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
25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Vol. 17, No. 2, pp. 25~34, March 2014 창의 실습공간 활용을 통한 비교과 교육방안 연구 조인수 *,† 최대우 ** 박준협 *** *** 동명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연구원 *** 동명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장 *** 동명대학교 공과대학장 A Study of Non-Curricula Teaching Plan Utilizing a Creative Workshop In Su Cho *,† Dae Woo Choi ** Jun Hyub Park *** *** Researcher, ICEE, Tongmyong Univ. *** Director, ICEE, Tongmyong Univ. *** Dean, School of Engineering, Tongmyong Univ.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xamples of college engineering students who utilize a creative workshop that are in line with non-curricular activity support both at a domestic and foreign learning environment. It also seeks the improvements of a non-curricular teaching plan utilizing Tongmyong University's Creative Engineering Center. To achieve the intended goal, it has carried out survey satisfaction levels targeting students who visited the Creative Engineering Center and has suggested the way for sustainable operations of a Creative workshop at Tongmyong university's Creative Engineering Center to perform the development of student projects, the securement of infrastructure and the development of equipment training program in conjunction with the University Specialization. Keywords: Non-curricula education, Creative Workshop, Engineering education I. 서 1) 현재 우리나라의 대학은 독자적인 경쟁력을 가지지 못하면 지속적인 경영이 불가능한 완전경쟁체제의 환경에 처하게 되 었다. 이에 따라 공과대학도 대학의 특성화 전략에 부합하도록 계획을 수립하고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환경변화에 대한 인식, 난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의식이 팽배해지게 되면서 공과 대학은 기업에서 필요로 하는 전공 실무기술을 갖춘 인력을 양 성하기 위하여 상당한 시간과 노력을 투입하였다. 이 결과로서 2000년 이후의 공학교육은 교육철학적으로나 교육방법적으로 나 현저한 발전을 기하여 온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이제부터 는 이러한 발전을 밑거름으로 하여 공학교육의 세계화를 추구 하여야 할 시기임은 자명하다. 스탠포드 대학의 셰퍼드 교수팀은 1997년에 공학도가 갖추 어야 할 자질 16가지를 정의하였다(Sheppard & Jenison, 1997). 미국의 NAE(The National Academy of Engineering)는 엔지 Received 2 January, 2014; Revised 11 February, 2014 Accepted 17 February, 2014 † Corresponding Author: [email protected] 니어가 기술적으로 유능할 것뿐만 아니라 그들의 작업에 관한 맥락적 요구사항과 그것이 미치는 결과에 대해서도 잘 이해할 수 있기를 강조한다(Palmer, 2011). 공학교육의 지속가능성에 관 한 세계적인 흐름은 공학도들로 하여금 맥락적 능력(Contextual competence) 1) 과 더불어 엔지니어로서의 인내력과 근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Jaeger, 2010). 퍼듀 대학 Hylton 교수는 공학도가 결코 접할 수 없었던 실세계에서 발 생하는 여러 가지 문제들(잦은 수요변화, 예산삭감, 일정압박, 인적 문제, 윤리적 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한 과정에서의 실패와 이것으로부터 비롯되는 자기학습, 결과/성과에 관한 공유 등을 경험할 것을 적극 권장한다(Hylton, 2010). 공학도들이 상기의 경험과 자질을 갖추게 하기 위해서는 실 세계에서 일어나는 얘기치 않은 문제를 다양한 각도에서 인식 하는 능력과 함께 모순을 극복하는 과정에서 끈기와 지혜로써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습득할 수 있도록 교육하여야 한 다는 것에 모두 공감할 것이다. 또한 공학도 각자가 임하는 작 업들이 지역이나 국가, 넓게는 국제사회 전반에 미치는 영향까 1) 상기(Palmer, 2010) 참조

창의 실습공간 활용을 통한 비교과 교육방안 연구 · 창의 실습공간 활용을 통한 비교과 교육방안 연구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창의 실습공간 활용을 통한 비교과 교육방안 연구 · 창의 실습공간 활용을 통한 비교과 교육방안 연구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25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Vol. 17, No. 2, pp. 25~34, March 2014

창의 실습공간 활용을 통한 비교과 교육방안 연구조인수*,† ․최대우** ․박준협***

***동명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연구원***동명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장***동명대학교 공과대학장

A Study of Non-Curricula Teaching Plan Utilizing a Creative WorkshopIn Su Cho*,† ․Dae Woo Choi** ․ Jun Hyub Park***

***Researcher, ICEE, Tongmyong Univ.***Director, ICEE, Tongmyong Univ.***Dean, School of Engineering, Tongmyong Univ.

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xamples of college engineering students who utilize a creative workshop that are in

line with non-curricular activity support both at a domestic and foreign learning environment. It also seeks the improvements of a non-curricular teaching plan utilizing Tongmyong University's Creative Engineering Center. To achieve the intended goal, it has carried out survey satisfaction levels targeting students who visited the Creative Engineering Center and has suggested the way for sustainable operations of a Creative workshop at Tongmyong university's Creative Engineering Center to perform the development of student projects, the securement of infrastructure and the development of equipment training program in conjunction with the University Specialization.

Keywords: Non-curricula education, Creative Workshop, Engineering education

I. 서 론1)

현재 우리나라의 대학은 독자적인 경쟁력을 가지지 못하면

지속적인 경영이 불가능한 완전경쟁체제의 환경에 처하게 되

었다. 이에 따라 공과대학도 대학의 특성화 전략에 부합하도록

계획을 수립하고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환경변화에 대한

인식, 난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의식이 팽배해지게 되면서 공과

대학은 기업에서 필요로 하는 전공 실무기술을 갖춘 인력을 양

성하기 위하여 상당한 시간과 노력을 투입하였다. 이 결과로서

2000년 이후의 공학교육은 교육철학적으로나 교육방법적으로

나 현저한 발전을 기하여 온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이제부터

는 이러한 발전을 밑거름으로 하여 공학교육의 세계화를 추구

하여야 할 시기임은 자명하다.

스탠포드 대학의 셰퍼드 교수팀은 1997년에 공학도가 갖추

어야 할 자질 16가지를 정의하였다(Sheppard & Jenison, 1997).

미국의 NAE(The National Academy of Engineering)는 엔지

Received 2 January, 2014; Revised 11 February, 2014Accepted 17 February, 2014† Corresponding Author: [email protected]

니어가 기술적으로 유능할 것뿐만 아니라 그들의 작업에 관한

맥락적 요구사항과 그것이 미치는 결과에 대해서도 잘 이해할 수

있기를 강조한다(Palmer, 2011). 공학교육의 지속가능성에 관

한 세계적인 흐름은 공학도들로 하여금 맥락적 능력(Contextual

competence)1)과 더불어 엔지니어로서의 인내력과 근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Jaeger, 2010). 퍼듀 대학

의 Hylton 교수는 공학도가 결코 접할 수 없었던 실세계에서 발

생하는 여러 가지 문제들(잦은 수요변화, 예산삭감, 일정압박,

인적 문제, 윤리적 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한 과정에서의 실패와

이것으로부터 비롯되는 자기학습, 결과/성과에 관한 공유 등을

경험할 것을 적극 권장한다(Hylton, 2010).

