 시장 기술변화에 선제 으로 응하는 한편, 국내 창조산업

의 양 성장을 질 발 으로 환하기 한 산업기반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함

-정책의 추진방향은 행 투자활성화와 제작자 확충, 창의 인 자원 양성 채용

지원, 미래선도형 첨단 기반기술 육성 등임

◦투자활성화와 제작자 확충

- 재 서울시는 문화콘텐츠 산업 육성을 하여 서울애니메이션센터, 서울게임콘텐츠센

터, 서울 상 원회 등의 기 을 통해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음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실태조사 결과 창의 콘텐츠 제작에 필요한 자 조달이 서

울 소재 창조기업의 핵심 애로요인 가운데 하나로 나타남

-창조기업의 가치사슬을 고려하여 기획단계, 제작단계, 그리고 제작 후 단계 지원 등의

주기 (全週期的) 지원체계를 구축하여 자 지원 방안을 모색함

-이를 해 이 연구에서는 공공주도형 투자기 으로서 ‘서울스마트펀드’(Seoul Smart

Fund)를 제안함. 이 펀드는 일반 인 정책융자자 ( 소기업육성자 등)과 다른 합리

기 조달 운용체계를 확립하도록 함

-상기 기 운 과 련하여, 별도의 심도 있고 체계 인 사 연구를 통해 세부 인 기

운 모델과 로젝트 선정 기 차를 확립하고 이를 토 로 사업을 추진하도록 함

Page 21: 요약 및 정책건의 - si.re.kr 요약_0.pdf · 디지털기반형 게임, 애니메이션, sw개발, 정보서비스 디지털중심형 영화, 방송, 음악 지식서비스형

xxi

◦창의 인 지원 양성 채용지원

-창조인력 채용을 한 효과 인 지원정책에 한 실태조사 결과 인력채용 보조 지 ,

인력 알선 정보시스템, 특화형 아카데미 운 등의 순으로 나타남

-이 가운데 인력채용 보조 은 창조산업을 포함하여 서울경제 반의 종합 인 고용

책을 통해 근하도록 하며, 이 연구에서는 특성화기반 문아카데미 설립과 함께 문

인력 알선 정보시스템 구축을 심으로 인 자원 지원방안을 모색함

-특화형 아카데미 설립·운 은 특정 분야 인력양성을 한 실무지향형 교육기 을 지향

하며, 이를 해 기획가 마 터를 우선 양성하고 제작분야는 3D 상, 모바일콘텐츠

문가 양성과정 개설 운 , 학 졸업생 직자 상의 교육 로그램을 실시함

-교육훈련 로그램의 효과를 극 화하기 해서는 교육을 이수한 문인력이 재 소

에 배치·활용되고, 련 지식과 경험이 산업 반에 확산될 수 있도록 인 자원의 교류

를 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극 강구함

-특화형 아카데미 설립과 더불어, 기 내에 인 자원 수 개용 정보시스템을 구축하

고 문가 DB구축 련 정보서비스를 제공함

◦미래선도형 첨단 기반기술 육성

-국내의 상제작 기술력은 기술선진국과 격차가 있으므로 첨단 기반기술 경쟁력 강화

를 해 정책 지원을 모색함

-산학연 력사업을 활용하여 미래를 선도하고, 기술 효과가 큰 기술을 집 육성할

필요가 있음

∙산학연 력 사업 기술기반 구축사업이나 서울시 략산업 지원에 통합해 추진하

되, 장기 으로 별도의 단 사업으로 편성하도록 함

∙향후 집 육성 기술분야로는 디지털콘텐츠 유통기술, 컴퓨터 그래픽, 콘텐츠 보호기

술, 가상 실/증강 실, 3D입체 상기술 등이 있음

- 주기 연구지원 시스템을 구축하되, 사업의 성과를 강화하기 해 엄격한 연구과제

선정 모니터링시스템을 운 함

2) 기술 및 콘텐츠 융복합 활성화

◦추진배경 목

-21세기 산업구조 환을 계기로 다 역에서 융합(convergence)이 활성화되고 있고, 특

히 첨단 신기술을 매개한 기술융복합 추세가 활발히 일어나고 있음

Page 22: 요약 및 정책건의 - si.re.kr 요약_0.pdf · 디지털기반형 게임, 애니메이션, sw개발, 정보서비스 디지털중심형 영화, 방송, 음악 지식서비스형