공학도들이 상기의 경험과 자질을 갖추게 하기 위해서는 실

세계에서 일어나는 얘기치 않은 문제를 다양한 각도에서 인식

하는 능력과 함께 모순을 극복하는 과정에서 끈기와 지혜로써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습득할 수 있도록 교육하여야 한

다는 것에 모두 공감할 것이다. 또한 공학도 각자가 임하는 작

업들이 지역이나 국가, 넓게는 국제사회 전반에 미치는 영향까

1) 상기(Palmer, 2010) 참조

Page 2: 창의 실습공간 활용을 통한 비교과 교육방안 연구 · 창의 실습공간 활용을 통한 비교과 교육방안 연구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조인수․최대우․박준협

공학교육연구 제17권 제2호, 201426

지도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지금까지와는 조금 다른 공학

교육 패러다임을 공과대학이 갖추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는 것

이다.

작가이자 교육자인 존 비어(John Bear)의 주장과 같이 우리가

흔히 말하는 “대안(alternative)”, “비전통적인(nontraditional)”,

“외부의(external)”, “캠퍼스 밖의(off-campus)” 등의 표현은

이미 1970년대 중반에 나타났다. 2020년을 바라보고 있는 현

재의 시점에서 대학의 미래는 전통적인 교육방법(학점 부여기

반:시간/학점, 학점부여시기:정해진 순서, 정해진 시기, 교육장

소:강의실/캠퍼스, 학습자원:교과서 등)과 비전통적인 교육방법

(학점 부여기반:적성/실행능력, 학점 부여시기:실질적 작업, 학

습이 이루어진 시기, 교육장소:세계의 모든 곳, 교재:무엇이나

등)2)을 어떻게 잘 배합하여 학생들을 교육하느냐에 달려 있다

고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앞으로의 교육은 전통적인 교육방식을 토대로 한

정규 교육과정의 바탕 위에 비교과 교육방법에 관한 연구가 활

성화 되어져야 할 것으로 보여진다. 우리나라 공과대학의 공학

교육 또한 이러한 시류에 맞추어 기존의 정규 교육과정을 기반

으로 한 비교과 교육활동을 공학도들에게 적극적으로 지원하는

등의 방안이 다각도로 모색되어져야 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공과대학 재학생들에 대한 비교과 영역의 활

동지원과 관련하여 국내 ․ 외 대학의 창의 실습공간 활용교육의

사례들을 살펴보고 동명대학교 공과대학의 창의 실습공간인 창

의공학센터(Creative Engineering Center) 활용을 통한 비교

과 교육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연구내용으로 다루고자 한다.

II. 창의 실습공간 활용교육 사례

1. 창의 실습공간 활용에 관한 국내 ․ 외 사례

가. Penn State 공과대학 – Learning Factory

복잡한 기술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실세계에서의 경험이 풍부

하여야 함을 감안하였을 때 공학교육에 있어서 가장 효과적이

라고 인정되고 있는 교육제도가 바로 미국 Penn State대학의

Learning Factory 운영이라고 할 수 있다(조인수, 2012).

Learning Factory 운영의 핵심 키워드는 3M, Boeing, U.S.

Steel, Xerox 등이 참여하는 산업체 파트너십이라 할 수 있다.

1994년 이후 현재까지 Learning Factory에서는 150여개 업

체가 참여하여 총 700건 이상에 달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하였

2) 전통적인 교육방식과 비전통적인 교육방식의 명확한 구분이나 정의는 없지만 아래 링크 내용을 참조바람.http://www.iups.edu/Portals/3/Nontraditional_Education_Primer.pdf

Fig. 1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system of LF

다(Lamancusa, 2008). Fig. 1은 Penn State공과대학 산업체

참여 프로젝트의 얼개를 보여준다. 산학협력 교육프로그램은

Learning Factory를 중심으로 운영됨을 알 수 있다. Learning

Factory는 주로 공과대학의 캡스톤디자인 프로그램을 지원하

는 시설로 2006년에 증축되었으며 넓이는 약 6,500제곱피트

(약 604m2)에 이르며 공학기초 수강자(1학년)에서부터 캡스톤

디자인 수강자(4학년)에 이르기까지 연간 약 1,000명의 학생들

이 활용한다. 보유 장비로는 고속 모형제작기, 3차원 CNC 머신

을 비롯한 기계장치, 금속가공 및 그라인딩 머신, 가스용접기,

조립/측정장비, 고성능 컴퓨터 등이다. 또한 각 장비별 안전지

침, 사용절차 및 사용방법에 관한 세부적인 가이드를 제시하고

있다3).

나. 가나자와 공업대학 – 몽고방(夢考房)

가나자와 공업대학은 중하위 수준의 학생을 받아 최고의 엔지

니어로 양성하는 교육기관으로 유명하다. 기술자로서 가장 중

요한 것은 문제를 발견하고 물건이나 시스템을 만들어 내고 해

결해 나가는 창조적인 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 창조적인 능력

을 습득하기 위해서는 「학생 스스로가 흥미를 가지고 계획적으

로 학습 ․ 생각하며, 행동할 수 있도록」하는 것이 필요한데,

이를 위한 백업 기능을 몽고방이 갖추고 있다. 전문기사(장인)

상주, 학생스텝 운영, 부품숍 운영이 특이할 만한 점이며 그 외

에도 프레젠테이션 자료의 작성과 발표연습, 몽고방 프로젝트

활동의 추진 ․ 운영, 실험설비의 유지 ․ 관리 ․ 운영, 커뮤니케이션

이 이루어질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하는 등 몽고방은 공학과 창작

의 즐거움을 학생들에게 느끼게 함과 동시에 새로운 감각을 가

진 창조적 공학기술자를 양성하고 있다(김영종, 2008). 2013년

3) http://www.lf.psu.edu(그림 1의 출처)

Page 3: 창의 실습공간 활용을 통한 비교과 교육방안 연구 · 창의 실습공간 활용을 통한 비교과 교육방안 연구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창의 실습공간 활용을 통한 비교과 교육방안 연구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17(2), 2014 27

현재 몽고방에서는 솔라카, 에코런, 인력비행기, 인공위성 개발

등 14개의 다양한 프로젝트가 진행 중이다4).

다. 후쿠오카 공업대학 - 제조센터5)

후쿠오카 공업대학의 제조센터는 학생들이 자유롭게 아이디

어를 유형의 작품으로 형태화하는 공방이다. 가나자와 공업대

학의 몽고방과 마찬가지로 전임기술진이 상주하고 있으며, 주

중에는 아침 9시부터 밤 9시까지 매일 12시간 동안 운영한다.

기계나 부품 또한 학생들이 부담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최대

한 배려하고 있다. 보유 기자재는 NC선반/NC밀링, 3D모델링

가공기, 용접기 등 다양하다. 가나자와 공업대학의 몽고방에서

운영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후쿠오카 공업대학의 제조센터에서

도 솔라카, 로보콤, 로봇스모, 전기자동차 등 다양한 프로젝트

에 재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경진대회 참가지

원을 한다. 1년간의 활동이 종료된 후에는 ‘프로젝트 활동 성

과발표회‘를 개최하여 학생의 논문작성이나 프레젠테이션 능력

향상에도 힘쓰고 있다.

라. 구루메 공업대학 - 제조센터6)

구루메 공업대학은 일본 후쿠오카에 위치하고 있으며 자동차

분야로 특성화된 4년제 대학이다. 이에 따라 학교내의 공방인

제조센터도 포뮬러 카, 각종 경기용 로봇, 태양 전지 자동차, 전

기/하이브리드 자동차 등 자동차 제작과 관련한 학생의 자주적

인 프로젝트 연구 활동을 지원한다. 다른 대학의 공방에 비해

작은 규모임에도 구루메 공업대학의 제조센터는 합리적인 체계

를 구축하고 인력과 자원을 매우 알차고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2009년 7월에 구축된 제조센터는 목공기계,

공작기계, 3차원 형상측정기, 회류식 대형 굴, 가상 현실감 표

시장치(VR시스템) 등의 교육용 기기를 집적한 이른바 학교 내

의 ‘제조거점’의 기능을 하고 있다. 학생이 필요에 의해서 직접

부품가공도 가능하겠지만 가공과 관련한 세부적인 상담지원과

위탁가공 시스템의 운영 등이 구루메 공업대학 제조센터의 대

표적인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마. 규슈 공업대학 – 모노쯔꾸리 공방7)

규슈공업대학은 개교 이래 기술에 능통한 사군자(士君子;학

문에 능통하고 덕이 높은 사람)의 양성을 기본 이념으로 하고

있다. 선진적인 교육방식을 기반으로 한 강력한 공학교육과 교

양교육을 통해 기술로써 세계와 소통하는 능력과 세계인에게 적

4) http://www.kanazawa-it.ac.jp5) http://www.fit.ac.jp6) http://www.kurume-it.ac.jp 7) http://www.kyutech.ac.jp

합한 품격과 창의성을 가진 인재를 기르고 있다. 학생활동과 관

련한 규슈공업대학의 대표적인 비교과 활동 지원형태는 “꿈 플

랜”, “100주년 기념사업” 등 학생 프로젝트의 운영이다. 학생

프로젝트는 새 인간 콘테스트, 전 일본 학생 포뮬러 대회, 로봇

콘테스트 등 기술계 경진대회와 친환경 프로젝트, 지역활성화

프로젝트 등 지역공헌활동으로 구성된다. 프로젝트는 학생팀 단

위로 지원하며 지원자에 대한 청문회를 실시하고 지원이 채택된

경우 학내 시설이용이 가능하다. 규슈 공업대학의 모노쯔꾸리

공방은 이러한 학생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운영되는 점이 가장

큰 특징이라 할 수 있다. 학생 프로젝트에 선정된 팀에게는 200

만엔씩 예산지원을 한다. 2012년에는 학생 포뮬러(KIT-Formula),

Chu-Chu-커뮤니케이션(뇌파를 이용한 통신보조기 개발), 위성

개발 프로젝트, 인력비행기 제작 등 총 16개의 학생 프로젝트

가 운영되었다.

바. 한국산업기술대학교 - 창의실천실8)

우리나라의 한국산업기술대학교는 창의 실습공간을 보유한 대

표적인 4년제 대학이다. 한국산업기술대학교의 창의실천실은

기계제작법과 관련한 기술의 이해증진, 학생들의 자율적인 기

계제작법 관련 활용의 확대, 그리고 각종 산학협력 관련 가공

서비스를 위해 구축된 실습공간이다. 주요 교육 프로그램은 제

작기술 초급/중급 과정, CNC 선반과정, 머시닝 센터 과정, 캡

스톤디자인 실습 등이다. 보유 자원으로는 CNC선반을 비롯하

여 밀링머신, 드릴링머신, 3D프린터 등 초급에서 고급에 이르

기까지 다양하고 충분한 기자재 장비를 보유하고 있다.

지금까지 소개된 대학의 사례는 적은 수이지만 창의 실습공간

운영에 관한 국제적인 흐름을 보여준다. 대표적인 공통점이자

특징으로는 첫째, 팀 단위의 학생 프로젝트 활동지원이다. 팀 활

동 기반의 학생 프로젝트 활동을 통해서 재학생들은 전공이론을

공부하는 방법과 함께 리더로써 또는 팀원으로써 일하는 방법

을 습득하게 된다. 둘째, 전문가의 활용을 들 수 있다. 대표적인

예로 Learning Factory의 경우에는 전담교수 1인, 행정직원 1

인, 관리인 1인을 필두로 한 행정지원팀과 프로젝트 코디네이

터 14명, 그리고 학생조교 12명을 운영하고 있으며, 가나자와

공업대학 몽고방의 경우는 기사 13명(분야별), 강습기사 4명, 학

생스텝(옐로점퍼) 31명을 운영하고 있다. 창의 실습공간의 규모

가 작은 학교의 경우에도 최소 3명(센터장, 기사-관리인, 행정

직원) 이상의 전담인력을 배치하여 활용하고 있다. 이렇듯 다양

한 기자재에 관한 장비활용교육이나 학생 프로젝트 작품제작 과

정에서의 장비사용을 지원하기 위하여 각 대학은 장비운영 상

안전교육, 그리고 재료 또는 부품가공 상담, 기자재 사용에 관

8) http://create.kpu.ac.kr

Page 4: 창의 실습공간 활용을 통한 비교과 교육방안 연구 · 창의 실습공간 활용을 통한 비교과 교육방안 연구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조인수․최대우․박준협

공학교육연구 제17권 제2호, 201428

Photo 1 Open ceremony(Creative Engineering Center)

한 상담 등을 해 줄 전담인력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세

번째는 기자재의 도입에 관한 사항인데 각 대학은 양질적인 장

비활용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을 만큼의 성능을 가진 충분한 기

자재를 확보하고 있다. 넷째, 위의 세 가지의 주요 지원내용은

설계에서 완성에 이르기까지 공학도의 창의적인 작품제작에 절

대적으로 기여한다.