xxii

-창조경제에서 융복합은 거스를 수 없는 거 한 트 드로서, 이는 산업환경으로서 디지

털컨버 스와 장르 간 융합 융합형 콘텐츠 개발 등 두 차원으로 개되고 있음

-창조산업 경쟁력은 양질의 다양하고 창의 콘텐츠를 지속하여 생산해 내는 것이 건

인데, 이는 기술간‧콘텐츠간‧장르간 융합에 크게 의존하고 있음

-융합형 콘텐츠를 둘러싼 상기 추세와 성장잠재력을 고려해, 창조산업의 장기 발 을

한 략의 일환으로 콘텐츠 융복합 활성화를 한 다각 인 방안을 모색함

-융합콘텐츠의 략 특성화와 콘텐츠개발 진, 연구 기술개발 지원과 인 라 구축

으로 정책의 추진방향을 설정함

◦ 략 특성화와 콘텐츠개발 진

-다양한 콘텐츠나 장르의 조합을 통해 출 하고 있는 융합형 콘텐츠는 극도로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음

∙융합형 콘텐츠는 신기술기반 융합콘텐츠, 융합기술기반 콘텐츠, 사이버기반 융합콘텐

츠, 산업연계형 융합콘텐츠 등 네 가지 유형으로 구분 가능함

-이들 융합형 콘텐츠 가운데 성장잠재력이나 산업 효과가 큰 역을 상으로

략 특성화 방안이 모색될 필요가 있음

-‘융합기술 기반 콘텐츠’ 그리고 산업연계형 융합콘텐츠 ‘사회서비스연계형’(온라인

교육, 보건과 스포츠, 과 문화유산, 실버산업)과 ‘공공서비스연계형’(행정서비스 콘

텐츠, 공공이용 콘텐츠 등)을 심으로 특성화를 모색함

-다양한 방안 가운데 창작주체의 열의와 심을 고취시키고 창의력을 진작할 수 있는 한

가지 방식인 공모사업 개최가 비교 효과 인 방안일 것으로 상됨

∙이를 해 콘텐츠 개발자를 상으로 경진 회와 시컨벤션 행사를 겸한 ‘융합콘텐

츠 기술 ’을 개최함

◦연구 기술개발 지원과 기술인 라 구축

-상술한 략 특성화 방안을 기반으로, 콘텐츠의 개발을 활성화하고 질 고도화를 실

할 수 있는 방안을 추진함

-국내 기술력은 선진국과 비교해 일정한 격차가 존재해, 신역량 강화를 한 다각 인

노력이 요구되며, 융합(형) 콘텐츠 제작 유통을 후방에서 지원하는 시설의 확충도

융합형 콘텐츠 개발을 활성화하는 데 필요한 핵심 신환경의 일부로 고려함

-상술한 정책여건을 고려해 이 연구에서는 융합(형) 콘텐츠 개발 활성화에 필요한 신

환경 구축을 해 두 가지 사업을 제안함

Page 23: 요약 및 정책건의 - si.re.kr 요약_0.pdf · 디지털기반형 게임, 애니메이션, sw개발, 정보서비스 디지털중심형 영화, 방송, 음악 지식서비스형

xxiii

∙기술수 향상을 한 연구 기술개발 역량 강화와 신활동 진을 한 기술인

라 구축

-융합형 콘텐츠 연구 기술개발 지원사업은 서울시의 연구개발 지원정책인 산학연 사

업과 연계·통합하여 추진하는 것이 사업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을 것으로 단됨