2. 동명대학교 창의공학센터 소개

동명대학교의 창의공학센터(Creative Engineering Center)

는 동명대학교 공과대학 공학교육의 요체이자 실체라고 할 수

있다. 동명대학교 공과대학은 ‘스스로 생각하고 행동하는 참능

력을 가진 창의적인 기술자’의 육성을 교육목표로 한다. 이를

위하여 창의공학센터는 작품제작, 창작동아리 활동, 장비활용교

육 및 장비사용지원 등 재학생의 비교과 활동을 전폭적으로 지

원하는 것을 큰 목표로 구축되었다. 창의공학센터는 2011년 12

월 공방 영역별 구축계획 및 운영방안 수립, 2012년 6월 가나

자와 공업대학 벤치마킹, 총장참석 간담회 개최, 2013년 2월

제반 인프라 구축 등의 과정에서 동명대학교 공과대학 교수진

과 직원들의 헌신적인 노력에 의하여 구축될 수 있었다. 그 결

과로서 총면적(2개소) 880.5m2의 공간에 PCB, 용접, 선반, 밀

링, 아크릴가공, 목공분야 등 총 55종 487점의 기자재를 확보

하였다. 2013년 3월 개소 이후 현재까지 창의공학센터에서 장

비활용교육을 받았거나 장비를 사용한 재학생은 총 1,400여명

으로 집계되고 있다.

III. 연구내용

1. 조사개요

본 논문에서는 동명대학교의 창의공학센터를 사용하는 재학

생들을 대상으로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조사 결과로부터 창

Table 1 Survey summary

조사주제 동명대학교 창의공학센터 재학생 만족도조사

조사기간 1차: 2013.6∼2013.8, 2차: 2013.9∼2013.11

조사방식 질문지

조사대상 동명대학교 창의공학센터 장비교육 수강자

유효표본

1차교내 54부

교외 37부

2차 교내 141부

분석방법(분석툴) 신뢰도분석, 평균차이분석, 분산분석 등(SPSS 18.0)

의 실습공간으로서 창의공학센터의 바람직한 운영을 위한 발

전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조사는 2013년 6월 1일부터 11

월 30일까지 6개월 간 진행되었으며 조사방식은 질문지에 의

하였다. 조사대상은 동명대학교 창의공학센터 장비활용교육을

수강한 교내 ․ 외의 재학생(공과대학 재학생 중심)이며, 조사된

유효표본은 동명대학교 재학생 총 195부(1차 54부, 2차 141부)

동남권재학생 37부이다. 본 논문에서의 신뢰도분석, 평균차이

분석은 전체자료를 활용하였고, 분산분석을 포함한 사후분석은

동명대학교 2차 조사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된 결과는 향후

창의공학센터의 합리적인 운영에 관한 근거자료로 활용할 예정

이다.

2. 조사내용

구체적인 조사대상은 PCB가공, 용접, 선반, 밀링, 아크릴가공,

목공 등 동명대학교 창의공학센터가 보유한 기자재 관련 장비

활용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교내 ․ 외 재학생이며 인적사항(성

별, 전공), 교육사항(수강한 교육, 교육시간), 교육(8문항) 및 서

비스(6문항) 만족도, 기타 서비스 개선을 위한 건의사항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여 질문하였다. 인적사항 및 교육사항 항목은

범주형 자료이며, 교육/서비스 만족도 항목은 5점척도(등간척

Table 2 Questionnaire contents

구분 조사항목 비고

인적사항- 성별, 학년- 학과 등

4문항

교육사항- 교육분야- 교육시간

2문항

교육만족도- 강의환경- 강사, 교육방식 등

8문항

서비스만족도

- 직원/강사- 시설- 행정처리- 만족도(동료,본인)

6문항

기타사항 - 서비스 개선을 위한 건의 -

Page 5: 창의 실습공간 활용을 통한 비교과 교육방안 연구 · 창의 실습공간 활용을 통한 비교과 교육방안 연구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창의 실습공간 활용을 통한 비교과 교육방안 연구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17(2), 2014 29

Table 4 Satisfaction level of each question

구분1차조사 2차조사

동명대 동남권대학 동명대

교육1. 강의환경(장비,청결,조명 등)은 적절하였다. 4.22 4.70 4.45

교육2. 강사는 이해하기 쉽도록 설명하고자 노력하였다. 4.30 4.78 4.65

교육3. 강사는 학생들이 교육내용의 이해를 점검하고 부족한 점을 보완해 주었다. 4.11 4.70 4.52

교육4. 교육진행 방식은 적절하였다. 3.93 4.62 4.48

교육5. 이론 중심의 교과목과 차별성을 느낄 수 있었다. 3.87 4.51 4.40

교육6. 전문분야 능력제고에 도움이 되었다. 3.74 4.38 3.87

교육7. 센터 이용이 학습활동에 활력을 불어 넣어준다. 3.80 4.27 4.01

교육8. 센터의 교육프로그램이 나에게 도움이 된다. 3.98 4.49 3.95

서비스1. 직원이나 강사가 친절하다. 4.31 4.83 4.59

서비스2. 시설 이용시 신청 ․ 접수절차가 간편하다. 4.02 4.44 4.18

서비스3. 이용자들의 불만을 신속하게 처리해 준다. 3.72 4.25 3.96

서비스4. 창의공학센터를 활용하는 동료학생은 진지한 태도로 교육 등에 임하였다. 4.04 4.61 4.43

서비스5. 나는 다른 친구들에게 센터 이용을 권장하고 싶다. 4.09 4.72 4.27

서비스6(종합). 나는 창의공학센터 이용에 만족한다. 4.00 4.72 4.49

10) 동서대학교, 부산대학교, 인제대학교, 한국해양대학교

도)9)로 설정하였으며, 서비스 개선을 위한 건의는 질적인 자료

로써 논문작성 과정의 참고자료로 활용하였다.

IV. 연구결과

1. 신뢰도 분석

몇 개의 질문을 하나의 개념에 대한 측정도구로서 사용하고

자 할 때 그 질문들에 대한 응답들이 동일한 개념을 측정하였

기 때문에 비슷하게 나타나야 한다는 것을 전제로 하는 분석이

신뢰도분석(Reliability Analysis)이다(서의훈, 2011). 본 논문

에서는 동명대학교와 동남권 대학 재학생 대상의 설문결과를

바탕으로 한 문항들에 대하여 각각 독립적인 신뢰도분석을 실

시하였다. 그 결과 Table 3이 보여주는 바와 같이 모든 조사

문항들의 크론바흐 알파계수가 0.8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따

라서 본 조사에서 사용한 설문문항은 상당히 신뢰할 만 하다고

할 수 있다.