-단기 으로는 산학연 력사업의 단 사업 일부인 ‘기술기반 구축사업’이나 ‘서울시

략산업 지원’으로 추진하되, 장기 으로 기술의 상 역이 보다 명확해지고 상세한

기술수요조사가 수반된 이후에 별도 단 사업으로 편성하는 방안을 강구함

-기술인 라 구축과 련해서는 신규로 개발된 창의 융합(형) 콘텐츠나 신 서비스 방

식 등을 다른 제작자나 일반인들이 체험․학습할 수 있는 시설이나 시스템을 조성․제공함

-이를 해 소 콘텐츠기업들이나 소규모 창작주체들이 창작 제작 활동을 수행하며,

첨단 연구 기술 성과물을 상시 시 하고, 체험․학습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융복합

용 ’(가칭 서울디지털융합 )의 설치․운 을 모색함

3) 모바일콘텐츠 산업의 신성장동력화

◦추진배경 목

-창조산업의 메가트 드 하나는 모바일콘텐츠 시장의 성장에 따른 무선통신 기술

발 , 모바일 기반 기기 랫폼의 신화에 따른 새로운 패러다임의 출 ·성장이라

할 수 있음

․2008년 ‘iPhone 쇼크’는 모바일콘텐츠가 특정 장르에 통합된 일부가 아닌, 독자 장

르이자 산업으로 성장하는 계기로 작용함

-향후 모바일콘텐츠는 첨단 기술과 신 사업모델을 기반으로 신시장을 창출하고, 이

를 토 로 미래의 성장동력으로 부상할 것으로 견됨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의 여건은 기술 , 산업 으로 보 수 이며, 모바일콘텐츠

의 제조기반에 비해 SW와 콘텐츠 개발, 서비스 기반 등이 매우 취약한 실정임

∙모바일콘텐츠 산업의 경쟁력 경쟁여건은 산업 특면의 체계 경쟁력 평가는 없

으나 기술경쟁력 평가에서는 기술최고선진국인 미국과 상당한 격차가 존재하고 있음

∙단말기와 무선인터넷 망은 0.92년, 1.03년의 격차가 존재하지만, 보안은 2.22년, 응용

서비스는 2.09년, 랫폼은 1.08년의 격차가 존재하고 있음

-아울러, 모바일콘텐츠를 둘러싸고 다양한 안들도 존재하므로 이에 선제 으로 응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도 필요함

Page 24: 요약 및 정책건의 - si.re.kr 요약_0.pdf · 디지털기반형 게임, 애니메이션, sw개발, 정보서비스 디지털중심형 영화, 방송, 음악 지식서비스형