Table 3 The reliability of the question

구분

Cronbach's α

1차조사 2차조사

동명대 동남권대학10) 동명대

교육만족도 .95 .86 .82

서비스만족도 .94 .83 .82

9) 1-전혀 그렇지 않다, 2-별로 그렇지 않다, 3-그저 그렇다(보통), 4-약간 그렇다, 5-매우 그렇다

2. 문항분석

가. 문항별 점수

동명대학교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창의공학센터 장비활용

교육에 관한 대체적인 문항별 평균점수는 1차 조사에서는 3.7

(74점)~4.3(86점), 2차 조사에서는 3.8(76점)~4.5(90점) 수

준으로 나타났다. 동남권 대학 재학생들은 4.2(84점)~4.8(96

점)로 동명대학교 재학생들의 만족도 점수보다 높게 나타났다.

Table 4에서 보여지듯이 전반적인 만족도 점수는 ‘동명대(1차

조사)<동명대(2차조사)<동남권’의 순으로 집계되었다.

나. 점수차이 분석(독립표본 t-검정)

조사대상 및 조사시기 간 평균차이 분석을 위하여 본 논문에

서는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Table 5의 동명대학교 재

학생들에 대한 1차 조사와 2차 조사 간 독립표본 t-검정결과 교

육8 문항을 제외하고는 2차 조사에서 더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

었다. 그 중에서 특히 유의한(p<0.05) 차이를 나타낸 문항으로

는 교육2(강사는 이해하기 쉽도록 설명하고 노력하였다), 교육3

(강사는 학생들이 교육내용의 이해를 점검하고 부족한 점을 보

완해 주었다), 교육4(교육 진행방식은 적절하였다), 교육5(이론

중심의 교과목과 차별성을 느낄 수 있었다), 서비스4(창의공학

센터를 활용하는 동료학생은 진지한 태도로 교육 등에 임하였

다), 서비스6(나는 창의공학센터 이용에 만족한다) 문항이다.

2013년 3월 개소이후의 초기에는 단순한 내용으로 장비활용교

Page 6: 창의 실습공간 활용을 통한 비교과 교육방안 연구 · 창의 실습공간 활용을 통한 비교과 교육방안 연구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조인수․최대우․박준협

공학교육연구 제17권 제2호, 201430

Table 5 Independent samples t-test I

문항

평균의 동일성에 관한 t-검정

동명대(1차)

동명대(2차)

점수차 t 유의확률

교육1 4.22 4.45 -.225 -1.440 .154

교육2 4.30 4.65 -.356 -2.241 .028

교육3 4.11 4.52 -.414 -3.219 .002

교육4 3.93 4.48 -.549 -3.107 .003

교육5 3.87 4.40 -.527 -3.163 .002

교육6 3.74 3.87 -.125 -.776 .440

교육7 3.80 4.01 -.218 -1.303 .197

교육8 3.98 3.95 .031 .213 .832

서비스1 4.31 4.59 -.274 -1.810 .074

서비스2 4.02 4.18 -.159 -.951 .345

서비스3 3.72 3.96 -.235 -1.277 .206

서비스4 4.04 4.43 -.388 -2.309 .024

서비스5 4.09 4.27 -.177 -1.253 .212

서비스6 4.00 4.49 -.489 -3.550 .000

육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라 공과대학 재학생들의 만족도가 다

소 낮게 나타날 수밖에 없었다. 그럼에도 초기 운영기간동안 재

학생들에 대한 애로 및 건의사항 수렴, 장비별 수행을 요하는

미션발굴, 기타 운영과정 상 전담인력의 노하우 습득 등 교육

프로그램의 개선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수반되었다. 그 결과

로 하계방학 이후의 2차 조사에서는 만족도가 더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여진다.

한편, Table 6은 동남권 대학 재학생과 동명대학교 재학생(2

차조사)들에 대한 만족도 간 독립표본 t-검정 결과를 보여준

다. 동남권 대학 재학생을 대상으로 한 장비활용교육은 부산대

학교 공학교육혁신거점센터와 동명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가

공동 주관하여 ‘스타트랙’이라는 이름으로 추진되었다. ‘스타트

랙’은 엔지니어리턴즈(장비활용교육-PCB, 선반, 밀링, 용접, 아

크릴가공, 목공), 그리고 부산대학교기계설계전산화 인력양성센

터에서 개설한 CATIA V5 과정과 연계한 결과물 가공실습으로

구성되었다. 교육프로그램은 부산대학교 CATIA 수업 담당교수,

동명대학교 창의공학센터 담당직원/기능장 간 수차례의 사전논

의를 통하여 최대한 알찬 내용으로 구성하였으며 장비활용교육

은 창의공학센터의 기능장을 포함한 숙련된 학생도우미들이 참

여하는 형태로 진행되었다. 교육내용이 광범위하고 실습을 통한

결과물 제작(가공)이 다소 힘들었지만 ‘스타트랙’ 장비활용교육

을 수강한 동남권 대학 재학생들의 만족도가 동명대학교 자체

장비활용교육을 수강한 재학생들의 만족도보다 높게 나타났다.

동명대학교 재학생들에 대한 2차 조사에서의 만족도 점수가 그

Table 6 Independent samples t-test II

문항

평균의 동일성에 관한 t-검정

동남권대학

동명대(2차)

점수차 t 유의확률

교육1 4.70 4.45 .256 2.452 .017

교육2 4.78 4.65 .131 1.419 .159

교육3 4.70 4.52 .178 1.711 .091

교육4 4.62 4.48 .146 1.177 .241

교육5 4.51 4.40 .116 .857 .392

교육6 4.38 3.87 .513 3.560 .000

교육7 4.27 4.01 .256 1.904 .058

교육8 4.49 3.95 .536 3.640 .000

서비스1 4.83 4.59 .249 2.931 .004

서비스2 4.44 4.18 .255 1.704 .090

서비스3 4.25 3.96 .293 2.042 .043

서비스4 4.61 4.43 .196 1.459 .146

서비스5 4.72 4.27 .460 4.596 .000

서비스6 4.72 4.49 .240 2.494 .014

리 낮은 편이 아님에도 특히 교육6(전문분야 능력제고에 도움

이 되었다), 교육8(센터의 교육프로그램이 나에게 도움이 된다),

서비스5(나는 다른 친구에게 센터 이용을 권장하고 싶다), 서비

스6(나는 창의공학센터 이용에 만족한다) 문항에서는 동남권과

동명대학교 재학생 간 만족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p<0.05) 차

이를 보였다. 이것은 교육내용과 사전 교육준비의 충실도에 대

하여 반영된 만족도의 결과라고 보여진다.

3. 분산분석

분산분석은 동일한 모집단에서 나온 두 개 이상의 표본 평균

치들을 비교하여 그 모집단 평균들 사이에 의미 있는 차이가 있

는지를 추정(또는 검정)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통계기법이다(김

정환, 2011). Table 7은 동명대학교 재학생들에 대한 2차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한 문항별*학년별 만족도의 평균차이에 관한

분산분석 결과를 보여준다. 먼저 학년별로 만족도가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 문항은 교육2, 교육3, 교육4, 교육5, 교육6, 교육7,

교육8, 서비스2, 서비스3, 서비스4 그리고 서비스5 문항이다.

즉 강사의 노력, 교육 진행방식, 정규 교육과정과의 차별성, 학

습활동에 도움, 신청 등 시설이용의 편의, 불만접수 등에 관하

여서는 모든 학년의 만족도가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학년별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 문항은 교육1(교육환경

은 적절하였다), 서비스1(직원이나 강사가 친절하다), 서비스6

(나는 창의공학센터 이용에 만족한다) 문항으로 나타났다. 이러

Page 7: 창의 실습공간 활용을 통한 비교과 교육방안 연구 · 창의 실습공간 활용을 통한 비교과 교육방안 연구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창의 실습공간 활용을 통한 비교과 교육방안 연구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17(2), 2014 31

Table 7 One-way ANOVA

문항일원배치 분산분석

등분산 가정 F통계량 유의확률

교육1 ○ 3.612 0.015

교육2 ○ 1.036 0.379

교육3 ○ 1.048 0.374

교육4 ○ 0.984 0.402

교육5 ○ 1.064 0.366

교육6 ○ 0.436 0.700

교육7 ○ 1.495 0.219

교육8 ○ 1.044 0.375

서비스1 × 2.951 0.035

서비스2 ○ 1.184 0.318

서비스3 ○ 0.774 0.510

서비스4 ○ 2.215 0.100

서비스5 ○ 0.527 0.664

서비스6 × 3.353 0.021

Table 8 Post Hoc analysis

문항비교학년 평균차이

(A평균-B평균)t 유의확률

A B

교육1 1 4 0.498 2.284 0.027*

서비스1 1 4 0.488 2.325 0.024**

서비스6 1 4 0.667 4.416 0.000**

*등분산성 가정됨**등분산성 가정되지 않음

한 학년별 만족도 차이에 관한 사후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8에 정리된 바와 같다. 사후분석을 통하여 문항별, 학년별 만족

도 차이를 살펴보는 것은 향후의 창의공학센터 운영방향 설정

을 위한 판단에 있어서의 실질적인 단초를 제공하기 때문에 중

요한 의미를 가진다.

사후분석의 결과 1학년 재학생과 4학년 재학생 간의 만족도

차이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문항별로 나타난 점수차이는

교육1(장비, 청결, 조명 등 교육환경은 적절하였다) 0.498(100

점환산 10.0점), 서비스1(직원이나 강사가 친절하다) 0.488(100

점환산 9.8점), 서비스6(나는 창의공학센터 이용에 만족한다)

0.667(100점환산 13.3점)로 저학년인 1학년 재학생들이 4학년

재학생들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p<0.05)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신입생인 1학년 재학생들에게는 단순한 장비활용교

육이라도 새로운 체험학습이자 학교에서의 신선한 교육경험이

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따라 전반적인 만족도가 4학년 재

학생들에 비해 높은 것으로 보여진다. 반면, 4학년 재학생들은

이미 기초공학설계나 공학기초실습 등의 기본적인 설계 교육과

정을 이수하고 전공연구 및 캡스톤디자인 작품제작 활동에 참

여하는 등 학생작품 제작과 관련한 다양한 경험과 노하우를 가

지고 있다. 따라서 4학년 재학생들에게는 학생작품 제작과정에

서 창의공학센터의 지원이 기대에 미치지 못한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장비성능, 교육환경, 장비사용 및 가공에 관한

상담지원 등 4학년 재학생들의 작품제작에 다소 어려움이 있었

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이렇듯 창의공학센터에서 3학년 이상 고

학년의 학생 프로젝트 작품제작에 대한 장비교육/사용지원, 재

료지원, 상담지원 등 충분한 지원을 할 수 있을 것인지의 여부는

향후 창의공학센터의 장기적인 지속가능성과 결부된다는 점에

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사항이다.

V. 결론 및 제언

본 논문에서는 공과대학 재학생들의 비교과 활동지원에 대한

국내 ․ 외 창의 실습공간 활용교육 사례들을 살펴보았다. 또한 동

명대학교 공과대학의 창의 실습공간인 창의공학센터를 찾은 재

학생들을 대상으로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향후 센터의 운영

상 중요하다고 생각되어지는 개선사항들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조사결과, 동명대학교 공과대학 재학생들의 만족도 내용 중 상

대적으로 낮은 만족도를 나타낸 문항은 교육6(전문분야 능력제

고에 도움이 되었다, 3.87점), 교육8(센터의 교육프로그램이 나

에게 도움이 된다, 3.95점), 서비스3(이용자들의 불만을 신속하

게 처리하여 준다, 3.96점) 문항으로 만족도가 4점 미만(5점만

점)으로 나타났다. 재학생의 전문분야에 대한 능력제고, 양질의

교육프로그램 개발, 재학생에 대한 서비스 개선 등의 내용은 사

실상 창의 실습공간의 운영에 있어서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되

어야 할 중요한 사항이다. 따라서 위의 조사분석 결과의 내용들

을 바탕으로 하여 본 논문에서는 창의 실습공간의 장기적인 성

공을 위한 방안을 몇 가지 제안하고자 한다.

1. 학생 프로젝트의 활성화

동명대학교 공과대학은 기계, 로봇, 전기/전자, 정보통신, 자

동차, 조선 등 학생 프로젝트를 발굴할 수 있는 다양한 분야의

학과가 운영되고 있다. 현재 창의공학센터에서 추진이 가능한

학생 팀 활동의 대표적인 형태로서 정규교과목 수업으로는 기

초공학설계와 공학기초실습을, 비교과 활동으로는 창작/창업동

아리, 장비활용교육, 원포인트 레슨(재료식별, 전동/수동공구 활

용교육) 운영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정규와 비정규 영역의

사이에 전공연구(캡스톤디자인) 교육과정이 자리하고 있으며,

Page 8: 창의 실습공간 활용을 통한 비교과 교육방안 연구 · 창의 실습공간 활용을 통한 비교과 교육방안 연구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조인수․최대우․박준협