xxiv

-상술한 모바일콘텐츠를 둘러싼 제반 여건과 추세를 고려해 창조산업의 새로운 시장으

로 부상하고 있고 치열한 국제경쟁이 개되고 있는 모바일콘텐츠의 육성 산업활

성화를 한 략 방안을 모색함

-콘텐츠의 제작지원을 한 시설 인 라 구축, 기술경쟁력 강화와 연구 기술개발

진, 략추진을 한 정책거버 스 구축 등이 정책의 추진방향으로 설정됨

◦모바일콘텐츠 산업 육성 방안

- 재 모바일콘텐츠 산업 육성정책은 앙정부의 문화체육 부, 지식경제부와 방송통

신 원회 등이 주도하여 진행되고 있는데, 아직까지 체계 인 산업통계조차 미비할 정

도의 맹아 수 에 불과하며 주로 산업 분석과 정책입안에 을 두고 있음

-모바일콘텐츠 산업 반을 육성·발 시키기 한 지원책에 해 창조기업들이 자 지원

과 인력양성 지원을 가장 우선 인 정책이라고 응답함

-이 같은 정책여건 정책수요 등을 다각 으로 고려해 모바일콘텐츠 산업을 육성하고

콘텐츠 개발을 활성화할 수 있는 지원방안을 모색하도록 함

① 앱 제작지원 시설 및 인프라 구축

-서울 역에 산재한 앱개발 련 주체들을 체계 으로 지원하기 해 선도 지원시설

인 ‘개방형 앱 신센터’를 설치함

- 행 ‘앱개발센터’( 성수 IT센터 내 설치)를 모태로 하여 허 센터 1개소와 함께, 권역

별로 4 허 센터를 설치·운 하는 HnS(Hub & Spoke) 모델로 확 ·운 함

-이 센터는 앱개발자를 한 사업공간 제공(앱창작소), 지식수 개 랫폼 구축을 통해

앱개발에 활용된 아이디어 기술 공 자와 이를 이용하려는 수요자의 매치메이킹, 모

바일콘텐츠 시․체험 시스템 공 과 이외 지원서비스 제공 등의 복합 지원기능을

수행하도록 함

-센터 운 의 효율화와 사업의 활성화를 해 다양한 지원 로그램을 도입․운 하도록 함

② 모바일콘텐츠 관련 연구 및 기술개발 촉진

-모바일콘텐츠의 제작 유통과정에는 다양한 기술들이 활용되므로 모바일콘텐츠 산업

의 역량을 강화하기 해서는 무엇보다도 기술기반을 강화하는 것이 요함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의 모바일콘텐츠 련 기술력은 기술선진국과 비교해 볼 때 아

직은 조한 수 이므로, 이러한 실 여건을 고려하여 연구 기술개발을 진할 수

있는 지원방안을 모색함

-모바일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술, 모바일 보안기술, 랫폼 기술 등 이 연구의 조사에서

Page 25: 요약 및 정책건의 - si.re.kr 요약_0.pdf · 디지털기반형 게임, 애니메이션, sw개발, 정보서비스 디지털중심형 영화, 방송, 음악 지식서비스형

xxv

도출된 5 기술을 미래선도형 기술로 선정하고, 이들 기술들을 심으로 연구 기술

개발 활동을 지원함

-이와 함께, 창조 제작주체들로 하여 앱개발 활동을 진하고, 앱제작자의 역량을 강

화하기 해 다음과 같은 ‘공용 앱개발 활성화 사업’을 추진함

∙교육용 앱/의료용 앱/공공행정용( 민서비스) 앱 등의 개발을 한 사회서비스 분야

공공 앱개발 활성화 사업 등

③ 전략추진을 위한 정책거버넌스 구축

-앞의 모바일콘텐츠 산업 육성은 새로운 산업화의 역이라는 과 이에 략 으로

응하기 한 정책이라는 특성상 다양한 조건들이 고려될 필요가 있으므로 정책을 일

되고 체계 으로 추진해 갈 수 있도록 추진체계가 확립될 필요가 있음

- 재 서울시는 문화콘텐츠 산업 육성을 해 별도의 과를 설치하고, 주요 장르에 한

담 을 운 하고 있음

-문화산업 지원책의 실행을 담하고 있는 산하기 인 서울산업통상진흥원 산하의 서울

애니메이션센터도 서울시 조직구조에 상응한 구조를 취하고 있음

-이러한 여건을 고려해 재의 문화산업담당 내에 모바일콘텐츠 분야를 담하는 별

도의 조직을 설치하는 한편, 산하기 인 서울애니메이션센터도 이에 상응하여 별도의

담조직을 설치·운 하도록 함

4) 영상·게임산업 구조고도화

◦추진배경 목

- 상 게임산업은 서울경제의 역동 변화와 산업구조의 환 속에서 서울의 창조경

제를 견인하는 핵심장르로 자리매김하 음

-2000년 반 이후 화는 지속 인 침체, 방송은 지속 인 성장세, 게임은 정체 등

장르별로 다기화 되는 양상을 나타냄

-아울러, 방송통신의 융합, 첨단 디지털 제작기술의 발 , 모바일 유통채 의 확 , 기존

장르의 사양화와 새로운 장르의 출 등 산업 환경 측면에서 새로운 조류가 출 ·확 되

고 있음

-이외, 상 게임산업에 한 다양한 애로와 정책요구도 존재하므로 이에 한 극

응도 필요함

Page 26: 요약 및 정책건의 - si.re.kr 요약_0.pdf · 디지털기반형 게임, 애니메이션, sw개발, 정보서비스 디지털중심형 영화, 방송, 음악 지식서비스형

xxvi

-이 연구에서는 이 같은 여건을 고려해, 상 게임산업의 구조고도화를 해 다양한

추세변화에 략 으로 응하고, 여러 애로요인을 완화․해소할 수 있는 정책 방안

을 모색함

-이를 해 상 게임산업의 (지역)특성화, 제작역량 강화와 유통의 선진화, 권역별

창조산업클러스터 구축의 세 가지 정책방향을 설정함

◦ 상 게임산업의 특성화

-지역별로 설치된 상 원회를 통해 화산업에 한 다양한 지원책이 제공되고 있고,

서울시의 경우에도 상 원회를 통해 화에 한 지원책이 제공되고 있으나 정책성

과가 뚜렷하지 않음

- 재와 같이 화산업 심의 지원체계에서 탈피해 방송산업에 한 지원 등 정책 지원

체계를 다각화하되, 장기 으로 방송산업 심의 상산업 정책지원으로 특성화를 모

색함

-방송산업 심으로의 특성화 모색을 해 외연성장 속에도 제작여건이 취약한 소 제

작사를 한 지원시스템을 구축 제공함

∙방송드라마, 다큐멘터리 등에 한 제작 지원은 다양한 창작기회와 제작경험을 제공

함으로써 콘텐츠 다양성 확보와 문인력의 창작역량을 고취시킴으로써 상산업

반의 질 발 에 기여할 것으로 기 됨

-최근 3D입체 상을 심으로 시장이 형성되고 있으며, 향후 랫폼 기기, 그리고 방

송콘텐츠 제작기술이 고도화되고 3D콘텐츠에 한 수요 증 지속 인 성장이 상

됨에 따라 이에 한 선제 응이 필요하므로 장기 으로 서울시를 ‘3D입체 상

방송콘텐츠의 심지’로 도약할 수 있는 략 방안을 고려함

-게임산업은 최근 새로운 트 드로 성장하고 있는 기능성 게임으로의 특성화를 모색할

필요가 있음

- 재 온라인 게임 주로 성장세가 지속되는 장르의 편 화가 있으나, 온라인 게임의

지속 인 성장에는 제약이 있고 국 등의 성장으로 인해 국제경쟁도 가속화되고 있

는 실정임

-이러한 추세와 다르게 최근 성장하고 있는 기능성게임 시장은 상업성과 재미, 공공성을

조화시키는 문제나 랫폼 미비 등 시장화에 한 몇 가지 제약은 아직 있으나 향후 지

속 으로 성장할 수 있는 상당한 잠재력을 내재함

-이러한 여건을 고려해 장기 으로 서울을 ‘기능성 게임의 도시’로 특성화하는 략

모색

Page 27: 요약 및 정책건의 - si.re.kr 요약_0.pdf · 디지털기반형 게임, 애니메이션, sw개발, 정보서비스 디지털중심형 영화, 방송, 음악 지식서비스형