공학교육연구 제17권 제2호, 201432

이 외에도 교내 ․ 외 경진대회 작품 제작지원, 학생 참여의 교수

프로젝트 운영 등을 들 수 있다. 이렇듯 앞으로도 지속가능한

학생 팀 활동 기반의 창의 실습공간 운영을 위해서는 첫째, 산

학협력의 상시적인 교육채널 구축이 필요하다. 산학협력에 의

한 교육은 대학과 산업체가 단순한 실적 쌓기식의 관계라기보

다는 상시적인 교육제공의 파트너로 같이 활동하면서 이루어져

야 한다. 학생팀 구성, 산업체(실세계) 애로기술 사례연구, 문제

해결을 위한 아이디어 풀 구축 및 아이디어 도출, 아이디어 적

용, 작품제작, 발표평가 등 제반 교육과정들이 산업체의 참여

형태가 되기 위해서는 대학이 그에 준하는 활동무대를 제공하

여야 한다. 창의 실습공간의 장기적인 활용가능성은 여기에서

생겨난다. 둘째, 학생 프로젝트에 대한 인식의 전환이다. 학생

프로젝트 활동은 학점이수를 위해 어쩔 수 없이 참여하는, 지도

교수와 학생 간의 관계에 의한, 학생작품 경진대회의 경우 단

지 시상금 획득을 위한 등의 이유로 참여하는 경향이 크다. 물

론 새로운 교육체험의 확대 차원에서 참여하는 것도 바람직하

겠지만 학교, 학생, 산업체 입장에서는 학생 프로젝트가 본질적

으로 취업과 직결될수록 즉, ‘학생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되면

취업과 100% 직결된다’ 라는 인식을 갖게 함으로써 장기적인

운영이 가능해 진다. 그 이유는 학생의 입장에서는 자신의 자질

이나 능력에 따라 학생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되고 맞춤형태의

입사지원이 가능하며, 학교의 입장에서는 졸업생 취업률의 양

적인 개선뿐만 아니라 질적인 개선이 가능하며, 산업체의 입장

에서는 준비된 인력을 용이한 절차에 의해 채용할 수 있는 이

점이 있기 때문이다. 창의 실습공간에서의 학생 프로젝트 활동

은 공학도가 지금까지 학생으로 공부하면서 경험하지 못한 실

세계의 다양하면서도 만만치 않은 상황과 문제를 스스로 해결

할 수 있도록 하는 여러 가지 교육적인 요소를 지니고 있다. 교

육적인 요소라 함은 공부 잘 하는 학생을 만들기 위함도 되겠지

만 여기에 더하여 일 잘하는 학생을 만들기 위한 것이 될 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창의 실습공간은 상기의 목표를 이룰 수

있기 위한 핵심적인 교육시설이 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2. 기자재, 전담인력 등 인프라의 확보

창의 실습공간의 장비활용교육과 학생작품제작 지원의 질적

인 차이는 보유 기자재의 성능에 기인한다. 현재 창의공학센터

에서 제작 가능한 작품 사이즈는 소형만 가능하기 때문에 중형

이상 사이즈의 작품제작을 위해서는 중형규격 이상 기자재의 보

완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창의 실습공간을 활용한 교육에 있어

서는 물론 교육내용의 충실성도 고려되어야 하겠지만 기자재

성능이 좋으면 좋을수록 공과대학 재학생들은 실세계의 기술을

더욱 용이하게 배우고 체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기자재 인프라가 양적으로 확대되면 보유 기자재를 효

율적으로 관리하며 학생지도에 임할 전담인력의 확보가 중요

한 고려사항이 된다. 창의 실습공간을 찾는 학생의 숫자가 늘

어나면서 장비활용교육에 관한 수요 또한 증가하게 되면 그때

부터는 장비활용교육의 양적인 면 뿐만이 아니라 질적인 면까

지 고려하지 않으면 안 되는 상황이 되기 때문이다. 장비활용교

육이나 학생 프로젝트 작품제작 과정에서의 장비사용을 지원하

기 위해서는 장비운영 상의 안전에 관한 교육과 제조/가공 및

기자재 사용상의 애로사항들을 상담해줄 숙련된 인력을 장비분

야별로 최소한 1명씩은 확보하여야 한다. 다시 말해 기자재의

활용도를 장기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분야별 기자재 운용 전담

인력 확보에 만전을 기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전담팀은 기능장,

강습기사, 실습조교, 학생스텝(ex.일본 가나자와 공업대학의 옐

로점퍼) 등 학교의 여건에 따라 다양한 인력으로 구성될 수 있

다. 창의공학센터 만족도 조사의 분석결과에서 공과대학 4학년

재학생의 만족도가 비교적 낮은 것에는 장비성능 및 가공에 관

한 상담지원이 미치는 영향이 컸던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기자

재 및 전담인력 인프라는 학생 개인의 스킬향상과 팀 기반 학생

프로젝트의 운영, 전공연구 활성화 등에 비중을 두어 변화하는

교육환경과 장차 공과대학 졸업생들이 취업할 산업계 환경에

대한 끊임없는 모니터링과 심사숙고를 통하여 구축되어져야 할

것이다.

3. 장비활용교육 프로그램의 지속적인 개발

당연한 결과이겠지만 본 논문의 IV.의 2.에서 보여준 바와

같이 장비활용교육에 있어서는 교육내용이 다소 방대하고 까다

롭긴 해도 잘 계획된 장비활용교육을 수강한 학생들의 만족도

가 비교적 수월한 내용의 일회적인 장비활용교육을 수강한 학

생들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이렇듯 기자재 장비의 양적인 증대

만으로는 제대로 된 장비활용교육 지원이 쉽지 않기 때문에 양

질의 장비활용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중급 또는 고

급의 장비활용교육 과정이 많이 힘이 들 수는 있으나 재학생 입

장에서는 교육 과정에서 어떤 방식으로든지 본인에게 도움이

되는 것을 하나라도 더 얻어갈 수 있으며 이러한 결과로 교육

에 대한 만족도가 자연히 높아질 수 있다. 장비활용교육은 궁

극적으로 학생 프로젝트 작품제작을 위한 기술적 토대가 되어

야 하는 중요한 비교과 과정이다. 따라서 장비활용교육 프로그

램의 개발을 위해서는 장비 분야별 미션발굴을 위한 연구와 장

비별 전담인력에 대한 체계적인 훈련지원이 지속적으로 이루

어져야 한다.

Page 9: 창의 실습공간 활용을 통한 비교과 교육방안 연구 · 창의 실습공간 활용을 통한 비교과 교육방안 연구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창의 실습공간 활용을 통한 비교과 교육방안 연구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17(2), 2014 33

4. 대학 특성화와의 연계

대학 특성화는 ‘학문분야의 전문화’, ‘대학기능의 차별화’, ‘차

별성 있는 프로그램’으로 정의될 수 있다(최상덕 외, 2008). 또

한 대학특성화의 특징은 캠퍼스특화형(공학설계교육과 환경 만

들기, 세터라이트캠퍼스 조성, 가운타운 캠퍼스 조성), 인재특

화형, 브랜드특화형, 교육연구특화형, 국제화특화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구견서, 2009). II장의 창의 실습공간 활용에 관한 국내