xxvii

∙기능성 게임에 한 연구 기술개발을 지원하고, 기능성 게임에 한 공공수요를

창출하도록 함

◦제작역량 강화와 유통 선진화

-장르별로 상이한 시장의 부침 속에서 기술 ·산업 으로 새로운 트 드들이 활발하게

도입․확산되는 추세이며, 이런 여건 속에서 특히 제작역량을 질 으로 강화하고 유통

체계를 더욱 고도화하려는 노력이 긴요한 과제임

-서울시가 재 제공하고 있는 제작지원시설을 효율 으로 운 하는 한편, 재 추진하

고 있는 제작지원 인 라 조성사업을 원활하게 이행할 필요가 있음

-우선, 서울시가 재 제공하고 있는 제작지원 시설을 효율 으로 운 하는 한편, 재

추진하고 있는 제작지원 인 라 조성사업을 원활하게 이행함

-이와 함께, 상암DMC 내에 재 조성되고 있는 IT콤 스 내 서울콘텐츠센터(SCC) 운

을 통해 게임과 애니메이션에 필요한 제작 유통 지원을 한 체계 로그램을

도입․운 함

∙이 시설 장비의 구축 운 로그램과 련해, 첨단 HD제작지원 시설과 함께

3D콘텐츠 제작을 한 시설과 장비를 구축하되, DMC나 다른 주변지역의 유사시설과

차별화를 모색함

- 소콘텐츠 기업이나 신진 창작인력이 콘텐츠 유통과정에서 겪는 가장 큰 애로요인이

‘콘텐츠 유통채 확보의 어려움’에 있음을 감안해, 재 온라인포털이나 통신사업자

등 민간이 운 하고 있는 유통망과 별도로 공공주도의 유통채 을 구축함

◦권역별 창조산업클러스터 구축

-동남권을 심으로 단 복합클러스터가 발 하고 있고, 서북권은 장르 다양성이

강한 것에 비해, 도심권과 서남권은 특정 장르를 심으로 클러스터가 발달해 있으나,

동북권은 산업기반이 매우 취약한 지역에 해당함

-3 략장르( 화, 방송, 게임)도 공간경제 차별성이 존재하므로 지역 여건을 고려

한 권역별 특성화 략과 함께, 핵심클러스터(거 ) 간 연계 네트워킹을 진할 수

있는 략을 병행함

-동남권, 서남권, 도심권은 성장세가 지속되도록 산업환경을 구축하되, 우선 동남권은

과 집 화 상황에서 콘텐츠 기업의 원활한 입지를 해 오피스 수 을 확충함

-서남권은 여의도 일 방송산업 기반을 더욱 강화하는 한편, 구로 디지털 단지를 심으

로 문화 인 라와 장소성을 구축하고 랫폼 기기의 산업기반을 강화함

Page 28: 요약 및 정책건의 - si.re.kr 요약_0.pdf · 디지털기반형 게임, 애니메이션, sw개발, 정보서비스 디지털중심형 영화, 방송, 음악 지식서비스형

xxviii

-도심권은 아날로그 기반 창조경제의 생산기지, 콘텐츠 원형의 심지로 역할을 특화해

감으로써 디지털기술 기반의 창조클러스터, 나아가 서울의 창조경제 반이 활성화하는

데 있어 기반이자 방지원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함

-서북권은 홍 와 신 을 심으로 공연 술, 디자인 출 산업을 활성화하고, 다양한

문화 술 창작활동 기반을 조성함으로써 창조산업 심지로 육성함

-아울러, 상암DMC를 심으로 형성되고 있는 미디어 산업의 집 을 강화하고 성장세를

주변부로 확산시킴으로써 창조산업의 신 심지로 육성함

∙특히, DMC와 주변지역은 장기 으로 ‘ 상미디어 로벌 허 ’로 도약하도록 하

며, 이를 해 DMC 일 에 정 장소를 활용해 상 련 인 라를 조성함

-클러스터 기반이 취약한 동북권의 경우에는 학을 거 으로 하는 지 ․인 자원과

네트워크를 극 으로 활용하되, 다른 권역과 차별화하는 방향으로 창조산업 클러스터

를 육성함

-이를 해 학의 연구소나 연구인력을 심으로 모바일 분야 미래선도형 스마트기기

네트워킹 기술을 상으로 차세 선도기술에 한 연구개발, 그리고 수출 체형 응

용SW 개발이 진될 수 있도록 지원체계를 마련하는 한편, 학 내 재학생이나 졸업생,

신진인력 등을 상으로 모바일콘텐츠 개발을 활성화하도록 함

-클러스터(거 ) 간 연계 네트워킹 진을 해 마포 - 여의도 - 종로, 나아가 경기도

고양으로 이어지는 단 상미디어 벨트를 조성하고 모바일콘텐츠를 지원하는 권역

별 시설구축을 통해 Hub & Spoke형 네트워킹을 구축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