․ 외 사례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창의 실습공간의 활용은 대학

특성화의 특징 중에서 캠퍼스특화형(공학 설계교육과 환경 만

들기)에 가깝다. 물론 대학별 특성화 전략은 천차만별로 다르

겠지만, 창의 실습공간은 이렇듯 대학특성화와 연계될 때 더욱

빛을 발할 수 있다. 그 이유로 첫째, 예산 활용의 수월성을 들

수 있다. 동명대학교의 창의공학센터와 같은 창의 실습공간의

구축을 위해서는 전용공간 확보와 함께 기자재/공구/재료 등의

구입을 위한 초기예산이 많이 소요된다. 물론 이것을 학교의 자

체예산으로 감당할 수 있다면 이상적이겠지만 그렇지 못한 경

우 재정지원사업의 예산으로도 충당이 가능할 수 있다. 창의 실

습공간의 활용은 학생지원, 교수연구, 산학협력, 교육혁신 등

재정지원사업 수행을 위한 사업 아이템의 충실한 공급원이 되

기 때문이다. 둘째, 창의 실습공간을 대학 특성화에 부합하여 운

영하는 것은 대학과 창의 실습공간과의 강력한 연결고리를 확보

하는 셈이 된다. 연결고리는 구축 이후에도 창의 실습공간이 유

명무실해지지 않도록 하는 최소한의 방어막이라 할 수 있다. 결

론적으로 창의 실습공간의 구축과 지속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대

학의 특성화 전략에 부합하는 다각적인 활용이 관건이라 할 수

있다.

5. 교수의 모험

창의 실습공간의 지속적인 운영에 관하여 지금까지 언급한 제

안사항에 대한 실행은 공학교육의 주역인 공과대학 교수들의 관

심과 노력이 없다면 사실상 불가능하다. 이미 그러한 혁신적인

시도를 해본 교수도 있겠지만 그것은 교육혁신 활동의 대상이

정규 교육과정의 것이든 비정규 교육과정의 것이든 동일하다.

Susan Drake(1993)는 교과 통합의 과정을 신화에 나오는 영웅

이 미지의 세계에서 겪는 모험에 비유하였다. 영웅이 모험의 세

계로 들어가 갖가지 실패를 겪고 좌절하지만 마침내 어려움을

극복하고 귀환하듯이, 교과를 통합적으로 운영하고자 하는 교

사들은 교과 통합에 대한 잘못된 신념을 버리고, 학교 안팎의

저항을 극복하면서 교과를 통합적으로 운영한 다음, 자신이 겪

은 이러한 체험을 다른 교사들과 나눈다는 것이다(김대현, 2011).

같은 의미에서 새로운 공학교육 방법을 고안하여 새로운 교육

을 시도하는 것은 교수에게 큰 모험이 될 수 있다. 그렇지만 이

러한 힘든 모험을 감행하는 것이야말로 교육혁신의 인과론적 필

요조건이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개선사항들은 비교과 교육방법 연구에

대한 극히 일부분의 의견에 지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동명대학교의 창의공학센터와 유사하거나 동일한 창의 실습공

간을 보유한 대학이라면 재학생에 대한 비교과 활동지원과 관

련하여 한 번쯤은 심사숙고 해 보아야 할 중요한 내용이 될 수

도 있다. 이러한 방안들이 서로 접목되어 연구되고, 평가되고 또

는 새로운 요소들이 추가/보완 되는 과정들이 반복되면서 장기

적으로는 창의 실습공간의 유의미한 발전을 기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논문은 교육부가 지원하는 공학교육혁신사업에 의해

동명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 수행된 것임.

참고문헌

1. 구견서(2009), 일본에 있어서 대학특성화의 특징과 방향, 일본

학보 제78집, 189-205.

2. 김대현(2011), 교육과정의 이해, 학지사.

3. 김영종(2008), 일본 가나자와공업대학의 교육개혁, 한국대학교

육협의회, 통권153호, 114-120.

4. 김정환(2001), 분산분석의 이해, 교육과학사.

5. 서의훈(2011), SPSS 18.0을 이용한 통계분석, 자유아카데미.

6. 조인수(2012), 부산지역 산업기술인력 현황과 미스매치 해소

방안, 부산발전연구원. 2012년 학연정책연구, 171-205.

7. 최상덕 외(2008), 고등교육 경쟁력 강화를 위한 대학특성화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8. Drake, S.M.(1993). Planning Integrated Curriculum: The

Call to Adventure. Virginia: ASCD.

9. Hylton, P.(2010). The progress of designing a design

progress: An outside-the-box engineering technology

capstone course, 40th ASEE/IEEE Frontiers in Education

Conference. S3H-1-6.

10. Jaeger, B. et al.(2010). Successful student: Smart or

Tough?, American society for engineering education from

http://search.asee.org/search/fetch?url=file%3A%2F%2Floc

alhost%2FE%3A%2Fsearch%2Fconference%2F32%2FAC%2

5202010Full1033.pdf&index=conference_papers&space=12

9746797203605791716676178&type=application%2Fpdf&c

harset=

11. Lamancusa, J.S. et al.(2008). The learning factory: Industry-

partnered Active learning,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2008(1): 5-11.

Page 10: 창의 실습공간 활용을 통한 비교과 교육방안 연구 · 창의 실습공간 활용을 통한 비교과 교육방안 연구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조인수․최대우․박준협

공학교육연구 제17권 제2호, 201434

12. Palmer, B. et al.(2011). Design in context: Where do the

engineers of 2020 Learn this skill?, American society

for engineering education from http://www.asee.org/public/

conferences/1/papers/2129/view.

13. Sheppard, S., Jenison, R.(1997). Examples of freshman

design education, Int. J. Engng Ed. 13(4): 248-261.

조인수(In Su Cho)

2012년: 부산대학교 공학교육협동과정 석사

2007~2012년: 영산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전담직원

2012년~현재: 동명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창의공학센

터 연구원

관심분야: 공학교육, 비교과 교육, 산업체 인력수급

Phone: 051-629-0473

Fax: 051-629-0479

E-mail: [email protected]

최대우(Dae Woo Choi)

1981년: 경북대학교 전자공학과 공학사

1983년: 동 대학원 전자공학과 공학석사

1997년: KAIST 전기및전자공학과 공학박사

2010.9~2011.8: 부경대학교 전자정보통신연구소, 초빙교

1999년~현재: 동명대학교 전자공학과 부교수

2012.10~현재: 동명대학교 공학교육혁신실장(센터장)

관심분야: 공학교육인증, 설계교육, 통신프로토콜

Phone: 051-629-1145

Fax: 051-629-0479

E-mail: [email protected]

박준협(Jun Hyub Park)

1995년: KAIST 기계공학 박사

1992년: 대우자동차 근무 (선임연구원)

1997년: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근무 (선임연구원)

1998년: 삼성종합기술원 근무 (수석연구원)

2009년: 메카트로닉스공학과 부교수

2014년: 현재 동명대학교 공과대학 학장

관심분야: 공학교육, 마이크로 또는 매크로 구조물의 신뢰성 평가, 피로강

도 평가

Phone: 051-629-1536

Fax: 051-629-1129

E-mail: [email protected]